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MinKwon 40th Gala Journal: 커뮤니티에 뿌리 내리기

Page 1


2 0 2 4 년 | 1 0 월 | 1 7 일

내리기 4 0 주년 기념식

커뮤니티에 뿌리 내리기

4 0 주년 기념식 민권 센터

행사 순서

사회

김성원

뉴저지 민권센터

프로그램 매니저

박 다이아나 우정

뉴욕 민권센터 이민자

정의 활동가

축사

문화 공연

환영사

민권센터

하이라이트

영상 상영

정의 구현상 시상식

스탠리 마크 변호사

메트로폴리탄 아 시안 청각 장애 인 연합

제러미 린 재단

닫는말

존 박

사무총장

민권센터의 친구 들과 후원인 여러

분 안녕하세요,

민권센터 40주년 기

념 갈라에 오신 여러 분을 환영합니다!

이탁월한단체의강력한업적과 40년동

안 함께 만들어 온 지속적인 영향을 기념 하게되어매우자랑스럽고감사합니다.

민권센터는 창립 이래 코리안, 아시안 아

메리칸 및 이민자 커뮤니티의 역량을 강 화하는데전념해왔습니다. 이민경험자

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여정은 회복력, 권익 옹호 및 커뮤니티의 힘에 대한 확고 한 믿음으로 정의되었습니다 권익옹호, 커뮤니티 조직화 및 봉사를 통해 우리는

뉴욕과그너머의이민자, 아시안및코리

안아메리칸저소득층커뮤니티의권리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오늘 밤, 우리는 40

년 동안의 공동 회복력과 공동 승리를 기

념합니다.

오늘 저녁은 단순히 민권센터의 과거 업

적만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우리 커뮤니

티의 가장 큰 자산인 회복력, 힘, 단결도

조명합니다. 이는 갈라 초청위원회 공동

의장인 저희의 매우 개인적인 경험과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2세 코리안 아메리칸

으로서 우리는 우리 커뮤니티의 많은 사

람들과 비슷한 길을 걸었습니다. 문화적

정체성의 균형을 맞추고, 새로운 시스템

을 탐색하며, 외국에서 소속감을 찾는 복

잡한 문제와 씨름했습니다 이민자로서의

경험은 투쟁과 승리의 경험이며 이러한

여정이 계속 민권을 지원하려는 우리의

열정에불을지폈습니다

실제로민권센터는구성원의총합보다더 큰존재였습니다. 단체가성장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협력한 놀라운 자 원봉사자, 후원자 및 동맹 네트워크의 힘 이 민권센터를 움직였습니다. 바로 이 중

요한 여정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 드립니다! 함께라면 우리는 더 강해지고, 여러분의변함없는지원을통해민권센터 는 중요한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며, 우리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증폭하여 지속 가 능한변화를만들어냅니다. 우리는 민권센터의 4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더욱 강하고 포용하는 미래를 건 설하고, 모든 이민자가 존엄성을 보장받 으며, 안전한기회의삶을건설할수있는 사회를건설하고자계속노력하려는희망 과결의로가득차있습니다 따라서우리 는 여러분을 환영하며 우리 커뮤니티의 역량을 기념하고, 더 밝고 정의로운 내일 을위해일하기로다시한번다짐합니다.

감사합니다!

스티븐 최

문유성

회장

민권센터를 대표하여 오늘

존 박

사무총장

40년 전인 1984년, 오늘과 비슷한 가을

중순의어느날, 고윤한봉선생님과헌신

적이고 유능한 몇몇 젊은이들이 뉴욕 퀸

즈에 모여 오늘날 민권센터로 알려진 뉴

욕청년봉사교육원을설립했습니다

이 작은 그룹은 이웃, 동료, 그리고 동포

이민자들을 위한 열린 공동체 센터(마당

집)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습 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모든 이사, 직원, 자원봉사자는우리설립자들이제시한모

토인 '바르게 살자, 더불어 살자, 뿌리를

알자'를실천하고자노력해왔습니다. 지난

두해동안우리의갈라주제는이모토들

을 반영해왔습니다: '사회 정의에 뿌리 내

리기' , '운동에 뿌리 내리기' , 그리고 올해

의 갈라 주제인 '커뮤니티에 뿌리 내리

기'로이어졌습니다.

