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2015제안서

Page 1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교육 목표 및 비전 달성을 위한 노력 21세기 지식 기반형 정보화 사회를 열어 갈 전기및전자공학도는 전기전자공학 및 기초공학을 바탕으로 한 창의력, 그리고 이들을 기반으로 한 실제 문제 정의 및 해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새 시대의 공학도는 인류 사회 전체를 생각하며 협동심, 지도력 및 적 응력을 갖춘 지구촌 일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필요하다. 아래에 21세기 공학 교육 요구사항을 요약하였다.

○ 기술적 요구 사항 - 수학/기초 과학을 통한 창의력을 공학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산학협동을 통한 현장문제 해결 능력 - 컴퓨터 및 첨단 공학 도구를 활용한 실제적인 공학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 - 목표 시스템의 정의, 설계, 구현 및 시험을 할 수 있는 능력 - 학제적 전공팀을 구성하여 복합적인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사회적 요구 사항 - 인류에 대한 이해와 윤리의식 - 인류 문명에 대한 비전 및 인류를 위한 공학적 가치창조 능력 -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 인간관계와 협동심 - 조직 적응력 및 지도력 - 신기술/지식을 습득하는 능력 - 기술, 지적소유권, 상품성 사이의 관계 이해

① 교육 비전 위에서 정리한 기술적 사회적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BK21 플러스 미래전자통신 인재양성 사업단은 창의적이며 국제적 수준의 리더십을 갖춘 글로벌 IT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 비전으로 정하였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는 QS world

- 1 -


university ranking by subject - electrical & electronic 분야에서 2013년 29위, 2014년 24위, 2015년 22위를 차지하여 최근 2년간 7계단 그 순위가 상승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가속화 하여 2020년 까지 세계 Top 10위권 진입 (Vision 2020-Top10)을 위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으로 비전을 가시화 하였다. 이러한 IT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하여 우수한 교수/연구원 초빙을 상시화, 교육프로그램 특성화, 교과목 개편, 학생지도 선진화 등의 교육의 내실화와 글로벌 교육/연구 네트워크 구성과 대학원생 국제활동 의무화 제도 등의 국제화를 적극 추진한다. 국제화를 통한 구체적인 성과는 외국인 학생 및 연구원의 점진적 증가와 해외 우수대학/기업에 취업하는 졸업생 수의 증가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표 1.1-1 참조)

② 교육 목표

BK21 플러스 사업에서는 IT 분야의 미래 원천 기술과 가치 창출형 기술을 개발할 수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양성한다. 공학교육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한다.

- 전공한 이론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 실제적인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 - 국제적인 리더십, 윤리의식, 지도력, 추진력 및 포용력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인재

<표 1.1-1> 인력 양성 관련 지표 계획

석/박사 학생배출

외국인

(단위 : 명)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교수 수

88

89

91

93

95

석사 졸업생

155

155

155

155

155

박사 졸업생

95

100

105

95

95

석사과정 재학생*

24

25

26

27

박사과정 재학생*

20

21

22

23

박사 후 과정 및 계약교수**

5

5

6

6

- 2 -


전임 교수***

10

11

11

12

* 접수마감일 기준 재학생 수(휴학생 제외) ** 채용인원 기준 수 *** 사업단 외국인 전임교수 총 수 석사학위과정에서는 튼튼한 IT 기반지식을 교육하고 창의력을 계발하는 연구에 집중하며, 한국의 산업계에서

필요하고 환영받는 IT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한다. 박사학

위 과정은 학문적 연구결과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응용으로 산업기술에 세계적으로 공헌하는 기 술적인 연구도 적극 권장하고 인정하는 과정으로 발전시킨다. 2020년 까지 졸업생의 질, 교수의 질, 그리고 교육 및 연구수준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세계 Top 10 수준의 학과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 로 한다.

③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실천 방안

가. 학생 지도의 내실화

세계 우수 대학과 본 사업단의 교수 1인당 대학원생 수를 비교해 보면 Stanford 대학

GaTech를 제외하고는 다른 우수 대학에 비해 본 사업단의 대학원생 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표 1.1-2 참조>. 장기적으로 우수 교수의 충원을 통하여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는 교수 1인당 대학 원생 수를 2019 년까지는 10명 이내로 개선하여 학생 지도의 내실화를 기할 예정이다. <표 1.1-3 <표 1.1-2> 교수 1인당 지도대학원생수 비교

(단위 : 명)

구분

교수 수

대학원 학생 수

교수 1인당 대학원 학생 수

KAIST EE (2015. 4. 1. 기준)

88

989

11.23

Stanford 공대*

241

3558

14.76

MIT 공대*

376

3143

8.35

UC Berkeley 공대*

252

1936

7.68

GaTech 공대*

535

6136

11.46

* Education Ranking, US News 2015

- 3 -


참조> <표 1.1-3> 교수 1인당 지도대학원생수 목표

(단위 : 명)

연도별 목표(명) 항

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8년

11.2

10.5

10.3

10.2

10.0

대학원생 기준

* KAIST 학적팀 학생현황 표 참조(2015년 4월 1일 기준)

나. 최고 수준의 교수진 및 연구진 확보

-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최고 수준의 교수를 단계적으로 증원해 나갈 예정이며 이를 위해 연구정착금 (2억원 규모), 교내/외 주거 지원 등의 경쟁력 있는 스타트-업 패키지를 제공한다. - 우수 외국인 교수를 유치하여 국제화된 교육이 확충 되도록 한다 <표 1.1-4 참조>. 우수 외국인 교수 유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 패키지를 제공한다. 1) 캠퍼스내 외국인 교수 아파트 제공 2) 자녀국제학교 입학시 특별 할인혜택 부여 등의 자녀 교육 지원 패키지 제공 - 2015년 6월 여성 교수 1명을 임용하였으며, 향후 더 많은 여성 교수를 유치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하며 상시 초빙 제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 우수 신진 연구 인력을 유치하기 위하여 처우를 개선하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으며 강의 개설 및 책임자로서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표 1.1-4> 우수 외국인 전임 교원 확보 계획

(단위 : 명) 연도별 목표(명)

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전임교원

내국인

81**

79

80

82

83

증원계획

외국인*

7

10

11

11

12

88

89

91

93

95

전체

- 4 -


* 학과 외국인 전임 교수 총 수 ** 여성 교수 1명 포함

다. 교과과정 개선

- 창의적 IT 융복합 교과과정 도입 Computing, Networking and Security, Communications, Circuits and Systems,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Signals and Systems의 6대 영역과 융복합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체계적으로 개편한다. 수강 학생이 주도적으로 IT 융복합 시스템을 설계하고 검증하는 창의적 설계 코스를 도입하여 이론을 창의적 시스템에 적용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창의적 IT 융복합 교과과정을 도입한다.

- 리더십 및 윤리교육 강화 리더십 및 윤리의식을 가진 미래지향적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사회적 요구사항을 반영한 리더십 교과목과 CEO 강좌를 연 1회 이상 개설한다. 필수 이수과목인 연구논문 작성법 강의를 통해 올바른 연구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한다.

라. 글로벌 교육 네트워크 및 Bilingual 캠퍼스 구축

- 대학원생의 학술 활동 진작과 교육과 연구의 국제적 수월성 제고를 위해 국제 공동연구 및 장단기 파견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글로벌 지원 전담 행정 조직" Globalization Supporting Team: GST)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점차 그 역할을 확대 해 나갈 예정이다. - 외국 저명 대학 및 연구기관과 거미줄과 같은 국제 공동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교류 협력을 증진하고 외국 저명 대학과의 복수학위제 또는 공동학위제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박사 학위 논문은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2016년 졸업생부터 의무화할 예정이며, 석사 학위 논문도 영어로 작성하도록 권장한다. - 외부 전문가와 해외 전문가를 석박사 학위 논문 심사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점차 확대 해 나갈 예정이다. - 영어 강의 개설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Bilingual 캠퍼스 구축을 통하여 실제적인 국제화

- 5 -


인프라를 이루어 간다. 2014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대학원 영어 강의 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표 1.1-5> 참조.

<표 1.1-5> 연도별 대학원 영어 강의 계획

(단위 : %) 연도별 목표 (%)

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71

74

78

81

85

영어 강의 비율

마. 강의 평가 및 학생 평가 (Black Friday) 제도 개선

- 개방형 강의 평가 시스템 및 피드백 제도 도입 교과목 강의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개설된 모든 교과목에 대해 강의 평가를 시행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 또한 우수강의 및 우수조교에 대한 시상 제도를 운영하며 강의 평가 결과를 교수 평가에 활용하여 강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 Black Friday 제도 시행 박사과정 학생의 학업 및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생 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 1회 연구실적을 포함한 학업 및 연구 성취도를 평가하여 서면으로 그 결과를 전달하는 제도(Black Friday)를 시행한다.

바.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화

- 기업 맞춤형 교육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는 현재 기업을 위한 3개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표 1.1-6 참조>

- 6 -


삼성전자와는 EPSS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포함하여 매년 약 26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SK 하이닉스와는 KEPSI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약 18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LG display 와는 LGenius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약 13 명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해당 기업과 장기적인 계약하에서 고급 인력을 양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각 프로그램 마다 기업의 요구에 맞춘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전공과정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과정도 운영할 예정이며,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국제적 수준의 경쟁력을 가진 창조적 실무적 인재를 양성한다.

<표1.1-6> 맞춤형 인력양성 계획 [표 수정] 연도별 계획 항

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석사

13

13

8

-

-

박사

5

5

5

-

-

석사

20

20

-

-

-

박사

6

6

-

-

-

석사

10

10

-

-

-

박사

3

3

-

-

-

57

57

13

-

-

KEPSI*

EPSS**

LGenius *** 합 계

* 하이닉스에서 지원하는 반도체 인력 양성 프로그램 ** 삼성전자에서 지원하는 반도체 인력 양성 프로그램 *** LG Display에서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인력 양성 프로그램

- 현장 밀착형 인재 양성 교육 수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 선정에서부터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기업의 전문가를 석박사 논문 심사위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리고 기업의 전문가가 직접 강의에 참여하는 첨단 분야 교과목을 정기적으로 운영하여 현장 기술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한다.

- 핵심 분야 육성을 통한 첨단 교육

- 7 -


4대 성장 핵심 분야 (나노 소자 및 차세대반도체, 모바일 미디어 및 무선통신 기술, 디스플레이, 자동차/IT 융합기술)에 사업단의 자원(신임교원 포함)을 집중하며 대형 중, 장기 산학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통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한다.

- 학제전공 겸임교수 제도 활성화를 통한 융합 교육 BT, NT, CT, 미래형 자동차 분야 등 IT 관련 융합분야와의 학제적 교류를 위하여 겸임 교수 제도를 활성화하 시킨다.

사.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제도 개선 - 우수 대학원생을 모집하기 위하여 핵심 연구 주제와 혜택을 미리 공개하고, 석박사 학위를 단기에 취득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한다. - 외국 저명 대학과 복수학위제 또는 공동학위제를 시행하여 우수 학생을 유치한다.

아. 지원 조직 강화

- 교수가 연구/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지원조직을 강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특허/계약 지원, 학과 홍보, 기획, 졸업생 관리 등의 고급 인력이 필요한 지원 업무를 수행 한다.

- 취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을 운영하며, 국제적 취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해외유명기업 인턴 제도를 지원하며 해외기업의 취업설명회를 꾸준히 유치한다.

【작성방법】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를 교육 역량 향상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제시 2)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단만의 우수하고 차별화된 비전과 목표를 제시

- 8 -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계획

- 미래 지향적 6대 전공 분야별 체계적 교과과정 구축: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 Circuits and Systems,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Communications,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 Signal and Systems분야 - IT Convergence Systems 교과과정 신설 및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 도입 - 현장 밀착형/산업 연계형 교육 강화 - 리더십/ 윤리 교육 강화 및 논문 작성법 교육 강화 - 강의 평가 내실화 및 우수 강의상 제도의 확장적 활용 (우수 강의 사례 DB화 및 우수 강의 콘텐츠의 대외 공유) - 양방향 인터랙티브 교육 등 선진 교수법 도입을 통한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 가. 교과목 체계 구축 내용 및 계획 ■ 교과 과정 구성 목표 및 개요 전기및전자공학과는 급변하는 시대적, 사회적, 국가적, 세계적 요구사항에 부응하 도록, “창의적 글로벌 IT 핵심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비전을 세우고, 이론과 창의력, 문제 정의 및 해결 능력, 그리고 리더십과 윤리의식을 겸비한 융합시대의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선, 창의력, 산학협 동, 실제적 공학문제해결, 설계구현 시험능력 등을 필요로 하는 전공/기술적 능력과, 동 시에 인류를 이해하는 윤리의식, 의사소통 능력, 협동심 및 지도력을 필요로 하는 전공 /기술 외적 소양이 요구되는 바, 전공/기술 분야 능력 함양에 필요한 전공 교과 과정과 연구윤리, 논문작성법, 리더십 교육 등에 초점을 특수 프로그램 및 필수 교양 과정을 균 형있게 운영하고 있다. ■ 6대 전공 분야별 교과 과정 구성 및 졸업 이수학점 본 학과의 대학원 졸업 학점은, 석사의 경우 24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연구학점 포함 36학점 이상, 박사의 경우 42학점 이상의 교과학점과 30학점 이상의 연구학점을 포함한 72학점이다. 전기 전자 정보의 다양한 시대적 요구와 발전을 담고자, 기초에서 최신 응용에 이르는 다양한 대학원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희망에 따라 적절한 분야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특히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크게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 Circuits and Systems,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Communications,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 Signal and Systems의 6대 분야를 설정하고 이들 분야에 대하여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 으며, 해당 분야별로 각 5~10여개의 500 단위 이하의 핵심 개론 과목과, 각 10~20여개 의 600-800 단위 전공 심화과목 및 특강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상세 교과목 개설 내역 은 확장표 II-2-1 참조) 대학원 교과목의 효율적 편성을 위하여 학사 과정 교과목 편성 이 연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므로, 학사 과정도 일관되게 동일 6개 분야로 나누어 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그룹화는 MIT, Stanford 등 미국 우수 대학에서도 비슷하게 시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MIT의 전기전자 전산학과 (EECS) 경우, 전기 및 전자 분야 5개, 전산 분야 1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확장표 II-2-1> 전공분야별 교과목 현황 분야

교육목표 및 내용 개요

나노소자 및 집적시스템 o 집적회로 소자 개론, 공학자를 위한 현대물리, MEMS 전자공학, 유기전자공학, 디스플레이 공학, 태양광발전 교과목을 기반으로, 고체물리, CMOS 프론트-엔드 공정기술, 고주파 전자소자, 초고주파 집적회로, 밀리미터파 집적회로설계, 반도체 광전자소자와 응용, 고급 MOS 소자 물리, 나노 전자 소자 양자 엔지니어링, 플라즈마 전자 공학을 희망 전공 분야에 맞춰 이론과 실기를 터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강을 통해, 신개념, 신구조, 신소재, 신 공정 기반의 첨단 기술을 습득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500 단위 이하

EE509 연구논문작성 법 EE561 집적회로소자 개론 EE563 디스플레이공 학 EE565 공학자를 위한 현대

물리

600, 700 단위 EE641 적회로 EE643 적회로

초고주파 집 밀리미터파집

설계

800 단위 EE867

EE868 고체물리특강 EE877 집적회로특강

EE647 나노 포토닉스 EE661 고체물리 EE663 고주파전자소 자 EE665CMOS프론트앤드

EE566 MEMS 전자공 학

공정기술

EE567 태양광발전

EE568 유기전자공학 EE569 나노바이오 전자공학

EE666반도체광전자소 자와 응용 EE746 레이다 시스템

EE762 고급MOS소자 물리 EE764나노전자소자양 자 엔지니어링

물리전자특강


분야

교육목표 및 내용 개요

EE766 플라즈마 전자 공학 EE768 플렉시블 전자 공학

o 전자파의 산란, 회절 및 복사, RF대역에서 초고주파 대역과 서브 밀리미터파 대역까지의 안테나, 회로, 패키징, 시스템 등 마이크로파 관련 분야와 양자 광전자, 광통신, 양자통신, 집적 광소자 및 광원, 레이저 초정밀 가공, 생체광전자 등 광 관련 분야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과 심층연구를 통해 심도 깊은 이론과 응용 능력을 습득

500 단위 이하

600, 700 단위 EE641 초고주파 집적 회로 EE643 밀리미터파집 적회로설계 EE645 무선 송수신 시스템 EE647 나노 포토닉스

EE509 연구논문작성 법 EE541 전자장이론 EE542 마이크로파공 학

EE543 안테나 공학

EE546 장및파동론

EE555 광전자공학

EE746 레이다 시스템 EE757 비선형광섬유 광학

EE758 광 통신망

분야

교육목표

마이크로파 및 광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800 단위 EE847

전자기특강

EE857 광공학특강

EE652 광통신공학

EE666 반도체 광전 자소자와 응용 EE742 전자파를 위한 광선법 EE745 EMI/EMC설계 및 해석

신호 및 시스템

o 영상 및 음성 처리, 적응 신호처리 등 신호 처리 관련 분야와 패턴 인식, 기계학습, 인공지능, 신경회로망 컴퓨터, Brain IT 등 지능 관련 분야, 그리고 제어시스템 설계, 로봇 지능화 및 시스템 설계, 산업 자동화 시스템, 전력변환회로, 전동기 구동시스템 등 로봇 및 제어 관련 분야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과 심층 연구를 통해 이론적 깊이를 더하고 알고리즘 및 시스템 디자인 능력을 습득


및 내용 개요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500 단위 이하 EE509 법

연구논문작성

600, 700 단위 EE622

검출 및 추정

EE528공학확률과정 EE531통계적학습이 론 EE532 브레인 IT개 론 EE533 디지털 음성 처리

EE623 정보이론

EE628 템

영상통신시스

800 단위 EE817 컴퓨터공학특 강 EE837 신호처리특강 EE838 영상공학특강

EE634 패턴인식

EE887로보트특강

EE635 뇌기능영상

EE888 제어이론특강

EE535영상처리

EE636 처리

EE897 전력전자특강

EE538 신경회로망

EE637음성및오디오

EE898 특강

EE548신호처리를위한

행렬계산

EE581 선형시스템

부호화 이론 EE667 다중 시점 기 하학 EE681 비선형제어

EE582 디지털제어 EE594 전력전자시스 템

디지털비디오

EE682 지능제어이론

EE683로보트제어

EE688 최적제어이론

EE731 적응신호처리 EE733 다표본신호처 리 EE734 영상이해

EE735컴퓨터를이용한

시각기법

EE737 의료영상공학 EE738 음성인식 시스 템 EE739 인지정보처리

EE785 강인제어이론 EE788 로보트인지 및 계획 EE791전력변환회로및

시스템

분야

교육목표 및 내용 개요

EE783 적응제어이론

지능정보처리

컴퓨팅, 네트워크 및 보안 o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시스템소프트웨어 설계, 병렬 처리, 네트워킹 기술 및 응용, 인터넷망,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망 최적화, 컴퓨터 및 전자기기 보안 분야를 세부 전공 분야에 맞게 학습한다. 각 분야별 기본 이론 및 실제를 습득하되, 최신 연구 결과와 접목하여 창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토양을 갖추는 데 목표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500 단위 이하

EE509 연구논문작성 법 EE513 네트워크 시스 템 및 보안

EE515 보안 공격론

EE516 임베디드 소 프트웨어 EE520 정보통신네트 워크 EE527 데이터통신

EE528 공학 확률과정

분야

교육목표 및 내용 개요

600, 700 단위 EE612 이산사건시스 템 모델링 시뮬레이션 EE613 분산컴퓨팅시 스템 EE614 서비스지향형 컴퓨팅시스템 EE624 셀룰라망 시스 템 및 프로토콜 EE627 통신망 성능분 석 EE650 통신망 최적화 기법 EE655 통신망 경제

800 단위

EE817 강

컴퓨터공학특

EE657 근거리통신망 EE658 큐잉이론 및 응용 EE659 무선망 프로토 콜 및 해석 EE691 통신망 관리 EE692 병렬분산 알고 리즘 EE727 광대역네트워 크 설계 및 분석

통신

o 공학확률과정, 검파및추정, 정보이론, 부호이론, 통신이론, 최적화이론, 대기이론, 선형시스템, 이동통신시스템, 무선통신시스템, 네트워킹 기법 및 응용, 셀룰라망 시스템 및 프로토콜, 통신망 해석, 데이터통신, 통신신호처리, 통계학적 신호처리와 같은 과목을 바탕으로 통신의 기초 이론과 고급 이론을 익히고, 이를 응용하여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500 단위 이하

600, 700 단위

EE621

EE622 검출 및 추정

EE837 신호처리특강

EE509 법

EE623 정보이론

EE522 통신이론

EE624 셀룰라망 시스 템 및 프로토콜

연구논문작성

부호이론

800 단위 EE827

통신특강


EE527 데이터통신

EE528 공학 확률과정

EE539비선형통계학적

신호처리

EE581 선형시스템

분야

교육목표 및 내용 개요

EE755 고급 부호이론

EE756 고급 정보이론

EE731 적응신호처리

회로 및 시스템 o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설계, VLSI 설계기법, 유무선 통신 회로 및 시스템 설계, 바이오 및 그린에너지 회로 및 시스템 설계 등 기초 및 첨단 응용분야의 설계기술을 습득

단위별 교과목 개설 현황

500 단위 이하 EE509 법

연구논문작성

EE511 전산기 구조

EE571 전자회로특론 EE573 VLSI시스템개 론 EE574 VLSI를 위한 CAD

EE626 고급통신이론 EE627 통신망 성능분 석 EE629 이동통신공학 EE631 고급디지털 신호처리 EE654 다중안테나 무선통신 EE658 큐잉이론 및 응용 EE686 최적화이론 EE696 통신소프트웨 어설계 EE722 고등 검파론

600, 700 단위 EE641 초고주파 집적 회로 EE643 밀리미터파집 적회로 설계 EE645 무선 송수신 시스템 EE676 아날로그집적 회로 EE678 디지털집적회 로 EE679 통신용 아날로 그 및 혼성회로

800 단위

EE878VLSI특강

나. 강의 평가 운영 및 환류 실적 본 사업단은 상기의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체계적 강의평가 등 을 통해 교육 내용의 질적 개선을 꾀하고 있으며, 영어 강의 컨설팅 및 비디오 촬


영 등을 통해 글로벌 교육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각각의 운영현황 및 계획 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강의평가 운영 현황 1995년 봄 학기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학사, 석사, 박사과정에 개설된 모든 교 과목에 대하여 강의평가를 실시해오고 있으며, 그동안 강의평가제를 시행하면서 꾸 준히 방법을 개선, 보완하여 왔다. (확장표 II-2-3 참조) 2002년 가을학기부터는 웹 기반 강의평가로 전환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고 강의평가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09년도 봄 학기 부터는 설문항을 아래와 같이 9 분야의 문항 (기존 15문항)으로 단순화하되, 주관식 형태의 종합적인 의견란을 추가함으로써, 설 문항에 표현되지 못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필수문항 : 구성, 이해도, 분위기, 기여도 ○ 선택문항 : 영어강의여부, 수업준비, 실습시간, 조교 ○ 종합적인 의견 또한 2012년도 가을학기부터 중간 강의 평가제를 추가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의 피드백이 학기 후반부의 강의에 즉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확장표 II-2-3> 최근 3년간 KAIST 강의평가 시행 실적 학기 2013 봄 2013 가을 2014 봄 2014 가을 2015 봄

교과목수 (분반 포함) 1,169 1,110 1,131 1,127 1,148

총 수강학생 수(명) 33,656 31,597 32,489 30,747 21,137

강의평가

참여 학생

참여학생 수(명) 29,223 26,658 27,013 25,156 25,948

비율(%) 86.83 84.37 83.15 81.82 80.74

■ 강의 평가 환류 현황 및 실적 ○ 강의 우수교원/ 조교 시상 및 교원 인사 평가 자료 활용 과목별 강의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의견을 웹에서 즉시 볼 수 있도록 하여 피드백 이 이루어지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현장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강의 평가 결과를 학과(전공)에 통보하여 교수법의 개선유도 및 교원인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 있다. 또한 강의 평가 결과에 따라 매년 우수 강의과목에 대하여 우수강의상을 수


여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수강의상은 교양과목, 기초과목, 학사과목, 대학원과목, 영어강의 과목으로 구분 평가하여 선정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결과를 교수평가의 중요 항목으로 포함, 활용하고 있다. 학과 자체적으로도 원에서 실시한 강의평가 결과를 바탕 으로 별도의 우수 강의상 제도를 운영하며, 강의 질 개선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있 다. 또한, 우수 조교상 제도를 실시하여, 대학원 학생들이 적극적 수업 지원 등을 통해 미래의 창의적 교원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우수조교상은 학사/석사 교 과목 조교로서 충실하게 조교 활동을 한 대학원생들을 선발하여 시상하는데, 시상 대상 자는 과목 수강생들과 과목 담당 교수의 평가를 통하여 선정된다.(최근 3개년 우수 강 의상 및 우수 조교상 수여 현황은 확장표 II-2-4, 확장표 II-2-5 참조) <확장표 II-2-4> 우수강의상 수상 실적 학기

2013 봄

2013 가을

2014 봄

2014 가을

교과목 과정 학부

담당교수 조병진

담당교과목 반도체 집적회로 기술 VLSI 특강

대학원

유회준

<Wearable Healthcare

학부

유형준

대학원

원용협

System> 무선공학 반도체 광전자소자와

실험 학부

유승협, 유종원, 최성율 이상국

대학원

조성환

학부 대학원 실험

김병국 성영철 김준모, 유경식

응용 전자디자인랩 전자회로 통신용 아날로그 및 혼성회로 임베디드 시스템 검출 및 추정 전자설계 및 실험

<확장표 II-2-5> 우수조교상 수상 실적 학기 2013 봄 2013 봄 2013 가을 2014 봄 2014 봄 2014 가을 2014 가을 2014 가을

담당조교 정진 임백민 서효원 정수황 조지혁 김덕화 이승원 이동일

과정 박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과정 박사과정 박사과정

담당교과목 전자디자인랩 전기공학 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 및 실험 전자디자인랩 전기공학 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실습 전자설계 및 실험 전자설계 및 실험

○ 교수법 향상 지원 및 영어 강의 컨설팅

지도교수 유승협 이상국 정세영 하정석 박인철 김종환 송익호 최양규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방법에 대한 세미나나 강의에 참석하도록 권장하고, 특히 지속적으로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 방법 세미나 수강 을 실시하고 있으며, 영어강의 개인교습, 영어강의법 세미나 개최 (Seminar for teaching in English (ST)), 강의법 향상을 위한 Video 촬영 및 Review 등 다양한 방 법으로 교수법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 학생 강의평가에 근거한 실험실습 장비확충 학생들이 실험 과목을 통해 기본기술과 최신 응용기술을 균형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문 조사 등을 통하여, 낙후된 장비의 교체나 새로운 장비에 대한 수요 등을 항상 점 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 장비를 개선, 확충하였다. (확장표 II-2-7 참조) <확장표 II-2-7> 실험실습 장비 확충 실적

(단위: 대)

2013 장비명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 Power Supply PC Lab Bench

보유 126 123 114 145 114

2014 추가 (폐기) 0 0 8 (8) 79 (85) 0

보유 126 123 114 139 114

현재 추가 (폐기) 11 (11) 0 0 0 0

보유 126 123 114 139 114

■ 강의 평가 제도의 내실화와 사후 조치 연계를 통한 교수법 향상 ○ 강의 평가제도 및 사후 조치 내실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중간 및 최종 강의 평가 제도를 보다 보완하여 많은 학 생이 강의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며, 특히 최근 도입된 중간 평가 제도를 잘 활용하 여 교수법 개선에 바로 반영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적극적 참여를 유 도한다. 또한 중간 평가 결과에 대한 조치 내용을 공유토록 하여, 실질적인 교육 질 개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 방법에 대한 세미나나 강의에 참석하도록 권장하고 지속적으로 강의 평가가 낮은 교수에 대해서는 교육 방법 세미나 수강을 의무화 한다. 특히 학교적 차원에서 추 진되고 있는 “창의적 교수법 개발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하여 사회/문화적 성 향 변화에 따른 교육 방법론을 개발하며, 학생이 참여하는 능동적 강의로 전환하 고, 선진화된 교육 기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우수강의 시상과 성과 공유


우수강의와 우수조교에 대한 시상을 3개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야별로 평가하여 선정/시상하며, 강의의 질적 향상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고취해 가되, 우수강의 사례와 교수법을 공유하여 학과 전반에 걸쳐 교원 전체의 강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우수 강의상 수상자의 일부 강의 녹화본이나 강의노트/ 발표 자료 발췌본을 모범 사례로 DB화하여, 우수 교수법 사례를 축적, 공유해 간다. 또 한, 우수강의에 대해서는 녹화 방식이나 Education 3.0 양방향 교육 시스템 등을 통해 산업체 연계 강의 등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등 산업계 기술력 향상과 사회 전 반에 걸친 기술 확산에 기여해 가도록 한다. ■ TA 제도 내실화 기존의 채점 지원 등 소극적이었던 강의조교(TA)의 역할을 확장하여, 연습 강 의 (recitation) 수행, 소그룹 튜터링 등을 수행하여, 보다 능동적인 교육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특히 Education 3.0 과 같은 양방향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잘 활용하 여, TA가 교수-조교-학생으로 이어지는 주요 구성원으로서 참여토록 함으로써, 교 육 내용 자체의 내실화를 꾀함과 동시에, TA를 수행하는 학생의 지식 전달 능력을 함양하는 2차적 교육효과를 도모한다. 나. 논문 작성법 강의 개설 계획 및 글로벌 수준의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교육 ■ 연구윤리 규정 제정 및 확산 오늘날과 같은 국제적 경쟁 시대에 글로벌 수준의 연구윤리 확보는 연구 내용 의 질적 수준 향상 못지않게 중요한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교에서는 명 문화된 연구 윤리 규정을 마련하였고, 연구윤리 가이드라인을 상세하게 설명한 책 자를 발간하여 모든 연구실에 배포한바 있다.

■ 논문 작성법 강의 개설 및 연구윤리 교육 강화 본 사업단에서는, 2005학번 이후 석사 학생부터, 기존의 석사논문세미나 과목 을 대체하여, 신설 과목인 ‘연구논문 작성법’을 졸업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석·박 사 학위과정에 대한 이해, 연구·실험에 임하는 자세, 윤리 및 방법, 발명·특허에 대 한 도출 및 작성법, 연구논문 및 보고서 작성법, 케이스 스터디 등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석·박사 학위과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참고 문헌의 인용 방법 및 표절 방지책 등을, 실제 논문이나 학회


발표 문건 작성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과 연계하여 지도함으로써, 현장 밀 착형의 연구윤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중점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연구윤리 관련 사건들의 실례를 들어 교육함으로써, 연구 초년생인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평생의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외에도 학교

차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이수

교과목인

“윤리

안전”

(http://eethics.kaist.ac.kr)” 교과목이 진행되고 있다.

■ 연구윤리 교육 향후 보완책 상기의 필수 교과목을 통한 연구윤리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함과 동시에, 대 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중에 연구 윤리에 대한 강의 를 추가하고 연구 윤리 규정을 준수하겠다는 서약서에 서명하게 함으로써 입학과 동시에 연구 윤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다. 교내‧외 학과 간 공동 교과목 개발 및 교과과정 다양화 계획 ■ 교내‧외 학과 간 공동 교과목 개발 현황 본 사업단은 융합 학문의 연구를 주도하기 위하여 타 학과들과 공동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타 학과들과 10여개의 공동 교과목을 개설하였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교과목 개설을 예정하고 있다 (확장표 II-2-x 참 조). <확장표 II-2-8> 공동 교과목 개설 현황 개설학기

과목번호

과목명

공동개설학과

2013 가을

EE512

시스템프로그래밍

미래자동차학제전공

2013 가을

EE515

보안 공격론

정보보호대학원

2013 가을

EE623

정보이론

정보보호대학원

2014 봄

EE403

아날로그 전자회로

미래자동차 학제전공

2014 봄

EE531

통계적 학습이론

정보보호대학원

2014 봄

EE827

통신특강 <차세대 위성항법 시스템 개론>

조천식 녹색교통대학원

2014 봄

EE515

보안 공격론

정보보호대학원

2014 가을

EE623

정보이론

정보보호대학원


2014 가을

EE877

집적회로특강 <메모리 & SoC 기술>

반도체 학제전공

2015 봄

EE403

아날로그 전자회로

미래자동차 학제전공

2015 봄

EE415

2015 봄

EE807

2015 봄

EE807

전기공학특강 <전자공학자를 위한 해석학>

수리과학과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금융공학부전공프로그램

2015 가을

EE594

전력전자시스템

미래자동차 학제전공

2015 가을

EE807

전기공학특강 <기계학습이론>

수리과학과

전자공학을 위한 운영체제 및 시스템 프로그래밍 전기공학특강 <양자정보 및 보안통신>

미래자동차 학제전공 정보보호대학원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교육과정 신설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트 센서 시스 템, 통신-전력전자 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며 기존의 6대 분야와 관련된 그룹에 소속된 교수들이 협동하여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교육과 정을 신설한다. 1차년도에 아래 실라버스와 같이 EE212 “전자설계실습” 과목을 새롭게 개설하여 학생이 팀을 이루어 주도적으로 큰 주제를 우선 정하고, 이를 위한 실 험 내용을 구상하고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통합 시스템을 독창적으로 설계하도록 하였 다. 향후 이와 같은 IT 융합 과목을 더 신설할 계획이다.

※ 전자 설계 실습 ※ SYLLABUS Classification

Major elective

Course Code

EE212

Course Name

Korean

전자 설계 실습

Course Name

English

Electronics Design and Practice

Name

Jong-Hwan Kim

Lecture:Exp.:Credit(Homework)

1:6:3(6)

Mutually ( BS )

Recognized Course(BS/MS) :

Descriptions

Term :

Fall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how to


of Courses

develop a home service robot capable of interacting with humans or pets. Students will learn how to use the development tools required to build their own robots. The course will deal with robot architecture, behavior, locomotion, internal state, sensors, actuators, embedded system, human-robot interaction, and remote interactions using an Android smartphone. The eventual goal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a robot that thinks with the mechanism of thought for behavior selection.

* Schedule Topics Period Lecture

Lab

1 Week

Home service robot development

Linux basics and Beaglebone-black test

2 Week

Embedded systems in robotics

Ubuntu setting on Beaglebone-black

3 Week

Robot actuators manipulation

4 Week

Human-robot interaction for social robots

5 Week 6 Week

for

mobility

and

Robot locomotion Robot sensors awareness

Dynamixel and servo motor Robot frame design and assembly Robot behavior programming

for

environment

Touch, IMU, camera sensors, audio and stimulus-response mapping

7 Week

Robot internal state

8 Week

Mid-term exam week

9 Week

Robot behaviors

Overall system programming

10 Week

Remote interactions using an Android smartphone

Smartphone programming I

11 Week

Behavior-based architectures

Smartphone programming II

12 Week 13 Week

Ethological modeling and architecture for an entertainment robot The mechanism of thought

Internal state programming

Design and development Design and development

14 Week

Two-layered confabulation architecture for behavior selection

15 Week

Design and development

16 Week

Report on research and demonstration instead of final exam

Design and development


■ 창의 설계 교육 강화 ○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 신설 기존의 수동적이고 Bottom-Up 방식이었던 실험 교과목 이수에서 벗어나, Top-Down 형태의 구성으로 학생이 팀을 이루어 주도적으로 큰 주제를 우선 정하 고, 이를 위한 실험 내용을 구상하고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통합 시스템을 독창적 으로 설계하는, 자율형 창의 IT 융합 시스템 설계 교과목을 신설한다. 학점 부여 외에도 우수 설계 작품이나 우수 협력 연구에 대한 시상과 외부 공모대회에 제출 독려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느끼게 하고, 동시에 협력연구 및 지식 공 유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 발전 본 학과는 전자 정보 기술을 통한 산업 발전 기여를 지향하는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50여명의 대학원생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 으로 선발하고 있다. 향후 7년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전적으로 운용하고, 새 로이 요구되는 산업분야에 신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매년 70여명 규 모로 확대하고자 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의 현황 및 계획 은 다음과 같다. ○

반도체공학프로그램

(KEPSI

:

KAIST

Educational

Program

for

Semiconductor Industry) 반도체공학프로그램은 21세기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기술 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1996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연구 분야로는 VLSI 회로설계, 차세대 반도체 설계 및 소자이며, 그 동안 본 프로그램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고급 기술 인력들은 기업 내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KAIST와 참여기업((주)하이닉스반도 체)는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2008년 1월에 참 여 학과를 확대하여(전기및전자공학과, 물리학과, 신소재공학과) 재협약을 맺고 반 도체공학프로그램을 연장하였다. 참여학생은 교육경비 전액, 논문연구비, 해외교육 훈련비, 매월장학금지급 등을 지원받으며, 졸업후 하이닉스로 취업이 보장된다. 1차 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7명, 박사과정 1명 배출, 2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8명 배출하였으며 앞으로 100명의 석·박사급 인력(박사급 40%) 을 추가로 양성할 계획이다.


○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 (EPSS : Educational Program for Samsung Semiconductor)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은 "메모리 및 시스템 LSI 분야"의 반도체 설계 및 소 자, 공정 관련 핵심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삼성전자㈜와 KAIST 내 5개 학과 (전기및전자공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2006학년도 석사 신입생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109명의 석사과정 신입 생을 선발하여, 이중 37명이 졸업하여 참여기업에 입사하였고, 72명이 석박사 과정 에 재학 중이다. 1차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18명, 박사과정 6명 배출, 2 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27명, 박사과정 3명 배출하였다. 앞으로 반도 체 학제전공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통해 향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240명의 석·박 사급 인력(박사급 30%)을 양성할 계획이다. ○ LG Display 교육프로그램 (LGenius : LGenius Program) KAIST와 LG Display(주)의 맞춤형 선발 및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 를 겸비한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체와의 협력 프 로그램으로 2012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기 시작하였다. 참여기업인 LG Display (주)의 공동 논문 지도 위원 및 인턴십 등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KAIST의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고도의 학제 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스플레이 분야의 고급핵심 인력을 공동 육성하여 안정적·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6명 배 출, 2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4명 배출하였다. ○ 향후 산학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발전 및 신규 추진 계획 현재 집중되어 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 쳐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추진하며, 중소기업으로도 수요기업을 확대해간다.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국제적 수준 의 경쟁력을 가진 창조적 실무적 인재를 양성한다. ■ 리더십 교육 강화 본 사업단은, 이공계 인력의 진출 분야 확대에 따른 경제, 문화적 능력 요구 의 증대, 과학 기술인의 사회적 리더 역할 요구 증대라는 미래 시대의 사회적 기대 에 부응코자,“리더십을 갖춘 미래지향적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목표로, 리더십 교


육을 강화해 왔다. 특히, 공학적 내용의 초청 세미나로 이루어진 교과목뿐만 아니 라 리더십 교육과 인성 교육을 추구할 수 있도록 ‘리더십 강좌’, ‘CEO 강의’ 등의 초청 세미나 과목을 개설해왔으며 (확장표 II-2-2 참조), 향후 이를 지속적으로 운 영 발전시켜, 학생들이 졸업 후 미래사회의 통섭형 인재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확장표 II-2-2> 석사과정 리더십 강좌 개최 일시

연사

소속

제목

2014-03-05

이병태

KAIST경영대학

2014-03-12

이상곤

전. 대구한의대 안이비인후과

인류 거대사의 관점에서 바라 본 기술혁명과 미래 조선 왕들을 통해 본 한의학적 건강법

2014-03-19

정은승

삼성반도체연구소

반도체의 과거, 현재와 미래

2014-03-26

손욱

기술경영솔루션센터

세종의 생생지락과 창조 리더쉽: 행복나눔125

2014-04-02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호모 모빌리안스

2014-04-09

정윤

한국과학영재학교

LeonC hua Yasuy uki Nakaji ma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일본KDDI 사장

Paradigm Shifts in Smartphone Era

2014-04-30

최치준

삼성전기 사장

학문에서 과학적 방법의 중요성과 보편성

2014-05-07

한국현

삼영기계㈜ 전무이사

도전과 창의

2014-05-14

김희중

한국나노기술원

2014-05-28

유욱준

KAIST의과학대학원

과학기술계의 미래 유망직업과 준비 인류의 탄생과 확산, 인간수명의 연장

2014-06-11

윤홍식

홍익학당

양심힐링 - 양심이 답이다

2015-03-11

남궁연

크리에이터, 드러머

Digital+Analog=Dialog 2.0

2015-03-18

최형욱

매직에코 대표

IoT, 연결이 만드는 변화

2015-04-01

주일우

문학과 지성사 대표

공학자와 예술적 상상력

2015-04-15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세상을 바꾸는 글로벌 스타트업

2015-04-29

박용후

PYH 대표

관점을 디자인하라!

2015-05-13

최재천

국립생태원 원장

Good fences make good neighbors

2014-04-16 2014-04-16

글로벌 시대에 대응한 세계1등 전략 Memristor : New Device With Intelligence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 닥터 U와 함께 몸맘삶훈련원

뇌과학과 인공지능 사회의 미래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관점과 실천의 몇 가지 포인트

조웅래

(주)선양

역발상을 다시 역발상하라! 세상을 바꾸는 逆 創 樂

2013-10-11

김재박 감독

한국프로야구

노력한 자만이 성공한다

2013-11-01

한명기

명지대학교

G2 시대에 돌아보는 조선의 국제관계

2013-11-08

예능인

지금은 선물이다

2013-11-22

유영숙

前 환경부 장관

과학리더에서 국정리더로

2013-11-29

배명헌

예비역 육군 소장

꿈, 희망 그리고 성공하는 사람

2014-03-21

이인식

지식융합연구소장

창조적융합

2014-03-28

신혜수

UN 인권정책센터

2014-04-04

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글로벌 이슈, 유엔 그리고 한국 다중 위기시대를 준비하는 선각자들

2014-04-11

서거원

대한양궁협회

도전과 성취 그리고 열정

2014-04-18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수

세계를 향한 무한도전

2014-05-09

나희덕

조선대학교 교수, 시인

시와 예술적 상상력

2014-05-30

이요셉

한국웃음연구소

인생을 바꾸는 웃음전략

2014-09-19

김성오

행복한 성공

2014-09-26

김영세

메가넥스트 대표이사 / “육일약국 갑시다” 저자 산업디자이너 / 이노디자인 대표

사람에 대한 관심, 디자인

2014-10-31

윤윤수

휠라코리아 회장

기업가 정신

2014-11-14

윤용이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고려청자의 세계

2014-11-21

인세반

유진벨재단 회장

민간 리더십과 북한 지원

2014-11-28

곽금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공감과 성공

2014-12-05

변영주

영화감독

최선을 다해서 행복해지자

2015-03-13

장대환

매일경제 회장

2015 세계경제 전망, 2015 Global Economic Outlook

2015-04-03

김대식

KAIST 교수

뇌과학과 인공지능의 미래

2015-05-27

김대식

2015-06-10

윤영민

2013-09-27

유태우

2013-10-04

내 몸과 삶을 내맘대로 하라


2015-04-10

김갑수

문화평론가, 시인

상상력을 향한 두 개의 문

2015-04-17

하종강

성공회대학교 노동대학 학장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기술경영 솔루션센터장

미래를 준비하는 인문학, 노동인권 세종대왕 리더십과 행복나눔 125

2015-05-15

손욱

2015-05-22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다산의 생애와 사상

2015-06-05

김순권

농학자,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세상을 바꾸는 사람이 될 수 있다


2.2 학사 단위 관리제도 및 학위 수여 제도의 선진화 계획

- 입시-학위취득에 이르는 명문화되고 체계적인 학사관리제도 - 학생 선호 우선의 지도교수 및 연구실 선정 방법 - 조기 논문 계획심사, 지속적 교육/연구 관리제 ("Black Friday") 등 학위취득 기간 단 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국제화 지향 객관적 석,박사 학위논문 심사 제도 - 석박통합 과정 운영을 통한 유연한 교육 커리큘럼 운영 - 연구논문작성법 교과목 등을 통한 체계적 논문작성 교육 및 연구윤리 교육 가. 학사관리제도 개요 본 사업단은 선발에서부터 지도교수 선정, 교육 및 학사 관리, 평가 및 졸업에 이르는 모든 프로세스가 명문화 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적인 학사 관리 프로세스를 시 간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시요강 공고 → 2) 서류 심사 및 사정, 면접 평가 및 사정 (입시위원회) → 3) 합격자 공고 및 초두교육 → 4) 지도교수 선정 및 연구실배정 → 5) 석사학위논문계획 제출 → 6) 졸업예정 명단파악 및 예비사정 → 7) 석사 학위 논문심사 (심사위원회) → 8) 논문심사 결과 교학팀 송부 → 9) 석사 학위 취득 및 박사 진학 (해당학생) → 10) 박사 자격시험 실시 (학생위원회) → 11) 박사 학위논문계획서 구두심사 (심사위원회) → 12) 결과보고서 취합 및 결과 입력 → 13) 졸업예정자 명단 파악 및 예비사정 실시 → 14) 박사학위청구 논문심사 (심사위원회) → 15) 박사학위 수여 심사 및 대상자 선정 (박사학위 심의위원회) → 16) 심사결과 교학팀 송부 → 17) 박사학위 취득 나. 학사관리제도 세부 사항 ■ 입학 전형 대학원 입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입시 요강 안내 및 공고 → 교수별 학생배정 준비 작업 (T/O 수요 조사 및 실적 평 가 등에 따른 T/O 배정안 마련) → 입학전형위원 위촉 → 서류심사 → 서류심사 합격자 결정 → 면접 심사 → 최종합격자 사정 → 합격자 공고 ○ 1차전형인 서류전형 (영어성적 포함)과 2차전형인 면접심사는 균등하게 배점되며, 최


종적으로 이에 바탕하여 종합평가가 진행된다.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는 학과단위에서 주관하여 실시되는데, 1차 합격자는 학과(전공) 교수회의에서 최종사정토록 하며, 최종합격자는 해당 모 집분야 교수회의의 심의를 거쳐 전체 학과장회의에서 사정한다. 서류심사 후 면접대상자를 결 정, 발표하며, 면접심사후 최종합격자를 결정, 발표한다. ■ 지도교수 선정 및 세부전공 선택 ○ 초두교육을 통한 연구실 연구내용 및 선정 과정 소개 합격자 발표 시점을 기해, 본 사업단에서는 1박2일간의 초두교육을 통해 학사 전반에 관 한 교육을 실시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도교수 선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책자 및 연구분야 별 대표교수 발표를 통해 각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연구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고 선정 절차에 대하여 교육함으로써, 입학생 모두에게 균등하게 기회가 확보되고, 각자 원하는 연구분야에 배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균등한 기회를 부여하고, 입학생 개인과 교수 및 연구 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Happy Marriage” 방법을 실 시하고 있다. ○ "Happy Marriage" 방식을 통한 연구실 선정 학생의 희망지도교수와 교수의 희망 지도학생의 지망 선호도에 의해 양자 모두가 원하는 매칭이 이루어진 연구실에 배정하는, “happy marriage" 형태로 연구실 배정을 함으로써, 최 대한 학생들의 희망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 배정 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 다. 1) 초두교육 + 1-2 일 : 입학생 희망지도교수 면담 및 연구그룹 목록 제출(학과사무실) 2) 초두교육 + 3일 : 신입생 희망 지도교수목록 해당 교수에게 전달 3) 초두교육 + 4일 : 교수별 희망 지도학생 목록 제출 4) 초두교육 + 5일 : 1차 랩배정 결과 발표 (학과 홈페이지) 5) 2차 랩배정 (필요시) ■ 박사학위 자격시험 박사학위 자격시험은 별도의 필기/구술 고사 없이 서류 전형으로 이루어진다. 학업 성적 과 학위 논문계획서를 위주로 평가하되 국내외 논문과 특허 실적 등을 정량화하여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평가항목은 1) 학업성적 2) 학위논문계획서 3) 기타 실적 (논문, 학회발표, 특허, 외부 수상 등)으로 되어 있다. ■ 학위 논문 심사 ○ 석사 논문 심사


석사과정의 학생은 입학 후 10개월 이내 학위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석사 논문 심사 위원회는 논문과 관련이 있는 KAIST 전임직 교원 중에서 총장 이 위촉하는 3인으로 구성한다.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위원 중 1인을 해당 분야 원외 전 문가로 위촉할 수 있다. 논문 심사 통과는 재적 위원의 2/3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제출된 논문 내용에 대해서는 구두시험을 실시하며 판정은 합격과 불합격으로 한다. (세계 우수대학 의 석사 논문 심사 방법 확장표 II-2-8 참조) <확장표 II-2-8> 글로벌 우수대학의 석사논문 심사 방법 요약 학교명

논문 심사 ① 석사 논문이 없으며 교과과정 이외의 individual work 수행 (학위취

Stanford

득을 위한 필수요소는 아님) ① 석사 논문은 있으나 심사를 따로 받지는 않음

MIT

② Conference 형태의 발표회를 가지지만 발표는 의무사항이 아니며 우 수 논문에 대해서 논문상을 주고 있음 ①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거나 실험연구보고를 하는

UC Berkeley

두 가지 방법이 있음 ② 석사논문심사를 받을 때는 지도교수 포함 총 3인으로부터 논문 검증 을 받으며, 3명 중 한명은 논문과 전공이 달라도 용인된다.

