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4.


제 호 ( 54 )
편집위원 채영삼 위원장 유은걸 서기 ( ) ( ) 김대웅 김정훈 김충연 배희숙 이영미 이용호
이윤경 주기철 한철흠 황선우 Julie Faith Parker, Willem van Peursen, Stanley E. Porter, Jean-François Racine, Kristin Weingart
성경번역연구소 소장 이두희
편집 조지윤 정미현 유온유 김도현 백광희 정혜인 조가히 이유림
영문 교정 김민정 표지 김소영
발행인 권의현 발행일 년 월 일 2024 4 30
발행처 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서울시 06734 서초구 남부순환로 2569 02)2103-8783, 8784 Fax: 02)2103-8897 ☏
등록년월일 년 월 일 : 1962 7 20 등록번호 : 제1-78
ISSN : 1226-5926 (print) / ISSN : 2586-2480 (online)
인쇄처 북토리
Journal of Biblical Text Research, Vol. 54.
Published Semiannually by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of the Korean Bible Society
Editorial Board
Editors: Young Sam Chae (Baekseok Univ ), Eun-Geol Lyu (Hoseo Univ ), Daewoong Kim (Chongshin Univ ), Jong-Hoon Kim (Busan Presbyterian Univ ), Chung-Yeon Kim (Methodist Theological Univ.), Hee Sook Bae (Presbyterian Univ. & Theological Seminary), Yeongmee Lee (Hanshin Univ.), Young Ho Lee (Seoul Theological Univ ), Yoon-Kyung Lee (Ewha Womans Univ ), Ki Cheol Joo (Kosin Global Univ ), Chul Heum Han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 ), Sun-Woo Hwang (Chongshin Univ.), Julie Faith Parker (The General Theological Seminary), Willem van Peursen (Vrije Univ , Amsterdam), Stanley E Porter (McMaster Divinity College), Jean-François Racine (Graduate Theological Union), Kristin Weingart (Ludwig Maximilians Uni , München)
Dean of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Doo-Hee Lee
Editorial Staff of the KBS: Ji-Youn Cho, Mi-Hyun Jung, On-Yoo Yoo, Do-Hyun Kim, Kwang-Hee Back, Hye In Jung, Ga-Hee Jo, Yu-Rim Lee
English Proofreader: Min-Jeong Kim
Cover Designer: So Young Kim
President of the KBS: Eui Hyun Kwon
The JOURNAL OF BIBLICAL TEXT RESEARCH is published semi-annually by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of the Korean Bible Society, 2569, Nambusunhwan-ro, Seocho-gu, Seoul, Korea. Phone: 82-(0)2-2103-8783, 2103-8784. Fax: 82-(0)2-2103-8897.
ⓒ Korean Bible Society, 2024
차 례
마가복음 - 10:32-52 ········ 권영주 / 107
로마서 의5:16-21 δικαι 용어들의 번역에 대한 고찰·············· 김서준 / 125 로마서 와 의 믿음이 약한 자 와 믿음이 강한 자 번역에 대한 14:1-2 15:1 ‘ ’ ‘ ’ 고찰 김두석 / 148
에베소서 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1:8-9 ? en pash sofia kai fronhsei 하 를 중심으로 (1:8 ) 최갑종 / 172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의 그리스어 현재완료 시제의 번역 연구
요한 서를 중심으로 1
정창욱 / 189 동사상 이론 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주석적 적용 및 제한점 제안 ‘ ’
서평 • •
A Guide to Bible Translation: People, Languages, and Topics (Swindon: United Bible Societies, 2019) 김세희 / 292
성경원문연구 논문 투고 규정 「 」 / 312
성경원문연구 투고 논문 심사 규정
성경원문연구 연구 윤리 규정 「 」 / 355 표※ 지: 슈투트가르트 히브리어 구약성서 한국어
표지 글자는
」 셩경젼셔 년 및 (1911 )
본문 글씨들을 집자 하여 디자인한 글자임 ( ) . 集字
개역 년(1938 )
뒷 표 ※ 지 안쪽: 한글 성경 번역 계보도 < > 한국교회가 예배용 성경으로 읽어 온 셩경젼셔 년 셩경 개역 (1911 ), (1938
년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년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 (1961 ), (1998 년 그 외 ),
의 공인역인 공동번역 성서 년 과 공동번역 개정판 년 성경 (1977 ) (1999 ),
전서 표준새번역 년 과 성경전서 새번역 년 (1993 ) (2001 , 성경전서 표준새번
역 개정판 을 년부터 줄여서 부름 의 번역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음 2004 ) .
머리말
채영삼 성경원문연구 편집위원장 ( )
이번 성경원문연구 호에는 편의 논문과 편의 번역 논문 편의 54 11 1 , 1 「 」
서평을 실었습니다.
