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한국미래세대 꿈 실태조사(3차) 보고서

Page 1

2022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3차) 보고서

2022. 12. 31

연구책임자정익중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지혜남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연구자이승진이화여자대학교 안선경이화여자대학교 남미정한국장애인재단 김재환월드비전 아동미래연구소 조윤호월드비전 아동미래연구소 김광무월드비전 국내사업본부 윤송이월드비전 국내사업본부

발간사

월드비전은 한국 전쟁의 포화 속에서 아이들의 생명, 모든 아이들의 풍성한 삶을 꿈꾸며 시작 되었습니다. 빈곤과 불평등, 폭력 등 삶을 위협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아이들이 보호받을 뿐 아 니라, 나아가 그들이 풍성하게 자신의 삶을 누리며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던 이들이 모여 월드

비전이 시작된 것입니다. 지난 70년간 이 꿈을 향해 월드비전은 전 세계 100여국에서 4만여

명이 일하는 세계 최대의 민간 국제기구로 성장해왔습니다.

꿈의 외양이 어떠하든지 간에, 꿈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야말로 삶을 살아가게 하는 큰 원동력 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난과 빈곤의 되물림을 해결할 수 있 는 근본적인 대안, 삶의 무기력을 극복하는 방법은 아이들에게 미래를 꿈꾸고 희망을 품게 하 는 것입니다. 월드비전은 그 믿음으로 2013년부터 아동 꿈 지원사업을 수행해왔고, 2017년부 터는 ‘한국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라는 명칭으로 아동 꿈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 행해왔습니다.

본 연구는 2017년, 2019년에 이은 세 번째 조사로서, 한국의 미래인 아동.청소년들이 어떤 꿈을 꾸며 살아가고 있는지, 어떤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무 엇인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습니다. 1,2차 조사에 이어 이번 조사에서도 꿈은 여전히 아동의 긍정적 발달 산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 는 원동력이었습니다. 특별히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가운데 아동들의 꿈과 노력에 어떤 변화

가 있었는지도 함께 고찰하며 뉴노멀 시대에 사회가 아동들의 꿈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시간이기도 하였습니다.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를 통해 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기를, 그리하여

아동 개개인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꿈을 꾸며, 그 꿈을 이뤄나갈 수 있는 사회가 되길 기대해봅니다. 우리의 이 기대는 보고서를 보고 계시는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셔야 가능 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깝게는 우리 주변에 있는 아동.청소년, 멀게는 한국 사회의 모든 아동.청소년들이 꿈을 꿀 수 있는 사회가 되도록 끊임없는 관심과 참여로 함께 해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를 맡은 이화여자대학교 정익중 교수님, 남서울대학교 김지혜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연구를 위한 인터뷰와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아동.

청소년, 가정 및 많은 관계자분들의 수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우리의 비전은 모든 어린이가 풍성한 삶을 누리는 것입니다.”

월드비전 회장 조명환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Ⅱ. 선행연구 고찰······················································································3

1. 빈곤과 아동·청소년의 꿈

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과 아동·청소년의 꿈········································5

3. 코로나19와 아동·청소년의 꿈·············································································7

연구방법

1. 양적조사

1) 조사대상···············································································································9

2) 조사 절차 및

3) 연구참여자의 특성

4) 조사상의 윤리적 고려·····················································································12

5) 조사내용(설문지 구성 및 내용)

6) 분석방법

2. 질적조사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2) 자료분석방법·····································································································23

1. 아이들은 ‘지금’ 꿈꾸고 있을까?······································································25

1) 미래세대의 꿈과 발달특성

2) 소결····················································································································47

2. 아이들이

목 차
···························································1
······················································································3
Ⅲ.
································································································9
··················································································································9
방법···························································································11
···························································································12
·····································································14
············································································································23
················································································································23
자료수집·······································································23
Ⅳ.
···············25
양적조사 결과·····················································
분석····································································26
무엇이 좋을까? ·····································································49
인식과 아동·청소년 발달과의 관계·························································49 2) 소결····················································································································74 3.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75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 ······················································75
주관적 경제수준과 꿈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83
소결··················································································································104
꿈꾸면
1) 꿈
1)
2)
3)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4.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105

1) 연구참여자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관련 현황 ························106

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112

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과 꿈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120

4) 소결··················································································································146

5. 빈곤과 ACE를 함께 겪은 아이들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148

1)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148

2) 소결··················································································································171

6.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172

1) 연구참여자의 코로나19 관련 현황 ·····························································173

2)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

3)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4) 소결··················································································································215

1.빈곤 청소년이 인식하는 꿈에 대한

1) 연구참여자

2) 주제분석 결과·································································································218

2.비빈곤 청소년이 인식하는 꿈에 대한 주제분석

1) 연구참여자

2) 주제분석

3.소결······················································································································254

1. 양적연구 결과요약····························································································260

2. 질적조사

·································································178
···········································192
V. 질적조사 결과···················································································217
주제분석 ··············································217
······································································································217
··········································236
······································································································236
결과·································································································236
VI. 결론···································································································260
결과요약····························································································266
참고문헌··································································································273 부록··············································· ·····················281
3. 제언······················································································································267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표 차례

<표 1> 2022년 한국 미래세대 교급별-권역별 전체 인구수(모집단)·····················9

<표 2> 2022년 한국 미래세대 실태조사 교급별-권역별 표본수(계획) ·············10

<표 3> 2022년 한국 미래세대 실태조사 교급별-권역별 실표본수 ······················11

<표 4>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2

<표 5> 조사 세부내용 ···································································································14

<표 6> 진로성숙도 척도 하위영역·············································································16

<표 7> 진로준비행동 척도 하위영역

<표 8> 희망지수 척도 하위영역·················································································17

<표 9> 아동행동평가 척도 하위영역

<표 10> 회복탄력성 척도 하위영역···········································································18

<표 11> 사회적 능력 척도 하위영역·········································································19

<표 12> 부모양육태도 척도 하위영역·······································································20

<표 13> 학교생활적응 척도 하위영역·······································································21

<표 1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척도 하위영역·········································22

<표 1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꿈 유무····························································26

<표 16> 꿈이 없는 이유·······························································································27

<표 17> 꿈 자기결정 여부

<표 18> 꿈 실현가능성 여부

<표 19> 꿈 변화정도

<표 20> 꿈에 대한 소통정도

<표 21> 꿈 실현정도

<표 22> 꿈 영향요인 순위표

<표 23> 꿈 영향인물 순위표

<표 24>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표 25> 진로성숙도······································································································32

<표 26> 진로준비행동

<표 27> 진로장벽··········································································································34

<표 28> 노력 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16
··········································································18
···························································································27
·······················································································28
····································································································28
·······················································································29
····································································································29
·······················································································30
·······················································································31
유무·······································································32
···································································································34
······················································34
행복지수·············································································35 <표 30> 성별 및 교급별 희망지수·············································································36 <표 31> 성별 및 교급별 자아존중감·········································································36 <표 32> 성별 및 교급별 회복탄력성·········································································37 <표 33> 성별 및 교급별 성취동기·············································································37
<표 29> 성별 및 교급별

<표 34> 성별 및 교급별 자기표현·············································································38

<표 35> 성별 및 교급별 성공경험·············································································38

<표 36> 성별 및 교급별 자기관리·············································································39

<표 37> 성별 및 교급별 주관적 건강상태·······························································39

<표 38> 성별 및 교급별 학교생활적응·····································································40

<표 39> 성별 및 교급별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표 40> 성별 및 교급별 문제행동·············································································42

<표 41> 성별 및 교급별 자살생각·············································································42

<표 42> 성별 및 교급별 온라인상의 폭력·······························································43

<표 43> 성별 및 교급별 부모와의 관계···································································43

<표 44> 성별 및 교급별 부모양육태도·····································································44

<표 45> 성별 및 교급별 공동체성·············································································45

<표 46>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 능력

<표 47>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지지·········································································46

<표 48> 사회 불평등 인식

<표 49>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표 50>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51

<표 51>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52

<표 52>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53

<표 53>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55

<표 54>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56

<표 55>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57

<표 56>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58

<표 57 >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표 58>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표 59>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61

<표 60>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

<표 61>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64

<표 62>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65

<표 63> 꿈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 차이 분석

<표 64 >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

<표 65>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69

······················································41
·······································································45
···························································································47
······························50
차이 분석
·······························································59
······················································60
······································62
····················································66
························································67
<표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수준 차이 분석···············································70 <표
꿈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71 <표
꿈에 따른 사회적지지 수준 차이 분석 ····················································72
66>
67>
68>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표 69>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 ··················································73

<표 70> 주관적 경제수준별 꿈 유무·········································································75

<표 71> 결핍 수준에 따른 꿈 유무 및 주관적 경제수준······································76

<표 72> 주관적 경제수준별 꿈 자기결정 여부························································77

<표 73>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표 74>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변화정도························································78

<표 75>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78

<표 76>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정도························································79

<표 77>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요인························································79

<표 78>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인물························································80

<표 79>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81

<표 80>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

<표 81>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82

<표 82>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장벽 ······························································83

<표 8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84

<표 84>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85

<표 85>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 분석 ······························87

<표 8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87

<표 87>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88

<표 88>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 ······························89

<표 89>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90

<표 90>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91

<표 91>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92

<표 92>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93

<표 9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93

<표 94>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94

<표 95>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94

<표 9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95

<표 97>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96

<표 98>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97

<표 99>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98

<표 100>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 분석············99

<표 101>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100

<표 102>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100

<표 10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 ················101

····················································77
··························································81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표 104>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102

<표 105>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103

<표 10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103

<표 107> 성별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106

<표 108> 성별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세부경험······················107

<표 109> 교급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108

<표 110> 교급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세부경험······················109

<표 111>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110

<표 112>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세부경험············111

<표 11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유무···································112

<표 114> 결핍 수준에 따른 ACE 경험유무 ···························································113

<표 11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114

<표 11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114

<표 11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변화정도···························115

<표 11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115

<표 11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정도···························116

<표 12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영향요인···························117

<표 12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영향인물···························118

<표 12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118

<표 12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성숙도·····························119

<표

<표

12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120

12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장벽·································120

<표 12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121

<표 12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123

<표 12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 분석·············124

<표

12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125

<표 13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126

<표 13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127

<표 13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128

<표 13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129

<표 13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130

<표 13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131

<표 13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132

<표 13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133

<표 13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134

<표 13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135

<표 14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136

<표 14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137

<표 14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138

<표 14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 분석··139

<표 14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140

<표 14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142

<표 14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143

<표 14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144

<표 14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145

<표 14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146

<표 150>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149

<표 15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150

<표 15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 분석············ 151

<표 15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

<표 15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153

<표 15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154

<표 156>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155

<표 157>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156

<표 158>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157

<표 159>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157

<표 160>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158

<표 16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159

<표 16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주관적 학 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161

<표 16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161

<표 16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 162

<표 16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163

<표 166>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164

<표 167>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 분석···165

<표 168>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166

<표 169>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167

<표 170>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168 <표 17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169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152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표 17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170

<표 17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171

<표 174> 코로나19로 인한 꿈 갖기의 어려움·······················································173

<표 175> 코로나19로 인한 진로 탐색 및 준비의 어려움···································174

<표 176> 코로나19에 따른 가족과의 대화시간 변화···········································174

<표 177> 코로나19에 따른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 변화·····································175

<표 178> 코로나19에 따른 사교육 수강시간 변화

<표 179> 코로나19에 따른 자습시간 변화

<표 180> 코로나19에 따른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 변화····················177

<표 181>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소유 여부·························177

<표 182> 코로나19에 따른 꿈 유무········································································179

<표 183> 코로나19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180

<표 184>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표 185> 코로나19에 따른 꿈 변화정도································································182

<표 186> 코로나19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표 187>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정도································································184

<표 188> 코로나19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표 189>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성숙도··································································186

<표 190>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준비행동·······························································188

<표 191>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장벽······································································190

<표

192> 코로나19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191

<표 193> 코로나19에 따른 행복지수······································································192

<표 194> 코로나19에 따른 희망지수······································································193

<표 195> 코로나19에 따른 자아존중감··································································194

<표 196> 코로나19에 따른 회복탄력성··································································196

<표 197> 코로나19에 따른 성취동기······································································197

<표 198> 코로나19에 따른 자기표현······································································198

<표 199> 코로나19에 따른 성공경험······································································199

<표 200> 코로나19에 따른 자기관리······································································200

<표 201>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표 202> 코로나19에 따른 학교생활적응·······························································202

<표 203>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표 204> 코로나19에 따른 문제행동······································································205

<표 205> 코로나19에 따른 자살생각······································································206

<표 206>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207

···············································175
·····························································176
·····························································181
·················································183
···································185
·························································201
···············································204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표 207>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표 208>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양육태도·······························································210

<표 209> 코로나19에 따른 공동체성(나눔)····························································211

<표 210>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능력

<표 211>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지지································································214

<표 212> 코로나19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215

<표 213> 빈곤 청소년 연구참여자

<표 214> 빈곤 청소년 질적 분석 결과

<표 215> 비빈곤 청소년 연구참여자

<표 216> 비빈곤 청소년 질적분석 결과

·····························································208
··················································213
·········································································217
·································································218
·······································································236
·································································236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보고서

[그림 1] 내가 꿈꾸는 삶

[그림 2] 꿈의 이유······································································································255

[그림 3] 꿈을 향한 도움·····························································································256

[그림 4] 꿈의 장애물··································································································257

[그림 5] 꿈을 위한 노력·····························································································258

[그림 6] 코로나 19와 꿈

그림 차례
·····························································································254
····························································································259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미래세대인 아동·청소년들이 다양한 꿈을 꾸며, 자신만의 행복을 주도적으로 그려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곧 우리사회의 행복과 건강한 미래발전을 위한 주요한 과제 중 하

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동·청소년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잠재력과 능력을 발견하고 자신

들이 원하는 삶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열어갈 수 있는 힘과 역량을 키워가게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는 다소 미흡하다(김경희·박근혜·김성원, 2016).

그 배경에는 아동의 지위를 독립된 인격과 주체적 권리를 가진 존재로 전환하는 새로운 패

러다임(천정웅, 1998)과 달리 여전히 우리사회에서는 삶의 주체로서 아동을 인정하기보다는

통제와 돌봄의 대상으로 주변화, 대상화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홍승애, 2010).

때문에 아동에게 삶의 의미와 목적, 중요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와 발달적인 욕구가 있음에 도 불구하고 아동과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과 차이를 무시하고, 학업과 삶에서 누군가의 화려 한 성공사례를 기준으로 삼고 거기에 맞추어 자신의 삶과 교육의 목표를 추구하는 역설적인 현상이 만연한 실정이다(이기범, 2009).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아마타야 센은 인간의 복지와 사회 발전 문제는 소득과 자원을 소유하는 것 그리고 경제활동 참여 기회만으로 해결될 수 없 고, 자신에게 가치있다고 여기는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김경희·박근혜·김성원, 2016). 따라서 우리는 아동·청소년 당사자의 견지에서 아동·청소년들이 가치있다고 여기는 삶, 곧 꿈이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동 꿈(진로) 관련한 선행연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는 변수는 ‘진로성숙도’, ‘진로포 부’, ‘진로장벽’ 의 세 가지이다. 먼저, ‘진로성숙도’는 ‘직업의 준비부터 은퇴까지의 발달과업 에 대처해 나가는 태도적이고 인지적인 준비도’를 의미하는 척도로서 ‘결정성’, ‘목적성’, ‘확 실성’, ‘준비성’, ‘독립성’의 5가지 차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성별, 학년, 사회경제적 수준, 부모의 지지, 의사결정유형 등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유수복, 2013).

다음으로, ‘진로포부’는 ‘획득의 어려움 정도에 따라 높고 낮음의 사회적 위계구조를 형성하 고 있는 다양한 직업들 중 개인이 어떤 수준의 직업을 갖지 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곧 진로포부는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 성취동기 등 스스로에 대한 인식과 기초를 평가로 형 성된다. 진로포부와 더불어 아동·청소년의 발달과 적응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

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이다(이명진·봉미미·권순구, 2010).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은 가족구 조와 경제적 지위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부모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

부갈등과 자녀양육태도에도 부적 영향을 보인다. 때문에 이러한 흐름은 가족기능의 약화로 이 어져 청소년의 정서나 행동, 교육성취, 학교생활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민하영·권 기남, 2004). 또한 빈곤 아동은 본인의 장래희망에 종사하는 역할모델 및 사회적 자원의 결 여, 부모의 낮은 기대와 꿈으로 인해 진로포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다(허남 순·오정수·홍순혜·박은미·정익중, 2005; 정선옥, 2009). 마지막으로, ‘진로장벽’은 ‘직업이나 진로 계획상의 진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진로와 관련 된 다양한 경험들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거나 역할행동을 방해할 것으로 지각 되는 여러 부정적인 사건이나 상태’를 말한다(이정금, 2009). ‘진로장벽’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1
1

빈곤아동은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낮은 학습의욕과 학업성취를 보이며(구인회·양난주·이원진, 2009; 노경란, 2011), 빈곤아동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차

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원덕·인귀여루,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들이 인식하는 꿈의 정의와 차원을 조명하고, 이들의 꿈 을 실현할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비빈곤) 아동 청소년과 빈곤 아동 청소년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인식 하고 있는지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비교·확인함으로써 빈곤 위기 아동·청소년의 꿈을

지원하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청소년의 꿈(진로)과 관련된 주요 변인을 확

인하고 아동·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꿈(진로)에 미치는 영향과 동시에 꿈(진로)이 아동·

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논의하여, ‘익숙한 절망, 불편한 희망’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아동·청소년, 특히 일반 아동·청소년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빈곤 아

동·청소년들의 꿈을 위해 우리사회가 지원해야 할 방안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7년과 2019년에 이은 3차 실태조사로서, 한국사회 아동·청소년의 꿈을 탐색

하고 이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 아동·청소년과 빈곤 아동·청소년 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빈곤 아동·청소년의 꿈을 이루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 한국사회의 아동·청소년, 특히 일반 아동·청소년과 빈곤 아동·청소년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와 관련하여 꿈 꿀 수 있는 능력과 여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빈곤 아동·청소년의 꿈을 지원하는 근거자료를 마련한다. 나. 한국사회 아동·청소년의 꿈에 관한 실태조사 공유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꿈에 대한 대 중의 관심과 인식을 제고한다.

다. 빈곤 아동·청소년의 꿈에 대한 관련기관 연대활동 및 홍보활동과 연계하여 옹호활동(사 회 인식개선 및 정책변화)을 실시함으로써 옹호영향력을 강화한다. 라. 아동·청소년의 꿈과 일상생활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을 받은 아동·청소년에 대한 지원책과 추후 발생가능한 전염병 위기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한다.

2
2

Ⅱ. 선행연구 고찰

1. 빈곤과 아동·청소년의 꿈

꿈의 사전적 의미는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이다. 꿈이라는 개념을 자본의 개념으로

해석하면, 꿈은 “욕망과 희망의 작용을 통해 구성/교섭/변형되며, 실천의 흐름에 방향과 의미

를 부여하는 미래의 소망 표상”으로 볼 수 있다(김홍중, 2015; 정익중 외, 2017). 누구나 장래

에 어떠한 사람이 되고 싶거나 무엇인가를 하고자 하는 포부를 가지고 있으며 미래의 희망과

포부는 개인행동의 동기나 목표를 정하고 결과를 성취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최수미, 2013; 정익중 외, 2017). 따라서 꿈을 가진다는 것은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는 것이며, 자신의 삶에 대한 소망과 기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의미하기도 한다(정익중·조윤호· 오은찬, 2018).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현실적으로는 직업에 대한 설계로 나타난다(김경희·박근 혜, 2013; 정익중 외, 2017). 청소년들에게 꿈이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을 의미한다면 진로나 직업에 대한 설계는 보다 더 현실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개인의 삶은 직업에 따라서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진로선택은 개인에게 큰 의미가 있다(김종운, 2006; 김경희· 박근혜, 2013). 이렇듯 꿈은 미래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추상적 개념이고, 진로는 미래에 자 신이 해야하는 일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Super(1953)의 진로발달 이론에 따르면, 아동·청소년기는 진로에 있어서 성장기와 탐색기에 해당한다. 중학생까지는 성장기에 해당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주위 인물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아 개념을 발달시켜 나가는 시기로 초기에는 욕구와 환상이 지배적이나 차차 사회적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게 된다. 고등학생부터 24세까지는 탐색기에 해당하며 자신의 욕구, 흥미, 능력,

가치, 직업기회 등을 고려하며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을 잠정적으로 선택해보는 시기이다. 이

러한 탐색기는 잠정기, 전환기, 시행기로 나뉘는데, 잠정기는 욕구, 흥미, 능력, 자아 등을 고

려하여 환상, 토의, 기타 경험을 통해 잠정적으로 직업을 선택해 본다. 전환기는 취업을 하거

나 취업에 필요한 훈련, 교육 등을 받으며 직업선택에서 현실적인 요인을 고려하게 된다. 시

행기는 직업을 갖게 되며 적합성 여부를 시험한다. 이처럼 아동·청소년기에 진로발달이 활발

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이 시기의 꿈·진로에 대해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아낌없이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청소년의 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미나 와 노자은(2016)의 연구에서는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해 개인, 진로, 가정, 학교, 친구로 나누어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개인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자기효능 감, 자기통제, 청소년활동 경험이, 진로요인으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지도 경험, 진로 지도 만족도가, 가정요인으로는 부모애착, 부모 교육참여, 부모 지도감독, 부-자녀 긍정적의사 소통, 경제수준이, 학교요인으로는 학업성적, 교사애착이, 친구요인은 친구애착이 진로성숙도 에 모두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박재은 외(2011)의 연구에서는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이 정적인 영향을, 이해경 외(2013)의 연 구에서는 자기효능감, 학교계열, 성별이, 윤초희와 안태희(2015)의 연구에서는 진로신념과 사 회적 지지가, 이승진(2020)의 연구에서는 결핍, 학업성취, 자아존중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

3
3

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의 꿈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빈곤을 이야기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서 빈곤한 가정에서 태어난다는 것은 취약하고 험난한 생애발달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부

족한 자원이 박탈된 생육 환경을 만들어 내거나 아동발달에 요구되는 학습자극의 기회를 제한 하기 때문이다(김광혁, 2014; 김현옥·박해선, 2018). 가구의 경제적 빈곤은 아동에게 아동에게 는 우울 및 불안, 사회적 위축, 비행과 공격성 등을 상승시키고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의 약화,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 삶의 만족도 저하 등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하고 있다(정익중, 2011; 김광혁, 2019; 김현주, 2011; 김진미, 2019; 정익중·이승진·안선경, 2022).

빈곤과 아동·청소년의 꿈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승진 외 (2021)의 연구에서는 꿈 지표를 활용하여 꿈의 유형을 나누고, 어떠한 요인이 꿈 유형에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꿈 유형은 ‘적극형’, ‘탐색형’, ‘소극형’ 세가지로 분류되었는데, 주관 적 경제수준이 낮아지면 ‘적극형’과 비교해 ‘탐색형’과 ‘소극형’에 ‘탐색형’에 비교해 ‘소극형’ 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즉,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꿈 지표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확 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익중 외(2018)의 연구에서는 빈곤 여부에 따라 행복감에 이르 는 꿈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는데, 일부 변인을 제외하고는 빈곤과 비빈곤 간의 집단 간 차이 가 나타났다. 빈곤 집단에서는 꿈 유무, 비빈곤 집단에서는 꿈에 따라 살아가는지가 상대적으

로 더 중요한 변인으로 제시되면서 빈곤 여부에 따라 꿈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또한 조윤호와 정익중(2020)의 연구에서는 6년 간 월드비전의 빈곤 아동·청소년을 대상 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를 꿈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써, 꿈지원사업이 아동 의 진로성숙도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빈곤 아동·청소년의 꿈에 대해 지원한 결

과, 진로성숙도는 단기와 중장기 모두에 유의미하게 컸고, 희망은 중장기적으로 컸는데, 사업 후반부에 더 크게 증가하였다. 즉, 꿈에 대해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빈곤 아동·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빈곤과 아동·청소년의 진로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구의 소득 수준과 청소년의 진로성숙 간에 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구소득을 상중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진로성숙과의 연

관성을 검증한 결과 가구소득이 높은 청소년들의 경우 다른 두 집단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진

로성숙을 보였다(원지영, 2019). 또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들을 2개의 집단(비빈곤집단, 빈곤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직업의

지위는 학력과 연봉으로 정의한 직업의 지위와 차이를 보였다(서옥형·황매향, 2016).

살펴본 바와 같이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을 의미하는 꿈은 현실적으로는 직업에 대

한 설계로 연결지을 수 있다. 아동·청소년기는 이러한 진로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의 꿈·진로에 대해 파악하는 것은 개인의 발달적인 측면에서도,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또한 이전 2017년, 2020년의 보고서에서도 꿈과 진로는 아동·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반대로 빈곤은 아동·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꿈과 진로와 빈곤의 상호작용이 아 동·청소년의 발달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4
4

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과 아동·청소년의 꿈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은 아동시기의 발달단계

에서 학대와 방임, 가족구성원의 약물남용 및 가족폭력, 정신질환 등에 노출되는 부정적 경험

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것을 의미한다(Felitti, 200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세부적인 사항을 살펴보면 생애주기에 걸친 학대·폭력의 중

복경험을 개별학대, 폭력의 범주를 넘어 부모의 이혼,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 부모와의 별거

경험, 가족 내 폭력의 목격 경험 등 다양한 부정적 생애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류정희·이

주연·정익중·송아영·이미진, 201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아동학대나 아동기 트라우마 같 은 용어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아동기 학대 경험뿐만 아니라 세대 내 다양한 역기능적 환경 까지 포함된다(손예진·김기현·김재원, 2018; Corso, Edwards, Fang, & Mercy, 2008; Heitkemper, Cain, Burr, Jun, & Jarrett, 2011). 18세 이전에 경험한 학대(신체·정서·성)와 방임(신체·정서), 역기능적 가정환경(약물중독, 가정폭력, 별거 및 이혼, 정신질환, 교정시설 수 감)의 경험 여부에 따라 0과 1로 측정하는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발달에

부정적이며 성인이 되었을 때도 위험행동의 가능성과 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옹 량-반응관계(dose-reponse effect)가 증명되었다(Felitti et al., 1998; Dube et al., 2001; Felitti, 2002). 이러한 아동기의 외상 경험들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비율이 높으며, 하나 의 외상이 있는 아이는 여러 가지 외상을 중복하여 가지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아동기에 경험 하는 부정적 사건들을 ‘ACE’라고 명칭하여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보고자 한 것이 특징이다 (Kessler, 2000; Larkin, Shields, & Anda, 2012; 손예진·김기현·김재원, 2018 재인용).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실태를 다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만 9-17세

아동들의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은 57.4%였으며, 부모는 79.3%가 1개 이상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류정희·전진아·이상정·이주연·정익중·유민상, 2018). 김준범· 손수민(2020)의 연구에서는 어린시절에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성인 5명

중 3명은 겪었다고 보고하였으며, 민윤영(2018)의 연구에서는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 불문하고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88.7%가 된다고 보고하였 다.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Exposure to Violence (NatSCEV)’에서는 2008년 미 국의 18세 미만의 아동 중 약 66%가 한 가지 이상의 ACE에 노출되었고, 5가지 혹은 그 이 상은 30%, 그리고 10가지는 약 10%가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urner, Finkelhor, & Ormrod, 2010), ‘2016 National Survey of Children’s Health(NSCH)’에 따르면 약 45%의 아동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노출되었음을 보고하였다(Sack & Murphey, 2018).

아동은 미성숙한 존재로 전 영역에서 발달하는 과정을 겪으며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

로 외부로부터 겪는 외상은 정서 및 인지·행동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주소회, 2016).

이러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비단 아동기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었을 때 건강과 심리·사 회,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고한다(Finkelhor, Shattuck, Turner, & Hamby, 2013; Nurius, Green, Logan-Greene, & Borja, 2015). 즉, 외부로부 터 겪는 부정적 생애경험은 신경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아동의 인지·정서·행동 측면에서 지속

5
5

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성인기까지 이어진다는 것이다(Finkelhor, Ormrod, & Turner, 2007; 서영석·조화진·안하얀·이정선, 2012). 특히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단일

형태인 한 번의 경험은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누적되는 경험으로 이어진다는 특성이 있

다(Dube, Felitti, Dong, Chapman, Giles, & Anda, 2003; Arata, Langhinrichsen-Rolin, Bowers, & O'Brien, 2007).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동기 외상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청소년 기와 성인 초기에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삶의 질이 낮아질 뿐 아니라, 불안과 우울과 같은 정

신건강 문제에 노출되며, 흡연이나 음주, 약물사용과 같은 물질남용에도 장기적으로 노출된다

고 보고한다(강현아·노충래· 전종설·정익중, 2012; Mersky, Topitzes, & Reynold, 2013). 이

밖에도 심리사회적 적응 및 낮은 사회적 기술, 성격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자기혐오, 해리, 자기 파괴적인 행동, 대인관계 문제 및 건강염려증 등과도 관

련이 있다(김경민·정익중, 2009; 유재학·서민재·박지선, 2013; 윤나리·하은혜, 201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부정적인 현상만으로 나타

나는 것은 아니다.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음에도 불구하고 경험 이전의 적응 수준과 심리적 수

준으로 회복하거나 도리어 성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것을 외상 후 성장이라고 칭한다(김미

리·김유미, 2016; 윤명숙·김남희·최혜정, 2013; 주소희, 2015; 유희정, 2017). 외상 후 성장은 위기 사건이나 외상을 겪은 후에 주관적으로 지각하게 되는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이다 (Maercker & Zoellner, 2004). 외상으로 손상된 자신의 세계를 또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 는 시각을 가지게 하고, 우리의 통제를 벗어날 수밖에 없는 외상 경험을 단순히 회피하고 싶

은 고통으로 여기기보다 인생에 대한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이는 힘을 준다(배상정·양난미, 2014; Tedeschi & Calhoun, 2004). 아동이 외상을 어떻게 수용하고 처리하는지에 따라 외 상 후 성장에 따른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데, 외상을 경험하더라도 심리적으로 고통감을 적게 느낄수록 외상 후 성장이 더 높으며, 외상경험이 고통스럽다고 느끼는 아동일수록 외상 후 성

장에는 부적 영향을 미친다(Calhoun & Tedeschi, 2004; 김미·정유·현진, 2019) 또한, 외상에 관해 긍정적인 대처를 사용할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아동·청소년의 내적 요인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동·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 은 희망, 꿈, 자아탄력성 등으로 외상에 완충작용 혹은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유성경·홍세희· 최보윤, 2004; 고유나, 2016; 김미정·유현진, 2019).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아탄력성이 높을수 록(박은혜·이민규, 2016),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김정옥·윤재호, 2017) 외상 후 성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의 내적 주요 요인으로서 의 꿈은 아동·청소년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자신에게 소중한 꿈을 위한 도약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신애·최옥채, 2018). 이는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외에 빈곤 등 중첩되는 어려움을 겪음에도 불구하고 꿈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있 는 아동·청소년은 발달단계와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과업에 대해 고민하고 미래 계획

을 하며 자신에게 필요한 성장을 구체화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박지영·김연수,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미래세대에게 꿈과 미래에 대한 희망

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미래

세대와 부정적 경험을 하지 않은 미래세대의 발달적 측면에 차이가 있는지, 빈곤과 부정적 생

애경험을 경험한 꿈의 존재가 이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고자 한다.

6
6

3. 코로나19와 아동·청소년의 꿈

코로나19 시기에 질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을 한 아동·청소년들이 높은 진로 준비도를 갖게 되며(서희정, 2022) 멘토 활동 등 공식적 돌봄이 이뤄지는 아동·청소년의 삶의 질이 분명히 다르다는 점(장혜림, 2021)은 아동·청소년들이 본인의 꿈을 잃지 않고 불안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고 진로에 대한 준비 및 설정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강희순, 2010; 박명순, 2022; 박희정, 2022)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본인의 진로에 대한 명확한 방향 설정은 코로나19로 겪게 될 수 있는 불안을 해소하면서

역량 발휘를 가능하게 한다(김영미 외, 2020). 그와 동시에 진로 정보 탐색활동에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해주며, 진로 준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들을 진로 장벽으로 인식하지 않고 자기

성찰과 성장의 계기로 볼 수 있게 한다(신정아 외, 2021).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 중심에서 비대면 중심으로의 전환이 이뤄지는 상황 속에서 온라인 원격수업, 독서실과 학원의 축소 운영이 이뤄졌다. 긍정적 측면이든 부정적 측면이든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청소년들도 코로나로 인한 영향들을 피해갈 수 없으며 기존과는 다른 경험을 갖게 되었다. 먼저 코로나19는 학습의 부재, 지원 부족을 경험하게 하고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였다. 코로나를 경험한 세대가 코로나 이전 세대보다 기초학력이 미달 되는 비

율이 높아진 것은 너무나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교육부, 2021). 경제 수준에 따라 큰 교육격

차가 발생하고, 학업에서 뿐 아니라 가정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등교하지 않는 날 혼자 있는

비율, 결식 비율이 훨씬 높은 모습을 보여주었다(김성은·박찬호, 2021).

사교육 측면에서도 교육 격차가 나타났는데, 학원 사교육이 저소득층에서 매우 감소하는 반면

인터넷 및 학습지를 통한 사교육이 증가한 부분(박혜랑, 2022)은 코로나 19 가구소득이 사교

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하고 이로 인해 교육 불평등이 심화 되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성식, 2022).

코로나19로 비대면 중심의 수업이 진행되며 가정은 본연의 역할과 함께 체험학습의 장이자

학습의 주 공간이 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아동·청소년들이 가정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어나 면서 학교생활의 부정적 영향을 낮게 인식함과 동시에 가족관계에서 행복함을 느끼고 가정 내

긍정적 경험이 개인의 불안감과 삶의 질을 높여주었다(손진희 외, 2020; 강선영 외, 2021; 산 예림 외, 2021; 김봉선, 2022). 하지만 가족 간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긍정적 문제보다 장기적

으로 부정적 문제도 들어났다. 코로나19로 인해 부모의 고용상태가 불안정은 주거복지 사각지

대를 만들거나 취약계층의 스트레스를 높였다. 이러한 가정 내 경제적 수준 변화 및 불안정은 아동·청소년의 돌봄, 교육, 주거에서의 불평등으로 이어지며(박병헌, 2021)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아동·청소년의 경우 가족관계의 어려움을 더 크게 인식하였다(김봉선, 2022). 가족의 경제적 수준 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한 부모의 감정상태 변화, 스트레스, 양육태

도가 아동·청소년의 정서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김선미 외, 2022; 우성현 외, 2022) 코로나19로 발생되는 발생하는 문제들이 가정 학대 가능성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코로나로 인하여 오히려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건강, 학교생활 스트레 스가 개선되었다는 결과를 보여주거나(기은광, 2021), 사회적 불안감에 대한 높은 인식을 갖게

7
7

될수록 진로 준비를 위해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결과(김봉선, 2022; 박영순, 2022)

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김윤나·이희연, 2021; 서희정, 2022; 최지현·이근영, 2022)에서는 아동·청소년이 코로나를 겪으면서 가정생활, 학업과 진로준비에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사회활동, 사회에 대한 신뢰, 진로준비 등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 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들은 코로나 상황에서 경험한 친구 관계에 대해 예전보다 약한 유대감을

보이기도 하고(김현령 외, 2021) 사회적 단절 경험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자아 혼란을 경험

하기도 하였다(박수용, 2021). 사회적 단절 경험과 디지털 전환은 사회적 고립감을 불러일으키 며 이는 사회활동에 대한 소극적 참여 태도를 형성하게 하였다(정주호 외, 2022). 사회적 고 립은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어 심한 경우 자살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유주현

외, 2022; 최재강 외, 2022) 실제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중간-낮은 강도의 스트레스 인식이 증가하였고(김옥자, 2022), 코로나19 기간이 길어질수록 우울, 자살사고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

이며(황희훈 외, 2022)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들이 아동·청소년들에게 지속적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영향은 SNS 몰입이라는 점을 많은 연구에서 강조하고 있다. 대면

만남을 이룰 기회가 급격하게 감소함으로 인해 친구 관계의 단절을 경험하거나 가족 관계에서

의 결핍은 많은 아동·청소년들을 SNS 및 디지털 기기에 대한 몰입으로 이어지게 하였다. 실제 국민여가활동조사(2020)에 따르면 게임 활동 참가율이 이전에 비해 더 증가하여 상위 1 위를 기록함과 동시에 모바일 콘텐츠, 동영상, VOD 시청이 증가한 것도 눈에 띄는 변화로 나 타났다.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가는 코로나19로 인해 여가활동의 제약을 경험하며 디지털을 통 해 즐거음을 추구하는 행위인 디지털 여가의 비중이 증가(김성은·박찬호, 2021; 이화영 외, 2021; 김봉화, 2022)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 몰입하게 되는 시간이 많아진다는 것은 SNS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증 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차의원, 2012), 그와 동시에 코로나19로 인해 사회활동이 감소하고

게임 및 온라인 사용이 증가한 집단이 정신건강에서의 어려움과 강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비

율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최지현·이근영, 2022)와 코로나19 이전 운동 등의 여가활동을 진

행하였으나 유튜브 시청, 게임 등의 오락활동으로 여가유형이 변화한 경우 가장 높은 우울감

을 겪는 것으로 나타난(주진영 외, 2021)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 아동·청소년의 삶에 있어 서 적지 않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아동·청소년의 현황과 변화,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 지, 차이는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8
8

Ⅲ. 연구방법

1 양적조사

1) 조사대상

지금까지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조사는 미래세대의 꿈과 발달지표를 살펴보고, 건강한 성장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전국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현장방문 면접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는 월드비전 주관으로 코리아리서치에서 진행하였 다.

본 조사는 전국(서울 및 5대 권역)에 거주하는 만11~23세 아동·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며 2021년 12월 기준 전체 모집단 인원수는 13,369,186명이다. 이들을 권역별, 교급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2022년 한국 미래세대 교급별-권역별 전체 인구수(모집단) (단위: 명)

전체 인구수초등중등 고등 청년 일반특성화기타 서울 134,221213,546148,01235,263138,942569,839 (경기/강원권)

경기,강원,인천 328,567502,680365,98658,36429,7791,082,518

(충청권)

충북,충남,대전 103,983160,10499,49324,84813,896307,520 (호남권)

전북,전남,광주 91,513141,072101,57524,30618,381314,370 (경북권)

경북,대구 82,253129,42685,82921,86917,443290,958 (경남권)

경남,부산,울산 134,813207,288137,79629,07950,213443,380

합계 875,3501,354,116938,691193,729268,6543,008,585

*

출처 : 통계청 및 교육통계연보(2021년 4월 기준)

상기 모집단에 대해 신뢰수준 95%, 오차범위 ±5% 수준을 충족하는 기준으로 표본을 추출하

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산식은 아래와 같다.

9
9

이에 따른 조사대상자 수는 <표 2>, <표 3>과 같이 전국(서울 및 5대 권역)에 거주하는 만

11세~23세 아동·청소년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총 2,000명으로 계획하였다. (최종 설문 응답률

및 부모동의 거부 등을 고려하여 오버샘플 감안)

더불어 학교급 및 연령대별 비교분석을 위해 초/중/고/만19~23세 4개 그룹별로 각 500명씩

을 균등할당하여, 총 2,000명을 대상으로 표집하고자 하였다.

상기 표본계획에 따라 수행된 설문조사에 실제 연구참여자 수는 초등학생 501명, 중학생 503명, 고등학생 507명, 청년(18~23세) 500명이다. 전체 계획 대비 실시율은 100.55%였고, 권역별 편차도 준수하였다.

<표 2> 2022년 한국 미래세대 실태조사 교급별-권역별 표본수(계획) (단위: 명)

전체 (학생 수)

연령대 합계 11~12 (초5~6) 13~15 (중1~3) 16~18 (고1~3) 19~23 일반고특성화기타 서울 777860141294335 (경기/강원권)

경기,강원,인천 1871861482410180735 (충청권)

충북,충남,대전 6059389952227 (호남권)

전북,전남,광주 52534110455215 (경북권)

경북,대구 4748357647190 (경남권)

경남,부산,울산 77765512672298 합계 50050037776475002,000

10
     ×         ×   
   
10

전체 (학생 수)

<표 3> 2022년 한국 미래세대 실태조사 교급별-권역별 실표본수

(단위: 명)

연령대

합계 계획 (실시율) 11~12 (초5~6) 13~15 (중1~3)

16~18 (고1~3) 19~23 일반고특성화기타

서울 767959131294333 335 (99.40%)

(경기/강원권)

경기,강원,인천 188183141229181724 735 (98.50%)

(충청권)

충북,충남,대전 61604712555240 227 (105.73%)

(호남권)

전북,전남,광주 52554311451216 215 (100.47%)

(경북권)

경북,대구 47483611946197 190 (103.68%)

(경남권)

경남,부산,울산 77785311973301 298 (101.01%)

합계 50150337980485002,011 2,000 (100.55%)

2) 조사 절차 및 방법

(1) 아동 청소년(만11~18세)

표본선정 및 결과 대표성 확보를 위해 전국 6개 권역을 표집단위로 선정한다. 조사 진행은

아동 청소년들의 거주지점을 대상으로 전문 조사원이 조사 대상을 임의 표집하여 1:1 대면면 접을 실시한다. 조사대상의 성별, 학년별 할당은 균등할당으로 진행하되, 특정 권역에서 학년 별 학생 수 차이가 큰 경우, 학생 수를 기준으로 비례할당한다.

(2) 청년층(만19~23세)

전국 6개 권역의 만 19세~23세를 대상으로 지역/성/연령 비례할당으로 진행한다. 리서치 기관의 온라인 패널 중 대상 조건에 해당하는 이들에게 조사 참여 이메일을 발송하여 참여를

유도하는 자발적 참여자우선 표집 방식(Volunteer Sampling)으로 실시한다.

11
11

3) 연구참여자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먼저, 성별 은 남성 51.6%(1,038명), 여성 48.4%(973명)로 조사되었다, 교급별로는 초등학교 24.9%(501 명), 중학교 25%(503명), 고등학교 25.2%(507명), 청년 24.9%(500명)로 나타났다. 주요 경제 적 수준은 빈곤가정 18.2%(366명), 비빈곤가정 81.8%(1,645명)로 비빈곤가정 아동이 빈곤가

정아동 보다 약 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분포는 서울 16.6%(333명), 경기/강원 36%(724명), 충청 11.9%(240명), 호남 10.7%(216명), 경북 9.8%(197명), 경남 15.0%(301명) 이었다.

<표 4>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 조사상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남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를 통해 연구윤리심의(NSU-202202-003)를 받 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무엇보다 만 18세 미만의 아동이 연구대상자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아동 친화적인 조사환경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먼저, 본 조 사는 만 18세 미만의 아동에 대해 1:1 대면면접방식으로 수행되어, 권역별로 할당 및 선정된 조사지점에 조사원이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만 18세 미만의 경우 학부모 동의가 필수적임에 따라 학부모와 동행하는

12
대상자를 무작위 컨택하여 진행하였으며, 조사 전 연구참 여자용 설명서와 동의서를 아동청소년과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동의를 득한 후 동의한 경우에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남성 1,038 51.6 여성 973 48.4 교급별 초등학교 501 24.9 중학교 503 25.0 고등학교 일반고 379 18.8 특성화고 80 4.0 기타고 48 4.0 소계 507 25.2 청년 500 24.9 주관적 경제수준 빈곤 366 18.2 비빈곤 1,645 81.8 지역 서울 333 16.6 경기/강원 724 36.0 충청 240 11.9 호남 216 10.7 경북 197 9.8 경남 301 15.0 총계 2,011 100
12

만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의 응답은 강요될 수 없으며, 조사내용이 어렵거나 중간에 연구

참여에 대한 철회 의사를 표할 경우 즉각적으로 조사담당관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명할 수 있

도록 사전에 안내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가 본 연구의 참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법적 위험을 입었다고 판단된 경우 설문지에 명시된 조사담당기관, 연구책임자, 연구 주관기관, 남서울대학교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연락처를 통해 자신의 피해 사실을 알릴 수 있도 록 안내하였다.

다음으로 만 18세 이상의 청년에 대해서는 조사기관의 패널로 기등록된 인원 중 서울/경기·

강원/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 지역 소재의 만 19~23세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 참여 자용 설명서와 동의서를 이메일로 발송하였다. 해당 내용 및 조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기타 내용은 위에서와 같았다.

13
13

5) 조사내용(설문지 구성 및 내용)

<표 5> 조사 세부내용

구분조사내용 하위 조사항목 출처

∘꿈에 대한 일반적인 실태

1.

꿈에

관한

문항

꿈 유무/꿈 자기결정 여부/ 꿈 실현가능성/꿈 변화정도/ 꿈 소통정도/꿈 실현정도/ 꿈 영향요인/꿈 영향인물 개발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사회불평등인식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진로성숙도

자기이해/일에대한태도/독립성 /계획성

∘진로준비행동 진로탐색활동/정보수집활동/직 업체험활동/취업준비활동

∘진로장벽

∘행복지수

∘희망지수 특성희망/상태희망

∘아동행동평가

2. 발달 관련 문항

내재화 문제행동(우울/불안)/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위축

성균관대학교, 200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박완성, 2002; 이옥경, 2012 재인용

Swanson 외, 1996; 주금옥, 2002 재인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김택호, 2004; 이은영, 2008 재인용

Achenbach, 1992; 오경자 외, 20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재인용

∘건강상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결식※ 주중, 평일/주말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공동체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자기조절능력/긍정성/대인관계

능력

나눔※※

사회적 능력※

Rosenberg(1965);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 연구소, 2000 재인용

신우열·김민규·김주환, 2009; 허윤영, 2012

재인용

월드비전 개발

정익중 외, 2008

박금옥(1988)

이재천, 2005; 조은정, 2006; 정익중 외, 2008

재인용

14
14

3.

코로나 19 관련 문항

∘성공경험

∘자기관리※※

∘부모양육태도※

∘결핍수준

∘아동기 부정적 경험 (ACE)

정익중 외, 2008

전문형/권위형/허용형/무시형정상모, 2001

UNICEF, 20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재인용

신체적학대/정서적학대/성적학 대/(가족구성원)알코올·약물중

독/(가족구성원)수감경험/(가 족구성원)우울·자살/가정폭력

목격/(부모)별거·이혼/정서적

방임/물리적방임/또래폭력/지 역사회 폭력/집단폭력 경험·목격/긴급위기

∘자살 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 (가해/피해)

∘학교생활적응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 교사관계

∘주관적 학업성적

∘코로나19 이후

활동시간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꿈꾸기 어려움※

∘코로나19로 인한

진로 탐색 및

준비의 어려움※

∘학교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4.

일반적인 사항

정슬기 외,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민병수, 1991; 정화실, 199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재인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연령, 성별, 지역, 주관적 경제수준, 교급, 주거형태※, 부모의 장애여부※ ,

다문화가정 여부※

※ : 2022년 추가 분석된 항목

※※ : 2019년 제외했던 항목

15
15

(1) 진로성숙도

진로성숙도는 <표 6>과 같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에서 검사를 개발하였고, 2008년 아 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의 27문항을 2013년에 22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9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 획성의 네 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눠진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아래의

<표 5>에 별표로 표시된 문항은 역문항으로 처리하여 합산한다. 합산한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Cronbach’s α는 .693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2) 진로준비행동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 7>과 같이 박완성(2002)이 제작한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는 진로탐색행동이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기존의

Stumpf, Solarelli와 Hartman(1983)의 Career Exploration Survey(CES), Kopleman, Rovenpor와 Millsap(1992)의 Job Search Behavior Index(JSBI), 김봉환(1997)의 진로준비행 동 검사, 서진숙(1998)의 진로탐색행동의 내용을 분석하고, 대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작되었다.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하위요인은 진로탐색행동, 정 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22 문항 중 19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4문항으로 축소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 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Cronbach’s α는 .793 으로 나타났다.

<표 7> 진로준비행동 척도 하위영역

<표 6> 진로성숙도 척도 하위영역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진로탐색활동 41 정보수집활동 21 직업체험활동 11 취업준비활동 31 계 4

16
1, 3 2 일에 대한 태도 9* 1 독립성 2*, 5*, 7* 3 계획성 4, 6, 8 3 계 9
자기이해
16

(3) 진로장벽

진로장벽을 측정하기 위해 Swanson 외(1996)가 개발한 진로장벽척도(Career Barrier

Inventory: CBI)를 주금옥(2002)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절히 수정, 개발한 것을 활용하였다.

하위척도로는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정보 부족, 나이 문제, 신체적 열등감, 흥미 부족, 미래불안, 기술 부족 및 능력 부족 등

총 11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된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지각된 진로장벽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

소화 연구를 토대로 4문항으로 축소하였다. Cronbach’s α는 .746으로 나타났다.

(4) 행복지수

행복지수는 2008년과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사용한 행복감에 대한 6문항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3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Cronbach’s α는 .771로 나타났다.

(5) 희망지수

희망은 김택호(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토대로 이은영(2008)이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척도를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표

8>과 같이 18문항을 4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희망척도는 개인의 안정된 특성을 중심

으로 측정하는 특성희망 척도와 개인의 현재 상태를 중심으로 희망을 측정하는 상태희망 척도 로 구분한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희망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Cronbach’s α는 .776으로 나타났다.

8> 희망지수 척도 하위영역

(6) 아동행동평가(문제행동)

아동행동평가는 Achenbach(1992)의 척도를 오경자 외(2010)가 번안한 척도이다. 본 연구 에서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은 이를 2013 아동실태조사에서 2008 아동·청소년실태조사 54 문항을 31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위축은 기존척도를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7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하위영역은 아래의 <표 9>와 같이 내재화 문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특성희망

17
17
1, 2 2 상태희망 3, 4 2 계 4 <표

제행동인 우울, 불안과 외현화 문제행동인 공격성, 그리고 위축으로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되 었다. 각 문항은 Likert 3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문제

행동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Cronbach’s α는 .848로 나타났다.

<표 9> 아동행동평가 척도 하위영역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내재화 문제행동(우울/불안) 1, 2, 5, 6 4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3, 4 2 위축 71

(7)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아동·청소년패널에서 Rosenberg(1965)의 자존감 척도를 번안한 것을(고려대 학교 부설 행동과학 연구소, 2000 재인용)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 로 10문항에서 7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이 척도는 하위영역 없이 단일차원으로 2, 4, 5번 문항 은 역문항으로 처리하여 합산하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 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769로 나타났다.

(8)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신우열·김민규·김주환(2009)이 개발한 YKRQ-27을 허윤영(2012)이 사용한 척 도를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표 10>과 같이 27문항에서 6문항

으로 축소하여 활용하였다. 세 개의 하위요인은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으로 나눠 진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회복탄력 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Cronbach’s α는 .733으로 나타났다.

<표 10> 회복탄력성 척도 하위영역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자기조절능력 1, 2 2 긍정성 31 대인관계능력 4, 5, 6 3

18
계 7
계 6
18

(9)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본 연구를 위해서 개발된 척도이다. 이 척도는 하위영역 없이 총 4문항이며,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772로 나타났다.

(10) 공동체성(나눔)

공동체성(나눔)은 정익중 외(2008)가 이재천(2005), 조은정(2006)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19 문항)를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 어 있으며, 전체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공동체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624로 나타났다.

(11) 사회적 능력

사회적 능력은 박금옥(1988)의 사회적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기도를 제외한 문항들을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40문항에서 8문항으로 축소하였다. 4개 의 하위요인은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으로 나눠진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사회적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811로 나타났다.

<표 11> 사회적 능력 척도 하위영역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사교성 1, 2, 3 3 대인적응성 41 사회참여도 5, 6, 7 3 주도성 81 계 8

(12) 성취동기

성취동기는 정익중 외(2008)가 이재천(2005), 조은정(2006)의 자기표현검사(20문항)를 활용 하여 3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659로 나타 났다.

19
19

(13) 자기표현

자기표현은 위의 성취동기와 같이 정익중 외(2008)가 이재천(2005), 조은정(2006)의 자기표 현검사(20문항)를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 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표현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734로 나타났다.

(14) 성공경험

성공경험은 정익중 외(2008)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로 구

성되어 있으며, 전체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성공경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695로 나타났다.

(15) 부모양육태도

부모양육태도는 정상모(2001)가 사용한 양육태도 검사지를 월드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20문항에서 12문항으로 축소하였다. 4개의 하위요인은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으로 나눠진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의 부모양육태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Cronbach’s α는 전문형 .692, 권위형 .646, 허용형 .301, 무시형 .731으로 나타났다.

<표 12> 부모양육태도 척도 하위영역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전문형 1, 3, 7 4

권위형 4, 8, 10 4

허용형 2, 5, 9 4

무시형 6, 11, 12 4 계 12

(16) 부모님과의 관계

부모님과의 관계는 정익중 외(2008)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 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합산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님과의 관계가 좋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734로 나타났다.

20
20

(17) 결핍수준

결핍수준은 UNICEF(2012)의 OECD 결핍지수 문항을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단일차원으로 15번 문항만 역문항으로 처리하여 합산한다. 점수 가 높을수록 결핍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555로 나타났다.

(18)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은 아동·청소년패널에서 이승현 외(2015)의 청소년 사이버 안전

실태조사 문항 중 사이버 비행 관련 가해경험 15문항을 활용한 것 중 5문항을 선정하여 피해 경험과 가해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척도는 하위영역 없이 단일차원으로 ‘전혀 없다’ 에 응답한 경우는 0으로, ‘있다’에 응답한 경우는 1로 처리하여 합산하다. 각 문항은 Likert 4 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피해/가해 경험이 많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769로 나타났다.

(19)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은 문선보(1989)의 학교생활적응 척도와 이상필(1990)의 어린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문항을 참고하여 민병수(1991)가 제작한 초등학생용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문항 (정화실, 1991 재인용) 중 학교행사 관련 문항(5문항)을 제외하고 수정, 보완한 20문항을 월드

비전 꿈지원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토대로 8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4개의 하위 요인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로 나눠진다. 이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구 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영역 및 학교생활 적응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Cronbach’s α는 .769로 나타났다.

<표 13> 학교생활적응 척도 하위영역

(2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본 연구에서는 정슬기 외(2013)의 척도와 류정희 외(2017)의 척도를 연구자들이 함께 검토 하여 주요 영역별로 더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여 활용하였다. 정슬기 외(2013)에서 아동기 부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학습활동

21
2 학교규칙 3,
2 교우관계 5,
2 교사관계 7,
2
8
1, 2
4
6
8
21

정적 생애경험은 성인의 알코올 사용과 어린 시절 스트레스 유발 경험과의 관계를 연구한

Dube와 동료들(2002)이 활용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ACE(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는 언어/정서학대, 신체적 학대, 성학대, 어머니에 대한 폭력 노출, 가족 내 정

신질환, 부모의 별거/이혼 등 총 6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언어, 신체학대와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가정폭력에의 노출 3항목은 CTS(Conflict Tactics Scale; Straus & Gelles, 1990)

에서 따 온 것이다.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이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Cronbach‘α는 .990이었다. 이에 반해 류정희 외(2017)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신체

적, 정서적 학대, 가정폭력의 목격, 가족 구성원의 부정적 생애경험, 또래폭력, 지역사회폭력 의 목격 경험 등 포괄적인 아동기의 부정적인 경험들을 13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경험유무

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슬기 외(2013)와 류정희 외(2017) 척도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23개 문항을 선별하여, 1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4점 리커트 척도와 경험유무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나 분석과정에 서 모두 경험유무로 변환하였으며, 총합을 0-14점으로 점수화하여 연속변수로 활용하였다. 0 점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총합이 증가할수록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14개 하위영역은 아래의 <표 14>와 같으며, 별표로 표시된 두 개 문항은 역문항으로 처리하였다.

정서적학대

(가족구성원)알코올·약물중독

(가족구성원)수감경험

(가족구성원) 우울·자살

22
하위영역 문항 번호 문항 수 신체적학대 7, 8, 9 3
62
12, 13 2
성적학대
4, 19 2
21 1
20 1 가정폭력 목격 10, 11 2 (부모) 별거·이혼 22 1 정서적방임 1*, 2* 2 물리적 방임 3, 5 1 또래폭력 14 1 지역사회 폭력 목격 15 1 집단폭력 경험·목격 16 1 긴급위기 17, 18 2 계 22 * 총 23개 문항 중, 중립적 성격을 가진 1개 문항은 분석에서 제외함.
14> 아동기
생애경험(ACE) 척도 하위영역 22
<표
부정적

6)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석방법은 연구참여자의 특성별(성별, 교급, 주관적 경제수준, 꿈 유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코로나19)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 기 위해 교차분석 및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e 분석결과를 활용하였다.

2. 질적조사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아동·청소년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와 관련하여 꿈꿀 수 있는 능력과 여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아동·청소년의 꿈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 를 마련하고, 아동·청소년의 꿈과 일상생활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코로나 19의 부정적 영향을 받은 아동·청소년에 대한 지원책과 추후 발생 가능한 전염병 위기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특히, 비빈곤 아동·청소년과 빈곤 아동·청소년의

비교를 통해 상황에 따른 적절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월드비전의 지원을 받은 빈곤 고등학 생과 청년,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을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빈곤 청소년은 월드비전의 지원을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충북, 경기, 인천에 거주 하는 18-19세 고등학생 6명과 21-23세 청년 5명 등 총 11명이었으며, 월드비전의 추천과 기 관 실무자 및 본인의 동의 과정을 거쳐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비빈곤 청소년은 본 연구의 양적연구에 참여한 후 질적인터뷰 참여에 동의한 명단을 전문 조사업체로부터 전달받아 연구 진이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참여의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충남, 충북, 서울, 대 전, 경기,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18-19세 고등학생 5명과 23-24세 청년 4명 등 총 9명이 연 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2년 6월 14일부터 2022년 7월 16일까지 약 1개월간 진행되었으 며,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언어로 이야기하게 하는 심층 면접기법을 통해 자료를 수 집하였다. 면담은 연구참여자당 1회 실시하였으며, 1회 면담 시 평균 1시간 – 1시간 30분 정 도 진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월드비전 지원을 받은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의 경우 기관 내 상

담실에서 진행하였으며, 월드비전의 지원을 받지 않은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의 경우에는 스 터디카페에서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은 참여자의 동의를 받은 후에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녹음을 한 후 전사하였다.

2)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 중 주제분석방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인이 꿈꾸는 삶, 꿈을 꾸는 이유, 꿈을 향한 도움, 꿈을 이루는 데 겪는 장애물, 꿈을 위한 노력, 코로나 19와 꿈 등에 대해 월드비전의 지원을 받은 빈곤 고등학생 6명, 청년 5명과 월드비전의 지원

23
23

을 받지 않은 비빈곤 고등학생 5명, 청년 4명의 인터뷰 내용을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주제분석방법은 연구문제의 각 영역과 관련되는 면접자료를 정리하고 영역별로 개념과 범주 로 유목화하여 원자료를 축약하는 코딩을 실시한 후 자료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유의미한 주제를 발견하는 것이다(엄태완, 2009). 본 연구는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 특정한 이론을 따라 가기보다는 자료를 읽으면서 나타나는 주제를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중심개념들을 도출하였 다. 이를 위해 심층 면접한 자료를 모두 녹취한 후, 이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의미 있는 구절 이나 문장을 찾아 표시하면서, 의미 단위를 찾아내어 유사한 의미 단위들을 묶어서 하위범주 로, 다시 하위범주들을 묶어서 범주로 통합하는 범주화 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주제분석 은 의미 단위와 범주들을 넘어서는 통합적인 구조를 발견하려는 것으로(주소희·이경은·권지성, 2009)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주제들이 면접 내용을 잘 반영하는지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수행 하였다(김세원·김지혜·김경희, 2019).

24
24

Ⅳ. 양적조사 결과

본 연구는 2017년과 2019년에 이은 3차 실태조사로서, 그동안의 2017년과 2020년에 이루 어진 조사에서는 아동·청소년에게 꿈은 긍정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아동·청소년의 꿈에 관심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꿈을 찾도록 지원하는 것이 일생을 행복하고 만족스럽게 살아가는 토대를 마련하도록 돕는 것(이영광·김민수, 2014; 정익중·김서현·임혜림, 2015)인 만큼 꿈에 대한 실태를 꾸준히 확인하여 미래세대가 꿈을 찾고 실현할 수 있는 사회

조성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이번 3차 조사에서는 이전 1차와 2차 조사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이전 조사에서 확인하지 않았던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의 중복 경험,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온 코로나19에 따른 실태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빈곤한 가정환경,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혹은 이 두 가지를 함께 겪는 경험, 그리고

코로나19 경험이 미래세대의 발달과 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미래세대의 꿈을 위해 사회에서 지원해야 할 방안이 무엇인지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질문 1. 아이들은 ‘지금’ 꿈꾸고 있을까?

질문 2.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

질문 3.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질문 4.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질문 5. 빈곤과 ACE를 함께 겪은 아이들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질문 6.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1. 아이들은 ‘지금’ 꿈꾸고 있을까?

본 장에서는 ‘지금’ 우리의 미래세대가 미래와 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꿈, 진로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 시기에 발달하며 이러한 관심은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계속된다(김명희·신현숙, 2007). 또한, 진로성숙과 준비 활동 등은 성 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김혜래·이혜원, 2006; 장현진, 2019). 따라서 구체적으로 꿈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이들의 꿈에 영향을 미친 영향요인과 인물은 누구인지, 미래를 어떻게 인식

하고 있는지 등을 발달적 측면에서 성별, 교급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

고자 한다.

25
25

1) 미래세대의 꿈과 발달특성 분석

(1) 미래세대의 꿈

① 한국 미래세대의 꿈 유무 ‘꿈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표 15). 교급에서 는 고등학교(74.8%)가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 학교(58.6%), 청년(54.4%), 초등학교(48.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년의 경우 ‘꿈이 없다’ 고 응답한 비율이 6.7%로 다른 교급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기는

교육에서 일의 세계로 본격적인 이행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로미·박가열·정연순, 2010)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취업난에 시달리는 현실을 반영한 결

과라고 볼 수 있다.

성별 남성 564(54.3)399(38.4)75(7.2) 1.115

여성 532(54.7)382(39.3)59(6.1)

초등학교 243(48.5)241(48.1)17(3.4)

중학교 295(58.6)183(36.4)25(5.0)

일반고 273(72.0)90(23.7)16(4.2)

교급별

*p<.05, **p<.01, ***p<.001 <표 15>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꿈 유무 (단위: 명(%))

고등학 교

특성화고 62(77.5)18(22.5)0(0.0)

기타고 44(91.7)4(8.3)0(0.0)

소계 379(74.8)112(22.1)16(3.2)

청년 179(54.4)781(38.8)134(6.7)

219.466*** (211.151** *)

꿈이 없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표 16>과 같이 성별로는 남성은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본 적이 없어서’ 24.7%,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서’ 11.6%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본 적이 없어서’ 응답이 16.9%,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 응답이 14.3%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모든 교급에서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본 적이 없다’는 응 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만 청년들의 경우 다른 교급에 비해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와 ‘꿈을 가져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이 높게

26
구분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꿈이
꿈이 없다 
나타났다.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26

구분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서

나를

이끌어줄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

꿈을 가져야 할 필요를 못 느껴서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본 적이 없어서

기타

성별 남성 52(11.0)55(11.6)38(8.0)13(2.7)117(24.7)199(42.0)

교급별

여성 68(14.3)57(12.0)35(7.4)11(2.3)80(16.9)190(40.1)

초등학교 34(13.2)51(19.8)21(8.1)2(0.8)58(22.5)92(35.7)

중학교 21(10.1)29(13.9)24(11.5)3(1.4)52(25.0)79(38.0)

고등학교 14(10.9)19(14.8)16(12.5)2(1.6)27(21.1)50(39.1)

청년 51(15.9)13(4.0)12(3.7)17(5.3)60(18.7)168(52.3) <표 16> 꿈이 없는 이유 (단위: 명(%))

② 꿈 자기결정 여부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표 17>과 같이 성별과 교급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교급별로 살펴보면, 고등학생이 다른 교급에 비해 꿈을 스 스로 결정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7>

꿈 자기결정 여부

성별

교급별

고등

학교

(단위: 명(%))

구분 예 아니오 

남성 865(83.3)173(16.7) 0.582

여성 823(84.6)150(15.4)

중학교 421(83.7)82(16.3)

초등학교 415(82.8)86(17.2) 5.880 (5.818)

일반고 331(87.30)48(12.7)

특성화고 69(86.3)11(13.8)

기타고 42(87.5)6(12.5)

소계 442(87.2)65(12.8)

청년 410(82.0)90(18.0)

*p<.05, **p<.01, ***p<.001

③ 꿈 실현가능성 꿈 실현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표 18>과 같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교급별로 보면, ‘그렇다’라는 응답이 ‘매우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응 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75.4%)와 고등학교(75.7%)가 비슷하게 높은 응답률을 보였 으며, 중학교는 71.6%로 나타났다. 청년은 48.1%로 가장 작은 응답을 보였다.