○ 박사 논문 심사 박사과정의 학생은 입학 후 2년 이내에 학위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얻 어야 한다. 학위 논문 심사 위원회는 계획서를 1개월 이내 심사하여 승인여부를 결정하며, 박 사 학위논문은 졸업학기에 따라 졸업 최종학기 4월말과 10월 말까지 각각 제출한다. 박사 학 위 논문 심사 위원회는 논문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KAIST 전임직 교원 중에서 5인으로 구성 하며, 위원 중 2인까지 해당 분야 원외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다. 논문 심사 통과는 재적위원 의 2/3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제출된 논문 내용에 대해서는 구두시험을 실시하며 판정은 합격과 불합격으로 한다. (세계 우수대학의 박사 논문 심사 방법 확장표 II-2-9 참조) <확장표 II-2-9> 글로벌 우수대학의 박사논문 심사 방법 요약 학교명

논문 심사 (Qualifying exam 합격률: 50~60%, 해마다 수행, 재시험 가능) ① 심사는 누구나 들을 수 있는 open session과 심사위원만 참석하여 질문하 는 private session으로 진행됨. 총 발표시간은 3시간 이내로 규정된다. ② 심사위원회는 최소 4인 이상으로 구성되며, 지도교수는 심시위원장이 될

Stanford

수 없다. ③ 심사통과 기한은 학위취득을 위한 나머지 모든 자격요건이 충족되는 날로 부터 1년 이내이어야 한다. ④ Proposal 단계는 없으며 defence가 끝난 후에 draft를 작성함. 작성한 draft에 대해서 심사위원은 엄밀한 proof-reading을 수행하여 사인한다. ⑤ Defence 시 논문 게재 등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음.


⑥ 박사 학위 기간은 평균 5.5년 (Qualifying exam 합격률: 70%, 2차까지 있음) ① 심사위원회는 지도교수를 포함하여 3~4인으로 구성하며 최소 2명 이상의 심사위원은 전공분야 교수이어야 한다. (research associate도 심사위원으로 MIT

참여 가능) ② Proposal은 보통 석-박사과정 4년째에 제출되며, 1~1.5년 정도 후에 defence를 함. ③ Defence 시 논문 게제 등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음 ④ 박사 학위 기간은 평균 4.5년

다. 학사운영 내규 및 기타 제도 구축 현황 학사운영 내규는 모두 명문화/제도화되어 있으며 또한 학사 운영 프로세스는 매뉴얼화 되어 있다. ■ 학위 취득 기간 장기화 방지제도 구축 현황 특히, 학위 취득 기간 장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9년 봄학기 입학생부터, 박사 재학 연한을 5년으로 단축하였으며 (1회에 걸쳐 1년만 연장가능), 박사 학위 논문 제안서 심사를 박사과정 진학 후 2년 이내에 하게 함으로써, 박사학위 주제 및 연구내용에 대한 구체화를 과 정 초기부터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학위취득 기간이 실질적으로 단축 될 수 있도록 하고 있 다. 라. 교육 커리큘럼의 유연성 ■ 석박 통합과정 운영 본교는 석박 통합과정을 운영하여, 학업 및 연구 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이 학위과정 에 걸리는 총 시간을 최소화하고 커리큘럼 구성 등에 선택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석박 통합과정은 학업 성적이 우수한 (평균 평점 4.3 만점에 3.7 이상) 석사 1년차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 자격이 주어지며 합격시 석사 학위 논문 작성을 하지 않고 1년 만에 박사과정으로 진학하게 함으로써 조기에 박사과정 진학을 확정 짓고 장기적 연구에 몰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석박 통합과정의 입학 사정은 일반 박사과정 입학보다 더 엄격하게 진행되어 우등생을 중심으로 선발하고 있다. 마. 논문 및 연구지도 ■ 체계적 논문작성 및 연구 기법 교육 앞 절에 소개된 것과 같이, 2005학번 이후 석사 학생부터는 전공에 따라 기존의 석사논 문세미나 대신 신설 과목인 연구논문작성법을 졸업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기술적 논문 작성


등을 체계적으로 강의하고 있다. 이는 Development of Inventions and Creative Ideas (발 명 및 특허에 관한 제반 사항)과 Introduction to Research i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를

운영하고

있는

MIT나,

Technical

Communications

과목과

Technical Writing 중 한 과목 이상을 필수로 수강토록 하게하는 GaTech의 경우와 같이 세 계 유수 대학들의 추세와도 잘 부합된다. 해당 과목을 통해 석·박사 학위과정의 특성, 연구·실 험에 임하는 자세, 윤리 및 방법, 발명·특허에 대한 도출 및 작성법, 연구논문 및 보고서 작성 법, Case Study 등을 살펴보게 함으로써 본 사업단은 학생들로 하여금 석·박사 학위과정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석사과정은 졸업이수요건으로 논문연구를 4학점 이상, 박사과정은 30학점 이상 취득토록 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의 수준 은 학위논문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우수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게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학과에서 제공하는 학과 세미나 시리즈의 수강을 석사와 박사 학생들에게 졸업요건의 필수로 지정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게 하 고 있다. ■ 논문/연구지도 내실화 계획 ○ 교수 대 지도학생 비율의 점진적 개선 및 최신 연구 동향 교육 강화 교수 당 대학원 지도학생 수를 현 평균 11명 선에서 10명 정도로 줄여 학생 개인별로 실제적인 지도가 가능하게 하고, 관련 분야의 유명 국내외 교수 및 우수연구자를 초청하여 학 생들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는 세미나를 분야별로 연 1회 이상 개최하여 관련 분야 교수의 조 언과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연구논문 작성법 교과목 강화 및 개선 연구 논문 작성법 교과목에서는 기존의 전통적 전공 분야 외에도, 융합 분야까지 확대 포함된 연구 논문 작성법을 지도하여 융합연구와 고 임팩트 논문작성을 위한 최신 정보를 제 공하도록 한다. 특허 작성에 관한 경우는 외부 변리사 등을 초빙하여, 보다 전문적인 내용과 실 사례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확충한다. ○ "Black Friday" 제도 지속 시행을 통한 상시 관리 체계 구축 박사과정 학생들에 대해서는 연 1회 이상 연구실적을 포함한 종합적인 학업 및 연구 성 취도를 평가하여 서면으로 그 결과를 통보하고, 우수학생을 시상함으로써 학업,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생간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한다. ○ 학위 논문 심사의 객관화 및 국제화 논문의 공정한 심사를 위해서 외부/타과 심사위원의 위촉을 적극 권장하며, 특히 박사 논문 심사의 경우에는 국외 심사위원의 위촉을 적극 권장한다. 특히, 국제화 시대에 맞추어 박사 논문은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해간다. 박사 논문 구두 발표 시, 국외


심사위원이 위촉된 경우에, 박사 논문 구두 발표도 영어로 하도록 권장한다. ○ 논문세미나 과목 신설 박사과정 학생들이 본인의 연구를 다른 학생들 앞에서 발표하는 논문세미나 과목을 2015년 봄학기부터 신설하였다. 논문세미나 과목은 학생들이 세미나 시간에 주도적으로 참여 하여 여러 분야의 연구결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이 융합 학문을 연구하는데 도움 이 되도록 한다. <확장표 II-2-10> 2015 봄 학기 논문연구 및 논문세미나 발표 성명

지도

연구분야

교수

노재형

문재균

양희성

전주환

발표제목

Equalization (Comm. &

Self-iterating linear equalization for 2D intersymbol

Storage)

interference

Localization Methods for Distributed MIMO Radar System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Methods for Distributed MIMO Radar Systems

Analog and Mixed signal

김영화

조성환

circuit

High-speed ADC using time-domain signal

design(Analog-to-digital

processing

converter design) CMOSRF circuit design

이재승

이상국

(Ultra-low power receiver)

최현석

박철순

김홍이

박철순

송인상

박철순

조성준

박철순

임한성

성단근

RFIC design

A2.4GHzMulti-Channel OOK Receiver Adopting Receiver-Based FLL Study on rate improvement for STNO-based wireless communication

Millimeter-wave Antenna

Millimeter-wave Antenna-in-Package Design for

and System Package Design

Mobile Communications

millimeter wave

Low Power Beamforming System for 60 GHz Mobile

Beamforming System

Applications

mm-wave cmos

Millimeter-wave Low Power Wideband Signal

circuit/system design

Generator in CMOS Technology

Heterogeneous Networks

Energy-Efficient Mechanisms in Heterogeneous Networks

Wireless multi-hop

윤동규

이융

김민현

이용훈

조훈경

전주환

곽기욱

김대식

networks, 802.11 WiFi

Design of optimal link-layer protocols for wireless

systems.

networks

Communication signal

Compressed Sensing Approach to Channel

processing

Estimation in Massive MIMO Systems

radar signal processing,

Spatio-temporal Radar Target Identification using

target classification

RCS Modeling and HMM

Haptic User Interface

A novel tactile stimulation system based on a computational model of the fingerpad


이승호

노용만

유종범

유경식

권경목

유경식

강유성

박동조

강정원

박동조 / 정명진 (공동)

진승리

박동조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Nanophotonics, silicon photonics

Subject-independent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Nano photonics circuits for on-chip optical links

Photonics, nanofabrication,

Development of light emitting and detecting devices

metal-oxides

for photonic 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s

Dynamic Key Establishment Method Using an RFID Anti-Collision Protocol

Image processing, computer

Fast online motion segmentation and its application

vision

to motion-aware search of generic objects Linear Precoding Design for Mu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s

Maximization in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with Finite Alphabet Inputs

허아영

박동조

Communications

이재훈

박동조

Communications

성바로 샘

류승탁

High performance ADC

김종인

류승탁

High performance ADC

오길근

류승탁

High performance ADC

김선아

이상국

Terahertz system

원유선

이상국

RFIC & Radar system

김진우

박현철

Multi-user Beamforming

임상훈

하정석

Physical Layer Security

김은희

김문철

Beamforming schemes Using Duality for MIMO Two-Way Relay Systems Linear Precoder Design for Sensing-Based Spectrum Shar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Flash-Assisted Time-Interleaved (FATI) Successive Approximation (SA) ADC for Low Power, High Speed A/D Conversion

Statistical Learning , recommendation algorithm

Time-domain latch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flash ADC Pipelined ADC with Supply-Referencing technic for WAVE Application Systems Terahertz monolithic imager adopting VCO-based signal processing technique A 24 GHz ISM Band Pulse Radar with an Improved Range Resolution for Short-Range Applications Iterative Beamforming Using Duality for Full-Duplex Multiuser MIMO Systems Secret Key Agreement with Large Antenna Arrays under the Pilot Contamination Attack A Study on Statistical Learning Based Dynamic Topic and User Modeling for Automatic TV Pro-gram Recommendation An Efficient Scheme for In-loop Filtering across Tile

조승현

김문철

Video coding

Boundaries for Multi-Core HEVC Hardware Decoders with 4K/8K-UHD Video Applications

최원철

신민철

Thermoelectrics

A study on thermo electric properties of silicon and metal silicide hetero-junction structure


윤영광

유승협

Semiconductor

박채훈

권인소

Local invariant feature

이준영

권인소

Computer Vision

박재식

권인소

Computer Vision

최진호

유창동

DOA estimation

Low frequency noise and realiability of nanowire FETs and Junctionless accumulation mode FinFETs

Efficient local invariant feature Photometric approaches for appearance modeling and image editing Image-based 3D Modeling via Constrained Optimization Underdetermined High-resolution DOA Estimation: A 2pth-order Source-signal/Noise Subspace Constrained Optimization

신진수

이창희

유상화

이창희

홍정표

한민수

Optical device based on

Tunable wavelength filters based on polymeric

polymer material

waveguide

Optical communications Speech signal processing/speech enhancement

이은정

박홍식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wired networks

Interferometric Noise Suppression based DWDM Optical System An Optimally-Modified Multichannel Wiener Filter with Speech Presence Probability ECONet: End-to-End Delay Guaranteed Cooperative Energy Optimization Algorithm toward Green Internet using Ant Colony Optimization A Unified interest point detection and matching

박준석

김이섭

김동건

성영철

박병용

박성욱

Radio wave propagation and

Propagation Measurement of Rayleigh Fading

정명훈

박성욱

channel modeling

Channel at28GHz using FMCW Radar

신동헌

박성욱

Radar and Antenna

The study on antenna for automotive radar

심동훈

정윤철

Fiber-optic communication

채승완

홍성철

RF circuit design

표기태

홍성철

RF circuit design

김경훈

유회준

SoC Design

홍선주

유회준

Vision processor design

hardware for real-time vision system

Beamformer Design for

Two-Stage Beamformer Design for Massive MIMO

Massive MIMO Systems

Downlink by Trace Quotient Formulation

Antenna

A study on 5G mobile antennas using low loss Mg2SiO4-MgTiO3 material

Optical Transmission Technology for High-capacity Short-reach Network Terahertz wave CMOS Power Detector with On-chip Antenna K-band FMCW Radar Transceiver CMOSIC Real-time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Processor for Smart Glasses

Semiconductor circuits and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SoC & System for

system design for wearable

Wearable Healthcare


healthcare

유민욱

김탁곤

Simulation in distributed

HLA service management for interoperation of

system

federations

Cellular Networks,

김지환

정송

Energyefficiency,Optimization ,Dynamiccontrol

조신영

문건우

Battery Charging Profile

김재현

문건우

Power electronics

Traffic-aware Base Station Sleep Mode Control in Cooperative Networks Impact of Ripple-Current Charging on Battery Performance Research on Load Adaptive Control for Improving Light-Load Efficiency in Server and Network Power Supply

김준호

문건우

On-board Charger

Study on Full-Bridge Converter with Integrated and

(DC-DCConverter,

Hybrid Structure for On-board Charger in

ElectricVehicles)

Electric-Powered Vehicles A Fast Mode Decision Method

정순흥

박현욱

Video Coding

기영욱

김준모

Computer vision

황원준

김준모

Face Recognition

홍슬기

조병진

Graphene transistor

using Adaptive Ordering of Modes for HEVC Inter Coding

Sequential Convex Programming for Computing Information-Theoretic Minimal Partitions Unified Classifier using Multiple Feature for Fac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Graphene RF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Integrated Engineering for CMOS-Graphene Hybrid Circuit

최정민

유승협

Organic electronics

Organic vapor jet printing system Automatic road extraction from remote sensing

배윤성

나종범

Image processing

images based on a normalized second derivative map An effective post-filtering framework for

김지혜

나종범

Image processing

3DPETimaged enoising based on noise and ensitivity characteristics

유석봉

나종범

Image processing

Blind Post-Processing for Compression Artifact Reduction in Low Bit-Rate Coded Videos

Wireless localization, Cloud

정성아

강준혁

Radio Access Network

Physical-layer Optimization for Localization based

(C-RAN), physical-layer

on Wireless Networks

optimization THz signal source using an

이주석

양경훈

InP-based resonant tunneling diode Energy Harvesting,

김대원

최양규

Triboelectric Nanogerator, Bio-Electronics

최준한

조규형

Circuit technique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RTD Oscillators for THz Wave Generation Triboelectric Generator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Wireless Power Charger IC


An Error-Based Controlled Single-Inductor

정민용

조규형

Power Management ICs

10-Output DC-DC Buck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at Light Load Using Adaptive Pulse Modulation

QU WANY UAN

Analog IC design. Large

조규형

capacitive load OPAMP design. IC Design, Clock and Data

원효섭

배현민

Recovery(CDR), WirelineTransceiver,100-Giga bitEthernet

A design-oriented analysis for Miller Compensation and its application to multistage amplifiers.

Phase Rotator PLL-based Low-power Transceiver IC and Sigma-tracking EOM-based

Adaptive Equalizer

for 100-Gigabit Ethernet Link

【작성방법】 1) 사업단의 체계적 학사관리제도 관련 내용 기술 2) 사업단의 입학전형, 지도교수 선정, 세부전공 선택, 자격시험 또는 종합시험, 커미티 구 성 등의 일련과정을 기술 3) 사업단의 학과(사업단) 학사운영 내규의 제도화, 학생안내 매뉴얼 구비, 학위취득 소요기 간 장기화 방지를 위한 제도 구축 현황 등을 기술 4) 사업단 내의 연계과정(학석, 석박, 학석박) 관련 교육 커리큘럼의 유연성 등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학사관리 제도를 기술 5) 엄격한 학위논문 심사를 위한 규정 및 제도와 심사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


2.3 대학간 미래지향적 교육

가. 연구 결과와 대학원 교과과정의 연계 정도 본 학과는 크게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 Circuits and Systems,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Communications,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 Signal and Systems의 6대 분야를 설정하고 이들 분야에 대하여 교육과 연 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당 분야별로 각 800 단위 전공 심화과목 및 특강과목을 운영하여 체계적으로 연구와 교육이 연계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확장표 II-2-1 참조). 또한 2015년 봄학기부터 석/박사 과정에서 논문연구 및 논문세미나 수업을 필수로 하여 학생 들이 세미나 시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여러 분야의 연구결과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이 융합 학문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2015년 봄학기에 70여명 의 학생이 이 수업에 참여하였다. <표 II-2-1> 신설 심화과목 및 특강 과목과 관련 연구 실적

개설 학기

2013 /2학 기

과목 번호

EE827

과목명

통신특강< 정보이론적 추론론>

담당 교수

관련 연구실적 Beamforming Design for Joint Local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성영철

-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2013

Runtime 3-D Stacked Cache Data Management for Energy Minimization of 3-D Chip-Multiprocessors - Quality Electronic Design (ISQED) 2014

Time-of-flight sensor calibration for a color and depth camera pair 2013 /2학 기

EE837

신호처리특 강<고급머 신러닝>

EE837

신호처리특 강<Neuro -Robotics >

유창동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015

Online Minimum-Energy Trajectory Planning and Control on a Straight-Line Path for Three-Wheeled Omnidirectional Mobile Robot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2013

2013 /2학 기

2013 /2학 기

EE838

영상공학 특강<고급 영상이해 >

준타니

Bi-DCT: DCT-based Local Binary Descriptor for Dense Stereo Matching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5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Objects in an Image and Its Application to Image Thumbnailing 김창익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4

Intra-Class Variation Reduction Using Training Expression Images for Sparse Representation


Bas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IEEE Transactions on Affective Computing 2014

DEVS-based combat modeling for engagement-level defense simulation -SIMULATION-TRANSACTIONS OF THE SOCIETY FOR MODELING AND SIMULATION INTERNATIONAL 2014

2013 /2학 기

2013 /2학 기

EE857

광공학특강 <실리콘 포토닉스>

EE867

물리전자특 강<디스플 레이를 위한 실용 광기술>

EE878

VLSI 특강<디지 털 신호처리를 위한 컴퓨터 계산>

박효훈

Optically controlled low-power on-off mode resonant tunneling oscillator with a heterojunction phototransistor switch -OPTICS LETTERS 2015

Localized Laser-Based Photohydrothermal Synthesis of Functionalized Metal-Oxid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5

유승엽

Towards Colorless Transparent Organic Transistors: Potential of Benzothieno[3,2- b ]benzothiophene-Based Wide-Gap Semiconductors -Advanced Materials 2014

2013 /2학 기

2013 /2학 기

EE897

전력전자 특강<전력 컨버터 토폴로지>

박인철

A Novel Generalized DCT-based JND Profile Based on An Elaborate CM-JND Model for Variable Block-Sized Transforms in Monochrome Images -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2014

문건우

Resonant Regulating Rectifiers (3R) Operating for 6.78 MHz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RWPT) -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3 A 1.22 TOPS and 1.52mW/MHz Augmented Reality Multi-Core Processor with Neural Network NoC for HMD Applications -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4

2014 /1학 기

EE817

컴퓨터공학 특강<신경 동적 시스템의 emergent computati ons>

Self-Organization and Compositionality in Cognitive Brains: A Neurorobotics Study 준타니

- PROCEEDINGS OF THE IEEE Special Issue on Cognitive Dynamic Systems 2014

Self-Organization of Spatio-Temporal Hierarchy via Learning of Dynamic Visual Image Patterns on Action Sequences - A peer-reviewed open access scientific journal 2015

2014 /1학 기

2014 /1학 기

EE827

통신특강< 공학수학의 몇가지 문제>

EE827

통신특강< 네트워크 사이언스>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lay time estimation in IEEE 802.16m sleep mode 송익호

박홍식

- PEER-TO-PEER NETWORKING APPLICATION 2014

Power-optimized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IEEE Communications Letters 2015 On Maximizing the Difusion Speed in Social Networks: Impact of Random Seeding and Clustering -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omputer Systems (SIGMETRICS) 2014

Optimal Rate Sampling in 802.11 System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INFOCOM) 2014

2014 /1학 기

EE827

통신특강< 차세대 위성항법 시스템 개론>

A Magneto-Dielectric Handset Antenna for LTE/WWAN/GPS Applications 공승현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2014

A Fully Integrated Triple-band CMOS Class-E Power Amplifier with a Power Cell Resizing Technique and a Multi-Tap Transformer -IEEE Microwave Wireless Components Letters 2013

Spatial Group Based Random Access for M2M Communications - IEEE COMMUNICATIONS LETTERS 2014

2014 /2학 기

2014 /2학 기

2014 /2학 기

2014 /2학 기

EE807

EE837

EE847

EE867

전기공학특 강<소프트 웨어 기반 네트워크 컴퓨팅>

신호처리특 강<신경로 봇 : 신호처리과 정의 특별한 토픽>

전자기 특강<무선 전력전송 기술>

물리전자특 강<플렉시 블 전자공학>

박경수

Simplifying clock gating logic by matching factored forms - IEEE Transactions on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Systems 2014

Distributed Energy Trading in Microgrids: A Game Theoretic Model and Its Equilibrium Analysis -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2015 Speed Enhancement of a Single Mode FP-LD Based Switch Using Weak-Lock Technique -IEEE Photonics Journal 2014

준타니

Automatic Intelligibility Assessment of Dysarthric Speech Using Phonologically-Structured Sparse Linear Model -IEEE/ACM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015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lay time estimation in IEEE 802.16m sleep mode 김정호

- PEER-TO-PEER NETWORKING APPLICATION 2014

Power-optimized vertical handover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IEEE Communications Letters 2015 Localized Laser-Based Photohydrothermal Synthesis of Functionalized Metal-Oxide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5

최경철

Towards Colorless Transparent Organic Transistors: Potential of Benzothieno[3,2- b ]benzothiophene-Based Wide-Gap Semiconductors -Advanced Materials 2014

2014 /2학 기

EE877

집적회로특 강<메모리 & SoC 기술>

최양규

A 2.74-pJ/bit, 17.7-Gb/s Iterative Concatenated-BCH Decoder in 65-nm CMOS for NAND Flash Memory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3


High throughput ultralong (20 cm) nanowire fabrication using a wafer-scale nanograting template -Nano Letters 2013

2014 /2학 기

2014 /2학 기

2015 /1학 기

EE878

EE898

EE807

VLSI 특강<지능 시스템 칩 설계> 지능정보처 리 특강<컴퓨 터 비전을 위한 최적화>

전기공학특 강<양자정 보 및 보안통신>

유희준

유윙타 이

Block-Wise Concatenated BCH Codes for NAND Flash Memori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4 Sliding Time of Flight: Sliding Time of Flight MR Angiography Using a Dynamic Image Reconstruction Method -Mangnetic Resonance in Medicine 2015

Underdetermined Convolutive BSS: Bayes Risk Minimization Based on a Mixture of Super-Gaussian Posterior Approximation 이준구

-IEEE-ACM TRANSACTIONS ON AUDIO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2015

Characterization of the Pareto Boundary for the Two-User Symmetric Gaussian Interference Channel -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4

2015 /1학 기

2015 /1학 기

EE807

전기공학특 강<전자공 학자를 위한 해석학>

EE817

컴퓨터 공학 특강 (딥 러닝과 동적 신경망 모델)

강완모, 성영철

Max Contribution: An On-line Approximation of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Delay Tolerant Networks -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2015 Rotating your face using multi-task deep neural network

준타니

-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15

Reference Pattern-Aware Instant Memory Balancing for Consolidated Virtual Machines on Manycores -IEEE Transactions o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2014

mTCP: a Highly Scalable User-level TCP Stack for Multicore Systems 2015 /1학 기

EE827

통신특강< 고급 최적화 기법>

-USENIX Symposium on Networked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2014

박동조

Compact Folded Dipole Rectenna with RF-Based Energy Harvesting for IoT Smart Sensors -Electronic Letters 2015

2015 /1학 기

EE827

통신특강<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

성단근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ZnO/AlN−Stacked Flexible Nanogenerators for Energy Harvesting Applications -Applied Physics Letters 2015

Cost Adaptive VM Management for Scientific


Workflow Application in Mobile Cloud -MOBILE NETWORKS & APPLICATIONS 2015

A High-Sensitivity and Low-Walk Error LADAR Receiver for Military Application -IEEE Transactions Circuits and Systems 2014

2015 /1학 기

2015 /1학 기

2015 /1학 기

EE827

EE827

EE847

통신특강< 송수신기 신호처리 및 최적화>

통신특강<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다중안테나 빔포밍>

전자기 특강<적분 변환을 이용한 전자파 해석>

A K-Band CMOS UWB Four-Channel Radar Front-End With Coherent Pulsed Oscillator Array - IEEE MICROWAVE AND WIRELESS COMPONENTS LETTERS 2015

이용훈

Cepstrum-Based Bandwidth Extension for Super-Wideband Coders -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4

전주환

Adaptive beamforming for low-angle target tracking under multipath interference -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2014

Design Strategy for a Piezoelectric Nanogenerator with a Well-Ordered – ACS NANO 2013 Blur-free outcoupling enhancement in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 nanostructure extracting surface plasmon modes 엄효준

- Advanced Optical Materials 2013

Large-Area Single-Layer MoSe2 and Its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 - ACS nano 2014 A 0.87 W Transceiver IC for 100 Gigabit Ethernet in 40 nm CMOS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JSSC) 2015

2015 /1학 기

2015 /1학 기

EE857

EE877

광공학특강 <집적광학 구조의 이해>

집적회로특 강 < VLSI 신호처리>

유경식

Improvement in Accuracy of ISAR Image Formation Using the Shooting and Bouncing Ray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2015

박인철

A 9 bit, 1.12 ps Resolution 2.5 b/Stage Pipelined Time-to-Digital Converter in 65nm CMOS Using Time-Register


-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3 A wearable thermoelectric generator fabricated on a glass fabric -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014 Resonant Regulating Rectifiers (3R) Operating for 6.78 MHz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RWPT) -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2013

나. 교육/연구 성과의 확산체계 구축 및 운영 계획 ■ K-School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연구․창업의 이상적인 허브 구축 KAIST는 2016년부터 기존 학사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연구 성과의 창업 및 사업 화를 통한 캠퍼스 내 창업 문화 확산과 교육․연구․창업의 이상적인 허브구축을 통 한 국가창업의 메카를 지향하는 K-School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 으며 본 학과는 기계공학과, 전산학과와 함께 참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하여 경제 적 파급력과 활용성이 높은 연구 분야를 발굴하고 연구주제별로 다양한 전공의 학 생들과 연구진(전공교수, 창업전담교수, 융합연구 지도교수) 등이 Innovation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형 연구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교육 성과 확산 체계 구축

본 학과는 전자 정보 기술을 통한 산업 발전 기여를 지향하는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50여명의 대학원생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선발하고 있다. 향후 7년간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전적으로 운용하고, 새로이 요구되는 산업분야에 신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매년 70여명 규모로 확대하고자 한다. 현재 운영되 고 있는 산학 맞춤형 프로그램의 현황은 다음과 같으며 향후 이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 다.

○ 반도체공학프로그램 (KEPSI : KAIST Educational Program for Semiconductor Industry)

반도체공학프로그램은 21세기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 기술 인력의 양 성을 위하여, 1996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연구 분야로는 VLSI 회로설계, 차세대 반도체 설계 및 소자이며, 그 동안 본 프로그램의 맞 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된 고급 기술 인력들은 기업 내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여주 었다. 이에 KAIST와 참여기업((주)하이닉스반도체)는 지속적인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 양 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2008년 1월에 참여 학과를 확대하여(전기및전자공학과, 물리학 과, 신소재공학과) 재협약을 맺고 반도체공학프로그램을 연장하였다. 참여학생은 교육경 비 전액, 논문연구비, 해외교육훈련비, 매월장학금지급 등을 지원받으며, 졸업후 하이 닉스로 취업이 보장된다. 1차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7명, 박사과정 1명 배 출, 2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8명 배출하였다.

○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 (EPSS : Educational Program for Samsung Semiconductor)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은 "메모리 및 시스템 LSI 분야"의 반도체 설계 및 소자, 공정 관련 핵심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삼성전자㈜와 KAIST 내 5개 학과(전기및전자공 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명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2006학년 도 석사 신입생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174 명의 석사과정 신입생을 선발하여, 이중 117명 이 졸 업 하 여 참 여 기 업 에 입 사 하 였 고 , 5 7 명 이 석 박 사 과 정 에 재 학 중 이 다 . 1 차 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18명, 박사과정 6명 배출, 2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27명, 박사과정 3명 배출하였다. 반도체 학제전공의 맞춤형 교육 과정을 통해 향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240명의 석․박사급 인력(박사급 30%)을 양성할 계획이다.

○ LG Display 교육프로그램 (LGenius : LGenius Program)

KAIST와 LG Display(주)의 맞춤형 선발 및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으로 2012 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기 시작하였다. 참여기업인 LG Display(주)의 공동 논문 지도 위 원 및 인턴십 등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KAIST의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고도의 학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스플레이 분 야의 고급핵심 인력을 공동 육성하여 안정적․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산학 맞춤형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국내 기술혁신 선도자의 교과과정 참여 및 인턴십 교육 강화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적을 달성하였다. 1차년도 (2013.9 ~ 2014.8) 석사과정 6명 배출, 2차년도 (2014.9 ~ 2015.8) 석사과정 4명 배 출하였다. ■ 중견기업 협력을 통한 연구 성과 확산 체계 구축


본학과는 연구 성과의 확산을 위하여 국내 중견기업과 긴밀한 산합협력 모델 을 구축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창조적이고 실제적인 새로운 산학공동 연구 모델 을 구축하면서 협력 중견기업의 세계적 기술력 확보 및 세계 1등 기업으로의 육성 을 위해 먼저 대전소재 코스닥 상장 시스템 반도체 기업인 Silicon Works 와 협력 MOU를 2015년 8월말에 맺을 계획이다.

산학 협력은 아래와 같이 총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Silcon Works Research Group (약칭 SRG) 설립 및 기술,인력교류 2단계: SRG 중심 산학 공동 연구 3단계: Silicon Works Lab @ KAIST 설립 4단계: 새로운 형태의 산학 일체형 교육 시스템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이 협력 프로그램은 Silcon Works를 필두로 국내 중견 기업 다수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며 긴밀한 산학협력으로 새로운 기술융합형 사업 영역 확장 및 세계적 기술 력 확보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다. 오픈 소스 강의제도 도입 현황 ■ 개방형 온라인 수업 참여 2014년부터 KAIST는 개방형 온라인 수업(Massive Open Online Course)을 지원하는 세계 최대 컨소시움이자 사회적기업인 Coursera와 맺은 협약을 맺고 명강 의를 전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Coursera의 고도화된 platform을 활 용한 교수법 혁신과 대학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를 기반으로 전세계 110여개 대학과 기관이 Coursera의 platform을 활용하여 참여하는 지식공유와 교육 기부에 동참하 고 있다. 본 학과는 세계 최고 과학기술 학과로서 우수한 수업을 공유하고 본학과 교 수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Coursera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 Education 3.0과 Cyber 카이스트를 통한 온라인 오픈 강의


【작성방법】 1) 신청 학과(부)의 연구결과와 대학원 교과과정의 연계 정도를 기재 2) 신청 학과(부)의 교육․연구 성과의 확산체계 구축(계획) 및 운영 현황(계획)을 기재 3) 오픈 소스 강의제도 도입 현황을 기재


3.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 방안 3.1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①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최근 2년) <표 2>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석사

박사

석·박사 통합

B1/2 B2/2 B3/2 B4/2

C1/2 C2/2 C3/2 C4/2

D1/2 D2/2 D3/2 D4/2

L M N O

2014년

E1

F1

G1

2015년

E2

F2

G2

E3

F3

G3

실적 2013년 2014년

확보

2015년

배출

②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표 3> 향후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배출 계획 (단위: 명) 연도

석사

대학원생 배출 계획 박사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8차년도 계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작성방법】 1) 사업기간 향후 4년간의 대학원생(석사, 박사) 배출 계획 기재


나. 사업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작성방법】 1) 우수 대학원생의 확보 및 지원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 2) 위의“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에 근거하여 해당 내용을 작성


3.2 대학원생의 취업 현황 및 진로 개발 계획

① 취업률 및 취업의 질적 우수성 <표 4>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취업률 실적

졸업자 (G)

구 분 2014년 8월 졸업자 2015년 2월 졸업자

석사 박사 석사 박사

g1 g2 g3 g4 G5

(단위: 명, %)

졸업 및 취업현황 비취업자(B) 진학자 입대자 국내 국외

n1

a1

n3

a3

N5

A5

b1 b2 b3 b4 B5

취업대상 자 (C=G-B)

취업자 (D)

c1 c2 c3 c4 C5

d1 d2 d3 d4 D5

취업률(%) (D/C)×100

【작성방법】 1) 위의 수치는 “[첨부 4] 최근 2년간 대학원생 배출 실적 (졸업 및 취업 실적)”과 연동 되어 기재됨(시스템 자동 입력) 2) <표4> 실적의 근거가 되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 우수 교육기관, 연구기관, 산업체 진출 실적, 취업기관의 전공적합성 등을 객관적 논거를 활용하여 기술

② 취업지도/진로 개발 실적 및 계획

【작성방법】 1) 취업의 질적 우수성을 달성하기 위한 취업상담, 진로지도, 취업 컨퍼런스 및 세미나 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실적 및 계획을 기술 2) 현 취업률 현황(기업, 대학, 연구소 등) 분석 및 특성파악을 통해 취업의 우수성 향상 계획 기술

H1 H2 H5


4. 대학원생 연구역량 4.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최근 2년)

① 대학원생 국제저명학술지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5> 대학원생 1인당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최근 2년간 실적

구 분

2014년

2015년

D1 E1

D2 E2

D3 E3

D4 E4

E1/D1

E2/D2

E3/D3

E4/D4

총 환산 편수 총 환산 보정 IF 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 1인당 환산 보정 IF

전체기간 실적

2013년

E4/O O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②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표 6>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최근 2년간의 학술대회 발표 실적 구 분

2013년 국제 국내

총 건수 총 환산 편수

A1 B1

A2 B2

2014년 계

A3 B3

국제 국내

A4 B4

A5 B5

1인당 환산 편수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전체기간 실적

2015년 계

A6 B6

국제 국내

A7 B7

A8 B8

국제

국내

A9 A1+A4+A7 A2+A5+A8 B9 B1+B4+B7 B2+B5+B8 B10/O O

A10 B10


4.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의 우수성 1.

①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표 7>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항 목

연도별 목표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8차년도

연평균 증가율

대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환산 편수

자동계산

대학원생 1인당 SCI, SCIE (SSCI, A&H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자동계산

환산 논문 1편 당 환산 보정 IF

자동계산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자동계산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최근 2년간의 실적을 근거로 하여 대학원생 연구실적(환산 편수, 환산 보정 IF 등)에 관한 실현 가능성 및 목표설정의 적절성 등 부가설명 기술 【작성방법】 1)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을 위하여‘4.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을 고려하여 향후 4년간의 대학원생 연구실적에 대한 목표를 수립함 2) 연평균 증가율은 자동 계산됨

②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계획의 우수성 가. 대학원생 학술 및 연구활동 지원 계획

-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한 대학원생의 학술 및 연구활동 지원 계획을 구체적으로 기술

나.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지원 계획 -

국제저명학술지 및 한국연구재단 국내우수등재학술지(가칭,

‘15.6월

발표 예정) 등 국내학술지

논문 게재 계획 및 지원 방안을 포함하여 기술 -

해당 학문분야의 국내우수등재학술지가 선정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사항을 기술하고 국제저 명학술지 논문 게재 지원 계획만 작성


4.3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 계획

【작성방법】 1) 신진연구인력(박사후과정생 및 계약교수) 확보 및 지원 계획을 최근 현황을 반영하여 기술 2) 우수 신진연구인력의 연구 활동 활성화를 위한 인건비, 성과급, 연구 및 학술활동 등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 계획 기술 3) 우수 신진연구인력과 사업단 참여 구성원과의 연계활동 등 활용 계획을 작성 【보관증빙자료】 1)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 및 지원계획 관련 증빙 자료를 전문기관의 장의 요구 또는 평 가시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 또는 사업단에 비치


5. 교육의 국제화 전략 5.1 교육프로그램의국제화 현황 및 계획

① 대학원생 국제교류 가. 대학원생 해외 장기 연수 및 파견연구 최근 2년간 많은 대학원생이 2개월 이상 해외에 파견되어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 한 장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해외 유명 대학 및 기관은 10여개 국가 25곳 이상이다 (확장표 II-5-1 참고). 장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연수기간 중 우수한 연구 실적을 보여 왔으며, 이러한 실적들은 많은 경우 우수 저널/학회에 출판/발표 되었다. <확장표 II-5-1> 장기 연수 파견 해외 대학 및 기관 국가

해외 장기 연수 파견 대학 및 기관 University of Minnesota International Computer Science Institute NEC Labs Samsung Research America Lam Research Microsoft Research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Adobe Systems IBM

미주

미국, 캐나다

Intel Labs Carnegie Mellon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Toronto Future Energy Electronics University of Montreal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Ner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tanford University

아시아

일본, 중국 싱가폴

UCLA Microsoft Research Asia KDDI R&D Labs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Osaka University EPFL 유럽

스위스, 스웨덴 네덜란드, 독일 등

Dresden University of Technology KTH EURECOM Leiden University

최근 2년간 장.단기 해외 연수실적은 총 400건이 넘고 있다 (확장표 II-5-2 참고). 앞으 로 대학원생의 교육·연구의 국제화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유명 연구기관 및 대학에 연수를 적극 유도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위해 전공별로 공동연구협력을 체결한 해외 저명 연구기관에 대학 원생을 적극적으로 파견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2> 최근 2년간 대학원생 국제교류 현황 구분 미주 아시아 유럽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싱가포르, 대만 네덜란드,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호주

대양주 계

(단위 : 건)

국제학회발표 명 학회수 165 69 102 49

15일 이상 장기 해외연수 명 19 6

87

38

8

20 374

9 165

33

나. 외국 저명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네트워크(Global Research Network) 구축 ■ 대학원생 연구의 국제적 수월성 제고를 위해 국제 공동연구 및 장·단기 파견연구를 활 성화 할 수 있도록 외국 저명 대학 및 연구기관과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Global Research Network)를 구축한다. ■ 형식적인 각서교환에 그치는 협력관계가 아닌 교수/연구원/학생 교류, 공동연구, 정보 교환, 공동 Workshop 개최 등 실질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한 기관과 협력관계를 수립토록 한 다. ■ 이를 위해서 기관 대 기관의 협력관계 수립 방식 보다는 각 연구실 단위 또는 연구그 룹 단위로 실질적인 협력 파트너를 찾아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아가며 매년 초 협력 단위 별로 공동연구 및 인적교류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하고 이를 평가하여 선별 지원한다. ■ 각 연구실 및 연구그룹 단위로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수립한 해외 연구 그룹100건이 넘으며, 자세한 내용은 <확장표 II-5-3> 에서 보여주고 있다. <확장표 II-5-3> Global Research Network 구축 현황 및 계획

해외협력 기관

국가

연구분야

상대조직 책임자

(단위: 건)

담당교수

수립여부


및 교수 KTH

스웨덴

Princeton Univ

미국

Rice Univ

미국

KTH

스웨덴

KDDI R&D Lab NICT NEC labs America Khalifa Univ.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University of Southem California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National Taiwan University Tsinghua University Chongqing University Qingyuan New Energy Based Vehicle Co. Ltd. Tsinghua Suzhou Automotive Center

일본 일본

Cross-layer optimization 및 WiFi rate adatpation Adaptive CSMA Adaptive CSMA Internet Ecosystem 전기전자 전기전자

미국

Rohm Penn State,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ice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Alexandre Proutiere

이융

기수립

Mung Chiang

이융

기수립

Edward Knightly

이융

기수립

조정우

이융

기수립

Takehiro Tsuritani Naoya Wada

이준구 이준구

신규 기수립

전기전자

Ting Wang

이준구

기수립

U.A.E

전기전자

Peng-Yong Kong

이준구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Sheldon Tan

장래혁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Massoud Pedram

장래혁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David Z. Pan

장래혁

대만

전기전자

Tsung-Yi Ho

장래혁

대만

전기전자

Tsung-Yi Ho

장래혁

대만

전기전자

Chia-LinYang

장래혁

중국

전기전자

Yongpan Liu

장래혁

중국

전기전자

Edwin H.-M.Sha

장래혁

중국

전기전자

YongpanLiu

장래혁

공동 연구 중

중국

전기전자

YongpanLiu

장래혁

공동 연구 중

일본

전기전자

YongpanLiu

장래혁

공동 연구 중

미국

전기전자

Mary Jane Irwin

장래혁

공동 연구 중

미국

전기전자

이인종

정송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은도영

정송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Nardelli, B.

정송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MungChiang

정송

기수립

공동 연구 중 공동 연구 중 공동 연구 중 공동 연구 중 공동 연구 중 공동 연구 중


Ohio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Yale University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KDDI R&D Lab., Inc. Alcatel-LucentBel lLab.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v. of Southern California U.C Davi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Colombia University IMEC RikenBrainScienc eInst.,

미국

전기전자

NessShroff

정송

기수립

미국

전산

PrasantMohapatra

정송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Leandros Tassiulas

정송

기수립

스웨덴

전기전자

Alexandre Proutiere

정송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Masatoshi Suzuki

정윤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robert tkach

정윤철

기수립

중국

전기전자

Feng Zhiyong

정윤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Alan E. Willner

정윤철

기수립

미국

BioInformati cs

조기호

조동호

기수립

싱가폴

화학

LOH Kian Ping

조병진

기수립

미국

물리

Philip KIM

조병진

기수립

벨기에

전기전자 Neuro-robo tics Neuro-dyna mics modeling Neuro-robo tics studies based on dynamic system approach

Micro CANTORO

조병진

기수립

Tomoki Fukai

Jun Tani

기수립

Shigeki Sugano

Jun Tani

기수립

Huajin Tang

Jun Tani

기수립

미국

나노 소재

박지웅

최성율

기수립

영국

나노 소재

최성율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김종민 Prof. Jeffrey G. Andrews

최완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Prof. Robert Heath

최완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Prof. David Love

최완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Prof. Aria Nosratinia

최완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Prof. Bhaskar Rao

최완

기수립

독일

전기전자

Prof. Robert Schober

최완

기수립

일본

Waseda University

일본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싱가폴

Cornell University Univ. of Oxford The Univ. of Texas at Austin The Univ. of Texas at Austin Purdue University The Univ. of Texas at Dallas Univ. of California at San Diego Friedrich Alexander University (FAU)


Friedrich Alexander University (FAU)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soft Research Asia Microsoft Research NASA Fuji Xerox University of Tokyo Osaka University Université de Picardie Jules Verne Département d'informatique de l'ENS Carnegie Mellon Univerisity Leiden University Ecole Polytechnique Federal de Lausanne (EPFL) University College London

독일

전기전자

Prof. Robert Schober

최완

기수립

홍콩

전기전자

Prof. Kaibin Huang

최완

기수립

싱가폴

전기전자

Prof. Rui Zhang

최완

기수립

스웨덴

전기전자

Jens Zander

한영남

기수립

중국

컴퓨터비전

Yi Ma

권인소

기수립

미국

컴퓨터비전

Richard Szeliski

권인소

기수립

미국 미국

컴퓨터비전 컴퓨터비전

Terry Fong David Lee

권인소 권인소

기수립 기수립

일본

컴퓨터비전

Katsushi Ikeuchi

권인소

기수립

일본

컴퓨터비전

Yasushi Yagi

권인소

기수립

프랑스

컴퓨터비전

Pascal Vasseur

권인소

기수립

프랑스

컴퓨터비전

Jean Ponce

권인소

기수립

미국

컴퓨터비전

Takeo Kanade

권인소

기수립

네덜란드

high-field fMRI

R. Itamar

김대식

기수립

스위스

haptic feedback BCI

J.Millan

김대식

기수립

K.Friston

김대식

기수립

P.Fletcher

김대식

기수립

J.H. Lee

김대식

기수립

I. Kahn

김대식

기수립

영국

Cambridge

영국

Stanford

미국

Technion

이스라엘

National Taiwan University Shizuoka University Panasonic Shibaura Institute of

predictive coding clinical neuro-robot ics optogenetic s optogenetic fMRI and neuromorp hic modeling

대만

전기전자

Tzong-LinWu

김정호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Hideki Asai

김정호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Yuki Fukumoto

김정호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Toshio Sudo

김정호

기수립


Technology Tohoku University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eorgiaInstituteof Technology Qualcomm Silicon Image XILINX Stryker NeuroSky IT University of Copenhagen Univ. of Toronto Communication Research Center Canada Ghent Univ Qualcomm UCSD Princeton University Univ. of Alabama Univ. of California at San Diego (UCSD) MAVC optiva media Mobile Interactiva 한동 LNC Wichita State University HUT(Hanoi university of Technology) SJTU(상해교통대) Universiti Putra Malaysia (UPM) MIT UC Berkeley

일본

전기전자

Masahiro Yamaguchi

김정호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James L. Drewniak

김정호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Rao R Tummala

김정호

기수립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김정호 김정호 김정호 김정호 김정호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추가 추가

덴마크

전기전자

김종환

기수립

캐나다

전기전자

Thomas R. Toms Jaemin Kim Joong-ho Kim Erik Chmelar Stanley Yang Georgios Yannakakis Konstantinos N. Plataniotis

노용만

기수립

캐나다

전기전자

Bernad Caron

노용만

기수립

벨기에 미국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Rik Van de Walle Chong Lee Bang-Sup Song

노용만 류승탁 류승탁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Vivek S. Pai

박경수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홍양기

박성욱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P. Asbeck

박철순

기수립

스페인 스페인

전기전자 전기전자

F. Garcillan G.T. Cristina

박철순 박철순

기수립 기수립

스페인

전기전자

M.B.Rubin

박철순

기수립

대한민국

전기전자

반양록

박철순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Hyuck M. Kwon

박현철

기수립

베트남

전기전자

Nguyen Huu Thanh

박홍식

기수립

중국 말레이시 아 미국 미국

전기전자

Weiqiang Sun

박홍식

기수립

전기전자

Mohamed Othman

박홍식

기수립

전기전자 전기전자

서창호 서창호

기수립 기수립

UC Berkeley

미국

전기전자

서창호

기수립

EPFL UIUC UCLA Cornell UT-Austin Tohoku University

스위스 미국 미국 미국 미국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전기전자

Lizhong Zheng David Tse Kannan Ramchandran Michael Gastpar Pramod Viswanath Suhas Diggavi Salman Avestimehr Alex Dimakis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서창호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Nei Kato

성단근

기수립


Tohoku University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of China (USTC) McGill University University of Keio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incetonUniversi ty University of Maryland texas A & m university Purdue University Purdue University

일본

전기전자

Nei Kato

성단근

기수립

중국

전기전자

X.M.Zhang

성단근

기수립

캐나다

전기전자

Tho Le-Ngoc

성단근

기수립

일본

전기전자

Massahiro Yukawa

성영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Lizhong Zeng

성영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H. Vincent Poor

성영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Antony Ephremides

성영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Shuguang Cui

성영철

수립예정

미국

전기전자

David Love

성영철

기수립

미국

전기전자

Michael D. Zoltowski

성영철

기수립

Marios Kountouris

성영철

기수립

Devavrat Shah

신진우

기수립

SUPÉLEC

프랑스

MIT GeorgiaInstituteof Technology LosAlamosNation alLabaratory IBM Research

미국

Télécommu nications 전산

미국

전산

Eric Vigoda

신진우

기수립

미국

전산

Michael Chertkov

신진우

기수립

미국

전산

신진우

기수립

Bloomberg L.P.

