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ège waffles, Morning Calm (Korean Airlines Magazine)

Page 1

street foods

Liège’s

Legacy 벨기에의 명물, 리에주 와플 벨기에 사람들은 벌집처럼 생긴 달콤한 리에주 와플을 사랑한다. 18세기에 탄생해 오랜 역사만큼이나 깊은 맛을 간직한 이 먹거리는 손에 들고 도시 곳곳을 둘러보며 즐기기에 그만이다.

The Liège waffle is beloved by Belgians. Rich in history and flavor, this sugary treat is the perfect portable snack to take on a tour of the town.


street foods

설탕이 끓어 오를 때 나는 풍부한 캐러멜

wafel, old Dutch for “a piece of bee-

향이 코끝을 간질인다. 벨기에 남부 도시

hive.” Back then, they were made

리에주의 거리를 가득 메운 달콤한 향기

from water, salt and either oats or

의 진원지는 다름 아닌 와플 노점. 두툼한

poor-quality flour. It was customary

철제 조리 기구를 놀리는 와플 장수 앞에

to bake them at the New Year and

늘어선 식객들은 차례가 올 때마다 검지

mold the first waffle of the batch into

손가락을 세워 와플을 주문한다. 와플 장

the shape of a cross, placing it on

수는 벌집 모양의 번철에 반죽을 붓고 뚜

the mantel at home to ward off bad

껑을 닫은 다음 팔짱을 낀 채 잠시 기다린

luck. Indeed they became so popular

다. 3분쯤 지났을까. 뚜껑을 열자 김이 모

that they were the snack of choice

락모락 나는 노르스름한 와플이 드러나

sold by street merchants during re-

고, 와플 장수는 뜨거운 와플을 능숙하게

ligious holidays — they even make

기름이 배지 않는 종이에 싸서 손님에게

an appearance in Pieter Bruegel the

건넨다. 사람들은 입바람을 불어 가며 식

Elder’s 1559 painting entitled The

혀서는 진득한 와플을 먹음직스럽게 한입

Fight Between Carnival and Lent.

베어 문다. 이 리에주 와플이 벨기에를 대

The sweeter varieties on offer

라반트 지역에서 탄생했는데, 어느 대장

T

the street, hooks you by the nostrils

민이 즐겨 먹는 리에주 와플은 추운 겨울

made in Liège — a Wallonian city

장이가 빵에 벌집 무늬를 새기는 번철을

and lures you toward its source: a

이면 휴대용 손난로 역할까지 한다.

straddling the River Meuse in the

만들어 낸 게 시작이었다. 이 번철에 넣어

vendor with a stout griddle and a line

표하는 길거리 음식이다. 와플은 13세기 무렵 벨기에 중북부 브

he rich toffee aroma of sizzling

삭바삭하다. 물론 동그랗고 푸짐한 리에

today, the Liège and the Brussels,

sugar hits you first. It wafts down

주 와플의 인기를 당해 내진 못한다. 온 국

didn’t emerge until later. The waffles

French-speaking southern region

구운 빵을 네덜란드 고어로 벌집 조각을

of hungry locals in front of him. “Un,

뜨거운 것이 좋아 리에주 와플의

뜻하는 ‘바펄’이라 불렀고, 새해 첫날 악운

s’il vous plaît,” they each say, holding

인기와 맛의 비결은 바로 진주알처럼 생

recipe concocted by the Prince-

을 쫓아내기 위해 십자가 모양으로 구워

up their index fingers. He nods, dips

긴 펄슈거인 ‘쉬크르 페를레’다. 따뜻한 우

Bishop’s personal cook while he

벽난로에 올려 두는 풍습도 생겼다. 곧 와

his ladle into a dough mixture, pours

유, 밀가루, 버터, 달걀, 소금과 시나몬으

was trying different variations of his

플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종교 축일에 노

it onto the grooved griddle, lowers the

로 만든 반죽에 마지막으로 이 설탕

sugary brioche bread. The Brussels

점에서 파는 단골 메뉴로 자리 잡았다. 네

lid and waits with arms folded. Three

덩어리를 더해 구우면 설탕이 캐러

덜란드의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1559년

minutes later the lid is lifted, a steam-

멜처럼 녹아 마치 설탕 조림한 바

created in the cloth-weaving town of

작품 ‘사육제와 사순절의 싸움’에도 등장

ing golden waffle is pinched between

삭바삭한 빵처럼 된다. 특히 반

Ghent — came along a century later

할 정도니 당시 와플의 인기가 얼마나 대

tongs, sandwiched in a sheet of wax

죽 한가운데에도 설탕 결정이

in 1839. These rectangular waffles

단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greaseproof paper and handed over.