27
27
<표 18> 꿈 실현가능성 여부

구분 매우 아니다

(단위: 명(%))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성별 남성 28(2.7)149(14.4)691(66.6)170(16.4) 2.166

여성 20(2.1)125(12.9)671(69.0)156(16.0)

초등학교 3(0.6)56(11.2)378(75.4)64(12.8)

중학교 3(0.6)65(12.9)360(71.6)75(14.9)

교급별

고등 학교 일반고 2(0.5)32(8.4)291(76.8)54(14.2) 특성화고 0(0.0)7(8.8)61(76.3)12(15.0) 기타고 0(0.0)6(12.5)32(66.7)10(20.8)

소계 2(0.4)45(8.9)384(75.7)76(15.0) 청년 40(8.0)108(21.6)240(48.1)111(22.2)

*p<.05, **p<.01, ***p<.001

179.347*** (176.934***)

④ 꿈 변화정도

꿈이 자주 변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표 19>와 같이 ‘변한다(자주 변했다 + 가끔 변했다)’라 는 응답을 살펴보면, 먼저 성별로는 여성(63.7%)이 남성(59.1%)보다 꿈이 변한다는 응답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교급별로는 초등학교 (65.3%)의 응답이 가장 높았고, 중학교(62.0%), 청년(60.6%), 고등학교(57.3%) 순으로 나타났 다.

<표 19> 꿈 변화정도 (단위: 명(%))

변하지 않았다

전혀 변하지 않았다 

성별 남성 120(11.6)493(47.5)386(37.2)39(3.8) 4.691

여성 127(13.1)492(50.6)324(33.3)30(3.1)

초등학교 73(14.6)254(50.7)159(31.7)15(3.0)

교급별

특성화고 6(7.5)43(53.8)31(38.8)0(0.0)

92.828*** (89.898***) 중학교 45(8.9)267(53.1)183(36.4)8(1.6) 고등 학교 일반고 30(7.9)187(49.3)158(41.7)4(1.1)

기타고 2(4.2)22(45.8)22(45.8)2(4.2)

소계 38(7.5)252(49.7)211(41.6)6(1.2) 청년 91(18.2)212(42.4)157(31.4)40(8.0)

*p<.05, **p<.01, ***p<.001

28
자주 변했다 가끔 변했다
구분
거의
28

⑤ 꿈에 대한 소통정도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지 묻는 질문에 <표 20>과 같이 ‘그렇다(매 우 그렇다+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58.7%, 중학교 60.1%, 고등학교 65.5%, 청년 49.6%로, 고등학 교가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학교, 초등학교, 청

년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입시로 진로에 대한 소통의 기회가 다른 교급보다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표

20> 꿈에 대한 소통정도

명(%))

성별 남성 34(3.3)423(40.8)515(49.6)66(6.4) 7.480 여성 38(3.9)340(34.9)523(53.8)72(7.4)

교급별

중학교 15(3.0)186(37.0)276(54.9)26(5.2) 고등 학교 일반고 5(1.3)130(34.3)216(57.0)28(7.4) 특성화고 0(0.0)29(36.3)46(57.5)5(6.3) 기타고 0(0.0)11(22.9)35(72.9)2(4.2) 소계 5(1.0)170(33.5)297(58.6)35(6.9) 청년 46(9.2)206(41.2)197(39.4)51(10.2) *p<.05, **p<.01, ***p<.001

⑥ 꿈 실현정도

초등학교 6(1.2)201(40.1)268(53.5)26(5.2) 104.609*** (99.685***)

꿈에 따라 살고 있는지 묻는 질문(매우 그렇다+그렇다 응답)에 <표 21>과 같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60.7%, 중학교 67.2%, 고등 학교 77.7%, 청년 57.4%로, 고등학교가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높고 중학교, 초등학교, 청년 의 순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 꿈 실현정도

(단위: 명(%))

남성 34(3.3)330(31.8)618(59.5)56(5.4) 1.360

29(3.0)295(30.3)587(60.3)62(6.4)

7(1.4)190(37.9)285(56.9)19(3.8) 138.604*** (132.062***) 중학교 9(1.8)156(31.0)318(63.2)20(4.0)

일반고 2(0.5)91(24.0)262(69.1)24(6.3)

0(0.0)15(18.8)58(72.5)7(8.8)

0(0.0)5(10.4)37(77.1)6(12.5) 소계 2(0.4)111(21.9)357(70.4)37(7.3)

45(9.0)168(33.6)245(49.0)42(8.4) *p<.05, **p<.01, ***p<.001

29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성별
교급별 초등학교
고등 학교
특성화고
(단위: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여성
기타고
청년
29

⑦ 꿈 영향요인

꿈을 꾸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요인을 묻는 질문에 성별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흥

미’라는 응답이 1순위로 높게 나타났다. 2순위로 남성은 ‘돈/경제력’을, 3순위로 ‘특별한 계기 가 없다’를 선택했으며, 여성은 2순위로 대중매체를, 3순위로 특별한 계기가 없다로 응답하였 다. 교급별로 보면, ‘흥미’와 ‘특별한 계기가 없다’가 모든 집단에서 한국 미래세대의 꿈에 미

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초등학교, 중학교는 ‘대중매체’, 고등 학생은 ‘진로검사/진로체험’, 청년은 ‘돈/경제력’에 영향을 받는다고 선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통해, ‘흥미’가 모든 교급의 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 며,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고등학생과 청년은 ‘진로검 사/진로체험’과 ‘돈/경제력’ 등 초·중·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부분을 꿈의 영향요인으 로 고려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부분으로 꿈이 좌절되지 않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표 22).

<표 22> 꿈 영향요인 순위표

순위 성별 교급별 남성여성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청년

1 흥미흥미흥미흥미흥미흥미

2 돈/경제력대중매체대중매체대중매체없다돈/경제력

3 없다없다없다없다 진로검사 /진로체험 없다

4 대중매체돈/경제력롤모델돈/경제력돈/경제력 진로검사 /진로체험

5 진로검사 /진로체험 진로검사 /진로체험 돈/경제력롤모델대중매체성적

6 성적롤모델책

진로검사 /진로체험

성적대중매체

7 책성적성적성적롤모델롤모델

8 봉사활동책봉사활동책 책 책

9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친구/친구와 의 상호작용

10 학교, 비전

봉사활동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친구/친구와 의 상호작용

봉사활동봉사활동봉사활동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경험/취미학교,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친구/친구와 의 상호작용 여행,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친구/친구와 의 상호작용 경험/취미, 부모/부모와의 상호작용

11가족, 여행, 친구/친구와의 상호작용

비전, 가족, 친구/친구와 의 상호작용

30
30

⑧ 꿈 영향인물

꿈을 꾸는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인지 묻는 질문에, 성별로는 1순위부터 5순

위까지 ‘없다, 부모, 연예인, 친구/선배, 교사’로 순서에는 차이가 있으나 동일하게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부모’와 ‘없다’가 모든 집단에서 한국 미래세대의 꿈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계층에서 ‘없다’가 높은 순위에 있다는 점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꿈과 진로를 의논할

수 있는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s)’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상황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등학교와 청년의 결과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부모, 교사, 친구/선배’와 같이 주 변에서 실제로 자주 접하는 인물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이다. 이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주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물들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표 23).

<표 23> 꿈 영향인물 순위표

순위 성별 교급별 남성여성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청년

1 없다부모부모없다부모없다

2 부모없다 연예인/방송인 부모없다부모

3 연예인/방송인연예인/방송인 없다

4 친구/선배교사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연예인/방송인 친구/선배교사

친구/선배교사친구/선배

5 교사친구/선배교사교사 연예인/방송인연예인/방송인

6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친척친구/선배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친척, 형제/자매 형제/자매

7 친척형제/자매친척친척 위인, 사회복지사 /상담사 위인

8 위인위인형제/자매형제/자매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9 형제/자매 사회복지사 /상담사 위인위인

10 사회복지사 /상담사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해당 꿈 종사자 해당 꿈 종사자

11 해당 꿈 종사자 해당 꿈 종사자 TV, 사회복지사 /상담사

스포츠선수/ 감독/코치

책,영화, 주변인, 해당 꿈 종사자 친척

사회복지사 /상담사

사회복지사 /상담사 주변인

12 주변인주변인-해당 꿈 종사자

13 멘토,작가, 기업가,영화 ,TV 책--

멘토, 작가, 기업가

31
31

⑨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 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만 ‘닮고 싶은 사람이 있다’는 응답이 ‘없다’는 응답보다 높았으 며, 교급이 높아질수록 점차 ‘닮고 싶은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4).

*p<.05, **p<.01, ***p<.001 <표 24>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단위: 빈도(%))

초등학교 282(56.3) 219(43.7)

(2) 진로 발달산물

① 진로성숙도

진로성숙도란 진로에 대한 준비 정도를 의미하며 청소년이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하 고 계획하는 데 필요한 정의적 태도 및 인지적 능력과 자신의 결정을 실행하는 정도를 의미한 다(정익중·임진영·황매향, 20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이는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 4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다.

먼저,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로 보면, 4가지 하위영역 및 진로성숙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진로성숙도 평균의 경우 고등학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경우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 역에서 고등학생이 가장 높은 진로성숙도를 나타냈으며, ‘독립성’의 경우 청년이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표 25). 구분 예 아니오  성별 남성 484(46.6) 554(53.4) 0.147

<표 25> 진로성숙도

성별

(단위: M/SD)

남성 2.96(0.56)3.08(0.79)2.89(0.75)2.93(0.53)2.94(0.41) 여성 2.96(0.54)3.10(0.77)2.91(0.77)2.94(0.52)2.95(0.39) t -0.051-0.593-0.715-0.376-0.752

32
여성
462(47.5) 511(52.5) 교급별
42.776***
중학교 244(48.5) 259(51.5) 고등 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29(36.3) 51(63.7) 기타고
소계
청년
(29.128***)
150(39.6) 229(60.4)
32(66.7) 16(33.3)
211(41.6) 296(58.4)
209(41.8) 291(58.2)
구분자기이해일에
대한 태도독립성계획성전체
32

교급별

초등학교 2.97(0.48)3.07(0.71)2.81(0.72)2.83(0.52)2.89(0.38)

중학교 3.03(0.51)3.13(0.73)2.88(0.76)2.95(0.52)2.97(0.38)

고등학교 3.08(0.46)3.15(0.79)2.87(0.77)3.05(0.45)3.01(0.38)

청년 2.73(0.65)2.99(0.88)3.04(0.77)2.90(0.58)2.92(0.46)

F 42.303*** (고>초>청, 중>청)

*p<.05, **p<.01, ***p<.0011

② 진로준비행동

4.464** (고>중>청)

8.609*** (청>중>고) 13.993*** (고>중>초, 청)

8.631*** (고>중>초, 고>청)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 직업적 목표와 계획의 명확성, 그리고 자신감을 포함하는 것으로 (Bardick, Bernes, Magnusson, & Witko, 2004; Hargrove, Creagh, & Burgess, 2002; Skorikov, 2007) 인지나 정서 차원이 아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위의 차원을 의미하는데, 이는 개인이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결정된 진로목표 달성을 위 해 구체적으로 얼마나 충실하게 행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차아름·이희경, 2014). 이는 ‘진로탐색행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 4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다.

먼저 성별로는 4가지 하위영역 및 진로준비행동(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성별에 따른 유의미 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급별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진로준비행동 평균의 경우 고등학교, 청년, 중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대체로 진로준비행동 평균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진로탐색 활동’의 경우 청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6).

<표 26> 진로준비행동 (단위: M/SD)

구분진로탐색활동정보수집활동직업체험활동취업준비활동전체

남성 2.45(0.78)2.75(0.78)2.61(0.80)2.67(0.74)2.62(0.60)

성별

교급별

여성 2.44(0.77)2.76(0.77)2.61(0.81)2.66(0.76)2.61(0.62) t 0.282-0.233-0.0240.3820.125

초등학교 2.26(0.75)2.50(0.76)2.31(0.80)2.46(0.74)2.38(0.60)

중학교 2.35(0.76)2.71(0.76)2.50(0.76)2.59(0.77)2.53(0.60)

고등학교 2.56(0.70)3.01(0.70)2.82(0.75)2.85(0.68)2.80(0.54)

청년 2.63(0.81)2.80(0.77)2.82(0.79)2.76(0.74)2.75(0.60) F 26.040*** (초<중<고< 청)

*p<.05, **p<.01, ***p<.001

39.400*** (초<중, 청<고)

51.424*** (초, 중, 고<청)

28.001*** (초<중<고. 초<청<중)

56.600*** (초<중<고, 중<청<고)

33
33

③ 진로장벽

진로장벽은 진로목표의 성취를 방해하는 요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자신감 부족, 낮은

동기 등과 같은 개인 내적 요인과 교육기회의 부족, 가난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진로장벽 에 포함된다(Crites, 1969).

진로준비과정에 어려움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교급별로 보면, 진로장벽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교급은 고등학교(2.14)이며, 가장 높게 인

식하는 집단은 청년(2.41)으로 파악되었다(표 27).

구분 M(SD) F/t

성별

교급별 초등학교 2.30(0.57) 16.577*** (초,청>중>고) 중학교 2.27(0.60) 고등학교 2.14(0.62) 청년 2.41(0.62)

*p<.05, **p<.01, ***p<.001

④ 노력 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로 ‘높다(약간 높다 + 매우 높다)’라고 응답한 비율을 보면, 초등학교 84.5%, 중학교 81.1%, 고등학교 73.4%, 청년 55.2%로 교급이 올라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으며,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약간 낮다’는 응답은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경제적인 이동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꿈

과 진로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표 28).

<표 28> 노력 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단위: 명(%))

구분 매우 낮다약간 낮다약간 높다매우 높다 

성별 남성 25(2.4)266(25.6)634(61.1)113(10.9) 6.082 여성 21(2.2)220(22.6)645(66.3)87(8.9) 교급별 초등학교 0(0.0)78(15.6)364(72.7)59(11.8)

중학교 3(0.6)92(18.3)345(68.6)63(12.5)

1(0.3)92(24.3)254(67.0)32(8.4)

2(2.5)38(47.5)35(43.8)5(6.3) 기타고 0(0.0)2(4.2)32(66.7)14(9.2)

소계 3(0.6)132(26.0)321(63.3)51(10.1) 청년 40(8.0)184(36.8)249(49.8)27(5.4) *p<.05, **p<.01, ***p<.001

190.571*** (242.833***)

34
여성
남성 2.27(0.61) -0.778
2.30(0.61)
<표 27> 진로장벽
고등학 교
일반고
특성화고
34

(2) 긍정적 발달산물

① 행복지수

행복이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것으로 개인이 원하는 것을 얻으며 그 얻은 것에 대해 만족 하여 기쁨을 느끼는 상태로, 행복감,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삶의 질 등 의 용어로도 표현된다. 특히, 어린 시절 행복했던 경험은 남은 생애주기에 긍정적인 힘을 제 공하는 원천이 되며, 일상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임채영 외, 2016; Vitrano, 2006). 행복지수는 인간으로서 가지고 누려야 할 기본 권리로서 삶의 질 (well-being)을 이야기하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의미가 있다.

성별 및 교급별 행복지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행복지수는 초등학생 3.29점, 중학생 3.24점, 고등학생 3.17점, 청년 2.81점으로 교급이 높아질수록 행복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낸다(표 29).

구분 M(SD) F/t

성별 남성 3.13(0.51) 0.075 여성 3.13(0.53)

교급별

초등학교 3.29(0.39)

중학교 3.24(0.40)

고등학교 3.17(0.43)

청년 2.81(0.66)

*p<.05, **p<.01, ***p<.001

② 희망지수

100.674*** (초, 중>고>청)

희망은 인간 행동의 필수조건으로 무언가를 얻거나 좋은 결과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희망 이론에서는 희망을 목표지향적 에너지인 주도사고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계획인 경로사고 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긍정적인 동기부여 상태로 간주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Snyder 등 (1991)은 희망을 크게 특성희망과 상태희망으로 분류하였다. 특성희망(trait hope)은 개인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잠재적인 특성 또는 성향을 말하며, 상태희망(state hope)은 정서적·즉각 적인 상태를 말한다(윤서영, 2019). 꿈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0>과 같다.

성별 및 교급별 희망지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희망지수는 초등학생 2.93점, 중학생 3.00점, 고등학생 3.08점, 청년 2.84점으로 청년을 제외하고 교급이 높을수록 더 희망지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35
35
<표 29> 성별 및 교급별 행복지수

구분

성별

교급별

<표 30> 성별 및 교급별 희망지수 (단위: M/SD)

남성 2.98(0.53)2.96(0.55)2.97(0.48)

여성 2.96(0.56)2.96(0.56)2.96(0.51) t 0.836 -0.050 0.433

초등학교 2.96(0.52)2.90(0.56)2.93(0.48)

중학교 3.01(0.51)2.98(0.51)3.00(0.45)

고등학교 3.08(0.45)3.08(0.48)3.08(0.40)

22.319*** (초<중<고, 중<고<청)

청년 2.82(0.66)2.86(0.63)2.84(0.60) F(Scheffe) 21.638*** (초<고<청, 중<청) 16.002*** (초<고, 중<고<청)

*p<.05, **p<.01, ***p<.001

③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와 관련되는 것으로 자기존경의 정도

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Rosenberg, 1965), 자신의 능력이 나 중요성, 성공 여부 등 자신의 태도에서 보이는 개인적 평가 또는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Coopersmith, 1967). 이는 미래세대의 발달지표이자 많은 사업의 성과지표로서 중요하게 다

루어진다.

성별 및 교급별 자아존중감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 자아존중감은 초등학생 3.08점, 중학생 3.10점, 고등학생 3.09점, 청년 2.73점으로 청

년이 특히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1).

<표 31> 성별 및 교급별 자아존중감

구분 M(SD) F/t

남성

성별

교급별

3.01(0.48) 0.974

여성 2.99(0.51)

초등학교 3.08(0.41)

중학교 3.10(0.42)

고등학교 3.09(0.42)

청년 2.73(0.61)

*p<.05, **p<.01, ***p<.001

70.084*** (초, 중, 고>청)

④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이란 위기나 역경의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그 상황을 성공적으로 잘 극복하거 나 다시 그 이전의 상황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스스로 돕는 자아심리의 개념이다(윤애란, 2018). 이는 외부의 환경 변화나 압력에 대해 얼마나 잘 대처하며 극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 는 지표이다. 하위영역으로는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으로 구분된다. ‘자기조

36
상태희망 전체
특성희망
36

절능력’이란 원인분석능력, 감정통제력, 충동억제력을 포함하며, ‘긍정성’은 감사하기, 생활만

족도, 낙관성을 의미한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은 관계성, 커뮤니케이션, 공감능력을 포함한다.

성별 및 교급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2>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회복탄력성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회복탄력성은 초등학생 2.92점, 중학생 2.99점, 고등학생 3.01점, 청년 2.92점으로 청년

이 특히 회복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2> 성별

구분 자기조절능력긍정성대인관계능력전체

성별 남성 3.05(0.51)3.04(0.65)2.88(0.51)2.96(0.42) 여성 3.03(0.51)2.98(0.67)2.92(0.49)2.97(0.42) t 0.3581.944-1.788-0.414

3.07(0.52)3.10(0.61)2.90(0.49)2.99(0.41)

3.13(0.45)3.01(0.61)2.93(0.47)3.01(0.37)

교급별 초등학교 2.97(0.52)3.11(0.59)2.84(0.49)2.92(0.41)

3.01(0.53)2.80(0.77)2.92(0.54)2.92(0.46) F(Scheffe) 10.155*** (초<중<고, 초<청<고) 26.242* (초>고>청, 중>청) 3.497* (초<고) 5.520** (초<고 고>청)

*p<.05, **p<.01, ***p<.001

⑤ 성취동기

성취동기란 스스로 높은 기준에 의해 무엇인가를 행하는 것, 성취결과나 외적보상과 관계없 이 어려운 과업 그 자체를 해결하려는 성향을 뜻한다(정원식, 2001).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대한 스스로의 평 가라 할 수 있다. 성별 및 교급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3>과

같다.

성별 및 교급별 성취동기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성취동기는 초등학생 3.10점, 중학생 3.10점, 고등학생 3.16점, 청년 2.91점으로 청년이 특히 성취동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3> 성별 및 교급별 성취동기

(단위: M/SD) 구분 M(SD) F/t

*p<.05, **p<.01, ***p<.001

3.10(0.46)

2.91(0.60)

(초, 중, 고>청)

37
중학교
고등학교
청년
회복탄력성
성별 남성
여성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청년
교급별
3.06(0.48) -0.908
3.08(0.52) 교급별
24.327***
3.10(0.48)
3.16(0.42)
37

⑥ 자기표현

자기표현이란 자신의 욕구와 바람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타인에게 효

과적으로 전달하는 주도적인 행동(Adams, 1989) 또는 자기를 내세우면서 상대방의 인격과

권리를 동시에 존중하는 의미, 상대방의 인권을 침해하거나 불쾌감을 주지 않고 자신의 권리, 의견, 느낌, 욕구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행동을 뜻한다(홍경자, 1988). 성별 및 교급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4>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자기표현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자기표현은 초등학생 3.09점, 중학생 3.13점, 고등학생 3.14점, 청년 2.70점으로 청년이 특히 자기표현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4> 성별 및 교급별 자기표현

구분 M(SD) F/t 성별

교급별 초등학교 3.09(0.46)

중학교 3.13(0.46)

고등학교 3.14(0.47)

*p<.05, **p<.01, ***p<.001

⑦ 성공경험

83.834*** (초, 중, 고>청)

성공경험이란 성공은 ‘뜻하던 바나 목적하는 바를 이루는 것’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으며, 경험은 사물이나 사실을 실제로 보고 듣고 겪으면서 얻은 기능이나 지식을 의미한다. 성공경 험은 여러 가지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자기 성취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동기의 형성에도 영향 을 줄 뿐만 아니라 아동들의 지적, 정서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영미, 2008). 교급

에 따른 성공경험을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5>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성공경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

별 자기표현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은 3.32점, 청년은 3.22점으로 청년이 특히 성공경 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5> 성별 및 교급별 성공경험

구분 M(SD) F/t

성별

3.28(0.46) -1.474

3.31(0.46)

교급별 초등학교 3.32(0.39) 6.003*** (초, 중, 고>청) 중학교 3.32(0.41) 고등학교 3.32(0.37) 청년 3.22(0.62)

*p<.05, **p<.01, ***p<.001

38
남성
여성
3.03(0.53) 0.862
3.00(0.57)
청년 2.70(0.66)
여성
남성
38

⑧ 자기관리

자기관리란 ‘자신의 건강, 체력, 이미지 따위를 가꾸고 살피는 일’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 다. 본 연구의 자기관리는 노효선(2004)의 사회성숙도 척도 중 자기관리능력 척도를 사용하였 는데, 건강한 사회적 성숙은 아동·청소년을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시키는 중요한 변인이다.

성별 및 교급별 자기관리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

급별 자기관리는 초등학생 3.08점, 중학생 3.15점, 고등학생 3.17점, 청년 3.12점으로, 청년을

제외하고 교급이 높아질수록 자기관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6).

<표 36> 성별 및 교급별 자기관리

구분 M(SD) F/t

성별 남성 3.11(0.47) -1.548 여성 3.14(0.45)

3.15(0.43)

3.08(0.43) 3.804* (초<고)

3.17(0.44) 청년 3.12(0.53)

*p<.05, **p<.01, ***p<.001

⑨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상태를 묻는 질문에 ‘좋다(매우좋다+좋다)’는 응답을 살펴보면 <표 37>과 같다. 성별로

는 남성의 94.8%, 여성의 93.2%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주관적 건강상 태를 좋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좋다’는 응답은 초등학교 99.6%, 중학교 99.5%, 고등학교 98.6%, 청년 78.4%로 교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나쁘다, 매우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37> 성별 및 교급별 주관적 건강상태

(단위: 빈도(%))

구분 매우 나쁘다 나쁘다좋다매우 좋다 

성별 남성 4(0.4)50(4.8)446(43.0)538(51.8) 15.127**

교급별

여성 7(0.7)59(6.1)485(49.8)422(43.4)

초등학교 0(0.0)2(0.4)193(38.5)306(61.1) 463.737***

중학교 0(0.0)3(0.6)208(41.4)292(58.1)

고등학교 1(0.2)6(1.2)214(42.2)286(56.4)

청년 10(2.0)98(19.6)316(63.2)76(15.2)

*p<.05, **p<.01, ***p<.001

39
초등학교
교급별
중학교
고등학교
39

⑩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이란 학교생활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교육적 환경을 자신의 욕구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학교 안에서 학교 환경의 요구와 개인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 있고 조화로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과 환경의 요구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과정(곽수란, 2006; 이경상, 2011; Danielsen, Samdal, Hetland, & Wold, 2009; 안권순 외, 2019)으로 아동·청 소년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하위영역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4가지로 구

성된다. 학교생활적응은 미래세대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영향을 받는 학교에서의 적응에 대한 의미가 있으므로 중요하다. 성별 및 교급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38>과 같다.

성별 및 교급별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남성은 3.18점, 여 성 3.25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학교생활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 학교생활적 응은 초등학생 3.24점, 중학생 3.19점, 고등학생 3.20점으로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학교생활

적응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⑪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성별

교급별

*p<.05, **p<.01, ***p<.001 <표 38> 성별 및 교급별 학교생활적응 (단위: M/SD)

구분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교사관계전체

남성 3.10(0.56)3.20(0.50)3.25(0.43)3.16(0.52)3.18(0.37)

여성 3.19(0.53)3.29(0.47)3.30(0.41)3.21(0.48)3.25(0.35) t -3.433***-3.519***-1.938-2.003*-3.752***

초등학교 3.15(0.52)3.28(0.44)3.30(0.41)3.25(0.48)3.24(0.34)

중학교 3.13(0.56)3.20(0.51)3.27(0.41)3.14(0.51)3.19(0.37)

고등학교 3.15(0.56)3.24(0.50)3.25(0.44)3.16(0.50)3.20(0.37)

6.327** (초>중, 초>고) 3.487* (초>중)

본인의 학업성적을 묻는 질문에 대해 성별 및 교급별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 른 학업성적은 남성은 6.80점, 여성 6.98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학업성적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교급별 학업성적은 초등학생 6.99점, 중학생 7.00점, 고등학생 7.22점, 청년 6.34점으 로 고등학생이 학업성적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9).

40
F(Scheffe) 0.215 3.117*
2.051
(초>중)
40

<표 39> 성별 및 교급별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단위: 빈도(%))

구분 M(SD) F/t

남성

성별

교급별

6.80(1.55) -2.624**

여성 6.98(1.55)

초등학교 6.99(1.29)

중학교

7.00(1.34)

고등학교 7.22(1.36)

청년 6.34(1.97)

*p<.05, **p<.01, ***p<.001

(3) 부정적 발달산물

문제행동

31.750***

(초<고, 청<중<고)

문제행동이란 사회적 부적응으로 일어나는 비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으로 일정한 기준 에서 이탈된 행동으로 보고, 법이나 규칙, 도덕적 규범 등 질서를 지키지 못하거나, 남에게 크 게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혼자 공상하고, 불안해하거나 등교 거부 등의 행동을 해서 학교나 가정에서 부모나 교사의 마음을 괴롭히는 행동이다(윤효정, 2014).

내재화 문제행동은 자신의 내적 갈등이나 심리적 문제, 소극적이고 사회적으로 위축된 행 동, 신체화 증상 등 내재화되고 과잉 통제된 문제들로 불안, 우울, 신체증상 등이 해당되며, 외현화 문제행동은 감정이나 행동의 적절한 억제가 결여되어 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공격적

인 행동, 비행 등 외적으로 드러난 과소 통제된 행동들이 포함된다(신현숙 외, 2004). 위축은

청소년들이 또래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지내는 경우를 뜻한다(한미현·유안진, 1995).

아동행동평가척도(CBCL)에서는 비활동적이며, 말이 적고, 남들과 어울리지 않으려고 하는 특

성을 위축으로 정의하고 있다(오경자 외, 1998). 성별 및 교급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

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40>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 정도는 남성은 1.98점, 여 성 1.34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문제행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 문제행동은 초등학 생 1.17점, 중학생 1.20점, 고등학생 1.20점, 청년 1.70점으로 교급이 올라갈수록 문제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41

구분

성별

교급별

<표

40> 성별 및 교급별 문제행동 (단위: M/SD)

내재화외현화 위축 전체

남성 1.35(0.42)1.20(0.37)1.20(0.46)1.98(0.36)

여성 1.42(0.48)1.25(0.40)1.22(0.48)1.34(0.41) t -3.470**-2.775**-0.884-3.292***

초등학교 1.20(0.28)1.15(0.31)1.10(0.31)1.17(0.25)

중학교 1.24(0.30)1.15(0.30)1.10(0.32)1.20(0.25)

고등학교 1.25(0.29)1.15(0.33)1.08(0.28)1.20(0.25)

청년 1.86(0.52)1.44(0.48)1.57(0.67)1.70(0.45) F

387.641*** (초<고<청, 중<고<청)

*p<.05, **p<.01, ***p<.001

② 자살생각

84.971*** (초, 중, 고<청)

159.998*** (초, 중, 고<청)

341.986*** (초, 중, 고<청)

지난 1년 동안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로 ‘그렇다(그렇다 +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을 보면, 초등학교 1.4%, 중학교 1.6%, 고등학교 2.0%, 청년 4.6%로 교급이 올라갈수록 자살생각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경 우가 없었는데, 청년의 경우 20명(1.0%)이 응답하였다. 이는 교급이 높아질수록 자살을 생각 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하며, 청년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된다(표 41).

<표 41> 성별 및 교급별 자살생각

(단위: 명(%))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성별 남성 784(75.5)215(20.7)32(3.1)7(0.7) 3.858

여성 724(74.4)196(20.1)40(4.1)13(1.3)

초등학교 418(83.4)76(15.2)7(1.4)0(0.0)

중학교 396(78.7)99(19.7)8(1.6)0(0.0)

일반고 290(76.5)81(21.4)8(2.1)0(0.0)

교급별

고등

학교

특성화고 63(78.8)15(18.8)2(2.5)0(0.0)

기타고 36(75.0)12(25.0)0(0.0)0(0.0)

소계 389(76.7)108(21.3)10(2.0)0(0.0)

청년 305(61.0)128(25.6)72(3.6)20(1.0)

*p<.05, **p<.01, ***p<.001

156.234***

42
42

③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

지난 1년 동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인터넷) 상에서 피해나 가해 경험이 있었는지 묻는 질

문에 성별 및 교급별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보면 <표 42>와 같다.

성별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은 피해, 가해경험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

고, 가해경험이 피해경험보다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급별 온라인상의 폭력은 청년이

피해/가해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피해경험이 가해경험보다

많았으며, 고등학교와 청년의 경우 가해경험이 더 많았다.

<표 42> 성별 및 교급별 온라인상의 폭력 (단위: M/SD)

F(Scheffe) 57.792*** (초, 중, 고<청)

*p<.05, **p<.01, ***p<.001

(4)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36.044*** (초, 중, 고<청)

부모와의 관계는 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중요한 요인이다. 교급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43>과 같다. 성별 및 교급별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 부모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초등학생 3.24점, 중학생 3.21점, 고등학생 3.18점, 청년 2.83점으로 교급이 낮아질수록 부모와의 관계 가 좋은 것을 의미한다.

<표 43> 성별 및 교급별 부모와의 관계

구분 M(SD) F/t 성별

*p<.05, **p<.01, ***p<.001

중, 고>청)

43
남성
0.333 여성
중학교
고등학교 3.18(0.43) 청년 2.83(0.71)
3.12(0.50)
3.11(0.54) 교급별 초등학교 3.24(0.37) 73.953*** (초,
3.21(0.39)
구분
가해 성별 남성
1.19(1.85) 여성 0.47(1.08) 0.80(1.64)
피해
0.68(1.37)
t 2.276* 1.798
중학교
고등학교
청년
교급별 초등학교 0.19(0.43) 0.08(0.35)
0.23(0.43) 0.18(0.39)
0.17(0.49) 0.21(0.41)
1.40(1.85) 2.06(2.18)
43

② 부모양육태도

부모양육태도 또한 부모와의 관계와 같이 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중요한 요인이다. 부

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은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 4가지로 나누어지며, 교급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44>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부모양육태도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 부모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문형과 무시형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전문형과 무시형

모두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청년보다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만 이는 청년기에는 부모에서 벗어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성별

교급별

구분 전문형권위형허용형무시형

남성 2.98(0.53)2.10(0.62)2.68(0.50)1.67(0.62)

여성 2.97(0.56)2.04(0.62)2.67(0.52)1.65(0.62) t 0.1932.0370.2880.854

초등학교 3.04(0.46)2.10(0.56)2.66(0.46)1.59(0.55) 중학교 3.04(0.50)2.10(0.60)2.67(0.49)1.59(0.57) 고등학교 3.01(0.47)2.07(0.57)2.69(0.48)1.60(0.57) 청년 2.80(0.68)2.02(0.72)2.67(0.62)1.85(0.73)

F(Scheffe) 24.600*** (초, 중, 고 >청) 1.7510.399 22.333*** (초, 중, 고 <청)

*p<.05, **p<.01, ***p<.001

③ 공동체성(나눔)

공동체성(나눔)은 아동이 속하고 있는 사회의 구성원들 간에 소속감과 친밀감 및 동질감 같 은 심리적 상태를 일컫는 것으로 아동은 공동체 내에서 자아정체성이 더욱 형성되고 발달되기 때문에 중요하다(한대동, 오경희, 2013; 정수정, 김소은, 정익중, 2018). 성별 및 교급에 따른 공동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표 45>과 같다.

성별 및 교급별 공동체성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공동체성은 남성은 3.14점, 여성 3.20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공동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 공동체성은 초등학생 3.23점, 중학생 3.20점, 고등학생 3.19점, 청년 3.06점으로 청년이 특히 공동체성 정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44
<표 44> 성별 및 교급별 부모양육태도
44
(단위: M/SD)

<표 45> 성별 및 교급별 공동체성 (단위: 빈도(%))

구분 M(SD) F/t

남성

성별

교급별

3.14(0.45) -2.724**

여성 3.20(0.43)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3.20(0.39)

3.19(0.40)

3.23(0.39) 15.346*** (초, 중, 고>청)

청년 3.06(0.54)

*p<.05, **p<.01, ***p<.001

④ 사회적 능력

사회적 능력은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소속된 사회에서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면서 필 요한 사회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박금옥, 1988). 성별 및 교급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교급별 사회적 능력은 초등학생 3.02점, 중학생 2.99점, 고등학생 2.98점, 청년 2.69점으 로 청년이 특히 사회적 능력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6).

<표 46>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 능력 (단위: M/SD)

구분 사교성대인적응성사회참여도주도성전체

남성 2.80(0.63)3.07(0.63)3.03(0.56)2.88(0.70)2.94(0.48)

성별

교급별

여성 2.77(0.66)3.10(0.64)2.99(0.57)2.86(0.71)2.91(0.51) t 1.285-1.0041.3720.8411.233

초등학교 2.88(0.59)3.09(0.59)3.16(0.44)2.96(0.65)3.02(0.42)

중학교 2.84(0.59)3.13(0.62)3.11(0.48)2.94(0.64)2.99(0.44)

고등학교 2.84(0.60)3.07(0.62)3.10(0.46)2.96(0.60)2.98(0.42)

청년 2.58(0.73)3.04(0.70)2.68(0.71)2.61(0.83)2.69(0.61)

F(Scheffe) 24.986** (초, 중, 고 >청)

*p<.05, **p<.01, ***p<.001

1.763

88.545*** (초, 중, 고 >청)

31.207*** (초, 중, 고 >청)

52.328*** (초, 중, 고 >청)

45
45

⑤ 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는 학교 교사나 친구 등 가족 외 타인으로부터도 꿈을 꾸는 데 얼마나 도움이나

격려를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성별 및 교급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 사회적지지는 초등학생 3.08점, 중학생 3.07점, 고등학생 3.11점, 청년 2.87점으로 청

년이 특히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7).

<표 47> 성별 및 교급별 사회적지지

(단위: 빈도(%))

구분 M(SD) F/t 성별

3.03(0.49) -0.551

3.04(0.50)

교급별 초등학교 3.08(0.37)

*p<.05, **p<.01, ***p<.001

⑥ 사회 불평등 인식

3.07(0.45)

3.11(0.44)

2.87(0.64)

25.385*** (초, 중, 고>청)

사회 불평등 인식이란 평등원리와 실제적 불평등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된 주관적 감정에 해 당되며, 사람들이 영위해 나가는 일상적 생활에서 교육, 취업, 승진 및 승급, 소득 및 재산 등

그들이 행사할 수 있는 사회적 기회들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을 의미한다(박상수·서운석, 2012). 미래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불평등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북한이탈주민, 다문화’를 사회적으로 불평등한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교급별로 살펴본 결과 또한 성별과 마찬가지로 ‘북한이탈주민, 다문화’를 사회적으로 불평등 한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우리나라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반면 관련 정 책들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있지 못한 점과 단일 민족 국가인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지 외부 의 문화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못해서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남성보다 여성이 ‘여성의 대우’에 대한 사회 불평등 정도가 높다고 보고 있으며, 교급이 높아질수록 점차 불평등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4).

46
남성
여성
중학교
고등학교
청년
46
<표

48> 사회 불평등 인식

(단위: M/SD)

구분 교급별 F (scheffe) 성별 t 초등학 교 중학교 고등학 교 청년 남성여성

교육

기회 1.77 (0.52) 1.81 (0.55)

기회 2.03 (0.66) 2.14 (0.67) 2.16 (0.70) 2.60 (0.71) 67.747*** (초<중, 고<청) 2.11 (0.67) 2.11 (0.68) 0.005

2.13 (0.65) 2.25 (0.71) 2.32 (0.74)

2.08 (0.64) 2.24 (0.69) 2.25 (0.71) 2.79 (0.78)

재산 2.35 (0.72)

지역 간 2.43 (0.72) 2.49 (0.72) 2.65 (0.73) 2.75 (0.75)

다문화 2.57 (0.75) 2.68 (0.77) 2.76 (0.76) 2.70 (0.76)

북한이탈 주민 2.64 (0.73) 2.69 (0.78) 2.80 (0.73) 2.71 (0.73)

전체 2.24 (0.43) 2.33 (0.46) 2.40 (0.44) 2.69 (0.52)

*p<.05, **p<.01, ***p<.001

2) 소결

(초<중, 고<청)

(0.70)

(0.71) -0.219

(초<중, 고<청) 2.19 (0.69) 2.19 (0.68) 0.257

(초, 중, 고<청) 2.13 (0.68) 2.27 (0.68) -3.968***

(초, 중<고, 청) 2.50 (0.72) 2.55 (0.74) -1.508

(초<고) 2.70 (0.74) 2.73 (0.75) -0.886

(초<중, 고<청) 2.31 (0.45) 2.35 (0.44) -1.723

본 장은 '우리 미래세대는 ‘지금’ 꿈꾸고 있을까?'를 주제로 한국 미래세대의 꿈 실태를 파 악하였다. 한국 미래세대의 54.5%가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라고 응답했으며, '꿈이 없 다'라고 응답한 미래세대는 6.7%에 불과했다. 교급별로는 고등학교에서 구체적인 꿈을 갖는 비율이 높았다. 반면 청년의 경우 ‘꿈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교급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꿈이 없는 이유는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 본 적이 없어서'와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 서'의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 미래세대가 꿈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의 경우 다른 교급에 비해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와 ‘꿈을 가져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실태조사와 마찬가지 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실적인 벽에 부딪히면서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고 꿈 자체를 포기하 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초중고·청년 전체적으로 꿈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응답한

47
1.86
128.000***
취업
기회
75.323***
여성의 대우
46.312***
소득과
2.47
2.60
2.84
40.664***
2.45
(0.58) 2.40 (0.69)
(초, 중, 고<청) 1.80 (0.56) 1.82 (0.55) -0.693
승진승급
2.76 (0.72)
2.23
2.24
법의 집행
96.060***
2.15 (0.68) 2.20 (0.67) 2.23 (0.69) 2.62 (0.81)
(0.75)
(0.70)
(0.77)
(초, 중<고<청)
(0.75) 2.50 (0.71) -1.210
20.095***
5.436**
(초<고) 2.64 (0.77) 2.70 (0.76) -1.616
4.352**
87.306***
47

비율이 높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다른 교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꿈 실현가

능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그렇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년

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꿈이 자주 변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는데 초중고에서는 현

실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직업선택이 이루어지는

청년기에 고등학교보다 높은 변화율을 보였는데, 이는 현재 청년들이 취업난을 겪으면서 나타 난 결과로 유추해볼 수 있다.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지 묻는 질문에

고등학교가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학교, 초등학

교, 청년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입시로 진로에 대한 소통의 기회가 다른 교

급보다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년층을 제외하고 교급이 높아질수록 현재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점차 높아졌다. 청년층은 다른 교급과 비교해 꿈에 따라 살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꿈을 이루는 데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꿈을 꾸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흥미, 대중매체, 없다’ 3가지를 가장 많이 선 택하였으며, 꿈을 선택하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사람은 ‘부모, 없다, 연예인’이 1순위에 서 3순위까지 선택되었다. 다만, 고등학생과 청년은 ‘진로검사/진로체험’과 ‘돈/경제력’ 등 초·

중·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부분을 꿈의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부분으로 꿈이 좌절되지 않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인 불평등 요인으로 ‘북한이탈주민, 다문화’를 사회적으로 불평등한 요인으로 인식하 였다. 이는 우리나라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반면 관련 정책들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있지 못한 점과 단일 민족 국가인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지 외부의 문화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못해서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경

제적인 이동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초중고·청년의 진로성숙도를 살펴보면,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고등학 생이 가장 높은 진로성숙도를 나타냈으며, ‘독립성’의 경우 청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고등학교, 청년, 중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신감 부족, 낮은 동기 등 개인적 요인과 교육기회 부족, 가난 등 환경적 요인들이 진로준비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으며, 이와 같은 진로장벽은 청년이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꿈 유무, 진로준비정도, 개인·환경에 대한 인식 등은 청소년의 발달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산물인 행복지수와 희망지수, 자아존중감, 회 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수준은 대체 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급에서는 초중고는 비슷했으나 청년이 부정적인 발달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장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년이 초중고와 비교하여 특히 부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교육에서 일의 세계로 본격적인 이행이 이루어지는 청년기(이로미, 박 가열, 정연순, 2010)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우리나라 청년들이 취업난 에 시달리는 현실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의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진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48
48

2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

본 장에서는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라는 연구 질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 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가, 스스로 꿈을 결정했는가, 꿈이 실현 가능하다고 믿는가, 꿈의 변화정도는 어떠한가, 주위 사람들과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가. 꿈이 어느 정도 실 현되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6가지 질문을 하였으며, 꿈을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한국 미래세 대의 주요 발달지표들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1) 꿈 인식과 아동·청소년 발달과의 관계

(1) 진로 발달산물

①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미래세대가 우리사회에서 일생동안 노력을 통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꿈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9).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은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꿈이 막연한 집단은 2.87, 꿈이 없는 집단은 2.67 순으로 점차 낮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은 2.92, 그렇지 않은 집단은 2.81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꿈 실현 가능성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보면, 실현 가능성

있다고 응답한 집단(2.92)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78)에 비해 높았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2.96)이 그렇지 않은 집단(2.88)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높게 평가 하였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하는 집단(2.94)이 자주 이야기 하지 않는 집단(2.85)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 위 이동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살펴보면, 현재 꿈에 따

라 살고 있는 집단(2.94)이 그렇지 않은 집단(2.84) 보다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정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체적인 꿈이 있으며, 꿈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현 가능성이 높다 고 느낄수록, 또한 주변 사람들과 꿈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꿈이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9
49

꿈 유무별

<표 49>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5(0.56)

막연하다

2.87(0.56)

꿈이 없다 2.67(0.57)

8.577*** (a>b, a>c)

꿈 스스로 결정 여부 예 2.92(0.56) 2.780** 아니오 2.81(0.57)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2.92(0.56) 3.272*** 아니다 2.78(0.56)

꿈 변화정도 변했다 2.88(0.54) -2.737** 변하지 않았다 2.96(0.59)

꿈 소통정도 자주 한다 2.94(0.55) 3.101** 자주 하지 않는다 2.85(0.58)

꿈 실현정도 그렇다 2.94(0.58) 3.300*** 아니다 2.84(0.54)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2) 긍정적 발달산물 ① 행복지수

행복지수는 인간으로서 가지고 누려야 할 기본 권리로서 삶의 질(well-being)을 이야기하는 중요한 성과지표로 의미가 있다. 꿈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 <표 50> 과 같다. 첫째, 꿈 유무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29점으로 행복지수가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3.17), 꿈이 없는 집단(2.97) 순으로 행복 지수가 점차 낮아졌다.

둘째, 스스로 꿈을 결정했는지 여부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결정한 집단 (3.25)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3.13)보다 행복지수가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 (3.25)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06)보다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32)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18)보다 행복지수가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

다고 응답한 집단(3.27)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18)보다 행복

지수가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3.27)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15)보다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는 구체적인 꿈이 있으며 현재 자신의 생각대로 꿈을 실현하고,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 꿈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행복지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50
50

꿈 유무별

꿈 스스로

<표 50>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29(0.40)

3.17(0.40) 꿈이 없다 2.97(0.50)

28.589*** (a>b>c)

결정 여부 예 3.25(0.40) 4.219*** 아니오 3.13(0.43)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25(0.40) 5.803*** 아니다 3.06(0.39)

꿈 변화정도 변했다 3.18(0.40)

꿈 실현정도 그렇다 3.27(0.40) 5.329*** 아니다 3.15(0.3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희망지수

희망은 인간 행동의 필수조건으로 무언가를 얻거나 좋은 결과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특성 희망과 상태희망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된다. 꿈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 의 <표 51>과 같다. 첫째, 꿈 유무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

이 3.11점으로 희망지수가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2.80), 꿈이 없는 집단(2.58) 순으로

희망지수가 점차 낮아졌다. 하위영역인 특성희망과 상태희망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각각 3.14과 3.11로 꿈이 막연한 집단, 꿈이 없는 집단보다 희망지수가 높았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결정한 집단(3.02)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2.90)보다 희망지수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스스로 결정 한 집단의 특성희망(3.02)과 상태희망(3.01)의 점수가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3.03)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76)보다 희망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 지로 하위집단에서도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특성희망(3.05)과 상태희망 (3.01)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 (3.13)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2.92)보다 희망지수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이 변하 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특성희망(3.15)과 상태희망(3.11)이 꿈이 변했다는 집단보다 높 게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 다고 응답한 집단(3.07)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2.89)보다 희망 지수가 높았다. 하위영역별에서도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특성 희망(3.10)과 상태희망(3.04)의 점수가 꿈 이야기를 자주 하지 않는다는 집단보다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희망지수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

51
변하지 않았다
-6.642***
3.32(0.39)
자주
소통정도 자주 한다 3.27(0.41) 4.051***
하지 않는다 3.18(0.39)
51

(3.10)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79)보다 희망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

서도 꿈에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의 특성희망(3.12)과 상태희망(3.07)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앞서 살펴본 행복지수와 마찬가지로,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희망지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꿈 실현가능성

꿈 변화정도

<표 51>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특성희망상태희망 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4(0.43)3.11(0.49)3.11(0.49)

막연하다 2.83(0.52)2.80(0.54)2.80(0.54) 꿈이 없다 2.61(0.50)2.58(0.64)2.58(0.64) F(Scheffe) 176.934*** (a>b>c) 112.439*** (a>b>c) 103.585*** (a>b>c)

-8.622***-7.612***-9.341***

꿈 소통정도 자주 한다 3.10(0.46)3.04(0.49)3.07(0.41)

하지 않는다 2.88(0.51)2.89(0.55)2.89(0.47) t 8.266***5.298***7.615***

꿈 실현정도 그렇다

3.12(0.44)3.07(0.48)3.10(0.39) 아니다 2.78(0.53)2.79(0.54)2.79(0.54) t 11.927***9.726***12.22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③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이나 중요성, 성공 여부 등 자신의 태도에서 보이는 개인적 평가 또는 판단을 의미하며(Coopersmith, 1967), 미래세대의 발달지표이자 많은 사업의 성과지표 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2).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16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2.98), 꿈이 없는 집단(2.89) 순으로 자아존중감이 점차 낮아졌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보면, 스스로 결정한 집단(3.11)이 스스 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2.93)보다 행복지수가 높았다.

52
결정
아니오 2.95(0.54)2.86(0.57)2.90(0.50) t
여부
3.02(0.49)3.01(0.50)3.02(0.43)
2.067*3.571***3.149***
그렇다
3.05(0.48)3.01(0.51)3.03(0.43) 아니다 2.74(0.53)2.79(0.55)2.76(0.49) t 7.274***5.051***6.780***
변했다 2.93(0.48)2.91(0.52)2.92(0.44) 변하지 않았다 3.15(0.48)3.11(0.48)3.13(0.42) t
자주
52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3.10)

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16)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고 응답한 집단(3.12)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03)보다 자아존중 감이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3)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98)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즉 자신을 존중하

고 소중히 여기는 경향이 높았다.

<표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6(0.41)

꿈 스스로

④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이란 위기나 역경의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않고 그 상황을 성공적으로 잘 극복하 거나 다시 그 이전의 상황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스스로 돕는 자아심리의 개념이다(윤애란, 2018).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53>과 같다. 첫째, 꿈 유무 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07로 회복탄력성이 가장 높 고, 꿈이 막연한 집단(2.85), 꿈이 없는 집단(2.66) 순으로 회복탄력성이 점차 낮아졌다. 하위 영역인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각각 3.16, 3.16, 2.97로 꿈이 막연한 집단, 꿈이 없는 집단보다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구분 M(SD) F(Scheffe)/t

(a>b, a>c)

꿈 변화정도 변했다

꿈 실현정도 그렇다 3.13(0.42) 7.104*** 아니다 2.98(0.38)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53
막연하다 2.98(0.39) 꿈이 없다
40.106***
2.89(0.40)
결정 여부 예 3.11(0.41) 4.842*** 아니오 2.93(0.37)
그렇다 3.10(0.42) 4.842*** 아니다
꿈 실현가능성
2.95(0.37)
3.04(0.40) -5.305*** 변하지 않았다 3.16(0.43)
자주 하지 않는다
소통정도 자주 한다 3.12(0.43) 3.816***
3.03(0.39)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 53
52> 꿈에 따른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결정한 집단(2.99) 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2.80)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의 자기조절능력(3.08), 긍정성(3.10), 대인관계능력(2.90)의 점수가 스스로 결정하

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

한 집단(2.99)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80)보다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

찬가지로 하위집단에서도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자기조절능력(3.08), 긍

정성(3.10), 대인관계능력(2.90)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 (3.10)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2.89)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이 변

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자기조절능력(3.18), 긍정성(3.21), 대인관계능력(3.10)의 점수 가 꿈이 변했다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 눈다고 응답한 집단(3.02)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2.90)보다 회

복탄력성이 높았다. 하위영역별에서도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자기조절능력(3.10), 긍정성(3.10), 대인관계능력(2.94)의 점수가 꿈 이야기를 자주 하지 않는

다는 집단보다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 한 집단(3.05)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80)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의 자기조절능력(3.14), 긍정성(3.14), 대인 관계능력(2.97)의 점수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고 긍정성을 잘 유지하며 대인관계능력

이 좋은 것으로 파악되며, 전체적으로는 회복탄력성이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54
54

<표 53>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자기조절 능력 긍정성 대인관계 능력 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결정 여부

꿈 실현가능성

변화정도

꿈 소통정도

꿈 실현정도

3.16(0.46)3.16(0.59)2.97(0.46)3.07(0.37)

막연하다 2.90(0.51)2.95(0.60)2.78(0.47)2.85(0.39)

꿈이 없다 2.75(0.50)2.93(0.55)2.51(0.48)2.66(0.41) F(Scheffe) 59.283*** (a>b, a>c)

예 3.08(0.49)3.10(0.59)2.90(0.48)2.99(0.39) 아니오 2.85(0.50)2.89(0.62)2.75(0.49)2.80(0.40) t 5.628***4.367***4.07***5.967***

3.08(0.49)3.10(0.59)2.90(0.48)2.99(0.39) 아니다 2.85(0.50)2.89(0.62)2.75(0.49)2.80(0.40) t 5.628***4.367***4.070***5.967***

않았다 3.18(0.46)3.21(0.59)3.01(0.47)3.10(0.37) t -8.109**-7.048***-7.962***-10.168***

한다 3.10(0.50)3.10(0.60)2.94(0.47)3.02(0.39)

하지 않는다 2.98(0.48)3.03(0.59)2.81(0.49)2.90(0.39) t 4.658***2.239*5.154***5.658***

3.14(0.46)3.14(0.59)2.97(0.45)3.05(0.36) 아니다 2.85(0.52)2.94(0.61)2.71(0.49)2.80(0.41) t 10.363***5.936***9.459***11.676***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⑤ 성취동기

성취동기란 스스로 높은 기준에 의해 무엇인가를 행하는 것, 성취결과나 외적보상과 관계없

이 어려운 과업 그 자체를 해결하려는 성향을 뜻한다(정원식, 2001). 꿈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4).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를 보면,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23점으로 성취동기가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2.97), 꿈이 없

는 집단(2.67) 순으로 성취동기가 점차 낮아졌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했다고 응 답한 집단(3.13)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성취동기가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5)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86)보다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23)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성취동기가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성취동기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고 응 답한 집단(3.20)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2.98)보다 성취동기가 높았다.

55
22.173*** (a>b, a>c) 47.664*** (a>b>c) 57.329*** (a>b>c)
변하지
그렇다
변했다 2.97(0.50)2.99(0.59)2.81(0.47)2.89(0.39)
자주
자주
그렇다
55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성취동기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9)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94)보다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성취동기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4>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39) 92.687*** (a>b>c)

꿈 스스로 결정

꿈 실현정도 그렇다 3.19(0.41) 9.806***

2.94(0.48)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⑥ 자기표현

자기표현이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자신의 권리, 느낌 등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행동을 뜻한다(홍경자, 1988). 꿈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 5).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20점으로 자 기표현 정도가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3.01), 꿈이 없는 집단(2.68) 순으로 자기표현 정 도가 점차 낮아졌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했다고 응 답한 집단(3.14)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00)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4)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92)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20)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06)보다 자기표현의 경향이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

다고 응답한 집단(3.17)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03)보다 자기 표현 정도가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

56
꿈이
막연하다 2.97(0.47)
없다 2.67(0.52)
여부 예
아니오
3.15(0.43) 7.298*** 아니다 2.86(0.49)
3.13(0.44) 2.951*
3.04(0.48)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8.167*** 변하지 않았다 3.23(0.42)
자주 한다
자주 하지 않는다 2.98(0.46)
꿈 변화정도 변했다 3.04(0.45)
꿈 소통정도
3.20(0.42) 9.603***
아니다
56

단(3.19)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97)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자기표현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5>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구체적인 꿈이 있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3.20(0.42)

막연하다 3.01(0.47) 꿈이 없다 2.68(0.45)

59.848*** (a>b>c)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14(0.46) 5.900*** 아니다 2.92(0.44)

1) *p<.05, **p<.01, ***p<.001

2.97(0.47)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⑦ 성공경험

성공경험은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를 높이고자 하는 동기형성을 강화하고, 아동·청소년의 지

적·정서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김영미, 2008). 꿈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6).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35로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3.27), 꿈이 없는 집단(3.14) 순으로 성공 경험의 정도가 점차 낮아졌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했다고 응 답한 집단(3.33)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23)보다 성공경험 정도가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 (3.33)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23)보다 성공경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 (3.39)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27)보다 성공경험의 경향이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 다고 응답한 집단(3.33)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29)보다 성공 경험 정도가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

단(3.35)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3.25)보다 성공경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7
결정
여부 예 3.14(0.46) 4.226*** 아니오 3.00(0.47)
변하지 않았다
변화정도 변했다 3.06(0.47) -5.427***
3.20(0.43)
소통정도 자주 한다 3.17(0.43) 5.659*** 자주 하지 않는다 3.03(0.49)
실현정도 그렇다 3.19(0.44) 8.577*** 아니다
5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

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 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성공경험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6>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꿈 스스로

막연하다 3.27(0.39)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5(0.38) 14.182*** (a>b>c)

꿈이 없다 3.14(0.44)

결정 여부 예 3.33(0.39) 3.471*** 아니오 3.23(0.38)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33(0.39) 3.254*** 아니다 3.22(0.33)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⑧ 자기관리

자기관리는 ‘자신의 건강, 체력, 이미지 따위를 가꾸고 살피는 일’로 사회성숙도 척도 중 자 기관리 능력 척도를 활용하여 미래세대의 자기관리 정도를 살펴보았다.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7).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를 보면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2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꿈이 막연한 집단은 3.01점, 꿈이

없는 집단은 2.87점으로 나타나 꿈이 뚜렷하지 않을수록 자기관리의 정도가 낮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했다고 응 답한 집단(3.14)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자기관리 정도가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5)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96)보다 자기관리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 (3.24)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06)보다 자기관리의 경향이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 고 응답한 집단(3.16)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08)보다 자기관

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

단(3.19)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01)보다 자기관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8
변하지 않았다
변화정도 변했다 3.27(0.40) -5.478***
3.39(0.36)
자주 한다 3.33(0.38) 2.381* 자주 하지 않는다
꿈 소통정도
3.29(0.39)
실현정도 그렇다 3.35(0.38) 4.980*** 아니다
3.25(0.40)
5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

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 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의 자기관리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7 >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꿈 스스로

막연하다 3.01(0.43)

꿈이 없다 2.87(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1(0.40) 52.052*** (a>b, c)

결정 여부 예 3.14(0.42) 2.925*** 아니오 3.04(0.48)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15(0.43) 5.511*** 아니다 2.96(0.42)

꿈 변화정도 변했다 3.06(0.42) -8.249***

1) *p<.05, **p<.01, ***p<.001

3.01(0.4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⑨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측정한 것으로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8).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59점으로 꿈이 막연한 집단(3.56)과 꿈이 없는 집단(3.52)에 비해 주관적으로 건강상태가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살펴본 결과, 꿈을 스

스로 결정한 집단(3.58)이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3.54)에 비해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분석결과,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3.58)이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54)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58)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57) 보다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

고 응답한 집단(3.61)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53)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 단(3.59)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55)보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화하는 실현가능한 구체적 꿈이 있고 다른 사람과

59
변하지 않았다 3.24(0.42)
자주 한다
자주
소통정도
3.16(0.43) 3.792***
하지 않는다 3.08(0.42)
아니다
실현정도 그렇다 3.19(0.43) 7.451***
59

꿈을 자주나누며 현재 꿈을 따라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 주관적으로 더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 58>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구체적인 꿈이 있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3.59(0.51) 1.616 막연하다 3.56(0.51) 꿈이 없다 3.52(0.53)

결정 여부 예 3.58(0.50) 0.689 아니오 3.54(0.54)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58(0.51) -0.110

꿈 변화정도

꿈 실현정도

1) *p<.05, **p<.01, ***p<.001

3.55(0.52)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⑩ 학교생활적응

학교생활적응은 미래세대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영향을 받는 학교에서의 적응에 대한

의미를 가지므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미래세대의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표 59). 하위영역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4가지로 구성된

다. 첫째, 꿈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27점으 로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3.13), 꿈이 없는 집단(2.85) 순으로 점차 낮 아졌다. 하위영역인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각각 3.24, 3.30, 3.31, 3.25로 꿈이 막연한 집단, 꿈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한 집 단(3.22)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3.10)보다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 도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의 학습활동(3.16), 학교규칙(3.25), 교우관계(3.28), 교사관계 (3.20)의 점수가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 답한 집단(3.23)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04)보다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높게 나 타났다. 하위집단에서도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학습활동(3.17), 학교규칙 (3.25), 교우관계(3.28), 교사관계(3.20)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 단(3.28)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16)보다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 도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학습활동(3.23), 학교규칙(3.30), 교우관계(3.31), 교 사관계(3.27)의 점수로 꿈이 변했다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60
아니다 3.54(0.50)
변했다 3.58(0.51)
변하지 않았다 3.57(0.50)
0.566
자주 한다 3.61(0.50) 2.882** 자주 하지 않는다 3.53(0.52)
꿈 소통정도
그렇다
3.59(0.50) 1.364 아니다
60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고 응답한 집단(3.23)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16)보다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높았다. 하위영역별에서도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학습활동(3.20), 학교규칙(3.25), 교우관계(3.28), 교사관계(3.20)의 점수가 꿈 이야기 를 자주 하지 않는다는 집단보다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 답한 집단(3.26)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11)보다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의 학습활동(3.22), 학교규칙(3.27), 교우관계(3.30), 교사관계(3.23)의 점수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은 학습활동을 열심히 하고 학교규칙을 잘 지키며, 또래와 교

사와의 관계가 좋은 것으로 파악되며, 이를 종합해 볼 때,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9>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교사관계전체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4(0.52)3.30(0.47)3.31(0.42)3.25(0.47)3.27(0.34)

막연하다 3.01(0.54)3.17(0.49)3.23(0.40)3.10(0.50)3.13(0.36)

꿈이 없다 2.73(0.48)2.92(0.42)3.02(0.36)2.75(0.46)2.85(0.28) F(Scheffe) 51.126*** (a>b>c) 26.540*** (a>b>c) 16.174*** (a>b>c) 37.810*** (a>b>c) 60.685*** (a>b>c)

예 3.16(0.54)3.25(0.48)3.28(0.42)3.20(0.49)3.22(0.35)

꿈 스스로

결정 여부

꿈 실현가능성

꿈 변화정도

꿈 소통정도

꿈 실현정도

아니오 3.01(0.53)3.15(0.50)3.18(0.41)3.05(0.50)3.10(0.35) t 4.032***2.847**3.441***4.272***4.955***

그렇다 3.17(0.54)3.25(0.48)3.28(0.42)3.20(0.49)3.23(0.35)

아니다 2.92(0.50)3.13(0.48)3.15(0.41)2.97(0.49)3.04(0.34) t 5.903***3.175**3.905***5.692***6.304***

변했다 3.08(0.52)3.20(0.49)3.24(0.42)3.12(0.51)3.16(0.36)

변하지 않았

다 3.23(0.57)3.30(0.47)3.31(0.41)3.27(0.45)3.28(0.34)

t -5.064***-4.146***-3.079**-5.670***-6235***

자주 한다 3.20(0.54)3.25(0.46)3.28(0.42)3.20(0.49)3.23(0.35)

자주 하지

않는다 3.04(0.53)3.22(0.51)3.25(0.42)3.14(0.50)3.16(0.37)

t 5.330***1.2941.0932.251*3.544***

그렇다 3.22(0.55)3.27(0.48)3.30(0.42)3.23(0.48)3.26(0.35)

아니다 2.98(0.50)3.18(0.49)3.21(0.42)3.07(0.53)3.11(0.36)

t 8.173***3.544***3.906***5.682***7.317***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61
⑪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없다.
없는
c: 꿈이
61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은 현재 미래세대의 주관적인 학업성적을 가장 낮은 수준인 1점부터 가장 높은 수준 10점까지 평가하게 한 것이며,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의 차이를 살 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0).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정 수준은 구체적인 꿈

이 있는 집단이 7.31로 가장 높았고, 막연한 꿈을 가지고 있는 집단은 6.75, 꿈이 없는 집단 은 6.21 순으로 점차 낮게 평가했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정

하는 집단(7.07)이 그렇지 않은 집단(7.06) 보다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은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7.12)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6.68) 보다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높게 평가 했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 한 집단(7.27)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6.95)보다 주관적 학업수준을 높게 평가했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살펴보면, 다른 사람고 꿈에 대해 자 주 이야기 하는 집단(7.17)이 그렇지 않은 집단(6.92)에 비해 주관적 학업수준 점수가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살펴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 고 응답한 집단(7.24)이 꿈에 따라 살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6.71)이보다 주관적 학업성 적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체적인 꿈이 있으며, 꿈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현할 가능성을 높 다고 느낄수록, 또한 주변 사람들과 꿈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자주 꿈이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집단은 주 관적 학업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0>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7.31(1.36) 45.703*** (a>b>c)

막연하다 6.75(1.17) 꿈이 없다 6.21(1.29)

꿈 스스로 결정 여부 예 7.07(1.35) 0.201 아니오 7.06(1.22)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7.12(1.32) 4.153*** 아니다 6.68(1.36)

꿈 소통정도 자주 한다 7.17(1.29) 3.513*** 자주 하지 않는다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62
변화정도 변했다 6.95(1.27) -4.437*** 변하지 않았다 7.27(1.40)
6.92(1.37)
실현정도 그렇다 7.24(1.30) 7.299** 아니다 6.71(1.33)
62

(3) 부정적 발달산물

① 문제행동

문제행동이란 사회적 부적응으로 일어나는 비사회적•반사회적 행동으로 일정한 기준에서 이 탈된 행동을 의미한다(윤효정, 2014). 첫째, 꿈 유무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

인 꿈이 없는 집단이 1.23으로 막연하다(1.20)와 구체적인 꿈이 있다(1.17)고 응답한 집단에

비해 문제행동 경향이 가장 높았다. 하위영역인 내재화, 외현화, 위축 역시 꿈이 없는 집단이 각각 1.31, 1.17, 1.06으로 꿈이 막연하다 혹은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하지 않았 다고 응답한 집단(1.28)이 꿈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응답한 집단(1.16) 보다 문제행동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의 내재화(1.34), 외현화(1.22), 위축(1.15) 점수가 꿈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응답한 집단 보다 모두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1.23)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1.18) 보다 꿈의 실현가능성이 높게 나타 났다. 하위집단에서도 꿈의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내재화(1.29), 외현화(1.16), 위축(1.14) 모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1.19)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1.17)보다 문제행동이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이 변했다 고 응답한 집단에서 내재화(1.23), 외현화(1.16), 위축(1.10) 모두 문제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 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 누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1.18, 0.25)은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집단(1.18, 0.24)과 문제행동 점수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지 않다고 응 답한 집단(1.20)이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1.17)보다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이 내재화 (1.25), 외현화(1.15), 위축(1.12) 모든 영역에서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보 다 문제행동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체적인 꿈이 없으며,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고, 실현할 가능 성을 낮다고 느낄수록, 또한 자주 꿈이 변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이 우울/불안, 공격성, 위축과 같은 문제행동을 많이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표 61).