그 소박한 시작 이후로 민권센터는 한인

뿐만 아니라 뉴욕과 뉴저지의 광범한 아

시안 아메리칸 커뮤니티를 위한 진보적

변화를 이끄는 주요 단체로 성장했습니

다 우리의다섯가지프로그램분야 – 권

익옹호및조직화, 사회봉사, 시민참여, 청소년, 문화 – 를통해우리는우리커뮤 니티를직접지원하고, 정부행정과정책

40주년 기념 갈라 “커뮤 니티에 뿌리 내리기”에 참석해 주신 여러분 에게 감사드립니다.

환영사

분야에더광범한참여를확보하며, 이민 자 권리, 기회, 접근성 및 자원을 위해 싸 우고, 궁극적으로는 차세대 젊은 리더들 을양성하고있습니다. 오늘 밤, 우리는 지난 40년 동안 이루어 진 모든 성과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다가 올 40년을 기대합니다. 40주년 축하의 일환으로 우리는 2024년 '정의구현상' 수상자들을 기쁘게 기립니다 – 아시안아 메리칸법률교육재단의 스탠리 마크, 제레 미 린 재단, 그리고 메트로폴리탄 아시아 청각장애인협회. 모든수상자들은가장 도움이절실한사람들의필요를충족하는 데 중점을 둔 민권센터의 가치를 보여주

며, 우리는 그들의 활동, 리더십, 그리고 공동체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깊 이감사드립니다

민권센터가오늘우리의공동체의뿌리를 기리며 축하하면서40년 전 이 운동을 시 작한 풀뿌리 열망에 다시 헌신하는 여정 에 함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후 원에 감사드리며, 모두를 위한 정의롭고 번영하는 사회를 향해 나아가는 우리의 여정에 동반자가 되어 주셔서 깊이 감사 드립니다.

정의 구현상

스탠리 마크

아시안아메리칸 법률교육재단

스탠리 마크 변호사는 민권센터 설립 당

시부터의 오랜 친구로 노동자 센터와 이

민자 주도 단체에서 무료 법률 권리 클리

닉을 관장해 왔습니다. 그는 이민 혜택과

미국시민권을추구하는아시안아메리칸

가족을 대변하고 지원하고, 노동자들이

최저 임금과 초과 근무 수당을 제대로 지 급받으며, 차이나타운과 로어 이스트 사

이드에서 9/11 이후 생존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를 확보하도록 헌신했습니다. 마크

변호사는 9/11 환경 건강 문제에 대해 의 회소위원회에서증언하여 9.11 테러의모 든 생존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 법안과 의 학 연구 기금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전시

이주 및 민간인 수용 위원회에서 관한 증

언을했으며 1991년관련활동에대한공

변호사

로상을수상했습니다

뉴욕 아시안변호사협회는 1991년과 2004년에 창립 이사인 마크 변호사에게 지역 사회 봉사 공적을 기려 공로상을 수 여했습니다. 2017년 퀸즈 아시안 아메리

칸센터는지역아시안아메리칸커뮤니티 를 위한 사회 정의 활동에 감사를 표하며 공로상을 수여했습니다. 시튼홀 법학대학

원을 수료한 마크 변호사는 중국인 계약 노동자, 한국인 식당 종업원, 필리핀인 호 텔 노동자, 파키스탄인 택시 운전사, 방글 라데시인저임금노동자, 동남아시아인병 원노동자, 제2차세계대전중미국강제 수용소에수용되었던일본계미국인등을 망라한다양한배경을가진아시안이민자 들의인권보호에평생을바쳤습니다

메트로폴리탄

아시안 청각 장애인 연합 (MADA)

뉴욕 일원에서 활동하는 MADA는 아시

안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를 위해 문화적 가치를강화하고보존하고, 포용성을조성 하며, 평등한 기회를 촉진하는 단체입니