배선복 교수는 “ 모세 없는 신명기 신명기 장 분석을 통한 원신명기 재 ? 12
고 에서 신명기 장 내 문학 단위들의 형식 문체 문법을 분석하고 형 ” , 12 , ,
성사를 재고함으로써 신명기 전체가 원신명기에 포함되어야 11:31-12:28
한다고 주장합니다 임미영 교수는 . “느헤미야 술 맡은 관원 환관 , ? ? 에서” , 고 고학적 증거들과 고대근동문헌학을 통해 hqvm로 기술된 느헤미야의 직책은 페르시아 왕실의 술 맡은 관원이었고
구분하여 단락의 번역과 구조를 살펴봄으 2:1-5
로써 상반절이 서로 다른 세 독자 유형 즉 불의한 지배층과 의인과 분별없 4-5 , 는 사람의 묵시에 대한 반응을 보여 주고 있다고 논증하며 이에 따라 상 , 2:4-5 반을 새롭게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방기민 교수는 역사적 배경과 문 . “
맥적 접근을 바탕으로 스가랴 하반 새롭게 번역하기 에서 스가랴서의 역 1:11 ” ,
사적 배경을 살피고 스가랴 하반에 나오는 두 분사 1:11 tjqvw tbvy의 여러 용
례를 제시함으로써 스가랴 하반을 온 땅이 주저앉아서 축 처져 있다 는 1:11 ‘ ’
의미로 번역할 것을 제안하며 제 스가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합니다 1
권영주 교수는 그리스 로마 전기 장르로 다시 읽는 마가복음 에 “ - 10:32-52”
서 그리스 로마 전기의 장르적 특성인 주인공에 대한 집중적 관심 비교 대조 ,, / 의 사용 주인공에 대한 인물 묘사를 통해 독자들을 덕스러운 삶으로 초청하는 , 특징이 마가복음 장에서도 발견된다고 하며 마가복음 를 해석합 10 , 10:32-52
니다 김서준 교수는 로마서 의 . “ 5:16-21 δικαι 용어들의 번역에 대한 고찰 에” 서 로마서 에서 사용된 , 5:12-21 δικαίωμα 절 절 (16 , 18 ), ύδικαιοσ νη 절 절 (17 , 21 ), δικαίωσις 절(18 ), δίκαιος 절 의 의미와 번역 문제를 다루면서 (19 ) δικαι 용어들을죄인에서 의인으로 변화된 신자들의 지위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고 논합니다 김두석 교수는 로마서 와 의 믿음이 약한 자 와 믿음이 강한 자 “ 14:1-2 15:1 ‘ ’ ‘ ’
대한 고찰 에서” , πίστις와 δυνατός를 둘러싸고 있는 연음 관계 및 구문 의 패턴 분석을 통해 로마서 의14:1-2 πίστις를 믿음 이 아닌 확신 으로 번역 ‘ ’ ‘ ’
하는 것이 적합하며 로마서 의 우리 믿음이 강한 자 를 할 수 있는 가능 , 15:1 ‘ ’ ‘ / 한 우리 혹은 먹을 수 있는 우리 로 번역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합니다 ’ ‘ ’
최갑종 교수는 에베소서 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 1:8-9 ? ἐ ά ῃ ίᾳ ν π σ σοφ ὶ ή κα φρον σει 하 를 중심으로 에서 에베소서 를 문법적 구문론 (1:8 ) ” , 1:8-9 , 적, 구조적 방법으로 조사함으로써 의 전치사구 1:8 ἐ ά ῃ ίᾳ
는 절의9 분사 ίγνωρ σας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절의 주동사 , 8 ἐ ίπερ σσευσεν을 수
식하는 수단적 전치사구로 해석되어야 하며 따라서 , ά ῃ ίᾳ ὶ ή π σ σοφ κα φρον σει는
하나님 자신의 지혜와 총명으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창욱 교수는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의 그리스어 현재완료 시제의 번 “
역 연구 요한 서를 중심으로 에서 요한 서를 중심으로 새한글성경 신 1 ” , 1
약과 시편 의 그리스어 동사 현재완료 시제의 번역을 살펴봄으로써 그리스어
시제의 바람직한 한글 번역에 대해 논합니다 장성민 교수는 “‘동사상 이론 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주석적 적용 및 제한점 제안 에서 해외에 비해 활발한 논 ” , 의가 거의 없는 국내 상황에서 동사상 이론에 관한 소개와 비판적 평가를 통해 동사상 이론과 우리말 문법 체계와의 관련성 번역 과정에 동사상 이론을 적용 , 할 때의 가능성과 난점을 논합니다.
전무용 박사는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에 문장부호를 붙이기 위한 예비적 “
논의 에서 개역개정 에 문장부호를 표점할 때의 쟁점들을 검토하여 그에 대 ” ,
한 원칙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합니다 특히 쉼표의 층위가 다층적인 경우 영문 의 표점 방식을 참고하여 쌍반점 반점 쉼표 등을 계층적으로 사용할 것을 제 , , 안합니다. 유은걸 교수는 유언 캐머런 의 논문 (E Cameron) “The September Testament and Its Predecessors: How Was Luther’s New Testament Translation Different 를 번역하면서 from Previous German Versions?” , 마틴 루터 가 (M Luther)
년에 번역한 신약성경의 특징과 그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이유 그리고 1522 , 루터 성경의 특징이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소개합니다 김세희 교수 .
는 서평“< > A Guide to Bible Translation: People, Languages, and Topics 에서 이 책의 저자와 구성 서술 방식 (Swindon: United Bible Societies, 2019)” , , 을 소개하면서 이 책은 성서가 쓰인 이후 현대까지 성서의 번역자들 번역과 , , 보급에 기여한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