63
63

꿈 유무별

꿈 스스로

여부

실현가능성

<표 61>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단위: M/SD)/ 4점 척도로 변환

구분 내재화 외현화 위축 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

다 1.21(0.27)1.13(0.30)1.07(0.27)1.17(0.23)

막연하다 1.24(0.30) 1.16(0.31) 1.12(0.34) 1.20(0.26)

꿈이 없다 1.31(0.30) 1.17(0.34) 1.06(0.25) 1.23(0.24) F(Scheffe) 3.939*2.066 6.261 (b>a) 4.368* (b>a)

1.21(0.28) 1.13(0.29) 1.08(0.28) 1.16(0.24)

1.22(0.28) 1.14(0.30) 1.08(0.28) 1.18(0.24)

변했다 1.23(0.29) 1.16(0.32) 1.10(0.31) 1.19(0.25)

않았다 1.22(0.27) 1.12(0.28) 1.07(0.28) 1.17(0.23) t 0.8902.645**1.3571.793

소통정도 자주 한다 1.22(0.29) 1.15(0.32) 1.08(0.29) 1.18(0.25) 자주 하지 않는다 1.23(0.28) 1.13(0.29) 1.09(0.30) 1.18(0.24) t -0.4841.609-0.4170.175

그렇다 1.22(0.28) 1.14(0.31) 1.07(0.27) 1.17(0.24) 아니다 1.25(0.29) 1.15(0.31) 1.12(0.34) 1.20(0.25) t -2.136*-0.630-2.432*-2.10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자살생각

자살은 죽음을 의도하여 자발적으로 스스로의 목숨을 끊는 행위로 본 조사에서는 지난 1년

동안 자살을 심각하게 생각해 본 경험이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를 분

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표 62).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보면, 꿈이 막연한

집단(1.25)이 꿈이 없는 집단(1.22)과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1.20)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스로 꿈을 결정했는지 여부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에서는 스스로 꿈을 결정하지 않 은 집단(1.28)이 스스로 꿈을 결정한 집단(1.21)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 (1.28)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1.21) 보다 자살생각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32)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18)보다 행복지수가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다 고 응답한 집단(1.23)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1.20)보다 자살생 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 단(1.22)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1.21)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4
아니오
꿈 변화정도
결정
1.34(0.29) 1.22(0.38) 1.15(0.36) 1.28(0.26) t -6.779***-3.689***-2.699***-6.681***
그렇다
아니다 1.29(0.31) 1.16(0.33) 1.14(0.38) 1.23(0.26) t -2.984**-1.000-1.941-2.708**
변하지
실현정도
64

이상을 종합한 결과, 스스로 꿈을 결정하지 않아 막연함을 느끼며, 자신의 꿈에 따라 살고

있지만 꿈이 자주 변하여 생각대로 꿈을 실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며, 주위의 다른 사람과 꿈

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의 자살생각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2>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1.20(0.43) 1.616 막연하다 1.25(0.47) 꿈이 없다 1.22(0.49) 꿈 스스로

1) *p<.05, **p<.01, ***p<.001

1.21(0.45)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③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미래세대의 꿈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3). 첫

째 꿈 유무에 따라서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피해와 가해 각각 0.47, 0.77, 막연한 꿈 이 있는 집단이 피해 0.66, 가해 1.09, 꿈이 없는 집단은 피해 1.12, 가해 2.16으로 꿈이 명 확하지 않을수록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은 피해 0.55, 가해 0.99, 그렇지 않은 집단은 피해 0.82, 가해 1.24로 스스로 결

정하지 않은 집단에서 피해와 가해의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꿈 실현 가능성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보면, 실현 가능성이 없다 고 응답한 집단(피해 0.94, 가해 1.42)이 실현 가능성 있다고 응답한 집단(피해 0.52, 가해 0.93)에 비해 피해와 가해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은 집 단(피해 0.53, 가해 1.13)이 꿈이 변한 집단(피해 0.64, 가해 1.01)에 비해 피해경험은 적었으 나 가해경험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 주 이야기하는 집단(피해 0.59, 가해 1.07)이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 집단(피해 0.61, 가해

65
결정
아니오
실현가능성 그렇다 1.21(0.44) -1.776 아니다 1.28(0.48)
변화정도 변했다 1.24(0.46) 2.304* 변하지 않았다 1.19(0.42)
소통정도 자주 한다 1.23(0.45) 1.234 자주 하지 않는다 1.20(0.44)
실현정도 그렇다
0.450 아니다
여부
1.21(0.44) -1.776
1.28(0.50) 꿈
1.22(0.45)
65

1.01)에 비해 피해경험은 적었으나 가해경험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피해/가해)을 살펴보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는 집단(피해 0.56, 가해 0.95)이 그렇지 않은 집단(피해 0.66, 가해 1.20)보다 피해와 가해

경험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꿈이 명확하고, 꿈을 스스로 결정하였고, 꿈 실현 가능성이 있으며 꿈에 따라 살고있는 집단에서 온라인상의 피해와 가해가 모두 낮게 나타났고, 꿈이 변하지 않

으며, 꿈에 소통하고 있을 경우에는 피해경험은 적었으나 가해경험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63> 꿈에 따른 온라인상의 폭력 차이 분석 (단위: M/SD)

꿈이 있다 0.47(1.09) 0.77(1.48) 막연하다 0.66(1.31) 1.09(1.88)

유무별

꿈 스스로

없다 1.12(1.85) 2.16(2.21) F(Scheffe) 6.574*** 6.625** (a<c)

0.99(1.74) 아니오 0.82(1.53) 1.24(1.93) t -1.849 -0.922 꿈

실현가능성

꿈 변화정도

그렇다 0.52(1.17) 0.93(1.70)

아니다 0.94(1.61) 1.42(1.99) t -2.743** -1.822

변했다 0.64(1.28) 1.01(1.77) 변하지 않았다 0.53(1.24) 1.13(1.81) t 1.019 -0.534

꿈 소통정도 자주 한다 0.59(1.30) 1.07(1.85)

꿈 실현정도

자주 하지 않는다

0.61(1.21) 1.01(1.69) t -0.153 0.280

그렇다

아니다

0.56(1.22) 0.95(1.74)

0.66(1.34) 1.20(1.85) t -0.969 -1.106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4)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는 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중요한 요인이다. 미래세대의 부모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4). 첫째, 꿈 유무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은 3.28로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3.13), 꿈이 없는 집단(2.78) 순으로

부모와의 관계가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인 꿈이 있을 때 부모와의 관계

66
구분 피해 가해 꿈
구체적인
꿈이
결정 여부 예 0.55(1.20)
66

가 가장 좋았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했다고 응답한 집단(3.22)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15)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좋았 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

단(3.23)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05)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좋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3.30)

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3.14)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좋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눈

다고 응답한 집단(3.25)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3.13)보다 부모

와의 관계가 좋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3.27)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3.08)보다 부모와의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

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 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이 부모와의 관계도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64 >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꿈 스스로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8(0.38) 62.224*** (a>b>c)

막연하다 3.13(0.37) 꿈이 없다 2.78(0.41)

결정 여부 예 3.22(0.39) 2.503* 아니오 3.15(0.39)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23(0.39) 5.563*** 아니다 3.05(0.39)

꿈 변화정도 변했다 3.14(0.39) -7.746*** 변하지 않았다 3.30(0.38)

꿈 소통정도 자주 한다 3.25(0.39) 5.838*** 자주 하지 않는다 3.13(0.39)

꿈 실현정도 그렇다 3.27(0.39) 8.515*** 아니다 3.08(0.40)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부모양육태도

부모양육태도는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태도와 행동으로 부모양육태도는 자녀의 성격과 행동, 인지·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Berk, 1964; 정상모, 2001). 부모양육태도에 하위유형은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 4가지 유형

67
67

으로 분류되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5).

첫째, 꿈 유무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하위유형별로 살펴보면, 전문형은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10점, 꿈이 막연한 집단은 2.94점, 꿈이 없는 집단이 2.65점 순으로 나타 났다. 권위형에서는 꿈이 없는 집단이 2.33점, 꿈이 막연한 집단이 2.11점, 구체적인 꿈이 있

는 집단이 2.05점으로 나타났다. 허용형에서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2.72점, 꿈이 막연 한 집단이 2.60점, 꿈이 없는 집단이 2.53점으로, 무시형에서는 꿈이 없는 집단이 1.78점, 꿈

이 막연한 집단이 1.67점,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1.5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보면, 전문형에서는 꿈을 결

정한 집단(3.04)이 스스로 꿈을 결정하지 않은 집단(2.94) 보다 높은 양육태도를 보였다. 또한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는 집단이(2.26) 꿈을 스스로 결정하는 집단(2.05)에 비해 권위형 부

모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을 보였다. 허용형 부모양육태도에서는 꿈을 스스로 결정

하는 집단(2.67)이 그렇지 않은 집단(2.64)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무시형의 경우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는 집단(1.85)이 꿈을 스스로 결정하는 집단(1.55)보다 높았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

답한 집단은 전문형에서는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3.14)이 꿈이 변한 집단(2.96)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권위형에서는 꿈이 변한 집단(2.14)이 그렇지 않은 집단(2.00)에, 허용형에서는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2.71), 꿈이 변한 집단(2.6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무시형은 꿈이 변한 집

단(1.64)이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1.51)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보면, 전문형에서는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3.14)이 꿈이 변한 집단(2.96)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권위형과 무시형에서는 꿈이

변한 집단이 2.14점, 1.64점을 각각 나타냈으며,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은 2.00점, 1.51점으

로 꿈이 변한 집단이 높은 점수의 경향을 보였다. 허용형에서는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2.71)

이 꿈이 변한 집단(2.64) 보다 높았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에 대해 이야기를

자주 나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문형(3.07), 허용형(2.69점) 유

형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권위형과 무시형에서는 다른 사람과 꿈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는 집단에서 2.13점, 1.6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에서도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

한 집단에서는 전문형(3.10)과 허용형(2.70)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권

위형과 무시형에서는 꿈에 따라 살고 있지 않는 집단이 2.18점, 1.7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꿈이 구체적일수록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꿈이 뚜렷하지 않을수록

부정적 양육태도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

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 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은 전문형이나 허용형과 같은 긍정적 인 양육태도의 영향을 받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권위형이나 무시형과 같은 부정적 양육

구분 전문형권위형허용형무시형 <표 65>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 (단위: M/SD)

68
68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결정 여부

3.10(0.47)2.05(0.60)2.72(0.49)1.54(0.54)

2.94(0.43)2.11(0.52)2.60(0.43)1.67(0.58)

꿈이 없다 2.65(0.49)2.33(0.44)2.53(0.44)1.78(0.49) F(Scheffe) 40.038*** (a>b>c) 7.423*** (a, b<c) 13.643*** (a>b, a>c) 12.956*** (a<b, a<c)

예 3.04(0.46)2.05(0.57)2.67(0.46)1.55(0.54)

아니오 2.94(0.50)2.26(0.53)2.64(0.53)1.83(0.60) t 3.095**-5.168***0.969-7.203***

그렇다 3.05(0.47)2.06(0.58)2.67(0.47)1.57(0.56) 아니다 2.83(0.45)2.29(0.49)2.64(0.48)1.79(0.50) t 5.893***-5.037***0.708-5.029***

변했다 2.96(0.45)2.14(0.54)2.64(0.47)1.64(0.56)

변하지 않 았다 3.14(0.48)2.00(0.61)2.71(0.47)1.51(0.55) t -7.190***4.420***-2.954**4.536***

한다 3.07(0.47)2.06(0.59)2.69(0.48)1.57(0.57)

2.96(0.46)2.13(0.55)2.64(0.46)1.62(0.53) t 4.209***-2.447*1.983*-1.670

3.10(0.47)2.05(0.60)2.70(0.49)1.55(0.56)

2.89(0.44)2.18(0.52)2.61(0.44)1.70(0.55) t 8.328***-4.373***3.426***-4.783***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태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공동체성(나눔)

공동체는 아동이 속하고 있는 사회의 구성원들 간에 소속감과 및 친밀감을 갖는 심리적 상

태로 미래세대의 꿈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6). 첫째 꿈 유무에

따른 공동체성은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27, 막연한 꿈이 있는 집단이 3.12, 꿈이 없는 집단은 2.93으로 꿈이 명확하지 않을수록 공동체성 또한 낮게 평가 되었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은 3.23, 그렇지 않은 집단은 3.07로 공동체성이 낮았다.

셋째, 꿈 실현 가능성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보면, 실현 가능성 있다고 응답한 집단(3.22)

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1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3.29)이 꿈이 변 한 집단(3.15)에 비해 공동체성을 높게 평가 하였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하는 집단 (3.21)이 자주 이야기 하지 않는 집단(3.18)에 비해 공동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69
실현가능성
변화정도
꿈 소통정도 자주
않는다
꿈 실현정도
자주 하지
그렇다
아니다
69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공동체성을 살펴보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는 집단(3.25)이

그렇지 않은 집단(3.12) 보다 공동체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은 높은 공동체성을 보이며, 반대의 사람들은 낮은 공동체성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6>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수준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막연하다 3.12(0.39)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7(0.37) 37.652*** (a>b>c)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3.22(0.38) 3.635***

꿈 실현정도 그렇다 3.25(0.40) 5.644*** 아니다 3.12(0.38)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④ 사회적 능력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은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4가지로 구성되며 미래

세대의 사회적 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7).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3.06점으로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한 집단(2.90), 꿈이 없는 집단(2.73) 순으로 점차 낮아졌다. 하위영역인 사교성, 대인적응 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이 각각 3.24, 3.30, 3.31, 3.25로 꿈이

막연한 집단, 꿈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스스로 꿈을 결정한 집 단(3.02)이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집단(2.87)보다 사회적 능력 정도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의 사교성(2.87), 대인적응성(3.11), 사회참여도(3.15), 주도성(2.97)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꿈의 실현가능성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 한 집단(3.01)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2.87)보다 사회적 능력 정도가 높게 나타났 다. 하위집단에서도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사교성(2.87), 대인적응성 (3.10), 사회참여도(3.13), 주도성(2.98)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

70
꿈이 없다
아니오
2.93(0.45) 꿈 스스로 결정 여부 예 3.23(0.37) 5.103***
3.07(0.45)
아니다
3.10(0.42)
변하지 않았다
소통정도 자주
자주
꿈 변화정도 변했다 3.15(0.40) -7.239***
3.29(0.36) 꿈
한다 3.21(0.39) 1.369
하지 않는다 3.18(0.39)
70

단(3.08)이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2.94)보다 사회적 능력 점수가 높았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사교성(2.95), 대인적응성(3.13), 사회참여도(3.19), 주

도성(3.08)의 점수로 꿈이 변했다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 나

눈다고 응답한 집단(3.02)이 다른 사람과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집단(2.96)보다 사

회적 능력 정도가 높았다. 하위영역별에서도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집

단에서 사교성(2.86), 대인적응성(3.10), 사회참여도(3.14), 주도성(3.01)의 점수가 꿈 이야기를

자주 하지 않는다는 집단보다 높았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보면, 현재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 한 집단(3.04)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2.93)보다 사회적 능력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하위영역에서도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의 사교성(2.89), 대인적응성(3.13), 사 회참여도(3.16), 주도성(3.04)의 점수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은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등 사회적 능력이 더 좋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사교성 대인 적응성 사회참여도주도성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꿈 유무별

꿈 스스로

결정 여부

꿈 실현가능성

꿈 변화정도

꿈 소통정도

꿈 실현정도

(단위: M/SD)

2.92(0.58)3.12(0.61)3.18(0.44)3.06(0.60)3.06(0.40)

막연하다 2.75(0.60)3.06(0.59)3.04(0.46)2.80(0.63)2.90(0.42)

꿈이 없다 2.61(0.52)2.96(0.70)2.81(0.47)2.62(0.61)2.73(0.45) F(Scheffe) 20.062*** (a>b, a>c) 3.329* 31.856*** (a>b>c) 39.500*** (a>b, a>c) 37.731*** (a>b>c)

예 2.87(0.59)3.11(0.59)3.15(0.45)2.97(0.62)3.02(0.42)

아니오 2.76(0.57)2.99(0.65)2.95(0.46)2.86(0.64)2.87(0.42) t 2.416*2.768**6.181***2.289*4.708***

그렇다 2.87(0.59)3.10(0.61)3.13(0.45)2.98(0.62)3.01(0.42)

아니다 2.72(0.56)3.06(0.59)2.99(0.45)2.75(0.61)2.87(0.40) t 3.178**0.7833.977***4.469***4.245***

변했다 2.79(0.60)3.07(0.61)3.07(0.45)2.87(0.61)2.94(0.42)

변하지 않았

다 2.95(0.55)3.13(0.59)3.19(0.46)3.08(0.63)3.08(0.41)

t -5.269***-2.114-4.604-6.529***-6190***

자주 한다 2.86(0.62)3.10(0.46)3.14(0.46)3.01(0.61)3.02(0.43)

자주 하지

않는다 2.83(0.53)3.08(0.44)3.08(0.44)2.86(0.64)2.96(0.40) t 1.2810.5812.806**4.427***2.708**

그렇다 2.89(0.61)3.13(0.59)3.16(0.46)3.04(0.60)3.04(0.42)

아니다 2.78(0.55)3.02(0.64)3.05(0.46)2.77(0.65)2.93(0.42) t 3.205***3.389***4.093***7.731***5.434*** 1) *p<.05, **p<.01, ***p<.001

71
<표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71
67> 꿈에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⑤ 사회적 지지

미래세대의 꿈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8).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3.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꿈이 막연한

집단은 2.98, 꿈이 없는 집단은 2.75 순으로 점차 낮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정한 집단은 3.10, 그렇지 않은 집단은 3.01로 사회적 지지가 낮았다.

셋째, 꿈 실현 가능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실현 가능성 있다고 응답한 집단 (3.10)이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3.01)에 비해 높았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3.17)이 그렇 지 않은 집단(3.03)에 비해 사회적 지지를 높게 평가 하였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야기하는 집단(3.12)이 자주 이야기 하지 않는 집단(3.02)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는 집단(3.16) 이 그렇지 않은 집단(2.93) 보다 사회적 지지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스스로 결정한 변하지 않은 구체적인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 각대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 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은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68> 꿈에 따른 사회적지지 수준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 변화정도 변했다 3.03(0.41) -6.660***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72
있다 3.17(0.40) 56.446***
막연하다 2.98(0.41) 꿈이
2.75(0.45)
결정 여부 예 3.10(0.42)
아니오
꿈이
(a>b>c)
없다
꿈 스스로
2.828**
3.01(0.43)
그렇다
아니다
꿈 실현가능성
3.10(0.41) 5.144***
2.93(0.42)
변하지 않았다 3.17(0.42)
자주
자주
꿈 소통정도
한다 3.12(0.41) 4.377***
하지 않는다 3.02(0.42)
그렇다 3.16(0.41) 9.964*** 아니다
꿈 실현정도
2.93(0.42)
72

⑥ 사회 불평등 인식

미래세대의 사회 불평등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9). 첫째 꿈 유무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은 구체적인 꿈이 있는 집단에서 2.37, 꿈이 막연한 집단은 2.44, 꿈이 없는

집단은 2.59로 꿈이 없는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꿈을 스스로 결정했는지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꿈을 스스로 결 정한 집단은 2.41, 그렇지 않은 집단은 2.44로 스스로 꿈을 결정하지 않은 이들이 사회 불평

등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꿈 실현 가능성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실현 가능성 있다고 응답 한 집단 2.38,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이 2.57로 꿈의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사회 불평등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꿈의 변화정도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꿈이 변하지 않은 집단이

2.44, 그렇지 않은 집단이 2.37로 꿈이 변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사회 불평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꿈 소통정도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과 꿈을 자주 이

야기하는 집단은 2.39, 자주 이야기 하지 않는 집단은 2.45로 자주 이야기하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 불평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꿈 실현정도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정도를 살펴보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는

집단이 2.37, 그렇지 않은 집단이 2.49로 그렇지 않은 집단이 사회 불평등 인식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체적인 꿈이 있으며, 꿈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현할 가능성을 높

다고 느낄수록, 또한 주변 사람들과 꿈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꿈이 변하지 않는 경향 이 있는 사람들은 사회 불평등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69>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t

꿈 유무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1) *p<.05, **p<.01, ***p<.001

73
막연하다
2.37(0.48) 14.412*** (a<b<c)
2.44(0.46) 꿈이 없다 2.59(0.49)
결정 여부 예
아니오
꿈 실현가능성 그렇다 2.38(0.48) -6.217*** 아니다 2.57(0.50)
변했다 2.44(0.47) 2.977** 변하지 않았다 2.37(0.52)
소통정도 자주 한다 2.39(0.49) -2.980 자주 하지 않는다 2.45(0.49)
실현정도 그렇다 2.37(0.48) -4.806 아니다 2.49(0.50)
꿈 스스로
2.41(0.48) -1.110
2.44(0.52)
꿈 변화정도
73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2) 소결

본 장은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를 주제로 꿈이 우리 미래세대에 미치는 발달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발달적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진로 발달산물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긍정적 발달산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

력성, 자기표현, 자기관리, 성취동기, 성공경험,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행복지 수, 희망지수’를 살펴보았다. 부정적 발달산물로는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 각, 온라인 상의 폭력, 공동체성(나눔)’를, 사회 및 관계영역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 태도,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적지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수록, 꿈을 스스로 결정한 경우, 꿈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믿을 때, 본인만의 분명한 꿈이 있어서 변하지 않았을 때, 주변의 사람들과 자신의 꿈 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고 소통할 때, 현재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을 때 긍정적 발달산물인 ‘행복지수, 희망지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발 달 산물에서 ‘자기표현, 학교생활적응(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와의 관 계, 성공경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서는 긍정적인 발달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으

며, 상대적으로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사회 불평등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즉, 본 연구결과, 스스로 결정한 구체적이면서 변하지 않은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대 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개인·환경적 긍정적인 발달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사회가 미래세대의 꿈과 진로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물 음에 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4
74

3.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아동 빈곤은 인생의 시작,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시기인 학령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정환경에 따라 아동 간의 출발선 불평등을 초래하여 빈곤대물림과 연계될 수 있으며, 청년 을 넘어 성인기로 장기화될 수 있다(주정현, 2017; 김태완·이주미, 2018). 실제로 많은 선행연 구에서 빈곤의 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

로 나타나며, 학교수업 및 전반적인 학교적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허남순 외, 2005; 유정

원·김형모, 2012).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주관적으로 지각된 ‘경제적 결핍’이 미래세대의 꿈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아이들의 꿈에 차이가 있는지 살

펴보고, 특히 빈곤가정 아동에게 꿈의 존재가 그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

합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2017년과 2019년 조사의 결과와 함께 살펴본다.

1)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

(1) 미래세대의 꿈

①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유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꿈 유무를 확인할 결과,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는 응답에서 는 빈곤가정 39.6%, 비빈곤가정 57.8%로 비빈곤가정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꿈이 없

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는 응답에서는 빈곤가정(46.4%)이 비빈곤가정(37.1%)보다

많았고, 꿈이 없다는 응답에서도 빈곤가정의 응답률이 비빈곤가정 응답률을 앞서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70).

<표 70> 주관적 경제수준별 꿈 유무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7 2019 2022

구체적이고

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

분명한 꿈이 있다 140(41.3)1,772(58.4)470(62.8)1,736(74.8)145(39.6)951(57.8)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막연하다 164(48.4)1,082(35.7)230(30.7)500(21.5)170(46.4)611(37.1)

꿈이 없다 35(10.3)181(6.0)49(6.5)85(3.7)51(13.9)83(5.0)  

*p<.05, **p<.01, ***p<.001

75
38.144*** 42.197*** 60.360***
75

아래의 <표 71>에서는 아동·청소년의 항목별 결핍 현황에 따른 꿈 유무와 주관적 경제 수준 이 함께 나타나 있다. 문항별 ‘아니오’라고 응답한 아동·청소년의 비율을 살펴보면, 결핍수준 에 따른 주관적 경제수준별 응답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분

<표 71> 결핍 수준에 따른 꿈 유무 및 주관적 경제수준 단위: 명(%), ‘아니오’ 응답비율

하루에 세끼를 먹는다.

하루에 적어도 한번은 육류

또는 생선을 매일 섭취한다.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매일 섭취한다.

내 연령과 수준에 맞는 책을

야외활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이 있다.

정기적인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이나 기구들이 있다.

우리집 행사/현장학습에

참가하기 위한 돈을 낼 수 있다.

우리집은 과제나 책을 읽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적당하게 밝은 조용한 공간이 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

다른 사람에게 물려받지 않은 새 옷이 있다.

적어도 두 켤레의 실발을

있다.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여

놀거나 식사를 같이 할 수

기회들이 종종 있다.

생일파티를 할 기회가 있다.

*p<.05, **p<.01, ***p<.001

76
꿈 유무별  주관적
 꿈이 있다 막연
없다
180 (19.6) 113 (21.1) 21 (36.2) 9.152** 39 (21.9) 275 (20.6) 0.156
경제수준
하다 꿈이
빈곤비빈곤
188
124
16
56
272 (20.4) 11.293***
(20.5)
(23.1)
(27.6) 2.606
(31.5)
201
168 (31.3) 25
24.658*** 67 (37.6) 327 (24.5) 14.000***
(21.9)
(43.1)
있다. 36 (3.9) 38 (7.1) 6 (10.3) 9.820** 16 (9.0) 64 (4.8) 5.492*
보유하고
154
136
21
44 (24.7) 267 (20.0) 2.112
(16.8)
(25.4)
(36.2) 24.240***
327
218
35
15.891*** 97 (54.5) 483
22.139***
여가활동을 하고 있다.
(35.7)
(40.7)
(60.3)
(36.2)
76 (8.3) 60 (11.2) 11 (19.0) 9.113** 21 (11.8) 126 (9.5)
.984
22 (2.4) 33 (6.2) 1 (1.7) 14.047*** 15 (8.4) 41 (3.1) 12.600***
6 (0.7) 14 (2.6) 1 (1.7) 9.508** 10 (5.6) 11 (0.8) 26.320***
1 (0.1) 3 (0.6) 0 (0.0) 2.762 3 (1.7) 1 (0.1) 15.424***
12 (1.3) 7 (1.3) 0 (0.0) .768 7 (3.9) 12 (0.9) 11.629***
가지고
3 (0.3) 5 (0.9) 0 (0.0) 2.677 3 (1.7) 5
5.119*
(0.4)
147 (16.0) 118 (22.0) 21 (36.2) 19.630*** 50 (28.1) 236 (17.7) 11.037***
있는
96 (10.5) 72
10 (17.2) 4.590 49 (27.5) 129 (9.7) 48.147***
(13.4)
76

②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

스스로 꿈을 결정했는지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는 빈곤가정(81.7%), 비빈곤가정(84.4%)로 나 타났다. 즉, 비빈곤가정이 빈곤가정에 비해 꿈을 자신이 결정했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2019년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

예 340(89.9)3,069(91.1)715(88.6)2,228(91.5)299(81.7)1,389(84.4)

아니오 37(9.8)278(8.3)92(11.4) 207(8.5)67(18.3)256(15.6)

*p<.05, **p<.01, ***p<.001

③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꿈의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는 응답이 빈곤가정은 70.8%, 비빈곤가정은 87.0%로 나타났다. 즉,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에 비해 꿈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더 낮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73).

<표 73>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매우 아니다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

2017

2019

2022

빈곤 17(4.5)63(16.8)216(57.4)80(21.3) 48.199***

비빈곤 41(1.2)312(9.4)2,026(61.0)943(28.4)

빈곤 24(3.0)130(16.2)497(61.9)152(18.9) 46.885***

비빈곤 42(1.7)232(9.5)1,483(61.0)674(27.7)

빈곤 30(8.2)77(21.0)202(55.2)57(15.6) 91.780***

비빈곤 18(1.1)197(12.0)1,160(70.6)269(16.4) *p<.05, **p<.01, ***p<.001

77
2017 2019 2022
1.749 6.085* 1.672
<표 72> 주관적 경제수준별 꿈 자기결정 여부
77

④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변화정도

꿈의 변화정도를 묻는 질문에 ‘변했다(자주 변했다+가끔 변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빈곤가

정 63.1%, 비빈곤가정 60.9%로 나타났다. 즉,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보다 꿈이 더 자주 변했 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74).

단위: 명(%)

구분 전혀 변하지 않았다 거의 변하지 않았다 가끔 변했다자주 변했다 

2017 빈곤 34(9.0)118(31.3)156(41.4)69(18.3) 3.442

비빈곤 278(8.4)1,035(31.1)1,508(45.3)606(15.2)

2019 빈곤 44(5.5)230(28.8)341(42.6)185(23.1) 24.557***

비빈곤 194(8.0)774(31.9)1,071(44.1)388(16.0)

비빈곤 40(2.4)604(36.7)814(49.5)187(11.4) *p<.05, **p<.01, ***p<.001 <표

2022 빈곤 29(7.9)106(29.0)171(46.7)60(16.4) 38.041***

⑤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지 물은 결과, 빈곤가정은 46.4%, 비빈곤가 정은 61.2%가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즉,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에 비해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덜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75).

<표 75>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2017

2019

2022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매우 아니다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

빈곤 32(8.6)139(37.6)153(41.4)46(12.4) 19.422***

비빈곤 148(4.5)1,079(32.5)1,642(49.4)452(13.6)

빈곤 51(6.4)289(36.0)368(45.9)94(11.7) 10.964*

비빈곤 133(5.5)767(31.5)1,156(47.5)378(15.5)

빈곤 27(7.4)169(46.2)145(39.6)25(6.8) 38.490***

비빈곤 45(2.7)594(36.1)893(54.3)113(6.9)

*p<.05, **p<.01, ***p<.001

78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변화정도
74>
78

⑥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정도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현재 자신의 꿈을 따라 살아가고 있

는지를 물은 결과,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은 빈곤가정 52.2%, 비빈곤가 정은 68.9%로 나타났다.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에 비해 꿈을 따라 살고 있다고 인식하는 비

율이 다소 낮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76).

2017

2019

2022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매우 아니다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

빈곤 29(7.7)128(34.0)182(48.4)37(9.8) 40.508***

비빈곤 101(3.0)851(25.5)1,882(56.5)499(15.0)

빈곤 55(6.9)257(32.4)379(47.7)103(13.0)

비빈곤 72(3.0)627(26.0)1,280(53.1)430(17.8)

빈곤 32(8.7)143(39.1)171(46.7)20(5.5)

비빈곤 31(1.9)482(29.3)1,034(62.9)98(6.0)

*p<.05, **p<.01, ***p<.001

⑦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요인

43.957***

67.284***

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물은 결과 다음 <표 77>과 같이 빈곤 가정은 1순위 ‘흥 미(32.8%)’, 2순위 ‘없다(19.1%)’, 3순위 ‘돈/경제력(18.6%)’로 나타났고, 비빈곤 가정은 1순위 ‘흥미(33.3%)’, 2순위 ‘대중매체(15.9%)’, 3순위 ‘없다(1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77>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요인 다중응답, 단위: 명(%)

20 17

79
<표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실현정도
76>
구분성적 진로 검사/ 진로 체험 책 대중 매체 아르 바이 트 종교롤모델 봉사 활동 기타없다 돈/ 경제 력 흥미
빈 곤 68 (18.1) 50 (13.3) 21 (5.6) 89 (23.7) 11 (2.9) 7 (1.9) 36 (9.6) 10 (2.7) 32 (8.5) 92 (24.5)비 빈 곤 617 (18.5) 490 (14.7) 285 (8.6) 831 (25.0) 29 (0.9) 34 (1.0) 451 (13.6) 57 (1.7) 238 (7.2) 696 (20.9) -
79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인물

영향인물에 대해 물은 결과는 다음 <표 78>과 같았다. 빈곤가정은 1순위 ‘없다(38.0%)’, 2순위 ‘부모(19.1%)’, 3순위 ‘연예인(13.4%)’ 등의 순을 보였다. 비빈곤가정은 1순위 ‘부모 (29.8%)’, 2순위 ‘없다(27.3%)’, 3순위 ‘연예인(15.6%)’ 등의 순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 었다. 20 19

구분부모교사 친구/

선수/ 감독/ 코치

80
빈 곤 76 (9.5) 82 (10.2) 31 (3.8) 104 (12.9) 4 (0.5) 8 (1.0) 61 (7.7) 10 (1.2) 84 (10.4) 178 (22.1) 166 (20.7) 비 빈 곤 210 (8.6) 217 (8.9) 104 (4.3) 342 (14.1) 12 (0.5) 13 (0.5) 275 (11.3) 31 (1.3) 297 (12.2) 538 (22.1) 397 (16.3) 20 22 빈 곤 10 (2.7) 18 (4.9) 6 (1.6) 57 (15.6) 10 (2.7) 3 (0.8) 4 (1.1) 70 (19.1) 68 (18.6) 120 (32.8) 비 빈 곤 66 (4.0) 143 (8.7) 33 (2.0) 261 (15.9) 112 (6.8) 12 (0.7) 11 (0.7) 252 (15.3) 208 (12.6) 547 (33.3)
선배 친척 사회 복지사 (상담사) 종교인기타없다 형제 / 자매 정치인연예인 위인 스포츠
20 17 빈 곤 95 (25.3) 44 (11.7) 49 (13.1) 9 (2.4) 7 (1.9) 5 (1.3) 31 (8.3) 145 (38.7) 비 빈 곤 1,215 (36.5) 349 (10.5) 330 (9.9) 109 (3.3) 48 (1.4) 24 (0.7) 234 (7.0) 1,176 (35.3) 20 19 빈 곤 194 (24.1) 46 (5.8) 52 (6.4) 15 (1.9) 7 (0.9) 6 (0.7) 37 (4.7) 318 (39.6) 16 (2.0) 7 (0.9) 85 (10.6) 20 (2.5)비 빈 곤 736 (30.2) 165 (6.8) 157 (6.4) 53 (2.2) 21 (0.9) 4 (0.2) 108 (4.4) 804 (33.0) 58 (2.4) 25 (1.0) 246 (10.1) 58 (2.4)20 22 빈 곤 70 (19.1) 20 (5.5) 39 (10.7) 7 (1.9) 6 (1.6)9 (2.5) 139 (38.0) 11 (3.0)49 (13.4) 6 (1.6) 10 (2.7) 비 빈 곤 490 (29.8) 139 (8.4) 121 (7.4) 48 (2.9) 10 (0.6)11 (0.7) 449 (27.3) 34 (2.1)256 (15.6) 26 (1.6) 61 (3.7) <표 78>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꿈 영향인물 다중응답, 단위: 명(%) 80

⑨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주관적 경제수준별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물은 결과는 다음 <표 7 9>와 같았다. 이 문항에서는 두 집단 모두 ‘예’라는 응답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빈곤가정 아동보다 비빈곤가정이 롤모델이 있다는 응 답률이 높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표 79>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단위: 명(%)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7 2019 2022

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빈곤비빈곤

예 133(35.5)1,221(36.8)412(50.7)1,461(59.6)146(39.9)800(48.6)

아니오 242(64.5)2,096(63.2)401(49.3)990(40.4)220(60.1)845(51.4)

*p<.05, **p<.01, ***p<.001

(2) 진로 발달산물

①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은 2.90, 비빈곤가정은 2.96으로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보다 진로성숙도 점수

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 을 보이고 있다. 진로성숙도는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의 4가지 하위척도 로 나뉘어진다. 하위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자기이해, 독립성, 계획성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기이해, 계획성은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보다 낮은 수치 를, 독립성은 그 반대를 기록하였다(표 80).

<표 80>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성숙도

구분 자기이해

2017

2019

단위: M/SD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빈곤 2.71(0.59)3.03(0.61)3.22(0.60)2.90(0.48)2.96(0.40)

비빈곤 2.98(0.57)3.15(0.58)3.20(0.61)3.01(0.46)3.09(0.41) t -8.642***-3.789***-0.515-4.266***-5.402***

빈곤 2.75(0.50)3.09(0.59)3.31(0.58)2.92(0.48)2.99(0.40)

비빈곤 2.92(0.49)3.22(0.58)3.33(0.60)3.02(0.47)3.10(0.40) t -8.657***-5.456***-.625-5.052***-6.828***

명(%) 81
 0.262 19.92*** 9.183**
태도
일에 대한
독립성계획성전체
81

2022

빈곤 2.72(0.64)3.04(0.77)3.07(0.71)2.79(0.56)2.90(0.42)

비빈곤 3.01(0.51)3.10(0.78)2.86(0.77)2.97(0.51)2.96(0.40) t -8.150***-1.1524.930***-5.562***-2.629** *p<.05, **p<.01, ***p<.001

②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을 살펴

본 결과, 빈곤가정은 2.51, 비빈곤가정은 2.64로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진로준비행동이 비빈곤 가정 미래세대의 진로준비행동보다 낮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진

로준비행동은 ‘진로탐색활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 이렇게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직업체험활동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영역에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의 점수를 보면, 빈곤가정이 비빈곤가정보다 진로탐색활동, 정보수집활동, 취업준비활동 세 가지 영역의 점수가 모두 낮았

으며, 이는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진로준비행동이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전반적으로 부족하 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표 81).

<표 81>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단위: M/SD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진로탐색활동정보수집활동직업체험활동취업준비활동전체

빈곤 2.26(0.68)2.70(0.61)2.29(0.73)2.31(0.77)2.35(0.56)

2017

2019

2022

비빈곤 2.36(0.65)2.82(0.61)2.36(0.73)2.28(0.80)2.41(0.56) t -2.819**-3.620***-1.642-0.732-1.986*

빈곤 2.16(0.62)2.64(0.62)2.20(0.76)2.27(0.79)2.31(0.56)

비빈곤 2.25(0.62)2.70(0.63)2.32(0.73)2.30(0.84)2.39(0.56)

t -3.703***-2.600**-3.901***-1.012-3.763***

빈곤 2.34(0.74)2.60(0.84)2.55(0.86)2.55(0.79)2.51(0.65)

비빈곤 2.47(0.76)2.79(0.76)2.63(0.80)2.69(0.74)2.64(0.60)

t -2.831**-3.871***-1.602-3.160**-3.845*** *p<.05, **p<.01, ***p<.001

③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장벽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을 살펴본 결 과, 빈곤가정은 2.50, 비빈곤가정은 2.24로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사 회적 진로장벽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표 82).

82
82

<표 82>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장벽 (N: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9 2022 M(SD) t M(SD) t

빈곤 2.23(0.52) 11.492*** 2.50(0.59) 7.408***

비빈곤 1.98(0.53) 2.24(0.61)

*p<.05, **p<.01, ***p<.001

2) 주관적 경제수준과 꿈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1) 진로 발달산물

① 진로성숙도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진로성숙도가 3.05으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2.85, 꿈이 없다 2.58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3.06으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2.8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7 로 가장 낮았다.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3.06)의 진로성숙도가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2.58)의 진로성숙도가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비빈곤가정의 미래 세대가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 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진로성숙도는 ‘자기이해, 일 태도, 독립성, 계획성’ 네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며, 빈곤가 정, 비빈곤가정 모두에게서 독립성을 제외한 하위척도 모두에서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자기이해, 계획성은 비빈곤가정 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높았으나, ‘일에 대한 태도’ 부분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라고 응답한 부분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해당 하위척도는 ‘나는 미래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고, 관심도 없다’의 역문항을 통해 측정되었다. 해당 문항을 통해 유추해보면, 빈곤가정 아이들의 경우 생

계를 위해 미래에 대해 더 빠르게 고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 다. 즉, 아동의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역량이기보다는 가족이나 외부에서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표 83).

83
83

<표 8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3.02(0.54) 3.09(0.53) 2.96(0.73)

18.684**

(a>b, c)

3.29(0.56) 149.490 *** (a>b>c) 3.30(0.54) 57.138** * (a>b>c) 3.22(0.79) 32.359** * (a>b>c)

3.33(0.60) 7.170** (a>c) 3.40(0.57) 12.191* ** (a>b, a>c) 3.01(0.78) 0.899 막연하다 3.16(0.55) 3.20(0.58) 3.09(0.67) 꿈이 없다 2.93(0.68) 3.11(0.56) 3.14(0.71)

꿈이 있다 3.10(0.45) 27.533*

막연하다 2.84(0.41) 2.85(0.42) 2.73(0.52)

(a>b>c) 3.02(0.46) 29.818* ** (a>b>c) 3.04(0.43) 45.782** * (a>b>c)

꿈이 있다 3.14(0.43) 171.638 *** (a>b>c) 3.09(0.46) 71.112** * (a>b>c) 3.12(0.45) 136.309* ** (a>b>c) 막연하다 2.88(0.42) 2.89(0.41) 2.79(0.50)

없다 2.69(0.53)

3.17(0.39) 45.602* ** (a>b>c) 3.10(0.42) 51.889* ** (a>b>c) 3.05(0.39) 28.820** * (a>b>c) 막연하다 2.87(0.33) 2.89(0.30) 2.85(0.3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84 구분 2017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Scheffe) 자 기 이 해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5(0.54) 54.136* ** (a>b>c) 2.87(0.51) 41.593* ** (a>b>c) 3.01(0.50) 45.974** * (a>b>c) 막연하다 2.54(0.50) 2.66(0.39) 2.64(0.61) 꿈이 없다 2.20(0.55) 2.30(0.46) 2.14(0.65)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0(0.51) 382.981 ** * (a>b>c) 3.01(0.44) 114.173* ** (a>b>c) 3.17(0.45)
** (a>b>c) 막연하다 2.74(0.51) 2.73(0.43) 2.84(0.47) 꿈이 없다 2.44(0.50) 2.55(0.45) 2.43(0.52) 일 에 대 한 태 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8(0.61) 10.578* ** (a>b, c) 3.22(0.58) 33.715* ** (a>b>c)
막연하다
꿈이 없다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막연하다
꿈이
성 빈
구체적인 꿈이
**
*
꿈이
계 획 성 빈 곤 구체적인
F
163.798*
3.32(0.69)
*
2.95(0.57) 2.97(0.51) 2.91(0.74)
2.72(0.70) 2.65(0.54) 2.71(0.83)
있다
없다 2.67(0.59) 2.79(0.71) 2.70(0.81) 독 립
있다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0(0.60) 64.048*
(a>b>c) 3.38(0.56) 28.533**
(a>b>c) 2.85(0.81) 1.439 막연하다 3.08(0.59) 3.22(0.61) 2.85(0.71)
없다 2.92(0.66) 3.03(0.67) 3.00(0.66)
**
구체적인
전 체 빈 곤 구체적인 꿈이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6.308 ***
3.17(0.35)
막연하다
꿈이
2.68(0.34) 2.72(0.34) 2.67(0.30)
꿈이 없다 2.53(0.61) 2.55(0.54) 2.28(0.62)
빈 곤
꿈이
2.63(0.57) 2.49(0.54)
있다
없다 2.59(0.30) 2.61(0.28) 2.58(0.42)
3.23(0.38)
(a>b>c)
135.535* ** (a>b>c) 3.06(0.40) 82.910** * (a>b>c)
2.93(0.34) 2.95(0.32) 2.84(0.36)
없다
84

② 진로준비행동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

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76, 꿈이 막연한 이

들은 2.43, 꿈이 없는 이들은 2.06으로 점차 진로준비행동이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81로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하다 2.44, 꿈이 없다는 이

들이 2.25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진로준비행동이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진로준비행동보다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 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탐색, 정보수집, 직업체험, 취업준비’ 이렇게 네 가지의 하위척도로 구

분되며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단, 진로탐색, 정보수집, 취업준비 세 가지 영역은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

들의 활동이 높았으나, 직업체험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2.87)의 활 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가정의 아이들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률이 높은데, 해 당 하위척도가 ‘실제로 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경험담, 조언, 충고를 들었다’ 문항을 통해 측

정되었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표 84).

<표 84>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7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2.42(0.69) 5.215** (a>b, c)

2.26(0.63) 13.293*** (a>b>c)

막연하다 2.21(0.64) 2.11(0.58) 2.32(0.82)

2.49(0.85) 7.861 *** (a, b>c)

없다 2.09(0.79) 1.82(0.56) 1.96(0.75)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0(0.66) 80.566*** (a>b>c)

2.31(0.62) 24.071*** (a>b>c)

막연하다 2.24(0.57) 2.15(0.57) 2.31(0.75)

2.60(0.75) 35.392* ** (a>b, c)

꿈이 없다 2.08(0.64) 1.97(0.64) 2.19(0.67)

있다 2.97(0.60) 23.836*** (a>b, c)

2.78(0.61) 32.602*** (a>b>c) 2.90(0.84) 19.247* ** (a>b>c) 막연하다 2.59(0.51) 2.56(0.52) 2.49(0.79)

있다 3.02(0.58) 252.120*** (a>b>c) 2.81(0.61) 77.785*** (a>b>c) 2.97(0.73) 72.574* ** (a>b, c) 막연하다 2.63(0.51) 2.52(0.56) 2.54(0.72)

85
진 로 탐 색 빈 곤
꿈이
비 빈 곤
정 보 수 집 빈 곤
구체적인 꿈이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없다 2.39(0.67) 2.14(0.55) 2.16(0.76)
꿈이 없다 2.30(0.62) 2.20(0.68) 2.49(0.77)
85
진로준비행동

비 빈 곤

막연하다 2.20(0.66)

2.51(0.77) 9.019*** (a>b, c)

2.32(0.77) 20.484*** (a>b>c)

2.14(0.69) 2.42(0.77)

2.87(0.83) 22.212 *** (a>b>c)

꿈이 없다 2.06(0.80) 1.65(0.51) 2.08(0.89)

(a>b, a>c)

있다 2.55(0.79) 8.391*** (a>b, c) 3.04(0.61) 10.356*** (a>c, b>c) 2.79(0.79) 19.241 *** (a>b>c) 막연하다 2.22(0.73) 2.20(0.73) 2.49(0.74)

없다 2.11(0.84) 1.85(0.68) 2.04(0.69)

있다 2.42(0.82) 54.235*** (a>b, c) 2.38(0.85) 28.337*** (a>b>c) 2.86(0.70) 75.863 *** (a>b>c) 막연하다 2.14(0.72) 2.14(0.79) 2.50(0.73)

있다 2.55(0.55) 13.387*** (a>b, c) 2.42(0.56) 27.836*** (a>b>c) 2.76(0.65) 28.221 *** (a>b>c)

막연하다 2.28(0.49) 2.25(0.48) 2.43(0.56) 꿈이 없다 2.14(0.70) 1.87(0.45) 2.06(0.60)

구체적인

막연하다 2.27(0.49) 2.25(0.50) 2.44(0.58)

꿈이 있다 2.56(0.55) 132.954*** (a>b>c) 2.47(0.55) 54.533*** (a>b>c) 2.81(0.56) 102.699 *** (a>b>c)

꿈이 없다 2.10(0.59) 2.02(0.62) 2.25(0.5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③ 진로장벽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진로장벽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는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진로장벽이 가장 높다(2.61) 고 인식하였으며, 막연하다 2.63,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30으로 점차 낮아졌

다. 비빈곤가정에 있어서도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50으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2.39,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12로 진로장벽을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

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진로장벽이 가장 낮았으며, 빈곤가정의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진로장벽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85).

86
직 업
빈 곤
체 험
구체적인 꿈이 있다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2.81(0.76) 68.658
막연하다
꿈이
취 업 준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꿈이
곤 구체적인 꿈이
전 체 빈 곤
꿈이
있다 2.52(0.74) 87.250*** (a>b>c) 2.40(0.74) 32.502***
*** (a>b>c)
2.20(0.67) 2.16(0.67) 2.40(0.79)
없다 2.05(0.70) 1.98(0.70) 2.19(0.67)
꿈이 없다 2.03(0.76) 1.88(0.79) 2.12(0.69)
구체적인
86

구분

구체적인 꿈이 있다

빈곤

비빈곤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막연하다 2.42(0.40)

2.08(0.51) 57.767*** (a<b<c)

꿈이 없다 2.64(0.51)

구체적인 꿈이 있다

2.63(0.48)

2.30(0.64) 14.880*** (a<b, c)

2.61(0.63)

2.12(0.64) 47.495*** (a<b, c) 막연하다

1) *p<.05, **p<.01, ***p<.001

1.87(0.51) 133.725*** (a<b<c)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따라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 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는 구

체적인 꿈을 가진 이들이 2.79, 막연한 꿈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2.5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08로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빈곤가정의 경우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경우 2.92, 꿈이 막연한 이들은 2.81, 꿈이 없다는 이들은 2.73으로 점차 점수가 낮아졌다. 꿈이 구체적일수록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고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2.92)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빈곤가정의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의 점수가 2.08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 로 비빈곤가정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2.79)이 비빈곤가정의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2.81)보다 낮다고 응답하여 주목된다. 이

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86).

<표 8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87 ④
가진 정도에
노력 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2.23(0.48) 2.39(0.52) 꿈이 없다 2.41(0.61) 2.50(0.41)
꿈에
진로장벽
<표 85> 주관적 경제수준 및
따른
2017 2019 2022
빈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5(0.79) 6.625** (a>b>c) 2.63(0.73) 10.347
2.79(0.71)
막연하다 2.40(0.74) 2.41(0.76) 2.51(0.72) 꿈이 없다 2.03(0.78) 2.25(0.75) 2.08(0.69)
*** (a>b, c)
19.319 *** (a>b>c)
87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66(0.69)

2.85(0.72) 27.895*** (a>b, c)

꿈이 없다 2.62(0.84)

1) *p<.05, **p<.01, ***p<.001

(2) 긍정적 발달산물

① 행복지수

2.84(0.71) 19.181* ** (a>b, c)

2.65(0.88) 2.81(0.58)

2.54(0.75)

2.92(0.58) 9.467*** (a>b, c)

2.73(0.63)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보면,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1, 꿈이 막연하다고 답

한 이들이 2.75,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44로 점차 행복지수가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행복지수가 3.28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

은 이들은 3.10, 꿈이 없는 이들은 2.88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미

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행복지수가 더 높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이들(3.11)은 비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아이들(2.88)보다 행복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주목된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87).

<표 87>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빈곤

구분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M(SD) F (Scheffe) M(SD) F (Scheffe ) M(SD) F (Scheffe)

(a>b, c) 3.11(0.52) 27.766 *** (a>b>c)

꿈이 없다 2.35(0.56) 2.55(0.52) 2.44(0.63)

비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7(0.52) 92.052 *** (a>b>c) 3.27(0.61) 32.765 *** (a>b, c) 3.28(0.41) 51.527 *** (a>b>c)

막연하다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88
2017 2019 2022
***
***
2.97(0.61) 20.226
(a>b>c) 3.03(0.59) 27.741
2.75(0.57) 2.75(0.67)
2.65(0.54)
3.04(0.51) 3.06(0.60) 3.10(0.48) 꿈이 없다 2.87(0.54) 2.95(0.57) 2.88(0.50)
88

② 희망지수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빈 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03, 꿈이 막연하다고 답한 이들이 2.6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35로 점차 희망지수가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

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희망지수가 3.15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은 2.84, 꿈이 없는 이들은 2.67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미

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희망지수가 더 높았다. 희망지수는 ‘특성희망, 상태희망’ 두

가지 하위척도로 구분되는데, 전반적으로 빈곤가정의 희망지수가 비빈곤가정 희망지수보다 점

수가 더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다소 낮게 인식하였다(표 88).

<표 88>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 (N: 2019년 – 3,600, 2022년 – 2,011)

빈곤

특성

희망

비빈 곤

상태 희망 빈곤

구분 2019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막연하다 2.64(0.39) 2.63(0.61)

구체적인 꿈이 있다 2.89(0.48) 53.721*** (a>b>c) 3.06(0.49) 39.618*** (a>b>c)

꿈이 없다 2.26(0.59) 2.33(0.61)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7(0.48) 74.397*** (a>b>c)

막연하다 2.82(0.42) 2.83(0.53)

3.17(0.45) 116.600*** (a>b>c)

꿈이 없다 2.68(0.57) 2.62(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8(0.51) 52.253*** (a>b>c)

막연하다 2.52(0.47) 2.65(0.58)

2.99(0.54) 26.118*** (a>b>c)

꿈이 없다 2.09(0.57) 2.37(0.67)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3(0.53)

막연하다 2.73(0.44) 2.85(0.52)

100.129*** (a>b>c)

3.13(0.49) 70.338*** (a>b, c)

꿈이 없다 2.49(0.61) 2.71(0.59)

구체적인 꿈이 있다 2.84(0.47) 58.693*** (a>b>c) 3.03(0.47) 39.193*** (a>b>c)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5(0.48) 94.290*** (a>b>c) 3.15(0.41) 119.027*** (a>b>c) 막연하다 2.79(0.40) 2.84(0.47)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89
2022
비빈 곤
전체 빈곤
막연하다 2.59(0.39) 2.64(0.54) 꿈이
2.18(0.55) 2.35(0.61) 비빈 곤
꿈이 없다 2.60(0.57) 2.67(0.48)
89

③ 자아존중감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0, 꿈이 막연하다 고 답한 이들이 2.5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37로 점차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자아존중감이 3.15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은 2.94, 꿈이 없는 이들은 2.80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89).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7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빈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2.84(0.58) 20.989 *** (a>b>c) 2.82(0.55) 37.077*** (a>b>c) 3.10(0.46) 48.975*** (a>b>c)

비 빈 곤

막연하다 2.56(0.46) 2.58(0.48) 2.59(0.60)

꿈이 없다 2.27(0.47) 2.26(0.42) 2.37(0.59)

막연하다 2.81(0.47) 2.85(0.48) 2.94(0.43)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8(0.49) 150.651 *** (a>b>c) 3.07(0.51) 50.991*** (a>b, c) 3.15(0.44) 56.456*** (a>b>c)

꿈이 없다 2.61(0.47) 2.72(0.59) 2.80(0.44)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④ 회복탄력성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92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2.76,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5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 정에서도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3.10,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이 2.8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74로 점차 낮아졌다. 전반적으로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들이 비빈 곤가정의 미래세대보다 회복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회복탄력성은 ‘자기조절능력, 긍정 성, 대인관계능력’ 3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는데, 하위영역 모두에게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회복탄력성 정도가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의 회복탄력성 정도가 가장 낮았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90).

90
2019
<표 89>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
90

<표 90>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있다 2.89(0.49) 19.243**

3.01(0.48) 15.383**

b>c)

3.18(0.47) 52.302**

(a>b, c)

막연하다 2.69(0.46) 2.71(0.53) 2.51(0.73)

없다 2.38(0.40) 2.45(0.38) 2.43(0.73)

있다 3.20(0.47) 137.368*

(a>b, c)

(a>b>c) 3.20(0.52) 60.891*

(a>b, c) 막연하다 2.96(0.44) 2.97(0.50) 2.97(0.62)

(a>b>c) 3.17(0.60) 28.008**

있다 2.97(0.48) 21.444**

(a>c, b) 2.84(0.52) 4.893** (a>c) 막연하다 2.71(0.47) 2.74(0.52) 2.74(0.51)

없다 2.45(0.37) 2.68(0.56) 2.59(0.49)

꿈이 있다 3.12(0.44) 60.279**

막연하다 2.96(0.45) 3.00(0.45) 2.83(0.47)

(a>b>c) 3.18(0.47) 44.000*

(a>b>c) 3.02(0.48) 43.876**

(a>b>c)

꿈이 없다 2.84(0.42) 2.83(0.48) 2.63(0.56)

있다 2.96(0.34) 35.398* (a>b>c) 2.93(0.42) 40.129*

막연하다 2.68(0.34) 2.70(0.39) 2.76(0.39)

(a>b>c) 2.92(0.42) 17.026**

(a>b>c)

없다 2.42(0.44) 2.52(0.40) 2.55(0.42)

(a>b>c) 3.13(0.42) 66.619*

막연하다 2.91(0.45) 2.93(0.37) 2.89(0.40)

없다 2.78(0.34)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91 구분 2017 2019 2022 M(SD)
(Scheffe) M(SD)
(Scheffe) M(SD)
자 기 조 절 능 력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a>b>c)
** (a>b>c)
*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 (a>b>c)
**
*
F
F
F (Scheffe)
2.85(0.46) 29.299*
(a,
막연하다 2.65(0.40) 2.66(0.39) 2.91(0.54)
없다 2.43(0.46) 2.43(0.45) 2.55(0.53)
2.99(0.44) 71.151**
3.01(0.47) 38.662*
(a>c,b)
긍 정 성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 (a>b>c)
**
*
막연하다 2.82(0.39) 2.82(0.41) 2.95(0.51) 꿈이 없다 2.73(0.38) 2.80(0.48) 2.86(0.41)
3.00(0.52) 29.470**
2.95(0.54) 31.966*
(a>b>c) 2.96(0.67) 19.299**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
*
꿈이
대 인 관 계 능 력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
비 빈 곤
*
없다 2.77(0.44) 2.76(0.61) 2.84(0.63)
(a>b>c) 3.00(0.49) 25.311*
꿈이
구체적인
*
**
전 체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
구체적인
**
꿈이
빈 곤
꿈이 있다 3.10(0.38) 124.271*
** (a>b>c) 3.10(0.38) 70.244** * (a>b>c)
꿈이
2.79(0.42) 2.74(0.41)
91

⑤ 성취동기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에 따른 성취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1, 꿈이 막연하다고 답한 이들이

2.7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44로 점차 성취동기가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 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성취동기가 3.24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은

2.97, 꿈이 없는 이들은 2.74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 의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성취동기가 더 높았다. 이는 2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91).

(N: 2019년 – 3,600, 2022년 – 2,011)

빈곤

비빈곤

구분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2(0.56) 25.348*** (a>b>c) 3.11(0.47) 32.827*** (a>b>c)

막연하다 2.85(0.51) 2.79(0.56)

꿈이 없다 2.46(0.80) 2.44(0.62)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9(0.54) 45.290*** (a>b, c) 3.24(0.41) 95.334*** (a>b>c)

막연하다 2.97(0.51) 2.97(0.49)

꿈이 없다 2.82(0.61) 2.74(0.50)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⑥ 자기표현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자기표현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은 3.06, 막연하다고 응답 한 이들이 2.5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30으로 점차 자기표현 정도가 낮아졌다. 비빈

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자기표현이 3.19,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 은 2.97, 꿈이 없는 이들은 2.70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더 높았다. 이는 2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

을 보이고 있다(표 92).

92
2019 2022 M(SD)F(Scheffe)M(SD)F(Scheffe)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92
<표 91> 주관적

빈곤

비빈곤

구분

<표 92>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N: 2019년 – 3,600, 2022년 – 2,011)

2019

2022 M(SD)F(Scheffe)M(SD)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48(0.64)

꿈이 없다

2.76(0.64) 33.121*** (a>b>c)

2.08(0.72)

막연하다 2.68(0.60)

3.06(0.50) 44.997*** (a>b, c)

2.54(0.64)

2.30(0.67)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5(0.65) 40.827*** (a>b, c) 3.19(0.46) 65.697*** (a>b>c)

2.97(0.52)

없다 2.63(0.66) 2.70(0.46)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⑦ 성공경험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성공경험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7로 가장 높고, 막연한 꿈

을 가진 이들이 3.18,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82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서 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3.38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3.26, 꿈이 없다 3.15

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성공경험 정도가

3.38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2.82로 성공경험이 가장 낮았다. 이는 2개

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93).

<표 9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N: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빈곤

비빈곤

2019

2022 M(SD)F(Scheffe)M(SD)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3.49(0.54) 13.623*** (a>b, c) 3.27(0.54) 13.246*** (a, b>c)

막연하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61(0.51) 21.679*** (a>b>c) 3.38(0.40) 22.009*** (a>b, c)

막연하다 3.50(0.52) 3.26(0.45)

없다 3.30(0.68) 3.15(0.55)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93
꿈이
2.82(0.60)
3.32(0.57) 3.18(0.52)
없다 3.13(0.72)
꿈이
꿈이
93

⑧ 자기관리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자기관리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1로 가장 높고, 막연한 꿈 을 가진 이들이 3.00,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71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서 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3.23으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3.05, 꿈이 없다 2.90으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자기관리 정도 가 3.23으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2.71로 자기관리 정도가 가장 낮았다 (표 94).

2022

구분구체적인 꿈이 있다막연하다꿈이 없다F(scheffe)

빈곤

비빈곤

3.21(0.48)3.00(0.47)2.71(0.69)19.794***(a>b>c)

3.23(0.41)3.05(0.45)2.90(0.49)45.547***(a>b>c)

1) *p<.05, **p<.01, ***p<.001

⑨ 주관적 건강상태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

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1, 꿈이 막

연하다고 답한 이들이 3.03,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80으로 점차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3.54로 가장 높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은 3.42, 꿈이 없는 이들은 3.23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 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높았다.

<표 95>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표 94>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구분구체적인 꿈이 있다막연하다꿈이 없다F(scheffe)

2022 빈곤

3.31(0.70)3.03(0.67)2.80(0.78)11.937***(a>b, c) 비빈곤 3.54(0.53)3.42(0.61)3.23(0.70)17.031***(a>b, 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94
94

⑩ 학교생활적응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3.19로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하다는 3.00,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9로 점

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3.29로 가장 높고,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이 3.15,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89으로 점차 낮아졌다.