미국

전산

신진우

기수립

UIUC Univ. of Cambridge University of Southampton Dresden University of Technology

미국

전산

Dmitry Malioutov Prabhanjan Kambadur Sewoong Oh

신진우

기수립

영국

전기전자

A. Nathan

양경훈

기수립

영국

전기전자

G.T. Reed

유경식

공동연구 수립

독일

Optoelectro nics

K. Leo

유승협

기수립

B. Kippelen

유승협

기수립

Dipti Gupta

유승협

기수립

Ji-Seon Kim

유승협

기수립

Michael S. Brown

유윙타이

기수립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미국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IIT Bombay)

인도

Imperial college London

영국

National University of

싱가폴

Organic Photonics and Electronics Organic Photonics and Electronics Organic Photonics and Electronics Computer Science


Singapor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icrosoft Asia University of Montreal Microsoft Research Cambridg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스위스로잔연방공 대 스위스로잔연방공 대 Microsoft Research Asia Khalifa University RIKEN Brain Science Institute Univ. of Perugia Information and Communicaiton Technologie (ITC) / Department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Italy (CNR)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Institute of Neuroinformatics ,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ETH) & Univ. of Zurich

홍콩

Computer Science

Chi-Keung Tang

유윙타이

기수립

China

Computer Science

Lolan Song

유윙타이

기수립

캐나다

기계학습

Yoshua Bengio

유창동

기수립

영국

기계학습

Pushmeet Kohli

유창동

기수립

중국

기계학습

Xiaogang Wang

유창동

기수립

스위스

기계학습

Yusuf Leblebici

유창동

기수립

스위스

기계학습

Pascal Fua

유창동

기수립

중국

기계학습

Frank K Soong

유창동

기수립

U.A.E

전기전자

TodLaursen, MuratKayaYapici

윤준보

기수립

일본

뇌공학

Masao Ito

이수영

기수립

이탈리아

뇌과학

Francesco Bistoni

이수영

기수립

이탈리아

뇌과학

Francesco Beltrame

이수영

기수립

일본

뇌공학

Kazumasa Nishio

이수영

기수립

스위스

뇌공학

Rodney Douglas

이수영

기수립

다. 논문외부심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박사학위논문심사위원 5인 중 1인 이상을 타학과 또는 외부전문가를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논문 심사 시 외부 심사위원은 총 250명이 위촉이 되었고 외부 전문가 위촉율은 27.62%이다 (확장표 II-5-4 참고) 앞으로 외국인 전문가 가 논문심사에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제 공동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한 방문 연구 및 공동 연구를 권장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4> 논문심사시 외부 심사위원 비중 구분 논문심사 학생 수 총 심사위원 수 외부 심사위원 수 외부전문가 위촉율(%)

2013년 가을 57 285 81 28.42

(단위: 명)

2014년 가을 37 185 54 29.19

봄 48 240 60 25.00

2015년 가을 39 195 55 28.21

전체기간 실적 181 905 250 27.62

② 외국대학과의 복수공동학위 프로그램 해외 우수 대학들과 공동으로 학위과정을 개발하거나 협정에 정한 양교의 학위 이수 요 건을 충족한 학생들에게는 복수공동학위 수여하고 있다. <확장표 II-5-5>는 2013년부터 2015 년까지 KAIST의 복수 공동학위 프로그램 협정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BK21 플러스 국제화 자원 및 KAIST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앞으로 해외 우수 대학들과의 복수공동학위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확장표 II-5-5> 복수공동 학위프로그램 협정 현황 국가 중국 중국 중국 덴마크 프랑스 프랑스 프랑스 프랑스 프랑스 프랑스 독일 독일 일본 싱가폴 미국 미국 미국

협력대학명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singhua University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Mines de Saint-Étienne Ecole Polytechnique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ées de Lyon Paris Institute of Technology Telecom Ecole de Management University of Technology at Belfort-Montbéliard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Carnegie Mellon University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Iowa State University

과정 학사 박사 모든 과정 모든 과정 모든 과정 모든 과정 석사 모든 과정 석사 모든 과정 석사 모든 과정 모든 과정 박사 모든 과정 학사, 석사 박사

③ 대학원생 단기 해외연수 및 학술대회 참석 가. 교환학생 해외 파견제도 최근 2년간 다양한 교환학생 해외 파견제도를 운영하여 2013년도 25개국 87개 기관 376명, 2014년도 26개국 92개 기관 325명, 2015년도 32개국 69개 기관으로 288명을 파견하


였다 (확장표 II-5-6 참고). 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파견 경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우 수한 협력 대학 발굴로 다양한 국가와 학교 선택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외국 대학 생활 적응 을 위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확장표 II-5-6> 학생 파견 현황 연도 2013 2014

학점교류 302 281

연구인턴 20 12

논문연구 35 32

연수 및 기타파견 19 -

합계 376 325

나. 우수 국제 학술 대회 참석 지원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저명 국제학술대회에 대학원생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여 인지 도를 향상시켜왔고, 그 결과 많은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국제 학술대회 참석은 학술 논문 발표를 우선적으로 지원하되, 국제 학술 대회의 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지원한다. 또, 각 학술 대회의 acceptance rate (발표 논문 수/투고 논문 수)를 확인하여 학술 대회의 등급을 매년 보완함으로써 우수한 학술대회의 참여를 유도한다. ④ 해외석학 초빙 및 활용 계획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국제교류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해외전문가를 적극적 으로 초빙하여 연구 성과 교류, 대학원생 지도, 학과운영자문 등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1차년 도에는 65명의 해외 석학을 초빙하였으며, 또한 같은 해 학과 교수가 231회 해외로 파견 되 었고, 2차년도에는 42명의 해외 석학을 초빙하였으며, 학과 교수가 210회 해외로 파견되었다. 해외 석학 초빙 및 활용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할 계획이다. ■ 학기단위의 단기 초빙교수뿐만 아니라 2∼3년 단위의 장기교수 초빙을 적극 추진하여 해외 저명 연구자들을 대학원생의 연구 및 교육에 적극 활용한다. ■ 연구연가 (Sabbatical Leave)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사업단 교수의 해외 유수 연구기 관, 기업체 및 대학에의 장기 파견을 적극 유도하며, 파견 시 대학생원생과의 공동 파견을 적 극 권장함으로서 실질적인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 되도록 한다. ■ 개별적인 교환교수 파견 및 외국 교수 초빙 외에 공동연구 협력체결기관을 중심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교환/초빙교수제를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 해외 초빙 교수는 3차년도 91명을 목표로 매년 3% 늘려 초빙할 계획이다. 해외 파견 교수는 3차년도 212명을 목표로 매년 5% 늘려 파견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7 참고) <확장표 II-5-7> 해외 교수 초빙 및 파견 계획 및 실적 항목

연도별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연평균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증가율


(계획)

(계획/실적)

(계획/실적)

86/65

88/42

91

93

96

99

102

3%

193/231

202/210

212

223

234

246

258

5%

해외초빙 교수 수 해외파견 교수 수

⑤ 교육 인프라 향상 계획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 자원과 대학차원의 국제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대학원 교 육의 국제화 수준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 확대, 외국인 전임 교수 비율 향상, 외국인 학생 비율 향상, 학위 논문 영어 작성 비율 향상등 에 주력한다. 또한 세계적인 연구그룹과의 교류 협력이 일상화 되도록 하고, 국제공동연구, 국 제워크샵(세미나), 영어 강의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국제화를 고양시킨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 여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금 뿐만 아니라 정부, 본 대학, 그리고 해외 협력 국가의 지원을 받아서 대학원 교육 및 연구의 국제화 사업과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구 체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가.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 향상 계획 현재 75.68%인 대학원 교육의 영어 강의 비율을 점차 확대하여, 2019년까지 85% 영어 강의를 실시한다 (확장표 II-5-8 참고). 구체적으로 영어 강의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영어 강 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학원생 영어 클리닉 운영, 교수를 위한 영어 강의법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하여 영어 강의 비율 및 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세계적인 수준의 국제화 교육 에 필요한 새로운 영어교재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교재개발 연가제도, 강의면제, 교재개발비 지원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영어교재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대학원 지 원자들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TOEFL 또는 상응하는 영어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입학사정 에 중요한 기준으로 반영하여 영어 능력 향상을 유도한다. <확장표 II-5-8> 대학원생 영어 강의 비율 계획 (단위 : %) 항목 영어강의 비율

학부 대학원

2013

2014

(계획/실적) 100/96.15 65.4/66.67

(계획/실적) 100/97.91 68/80.52

연도별 목표 2015 (계획/실적) 100/96.30 71/75.68

2016

2017

2018

2019

100 74

100 78

100 81

100 85

* 2014년 전체 강의 77 중 62 영어강의 (대학원 기준) 나. 외국인 전임교수 비율 향상 계획 사업단의 성장 핵심 분야의 기술 흐름을 주도할 우수한 외국인 전임교수를 임용하여 사 업단의 교육·연구 능력을 국제화시키고 이를 통해 미래의 글로벌 무한경쟁을 이겨낼 수 있는


졸업생 양성에 활용한다. 현재 7명인 사업단의 외국인 교수 수를 2019년까지 12명으로 확대 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9 참고). 외국인 전임교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상 시초빙제도, 인터넷 및 학술잡지 등을 통한 홍보, 해외출장 등을 통한 개별적인 접촉, 현 소속 기관 겸직 허용, 선진국의 해당 분야/전공에 뒤지지 않는 처우 및 연구비 지원 등의 방안을 시행 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9> 외국인 전임교수 채용계획 및 실적 구분 외국인 전임교수

2013

2014

2015

(계획/실적) 8/8

(계획/실적) 9/8

(계획/실적) 10/7

2016

2017

2018

2019

10

11

11

12

다. 학위 논문 외국어 작성 비율 향상 계획 현재도 석, 박사의 경우 대부분 학위논문을 영어로 작성하고 있으나 이를 더욱 확대하며 박사 학위논문의 영어작성을 의무화하고 석사 학위논문의 영어작성을 권장한다. ⑥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계획 가. 외국인학생에 대한 재정적 지원 현재 외국인 신입생의 경우 납입금 및 기성회비가 전액 면제 되며, 재학생의 경우 성적 을 감안하여 외국인 학생 장학심의회에서 면제 여부를 결정하는 등 많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 앞으로 BK21 플러스 사업의 국제화자원을 이용하여 이러한 재정적 지원을 더욱 확대하 여 우수 외국인 학생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나. 기타 외국인학생 유치 노력 위와 같은 재정적 지원 외에도 우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 중이다. ■ 홈페이지 입학 요강 게재 및 신청자에게 입학안내자료/입학원서 직접 우송 ■ 각 나라를 대표하는 외국 우수대학에 KAIST소개 포스터를 제작 발송 ■ 국립국제교육원과 협조하여 정부초청장학생에게 입시 안내자료 교부 ■ 북경대 조선문화연구소 연락사무소 활용 우수 학생 유치 ■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정부추천 외국인 학생 유치 노력 ■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 측에 정부초청장학생 배정요청 다. 외국협력대학과의 교환학생 유치 KAIST에서는 외국 협력 대학과의 활발한 교환학생 유치를 통하여 KAIST를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캠퍼스 내 다양한 국가 문화 체험 및 교류 기회를 마


련하고 있다. 2013년도 가을 18개국 51개 기관 126명, 2014년도 봄 18개국 44개 기관 85명, 2014년도 가을 25개국 61개 기관으로부터 181명, 2014년도 봄 20개국 42개 기관으로부터 93명을 유치하였으며 (확장표 II-5-10 참고) 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시행 중이다. <확장표 II-5-10> 학생 유치 현황 연도 2013 가을 2014 봄 2014 가을 2015 봄

국가 수 18 18 25 20

기관 수 51 44 61 42

합계 (명) 126 85 181 93

■ 외국대학과의 학생교환협정을 통해 학비 상호 면제 ■ 전략적 협력대학 학생들에게 장학금 지급 등의 혜택을 부여 ■ 단 한명의 외국인 학생이 있을 경우에도 영어로 강의 ■ 한국 생활 문화 체험 기회 제공, KAIST 학생들과 교류 활성화 ■ 외국인학생을 위한 체육대회, 음식축제(Food Festival), Field Trip, 한국어 말하기 대 회, KAIST 학생동아리 활동 참가 ■ KAIST 외국인학생 지원 봉사단체(ISO: International Students Organization) 운영 ⑦ 기타 대학원 국제화 실적 ■ 영어 교재 및 영문 Book Chapter 저술 실적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최근 3년동안 총 2권의 영문 교재와 21여건의 영문 Book Chapter 저술 실적이 있다 (확장표 II-5-11 참고). 영문 교재 및 영문 Book Chapter 저술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등을 통하여 앞으로 이를 더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확장표 II-5-11> 영문 저서 및 영문 Book Chapter

교수명

저서명

발행 연도

출판사

구분

공동저자

권인소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In-Vehicle Systems and Safety

2014

Springer; 2012 edition

Book Chapter

Rockhun Do,

2014

Springer

2014

Springer

김이섭 김정호

SoC platform architecture for automobile vision system Electrical Design of Through Silicon Via

Book Chapter Book Chapter

Manho Lee,

김종환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

2013

Springer

영문저서

Eric Matson, Hymn Myung, Peter Xu, Fakhri Karray

류승탁

Novel Advances in Microsystems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2013

CRC Press

Book Chapter

Laurent A.Francis


2014

PAN STANFO RD PUBLISHI NG

Book Chapter

Jung-Yong Lee, Hoyeon Kim, Jaemin Lee

유승협

Flexible organic solar cells for scalable, low-cost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2015

Wiley

Book Chapter

Jongjin Lee, Donggeon Han, Hoyeon Kim

유윙타이

Motion Deblurring: Algorithms and Systems

2014

CAMBRID GE

Book Chapter

Moshe Ben-Ezra, Michael. Brown and Shree Nayar

2014

Wiley

Book Chapter

-

2015

Springer

Book Chapter

Hojin Lee, Donggyu Yun, Yung Yi,

2015

Springer

Book Chapter

DeawooKim,Jinhwa nJung,HankyeolLee ,YungYi,

2015

Springer

Book Chapter

2013

Academi c Press

Book Chapter

2014

Springer

Book Chapter

김영현, 장래혁

2013

Wiley

Book Chapter

S.Basagni,M.Conti, S.Giordano and I. Stojmenovic

2013

KAIST

Book Chapter

서인수

외 다수

2015

SAE Internati onal

Book Chapter

서인수

외 다수

2015

CRC Press

Book Chapter

Woogeun, Rhee 외 다수

2014

The MIT Press

Book Chapter

Maniadakis M., Paine RW

유승협

Organic Solar Cells Fundamentals, Devices, and Upscaling

유회준

이융

Embedded Systems: Hard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Distributed Medium Access for Camera Sensor Networks: Theory and Practice

이융

Energy-efficient sensing data delivery for low power environmental sensors

이융

Data Networking for Automomous Fatigue Crack Detection

이창희

장래혁

정송

조동호

조동호

조성환

준타니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VIB: Systems and Networks"FTTX Worldwide Deployment" Design and Management of Energy Efficient Hybrid Electrial Energy Storage Systems Mobile Ad Hoc Networking: the Cutting Edge Directions Proceedings of the 2013 International Forum on Eco-friendly Vehicle and System An Overview of OLEV Technology” in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Electric Transportation WirelessTransceiverCircuits:Sy stemsPerspectivesandDesignAs pects Chapter18:Low-NoisePLL-Base d Frequency Synthesizer Understanding Higher-Order Cognitive Brain Mechanisms by Conducting Evolutional Neuro-robotics

Jinhwan Jung, Deawoo Kim, Hankyeol Lee, Yung Yi, Ivan Kaminow,Tingye Li,Alan E. Willner 외 다수


최양규 최양규 최정우

하정석

Experiments",In The Horizons of Evolutionary Robotics Chapter 5 : Fabrication of Nanowires and Their Applications Point-of-Care Diagnostics on a Chip Sound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 Physical Layer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2014

Springer

Book Chapter

최지민,문동일,안재혁

2013

Springer

Book Chapter

DavidIssadore,

2013

Wiley

영문저서

Yang-Hann Kim

Book Chapter

Demijan Klinc, Steven McLaughlin, Joas Barros, Byung-Jae Kwak

2014

CRC Press

작성방법】 1) 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화 현황(2013.9.1~2015.8.31) 및 계획 작성과 관련하여 다음 항목을 참 고하여 기재 ‣ 대학원생 국제교류(해외 연구실 장기연수 및 공동연구 수행; 6개월 또는 1학기 이상) ‣ 외국대학과의 복수학위제, 외국연구소 및 대학 인턴 ‣ 대학원생 장‧단기 해외연수, 방문 연구 ‣ 해외석학 초빙 및 활용 계획 ‣ 교육 인프라(외국인 전임교수, 외국인 학생,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 비율) 향상 계획 ‣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현황 및 계획


5.2 교육의 인프라 국제화 현황 (최근 2년) 가. 외국인 교수.학생 비율 및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 비율 * 아래

작성방법에 쓰여 있는 첨부자료와 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표 8> 교육의 인프라 국제화 현황 (학과 전체 기준) 항 목 외국인 전임교수

외국인 대학원생

외국어 학위논문

최근 2년간 실적

구 분

전체기간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사업단 학과(부) 전임교수 수

88

88

88

264

외국인 전임교수 수

8

8

7

23

비 율 (% )

9.09

9.09

7.95

8.71

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수

950

947

989

2886

외국인대학원생 수

42

36

33

111

비 율 (% ) 사업단 학과(부) 대학원생 학위논문 수 대학원생 외국어 작성 학위논문 수

4.42

3.80

3.34

3.85

195

268

77

540

145

206

57

408

비 율 (% )

74.36

76.87

74.03

75.56

나. 외국인 교수 연구실적 및 교과담당계획 (학과 전체 기준)

가. 외국인 교수의 대표연구실적 및 우수성 사업단의 성장 핵심 분야의 기술 흐름을 주도할 우수한 외국인 전임교수를 임용하여 사 업단의 교육·연구 능력을 국제화시키고 이를 통해 미래의 글로벌 무한경쟁을 이겨낼 수 있는 졸업생 양성에 활용한다. 현재 본 학과에는 7명의 외국인 교수를 보유하고 있다 (확장표 II-5-12 참고). 외국인 교수들은 다수의 국제 학회장, 저널 편집위원 활동 및 영문 교재, Book Chapter 저술 활동으로 본 학과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확장표 II-5-13, II-5-14 참고). <확장표 II-5-12> 외국인 교수 현황 및 대표 연구실적

교수명

직급

국적

대표 연구 실적

김대식

교수

독일

Divide et Impera: Acceleration of DTI Tractography Using Multi-GPU Parallel Process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2013.09):


256-264.

Concatenated Raptor Codes in NAND Flash Memory - IEEE Journal of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2014.05): 문재균

교수

미국

857-869.

Self-Iterating Soft Equalizer

엄효준

교수

-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3.09): 3697-3709. TM modes on pyramidal transmission line -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IEEE (2014.08):

미국

1741-1744.

유윙타이

부교수

홍콩

정세영

교수

미국

정송

교수

미국

A simulation based method for vehicle motion prediction -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2015.07). Interference channel with a causal relay under strong and very strong interference -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2014.02): 859-865. On the Critical Delays of Mobile Networks Under Levy Walks and Levy Flights -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2013.10): 1621-1635. Virtual Cell Beamforming in Cooperative Networks - IEEE Journal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2014.06): 1126-1138.

Max Contribution: An On-line Approximation of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Delay Tolerant Networks -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2015.03): 592-605. Self-Organization and Compositionality in Cognitive Brains: A Neurorobotics Study - Proceedings of the IEEE Special Issue on Cognitive Dynamic 준타니

교수

일본

Systems (2014.04): 586-605.

Self-Organization of Spatio-Temporal Hierarchy via Learning of Dynamic Visual Image Patterns on Action Sequences - A peer-reviewed open access scientific journal (2015.07)

<확장표 II-5-13> 외국인 교수 국제 학회/저널 활동

교수명

국제 학회/저널 활동 내역

문재균

Program Committee

유윙타이

Program Committee

주최 및 주제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2013,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CC) 2014,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Design and Graphics(CAD/Graphics) 2013, 2015 Pacific-Rim Conference on Multimedia (PCM)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CCV) 2013 IEEE Conf.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4, 2015 European Conf. on Computer Vision (ECCV) 2014 Asian Conf. on Computer Vision (ACCV) 2014 IEEE Workshop on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WACV) 2015


Organizing Committee

IPSJ Transactions on Computer Vison and Applications (CVA) East Asian School of Information Theory (EASIT)

Chapters Committee

IEEE Information Theory Society (ITS) Membership

Associate Editor

IEEE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TCOM) (2009~2013)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JCN)

Associate Editor

정세영

Board Member

IEEE communication theory Asia Pacific (ComSoc)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WiOpt)

Program Committee

정송

Editor

Associate Editor Area Editor

International Teletraffic Congress (ITC) ACM International Workshop on Wireless Network Testbeds, Experimental evaluation and Characterization (WiNTECH)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TC) IEEE Sensor and Ad Hoc Communications and Networks (SECON)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bile Ad Hoc Networking and Computing (MobiHoc) Communication Systems and Networks (COMSNETS) ACM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nd Networking (MobiCom)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 Protocols (ICNP)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TON))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TWireless) IEEE/KICS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JCN)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TMC)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COMCOM)

<확장표 II-5-14> 외국인 교수 영문 저서 현황 교수명

저서명

발행 연도

출판사

공동저자

영문 저서

김대식

Principles and Advanced Methods in Medical Imaging and Image Analysis

2008

World Scientific

Atam P. Dhawan, H.K. Huang

Book Chapter

김대식

Diffusion Tensor Imaging in Developmental Clinical Neuroscience

2009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영문 저서

문재균

Sequence Detection for High-Density Storage Channels

1992

Book Chapter

문재균

Modeling the Recording Channel

2004

Book

문재균

Magnetic Storage

2002

구분

Kluwer Academic Publishers CRC Press / IEEE Press CRC Press

L.Richard Carley


/ IEEE Press

Chapter

엄효준

Electromagnetic Wave Theory for Boundary-Value Problem

2004

Springer

영문 저서

엄효준

Wave Scattering Theory

2001

Springer

Book Chapter

유윙 타이

2012

CRC Press

Book Chapter

유윙 타이

2014

Cambridge

Book Chapter

정송

2013

Wiley

2014

The MIT Press

영문 저서

Image Restoration : Fundamental and Advances Motion Deblurring : Algorithms and Systems Mobile Ad Hoc Networking: The Cutting Edge Directions

Book Chapter

준타니

Understanding Higher-Order Cognitive Brain Mechanisms by Conducting Evolutional Neuro-robotics Experiments, In The Horizons of Evolutionary Robotics

Book Chapter

준타니

Schemata learning. In Perception-Action Cycle

2011

준타니

A holistic approach to compositional semantics : a connectionist model and robot experiments

2002

Book Chapter Book Chapter

A

준타니

dynamical systems approach for a learnable autonomous robot

1995

Springer New York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The MIT Press

Michael Brown Moshe Ben-Ezra, Michael Brown and Shree Nayar S.Basagni, M,Conti, S.Giordano

Maniadakis M., Paine RW

Nishimoto, R.

Sugita Y.

Fuumura N.

나. 외국인 교수의 강의와 연구지도 수행에 대한 계획 2013.09 ~ 2015.08 까지 본 학과의 대학원 영어강의 비율은 75.64 %인데 반해 외국인 교수의 강의는 100% 영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에 능통한 외국인 교수의 강의 평가는 학과 평균을 훨씬 상회하고 있다 (확장표 II-5-15 참고). 본 학과에서는 향후 수강생들 이 많은 강의에 외국인 교수들을 적극 활용하며 영어 강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학원생 영 어, 클리닉 운영, 교수를 위한 영어 강의법 세미나 개최 등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외국 우수 학생 확보를 위한 홍보 활동에 외국인 교수들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확장표 II-5-15> 외국인 교수 강의 평가

구분

2013 가을

2014 봄

2014 가을

2015 봄

전기 및 전자공학부

4.19

4.15

4.07

4.18


전체 교수 평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 외국인 교수 평균

4.22

4.29

4.45

4.23

다. 외국인 교수의 연구실적과 담당교과목의 연계성 외국인 교수들은 각 분야의 핵심 교과목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통신, 신호 처리, 뇌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확장표 II-5-16 참고). <확장표 II-5-16> 외국인 교수 대표 연구실적과 담당 교과목의 연계성

교수명

김대식

과목 번호

담당 교과목

대표 연구 실적

EE635

뇌기능영상

EE532

브레인 IT 개론

Divide et Impera: Acceleration of DTI Tractography Using Multi-GPU Parallel Process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2013.09

Concatenated Raptor Codes in NAND Flash Memory IEEE Journal of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문재균

EE522

통신이론

2014

Self-Iterating Soft Equalizer -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2013.09 엄효준

EE847A EE541 EE535

유윙타이

정세영

EE898A

EE756

EE692

전자기 특강 <적분변환을 이용한 전자파 해석> 전자장이론 영상처리 지능정보처리 특강 <컴퓨터 비전을 위한 최적화>

고급 정보이론

병렬분산 알고리즘

TM modes on pyramidal transmission line -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2014

A simulation based method for vehicle motion prediction -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2015 Interference channel with a causal relay under strong and very strong interference -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2014 On the Critical Delays of Mobile Networks Under Levy Walks and Levy Flights -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2013.10 Virtual Cell Beamforming in Cooperative Networks - IEEE Journal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정송

EE627

통신망 성능분석

2014

Max Contribution: An On-line Approximation of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Delay Tolerant Networks -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2015 EE817A

EE817A

컴퓨터공학 특강 <신경 동적 시스템의 emergent computations> 컴퓨터공학 특강 <딥 러닝과 동적신경망 모델>

준타니 EE837A

EE837B

신호처리특강 <신경로봇 : 신호처리과정의 특별한 토픽>

Self-Organization and Compositionality in Cognitive Brains: A Neurorobotics Study Proceedings of the IEEE Special Issue on Cognitive Dynamic Systems 2014

Self-Organization of Spatio-Temporal Hierarchy via Learning of Dynamic Visual Image Patterns on Action Sequences - A peer-reviewed open access scientific journal 2015

신호처리특강 <Neuro-Robotics>

【작성방법】 1) 학과(부)에 소속된 외국인 교수의 대표연구실적을 제시하고 우수성을 기술 2) 학과(부)에 소속된 외국인 교수가 대학원생에 대한 강의와 연구 지도를 수행할 구체적인 계획을 기술 3) 학과(부)에 소속된 외국인 교수의 연구실적과 담당교과목의 연계성을 기술


6. 사업단의 연구 비전 및 달성 전략 6.1 향후 4년간 사업단이 수행할 연구의 비전 및 추진 방법의 우수성 6.1.1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비전 ○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연구를 통하여 전자통신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함양하고 IT 융복합 기술 확산으 로 미래 신산업을 창출한다.

6.1.2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방향 ○ 창조경제를 주도하는 산업 영향력, 사회 파급력 높은 연구를 지향 ○ 미래 전자/통신 기술을 열어줄 혁신적 연구와 융복합 기술의 확산 ○ 최첨단 연구를 통해 최고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확립

6.1.3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사업단의 목표 ○ 2020년 전자통신 분야 세계 10위권 진입 (Vision 2020-Top10) : 전기 및 전자 공학 분야의 학과 평가에서 세계 10위권으로 도약하며, 연구역량에서도 세계 10위권으로 발전

6.1.4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달성도 (2013-2015)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2단계 BK21지원 사업이 진행된 지난 2년 동안 기 제시된 여러 비전 을 순차적으로 달성하고 있다. 우선 QS world university ranking의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평가에서 2013년 29위, 2014년 24위, 2015년 22위로 평가받아 2년 동안 7계단을 뛰어 올 랐다. 이는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위),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20 위), The University of Hong Kong (22위), University of Michigan(24위)와 같은 세계 유수대학과 비견되는 수준으로 이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세계적인 학과로 부상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세계 10위권으로 발전하겠다는 Vision 2020-Top10의 달성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표] QS world university ranking – Engineering –Electrical & Electronic of KAIST ----------------------------------------------------------------2013 2014 2015 ----------------------------------------------------------------QS ranking 29 24 22 -----------------------------------------------------------------

http://www.topuniversities.com/subject-rankings/2015


6.1.5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 달성 노력

① 비전 달성을 위한 연구 추진 전략

본 사업단은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5대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함. ○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 연구 분야 육성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는 제도적 혁신 ○ 개개별의 역량을 합쳐 시너지를 발생하는 클러스터 위주의 연구 장려 ○ 국제적 수준의 연구 주제의 홍보를 통한 우수 인력 확보 ○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

② 비전 달성을 위한 연구 추진 방안

가. 핵심 연구 분야 육성

■ 7대 핵심 연구 분야 집중 육성

- 본 사업단에서는 아래와 같은 4대 핵심 연구 분야를 기본 축으로 정부 및 산업체 지원 연구 과제를 유기적 으로 연계하여 과제간의 통합적 시너지 효과 및 국제화 효과를 극대화. - 통합적 연계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업단에서는 물적, 인적 자원을 7대 핵심연구 분야로 집 중화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는 연구 그룹으로 성장, 발전시키고자 함. - 7대 핵심연구 분야는 사업단의 인력 및 기술 경쟁력, 국내 기업의 전략 및 기술 수요, 고급 인력 양성의 사회적 요구 등을 고려하여 미래 창조경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분야로 선정함. 또한, 전자 통신 세부 분 야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기술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향후에도 핵심 연구 분야를 유동적으로 선정토록 함.

- 7대 핵심 연구 분야 ○ Circuits and Systems 분야 : VLSI프로세서, 에너지 하베스팅, 디스플레이 반도체, 유무선 송수신기 등 ○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 분야: 광학, 안테나 시스템, 전자기학, RF/MW/mm 등 ○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분야: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노소자,


고속 electronics 등 ○ Signal and Systems 분야: 신호처리, 영상처리, 컴퓨터비전, 전력에너지, 지능형로봇제어, 브레인IT ○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 분야: 모바일 컴퓨팅, 네트워크 시스템, 클라우드 시스템, 보안등 ○ Communications 분야: 무선통신, 통신시스템, M2M통신, 그린 커뮤니케이션 등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트 센서 시스템, 통신-전력전자 시스템, 의료 영상 시스템, 위성 통신 시스템 등

- 상기 7대 핵심 연구 분야 중, Circuits and Systems(CS),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EP),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NDIS), Signal and Systems (SS),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CNS), Communications(COM) 의 6대 분야는 현재 공식적인 학사조직인 6개의 그룹에 맞춰져 있고, 이 6개 그룹 조직을 통해 교육과 연구를 일체화 함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는 융복합 기술의 거시적인 결집을 통해 통합 응용시스템을 구현하는 분야 이며, 대형 센터나 프로젝트 팀을 중심으로 학과 내외 관련 인력들이 유동적으로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함.

[표]6개의 연구그룹명과 연구내용 -----------------------------------------------------------------------------------연구그룹명 연구 내용 -----------------------------------------------------------------------------------CNS 모바일 컴퓨팅, 네트워크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시스 (Computing 템 보안, 시뮬레이션, 멀티미디어등의 기술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Networking Security)

중점적으로 수행. 특히 미래 인터넷 및 서비스 분야의 교육과 연구에 서 세계적인 선도 그룹으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그리드등의 응용분야를 선도하여 전 세계의 건강, 환경 에너지 문제에 기여하고자 함 ------------------------------------------------------------------------------------COM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특히 최근 5G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Communica tions)

수행하고 있으며, 다중안테나통신, M2M 통신, 그린 커뮤니케이션, 무선정보/ 전력전송, 스토리지 신호 처리등 다양한 통신 기술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통

해 차세대 방송통신 서비스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


CS

집적 스마트 센서 시스템, 에너지 하비스팅, 디스플레이 반도체, VLSI 프로세서

(Circuits and Systems)

유무선 송수신기 시스템, 고성능 AD 컨버터, 멀티미디어 시스템등 전반적인 응용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필요한 이론 및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 설계, 혼성 회로 설계와 같은 분야 개발에 중점

------------------------------------------------------------------------------------EP

기초 과학을 바탕으로 광 및 전자파 기술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 크게 광학,

(Electromag

안테나 시스템, 전자기학 및 RF/MW/mm분야로 나뉘어진다. 광학 분야에서는

netics and

광소자, 3D 디스플레이, 광통신등을 다루고 안테나시스템분야에서는 Active

Photonics)

안테나 시스템, MW to sub-milimeter defense, 집적 안테나등을 다룬다. 전자기 및 RF/MW/mm 소자, 전파이론, 레이더 신호 탐지, EMI등을 연구함.

------------------------------------------------------------------------------------NDIS (Nano-Device

Flexible electronics,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노소자, High speed electronics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세부 분야로는

and Integrated System)

organid display, flexible display, carbon device, MEM, mm/THz device, compound semiconductor 등이 있으며 다양한 소자 및 시스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산업적 파급효과를 증대시키는데 목표를 둠 문제에 기여하고자 함 ------------------------------------------------------------------------------------SS 신호처리, 영상처리 컴퓨터 비전, 전력, 에너지, 지능형 로봇, 제어, 브레인IT (Signal and Systems

의료영상, 브레인 분석/영상, 브레인 기반 로봇등을 연구하며 크게 영상-신호 처리-컴퓨터비전, 제어/전력, 브레인-IT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3차원 영상처리, 의료영상, 영상분할/검색, 물체 추적 검출 인식, 비디오 압축, 3D 영상분석, 오디오 합성, 지능형 로봇, 전기자동차 전력, 스마트기기 전력공급, 브레인 모사 로봇등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함.

-------------------------------------------------------------------------------------

- 이러한 사업단의 핵심연구 분야의 협력 토대 위에서 국가지원 연구센터 및 산업협력 연구센터를 운영하 고 향후 새로운 연구센터를 유치함. -

국가지원 연구센터에서는 집단 연구에 의한 기반기술 구축에 힘쓰고, 산업체 지원 센터의 연구에 의해

사업화 연구가 이루어지게 함. 각각의 연구센터는 세미나, 워크숍, 발표회 등의 인력 및 정보 교류를 통하 여 상호기술이 원활히 소통될 수 있도록 함. BK21 플러스 사업의 집중된 지원을 바탕으로 각 연구센터의 연 구 규모와 내용, 인력 구성을 국제적 수준으로 확장함.


■ 신산업 창출에 파급 효과가 큰 IT 융합 연구 장려

- 미래지향적인 신기술 및 신산업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기술발전에 이바지 하고 또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함과 동시에, 연구 성과를 우수 논문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학제전공 및 융합연구소 겸임교수제도를 통하여 융합연구를 장려함. 현재 전체 교수의 25%이상에 해당하는 22명이 학제전공 및 타학과 겸임교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향후 교수 파견 제도를 활용하여 국내 주요기업과 연구소 등과 융합연구를 확대함.

나.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하는 제도적 혁신

■ 논문의 질적 평가를 고려한 교수 평가 강화

- 논문의 양보다는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학과 교수 업적 평가 방법을 점진적으로 전환함. (예: 논 문 인용횟수, H-index를 평가지표로 활용). 특히, 단순히 논문 개수의 증가만을 추구하기 보다는 각 연구 분야에서 파급력이 높은 최우수 논문지와 최우수 학술대회에 양질의 논문을 많이 발표할 수 있도록 적극 권 장함. - 이를 위하여 학과에서는 이미 내외부평가를 통한 승진 및 영년직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6등급의 교수 평가를 통해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3배 이상 차등지급)함.

■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요건 강화

- 학위 취득에 필요한 연구논문 요건으로 해외 유명 논문지 (S급/A급 저널)에 연구 논문 발표를 의무화함. 이들 유명 논문지 목록은 매년 학과 박사학위 심의 위원회에서 정하여, 학과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원 학생 들에게 공지하고 있으며, 2015년도 현재 100여개의 논문지 목록이 제시되어 있음.

- 대학원 학생들에게 우수 학술대회 참석 및 논문 발표 또한 적극적으로 권장함. 특히,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연차 평가제도 (Black Friday 제도)를 실시하여, 연구실적 우수 학생 4명을 매년 시상하고, 학생논문 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교수와 학생에게 평가결과 및 학생 전체평균 실적을 통보함.

- 특히, BK21 플러스 사업 기간에는 박사 학위 논문의 해외 심사위원 참여를 활성화 함. 연구 클러스터 단 위로 해외 심사위원 풀을 운영하여, 학생 공동지도와 연계된 학위심사를 받게 함으로써, 1) 학위심사 과정 의 국제화, 2) 학생 연구결과의 international visibility 확대, 3) 학위 중 해외 인턴연구 파견 기회 제


공, 4) 국제 공동연구 수행, 5) 해외 취업 기회 제공 등의 다각적인 효과를 얻음.

다. 클러스터 중심의 연구 수행

■ 그룹형 협동연구를 통한 국제경쟁력 향상

- 교수 1인당 지도학생수의 감소 추세가 이미 시작되고 있으며, 적은 연구 인력으로도 국제적 경쟁력을 유 지하기 위하여 연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하여 본 사업단은 유사 연구 분 야를 가진 몇 개의 연구실이 자율적으로 연합하는 클러스터 중심의 연구체제를 확립함

- 국제적 인지도를 갖고 있는 리더급 교수 중심의 그룹형 연구를 활성화하여, 기존의 교수별 개별 연구 위주 에서 전략적 협력체제로의 전환을 추구함. 각 클러스터별 국제공동연구 수행을 활성화하며 국제 공동 지도 교수 풀 활용, 연구 환경 공동 활용, 국제학회의 전략적인 리드를 장려함. 이 클러스터 단위의 운영은 특 히, 신임교수들에게 실험실 구축을 위한 준비기간이 없이도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 음.

-

클러스터 단위의 연구 전략은 수년 전부터 몇 개 분야에 대해 시범적으로 시행해오고 있으며, 학과와 학

교 차원에서 결집할 수 있는 연구실 공간 제공, 기본 연구비 지원, 실험실 구축비용 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 함. 대표적인 클러스터로 KI Graphene Research Center, KI Mobile Sensor and IT Convergence, Device Innovation Facility 등이 있으며, 본과 및 타학과 교수들과 그룹을 결성하여 실험실 공동

활용, 학생 공

동지도, 산학협력, 국제협력 등에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본 사업단에서는 이러한 클러스터 운영을 적극 지원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갖는 융복합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함.

■ 새로운 산학협력 연구 분야 창출을 위한 산학연 융합 연구 센터 확충

- 산업체와의 연계 강화를 통하여 산업적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창출/발굴하고자 하며, 학제적 연구주 제를 가진 연구센터의 개설 및 확충을 통하여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함. -

우수 연구 성과의 환류, 최신 연구 동향 파악, 연구인력 확충 등을 위하여 국제/국내 그룹간의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사업단이 국내 최대의 연구단지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는 점을 적극 활용함.

- 최근 3년간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 개설된 산학연 협력 연구센터는 다음과 같다. - KAIST-LG전자 5G 공동연구센터(2013.01~) - 삼성전기-KAIST연구센터 MMMB RF Front-End 연구센터(2013.10~)


- (주)SKhynix-KAIST스토리지미디어솔루션즈센터(2013.10~)

라. 국제적 수준 연구 주제의 공모/홍보를 통한 우수 인력 확보

■ 연구주제 공개/공모를 통한 학생 선발과 국제적 연구주제 홍보

- 우수한 학생/연구 인력의 모집과 이들에 대한 강력한 동기부여, 학과 홍보를 동시에 유도하기 위하여 국 제적인 수준의 연구주제 공개 및 공모 방안을 도입함. 이를 통해 국제적 관심을 유도하고 창의적 연구 활동 을 동시에

부각시킨다. 연구주제는 창의적이며 앞서가는 도전적인 연구를 지향하며, 학생모집과 연계함

으로써 입학 초부터 창의적이며 의욕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함.

■ 대학원생 연구능력의 강화 및 학술활동의 국제화

- 대학원 학생들에 대해 국제 수준의 우수한 학술 논문 작성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 국제교육센터(원어 민 교수진 활용)와 연계하여 영어논문 작성 과목 이수를 적극장려하고, 맞춤형 밀착 지도를 통하여 영어 논 문 작성 능력 및 발표 능력을 더욱 강화함.

- 해외 유수 연구 기관 및 산업 기관에서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여 글로벌화된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함. ○ 국제 공동연구 참여 확대를 통한 국제수준의 연구기회 제공 ○ 국제 유수 학술대회 참여 지원 ○ 장기 연수를 통한 해외 대학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십 기회 부여 ○ 해외 석학 초청 (학생 공동 지도가 가능한 해외 석학을 초청) ○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발표, 토론, 논문 작성, 영어 전담 교원 임용 등) 강화

마. 신진 연구인력 확보를 통한 연구 역량 확충

- 우수한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 교수, 전문 연구원 등의 신진 연구 인력을 적극 유치하여 우수한 연구결과 를 도출하도록 함. 특히, 해외 신진 연구 인력의 확보를 통해 국제적 인적 네트워크 및 미래 해외 협력 교두 보를 구축함. -

신진인력들에게 독립적/융합적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글로벌 기업 과제를 수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함. 이들에게는 프린스턴 고등과학원(Institute for Advanced Study)의 연구 펠로우를 모델로 삼아 특정 연구실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창출하되, 원하면 여러 연구실과 융합연구


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함.

