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_확장본

Page 1

『BK21 플러스』과학기술분야 (사업단) 사업 신청서 접수번호 사업분야

21A20131612251 과학기술응용

신청분야

정보기술

전국

관련분야 구분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분류명 비율(%)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전국

구분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전자/정보통 정보통신 신공학 37%

사업단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전자/정보통 반도체 신공학 33%

중분류 소분류 전자/정보통 회로시스템 신공학 30% 신설학과 여부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국문) 미래전자통신 인재양성사업단

사업단명 영문) Global Leader Education Program for Future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소 속

한국과학기술원 정보과학기술대학 전기및전자공학과

직 위 사업단장

국문

영문

Chang-Hee Lee

전화 팩스 이동전화 E-mail

성명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국고지원금

1차년도 (`13.3 ~`14.2) 2,310

2차년도 ('14.3 ~'15.2)

3차년도 ('15.3 ~'16.2)

2,310

2,310

수 042-350-3463 042-350-3410 010-4613-3290 chilee@kaist.ac.kr

4차년도 ('16.3 ~'17.2) 2,310

5차년도 ('17.3 ~'18.2) 2,310

총 사업기간

2013.3.1. ~ 2020.2.29.(84개월)

1차년도 사업기간

2013.3.1. ~ 2014.2.28.(12개월)

6차년도 ('18.3 ~'19.2) 2,310

7차년도 ('19.3 ~'20.2) 2,310

본인은 『BK21 Plus』신규사업 지원을 신청서와 같이 신청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하여 소정의 사업성과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3년 06월 19일

작성자

사업단장

희 (인)

확인자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처장

윤 (인)

확인자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모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신청서 요약문> 중심어

미래전자통신

전자통신 교육

IT 융복합

창의적 인재양성

글로벌 인재

국제 협력

산업 협력

미래 원천 기술

Vision 2020-Top10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 우리나라의 전자통신 산업은 수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동통 신 등의 첨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전자통신 분야에서 국제경 쟁력의 확대와 아울러 의료, 자동차, 교통, 건설 분야와 융복합 기술 확산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국가적 차원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 지난 40여 년 간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인 반도체와 이동통신을 비롯한 IT 분야의 연구 개발과 고급인력 양성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BK21사업 1, 2단 계 지원을 통해, 2013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s의 학과평가에서 세계 29위에 진입한 성 과를 확보함 ◆ 따라서 BK21 플러스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top 수준의 학과로 발전하고 미 래전자통신산업을 이끌어 갈 창의적인 인재 양성하여 전자통신 분야에서 최고 선진국 수준의 국 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

사업 목표

◆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 연구, 국제협력, 및 산학협력을 통하여 학문적인 수월성을 가지면서 도 전자통신 분야의 미래 원천 기술과 가치 창출형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 ◆ 전자통신분야에서 4대 주요 연구분야(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s, Brain and smart systems, IT convergence systems)를 선정하고, 교육과 협력체계를 집중하여, 미래 신산업 및 신시장을 개척하여 국가 성장동력을 견인 ◆ 2020년 Top10 비전하에, 2020년 전자통신 분야 학과평가에서 세계 10위권으로 도약

교육역량 영역

◆ 교육 비전: 21세기 공학교육의 기술적 사회적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창의적이며 국제적 수준 의 리더십을 갖춘 글로벌 IT 핵심 인재 양성 ◆ 교육 목표: 철저한 이론과 창의력, 실제적인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을 갖추며 국제적인 리더 십, 지도력, 추진력 및 포용력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인재 양성 - 석사과정은 현장 밀착형 첨단 교육 과정으로 발전시켜 산업계에서 환영받는 전문가를 양성 - 박사학위과정은 학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응용 연구도 적극 권장하여 학문적인 수월성을 추구 하면서 산업 기술에도 직접 공헌하는 과정으로 발전시켜 미래 원천 기술과 가치 창출형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 ◆ 주요 실천 방안 -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s, Brain and smart systems 의 3대 영역과 융복합 연구 분야인 IT convergence systems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개 편 - 모든 개설 교과목에 대한 강의 평가 시행, 강의 평가 결과를 교수 평가에 활용, 우수 강의 교 수와 조교 시상을 통한 강의의 질적 향상 도모 - 현재 시행 중인 대기업 지원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을 중소기업에도 확대 적용하고, 관련 산업 체 기업의 전문가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현장 밀착형 첨단 교육 시스템을 구축 - 외국 저명 대학과 글로벌 교육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세계적 수준의 교육시행 및 장단기 파견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학생의 학술 활동 진작과 연구의 국제적 수월성 제고 - 영어 강의 개설을 확대하고, 박사학위 논문의 영어 작성을 의무화하며, 실제적인 국제화 인 프라 확보를 위한 Bilingual 캠퍼스 구축 - 해외 전문가를 석박사 학위 논문 심사에 적극 활용하고, 외국 저명 대학과 복수학위제 또는 공동학위제를 시행하여 우수 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


- 취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국제적 취업을 장려하기 위한 해외유명기 업 인턴십 제도 지원 및 해외기업 취업설명회 개최 - 우수 신진 연구 인력을 유치하기 위하여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강의 개설 및 연구책임 자로서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

연구역량 영역

◆ 연구 비전: 전자통신 분야의 국제경쟁력 확대와 융복합 기술 확산을 통해 미래 신산업 및 신 시장을 개척하고, 국가 성장동력을 견인 ◆ 연구 목표: -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연구 수행 - 창조경제를 열수 있는 산업 영향력, 사회 파급력이 높은 연구 지향 - 최첨단의 연구를 통하여 최고수준의 대학원 교육이 이루어지는 선순환 체계 확립 ◆ 주요 실천 방안 - 주력 연구분야 : 상기 4대 연구분야에 인력지원, 산업 및 국제 협력체계 강화 - 미래 원천기술 연구 강화 : 뇌과학, 바이오, 스마트 센서 시스템, 전기 자동차, 에너지, 그래 핀, 나노 일렉트로닉스/포토닉스 등의 미래 원천의 융합 분야 중점 지원, 가치 창출형 기술 개발 - 국제화 강화 : 해외 우수 대학과 글로벌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성; 국제화된 연구환경 구축 을 통하여 3위일체형(교수, 대학원생, 신진연구인력) 연구체제로 전환, 국제적 인력 교류, 공 동 연구 활성화 - 연구역량 강화 : 연구논문의 양적 성장보다는 높은 파급력을 지닌 혁신적 연구결과의 창출에 주력 - 학회 영향력 확대 : IEEE Fellow 수를 현재 학과 전체 8명에서 15명으로 높여 international visibility 확대 - 산학협력 강화 : 초일류 국내외 IT 기업/연구소와 공동협력 및 연구 확대; 미래 원천 기술과 가치 창출형 기술의 사업화/창업 지원 및 연구지원 활성화

기대효과

◆ BK21 플러스 지원을 통하여, 전기 및 전자 공학 분야의 학과 평가에서 세계 10위권으로 도약 하는 Vision 2020-Top10 을 실현하여 명실공히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전 ◆ 반도체 및 정보통신 분야의 국제 경쟁력 유지․발전하고 뇌과학, 바이오, 스마트 센서, 전기 자동차, 에너지, 그래핀, 나노 소자 등의 신규 융합분야를 포함한 4대 핵심분야에서 세계적 성 과를 도출하여 최고 수준의 국제 경쟁력 확보 ◆ 전자통신 융복합 기술로 세계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글로벌 인재 배출 ◆ 양적 성장보다는 높은 파급력을 지닌 혁신적 연구결과를 창출하고, 국제적 인지도 (international visibility)의 극대화를 추구하여, 질적으로 강화된 대학 연구역량의 패러다 임으로 전환 ◆ 미래 사회의 수요에 맞는 인력양성 및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융합 분야의 연구 수월성을 확보 하여 국내 IT 기반 산업계의 경쟁력 견인 및 신산업 창출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_1 _1:

성명

T_1 _2:

소속기관

T_ 2_1 :

한글

이창희

영문

D_ 1_3 :

한국과학기술원

D _2_ 3:

1

T _1_ 4:

정보과학기술대학

D _2_ 4:

D_1 _5:

Chang-Hee Lee

전기및전자공학과

D _2_ 5: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표 1-1>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전체 교수 수(임상, 교육, 기존 교수 수(임상, 교육, 신임 교수 수(임상, 교육, 분교, 기금 제외) 분교, 기금 제외) 분교, 기금 제외)

T_1_3:

T_1_8:

대학 기준 원 일 학과 (부)

T _1_ 13:

T _1_ 18:

임상,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 _1_ 2:

T_ 1_1 :

T_2 _4:

참여

참여

참여 비율 전체 (%)

전체

T _2_ 3:

전기 2013 및전 86 0618 자공 학과

전임 겸임 계 T_3 _5:

T_ 3_6 :

T_ 2_2 2:

T_2 _18 :

전임 겸임 계 T_ 3_1 0:

참여 비율 (%)

T_ 2_1 9:

T_ 2_1 7:

T _2_ 13:

T_3 _9:

참여

참여 비율 전체 (%)

T_ 2_1 4:

T_ 2_1 2:

T_ 2_8 :

T_3 _4:

참여

참여 비율 전체 (%)

T_ 2_9 :

T _2_ 7:

전임 겸임 계

T _3_ 11:

T_ 3_1 4:

T_ 3_1 5:

T_ 3_1 6:

T _3_ 19:

전임 겸임 계 T _3_ 20:

T_ 3_2 1:

D _4_ 2:

D_ 4_1 :

D _4_ 3:

D_4 _4:

67

D_4 _5:

0

D_4 _6:

67

77.9 82 1%

D _4_ 7:

D_ 4_8 :

D_4 _9:

63

0

D_ 4_1 0:

D _4_ 11:

63

76.8 3%

D_ 4_1 2:

D _4_ 13:

4

4

0

D_ 4_1 4:

4

D_ 4_1 5:

100%

D_4 _16 :

D_ 4_1 7:

0

D_4 _18 :

D _4_ 19:

0

D _4_ 20:

<표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0

D_4 _21 :

0%

D_ 4_2 2:

(단위: 명, %)

T_1 _3:

대학원 기준일 학과( 부)

0

대학원생 수

T_1_2:

T_2 _3:

석사

T_2 _6:

박사

T_2 _9:

석․박사 통합

T_2 _12 :

T _1_ 1:

T_3 _3:

전기및 201306 전자공 18 학과

전체

참여

참여비 율(%)

전체

T _3_ 5:

T _3_ 4:

T_ 3_6 :

T_3 _7:

참여비 율(%)

참여

전체

T _3_ 8:

T _3_ 9:

참여

참여비 율(%)

전체

T_ 3_1 1:

T_3 _10 :

T_3 _12 :

참여

T_ 3_1 3:

T _3_ 14:

참여비 율(%)

D_4 _2:

D _4_ 1:

D_4 _3:

379

308

D _4_ 4:

81.27%

D _4_ 5:

486

D_ 4_6 :

D_4 _7:

325

66.87%

D _4_ 8:

2

71

D _4_ 9:

42

D_4 _10 :

D _4_ 11:

59.15%

936

D_4 _12 :

675

D_ 4_1 3:

72.12%

D_4 _14 :


Ⅱ. 부문별 1 .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비전 및 목표 <그림 II-1-1> 공학교육 요구사항과 교육목표와 비전의 연관성

21세기 지식 기반형 정보화 사회를 열어 갈 전기및전자공학도는 전기전자공학 및 기초공학을 바탕으로 한 창의력,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실제 문제 정의 및 해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새 시대의 공학도는 인류 사회 전체를 생각하며 협동심, 지도력 및 적응력을 갖춘 지구촌 일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필요하다. 아래에 21세기 공학 교육 요구사항을 요약하였다.

3


○ 기술적 요구 사항 - 수학/기초 과학을 통한 창의력을 공학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산학협동을 통한 현장문제 해결 능력 - 컴퓨터 및 첨단 공학 도구를 활용한 실제적인 공학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 - 목표 시스템의 정의, 설계, 구현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능력 - 학제적 전공팀을 구성하여 복합적인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사회적 요구 사항 - 인류에 대한 이해와 윤리의식 - 인류 문명에 대한 비전 및 인류를 위한 공학적 가치창조 능력 -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 인간관계와 협동심 - 조직 적응력 및 지도력 - 신기술/지식을 습득하는 능력 - 기술, 지적소유권, 상품성 사이의 관계 이해 ① 교육 비전 위에서 정리한 기술적 사회적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BK21 플러스 사업단은 창의적이며 국제적 수준의 리더십을 갖춘 글로벌 IT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비전으로 정하였으며, 2020년 까지 세계 Top 10위권 진입 (Vision 2020-Top10)을 위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으로 비전을 가시화하였다. 이러한 IT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하여 우수한 교수/연구원 초빙을 상시화, 교육프로그램 특성화, 교과목 개편, 학생지도 선진화 등의 교육의 내실화와 글로벌 교육/연구 네트워크 구성과 대학원생 국제활동 의무화 제도 등의 국제화를 적극 추진한다. 국제화를 통한 구체적인 성과는 외국인 학생 및 연구원의 점진적 증가와 해외우수대학 /기업에 취업하는 졸업생 수의 증가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확장표 II-1-1 참조)

<확장표 II-1-1> 인력 양성 관련 지표

석/박사 학생 배출

외국인

(단위 : 명)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교수 수

86

87

88

89

91

93

95

석사 졸업생

164

177

155

155

155

155

155

박사 졸업생

80

80

95

100

105

95

95

해외 유수 기업/기관 취업생수 (2010년 이후 누적)

39

45

50

55

65

75

85

석사과정 재학생*

20

20

22

24

25

27

29

박사과정 재학생*

16

18

19

20

21

22

23

박사 후 과정 및

2

3

4

5

5

6

6

4


계약교수** 전임 교수***

8

9

10

10

11

11

12

* 접수마감일 기준 재학생 수(휴학생 제외) ** 채용인원 기준 수 *** 사업단 외국인 전임교수 총 수

② 교육 목표 BK21 플러스 사업에서는 IT 분야의 미래 원천 기술과 가치 창출형 기술을 개발할 수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한다. 공학교육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한다. (그림 II-1-1 참조). - 전공한 이론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 실제적인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 국제적인 리더십, 윤리의식, 지도력, 추진력 및 포용력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인재 석사학위과정에서는 튼튼한 IT 기반지식을 교육하고 창의력을 계발하는 연구에 집중하며, 한국의 산업계에서 필요하고 환영받는 IT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한다. 박사학위 과정은 학문적 연구결과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응용으로 산업기술에 세계적으로 공헌하는 기술적인 연구도 적극 권장하고 인정하는 과정으로 발전시킨다. 앞으로 10년 후에는 졸업생의 질, 교수의 질, 그리고 교육 및 연구수준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세계 Top 10 수준의 학과로 발전한다. ③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 방안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과과정, 학생지도방식, 강의 및 연구의 평가시스템 등을 발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다음과 같다. 가. 학생 지도의 내실화 세계 우수 대학과 본 사업단의 교수 1인당 대학원생 수를 비교해 보면 Stanford 대학을 제외하고는 다른 우수 대학에 비해 본 사업단의 대학원생 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확장표 II-1-2 참조). 장기적으로 우수 교수의 충원을 통하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2016년에는 교수 1인당 대학원생 수를 10.5명 수준으로 그리고 2019 년까지는 10명 이내로 점진적으로 개선하여 학생 지도의 내실화를 기할 예정이다. (확장표 II-1-3 참조) <확장표 II-1-2> 교수 1인당 지도대학원생수 비교

(단위 : 명)

구분

교수 수

대학원 학생 수

교수 1인당 대학원 학생 수

KAIST EE (2013.4.1. 기준)

86

970

11.3

Stanford 공대 *

219

3548

16.2

5


MIT 공대 *

380

3147

8.3

UC Berkeley 공대 *

247

1837

7.4

GaTech 공대 *

508

4651

9.2

* US News, 2013

<확장표 II-1-3> 전임교원 1인당 지도학생수 개선 계획

(단위 : 명) 연도별 목표(명)

목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1.3

11.0

10.8

10.5

10.3

10.2

10.0

대학원생 기준

나. 최고 수준의 교수진 및 연구진 확보 -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교수를 단계적으로 증원해 나갈 예정이며 이를 위해, 연구정착금 (1억원 규모), 교내/외 주거 지원 등의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 패키지를 제공한다. - 우수 외국인 교수를 유치하여 국제화된 교육이 확충 되도록 한다 (확장표 II-1-4 참조). 우수 외국인 교수 유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1) 캠퍼스내 외국인 교수 아파트 제공 2) 자녀국제학교 입학시 특별 할인혜택 부여 등의 자녀 교육 지원 패키지 제공 - 여성 교수를 유치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하며 상시 초빙 제도를 실시한다. - 우수 신진 연구 인력을 유치하기 위하여 처우를 개선하며 강의 개설 및 책임자로서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한다. <확장표 II-1-4> 우수 외국인 전임 교원 확보 계획

(단위 : 명) 연도별 목표(명)

목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전임교원

내국인

78

78

78

79

80

82

83

증원계획

외국인*

8

9

10

10

11

11

12

86

87

88

89

91

93

95

전체** * 학과 외국인 전임 교수 총 수 ** 퇴직교수를 감안한 수치임 다. 교과과정 개선 - 창의적 IT 융복합 교과과정 도입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s, Brain and Smart Systems 의 3대 영역과 융복합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개편한다. 수강 학생이 주도적으로 IT 융복합 시스템을 설계하고

6


검증하는 창의적 설계 코스를 도입하여 이론을 창의적 시스템에 적용하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 리더십 및 윤리교육 강화 리더십 및 윤리의식을 가진 미래지향적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사회적 요구사항을 반영한 리더십 교과목과 CEO 강좌를 연 1회 이상 개설한다. 필수 이수과목인 연구논문 작성법 강의를 통해 올바른 연구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

라. 글로벌 교육 네트워크 및 Bilingual 캠퍼스 구축 - 대학원생의 학술 활동 진작과 교육과 연구의 국제적 수월성 제고를 위해 국제 공동연구 및 장단기 파견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글로벌 지원 전담 행정 조직" (Globalization Supporting Team: GST)을 설치 운영한 다. - 외국 저명 대학 및 연구기관과 거미줄과 같은 국제 공동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류 협력을 증진하고 외국 저명 대학과의 복수학위제 또는 공동학위제를 확대해 나간다. - 영어 강의 개설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Bilingual 캠퍼스 구축을 통하여 실제적인 국제화 인프라를 이루어 간다.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학부와 대학원을 포함하여 영어강의 비율이 평균 82.6% (학부 100%, 대학원 65.4%) 이다. 학부 영어 강의 비율 100%를 유지하면서 대학원 영어 강의 비율을 85%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 다. (확장표 II-1-5 참조) - 박사 학위 논문은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의무화하며 석사 학위 논문도 영어로 작성하도록 권장한다. - 외부 전문가와 해외 전문가를 석박사 학위 논문 심사에 적극 활용한다. <확장표 II-1-5> 연도 별 영어 강의 계획

(단위 : %) 연도별 목표 (%)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영어강의

학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비율

대학원

65.4**

68

71

74

78

81

85

* 2013년 전체 학부 강의 71 중 71 영어강의 ** 2013년 전체 대학원 강의 81 중 53 영어강의 마. 강의 평가 및 학생 평가 (Black Friday) 제도 개선 - 개방형 강의 평가 시스템 및 피드백 제도 도입 교과목 강의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개설된 모든 교과목에 대해 강의 평가를 시행하고 홈페이지를

7


통해 공개한다. 우수강의 및 우수조교에 대한 시상 제도를 운영하며 강의 평가 결과를 교수 평가에 활용하여 강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 Black Friday 제도 시행 박사과정 학생의 학업 및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생 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 1회 연구실적을 포함한 학업 및 연구 성취도를 평가하여 서면으로 그 결과를 전달하는 제도(Black Friday)를 시행한다. 바.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화 - 기업 맞춤형 교육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현재 기업을 위한 3개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확장표 II-1-6 참조) 삼성전자와는 EPSS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포함하여 매년 약 26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와는 KEPSI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약 18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LG display 와는 LGenius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약 13 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해당 기업과 장기적인 계약 하에서 고급 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각 프로그램 마다 기업의 요구에 맞춘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과정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전공과정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과정도 운영할 예정이며,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국제적 수준의 경쟁력을 가진 창조적 실무적 인재를 양성한다. <확장표 II-1-6> 맞춤형 인력양성 계획 구 KEPSI*

EPSS**

LGenius *** 신규 맞춤형 인력양성 합 계

(단위 :명)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합 계

석사

13

13

13

13

8

-

-

60

박사

5

5

5

5

5

-

-

25

석사

20

20

20

20

-

-

-

80

박사

6

6

6

6

-

-

-

24

석사

10

10

10

10

-

-

-

40

박사

3

3

3

3

-

-

-

12

석박사

0

0

5

10

50

70

70

205

57

57

62

67

63

70

70

446

*

하이닉스에서 지원하는 반도체 인력 양성 프로그램(~2017)

**

삼성전자에서 지원하는 반도체 인력 양성 프로그램(~2016)

*** LG Display에서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인력 양성 프로그램(~2016)

8


- 현장 밀착형 인재 양성 교육 수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 선정에서부터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기업의 전문가를 석박사 논문 심사위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석․박사 기간 중 일정 기간 동안 수요 기업에서 인턴을 하게 함으로써 기업의 관심사와 필요 기술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업의 전문가가 직접 강의에 참여하는 첨단 분야 교과목을 정기적으로 운영하여 현장 기술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한다. - 핵심 분야 육성을 통한 첨단 교육 4대 성장 핵심 분야 (나노 소자 및 차세대반도체, 모바일 미디어 및 무선통신 기술, 디스플레이, 자동차/IT 융합기술)에 사업단의 자원(신임교원 포함)을 집중하며 대형 중, 장기 산학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통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한다. - 학제전공 겸임교수 제도 활성화를 통한 융합 교육 BT, NT, CT, 미래형 자동차 분야 등 IT 관련 융합분야와의 학제적 교류를 위하여 겸임교수제도를 활성화시킨다. 사.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제도 개선 - 우수 대학원생을 모집하기 위하여 핵심 연구 주제와 혜택을 미리 공개하고, 석박사 학위를 단기에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 - 외국 저명 대학과 복수학위제 또는 공동학위제를 시행하여 우수 학생을 유치한다. 아. 지원 조직 강화 - 교수가 연구/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지원조직을 강화한다. 특허/계약 지원, 학과 홍보, 기획, 졸업생 관리 등을 위한 고급 지원 인력을 확보한다. - 취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며, 국제적 취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해외유명기업 인턴 제도를 지원하며 해외기업의 취업설명회를 유치한다.

9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1 교과과정의 구성 및 운영 계획의 우수성 - 미래 지향적 3대 전공 분야별 체계적 교과과정 구축: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 Brain and Smart Systems분야 - IT Convergence Systems 교과과정 신설 및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 도입 - 현장 밀착형/산업 연계형 교육 강화 - 리더십/ 윤리 교육 강화 및 논문 작성법 교육 강화 - 강의 평가 내실화 및 우수 강의상 제도의 확장적 활용 (우수 강의 사례 DB화 및 우수 강의 콘텐츠의 대외 공유) - 양방향 인터랙티브 교육 등 선진 교수법 도입을 통한 교육의 질적 수진 향상 가. 교과목 체계 구축 현황 ■ 교과 과정 구성 목표 및 개요 전기및전자공학과는 급변하는 시대적, 사회적, 국가적, 세계적 요구사항에 부응하도록, 창의적 글로벌 IT 핵심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비전을 세우고, 이론과 창의력,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 그리고 리더십과 윤리의 식을 겸비한 융합시대의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선, 창의력, 산학협동, 실제적 공학문제해결, 설계구현 시험능력 등을 필요로 하는 전공/기술적 능력과, 동시에 인류를 이해하는 윤리의식, 의사소통 능력, 협동심 및 지도력을 필요로 하는 전공/기술 외적 소양이 요구되는 바, 전공/기술 분야 능력 함양에 필요한 전공 교과 과정과 연구윤리, 논문작성법, 리더십 교육 등에 초점을 특수 프로그램 및 필수 교양 과정을 균형있게 운영하고 있다. ■ 3대 전공 분야별 교과 과정 구성 및 졸업 이수학점 본 학과의 대학원 졸업 학점은, 석사의 경우 24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연구학점 포함 36학점 이상, 박사의 경우 42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30학점 이상의 연구학점을 포함한 72학점이다. 전기 전자 정보의 다양한 시대적 요구와 발전을 담고자, 기초에서 최신 응용에 이르는 다양한 대학원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희망에 따라 적절한 분야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특히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크게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 brain and smart systems의 3대 분야를 설정하고 이들 분야에 대하여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별로 각 20여개의 500 단위 이하의 핵심 개론 과목과, 각 30여개의 600-800 단위 전공 심화과목 및 특강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상세 교과목 개설 내역은 확장표 II-2-1 참조) 대학원 교과목의 효율적 편성을 위하여 학사 과정 교과목 편성이 연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므로, 학사 과정도 일관되게 동일 3개 분야로 나누어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그룹화는 MIT, Stanford 등 미국 우수 대학에서도 비슷하게 시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MIT의 전기전자 전산학과 (EECS) 경우, 전기 및 전자 분야 5개, 전산 분야 1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10


<확장표 II-2-1> 전공분야별 교과목 현황 분야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o 유무선 통신망의 통합, 방송과 통신의 융합을 통한 광대역통합망, 차세대이동통신기 술, 초고속 인터넷 망, 각종 다양한 통신 방송 서비스, 센서 네트워크 등의 기술에 대

교육 목표 및 내용 개요

한 교육 o 미래인터넷 및 서비스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통해, 스마트 에너지네트워크 (가칭 스 마트그리드), 스마트 교통시스템, 스마트 헬스케어네트워크 스마트 환경시스템 등의 신 규 응용 분야를 선도하여, 글로벌 이슈인 건강, 환경, 에너지 문제에 기여. 500 단위 이하

600, 700 단위

800 단위

EE612 이산사건시스템 모델 EE411 스위칭 및 오토마타 이론 EE421 무선통신시스템 EE425 무선 통신망 EE432 디지털신호처리 EE476 시청각 인지 모델 EE485 전자공학특강Ⅰ EE486 전자공학특강Ⅱ EE488 전기 전자공학특강 EE505 전기공학 설계 및 실 험 EE512 시스템프로그래밍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EE513 네트워크 시스템 및 보안 EE515 보안 공격론 EE51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EE520 정보통신네트워크 EE522 통신이론 EE525 네트워킹 기법 및 응 용 EE527 데이타통신 EE528 공학 확률과정 EE539 비선형 통계학적 신 호처리 EE572 미래학과 공학기술: 미디어기술과 비즈니스 전 략 EE575 엔터테인먼트 프랫폼 EE581 선형시스템

링 시뮬레이션 EE613 분산컴퓨팅시스템 EE614 서비스지향형 컴퓨팅 시스템 EE615

시스템

문제해결을

위한 아키텍쳐 EE617 병렬컴퓨팅시스템 및 프로그래밍 EE621 부호이론 EE622 검출 및 추정 EE623 정보이론 EE624 셀룰라망 시스템 및 프로토콜 EE625 신호탐지 및 추정의 응용 EE626 고급통신이론 EE627 통신망 성능분석 EE629 이동통신공학 EE631 고급디지털 신호처리 EE650 통신망 최적화기법 EE651 디지털 스위칭 공학 EE653 통신망 보안 EE654 다중안테나 무선통신 EE655 통신망 경제 EE657 근거리통신망 EE658 큐잉이론 및 응용 EE659 무선망 프로토콜 및 해석 EE690 오버레이 네트워킹 EE691 통신망 관리 EE692 병렬분산 알고리즘

11

EE817 컴퓨터공학특강 EE827 통신특강 EE837 신호처리특강


EE694 전화망 및 인터넷 전 화망 EE696 통신소프트웨어설계 EE698 멀티미디어통신 미들 웨어 EE727 광대역네트워크 설계 및 분석 EE731 적응신호처리 EE755 고급 부호이론 EE756 고급 정보이론 분야

Emerging Device o 기초 물리, 재료, 화학, 및 생물 과학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발상을 통하 여 새롭고 사회적,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신개념 소자 및 시스템의 창출 능력 함양 o Nano device and circuits, Bio electronic devices, Display and lighting, Green

교육 목표 및 내용 개요

energy devices, Lightwave and Optics, Electromagnetic wave and RF 등 중점 분야 기 초 및 응용 기술 교육 o 돌파형이며 미래형 연구를 통하여, 글로벌 이슈인 정보통신, 에너지 및 그린 환경, 바이오 및 헬스케어 분야의 사회적 요구에 필요한 혁신적 기술을 개발키 위한 창조적 융합 인재 육성 500 단위 이하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600, 700 단위

EE403 아날로그 전자회로

EE641 초고주파 집적회로

EE405 전자 디자인 랩

EE643 밀리미터파집적회로설

EE441 광통신개론

EE452 광공학 개론

EE645 무선 송수신 시스템

EE463 반도체 집적회로 기

EE647 나노 포토닉스

EE652 광통신공학

EE464 그린에너지 전자공학

EE661 고체물리

EE466 바이오 및 의용 전자

EE663 고주파전자소자

공학 개론

EE665 CMOS 프론트-앤드 공

EE509 연구논문작성법

정기술

EE541 전자장이론

EE666 반도체 광전자소자와

EE542 마이크로파공학

응용

EE543 안테나 공학

EE669 바이오 전자공학 실험

EE546 장및파동론

방법론

EE555 광전자공학

EE679 통신용 아날로그 및

EE561 집적회로소자 개론

혼성회로

EE563 디스플레이공학

EE741 파동의복사 및 회절이

EE565 공학자를 위한 현대

물리

EE742 전자파를 위한 광선법

EE566 MEMS 전자공학

EE745 EMI/EMC 설계 및 해석

EE567 태양광발전

EE746 레이다 시스템

12

800 단위

EE807 전기공학특강 EE808 전자공학특강Ⅰ EE809 전자공학특강Ⅱ EE847 전자기특강 EE857 광공학특강 EE867 물리전자특강 EE868 고체물리특강 EE877 집적회로특강


EE748 고주파 수동소자 EE757 비선형광섬유광학 EE568 유기전자공학 EE569 나노바이오 전자 공 학

EE758 광 통신망 EE762 고급MOS소자물리 EE764 나노 전자소자 양자 엔지니어링 EE766 플라즈마 전자공학 EE772 그린에너지 전자회로

분야

brain and smart systems o 신호 및 정보 처리 알고리즘의 개발에서부터 다양한 응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필요한 핵심 이론과 기술 교육

교육 목표 및 내용 개요

o 정보 시스템 (음성인식, 영상처리 등), 로봇 및 제어 시스템, SOC 설계 분야, Brain IT 연구 분야의 기초 및 최신 응용기술 교육 o IT 기술 및 Brain 기술의 통섭과 융합에 기반한 스마트 시스템 기술을 통해 미래 사 회 이슈 해결을 이끌 수 있는 창조적 인재 양성 500 단위 이하

600, 700 단위

800 단위

EE628 영상통신시스템 EE634 패턴인식 EE401 대화의 기술 EE402 미래사회와 전자공학 EE414 임베디드 시스템 EE450 과학기술 기업가 정 신 EE451 IT 벤처창업의 실제 EE474 멀티미디어개론 EE481 지능시스템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EE511 전산기구조 EE531 통계적 학습이론 EE532 브레인 IT 개론 EE533 디지털음성처리 EE535 영상처리 EE538 신경회로망 EE548 신호처리를 위한 행 렬계산 EE571 전자회로특론 EE573 VLSI시스템개론 EE574 VLSI를 위한 CAD EE582 디지털제어 EE594 전력전자시스템

EE635 뇌기능영상 EE636 디지털비디오처리 EE637 음성 및 오디오 부호 화 이론 EE667 다중 시점 기하학 EE676 아날로그집적회로 EE678 디지털집적회로 EE681 비선형제어

EE838 영상공학특강

EE682 지능제어이론

EE878 VLSI특강

EE683 로보트제어

EE887 로보트특강

EE684 진화연산

EE888 제어이론특강

EE686 최적화이론

EE897 전력전자특강

EE687 실시간제어

EE898 지능정보처리특강

EE688 최적제어이론 EE722 고등 검파론 EE733 다표본신호처리 EE734 영상이해 EE735 컴퓨터를 이용한 시각 기법 EE737 의료영상공학 EE738 음성인식 시스템 EE739 인지정보처리 EE773

13

바이오-메디칼

CMOS


IC 설계 EE774 VLSI 설계 방법론 EE775 통신용 핵심 IP 설계 EE783 적응제어이론 EE785 강인제어이론 EE788 로보트인지 및 계획 EE791 전력변환 회로 및 시 스템

나. 교육과정 구성 발전 계획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교육과정 신설

현행 3대 연구/교육분야(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Emerging Device, Brain and Smart System)에 추가로 IT 융합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신설하여 4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트 센서 시스템, 통신-전력전자 시스템등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며 기존의 3대 분야와 관련된 그룹에 소속된 교수들이 협동하여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 창의 설계 교육 강화 ○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 신설 기존의 수동적이고 Bottom-Up 방식이었던 실험 교과목 이수에서 벗어나, Top-Down 형태의 구성으로 학생이 팀을 이루어 주도적으로 큰 주제를 우선 정하고, 이를 위한 실험 내용을 구상하고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통합 시스템을 독창적으로 설계하는, 자율형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을 신설한다. 학점 부여 외에도 우수 설계 작품이나 우수 협력 연구에 대한 시상과 외부 공모대회에 제출 독려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고, 동시에 협력연구 및 지식 공유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 발전 본 학과는 전자 정보 기술을 통한 산업 발전 기여를 지향하는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50여명의 대학원생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선발하고 있다. 향후 7년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전적으로 운용하고, 새로이 요구되는 산업분야에 신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매년 70여명 규모로 확대하고자 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의 현황 및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반도체공학프로그램 (KEPSI : KAIST Educational Program for Semiconductor Industry) 반도체공학프로그램은 21세기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기술 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1996년 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연구 분야로는 VLSI 회로설계, 차세대

14


반도체 설계 및 소자이며, 그 동안 본 프로그램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고급 기술 인력들은 기업 내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KAIST와 참여기업((주)하이닉스반도체)는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2008년 1월에 참여 학과를 확대하여(전기및전자공학과, 물리학과, 신소재 공학과) 재협약을 맺고 반도체공학프로그램을 연장하였다. 재협약을 통하여 100명의 석․박사급 인력(박사급 40%)을 추가로 양성할 계획이다 ○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 (EPSS : Educational Program for Samsung Semiconductor)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은 "메모리 및 시스템 LSI 분야"의 반도체 설계 및 소자, 공정 관련 핵심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삼성전자㈜와 KAIST 내 5개 학과(전기및전자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2006학년도 석사 신입생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109명의 석사과정 신입생을 선발하여, 이중 37명이 졸업하여 참여기업에 입사하였고, 72명이 석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반도체 학제전공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통해 향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240명의 석․박사급 인력(박사급 30%)을 양성할 계획이다. ○ LG Display 교육프로그램 (LGenius : LGenius Program) KAIST와 LG Display(주)의 맞춤형 선발 및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으로 2012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기 시작하였다. 참여기업인 LG Display(주)의 공동 논문 지도 위원 및 인턴십 등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KAIST의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고도의 학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스플레이 분야 의 고급핵심 인력을 공동 육성하여 안정적․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 향후 산학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발전 및 신규 추진 계획 현재 집중되어 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추진하며, 중소기업으로도 수요기업을 확대해간다.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국제적 수준의 경쟁력을 가진 창조적 실무적 인재를 양성한다.

■ 리더십 교육 강화 본 사업단은, 이공계 인력의 진출 분야 확대에 따른 경제, 문화적 능력 요구의 증대, 과학 기술인의 사회적 리더 역할 요구 증대라는 미래 시대의 사회적 기대에 부응코자,리더십을 갖춘 미래지향적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목표로, 리더십 교육을 강화해 왔다. 특히, 공학적 내용의 초청 세미나로 이루어진 교과목뿐만 아니라 리더십 교육과 인성 교육을 추구할 수 있도록 리더십 강좌, CEO 강의 등의 초청 세미나 과목을 개설해왔으며 (확장표 II-2-2 참조), 향후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 발전시켜, 학생들이 졸업 후 미래 사회의 통섭형 인재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5


<확장표 II-2-2>

석사과정 리더십 강좌 개최

일 시 2월 19일 3월 5일 3월 12일 4월 2일 4월 9일 5월 7일 5월 14일 2010년 (15회)

9월 3일 9월 10일 9월 17일 10월 29일 11월 12일 11월 19일 11월 24일 11월 26일

일시 2월 25일 3월 4일 3월 11일 2011년 (16회)

3월 18일 4월 8일 4월 15일 5월 20일

강사

제목

류 근 철 (모스크바국립공대 교수, KAIST 초빙특훈교수) 정 동 수 (Invest KOREA 단장) 양 창 순 (양창순대인관계클리닉 원장) 한 홍 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황 창 규 (서울대학교 초빙교수, 전 삼성전자 사장) 이 요 셉 (한국웃음연구소 소장) 김 성 주 (성주그룹 회장) 박 용 만 ((주)두산 회장) 조 범 구 (시스코코리아 사장) 이 미 선 (코리아매너스쿨 원장) 김 우 식 (KAIST 초빙특훈교수) 강 영 우 (전 미국 백악관 정책차관보) 송필호 (중앙일보 사장) 안 철 수, 정 재 승 (KAIST 교수) 이상영 (보건복지가족부, 저출산대책위원장) 강사

건전한 과학자상 Korea : An Emerging Global Leader in the 21st Century 성공하는 리더의 마음 경영 Would You Like to Become Another Bill Gates? 융복합 사회와 창의적 리더 웃음이 경쟁력이다 Korea as the Global Leader in the 21st Century Transformation & Globalization 사회가 원하는 성공적인 사람 품격있는 매너와 에티켓 Creative Leadership 섬김의 리더십이 글로벌 리더십이다 시장경제와 언론 그리고 글로벌 안철수 교수와 정재승 교수의 대담 우리나라 인구정책과 리더십

제목

송진우 코치 (한화이글스 야구단) 유태우 교수 (신건강인센터 원장) 김병후 정신과전문의 (한국청소년재단 이사장) 법륜 스님 (평화재단 이사장) 정윤 이사장 (한국창의재단 이사장) 박재희 교수 (민족문화콘텐츠연구원장) 최성애 박사 (HD가족클리닉 원장)

16

‘LEGEND 21’ 내 몸과 삶은 내가 원하는 대로 된다 과학으로 본 사랑 과학기술자의 품성은 어떠해야 하는가? 글로벌시대에 대응하는 세계1등 가치창출 전략 고전에서 배우는 생각의 발상전환 지구시민이야기


9월 1일 9월 16일 9월23일 9월 30일

10월 7일

10월 14일 10월 28일 11월 11일

11월 18일

일시 3월 9일 3월16일 4월 6일 4월 13일 4월 20일 4월 27일 2012

5월 4일

(17회)

9월 7일 9월 21일 10월5일 10월 12일 11월 23일 11월 30일 12월 7일

이승복교수 (미국 Johns Hopkins Univ.) 이창한 사무처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남형두 교수 (연세대학교 법학과) 조수철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나경 새터민 (나라사랑운동본부) 박동익 교수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양진석 사무총장 (세계태권도 연맹) 김진경 감사 (항공우주연구원) 김창준 (전 미연방하원의원, 김창준 미래 한미재단 이사장) 황주명 (KAIST 이사, 법무법인 충정 대표변호사) 강사

절대 절망에서 절대 희망으로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전략 학술저작물의 표절 -법정사례 중심으로리더가 건강해야 모두가 건강하다 북한의 자스민(민주화)혁명은 가능한가? 자기 자신에 대한 주인의식 올바른 역사인식과 미래전망 우리 주위엔 어째서 영웅이 없는가? ‘가치 및 이해관계 충돌’ 어떻게 풀까? 제목

유종일 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오세정 원장 (기초과학연구원) 이원용 교수 (연세대 화학과) 김봉렬 교수 (한국예술종합대학교) 윤종용 위원장 (국가지식재산위원회) 고상근 교수 (서울대 리더십센터장) 권석만 교수 (서울대 심리학과) 김도연 위원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두식 교수 (경북대 법학과) 강승현 (모델) 이주헌 (미술평론가) 권영수 사장 (LG 화학) 박성동 대표 (SATRECI) 채정호 교수 (가톨릭 의대)

17

한국경제의 과제와 미래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미래 인재상 연구윤리소개-연구부정행위와 관련 규정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 속의 건축 산업 발달사 공학인의 리더십 리더의 조건: 행복한 삶의 이해 과학기술과 미래사회 창의성을 죽이는 나라에서 과학자로 살아남기 도전과 기회 그리고 기회와 도전 캔버스위의 리더십 바람직한 리더십 카이스트의 숨은 전설 - 우리는 별을 쏘았다 행복한 선물 - 옵티미스트 -


다. 강의 평가 운영 및 환류 실적 본 사업단은 상기의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체계적 강의평가 등을 통해 교육 내용의 질적 개선을 꾀하고 있으며, 영어 강의 컨설팅 및 비디오 촬영 등을 통해 글로벌 교육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각각의 운영현황 및 계획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강의평가 운영 현황 1995년 봄 학기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학사, 석사, 박사과정에 개설된 모든 교과목에 대하여 강의평가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그동안 강의평가제를 시행하면서 꾸준히 방법을 개선, 보완하여 왔다. (확장표 II-2-3 참조) 2002년 가을학기부터는 웹기반 강의평가로 전환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고 강의평가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09년도 봄 학기 부터는 설문항을 아래와 같이 9 분야의 문항(기존 15문항)으로 단순화하되, 주관식 형태의 종합적인 의견란을 추가함으로써, 설문항에 표현되지 못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필수문항 : 구성, 이해도, 분위기, 기여도 ○ 선택문항 : 영어강의여부, 수업준비, 실습시간, 조교 ○ 종합적인 의견 또한 2012년도 가을학기부터 중간 강의 평가제를 추가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의 피드백이 학기 후반부의 강의에 즉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확장표 II-2-3> 최근 3년간 KAIST 강의 평가 시행 실적

교과목수 (분반 포함)

총 수강학생수(명)

강의평가

참여 학생 비율

참여학생수(명)

(%)

2010 봄

1,086

32,854

23,097

70.30

2010 가을

1,108

31,699

22,441

70.79

2011 봄

1,156

34,235

28,479

83.19

2011가을

1,145

32,458

26,907

82.90

2012 봄

1,161

33,661

29,470

87.55

2012 가을

1,153

32,286

27,351

84.72

■ 강의 평가 환류 현황 및 실적 ○ 강의 우수교원/ 조교 시상 및 교원 인사 평가 자료 활용 과목별 강의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의견을 웹에서 즉시 볼 수 있도록 하여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현장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강의평가 결과를 학과(전공)에 통보하여 교수법의 개선유도

18


및 교원인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강의 평가 결과에 따라 매년 우수 강의과목에 대하여 우수강의상을 수여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수강의상은 교양과목, 기초과목, 학사과목, 대학원과목, 영어강의 과목으로 구분 평가하여 선정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결과를 교수평가의 중요 항목으로 포함, 활용하고 있다. 학과 자체적으로도 원에서 실시한 강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별도의 우수 강의상 제도를 운영하며, 강의 질 개선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수 조교상 제도를 실시하여, 대학원 학생들이 적극적 수업 지원 등을 통해 미래의 창의적 교원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우수조교상은 학사/석사 교과목 조교로서 충실하게 조교 활동을 한 대학원생들을 선발하여 시상하는데, 시상 대상자는 과목 수강생들과 과목 담당 교수의 평가를 통하여 선정된다.(최근 3개년 우수 강의상 및 우수 조교상 수여 현황은 확장표 II-2-4, 확장표 II-2-5 참조)

<확장표 II-2-4> 우수강의상 수상 실적

학기

담당교수

2010 봄

문재균

2010 봄

조규형

2010 가을

박인철

2010 가을

윤준보

2011 봄

이석희

2011 봄

문건우

2011 가을

정세영

2011 가을

박현철

2012 봄

류승탁

2012 봄

이융

2012 가을

양경훈

2012 가을

서창호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우수강의상

19

담당교과목 통신공학 전자회로특론 컴퓨터구조개론 MEMS 전자공학 반도체 집적회로 기술 전력전자 특강 신호 및 시스템 이동통신공학 아날로그 전자회로 통신망 경제 물리전자개론 정보이론


<확장표 II-2-5> 우수조교상 수상 실적

학기

담당조교

과정

담당교과목

지도교수

2010 봄

권세중

석사과정

전자디자인랩

김탁곤

2010 봄 2010 가을 2011 봄 2011 봄 2011 가을 2012 봄 2012 봄 2012 가을

손재원 김재욱 홍슬기 궁재하 이재연 홍슬기 김다영 유재헌

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전기공학 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 및 실험 전자디자인랩 전기공학 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 및 실험 전자디자인랩 전기공학 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 및 실험

박동조 조성환 조병진 신영수 박현욱 조병진 김정호 김대식

○ 교수법 향상 지원 및 영어 강의 컨설팅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방법에 대한 세미나나 강의에 참석하도록 권장하고, 특히 지속적으로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 방법 세미나 수강을 실시하고 있으며, 영어강의 개인교습, 영어강의법 세미나 개최 (Seminar for teaching in English (ST)), 강의법 향상을 위한 Video 촬영 및 Review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법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3년간 강의 비디오 촬영 실적 확장표 II-2-6 참조)

<확장표 II-2-6> 강의비디오 촬영 실적

(단위:건)

년도

원 전체

전기및전자공학과

2010

37

4

2011

72

8

2012

33

4

○ 학생 강의평가에 근거한 실험실습 장비확충 학생들이 실험 과목을 통해 기본기술과 최신 응용기술을 균형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문 조사 등을 통하여, 낙후된 장비의 교체나 새로운 장비에 대한 수요 등을 항상 점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 장비를 개선, 확충하였다. (확장표 II-2-7 참조)

20


<확장표 II-2-7>

실험실습 장비확충 실적 2010

(단위:대) 2011

2012

현재

장비명 보유

추가(폐기)

보유

추가(폐기)

보유

추가(폐기)

보유

추가(폐기)

Oscilloscope

101

13

114

6

120

6

126

25

Function Generator

108

3

111

6

117

6

123

15

Power Supply

108

38 (38)

108

0

108

7 (1)

114

45 (39)

PC

129

60 (44)

145

0

145

0

145

60 (44)

Lab Bench

93

11

104

6

110

4

114

21

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계획 ■ 양방향 인터렉티브 (Interactive) 교육 강화 (Education 3.0 활용) KAIST 차원에서 진행 중인 Education 3.0을 적극 활용, 종래의 하달식 단방향 교육이 아닌 양방향 interactive 교육을 강화한다. IT 기술을 활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이 가능하며, 강사로부터 내용을 전달 받는 개인적 학습이 아닌 그룹토의 및 협업 중심으로 구성되도록, 학습자 중심의 디지털 교육시스템을 적극 개발하고 활용한다. 초기에는, 사업단 일부 기초핵심 과목부터 적용하여 기술적, 물적/ 인적자원적 이슈를 점검할 수 있도록 시범적으로 운영해가고, 다양한 피드백 경로를 통해 학생과 교수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신교육 방법으로 발전, 정착시킨다. 또한, 장소 구애가 없는 점을 잘 활용하여, 산학 연계 강좌 등의 교육 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 ■ 강의 평가 제도의 내실화와 사후 조치 연계를 통한 교수법 향상 ○ 강의 평가제도 및 사후 조치 내실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간 및 최종 강의 평가 제도를 보다 보완하여 많은 학생이 강의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며, 특히 최근 도입된 중간 평가 제도를 잘 활용하여 교수법 개선에 바로 반영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중간 평가 결과에 대한 조치 내용을 공유토록 하여, 실질적인 교육 질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방법에 대한 세미나나 강의에 참석하도록 권장하고 지속적으로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 방법 세미나 수강을 의무화 한다. 특히 학교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창의적 교수법 개발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하여 사회/문화적 성향 변화에 따른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며, 학생이 참여하는 능동적 강의로 전환하고, 선진화된 교육 기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21


○ 우수강의 시상과 성과 공유 우수강의와 우수조교에 대한 시상을 3개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야별로 평가하여 선정/시상하며, 강의의 질적 향상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고취해 가되, 우수강의 사례와 교수법을 공유하여 학과 전반에 걸쳐 교원 전체의 강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우수 강의상 수상자의 일부 강의 녹화본이나 강의노트/ 발표자료 발췌본을 모범 사례로 DB화하여, 우수 교수법 사례를 축적, 공유해 간다. 또한, 우수강의에 대해서는 녹화 방식이나 Education 3.0 양방향 교육 시스템 등을 통해 산업체 연계 강의 등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등 산업계 기술력 향상과 사회 전반에 걸친 기술 확산에 기여해 가도록 한다. ■ TA 제도 내실화 기존의 채점 지원 등 소극적이었던 강의조교(TA)의 역할을 확장하여, 연습 강의 (recitation) 수행, 소그룹 튜터링 등을 수행하여, 보다 능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Education 3.0 과 같은 양방향 인터랙 티브 플랫폼을 잘 활용하여, TA가 교수-조교-학생으로 이어지는 주요 구성원으로서 참여토록 함으로써, 교육 내용 자체의 내실화를 꾀함과 동시에, TA를 수행하는 학생의 지식 전달 능력을 함양하는 2차적 교육효과를 도모한다. 마. 글로벌 수준의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교육 ■ 연구윤리 규정 제정 및 확산 오늘날과 같은 국제적 경쟁 시대에 글로벌 수준의 연구윤리 확보는 연구 내용의 질적 수준 향상 못지않게 중요한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교에서는 명문화된 연구 윤리 규정을 마련하였고 (확장본 그림 II-2-1 참조), 연구윤리 가이드라인을 상세하게 설명한 책자(확장본 그림 II-2-2 참조)를 발간하여 모든 연구실에 배포한바 있다. <그림 II-2-1> KAIST 연구진실성위원회 운영규정

22


<그림 II-2-2> KAIST 연구윤리가이드북

■ 연구윤리 교육 강화 본 사업단에서는, 2005학번 이후 석사 학생부터, 기존의 석사논문세미나 과목을 대체하여, 신설 과목인 연구논문 작성법을 졸업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석․박사 학위과정에 대한 이해, 연구․실험에 임하는 자세, 윤리 및 방법, 발명․특허에 대한 도출 및 작성법, 연구논문 및 보고서 작성법, 케이스 스터디 등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석․박사 학위과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연구논문 작성법 실러버스에 표시되어 있듯이 (확장본 그림 II-2-3 참조), 참고 문헌의 인용 방법 및 표절 방지책 등을, 실제 논문이나 학회 발표 문건 작성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연계하여 지도함으로써, 현장 밀착형의 연구윤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중점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연구윤리 관련 사건들의 실례를 들어 교육함으로써, 연구 초년생인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평생의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학교 차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이수 교과목인 윤리 및 안전(http://eethics.kaist.ac.kr) 교과목이 진행되고 있다. (그림 II-2-4 참조) ■ 연구윤리 교육 향후 보완책 상기의 필수 교과목을 통한 연구윤리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함과 동시에, 대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중에 연구 윤리에 대한 강의를 추가하고 연구 윤리 규정을 준수하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하게 함으로써 입학과 동시에 연구 윤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23


<그림 II-2-3> 연구논문작성법 실러버스

24


<그림 II-2-4> KAIST의 윤리 및 안전 이수 웹사이트

2.1.2 학사관리제도 및 수준의 우수성 - 입시-학위취득에 이르는 명문화되고 체계적인 학사관리제도 - 학생 선호 우선의 지도교수 및 연구실 선정 방법 - 조기 논문 계획심사, 지속적 교육/연구 관리제 ("Black Friday") 등 학위취득 기간 단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국제화 지향 객관적 석,박사 학위논문 심사 제도 - 석박통합 과정 운영을 통한 유연한 교육 커리큘럼 운영 - 연구논문작성법 교과목 등을 통한 체계적 논문작성 교육 및 연구윤리 교육 가. 학사관리제도 개요 본 사업단은 선발에서부터 지도교수 선정, 교육 및 학사 관리, 평가 및 졸업에 이르는 모든 프로세스가 명문화 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적인 학사 관리 프로세스를 시간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시요강 공고 → 2) 서류 심사 및 사정, 면접 평가 및 사정 (입시위원회) → 3) 합격자 공고 및 초두교육 → 4) 지도교수 선정 및 연구실배정 → 5) 석사학위논문계획 제출 → 6) 졸업예정 명단파악 및 예비사정 → 7) 석사 학위 논문심사 (심사위원회) → 8) 논문심사 결과 교학팀 송부 → 9) 석사 학위 취득 및 박사 진학 (해당학생) → 10) 박사 자격시험 실시 (학생위원회) → 11) 박사 학위논문계획서 구두심사 (심사위원회) → 12) 결과보고서 취합 및 결과 입력 → 13) 졸업예정자 명단 파악 및 예비사정 실시 → 14) 박사학위청구 논문심사 (심사위원회) → 15) 박사학위 수여 심사 및 대상자 선정 (박사학위 심의위원회) → 16) 심사결과 교학팀 송부 → 17) 박사학위 취득

25


나. 학사관리제도 세부 사항 ■ 입학 전형 대학원 입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입시 요강 안내 및 공고 → 교수별 학생배정 준비 작업 (T/O 수요 조사 및 실적 평가 등에 따른 T/O 배정안 마련) → 입학전형위원 위촉 → 서류심사 → 서류심사 합격자 결정 → 면접 심사 → 최종합격자 사정 → 합격자 공고 ○ 1차전형인 서류전형 (영어성적 포함)과 2차전형인 면접심사는 균등하게 배점되며, 최종적으로 이에 바탕하여 종합평가가 진행된다.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는 학과단위에서 주관하여 실시되는데, 1차 합격자는 학과(전공) 교수회의에서 최종사정토록 하며, 최종합격자는 해당 모집분야 교수회의의 심의를 거쳐 전체 학과장회의에서 사정한다. 서류심사 후 면접대상자를 결정, 발표하며, 면접 심사후 최종합격자를 결정, 발표 한다. ■ 지도교수 선정 및 세부전공 선택 ○ 초두교육을 통한 연구실 연구내용 및 선정 과정 소개 합격자 발표 시점을 기해, 본 사업단에서는 1박2일간의 초두교육을 통해 학사 전반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도교수 선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책자 및 연구분야별 대표교수 발표를 통해 각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연구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고 선정 절차에 대하여 교육함으로써, 입학생 모두에게 균등하게 기회가 확보되고, 각자 원하는 연구분야에 배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균등한 기회를 부여하고, 입학생 개인과 교수 및 연구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Happy Marriage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 "Happy Marriage" 방식을 통한 연구실 선정 학생의 희망지도교수와 교수의 희망 지도학생의 지망 선호도에 의해 양자 모두가 원하는 매칭이 이루어 진 연구실에 배정하는, happy marriage" 형태로 연구실 배정을 함으로써, 최대한 학생들의 희망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 배정 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 초두교육 + 1-2 일 : 입학생 희망지도교수 면담 및 연구그룹 목록 제출(학과사무실) 2) 초두교육 + 3일 : 신입생 희망 지도교수목록 해당 교수에게 전달 3) 초두교육 + 4일 : 교수별 희망 지도학생 목록 제출 4) 초두교육 + 5일 : 1차 랩배정 결과 발표 (학과 홈페이지) 5) 2차 랩배정 (필요시)

26


■ 박사학위 자격시험 박사학위 자격시험은 별도의 필기/구술 고사 없이 서류 전형으로 이루어진다. 학업 성적과 학위 논문 계획서를 위주로 평가하되 국내외 논문과 특허 실적 등을 정량화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평가항목은 1) 학업성적 2) 학위논문계획서 3) 기타 실적 (논문, 학회발표, 특허, 외부 수상 등)으로 되어 있다. ■ 학위 논문 심사 ○ 석사 논문 심사 석사과정의 학생은 입학 후 10개월 이내 학위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석사 논문 심사 위원회는 논문과 관련이 있는 KAIST 전임직 교원 중에서 총장이 위촉하는 3인으로 구성한다.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위원 중 1인을 해당 분야 원외 전문가로 위촉할 수 있다. 논문 심사 통과는 재적위원의 2/3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제출된 논문 내용에 대해서는 구두시험을 실시하며 판정은 합격과 불합격으로 한다. (세계 우수대학의 석사 논문 심사 방법 확장표 II-2-8 참조)

<확장표 II-2-8> 글로벌 우수대학의 석사논문 심사 방법 요약 학교명 Stanford

논문 심사 ① 석사 논문이 없으며 교과과정 이외의 individual work 수행. 학위취득을 위한 필수요소 는 아님. ① 석사 논문은 있으나 심사를 따로 받지는 않음

MIT

② Conference 형태의 발표회를 가지지만 발표는 의무사항이 아니며 우수 논문에 대해서 논문상을 주고 있음 ①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거나 실험연구보고를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

UC Berkeley

다. ② 석사논문심사를 받을 때는, 지도교수 포함 총 3인으로부터 논문 검증을 받으며, 3명 중 한명은 논문과 전공이 달라도 용인된다.

○ 박사 논문 심사 박사과정의 학생은 입학 후 2년 이내에 학위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학위 논문 심사 위원회는 계획서를 1개월 이내 심사하여 승인여부를 결정하며, 박사 학위논문은 졸업학기에 따라 졸업 최종학기 4월말과 10월 말까지 각각 제출한다. 박사 학위 논문 심사 위원회는 논문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KAIST 전임직 교원 중에서 5인으로 구성하며, 위원 중 2인까지 해당 분야 원외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다. 논문 심사 통과는 재적위원의 2/3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제출된 논문 내용에 대해서는 구두시험을 실시하며 판정은 합격과 불합격으로 한다. (세계 우수대학의 박사 논문 심사 방법 확장표 II-2-9 참조)

27


<확장표 II-2-9> 글로벌 우수대학의 박사논문 심사 방법 요약 학교명

논문 심사 (Qualifying exam 합격율: 50 ~ 60 %, 해마다 수행, 재시험 가능) ① 심사는 누구나 들을 수 있는 open session과 심사위원만 참석하여 질문하는 private session으로 진행됨. 총 발표시간은 3시간 이내로 규정된다. ② 심사위원회는 최소 4인 이상으로 구성되며, 지도교수는 심사위원장이 될 수 없다.

Stanford

③ 심사통과 기한은 학위취득을 위한 나머지 모든 자격요건이 충족되는 날로부터 1년 이내 이여야 한다. ④ Proposal 단계는 없으며 defense가 끝난 후에 draft를 작성함. 작성한 draft에 대해서 심 사 위원은 엄밀한 proof-reading을 수행하여 사인한다. ④ Defense 시 논문 게재 등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음 ⑤ 박사 학위 기간은 평균 5.5 년 (Qualifying exam 합격율: 70 %, 2차 까지 있음) ① 심사위원회는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4인으로 구성하며 최소 2명 이상의 심사위원은 전공

MIT

분야 교수이어야 한다. (research associate도 심사위원으로 참여 가능) ② Proposal은 보통 석-박사과정 4년째에 제출되며, 1~1.5 년 정도 후에 defense를 함. ③ Defense 시 논문 게재 등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음 ④ 박사 학위 기간은 평균 4.5 년

다. 학사운영 내규 및 기타 제도 구축 현황 학사운영 내규는 모두 명문화/제도화되어 있으며 또한 학사 운영 프로세스는 매뉴얼화 되어 있다. (확장본 그림 II-2-5 참조) <확장본 그림 II-2-5> 학사운영 프로세스 매뉴얼

28


■ 학위 취득 기간 장기화 방지 제도 구축 현황 특히, 학위 취득 기간 장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9년 봄학기 입학생부터, 박사 재학연한을 5년으로 단축 하였으며 (1회에 걸쳐 1년만 연장가능), 박사 학위 논문 제안서 심사를 박사과정 진학 후 2년 이내에 하게 함으로 써, 박사학위 주제 및 연구내용에 대한 구체화를 과정 초기부터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학위 취득 기간이 실질적 으로 단축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라. 교육 커리큘럼의 유연성 ■ 석박 통합과정 운영 본교는 석박 통합과정을 운영하여, 학업 및 연구 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이 학위과정에 걸리는 총 시간을 최소화하고 커리큘럼 구성 등에 선택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석박 통합과정은 학업 성적이 우수한 (평균 평점 4.3 만점에 3.7 이상) 석사 1년차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 자격이 주어지며 합격시 석사 학위 논문 작성을 하지 않고 1년 만에 박사과정으로 진학하게 함으로써 조기에 박사과정 진학을 확정 짓고 장기적 연구에 몰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석박 통합과정의 입학 사정은 일반 박사과정 입학보다 더 엄격하게 진행 되어 우등생을 중심으로 선발하고 있다. 마. 논문 및 연구 지도 ■ 체계적 논문작성 및 연구 기법 교육 앞 절에 소개된 것과 같이, 2005학번 이후 석사 학생부터는 전공에 따라 기존의 석사논문세미나 대신 신설 과목인 연구논문작성법을 졸업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기술적 논문 작성 등을 체계적으로 강의하고 있다. 이는 Development of Inventions and Creative Ideas (발명 및 특허에 관한 제반 사항)과 Introduction to Research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를 운영하고 있는 MIT나, Technical Communications 과목과 Technical Writing 중 한 과목 이상을 필수로 수강토록 하게하는 GaTech 의 경우와 같이 세계 유수 대학들의 추세와도 잘 부합된다. 해당 과목을 통해 석․박사 학위과정의 특성, 연구․실험에 임하는 자세, 윤리 및 방법, 발명․특허에 대한 도출 및 작성법, 연구논문 및 보고서 작성법, Case Study 등을 살펴보게 함으로써 본 사업단은 학생들로 하여금 석․박사 학위과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석사과정은 졸업이수요건으로 논문연구를 4학점 이상, 박사과정은 30학점 이상 취득토록 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의 수준은 학위논문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우수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게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학과에서 제공하는 학과 세미나 시리즈의 수강을 석사와 박사 학생들에게 졸업 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게 하고 있다. ■ 논문/연구 지도 내실화 계획 ○ 교수 대 지도학생 비율의 점진적 개선 및 최신 연구 동향 교육 강화

29


교수 당 대학원 지도학생 수를 현 평균 11명 선에서 10명 정도로 줄여 학생 개인별로 실제적인 지도가 가능하게 하고, 관련 분야의 유명 국내외 교수 및 우수연구자를 초청하여 학생들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는 세미나를 분야 별로 연 1회 이상 개최하여 관련 분야 교수의 조언과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연구논문 작성법 교과목 강화 및 개선 연구 논문 작성법 교과목에서는 기존의 전통적 전공 분야 외에도, 융합 분야까지 확대 포함된 연구 논문작성 법을 지도하여 융합연구와 고 임팩트 논문작성을 위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특허 작성에 관한 경우는 외부 변리사 등을 초빙하여, 보다 전문적인 내용과 실 사례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확충한다. ○ "Black Friday" 제도 지속 시행을 통한 상시 관리 체계 구축 박사과정 학생들에 대해서는 연 1회 이상 연구실적을 포함한 종합적인 학업 및 연구 성취도를 평가하여 서면 으로 그 결과를 통보하고, 우수학생을 시상함으로써 학업,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생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 한다.