다. MADA는포괄적인지원서비스, 문화

보존 및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아시안 청 각장애인이민자와아시안아메리칸의삶 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합니다. MADA는 청각을 비롯한 다양한 장애를 가진아시안들이단체의활동목표에따른 지원을받도록계속연구를멈추지않습니

다. 또한민권센터가주관하는아시안정치 력신장연맹(APA VOICE)의 회원 단체 로뉴욕시아시안아메리칸커뮤니티의시

민참여촉진활동에도공헌하고있습니다

2002년여름, 뉴저지의 Candice Hsu

와 뉴욕의 Jennifer Ayque-Cho라는

두 명의 아시안 청각 장애인이 뉴욕 일원 을포괄하는새로운아시안계청각장애인 조직을 만드려고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2002년 9월, 일군의아시안계청각장애 인들이뉴욕시의한말레이시안식당에서 만나 식사를 하며 서로에 대해 배우는 시 간을 가졌습니다. 그 자리에서 다른 청각 장애인들과도교류하고함께즐거운시간 을보내기로의기투합한그들은뉴욕의쿠 퍼 유니온에 소재한 스타벅스에서 “첫 번 째 아시안 청각 장애인 회합”으로 알려진 모임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002년 11

월 1일, 뉴저지 저지 시티 소재 허드슨 커

뮤니티칼리지에서열린첫이사회에서단 체의공식명칭을출범시켰습니다

제러미 린 재단은 프로 농구 선수 제러미

린이 설립한 비영리 단체입니다. 재단은

지역 사회에 깊이 뿌리를 둔 풀뿌리 프로

그램과협력하여저소득아시안아메리칸

청소년 및 여러 유색인종 청소년을 지원 합니다. 재단의지원은식량불안, 정신건

강문제, 청소년권한부여등과연관된광

범위한장벽을해소하고자집행됩니다

아시안 아메리칸으로서의 제러미의 개인

적 경험과 농구 코트 안팎에서의 관계 수

립에 기초하여 설립된 재단은 간과되고

소외된 아시안 아메리칸 단체 및 여러 인

종을 포괄하는 단체를 지원하는 데 중점

을둡니다 재단기금의수혜단체들은프

로그램 대상의15~75%가 아시안 아메리 칸 청소년이며, 대부분은 다양한 인종의 청소년을 포용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재단의 목표는 다인종 차세대의 공동 번 영을위한지원입니다. 재단은 소외되고 취약한 계층을 위해 봉 사하는 지역 사회 리더에게 권한을 부여 하고, 조직과 협력하여 인종적 불의와 소 득 불평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간과되고과소평가된청소년에대한편견 섞인 이야기를 바꾸고, 그들의 목소리가

들리며그들의요구가충족되도록돕습니 다

제러미 린 재단

공연자 소개

지미 변

지미 바이른 씨는 경상남도 하만군에서 조윤호 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뉴욕 맨리우스에서 자란 한국계입양인입니다. 그는현재일리노이주시

카고에 거주하며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미교협, NAKASEC)의 재정부장으로 봉직하 면서 한인과 아태계 주민을 조직하여 인종, 경 제, 사회적정의를달성하고자활동하고있습니 다. 그는 또한 미교협의 “입양인을 위한 정의”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여 해외 입양인의 시민 권 취득 권리를 위한 조직과 권익 옹호 활동을 전개하고있습니다. 지미변씨는웨스트민스터 코어 칼리지에서 음악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심포닉 코어의 일원으로 리버사 이드 교회에서 개최된 뉴욕 필하모닉의 헨델의 메시아공연에서노래를공연했습니다

조앤 현

조앤 현 씨는 뉴욕 브루클린에서 활동하는 코리 안 아메리칸 멀티 악기 연주자이자 공연자입니

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에서 태어난 그녀

는오하이오클리블랜드와캘리포니아새크라멘 토에서 성장기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베닝턴 칼 리지에서 음악과 연극을 공부하면서 2013년부