바.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국제 수준의 연구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김병호 IT 융합빌딩과 미래융합 소자 연구동을 최근에 완공함

○ 김병호 IT 융합빌딩 (26,629㎡, 사업비 355억 원) - IT기반 산업융합시대를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교육․연구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본 시설환경을 확보 - 김병호 IT 융합빌딩 내에 소그룹 (클러스터)별로 공동연구실 운영환경을 정착. 현재 김병호 IT 융합빌딩 에는 컴퓨터 비전 및 머신 러닝 그룹, 미래 자동차 연구단, 스마트 센서 시스템 융합 연구단, 영상 정보 시 스템 그룹, 인터넷 에코 시스템 센터, 통신 이론 및 스토리지 그룹, 차세대 이통통신 연구 그룹 등이 각 층 별로 클러스터를 이루어 긴밀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KAIST 미래융합소자동 (4,464㎡, 사업비 102억 원) - 세계 최고수준의 미래 나노 융합소자 기술 개발을 위한 공정 시설 구축을 통해 최첨단의 Nano/Bio, Display, Energy, Nanophotonics 융합 소자 및 부품 연구 환경 제공 (주용도: 클린룸, 연구실, 실험실) - 실리콘 공정 부분에서 이미 최고 수준의 장비를 구축하고 있는 KAIST 캠퍼스 내의 나노종합 기술원 (구 나노종합팹센터)과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자 공정 기반의 구축 - 또한, 국내 반도체 연구의 효시가 된 구 반도체동의 리모델링으로 최첨단의 측정 공간 및 교육 공간의 추가 확보가 기대되며, 나노종합기술원-미래융합소자동-반도체동으로 이어 지는 미래 융합 소자 연구의 클러스터화를 추진

【작성방법】 1)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춘 사업단으로 발전하기 위한 사업단 차원에서의 연구비전을 구체적으로 기재 2) 연구비전 달성 및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 전략 및 방법을 제시


7. 연구진의 구성 7.1 참여연구진 구성의 우수성 ①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진 구성의 적절성 가. 사업단 구성 본 사업단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이창희 교수를 사업단장으로 하여 총74명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전임직 교수로 구성되어 있다. 나. 사업 단장 1) 사업단장 인적 사항 성 명: 이 창 희 (Chang-Hee Lee) 소 속 기 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전 공 분 야: 광 통신, 광 네트워크, 광 소자 2) 사업단장의 역량 ■ 사업단장의 연구, 교육, 행정 역량 - 교육 경력 o 1979.3 - 1983.2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o 1983.3 - 1985.2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석사 o 1985.3 - 1989.2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박사 - 연구 경력 o 1989.3 - 1997.1 한국전자통신연구서 선임 연구원 o 1989.7 - 1990.6 Bellcore(Bell Communications Research) 박사후 연구원 o 1997.2 - 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o 현재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과장 - 대외 활동 o 2010.1 - 현재 IEEE Fellow o 2013.1 - 현재 OFC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onference) 프로그램 위원 등 17 개 국제 학회 프로그램 위원 역임 o 1998.9 - 2000.7 한국광학회지 편집위원 o 한국광학회 이사 및 평의원

- 1 -


- 연구 활동 o 2003.6 - 2008.6 국가지정연구실 (연간 연구비 2.5억) o 2009.3 - 현재 방통위 혁신과제 (연간 연구비 2.5 억으로 5억 이하임) o 국제 우수 학술지에 98편 논문 발표 (최근 3년간 12편 발표) o 국제 우수 학회에 139편 논문 발표 (초청논문 18 편) 최근 3년간 24 편 논문발표 o 국제 특허 33건 등록, 국내특허 84건 등록 o 발표논문의 인용횟수: 3098 회, H-index: 25 (Google Citations기준) o 기술료 수입: 2002년부터 총 1 억 64 백만 원 - 우수학생 배출 o 1997년 이후 박사 15명, 석사 18명 배출 - 포상경력 o 1989.2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KAIST o 1999.4 올해의 논문상, SKT o 2001.5 연구상, KAIST o 2009.11 10대 특허 등록상, 특허청 o 2013.2. 혜림광자기술상, 한국광학회 o 2014.6.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o 국내외 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지도학생): 12회 o 최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지도학생): 2회 - 행정 역량 o 2013.5 - 현재 전기및전자공학과 학과장 o 2012.6 - 2013.4 전기및전자공학과 그룹대표 (ED 그룹) o 2010.8 - 2011.7 KAIST 연구처장 o 2009.3 - 2010.8 전기및전자공학과 부학과장 o 2002.9 - 2008.7 노베라 옵틱스 코리아 이사 및 CTO o 2001.8 - 2002.9 노베라 옵틱스 코리아 대표이사 3) 사업단 발전 의지 및 사업단 운영 본 사업단은 지난 BK21 사업에서 정보기술 분야 사업단 중 최우수 사업단으로 수 차례 선정되었던 경험 을 바탕으로, BK21 플러스 사업에서는 2020년에 전자통신 분야 세계 10위권 대학 진입(Vision 2020-Top10) 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사업제안서에 제시한 비전을 충실히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을 위해 중요한 요소인 i) 우수창의인력확보(학생, 신진인력, 교수)와 ii)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 수행, iii) 연구 결과의 산업화 및 사업화, iv) 연구 및 교육의 국제화 등 상기 4가지 요소

- 2 -


를 주된 추진사업으로 사업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한 수행 방법으로 위원회 중심의 효율적인 사 업추진, 연구 분야별 그룹/클러스터화를 통한 효율적인 사업단 운영, 연구의 질적 평가를 통한 참여교수 환 류시스템과 인센티브 제도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수 인재유치, 인재육성, 국제 화, 산업화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운영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수 창의 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 BK21 플러스 사업에서 미래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우수인력 확보는 사업성공의 핵심요소입니다. 창조경 제를 실현을 위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 우수 신임교원 유치를 위한 노력 사업단의 최대 현안중의 하나인 우수교수인력의 확보를 위해 학과가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우리나라 IT 산업을 이끌고 있는 성장 동력 분야와 5년 내지 10년 후 미래 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유망 분야를 집중적으로 발굴하여 육성하고 있습니다. - 우수 학생유치를 위한 노력 우수한 박사급 신진연구인력 유치를 위해 관련 학회인 IEEE와 ACM에 광고를 내고 있으며, 지원자는 매달 신진연구인력위원회의 엄격한 심사과정을 통하여 선발하고 실적심사를 엄정하게 진행해 재임용하고 있습 니다. 또한, 신진연구인력을 BK21 플러스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개인의 능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 우수 대학원생 및 신진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 교수당 학생비율을 낮추어서 학생 지도를 내실화하고, 양적으로 치우친 교육을 지양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대학원 교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수 대학원생의 경우, 인센티브 부여 및 해외 유수의 석학들과의 공동 연구기회를 늘려나감으로써, 추후 한국의 주축 핵심인력으로 성장하도록 사업단을 운영하고

있습니

다. 또한, 대학원생들이 국외 유수의 기업 및 연구소에 다수 취직할 수 있도록, 국제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 며, 이들이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의 산업발전과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선순환의 교육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신진인력의 경우, 창의적 융합연구를 권장하고, 많은 교수님들과 자유롭게 공동연구 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준 높은 연구결과의 생산에 힘쓰고

있습니다. 대학원생과의 활발한 공동 연구

로 교수의 지도뿐만 아니라, 산업체 및 연구소 소속 연구원의 지도를 동시에 받아 대학원생 및 신진인력의 양성의 질 향상을 위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 수행을 위한 노력

- 3 -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산학과제 및 연구센터를 유치하고 연구의 양적 성장을 넘어서 연구의 질과 파급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 다양한 산학과제 및 연구센터 유치 급변하는 기술발전 속에서, 미래 창조경제를 개척하고 창의적이며 도전적인 기술에 기반한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산업분야 발굴에 부응하고자,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단 (스마트 IT융합 시스템 연구단), 국가핵심연구센 터 (NCRC-P3Digicar 센터), 코오롱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 등과 같은 장기/대형 규모의 정부지원/산 학협력 연구 센터를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 연구의 질적 향상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연구와 교육의 양적인 발전은 현재 세계적인 프로그램을 가진 학과들과 비교해서도 뒤지지 않을 정도이나 질적인 성장은 아직 많은 발전을 거듭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사업이 끝나는 2020년에 세계 랭킹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논문인용회수, Impact Factor, H-Index등의 객관적 지표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 저널 및 학술 대회

에 파급력이 큰 논문 발표를 장려하는 제도를 정착시키고 이를 뒷받침하는 학과 정책(예: 인센티브 지급, 교 수 실적 평가 및 승진심사 반영)을 펴 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2015 QS World University Ranking by Subject-Electrical & Electronic의 평가 지표에서와 같이 Academic Reputation의 점수가 70.40(2013 년)에서 80.90(2015년)으로 상승하였고, H-index citations의 점수가 80.00(2013년)에서 89.60(2015년)으로 상승하여 전체 랭킹이 29위(2013년)에서 22위(2015년)으로 상승하여 10위권 진입을 앞두고 있다. ■ 유망 연구 결과의 적적인 산업화 및 사업화 추진 국가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산업체와의 효과적인 교류를 위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육성하 는 산업체 맞춤형 교육, 중장기산업연구과제 발굴과 기술이전을 활성화하는 노력을 증대하고 있습니다. - 산학 협력을 위한 맞춤 프로그램 본 사업단은 산학협력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KEPSI(반도체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 CTEP(정보통신 및 네 트워크 프로그램), EPSS(삼성반도체 교육프로그램), LGenius(LG Display 인력 양성 프로그램)를 운영하고 있 습니다. 또한, 로봇공학 학제전공, 정보통신공학 학제전공, 반도체 학제전공, 미래 자동차공학 학제전공을 본 사업단의 교수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이끌어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산업체 맞춤형 교육을 통해 미래 전자, 통신을 선도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자질과 소양을 갖춘 인재를 계속 양성하고 있습니다. - 지적 재산권의 사업화 및 창업 지원

- 4 -


본 사업단은 교내 산학협력단 및 기술사업화센터와 긴밀히 협의하여 사업단에서 확보한 지적 재산권을사업 화하고 전자, 통신 분야의 시장개척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 주도의 창업, 학생 중심의 창업이 활 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 국제교류 확대 및 다양화 본 사업단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인적/학술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

보다도 중요하다는 취지 아래, 지금까지 진행해 왔던 미국, 영국, 스위스와 같은 선발 국가와의 교류차원을 뛰어넘어, 중국, 싱가포르, 홍콩, 베트남과 같은 아시아 신흥국가와도 다각적인 국제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 니다. 외국 기업들의 공동연구소 유치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며, 지금까지 진행해왔던 것과 같이 외국의 대표적 기업 및 연구소 (Microsoft, NASA, IBM, IMEC 등) 와 함께 학생들의 인턴십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해 추 진하고 있습니다.

■ 사업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노력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74명이 참여하는 KAIST 미래 전자 통신 인재양성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위원회 와 그룹조직을 활성화하고, 참여교수의 환류시스템을 채택하여 참여교수의 참여의식을 고취하며,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참여교수의 참여도를 함양시키고 있습니다. - 위원회와 그룹별 조직 사업단장 아래 국내외 자문위원회와 전문위원회(인사자문위원회, 교육위원회, 학생위원회, 신진인력위원 회, 국제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입시위원회 등)를 설치하여 사업단의 현안을 분야별, 현안별로 검토하고 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분야에 따라서 참여 교수진과 학생들을 6개의 연구 그룹으로 나누어 효율적 인 사업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행정요구의 변화와 지속적인 기술발전 추세에 발맞추어 최대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조직체계를 최적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 참여교수 환류시스템 시행 매학기 자체 워크숍(2014년1월23~24일,2014년8월28일~29일실시,2015년 1월12일~14일실시, 2015년 8월26 일~27일실시)을 개최하여 사업단의 목표를 참여 교수들께 주지시키고 사업단의 운영 방침과 예산현황, 주요 현안을 알림으로써 참여교수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고 있습니다. 매년 자체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교육/ 연구 실적을 평가할 계획이며, 사업단 신규 참여와 퇴출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 인센티브제도 도입

- 5 -


사업단 내의 진취적인 연구풍토 조성을 위하여, 뛰어난 연구실적을 낸 교수들에게 인센티브를 통한 포상을 실시하는 등 협력과 경쟁의 상호보완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인 수준의 교 육 및 연구 실적을 낸 교수들에게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통하여 교육/연구의 질적 향상을 독려하고 있습니 다. - 적극적 홍보 활동 사업단 성과의 상시 홍보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대내외 홍보활동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국제 적인 홍보를 위하여 학과 및 사업단 인터넷 홈페이지를 새롭게 개선하였으며, Newsletter, Annual Report 등 책자를 통한 홍보와 함께 참여교수들의 국제학회에서의 인지도 향상 등을 위한 노력을 배가하고 있습니 다. - 세계 Top10 대학과의 Global Alliance 구축 전자 정보 분야의 세계 최상위 대학들 (예: MIT, Stanford, UC Berkeley 등)과의 꾸준한 인적 교류를 통해 BK21 플러스 사업이 종료되는 2020년에는 국제화된 인력 구성과 함께 전

세계 우수 연구 집단과 활발히 교

류하는 우수한 연구 환경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저희 사업단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분야와 신규 전략 성장 분야들에서 세계적인 실적을 달성함으로써 명실 공히 IT 기술의 허브 대학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 입니다. - 국제화의 모범이 되는 사업단 구축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는 인력 구성과 연구 성과를 통하여 본 사업단이 국제화의 모범적인 모델이 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술적인 수준 뿐 아니라, 연구 문화, 연구 윤리, 리더십 부문에서도 국제화된 인력을 양성하고, 세계의 우수 인재가 KAIST에서 육성되어 한국을 정보기술 분야의 강국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고급 전문 인재를 배출토록 할 예정입니다. 다. 참여 연구진 구성 1) 사업단 구성원

[표] 사업단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 현황 사업단 구성원 현황 (2015년 9월 기준) 전체 전임 교원수 (A)

88

참여 교원수 (A’)

74

참여 교원 비율 (A’/A)

전체 신임 교원*수 (B)

6

참여 신임 교원수 (B’)

6

신임 교원 참여율 (B’/B)

100%

???

참여대학원생 수 (C’)

???

참여대학원생 비율 (C’/C)

???%

전체대학원생 수 (C)

- 6 -

84.09%


(*) 2013년 2학기 이후 부임한 신임교수 : 김훈,신진우,이현주,장래혁,최정우,한동수

<표> 사업단 참여교수 현황 및 최근 3년간 논문 실적(2012.9~2015.8) (단위 : 건) 신임교수 여부 (부임시기)

성 명 (가나다순)

주요 연구 분야

1

강준혁

Signal process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12

2

권인소

Computer vision & Robotics

12

3

김대식

Brain reverse engineering and imaging, Neuroscience

4

4

김문철

High-performance video coding for UHDTV and IPTV

15

5

김용대

Security for cyber-physical systems, Network security

5

6

김이섭

Multimedia VLSI design, Low power high speed CMOS design

16

7

김정호

Design for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

8

김종환

Inteligent robotics, Computational intelligence

10

9

김창익

Image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12

10

김탁곤

Defense systems, Discrete event systems modeling/simulation

11

11

김회린

Speech recognition, Audioindexing & retrieval

4

12

김훈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ing

13

나종범

Image processing, Imaging systems, Medical imaging

12

14

노용만

Image/video systems, Multimedia processing, Medical imaging

22

15

류승탁

Analog/mixed signal circuit design

13

16

명로훈

17

문건우

18

문재균

Communications, Storage, Signal processing

8

19

박경수

Network systems, Networking, Operating systems

0

20

박동조

Wireless communications, Adaptive signal processing, Optimization

11

21

박성욱

Microwave and antenna engineering

18

EM wave scattering & propagation, EMI/EMC/EMS, Mobile & satellite communications Power electronics, High efficiency power conversion, Electric vehicles

- 7 -

O 2014년1학기

논문 건수

17

11 35


신임교수 여부 (부임시기)

성 명 (가나다순)

주요 연구 분야

22

박인철

VLSI signal processing, Circuit design

15

23

박철순

RFIC for reconfigurable radio and millimeter-wave systems

16

24

박현욱

Image processing, Medical imaging systems

23

25

박현철

Communication theory, Signal processing

11

26

박홍식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8

27

박효훈

Photonic Computer System, Optical Interconnection

10

28

배현민

Mixed mode IC design, High speed broadband communications

9

29

서창호

Information theory, Wireless communications, Function computing

4

30

성단근

Communication networks

15

31

성영철

Communication/statistical signal processing, Estimation theory

14

32

송익호

33

신민철

Computational electronics and nano technologies

18

34

신영수

VLSI CAD, Low-power design

7

35

신진우

Network Algorithms, Statistical Inference and Equilibrium Analysis

36

양경훈

Nano-scale/THz devices, Quantum-effect & Sensor ICs

11

37

원용협

3D display, Nanophotonics

12

38

유경식

Optoelectronics, Photonics

11

39

유승협

Organic electronics & Photonics

29

40

유윙타이

Computer vision, Image/Video processing

10

41

유종원

RF & microwave antennas and systems

28

42

유창동

Machine learning & Multimedia processing

4

43

유회준

Semiconductor engineering (Optoelectronics), SoC (Wearable PC)

21

44

윤준보

Micro/Nano-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NEMS)

19

45

윤찬현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s and network services

12

Signal detection, Communication theory, Statistical signal

8

processing

- 8 -

논문 건수

O 2013년2학기

3


성 명 (가나다순)

주요 연구 분야

46

이귀로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s

47

이상국

48

이용훈

49

50

신임교수 여부 (부임시기)

논문 건수 6

Radio frequency/analog/mixed-mode IC design

25

Sign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6

Computer networks

11

이준구

Wireless and wireline networks, Optical transport network

10

51

이창희

Optical communications, Optical devices

11

52

이현주

MEMS, Bio/medical microsystems, Brain Engineering

53

이희철

Infrared detectors, Radiation-resistant devices

54

장래혁

Power and energy-efficient systems

55

전주환

Signal processing, Wireless communications

11

56

정세영

Information theory, Wireless communications

6

57

Network systems and theories

11

58

정윤철

Lightwave systems and networks

11

59

조규형

Analog integrated circuits, Smart power electronics

17

60

조동호

5G mobile networks, Wireless power transfer, Bioinformatics

23

61

조병진

Nano IC technology, Graphene, Energy devices

32

62

조성환

Mixed-signal and analog IC /sensor design

11

63

준타니

Understanding brain-based mechanisms of cognitive behaviors

8

64

최경철

Flexible and transparent displays, Surface plasmon applications

36

65

최성율

66

최양규

Nano devices, Bio sensors

44

67

최완

Wireless communication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heory

24

68

최정우

69

최준균

O 2015년1학기

13 O 2014년1학기

Graphene synthesis and device applications, Molecular/nano

Vibration Control Communications-IPTV, Media networks, Energy saving

- 9 -

14

18

devices

Acoustics/Audio/Underwater systems, Array Signal Processing, Sound and

6

O 2015년1학기

10 15


신임교수 여부 (부임시기)

성 명 (가나다순)

주요 연구 분야

70

하정석

Coding,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heory

71

한동수

Computer systems in the networked environment

72

한민수

73

한영남

Wireless communications, Mobile communications

9

74

홍성철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RFIC), Integrated sensors

27

Signal processing

논문 건수 8

O 2013년2학기

4 11

2) 응용과학 정보기술 분야 사업단의 적절성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학과 소속 교수가 88명(2015.9)으로 정보기술 분 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형 학과로, BK21 플러스 사업의 미래기반 창의인재 양성형 사업에 적합하다. BK21 플러스 사업에는 학과 소속 전임교수 88명중 84.09%인 74명이 참여하므로 전체교수수의 70%이상 참여하 여야 하는 기준에 부합하고, 2013년 2학기 이후 (2013.9.1. 기준) 부임한 신임교원 6명은 모두 다음사업에 참여 하게 하여 신임교원 참여율 100%로 운영하고 있다. 본 사업단의 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이창희 교수는 지 난 3년간 11편의 SCI(E)급 논문을 발표하였고, 을국가주도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책임자 및 10억원 이상의 대 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책임을 맡고 있지 않으므로 BK21플러스 사업에서 정하는 기준을 만족한다. 본 사업에 참여하는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현황은 위의 표와 같다. 3) 사업 참여 인원의 연구 비전 부합성 본 사업의 연구 비전은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연구를 통하여 전자통신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함양하고 IT 융복합 기술 확산으로 미래 신산업을 창출하는데 있다. 본 사업단은 연구 비전을 가장 잘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각 세부 분야의 최고 전문가 74명의 교수와 ???명의 대학원생으 로 구성하였다. ■ 참여 교수의 선정 기준 본 사업단에는 지난 3년간의 연구 실적, 정부 및 산업체 과제 연구비 수주 실적, 특허 등록 및 산업체 기술 이전의 실적 등이 우수한

74명의 교수진이 참여하고 있다. 신임교수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2013

년 1학기 이후 부임한 6명의 신임교수 전원이 참여하고 있다. ■ 사업단 비전 달성 가능성 본 학과는 2015년 QS 발표 전기 및 전자공학 분야에서 세계 22위 (2014년-24위, 2013년-29위)를 차지

- 10 -


하였다. BK21 플러스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엄격한 자체평가를 거쳐 결정된 참여연구진은 연구의 양과 함께 질적 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하여 Vision 2020-Top10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참여 교수의 대표적 연구 성과 및 국제적 인지도를 보여 주는 사례 BK21 플러스 사업의 비전 달성을 위해 엄선된 본 사업단 참여 교수진의 기존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은 질적 지표를 만족시키고 있다. 아래의 사례들은 본 사업단이 이미 연구 성과의 양보다는 연구의 질적 향상 및 국 제적인 인지도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Nano Devices and Integrated Systems (NDIS)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7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NDIS분야는 Flexible electronics,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노 소자, High speed

electronics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세부 연구분야로는 organic display,

flexible display, carbon device, MEMS, mm-wave/THz device, compound semiconductor 등이 있으며 다양한 소자 및 시스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산업적 파급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조병진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의 체온으로 전기를 발생하여 웨어러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wearabl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를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start-up 기업을 창업 하였다. 또한 이 기술은 2014년에 유네스코 10대 혁신기술의 하나로 뽑혔고, 2015년에는 유네스코 넷엑스플로 어워드 시상식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하였다. - 최경철 교수, 유승협 교수 연구팀은 투명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선명도 향상기술을 개발하여 투 명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본격화를 이끌었다. 이번 성과는 나노분광분야 국제 학술지 ‘Advanced Optical Materials’의 속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 유승협, 조병진 교수 연구팀은 휘어지는 10나노미터 고분자 절연막을 개발하여 연구 결과가 Nature Materials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 스핀(spin)을 이용한 최초의 무선 소자를 개발, STNO(spin torque nano oscillator)를 사용하여 최 초로 2Mbps 무선통신을 구현하여 Scientific reports, June,2014에 발표되었다. - 최성율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을 도장 찍듯이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그 연구 결과가 나노 마이크로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스몰(small) 표지논문으로 채택되었다. ○ Computing Networking Security(CNS)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3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CNS분야는 모바일 컴퓨팅, 네트워크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빅 데이

- 11 -


터, 시스템 보안, 시뮬레이션, 멀티미디어 등의 기술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 다. 특히 미래 인터넷 및 서비스 분야의 교육과 연구에서 세계적인 선도그룹으로 나아가는 것을 주 요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등의 응용분야를 선도하여 전 세계의 건강, 환경, 에 너지 문제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정송 교수는 2013년 IEEE William Benette Prize 수상함. William Benett Prize는 네트워크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논문상으로 아시아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수상 - 박규호 교수연구팀은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trics and Security Technologies

2014에서 Best paper 상을 수상 - 한동수 교수, 박경수 교수 연구팀은 네트워크 시스템분야 최정상 학회인 USENIX NSDI 2014에서 community award를 수상 - 박경수, 이융, 정송 교수 연구팀은 모바일 데이터 offloading 플랫폼을 개발하여 모바일 시스템 저 명 학회인 ACM Mobisys 2015에 채택 - 신진우 교수는 네트워크와 기계학습 분야에 이론적 분석에 대한 기여를 함으로써 2015 ACM Sigmetrics Rising Star Research Award를 수상 ○ Circuits and Systems (CS)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2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CS분야는 집적 스마트 센서 시스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디 스플레이 반도체, VLSI 프로세서, 유무선 송수신기 시스템, 고성능 AD 컨버터,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 전반적인 응용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필요한 이론 및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 설계, 혼성 회로 설계와 같은 회로 분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 6년 연속 최다 논문 발표: ISSCC는 회로분야 최 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산업체의 최첨단 기술이 선보이는 국제 학회임. 유회준, 조규형, 김이섭, 박인철, 조성환 교수를 주축으로 한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는 Stanford, Michigan, UCLA, Intel, Samsung등의 세 계적인 교육기관, 산업체와 경쟁,2010-2015년 6년 내내 최다 논문 발표함, -

Top

ISSCC

paper

contributors(1954~2013)에서

유회준 교수는

10위를,

Top

contributors (2004~2013)에서 유회준교 수는 4위와 조규형교수는 7위를 각각 차지. - ISSCC 2015의 General chair에 유회준 교수가 선임.

- 12 -

ISSCC

paper


- 유회준 교수연구팀의 송기석박사과정은 바이오

'마르코니 재단 폴 배런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

메디컬 시스템온칩(SoC)'을 이용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 연구로30여 편의 국제논문과

10여 편의 특허를 출원하고 스마트 전기침과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패치를 개발 등 연구업적 을 인정받아 수상 - 경종민 교수 연구팀은 International Symposium on Quality Electronic Design (ISQED) 2014)에서 "Runtime

3-D

Stacked

Chip-Multiprocessors"논문

Cache

Data

Management

for

Energy

Minimization

of

3-D

으로 Best Paper Award를 수상

- 김이섭 연구팀은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Performance Computer Architecture (HPCA-2014)에서 Best Paper Runner-up Award 를 수상 - 배현민 교수 연구팀은

제 14회 대한민국 반도체설계대전’에서 ‘초저전력 100Gb/s 급 차세대 송

수신기 (트랜시버) 집적회로로 대통령상을 수상 ○ Signal and Systems(SS)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9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SS분야는 신호처리, 영상처리, 컴퓨터 비전, 전력, 에너지, 지능형 로봇, 제어, 브레인-IT, 의료영상, 브레인 분석/영상, 브레인 기반 로봇 등을 연구하며 크게 영상신호처리-컴퓨터비전, 제어/전력, 브레인-IT로 구성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3차원 영상 처리, 의료영상, 영상 분할/검색, 물체추적 검출 인식, 비디오 압축, 3D 영상분석, 오디오합성, 지 능형로봇, 전기자동차전력, 스마트기기전력공급, 브레인 모사 로봇 등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한다. - 권인소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시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휴보(Hubo) DARPA에서 실시한 2015년 재난로봇 경연대회에서 우승 - 문건우 교수는 한국과학기술 한림원 준회원에 피선되었고 인공위성(다목적5호/과학기술3호) 개발 및 발사성공 유공자 표창 대통령 표창을 수상 - 김종환 교수 연구팀은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3 (RiTA 2013) 국제 학회에서 "Organization and Selection Methods of Composite Behaviors for Artificial Creatures Using the Degree of Consideration-based Mechanism of Thought" 논문으로 Best Paper Award를 수상 -

김문철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UHD 압축기술이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HEVC표준으로 결정한데 이어

세계적인 특허풀 라이센스관리 기업인 MPEG LA측의 HEVC 표준 특허 풀에 포함되어 100억원대의 로열 티를 받을것으로 기대

- 13 -


○ COMmunications(COM)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7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COM분야는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 특히 최근 5G 이동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다중 안테나 통신, M2M 통신, 그린 커뮤니케이션, 무선 정 보/전력 전송, 스토리지 신호 처리 등 다양한 통신 기술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방송 통신 서비스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앞장서고 있다. - 서창호 교수는 2013년 IEEE Stephen O. Rice Prize 수상함. Stephen O. Rice Prize는 지난 3년 동안 통신 분야에서 출판된 논문 중 최우수 논문에게 수여됨 - 정세영 교수의 논문 On the design of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within 0.0045 dB of the Shannon limit"은 2001년 IEEE Communications Letters에 발표되어 지금까지 총 1493번 인용 (Google Scholar Citations 기준)되었고 무선통신장치의 물리적 크기가 아무리 작아도 무한한 자유도 이득을 달성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자유도 이득은 장치의 표면적에 비례하여 제한된다는 기존의 결과를 뒤 집음 - 조동호 교수는 2014 동아일보 선정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에 선정되었다. - 성단근 교수는 IEEE Communication society의 2015년 Fellow에 선임 ○ Electromagnetics and Photonics(EP)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대표 사례 12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EP분야는 기초 과학을 바탕으로 광 및 전자파 기술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 크게 광학, 안테나 시스템, 전자기학 및 RF/MW/mm 분야로 나뉘어진다. 광학 분야에서는 광소 자, 3D 디스플레이, 광 통신 등을 다루고 안테나 시스템 분야에서는 Active 안테나 시스템, Microwave to Sub-millimeter Defense, 집적 안테나 등을 다룬다. 전자기 및 RF/MW/mm 분야는 Microwave Circuit 시스템, RF/MW/mm 소자, 전파 이론, 레이더 신호 탐지, EMI 등을 연구한다. - 정윤철 교수는 13,000여명이 참여하는 IEEE 최대 학회이자, 광통신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onference (OFC)에 아시아 학자로서는 처음으로 General Chair로 활동 - 이창희 교수 연구팀은 Low noise multi-wavelength light source의 연구로 201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미래 창조과학부 장관 표창을 수상 - 김정호 교수 연구팀은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에서 Excellent Paper Award 와 Young Researcher Award 두 개의 상을 수상

- 14 -


- 박성욱 교수 연구팀은 2013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isap 2013) 학회에서 "a 14 ghz non-contact radar system for long range heart rate detection" 논문으로 best student paper

award 를 수상

- 유종원 교수 연구팀은 2013 APMC에서 두 편의 best paper award와 2014 IEEE Wireless power transfer conference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 ○ IT Convergence Systems 분야 연구 역량을 보여 주는 사례 상기 6개의 분야를 골고루 융합해 창의적인 전자통신 시스템을 연구하는 분야로 디지털 전기 자동차, 스마 트 센서 시스템, 뇌공학기반 바이오 시스템, 로보틱스의 세계적인 석학들로 구성되어 있다. - 경종민 교수는 지난 2011년 지금보다 1000배의 성능을 달성하는 스마트 센서 융합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연간 100억 규모의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 연구단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을 유치하였 으며, 본 사업단의 교수 15명이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권인소 교수는 본 사업단 교수 6명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10명)이 참가하는 연간 20억 규모의 국가 핵 심 연구 센터 (NCRC) P3Digicar 연구 센터를 유치하여 컴퓨터 비전, 전기 전력, 임베디드 시스템,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계 공학 등의 다양한 첨단 기술 등을 융합한 차세대 디지털 자동차 플랫폼을 위한 연구를 주도 하고 있음 - 김대식 교수는 총 15억 규모의 코오롱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를 유치하여 뇌과학, 신소재, IT, 콘텐츠를 융합한 라이프스타일 IT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경진대회를 통해 차세대 아이디어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음 【작성방법】 1) 제시한 사업 목표 달성에 적합한 참여 사업단장의 연구, 행정 역량 및 단장직 수행의지 기재 2) 제시한 사업 목표 달성에 적합한 참여 연구진의 구성에 대하여 기재 ※ 사업단 구성 요건(논문 및 신임교수 참여 요건)을 충족해야 함 <사업단 구성 요건>

- 15 -


- 탁월한 연구 및 행정 역량을 지녀야 하며, 최근 3년간의 연구실적이 4건 이상이 되어야 함. 이때 논문 건수는 환산편수가 아닌 단순한 논문 건수를 의미 (※ 보관증빙사항) 사업단장

- SRC, ERC, NCRC, IBS 등 국가주도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책임자(IBS는 그룹리더 포함) 또는 연간 10억원 이상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책임자는 사업단장을 겸할 수 없음 (단, 사업 선정 후 6개월 이내에 사임하는 경우 가능) - 사업단장을 포함하여 사업단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의 1인당 평균 연구실적이 최근 3년간 4건 이상 되도록 사업단을 구성해야 함. 이때 논문 건수는 환산편수가 아닌 단순한 논문 건수를 의미함.

참여교수

- 참여교수가 저자로 포함된 논문은 주저자, 공저자의 구분 없이 교수별로 각 1건으로

(SCI, SCIE,

인정함. 단 동일한 논문은 발간형태가 다르더라도 중복 계산할 수 없음

SSCI, A&HCI)

- 정보기술 패널 중 Computer Science 분야의 경우 [붙임] Computer Science 분야 우수 국제학술대회에 발표한 논문은 SCI(E) 학술지 게재 논문과 동일하게 인정 ([첨부 11]에 제시된 <논문실적 인정 기준>을 참고)

인원 구성

- 학과 전임교수 중 신임교수(2013년 2학기 이후 국내대학에 최초 임용된 전임교수)의

요건

사업단 참여 = (신임교수 전체수×70%) 후 반올림

② 전공학과(학사단위) 전체교수 중 참여교수 비율 <표9-1> 2015년 참여교수 비율

(단위 : 명, %)

구분

전체교수 수

참여교수 수

2015년 참여교수 비율

88

74

비율

(%)

84.09

[작성방법] 1) 위의 수치는 [첨부 1] 2015년도 대학원 학과(부) 소속 참여교수 현황과 연동되어 기재됨 (시스템 자동입력) <표9-2> 최근 2년간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소속 교수 변동 현황 구 분 전체 교수 수 (명) 전입 교수 수 (명) 전출 교수 수 (명)

(단위 : 명)

2014년

2015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86 2

88

86 2

88

2

<표9-3> 최근 2년간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소속 교수 변동 내역

- 16 -


연번

1 2 3 4 5 6

성명 김훈 장래혁 이석희 정명진 최정우 이현주

변동 학기 2014년 1학기 2014년 1학기 2014년 2학기 2014년 2학기 2015년 1학기 2015년 1학기

전출/전입 전입 전입 전출 전출 전입 전입

변동 사유 신규임용 신규임용 퇴직(사직) 정년 퇴임 신규임용 신규임용

【작성방법】 1) “전체 교수 수” 작성 시 해당연도 1학기와 2학기는 각각 3월 1일과 9월 1일을 기준으로 기재 ※ 단, 2015년 2학기는 신청서 접수 마감일을 기준으로 기재 2) “전입 교수 수” 및 “전출 교수 수”는 해당 연도별 학기별 동안의 신청 사업단 소속 학과 (부)로의 발령일을 기준으로 작성 예) 2014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사업단 소속 전임교수가 40명이고, 3월 1일 이후 1학기 동안 (2014.3.1-2014.8.31) 해당 학과 전입 교수가 2명, 전출 교수가 3명인 경우 다음과 같이 작성 ‣ 전체 교수 수 (40명), 전입 교수 수 (2명), 전출 교수 수 (3명) 3) <표9-3>은 아래의 사항을 유의하여 작성 ‣ <표9-2>에 기재된 전입, 전출 교수의 변동 사유를 모두 기재 【제출증빙자료】 1) 최근 2년간의 신청 학과(부) 소속 교수의 전‧출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공문 사본 등

- 17 -


8. 연구의 국제화 현황 및 계획

8.1 사업단 비전에 맞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

◎ 요약 ○ 2020년 Global TOP10 EE학과를 목표로, (1) KAIST EE의 Global Brand화 (2) 질적인 국제 공동연구의 성장을 추진

○ 최근 2년간 QS Ranking 22위(2015년)로 7계단 성장, 5배 이상의 국제 학회 수상 건수 증

가, 국제 공동 연구 건수 4배 증가

○ KAIST EE의 Global Brand화를 위한 IEEE Fellow 증가, 국제 prestigious award 수상 증진,

해외 홍보 강화 전략 추진

○ 국제 공동연구의 질적 성장을 위한 대형 국제공동연구 과제 추진, 국제 기술이전 지원 방

안 및 대학원생 국제적 학술 능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 파견, 해외 연구소 파견 계획 수립 및 추진

① 국제화 전략 및 계획 2020년 Global Top10 EE 학과를 목표로 본 연구단은 (1) KAIST EE의 Global Brand화 (2) 질적인

국제 공동연구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국제화 전략을 설정하고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난 2년간

사업단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하여 왔다.

○ KAIST EE의 Global Brand화

- QS Ranking 29위(2013년)에서 22위(2015년)로 7계단 성장 - 14명의 국제학회 Fellow(IEEE 11명) - 48건의 국제학회 수상

○ 질적인 국제 공동연구의 성장

- 6개 연구그룹으로의 클러스터화를 통한 국제 공동 연구 활성화 - 77건의 국제 공동연구

② 국제화 추진 방안 가. KAIST EE의 Global Brand화 전략 및 추진 방안

■ 국제 prestigious award 수상 증진 - 본 사업단은 IEEE Fellow를 2020년까지 15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여왔으며, 2015년

- 1 -


현재 총 11명의 Fellow를 배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질적 향상을 통해 다양한 학회의 대표적인 Award의 수상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최근 본 사업단은 조병진 교수가 UNESCO 10대 IT 혁신기술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visibility를 갖는 수상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확장표 8.1-2, 확장표 8.2-1 참조) 국제학회 수

상 실적에 있어서도 최근 2년간 24건/년으로, 이전의 4.5건/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국제적인 visibility를 갖는 수상 사례를 크게 늘이도록 노력한다. <확장표 8.1-1> 국제학회 수상실적 증가

연도

국제학회 수상실적(건)

수상실적(건/년)

2010~2013.8

17

4.5/년

2013.9~2015.8

48

24.0/년

■ Major 학회 주최 활성화 - 본 연구단은 7대 연구 분야의 대표적인 Global 학회를 주최함으로써, KAIST EE 학과의 활동을 국

제적으로 알리며, 학술적 산업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도록 한다. 최근 본 연구단의 유회준교수가 미 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15 국제고체회로학회(ISSCC, International Solid State Circuits Conference)에서 아시아 최초로 학회장에 선임되었다.

■ 학술지 편집 위원 증가 -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은 최근 2년간 140건의 전문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큰 양

적, 질적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확장표 8.1-2 참조). 본 사업단은 사업 종료시까지 연평균 최고 Journal 편집위원 수를 54건/년까지 증가를 목표로 설정하고자 한다. <확장표 8.1-2> 국제학회 편집위원 증가

연도

학술지편집위원(건)

편집위원(건/년)

2010~2013 (4년)

107

27/년

2013~2015 (3년)

140

46/년

■ 해외 언론 홍보 -

KAIST 홍보실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하여, 본 연구단의 우수한 연구 결과를 해외 언론을 통해 적

극 홍보한다. 지난 2년간 37건의 해외 언론 보도 사례가 있었으며, 향후 1년 평균 10% 증가를 목표로 한다. - 이를 위해 사업단에서는 최근에 모바일/PC 접속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국문/영문으로 새롭게

- 2 -


제작 하였고, 학과 동영상을 제작하여 홍보에 힘쓰고 있다. 최근 본 사업단 유회준 교수는 구글 글래스에 대항할 수 있는 K-Glass 기술을 개발하여 Wall street journal 2014년 5월 5일자에 내 용이 소개될 정도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조병진 교수가 개발한 웨어러블 체온 전 력생산 기술은 유네스코의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중 그랑프리에 선정되어 다수의 해외 언론에 소개된 바 있으며, 권인소 교수가 참여한 Team KAIST의 2015 DARPA Robotics Challenge 우 승으로 그 연구 성과가 CBS News를 비롯한 주요 언론을 통해 홍보되었다. 나. 국제 공동 연구의 질적 성장의 전략 및 추진방향

■ 국제 공동 클러스터화 - 참여교수에 따른 개인적인 연구 협약에 의존하지 않고, 본 사업단의 6대 연구 그룹인 CC, CNS, CS, NDIS, EP, SS로 클러스터화 하여 국제 공동 연구의 시너지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전략

에 따라 최근 2년간 국제 공동 연구 건수는 1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해외연구사업에 있어서 도 Infocomm Research, Bosch Investment, AOARD 등으로부터 대형 연구 사업을 수주하고 진 행중에 있다. (확장표 8.1-3, 8.1-4 참조) <확장표 8.1-3> 국제 공동연구의 건수 증가 건수(건)

연도 2012~2013.8

7

3.8/년

2013.9~2015.8

77

38.5/년

<확장표 8.1-4> 대표적 해외연구사업 위탁기관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Bosch(China) Investment Limited

태스크 책임자

연구제목

연구비(원)

준 타니

Brain-Realistic Models and Learning for Robotic Cognition and Autonomy

309,834,800

권인소

Shared Sensing for Cooperative Cars

222,693,864

AOARD

김대식

Lam Research Corporation

조병진

AOARD

이수영

Bosch(China) Investment Limited

이융

Predictive Coding strategies for invariant object recognition and volitional motion control in neuromorphic agents 그래핀에 대한 플라즈마와 습식 화학 처리의 효과에 대한 연구 Machine Understanding of Implicit Human Intention(2차/3년) Shared Sensing for Cooperative Cars

- 3 -

210,629,600 161,810,923 158,173,200 100,000,000


■ Global 기업과의 공동 연구 센터 설립 - 본 사업단의 국제화 및 사업단 출신 학생들의 global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global 기업과의 공

동 연구 센터 설립을 증대한다. 본 사업단은 미국 Texas Instruments와 KAIST-TI 센터를 수립한 바 있 다. 이와 같은 연구 센터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며 양적으로는 사업 후 이러한 센터를 5개 정도 운영하 는 것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 세계 Top 10권 대학과의 Global Alliance 결성 -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국제 공동 연구를 글로벌 우수 대학들 추진하도록 한다.

교육 분야에 있는 dual degree와 같은 형식으로 일방향식 지원이 아닌,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실질 적 공동 연구 센터를 한다. 한국/스위스 공동과제를 통하여 김대식 교수는 EPFL과 Global Research Lab을 운영중이다. 본 사업기간 동안 이러한 연구 센터를 총 5개 이상 설립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 Global 우수 학생들을 위한 KEPSI, EPSS와 같은 산학 프로그램 개발 - 이미 세계를 선도하는 Global 기업이 우리나라에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외국 학생들에게 KAIST 학위 후 우리나라의 Global 기업에 취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우리 기업들의 Global 인재

고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외국 학생들에 대한 KEPSI 혹은 EPSS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준비하고 있다.

■ Global 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 증대 - 본 사업단이 국제적인 산업개척을 리드하기 위하여, 해외 기술이전 비중을 연 1건 이상 증가시키

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해외 특허 지원 및 홍보를 위해 산학협력단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 다.

■ Global 창업 지원 - 세계 Top 대학들은 젊은 졸업생의 창업으로 Microsoft, SUN, Google, Facebook 등과 같은

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을 배출하고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가 세계 10위권의 역량에 이르 기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기업들이 출현될 수 있게끔 체질개선의 필요가 절실해지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에서는 글로벌 혁신 기업들의 창업이 활발해 질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o 석박사 과정에서 기업경영, 창업 관련 교과목 이수 및 교육 프로그램 참여 적극 권유: 기

업경영에 관심 있거나, 학부에서 경영학을 부전공으로 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석박사 과정 학생

- 4 -


에게 기업 경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관련 교과목 이수와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지원 o 외국의 제도를 벤치마킹한 Curricular Practical Training (CPT) 과정을 통해 학외 벤쳐회

사에 근무하면서 학위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학위과정을 개방 o 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에 대한 기술적 feasibility와 시장 분석을 도와주는 멘토링 시스템

을 선배들의 선발 기업 경영자 풀에서 제공 o 경쟁력 있는 창업이 가능한 학생들에게 학내 산학협력단을 통하여 seed 자본을 제공하고 sponsor가 될 VC (venture capital)를 연결 o 창업지원 학생들에게 해외 글로벌 기업의 파견 근무를 적극 지원 o 기술화 가능성이 큰 연구 성과를 얻은 학생들에게는 박사 학위 심사위원으로 국내외 VC

를 초대하여, 사업화 기회를 제공

■ 국제 공동연구 지원 강화 -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을 일상화되도록 하고, 국제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

나를 개최함으로써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양시킨다. 또한 세계 수준의 연구 활동을 위해 해외 우수 연구 그룹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매년 예산 편성 시, 세계적인 연구그룹 과 국제 공동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를 계획하는 연구실의 대학원생 참여 경비를 우선 지원하도록 하 고 있다.