전반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미래세대의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의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가장 낮았다. 이는 3개

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96).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막연하다 3.03(0.43) 3.10(0.51) 2.99(0.53)

있다 3.19(0.47) 5.532** (a>c) 3.07(0.50) 3.400* (a<b, c) 3.22(0.45) 5.988** (a>b)

없다 2.86(0.62) 2.82(0.47) 2.88(0.35)

(a>b>c) 3.31(0.47) 20.768** * (a>b>c) 막연하다 3.07(0.43) 3.09(0.46) 3.20(0.49)

없다

3.03(0.40)

95
구분 2017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학 습 활 동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8(0.55) 9.121***
막연하다 2.56(0.50) 2.75(0.47) 2.86(0.48) 꿈이 없다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
꿈이
학 교 규 칙 빈 곤 구체적인 꿈이
2.80(0.59) 6.741** (a>b, c) 2.76(0.52) 4.677* (a>b, c)
(a>b>c)
2.41(0.63) 2.44(0.39) 2.38(0.35)
있다 3.00(0.52) 51.312*
(a>b>c) 3.02(0.57) 14.539*
(a>c>b) 3.27(0.52) 41.034** * (a>b>c) 막연하다 2.85(0.47) 2.84(0.51) 3.04(0.55)
없다 2.63(0.49) 2.87(0.57) 2.79(0.49)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
교 우 관 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
.402
막연하다
3.07(0.45)
꿈이 없다 2.79(0.49) 3.04(0.44) 2.94(0.42)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42) 40.277* ** (a>b>c) 3.24(0.44) 17.676* ** (a>b,
3.32(0.43) 13.106** * (a>b>c) 막연하다
꿈이 없다 2.97(0.43) 3.01(0.42) 3.04(0.36) <표 9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
95
있다 3.18(0.48) 26.149*
(a>b>c) 3.20(0.51) 14.765*
꿈이
2.96(0.50) 2.92(0.47) 2.93(0.44)
3.18(0.42) 8.118**
(a>c) 3.10(0.43)
3.26(0.46) 2.554
3.15(0.46)
c)
3.11(0.39) 3.12(0.43) 3.25(0.39)

사 관 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8(0.61) 6.189** (a>b>c)

(a>b>c)

1) *p<.05, **p<.01, ***p<.001

⑪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6.54로 가장 높 고, 막연한 꿈을 가진 이들이 5.55,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5.22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

가정 내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7.39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6.79, 꿈

이 없다 6.22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정도가 7.39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5.22로 학업성적 수

준이 가장 낮았다.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학업성적(6.54)이 비빈곤

가정의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6.79)보다 낮다고 응답하여 주목된다(표 97).

<표 97>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구분구체적인 꿈이 있다막연하다꿈이 없다F(scheffe)

2022 빈곤 6.54(1.67)5.55(1.97)5.22(1.79)15.419***(a>b, c) 비빈곤 7.39(1.34)6.79(1.27)6.22(1.40)58.605***(a>b>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96
*
3.04(0.61) 2.340 3.22(0.43) 10.533**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a>b,
3.20(0.58)
**
*
막연하다
꿈이
2.92(0.56) 2.79(0.46) 전 체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4(0.40)
** (a>b>c)
*
막연하다
2.97(0.37) 3.00(0.36) 꿈이 없다 2.63(0.40) 2.78(0.32) 2.69(0.28)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5(0.41) 56.126* ** (a>b>c) 3.16(0.43) 21.242* ** (a>b,
*
막연하다
꿈이 없다 2.86(0.41) 2.93(0.39)
막연하다 2.97(0.54) 2.96(0.58) 2.99(0.51) 꿈이 없다 2.47(0.76) 2.80(0.56) 2.56(0.42)
있다 3.18(0.59) 31.793*
c)
12.532*
(a>b, c) 3.26(0.48) 28.142**
(a>b>c)
3.02(0.55) 3.08(0.62) 3.12(0.50)
없다 2.90(0.59)
10.630*
2.99(0.41) 3.522* (a>c) 3.19(0.32) 13.113**
(a>b, c)
2.90(0.33)
c) 3.29(0.34) 47.035**
(a>b>c)
3.01(0.36) 3.03(0.40) 3.15(0.36)
2.89(0.27)
96

(3) 부정적 발달산물

① 문제행동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먼저 빈곤가정은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의 문제행동이 1.78로 가장 높았

고, 막연하다는 응답이 1.59,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1.38로 가장 낮았다. 비빈

곤가정은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1.47, 꿈이 막연하다는 이들이 1.32, 구체적인 꿈이 있

다고 응답한 이들이 1.22로 점차 문제행동이 점차 낮아졌다. 전반적으로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문제행동이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문제행동 점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꿈이 없 는 이들이 꿈이 있는 이들보다 문제행동 점수가 높았다. 즉,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미래세대 의 문제행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내재화(우울/불안), 외현화(공격성), 위

축 세 가지 하위척도로 구분되는데, 모든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에 꿈

을 가진 정도에 따라 불안/우울, 공격성, 위축의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98).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2017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구체적인

막연하다 2.17(0.39) 1.63(0.45) 1.72(0.57)

꿈이 있다 2.06(0.44) 2.786* (a<c) 1.53(0.41) 9.007*** (a<b, c) 1.46(0.44) 17.017* ** (a<b, c)

없다 2.35(0.56) 1.76(0.50) 1.90(0.56)

구체적인

있다 1.82(0.35) 31.696*

c)

20.475**

c)

(a<b<c)

5.871** (a, b<c)

97
내 재 화 빈 곤
비 빈 곤
**
외 현 화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1.86(0.35) 1.726 1.42(0.33) .518 1.29(0.43)
막연하다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있다 1.80(0.30) 12.520* ** (a<b) 1.35(0.30) 5.935** 1.16(0.34) 11.070* **
막연하다
꿈이 없다 1.84(0.36) 1.41(0.34) 1.30(0.45) <표 98>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97
꿈이
꿈이
(a<b,
1.39(0.37)
* (a<b,
1.27(0.35) 33.533* **
막연하다 1.97(0.38) 1.50(0.39) 1.39(0.46) 꿈이 없다 1.97(0.40) 1.54(0.45) 1.58(0.49)
1.97(0.35) 1.44(0.33) 1.36(0.43)
없다 1.98(0.40) 1.47(0.32) 1.54(0.50)
(a<b, c)
1.88(0.31) 1.40(0.34) 1.23(0.38)

위 축 빈 곤

② 자살생각

구체적인 꿈이 있다

1.56(0.45) 12.754**

1.28(0.49) 13.183*

막연하다 1.70(0.49) 1.52(0.68)

(a<b, c)

꿈이 없다 1.83(0.52) 1.76(0.74)

구체적인 꿈이 있다 1.39(0.39) 31.194**

(a<b, c)

(a<b, c) 1.10(0.34) 25.116*

없다 1.61(0.49) 1.34(0.52)

막연하다 1.93(0.32) 1.46(0.33) 1.32(0.39) 꿈이 없다 1.90(0.35) 1.50(0.36) 1.47(0.42)

c)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자살생각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1.33, 꿈이 막연하다고 답한 이들이 1.5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1.78로 점차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역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자살생각이 1.22로 가장 낮았고, 막연하게 꿈을 갖은 이들은 1.31, 꿈이 없는 이들은 1.39 순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가 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자살생각이 더 낮았다(표 99).

<표 99>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구분구체적인 꿈이 있다막연하다꿈이 없다F(scheffe)

2022

빈곤 1.33(0.61)1.59(0.84)1.78(0.99)7.915***(a<b, c)

비빈곤 1.22(0.47)1.31(0.56)1.39(0.66)8.816***(a<b)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98
-
*
**
빈 곤
*
**
꿈이
전 체 빈 곤 구체적인 꿈이
**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꿈이
1.81(0.29)
** (a<b,
1.37(0.29)
*
**
(a<b,
막연하다 1.53(0.45) 1.22(0.47)
있다 1.97(0.36) 3.046* 1.49(0.33) 7.769*** (a<b, c) 1.38(0.40) 17.328*
(a<b<c) 막연하다 2.06(0.34) 1.56(0.35) 1.59(0.47)
없다 2.17(0.44) 1.65(0.36) 1.78(0.47)
있다
25.716*
c)
22.212**
(a<b, c) 1.22(0.30) 33.085*
(a<b<c)
98

③ 온라인 상의 폭력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온라인 상의 폭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피해와 가해 모두 비빈곤가정에서만 꿈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의 온라인 상의 폭력에 대한 피해와 가해 모두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이들이 가장 경험 정도가 적고, 꿈이 없는 아이들이 경험 정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

곤가정 아이들은 꿈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비빈곤 가정 아이들과의 차이는 보였는데, 전체

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온라인 상의 폭력에 대한 피해와 가해 경험

모두 가장 적었으며,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경험이 가장 많았다(표 100).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표 100>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4)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에 차이 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는 이들이 부모와의 관계가 3.09

로 가장 높았고, 막연한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6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28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3.28로 가장 높고, 꿈 이 막연하다는 3.1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78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 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좋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부모와의 관계가 2.28로 가장 낮았다.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부모 와의 관계(3.09)가 비빈곤가정의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3.11)보다 낮다고 응답하여 주 목된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101).

99
가해 구체적 인 꿈이 있다 막연 하다 꿈이 없다 F (scheffe) 구체적 인 꿈이 있다 막연 하다 꿈이 없다 F (scheffe) 2022 빈곤 0.58 (1.11) 0.63 (1.21) 0.80 (1.58) 0.255 0.79 (1.36) 0.81 (1.55) 1.42 (1.83) 0.851 비빈곤 0.44 (1.09) 0.67 (1.35) 1.31 (2.01) 7.530*** 0.77 (1.53) 1.20 (1.99) 2.85 (2.38) 7.622*** (a<c)
구분 피해
온라인
99
상의 폭력 차이 분석

구분

구체적인

<표 101>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2017 2019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빈곤

막연하다

꿈이 있다 3.03(0.86) 3.854* (a>b) 3.06(0.71) 21.169**

(a>b, c) 3.09(0.54) 37.044**

(a>b>c)

구체적인

꿈이 없다 2.75(0.86) 2.57(0.73) 2.28(0.65) 비빈 곤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부모양육태도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차이 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부모양육태도는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 4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2022년의 경우 빈곤가정의 권위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었다. 전문형과 허용형은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이들이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아이들이 가장 낮았다. 반면 무시형은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아이들이 가장 높았고,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이들이 가장 낮았다(표 102).

<표 102>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 (N: 2017년 – 3,600, 2022년 – 2,011)

M(SD) F (Scheffe) M(SD) F (Scheffe)

100
*
*
2.73(0.69) 2.74(0.74) 2.64(0.69)
*
*
*
꿈이 있다 3.33(0.64) 28.592**
(a>b>c) 3.38(0.64) 43.535**
(a>b, c) 3.28(0.41) 70.039**
(a>b>c) 막연하다 3.14(0.61) 3.12(0.66) 3.11(0.44) 꿈이 없다 2.98(0.63) 2.96(0.69) 2.78(0.48)
구분 2017 2022
형 빈 곤 구체적인
있다
막연하다 2.53(0.54) 2.60(0.59) 꿈이 없다 2.50(0.76) 2.36(0.67) 비 빈 곤 구체적인
있다 3.04(0.51) 31.471***
막연하다
꿈이 없다 2.84(0.50)
꿈이
2.80(0.62) 5.742** (a>b) 3.01(0.59) 29.537*** (a>b>c)
꿈이
(a>b, c) 3.11(0.49) 46.448*** (a>b>c)
2.89(0.47) 2.96(0.47)
2.64(0.55)
100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24(0.52) 2.12(0.61)

2.17(0.66) 0.992

2.12(0.62) 0.017

꿈이 없다 2.37(0.66) 2.10(0.57)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09(0.50) 2.10(0.57)

2.03(0.54) 15.919*** (a<b<c)

2.03(0.65) 4.842** (a<c)

꿈이 없다 2.28(0.58) 2.21(0.57)

꿈이 있다 2.59(0.43) 2.966 2.72(0.53) 13.093*** (a>b, c) 막연하다

2.75(0.51) 10.198*** (a>b, c)

7.885*** (a<b, c)

꿈이 있다 1.55(0.58) 25.435*** (a<b<c) 1.56(0.59) 13.371*** (a<b, c) 막연하다 1.64(0.56) 1.70(0.63) 꿈이 없다 1.90(0.72) 1.80(0.57)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③ 공동체성(나눔)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공동체성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1로 가장 높고, 막연한 꿈

을 가진 이들이 3.03,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59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서

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3.27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3.12, 꿈이 없다 2.99 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공동체성이 3.27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2.59로 가장 낮았다(표 103).

<표 103>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권 위 형 빈 곤

구분구체적인 꿈이 있다막연하다꿈이 없다F(scheffe)

2022 빈곤 3.21(0.48)3.03(0.47)2.59(0.63)28.579***(a>b>c)

비빈곤 3.27(0.39)3.12(0.42)2.99(0.38)37.246***(a>b>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01
빈 곤
허 용 형 빈 곤
2.46(0.42)
꿈이
비 빈 곤 구체적인
0.215
2.53(0.39) 2.64(0.47) 꿈이 없다 2.55(0.46) 2.59(0.52) 무 시 형 빈 곤 구체적인
있다 1.76(0.73)
막연하다 1.82(0.59) 1.85(0.61) 꿈이 없다 2.14(0.86) 2.06(0.69) 비 빈 곤
구체적인
2.44(0.54)
없다 2.40(0.56) 2.37(0.59)
꿈이 있다 2.52(0.41)
막연하다
꿈이
2.212 1.67(0.62)
구체적인
101

④ 사회적 능력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94로 가장 높고, 막연한 꿈을 가진 이들이 2.6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24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에

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3.06으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2.88, 꿈이 없다 2.71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사회적 능력 정 도가 3.06으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2.24로 가장 낮았다. 이는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의 4개의 하위척도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표 104).

104> 주관적 경제수준

능력 차이 분석 (단위: M/SD)

사교성대인적응성사회참여도주도성전체

있다 2.84(0.60)3.12(0.61)3.00(0.58)2.85(0.72)2.94(0.49)

막연하다 2.47(0.68)3.01(0.70)2.62(0.66)2.51(0.77)2.61(0.54)

꿈이 없다 2.00(0.66)2.63(0.66)2.30(0.70)2.18(0.89)2.24(0.58)

33.747*** (a>b>c)

구체적인

(a, b>c)

꿈이 있다 2.92(0.59)3.13(0.62)3.17(0.48)3.07(0.62)3.06(0.43)

막연하다 2.74(0.64)3.06(0.61)2.98(0.53)2.77(0.66)2.88(0.47)

꿈이 없다 2.59(0.56)3.05(0.66)2.73(0.59)2.58(0.70)2.71(0.48)

(a>b>c) 16.567*** (a>b, c) 37.049*** (a>b>c) 비 빈 곤

F(Scheffe) 24.696*** (a>b, c) 3.105*

1) *p<.05, **p<.01, ***p<.001

(a>b>c) 52.010*** (a>b, c) 47.823*** (a>b>c)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⑤ 사회적 지지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사회적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06으로 가장 높고, 막연 한 꿈을 가진 이들이 2.6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31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 내 에서도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하는 이들이 3.18로 가장 높고, 막연하다 2.99, 꿈이 없다 2.80으로 점차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비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사회적 지지가 3.18로 가장 높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는 이들이 2.31로 사회적지지가 가장 낮았다. 이는 2

있다(표 105).

102
20 22 빈 곤 구체적인 꿈이
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구분
F(Scheffe)
10.610***
26.742***
46.724***
및 꿈에 따른 사회적
102
<표

<표 105>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적 지지 차이 분석 (N: 2017년 – 3,600, 2022년 – 2,011)

2017

구분

구체적인 꿈이 있다

빈곤

비빈곤

2022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막연하다 2.72(0.57)

꿈이 없다

2.99(0.66) 10.938*** (a>b, c)

2.53(0.69)

2.69(0.60)

3.06(0.55) 34.468*** (a>b>c)

2.31(0.68)

막연하다 2.97(0.56) 2.99(0.43)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6(0.58) 63.068*** (a>b>c)

꿈이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⑥ 사회 불평등 인식

3.18(0.41) 60.769*** (a>b>c)

사회 불평등 인식은 미래세대들이 꿈을 꾸는 데 있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차원의 장애 요인을 의미한다.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간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사회 불평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빈곤가정 내에서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79로 사회 불평등 인식이 가장 높았고, 꿈이 막연하다 2.70, 구체적인 꿈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이 2.60으로 점차 낮아졌다. 비빈곤가정에서도 역시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이 2.47로

사회 불평등 인식이 가장 높았고,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2.37, 구체적인 꿈이 있다

고 응답한 이들이 2.34로 점차 낮아졌다. 다만 꿈 유무와 관계없이 빈곤 아동이 비빈곤 아동

보다 사회 불평등 인식이 높게 나타나 주목된다. 전반적으로 보면, 비빈곤가정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동들의 사회 불평등 인식이 가장 낮았고, 빈곤가정의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의

사회 불평등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또한 빈곤가정 미래세대는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사회

를 더 불평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 고 있다(표 106).

<표 106> 주관적 경제수준 및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 (N: 2017, 2019년 – 3,600, 2022년 – 2,011)

구분

M(SD) F (Scheffe) M(SD) F (Scheffe) M(SD) F (Scheffe) 빈곤

c)

없다

103
2017 2019 2022
꿈이 있다 2.73(0.53) 1.867 2.64(0.55) 15.380**
구체적인
* (a<b,
2.60(0.49) 3.634* 막연하다 2.84(0.44) 2.84(0.52) 2.70(0.43) 꿈이
2.73(0.58) 2.92(0.52) 2.79(0.52)
없다 2.79(0.57) 2.80(0.47)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03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0(0.55) 18.971**

(a>b, c) 2.46(0.55) 30.520**

2.37(0.49)

(a<b, c) 2.34(0.47) 3.496* 막연하다 2.63(0.49) 2.67(0.50)

꿈이 없다 2.61(0.57) 2.56(0.49) 2.47(0.43)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3) 소결

본 장은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의 아이들의 꿈이 서로 다른지, 특히 빈곤가정 아동에게 꿈의 존재가 그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017년과 2020년 조사의 결과 와 함께 살펴보았다.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보다 상대적으로 ‘꿈이 없거나, 막연한 꿈을 갖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비율이 높았고, 현재 꿈을 실현 하면서 살고 있다는 응답이 낮고, 미래의 실현가능성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꿈이 자 주 변했다고 응답하는 비율도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높았으며, 자신의 꿈에 대해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흥미, 없다’ 2가지는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많이 선택하였

는데, 빈곤가정은 ‘돈/경제력’을 비빈곤 가정은 ‘대중매체’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이는 빈곤가

정의 경우 가정의 생계를 위해 꿈에 ‘돈/경제력’이 더 많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꿈 을 선택하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인물은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없다, 부모, 연예 인’이 1순위에서 3순위까지 선택되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는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낮은 진로성숙도를 갖고 부족한 진로준비행

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경험하고 있는 개인적, 사회적 상황은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 관리,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공동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과 같은 발달 산물, 사회적 인식 등에서도 역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문제 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사회 불평등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부모양육 태도의 경우 전문형과 허용형은 비빈곤가정, 무시형은 빈곤가정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경험하고 있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발달과정에도 불구하고 꿈의 존재 가 이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빈곤가정 내에서도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막연한 꿈이 있거나, 꿈이 없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 적 건강상태,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 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공동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비 빈 곤

104
*
*
104

긍정적인 발달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 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사회 불평등 인식’ 등 부정적인 발달 산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목할만한 결과로는 진로성숙도의 경우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 계획성은 비빈곤가정의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높았으나, ‘일에 대한 태도’ 부분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라

고 응답한 부분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 다. 해당 하위척도는 ‘나는 미래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고, 관심도 없다’의 역문항 을 통해 측정되었는데 해당 문항을 통해 유추해보면, 빈곤가정 아이들의 경우 생계를 위해 미

래에 대해 더 빠르게 고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즉, 아동의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역량이기보다는 가족이나 외부에서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부

족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진로준비행동에서도 하위영역 중 진로탐색, 정보수집, 취업준비 세 가지 영역은 비빈곤가정 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활동이 높았으나, 직업체험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가정의 아이들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률이 높은데, 해당 하위척도가 ‘실제로 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경험담, 조언, 충고를 들

었다’ 문항을 통해 측정되었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빈곤가정 아이들이 꿈에 미치는 영향이 ‘돈/경제력’이 높고, 진로성숙도에서도 ‘일에 대한

태도’가 높은 점수를 보이고, 진로준비행동에서도 ‘직업체험’ 활동이 높게 나타난 데에는 아동 의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역량이기보다는 가족이나 외부에서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나타났을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빈곤가정 아이들이 본인이 원하는 꿈을 꿀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ACE(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는 생애주기에 걸친 학대· 폭력의 중복경험을 개별학대, 폭력의 범주를 넘어 부모의 이혼,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 부모 와의 별거 경험, 가족 내 폭력의 목격 경험 등 다양한 부정적 생애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이 다. ACE는 발달과정에서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는 신경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아동의 인지·정서·행동 측면에서 지속적이고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다(서영석 외, 2012). 그러나 희망, 꿈, 자아탄력성 등은 외상으로 손상된 내 면세계를 또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게 하고, 외상 경험을 단순히 회피하고 싶 은 고통으로 여기기보다 인생을 새로운 관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을 주기도 한다(배상정· 양난미, 2014; 박신애·최옥채, 2018). 본 장에서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미래세대에 게 있어서 꿈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 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미래세대와 부정적 경험을 하지 않은 미래세대의 발달적 측면에 차이가 있는지, 꿈의 존재가 이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고자 한다.

105
105

1) 연구참여자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관련 현황

(1) 성별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성별에 따라 아동이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남성과 여성 모두

0점(없음) 각각 13.9%, 14.4%로 가장 많았고, 1점(남성 19.4%, 여성 16.8%), 2점(남성 37.8%, 여성 42.2%), 3점(남성 8.9%, 여성 7.9%), 4점(남자 5.0%, 여자 4.6%) 순으로 나타났 다(표 107).

<표 107> 성별에 따른

남성

없음0점 144(13.9)140(14.4)284(14.1)

1점 201(19.4)163(16.8)364(18.1)

2점 392(37.8)411(42.2)803(39.9)

3점 92(8.9)77(7.9)169(8.4)

4점 52(5.0)45(4.6)97(4.8)

5점 26(2.5)27(2.8)53(2.6)

6점 17(1.6)19(2.0)36(1.6)

7점 13(1.3)20(2.1)33(1.6)

8점 11(1.1)10(1.0)21(1.0)

9점 16(1.5)12(1.2)28(1.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10점 3(0.3)8(0.8)11(0.5)

11점 1(0.1)6(0.6)7(0.3)

33.863 있음

12점 3(0.3)1(0.1)4(0.2)

13점 3(0.3)1(0.1)4(0.2)

14점 2(0.2)3(0.3)5(0.2)

15점 7(0.7)4(0.4)11(0.5)

16점 23(2.2)14(1.4)37(1.8)

17점 14(1.3)2(0.2)12(0.6)

18점 10(1.0)2(0.2)12(0.6)

19점 4(0.4)4(0.4)8(0.4)

20점 1(0.1)1(0.1)2(0.1)

21점 2(0.2)2(0.2)4(0.2)

22점 1(0.1)0(0.0)1(0.0)

23점 0(0.0)1(0.1)1(0.0)

전체 1038(100.0)973(100.0)2011(100.0)

*p<.05, **p<.01, ***p<.001

106
구분
여성 전체 
단위: 명(%) 10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2) 성별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 세부경험

성별에 따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먼저 남성이 가장 많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은 정서적 방임이 83.1%으로 가장 많았고, 정서적 학대가 13.4%, 신

체적 학대가 12.8%, 또래폭력 12.1%, 정서적 학대, 알코올/약물중독, 가정폭력 목격, 긴급위

기가 각각 11.6%로 나타났다.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1순위는 정서적 방임이 82.8%, 정서

적 학대 13.2%, 또래폭력 12%, 신체적 학대와 긴급위기가 각각 11.8% 순으로 나타났다. 남

성과 여성 각각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의 순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상위 5순위 내외의

주요한 항목이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표 108).

<표 108> 성별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세부경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단위: 명(%)

① 신체적 학대 133(12.8)105(10.8)238(11.8)1.967

② 정서적 학대 139(13.4)128(13.2)267(13.3)0.024

③ 성적 학대 81(7.8)56(5.8)137(6.8)3.318

④ (가족구성원)

알코올/약물중독 120(11.6)83(8.5)203(10.1)5.082*

⑤ (가족구성원)

수감경험 28(2.7)15(1.5)43(2.1)3.207

⑥ (가족구성원)

우울, 자살 45(4.3)43(4.4)88(4.4)0.008

⑦가정폭력 목격 120(11.6)86(8.8)206(10.2)4.047*

⑧ (부모) 별거/이혼 77(7.4)59(6.1)136(6.8)1.461

⑨ 정서적 방임 863(83.1)806(82.8)1669(83.0)0.033

⑩ 물리적 방임 120(11.6)75(7.7)195(9.7)8.513**

⑪ 또래폭력 126(12.1)116(11.9)242(12.0)0.022

⑫ 지역사회 폭력 72(6.9)35(3.6)107(5.3)11.117***

⑬ 집단폭력 경험/

목격 83(8.0)45(4.6)128(6.4)9.577**

⑭ 긴급위기 120(11.6)118(12.1)238(11.8)0.155

*p<.05, **p<.01, ***p<.001

107
구분 남성 여성 전체 
107

(3) 교급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교급에 따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비율에 비해 경험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청년의 경우 1점부터 23 점까지 다양한 경험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 상세히 살펴보면 2점에 해당하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차지하였으며 초등학교 45.3%, 중학교 48.5%, 고등학교 44%, 청년 21.8%으로 나타났다(표 109).

명(%)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93(18.6)81(16.1)84(16.6)26(5.2)284(14.1)

1점 116(23.2)101(20.1)112(22.1)35(7.0)364(18.1)

2점 227(45.3)244(48.5)223(44.0)109(21.8)803(39.9)

3점 33(6.6)38(7.6)36(7.1)62(12.4)169(8.4)

4점 12(2.4)15(3.0)23(4.5)47(9.4)97(4.8)

5점 6(1.2)7(1.4)11(2.2)29(5.8)53(2.6)

6점 3(0.6)8(1.6)5(1.0)20(4.0)36(1.8)

7점 0(0.0)3(0.6)2(0.4)28(5.6)33(1.6)

8점 4(0.8)0(0.0)5(1.0)12(2.4)21(1.0)

9점 4(0.8)4(0.8)3(0.6)17(3.4)28(1.4)

10점 0(0.0)1(0.2)0(0.0)10(2.0)11(0.5)

11점 0(0.0)0(0.0)0(0.0)7(1.4)7(0.3)

643.700 *** 있음

12점 0(0.0)1(0.2)0(0.0)3(0.6)4(0.2)

13점 0(0.0)0(0.0)0(0.0)4(0.8)4(0.2)

14점 0(0.0)0(0.0)0(0.0)5(1.0)5(0.2)

15점 0(0.0)0(0.0)1(0.2)10(2.0)11(0.5)

16점 2(0.4)0(0.0)2(0.4)33(6.6)37(1.8)

17점 0(0.0)0(0.0)0(0.0)16(3.2)16(0.8)

18점 1(0.2)0(0.0)0(0.0)11(2.2)12(0.6)

19점 0(0.0)0(0.0)0(0.0)8(1.6)8(1.6)

20점 0(0.0)0(0.0)0(0.0)2(0.4)2(0.1)

21점 0(0.0)0(0.0)0(0.0)4(0.8)4(0.2)

22점 0(0.0)0(0.0)0(0.0)1(0.2)1(0.0)

23점 0(0.0)0(0.0)0(0.0)1(0.2)1(0.0)

전체 501(100.0)503(100.0)507(100.0)500(100.0)2011(100.0) *p<.05, **p<.01, ***p<.001

108
구분
고등 학교 청년전체 
초등 학교 중학교
<표 109> 교급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단위:
108

(4) 교급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 세부경험

교급에 따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의 세부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초등 학생이 경험한 세부경험은 정서적 방임(79.4%), 긴급위기(5%), 정서적 학대(4.8%) 순으로 나 타났다. 중학생은 정서적 방임(82.7%), 긴급위기(5.4%), 또래폭력(4.6%), 고등학생은 정서적 방임(81.5%), 긴급위기(6.7%), 알코올/약물중독(4.7%), 물리적 방임(4.5%)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은 정서적 방임(83%), 정서적 학대(13.3%), 또래폭력(12%), 신체적 학대와 긴급위기가 각 각 11.8%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교급별로 순위에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정서적 방임, 정서적 학대, 긴급위기, 또래폭력 등은 부정적 생애경험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110).

세부경험 단위: 명(%)

① 신체적 학대 14(2.8)19(3.8)22(4.3)183(36.6)238(11.8)391.733***

② 정서적 학대 24(4.8)14(2.8)30(5.9)199(39.8)267(13.3)408.774***

③ 성적 학대 7(1.4)9(1.8)8(1.6)113(22.6)137(6.8)261.323***

④ (가족구성원)

알코올/약물중독 16(3.2)17(3.4)24(4.7)146(29.2)203(10.1)268.435***

⑤ (가족구성원) 수감경험 5(1.0)5(1.0)3(0.6)30(6.0)43(2.1)47.689***

⑥ (가족구성원) 우울, 자살 6(1.2)7(1.4)3(0.6)72(14.4)88(4.4)160.217***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⑦가정폭력 목격 18(3.6)14(2.8)17(3.4)157(31.4)206(10.2)324.139***

⑧ (부모) 별거/이혼 14(2.8)16(3.2)18(3.6)88(17.6)136(6.8)124.175***

⑨ 정서적 방임 398(79.4)416(82.7) 413(81 .5) 442(88.4)1669(83.0)15.709***

⑩ 물리적 방임 17(3.4)17(3.4)23(4.5)138(27.6)195(9.7)244.099***

⑪ 또래폭력 19(3.8)23(4.6)13(2.6)187(37.4)242(12.0)405470***

⑫ 지역사회 폭력 4(0.8)2(0.4)5(1.0)96(19.2)107(5.3)254.644***

⑬ 집단폭력 경험/목격 3(0.6)5(1.0)8(1.6)112(22.4)128(6.4)287.502***

⑭ 긴급위기 25(5.0)27(5.4)34(6.7)152(30.4)238(11.8)220.598***

*p<.05, **p<.01, ***p<.001

109
구분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학교 청년전체 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109
<표 110> 교급에 따른

(5)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비곤, 비빈곤 모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0점(없음)은 각각 5.5%, 16%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었다는 응답에서는 2점에 해당하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빈곤은 31.4%, 비빈곤 48.1%로 나타났다. 1점은(빈곤 9.3%, 비빈곤 20.1%), 3점(빈곤 10.9%, 비빈곤 7.8%), 4점(빈곤 9%, 비빈곤 3.9%)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였 다. 부정적 생애경험을 ‘있음’으로 응답한 아동의 비율을 보면 비빈곤가정 아동에 비해 빈곤가 정 아동의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와 응답률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표 111).

<표 111>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1점 34(9.3)330(20.1)364(18.1)

2점 115(31.4)688(41.8)803(39.9)

3점 40(10.9)129(7.8)169(8.4)

4점 33(9.0)64(3.9)97(4.8)

5점 23(6.3)30(1.8)53(2.6)

6점 17(4.6)19(1.2)36(1.8)

7점 16(4.4)17(1.0)33(1.6)

8점 11(3.0)10(0.6)21(1.0)

9점 12(3.3)16(1.0)28(1.4)

10점 7(1.9)4(0.2)11(0.5)

11점 3(0.8)4(0.2)7(0.3)

12점 2(0.5)2(0.1)4(0.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20(5.5)264(16.0)284(14.1)

212.090*** 있음

13점 2(0.5)2(0.1)4(0.2)

14점 3(0.8)2(0.1)5(0.2)

15점 4(1.1)7(0.4)11(0.5)

16점 9(2.5)28(1.7)37(1.8)

17점 4(1.1)12(0.7)16(0.8)

18점 5(1.4)7(0.4)12(0.6)

19점 4(1.1)4(0.2)8(0.4)

20점 1(0.3)1(0.1)2(0.1)

21점 0(0.0)4(0.2)4(0.2)

22점 0(0.0)1(0.1)1(0.0)

23점 1(0.3)0(0.0)1(0.0)

전체 366(100.0)1645(100.0)2011(100.0) *p<.05, **p<.01, ***p<.001

110
구분
빈곤 비빈곤 전체 
생애경험(ACE) 단위:
110
명(%)

(6)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유무 : 세부경험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먼저 빈곤

가정 아동이 가장 많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은 정서적 방임이 90.7%로 가장 많았고, 정서

적 학대가 30.3%, 긴급위기 29.2%, 신체적 학대 24.6%, 또래폭력 24.3% 순으로 나타났다.

비비곤 가정은 정서적 방임이 81.3%로 가장 많았고, 정서적 학대 9.5%, 또래폭력 9.3%, 신체

적 학대 9%, 물리적 방임 8.6% 순이었다. 빈곤과 비비곤 모두 정서적 방임이 타 항목에 비해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으며, 정서적 학대가 각각 2순위로 나타나 정서적인 영역이 부정적 생애 경험의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표 112).

<표 112>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세부경험 단위: 명(%)

① 신체적 학대 90(24.6)148(9.0)238(11.8)69.766***

② 정서적 학대 111(30.3)156(9.5)267(13.3)112.976***

③ 성적 학대 39(10.7)98(6.0)137(6.8)10.410**

④ (가족구성원)

알코올/약물중독 64(17.5)139(8.4)203(10.1)26.938***

⑤ (가족구성원) 수감경험 12(3.3)31(1.9)43(2.1)2.781

⑥ (가족구성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우울, 자살 43(11.7)45(2.7)88(4.4)58.122***

⑦가정폭력 목격 74(20.2)132(8.0)206(10.2)48.420***

⑧ (부모) 별거/이혼 63(17.2)73(4.4)136(6.8)77.494***

⑨ 정서적 방임 332(90.7)1337(81.3)1669(83.0)18.878***

⑩ 물리적 방임 54(14.8)141(8.6)195(9.7)13.070***

⑪ 또래폭력 89(24.3)153(9.3)242(12.0)63.771***

⑫ 지역사회 폭력 31(8.5)76(4.6)107(5.3)8.809**

⑬ 집단폭력 경험/

목격 47(12.8)81(4.9)128(6.4)31.490***

⑭ 긴급위기 107(29.2)131(8.0)238(11.8)129.828***

*p<.05, **p<.01, ***p<.001

111
구분 빈곤비빈곤전체 
111

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

(1) 미래세대의 꿈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유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0점(없음), 1점, 2점, 3점, 4점 이상” 이렇게 5가지로 구분하여

꿈 유무를 확인한 결과,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응답률은 부정적 생애경험이 한 번도

없었다고 응답한 이들에게서 72.2%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높아질수 록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구분

<표 11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유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없음0점 205(72.2)75(26.4)4(1.4)

1점 222(61.0)130(35.7)12(3.3)

2점 451(56.2)308(38.4)44(5.5)

단위: 명(%)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꿈이 없다 

만 아직은 막연하다.’ 응답에서는 부정적 생애경험이 한번도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4%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생애 경험이 있는 경우, 점수가 가중될수록 경험의 비율도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경험의 점수와 응답률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표 113). <표 114>에는 결핍수준에 따른 ACE 경험유무가 나타나 있다. 문항별 ‘아니오’라고 응답한 비 율을 뜻한다. 특히 뚜렷한 차이를 보인 상위 항목을 살펴보면 ‘정기적인 여가활동을 하고 있 다.’, ‘우리집 행사/현장학습에 참가하기 위한 돈을 낼 수 있다.’, ‘하루에 세끼를 먹는다.’, ‘내 연령과 수준에 맞는 책을 보유하고 있다.’등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모든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142.726** * 있음

3점 67(39.6)91(53.8)11(6.5)

4점 이상 151(38.6)177(45.3)63(16.1)

전체 1096(54.5)781(38.8)134(6.7)

*p<.05, **p<.01, ***p<.001

112
112

②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

<표 114> 결핍 수준에 따른 ACE 경험유무

단위: 명(%), ‘아니오’ 응답 비율

하루에 세끼를 먹는다.

하루에 적어도 한번은

육류 또는 생선을 매일 섭취한다.

섭취한다.

내 연령과 수준에 맞는

야외활동을 할 수 있는

있다.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이나 기구들이

우리집 행사/현장학습에 참가하기 위한 돈을 낼 수 있다.

우리집은 과제나 책을

읽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적당하게 밝은 조용한 공간이 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

다른 사람에게 물려받지

않은 새 옷이 있다.

적어도 두 켤레의 실발을

있다.

친구들을 집으로

놀거나 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113 구분 ACE 경험유무  없음 있음 전체 1점2점3점 4점 이상
24 (9.3) 53 (16.1) 136 (23.5) 26 (24.3) 48 (39.0) 314 (20.8) 53.769** *
31 (12.0) 64 (19.5) 166 (23.9) 33 (30.8) 34 (27.6) 328 (21.7) 25.043** *
매일
41 (15.9) 84 (25.5) 189 (27.2) 39 (36.4) 41 (33.3) 1117 (73.9) 23.749** *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책을 보유하고 있다. 8 (3.1) 14 (4.3) 28 (4.0) 8 (7.5) 22 (17.9) 80 (5.3) 45.291** *
기구들이
27 (10.5) 48 (14.6) 174 (25.1) 24 (22.4) 38 (30.9) 311 (20.6) 40.167** *
하고
52 (20.2) 116 (35.3) 289 (41.6) 55 (51.4) 68 (55.3) 580 (38.4) 63.245** *
있다.
정기적인 여가활동을
있다. 12 (4.7) 28 (8.5) 79 (11.4) 16 (15.0) 12 (9.8) 147 (9.7) 13.619**
0 (0.0) 3 (0.9) 29 (4.2) 7 (6.5) 17 (13.8) 56 (3.7) 55.236** *
1 (0.4) 1 (0.3) 11 (1.6) 2 (1.9) 6 (4.9) 21 (1.4) 16.014**
0 (0.0) 0 (0.0) 1 (0.1) 1 (0.9) 2 (1.6) 4 (0.3) 12.392*
0 (0.0) 3 (0.9) 10 (1.4) 1 (0.9) 5 (4.1) 19 (1.3) 11.689*
0 (0.0) 0 (0.0) 3 (0.4) 1 (0.9) 4 (3.3) 8 (0.5) 20.894** *
가지고
기회들이
38 (14.7) 49 (14.9) 128 (18.4) 34 (31.8) 37 (30.1) 286 (18.9) 28.041** * 생일파티를
있다. 25 (9.7) 17 (5.2) 90 (13.0) 24 (22.4) 22 (17.9) 178 (11.8) 31.968** *
초대하여
종종 있다.
할 기회가
*p<.05, **p<.01, ***p<.001
113

스스로 꿈을 결정했는지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0점은 91.9%, 1점 은 87.6%, 2점은 82.1%, 3점은 81.7%, 4점 이상은 79.5%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생애경험

을 많이 겪을수록 꿈을 결정하는 비율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꿈을 스스로 결

정하지 않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표 115).

<표 11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 단위: 명(%)

구분 예 아니오 

없음0점 261(91.9) 23(8.1)

1점 319(87.6) 45(12.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2점 659(82.1)144(17.9)

25.401*** 있음

3점 138(81.7) 31(18.3)

4점 이상 311(79.5) 80(20.5) 전체 1688(83.9)323(16.1) *p<.05, **p<.01, ***p<.001

③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꿈의 실현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는 응답이 0점은 96.1%, 1점 은 89%, 2점은 84.1%, 3점은 81%, 4점 이상은 71.2%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이 한 번도 없었던 사람들은 90%가 넘는 이들이 꿈의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있었으 나, 한 번이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높아질수록 대체로 긍정적인 답변이 점차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16).

<표 11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단위: 명(%)

없음0점 2(0.7)9(3.2)212(74.6)61(21.5)

1점 1(0.3)39(10.7)274(75.3)50(13.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2점 10(1.2)117(14.6)565(70.4)50(13.7)

130.197** * 있음

3점 6(3.6)26(15.4)103(60.9)34(20.1)

4점 이상 29(7.4)83(21.3)2.8(53.3)70(17.9)

전체 48(2.4)274(13.6)1362(67.8)326(16.2)

*p<.05, **p<.01, ***p<.001

114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
114

④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변화정도

꿈의 변화정도를 묻는 질문에 ‘변했다(자주 변했다+가끔 변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0점이

42.2%, 1점이 60.2%, 2점이 65.8%, 3점이 67.5%, 4점 이상이 64.2%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

정적 생애경험이 한 번도 없었던 이들에 비하여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1가지 이상 경험한

이들은 약 60% 정도의 일정한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꿈의 변화정도는 아

동기의 부정적 경험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이 둘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

로 나타났다(표 117).

구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전혀 변하지

않았다 거의

변하지 않았다 가끔 변했다 자주 변했다 

없음0점 8(2.8)156(54.9)102(35.9)18(6.3)

있음

1점 10(2.7)135(37.1)180(49.5)39(10.7)

2점 17(2.1)258(32.1)419(52.2)109(13.6)

3점 4(2.4)51(30.2)89(52.7)25(14.8)

4점이상 30(7.7)110(28.1)195(49.9)56(14.3)

전체 69(3.4)710(35.3)985(49.0)247(12.3)

*p<.05, **p<.01, ***p<.001

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명(%)

90.769***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지 질문한 결과, 0점은 68%, 1점은 63.2%, 2점은 57.2%, 3점은 55.1%, 4점 이상은 51.4%가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고 응답하였 다. 즉,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이 꿈에 대해 주변사람들과 이야기 하고 소통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많아질수록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 는 정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18).

<표 11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단위: 명(%)

구분 매우 아니다아니다그렇다매우 그렇다 

없음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0점 2(0.7)89(31.3)157(55.3)36(12.7)

1점 12(3.3)122(33.5)209(57.4)21(5.8)

2점 22(2.7)322(40.1)410(51.1)49(6.1)

있음 3점 5(3.0)71(42.0)89(52.7)4(2.4)

4점이상 31(7.9)159(40.7)173(44.2)28(7.2)

전체 72(3.6)763(37.9)1038(51.6)138(6.9) *p<.05, **p<.01, ***p<.001

64.326***

115
따른
변화정도 단위:
<표 11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115

⑥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정도

꿈에 따라 살고 있는지 질문한 결과, 0점은 82.7%, 1점은 68.7%, 2점은 64.8%, 3점은 59.8%, 4점 이상은 55.5%가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즉,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이 꿈에 따라 살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아동기 부정적 경험을 많이 겪을수록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낮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19).

<표 11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실현정도 단위: 명(%)

구분매우 그렇다그렇다아니다매우 아니다 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 음 0점 3(1.1)46(16.2)206(72.5)29(10.2) 102.230** *

1점 6(1.6)108(29.7)231(63.5)19(5.2)

2점 14(1.7)269(33.5)484(60.3)36(4.5)

3점 7(4.1)61(36.1)90(53.3)11(6.5)

4점 이상 33(8.4)141(36.1)194(49.6)23(5.9)

전체 63(3.1)625(31.1)1205(59.9)118(5.9)

*p<.05, **p<.01, ***p<.001

⑦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영향요인

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미래세대 는 1순위 ‘흥미(34.5%)’, 2순위 ‘대중매체(18%)’, 3순위 ‘없다(13.4%)’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 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1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흥미(36.3%)’, 2순위 ‘없다(16.8%)’, 3순위 ‘대중매체(15.4%)’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2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흥미 (33.9%)’, 2순위 ‘대중매체(19.1%)’, 3순위 ‘없다(15.9%)’로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 점수가 3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흥미(34.9%)’, 공동 2순위 ‘돈/경제력(16.6%)’, 없다 (16.6%) 3순위 ‘대중매체(14.8%)’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4 점 이상인 미래세대는 1순위 ‘흥미(27.1%)’, 2순위 ‘돈/경제력(23.3%)’, 3순위 ‘없다(17.7%)’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꿈 영향요인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미래세대는 ‘흥미’에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높은 미래세대는 ‘돈/경제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120).

116
있 음
116

<표 12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영향요인

다중응답, 단위: 명(%)

구분성적 진로 검사/ 진로 체험 책 대중 매체 롤모 델 봉사

⑧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꿈 영향인물

꿈 영향인물에 대해 물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미래세대는

1순위 ‘부모(26.4%)’, 2순위 ‘없다(23.6%)’, 3순위 ‘연예인(22.2%)’ 등의 순을 보였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1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부모(28%)’, ‘없다(28%)’가 공동순위로 조사 되었으며, 2순위 ‘연예인(12.9%)’, 3순위 ‘친구/선배(11.8%)’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점수가 2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없다(29.8%)’, 2순위 ‘부모(29.1%)’, 3순위 ‘연예인 (16.8%)’ 등의 순을 보였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3점인 미래세대는 1순위 ‘없다 (34.9%)’, 2순위 ‘부모(22.5%)’, 3순위 ‘연예인(11.8%)’이었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4점 이상인 미래세대는 1순위 ‘없다(30.9%)’, 2순위 ‘부모(28.4%)’, 3순위 ‘연예인(10.2%)’ 등 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꿈에 영향인물이 없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표 121).

117
활동 기타없다 돈/ 경제 력 흥미 아 르 바 이 트 종 교 아동기
없 음 0점 5
25 (8.8) 14 (4.9) 51 (18.0) 22 (7.7) 1 (0.4) 2 (0.7) 38 (13.4) 28 (9.9) 98 (34.5) 있 음 1점 12 (3.3) 34 (9.3) 6 (1.6) 56 (15.4) 27 (7.4) 4 (1.1) 1 (0.3) 61 (16.8) 31 (8.5) 132 (36.3) 2점 31 (3.9) 53 (6.6) 10 (1.2) 153 (19.1) 51 (6.4) 5 (0.6) 2 (0.2) 128 (15.9) 98 (12.2) 272 (33.9) 3점 6 (3.6) 12 (7.1) 2 (1.2) 25 (14.8) 5 (3.0) 2 (1.2) 2 (1.2) 28 (16.6) 28 (16.6) 59 (34.9) 4점 이 상 22 (5.6) 37 (9.5) 7 (1.8) 33 (8.4) 17 (4.3) 3 (0.8) 8 (2.0) 67 (17.7) 91 (23.3) 106 (27.1) 전체 76 (3.8) 161 (8.0) 39 (1.9) 318 (15.8) 122 (6.1) 15 (0.7) 15 (0.7) 322 (16.0) 276 (13.7) 667 (33.2)
부정적 생애 경험 (ACE)
(1.8)
117

⑨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물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0점) 것의 응답에서는 예 54.9%, 아니오

45.1%로 나타났으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경우에는 ‘아니오’에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없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22).

<표 12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단위: 명(%) 구분부모교사

구분 예 아니오 

1점 169(46.4)195(53.6)

2점 377(46.9)426(53.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156(54.9)128(45.1)

10.243* 있음

3점 77(45.6) 92(54.4)

4점 이상 167(42.7)224(57.3) 전체 946(47.0)1065(53.0) *p<.05, **p<.01, ***p<.001

118
사회 복지사 (상담사) 종 교 인 기타없다 형제/ 자매 정 치 인 연 예 인 위인 아 동 기 부 정 적 생 애 경 험 (A C E) 없 음 0점 75 (26.4) 24 (8.5) 16 (5.6) 12 (4.2) 2 (0.7)13 (4.6) 67 (23.6) 4 (1.4)63 (22.2) 8 (2.8) 있 음 1점 102 (28.0) 26 (7.1) 43 (11.8) 10 (2.7) 2 (0.5)17 (4.7) 102 (28.0) 7 (1.9)47 (12.9) 8 (2.2) 2점 234 (29.1) 62 (7.7) 55 (6.8) 19 (2.4) 6 (0.7)32 (4.0) 239 (29.8) 13 (1.6)135 (16.8) 8 (1.2) 3점 38 (22.5) 14 (8.3) 15 (8.9) 3 (1.8) 2 (1.2)10 (5.9) 59 (34.9) 6 (3.6)20 (11.8) 2 (1.2) 4점 이 상 111 (28.4) 33 (8.4) 31 (7.9) 11 (2.8) 4 (1.0)19 (4.9) 121 (30.9) 15 (3.8)40 (10.2) 6 (1.5) 전체 560 (27.8) 159 (7.9) 160 (8.0) 55 (2.7) 16 (0.8)91 (4.5) 588 (29.2) 45 (2.2)3.5 (15.2) 32 (1.6)
생애경험(ACE)에
118
친구/ 선배 친척
<표 121> 아동기 부정적
따른 꿈 영향인물 다중응답, 단위: 명(%)

(2) 진로 발달산물

①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성숙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정도에 따른 진로성숙도를 살펴본 결과, 0점은 3.21, 1점은 3, 2점

은 2.89, 3점은 2.96, 4점 이상은 2.82로 부정적 생애경험이 많아질수록 진로성숙도가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는 ‘자기

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의 4가지 하위척도로 나뉘는데, 하위영역으로 세분화하

여 살펴본 결과, 이들 4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

적으로 보면 아동기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많아질수록 자기이해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 였다. 한편, 부정적 생애경험을 3회 경험한 이들에게서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 등이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23).

<표

123> 아동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단위: M/SD

1점 3.08(0.49)3.25(0.70)2.85(0.73)3.00(0.47)3.00(0.34)

2점 2.94(0.47)3.04(0.72)2.83(0.74)2.87(0.47)2.89(0.35)

3점 2.88(0.52)3.12(0.73)3.00(0.73)2.91(0.47)2.96(0.38)

음 0점 3.26(0.51)3.37(0.75)3.10(0.82)3.24(0.56)3.21(0.47) 있 음

4점 이상 2.69(0.64)2.18(0.90)2.89(0.79)2.82(0.59)2.82(0.43) F 56.02 7*** (0>1>2, 3>4) 27.138*** (0, 1>4>3, 2) 7.540*** (0>1, 2, 4) 35.107*** (0>1, 2, 3, 4) 49.544*** (0>1>2>4 3>4)

*p<.05, **p<.01, ***p<.001

②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을 살펴본 결과, 0점은 2.77, 1점은 2.65, 2점 은 2.54, 3점은 2.58, 4점 이상은 2.65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에 부정적인 경험을 하면 진로 준비행동이 다소 떨어지나, 4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을 때 진로준비행동이 오히려 소 폭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탐색행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 업준비활동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되는데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났다(표 124).

119
태도
구분 자기이해 일에 대한
독립성계획성전체
119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성숙도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표 12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단위: M/SD

구분진로탐색활동정보수집활동직업체험활동취업준비활동전체

없음0점 2.57(0.79)2.88(0.75)2.78(0.78)2.85(0.75)2.77(0.62)

1점 2.46(0.75)2.87(0.79)2.55(0.84)2.74(0.77)2.65(0.64)

2점 2.39(0.76)2.69(0.78)2.55(0.79)2.55(0.73)2.54(0.60)

있음

3점 2.36(0.79)2.65(0.73)2.63(0.78)2.67(0.70)2.58(0.57)

4점

이상 2.51(0.79)2.74(0.77)2.68(0.83)2.69(0.78)2.65(0.61) F 4.2155.7265.5409.7048.055

*p<.05, **p<.01, ***p<.001

③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장벽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진로장벽을 살펴본 결과, 0점은 1.82, 1점은 2.25, 2점은 2.34, 3점은 2.32, 4점 이상은 2.52로 아동기에 경험은 부정적 경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진로장벽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표 125).

<표 12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장벽

구분 M(SD) F

없음0점 1.82(0.6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있음

1점 2.25(0.60)

2점 2.34(0.54)

3점 2.32(0.51)

4점

이상 2.52(0.59)

*p<.05, **p<.01, ***p<.001

64.548*** (0<1, 3, 2<4)

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과 꿈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1) 진로 발달산물

120
진로성숙도
12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 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07,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2.94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

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진로성숙도가 점차 낮아졌다. 또한,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50,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82,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3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진로성숙도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

체적으로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꿈이 있는 경우를 제하고는 진로성숙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성숙도는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이 없는 이들은 자기이해와 계획성,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4가지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고 구체적

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자기이해와 계획성이 높 게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

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4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있음 (1점 이상)

(단위: M/SD)

3.34(0.46)3.43(0.72)3.10(0.86)3.34(0.48)3.27(0.46)

막연하다 3.09(0.56)3.24(0.79)3.08(0.75)2.98(0.64)3.07(0.47)

꿈이 없다 2.75(0.87)3.00(1.41)3.33(0.54)2.67(1.12)2.94(0.61) F(Scheffe) 9.258*** (a>b) 2.1570.179 15.240*** (a>b) 6.036** (a>b)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1(0.45)3.19(0.79)2.82(0.79)3.06(0.42)3.50(0.37)

막연하다 2.77(0.50)2.92(0.72)2.89(0.70)2.76(0.48)2.82(0.35)

꿈이 없다 2.31(0.58)2.69(0.80)3.04(0.64)2.40(0.56)2.63(0.34)

F(Scheffe) 208.527** *(a>b>c) 39.384*** (a>b>c) 5.471** (a, b<c) 163.218** *(a>b>c) 94.479***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0(0.44)3.32(0.74)2.78(0.76)3.14(0.40)3.05(0.34)

막연하다 2.93(0.49)3.18(0.57)2.96(0.65)2.78(0.49)2.92(0.33) 꿈이 없다 2.42(0.47)2.67(0.89)3.06(0.76)2.50(0.33)2.69(0.28) F(Scheffe) 26.480*** (a>b>c) 5.923**3.056* 35.972*** (a>b, c) 11.676*** (a>b, c)

있다 3.09(0.42)3.16(0.75)2.79(0.78)3.00(0.43)2.97(0.35)

2.80(0.44)2.91(0.67)2.85(0.68)2.73(0.45)2.80(0.33)

(a>b>c)

(a>b, c)

121
구분 자기이해일 태도독립성계획성전체
것으로 나타났다(표 126).
A C E 점 수 별 1점
2점 구체적인 꿈이
막연하다
꿈이
F(Scheffe)
54.433***
없다 2.44(0.45)2.80(0.63)3.08(0.56)2.48(0.43)2.71(0.25)
76.746*** (a>b>c) 14.902*** (a>b, c) 3.225* (a<c)
29.958***
꿈에
121
<표 12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

구체적인

꿈이 있다

3점

4점 이 상

3.14(0.44)3.40(0.68)2.96(0.75)3.09(0.36)3.09(0.36)

막연하다 2.77(0.42)2.95(0.72)3.04(0.73)2.83(0.48)2.90(0.35)

꿈이 없다 2.18(0.68)2.91(0.70)2.94(0.66)2.39(0.53)2.59(0.44)

F(Scheffe) 27.270*** (a>b>c) 8.768*** (a>b) 0.252 15.101*** (a>b>c) 12.016***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0(0.53)2.99(0.95)2.92(0.86)3.10(0.45)3.00(0.44)

막연하다 2.60(0.59)2.75(0.84)2.82(0.75)2.76(0.53)2.74(0.38) 꿈이 없다 2.21(0.64)2.59(0.89)3.03(0.69)2.32(0.67)2.57(0.38) F(Scheffe) 46.270*** (a>b>c) 5.383** (a>c) 1.990 50.289*** (a>b>c) 31.770*** (a>b>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② 진로준비행동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 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8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2.5,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2.69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

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진로준비행동이 점차 낮아졌다. 또한,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79, 꿈

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43,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164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진로준비행동이 점차 낮아지는 비슷한 경 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 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진로준비행동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탐

색, 정보수집, 직업체험, 취업준비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이 4가지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연하거 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진로탐색, 정보수집, 직업체험, 취업준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의 진로탐색, 정보수집, 직업체험이 한 번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한 이들보다 대체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표 127).

122
122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표 12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진로탐색정보수집직업체험취업준비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막연하다

2.68(0.76)2.97(0.73)2.88(0.73)2.94(0.70)2.87(0.57)

2.29(0.79)2.61(0.71)2.49(0.84)2.60(0.81)2.50(0.63)

꿈이 없다 2.50(1.00)3.00(1.41)2.75(1.26)2.50(1.00)2.69(1.14)

F(Scheffe) 6.844*** (a>b) 6.472*** (a>b)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7(0.76)2.96(0.75)2.81(0.78)2.83(0.71)2.79(0.57)

막연하다 2.31(0.76)2.52(0.73)2.39(0.78)2.49(0.72)2.43(0.57) 꿈이 없다 2.09(0.70)2.35(0.75)2.13(0.74)2.08(0.68)2.16(0.58)

2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1(0.76)2.90(0.76)2.72(0.77)2.74(0.70)2.72(0.57)

꿈이 없다 2.11(0.66)2.34(0.65)2.14(0.46)2.05(0.53)2.16(0.44)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2.48(0.80)2.90(0.68)2.88(0.66)2.97(0.63)2.81(0.44)

막연하다 2.34(0.76)2.54(0.66)2.49(0.81)2.55(0.64)2.48(0.57)

3점

꿈이 없다 1.73(0.65)2.09(1.04)2.27(0.79)1.91(0.70)2.00(0.61)

F(Scheffe) 4.479* (a, b>c) 8.955*** (a>b, c) 6.430** (a>b, c) 16.9.6*** (a>b>c) 14.347** *(a>b>c)

4점 이 상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1(0.79)3.05(0.67)3.07(0.69)3.00(0.66)2.96(0.49)

막연하다 2.49(0.77)2.62(0.77)2.56(0.57)2.64(0.73)2.58(0.53) 꿈이 없다 2.10(0.73)2.32(0.76)2.06(0.90)2.06(0.73)2.13(0.64) F(Scheffe) 14.325** *(a>b>c) 26.281**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23
7.113*** (a>b) 6.437** (a>b) 10.516** *(a>b)
36.021**
88.356**
80.388** *(a>b>c) 87.479** *(a>b>c) 120.602*
A C E 점 수 별
꿈이 있다
F(Scheffe)
F(Scheffe)
*(a>b>c)
*(a>b>c)
**(a>b>c)
1점 구체적인
2.61(0.72)3.04(0.78)2.78(0.82)2.85(0.77)2.82(0.63) 막연하다 2.22(0.75)2.58(0.71)2.19(0.75)2.57(0.76)2.39(0.56) 꿈이 없다 2.33(0.65)2.75(0.75)2.33(0.65)2.42(0.67)2.46(0.57)
12.100** *(a>b) 14.675** *(a>b) 22.942** *(a>b) 6.734*** (a>b) 21.317** *(a>b)
막연하다
2.25(0.75)2.44(0.74)2.35(0.78)2.35(0.70)2.35(0.57)
F(Scheffe) 14.531** *(a>b, c) 41.908** *(a>b, c) 28.020** *(a>b, c) 41.855** *(a>b>c) 51.184**
*(a>b>c) 43.625** *(a>b>c) 39.143** *(a>b>c) 55.719** *(a>b>c)
123

③ 진로장벽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진로장벽을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 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1.74,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2.04,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2.19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구

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24, 꿈

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48,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6으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

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이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진로장벽을 대체로 높게 느끼고 있었다(표 128).

<표 12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 분석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A C E 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2.48(0.49)

꿈이 없다 2.56(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2.24(0.61) 48.226*** (a<b, c)

꿈이

막연하다 2.35(0.55)

2.18(0.62) 3.890* (a>b)

꿈이 없다 2.42(0.53)

막연하다 2.46(0.44)

꿈이 없다 2.51(0.43)

구체적인 꿈이 있다 2.25(0.59) 17.664***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41(0.45)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1) *p<.05, **p<.01, ***p<.001

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90,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2.79, 꿈이 없다고 말 한 이들은 2.75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점차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 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90,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7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48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구분 M(SD) F(Scheffe)

2.13(0.56) 8.591*** (a<b, c)

2.61(0.32)

2.65(0.50)

2.33(0.65) 13.703*** (a<b, c)

2.60(0.57)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④ 노력 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

124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1.74(0.64) 6.619 막연하다 2.04(0.63)
2.19(0.43)
수 별
구체적인
1점
있다
124

막연하거나 없을 때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즉,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표 129).

<표 12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

M(SD) F(Scheffe)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90(0.62)

2.79(0.58)

꿈이 없다 2.75(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2.74(0.63)

꿈이 없다

0.985

2.90(0.60) 33.512*** (a>b>c)

1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2(0.60) 1.832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2.88(0.59)

꿈이 없다 2.58(0.67)

막연하다 2.81(0.57)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6(0.57) 11.344*** (a>b, c)

꿈이 없다 2.61(0.58)

2.48(0.73) A C E 점 수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6(0.55) 0.604

막연하다 2.74(0.61)

꿈이 없다 2.55(0.82)

막연하다 2.51(0.71)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9(0.67) 10.656*** (a>b, c)

꿈이 없다 2.35(0.81)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2) 긍정적 발달산물 ① 행복지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꿈을 가진 정도에 따라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에서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42,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3.32,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3.42로 행복

지수가 점차 낮아졌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이 한 가지 이상 있는 이들에게서도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22, 꿈이 막연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2.9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 들은 2.69로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 행 복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30). 구분

125
125

<표 13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3.42(0.39)

3.32(0.34)

3.42(0.50)

3.22(0.43)

2.99(0.56)

2.69(0.58)

막연하다 3.27(0.33)

2.141

85.087*** (a>b>c)

1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7(0.36) 7.588*** (a>b, c)

꿈이 없다 3.03(0.50)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3.10(0.44)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39) 22.287*** (a>b>c)

꿈이 없다 2.84(0.49)

막연하다 2.95(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5) 4.996** (a>c)

꿈이 없다 2.67(0.67)

막연하다 2.62(0.69)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0(0.54) 20.836*** (a>b, c)

꿈이 없다 2.52(0.59)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희망지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

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5,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 이 3.04,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19로 나타나 꿈이 막연한 이들이 희망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

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1,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77,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 은 2.53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으며 막연한 꿈을 갖거나 꿈

이 없는 이들은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미래에 대한 희망 을 다소 낮게 인식하였다. 희망지수는 특성희망과 상태희망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 두 가 지 영역 모두에서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보다 미래를 희망적으로 여기는 경향이 높았다(표 131).

126
AC E 점 수 별
126

<표 13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희망지수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특성희망상태희망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1점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2점

3점

4점

이상

3.29(0.44)3.20(0.51)3.25(0.42)

막연하다 3.06(0.55)3.01(0.58)3.04(0.51)

꿈이 없다 3.00(0.00)3.38(0.48)3.19(0.24)

F(Scheffe) 6.862*** (a>b, c) 3.899* (a>b) 6.187** (a<b)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6)3.09(0.49)3.11(0.41)

막연하다 2.76(0.55)2.79(0.53)2.77(0.49)

꿈이 없다 2.50(0.56)2.56(0.63)2.53(0.55)

F(Scheffe) 152.315*** (a>b>c) 101.857*** (a>b>c) 159.990***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40.)3.20(0.48)3.22(0.37)

막연하다 2.96(0.48)2.96(0.51)2.960.44()

꿈이 없다 2.62(0.53)2.79(0.58)2.71(0.51)

F(Scheffe) 23.010*** (a>b>c) 12.588*** (a>b, c) 22.858***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9(0.46)3.04(0.48)3.07(0.40)

막연하다 2.77(0.50)2.80(0.48)2.79(0.44)

꿈이 없다 2.61(0.40)2.58(0.53)2.60(0.40)

F(Scheffe) 54.421*** (a>b, c) 36.615*** (a>b>c) 57.808***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7(0.44)2.98(0.50)3.02(0.42)

막연하다 2.74(0.52)2.75(0.54)2.74(0.47)

꿈이 없다 2.45(0.61)2.50(0.59)2.48(0.59)

F(Scheffe) 12.159*** (a>b, c) 5.851** (a>b, c) 10.885***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3.07(0.54)3.08(0.53)3.78(0.45)

2.60(0.63)2.65(0.59)2.62(0.55)

2.40(0.64)2.51(0.71)2.45(0.63)

F(Scheffe) 38.660*** (a>b, c) 30.976*** (a>b, c) 43.354*** (a>b, 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③ 자아존중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 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42,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24,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11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아존중감이 점차 낮아졌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

이 있는 이들이 3.08,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83,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2로

127
A C E 점 수 별
127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대

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132).