터 뉴욕에서 공연 예술을 사랑하는 여정의 길을

열었습니다 현재는 브루클린 인디 사이키 팝 5 중주단인 Toebow의 베이시스트입니다 또한

전 뉴욕 기반 밴드인 Zula와 Peel Dream Magazine의녹음및투어멤버이기도합니다

이교혁

이교혁 씨는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재능있는

한인클래식기타리스트입니다. 15세에기타리스

트인 삼촌으로부터 처음 기타를 배우기 시작한

그는 음악에 대한 열정과 꾸준한 노력으로 자신

만의 독특한 음악 세계를 구축해왔습니다. 2013

년, 그는 음악적 지평을 넓히고자 스페인 마드리 드 왕립 음악원에 입학하여 본격적인 클래식 기

타연주공부를시작했습니다. 이는그의음악인

생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그의 예술

적성장은더욱가속화되었습니다. 세계 각국을 무대로 활동하며 이교혁 씨의 섬세 한기타연주는한국과스페인은물론캐나다, 태 국, 인도네시아 등 다양한 나라의 관객들을 매료 시켰습니다 특히 서울 주재 스페인 대사관 초청

공연과리여석기타오케스트라와의협연은그의 음악적재능을국제무대에알리는중요한계기가 되었습니다

이교혁의음악적여정에는뛰어난성과도함께했 습니다. 2016년 “Concurso Arriaga”에서 인 기상을수상했으며 "호세루이스로드리고" 영재

기타 페스티벌 출연을 비롯해 다양한 무대 경험

을쌓으며그의음악적깊이를더해갔습니다. 15세에 시작된 그의 음악 여정은 세계적인 기타

거장들의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

해 왔습니다. 이교혁의 연주는 뛰어난 기술적 완

성도와 함께 깊이 있는 음악적 해석으로 청중들

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어린 시절 삼촌에

게 배운 첫 음계부터 지금까지, 이교혁의 음악은

끊임없는성장과열정의결과물로청중들의마음 을사로잡고있습니다

커뮤니티에 뿌리 내리기

BECKY BELCORE

BYUNG HO KANG

CHARLENE HONG

CHUL PAK

JEEHAE FISCHER

JENNIFER HEEJIN KIM & ROBERT TUNG

JOHN PARK & SYLVIA SHIN PARK

JUNGWOO KIM

KYONG HUI LEE

LINA LEE

MEE EUN CHANG

MICKEY KIM & JIN LEE

MYOUNGMI KIM

REV. WONTAE CHO

ROGER PARK

ROVIKA RAJKISHUN

STEVEN CHOI 공동위원장

SUNGOK LEE

SUNGYEON PARK

KYONG HUI LEE

SUSSAN LEE

YANG SUN PARK

YONG CHUN RIM

YU SOUNG MUN & HEESOOK KIM

BYUNG HO KANG

JENNIFER HEEJIN KIM

LINA LEE

부회장, 서기이사

MEE EUN CHANG

SUNGOK LEE

SUSSAN LEE

YANGSUN PARK

재무이사

YONG CHUN RIM

YU SOUNG MUN

제휴 기관

NAKASEC

미주한인

봉사교육

단체협의회

회장 함께센터

애난데일, 버지니아

하나센터

시카고, 일리노이

민권센터 팔리세이즈 파크, 뉴저지

민권센터 퀸즈, 뉴욕

우리센터 랜스데일, 펜실베이니아

우리 훈또스 휴스턴, 텍사스

AJIN CHO Social Services Fellow

ASHLEY CHANG, ESQ.

