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사업평가 및 2025년 사업계획
은평보호작업장
은평구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의체
매출 및 임금
등,
- 프로그램실/재활사업실 대형tv교체 - 견과set 4,712box(141,360ea) 생산 - 파우치 셋트 967ea
- 전년대비 매출 86%
- 전년대비 임금지급률 105% 상승
후원.모금활동 - 은평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후원금 3,000,000만원
- 비지정후원금
이용인 종사자 역량강화 확대
- 명절선물 지급 - 간식지급,후원물품 지급 - 개인위생도구 지급
- 대량주문,생산시 중식 무료제공
- 법정의무교육: 14개/연인원 264명
- 종사자역량강화교육: 6개/연인원10명
지역사회 연계사업 - 봄봄축제
은평구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의체 부스설치 운영(전시/홍보/체험/판매) - 은사협
위한 노력 이용자 최우선 원칙의 권익옹호 및 맞춤형 서비스제공 - 정기적인 현장/상황평가/직무분석 실시
- 개별화재활계획수립/재배치/자립능력 향상
- 직업평가/직업상담/근로지원인 배치
- 이용자 만족도 조사/인권실태조사
- 자조모임/욕구조사/포상과 격려
- 은평구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의체
- 은평구청/은평구사회복지협의회
- 은평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시설브랜드 가치상승
- 서울시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7권역
- 서울시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 법인산하시설 연계 협력사업
- 종사자 워크샵/이용자 자치모임
- 분기별
사업계획
사업목적
- 중증장애인 보호고용, 일자리 제공 - 직업재활서비스를 통한 잠재적 능력개발 - 개인별 성과에 맞춰 유상적 임금지급 - 자활, 자립능력을 배양하여 기능인으로 양성 - 경쟁적인 고용시장으로 진출,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사회통합, 생산적 복지를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Mission)
■ 비전 (Vission)
- 개별화재활계획 수립 - 직업상담/평가/사례관리 - 개인/지역/직업적응훈련 - 홍보/프로그램 개발 - 식품제조가공업 - 견과류생산/신제품개발 - 생산/품질/위생관리 - 원재료/재고/장비관리 - 기획/재무/회계/인사 - 사업계획수립/평가 - 영업/고객/임가공관리 - 보조인력/시설안전관리
제3차 중장기발전계획 2단계
단 계 제2단계(2025년~2027년)
극대화
- 윤리의식 고취, 정기적인 청렴도 측정
ESG경영/종사자 전문성 강화
생산적 복지의 단계적 실천
이용자 최우선 원칙의 권익옹호
맞춤형 서비스제공
지역사회 네트워크강화
- 직원역량강화교육
- 직원 직무능력 평가 강화
- 자체생산품 매출신장을 통한 수익창출
- 신규사업개발을 통한 고용창출과 임금 향상노력
- 내실있는 직업재활서비스 정착
- 특별 문화체험/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 이용자 인권/권익/욕구반영
시설브랜드 가치 상승 - 지역사회 연계사업 네트워크 활성화 - 관내 직업재활시설 공동행사 활성화
이용자, 종사자 만족도 향상
조직력 강화 - 조직 응집력 강화 - 조직관리 시스템 관리강화 - 이용자, 종사자 복리후생, 포상제도 강화
. ESG경영/종사자 전문성 강화
- ESG 경영을 통해 장애인의 고용 기회 확대와
환경보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투명하고
공정한 의사 결정속에 윤리경영을 준수한다
- 직원의 사회복지 마인드 강화
- 직원역량강화교육 / 전문가로 육성 - 직원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통한 보상 및 격려 - 이용인에 대한 전문적인 맞춤서비스 제공 - 영업, 마케팅, 고객관리, 컴퓨터/디지털 교육
- 사업제안서, 브리핑 문서작성 활용능력 제고
2025년 사업의 기본방향
. 생산적 복지의 단계적 실천
- 소량다품종/ 신제품 개발 및 제품경쟁력 향상
- 시장분석, 환경분석, SWOT분석, 전략수립
- 안정적인 신규 거래처 확보 노력
- 품질관리, 생산관리, 자가품질검사 (정기적)
- 매출신장을 통한 수익창출 (목표: 전년대비 114%) - 고용확대 및 임금향상 노력(목표: 전년대비 112%) - 자활.자립능력 신장,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 이용자 욕구조사를 통한 당사자 중심의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
- 이용자 복리후생 및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 이용자 서비스만족도가 향상되도록 최선
- 이용자 자기결정권 보장 / 자치모임 활성화 - 차별과 편견없는 동등한 기회보장 -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이용자의 법적권리 보호 - 이용자 상담 및 소통을 통해 욕구파악 및 문제해결 - 직무능력평가, 직업상담을 통해 시설의
.
2025년 사업의 기본방향
Ⅴ. 이용자· 종사자 만족도 향상 &
- 이용자, 종사자 누구나 만족하는 근무환경 조성
- 체계적, 효율적인 조직 시스템 재정비 응집력 강화
-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수립
- 이용자 상담을 통한 문제해결, 욕구 수요조사
- 정기적인 이용자 자치모임을 통한 의견개선
- 종사자 자기계발 및 역량강화교육 욕구조사
- 종사자 고충, 애로사항 상담
- 이용자,종사자 복리후생, 지지/격려/포상제도 실시
자립 체험 영화/전시/공연/관람/캠프/ 여행체험/전시.판매행사 프로그램
자강 운동 축구/농구/탁구/게임 스트레칭,체조 프로그램
거래처 : 서울시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외 타지역
,단체 : 법인 및 산하시설, 서울시장애인직업재활시설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운영구조 개선책 마련
- 다양한 직업평가, 직무분석 실시 (정기적)
- 이용자 욕구에 부합하는 신규 프로그램 도입.적용
- 온라인 모금, 판매계획 수립 (모금, 후원, 펀딩)
- 후원자 및 고객관리를 위한 계획수립 및 사업소개
- 기업, 단체 MOU체결 및 유치
- 감염병 관련 예방수칙, 개인위생, 건강교육 철저
- 시장분석, 환경분석, SWOT분석,전략수립
- 신제품 개발, 소량다품종 개발노력,
- 안정적인 거래처확보 노력
생산관리팀
- 품질관리, 생산관리, 자가품질검사 철저 (정기적)
- 산업안전관리, 식품위생교육 정기적 실시
- 기존 생산체계 재정비
- 고소득 신규아이템 개발 (견과류사업)
- 편의성, 접근성, 안전성이 확보된 근무환경 구축
- 영업 마케팅강화, 보조인력 활용 및 관리
- 내,외부교육의 적극적 참여, 슈퍼비전체계 강화
- 안전한 작업도구, 생산장비구비, 산업안전 메뉴얼
- 직원간 다양한 의사소통채널마련
- 팀협력 분위기 조성을 위한 유기적 활동 강화 - 이용자 및 직원에 대한 고충처리 및 차별, 불이익 사전방지를 위한 인권침해 예방교육 철저
- 코로나19 등 감염병 예방, 방역철저, 매뉴얼 보완
1
3분기
- 기존 거래처 납품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