■ 대학원생의 국제적 학술능력 강화 - 대학원 학생이 국제적 활동력을 강화하고 국제적 진출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화 교육프로그

램과 연계하여 다음의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o 국제공동연구/워크샵 참여 확대를 통한 국제수준의 연구기회 제공 - 최근 2년간 77건의 국제 공동연구와 31건의 국제 공동 워크샵 참여 o 글로벌 기업, 기관, 대학에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십 기회 부여 - 최근 1년간 35건의 산업체 및 해외 연구소 파견과 21건의 해외 연구소 인턴십 기회 부여 (확장표 8.2.# 참조)

【작성방법】 1) 사업단의 연구비전 및 최근 2년간 국제화 실적을 고려하여 연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제화 전략 및 계획을 기술 【보관증빙자료】 1) 관련 증빙자료를 전문기관 장의 요구 또는 평가 시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 또는 사업단에 비치

- 5 -


8.2 참여교수의 국제화 현황 (최근 2년)

① 국제적 학술활동 참여 실적 ◎ 요약

- 14명의 국제 학회 Fellow (IEEE Fellow 11명) - 48건의 국제학회 수상실적 - 140명의 국제 학술지 편집위원 - 124건의 초청 및 기조 강연 - 98건의 국제학술회의 Chair 활동 - 262건의 국제학술회의 주요위원회 활동 - 21건의 국제 저술 단행본 및 Book Chapter 저술

가. 국제학회/학술대회 활동

○ 국제 학회 Fellow 선정 본 사업단의 교수 중 총 14 명이 IEEE, OSA와 같은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회에서 Fellow로 활동중이며, 이 중 11명이 IEEE Fellow이다. Fellow란 저명한 학술단체들이 학회의 명예와 명성 을 대표할 만한 탁월한 연구 및 학술 업적을 낸 석학에게 주는 학술칭호이며, 세계 최대의 전 기전자 공학계열 학회인 IEEE의 경우, 학회회원 중 매년 회원의 0.1%이내에서 Fellow를 선임하 고 있다. 본 사업단은 2020년까지 IEEE Fellow를 15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확장 표 8.2-1참조). <확장표 8.2-1> 국제학회 Fellow 내역 (총 14건)

선정년도

교수명

학회명

2005

문재균

IEEE Fellow

2005

이주장

SICE Fellow

2005

이주장

ICROS Fellow

2006

정윤철

IEEE Fellow

2006

정윤철

OSA Fellow

2008

유회준

IEEE Fellow

2008

이주장

IEEE Fellow

2009

경종민

IEEE Fellow

- 6 -


2009

김종환

IEEE Fellow

2009

송익호

IEEE Fellow

2010

이창희

IEEE Fellow

2012

장래혁

IEEE Fellow

2014

이귀로

IEEE Fellow

2015

성단근

IEEE Fellow

○ 국제학회 각종 수상 저명한 국제학회에서의 수상은 단순 논문 발표를 넘어선, 즉, 그 학회의 최고 논문들에만 주 어지는 영예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팀은 총 48건의 국제 학회로부터의 수상을 통하여 최고의 논문들 중 최고의 결과를 양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사업단의 조병진 교수가 UNESCO 10대 IT 혁신기술상을 수상하였으며, 최성율 교수의 NANO Korea 2015 국무총리상

수상, 최경철 교수의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수상을 비롯하여,

유경식 교수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와

대한전자공학회(IEIE)의 “IT 젊은 공학자상”, 신진우

교수가 ACM SIGMETRICS Rising Star AWARD를 수상함으로서, 본 연구단이 세계 최고의 결 과를 양산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확장표 8.2-2> 참여교수의 국제학회 수상내역 (총 48건) 연번

참여교수

수 상 명

학 회 명

1

권인소

Best poster award

The 8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2

권인소

Best poster award

The 9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obust computer vision

3

권인소

Best Paper Awards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CSVT)2014

4

김이섭

Best Design Award

2013 International SoC Design Conference (Chip Design Contest Session)

5

김이섭

Best Paper Runner-up Award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Performance Computer Architecture (HPCA-2014)

6

김이섭

Best Design Award

2014 IDEC SoC Congress Chip Design Contest

7

김이섭

Best Paper Awar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Design

8

김정호

Excellent Paper Award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okyo (EMC’14/Tokyo)

- 7 -


연번

참여교수

수 상 명

학 회 명

9

김정호

Best Paper Award

2015 IEEE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Signal Integrity

10

김정호

Young Researcher Award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14)

11

김종환

Best Paper Award

RiTA2013

12

김종환

Best Paper Award

RiTA2014

13

김탁곤

BEST PAPER AWARD

The 10th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Modeling & Simulation Multiconference 2013

14

노용만

Honarable mention poster award

SPIE Medical Imaging 2015

15

문건우

Best Paper Awa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nd energy Grid-Adaptive Technologies WeGAT 2014

16

문건우

Best Paper Awa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nd energy Grid-Adaptive Technologies WeGAT 2014

17

문건우

Best Paper Awa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nd energy Grid-Adaptive Technologies WeGAT 2014

18

박경수

community award

USENIX NSDI 2014

19

성단근

Best Presentation Award

A3 Foresight Program 2014 Annual Workshop , Jul. 14-15, Gyeongju, Korea - Research on Next Generation Networks and Network Security

20

성단근

Best Presentation Award

A3 Foresight Program 2015 Annual Workshop , Jul. 1-4, Beijing, China - Research on Next Generation Networks and Network Security

21

신진우

ACM SIGMETRICS Rising Star Awar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omputer Systems (SIGMETRICS)

22

양경훈

Best Paper Award (Silver Prize)

제 18회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ISCE 2014)

23

유경식

Best poster Award

Nano Korea 2014 symposium” poster award Best poster -In-situmetal-oxidessynthesiswithpulsedlaserheating

24

유경식

Best poster Award

Nano Korea 2014 symposium” poster -Efficientwaveguidecouplinginterfaceformetal-patch nanolasers

25

유경식

“IT 젊은 공학자상”

IEEE/IEIE (국외/국내)

26

유승협

KIDS Award(금상)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IMID 2013)

27

유승협

Best Poster Award

2013, International Workshop on Flexible and Printable Electronics

28

유종원

best poster paper awards

IEEE Wireless Power Transfer Conference 2014 (WPTC 2014)

29

유회준

Best Design Award

A-SSCC 2014 Student Design Contest

30

윤준보

Outstanding student paper award finalist

The 28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31

윤찬현

The best paper on AIM 201

The 4th FTR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IT, engineering and Management (AIM 2014)

32

이상국

2015 Best Paper Award

Emerging Technologies: Wireless Power (WoW), 2015 IEEE PELS Workshop on

- 8 -


연번

참여교수

수 상 명

학 회 명

33

이수영

Best Paper Award

ICONIP 2013

34

이융

Service Award

ACM Mobicom

35

이준구

Best Student Paper Award

COIN 2014

36

장래혁

Recognition of Service Awa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Design

37

장래혁

Low-Power Design Contest Awa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38

장래혁

Best paper Awa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39

정송,이융

Best Paper Award

IEEE SECON

40

조규형

Predoctoral Achievement Award 2013-2014

IEEE-SSCS

41

조동호

국제철도연맹(UIC) 총회

42

조병진

43

최경철

이노베이션 어워드 유네스코 세계 10대 IT 혁신기술에 체온으로 전기만드는 기술 선정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최우수 논문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44

최경철

Best paper bronze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4

45

최성율

best poster

NANO KOREA 2015

46

최성율

국무총리상

NANO KOREA 2015

47

최준균

데모부문 장려상

2014 IEEE 3rd Glob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48

홍성철

Best Poster Award

10th International SoC Conference Chip Design Contest Session (ISOCC)

유네스코 (국외) 2014 JID 논문

○ 초청 및 기조강연

본 사업단의 참여교수들은 국제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포럼, 컨퍼런스, 각종기관 등에서 초청을

받아서 강연을 함으로써 본 사업단의 위상을 제고하였고, 이는 우수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음은 물론, 사업단의 지원으로 얻은 성과를 이용하여 국제학 회를 선도하는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초청강연의 주제들로는 그래핀 소자, 이동통신, 전기자동차, 광통신,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124건의 초청 및 기조 강연을 하였다. <확장표 8.2-3> 초청 및 기조강연 내역 (총 124건)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1

강준혁

초청강연

2

경종민

기조연설

3

권인소

초청강연

4

권인소

초청강연

주최 및 주제 technion, Beamforming design for joint local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2014 APCOT 2014, Smart Sensors for Future Lifestyle and Industrial Ecosystem, 2014 Asian Conference on Pattern Recognition, Robust Computer Vision Techniques for High-quality 3-D Modeling, 2013 Japan-Korea Joint Workshop on Frontiers of Computer Vision, 3D Selfie: High-quality 3D Modeling by Cameras, 2015

- 9 -


5

권인소

초청강연

6

권인소

기조연설

7

권인소

기조연설

8

김종환

초청강연

9

김창익

튜토리얼

10

김훈

초청논문

11

김훈

초청논문

12

류승탁

초청강연

13

류승탁

초청강연

14

류승탁

초청강연

15

박경수

초청강연

16

박경수

초청강연

17

박경수

초청강연

18

박경수

초청강연

19

박경수

초청강연

20

박성욱

초청강연

21

박성욱

초청강연

22

박성욱

초청강연

23

박철순

초청강연

24

박철순

초청강연

25

배현민

초청강연

26

배현민

초청강연

27

서창호

초청강연

28

서창호

초청강연

29

서창호

초청강연

30

서창호

초청강연

International Robot Experts Forum , Perception Technology for Intelligent Robots: Challenges and Limitations, 2014 university of jules verne, Robust Computer Vision Technology for Intelligent Robots: Challenges and Limitations, 2015 University of Tokyo, Per-pixel representation for accurate geometry recovery, 2014 TAIROS, The Next Technological Wave: IntelligenceTechnology(InT)for IntelligenceSuper-Agent,2014 IEEE Visual Communications and Image Processing, Depth-based Techniques for 3D Video Processing,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Signal Processing, 10-Gb/s/channel WDM PON using ultra-narrow spectrum-sliced incoherent light source,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Communications and Networks, 1.5-mm high-speed VCSEL link for optical access applications, 2014 Qualcomm, New SAR ADC architectures for high speed applications, 2015 Maxim integrated, New SAR ADC architectures for high speed applications, 201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Low power architectures for high speed ADCs, 2015 IEEE ICME, A Case for Caching Middleboxes for Scalable MMT Video Delivery, 2015 Max Planck Institute for Software Systems, Building a Highly-scalable TCP Stack on Multicore Systems, 2014 Microsoft Research, Gaining Control of Cellular Traffic Accounting by Spurious TCP Retransmission, 2013 Global Future Internet Summit Workshop, Effectiveness of Redundancy Elimination of Modern Cellular Traffic, 2013 University of Washington, Scaling TCP Performance for Multicore Systems, 2013 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IEICE, IEEE APS, 28 GHz Propagation Measurement Using FMCW Radar in a Reverberation Chamber, 2014 IEEE Antennas and Propagaton Society (AP-S), Effects of the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of a Coating Layer on Waveguide Long-Slot Antenna, 2014 CSIRO/IEEE APS, Multi-band, dual polarization, dual antennas for beam reconfigurable antenna system for small cell base Station (Invited paper) , 2014 GSMM, A 60GHz CMOS RF Tranceiver for BYOD Applications, 2014 APMC, Techniqures of Envelope Tracking Transmitter for Base-Station and Mobile Applications, 2014 Asian workshop on smart sensors, A monolithic high resolution fNIRS system for functional brain imaging, 2014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A monolithic portable functional brain imaging system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2013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ECE Department, Efficient top-K ranking, 2015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Fundamental limits of top-K ranking, 2015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Information Theory of Matrix Completion, 2014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Coding for Distributed Storage, 2014

- 10 -


31

서창호

초청강연

32

성영철

초청강연

33

신민철

초청강연

34

신민철

초청강연

35

신민철

초청강연

36

신진우

초청강연

37

양경훈

초청강연

38

원용협

초청강연

39

유경식

초청강연

40

유경식

초청강연

41

유승협

초청강연

42

유승협

초청강연

43

유승협

초청강연

44

유승협

초청강연

45

유승협

초청강연

46

유승협

초청강연

47

유윙타이

초청강연

48

유윙타이

초청강연

49

유윙타이

초청강연

50

유윙타이

초청강연

Institute for Infocomm Research, Fundamental Limits of Cellular Networks, 2014 SPAWC(Signal Processing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randomly directional beamforming between line-of-sight and rich scattering channels, 2015 AWAD, Performance Boosters for Nanoscale Schottky Barrier MOSFETs: Computational Study, 2014 ISPSA, Quantum simulations of silicon nanowire field effect transistors: surface roughness and strain effects, 2014 ICCP-9, Multiscale simulation of Schottky barrier tunnel transistors, 2015 IMA , Graphical Models, Statistical Inference, and Algorithms (GRAMSIA), 2015 Univ. of Cambridge, Status & Perspective of Resonant Tunneling Device Technology for next-generation ultra low-power/high-functinoality 3D nano systems, 2015 SPIE, Electrowetting-based adaptive vari-focal liquid lens array for 3D display, 2014 SPIE, Efficient waveguide coupling interfaces for subwavelength-scale metal-optic cavities, 2013 Electromagnetics Academy, Laser-based Photothermal Synthesis of Metal Oxide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2014 Solid-State and OrganicLighting(SOLED),OutcouplingenhancementinOLEDs:opportunityfro mhigh-indexandlow-indexlayers,2014 6thAsianConferenceonOrganicsElectronics(A-COE), High-index plastics with built-in scattering: opportunity for low-cost, scalable outcoupling enhancement in OLEDs, 2014 SPIE Optics + Photonics 2014, Utilizing PEDOT:PSS as a versatile conductive low-index layer for efficiency improvement in OLEDs, 2014 IEEE PVSC , The stability of organic solar cells under highly damp conditions - normal vs. inverted cells, 2014 IDC-NICE 2013 , Trans-scale optical simulation for OLEDs: Case studies, 2013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Topical Meeting: Optics and Photonics for Energy & the Environment (E2) (OSA) , Light management in organic solar cells, 2013 HKUST, Partial Sum Minimization of Singular Values in RPCA for Low-Level Vision, 2013 Big data workshop, CUHK,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Microsoft,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51

유윙타이

초청강연

Intel,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52

유윙타이

초청강연

53

유윙타이

초청강연

54

유윙타이

초청강연

MIT,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hotometric Methods in Geometry Refinement, 2014 Hong Kong University, Rank Minimization in Computer Vision, 2014

55

유회준

초청강연

56

유회준

초청강연

57

유회준

초청강연

SIGRAPH, Wearable Computer and Wearable Healthcare, 2013 IMWS, Wireless Body Area Network(WBAN) Circuits and Systems, 2013 TI, Research at SSL - "Humanistic Engineering", 2014

58

유회준

초청강연

CICC, Wearable Healthcare (Bio-Medical Systems & Circuits), 2014

- 11 -


59

유회준

초청강연

60

유회준

초청강연

61

유회준

초청강연

62

유회준

초청강연

63

이수영

초청강연

64

이수영

초청강연

65

이수영

초청강연

66

이수영

초청강연

67

이수영

초청강연

68

장래혁

초청강연

69

장래혁

초청강연

70

장래혁

초청강연

71

장래혁

초청강연

72

장래혁

초청강연

73

정송

기조연설

74

정송

초청강연

75

정세영

초청논문

76

정세영

초청강연

77

정윤철

초청강연

78

정윤철

초청강연

79

정윤철

초청강연

80

정윤철

초청강연

81

정윤철

초청강연

82

정윤철

초청강연

MCSoC, Humanistic Intelligence System: Bio-Inspired Multi-core Pattern Recognition Processor with on-Chip Machine Learning, 2014 NRF, Humanistic Intelligence Neural Network and Multiprocessor for fast Object Recognition, 2014 Samsung America, Wearable Healthcare (Bio-Medical Systems & Circuits), 2014 GARS 2015, Augmented Reality: Future User Experience, 2015 4th INNS Symposia Serie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Information Systems(INNS-CIIS 2014), Brain Fingerprints for User Authentication Systems with Absolute Safety, 2014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I Know What You Think: Understanding Human Internal States for Artificial Cognitives Systems, 2014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putational Behavioral Sciences 2014, Understanding Human Internal States from Brain Imaging and Behavioral Data, 2014 SPIE2014, User Authentication Systems Based on Brain Finger-prints, 2014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ICONIP2013), Artificial Cognitive Systems with Active Learning and Situation Awareness Abilities: From Cognitive Science to Real-World Applications, 2013 EDA Workshop 2013, Computer-Aided Design for Energy Systems, 2013 Synthesis And System Integration of Mixed Information Technologies (SASIMI) 2013, Computer-Aided Design of Electric Vehicle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2013 Penn state, Design Automation of Things, 2015

UCSC, Design Automation of Things, 2015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sign Technologies for IoT (ISIoT), Design Automation of Things, 2015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 Human Mobility Patterns and Their Impact on Mobile Network Performance, 2013 Global Future Internet Summit, Where Are We Heading?, 2013 2015 IEEE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Superdirectivity in wireless channels, 2015 2014 IEEE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A unified achievability theorem, 2014 EXAT(Technical Committee on Extremely Advanced Optical Transmission Technologies), Maximum capacity improvement achievable by using multi-level modulation formats in MCF transmission systems, 2013 International Workshop on Emerging photonic technologies for access/metro networks, Towards practical WDM PON for 10-Gb/s service and beyond, 2014 Photonics Summit 2014 / Euroscience Open Forum (ES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photonic communications, 2014 Vincent Meyer Colloquium / Technion, FTTH Past, Present, and Future, 2014 Vincent Meyer Colloquium / Technion, Historical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s of fiber-optic communications, 2014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OECC), A practical 10-Gb/s Ultra-dense WDM PON (invited paper), 2014

- 12 -


83

조동호

기조연설

84

조동호

기조연설, 초청연설

85

조동호

기조연설

86

조병진

초청강연

87

조병진

초청강연

88

조병진

초청강연

89

조병진

기조연설

90

조병진

초청강연

91

조성환

초청강연

92

조성환

초청강연

93

조성환

초청강연

94

조성환

초청강연

95

조성환

초청강연

96

조성환

초청강연

97

조성환

초청강연

98

준타니

초청강연

99

준타니

기조연설

100

준타니

초청강연

101

준타니

초청강연

102

준타니

초청강연

103

준타니

초청강연

104

준타니

초청강연

105

준타니

튜토리얼

IEEE Wireless Power Transfer Conference 2014, KAIST On-line Electric Vehicle(OLEV)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for Transmportation systems, 2014 IEEE VTC Workshop on Emerging Technologies: Wireless Power The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5G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2020 and Beyond (MWC2020), The development of Shaped Magnetic Field in Resonance Systems for Evs and Trains, 2014 2015 IEEE WoW(Workshop on Wireless Power), Development of Shaped Magnetic Field Systems for EVs and Trains, 2015 2013 International Carbon Festival, Synthesis of graphene for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applications, 2013 Institute of Materials Research and Engineering, LOW-COST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SCREEN PRINTING TECHNIQUE, 2014 Wearable Technologies Group (WT), Wearabl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201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Flexible Thermoelectric Device for Wearable Electronics, 2014 National Taiwan University, Process Integration for Graphene-based RF FET, 2014 Maxim IC, All-electrical sensors that measure heart rate, pulse-wave velocity and respiration, 2014 CMOS Emerging Technology Research, High-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time-domain arithmetic circuits , 2015 National Univ. of Singapore, Low-noise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using reference multiplication & high-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time-domain arithmetic circuits,2015 Technion Israel, All-electrical sensors that measure heart rate, pulse-wave velocity and respiration, 2014 Univ. of British Columbia, High-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Time-Domain Arithmetic Circuits and Health-care Sensors for Non-electrical Vital Sign Monitoring , 2015 National Taiwan Univ., Low-noise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using reference multiplication & high-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time-domain arithmetic circuits,2014 International Microwave Symposium, Low noise high OSR sigma delta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14 WORKSHOP, “Prediction and postdiction for tackling the problem of 'free wills': From neuro-robotics experimental studies.”, 2014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ICANN 2014), Self-Organization and Compositionality in Cognitive Brains: A Neuro-Robotics Study, 2014 Aldebaran, Self-Organizing Functional Hierarchy: A Neuro-Robotics Study, 2014 The 5th Korean-Swiss Science Days, Self-Organization of Functional Hierarchy for Action Generation and Dynamic Visual Perception, 2014 Biologically Inspired Cognitive Architectures 2014 Symposium on Consciousness, Analyses on Phenomenology of Intention and Consciousness from Neurorobotics Experimental Studies,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gnitive Neuroscience Robotic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free-will: a phenomenological analysis from neurorobotics study, 2014 Interdisciplinary College 2015, Compositionality and self-organization in cognitive brains: neuro-robotics study, 2015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Compositionality and Self-Organization in Cognitive Minds: Lessons from Neuro-Robotics Experimental Studies,2015

- 13 -


106

최성율

초청강연

107

최성율

초청강연

108

최성율

초청강연

109

한동수

초청강연

ENGE 2014, Transfer Process and Interface Engineering for High Performance Graphene Electronics, 2014 NVMTS 2014, Resistive Switching of Graphene Oxide and TiO2 Thin Films: Physics and Applications, 2014 Graphene 2014, Dry-transfer process and interface engineering for high performance graphene transistor, 2014 HKUST, Bringing the Performance to the "Cloud", 2014

110

한동수

초청강연

HKUST, Invited Talk, 2015

111

한동수

초청강연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Computer Science Colloquium, 2015

112

한동수

초청강연

칭화대학교, 초청강연, 2015

113

한영남

초청강연

Future forum, 5G Research and Technology Initiatives in Korea, 2013

114

한영남

초청강연

115

한영남

초청강연

116

한영남

초청강연

5G Summit, 5G activities in Korea, 2014 IEEE VTS APWCS, Some Thoughts 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2014 National CTU , lecture on wireless communications, 2014

117

한영남

초청강연

118

한영남

초청강연

119

한영남

초청강연

120

한영남

초청강연

121

한영남

초청강연

122

홍성철

초청논문

123

홍성철

초청논문

124

최정우

기조강연

CEATEC-IEICE, 5G activities in Korea, 2014 METIS consortium, 5G Research and Technology Initiatives in Korea, 2014 Networld 2020-5G alliance, Requirements on 5G systems a perspective from Korea, 2014 Future forum, Enabling Technology for 5G: 5G Forum, 2014 CommunicAsia2015, 5G Research and Technology Initiatives in Korea, 2015 IEEE (APMC 2014), Millimeter Wave Integrated Circuit Researches in KAIST, 2014 CREER (GSMM 2015), Millimeter wave UWB pulse radar front-end Ics, 2015 Inter-Noise 2014, Sound Sketch, 2015

○국제학술회의 좌장 및 주요위원회 활동 본 사업단의 참여교수들은 활발한 국제학술활동을 통해 각종 Chair 활동 98건의 실적이 있었 다. 최근 2년간의 Chair 활동 98건 중 40건(41%)이 IEEE 학회의 chair 활동들이다. (확장표 8.2-4 참조)

또한, 국제 학회의 발표 논문의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TPC/PC/OC (Technical Program Committee, Program Committee, Organizing Committee)등의 주요위원회 활동 실적으로 262건

이 있었다. (확장표 8.2-5 참조) <확장표 8.2-4> 국제학술회의 좌장 활동(총 98건) 연번 교수명

활동내역

주최 및 주제

1

강준혁

TPC vice chair

IEEE VTC2014 Spring

2

강준혁

General Secretary

IEEE VTC2015 Spring

3

경종민

General Chair

2st Asian Workshop on Smart Sensor Systems

- 14 -


4

권인소

General Chair

IAPR-PSIVT 2015

5

권인소

General Chair

URAI 2015

6

권인소

President

Asian Federation of Computer Vision (AFCV)

7

김대식

Korean Scientific Chair

The 5th Swiss-Korean Science days "From Brain Science to brain IT"

8

김용대

PC Co-Chair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ecurity Applications 2013

9

김용대

Publicity Co-Chairs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2013

10

김용대

Research Track Area Co-Chair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 2014

11

김정호

Conference Chair

IEEE EDAPS (Electrical Design of Advanced Package and Systems),2015

12

김정호

Conference Chair

IEEE WPTC Conference 2014

13

김종환

General Chair

RiTA

14

김종환

Organizer

FiRA RoboWorld Congress

15

김창익

Registration Chair

2013 IEEE IVMSP(Image, Video and Multidimensional Signal Processing) Workshop

16

노용만

Special Session Chairs

The Pacific-Rim Conference on Multimedia(PCM2013)

17

류승탁

session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ASSCC)

18

류승탁

session chair

IEEE Inter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

19

박경수

Program Co-chair

ACM APSys'15

20

박성욱

General co-chairs

The 2015 Asian Workshop on Antennas and Propagation (AWAP2015)

21

박철순

Chair

2013 APMC Short course/workshop

22

박현철

Track Chair

IEEE VTC 2014-Spring

23

성영철

ISC Vice Chair

IEEE ComSoc APB

24

신민철

Mini Symposium Organizer/Chair

ICCP-9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Physics)

25

신민철

TPC Chair

AWAD 2015 (Asia-Pacific Workshop o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Advanced Semiconductor Devices )

26

신영수

TPC Chair

ICCD,International Conf on Computer Design2014, VLSI-SoC

27

신진우

Session Chair

INFORMS Annual Meeting, 2015

28

양경훈

Tech Program Sub-Committe Chair

7th Global Symposioum on Millimeter-Waves(GSMM)

29

유승협

TPC chai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30

유승협

TPC chair

Asian Conference on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ASIA-Nano)

31

유승협

Program Co-Chair

Solid-State and Organic Lighting (SOLED) (Light,Energy,andtheEnvironmentCongressbyOSA)

32

유승협

TPC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hite LEDs & Solid State Lighting (WLED)

33 유윙타이

Area Chair

PSIVT2013

34 유윙타이

Area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3D Vision(3DV) 2015

- 15 -


35 유윙타이

Area Chai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ICCV) 2015

36

유회준

TPC Vice Chair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4 (ISSCC)

37

유회준

TPC Chair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5 (ISSCC)

38

유회준

Special Sessions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4 (A-SSCC)

39

유회준

Special Sessions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5 (A-SSCC)

40

윤준보

Session chair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and Microsystems(Transducers2015)

41

이수영

Organizer

13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

42

이수영

Honorary Chair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43

이수영

Organizer

44

이수영

Award Committee Chair

KAIST Qualcomm Innovation Award

45

이수영

Scientific Committee Co-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gnitive Neurodynamcis

46

이수영

Award Committee Chair

Asia-Pacific Neural Network Assembly

47

이준구

Session chair

IEEE ICC'15

48

장래혁

Chair of Special Interest Group on Design Automation (SIGD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49

장래혁

General Co-Chair

IFIP/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VLSI-SoC)

50

장래혁

General Co-Chai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Design (ICCD)

51

장래혁

Technical Program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and South Pacific Chair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ASP-DAC)

52

장래혁

Technical Program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and South Pacific Vice-Chair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ASP-DAC)

53

장래혁

Technical Program Co-Chai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Design (ICCD)

54

장래혁

Techinical Program Committee Track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Design (ICCAD)

55

장래혁

Techinical Program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Committee Track (ISLPED) Chair

56

장래혁

Techinical Program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and South Pacific Committee Track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ASP-DAC) Chair

57

정세영

TPC Co-Chair

2014 IEEE ISIT

58

정세영

TPC Co-Chair

2015 IEEE ITW

59

정세영

Session chair

2015 IEEE ISIT

60

정세영

Session chair

2015 IEEE Inform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Workshop

14th Japan-China-Korea Joint Workshop on Neuroinformatics

- 16 -

Neurobiology and


61

정송

TPC Co-Chair

SpawSWiN2013

62

정송

TPC ViceChair

Global Future Internet Summit2013

63

정송

TPC Chair

IEEE VTC2014, KRNET2013

64

정송

TPC Co-Chair

IEEE SECON 2015

65

정윤철

General Chair

Optical Fiber Communication Conference(OFC) 2014

66

정윤철

IAC Chair

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Conference (OECC) 2014

67

조동호

General Chair

2013 International Forum on Eco-friendly Vehicle and System

68

조동호

SC Chair

ICTC 2013

69

조병진

Program Chair

Carbon2014

70

조성환

Co-Chair

ISSCC Student Research Preview

71

조성환

Seession Chair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3

72

조성환

Seession Chair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4

73

조성환

Seession Chair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5

74

조성환

Co-chair

IEEE Int'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3

75

조성환

Co-chair

IEEE Int'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4

76

조성환

Co-chair

IEEE Int'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5

77

조성환

Sub-committee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A-SSCC) 2013

78

조성환

Sub-committee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A-SSCC) 2014

79

조성환

Sub-committee Chai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A-SSCC) 2015

80

최경철

Executive Chair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2013

81

최성율

session chair

IMID 2013

82

최성율

session chair

IMID 2014

83

최성율

session chair

IMID 2015

84

최성율

Session chair

ICAMD 2015

85

최성율

Session chair

NanoKorea 2014

86

최성율

Session chair

NanoKorea 2015

87

최양규

Chair

IEEE Electron Device Society(EDS)

88

최완

Co-chair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n China, Signal Processing for Communications Symposium

89

최완

Co-chair

2014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Cooperative Communications Distributed MMO and Relaying Track

Session organizer, session chair

International Congress on Acoustics (2013) (2014) InternationalCongressonSoundandVibration21(2013),22(2014), Inter-Noise(2012),(2015) Acoustics2012

90 최정우 91

최준균

Committee Vice-Chairs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CT Convergence (ICTC 2014)

92

최준균

Co-Chai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uture Web (ICFW 2014)

93

최준균

94

최준균

Industry/Research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ing and Services Relation Chairs Session Chai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Internet 2014 (COIN 2014)

- 17 -


95

한동수

Session Chair

ACM CoNEXT 2013

96

한동수

Web Chair

CFI 2015

97

한영남

General Chair

IEEE VTC 2014Spring

98

한영남

General Chair

5G Forum Workshop

<표8.2-5> 국제학술회의 주요 위원회 활동 (총 262건) 연번 교수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활동내역

TPC Member TPC Member TPC Member Steering Committee 김용대 member Steering Committee 김용대 member & PC member

권인소 권인소 권인소

주최 및 주제 IEEE-CVPR IEEE-IROS IEEE-ICRA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4 ISOC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NDSS) 2015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CCS) 2013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김용대 PC member (CCS) 2014 김용대 PC member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2014 김용대 PC member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2015 ACM Conference on Security and Privacy in Wireless and 김용대 PC member Mobile networks 2014 ACM Conference on Security and Privacy in Wireless and 김용대 PC member Mobile networks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nece 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김용대 PC member (ICDCS)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nece o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김용대 PC member (ICDCS) 2015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ecurity Applications 김용대 PC member 2014 Technical Program EPEPS (Electrical Performance of Electronic Packaging and 김정호 Committee Member System) International IEEE EDAPS (Electrical Design of Advanced Package and 김정호 Steering Committee Systems) Technical Program 김정호 AsiaPacific-EMC Committee Member International 6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ybernetics and Intelligent 김종환 Advisory Board Systems(CIS) member Standing Committee 김종환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Robotics member Symposium on Robotic Intelligence in Informationally Structured Program Committee 김종환 Space(RiiSS2014) at the 2014 IEEE Symposium Series on member Computational Intelligence (IEEESSCI2014) Program Committ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volutionary Computation Theory 김종환 member and Applications (ECTA) Program Committee IEEE/IFIP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and Ubiquitous 김종환 member Computing(EUC-14)

김용대

PC member

- 18 -


23

김창익

TPC member

24

김창익

TPC member

25

김창익

26

김창익

27

김창익

TPC member Organizing committee member and TPC member Organizing committee membe

28

김창익

29

김창익

30

TPC member

TPC member Scientific Committee 김창익 member

31

김창익

TPC member

32

김창익

TPC member

33

김회린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TPCmember Technical 김회린 Committee member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Subcommittee 김훈 co-chair of technical program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International 김훈 program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Technical program 김훈 committee

47

노용만

TPC member

48

노용만

TPC member

49

노용만

TPC member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Future Internet(AFIN2013) 19th Korea-Japan Joint Workshop on Frontiers of Computer Vis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Expo(ICME2013) 20th Korea-Japan Joint 3DSA 2014, Seoul, Korea, May 28-30,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ICME2014), Chengdu, China, July 14-18, 2014. ISCE 2014, Jeju, Korea, June 22-25, 2014. ACIVP 2014, Kuala Lumpur, Malaysia, Dec. 2014.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Future Internet (AFIN 2015), Venice, Italy, August 23 - 28,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 Expo (ICME2015), Torino, Italy, June 29-July 3, 2015. APSIPA APSIPA SLA ACP, Beijing, China, 2013. ICCVE, Las Vegas, NV, USA, 2013 OECC, Melbourne, Australia, 2014. COIN, Jeju, Korea, 2014 OPTICS, Vienna, Austria,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n China (ICCC), Shanghai, China,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Communications and Networks (ICOCN), Suzhou, China, 2014. IEEE ICCS, Macau, China, 2014. Photonics Conference, Jeju, Korea, 2014 Conference on Optoelectronics & Optical Communications (COOC), Busan, Korea, 2015. OECC, Shanghai, China, 2015. Photonics Global Conference, Singapore, 2015.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WCNC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ing, Communications and Informatics(ICACCI2013) IAPR The Fourth Computational Color Imaging Workshop(CCIW2013)

- 19 -


50

노용만

51

노용만

52

노용만

53

노용만

54

노용만

55

노용만

56

노용만

57

노용만

58

노용만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류승탁 류승탁 류승탁 류승탁 류승탁 문재균 문재균 문재균 문재균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박경수

76

박성욱

77

박성욱

78

박철순

79

박철순

80 81

박철순 박철순

82

박철순

83

박철순

84

박현철

85

박현철

86

박현철

IEEE International Ph.D. Workshop on Multimedia Computing Research(ISM2013) IEEE Society MULTIMEDIA COMMUNICATIONS TECHNICAL committee COMMITTEE(MMTC) TPC member Pacific-Rim conference on multimedia (PCM 2013 De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ecurity and assurance TPC member (ISA 2014 Apr.) International Conference Ubiquitous Computing and Multimedia TPC member Applications (UCMA 2014 Jun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 TPC member and applications (MITA 2014 Jul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SecTech 2013 TPC member Nov) International Workshop on Digital-forensics and Watermarking TPC member (IWDW 2013 Oc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2014 TPC member Aug.) TPC member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ISSCC) TPC member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A-SSCC) Consultant Qualcomm, San Jose TPC member IEEE ISSCC TPC member IEEE ASSCC TPC member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2013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CC) 2014 TPC member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 2014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CC) 2015 TPC member SIGCOMM'14 TPC member USENIX ATC'14 TPC member USENIX NSDI'14 TPC member NDSS SENT'14, TPC member IEEE RTCSA'14 TPC member USENIX NSDI'15 TPC member IEEE RTAS'15 TPC member ACM SIGCOMM'15 International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Steering Committee PROPAGATION (ISAP2014) Organizing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Antenna Technology (iWAT Committee 2015) Member 2013 IEEE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Committee 2013 IEEE Compound Semiconductors IC Symposium Overseas Member Advisory Committee TPC member The 1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grated Circuits TPC member 2014 Global Symposium on Millimeter Waves 2014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rnational RF and Wireless Technologies for Biomedical and Healthcare Advisory Committee Applications (IMWS-Bio 2014) 2015 IEEE MTT-S International Microwave Workshop Series on International Advanced Materials and Processes for RF and THz Applications Advisory Committee (IMWS-AMP 2015) TPC member IEEE WCNC2014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 TPC member (WCNC) 2015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ICC) 2015 TPC member

- 20 -


87 88 89 90 91 92 93 94

박효훈 Program Commiittee 배현민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서창호 TPC member

SPIE Photonics West ISSCC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2016 IEEE Information Theory Workshop 2015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201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5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2014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2013 IEEE Globecom 2014 Communications QoS, Reliability and 95 성단근 TPC member Modeling (CQRM) Symposium, 2014. IEEE ICC 2014, Communication QoS, Reliability and Modeling 96 성단근 TPC member Symposium, 2014. 97 성단근 TPC member IEEE WCNC 2014, MAC, 2014. 98 성단근 TPC member IEEE VTC 2014, Body Area and Medical Device Networks Program Committ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s and Green IT Systems 99 성단근 Member SMARTGREENS 2014. Program Committ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s and Green IT Systems 100 성단근 Member SMARTGREENS 2015 101 성단근 TPC Member IEEE WCNC 2015, MAC, 2015. IEEE Globecom 2015, Communication QoS, Reliability and 102 성단근 TPC Member Modeling (CQRM) Symposium, 2015. Asia-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103 성영철 TPC member Association(APSIPA)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Methods 2013 104 성영철 TPC member Globecom2013 105 성영철 TC Member IEEE ComSoc SPCE 106 성영철 TC Member APSIPA SIPTM 107 성영철 TPC member 2014 ICC 108 성영철 TPC member 2014 MILCOM 109 성영철 TPC member 2014 Globecom 110 성영철 TPC member 2014 APSIPA ASC 111 성영철 TPC member 2015 ICC 112 성영철 TPC member 2015 ISWCS 113 송익호 TPC member IEEE Pacific Rim Conf.Comm.,Comp.,SignalProcess 114 송익호 TPC member IASTED Advisory 115 신민철 Committee, Program IWCE학회 Committee Member 116 신민철 TPC member EDISON학회TP 117 신민철 TPC member NANOKOREA학회 118 신민철 TPC member AWAD 학회 119 신영수 TPC member DAC,Design Automation Conf2014 120 신영수 TPC member ASPDAC,Asia South Pacific Design Automation Conf2014 121 신영수 Executive committee ICCAD(International Conf on CAD 122 신영수 Steering committee ASPDAC(Asia South Pacific Design Automation Conf 123 신영수 TPC member VLSI-SoC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ing and Optimization in 124 신진우 Program Commiittee Mobile, Ad Hoc and Wireless Networks (WIOPT), 2015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bile Ad Hoc Networking 125 신진우 Program Commiittee and Computing (MOBIHOC), 2014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asurement and Modeling of 126 신진우 Program Commiittee Computer Systems (SIGMETRICS), 2015

– –

- 21 -


Technical Program Sub-Committee Chair 128 유경식 TPC member 129 유승협 TPC member 130 유승협 TPC member 127 양경훈

131 유승협

TPC member

132 유승협

TPC member

133 유승협

TPC member

134 135 136 137

유윙타이 유윙타이 유윙타이 유윙타이

Program Program Program Program

committee committee committee committee

138 유윙타이 Program committee 139 유윙타이 Program committee 140 유윙타이 Program committee 141 유윙타이 Program committee 142 유회준 143 유회준 144 유회준 145 유회준 146 유회준 147 유회준 148 윤준보 149 이수영 150 이수영 151 이수영 152 이수영 153 이수영 154 이수영 155 이수영 156 157 158

이융 이융 이융

7th Global Symposioum on Millimeter-Waves(GSMM) IEEE Conference on Optical MEMS and Nano photonics IMID conference ICAMD conferenc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hite LEDs and Solid-State Light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Materials and Devices (ICAMD) Solid-State and Organic Lighting (SOLED) (Light,Energy,andtheEnvironmentCongressbyOSA) CAD 2013, 2015 Graphics 2013 PCM 201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CCV) 2013 IEEE Conf.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4, 2015 European Conf. on Computer Vision (ECCV) 2014 Asian Conf. on Computer Vision (ACCV) 2014 IEEE Workshop on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WACV) 2015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4 (ISSCC)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5 (ISSCC)

TPC Vice Chair TPC Chair Special Sessions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4 (A-SSCC) Chair Special Sessions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2015 (A-SSCC) Chair JSAP Executiv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4 (SoVC) Committee JSAP Executiv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015 (SoVC) Committee ExecutiveProgramCo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lid-State Sensors, Actuators mmitteemember and Microsystems(Transducers2015) Program Committee Neuro informatics2013 Member Program Committee IEE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Member SPIE Defense Security+Sensing, Conference on Independent Program Committee Component Analyses, Compressive Sampling, Wavelets, Neural Member Net, Bio systems, and Nano engineering XI Technical Progra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mittee Computer-Human Interactions (ACHI 2015) International Publicity Chairs, 4th INNS Symposia Serie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Scientific Program Information Systems(INNS-CIIS 2014) Committee Governing Board International Neuroinformatics Coordinating Facility Member Governing Board International Neural Network Society Member TPC member Wiopt TPC member ITC TPC member WASA

- 22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이융 이융 이융 이융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이준구

177 이창희 178 이희철 179 장래혁 180 장래혁 181 장래혁 182 장래혁 183 장래혁 184 장래혁 185 장래혁 186 장래혁 187 장래혁 188 장래혁 189 정세영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정세영 정세영 정세영 정세영 정송 정송 정송 정송

TPC member SDP TPC member IEEE SECON TPC member ACM Mobihoc TPC member IEEE Infocom TPC member 2013IEEE/OECC/PS TPC member 2013 APCC TPC member 2013 COIN TPC member 2013 ICTC TPC member 2013 IEEE/ICC TPC member IBP 2015 TPC member APWiMob 2014 TPC member ICCVE 2014 TPC member ICCVE 2013 TPC member 2014 ICTC TPC member 2015 ICTC TPC member IEEE COMNETSAT 2015 TPC member 2014 IEEE/Globecom TPC member 2013 IEEE/Globecom Technical Program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Conference (OFC) Committee program committee SPIE member Executive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DAC) Committee ACM SIGDA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 and South Pacific Steering Committee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ASP-DAC) ACM SIGDA ACM/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Representative and Design (ISLPED) Technical Program Design Automation Conference (DAC) Committee Technical Progra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Aided Design (ICCAD) Committee Technical Program Design Automation and Test in Europe Conference and Committee Exhibition (DATE) Technical Program International Symposium on Low-Power Electronics and Design Committee (ISLPED) Technical Progra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dware-Software Codesign and Committee System Synthesis (CODESS+ISSS) Technical Program International Workshop on Power and Timing Modeling, Committee Optimization and Simulation (PATMOS) Technical Program Embedded Systems for Real-Time Multimedia (ESTMedia) Committee Organizing EASIT Committee TPC Member 2014 IEEE SpaSWiN TPC Member 2014 IEEE WiOpt TPC Member 2013 IEEE WiOpt TPC Member 2015 IEEE ISIT TPC Member IEEE WiOpt TPC Member ITC TPC Member ACM WiNTECH TPC Member IEEE VTC

- 23 -


198 정송 TPC Member IEEE SECON 199 정송 TPC Member ACM MobiHoc 200 정송 TPC Member COMSNETS 201 정송 TPC Member ACM MobiCom 202 정송 TPC Member IEEE ICNP 203 정윤철 Steering Committee ACP 2014 Technical Program 204 조동호 IEEE VTC 2014-Spring Committee member program Committee 205 조동호 IARIA EMERGING 2013 Member organizing 206 조병진 SEMI Symposium committee 207 조성환 TPC member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A-SSCC) 208 조성환 TPC member IEEE Int'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Student Research 209 조성환 IEEE Int'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Preview 210 조성환 TPC member 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211 최경철 TPC member SID(Society for Informaion Display)Inernational Symposium 212 최성율 TPC member IMID 2013 213 최성율 TPC member IMID 2014 214 최성율 TPC member IMID 2015 215 최성율 TPC member ICAMD 2013 216 최성율 TPC member ICAMD 2015 217 최성율 TPC member ISPSA 2013 218 최성율 TPC member NanoKorea 2013 219 최성율 TPC member NanoKorea 2014 220 최성율 TPC member NanoKorea 2015 221 최양규 TPC member International SiGe Technology and Device Meeting(ISTDM) 222 최완 TPC member IEEE Globecom 223 최완 TPC member IEEE PIMRC 224 최완 TPC member IEEE ICC 225 최완 TPC member IEEE WCNC 226 최완 TPC member IEEE VTC2013 Spring 227 최완 TPC member European Wireless 228 최완 TPC member IEEE WCSP 229 최완 TPC member IEEE TENCON 230 최완 TPC member IEEE IOSC 231 최완 TPC member IEEE ICCC 232 최완 TPC member IEEE ICUFN 233 최완 TPC member ACM/IEEE ICCVE 234 최완 TPC member IEEE VTC 235 최완 TPC member IEEE Region 10 Conference(TENCON) 236 최완 TPC member IEEE Gobal Conference on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237 최완 TPC member European Conference on Networks and Communications 238 최준균 TPC member COIN 2014 239 최준균 TPC member Awes(All-Web real-time Systems) 2015 240 하정석 TPC member IEEE Gree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2013 241 하정석 TPC memb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3 (ICC) 242 하정석 TPC member IEEE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3 (APC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nected Vehicles and Expo 243 하정석 TPC member 2013 (ICCVE)

- 24 -


244 하정석 245 하정석

TPC member TPC member

246 하정석

TPC member

247 하정석

TPC member

248 하정석

TPC member

249 하정석

TPC member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TPC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하정석 한동수 한동수 한동수 한동수 한동수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member

IEEE Gree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4 (IC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mputing, Communications and Informatics 2014 (ICACCI) IEEE Advanced Technologies for Communications 2014 (AT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rwork 2014 (ICUF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Networks and Satelite 2014 (COMNETSAT)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4-Spring (VTC)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14-Fall (VTC) IEEE Advanced Technologies for Communications 2015 (ATC) IEEE PIMRC 2015 IEEE Gree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2015 IEEE APWiMob 2015 IEEE Advanced Technologies for Communications 2015 (AT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15 (ICC) IEEE LANMAN 2014 ICCCN 2014 ACM ANCS 2015 IEEE LANMAN 2015 PAM 2015

나. 국제 학술지 활동

○ 국제적 유망 저널의 편집위원 활동 및 위촉

본 사업단 참여 교수들은 분야별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의 편집위원 및 위원장, 학술지 자

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2년간 총 140건의 국제적 유망 저널의 편집위원 활동 실적이 있었다. (확장표 8.2-6 참조) 이 중 47건(34%)이 IEEE/ACM 저널의 편집 위원이었으며, 이는 사 업단 소속 교수들의 국제 학문 활동의 활발성과 수월성을 동시에 나타내 주고 있다. <확장표 8.2-6> 국제저널 편집위원 활동(140건) 연 번 1 2 3 4

교수명

국제 활동

내용 및 활동분야

권인소 김용대 김종환 김종환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IJCV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 Security (TISSEC)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5

김창익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6 7 8

김훈 노용만 노용만

9

노용만

10

노용만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Transactions on Data Hiding and Multimedia Security (Springer)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Security(IAR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IARIA) Journal of Engineering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 25 -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11 12

송익호 유회준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I (TCAS II)

13

윤준보

IOP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14 15

장래혁 장래혁

16

장래혁

Springer Design Automation of Embedded Systems (DAEM) ACM Transactions on Embedded Computing Systems (TECS)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onics Systems (TODAES)

17

장래혁

International Journal of Low Power Electronics (JOLPE)

18

장래혁

Journal of Embedded Computing

19 20 21 22 23 24

정세영 정세영 정송 정송 정송 조동호

25

조동호

26 27 28 29 30

최양규 권인소 김용대 김종환 김종환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JCN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IEEE/KICS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Genomics and Proteomics Bioinfo Publications Journals (World Research Journal of Genomics) Scientific Reports (Nature 자매지)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IJCV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 Security (TISSEC)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31

김창익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32 33 34

김훈 노용만 노용만

35

노용만

36 37 38 39

노용만 송익호 송익호 유회준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Transactions on Data Hiding and Multimedia Security (Springer)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Security(IAR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IARIA) Journal of Engine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40

윤준보

IOP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41

장래혁

42 43

장래혁 장래혁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onics Systems (TODAES) IEEE Embedded Systems Letter Springer Design Automation of Embedded Systems (DAEM)

44

장래혁

International Journal of Low Power Electronics (JOLPE)

45

장래혁

Journal of Embedded Computing

46 47 48 49 50 51

정세영 정세영 정송 정송 정송 정송

JC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 26 -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rea Editor Editor Editor in Chief Advisory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Division Editor Editor Editor-in-Chief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in-Chief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Area Editor


52

정송

IEEE/KICS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Editor

53

조동호

International Journal of Genomics and Proteomics

Editor in Chief

54

조동호

55 56 57 58 59 60

최양규 조성환 권인소 김용대 김종환 김종환

Bioinfo Publications Journals (World Research Journal of Genomics) Scientific Reports (Nature 자매지)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 Regular Pap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IJCV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 Security (TISSEC)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gazin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61

김창익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62 63 64

김훈 노용만 노용만

65

노용만

66 67 68 69

노용만 송익호 송익호 유회준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 Transactions on Data Hiding and Multimedia Security (Springer)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Security(IAR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IARIA) Journal of Engineering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Advisory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Associate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70

윤준보

IOP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71

윤준보

72

장래혁

Micro and Nano Systems Letters(Springer) ACM Transactions on Design Automation of Electonics Systems (TODAES)

73

장래혁

International Journal of Low Power Electronics (JOLPE)

74

장래혁

Journal of Embedded Computing

75 76 77 78 79 80

정세영 정세영 정송 정송 정송 조동호

81

조동호

82 83 84 85

조성환 최양규 송익호 장래혁

JC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Genomics and Proteomics Bioinfo Publications Journals (World Research Journal of Genomics)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 Regular Papers Scientific Reports (Nature 자매지)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 Transactions on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Systems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Editor in Chief Advisory Board Member Associate Editor Editorial Board Editor Associate Editor

86

김훈

Optics Express

Associate Editor

87 88 89 90

윤준보 유승협 유승협 강준혁

the IEEE Journal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OSA Optics Express (Energy Exp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ennas and Propagation

91

김대식

The Open Neuroimaging Journal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Guest Editor Editorial Board member

- 27 -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Division Editor Editor Editor-in-Chief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 in chief Editor-in-Chief


92

김대식

93

김대식

94 95

김정호 김탁곤

96

김탁곤

J. of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김탁곤 박철순 박철순 박현욱 박현철 성영철 신영수 신영수 유윙타이 유창동 윤찬현

J. of Modeling and Simulation IEEE Microwave Wireless Components Letters IEEE Microwave Wireless Components Let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2013, 2014 IEEE TCAD ACM TODAES IPSJ Transactions on Computer Vison and Applications(CVA)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Systems Journal of Healthcare Engineering IEEE Sensors Journal, Special Issue on Sensors and Sensing Systems for Neurophysiology, 2013

108 윤찬현

Anatomy Research International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ing Systems and Technology Neuroimaging and Brain Mapping IEEE TCPMP Int. J. of Communication Systems

109 윤찬현 International Neuro informatics Coordinating Facility(2010-Present) 110 윤찬현

International Neural Network Society(2012-2014)

111 윤찬현 112 윤찬현 113 이수영

Neural Processing Letters(1998-Present) Cognitive Neuro dynamics(2004-Present) Natural Intelligence IEEE Sensors Journal, Special Issue on Sensors and Sensing Systems for Neurophysiology Neural Processing Letters Cognitive Neurodynamics Journal of Communication Networks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Elsevier Computer Communications 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IEEE Journal of Solid State Circuits (JSSC)

114 이수영 115 116 117 118 119 120 121

이수영 이수영 이융 이융 이융 정윤철 조규형

Associae editor Associate Editor Asia Pacific Region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ie Editer Editorial Board Editor Guest Editor Governing Board Member Governing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Editorial Board Editor-in-Chief Guest Editor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IARIA Journal) Carbon Letters Connection Science

Associate Editor

IEEE Transactions on Autonomous Mental Development

Associate Editor

Frontiers in Nuerorobotics

Associate Editor

Adaptive Behavior

Associate Ed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Genomics and Proteomics

123 조규형

Bioinfo Publications Journals

125 조병진 Jun 126 Tani Jun 127 Tani Jun 128 Tani Jun 129 Tani

Editor-in-Chief

Editorial Board Editorial Board Editor Editor Editor Guest Editor Associate Editor Member of the Editor Advisory Board Member Editorial board member Editor

122 조규형

124 조규형

Editorial Board member

- 28 -


130 최경철 131 최성율 132 최성율 133 최성율 134 최완 135 최완 136 최완 137

최완

138 최완 139 최완 140 최정우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

Editor

Associate Editor & Topical Head, Nano Convergence (a Springer Journal) (2013.4~현재) Carbon Letters Scientific Reports(nature자매지)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 issue. IEEK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IEEE Tra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Journal of the Audio Engineering Society

Editor Guest Editor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Associate Editor Guest Editor Associate Editor Executive Editor Guest Editor

다. 국제 저술 활동 본 연구단에서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또한 참가하여, 총 21권의 Book/Book Chapter를 출간 하였다. (확장표 8.2-7 참조) <확장표 8.2-7> 국제저술활동(21건) 연 번

교수명

저서명

발행 연도

출판사

구분

ISBN

1

김이섭

Algorithm & SoC Design for Automotive Vision Systems (Chapter 8)

2014

Springer

Book Chapter

987-94-017-9 075-8

2

김정호

Electrical Design of Through Silicon Via

2014

Springer

Book Chapter

3

김종환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

2013

Springer

영문저서

978-94-017-9 037-6 978-3-319-05 581-7

4

류승탁

Novel Advances in Microsystems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2013

Book Chapter

978-1-4665-6 066-6

5

유승협

Organic Solar Cells Fundamentals, Devices, and Upscaling

2014

CRC Press PAN STANF ORD PUBLIS HING

Book Chapter

97898144636 52

6

유승협

Flexible organic solar cells for scalable, low-cost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2015