Staff Housing Attorney

AUBREY KOO

Social Services Coordinator

DIANA WOOJUNG PARK

Immigrant Justice Organizer

EUNMI JI

Intake & Administrative Specialis

GWEN PHAGNASAY LE Youth Organizer GRACE CUI

Social Services Manager

HANNA JO

Health Policy & Programs Coordinator

HUANJIE LI

Organizer & Community Engagement Manager

HYEIN CHO Legal Services Associate

JAXIMUS HYUN PARK

Administrative & Operations Associate

JENNY EUM

Social Services Specialist

JOHN PARK Executive Director

JOO YOUNG JEON Health Outreach Fellow

JU-BUM CHA

Senior Consultant of Strategy & Special Projects

KAPSONG KIM Korean American Community Development Director

MATILDE C. RECALDE, ESQ. Senior Immigration Attorney

MICHAEL OH, ESQ. Supervising Immigration Attorney

MISUN MODELL NJ Program Associate

PETER LEE Legal Services Associate

SANDRA CHOI Civic Participation Director

SEONGWON KIM NJ Program Manage

SHUA JEONG Community Advocate

TRISHA KIM Community Engagement Associate

YOON JI KIM Managing Director

커뮤니티에

뿌리

내리기

민권센터의

40년여정

민권센터는 1984년에 설립된 커뮤니티

단체입니다. 설립당시명칭은뉴욕청년봉 사교육원이었으며그후청년학교로변경

했다가 2009년 설립 25주년을 맞아 현

재의 단체명인 민권센터로 개칭했습니다

민권센터는 권익옹호와 커뮤니티 조직화, 시민 참여, 사회 봉사, 청소년 프로젝트와

문화영역을중심으로활동합니다

바르게 살자

미국 사회의 커다란 변화를 불러온 민권

운동의 여파로 1965년에 이민법이 전면 개정된 후 한인 커뮤니티는 이전 대비 급

속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반면 대부분

이이민 1세인한인들은언어장벽, 인종차

별 등의 어려움으로 힘든 이민생활을 영

위하고있었습니다.

사진:

윤한봉선생과청년들이처음세운 커뮤니티센터인로스엔젤레스민족 학교

사진: 민권센터설립자고합수 윤한봉선생

사진:

해외동포대회에서의재미한청련 회원들과커뮤니티센터자원봉사 자들

민권센터의 역사는 ‘5 18 최후의 수배 자’로 불리던 고 합수 윤한봉 선생으로부 터 시작되었습니다. 선생은 1981년도에 미국으로 망명하여 해외 동포 운동을 일 구었습니다. 북미전역의청년들을규합하 여 조국의 평화통일, 민주화를 위해 활동 하는정치단체인재미한국청년연합(한청 련)을 결성하였습니다. 한청련은 지역 한 청련으로구성된전국연합단체였습니다. 그리고 1983년에 설립된 로스앤젤레스 민족학교를 필두로 각 지역에 한청련의 자매단체들로비영리단체인커뮤니티센 터(마당집)를 함께 설립했습니다 마당집 들은 한인 동포사회를 위한 봉사, 뿌리교 육, 청년교육, 문화활동에매진하는동포 들의열린마당의역할을수행했습니다

민권센터 역사 개요 1980년대: 이 땅에 뿌리내리기

커뮤니티 활동의 첫 걸음을 내딛은 민권 센터창립자들은놀라운헌신으로커뮤니 티센터를건설했습니다. 한청련의회원들 이담당한상근자들은무보수로봉사했습 니다. 그들은 동포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뿌리교육과장년, 성인들을위한사회봉사 활동에중점을두었습니다. 창립 이듬해인 1985년에는 ‘뉴욕한인문 화패 비나리’를 창단하면서 문화 활동의

족적을내디뎠습니다. 당시만해도동포사

사진: 1984년 10월 21일에퀸즈잭슨하이

츠에설립된뉴욕청년봉사교육원(민 권센터전신)의설립기념식

사진:

단체초창기의프로그램으로한 인이민자가정의자녀들을돌보 던어린이학교

에 건강한 민족문화 보급이 미약한 수 이었으며 비나리는 풀뿌리 민족문화를 포사회에심고타민족에게우리문화를 리는역할을담당했습니다. 수민족인한인커뮤니티가미국사회에 제 권리를 누리기 위해선 소수민족 연 활동이 꼭 필요했습니다. 민권센터는 립 초기부터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민자 권익 워크샵 참여, 인종차별과 경 폭력에 항의하는 시위에