<표 13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막연하다 3.24(0.45)

3.42(0.41) 5.473** (a>b)

꿈이 없다 3.11(0.24)

막연하다 2.83(0.48)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8(0.42) 94.268*** (a>b>c)

1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3.14(0.34)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4(0.36) 9.333*** (a>b>c)

꿈이 없다 2.86(0.39)

막연하다 2.90(0.38)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8(0.41) 20.274*** (a>b, c)

꿈이 없다 2.86(0.39)

막연하다 2.81(0.44)

꿈이 없다 2.62(0.54) A C E 점 수 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7(0.39) 5.163**

꿈이 없다 2.55(0.82)

막연하다 2.48(0.56)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0(0.46) 33.093*** (a>b, c)

꿈이 없다 2.42(0.53)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④ 회복탄력성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

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0,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08,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33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정 생애경험을 하지

않을 경우 대체적으로 회복탄력성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꿈이 없는 경우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04,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84,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5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회복탄력성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이 3

128
128

가지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기에 부정 적인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의 회복탄력성이 한 번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한 이들보다 대체로 회복탄력성이 높았다(표 133). 구분 자기조절능력긍정성대인관계능력전체

없음 (0점)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 단위: M/SD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5(0.55)3.32(0.55)3.13(0.48)3.20(0.41)

막연하다 3.11(0.54)3.22(0.5)3.02(0.53)3.08(0.45)

꿈이 없다 3.00(0.00)3.50(0.58)3.50(0.43)3.33(0.30)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2 점

3 점

4 점 이 상

3.22(0.43)3.26(0.53)3.04(0.46)3.14(0.36)

막연하다 3.02(0.51)3.11(0.56)2.89(0.48)2.97(0.38)

꿈이 없다 2.96(0.50)0.29(0.51)2.61(0.42)2.78(0.36)

F(Scheffe) 9.385*** (a>b) 4.918** (a>b) 7.691*** (a>b, c) 12.628***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3(0.45)3.11(0.62)2.91(0.46)3.02(0.37)

막연하다 2.91(0.51)2.90(0.60)2.77(0.47)2.83(0.39)

꿈이 없다 2.76(0.42)2.89(0.44)2.55(0.44)2.67(0.35)

F(Scheffe) 28.238*** (a>b, c) 11.975*** (a>b, c) 18.259*** (a>b>c) 32.574***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7(0.46)2.99(0.64)3.03(0.52)3.04(0.41)

막연하다 2.89(0.46)2.79(0.62)2.78(0.43)2.82(0.34)

꿈이 없다 2.73(0.52)2.73(0.79)2.36(0.35)2.55(0.33)

F(Scheffe) 4.382*2.032 12.060*** (a>b>c) 11.723***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5(0.49)2.93(0.65)2.98(0.54)2.99(0.43)

막연하다 2.89(0.52)2.53(0.78)2.77(0.48)2.77(0.39) 꿈이 없다 2.67(0.52)2.44(0.78)2.65(0.58)2.62(0.47)

F(Scheffe) 12.838*** (a>b>c) 15.501*** (a>b, c) 11.062*** (a>b, c) 21.143*** (a>b, 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129
F(Scheffe) 2.0811.0272.6162.390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F(Scheffe) 65.047***
50.700*** (a>b>c) 48.656***
92.851***
A C E 점 수 별
3.14(0.45)3.11(0.62)2.96(0.48)3.04(0.38)
2.92(0.51)2.83(0.67)2.79(0.47)2.84(0.39)
없다 2.73(0.49)2.66(0.69)2.59(0.51)2.65(0.41)
(a>b>c)
(a>b>c)
(a>b>c)
1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및 꿈에
129
b: 꿈이
<표 13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따른

⑤ 성취동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취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9,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25,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17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성취동기가 점차 낮

아졌다. 한편,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

이 있는 이들이 3.18,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1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성취동기가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

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성취동기 정도가

대체로 높았다(표 134).

<표 13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9(0.40) 3.510* (a>b)

막연하다 3.25(0.47) 꿈이 없다 3.17(0.33)

막연하다 2.90(0.51)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8(0.41) 126.678*** (a>b>c)

1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9(0.36) 17.284*** (a>b, c)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3.12(0.42)

꿈이 없다 2.75(0.45)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7(0.38) 40.348*** (a>b, c)

막연하다 2.93(0.45) 꿈이 없다 2.77(0.47)

꿈이 없다 2.61(0.57) A C E 점

막연하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4) 10.450*** (a>b, c)

2.85(0.51)

꿈이 없다 2.52(0.52)

막연하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8(0.53) 30.776*** (a>b>c)

2.71(0.57)

꿈이 없다 2.49(0.63)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⑥ 자기표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표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 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4, 꿈이 막연하다 고 말한 이들이 3.16,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2.83으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기표현 정도가 점차 낮아졌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 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3,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85,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4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기표현 정도가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의 자 기표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35).

130
수 별
130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표 13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1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34(0.41)

3.16(0.50)

2.83(0.64)

3.13(0.47)

2.85(0.57)

꿈이 없다 2.54(0.58)

막연하다 3.07(0.43)

6.486** (a>b)

107.420*** (a>b>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2(0.42) 11.810*** (a>b>c)

꿈이 없다 2.69(0.44)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5(0.45) 34.053*** (a>b>c) 막연하다

꿈이 없다 2.67(0.44)

막연하다 2.79(0.60)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3(0.58) 5.001** (a>b, c)

꿈이 없다 2.55(0.56)

막연하다 2.54(0.65)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0(0.54) 31.415*** (a>b, c)

꿈이 없다 2.42(0.67)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⑦ 성공경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공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52,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48,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58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꿈이 막연

하거나 없을 때에도 대체적으로 유사한 성공경험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

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3, 꿈이 막

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3.22,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3.01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성공경험이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 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성공경험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136).

131
A
E 점 수 별
C
2.94(0.49)
131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표 13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1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52(0.38)

3.48(0.38)

3.58(0.42)

3.33(0.43)

3.22(0.47)

3.01(0.59)

3.46(0.33)

막연하다 3.33(0.38)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0.433

34.007*** (a>b>c)

6.625*** (a>b)

3.22(0.52)

막연하다 3.24(0.42)

3.31(0.40) 6.728*** (a>c)

꿈이 없다 3.09(0.60)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30(0.46)

3.30(0.43) 4.672* (a, b>c)

꿈이 없다 2.88(0.40)

막연하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57) 7.198*** (a>b, c)

3.06(0.55)

꿈이 없다 2.93(0.61)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⑧ 자기관리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관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9,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24,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25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

연하거나 없을 때 자기관리 점수가 낮아졌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 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9,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3.02,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81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기관리가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자기관리 정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137).

132
A C E 점 수 별
132

<표 13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3.39(0.41)

3.24(0.53)

3.25(0.32)

3.02(0.44)

3.521* (a>b)

3.19(0.42) 56.876*** (a>b>c)

2.81(0.58)

막연하다 3.12(0.45)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0(0.37) 10.400*** (a>b)

꿈이 없다 3.03(0.39)

막연하다 3.01(0.41)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6(0.40) 18.359*** (a>b, c)

꿈이 없다 2.89(0.53)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6(0.44) 3.096*

막연하다 3.06(0.44)

꿈이 없다 2.82(0.46)

막연하다 2.96(0.47)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8) 14.359*** (a>b>c)

꿈이 없다 2.71(0.66)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⑨ 주관적 건강상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 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64, 꿈이 막연하 다고 말한 이들이 3.57,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50으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주관적

건강상태를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

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48,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3.3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3.05로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주관적 건강상태를 낮게 인식하는 경 향을 보였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주 관적 건강상태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한 번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한 이들보다 대체로 주관적 건강상태 가 높았다(표 138).

133
A C E 점 수 별 1점
133

<표 13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64(0.48)

3.57(0.50)

3.50(0.58)

막연하다 3.31(0.65)

꿈이 없다

0.622

3.48(0.57) 34.258*** (a>b>c)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3.61(0.52)

꿈이 없다 3.25(0.62)

막연하다 3.43(0.57)

구체적인 꿈이 있다 3.56(0.52) 7.231*** (a>b, c)

꿈이 없다 3.34(0.65)

막연하다 3.25(0.68)

3.05(0.76) A C E 점 수 별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3(0.61) 0.335

꿈이 없다 3.36(0.67)

막연하다 2.90(0.67)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8(0.64) 10.805*** (a>b, c)

꿈이 없다 2.76(0.78)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⑩ 학교생활적응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 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45,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35,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19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

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학교생활적응이 점차 낮아졌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3, 꿈이 막연하 다고 말한 이들은 3.10,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85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학교생활적응이 점차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이 4가지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꿈이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에 비해 학습활동과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이들이 한번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한 이들보다 학습활 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서 긍정적이었다(표 139).

134
1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56(0.52) 2.626
134

<표 13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교사관계전체

없음 (0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48(0.47)3.48(0.44)3.41(0.41)3.41(0.45)3.45(0.29)

막연하다 3.38(0.59)3.40(0.46)3.36(0.40)3.28(0.48)3.35(0.35)

꿈이 없다 3.00(0.00)2.75(1.77)3.75(0.35)3.25(0.35)3.19(0.27) F(Scheffe) 1.9563.091*1.1442.1492.854 있음 (1점 이상)

1

아 동 기 부 정 적 생애 경험 (ACE)

2 점

꿈이 있다 3.17(0.52)3.27(0.45)3.30(0.45)3.20(0.47)3.24(0.35) 막연하다 2.91(0.47)3.16(0.48)3.21(0.41)3.08(0.49)3.09(0.35)

꿈이 없다 2.83(0.47)2.91(0.37)3.05(0.32)2.72(0.42)2.88(0.29)

(a>b, c) 12.423*** (a>b>c) 7.522*** (a>b>c)

3 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0(0.54)3.13(0.49)3.24(0.43)3.19(0.53)3.16(0.35)

막연하다 2.88(0.55)3.08(0.61)3.14(0.36)3.04(0.54)3.04(0.40)

꿈이 없다 2.64(0.48)2.93(0.53)3.00(0.29)2.93(0.35)2.88(0.32) F(Scheffe) 3.435*0.4041.5371.3832.592

꿈이 있다 3.07(0.46)3.03(0.59)3.17(0.46)3.09(0.51)3.09(0.34)

4

막연하다 2.79(0.53)2.87(0.55)3.04(0.38)2.82(0.60)2.88(0.36)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35
구체적인
꿈이
F(Scheffe) 39.955** * (a>b>c) 198.498** * (a>b>c) 13.937** * (a>b>c) 29.642** * (a>b>c) 46.459** * (a>b>c) A C E 점 수 별
꿈이 있다 3.18(0.52)3.26(0.47)3.29(0.43)3.21(0.47)3.23(0.34) 막연하다 2.96(0.52)3.14(0.49)3.22(0.40)3.08(0.50)3.10(0.36)
없다 2.72(0.49)2.93(0.36)3.00(0.34)2.74(0.46)2.85(0.28)
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17(0.54)3.23(0.41)3.33(0.38)3.20(0.45)3.23(0.30) 꿈이 없다 2.89(0.49)3.00(0.35)2.89(0.33)2.67(0.35)2.86(0.13) F(Scheffe) 2.9504.897* 5.705** (a, b>c) 8.395*** (a, b>c) 9.396***
b>c)
3.26(0.53)3.34(0.43)3.30(0.39)3.28(0.46)3.30(0.32)
(a,
구체적인
*
17.561** * (a>b>c) 25.987** * (a>b>c)
F(Scheffe) 24.894**
점 이 상
구체적인
꿈이 없다 2.19(0.26)2.94(0.18)2.94(0.50)2.75(0.76)2.70(0.31) F(Scheffe) 13.989 *** (a>b>c) 1.1201.765 3.868*
7.845***
(a>b)
(a>b, c)
135

⑪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 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7.6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7.11,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6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

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7.19, 꿈이 막연하다 고 말한 이들은 6.46,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5.83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

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40).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1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7.11(1.28)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7.67(1.30) 7.817*** (a>b, c)

꿈이 없다 6.00(1.83)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7.19(1.43)

6.46(1.55)

꿈이 없다 5.83(1.63)

구체적인 꿈이 있다 7.34(1.44)

막연하다 6.87(1.22)

꿈이 없다 6.00(1.48)

구체적인 꿈이 있다 7.21(1.39)

막연하다 6.65(1.25)

꿈이 없다 6.32(1.14)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1) *p<.05, **p<.01, ***p<.001

6.49(1.45)

6.00(1.18)

7.13(1.52)

5.81(2.03)

꿈이 없다 5.43(1.92)

75.697*** (a>b>c)

9.032*** (a>b, c)

21.177*** (a>b, c)

6.73(1.39) 1.460

28.845*** (a>b, c)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표 14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136
A C E 점 수 별
따른 주관적
136
및 꿈에

(3) 부정적 발달산물

① 문제행동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1.11,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1.12,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1.21으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문제행동이 점차 높아졌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1.2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1.4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1.60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문제행동이 점차 높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

으로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이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보다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내재화(불안우울), 외현화(공격성), 위축’ 이 렇게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은 위축 영역이 유의미하

였고,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은 내재화(불안우울)와 외현회(공격성), 위축 세 가지 영역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번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경우, 꿈이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이들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이들에 비해 내재화 (불안우울)와 외현화(공격성), 위축이 높게 나타났다(표 141).

141>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단위: M/SD, 4점 척도로 변환

구분 내재화외현화위축전체

구체적인

꿈이 있다

1.16(0.26)1.06(0.19)1.04(0.19)1.11(0.19)

막연하다 1.17(0.25)1.08(0.18)001(0.12)1.12(0.16)

꿈이 없다 1.13(0.24)1.00(0.00)1.25(0.50)1.21(0.18)

F(Scheffe) 0.790.4583.331*0.651

구체적인

꿈이 있다 1.33(0.38)1.20(0.38)1.14(0.39)1.27(0.33)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없음 (0점)

막연하다 1.49(0.52)1.28(0.41)1.31(0.55)1.41(0.43)

꿈이 없다 1.71(0.54)1.40(0.49)1.51(0.65)1.60(0.47)

F(Scheffe) 54.676*** (a<b<c) 17.691*** (a<b<c) 45.118*** (a<b<c) 54.819*** (a<b<c)

있다 1.27(0.34)1.14(0.34)1.09(0.31)1.20(0.28)

막연하다 1.19(0.28)1.12(0.26)1.05(0.23)1.15(0.21) 꿈이 없다 1.65(0.60)1.29(0.50)1.25(0.45)1.49(0.47)

11.327*** (a>b) 1.5382.6419.220***

137
A C E 점 수 별 1 점 구체적인 꿈이
F(Scheffe)
<표
137

구체적인

꿈이 있다

2 점

3 점

1.26(0.31)1.16(0.32)1.09(0.30)1.20(0.26)

막연하다 1.35(0.38)1.19(0.34)1.21(0.43)1.28(0.32)

꿈이 없다 1.41(0.45)1.17(0.36)1.16(0.37)1.31(0.36) F(Scheffe) 9.029*** (a<b) 0.710 10.156*** (a<b) 7.999*** (a<b)

구체적인

꿈이 있다 1.42(0.39)1.22(0.34)1.22(0.45)1.34(0.32)

막연하다 1.56(0.51)1.30(0.41)1.30(0.55)1.45(0.43)

꿈이 없다 1.50(0.43)1.14(0.23)1.45(0.82)1.39(0.38) F(Scheffe) 1.6921.4991.0011.610

있다 1.59(0.48)1.42(0.50)1.36(0.59)1.51(0.45)

막연하다 1.94(0.56)1.53(0.48)1.69(0.71)1.79(0.47)

꿈이 없다 1.98(0.48)1.63(0.49)1.81(0.67)1.85(0.40) F(Scheffe) 21.609*** (a<b, c) 4.664** (a<c) 15.157*** (a<b, c) 20.081*** (a<b, 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자살생각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살생각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1.0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1.05,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1.25로 나타났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꿈이 막연할 때에는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냈으나 꿈이 없을 때에는 자살생각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 는 이들이 1.27,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1.41,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1.55로 구체 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자살생각이 점차 높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표 142).

<표 14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아동기 부정적

(ACE) 없음 (0점)

없다 1.25(0.50) 있음 (1점 이상)

꿈이 있다 1.27(0.53) 17.556*** (a<b, c) 막연하다 1.41(0.66) 꿈이 없다 1.55(0.83)

138
이 상 구체적인
4 점
꿈이
구체적인
막연하다
생애 경험
꿈이 있다 1.07(0.25) 1.185
1.05(0.23) 꿈이
구체적인
138

1점

2점

3점

4점

이상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1.16(0.38)

1.22(0.45)

꿈이 없다 1.50(0.80)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1.22(0.45)

1.26(0.50)

1.14(0.46)

막연하다 1.31(0.51)

4.007*

1.834

1.33(0.59) 0.952

꿈이 없다 1.09(0.30)

구체적인 꿈이 있다 1.56(0.73)

막연하다 1.84(0.88)

꿈이 없다 1.92(0.92)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③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6.311* (a<b, c)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온라인 상의 폭력은 피해와 가해 영역으로 나뉘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 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피해 0.11, 가해 0.25,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피해 0.06, 가해 0,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피해 0, 가해 0으로 응답하였으며, 구체적인 꿈이 있 을수록 온라인상의 피해와 폭력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의 경우 피해와 가해의 응답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

다.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경우 피해 0.52, 가해 0.79,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피 해 0.71, 가해 1.13로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피해 1.12, 가해 2.16으로 구체적이고 분명 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온라인 상의 피해와 가해의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 은 이들에 비해 온라인상의 폭력과 가해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4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 (0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0.11(0.32)0.25(0.50) 막연하다 0.06(0.24)0.00(0.00)

(1점 이상)

F(Scheffe) 4.928** 6.314** (a<c) <표 143>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 분석 단위: M/SD

139
A C E 점 수 별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없는
c: 꿈이 없다. 구분 피해 가해
꿈이
없다 0.00(0.00)0.00(0.00) F(Scheffe) 0.449 1.000 있음
구체적인 꿈이 있다 0.52(1.15)0.79(1.50) 막연하다 0.71(1.34)1.13(1.90) 꿈이 없다 1.12(1.85)2.16(2.21)
139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1점

2점

ACE 점수별

0.10(0.30)0.11(0.32)

0.17(0.38)0.11(0.33)

꿈이 없다 0.00(0.00)0.00(0.00)

F(Scheffe) 0.818 0.002

구체적인 꿈이 있다

0.23(0.53)0.42(0.58)

막연하다 0.34(0.76)0.24(0.90)

꿈이 없다 0.11(0.33)0.00(0.00)

F(Scheffe) 1.010 0.786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점

4점

이상

0.53(0.81)0.28(0.46)

0.28(0.45)0.25(0.11)

꿈이 없다 0.00(0.00)0.00(0.00)

F(Scheffe) 2.480 0.181

구체적인 꿈이 있다 1.20(1.79)1.36(1.99)

막연하다 1.27(1.79)1.91(2.23)

꿈이 없다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4)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 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47, 꿈이 막연하다 고 말한 이들이 3.40,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50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와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에도 대체적으로 부모와의 관계의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났다. 아동기

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0,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97,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6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부모와의 관계가 낮아지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 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 에 비해 부모와의 관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144).

<표 14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

구분 M(SD) F(Scheffe)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구체적인 꿈이 있다 3.47(0.37) 1.173

막연하다 3.40(0.42)

꿈이 없다 3.50(0.43)

막연하다 2.97(0.53)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0(4.33) 117.740*** (a>b>c)

꿈이 없다 2.56(0.59)

140
0.352
1.50(2.04) 2.21() F(Scheffe)
1.788
140

1점

2점

3점

4점 이상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1) *p<.05, **p<.01, ***p<.001

3.38(0.36)

3.30(0.32)

2.97(0.39)

3.21(0.37)

3.04(0.40)

2.68(0.43)

3.04(0.50)

2.91(0.53)

2.67(0.63)

3.00(0.54)

2.65(0.68)

2.38(0.65)

8.674*** (a, b>c)

48.585*** (a>b>c)

2.851

25.368*** (a<b<c)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② 부모양육태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부모양육태도는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의 4가지 하위유형으로 나뉜다.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부모양육태도는 전문형 3.42, 권위형 1.64, 허용형 2.77, 무시형 1.21으로 나타났으며, 막연한 꿈을 갖은 경우에는 전문형 3.31, 권 위형 1.67, 허용형 2.7, 무시형 1.5로 나타났다. 꿈이 없는 이들은 전문형 3.42, 권위형 1.67, 허용형 3.17, 무시형 1.5로 나타났다. 모든 하위유형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났으나, 전문형과 허용형에 해당하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경우 꿈이 구체적일수록 높은 점수를 보

였으며, 권위형과 무시형과 같은 부정적 양육태도의 경우에는 꿈이 뚜렷하지 않을수록 부정적 양육태도의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경우 전문형 3.02, 권위형 2.13, 허용형 2.74, 무시형 1.66으로 나타났고,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전문형 2.83, 권위형 2.13, 허 용형 2.59, 무시형 1.78으로 나타났다.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전문형 2.51, 권위형 2.18, 허용형 2.48, 무시형 1.91로 권위형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 가 나타났으며, 이 역시 전문형과 허용형에 해당하는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경우 꿈이 구체 적일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권위형과 무시형과 같은 부정적 양육태도의 경우에는 꿈이 뚜

렷하지 않을수록 부정적 양육태도의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났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인 양상을 나타냈다(표 145).

141
A C E 점 수 별
141

<표 14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전문형권위형허용형무시형

구체적인

꿈이 있다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1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2 점

3

4

3.42(0.43)1.64(0.57)2.77(0.44)1.21(0.34)

막연하다 3.31(0.44)1.67(0.57)2.70(0.49)1.30(0.48)

꿈이 없다 3.42(0.50)1.67(0.27)3.17(0.64)1.50(0.19)

F(Scheffe) 1.7460.0992.3422.272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2(0.49)2.13(0.62)2.74(0.53)1.66(0.61)

막연하다 2.83(0.50)2.13(0.57)2.59(0.49)1.78(0.63)

꿈이 없다 2.51(0.59)2.18(0.57)2.48(0.54)1.91(0.63)

F(Scheffe) 71.513***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1(0.43)2.00(0.55)2.82(0.48)1.47(0.51)

막연하다 3.11(0.36)1.97(0.49)2.67(0.43)1.53(0.55)

꿈이 없다 2.78(0.36)2.17(0.46)2.72(0.42)1.86(0.50)

F(Scheffe) 8.154*** (a, b>c) 0.812 4.201* (a>b) 3.372* (a<c)

구체적인

꿈이 있다 3.01(0.45)2.12(0.60)2.73(0.53)1.63(0.55)

막연하다 2.87(0.39)2.18(0.53)2.61(0.44)1.70(0.60)

꿈이 없다 2.67(0.48)2.24(0.55)2.52(0.49)1.68(0.53)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2.92(0.54)2.27(0.61)2.67(0.54)1.69(0.55)

막연하다 2.81(0.49)2.10(0.52)2.61(0.49)1.71(0.48)

꿈이 없다 2.70(0.53)2.00(0.47)2.45(0.64)1.61(0.44) F(Scheffe) 1.3642.3060.8370.221

꿈이 있다 2.83(0.58)2.29(0.74)2.67(0.58)2.02(0.78)

막연하다 2.57(0.64)2.26(0.67)2.48(0.59)2.15(0.64)

꿈이 없다 2.31(0.66)2.18(0.62)2.42(0.57)2.13(0.68)

F(Scheffe) 16.834*** (a>b>c) 0.580 6.252** (a>b, 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142
(a>b>c) 0.483 23.301*** (a>b,
(a<b,
A C E 점 수 별
c) 13.418***
c)
1.362 6.966*** (a>b,
1.334
18.780*** (a>b>c)
c)
점 이 상
구체적인
1.539
아직은
아니지만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42

③ 공동체성(나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공동체성(나눔)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37, 꿈이 막연 하다고 말한 이들이 3.36,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75로 꿈의 유무와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유사한 공동체성을 나타냈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

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3,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3.07,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81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공동체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

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더 높은 공동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46).

<표 14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A C E 점 수 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7(0.36) 2.115

막연하다 3.07(0.43)

꿈이 없다 2.81(0.51)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3(0.41) 70.061*** (a>b>c)

1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37(0.33) 7.514*** (a>b, c)

2점

막연하다 3.27(0.27)

꿈이 없다 3.08(0.25)

막연하다 3.08(0.39)

꿈이 없다 2.95(0.40)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2(0.38) 18.170*** (a>b, c)

3점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4(0.48) 3.877*

4점

이상

막연하다

꿈이 없다

막연하다

2.97(0.50)

2.79(0.40)

2.96(0.49)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9) 18.343*** (a>b>c)

꿈이 없다

1) *p<.05, **p<.01, ***p<.001

2.66(0.58)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④ 사회적 능력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 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3,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08,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17로 나타났다. 즉,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

거나 혹은 꿈이 없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할 때 사회적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7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1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 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사회적 능력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 다.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143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 구분
막연하다
3.36(0.38) 꿈이 없다 3.75(0.32)
143

을 한 이들에 비해 사회적 능력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은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응답에서

는 사교성과 주도성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응답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표 147). 구분 사교성대인적응성사회참여도주도성전체

아 동

기 부 정 적

생애 경험 (ACE)

<표 14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단위: M/SD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54)3.31(0.52)3.31(0.47)3.24(0.62)3.23(0.40)

없음 (0점)

있음 (1점 이상)

막연하다 2.89(0.59)3.32(0.57)3.21(0.55)3.00(0.75)3.08(0.47)

꿈이 없다 2.63(0.28)3.75(0.50)3.50(0.43)3.00(0.82)3.17(0.36) F(Scheffe) 6.141** (a>b) 1.3031.572 3.913* (a>b)

구체적인

꿈이 있다 2.86(0.60)3.09(0.63)3.11(0.49)2.99(0.63)3.00(0.44)

2.66(0.66)3.02(0.63)2.87(0.58)2.68(0.68)2.79(0.49)

(a>b>c) 83.3.2*** (a>b>c)

있다 3.05(0.54)3.22(0.62)3.24(0.44)3.12(0.57)3.15(0.41)

막연하다 2.86(0.61)3.08(0.56)3.14(0.47)2.82(0.61)3.00(0.42) 꿈이 없다 2.75(0.68)2.83(0.58)2.78(0.54)2.58(0.67)2.75(0.51) F(Scheffe) 5.018** (a>b) 3.850* 7.010*** (a, b>c) 13.719*** (a>b, c) 9.913***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2.82(0.58)3.05(0.64)3.13(0.45)3.00(0.62)2.99(0.41)

막연하다 2.71(0.59)3.04(0.60)2.30(0.47)2.77(0.63)2.85(0.43)

2점

꿈이 없다 2.47(0.53)3.07(0.66)2.80(0.47)2.57(0.62)2.70(0.42)

F(Scheffe) 9.049*** (a>b>c) 0.072 19.406*** (a>b, c) 18.033*** (a>b, c) 16.402*** (a>b, c)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5(0.62)3.15(0.63)2.99(0.61)2.85(0.70)2.90(0.49)

막연하다 2.55(0.69)3.02(0.71)2.75(0.60)2.56(0.70)2.69(0.53)

3점

꿈이 없다 2.44(0.78)3.09(0.54)2.48(0.69)2.18(0.98)2.51(0.58)

F(Scheffe) 2.1590.691 4.885** (a>c) 5.601** (a>b, c) 4.659* (a>c)

구체적인

꿈이 있다 2.78(0.64)3.01(0.61)2.91(0.56)2.84(0.68)2.87(0.49)

4점 이 상

막연하다 2.47(0.73)2.94(0.69)2.57(0.66)2.50(0.78)2.58(0.54)

꿈이 없다 2.19(0.70)2.68(0.69)2.32(0.70)2.30(0.87)2.33(0.60)

F(Scheffe) 17.870*** (a>b>c) 5.664** (a, b>c) 22.382*** (a>b>c)

(a>b, c) 25.504*** (a>b>c)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144
3.821* (a>b)
82.627***
67.756***
A C E 점 수 별
구체적인
막연하다
꿈이 없다 2.36(0.67)2.86(0.68)2.54(0.65)2.41(0.79)2.51(0.56) F(Scheffe) 47.713*** (a>b>c) 8.394*** (a, b>c)
(a>b>c)
1점
꿈이
13.924***
144

⑤ 사회적 지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애경 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29,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이 3.23,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3.25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거나 꿈이

없을 때 보다 막연한 꿈을 갖은 경우에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한 가

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3.14, 꿈이 막

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89,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60으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

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 사회적 지지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부정

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사회적지지 정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표 148).

<표

없음 (0점)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3.23(0.46)

3.29(0.37) 0.722

꿈이 없다 3.25(0.41)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있음 (1점 이상)

1점

2점

3점

막연하다 2.89(0.48)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4(0.44) 105.379*** (a>b>c)

막연하다 3.11(0.34)

구체적인 꿈이 있다 3.25(0.37) 12.224*** (a>b>c)

꿈이 없다 2.83(0.44)

막연하다 2.92(0.40)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2(0.44) 33.505*** (a>b>c)

꿈이 없다 2.72(0.44)

막연하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3.13(0.48) 7.376*** (a>b, c)

2.89(0.45)

꿈이 없다 2.70(0.52)

꿈이 없다 2.60(0.62) A C E 점 수 별

4점 이상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1) *p<.05, **p<.01, ***p<.001

2.68(0.60)

3.00(0.51) 24.458*** (a>b>c)

2.44(0.70)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⑥ 사회 불평등 인식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 불평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적 생

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미래세대는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33, 꿈이 막연하 다고 말한 이들이 2.29, 꿈이 없다고 말한 이들은 2.64로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 때 보 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에 사회를 보다 불평등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이들도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이 2.38, 꿈이 막연하다고 말한 이들은 2.46, 꿈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59로 구체적이고 분

145
꿈에 따른 사회적
145
14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지지 차이 분석

명한 꿈이 있을 때 보다 꿈이 막연하거나 없을 때에 사회를 불평등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종 합하면,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이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사회를 보다 불평등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표 149).

<표 14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 및 꿈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

없음 (0점)

구분 M(SD) F(Scheffe)

구체적인 꿈이 있다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있음 (1점 이상)

1점

2점

3점

4점 이상

막연하다

꿈이 없다

구체적인 꿈이 있다

2.33(0.51) 0.967

2.29(0.51)

2.64(0.32)

2.46(0.49)

2.38(0.47) 12.924*** (a<b<c)

막연하다 2.31(0.46)

2.33(0.46) 0.286

꿈이 없다 2.40(0.50)

구체적인 꿈이 있다 2.36(0.44) 1.365

구체적인 꿈이 있다 2.40(0.49) 2.240

막연하다 2.56(0.53)

꿈이 없다 2.41(0.25)

막연하다 2.61(0.47)

구체적인 꿈이 있다 2.50(0.58) 5.648** (a<c)

꿈이 없다 2.75(0.52)

1) *p<.05, **p<.01, ***p<.001

2) a: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b: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c: 꿈이 없다.

4) 소결

본 장은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미래세대와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가진 미래세대의 꿈이 서로 다 른지, 특히 아동기에 부정적 경험을 가진 이들에게 꿈의 존재가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성별, 교급,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라 부정적인 생애경험 정

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성별에 따라 23가지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한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2점이 39.9%로 가장 많았고, 0점(없음)은 14.1%, 1점은 18.1%, 3점은 8.4%, 4점은 4.8%로 점차 낮아지다가 16점 1.8%로 소폭 상승하 며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순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남성과 여성 모두 ① 정

서적 방임 82.8%, ② 정서적 학대 13.2, ③ 또래폭력 12% ④ 신체적 학대와 ⑤ 긴급위기가 각각 11.8%로 5가지를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급에 따라 부정적인

생애경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교급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2점에 해당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3점, 4점 등 점수가 높아질수록 응답율도 점차 낮아졌다. 또한

앞서 살펴본 성별과 같이 순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① 정서적 학대, ② 신체적 학대, ③

146
2.59(0.50) A C E 점 수 별
막연하다 2.41(0.47)
꿈이 없다 2.45(0.44)
146

또래폭력 ④ 긴급위기 ⑤ 가정폭력 목격’ 이렇게 5가지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가장 많이 경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부정적 생애경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 한 결과 비빈곤가정 아동에 비해 빈곤가정 아동의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와 응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꿈 유무를 살펴 본 결과,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가진 이들은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갖지 않은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꿈이 없거

나, 막연한 꿈을 갖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

며, 한 번이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높아질수록 꿈이 변하며, 자신의 꿈에 대해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 또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

다는 응답 비율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꿈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영향을 미친 인물은 아

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이 있는 아동·청소년과 없는 아동·청소년이 동일하게 응답하였다. 먼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미래세대는 ‘흥미’

에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높은 미래

세대는 ‘돈/경제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향인물에서는 1순위로

대체로 ‘부모’와 ‘없다’의 응답이 많았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꿈

에 영향인물이 없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이라도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 은 이들에 비해 보다 낮은 진로성숙도를 가지고 있었고, 진로준비행동 경향도 낮았으며, 진로

장벽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은 이들의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부정적인 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성취동 기,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과 같은 긍정 및 관계 관련 발달 산물에서도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부정적 발달 산물인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사회 불평등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발달 산물에도 불구하 고, 꿈의 존재는 이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정적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 내에서도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이들

은 ‘막연한 꿈이 있거나, 꿈이 없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리,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 도,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 사회적지지, 사회경제 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의 발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상의 폭력, 사회 불평등 인식’ 등 부

정적인 발달 산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이 있으나 구체적인 꿈이 있는 미래세대의 경우,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

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꿈이 있 는 경우를 제하고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진로장벽을 대체로 높게 느끼고 있었는데, 앞서 빈곤에 따른 분

석결과와 동일하게 부정적인 경험이 있는 이들이 부정적인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사회적인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7
147

5. 빈곤과 ACE를 함께 겪은 아이들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함께 겪은 미래세대와 그렇지 않

은 미래세대가 꿈과 미래에 대한 희망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

로는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미래세대와 비빈곤하며 부정적 경험을 하지

않은 미래세대의 발달적 측면에 차이가 있는지, 꿈의 존재가 이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1) 진로 발달산물

① 진로성숙도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

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유형으로는 자기이해, 일 태도, 독립성, 계획성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

류된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99로 세

부유형을 살펴보면 자기이해 3.06, 일 태도 3.41, 독립성 2.84, 계획성 2.96으로 나타났다. 부

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2.89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자기이해 2.90, 일 태도 3.01, 독

립성 2.89, 계획성 2.83으로 나타나 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이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독립성을 제외한 하위유형의 모든 영역에서 진로성숙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의 태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 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2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자기이해 3.27, 일 태도 3.37, 독립성 3.10, 계획성 3.25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2.90으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자기이해 3.00, 일 태도 3.08, 독립성 2.79, 계획성 2.90으로 비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이 있는 이들에 비해 4가지의 모든 영역에서 진로 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98, 2점 2.88, 3점 2.92, 4점 이상 2.82로 4가지 하위영역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였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증가할수록 진로성숙도가 점차 낮아지다가 3점에서는 소폭 상승하며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하위유형인 자기이해, 일 태도, 독립성에서도 3점에 해당 하는 경우만 상승하였으며, 계획성에서는 2점과 동일한 값의 흐름을 보였다. 추후 비빈곤가정 의 세가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어떠한 요인에 의한 진로성숙도를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

는지 질적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진 로성숙도를 낮추는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독립성 유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진로

성숙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50).

148
148

<표 150> 주관적 경제수준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자기이해일 태도독립성계획성전체

1점 3.09(0.55)3.07(0.37)2.66(0.73)2.91(0.37)2.88(0.29)

2점 2.90(0.44)3.02(0.71)2.93(0.66)2.80(0.47)2.89(0.35)

3점 2.78(0.56)3.26(0.62)3.09(0.67)2.99(0.48)3.00(0.40)

없음(0점) 3.06(0.39)3.41(0.51)2.84(0.66)2.96(0.45)2.99(0.28) 있음 (1점 이상) 2.90(0.51)3.01(0.69)2.89(0.69)2.83(0.47)2.89(0.35) t -1.258-2.321*0.293-1.110-1.209 ACE 점수 별

4점 이상 2.78(0.60)2.68(0.85)2.87(0.71)2.69(0.54)2.77(0.37)

없음(0점) 3.27(0.52)3.37(0.75)3.10(0.83)3.25(0.57)3.22(0.48) 있음 (1점 이상) 3.00(0.46)3.08(0.74)2.79(0.73)2.90(0.47)2.90(0.34) t -7.602***-5.379***-5.427***-8.768***-9.591***

ACE 점수 별

1점 3.08(0.47)3.26(0.71)2.83(0.71)2.98(0.47)2.98(0.33)

2점 2.97(0.45)3.03(0.71)2.78(0.74)2.87(0.47)2.88(0.34)

3점 3.02(0.47)3.10(0.80)2.83(0.76)2.87(0.49)2.92(0.36)

4점

이상 2.94(0.43)2.80(0.86)2.68(0.77)2.89(0.48)2.82(0.35)

F(Scheffe)

*p<.05, **p<.01, ***p<.001

② 진로준비행동

19.976*** (0>1, 2, 3, 4 1>2) 16.166*** (0, 1>2, 4) 9.433*** (0>1, 2, 4)

27.215*** (0>1, 2, 3, 4 1>2)

40.824*** (0>1, 2, 3, 4 1>2, 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 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유형으로는 진로탐색, 정보수집, 직업체험, 취업준비 총 4가지의 유 형으로 분류된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63으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진로탐색 2.18, 정보수집 2.94, 직업체험 2.82, 취업준비 2.59 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2.38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진로탐색 2.17, 정 보수집 2.53, 직업체험 2.40, 취업준비 2.42로 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이 부 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하위유형의 모든 영역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낮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51, 2점 2.35, 3점 2.30, 4점 이상

2.40으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 또한 낮아졌으나 4점 이상일 때

149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F(Scheffe) 2.103 3.844** (0>4) 1.4501.8031.772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149

에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빈곤과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중될수록 진로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75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진로탐색 2.56, 정보수집 2.86, 직업체험 2.74, 취업준비 2.84로 나타났

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2.57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진로탐색 2.37, 정보수집 2.74, 직업체험 2.52, 취업준비 2.62로 비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이 있는 이

들에 비해 4가지의 모든 영역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났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61, 2점 2.53, 3점 2.56, 4점 이상 2.67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

도가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낮아졌으나 4점 이상일 때에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빈곤하지

않더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중되면 진로준비를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진로준비행동에 어려움을 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

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 해 모든 하위유형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51).

구분 진로탐색정보수집직업체험취업준비전체

없음(0점) 2.18(0.88)2.94(0.66)2.82(0.81)2.59(0.71)2.63(0.57)

생애 경험 (ACE)

t -0.013-2.346*-2.01*-0.857-1.589 ACE 점수 별

1점 2.38(0.78)2.69(0.89)2.41(0.87)2.55(0.83)2.51(0.65)

2점 2.17(0.73)2.46(0.88)2.39(0.82)2.39(0.84)2.35(0.64)

3점 2.00(0.74)2.52(0.79)2.39(0.72)2.30(0.56)2.30(0.49)

4점 이상 2.12(0.67)2.60(0.82)2.44(0.87)2.44(0.82)2.40(0.64) F(Scheffe) 0.9031.3171.0180.5331.068

없음(0점) 2.56(0.77)2.86(0.74)2.74(0.75)2.84(0.75)2.75(0.61) 있음 (1점 이상) 2.39(0.74)2.74(0.76)2.52(0.80)2.62(0.74)2.57(0.60) t -3.338***-2.248*-4.057***-4.225***-4.343***

ACE 점수 별

1점 2.40(0.72)2.84(0.77)2.48(0.82)2.73(0.77)2.61(0.62)

2점 2.38(0.75)2.69(0.77)2.51(0.79)2.54(0.70)2.53(0.59)

3점 2.37(0.77)2.64(0.69)2.55(0.83)2.67(0.72)2.56(0.58)

4점 이상 2.43(0.70)2.81(0.71)2.68(0.79)2.76(0.80)2.67(0.57)

2.900* (0>2) 3.634** (0>2)

(0, 1>2) 6.468*** (0>2) *p<.05, **p<.01, ***p<.001

(0>1, 2)

150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있음 (1점 이상) 2.17(0.73)2.53(0.86)2.40(0.82)2.42(0.80)2.38(0.62)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F(Scheffe)
<표 15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 단위:
150
5.118***
9.063***
M(SD)

③ 진로장벽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진로장벽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18, 경험한 이들 은 2.45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진로장벽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

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57, 2점 2.43, 3점 2.34, 4점 이상 2.47

로 1점에서 진로장벽을 가장 크게 느끼고 점차 감소하다 4점 이상에서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1.7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2.31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24, 2점 2.33, 3점 2.32, 4점 이상 2.45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진로

장벽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진로장벽을 더 느끼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 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진로장벽을 더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152).

<표 15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 분석

아동기

주 관 적 경 제 수 준

있음(1점 이상) 2.45(0.52)

ACE

2점 2.43(0.54)

비 빈 곤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2.18(0.64) 2.008*

점수별

1점 2.57(0.54) 1.646

3점 2.34(0.39)

4점 이상 2.47(0.5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1.78(0.65) 11.914*** 있음(1점 이상) 2.31(0.55)

ACE 점수별

2점 2.33(0.53)

3점 2.32(0.53)

1점 2.24(0.57) 47.225*** (0<1, 2, 3, 4 1<4)

4점 이상 2.45(0.57) *p<.05, **p<.01, ***p<.001

④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 은 2.82, 경험한 이들은 2.80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사회경제적 지위 이 동 가능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79, 2점 2.83, 3점 2.74, 4점 이상 2.76으로 2점에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다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8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2.93으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96, 2점 2.92, 3점 2.90, 4점 이상 2.87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

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인식이 낮았다. 종합하여 보 구분 M(SD) t/F(Scheffe)

151
빈 곤
151

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낮게 느끼

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153).

<표 15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없음(0점) 2.82(0.64) -0.135

주 관 적 경 제 수 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비 빈 곤

있음(1점 이상) 2.80(0.65)

ACE 점수별

2점 2.83(0.69)

1점 2.79(0.49) 0.133

3점 2.74(0.62)

4점 이상 2.76(0.72)

있음(1점 이상) 2.93(0.5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2.89(0.58) 0.965

ACE 점수별

*p<.05, **p<.01, ***p<.001

(2) 긍정적 발달산물

① 주관적 건강상태

2점 2.92(0.54)

1점 2.96(0.57) 0.838

3점 2.90(0.53)

4점 이상 2.87(0.5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59, 경 험한 이들은 3.45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지 않게 인 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62, 2점 3.42, 3점 3.39, 4점 이상 3.40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

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6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58로 나타났으며, 경험 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59, 2점 3.59, 3점 3.58, 4점 이상 3.43으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지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빈 곤가정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비빈곤가정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빈곤가정 과 비빈곤가정 모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중 1점에 해당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 가장 좋지 않으며 2점부터는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가중되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의 민감 정도가 무뎌지는 것으로 고려해 볼 수 있 다(표 154).

152
빈 곤
152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구분 M(SD) t/F(Scheffe)

없음(0점)

3.59(0.51) -0.948

있음(1점 이상)3.45(0.59)

1점3.62(0.56)

ACE

점수별

2점3.42(0.61)

3점3.39(0.66)

4점 이상3.40(0.50)

생애경험 (ACE) 없음(0점)

아동기

부정적

1.018

3.66(0.48) -2.269*

있음(1점 이상)3.58(0.51)

1점3.59(0.50)

ACE 점수별

*p<.05, **p<.01, ***p<.001

② 자아존중감

2점3.59(0.50)

3점3.58(0.50)

4점 이상3.43(0.52)

3.618** (0, 2, 3>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

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0, 경험한

이들은 2.98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자아존중감이 낮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7, 2점 3.02, 3점 2.81, 4점 이상 2.77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04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8, 2점 3.02, 3 점 2.94, 4점 이상 2.80으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아존중감을 낮게 인

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아 존중감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에 비

해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것 으로 나타났다(표 155).

153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 분석 153
<표 154>

<표 15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아동기

주 관 적 경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있음(1점 이상)

ACE 점수별

3.20(0.36) -2.165*

2.98(0.41)

1점 3.17(0.29)

2점 3.02(0.43)

3점 2.81(0.40)

6.151*** (0, 1>3, 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39(0.41) -12.405***

있음(1점 이상) 3.04(0.39)

ACE 점수별

*p<.05, **p<.01, ***p<.001

③ 회복탄력성

2점 3.02(0.39)

4점 이상 2.77(0.38) 비 빈 곤

3점 2.94(0.38)

1점 3.18(0.35) 61.498*** (0>1>2, 3, 4 2>4)

4점 이상 2.80(0.4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 으며, 하위유형으로는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 세가지로 구성되었다. 빈곤가정 미

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98, 경험한 이들은 2.79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1점 2.87, 2점 2.83, 3점 2.73, 4점 이상 2.64로 부정적 생애경험이 많을수록 회복탄력성 역시 점차 낮아졌다. 하위유형을 살펴보면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17, 경험한 이들은 2.96으로 부정적 생애경험 을 하지 않은 이들이 회복탄력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06, 2점 2.93, 3점 2.95, 4점 이상 2.89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낮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유형을 살펴본 결과,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종합하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

정적 생애경험이 많을수록 회복탄력성이 감소되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 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56).

154
제 수 준 빈 곤
154

<표 156>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따른 회복탄력성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자기조절능력긍정성대인관계능력전체

없음(0점)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3.09(0.44)3.12(0.33)2.86(0.47)2.98(0.36)

있음(1점 이상) 2.90(0.54)2.84(0.66)2.70(0.51)2.79(0.40) t -1.394-2.850**-1.241-1.849 ACE 점수별

1점 3.03(0.46)3.03(0.57)2.70(0.52)2.87(0.37)

2점 2.97(0.55)2.87(0.62)2.72(0.56)2.83(0.44) 3점 2.78(0.52)2.83(0.78)2.67(0.44)2.73(0.34) 4점 이상 2.62(0.48)2.56(0.71)2.68(0.41)2.64(0.32)

없음(0점) 3.20(0.56)3.31(0.53)3.10(0.49)3.17(0.42)

있음(1점 이상) 3.05(0.48)3.06(0.60)2.87(0.47)2.96(0.38) t -3.910***-6.477***-6.625***-7.418***

2점 3.02(0.48)3.05(0.61)2.83(0.45)2.93(0.37)

3점 3.00(0.47)2.94(0.61)2.92(0.53)2.95(0.41)

F(Scheffe)

*p<.05, **p<.01, ***p<.001

④ 자기표현

7.524*** (0>2, 3, 4 1>2)

19.025*** (0, 1>2, 3, 4 2>4)

16.079*** (0>1, 2, 4 1>2)

20.941*** (0>1, 2, 3, 4 1>2, 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5, 경험한 이들 은 2.94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자기표현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01, 2점 2.97, 3점 2.90, 4점 이상 2.76로 부정적 생 애경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자기표현도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

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9,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11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6, 2점 3.10, 3점 3.12, 4점 이상 2.96으로

비빈곤가정에서는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표현 정도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155
적 경 제 수 준 빈
F(Scheffe) 3.547** 2.728* (0>4) 0.4392.354
비 빈 곤
ACE 점수별 1점 3.13(0.47)3.20(0.54)2.97(0.46)3.06(0.36)
이상
4점
3.02(0.47)2.81(0.62)2.84(0.50)2.89(0.40)
생애경험(ACE)에
15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

은 비빈곤 미래세대의 자기표현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 세부적으로 어떠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는지 질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외에 빈곤여부에 따른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경우 비빈곤가정에 비해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자기표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57).

구분 M(SD) t/F(Scheffe) 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35(0.38) -3.263*** 있음(1점 이상) 2.94(0.51)

ACE 점수별

*p<.05, **p<.01, ***p<.001 <표 157>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기표현 차이 분석

아동기

2점 2.97(0.50)

3점 2.90(0.58)

1점 3.01(0.44) 3.767** (0>4)

4점 이상 2.76(0.56) 비 빈 곤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29(0.43) -5.707*** 있음(1점 이상) 3.11(0.45)

ACE 점수별

2점 3.10(0.46)

3점 3.12(0.50)

1점 3.16(0.41) 11.972*** (0>1, 2, 3, 4 1>4)

4점 이상 2.96(0.49)

⑤ 자기관리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관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7, 경험한 이들 은 3.05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자기관리 낮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7, 2점 3.08, 3점 3.03, 4점 이상 2.81로 나타나, 부정적 생 애경험의 빈도에 따라 자기관리가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10로 나

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20, 2점 3.07, 3점 3.05, 4점 이상 2.98으로 비

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관리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 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자기관리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 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자기관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58).

156
적 경 제 수 준 빈
156

<표 158>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기관리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없음(0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3.27(0.46) -1.931

있음(1점 이상) 3.05(0.46)

ACE

점수별

2점 3.08(0.48)

3점 3.03(0.47)

1점 3.17(0.32) 3.305* (0>4)

4점 이상 2.81(0.45)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34(0.44) -7.948*** 있음(1점 이상) 3.10(0.42)

ACE 점수별

*p<.05, **p<.01, ***p<.001

⑥ 성취동기

2점 3.07(0.41)

3점 3.05(0.43)

1점 3.20(0.40) 23.400*** (0>1, 2, 3, 4 1>2, 4)

4점 이상 2.98(0.4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취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14, 경험한 이들 은 3.00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성취동기가 낮게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8, 2점 3.04, 3점 2.94, 4점 이상 2.69로 부정적 생애경

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성취동기도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

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09로 나타

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20, 2점 3.07, 3점 3.00, 4점 이상 2.94으로 비빈

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취동기가 낮아졌다. 종합하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취동기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을 모두 겪은 이들에 비해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낮 은 성취동기를 보였다(표 159). 구분 M(SD) t/F(Scheffe)

<표 159>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성취동기 차이 분석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14(0.46) -1.099

2점 3.04(0.47)

3점 2.94(0.55)

있음(1점 이상) 3.00(0.50) ACE 점수별

1점 3.18(0.39) 4.160** (1, 2>4)

4점 이상 2.69(0.56)

157
관 적 경 제
준 빈 곤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비 빈 곤
157

없음(0점)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3.36(0.42) -8.827***

있음(1점 이상) 3.09(0.43)

ACE 점수별

*p<.05, **p<.01, ***p<.001

⑦ 성공경험

1점 3.20(0.40)

2점 3.07(0.43)

3점 3.00(0.43)

4점 이상 2.94(0.49)

29.125*** (0>1>2, 3, 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공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5, 경험한 이들 은 3.23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성공경험이 낮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38, 2점 3.23, 3점 3.26, 4점 이상 3.00으로 부정적 생애 경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성공경험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5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29로 나

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38, 2점 3.28, 3점 3.30, 4점 이상 3.11로 비빈

곤가정에서는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성공경험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성공경험은 낮아지며, 빈곤

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는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성공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60).

<표 160>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성공경험 차이 분석

없음(0점)

구분 M(SD) t/F(Scheffe) 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3.35(0.36) -1.172

있음(1점 이상) 3.23(0.42)

ACE

점수별

2점 3.23(0.40)

3점 3.26(0.39)

1점 3.38(0.26) 3.344* (1>4)

없음(0점) 3.50(0.37) -7.852***

있음(1점 이상) 3.29(0.38)

ACE

4점 이상 3.00(0.59) 비 빈 곤

생애경험 (ACE)

점수별

*p<.05, **p<.01, ***p<.001

2점 3.28(0.37)

3점 3.30(0.39)

1점 3.38(0.36) 25.221*** (0>1, 2, 3, 4 1>2>4)

4점 이상 3.11(0.44)

158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158

⑧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 았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유형으로는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총 4가지의 유 형으로 분류된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2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학습활동 3.15, 학교규칙 3.32, 교우관계 3.38, 교사관계 3.29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3.07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학습활동 2.93, 학교 규칙 3.08, 교우관계 3.18, 교사관계 3.07로 나타나 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 이 있는 이들에 비해 4가지의 모든 영역에서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25, 2점 3.10, 3점 2.93, 4점 이상

2.86으로 4가지 하위영역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부정적 생애경험이 증가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43으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학습활동 3.48, 학교규칙 3.46, 교우관계 3.40, 교사관계 3.38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3.18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학습활동 3.10, 학교규칙 3.22, 교우관계 3.26, 교사관계 3.15로 비빈곤 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이 있는 이들에 비해 4가지의 모든 영역에서 학교생활 적 응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26, 2점 3.18, 3점 3.13, 4점 이상 3.02로 4가지 하위영역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였으며, 부정적 생애경험이 증가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학교생활적응을 낮추는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영역(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61). 구분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교사관계전체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없음(0점) 3.15(0.63)3.32(0.39)3.38(0.33)3.29(0.31)3.29(0.25) 있음(1점 이상) 2.93(0.52)3.08(0.50)3.18(0.47)3.07(0.50)3.07(0.36) t -1.555-1.922-1.745-1.770-2.420*

1점 3.16(0.54)3.26(0.34)3.33(0.36)3.26(0.37)3.25(0.27)

2점 2.96(0.50)3.13(0.53)3.24(0.47)3.09(0.47)3.10(0.36)

3점 2.78(0.52)2.89(0.58)3.07(0.48)2.98(0.61)2.93(0.44) 4점 이상 2.74(0.52)2.92(0.37)2.88(0.46)2.90(0.56)2.86(0.26)

(0, 1, 2>4) 2.963* 7.349*** (0, 1, 2>4 0, 1>3)

159
ACE 점 수 별
F(Scheffe) 3.304*3.758**
<표 16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차이 분석 단위: M(SD) 159
5.321***

없음(0점) 3.48(0.48)3.46(0.47)3.40(0.41)3.38(0.47)3.43(0.31)

있음(1점 이상) 3.10(0.53)3.22(0.48)3.26(0.41)3.15(0.50)3.18(0.35) t -10.041** * -7.309***-5.005***-6.594*** -11.051** *

1점 3.22(0.53)3.30(0.43)3.30(0.39)3.23(0.47)3.26(0.32)

2점 3.08(0.52)3.23(0.45)3.26(0.43)3.14(0.49)3.18(0.35)

3점 3.02(0.55)3.14(0.54)3.21(0.36)3.13(0.50)3.13(0.36)

4점 이상 2.95(0.53)2.97(0.60)3.16(0.41)2.98(0.58)3.02(0.38)

F(Scheffe)

*p<.05, **p<.01, ***p<.001

⑨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32.702*** (0>1>2, 3, 4)

22.892*** (0>1, 2, 3, 4 1, 2>4)

8.686*** (0>2, 3, 4)

16.273*** (0>1, 2, 3, 4 1>4)

37.012*** (0>1>2, 3, 4 2>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6.82, 경험한 이들은 6.22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았

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6.38, 2점 6.25, 3점 5.96, 4점 이상 6.20으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

다가 4점 이상에서 소폭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 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7.5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7.09로 나타났으며, 경

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7.15, 2점 7.08, 3점 6.86, 4점 이상 7.15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4점

이상에서 소폭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

험에 따라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

험에서 4점 이상부터 급격히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높아지는 동일한 양상이 확인되어 주관 적인 학업성적의 기준이 하향으로 인한 결과 인지, 실제 학업성적이 향상된 것인지에 대한 세 부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표 162).

160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ACE 점
160

빈 곤

<표 16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없음(0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6.82(1.59) -1.635

있음(1점 이상) 6.22(1.42)

ACE

점수별

2점 6.25(1.37)

1점 6.38(1.70) 0.950

3점 5.96(1.55)

없음(0점) 7.57(1.21) -5.359*** 있음(1점 이상) 7.09(1.28)

ACE

생애경험 (ACE)

2점 7.08(1.24)

점수별

*p<.05, **p<.01, ***p<.001

⑩ 행복지수

4점 이상 6.20(1.15) 비 빈 곤

1점 7.15(1.32) 8.108*** (0>1, 2, 3)

3점 6.86(1.42)

4점 이상 7.15(1.25)

빈곤가정 미래세대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행복지수에 차 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의 미래세대 중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은

3.22,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3.12로 나타났으며, 경험에 따라 1점 3.34, 2점 3.14, 3점 3.14, 4점 이상 2.19로 행복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

대의 경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는 이들은 3.42, 경험을 겪은 경우는 3.21로 1점 3.32, 2점 3.21, 3점 3.13, 4점 이상 2.98로 행복지수가 점차 감소하였다. 종합하면, 주관적

경제수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행복지수를 낮추는 것으로,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을 겪은 경우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행복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63).

<표 16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행복지수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없음(0점) 3.22(0.29) -0.814

있음(1점 이상) 3.12(0.45)

ACE

점수별

2점 3.14(0.43)

3점 3.03(0.45)

1점 3.34(0.42) 4.070 (1>4)

없음(0점) 3.42(0.36) -7.385***

있음(1점 이상) 3.21(0.40)

생애경험 (ACE)

ACE 점수별

*p<.05, **p<.01, ***p<.001

2점 3.21(0.38)

3점 3.13(0.43)

4점 이상 2.91(0.46) 비 빈 곤

4점 이상 2.98(0.51)

1점 3.32(0.35) 30.818*** (0>1>2, 3, 4 2>4)

161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제 수 준
관 적 경
161

⑪ 희망지수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희망지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의 미래세대 중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은 3.09,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을 겪은 이들은 2.84로 나타났으며, 경험에 따라 1점 3.03, 2점 2.83, 3점 2.77, 4점 이상 2.72로 희망지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는 이들은 3.19, 경험을 겪은 경우는 2.99로 1점 3.09, 2점 2.95, 3점 2.92, 4점 이상 2.93으로 희망지수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희망지수는 특성희 망, 상태희망 총 2가지의 하위유형으로 나뉘는데, 모든 영역에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미래

세대들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을 경우 점수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주관적 경제수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희망지수를 낮추며,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에 비해여 빈곤가정의 미래세대의 전체 희망지수와 하위유형들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64).

<표 16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희망지수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특성희망상태희망전체

없음(0점) 3.09(0.62)3.09(0.44)3.09(0.51)

있음(1점 이상) 2.87(0.51)2.81(0.52)2.84(0.46) t -1.635-2.105*-2.103*

ACE

점수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1점 3.07(0.44)3.00(0.50)3.03(0.42)

2점 2.86(0.50)2.80(0.53)2.83(0.45)

3점 2.83(0.54)2.72(0.52)2.77(0.49)

4점 이상 2.72(0.58)2.72(0.50)2.72(0.46) F(Scheffe) 2.3232.507*3.024*

없음(0점) 3.23(0.47)3.14(0.55)3.19(0.45)

있음(1점 이상) 2.99(0.49)2.98(0.51)2.99(0.44) t -6.987***-4.224***-6.378***

ACE

점수별

1점 3.10(0.44)3.09(0.50)3.09(0.41)

2점 2.96(0.50)2.94(0.50)2.95(0.44)

3점 2.93(0.50)2.90(0.53)2.92(0.46)

4점 이상 2.91(0.49)2.95(0.54)2.93(0.44)

F(Scheffe) 17.011*** (0>1, 2, 3, 4 1>2, 4) 9.582*** (0>2, 3 1>2) 16.532*** (0, 1>2, 3, 4)

*p<.05, **p<.01, ***p<.001

162
비 빈 곤
162
따른

(3) 부정적 발달산물

① 문제행동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 며, 문제행동 하위유형으로는 내재화(불안, 우울), 외현화(공격성), 위축 세가지로 구성되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1.15, 경험한 이들

은 1.28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1점 1.25, 2점 1.25, 3점 1.30, 4점 이상 1.41 로 부정적 생애경험이 많을수록 문제행동 역시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유형을

살펴보면 외현화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

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1.09, 경험한 이들은 1.20으로 문제행동은 부정적 생애

경험을 한 이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1.16, 2점 1.18, 3점 1.23, 4점

이상 1.34으로 경험이 많아질수록 문제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유형을 살펴본

결과, 모든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이 많을수록 문제행동 또한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문제행동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65).

<표 165>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따른 문제행동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내재화외현화위축 전체

없음(0점) 1.19(0.24)1.09(0.20)1.12(0.33)1.15(0.19)

1점 1.34(0.36)1.14(0.30)1.10(0.31)1.25(0.28)

2점 1.30(0.30)1.19(0.40)1.19(0.42)1.25(0.28)

3점 1.34(0.26)1.24(0.26)1.26(0.45)1.30(0.21) 4점 이상 1.41(0.41)1.44(0.42)1.36(0.57)1.41(0.37)

있음(1점 이상) 1.33(0.33)1.23(0.37)1.21(0.44)1.28(0.29) t 1.6692.470*0.8521.822 ACE 점 수 별

없음(0점) 1.12(0.19)1.05(0.17)1.02(0.13)1.09(0.14)

1점 1.20(0.29)1.13(0.32)1.06(0.26)1.16(0.25)

2점 1.23(0.28)1.14(0.30)1.09(0.29)1.18(0.24)

3점 1.29(0.31)1.18(0.29)1.10(0.30)1.23(0.24) 4점 이상 1.39(0.34)1.32(0.44)1.19(0.42)1.34(0.32)

있음(1점 이상) 1.24(0.29)1.16(0.32)1.09(0.30)1.20(0.25) t 8.119***6.925***6.075***9.420*** ACE 점 수 별

F(Scheffe)

*p<.05, **p<.01, ***p<.001

19.845*** (0<1, 2, 3<4) 13.969*** (0<1, 2, 3, 4 1, 2<4)

7.945*** (0<2, 4 1<4)

23.264*** (0<1, 2, 3, 4 1, 2<4)

163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F(Scheffe) 1.298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3.551** (0, 1<4) 1.5302.582*
생애경험(ACE)에
163

② 자살생각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1.06, 경 험한 이들은 1.29로 경험이 있는 이들이 자살생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1.24, 2점 1.23, 3점 1.26, 4점 이상 1.60으로 경험의

빈도에 따라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 의 경우 부정적 생

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1.06, 경험한 경우 1.25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

펴보면 1점 1.19, 2점 1.23, 3점 1.29, 4점 이상 1.50으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

에 따라 자살생각이 높아지며,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중될수록 자살생각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자살생각을 높이며, 빈곤 과 아동기 부정적생애경험을 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자살생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66).

<표 166>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주

있음(1점 이상) 1.29(0.50)

2점 1.23(0.4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1.06(0.24) 3.302**

ACE 점수별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1점 1.24(0.44) 4.242** (0<4)

3점 1.26(0.45)

4점 이상 1.60(0.58) 비 빈 곤

없음(0점) 1.06(0.24) 8.715*** 있음(1점 이상) 1.25(0.48)

ACE

점수별

2점 1.23(0.46)

3점 1.29(0.48)

1점 1.19(0.43) 18.631*** (0<1, 2, 3, 4 1, 2<4)

4점 이상 1.50(0.60) *p<.05, **p<.01, ***p<.001

③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온라인 상의 폭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 펴보았으며, 온라인상의 폭력의 하위유형으로 피해와 가해로 구성되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피해 0.11, 가해 0, 경험한 이들은 피 해 0.66, 가해 0.90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의 온라인 상의 폭력을 더 경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해의 경험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는 이들만 경험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피해 0.18, 가해

164
제 수 준 빈
164

0.17, 2점 피해 0.31, 가해 0.27, 3점 피해 0.28, 가해 0.33, 4점 이상 가해 0.92, 피해 1.23

으로 나타나 1~3점까지는 비슷하지만 4점 이상에서 가해와 피해 모두 급격히 경험 빈도가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중될수록 온라인상의 피해와

가해 경험은 급격히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피해 0.09, 가해 0.1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피해 0.65, 가해 1.15로 나타났다.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피해 0.11, 가해 0.09, 2점 피해 0.26, 가해 0.34, 3점 피해 0.39, 가해 0.24, 4점 이상 피해 1.53, 가해 2.05로 비빈곤가정 역 시 1~3점까지는 비슷하지만 4점 이상에서 가해와 피해 모두 경험 빈도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빈곤가정의 경우 비빈곤가정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가중되

었을 때 가해와 피해 경험 정도가 가파르게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 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온라인 상의 폭력에 영향을 받는데, 빈곤 가정의 경우 비빈곤가정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표 167).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단위: M(SD)

없음(0점) 0.11(0.33) 0

있음(1점 이상) 0.66(1.24)0.90(1.52) t 3.704*** 0.587

ACE

점수별

1점 0.18(0.40)0.17(0.41)

2점 0.31(0.62)0.27(0.46)

3점 0.28(0.46)0.33(0.52)

4점 이상 0.92(1.48)1.23(1.76)

F(Scheffe) 3.339* 2.012

없음(0점) 0.09(0.29)0.14(0.38)

있음(1점 이상) 0.65(1.34)1.15(1.91) t 7.449***5.048***

ACE

점수별

*p<.05, **p<.01, ***p<.001

1점 0.11(0.32)0.09(0.29)

2점 0.26(0.63)0.34(0.86)

3점 0.39(0.68)0.24(0.44)

4점 이상 1.53(1.99)2.05(2.30)

F(Scheffe) 33.804*** (0, 1<3<4 2<4) 14.482*** (0, 1, 2, 3<4)

165
구분 피해 가해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비 빈 곤
<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차이 분석
167>
165

(4)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 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1, 경험 한 이들은 3.03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자기관리 낮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

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23, 2점 3.08, 3점 2.81, 4점 이상 2.83으로 부정적 생

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낮았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45,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18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33, 2점 3.15, 3점 3.11, 4점 이상 3.02로 비빈곤가정 역

시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

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부모와의 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68).

