Tuesday, January 26, 2021
<제4792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2021년 1월 26일 화요일
바이든 시대…미국 정치 기상도 예측 [역사학자 이길주 교수 긴급 진단]
트럼프 물러났다고 트럼피즘(Trumpism) 쉽게 사라지지 않을듯… 특별 기고
비
1월 26일(화) 최고 37도 최저 35도
구름
1월 27일(수) 최고 40도 최저 30도
1월 28일(목) 최고 34도 최저 19도
구름
1월 26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이길주 교수
앤드류 잭슨(Andrew Jackson) 제7대 미 국 대통령 [사진 출처=White House]
<버겐커뮤니티칼리지 역사학과 교수>
[편집자 주(註): 미국은 지 난 4년간 45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함께‘미국우선 주의’ ‘백인 우선 인종주의’등 그의 정치 이념 ‘트럼피즘 (Trumpism)’이 온통 미국과 세계를 뒤흔들었다. 이제 제46 대 조 바이든 대통령 시대의 열 림을 맞아 지난 4년 미국을 지 배해온‘트럼피즘’도 사라질 까? 뉴욕일보는‘트럼피즘’의 근원과 그 향방을 분석하는 기 획물을 싣는다.. 미국사 전공인 버겐커뮤니티칼리지 역사학과 교수이며‘이창환 기념 역사 배 움 공동체’ 의 대표인 이길주 박 사는 소위‘트럼피즘’이 유발 한 대립 구도, 거친 정치가 앞 으로 어떤 생명력을 가질 수 있 나하는 주제에 답한다. (이글에 서 대통령에 대한 경칭은 생략 한다.) 독자 여러분의 애독과 깊은 생각을 기대한다.]
도널드 트럼프 제45대 대통령의 롤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앤드류 잭슨 제7대 대통령의 초상이 걸려있었던 백악관 집무실. 트럼프의 퇴임과 함께 잭슨의 초상화는 떼어졌다. [사진 출처=Pete Marovich / Bloomberg via Getty Images]
1,101.60
1,120.87
1,082.33
1,112.30
1,114.81
1,090.30
< 미국 COVID-19 집계 : 1월 25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 ◆ 잭슨의‘명예’결투 1803년 5월 30일 오전 7시. 켄 터키주 남부 로건 카운티 한 강가 에 두 남자가 24 피트 거리를 사이 에 두고 서 있었다. 두 사람은 손 에 총을 들고 있었다.‘결투’ 엿다. 한 남성이 기사도를 발휘해 상대 에서 먼저 쏘라 했다. 총탄은 기 사도를 발휘한 남성의 가슴에 명 중했다. 몸이 흔들렸지만 다시 똑 바로 선 그는 상대를 향해 권총을 발사했다. 상대는 그 자리에서 사 망했다. 살아남은 사내의 가슴에서 피 가 흘러내렸다. 피가 옷을 적시고 나중에는 부츠에 고이기 시작해 서야 그는 상처의 심각성을 깨닫 고 현장을 떠났다. 총상은 깊었다. 결국 그는 빼내지 못한 총탄을 몸 에 지니고 평생을 살았다. 이 남성이 1829부터 1837까지 재임한 미 제7대 대통령 앤드류 잭슨이다. 전시나 무력 충돌의 현 장이 아닌 곳에서 사람의 생명을
취임직후 앤드류 잭슨 유적지인 허미타지(Hermitage) 대농장을 방문해 그의 묘지에 헌 화하고 경례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 출처=The New York Times]
끊은 경험으로는 유일한 대통령 이다. 이런 잭슨은 퇴임한 트럼프의 롤 모델이었다. 한 때 트럼프의 최측근 정책 참모였던 스티브 배 넌은 트럼프의 취임사에 대해 앤 드류 잭슨의 백악관 입성 이후 지 금까지 이런 연설을 없었다고 했 다. 보통사람들의 가슴에 다가간 취임연설로 거의 2백 년의 공백을
트럼프가 메웠다는 주장이다. 아 닌게 아니라 트럼프는 잭슨의 초 상화를 백악관 집무실에 걸어 놓 고, 존경을 표시했다. 미국역사에 있어“감탄할 인물(an amazing figure in American history)”이 라고 잭슨 초상화 선정 이유를 댔 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 테네시 주 의 잭슨 유적지 허미타지
25,824,049 1,380,667
114,696 10,518
431,000 42,574
666,951
4,143
20,973
(Hermitage) 대농장을 방문해 헌 화했다. 1845년 잭슨이 사망할 즈 음 이 농장에는 약 150명의 노예 가 거주했던 곳이다. 트럼프는 이 렇게, 모두가 박수만 칠 수 없는 잭슨 탄생 250주년 기념에 대통령 의 권위를 더했다. ◆ 트럼프, 왜 잭슨을 좋아하 나 말 그대로 대통령의 거친 숨결 도 정치적 향방에 영향을 준다. 잭슨에 대한 트럼프의 존경 표시 는 강한 정치 메시지였다. 잭슨의 사고와 행적은 실제로 트럼피즘
크리스 정 팰팍 시장, 뉴저지 주하원의원 출마 결심 37선거구 와인버거 주상원의원 은퇴로 지역 정치인들 자리 이동
크리스 정 뉴저지 팰리세이즈파크 타운 시장. 그는 차기 뉴저지주 하원의원 선거 에 출마하기로 결심했다.