습니다. 한편 자매단체인 재미한국청년연 합은 한국의 민주화와 평화 통일을 이루 고자 다방면의 캠페인을 펼치고 혼신의

노력을기울였습니다

타임라인

1985 (뉴욕청년봉사교육원) 뉴욕한인문화패 ‘비나리’ 창단

사진: 뉴욕한인문화패 ‘비나리’ 창립

1984년 1월 1일

재미한국청년연합결성

1988-89 (재미한국청년연합) 한반도비핵화를위한뉴욕-워싱턴디시

도보행진과10만명서명운동 사진: 워싱턴디시에서개최된반전, 반핵 집회에참여

1984년 10월 21일 민권센터를

1989 (재미한국청년연합)

국제평화대행진: 백두에서한라로

사진: 국제평화대행진을주관한재미한국 청년연합회원들과참가자들이북한의백 두산정상에서행진을시작

사진: 오랫동안민권센터이사장으로 헌신하신고김수곤박사님

사진: 워싱턴포스트광고캠페인을 위한한인마트앞 1인 1달러 모금활동

조직화

활동의 확대와

단체의

체계를 확립

1992년 LA 폭동은한인커뮤니티에겐전 환점이되었습니니다 한인커뮤니티는미 국 전체를 괴롭히는 사회, 인종과 경제적 문제에서벗어날수없는사실을냉정하

게 깨달았습니다 중간선거에서 의회를 장악한공화당의반이민정치인들은미국 의 사회 문제를 이민자의 책임으로 전개 하고비난하기시작했습니다

사진:

맨해튼연방청사인근에서개최된

이민자집회에참석한미주한인봉사 교육단체협의회와한인들

1990년대 초에 시작된 이민자 커뮤니티 를 향한 탄압은 이민자의 삶을 힘들게 했

지만 동시에 정치적 각성을 이루는 계기

도 되었습니다. 아직 이민자 커뮤니티의

조직력이전국단위에서발휘되지못하던

시절에한인커뮤니티는모범적인활동으

로 이민자 권익옹호 운동의 첨병에 우뚝 서는자랑스러운활동성과를남겼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이 백악관 앞뜰에서 이 민자의사회보장혜택의일부를복원하는 법안에서명하는서명식에민권센터의대 표가 초청되어 참여한 장면은 우리의 뿌

듯한기억으로남아있습니다.

민권센터는 1990년대에 들어와 이민자 권익옹호 활동을 비롯해 시민참여 활동 및 교육, 사회봉사, 청소년 프로그램을 확

대 운영하며 코리안 아메리칸의 대표 단 체의 하나로 성장했습니다. 이 시기에 민 권센터는커뮤니티활동과타민족연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이민자 권익옹호와 시 민참여활동에서중요한역할을담당하는 단체로자리매김했습니다

사진:

다양한주제로월례강좌개최

사진:

이민자권리를지키려는목소리

를담은전보보내기를한인교 회에서전개

타임라인

1994

지역자매단체들의연합인전국단

체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NAKASEC) 설립

사진: 로스엔젤레스전국컨퍼런스

기간중에개최한미주한인봉사교 육단체설립식

1995

워싱턴포스트광고캠페인: “1인 1달

러” 모금과전국 300여개단체의참

여로반이민법안에반대하는전면 광고를 2회게재

사진: 워싱턴포스트지에게재된반 인민법안반대전면광고

1995

정월대보름맞이지신밟기시작: 풍

물패가한인상가를순회하며복조 리를증정하고한해의안녕과만복

을기원하는전통놀이

사진: 이민자집회들에서사용했던 플랭카드

1998

종이접시보내기캠페인: 이민자를표

적으로삭감된푸드스탬프혜택의복원 을요구하는메시지를적은수천개의

종이접시에서명을받아의회에전달 사진: 이민자를표적으로삭감된푸드 스탬프를복원하는백악관법안서명식 에초청된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 대표자