스며들어 달콤한 소가 형성된

are larger, lighter and crispier than the

지금 먹는 리에주 와플과 브뤼셀 와플

The eager customers direct a few

은 원조 와플에 달콤한 맛을 가미한 것이

short, sharp, cooling breaths across

다. 리에주는 벨기에 남부의 프랑스어권

the surface and sink their teeth into

도시 왈로니아에 위치하는데, 18세기 무

다. 토핑으로 초콜릿 시럽이나 생크

of Belgium — follow an 18th-century

waffle — which, incidentally, was

Liège brand, receive a light dusting

림, 아이스크림을 다양하게 올려 내는 가

of icing sugar and require the use of

벨기에 리에주의 일요 시장에서 파는 와플. ‘폴뤽스’는

게도 있지만 현지인처럼 먹고 싶다면 토

a knife and fork. They are no match

the dense, sugared dough. The Liège

리에주 시내의 3대 와플 가게로 손꼽히는 곳이다. 브뤼셀

핑 없이 그대로 맛보는 것이 좋다.

for the heartier, oval-shaped Liège,

렵 주교군주의 전속 요리사가 브리오슈를

waffle is Belgium’s ultimate handheld

갓 구워 낸 와플은 뜨거울 때 먹어야 제맛이다. 맛집으로

만들던 와중에 지금의 리에주 와플을 개

street snack.

발했다. 브뤼셀 와플은 그보다 한참 뒤인

Waffles originated in the Brabant

1839년에 등장했으며, 재미있게도 브뤼

region in the 13th century when a

셀이 아닌 직물 제조로 유명한 도시 겐트

local blacksmith fashioned an iron

가 본고장이다. 직사각형인 브뤼셀 와플

that imprinted a honeycomb pattern

은 리에주 와플보다 크지만 더 가볍고 바

into bread. The result was called a

100 MORNING CALM SEPTEMBER 2012

와플은 리에주 와플보다 크고 모양도 직사각형이다. 소문난 와플 가게 ‘마생’. 와플은 손에 들고 다니며 먹을 수 있어 인기다(왼쪽 페이지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Clockwise from opposite top left) Waffles sold at an open-air market in Liège, Belgium; Pollux waffle shop at Place de la Cathédrale; Brussels waffles are rectangular and larger; fresh from the iron at Pollux; Massin waffle shop; the Liège waffle is a handheld favorite.

사실 베이커리 체인점이나 슈퍼마켓에

which remains the people’s waffle,

가면 잘 포장된 리에주 와플을 얼마든지

beloved because it doubles as a por-

살 수 있다. 하지만 벨기에에서 이런 기성

table handwarmer on wintry days.

품을 사 먹는 것은 리에주 와플의 특별한 매력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나 다름없 다. 리에주 시내의 3대 정통 와플 가게로 손꼽히는 ‘폴뤽스’의 매니저 로랑 쉰은 이

Always Hot The popularity and unique taste of the Liège boils down

to one key ingredient: sucre perlé, or MORNING CALM SEPTEMBER 2012 101


street foods

먹기에 좋다는 점이다. 일요일 아침마다

open since 1928. Luc Andre, the

강변을 따라 열리는 ‘라 바트’ 시장에 가

founder’s grandson, gets up at 5am

보면 그 매력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시

every day to prepare the fresh dough,

장이 열리면 좌판에는 과일과 채소, 고소

leaving it to rise for a few hours before

한 치즈가 가득 쌓이고, 곳곳에서 현지 사

the customers arrive. They operate

투리로 흥정을 벌이는 상인과 손님이 눈

mainly as a butchers, but Andre feels

에 띈다. 시장을 거닐다 보면 벨기에의 음

it’s “an important gastronomic product

식 문화가 얼마나 풍부한지 실감할 수 있

that perfectly symbolizes the Liègeois

다. 각종 튀김 요리를 비롯해 수도사들이

notion of delicacy and generosity”

양조한 맥주, 유럽 최고라 손꼽히는 벨기

and is proud to stock the sweet treats.