Wiley

Book Chapter

97835276799 73

7

유윙타 이

Motion Deblurring: Algorithms and Systems

2014

CAMBR IDGE

Book Chapter

97811070443 64

8

이융

Distributed Medium Access for Camera Sensor Networks: Theory and Practice

2015

Springer

Book Chapter

978-94-017-9 986-7

9

이융

Energy-efficient sensing data delivery for low power environmental sensors

2015

Springer

Book Chapter

978-94-017-9 980-5

- 29 -


10

이융

11

이창희

12

장래혁

13

정송

14

정세영

15

조동호

16

조성환

17

준타니

Smart Sensors for Health and Environment Monitoring: Data Networking for Autonomous Fatigue Crack Detection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VIB: Systems and Networks"FTTX Worldwide Deployment" Design and Management of Energy Efficient Hybrid Electrial Energy Storage Systems Mobile Ad Hoc Networking: the Cutting Edge Directions Cod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An Overview of OLEV Technology” in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and The Future of Electric Transportation Wireless Transceiver Circuits: Systems Perspectives and Design Aspects Chapter18:Low-NoisePLL-BasedFrequencyS ynthesizer UnderstandingHigher-Order CognitiveBrainMechanismsbyConductingE volutionalNeuro-robotics Experiments",InTheHorizonsofEvolutionary Robotics

2015

Springer

Book Chapter

978-94-017-9 981-2

2013

Academi c Press

Book Chapter

978-0-12-396 960-6

2014

Springer

Book Chapter

978-3-319-07 281-4

2013

Wiley

2015

Springer

978-1-118-08 728-2 978-94-017-9 981-2

2015

SAE Internati onal

Book Chapter Book Chapter Book Chapter

978-0-7680-8 153-4

2015

CRC Press

Book Chapter

97814822343 50

2014

The MIT Press

Book Chapter

97802623222 49 978-1-4614-8 124-9(online) 978-1-4614-8 124-9(Print)

18

최양규

Chapter 5 : Fabrication of Nanowires and Their Applications

2014

Springer

Book Chapter

19

최양규

Point-of-Care Diagnostics on a Chip

2013

Springer

Book Chapter

20

최정우

Sound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

2013

Wiley

영문저서

21

하정석

Physical Layer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2014

CRC Press

Book Chapter

978-3-642-29 267-5(Hardc over) 978-1-118-36 847-3 97814665670 09

【작성방법】 1) 참여교수의 국제적 학술활동 참여 실적에 관하여 다음의 항목을 고려하여 기술 ‣ 국제학회/학술대회 활동: 국제학회/학술대회에서 수상, 초청강연, 기조연설, 좌장, 위원회활동 등 ‣ 국제 학술지 관련 활동: 편집위원 등 관련 활동 ‣ 국제 저술 활동: ISBN이 부여된 전문학술도서에 대해서만 허용 (번역서 제외) 2) 최근 2년(2013.9.1~2015.8.31) 간의 실적에 한하여 기술 【보관증빙자료】 1) 관련 증빙자료를 전문기관 장의 요구 또는 평가 시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 또는 사업단에 비치

- 30 -


② 국제 공동 연구 실적

<표10> 최근 2년간 국제 공동 연구 실적 공동연구 참여자 연번

사업단 참여교수

1

강준혁

2

강준혁

3

강준혁

4

강준혁

5

권인소

6

김대식

7

김대식

8

김정호

9

김정호

10

김정호

11

노용만

12

노용만

13

노용만

14

국외 공동연구자 Siemeone Osvaldo, Haimovich Alexander Siemeone Osvaldo, Haimovich Alexander Sulyman Ahmed, Yousefi Shahram Simeone Osvaldo, S. Rangan, P. Popovski

상대국/소속기관

연구주제

연구결과물

(YYYYMM-YYYYM

(논문게재,

M)

특허등록 등)

미국, Ner Jersey Beamforming Design for Joint Institute of Local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201303-201403 Technology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미국, Ner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Joint Signal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Compression for the Backhaul of Uplink Network MIMO Systems

논문 게재

201209-201309

논문 게재

캐나다, Queen's Deployment Challenges for University Large-Scale MIMO Communications 201405-201409

논문 게재

미국, Ner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HARQ Buffer Management: An Information-Theoretic View

비동기 카메라 네트워크를 통한 프랑스, Univ. of 운전자 보조 시스템 개발 (Driver Pascal Vasseur Rouen Assistance by Asynchronous Camera Ring) 네덜란드, Leiden 3Tesla 및 7Tesla 의 기능적 Itamar Ronen University 자기공명영상 비교 Medical Center 일본, Asian Predictive Coding strategies for Office of invariant object recognition and Aerospace volitional motion control in Research and neuromorphic agents Development 미국, Georgia 차세대 스마트폰용 Glass interposer Rao Tummala Tech 기반 RF FEM 모듈 개발 SI/PI Design, Simulation and koh WeeJon, See 싱가포르, Measurement of High Performance Kye Yak DSO,NTU and High Density Multi Layer PCB Rao Tummala 미국, Georgia 로직과 메모리 집적을 위한 2.5D/3D Tech 글래스 인터포저 PDN설계 Konstantinos N. 캐나다, (Kostas) University of 표정인식, 의료영상처리 Plataniotis Toronto Wesley De Neve 벨기에, Ghent 번호판인식, 행동인식, 영상검색 University Filippo Speranza

연구기간

캐나다, CRC canada

JW LEE, SuaybArslan(Qu antum) 미국, 스위스, ThomasMittelhol Quantum (미국) 문재균,하정 zer, IBMZurich(스위 석 RoyCideciyan(IB 스) M) Oracle(미국) KeithBoyer(Oracl e)

201502-201506 학회 논문 발표

201112-201509

201206-201506 학회 논문 발표

201209-201509

-

201311-201810

논문

201502-201607

-

201302-201507

-

201309-201508

저널 및 학회 논문 게재

201309-201508

저널 및 학회 논문 게재

시각적 불편감 측정, 시각적 불편감 201309-201508 감소

INSIC: Collaborative Coding/Decoding for the Tape Channel

- 31 -

저널 및 학회 논문 게재

201303-201403

논문 게재

논문 게재 및 특허 출원


15

박경수

16

박경수

17

박현욱

18

박현철

19

성단근

20

성단근

21

성단근

22

성단근

23

성단근

24

성단근

25

성단근

26

성단근

27

성단근

28

성단근

U.S., Princeton University

임성환

멀티코어를 위한 TCP 스택 설계/구현

U.S., University 이동통신과금의 보안취약성에 관한 of Michigan 연구 미국, University of Minnesota MR Spectroscopy training, and Center for Gulin Oz, PhD project participation on automated Magnetic voxel placement for MRS Resonance Research 미국, Wichita Wireless Relay Network and Frame Hyuck M. Kwon State University Aggregation Energy-Efficient Maneuvering and 캐나다, McGill 김성환 Communication of a Single University UAV-Based Relay Effect of Control and Data frame 캐나다, McGill Overhead on the Capacity Scaling 김성환 University of a Hierarchical Cooperation Scheme 캐나다, McGill HARQ Rate Selection Schemes in a 김성환 Multihop Relay Network with a University Delay Constraint 김성환, Tho 캐나다, McGill Variable-Length Feedback Codes Le-Ngoc University Under a Strict Delay Constraint 스웨덴, KTH Spatial Group Based Random 김수민 Royal Institute of Access for M2M Communications Technology 중국, School of Computer A Probabilistic Broadcast Algorithm Xinming Zhang, Science and Based on the Connectivity Kaiheng Chen, Technology Information of Predictable Yue Zhang UniversityofScien Rendezvous Nodes in Mobile Ad ceandTechnology hoc Networks ofChina 중국, School of Computer Xinming Zhang, Science and Localization Algorithms Based on Kaiheng Chen, Technology Mobile Anchors in Wireless Sensor Yue Zhang UniversityofScien Networks ceandTechnology ofChina 중국, School of Computer Optimal Candidate Set for Xinming Zhang, Science and Opportunistic Routing in Fan Yan, Lei Technology Asynchronous Wireless Sensor Tao UniversityofScien Networks ceandTechnology ofChina Opportunistic User Selection with 스웨덴, KTH Adaptive Jamming for Secure 김수민 Royal Institute of Communication in Heterogeneous Technology Networks 중국,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Lightweight Self-Adapting Linear Hui Zhang, Technology Prediction Algorithms for Wireless Xinming Zhang UniversityofScien Sensor Networks ceandTechnology ofChina Denis Foo Kune

- 32 -

201204-201403

논문 게재

201302-201401

논문 게재

201411-201502

-

201309-201508

논문게재

201303-201310

논문게재

201307-201310

논문게재

201309-201403

논문게재

201309-201403

논문게재

201309-201312

논문게재

201311-201402

논문게재

201311-201402

논문게재

201311-201402

논문게재

201312-201403

논문게재

201312-201406

논문게재


29

성단근

30

성단근, 박홍식

31

성영철

32

성영철

33

성영철

34

신진우

35

신진우

36

신진우

37

신진우

38

신진우, 이융

39

신진우, 이융

40

유경식

41

유승협

42

유승협

43

유창동

중국,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Mobile Delay-constrained Efficient Xinming Zhang, Communications Broadcasting in Duty-unaware Xiaoxue Jia, Research Asynchronous Wireless Sensor Jiuping Jin Laboratory Networks SoutheastUniversi ty UniversityofScien ceandTechnology ofChina 스웨덴, KTH Enhanced Spatial Group Based 김수민 Royal Institute of Random Access for Cellular M2M Technology Communications Song Noh, Michael D. America, Purdue Massive MIMO Channel Estimation Zoltowski, David Love Song Noh, Michael D. America, Purdue Blind Channel Estimation Zoltowski Marios France, Supelec Millimeter channel communication Kountouris From Local to Global Stability in Antonius B. 미국, Gerogia Stochastic Processing Networks Dieker Institute of Tech. through Quadratic Lyapunov Functions Scheduling using Interactive Oracles 미국, Gerogia Connection between Iterative 석동훈 Institute of Tech. Optimization and Low-complexity Scheduling Maria-Florina Balcan, Sara 미국, Gerogia Near Optimality in Covering and Krehbiel, Packing Games by Exposing Global Institute of Tech. Georgios Information Piliouras Large-scale Log-determinant Dmitry 미국, IBM Computation through Stochastic Malioutov Research Chebyshev Expansions George Impacts of Selfish Behaviors on the Kesidis, Fatih 미국, penn, state Scalability of Hybrid Server Client univ Kocak and Peer-to-Peer Caching Systems CSMA using the Bethe 프랑스, 윤세영 Approximation: Scheduling and MSR-INRIA Utility Maximization 영국, University Silicon Photonics for Future G.T. Reed of Southampton Systems Programme Chung-Chih Germany, Bi-directional organic light-emitting Wu,Karl Dresden diodes with nanoparticle-enhanced Leo,Malte C. University of light outcoupling Gathe Technology Germany,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이종익, Karl Dresden diodes with different bi-directional Leo, Malte C. University of emission colors using Gather Technology color-conversion capping layers Pushmeet 영국, Microsoft Image segmentation using Kohli,Sebastian research higher-order correlation clustering Nowozin Cambridge

- 33 -

201406-201409

논문게재

201409-201412

논문게재

201311-201410

논문게재

201401-201412

논문게재

201501-201506 학회 논문 발표 201210-201311

논문 게재

201307-201406

논문 게재

201310-201408

논문 게재

201409-201506

논문 게재

201403-201504

논문 게재

201405-201505

논문 게재

201312-201912 학회 논문 발표 201301-201412

논문게재

201401-201512

논문게재

201309-201409

논문게재


44

이수영

45

이수영

46

이수영

47

이수영

48

이수영

49

이준구

50

이준구

51

장래혁

52

장래혁

53

장래혁

54

장래혁

55

장래혁

56

정송

57

정송

58

정송

59

정송

60

정송

61

정송

62

정세영

미국, Qualcomm Musical Information Extraction 2 Inc. 미국, Sony Discriminant Feature Extraction with Computer Deep Learning and Top-Down Luxin Chen Entertainment Attention for Noise-Robust Speech America LLC Recognition 일본, Asian Impact of Humanlike Cues on Office of Human Trust in Machines: Brain FUMIKO KANO Aerospace R&D Imaging and Modeling Studies for (AOARD) Human-Machine Interactions 미국, Sony Robust Speech Feature Extraction Computer Luxin Chen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Entertainment Manifold Learning America LLC Au Thien Wan Brunei, Institut 학생 교환 / 교수 교환 / 공동 연구, Teknologi Brunei Conference 및 세미나 개최 Kevin Boner

Takehiro Tsuritani

JAPAN, KDDI R&D labs.

201301-201401

-

201310-201409

특허등록 2건

201409-201509

-

201410-201509

-

201502-201601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201409-201412 scalable transport SDN Dynamic Base Station Management Peng-Yong, UAE, KUSTAR for a large scale cell cluster: feasible 201407-201506 학회 논문 발표 Kong solution based on modular strategy 미국, University Sheldon.X.D.Tan of California 스마트폰 전력관리 및 발열관리 중 201309-201508 논문게재 배터리 관리 Riverside 미국, University Massoud of Sourthern 하이브리드 전기 저장 시스템 최적화 201309-201508 논문게재 Pedram California 미국, University Massoud of Sourthern 태양전지 시스템 최적화 201309-201508 논문게재 Pedram California 미국, University Massoud of Sourthern 임베디드 시스템의 전력 및 열관리 201309-201508 논문게재 Pedram California 미국, University Massoud of Sourthern 전기자동차 에너지 하베스팅 최적화 201309-201508 논문게재 Pedram 기법 California 스웨덴, KTH Carlo Fischione Royal Institute of Resilient IoT Networking 201505-202006 Technology 미국, University Prasant of California Fault-Tolerant Networking 201505-202006 Mohapatra Davis 미국, University Processor-Network Speed Scaling for Prasant of California Energy Delay Tradeoff in 201402-201412 논문게재 Mohapatra Davis Smartphone Applications 미국, University Dynamic Speed Scaling for Energy Prasant of California Minimization in Delay-Tolerant 201302-201312 논문게재 Mohapatra Davis Smartphone Applications, 미국, 미국, Rice Edward University in Making 802.11 DCF near-optimal: Knightly,Mung Houston, Design, implementation, and 201406-201506 논문게재 Chiang Princeton evaluation University 미국, Ohio State On the Critical Delays of Mobile Ness B. Shroff Networks Under Levy Walks and 201210-201310 논문게재 University Levy Flights Tang Liu, 미국, University On the dof of two-user interference 201401-201506 학회 논문 발표 Daniella of Illinois, channel with an instantaneous relay Tuninetti Chicago

- 34 -


63

정윤철

64

조동호

65

조동호

66

조병진

67

조병진, 임성갑

68

최완

69

최완

70

최완

71

최완

72

최완

73

최완

74

한민수

75

한영남

76

한영남

77

한영남

일본, KDDI Next generation access technology Laboratory for mobile networks 미국, Department Kiho Cho, of Surgery, REViewer: A tool for linear Kang-Hoon Lee, University of visualization of repetitive elements Young-Kwan California, Davis, within a sequence query Lee United States 미국, Department Repetitive element signature-based Kiho Cho, of Surgery, visualization, distance computation, Kang-Hoon Lee, University of and classification of 1,766 microbial Debora Lim California, Davis, genomes Corresponding United States 미국, Lam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알렉산더 윤 Research Plasma and Wet Chemical Corporation Treatments on Graphene 미국, Lam Advanced Ultra-Low-k Dielectric 알렉산더 윤 Research Technology using iCVD-Based Corporation Process 미국, University Sparsity Controlled Random Rao, Bhaskar D. of California, San Multiple Access With Compressed diego Sensing 독일, Friedrich Beamforming for Cooperative Robert Schober Alexander Retransmission via User Relaying in University Multiple-Antenna Cellular Systems Jeffrey G. 미국, University What Will 5G Be? Andrews of Texas, Austin 싱가포르, Singapore Enhanced Secrecy in Stochastic Tony Q.S. Quek University of Wireless Networks: Artificial Noise Technology and With Secrecy Protected Zone Design Multiuser Diversity in Interfering 미국, University Broadcast Channels: Achievable Rao, Bhaskar D. of California, San Degrees of Freedom and User diego Scaling Law A Dynamic Paradigm for Spectrally 미국, University Aria Nosratinia Efficient Half-Duplex Multi-Antenna of Texas, Dallas Relaying 카자흐스탄, Full body gesture recognition A. K. Al-Farabi Kazakh (Kazakh Traditional Dance Gesture Nussipbekov National Recognition) University Power-Optimized Vertical Handover Peng-yong Kong 아랍 에미레이트, Scheme for Heterogeneous Wireless KUSTA Networks 남아프리카공화국, Mncedisi Bembe, CSIR-Meraka, Uplink spectrum resource allocation Martin Networks and in heterogeneous networks (small Mhlanga Media Research cell/macrocell) Group 미국, 캐나다, 스웨덴, Stanford Cooperative multiple access in John M. Cioffi, Univ./Univ. of cognitive radios to enhance QoS for Victor C. M. British cell edge primary users: Leung, Columbia/ KTH asynchronous algorithm and Jens Zander Royal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M.Suzuki

- 35 -

201309-201408

논문게재

201210-201310

논문게재

201406-201507

논문게재

201210-201409

논문 게재 및 특허 출원

201504-201603

-

201309-201410

논문게재

201403-201409

논문게재

201302-201406

논문게재

201409-201412

논문게재

201309-201310

논문게재

201309-201309

논문게재

200810-201507

논문게재

201309-201401

논문게재

201401-201412

논문게재

201501-201506

논문게재


◎ 요약

- 77건의 국제 공동연구 - 31건의 공동워크샵 개최 - 37건의 해외 언론 보도

가. 국제 공동연구 활동 실적

○ 국제 공동 연구

본 연구단은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세계

수준의 공동연구 활동을 통하여 해외 우수 연구 그룹들과 다방면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왔다. 최근 2년간 수행된 국제 공동연구는 총 77건이다. (표 10 참조)

○ 국제 워크샵 개최 본 연구단은 다양한 국제 워크샵과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 양시켜 왔다. 본 연구단이 최근 2년간 해외 기관과 국제 워크샵을 개최한 실적은 총 31건 이 다. (확장표 8.2-8 참조) <확장표 8.2-8> 국제 공동 워크샵 개최 실적 (총 31건) 연번 연도

워 크 숍 명

개최국 개최기간 주관교수

2

Collaborative Research on WDM 한국 PON Lam Research Corporation 2013 한국 공동연구 워크샵

3

2013

1

2013

4

2013

5

2013

6

2013

7

2014

8

2014

9

2014

10

2014

Future Lifestyle Innovation Workshop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3 2013 KAIST EEWS Int’l Workshop on Next-GenerationSolarEnergyConver sion 13th Chin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The First Joint Workshop on Electrical Engineering between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 KAIST KAIST TECHNION SYMPOSIUM EDA Workshop(Design Automation of Things) Potential C-RAN Architectures

참가국 참가인원 (수) (명)

주관기관

20131120

정윤철

3

10

KAIST / KDDI

20131119

조병진

2

9

KAIST

한국

20131108

김대식

2

186

KAIST 코오롱-카이스트라 이프스타일이노베이 션센터

미국

20131218-2 0131220

김종환

23

72

IROC

한국

20131029

유승협, 신종화

3

173

KAIST

중국

20131118-2 0131119

이수영

3

23

Beijing Normal University, China

한국

20141121

정윤철

2

23

KAIST/동경공대

한국

20141207-2 0141208

이창희

2

25

KAIST/TECHNIO N

한국

20130825

장래혁

12

50

KAIST

한국

20140515

정윤철

2

11

KAIST / KDDI

- 36 -


11

2014

12

2014

13 14 15

16

17

18 19 20

21

Lam Research Corporation 공동연구 워크샵

20140422

조병진

2

5

The 8th International Workshop 20140111 한국 ~20140112 on Robust Computer Vision

권인소

4

120

미국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2014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14 FiRA 2014 RoboWorld Cup & 2014 Congress 초청세미나: Research Publication 2014 (Univ. of Toronto, Prof. K. N. Plataniotis) 초청세미나: Visual Big Data Big Data & Image Processing, 2014 Pattern Recognition (Univ. of Toronto, Prof. K. N. Plataniotis) 초청세미나: Healthcare Goes Wireless Body Area Networks 2014 (Univ. of Toronto, Prof. K. N. Plataniotis) KAIST 영상 및 비디오 시스템 2014 연구실 및 Univ. of Toronto, Prof. K. N. Plataniotis 공동 연구 워크샵 A3 Foresight Program: Annual 2014 Workshop 2014 KAIST EEWS Int’l Workshop on Emerging 2014 PVTechnologyforNext-GenerationS olarEnergyConversion” Emerging Topics In Image 2014 Restoration and Enhancement, in conjunction with ACCV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14 Future web 2014 14th Japan-China-Korea Joint 2014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rmatics Lam Research Corporation 2015 공동연구 워크샵

Lam Research Corporation KAIST Univ. of Tokyo ISIR, Osaka University PekingUniversity

중국

20141106-2 0141108

김종환

15

59

IROC

중국

20141106-2 0141108

김종환

7

13

FiRA

한국

20140717

노용만

2

50

KAIST

한국

20140717

노용만

2

50

KAIST

한국

20140718

노용만

2

50

KAIST

한국

20140718

노용만

2

20

KAIST

20140713~2 성단근 0140716

3

88

KAIST

유승협, 오지훈

4

150

KAIST

5~

50~

Conjunction with ACCV KAIST, 한국정보처리학회 RIKEN brain Science Institute, Japan Lam Research Corporation The University of Tokyo KAIST OsakaUniversity PekingUniversity ChonnalNationalUn iversity

한국 한국

20140915

싱가포 20141101-2 Yu-Wing 르 0141101 Tai 한국

20141106 윤찬현 ~ 20141107

7

50

일본

20141218-2 0141220

이수영

3

18

미국

20150406

조병진

2

10

25

2015 The 9th International Workshop 일본 20151206 on Robust Computer Vision ~20151207

권인소

6

100

26

2015

2015 FiRA RoboWorldcup

20150804~2 김종환 0150809

20

600

FiRA

27

2015

박성욱

4

200

KIEES

28

2015

59

KAIST

2015

한국 20150204~2 성단근 0150207 20150701~2 중국 성단근 0150704

3

29

전자파 최신기술 관련 해외저명연사 초청 워크숍 A3 Foresight Program: Mini-Workshop A3 Foresight Program: Annual Workshop

3

86

BUPT

22 23 24

한국 한국

20150303

- 37 -


30

2015

KAIST Theory Day

31

2015

2015 KKT Workshop

20150531 20150803 한국 - 20150805

한국

신진우

4

20

카이스트

유회준

3

61

KAIST

나. 해외언론 보도사례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연구 결과들은 때론 해외 주요 언론사들의 주목을 끌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 해외 언론 보도 사례들은 한 연구단의 국제화의 정성적인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사업단의 참여 교수들의 우수 연구 결과들은 BBC, Discovery, Bloomberg (다수), CBS 등을 포함한 주요 국제 언론에 37건이 보도된 바 있다. (확장표 8.2-9 참조) <확장표 8.2-9> 해외언론 보도사례 연번 교수명 1

권인소

2

권인소

3

권인소

4

권인소

5

권인소

6

이준구

7

배현민

8

배현민

9

배현민

10

배현민

11

배현민

12

배현민

13

배현민

14

신진우

제목

매체이름

South Korea’s Team KAIST wins the 2015 DARPA Robotics Challenge http://venturebeat.com/2015/06/06/koreas-team-kaist-wins -the-2015-darpa-robotics-challenge/ South Koreans win Darpa robotics challenge http://www.bbc.com/news/technology-33038914 South Korea's Team KAIST wins 2015 DARPA Robotics Challenge http://www.gizmag.com/darpa-drc-finals-2015-results-kaist -win/37914/ Robot wins $2 million in disaster challenge http://www.cbsnews.com/news/robot-wins-2-million-in-dis aster-challenge/ Korean Robot Wins $2M Prize in DARPA Challenge http://news.discovery.com/tech/robotics/korean-robot-win s-2m-prize-in-darpa-challenge-150607.htm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음성 인식 드론 제어 모델 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4lmWLUqSTY8(6:06~6 :50) TeraSquare to unveil unique breakthrough in 100G parallel CDR technology at ECOC Breakthrough in 100G parallel CDR technology claim TeraSquare ECOC2013 100G CDR Green technology for data centers: Ultra-low Power 100 Gbps ethernet integrated circuit developed Researchers develop ultra-low power 100Gb/s Ethernet IC Ethernet IC consumes 0.75W, processes data at 100Gbit/s THIS ONE WEIRD CHIP cuts weight from data centre power bills Bloomberg Scientific Research Award

韩国

并行

展示超低功耗 芯片

- 38 -

VentureBeat BBC News gizmag

CBSnews Discovery Arirang TV Opli Design&Test CFOL EurekAlert EETAsia EDNAsia TheRegister Bloomberg


KAIST develops ultrathin polymer insulators key to low-power soft electronics Graphene quantum dot LEDs

15

유승협

16

유승협

17

유승협

Researchers Create High-Performance Ultrathin Polymeric Insulator for Field-Effect Transistors

AZO materials

18

유회준

"Google Glass Gets Korean Upgrade"

EE Times

19

유회준

20

윤기완 Zinc-oxide Nanostructures Could Help Power Wearables

21

이수영 ITB, KAIST of Korea sign MoU on education & research Borneo Bulletin(브루나이)

22

이수영

ITB inks MoU with Korean centre

23

장래혁

Who owns DAC?

24

장래혁

People of ACM: Naehyuck Chang

25

장래혁

Naehyuck Chang's Moment

26

조병진

Thermoelectric generator on glass fabric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Science News

27

조병진

Your Next Wearable Might Be Charged By Body Heat

Yahoo News

28

조병진

Meet K-Glass:

Korea's Answer to Google Glass

ScienceDaily Phys.org

Wall Street Journal IEEE SPECTRUM, EE Times Europe 등

The Brunei Times(브루나이) semiengineering.com, IoT & Securi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DAC blog

30

Body Heat Could Charge Future Wearable Tech Power Week-in-Review: Wristband TE Generator & Solar 조병진 Cell Efficiency Record 조병진 Bracelet Turns Body Heat Into Electricity

31

조병진

Turn yourself into a walking CHARGER

Dailymail

32

조병진

Les 10 innovations laureates de Netexplo 2015

01Business

33

조병진

34

29

Discovery News EE Times ABC NEWS

조병진

Le sparadrap qui recharge votre montre, Grand Prix Netexplo 2015 En video : le sparadrap-chargeur de batterie

Futura sciences

35

최성율

New technology for commercialization of graphene

Arirang TV BizTime

36

최성율

Special Topics on Graphene

37

최양규

GAA 메모리 소자를 플렉서블 기판에 이식

Arirang TV BizTime Electronic Engineering Journal

Le Monde

【작성방법】 1) 최근 2년(2013.9.1~2015.8.31)간 국제 공동 연구 실적을 기술 【보관증빙자료】 1) 협약서, 연구결과물 등 관련 증빙자료를 전문기관 장의 요구 또는 평가 시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 또는 사업단에 비치

- 39 -


➂ 외국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구자 교류 실적

◎ 요약 ○ 78건의 장단기 해외 교수 초빙 ○ 441건의 교수 해외 파견 ○ 35건의 산업체 및 해외 연구소 파견 ○ 21건의 해외 연구소 인턴십 ○ Global lecture(업데이트) 가. 해외석학 초빙 및 교수 해외파견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는 국제교류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해외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초 빙하여 연구 성과 교류, 대학원생 지도, 학과운영자문 등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해외 석학 초빙 및 활 용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안을 권장하고 있다.

■ 학기단위의 단기 초빙교수뿐만 아니라 2~3년 단위의 장기교수 초빙을 적극 추진하여 해외 저명

연구자들을 대학원생의 연구 및 교육에 적극 활용한다.

■ 연구연가 (Sabbatical Leave)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사업단 교수의 해외 유수 연구기관, 기업체 및

대학에의 장기 파견을 적극 유도하며, 파견 시 대학생원생과의 공동 파견을 적극 권장함으로서 실질 적인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 되도록 한다.

■ 개별적인 교환교수 파견 및 외국 교수 초빙 외에 공동연구 협력체결기관을 중심으로 매년 지속적

으로 교환/초빙교수제를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

■ 해외 초빙 교수는매년 3% 늘려 초빙할 계획이다. 해외 파견 교수는 매년 5% 늘려 파견할 계획이

다.

<확장표 8.2.#> 해외 교수 초빙 & 파견 계획 및 실적 연도별 실적 항 목

2013~2014*

2014~2015***

해외초빙 교수 수

42

36

해외파견 교수 수

231**

210

* 2013년 9월 1일 2014년 8월 31일 실적 * 초청세미나, Global lecture 및 연구연가 포함 ** 1차년도 해외파견 교수 실적 131건(연구연가 17건 포함) *** 2014년 9월 1일 - 2015년 8월 4일 실적

■ 해외석학 및 전문가 초빙 실적 - 40 -


<확장표 8.2.#> 사업단 지원 해외석학 및 전문가 초빙 실적 이름

직위

소속기관

기간

PHAM NGUYEN THANH LOAN Alexandre Proutiere

Lecturer

HUST

2013-12-16 - 2013-12-27

AssociateProfessor

2014-02-24 - 2014-02-26

전동석

Researcher

석민구

Assistant Professor

KTH,EESchool University of Michigan Columbia University

Lecturer

HUST

2014-07-07 - 2014-07-16

PHAM NGUYEN THANH LOAN Feng-Sheng Wang

Professor

조기호 Olav Solgaard

Professor Professor

Michael Chertkov

Technical staff Member

Hyuck Choo

Assistant Professor

Mark Fowler

Professor

박혜선

Professor

Jun-ichi Takada

Professor

Xiaogang Wang

AssistantProfessor

윤의식

Professor

Jeeyoung Cha

Assistant Professor

Frank K. SOONG

2014-08-03 - 2014-08-06 2014-08-06 - 2014-08-08 2014-09-15 - 2014-09-15 2014-11-05 - 2014-11-11

Caltech

한진우 Naresh Shanbhag

김재윤

2014-07-10 - 2014-07-10

National Chang Cheng Univ, Taiwan UC Davis Stanford Uni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Assistant Professor Low-power architect Principle Researcher Research Scientist Professor

Hyuck Choo

2014-06-20 - 2014-06-20

2014-11-05 - 2014-11-05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School of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CHUK)

2014-11-30 - 2014-12-05

2014-11-26 - 2014-11-28

2015-01-23 - 2015-01-23 2015-01-29 - 2015-01-30

Caltech

2015-02-24 - 2015-02-24

Qualcomm

2015-03-19 - 2015-03-19

Microsoft Research Asia NASA UIUC University of Michigan Yale University

2015-05-06 - 2015-05-06 2015-05-08 - 2015-05-08 2015-06-09 - 2015-06-10 2015-06-24 - 2015-06-25 2015-07-04 - 2015-07-04

<확장표 8.2.#> 해외석학 유치실적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소속

- 41 -

주제명

참여교수


개최일시

초청자 PeterLikari sh

직위 Software Engineer

2013-10-20

조기호

Professor

UC Davis

주제명 호스트 DNS 질의 데이터 기반 악성행위 탐지 연구 자문 생체통신및생체정보기반/나노 네트워크 및 융합 보안 관련연구

2013-10-23

PHAMNG UYENTHA NHLOAN

Lecturer

HUST

스마트센서를 위한 통신, 센싱 및 응용 플랫폼 연구

이상국

2013-10-28

JiYe Lee

Research er

2013KAISTEEWSInt'1WorkshoponN ext-Generatio Solar Energy Conversion

유승협

2013-10-28

ZONGFU YU

Assistant Professor

2013KAISTEEWSInt'1WorkshoponN ext-Generatio Solar Energy Conversion

유승협

2013-10-28

Pauluswilh elmusMari aBlom

Research director

2013KAISTEEWSInt'1WorkshoponN ext-Generatio Solar Energy Conversion

유승협

2013-10-29

JiYe Lee

Research er

KAISTEEWSInt’lWorkshoponNextGenerationSolarEnergyConversion

유승협

2013-10-29

Paulus Wilhelmus Maria

Research er Director

KAISTEEWSInt’lWorkshoponNextGenerationSolarEnergyConversion

유승협

2013-10-29

ZongFu Yu

Assistant Professor

KAISTEEWSInt’lWorkshoponNextGenerationSolarEnergyConversion

유승협

2013-10-31

Yves Bellouard

Associate Professor

Femtosecond laser processing of fused silica

원용협

2013-10-31

Yves Bellouard

Associate professor

Femtosecond laser processing of fused silica : a micro-manufacturing platform for single-material microsystems

원용협

2013-11-03

I-Hsiang Wang

Assistant Professor

5G 통신시스템 설계

서창호

2013-11-04

Sami Muhaidat

Assistant Professor

2013-11-04

송봉용

Manager

Qualcomm Research

2013-11-04

Sami Muhaidat

Assistant Professor

Khalifa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m, Japan Aerospace

2013-10-03

2013-11-05

Shigeo Kawasaki

소속 Google, Inc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University of Wisconsin-Ma dison Max Planck Institute for Polymer Research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Max Planck Institute For Polmer Research University Of Wisconsin-Ma duson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National Taiwan University Khalifa University

칼리파 대학과의 공동연구과제와 미래 협력 방안에 대해서 이야기함 Adaptation Framework for Energy Efficient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s 칼리파 대학과의 공동연구 과제와 미래 협력방안

TheMicrowaveCommunicationandP owerTransmission

- 42 -

참여교수 박경수 조동호

송익호 정송 송익호

김정호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소속 Exploration Agency University of Perugia, Perugia, Italy

2013-11-05

Luca Roselli

Professor

2013-11-06

Madhavan Swaminath an

Professor

Georgia Tech

2013-11-07

Prof-LucaP ierantoni

Professor

MarchePolytec hnicUniversity

2013-11-07

Luca Pierantoni

Professor

2013-11-08

John ARogers

Professor

2013-11-19

Hans Kleemann

Research Scientist

2013-11-20

Marios Kountouris

Professor

2013-11-21

EdwardKni ghtly

Professor

2013-11-25

Gadi Eisenstein

소장

2013-11-26

Dr- Eric Matson 외 3명

Professor

University Politecnica delle March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 paign NOVALED AG Department of Telecommunic ations SUPELEC Rice University Technion Institute of Technology, Russell Berrie Nanotechnolo gy Institute

김대식,조 성환 유승협

Purdue University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ce Technology for Autonomous Systems

김종환

Altera

High-Speed Link Jitter Modeling(Introduction)

김정호

Griffith University

Lecturer

HUST

Lecturer

HUST

Assistant Professior Professor

Texas State Uniersity Hong Kong

Mansun

박성욱

정윤철

Professor

2013-12-30

박성욱

Dynamic properties of QD lasers and amplifiers (초청 세미나)

Dr- Jun Jo 외 8명

송인혁

김정호

정송

2013-12-10

2013-12-23

김정호

New Spectrum Opportunities for the Next Wireless Internet

Dan Oh

2013-12-16

Ridio-frequency ldentific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Energy Harvesting Made "Green" Designing for Power Integrity :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Radio-FrequencyNanoelectronics B ridgingtheGapbetweenNanotechnol ogy Radio-FrequencyNanooelectronics-B ridgingtheGapbetweenNanotechnol ogyandR-FEngineeringApplications Future Lifestyle Innovation Workshop Title:StretchyElectronicsThatCanDiss olveinYourBody Highperformanceverticalorganictran sistorsfordisplayapplications강연

최완

2013-12-05

Pamnguye n Thanhloan PHAM NGUYEN THANH LOAN

참여교수

Backhauling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Modeling and Tradeoffs

Signaland PowerInt egrityArc hitect

2013-12-16

주제명

- 43 -

KAIST-Griffith Univ- Joint Workshop on Robot Intelligence and Behavior Control AC-DC and Battery Charger IC Designs for Mobile Applications 에 관한 공동 연구

김종환 이상국

Sensor용 NFC Interface Card 관련 자문

이상국

Microfabrication

박철순

Device Modeling Beyond The

최양규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Chan 2014-02-19

Alan Willner

Professor

소속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niv- of southern california

Alexandre Proutiere Alexandre Proutiere

Associate Professor Associate Professor

2014-02-28

홍양기

Professor

University of Alabama

2014-03-28

김종민교수

Professor

Oxford Univ-

Mizuki Oka Takashi Ikegami

Assistant Professor

2014-02-24 2014-02-24

2014-04-07 2014-04-07

Professor

2014-04-08

Nicolas Christin

Professor

2014-04-17

Kai Chen

Assistant Professor

2014-05-21

Fumiyuki Adachi

Professor

2014-05-21

Fumiyuki Sdachi

Professor

2014-05-23

송인혁

Assistant Professior

2014-06-12

송윤성

Ph.D.

2014-06-12

김필립교수

Professor

2014-06-20

Wesley De Neve

Lecturer

2014-06-20

전동석

Research er

2014-06-26

Min Chen

Professor

KTH

KTH,EESchool

University of Tsukuba University of Tokyo Carnegie Mellon University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ohoku University

Tohoku University Texas State Uniersity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주제명

참여교수

Device Physics

광신호처리에 대한 전망 LearninginRepeatinggamesandNetw orkOptimization Learning in Repeated Games and Network Optimization 세미나 LowProfilemagneticantenna Universal Framework for charge Transport in Quantum Dot Systems What makes the Internet robust and adaptive? Massive data flows

정윤철 이융 이융 박성욱 최성율 준타니교 수 준타니교 수

Measuring, analyzing and disrupting unlicensed online drug sales

김용대

Roution over eXplicit Paths in Data Centers : Design and Applications 세미나 강연 및 자문

한동수

KAIST에서 교수 및 연구원 50여명(추정)이 참석한 90분 간의 국제 세미나 개최, 세미나 주제는 1) Gigabit wireless technology 2) Wireless Access 3) Channel Estimation 4) Virtual Cellular System 5) Frequency and Transmit Power Efficiency 6) Channel Assignment 으로 요약된다TowardSpectrum-energyEfficientWir elessNetworks

Harvard UnivGhent University Lecturer University of Michigan Huazhone Univ-

- 44 -

CMUT fabrication Hindlimb Exoskeletons for Rodents: Two Distinctive Approaches Toward quantum electronics based on 2-dimensional materials and beyond

대용량 비디오 분석 연구 회로, 센서, 시스템, 저전력분야 세미나 Affective Interaction through Wearable Computing and Cloud Technology

성단근 교수 외 10여명

성단근 박철순 김종환 최성율 노용만 조성환 윤찬현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소속

2014-06-26

Min Chen

Professor

Huazhong Univ-

Lecturer

HUST

Lecturer

HUST

2014-07-07

2014-07-07

Pamnguye n Thanhloan PHAM NGUYEN THANH LOAN

Sensor용 NFC Interface Card 개발을위한 LDO & Demodulator

2014-07-10

Mingoo Seok

Assistant Professor

Columbia University

2014-07-10

석민구

Columbia University

2014-07-15

Konstantin osN-Platan iotis

Assistant Professor Professor

University of Toronto

2014-07-18

K. N. Plataniotis

Professor

University of Toronto

2014-07-25

김명식

Professor

Imperial College

2014-07-25

김정상

Professor

Duke University

2014-08-03

Feng-Shen g Wang

Professor

2014-08-03

Feng-Shen g Wang

Professor

2014-08-06

조기호

Professor

2014-08-25

Nicolas Fontaine

2014-08-25

RolandRyf

Member of Technical Staff Distingui shed Member of Technical Staff

2014-08-27

Tsung-Yi Ho

Associate Professor

2014-08-27

Hui-Ru Jiang

Associate Professor

2014-09-15

Olav Solgaard

Professor

주제명 Affective Interaction through WearAble Computing and Cloud Technology Sensor용 NFC Interface Card 개발을 위한 LDO & Demodulator에 관한 공동 연구

National Chung Cheng Univ National Chang Cheng Univ, Taiwan

Energy-Efficient and Variation-Tolerant Integrated Circuits & Systems Design 회로, 센서, 시스템, 저전력분야 세미나 대용량 비디오(빅데이터)에서 패턴이식 머신러닝 연구 기술 자문 및 세미나 KAIST영상및비디오시스템연구실및 Univ-ofToronto,Prof-K-N-Plataniotis 공동연구워크샵 Quantum X 세미나 - How far can we push quantum mechanics? Quantum X 세미나 - Distributed quantum networks based on trapped ions Optimization in Biological Control Systems and Its Application

참여교수 윤찬현 이상국

이상국

조성환 조성환 노용만

노용만 이준구 이준구 전주환

Process Control and Optimization 세미나

전주환

UC Davis

선후천성반복인자 복합정보기반 암진단

조동호

Bell Labs, Alcatel-Lucent

Optical components for space-division multiplexing

정윤철

Bell Labs, Alcatel-Lucent

MIMO-Based Mode-Division Multiplexed Transmission over Multimode Fibers

정윤철

세미나

신영수

세미나

신영수

마이크로 광학 구조를 이용한 광섬유 센싱기법 및 응용분야에 대한 자문

유경식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Stanford Univ-

- 45 -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2014-09-22

Gary G. Yen

Professor

2014-10-01

Zhihua Wang

Professor

2014-10-07

Jun Zhang

Professor

2014-10-15

Jente B Kuang

Research Staff Member

2014-10-15

Fadi Gebara

Sr-Manag er

2014-10-15

Peter Hofstee

Senior Technical Staff Member

2014-10-23

Xiaobo Sharon Hu

소속 Oklahoma State University Institute of Microelectroni cs, Tsinghua University Univ- of Michigan, Ann Arbor IBMAustinRes earchLaborato ry IBMAustinRes earchLaborato ry

주제명 State-of-the-art Evolutionary Algorithms for Many Objective Optimization

참여교수 김종환

Wireless intelligent sensor used for the life time tracing of the pathological features

유회준

세미나 개최 (Four Lectures on Cognitive Modeling) 및 국제공동연구 세부 추진계획 토의

이수영

Flash Storage System Research at IBM Austin 및 자문

장래혁, 정윤철

IBMResearchOverviewandOpenPO WER

장래혁, 정윤철

IBMAustinRes earchLaborato ry

Exploring models of computation and the consequences for systems for Big Data

장래혁, 정윤철

Professor

University of Notre Dame

ExploitingBeyond-CMOSTransistors forNonvonNeumannArchitectures및 자문

장래혁, 정윤철

YOSHIHA RU DOI Lee Sungsik Mohaned-S lim Alouini CHONG NAKYOU NG

Group Leader Research Associate

ToyotaInfoTec hnologyCenter Cambridge University

JapanV2Xtechnologiesandchallenges

박철순

곡감도 광소자를 위한 산화물 기술 세미나

양경훈

Professor

KAUST

Optical 통신을 이용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

최완

Professor

JAIST

지능형 자동차 통합을 위한 기술자문

권인소

2014-11-05

Hyuck Choo

Assistant Professor

Caltech

나노포토닉스 및 집적 광학 분야에 대한 미국내 연구동향 파악 및 자문

유경식

2014-11-05

Michael Chertkov

Technical staff Member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빅데이타분석,기계학습 관련자문

이융

2014-11-19

JIANGEN G XUE

Professor

U- Florida, USA

2014-11-19

Russell J-Holmes

Professor

UMinnesota, USA

2014-11-19

barry CThompson

Professor

Univ-S-Calif-, USA

2014-11-19

Moritz Riede

Professor

University of Oxford

2014-11-19

Yixin Zhao

Professor

Shanghai Jiao Tong

2014-10-30 2014-10-31 2014-11-04 2014-11-05

2014KAISTEEWSInternationalWorks hoponEmergingPVtechnologiesforne xt-generatinsolarenergyconversion 2014KAISTEEWSInternationalWorks hoponEmergingPVtechnologiesforne xt-generatinsolarenergyconversion 2014KAISTEEWSInternationalWorks hoponEmergingPVtechnologiesforne xt-generatinsolarenergyconversion 2014KAISTEEWSInternationalWorks hoponEmergingPVtechnologiesforne xt-generatinsolarenergyconversion 2014KAISTEEWSInternationalWorks hoponEmergingPVtechnologiesforne

- 46 -

유승협 유승협 유승협 유승협 유승협


개최일시

초청자

직위

2014-11-26

박혜선

Professor

2014-11-30

Mark Fowler

Professor

2015-01-23

김민석

Associate Professor

2015-01-23

Jun-ichi Takada

Professor

2015-01-29

Xiaogang Wang

Assistant Professor

2015-02-24

Hyuck Choo

Assistant Professor

Caltech

professor

University of Arizona

professor

Prof- John Volokis

2015-03-03 2015-03-03

Richard Walter Ziolkowski John Leonidas Volakis

2015-03-03

DirkMante uffel

professor

2015-03-03

Raj Mittra

professor

2015-03-03

Yang Hao

professor

2015-03-03

Apostolos Georgiadis

professor

2015-03-03

ZHANF YUEPING

professor

2015-03-19

김재윤

Low-pow er architect

2015-04-22

Carlee

Research

소속 Univesity School of Computationa l Science and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Niigata University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CHUK)

주제명 xt-generatinsolarenergyconversion

참여교수

전산학/Fellow of SIAM 관련 세미나

전주환

연구관련 자문 및 세미나

전주환

RadioChannelSounderandMeasurem entat11GHzand60GHz

박성욱

5G Mobile System 세미나

박성욱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and its applications in computer vision 세미나

유창동

나노포토닉스 및 집적 광학 분야에 대한 미국내 연구동향 파악 및 자문 EngineeringPassiveandActiveMetam aterial-inspiredElectricallySmallRadi ationgsystems

유경식 박성욱

Uitra Wideband Phased Arrays and Transceivers

박성욱

CharacteristicModeBasedAntennaDe sign-aStraightForwardApproachtoS mallFormFactorAntennaIntegration

박성욱

TransformationElectromagnetic-Atut orial

박성욱

AntennasandPropagationforBody-Ce ntricWirelessCommunications:Curre ntStatus-ApplicationandFuture

박성욱

DesignandOptimizationChallengesof ElectromagneticEnergyHarvestionan dWirelessPowerTransferSystems

박성욱

Antenna-in-Package Technology for Single-Chip Radio or Radar

박철순

Qualcomm

연구관련자문및세미나 Low-powerdigitaldesigntrendsinMo bileSoC

조성환

Princeton

Multi-resource allocation Fairness,

이융

Christian-Albr echts University of Kiel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UK) Centre Tecnologic de Telecomunicac ions de Catalunya (CTTC)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47 -


개최일시

초청자 Joe Wong

직위 er

2015-04-23

홍양기

professor

2015-05-06

FrankK. SOONG

2015-05-08

한진우

2015-06-09

Naresh Shanbhag

Professor

UIUC

2015-06-22

이종수

Staff Engineer

2015-06-24

윤의식

Professor

Qualcomm Atheros Inc. University of Michigan Virginia Tech Yale University

2015-06-25 2015-07-04 2015-07-17

Walid Saad Jeeyoung Cha JAMES SUNG BIN IM

Principle Research er Research Scientist

Professor Assistant Professor Professor

소속 UnivUniv. of Alabama Microsoft Research Asia NASA

Columbia Univ.