<표 168>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차이 분석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31(0.36) -2.495*

있음(1점 이상) 3.03(0.45)

ACE

점수별

1점 3.23(0.40)

2점 3.08(0.43)

3점 2.81(0.44)

4점 이상 2.83(0.46)

비 빈 곤

6.594*** (0, 1>3, 4)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3.45(0.38) -9.998*** 있음(1점 이상) 3.18(0.37)

ACE

점수별

*p<.05, **p<.01, ***p<.001

② 부모양육태도

1점 3.33(0.33)

2점 3.15(0.37)

3점 3.11(0.36)

4점 이상 3.02(0.41)

44.864*** (0>1>2, 3, 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 았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유형으로는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전문형과 허용형을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를, 권위형 허용형은 부정적 부모양 육태도를 나타낸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 은 전문형 3.37, 권위형 1.98, 허용형 2.78, 무시형 1.51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166
구분
M(SD) t/F(Scheffe)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166

이들은 전문형 2.86, 권위형 2.25, 허용형 2.59, 무시형 1.70으로 전문형과 허용형의 경우 부 모양육태도가 감소되지만, 권위형과 무시형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전문형 3.09, 권위형 2.17, 허용형 2.68, 무 시형 1.61, 2점 전문형 2.94, 권위형 2.15, 허용형 2.59, 무시형 1.57, 3점 전문형 2.77, 권위 형 2.33, 허용형 2.52, 무시형 1.68, 4점이상 전문형 2.43, 권위형 2.61, 허용형 2.55, 무시형 2.28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문형과 허용형은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에 따라 대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권위형과 무시형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빈곤가

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전문형 3.38, 권위형 1.64, 허 용형 2.71, 무시형 1.22로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이들은 전문형 2.97, 권위형 2.17, 허용형 2.67, 무시형 1.67로 빈곤가정과 동일하게 전문형과 허용형의 경우 부모양육태도가 감소되지 만, 권위형과 무시형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 면 1점 전문형 3.14, 권위형 2.00, 허용형 2.74, 무시형 1.49, 2점 전문형 2.94, 권위형 2.18, 허용형 2.67, 무시형 1.68, 3점 전문형 2.90, 권위형 2.39, 허용형 2.67, 무시형 1.79, 4점 이 상 전문형 2.79, 권위형 2.36, 허용형 2.49, 무시형 1.99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전문형과 허용형의 부모양육태도는 감소를, 권위형과 허용형의 부모양육태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 험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 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전문형과 허용형의 부모양육

태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즉, 비빈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 보다 전 문형과 허용형의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감소되고 권위형과 무시형의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표 169).

<표 169>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차이 분석 단위: M(SD)

구분 전문형 권위형허용형무시형

없음(0점) 3.37(0.45)1.98(0.56) 2.78(0.37)1.51(0.39) 있음 (1점 이상) 2.86(0.49)2.25(0.53) 2.59(0.45)1.70(0.57)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t -4.105***2.036*-1.7211.344 ACE 점 수 별

1점 3.09(0.36)2.17(0.41) 2.68(0.37)1.61(0.40)

2점 2.94(0.47)2.15(0.56) 2.59(0.50)1.57(0.55)

3점 2.77(0.44)2.33(0.53) 2.52(0.46)1.68(0.54)

4점 이상 2.43(0.47)2.61(0.36) 2.55(0.36)2.28(0.53)

F(Scheffe) 13.705*** (0>2, 3, 4 1>4) 5.368*** (0, 1, 2<4) 1.207 10.252*** (0, 1, 2, 3<4)

생애 경험 (ACE) 없음(0점) 3.38(0.44)1.64(0.56) 2.71(0.43)1.22(0.36) 있음 (1점 이상) 2.97(0.44)2.17(0.54) 2.67(0.49)1.67(0.57) t -13.205***13.532***-1.05315.601*** ACE1점 3.14(0.40)2.00(0.48) 2.74(0.45)1.49(0.52)

167
적 경 제 수 준
비 빈 곤
부정적
아동기
167

점 수 별

2점 2.94(0.43)2.18(0.55) 2.67(0.49)1.68(0.56)

3점 2.90(0.44)2.39(0.47) 2.67(0.48)1.79(0.53)

4점 이상 2.73(0.49)2.36(0.58) 2.49(0.53)1.99(0.60)

F(Scheffe)

*p<.05, **p<.01, ***p<.001

③ 공동체성(나눔)

65.418*** (0>1>2, 3, 4 2>4)

61.861*** (0<1<2, 3, 4 2<3) 5.414*** (0, 1, 2>4)

55.996*** (0<1<2, 3, 4 2<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공동체성(나눔)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3, 경 험한 이들은 3.10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의 공동체성이 낮았다. 아동기 부

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40, 2점 3.10, 3점 3.01, 4점 이상 2.84로 빈도

에 따라 공동체성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

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38,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18으로 나타났으

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30, 2점 3.18, 3점 3.06, 4점 이상 2.97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공동체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 1점의 경우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공동체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처음 경험하는 부정적 생애경험으로 인해 공동체성(나눔)에 대한 인식이 높

아진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공동체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대체로 공동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70).

<표 170>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없음(0점) 3.33(0.31) -2.029*

있음(1점 이상) 3.10(0.46)

ACE

점수별

1점 3.40(0.27)

2점 3.10(0.45)

3점 3.01(0.47)

7.615*** (0>4 1>2, 3, 4)

없음(0점) 3.38(0.37) -7.271***

있음(1점 이상) 3.18(0.38)

생애경험 (ACE)

ACE 점수별

*p<.05, **p<.01, ***p<.001

2점 3.18(0.37)

4점 이상 2.84(0.46) 비 빈 곤

3점 3.06(0.41)

1점 3.30(0.31) 32.445*** (0, 1>2, 3, 4 2>4)

4점 이상 2.97(0.49)

168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168

④ 사회적 능력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

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유형으로는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총 4가지의 유형 으로 분류된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10으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사교성 3.06, 대인적응성 3.29, 사회참여도 3.12, 주도성 2.94 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은 2.88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사교성 2.76, 대인

적응성 3.03, 사회참여도 2.97, 주도성 2.81로 나타났다. 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이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하위유형의 모든 영역에서 사회적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사교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0으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사교성 3.06, 대인적응성 3.31, 사회참여도 3.31, 주도성 3.20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 은 2.97로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사교성 2.82, 대인적응성 3.06, 사회참여도 3.10, 주도성 2.92로 비빈곤가정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이들이 있는 이들에 비해 4가지의 모든 영역에 서 사회적 능력이 높았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07, 2점 2.95, 3점 2.92, 4점 이상 2.79로 4가지 하위영역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였으며, 부정적 생애경험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은 사회적 능력을 낮추는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사회 적 능력의 모든 영역(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에서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표 171).

구분 사교성대인적응성사회참여도주도성전체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ACE)

없음(0점) 3.06(0.47)3.29(0.59)3.12(0.35)2.94(0.56)3.10(0.35)

-5.827***-6.424***-6.601***-6.165***-8.013*** <표 171>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적 능력 차이 분석 단위: M(SD)

1점 2.99(0.57)3.07(0.53)3.06(0.52)2.97(0.68)3.02(0.46)

2점 2.75(0.61)3.11(0.64)3.02(0.50)2.86(0.68)2.91(0.47)

3점 2.64(0.63)2.96(0.82)2.94(0.50)2.65(0.71)2.79(0.43)

있음 (1점 이상) 2.76(0.60)3.03(0.65)2.97(0.51)2.81(0.70)2.88(0.46) t -1.995*-1.609-1.134-0.876-1.869 ACE 점수 별

4점

이상 2.63(0.50)2.80(0.58)2.73(0.51)2.64(0.76)2.69(0.40) F(Scheffe) 2.723*1.8772.2631.2953.111*

3.06(0.57)3.31(0.53)3.31(0.48)3.20(0.65)3.20(0.41) 있음 (1점 이상) 2.82(0.59)3.06(0.61)3.10(0.44)2.92(0.60)2.97(0.41)

169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
없음(0점)
169
(ACE)
t

ACE

점수 별

1점 2.97(0.57)3.12(0.60)3.20(0.42)2.96(0.59)3.07(0.40)

2점 2.79(0.58)3.04(0.63)3.10(0.42)2.93(0.61)2.95(0.39)

3점 2.77(0.61)3.07(0.58)3.05(0.47)2.88(0.63)2.92(0.43)

4점 이상 2.64(0.64)2.98(0.57)2.86(0.49)2.81(0.60)2.79(0.44)

F(Scheffe) 16.017*** (0>2, 3, 4 1>4) 10.124*** (0>1, 2, 3, 4)

*p<.05, **p<.01, ***p<.001

⑤ 사회 불평등 인식

22.973*** (0>2, 3, 4 1>2>4) 11.786*** (0>1, 2, 3, 4)

27.141*** (0>1>2, 3, 4 2>4)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62, 경험한 이들은 2.68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이 사회 불평등 인식을 더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2.47, 2점 2.59, 3점 2.65, 4점 이상 2.80으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사회 불평등 인식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2.30,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2.37로 나타났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 점 2.32, 2점 2.35, 3점 2.44, 4점 이상 2.45로 비빈곤가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사회 불평등 인식도 증가하였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 경험에 따라 사회 불평등 인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사회 불평 등 인식을 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72).

<표 172>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차이 분석

구분 M(SD) t/F(Scheff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없음(0점) 2.62(0.48) 0.560

있음(1점 이상) 2.68(0.47)

2점 2.59(0.43)

3점 2.65(0.36)

ACE 점수별 1점 2.47(0.32)

4점 이상 2.80(0.52)

5.702*** (1, 2<4)

없음(0점) 2.30(0.51) 2.203*

있음(1점 이상) 2.37(0.47)

ACE

점수별

1점 2.32(0.47)

2점 2.35(0.44)

3점 2.44(0.54)

4점 이상 2.45(0.49) *p<.05, **p<.01, ***p<.001

5.058*** (0, 1, 2<4)

170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빈 곤
170

⑥ 사회적 지지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

다. 빈곤가정 미래세대 중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가지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10, 경험한

이들은 2.93으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이들의 사회적 지지가 낮았다. 아동기 부정

적 생애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09, 2점 2.99, 3점 2.77, 4점 이상 2.69로 빈도에

따라 사회적지지 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의 경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은 3.26,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경우 3.07으로 나타났

으며, 경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점 3.18, 2점 3.04, 3점 3.06, 4점 이상 2.95로 비빈곤가

정 역시 부정적 생애경험의 빈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보면,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를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73).

<표 173>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에

없음(0점) 3.10(0.33) -1.930

비 빈 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ACE)

있음(1점 이상) 2.93(0.52)

ACE

점수별

2점 2.99(0.53)

3점 2.77(0.51)

1점 3.09(0.36) 3.531** (0, 1>3, 4 2>4)

4점 이상 2.69(0.59)

없음(0점) 3.26(0.39) -6.541***

있음(1점 이상) 3.07(0.40)

ACE

점수별

*p<.05, **p<.01, ***p<.001

2) 소결

2점 3.04(0.41)

3점 3.06(0.40)

1점 3.18(0.37) 20.263*** (0>2, 3, 4 1>2, 4)

4점 이상 2.95(0.39)

앞서 살펴 보았듯이 부정적인 생애경험은 미래세대의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 인하였다.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으로 나누어 각각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어떠한 차이 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측정된 주요 발달지표는 진로 발달산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긍정적 발달산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자기표현, 자기관 구분 M(SD) t/F(Scheffe)

본 장은 '빈곤과 ACE를 겪은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중첩된 영향이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종합적으로 살펴 보고자 하였다.

171
주 관 적 경 제 수 준 빈 곤
따른
차이 분석 171
사회적 지지

리, 성취동기, 성공경험,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행복지수, 희망지수’를 살펴보 았다. 부정적 발달산물로는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 공동체성(나눔)’를, 사회 및 관계영역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도, 공동체성(나눔), 사

회적 능력,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적지지’를 활용하여 차이를 살펴 보았다.

위 발달지표들은 모두 빈곤과 관계없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미래세대의 경우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겪지 않은 혹은 비빈곤하더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 리,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적응(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주 관적 학업성적 수준,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사회적지지,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등이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상태의 경우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중 1

점에 해당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 가장 좋지 않으며 2점부터는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나 타내었는데, 이는 가중되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의 민감 정도가 무뎌지는 것이 반영된 결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자기표현의 경우에도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비빈곤 미래세대의 자기표현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 어떠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는지 질적으 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역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의 아동기 부정

적 생애경험에서 4점 이상부터 급격히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높아지는 동일한 양상이 확인 되어 주관적인 학업성적의 기준이 하향으로 인한 결과 인지, 실제 학업성적이 향상된 것인지

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문제행동,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 가해)’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라인 상의 폭력의 경우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빈곤 가정의 경우 비빈곤

가정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와 관련된

발달지표에서는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

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낮았으며, 진로장벽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에서는 독립성 유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진로성숙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본 장에서는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자 한다. 긍정적 측면이든 부정적 측면이든 코로나19로 인해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 였다. 코로나19는 소득·자산 격차를 크게 벌리며 양극화를 심화시켰고, 아동·청소년에게는 교 육, 정서, 발달 등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이 인식한 코로나19 관련 현황, 코로나19에 따른 꿈, 그리고 주요 발달지표에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72
172

1) 연구참여자의 코로나19 관련 현황

(1)

코로나19로 인한 꿈 갖기의 어려움

코로나19로 인해 꿈을 가지는데 어려움을 겪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 빈곤여부 및 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럼에도 비율을 살펴보자면, 성별의 경우 남성은 ‘그

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라는 응답이 18.4%로 여성의 응답(16.4%)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빈곤여부에 따르면 빈곤 14.1%, 비빈곤 17.4%로 나타나 비빈곤가정이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14.6%, 중학교 20.1%, 고등학 교 16.4%로 나타나 중학생이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표 17 4).

<표 174> 코로나19로 인한 꿈 갖기의 어려움

성별 남성 96(12.4)539(69.4)130(16.7)12(1.5) 2.451 여성 102(13.9)517(70.4)107(14.6)8(1.1)

빈곤

여부 빈곤 26(14.6)127(71.3)24(13.5)1(0.6) 1.918

비빈곤 172(12.9)929(69.7)213(16.0)19(1.4)

초등학교 59(11.8)369(73.7)63(12.6)10(2.0)

중학교 68(13.5)334(66.4)97(19.3)4(0.8)

교급별

고등 학교 일반고 55(14.5)264(69.7)56(14.8)4(1.1)

특성화고 9(11.3)55(68.8)15(18.8)1(1.3)

기타고 7(14.6)34(70.8)6(12.5)1(2.1) 소계 71(14.0)353(69.6)77(15.2)6(1.2)

*p<.05, **p<.01, ***p<.001

11.612 (14.942)

(2) 코로나19로 인한 진로 탐색 및 준비의 어려움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탐색 및 준비에 어려움을 겪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 빈곤여부 및 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럼에도 비율을 살펴보자면, 성별의 경우 남 성은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라는 응답이 17.4%로 여성의 응답(18.4%)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빈곤여부에 따르면 빈곤 15.2%, 비빈곤 17.9%로 나타나 비빈곤가정이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탐색 및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14.2%, 중학교 18.9%, 고등학교 19.5%로 나타나 교급이 높아질수록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탐색 및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표 175).

173
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단위:
173
명(%)

<표 175> 코로나19로 인한 진로 탐색 및 준비의 어려움

단위: 명(%)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성별 남성 90(11.6)553(71.2)122(15.7)12(1.5)

여성 104(14.2)499(68.0)123(16.8)8(1.1)

3.365

빈곤

여부 빈곤 23(12.9)128(71.9)27(15.2)0(0.0)

교급별

비빈곤 171(12.8)924(69.3)218(16.4)20(1.5)

초등학교 63(12.6)367(73.3)64(12.8)7(1.4)

중학교 68(13.5)340(67.6)90(17.9)5(1.0)

고등 학교 일반고 46(12.1)259(68.3)68(17.9)6(1.6) 특성화고 11(13.8)50(62.5)18(22.5)1(1.3) 기타고 6(12.5)36(75.0)5(10.4)1(2.1) 소계 63(12.4)345(68.0)91(17.9)8(1.6)

*p<.05, **p<.01, ***p<.001

(3)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변화

2.959

7.854 (11.538)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과 빈곤 여부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급별로 보면, 비슷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66.5%, 중학교 71.2%, 고등학교 75.1%로 나타나 교급이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해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급이 높 을수록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하였고, 교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표 176).

<표 176> 코로나19에 따른 가족과의 대화시간 변화

구분 감소했다

성별

빈곤여부

교급별

고등 학교

단위: 명(%)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

남성 39(5.0)564(72.6)174(22.4) 5.564

여성 27(3.7)508(69.2)199(27.1)

빈곤 12(6.7)119(66.9)47(26.4) 3.320

비빈곤 54(4.1)953(71.5)326(24.5)

초등학교 12(2.4)333(66.5)156(31.1)

중학교 20(4.0)358(71.2)125(24.9)

일반고 26(6.9)280(73.9)73(19.3)

특성화고 6(7.5)61(76.3)13(16.3)

기타고 2(4.2)40(83.3)6(12.5)

소계 34(6.7)381(75.1)92(18.1)

*p<.05, **p<.01, ***p<.001

30.906*** (33.231*** )

174
174

(4)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이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 빈

곤여부 및 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럼에도 비율을 살펴보자면, 성별

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감소 또는 증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비슷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43.7%, 중학교 43.9%, 고등학교 43.0%로 나타나 교급이 높을수

록 코로나19로 인해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77).

<표

177> 코로나19에

성별

빈곤여부

교급별

고등

학교

단위: 명(%)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

남성 394(50.7)354(45.6)29(3.7) 3.550

여성 393(53.5)304(41.4)37(5.0)

빈곤 96(53.9)75(42.1)7(3.9) 0.312

비빈곤 691(51.8)583(43.7)59(4.4)

초등학교 257(51.3)219(43.7)25(5.0)

중학교 259(51.5)221(43.9)23(4.6)

일반고 197(52.0)168(44.3)14(3.7)

특성화고 49(61.3)29(36.3)2(2.5)

기타고 25(52.1)21(43.8)2(4.2)

소계 271(53.5)218(43.0)18(3.6)

*p<.05, **p<.01, ***p<.001

(5)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 변화

1.599 (3.967)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사교육 수강시간이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 빈곤여 부 및 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럼에도 비율을 살펴보자면,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감소 또는 증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비 슷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62.9%, 중학교 64.0%, 고등학교 62.7%로 나타나 교급에 따른 차 이는 없었다(표 178).

<표 178> 코로나19에 따른 사교육 수강시간 변화 단위: 명(%)

구분 감소했다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

성별 남성 159(20.5)494(63.6)124(16.0) 0.259

여성 158(21.5)461(62.8)115(15.7)

175
구분 감소했다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 변화
따른
175

빈곤여부

교급별

고등

학교

빈곤 36(20.2)123(69.1)19(10.7) 4.540

비빈곤 281(21.1)832(62.4)220(16.5)

초등학교 113(22.6)315(62.9)73(14.6)

중학교 103(20.5)322(64.0)78(15.5)

일반고 73(19.3)232(61.2)74(19.5)

특성화고 18(22.5)52(65.0)10(12.5)

기타고 10(20.8)34(70.8)4(8.3)

소계 101(19.9)318(62.7)88(17.4)

*p<.05, **p<.01, ***p<.001

(6)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 변화

2.286 (8.130)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자습시간이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감소하거나 증가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여부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교급별로 보면, 비슷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62.1%, 중학교 60.4%, 고등학교 57.6% 로 나타나 교급이 높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해 자습시간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79).

<표 179> 코로나19에 따른 자습시간 변화

구분 감소했다

성별

빈곤여부

교급별

고등

학교

단위: 명(%)

남성 29(3.7)493(63.4)255(32.8) 8.800*

여성 41(5.6)414(56.4)279(38.0)

빈곤 9(5.1)113(63.5)56(31.5) 1.339

비빈곤 61(4.6)794(59.6)478(35.9)

초등학교 17(3.4)311(62.1)173(34.5) 8.007 (22.404**)

중학교 32(6.4)304(60.4)167(33.2)

일반고 16(4.2)206(54.4)157(41.4)

특성화고 4(5.0)60(75.0)16(20.0)

기타고 1(2.1)26(54.2)21(43.8)

소계 21(4.1)292(57.6)194(38.3)

*p<.05, **p<.01, ***p<.001

(7)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 변화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변화했는지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빈곤여부에 따르면, 빈곤가정인 경우 비슷하 다는 응답이 빈곤 41.0%, 비빈곤 50.9%로 나타나 코로나19로 인해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

176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
176

이시간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급별로 보면, 비슷하다는 응답이 초등학교 46.3%, 중학교 50.1%, 고등학교 52.9%로 나타나 교급이 낮을수록 코로나19로 인해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에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교급이 낮을수록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증가하였다(표 180).

<표 180> 코로나19에 따른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 변화

구분 감소했다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

성별

빈곤여부

교급별

고등 학교

남성 335(43.1)385(49.5)57(7.3) 2.515

여성 298(40.6)367(50.0)69(9.4)

빈곤 79(44.4)73(41.0)26(14.6) 12.913**

비빈곤 554(41.6)679(50.9)100(7.5)

초등학교 209(41.7)232(46.3)60(12.0)

중학교 211(41.9)252(50.1)40(8.0)

일반고 160(42.2)200(52.8)19(5.0)

특성화고 32(40.0)42(52.5)6(7.5)

기타고 21(43.8)26(54.2)1(2.2)

소계 213(42.0)268(52.9)26(5.1)

*p<.05, **p<.01, ***p<.001

(8)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소유 여부

16.502** (17.716*)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소유 여부를 묻는 질문에, 성별에 따른 통계학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빈곤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빈곤은 84.8%, 비빈 곤은 90.7%의 아이들이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교급별로 살펴보면, ‘있다’를 기준으로 초등학생이 86.0%, 중학교 89.7%, 고등학교 94.3%로 교급이 높을수록 디지털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표 181).

<표 181>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 소유 여부

성별

빈곤여부

단위: 명(%) 구분 있다 없다 

단위: 명(%)

남성 702(90.3)75(9.7) 0.207

여성 658(89.6)76(10.4)

빈곤 151(84.8)27(15.2) 6.008*

비빈곤 1209(90.7)124(9.3)

177
177

교급별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고등학교

*p<.05, **p<.01, ***p<.001

431(86.0)70(14.0)

451(89.7)52(10.3)

360(95.0)19(5.0)

73(91.3)7(8.8)

기타고 45(93.8)3(6.3)

소계

478(94.3)29(5.7)

19.777*** (20.220***)

2)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

(1) 미래세대의 꿈

① 코로나19에 따른 꿈 유무

코로나19에 따른 꿈 유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2>와 같다. 코로나19로 인 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과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변화한 경우 꿈 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아이들은 어려움을 겪은 경우 69.0%, 겪지 않은 경우 60.1%로 나타나 꿈이 확실한 아

이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꿈이 없

는 아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꿈을 이루기 위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

는 것이 많은데, 꿈이 없는 아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구체적이고 분명 한 꿈이 있는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비율이 높았으며,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아이들은 자습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비율이 높았으며,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 직은 막연하거나 꿈이 없는 아이들은 자습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 고,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한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증가 한 비율이 높았으며, 꿈이 없는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 한 비율이 높았다.

178
178

구분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표 182> 코로나19에 따른 꿈 유무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

단위: 명(%)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은 막연하다 꿈이 없다 

있음 160(69.0)72(31.0)0(0.0)

13.986*** 없음 662(60.1)389(35.3)50(4.5)

감소했다 37(68.5)15(27.8)2(3.7) 7.503

비슷하다 591(62.0)320(33.6)42(4.4)

증가했다 194(59.5)126(38.7)6(1.8)

감소했다 424(61.4)239(34.6)28(4.1) 2.824 비슷하다 356(61.1)206(35.3)21(3.6)

증가했다 42(71.2)16(27.1)1(1.7)

감소했다 162(57.7)102(36.3)17(6.0) 12.476* 비슷하다 506(60.8)298(35.8)28(3.4)

증가했다 154(70.0)61(27.7)5(2.3)

감소했다 39(63.9)20(32.8)2(3.3) 11.123*

비슷하다 468(58.9)287(36.1)39(4.9)

증가했다 315(65.9)154(32.2)9(1.9)

감소했다 367(66.2)171(30.9)16(2.9) 13.153*

비슷하다 402(59.2)245(36.1)32(4.7)

증가했다 53(53.0)45(45.0)2(2.0)

*p<.05, **p<.01, ***p<.001

② 코로나19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

코로나19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3>과 같다. 친구

들과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변화한 경우에만 꿈 자기결정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꿈을 스 스로 결정한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고, 스스로 결정 하지 않은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증가한 비율이 높았다.

179
179

<표 183> 코로나19에 따른 꿈 자기결정 여부

단위: 명(%)

구분 예 아니오 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있음 202(87.1)30(12.9) 1.220 없음 927(84.2)174(15.8)

감소했다 47(87.0)7(13.0) 0.339

비슷하다 808(84.8)145(15.2)

증가했다 274(84.0)52(16.0)

감소했다 597(86.4)94(13.6)

비슷하다 484(83.0)99(17.0)

증가했다 48(81.4)11(18.6)

3.315

감소했다 229(81.5)52(18.5) 4.858

비슷하다 705(84.7)127(15.3)

증가했다 195(88.6)25(11.4)

감소했다 50(82.0)11(18.0) 5.098

비슷하다 660(83.1)134(16.9)

증가했다 419(87.7)59(12.3)

감소했다 492(88.8)62(11.2) 16.428***

비슷하다 562(82.8)117(17.2)

증가했다 75(75.0)25(25.0)

*p<.05, **p<.01, ***p<.001

③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4>와 같다. 코로나

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이 변화한 경우 꿈 실현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 렇다)’라는 응답이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96.2%, 겪지 않은 아이들이 87.0%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꿈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

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한 비율이 높았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 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한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다.

180
180

구분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표

184>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가능성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단위: 명(%)

매우 그렇다 

있음 0(0.0)9(3.9)189(81.5)34(14.7) 16.329***

없음 7(0.6)137(12.4)800(72.7)157(14.3)

감소했다 0(0.0)4(7.4)45(83.3)5(9.3) 19.925**

비슷하다 6(0.6)118(12.4)710(74.5)119(12.5)

증가했다 1(0.3)24(7.4)234(71.8)67(20.6)

감소했다 6(0.9)73(10.6)511(74.0)101(14.6)

비슷하다 1(0.2)67(11.5)437(75.0)78(13.4)

증가했다 0(0.0)6(10.2)41(69.5)12(20.3)

5.652

감소했다 5(1.8)39(13.9)213(75.8)24(8.5) 30.543***

비슷하다 1(0.1)88(10.6)624(75.0)119(14.3)

증가했다 1(0.5)19(8.6)152(69.1)48(21.8)

감소했다 0(0.0)7(11.5)43(70.5)11(18.0)

비슷하다 4(0.5)100(12.6)585(73.7)105(13.2)

증가했다 3(0.6)39(8.2)361(75.5)75(15.7)

감소했다 1(0.2)55(9.9)415(74.9)83(15.0)

비슷하다 5(0.7)79(11.6)501(73.8)94(13.8)

증가했다 1(1.0)12(12.0)73(73.0)14(14.0)

*p<.05, **p<.01, ***p<.001

④ 코로나19에 따른 꿈 변화정도

7.932

3.536

코로나19에 따른 꿈 변화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5>와 같다.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변화한 경우에만 꿈 변화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변했다(자주 변했다 +가끔 변했다)’라고 응답한 꿈이 자주 변화한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다.

181
181

구분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표 185> 코로나19에 따른 꿈 변화정도

전혀 변하지

않았다

거의

변하지

않았다

단위: 명(%)

가끔 변했다 자주 변했다 

있음 3(1.3)90(38.8)124(53.4)15(6.5)

없음 19(1.7)413(37.5)551(50.0)118(10.7)

감소했다 1(1.9)30(55.6)22(40.7)1(1.9)

비슷하다 14(1.5)356(37.4)496(52.0)87(9.1)

증가했다 7(2.1)117(35.9)157(48.2)45(13.8)

감소했다 7(1.0)248(35.9)359(52.0)77(11.1)

비슷하다 14(2.4)230(39.5)287(49.2)52(8.9)

증가했다 1(1.7)25(42.4)29(49.2)4(6.8)

감소했다 3(1.1)98(34.9)152(54.1)28(10.0)

비슷하다 17(2.0)309(37.1)422(50.7)84(10.1) 증가했다 2(0.9)96(43.6)101(45.9)21(9.5)

감소했다 2(3.3)31(50.8)28(45.9)0(0.0)

비슷하다 14(1.8)289(36.4)404(50.9)87(11.0)

증가했다 6(1.3)183(38.3)243(50.8)46(9.6)

감소했다 7(1.3)215(38.8)272(49.1)60(10.8)

비슷하다 12(1.8)251(37.0)352(51.8)64(9.4)

증가했다 3(3.0)37(37.0)51(51.0)9(9.0)

*p<.05, **p<.01, ***p<.001

⑤ 코로나19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4.211

16.424*

3.115

코로나19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6>과 같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 자 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이 변화한 경우 꿈에 대한 소통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

렇다)’라는 응답이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76.7%, 겪지 않은 아이들이 59.5%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꿈에 대해 많이 소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 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대해 많이 소통하는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비율

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다.

182
7.799
6.494
11.869
182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 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대해 많이 소통하는 아이들은 자습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자습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

다(매우 그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대해 많이 소통하는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 놀 이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증가 한 비율이 높았다.

<표 186> 코로나19에 따른 꿈에 대한 소통 정도

구분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단위: 명(%)

있음 0(0.0)54(23.3)153(65.9)25(10.8) 33.504***

없음 23(2.1)423(38.4)603(54.8)52(4.7)

감소했다 0(0.0)23(42.6)28(51.9)3(5.6) 11.868

비슷하다 12(1.3)334(35.0)557(58.4)50(5.2)

증가했다 11(3.4)120(36.8)171(52.5)24(7.4)

감소했다 9(1.3)234(33.9)411(59.5)37(5.4) 5.473

비슷하다 13(2.2)221(37.9)313(53.7)36(6.2)

증가했다 1(1.7)22(37.3)32(54.2)4(6.8)

감소했다 5(1.8)107(38.1)154(54.8)15(5.3) 23.971***

비슷하다 16(1.9)305(36.7)476(57.2)35(4.2)

증가했다 2(0.9)65(29.5)126(57.3)27(12.3)

감소했다 1(1.6)23(37.7)35(57.4)2(3.3) 20.980**

비슷하다 17(2.1)312(39.3)430(54.2)35(4.4)

증가했다 5(1.0)142(29.7)291(60.9)40(8.4)

감소했다 8(1.4)173(31.2)330(59.6)43(7.8) 16.709**

비슷하다 11(1.6)265(39.0)373(54.9)30(4.4)

증가했다 4(4.0)39(39.0)53(53.0)4(4.0)

*p<.05, **p<.01, ***p<.001

⑥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정도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7>과 같다. 코로나19 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 강시간, 자습시간이 변화한 경우 꿈 실현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 렇다)’라는 응답이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83.6%, 겪지 않은 아이들이 66.5%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은 아이들이 꿈에 따라 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3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183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따라 살고있는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비율이 높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한 비

율이 높았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

렇다+그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따라 살고있는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비율이 높

았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소한 비율이 높았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그렇다(매우 그렇다+그 렇다)’라고 응답한 꿈에 따라 살고있는 아이들은 자습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비율이 높았 으며,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자습시간에 변화가 없는 비슷한 비율이 높았다.

<표 187>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있음 0(0.0)38(16.4)172(74.1)22(9.5) 34.176***

없음 16(1.5)323(32.1)686(62.3)46(4.2)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감소했다 0(0.0)13(24.1)38(70.4)3(5.6) 22.639***

비슷하다 15(1.6)290(30.4)614(64.4)34(3.6)

증가했다 1(0.3)88(27.0)206(63.2)31(9.5)

감소했다 9(1.3)200(28.9)449(65.0)33(4.8) 2.191

비슷하다 7(1.2)170(29.2)374(64.2)32(5.5)

증가했다 0(0.0)21(35.6)35(59.3)3(5.1)

감소했다 8(2.8)87(31.0)172(61.2)14(5.0) 21.569***

비슷하다 7(0.8)254(30.5)537(64.5)34(4.1)

증가했다 1(0.5)50(22.7)149(67.7)20(9.1)

감소했다 1(1.6)13(21.3)43(70.5)4(6.6) 30.079***

비슷하다 13(1.6)272(34.3)477(60.1)32(4.0)

증가했다 2(0.4)106(22.2)338(70.7)32(6.7)

감소했다 6(1.1)150(27.1)362(65.3)36(6.5) 6.487

비슷하다 9(1.3)206(30.3)436(64.2)28(4.1)

증가했다 1(1.0)35(35.0)60(60.0)4(4.0)

*p<.05, **p<.01, ***p<.001

⑦ 코로나19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코로나19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의 <표 188>과 같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경험한 경우에만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닮고 싶은 사람 (롤모델)이 있는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63.8%가 경험하였고,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없는 경우 36.2%로 나타나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는 아이들이 코로나19 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184
구분 매우 아니다 아니다그렇다 매우 그렇다 
단위: 명(%) 184
코로나19에 따른 꿈 실현정도

<표 188> 코로나19에 따른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여부

단위: 명(%)

구분 예 아니오 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있음 148(63.8)84(36.2) 22.916*** 없음 512(46.5)589(53.5)

감소했다 24(44.4)30(55.6) 1.604

비슷하다 466(48.9)487(51.1)

증가했다 170(52.1)156(47.9)

감소했다 347(50.2)344(49.8) 2.331

비슷하다 279(47.9)304(52.1)

증가했다 34(57.6)25(42.4)

감소했다 155(55.2)126(44.8) 4.987

비슷하다 395(47.5)437(52.5)

증가했다 110(50.0)110(50.0)

감소했다 35(57.4)26(42.6) 3.244

비슷하다 379(47.7)415(52.3)

증가했다 246(51.5)232(48.5)

감소했다 268(48.4)286(51.6)

비슷하다 338(49.8)341(50.2)

증가했다 54(54.0)46(46.0)

*p<.05, **p<.01, ***p<.001

(2) 진로 발달산물

①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성숙도

1.111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은 자기이해, 일 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 4가지로 구성된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진로성숙도 전체와 모든 하위영역이 코로나19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89).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독립성을 제외한 모 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모든 영역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 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계획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 전체와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의 경우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 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기이해 영역은 가족과의 대화시간 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

185
185

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

이해와 계획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시간에 변화가 없는 아이들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 전체와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의 경우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

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기이해와 계획성 영역은 자습시간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 전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계획성의 경우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 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기이해 영역은 친구들, 형 제자매 놀이시간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 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표 189>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성숙도

단위: M(SD)

구분자기이해일에 대한 태도독립성계획성전체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있음 3.24(0.44)3.37(0.80)2.91(0.87)3.26(0.48)3.15(0.47)

없음 3.01(0.48)3.08(0.73)2.83(0.74)2.90(0.49)2.92(0.36) t 7.336***5.145***1.24710.205***7.020***

감소

했다 3.14(0.53)2.96(0.95)2.41(0.75)3.08(0.47)2.86(0.39)

비슷

하다 3.01(0.48)3.09(0.74)2.84(0.75)2.94(0.51)2.94(0.38)

증가 했다 3.14(0.46)3.28(0.72)2.92(0.77)3.00(0.50)3.04(0.40)

감소

했다 3.05(0.45)3.21(0.75)2.93(0.73)2.98(0.48)3.00(0.36)

비슷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하다 3.04(0.52)3.03(0.75)2.76(0.79)2.94(0.55)2.91(0.41)

증가

했다 3.10(0.49)3.17(0.72)2.71(0.78)3.01(0.48)2.95(0.38)

F 0.422 8.522*** (a>b) 9.547*** (a>b) 0.939 8.587*** (a>b)

186
9.344*** (b<c) 10.582*** (a<b, c) 2.879 9.136*** (a, b<c)
F 9.277*** (b<c)
186

감소

했다

비슷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3.06(0.45)3.12(0.73)2.77(0.76)2.95(0.46)2.93(0.33)

하다 3.01(0.49)3.06(0.74)2.78(0.75)2.94(0.51)2.92(0.37)

증가

했다 3.16(0.48)3.40(0.77)3.18(0.71)3.09(0.56)3.17(0.45) F 8.626*** (a, b<c) 18.144*** (a, b<c) 27.125*** (a, b<c) 7.814*** (a, b<c) 40.544*** (a, b<c)

감소

했다 3.11(0.52)2.98(0.90)2.49(0.81)3.05(0.47)2.87(0.36)

비슷

하다 2.99(0.49)3.02(0.74)2.77(0.74)2.89(0.50)2.88(0.35)

증가

했다 3.14(0.44)3.33(0.71)3.02(0.76)3.08(0.50)3.10(0.42)

F 16.611*** (b<c) 27.127*** (a, b<c)

감소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a<b<c) 24.129*** (b<a, c) 53.184*** (a, b<c)

했다 3.09(0.44)3.28(0.75)3.00(0.73)3.03(0.48)3.06(0.39)

비슷 하다 3.00(0.50)3.04(0.75)2.79(0.76)2.92(0.53)2.91(0.38)

증가 했다 3.10(0.53)2.91(0.65)2.43(0.75)2.90(0.45)2.79(0.36)

F 5.512** (a>b) 21.229*** (a>b, c) 29.167*** (a>b>c) 7.832*** (a>b, c) 35.665*** (a>b>c)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②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은 진로탐색 활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 4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90).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모든 영역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 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도 전체와 진로탐색활동, 취업준비활동의 경 우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187
24.795***
187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정보수집활동 영역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

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

내었다. 직업체험활동 영역은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소한 아이들, 증가한 아이들, 변화가 없

는 아이들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정보수집활 동, 취업준비활동, 진로준비행동 전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영역에서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영역에서 자습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표 190> 코로나19에 따른

M(SD)

구분진로탐색활동정보수집활동직업체험활동취업준비활동전체

있음 2.69(0.68)2.98(0.73)2.84(0.77)2.94(0.62)2.86(0.53)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없음 2.36(0.75)2.71(0.76)2.50(0.79)2.60(0.76)2.54(0.60) t 6.409***5.033***6.186***7.425***8.171***

감소 했다 2.57(0.79)3.07(0.70)2.78(0.93)2.94(0.66)2.84(0.59)

비슷 하다 2.46(0.71)2.74(0.74)2.52(0.78)2.65(0.72)2.59(0.59)

증가 했다 2.29(0.83)2.76(0.83)2.62(0.83)2.63(0.81)2.58(0.64) F 7.338*** (b>c)

2.41(0.74)2.80(0.76)2.56(0.82)2.66(0.74)2.61(0.60)

문화 및 여가활동

비슷 하다 2.43(0.75)2.72(0.76)2.56(0.77)2.64(0.75)2.59(0.61)

증가 했다 2.46(0.84)2.68(0.78)2.53(0.86)2.81(0.78)2.62(0.63) F 0.2872.2500.0591.5610.197

188
4.844**
4.030*
(a>b, c)
4.256* (a>b, c) 4.711** (a>b, c)
시간 감소 했다
단위:
188
진로준비행동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감소

했다

비슷

하다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2.47(0.77)2.84(0.75)2.51(0.80)2.68(0.68)2.63(0.58)

2.38(0.74)2.72(0.77)2.56(0.78)2.62(0.75)2.57(0.61)

증가 했다 2.50(0.75)2.83(0.73)2.62(0.86)2.79(0.78)2.68(0.59)

감소 했다 2.51(0.81)2.79(0.90)2.61(0.78)2.72(0.69)2.66(0.65)

비슷

증가 했다 2.48(0.75)2.88(0.72)2.71(0.79)2.78(0.71)2.71(0.57)

감소

비슷 하다 2.42(0.74)2.73(0.75)2.55(0.80)2.62(0.75)2.58(0.62)

증가

했다 2.45(0.78)2.75(0.87)2.56(0.81)2.69(0.77)2.61(0.59)

F 0.1021.4670.1602.0240.850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③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장벽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 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진로장벽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91).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진로장벽 점수가 낮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

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보다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교육 수강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189
F
1.258
2.659 3.938* (a>b)
4.749** (b<c) 3.481* (b<c)
하다 2.38(0.74)2.69(0.76)2.47(0.79)2.58(0.76)2.53(0.61)
F
10.130***
13.786*** (b<c) 11.140*** (b<c) 14.399*** (b<c)
3.085*
(b<c)
했다 2.41(0.75)2.80(0.75)2.57(0.80)2.70(0.73)2.62(0.58)
189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자습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있음 1.95(0.78) -6.120***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표 191> 코로나19에 따른 진로장벽

감소했다 2.30(0.81) 1.547

비슷하다 2.23(0.60)

증가했다 2.17(0.58)

비슷하다 2.27(0.62)

감소했다 2.18(0.58) 3.430* (a<b)

증가했다 2.22(0.63)

비슷하다 2.32(0.54)

감소했다 2.26(0.56) 76.014*** (a, b>c)

증가했다 1.79(0.69)

비슷하다 2.31(0.52)

감소했다 2.51(0.70) 45.801*** (a, b>c)

증가했다 2.02(0.66)

비슷하다 2.27(0.56)

감소했다 2.12(0.64) 17.733*** (a<b<c)

증가했다 2.44(0.54)

190
없음 2.27(0.54)
190

④ 노력 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코로나19에 따른 노력 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 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92).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

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192> 코로나19에 따른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비슷하다 2.88(0.55)

감소했다 3.06(0.53) 9.428*** (b<c)

증가했다 3.02(0.55)

비슷하다 2.86(0.54)

감소했다 2.98(0.55) 8.289*** (a>b)

증가했다 2.86(0.60)

감소했다 2.94(0.53) 0.503

비슷하다 2.91(0.54)

증가했다 2.94(0.63)

감소했다 2.95(0.43) 1.120

비슷하다 2.90(0.55)

증가했다 2.95(0.58)

감소했다 2.96(0.58) 2.028

비슷하다 2.89(0.53)

증가했다 2.90(0.56)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191
있음 2.93(0.62) 0.172 없음
2.92(0.54)
지위 이동 가능성 191
사회경제적

3)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

(1) 긍정적 발달산물

① 행복지수

코로나19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 매 놀이시간에 따라 행복지수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표 193).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행복지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에 변화가 없는 아이들보다 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표 193> 코로나19에 따른 행복지수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있음 3.36(0.41) 4.561*** 없음 3.22(0.40)

비슷하다 3.21(0.38)

감소했다 3.31(0.34) 14.206*** (b<c)

증가했다 3.34(0.46)

감소했다 3.24(0.42) 0.663

비슷하다 3.26(0.39)

증가했다 3.24(0.36)

비슷하다 3.22(0.40)

감소했다 3.30(0.37) 5.192** (a>b)

증가했다 3.28(0.43)

비슷하다 3.22(0.39)

감소했다 3.29(0.44) 6.943*** (b<c)

증가했다 3.30(0.41)

비슷하다 3.22(0.41)

감소했다 3.28(0.39) 4.361* (a>b)

증가했다 3.28(0.40)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192
192

② 희망지수

코로나19에 따른 희망지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

매 놀이시간에 따라 행복지수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행복지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에 변화가 없는 아이들보다 시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보다 시간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 를 나타내었다(표 194).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표 194> 코로나19에 따른 희망지수

단위: M(SD)

꿈 갖기 어려움 있음 3.25(0.47)3.21(0.48)3.22(0.39) 없음 2.99(0.49)2.97(0.51)2.97(0.44) t 7.558*** 6.588***8.646***

감소했다 3.11(0.56)3.16(0.47)3.13(0.42)

비슷하다 3.00(0.48)2.98(0.51)3.00(0.43)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증가했다 3.12(0.52)3.07(0.55)3.10(0.48) F 8.895*** 5.383** 8.613*** (b<c) (a>b) (b<c)

감소했다 3.03(0.47)3.03(0.51)3.03(0.43)

비슷하다 3.02(0.52)2.99(0.53)3.01(0.47)

증가했다 3.18(0.50)3.05(0.53)3.11(0.43) F 2.661 1.186 1.769

감소했다 3.06(0.49)3.03(0.52)3.04(0.44)

비슷하다 3.00(0.48)2.97(0.50)2.99(0.44)

증가했다 3.11(0.54)3.12(0.55)3.12(0.47) F 4.494* 7.296***7.533*** (b<c) (b>c) (b<c)

감소했다 3.18(0.38)3.11(0.48)3.15(0.35)

비슷하다 2.96(0.49)2.94(0.51)2.95(0.44)

증가했다 3.15(0.49)3.11(0.52)3.13(0.44) F 25.776***17.190***27.430*** (a>b, b<c)(a>b, b<c)(a>b, b<c)

감소했다 3.07(0.47)3.09(0.49)3.08(0.42)

비슷하다 3.00(0.51)2.95(0.53)2.98(0.46)

증가했다 3.00(0.53)2.95(0.58)2.98(0.50) F 2.835 11.912***8.630*** (a>b) (a>b)

1) *p<.05, **p<.01, ***p<.001

193
특성희망 상태희망
구분
전체
193

③ 자아존중감

코로나19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 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95).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

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증가한 아이 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한 아이들이 중간,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

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

은 점수를 보였다.

<표 195> 코로나19에 따른 자아존중감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있음 3.35(0.49) 8.753*** 없음 3.05(0.38)

비슷하다 3.09(0.40)

감소했다 2.89(0.48) 14.285*** (a<b<c)

증가했다 3.18(0.45)

감소했다 3.10(0.41) 0.198

비슷하다 3.10(0.42)

증가했다 3.10(0.42)

비슷하다 3.06(0.38)

감소했다 3.10(0.45) 23.540*** (a, b<c)

증가했다 3.27(0.46)

비슷하다 3.04(0.37)

감소했다 2.92(0.43) 36.769*** (a, b<c)

증가했다 3.22(0.46)

비슷하다 3.07(0.41)

감소했다 3.15(0.42) 8.160*** (a>b, c)

증가했다 3.02(0.4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194
194

④ 회복탄력성

코로나19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영역은 자기조절능력, 긍정성, 대인관계능력 3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

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

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196).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회복탄력성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긍정성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모든 영역에서 가족과의 대화시간 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 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긍정 성, 대인관계능력, 회복탄력성 전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영

역에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 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

타내었다. 회복탄력성 전체에서는 사교육 수강시간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한 아이들이 점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긍정성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조절능력의 영역에서는 자습시간이 감소하거 나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 다.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 전체의 영역에서는 자습시간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한 아 이들이 긍정적인 회복탄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조절능력을 제외한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능력과 회복탄력성 전체에서 는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195
195

<표 196> 코로나19에 따른 회복탄력성

단위: M(SD)

구분 자기조절능력긍정성대인관계능력전체

있음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3.27(0.49)3.28(0.61)3.16(0.41)3.22(0.35)

없음 3.03(0.49)3.07(0.59)2.86(0.48)2.95(0.39) t 6.833***4.851***9.635***10.271***

감소했다 3.15(0.47)3.15(0.63)2.99(0.42)3.07(0.36)

비슷하다 3.04(0.48)3.09(0.58)2.89(0.48)2.98(0.39)

증가했다 3.16(0.52)3.16(0.63)2.96(0.49)3.06(0.40) F 7.399*** (b<c) 1.8433.338* 6.685*** (b<c)

감소했다 3.07(0.49)3.04(0.61)2.90(0.46)2.98(0.37) 비슷하다 3.08(0.50)3.16(0.57)2.91(0.50)3.01(0.42)

증가했다 3.15(0.52)3.27(0.58)3.10(0.47)3.15(0.39) F 0.862 8.860*** (a<b, c) 4.744** (a, b<c) 5.043** (a, b<c)

감소했다 3.07(0.52)3.18(0.54)2.89(0.47)3.00(0.38)

비슷하다 3.04(0.48)3.10(0.59)2.90(0.48)2.98(0.39) 증가했다 3.20(0.53)3.06(0.68)3.01(0.46)3.08(0.39) F 8.551*** (a, b<c) 3.149* 5.710** (a, b<c) 5.860** (b<c)

감소했다 3.21(0.43)3.18(0.56)2.92(0.50)3.06(0.35) 비슷하다 3.00(0.49)3.07(0.60)2.86(0.48)2.94(0.40) 증가했다 3.18(0.46)3.15(0.60)3.00(0.46)3.09(0.38)

감소했다 3.11(0.49)3.08(0.58)2.97(0.46)3.03(0.37)

비슷하다 3.06(0.50)3.10(0.59)2.87(0.49)2.97(0.41)

증가했다 3.01(0.52)3.25(0.67)2.92(0.50)3.01(0.42) F 2.6133.305* 5.706** (a>b) 3.659* (a>b)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⑤ 성취동기

코로나19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 매 놀이시간에 따라 성취동기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표 197).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성취동기 점수가 높았다.

196
F 22.475*** (b<a,
2.828 14.414*** (b<c) 21.848*** (b<c)
c)
196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 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교육 수강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⑥ 자기표현

코로나19

<표 197> 코로나19에 따른 성취동기

구분 M(SD) F/t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비슷하다 3.11(0.44)

감소했다 3.11(0.41) 5.360** (b<c)

증가했다 3.20(0.45)

감소했다 3.13(0.43) 2.097

비슷하다 3.13(0.46)

증가했다 3.25(0.43)

비슷하다 3.12(0.43)

감소했다 3.14(0.45) 9.200*** (a, b<c)

증가했다 3.25(0.47)

비슷하다 3.08(0.44)

감소했다 3.13(0.39) 19.636** (b<c)

증가했다 3.23(0.43)

비슷하다 3.09(0.46)

감소했다 3.19(0.41) 6.882*** (a>b)

증가했다 3.11(0.47)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자기표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 매 놀이시간에 따라 자기표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표 198).

197
있음 3.33(0.41) 7.825*** 없음 3.09(0.44)
197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자기표현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

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

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하거나 증가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198> 코로나19에 따른 자기표현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3.26(0.41) 4.669***

3.12(0.46)

비슷하다 3.11(0.45)

감소했다 3.10(0.43) 10.303*** (b<c)

증가했다 3.23(0.47)

감소했다 3.16(0.46) 2.254

비슷하다 3.11(0.45)

증가했다 3.14(0.40)

비슷하다 3.12(0.46)

감소했다 3.13(0.46) 6.639*** (a, b<c)

증가했다 3.24(0.42)

비슷하다 3.07(0.46)

감소했다 3.00(0.50) 30.279*** (a, b<c)

증가했다 3.27(0.42)

비슷하다 3.10(0.45)

감소했다 3.21(0.44) 10.350*** (a>b, c)

증가했다 3.07(0.5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⑦ 성공경험

코로나19에 따른 성공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성공경험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99).

198
있음
없음
가족과의
198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

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

이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

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하거나 증가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199> 코로나19에 따른 성공경험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3.32(0.38)

비슷하다 3.31(0.38)

감소했다 3.24(0.35) 8.447*** (a, b<c)

증가했다 3.40(0.41)

비슷하다 3.30(0.41)

감소했다 3.36(0.37) 4.644** (a>b)

증가했다 3.35(0.37)

감소했다 3.37(0.37) 3.424*

비슷하다 3.31(0.39)

증가했다 3.36(0.40)

비슷하다 3.29(0.40)

감소했다 3.29(0.37) 13.918*** (b<c)

증가했다 3.41(0.35)

비슷하다 3.30(0.38)

감소했다 3.38(0.36) 9.829*** (a>b, c)

증가했다 3.24(0.50)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⑧ 자기관리

코로나19에 따른 자기관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 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

라 자기관리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0).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자기표현 점수가 높았다.

199
있음
없음
3.37(0.42) 1.504
199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

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

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200> 코로나19에 따른 자기관리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있음 3.33(0.43) 7.524*** 없음 3.10(0.42)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비슷하다 3.11(0.42)

감소했다 3.12(0.45) 6.527** (b<c)

증가했다 3.22(0.45)

감소했다 3.13(0.43) 1.056

비슷하다 3.15(0.43)

증가했다 3.21(0.38)

감소했다 3.16(0.42) 0.703

비슷하다 3.13(0.42)

증가했다 3.15(0.48)

비슷하다 3.08(0.41)

감소했다 3.11(0.37) 21.456*** (a, b<c)

증가했다 3.24(0.45)

비슷하다 3.11(0.43)

감소했다 3.18(0.43) 4.569* (a>b)

증가했다 3.13(0.45)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⑨ 주관적 건강상태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1).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 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200
200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증가한 아이 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한 아이들이 중간,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표 201>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있음 3.68(0.49)

없음 3.57(0.50)

비슷하다 3.59(0.51)

2.904**

감소했다 3.44(0.50) 3.448* (a<c)

증가했다 3.63(0.48)

감소했다 3.62(0.50) 2.539

비슷하다 3.56(0.51)

증가했다 3.59(0.50)

비슷하다 3.52(0.51)

감소했다 3.63(0.48) 36.801*** (b<a<c)

증가했다 3.83(0.39)

감소했다 3.49(0.54) 11.506***

비슷하다 3.55(0.51)

증가했다 3.68(0.47)

감소했다 3.63(0.49) 3.026*

비슷하다 3.57(0.50)

증가했다 3.53(0.52)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⑩ 학교생활적응

코로나19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4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 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

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2).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교우관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

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규칙 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활동, 교사관계, 학교생활적응 전 체에서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 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교우관계의 경우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201
201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

활동의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한 아이

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교우관계를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모든 영역에서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사관계, 학교생활적응 전체에서는 자

습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

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교우관계에서는 자습시간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한 아이들이 긍정

적인 학교생활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활동과 학교생활적응 전체에서는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증가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학교규칙 과 교사관계에서는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 수를 나타냈다. 교우관계에서는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감소한 아이들보다 비슷한 아이 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표 202> 코로나19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단위: M(SD)

구분 학습활동학교규칙교우관계교사관계전체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있음 3.42(0.54)3.39(0.48)3.30(0.46)3.28(0.44)3.35(0.34)

없음 3.12(0.53)3.23(0.48)3.28(0.41)3.17(0.51)3.20(0.36) t 7.808***4.373***0.4413.088**5.612***

감소

했다 3.18(0.56)3.30(0.48)3.23(0.44)3.17(0.48)3.21(0.37)

비슷

하다 3.13(0.54)3.24(0.47)3.25(0.40)3.16(0.48)3.20(0.34)

증가

했다 3.27(0.54)3.30(0.53)3.38(0.43)3.30(0.54)3.31(0.39)

F 8.255*** (b<c) 1.672 11.781*** (a, b<c) 10.510*** (b<c) 13.030*** (b<c)

감소

했다 3.22(0.50)3.26(0.47)3.30(0.41)3.20(0.50)3.25(0.35)

비슷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하다 3.10(0.58)3.26(0.50)3.27(0.42)3.18(0.50)3.20(0.37)

증가 했다 3.23(0.52)3.20(0.48)3.25(0.49)3.24(0.41)3.23(0.34) F 7.225** (a>b) 0.4380.7530.7252.146

202
202

감소

했다

비슷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3.20(0.50)3.27(0.43)3.27(0.40)3.23(0.48)3.24(0.33)

하다 3.12(0.53)3.23(0.49)3.29(0.42)3.16(0.51)3.20(0.36)

증가

했다 3.30(0.60)3.35(0.52)3.28(0.44)3.29(0.48)3.31(0.38)

F 10.656*** (b<c) 4.851** (b<c) 0.267 6.991*** (b<c) 7.888*** (b<c)

감소

했다 2.99(0.58)3.18(0.46)3.20(0.48)3.12(0.51)3.13(0.34)

비슷 하다 3.07(0.54)3.20(0.48)3.26(0.42)3.13(0.50)3.17(0.36)

증가 했다 3.35(0.50)3.37(0.48)3.33(0.41)3.30(0.48)3.34(0.34)

F 46.916*** (a, b<c) 19.063*** (a, b<c) 5.183** (b<c) 18.769*** (a, b<c) 39.015*** (a, b<c)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감소

했다 3.23(0.53)3.33(0.47)3.23(0.43)3.24(0.49)3.28(0.34)

비슷 하다 3.14(0.55)3.21(0.49)3.26(040)3.14(0.51)3.19(0.38)

증가 했다 3.04(0.54)3.22(0.48)3.26(0.43)3.27(0.46)3.20(0.32)

F 7.426*** (a>b, c) 11.422*** (a>b) 3.767* (a<b) 6.889*** (a>b) 11.273*** (a<b. c)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⑪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 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주관적 학업성적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증가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203
203

<표 203> 코로나19에 따른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있음 7.59(1.20) 5.476***

없음 7.09(1.28)

감소했다 7.22(1.54) 1.472

비슷하다 7.21(1.23)

증가했다 7.07(1.38)

비슷하다 7.09(1.31)

감소했다 7.27(1.22) 4.303* (a>b)

증가했다 6.92(1.66)

비슷하다 7.06(1.30)

감소했다 7.25(1.19) 10.975*** (b<c)

증가했다 7.50(1.27)

비슷하다 7.02(1.27)

감소했다 6.85(1.49) 20.773*** (a, b<c)

증가했다 7.47(1.21)

비슷하다 7.14(1.25)

감소했다 7.28(1.29) 5.269** (a>c)

증가했다 6.86(1.4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 부정적 발달산물

① 문제행동

코로나19에 따른 문제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은 내재화, 외현화, 위축 3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문제 행동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4).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내재화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

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점수가 낮아 내재화 행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영역에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 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내재화, 문 제행동 전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아이들 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내재화, 외현화, 문

204
204

제행동 전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영역에서 자습시간이 증가 한 아이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증가한 아이

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하거나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단위: M(SD)

코로나19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라 자살생각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5). 구분 내재화외현화위축 전체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있음 1.17(0.31)1.14(0.36)1.10(0.31)1.15(0.29)

없음 1.23(0.27)1.14(0.29)1.07(0.27)1.18(0.23) t -2.548*-0.261.198-1.396

감소했다 1.24(.29)1.15(0.32)1.13(0.34)1.20(0.25)

비슷하다 1.22(0.28)1.13(0.31)1.07(0.26)1.17(0.24)

증가했다 1.23(0.29)1.15(0.28)1.09(0.30)1.19(0.23) F 0.3440.3871.5750.639

감소했다 1.20(0.27)1.12(0.26)1.06(0.23)1.16(0.22)

비슷하다 1.23(0.29)1.14(0.34)1.09(0.30)1.18(0.26)

증가했다 1.29(0.33)1.22(0.36)1.19(0.43)1.25(0.30) F 3.768*3.217*6.954***5.612**

감소했다 1.24(0.30)1.16(0.35)1.07(0.26)1.20(0.26)

비슷하다 1.23(0.28)1.14(0.30)1.09(0.29)1.18(0.24)

증가했다 1.16(0.26)1.10(0.23)1.05(0.21)1.13(0.20) F 5.532** (a, b>c) 2.9711.954 5.669** (a, b>c)

감소했다 1.29(0.31)1.18(0.38)1.08(0.28)1.23(0.27)

비슷하다 1.23(0.28)1.15(0.32)1.08(0.29)1.19(0.25)

증가했다 1.19(0.28)1.11(0.25)1.06(0.25)1.15(0.22) F 4.564*3.314*0.7594.873**

감소했다 1.19(0.26)1.14(0.30)1.05(0.23)1.16(0.22)

비슷하다 1.22(0.27)1.12(0.30)1.07(0.27)1.17(0.23)

증가했다 1.42(0.35)1.25(0.36)1.23(0.45)1.34(0.30) F 28.471*** (a, b<c) 7.265*** (a, b<c) 17.825*** (a, b<c) 26.518*** (a, b<c)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② 자살생각

205
<표
따른 문제행동
204> 코로나19에
205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 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감소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표 205> 코로나19에 따른 자살생각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비슷하다 1.21(0.44)

감소했다 1.44(0.66) 7.725*** (a>b, c)

증가했다 1.19(0.43)

감소했다 1.21(0.43) 0.057

비슷하다 1.22(0.47)

증가했다 1.22(0.50)

비슷하다 1.22(0.44)

감소했다 1.25(0.49) 3.320* (a>c)

증가했다 1.15(0.43)

비슷하다 1.22(0.46)

감소했다 1.44(0.56) 9.254*** (a>b, c)

증가했다 1.18(0.40)

감소했다 1.20(0.43) 1.594

비슷하다 1.21(0.45)

증가했다 1.29(0.54)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③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온라인 상의 폭력 가해 경험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피해 경험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 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자습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6).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 가하거나 감소한 아이들이 피해 경험이 많고, 비슷한 아이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 이 증가한 아이들이 피해 경험이 많고, 감소한 아이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 들이 피해 경험이 가장 많고, 비슷한 아이들이 중간,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 났다.

206
있음
없음
1.25(0.51) 1.224
1.21(0.43)
206

꿈 갖기 어려움

<표 206>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상의 폭력

단위: M(SD)

있음 0.13(0.50) 0.18(0.50)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 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7). 구분 피해 가해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감소했다 0.33(0.90) 0.00(0.00)

비슷하다 0.14(0.37) 0.11(0.36)

없음 0.19(0.43) 0.13(0.34) t -0.974 0.615 가족과의 대화시간

증가했다 0.25(0.47) 0.20(0.41) F 3.139* 1.122

감소했다 0.15(0.38) 0.12(0.33)

비슷하다 0.18(0.46) 0.13(0.40)

증가했다 0.45(0.57) 0.27(0.47)

F 6.038* (a<c) 0.814

감소했다 0.28(0.63) 0.13(0.35)

비슷하다 0.19(0.42) 0.13(0.37)

증가했다 0.09(0.29) 0.19(0.40) F 2.604 0.164

감소했다 0.38(0.81) 0.14(0.38)

비슷하다 0.21(0.46) 0.15(0.40)

증가했다 0.12(0.33) 0.12(0.33)

3.276* 0.058

감소했다 0.21(0.44) 0.20(0.41)

비슷하다 0.13(0.37) 0.12(0.38)

증가했다 0.27(0.59) 0.06(0.24)

2.774 1.070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3) 사회 및 관계

① 부모와의 관계

207
문화
F
F
207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부모와의 관계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207>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와의 관계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있음 3.38(0.39) 6.610***

3.20(0.38)

비슷하다 3.20(0.39)

감소했다 3.30(0.41) 10.303*** (b<c)

증가했다 3.31(0.36)

감소했다 3.22(0.37) 1.348

비슷하다 3.23(0.41)

증가했다 3.31(0.35)

비슷하다 3.20(0.38)

감소했다 3.24(0.38) 8.869*** (b<c)

증가했다 3.32(0.39)

비슷하다 3.17(0.39)

감소했다 3.27(0.40) 23.250*** (b<c)

증가했다 3.32(0.36)

비슷하다 3.19(0.40)

감소했다 3.28(0.37) 8.687*** (a>b)

증가했다 3.27(0.32)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08
없음
208

② 부모양육태도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영역은 전문형, 권위형, 허용형, 무시형 4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08).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허용형을 제외한 모 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

이들이 전문형 양육태도의 점수가 높았으며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은 권위형과 무시형 양육태

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문형과

무시형 양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형 양육태도의 경우 가족과의 대 화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하거나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 를 보였다. 무시형 양육태도는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감소하거나 증가한 아이들보다 비슷한 아 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무시 형 양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

보다 비슷한 아이들이 무시형 양육태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양육태

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형, 허용형 양육태도는 사교육 수강시간이 감 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권위형 양육태도는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아이들보다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무시형 양육 태도는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한 아이들보다 비슷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든 양육태도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형, 허용형 양육태도는 자습시간이 비슷한 아이들

보다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권위형, 무시형 양육태도는 자습시간이 증가한 아 이들보다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여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권위형과 무시형 양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권위형과 무시형 모두 친구 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감소한 아이들보다 증가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 다.

