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22, 2021
<제4789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2021년 1월 22일 금요일
바이든, 코로나 대응 ‘총력전’ … 10개 행정명령 美 입국승객 격리… 검사 및 접종 확대·치료제개발 촉진 조 바이든 대통령이 21일 코로 나19 대책과 관련, 미국을 방문하 는 여행객에 대한 격리 방침과 검 사 및 백신접종 확대를 위한 조치 를 내놓으며 코로나19 대응 총력 전에 나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에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관 한 행정명령 10개에 서명했다. 바 이든 대통령은 40만명이 넘는 미 국인이 코로나19로 숨졌고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사망자보다 많 다면서 이번 명령에 대해“이건 전시(wartime) 사업” 이라고 말했 다. 또한 다음 달에 미국의 사망 자 수가 50만명을 넘을 수도 있다 고 우려했다. ▶ 코로나19 관련 기사 A4(미국1)면 바이든 대통령은“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외에도 다른 나라에 서 미국으로 여행하는 모든 사람 은 항공기를 타기 전에, 출발하기 전에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고, 미 국에 도착했을 때 격리할 필요가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21일 백악관에서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 장(왼쪽)이 지켜보는 가운데 코로나19 대응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해외에 서 온 여행자는 미국으로 출발하 기 전에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결과를 제출하고 도착시 격리해 야 한다고 전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의 명령은 가능한 한 항공 여행객들이 권고되는 자체 격리 기간을 포함해 국제 여행에 관한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것이 어떻게 시행될지는 설명 하지 않는다고 로이터통신은 전 했다. 미국으로 오는 여행객에 대 한 검사 요건은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도 발표했지만, 격리는 단 지 권고 사항이었다. 이 명령에는 또 미국 기관들이 CDC 지침 시행을 포함한 입국 창 구의 공중보건 프로토콜에 관해 국경을 접한 캐나다, 멕시코와 협
의하도록 지시하는 내용도 담겼 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코로나19 대응 강 화를 위한 물자 생산 확대, 검사 위원회 설치 등도 포함됐다. 바이 든 대통령은 국방물자생산법을 활용해 모든 연방 기관과 민간 업 체가 보호 장비와 주사기, 바늘 등 국민 보호에 필요한 모든 것을 생 산하도록 지시했다. 또 코로나19 검사 능력 향상을 위한‘국가 전염병 검사 위원회’ 와 공평한 치료 접근 기회를 보장 하기 위한‘코로나19 보건 형평성 태스크포스’ 를 설치하도록 했다.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명령에 서명하고, 백신 접종을 늘 리기 위해 연방재난관리청 (FEMA)이 각지에 예방접종센터 를 만들도록 지시했다. 각 주(州) 가 주 방위군이나 학교에 지급한 보호장비나 물품 비용은 보상한 다. 학교의 안전한 재개를 위한 연구를 강화하고, 치료법 연구를
흐림
1월 22일(금) 최고 45도 최저 27도
흐림
1월 23일(토) 최고 32도 최저 23도
1월 24일(일) 최고 36도 최저 25도
흐림
1월 22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102.50
1,121.79
1,083.21
1,113.30
1,091.70
1,115.73
1,091.10
< 미국 COVID-19 집계 : 1월 21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
25,176,800 1,328,815
175,636 13,899
419,771 41,841
646,189
5,049
20,766
위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도 록 했다. 근로자의 감염을 방지할 지침을 시행하고, 연방 정부와 주 의 유기적 연락을 위해 연방재난 관리청(FEMA)이 연락 체계를 수립하도록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우리의 계
획은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 이라며“전문가와 과학자들이 정 치적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게 일 하고 정치적 결과가 아니라 과학 과 건강만을 바탕으로 엄격하게 결정을 내리도록 하겠다” 고 말했 다.