○ 학위 논문 심사의 객관화 및 국제화 논문의 공정한 심사를 위해서 외부/타과 심사위원의 위촉을 적극 권장하며, 특히 박사 논문 심사의 경우에는 국외 심사위원의 위촉을 적극 권장한다. 특히, 국제화 시대에 맞추어 박사 논문은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단계 적으로 의무화해간다. 박사 논문 구두 발표 시, 국외 심사위원이 위촉된 경우에, 박사 논문 구두 발표도 영어로 하도록 권장한다.

30


3.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 <그림 II-3-1> 사업단의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방안 요약

3.1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3.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표 2>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명)

T _1_ 1:

T_2 _1:

실적

T_2 _3:

2010년

T _3_ 2:

2011년

T _4_ 2:

T_3 _1:

확보

D_3 _3:

D_4 _3:

2012년

T _5_ 2:

T _6_ 2:

2010년

T _7_ 2:

2011년

T _8_ 2:

T_7 _1:

배출

2012년

T _9_ 2:

T_ 10_ 2:

석사

361.5

357.5 399

D _4_ 4:

356

443

D _5_ 4:

1,059 D_7 _3:

D_8 _3:

D_9 _3:

석․박사 통합

1,199.5

D _6_ 4:

149

71

D _7_ 4:

182

70

D _8_ 4:

154

80

D _9_ 4:

485

D_1 0_3 :

D _10 _4:

31

221

T _2_ 5:

T _2_ 6:

85

D _3_ 4:

341.5 D_5 _3:

D_6 _3:

박사

T _2_ 4:

804

D _3_ 5:

D _3_ 6:

80.5

821

D _4_ 5:

D _4_ 6:

79.5

878.5

D _5_ 5:

245

D _6_ 5:

X

D _7_ 5:

X

D _8_ 5:

X

D _9_ 5:

D _10 _5:

X

D _5_ 6:

2,503.5

D _6_ 6:

220

D _7_ 6:

252

D _8_ 6:

234

D _9_ 6:

706

D_ 10_ 6:


3.1.2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표 3> 향후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배출 계획

(단위: 명) 대학원생 배출 계획(명)

T _1_ 2:

T_1 _1:

연도 T_2 _2:

1차년(2013년)

T _3_ 1:

D_3 _2:

2차년(2014년)

T _4_ 1:

D_4 _2:

3차년(2015년)

T _5_ 1:

D_5 _2:

4차년(2016년)

T _6_ 1:

D_6 _2:

5차년(2017년)

T _7_ 1:

D_7 _2:

6차년(2018년)

T _8_ 1:

D_8 _2:

7차년(2019년)

T _9_ 1:

T_1 0_1 :

석사

D_9 _2:

박사

T_ 2_3 :

164

80

D_ 3_3 :

177

80

D_ 4_3 :

155

95

D_ 5_3 :

155

100

D_ 6_3 :

155

105

D_ 7_3 :

155

95

D_ 8_3 :

155

95

D_ 9_3 :

1,116

650

D_1 0_2 :

D_ 10_ 3:

T _2_ 4:

244

D_ 3_4 :

257

D_ 4_4 :

250

D_ 5_4 :

255

D_ 6_4 :

260

D_ 7_4 :

250

D_ 8_4 :

250

D_ 9_4 :

X

D_ 10_ 4: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실현 가능성 - 수치산출근거(석사) o 과거 10년간 (석사확보수 - 배출수)는 평균 약 20명 (석사입학생중에서 연차초과와 석/박사통합과정 학생 들로 인한 차이)임을 감안하여 1차(13년)/2차(14년)년도의 배출수는 11년/12년 확보수를 바탕으로 산출. o10년/11년/12년 확보수는 (표2참조) 본 학과의 예년 확보수 (175명정도)를 상회하는데, 이는 2010년 (구)ICU와의 통합과 국비 외 대학원생을 일시적으로 많이 모집한 해였음. o13년부터는 교수대 대학원생 비율 감소라는 본 사업단의 계획 및 (구)ICU와의 통합효과가 상쇠되면서, 예년수준을 유지할 예정이며, 3차년도(15년) 이후의 석사 확보수는 이를 근거로 산출한 것임. - 수치산출근거(박사) o 최근 5년간 평균 박사수학기간은 약 5년임을 감안하여, 당해 5년전의 박사확보수에서 소폭 감소한 수를 (예: 박사과정 중단) 바탕으로 산출한 것임.

32


o 1차-5차년도는 2008년 - 2012년 박사확보수 (08년: 81, 09년: 72, 10년:112, 11년:121, 12년:118)에 근거 하여 작성한 것임 (2010년 박사확보수의 급격한 증가가 3차년도 배출 계획의 큰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는 (구)ICU와의 통합으로 기인한 것임) o 6차-7차년도는 예년 박사 확보수인 95명-100명을 기준으로 연차초과 학생등을 고려하여 작성한 것 임. - 학과/학교 인지도 활용 및 확보/지원 방안 수립 o 인지도 활용 (i) 영국 대학 평가기관 QS 2013 세계대학 평가 순위에서 KAIST 전자과가 29위 차지, (ii) 박사과정 학생에게 병역특례 혜택 부여로 학생들에게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제도 조성 및 장학금 및 기숙사 제공등을 통한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 최소화, (iii) 해당분야 최고 논문상 (IEEE, ACM) 다수수상, (iv) 최근 5년간 삼성휴먼테크 최대 수상학과상 수상 o핵심 대학원생확보 및 지원 방안 (i) 맞춤형 학생 선발, (ii) 단기 석/박사 통합과정의 장려, (iii) 고교과정부터 대학원과정까지 연계 방안 마련, (iv) 공동지도교수의 확대와 박사후연구원 및 초빙교수와의 공동 연구/교육 강화

33


나. 사업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 학생의 배경별 맞춤형 선발과 연구주제 중심 학생 선발 - 학과의 주력 연구주제를 사전 공지하여 주제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며, 지원 학생은 세부분야 및 연구주제를 명시토록 하여 선발 평가에 반영 - 교내 ○ 학부과정부터 본 학과내 희망 연구실에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학부연구생제도를 도입하여, 우수 학부생들의 대학원 진학 유도 ○ 학내 차원의 URP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프로그램 적극 활용을 통한 사업단 내 대학원으로의 자연스러운 연계성 확보 ○ 연 1회 오픈랩 (OpenLab) 행사 개최를 통한 대학원 연구 및 생활에 대한 소개 및 이해증진 - 국내 ○ 국내 타 우수학교 학생들이 참여하는 summer/winter school 개최 및 인턴 모집을 통한 KAIST 대학원 진학 으로 유도 - 해외 ○ 해외우수대학 학부 과정 학생에게 KAIST에서 인턴십 기회 부여와 동시에 모니터링 및 적극적 리쿠르팅 추진 ○ 해외 우수 대학 대학원 학생에게도 KAIST 인턴십 기회 부여 및 국제 교류를 확대하고, 이후 본 사업단내 신진 인력으로 확대 발전 노력 ○ EPSS, 하이닉스, LGenius 교육프로그램 연계한 인턴쉽 프로그램 (외국인 대상) 추진 ■ 조기 석박사 통합 과정의 장려 및 계획 마련 - 박사학위 기간의 단축으로, 젊은 박사로 사회 진출의 길을 터줌으로써, 우수 영재들의 이공계 기피 문제와 해외 유학 선호 경향을 타파 - 대학원 과정에 우수한 교내외 인재들을 선발하고 우수 인재를 효과적으로 양성하여 본교 석박사 학위 가치 향상을 도모하고, 그 결과 본 학과 석박사 과정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 정착 - 과학고/영재고, KAIST 학사, 석/박사 과정의 긴밀한 연계를 통한 박사 연력 단축 (최단기 과정의 예: 과학고 2년 + 학부 3년 + 석박사 과정 3-4년 → 만 25세 이하의 박사 배출 가능) - 외국대학의 사례(영국 캠브리지 대학): 교과목 수강 없이 3년 박사과정 운영 ■ 진화된 대학원 연구/교육 방식 도입 (공동지도교수 및 신진연구인력 활용) - 교수의 연구 토픽 조기 제시 및 공도지도교수의 활성화 (특히, 국제적석학과 공동지도교수 선정시 인센티브 부여) - 우수 신진연구인력이 대학원생 연구 및 교육에 참여 - 학부때 학․석 교과목의 수강을 하도록 유도하여, 대학원에서는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 유도 - 커리큘럼을 재정비하여 Ph.D 과정에선 연구만하고 교과과정의 점차적 감소

34


■ 고교부터 박사과정까지의 교과과정 연계 - 과학고 AP 과목, 학부 400단위 이상 교과목 이수, 석박사 교과목 학점 축소를 통해 수강 기간 단축 - 과학고 R&D와 HRP 과정, 학부 졸업연구와 연구실 인턴을 통해 연구 능력 배양 및 연구 주제 결정의 기간 단축 - 고교부터 학과 연구실에서 연구생활을 함으로써 선배의 멘토와 지도교수의 생활/연구 지도를 통해 자연스럽 게 학과 및 대학원으로 연계되도록 유도

35


3.2 대학원생의 취업률 현황 및 진로 개발 계획

3.2.1 취업률

<표 4>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취업률 실적

(단위: 명, %)

졸업 및 취업현황

T_ 1_3 :

구분

T_2 _4:

취업률(%)

비취업자(B)

T _1_ 9:

T _1_ 1:

졸업자 (G)

진학자

T_ 2_3 :

T_2 _7:

T_ 3_4 :

T_3 _6:

국내

T_ 4_4 :

T_5 _1:

석사

2012년 2월 졸업자

T_ 5_2 :

박사

T_ 6_2 :

T_7 _1:

석사

2012년 8월 졸업자

T_ 7_2 :

박사

T_ 8_2 :

T _9_ 1:

120

D_ 5_3 :

46

D_ 6_3 :

34

D_ 7_3 :

34

D_ 8_3 :

234

D_ 9_3 :

T_4 _5:

국외

67

D_ 5_4 :

D_5 _5:

X

D_ 6_4 :

D_6 _5:

22

D_ 7_4 :

D_7 _5:

X

D_ 8_4 :

D_8 _5:

89

D_ 9_4 :

D_9 _5:

2 X 2 X 4

입대자 0

D_ 5_6 :

0

D_ 6_6 :

취업대상자 (C=G-B)

51

D _5_ 7:

46

1 0 1

D_ 9_6 :

D_5 _8:

D _6_ 7:

D_6 _8:

9

D_ 7_6 :

D_ 8_6 :

(D/C)×100 취업자(D)

T_ 2_8 :

D _7_ 7:

34

D _8_ 7:

D_8 _8:

140

D _9_ 7:

D_9 _8:

구분 국내 컴퓨터/통신 분야 대학원* 국내 전기/전자 분야 대학원* KAIST EE

대학원 석사/박사 졸업자 (취업대상자) 2,426 (1,920 / 1488)

2,396 (1,899 / 1,569) 234 (140/ 137)

36

8

33

137

가. 국내 정보통신분야 다른 대학원과의 비교 (단위: 명,%)

취업(률)

77.5

82.6

97.86

T_5 _9:

46

D_7 _8:

3.2.2 취업의 질적 우수성

<확장표 II-3-1> 국내정보통신분야 다른 대학원과의 취업률 비교*

50

석사/박사 합산 98.97

D_ 6_9 :

T_7 _9:

석사/박사 합산 95.35

D_ 8_9 :

97.86

D_ 9_9 :


- 2012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97.86%로 국내 컴퓨터/통신 분야 대학원 졸업자 취업률 77.5% 및 국내 전기/전자 분야 대학원 취업률 82.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음 (확장표 II-3-1 참조). (자료 출처는 한국교육개발원 2012 취업통계연보) * 비고) 본 사업단 취업통계 자료는 2012년 2월 & 2012년 8월 졸업생 자료인데 반해 교육개발원 취업통계 자료는 2011년 8월 & 2012년 2월 졸업생 자료입니다. 나. 취업경로 분석 및 취업기관의 전공 적합성 <확장표 II-3-2> 취업경로 통계 및 취업기관의 전공 적합성 석사

구분 교육기관

(명, %)

석사

박사

분포율

박사

총계

분포율

총합계

분포율

국내외 교육기관

1

1.72

7

8.86

8

5.84

국내

5

8.62

10

12.66

15

10.95

국외

2

2.53

2

1.46

국내

2

3.45

2

2.53

4

국내

50

86.21

52

65.82

102

74.45

국외

6

7.59

6

4.38

58

100.00

79

100.00

연구기관

12.41

정부기관

2.92

산업체

78.83 총합계

137

100.00

- 본 사업단의 취업경로는 석사의 경우, 교육/연구/정부기관이 약 14%, 나머지가 국내 산업체로 진출을 하고 있으며, 박사의 경우, 교육/연구/정부기관이 22%이고, 나머지가 국내외 산업체로 진출하고 있다. (확장표 II-3-2 참조). - 교육기관은 대부분이 전공관련 유학이고, 연구기관 및 산업체는 대부분이 전기/전자/정보 통신분야로 진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취업기관의 전공 적합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다. 2012년도 국외 우수취업사례 ■ 미국 NASA Ames Research Center 박사후 연구원 취업 (박인원 박사, 지도교수 김종환) NASA Ames Research Center는 미국 실리콘 밸리의 중심에 위치한 연구소로써, IT 분야 및 우주 탐의 최첨단을 달리는 연구 기관이다. Ames에는 300명 이상의 박사와 박사후 과정, 대학 교수 등을 포함한 약 3000명 이상의 직원이 있다.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인원 박사는 박사과정 동안 '휴머노이드 로봇의 기구학 보정, 최적 궤적 생성 및 다목적 진화 알고리즘 기반 최적 자세 제어'를 연구했다. 이와 같은 연구로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에 논문을 게재하여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 외에 IEEE WCCI, IEEE ICRA, IEEE IECON 등 해외 유명 학회에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NASA에 박사후 연구원으로 취업을 하였다.

37


■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IMEC 연구원 취업 (이슬기 박사, 지도교수 유회준) 스물다섯 살의 나이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KAIST 최연소 박사학위 취득자가 된 이슬기 박사는 바이오-메디컬 분야 유럽 최대 전자연구소인 네덜란드 IMEC(Interuniversity Microelectronics Center) 연구원으로 입사했다.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과정 동안 유회준 교수 연구실에서 '웨어러블 헬스케어용 SoC'를 연구하며 회로 분야 최고 권위의 학회 ISSCC를 포함해 11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관련 특허 10개를 출원했다. 연구결과들은 헬스케어 시스템 분야의 차세대 핵심기술로 주목받았다. 2011년에는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게 수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착용형 수면다윈검사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외의 커다란 관심을 받았다.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IMEC에서 헬스케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미국 Microsoft 연구원 취업 (정예근 박사, 지도교수 권인소)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석박사통합과정을 통해 박사학위를 취득한 정예근 박사가 세계적 IT 기업인 미국 Microsoft 사에 연구원으로 취업하였다. 정예근 박사는 석박사통합과정 동안 권인소 교수 연구실에서 카메라와 거리센서를 이용하는 움직임 기반 구조복원을 위한 최적화 기법을 연구했다. 정예근박사는 Microsoft 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동안 이 분야의 권위자인 David Nister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컴퓨터 비전 분야 최고 권위지인 IEEE Transaction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에 논문을 게재였고, 그 능력을 인정받아 Microsoft 사에 입사하였다.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 박사후 연구원 취업 (김수민 박사, 지도교수 성단근)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하이브리드 재전송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관리 방안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김수민 박사는 하이브리드 재전송 기술을 비롯한 통신분야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하여 성과를 내었으며, 세계적으로 귄위가 높은 저널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에 논문을 게재했다. 특히 박사학위 논문에서 수식적 모델링과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time correlated channel을 모델링하고, 이 환경에서의 성능분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전송률 선택 기법을 제안하여 더욱 실질적인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재전송 기법의 성능 개선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채용되었으며,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관련 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연구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미국 Qualcomm 책임연구원 취업(구본훈 박사, 홍성철 교수님) 전기및전자공학과 구본훈 박사는 세계 최대 디지털 무선송신 칩 및 서비스 개발 회사인 미국 Qualcomm에 책임 연구원으로 입사하였다.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석/박사를 취득하는 기간 동안 '고선형 고효율 단말기용 듀얼 모드 CMOS RF 전력증폭기'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로 이 분야 최고 권위지인 국제고체회로학회(IEEE ISSCC)에서 A fully integrated dual-mode CMOS power amplifier for WCDMA applications의 논문과 IEEE TMTT에서 Integrated Bias Circuits of RF CMOS Cascode Power Amplifier for Linearity Enhancement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국내특허 4건과 해외 특허 3건을 출원하는 등의 우수한 업적을 쌓았다. 그 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인정받아 Qualcomm에 입사하여 CMOS RF Power Amplifier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38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후 연구원 취업(최성진 박사, 최양규 교수님) 전기및전자공학과 최성진 박사는 박사학위기간동안 SCI급 저널에 주저자 18편을 포함한 총 58편을 발표 하였고, 국제 컨퍼런스에 주저자 6편을 포함한 총 16편을 발표하였으며, 국내 컨퍼런스에도 주저자 2편을 포함한 총 5편을 발표하였으며, 전기및전자공학과 연차 최우수상을 3번이나 수상하였다. "MOSFET의 소스/드레인 전극 의 엔지니어링 및 메모리 셀로의 응용"으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는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박사후 연구원으로 취업하여 CNT에 관하여 계속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라. 2012년도 국내 우수취업사례 ■ 대전대학교 조교수 취업 (박기웅 박사, 지도교수 박규호) 박기웅 박사는 2012년 9월 1일자로 대전대학교 해킹보안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과정 동안 2008년 Microsoft Research Fellowship을 수상하였으며, 2008, 2009년에는 BK21사업의 지원 을 받아, Microsoft Research에서 인턴 연구원으로서 모바일 플랫폼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최초로 600코어 규모의 클라우드 테스트베드를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 구축하는데 일조하였다. 구축된 클라우드 테스트베드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시스템의 스토리지, 통신 및 인증 보안 효율성 향상과 상호 검증 가능한 과금 기법 연구"라는 주제로 IEEE Transactions on Service Computing, ACM Transactions on Internet Technology 외 45편의 논문을 국제/국내 학회 및 저널에 게재하였다. 2012년 2월 박사학위를 받은 박기웅 박사는 2012년 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보안기술관련정부출연연구소인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보안 관련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2012년 9월에는 대전대학교 해킹보안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현재는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표준협회, KISTI, ETRI 와 함께 관련 연구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 퀄컴코리아 R&D센터 선임연구원 취업 (윤성락 박사, 지도교수 유창동) A Co-Classification Framework for Transfer Learning Using a Semi-Supervised Topic Model 주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성락 박사는 석박사과정 및 박사후연구원 기간동안 BK 참여연구원으로써 왕성하게 연구하여, 음성 및 영상 신호 처리에 관련한 수많은 국제학회 논문 뿐만 아니라, SCI 논문을 게재 하였다. 대표적인 연구 사례로, "Loss-scaled Large Margin Gaussian Mixture Models for Speech Emotion Classification"이라는 주제로 IEEE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에 연구 실적을 게재하여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다수의 음성 및 영상 신호 처리 관련 특허를 제출하였고. 이러한 연구 실적을 인정받아 퀄컴코리아 R&D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취업하여 본인 연구의 영향력을 입증하였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 취업 (김명회 박사, 지도교수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과 김명회 박사는 9월 1일자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연구원으로 입사하였다. 박사 과정 동안 Tera 연구실에서 Electromagnetic Bandgap'에 대해 연구하고 박사학위 논문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해외학술지인 TEMC, MWCL에 논문을 발표하여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ETRI에서는 Ka 대역 위성링크에 대한 강우감쇠 영향 분석 및 모델링에 대한 업무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Ka 대역

39


강우에 의한 전파 산란 모델 개발, 국내 환경에 적합한 빗방울 분포 모델 개발, 기상청 강우 데이터를 활용한 실효경로길이 모델링과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취업 (김기범 박사, 지도교수 김병국)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김기범 박사는 국방과학연구소에 선임 연구원으로 입사하였다. 국방과학연구소는 1970년 8월 창설되어 40년간 국방에 필요한 병기장비 및 물자에 대한 기술적 조사, 연구, 개발 및 시험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최대의 국방연구소이다. 현재는 육상과 항공, 해상과수중, 유도무기와 군위성 통신에 이르기까지 첨단무기체계의 핵심기술 개발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수준의 첨단연구소이다. 김기범 박사는 재학기간동안 '전압 제한 조건이 있는 세바퀴 전방위 이동로봇의 최소 시간 경로 계획' 주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국방과학연구소 제1기술연구본부4부에서 선임연구원으로써 연구를 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 연구원 취업(박균상 박사, 지도교수 임종태) "느린 부시스템과 빠른 부시스템으로 분리되지 않는 비표준 비선형 특이섭동 시스템의 안정성 분석 및 제어" 라는 제목으로 전기 및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박균상 박사는 2012년 8월부터 현대자동차의 연구원으로 취업하게 되었다. 박사과정동안 BK 참여 연구원으로써 왕성하게 연구하여 주저자로 SCI급 논문 4편을 게재하였다. 많은 융합 시스템에 나타나는 비선형 특이섭동 시스템을 다루었으며 기존의 분리 되지 않는 비표준 시스템을 표준시스템으로 변환함으로써 기술적 한계를 끌어올렸으며 이는 첨단의 바이오, 나노 시스템과 같은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굴지의 기업 현대자동차에 연구원으로 취업하였다. ■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 취업 (이강호 박사, 지도규수 조규형) 전기및전자공학과 이강호 박사는 3월 1일자로 삼성 선행기술 연구소인 삼성종합기술원에 연구원으로 입사 했다. 박사과정동안 조규형 교수 연구실에서 바이오 센서와 의료용 반도체 분야를 연구하였고 "DNA의 혼성반응 검출을 위한 CMOS 공정 기반의 바이오센서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강호 박사는 회로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가 높은 학회 ISSCC와 바이오 센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가 높은 저널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Biosensors and Bioelectonics에 게재된 "A CMOS Label-Free DNA Sensor using Electrostatic Induction of Molecular Charges"가 있고, 이외에도 다수의 논문을 집필하였다. 이러한 실적을 인정받아 삼성종합기술원에 연구원으로 입사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삼성전자 System LSI 사업부 AP개발팀 책임연구원 취업 (송진욱 박사, 지도교수 박인철)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석,박사를 마쳤고, "Spur-Free MASH 델타시그마 모듈레이션과 하드웨어 복잡도 최적 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송진욱 박사는 삼성전자 System LSI사업부 AP개발팀에 책임연구원으로 채용되었다. 평소 VLSI Design for Signal Processing, Low Power Circuit Design, VLSI Design for Embedded Processor, Design for Multi-Processor System on Chips (MPSoCs)에 관심을 갖고 있던 송진욱 박사는 2010년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Regular Papers에 Spur-Free MASH Delta-Sigma Modulation을 제안하는

40


등 SCI급 논문을 여러 차례 써내며 왕성한 연구활동을 하였다. 지금은 새로운 AP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AP개발에 힘쓰고 있다. ■ LG전자 CTO 연구원 취업 (신경수 석사, 지도교수 이황수) 신경수 석사는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과정을 마친 후 LG전자 CTO에 취업하였다. 석사과정동안 4 channel 효율적 영상 streaming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availabel network throughput 기반 streaming 기술 및 motion vector 기반 영상 압축 기술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졸업 이후 LG 전자 CTO에 취업 하였으며, 석사과정 동안의 연구활동을 기반으로 삼고 영상 정보의 고화질 streaming 전송 기술 연구 및 구현을 수행하여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 SK 하이닉스 선임연구원 취업 (김준우 석사, 지도교수 문재균)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김준우 석사는 2012년 SK 하이닉스 선임연구원으로 채용되었다. 문재균 교수 연구실에서는 극도로 낮은 오류 확률을 요구하는 저장장치에서 scaling down이 일어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분야로부터 응용한 오류정정 부호를 도입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김준우 석사는 그 중 멀티레벨 코딩을 사용하여 NAND 플래시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경력을 인정받아 김준우 석사는 SK 하이닉스에서 New Generation Memory의 신뢰성을 높이는 업무에 투입되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 취업 (김은희 박사, 지도교수 이귀로)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김은희 박사는 학위 과정 동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의 RF송신기 구조가 갖고 있는 성능적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다양한 도전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과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신개념의 CMOS RF 송신기를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해당 업체에서 양산을 진행하고 있을 정도로 학문적, 산업적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연구 결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2011년에는 RFID 리더 시스템 특유의 송신 신호 누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하여, 이 분야에서 가장권위 있는 학술대회(ISSCC)에 발표하였다. 다양한 업적을 인정받아 국내 IT 기술의 산실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입사하였으며, 세계 IT 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를 선도할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3.2.3 취업지도/진로 개발 실적 및 계획 가. 현 취업률 현황 분석 및 취업지도계획의 방향 ■ 졸업생의 우수성과 전문성 및 본교의 연구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취업에 있어서 어려움은 거의 없는 실정 이지만, 사업기간 중 다음에 제시할 계획을 실천하여 취업의 질을 높이도록 한다. ■ 본 사업단의 취업관련 계획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41


- 취업의 국제화: 아직도 취업의 많은 부분이 국내 대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화를 통한 국외 유수기업 및 연구소에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집중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 및 교육의 국제화 계획과 연계하여 해외에서 다양한 경험 및 연구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해외기관들과의 접촉기회를 늘리도록 한다. - 창업의 활성화: 학생의 창업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새로운 지식창조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간의 교류, 창업관련 지식 및 경험의 전달에 주력한다. - 사업단 및 학교내 취업 및 창업 관련 제도의 적극적 활용: 발명동아리, 창업동아리 및 학교내 취업센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에게 다양한 취업정보를 제공하여, 취업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나. 국외기업 취업 장려 및 해외 유명 기업 연구소 유치 ■ 해외유명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해외유명기업 인턴쉽 지원과 해외 유명기업 취업설명회 유치 등을 통하여 글로벌리더를 양성한다. ■ 해외 유명 기업의 연구소를 적극 유치하여(예, TI 센터) 재학 중 유수의 세계적 기업과의 공동연구 경험을 갖도록 지원한다.

■ 유명 벤처기업 취업을 적극 권장하여 세계적 기업에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삼도록 적극 지원한다. (예: 세계 유수기업인 Qualcomm사는 KAIST 교수가 창업한 Berkana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여 2008년에 인수 합병함.) ■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국내 유망기업에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업설명회, 기업 인턴쉽, 공동연구 등을 시행한다. 다. 사업단내 창업동아리 KAISEEDER 운영의 확장 ■ 본 사업단 내부의 벤처 창업준비동아리로 2011년에 설립되어, 배현민 교수를 지도교수로 하여 운영되고 있는 동아리이다. 동아리의 설립목적은 전공, 경영지식공부 및 벤처 창업을 위한 역량과 경험을 쌓아 실질적인 창업 아이템과 벤처 창업모델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경쟁력 강화와 공학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 주요 활동 내용은 소프트뱅크벤처스 이은우, 이강준 상무 초청강연, CLO Virtual Fashion 부정혁대표 강역, 벤처 기업 성공, 실패 사례 분석과 멕킨지, 캘로그 등의 인터뷰자료 및 미시 경제의 스터디이며, 2012 벤처창업 경진대회 공동주최, 전국 학생 벤처 연합 동아리 활동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창업동아리를 통하여, 학생들이 쉽게 창업게 관한 지식과 경험을 할 수 있으며, 현재 사회에서 창업하고 있는 선/후배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창업에 관한 장벽을 허물어 왔고, 앞으로도 활성화 및 확장할 계획이다. 라. 학교 산학협력단내 (http://patent.kaist.ac.kr) 기술사업화센터 및 창업보육센터의 적극적 활용

42


■ 학교 산학협력단내에 기술사업화센터와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여 연구결과가 자연스럽게 기술이전, 사업화 및 창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 및 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센터에서는 주기적으로 창업모임 및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외부 인사들을 초청하여,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홍보가 되고,사업 화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림 II-3-2 참조). <그림 II-3-2> 산업협력단내 창업보육센터 홈페이지

마. 산학협력프로그램과의 연계 강화 ■ 본 사업단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산학협력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주기적인 세미나 및 교류를 통하여 산업체 애로사항 및 본 사업단의 우수기술 및 우수인재를 적극적으로 홍보한다. 바. 산업체 수요조사 및 맞춤형 교육과정 구성 ■ IT산업의 빠른 변화에 따라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인력의 능력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사업기간동안, 주기적으로 산업체의 수요조사 및 필요한 능력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본 사업단에서는 맞춤형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와 같은 변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과목의 신설 및 기존 과목의 변화 를 통하여, 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

43


사. 채용정보시스템 운영 및 취업정보실 운영 ■ 우수한 IT인력의 취업을 위하여 진로와 관련한 뉴스와 채용정보/기업정보 등 각종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제공할 수 있는 채용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 하고 있다. 채용정보시스템은 외부 전문 업체와 연계하여 채용 정보, 기업정보, 면접정보, 이력서 작성법, 면접요령 등 각종 취업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취업정보실을 운영하여 취업 관련 뉴스 제공 및 정보 제공하고 있으며, 취업 가이드북 및 관련 자료 비취 등 취업준비를 위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온/오프라인에서 취업정보를 쉽게 접함으로써 취업경쟁력을 향상할 계획이다.

아. 기업체의 캠퍼스 리쿠르팅 장려 ■ 학생들의 취업을 돕기 위하여 매년 2회 이상 삼성, LG등의 국내/외 기업과 연구기관의 리크루팅 팀이 교내를 방문하여 ICU 내 취업설명회를 개최하여 학생들에게 정보 및 취업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 매년 하반기에는 삼성전자, NHN, SK C&C, LG전자 등에서 취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있고, 이를 확장하여 수시로 취업설명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자. 취업특강 및 University Hour ■ 기업체의 인사담당자가 방문하여 면접요령, 자기소개서 작성법 등 취업과 관련된 특강을 하고 모의면 접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취업 시험에서 유용한 정보를 습득하도록 도왔다. 또한, University Hour라는 세미나 프로 그램에는 각계 유명인사 및 CEO를 초빙하여 학생들이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응대 및 대화 요령을 습득하도록 도왔으며, 이러한 제도를 더욱더 강화할 계획이다. 차. 대기업 및 연구소 선배들의 주기적인 취업정보 소개 ■ 본 사업단은 학생들의 교육과 연구의 우수성에 기인하여, 유수의 대기업 및 연구소에 졸업자들이 취직해서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이 리쿠리팅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새로운 연구인력 확충을 위하여 모교에 방문하고 있다. 사업단에서는 이들의 만남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하여 학생들이 폭넓은 취업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시스템은 계속 유지할 계획이다. 카. Homecoming Day를 통한 교류 확대 ■ 각 연구실 별로 Homecoming Day 등의 행사를 통하여 졸업생들과 재학생들 간의 교류를 통한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이 인적 네트워크는 취업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부차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졸업생들의 취업 경험을 통해 재학생들이 취업 준비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타. 우수기술 권리확보 지원을 위한 해외출원 지원 및 특허의 질적 향상 도모 ■ 과학기술원 소속 연구실의 R&D 성과 중, 기술사업화 성공 가능성이 유망하다고 예상되는 우수기술에 대해

44


PCT 출원비용 또는 해외특허 비용을 지원하여 경쟁력 있는 글로벌 IP 확보와 이를 활용한 수익 극대화를 도모함. 발명인터뷰를 통한 특허의 질적 수준제고, 우수기술 발굴 및 전략적 가치 창출방안 마련 및 출원 전 발명평가를 실시하여 우수기술 조기 발굴 파. E5-KAIST (실전 학생창업 리그) 활용 ■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거나 실전 창업을 준비하는 KAIST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기업을 설립하고 성공하는 글로벌 창업기업 CEO가 되기 위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단계별 미션 및 비즈니스 엔젤 등 각 분야 전문가의 담임 멘토링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제공

45


4 . 인력의 연구수월성

4.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4.1.1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SCI, SCIE, SSCI, A&HCI) 환산 논문 편수

<표 5> 대학원생 논문 환산 편수 실적 최근 3년간 실적

T_ 1_2 :

T_1 _1:

구분

2010년

2011년

T_ 2_2 :

논문 총 건수

T _3_ 1:

D_3 _2:

1인당 논문 건수

T_ 4_1 :

논문 총 환산 편수

T _5_ 1:

T_6 _1:

D_4 _2:

D_5 _2:

1인당 논문 환산편수

221

241

0.2748

0.2935

114.8249

0.1356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T_ 7_1 :

D_7 _2:

251

D _3_ 5:

0.2857

0.2848

D _4_ 4:

D _4_ 5:

126.5971

350.4729

D _5_ 4:

0.1398

D _5_ 5:

0.1441

D _6_ 3:

804

713

D _3_ 4:

D _4_ 3:

D _5_ 3:

전체기간 실적

T_ 1_5 :

T _2_ 4:

D _3_ 3:

109.0509 D_6 _2:

2012년

T _2_ 3:

0.1399

D _6_ 4:

821

D _6_ 5:

2,503.5

878.5

D _7_ 3:

D _7_ 5:

D _7_ 4:

4.1.2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6> 대학원생 1인당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최근 3년간 실적

T_ 1_2 :

T_1 _1:

구분

2010년

2011년

T_ 2_2 :

총 환산 편수

T _3_ 1:

총 환산 보정 IF

T _4_ 1:

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

D_3 _2:

D_4 _2:

107.0509 68.17303

T _5_ 1:

1인당 환산 보정 IF

T _6_ 1: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D_5 _2:

D_6 _2:

0.63682 0.08479

T_ 7_1 :

D_7 _2:

804

2012년

T _2_ 3:

114.3249

D _3_ 3:

80.88908

D _4_ 3:

0.70753

D _5_ 3:

0.09852

D _6_ 3:

821

D _7_ 3:

46

전체기간 실적

T_ 1_5 :

T _2_ 4:

124.6972

346.073

D _3_ 4:

91.88441

D _4_ 4:

0.73686

D _5_ 4:

0.10459

D _6_ 4:

878.5

D _7_ 4:

D _3_ 5:

240.94652

D _4_ 5:

0.69623

D _5_ 5:

0.09624

D _6_ 5:

2,503.5

D _7_ 5:


4.1.3 최근 3년간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표 7>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최근 3년간 실적

T _1_ 2:

T_1 _1:

구분

T _1_ 11:

T_2 _2:

T_1 _1:

구분

T_3 _2:

총 건수

T_ 4_1 :

총 환산편 수

D_4 _2:

T_ 5_1 :

1인당 환산편 수

국제

D_5 _2:

2010년 T_3 _3:

334

국내

D_4 _3:

336.22 91

D_5 _3:

2011년

T _2_ 5:

T_3 _4:

165

89.321 7

국제

499

425.55 08

D _5_ 4:

국내

T _3_ 5:

T_ 3_6 :

368

D _4_ 4:

T_2 _8:

222

D _4_ 5:

D_ 4_6 :

390.15 6

D _5_ 5:

국제

T_ 3_7 :

D_4 _7:

국내

T_ 3_8 :

590

D_5 _7:

T _3_ 9:

383

610

D _4_ 9:

D_ 5_8 :

122.10 29

D _5_ 9:

D_ 4_1 0:

521.25 8

D_ 5_1 0:

전체기간 실적

국제

T_ 3_1 0:

227

D_ 4_8 :

114.59 504.748 399.15 26 6 51

D_ 5_6 :

2012년 T_3 _11 :

T _3_ 12:

1,085

D_4 _11 :

국내

D _4_ 12:

1,125. 5402

D_5 _11 :

D _5_ 12:

614

326.01 72

T _3_ 13:

1,699

D_ 4_1 3:

1,451. 5574

D_ 5_1 3:

T_6 _1:

소속학 과 대학원 생수

X

D_ 6_2 :

0.5292

D _6_ 4:

D_6 _5:

X

D_6 _7:

0.6147

D_6 _8:

X

0.5933

D_ 6_1 0:

D _6_ 11:

X

0.5798

D_ 6_1 3:

T _7_ 1:

X

D_ 7_2 :

804

D _7_ 4:

D_7 _5:

X

D_7 _7:

821

47

D_7 _8:

X

878.5

D_ 7_1 0:

D _7_ 11:

X

2,503. 5

D_ 7_1 3:


4.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의 우수성

4.2.1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표 8> 대학원생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T_1 _2:

연도별 목표

항목 1차년도

T_ 2_2 :

대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 술지 논문 환산 편수

연평균 증가율

T_ 1_9 :

T_ 1_1 :

T_2 _3:

2차년도

T_2 _4:

3차년도

4차년도

T _2_ 5:

T_2 _6:

5차년도

6차년도

T_ 2_7 :

7차년도

T _2_ 8:

T_ 3_1 :

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A&H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0.1441

D_ 3_2 :

0.1513

D_ 3_3 :

0.1588

D_ 3_4 :

D_3 _5:

0.1668

0.1751

D_ 3_6 :

0.1839

D _3_ 7:

D_3 _8:

0.1931

4.99%

D_ 3_9 :

T_ 4_1 :

환산 논문 1편 당 환산 보정 IF

0.1045

D_ 4_2 :

0.1128

D_ 4_3 :

0.1218

D_ 4_4 :

D_4 _5:

0.1316

0.1421

D_ 4_6 :

0.1535

D _4_ 7:

D_4 _8:

0.1658

7.99%

D_ 4_9 :

T _5_ 1: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0.7368

D_ 5_2 :

0.7552

D_ 5_3 :

0.7741

D_ 5_4 :

D_5 _5:

0.7934

0.8132

D_ 5_6 :

0.8336

D _5_ 7:

D_5 _8:

0.8544

2.49%

D_ 5_9 :

T_ 6_1 :

0.5933

D_ 6_2 :

0.6229

D_ 6_3 :

0.6541

D_ 6_4 :

D_6 _5:

0.6868

0.7211

D_ 6_6 :

0.7572

D _6_ 7:

D_6 _8:

0.795

4.99%

D_ 6_9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본 사업단은 논문의 편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보다는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편수 및 IF 목표를 표 8과 같이 도전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새로운 대학원생 연차 평가제도(BK21플러스 Black Friday 제도 도입)와 석박사 학위 졸업 요건의 강화(A급 저널 및 학술대회 논문 게재 제도)등을 통하여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이며 BK플러스 사업단으로 선정되어 대학원생에게 보다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다면 목표 이상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높은 IF 논문에 연구 결과를 게재하는 노력뿐 아니라 피 인용횟수 실적을 집계하여 향상시키는 등 본 사업단 연구 결과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한 차원 높은 목표를 자체적으로 설정할 예정이다.

48


4.2.2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계획의 우수성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을 위해 우수 학술연구 및 연구 성과 발표에 대한 계획은 아래와 같다. ■ 인턴쉽 제도 활성화 이론과 실제가 겸비된 학술연구를 위하여 첨단 산업체 현장에 일정 기간 파견하는 인턴쉽 제도를 활성화하며, 외부전문가와의 (현장 전문가나 새로운 연구 분야의 전문가) 공동강의도 활성화한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맞춤형 교육 과정에서 이미 인턴쉽 제도를 필수로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매년 대학원생 인턴쉽 인원수를 증가할 계획이다. ■ 교수법 향상 교수들의 교수법 향상을 통하여 대학원 교과과정의 질을 높인다. 교수들이 자신의 강의를 녹화하여 강의 진행 상황을 리뷰하도록 하거나, 교수법에 정통한 외부 인사를 초빙하여 교수법 등 교육 방법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새로 임용된 신임 교수는 본 교육을 반드시 이수토록 하며, 강의평가 결과가 2학기 연속 하위 10%에 속하는 교수는 강의 녹화 및 리뷰를 하도록 하거나 또는 교수법 교육을 이수토록 한다. ■ 국제 공동연구 지원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을 활성화하고, 국제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써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양시킨다. 또한 세계 수준의 연구 활동을 위해 해외 우수 연구 그룹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이전 3년간 국제 공동 워크샵을 활발하게 개최하였고 국제공동연구를 위해 사업단 대학원생을 해외 기관에 파견하였으며 공동연구회 개최를 위한 공고 포스터를 제작하여 배포 하였다. (확장표 II-4-1, 그림 II-4-1 참조) 매년 예산 편성 시, 세계적인 연구그룹과 국제 공동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를 계획하는 연구실의 대학원생 참여 경비를 우선 지원하도록 한다.

<확장표 II-4-1> 국제공동연구 및 국제공동 워크샵 현황

구분

연도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개최국

Experiments with cooperative control of underwater robots Robot programming systems, with applications in areas such as healthcare and agriculture. Intelligent Robotics and Machine Learning Image tag recommendation by exploiting collective knowledge in a refined image folksonomy 14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Wearable Computers (ISWC 2010) 미래 웹 기술(미래인터넷) 개발 을 위한 뇌기반 “의식형” 지식 기반 에이전트 및 웹 데이터 마

49

개최기간 YYYYMMDD

주관기관 및 교수

참가 국( 수)

참가 인원 (명)

대한민국

20100120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00204

김종환

2

25

대한민국

20100305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00501-2 0120430

노용만

2

4

대한민국

20101010-2 0101013

박규호

12

100

대한민국

20100301-2 0110228

이수영

2

11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0

국제공동연 구

2011

국제공동연 구

2011

국제공동연 구

2011

국제공동연 구

2011

국제공동연 구

2011

국제공동연 구

2011

2011

국제공동연 구

이닝 에이전트 (한-이태리 협력 기반조성사업) 한일 신경정보학 연구거점교류 사업 (국제연구거점교류사업) Max Contribution : On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Delay Tolerant Netowrks (INFOCOM 2010) Opportunistic Shortest Path Forwarding in Delay Tolerant Networks (CFI 2010) K A I S T - K D D I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WDM) access networking technologies KAIST-Huawei수동형광가입자망의 송신기에선로감시기능을통합하 기위한연구개발

대한민국

20100303-2 0110302

이수영

2

29

미국

20100315

정송,이인 종

2

6

대한민국

20100611

정송,이인 종

2

5

대한민국

20101127

정윤철

2

10

중국

20111216

정윤철

2

10

미국

20100901

조기호

2

10

대한민국

20110317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10908

김종환

2

35

대한민국

20110916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11123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11201

김종환

2

30

BK 대학원생 장기 해외연수

Canada

20111001-2 0120120

노용만

2

2

미래 웹 기술(미래인터넷) 개발 을 위한 뇌기반 “의식형” 지식 기반 에이전트 및 웹 데이터 마 이닝 에이전트 (한-이태리 협력 기반조성사업)

대한민국

20110301-2 0120228

이수영

2

10

2

7

IT & BT 해외 공동 융합

연구

Software Development and Engineering for multiagnet systems Toward a computational model of focalization in narrative Efficient and scalable evolutionar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create a scientific foundation for playware, defined as intelligent hardware and software that aims at producing play and playful experiences. Real-time Mobile Sensing & Analytics and the LiveLabs Experimentation Platform

국제공동연 구

2011

Experimental evaluation of optimal CSMA(INFOCOM 2011)

중국

20110413

정 송 , Nardelli, B . Edward W. Knightly, M u n g Chiang

국제공동연 구

2011

K A I S T - K D D I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WDM) access networking technologies

대한민국

20110507

정윤철

2

10

국제공동연 구

2011

IT & BT 해외 공동 융합

미국

20110708

조기호

2

10

국제공동연 구

2011

European Commission Grant, ITALK project

EU

2011

Angelo Cangelosi

7

8(gr oup)

대한민국

20121105

권인소

30

550

대한민국

20120201

김종환

2

30

국제공동연 구 국제공동연

2012 2012

연구 FP7

The 11th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Serious Game

50


구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국제공동연 구

2012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국제공동연 구

2012 2012

Building Cyber-physical Systems Using Robots’ World View: The HARMS Model Mobile robot navigation and a perspective on robotics in Denmark Introduce about Industrial College of the Armed Forces (ICAF) Understandingcognitiveprocesse sofoverlandnavigationbycharact erizingvisualscanpatterns-what theybelievevs.whattheysee Robotic Rsearch Activities at the ANU A New Human Identification Method: Sclera Recognition Distributed Intelligence for Robotic Systems Emotional Technologies in Social Robotics Development of 3D Ultrasound Computer aided diagnosis: denoising and segmentation Video analysis using sparse representation and collective knowledge in video folksonomies Motion-aware noise filtering for deblurring of noisy and blurry images 2012 세계연구 중심대학 총장회 의 2012ASPIREForum심포지움 미래 웹 기술(미래인터넷) 개발 을 위한 뇌기반 “의식형” 지식 기반 에이전트 및 웹 데이터 마 이닝 에이전트 (한-이태리 협력 기반조성사업) Wi-Fi Sensing: Should Mobiles Sleep Longer As They Age? (INFOCOM 2013) K A I S T - K D D I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WDM) access networking technologies KAIST-ETRI-Bell lab 멀티모드 기반의 10 km급 공간 다중 광전 송 원천기술 연구

대한민국

20120313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20425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20503

김종환

2

25

대한민국

20120524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20525

김종환

2

25

대한민국

20121018

김종환

2

30

대한민국

20121214

김종환

2

40

Canada

20120827-2 0121212

노용만

2

6

Belgium

20120901

노용만

2

10

2012

유윙타이

2

2

대한민국

20121015

유창동

27

80

대한민국

20120712

유창동

4

40

대한민국

20120301-2 0130228

이수영

2

11

이탈리아

20130418

정송,이 융,은도 영,조정우

대한민국

20120203

정윤철

2

10

대한민국

20120910

정윤철

3

40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2012

국제공동연 구 국제공동연 구

2012

KAIST-KUSTAR

대한민국

20121010

한영남

2

3

2012

2012

F a n b o Deng

2

4

국제공동연 구

2012

UAE

20121211

T o d Laursen

2

29

국제공동연 구

2012

Color-aware Regularization for Gradient Domain 2012 Annual KAIST-Khalifa University Joint Research Symposium A 3D Imaging Framework Based on High-Resolution Photometric-Stereo

2012

Zheng Lu

4

5

국제공동연

2012

Singapore-Japan

Singapore

2012

T a n g

2

2

Joint

51

3

5


2010

Research Grant,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The 6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The Human Connectome: Views from MRI and Microscopy 2nd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2010

3D-IC Workshop

구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0 2010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0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2010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0

2010 2011

Samsung-Panasonic-KAIST EMC Workshop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olving Internet (INTERNET) The 3rd International Congress 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CISP) 2010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IWDW)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ngineering Computing and Applications in Sciences (ADVCOMP)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s and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ICCIT 2010)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0)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The 7th Korea-Japan e-Science Symposium The10thChina-India-Japan-Korea JointWorkshoponNeurobiologyand Neuroinformatics (NBNI2010) 2thEast-AsiaInter-UniversityWo rkshoponBrainEngineering (EAW2010) PS 2010 Workshop on Energy efficient network 2010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and d i s p l a y s ( S p e c i a l Topic:Flexible Backplane and Materials)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 조 로봇 제어(1차) - 독일 보유 기술 소개 Cognitive Robotics Research Methods Workshop 3rd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52

Huajin 대한민국

20101229

권인소

5

70

대한민국

20100328

김대식

20

200

대만

20100820

김정호

2

40

대한민국

20100114

김정호

4

200

대한민국

20100820

김정호

2

30

Spain

20100920-2 0100925

노용만

25

125

China

20101016-2 0101018

노용만

2

25

대한민국

20101001-2 0101003

노용만

9

25

Italy

20101025-2 0101030

노용만

30

192

대한민국

20101130-2 0101202

노용만

9

25

대한민국

20101213-2 0101215

노용만

30

42

일본

20100728

유회준

3

80

대한민국

20100705

윤찬현

2

50

중국

20101011

이수영

3

18

대한민국

20100303

이수영

2

70

미국

20100728

이준구

10

50

대한민국

20100601

최경철

3

280

3

20

5

30

2

40

독일

20101025-2 0101027

UK

20100309

대한민국

20110705

Alex Graeser (Universi ty of Bremen), 정명진(KA IST) Angelo Cangelosi 김정호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1

Panasonic-KAIST EMC

2011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1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2011

Workshop

대한민국

20110825

김정호

2

25

High-Power EMP Workshop (Dr. William A. Radasky 초청)

대한민국

20111018

김정호

2

25

Shizuoka/KAIST

대한민국

20111116

김정호

2

30

Mongolia

20110706-2 0110708

노용만

5

115

Greece

20110706-2 0110708

노용만

20

96

대한민국

20110619-2 0110622

노용만

75

453

Canada

2011210

노용만

10

19

대한민국

20111129-2 0111201

노용만

35

201

대한민국

20111208-2 0111210

노용만

30

42

USA

20111023-2 0111226

노용만

10

38

C z e c h Republic

20110815-2 0110817

노용만

9

25

USA

20110109-2 0110111

노용만

30

350

대한민국

20110928

노용만

4

189

대한민국

20111103-2 0111104

박규호

5

50

대한민국

20110824-2 0110825

박철순

6

50

대한민국

20110623

유승협

4

200

중국

20110802

유회준

3

75

대한민국

20110824

윤기완

일본

20111218

이수영

3

38

한국

20111226

이수영

2

53

Workshop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MITA2011)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2011) 2011 The 26th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System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ITC-CSCC 2011)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Large Scale Visual Analytics 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series (ICDM)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s and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ICCIT 2011)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1)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IWDW)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ecurity and Assurance (ISA 2011) 2011 IEEE Consumer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CCNC2011) 2011TheSecondInternationalConf erenceonICTConvergence(ICTC201 1) InternationalWorkshopon Exascale Supercomputing (Exacomp) 2011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IMWS) 2011 KAIST EEWS International Workshop on OPV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Personal Terminals (IEEE IMWS-IRFPT) Conference The11thJapan-Korea-ChinaJointW orkshop OnNeurobiologyandNeuroinformat ics (NBNI2011) 4thEast-AsiaInter-UniversityWo

53


rkshoponBrainEngineering (EAW2011)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2011

IEEE Digital

국제공동워 크샵

2011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 조 로봇 제어(3차) - 한국 보유 기술 소개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1

국제공동워 크샵

2012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AAAI Workshop on Language-Action Tools for Cognitive Artificial Agents: Integrating Vision, Action and Language The 7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11

150

대한민국

20110906-2 0110907

정명진(KA IST), 장평훈(DG IST)

3

30

대한민국

20110601

정윤철

2

50

대한민국

20110630

최경철

4

200

터키

20110627-2 0110628

M. I. Can Dede (IZTECH), 정명진(KA IST)

3

20

USA

20110808

Yiannis Aloimonos

4

30

일본

20130104

권인소

5

100

대한민국

20120406

김정호

2

40

일본

20120326

김정호

2

30

Panasonic-KAIST EMC

2012

4th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2012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maging Asia (IFMIA 2012)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2) IEEE Vehicular Networking Conference 2012 2012 KAIST EEWS International Workshop on OPV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12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NBNI2012)

대만

20120704

김정호

2

40

대한민국

20121116-2 0121117

노용만

20

146

대한민국

20121128-0 121130

노용만

30

42

대한민국

20121114-2 0121116

박철순

7

70

대한민국

20121205

유승협

4

150

대한민국

20120805

유회준

3

70

대한민국

20121121

이수영

3

61

인조 시스템 국제학회

대한민국

20120816

이주장

10

150

대한민국

20120702

정윤철

30

2000

대한민국

20120907

최경철

2

160

France

20120329

Herbert Jaeger

5

40

대한민국

20121105-2

JinweiGu,

11

80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2012

국제공동워 크샵

2012

국제공동워 크샵

2012

국제공동워

2012

Workshop

이주장

2012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 조 로봇 제어(2차) - 터키 보유 기술 소개

20110531

Tohoku/Kobe/KAIST

2012

국제공동워 크샵

Korea-Japan Workshop beyond 100G 2011 KAIST internation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 d i s p l a y s ( S p e c i a l Topic:LED/OLED Lighting Technology)

대한민국

2012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국제공동워 크샵

EcosySTem(DEST)

Workshop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KAIST internation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 displays(Special Topic:1st UK-KOREA Workshop on Plastic Electronics) Cognitive Dynamics in Neural Systems: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Modeling Workshop

on

Computational

54


Photography Vision

크샵

and

Low-Level

유윙타이 PingTan,S ai-KitYeu ng

0121106

<그림 II-4-1> 국제 공동 워크샵 포스터

■ 해외 연수 지원 해외의 유수 대학과 첨단 기업체, 연구 기관 등에 파견하여 연구 능력 배양과 첨단 산업 현장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이는 파견 기간에 따라 장기 해외연수와 단기 해외연수로 나눈다. 이와 같은 해외 연수 프로그램은 이미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써, 장기 해외연수로는 2010년 이후 총 23여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이 해외 유수 대학 및 연구 기관에 파견되어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단기 해외연수로는 2010년 이후 총 399여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이 해외 유수 대학, 연구소, 산업체나 국제 학회에 파견된 바 있다. (확장표 II-4-2 참조) 세계 수준의 학술 연구를 위해 필요한 국제화 마인드를 갖춘 우수 인력 양성에 적절한 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본 장기 해외연수, 단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더 확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확장표 II-4-2> 대학원생 국제교류 현황 구 분 대학원생 해외 단기연수 및 파견연구 대학원생 해외 장기연수 및 파견연구

(단위: 명)

2010년

최근 3년간 실적 2011년

2012년

81

159

159

399

10

0

13

23

전체기간 실적

■ 해외 우수대학 교과목 수강 지원 프로그램 해외 우수대학교를 방문하여 그 학교에서 개설되는 교과목들을 직접 수강할 수 있도록 돕는 해외 우수대학 교과목 수강 지원 프로그램이 있다. 2002년 이후 매년 40명 정도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대학원생들이 전기및전자공학 분야의 우수 대학인 UC Berkeley, UCLA 등의 대학에 파견하여 6~8주의 기간 동안 현지에서 두 과목을 (한 과목은 필히 전공 관련과목) 수강하면서 새로운 학습 환경 및 연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였다. 적합한 자격을 갖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지속할 계획이다.

55


■ 우수 학술연구를 위한 우수 대학원생 포상 제도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의 졸업 요건으로 모든 박사과정 졸업생들은 학과에서 지정한 SCI급 학술지에 논문을 1편 이상 게재해야 하고, 이를 평가표(확장표 II-4-3 참조)를 바탕으로 학과 교수님들이 평가를 내려 매년 우수/ 최우수 대학원생들을 뽑아 포상금을 지급한다. 2007년도부터 실행된 제도로써 우수/최우수 대학원생으로 뽑힌 학생에게 각각 10만원/100만원의 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는 대학원생들이 우수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우수 학술연구에 대한 보상으로써 앞으로도 적합한 자격을 갖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지속할 계획이다.

<확장표 II-4-3> 연구실적 평가 기준 점수표

(단위: 점)

평가 점수 항

제1저자

참고사항

①제1저자 아닌 경우 1.㉮논문제출㉯특허출원 ②논문제출㉮ : 평가위원회 평가점수 조정 ③특허출원㉯ 10

가능함.

1. 해외저널

20

2. 해외학회

10

5

2.합격기준은

3. 국내저널

5

3

누적 실적임.

4. 국내학회

2

5. 해외특허등록**

10

5

5

3

6. 국내특허등록 (소프트웨어 등록) 7. 기타실적 (수상실적,

석사과정부터의

3. 해외특허등록: 같은 내용으로 다국가에 등록된 특허는 1건으로 취급 4. 동일논문의 논문제출과

15점 이내로 추가 점수 부여할 수

우수Magazine 등)

있음.

논문게재는 중복 점수 부여하지 않음

■ 우수 학술연구를 위한 지원 체계 우수 학술연구를 위해 선진화된 연구 지원조직 및 연구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각종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한다. 계획 중인 인적 인프라 및 물적 인프라는 다음과 같다. - 행정지원 조직 개선 교수 및 학생의 연구/교육 활동을 전문적으로 지원해 줄 행정 지원 인력의 유지 및 추가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행정지원부서도 정기적인 평가와 인센티브를 시행하는 성과연동 시스템을 구축한다. ․ 대학원생팀, 학부팀, 졸업생팀, 기획팀, 홍보팀 등 팀별 운영을 통해전문성을 강화 한다. ․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친절도, 자율성 등에 대한 직원 교육의 기회도 확대한다. - 공동 컴퓨터실 운영 및 Software 지원 상시 운영되는 공동 컴퓨터실을 운영하며, 교수 및 학생들의 연구를 위한 전문적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외부에 개방되는 공간이 아니므로 내부 연구자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56


■ 우수 학술연구를 위한 특강 프로그램 주기적으로 최신 기술이나 중요 기술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고 특강 프로그램을 열어 학생들에게 새로운 분야나 기존에 연구하던 분야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계획이다. ■ 우수 학술 연구 성과 발표 지원 계획 대학원생의 국제/국내 학술지 논문 게재료, 국제/국내 학술대회 논문 발표를 위한 참가 경비, 세계 우수 연구그룹과 공동 워크샵 개최 시 연구 결과 발표를 위한 참가 경비 등을 지원한다. 대학원생의 우수 학술연구 성과를 발표하는데 소요되는 경비는 예산이 허용하는 한 많이 지원할 계획이다. 그러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대학원생들의 최근 왕성한 연구 실적에 비추어 볼 때, 현실적으로 모든 국내외 논문 발표를 위한 경비를 지원하는 것은 예산이 충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본 사업단이 실제 사용하게 될 예산의 10% 이상은 이에 관련된 활동에 지원할 계획이다.

57


4.3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계획 ① 신진 연구 인력 확보 계획 신진연구인력은 2013년 현재 박사후 과정생 18명, 계약교수 14명으로 총 32명이 본 사업단 참여교수의 자체 지원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과거 3년간 신진연구인력 현황은 확장표 II-4-4에 정리하였다.) 본 사업단의 신진 인력은 국내외 유수 기업, 연구소, 대학 등으로 진출했으며(확장표 II-4-5 참조) 그 중 KAIST 전임교수, 스웨덴 왕립공대 전임교수, 퀄컴코리아 R&D센터 선임연구원 등 우수한 진출 사례가 있다.(확장표 II-4-6 참조) 이러한 우수 진출 사례는 향 후 사업단에서 보다 우수한 신진 연구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요한 홍보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신진연구인력은 매년 확충하여 본 사업의 종료 시점인 2019년에는 총 62명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최종 62명중 BK지원 35명, 자체지원 27명정도로 운영할 예정임, 확장표 II-4-7 참조)

<확장표 II-4-4> 신진연구인력 현황 구분 박사후 과정생 계약교수 계

(단위: 명) 연도별 현황

2010년 37 26 63

2011년 44 16 60

2012년 31 18 49

계 112 60 172

<확장표 II-4-5> 신진연구인력 진출 현황 구분 타대학 전임교수 KAIST 전임교수 KAIST 연구교수 대기업 책임연구원 대기업 선임연구원 연구소 선임연구원 해외 유수대학 박사후 연구원 KAIST 연구원 박사후 연구원 창업 계

(단위: 명) 2011

2012

계약교수 2 7 1 -

박사후연구원 1 1 3 3

계약교수 3 2 -

박사후연구원 1 1 2 4 3

-

3

-

3

-

-

-

4

10

2 13

5

18

<확장표 II-4-6> 신진연구인력의 우수 진출 사례 년도

2010

2011

성명 박재우 임원규 조영보 황영배 김남식 이미영

직 급 초빙교수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연구조교수 박사후연구원

직 장 명 삼성전자 LCD 총괄연구소 , 상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선임연구원 LG화학 기술연구원 배터리연구소,과장 삼성테크윈 로봇사업부, 책임연구원 Geogia Institute of Technology , Post-doc. 한남대 전자공학과, 전임교수

임매순

박사후연구원

Univ. of Michigan, Post-doc.

58


박기범 장달원 문일철 조정우 이향원 김성웅 조관현

2012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연구교수 연구교수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ABB Switzerland Ltd, Corporate Research, Scientist 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KAIST 산업공학과, 전임교수 스웨덴 왕립공대, 전임교수 건국대 인터넷미디어 공학부, 조교수 퀄컴코리아, R&d센터, 선임연구원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연구소, 책임연구원

<확장표 II-4-7> 신진연구인력 확보 계획

(단위: 명) 연도별 목표(환산)

구분 박사후 과정생 계약교수 총계

1차년 (‘13년)

2차년 (‘14년)

3차년 (‘15년)

4차년 (‘16년)

5차년 (‘17년)

6차년 (‘18년)

7차년 (‘19년)

31

32

33

34

34

34

34

18 49

19 51

20 53

21 55

23 57

25 59

28 62

② 우수 신진연구인력 지원 계획 가. 신진연구인력 위원회 구성 신진연구인력들의 우수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참여 교수들로 구성된 신진연구인력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신진연구인력 채용원칙, 선발기준, 재임용기준, 기타사항에 대한 내부규정을 바탕으로, 지난 3년간 총 19회 이상 신진연구인력 위원회를 개최해 왔으며 지원자는 154명이었다. 모든 신진연구인력은 1년 또는 6개월 단위로 계약하고 있으며, 연장을 원할 경우 재임용 신청을 받아 임용기간동안의 연구실적 등을 엄격히 평가하여 재임용 여부 및 연봉 등을 결정하고 있다. 특히, 계약교수의 경우 전공 인사심의를 한번 더 거쳐 임용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나. 신진연구인력 처우 본 사업단은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박사후 경력과 연구실적에 따라 연봉 3,000만원~3,300만원, 계약교수는 3,600만원~4,800만원까지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BK플러스 지원금 3,000만원에 차액을 매칭) 이는 KAIST내 BK사업단 중 가장 높은 연봉 수준이며, 앞으로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연봉인상을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다. 특히 우수한 외국인 신진연구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미국이나 유럽의 IT 우수대학 출신 신진연구인력의 경우, USD 80,000까지 연봉을 지급하는 특별 track을 운영할 계획이다. 다. 신진연구인력을 위한 Infra 지원 내역 본 사업단 신진연구인력은 임용 후 각 활용교수가 개인/공동 연구공간 및 개인전용 PC 등을 지급하여 원활한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기본 Infra를 제공할 계획이다. 활용교수와 신진연구인력들간의 보다 효율적인 연구 협력을 위해 공동 연구공간을 추가 확충할 계획에 있으며, 앞으로 공동 연구공간이 확보되면 책상 및 개인전용 PC, 전화, 사무용품 등을 별도로 지원할 계획이다.