209
209

<표 208> 코로나19에 따른 부모양육태도

단위: M(SD)

구분 전문형권위형허용형무시형

꿈 갖기 어려움

있음 3.24(0.57)1.89(0.71)2.73(0.48)1.43(0.64)

없음 3.01(0.43)2.11(0.54)2.67(0.48)1.62(0.54) t 5.829***-4.610***1.743-4.074***

감소했다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3.02(0.49)2.03(0.60)2.70(0.52)1.58(0.64)

비슷하다 3.03(0.46)2.09(0.57)2.68(0.46)1.62(0.57)

증가했다 3.10(0.47)2.02(0.60)2.68(0.53)1.49(0.50)

F 3.098*1.7320.049 6.108** (b>c)

감소했다 3.03(0.44)2.05(0.54)2.67(0.49)1.52(0.52)

비슷하다 3.07(0.49)2.08(0.63)2.69(0.46)1.65(0.60) 증가했다 3.11(0.56)2.21(0.62)2.76(0.50)1.65(0.62)

F 1.8352.2861.093 8.624*** (a<b)

감소했다 3.02(0.45)2.08(0.59)2.69(0.52)1.55(0.59)

비슷하다 3.03(0.45)2.12(0.55)2.64(0.45)1.62(0.56)

증가했다 3.14(0.54)1.89(0.66)2.80(0.50)1.50(0.51)

감소했다 3.09(0.46)2.30(0.67)2.78(0.62)1.76(0.70)

비슷하다 2.99(0.45)2.15(0.54)2.63(0.46)1.64(0.55)

증가했다 3.14(0.48)1.91(0.60)2.75(0.48)1.47(0.55)

감소했다 3.06(0.48)2.01(0.60)2.70(0.20)1.48(0.49)

비슷하다 3.04(0.46)2.10(0.57)2.65(0.47)1.65(0.60)

증가했다 3.06(0.48)2.20(0.53)2.73(0.52)1.75(0.59) F 0.556 6.327* (a<b, c) 2.336 19.746*** (a<b, c)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10
F
13.477***
10.177***
5.310** (a, b<c)
(a, b>c)
(a, b<c) 5.043** (b>c)
F 15.881*** (b<c) 29.935*** (a, b>c) 10.833*** (b<c) 16.935*** (a, b>c)
210

③ 공동체성(나눔)

코로나19에 따른 공동체성(나눔)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

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공동체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표 209).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공동체성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209> 코로나19에 따른 공동체성(나눔)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있음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비슷하다 3.20(0.37)

감소했다 3.17(0.46) 4.183* (b<c)

증가했다 3.27(0.43)

감소했다 3.21(0.41) 0.718

비슷하다 3.21(0.36)

증가했다 3.28(0.30)

비슷하다 3.20(0.39)

감소했다 3.23(0.38) 3.738* (b<c)

증가했다 3.27(0.39)

비슷하다 3.19(0.37)

감소했다 3.20(0.34) 5.650** (b<c)

증가했다 3.27(0.42)

비슷하다 3.19(0.40)

감소했다 3.26(0.36) 4.860** (a>b)

증가했다 3.21(0.38)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11
없음
3.30(0.36) 3.624***
3.20(0.39)
211

④ 사회적 능력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은 사교성, 대 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4가지로 구성된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 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

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10).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대인적응성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

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다 사회적 능력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교성을

제외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적응성에서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감

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사회참

여도, 주도성, 사회적 능력 전체에서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

은 점수를,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교 성, 대인적응성, 사회적 능력 전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교성에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보다 증가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점수가 높았다. 대

인적응성과 사회적 능력 전체에서는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보다 비슷한 아이

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교성과 사 회참여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교성은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감소했거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 다. 사회참여도는 사교육 수강시간이 증가하는 변화를 보인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감소했거 나 변화가 없는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참여도, 주도 성, 사회적 능력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의한 모든 영역에서 자습시간 이 비슷한 아이들보다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참여도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이 비슷 하거나 증가한 아이들보다 감소한 아이들이 사회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2
212

꿈 갖기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표 210>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능력

단위: M(SD)

구분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전체

있음 3.08(0.58)3.17(0.62)3.32(0.46)3.18(0.65)3.19(0.41)

없음 2.82(0.59)3.09(0.60)3.10(0.44)2.93(0.61)2.97(0.41) t 6.078***1.7776.748***5.454***7.377***

감소했다 3.00(0.60)2.93(0.61)3.07(0.50)2.91(0.71)3.00(0.45)

비슷하다 2.84(0.57)3.08(0.60)3.12(0.44)2.94(0.61)2.99(0.40)

증가했다 2.90(0.65)3.19(0.62)3.21(0.48)3.08(0.64)3.77(0.46) F 1.914

감소했다 2.78(0.65)3.06(0.62)3.15(0.47)2.97(0.63)2.98(0.44)

비슷하다 2.95(0.51)3.15(0.58)3.12(0.43)2.97(0.62)3.04(0.39)

증가했다 2.98(0.57)3.20(0.61)3.18(0.42)3.05(0.57)3.09(0.38) F 15.534*** (a<b,

감소했다 2.94(0.52)3.11(0.56)3.12(0.48)2.96(0.63)3.03(0.41)

비슷하다 2.90(0.56)3.12(0.58)3.12(0.44)2.96(0.61)3.02(0.41)

증가했다 2.63(0.74)3.01(0.72)3.24(0.45)3.05(0.66)2.96(0.46)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감소했다 2.95(0.54)3.05(0.64)3.13(0.45)3.00(0.66)3.04(0.38)

비슷하다 2.86(0.54)3.08(0.60)3.10(0.43)2.92(0.60)2.99(0.40)

증가했다 2.85(0.68)3.15(0.61)3.22(0.49)3.05(0.65)3.05(0.46) F 0.7822.015 10.420*** (b<c) 6.574*** (b<c) 3.537* (b<c)

감소했다 2.84(0.65)3.10(0.63)3.23(0.45)3.00(0.62)3.04(0.43)

비슷하다 2.86(0.55)3.11(0.58)3.08(0.45)2.95(0.60)2.99(0.41)

증가했다 2.91(0.56)3.11(0.69)3.08(0.39)2.97(0.72)3.01(0.40)

1) *p<.05, **p<.01, ***p<.001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13
5.425**
6.874*** (a, b<c)
(b<c) 6.510** (b<c) 5.302** (b<c)
c) 4.702** (a<b) 0.9580.519 5.316**
(a<b)
F 22.060*** (a, b>c) 2.912 6.880*** (a, b<c) 1.7992.132
19.031***
F 0.9540.038
(a>b, c) 0.9372.074
213

⑤ 사회적지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11).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보 다 부모와의 관계 점수가 높았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가족과의 대화시간, 자습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모두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감소한 아이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표 211>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지지

구분 M(SD) F/t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비슷하다 3.08(0.40)

감소했다 3.14(0.41) 8.288*** (b<c)

증가했다 3.18(0.42)

감소했다 3.13(0.41) 1.720

비슷하다 3.09(0.41)

증가했다 3.06(0.34)

감소했다 3.10(0.40) 2.907

비슷하다 3.09(0.40)

증가했다 3.17(0.42)

비슷하다 3.05(0.40)

감소했다 3.10(0.40) 18.348*** (b<c)

증가했다 3.20(0.41)

비슷하다 3.07(0.41)

감소했다 3.15(0.40) 6.584*** (a>b)

증가했다 3.10(0.39)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214
있음 3.28(0.37) 7.150*** 없음 3.07(0.41)
214

⑥ 사회 불평등 인식

코로나19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

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라 사회 불평등 인

식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212).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

이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사교육 수강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비슷 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이 증가한 아이들이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감소하거나 비슷한 아이들이 낮은 점수를 보였 다.

<표 212> 코로나19에 따른 사회 불평등 인식

가족과의 대화시간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

친구들, 형제자매 놀이시간

1) *p<.05, **p<.01, ***p<.001

4) 소결

가족과의 대화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교급이 구분 M(SD) F/t

감소했다 2.39(0.52) 0.745

비슷하다 2.42(0.48)

증가했다 2.40(0.52)

비슷하다 2.42(0.49)

감소했다 2.38(0.48) 4.327* (a<c)

증가했다 2.50(0.53)

비슷하다 2.34(0.44)

감소했다 2.26(0.45) 4.134* (a<b)

증가했다 2.34(0.45)

감소했다 2.24(0.51) 1.923

비슷하다 2.34(0.42)

증가했다 2.31(0.47)

비슷하다 2.29(0.44)

감소했다 2.34(0.44) 8.705*** (a, b<c)

증가했다 2.46(0.47)

2) a: 감소했다. b: 비슷하다. c: 증가했다.

본 장은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주제로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이 인식한 코로나19 관련 현황, 코로나19에 따른 꿈, 그리고 주요 발달지표에 코로나19 가 미친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코로나19 관련 현황을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의 경우

215
있음 2.30(0.51)
없음 2.33(0.43)
코로나19 꿈 갖기의 어려움
-0.792
215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반대로 사교육 수강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교급이 낮을수 록 감소하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 자습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급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을 살펴본 결과 꿈이 확실한 아이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꿈을 이루기 위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 많은데, 꿈이 없는 아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꿈 갖

기의 어려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꿈 실현가능성, 꿈에 대한 소통 정도, 꿈 실현정도,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이며,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에 따른 꿈 차이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를 살펴본 결과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의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긍정적인 발달을 나타내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대체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의 경우 시간이 증가한 경우,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친 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의 경우 시간이 감소한 경우에 긍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6
216

V. 질적조사 결과

1. 빈곤 청소년이 인식하는 꿈에 대한 주제 분석

1) 연구참여자

본 질적연구의 참여자는 빈곤 청소년 11명과 비빈곤 청소년 9명이다. 그 중 월드비전의 지 원을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충북,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18-19세 고등학생 6명과 21-23세 청년 5명 등 총 11명이었다. 성별은 남자 청소년 5명, 여자 청소년 6명 이었 고, 고등학생은 특성화고 3명, 인문계고 3명이었으며, 청년은 대학생 4명, 취업 준비생 1명이 었다. 희망진로는 유투브 크리에이터, 은행원, 생물교사, 항공승무원 등 다양하였으며, 사회복 지사를 희망하는 청소년은 3명으로 가장 많았다(표 213).

<표 213> 빈곤 청소년 연구참여자

no 성별 연령 학년/직업 지역 희망진로

1 남18특성화고2충북유투브 크리에이터

2 남18특성화고2경기 군인

3 여18특성화고2인천 은행원

4 여18인문계고2인천 사회복지사/ 회사원

5 남19인문계고3충북 생물교사

6 여19인문계고3경기항공승무원

7 여21대학교2 인천 간호사

8 여22대학교2 경기사회복지사

9 남23대학교4 충북 전기안전 관리자

10 여23대학교4 인천소방공무원

11 남22취업준비충북사회복지사

217
217

2) 주제분석 결과

<표 214> 빈곤 청소년 질적 분석 결과

구분상위주제하위범주

평범하고

내가 꿈꾸는 삶

여유로운 삶

베푸는 삶

보답하고 싶은 마음

주변인의 영향

꿈의 이유

고등학생

꿈을 향한

도움

현실과 타협

의미단위

경제적으로 부족함이 없는 평범한 삶

적당한 회사 들어가서 적당하게 살기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삶

기부와 봉사의 삶

지원해주는 분들을 위해서 성공하고 싶음

부모님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고 싶음

주변에 관련 직업인의 모습이 좋아 보임

선생님의 추천과 지지에 영향 받음

성적 때문에 꿈을 포기하고, 자신의 꿈은

취미로 남겨둠

돈을 적게 번다는 주위의 부정적 의견에

망설임

적성 고려본인의 성향을 고려하여 꿈의 방향 결정

진로 프로그램 체험

주위의 격려와

지지

미디어 정보 탐색

경제적 어려움

꿈의 장애물

학과 체험과 선배와의 만남, 진로특강을 통 해 꿈에 대한 정보를 얻음

진로 체험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진로를 발

견함

부모님의 믿음과 지지를 통해 힘을 얻음 선생님(학교/학원)의 격려와 지지 꿈을 나눌 수 있는 친구

유투브를 통해 직업 관련 정보를 탐색함

부담되는 자격증 시험비와 문제집 구입 비

불안한 마음계획을 실제 실행할 수 있을지 불안함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꿈을 위한 노력

관련 분야 종사자를 만나볼 기회가 적음 가정환경으로 인한 활동의 제약

자격증 취득을 위해 노력함 꿈을 위해 공부를 더 열심히 함

자기관리를 열심히 함 운동을 통해 체력을 기르려고 함

도전과 실패를

218
포기하지
통한 배움
않고 노력하는 과정을 통한 새로
배움 코로나19와 꿈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축소된 진로 체험 프로그램 대학탐방, 선배들과의 대화 없어짐
218

청년

내가 꿈꾸는 삶

불편한

의사소통과

의욕감소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꿈을 꿀 여유가 없음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

보답하고 싶은 마음

누군가와 말하는게 상당히 불편해짐

의욕감소와 진로에 대한 부정적 생각

진로관련 분야에 대해 더 많이 접할 수 있

는 기회가 됨

스스로 정보를 얻기 위해 더욱 노력함

꿈을 생각할 틈이 없음

안정적인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 시급함

불안한 하루하루를 벗어난 안정적인 삶 가족과 함께 오래 건강하게 잘 지내는 삶

받은 것을 되갚고 싶은 마음

타인을 위해 일하고 싶음

주변인의 영향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낸 주변인의 영향을 받음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 마음 속에 남아 있는 따뜻한 기억

현실과 타협 현실을 직시하고 꿈은 취미로 남겨둠

미디어의 영향

진로 프로그램

체험

꿈을 향한 도움

주위의 격려와 지지

미디어 정보

탐색

경제적 어려움

불안한 마음

꿈의 장애물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새로운 꿈과 목표를 향해 다시 도전

드라마 속에서 꿈을 발견

유투브를 통해 꿈에 다가감

직업인 특강을 통한 한줄기 도움

실습을 통해 꿈에 다가감

선생님의 격려가 힘이 됨

친구들의 잘할 수 있다는 지지

관련 직업인의 지지

유투브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음

아르바이트로 진로준비 시간이 부족함 학원비와 문제집 비용이 부담됨

꿈을 이룰 자신이 없음

소심한 성격에 대인관계가 어려움

주위에 원하는 직업 관련 이야기를 물어볼

사람이 없음 혼자 고민하는 것이 익숙해짐

꿈을 위한 노력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학점을 잘 받기 위해 노력함

코로나19와 꿈

토익 등 취업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함

대인관계 축소 선배들과 친해지기 어려움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선별진료소의 경험으로 꿈이 확실해짐 혼자 공부하는 방법을 알게 됨

219
꿈의 이유
219

(1) 빈곤 고등학생

가 내가 꿈꾸는 삶

A. 평범하고 여유로운 삶

어린 시절부터 환경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성장한 빈곤 고등학생들은 평범하게 살고 싶은

꿈을 갖고 있었다. 특히,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또래 친구들이 누리는 평범한 일상을 경험하지

못한 취약계층 고등학생들은 경제적으로 부족함이 없는 삶, 필요한 것은 살 수 있는 여유가

조금 있는 삶을 살고 싶다는 꿈을 이야기하였다. 드라마의 주인공처럼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삶, 주말에는 여행을 즐길 수 있는 삶이 이들이 바라는 미래 자신의 모습이었다.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어 있고 건강해야 돼요. 그리고 뭐 주말에 일 끝나고 놀러 가고 이런 것도 해야 해서... (참여자 3)

저는 서울에 야경과 전경이 보이는 그런 고층 빌딩에서 살면서 엄청 호화롭지는 않지만 서 울에 평범하고 여유롭게 살고 싶은 꿈이 있어요. 흔히 잘사는 드라마 주인공처럼 살아보고 싶은 생각이 있었어요. (참여자 1)

부족하지 않게? 부족하지 않게 필요한 거는 살 수 있는 여유가 조금 있는... (참여자 4)

그러나 평범하고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것은 취약계층 고등학생에게 쉬운 일은 아니다. 자신 이 처한 현실을 봤을 때,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표현하기도 했 다. 누군가의 평범한 삶이 이들에게는 넘기 힘든 장벽이기에 ‘평생 노력해도 집 한 채 못 사 지 않는가?’ 하는 자조의 물음을 던지고 있었다. 적당한 회사 들어가서 적당하게 살고 싶다는 이들의 꿈은 이러한 현실의 장벽과 드라마 주인공의 삶 중간 어딘가쯤 위치한 꿈이었다.

그냥 평범하고 안정적인 삶? 근데 그게 좀 어렵죠, 지금 현실에는. 막 집도 평생 벌어봤자 못 사지 않나요? (참여자 2)

딱 적당한 회사 들어가서 적당하게 살고 싶어요. (참여자 4)

B. 베푸는 삶

빈곤 고등학생들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이야기하였다. 지금 누 군가의 도움을 받고 꿈을 키우고 있기에 취업을 해서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이 되면 기부 도 하고 봉사도 하면서 자신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자신이 받은 것 을 다시 사회에 돌려주고 싶은 마음에 베푸는 삶에 대한 꿈을 꾸고 있었다. 그냥 사람들을 많이 도와주고 싶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저는 누군가를 도와주거나 배려할 때 가장 뿌듯함을 느껴서 항상 교사가 되고 싶고, 저는 학교 교사도 하지만 나중에 어디 가서 무료로 수업해주거나 강의 같은 것도 해보고 싶어요. 도와주고 싶어요...복지관 선생님 들이나 저를 지지해주신 분들 덕분에 그런 도와줘야겠다 이런 마음이 큰거 같아요. (참여자 5)

220
220

그냥 사람 잘 도와주고 이제 길 가면 불편한 분들 계시면 도와주고 그런 이해심 넓은 사람 이고 싶어요....물론 돈이 없어도 봉사는 계속 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여러 가지 봉사 를 할 수 있는 봉사단 같은 데 들어가서 하고 싶어요. (참여자 4)

만약에 취업을 하면 제가 이제 어느 정도 여유 자금이 생기면 기부하고 싶어요. 매년마다 이렇게 기부하거나 뭐 달마다 하거나 그런 것도 있잖아요. 지금 뭐 이런 거 후원하는 그런 거 사람 골라서 저도 그런 거 하고 싶어요. 저도 그런 거 지금 받고 있기도 하고, 제 친구 어머니가 아프리카에 있는 어떤 친구를 후원하고 있거든요. 그런 거 보면 나도 저렇게 하 고 싶다. (참여자4)

나. 꿈의 이유

A. 보답하고 싶은 마음 빈곤 고등학생들은 평범하고 여유로운 삶, 베푸는 삶을 살기 위해 미래를 준비하고 있었으

며, 유투브 크리에이터, 은행원, 군인, 승무원 사회복지사 등의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꿈을 꾸게 된 것은 자신을 도와주는 분들께 보답하고자 하는 마음이 가슴 한

켠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감사한 마음에 지원해주는 분들을 위해서 성공하고 싶다는 생 각을 하고 있었다. 자신을 도와주는 분들을 닮고 싶고, 보답하고 싶으며, 이러한 마음은 베푸 는 삶을 살고자 하는 꿈과도 연결된다.

저는 사실 복지관 선생님들이나 지원해주시는 분들 정말 닮고 싶은게 처음에는 사실 얼굴 도 모르고 저에 대해 모르는데 이렇게 지원해주시는 사람들 보면서 저도 나중에 이런 분들 을 위해서라도 성공을 해야 되겠다 이런 생각을 했었던 것 같아요. 복지관 선생님도 그렇 고 또 생일이나 어린이날 같은 기념일엔 또 따로 외부 분들이 지원해주시거든요. 그런 분 들 보면서 성공해야겠다 이런생각 했어요. (참여자 5)

부모님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마음,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은 마음도 고등 학생들이 꿈을 향해 달려 나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부모님께서 원하시는 것을 이루어 드리고

싶은 마음에 진로를 정하게 되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부모님의 마음도 약간 제가 이뤄드리고 싶기도 하고, 가장 큰 건 그거일 것 같아요. 효도해 드리는 거. 근데 저도 그 꿈을 원하니까 더 하고 싶은 것 같아요. (참여자 6)

B. 주변인의 영향

고등학생들이 꿈을 찾는 데에는 주변인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주변에 관련 직업 인이 있으면, 그 직업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다.

그 엄마 쪽에 사촌 형이 군인인데 그 하는 일을 보고 약간 저도 하고 싶다, 이런 생각이

들어 갖고 군인을 하게 됐어요. (참여자 2)

221
221

또한, 학교 선생님의 추천과 지지도 고등학생들이 꿈을 찾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 고등학생들은 선생님의 잘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지지로 힘을 얻게 되고, 진로에 대한 확 신을 갖게 된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이야기를 해주시는 선생님을 보면서 닮고 싶다는 생각

을 하기도 한다. 사회적 자본이 부족한 취약계층 고등학생들은 일상에서 자주 만나는 학교 선 생님이 롤모델이 되며, 이들의 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아무래도 고등학교 와서 생명과학 선생님이 영향이 가장 크지 않았을까.. 그분은 제가 생명 교사가 된다는 말씀을 드렸거든요. 근데 처음으로 되게 긍정적으로 너는 잘할 수 있다 잘 어울린다 성적도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좋은 인상을 저에게 주셔서 정말 존경하게 됬어요. 그래서 나도 그 선생님처럼 생명교사가 되고 싶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일단 다른 분들은 교사가 어렵고 힘드니까 굳이 해야돼? 그러시는데 생물 선생님께서는 지지를 해주시고 처

음으로 긍정적이고 진실된 말들만 해주셔서 그게 인상적이였던것 같아요. (참여자 5)

C. 현실과 타협

빈곤 고등학생들은 진로 체험 등을 통해 적성을 찾고, 주변인의 영향을 받아 꿈을 찾아 나 가지만 때로는 성적 등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꿈을 포기하기도 한다. 현실에 맞춰 꿈을 다 시 찾아 나가고 있으며, 이전에 간직하고 있던 꿈은 취미나 봉사활동으로 남겨두었다.

영어 본문 암기 그런 게 좀 어려워져서 인문계를 가면 너무 뒤쳐질 것 같아서 특성화를 가 서 차라리 이제 순위를 올리자 싶어서 특성화를 왔어요...현실적으로 인문계가 좀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했던 거죠. (참여자4) 그런 대학교를 가려면 그래도 성적이 꽤 있어야 되잖아요. 사회복지학과가 그리고 경쟁률이 꽤 있더라고요. 그래서 아 힘들겠는데 싶어서 계속 이거는 보류하고 있었고...하고 싶은 건 사회복지사인데 이제 취업을 하게 되면 그쪽 길로는 못 가고 그냥 반도체 만드는 회사라든 가 근데 다 달라요. 공기업도 갈 수 있고 할 수 있는 거고 물론 돈이 없어도 봉사는 계속 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여러 가지 봉사를 할 수 있는 봉사단 같은 데 들어가서 하고 싶어요. (참여자 4)

취업이 안된다거나 돈을 적게 번다는 등 주위의 부정적 의견에 고등학생들은 이 꿈이 맞는 것인가 고민하고, 망설이기도 한다. 하고 싶은 일이지만 현실의 벽 앞에서 포기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취약계층 고등학생에게 경제적 안정은 매우 중요한 인생의 과제이기 때문에 안 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은 이들이 꿈을 찾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맨 처음에는 화가도 멋지다고 생각했고 근데 주위에서 화가는 돈을 못 번다 이런얘기를 많 이 들어서 스트레스를 받아서 포기하고 춤 같은 것도 취미로 하고 있어요. 담임선생님이나 주위 이웃들 어르신들이 다 ‘근데 돈 많이 못 버는데’ 이런 부정적인 얘기 밖에 안하셔서 그때 그냥 포기해버렸어요. (참여자 5)

D. 본인의 적성 고려

본인의 적성을 파악하는 것은 꿈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꿈을 향한 구체적 계획과 행동을 수

립하는 데 중요하다. 학교에서 경험하게 되는 성격 유형 검사와 스스로의 적성과 성향을 생각 해보며 본인에게 맞는 진로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였다.

222
222

그런 것도 있고 이제 성격 유형 검사를 학교에서 하잖아요. 그러면 늘 나오던 것 중에 하 나가 경찰, 사회복지사 이렇게 나오는데 경찰은 제가 안 맞고요. 체력도 안 되고 안 맞고... 사회복지사는 괜찮겠다 했던...(참여자 4)

그냥 뭐지 좀 끌리는 과에 가자해서 갔는데 거기가 금융과였고 하다 보니까 잘 맞는 것 같 아서 그냥 자연스럽게 하게 된 거... 다른 학교는 더 많은데 저희 학교는 금융과랑 제가 지 원할 당시에는 금융과랑 산행전과랑 애니메이션과 이렇게 3개가 있었고 다른 학교에는 여 러 미용과 이런 것도 있었는데 제가 이게 제일 잘 맞겠다 싶어서 들어갔던 것 같아요. (참 여자 3)

다. 꿈을 향한 도움

A. 진로 프로그램 체험

대학 관련학과 체험, 학교 선배와의 만남, 진로특강을 통한 직업인과의 만남 등 다양한 진

로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이 꿈을 꾸고, 꿈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체험 프로그램이나 직업인 특강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직업 관련 세부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진로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 하였다.

ooo대에서 이제 승무원학과, 서비스학과를 체험하게 해주는 그런 것도 있었는데 그런 것도

이제 직접 가서 다 체험하고, 네, 그랬습니다. (참여자 6)

학교에서 선배와의 만남 그런 것도 하고 이미 많이 취업을 해보셨잖아요. 금융권의 금융과 다 보니까 그래서 그걸로 이미 충분히 얻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3)

복지관의 진로 프로그램도 고등학생들이 꿈을 찾아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활동이었

다. 장기적으로 자신을 알아가고 꿈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적성에 맞고, 자신이 원하는 꿈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일단 제가 계속 이 꿈을 할거다 라고 하지만 또 언제 사람이 꿈이 바뀔지 모르잖아요. 그 래서 복지관에서 도움을 줘서 꿈을 찾아주거나 알아주거나 다른 애들이랑 같이 몇 명이 모 여서 내 꿈은 이렇다라고 소개하면서 알아가는 그런 걸 해가지고 저도 처음에 내 꿈이 방 송인이 아니라 바리스타나 사진가나 그런 사람이 내가 되면 어떨까 생각도 해보고 해봤는 데 되게 복지관 프로그램 자체가 자신의 꿈을 찾아가고 내가 이러한 장단점이 있구나 알아 가는데 도움이 많이 됬던 것 같아요. 저한테는. (참여자 1)

적성검사나 체험학습 등 다양한 진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성향과 적성을 발견하는 것도 꿈 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 한 후에 적성에 맞는 직업,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직업을 찾아가고 있었다. 제 성격이 그런 것 같아요. 저보다 남을 먼저 챙겨야 겠다 이런 생각을 많이 해서 사실 간 호사도 자기 자신보다 상대방이나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니까. 그런게 내 성격이랑 잘 맞겠다 이런 생각을 했었던 것 같아요.

223
(참여자 5) 제가, 사람들하고 있는
제가 좋아하고 사람들한테 베푸는
이런
제가
되게 좋아하는 성격인데 승무원의 일을 보고서 저것도 내게 맞는 직업이지 않을까
생 223
것도
해주는 걸
하는

각을 가지다가 이제 되게 막 초등학교 때 현장체험학습 때 잡월드나 이런 데 되게 자주 가 는데 거기서 한 번 직업체험 하면서도 되게 흥미를 많이 느껴서 그때부터 계속 승무원이라 는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참여자 6)

B. 주위의 격려와 지지

주위의 격려와 지지는 고등학생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님의 믿음과 지지는 고등학생들이 꿈을 찾아 나가는 데 큰 힘이 된다. 부모가 자녀를 긍

정적으로 믿어주고,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줄 때 더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부모님한테는 방송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많이 어필한 적이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많 이 밀어주시고 잘 되길 바라시면서 저한테 많이 도와주신 적이 있는 것 같아요. 저희 부모 님은 되게 후하신 것 같아서 너가 하고싶은 걸 해보라는 반응이 되게 컸고 그 계기로 저는 자신감을 얻으면서 많이 도전을 해봤죠. 실패를 하든 성공을 하든. (중략) 아무래도 나는 너 를 믿으니까 이런걸 해보는건 괜찮다고 밀어주시는게 저희 같은 입장에서는 더 좋고 의지 가 되면서 더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거죠. (참여자 1) 어머니도 항상 이제 저를 믿어주세요. 꿈이 바뀌든 유지를 하든 항상 할 수 있다고 옆에 있어주겠다 이렇게 긍정적으로 말씀해주세요(중략)...가끔 성적이 안나올때도 항상 꾸짖는게 아니라 되게 수고했다 잘했다고 말씀해주시니까 더 앞으로 잘해야겠다 이런 원동력이 되는 거 같아요. (참여자 5)

또한, 고등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요인은 학교나 학원의 선생님이다. 가족 이 외에 진로를 의논할 만한 어른이 주위에 없는 고등학생들은 선생님들과의 진로상담을 통해 정 보를 얻고, 격려와 지지를 받으면서 꿈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네. 안그래도 제가 교사가 꿈이니까 선생님들 하고 많이 얘기를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요 즘에는 고3이라 상담기간도 많아서 자주 하는 편이에요. 학교도 있고 학원 선생님들도 가 끔씩 상담해주시고 많이 의지가 되는 것 같아요. (참여자 5)

꿈을 나눌 수 있는 친구가 있는 것도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꿈을 이루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을지를 이야기하면서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고 있었다.

제가 학교 다니면서 친구들과 많이 얘기하면서 나중에 뭐가 될거냐 하는 가벼운 질문이 아

니라 나중에 우린 어떻게 성공을 할 수 있을까 하는 그런 대화를 친구와 하면서 미래를 꿈 꾸고 있는 상황이에요. (참여자 1)

부모님이랑은 별로 그렇게 나누지 않고요. 근데 학교에서 많이 나누는 것 같아요. 학교가 아무래도 다 대부분 비슷비슷하니까 나 여기 가고 싶은데 여기 여기가 부족해 이러고 여기 여기가 좀 더 채워졌으면 좋겠어. (참여자 3)

C. 미디어 정보 탐색 미디어에 익숙한 고등학생들에게는 유투브 등의 미디어도 직업 관련 정보를 얻는 주요 통로 가 된다. 주위에 원하는 직업 관련 정보를 줄 수 있는 어른을 찾기 어려운 취약계층 고등학생

224
224

의 경우에는 유투브를 통해 확인하는 정보가 직업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저는 제 여가시간을 다 쏟아서 여섯시간에서 열 시간 정도를 유튜브를 그냥 본다가 아니라 어떤 식의 방향성으로 이어가면서 이렇게 찍는구나를 분석하면서 공부를 하고 다른 분들을 계속 보면서 이런식의 방향성으로 나갈 수 있구나 이런 콘텐츠를 짤 수 있구나 하면서 공 부하고 있습니다. (참여자 1)

라 꿈의 장애물

A. 경제적 어려움

경제적인 어려움은 취약계층 고등학생들의 꿈을 향한 노력과 도전에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자격증 시험도 봐야 하고, 시험을 잘 보기 위해 문제집도 필요하지만 넉넉지 않은 형편으로

인해 부담이 된다. 경제적인 부담을 드리는 것 같아 부모님께 죄송한 마음이 들었고, 친구들 과 비교하여 본인만 준비를 덜 하는 것 같아 불안한 마음도 들었다. 솔직히 말하면 자격증 시험비가 제일 문제죠...그 한 번 하는 데 2만원이었나? 그게 떨어지 면 또 다시 봐야 되고. 약간 부담감이 크죠. 제가 용돈이 일주일에 2만원인데. 그걸 또 다

쓰면 엄마한테 돈 달라 하기 때문에 엄마한테 약간 미안하죠. (참여자 2)

사실 시험이 가장 중요해서 문제집을 많이 풀어봐야 되는데 요즘 문제집이 너무 비싸더라 고요. 그래서 문제집 한권에 요즘은 이만원씩하고 그런게 약간 부담됬던 것 같아요. 애들은 문제집 네권씩 다섯권씩 풀 때 전 한두권 밖에 못 푸니까 그런 불안도 있고 걱정도 있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5)

B. 불안한 마음

꿈을 찾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고등학생들은 문득 문득 잘 할 수 있을지, 잘 될 수 있을지 불안한 마음이 든다. 계획을 실제 실행할 수 있을지, 계획대로 하면 원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을지 불안한 마음에 힘든 순간도 있지만 다시 마음을 잡고 꿈을 향한 도전을 이어 나가고 있었다.

제가 처음에 유튜버를 하면서 잘 나갈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많이 했는데 가끔씩 저는 반 반이기도 해요. 나는 잘될거야 라는 생각도 있는데 가끔 방송으로 과연 잘될까 하면서 불

안하기도 하고 호기심도 있고 그러면서 오히려 끈기가 생겨서 나는 더해 보겠다라는 도전 정신도 있고... (참여자 1)

C.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꿈과 관련한 정보를 찾기 어려운 것도

225
적어서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225
취약계층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관련 분야 종사자를 만나볼 기회가
인터넷 검 색에 의존하지만 검색을 통해 찾기 어려운 정보들도 있었다.

아, 나도 찾아 봐야 되긴 하는데 약간 찾기가 어렵더라고요. 꿈이라는 게. 다양하고 그러니 까. 찾아볼 수도 없고 찾아보는 건 검색이랑 제가 그 직업인을 만날 수는 없으니까. (참여 자 2)

또한 가족으로부터 꿈에 대한 지지가 부족하거나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있고, 가정환경으로 인해 진로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었다.

제 마음은 아직도 중간에 있어서 엄마는 대학교를 갔으면 좋겠다. 그러고요. 엄마랑 할머 니, 할아버지는 완전 대학파고요. 저는 고민파예요.(참여자 4)

부담은 그냥 할아버지가 대학 얘기만 나오면 한 시간 동안 대학 얘기만 해가지고 그거 좀 부담돼요. (참여자 4)

엄마가 없으면 초등학교 2학년 동생을 항상 제가 케어를 해야 하니까... 제가 따로 정기적 인 수업을 못 잡아요. 그게 좀 있는 것 같아요. (참여자 3) 마 꿈을 위한 노력 A.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고등학생들은 꿈을 이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었다. 더 나은 스펙을 위해 자격증을 취

득하고, 토익 점수를 올리고 일본어도 공부하는 등 취업에 유리한 자격을 갖추기 위해 힘쓰고 있었다. 경제적 어려움과 정보의 부족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각자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내딛고 있었다.

그 부사관이 되려면 일단 그 기본적인 자격증이나 그런 거는 일단 따고 있어요. 저 일단 기본적인 거는 ITQ 그런 거는 땄고, 이제 컴활을 너무 많이 실패했어요. 그건 다 사람들이 다 기본적으로 하더라고요. 한국사 자격증도 준비해야 되고... (참여자 2)

ERP라고 있는데 그거는 하나씩은 웬만하면 이렇게 2급으로 다 따 놓는 게 좋고요. 전산회

계는 1급도 따면 좋지만 일단 2급은 기본적으로 갖고 있으면 좋고 ITQ, 한글, 파워포인트, 엑셀 같은 거는 다 A로 워드도 좋고요 컴활도 있으면 좋고 컴활이랑 워드 있으면 좋다 그 랬어요. (참여자 4)

일단 토익 점수도 올리고 최대한 가질 수 있는 자격증들은 다 취득하려고 해요. HSK나 뭐 토익이나 일본어, 이런 다양한 거... (참여자 6)

진학을 하고자 하는 고등학생들은 내신 점수를 잘 받기 위해 공부를 하지만 때로는 공부가 마음처럼 잘 되지 않아 어려운 시간을 보내기도 하였다.

음, 내신이 제일 중요해가지고 공부가 아무래도 중요한 것 같아요. (참여자 6)

공부를 하려고 노력은 하는데 이게 마음처럼 안 돼서 맨날 일주일 전에 공부하고.. (참여자 4)

226
226

B. 자기관리를 열심히 함

자격증 취득이나 공부뿐만 아니라 체력을 키우기 위해 운동을 하는 등 자기관리를 열심히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운동을 좀 더 하려고 해요. 매일 이렇게 약간 제 집 옆에 운동장 같은 게 있어 가지고 그 거 걷거나 뛰거나 약간. (참여자 6)

C. 도전과 실패를 통한 배움

빈곤 고등학생들은 스펙을 쌓고, 공부를 하면서 꿈을 향한 도전을 하지만 때로는 원하는 결 과가 나오지 않아 좌절하기도 한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배움

을 얻게 되고 성취감을 경험한다.

저도 어린 마음에는 되게 욕 많이 먹으니 참 싫기도 하고 그 때 눈물 고이면서 했는데 저 는 그래도 방송이라는 게 재밌어서 악플이 두려워서 방송을 하지 않는 생각은 거의 한 적

이 없는 것 같아요. 욕을 먹어도 나는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겠다. 그래서 포기를 더더욱 안했던 것 같고... (참여자 1)

수학을 정말 지지리도 못하거든요. 학원 다니고 욕을 엄청 먹었어요. 공부를 너무 못해가지 고 수학을 원래 지금 20점대 이렇게 봤다가 수학이랑 어떤 다른 과목 두 과목만 파가지고

수학이 학습지만 보고 계속 연습하면 돼요. 교과서랑 제가 특성화라서 좀 쉽게 나오거든요. 학습지를 10번 넘게 계속 풀어보고... 그래서 수학을 100점 맞았는데... (참여자 4)

사. 코로나 19와 꿈

A.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코로나19 팬데믹은 많은 사람의 일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취약계층 고등학생의 꿈도 코로나 19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 꿈을 찾고, 꿈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진로 관련 다양한 체험활 동이 중요한데, 코로나19는 이러한 체험의 기회를 축소시켰다. 진로 관련 대회의 기회가 줄었 고, 실습이나 진로체험의 기회도 없어져서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회가 줄었어요. 두 번 하는 데도 한 번으로 1년에 한 번으로 줄고 이러면 조금 만약에 떨어지면 아예 못 하고 이런 것도 많아지고... (참여자 3)

원래는 1학년 때 은행 체험 같은 것도 나가요. 그래서 은행이나 증권사나 거래소 이런 데 가서 그걸 체험을 해보고 그걸 또 나중에 자소서에도 여기 갔다 왔어요. 쓸 수도 있고 하

는 거잖아요. 근데 코로나 때문에 다 없어져서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못 갔어요. (참여자 3) 음 이제 진로가 이제 다 정해진 사람은 많이 없잖아요. 그래서 그런 진로 캠프 같은 게 확

실히 있었는데 원래도 매년 해오던 건데 그게 없어진 게 좀 그래요. 그건 이제 대학 쪽 진 로도 보는 거고 취업 쪽 진로도 보는 건데 그냥 코로나 때문에 원래 어딜 가서 하는 거거

든요. 근데 그냥 사라졌어요. (참여자 4)

227
227

대학탐방이나 선배들과의 대화도 없어져서 고등학생들은 진로 관련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직접 찾아봐야 했으며, 이 정보가 정확한 지에 대해 불안해하기도 하였다.

원래는 학교에서 가고 싶은 대학교도 직접 가보고 원하는 과도 직접 선배님들 오시는데 요 즘에는 그런 게 안되니까 제가 직접 찾아봐야 하는 그런 어려움이 있어요. 그리고 사실 인 터넷도 정확하지는 않으니까 그런 게 조금 불안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5)

B. 불편한 의사소통과 의욕 감소

고등학생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사람들과 대면으로 만나서 이야기하는 기회가 적어지다 보니 누군가와 말하는 것이 불편해졌고, 더 긴장되고 소심해지기 도 하였다.

코로나 전에는 제가 궁금한거나 제가 적극적인 성격이라 선생님께 직접 찾아가서 질문을 한다거나 꿈에 대해서 상담같은 것도 많이 했는데 코로나 후에는 사실 줌이나 만나서 수업 을 하지 못해서 누군가와 말하는 게 상당히 불편해졌다거나 약간 더 긴장되고 소심해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참여자 5)

또한,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무엇인가 하고자 하는 의욕도 감소되었으며, 안될 것 같다는

부정적 생각도 더 많이 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고등학생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우울이나 불안이 증가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취약계층 고등학생들도 우울이나 불안 이 증가하면서 무기력해지고 불안해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 그냥 약간 하기가 싫어졌다 라고 해야 되나. 못 하니까, 안 될 것 같으니까 약간 의욕 이 되게 감소한 것 같아요. 어, 다 저렇게 있는 승무원들도 잘리고 있는데 내가 여기서 지 원하면은 받아줄까 이런 생각하면서 안된다고 생각하다 보니까 부정적 생각을 되게 많이 가졌던 것 같아요. (참여자 6)

C.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로나19는 진로탐색 기회도 축소시키고, 우울과 불안을 증가시 키는 등 취약계층 고등학생의 삶을 더 힘들게 하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부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일부 고등학생들은 코로나19가 관련분야에 대해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 가 되었으며, 이는 스스로 정보를 얻기 위해 더욱 노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비대 면 수업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진로를 더 탐색할 수 있 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이제 코로나가 딱 터졌을 때 코로나가 DNA나 바이러스에 대해서 기사를 봤는데 저희 생명

과학 시간에 배운 내용이랑 비슷한거에요. 그래서 그거 보고 더 흥미가 생겨서 우리 사회 나 현상을 봤을 때 생명과학적으로 생각하게 되는거에요. 바이러스는 뭐 DNA구조니까 조 금 더 변형이 쉽겠지? 이런식으로 계속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대학교 가서 생명과 학적으로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을 배워보고 싶다. 그래서 코로나 이후에 좀 더 확신을 가지 게 된 거 같아요. (참여자 5) 저는 계속 방송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가장 열렬했던 시기라 코로나 시기 였을 때 집 밖에

228
228

잘 못나갔을 때 저는 오히려 그 때 방송을 많이 하면서 배웠던 것 같아요. 다른 사람한테 는 불이익이였지만 오히려 저한테는 그게 득이 돼서 도움이 많이 됬던 것 같아요. (참여자 1)

(2) 빈곤 청년 가 내가 꿈꾸는 삶 A. 꿈을 꿀 여유가 없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진학이나 취업 등 성인기로 진입한 취약계층 청년들은 어려운 현

실적 여건으로 인해 꿈을 생각할 틈이 없었다.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장 안정적인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에 자 신이 원하는 꿈이 무엇인지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이렇게 하루하루 숨가쁘게 살다 보니 자 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이 나지 않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도 모르는 채 살아가고 있었다. 상황이 크죠 사실. 취업 안정적으로 하는게 좋으니까. 상황을 많이 볼 수 밖에 없죠. 사실 꿈이 뭔지도 모르겠어요. 근데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상황이 당연히 안좋으니까 제 꿈 생각할 틈이 없죠. 없는 것 같아요. 생각조차 안해 봤어서 지금도 생각이 안나요. 뭘 하고 싶은지도 모르겠고... (참여자 9)

B.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 힘든 현실 앞에 내몰린 청년들은 자신 앞에 놓여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며 불안한 하루하루

를 살다 보니, 안정적인 삶을 살고 싶은 희망을 갖게 되었다. 심적으로 힘든 상황을 벗어나고

싶기에 취업을 해서 안정적으로 돈을 벌고 싶었다.

만약에 관리자쪽으로 들어간다면 일단 안정적이니까 심적으로 너무 좋을 것 같아요. 일단

취업했을 때도 제가 돈을 버니까 좋을 것 같은데. 사실 뭐가 됐든 빨리 돈 벌고 싶어요. 돈

벌어서 좀 더 안정적으로 사는게 좋으니까. 그 안정적인 걸 이루었을 때는 좋을 것 같아요.

돈을 많이 못 번다해도... (참여자 9)

그리고 많이 벌지는 못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직장에 취업한 후 가족과 오래

건강하게 살고 싶은 꿈을 이야기하였다.

이제 나중에 어떻게 지낼지는 그냥 가족하고 오래 건강히 잘 지내고 싶죠. (참여자 11)

나 꿈의 이유 A. 보답하고 싶은 마음

빈곤 청년들은 어린 시절부터 외부의 지원을 받아 생활한 것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

229
229

었다. 그리고 받은 것을 되갚고 싶은 마음에 사회복지사의 꿈을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힘든 시기 자신을 도와준 사회복지사 선생님께 고마운 마음에, 자신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사 람이 되고 싶었다.

저도 받았으니까 되갚고 싶은 마음이 더 큰 것 같아서 그래서 되게 돌고 돌아서 이학교에 도 늦게 입학했거든요. 재수해서 들어간거라서 2학년 재학하고 있는거에요. 그런만큼 교육 을 막 따져가면서 학교도 원하는데로 가고 싶을 만큼 사회복지에 열정이 있어요. 사회복지 사가 되고 싶은 마음이 컸어요. (참여자 8)

제가 어릴 때 일곱 살 여덟살 때 어릴 때 월드비전에서 지원을 많이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좋았고 괜찮았는데 물론 그 때는 꿈이 사회복지사 이런게 아니였고 그냥 보통 아이들처럼 경찰, 축구선수 이런 쪽이였는데 이제 초등학교 5학년쯤 됐을 때 그때 사회복지사로 정하 게 된 것 같아요. (중략) 그것도 있고 이제 저도 커서 저처럼 지원받을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기도 하고... (참여자 11)

사회복지사가 아니더라도 타인을 위해, 사회를 위해 일하고 싶은 마음은 항상 마음 속에 남 아 있었다. 미디어를 통해, 실생활에서 누군가를 돕는 직업을 알게 된 후 소방공무원의 꿈을 꾸기도 하였다.

그냥 사회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이 되고 싶고 타인을 위해 일하고 싶다 생각하다가 미디어 를 통하고 간접적으로 소방차 같은게 많이 다녀서 그런 영향을 받아서 꿈꾸게 됬어요. (참 여자 10)

B. 주변인의 영향

빈곤 청년 또한 빈곤 고등학생과 마찬가지로 진로를 결정하게 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 간을 가깝게 지냈던 선생님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중학교 때 보건선생님이 아무래도 가장 큰 것 같아요. 아무래도 3학년 때는 고등학교도 이 제 넣고 나면 시간이 남잖아요. 그 모든 시간을 다 보건 선생님이랑 보냈었어요. 다 기억은 안 나는데 일단 길은 열려있고 공부는 엄청 어려우니까 잘 선택해서 행동하면 좋을 것 같 다라고, 그 얘기만 제일 기억이 남는 것 같아요, 아직까지...(참여자 7번)

C.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 힘든 어린 시절, 자신에게 친절을 베풀어주신 선생님에 대한 좋은 기억은 진로를 정하는 데 에도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와의 사별로 인해 마음 둘 곳 없던 때, 지역아동센터에서 만난 선 생님들로 그 시기를 잘 보낼 수 있었다. 힘든 시절, 따뜻한 추억은 청년이 되어서도 계속 마 음에 남아 있었으며, 그 따뜻했던 곳을 직장으로 삼고 싶었다.

유치원 때 기억이 행복했던 것 같아요. 왜냐면 좀 슬픈 얘기긴 한데 그 때까지만 해도 엄 마가 살아계셨거든요. 근데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엄마랑 사별하게 돼서 거기서부터는 사회 복지사님들하고 되게 많이 만나고 하다보니까 거기서부터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좋은 기억 이 되게 많이 남아있어서 그런 걸 생각하면서 크다 보니까 이런 과로 오게 되지 않았나... (참여자 8)

230
230

D. 현실과 타협

빈곤 청년들은 아동기와 고등학생기를 거치면서 음악가, 축구선수 등의 꿈을 키우기도 했으 나 경제적 어려움 등 현실적인 여건으로 지속하기가 어려워서 꿈을 접어야 했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꿈은 취미로 남겨둔 채 취업이 잘 되는 진로를 다시 찾아 나갔고, 새로운 꿈과 목표를 향해 다시 도전하였다.

저는 원래는 축구선수가 꿈이였는데(중략)...좌절감 보다는 고등학교 1학년때 갑자기 현실을 생각했던 것 같아요(중략). 매달 들어가는 돈이 정말 많아서 기숙사 생활도 하고 전지훈련 같은데 가면 기본 100이상 나가고 그러니까...그만두면서 기술쪽으로... 중학교 1학년때부터 고등학교 1학년때까지 하다가 그만두고 고등학교도 편입가서 이제 실업 특성화고로 가서 자격증따고 대학교도 전문대로 갔어요. (중략) 그냥 이과쪽이 훨씬 취업 잘되니까 그리고 반도체가 지금도 계속 밀어주는 거기도 하고.. (참여자 9)

저 연주자 하고 싶었어요. 악기 연주하는 사람. 악기는 그냥 취미로 해도 된다고 생각해 서... (참여자 11)

E. 미디어의 영향

빈곤 청년들은 진로를 선택하는데 미디어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주위에 진로 관련 논의를 할 지지체계가 특별히 없는 청년들은 미디어로 직업을 접하게 되고, 그 직업에 대해 알게 된

다. TV 드라마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직업이 좋아 보여서 그 직업에 대해 알아보기도 하였고, 유투브를 통해 특정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고, 진로를 결정하기도 하였다.

사실 드라마는 고등학교 때, 의학 드라마만 쭉 봐왔었는데 그 때도 그냥 멋지다, 내가 할 수 있을까, 하고는 싶은데 저게 될까, 이랬는데 3학년 때 애들 준비하는 거 보니까 ‘그냥 질러?’ 이 생각으로 그냥 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7)

다 꿈을 향한 도움

A. 진로프로그램 체험

직업인 특강이나 실습 등 진로 관련 프로그램 체험은 청년들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위해 달

려가는 데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본인의 제한된 경험 안에서 꿈을 정하고, 꿈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직업인 특강을 들으면서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고, 진로 준비를 하는 데 한 줄기 도움을 얻게 된다.

사회복지사 분이 한 분 오셔서 학교에서 강연해주신다거나 그런게 있으면 신청해서 들으러 가고 그런 거 했었어요 네. 아주 조금? 지금까지 제가 경험해왔던 것만 토대로 살아가고

있었는데 그런거 들으면 한줄기 정도만 도움이 되요. (참여자 8)

고등학교 때 특성화 고등학교여서 보건 간호과를 나왔거든요. 그래서 병원 실습도 해봤고.

아마 그게 될 것 같아요. 환자 분들이 어떤 케이스가 있는지 제일 크게 볼 수 있었던 면이 고 어쨌든 임상에 나가보니까 더 확실해진 것도 있는 것 같아요. (참여자 7)

231
231

B. 주위의 격려와 지지

주위에 진로를 논의할 지지체계가 부족한 빈곤 청년들은 고등학교 시절, 학교 선생님과 진 로 관련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진로를 준비하고,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 였다.

아무래도 담임 선생님? 그 2학년, 그 3학년 1학기 때까지만 해도 간호 조무사를 꿈 꿨으니

까 어떤 병원으로 가야 더 득을 보는지, 그런 쪽으로 담임 선생님이랑 많이 이야기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7)

그리고 청년이 된 지금은 친구들과 함께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정보를 나누는 것이 도 움이 된다. 유사한 분야의 진로를 선택한 친구들과 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고민을 털어놓기 도 한다.

룸메이트는 방사선과고, 저는 간호학과다 보니까 병원에 대한 이야기도 되게 많이 나누고 이런 케이스의 환자들을 만나보고 싶다 하는 얘기들을 거의 매일 나누는 것 같아요. (참여 자 7)

좀 고민이 있다 싶으면 친구한테 정도? 부모님한테는 잘 못 털어놨던 것 같아요. 그 친구 는 지금 현재 유아교육과를 전공하고 있는 친구여서 계열이 좀 맞는 친구여 가지고 말이 통해서 많이 털어놓는 것 같아요. (참여자 8)

주위에 자신이 원하는 직업 관련 업계 종사자가 있으면 진로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 다. 지지체계가 부족한 취약계층 청년들은 직업인을 만나 진로 관련 정보를 탐색하기 어렵지 만 운이 좋아 주위에서 관련 직업인을 만나게 되면 진로를 준비해 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가 교회를 다녀서 교회의 다른 청년분들 중에 전기산업기사 따신 분들이나 관련 취업하 신 분들이나 대기업에 계시는 분들 얘기 들으면서 계속 하는 것 같아요. (참여자 9)

C. 미디어 정보 탐색

인터넷과 유투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꿈을 위한 준비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청년

들에게 미디어는 놀이와 소통, 학습의 공간이며 이 안에서 진로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유투브를 찾아봤는데 제가 처음에 생각하고 알아볼 때 유투브로 보니까 확실하게 정했어요.

유투브를 통해서 (참여자 9)

인터넷이요. 인터넷으로 정보를 많이 모으니까요. 네. 검색해서 요즘 다 할 수 있으니까.

(참여자 10)

232
232

라 꿈의 장애물

A. 경제적 어려움

빈곤 청년들에게 경제적 어려움은 꿈의 장애물이 된다. 기숙사비와 학비, 학원비 마련을 위 한 아르바이트로 인해 꿈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하였다.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고 공부만 하면

더 빨리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럴 수 있는 현실이 아니기에 돈을 벌면서 진로준 비를 병행하고 있었다.

사실 금전적인거죠. 왜냐면 오전에도 사실 알바 안하고 공부하면 얼마나 좋겠어요. 그런 부 분들. (참여자 9)

물리적으로면 교과서랑 그런 것들? 만약에 학원까지 다니면 학원비용 이런건데... (참여자 9)

B. 불안한 마음

꿈을 결정한 후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달려가지만 때로 그 꿈을 이룰 수 있을지 고민이 되기 도 한다. 그럴 때는 앞이 막힌 것 같은 답답함을 느끼기도 한다. 소심한 성격과 대인관계의 어려움도 불안을 가중시키며, 직업인으로서 여러 사람과 만나면서 잘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 한 걱정에 불안함은 더 커진다.

아직은 실습을 안나가봐서 모르겠어요. 제가 아직 선생님이 되보지는 못했잖아요. 아직 애

들의 입장에서 막연하게 선생님 자리를 꿈꾸고 있다 보니까 조금 대입이 안된다? 제가 그 렇게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요. 반반 그런 느낌인 것 같아요. (참여자 8)

부족해요. 자신감은 부족해요. (참여자 9)

일단 제 성격이 제일 힘들 것 같아요. 약간 소심하고 잘 사람들하고 못어울리고 하다 보니 까 그게 약간 힘들 것 같아요. (참여자 11)

C.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빈곤 청년들은 주위에 원하는 직업 관련 이야기를 물어볼 사람이 없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이야기하였다. 인터넷으로 진로 관련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지만 한계가 있기에 가족 등 누군 가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였다.

주변에 가족분들 계시면 그럴 수 있는데 저는 가족분들 중에 그런 분이 없어서 얘길 들어

볼 수가 없는 거에요. 인터넷도 한계가 있잖아요. 직접 봐야겠다 해서 갔는데 조금 힘들게 일하시는거 보고... (참여자 10)

그러나 꿈에 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멘토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다. 고등학교 때도 멘토가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청년이 된 지금도 멘토가 있으면 진로를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 이 될 것 같다고 하였다.

233
233

근데 지금 말해주셨던 멘토 그런 시스템은 겪어보지 못했던 것 같아요. 중고등학교 때 그 런 건 없었던 것 같고 강연이 좀 많았던 것 같아요. 대학생 때도 있으면 되게 좋을 것 같 아요. 저같이 조금 어렵게 생각하는데 연락 못드리는 이런 사람이 더 있을 수도 있으니까 괜찮은 것 같아요. (참여자 8)

이처럼 주위에 진로를 함께 이야기할 가족이나 어른이 없었기 때문에 늘 혼자 고민하는 것

이 이제는 익숙해졌다. 항상 혼자 생각했는데, 이제 와서 어른에게 진로 관련 고민을 털어놓 는 다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혼자 생각해왔던 사람인데 어른한테 털어놓는다는 건 좀 부담스러운 것 같아요. 또래 친구 한테는 같은 나이니까 편하게 할 수 있는데...(참여자 8)

마 꿈을 위한 노력

A.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빈곤 청년들은 학점을 잘 받기 위해 공부하고, 토익 공부를 하는 등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 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꾸준히 공부를 하기도 했으며, 좋은 직업 인이 되기 위해 지식을 쌓기 위한 공부도 하고 있었다.

일단 학교 졸업을 위해서 열심히 학교를 다니고 지식을 쌓기 위해서 학교 공부에 매진하고 졸업해가지고 좋은 사회복지사가 되는게 계획이에요. (참여자 8)

내적으로는 꾸준함? 전기가 진짜 다른 자격증 중에 제일 어려워서 다른거는 기출문제집만

몇 번 돌려보면 따도 전기는 그게 아니여서 이론도 공부해야 하고 따로 해야하는 거라 꾸 준하게 계속 해야 하는 것 같아요. (참여자 9)

공부.. 내신 챙기고 대학교 가야하니까 다 그랬던 것 같아요...자격증 공부도 하고. 보건쪽이 나 아무튼 관련된 자격증이 있는데 잘 모르겠어요. 그런 전공 자격증을 준비한다거나 토익

같은 기본 스펙을 준비해야지라고 계획을 했었는데... (참여자 10)

바 코로나 19와 꿈

A. 대인관계 축소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다보니 선배들과 친해지기 어려운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 다. 선배로부터 들을 수 있는 정보도 듣지 못했고, 대인관계도 더 좁아졌다. 그게 선배랑 친하면 좋은데 제가 선배들이랑 별로 안친해가지고 그게 좀 어려웠던 것 같아 요. 졸업하기전에 더 친해졌어야 하는데 제가 학교가니까 제가 3학년이고 다 졸업하시고 윗학번들이랑 못친해지고 그래요. (참여자 10)

234
234

B.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의료관련 분야의 꿈을 갖고 있는 청년의 경우에는 선별진료소 자원봉사 경험을 통해 배움과

나눔의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관련 분야 인력이 더 필요했기에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경험을 통해 꿈이 더 확실해졌다.

네. 1학년 때는 아무래도 비대면이었고 실습도 없어서 진짜 재미없었는데 그 선별 진료소 는 어떻게 보면 임상에 제가 뛰어든 거나 다름이 없는 거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거기서도 흥미를 느꼈을 수도 있는데 생각해보면 그것 때문에 제 꿈이 더 확실해진 것도 없지 않아 있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7)

또한,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어려움도 있었지만 전공 공부를 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하는 법을 알게 된 것은 또 다른 수확이었다. 그 때 제일 얻었던 건 전공공부를 스스로 하는 법을 알았어요. 스터디카페가면서 나는 이 시간대에 집중이 잘되고 그래서 이렇게 잘 외우는구나 하는 방법을 찾은 것 같아요. (참여 자 10)

235
235

2.

비빈곤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꿈에 대한 주제 분석

1) 연구참여자

비빈곤 연구참여자는 충남, 충북, 서울, 대전, 경기,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18-19세 고등학 생 5명과 23-24세 청년 4명 등 총 9명이었다. 성별은 남자 청소년 4명, 여자 청소년 5명이었

고, 고등학생은 특성화고 1명, 인문계고 4명이었으며, 청년은 대학생 4명이었다. 희망진로는

간호사, 캐릭터 디자이너, 유치원교사, 신재생에너지 연구자, 게임 개발자, 임상병리사, 화학연

구원 등 다양하였다(표 215).

<표 215> 비빈곤

12 남19인문계고3충남간호사비빈곤

13 여19특성화고3서울 캐릭터 디자이너 비빈곤

14 여18인문계고2대전유치원 교사비빈곤

15 남19인문계고3경기 신재생에너지 연구자 비빈곤

16 남19인문계고3경기게임개발자비빈곤

17 여23대학교4서울임상병리사비빈곤

18 여23대학교4충남화학연구원비빈곤

19 여24대학교4서울

방송업/영업직/ 금융직 비빈곤

20 남23전문대2인천청소년상담사비빈곤

2) 주제분석 결과

구분상위주제하위범주 의미단위

편안한 삶 편한 집에서 안정적으로 살고 싶음 가족과 여행하며 행복하게 사는 삶

고등학생

236
내가
꿈꾸는 삶
취미생활이
청소년
no 성별 연령 학년/직업 지역 희망진로 비고
일과 삶의 균형 내가 좋아하는 일하면서 자유롭게 사는 삶
가능한 삶 <표 216> 비빈곤
질적분석 결과
청소년 연구참여자 236

안정적인 미래에 대한 갈망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

꿈의 이유

발전가능성이 높은 유망한 직종 꿈을 이루면 미래가 보장됨

어린 시절 만난 좋은 어른

다른 사람에게 행복한 기억을 심어주고 싶 음

주변인의 영향 가족, 선생님, 친구의 권유와 조언 자주 접하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됨

현실과 타협

본인의 적성고려

진로 프로그램 체험

향한 도움

꿈의 장애물

성적이 낮아서 꿈을 변경

돈벌이가 안된다는 이야기에 진로 변경

본인에게 맞는 분야가 무엇일지 고민하고

선택함

진로수업과 견학 프로그램을 통한 직업 이 해

외부활동경험을 통한 자신감 주위의 격려와 지지 원하는 걸 찾아서 지원해 주는 부모님과

미디어 정보 탐색

선생님의 도움

유튜브와 TV프로그램에서 정보를 찾음

경제적 어려움 노트북과 유료어플리케이션 구입 비용이

부담됨

지금은 유망직종이지만 발전이 침체되는

불안한 마음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꿈을 위한 노력

상황이면 막막할 것 같음 잘 될 것이라는 자신감이 없음

꿈을 위한 노력이 맞는지 확신이 서지 않 음

전문적 진로상담을 받을 기회가 없음 취업가능한 회사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 가 제한적임

생기부를 위해 포트폴리오를 잘 만들어 감 교내대회, 동아리 등 학교활동에 열심히 참 여함

자기관리를 열심히 함 체력을 기르기 위해 운동을 열심히 함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코로나19와 꿈

진로체험 및 외부 견학 활동 취소

실습수업(디자인)을 제대로 못함

축소된 대인관계선후배간의 교류 없음

비대면 창업수업 등 집에서 진행할 수 있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는 활동에 적극 참여함

집에 있으면서 자기개발하는 시간이 더 생 김

237
꿈을
237

내가 꿈꾸는 삶

자유로운 삶

도움이 되는 삶

주변인의 영향

꿈의 이유

자유롭고 시간이 얽매이지 않는 삶 나만의 공간에서 즐기는 삶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면서 보람을 느끼

는 삶

어린 시절 나에게 잘해줬던 선생님을 닮고

싶음

자주 접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갖고 싶음

미디어의 영향유투브와 TV, SNS를 통해 꿈 발견

진로 프로그램 체험

꿈을 향한 도움

청년

주위의 격려와 지지

꿈의 장애물

꿈을 위한 노력

진로시간을 통해 진지하게 꿈을 생각해 보

는 계기가 됨

진로 관련 아르바이트를 통해 직업에 대해 더 알게 됨

부모와 친구의 긍정적인 지지와 믿음

지인으로부터 직업에 대해 듣고,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음

경제적 어려움자유로운 삶이라는 꿈을 잠시 뒤로 미룸

불안한 마음

스펙을 쌓기

남들에 비해 부족하고 초라해 보임 관련 직업인의 부정적 경험담

위해 노력함 학점, 자격증, 어학 능력을 위한 노력

꿈을 향한 실천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코로나19와 꿈

(1) 비빈곤 고등학생

가 내가 꿈꾸는 삶

A. 편안한 삶

전공관련 공부와 실습 열심히 하기

진로를 위한 정보검색을 하고 인턴에 지원 함

실습을 통해 직업에 대해 잘 알게됨

현장실습을 나가지 못해 경력을 쌓기 어려

외부 특강 취소로 정보를 얻을 기회가 부

족함

학교 안에 선배나 친구가 없어 전공 관련

축소된 대인관계

정보를 나누지 못함

비빈곤 고등학생들이 꿈꾸는 삶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삶이었다. 편한 집에서 취미생활도 하

면서 평범하게 살고 싶은 꿈을 이야기하였다. ‘편한 집’은 어느 정도의 경제적 안정을 이룬 삶 을 의미하기도 한다. 고등학생들은 미래에 경제적인 안정을 이룬 후 원하는 취미생활을 하면 서 사는 삶을 꿈꾸고 있었다.