에 초콜릿이 넘쳐난다. 관광업이 중심 산 업이다 보니 본래의 모습을 잃은 음식도

at 8 Rue Puits-en-Sock, located

있지만, 리에주 와플만은 옛 모습 그대로

across the muddy River Meuse

다. 한 손에 든 리에주 와플에는 풍성한 벨

in Outremeuse, a working-class

기에의 음식 문화가 달콤하게 응집되어

district home to Tchantchès — the

있다. 렇게 강조한다. “와플은 절대 식으면 안 돼

글 에마 톰슨 사진 루시 데벨코바

‘앙드레’는 1928년에 처음 문을 연

last minute with a batter made from

어야 합니다. 그 맛있는 걸 받아 들고 머뭇

warm milk, flour, butter, eggs and a

리에주 3대 정통 와플 가게로 통하는

거릴 시간이 없다니까요.”

pinch each of salt and cinnamon. It

곳이다. 펄슈거가 들어간 리에주 와플은

caramelizes on the surface creating

도 정통 와플을 내놓는 곳이다. 앙드레는

an irresistible candied crust and a

1928년 문을 연 이래 가족이 대를 이어

few surprising pockets of sugar crys-

운영하는 아담한 가게인데, 창립자의 손

tals in the center. Some places offer

자인 뤽 앙드레는 날마다 새벽 5시에 일

toppings such as chocolate sauce,

어나 신선한 반죽을 준비한다. 손님들이

whipped cream or ice cream, but take

도착하기 전에 미리미리 반죽을 숙성시켜

it plain — like the locals.

두기 위해서다. 사실 앙드레는 정육점이

Liège waffles are sold all year

gin-swigging, freedom-loving puppet who serves as the city’s mascot. The

pearl sugar, which is mixed in at the

요. 반드시 뜨거울 때 그 자리에서 바로 먹

생랑베르 광장 뒤편에 위치한 ‘앙드레’

Completing the triad is Massin,

정육점이지만 ‘폴뤽스’ ‘마생’과 더불어

캐러멜처럼 달콤하고 바삭하다. 리에주 와플은 벌집 무늬에 둥그런 모양이 특징이다. 라 바트 시장의 와플 노점. 갓 구운 와플은 기름이 배지 않는 종이에 싸서 준다(왼쪽 페이지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Clockwise from opposite top left) Andre opened in 1928; Andre is a butcher shop that takes waffles seriously; Liège waffles are characteristically oval shaped; pearl sugar gives it a caramelized crust; a vendor at La Batte market; waffles are served in wax paper.

bakery may be scruffy but it’s famous for its fruit-filled waffles, with flavors varying from season to season. Above all though, the waffle was designed for wandering, and where better than La Batte, the weekly Sunday morning market held along the riverfront. Here the calls of traders in the Walloon dialect are pitched back and forth across tables groaning under piles of locally grown fruit and

지만, 맛있는 와플을 만들어 파는 데 남다

round in most chain bakeries and

vegetables and odorous cheeses.

른 자부심을 갖고 있다. “리에주 와플은 이

supermarkets, but buying them off

Meandering through the stalls offers

곳 사람들의 섬세함과 너그러운 마음씨를

the shelf goes against what makes

a timely reminder that Belgium has

보여 주는 상징적인 음식이지요.” 뤽 앙드

the Liège waffle so special. Laurent

a lot to offer the passionate gastro-

레가 자랑스레 말한다.

Schyns, manager of Pollux on Place

nome: chips, monk-brewed beer and

3대 와플 전당의 마지막 가게는 퓌이 장소크 거리 8번지의 ‘마생’이다. 잿빛 뫼

de la Cathédrale, one of a trio of tradi-

some of Europe’s finest chocolate.

tional vendors dotted across the city,

However, all of these have been al-

즈 강 건너편 오트르뫼즈에 위치하는데,

says “They must be served hot, never

tered in some way to pander to the

진을 홀짝이며 자유를 노래하는 꼭두각

cold, and you must eat them directly

tourist trade. Only the humble Liège

시 인형 ‘창셰’가 마스코트다. 마생 역시

— never wait!”

waffle has remained unchanged: a plump sugary parcel of Belgian his-

낡고 허름한 가게지만, 과일을 가득 넣은

This passion for tradition is mir-

와플과 계절마다 다르게 선보이는 다양한

rored by Andre, a tiny family-run shop

tory that you can hold in the palm

종류의 와플로 유명하다.

tucked away behind Place St Lambert

of your hand.

at 37 Rue Gérardrie, which has been

Photographs by Lucie Debelkova

와플의 가장 큰 매력은 걸어 다니면서 102 MORNING CALM SEPTEMBER 2012

By Emma Thomson

MORNING CALM SEPTEMBER 2012 10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