59


라. 신진연구인력의 관리 및 평가 ■ 임용 후 연구실적 엄격히 평가 재임용시 계약기간 동안의 연구 실적이 미흡한 경우 6개월만 재계약하고, 6개월 후 재임용 신청을 다시 하도록 하여 연구실적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재임용/승진 임용시 연구실적 요건 재임용시 임용기간동안 활용교수와의 연구/개발/봉사실적이 있어야 하며, 위원회심사를 거쳐 재계약이 가능 하며, 최대 4년까지 재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 퇴직시 연구실적물 제출 및 퇴직 후 진로 현황파악 퇴직시 임용기간 동안의 연구실적물과 연구개발 참여활동에 대한 내용물들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퇴직 후에는 신진연구인력의 진로현황 파악 등 적절한 사후 관리를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다. 마. 우수한 신진연구인력 유치를 위한 노력 우수한 해외 신진연구인력 유치를 위해 지원자 분야별 영문 구인포스터를 제작하여 유명 국제학회와 대학 방문 시 배포 및 공지하며, 국내 100개 대학에 채용공고 포스터 배포를 포함하여 IEEE, ACM 및 하이브레인 넷에 채용 광고를 게재하여 우수한 외국인 및 타교출신 지원자를 유치하고자 힘쓰고 있다. 또한 수집한 지원자 리스트를 정기적으로 전 교수에게 공지하여 타교 출신 신진연구인력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홍보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우수한 신진연구인력을 유치할 계획이다. 바. 신진연구인력 정착지원 외국인 및 타지 출신 신진연구인력들을 위해 원내 아파트 및 게스트 하우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외국인 및 현지 거주가의 경우 왕복항공료를 최대 USD 1,500까지 대학대응자금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사. 신진연구인력 논문 게재료 지원 계획 국내외 우수 학회에 논문을 게재하는 신진연구인력에게 논문 게재료를 지원할 계획이며, 특히 IEEE, ACM와 같은 우수국제학회에 논문을 게재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지원하여 우수한 실적을 내도록 앞으로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에 있다. 아. 신진연구인력 국내․외 학회 지원 국내․외 우수 학회에 학회발표를 위한 활동비를 지급하여 안정적인 연구 활동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총 36건의 총 96,063,000원의 국제학회 참여를 위한 경비 지원을 받았다. (확장표 II-4-8 참조)

60


<확장표 II-4-8> 신진연구인력 국제 학회 지원 현황 성명

학회이름

파견기간

파견국가

지원금액(원)

Yxxxx txxxxxxxx

OFC/NFOEC 2010

2010-03-21~2010-03-25

미국

2,104,000

최xx

OFC/NFOEC 2010

2010-03-21~2010-03-25

미국

2,766,000

천xx

IEEE WCNC 2010

2010-04-18~2010-04-21

호주

2,564,000

백xx

IEEE WCNC 2010

2010-04-18~2010-04-21

호주

2,832,000

박xx

VTC 2010-Spring

2010-05-16~2010-05-19

대만

1,545,000

박xx

ECTC

2010-06-01~2010-06-04

미국

3,592,000

Wxxxxx Dx Nxxx

ICME 2010

2010-07-19~2010-07-23

싱가포르

1,013,000

2010-08-24~2010-08-26

일본

2,408,000

박xx

IEEE CPMT Symposium Japan

백xx

MRS Fall 2010

2010-11-29~2010-12-03

미국

4,711,000

백xx

IEDM 2010

2010-12-06~2010-12-08

미국

1,289,000

백xx

IRPS

2011.04.10~2011.04.14

미국

3,082,000

조xx

ICST ameNets 2011

2011.04.16~2011.04.18

중국

1,531,000

Rxxxx U. M.

CLEO 2011

2011.05.01~2011.05.06

미국

3,551,000

한xx

ISMRM

2011.05.07~2011.05.13

캐나다

1,402,000

Mxxxxx Axx

URSI GASS 2011

2011.08.13~2011.08.20

터키

3,219,000

오xx

IEEE NANO 2011

2011.08.15~2011.08.18

미국

4,247,000

김xx

NIPS 2011

2011.12.12~2011.12.17

스페인

1,658,000

박xx

ISSCC 2012

2012.02.19~2012.02.23

미국

3,291,000

윤xx

IEEE INFOCOM 2011

2011.04.10~2011.04.15

중국

985,000

이xx

ICST Crowncom 2011

2011.05.31~2011.06.03

일본

2,247,000

김xx

IMS

2011.06.05~2011.06.10

미국

3,265,000

이xx

IEEE ICC 2011

2011.06.05~2011.06.09

일본

1,538,000

이xx

CCNC 2012 Fascia Research Congress IEEE WCNC 2012

2012.01.14~2012.01.17

미국

2,595,000

2012.03.28~2012.03.30

캐나다

2,932,000

2012.04.01~2012.04.04

프랑스

1,636,000

2012.04.01~2012.04.04

프랑스

1,593,000

2012.04.10~2012.04.13

벨기에

4,618,000

한xx

IEEE WCNC 2012 Graphene Conference 2012 ISMRM

2012.05.05~2012.05.11

호주

4,140,000

이xx

CLEO

2012.05.06~2012.05.11

미국

3,768,000

오xx

IWCE 2012

2012.05.22~2012.05.25

미국

4,947,000

샤xxxx

APLS 2012

2012.05.27~2012.05.30

중국

2,272,000

ICST Crowncom 2012

2012.06.18~2012.06.20

스웨덴

3,937,000

이xx 이xx 김xx 설xx

이xx

61


김xx

ICOE 2012

2012.06.25~2012.06.27

스페인

1,059,000

이xx

IPCV 2012

2012.07.16~2012.07.19

미국

4,419,000

왕xx

ESSCIRC 2012

2012.09.17~2012.09.21

프랑스

1,012,000

이xx

ISCIT 2012

2012.10.02~2012.10.05

호주

2,295,000

자. 신진연구인력 성과급 매년 우수한 연구실적을 내고 있는 신진연구인력에게 성과급을 지급하여 연구성과 활성화를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성과급은 임용기간 동안의 연구실적을 위원회에서 평가하여 년 1회 지급하고 있으며 지난 3년간 아래와 같이 총 47명에게 107,000,000원의 성과급을 지급( 2,276,596원/1인당)하였다.(확장표 II-4-9 참조) 본 사업단은 앞으로도 신진연구인력의 연구 성과 활성화를 위하여 매년 지속적으로 성과급을 지급할 계획이다.

<확장표 II-4-9> 신진연구인력 인센티브 지급 현황 지급년도

2010

성명 김xx 박xx 백xx 안xx 오xx 한xx 정xx 조xx 조xx Wxxx 문xx Gxxx 송xx 김xx Rxxx 박xx 구xx 김xx 김xx 박xx 이xx Fxxx Mxxx

직급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교수 연구부교수 연구조교수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조교수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총계

2011

백xx 오xx 한xx 이xx 정xx 조xx 이xx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조교수 초빙교수 연구부교수 연구부교수 연구조교수

62

금액(원) 1,900,000 3,800,000 4,000,000 3,400,000 1,800,000 2,000,000 1,500,000 1,300,000 1,700,000 3,500,000 2,600,000 1,400,000 2,900,000 1,700,000 3,000,000 2,700,000 1,000,000 1,400,000 1,800,000 1,800,000 1,000,000 1,400,000 1,000,000 48,600,000 4,700,000 4,000,000 3,800,000 2,300,000 3,100,000 2,700,000 2,500,000


설xx 오xx 이xx 진xx 이xx 강xx Fxx Axx Mxx Axx 유xx 조xx Fxx Axx 김xx 김xx 최xx 한xx 윤xx 정xx

연구부교수 연구교수 연구조교수 연구부교수 연구조교수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2,100,000 3,200,000 1,500,000 1,500,000 1,900,000 2,300,000 3,200,000 3,000,000 1,900,000 2,200,000 3,200,000 1,500,000 1,800,000 2,200,000 1,400,000 1,000,000 1,400,000 58,400,000

총계 차. 신진연구인력 강의제공

본 사업단의 신진연구인력으로 임용된 우수 연구인력을 본원에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관련 분야의 최신 IT기술정보를 본원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연구 이외에도 교육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카. 신진연구인력 과제 책임자 활용 본 사업단은 신진연구인력의 연구활동 측면 이외에 자문위원활동, 사업체 기술이전, 산업체 과제유치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를 운영할 계획이다. 신진연구인력이 과제책임자로 있는 과제는 총 23개이다. (확장표 II-4-10 참조)

<확장표 II-4-10> 신진연구인력 과제책임자 현황 성명

직급

과제명

위탁기관

과제기간

금액(원)

Wxxxxx Dx Nxxxx

계약교수

이미지 폭소노미의 정제를 통한 태그 추천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 재단

2010-05-01~ 2011-04-30

59,995,000

안xx

계약교수

DAS 방법을 이용한 전자 재료의 합성과 응용연구

한국연구 재단

2009-05-01~ 2011-04-30

97,350,000

엄xx

계약교수

속이동성 제공 기술 개발

ETRI

2008-03-01~ 2010-12-31

29,871,000

엄xx

계약교수

양자생물학 기반의 식품의 신선도 측정

한국과학영 재학교

2010-03-01~ 2010-12-31

22,850,000

엄xx

계약교수

극한환경에서의 이동단말 메쉬 원천기술 추가 개발

ETRI

2010-03-01~ 2011-02-28

300,000,000

63


이xx

계약교수

Portablex-ray 영상의 고화질 고속 장거리 전송 통신 시스템개발

㈜아스텔

2009-12-01~ 2011-04-30

113,000,000

이xx

계약교수

RF detector 회로기술 개발

(주)에이에 스비

2009-10-01~ 2011-01-30

22,000,000

이xx

계약교수

UHD 영상 신호 광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개발

전자부품연 구원

2010-04-01~ 2011-02-10

30,000,000

한xx

계약교수

nW급 극초전력 웨어크업 래디오 개발

한국연구재 단

2009-05-01~ 2010-04-30

56,980,000

한xx

계약교수

극소전력 wake-up 수신기 개발

㈜에스엔알

2009-07-01~ 2011-06-30

36,000,000

박xx

계약교수

충청권 패키징 산업육성 사업(1,2차년도)

재단법인 충북테크노 파크

2010.07.01~ 2012.04.30

130,000,000

이xx

계약교수

경락의실체, 프리모시스템 기능의 핵심인 Primo-Microcells(산알)의 구조와 생리적 기능규명 (1,2차년도)

한국연구재 단

2010.09.01~ 2012.08.31

97,858,000

백xx

계약교수

한국항공우 주연구원

2011.04.01~ 2011.12.31

30,000,000

조xx

계약교수

ETRI

2011.08.01~ 2011.12.31

30,000,000

진xx

계약교수

한국연구재 단

2011.09.01~ 2013.04.30

51,157,000

한국연구재 단

2011.09.01~ 2013.08.31

69,935,000

한국연구재 단

2011.09.01~ 2013.04.30

76,917,000

한국연구재 단

2012.05.01~ 2014.04.30

59,989,000

한국연구재 단

2012.09.01~ 2013.08.31

48,847,000

한국연구재 단

2012.09.01~ 2013.08.31

48,847,000

한국연구재 단

2012.09.01~ 2013.08.31

48,847,000

전기추진 비행기 동력원 을 위한 3차원구조 태양전 지 개발 기초 연구 고효율 광전모듈 패키징 연구 1 Peer-to-peer 네트워크 에서 이기적 행동을 극복 하는 incentive mechanism 개발 경락의 실체, 프리모 시스템 기능의핵심인 PrimoMicrocells(산알)의 구조와 생리적 기능 규명(2,3차년도) Peer-to-peer 네트워크에서 이기적 행동을 극복하는 incentive mechanism개발 스테레오스코픽 3D의 시각 피로 저감을 위한 Visual Comfort S3D Video 기술 나노와이어 기반 고효율 열전소자를 위한 포논 열 수송 시뮬레이터 개발 에너지 절감형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개발 주기적 홈 구조 없이 회절한계에 의한 빛의 퍼짐을 제어하는 나노 소자

이xx

계약교수

진xx

계약교수

정xx

계약교수

오xx

계약교수

이xx

계약교수

이xx

계약교수

조xx

계약교수

20Gbps 광전 PCB모듈 제작

ETRI

2012.06.14~ 2012.12.31

38,000,000

임xx

박사후연구 원

SOI CMOS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용 고선형 RF 스위치와 전력 증폭기 IC 구현

나노종합팹 센터

2012.09.01~ 2013.02.28

85,000,000

64


타. 신진연구인력 워크샵 개최 본 사업단은 신진연구인력 논문 저술 활동 진작 및 상호교류 증대를 위해 매년 신진연구인력 워크샵을 개최할 계획이다. 앞으로 매년 신진연구인력 워크샵을 개최하여 신진연구인력의 연구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65


5. 교육의 국제화 전략 <그림 II-5-1> 교육의 국제화 전략

5.1 교육 인프라의 국제화 현황

<표 9> 교육 인프라의 국제화 현황 최근 3년간 실적

T_ 1_3 :

T_1 _1:

항목

T_1 _2:

2010년

T_ 2_3 :

개설과목 수

T_ 3_2 :

T_3 _1:

D_3 _3:

외국어강의 수

외국어 강의

T_ 4_2 :

비율 (%)

T _5_ 2:

D_4 _3:

D_5 _3:

사업단 학과(부) 전임교수 수 외국인 전임교수 수

외국인 전임교수

D_6 _3:

비율 (%)

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수 외국인대학원생 수

D_8 _3:

외국인 대학원생

D_9 _3:

비율 (%)

T_ 11_ 2:

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학위논문 수 대학원생 외국어 작성 학위논문 수

66.32%

53

65.43%

D _5_ 5:

88

804

821

D _9_ 4:

-

D_1 0_3 :

D _10 _4:

0%

D_1 1_3 :

D _11 _4:

67.54%

D _5_ 6:

86

6

6.82%

181

D _4_ 6:

263

D _6_ 5:

D _6_ 6:

7

D _7_ 4:

D _8_ 4:

268

D _3_ 6:

D _4_ 5:

D _6_ 4:

6

T _10 _2:

81

63

D _5_ 4:

전체기간 실적

T_ 1_6 :

D _3_ 5:

D _4_ 4:

6.74%

T_ 9_2 :

T _9_ 1:

95

89

D_7 _3:

2012년

T_2 _5:

D _3_ 4:

65

T_ 7_2 :

T _8_ 2:

2011년

92

70.65%

T_ 6_2 :

T _6_ 1:

T_2 _4:

19

D _7_ 5:

D _7_ 6:

8.14%

7.22%

D _8_ 5:

878.5

D _9_ 5:

-

D _10 _5:

0%

D _11 _5:

D _8_ 6:

2,503.5

D _9_ 6:

-

0%

104

D_ 10_ 6:

4.15%

D_ 11_ 6:

T_ 12_ 2:

학위논문

T_ 12_ 1:

220

D_1 2_3 :

154

T_1 3_2 :

비율 (%)

T_ 14_ 2:

D _12 _4:

D_1 3_3 :

D _13 _4:

70%

D_1 4_3 :

D _14 _4:

66

252

D _12 _5:

161

63.89%

D _13 _5:

D _14 _5:

234

706

D_ 12_ 6:

163

69.66%

478

D_ 13_ 6:

67.71%

D_ 14_ 6:


5.2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① 대학원생 국제교류 가. 대학원생 해외 장기 연수 및 파견연구 최근 3년간 많은 대학원생이 2개월 이상 해외에 파견되어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장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해외 유명 대학 및 기관은 10여개 국가 25곳 이상이다 (<확장표 II-5-1> 참고). 장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연수기간 중 우수한 연구 실적을 보여 왔으며, 이러한 실적들은 많은 경우 우수 저널/학회에 출판/발표 되었다.

<확장표 II-5-1> 장기 연수 파견 해외 대학 및 기관 국

미주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시아

일본, 중국 싱가폴 등

유럽

네덜란드, 스위스 영국, 독일 등

해외 장기 연수 파견 대학 및 기관 University of Califonia, 일리노이대학교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cGill University University of Toronto Purdue University University of Texas CRC, MIT, IBM, NJIT, USC , UNT등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Panasinic Corporatio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stitute of Micronics 홍콩시립대학교, NICT(일본) Leiden University (네덜란드) 아헨공대(독일) Microsoft Research Cambridge Pushmeet Kohli EPFL 로잔공대 (스위스)

최근 3년간 장.단기 해외 연수실적은 총 400건이 넘고 있다 (<확장표 II-5-2> 참고). 앞으로 대학원생의 교육․연구의 국제화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유명 연구기관 및 대학에 연수를 적극 유도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위해 전공별로 공동 연구협력을 체결한 해외 저명 연구기관에 대학원생을 적극적으로 파견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2> 대학원생 국제교류 현황 구 분 대학원생 해외 단기연수 및 파견연구 대학원생 해외 장기연수 및 파견연구

(단위 : 건) 최근 3년간 실적

전체기간 실적

2010년

2011년

2012년

81

159

159

399

10

0

13

23

나. 외국 저명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네트워크(Global Research Network) 구축 ■ 대학원생 연구의 국제적 수월성 제고를 위해 국제 공동연구 및 장․단기 파견연구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외국

67


저명 대학 및 연구기관과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Global Research Network)를 구축한다. ■ 형식적인 각서교환에 그치는 협력관계가 아닌 교수/연구원/학생 교류, 공동연구, 정보교환, 공동 Workshop 개최 등 실질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한 기관과 협력관계를 수립토록 한다. ■ 이를 위해서 기관 대 기관의 협력관계 수립 방식 보다는 각 연구실 단위 또는 연구그룹 단위로 실질적인 협력 파트너를 찾아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아가며 매년 초 협력 단위별로 공동연구 및 인적교류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하고 이를 평가하여 선별 지원한다. ■ 각 연구실 및 연구그룹 단위로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수립한 해외 연구 그룹100건이 넘으며, 자세한 내용은 <확장표 II-5-3> 에서 보여주고 있다.

<확장표 II-5-3> Global Research Network 구축 현황 및 계획 해외협력 기관 Univ. of California at San Diego (UCSD) MAVC optiva media Mobile Interactiva 한동 LNC Princeton University Cornell University Univ. of Alabam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olombia University IMEC University of Nortre Dame IT University of Copenhagen Univ. of

Toronto

국가

(단위 : 건)

상대조직책임자및 교수

연구분야

담당교수

수립여부

박철순

기수립

F. Garcillan G.T. Cristina M.B.Rubin 반양록 Vivek S. Pai 박지웅 홍양기

박철순 박철순 박철순 박철순 박경수 최성율 박성욱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U.S.A

전기전자

P. Asbeck

스페인 스페인 스페인 대한민국 USA U.S.A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나노 소재 전기전자

Singapore

화학

LOH Kian Ping

조병진

기수립

US Belgium

물리 전기전자

Philip KIM Micro CANTORO

조병진 조병진

기수립 기수립

US

전기전자

Wan Sik HWANG

조병진

기수립

Danmark

전기전자

김종환

기수립

Canada

전기전자

Georgios Yannakakis Konstantinos N. Plataniotis

노용만

기수립

Communication Research Center Canada Ghent Univ Qualcomm UCSD

Canada

전기전자

Bernad Caron

노용만

기수립

Belgium USA USA

Rik Van de Walle Chong Lee Bang-Sup Song

노용만 류승탁 류승탁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KTH

스웨덴

Alexandre Proutiere

이융

기수립

Princeton Univ Rice Univ

미국 미국

Mung Chiang Edward Knightly

이융 이융

기수립 기수립

KTH

스웨덴

조정우

이융

기수립

NICT NEC labs America Khalifa Univ.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Harvard University

Japan U.S.A U.A.E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Cross-layer optimization 및 WiFi rate adatpation Adaptive CSMA Adaptive CSMA Internet Ecosystem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Naoya Wada Ting Wang Peng-Yong Kong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USA

전기전자

Osvaldo Simeone

강준혁

기수립

USA

전기전자

Vahid Tarokh

강준혁

기수립

68


University of Maryland Microsoft Research Asia Microsoft Research NASA Fuji Xerox University of Tokyo Osaka University Université de Picardie Jules Verne Département d'informatique de l'ENS Carnegie Mellon Univerisity Leiden University Ecole Polytechnique Federal de Lausanne (EPFL) University College London

USA

전기전자

K. J. Ray Liu

강준혁

기수립

중국

컴퓨터비전

Yi Ma

권인소

기수립

미국 미국 미국 일본 일본

컴퓨터비전 컴퓨터비전 컴퓨터비전 컴퓨터비전 컴퓨터비전

Richard Szeliski Terry Fong David Lee Katsushi Ikeuchi Yasushi Yagi

권인소 권인소 권인소 권인소 권인소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프랑스

컴퓨터비전

Pascal Vasseur

권인소

기수립

프랑스

컴퓨터비전

Jean Ponce

권인소

기수립

미국

컴퓨터비전

Takeo Kanade

권인소

기수립

네덜란드

high-field fMRI

R. Itamar

김대식

기수립

스위스

haptic feedback BCI

J.Millan

김대식

기수립

K.Friston

김대식

기수립

P.Fletcher

김대식

기수립

J.H. Lee

김대식

기수립

I. Kahn

김대식

기수립

영국

Cambridge

영국

Stanford

미국

Technion

이스라엘

National Taiwan University Shizuoka University Panasonic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Tohoku

University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eorgiaInstituteofTec hnology Qualcomm Silicon Image XILINX Institute of Automation (IAT) in Bremen University Carnegie Mellon University, Robotics Institute Wichita State University HUT(Hanoi university of Technology) SJTU(상해교통대) MIT UC Berkeley

predictive coding clinical neuro-robotics optogenetics optogenetic fMRI and neuromorphic modeling

Taiwan

전기전자

Tzong-LinWu

김정호

기수립

Japan Japan

전기전자 전기전자

Hideki Asai Yuki Fukumoto

김정호 김정호

기수립 기수립

Japan

전기전자

Toshio Sudo

김정호

기수립

Japan

전기전자

Masahiro Yamaguchi

김정호

기수립

USA

전기전자

James L. Drewniak

김정호

기수립

USA

전기전자

Rao R Tummala

김정호

기수립

USA USA USA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Thomas R. Toms Jaemin Kim Joong-ho Kim

김정호 김정호 김정호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독일

전기전자, 컴퓨터 비전

Axel Gräser 교수

정명진

기수립

미국

로봇, 기계, 전자

Christopher G. Atkeson

정명진

기수립

USA

전기전자

Hyuck M. Kwon

박현철

기수립

베트남

전기전자

Nguyen Huu Thanh

박홍식

기수립

중국 미국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Weiqiang Sun Lizhong Zheng David Tse

박홍식 서창호 서창호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69


UC Berkeley

미국

전기전자

EPFL UIUC UCLA Cornell UT-Austin Tohoku University Tohoku University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of China (USTC) University of Keio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incetonUniversity University of Maryland texas A & m university The Univ. of Texas at Austin The Univ. of Texas at Austin Purdue University The Univ. of Texas at Dallas Univ. of California at San Diego Friedrich Alexander University (FAU) Friedrich Alexander University (FAU)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urdue University Univ. Massachusetts Industrial Research Ltd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스위스 미국 미국 미국 미국 Japan Japan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Kannan Ramchandran Michael Gastpar Pramod Viswanath Suhas Diggavi Salman Avestimehr Alex Dimakis Nei Kato Nei Kato

China

전기전자

X.M.Zhang

Univ. of

Plymouth

RikenBrainScienceInst ., UniversityofTübingen, Waseda Bielefeld

University University

Indiana University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기수립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성단근 성단근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성단근

기수립

Japan

전기전자

Massahiro

America

전기전자

Lizhong

America

전기전자

America

전기전자

H. Vincent Poor A n t o n y Ephremides

성영철

기수립

America

전기전자

Shuguang

성영철

수립예정

U.S.A.

전기전자

U.S.A.

전기전자

U.S.A.

전기전자

U.S.A.

전기전자

U.S.A.

전기전자

Germany

전기전자

Germany

전기전자

Hong Kong

Yukawa

서창호

Zeng

Cui

Prof. Jeffrey G. Andrews Prof. Robert Heath Prof. David Love Prof. Aria Nosratinia

성영철

기수립

성영철

기수립

성영철

기수립

최완

기수립

최완

기수립

최완

기수립

최완

기수립

Prof. Bhaskar Rao

최완

기수립

Prof. Robert Schober Prof. Robert Schober

최완

기수립

최완

기수립

전기전자

Prof. Kaibin Huang

최완

기수립

Singapore

전기전자

Prof. Rui Zhang

최완

기수립

미국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Gerhard Klimeck Ting-wei Tang

신민철 신민철

기수립 기수립

뉴질랜드

전기전자

Vladimir Bubanja

신민철

기수립

HONGKONG

전기전자

Zhiyong Fan

유경식

수립중

UK

Neuro-dynamic modeling

Angelo Cangelosi

Jun Tani

기수립

Japan

Neuro-robotics

Tomoki Fukai

Jun Tani

기수립

German

Neuro-robotics Neuro-dynamics modeling Neuro-dynamic modeling Neuro-robotics Neuro-robotics studies based

Martin Butz

Jun Tani

기수립

Shigeki Sugano

Jun Tani

기수립

Britta Wrede

Jun Tani

기수립

Randal Beer

Jun Tani

기수립

Huajin Tang

Jun Tani

기수립

Japan German USA Singapore

70


Institute of Cognitive Sciences and Technologies CNR

Italy

Institute of Computer Science (FORTH)

Greece

교토 및 동북 대학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일본 Singapore

Rice

university

KDDI R&D Lab., Inc. Alcatel-LucentBellLab .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v. of Southern California U.C Davis

Jun Tani

기수립

Panos Trahanias

Jun Tani

기수립

후미유키 아다치

한영남

기수립

Michael S. Brown

유윙타이

기수립

Computer Science

Chi-Keung Tang

유윙타이

기수립

China

Computer Science

Lolan Song

유윙타이

기수립

UAE

전기전자

윤준보

기수립

Japan

뇌공학

Masao Ito

이수영

기수립

Italy

뇌과학

Francesco Bistoni

이수영

기수립

Italy

뇌과학

Francesco Beltrame

이수영

기수립

Japan

뇌공학

Kazumasa Nishio

이수영

기수립

Swiss

뇌공학

Rodney Douglas

이수영

기수립

전기전자

이인종

정송

기수립

전기전자

은도영

정송

기수립

전기전자

Nardelli, B.

정송

기수립

University

RIKEN Brain Science Institute Univ. of Perugia Information and Communicaiton Technologie (ITC) / Department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Italy (CNR)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Institute of Neuroinformatics,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ETH) & Univ. of Zurich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Stefano Nolfi

China(Hong Kong)

Microsoft Asia Khalifa

on dynamic system approach Neuro-robotics studies based on dynamic system approach Neuro-robotics studies based on dynamic system approach 이동통신 Computer Science

United States United States United States Japan

TodLaursen, MuratKayaYapici

전기전자

Masatoshi

USA

전기전자

robert

China

전기전자

USA

전기전자 USA

BioInformatics

Suzuki

정윤철

기수립

tkach

정윤철

기수립

Feng

Zhiyong

정윤철

기수립

Alan

E. Willner

정윤철

기수립

조기호

조동호

기수립

다. 논문외부심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박사학위논문심사위원 5인 중 1인 이상을 타학과 또는 외부전문가를 활용 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논문 심사 시 외부 심사위원은 총 229명이 위촉이 되었고 외부 전문가 위촉율은 21%이다 (<확장표 II-5-4> 참고) 앞으로 외국인 전문가가 논문심사에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 공동 연구

71


네트워크를 활용한 방문 연구 및 공동 연구를 권장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4> 논문심사시 외부 심사위원 비중

(단위 : 명) 최근 3년간 실적

구 분

전체기간 실적

2010년

2011년

2012년

논문심사 학생 수

71

70

77

218

총 심사위원 수

355

350

385

1,090

외부 심사위원 수

82

88

59

229

외부 전문가 위촉 율(%)

23.1

25.1

15.3

21.0

② 외국대학과의 복수공동학위 프로그램 해외 우수 대학들과 공동으로 학위과정을 개발하거나 협정에 정한 양교의 학위 이수 요건을 충족한 학생들 에게는 복수공동학위 수여하고 있다. <확장표 II-5-5>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KAIST의 복수 공동학위프로 그램 협정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BK21 플러스 국제화 자원 및 KAIST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앞으로 해외 우수 대학들과의 복수공동학위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확장표 II-5-5> 복수공동 학위프로그램 협정 현황 국

덴마크 독일

협력대학명

과정

유치/파견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석사

2/2

석사

4/0

Karlsruhe Istitute

of Technology

독일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석사

10/4

독일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석사

-

미국

Carnegie Mellon University

석박사

-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석사

0/1

미국

Iowa State University

박사

0/3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MBA

0/3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MBA,석사

20/2

미국

University of Arizona

석사

0/1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석사

0/10

미국

University of Rochester Sim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MBA

0/5

미국

University

석사

0/29

MBA

-

박사

-

스페인 싱가포르

of Southern California

Instituto de Empresa Business School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72


영국

City of London University(CASS)

MBA

0/19

중국

Harbin

학사

-

Institute of Technology

중국

Nanjing University

MBA

-

프랑스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Mines de Saint-Étienne

석사

1/1

프랑스

Ecole Polytechnique

석박사

-

프랑스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ées de Lyon

석사

2/0

프랑스

Institut National des Telecommunication (TEM)

석사

1/0

프랑스

Paris Institute of Technology

석박사

-

프랑스

University of Technology at Belfort-Montbéliard

석박사

-

호주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MBA

-

홍콩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박사

0/3

③ 대학원생 단기 해외연수 및 학술대회 참석 가. 교환학생 해외 파견제도 최근 3년간 다양한 교환학생 해외 파견제도를 운영하여 2010년도 26개국 95개 기관 504명, 2011년도 23개국 85개 기관 314명, 2012년도 27개국 99개 기관으로 364명을 파견하였다 (<확장표 II-5-6> 참고). 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파견 경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우수한 협력 대학 발굴로 다양한 국가와 학교 선택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외국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확장표 II-5-6> 학생파견 현황 연도

학점교류

연구인턴

논문연구

연수 및 기타 파견

합계

2010

204

20

35

245

504

2011

196

10

34

74

314

2012

228

12

46

78

364

나. 우수 국제 학술 대회 참석 지원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저명 국제학술대회에 대학원생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여 인지도를 향상시켜왔고, 그 결과 많은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국제 학술대회 참석은 학술 논문 발표를 우선적으로 지원하되, 국제 학술 대회의 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지원한다. 또, 각 학술 대회의 acceptance

73


rate (발표 논문수/투고 논문수)를 확인하여 학술 대회의 등급을 매년 보완함으로써 우수한 학술대회의 참여를 유도한다. ④ 해외석학 초빙 및 활용 계획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국제교류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해외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초빙하여 연구 성과 교류, 대학원생 지도, 학과운영자문 등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2012년의 경우 86명의 해외 석학을 초빙하였 으며, 또한 같은 해 학과 교수가 193회 해외로 파견 되었다. 해외 석학 초빙 및 활용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할 계획이다. ■ 학기단위의 단기 초빙교수뿐만 아니라 2~3년 단위의 장기교수 초빙을 적극 추진하여 해외 저명 연구자들을 대학원생의 연구 및 교육에 적극 활용한다. ■ 연구연가 (Sabbatical Leave)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사업단 교수의 해외 유수 연구기관, 기업체 및 대학에의 장기 파견을 적극 유도하며, 파견 시 대학생원생과의 공동 파견을 적극 권장함으로서 실질적인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 되도록한다. ■ 개별적인 교환교수 파견 및 외국 교수 초빙 외에 공동연구 협력체결기관을 중심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교환/초빙교수제를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 해외 초빙 교수는 1차년도 86명을 시작으로 매년 3% 늘려 초빙할 계획이다. 해외 파견 교수는 1차년도 193명 을 시작으로 매년 5% 늘려 파견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7> 참고)

<확장표 II-5-7> 해외 교수 초빙 및 파견 계획 항 목

(단위 : 명) 연도별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연평균 증가율

해외초빙 교수 수

86

88

91

93

96

99

102

3%

해외파견 교수 수

193

202

212

223

234

246

258

5%

* 초청세미나, Global lecture 및 연구연가 포함

⑤ 교육 인프라 향상 계획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 자원과 대학차원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수준을 실 질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 확대, 외국인 전임 교수 비율 향상, 외국 인 학생 비율 향상, 학위 논문 영어 작성 비율 향상등에 주력한다. 또한 세계적인 연구그룹과의 교류 협력이 일상화 되도록 하고, 국제공동연구, 국제워크샵(세미나), 영어 강의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국제화를 고양 시킨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금 뿐만 아니라 정부, 본 대학, 그리고 해외 협력 국가의 지원을 받아서 대학원 교육 및 연구의 국제화 사업과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74


가.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 향상 계획 현재 65.4%인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을 점차 확대하여, 2019년까지 85% 영어강의를 실시한다 (<확장표 II-5-8> 참고). 구체적으로 영어 강의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영어 강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학원생 영어 클리닉 운영, 교수를 위한 영어 강의법 세미나 개최등을 통하여 영어 강의 비율 및 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세계적인 수준의 국제화 교육에 필요한 새로운 영어교재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교재개발 연가제도, 강의면제, 교재개발비 지원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영어교재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대학원 지원자들 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TOEFL 또는 상응하는 영어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입학사정에 중요한 기준으로 반영하여 영어 능력 향상을 유도한다.

<확장표 II-5-8> 대학원생 영어 강의 비율 계획 항 목

대학원 영어 강의 비율

(단위 : %) 연도별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65.4

68

71

74

78

81

85

연평균 증가율 4.5%

* 2013년 전체 강의 81 중 53 영어강의

나. 외국인 전임교수 비율 향상 계획 사업단의 성장 핵심 분야의 기술 흐름을 주도할 우수한 외국인 전임교수를 임용하여 사업단의 교육․연구 능력을 국제화시키고 이를 통해 미래의 글로벌 무한경쟁을 이겨낼 수 있는 졸업생 양성에 활용한다. 현재 8명인 사업단의 외국인 교수 수를 2019년까지 12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9> 참고). 외국인 전임교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상시초빙제도, 인터넷 및 학술잡지 등을 통한 홍보, 해외출장 등을 통한 개별적인 접촉, 현 소속기관 겸직 허용, 선진국의 해당 분야/전공에 뒤지지 않는 처우 및 연구비 지원등의 방안을 시행 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9> 외국인 교수 채용 계획 항 목

외국인 교수

(단위 : 명) 연도별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8

9

10

10

11

11

12

연평균 증가율

5%

다. 학위 논문 외국어 작성 비율 향상 계획 현재도 석, 박사의 경우 대부분 학위논문을 영어로 작성하고 있으나 이를 더욱 확 대하며 박사 학위논문의 영어작성을 의무화하고 석사 학위논문의 영어작성을 권장한다.

75


⑥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계획 가. 외국인학생에 대한 재정적 지원 현재 외국인 신입생의 경우 납입금 및 기성회비가 전액 면제 되며, 재학생의 경우 성적을 감안하여 외국인 학생 장학심의회에서 면제 여부를 결정하는 등 많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앞으로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 지원 을 이용하여 이러한 재정적 지원을 더욱 확대하여 우수 외국인 학생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나. 기타 외국인학생 유치 노력 위와 같은 재정적 지원 외에도 우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 중이다. ■ 홈페이지 입학 요강 게재 및 신청자에게 입학안내자료/입학원서 직접 우송 ■ 각 나라를 대표하는 외국 우수대학에 KAIST소개 포스터를 제작 발송 ■ 국립국제교육원과 협조하여 정부초청장학생에게 입시 안내자료 교부 ■ 북경대 조선문화연구소 연락사무소 활용 우수 학생 유치 ■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정부추천 외국인 학생 유치 노력 ■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 측에 정부초청장학생 배정요청 다. 외국협력대학과의 교환학생 유치 KAIST에서는 외국 협력 대학과의 활발한 교환학생 유치를 통하여 KAIST를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인적 네트워 크를 형성하고 캠퍼스 내 다양한 국가 문화 체험 및 교류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2010년도 27개국 72개 기관 313명, 2011년도 27개국 71개 기관 276명, 2012년도 27개국 85개 기관으로부터 348명을 유치하였으며 (<확장표 II-5-10>참고) 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시행 중이다. ■ 외국대학과의 학생교환협정을 통해 학비 상호 면제 ■ 전략적 협력대학 학생들에게 장학금 지급 등의 혜택을 부여 ■ 단 한명의 외국인 학생이 있을 경우에도 영어로 강의 ■ 한국 생활 문화 체험 기회 제공, KAIST 학생들과 교류 활성화 ■ 외국인학생을 위한 체육대회, 음식축제(Food Festival), Field Trip, 한국어 말하기 대회, KAIST 학생 동아리 활동 참가 ■ KAIST 외국인학생 지원 봉사단체(ISO: International Students Organization) 운영 <확장표 II-5-10> 학생유치 현황 연도

(단위 : 명)

학점교류

연구인턴

논문연구

합계

2010

292

20

1

313

2011

259

16

1

276

2012

323

24

1

348

76


⑦ 기타 대학원 국제화 실적

■ 영어 교재 및 영문 Book Chapter 저술 실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지금까지 총 26권의 영문 교재와 70여건의 영문 Book Chapter 저술 실적이 있다 (<확장표 II-5-11>, <확장표 II-5-12> 참고). 영문 교재 및 영문 Book Chapter 저술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등을 통하여 앞으로 이를 더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확장표 II-5-11> 영문 저서 발행 연도

출 판 사

공동저자

1992

K l u w e r Academic Publishers

L. Richard Carley

1997

Springer and Verlag

김종환

Special Issue First Micro-Robot World Cup Soccer Tournament, MIROSOT

1997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영문저서

김종환

Evolutionary Programming VI: EP97 Indianapoli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997

SpringerBerl in/Heidelber g

영문저서

김종환

Evolutionary Programming VII: EP98 San Diego,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998

Springer Berlin/ Heidelberg

영문저서

김종환

Lecture Notes in Artificial Intelligence(LNAI 1585)

1999

Springer and Verlag

영문저서

김탁곤

Theory of Modeling and Simulation (2nd Edition)

2000

영문저서

엄효준

Wave Scattering

영문저서

송익호

Advanced Theory of Signal Detection: Weak Signal Detection in Generalized Observations

영문저서

김종환

영문저서

성단근

영문저서

엄효준

영문저서

김종환

영문저서

권인소

영문저서

김대식

영문저서

김용대

교수명

영문저서

문재균

영문저서

김종환

Lecture Not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imulated Evolution and Learning

영문저서

Sequence High-Density

Detection for Storage Channels

Soccer

Theory

2001

Robotics

A General Expansion Architecture for Large-Scale Multicast ATM Switches Electromagnetic Wave Theory for Boundary-Value Problems Computational Intelligence, Theory and Applications Object Identification and Categorization with Visual Context Principles and Advanced Methods in Medical Imaging and Image Analysis (Eds.) Proceedings of the 2008 ACM

77

Academic Press Springer (독일)

Xin

Yao, Takeshi Furuhashi -

Peter J. Angeline, Robert G. Reynolds, John R. McDonnell, Russ Eberhart V.W. Porto, N. Saravanan, D.Waagen, A.E. Eiben Bob McKay, Xin Yao, Charles S. Newton, Takeshi Fuhashi BernardP.Zeigler,He rbertPraehofer JinsooBae, SunYongKim

2002

Springer-Ver lag

2004

Springer Verlag

Dong-Han Kim, Yong-Jae Kim, Kiam-Tian Seow

2004

Marcel Dekker(미국)

Sung Hyuk Byun

2004 2006 2008 2008 2008

Springer (독일) Springer Berlin VDM Verlag Dr. Mueller e.K. (독일) W o r l d Scientific (싱가포르) ACM

Reusch, Bernd Sungho Kim Atam P. Dhawan, H.K. Huang William Yurcik


Workshop On Storage Security And Survivability

영문저서

송익호

영문저서

유회준

Signals

and Systems with MATLAB

Low-PowerNoC forHigh-Performance SoCDesign Trends

in Intelligent Robotics

2008

Hongreung Science

WonY.Yang, TaeG.Chang, YongS.Cho, J.Heo, WonG.Jeon, JeongW.Lee, JaeK.Kim

2008

CRC Press(미국)

Lee,Kangmin,Kim,Kyu ng-jun

2010

Springer

Vadakkepat,P.;Jesse ,N.;AlMamun,A.;Kion g,T.K.;Baltes,J.;An derson,J.;Verner,I. ;Ahlgren,D.

영문저서

김종환

영문저서

성단근

Coexistence Issues between Zigbee and Other Networks in 2.4GHz Band

2010

Auerbach Publication( 미국)

Jo Woon Chong and Su Min Kim

영문저서

유회준

Mobile3DGraphicsSoC FromAlgorithmtoChip

2010

Wiley(미국)

Jeong-ho Woo, Ju-ho Sohn, Byeong-gyu Nam

영문저서

최양규

영문저서

경종민

영문저서

권인소

영문저서

권인소

영문저서

유회준

Investigation on Schottky-Barrier MOSFETs for Memory Application Energy-Aware System Design Catadioptric Vision for Robotic Applications: From Low-Level Feature Extraction to Visual Odometry Metric Invariants for Camera Calibration: Designing algorithms from algebraic rank analysis Bio-Medical

CMOS Ics

2010 2011 2011

2011 2011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Springer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독일)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독일) Springer Verlag(독일)

최성진 유승주 Jean-Charles Bazin

junsik Kim Chris van Hoof

<확장표 II-5-12> Book Chapter 구

교수명

Book Chapter

김탁곤

Book Chapter

이창희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이준구 Jun Tani 김탁곤

Book Chapter

김탁곤

Book Chapter

이준구

The DEVS-Scheme Simulation and Modelling Environment Encyclopedia of Lasers and Optical Technology"Semiconductor injection lasers" Ultrafast Phenomena IX"Dynamics of coherently excited semiconductor microcavities, chapter" A dynamical systems approach for a learnable autonomous robot Reusable Simulation Models in an Object-Oriented Framework DEVS Framework for Modelling, Simulation, Analysis, and Design of Hybrid Systems Ultrafast Phenomena X"Coherence transfer in exciton-exciton scattering in a semiconductor microcavity, Chapter"

78

발행 연도

출 판 사

공동저자

1991

Springer Verlag

Tag Gon Kim

1991

Academic Press

P.J.

Delyfett

T.B. Norris, Y. Arakawa, M. Nishioka, C. Weisbuch

1995

Springer

1995

The Press

1996

IEEE Press

Tag

1996

Springer Verlag

Tag Gon Kim, Bernard P. Zeigler

1997

Springer

MIT

Fukumura N. Gon Kim, Myung Soo Ahn

T.B. Norris, M. Nishioka, Y. Arakawa


Book Chapter

이준구

Ultrafast Phenomena X"High-resolution ultrafast laser pulse shaping for quantum control and terabit-per-second communications, Chapter" Chapter 10: Robust ILC with Current Feedback for Uncertain Linear Systems, Interative Learning Control: Analysis, Design, Integration and Applications Frontiers of Laser Physics and Quantum Optics"Photon bunching and multi-photon interference between independent parametric down-conversion processes, Chapter" Neural Network Systems Technique in the Intelligent Control of Chemical Manufacturing Plants Quantum Communication, Computing, and Measurement 2"Four-photon partition at beam splitter in parametric down-coversion with pulsed pumping, Chapter"

1997

Springer

J.X. Tull, M.A. Dugan, W.S. Warren

1998

K l u w e r Academic Publisher(미 국)

T.Y. Doh, M.J. Chung, Edited by Z. Bien, J.-X. Xu

1999

Springer

Z.Y.

2000

CRC Press

Sung Hoon Jung, Tag Gon Kim, Kyu Ho Park

2000

Kluwer

Z.Y.

2001

Springer Verlag

Wan Bok Lee, Tag Gon Kim, and Seong Myun Cho

IOS Press(네 덜란드)

D.H. Kim, J.H. Kim, M.J. Chung, edited by M. Mokhtari

J O H N WILEY&SONS,L TD C R C Press/IEEE Press (1st & 2nd ed.)

Yanglim Choi, Chee Sun Won, B. S. Manjunath

Book Chapter

정명진

Book Chapter

이준구

Book Chapter

김탁곤

Book Chapter

이준구

Book Chapter

김탁곤

Discrete Event Modeling Simulation echnologies

Book Chapter

정명진

Chapter 4: Human-Machine Interface-An Eye-Gaze Tracking System for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Integr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Age

2001

Book Chapter

노용만

Introduction MPEG-7(multimedia description interface)

2002

Book Chapter

문재균

Magnetic Storage

2002

Book Chapter

송익호

2002

Wiley

Book Chapter

Jun Tani

Encyclopedia of Telecommunications A connectionist model which unifies the behavioral and the linguistic processes. In Mirror neurons and the evolution of brain and language, 42, pp. 363-376

2002

J o h 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Sugita Y.

Book Chapter

문재균

Modeling the

2004

C R C Press/IEEE Press

2004

Springer-Ver lag(영국)

D.H. Yoo, H.S. Hong, H.J. Kwon, M.J. Chung, edited by Z. Zenn Bien, D. Stefanov

2004

The Press

2005

Kluwer

Book Chapter

정명진

Book Chapter

Jun Tani

Book

이준구

and

to content

Recording Channel

Chapter 20: Human-Friendly Care Robot System for the Elderly, Advances in Rehabilitation Robotics, Lecture Notes in Control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306 Aholisticapproachtocompositional semantics:aconnectionistmodeland robotexperimentspp.969-976 Photonic switching"Liquid

79

Ou, L.J. Wang

Ou, L.J. Wang

So Ryoung Park

MIT

Sugita Y. J.M.

Harris, R.


Chapter Book Chapter

성영철

Book Chapter

유회준

Book Chapter

김탁곤

Book Chapter

이수영

Book Chapter

Book Chapter

정명진

정명진

Book Chapter

정명진

Book Chapter

조동호

Book Chapter

조동호

Book Chapter

최완

Book Chapter

노용만

Book Chapter

이수영

Book Chapter

이수영

Book Chapter

이수영

Book Chapter

김대식

crystal technology in photonic switching applications, Chapter 6" Space-Time Wireless Systems: From Array Processing to MIMO Communications NetworksonChips:TechnologyandToo ls Ch.3.PhysicalNetworkLayeraand Ch.9.DesignsandImplementationsof NoC-BasedSoCs DEVS Formalism for Modeling of Discrete-Event Systems ChallengesforComputationalIntell igence:StudiesinComputationalInt elligence(ArtificialBrainandOffi ceMateTRbasedonBrainInformationPr ocessingMechanism) Chapter 5: Work Assistive Mobile Robot for the Disabled in a Real Work Environment, Rehabilitation Robotics Mobile Platform-based Assistive Robot System, Smart Technology for Aging, Disability, and Independence: Computer and Engineering Design and Application Chapter 11: A Facial Expression Limitation System for the Primitive of Intuitive Human-Robot Interaction, Human-Robot Interaction Mobility support for IEEE 802.16e System Cross-LayerDesigninWirelessMAN MetropolitanArea Networks: Mobile WiMAX Theoretical limits of cellular systems with distributed antennas Multimedia Transcoding in Mobile and Wireless Networks Advances in Cognitive Neurodynamics (chapter 156: Mark Design and Recognition in Blind-Guiding System) Advances in Cognitive Neurodynamics (chapter 126: HMM-Based Top-Down Attention for Noise-Robust Speech Recognition) Advances in Cognitive Neurodynamics (Chapter 113: Unsupervised Extraction and Supervised Selection of Features Based on Information Gain) Diffusion Tensor Imaging in Developmental Clincal Neuroscience

80

Lindquist, J.A. Webb 2006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국)

Tae-Eung Sung, Brian M. Sadler and Lang Tong

2006

M o r g a n Kaufmann(미 국)

KangminLee,Se-joong Lee, Kwan-ho Kim

2007

Chapman Hall/CRC

2007

Springer

2007

I - T e c h Education A n d Publishing (호주)

H.S. Hong, J.W. Kang, M.J. Chung, edited by S. S. Kommu

2007

John Wiley & Sons(미국)

Z. Bien, M.J. Chung et al., edited by A. Helal, M. Mokhtari, B. Adbulrazak

2007

I - T e c h Education A n d Publishing (호주)

D.H. Kim, K.H. An, Y.G. Ryu, M.J. Chung, edited by Nilanjan Sarkar

2007

CRC

최현호

2007

CRC

권태수

2007

Auerbach Publications , Taylor & Francis Group(미국)

J.

2008

IGI Global

TruongCongThang

2008

Springer

Jihong Liu, Guannan Shao, Xinhe Xu

2008

Springer

Chang-Hoon Lee

2008

Springer

Chandra Shahard Dhir, Paresh Chandra Barman, Sangkyun Lee

2009

Cambridge University Press(영국)

&

Tag

Gon Kim

-

G. Andrews

-


Book Chapter

김문철

Book Chapter

노용만

Book Chapter

신민철

Book Chapter

유회준

Book Chapter

유회준

Book Chapter

김탁곤

Book Chapter

노용만

Book Chapter

배현민

Book Chapter

성단근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정윤철 최양규 한민수

A Target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TV Viewer’s Profile Reasoning Advanced signal processing Theory and Implementation for sonar, radar, and non-invasive medical diagnostic systems Quantum Simulations of Ballistic Nanowire Field Effect Transistors CircuitsattheNanoscale *Ch.28.UnifiedComputerArithmetic forHandleheldGPUs EmbeddedMemoriesfor Nano-ScaleVLSIs *Ch.2.EmbeddedMemoryArchitecture forLow-PowerApplication Discrete-Event Modeling and Simul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Intelligent Multimedia Analysis for Security Applications Signal processing for high speed links HSDPA/HSUPA Handbook (Chapter 10: Performance Evaluation of HSDPA/HSUPA Systems) Optical

Performance Monitoring

Advances in Solid State Circuit Technologies Expanding the Scope of Instant Messaging with Bidirectional Haptic Communication

2009

Springer (독 일)

임정연, 김문조, 이범식, 이희경, 이한규

2009

CRC press

Sung Ho Jin, Konstantinos N. Plataniotis

2009

Springer

-

2009

CRC Press(미 국)

Byeong-Gyu Nam, Hyejung Kim,

2009

Springer Verlag(독일)

Donghyun Kim

2010

CRC Press

Chang

2010

Springer

Hosik Sohn, Konstantinos N. Plataniotis

2010

Springer

Naresh Shanbhag

2010

CRC Press(미 국)

2010

Academic Press

2010

Intech

2010

I N - T E C H publisher

김영재

Ho Sung

Junsu Kim Calvin

C. K. Chan

Paul K. Chu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유승주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김정수,유승주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김재문,김기원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강경수,유승주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나상권

김문철

2011

InTech 국)

2011

INTECH

신영수

Object Tracking and Indexing in H.264/AVC Bitstream Domains Functional Magentic Resonance Imaging / Book 1 Low-Power Circuits: from System-Level Perspective

2011

Springer

Book Chapter

윤기완

A

2011

Book Chapter

이융

Next-Generation Architecture and

이융

Green Communications: Theoretical Fundamental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Book Chapter

박현욱

Multi-Classifier Approach for WiFi-Based Positioning System Internet Protocols

81

2011

2011

(미

SpringerScie nce+Business MediaB.V.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C Press

HouariSabirin Chong-MinKyung, SungjooYoo Jikang Shin,Suk Hoon Jung,Dongsoo Han Mung

Chiang

Kyuho Son, Hongseok Kim, Bhaskar Krishnamachari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최양규

NewPerspectivesinBiosensorsTechn ologyandApplications

2011

Intech

Pier Andrea Serra

최양규

Flash

2011

Intech

Igor S. Stievano

Memories

Book Chapter

Jun Tani

Book Chapter

유윙타 이

Partial information relaying and relaying in 3GPP LTE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LTE-Advanced Chapter 7, Schemata Learning. In Perception-Action Cycle (pp. 219-241) Image Restoration: Fundamentals and Advances

Book Chapter

정송

Mobile Ad Hoc Networking: the Cutting Edge Directions

최완 최완

in

2011 2011

Cambridge(영 국) Cambridge(영 국)

D.

I. Kim, H. Seo and B.-H. Kim S.-R. Cho, Y.-J. Ko and J.-Y. Ahn

2011

Springer New York

Nishimoto, R.

2012

CRC Press(미 국)

Michael Brown

2012

Wiley R i v e r Publishers Series in Communicatio ns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S.Basagni,M.Conti,S . Giordano and I. Stojmenovic

Book Chapter

조동호

Wireless Power Transfer On-Line Electric Vehicle

Book Chapter

조병진

NONVOLATILE MEMORIES-Materials, Devices and Applications

2012

Book Chapter

최양규

Biosensors

2012

CSC Press

Book Chapter

최완

2012

Ben Tham Science Publishing(U .A.E)

-

Book Chapter

이창희

2013

Academic Press

Ivan Kaminow, Tingye Li, Alan E. Willner 외 다수

Book Chapter

최양규

2013

Springer

DavidIssadore,Rober tM.Westervelt

Book Chapter

성영철

20 13 ( 발 행예 정)

홍릉과학출판 사

and Cancer

Multiuser and spatial diversity in OFDMA systems with cochannel inteferencefor Future Wireless Systems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VIB: Systems and Networks"FTTX Worldwide Deployment" Point-of-Care Diagnostics on a Chip NextGenerationTacticalInformatio nand Communication

82

2012

안승영, 김정호

Tseung-Yuen Tseng, Simon M. Sze Victor R. Preedy, Vinood Patel

-


6. 사업단의 연구비전 및 달성 전략

6.1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그림 II-6-1>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의 연관성

83


①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비전 ○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연구를 통하여 전자통신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함양하고 IT 융복합 기술 확산으로 미래 신산업을 창출한다.

②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방향 ○ 창조경제를 주도하는 산업 영향력, 사회 파급력 높은 연구를 지향 ○ 미래 전자/통신 기술을 열어줄 혁신적 연구와 융복합 기술의 확산 ○ 최첨단 연구를 통해 최고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확립 40여 년 전 고급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KAIST는 국내 대학원 교육의 정상화와 국내 다양한 분야의 산업체에 우수한 인력을 양성,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한국경제 의 성장 동력인 반도체와 이동통신을 비롯한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IT) 분야의 연구 개발과 고급인력 양성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보 기술 산업은 수출의 약 3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1년 말 기준 전기/전자 31.7%, 자동차 12.9%),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동통신 등의 첨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기술 분야의 국제 경쟁력 유지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은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KAIST는 영재 교육기관으로서의 국내 인식 및 정부의 재정 지원, 우수한 학문적 평판도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전통적 IT 산업의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어, 미래 IT 기술을 열어줄 혁신적 연구와 융복합 기술의 확산이 요구된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교육부의 BK21 플러스 사업을 통하여 IT 분야의 세계 최고 수준의 학과로 거듭나 (1) 세계 최고 기업들이 채용하기를 원하는 IT 분야 최고급 창의인재를 양성하는 기관, (2) 세계 IT 기술 분야 연구를 선도하여 미래 창조경제를 주도할 IT 분야 기술 개발의 산실이 되도록 매진하고자 한다.

③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목표 ○ 2020년 전자통신 분야 세계 10위권 진입 (Vision 2020-Top10) : 전기 및 전자 공학 분야의 학과 평가에서 세계 10위권으로 도약하며, 연구역량에서도 세계 10위권으로 발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2단계 BK21 지원 사업의 성과로, QS World University Rankings의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분야 평가에서 2012년 51-100위, 2013년 29위로 급상승하였다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웹사이트 정보 참조, http://www.topuniversities.com).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을 통하여, 2020년 10위권으로 도약하고, 명실 공히 세계적인 학과로 발전하고자 한다. 논문발표, 학술활동, 지적소유권 확보, 산업기여, 기술이전 등의 전반적인 연구역량에서도 10위권으로 발전한다.

84


6.2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의 우수성 ① 연구 추진 전략 본 사업단은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5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한다. ○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 연구 분야 육성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는 제도적 혁신 ○ 개개별의 역량을 합쳐 시너지를 발생하는 클러스터 위주의 연구 장려 ○ 국제적 수준의 연구 주제의 홍보를 통한 우수 인력 확보 ○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

② 연구 추진 방안 가. 핵심 연구 분야 육성 ■ 4대 핵심 연구 분야 집중 육성 본 사업단에서는 아래와 같은 4대 핵심 연구 분야를 기본 축으로 정부 및 산업체 지원 연구 과제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과제간의 통합적 시너지 효과 및 국제화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통합적 연계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업단에서는 물적, 인적 자원을 4대 핵심연구 분야로 집중화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는 연구 그룹으로 성장, 발전시키고자 한다. 4대 핵심연구 분야는 사업단의 인력 및 기술 경쟁력, 국내 기업의 전략 및 기술 수요, 고급 인력 양성의 사회적 요구 등을 고려하여 미래 창조경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분야로 선정하였 다. 또한, 전자 통신 세부 분야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기술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향후에도 핵심 연구 분야를 유동적으로 선정토록 한다. - 4대 핵심 연구 분야 ○ Emerging Devices 분야 :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소자, 디스플레이, 그래핀, NEMS, 나노 일렉트로닉스/ 포토닉스 등 ○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분야 : 무선통신, 통신시스템, 광통신, 멀티미디어 등 ○ Brain and Smart Systems 분야 : 뇌과학, 바이오, System-on-chip (SoC), 로보틱스, 신호처리 등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트 센서 시스템, 통신-전력전자 시스템, 의료 영상 시스템, 위성 통신 시스템 등 상기 4대 핵심 연구분야 중, Emerging Devices,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Brain and Smart Systems의 3대 분야는 현재 공식적인 학사조직인 3개의 그룹에 맞춰져 있고, 이 3개 그룹 조직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는 융복합기술의 거시적인 결집을 통해 통합 응용시스 템을 구현하는 분야이며, 대형 센터나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학과 내외 관련 인력들이 유동적으로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이러한 사업단의 핵심연구 분야의 협력 토대 위에서 국가지원 연구센터 및 산업협력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향후 새로운 연구센터를 유치토록 한다. 국가지원 연구센터에서는 집단 연구에 의한 기반기술 구축에 힘쓰고, 산업체 지원 센터의 연구에 의해 사업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각각의 연구센터는 세미나, 워크샵, 발표회

85


등의 인력 및 정보 교류를 통하여 상호기술이 원활히 소통될 수 있도록 한다. BK21 플러스 사업의 집중된 지원을 바탕으로 각 연구센터의 연구 규모와 내용, 인력 구성을 국제적 수준으로 확장해 나간다.

■ 신산업 창출에 파급 효과가 큰 IT 융합 연구 장려 미래지향적인 신기술 및 신산업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기술발전에 이바지하고 또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함과 동시에, 연구 성과를 우수 논문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학제전공 및 융합연구소 겸임교수제도를 통하여 융합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현재 전체 교수의 25%이상에 해당하는 22명이 학제전공 및 타학과 겸임교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향후 교수 파견 제도 를 활용하여 국내 주요기업과 연구소 등과 융합연구를 확대 발전시킨다.