주제명 Efficientcy and application자문

참여교수

Flexible Magnetic Antennas

박성욱

Searchforthe"ElementaryParticles"in HumanSpeech 세미나 미국방부와 NASA의 차세대 반도체 프로그램 세미나 Shannon-inspired Statistical Information Processing 관련 자문 및 세미나 CMOS power amplifier for high performance WiFi FEM 비전기센서의 세미나,자문과 SPAD의 자문 컨텍스트 인식 및 자가구성 무선셀 네트워크기반 세미나 Synthesis of 2D Electronic Chalcogenide Nanomaterials Pulsed Laser induced Growth Mechanism of graphene on single crystal SiC

유창동 최양규 배현민 홍성철 홍성철 이융 최성율 최성율

■ 외국인 초청 세미나 현황 본 사업단에서 지원하여 유치한 초청 세미나에서 초빙된 해외 석학 및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확장표 8-2.33> 2014년 9월

– 2015년 8월 해외석학 및 전문가 초빙 실적

이름

직위

소속기관

기간

Olav Solgaard

Professor

Stanford Univ.

2014.09.15

Michael Chertkov

Technical staff Member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14.11.05-2014.11.11

Hyuck Choo

Assistant Professor

Caltech

2014.11.05

박혜선

Professor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4.11.26-2014.11.28

Mark Fowler

Professo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2014.11.30-2014.12.05

Jun-ichi Takada

Professor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2015.01.23

- 48 -


Xiaogang Wang

Assistant Professor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5.01.29-2015.01.30

Hyuck Choo

Assistant Professor

Caltech

2015.02.24

김재윤

Low-power architect

Qualcomm

2015.03.19

Frank K. Soong

Principle Researcher

Microsoft Research Aisa

2015.05.06

한진우

Research Scientist

NASA

2015.05.08

Naresh Shanbhag

Professor

UIUC

2015.06.09-2015.06.10

윤의식

Professor

University of Michigan

2015.06.24-2015.06.25

Jeeyoung Cha

Assistant Professor

Yale University

2015.07.04

나. 국제 공동연구 및 해외 연수 -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의 학술연구 교류 및 협력을 활성화하고, 국제 워크샵이나 공동 세미나

를 개최함으로써 학생들의 국제화 마인드를 고양시킴 - 사업단 대학원생의 해외 유수 대학과 첨단 기업체, 연구 기관 등에 파견 기회 등을 잘 활용

하고 참여 경비 일부를 지원함 - 장기 및 단기 해외 연수 기회를 확대, 정착 통해 세계 수준의 학술 연구를 위해 필요한 국제

화 마인드를 갖춘 우수 인력 양성 - 해외 우수대학 교과목 수강 지원 프로그램 및 교류 확산 <확장표 8.2-#> 대학원생 국제교류 현황 구 분 대학원생 해외 단기연수 및 파견연구 대학원생 해외 장기연수 및 파견연구

(단위: 명)

2013년

2년간 실적 2014년

2015년

81

159

159

399

10

0

13

23

전체기간 실적

다. 대학원색의 글로벌 기업, 기관, 대학에 파견 및 해외 기관 인턴십 기회 부여 - 최근 1년간 35건의 산업체 및 해외 연구소 파견과 21건의 해외 연구소 인턴십 기회 부여 <확장표8.2-10> 산업체 및 해외연구소 파견 실적 (총 35건) 성명

과정

지도 교수

기관명

파견국

- 49 -

파견기관

파견목적


정성아

박사

강준혁

New Jersey Institued of Technology(NJIT), USA

박준철

박사

김대식

Osaka University

일본

2013.07.08 - 2014.02.21

김희곤

박사

김정호

Missouri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미국

2013.09.26 - 2014.03.15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노정규

석사

조동호

UCDavis

미국

2014.01.07 - 2014.02.07

Genome sequence의 graph 모델링에 기반한 Signature 연구 수행

임혜린

석사

김대식

Leiden University Medical Center

네덜란드

2014.01.18 - 2014.02.20

RF coil development with ultra-high field MRI

곽기욱

박사

김대식

EPFL(로잔공대)

스위스

2014.01.26 - 2014.03.01

기존의 BCI에 촉감피드백을 접목시켜서 더 실용적인 BCI 시스템을 제작

정준영

박사

유창동

캐나다

2014.02.16 - 2014.07.24

Development of new deep neural

김태호

석사

유창동

캐나다

2014.02.16 - 2014.08.15

이원주

박사

강준혁

미국

2014.02.24 - 2015.06.01

허은혜

박사

박현철

미국

2014.02.28 - 2014.08.31

김호경

박사

이수영

미국

2014.03.16 - 2014.05.04

Development of the deep architecture inspired by human visual system HARQ Buffer Management: An Information-Theoretic View 클라우드 라디오 네트워크환경에서 동기화 문제를 고려한 백홀압축방법연구 KALDI toolkit의 능동학습 연구에의 적용 및 SONY사 방문

정은수

박사

이수영

미국

2014.03.16 - 2014.05.04

보안시스템에 접목시키기 위한 뇌파 연구 및 응용

박상혁

박사

유창동

스위스

2014.04.01 - 2014.09.30

Dense image registration and deformable surface reconstruction

스위스

2014.04.01 - 2014.09.30

Implementationofareal-time disparityestimationsystem

미국

2014.05.04 - 2014.06.29

Deep Neural Network for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미국

2014.05.04 - 2014.06.29

Deep Learning on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미국

2014.06.11 - 2014.09.15

실리콘중적외선광원연구

프랑스

2014.06.29 - 2014.07.29

프랑스

2014.06.29 - 2014.07.29

서영주

박사

유창동

노지현

박사

이수영

이화란

박사

이수영

유종범

박사

유경식

é é é é

Universit de Montr al, LISA Lab. Universit de Montr al, LISA Lab. Ner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NewJerseyInstitute ofTechnology(NJIT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로잔연방공과대학 교 SwissFederalInstit uteofTechnologyL ausanne, LSM Lab.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김동관

석사

김용대

EURECOM (Campus SophiaTech.)

손윤목

박사

김용대

EURECOM (Campus SophiaTech.)

미국

2013.02.28 2014.02.29

- 50 -

데이터 통신 및 위치 추정 서비스의 동시 지원을 위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기법 Caregiver-infant interaction 과 유아의 goal-directed behavior의 발달과정의 계산모델에 대해 연구

연수기관 전문분야인 펌웨어 추출 및 분석에 대한 기술 습득 및 일반화, 자동화에 대한 응용기술 연구 연수기관 전문분야인 물리적 하드웨어 IC 분석 노하우 습득과 IC의 물리적 데이터 추출에 대한 응용기술 연구


김건민

박사

이수영

이경호

석사

이수영

김석진

박사

김정호

김승현

석사

서창호

오태현

박사

권인소

채승호

박사

최완

박영우

박사

박현욱

설명록

박사

최양규

최지민

박사

최양규

김성태

박사

노용만

이만호

박사

김정호

송유재

박사

한영남

양희성

박사

정영호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Missouri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미국

2014.06.29 2014.08.20

Deep Convolutive Neural Network and GPU Parallel Processing

미국

2014.06.29 - 2014.08.20

Deep Convolutive Neural Network and Brain Decoding

미국

2014.07.01 - 2014.12.30

회로 설계 및 측정

2014.07.11 - 2014.08.20 2014.07.11 - 2014.10.09

Bursty Interference Channel with Feedback Fast randomized nuclear norm minimization

싱가포르

2014.09.01 - 2014.12.31

Caching helper를 활용한 협력전송 성능 분석

미국

2014.11.17 - 2015.02.28

MRS 측정방법 연수 및 실험 자동화 기술연구 진행

UC Berkeley Microsoft Research Asia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Univ. of Minnesota Center for Magnetic Resonance Research NASA Ames research center NASA Ame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Toronto Missouri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미국 중국

2014.12.18 - 2014.12.26 2014.12.18 - 2014.12.26 2015.01.04 - 2015.03.08

3차원 맘모그래피를 위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미국

2015.01.17 - 2015.07.01

PCB 설계 및 휴대폰 안테나 노이즈 분석

KTH

스웨덴

2015.01.21 - 2015.06.21

Haris Vikalo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미국

2015.05.20 - 2016.03.30

Unliscensed band에서의 radio resource management 연구 DNA sequencing system에서의 base calling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통신시스템에서의 integer least-squares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

석박 사통 합과 정

유경식

University of Southampton

영국

2015.05.24 - 2015.08.20

Silicon Photonics for Future Systems 공동연구

공선규

박사

김정호

미국

2015.07.01 2015.12.31

회로 설계 및 측정

하대한

박사

강준혁

독일

2105.03.23 - 2016.03.22

채널 추정 오류에 따른 통신 성능 분석

Missouri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Technische Universitaet Dresden

United States United States

캐나다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2D 가스 센서 개발

<표8.2-11> 해외연구소 인턴십 실적 (총 21건) 성 명

과정

지도 교수

기관명

인턴십 기간

연구내용

박재식

박사

권인소

Microsoft Research

고영환

박사

박경수

NEC Labs

2013.06.17 2013.09.13 2013.06.20 - 2013.09.27

조명 캘리브레이션 방법 개발 (CVPR2014 논문 게제)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위한 Cloud Infrastructure 개발 연구

- 51 -


박준철

박사

김대식

오사카대학

2013.07.08 - 2014.02.21

Robot imitation Learning

우신애

박사

박경수

Intel Labs

2014.05.12 - 2014.09.12

이준영

박사

권인소

Adobe Systems

2014.06.02 - 2014.09.12

Asim

박사

박경수

International computer science Institute (ICSI)

2014.06.05 - 2014.08.28

ARDA SENOCAK

석사

권인소

Kiswe Mobile

2014.06.28 - 2014.08.28

오태현

박사

권인소

Microsoft Research Asia

2014.07.11 - 2015.04.03

조영민

박사

이희철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14.07.15 - 2015.07.06

네트워크 패킷 프로세싱을 위한 Intel Integrated Graphics 개발 연구 컨텐츠 인식 기반 자동 이미지 스타일라이제이션 알고리즘 개발 트래픽 분산 및 필터링을 위한 netmap-based packet layer 개발 연구 Player indentification in basketball game 대용량 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고속화 알고리즘 개발 (CVPR2015 논문 게제) Short Wavelength infrared(SWIR) detector를 위한 신호취득회로의 측정 분석 및 개선된 회로 제안

조동현

박사

유윙타 이

Microsoft Research Asia

2014.09.15 - 2015.02.27

Photometric Stereo

이찬균

박사

이준구

KDDI R&D labs.

2014.09.16 - 2014.12.12

노영수

석사

조규형

실리콘 마이터스

2015.01.05 - 2015.02.09

KDDI R&D labs의 광 SDN 테스트베드를 이용한 알고리즘 실험 Bandgap 회로 설계, Buck converter 설계, Chip 납땜 및 ESD 측정 및 실험

주용민

박사

조규형

실리콘 마이터스

2015.01.05 - 2015.02.09

PMIC 연구

사람의 손목에서 측정한 생체 임피던스를 통해 낮은 레벨의 생체인식이 가능할 지에 대한 연구, 프로토타입 제작 및 측정 진행. 손목밴드 형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 하드웨어 제작. 임피던스 특성 추출 및 분류를 위한 프로그램 제작 컨텐츠 인식 기반 자동 이미지 스타일라이제이션 알고리즘 개발 실시간 IoT 데이터 처리를 위한 DB 시스템 개발 연구

홍선주

박사

유회준

Samsung Research America, MPI Lab

2015.02.09 - 2015.05.08

이준영

박사

권인소

Adobe Systems

고영환

박사

박경수

옥정슬

박사

이융

장혜령

박사

이융

Samsung Research America (SRA)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15.03.16 - 2015.05.01 2015.06.16 - 2015.09.24 2015.06.22 - 2015.09.21 2015.06.22 - 2015.09.21

권경목

석박 통합

유경식

Lam research

2015.06.28 - 2016.08.28

non-volatile material(Cu,Co) 의 etch 연구

정진욱

박사

신영수

IBM

Timing-driven placement

최경민

석박 통합

권인소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5.07.01 - 2015.12.31 2015.07.03 - 2015.12.30

- 52 -

머신러닝 머신러닝

구조광 기반 3D 새 방법론 개발


【작성방법】 1) 외국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구자 상호 교류 실적 및 효과를 자유롭게 기술 2) 최근 2년(2013.9.1~2015.8.31) 간의 실적에 한하여 기술 【보관증빙자료】 1) 관련 증빙자료를 전문기관 장의 요구 또는 평가 시 확인할 수 있도록 대학 또는 사업단에 비치

- 53 -


9. 참여교수 연구역량 9.1 연구비 (최근 2년)

① 참여교수 1인당 정부 연구비 수주 실적 <표11> 최근 2년간 참여교수 1인당 정부 연구비 수주 실적 항 목

(단위: 천원)

수주액(천원) '13.9.1∼'14.8.31

'14.9.1∼'15.8.31

전체기간 실적

정부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GF1

GF2

SGF

1인당 정부 연구비 수주액

GF1/L2 또는 L3

GF2/L2 또는 L3

SGF/L2 또는 L3

L2 또는 L3 {[첨부 1] 로부터 산출}

참여교수 수

9.2 논문 (최근 2년)

① 참여교수 국제저명학술지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12> 최근 2년간 참여교수 1인당 SCI,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구 분

최근 2년간 실적

전체기간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총 환산편수

C1

C2

C3

C4

총 환산보정IF

X1

X2

X3

X4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IF

X1/C1

X2/C2

X3/C3

X4/C4 X4/L2

1인당 환산 보정IF 참여교수 수

② 사업단 참여 교수 논문의 우수성

L2


<표 13> 참여교수 1인당 논문의 환산 보정 Eigenfactor Score와 환산 보정 IF 구 분 총 환산편수 총 환산보정 ES Eigenfacto r Score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ES

최근 2년간 실적 2014년

2015년

D1

D2

D3

D4

Z1

Z2

Z3

Z4

Z1/D1

Z2/D2

Z3/D3

Z4/D4 Z4/L2

1인당 환산보정 ES

Impact Factor

전체기간 실적

2013년

총 환산편수

C1

C2

C3

C4

총 환산보정IF

X1

X2

X3

X4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IF

X1/C1

X2/C2

X3/C3

X4/C4 X4/L2

1인당 환산보정 IF

L2

참여교수 수

·

9.3 사업단의 연구역량 향상 계획 (국내 외 학술지 논문 게재, 대학

간 공동연구 등) 가. 사업단의 연구역량 향상 계획 ◎ 요약

- 사업단 연구역량의 정량 척도로 참여교수 1인당 환산보정 IF를 주요 기준으로 선정, 1인 당 환산보정 IF를 현재의 0.89에서 연평균 2.5%씩 증가 - 발표되는 연구논문의 질적 수준 향상의 척도로 ‘H-index’를 선정, H-index 20 이상 참 여교수를 최종연도 30명으로 증대 - 연구역량의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방안을 추진 o 연구 협력을 통한 논문 및 연구 결과의 영향력 제고 o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연구 파급력 확대 o 우수 연구성과 홍보를 통한 국내외 visibility 제고 o 교수평가, 석박사 졸업 요건 등의 제도 개선을 통한 사업단 연구역량의 질적 수준 향상


- 대학 간 연구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내외 유명 대학과의 교류 강화 ■ 사업단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계획 -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통신 분야 학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논문의 질적 향상을 통 하여 국제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KAIST 미래전자통신 인재양성 사업단은 연구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 우수 학술지 발표를 위한 계획과 나) 피인용 지수 향상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가. 우수 학술지 발표를 위한 계획 본 사업단은 참여교수들의 발표 논문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척도로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와 ‘교수 1인당 환산 보정 Impact Factor’를 주요 기준으로 선정 하였다. 연구 분야 별로 영향력 지수가 높은 학술지를 학부 차원에서 선정하여 ‘S급/A급 저널’의 목록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를‘S급/A급 저널’에 논문으로 발표하는 것을 적극 장려하며, 특히 대학원 박사 학위의 졸업 요건에 1편 이상의 ‘S급/A급 저널’ 발표를 요구 하고 있다. 추후에는 ‘A급 저널’의 기준을 점차 강화하여 연구 논문의 질적 수준이 더욱 향상되도록 유도한다. 나. 피인용 지수 향상을 위한 계획 본 사업단은 2012년 BK21 플러스 선정평가 단계에서 사업단 연구 논문의 질적 수준 향상 의 척도로 ‘H-index’를 선정한 바 있다. H-index는 피인용 회수 (citation)가 N회 이상인 논문의 수가 N편 이상이 되는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해당 교수가 발표하는 논문들의 전반 적인 피인용 회수를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H-index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계에 파급력/영 향력이 있는 우수한 논문들을 많이 발표해야 하며, 본 사업단은 참여 교수들이 발표하는 연구 논문들의 전반적/장기적인 질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H-index 향상 계획을 수립하 였다. 다. 연도별 향상 목표 및 계획 - 전반적 목표 설정 배경: 연구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2015년 재선정 평가 기준으로 설정한 연도별 정량 목표는 아래 표와 같다. 연구 결과의 질적 지표라고 할 수 있는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1인당 논문 환산 편수보다는 논문 당 환산보정 IF를 증가시키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새로운 재선정 평가기준에 따르면 참여 교수 1인당 환산논문 편수의 비중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환산논문 편수와 관련된 정량목표 는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의 사업단 참여교수의 연구 추이를 보았을 때, 논문 의 편수를 늘려 환산보정 IF 수치를 늘리기 보다는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F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풍토가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업단 연구의 장기적인 질적 향상 및 국제 영향력 제고를 위하여 H-index 향상 계획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 │ 항 목 │ 현재 │연도별 목표 │ │ │(2013년- │ │ │ │ 2015년, ├────┬────┬────┬────┬────┤ │ │ 2년 평균)│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 ├──────┼─────┼────┼────┼────┼────┼────┤ │ 1인당 │ 0.892 │ 0.9143 │ 0.9371 │ 0.9605 │ 0.9846 │ 1.009 │ │환산보정 IF │ │ │ │ │ │ │ ├──────┼─────┼────┼────┼────┼────┼────┤ │ H-index 20 │ 21 │ 22 │ 24 │ 26 │ 28 │ 30 │ │이상인 교수 │ │ │ │ │ │ │ └──────┴─────┴────┴────┴────┴────┴────┘ - 1인당 환산보정 IF 계획 : 교수 1인당 환산 보정 IF를 재선정 평가 시의 평균치인 0.892 (2013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의 평균치에 해당함)에서 매년 평균 2.5%씩 증가시켜, 7차 년도(2020년)에는 약 1.0 정도로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참여 교수 1인당 환산보정 IF는 '각 교수 발표논문의 환산보정 IF의 합' = '교수당 환산 논문수' x '환산 논문 1편당 환산보정 Impact Factor'으로 표현되며, 환산논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최대한 지양하고 환산논문 1편당 환산보정 IF가 증가하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 H-index 향상 계획 : 논문의 영향력에 대한 척도인 피인용 지수 향상을 위해, 본 사업단 은 H-index를 채택하였다. 참여교수 중에서 H-index가 20 이상인 참여교수는 BK21 플러스 사업 선정당시 12명 수준(참여교수의 약 18%)이었으나, 사업 2년차인 2015년도에는 21명 (참여교수의 약 31%)에 이르렀다. BK21 플러스 사업의 7차년도까지는 이 수를 30명까지 향 상시키고자 한다. 이 목표는 2012년 선정평가 당시 수립하였던 계획과 동일한 것이다.

■ 사업단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주요 추진 방안 가. 클러스터 단위의 연구 협력을 통한 논문 및 연구 결과의 영향력 제고 - 교수 1인당 지도 학생 감소 추세가 시작되고 있어, 개별 교수 연구실의 규모로 international visibility가 있는 논문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클러스 터 단위의 연구 협력 체계를 통하여, 연구의 국제 영향력을 높이도록 한다. - 국제적 인지도를 갖고 있는 리더급 교수 중심의 클러스터 단위의 연구를 통한 전략적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중대형 연구 수주, 학술적 영향력 강화, 국제 학술 활동 주도, 국제 공동 지도교수 풀 활용, 산업 협력 및 사업화의 체계적 추진 등의 다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특히, 국제 공동 지도교수 풀 활용과 국제 학술 활동의 주도를 통해 학술적 영향력 이 높은 우수 연구 결과의 도출, 피인용 지수의 증가 등의 구체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이 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또한, BK21 플러스 사업에서 적극 지원하고 있는 신임 교수들에게 클러스터별 공동 실험실을 활용케 하여, 실험실 구축을 위한 준비기간이 필요없이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케 함으로써 연구역량을 급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연구 파급력 확대 - 연구 논문의 연구 파급력 및 우수 학술지 게재는 기본적으로 연구의 창의성으로 결 정되며 논문의 피인용도는 학술적/산업적 영향력과 직결되므로, "따라가는 연구"에서 "앞서 가는 연구"로 체질을 개선하여 국내외 연구 파급력을 높이도록 한다.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및 BK21 플러스 사업단내에 전략적으로 추진할 미래 원 천 기술 분야를 정기적으로 선발하여, 연구비 및 학회 참가비 등을 중점지원하고자 한다. 본 사업단의 소속 학부는 전체 전임교수수가 90명에 가깝고, 연간 연구비 규모가 400억원 수준인 대형 학부이다. 이 규모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미래 기술에 대한 예견과 체계적인 기획이 필수적이므로, 본 사업단내에 "장기발전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참여교수와의 협의를 통하여 미래 원천 기술분야를 선정하고, 향후 유망 분야를 탐색 하며, 학연산 협력으로 연구를 추진함과 동시에 정부 및 산업체로부터 재원확보 방안을 모 색한다. - 본 사업단은 회로 설계, 뇌영상, 로보틱스, 정보보호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추고 있다.이러한 분야에 대해서는 국제 협력과 대형 사업 기 획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여 국제적 산업적 영향력을 확산시키도록 한다. 다. 우수 연구성과 홍보를 통한 국내외 visibility 제고 - 우수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는 것 이외에도 이미 도출된 성과를 외부에 홍보하려는 노력 역시 국제적 인지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의 사항 들을 계획/진행하고 있다. o 국제 유명 대학, 저명 연구소에서의 연구 성과 발표를 독려 o 대외 홍보 효과가 큰 우수 연구상을 제정 (뉴스에 보도되는 공개적인 포상, 개인적인 인센티브 지급, 산업계/후원자의 후원 포상금 지급 등) o 정기적인 학과 주최 워크샵을 통하여 학과 내의 최정상의 연구 성과물을 외부에 홍 보 및 학과 Annual report 부록으로 논문집 배포


o 동료 교수 업적의 존중 문화 정착 및 학과 발표 논문의 상호 citation 확대. 특히, cluster 단위의 협력 활동을 통해 상호 citation을 확대하며, 선발주자로써 international visibility를 우리 스스로 확대 o 국제 학회 초청논문 발표, key note speech, plenary talk, 학회 organization 활동, 주 요 committee 위원회 활동, 학술지 editor board 활동시 경비 지원 라. 제도 개선을 통한 사업단 연구역량의 질적 수준 향상: 논문의 질적 평가를 고려한 교 수 및 대학원생 평가 - 본 사업단에서는 교수 업적 평가에서 상기와 같은 논문의 질적 평가 방법을 정착시켜, 연구의 질적 향상을 촉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질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연구 분야 개 척에 대한 의욕을 불러 일으키고, 앞서가는 창의적 연구 결과로써 논문의 영향력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는 업적을 내도록 독려하고 있다. - 현재 석,박사 학위 취득에 필요한 요건으로 해외 유명 논문지에 연구 논문 발표를 의 무화시킨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과에서 추천하는 유명 논문지 목록의 수준을 점차 향 상시켜, 논문의 질적 수준이 향상 되게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석,박사 학위 취득 요건에 누적 Impact Factor의 하한조건 (권장사항)을 추가하여, 대학원생들의 연구 능력 함양 및 국 제화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대학 간 협력 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향상 계획 사업단의 연구역량을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외 유명 대학과의 협력 연 구가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실천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미주 지역 이외에도 아시아 (일본), 유럽 (영국, 덴마크, 이스라엘 등) 지역과의 연구 협력을 확대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Cambridge-KAIST 공동 연구 프로그램 (유럽, 영국): 본 사업단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 하고 대학 간 공동 연구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영국 캠브리지 대학과의 공동 학술교 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기존의 연구실 차원의 교류를 뛰 어넘고 정보기술 분야의 다 학제간 실질적인 국제 협력의 모델을 정립하기 위하여 공동 workshop, 공동연구 과제, 공동온라인 매거진 발행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추구한다. 본 격적인 연구 프로그램의 이행에 앞서 영국 캠브리지 대학 관련 교수진이 2015년 8월에 방 문한 바 있다. - DTU-KAIST 공동 학위 프로그램 및 연구 교류 (유럽, 덴마크): 국제적 수준의 연구 및 교육 협력을 위하여 덴마크 공과대학 (DTU,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Department of Photonics Engineering)과 석사 공동학위제도를 시작하였으며, 공동학위 프로 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DTU와 KAIST에서 모두 학점을 취득하게 하여 실질적인 대학 간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 협력을 위하여 2015년 8월 DTU


연구진이 KAIST를 방문하여 연구협력과 상호교류를 위한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 국제적인 수준의 유명 대학과의 연구 교류회 정례화: 해외 우수 peer institute와의 긴밀한 연구 협력을 촉진함과 동시에 국제적 수준의 연구 visibility 향상을 적극적으로 추진 하기 위해 학과/기간 관의 국제 공동 워크샵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더욱 확대하고 자 한다. 예를 들어, 2014년 11월에는 일본 (아시아 지역)의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의 전자공학과 교수진 10여명이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를 방문하여 이틀간 워크샵 및 연구교류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2014년 12월에는 10명 내외의 사업단 참여교수가 이스라 엘 (유럽 지역)의 대표적인 공과대학인 Technion을 방문하여 공동연구 워크샵을 실시하고 연구협력과 상호교류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연구 교류회를 활성화시 키고 정례화하여 해외 대학 간의 협력 연구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 국내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연구역량 향상: 카이스트는 서울대학교와 연구 및 교육 에 관한 학술교류 협정을 2014년 4월에 체결한 바 있으며, 향후 보다 다양한 협력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연구역량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특히, 학술교류 협정 체결을 계기로 학생교 류 및 상호학점 인정, 공동연구 및 공동학술회의 개최, 학술자료 상호교환 등을 중심으로 협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국내의 대표적인 집단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루어지 는 국내 타대학과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국내 공동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사업단 참여교수가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내 집단 연구 사업으로는 글로벌프론티어 연구 사업, 공학연구센터 (NCRC, ERC 등)등이 있다.

나.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지원 계획

BK21 플러스 사업단은 국내외 우수 학술지에 논문 게재를 장려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계 획을 수립하였다. 가. 제도개선을 통한 유도: 논문의 질적 평가를 고려한 업적 평가 (교수, 신진연구인력, 대학원생) - 업적 평가 개선: 참여 사업단 참여 교수 업적 평가에서 환산논문의 수보다는 개별 연구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질적 평가 방법을 정착시켜 우수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질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연구분야 개척의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앞 서가는 창의적 연구 결과로써 논문의 영향력이 오랜 기간에 걸친 지속될 수 있도록 장려한 다. - 학위 취득 요건 강화: 현재 석·박사 학위 취득에 필요한 요건으로 해외 유명 논문 지에 연구 논문 발표를 의무화시킨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과에서 추천하는 유명 논문 지 목록의 수준을 점차 향상시켜 논문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게 유도한다. 또한, 석·박사 학위 취득요건에 누적 Impact Factor의 하한 조건(권장사항)을 추가하여 대학원 학생들의 연구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 우수 대학원생 포상 실시: 대학원생 연차 평가제도 운영을 통해 사업단 참여 인력의 우수 학술지 논문 게재 실적을 지속적, 전문적으로 관리한다. 동 연차 대학원생들의 학술 실적 평균 및 개인의 연차별 진척을 나타내는 통계를 학생 및 지도교수에 제공하여 꾸준한 자가 평가 및 성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연차별 우수학생에 대한 포상도 함께 실시함으로써 우수 연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한다. 향후 탁월한 연구실적을 보이고 모범이 되는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금 수여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나. 우수 논문 게재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개선 - 선진 연구 지원 체계 구축: 우수 학술 연구 및 논문 게재를 촉진하기 위해 선진화된 연구 지원조직 및 연구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전문적 행정지원 조직 및 위원 회 운영을 위하여 연구/교육 활동을 전문적으로 지원해 줄 전담 행정 지원 인력의 유지할 계획이며, 행정지원 조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기회 제공한다. - 연구 관련 IT 인프라 지원: 연구 활동에 자주 활용되는 고가의 전문 프로그램의 온오프라인 라이센스를 지원하고, 상시 운영되는 공동 컴퓨터실 등을 통하여 전산 인프라를 지원한다. - 논문 작성을 위한 외국어 능력 함양: 우수한 학술 논문 작성을 위하여 KAIST내의 국 제교육센터 (원어민 교수진 활용)와 연계하여 참여 대학원생에 대한 영어 논문 작성 능력 및 발표 능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

다. 학문 교류 및 연구 성과 확산 지원 본 사업단에서는 학술교류 및 연구성과 확산 지원을 위하여 현재 다음과 같은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 국내외 석학 초청 강좌 진행: 주기적으로 최신, 중요 기술 관련 국내외 전문가를 초 청하고 있으며, 특강 또는 세미나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교류를 이어갈 기회를 확대한다. 또한, 사업단 참여교수들이 주도하는 국내외 연사들의 invited seminar와 더불어 해외석학을 위주로 하는 ICT Global Lecture Series를 운영하고 있다. 본 공개강좌는 1회만 실시되는 보통의 invited seminar와는 달리 2주간에 걸쳐 4회의 강좌를 진행함으로써 본 사 업단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국내외 유수 학술대회 참여 지원: 국제/국내 학술대회 논문 발표를 위한 참가 경비, 세계 우수 연구그룹과 공동 워크샵 개최 시 연구 결과 발표를 위한 참가 경비 등을 지원하 여, 우수 학술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 학술 성과 홍보 강화 및 전문화를 통한 국제적 가시성 개선: 매년 연간 리포트 작성, 세계 및 국내 주요 기관 배포 등을 통해 학술성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홈


페이지의 연구 하이라이트/홍보 부문을 개선하여 사업단 학술 성과의 상시 홍보 효과를 극 대화 하고자 한다. - 국제 학술교류 및 협력 지원: 해외 유수 연구기관 및 산업기관에서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여 글로벌화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는 교육 분야의 국제화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


10. 산학협력 10.1 특허 및 기술이전 (최근 2년)

① 참여교수 1인당 특허 등록 환산 건수 <표 14> 참여교수 특허 등록 실적 항 목

최근 2년간 실적

전체기간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등록건수

da1

da3

da5

DA1

등록 환산건수

DP1

DP3

DP5

DP7

등록건수

da2

da4

da6

DA2

등록 환산건수

DP2

DP4

DP6

DP8

등록건수 합계

J1=da1+da2

J2=da3+da4

J3=da5+da6

DA1+DA2

등록환산건수 합계

E1=DP1+DP2

E2=DP3+DP4

E3=DP5+DP6

DP7+DP8

국내 특허

국제 특허

(DP7+DP8)/L2

참여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

L2

참여교수 수

② 참여교수 1인당 기술이전 실적 <표 15> 참여교수 기술이전 실적 항 목 기술료 수입액

(단위 : 천원) 최근 2년간 실적(천원) 2013년

2014년

2015년

P1

P5

P9

전체기간 실적

P1+P5+P9

특허 관련

(P1+P5+P9)/L2 또는 L3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특허 이외 산업재산권 관련

기술료 수입액

P2

P6

P10

(P2+P6+P10)/L2 또는 L3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기술료 수입액

P2+P6+P10

P3

P7

P11

P3+P7+P11

지적재산권 관련

(P3+P7+P11)/L2 또는 L3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Know-how 관련 기술이전 전체실적

기술료 수입액

P4

P8

P12

(P4+P8+P12)/L2 또는 L3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기술료 수입액

P1+P2+P3+P4

P5+P6+P7+P8

P9+P10+P11+P12

(P1~P12)의 합 {(P1~P12)의 합}/L2 또는 L3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참여교수 수

P4+P8+P12

L2 또는 L3 {[첨부1]로부터 산출}

- 1 -


10.2 산학협력 연구 및 산학 간 인적/물적 교류의 우수성 (전국단위)

◎ 요약 ○ 산학협력 연구 o 최근 2년간 (2013.9.1~2015.8.31) 참여교수 전체 (신임교수 포함)의 교수 1인당 특허등록은 국제 1.135 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0.68건/명/년), 국내 6.878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131건/명/년) 으로, 셰계적 수준에 이름. o 등록된 특허 및 지적재산권, know-how 등에서, 최근 2년간 19건 이상의 기술이전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MPEG 국제표준특허등 산업적/경제적으로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여 지속적 기술료 수입을 창출 하고 있음. o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8억원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 (특허관련 13건 기술이전으로 5.04억원의 기술료 수입; 지적재산권 관련 3건의 기술이전으로 총 1.7억의 기술료 수입; know-how 관련 3건의 기술이전으로 총 1.73억 기술료 수입 달성) o 최근 2년간 4건의 교수 창업을 통해 개발기술의 성공적 사업화 사례를 보여줌. o 교수 1인당 연간 특허 등록 환산건수 현재 1.755건/년/명 (2013.9.1.~2015.8.31. 실적 기준)에서 평균 2.194건/연/명으로 평균 25% 이상 향상 o 특허를 통한 기술이전을 강화하여 교수 1인당 연간 기술료 수입을 현재 약 555만원/연/명에서 평균 694 만원/연/명으로 평균 25% 이상 증대

○ 산학협력연구 계획 o 산학협력 주요 추진 방안 - 대덕연구단지의 입지적 조건 활용하여 산학연 협력 추진 - KAIST 산학협력단과, 기술사업화센터, 창업보육센터의 협력을 통한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화 - 학교 차원의 창업활성화 운동 프로그램 (Startup KAIST) 활용 - 학교 차원의 창업 교육 프로그램 (K-School) 활용 - 삼성, LG, SK 하이닉스, KT, SK 텔레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전략적 기술 개발 확대 - 대기업 산학협력에서 벗어나 중견 및 중소기업과 새로운 형태의 전략적 산학협력 모델 구축 - 글로벌 창업 지원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 산학간 인적/물적 교류 o 10개 산업체지원 공동연구센터 운영: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산업체로부터 지원금 총 80.5억 o 3개 산학협동 학위과정 운영: 반도체 고급인력양성 프로그램 (KEPSI),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 프로그램 (EPSS), LG Display 인력양성 (LGenius) 프로그램 운영;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박사 10명, 석사 70 명 배출 o 3개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반도체설계교육, 특허청 심사관 IT 신기술 교육, Cyber KAIST - 2 -


프로그램 제공;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총 101 강좌 개설, 수강인원 2419 명 규모 o 다각적인 산학간 인적교류: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산학협력 특강 교과목 2건 개설,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49회 개최, 산업체인사 초청세미나 15건, 해외 산업체 및 연구소 인력파견 총 35명, 산학연 공동 박 사학위논문심사 총 66명 위촉, 교수진의 산업체 기술자문 총 45건,

교육 및 연구소 자문 10건.

o 대학원생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해외기업 및 연구기관에 21명, 국내 대기업 75명, 중소기업 3명 인턴십 파견 o 대학원생의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수행:

산업체 및 해외 과제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산업체

연구비 164.4억원, 해외연구비 11.6억)를 통해 대학원생 공동연구개발 수행

○ 산학간 인/물적 교류 추진 계획 o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 지속적 개발 -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통한 협력 - 산업체 컨소시움 구성을 통한 산학협력 - 대기업 산학협력에서 벗어나 중견 및 중소기업과 새로운 형태의 전략적 산학협력 모델 구축

o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 연계 - 산업체 파견인력 교육과 연계 o 소속 대학원생의 인턴십, 공동연구개발 참여 활성화 - 인턴십 참여 계획 - 현장실습 및 공동연구개발 참여 계획

① 산학협력 우수 성과 및 우수 실적

가. 특허 등록 실적

○ 최근 2년간 참여교수 전체 (신임교수 포함)의 교수 1인당 특허등록은 국제 1.135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0.68건/명/년), 국내 6.878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077건/명/년)으로 세계적 수준에 이름. ○ 등록된 특허에서 최근 2년간 19건의 기술이전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MPEG 국제표준특허등 산업적/경제적 으로 영향력이 큰 지적재산권을 확보 ○ 이러한 성과에는 BK21 플러스 사업의 지원과 함께, 학교 내의 전산화된 특허관리시스템 (PPMS 특허관리시 스템)의 인프라 지원과 KAIST 산합협력단의 적극적인 지적재산권 및 기술이전 추진에 힘입은 바가 큼.

나. 기술이전 실적 - 3 -


○ 최근 2년간 사업단 참여교수들에 의한 기술이전은 총 19건으로 총 8억원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 이 중 특허관련 13건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5.04억, 지적재산권 관련 3건의 기술이전으로 총 1.7억, know-how관련 3건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1.73억원의 기술료 수입을 얻음. ○ 최근 2년간 참여교수 1인당 기술료 수입액은 11,109천원 (2년간 1인당 환산수입액 5,555천원/년)에 달함. ○ 기술이전 실적 중 다수를 차지하는 매출액 연동 (running royalty) 기술이전의 경우 아직 시장 확대에 이 루어지지 않아 기술료 수입이 적지만, 시장 확대에 따른 따른 기술료 수입 증가가 기대됨. ○ 목표대비 초과 달성한 국제특허 실적은 국내특허보다 산업적/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므로 국제특허를 적극 활 용할 경우 향후 기술이전실적 개선 기대.

○ 대표 기술이전 사례 - 대표적인 기술이전 사례로, o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이전 (박현욱 교수, MPEG.LA, 1.54억) o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사용하는 동종 영상간 3차원 비강체 정합 병렬처리 방법 및 장치 기술 노하우“ (나 종범 교수, 삼성전자, 1.1억) o “SSLShader SW프로그램””이전 (박경수 교수, 삼성전자, 1.2.억) o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통신 용 광원””이전 (이창희 교수, LG-ERICSSON, 0.62억) o “영상처리기술”이전 (김문철 교수, MPEG.LA, 1.06억) o “연산량 감소를 위한 가변해상용 QPSK 등화기”이전 (배현민 교수, ㈜테라스퀘어, 1억)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 기술과 “영상처리기술” 기술은

MPEG 국제표준

특허를 통한 기술료 수입으로 시장 확대에 따라 향후 특허 존속일까지 지속적 기술료 수입이 예상됨.

<표 10.2-1> 대표 기술이전 사례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 ” 산업체명/교수명

MPEG.LA / 박현욱

계약기간

2010-01-15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계약액: 219,200,000 원 기술이전형태: 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본 기술은 영상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자화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 데이터 루프필터링 방 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l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의 MPEG 및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H.263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화상(picture) 부호화 표준들은 블록에 기초한(block-based) 움직임추정 및 블록(block)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nsineTransform:DCT) 처리를 사용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비디오 부호화(coding) 표준들은 정보를 작은 수 의 변환계수로 팩킹(packing)하기 위해 8x8 픽셀블록 DCT를 사용한다. 이러한 block-based DCT scheme은 영상의 국부적인 공간 코리레이션(local spatial correlation ) 성질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에 기초하 - 4 -


여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하면, 블록경계 근처의 블록킹 아티팩트 (blocking artifacts ) , 블록의 크로스 (cross)에서의 코너 아웃라이어(corner outliers ) 및 영상 에지(edge) 부근의 링잉 노이즈(ringing noise )와 같은 상당한 영상 열화를 갖는다. 왜냐하면, 영상데이터를 8x8 픽셀 블록 단위로 DCT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계수를 양자화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지가 고압축되어 있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상기 블록에 기초한 부호화 는, 특히 영상(image)이 고압축될 때, 잘 알려진 블록 경계 근처에서의 블록킹아티팩트(blocking artifacts ), 블록의 크로스 포인트(corss points)에서의 코너 아웃라이어(corneroutliers) 및 영상 에지(image edge) 근처 에서의 링잉노이즈(ringing noise)를 유발시킨다. 상기 블록킹 아티팩트는 상대적으로 유사한 등질 영역 (relative homogenous area)에서의 블록 경계를 따라 발생하는 그리드 노이즈(grid noise)이다. 상기 그리드 노이즈는 압축된 데이터가 복원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블록에 기초하여 처리한 흔적이 블록들간의 가 장자리에 나타나게 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블록간의 가장자리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코너 아웃 라이어는 8x8 블록의 코너 포인 (corner points)에서 발생한다. 또한 상기 링잉노이즈(ringing noise)는 영상 을 고압축하기 위해 상기 이산여현변환(DCT)의 고주파 성분의 계수를 양자화(quantization)에 의한truncation 함으로써 발생되는 전형적인 깁스(Gibb's) 현상으로서, 영상이 약간의 간격을 두고 여러 개 겹쳐서 나타나는 것 같이 느끼게 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본 기술은 블록에 기초한 영상데이터의 복호화시 블록킹 아티팩트, 코너 아 웃라이어 및 링잉노이즈와 같은 양자화 효과를 줄이기 위해, 계산이 복잡하지 않으면서 낮은 비트율 부호화가 가능한 영상데이터 루프필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영상 details 를 유지하면서 subjective quality을 크 게 향상시키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 기술 개요 본 기술은 영상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할 때 발생하는 양자화효과 감소를 위한 루프필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킹플래그 및 링잉플래그를 추출하는 플래그 추출단계; 및 플래그가 루프필터링이 필요함을 나타내면 영상데이터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인터프레임일 경우, 현재 인터 프레 임의 블록킹 플래그는 수평 블록킹 플래그 및 수직 블록킹 플래그로 이루어지고, 기준 프레임의 블록킹 플래그 를 패딩하는 단계; 인터프레임의 블록(Ac)에 대한 수평 및 수직 블록킹 플래그 추출은 현재 인터 프레임의 블 록(Ac)의 움직임 벡터 (MVx, MVy)에 의해 추정되는 기준프레임의 블록을 움직임 블록(X)이라 할 때, 움직임 블록(X)이 상기 기준블록들과 겹쳐진 픽셀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기준블록들의 수평 블록킹 플래그(HBF) 및 수 직 블록킹 플래그(VBF)를 비트-와이즈 논리곱하여 현재 VOP의 블록(Ac)의 수평 및 수직 블록킹 플래그로 세 팅하는 단계; 및 현재 매크로블록이 스킵된 매크로블록이면 기준 매크로블록의 블록킹 플래그를 현재 매크로블 록의 블록킹 플래그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플래그와 적응필터를 사용하므로써 양자화 효과를 감소시키고, 필터링의 계산량을 줄 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하드웨어 복잡성 측면에서 곱셈과 나 눗셈 없이 병렬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 파급 효과 고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복원할 때, 블록킹 아티팩트들, 코너아웃라이어 및 링잉노이즈와 같은 양자화 효과를 발 생된다. 본 기술에 의한 루프 필터링방법은 플래그와 적응필터를 사용하므로써 양자화 효과를 감소시킨다. 각 블록의 블록킹 및 링잉 플래그는 루프 필터링(loop filtering )의 계산량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현 블록에 대한 블록킹 및 링잉 플래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인터 프레임 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된다. 비디오 코딩에서, 고품질의 영상 및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의 구현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계산의 복잡성 및 PSNR 이 고려되 어야 한다. 하드웨어 복잡성 측면에서, 본 기술에 의한 방법은 곱셈과 나눗셈 없이병렬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한 루프 필터링(loop filtering ) 방법은 영상 details 를 유지하면서 subjective quality을 크게 향상시키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표 10.2-2> 대표 기술이전 사례 2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사용하는 동종 영상간 3차원 비강체 정합 병렬처리 방법 및 장치 기술 노하우” 산업체명/교수명

삼성전자 / 나종범

계약기간

제한없음(영구적)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계약액: 110,000,000원 기술이전형태: 비독점적 통상실시권

- 5 -


∎ 기술의 중요성 다양한 의료영상 응용 분야에서 비강체 영상 정합 (non-rigid image registration)은 핵심적인 과정이다. 하지 만 이 방법은 최적화 과정에서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므로 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많은 경우에 실지 사용 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기술은 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 Processing Unit; G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동종의 3차원 영상 간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 수행 속도를 가속화함으로써 의료영상처리에서 실지 사용될 수 있 도록 하는 내용이다. ∎ 기술 개요 본 기술은 그래픽 처리 장치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비용 함수를 최소화 하는 변형 함수를 찾기 위해, B-스플라 인 (B-spline) 자유 형태 변형 (Free Form Deformation; FFD)에 기초한 변형함수로 소스 영상을 변형하는 단계, 상기 변형된 소스 영상과 타겟 영상의 밝기 값을 기초로 비용 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소스 영상 및 상기 타겟 영상의 정보에 기초한 비용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변형 함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 기 비용 함수를 최소화 하는 최적의 변형함수를 찾기 위한 각 단계를 GPU 하드웨어 구조에 적합하도록 최적화 함으로써, 동종의 3차원 영상 간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의 수행 속도가 최대가 되도록 한다. ∎ 파급 효과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는 의료 영상을 동일한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어 진단(diagnoosis), 치료계획(planning), 처치(treatment), 수술안내(surgery guidance), 질환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the disease progression)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T, PET 시스템 등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보 정하는 영상 재구성 기법에도 활용될 수 있다.

<표 10.2-3> 대표 기술이전 사례 3 “SSLShader SW프로그램” 산업체명/교수명

삼성전자/ 박경수

계약기간

2013-10-23~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계약액 120,000,000원, 로열티: 물리서버 1대당 1500달러, 기술이전형태: 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SSL은 개인정보 암호화에 필수적인 프로토콜이지만, 연산능력의 한계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SW는 GPU의 계산능력과 큰 메모리 대역폭을 이용 SSL에서 쓰이는 암호화를 offloading해 SSL 서버에서 기는 로드를 경감하여 SSL transaction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 이를통해 하나의 서버로 13Gbps SSL 리 성능을 보일 수 있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GPU기반 RSA/AES/HMAC-SHA1병렬 알고리즘 개발 구현을 완료하였다.

