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heritage349

Page 1

범양레우스 건설로 인한

등록문화재 제349호 초량동 일식가옥 피해현황


범양레우스 건설로 인한

등록문화재 제349호 초량동 일식가옥 피해현황


◦ 건설사 : 범양건영주식회사 ◦ 인허가 : 2012년 ◦착 ◦완

공 : 2016년 6월 20일 공 : 2020년 2월 예정

등록문화재 제349호 초량동 일식가옥


등록문화재 제349호 초량동 일식가옥 주변 일맥문화재단

40층 아파트 3개동

16층 오피스텔 1개동

8호 결합형 탑상형 850세대

220세대

초량1-3구역 재개발 도면


1.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부분 정리

16층 오피스텔 1차 균열점 피해 2차 균열점 피해 3차 균열점 피해

40층 아파트 3개동

등록문화재와 16층 오피스텔동 공사장은 2.25m의 거리가 있으나 실제 방음벽과는 1m 이내에서 공사를 진행했다. 등록문화재는 현재 부동침하 중이며 공사장 방향으로 등록문화재 건물 3채 간에 심각한 변위(이격, 균열 등)이 발생하였다.


1.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부분 정리

Photo-부산일보

A : 2층 목조 일식가옥 B : 단층 목조 일식가옥 C : 주차장 측 담장 D : 정원 측 담장


1.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부분 정리

바닥균열 담장균열 이격 벽면균열

우측 굴착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등록문화재 349호 부산초량동일식가옥 변위

VT-1 VT-2 VT-3 (22.5mm) (13.0mm) (8.6mm)

오피스텔동의 터파기 공사가 2017.07.24일 완료된 후에도 변위가 계속 진행중인 사실이 중요하다. 본 등록문화재는 3채의 건물이 상호 기댄 구조이다. 단층 목조 가옥과 복층 양식가옥 간에 발생한 건물의 이격이 지금도 계속 진행 중이다.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내부 변위 - 단층 목조 일식가옥과 2층 양옥 (이격) 오피스텔동 터파기 공사완료 2017.07.24일

10mm

35mm

2017년 6월 25일 촬영

2017년 7월 21일 촬영

50mm 2017년 9월 28일 촬영

55mm 2017년 10월 16일 촬영

60mm 2017년 11월 17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등록문화재 349호 부산초량동일식가옥 변위

VT-5 (11.0mm)

시공사는 2017.10.22일 40층 아파트 3개동의 새로운 터파기 공사를 시작하였다. 탑다운 공법의 안전성을 강조하였지만 아파트 동 하부에 지하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하수가 빠진 다면 기초물리학에 근거하여 문화재의 지반까지 그 영향이 미칠 것이다.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등록문화재 349호 부산초량동일식가옥 변위

VT-4 (13.0mm)

VT-5 (5.0mm)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단층 목조 일식가옥 내부 (정원쪽으로 기움)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1) 정원측 단층 일식 목조 가옥 (바닥 부분 균열)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1) 정원측 단층 일식 목조 가옥 (바닥 부분 균열) 오피스텔동 터파기 공사완료 2017.07.24일

3mm 2017년 6월 25일 촬영

11mm 2017년 7월 21일 촬영

17mm

20mm

2017년 8월 24일 촬영

2017년 11월 17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2) 정원측 2층 일식 목조가옥(바닥 부분 균열)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3) 정원측 2층 양식가옥과 단층 일식 목조가옥 (바닥 부분 균열)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4) 별채와 단층 일식 목조가옥 사이 (바닥 부분 균열)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5) 정원으로 들어가는 길목 (바닥 부분 균열 보임)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6) 부엌 외부 (부엌 창문 - 바닥까지 균열)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7) 부엌내부 (문 안닫히고 - 창문 틀어짐)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9) 단층 일식 목조가옥, 부엌 뒷마루 (벽, 마루 이격)

2017년 5월 1일 촬영

2017년 11월 11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변위 - 2층 목조 일식가옥 과 단층 목조 일식가옥(이격)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내부변위 - 단층 목조일식가옥과 2층 목조일식가옥 복도 (이격) 오피스텔동 터파기 공사완료 2017.07.24일

12mm

20mm

22mm

25mm

2017년 6월 25일 촬영

2017년 7월 21일 촬영

2017년 8월 24일 촬영

2017년 9월 28일 촬영

30mm 2017년 11월 17일 촬영


2. 초량동 일식가옥 평면도 ­ 훼손 전/후 비교 내부 변위 - 2층 목조 일식가옥 벽면균열

2017년 11월 11일 촬영


1925년 건립된

등록문화재 제349호 초량동 일식가옥 부산 초량동 일식주택은 1925년에 신축되어 2차례(1931년, 광복이후)의 증축과정을 거친 일식목조주택 및 RC조 양식주택으로 구성된 건물로 고급스러운 외장요소와 변화있는 실내공간구성이 돋보이고, 정원 조성수법과 조경수 수종형태 등이 일본 전통정원의 형식을 잘 보여준다. 주택의 내부공간 구성과 건축의장, 정원구성이 우수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근대 주택사와 생활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문화재청 자료 -

Tonguidong BoanYeogwan(inn) Korea Cultural Heritage No.349 by metalogue art service


Korea Cultural Heritage No.349


Korea Cultural Heritage No.349


Korea Cultural Heritage No.349


Korea Cultural Heritage No.349


일맥문화재단 의견 - 등록 문화 재와 16층 오 피스 텔동 공 사장 은 2.25m의 거리 가 있으 나 실제 방음벽과는 1m 이내에서 공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해당 등록문화재는 부동침하 중이며 공사장 방향으로 등록문화재 건물 3채 간에 이격, 균열 등 심각한 변위가 발생하였다. - 오피스텔동의 터파기 공사가 2017.07.24일 완료된 후에도 변위가 계속 진행중인 사실이 중요하다. 본 등록문화재는 3채의 건물이 상호 기댄 구조이다. 단층 목조 가옥과 복층 양식가옥 간에 발생한 건물의 이격이 2017.10.16.일 - 5.5cm 에서 2017.11.17.일 - 6cm로 변위가 진행 중이다. - 시공사는 2017.10.22일 40층 아파트 3개동의 새로운 터파기 공사를 시작하였다. 탑다운 공법의 안전성을 강조하였지만 아파트 동 하부에 지하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하수가 빠진 다면 기초물리학에 근거하여 문화재의 지반까지 그 영향이 미칠 것이다. - 시공사와 계약을 체결한 연구용역은 현장조사나 실사를 하지 않았다. 시공사의 도면과 공사현장 계측 데이터로만 심각한 피해를 입은 90년된 목조건물의 안전성을 판단하고 있다. 이는 문화재의 복원을 안이하게 대처하는 단적인 예 이다. - 근본적으로 시공사의 문화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변위는 분명히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추후 변위까지 분명히 예측된다. 더 이상 등록문화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신속히 그 원인을 규명하고 보수, 복원을 해야한다. 2017. 11. 24.


90년된 목조가옥 등록문화재 건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사람 주먹하나가 들어갈 만큼 건물이 피해를 입었고 심각한 붕괴위험이 있다. 주변 재개발공사는 계속 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시공사의 문화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건물의 변위는 분명히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추후 변위까지 분명히 예측된다. 더 이상 등록문화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신속히 그 원인을 규명하고 보수, 복원을 해야한다.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