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_HoijeonArt

Page 1


인천의 문화예술생태계에서 자생적으로 피어난 청년 예술인들 의 연대 자생과 자치 + 회전력과 응용력 새로운 계(

)의 시작

자유로운 공간실험


(

,

,

,

,

,

,

+

(2018),

(2018))

2017.07.05 -

-

7

. ,

,

,

. 2017

(界)

-

, 7

7

.

5 ( ) 17

7-12,

, : 2017 : :

,

7

5 ( ) 17

/

,

- 23 7-12

,

.

/

4

,

,

-

(圓) 3

4 .

, ,

, .

.

.

.-




















: : 2018 4 18 : ( : 5000

7:30

, ,

7-12

,

.

4F)

2007

?

1:1 ?

,

.

,

?

.


3D

: 2018 : :

4

#1

26

5

3D

.

: 1. 2. TinkerCAD 3. ultimaker.com *

:

. Cura 5000 .

.

.

.

3D

.

.

.<

>


(Coda) (

2016.10.22-23

-

,

)

'/ 2017.08.02 ‘

’ / 2017.10.20

‘ ’ 70

, 80

. . COD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3. 4. 5. 6. 7. ’ 8.

9.

> (

.

.

)

.

.

.

, ,

(

) .

.

,

.

,

‘ ‘

.

.





























/Incheon International Vienna Sausige Film Festival (

,

,

,

,

,

,

)

2015.12.05

- ‘

.’ . .

2015 .-

. ,

.

.

, .

,

, ,

?














:

/ Radio Barracuda

(

,

,

)

2014.12.20 @

13

1 /2 , 13

.

/

<

> -

3 /4

4






/ Pure Love Land (

,

,

)

2013.10.03 – 10.04 @ ,

, ,

,

< ‘

>

’ .-

.

,

, .

<

>

,












/ Sinpo Byungsin Rave (

,

,

)

2014.10.03 @ La Pomme - 2011

. /

- vol.1 vol.1.5 vol.2 vol.3 vol.4 vol.5 vol.5.5 vol.6

2012 2013 2013 2014 2014 2015 2015 2016

12.31 10.03/04 12.31 10.03 12.31 08.01 03.25 12.17

-

: : : : : : : :

(with (with

,

.

) )

(with

) (with

)

2F

, ( )

/

, ,

( ,

,

), ,

,

















/Evening Sun Studio + (

/ Soul Touch

+

)

2016.02.13-2016.04.03 .

,

,

(

.

, .-

,

, , ) ,

.











/ (

)

2016.06.25 - 1979

.

,

.

.

3

(

,

(

, )

,

.

, ,

(?)

. ,

, .

.(

)

)

,







( 2016.12.29 – 2017.01.09

)

/ 2017.10.28 – 2017.11.30

X

- 인천 원도심의 음악 이야기는 마치 전설과 같이 구전으로만 전해져왔다. 이에 ‘인천은 과연 음악(락)의 도시인가’라는 질문에서 이 프로젝트 를 시작하게 되었고 1960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 인천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음악 장소들과 그 시대를 거친 음악인들의 이야기를 찾 고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김훈과 트리퍼스 이경천, 1970년대 사랑과 평화 송홍섭, 드러머 정재형 등이 젊은 시절 음악적 자양분을 쌓은 신포동 시맨즈 타운, 1980년대 말 태동하여 1990년대 부흥했던 락, 메탈 밴드들과 그들이 거쳐 간 관교동과 대명라이브파크 그리고 대중에게 음악 매개체가 되어 준 음악다방 및 음악 감상실까지. 본 전시에서는 인천 원도심에서 음악이 연주되거나 소비된 공간과 그 문화의 핵심에 있었던 뮤지션과 DJ들 의 이야기 및 관련 자료들을 전시한다. 본 전시를 통해 파편으로 떠돌았던 인천 음악의 구체적인 모습들이 그려진다면 개항장과 차이나타운 혹은 송도로 정의되는 인천, 특히 원도 심에 새로운 이야기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장에 있었던 음악인들의 목소리와 그 문화의 기록을 꾸준히 모은 다면 이는 인천이라 는 지역이 가진 문화의 한계 또는 도시의 문화적 특성을 유추하고 이를 통해 발전 방안 또는 더 큰 흐름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청년예술가의 낯선 등장을

환영하는 자리

프리젠테이션 데이


자기작업을 정리하고 의견을 듣는 자리


동료작가 프로그래머 심사위원들과 함께

현장에서 작업/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스스럼 없이 나누고


발표 이후 플로어에서 못다한 이야기를 나눈다.