이 생 처 및

∎ 기술 개요 높은 수준의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SSL transaction 연산을 GPU가 수행하도록 처리. ∎ 파급 효과 고성능 SSL 서비스의 보급이 확대되어 각종 서비스의 암호화에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몇몇 기능 에서만 사용되었던 SSL 기반 HTTPS 등 보안 프로토콜의 사용 확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등에 큰 기여 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6 -


<표 10.2-4> 대표 기술이전 사례 4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통신용 광원” 산업체명/교수명

LG-ERICSSON/ 이창희

계약기간

2008-10-29 ~ 특허 존속일까지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계약액 : 라이센스의 10% 기술이전형태: 전용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컴퓨터/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의 음성과 텍스트 중심의 서비스는 광대 역을 요구하는 영상 및 화상 중심의 서비스로 옮겨가고 있다. 기존 구리선 기반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한 새 로운 방식의 가입자망이 요구되었으며, 이 중에서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WDM-PON)은 유연 성이 뛰어나고 높은 Quality of Service(QoS)를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WDM 방식의 광가입자망은 각 가입 자별로 파장 할당을 위한 고가의 광원이 요구되며, 파장 관리 및 제어가 어려워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가의 광원 및 망구조 구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 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 기술 개요 외부에서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저가의 FP-LD의 특성을 연구하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비간섭성 광원을 개발하였다. FP-LD에 주입되는 필터링된 비간섭성 광원인 Narrowband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파장 잠김된 FP-LD의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파장 잠김 된 FP-LD의 주파수 응답과 Ralative Intensity Noise(RIN)의 특성을 해석적으 로 분석하였다. ∎ 파급 효과 기술적 측면에서는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WDM-PON의 가장 큰 걸림돌인 광원의 경제성과 파장 관리 및 제어 의 어려움을 해결하였기 때문에 WDM-PON 기술을 실용화 단계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이 된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원천기술에 기반을 둔 WDM-PON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통신망 기술의 자립화 및 경쟁령 제고를 통해 관련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광가입자망의 기술 개발은 부 가적인 장비 및 부품 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산업적 파급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높은 전송 속도 및 실시간 서비스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정보통신 사회가 구축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기반으로 교통문제, 에너지문제, 공간문제 등이 해결되는 등 디지털 혁명이 이루어져 보다 풍요 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 창업 및 사업화 실적 ○ 최근 2년 (2013.9.1~2015.8.31)간 4건의 교수 창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성공적 사업화 사례는 창조경제의 모범사례로 들 수 있음. - 구체적인 교수 창업 사례는 다음과 같음. o 조병진 교수: 미래부 연구과제를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된 고출력 수직형 flexible TEG 상용화하여 (주)TEGway 창업 (CTO 겸직)

- 7 -


<표 10.2-5> 대표 기술이전 사례 5 “영상처리기술” 산업체명/교수명

MPEG-LA / 김문철

계약기간

2014-09-09 ~ 2017.09 계약액 : 100,000,000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기술이전형태: 통상실시권

∎ 기술의 중요성 HEVC(H.265)는 Full HD보다 4배나 화질이 우수한 UHD(초고화질)급 해상도를 가진 TV, 스마트폰 등에 적용 하기 위한 대용량 영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기술표준이다. 현재 Full HD에 가장 널리 쓰이는 H.264/AVC 보다 데이터 압축효율이 두 배 정도 우수하다. 즉, 같은 수준의 영상화질을 유지하면 서도 데이터 용량을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다. HEVC 관련 시장은 현재 태동기이지만 최근 출시된 UHD TV 와 최신 스마트폰에 적용되기 시작했고, 2016년까지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세계시장은 연간 2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기술 개요 1) 차세대 비디오 압축 부호화 요소 기술 연구 및 핵심 지적 재산권 확보 확장형 부호화 단위 블록 구조 연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압축 부호화 표준에서 사용해 왔던 고정된 부호화 단위 블록을 확장형 부호화 블록으로 설계하고, 입력 영상의 신호 특성에 최적화되어 가변적으로 분할될 수 있는, 확장형 가변 단위 부호 화 블록을 기반으로 하는 비디오 압축 부호화 기술을 연구하였다. 압축율 향상을 위해 확장 단위 부호화 블록 이 입력 영상의 신호 특성에 가변적으로 분할되어 압축율이 최대화되도록 하고, 확장 단위 부호화 블록 내의 각 하위 단위 부호화 블록들이 화면간/화면내 예측 부호화가 혼재되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화 면간/화면내 확장 단위부호화 기반 비디오 압축 기술을 연구 하였다 (관련 등록 특허: KR 1,250,608, KR 951,301) 가변 변환 블록 구조 연구: 변환 블록 역시 기존의 고정된 작은 크기의 변환 커널을 확장형 블록에 적합하도록 정수형 변환 블록으로 설 계하여 분할 블록 형태의 변환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관련 등록 특허: KR 10-1461495, KR 10-1446286, KR 10-1446287, KR 10-1378890, KR 10-1356439, JP5612215) 2) HEVC 국제 표준 – 표준 특허 확보 (특허권자로서 KAIST는 HEVC 특허풀 창립멥버로 가입) 확장형 부호화 단위 블록 구조: 인정된 HEVC 표준 특허 4건 (KR 1,250,608, KR 951,301, KR 1,356,439, JP5612215) ∎ 파급 효과 KAIST가 국내 대학으로는 최초로, 국제적으로는 미국 콜롬비아대학과 함께 HEVC 국제 표준 특허 풀에 창립 회원으로 가입하게 되었고, 향후 이 기술로 인해 KAIST는 HEVC 국제 표준 로열티 수익을 크게 기대할 수 있 게 되었음. 대학에서의 원천 기술연구가 국제표준 기술로 인정받으면서, 산업에의 기여도를 크게 높였을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의 원천 기술연구에 대한 연구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 음.

<표 10.2-6> 대표 기술이전 사례 6 “연산량 감소를 위한 가변해상용 QPSK 등화기” 산업체명/교수명

㈜테라스퀘어 / 배현민

- 8 -


계약기간

2013.6.30-

기술료/기술이전형태

계약액: 100,000,000원 기술이전형태: 양도

∎ 기술의 중요성 본 기술은 전력소모 이슈가 중요해지는 통신 분야에서 알고리즘만으로 디지털 회로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통신채널의 신호왜곡이 심하여 디지털 등화기의 부담이 큰 유선통신분야에서 좋 은 전력 절감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갈수록 제한된 채널특성에서 높은전송속도를 내야하는 기술발전방향에 큰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 기술 개요 본 기술은 디지털 등화기의 중간 연산값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계산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계산이 필요치 않다 고 판단될 경우 연산을 중단하여 전체 디지털 회로의 연산량과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 파급 효과 본 기술은 전력 절감이 필요한 모든 통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기술의 특성상 QPSK 방식의 통신 뿐만 이 아니라 모든 디지털 통신 방식에 적용 가능하여 앞으로의 통신시스템 설계분야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줄 것 으로 예상된다. o 박철순 교수: 고속 무선전송기술 사업화하여 (주)와이젯 창업 (CEO 겸직) o 배현민 교수: 뇌손상 문제를 해결하는 뇌영상기기 상용화하여 (주)오비이랩 창업 (CTO 겸직) o 이귀로 교수: 전자직접회로 및 비디오/기타 영상기기 제작을 위해 (주)시리우스 창업

(CTO 겸직)

② 산학협력 성과 계획

가. 특허 등록에 대한 추진 계획 - 최근 2년간 (2013.9.1.~2015.8.31.) 교수 1인당 특허등록은 국제 1.135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0.68건/명/년), 국내 6.878건/명 (2년간 1인당 등록 환산건수 1.077건/명/년)의 실적을 보였다. - 이를 바탕으로 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를 최종년도에 2.194건/년 (국내 특허 등록 환산 1.346, 국제 특허 등 록 환산 0.85)으로 증가시켜, 현재보다 25% 이상의 실적 향상을 계획하고 있다 (표 II-10.2-7 특허 등록 환산건수 계획 참조). 본 사업단은 특허 출원/등록의 양적인 향상을 추구하기 보다는 산학협력단의 특허 출원/등록 및 라이 센싱 지원과 심사를 통하여 특허 및 지적재산권의 질을 높이고 라이센싱에 의한 기술료 수입을 최대화 하는데 집중 하려고 한다.

- 특히 KAIST 기술사업화센터에서는 전문가 및 변리사의 심사를 통해 특허를 평가하여 해외특허출원을 지원 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여 산업적/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국제특허를 다수 확보하도록 할 계획임.

<표 10.2-7> 특허 등록 환산건수 계획

항 목 국내 특허

1인당 등록

연도별 목표

최근 2년 평균 실적 (건/년/명)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1.077

1.144

1.212

1.278

1.346

- 9 -


환산건수 1인당 등록 국제 특허 환산건수 참여교수 1인당 등록환산건수

0.68

0.726

0.765

0.808

0.85

1.755

1.865

1.974

2.084

2.194

나. 기술이전에 대한 추진 계획 - 최근 2년간 사업단 참여교수들에 의한 기술이전은 총 19건으로 총 8억원의 기술료 수입 실적을 달성. 이 중 특허관련 13건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5.04억, 지적재산권 관련 3건의 기술이전으로 총 1.7억, know-how관련 3 건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총 1.73억원의 기술료 수입을 얻었다. - 기술료 수입 중 특허를 통한 기술이전이 기술료 수입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등록된 특허를 통한 기술 이전을 강화하여 최근 2년간 참여교수 1인당 환산수입액 5,555천원/년을 최종년도 (4차년도)에는 6,944천원/년 수 준으로 25% 이상 증대하고자 한다 (<표 10.2-8 기술이전 계획 참조). 또한 기술 이전 건수도 25% 이상 증가시킨 다. -

특히 MPEG 국제표준특허를 통한 기술료 수입은 최근 2년간 2.47억에 달하고, 관련 기술표준의 시장 규모

가 확대됨에 따라서 기술료 수입의 확대가 예상된다. 국제표준특허 확보를 통한 기술료 수입은 특허 존속일까지 지 속적 기술료 수입이 가능하므로, 국제표준특허확보를 적극 권장할 계획이다. -

또한,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로부터의 창업을 통한 매출액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참여교수/참여학생들의

창업을 독려하여 산업개척과 함께 사업화에 기여토록 유도한다.

<표 10.2-8> 기술이전 계획

항 목

기술 이전 전체

기술료 수입액 (억원) 참여교수 1인당 수입액 (천원)

연도별 목표

최근 2년 평균 실적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8.00

8.5

9

9.5

10

5,555

5,902

6,249

6,597

6,944

다.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

기술이전과 사업화 촉진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다음과 같다. ■ 대덕연구단지와의 산학협력 활성화 - 대전광역시에 산재하고 있는 80여개의 IT분야 연구 기관, 70여개의 IT 분야 벤처 기업이 대덕연구단지 내에 집중되어 있어서, 새로운 기술 창출, IT 정책 제시 등의 시너지 효과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입지적 장점을 활용 하여 공동연구 및 기업연구소의 유치의 활성화를 통한 기술 이전 및 창업을 독려할 계획이다. 특히, 대덕특구본부 에서 지원하는 특구기술사업화사업(R&BD 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하여 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적극 추친할 계획이 다. - 10 -


■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센터, 창업보육센터와의 협력을 통한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체계화 - KAIST 교내의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센터, 창업보육센터는 KAIST 개발 기술에 대한 사업화와 기술이전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오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은 KAIST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센터 (센터장: 윤준호, 홈페 이지: http://ouic.kaist.ac.kr/sub01_01_01), 창업보육센터 (센터장:최성안, http://ouic.kaist.ac.kr/sub03)과 협 력하여,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와 지석재산권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 학교 차원의 창업활성화 운동 프로그램 (Starup KAIST) 활용 - KAIST는 Startup KAIST (홈페이지: http://startup.kaist.ac.kr/html/kr/index.html)라는 창업활성화 운 동을 통해 창업을 적극 유도하고 있으며, Startup KAIST 프로그램에서는 다음 내용들을 지원하고 있다. o

창업 아이디어 소통공간인 Startup KAIST 스튜디오 설치

o 기업가정신-창업-기술경영 교육 제공 o 실전형 창업 프로그램 지원 o 디자인/시제품 제작 지원 o

멘토연결 및 외부프로그램과 연계

본 사업단에서는 KAIST Startup 운동을 적극 활용하여 소속 대학원생의 창업을 권장하고 유도할 계획이다.

■ 학교 차원의 창업 교육 프로그램 (K-School) 활용 - KAIST는 2016년도부터 기존 학사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연구 성과의 창업 및 사업화를 통한 캠퍼스 내 창업 문화 확산과 교육․연구․창업의 이상적인 허브구축을 통한 국가창업의 메카를 지향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과정인 K-School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고, 본 사업단은 기계공학과, 전산학과와 함께 참여할 계획이다. - 2015년 가을학기에 K-School의 성공적 개설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으로 K-School연계 전문이학석사 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며, 50%의 융합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교과과정 구성, 표준화된 지식의 사이버 강의, 캡스톤 프 로젝트와 인턴십으로 구성되어 비즈니스적 감각, 기업가적 마인드, 과학적이고 기술적 아이디어를 적절한 제품과 서 비스로 만들어내는 방법등을 체득하도록 한다.

■ 삼성, LG, SK 하이닉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과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전략적 기술 개발 확대 - 삼성, LG, SK 하이닉스, 코오롱 등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EPSS, KEPSI, LGenius)과 공동연 구센터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연구센터, KAIST-삼성디스플레이 연구센터, 인터넷 협력 에코 시스템 연구센 터 등)를 통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 적용이 직접적으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대기업 위주 산학협력 모델에서 벗어나 중견 및 중소 기업과 새로운 전략적 산학협력 모델 구축 - 본 사업단은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국내 중견기업과 새로운 산학공동 연구 모델을 구축하기로 하였다. 이 협력 프로그램은 대전소재 코스닥 상장 시스템 반도체 기업인 Silcon Works를 필두 (2015년 8월 MOU 체결)로 국내 중견 기업 다수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며, 긴밀한 산학협력으로 협력 중견기업의 세계적 기술력 확보 및 새로운 기술 융합형 사업영역 확장에 기여하여 세계 1등 기업으로의 육성을 도모한다.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다 음과 같이 4단계로 진행된다. o 1단계: Silcon Works Research Group (약칭 SRG) 설립 및 기술 및 인력교류 - 11 -


o 2단계: SRG 중심 산학 공동 연구 o 3단계: Silicon Works Lab @ KAIST 설립 o 4단계: 새로운 형태의 산학 일체형 교육 시스템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 글로벌 창업 지원 - 세계 Top 대학들은 젊은 졸업생의 창업으로 Microsoft, SUN, Google, Facebook 등과 같은 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을 배출하고 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졸업생의 창업, 연구실 창업을 통해 루멘스 (대표: 유태경), 실리 콘마이터스 (대표: 허염)를 비롯한 여러 국내 기업들이 설립되어 국내 산업 진흥과 세계적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가 세계 10위권의 역량에 이르기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기업들이 출현될 수 있게끔 체질개선의 필요가 절실해지고 있다. 본 BK21 플러스 사업단에서는 글로벌 혁신 기업들의 창업 이 활발해 질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o 석박사 과정에서 기업경영, 창업 관련 교과목 이수 및 교육 프로그램 참여 적극 권유: 기업경영에 관심 있거 나, 학부에서 경영학을 부전공으로 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석박사 과정 학생에게 기업 경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 록 관련 교과목 이수와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지원 o 외국의 제도를 벤치마킹한 Curricular Practical Training (CPT) 과정을 통해 학외 벤쳐회사에 근무하면서 학위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학위과정을 개방 o 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에 대한 기술적 feasibility와 시장 분석을 도와주는 멘토링 시스템을 선배들의 선발 기업 경영자 풀에서 제공 o 경쟁력 있는 창업이 가능한 학생들에게 학내 산학협력단을 통하여 seed 자본을 제공하고 sponsor가 될 VC (venture capital)를 연결 o 창업지원 학생들에게 해외 글로벌 기업의 파견 근무를 적극 지원 o 기술화 가능성이 큰 연구 성과를 얻은 학생들에게는 박사 학위 심사위원으로 국내외 VC를 초대하여, 사업화 기회를 제공

■ 창업활성화를 위한 학교 차원의 제도 보완 - 연구실 및 학생들의 교내 창업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제도들을 적극적으로 보완해 나감 (예: 학교 지분 조정, 창업자 지분 확대) - 연구실 및 학생이 발명한 특허를 창업한 회사로 이전 시 적극 지원: 브릿지 론 (Bridge loan) 형식으로 선대 여 후 IPO나 M&A시 최종 가치에 맞추어 pricing 하는 시스템 등 지원 - 연구실 창업을 권장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국내외 자문단을 활용하여, 연구실 창업 추진 및 투자재원 확보를 지원 - 국내 유수 기업과 공동창업이 가능케 하는 사업 모델 구축: 기업은 경영 자원, 보조 엔지니어, 자금을 제공 하고 KAIST는 아이디어 및 기술을 제공하여 창업하는 모델을 지향 - 학생 창업동아리 적극 지원

③ 산학협력 인적 및 물적 교류 실적

- 12 -


본 사업단은 중장기 대형 산학과제 및 산업체 지원 연구센터를 다수 유치하여 활발한 산학협력 연구개발을 수 행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고급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체 요구에 맞게 학생 을 교육하여 배출하고 있다. 연구 부문의 철학인 "창조경제를 주도할 산업 영향력, 사회 파급력이 높은 연구를 지향 "하기 위한 기반이 잘 다져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산학간의 교류는 산업체 지원 학제전공(교육 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참여교수 파견 및 자문활동, 산업체 인력의 학과 파견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 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적은 다음과 같다.

가. 산업체 지원 연구센터 수주 및 운영 실적 ■ 산업체 공동연구센터

- 최근 2년간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반도체, 통신 및 네트워크, 전력전자,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등 전자공학 전 분야에 걸쳐 총 10개의 산업체 지원 연구 센터 운영 (<표 10.2-9> 산업체 지원 공동연구 센터 현 황 참조) -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10개 연구 센터에서 산업체로부터 지원 받은 금액은 총 80.5억원 이상이 며,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해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혁신적인 성과들을 이루어내고 있어, 본 사업단이 명실상부 국 내 최고의 전자공학 관련 산학협력 중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

<표 10.2-9> 최근 2년간 산업체 지원 공동연구 센터 현황 연번

센 터 명

센터장

지원기간

지원기관

최근2년 지원금 (억원)

1

전력전자연구센터

문건우

2007.04~계속

삼성전기

8.13

권인소

2009.06~계속

삼성테크윈

1.5

최경철

2010.07~계속

김대식

2011.09~계속

코오롱

15.4

김정호

2011.09~계속

한국단자공업

6.0

유승협

2011.02~계속

삼성디스플레이

11.6

2013.01~계속

LG전자

0.6

홍성철

2013.10~계속

삼성전기

5

문재균

2013.10~계속

SK하이닉스

10

김정호

2011.09 - 계속

SK하이닉스

9

2

지능형로봇비전시스템

3

LG

연구센터

Display산학협력센터

코오롱-카이스트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

4 5

스마트

6

자동차 전자부품연구센터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센터

7

KAIST-LG전자

5G 공동연구센터

삼성전기-KAIST연구센터 MMMB RF Front-End 연구센터 (주)SKhynix-KAIST스토리지미디 어솔루션즈센터

8 9 10

3차원반도체 연구센터

LG

Display

13.3

■ 공동연구, 교육 및 인적교류에 다양한 기업체 참여 - 본 사업단 참여교수들은 공동연구, 교육, 인적교류 등을 통하여, 대기업, 중소기업, 출연연구소, 해외기업/연 구소를 망라한 다양한 기업체와의 연계활동을 수행해 왔음 (최근 2년간 (2013.9.1~1015.8.31) 해외 산업체 및 연구

- 13 -


소 인력파견 35건, 해외 인턴십 21건, 대기업 인턴십 75건, 중소기업 인턴십 3건) - 특히 한국전자통신연구소 (ETRI)와 공동연구 및 인적 교류를 강화하기 위한 KAIST-ETRI 미래 ICT 기술 공 동개발 협력 협정을 체결 (2013.04 상호협력 협정 체결)하고 실질적 협력 및 인적교류 방안을 추진하고 있음.

나. 다양한 산학 협동 학위과정 운영 ■ 개요 -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통해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 석·박사급 인력을 공동으로 육성하여 해당 산업체에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성공적인 산학협동 학위과정을 운영 - 현재 산학협동 학위과정 프로그램을 통해 반도체 소자/설계, 통신, 디스플레이 등 전자공학 주요 분야 모두 에 대해 국내 산업체 인력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산학협동 학위과정 학위수여 현황 -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 (SK 하이닉스), 삼성 반도체 학제 전공 (삼성전자), LG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LG 디스플레이) 총 3개 산학협동 학위과정을 운영 - 최근 2년 (2013.9.1~2015.8.31) 3개의 협동학위 프로그램에서 박사 10명, 석사 70명을 배출 (<표 10.2-10> 최근 2년간 산학협동 학위과정 현황 참조)

<표 10.2-10> 산학협동 학위과정 현황 프로그램

개설년도

지원액

최근 2년간 인력배출

지원기업

반도체 고급인력양성 프로그램 (KEPSIⅠ,Ⅱ, Ⅲ)

1995

289억/17년

석사 15명 박사 1명

하이닉스반도체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 (EPSS)

2005

145억/7년

석사 45명 박사 9명

삼성전자

LGD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LGenius)

2011

103억/10년

석사 10명

LG Display

○ KEPSI: 반도체공학 프로그램 - SK하이닉스와 공동 지도교수 및 인턴십 등을 통하여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고도의 학 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21세기 세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인력 양성프로그램 (2013년 5월 추가 협 약 완료) - 최근 2년 (2013.9.1~2015.8.31) 석사 15명, 박사 1명을 배출; 교육경비 전액, 논문연구비, 해외교육훈련비, 매월 장학금 지급(참여기업에서 별도 지원) 등을 지원받으며, 졸업 후 SK하이닉스로 취업 보장 - 향후 4년 동안 석사 37명, 박사 9명 배출 계획

○ EPSS: 삼성 반도체 프로그램(반도체 학제전공) - 삼성반도체교육프로그램은 참여기업인 삼성전자의 공동지도교수 및 인턴십 운영과 KAIST 반도체학제전공의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통해 향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석/박사급 인력을 양성하여 해당 기업에 차세대 반도체 - 14 -


고급 인력을 안정적, 지속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기업과 대학이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성공적인 산학협동 모델 을 구축 - 2012년 6월 추가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향후 석사 137명 (박사 30% 이내 연계진학 가능)의 인력을 추가 선 발하기로 확정 (최근 2년 (2013.9.1~2015.8.31) 석사 15명, 박사 1명을 배출) - 향후 4년 동안 석사 79명, 박사 16명 배출 계획

○ LGenius: LG디스플레이 인력양성 프로그램 - 맞춤형 선발 및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기 위 한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 공동 논문 지도 위원 및 인턴십 등을 통해 참여 학생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KAIST의 양질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고도의 학제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스플레이 분야의 고급핵심인력을 공동 육성 - 향후 4년 동안 석사 10명, 박사 5명 배출 계획

다. 수요 위주의 체계적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 ■ 개요 -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하는 성공적인 산학 협동 모델을 구축 - 최근 2년 (2013.9.1~2015.8.31) 반도체 설계교육 센터 프로그램, 심사관 IT 신기술교육 프로그램, 사이버 KAIST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요 위주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총 101강좌를 개설하여 제공하였고, 총 수강인원은 2419명에 달함. <표 10.2-11>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현황 참조) - 특히, 본 사업단의 사이버 KAIST등의 프로그램은 MIT, Stanford 대학 등 해외 유수 대학들이 지향하는 바 와 같이 온라인을 통한 광범위한 지식 전달을 실현

<표 10.2-11> 산업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현황 프로그램

운영기간

수강생

개설강좌

참여기관

반도체설계교육 (IDEC)

1995 - 계속

1687명

69건

삼성전자, Silicon Image, Synopsys,파인스 외

심사관 IT 신기술교육

2006 - 2013

680명

23건

특허청

CyberKAIST

2000 - 계속

52명

9건

삼성전자, ETRI 외

○ 반도체설계교육 (IDEC) - IDEC은 1995년 비메모리 반도체부문의 설계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센터로서 지식경제부와 삼성전자, 하이닉스 반도체, 동부하이텍의 지원을 받아 고급 설계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체계적인 교육강좌 개설, 양질의 교보 재 개발, CAD Tool공급, 하드웨어 지원, 삼성, 하이닉스, 매그나칩, 동부하이텍 등 첨단 공정지원을 통해 칩 제작

- 15 -


기회부여 등 다각적인 사업을 전개함

○ 특허청 심사관 IT 신기술 교육 - 2006년부터 운영한 특허청 지정 심사관교육센터는 세계최고 수준의 특허 심사품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수요 충족형 단기집중 고급 교과과정으로서, 특히 전기전자분야, 정보통신분야의 특허심사 신기술에 대한 이론, 실무, 현장체험 교육 등 특허청 심사관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 - 특허기술의 첨단·복합화 추세에 대응해 심사관의 심사전문성 제고를 위한 맞춤형 정규교과과정 외에 심사관 들의 수요에 따라 특별과정 개설

○ 사이버 KAIST - 사이버 KAIST 프로그램은 국내외 IT관련 기업체, 연구소의 전문 인력들에게 KAIST의 석·박사 과정 교과목 및 프로그램 고유의 특별 강좌들을 녹화하여 동영상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는 21세기형 주문형 교육 프로그램으 로서 정규과정, 단기과정, 특별과정으로 나누어 제공 - 제공되는 강좌들은 IT 산업 현장을 대상으로 철저한 요구분석을 거쳐서 결정되고, KT, SKT, 삼성전자와 같 은 대기업, 연구소, 중소기업/벤처 19개사, 대덕IT클러스터 30개사와 한국고주파산업연구조합 30개사가 사내 인력 재교육을 위해 사이버 KAIST 프로그램을 활용

라. 활발한 산학 간의 인적 교류 ■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 - 기업의 제품 및 연구개발 내용을 산업체 연구개발 책임자가 소개함으로써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이 어떻게 기업에 활용 되는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산학협동의 새로운 모델 제시 - 본 사업단의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는 정규 교과목(산학협력 특강 교과목) 형태와 특별 세미나의 형태로 다양 하게 이루어짐.

■ 산학협력 특강 교과목 - STE605/EE877A 메모리 & SoC 기술 교과목은 삼성 반도체 학제전공 (EPSS)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2014 년 가을학기에 개설됨. 9명의 삼성전자 임원이 직접 강의 (<표 10.1-12> 산학협력특강 내용: 메모리&Soc 기술 참 조) <표 10.2-12> 산학협력특강 내용: 메모리&Soc 기술 강의

강의내용

강사

9/5

Course Overview and Introduction of Semiconductors

최양규 교수

9/12

Fundamentals of Semiconductors

최양규 교수

9/19

P-N Junction

최양규 교수

9/26

MOSFET Theory

최양규 교수

- 16 -


10/10

Semiconductor Device Overview

10/17

중간고사

10/24

DRAM Operation & DRAM

10/31

박병하 전무

Cell Structure

홍형선 상무

DRAM Overview & Design

11/7

Flash Memory Operation and Flash

11/14

NAND Flash Memory Design from

11/28

Operation and Recent Progress of

황홍선 마스터

Memory Cell Structure

박영우 마스터

Circuits to Systems

안병진 상무

Emerging Memory Devices

고관협 마스터

12/5

Advanced Low Power Design Technology

원효식 마스터

12/12

Advanced Mixed Signal IC Technology

박재진 마스터

12/19

기말고사

- MS696 신소재공학특론 교과목은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 프로그램 (KEPSI),

학생들에게 필수 과목으로 2014년

가을학기에 개설됨. 13명의 SK 하이닉스 연구원이 직접 강의 (<표 10.2-13> 산학협력특강 내용: 신소재공학특론 참조) <표 10.2-13> 산학협력특강 내용: 신소재공학특론 강의 9/3

강의내용 & Memory Tech. Overview

박근우 상무

9/17

DRAM Technology

이현진 책임

9/24

Flash Technology

오상현 수석

10/1

DRAM Design Technology

이강철 책임

10/8

SKHynix

강사

Flash

Design Technology

10/15 10/22 10/29 11/5 11/12 11/19

허황 책임

중간고사 Memory Test

Technology

정우식 수석

Lithography Technology

복철규 수석

Etch

Technology

Diffusion Technology Thin

Film Technology

- 17 -

이민석 수석 장세억 수석 김상덕 수석


11/26

Flash

Process Technology

12/3

Cleaning & CMP

12/10

Packaging

12/17

신현상 수석

Technology

박형순 수석

Technology

손호영 수석

기말고사

■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개최 - 전공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외부 인사를 초청하여 세미나 시리즈를 개최,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세미 나 제공 - 특히, 산업체 CTO, 연구원 등 전문 인력의 최신연구동향 및 기술개발에 대한 강의를 통해 이론위주의 수업에 산업 현장 감각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

- 최근 2년 (2013.9.1~2015.8.31)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49회 , 산업체인사 초청세미나 15회 개최 (<표 10.2-14>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및 산업체인사 초청세미나 개최 현황 참조)

<표 10.3-6>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및 산업체인사 초청세미나 대표 현황 일시

연사

소속

제 목

2013-09-06

김현철

애플 선임연구원

Redndancy Resolution of 7DOF Upper-Limb Exoskeleton and its Application to Rehabilitation System

2013-10-02

김창현

삼성전기 전사 상품기획팀 부사장

기업과

2013-11-22

고성욱

LG

나노소재를 기반으로한 투명전극 개발과 터치 application

2013-11-22

이종찬

㈜동진쎄미켐

2013-12-03

장호식

앰피디아

2014-01-22

양승지

SK텔레콤㈜

2014-02-25

김태진

KT

2014-03-06

문희창

㈜언맨드솔루션

2014-04-28

우현곤

엔비디아

2014-05-27

권석철

㈜큐브피아

Display 선임연구원 팀장

Why

창의적 인재

Graphene? In Industry!

Software 강연

수석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제경영연구소

신호

분류 및 인식 기술 동향 : 불편함분류 응용

웨어러블

대표이사

코리아 차장

- 18 -

컴퓨터 개발 동향과 산업변화 전망

자율주행차량을 Deep 기존 보안

대표

Reverse Engineering Case Review

위한 최신 제어 기술

Learning을 위한 CUDA 기술 세미나 사이버대응체계를 채워줄 새로운 보안 기술


2014-07-16

김호정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요원

Applications & System requirements For 'wireless CtC Communication'

2014-08-04

유영기

풀무원

Variety functional food derivatopm from traditional foods

2014-09-23

이용희

㈜극동통신 Scientist

2014-09-25

김수홍

LIG

2015-04-10

전종훈

알에프코어㈜

2013-10-04

조웅래

(주)선양

역발상을

다시 역발상하라! 세상을 바꾸는 逆 創 樂

2014-03-19

정은승

삼성반도체연구소

반도체의

과거, 현재와 미래

2014-03-21

이인식

지식융합연구소장

창조적융합

2014-03-26

손욱

기술경영솔루션센터

세종의

2014-04-02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호모

2014-04-16

LeonChua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Memristor

2014-04-16

Yasuyuki Nakajima

일본

Paradigm

2014-04-30

최치준

삼성전기

2014-05-07

한국현

삼영기계㈜

2014-05-14

김희중

한국나노기술원

과학기술계의

2014-05-28

유욱준

KAIST의과학대학원

인류의

탄생과 확산, 인간수명의 연장

2014-09-19

김성오

행복한

성공

2014-09-26

김영세

메가넥스트 대표이사 / “육일약국 갑시다” 저자 산업디자이너 /

사람에

대한 관심, 디자인

2014-10-31

윤윤수

휠라코리아 회장

기업가

정신

2015-03-13

장대환

매일경제 회장

2015-03-18

최형욱

매직에코

대표

2015-04-15

임정욱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2015-04-29

박용후

2015-05-15

손욱

마케팅본부 상무 Consulting

넥스원 이사

스트랩다운

상무

관성하법 시스템의 원리 및 응용

소형공중표적탐지를

이사장

KDDI 사장 사장 전무이사

위한 원통형 레이더 개요

생생지락과 창조 리더쉽: 행복나눔125 모빌리안스

학문에서 도전과

이노디자인 대표

: New Device With Intelligence Shifts in Smartphone Era

과학적 방법의 중요성과 보편성 창의 미래 유망직업과 준비

2015 세계경제 전망, 2015

Global Economic

Outlook IoT,

연결이 만드는 변화

세상을 바꾸는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장 PYH 대표

관점을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기술경영

소형 무인기 위협과 능동형 원통배열 방공레이타 개념설계

솔루션센터장

■ 산업체의 인력 파견

- 19 -

디자인하라!

세종대왕 리더십과 행복나눔125


- 여러 산업체의 전문 인력이 파견되어 전일제 학생(일반장학생)으로서, 총 126명이 공동연구 및 교육에 참여 - 이러한 타 사업단과 차별화된 수치는 본 사업단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우수성 및 성공적인 산업체 인력 양성에 기반 한 산업체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음

■ 산학연 공동 박사학위 논문 심사위원 활용 - 산업체의 기술 수요를 반영하고 유기적인 상호 연구 협력 관계를 위하여, 산업체 전문 인력의 공동논문지도 및 심사위 원 위촉을 적극 장려 - 특히, 산학연 협동학위 과정의 경우 산업체 인력의 공동지도 교수를 의무화하고 있음. 최근2년간 (2013.9.1.~2015.8.31) 총 66명의 산업체 임직원이 논문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논문 심사에 참여하였음.

■ 교수진의 산업체 기술 자문 - 사업단 참여교수들은 연구를 통해 얻은 우수한 기술력을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자문 및 교육 활동을 활발히 펼쳐 산학간의 다양한 인적 교류를 실시 (최근 2년간 (2013.9.1.~2015.8.31.) 산업체 자문 45건, 교육 및 연구 소 자문 10건) - 특히, 이러한 기술 자문 활동은 대기업 뿐 아니라 기술 개발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을 주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

마. 산학 협동학위 과정 협약에 따른 대학원생 인턴십 프로그램 실시

■ 개요 - 소속 대학원생의 현장 참여를 통해 현장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연구 능력을 향 상시키기 위해 국내외 인턴십을 적극 장려하고, 인턴십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

■ 체계적인 인턴십 프로그램

- 산학 맞춤형 협약 체결 프로그램인 EPSS (삼성전자), KEPSI (하이닉스반도체) 등을 통해 적극적인 인턴십 기회를 제공 하고 있으며, 인턴십 연구 학점을 통하여 현장 실습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장려

■ 인턴십 실적 - 최근 2년 (2013.9.1.~2015.8.31)간 해외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21명, 국내 대기업에서 75명, 국내 중소기업에서 3명, 총 99명이 인턴십 수행 - 특히, 해외 인턴십을 적극 장려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이 Intel,

Adobe,

NEC,

IBM,

Microsoft,

Los

Alamo

National Lab.등 해외 초일류 기업/연구기관에서 인턴십을 수행하였고, 국내 중소기업에 고급 기술인력 공급 기반제공을 위해 참여 대학원생들이 피에스틱, 실리콘 마이터스등 중소기업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도록 함 - 협동학위 과정 협약 프로그램인 EPSS (삼성전자), KEPSI (SK하이닉스반도체), LGenius(LG Display)을 통하여 1차 년도 (2013.9.1.~2014.8.31.)에 해당 기업에서 총 68명 인턴십 수행 (<표 10.2-15> 대학원생 인턴십 실적 현황 및 <표 10.2-16> 협동학위 과정 협약 기업에서 인턴십 수행 실적 현황 참조)

- 20 -


<표 10.2-15> 대학원생 인턴십 실적 현황

(단위: 명) 인턴십

구분

1차년도

해외

대기업

중소기업

21

75

3

<표 10.2-16> 협동학위 과정 협약 기업에서 인턴십 수행 실적 현황 연도

KEPSI(하이닉스)

EPSS(삼성전자)

LGenius(LG Display)

1차년도

12명

48명

8명

바. 대학원생의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 본 사업단은 공동연구 센터/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산업체와 소속 대학원생의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음(최근 2 년간 (2013.9.1.~1015.8.31.) 산업체 연구비 164.3억원, 해외연구비 11.6억원). - 특히 Lam Research Corporation, Qualcomm 등 해외 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참여 대학원생의 국제적인 현장 참여기회를 제공하였고, 국내 대기업 뿐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중소기업과도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중소기업 현장에 대한 참여 대학원생의 활발한 참여 기회를 제공함 - 특히,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과의 연구 협력을 활발히 하여, 기술 개발 능력이 취약한 국내 중소기업의 기 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

사.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 - 기업의 제품 및 연구 개발 내용을 산업체 연구 개발 책임자가 소개함으로써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이 어떻게 기업에 활 용되는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 - 산업체 인력의 교육 참여는 특별 세미나의 위주로 이루어졌고, 최근 2년간 (2013.9.1~2015.8.31)에 다양한 분야 인 사가 직접 강의하는 산학협동 특별 세미나 49회, 산업체친사 초청세미나 15회 개최 - 산업체의 전문 인력이 파견되어 전일제 학생(일반장학생)으로서 총 126명이 최근 2년간 (2013.9.1~2015.8.31) 공동 연구 및 교육에 참여 - 최근 2년간 (2013.9.1.~2015.8.31) 총 66명의 산업체 인력이 논문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논문 심사에 참여

아. 공동연구 센터를 통한 참여 대학원생의 현장 참여 - 사업단 내에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위해 기업체의 연구원이 상주하는 공동연구 센터를 유치하여 운영하고 있고, 이러 한 공동연구 센터를 통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이 산업체와 긴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전력전자연구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9명 (석사 2명,박사 6명,석박통합1명) - 21 -


2차년도 (2014.9.1~2015.8.31) 9 명 (석사 2명,박사 6명,석박통합1명) - KAIST-삼성전기 전력전자센터는 삼성전기 전력 사업부와 KAIST 디스플레이 전력변환 연구실이 연합하여 세워진 연 구센터로서, 실제 산업현장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을 제품에 적용 - 다수의 기업체 연구 인력이 참여대학원생들과 함께 고효율 고전력밀도 서버용 전원 장치, 세계 최소형 85W급 AC/DC 어댑터를 개발

○ LG Display 산학 협력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34명 (석사 15명, 박사 18명, 석박통합 1명) 2차년도 (2014.9.1.~2015.8.31) 18명 (석사 7명, 박사 1명 - 2010년 7월 차세대 미래 디스플레이의 핵심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해 LG 디스플레이와의 산학 협력 센터가 설립되었고, KAIST와 디스플레이 업계를 주도하고 있는 LG 디스플레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기술을 확보를 추진 - 현재까지 약 50개 가량의 산학과제가 수행 완료되었고, 8개 과제가 추가로 수행 예정

○ 스마트 자동차 전자부품연구센터 (SAE-RC)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9명 (석사 2명, 박사 7명) 2차년도 (2014.9.1.~2015.8.31) 9명 (석사 2명, 박사 7명 - 일반 차량 및 전기 자동차용 디지털 전자 부품 및 모듈 연구개발, Automotive Electronics, EV용 고전압 커 넥터/케이블, 자동차 부품 EMC, 고속 멀티미디어용 커넥터/케이블, ECU PCB,차량용 반도체 패키지, 무선전력전송 기술 분야 등을 연구

○ KAIST-삼성디스플레이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14명(박사12명,석사2명) 2차년도 (2014.9.1.~2015.8.31)12명(박사10명,석사2명) - KAIST-삼성디스플레이 센터는 삼성디스플레이 (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의 Display 관련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혁 신을 위한 기초기술 강화의 필요성에 따라, Display 기초기술에 대한 풍부한 연구경험과 우수한 인력 및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KAIST와의 협동연구를 통하여 핵심 원천기술 및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이 분야의 국내 고급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산 학협동연구를 수행 - 디스플레이 융합 및 산학공동 연구를 통해 OLE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디스플레이 교육 및 고급 연구 인력 확보를 추진

○ 코오롱-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8명 (석사 2명, 박사 4명, 석박통합 2명) 2차년도 (2014.9.1.~2015.8.31) 11명(석사 3명, 박사 6명, 석박통합 2명) - KOLON-KAIST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센터는 2011년 코오롱과 KAIST가 기술교류 및 자문활동을 통한 국내 기술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주사 ㈜코오롱을 포함해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텍㈜ 등 3개사의 공동출자에 의해 설립

- 22 -


- 코오롱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향후 5~10년 이후 시장진입이 가능하고 미래성장성이 높은 고위험, 고수익 사업을 발굴․ 추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투명전극 소재, 압전소자 제조, 헬스케어, 융합형 뇌과학 분야 등에서 공동으로 미래 신수 종 사업을 추진

○ 삼성전기-KAIST연구센터MMMB RF Front-End 연구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7명 (석사 3명, 박사 4명) 2차년도 (2014.9.1.~2015.8.31.) 6명 (석사2명,박사4명) - MMMB PA, ET System(Test Bed 구축), ET Modulator (*ET : Envelope Tracking) 등을 연구 - 특히 당해연도인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개발된 LTE Mid BandPA의 성능(선형성, 효율성, 신뢰성 등)을 개선시 킨다. -

상세하게는 PVT 변화를 보상해 줄 바이어스 회로를 직접하여 제품화에 가까은 접근.

ET

system과

효율적인

연동을

위한

PA의모델링과

시스템을

제안하고,

1차년도에서

연구되었던

ET

moudulator의 성능(효율, 노이즈 등)을 개선.

○ (주)SK hynix-KAIST 스토리지미디어 솔루션즈 센터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6명 (석사 2명, 박사4명) 2차년도 (2014.9.1.~2015.8.31) 9명 (석사 2명, 박사7명) - 스토리지미디어 관련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혁신을 위한 기초기술강화, 스토리지미디어 관련 국내 고급 연구 인력 양성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한 최적화 설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 처리 속도, 에너지, 부피 등을 종합 한 양도지수가 차세대 ECC인 polar code 상용화 및 기존 개발 ECC Engine IP 화

○ 3차원 반도체 연구센터(3DIC-RC) - 참여대학원생 수: 1차년도 (2013.9.1.~2014.8.31) 7명 (석사 1명, 박사 6명) 2차년도 (2014.9.1.~2015.8.31) 7명 (석사 1명, 박사 6명) - 차세대 High Performance DRAM 시스템 및 구조 연구를 위한 센터로서, 차세대 DRAM 시스템 Interface Optimization 및 Margin Correlation, Graphics in memory 구조 및 컨트롤러, In-memory processing unit, 3D DRAM 구조의 Thermal 및 Power Integrity, 그리고 차세대 DDR을 위한 Memory Link 및 TRX를 연구

④ 산학협력 인적 및 물적 교류 계획 앞서 기술한 인적 물적 교류 실적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사업단은 산업계와의 폭 넓은 교류를 진행하여 오고 있다. 후속 사업기간에서 적극적으로 산학 교류를 확대하여 교육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한다.

가.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의 개발 산학협력에 있어서 현재 실효를 거두고 있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지속하면서, 보다 발전된 산학 협력 모델의 개발을 시도 한다. 세계 10위권의 진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산업계에 파급력이 큰 산업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야 할 것이다. 따 라서 IT 분야의 급속한 발전, 그리고 글로벌 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우리는 산업체와 학계 모두 세계 수준의 리더십을 발휘

- 23 -


할 수 있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그간의 산학 연 구 협력의 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연구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사업단에서는 주력연구 분야를 산업체 수요 증대 분야에 집중해 아래와 같이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통한 협력

- 사업단의 역량을 산업체가 요구하는 분야의 학문적 수월성을 높이는데 집중하며, 이러한 수월성에 기반하여 산업계에 영향력이 큰 중장기, 중대형 산학과제를 발굴, 육성한다.

■ 산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산학협력 - 미국 등 선진국의 명문대학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산업체 컨소시엄을 학과 내 그룹 또는 클러스터 단위의 분야별 로 구성하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컨소시엄에는 산업체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참여하여, 대학의 연구 결과와 졸업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한편 KAIST는 컨소시엄 회비를 통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비를 확보하게 된다.

-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에는 SoC분야에 7개의 기업체가 가입한 컨소시엄인 SoCium이 모범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산학협력 컨소시엄들을 계속 설립해 나가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유수 대기업 및 벤처기업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대학원생의 국제화를 도모하며 해외 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해외 유수 기업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우수 연구 인력을 본 학과의 교수로 적극 영입할 계획이다.

■ 중소 기업과 전략적 산학협력 모델 구축 - 본 사업단은 국내 중견기업과 새로운 형태의 산학공동 연구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협력 프로그램은 대 전소재 코스닥 상장 시스템 반도체 기업인 Silcon Works를 필두 (2015년 8월 MOU 체결)로 국내 중견 기업 다수 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며, 긴밀한 산학협력으로 협력 중견기업의 세계적 기술력 확보 및 새로운 기술 융합형 사업 영역 확장에 기여하고 중견/중소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고급인력 양성에 기여한다.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 이 4단계로 진행된다. o 1단계: Silcon Works Research Group (약칭 SRG) 설립 및 기술 및 인력교류 o 2단계: SRG 중심 산학 공동 연구 o 3단계: Silicon Works Lab @ KAIST 설립 o 4단계: 새로운 형태의 산학 일체형 교육 시스템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나.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 산업체 맞춤형 교육과 연계

- 현재 진행 중인 하이닉스 반도체와의 KEPSI 프로그램, 삼성전자와의 EPSS 프로그램, LG Display와의 LGenius 프로 그램 등에서 시도된 방식들을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인턴십 프로그램, 공동강의, 공동논문지도 등을 확대 시킨다. (<표 10.2-17>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석박사 배출 계획 참조)

- 24 -


<표 10.3-17>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석박사 배출 계획

(단위 : 명) 연도별 계획

항 목

1차년도 (실적/계획)

2차년도 (실적/계획)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7차년도

석사

7 / 8

8 / 9

8

9

10

10

10

박사

1 / 2

- / 2

2

2

2

3

3

석사

18 / 19

27 /19

19

20

20

20

20

박사

6 / 3

3 / 3

4

4

4

4

4

석사

6 / 1

4 / 1

2

2

3

3

3

박사

-

-

1

1

1

2

2

38 / 38

42 / 34

36

38

40

42

42

KEPSI

EPSS

LGenius

합 계

■ 산업체 파견인력 교육과 연계 - 본 학과의 대학원 학위과정에서 산업체에서 파견된 인력을 적극 유치, 교육시킴으로써, 학위 도중 뿐 아니라 학위 취득 후에도 산학협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다. 소속 대학원생의 인턴십․현장실습․공동연구개발 참여 활성화

■ 인턴십 참여 계획

- 인턴십 과정은 대학원생이 산업체에 대한 현장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사업단에서는 이론과 실제가 겸비된 우수 연구를 위하여 첨단 산업체 현장에 일정 기간 파견하는 인 턴십 제도를 활성화하고 있고,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체와 협약을 체결하여 참여대학원생은 필수적으로 기 업 인턴십에 참가하고 있다. - 대학원 학생들의 해외 인턴십 파견 사례를 통해 능력 발휘와 국제 활동력의 배양의 효과를 확인해 왔으며, 본 사업단에 서는 BK21 플러스 사업 중에도 해외 인턴십 기회를 확장시켜나가고 적극 지원해 나가고자 한다.

■ 현장실습 및 공동연구개발 등 참여 계획

- 본 사업단은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체와 연구소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참여, 대학생들에게 국제 적인 연구 감각과 경험을 쌓게 하고, 국제 공동연구의 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넓은 시각의 창의적인 마인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 또한 공동연구를 통해 우수연구 집단과의 클러스터/컨소시엄을 구축함으로써, 국제협력 능력의 배양과 아울러 졸업 후 해 외 진 출 의 교 두보 를 확 보 할 수 있 게 한 다 . 구체 적 인 예 로 현 재 KA IST 전 기및 전 자공 학 과에 서 는 미 국 Texas Instruments (TI) 와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는 국제공동연구센터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설치되어 활동한 바 있다.

- 25 -


10.3 연구비 (최근2년)

① 참여교수 1인당 산업체 및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실적 <표 16> 최근 2년간 참여교수 1인당 산업체,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실적 항 목 산업체(국내)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해외기관 연구비 수주 총 환산입금액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참여교수 수

(단위: 천원)

수주액(천원) '13.9.1∼'14.8.31

'14.9.1∼'15.8.31

전체기간 실적

GH1

GH2

SGH

GJ1

GJ2

SGJ

(GH1+GJ1)/L2 또는 L3

(GH2+GJ2)/L2 또는 L3

(SGH+SGJ)/L2 또는 L3

L2 또는 L3 {[첨부1]로부터 산출}

- 26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