나.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는 제도적 혁신 ■ 논문의 질적 평가를 고려한 교수 평가 강화 논문의 양보다는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학과 교수 업적 평가 방법을 점진적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예: 논문 인용횟수, H-index를 평가지표로 활용). 특히, 단순히 논문 개수의 증가만을 추구하기 보다 는 각 연구 분야에서 파급력이 높은 최우수 논문지와 최우수 학술대회에 양질의 논문을 많이 발표할 수 있 도록 적극 권장한다. 이를 위하여 학과에서는 이미 내외부평가를 통한 승진 및 영년직 제도를 실시하고 있 으며, 6등급의 교수 평가를 통해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3배 이상 차등지급)하고 있다. ■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요건 강화 학위 취득에 필요한 연구논문 요건으로 해외 유명 논문지 (S급/A급 저널)에 연구 논문 발표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들 유명 논문지 목록은 매년 학과 박사학위 심의 위원회에서 정하여, 학과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원 학생들에게 공지하고 있으며, 2013년도 현재 100여개의 논문지 목록이 제시되어 있다. 대학원 학생들에게 우수 학술대회 참석 및 논문 발표 또한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특히, 박사과정 학생 들에게 연차 평가제도 (Black Friday 제도)를 실시하여, 연구실적 우수 학생 4명을 매년 시상하고, 학생논문 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학생에게 평가결과 및 학생 전체평균 실적을 통보하고 있다. 특히, BK21 플러스 사업 기간에는 박사 학위 논문의 해외 심사위원 참여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연구 클러 스터 단위로 해외 심사위원 풀을 운영하여, 학생 공동지도와 연계된 학위심사를 받게 함으로써, 1) 학위심사 과정의 국제화, 2) 학생 연구결과의 international visibility 확대, 3) 학위 중 해외 인턴연구 파견 기회 제공, 4) 국제 공동연구 수행, 5) 해외 취업 기회 제공 등의 다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 클러스터 중심의 연구 수행 ■ 그룹형 협동연구를 통한 국제경쟁력 향상 교수 1인당 지도학생수의 감소 추세가 이미 시작되고 있으며, 적은 연구 인력으로도 국제적 경쟁력을 유지

86


하기 위하여 연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하여 본 사업단은 유사 연구 분야를 가진 몇 개의 연구실이 자율적으로 연합하는 클러스터 중심의 연구체제를 확립한다. 국제적 인지도를 갖고 있는 리더급 교수 중심의 그룹형 연구를 활성화하여, 기존의 교수별 개별 연구 위주에서 전략적 협력체제로의 전환을 추구한다. 각 클러스터별 국제공동연구 수행을 활성화하며 국제 공동 지도교수 풀 활용, 연구환경 공동활용, 국제학회의 전략적인 리드를 장려한다. 이 클러스터 단위의 운영은 특히, 신임교수들에게 실험실 구축을 위한 준비기간이 없이도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클러스터 단위의 연구 전략은 수년 전부터 몇 개 분야에 대해 시범적으로 시행해오고 있으며, 학과와 학교 차원에서 결집할 수 있는 연구실 공간 제공, 기본 연구비 지원, 실험실 구축비용 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클러스터로 KI Graphene Research Center, KI Mobile Sensor and IT Convergence, Device Innovation Facility 등이 있으며, 본과 및 타학과 교수들과 그룹을 결성하여 실험실 공동활용, 학생 공동지도, 산학협력, 국제협력 등에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러한 클러스터 운영을 적극 지원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갖는 융복합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새로운 산학협력 연구분야 창출을 위한 산학연 융합 연구 센터 확충 산업체와의 연계 강화를 통하여 산업적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창출/발굴하고자 하며, 학제적 연구주제를 가진 연구센터의 개설 및 확충을 통하여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시킨다. 우수 연구 성과의 환류, 최신 연구 동향 파악, 연구인력 확충 등을 위하여 국제/국내 그룹간의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사업단이 국내 최대의 연구단지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는 점을 적극 활용한다. 최근 3년간 KAIST 전기및전자 공학과에 개설된 산학연 협력 연구센터는 다음과 같다. ○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연구센터 (2011.07 개소) ○ 3차원 반도체 연구센터 (2011.07 개소) ○ KAIST-삼성디스플레이 연구센터 (2011.02 개소) ○ 스마트 자동차 전자부품 연구센터 (2011.07 개소) ○ KAIST-ETRI 미래 ICT 기술 공동 개발 협력 (2013.04 상호협력 협정 체결) 본 사업단의 출범을 통해, 뇌과학, 양자통신 등의 미래 IT 기술과 학문을 개척할 수 있는 연구센터를 유치한다.

라. 국제적 수준 연구 주제의 공모/홍보를 통한 우수 인력 확보 ■ 연구주제 공개/공모를 통한 학생 선발과 국제적 연구주제 홍보 우수한 학생/연구인력의 모집과 이들에 대한 강력한 동기부여, 학과 홍보를 동시에 유도하기 위하여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주제 공개 및 공모 방안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국제적 관심을 유도하고 창의적 연구 활동을 동시에 부각시킨다. 연구주제는 창의적이며 앞서가는 도전적인 연구를 지향하며, 학생모집과 연계함으로써 입학 초부터 창의적이며 의욕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대학원생 연구능력의 강화 및 학술활동의 국제화 대학원 학생들에 대해 국제 수준의 우수한 학술 논문 작성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 국제교육센터(원어민 교수진 활용)와 연계하여 영어논문 작성 과목 이수를 적극장려하고, 맞춤형 밀착 지도를 통하여 영어 논문 작성 능력 및 발표 능력을 더욱 강화한다. 또한, 해외 유수 연구 기관 및 산업 기관에서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여

87


글로벌화된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할 계획이다. ○ 국제 공동연구 참여 확대를 통한 국제수준의 연구기회 제공 ○ 국제 유수 학술대회 참여 지원 ○ 장기 연수를 통한 해외 대학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십 기회 부여 ○ 해외 석학 초청 (학생 공동 지도가 가능한 해외 석학을 초청) ○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발표, 토론, 논문 작성, 영어 전담 교원 임용 등) 강화

마. 신진 연구인력 확보를 통한 연구 역량 확충 우수한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 교수, 전문 연구원 등의 신진 연구인력을 적극 유치하여 우수한 연구결과를 도출하도록 한다. 특히, 해외 신진 연구인력의 확보를 통해 국제적 인적 네트워크 및 미래 해외 협력 교두보를 구축한다. 이를 위하여 신진인력들에게 독립적/융합적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기업 과제를 수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들에게는 프린스턴 고등과학원(Institute for Advanced Study)의 연구 펠로우를 모델로 삼아 특정 연구실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창출하되, 원하면 여러 연구실과 융합연구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한다.

바.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최근 김병호 IT 융합빌딩을 2013년에 완공하였으며, 앞으로도 미래융합 소자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투자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 김병호 IT 융합빌딩 (26,629㎡, 2013년 완공, 사업비 355억원) - IT기반 산업융합시대를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교육․연구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본 시설환경을 확보 - 김병호 IT 융합빌딩 내에 소그룹 (클러스터)별로 공동연구실 운영환경을 정착. 현재 김병호 IT 융합빌딩에는 컴퓨터 비전 및 머신 러닝 그룹, 미래 자동차 연구단, 스마트 센서 시스템 융합 연구단, 영상 정보 시스템 그룹, 인터넷 에코 시스템 센터, 통신 이론 및 스토리지 그룹, 차세대 이통통신 연구 그룹 등이 각 층별로 클러스터를 이루어 긴밀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KAIST 미래융합소자동 (4,464㎡, 2013년 완공 예정, 사업비 102억원) - 세계 최고수준의 미래 나노 융합소자 기술 개발을 위한 공정 시설 구축을 통해 최첨단의 Nano/Bio, Display, Energy, Nanophotonics 융합 소자 및 부품 연구 환경 제공 (주용도: 클린룸, 연구실, 실험실) - 실리콘 공정 부분에서 이미 최고 수준의 장비를 구축하고 있는 KAIST 캠퍼스 내의 나노종합기술원 (구 나노종합팹센터)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자 공정 인프라의 구축 - 또한, 국내 반도체 연구의 효시가 된 구 반도체동의 리모델링으로 최첨단의 측정 공간 및 교육 공간의 추가 확보가 기대되며, 나노종합기술원-미래융합소자동-반도체동으로 이어지는 미래 융합 소자 연구의 클러스터화를 추진

88


7.1 참여 연구진 구성의 우수성

7.1.1 연구 비전에 맞는 연구진 구성 ① 사업단 구성 본 사업단은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이창희 교수를 사업단장으로 하여 총 67명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전임직 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② 사업단장 가. 사업단장 인적 사항 성 명: 이 창 희 (Chang-Hee Lee) 소 속 기 관: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전 공 분 야: 광 통신, 광 네트워크, 광 소자

나. 사업단장의 역량 ■ 사업단장의 연구, 교육, 행정 역량 - 교육 경력 o 1979.3 - 1983.2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o 1983.3 - 1985.2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석사 o 1985.3 - 1989.2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 - 연구 경력 o 1989.3 - 1997.1 한국전자통신연구서 선임 연구원 o 1989.7 - 1990.6 Bellcore(Bell Communications Research) 박사후 연구원 o 1997.2 - 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o 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과장 - 대외 활동 o 2010.1 - 현재 IEEE Fellow o 2013.1 - 현재 OFC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onference) 프로그램 위원 등 17 개 국제 학회 프로그램 위원 역임 o 1998.9 - 2000.7 한국광학회지 편집위원 o 한국광학회 이사 및 평의원

89


- 연구 활동 o 2003.6 - 2008.6 국가지정연구실 (년간 연구비 2.5억) o 2009.3 - 현재 방통위 혁신과제 (년간 연구비 2.5 억으로 5억 이하임) o 국제 우수 학술지에 98편 논문 발표 (최근 3년간 12편 발표) o 국제 우수 학회에 139편 논문 발표 (초청논문 18 편) 최근 3년간 24 편 논문발표 o 국제 특허 33건 등록, 국내특허 84건 등록 o 발표논문의 인용횟수: 3098 회, H-index: 25 (Google Citations기준) o 기술료 수입: 2002년부터 총 1 억 64 백만원 - 우수학생 배출 o 1997년 이후 박사 15명, 석사 16명 배출 - 포상경력 o 1989.2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KAIST

o 1999.4

올해의 논문상, SKT

o 2001.5

연구상, KAIST

o 2009.11 10대 특허 등록상, 특허청 o 2013.2.

혜림광자기술상, 한국광학회

o 국내외 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지도학생): 12회 o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지도학생): 2회 - 행정 역량 o 2013.5 - 현재 전기및전자공학과 학과장 o 2012.6 - 2013.4 전기및전자공학과 그룹대표 (ED 그룹) o 2010.8 - 2011.7 KAIST 연구처장 o 2009.3 - 2010.8 전기및전자공학과 부학과장 o 2002.9 - 2008.7 노베라 옵틱스 코리아 이사 및 CTO o 2001.8 - 2002.9 노베라 옵틱스 코리아 대표이사

다. 사업단 발전 의지 및 사업단 운영계획 본 사업단은 지난 BK21 사업에서 정보기술 분야 사업단 중 최우수 사업단으로 수 차례 선정되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BK21 플러스 사업에서는 2020년에 전자통신 분야 세계 10위권 대학 진입(Vision 2020-Top10)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사업제안서에 제시한 비전을 충실히 실천에 옮길 계획입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을 위해 중요한 요소인 i) 우수창의인력확보(학생, 신진인력, 교수)와 ii) 세계를 선도 하는 연구 수행, iii) 연구 결과의 산업화 및 사업화, iv) 연구 및 교육의 국제화 등 상기 4가지 요소를 주된 추진사업으로 사업단을 이끌겠습니다. 이를 위한 수행 방법으로 위원회 중심의 효율적인 사업추진, 연구 분야별 그룹/클러스터화를 통한 효율적인 사업단 운영, 연구의 질적 평가를 통한 참여교수 환류시스템과 인센티브 제도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특히, 우수 인재유치, 인재육성, 국제화, 산업화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운영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우수 창의 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

90


BK21 플러스 사업에서 미래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우수인력 확보는 사업성공의 핵심요소입니다. 창조경제를 실현을 위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추진하고자 합니다. - 우수 신임교원 유치를 위한 노력 사업단의 최대 현안중의 하나인 우수교수인력의 확보를 위해 학과가 부단히 노력할 것이며, 특히 현재 우리 나라 IT 산업을 이끌고 있는 성장 동력 분야와 5년 내지 10년 후 미래 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유망 분야를 집중적으로 발굴하여 육성할 계획입니다. - 우수 학생유치를 위한 노력 우수한 박사급 신진연구인력 유치를 위해 관련 학회인 IEEE와 ACM에 광고를 내고 있으며, 지원자는 매달 신진연구인력위원회의 엄격한 심사과정을 통하여 선발하고 실적심사를 엄정하게 진행해 재임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신진연구인력을 BK21 플러스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개인의 능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예정입니다. - 우수 대학원생 및 신진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 교수당 학생비율을 낮추어서 학생 지도를 내실화하고, 양적으로 치우친 교육을 지양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대학원 교육을 추구할 예정입니다. 특히, 우수 대학원생의 경우, 인센티브 부여 및 해외 유수의 석학들과의 공동 연구기회를 늘려나감으로써, 추후 한국의 주축 핵심인력으로 성장하도록 사업단을 운영할 생각입니다. 또한, 대학원생들이 국외 유수의 기업 및 연구소에 다수 취직할 수 있도록, 국제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이들이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의 산업발전과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순환의 교육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신진인력의 경우, 창의적 융합연구를 권장하고, 많은 교수님들과 자유롭게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준 높은 연구결과의 생산에 힘쓰겠습니다. 대학원생과의 활발한 공동 연구로 교수의 지도뿐만 아니라, 산업체 및 연구소 소속 연구원의 지도를 동시에 받아 대학원생 및 신진인력의 양성의 질 향상을 위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것입니다. ■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 수행을 위한 노력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산학과제 및 연구센터를 유치하고 연구의 양적 성장을 넘어서 연구의 질과 파급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 다양한 산학과제 및 연구센터 유치 급변하는 기술발전 속에서, 미래 창조경제를 개척하고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기술에 기반한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산업분야 발굴에 부응하고자,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단 (스마트 IT융합 시스템 연구단), 국가핵심연구센터 (NCRC-P3Digicar 센터), 코오롱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 등과 같은 장기/대형 규모의 정부지원/산학협력 연구 센터를 집중적으로 유치하도록 할 것입니다. - 연구의 질적 향상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연구와 교육의 양적인 발전은 현재 세계적인 프로그램을 가진 학과들과 비교해서도 뒤지지 않을 정도이나 질적인 성장은 아직 많은 발전을 거듭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사업이 끝나는 2020년에 세계 랭킹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논문인용회수, Impact Factor, H-Index등의 객관적 지표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추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 저널 및 학술 대회에 파급력이 큰 논문 발표를 장려하는 제도를 정착시키고 이를 뒷받침하는 학과 정책(예: 인센티브 지급, 교수실적평가 및 승진심사 반영)을 펴 나갈 계획입니다. ■ 유망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산업화 및 사업화 추진 국가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산업체와의 효과적인 교류를 위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산업체 맞춤형 교육, 중장기산업연구과제 발굴과 기술이전을 활성화하는 노력을 증대할 예정입니다.

91


- 산학 협력을 위한 맞춤 프로그램 본 사업단은 산학협력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KEPSI(반도체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 CTEP(정보통신 및 네 트워크 프로그램), EPSS(삼성반도체 교육프로그램), LGenius(LG Display 인력 양성 프로그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로봇공학 학제전공, 정보통신공학 학제전공, 반도체 학제전공, 미래 자동차공학 학제전공을 본 사업단의 교수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이끌어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산업체 맞춤형 교육을 통해 미래 전자, 통신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자질과 소양을 갖춘 인재를 계속 양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 지적 재산권의 사업화 및 창업 지원 본 사업단은 교내 산학협력단 및 기술사업화센터와 긴밀히 협의하여 사업단에서 확보한 지적 재산권을 사업화하고 전자, 통신 분야의 시장개척에 앞장서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연구실 주도의 창업, 학생 중심의 창업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다 할 예정입니다. ■ 국제교류 확대 및 다양화 본 사업단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인적/학술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취지 아래, 지금까지 진행해 왔던 미국, 영국, 스위스와 같은 선발 국가와의 교류차원을 뛰어넘어, 중국, 싱가폴, 홍콩, 베트남과 같은 아시아 신흥국가와도 다각적인 국제 협력을 추진할 것입니다. 외국 기업들의 공동연구소 유치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며, 지금까지 진행해왔던 것과 같이 외국의 대표적 기업 및 연구소 (Microsoft, NASA, IBM, IMEC 등) 와 함께 학생들의 인턴쉽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업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노력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67명이 참여하는 KAIST 미래 전자 통신 인재양성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위원회와 그룹조직을 활성화하고, 참여교수의 환류시스템을 채택하여 참여교수의 참여의식을 고취하며,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참여교수의 참여도를 함양시키고자 합니다. - 위원회와 그룹별 조직 사업단장 아래 국내외 자문위원회와 전문위원회(인사자문위원회, 교육위원회, 학생위원회, 신진인력위원회, 국제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입시위원회 등)를 설치하여 사업단의 현안을 분야별, 현안별로 검토하고 집행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연구 분야에 따라서 참여 교수진과 학생들을 3개의 연구 그룹으로 나누어 효율적인 사업운영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행정요구의 변화와 지속적인 기술발전 추세에 발맞추어 최대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직체계를 최적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참여교수 환류시스템 시행 매학기 자체 워크샵을 개최하여 사업단의 목표를 참여 교수들께 주지시키고 사업단의 운영 방침과 예산현황, 주요현안을 알림으로써 참여교수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합니다. 매년 자체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교육/연구 실적을 평가할 계획이며, 사업단 신규 참여와 퇴출을 가능하게 할 계획입니다. - 인센티브제도 도입 사업단 내의 진취적인 연구풍토 조성을 위하여, 뛰어난 연구실적을 낸 교수들에게 인센티브를 통한 포상을 실시하는 등 협력과 경쟁의 상호보완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 및 연구 실적을 낸 교수들에게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통하여 교육/연구의 질적 향상을 독려할 예정입니다. - 적극적 홍보 활동 사업단 성과의 상시 홍보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대내외 홍보활동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국제적인 홍보를 위하여 학과 및 사업단 인터넷 홈페이지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으며, Newsletter, Annual Report 등 책자를 통한 홍보와 함께 참여교수들의 국제학회에서의 인지도 향상 등을 위한 노력을 배가해 나갈 계획입니다.

92


- 세계 Top10 대학과의 Global Alliance 구축 전자 정보 분야의 세계 최상위 대학들 (예: MIT, Stanford, UC Berkeley 등)과의 꾸준한 인적 교류를 통해 BK21 플러스 사업이 종료되는 2020년에는 국제화된 인력 구성과 함께 전세계 우수 연구 집단과 활발히 교류하는 우수한 연구 환경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저희 사업단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분야와 신규 전략 성장 분야들에서 세계적인 실적을 달성함으로써 명실 공히 IT 기술의 허브 대학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국제화의 모범이 되는 사업단 구축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는 인력 구성과 연구 성과를 통하여 본 사업단이 국제화의 모범적인 모델이 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술적인 수준 뿐 아니라, 연구 문화, 연구 윤리, 리더쉽 부문에서도 국제화된 인력을 양성하고, 세계의 우수 인재가 KAIST에서 육성되어 한국을 정보기술 분야의 강국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고급 전문인재를 배출토록 할 예정입니다.

③ 참여 연구진 구성 가. 사업단 구성원 <확장표 II-7-1> 사업단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 현황 사업단 구성원 현황 (2013년 6월 기준) 전체 전임 교원 수 (A)

86

참여 교원 수 (A’)

67

참여 교원 비율 (A’/A)

전체 신임 교원*수 (B)

4

참여 신임 교원 수 (B’)

4

신임 교원 참여율 (B’/B)

전체 대학원생 수 (C)

936

참여 대학원생 수 (C’)

675

77.91% 100%

참여 대학원생 비율 (C’/C)

72.12%

※2013년 6월 기준 ※2010년 1학기 이후 부임한 신임교수: 김용대, 서창호, Jun Tani, 최성율

■ 참여 교수의 현황

<확장표 II-7-2> 사업단 참여교수 현황 및 자격요건 검증을 위한 최근 3년간 실적 (단위 : 건, 억원) 최근 3년간 주요 연구실적 성 명 연번 (가나다 순)

주요 연구 분야

Signal processing for wirel ess communications

1

강준혁

2

권인소 Computer vision & Robotics

3

김대식

Brain reverse engineering a nd imaging, Neuroscience

신임 교수 여부

SCI 논문 건수

특허등록

기술료 수입

연구비 수주

건수 건수 정부 산업 해외 수주액 국내 국제 합 지원 지원 지원 합

총액

10

3

0

3

4.6

0.8

5.4

0.8

18

2

4

6

35.2 8.4

43.6

0.1

11

1

0

1

10.3

19.0

0

93

8.3

0.4


최근 3년간 주요 연구실적 성 명 연번 (가나다 순)

주요 연구 분야

4

김문철

High-performance video codi ng for UHDTV and IPTV

5

김용대

Security for cyber-physical systems, Network security

6

Multimedia VLSI design, Low 김이섭 power high speed CMOS desig n

7

김정호

8

신임 교수 여부

SCI 논문 건수

특허등록

기술료 수입

연구비 수주

건수 건수 정부 산업 해외 수주액 국내 국제 합 지원 지원 지원 합

총액

10

2

3

5

9.8

0.9

10.7

0.1

10

1

0

1

0.9

0.5

1.4

0

16

1

0

1

15.2 5.7

20.9

0

Design for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16

21

3

24

41.2 26.8 0.6

68.6

0

김종환

Inteligent robotics, Comput ational intelligence

8

1

0

1

13.5 0.2

13.7

0.1

9

김창익

Image processing and unders tanding

14

1

5

6

0.8

6.0

6.8

0

10

Defense systems, Discrete e 김탁곤 vent systems modeling/simulation

4

2

0

2

17.6 3.0

20.6

0.9

11

김회린

Speech recognition, Audioin dexing & retrieval

8

3

0

3

7.9

1.1

9.0

0

12

나종범

Image processing, Imaging s ystems, Medical imaging

7

3

2

5

25.2 7.4

32.6

0

13

Image/video systems, Multim 노용만 edia processing, Medical im aging

24

4

10

14

12.8

3.0

0.8

16.6

0

14

류승탁

Analog/mixed signal circuit design

15

5

3

8

8.5

4.4

0.4

13.3

0

15

EM wave scattering & propag 명로훈 ation, EMI/EMC/EMS, Mobile & satellite communications

15

8

0

8

17.5 0.2

17.7

0

16

Power electronics, High eff 문건우 iciency power conversion, E lectric vehicles

29

29

17

46

13.8 18.7

32.5

0

17

문재균

Communications, Storage, Si gnal processing

8

0

2

2

10.4 3.5

15.3

0

18

박경수

Network systems, Networkin g, Operating systems

5

0

1

1

12.6 1.8

14.4

0

19

Wireless communications, Ad 박동조 aptive signal processing, O ptimization

12

5

2

7

8.8

0.9

9.7

0

20

박성욱

Microwave and antenna engin eering

21

3

0

3

7.7

1.3

9.0

0

21

박인철

VLSI signal processing, Cir cuit design

12

12

0

12

49.9 1.0

50.9

0

94

1.4


최근 3년간 주요 연구실적 성 명 연번 (가나다 순)

주요 연구 분야

신임 교수 여부

SCI 논문 건수

특허등록

기술료 수입

연구비 수주

건수 건수 정부 산업 해외 수주액 국내 국제 합 지원 지원 지원 합

총액

22

RFIC for reconfigurable rad 박철순 io and millimeter-wave syst ems

18

3

0

3

28.2

1.4

29.6

0.2

23

박현욱

Image processing, Medical i maging systems

18

8

3

11

25.2 13.0

38.2

8.2

24

박현철

Communication theory, Signa l processing

12

7

8

15

6.2

2.6

8.8

0

25

박홍식

Information communication n etworks

10

12

3

15

21.6

0

21.6

0

26

Information theory, Wireles 서창호 s communications, Function computing

5

0

9

9

0

0.2

0.2

0

27

성단근 Communication networks

18

23

8

31

4.6

0.6

5.2

0

28

Communication/statistical 성영철 signal processing, Estimati on theory

8

13

0

13

3.7

0

3.7

0

29

Signal detection, Communica 송익호 tion theory, 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17

4

1

5

7.1

0

7.1

0

30

신민철

Computational electronics a nd nano technologies

12

1

0

1

11.6

0

11.6

0

31

신영수 VLSI CAD, Low-power design

14

4

0

4

4.1

2.1

6.2

0

32

양경훈

7

5

2

7

1.3

1.8

3.1

0

33

원용협 3D display, Nanophotonics

11

6

0

6

9.8

0

9.8

0

34

유경식 Optoelectronics, Photonics

8

0

0

0

9.4

0.7

10.5

0

35

유승협

Organic electronics & Photo nics

43

13

3

16

10.8 4.2

15.0

0

36

유종원

RF & microwave antennas and systems

32

7

2

9

5.2

3.1

8.3

0

37

유창동

Machine learning & Multimed ia processing

6

35

1

36

8.9

0.9

9.8

0

38

Semiconductor engineering 유회준 (Optoelectronics), SoC (Wea rable PC)

17

45

4

49

21.2 5.6

26.8

0.07

39

윤준보

Micro/Nano-electro mechanic al systems (MEMS, NEMS)

31

21

13

34

15.9 5.4

21.3

0.6

Nano-scale/THz devices, Qua ntum-effect & Sensor ICs

95

0.4


최근 3년간 주요 연구실적 성 명 연번 (가나다 순)

주요 연구 분야

신임 교수 여부

SCI 논문 건수

특허등록

기술료 수입

연구비 수주

건수 건수 정부 산업 해외 수주액 국내 국제 합 지원 지원 지원 합

총액

40

High-performance computing 윤찬현 systems and network service s

10

0

1

1

20.8 1.0

21.8

0.18

41

이귀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 uits

9

7

0

7

9.5

0.6

10.1

0

42

이상국

Radio frequency/analog/mixe d-mode IC design

18

23

10

33

16.6

7.2

23.8

0.23

43

Neural networks, Intelligen 이수영 t systems, Speech signal pr ocessing, HCI

11

5

0

5

17.4

1.0

22.8

0

44

이용훈

Signal processing and commu nications

11

23

2

25

4.7

2.3

7.0

0.1

45

이융

Computer networks

21

3

0

3

8.6

1.6

10.2

0

4.4

46

Wireless and wireline netwo 이준구 rks, Optical transport netw ork

7

10

4

14

11.6

1.3

12.9

0

47

이창희

Optical communications, Opt ical devices

10

8

8

16

7.0

2.5

9.5

0.4

48

이황수

Vehicle network, Computer n etworking, Image security

2

29

10

39

1.2

0.7

1.9

0

49

이희철

Infrared detectors, Radiati on-resistant devices

17

7

2

9

9.6

1.8

11.4

0

50

전주환

Signal processing, Wireless communications

18

1

2

3

5.8

1.7

7.5

0

51

정세영

Information theory, Wireles s communications

19

17

6

23

4.7

1.6

6.3

0

52

Network systems and theorie s

16

11

3

14

7.2

0.7

7.9

0

53

정윤철

Lightwave systems and netwo rks

14

8

1

9

14.3

17.4

0

54

조규형

Analog integrated circuits, Smart power electronics

13

26

0

26

5.8 18.3

24.1

0.4

55

5G mobile networks, Wireles 조동호 s power transfer, Bioinform atics

21

123

2

125

61.1 3.5

0.2

64.8

0.1

56

조병진

Nano IC technology, Graphen e, Energy devices

31

3

0

3

32.8 3.5

0.9

37.2

0

57

조성환

Mixed-signal and analog IC /sensor design

11

5

2

7

15.1 3.3

18.4

0

58

Flexible and transparent di 최경철 splays, Surface plasmon app lications

35

40

1

41

17.7 5.0

22.7

0.1

96

3.1


최근 3년간 주요 연구실적 성 명 연번 (가나다 순)

주요 연구 분야

59

Graphene synthesis and devi 최성율 ce applications, Molecular/ nano devices

60

최양규 Nano devices, Bio sensors

신임 교수 여부

SCI 논문 건수

특허등록

기술료 수입

연구비 수주

건수 건수 정부 산업 해외 수주액 국내 국제 합 지원 지원 지원 합

총액

31

5

3

8

13.4 0.7

14.1

0

81

33

2

35

14.1 2.3

16.4

0.9

61

최완

Wireless communications, Co mmunication and information theory

14

5

0

5

8.3

1.4

9.7

0

62

최준균

Communications-IPTV, Media networks, Energy saving

5

68

0

68

22.0

0.3

22.3

0.1

63

한민수 Signal processing

10

14

3

17

12.8

1.2

14.0

0

64

한영남

Wireless communications, Mo bile communications

6

5

0

5

6.8

0.9

7.7

0

65

Radio frequency integrated 홍성철 circuits (RFIC), Integrated sensors

18

21

4

25

27.3 7.7

35.0

0.3

66

Yu-Wing Computer vision, Image/Vide Tai o processing

8

2

0

2

3.8

0.4

4.8

0

14

0

0

0

0

0.4

0.4

0

0.2

16.9

0.2

15.6 12.9 2.6 15.4 14.0 3.4 0.21 17.7

0.2

67

Jun Tani

Understanding brain-based m echanisms of cognitive beha viors

3년간 실적의 1인당 평균 신임교수를 제외한 1인당 평균*

0.6

15.6 12.2 2.6 14.8 13.4 3.3

* 상기 참여교수는 모두 전기 및 전자공학과 소속임 * 해외기관 연구비는 환산하지 않은 실제 액수

나. 응용과학 정보기술분야 신청 사업단의 적절성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학과 소속 교수가 86명으로 정보기술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형 학과이므로, BK21 플러스 사업의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사업에 적합하며, 응용과학분야 의 정보기술 분야로 신청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BK21 플러스 사업에는 학과 소속 전임교수 86명중 77.91%인 67명이 참여하므로 전체교수수의 70%이상 참여하여야 하는 기준에 부합하고, 2010년 1학기 이후 (2010.2.1. 기준) 국내에 처음 부임한 신임교원 4명이 모두 사업에 참여 (신임교원참여율 100%)하고 있다. 학과 소속 대학원생 936중 72.12%인 675명이 참여하므로, 참여 대학원생이 참여 교수님의 지도를 받고 있는 전체대학 원생의 70%이하이여야 하는 조건을 만족한다. 참여 교수의 지난 3년간 1인당 SCI(E)급 평균 논문실적은 15편으로 BK21 플러스 사업에서 요구하는 3년간 평균 4개 이상인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본 사업단의 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이창희 교수는 지난 3년간 12편의 SCI(E)급 논문을 발표하였고, 국가주도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책임자 및 10억원 이상의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책임을 맡고 있지 않으므로 BK21플러스 사업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한다. 본 사업에 참여하는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현황은 <확장표 II-7-2 참조>과 같다.

97


다. 사업 참여인원의 연구 비전 부합성 본 사업의 연구 비전은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연구를 통하여 전자통신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함양하고 IT 융복합 기술 확산으로 미래 신산업을 창출하는데 있다. 본 사업단은 연구 비전을 가장 잘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각 세부 분야의 최고 전문가 67명의 교수와 675명의 대학원생으로 구성하였다. ■ 참여 교수의 선정 기준 본 사업단에는 지난 3년간의 연구 실적, 정부 및 산업체 과제 연구비 수주 실적, 특허 등록 및 산업체 기술 이전의 실적 등이 우수한 67명의 교수진이 참여하고 있다. 또한, 신임교수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2010년 1학기 이후 부임한 4명의 신임교수 전원이 참여하였다. 사업단 참여 교수의 지난 3년간 평균 연구 실적은 SCI(E)급 논문 15.6편이고, 총 정부 연구과제 수주액은 14억(신임교수 제외), 국내 특허 등록 실적 12.2건, 국외 특허 등록 14.8편, 기술이전 금액은 평균 2천만원이다. ■ 사업단 비전 달성 가능성 본 학과는 2013년 QS발표 전기및전자공학 분야에서 세계 29위를 차지하였다. BK21 플러스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엄격한 자체평가를 거쳐 결정된 참여연구진은 연구의 양과 함께 질적 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하여 Vision 2020-Top10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참여 교수의 대표적 연구 성과 및 국제적 인지도를 보여 주는 사례 BK21 플러스 사업의 비전 달성을 위해 엄선된 본 사업단 참여 교수진의 기존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은 질적 지표를 만족시키고 있다. 아래의 사례들은 본 사업단이 이미 연구 성과의 양보다는 연구의 질적 향상 및 국제적인 인지도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논문의 총 인용회수 (2013년 6월 Google Scholar Citations 기준)가 3,000번 이상인 참여교수는 권인소, 김대식, 김용대, 김종환, 김탁곤, 박현욱, 유회준, 이귀로, 이용훈, 이창희, 정세영, 정윤철, 조규형, 조병진, 조성환, 최양규 교수 등 (가나다 순) 총 16명으로 참여 교수의 23.9% (전체 67명 중 16명)에 달함 - 논문의 총 인용회수(2013년 6월 Google Scholar Citations 기준)가 1,000번 이상인 참여교수는 총 29명으로 참여 교수의 43.2% (전체 67명 중 29명)에 달함 - 발표 논문의 질과 양을 종합적으로 대변하는 H-Index가 20이상인 참여 교수는 12명으로 총 참여 교수의 17.9%에 해당 (전체 67명 중 12명) -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IEEE Fellow가 총 8명으로 국내 학과 중 최다 - 참여교수의 지난 3년간 국제 학술대회 수상 실적은 총 14건 - 참여교수의 지난 3년간 학술대회 chair를 맡은 회수는 총 91건 - 참여교수의 지난 3년간 유수 학술대회 Program Committee를 맡은 회수는 347건 - 참여교수의 지난 3년간 초청 및 기조 강연 회수는 총 123건 - 기업후원 국내학술대회인 삼성휴먼테크 논문 대상에서, 2001년 이후 최대 논문제출 10회, 최다수상학과 11번 선정. 특히 2012년의 경우 전체 대학논문상 83편 중 20편이 본 사업단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논문임 - 모든 참여 교수가 일정 수준 이상의 국제적인 인지도를 갖고 있음 ○ Emerging Devices (ED)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22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ED분야는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소자, NEMS, 디스플레이, 나노 일렉트로닉스/포토닉스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 최양규 교수는 지난 3년간 82편의 우수 국제 저널 논문 발표함. 평균 IF는 4.45로 양질의 우수 논문들을 다수 발표. 총 인용회수 5,700번, H-Index 35

98


- 윤준보 교수는 나노분리막 논문으로 Advanced Materials 지 (IF 13.877) 표지 논문(2012년 8월) 에 선정되었으며 세계 최초로 1V 이하에서 동작하는 기계식 나노집적소자 (NEMS 스위치)를 개발하여 Nature Nanotechnology (IF: 27.270) 에 논문을 게재 (2013년 1월). - 최경철 교수는 디스플레이 소자 분야에서 나노 표면 플라즈몬 기술을 접목하여, 나노 표면플라즈몬 OLED 효율향상기술 (APL, Nature Photonics Research Highlight), 나노 표면 플라즈몬을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Small, IF7.33), 나노 표면 플라즈몬 color filter (Advanced Optical Materials 표지논문) 등의 우수한 연구를 수행함. - 조병진 교수는 최근 나노신소재인 그래핀을 전자소자에 적용하는 분야에서 중요한 결과를 연속적으로 발표함. 지난 2년간 나노분야 최고 저널 중 하나인 Nano Letters (I.P. = 13.198) 에 4편의 논문을 발표함. 특히 그래핀 게이트를 사용한 플래쉬 메모리 소자, 전자소자용 그래핀의 양산 기술, 그래핀의 전자파 차폐 등의 연구는 국내외의 언론들로부터 주목을 받음. 2011년 KAIST 기술혁신 우수상을 수상 - 최성율 교수는 그래핀-메타물질 융합을 통한 테라헤르츠파의 투과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메타물질 구조를 구현하고 THz modulator 및 optical memory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여 Nature Materials에 관련 논문을 게재 (2012년 11월, IF=32.841)하였고, 그래핀을 전기적 신호 뿐만 아니라 광학 신호를 전달하는 인터커넥션 소재로 활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상에 집적된 flexible integrated optoelectronic circuits 기술을 개발하여 Nanotechnology (2012년 8월, IF=3.979)에 초청리뷰 논문을 발표함. ○ Connectivity and Networked Intelligence (CNI)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25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CNI분야는 무선통신, 통신시스템, 신호처리, 정보이론, 광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보안 등 통신 및 네트워킹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정송 교수는 2013년 IEEE William Benette Prize 수상함. William Benett Prize는 네트워크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논문상으로 아시아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수상 - 서창호 교수는 2013년 IEEE Stephen O. Rice Prize 수상함. Stephen O. Rice Prize는 지난 3년 동안 통신 분야에서 출판된 논문 중 최우수 논문에게 수여됨 - 정윤철 교수는 13,000여명이 참여하는 IEEE 최대 학회이자, 광통신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회인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onference (OFC)에 아시아 학자로서는 처음으로 General Chair로 활동 예정 - 정세영 교수의 논문 On the design of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within 0.0045 dB of the Shannon limit"은 2001년 IEEE Communications Letters에 발표되어 지금까지 총 1314번 인용 (Google Scholar Citations 기준) - 수 백편 IT 관련 저널 중 "most prestigious"(출처: Bollen 2006) 하며 "IEEE 저널 중 가장 많이 인용된 저널"(출처: 2011년 Thompson Reuters가 발표한 저널 인용회수 보고서 참조)인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의 논문 수는 본 사업단이 2011년 기준 10편을 기록 국내 최정상은 물론 MIT, Berkeley, Stanford와 견주어 손색이 없는 수준임 (확장본 그림 II-7-1> 참조)

99


<그림 II-7-1> 국내외 타 대학과 2011년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에 게재된 논문 수 비교 - 박경수 교수는 2010년에는 GPU를 활용해 네트워크 라우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인 PacketShader를 네트워킹 분야 세계 최정상 학회인 ACM SIGCOMM에 국내연구진으로선 24년만에 처음으로 논문 발표. 2011년에는 GPU를 활용한 세계에서 가장 빠른 SSL가속 서버 설계 및 구현으로 네트워크 시스템 분야 최정상 학회인 USENIX NSDI에 국내 최초로(8년만) 논문 발표 ○ Brain and Smart Systems (BSS)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20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BSS분야는 뇌과학, 바이오 시스템, SoC, 로보틱스 분야에서 세계 학계 및 산업계에 파급력이 큰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 3년 연속 최다 논문 발표: ISSCC는 회로분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산업체의 최첨단 기술이 선보이는 국제 학회임. 유회준, 조규형, 김이섭, 박인철, 조성환 교수를 주축으로 한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Stanford, Michigan, UCLA, Intel, Samsung등의 세계적인 교육기관, 산업체와 경쟁, 2010-2012년 3년 내내 최다 논문 발표함(그림 II-7-2 참조)

100


<그림 II-7-2> 2012년 ISSCC 발표 논문 수 비교 - 조성환 교수는 Cascade-PLL 구조에서 dual-pulse ring oscillator를 제시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더 낮은 잡음과 더 적은 전력소모를 하는 칩 제작 성공. 2012년 분야 최고학회인 ISSCC에서 Outstanding Far East Paper 수상 - 김이섭 교수는 미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고해상도 온도 관리를 위한 디지털 방식의 온도 센서 네트워크를 제안, 2013년 ISSCC 온도 센서 논문으로는 한국 최초로 채택됨 - 유회준 교수는 2012년 바이오 피드백 전기침 시스템을 개발, ISSCC 논문 1건을 비롯 국제학회 4건, 국제 저널 1건, 국내 특허 등록 3건, 국제 언론 보도 1건 및 국내 언론 보도 13건을 기록, 연구 성과의 국제적 파급력 제시 - 박현욱 교수는 2011년 10억원 규모의 의료 영상 기술 이전 성공 - 박인철 교수는 2011년 영국 ARM사가 독식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휴대폰 등)의 CPU에 대항할 수 있는 순수 국산 CPU인 코아-A 설계/구현 및 무료 배포. 2012년에는 고성능 저장장치를 위한 BCH 디코더 설계해, ISSCC에 발표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사례 상기 세 개의 분야를 골고루 융합해 창의적인 전자통신 시스템을 연구하는 분야로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트 센서 시스템, 뇌공학기반 바이오 시스템, 로보틱스의 세계적인 석학들로 구성되어 있다. - 경종민 교수는 지난 2011년 지금보다 1000배의 성능을 달성하는 스마트 센서 융합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연간 100억 규모의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 연구단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을 유치하였으며, 본 사업단의 교수 15명이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권인소 교수는 본 사업단 교수 6명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10명)이 참가하는 연간 20억 규모의 국가 핵심 연구 센터 (NCRC) P3Digicar 연구 센터를 유치하여 컴퓨터 비전, 전기 전력, 임베디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계 공학 등의 다양한 첨단 기술 등을 융합한 차세대 디지털 자동차 플랫폼을 위한 연구를 주도하고 있음 - 김대식 교수는 총 15억 규모의 코오롱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를 유치하여 뇌과학, 신소재, IT,

101


컨텐츠를 융합한 라이프스타일 IT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경진대회를 통해 차세대 아이디어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 참여 교수의 연구 수행활동의 우수성 -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BK21 2단계 실적에서, 2010년과 최종연도 2012년에 IT사업단(11개) 중 교수 1인당 정부연구비 수주실적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2011년 자료는 미확보) (2012년 BK21 2단계 타 대학 IT 사업단과의 정부연구비 수주실적 비교: 확장표 II-7-3 참조) <확장표 II-7-3> BK21 2단계 타 대학 IT 사업단과의 정부연구비 수주 실적 비교 (2012년도) (단위:억원) 대학명

KAIST EE

한양대

교수 1인당 정부연구비

5.08

2.70

고려대 포항공 광주 연세대 성균관 서울대 EE 대 과기원 EE 대

2.62

3.92

3.07

3.01

2.75

2.97

KAIST CS

고려대 CS

연세대 CS

2.96

2.41

1.73

○ 정부지원 연구 수행 현황 본 사업단은 정부지원 연구비에서 다수의 중대형의 중장기 과제들을 수행하고, 타 기관과 협력으로 수행하는 센터가 다수 설립되어 있는 등, 협동형 과제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안정된 연구비 확보와 함께 연구협력을 리드할 수 있는 재원을 갖추고 있다. - 정부지원 연구센터 설립 (2012년 총 10개 센터 운영 중) (확장표 II-7-4 참조) - 정부지원 대형사업 수행 (확장표 II-7-5 참조) o 미래융합 파이오니어사업 (2011년 총 1개, 2억) (2012년 총 2개 10억) (확장표 II-7-6 참조) o 도약연구지원사업 (2010년 총 12개, 33억) (2011년 총 13개, 36억) (2012년 총 13개, 37억) (확장표 II-7-7 참조) o 원천기술개발사업 (2010년 총 14개, 17억) (2011년 총 29개, 37억) (2012년 총 37개, 66억) (확장표 II-7-8 참조) o 우수연구센터사업 (2010년 총 16개, 23억) (2011년 총 16개, 14억) (2012년 총 18개, 26억) (확장표 II-7-9 참조) o 우주개발사업 (2010년 총 1개, 5억) (2011년 총 6개, 8억) (2012년 총 2개, 1억) (확장표 II-7-10 참조) o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2010년 총 36개, 43억) (2011년 총 26개, 37억) (2012년 총 14개, 21억 ) (확장표 II-7-11 참조) o 특화연구사업 (2010년 총 8개, 25억) (2011년 총 3개, 6억) (확장표 II-7-12 참조) * [첨부 11-1] 최근 3년간 참여교수의 정부 연구비 수주실적

102


<확장표 II-7-4> 정부지원 연구센터 설립 현황 (2012년도 운영 중인 총 10개 센터) 연번

센 터 명

센터장

지원기간

지원기관

센터 지원금 (억원)

1

반도체설계교육센터

박인철

1996.03 - 계속

산업통상자원부

20

2

반도체시스템설계 응용연구센터

유회준

2001.07 - 계속

특허청

5.95

3

영상정보 특화연구센터

나종범

2004.02 - 계속

방위사업청

12.8

4

차세대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융합센터

최경철

2007.09 - 계속

한국연구재단

11.11

5

지능형RF연구센터

박철순

2005.06 - 계속

한국연구재단

12.9

6

심사관신기술교육센터

김대식

2006.03 – 계속

특허청

2

7

BcN 엔지니어링 연구센터

박홍식

2004.09 - 계속

한국연구재단

5.37

권인소

2010.09 - 계속

한국연구재단

20.2

경종민

2010.07 - 계속

한국연구재단

47

이준구

2012.07 - 계속

방송통신위원회

4.4

개인용플러그 앤 플레이 디지털 전기자동차 연구센터 다차원 스마트 IT융합시스템 연구단

8 9 10

인터넷 협력 에코시스템 연구센터

<확장표 II-7-5> 정부지원 중대형 중장기 사업 수행 현황

(단위: 억원)

2010년 정부지원 사업

지원기관

미래융합 파이오니어사업

한국연구재단

도약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12

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연구재단

우수연구센터사업

2011년 수주 연구비

과제수

수주 연구비

1

2

2

10

33

13

36

13

37

14

17

29

37

37

66

한국연구재단

16

23

16

14

18

26

우주개발사업

한국연구재단

1

5

6

7

2

1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36

43

26

37

14

21

특화연구사업

국방과학연구소

8

25

3

6

과제수

103

수주 과제수 연구비

2012년


<확장표 II-7-6> 미래융합 파이오니어사업 수행 현황 (한국연연구재단)

(단위: 백만원) 전체연구비 (백만원)

연번

책임 교수명

1

신민철

스핀트로닉 나노 라디오 구현

2011.07.15-2013.02.28

2

이상국

플라즈마파 트랜지스터기반 테라헤르츠 집적회로 기술 연구

2012.09.01-2018.02.28

연구제목

연구기간

2010년

2011년

2012년

250

525 550

소 계

250

1,075

* 연구비는 참여교수의 협약 액수

<확장표 II-7-7> 도약연구지원사업 수행 현황 (구NRL-한국연구재단) 연번

교수명

1

김이섭

연구제목

(단위: 백만원)

연구기간

임베디드 환경을 위한 통합 비주얼 2010.03.01-2013.02.28 컴퓨팅 플랫폼 연구(2차년) 자기장 공진기반 무선에너지 전송기술 김정호 2010.09.09-2013.08.31 연구 시선 제어, 자세 학습 및 발걸음 계획을 김종환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강인한통합 2010.03.01-2013.02.28 항법 기술 연구(2차년)

연구비 (백만원) 2010년 2011년 2012년 257

257

257

400

400

400

249

249

249

2010.09.01-2013.08.31

189

189

189

2010.03.01-2013.02.28

244

244

244

2010.05.01-2013.04.30

237

237

237

7

유회준 뇌모방 지능형 메니-코아 프로세서 연구 2012.05.01-2013.04.30

295

8

윤준보

2011.09.01-2013.08.31

300

300

9

이귀로

2010.05.01-2013.04.30

295

295

295

10

이상국

2010.07.01-2011.06.30

215

215

11

이수영

2010.09.01-2013.08.31

364

364

364

12

정윤철

2012.05.01-2013.04.30

295

13

조병진 고성능 그래핀 소자 직접회로 기술 개발 2010.09.09-2013.08.31

400

400

400

14

최양규

210

210

249

249

249

3,309

3,609

3,774

2 3 4

문재균 리드채널: 스토리지 신호처리

5

박현욱

6

15

고해상도 다중 뇌기능 정보측정 및 분석 방법(2차년) 실시간 대용량 환경에서 지능형 분산 송익호 정보처리 이론과 자원절약형 미래 통신 시스템

대면적 나노그리드 개발과 이를 이용한 나노 복합 소재 및 소자 개발 SAW 듀플렉서 및 여파기가 모두 제거된 이동통신 단말용 SDR 수신기의 단일 CMOS 칩 구현 Digital Tuner Single Chip 개발(2010년도) 인공인지시스템: 지능로봇의 능동적 인지기능 개발 및 미지환경 대응 기술 차세대 광가입자망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나노소자를 위한 trans-scale 융합 기술 2010.07.01-2012.06.30 개발 초소형 다중 입출력 레이더 3차원 홍성철 2010.03.01-2013.02.28 이미지 센서 시스템(2차년) 소 계

104


<확장표 II-7-8> 원천기술개발사업 수행 현황 (한국연구재단)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연구기간

1

권인소

인지-감정 통합모델을 알고리즘 개발

2

김대식

의도 개발

3

김대식

브레인 센서 개발을 위한 뇌 신호 분석 기술 개발

4

김정호 저전력

5

나종범

6

류승탁 스마트

7

박인철 HW/SW

8

박인철 스마트

9

박철순 스핀트로닉

10

박철순 빔 조향 기능을 갖춘 고속 radio-on-chip

11

박철순

12 13 14

(단위: 백만원)

위한 얼굴 추적

2010년 2011년 2012년

2011.07.01-2013.06.30

50

50

80

80

2011.09.29-2013.08.31

93

136

TB/s 3차원 IC 설계 기술 개발

2011.09.29-2013.08.31

93

126

PET 영상의 고속 재구성 및 영상 개선 알고리즘 개발

2010.07.01-2013.06.30

410

397

관련 다중 뇌신경정보 계산모델

2010.05.01-2013.04.30

집적 비전 센서 시스템

80

362

2012.09.01-2013.08.31

멀티코어 플랫폼

55

2011.09.29-2012.08.31

IT 스케일러블 멀티코어 플랫폼 나노 라디오 구현

다차원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 연구 / 고속 데이터 전송 나노소자 집적기술 초고자장 (7.0T) 시스템을 위한 영상 개선 박현욱 및 multi-modality 기법 개발 의도 관련 다중 뇌신경정보의 측정 및 박현욱 분석 MRI 와 삽입형 신경 접속 마이크로 박현욱 시스템의 동시 측정을 위한 MR 기술 개발

87

2011.09.29-2012.08.31

93

2012.09.01-2013.08.31 144

130

2010.05.01-2013.04.30

80

80

116 17

신민철 차세대 이동통신용 Nano Radio 구현

2009.10.01-2010.04.30

17

신민철

18

신민철 스핀트로닉 나노 라디오 구현

19

신민철

30

2011.07.01-2013.06.30

80

74

2011.07.15-2013.02.28

162

269

2012.07.15-2013.06.30 2010.08.16-2013.7.31

21

유경식 초고속

2011.09.29-2012.08.31

22

유경식

23

유승협 소프트

소자 기술

2011.09.29-2012.08.31

24

유승협 고성능

소프트 소자

2012.09.01-2013.08.31

25

유회준

다차원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 연구 / 고속 데이터 전송 나노소자 집적기술

150 50

47

105

2011.08.22-2012.08.31

97

83

2012.09.01-2013.08.31

실감 및 생체 신호 기반 지연모방 처리 기술 개발

80

2012.09.01-2013.08.31

16

데이터 전송 플랫폼

237

110

2010.04.01-2012.03.31

2012.03.01-2013.02.28

나노 소자 분야 교육 연구를 위한 전자 소자 시뮬레이션 코드 개발 및 활용 연구 인수공통 전염병원체 신속면역진단 및 유경식 모니터링 시스템개발

234

2011.07.15-2013.02.28

박현철 스핀트로닉 나노 라디오 구현

Atomistic 실리콘 CMOS 소자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143

2012.09.01-2013.08.31

15

20

연구비 (백만원)

106 32 40 400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실시간 3D 이미징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초고속 병렬처리 프로세서 기술

26

유회준

27

윤준보 에너지

28

윤찬현 클라우드

29

이상국

30 31 32

이희철 스마트

34

전주환

36 37

혁신 소자 Collaboration 기술

2010.07.01-2012.06.30

집적 비전 센서 시스템

78

2010.05.01-2013.04.30

2010.04.01-2011.01.31

78 64

390

40

2013.02.17-2013.07.31

25

2010.06.01-2012.05.31

150

150

290

290

조병진 고성능 소프트 소자

2012.09.01-2013.02.28

41

조성환

609 93

2012.09.01-2013.02.28

604

2011.11.01-2013.08.31

300

2012.09.20-2013.09.19 77

71

100

107

2010.06.01-2012.05.31

47

최양규 초저전력 신개념 전자소자의 개발

2011.09.29-2012.08.31

48

최양규 에너지 혁신 소자

2012.09.01-2013.02.28

49

홍성철

귀걸이형 바이오 유비쿼터스 심박 및 혈당 2010.04.01-2011.03.31 센서 연구 유헬스 모니터링 CMOS 테라헤르츠 센서 홍성철 2011.04.01-2014.03.31 연구

520 374

2010.04.01-2014.03.31

최양규 나노원천 융합메모리 소자기술 개발

290

175

2011.09.29-2012.08.31

46

50

58

73

40

그래핀 혁신소자를 위한 그래핀 성장 및 결함 제어 원천기술 개발 생체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바이오센서 최양규 연구

38

2012.09.01-2013.02.28

2011.09.29-2012.08.31

45

38

2012.09.01-2013.02.28

조병진 소프트 소자 기술

나노소자에 최적화된 저전력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스마트 센서를 위한 통신, 센싱 및 응용 조성환 플랫폼 연구

190

2012.09.01-2013.08.31

39

최성율

200

321

226

2010.06.01-2013.05.31

44

64

2012.09.01-2013.02.28

조병진 그래핀 제작방법 및 물성연구

최성율 신개념 소프트 소자 아키텍쳐

300

2011.09.29-2013.08.31

IR 영상품질 및 검보정 알고리즘 평가분석을 위한 가상영상 생성 스마트 센서를 위한 통신, 센싱 및 응용 정세영 플랫폼 연구 반복인자 및 반복인자 구조체 활동성 조동호 기반의 유동적 유전체 시스템 분석 기술 mW급 플랙시블 열전소자 기반 기술에 관한 조병진 연구

43

2010년 2011년 2012년

2012.09.01-2013.08.31

38

42

연구비 (백만원)

2011.09.29-2013.08.31

플라즈마파 트랜지스터기반 테라헤르츠 집적회로 기술 연구 스마트 센서를 위한 통신, 센싱 및 응용 이상국 플랫폼 연구 뇌정보처리에 기반한 음성과 영상 정보의 이수영 융합모델 및 이를 이용한 묵시적 의도의 파악 스마트 센서를 위한 통신, 센싱 및 응용 이융 플랫폼 연구

33

35

연구기간

83

93 93 77 71

83

51

홍성철 스마트 집적 비전 센서 시스템

2012.09.01-2013.02.28

45

52

홍성철 플라즈마파 트랜지스터기반 테라헤르츠

2012.09.01-2013.02.28

33

106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연구비 (백만원)

연구기간

2010년 2011년 2012년

집적회로 기술 연구 소 계

1,718

3,769

6,657

* 연구비는 참여교수의 협약 액수 <확장표 II-7-9> 우수연구센터사업 수행 현황 (한국연구재단) 연번 교수명 1 2

연구제목

(단위: 백만원) 연구기간

초소형 저전력 시스템에 의한 실시간 물체 2010.09.01-2013.02.28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 운행 제어를 위한 특정점 검출 및 매칭 김이섭 2011.03.01-2013.02.28 가속 하드웨어(3-4-1) 권인소

2010년 2011년 2012년 467

268

76

76

2011.03.01-2013.02.28

95

95

2010.03.01-2011.02.28

51

2011.03.01-2013.02.28

57

61

2010.03.01-2011.02.28

46

2012.03.01-2013.02.28

85

2012.03.01-2013.02.28

85

2010.03.01-2011.02.28

46 42

57

74

95

95

2010.03.01-2011.02.28

646

2012.03.01-2013.02.28

662

3

김정호 자동차

4

류승탁 Tunable

5

류승탁 광대역

6

문건우

7

문건우 고밀도

8

박경수

9

박성욱 Tunable

10

박성욱 Teconfigurable antenna

11

박인철

12

박철순 가변

13

박철순 Reconfigurable

14

박현철 Switched

빔 형성

2010.03.01-2011.02.28

46

15

박현철 Adaptive

Beam-former

2011.03.01-2013.02.28

57

61

16

유승협

2010.03.01-2013.02.28

74

74

74

2010.09.01-2013.02.28

46

95

95

2010.03.01-2013.02.28

65

55

64

2011.03.01-2012.02.29

38

2010.03.01-2011.02.28

74

2011.03.01-2013.02.28

76

95

2010.03.01-2013.02.28

65

74

64

2010.03.01-2011.02.28

51

17 18 19

전력시스템 통합

연구비 (백만원)

mixedsignal circuits ADC

플렉시블 투명 디스플레이용 구동회로 특성 개선 기술 연구 고효율 Batter Charger 연구

분산 기기 제어를 위한 플러그 앤 플레이(P&P) 미들웨어 and bio-compatable antena

다중 입출력 지원 실시간 제어용 고신뢰성 2010.09.01-2013.02.28 저전력 ECU(2-4) RF SoC/SoP

이상국 Switchable

21

이상국

23

mobile radio SoC/SoP

플렉시블 투명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 향상 연구 능동 안전을 위한 운전자 상태 스마트 유창동 인지기법 플렉시블 투명 디스플레이 용 MEMS 스위칭 윤준보 소자 특성 개선 연구 분산 기기 제어를 위한 플러그 앤 윤찬현 플레이(P&P) 미들웨어(2-1-2)

20

22

2011.03.01-2013.02.28

radio RFIC/system

광대역 무선 데이터 래디오 핵심 IP? 연구 플렉시블 투명 디스플레이용 구동회로 조규형 특성 개선 기술 연구 조성환 All-Digital

PLL에 관한 연구

107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연구비 (백만원)

연구기간

2010년 2011년 2012년

PVT variation에 둔감한 Low Noise 2011.03.01-2013.02.28 All-Digital PLL에 관한 연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신뢰성 및 최경철 2010.03.01-2013.02.28 투명도 향상 기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신모드 개발 및 특성 최양규 2010.03.01-2012.02.29 향상 기술 연구

47

57

446

452

528

46

46

27

홍성철 디지털

2010.03.01-2011.02.28

74

28

홍성철 Multi-standard

2011.03.01-2013.02.28

76

95

소 계

2,317

1,455

2,617

24 25 26

조성환

전송단에 대한 연구 Digital Power Amplifier

* 연구비는 참여교수의 협약 액수 <확장표 II-7-10> 우주개발사업 수행 현황 (한국연구재단) 연번 교수명 1

명로훈

2

유창동

3

이희철

4

이희철

5

전주환

6

전주환

연구제목

(단위: 백만원) 연구비 (백만원)

연구기간

재구성 가능한 위성용 디지털 IF 시스템 개발 다목적실용위성3호 영상자료 De-noising 알고리즘 개발연구 적외선 센서 영상신호처리 집적회로의 내 방사선화 (2차년도) 위성 탑재체용 내방사선 단위 MOSFET, ADC, SRAM 설계기반기술 개발 IR 영상품질 및 검보정 알고리즘 평가분석을 위한 가상영상 생성 다목적실용위성3호 영상자료 MTFC 복원 알고리즘 개발연구

2010년 2011년 2012년

2009.09.01-2011.08.31

500

486

2011.04.01-2012.06.30

50

2010.09.01-2011.08.31

50

2011.07.01-2013.06.30

110

120

2011.02.01-2013.01.31

40

40

2011.04.01-2012.06.30

50

소 계

500

786

160

* 연구비는 참여교수의 협약 액수 <확장표 II-7-11>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수행 현황 (한국산업기술평가원) (단위: 백만원) 연번 교수명 1 2 3 4 5

연구제목

2010.03.01 -2011.02.28 2010.06.01 권인소 UCR 웹 솔루션 기술(2차년도) -2011.05.31 단일카메라 기반 인지 모델 구축용 Natural 2011.10.01 권인소 Feature추출 기술개발 - 2012.09.3.0 인지품질 기반 스케일러블 3D 코덱 2011.05.01 김문철 핵심기술연구 -2013.02.29 권인소

다시점 영상 기반의 개발

연구기간

김문철 초고해상도

광대역 배경 복원 기술

비디오 코덱 SoC

2011.05.01

108

연구비 (백만원) 2010년

2011년

2012년

150

30

250

115

115

100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연구기간

6

김문철 초고해상도

비디오 코덱 모델링(RCMS과제)

7

김이섭 웨이퍼레벨

3차원 IC 설계 및 집적 기술

8

김정호 웨이퍼레벨

3차원 IC 설계 및 집적기술

9

김정호

10

시스템 반도체를 위한 3D Integration 요소 공정 기술 개발 치안안전을 위한 CCTV 통합관제센터용 노용만 온라인/실시간 지능형영상분석 및 수요자 맞춤형 검색 시스템 개발

11

류승탁 초고속 샘플링 CMOS ADC/DAC IP 개발

12

문재균 대용량 MLC SSD 핵심 기술 개발

13

박경수

14

독립형 컴포넌트 기반 서비스 지향형 페타급 컴퓨팅 플랫폼 기술 개발 매니코어와 차세대 메모리 결합형 박경수 아키텍쳐의 자원관리 기술 개발

2010년

2011년

2012년

115

150

150

32

460

267

450

100

100

120

70

50

90

104

201

135

150

47

50

80

72

19

100

100

200

240

240

20

40

54

200

200

2010.03.01 -2011.02.28

70

64

178

50

370

66

138

250

380

-2012.02.29 2012.03.01 -2013.02.28 2010.03.01 -2013.02.28 2010.03.01 -2013.02.28 2011.05.01 -2012.02.29 2011.06.01 -2012.05.31 2010.04.01 -2012.01.31 2010.03.01 -2013.02.28 2010.03.01 -2012.02.29 2010.03.01 -2012.02.29 2010.03.01 -2013.02.28 2010.03.01 -2013.02.28 2010.07.01 -2012.06.30 2011.07.01 -2011.12.31 2010.03.01 -011.02.28 2010.03.01 -2011.02.28 2011.03.01 -2013.02.29

15

박인철 대용량 MLC SSD 핵심기술 개발

16

박인철

17

박현욱

18

박현철

19

성단근

20

성영철

21

원용협 (N02100068) 광ID (Optical ID) 기술 개발

22

유승협 고품위

23

유승협

디스플레이 구조 혁신을 통한 선택적 투명 디스플레이 연구

2010.03.01. -2013.02.28

24

유종원

60GHz 대역의 빔성형 가능한 위상배열 안테나의 최적화 기술개발

25

유회준 직물형

26

윤준보

27

윤찬현 단말

2010.03.01 -2011.01.31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2.02.29 2010.03.01 -2011.02.28

28

개인 및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개방형 윤찬현 모바일 클라우드용 통합개발환경 및 이기종 단말 - 서버간 협업 기술 개발

에너지 스케일러블 벡터 프로세서 네트워킹 구조 연구 Si 신광전소자 및 PET-MR 시스템 융합 기술 개발 서브 (N04100086) LTE-Advanced Uplink MIMO channel estimator 개발 극한환경에서의 이동단말 메쉬 원천기술 추가 개발 빔분할다중접속과 그룹협력중계기반 5세대 이동통신시스템 기술 연구

plastic AMOLED 원천 기술 개발

회로 보드 개발

디스플레이 구조 혁신을 통한 선택적 투명 디스플레이 연구 독립형 퍼스널 클라우드 시

109

연구비 (백만원)

2011.05.01 -2012.02.29


연번 교수명 29 30

연구제목

차세대 생명정보 분석을 위한 생명정보학 플랫폼 개발(1/5)(RCMS과제)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윤찬현 개발(RCMS과제) 윤찬현

31

이상국 디지털

32

이용훈

33 34 35

연구기간

RF 설계 기초연구

빔분할다중접속과그룹협력중계기반5세대이동 통신시스템기술 연구 미래형 초소형셀 무선 자율 네트워크 이융 기술개발 초고속 광전송을 위한 기반 기술 및 이더넷 이준구 표준 기술연구 광통신망 및 광가입자망을 위한 저잡음 이창희 다파장 광원 기술개발

36

이창희 WDM-PON

노드 성능 감시

37

정세영

38

정송

39

정윤철

40

정윤철

41

조동호

42

조동호

43

조동호

44

조성환 디지털

RF 설계 기초연구

45

최경철 고효율

QFHD 새로운 셀 구조설계

46

최경철

47

최경철

48

최양규

49

최준균

50

최준균

51

최준균

52

홍성철 디지털

빔분할다중접속과그룹협력중계기반5세대이동 통신시스템기술 연구 미래형

초소형셀 무선 자율 네트 기술개발

초고속 광전송을 위한 기반 기술 및 이더넷 표준 기술연구 차세대 광전달망 구축을 위한 테라급 광-회선-패킷 통합 스위칭 시스템 개발(RCMS과제) 극한환경에서의 이동단말 메쉬 원천기술 추가 개발 빔분할다중접속과그룹협력중계기반5세대이동 통신시스템기술 연구 전자파, 음향 및 건물 환경을 개선하는 지능형 건설 IT 융합 신기술 개발(1년도)

디스플레이 구조 혁신을 통한 선택적 투명 디스플레이 연구 e-Textile 구현을 위한 Fiber 기반 고유연성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RCMS과제) 고집적 3차원 터널링 플래시메모리 기술 개발 3단계(2/2) (N03090064)서비스 가용성을 위한 이동성 관리 기술 연구 에너지 소비 자율제어가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 개발(5/2)(RCMS 과제) N-Screen 기반의 맞춤형 Learning Eco-System 연구개발 RF 설계 기초연구

2011.06.01. -2012.05.31 2012.03.01 -2013.02.28 2010.03.01 -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년

2011년

2012년

70

70

40

159

90

100

120

60

71

120

500

2012.03.01 -2013.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3.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1.02.28 2010.03.01 -2013.02.28 2012.06.01 -2013.05.31 2010.08.01 -2011.07.31 2010.03.01 -2011.02.28 2011.05.01 -2013.02.28 2011.07.01 -2012.06.30 2010.03.01. -2011.02.28 소 계

110

연구비 (백만원)

80 40 114 223

205

205

100

45

69

60

21

60

53

60

240

240

140

70

4,300

3,701

2,156


* 연구비는 참여교수의 협약 액수 <확장표 II-7-12> 특화연구사업 수행 현황 (국방과학연구소) 연번 교수명

연구제목

1

권인소 다중 센서를 이용한

2

권인소

3

(단위: 백만원) 연구기간

2010년 2011년 2012년

2010.03.02-2012.12.31

386

2010.03.02-2012.12.31

211

김탁곤 공학/교전모델 연동기술 연구

2008.05.01-2010.12.31

241

4

김탁곤 공학/교전모델 연동기술

2011.02.08-2013.12.31

276

5

김탁곤

2011.02.08-2013.12.31

187

6

나종범 다중센서

2010.03.02-2012.12.31

537

7

박동조 초분광

2010.03.02-2012.12.31

585

8

박동조

2011.02.08-2013.12.31

155

9

전주환 합성적외선

2010.03.02-2012.12.31

257

10

정세영

2009.01.01-2011.12.31

149

11

정송

2009.01.01-2011.12.31

163

소 계

2,529

618

다중센서기반의 연구

통합협업환경 연구(MS-34)

EOCCM기법 연구

연구비 (백만원)

지형 인식 및 융합기술

연구(MS-42)

HLA/RTI연동 기술

영상 특징 정합 기법 연구 분해기 설계 기술 연구

합성환경/실험체계 연구

전술객체 표현 기술

생성기법 연구

초고속 이동체를 위한 다중접속 /교환 기술(SW-42) 초고속 이동체를 위한 다중접속 /교환 기술(SW-42)

○ 산업체 지원 연구 수행 현황 o 2010년 산업체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82개, 총 연구비 38억 o 2011년 산업체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160개, 총 연구비 80억 o 2012년 산업체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198개, 총 연구비 99억 - 산업체 지원 과제 중에서, 본 사업단 참여교수의 지분이 1억 이상인 과제의 수행 내역은, 2010년 하이닉스반도체, 삼성전기, 한국단자공업, 삼성전자 로부터 총 4개 과제, 2011년 삼성전자, 삼성전기, 하이닉스반도체, 코오롱인더스트리 등으로부터 총 13개 과제, 2012년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코오롱중앙기술원, 실리콘웍스 등으로부터 총 26개 과제로,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 해외기관 지원 연구 수행 현황 o 2010년 해외기관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6개, 총 연구비 2.7억 o 2011년 해외기관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6개, 총 연구비 3.0억 o 2012년 해외기관 지원 과제 : 총 과제수 16개, 총 연구비 7.8억 - 해외기관 지원 과제 수행 내역은 2010년 AOARD, KDDI R&D Lab으로부터 총 2개 과제에 총 2.7억, 2011년 Qualcomm Inc., KDDI R&D Lab., Inc., HUAWEI Technologies로부터 총 3개 과제에 총 3.0억, 2012년 Qualcomm

111


Inc., KDDI R&D Lab., Inc., HUAWEI Technologies로부터 총 14개 과제에 총 7.8억이다. 매년 해외기관 지원의 과제 수와 연구비가 규모가 급증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확장표 II-7-13 참조) <확장표 II-7-13> 주요 해외기관 지원 과제 수행 현황

(단위: 백만원) 2010년

2011년

2012년

연번

지원 기관명

과제책임자 (대표교수)

1

AOARD

김대식

44

2

PANASONIC Corp.