1999 복원 96 캠페인: 96년도부터부분개악된 이민법에반대하고 96년이전으로이민 행정을되돌리길요구한캠페인 사진: 맨해튼연방청사앞에서이민법개 악에반대하는집회를벌이는민권센터 실무진과재미한국청년연합회원들

1996-99 (재미한국청년연합)

북한수재민돕기캠페인: 홍수의피

해로신음하던북한동포들을돕기

위하여유엔산하세계식량기구와

협력하여두가지의캠페인(북한동

포에게쌀한포대보내기와굶는

어린이들돕기)을성공적으로진행

사진: 북한수재민

돕기캠페

함께 개척해 온 이민자

커뮤니티 와 미국의 내일

2000년대의 미국은 새로운 세기를 향한

희망보다는 9 11사태의 암울한 그림자가

절망을드리운시기였습니다 9 11 사태가

불러온 애국주의 광풍은 ‘국가 안보’라는

미명하에미국의모든정책방향이결정

되는 최대 기준이 되었습니다. 이민자 커 뮤니티 뿐만 아니라 미국의 일반 시민들 도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하고 시민적 권

리가 제약되는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1990년대의이민자권익옹호의성과는

사진:

추방반대시민불복종행동

이어지지못하고이민개혁을비롯한주요

이민정책은아예논의되지못하거나실

이 연기되었습니다 아울러 미국 사회

다인종이화합하는미래전망이불투명

지고인종간의갈등이격화되고대립하

양상이심화되었습니다

민권센터는이런사회적배경하에서기

의 이민자 권익옹호 활동을 지속하는

편 미국의 바람직한 내일을 제시하는

동을 병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시와 주,

방을 두루 아우르는 이민자 권익옹호

동으로 이민자 복지예산 증액, 이민자

생 교육 체계 개선을 요구하고 이민자

뮤니티와 미국 사회의 올바른 발전을

이와더불어아프리칸아메리칸과이민자 커뮤니티의관계개선을도모하는캠페인 (Building Bridges Campaign)과

미국 사회에 이민자에 관한 진실을 제대 로 알리는 활동을 시작하고 인종에 상관 없이 모든 주민들에게 영향을 끼친 시정 부와주정부의사회복지예산삭감에반대 하는 캠페인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민권센터는이렇듯이민자커뮤니티를포 함해 모든 커뮤니티에 중요한 정책 사안 의해결을위해땀흘리며, 다인종이화합 하는 미국의 내일을 여는 전망을 세우고 모든이와함께하는커뮤니티단체로서의

해 반드시 필요한 이민개혁을 촉구하는 활동에집중했습니다.

사진: 연레한인전통놀이

사진: 노동권과이민자권리보호를요 구하는연례메이데이행진

아울러 뉴욕시 일원의 20여개 단체들을 규합하여 아태계 정치력신장연맹을 결성 하여 아시안의 정치력 신장과 주민들의 민주주의과정참여를증진했습니다. 모두 무료로 제공되는 사회 봉사 프로그램은 이민자 법률과 재정 혜택 영역에서 매년 다수주민들의삶을보살폈습니다. 팬데믹 의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지역 중 하나인 한인과 이민자 밀집 거주 지역의 서류미 비자와 저소득층 주민들을 위해 스페셜 프로젝트를가동하여힘껏도왔습니다

2001 - 2019

그린라이트캠페인: 이민신분에상관없 이모든뉴욕주민에게평등한운전면허

2000년대초반 – 현재

포괄적이민개혁캠페인: 붕괴된이민 시스템을합리적으로정비하고이민 자가진정으로미국사회의일원이

되도록추진하는활동

사진: 반이민악법반대집회

취득을보장하도록활동하여마침내 2019년에성공

2004

신규이민유권자등록활동본격시작

2001 – 현재

드림액트캠페인 : 서류미비청년과청소 년들(드리머)이합법신분을취득해아메 리칸드림을펼칠수있도록하는드림액

트의상정과통과를위한노력 사진: 다카보호를외친연방대법원앞전

국집회에참여한커뮤니티멤버들

2005

뉴욕타임스광고캠페인: 또한번의 “1 인 1달러” 모금으로뉴욕타임스에이

2006

뉴욕에서진행된 “우리가미국이다”

