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축사

Page 120

3. 김효만 : 임거당 3-1. 개요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803-6 - 준공년도 : 1999, 설계년도 : 1998 - 구조형식 : 철근콘크리트조

3-2. 설명 이 주택은 한국의 전통주택이 가진 전통주택이 가진 고요한 공간과 조형의 현대 적 실현에 그 계획의 목적을 두고 있다. 무한한 연속성을 가지고 회화적으로 프레 임 되며, 비대칭적이 중첩되어 엮어지는 소담한 작은 '마당'들이 이루어내는 다양 한 전통적 드라마는 이 주택의 여덟 마당 즉, 진입마당, 안마당, 정자마당, 서재 앞 지하마당, 식당 앞 지하마당, 옥상대청마당1, 옥상대청마당2, 서비스마당 등 여 덟 곳의 마당이 수평, 수직적 체계의 '길'을 통해 서로 엮어지면서 은유적으로, 재 현되고 있다. 필로티로 처리된 도로 전면 쪽 긴 Mass의 띄움은 전통건축의 '비상' 적 이미지에 대한 감수성으로 강조되었으며 역사성, 시간성을 가진 재료인 목재를 사용하여, 한식 접어들어 올림문의 멋, 목재결구 철물의 사용 등, 이 시대의 현대 적 기능과 감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현재성을 가진 전통적 요소들이 은유적으로 선 택, 적용된다. 70평이라는 작은 대지에서 최대한의 '마당'의 면적을 확보하려는 목 적은 누마루식 프로그램으로 선택 적용되었다.

풍요롭고 서정적인 공간을 위해 그는 자주 전통 건축의 마당을 적용하곤 하는데, 넓은 대지를 갖지 못하는 도시 주택에서는 이렇게 높낮이 변화를 통해 수직적 체계 의 마당을 시도한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임거당의 경우, 입구부터 옥상에 이르기까지 진입마당, 안마당, 정자마당, 식당 앞 지하마당 Ⅰ, 서재 앞 지하마당 Ⅱ, 옥상 대청마당 Ⅰ, 옥상 대청마당 Ⅱ, 서비스마당 등 여덟 개의 마당이 자연스 레 이어지고 있다. 건물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길’처럼 이 마당들은 그의 건 축을 살아 움직이는 자연으로 만드는 요소가 되는 셈이다. “공간 그 자체는 생명이 없는 무생물이지만 마당이라는 장치를 이용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속성을 담아내는 겁니다. 여기에서 마당은 곧 공간을 활성화하고, 그 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자연인 셈이죠. 인테리어는 따로 필요가 없어요. 시시 각각 변화하는 풍경, 바람, 소리 같은 자연의 모습을 공간 안에 담을 수만 있다면 그것이 바로 가장 훌륭한 인테리어가 될 테니까요. 그것이 도시라고 해서 크게 달

- 114 -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