김정호

30

20

10

노용만

16

노용만

64

류승탁

39

3

Advanced

4

Ultrasound Technologies Inc.

University

5

of Toronto

Qualcomm

Inc.

수주 연구비 수주 연구비 수주 연구비

6

INSIC

문재균

39

7

IDEMA

문재균

94

of California, Berkeley

유경식

31

10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이수영

23

이수영

84

78

84

이수영

86

8 9

University Sony

10

AOARD

11

Qualcomm

Inc.

12

한국퀄컴주식회사

이수영

40

13

AOARD

이수영

44

14

HUAWEI

Technologies CO.,LTD

정윤철

34

15

HUAWEI

Technologies CO.,LTD

정윤철

32

28

정윤철

69

69

71

조동호

22

조병진

94

43

16

KDDIR&DLab.,Inc.

17 18

SHRINERS Lam

HOSPITAL

Research Corporation

19

AOARD

Jun Tani

20

한국마이크로소프트(유) (MSRA)

Yu-Wing Tai 소 계

* [첨부 11-3] 최근 3년간 참여교수의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실적

112

44 270

295

777


8.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8.1 참여교수의 국제화 현황(최근 3년) ◎ 요약 o 11명의 국제 학회 Fellow (IEEE Fellow 8명) o 17건의 국제학회 수상실적 o 123건의 초청 및 기조 강연 o 91건의 국제학술회의 Chair 활동 o 344건의 국제학술회의 주요위원회 활동 (TPC/PC/OC, Session Chair는 제외) o 107건의 국제학술지 편집위원 활동 (IEEE/ACM: 46건) o 6건의 국제 저술 (단행본) 과 31건의 Book Chapter 저술

가. 국제학회/학술대회 활동 ■ 국제학회 Fellow 선정 IEEE, OSA와 같은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회에서 학과 소속 교수 중 총 11명이 Fellow로 활동 중이다. Fellow란 저명한 학술단체들이 학회의 명예와 명성을 대표할 만한 탁월한 연구 및 학술 업적을 낸 석학에게 주는 학술칭호이며, 세계 최대의 전기전자 공학계열 학회인 IEEE의 경우, 학회회원 중 매년 회원의 0.1%이내에서 Fellow를 선임하고 있다. (확장표 II-8-1 참조) <확장표 II-8-1> 국제학회 Fellow 내역 (총 11건) 선정년도

교수명

학회명

2005

문재균

IEEE Fellow

2005

이주장

SICE Fellow

2005

이주장

ICROS Fellow

2006

정윤철

IEEE Fellow

2006

정윤철

OSA Fellow

2008

유회준

IEEE Fellow

2008

이주장

IEEE Fellow

2009

경종민

IEEE Fellow

2009

김종환

IEEE Fellow

2009

송익호

IEEE Fellow

2010

이창희

IEEE Fellow

113


■ 국제 학회 각종 수상 저명한 국제학회에서의 수상은 단순 논문 발표를 넘어선, 즉, 그 학회의 최고 논문들에만 주어지는 영예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총 14건의 국제 학회로 부터의 수상을 통하여 최고의 논문들 중 최고의 결과를 양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2013년 정송 교수와 서창호 신임 교수는 IEEE Communication Society에서 최근 3년간 최고의 네트워크 논문과 통신 이론 논문에게 주어지는 IEEE William R. Benett Prize Paper Award와 Stephen O. Rice Prize Paper Award를 받으므로써 연구단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2010년 박경수 교수는 최고의 네트워크 학회인 ACM Sigcomm에서 Best Poster Award를 받음으로써 본 연구단이 세계 최고의 결과를 양산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확장표 II-8-2 참조)

<확장표 II-8-2> 국제학회 수상실적 (총 17건) 연번 참여교수

수 상 명

학 회 명

1

김정호

Young Award in ICSJ 2010

IEEE CPMT Symposium Japan 2010

2

김정호

Technical Achievement Award

3

김정호

Best Student Symposium Paper Award Second Runner Up

4

김정호

Best Student Paper Award

2010 IEE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Society 2011 IEEE International Sympo.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8th Internat. Workshop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of Integrated Circuits (EMC COMPO)

5

김탁곤

The First International Bernard P.Zeiglar DEVS Modeling and Simulation Award

DEVS Symposium 2010

6

김탁곤

Best Paper Award

The 2010 Summer Computer Simulation Conference 2010

7

박경수

Best Poster Paper Award

2010 ACM SIGCOMM Conference

8

서창호

9

서창호

“IEEE Communications Society Stephen O. Rice ICC2013 Prize” “Best Student Paper Award of the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ISIT2010

10

유경식

Best Student Paper Award

OECC 2012

11

유승협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n Glass-Fabric-Reinforced Composite Substrates The 10th Flexible Elec. & Display Conference Student Research Poster Award

The 10th Flexible Elec. & Display Conference 2011

12

유종원

Best paper award

13

유회준

14

이수영

15

이수영

16

정윤철

The IEEE Photonics Society Japan Chapter Young Scientist Award

15th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0

17

조성환

2012 ISSCC Takuo Sugano Award for Outstanding Far-East Paper

ISSCC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FID 2013 Asian Solid-State Circuits Student Design Contest Outstanding Design Award IEEE Conference 2010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ICA Unsupervised Learning Pioneer Award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Consumer Electronics 2012 “Best Student Paper” 수상

114


■ 초청 및 기조 강연 본 사업단의 참여교수들은 국제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포럼, 컨퍼런스, 각종기관 등에서 초청을 받아서 강연을 함으로써 본 사업단의 위상을 제고하였고, 이는 우수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음은 물론, 사업단의 지원으로 얻은 성과를 이용하여 국제학회를 선도하는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초청강연의 주제들로는 이동통신, 생물정보학, 유비쿼터스 컴퓨팅, 방송통신, e-learning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123건의 초청강연을 하였다. (확장표 II-8-3 참조)

<확장표 II-8-3> 초청 및 기조 강연 활동 내역 (총 123건)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

김종환

Plenary Speech

2

김종환

Invited Talk

3

김종환

Invited Talk

4

김종환

Keynote Speech

5

김종환

Invited Talk

6

김종환

Keynote Speech, Invited Lecture

IEEE CIS Summer School, Purdue University, 2011

7

김종환

Keynote Speech

International Robot Forum,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2011.

8

김종환

Keynote Speech

FIRA RoboWorld Congress 2011

9

김종환

Keynote Speech

IEEE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Games

10

김종환

Keynote Speech

IEEE Conference on System, Man and Cybernetics 2011

11

김종환

Keynote Speech

IEEE TENCON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2011

12

서창호

Invited Talk

13

서창호

Invited Talk

14

서창호

Invited Talk

15

서창호

Invited Talk

16

서창호

Invited Talk

17

서창호

Invited Talk

18

서창호

Invited Talk

19

서창호

Invited Talk

20

서창호

Invited Talk

21

서창호

Invited Talk

22

서창호

Invited Talk

23

성영철

Invited Talk

24

신민철

Invited Tal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oid, Nan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Control, Environment and Management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Analysis and Intelligent Robotics 2011 Workshop on Intelligent Robotic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Analysis and Intelligent Robotic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ttern Analysis and Intelligent Robotics 2011 Focus Faculty Colloquium, University, Malaysia Pahang, 2011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Interactive Function Computation” Feb. 2013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Interactive Function Computation” Feb. 2013 Samsung Electronics, “Interference Alignment for Cellular Networks” Nov. 2012 Coding and Information Theory Workshop, “Computation in Multicast Networks” Oct. 2012 Rutgers Colloquium Lecture Series, “Computation in Multicast Networks” Oct. 2012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Two-way Interference Channels” Feb. 2012 MIT Special Seminar, “Role of Feedback in Networks” Oct. 2011 UIUC Communications Seminar, “Role of Feedback in Networks” Sep. 2011 KAIST EE Special Seminar, “Role of Feedback in Networks” Mar. 2011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Role of Feedback in Networks” Feb. 2011 USC Communications-Networks-Systems Seminar, “Role of Feedback in Networks” Jan.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Signal Processing 2011 Quantum Transport in Nanowire FETs: The k.p Method (Osaka

115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25

신민철

Invited Talk

26

신민철

Invited Talk

27

양경훈

Invited Speaker

28

유경식

Invited talk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1

29

유승협

Invited talk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11

30

유승협

Invited talk

Solid State And Organic Lighting Meeting 2011

31

유승협

Invited talk

32

유회준

Invited talk

33

유회준

Invited talk

34

유회준

Invited talk

35

유회준

Invited tal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 and Clean Energy Technologies 2011 IEEE DL Lecture (Wearable Healthcare), University of Texas, Austin, USA/ Apr. 18,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otoelectronic Detection and Imaging 2011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Keio University, Japan/ Jun. 18-19, 2011 Energy-Efficient SoC for BAN/Healthcare Applications, Keio University, Japan/ Jun. 18-19, 2011

36

유회준

Invited talk

IEEE IMWS Lecture (Wearable Healthcare), KAIST, Korea 2011

37

유회준

Invited Talk

IEEE RFIC Symposium Workshops 2011

38

이수영

Invited Talk

39

이수영

Plenary Talk

40

이수영

Invited Talk

41

이수영

Plenary Talk

42

이수영

Plenary Talk

43

이수영

Invited Talk

44

이수영

Invited Talk

45

이수영

Invited Talk

46

이수영

Invited Talk

47

이수영

Tutorial

48

이수영

Invited Paper

49

이수영

Invited Paper

Active Learning by Selecting New Training Samples from Unlabeled Data,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logically Inspired Cognitive Architectures 2012 Active Learning and Implicit Intention Understanding: Two New Functions for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22nd Italian Workshop on Neural Networks2012 Understanding Human Implicit Intention, The 11th Japan-Korea-Chin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1 Implicit Intention Understanding and Hierarchicalth Knowledge Development for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2011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with Active Learning and Situation rd Awareness Capability, 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Neurodynamics 2011 Discriminant Feature Extraction and Top-Down Attention for th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The 10 China-Indi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0 Artificial CognitivendSystems with Active Learning and Self-Identity, The 2 International Symposium on Brain and Cognitive Engineering 2010 Perspetives on Neuroinformatics as an Important Tool for an Engineering Goal - Artificial Cognitive System, INC Neuroinformatics/Neuro 2010 Modeling Human Auditory Pathway for Feature Extraction, Binaural Processing and Top-Down Attention, APCTP Workshop-Physics of Hearing and Neurons Meets Nanoelectromechanics 2010 Generative and Discriminative Feature Extraction,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novations in Intelligent Systems and Applications 2010 Learning One-to-many Mapping Functions for Audio-visual Integrated Perception,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2010 Proactive Learning for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2010

50

조병진

Invited Talk

Material Research Society 2011-Spring Meeting

University) Quantum Transport of Holes in Nanoscale FETs (ACCMS-WGM3 학회) Full quantum-mechanical calculation of surface-roughness-limited mobility and mean-free-path in Si nanowire FETs (Nano-S&T 학회) IEEE NANO Conference 2012

116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51

조병진

Invited Talk

IEEE International Nano Electronics Conference 2011

52

최경철

Invited Talk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2011

53

최경철

Invited Tal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electronics And Plasma Technology 2011

54

김대식

Invited Speaker

Japanese Neuroscience Society Meeting 2010

55

김대식

Invited Speaker

China-India-Japan-Kore 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0

56

김정호

Invited Speaker

BEMS (Bioelectromagnetic Society Symposium) 2010

57

김종환

Invited Lecturer

IEEE CIS Winter School 2010

58

김종환

Invited Speaker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Education 2010

59

김종환

Invited Speaker

International Workshop on Nature Inspired Computation and Applications (IWNICA) 2010

60

김종환

Invited Speaker

China Humanoid Robot Workshop 2010

61

김종환

Keynote Speaker

FIRA RoboWorld Congress 2010

62

김종환

Keynote Speaker

A*STAR Workshop on Robotics 2010

63

김종환

64

김종환

IEEE Symposium on Computer, Communication, Control and Automation 2010 Symposium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Robotics and Tutorial Lecturer IEEE Automation 2010

65

김종환

Tutorial Lecturer FIRA Robo World Congress 2010

66

나종범

Invited Speaker

IFMIA 2011

67

박철순

Invited Speaker

Global Symposium on Millimeter Wave (GSMM) 2010

68

유경식

Invited Speak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Internet 2010

69

유승협

Invited Speaker

Asian Conference on Organic Electronics 2010

70

유회준

Invited Speaker

Body Sensor Networks 2010

71

윤찬현

Invited Speaker

IEEE APCC 2010

72

이상국

Invited Speaker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0

73

이창희

Invited Speaker

Opto Electronics and Optical Communications Conference (OECC) 2010

74

이창희

75

이희철

Invited Speaker

SPIE 2010

76

정세영

Invited Speaker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2010

77

조병진

Invited Speaker

WCU Symposium on Nanobio Materials and Electronics 2010

78

조병진

Invited Speaker

79

조병진

Invited Speaker

80

조병진

Invited Speaker

2010 Asia-Pacific Workshop o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Advanced Semiconductor Devices Recent Advances in Graphene and Related Materials 2010, Engineering Conferences Internation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Materials 2010, International Union of Materials Research Societies

81

최경철

Invited Speaker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2010

82

최경철

Keynote Speaker

International Vacuum Congress 2010

Plenary Speaker

Tutorial Lecturer FTTH Asia-Pacific Council meeting 2010

117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83

한민수

Keynote Speaker

84

강준혁

Invited Talk

85

권인소

Keynote Speaker

86

김종환

Plenary Talk

87

김종환

Keynote Speak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Conver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2

88

김종환

Keynote Speaker

International Industry-Academics Forum 2012

89

김종환

Invited Talk

90

김종환

Invited Tutorial Talk

91

김종환

Invited Talk

92

김종환

Invited Speech

93

김종환

Invited Talk

94

김종환

Keynote Speaker

95

김종환

Invited Talk

96

김종환

Keynote Speaker

97

문재균

Invited Tal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ions, Robotics and Applications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2012

98

양경훈

Invited Talk

US-Korea Nano Workshop 2012

99

양경훈

Invited Talk

IEEE NANO Seoul Chapter Seminar 2012

100

양경훈

Invited Talk

SEMATECH Symposium Korea 2012

101

정세영

Invited Talk

Network Science Workshop 2012

102

정세영

Invited Talk

KICS North America Branch Workshop 2012

103

정송

Invited Tutorial Talk

104

정송

Invited Talk

International Workshop on Cyber Physical Systems 2012

105

조병진

Invited Talk

IEEE RF Nano Technology 2012

106

조병진

Invited Talk

Conference on RPGR 2012

107

조병진

Invited Talk

US-Korea Nano Workshop 2012

108

Jun Tani

Plenary talk

109

Jun Tani

Invited talk

110

Jun Tani Jun Tani Jun Tani Jun Tani Jun

Invited talk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12) 2012 Humanoids 2012 Workshop on Developmental Robotics: Can developmental robotics yield human-like cognitive abilities? (2012) 12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2) th The 7 APCTP-KAIST School for Brain Dynamics: Young Computational Neuroscientist Workshop (2012)

111 112 113 114

Keynote lecture Invited talk

주최 및 주제 World Voice Congress 2010 Harvard University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strumentation, Control,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 Integration 2012 Ubiquitous Robot Workshop, Ubicom Conference 2012

National Chung Cheng University 2012 IEEE World Congres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2012 Purdue University 2012 IT University of Copenhagen 2012 Khalifa University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Education 2012 Annual General Meeting 2012

Asia 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2

Cognitive Neuroscience Workshop at IROS2012 (2012)

Workshop on Cognitive Dynamics in Neural Systems: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Modeling (2012) Invited seminar at Frankfurt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011) Invited talk

118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FIAS Colloquium

120

Tani Jun Tani Jun Tani Jun Tani Jun Tani Jun Tani Jun Tani

121 122

115 116 117 118 119

123

주최 및 주제

Invited seminar

The Life & Mind Seminar Network (2011)

Invited seminar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2011)

Invited talk

AAAI Workshop on Language-Action Tools for Cognitive Artificial Agents: Integrating Vision, Action and Language (2011) 5th Workshop on the Anticipatory Behavior in Adaptive Learning Systems (ABiALS2010/11) (2011) Santa Barbara Workshop on Multi-level Integration organized by Michael Gazzaniga, USA (2010)

Invited talk

Workshop on Mirror Code for Social Interactions (2010)

Jun Tani

Invited talk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ational Neuroscience “Phenomenology, Function, and Computation of Consciousness” (2010)

Jun Tani Jun Tani

Plenary talk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Poland (2010)

Invited talk

Cognitive Robotics Research Methods Workshop, UK (2010)

Invited talk Invited talk

■ 국제학술회의 좌장 및 주요위원회 활동 - 본 사업단의 참여교수들은 활발한 국제학술활동을 통해 각종 Chair 활동 91건의 실적이 있었다. 최근 1년간의 Chair 활동 37건 중 13건(35%)이 IEEE 학회의 chair 활동들이다. (확장표 II-8-4 참조) - 국제학술활동으로써, 또한, 학회의 발표 논문의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TPC/PC/OC (Technical Program Committee, Program Committee, Organizing Committee)등의 주요위원회 활동 실적으로 344건이 있었다. (확장표 II-8-5 참조)

<확장표 II-8-4> 국제학술회의 Chair 활동 실적 (좌장 실적은 제외) (총 91건)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

강준혁

Chair

2

강준혁

Chair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Personal Terminals 2011 IEEE International Midwes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 2011

3

강준혁

Chair, TP Chair

4

김정호

TPC Chair

Asia-Pacific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Technical Exhibition on EMC RF/Microwave Measurement & Instrumentation 2011

5

김용대

Co-Chair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ecurity Applications 2013

6

김종환

President

FIRA 2011 Robot World Cup & Congress

7

김종환

Presid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2011

8

김종환

Chair

9

노용만

Organization Chair

10

류승탁

Finance Chair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1-Spring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Society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1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Personal Terminals 2011

119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1

문건우

TPC Vice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2011

12

박현철

General Chair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Personal Terminals 2011

13

박홍식

Organizing Committee Chair

14

신영수

Track Chair

15

신영수

Track Vice-Chair

16

유창동

Tutorial Chair

17

유회준

Far-East Committee Chair

18

윤찬현

Chair

19

윤찬현

Program Co-Chair

20

이수영

Conference Co-Chairs

21

이융

TPC Chair

22

이융

Publication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2011

23

이준구

Publicity Co-chair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 World of Wireless, Mobile and Multimedia Networks 2011

24

이준구

TPC Subcommitte Co-Chair

IEEE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2

25

정송

TPC Vice Chair

Global Future Internet Summit 2011

26

정윤철

General Chair

Korean-Japan Workshop on Beyond 100G

27

정윤철

TPC Chair

28

정윤철

General Chair

29

조동호

SC Co-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1

30

최경철

Program Chai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1

31

최완

Co-Chair

32

최완

Publication Chair

33

최완

Co-Chair

34

최준균

Publicity Co-Chairs

35

최준균

36

한영남

Organizing committee Co-Chair Chapter Chair Coordinator

37

권인소

Area Chair

38

김대식

Chair

39

김대식

Co-Chair

40

김정호

Co-Chair

Triangle Symposium on Advanced ICT 2011 Asia South Pacific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2011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2012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pus Information Exascale Supercomputing Workshop 2011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2010 / Conference 7703 (Independent Component Analyses, Wavelets, Neural Networks, Biosystems, and Nanoengineering VIII) Workshop on Green Multimedia Communication 2011

Optical Fiber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2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 Networking Conference 2011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Terminal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1 International ICST Conference on Testbeds and Research Infrastructures for the Development of Networks and Communitie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1 IEEE VTS Asia Pacific Wireless Communications Symposium 2011 ACCV 2010 The Human Connectome: Views from MRI and Microscopy 2010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ational Neuroscience 2010 EDPAS (Electrical Design of Packaging and Advanced

120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41

김종환

Technical Committee Chair

42

김창익

Publication Chair

43

나종범

General Chair

44

박홍식

Co-Chair

45

박홍식

TPC Co-Chair

TRIDENTCOM 2011

46

성단근

TPC Co-Chair

WCNS 2011

47

신영수

Track Vice-Chair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ISLPED) 2010

48

원용협

TPC Chair

COIN 2010 (International Conf. on Optical Internet)

49

유회준

Committee Chair

IEEE ISSCC Far-East 2010

50

유회준

Committee Chair

IEEE VLSI-DAT Digital 2010

51

윤준보

Subcommittee Chair

52

이융

Area Track Chair

53

이융

Co-Chair

54

이융

Local Arrangement Chair

55

이준구

Co-Chair

56

이준구

TCP Subcommitte Co-Chair

COIN 2010

57

정송

TPC Co-Chair

CFI 2010

58

정윤철

Subcommittee Chair

Optical Fiber Communication Conference 2010

59

조동호

Organization Chair

2010 International Forum on Electric Vehicle

60

최경철

Organizer

61

최양규

Chair

62

최완

Co-Chair

63

한영남

Chair

64

강준혁

Vice Chair

65

권인소

General Chair

Asi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2012

66

권인소

Vice President

Asian Federation of Computer Vision 2012

67

김종환

General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2

68

김종환

President

Federation of International Robot-soccer Association 2012

69

김종환

President

International Robot Olympiad 2012

70

나종범

General Chair

Systems) Workshop 2010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warm Intelligence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ICME2010) IFMIA 2011 WIN 2010 Workshop

Design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2011 IEEE TENCON 2010 IEEE MMTC (Multimedia Technical Committee), GMCIG (Green Multimedia Communications Interest Group) 2010 CFI 2010 PS 2010 Workshop on Energy efficient workshop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and Displays 2010 IEEE Electron Device Society 2010 IEEE Wireless Comm. and Networking Conference (WCNC) 2010 IEEE APWCS BoG 2010 Information Service at IEEE Communication Society Asia Pacific Region 2012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maging in Asia 2012

121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71

노용만

Publicity Chair

The 20th ACM Multimedia 2012

72

문건우

TPC Vice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Engineering 2012

73

문건우

TPC Display Topic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Engineering 2012

74

박현욱

Program Chair

75

성단근

Chair

76

성영철

Vice Chair

IEEE Asia Pacific Board, Meeting and Conference Committee 2012

77

신영수

Finance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eld Programmable Technology 2012

78

원용협

TPC Cochair

79

유회준

80

유회준

81

윤준보

82

윤준보

83

이융

Area Track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2012

84

이융

Cochair of Green Communications Interest Group

IEEE MultiMedia Technical Committee 2012

85

정세영

TPC CoChair

86

조병진

Scientific Program Chair

Carbon 2014

87

조성환

SubCommittee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88

조성환

CoChair

89 90

최경철 최성율

Program Chair TPC Chair

91

홍성철

TPC Chair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maging in Asia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s and Green IT Systems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Internet 2012

Far East Committee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Chair Director SubCommittee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Technology Chair 2012 SubCommittee Chai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2

Chief Korean Delegate World MicroMachine Summit 2012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2014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Student Research Preview 2012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2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2 Asia Pacific Microwave Conference 2013

<확장표 II-8-5> 주요 위원회 실적 (TPC/PC/OC member 실적) (총 344건)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

김정호

TPC Member

2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3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4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Conference on Electrical Performance of Electronic Packaging and Systems 2011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1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2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3

5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2013

122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6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7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8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9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0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1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2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3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4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15

김용대

Steering Committee Member

ACM Symposium on Inform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ASIACCS), 2012 ACM Symposium on Inform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ASIACCS),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ICDCS),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ICDCS),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ICDCS), 2013 ACM Conference on Data and Application Security and Privacy (CODASPY)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CFI),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CFI),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CFI), 2012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3

16

김용대

Program Committees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 (WWW) 2013

17

김종환

PC Member

18 19 20

김종환 김종환 김종환

PC Member TC Member TC Member

21

김종환

TPC Member

22

김종환

TPC Member

23

김창익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Bionics and Biomechanics 2011 IEEE Conference on Systems, Man&Cybernetics 2011 IEEE Congres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2011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mulated Evolution and Learning Conference 2011 IEEE Congress on Trends and Developments in Converging Technology 2011 IEEE FT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and Ubiquitous Engineering 2011

24

김창익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f 3D Systems and Applications 2011

25

김창익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2011

26

김창익

TPC Member

27

김창익

TPC Member

28

김창익

TPC Member

29

김회린

T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Future Internet AFIN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2011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2011 Interspeech 2011

30

노용만

TPC Member

IEEE Consumer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1

31

노용만

TPC Member

32

노용만

TPC Member

33

노용만

TPC Member

34

노용만

TPC Member

35

노용만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ecurity and Assurance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Large Scale Visual Analytics on IEEE Internat. Conf. on Data Mining Serie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s and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2011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System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2011

123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36 37

류승탁 류승탁

TPC Member TPC Member

38

문건우

39

박경수

TPC Member

40

박경수

TPC Member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2011 ACM Cloud Computing Security Workshop 2011

41

박경수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Applied Cloud Computing 2011

42

박경수

TPC Member

43

박경수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2011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Networking Experiments and Technologies 2011

44

박성욱

TPC Member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2011

45 46 47

박철순 박현철 박현철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IEEE Compound Semiconductor IC Symposium 2011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Spring 2011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Fall 2011

48

서창호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3

49

성영철

TC Member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s Sign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2011

50

성영철

TC Member

51 52 53

성영철 성영철 성영철

T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54

성영철

TPC Member

55

성영철

TPC Member

56 57 58

성영철 송익호 송익호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59

송익호

TPC Member

60

신민철

Advisory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Workshop on Computational Electronics 2012

61

신민철

Program Committee Membe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 Dynamics in Semiconductors, Optoelectronics and Nanostructures 2012

62

신민철

The IEEE Conference on Nanotechnolgy 2010

63 64

신영수 신영수

Program Committee Member TC Member TPC Member

65

신영수

TPC Member

66 67 68

신영수 신영수 원용협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69

원용협

TPC Member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Triangle Symposium on Advanced ICT 2011

Award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2011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Methods (SIPTM) TC of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2011 IEEE JSAC Special Issue on Wireless MIMO Relays Communication Theory Symposium 2011 IEEE Globecom (WCS/WNS) 2011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PSIPA)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System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2011 EURASIP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2011 IEEE Pacific Rim Conference 2011 IASTE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maging and Signal Processing in Healthcare and Technology 2011

ACM SIGDA Low-Power 2011 Asia South Pacific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2011 PhD Forum at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2011 Asia Symposium on Quality Electronic Design 2011 Photonics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2011

124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70

유경식

Local organizing committee

71

유승협

TPC Membe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1

72

유종원

TPC Member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2011

73

유종원

TPC Member

International RF and Microwave Conference

74

유창동

TPC Member

IEEE Workshop on Machine Learning for Signal Processing

75

유회준

76 77

유회준 유회준

Executive Committee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78

윤준보

79

윤찬현

80

이수영

81

이수영

82

이수영

Program Committee

83

이수영

Advisory Committee Member

84

이수영

Organizing Committee

85

이수영

86

이수영

Program Committee Program Committee Co-Chair

87

이수영

Advisory Board

88

이수영

Organizer

89

이수영

Advisory Board

90

이융

TPC Member

91

이융

Networks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2011

92

이융

TPC Member

93

이융

TPC Member

94

이융

TPC Member

95 96

이융 이융

TPC Member TPC Member

97

이준구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Algorithms, Systems, and Applications 2011 International Teletraffic Congress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Hoc and Wireless Networks 2011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1-Optical Networks and Systems (ONS)

98

이준구

TPC Member

IEEE Globecomm 2011-Optical Networks and Systems (ONS)

99 100

이창희 이창희

TC Member TPC Member

WDM-PON Standard Department in TTA 2011 FTTH Industrial Council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rface Plasmon Photonics 2011

IEEE VLSI Symposium 2011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TPC Member and Microsystems 2011 TPC Member Triangle Symposium on Advanced ICT 2011 th Advisory Committee 1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Member Processing 2012 th 12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Organizing Committee The Neuroinformatics 2012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2012 / Conference 8401 (Independent Component Analyses, Compressive Sampling, Wavelets, Neural Net, Biosystems, and Nanoengineering X) th

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2011 The 11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1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2011 rd The 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Neurodynamics 2011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2010 th The 10 China-Indi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2010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pplied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2011

125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01 102 103 104 105

이창희 이창희 이희철 정세영 정세영

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106

정세영

TPC Member

107 108 109

정세영 정세영 정송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110

정송

TPC Member

111

조규형

TPC Member

112

조동호

PC Member

Optical Access Network in IITA 2011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11 IEEE Information Theory Workshop 2012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2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 Hoc 2011 Wireless Networks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Network Intelligence 2011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Network Intelligence 2011

113

최경철

Organizer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and Displays 2011

114 115

최경철 최경철

PC Member PC Member

116

최경철

PC Member

117

최경철

PC Member

118

최완

TPC Membe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1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electronics and Plasma Application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and Printing Electronics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2012

119

최완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 & Networking Conference 2012

120

최완

TPC Member

121

최완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Technology 2011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1 Spring

122

최완

TPC Member

IEEE Workshop on Indoor and Outdoor Femto Cells 2011

123

최완

Secretary

124

최준균

TPC Member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홍성철 홍성철 강준혁 강준혁 권인소 권인소 권인소 김정호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Committee Member

IEEE Communications Society Asia Pacific Board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2011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1 IEEE Radio and Wireless Symposium 2011 IEEE Globecom 2010 IEEE VTC 2010 Spring IROS 2010 ICRA 2010 CVPR 2010 EPEPS 2010

133

김정호

Distinguished Lecturer

IEEE EMC Society 2010

134

김정호

IEEE EMC 2010

135

김정호

136

김정호

137

김정호

Education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Steering Committee Technical Committee Member Technical Committee Member

IEEE EDAPS 2010 IEEE EPTC 2010 IEEE EMC Symposium 2010

126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138 139 140

김정호 김정호 김창익

TPC Member TPC Member Committee Member

141

김창익

International Program AFIN 2010 Committee Member

142

김창익

143 144

김창익 김창익

145

김회린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성욱 박인철 박철순 박현철 박현철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Scientific Committee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echnical Committee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161

성단근

TPC Member

162 163 164

성단근 성단근 성단근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165

성영철

Associate Member

166 167 168 169 170

성영철 성영철 성영철 성영철 성영철

TPC TPC TPC TPC TPC

171

성영철

TPC Member

172 173 174 175

송익호 송익호 신민철 신영수

TPC TPC TPC TPC

176

신영수

TPC Member

177

신영수

TPC Member

178

신영수

TPC Secretary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주최 및 주제 IEEE CPMT Society TC-12 2010 IEEE APEMC 2010 3DSA 2010

Korea-Japan Joint Workshop on Frontiers of Computer Vision 2010 AfricaIMSA 2010 ICME 2010 Interspeech 2010 ACMAPSYS 2010 IPTPS 2010 IEEE CloudApp 2010 ISAP 2010 ASP-DAC 2010 IEEE Compound Semiconductor IC Symposium 2010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Spring 2010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Fall 2010 COR 2010 IEEE ICC 2010 Communications QoS ICC 2010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IEEE Globecom 2010 IEEE ICC 2011 IWGC 2010 IEEE CQR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and Networks 2011 IEEE MCTC 2010 International Workshop on Green Communications 2010 ICME 2011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Sign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s TC 2010 Globecom 2010 PIMRC 2010 DCOSS 2010 MILCOM 2010 APSIPA AC 2010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ation (APSIPA) 2010 EURASIP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2010 IASTED 2010 IEEE-NANO 2010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DAC) 2010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ISLPED) 2010 SIGDA Ph.D. Forum at DAC 2010 Asia-South Pacific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ASP-DAC) 2010

127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179 180

원용협 원용협

TPC Member TPC Member

181

유창동

TPC Member

182

유창동

183

유회준

184

유회준

185

유회준

186 187 188

윤준보 윤준보 윤준보

TPC Member Executive Committee Member Steering Committee Member Technical Program Committee Member 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189

윤찬현

TPC Member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윤찬현 이상국 이용훈 이용훈 이융 이융 이융 이융 이융 이융 이융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TPC Member TPC Member Secretary Treasur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204

이창희

TPC Member

205

이창희

TPC Member

206

이창희

TPC Member

207 208 209 210 211 212

이희철 정세영 정세영 정세영 정세영 정세영

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213

정세영

TPC Member

214 215 216 217 218 219

조규형 조동호 조동호 조동호 조성환 조성환

TPC Member Committee Member Committee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주최 및 주제 ECOC 2010 ICOCN 2010 IEEE Workshop on Machine Learning for Signal Processing (MLSP) 2010 IS&T/SPIE Electronic Imaging 2010 IEEE VLSI Symposium Executive 2010 IEEE A-SSCC 2010 IEEE ISSCC 2010 Transducer 2011 IEEE MEMS 2010 KMEMS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cs and Computing (PIC-2010) TriSAI Symposium 2010 2010 ISOCC Global Engineering Deans Council(GEDC) APSIPA ASC 2010 WiOpt 2010 IEEE Infocom 2010 IEEE ICC 2010 IEEE Globecom 2010 CFI 2010 ICUFN 2010 ICOIN 2010 CoNext 2010 PS 2010 ICC 2011 ONS OECC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1 IC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cess Networks) 2010 CLEO (Conference on Laser and Electro-Optics) 2010 SPIE 2010 WiOpt 2011 IEEE ISIT 2010 IEEE ITW 2010 Cairo WiOpt 2010 SpaSWin 2010 Turbo codes and ite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2010 ISSCC IEEE ICNSC 2010 IARIA EMERGING 2011 IARIA EMERGING 2010 IEEE ISSCC 2010 IEEE A-SSCC 2010

128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220 221 222 223 224 225 226

조성환 최경철 최경철 최경철 최경철 최양규 최양규

TPC Member PC Member PC Member PC Member PC Member PC Member TPC Member

227

최완

TPC Member

228

최완

TPC Member

Multiple antenna systems and space-time processing track,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Spring 2010

229

최완

TPC Member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2010

230

최완

TPC Member

IEEE Asia 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 (APCC) 2010

231

최완

TPC Member

232

최완

TPC Member

IEEE Int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PIMRC) 2010 IEEE International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bile Computing Conference (IWCMC) 2010

233

최완

TPC Member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Spring, Multiple Antenna Systems & Space-Time Processing Track 2010

234 235

최준균 최준균

TPC Member TPC Member

COIN 2010 IEEE Comsoc MMTC 2010

236

최준균

TPC Member

ISoLA Symposium (Int. Symposium on Leveraging Applications of Formal Methods, Verification and Validation 2010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최준균 최준균 최준균 최준균 한영남 홍성철 홍성철 강준혁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245

김종환

PC Member

246

김종환

TC Member

TridentCom 2011 ICACT 2010 ICOIN 2010 ICTC 2010 ICCE 2010 RWSIEEE 2010 ISSCC IEEE 2010 2012 IEEE VTC Spring IEEE CIS Evolutionary Computation Pioneer Award SubCommittee 2012 IEEE Congres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2012

247

김종환

PC Member

IEEE Symposium Serie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2012

248

김종환

249

김종환

250

김종환

251

김종환

PC Member Scientific Committee Member Steering Committee Member TC Member

252

김창익

TPC Member

IEEE TENCON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olutionary Computing and Fuzzy Systems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mulated Evolution and Learning 2012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2012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Future Internet AFIN 2012

253

김창익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2012

254

김창익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f 3D Systems and Applications 2012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주최 및 주제 IEEE Symp. on VLSI Circuits 2010 IMID 2010 APCPST 2010 IWFPE 2010 SID 2010 (Asian) IEEE IPFA 2010 AWAD 2010 Cognitive radio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track,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Spring 2010

129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255

김창익

TPC Member

256

김창익

TPC Member

257

김창익

TPC Member

258

김회린

TC Member

259

김회린

TC Member

Korea Japan Joint Workshop on Frontiers of Computer Vision 2012 International Workshop on Ubiquitou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and Ubiquitous Engineering 2012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2012 International Speech Conference 2012

260

노용만

TPC Member

IEEE Consumer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2

261

노용만

TPC Member

262

노용만

TPC Member

263

노용만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2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 Forensics and Watermarking 2012

264

노용만

265

노용만

TPC Member

266

류승탁

TPC Member

267

문건우

268 269

문재균 박경수

TPC Member TPC Member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2 ACM Cloud Computing Security Workshop 2012

270

박경수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er-to-Peer Computing 2012

271 272 273 274 275 276

박경수 박경수 박철순 박현철 박현철 박현철

TPC TPC TPC TPC TPC TPC

277

박현철

TPC Member

278

박현철

TPC Member

Large Scale Distributed Systems and Middleware 2012 USENIX HotCloud 2012 IEEE Compound Semiconductor IC Symposium 2012 HMWC 2012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2 Fall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2 Spring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2012 IEEE TENCON 2012

279

박현철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3

280

성단근

281

성단근

282

성단근

283

성단근

284

성단근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3

285

성단근

TPC Member

286

성단근

TPC Member

287

성영철

TPC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s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and Networks 2013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2012

IEEE Society Committee Multimedia Communications 2012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2012 IEEE Radio-Frequency Integration Technology 2012

Award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Engineering 2012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2012 IEEE Communications Quality and International Workshop Program on Next Generation Principal Investigator Foresight Security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TPC Member Networking 2012 IEEE Communications QoS, Reliability TPC Member 2012 TPC Member

130

Reliability Network & Network Communications and and Modeling Symposium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288

성영철

TPC Member

289

성영철

PC Member

290

성영철

Associate Member

291

성영철

TPC Member

292

송익호

TPC Member

293 294

송익호 신영수

295

신영수

TPC Member Member at Large Executive Committee Member

296

유경식

TPC Member

IEEE Conference on Optical MEMS and Nanophotonics 2012

297

유승협

TPC Member

298

유승협

TPC Member

299

유종원

300

유회준

TPC Member Steering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2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and Printed Electronics 2012 IEEE APACE 2012

301

유회준

PC Member

302

유회준

Executive Committee Member

303

윤찬현

TPC Member

Annual Wireless and Optical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304

이융

TPC Member

305 306

이융 이융

TPC Member TPC Member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2012 IEEE Global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2

307

이융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Networking 2012

308

이융

TPC Member

309

이융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tworks 2012 IEEE Infocom Conference 2012

310

이융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2012

311

이융

TPC Member

312

이융

TPC Member

313

이융

TPC Member

314 315

이준구 이준구

TPC Member TPC Member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System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2012 The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bile AdHoc Networking and Computing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2012 IEEE Global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2

316

이준구

TPC Member

IEEE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3

317 318 319

이준구 이창희 정세영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320

정세영

TPC Member

OSA Photonics in Switching 2012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2 IEEE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2012

321

정세영

TPC Member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2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Methods TC of Asia Pacific Signal 2012 Sign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Technical Committee 2012 IEEE TENCON 2012 IEEE Asia Pacific Conference on Applied Electromagnetics 2012 IASTED International Conference 2012 ACM SIGDA Low Power Technical Committee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D 2012

IEEE Asa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Technical 2012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2012

131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322

정송

TPC Member

323

정송

TPC Member

324

정송

TPC Member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2013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2012 IEEE SECON Conference 2012

325

정송

TPC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 & Networking Conference 2012

326

정송

Steering Committee Member

IEEE Wireless Communication & Networking Conference 2012

327

조병진

TPC Member

328 329 330 331

조성환 조성환 조성환 최경철

TPC TPC TPC TPC

332

최완

TPC Member

333 334 335

최완 최완 최완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336

최완

TPC Member

337

최완

TPC Member

338 339

최완 최완

TPC Member TPC Member

340

최완

TPC Member

341

최완

TPC Member

342

한영남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Topical Symposium on RF Nanotechnology 2012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2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ACM/IEEE/IFAC/TRB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nected Vehicles and Expo 2012 European Wireless Conference 2013 IEEE Global Communication Conference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tworks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tworks 2013 IEEE TENCON 2012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Spring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201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2013

343

한영남

TPC Member

Asia-Pacific Conference on Wearable Computing Systems 2012

344

한영남

TPC Member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2

Member Member Member Member

주최 및 주제

나. 국제 학술지 활동 ■ 국제적 유망 저널의 편집위원 활동 및 위촉 -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은 분야별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의 편집위원 및 위원장, 학술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총 107건의 국제적 유망 저널의 편집위원 활동 실적이 있었다. (확장표 II-8-6 참조) 지난 1년간에는 총 45건의 편집위원 활동이 있었고, 이 중 20건(44.4%)이 IEEE/ACM 저널의 편집 위원이었으며, 이는 사업단 소속 교수들의 국제 학문 활동의 활발성과 수월성을 동시에 나타내 주고 있다.

<확장표 II-8-6> 국제적 유망 저널의 편집위원 활동 및 위촉 (총 107건) 연번

교수명

국제활동

내용 및 활동분야

132


연번

교수명

국제활동

내용 및 활동분야

1

김대식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Neuroimaging and Brain Mapping, Wiley 2010, 2011, 2012

Associate Editor

2 3

김대식 김대식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4

김용대

5

김용대

6

김정호

7

김정호

8

김종환

9

김종환

10

김종환

11

김종환

12 13 14 15

김탁곤 김탁곤 김탁곤 노용만

16

노용만

17

노용만

18

노용만

19 20

문건우 문건우

21

박현욱

22

박현철

The Open Neuroimaging Journal 2010, 2011, 2012 Anatomy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2011, 2012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 Security (TISSEC), 2013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Magazine, 2010 IEEE Transactions on Components, Packag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2011 MC Society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2010, 2011, 2012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2010, 2011, 2012 IEEE Transaction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2010, 2011,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tronics & Automation 2010, 2011, 2012 Journal of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2011 Journal of Communication Systems 2011 Journal of Modeling Simulation 2011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1 Transactions on Data Hiding and Multimedia Security 2011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Security 2011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 2011 IEEE Transactions Power Electronics 2011 IEEE Transactions Industrial Electronics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2011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2011

23

성영철

IEEE JSAC Special Issue on Wireless MIMO Relays 2011

24 25

성영철 송익호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1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 2011

26

송익호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2011

27

신민철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2011

Associate Guest Editor

28

신민철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2011

Associate Guest Editor

29

신영수

Associate Editor

30

유창동

31 32 33 34 35 36

유창동 유창동 유회준 유회준 이수영 이수영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ronic Systems 2011 IEEE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011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1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2011 IEEE TCAS-II Journal 2011 IEEE TBiocas Journal 2011 Natural Intelligence (2011.11.~) Cognitive Neurodynamics (2004~)

133

Editorial Board Member Guest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ia Pacific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Guest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n-Chief Editorial Board


연번

교수명

국제활동

내용 및 활동분야

37

이수영

38

이융

39 40 41 42

정세영 정송 조규형 조동호

Neural Processing Letters 2011(1998~) IEEE Survey and Tutorials Special Issue on Energy Efficient Multimedia Communication 2011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1 Computer Communications Journal 2011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1 The Open Information System Journal 2011

43

조동호

Circuits and Systems Journal 2011

44 45 46

조병진 최완 최완

Carbon Letters 2011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2011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2011

47

홍성철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2011

Editor

48

권인소

Associate Editor-In-Chief

49

권인소

IPSJ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 Applications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IJCV) 2010

50

김정호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2010

51

김정호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s 2010

52

김정호

IEEE Transactions on Advanced Packaging 2010

53

김창익

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2010

Guest Editor

54

김탁곤

Journal of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JDMS) 2010

Guest Editor

55

노용만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0

Associate Editor

56

노용만

Transactions on Data Hiding and Multimedia Security 2010

Associate Editor

57

노용만

Associate Editor

58

노용만

59

문건우

60

박현욱

61 62 63

박홍식 성단근 송익호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Security 2010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 2010 JPE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e Science and Technology 2010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2010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2010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 2010

64

송익호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2010

Editor

65

신영수

66 67 68 69 70 71

윤찬현 이융 정세영 정송 정송 조규형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ronic Systems (TODAES) 2010 Journal of Healthcare Engineering (영국) 2010 IEEE Surveys and Tutorials 2010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0 Computer Communications Journal 2010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2010 JSSC 2010

72

조성환

IEEE Trans. on Circuits & Systems I: Regular Papers 2010

Associate Editor

73 74

최경철 최준균

IEEE/OSA 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2010 TTA 국제표준전문가, ITU-TSG13 2010

Associate Editor Editor

134

Editorial Board Guest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Associate Editor Guest Editor Special Issue Guest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Special Issue Editor Editor Editor Editor Guest Editor


연번

교수명

국제활동

내용 및 활동분야

75 76

한영남 김종환

IEEE VTS Asia Pacific 2010 Handbook of Humanoid Robots, Springer 2012

AP Chapter Coordinator Editor in Chief

77

김종환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obotic Systems 2012

Editorial Board Member

78

김창익

Editorial Board Member

79 80 81 82 83

노용만 문건우 문건우 박현철 성영철

84

성영철

85 86

신영수 유승협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 2012 Journal of Engineering 2012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2012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2012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2012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2 IEEE JSAC Special Issue on Theories and Methods for Advanced Wireless Relays 2012 IEEE Transactions on Computer Aided Design 2012 OSA Optics Express 2012

87

유종원

International Journal of Antennas and Propagation 2012

Editorial Board

88

유창동

Editorial Board

89

유창동

90

유창동

91

유창동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윤찬현 이융 이융 이융 전주환 정세영 정윤철 조병진 최성율 최양규 최완 최완 최완

105

Jun Tani

106 107

Jun Tani Jun Tani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2012 IEEE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012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2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Forensics and Security 2012 Journal of Healthcare Engineering 2012 Journal of Communication Networks 2012 IEEE Surveys and Tutorials Special Issue 2012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2012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2012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2012 IEEE/OSA 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2012 Electronic Material Letters 2012 Carbon Letters Special Issue on Graphene 2012 Nature - Scientific Reports 2012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 2012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2012 IEEE Wireless Communication Letters 2012 IEEE transactions on Autonomous Mental Development (2009 ~currently) Adaptive Behavior (2005~currently) Frontiers in Neurorobotics (2007~currently)

Associate Editor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Guest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Special Issue Editor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Guest Editor Editor Guest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다. 국제 저술 활동 본 연구단에서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또한 참가하였다. 6권의 책을 출간하였으며 (확장표 II-8-7 참조), 총 31편의 Book chapter를 출간하였다 (확장표 II-8-8 참조).

135


<확장표 II-8-7> 국제 저술 (총 6건) 연번

교수명

1

김종환

2

유회준

3

최양규

4

권인소

5

권인소

6

유회준

저술도서명

발행연도

ISBN

Trends in Intelligent Robotics

2010

978-3-642-15809-4

Mobile 3D Graphics SoC From Algorithm to Chip Investigation on Schottky-Barrier MOSFETs for Memory Application Catadioptric Vision for Robotic Applications: From Low-Level Feature Extraction to Visual Odometry Metric Invariants for Camera Calibration: Designing algorithms from algebraic rank analysis

2010

0470823771

2010

3843377472

2011

3843379297

2011

3846509884

Bio-Medical CMOS ICs

2011

978-1-4419-6596-7

발행연도

출 판 사

2010

CRC Press

2010

Springer

<확장표 Ⅱ-8-8> 국제 Book chapter 저술 (총 31건) 연번

교수명

1

김탁곤

2

노용만

Discrete-Event Modeling and Simul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Intelligent Multimedia Analysis for Security Applications

3

배현민

Signal processing for high speed links

2010

Springer

4

성단근

HSDPA/HSUPA Handbook (Chapter 10: Performance Evaluation of HSDPA/HSUPA Systems)

2010

CRC Press

5

정윤철

Optical Performance Monitoring

2010

Academic Press

6

최양규

Advances in Solid State Circuit Technologies

2010

Intech

7

한민수

Expanding the Scope of Instant Messaging with Bidirectional Haptic Communication

2010

IN-TECH publisher

8

경종민

Energy-Aware System Design

2011

Springer

9

김문철

2011

InTech

10

박현욱

2011

InTech

11

신영수

Object Tracking and Indexing in H.264/AVC Bitstream Domains Functional Magentic Resonance Imaging / Book 1 Low-Power Circuits: from System-Level Perspective

2011

Springer

12

윤기완

A Multi-Classifier Approach for WiFi-Based Positioning System

2011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 V.