바이든 정부, 비시민권자 추방 100일 유예
성 김 前 대사, 동아태차관보 대행 임명
국토안보부,“적법절차 존중 위해 이민정책 재검토”
북핵협상 정통·주한 미 대사 역임… 싱가포르 북미회담 때 역할
20일 출범한 조 바이든 행정부 가‘비시민권자’ (noncitizen) 추 방을 10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바이든 정부는 출범 첫날부터 도널드 트럼프 정부를 상징하는 정책을 뒤집기 시작했는데, 그중 하나인 이민정책에도 가시적인 변화가 생겼다. 국토안보부는 이날 데이비드 피코스케 장관대행이 세관국경보 호국(CBP)과 이민세관단속국 (ICE), 시민이민국(USCIS) 등 산 하기관에 이민 집행정책과 우선 순위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즉각 또는 늦어도 22일부터 100일 간 일부를 제외한 최종 추방명령 을 받은 비시민권자 추방을 중단 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추방중단 대상에서 빠지는 비 시민권자는 국가안보에 위협을 가한 용의자나 미국에 머물 권리 를 포기하겠다고 동의한 사람, 작 년 11월 1일 이전에 미국에 없었던 사람 등으로 한정됐다. 국토안보부는“이번 세기 최악 의 국제적 공중보건 위기를 마주
20일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한 멕시코 인 이민자가 가족과 껴안고 있다.
한 상황에서 남서쪽 국경에서 중 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라면서“여 력의 한계로 모든 이민법 위반사 항에 대응하거나 불법체류자를 전부 추방할 수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이런 특별상황에서 인권 과 적법절차를 존중하는 공평하 고 효과적인 이민절차를 재건하
고 국가·국경안보와 공공안전에 우선해 대응하기 위해 국경에 투 입되는 자원을 급증시켜야 한다” 라고 추방중단 등을 명령한 이유 를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이날 취임한 바이 든 대통령은 불법체류 중인 미성 년자·청년에게 취업허가를 내주 고, 추방을 유예하는 ‘다카’ (DACA) 제도 유지·강화를 국 토안보부와 법무부에 지시했다. 아울러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 로 미국에 거주하는 미등록 이주 자에게 합법적인 체류자격을 부 여하고 시민권을 얻을 기회를 제 공하는 이민법안도 공개했다. ‘바이든표 1호 법안’ 인이이 민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면 약 1 천100만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내전과 에볼 라를 피해 미국에 온 라이베리아 인이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기간을 내년 6월까지로 연장하고 일부 이슬람국가를 대상으로 내 려진 입국금지 조처를 철회했다.
성 김(한국명 김성용, 金星容) 전 주한 미국대사가 조 바이든 행 정부에서 국무부 동아시아·태평 양 담당 차관보 대행에 임명됐다. 21일 국무부 홈페이지에 따르 면 김 전 대사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20일 국무부 동아태 차관 보 대행으로 임명됐다. 그는 직전에 인도네시아 대사 로 재직해왔다. 동아태 차관보는 국무부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을 비롯해 몽골 등 주변국을 담당하는 최고위직 으로, 동아태 지역 외교정책을 총 괄하는 자리다. 차관보 직책은 지 명 후 상원 인준을 받아야 한다. 김 차관보 대행은 미국 국무부 에서 동아태 부차관보와 대북정 책특별대표, 6자회담 수석대표를 거친 데 이어 주한 미국대사를 지 낸‘북핵통’ 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6자회담 특사로 기용됐고, 2011년 11월 주한 미국 대사로 부임해 3년 간 활동했다. 한국계로는 첫 주한 미국대사
성 김 전 주한 미국대사
였다. 2014년 10월에는 북한 핵 문제 를 총괄하는 국무부 대북정책 특 별대표 겸 한·일 담당 동아태 부 차관보에 임명됐다.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정상 회담을 앞두고는 필리핀 대사로 재직하면서도 회담 전날까지 최 선희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과 합 의문을 조율하는 등 북미대화의
진척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서울 태생으로 1970년대 중반 부친을 따라 미국에 이민했으며,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필리핀 대사에 이어 인도네시아 대사를 지냈다. 바이든 행정부의 국무부를 이 끌 장관, 부장관 지명자도 북핵 문 제 등 한반도 사안에 정통한 인사 들이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 지명 자는 오바마 행정부 2기 때 국무 부 부장관을 맡아 대북‘전략적 인내’정책에 깊숙이 관여했다. 국무부 2인자인 부장관으로 지 명된 웬디 셔먼 전 국무부 정무차 관은 미국 내 대표적인 한반도 전 문가로 통한다. 셔먼 지명자는 빌 클린턴 2기 행정부 말기인 1999∼2001년 국무 부 대북정책조정관으로 북한문제 를 담당했다. 오바마 행정부 2기 때는 주로 이란 문제에 집중하면서 이란 핵 합의의 산파역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