1,090.90
크리스 정 뉴저지 팰리세이즈 파크 타운 시장이 차기 뉴저지주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로 결심 했다. 크리스 정 시장은 24일 보도자 료를 통해 뉴저지 37선거구 로레 타 와인버그 주 상원의원의 은퇴 로 인해 고든 존슨, 발레리 허틀 의원 주하원의원 등이 상원의원에 도전함으로써, 주 하원의원자리에
도 공석이 생겨 새로 뽑아야 하는 상황에서 출마를 결심하게 됐다고 밝혔다. 크리스 정 시장은 차기 37 선거 구 주하원의원 후보로 민주당위원 회, 선출직 공무원, 주민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뉴저지주 37선거구는 팰팍·포 트리·레오니아·잉글우드클립 스·잉글우드·티넥 등 한인 밀집
지역을 포함하는 중요한 지역구이 다. 크리스 정 시장은“37선거구는 뉴저지주에서 가장 다양한 인종으 로 구성된 입법구역 중 하나이다. 인구의 약 20%는 아시아계 미국 인들이다. 그중 저는 자랑스러운 한국계 1세대 미국인이다. 저는 부 모님을 따라 미국에 와 성장하면 서 테너플라이에서 공립학교를 다
녔고, 팰리세이즈파크 타운으로 터전을 옮겼다. 팰팍에서 저는 PTA 회장을 역임하는 등 수많은 지역 및 학교 단체에서 자원봉사 를 했다. 저는 또한, 2019년 버겐카 운티 역사상 최초의 한인 시장 당 선자가 되기 전까지 12년이 넘는 기간 동안 학교위원회 위원으로 재직하는 영광을 누렸다.” 며 감사 를 표했다. 크리스 정 시장은“오늘날 뉴 저지주는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
의 인도성(引導星) 역할을 했다. 많은 관찰자들은“강한 미국” “미 국 먼저”정도의 단순한 구호 외 에 통치 철학이라 할 만한 깊이 있는 비전이 없었던 트럼프가 19 세기 중·후반 미국의 정치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잭슨의 유 산을 가로채려 한(co-optation) 경우로 폄훼하기도 한다. 어쨌든, 트럼프는 잭슨을 닮고, 자신의 시 대와 잭슨이 시대가 일맥상통하 길 바랐던 것만큼은 뚜렷하다. 트럼프의 잭슨 존경은 때로 상 식의 도를 넘기도 했다. <A2면에 계속>
다. 우리의 가족과 지역사회가 코 로나19를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 도록 돕는 것에서부터, 학교 기금 에서 우리의 공정한 몫을 보장하 고,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에 대 항하고, 우리 지역사회를 총기 폭 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 까지, 해야 할 많은 일들이 있다. 만약 주 하원의원으로 일하는 영 광을 갖게 된다면, 저는 항상 우리 주민을 위해 싸우고, 우리의 공유 된 민주주의 가치를 위해 일어설 것이다.” 고 말했다. [전동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