13

이융

20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이융

2011

CRC Press

15

최양규

2011

Intech

16

최양규

2011

Intech

17

최완

2011

Cambridge(영국)

18

최완

Next-Generation Internet Architecture and Protocols Green Communications: Theoretical Fundamental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New Perspectives in Biosensor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Flash Memories Partial information relaying and relaying in 3GPP LTE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LTE-Advanced

2011

Cambridge(영국)

136


19

Jun Tani

Chapter 7, Schemata Learning. In Perception-Action Cycle (pp. 219-241)

2011

Springer New York

20

유윙타이

Image Restoration: Fundamentals and Advances

2012

CRC Press(미국)

21

정송

Mobile Ad Hoc Networking: the Cutting Edge Directions

2012

Wiley

22

조동호

Wireless Power Transfer in On-Line Electric Vehicle

2012

River Publishers Series in Communications

23

조병진

NONVOLATILE MEMORIES-Materials, Devices and Applications

2012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24

최양규

2012

CSC Press

25

최완

Biosensors and Cancer Multiuser and spatial diversity in OFDMA systems with cochannel inteference for Future Wireless Systems

2012

Ben Tham Science Publishing(U.A.E)

26

이창희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VIB: Systems and Networks"FTTX Worldwide Deployment"

2013

Academic Press

27

최양규

Point-of-Care Diagnostics on a Chip

2013

Springer

137


8.1.2 국제적 연구활동 참여 실적 ◎ 요약 o 12건의 협약 공동연구 o 3건의 참여 공동연구 o 61건의 공동워크샵 개최 o 58건의 해외 언론 보도

■ 국제 공동연구 활동 실적 - 본 연구단은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국제 워크샵과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양시켜 왔다. 또한 세계 수준의 공동연구 활동을 통하여 해외 우수 연구 그룹들과 다방면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왔다. 최근 3년간, 공식적인 협약이 체결된 국제 공동연구는 총 12건이다. (확장표 II-8-9 참조) - 또한 타 국제 기관과의 과제에 상호 참여 연구원으로 등록이 되어 수행한 국제 협력 연구는 총 3건이다. (확장표 II-8-10 참조) - 해외 기관과 국제 워크샵을 개최 실적은 총 61건 이다. (확장표 II-8-11 참조)

<확장표 II-8-9> 공식적으로 협약된 국제 공동연구 실적 (12건) 연번

연도

연구명

상대기관

기간

주관 교수

연구비

1

2012

Collaborative Coding/Decoding for the Tape Channel

INSIC

2012.03.15 2013.03.14

문재균 하정석

$60,000 (약6660만)

2

2012

Filter-based Low Complexity Turbo Equalizer for 2D ISI Channels

ASTC

2012.04.24 2012.06.30

문재균

$17,500 (약1930만)

3

2012

Filter-based Low Complexity Turbo Equalizer for 2D ISI Channels

ASTC

2012.07.01 2013.06.30

문재균

$70,000 (약7560만)

4

2013

Collaborative Coding/Decoding for the Tape Channel

INSIC

2013.03.15 2014.03.14

문재균하 정석

$62,000 (약6750만)

5

2010

Securing Convergent Communication System and B. Trusted Resource Monitoring for Cloud Services

University of Minnesota

2010.05 2012.05

박경수

2억

6

2011

A Reconfigurable Digital Transmitt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1.08 2014.07

박철순

3억

7

2010

반도체 나노선의 결합 배열을 사용한 수직공진형 레이저

Hong Kong Univ. of Science &

2010. 9 2013. 9

유경식

3.7억

138


연번

연도

연구명

상대기관

기간

주관 교수

연구비

Techn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미국

2010.03 2011.12

유경식

0.4억

8

2010

칩 내에서의 광연결을 위한 subwavelength 크기의 간섭성 광원 연구

9

2011

All optical OFDM system demonstration research

NICT, Japan

2011.02 2012.02

이준구

현물

10

2012

그래핀에 대한 플라즈마와 습식 화학 처리의 효과에 대한 연구

Lam Research Corporation

2012.10 2014.09

조병진

0.94억

2012

From Internet to Real-World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MSRA (Microsoft Research Asia)

2012.06.08 2013.06.07

유윙타이

0.44억

2013

Egocentric video summarization based on localization, tracking, recognition and video frame quality assessment

KUSTAR (Khalifa Univ. of Science Tech. & Research)

2013.05.01 2013.12.31

유윙타이

0.70억

11

12

<확장표 II-8-10> 과제간 상호 참여한 국제 협력연구 실적 (3건) 주관기관 연번

연도

참여기관

기관명

책임자

기관명

책임자

총참여 자수

참여연구명

1

2011

60GHz Full-HD Wireless Solution for Smartphone/Tablet PC Applications

HDLNC

Y. R. BARN

KAIST

박철순

28

2

2013

60GHz Full-HD Wireless Solution for Smartphone/Tablet PC Applications

HDLNC

Y. R. BARN

KAIST

박철순

28

2012

Power Efficient Green Wireless Networks: Energy-Efficient Basestation Downlink Optimization Using MU-MIMO

KAIST

이준구

KUSTAR

Peng-Yong Kong

6

3

<확장표 II-8-11> 국제 공동 워크샵 개최 실적 (61건) 연번

연도

1

2010

2

2010

3

2010

샵 명

The 6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The Human Connectome: Views from MRI and Microscopy 2nd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139

주관기관 참가국 참가인원 및교수 (수) (명)

개최국

개최기간 YYYMMDD

대한민국

20101229

권인소

5

70

대한민국

20100328

김대식

20

200

대만

20100820

김정호

2

40


개최국

개최기간 YYYMMDD

3D-IC Workshop

대한민국

20100114

김정호

4

200

2010

Samsung-Panasonic-KAIST EMC Workshop

대한민국

20100820

김정호

2

30

6

2010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olving Internet (INTERNET)

Spain

2010092020100925

노용만

25

125

7

2010

The 3rd International Congress 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CISP)

China

2010101620101018

노용만

2

25

8

2010

2010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IWDW)

대한민국

2010100120101003

노용만

9

25

9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 on Advanced Engineering Computing and Applications in Sciences (ADVCOMP)

Italy

2010102520101030

노용만

30

192

10

2010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s and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ICCIT 2010)

대한민국

2010113020101202

노용만

9

25

11

2010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0)

대한민국

2010121320101215

노용만

30

42

12

2010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일본

20100728

유회준

3

80

13

2010

The 7th Korea-Japan e-Science Symposium

대한민국

20100705

윤찬현

2

50

14

2010

The 10th China-Indi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NBNI2010)

중국

20101011

이수영

3

18

15

2010

2th East-Asia Inter-University Workshop on Brain Engineering (EAW2010)

대한민국

20100303

이수영

2

70

16

2010

PS 2010 Workshop on Energy efficient network

미국

20100728

이준구

10

50

2010

2010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and displays (Special Topic: Flexible Backplane and Materials)

대한민국

20100601

최경철

3

280

18

2010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조 로봇 제어(1차) - 독일 보유 기술 소개

독일

Alex Graeser 20101025- (Univ. of 20101027 Bremen), 정명진

3

20

19

2010

UK

20100309

Angelo Cangelosi

5

30

20

2011

Cognitive Robotics Research Methods Workshop 3rd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대한민국

20110705

김정호

2

40

21

2011

Panasonic-KAIST EMC Workshop

대한민국

20110825

김정호

2

25

22

2011

High-Power EMP Workshop (Dr. William A. Radasky 초청)

대한민국

20111018

김정호

2

25

23

2011

Shizuoka/KAIST Workshop

대한민국

20111116

김정호

2

30

24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1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and

Mongolia

2011070620110708

노용만

5

115

연번

연도

4

2010

5

17

샵 명

140

주관기관 참가국 참가인원 및교수 (수) (명)


연번

연도

샵 명

개최국

개최기간 YYYMMDD

주관기관 참가국 참가인원 및교수 (수) (명)

Applications(MITA2011) 2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1 2011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2011)

Greece

2011070620110708

노용만

20

96

26

2011 The 26th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Systems, 2011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ITC-CSCC 2011)

대한민국

2011061920110622

노용만

75

453

27

2011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Large Scale Visual Analytics 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Mining series (ICDM)

Canada

2011210

노용만

10

19

28

2011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s and Convergence Information Technology (ICCIT 2011)

대한민국

20111129 -20111201

노용만

35

201

29

2011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1)

대한민국

2011120820111210

노용만

30

42

30

2011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IWDW)

USA

20111023-20 111226

노용만

10

38

31

2011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ecurity and Assurance (ISA 2011)

Czech Republic

20110815-20 110817

노용만

9

25

32

IEEE Consumer Communications and 2011 2011 Networking Conference (CCNC2011)

USA

20110109-20 110111

노용만

30

350

33

2011

2011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ICTC 2011)

대한민국

20110928

노용만

4

189

34

2011

International Workshop on Exascale Supercomputing (Exacomp) 2011

대한민국

20111103-20 111104

박규호

5

50

35

2011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IMWS)

대한민국

20110824-20 110825

박철순

6

50

36

2011

2011 KAIST EEWS International Workshop on OPV

대한민국

20110623

유승협

4

200

37

2011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중국

20110802

유회준

3

75

38

2011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lligent Radio for Future Personal Terminals (IEEE IMWS-IRFPT) Conference

대한민국

20110824

윤기완

39

2011

The 11th Japan-Korea-Chin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NBNI2011)

일본

20111218

이수영

3

38

40

2011

4th East-Asia Inter-University Workshop on Brain Engineering (EAW2011)

한국

20111226

이수영

2

53

41

2011

IEEE Digital EcosySTem(DEST)

대한민국

20110531

이주장

11

150

42

2011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조 로봇 제어(3차) - 한국 보유 기술 소개

대한민국

3

30

141

정명진(KA 20110906-20 IST), 110907 장평훈(DG IST)


개최국

개최기간 YYYMMDD

Korea-Japan Workshop beyond 100G

대한민국

20110601

정윤철

2

50

2011

2011 KAIST internation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 displays (Special Topic: LED/OLED Lighting Technology)

대한민국

20110630

최경철

4

200

45

2011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장애우 보조 로봇 제어(2차) - 터키 보유 기술 소개

터키

M. I. Can 20110627-20 Dede 110628 (IZTECH), 정명진

3

20

46

2011

AAAI Workshop on Language-Action Tools for Cognitive Artificial Agents: Integrating Vision, Action and Language

USA

20110808

Yiannis Aloimonos

4

30

47

2012

48 49

2012 2012

50

연번

연도

43

2011

44

샵 명

주관기관 참가국 참가인원 및교수 (수) (명)

일본

20130104

권인소

5

100

대한민국 일본

20120406 20120326

김정호 김정호

2 2

40 30

2012

The 7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Tohoku/Kobe/KAIST Workshop Panasonic-KAIST EMC Workshop 4th NTU-KAIST Workshop on Signal Integrity and EMC

대만

20120704

김정호

2

40

51

2012

2012 International Forum on Medical Imaging Asia (IFMIA 2012)

대한민국

20121116-20 121117

노용만

20

146

52

2012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2)

대한민국

20121128-01 21130

노용만

30

42

53

2012

대한민국

20121114-20 121116

박철순

7

70

54

2012

IEEE Vehicular Networking Conference 2012 2012 KAIST EEWS International Workshop on OPV

대한민국

20121205

유승협

4

150

55

2012 KAIST EE-KEIO EE-TSINGHUA EE Workshop

대한민국

20120805

유회준

3

70

56

2012

대한민국

20121121

이수영

3

61

대한민국

20120816

이주장

10

150

대한민국

20120702

정윤철

30

2000

대한민국

20120907

최경철

2

160

France

20120329

Herbert Jaeger

5

40

11

80

57 58

12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NBNI2012) 2012 인조 시스템 국제학회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2012 Conference

59

2012

2012 KAIST internation workshop on flexible signage & displays (Special Topic: 1st UK-KOREA Workshop on Plastic Electronics)

60

2012

Cognitive Dynamics in Neural Systems: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Modeling

61

on Computational Photography 2012 Workshop and Low-Level Vision

142

대한민국

Jinwei Gu, 20121105-20 유윙타이, 121106 Ping Tan, Sai-Kit Yeung


■ 해외 언론 보도 사례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연구 결과들은 때론 해외 주요 언론사들의 주목을 끌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해외 언론 보도 사례들은 한 연구단의 국제화의 정성적인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사업단의 참여 교수들의 우수 연구 결과들은 BBC, MIT Technical Review (다수), CBS 등을 포함한 주요 국제 언론에 58건이 보도된 바 있다. (확장표 II-8-12 참조) <확장표 II-8-12> 해외 언론 보도 사례 (58건) 연번

교수명

제목

매체이름

1

김용대

The Imminent Rise of Social Cloud Computing

MIT Technical Review

2

김용대

Researchers testing a social-based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

The Verge

3

김용대

Le nuage social : répartir les services à partir de graphes sociaux

MSN.COM

4

김용대

Grid computing met je vrienden

Data News

5

김용대

Location tracking of GSM cellphones: now easier (and cheaper) than ever

Ars Technica

6

김용대

Leaky Cellphone Nets Can Give Attackers Your Location

Slashdot

7

김용대

Phone network vulnerability reveals location information, researchers find

MPR

8

김용대

Researchers discover cell phone hackers can track your location without your knowledge

Physorg

9

김용대

GSM networks leak users' location

TG Daily

10

김용대

Attackers have all they need from leaky cellphone networks to track you down

Network World

11

김용대

U of Minn. researchers discover cell phone hackers can track your location without your knowledge

e! Science News

12

김용대

Cell Phone Hackers can Track a Physical Location Undetected

Scientific Computing

13

김용대

Researchers track mobile phone locations with cheap hardware and open-source software

gizmag

14

김용대

Attackers have all they need from leaky cellphone networks to track you down

PC Advisor

15

김용대

Hackers Can Easily Track Your Mobile Phone, Says Study (Video)

Mobile Magazine

16

김용대

17

김용대

18

Feb 20th 2012, Episode 249 Phone hackers able to track your location without your knowledge

The Cyber Jungle

김용대

The cyberweapon that could take down the internet

New Sientist

19

김용대

How To Crash the Internet

Slashdot

20

김용대

How to crash the Internet

ZDNet

21

김용대

Prof. Says New Cyberweapon Could Take Down the Internet

CBS News

22

김용대

U research exposes Web threat

Minnesota Daily

23

김용대

Cyberweapon capable of wiping out internet developed

Metro

143

Inquisitr


연번

교수명

제목

매체이름

24

김용대

Boffins devise 'cyberweapon' to take down internet

The Register

25

김용대

The Cyberweapon That Could Take Down The Internet

Gizmodo

26

김종환

Bristol hosts Robot World Cup

BBC

27

김종환

Forget the Olympics, we’re heading for the RoboWorld Cup

The Times

28

김종환

인터뷰

Press TV

29

김종환

Rise of the mimic-bots that act like we do Human-machine teamwork

New Scientist Magazine

30

김종환

FIRA Bangalore 2010

Amrita TV News

31

김종환

인터뷰

CCTV

32

김회린

Sound of sex could alert internet porn filter

NewScientist

33

김회린

New computer filter could detect p*rn content through sound

AndhraNews

34

박경수

Low-cost SSL proxy could bring cheaper, faster security; defeat threats like Firesheep

COMPUTERWORLD

35

박경수

Software Router Smashes Speed Records

MIT Technology Review

36

박경수

South Koreans Develop High-Performance Software Router

HPC wire

37

박경수

the INQUIRER

38

조동호

Virtual router is really fast The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for 2013 -On-Line Electric Vechicle (OLEV) 2013년 세계 10대 유망 기술 선정

WORLD ECONOMIC FORUM(WEF)(2013.02.14)

39

조동호

The 50 Best Inventions of 2010 <Transportation> Road-Embedded Rechargers 2010년도 The Times에 온라인전기자동차가 세계 50대 신기술 선정

40

조병진

Graphene appears to be the most effective material for EMI shielding

Nanowerk, October 25th, 2012

41

조병진

Inexpensive separation method of graphene developed

Nanowerk, April 9th, 2012

42

조병진

Method Separates Graphene from Metal

Laboratory equipment, April 9th 2012

43

최경철

New technology will enable the commercialization of plasmon displays

I- Micronews

44

유승협

Solar cells: In the fast lane

45

유승협

Electronic devices: Tagging goes organic

46

유승협

Cu-based multilayer transparent electrodes: A low-cost alternative to ITO electrodes in organic solar cells

Renewable Energy global innovations

47

박철순

Science Daily

48

박철순

49

박철순

50

박철순

51

유회준

Low-power use for mobile devices: 60 GHz radio frequency chip KAIST develops a low-power 60 GHz radio frequency chip for mobile devices KAIST develops a low-power 60 GHz radio frequency chip for mobile devices KAIST develops a low-power 60 GHz radio frequency chip for mobile devices 健康的な生活に向けて 半導体技術が貢献 「ISSCC 2011」プレビュー

144

The Times(2010.11.22)

Nature Pub. Group Asia Materials Nature Pub. Group Asia Materials

EurekAlert! Phys Org i_Science NIKKEI ELECTRONICS


연번

교수명

제목

매체이름

52

유회준

半導体はアジアが牽引へ SoCとメモリをほぼ独占 「ISSCC 2012」プレビュー

NIKKEI ELECTRONICS

53

유회준

先端半導体の開発で アジアの躍進が鮮明に 「ISSCC 2013」プレビュー

NIKKEI ELECTRONICS

54

유회준

Better Eyes for Flying Robots

IEEE SPECTRUM

55

유회준

A New High-Tech Upgrade To Acupuncture Lets You See It’s Working In Real Time

Co.EXIST

56

유회준

ISSCC highlights sensors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in medicine

EETimes

57

윤준보

Unique nanosieves with straight sub-10nm nanopores

Nanowerk

58

윤준보

A sub-1-volt nano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MRS (Materials Research Society) BULLETIN

145


8.2 사업단 비전에 맞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의 우수성

<그림 II-8.2-1 연구의 국제화 전략> ① 국제화 전략 2020년 Global Top10 EE 학과를 목표로 본 연구단은 다음 두 가지 국제화 전략을 추진한다. o KAIST EE의 Global Brand화 o 질적인 국제 공동연구의 성장

② 국제화 추진 방안 가. KAIST EE의 Global Brand화 전략 및 추진 방안 ■ 국제 prestigious award 수상 증진 - IEEE Fellow를 현재 학과 내 8명에서 2020년 15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함은 물론 다양한 학회의 대표적인 Award의 수상을 늘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올해 본 연구단은 IEEE Communication Society의 최고의 상인 IEEE William R. Benett Prize Paper Award와 Stephen O. Rice Prize Paper Award를 받을 예정인 바, 이와 같은 국제적인 visibility를 갖는 수상 사례를 크게 늘이도록 노력한다.

146


■ Major 학회 주최 활성화 - 본 연구단은 4대 연구 분야의 대표적인 Global 학회를 주최함으로써, KAIST EE 학과의 활동을 국제적으로 알리며, 학술적 산업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도록 한다. ■ 학술지 편집 위원 증가 -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은 평가 기간 동안 109건의 전문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IEEE/ACM: 46건) 활동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이에 대한 양적, 질적 향상을 추진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Nature 또는 Science 급의 편집위원 진출, IEEE/ACM의 최고 Journal의 편집위원 수를 100% 늘리도록 한다. ■ 논문에 대한 질적 성장 - 단순히 IF의 증가가 아닌 각 논문의 실질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Citation수의 증가를 추구하고 연구자의 질적, 양적 능력을 동시에 평가하는 H-index의 비약적인 발전을 추구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H-index가 20인 이상인 교수를 현재 12명에서 사업 종료 시 30명 이상으로, 총 Citation 숫자가 3,000이상인 교수를 현재 16명에서 사업 종료 시 30명이상으로 각각 100% 이상 증가시키도록 한다. ■ 해외 언론 홍보 - KAIST 홍보실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하여, 본 연구단의 우수한 연구 결과를 해외 언론을 통해 적극 홍보한다. 지난 3년간 58건의 해외 언론 보도 사례가 있었으며 본 사업 기간 동안 1년 평균 10% 증가를 목표로 하여 사업 종료 후 총 260%의 증가를 목표로 한다.

나. 국제 공동 연구의 질적 성장의 전략 및 추진 방안

■ 국제 공동 클러스터화 - 본 연구단 교수진들은 평가 기간 동안 12건의 국제 공동 연구를 협약하였으나, 상당 수가 참여교수에 따른 개인적인 연구 협약에 의존하고 있다. 본 사업 기간 중에는 이러한 공동 연구를 본 사업단의 4대 핵심 연구 분야인 CNI, BSS, ED, ICT로 클러스터화하여 시너지를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본 사업 기간 중 총 3배 이상의 국제 공동 연구 협약을 추진한다. ■ Global 기업과의 공동 연구 센터 설립 - 본 사업단의 국제화 및 사업단 출신 학생들의 global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Global 기업과의 공동 연구 센터 설립을 증대한다. 본 사업단은 미국 Texas Instruments와 KAIST-TI 센터를 수립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 센터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며 양적으로는 사업 후 이러한 센터를 5개 정도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세계 Top 10권 대학과의 Global Alliance 결성 -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국제 공동 연구를 글로벌 우수 대학들 추진하도록 한다. 교육 분야에 있는 dual degree와 같은 형식으로 일방향식 지원이 아닌,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실질적 공동 연구 센터를

147


한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스위스 공동과제를 통하여 김대식 교수는 EPFL과 Global Research Lab을 신청 중이다. 본 사업기간 동안 이러한 연구 센터를 총 5개 이상 설립을 목표로 한다. ■ Global 우수 학생들을 위한 KEPSI, EPSS와 같은 산학 프로그램 개발 - 이미 세계를 선도하는Global 기업이 우리나라에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외국 학생들에게 KAIST 학위 후 우리나라의 Global 기업에 취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우리 기업들의 Global 인재 고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외국 학생들에 대한 KEPSI 혹은 EPSS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한다. ■ Global 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 증대 - 지난 3년간 본 연구단의 해외 기술이전은 1건에 불과하였다. 본 사업단이 국제적인 산업개척을 리더 하기 위해서, 해외 기술이전 비중을 연 1건 이상 증가시키도록 한다. ■ 국제 공동연구 지원 강화 -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을 일상화되도록 하고, 국제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를 개최함으로써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양시킨다. 또한 세계 수준의 연구 활동을 위해 해외 우수 연구 그룹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이매년 예산 편성 시, 세계적인 연구그룹과 국제 공동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를 계획하는 연구실의 대학원생 참여 경비를 우선 지원하도록 한다. ■ 대학원생의 국제적 학술능력 강화 - 대학원 학생이 국제적 활동력을 강화하고 국제적 진출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화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한다. o 국제공동연구 참여 확대를 통한 국제수준의 연구기회 제공 o 글로벌 기업, 기관, 대학에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쉽 기회 부여 o 해외 석학과 공동지도 및 공동학위심사

148


9. 참여교수 연구역량

9.1 연구비(최근3년) <표 10>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정부, 산업체, 해외기관 등 연구비 수주 실적 T_1 _2:

항목

수주액(천원)

T _1_ 1:

T_2 _2:

정부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3,813,720

D_ 3_3 :

8,018,499

D _4_ 2:

D_ 4_3 :

544,776

T_5_1: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26,926,823

D _3_ 2:

T_ 4_1 :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총 환산입금액

2011년

593,204

D _5_ 2:

D_ 5_3 :

470,622

T_ 6_1 :

2012년

T_ 2_3 :

27,173,207

T_ 3_1 :

산업체(국내)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2010년

530,425

D _6_ 2:

D_ 6_3 :

참여교수 수

T_ 2_4 :

35,685,600

D_ 3_4 :

9,963,934

D_ 4_4 :

1,556,832

D_ 5_4 :

704,572

D_ 6_4 :

T_2 _5:

전체기간 실적 89,785,630

D_ 3_5 :

21,796,153

D_ 4_5 :

2,694,812

D_ 5_5 :

1,705,620

D_ 6_5 :

67

T_ 7_1 :

D_ 7_5 :

149


9.2 논문 (최근 3년)

9.2.1 참여교수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SCI, SCIE, SSCI, A&HCI) 환산 논문 편수 <표 11> 참여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실적 최근 3년간 실적

T_ 1_2 :

구분

T _1_ 1:

전체기간 실적

T_ 1_5 :

2010년

2011년

T_ 2_2 :

논문 총 건수

T _3_ 1:

D_3 _2:

1인당 논문 건수

T_ 4_1 :

D_4 _2:

논문 총 환산 편수

T _5_ 1:

D_5 _2: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T _6_ 1:

314

T _2_ 4:

332

331

D _3_ 3:

4.6865

4.9552

D _3_ 5:

4.9402

14.582

D _4_ 4:

112.4031

D _4_ 5:

114.9226

D _5_ 3:

1.5757

977

D _3_ 4:

D _4_ 3:

105.5729 D_6 _2:

2012년

T _2_ 3:

332.8986

D _5_ 4:

1.6776

D _5_ 5:

1.7152

D _6_ 3:

4.9686

D _6_ 4:

D _6_ 5:

참여교수 수

67

T _7_ 1:

D _7_ 5:

9.2.2 참여교수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12>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최근 3년간 실적

T_ 1_2 :

구분

T _1_ 1:

2010년

2011년

T_ 2_2 :

T_3 _1:

총 환산편수

D_3 _2:

총 환산보정IF

T _4_ 1:

D_4 _2: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IF

102.8397

T_6 _1:

D_5 _2:

1인당 환산 보정IF

110.0699

D_6 _2:

113.1061

D _3_ 4:

76.29257

77.55641

D _4_ 3:

0.5976

D _4_ 4:

0.69312

326.0157

D _3_ 5:

215.30677

D _4_ 5:

0.68569

D _5_ 3:

0.91728

전체기간 실적

T_ 1_5 :

T _2_ 4:

D _3_ 3:

61.45779

T _5_ 1:

2012년

T _2_ 3:

0.66041

D _5_ 4:

1.13869

D _5_ 5:

1.15755

D _6_ 3:

3.21353

D _6_ 4:

D _6_ 5:

참여교수 수

67

T _7_ 1:

D _7_ 5:

9.2.3 사업단 참여 교수 논문의 우수성 <표 13> 참여교수 1인당 논문의 환산 보정 Eigenfactor Score와 환산 보정 IF 최근 3년간 실적

T_ 1_3 :

구분

2010년

T _1_ 1:

T_ 2_3 :

총 환산편수

T_ 3_2 :

Eigenfactor Score

총 환산보정 ES

T_ 3_1 :

T _4_ 2:

T_5 _2: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ES

D_3 _3:

D_4 _3:

T_2 _4:

102.8397

110.0699

D _3_ 4:

136.33492 D_5 _3:

2011년

162.17433

D _4_ 4:

1.3257

1.47337

D _5_ 4:

150

T_2 _5:

2012년

113.1061

D _3_ 5:

152.45823

D _4_ 5:

1.34792

D _5_ 5:

전체기간 실적

T_ 1_6 :

326.0157

D _3_ 6:

450.96748

D _4_ 6:

1.38326

D _5_ 6:


Eigenfactor Score

1인당 환산보정 ES

T_ 3_1 :

T_ 6_2 :

D_6 _3:

총 환산편수

T_ 7_2 :

T_8 _2:

Impact Factor

T_9 _2:

T_ 7_1 :

D_7 _3:

총 환산보정IF

D_8 _3: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IF

2.03484

102.8397

110.0699

D _7_ 4:

61.45779 D_9 _3:

1인당 환산보정 IF

2.42051

D _6_ 4:

76.29257

D _8_ 4:

0.5976

0.69312

D _9_ 4:

0.91728

T_ 10_ 2:

D_1 0_3 :

D _10 _4:

1.13869

2.27549

6.73085

D _6_ 5:

113.1061

D _7_ 5:

77.55641

D _8_ 5:

0.68569

D _9_ 5:

D _10 _5:

1.15755

D _6_ 6:

326.0157

D _7_ 6:

215.30677

D _8_ 6:

0.66041

D _9_ 6:

3.21353

D_ 10_ 6:

참여교수 수

67

T_ 11_ 1:

D_ 11_ 6:

1인당 환산 보정 ES(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ES 포함) 또는 1인당 환산 보정 IF(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 포함)를 활용하여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기술 ① 사업단 참여 논문의 우수성 (IF 등의 우수성) ◎ 요약 o 교수 1인당 발표논문 건수의 추이는 2010년 4.68편, 2011년 4.95편, 2012년 4.94편으로 최근 3년간 5% 향상되었으나 수렴되고 있음 o 사업단 참여교수의 교수 1인당 발표 논문 건수는 2010년 기준(4.68편)으로 미국 상위 5개 학과 평균(3.36편/년) 수준을 이미 상회 o 교수 1인당 논문 환산편수의 추이는 2010년 1.57편, 2011년 1.67편, 2012년 1.71편로 최근 3년간 9% 향상 o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 추이는 2010년 0.59, 2011년 0.69, 2012년 0.68로 최근 3년간 14% 향상 o 교수 1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 추이는 2010년 0.91, 2011년 1.13, 2012년 1.15로 최근 3년간 26% 향상 o 교수 1인당 환산보정 Eigenfactor Score 추이는 2010년 2.03, 2011년 2.42, 2012년 2.27

■ 교수 1인당 정량실적에 대한 논문의 우수성 - 상기와 같이, 교수 1인당 연간 발표논문 건수의 연도별 추이는 큰 변화가 없다. 이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가 BK 2단계 동안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치중하였기 때문이다. 본 학과의 논문 실적을 세계 5위권 대학의 설적을 비교한 바, 학과 소속 전체 교수의 1인당 논문 편수는 미국 상위 5개 학과의 평균과 유사한 수준 (2010년 기준 KAIST EE 3.44편/년, 미국 상위 5개 학과 평균 3.36편/년)에 도달하고 있다. (확장표 II-9.2-6 참조) - 논문 총건수에 비해 환산건수가 다소 낮은 것은, 외부기관과의 공동연구를 장려한 결과로 공동발표의 사례가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반영하는 지표인, Impact Factor 관련 자료들(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 1인당 환산 보정 IF)은 상당 수준으로 향상되고 있다. -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가 최근 3년간 14%로 향상되고, 환산보정 Impact Factor는 26%로 향상되고 있다.

151


사업단 특성에 따라 <표13> 이외에 공신력 있는 논문 평가방법(예: SCOPUS의 SJR, SNIP, Google Scholar 등)을 활용하여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기술 ② 사업단 참여 논문의 우수성 (사업단 특성에 따른 질적 우수성) ◎ 요약 o A급 (IEEE, ACM 등) 논문 비율의 추이: 2010년 52.8% (166/314), 2010년 52.1% (173/332), 2012년 51.8% (171/330) o Google Scholar 자료에서 citation 100건 이상인 논문이 2012년 10편 o 학술지 표지로 소개된 논문이 11건

■ 사업단 논문의 질적 우수성의 구체적인 자료

o A급 (IEEE, ACM) 논문의 비중 - 상기와 같이, 본 사업단의 질적 우수성을 대변할 수 있는 또 다른 자료로, 2011년 전체 논문의 52.2%가 IT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는 IEEE 및 ACM에 게재된 것이다. 이 비중은 2006년 43.0%에 비해, 2010년 ~ 2012년 52.8% ~ 51.8%로 향상된 것이어서,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확장표 II-9.2-2 참조)

<확장표 II-9.2-2> 사업단 참여교수의 논문 중에서 IEEE, ACM 학회 저널 논문이 차지하는 비율 연도

IEEE 논문수

ACM 논문수

전체 논문수

IEEE/ACM 논문 비율

2010

161

5

314

52.8%

2011

170

3

332

52.1%

2012

167

4

330

51.8%

o Citation 100건 이상인 논문 -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의 Google Scholar의 자료에서, 최근 5년간 학술지 및 학회에 발표된 논문 중에서, citation 100건 이상인 논문은 10편으로, 본 사업단의 질적 성장의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확장표 II-9.2-3 참조)

<확장표 II-9.2-3> 사업단 참여교수의 최근 5년 내 발표 논문 중에서 Citation 100 이상인 논문 (10건) (Google Scholar의 자료 참조) 연번 1 2

논문 제목

게재지

10-Gb/s operation of RSOA for WDM IEEE Photonics PON Technology Letters SLAW: Self-Similar Least-Action IEEE/ACM Transactions on Human Walk Networking

152

발표년도

참여교수 Citation 수

2008년

정윤철

109

2012년

정송

211


3

Mobile data offloading: how much can WiFi deliver

Proceedings of the ACM CoNext Conference

2010년

정송, 이융

101

4

On the levy-walk nature of human mobility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2011년

정송

348

5

Noisy network coding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2011년

정세영

186

6

Capacity bounds for two-way relay channels

IEEE International Zurich Seminar Communications

2008년

정세영,이 용훈

106

7

Capacity of the Gaussian two-way relay channel to within 1/2 Bit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2010년

정세영,이 용훈

100

8

Rethinking virtual network embedding: substratesupport for path splitting and migration

ACM SIGCOMM Computer Communication Review

2008년

이융

331

9

Packet shader: A GPU- accelerated software router

ACM SIGCOMM conference

2010년

박경수

173

10

A 32nm logic technology featuring 2nd-generation high-k+ metal-gate transistors, enhanced channel strain and 0.171 μm 2 SRAM cell size in a 291Mb array

IEEE 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ing

2008년

이석희

116

o 학술지 표지에 소개된 논문 -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의 최근 3년 간 발표 논문 중에서 학술지 표지로 소개된 논문이 11건이다. 학술지 표지에는 해당 학술지 권호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가장 주목받을 수 있는 논문의 결과가 소개되고 있어, 그 논문의 영향력을 대변할 수 있다. (확장표 II-9.2-4 참조)

<확장표 II-9.2-4> 사업단 참여교수의 최근 3년 내 발표 논문 중에서 학술지 표지에 소개된 논문 (11건) 연번

논문 제목

게재지

발표 년월

참여 교수

1

Ordered arrays of dual-diameter nanopillars for maximized optical absorption

Nano Letters

201010

유경식

2

Learning one-to-many mapping with locally linear maps based on manifold structure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109

이수영

3

REMiner: A tool for unbiased mining and analysis of repetitive elements and their arrangement structures of large chromosomes

Elsevier Genomics

201111

조동호

4

REMinerⅡ: A tool for rapid 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of repetitive element arrays from large mammalian chromosomes as

Elsevier Genomics

201209

조동호

153


a single query 5

Plasmonic color filter and its fabrication for large-area applications

6

Soluble polynorbornenes with pendant J. of Polymer Science carbazole derivatives as host materials for Part A-Polymer highly efficient blue phosphorescent Chemistr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7

8

9

10

11

Advance Optical Materials

201302

최경철

201206

유승협

201304

유승협

201003

최양규

Macromolecular Chemistry and Physics

201112

최양규

Micropatterning polydiacetylene Macromolecular supramolecular vesicles on glass substrates Chemistry and Physics using a pre-patterned hydrophobic thin film

201206

최양규

201208

윤준보

Exciton dissociation and charge-transport enhancement in organic solar cells with quantum-dot/N-doped CNT hybrid nanomaterials

Advanced Materials

Fabrication of patterned polydiacetylene Macromolecular Rapid composite films using replica-molding (REM) Communications technique Thermofluorescent conjugated polymer sensors for nano- and microscale temperature monitoring

Use of a columnar metal thin film as a nanosieve with sub-10 nm pores

Advanced Materials

o 본 사업단 참여교수의 대표적인 우수 논문 - 2010년 Nature 지(IF 34.48)의 차세대 BT와 IT분야 뇌공학 융합 논문 (김대식 교수), Nano Letters 지(IF: 9.991)의 Double-gate nanowire field effect transistor 논문 (최양규 교수),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지(IF 5.429)의 One-chip electronic detection of DNA hybridization (조규형 교수) 등 -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지 (IF 4.232)의 사용자 할당 동적 기지국 운용 알고리즘 논문 (이융 교수),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지 의 Noisy network coding (삼성휴먼테크 2011년도 금상 수상, 피인용횟수 186회, 정세영 교수),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지의 Levy walk nature of human mobility 논문 (인용횟수 348회, 정송 교수) 등 - 2012년 Nature Materials (IF 32.841) 지의 Teraherz waves with graphene metamaterials 논문 (최성율 교수), Advanced Materials 지 (IF 13.877)의 Digital-mode organic vapor-jet printing 논문 (유승협 교수),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CCS 2012) 학회의 Kargus: A highly-scalable software-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논문 (CCS 19년 역사상 최초의 한국논문 발표, 박경수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 학술적인 영향력이 매우 높은 대표논문들을 연도별로 10편씩 선정한 대표논문(총 30선)들은 확장표 II-9.2-5에 목록에 제시하였으며, 이들 30선 논문의 내용은 확장본의 <확장표 II-9.2-P1> ~ <확장표 II-9.2-P30>과 같다.

154


<확장표 II-9.2-5> 사업단 대표 논문 30선 목록 (연도별로 각 10개씩 선정) 연번

논문 제목

1

Global and local fMRI signals driven by neurons defined optogenetically by type and wiring

2

Bold claims for optogenetics

게재지

Nature

Nature

발표 년월

참여 교수

객관적 우수성

201006

- IF: 34.48 - 차세대 BT와 IT분야 뇌공학 융합 연 김대식 구 결과물 - 세계적 과학 저널 권위지 Nature지 게재

201011

- IF: 34.48 - 차세대 BT와 IT분야 뇌공학 융합 연 김대식 구 결과물 - 세계적 과학 저널 권위지 Nature지 게재

201007

- IF: 9.991 - Nano 분야 권위지 Nano Letters에 게재됨 최양규 - 기존 바이오 센서 대비 실리콘 양산 기술 보다 적합한 바이오 센서의 플 랫폼을 제공. 기존 위치 제어 단점 을 보안

201102

- IF: 8.379 Micropatterning된 ITO와 전도성 고 유승협 - 분자를 이용하여 향상된 광추출 효 김정호 율을 보이는 유기발 광다이오드 구 현

201012

- IF: 5.429 조규형 - BT와 IT 융합 논문 윤준보 - 바이오 분야 권위지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게재

201003

- IF: 3.151 - 저전력 환경에서도 빠른 3 차원 이 김이섭 미지 합성기술을 가능케한 본 연구 는 3DTV 산업에 파급효과 상당 것으 로 예상됨

3

Double-gate nanowire field effect transistor for a biosensor

4

Towards gigahertz operation: Ultrafast low turn-on organic diodes and rectifiers based on C 60 and tungsten oxide

5

One-chip electronic detection of DNA Biosensors and hybridization using precision impedance-based Bioelectronics CMOS array sensor

6

A 116 fps/74mW IEEE Journal heterogeneous 3D-media State processor for 3-D display of Solid Circuits applications

7

High-efficient multilevel half-bridge converter

201004

- IF: 2.929 서버파워의고효율 고전력 밀도 구현 문건우 - 이 가능케 한 연구물, 국내 서버파 워 시장 진입 가능케 함

8

IEEE An efficient Transactions on priority-based reference Circuits 201008 frame selection method for and Systems fast motion estimation in for Video H.264/AVC Technology

- IF: 2.548 - 본 연구가 제안한 다중참조 영상은 방송시스템 및 모바일 환경 박현욱 다양한 에서 저전 력/저복잡도를 가지는 비 디오 서비스 제공하는 획기적 연구 결과물 10억원 상당 기술이전

Least squares approach to IEEE joint beam design for interference alignment in Transactions on 201009 Signal multiuser multi-input Processing multi-output interference channels

- IF: 2.212 -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간섭 채널에서 신호공간의 자유도를 보장하는 간섭 정렬 방법과 선형 시스템 사이의 상 성영철 관관계를 밝히고,이를 이용하여 간 섭 정렬을 효과적으로 수행 하는 방 법을 제안함 - 무선 통신의 주요 학술지인 IEEE Tr ans. Signal on Process에 게재

9

10

Segmenting clustered nuclei using H-minima transform based marker extraction and contour

Nano Letters

Advanced Material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IEEE Transactions on 201010 Biomedical Engineering

155

- IF: 2.154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포분할 방법 김창익 - 은 기존 면역 조직 화학 분석 시스 템들 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


parameterization

11

12

13

14

15

16

켜줄 것으로 예상됨

Bio-inspired complementary photoconductor by porphyrin-coated silicon nanowires

Advanced Materials

SSLShader: Cheap SSL acceleration with commodity processors

Proceedings of the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NSDI '11)

Base station operation and IEEE Journal user association on Slected mechanisms for Areas in energy-delay tradeoffs in Communications green cellular networks

High-performance pentacene IEEE Electron thin-film transistors Device Letters fabricated by printing technology

Noisy network coding

201109

- IF: 10.88 실리콘 나노선에 포피린 성분을 접 최양규 - 합시켜 전자 이동 현상을 분석한 연 구 결과물

201103

- 네트워크컴퓨팅 시스템분 야의 최고 권위의 학회인 USENIX NSDI에 순수 국내연구 진으로 최초 게재 박경수 - 온라인 언론 매체인 Computer World Network Security News 에 연구내용 이1월 25일자 소개 - Acceptance Ratio:17.2%(27/157)

201109

- IF: 4.232 - 본 논문에서 제시한 사용자 할당 정 책과 동적 기지국 운용 알고리즘은 이융 실제 환경 설정하에서 시뮬레이션되 어 에너지 소비의 70-80%까지 감소 시킬 수 있는 연구결과물

201110

- IF: 2.719 - 유기 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이의 유 기전자소자 적용성을 연구한 우수 유승협 논문 - 중요성을 인정받아 관련 내용으로 I WFPE학회에서 2년 연속으로 베스트 포스터 상 수상

IEEE Transactions on 201105 Information Theory

IEEE/ACM On the levy walk nature of Transactions on 201106 human mobility Networking

- IF: 2.728 정세영 - 피인용수 186회 - 삼성휴먼테크 2011년도 금상 수상 - IF: 2.292 - google scholar citation 횟수 347 회 2013년 IEEE William Benett Prize 정송 - 수상 - 스마트폰 보급이 급증함에 따른 모 바일 단말의 이동성에 유용하게 적 용 가능한 연구결과물

17

System tolerance of all-optical sampling OFDM using AWG discrete Fourier transform

201107

- IF: 3.753 - 채널 누화에 민감한 OFDM 시스템에 실제 공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준구 위상에러를 적용함으로써 AWG기반 전광 DFT 서킷의 우수성을 입증 - 전광 OFDM 전송 시스템의 실현 가능 성을 앞당긴 연구결과물

18

A low energy injection-locked FSK IEEE Journal of transceiver with 201104 Solid-State frequency-to-amplitude Circuits conversion for body sensor applications

- IF: 2.281 - 스마트 폰,타블렛을 비롯하여 미래 유회준 에 더 욱 발달할 것으로 생각되는 p ortable healthcare system 등에 적 용 가능한 연구 결과물

Optics Express

19

Boosting color feature selection for color face recognition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105

- IF: 2.918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컬러 얼굴인 노용만 식 방법은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지능형 영상보안 CCTV 감시 시스템 등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

20

A new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maximum duty

IEEE Transactions on Power

201112

- IF: 3.24 문건우 - 서버파워의 고효율 고전력밀도 구현 이 가능, 서버파워 시장 진입 가능

156


operation for server power system

Electronics

21

Switching teraherz waves with gate-controlled active graphene metamaterials

Nature Materials

201211

- IF: 32.841 최성율 - Nature에서 출판하는 권위 있는 국 제 저널임

22

Digital-mode organic vapor-jet printing (D-OVJP): advanced jet-on-demand control of organic thin-film deposition

Advanced Materials

201206

유승협 - IF: 13.877

23

ACM Conference Kargus: A highly-scalable on Computer and software-based Communications 201210 intrusion detection system Security (CCS 2012)

High efficiency slim adapter with low profile transformer structure

IEEE Transaction on Industrial Electronics

25

Pushing the envelope of modern methods for bundle adjustment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201208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TPAMI)

26

Long-reach 10-Gb/s RSOA-based WDM PON employing QPSK signal and coherent receiver

Optics Express

27

A 40mV transformer-Reuse self-startup boost converter with MPPT control for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24

201209

- Acceptance Ratio:18.9%(80/423) - 012년 10월에 열린 보안분야 세계최 고 학회인 ACM CCS에 한국 논문으로 는 CCS 19년 역사상 최초로 발표 연합뉴스,전자신문외 16곳의 언론에 박경수 - 소개되어 학계및 산업계의 큰 관심 이융 을 받고 있음 - 2012년 국정원장 표창 - 2012년 10월 특허출원 완료 - 현재국가보안기술연구소주도로 기술 이전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중

문건우 - IF: 5.16

권인소 - IF: 4.908

201207

정윤철 - IF: 3.587

IEEE J. of Solid-State Circuits

201212

- IF: 3.226 저전압열 전기 발생기 분야에 쓰일 조규형 - 수 있는 저전압MPPT 제어를 가진 트 류승탁 랜스포머에 기반한 self-starting 부스트 컨버터 제안

28

A 14.2 mW 2.55-to-3 GHz cascaded PLL with reference Injection and 800 MHz delta-sigma modulator in 0.13μm CMOS

IEEE J. of Solid-State Circuits

201212

- IF: 3.226, Outstanding Far-East Paper Award 조성환 - 수상 (2013년 2월 ISSCC학회 수상 예정)

29

Greening effect of spatio-temporal power sharing policies in cellular networks with energy constraints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201212

이융, - IF: 2.586 정송

30

40 Gb/s low-power 4:1 IEEE multiplexer based on Transactions on 201206 resonant tunneling diodes Nanotechnology

157

- IF: 2.292, 양경훈 - 국내외특허: 6건, 대외언론보도 1회 (2010.3.23.,주요일간지 및 인터넷


기사 16건)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2011. 1 1. 24)

■ 사업단의 대표 논문 30선의 논문 내용 (연도별로 각 10개씩 선정) <확장표 II-9.2-P1>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 논문명: Global and local fMRI signals driven by neurons defined optogenetically by type and wiring ○ 게재학술지명 (IF): NATURE, 2010.06 (36.28) ○ 참여자 성명: 김대식 교수 ○ 논문의 중요성 Blood oxygenation level-dependent (BOLD) 신호를 이용해서 살아있는 사람의 뇌를 비습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뇌기능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은 연구적, 임상 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소 지역의 뉴런들의 활동 전위로 야기된 BOLD 신호인지 아닌지를 위치적으로 정확하게 알 수 없어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본 논문은 특정 영역의 신경 세포 활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특정 파장 광원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바이러스와 함께 신경세포에 주입하 여 특정 파장의 광원을 비추었을 때 유전자와 결합된 신경세포들이 활동 전위를 일으키게 하는 최신기술 인 optogenetic과 고해상도의 BOLD 신호를 얻을 수 있는 high-field fMRI를 결합한 optogenetic fMRI (ofMRI)를 이용해서 측정된 뇌 신경세포와 인체 내 헤모글로빈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논문이다. ofMRI를 통해서 특정 자극된 영역을 이미지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세포가 주위 세포에 인과적 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결국 외부 광원으로 특정 영역의 신경세포들 의 활동 전위 반응을 조절하면서 온전하게 살아있는 포유류의 뇌 전 영역에 대해 기능적 연결 지도를 만 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기존의 데이터correlation 분석을 기본으로 하는 fMRI 연구와 전기 적 자극과 함께하는 fMRI 연구와 비교하여 자극을 주기 원하는 신경세포에 직접적으로, 아주 정확하게 신경세포 활동을 조절할 수 있어서 더 정확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국소 영역에 신경세포 활 동 패턴을 결정함으로써 뇌 전 영역 회로에 관한 인과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 기존 방법과 차별화 되 는 점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연구는 optogenetic 방법으로 기존에 약리적 또는 전극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원하는 신경세포 영역에 자극을 주는 방법보다 더 정확하고 확장된 것이어서 국소 영역의 신경세포 활동 전위를 fMRI BOLD 신호로 보는 것에 대해 논란이 많았던 부분들을 ofMRI를 통해서 그 논란을 해명할 수 있게 되었 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는 신호로 뇌의 기능적, 인과적 연결성 분석이 기존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지 므로 뇌의 macrocircuit의 특징을 알아내고, 순수하게 우리 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한걸음 나아가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뇌 신호 측정의 새로운 다른 한 축을 만들어 갈 것이며, 이는 각종 뇌신경 질환이 어떤 뇌 회로의 오동작 때문에 발생하는지 밝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뇌의 정보를 읽을 수 있거나 그 정보를 저장하고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정보를 다시 뇌에 쓸 수 있는 뇌 기반 미래 기술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58


<확장표 II-9.2-P2>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 논문명: Bold Claims for Optogenetics

○ 게재학술지명 (IF): NATURE, 2010.11 (36.28) ○ 참여자 성명: 김대식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2010년 6월 네이처에 개제된 optogenetic과 고해상도의 BOLD 신호를 얻을 수 있는 highfield fMRI를 결합한 optogenetic fMRI (ofMRI)를 이용해서 측정된 뇌 신경세포와 인체 내 헤모글로 빈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논문‘Global and local fMRI signals driven by neurons defined optogenetically by type and wiring’ 에 대해 조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고, 이해하는 사람들이 가지 는 몇 가지 사항들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부가 설명을 통해 이해를 돕기 위한 논문이다. 실험을 통해서 뇌의 인과적 연결성을 파악할 때 우리가 먼저 타겟으로 하는 신경세포는 복잡하게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 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고 국소 단위의 신경세포로부터 나오는 신호의 신뢰성을 간과할 수 없 다. 본 논문은 optogenetic 방법으로 타겟신경세포의 스파이크를 다양하게 조절하며 결과를 측정하는 방 법을 통해 복잡하게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들 사이에 포함된 신경세포라 할지라도 미리 결정된 이벤트에 대해 그것의 인과적 반응을 테스트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간적, 유전적으로 직접 흥분 시킬 수 있는 국소영역의 대뇌피질 흥분신경세포를 결정을 한다. 이 결정된 이 신경세포는 신호를 측정 하는 순간보다 이전 BOLD 신호의 복잡한 위상, 시간 관계에 대해서도 모두 측정가능 하기 때문에 그 실 험의 결과는 신경세포 구성의 복잡성에 대해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방법은 마이 크로 전극을 이용하여 세포를 자극하는 일반적인 방법보다 신경세포에 대해 자세하게 자극을 줄 수 있어 서 기존의 실험적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fMRI 분야에서 optogenetic과 fMRI의 결합은 처음이며,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대해 세포단위의 세부 적 분석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스케일의 뇌신경 연결망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국소영역의 신경 세포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글로벌한 영역과 관련되어 활성화되는데, 주변에 있는 다른 연결망에 있는 신경세포의 또 다른 활성은 우리가 관심 있는 연결망의 타겟 신경세포의 출력신호에 의해 해석될 수 있 다는 점을 제시하므로 본 논문을 통해서 기존 개제된 논문의 타당성을 더하고, 다른 시각을 가졌던 사람 들의 질문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확장표 II-9.2-P3>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3) 논문명: Double-Gate Nanowire Field Effect Transistor for a Biosensor ○ 게재학술지명 (IF): Nano letters, 2010.07 (13.198) ○ 참여자 성명: 최양규 교수 ○ 논문의 중요성 기존의 바이오 센서는 bottom-up 방식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나노와이어 (silicon nanowire) 센서의 크기 축소를 통해 민감도의 향상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bottom-up 방식의 실리콘 나노와이어의 공정 상의 위치 제어의 문제로 인해 상용화에 큰 문제점을 겪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

는 전자 소자인 독립적인 두 개의 게이트를 가지는 independent double-gate MOSFET를 사용하여, 바이오 센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게이트 절연막 부분에 바이오 물질을 넣음으로써 결합에 따라 문턱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조류 독감의 항원-항체의 반응을 검출하였다. 민감도의 향상을 센서 의 크기 축소가 아닌 독립적인 두 개의 게이트에 가해주는 전압의 조건을변화시킴으로써 높은 민감도를

159


얻었다. 또한 bottom-up 방식의 단점인 위치 제어의 단점을 top-down 방식의 기존 실리콘 공정을 사용함 으로써 양산 단계까지 끌어 올렸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전기적 검출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값비싸고 부피가 큰 광학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양산 가능성을 검토 후에 가까운 미래에 휴대용 바이오 센서의 플랫폼의 제작이 가능하고, top-down 방식을 사용하기 주변 회로와의 호환성이 기존 어느 바이오 센서 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 다. 두 개의 독립적인 게이트를 사용하여 민감도의 향상을 이룬 점은, 유독 바이오 센서 뿐만 아니라 화 학적인 반응을 사용하는 모든 센서에 응용이 가능하다.

<확장표 II-9.2-P4>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4) 논문명: Towards Gigahertz Operation: Ultrafast Low Turn-on Organic Diodes and Rectifiers Based on C 60 and Tungsten Oxide ○ 게재학술지명 (IF): Advanced Materials, 2011.02 (13.877) ○ 참여자 성명: 김정호, 유승협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에서는 C60 유기물 반도체와 WO3사이의 Schottky junction을 이용해 박막 다이오드를 제작하 였고, 유기물 박막 다이오드로써는 최초로 1GHz 이상에서의 정류 성능을 보이고, 또한 2V의 교류 입력에 서 1.79V의 직류 출력을 보임으로써 이전까지 발표된 유기물 박막 다이오드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 룩했다. 이러한 고성능 유기물 박막 다이오드를 제작하기 위해 반도체의 수직방향 전하 이동도와 Schottky barrier의 크기를 고려한 설계방법이 제시되고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증명되었다. 또한 유 기물 다이오드의 제작과 RF 환경에서의 평가를 위해서 각각 유기물 소자의 제작 (유승협 교수) 과 RF 소 자 평가 (김정호 교수)에 대해 전문적으로 연구해 온 두 실험실이 공동연구함으로써 이후 유기물 RFID tag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의의가 있다. 본 결과는 RFID tag를 유기물 소자를 사용해 제작하는데 필요한 고성능 유기물 정류회로의 실현 가능성을 집접적으로 증명한 것으로 그 기여가 인정되어 NPG Asia Materials에 하이라이트 되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개별 물품 단위로 적용 가능한 초저가 RFID tag와 유기물 소자를 이용한 제작 가능성이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그 실현에 큰 걸림돌로 여겨지던 고성능 정류 회로를 유기물 박막 다이오드를 이용해 실제 로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성능 유기박막 다이오드 의 설계 방법은 박막 다이오드 전반에 걸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향후 인쇄 전자에 의한 초저가 RFID tag 의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확장표 II-9.2-P5>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5) 논문명: One-chip electronic detection of DNA hybridization using precision impedance-based CMOS array sensor ○ 게재학술지명 (IF):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2010.12 (5.602) ○ 참여자 성명: 조규형, 윤준보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연구는 DNA의 혼성반응 (Hybridization)을 감지하기 위한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써, CMOS 공정

160


기반의 16 X 8 미세 어레이 센서 형태로 새로운 임피던스 측정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임피던스 측정기 술은 상보적인 DNA의 결합 후에 변화되는 커패시턴스와 저항 성분을 관찰한다. 기존기술의 경우, 병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저항이 무한대가 아니기 때문에 커패시턴스의 측정에 있어서 오차를 가져온다. 그러므 로 본 연구는 기생성분과는 독립적으로 커패시턴스와 저항 성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삼각파를 인 가한 임피던스 측정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센서를 통해서 PNA-DNA 결합에 대한 실험 확인 결과, 더욱 정 밀하고 안정적인 측정이 이루어졌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제안 센서의 개발을 통하여 임피던스의 변화 정보를 이용한 생분자 물질의 정량화가 가능해졌다. 본 센서는 상용 CMOS 공정을 기반으로 하여 전극과 측정회로를 원 칩화 하였으므로 저가격으로 소형 제 작이 가능하다. 본 바이오센서는 과거 큰 장비를 사용하여 실험실에서만 이루어졌던 형태를 개선하여 현 장진료(Point of Care)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향후 질병의 진단과 바이오 해석 연구장비로의 발 전이 기대된다.

<확장표 II-9.2-P6>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6) 논문명: A 116 fps/74 mW Heterogeneous 3D-Media Processor for 3-D Display Application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Journal of Solid State Circuits, 2010.03 (3.226) ○ 참여자 성명: 김이섭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3차원 display IP, 3차원 graphics IP 및 stereo video decoder IP를 포함하는 3차원 미디 어 프로세서에 관한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는 배터리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 세서의 성능뿐 만 아니라 전력 소모도 매우 중요한 design issue 가 된다. 제안하는 미디어 프로세서는 adaptive power management scheme을 적용하여, 목표로 하는 성능이나 응용 프로그램의 연산 특성에 따 라 idle상태의 functional block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최대 186mW의 전력소모를 줄여 201mW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와 같은 전력 소모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안하는 미디어 프로세서는 기존의 3D display 프로세서에 비해 17배 높은 3D scene 합성 속도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fast modulo operator 및 divisionfree algorithm을 사용해 3D display processing의 critical path latency를 줄일 수 있으며, Operation sequence를 chip 내부에 reordering함으로써 처리되어야 하는 영상의 data 양에 상관없이 외부 memory bandwidth를 고정시킬 수 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제안하는 heterogeneous 3차원 미디어 프로세서는, homogeneous core를 다수 사용한 일반적인 multicore/many-core 와는 다른 구조이며, 크게 3가지 IP 파트로 나뉠 수 있다. 제안하는 heterogeneous 프로세서는 3차원 display영상을 합성할 수 있는 3D display IP와 3차원 그래픽스 연산을 가속화 할 수 있는 3D graphics IP, 그리고 stereo video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stereo video decoder IP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heterogeneous한 core를 하나의 chip에 집적함으로써 3D display, 3D graphics, stereo video processing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 한 3차원 visual effect를 하나의 chip으로 구현 가능하게 된다. 최근 3D TV및 3D 영화가 일반화 되고 있으나, 3차원 영상을 즐기기 위한 전용 안경을 착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제안하는 프로세서에서 합 성된 9-view 영상을 통해 전용 안경 없이도 3D display panel 을 통해 3차원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전력 소모를 감소시켜, 기존 연구 대비 절반의 전력소모로 17배의 성능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화, 3D TV산업 뿐만 아니라, 저전

161


력을 요구하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산업에 미칠 수 있는 파급효과 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확장표 II-9.2-P7>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7) 논문명: High-Efficient Multilevel Half-Bridge Converter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2010.04 (4.65) ○ 참여자 성명: 문건우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입력전압의 변화가 심한 서버용 전원장치의 고효율화를 위하여 최소한의 부가 소자를 사용 하여 넓은 입력전압의 변화를 보상하면서, 정상상태에서 서버용 전원장치의 동작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 운 회로를 제안하였다.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서버용 전원장치의 동작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주 전력 변환단의 설계를 최적화 할 수 있었으며, 출력 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multilevel로 만들어주어 출력 필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서버용 전원장치의 전력 효율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최근의 서버용 전원 장치 시장에서 기존 서버용 전원장치 토폴로지가 가지는 효율 측면에서의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회로 발명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오늘날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이에따른 국제적인 환경 규제강화 추세와 맞물려 전원장치에 대해 서도고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서버용 전원장치의 경우 CSCI 규제가 bronze, silver, gold에서 platinum, diamond 로 더 높은 효율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규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시 장에 제품을 판매할 수 없게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회로를 적용할 경우 기존 회로가 넓은 입력전압 변동 범위로 인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었던 것에 반해, 최소한의 부가 소자를 사용하여 넓은 입력 전 압 범위에 서 정상동작을 모두 수행하면서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 더 높은 수 준의 효율 규제가 제시되더라도 효율을 만족함으로써 시장 선점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또한 서버용 전 원 장치 뿐만 아니라 넓은 입력전압 변동 범위를 가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손쉽게 접목할 수 있어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확장표 II-9.2-P8>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8) 논문명: An Efficient Priority-Based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for Fast Motion Estimation in H.264/AVC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2010.08(1.649) ○ 참여자 성명: 박현욱 교수 ○ 논문의 중요성 H.264는 기존 MPEG-2/4 또는 H.263보다 거의 2배 이상의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는 비디오 압축표준이 다. 하지만 우수한 압축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비디오 코덱 대비 매우 높은 부호화 복잡도를 요구 하고 있으며, 이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특히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벡터를 찾는 과정이 전체 복잡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순위 기반 효율적인 참조영상 선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높은 압축성능을 내는 경우와

162


비교하여 평균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면서 정확한 참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 사용 시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은 현재 부호화 하는 블록에 대한시/공간적인 움직임 벡터, 참조영상인덱스에 대한 Correlation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각 참조영상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값을 (Priority) 설정한 뒤, 임의의 임계값 이상의 우선 순위값을 가지는 참조 영상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움 직임 추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특히나 기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다 르게 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부호화 하는 영상 기준으로 시간축에 따라 순서대로 참조영상을 선 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축에 무관하게 적응적인 참조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실 험환경에서 설정하였던 기존 5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비하여, 거의 동일한 압축률을 유지하 면서 단지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복잡도와 비슷하게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 논문의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 현재 H.264는 모바일 이동방송 (DMB)나 IPTV, 그 외 Video Telephony, Video Conferencing 등에서 다 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3DTV가 최근에 각광을 받으면서, 기존 DTV방송과의 하향호환성을 위해 좌 영상은 기존 MPEG-2 로 압축하며, 우영상의 경우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H.264를 사용한 실험방송도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H.264 응용 시스템은 그 복잡도의 한계로 인해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한 부호 화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하여 부호화 하는 경 우,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거의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복잡도를 낮출 수 있 으므로 다양한 방송 시스템 및 모바일 환경에서 저전력/저복잡도를 가지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확장표 II-9.2-P8>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8) 논문명: An Efficient Priority-Based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for Fast Motion Estimation in H.264/AVC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2010.08(1.649) ○ 참여자 성명: 박현욱 교수 ○ 논문의 중요성 H.264는 기존 MPEG-2/4 또는 H.263보다 거의 2배 이상의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는 비디오 압축표준이 다. 하지만 우수한 압축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비디오 코덱 대비 매우 높은 부호화 복잡도를 요구 하고 있으며, 이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특히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벡터를 찾는 과정이 전체 복잡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순위 기반 효율적인 참조영상 선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높은 압축성능을 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면서 정확한 참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 사용 시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은 현재 부호화 하는 블록에 대한시/공간적인 움직임 벡터, 참조영상인덱스에 대한 Correlation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각 참조영상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값을 (Priority) 설정한 뒤, 임의의 임계값 이상의 우선 순위값을 가지는 참조 영상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움 직임 추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특히나 기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다 르게 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부호화 하는 영상 기준으로 시간축에 따라 순서대로 참조영상을 선 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축에 무관하게 적응적인 참조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실 험환경에서 설정하였던 기존 5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비하여, 거의 동일한 압축률을 유지하 면서 단지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복잡도와 비슷하게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 논문의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 현재 H.264는 모바일 이동방송 (DMB)나 IPTV, 그 외 Video Telephony, Video Conferencing 등에서 다

163


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3DTV가 최근에 각광을 받으면서, 기존 DTV방송과의 하향호환성을 위해 좌 영상은 기존 MPEG-2 로 압축하며, 우영상의 경우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H.264를 사용한 실험방송도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H.264 응용 시스템은 그 복잡도의 한계로 인해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한 부호 화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하여 부호화 하는 경 우,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거의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복잡도를 낮출 수 있 으므로 다양한 방송 시스템 및 모바일 환경에서 저전력/저복잡도를 가지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확장표 II-9.2-P8>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8) 논문명: An Efficient Priority-Based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for Fast Motion Estimation in H.264/AVC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2010.08(1.649) ○ 참여자 성명: 박현욱 교수 ○ 논문의 중요성 H.264는 기존 MPEG-2/4 또는 H.263보다 거의 2배 이상의 높은 압축률을 보여주는 비디오 압축표준이 다. 하지만 우수한 압축성능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비디오 코덱 대비 매우 높은 부호화 복잡도를 요구 하고 있으며, 이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특히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벡터를 찾는 과정이 전체 복잡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순위 기반 효율적인 참조영상 선택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여러 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높은 압축성능을 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면서 정확한 참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 사용 시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은 현재 부호화 하는 블록에 대한시/공간적인 움직임 벡터, 참조영상인덱스에 대한 Correlation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각 참조영상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값을 (Priority) 설정한 뒤, 임의의 임계값 이상의 우선 순위값을 가지는 참조 영상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움 직임 추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특히나 기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다 르게 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부호화 하는 영상 기준으로 시간축에 따라 순서대로 참조영상을 선 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축에 무관하게 적응적인 참조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실 험환경에서 설정하였던 기존 5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비하여, 거의 동일한 압축률을 유지하 면서 단지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복잡도와 비슷하게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 논문의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 현재 H.264는 모바일 이동방송 (DMB)나 IPTV, 그 외 Video Telephony, Video Conferencing 등에서 다 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3DTV가 최근에 각광을 받으면서, 기존 DTV방송과의 하향호환성을 위해 좌 영상은 기존 MPEG-2 로 압축하며, 우영상의 경우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H.264를 사용한 실험방송도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H.264 응용 시스템은 그 복잡도의 한계로 인해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한 부호 화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참조영상을 이용하여 부호화 하는 경 우,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거의 1장의 참조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복잡도를 낮출 수 있 으므로 다양한 방송 시스템 및 모바일 환경에서 저전력/저복잡도를 가지는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확장표 II-9.2-P9> 2010년도 사업단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9) 논문명: Least squares approach to joint beam design for interference alignment in multiuser

164


multi-input multi-output interference channel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 2010.09 (2.628) ○ 참여자 성명: 성영철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는 여러 사용자가 있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간섭 환경에서 신호 공간의 자유도를 최대한 보장하는 간섭 정렬 방법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섭 정렬이란 여러 사용자가 다 수의 안테나로 통신을 하는 경우, 각 수신단에서 원하는 신호 및 간섭 신호들을 각각 다른 공간으로 분 리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간섭 정렬 방법은 송수신단간에 다수의 반복적인 정보 교환을 요구하므로 실제 적인 채널 환경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았으며 복잡도 또한 상당히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간섭 정 렬 기법과 선형 시스템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선형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하여 최소자승법 등을 이 용하여 간섭 정렬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간섭 정렬 기법은 기존의 간섭 정 렬 기법과 견줄 만한 성능을 얻으면서도 수렴 속도 및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현실적으로 구현 이 가능한 단계까지 이르게 하였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최근 초고속 무선 통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으로 펨토셀 (femtocell)을 이용 한 무선 통신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펨토셀 무선 통신 환경은 다수의 펨토 기지국을 이용하여 사 용자의 고용량 무선 통신 수요를 서비스를 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펨토셀 환경에서는 여러 인접 펨토 셀로부터 강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받게 되어 기존의 간섭 완화 기술로는 높은 무선 채널 용량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간섭 환경에서 신호 공간의 자유도를 최대한 보장해주는 간섭 정렬 기술이 최근 제안되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앞으로의 통신 환경 변화에서 높은 통신 용 량을 제공하기 위한 펨토 실 기반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데 고려되는 통신 처리 기법과 이론적 분석을 제시한 논문이다. 간섭과 원하는 신호를 각 신호 공간으로 분리하는 간섭 정렬 기술을 기반으로 실제적 응용 가치가 매우 솔루션을 제공하였고, 복잡도 감소 및 빠른 수렴 속도의 장점 덕분에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 송신기를 구성하는데 핵심 기술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확장표 II-9.2-P10> 2010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0) 논문명: Segmenting Clustered Nuclei Using H-minima Transform Based Marker Extraction and Contour Parameterization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2010.10 (2.278) ○ 참여자 성명: 김창익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임상병리학 분야에서 면역조직 화학분석은 질환의 진단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일 반적으로 병리학자들에 의해 면역조직 화학분석이 이루어지는 경우 분석결과가 객관적이지 못 할뿐 만 아니라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영상이해기법들 을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면 역조직 화학분석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인 세포분할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세포분할 방 법들에서 널리 쓰이는 H-minima 변환기법을 재조명하여 최적의 분할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 안하였으며 다양한 비교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각 세포의 윤곽선을 파라미터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여 실제 진단과정에서 객관적인 수치화가 가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 다.