전국이민자대행진에 300명이상의 한인을조직하여참여

사진: 뉴욕에서개최된 “우리가미국 이다” 전국이민자행진

2008 - 2011

뉴욕이민자연맹등이민자단체들과활동

하여뉴욕시장이시정부기관언어서비 스의무화행정명령 120 공표 한국어가 핵심 6개언어에포함 2011년에뉴욕주

지사도동일한행정명령 26 공표

사진: 반이민정책에반대하고이민자의 권리를지키려는뉴욕이민자행진

2011

2010년인구조사후최초의아태계선 거구재조정연맹을결성하여최초의 아태계가다수에가까운연방하원선 거구창출. 그결과로그레이스멩의원 이미동부최초의아태계연방하원의 원으로선출

사진: 공정하고투명한선거구재조정 촉구아태계정치력신장연맹기자회견

2012

2009

25주년을맞아단체이름을민권

센터로개칭

2010

포괄적이민개혁촉구를위한워싱 턴디시대규모이민자대행진에뉴

욕시아태계주민 500명을조직하 여참여

서류미비청(소)년추방유예정책(다 카)이시작되고민권센터는현재까지 전국한인다카신청케이스의약 7% 를담당. 아울러드리머를조직하여그 들이이민자권익옹호활동에결합 사진: 다카신청자들을위한대규모서 비스클리닉 2014

뉴욕시아태계단체들이참여한아태계정 치력신장연맹을설립하고주도하여종합 적인시민참여활동전개시작

2020-2022년팬데믹기간중

뉴욕일원한인서류미비자를 로역대가장광범위하고심층

문실태조사실시

COVID-19 위기동안정부 양지원신청자격이없던 2,0

에 150만달러이상의기금을

여현금지원

특별실업수당신청을포함한

구호기금신청대행과전화

50,000건지원

사진: 팬데믹기간중에긴급

반아 “증오 사

2023

뉴저지주팔리세이즈파크에두번

2023

한국전쟁종전과한반도평화정착을목 표로자매단체미주한인평화재단설립 사진: 한반도전쟁종결과평화를 위한워싱턴디시집회와행진

2024

민권센터봉사프로그램현황: 합법신분유지와신청및시민

권신청을원하는 700명이상

의주민을위해이민심사, 상담

및법적대리진행

퇴거, 불법임대료인상및안전하지 않은생활조건과같은주택문제에 직면한약 200 가정에게상담, 주택

혜택지원및법적대리수행

공공혜택신청지원및시복지기관 이용이필요한 300가구이상의주민 들에게도움제공

건강보험등록지원으로 200가구를 돕고연인원 1,000명을대상으로커 뮤니티건강교육및홍보

900가구이상저소득층가정을위해 세금보고대행실행

사진: 폐쇄된식량지원

사이트를되살려식량지원활동지속

2024: 설립 40주년!

귀하의 후한 기부에 감사드립니다

골드 등급

15,000달러 이상

CHUL PAK & MICHELLE LEE

DILLON KIM & KATHY CHOI

실버 등급

10,000달러 이상

ANONYMOUS FOUNDING MEMBER

JOHN & SYLVIA PARK

STEVEN CHOI

WILSON SONSINI

GOODRICH & ROSATI FOUNDATION

YT HWANG FOUNDATION

브론즈 등급

5,000달러 이상

ANDREW CHUNG

ASIAN AMERICAN LEGAL DEFENSE & EDUCATION FUND

FOX ROTHSCHILD LLP.

GRACE & ANDREW CHUNG

JENNIFER KIM & ROBERT TUNG

KYONG HUI LEE

MICKEY KIM & JIN LEE

TIGER BARON FOUNDATION

WAN MO KANG & NANWON KIM

민권센터

40주년 갈라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Chul Pak & Michelle Lee

민권센터 창립 기념일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Dillon Kim & Kathy Choi

Steven Choi

Y. T. Hwang Family Foundation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