마중물 역할을 하는 지원금으로 프로젝트 진행 지원금은 작가들의 창작활동에 필요한 어떠한 것으로도 사용 가능

지역공간 연결 컨텐츠 정보 제공 - 신진작가의 작업동기 부여

프로그래머와 연계해 필요사항 조건들을 함께 마련함


( 2016. 12.10(

) ~ 12.18( ) /

15

(

, 2016

2016

, 12

12

,

10 ,

18

10

18

) / ALL Gates

,

:

,

,

,

,

22-1 B1, 1F,

,

,

,

,

,

,

,

.

.

,

,

,

, ,

. ,

)

,

,

(

),

,

,

, 6699 , ‘ ’ ,

.































/ Neo Incheon <

, 12

,

,

,

,

,

,

,

, ,

,

,

,

,

,

,

,

5 (

,

(

,

( ) - 12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1. ,

.

.

.

. 2.

,

.

3. 1899

,

,

.

.

,

......

. .

.

.

. .

.

.

. .













도시를 터전 삼아 살아가면서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사람들과의 만남, 그리고 도시 이면의 모습에 얽힌 기억과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일상의 현상과 존재하는 구 조들에 대한 관찰, 그 안에서 발견된 사회적 차이를 시각적 언어로 소통한다. 일상적 공간 에 대한 허구적 재현과 허구와 실재를 넘나드는 퍼포먼스를 통해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 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진나래

진실로 여겨지는 것들의 사회적 구성성에 주목하여 편집-쓰기를 통해 실재와 허상 사이 ‘ 이야기-네트워크- 존재’를 형성하는 일을 해왔다. 이렇게 (재)구성된 이야기들을 실제 사 회에 입히고자 하였고, 공동창작, 사회와 예술, 도시 등에 대한 관심으로 ETC(Enterprise of Temporary Consensus)를 결성하여 도시와 일상에 비일상적인 개입을 하는 활동을 하 기도 했다. 최근의 관심사로, 자연과 인공, 기술의 변화가 만들어내는 지점들에 매료되어 엿보기를 하고 있다.




K의 가족사Genealogy of K 할아버지를 찾아 베를린을 여행하며 구성하는 냉전 가족사. A travel to Berlin finding Grandfather and to construct a cold-war family tree that grows to the North, East, South, and West.

Project blog: www.genealogyk.wordpress.com

(위)여행객으로변장한동독비밀요원들 © Simmon Menner (above)Stasi Disguises as Tourists © Simmon Menner (좌)냉전관광객으로분장한진나래 © Narae Inni Jinn (left)Narae Jin Disguised as Cold-War Tourist ©

Narae Inni Jinn

(위)김청진에의해촬영된진나래의 행적증거 Trail of Narae Jin captured by Kim. © Narae Inni Jinn


Town.Hope.New.



김수환

언젠가부터 인간의 믿음과 희망은 공장 굴뚝의 희뿌연 연기처럼 곧 사라져버릴 허무한 것이라 생각하며 산다. 진리란 언제든 뒤바뀔 얄팍한 것이며 인생은 스스로가 믿고 싶은 대상에 의미를 부여해 나감의 연속이다. 2007년부터 노동, 가족이라는 주제로 <즐거운 나의 집>, <가족> 등 멈추지 않는 인간의 욕망에 대해 이야기 해왔다. 이후 짧은 소설과 애니메이션 <성기소년의 탄생>, <성기소년의 절망> 등을 통해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 려는 인간을 그려오고 있다.






김재민이

인천에서 유치원-중학교 까지 다녔다. 창작 활동과 지역 연구 둘 다 좋아하고, 연배의 어 른들을 만나 살아온 얘기 듣는다거나 같이 무언가를 하는 일을 해왔다. 요즘은 떠돌아 다 니며 먹고 사는 이야기를 수집 중이다. 그리고 예술 창작으로 생계를 해결해보려 노력 중 이다.





웁쓰양

페인팅, 설치, 참여형퍼포먼스 등 그 때 그 때 적당한 매체를 선택해 작업하고 있다. 특히 최근엔 ‘도시놀이개발프로젝트’를 통해 소비없이 도시에서 유희할 수 있는 놀이를 개발해 예술과 접목시키는 실험을 하고있다.





박가인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