165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면역조직 화학분석을 포함한 임상병리학 분야에서의 영상 이해기법의 도입은 객관적인 동시에 일관적 인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세포분할 방법은 기존면역 조직 화학분석 시스 템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 <확장표 II-9.2-P11>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1) 논문명: Bio-Inspired Complementary Photoconductor by Porphyrin-Coated Silicon Nanowires

○ 게재학술지명 (IF): Advanced Materials, 2011.09 (13.877) ○ 참여자 성명: 최양규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엽록소의 성분인 포피린을 실리콘 나노선에 접합해 포피린-실리콘 간 전자 이동 현상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실리콘 나노선은 indirect 한 밴드갭에 의한 낮은 광 효율과 극도로 작은 부피 때문에 광 특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광합성의 주 성분인 포피린을 실리콘 나노선에 코팅하여 기존 연구결과 대비 좋 은 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나노선의 불순문 타입과 불순물 농도를 조정하면서 실험한 결 과, 포피린이 외부에서 빛을 받을 때 실리콘으로부터 전자를 흡수한다는 특성을 밝혀내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자연의 대표적인 광 물질인 엽록체에서 얻을 수 있는 포피린을 이용하여 반도체 분야의 대표물질인 실리콘과 결합하였다. 유기 물질인 포피린이 실리콘의 광 특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실 증해, 새로운 실리콘 광소자로의 발전 가능성을 열었다.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포피린과 실리콘간의 전하 이동을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포피린을 다른 응용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 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광소자로 많이 이용되는 혼성 반도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실리콘과 광 민감성 유기 물질의 조합만으로 우수한 광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하여 실리콘 기반의 광소자 연구에 새로 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추후 포피린-실리콘 융합의 최적화 과정에서 각각 발달된 유기 화학 기술과 실리콘 기술을 접목하면 보다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확장표 II-9.2-P12>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2) 논문명: SSLShader: Cheap SSL Acceleration with Commodity Processors ○ 게재학술지명: In Proceedings of the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NSDI '11) ○ 참여자 성명: 박경수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인터넷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개인 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의 보안에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런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인 SSL 기술은 하지만 극소수의 경 우에만 적용되어 보안에 민감한 곳에서 조차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이는 서버에서 SSL 암호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컴퓨팅 자원이 암호화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현저히 많아, 값비싼 하드 웨어 방식 SSL 가속기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에서 기인한다. 이 논문에서는 범용 계산장치인 CPU, GPU를 통한 값싼 SSL가속기를 설계/구현한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방식 SSL 가속기는 CPU만을 이용하여 성능향 상에 제약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병렬 컴퓨팅에 최적화된 GPU를 사용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가장

166


빠른 CPU보다 더 빠른 암호화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AES-NI, NUMA와 같은 최신 하드웨어 기술을 접목하 여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을 목표로 transparent SSL proxy인 SSLShader를 구현한다. 실험 결과 에 의하면, CPU만을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서 GPU로 RSA 암호화를 구현하였을 때 21.8배부터 30.4배까지 의 속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상용 컴퓨터 상에서 SSLShader는 작은 파일을 암호화하여 초당 2만 9천개 전송할 수 있으며, 큰 파일은 13Gbps 속도로 전송할 수 있었다. 현재 시장에 있는 하드웨어 SSL 가속기 와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 훨씬 더 경제적으로 SSL 가속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SSLShader의 장점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존의 하드웨어 SSL 가속기들의 문제점은 고비용/저유연성이라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와 반대로 소 프트웨어 SSL 가속기는 낮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으나, 그 성능에 한계가 있었다. SSLShader는 하드웨 어 가속기에 준하는 성능을 보이면서도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크게 낮추었다는 점에서, SSL 보급에 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확장표 II-9.2-P13>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3) 논문명: Base Station Operation and User Association Mechanisms for Energy-Delay Tradeoffs in Green Cellular Network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2011.09 (3.413) ○ 참여자 성명: 이융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이전까지 무선망의 에너지 효율성은 단순히 모바일 유저의 배터리 수명을 늘이기 위해 주목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산화탄소를 줄여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문제를 줄이고, 석유와 같은 한정적인 에너지 자원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무선망의 에너지 효율성이 주목 받고 있다. 뿐만 아 니라, 지금 무선망 관리자는 매년, 그들의 망 관리 비용의 큰 부분인 100 억 달러이상을 무선망의 전기 세로 쓰고 있기 때문에, 고 에너지 효율의 무선망 설계는 무선망 운용자들의 수익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산업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는 매년 15-20%씩 증가하고, 5년마다 두배가 된다. 이런 에너지 절약의 필요로 망관리자들은 에너지 효율적인 기지국이나 무선 터미 널을 만드는 방법을 찾아왔다. 기지국의 에너지 소모가 전체 망 에너지 소비의 60-80%를 차지하기 때문 에, 이 논문은 기지국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기지국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 는 방법으로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기지국을 만들거나,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지국들의 토폴로지를 설 계하거나,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적은 일을 하는 많 은 기지국보다, 많은 일을 하는 적은 기지국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것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기 지국을 동적으로 끄고 켜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인 분석으로 통해, 에너지 효율적인 그린 셀 룰라 망(Green Celluar Network)을 설계하는데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논문은 우선, 동적 기지국 운용과 사용자 할당 문제를 정의하고 해석하여, 이 문제와 관련하여 이론 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논문에서는 위 방법과 관련된 그린 셀룰라 네트워크의 설계는 하나의 파라 미터로 에너지 소모량과 네트워크 수용력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여 전체 비용 함수를 최소화시키는 문제 로 해석하고 있다. 또한, 이런 해석에서 기인한, 최적의 사용자 할당 정책을 제시한다. 동적 기지국 운 용에 대해서는, 최적의 운용을 하는 것은 NP-hard이므로, 운용의 복잡도와 성능 사이에서 적절히 균형을 맞추어, 간단한 Greedy algorithm에 기반 한 Greedy-on 방법과 Greedy-off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 한 사용자 할당 정책과 동적 기지국 운용 알고리즘은, 실제 환경 설정 하에서 시뮬레이션되어 에너지 소 비의 70-80%까지 줄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논문에서 제시하는 그린 셀룰라 망의 프레임워크는 지

167


구 온난화, 지하자원 고갈과 같은 문제에 직, 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그린 셀룰라 망은 망 관리자에게 망 관리 비용을 줄이는 직접적인 유인을 제공하므로, 빠르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확장표 II-9.2-P14>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4) 논문명: High-Performance Pentacene Thin-Film Transistors Fabricated by Organic Vapor-Jet Printing wiring ○ 게재학술지명 (IF): IEEE Electron Device Letters, 2011.10 (2.849) ○ 참여자 성명: 유승협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세계 최초의 digital-mode OVJP로 발전시킨 연구결과물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유기 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이의 유기전자 소자 적용성을 연구한 우수 논문이다. 상기 주제는 중요성 을 인정받아 관련 내용으로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 Printable Electronics 학회에서2년 연속으로 Best poster award를 수상하였다. 세계 최초의 digital-mode OVJP로 발전시켰다.

<확장표 II-9.2-P15>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5) 논문명: Noisy Netework Coding

○ 게재학술지명(IF):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2011.05 (3.009) ○ 참여자 성명: 정세영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릴레이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는 코딩 기법인 잡음 네트워크 코딩을 제안 하고, 잡음 네트워크 코딩을 네트워크 정보이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코딩 기법들과 결합, 확장, 개선하 였다. 잡음 네트워크 코딩을 통해서 유선망에서 최적임이 밝혀진 네트워크 코딩과 3개의 통신 개체로 이 루어진 릴레이 채널에서 제안되었던 compress-and-forward 기법을 각각 일반적인 네트워크로 확장하였음 은 물론, 두개의 상이한 이론을 하나의 상위 이론으로 통합하였다. 또한, 가우시안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에서 성능 분석을 통해 잡음 네트워크 코딩이 전송률 한계치로부터 constant gap내의 전송률을 달성함을 보였다. 본 논문은 정보이론계에 가장 저명한 저널인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IF: 2.728)에 발표되었으며, 현재까지 186회 인용 되었다. 2011년도에는 삼성 휴먼테크에 서 금상을 수상하 는 등 그 성과를 학계에 인정받았으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논문의 잡음 네트워크 코딩은 임의의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상위 기술이기 때문에, 정보이론 의 다양한 채널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잡음 네트워크의 전송률이 간단한 식으로 주어지기 때문 에, 성능의 평가가 간단하게 이루어 지고, 다른 코딩 기법과의 성능 비교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168


<확장표 II-9.2-P16>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6) 논문명: On the Levy Walk Nature of Human Mobility ○ 게재학술지명 (IF):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2011.06 (2.033) ○ 참여자 성명: 정송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지금까지의 통신 네트워크 분야에 적용되던 모빌리티 모델은 인간의 이동성에 대한 특성을 전혀 반영 하지 않고, Random하게 이동하거나 특정 규칙을 가지고 이동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간 이동 특성이 Levy-Walk 특성을 갖는 Heavy-tail Distribution을 보인다는 것을 처음으로 광범위한 스케일의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인간의 Levy-walk 특성을 고려한 모빌리티 모델을 가정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라우팅 프로토콜이 기존의 인간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본 논문은 이미 google scholar citations 기준 340회 이상 인용됨으로써 그 중요성을 입증하였고, 2013년에는 IEEE 네트워크분야 논문 중 최우수 논문에게 수여되는 William Benett Prize를 수상하는 영예도 안았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논문에서 분석한 인간 이동성 특성은 라우팅뿐만 아니라 인간의 위치와 이동성을 활용하는 여러 통신네트워크 분야에서 더욱 더 현실적인 이동성 모델링을 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 를 활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 분야의 예는 DTN (Delay Tolerant Network), GPS를 사용하지 않고, 단 말의 위치를 예측하는 알고리즘, 단말이 AP를 전력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알고리즘, 앞으로 이용 가능할 네트워크를 예측하여 Vertical Handover를 하는 알고리즘 등이 있다. 인간 이동성은 스마트폰 보급이 급 증함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이동성이 훨씬 중요하게 되어가는 현재의 환경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중 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확장표 II-9.2-P17>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7) 논문명: System Tolerance of All-Optical Sampling OFDM using AWG Discrete Fourier Transform ○ 게재학술지명 (IF): Optics Express, 2011.07 (3.587) ○ 참여자 성명: 이준구 교수 ○ 논문의 중요성 기존의 광전송 OFDM 시스템에서 쓰이는 전기적 DFT 서킷은 초고속 광전송 시스템 실현에 한계를 보여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광 DFT 서킷 구현을 위한 여러 가지 서킷 디자인들이 제시되었지만, 이들 의 실행 가능 여부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은 전광 DFT 서킷의 강력한 후보로 제시되어 온 AWG 기반 DFT 와 커플러 기반 DFT 서킷에 현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랜덤 위상 에러를 발생시켜 실제 OFDM 시스템에 적용시켰을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수율 및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채널 누화에 민감한 OFDM 시스템에 실제 공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상에러를 적용함으로써 AWG 기반 전광 DFT 서킷의 우수성을 입증하여 전광 OFDM 전송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앞당겼다. <확장표 II-9.2-P18>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8) 논문명: A Low Energy Injection-Locked FSK Transceiver With Conversion for Body Sensor Applications

169

Frequency-to-Amplitude


○ 개제학술지명 (IF):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1.04 (3.226) ○ 참여자 성명: 유회준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연구는 publication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RF Transceiver로 큰 주목을 받 았다. 본 논문의 가장 큰 특징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로 Injection-locking을 사용함으로써 신호를 증 폭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크게 낮추었다. 두 번째로 Transmitter와 Receiver 회로가 각각 따로 구현 되어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대신 많은 부분이 중복되어 사용되어서 면적효율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고속 FSK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Amplitude 정보를 이용한 demodulation 방식을 채용하여 기존의 FSK 방식 보다 Jitter 및 속도를 매우 증가시켰다. 위와 같은 세 가지 특징을 하나의 칩에 모두 집적시킴으로써 가장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RF Transceiver를 발표하였으며 학계에서 높은 관심을 받았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최근 사용자 중심의 portable 스마트 폰 기기가 많아짐에 따라 body-area-network 상의 여러 device 간의 저전력 통신 기술이 각광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방식의 FSK Transceiver는 이러한 body sensor application에서 가장 낮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다양한 portable 기기 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마트 폰, 타블렛을 비롯하여 미래에 더욱 발달할 것으로 생각되는 portable healthcare system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확장표 II-9.2-P19>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19) 논문명 : Boosting Color Feature Selection for Color Face Recognition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1.05 (3.042) ○ 참여자 성명: 노용만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최근 얼굴인식에서 컬러정보가 유용하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조도변화가 심한 환경에서 취득한 얼굴 영상이나 해상도(resolution) 변화가 심한 얼굴영상들에서 컬러 기반 얼굴인식은 흑백정보에만 의존하는 명도 기반 얼굴인식에 비해 매우 높은 얼굴인식 성능을 보인다. 컬러 공간(color space)을 구성하는 서 로 다른 컬러 구성요소(color component)들은 서로 다른 차별정보(discriminative information)를 지닌 다. 이는 컬러 구성요소마다 특정 분류 문제(classification task)에 대해 서로 다른 상보적 효과 (complementary effect)를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대부분의 컬러 얼굴인식 방법들에서는 2개 또는 3개의 컬러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고정된 컬러 조합(color configuration)들을 인식에 사용하였으며 이 조합들은 체계적인 분석에 의한 것이 아닌 직관(intuition) 또는 실험적(empirical)으로 얻어진 것이었 다. 특정 환경에서 유용한 컬러 조합은 다른 환경(예 : 조도 변화)에서의 인식에서는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험적으로 얻어진 고정된(fixed) 컬러 조합을 사용하는 기존 컬러 얼굴인식 방법으로는 주어진 분류 문제에서 최적의 얼굴인식성능을 얻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는 위에서 언급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boosting learning 알고리즘에 근간한 특징정보 선택 방법 (feature selection)을 이용한 컬러 얼굴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얼굴인식 성능 측면에서 최적 의(optimal) 컬러 조합을 찾아낸다. 또한 선택된 컬러 특징 정보들로부터 얻어진 상보 효과를 인식성능 향상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가중치가 적용된 특징정보 융합 기법 (weighted feature fusion technique) 알고리즘을 고안하여 특징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논문의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 국제 표준 얼굴영상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해 개발한 컬러 얼굴인식 방법을 평가한 결과, 제안하는 방

170


법은 조도 변화가 심한 환경과 적절한 자세 변화가 있는 환경에서 기존 컬러 얼굴인식 방법들에 비해 월 등히 높은 인식 성능을 보였다. 또한 실질적인 감시 환경에서의 얼굴인식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얼굴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낮은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컬러 얼굴인식 방법들에 비해 높은 인식 성능을 보였다. 이것은 제안한 컬러얼굴인식 방법이 낮은 해상도를 갖는 얼굴영상에서의 인식 에도 효과적임을 증명해준다. 따라서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지능형 영상보안 CCTV 감시 시스템 등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컬러 얼굴인식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확장표 II-9.2-P20> 2011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0) 논문명: A New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With Maximum Duty Operation for Server Power System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2011.12 (4.65) ○ 참여자 성명: 문건우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연구는 입력전압의 변화가 심한 서버용 전원장치의 고효율화를 위하여 최소의 손실과 최소한의 부 가 소자를 사용하여 입력전압의 변화를 보상하면서도 정상상태에서의 동작을 개선하는 새로운 회로를 제 안하였다. 컨버터에 사용되는 transformer turn ratio의 경우 설계 시에 물리적으로 결정되어 입력 전압 의 변화가 심한 경우 정상상태에서 transformer 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는 컨버터 회로에 추가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큰 제약을 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조 스위치를 활용하여 회로 동작 시에 보여지는 transformer 의 turn ratio를 입력 전압 변화에 따라 변화 시킴으로써 컨버터가 항상 최적 구동 point 에서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서버용 전원장치의 전력효율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오늘날 서버시장 상황에서 기존토폴로지가 가지 는 효율 향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오늘날 국제적인 환경 규제강화 추세와 맞물려 산업 전반에 걸쳐 고효율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제 기되고 있으며, 이는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서버용 전원장치 시장이 당면한 가 장 큰 문제 중 하나로 부각 되었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본 토폴로지는 고효율 서버용 전원장치 시장 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토폴로지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서버용 전원장치 시장 뿐만 아니라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여러 산업 분야에 손쉽게 접목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 치들에서는 전기적 절연과 입출력 전압비의 쉬운 설정을 위해 변압기의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종래의 방 식으로는 모든 변압기들의 turn ratio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최적의 효율을 갖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변압기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에 전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으로 써 전자 기기의 높은 전력 효율이 중요해지는 요즘, 산업 전체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방법이다.

<확장표 II-9.2-P21>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1) 논문명: Switching teraherz waves with gate-controlled active graphene metamaterials

171


○ 게재학술지명 (IF): Nature Materials, 2012.11 (32.841) ○ 참여자 성명: 최성율 교수 ○ 논문의 중요성 그래핀은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 연구자들이 주목하는 '꿈의 신소재 '이다. 특히 그 고유의 전자구조로 인해 캐리어 이동도가 높고, 근적외선과 가시광선의 약 2.3%의 빛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투명전극으로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OLE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로의 응용 개 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그래핀이 지닌 놀라운 특성 중 하나인 광학적 투과도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고, 데이터를 빛으로 주고받을 때 광변조의 폭도 좁아 광변조기나 광소자로 응용되 기에 제약이 있어 연구자들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파장의 백만분의 1의 얇은 두께 (0.34 nm)의 그래핀에 메타물질을 결합함으로써, 빛의 투과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그래핀만 사용했을 때보 다 수십 배 이상 광변조의 폭을 높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 이러한 그래핀 메타물질이 투과되는 빛 의 세기와 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적 현상을 이용해 빛의 투과도를 기억해 그래핀 광메모리 소자로 응용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여주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놀라운 광학적 투과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적 제어 및 광변조 폭의 협소함으로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던, 그래핀의 광 변조기 및 광소자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RF 트랜지스터나 OLED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의 전극으로의 응용에 국한됐던 그래핀의 활용성에 학계 및 산 업계가 주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확장표 II-9.2-P22>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2) 논문명 : Digital-mode organic vapor-jet printing (D-OVJP): advanced jet-on-demand control of organic thin-film deposition ○ 게재학술지명 (IF): Advanced Materials (13.877) ○ 참여자 성명: 유승협 교수 ○ 논문요약 및 중요성 OLED 등 유기 전자 소자를 구현함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유기반도체의 패턴형성을, 마스크 없이 “온 디맨드 (on-demand)" 방식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모드 유기 증기상 젯 프린팅 (D-OVJP)을 개발하였 다. 기존의 잉크젯 방식과 달리 본 기술은 용매를 전혀 쓰지 않는 방식으로서, 유기 반도체 잉크 형성에 흔히 쓰이는 독성 용매를 쓸 필요가 없을뿐더러, 이미 AMOLED 디스플레이등 상용 제품에서 성능과 신뢰 성이 입증된 진공 증착형 유기반도체를 그대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반도체 증기를 나르 는 역할을 하는 수송기체를 펄스형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현대의 디지털 인쇄 기술과 호환되어 임의 의 유기 반도체 박막 패턴을 정밀하면서도 대면적화가 용이하게 구현되는 장점을 갖는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디지털 방식의 유기 반도체 패턴 형성 기술은 유기전자 및 광소자 구현 등에 있어서 고정밀 및 대면 적화 구현에 용이하게 대응하며,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마스크를 쓰지 않게 함과 동시에 종종 고가인 유기 반도체 사용률을 획기적으로 증대하여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독성 용매가 필요 없어 친 환경적이며, 잉크화가 필요 없으므로, 이미 입증된 진공 증착형 유기 반도체를 그대로 사 용할 수 있는등 다양한 장점을 지녀 OLED 디스플레이, 유기 집적 전자회로, 태양전지 등 산업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172


<확장표 II-9.2-P23>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3) 논문명: Kargus: A Highly-scalable Software-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 게재학술지명 :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CCS 2012), 2012.10 ○ 참여자 성명: 박경수, 이융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저비용, 고유연성을 지닌 소프트웨어 기반 고속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GPU와 멀티코어 CPU등의 범용 하드웨어상에서의 일괄처리 및 병렬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네트워 크 침입탐지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는 패킷들을 읽어 들여 CPU로 전달한다. 이때 효율적인 병렬처리를 위해 다수의 CPU 코어에 고르게 패킷들을 분배하는 한편 서로 같은 플로에 속하는 패킷들을 동일한 코어에 전달하기 위해 Receive-Side Scaling (RSS)이라 불리는 기법이 적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패킷들을 하나씩 코어에 전달하지 않고 수백 개의 패킷들을 한 번에 전달하도록 하는 일괄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각의 CPU 코어에서는 다수의 패킷들을 한 번에 읽어 들여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때 최대한 일괄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연산 효율을 크게 높였다. 또한 높은 연산비용이 소모되는 문자열 및 정규표현식 검토 연산을 그래픽 연산에 주로 사용되는 GPU로 이양하여 수백 개의 GPU 코어를 이용한 초병렬적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CPU와 GPU간의 통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한 번에 수천 개의 패킷 들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유 입되는 패킷의 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GPU를 사용하도록 하는 로드밸런싱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하 였다. 이를 약 700만 원 정도의 상용 서버에서 구현하여, 해커의 공격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33 Gbps, 100% 공격 패킷만 들어오는 경우에도 기존 1~2 Gbps 수준이던 성능을 10 Gbps 이상으로 향상시키 는데 성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수십 Gbps 수준의 초고속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기업, 정부, 교육기관 등의 네 트워크는 물론 클라우드 서버팜이나 IP로 구동되는 LTE 백본망 등에 대한 공격을 고유연성을 지닌 저가 의 소프트웨어 장비로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시스템인 Snort의 탐지규칙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상용화 가 능성이 매우 높으며, 현재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이다.

<확장표 II-9.2-P24>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4) 논문명: High Efficiency Slim Adapter with Low Profile Transformer Structure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2012.09 (5.16) ○ 참여자 성명: 문건우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에서는 날이 갈수록 형태가 슬림해져 가는 노트북 컴퓨터 아답터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변 압기구조와 출력 필터를 제안하였다. 노트북 아답터의 경우 발열이 가장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가 큰 경우의 높은 효율이 무척 중요하므로 도통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낮은 높이의 변압기를 제안하였다. 높이가 낮은 변압기를 구현하기 위해 이미 PCB 패턴을 권선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노트북 아답터의 경우, 입력 전압이 높은 사양으로써 PCB 패턴을 권선으로 이용할 시 큰

173


도통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의 1차측은 구리 도선을 이용하여 감고, 2차측 권선 을 PCB 패턴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1, 2차측의 권선을 층으로 쌓는 것이 아닌 내외곽에 위치시킴으로써 절연 간격을 위해 사용하지 못하는 창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만큼 도통 단면적 을 증가시키고 도통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내외곽에 위치시킴으로써 중요한 설계 포인트인 기생 인덕턴스 성분을 설계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조는 점차 슬림 하고, 낮은 발열을 요구하는 노트북 아답터 시장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IT 시장의 발전과 함께 노트북 아답터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점차 슬림하며 발열 은 적은 모델을 소비자들이 원함에 따라서 개발의 방향도 맞춰져 있다. 그런 상황에서 간단히 고효율을 이루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이며, 아답터 뿐 아니라 슬림한 형태의 높은 전력 밀도, 효율을 갖는 전원장치에서 간단히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무척 활용도가 높다.

<확장표 II-9.2-P25>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5) 논문명 : Pushing the Envelope of Modern Methods for Bundle Adjustment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012.08 (4.908) ○ 참여자 성명:

권인소 교수

○ 논문요약 및 중요성 본 논문은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해 3차원 물체를 복원하는 알고리즘인 Structure from Motion의 최적 화 알고리즘에 필수적인 bundle adjustment의 알고리즘을 탐구하고 이를 위한 최신 알고리즘을 제안하였 다. 본 논문은 지난 2010년 컴퓨터 비전 분야 최고 권위의 학회인 CVPR에 발표되었던 연구를 확장하여,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에 게재한 것이다. 본 최적화 방법은 선택적인 카메라의 pose를 기반으로 하여 block-sparse모양의 matrix패턴을 구성하여 기존 방법들에 비해 가장 빠르며, 메모리 효율성이 우수하고, 변수 재배열에 대한 속도 이득을 보았다. 논문에서는 이렇게 선택된 카메라를 이용해 최적화 방법으로 두가지 방법을 선보였는데 첫 번째는 exact minimum degree 변수 재배열 및 블록 기반 LDL풀이와 블록 기반 preconditioned conjugate gradient 방 법이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CMOS UWB 레이더 방식을 통해 저전력, 저가의 레이더 칩 구현이 가능해진다. 상기 집적된 칩을 바탕으로 레이더 모듈의 독립적인 제품화 및 센서 노드에 응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CMOS 공정의 우수한 양산성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존 화합물 기반의 레이더 시스템에 비해 미래 의 레이더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보안, 로봇, 환경,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동작인식 응용시스템 개발로 시장이 확대 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 인식 시스템 시장 발전은 비 메모리 시장뿐만 아니라 영상처리 분야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등의 다양한 분야의 동반 성장을 가 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확장표 II-9.2-P26> 2012년도 사업단 대표 논문 (26) 논문명: Long-reach 10-Gb/s RSOA-based WDM PON employing QPSK signal and coherent receiver

174


○ 게재학술지명 (IF): Optics Express, 2012.07 (3.587) ○ 참여자 성명: 정윤철 교수 ○ 논문의 중요성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 서비스가 최근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가입자망에서도 대폭적인 전송용 량의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채널당 전송속도와 전송거리를 경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RSOA를 사용한 WDM PON은 경제적이면서도 colorless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지만 낮은 작동대역폭 때문에 채널당 전송속도가 약 2.5Gb/s 이하로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대역폭의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 서는 QPSK 변조방식의 신호를 사용하였고, 더불어 coherent 수신기를 적용하여 전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채널 당 10-Gb/s 신호를 별도의 증폭기 사용 없이 약 80km 까지 전송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는 10-Gb/s 급 신호 전송을 위한 RSOA기반 long-reach WDM PON을 처음으로 구현한 연구결과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제안된 구조는 차세대 WDM PON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용적인 측면 때문에 어려웠던 광가입자 망 광전송시스템의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현재의 OOK변조방식의 시스템에서 멀티레 벨 변조방식의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보다 수월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안된 구조를 기반으로 한 >10Gb/s급 초고속 WDM PON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본 연구팀에서는 디지 털 신호처리 기술을 적용한 25-Gb/s급 WDM PON을 구현하여 한국광학회에서 주관하는 'Photonics conference 2012'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확장표 II-9.2-P27>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7) 논문명: A 40mV Transformer-Reuse Self-Startup Boost Converter With MPPT Control for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 게재학술지명 (IF):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2.12 (3.226) ○ 참여자 성명: 조규형, 류승탁 교수 ○ 논문의 중요성 Energy harvesting은 파워 절감과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을 위해 꼭 필요한 분야이고 그 중요성이 점점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열 energy harvesting은 자동화 센서와 사람 몸에 직접 부착하는 센서 분 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센서의 harvest 시스템의 self-starting 문제와 MPPT가 너무 많은 파 워를 소모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저전압 열전기 발생기 분 야에 쓰일 수 있는 저전압 MPPT 제어를 가진 트랜스포머에 기반 한 self-starting 부스트 컨버터가 제안 되었다. 양성 피드백 루프를 통해 손실되는 열에 의해 진동이 자율적으로 일어나고 제어 회로가 동작할 수 있게 하였으며, Self-starting이 일어나는 최소 전압은 40mV이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기존의 논문들의 문제점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에너지가 하나도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self-start up이 되지 않는 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 배터리가 필요없는 start-up 기술이 발표되었지만 추가적인 공정이 들어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저장 장치에 에너지 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self-starting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35mV 아주 낮은 전압에서도 self-starting이 가능해서 40-60mV에서 동작하는 자동화 센서와 사람 몸에 직접 부착하는 센서 분야에 실제적으로 쓰일 수 있다. 그리고 제안된 회로는 아주 작은 파워에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저전압 열 전기 발생기 분야에 쓰일 수 있다.

175


<확장표 II-9.2-P28>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8) 논문명: A 14.2 mW 2.55-to-3 GHz Cascaded PLL With Reference Injection and 800 MHz Delta-Sigma Modulator in 0.13 m CMO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2.12 (3.226) ○ 참여자 성명: 조성환 교수 ○ 논문의 중요성 Fractional-N PLL은 Frequency resolution의 미세한 조정을 위해 DSM(Delta-sigma modulator)을 사용 하지만 quantization noise 때문에 phase noise는 일반적으로 좋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PLL을 cascade 하는 형태를 사용하여 DSM에서 발생하는 quantization noise최소화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즉, 첫 번째 단은 Integer-N PLL을 사용하여 50MHz의 reference frequency를 800MHz로 증가시키고, 이를 두 번째 단의 Fractional-N PLL의 reference frequency로 사용한다. 또한 첫 번째 단의 jitter를 최소화 시 키기 위해서 Dual-pulse ring oscillator를 통한 reference injection이 사용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 해서 본 논문에서 는 회로의 구현 및 칩 측정을 통해서 이론적인 분석을 검증하였다. 칩 측정결과를 보 면 14.2mW의 전력을 소비하면서, worst case RSM jitter는 356fs으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7개의 칩의 평 균 성능은 -238.5dB로 fractional-N PLL 중에서 에너지 효율이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Fractional-N PLL이 digital PLL로 구현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 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 안한 High reference clock은 digital PLL에서 필요한 TDC(Time to Digital Converter)의 linearity나 resolution의 필요조건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이렇게 제안된 cascaded-PLL은 fractional-N PLL이 digital PLL로 구현될 때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MOS scaling이 계속 될수록, noise performance는 향상되며 전력소모는 줄어드는 방향으로 계속 발전될 것이다.

<확장표 II-9.2-P29>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29) 논문명: Greening Effect of Spatio-Temporal Power Sharing Policies in Cellular Networks with Energy Constraint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2012.12 (2.586) ○ 참여자 성명: 이융, 정송 교수 ○ 논문의 중요성 본 논문은 outdoor MIMO 채널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maximum eigenvalue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 하여 maximum eigenvalue 모델을 이용하여 MIMO-OFDM beamforming system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Symbol error rate, outage probability 를 closed form 형태로 유도하여, 실제 측정에 기반 한 현실적 인 성능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제적인 성능평가에서는 이론적인 성능평가와는 달리, diversity order가 안테나간의 correlation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 논문의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 Greening Effect of Spatio-Temporal Power Sharing Policies in Cellular Networks with Energy Constraints: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지구상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들, 예 를 들어 쿄토 의정서 협약 등이 정부 단위에서 있어왔고, 이를 Greening 이라고 한다. 전체 산업 중에 서 정보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가 10% 정도로 보고 있고, 이는 앞으로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 다. 또한, 정보통신 분야 중에서 셀룰러 네트워크가 25%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 내

176


부로 들어가 보면, 기지국에서 60~80%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이처럼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의 에 너지를 줄이는 것은 그리닝 측면에서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정부 단위에서 셀룰러 네트 워크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제한을 줄 수 있고, 이 에너지의 제한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네트워크 성능 을 높이는 방향의 연구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시스템 내에서 전체 네트워크 의 전력 제한이 가해진 경우, 이 전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의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의 핵 심은 서로 다른 네 가지 전력 공유 정책 하에서 주어진 전력 예산을 최대한 활용하는 간섭관리 알고리즘 의 그리닝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간섭 관리 프레임워크 하에서 최적화 문제를 세워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 예산 하에서 전송 전력과 사용자 스케줄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 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그리닝 효과에 관한 중요한 결과들 (1) 간섭관리와 시공간 전력 공유 기법은 성능과 전력 절감 측면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2) 그런 이득들은 앞으로의 셀 크기가 점점 줄어드는 환경과 전력 규제가 더 심해지는 환경에서 더욱 더 중요해질 것이다를 확인하였으며, 무선 서 비스 사업자들에게 어떻게 하면 주어진 전력예산을 최대한 활용하여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확장표 II-9.2-P30> 2012년도 사업단 대표 10선 논문

(30) 논문명: 40 Gb/s Low-Power 4:1 Multiplexer Based on Resonant Tunneling Diodes

○ 게재학술지명 (IF): IEEE Transactions On Nanotechnology, 2012.06 (2.678) ○ 참여자 성명: 양경훈 교수 ○ 논문의 중요성 현재 Si CMOS 기술은 소자 크기가 나노미터로 작아져 회로의 고밀도화에 따른 소자 불균일 및 고발열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어 Beyond CMOS로 대표되는 신개념의 나노소자 및 집적회로 연구가 필수적 이다. 이번에 개발된 양자효과소자(RTD) 기반의 4대1 멀티플렉서 집적회로는 최신 Si CMOS 회로에 비하 여 소자수는 1/3, 전력소모는 2/3 이하로 줄임으로써 혁신적인 성능향상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게 되 었다. 디지털회로의 핵심부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나노전자소자 기술의 새로운 패러 다임을 제시하였고, 양자효과 집적회로의 현실화에 확고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 논문의 기대효과 및 파급효과 RTD 기반 회로들은 저전력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성장 동력인 친환경 녹색기술 분야에 잘 부합되어 미래인간 친화적 유비쿼터스 및 바이오센서 등의 차세대 NT/BT/IT 시장을 아우르는 나노복합융합기술로 의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온 및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회로동작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실용성 측면도 겸비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초고속 반도체 공정 기술과 잘 호환되어 현 상용 기술을 이용할 경우 대량 생산으로의 진입이 용이 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 광통신 시스템용 디지털 회로를 개발된 RTD 기반 회로 로 대체 할 경우 약 7배 이상의 시장경쟁력을 지닐 것으로 분석 되어, 앞으로 추가적인 핵심회로 기술 개발을 이어 나간다면 광통신시장 뿐 만 아니라 나노바이오 센서 시장, 나아가 인공뇌기능 시스템 시장 에도 핵심 기술로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예상된다.

177


9.2.4 사업단 국제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 요약 - 논문 게재 학술지의 질적 수준 향상의 척도로 교수 1인당 IF를 주요 기준으로 선정, 1인당 환산 보정 IF를 현재 1.15에서 연평균 5%씩 증가시켜, 최종연도 1.55로 35% 향상 - 발표되는 연구논문의 질적 수준 향상의 척도로 H-index를 선정, H-index 20이상 교수수를 현재 12명에서 최종연도 30명(250%)으로 증대 - 논문의 질적 향상의 목표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방안을 추진 o 협력을 통한 논문의 논문수준 향상

o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를 통한 논문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

o 글로벌 경쟁력 갖춘 분야에 영향력 확산 o 학술활동의 국제화를 통한 학회 영향력 향상 o 우수 연구성과 홍보를 통한 visibility 제고 o 교수평가, 석․박사 졸업요건의 제도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 ■ 우수 논문 향상 계획 설정의 배경 o 정보기술 분야 미국 상위 5개 학과와의 논문발표 성과 비교 우수 논문 향상 계획 설정에 앞서,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의 논문 실적을 세계 5위권 대학의 실적과 비교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아래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BK21 2단계 사업의 성과로 KAIST 전기및전자공 학과 소속 전체 교수의 1인당 논문 편수는 미국 상위 5개 학과의 평균과 유사한 수준 (2010년 기준 KAIST EE 3.44편/년, 미국 상위 5개 학과 평균 3.36편/년)에 도달하였으나, 논문의 우수성을 반영하는 지표 (논문 당 IF, 논문당 피인용수 등)에 대해서는 아직 세계 수준에 비하여 부족한 수준이다. 특히, 논문의 영향력 을 대변하는 논문당 피인용수에서는 아직 미국 상위 5개 학과 평균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논문당 IF는 본 사업단 (2.31)에 비해, 상위 5개 학과의 평균 (4.04)은 75% 수준으로 더 높다. 또 한, 주요국 SCIE 논문 게재현황에 따르면, 한국의 SCIE 논문 수는 세계 11위이지만, 5년간 피인용 횟수와 피인용 상위 1% 논문수는 각각 30위, 16위에 머무르고 있는 등 (2010년 기준) 피인용 수준의 개선이 필요 한 실정이다. 따라서,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가 세계 Top 10권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논문의 양적 향상보 다는 질적 향상에 치중해야한다는 판단이 내려지므로, 본 사업단은 우수 논문 향상 계획을 질적 향상 위주 로 수립한다. (확장표 II-9.2-6 참고)

178


<확장표 II-9.2-6> 세계 Top 10위권 대학과의 논문실적 비교 (BK21 2단계 2010년 기준) 2010년 구

2010년 기준 자료

KAIST EE

MIT EECS

Stanford EE

UC Berkeley EECS

UCLA EE

UIUC ECE

교수 수

78 (2단계 사업단 참여 교수 수)

138

73

100

46

87

1인당 논문 건수

3.44

2.01

4.32

2.22

4.98

3.26

1인당 IF

7.97

10.35

16.58

8.14

19.26

11.22

논문당 IF

2.31

5.25

3.85

3.70

3.94

3.49

피인용수/논문

0.89

3.26

2.52

2.20

2.23

1.86

피인용수/1인당

3.07

6.54

10.86

4.89

11.09

6.06

① 우수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계획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통신 분야 학과로 발전하기 위한 우수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계획은 아래와 같이 1) 우수한 학술지에 발표를 위한 계획과 2) 발표되는 논문의 피 인용 회수 향상을 위한 계획으로 나 눠 다각적인 노력을 한다.

가. 우수한 학술지에 발표를 위한 계획 참여교수들의 발표 학술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척도로 교수 1인당 IF를 주요 기준으로 선정한 다. 분야 별로 IF가 높은 학술지를 학과에서 매년 선정하여 S급/A급 저널의 목록을 제시한다. S급/A 급 저널에 발표를 적극 장려하며, 대학학원 박사학위의 졸업요건에 1편 이상의 S급/A급 저널 발표를 요구한다. 이 제도는 이미 수년전부터 수행해오고 있는 바, A급 저널의 기준을 점차 강화하여 질적 수 준이 더욱 향상되도록 유도 한다.

나. 피인용 횟수 향상을 위한 계획 발표되는 연구논문의 질적 수준 향상의 척도로 본 사업단은 H-index를 선정하였다. H-index는 Citation N회 이상 논문 수가 N편 이상이 되는 index를 나타내 것으로, 해당교수가 발표하는 논문들의 전반 적인 피인용횟수를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H-index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계에 영향력 있는 논문들을 많 이 발표해야 하는 바, 본 사업단은 참여교수들이 발표하는 논문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H-index 향상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 연도별 향상 목표 교수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IF 향상과 H-index 향상을 위한 연도별 목표는 아래 표와 같다. (확장표 II-9.2-7

179


참조)

<확장표 II-9.2-7> 국제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연도별 목표 항 목

현재 1차년도 (2012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1.71

1.72

1.73

1.74

1.75

1.75

1.75

1.75

교수 1인당

1.15

1.20

1.26

1.32

1.38

1.43

1.49

1.55

12

14

16

18

21

24

27

30

환산 보정 IF

H-index 20 이상 교수 수

- 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 계획 : 참여교수 1인당 논문 환산 편수는 현재 (2012년) 1.71에서 4차년도에 1.75로 향상시키며, 이후 이 목표를 유지한다. 4차년도 까지 소폭의 향상과 4차년도 이후 목표 유지의 이유는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집중하기 위해서이다. - 1인당 환산 보정 IF 계획 : 교수 1인당 환산 보정 IF를 현재 (2012년) 1.15에서 매년 평균 5%씩 증가시켜, 최종연도(2020년)에 1.55으로 35% 이상 향상시킨다. 35% 향상 목표설정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본 학과의 교수당 논문수는 미국의 상위 5개 대학 평균과 거의 같은 수준이나, 논문당 Impact Factor는 상위 5개 대학 평균이 75% 정도 높다 (확장표 II-9.2-6). 1인당 환산 보정 IF는 (교수당 IF 합 = 교수당 논문수 x 논문당 Impact Factor)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1인당 논문 환산 편수를, 세계 Top10에 이르기 위해서는, 35% 이상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목표를 설정한 것이다. - H-index 향상 계획 : 논문의 영향력에 대한 척도인 피인용횟수 향상을 위해, 본 사업단은 H-index를 채택하였다. 참여교수 중에서 2008년도 이후 (최근 5년간) 게재한 논문에 대해, H-index가 20인 교수 수는 12명(참여교수의 18%)인 바, 최종년도에 30명(참여교수의 51%) 수준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② 우수 논문 질적 향상의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 - 논문의 질적 향상의 목표달성을 위한 주요 추진 방향은 다음과 같다. o 협력을 통한 논문의 논문수준 향상 o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를 통한 논문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 o 글로벌 경쟁력 갖춘 분야에 영향력 확산 o 학술활동의 국제화를 통한 학회 영향력 향상 o 우수 연구성과 홍보를 통한 visibility 제고 o 교수평가, 석박사 졸업요건의 제도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 향상 o 영어 논문 작성의 능력 향상 - 각 추진 방향에 대한 세부 방안은 다음과 같다.

가. 클러스터 단위의 협력을 통한 논문의 영향력 향상

180


- 교수 1인당 지도학생 수 감소 추세가 이미 시작되고 있어, 개별 교수 연구실의 규모로 international visibility가 있는 논문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단위의 협력체계를 통하여, 연구의 국제 영향력을 높이도록 한다. - 클러스터 구성은 학생들이 도전의욕을 가질 수 있고 미래지향적인 연구분야에 관련되는 몇 개의 연구 실이 자율적으로 연합하여 결성되고, 이 클러스터 단위 소그룹에 연구실 공간배정, 신임교수 배정, BK21 플 러스 지원의 신진인력 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한다. - 국제적 인지도를 갖고 있는 리더급 교수 중심의 클러스터 단위의 연구를 리드하여, 기존의 교수별 각 개전투에서 전략적 협력체제로 전환케 함으로써, 중대형 연구 수주, 연구 영향력 강화, 국제학술활동 주 도, 국제 공동지도교수 풀 활용, 산업협력 및 사업화의 체계적 추진 등의 다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특히, 국제 공동지도교수 풀 활용과 국제학술활동의 주도를 통해, 상기 우수 논문의 질적 향상 계획으로 내세운, IF가 높은 우수 논문의 양산, 피인용 횟수의 증가 등의 구체적인 효과를 지속적인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BK21 플러스 사업에서 적극 지원하고 있는 신임교수들에게 클러스터 별 공동실험실을 활용케 하여, 실험실 구축을 위한 준비기간이 필요 없이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케 함으로써, 연구역량을 급성장시 킬 수 있다.

나.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를 통한 논문의 지속적인 영향력 확대 - 논문의 우수 학술지 게재는 창의성으로 결정되며, 피인용도는 학술적/산업적 영향력에 직결되므로, 따라가는 연구에서 앞서가는 연구로 체질 개선을 하여 창의성과 영향력을 높이도록 한다. - 창의적인 미래원천기술 연구에 대한 발굴은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방안으로 이루어 낸다. o 연구주제 공개/공모를 통한 학생선발과 국제적 연구주제 홍보 : 우수한 학생/연구인력의 모집과 이들 에 대한 강력한 동기부여, 학과 홍보를 동시에 유도하기 위하여,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주제 공개 및 공모 방안을 도입한다. 연구주제 공개/공모를 통해 국제적 관심 유도 및 창의적 연구활동을 동시에 부각시킬 수 있다. 이 내용에 대해서는 8.2 국제화 전략에 설명되어 있다. o 전기및전자공학과 내에 전략적으로 추진할 미래원천기술 분야를 정기적으로 선발하여, 연구비 및 학회 참가비 등을 중점 지원 : 본 사업단의 소속 학과는 전임교수 수가 90명에 가깝고, 연 연구비 규모가 350억원 수준이 넘는 대형학과이다. 이 규모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미래기술에 대한 예견과 체계적인 기획이 필수적이므로, 본 사업단 내에 연구기획단을 두고 미래원천기술 분야를 선정하고, 향후 emerging 분야를 탐색하며, 학연산 협력으로 연구를 추진함과 동시에 정부 및 산업체로부터 재원 확보를 담당토록 한다. o 상기 과정들을 통해, 선정된 분야와 연구 사업에 대해서는 신임교수 채용, 국내외 우수 교원 초빙, 학생 배정, 학술활동 지원을 확대한다.

다. 글로벌 경쟁력 갖춘 분야에 영향력 확산을 위한 지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내에는 회로설계, 뇌영상, 로보틱스 분야 등과 같이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분야들이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분야에 대해서는 국제협력과 대형사업 기획에 대해난 지원을 강화하여, 국제적 산업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도록 한다.

181


라. 대학원생 연구능력의 강화 및 학술활동의 국제화 - 대학원 학생들에 대해 국제 수준의 우수한 학술 논문 작성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 국제교육센터 (원어민 교수진 활용)와 연계하여 영어논문 작성 과목 이수를 적극장려하고 맞춤형 밀착 지도를 통하여 영 어 논문 작성 능력 및 발표 능력을 더욱 강화한다. 또한, 해외 유수 연구 기관 및 산업 기관에서의 인턴쉽 기회를 확대하여 글로벌화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o 국제공동연구 참여 확대를 통한 국제수준의 연구기회 제공 o 국제 유수 학술대회 참여 지원 o 장기 연수를 통한 해외 대학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쉽 기회 부여 (장기 파견을 포함하여 국제적 수준의 연구 태도 및 방법을 배워 올 수 있도록 하고, 가급적 해외 유명 연구자와 1:1로 직접 공동 연구 가능 한 곳으로 파견) o 해외 석학 초청 (실질적으로 학생과 공동 연구 가능한 학자를 초청하여 강의, 세미나 기회 부여) o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발표, 토론, 논문 작성, 영어 전담 교원 임용 등) 강화

마. 우수 연구성과 홍보 강화 -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하는 것 이외에도 이미 도출된 성과를 외부에 홍보하려는 노력도 국제적 인지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서 다음의 사항들을 추진한다. o 대외 홍보효과가 큰 우수연구상을 자체 제정 (뉴스에 보도되는 공개적인 포상, 개인적인 인센티브 지급, 산업계/후원자의 후원 포상금 지급) o 정기적인 학과 주최 워크샵을 통하여 학과내의 최정상의 연구 성과물을 외부에 홍보 및 학과 Annual report 부록으로 논문집 배포 o 동료교수 업적의 존중 문화 정착 및 학과 발표 논문의 상호 citation 확대. 특히, cluster 단위의 협력활동을 통해 상호 citation 확대하며, 선발주자로써 international visibility를 우리 스스로 확대 o 국제 유명 대학, 저명 연구소에서의 연구성과 발표를 독려하고, 경비 지원 o 국제학회 초청논문 발표, keynote speech, plenary talk, 학회 organization 활동, 주요 committee 위원회 활동, 학술지 editor board 활동 시 경비 지원

바. 제도개선을 통한 유도: 논문의 질적 평가를 고려한 교수 업적 평가 - 학교 교수 업적 평가에서 상기와 같은 논문의 질적 평가 방법을 정착시켜, 질적 향상을 촉진시킨다. 질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연구분야 개척의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 결과로써 논문의 영향력이 오랜 기간에 걸친 지속 될 수 있는 업적을 내도록 한다.

사. 제도개선을 통한 유도: 석박사 논문의 질적 수준을 고려한 학위취득 요건 강화

182


- 현재 석․박사 학위 취득에 필요한 요건으로 해외 유명 논문지에 연구 논문 발표를 의무화시킨 제도 를 운영하고 있는 바, 학과에서 추천하는 유명 논문지 목록의 수준을 점차 향상시켜, 논문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게 유도한다. 또한, 석․박사 학위 취득요건에 누적 Impact Factor의 하한 조건(권장사항)을 추가하 여 ,대학원 학생들의 연구능력 양질화 및 국제 수준화를 달성토록 노력한다.

아. 영어 논문 작성의 질적 수준 향상 - 국제 수준의 우수한 학술 논문 작성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국제교육센터(원어민 교수진 활용)와 연계하여 영어논문 작성 과목 이수를 적극 장려하고, BK21 플러스 사업을 통해 대학원생들을 1대1 맞춤형 밀착 지도를 통하여 영어 논문 작성 능력 및 발표 능력을 더욱 강화한다. 자. 안정적 연구비 확보를 통한 우수한 연구환경 조성 -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연구비 확보가 필수적이며, 우 수 논문 실적의 향상을 위한 연구비 수주 계획이 필요하다. BK21 플러스 사업 안내에 명시된 협약 체결 사 항인 주요 사업 목표 중, 연구역량 부문의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에 대한 계획은, 최근 3년 간 실적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세운다. (확장표 II-9.2-8 참조) <확장표 II-9.2-8> 최근 3년간 정부, 산업체,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실적과 전체 연구비에서 차지하는

(단 위 : 천 원 )

비중

수주액(천원) 항 목 2010년

2011년

2012년

정부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27,173,226 (86.2%)

27,036,961 (75.8%)

35,685,625 (75.6%)

산업체(국내)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3,813,720 (12.1%)

8,018,499 (22.5%)

9,963,935 (21.1%)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총 환산입금액

544,780 (1.7%)

593,209 (1.7%)

1,556,845 (3.3%)

31,531,726

35,648,669

47,206,405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470,623

532,070

704,573

참여교수 수

67

■ 최근 3년간 연구비 수주 실적 - 정부 연구비는 2010년 271억, 2011년 270억, 2012년 356억 규모로 성장하며, 총 연구비에서 정부 연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86.2%에서 75.6%으로 감소

183


- 해외 기관 (환산) 연구비는 2010년 5억, 2011년 6억, 2012년 15억 규모로 성장하며, 총 연구에서 해 외 기관 연구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7%에서 3.3%로 증가 - 참여교수 1인당 교수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2010년 4.7억, 2011년 5.3억, 2012년 7.0억로 성장하 며, 국내 Top 수준에 이름 - 2010년도와 2011년도의 연구비 산정기간은 각각 3월1일부터 익년도 2월 29일까지 12개월이나, 2012년 도는 3월1일부터 5월15일까지로 14.5개월임

■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 계획 - 상기 실적을 기반으로 본 사업단은 사업기간 동안 연도별 연구비 수주 계획은 확장표 II-9.2-9와 같 다. 상기 실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2012년도는 산정기간이 14.5개월이므로, 산정기간이 12개월인 2010년 도와 2011년의 평균(5.0억)을 현재 실적의 기준으로 정한다. (확장표 II-9.2-9 참조) - 교수 1인당 연구비의 연도별 목표는 1차년도부터 5.1억부터 시작하여 매년 2% 수준으로 증가시켜 5차 년도에 5.5억 까지 증가시킨다. 이후, 최종연도까지는 이 수준을 유지한다. 이러한 연도별 목표 설정은 본 사업단은 연구비 수주액이 이미 상당 수준에 이른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액의 증가는 소폭 또는 유지시키나, 그 대신, 전체 연구비에서 차지하고 있 는 산업체 연구비의 비중을 현재 (2010년-2012년 평균) 17.6%에서 최종연도에는 20.0%수준으로 증가시키 며, 해외 기관 연구비의 비중을 현재 (2010년-2012년 평균) 1.7%에서 최종연도에는 3.0%수준으로 증가시 켜, 정부 지원 비중을 점차 줄여나가도록 한다. <확장표 II-9.2-9> 참여교수 1인당 연구비 수주 계획

항 목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현재 (2010년2011년 평균*) 501

(단위: 백만원) 연도별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510

520

530

540

550

550

550

* 2012년 연구비 수주 실적 산정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의 15개월까지이므로, 12개월 실적 산 정 년도인 2010년과 2011년 실적을 기준으로 함

184


10. 산학협력

10.1 특허 및 기술이전 실적

10.1.1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특허 등록 환산 건수 <표 14> 참여교수 특허 등록 실적 최근 3년간 실적

T_ 1_3 :

구분

2010년

T _1_ 1:

T_ 2_3 :

T_3 _2:

T_3 _1:

국내 특허

등록건수

D_3 _3:

등록 환산건수

T_ 4_2 :

T_5 _2:

T_5 _1:

국제 특허

D_4 _3:

D_5 _3:

등록 환산건수

T_7 _1:

D_6 _3:

D_7 _3:

등록환산건수 합계

T _8_ 1:

D_8 _3:

참여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

T_ 9_1 :

316

97.7925

D _4_ 4:

50

270

35.9336

228

82.5452 52

1.2799

1.9959

D _9_ 4:

168

D _5_ 6:

30.9474

97.0579

D _6_ 5:

382

133.7261

235.9166

D _4_ 6:

D _5_ 5:

D _6_ 6:

322

D _7_ 4:

D _8_ 4:

764

D _3_ 6:

D _4_ 5:

66

D _6_ 4:

전체기간 실적

T_ 1_6 :

D _3_ 5:

D _5_ 4:

85.7558

D_9 _3:

2012년

T_2 _5:

D _3_ 4:

30.1769

등록건수 합계

2011년

178

55.5789

등록건수

T_ 6_2 :

T_2 _4:

932

D _7_ 5:

D _7_ 6:

113.4926

332.9745

D _8_ 5:

D _8_ 6:

1.6939

4.9697

D _9_ 5:

D _9_ 6:

참여교수 수

67

T_ 10_ 1:

D_ 10_ 6:

10.1.2 최근 3년간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실적 <표 15> 참여교수 기술이전 실적

(단위 : 천원) 최근 3년간 실적(천원)

T _1_ 3:

T_1 _1:

항목 기술료 수입액

T_ 3_2 :

T_3 _1:

특허 관련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D_3 _3:

T_2 _4:

222,483

T_ 4_2 :

D_4 _3:

기술료 수입액

D_5 _3:

2011년

169,876

D _3_ 4:

3,320

T_ 5_2 :

특허 이외 산업재산권 관련

전체기간 실적

T_ 1_6 :

2010년

T_ 2_3 :

2,535

D _4_ 4:

-

2012년

T_2 _5:

811,474

D _3_ 5:

12,111

D _4_ 5:

-

1,203,833

D _3_ 6:

17,967

D _4_ 6:

-

D _5_ 4:

-

D _5_ 5:

D _5_ 6:

T_ 5_1 :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T_ 6_2 :

기술료 수입액

T_ 7_2 :

지적재산권 관련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T _7_ 1:

D_6 _3:

D_7 _3:

기술료 수입액

Know-how 관련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T_ 9_1 :

0

D_8 _3:

82,660

D _7_ 4:

684 D_9 _3:

1,233

D _8_ 4:

-

10,000

D _9_ 4:

0

T_ 10_ 2:

0

D _6_ 4:

45,842

T_ 8_2 :

T_ 9_2 :

0

D_1 0_3 :

D _10 _4:

185

149

0

D _6_ 5:

57,820

D _7_ 5:

862

D _8_ 5:

-

D _9_ 5:

D _10 _5:

0

D _6_ 6:

186,322

D _7_ 6:

2,780

D _8_ 6:

10,000

D _9_ 6:

149

D_ 10_ 6:


기술료 수입액

268,325

T_1 1_2 :

기술이전 전체실적

D_1 1_3 :

D _11 _4:

262,536

D _11 _5:

869,294

1,400,155

D_ 11_ 6:

T _11 _1: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4,004

T_ 12_ 2:

D_1 2_3 :

D _12 _4:

참여교수 수

3,918

D _12 _5:

12,974

20,897

D_ 12_ 6:

67

T_ 13_ 1:

D_ 13_ 6:

186


10.2 산학협력 연구의 우수성 (전국단위) ◎ 요약 o 최근 3년간 (2010.3.1~2013.5.15) 참여교수 전체 (신임교수 포함)의 교수 1인당 특허등록은 국제 2.5075건/명 (3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4486건/명/년), 국내 11.4030건/명 (3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3.5223건/명/년)으로, 세계적 수준에 이름 o 등록된 특허 및 지적재산권, know-how 등에서, 최근 3년간 50건 이상의 기술이전 사례가 발생되고 있어, 산업적으로도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확보 o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14억원 (사업단 참여교수 지분액 기준)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 (특허관련 40건 기술이전으로 12억원의 기술료 수입; 지적재산권 관련 16건의 기술이전으로 총 1.86억의 기술료 수입 달성) o 교수 1인당 연간 특허 등록 환산건수 현재 1.6580건/연/명 (2010년부터 2012년 실적 기준)에서 평균 2.487건/연/명으로 평균 50% 이상 향상 o 특허를 통한 기술이전을 강화하여 교수 1인당 연간 기술료 수입을 현재 약 696.5만원/연/명에서 평균 1045만원/연/명으로 평균 50% 이상 증대 o 산학협력 주요 추진 방안 - 대덕연구단지의 입지적 조건 활용하여 산학연 협력 추진 - KAIST 산학협력단과의 협력을 통한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화 - 삼성, LG, SK 하이닉스, KT, SK 텔레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전략적 기술 개발 확대 - 글로벌 창업 지원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① 산학협력 우수 성과 및 우수 실적 가. 특허 등록 실적 ○ 최근 3년간 참여교수 전체 (신임교수 포함)의 교수 1인당 특허등록은 국제 2.5075건/명 (3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4486건/명/년), 국내 11.4030건/명 (3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3.5223건/명/년)으로, 세계적 수준에 이름 ○ 등록된 특허에서 최근 3년간 57건의 기술이전 사례가 발생, 산업적으로도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확보 ○ 이러한 성과에는 2단계 BK21 사업의 지원과 함께, 학교 내의 전산화된 특허관리시스템 (PPMS 특허관리시스템)의 인프라 지원과 KAIST 산합협력단의 적극적인 지적재산권 및 기술이전 추진에 힘입은 바가 큼

나. 기술이전 실적 ○ 최근 3년간 사업단 참여교수들에 의한 기술이전은 총 57건이며, 총 14억원 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하였다. 이 중 특허관련으로 총 40건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12억의 기술료 수입을 얻었으며, 지적재산권 관련으로는 총 16건의 기술이전을 하여 총 1.86억의 기술료 수입을 얻었다. ○ 대표 기술이전 사례 - 대표적인 기술이전 사례로,

187


o 확장형 칼만 여파기를 이용한 다중 센서 무선 측위 시스템 기술이전 (강준혁, 1억) o 24GHz CMOS FMCW Radar 설계 know-how, (홍성철, 0.7억) o Dopant-segregated metal-silicide S/D for 3D stack memory anf logic devices 기술이전 (최양규 0.9억) o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특허 기술이전 (박현욱, 10억) o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특허 기술이전 (조규형, 0.5억) o 마이크로 패턴 형성 기술 특허 기술이전 (윤준보, 1억) o 아쿠아리움용 지능형 로봇물고기 개발, 상품화 추진 기술이전 (김종환, 0.1억) o 사이버 컴퓨팅 자원 관리 시스템 기술이전 (윤찬현, 0.3억) o 신분증이나 지폐에 적용 가능한 저가의 chipless 태그와 인식시스템 기술이전 (유종원) o Battery management IC 기술이전 (문건우) o Plasma 장비용 power supply 기술이전 (문건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 관련 일부 기술은 해외기업에 이전 된 것이다. 기술이전의 상세 내용은 확장본에 수록되어 있는 <확장표 II-10.2-1>부터 <확장표 II-10.2-11>까지 상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확장표 II-10.2-1> 대표 기술이전 사례 1 “확장형 칼만 여파기를 이용한 다중 센서 무선 측위 시스템” 산업체명/교수명

(주)한양세미텍/강준혁 교수

계약기간

2012.05.15~2024.04.14 (12년간)

기술료/기술이전형태

1억원/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 기존의 실내 위치 시스템들은 홈 서비스 로봇의 이동속도나 사용자의 보행속도에서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지므로 실제 응용에 적합하지 않음. ∎ 기술 개요 ∙ 실내에서 유비쿼터스 환경과 context-awareness를 위한 위치기술에 관한 내용임. 사용자의 보행속도 환경에서도 상당한 정확도를 가지고 자신의 위치를 추정 할 수 있도록 멀티센서 무선 위치시스템 및 확장형 칼만필터를 적용함 ∎ 파급 효과 ∙ 칼만 필터의 센서 퓨전 모델을 적용하여 실효성 검증을 하였으며, LOS 환경에서 칼만 필터를 적용한 센서 퓨전모델이 단일 초음파 센서 모델보다 좋은 성능이 나타남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NLOS인 경우 에도 센서퓨전을 이용한 위치 추정이 가능함을 사전 실험을 통해 보임으로써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 아 기술 이전을 시행하게 됨.

188


<확장표 II-10.2-2> 대표 기술이전 사례 2 “24GHz CMOS FMCW Radar 설계 Know-how” 산업체명/교수명

㈜우리로 광통신/홍성철

계약기간

2012.08.23~2022.08.22 (10년간)

기술료/기술이전형태

7천만원/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 FMCW radar의 기존 설계는 성능을 이유로 화합물 공정을 이용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집적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 본 기술에서는 24GHz FMCW radar을 CMOS 로 설계하는 노하우에 관한 것으로 저가, 고집적 24GHz CMOS FMCW radar 구현이 가능 ∎ 기술 개요 ∙ FMCW radar는 물체의 거리 또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차량용이나 움직임 센서 등에 적용되여 널리 활용되고 있음. 24GHz FMCW radar를 구현함에 있어 화합물 반도체에 비해 가격과 집적도에서 우수한 CMOS설계에 관한 노하우 제공 ∎ 파급 효과 ∙ 본 기술에서는 24GHz FMCW radar을 CMOS 로 설계하는 노하우에 관한 것으로 저가, 고집적 24GHz CMOS FMCW radar 구현이 가능함. 본 기술이전을 통해 해당 IP을 제공하고 기술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설계 기 술에 대한 자문을 함.

<확장표 II-10.2-3> 대표 기술이전 사례 3 “Dopant-Segregated Metal-Silicide S/D for 3D Stack Memory and Logic Device” 산업체명/교수명

삼성전자, SK 하이닉스/최양규

계약기간

2012.08.08~2022.08.07 (10년간)

기술료/기술이전형태

9천만원/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 반도체 공정의 한계로 인해 집적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는 현재의 기술 수준을 산학협력을 통해 한 단계 발전 시킴. 전 세계적으로 개발 중인 3차원 적층 소자가 가지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 ∎ 기술 개요 ∙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최양규 교수팀은 3차원 적층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로직 소자의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실제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공동 연구를 진행 중 ∙ 금속-실리사이드를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에 적용하여 우수한 동작 특성을 확보하였으며,

189


단결정 실리콘을 이용하여 3차원 적층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보고 ∎ 파급 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SCI급 저명 저널인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 Devices"와 "IEEE Solid State Electronics" 에 2편 게재되어 객관적인 우수성이 입증됨

<확장표 II-10.2-4> 대표 기술이전 사례 4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 및 동 특허를 우선권으로 하는 일체의 해외대응특허 기술이전 산업체명/교수명

㈜삼성전자 / 박현욱 교수

계약기간

2010.01.15 - 2015.01.14

기술료/기술이전형태

10억/라이센스

∎ 기술의 중요성 ∙ 동영상 데이터의 압축과 복원 알고리즘 과 관련된 H.264 의 알고리즘 중에서 양자화에 의에 저하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H.264 기술 ∎ 기술 개요 ∙ 블록을 이용한 H.264 압축 기술 에서, 양자화를 통해 전송 하는 영상의 데이터를 줄일 수 있지만, 블록킹 아티팩트, 코너 아웃라이어 및 링잉 노이즈와 같은 양자화에 의한 화질 저하가 발생함 ∙ 이러한 화질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공간주파수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양자화 효과를 줄 이는 루프 필터링 기술을 개발함 ∎ 기대/파급 효과 ∙ 본 기술은 고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때 발생하는 양자화 효과를 줄임으로써 영상의 detail은 유지하고, 주관적 화질을 크게 향상시키기 때문에 광범위 하게 사용될 수 있음

<확장표 II-10.2-5> 대표 기술이전 사례 5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특허권 이전 산업체명/교수명

㈜실리콘웍스 / 조규형 교수

계약기간

2010.06.03 - 2020.06.03 (20년간)

기술료/기술이전형태

50,000천원/기술이전

∎ 기술의 중요성 ∙ 효율적인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는 작은 면적, 저 전력 소모, 구동 속도 등의 특성이 중요 ∙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면적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음 ∙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구동 속도가 향상되고, 구동 전류의 언더-댐핑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

190


∎ 기술 개요 ∙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기준전압간의 선형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화되고 면적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의 미국특허 (특허출원번호: 11/930,850)의 특허권 이전 ∙ 평판 디스플레이용 드라이버 집적회로에서 스위치드 커패시터(switched capacitor) 및 비교기를 이 용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로써, 낮은 레벨의 전압의 구동으로 회로의 면적 및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의 중국특허 (특허출 원번호: 200810135424.X)의 특허권 이전 ∙ 전력소모, 칩 면적 및 구동 딜레이가 최소화 되고, 구동 전류의 언더-댐핑(Under-damping)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의 미국특허 (특허출원번호: 12/578,046)의 특허권 이전 ∙ 임의의 출력 전압에서 전류를 공급 혹은 흡수하면서 고주파 영역까지 출력 임피던스를 낮게 유지하 고, 넓은 출력 전압 스윙 범위를 얻을 수 있는 출력 버퍼가 제공되는

효과를 가지는 전력 증폭기의

미국특허(특허출원번호: 12/028,856)의 특허권 이전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대표 도면> ∎ 기대/파급 효과 ∙ 디스플레이 구동장치의 면적을 기존의 60% 정도로 줄임으로서 웨이퍼당 IC개수를 늘려서 약 40% 정 도의 생산 원가 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음 <확장표 II-10.2-6> 대표 기술이전 사례 6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09815)을 비롯한 유관 특허 총 5건에 대한 전용실시권 허여 산업체명/교수명

㈜애니캐스팅 / 윤준보 교수

계약기간

2011.8.24 - 2021.8.23 (10년간)

기술료/기술이전형태

선급기술료(100,000천원) 및 경상기술료 (순이익의 15%). 전용실시권 허여

∎ 기술의 중요성 ∙ 종래 미세회로 및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마이크로 패턴 형성 기술은 장비의 구조 및 패턴 형성 원리상 패턴 단면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 패턴 형성 기술은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원형/타원형/곡 선형 등의 단면을 형성하는 데 대단한 어려움이 있었음

191


∎ 기술 개요 ∙ 다양한 형태의 단면 형상, 특히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마이크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핵심 기 술인 “3차원 디퓨저 리소그라피” 및 “백사이드 3차원 디퓨저 리소그라피” 기술을 개발함 ∙ 이 기술은, 종래의 패턴 형성 장비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빛이 감광되는 경로에 단순히 확산판을 설치해 줌으로써 새로운 장비투자 없이 곡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임 ∎ 기대/파급 효과 ∙ 이와 같은 곡선 형태의 패턴단면 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둥근 단면을 가지는 고충진율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LED 광원을 사용한 직하형 액정 디스플레이용 디퓨저 시트, 초박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일체형 백라이트 모듈,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반사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론트라이트 모듈 등을 개발 ∙ 성공적으로 시연, 다수의 파생 특허와 학술논문 등을 통해 그 가치를 인정 받음

<확장표 II-10.2-7> 대표 기술이전 사례 7 아쿠아리움용 지능형 로봇물고기 개발, 상품화 추진 및 기술 이전 산업체명/교수명

㈜하기소닉 / 김종환

계약기간

2011.02.25 - 2016.02.25

기술료/기술이전형태

10,000천원, 5년 매출액의 1.5~2.5%/라이센스, 상표

∎ 기술의 중요성 ∙ 본 연구에서 발명된 로봇 물고기는 실제의 로봇 물고기 형태와 유영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로봇 물 고기로서 다양한 응용이 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센서를 부착 ∙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여 이동시 장애물을 인식하고 회피, 이동 가능 ∙ 내부에 장착된 통신 모듈을 바탕으로 외부의 신호를 받아 로봇 물고기 조종 가능 ∎ 기술 개요

∎ 기대/파급 효과

192


∙ 다양한 기능을 가진 지능형 로봇물고기는 아쿠아리움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 ∙ 기술이전 협약을 통해 설계 도면, 전자 부품 회로도, PCB 설계도, 부품 리스트 및 방수 기능을 포함 한 하드웨어 기술과, 각종 센서 및 모터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소스, 유영 알고리즘 및 이와 관계 된 소프트웨어 설계 문서를 이전 <확장표 II-10.2-8> 대표 기술이전 사례 8 사이버 컴퓨팅 자원 관리 시스템 산업체명/교수명

(주)테라젠이텍스 / 윤찬현 교수

계약기간

2011.02.15 - 2016.02.15

기술료/기술이전형태

30,000천원, 5년 매출액의 3%/라이센스, S/W

∎ 기술의 중요성 ∙ 가상적 기관(Virtual Organization) 을 대상으로 실시간 고용량 데이터 처리와 고속의 연산속도가 가능한 지능적인 워크플로우 기반 기술을 포함 ∙ 본 기술이전을 통하여 실제 복잡한 응용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효율적인 구성과 조합을 이룰 수 있으 며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포털 제공을 통해 실시간 적인 기관 분석 및 진단을 가능케 함으 로써 사용자 협업에 초점을 맞춘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 ∎ 기술 개요

∎ 기대/파급 효과 ∙ OSICC 는 대사 및 독성 예측 시뮬레이션 시간을 단축 하여 신약 개발 기간 및 비용을 절감 ∙ 테라젠이텍스(주) 와 함께 이전한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시장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입 대 체 효과 및 해외 수출 기대

193


<확장표 II-10.2-9> 대표 기술이전 사례 9 신분증이나 지폐에 적용 가능한 저가의 chipless 태그와 인식시스템 개발 및 기술 이전 산업체명/교수명

한국조폐공사 / 유종원 교수

계약기간

2008.03.01 - 2010.12.31

∎ 기술의 중요성 ∙ 은행권, 수표, 상품권 등의 유가증권, 신용카드, 신분증, 그리고 보안서류 등의 보안제품에서 진품 과 위조품의 구별을 위한 요소가 다양하게 요구됨 ∙ 육안으로 보이는 특성들은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과 프린트들의 발전으로 진품 과 유사한 수준까지 복제가 가능하며, 이는 곧 유가증권이나 보안제품의 위조로 이어지고 있어 보안 제품에서 보안요소의 보다 높은 수준의 특성을 요구함 ∎ 기술 개요 ∙ 다양한 보안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전자기 패턴이 적용된 필름을 플라스틱이나 종이 재질에 삽입하 여 전자기장 특성을 가지는 보안용 chipless 태그를 형성하고 이를 보안요소로 이용 ∙ 전자기파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을 이용하여 전자기 패턴의 보안코드를 검출하고 디지털화하여식별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함 ∎ 기대/파급 효과 ∙ 현재 은행권, 유가증권, ID부문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기술은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의 특성을 갖는 요소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기술은 전자파를 이용한 새로운 인식 방법 ∙ 지폐의 은선에 적용 가능하고 주민등록증에 하나의 보안요소로 활용 추진 중 ∙ 조폐공사에서는 2013년 내에 chipless 태그기술을 상용화 예정

<신분증이나 지폐에 적용 가능한 저가의 chipless 태그(좌) 그 인식시스템(우)>

194


<확장표 II-10.2-10> 대표 기술이전 사례 10 Battery management IC 개발 산업체명/교수명

실리콘웍스 / 문건우

계약기간

2010.05.01 - 2011.04.30

∎ 기술의 중요성 ∙ 배터리의 안정적,효율적인 동작을 위하여 battery management system(BMS)이 필요하고 이를 소형화 및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각 배터리에 적합한 새로운 BMS IC의 개발이 필수 ∎ 기술 개요 ∙ 개발된 BMS IC는 배터리 모니터링 및 충방전시 보호 기능을 가지고, IP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SOC 추정 알고리즘 및 전하 균일 알고리즘 확보 ∙ 새로운 알고리즘 및 구조를 통해 간단하고 저가형으로 배터리 상태를 예측 ∎ 기대/파급 효과 ∙ 외국 IC 회사의 배터리 운영 IC를 대체할 새로운 국내형 배터리 운영 IC를 개발 향후 휴대폰, 노트북,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IC 수요를 대비한 국산화 IC 개발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

<확장표 II-10.2-11> 대표 기술이전 사례 11 Plasma 장비용 power supply 개발 산업체명/교수명

플라즈마트 / 문건우

계약기간

2011.04.01 - 2012.03.31

∎ 기술의 중요성 ∙ RF Generator는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고주파 전원을 발생시키는 장비로 반도체 웨이퍼 및 LCD 표면 가공, 화학기상증착 (CVD), 스퍼터링 공정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지만 RF Generator 와 같 은 정밀한 공정 작업 장비의 경우 국제적인 규격 강화와 더불어 반도체 기업들의 높은 안정성에 대 한 요구가 증가 ∙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기 위해서는 높은 안정성과 더불어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장비들이 가지는 성능을 뛰어넘는 높은 효율 달성이 필수 ∎ 기술 개요 ∙ 플라즈마 장비의 특성에 맞추어 noise 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기존 장비에 비해 우수한 효율, 높은 전력밀도 특성을 갖는 대용량 전원장치를 개발 ∎ 기대/파급 효과 ∙ 반도체 기업들을 중심으로 반도체 제조원가 절감을 위한 장비 국산화 노력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

195


기간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

② 산학협력 성과 향상 계획 가. 특허 등록에 대한 추진 계획 - 사업단 참여 교수의 지난 3년간의 교수 1인당 연평균 특허 등록 환산 건수는 2010년 1.28, 2011년 1.99, 2.12년 1.69로 변동 폭이 크다. 따라서 계획 설정을 위한 현재 기준을 3년 평균으로 정하며, 3년간 평균은 국내 1.17건/년, 국제 0.48건/년으로 교수 1인당 환산건수 평균 1.65건/년의 특허 등록 실적을 보였다. - 이를 바탕으로 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를 최종년도에 2.48건/년 (국내 특허 등록 환산 1.76, 국제 특허 등록 환산 0.48)으로 증가시켜, 현재보다 50% 이상의 실적 향상을 계획하고 있다. (확장표 II-10.2-12 특허 등록 환산건수 계획 참조) 본 사업단은 특허 출원/등록의 양적인 향상을 추구하기 보다는 산학협력단의 특허 출원/등록 및 라이센싱 지원과 심사를 통하여 특허 및 지적재산권의 질을 높이고 라이센싱에 의한 기술료 수입을 최대화 하는데 집중하려고 한다.

<확장표 II-10.2-12> 특허 등록 환산건수 계획 연도별 목표 현재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3년평균)

항 목 국내 특허 국제 특허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인당 등록 환산건수

참여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

1.1741

1.258

1.342

1.426

1.510

1.593

1.677

1.761

0.4828

0.517

0.552

0.586

0.621

0.655

0.690

0.724

1.6580

1.776

1.895

2.013

2.132

2.250

2.369

2.487

나. 기술이전에 대한 추진 계획 - 최근 3년간 (2010.3.1~2013.5.15), 기술이전 총 57건, 14억원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을 달성하였으며, 이 중 80% 이상이 특허를 통한 기술이전이므로, 상기 특허등록 계획을 기반으로 기술이전을 강화하도록 한다. 특허를 통한 기술이전을 강화하여 교수 1인당 연간 기술료 수입을 현재 697만원/년에서 최종연도(7차년도)에는 1045만원/년 수준으로, 50% 이상 증대하고자 한다. (<확장표 10.2-13> 기술 이전 계획 참조) 기술이전 건수도 50% 이상 증가시킨다. 또한,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로부터의 창업을 통한 매출액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참여교수/참여학생들의 창업을 독려하여 산업개척과 함께 사업화에 기여토록 유도한다. <확장표 II-10.2-13> 기술이전 계획 항 목

기술 이전 전체

연도별 목표 현재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3년평균)

6차년도

7차년도

기술료 수입액 (억원)

4.667

5.000

5.332

5.667

6.000

6.334

6.668

7.001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천원)

6,965

7,462

7,960

8,458

8,956

9,454

9,952

10,450

196


다.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 기술이전과 사업화 촉진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다음과 같다. ■ 대덕연구단지와의 산학협력 활성화 - 대전광역시에 산재하고 있는 80여개의 IT분야 연구 기관, 70여개의 IT 분야 벤처 기업이 대덕연구단지 내에 집중되어 있어서, 새로운 기술 창출, IT 정책 제시 등의 시너지 효과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을 활용하여 공동연구 및 기업연구소의 유치의 활성화를 통한 기술 이전 및 창업을 독려할 계획이다. ■ 산학협력단 및 기술사업화센터와의 협력을 통한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화 - KAIST 교내의 산학협력단과 기술사업화센터는 KAIST 개발 기술에 대한 사업화와 기술이전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오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은 KAIST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센터 (센터장: 김희태, 홈페이지: http://patent.kaist.ac.kr/sub01)와 협력하여,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와 지석재산권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 삼성, LG, SK 하이닉스, KT, SK 텔레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전략적 기술 개발 확대 - 삼성, LG, SK 하이닉스, KT, SK 텔레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EPSS, KEPSI, CTEP, LGenius)과 공동연구센터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연구센터, KAIST-삼성디스플레이 연구센터, 인터넷 협력 에코 시스템 연구센터 등)를 통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 적용이 직접적으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글로벌 창업 지원 - 세계 Top 대학들은 젊은 졸업생의 창업으로 Microsoft, SUN, Google, Facebook 등과 같은 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을 배출하고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졸업생의 창업, 연구실 창업을 통해 루멘스 (대표: 유태경), 실리콘마이터스 (대표: 허염)를 비롯한 여러 국내 기업들이 설립되어 국내 산업 진흥과 세계적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가 세계 10위권의 역량에 이르기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기업들이 출현될 수 있게끔 체질개선의 필요가 절실해지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에서는 글로벌 혁신 기업들의 창업이 활발해 질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o 석박사 과정에서 기업경영, 창업 관련 교과목 이수 및 교육 프로그램 참여 적극 권유: 기업경영에 관심 있거나, 학부에서 경영학을 부전공으로 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석박사 과정 학생에게 기업 경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관련 교과목 이수와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지원 o 외국의 제도를 벤치마킹한 Curricular Practical Training (CPT) 과정을 통해 학외 벤쳐회사에 근무하면서 학위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학위과정을 개방 o 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에 대한 기술적 feasibility와 시장 분석을 도와주는 멘토링 시스템을 선배들의 선발 기업 경영자 풀에서 제공 o 경쟁력 있는 창업이 가능한 학생들에게 학내 산학협력단을 통하여 seed 자본을 제공하고 sponsor가 될 VC (venture capital)를 연결 o 창업지원 학생들에게 해외 글로벌 기업의 파견 근무를 적극 지원 o 기술화 가능성이 큰 연구 성과를 얻은 학생들에게는 박사 학위 심사위원으로 국내외 VC를 초대하여, 사업화 기회를 제공 ■ 창업활성화를 위한 학교 차원의 제도 보완

197


- 연구실 및 학생들의 교내 창업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제도들을 적극적으로 보완해 나감 (예: 학교에 20% 지분을 무상으로 제공해야 하는 부분의 조정이 필요함) - 연구실 및 학생이 발명한 특허를 창업한 회사로 이전 시 적극 지원: 브릿지 론 (Bridge loan) 형식으로 선대여 후 IPO나 M&A시 최종 가치에 맞추어 pricing 하는 시스템 등 지원 - 연구실 창업을 권장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국내외 자문단을 활용하여, 연구실 창업 추진 및 투자재원 확보를 지원 - 국내 유수 기업과 공동창업이 가능케 하는 사업 모델 구축: 기업은 경영 자원, 보조 엔지니어, 자금을 제공하고 KAIST는 아이디어 및 기술을 제공하여 창업하는 모델을 지향

198


10.4 산학간 인적 및 물적 교류 ◎ 요약 ○ 실적 o 8개 산업체 지원 공동연구센터 운영: 산업체로부터 지원금 총 49억; 센터를 통해 석사 76명, 박사 155명, 석박사 통합 13명이 참여 공동연구 수행 o 4개 산학협동 학위과정 운영: 반도체 고급인력양성 프로그램 (KEPSI),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 프로그램 (EPSS), 정보통신 프로그램 (CTEP), LG Display 인력양성 (LGenius) 프로그램 운영; 박사 102명, 석사 336명 배출 o 4개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파교육연구센터, 반도체설계교육, 특허청 심사관 IT 신기술 교육, Cyber KAIST 프로그램 제공; 총 578 강좌 개설, 수강인원 9천명 규모 o 다각적인 산학간 인적교류: 산학협력 특강교과목 2개 개설; 산합협동 특별 세미나 17회 개최; 산업체 인력파견 총 160명 연구 및 교육에 참여; 산학연 공동 박사학위논문심사 총 43명 위촉; 교수진의 산업체 기술자문 총 139건 o 대학원생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해외기업 및 연구기관에 73명, 국내 대기업에 132명, 국내 중소기업에 44명, 출연연구소에 20명 등 총 269명 인턴쉽 파견 o 대학원생의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수행: 총 190개 과제, 888명의 대학원생이 공동연구 개발에 참여 ○ 계획 o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 지속적 개발 -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통한 협력 - 산업체 컨소시움 구성을 통한 산학협력 o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 연계 - 산업체 파견인력 교육과 연계 o 소속 대학원생의 인턴십, 공동연구개발 참여 활성화 - 인턴십 참여 계획 - 현장실습 및 공동연구개발 참여 계획

① 산학협력 인적 및 물적 교류 실적 본 사업단은 중장기 대형 산학과제 및 산업체 지원 연구센터를 다수 유치하여 활발한 산학협력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고급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체 요구에 맞게 학생을 교육하여 배출하고 있다. 연구 부문의 철학인 "창조경제를 주도할 산업 영향력, 사회 파급력이 높은 연구를 지향" 하기 위한 기반이 잘 다져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산학간의 교류는 산업체 지원 학제전공(교육 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산학협동 특강 교과목 운영, 참여교수 파견 및 자문활동, 산업체 인력의 학과 파견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적은 다음과 같다.

가. 산업체 지원 연구센터 수주 및 운영 실적

199


■ 산업체 공동연구센터 - 최근 3년간 (2010년 3월-2013년 5월 현재), 반도체, 통신 및 네트워크, 전력전자,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등 전자공학 전 분야에 걸쳐 총 8개의 산업체 지원 연구 센터 운영 (<확장표 II-10.4-1> 산업체 지원 공동연구 센터 현황 참조) - 최근 3년간 8개 연구 센터에서 산업체로부터 지원 받은 금액은 총 49억원 이상이며,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해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혁신적인 성과들을 이루어내고 있어, 본 사업단이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전자공학 관련 산학협력 중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 - BK21 2단계 사업 기간 (2006년~2012년) 중에는 산업체 지원 연구 센터를 통해 석사 76명, 박사 155명, 석박통합 13명의 공동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음 <확장표 II-10.4-1> 최근 3년간 산업체 지원 공동연구 센터 현황 연번

센 터 명

센터장

지원기간

지원기관

3년간 지원금 (억원)

1

무선기술 연구센터

홍성철

2005.04 - 계속

삼성전자

2.3

2

반도체시스템설계 응용연구센터

유회준

2007.01 – 계속

삼성전자

4.0

3

전력전자 연구센터

문건우

2007.04 - 계속

삼성전기

13.8

4

LG Display 산학 협력센터

최경철

2010.06 - 계속

엘지 디스플레이

10.2

5

KAIST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센터

유승협

2011.01 - 계속

삼성 디스플레이

5.1

6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센터

김대식

2011.07 - 계속

코오롱

10

7

3차원 반도체 연구센터

김정호

2011.07 - 계속

하이닉스 반도체

2.5

8

스마트 자동차 전자부품 연구센터

김정호

2011.07 - 계속

한국단자 공업

1

■ 공동연구, 교육 및 인적교류에 다양한 기업체 참여 - 본 사업단 참여교수들은 공동연구, 교육, 인적교류 등을 통하여, 대기업, 중소기업, 출연연구소, 해외기업/연구소를 망라한 다양한 기업체와의 연계활동을 수행해 왔음 (최근 3년간 대기업 4곳, 중소기업 5곳, 출연연구소 4곳 이상)

나. 다양한 산학 협동 학위과정 운영

■ 개요 -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통해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 석․박사급 인력을 공동으로 육성하여 해당 산업체에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성공적인 산학협동 학위과정을 운영 - 현재 산학협동 학위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반도체 소자/설계, 통신 및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등 전자공학 주요 분야 모두에 대해 국내 산업체 인력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200


■ 산학협동 학위과정 학위수여 현황 -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 (SK 하이닉스), 삼성 반도체 학제 전공 (삼성전자), 정보통신 프로그램 (LG U+, SK 브로드밴드, LG전자, KT), LGD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LG 디스플레이) 총 4개 산학협동 학위과정을 운영 - 1995년 이후 현재까지 4개의 협동학위 프로그램에서 박사 102명, 석사 336명을 배출 (<확장표 II-10.4-2> 산학협동 학위과정 현황 참조)

<확장표 II-10.4-2> 2013년 현재 산학협동 학위과정 현황 프로그램

개설년도

지원액

총 인력배출

지원기업

반도체 고급인력양성 프로그램 (KEPSIⅠ,Ⅱ, Ⅲ)

1995

289억/17년

석사 166명 박사 71명

하이닉스반도체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 (EPSS)

2005

110억/7년

석사 109명 박사 5명

삼성전자

정보통신 프로그램 (CTEP)

1998

75억/15년

석사 61명 박사 26명

LG UPlus, KT,SK 브로드밴드, LG전자

LGD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LGenius)

2010

103억/10년

2013년부터 배출예정

LG Display

○ KEPSI: 반도체공학 프로그램 - SK하이닉스와 공동 지도교수 및 인턴십 등을 통하여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고도의 학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21세기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인력 양성프로그램 (2013년 5월 추가 협약 완료) - 2012년 전기및전자공학과 재학생은 석사과정 18명, 박사과정 14명이며 교육경비 전액, 논문연구비, 해외교육훈련비, 매월 장학금 지급(참여기업에서 별도 지원) 등을 지원받으며, 졸업 후 SK하이닉스로 취업 보장 ○ EPSS: 삼성 반도체 프로그램(반도체 학제전공) -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은 참여기업인 삼성전자의 공동지도교수 및 인턴십 운영과 KAIST 반도체학제전공의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통해 향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석/박사급 인력을 양성하여 해당 기업에 차세대 반도체 고급 인력을 안정적, 지속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기업과 대학이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성공적인 산학협동 모델을 구축 - 2012년 6월 추가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향후 석사 120명(박사 30% 이내 연계진학 가능)의 인력을 추가 선발하기로 확정 (배출실적: 2010년 석사 18명, 2011년 석사 17명 박사 2명, 2012년 석사 19명 박사 3명) ○ CTEP: 정보통신프로그램 (정보통신공학 학제전공) - 멀티미디어, 인터넷, 고속 및 이동성으로 특징되는 차세대 정보통신 시스템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한 시스템 엔지니어의 교육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 통신, 네트워킹 및 네트워크 응용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 석사, 박사과정의 CTEP 장학생선발 및 연구비지원, 정보통신 교육시설 보강 등의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적극적인 산학 협력 사업을 통해서 현장연계 연구와 학제전공 교육환경을 강화함으로서 정보통신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선도적인 우수인재를 양성 ○ LGenius: LG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 맞춤형 선발 및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201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 공동 논문 지도 위원 및 인턴십 등을 통해 참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KAIST의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고도의 학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스플레이 분야의 고급핵심인력을 공동 육성

다. 수요 위주의 체계적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 ■ 개요 -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하는 성공적인 산학협동 모델을 구축 - 2단계 BK21 사업 기간 동안 전파교육 연구센터 프로그램, 반도체 설계교육 센터 프로그램, 심사관 IT 신기술교육 프로그램, 사이버 KAIST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요 위주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총 578 강좌를 개설하여 제공하였고, 총 수강인원은 9천명에 달함 (<확장표 II-10.4-3>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현황 참조) - 특히, 본 사업단의 사이버 KAIST등의 프로그램은 MIT, Stanford 대학 등 해외 유수 대학들이 지향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을 통한 광범위한 지식 전달을 실현 <확장표 II-10.4-3>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현황 프로그램

운영기간

수강생

개설강좌

참여기관

전파교육연구센터 (RERC)

2002 - 2010

1308명

44개

삼성전자, KT, 에이스안테나 외

반도체설계교육 (IDEC)

1995 - 계속

1448명

66개

삼성전자, 하이닉스 반도체, 매그나칩반도체 외

심사관 IT 신기술교육

2006 - 계속

4218명

224개

특허청

CyberKAIST

2000 - 계속

1764명

224개

KT, SKT, 삼성전자 외

○ 전파교육연구센터 (RERC) - 전파교육연구센터는 삼성전자, KT 등이 참여하여 2002년 개소이래, 국내 정보산업의 발전에 따른 전파 전문 인력의 인력수급 부족 문제 해결을 목표로 전파분야와 비전파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수행 - 멀티미디어 교육매체 및 교재 개발을 통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을 제공하여 전파관련 인력 창출과 전파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기여 ○ 반도체설계교육 (IDEC) - IDEC은 1995년 비메모리 반도체부문의 설계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센터로서 지식경제부와 삼성전자, 하이닉스 반도체, 동부하이텍의 지원을 받아 고급 설계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체계적인 교육강좌 개설, 양질의 교보재 개발, CAD Tool공급, 하드웨어 지원, 삼성, 하이닉스, 매그나칩, 동부하이텍 등 첨단 공정지원을 통해 칩 제작 기회부여 등 다각적인 사업을 전개함

202


○ 특허청 심사관 IT 신기술 교육 - 2006년부터 운영한 특허청 지정 심사관교육센터는 세계최고 수준의 특허 심사품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수요 충족형 단기집중 고급 교과과정으로서, 특히 전기전자분야, 정보통신분야의 특허심사 신기술에 대한 이론, 실무, 현장체험 교육 등 특허청 심사관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 - 특허기술의 첨단․복합화 추세에 대응해 심사관의 심사전문성 제고를 위한 맞춤형 정규교과과정 외에 심사관들의 수요에 따라 특별과정 개설 ○ 사이버 KAIST - 사이버 KAIST 프로그램은 국내외 IT관련 기업체, 연구소의 전문 인력들에게 KAIST의 석․박사 과정 교과목 및 프로그램 고유의 특별 강좌들을 녹화하여 동영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는 21세기형 주문형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정규과정, 단기과정, 특별과정으로 나누어 제공 - 제공되는 강좌들은 IT 산업 현장을 대상으로 철저한 요구분석을 거쳐서 결정되고, KT, SKT,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 연구소, 중소기업/벤처 19개사, 대덕IT클러스터 30개사와 한국고주파산업연구조합 30개사가 사내 인력 재교육을 위해 사이버 KAIST 프로그램을 활용

라. 활발한 산학 간의 인적 교류 ■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 - 기업의 제품 및 연구개발 내용을 산업체 연구개발 책임자가 소개함으로써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이 어떻게 기업에 활용되는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산학협동의 새로운 모델 제시 - 특히, 본 사업단의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는 정규 교과목(산학협력 특강 교과목) 형태와 특별 세미나의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짐 (<확장표 II-10.4-4> 산학협동 특강 교과목 개설 현황 참조) - 산학협동 특강 교과목 운용: 전기공학 특강 (2010년도 개설), 집적회로 특강 (2010, 2011, 2012년도 개설) <확장표 II-10.4-4> 산학협동 특강 교과목 개설 현황 교과목명

내 용

전기공학특강

∙ 전기/전자산업의 “차세대 성장엔진” 중심으로 급변하는 사업/기술 동향을(디지털 산업기술 동향) 소개함으로써 LG전자의 사업/기술 vision을 제시하고 공학도에게 필요한 industry insight 제공 및 career planning을 지원함 ∙ 성장 엔진 육성 필요성 및 사례, 주요 사업분야별 신제품/신기술 동향 및 해결과제, 공학도로서 갖춰야 할 인재상, 리더십 소개 ∙ CTO, 최고경영진, 연구소장 등으로 구성된 강사진이 기술개발 사례 등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

집적회로특강 (부제: 메모리 & SoC 기술)

∙ 비전자공학 출신자들도 배울 수 있도록 pn 접합 이론 -> MOSFET 동작 원리, DRAM, SRAM, Flash Memory 소자의 구조와 동작 원리 -> 차세대 미래형 소자 및 메모리 구조 -> 메모리 소자 전반에 대한 지식 학습 ∙ 강사진: KAIST 교수진 및 삼성전자 임원

■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203


- 전공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외부 인사를 초청하여 세미나 시리즈를 개최,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 제공 - 특히, 산업체 CTO, 연구원 등 전문 인력의 최신연구동향 및 기술개발에 대한 강의를 통해 이론위주의 수업에 산업 현장 감각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최근 3년간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17회 개최 (<확장표 II-10.4-5>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현황 참조. 2010년 6회, 2011년 6회, 2012년 5회) <확장표 II-10.4-5>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현황 일시

연사

소속

제목

2010.2.17

이민화

벤처기업협의회 호민관

유라시안 네트워크

2010.2.24

이재원

㈜슈프리마사장

21세기 기업춘추전국시대에서의 슈프리마 건국기

2010.3.3

박성욱

㈜하이닉스반도체부사 장

Today's Trend on Tomorrow's Technology

2010.3.1

유태경

㈜루멘스사장

LED (한국IT와 접목, 그리고 미래 에너지 녹색산업)

2010.3.31

허염

실리콘마이스터사장

Fabless 반도체 산업의 전망

2010.4.14

이상훈

㈜KT사장

정보통신 서비스의 현황과 미래

2011.03.09

이윤종

동부하이텍 상무

반도체 Foundry기업에서의 연구개발 추진 Paradigm

2011.03.16

권오철

하이닉스 사장

메모리 新성장시대와 하이닉스 반도체

2011.03.23

한대근

실리콘웍스 사장

팹리스 벤처의 현재와 미래

2011.04.27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사장

기술벤처의 현황 및 전망

2011.05.11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

공학도에서 게임산업 CEO까지- 엔씨소프트 김택진의 도전과 성취

2011.05.18

정근모

한국전력공사 고문

Innovation in Profession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2012.04.04

김영기

(주)LG 부사장

리더십

2012.04.25

조수인

㈜삼성모바일디스플레 이 대표이사

디스플레이로 만들어 가는 꿈같은 미래

2012.05.02

정한

(주)아이쓰리시스템 사장

벤처의 기술개발 현황 및 바람직한 인재 상

2012.05.09

홍기빈

국제정치경제연구소 소장

경제학적 세계상과 근대 과학

2012.05.16

황창규

지식경제 R&D 전략기획단 단장

젊은이여, 창의의 바다에 몸을 던져라!

■ 산업체의 인력 파견

- 여러 산업체의 전문 인력이 파견되어 전일제 학생(일반장학생)으로서, 총 160명이 공동연구 및 교육에 참여 (2010년 37명, 2011년 54명, 2012년 69명) - 이러한 타 사업단과 차별화된 수치는 본 사업단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우수성 및 성공적인 산업체 인력 양성에 기반한 산업체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음

204


■ 산학연 공동 박사학위 논문 심사위원 활용 - 산업체의 기술 수요를 반영하고 유기적인 상호 연구 협력 관계를 위하여, 산업체 전문 인력의 공동논문지도 및 심사위원 위촉을 적극 장려 - 특히, 산학연 협동학위 과정의 경우 산업체 인력의 공동지도 교수를 의무화하고 있음. 지난 3년 동안 총 43명의 산업체 임직원이 논문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논문 심사에 참여 (2010년 15명, 2011년 11명, 2012년 17명) ■ 교수진의 산업체 기술 자문 - 사업단 참여교수들은 연구를 통해 얻은 우수한 기술력을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자문 및 교육 활동을 활발히 펼쳐 산학간의 다양한 인적 교류를 실시 (최근 3년간 총 139 건, 2010년 33건, 2011년 24건, 2012년 33건) - 특히, 이러한 기술 자문 활동은 대기업 뿐 아니라 기술 개발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주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

마. 산학 협동학위 과정 협약에 따른 대학원생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 개요 - 소속 대학원생의 현장 참여를 통해 현장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연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외 인턴십을 적극 장려하고, 인턴십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 체계적인 인턴십 프로그램 - 산학 맞춤형 협약 체결 프로그램인 EPSS (삼성전자), KEPSI (하이닉스반도체) 등을 통해 적극적인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턴십 연구 학점을 통하여 현장 실습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장려 ■ 인턴십 실적 - 최근 3년간, 해외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73명, 국내 대기업에서 132명, 출연연구소에서 20명, 국내 중소기업에서 44명, 총 269명이 인턴십 수행 - 특히, 해외 인턴십을 적극 장려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이 Microsoft, Sony, Panasonic, Texas Instruments, Qualcomm 등 해외 초일류 기업/연구기관에서 인턴십을 수행하였고, 국내 중소기업에 고급 기술인력 공급 기반제공을 위해 다수의 참여 대학원생들이 중소기업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도록 함 - 협동학위 과정 협약 프로그램인 EPSS (삼성전자), KEPSI (SK하이닉스반도체)을 통하여 해당 기업에서 총 111명 인턴십 수행 (<확장표 II-10.4-6> 대학원생 인턴십 실적 현황 및 <확장표 II-10.4-7> 협동학위 과정 협약 기업에서 인턴쉽 수행 실적 현황 참조) <확장표 II-10.4-6> 대학원생 인턴십 실적 현황 (단위: 개월) 인턴십 구분 2010

해외

대기업

중소기업

17

42

12

205


2011

32

54

0

2012

24

38

32

합계

73

134

44

<확장표 II-10.4-7> 협동학위 과정 협약 기업에서 인턴쉽 수행 실적 현황 연도

KEPSI(하이닉스)

EPSS(삼성전자)

2010

9명

32명

2011

9명

24명

2012

12명

25명

합계

30명

81명

바. 대학원생의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 본 사업단은 공동연구 센터/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산업체와 소속 대학원생의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고 최근 3년간 총 190과제, 888명(연인원 기준)의 대학원생이 6,980개월의 공동연구 개발에 참여 (<확장표 II-10.4-8> 대학원생 산업체 공동연구개발 실적 현황 참조) <확장표 II-10.4-8> 대학원생 산업체 공동연구개발 실적 현황 구분

업체수

과제수

참여 학생수

2010

32

62

2011

27

2012 합계

공동연구 참여 기간 (개월) 대기업

중소기업

267

1448

469

66

379

2182

950

24

62

242

1754

177

83

190

888

5384

1596

- 특히, Qualcomm, Panasonic, Intel, Cyber Laser, SEMATECH 등 해외 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참여 대학원생의 국제적인 현장 참여기회를 제공하였고, 국내 대기업 뿐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중소기업과도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중소기업 현장에 대한 참여 대학원생의 활발한 참여 기회를 제공함 - 특히,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과의 연구 협력을 활발히 하여, 기술 개발 능력이 취약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

206


사.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 - 기업의 제품 및 연구 개발 내용을 산업체 연구 개발 책임자가 소개함으로써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이 어떻게 기업에 활용되는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 -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는 정규 교과목(산학협력 특강 교과목) 형태와 특별 세미나의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졌고, 특히 산업체 인사가 직접 강의하는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를 최근 3년간 총 17회 개최 - 산업체의 전문 인력이 파견되어 전일제 학생(일반장학생)으로서 총 160명이 공동연구 및 교육에 참여 - 사업기간 동안 총 43명의 산업체 인력이 논문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논문 심사에 참여

아.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참여 대학원생의 현장 참여 - 사업단 내에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위해 기업체의 연구원이 상주하는 공동연구 센터를 유치하여 운영하고 있고, 이러한 공동연구 센터를 통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이 산업체와 긴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전력전자연구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2010년 22명, 2011년 21명, 2012년 18명 - KAIST-삼성전기 전력전자센터는 삼성전기 전력 사업부와 KAIST 디스플레이 전력변환 연구실이 연합하여 세워진 연구센터로서, 실제 산업현장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을 제품에 적용 - 사업기간 동안 다수의 기업체 연구 인력이 참여대학원생들과 함께 고효율 고전력밀도 서버용 전원 장치, 세계 최소형 85W급 AC/DC 어댑터를 개발 (2010년 7월 조규민 삼성전기 책임 연구원 파견, 2011년 7월 김재국 삼성전기 책임 연구원 파견) ○ 무선기술연구센터 - 삼성전기 무선기술연구센터는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005년 4월에 설립한 연구센터로, 차세대 무선 기술 관련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개발된 제품의 테스트와 특허관리를 함 - 특히 삼성전기에서 개발, 생산한 무선 제품들을 테스트하는 등 참여 대학원생에게 생생한 산업현장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핵심 기술 개발 공급은 물론 맞춤형 고급인력 양성소의 역할을 수행 ○ LG Display 산학 협력센터 - 참여대학원생 석사 19명, 박사 48명, 석박통합 5명 참여 - 2010년 9월 차세대 미래 디스플레이의 핵심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해 LG 디스플레이와의 산학 협력 센터가 설립되었고, KAIST와 디스플레이 업계를 주도하고 있는 LG 디스플레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를 추진 - 현재까지 총 14개 산학과제가 수행 완료되었고, 10개 과제가 진행 중이며, 6개 추가과제가 수행 예정 ○ KAIST-삼성디스플레이센터 - 참여대학원생 석사 3명, 박사 3명 참여 - KAIST-삼성디스플레이 센터는 삼성디스플레이 (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의 Display 관련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혁신을 위한 기초기술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Display 기초기술에 대한 풍부한 연구경험과 우수한 인력 및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KAIST와의 협동연구를 통하여 핵심 원천기술 및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이 분야의 국내 고급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산학협동연구를 수행 - 디스플레이 융합 및 산학공동 연구를 통해 OLE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디스플레이 교육 및 고급 연구 인력 확보를 추진

207


○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 - 참여대학원생 석사 7명, 박사 3명, 석박통합 1명 참여 - KOLON-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는 2011년 코오롱과 KAIST가 기술교류 및 자문활동을 통한 국내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주사 ㈜코오롱을 포함해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텍㈜ 등 3개사의 공동출자에 의해 설립 - 코오롱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향후 5~10년 이후 시장진입이 가능하고 미래성장성이 높은 고위험, 고수익 사업을 발굴․추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투명전극 소재, 압전소자 제조, 헬스케어, 융합형 뇌과학 분야 등에서 공동으로 미래 신수종 사업을 추진 ○ 3차원 반도체 연구센터 - 3차원 반도체 연구센터는 하이닉스반도체의 지원으로 설립된 센터로 3차원 반도체 및 트랜지스터 연구개발/상용화를 목적으로 함. - 3차원 반도체 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적 연구개발 환경 확보, 장기적 3차원 반도체 연구개발 인력 확보에 대한 경쟁력 강화 ○ KAIST-삼성전자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 - 참여교수 9명의 연구실 학생 전원 참여 - KAIST-삼성전자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는 삼성전자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들을 개발, 총 30건의 특허를 출원, 총 18건의 논문을 제출 ○ 인터넷 협력 에코 시스템 연구센터 - 망 사업사, 인터넷 솔루션 사업자, 및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 등 인터넷 구성원들이 상생 할 수 있는 인터넷 에코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국내 망 사업자 (SKT, KT, LGU+), 인터넷 솔루션 사업자 (Solbox), 국가 연구소 (ETRI)를 포함한 인터넷 협력 에코 연구센터를 설립 - 핵심 과제로써 개방형 콘텐츠 전달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을 위한 이종 콘텐츠 전달망들 간의 상호연동 기술 개발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폭증하는 인터넷 트래픽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콘텐츠전달망간의 연동기술(CDNi)을 개발중

② 산학협력 인적 및 물적 교류 계획 앞서 기술한 인적 물적 교류 실적에서 보인 것과 같이,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산업계와의 폭 넓은 교류를 진행하여 오고 있다.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산학 교류를 확대하여 교육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한다.

가.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의 개발 산학협력에 있어서 현재 실효를 거두고 있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지속함과 아울러, 보다 발전된 산학 협력 모델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세계 10위권의 진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산업계에 파급력이 큰 산업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야 할 것이다. 따라서 IT 분야의 급속한 발전, 그리고 글로벌 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우리는 산업체와 학계 모두 세계 수준의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그간의 산학 연구 협력의 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연구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사업단에서는 주력연구 분야를 산업체 수요 증대 분야에 집중해 아래와 같이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208


■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통한 협력 - 사업단의 역량을 산업체가 요구하는 분야의 학문적 수월성을 높이는데 집중하며, 이러한 수월성에 기반해 산업계에 영향력이 큰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발굴, 육성한다. 최근 3년간의 산학과제 중에서 중대형 산학과제 (연구비 년 1억 이상 과제)의 비율은 10%에 못미치고 있으나, 이를 2020년까지는 30%이상으로 증가시키고자 한다. ■ 산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산학협력 - 미국 등 선진국의 명문대학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산업체 컨소시엄을 학과 내 그룹 또는 클러스터 단위의 분야별로 구성하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컨소시엄에는 산업체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참여하여, 대학의 연구 결과와 졸업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한편 KAIST는 컨소시엄 회비를 통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비를 확보하게 된다. -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는 SoC분야에 7개의 기업체가 가입한 컨소시엄인 SoCium이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산학협력 컨소시엄들을 계속 설립해 나가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유수 대기업 및 벤처기업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대학원생의 국제화를 도모하며 해외 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해외 유수 기업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우수 연구 인력을 본 학과의 교수로 적극 영입할 계획이다.

나.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 연계 - 현재 진행 중인 하이닉스 반도체와의 KEPSI 프로그램, 삼성전자와의 EPSS 프로그램, 주요 전자, 전산, 통신 및 네트워크 회사들의 컨소시엄과 협력하는 CTEP 프로그램, LG Display와의 LGenius 프로그램 등에서 시도된 방식들을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인턴쉽 프로그램, 공동강의, 공동논문지도 등을 확대시킨다. (<확장표 II-10.4-9> 산합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석박사 배출 계획 참조) <확장표 II-10.4-9> 산합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석박사 배출 계획

연도별 계획 현재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2012년)

항 목

KEPSI

EPSS

(단위 : 명)

석사

8

8

9

8

9

10

10

10

박사

2

2

2

2

2

2

3

3

석사

19

19

19

19

20

20

20

20

박사

3

3

3

4

4

4

4

4

1

1

2

2

3

3

3

배출 예정

배출 예정

1

1

1

2

2

33

34

36

38

40

42

42

석사 LGenius 박사 합 계

배출 예정 배출 예정

■ 산업체 파견인력 교육과 연계

209


- 본 학과의 대학원 학위과정에서 산업체에서 파견된 인력을 적극 유치, 교육시킴으로써, 학위 도중 뿐 아니라 학위 취득 후에도 산학협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다. 소속 대학원생의 인턴십․현장실습․공동연구개발 참여 활성화 ■ 인턴십 참여 계획 - 인턴십 과정은 대학원생이 산업체에 대한 현장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론과 실제가 겸비된 우수 연구를 위하여 첨단 산업체 현장에 일정 기간 파견하는 인턴십 제도를 활성화하고 있고,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체와 협약을 체결하여 참여대학원생은 필수적으로 기업 인턴십에 참가하고 있다. - 최근 3년간 반도체 공학 프로그램을 통해 하이닉스반도체에 30명 (2010년 9명, 2011년 9명, 2012년 12명),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을 통해 삼성전자에 81명(2010년 32명, 2011년 24명, 2012년 25명), LG Display 인력양성 프로그램(LGenius)을 통해 4명 (2012년 4명)이 인턴십을 수행하였다. - 또한, 본 사업단의 우수한 대학원생들은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 및 연구소 (Microsoft (2011년 2명, 2012년 2명), IMEC (2011년 1명, 2012년 1명), NASA (2011년 1명), Texas Instruments (2010년 1명, 2011년 1명), IBM (2011년 1명, 2012년 1명) 등)의 인턴십에 참가해 왔다. - 대학원 학생들의 해외 인턴십 파견 사례를 통해 능력 발휘와 국제 활동력의 배양의 효과를 확인해 왔으며, 본 사업단에서는 BK21 플러스 사업 중에도 해외 인턴십 기회를 확장시켜나가고 적극 지원해 나가고자 한다. ■ 현장실습 및 공동연구개발 등 참여 계획 - 본 사업단은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체와 연구소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참여, 대학생들에게 국제적인 연구 감각과 경험을 쌓게 하고, 국제 공동연구의 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넓은 시각의 창의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 또한 공동연구를 통해 우수연구 집단과의 클러스터/컨소시엄을 구축함으로써, 국제협력 능력의 배양과 아울러 졸업후 해외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인 예로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미국 Texas Instruments (TI) 와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는 국제공동연구센터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설치되어 활동한 바 있다.

210


Ⅲ. 사업비 집행 계획 1. 사업비 집행 계획(1~7차년도) T_1 _1:

항목

T_1 _2: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1년차

T_2 _1:

D_2 _2:

신진연구인 력 인건비

T _3_ 1:

T_4 _1:

D_3 _2:

국제화 경비

D_4 _2:

사업단 운영비

T_5 _1:

T_6 _1:

D_5 _2:

간접비 T_7 _1:

합계

0

990,000

D_3 _3:

D_5 _3:

46,200

D_3 _4:

D_5 _4:

46,200

0

1,050,000

D _3_ 5:

D_3 _6:

638,500 575,300

D_5 _6:

46,200

D _6_ 5:

2,310,000

D _7_ 5:

211

0

1,050,000

D_ 3_7 :

0

1,050,000

D _3_ 8:

638,500

638,500

D _4_ 8:

575,300

575,300

D_ 5_7 :

46,200

D _5_ 8:

46,200

2,310,000

D_3 _9:

D_4 _9:

D_5 _9:

D _6_ 8:

2,310,000

D _7_ 8:

D_2 _9:

46,200

D_ 6_7 :

D_ 7_7 :

T_1 _9:

D _2_ 8:

D_ 4_7 :

575,300

2,310,000

7년차

T _1_ 8:

D_ 2_7 :

638,500

D_6 _6:

D_7 _6:

6년차

T_ 1_7 :

0

1,050,000

D_4 _6:

D _5_ 5:

46,200

5년차 D_2 _6:

D _4_ 5:

575,300

2,310,000

T_1 _6:

D _2_ 5:

638,500

D_6 _4:

D_7 _4:

4년차

T _1_ 5:

0

1,050,000

D_4 _4:

575,300

2,310,000

3년차 D_2 _4:

638,500

D_6 _3:

D_7 _3:

T_1 _4:

0

1,050,000

D_4 _3:

467,300

2,310,000

2년차 D_2 _3:

806,500

D_6 _2:

D_7 _2:

T_1 _3:

(단위 : 천원)

7,290,000 4,637,500 3,919,100 D_6 _9:

D_7 _9:

0

323,400

16,170,000


2. 사업비 집행 세부 내역(1~3차년도)

[1차년도] (2차년도 이후 동일 양식으로 기재)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구분

T _1_ 1:

T_2 _1:

T_3 _1:

T_1 _2: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1인당 월지급액(B) T_ 1_3 :

석사과정생

D_2 _2:

박사과정생

D_3 _2:

합계

T _4_ 1:

D_4 _2:

215

지급개월수(C)

T _1_ 4:

0

D_ 2_4 :

0

D_ 3_4 :

X

0

D_2 _6:

0

D_3 _6:

D_ 3_5 :

X

D _4_ 3:

비고

T_ 1_6 :

D_ 2_5 :

12

D _3_ 3:

471

산출액(A*B*C)

12

D _2_ 3:

256

T_1 _5:

0

D_ 4_4 :

X

D_ 4_5 :

D_ 4_6 :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구분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T _1_ 1:

1인당 월지급액(B)

T _1_ 2:

박사후 과정생

T _2_ 1:

계약교수

T _1_ 3:

18

2,500,000

D _2_ 2:

D_ 2_3 :

15

T_ 3_1 :

2,500,000

D _3_ 2:

합계

D_ 3_3 :

33

T _4_ 1:

지급개월수(C)

X

D _4_ 2:

산출액(A*B*C)

T_ 1_4 :

D_ 4_3 :

T _1_ 5:

12

540,000,000

D_ 2_4 :

D_ 2_5 :

12

450,000,000

D_ 3_4 :

D_ 3_5 :

X

990,000,000

D_ 4_4 :

D_ 4_5 :

3) 국제화 경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산출근거

단기연수

◎ 대학원생 국제학회 논문발표 및 공동세미나 - 참여교수 연구실당 800만원 지원 / 67명 기준

장기연수

◎ 대학원생 장기 해외연수 - 선발학생 1인당 1,500만원 지원 / 5명 기준

해외석학초빙

◎ 국외자문료 - 초빙석학 1인당 400만원 지원 / 7명 기준 ․ 아래 산출근거(KAIST 초빙강사료)중 400백만원까지 지원 a. 자문료 1,000,000원/1회 * 2일 = 2,000,000원 b. 항공료 $1,500 (환율 1,100원기준) = 1,650,000 c. 체제비 $200 × 3일 (환율 1,100원기준) = 660,000원

기타국제화활동

◎ 교수 학술대회위원회 참석 등 - 교수 1인당 250만원 지원 / 67명 기준

T_1 _3:

금액

D_ 2_2 :

T_2 _1:

D_2 _3:

536,000,000

D_ 3_2 :

T_3 _1:

D_3 _3:

75,000,000

D_ 4_2 :

T _4_ 1:

T _5_ 1:

D_4 _3:

D_ 5_2 :

212

D_5 _3:

28,000,000

167,500,000


T_6 _1:

합계

D_6 _3:

806,500,000

4) 사업단 운영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산출근거

사업단 전담직원 인건비

◎ 사무국 직원 3명 - 47,000,000원 (연봉액 40,000,000원기준 × 2명 × 7/12개월) - 17,500,000원 (연봉액 30,000,000원기준 × 1명 × 7/12개월) - 8,000,000원 : 기타_시간외수당, 4대보험료 등

성과급

◎ 교수 1인당 3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3,000,000 × 67명 = 201,000,000원 ◎ 우수 참여대학원생 1인당 5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500,000 × 5명 = 2,500,000원 ◎ 직원 1인당 2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2,000,000 × 3명 = 6,000,000원

국내여비

◎ 대전↔서울 1박2일기준(KTX) - 책임급 1인기준 221,600원 / 선임급 1인기준 194,000 / 원급 1인기준 174,000원

T_1 _3:

금액

D_2 _2:

T_2 _1:

D_2 _3:

72,500,000

D_ 3_2 :

T_ 3_1 :

D_3 _3:

209,500,000

D _4_ 2:

T_4 _1:

학술활동지원비

◎ 논문게재료, 학회지원비, 자문료, 강사료 - 논문게재료 1인당 300,000원 - 국내학회 1인당 100,000원/국외학회 1인당 500,000원 - 국내전문가자문료 또는 세미나 강사료 1인당 500,000원

산업재산권 출원등록비

◎ 국내외출원 및 등록비 - 국내출원 : 40,000,000원 / 국외출원 : 70,000,000원(1회 출원 : 국내 300만원 예상/국외 1500만원 예상)

D_4 _3:

1,000,000

D_5 _2:

T _5_ 1:

D_5 _3:

10,000,000

D _6_ 2:

T _6_ 1:

T_7 _1:

일반수용비

D_7 _2:

◎ 제세공과금, 수수료, 사무용품, 기타 사무실운영비 ◎ 워크샵 및 회의비 - 동계 30,00,000원 - 회의비 20,000원 * 67명 =

D_6 _3:

110,000,000

D_7 _3:

5,000,000

D _8_ 2:

회의비

T_ 8_1 :

213

D_8 _3:

51,000,000


1,340,000원이내 (1인 20,000원 기준) 1,300,000원 * 10회 = 13,000,000원 - 행사개최비 4,000,000원 - 업무추진비 4,000,000원

회의비

T_ 8_1 :

각종 행사경비

D_8 _3:

◎ 각종 행사경비

T_ 9_1 :

D_ 9_2 :

D_9 _3:

◎ 홍보용 인쇄물비, 기술정보수입비, 교육훈련 및 출장비 등

기타

51,000,000

3,500,000 4,800,000

D_10_2:

T_ 10_ 1:

D_1 0_3 :

합계

467,300,000

T_1 1_1 :

D_1 1_3 :

5) 간접비

(단위 : 원) 46,200,000원

D_ 1_1 :

[2차년도]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구분

T _1_ 1:

T_2 _1:

T_3 _1:

T_1 _2: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1인당 월지급액(B) T_ 1_3 :

석사과정생

D_2 _2:

박사과정생

D_3 _2:

합계

T _4_ 1:

D_4 _2:

215

지급개월수(C)

T _1_ 4:

0

D_ 2_4 :

0

D_ 3_4 :

X

0

D_2 _6:

0

D_3 _6:

D_ 3_5 :

X

D _4_ 3:

비고

T_ 1_6 :

D_ 2_5 :

12

D _3_ 3:

471

산출액(A*B*C)

12

D _2_ 3:

256

T_1 _5:

0

D_ 4_4 :

X

D_ 4_5 :

D_ 4_6 :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구분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T _1_ 1:

1인당 월지급액(B)

T _1_ 2:

박사후 과정생

T _2_ 1:

계약교수

T _1_ 3:

20

2,500,000

D _2_ 2:

D_ 2_3 :

15

T_ 3_1 :

2,500,000

D _3_ 2:

합계

D_ 3_3 :

35

T _4_ 1:

지급개월수(C)

X

D _4_ 2:

산출액(A*B*C)

T_ 1_4 :

D_ 4_3 :

T _1_ 5:

12

600,000,000

D_ 2_4 :

D_ 2_5 :

12

450,000,000

D_ 3_4 :

D_ 3_5 :

X

1,050,000,000

D_ 4_4 :

D_ 4_5 :

3) 국제화 경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단기연수

◎ 대학원생 논문발표 및 공동세미나 - 참여교수 연구실당 600만원 지원 / 67명 기준

장기연수

◎ 대학원생 장기 해외연수 - 선발학생 1인당 900만원 지원 /

D_2 _2:

T_2 _1:

T_3 _1:

산출근거

T_1 _3:

D_2 _3:

402,000,000

D_ 3_2 :

214

금액

D_3 _3:

54,000,000


장기연수

6명 기준

해외석학초빙

◎ 국외자문료 - 초빙석학 1인당 300만원 지원 / 5명 기준 ․ 아래 산출근거(KAIST 초빙강사료)중 300백만원까지 지원 a. 자문료 1,000,000원/1회 * 2일 = 2,000,000원 b. 항공료 $1,500 (환율 1,100원기준) = 1,650,000 c. 체제비 $200 × 3일 (환율 1,100원기준) = 660,000원

기타국제화활동

◎ 교수 학술대회위원회 참석 등 - 교수 1인당 250만원 지원 / 67명 기준

T_3 _1:

D_3 _3:

54,000,000

D_ 4_2 :

T _4_ 1:

D_4 _3:

D_ 5_2 :

T _5_ 1:

T_6 _1:

합계

D_5 _3:

D_6 _3:

15,000,000

167,500,000 638,500,000

4) 사업단 운영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산출근거

◎ 사무국 직원 3명 - 연봉액 40,000,000원 × 2명 × 12개월 - 연봉액 30,000,000원 × 1명 × 12개월 - 기타 시간외수당 등 : 8,000,000원

T_1 _3:

금액

D_2 _2:

T_2 _1:

사업단 전담직원 인건비

성과급

◎ 교수 1인당 3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3,000,000 × 67명 = 201,000,000원 ◎ 우수 참여대학원생 1인당 5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500,000 × 5명 = 2,500,000원 ◎ 직원 1인당 2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2,000,000 × 3명 = 6,000,000원

국내여비

◎ 대전↔서울 1박2일기준(KTX) - 책임급 1인기준 221,600원 / 선임급 1인기준 194,000 / 원급 1인기준 174,000원

D_2 _3:

118,000,000

D_ 3_2 :

T_ 3_1 :

D_3 _3:

209,500,000

D _4_ 2:

T_4 _1:

D_5 _2:

학술활동지원비

T _5_ 1:

◎ 논문게재료, 학회지원비, 자문료, 강사료 - 논문게재료 1인당 300,000원 - 국내학회 1인당 100,000원/국외

215

D_4 _3:

D_5 _3:

1,000,000

20,000,000


학술활동지원비

학회 1인당 500,000원 - 국내전문가자문료 또는 세미나 강사료 1인당 500,000원

산업재산권 출원등록비

◎ 국내외출원 및 등록비 - 국내출원 : 50,000,000원 / 국외출원 : 70,000,000원(1회 출원 : 국내 300만원 예상/국외 1500만원 예상)

T _5_ 1:

D_5 _3:

20,000,000

D _6_ 2:

T _6_ 1:

T_7 _1:

일반수용비

D_7 _2:

D_6 _3:

120,000,000

◎ 제세공과금, 수수료, 사무용품, 기타 사무실운영비

D_7 _3:

◎ 워크샵 및 회의비 - 동계 20,00,000원 / 하계 워크샵 40,000,000원 - 회의비 20,000원 * 67명 = 1,340,000원이내 (1인 20,000원 기준) 1,300,000원 * 20회 = 26,000,000원 - 행사개최비 3,000,000원 - 업무추진비 7,000,000원

5,000,000

D _8_ 2:

회의비

T_ 8_1 :

각종 행사경비

D_8 _3:

◎ 각종 행사경비

T_ 9_1 :

D_ 9_2 :

D_9 _3:

◎ 홍보용 인쇄물비, 기술정보수입비, 교육훈련 및 출장비 등

기타

96,000,000

2,000,000 3,800,000

D_10_2:

T_ 10_ 1:

D_1 0_3 :

합계

575,300,000

T_1 1_1 :

D_1 1_3 :

5) 간접비

(단위 : 원) 46,200,000원

D_ 1_1 :

[3차년도] 1)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구분

T _1_ 1:

T_2 _1:

T_3 _1:

T_1 _2: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1인당 월지급액(B) T_ 1_3 :

석사과정생

D_2 _2:

박사과정생

D_3 _2:

합계

T _4_ 1:

D_4 _2:

215

지급개월수(C)

T _1_ 4:

0

D_ 2_4 :

0

D_ 3_4 :

X

0

D_2 _6:

0

D_3 _6:

D_ 3_5 :

X

D _4_ 3:

비고

T_ 1_6 :

D_ 2_5 :

12

D _3_ 3:

471

산출액(A*B*C)

12

D _2_ 3:

256

T_1 _5:

0

D_ 4_4 :

X

D_ 4_5 :

D_ 4_6 :

2)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구분

T _1_ 1:

박사후 과정생

T _2_ 1:

(단위 : 원) 지원대상인원(A)

T _1_ 2:

20

D _2_ 2:

1인당 월지급액(B)

T _1_ 3:

2,500,000

D_ 2_3 :

216

지급개월수(C)

T_ 1_4 :

12

D_ 2_4 :

산출액(A*B*C)

T _1_ 5:

600,000,000

D_ 2_5 :


계약교수

15

T_ 3_1 :

2,500,000

D _3_ 2:

합계

D_ 3_3 :

35

T _4_ 1:

X

D _4_ 2:

D_ 4_3 :

12

450,000,000

D_ 3_4 :

D_ 3_5 :

X

1,050,000,000

D_ 4_4 :

D_ 4_5 :

3) 국제화 경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산출근거

단기연수

◎ 대학원생 논문발표 및 공동세미나 - 참여교수 연구실당 600만원 지원 / 67명 기준

장기연수

◎ 대학원생 장기 해외연수 - 선발학생 1인당 900만원 지원 / 6명 기준

해외석학초빙

◎ 국외자문료 - 초빙석학 1인당 300만원 지원 / 5명 기준 ․ 아래 산출근거(KAIST 초빙강사료)중 300백만원까지 지원 a. 자문료 1,000,000원/1회 * 2일 = 2,000,000원 b. 항공료 $1,500 (환율 1,100원기준) = 1,650,000 c. 체제비 $200 × 3일 (환율 1,100원기준) = 660,000원

기타국제화활동

◎ 교수 학술대회위원회 참석 등 - 교수 1인당 250만원 지원 / 67명 기준

D_2 _2:

T_2 _1:

T_1 _3:

D_2 _3:

금액

402,000,000

D_ 3_2 :

T_3 _1:

D_3 _3:

54,000,000

D_ 4_2 :

T _4_ 1:

D_4 _3:

D_ 5_2 :

T _5_ 1:

T_6 _1:

합계

D_5 _3:

D_6 _3:

15,000,000

167,500,000 638,500,000

4) 사업단 운영비

(단위 : 원)

구분

T_ 1_1 :

T_1 _2:

산출근거

◎ 사무국 직원 3명 - 연봉액 40,000,000원 × 2명 × 12개월 - 연봉액 30,000,000원 × 1명 × 12개월 - 기타 시간외수당 등 : 8,000,000원

T_1 _3:

금액

D_2 _2:

T_2 _1:

사업단 전담직원 인건비

◎ 교수 1인당 3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3,000,000 × 67명 = 201,000,000원 ◎ 우수 참여대학원생 1인당 5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D_2 _3:

118,000,000

D_ 3_2 :

성과급

T_ 3_1 :

217

D_3 _3:

209,500,000


성과급

- 예정금액 : 500,000 × 5명 = 2,500,000원 ◎ 직원 1인당 200만원한도내에서 지원 - 예정금액 : 2,000,000 × 3명 = 6,000,000원

국내여비

◎ 대전↔서울 1박2일기준(KTX) - 책임급 1인기준 221,600원 / 선임급 1인기준 194,000 / 원급 1인기준 174,000원

T_ 3_1 :

D_3 _3:

209,500,000

D _4_ 2:

T_4 _1:

학술활동지원비

◎ 논문게재료, 학회지원비, 자문료, 강사료 - 논문게재료 1인당 300,000원 - 국내학회 1인당 100,000원/국외학회 1인당 500,000원 - 국내전문가자문료 또는 세미나 강사료 1인당 500,000원

산업재산권 출원등록비

◎ 국내외출원 및 등록비 - 국내출원 : 50,000,000원 / 국외출원 : 70,000,000원(1회 출원 : 국내 300만원 예상/국외 1500만원 예상)

D_4 _3:

1,000,000

D_5 _2:

T _5_ 1:

D_5 _3:

20,000,000

D _6_ 2:

T _6_ 1:

T_7 _1:

일반수용비

D_7 _2:

D_6 _3:

120,000,000

◎ 제세공과금, 수수료, 사무용품, 기타 사무실운영비

◎ 워크샵 및 회의비 - 동계 20,00,000원 / 하계 워크샵 40,000,000원 - 회의비 20,000원 * 67명 = 1,340,000원이내 (1인 20,000원 기준) 1,300,000원 * 20회 = 26,000,000원 - 행사개최비 3,000,000원 - 업무추진비 7,000,000원

D_7 _3:

5,000,000

D _8_ 2:

회의비

T_ 8_1 :

각종 행사경비

D_8 _3:

◎ 각종 행사경비

T_ 9_1 :

D_ 9_2 :

D_9 _3:

◎ 홍보용 인쇄물비, 기술정보수입비, 교육훈련 및 출장비 등

기타

96,000,000

2,000,000 3,800,000

D_10_2:

T_ 10_ 1:

합계

D_1 0_3 :

575,300,000

T_1 1_1 :

D_1 1_3 :

5) 간접비

(단위 : 원) 46,200,000원

D_ 1_1 :

218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