편한 집에서 취미생활도 하면서 그냥, 그냥 평범한 삶을 사는 게 그 목표 아닐까요. 나중 에 그렇게 살고 있지 않을까요? (참여자 15)

238
238

또한 고등학생들에게 편안한 삶은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사는 삶이다. 여행을 다니며 가족 과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가는 삶을 꿈꾸고 있었다. 가족과의 ‘여행’은 고등학생들에게 미래의 행복하고 편안한 삶을 대표하는 키워드로 인식되고 있었다.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여행을 접 하는 고등학생들은 자신 또한 그러한 삶을 살기를 소망하고 있었다.

열심히 돈을 모아서 할머니랑 여행가고 싶어요. 그냥 엄마보다 더 엄마 같았어요. 전 지금 도 엄마보다 할머니를 더 좋아하거든요. (참여자 14)

제가 애기를 많이 좋아해요. 나중에 가정을 꾸리게 된다면 일단 그 때 배우자도 있겠지만 조금 더 큰 게 나중에 애기랑 다같이 여행도 많이 다니면서 어릴 때의 추억을 만들어주고

싶어요. (참여자 12)

B. 일과 삶의 균형

고등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삶, 시간 제약 없이 출퇴근이 자유로운 삶,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삶을 원하고 있었다. 이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하고, 재미를 추구하면서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MZ세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뭔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원하는 시간에 딱 출근해서 내가 좋아하는 연구일들 하면서 제 시간에 퇴근하고... (참여자 15)

약간 취미를 직업으로 삼으면 좋으니까. 그림 쪽으로 가면은 뭔가 나한테 더 맞을 것 같아 서 그쪽으로 정했어요. (참여자 13)

그렇죠. 그것도 있고 좀 안정적으로 살고 싶기도 하고 이제 제가 좋아하는 일하면서 돈 버 는 게 제일 그거잖아요. (참여자 15)

나. 꿈의 이유

A. 안정적인 미래에 대한 갈망

꿈을 꾸고, 진로를 결정하게 된 이유는 유망한 직종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고등학생들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삶을 꿈꾸는데, 발전가능성이 높은 유망한 직업은 이러한 꿈을 이룰 수 있 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 직업을 갖게 되면, 미래가 보장이 되는 상황이기에 꿈을 갖게 되고, 꿈을 이루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원래는 중학교 때는 그냥 막연하게 그냥 막 과학적으로 그냥 관심이 많아가지고 그런 거 해야겠다. 생각을 했는데 고등학교 1학년 때 이제 딱 정해지기 시작한 것 같아요. 좀 유망 한 직종이고 또 발전해 나가야 되는 단계니까 관심이 생겨가지고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아마 그 꿈을 가졌던 것 같아요. (참여자 15)

저는 그렇게 되더라도 제가 인서울을 못하고 아무리 낮은 대학교에 가더라도 저는 아마 이 거를 할 것 같아요. 왜냐하면 이거를 이루기만 하면 그 뒤로부터는 이제 조금 보장이 되는 그런 상황이니까 아마 그때 되면 더 열심히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참여자 15)

239
239

B.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

어린 시절 만난 좋은 어른은 고등학생들의 삶에 역할 모델이 된다. 너무 좋은 선생님을 만 나서 자신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꾸기도 하였다.

원래 항상 가지고 있던 목표가 어릴 때 초등학교 6학년 때 선생님을 만났었는데 너무 좋았 어가지고 나는 항상 그 때부터 가지고 있었던게 저 선생님처럼 되야겠다라는 나름의 목표 같은게 있어서 전에는 교사라는 꿈을 가지고 있었는데... (참여자 12)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미술을 좋아하고 있었고, 중학교 가서 이제 미술 선생님이 3년 동 안 똑같은 선생님이었어요. 그 미술선생님이 좋아가지고 열심히 하다 보니까 그 쪽 학교를 좀 추천 받았었어요. 미술을 좋아하기도 하고 집중을 잘 하니까 이쪽 학교를 지원하면은 선생님 추천서를 써줄 수 있다고 하셔 가지고 생각하다가 가게 되었습니다.(참여자 13)

또한, 어린 시절 행복했던 순간들은 인생에서 힘들 때마다 자신을 일으켜 세워주는 힘이 된 다. 그리고 자신도 다른 사람에게 행복한 기억을 심어주는 사람이 되고 싶은 소망을 갖게 한

선생님께서 그런 추억을 많이 만들어주셔서 그 나이대에 너무 행복했던 순간들이 아직도 제 머릿속에 있기도 해가지고 이제 저는 그래서 나도 다른 사람들에게 그런 행복한 기억같 은 걸 심어주고 싶어서 그런 점도 있었던 것 같고... (참여자 12)

중학교 2학년 때 제가 되게 힘들었던 것 같아요. 근데 어릴 때 생각을 문득 어느 날 했는 데 제가 어릴 때가 너무 행복했던 거에요. 그래서 나도 누군가가 지금 당장은 어리니까 행 복하다고 생각이 안들지 몰라도 컸을 때 저처럼 그 때 되게 행복했는데 라고 느낄수 있었 던 생각을 심어주고 싶어서... (참여자 14)

C. 주변인의 영향

고등학생들이 꿈을 결정하는 데에는 주위의 조언이 영향을 미친다. 가족의 권유와 조언으로

진로를 정하기도 하고, 학교 선생님이 이야기해 준 직업이 생각나서 진로를 고민하기도 하며, 친구들의 ‘특정 직업이 잘 어울린다’는 말에 해당 진로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아버지께서 많이 권유를 했었던 것 같아요. 중학교 3학년 때 학교를 고르면서 약간 제가 이쪽을 고르면 좋을 것 같다고 계속 권유를 해주셨어요. (참여자 13)

초등학교 선생님이 이런저런 얘기 많이 해주셨거든요. 도움이 되는 이야기. 언제였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남자 간호사가 요즘 나쁘지 않다 하셨던게 기억이 나가지고 생각하고 있 었는데, 반 친구들이 너 간호사 어울린다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가 보면 볼수록 매력이 느 껴지는 직업이다 보니. (참여자 12) 고등학생들은 주위 사람들의 조언뿐만 아니라 자주 접해보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병원에 자주 다니다 보니 간호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모가 하는 일이 좋아 보 여서 이모의 직업에 관심을 갖기도 하였다. 그 직업에 대해 접해보고,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기회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240
다.
240

아프고 하다보니까 간호사분들 많이 만나잖아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에서 좀 더 익숙하다고 해야되나 해서... (참여자 12)

저희 이모가 그 쪽에서 일을 하셨었거든요. 그래서 제가. 가족들은 사실 원치 않았어요. 제 가 유아교육과 가서 어린이집 선생님 하는 걸 원치 않으셨거든요. 근데 할거면 좀 덜 힘들 게 조금이라도 덜 힘든 쪽으로 유아 임용봐서 병설 유치원가라고 말씀하셨어요. (참여자 14)

D. 현실과 타협

고등학생들은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 어린 시절이 좋은 추억을 떠올리면서 주위의 권유와 조 언으로 꿈을 찾아가지만 때로는 현실의 벽에 부딪혀 꿈을 조정하기도 한다. 오랜 시간 교사의 꿈을 간직해 왔으나 고등학교 진학 후 성적이 좋지 않아 꿈을 이룰 수 없음을 알게 된 참여자 는 마음이 아프지만 꿈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목표는 남겨둔 채 진로를 변경하기 도 하였다.

결국 교사라는 꿈은 성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포기하게 되고 이제 그냥 선생님처럼 그런 사람이 되고자 하는 마음은 아직 있지만 방법을 바꾸어서 이제 간호사가 되가지고 다른 사 람을 도와주면서 비슷하게라도 제가 원하는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참여 자 12)

또한, 고등학생들은 대부분 고등학교 진학 후 현실적인 부분을 더 고려하게 되었는데, 본인 의 관심보다는 취업이 잘 되는 학과로 눈을 돌리게 된다. 그리고 주위로부터 돈벌이가 안된다 는 이야기를 듣고 진로를 변경하기도 하였다.

중학교 때는 해양 생물학자, 고고학자 약간 그런 게 관심이 많았어요. 자연과학 쪽에 그러 다가 이제 고등학교 와서 좀 현실을 이제 딱 직면하게 된 거죠. 그래서 이제 공학 계열로 진로를 정하게 된 거고.. (참여자 15)

원래는 글 써서 대학 쪽으로 가서 소설가 쪽을 가고 싶었는데 그것보다는 좀 더, 그쪽은

돈벌이가 안 된다는 얘기를 들어서 캐릭터 쪽으로 좀 틀었어요. (참여자 13)

E. 본인의 적성 고려

빈곤 고등학생과 마찬가지로 본인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비빈곤 고등학생들 또한 자신 성

향과 관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기도 하였다.

그런 거를 딱 고려해두고 어떤 분야가 저한테 가장 맞을까 생각했을 때 좀 더 틀에 박히지 않은 그런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게 에너지 연구인 것 같아서 그렇게 정한 것 같아 요.(참여자 15)

241
241

다 꿈을 향한 도움

A. 진로 프로그램 체험

학교 진로수업과 견학 프로그램 등 진로 관련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이 꿈을 정하고, 꿈을

위한 준비를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코로나19 시기에는 진로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진로 수업시간에 인터넷으로 진로를 탐색하거나 고등학교 견학 프로그램을 하면서

진로관련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을 받았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진로라는 과목이 그때는 따로 있어요. 그래서 그때 커리어넷이나 이런

거 해 가지고 자기 진로를 찾고 막 탐구하는 그런 시간이 있었거든요. 근데 그거를 둘러보

다가 이거를 발견하게 된 거예요. (참여자 15)

제가 그 학교를 견학을 하러 갔거든요. 거기서 전시를 하는 고등학교여서 전시를 쭉 돌아 봤는데 딱 지금 다니는 저희 학과가 제가 보기에도 너무 멋진 선배들이 있어서 이 학교에 다니면 저도 이런 걸 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 선택을 하게 됐었거든요. (참여자 13) 교내 활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활동 참여 경험 또한 고등학생의 진로설정과 진로준비에 도 움이 된다. 외부활동을 하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고,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하면서 직업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게 된다.

청소년 참여위원회 등 외부활동을 하면서 일단 자신감이 많이 생겼어요. 옛날 같았으면 내 가 이런걸 할 수 있을까 생각했고 괜히 내가 저기가서 해도 될까라는 고민을 항상 마음 속 으로 많이 했거든요. 근데 이제는 내가 가서 해야지 하면서.. (참여자 12)

지역아동센터는 가서 그냥 아이들을 돌보는 거면 거기서는 저희가 아이들을 모아서 회차까 지 짜서 수업 계획을 짜서 수업을 진행해요. 네. 그러면서 제가 꿈을 찾아가는 게 좀 더 확 실해지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요. (참여자 14)

B. 주위의 격려와 지지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지지와 격려도 고등학생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큰 힘이 되고 도 움이 된다.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지원해 주실 때 진로 준비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가족들과 진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 불편한 참여자는 학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으며, 친구들 과 진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진로준비를 하고 있었다.

부모님의 영향도 좀 큰 것 같아요. 왜냐하면 이제 강압적으로 이거 해라 하는 게 아니라 제가 원하는 걸 찾아서 지원해 주시는 그런 분이니까 그거 두 개가 제일 도움이 됐던 것

같아요. (참여자 15)

가족들과 얘기하면 약간 설교 듣기로 방향이 바뀌어서 “너가 안 하니까 이렇게 고민을 하

게 되는 거야” 이런 식으로 말씀해서 오히려 말을 안 꺼내게 돼요. 진로에 대해서는 저는 잡혀 있는 거잖아요. 그니까 제가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이제 어떻게 하면 채울 수 있는지 를 혼자서 찾아보고 이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겠다 싶으면 학교 선생님과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 같아요. 선생님께 다가가서 “이거 어떻게” 하면 알려 주시니까... (참여자 13)

242
242

C. 미디어의 정보

미디어에 익숙한 고등학생들은 유투브 등을 통해 진로 관련 필요한 정보를 찾고 있었다. 또 한, 관심 있는 직종의 직업인이 나와 이야기하는 TV 프로그램이 있으면 챙겨보기도 한다. 미

디어는 고등학생들이 직업을 탐색하고, 정보를 얻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그렇죠. 있는 것 같아요. 왜냐하면 이게 고등학교 올라오면 이제 진학을 해야 되니까 또 대

학교로 어느 대학교에 이 관련된 과가 개설이 돼 있는지 그런 것도 혼자 찾아보기도 하고

에너지 공학과에서는 이제 어떤 걸 배우는지 유튜브로 찾아보기도 하고 이제 좀 그림을 그 렸던 것 같아요. (참여자 15)

특강이라고 해야 되나 특강은 게임 프로그램 나오는 그런 사람들... tv 프로그램에 그런 개

발자들 나와서 말하는 거 있잖아요. 그런 것도 보고 (참여자 16)

라. 꿈의 장애물

A. 경제적 어려움

희망하는 진로준비에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 다. 캐릭터 디자이너를 꿈꾸는 참여자는 컴퓨터로 디자인 작업 시 노트북 사양이 낮아 오류가 나기도 했으나 고급 사양의 노트북은 비용이 많이 들어서 구입하기 어려웠다. 또한, 유료 어 플리케이션을 구입해야 하는데 이 비용도 부담이 되었다.

그 약간 저는 프로그램들을 사용해야 하잖아요. 보면 컴퓨터라던가 프로그램을 버틸 수 있 어야 하는데 제 노트북이 프로그램을 하다가 꺼져요. 그게 약간 좀 많이 힘들었던 것 같아 요. 자격증 준비할 때 살짝. 그것도 있고 느린 건 상관 없는데 사양이 많이 딸리면 이제 자 격증 연습을 할 때 창을 세 개를 켜놔야 되는데 갑자기 오류가 나서 꺼지면 저장도 안 되 고 처음부터 다시 해야 되고 연습은 또 연습대로 안 되고... (참여자 13)

B. 불안한 마음

고등학생들은 취업이 잘 되고 유망한 직종을 진로로 선택하지만, 이 직종이 미래에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불안한 마음도 있었다. 지금은 유망직종이지만 발전이 침체되는 상황이면 막막 할 것 같다고 하였다. 또한, 자신감 부족은 진로 준비를 주저하게 만들고, 준비되지 않은 진로 는 불안을 가중 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만약에 제가 지금 이 직종이 유망하다고 하긴 했지만 만약에 이제 좀 몇 년이 지나도 그러

니까 이 발전이 좀 계속 침체된 상황이라면 혼자는 약간 좀 말 표현이 그렇긴 한데 소수의 인원들끼리 이거를 해나가야 된다는 게 조금 막막하긴 할 것 같아요. (참여자 15)

제가 그림을 그리는 데, 못 그리니까 보여주기 너무 부끄러워서 약간 안 그리게 되고 그런 게 조금 있었거든요. 제 그림이 제 마음에도 안 드니까 약간 타인에게 보여주기 싫고 뭔가 그림을 제가 못 그리니까 하기도 싫고 그랬는데 제가 어느 책에서 봤었거든요? 그림을 못 그리는 것처럼 보이는 거는 너가 너무 눈이 높아서 그렇다라는 말을 봤었거든요. (참여자 13)

243
243

C.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부족

고등학생들은 꿈을 정한 이후에도 이렇게 준비하는 것이 맞는지, 꿈을 위해 제대로 가고 있

는지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다. 지금도 이게 맞나 싶기도 하다. 자신이 원하는 진로 분야의

직업인 특강이나 진로관련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진로준비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하였다.

그런 걸 좀 들어보면 좋을 것 같기는 한데 게임 회사 다니는 사람들의 특강 이런 거...지금

도 하면서 이게 맞나 싶기도 하고 그래서... (참여자 16)

한 번 얇게라도 경험같은 걸 접해보고 싶다? 그 학과가서 배우는 것들을. 아직 찾아보진

않았지만 찾아봐서 한 번 제가 자세히 깊게 파고들지는 못하더라도 아 이런게 있구나라는 것 정도는 확인해보고 싶은? 이런것들을 배우겠구나. (참여자 12)

어쨌든 저 뿐만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꿈은 정하지만 그게 저에게 맞는지 모르잖아요. 그래서 접할수 있는 기회가 많으면 좋은데 그게 그렇지 못하니까 나는 이걸 하고 싶지만 이게 나한테 맞는걸까라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참여자 14)

고등학생들은 전문적인 진로상담에 대한 갈망도 있었다. 학교의 상담은 대학을 어느 곳을 갈 것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자신의 진정한 꿈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기는 어렵다. 가 족도 마찬가지로 대학 진학에는 관심이 있으나 꿈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는 것 같다고 느끼 고 있었다. 진로와 관련해서 보다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다면 꿈을 향한 노력 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희 담임 선생님이요? 상담의 시기가 오면 상담을 하는데 사실 그 상담은 성적에 대한 상 담이나 대학을 어떻게 갈 것인지에 대한 것이지 제 꿈에 대해서는 궁금해하는 분이 없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집도 이 성적으로 어디 대학을 어떻게 갈 건지 궁금해하시고 제 꿈에 대 해서 궁금해하진 않아요. (참여자 14)

학생들이 꿈을 이루기 위한 고민이 있을 때 상담 받는 건 진로 선생님이나 담임 선생님이 나 친구들, 부모님도 될 수 있겠지만 좀 더 전문적으로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그런 게 뭔가 있었으면 좋지 않을까 싶은데. (참여자 12)

이런 유망한 직종인데 좀 블루오션인... 그러면 사람들이 좀 별로 없는 그런 거, 이제 대학 교에서 그 학과에 있는 학생이 와서 홍보를 한다든지 아니면 이미 그 직업에 있는 사람이 와서 강연을 해준다든지 그런게 조금 더 학교에 있었으면 좋을 것 같아요.(참여자 15)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회사를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되고, 직무관련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회사에 대 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어서 어떤 회사를 가기 위해 무슨 준비를 해야 하 는지에 대해 막막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저는 그 직무 경험이 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해요. 뭔가 학교에서 알려주는 거는 이제 따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실력이라고 하면은 안 알려주는 거는 회사에서 할 수 있는 일이거든 요. 회사에서 어떤 일을 하고 제가 어떻게 행동을 해야 되는지를 아무것도 모르다 보니까 좀 아쉽다고 생각을 많이 해요. (참여자 13)

244
244

음, 좀 더 저희가 회사를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줬으면 좋겠어요...회사가 너 무 많잖아요, 우리나라에는. 저희 나라만 해도 많은데 제가 어떻게 뭐를 늘려서 이 회사에 갈, 회사에 그니까, 제가 어떤 회사를 가야 되는지도 모르겠는데 뭐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 건지도 모르는 거잖아요. (참여자 13)

마. 꿈을 위한 노력

A.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수시로 대학 진학을 준비하고 있는 고등학생들은 꿈을 이루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를 잘 채 울 수 있는 활동들을 열심히 하고 있었으며, 진로관련 분야 봉사활동과 동아리활동에 참여하

는 등 학교 내외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학생회 활동, 학급 임원을 맡기도 하였으 며, 지자체의 청소년 참여위원회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을 열심히 해서 교내

대회에 나가서 상을 받기도 하는 등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생활하고 있었다.

그냥 학교생활에서 제가 생기부에 남을 수 있는 거의 모든 활동들에 많이 참여를 했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13)

다른 건.. 열심히 봉사는 다니고 있어요. 그냥 지역 아동센터가서 애들 놀이지도 해주고 학 습하는 거 지도 해주고 이런 식으로... (참여자 14)

고등학교 들어오고 나서부터 이렇게 하다가는 유치원 교사는커녕 아무것도 못하겠다라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저희 학교 동아리 부장을 하려고 지금 동아리가 교육봉사 동아리로 교 육적으로 하는 동아리거든요. 그래서 그 동아리의 부장을 맡으면 뭐라도 달라지지 않을까, 꿈에 대한 욕심이 더 커지지 않을까해서 제가 동아리부장이 됬어요. (참여자 14)

제가 활동같은 걸 엄청 많이 했었어요. 학생회는 당연히 했었고 반장, 부반장도 했었고 방 송부도 했었고 그런 걸 학교 안에서 했고 학교 밖에서도 참여위원회라고 아세요? 천안시

것도 했었고 충청남도 것도 하고... (참여자 12)

과학 관련 대회는 다 나갔던 것 같아요. 자유 탐구대회 과학 탐구대회 창의력 대회 이런

거해서 거의 다 입상을 했고 또 동아리도 1학년 때 화학동아리 들어가서 2학년 때 제가 부 장하면서 동아리 전체를 다 이제 다 통솔하고 탐구하고 하는 그런 역할을 또 해가지고 학 교생활 열심히 하는 게 그냥 제일 좋은 것 같아요. (참여자 15)

참여자들은 고등학생이기 때문에 진로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한 공부뿐만 아니라 관련 직종에서 필요한 공부도 하고 있었다.

제가 영어가 많이 약해요. 영어를 일단은 간호사라는 직업은 영어를 잘해야 하는 직업중에 하나잖아요. 그래서 그 부분에 있어서 제가 대학교 가서 준비를 하려고 하면 당연히 늦을 거 아니에요. 지금도 잘하는 편도 아니고 해서 지금 이제 1학기 시험 끝났으니까 영어 준 비를 계속해나가려고 하고 있고요. (참여자 12)

공부 열심히 해보자라는게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큰 틀이에요. (참여자 12)

공부? 어쨌든 대학교에 가야하니까. (참여자 14)

245
245

B. 자기관리를 열심히 함

공부도 체력 싸움이라고 생각해서 운동도 열심히 하는 등 자기관리를 열심히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게 공부도 체력 싸움이라고 그러잖아요. 그래서 제가 운동을 좀 좋아하거든요. 그래서 공 부할 때 이제 체력도 필요한 부분이니까 외적으로 좀 나를 바꾸기 위해서 운동도 좀 열심 히 했던 것 같고 그런 거죠, (참여자 15)

바. 코로나19와 꿈

A.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꿈의 장애물에서 고등학생들이 진로 준비의 어려움으로 이야기한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 가 부족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도 관련이 있다. 교내 진로 관련 활동진로 체험이나 외부 견학활동들이 대부분 취소되었고, 비대면으로 진행되다 보니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그 전에는 학교에서도 많이 불러오고 저희가 가면서 많은 체험을 했지만 코로나 시기 시작 되면서 그걸 못하고 있었거든요. 그게 저희한텐 영향이 조금 크지 않았나 생각해요. (참여 자 14)

나름 아쉽다면은 코로나가 없었다면 조금 더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지 않았을까. 진로같 은 걸 할 때도 대면보다 비대면이 안좋은 이유가 저는 이제 항상 뭘하든 간에 비대면으로 하게 되면 그래도 사람과 사람이 소통할 때는 직접 만나고 해야지 진정성이 느껴지기도 하 고... (참여자 12)

특성화고에서는 실습수업이 중요한데, 실습도 비대면으로 진행되다 보니 제대로 배우지 못 한 채 2년이 지나가 버렸다. 외부 견학 프로그램도 참여할 수 없었기에 포트폴리오를 작성하 기도 어려웠고, 특성화고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었다.

중학교 3학년인 머리 상태로 1년 놀아버리고 이제 등교를 하는 거다 보니까 3학년이 완전 1학년 3학기 느낌이에요. 그래서 약간 프로그램 툴을 이제 제대로 못 배워서 학교 측에서 는 저희에게 가르칠 게 많은데 못 가르쳤다라는 입장이 좀 큰 것 같아요. 네. 저희는 디자 인 계열이다보니까 특히 월정액으로 끊어야 되는 툴들이 있잖아요. 어도비 툴이, 그거를 개 개인 별로 끊어줄 수가 없다 보니까. 네, 완전. 툴에 대한 기초는 알려주는데 어차피 등교 하면 애들은 다 까먹어 있을 테고 그런 느낌이어서 아무 것도 못한 거죠. (참여자 13)

아까 학교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하는 걸 신청을 해서 여기서 이제 킨텍스 견학을 간다, 이 런 걸 다 인정 결석, 인정 조퇴 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다른 애들보다 쓸 활동도 많아지고 포트폴리오 올릴 것도 많아지는데 그 기회를 1년 반을 날렸어요, 네. 특성화랑 일반고의 차 이점을 이용 못 한다는 게 가장 아쉬웠어요. (참여자 13)

246
246

B. 축소된 대인관계

코로나19로 선후배간의 교류가 없어지고, 친구들과 대화할 기회도 많이 없어진 것도 아쉬운 부분이었다.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도에 1학년이 된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학교 내 의 대인관계가 많이 축소되었다. 특성화고는 유사한 분야별로 반이 구성되기 때문에 선배나 친구로부터 진로 관련 정보를 얻고, 진로 관련 고민을 이야기하는데 코로나19로 이런 기회를 가질 수 없었다.

선후배 간의 교류도 많이 없고 교실과 교실 간의 교류도 없고 이랬는데 ... 학교 등교할 때 만 이야기가 할 수 있었고 1학년 때 가장 컸었거든요. 가장 잘 맞는 친구들을 만났는데 가 장 얘기를 못 했다 보니까 따로 반 톡 말고 친구들 방을 만들어서 이야기를 한다거나... (참 여자 13)

C.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감 이와 같이 코로나19로 진로 관련 정보를 탐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집에 머무르는 시 간이 많아지면서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찾아 나갔다. 비대면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이 적기 때문에 쉽게 참여할 수 있었고, 참여하다 보니 더 자신감이 생기기도 하였다.

코로나다 보니까 비대면이잖아요. 제가 원래 야외 활동 별로 안 좋아하는 편이어서 집에서

진행할 수 있는 활동들이 많아지다 보니까 더 자신 있게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것 같아요. 비대면으로 만나는 수업이 좀 많아서 창업 오디션이라고 창업을 하는 법을 알 려주는, 그니까 실습, 예행해보는 그런 프로그램도 비대면으로 참여할 수 있었고 그 밖에 그냥 자잘자잘한 것도 다 비대면으로 참여를 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13)

또한, 집에 있으면서 자기개발하는 시간과 진로 관련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좋았던 부분이다.

그래서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이제 막 애들이 되게 게을러지고 그런 거는 좀 안 좋아 보이 긴 하는데 솔직히 집에 혼자 있으면서 할 수 있는 활동도 되게 많잖아요. 학교에서는 조금 제약이 그래도 있으니까 그런 부분에서는 혼자서 자기 개발도 하고 자기 진로에 대해서 자 료도 찾아보고 하는 그런 시간으로는 괜찮았던 것 같아요. 온라인 하면서 했던 게... (참여 자 15)

(2) 비빈곤 청년 가. 내가 꿈꾸는 삶

A. 자유로운 삶

비빈곤 청년들이 꿈꾸는 삶은 자유롭게 즐기면서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삶이었다.

이는 비빈곤 고등학생들이 이야기한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삶, 출퇴근이 자 유로운 삶과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 모두 일과 삶의 균형을 이

247
247

루면서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삶을 꿈꾸고 있었다.

방송쪽은 원래부터 약간 자유롭고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걸 좋아해서 새벽까지 하는 걸 좋 아해서 알바도 새벽까지 했었고 그래서 그런 스타일을 원하니까 회사들은 규칙에 얽매이고 그러니까 방송쪽은 자유로운 분위기?라서 방송쪽을 꿈꾸게 된 것 같아요. (참여자 19)

자유롭게 사는 삶이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가 사장이 되는 것이고, 나만의 공간에서 사는

삶이며, 어떠한 참여자에게는 이민을 가서 해외에서 사는 삶이었다.

내가 사장이 되는 일을 하고 싶고 그런 걸 꿈꾸는 것 같아요. 나만의 주택이 있고 꿈이 너 무 크지만 2층 주택으로 나만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즐기면서 살고 싶어요. (참여자 19)

저 해외에서 살고 싶거든요. 이민을 가고 싶어요. 그래서 제일 약간 정말 막연한 꿈이라면 막연한 꿈일 수 있는데 약간 그나마 품고 있는 꿈이라고 말씀을 드리면 해외 임상병리사가 꿈이어서 (참여자 17)

B. 도움이 되는 삶

청년들은 자신이 행복하면서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다는 꿈도 있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삶의 보람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저는 그냥 행복하고 사람들한테 도움이 되는 사람? 제가 잘하는 게 없어서 그냥 도움이 되 는 사람?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제가 잘 할 수 있는 걸 하고 싶다? (참여자 19)

내가 청소년들에게 이런 식으로 도움이 되고 내가 보람을 느끼는 직업을 갖게 되면 너무 좋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참여자 20)

나. 꿈의 이유

A. 주변인의 영향

청년들은 지금까지 성장해오면서 주변인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의 진로를 선 택하고 준비해 나가는 데에도 선생님이나 친구 등 주변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어린 시절 자신의 롤모델인 선생님을 닮고 싶은 마음에 교사의 꿈을 갖게 되기도 하였고, 상담을 잘 해 준다는 친구들의 이야기에 청소년 상담 분야를 진로로 정하기도 하였다.

옛날에 초등학교 다녔을 때 초등학교 2학년 때 000 선생님이라고 계셨어요. 정확하게 이름 도 기억이 나요. 근데 그 선생님을 왜 닮고 싶냐면 정말 기억에 남았던 게 그 선생님이 마

지막에 종업식을 하잖아요. 왜 주시지 생각했는데 그 선생님이 oo는 애들도 많이 도와주고 착하고 무엇보다 선생님이 생각했을 때 나중에 뭔가 큰 일을 할 것 같아서 주는거다 이런 식으로 애들의 눈높이에 맞게 얘기했는데... (참여자 20) 고등학교 1학년때 애들이 제 얘기를 듣고 아니면 제가 어떤 얘기를 해주면 너는 참 상담이 나 면담을 잘해주는 것 같다 너가 얘기해 주는대로 하거나 너가 얘기해 주는 걸 들으면 진 짜 뭔가 질적으로 해결해주는게 아니라 내 마음을 알아주는 것 같아서 좋고 친구로써도 지

248
248

내기 좋다라고 얘기를 하더라고요. (참여자 20)

또한, 일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인물들로부터 꿈이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병원에 자주

다니다보니 마주치는 의료인들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고, 병원에서 일하는 꿈을 갖기도 하였 다.

특정 인물은 없고요. 그냥 병원에 갈 일이 있었어요. 옛날에 저 때문이 아니라 병문안이라

든가 이런 큰 병원을 대학병원 이럴 때 병문안 많이 갔었는데 그럴 때마다 마주치는 의료

인들이 멋있어 보이더라고요. (참여자 17)

B. 미디어의 영향

TV, 유투브, SNS 등을 통해 보고 듣는 것들이 꿈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양한 직업이나 진 로를 직접 경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미디어를 통한 간접경험이 꿈과 진로를 결정하는 데 영 향을 미친다.

메이크업 아티스트 이런 것도 하고 싶었고 푸드스타일리스트 이런 것도 하고 싶었고 되게

다양했어요. tv나 이런 걸로 꿈꾸게 된 것 같기는 한데 (참여자 17) 일단 그 sns나 유튜브 이런 거 보면 해외에서 사는 사람들 되게 많거든요. 그런 걸 보면서 되게 살기 좋은 환경인 것 같다. 그런 생각이 좀 들었죠. (참여자 17)

다 꿈을 향한 도움

A. 진로 프로그램 체험

현재의 꿈과 진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 것 중 하나는 중·고등학교 시절의 진로 체험 관 련 활동이다. 직업 체험을 하면서 원하는 직업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동아리 활동 을 통해 관심 분야를 찾고, 지식을 넓힐 수 있었다.

그 중학교 때 진로 프로그램 그 직업 박물관 같은 거 있잖아요. 체험관 이런 데 갔었는데 현실에 대한 현실을 진짜 볼 수 있는? 내가 진짜 진지하게 이 직업을 선택할 수 있을까라 는 걸 체험 그 직업 하는 그 실물을 체험을 하면서 그런 걸 좀 느꼈던 것 같아요. (참여자 17)

고등학교 때 들어갔던 동아리 화학 실험 동아리를 들어갔는데 그때 실험이 너무 재밌었고 그래서 화학연구원의 꿈을 가지게 되었는데 계속 그 꿈을 가질 수 있었던 건 고등학교에서 진행했던 소논문 쓰는 활동들 덕분에 계속 화학연구원의 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참여자 18)

대학에 진학한 이후에는 진로 관련 분야의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더 구체적으로 직업에 대해 알게 되었고, 적성을 찾아 진로를 준비하게 되었다.

대학교 가서 바로 방송쪽 알바를 시작했어요. 방송 스태프나 보조출연을 했었거든요. 그래

249
249

서 방송 분위기에 재밌고 날 새고 그다음날 바로 나가고 일주일 내내 그랬는데 그런게 재 밌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19)

B. 주위의 격려와 지지

주위의 관심과 지지는 청년들이 꿈을 준비해 나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부모님의 관심과 조언 그리고 경제적 지원은 구체적으로 직업을 결정하고 관련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부모님과 상담을 했죠. 의무 기록 관리사가 페이도 많이 준다고 하고 병원에서 일할 수 있 다. 그랬더니 그런 것도 좋긴 한데 아빠 친구분 중에서도 임상병리사인데 혹시 임상병리사 는 어때? 이렇게 권유를 해서 그게 뭔데? 관심을 갖고 하는 일을 이렇게 들어봤었죠. (참 여자 17)

이제 정신적인 부분에서는 저는 다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주시는 게 정말 컸고요 네

믿어주시는 게 제일 컸고 또 평소에 금전적인 지원이... (참여자 18)

가족이나 지인 중에 관련 직업인이 있을 경우, 그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게 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도 한다. 체험을 하면서 본인이 더 원하는 분야에 대해 알게 된 다.

원래 중학교 때부터 병원에서 일하고 싶었어요. 가운 입고 일하는 사람이 좀 멋있어 보여 요 그래서 그냥 막연하게 병원에서 일하고 싶다. 생각만 하고 가다가 고등학교 때 이제 진 로를 정해서 내잖아요. 그럴 때 진지하게 생각을 해보고 근데 아빠 친구분 중에 임상병리 사가 있으시더라고요. (참여자 17)

병원에 가서 기계를 보고 여기는 어떤 걸 하는 곳이고 여기는 어떤 일을 하는 곳이고 되게 많더라고요 파트가 그래서 그중에서 뭘 할까라는 걸 그때 고민을 해봤던 것 같아요. 파트 도 되게 다양해서 일단 제가 일단 크게 3개 파트로 나뉘는데 그분이 했던 파트는 진검 파 트거든요. 진단검사 의학과인데 일단 거기는 제가 가고 싶은 마음이 없었거든요. 근데 채혈 때문에 채혈하기는 싫어서 거기 가고 싶지 않은데 그 채혈 외에도 되게 다양한 분야가 있 구나. 알게 됐지만 저는 생리 파트가 더 가고 싶어요. (참여자 17)

가족뿐만 아니라 친구들의 지지도 꿈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친 구의 격려가 힘이 되기도 하고, 함께 진로를 이야기하고 고민도 하면서 꿈을 찾아 나가기도 한다.

제가 예전에는 화학연구원의 꿈을 가지고 있다가 성적이 망해서 중국어과로 오게 됐다. 근 데 지금 계속 이 꿈을 가지고 가야 될지 모르겠다.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 하니까 너는 앞 으로도 다 할 수 있을 거야라고 해줬어요. (참여자 18)

고등학교 친구.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 계획이 어떤지...자격증 얘기도 하고, 네 많이 도움 이 됐어요. (참여자 18)

250
250

라 꿈의 장애물

A. 경제적 어려움

청년들이 원하는 자유로운 삶, 외국에서의 삶을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분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은 돈이 없기 때문에 꿈은 잠시 뒤로 미루어두고 있었다.

네 현실적인 문제는 돈이 없어요. 진짜 돈만 있었으면 저도 유학을 갔을 겁니다. (참여자 17)

B. 불안한 마음

자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것도 꿈의 장애물 중 하나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스펙이 좋은 사람이 너무 많기 때문에 취업을 잘 할 수 있을지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있다. 다른 사람과 계 속 비교하면서 걱정하게 되고, 남들에 비해 부족하고 초라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어려운건 일단 방해요소 같은거요. 제가 저에 대한 부정적 마음이나 내가 될까 하는 왜냐 하면 취업이 닥쳐있으니까 넣어도 붙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하고 스펙을 완전 채워야

붙는거고 나보다 스펙 좋은 사람이 널리고 널렸는데 뭐 그런 생각도 하고 (참여자 19)

남들은 아침 점심 저녁 잘 먹으면서 그렇게 열심히 사는데 그에 비해 나는 게으르고 새벽 까지 안자고 그러니까 남들에 비해 부족하고 초라해 보이고 그래요. (참여자 19)

관련 업계에 취업한 선배들로부터 직업에 대해 부정적인 이야기를 들을 때면 이 길이 맞는 것인가 고민하게 된다. 자신도 이 직업에 종사했을 때 선배들처럼 안 좋은 경험을 하게 될 지

도 모른다는 생각은 꿈을 향한 노력을 주저하게 하며, 불안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걸림돌이 되는 것은 선배님들의 조언이었는데 선배님들도 저랑 같은 마음가짐과 이런 생각 으로 입사를 하고 직업을 가졌는데 금방 퇴사하는 사람도 많았고 막상 해보니까 좋지만은 않더라 이런 얘기도 많이 들어서 그것도 사실 진짠가 생각이 들어서 가끔 걸림돌이 되더라 고요. 내가 이 직업을 가지면 그렇게 될 것 같은데 괜찮을까라는 생각이에요. (참여자 20)

마. 꿈을 위한 노력

A. 스펙을 쌓기 위해 노력함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갖게 되는 불안한 마음으로 청년들은 더 좋은 스펙을 쌓기 위해 노

력하고 있었다. 이런 저런 대외활동을 하지만 취업에 도움이 될지 고민하고 있었고, 학점과 영어성적을 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공부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만족할 만한 정도는 아니라서 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외 활동은 이것저것은 했었죠. 근데 뭔가 메리트 있는 대외 활동은 아닌 것 같아요.(참여 자 17)

251
251

학점이랑 영어 성적이... 아직은 만족할 정도는 아니고 더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 (참여자 18)

지금 닥쳐있는 건 시험기간이니까 시험을 보고 학점을 잘 받고 학교 졸업요건도 닥쳐 있으 니까 그런거 하면서 스펙도 같이 채우면서 자격증을 중점직무 관련된 걸 한다던가 방학 때 중심으로 해야할 것 같아요. (참여자 19)

B. 꿈을 향한 실천

몇 명의 참여자들은 적극적으로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진로를 위한 정보를 검색하고 인턴 지원을 하기도 하였고, 실습을 통해 진로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다.

대학원 인턴 생활을 해보고 싶어가지고 대학원을 갈 수 있는 학교들을 검색하고 그리고 인 턴 공개 모집을 하는 학교들을 검색해서 하다 보니까 UST라는 학교를 알게 되었고 이번에 인턴으로 가게 되어 가지고... (참여자 18) 그 외에 실습이나 이런걸 가서 해봤거든요. 그래서 좀 뼈저리게 느꼈던 건 내가 너무 청소 년에만 집중했던게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어서 아동과 청년도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더라고 요. (참여자 20)

바. 코로나19와 꿈

A. 축소되어 아쉬운 체험활동

실무가 중요한 전공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실습을 직접 현장으로 나가지 못한 것은 매우 아쉬운 점이었다. 외부인사 초청강의 등 직업 관련 정보를 얻을 기회가 부족했던 것도 코로나19로 인한 아쉬움이었다.

전 별로인 것 같아요. 일단 교수님과 이런 대면을 하는 기회가 적고 아무래도 그러다 보니

까 뭐 실습도 진짜 형식적인 것만 하고 말았거든요. 그래서 뭐 체험할 것도 별로 없었고 일단 가장 큰 게 코로나 때문에 실습을 못 나갔어요. 네 이게 이런 전공 공부 말고 실무가 진짜 중요하잖아요. 경력을 아무래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런 요즘 시대에 그런 경력을 눈 으로도 관찰하지 못한 (참여자 17)

이제 학교에서 외부 인사들을 초청해 주는 것도 이제 코로나 때문에 안 왔고 그래서 정보 를 얻을 기회가 조금 더 부족했던 것 같아요. (참여자 18)

B. 대인관계 축소

대학생인 참여자들은 학교 내에서 선배나 친구를 만날 기회가 없었던 것에 대해 많은 아쉬 움을 이야기하였다. 선배들로부터 전공 관련 정보를 들을 수 없었고, 친구들과 친해지지 못하 고, 진로 관련 이야기도 나누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었다. 아무래도 저보다 조금 더 많이 배운 선배들을 만날 기회도 없었고. (참여자 18)

252
252

아예 대면으로 학교를 못갔으니까 한달 잠깐 갔나? 그래서 애들이랑 친해질 수 없는게 제 일 큰 것 같아요. 학교 안에서 선배나 친구가 없다는게. 학교 지리나 그런것도 모르고 (참 여자 19)

253
253

1) 내가 꿈꾸는 삶

[그림 1] 내가 꿈꾸는 삶

내가 꿈꾸는 삶에 대해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의 인터뷰 내용을 분

석한 결과, 어린 시절부터 환경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성장한 빈곤 고등학생은 미래에 평범

하고 여유롭게 살고 싶은 꿈을 갖고 있었다. 적당한 회사에 들어가서 적당하게 살고 싶었고,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이 되면 기부도 하고 봉사도 하면서 자신이 받은 것을 다시 사회에 돌려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성인기로 접어들어 취업준비와 사회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빈곤

청년들은 당장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 시급해서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할 겨를도 없었다. 벼랑 끝에 내몰린 청년들은 불안한 하루하루를 벗어나 서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었다. 비빈곤 고등학생들이 꿈꾸는 삶은 경제적 인 안정을 이루고, 원하는 취미생활을 하면서 가족과 함께 편안하게 사는 삶이었다. 출퇴근이 자유롭고,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삶 또한 이들이 꿈꾸는 삶이었다. 비빈곤 청년들은

자유롭게 즐기면서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살기를 희망하고 있었고, 자신이 행복하면서 다

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삶에 대한 꿈도 가지고 있었다. 즉,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들은 지금과 같은 어려운 현실에서 벗어나서 평범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누군가의 평범한 삶이 이들에게는 넘기 힘든 장벽에 가려져있었 고, ‘평생 노력해도 집 한 채 살 수 없는 현실’에서 과연 그러한 삶을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의 문이 있었다. 당장 눈앞에 닥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해야 했기에 자신이 정말 원하는 꿈은 무엇인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하루하루를

254
3. 소결
살아가고 있었다.
청년들 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면서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살기를 바라고
254
반면, 비빈곤 고등학생과
있었는데, 이는 집단보다 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하고, 재미를 추구하면서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MZ세대의 특징을 보 여주는 것이다(그림 1).

2) 꿈의 이유

[그림 2] 꿈의 이유

빈곤 고등학생과 비빈곤 고등학생들은 유튜브 크리에이터, 군인, 은행원. 사회복지사, 소방 공무원, 간호사, 유치원 교사, 게임개발자, 임상병리사, 화학연구원, 청소년 상담사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꿈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인터뷰한 결과,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은 공통적으로 ‘보답하고 싶은 마음’을 이야기하였다. 힘든 시절, 자신을 도와 준 분들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었으며, 이들에게 보답하는 길은 자신이 성공해서 누군

가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주변인’은 청소년들의 꿈에 영향 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 모두 주변인의

영향에 의해 현재의 꿈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는데, 사회적 자본이 부족한 빈곤 고등학생은 일

상에서 자주 만나는 학교 선생님이나 사회복지사가 롤모델이 되었으며, 비빈곤 고등학생들은

가족, 선생님, 친척, 의료인 등 다양한 주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빈곤 고등학생과 비빈곤 고등학생 모두 꿈을 결정하는데 자신의 적성에 대한 고려와 미디어

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에 진로 관련 논의할 지지체계가 없는 빈곤 청년들은

미디어를 통해 직업을 접하게 되고, 그 직업에 대해 알게 되거나, TV 드라마 속의 직업에 관

심을 갖기도 하였으며, 비빈곤 청년들은 TV, 유튜브, SNS 등을 통한 간접경험이 꿈과 진로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미디어는 청소년들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며, 미디

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꿈을 키우고 있었다. 이외에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과 안정 적 미래에 대한 갈망 등도 고등학생의 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청소년들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꿈을 포기하는 등 현실과 타협하기도 하였다. 빈곤 고등학생에게 ‘경제력’은 꿈을 꾸는데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 직업은 돈을 적게 번다는 주위의 부정적 의견에 꿈을 포기하기도 하였고, 음악가나 축구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돈이 많이 들기

255
255

때문에 꿈을 접기도 하였다. ‘경제적 안정’은 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인생의 과제이기 때문이 다. 비빈곤 고등학생도 성적이나 취업이 잘 되지 않는다는 주위의 권유로 꿈을 변경하기도 하 였다(그림 2).

3) 꿈을 향한 도움

[그림 3] 꿈을 향한 도움

청소년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준 요인과 관련하여서는 진로 프로그램 체험과 주위의 격려와 지지, 미디어 정보 탐색 등이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대학 관련학과 체험, 선배 와의 만남, 진로특강 등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은 이들이 꿈을 꾸고, 꿈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코로나19 시기에는 진로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축소되어 아쉬움이 있었다(그림 3).

256
256

4) 꿈의 장애물

[그림 4] 꿈의 장애물

청소년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있어서 장애 요인은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한 마음,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의 부족 등이었다. 빈곤 고등학생들은 꿈을 위한 준비를 하면서 자격증

시험비와 문제집 구입 비용이 부담스러웠고, 기숙사비와 학비, 학원비 마련을 위한 아르바이 트와 진로준비를 병행하느라 시간이 부족하였다. 비빈곤 고등학생들은 진로준비를 위한 미디

어 기기 구입이나 해외유학 비용의 부족 등을 이야기하였다. 청소년들은 꿈을 위한 계획을 실제 실행할 수 있을지, 계획대로 하면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함을 가지고 있었다. 소심한 성격과 대인관계의 어려움도 불안을 가중시키 는 요인이었으며, 자신이 선택한 직종이 미래에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불안한 마음도 있었다. 주위를 둘러보면 스펙이 좋은 사람이 너무 많기 때문에 취업을 잘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었 다.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의 부족도 청소년이 꿈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장애요인이었다. 관

련분야 종사자를 만나볼 기회가 없어서 직업에 대해 자세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인터넷 검색 에 의존하지만 한계가 있기에 가족 등 누군가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듣기 원했다. 그러나 취약 계층 고등학생들은 주위에 진로를 함께 이야기할 가족이나 어른이 없었기 때문에 혼자 고민하 며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빈곤 고등학생은 가정환경으로부터 부정적 지지를 경험하거나 집안 일을 살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꿈을 위한 노력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에 반해 비빈곤 고등 학생의 경우에는 전문가의 강연, 진로관련 활동, 전문적인 진로상담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 학 교에서의 진로상담은 대학 진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진정한 꿈에 대한 고민을 털 어놓기가 어려웠다(그림 4).

257
257

5) 꿈을 위한 노력

[그림 5] 꿈을 위한 노력

청소년들은 모두 꿈을 이루기 위한 ‘스펙 쌓기’에 열중하고 있었다.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은 내신 점수를 잘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봉사활동과 동아리활동, 학생회 활동 등 학교생활기록부를 잘 채울 수 있는 활동들을 열심히 하고 있었다. 청년들은 학점 관 리를 하고,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외국어 공부에도 열중하고 있었다. 그

러나 다른 사람과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자신감을 잃기도 하였다. 고등학생들은 공부도

체력 싸움이라고 생각해서 운동도 열심히 하는 등 자기관리를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였다.

빈곤 고등학생은 꿈을 향한 노력과 도전 중에 때로는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좌절하기 도 하였으나, 포기하지 않고 다시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배움을 얻고 성취감을 경험하 기도 하는 등 레질리언스가 강화되기도 하였다. 비빈곤 청년들은 자격증이나 어학점수 등 스 펙을 쌓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턴활동에 참여하고 실습을 하는 등 적극적인 도전과 실천을 통 해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그림 5)

258
258

6) 코로나19와 꿈

[그림 6] 코로나 19와 꿈

코로나19 팬데믹은 많은 사람의 일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들의 꿈도 코로나19로 인 해 영향을 받았다. 꿈을 찾고, 꿈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진로 관련 다양한 체험활동이 중 요한데, 코로나19로 많은 활동이 축소되어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기 어려웠으며, 직업인과 만 날 수 있는 기회도 적어서 직업 관련 정보를 찾기도 어려웠다.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누군가

와 만나서 이야기하는 것이 불편해졌고, 의욕이 감소되기도 하였으며, 선배와 친구와의 교류

가 줄어들면서 대인관계가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선배나 친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얻 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청소년들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찾아 나갔고, 정보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자기개발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갖기도 하였다. 코로나

로 인해 활성화된 분야와 관련된 진로를 갖고 있는 참여자들의 경우에는 관련 경험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바이러스나 DNA에 대한 흥미가 높아져 관련 정보를 찾아보기 도 하였으며, 선별진료소 봉사를 하면서 배움과 나눔의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또한,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전공 공부를 누구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하는 법을 터득하기도 하였다(그림 6).

259
259

VI. 결론

1. 양적연구 결과요약

1) 일반적인 실태: 아이들은 ‘지금’ 꿈꾸고 있을까?

본 장은 '우리 미래세대는 ‘지금’ 꿈꾸고 있을까?'를 주제로 한국 미래세대의 꿈 실태를 파 악하였다. 한국 미래세대의 54.5%가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다'라고 응답했으며, '꿈이 없 다'라고 응답한 미래세대는 6.7%에 불과했다. 교급별로는 고등학교에서 구체적인 꿈을 갖는 비율이 높았다. 반면 청년의 경우 ‘꿈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교급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꿈이 없는 이유는 '스스로 충분히 고민해 본 적이 없어서'와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

서'의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나 미래세대가 꿈에 대해 충분히 고민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의 경우 다른 교급에 비해 ‘그냥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와 ‘꿈을

가져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실태조사와 마찬가지 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실적인 벽에 부딪히면서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고 꿈 자체를 포기하

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초중고·청년 전체적으로 꿈을 스스로 결정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다른 교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꿈 실현가

능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그렇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청년

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꿈이 자주 변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는데 초중고에서는 현

실을 실제로 경험하면서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직업선택이 이루어지는

청년기에 고등학교보다 높은 변화율을 보였는데, 이는 현재 청년들이 취업난을 겪으면서 나타 난 결과로 유추해볼 수 있다.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이야기를 나누는지 묻는 질문에 고등학교가 꿈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학교, 초등학 교, 청년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입시로 진로에 대한 소통의 기회가 다른 교

급보다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년층을 제외하고 교급이 높아질수록 현재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점차 높아졌다. 청년층은 다른 교급과 비교해 꿈에 따라 살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꿈을 이루는 데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꿈을 꾸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흥미, 대중매체, 없다’ 3가지를 가장 많이 선 택하였으며, 꿈을 선택하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사람은 ‘부모, 없다, 연예인’이 1순위에 서 3순위까지 선택되었다. 다만, 고등학생과 청년은 ‘진로검사/진로체험’과 ‘돈/경제력’ 등 초·

중·고등학교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부분을 꿈의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인 부분으로 꿈이 좌절되지 않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인 불평등 요인으로 ‘북한이탈주민, 다문화’를 사회적으로 불평등한 요인으로 인식하 였다. 이는 우리나라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반면 관련 정책들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있지 못한 점과 단일 민족 국가인 한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지 외부의 문화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지 못해서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교급이 높아질수록 사회경

260
260

제적인 이동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초중고·청년의 진로성숙도를 살펴보면,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고등학

생이 가장 높은 진로성숙도를 나타냈으며, ‘독립성’의 경우 청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고등학교, 청년, 중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신감 부족, 낮은 동기 등 개인적 요인과 교육기회 부족, 가난 등 환경적 요인들이 진로준비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으며, 이와 같은 진로장벽은 청년이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꿈 유무, 진로준비정도, 개인·환경에 대한 인식 등은 청소년의 발달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산물인 행복지수와 희망지수, 자아존중감, 회

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수준은 대체 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급에서는 초중고는 비슷했으나 청년이 부정적인

발달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장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년이 초중고와 비교하여 특히 부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교육에서 일의 세계로 본격적인 이행이 이루어지는 청년기(이로미, 박 가열, 정연순, 2010)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우리나라 청년들이 취업난 에 시달리는 현실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의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진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2)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

본 장은 '아이들이 꿈꾸면 무엇이 좋을까?'를 주제로 꿈이 우리 미래세대에 미치는 발달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발달적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진로 발달산물로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을, 긍정적 발달산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 력성, 자기표현, 자기관리, 성취동기, 성공경험,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행복지 수, 희망지수’를 살펴보았다. 부정적 발달산물로는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 각, 온라인 상의 폭력, 공동체성(나눔)’를, 사회 및 관계영역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 태도,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적지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을수록, 꿈을 스스로 결정한 경우, 꿈이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믿을 때, 본인만의 분명한 꿈이 있어서 변하지 않았을 때, 주변의 사람들과 자신의 꿈 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고 소통할 때, 현재 꿈을 실현하면서 살고 있을 때 긍정적 발달산물인 ‘행복지수, 희망지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발 달 산물에서 ‘자기표현, 학교생활적응(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부모와의 관 계, 성공경험,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서는 긍정적인 발달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으 며, 상대적으로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사회 불평등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즉, 본 연구결과, 스스로 결정한 구체적이면서 변하지 않은 꿈이 있고, 현재 자신의 생각대 로 꿈을 실현하며 살고 있으며, 미래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소통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개인·환경적 긍정적인 발달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사회가 미래세대의 꿈과 진로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물 음에 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61
261

3)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본 장은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의 아이들의 꿈이 서로 다른지, 특히 빈곤가정 아동에게 꿈의 존재가 그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017년과 2020년 조사의 결과

와 함께 살펴보았다.

빈곤가정의 미래세대는 비빈곤가정의 미래세대보다 상대적으로 ‘꿈이 없거나, 막연한 꿈을 갖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비율이 높았고, 현재 꿈을 실현

하면서 살고 있다는 응답이 낮고, 미래의 실현가능성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꿈이 자

주 변했다고 응답하는 비율도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높았으며, 자신의 꿈에 대해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꿈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흥미, 없다’ 2가지는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많이 선택하였

는데, 빈곤가정은 ‘돈/경제력’을 비빈곤 가정은 ‘대중매체’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이는 빈곤가

정의 경우 가정의 생계를 위해 꿈에 ‘돈/경제력’이 더 많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꿈 을 선택하는데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인물은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없다, 부모, 연예 인’이 1순위에서 3순위까지 선택되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는 비빈곤가정 미래세대보다 낮은 진로성숙도를 갖고 부족한 진로준비행동

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경 험하고 있는 개인적, 사회적 상황은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비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 관리,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공동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과 같은 발달 산물, 사회적 인식 등에서도 역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문제

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사회 불평등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부모양육 태도의 경우 전문형과 허용형은 비빈곤가정, 무시형은 빈곤가정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빈곤가정 미래세대가 경험하고 있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발달과정에도 불구하고 꿈의 존재 가 이들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 빈곤가정 내에서도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경우 ‘막연한 꿈이 있거나, 꿈이 없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

적 건강상태,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 계,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적, 공동체,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발달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 라인 상의 폭력(피해/가해), 사회 불평등 인식’ 등 부정적인 발달 산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3개년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목할만한 결과로는 진로성숙도의 경우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 계획성은 비빈곤가정의 구 체적인 꿈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높았으나, ‘일에 대한 태도’ 부분에서 ‘구체적인 꿈이 있다’ 라고 응답한 부분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 났다. 해당 하위척도는 ‘나는 미래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고, 관심도 없다’의 역문

262
262

항을 통해 측정되었는데 해당 문항을 통해 유추해보면, 빈곤가정 아이들의 경우 생계를 위해

미래에 대해 더 빠르게 고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즉, 아동

의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역량이기보다는 가족이나 외부에서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진로준비행동에서도 하위영역 중 진로탐색, 정보수집, 취업준비 세 가지 영역은 비빈곤가정 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활동이 높았으나, 직업체험에 있어서는 빈곤가정의 구체적인 꿈이 있는 이들의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가정의 아이들이 특성화고등학교

진학률이 높은데, 해당 하위척도가 ‘실제로 그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경험담, 조언, 충고를 들

었다’ 문항을 통해 측정되었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빈곤가정 아이들이 꿈에 미치는 영향이 ‘돈/경제력’이 높고, 진로성숙도에서도 ‘일에 대한

태도’가 높은 점수를 보이고, 진로준비행동에서도 ‘직업체험’ 활동이 높게 나타난 데에는 아동

의 내적 동기에 따른 자발적인 역량이기보다는 가족이나 외부에서 아동에 대해 충분한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나타났을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빈곤가정 아이들이 본인이 원하는 꿈을 꿀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 본 장은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지만 꿈을 가진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미래세대와 한 가지 이상 부정적 생애경험을 가진 미래세대의 꿈이 서로 다

른지, 특히 아동기에 부정적 경험을 가진 이들에게 꿈의 존재가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성별, 교급,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라 부정적인 생애경험 정

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성별에 따라 23가지 부정적 생애경험을 경험한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2점이 39.9%로 가장 많았고, 0점(없음)은 14.1%, 1점은 18.1%, 3점은 8.4%, 4점은 4.8%로 점차 낮아지다가 16점 1.8%로 소폭 상승하 며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순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남성과 여성 모두 ① 정

서적 방임 82.8%, ② 정서적 학대 13.2, ③ 또래폭력 12% ④ 신체적 학대와 ⑤ 긴급위기가 각각 11.8%로 5가지를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급에 따라 부정적인 생애경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교급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2점에 해당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3점, 4점 등 점수가 높아질수록 응답율도 점차 낮아졌다. 또한

앞서 살펴본 성별과 같이 순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① 정서적 학대, ② 신체적 학대, ③ 또래폭력 ④ 긴급위기 ⑤ 가정폭력 목격’ 이렇게 5가지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가장 많이 경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빈곤여부에 따른 부정적 생애경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 한 결과 비빈곤가정 아동에 비해 빈곤가정 아동의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와 응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꿈 유무를 살펴 본 결과,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가진 이들은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갖지 않은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꿈이 없거 나, 막연한 꿈을 갖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꿈을 스스로 결정하지 않은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 며, 한 번이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높아질수록 꿈이 변하며, 자신의 꿈에 대해 주변의 다른

263
263

사람들과 소통하는 비율 또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재 꿈에 따라 살고 있

다는 응답 비율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꿈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영향을 미친 인물은 아

동기 부정적 생애경험(ACE)이 있는 아동·청소년과 없는 아동·청소년이 동일하게 응답하였다.

먼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미래세대는 ‘흥미’ 에 영향을 우선적으로 받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점수가 높은 미래

세대는 ‘돈/경제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향인물에서는 1순위로

대체로 ‘부모’와 ‘없다’의 응답이 많았으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꿈

에 영향인물이 없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동기에 한 가지 이상이라도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보다 낮은 진로

성숙도를 가지고 있었고, 진로준비행동 경향도 낮았으며, 진로장벽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은 이들의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부정적인 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성취동 기,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부모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과 같은 긍정 및 관계 관련 발달 산물에서도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부정적 발달

산물인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사회 불평등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부정적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여러 가지 부정적인 발달 산물에도 불구하

고, 꿈의 존재는 이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정적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 내에서도 ‘구체적이고 분명한 꿈’이 있는 이들

은 ‘막연한 꿈이 있거나, 꿈이 없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리,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

도,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 사회적지지, 사회경제

적 지위 이동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의 발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상의 폭력, 사회 불평등 인식’ 등 부

정적인 발달 산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생애경험이 있으나 구체적인 꿈이 있는 미래세대의 경우, 전체적으로 아동기에 부

정적인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이들이 한 가지 이상 부정적인 경험을 한 이들에 비해 꿈이 있

는 경우를 제하고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이들은 진로장벽을 대체로 높게 느끼고 있었는데, 앞서 빈곤에 따른 분 석결과와 동일하게 부정적인 경험이 있는 이들이 부정적인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사회적인

진로장벽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빈곤과 ACE를 함께 겪은 아이들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본 장은 '빈곤과 ACE를 겪은 아이들은 무엇이 다를까?'를 주제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른 중첩된 영향이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종합적으로 살펴 보고자 하였다. 앞서 살펴 보았듯이 부정적인 생애경험은 미래세대의 여러 발달 산물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 인하였다.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으로 나누어 각각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어떠한 차이 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측정된 주요 발달지표는 진로 발달산물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264
264

가능성’을, 긍정적 발달산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자기표현, 자기관 리, 성취동기, 성공경험, 학교생활적응,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행복지수, 희망지수’를 살펴보

았다. 부정적 발달산물로는 ‘문제행동(우울불안, 공격성, 위축),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 공동체성(나눔)’를, 사회 및 관계영역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도, 공동체성(나눔), 사

회적 능력,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적지지’를 활용하여 차이를 살펴 보았다.

위 발달지표들은 모두 빈곤과 관계없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미래세대의 경우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겪지 않은 혹은 비빈곤하더라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있는 미래세대에 비해 행복지수, 희망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성취동기, 자기표현, 성공경험, 자기관 리, 부모와의 관계, 부모양육태도, 학교생활적응(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주 관적 학업성적 수준, 공동체성(나눔), 사회적 능력(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사회적지지, 사회 불평등 인식, 사회경제적 지위 이동 가능성 등이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상태의 경우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 모두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 중 1 점에 해당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이 가장 좋지 않으며 2점부터는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나

타내었는데, 이는 가중되는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의 민감 정도가 무뎌지는 것이 반영된 결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자기표현의 경우에도 아동 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없는 빈곤가정 미래세대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하지 않은 비빈곤 미래세대의 자기표현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 어떠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는지 질적으

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 역시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의 아동기 부정

적 생애경험에서 4점 이상부터 급격히 주관적 학업성적 수준이 높아지는 동일한 양상이 확인 되어 주관적인 학업성적의 기준이 하향으로 인한 결과 인지, 실제 학업성적이 향상된 것인지

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문제행동, 자살생각, 온라인 상의 폭력(피해, 가해)’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라인 상의 폭력의

경우 빈곤여부에 관계없이 부정적 생애경험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빈곤 가정의 경우 비빈곤

가정에 비해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이 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진로와 관

련된 발달지표에서는 빈곤과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모두 겪은 이들은 비빈곤하며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지 않은 이들에 비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낮았으며, 진로장벽 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에서는 독립성 유형을 제외하고는 대부 분의 영역에서 진로성숙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본 장은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주제로 코로나19를 겪은 아이들이 인식한 코로나19 관련 현황, 코로나19에 따른 꿈, 그리고 주요 발달지표에 코로나19 가 미친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코로나19 관련 현황을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의 경우 가족과의 대화시간, 친구들과 형제자매와의 놀이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교급이

265
265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반대로 사교육 수강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교급이 낮을수 록 감소하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시간, 자습시간은 교급이 높을수록 변화를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급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시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 기기를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꿈을 살펴본 결과 꿈이 확실한 아이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꿈을 이루기 위한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 많은데, 꿈이 없는 아

이들은 이러한 활동을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꿈 갖

기의 어려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꿈 실현가능성, 꿈에 대한 소통 정도, 꿈 실현정도,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 유무,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이며,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의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에 따른 꿈 차이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코로나19에 따른 미래세대의 주요 발달지표를 살펴본 결과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꿈 갖기 의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이 긍정적인 발달을 나타내었으며,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시간 변화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대체로 가족과의 대화시간, 사교육 수강시간, 자습시간의 경우 시간이 증가한 경우,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 친 구들과 형제자매 놀이시간의 경우 시간이 감소한 경우에 긍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질적조사 결과요약

질적연구는 아동·청소년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와 관련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꿈에 도움이 되는 요인과 장애물은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꿈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특히, 빈곤 아동과 비빈곤 아동의 비교를 통해 상황에 따 른 적절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월드비전의 지원을 받은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 비빈곤 고

등학생과 청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들은 지금과 같은 어려운 현실에서 벗어나서 평범하고 안정적인 삶을 살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누군가의 평범한 삶이 이들에게는 넘기 힘든 장벽 너머에 있었 고, 당장 눈앞에 닥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해야 했기에 자신이 정말 원하는 꿈은 무엇인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다. 반면, 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들은 일과 삶 의 균형을 이루면서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살기를 바라고 있었는데, 이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 중요시하고, 재미를 추구하면서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MZ세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 이다. 빈곤-비빈곤 고등학생과 청년들 모두 평범한 삶의 모습을 미디어나 매체를 통해 투영된

허구적인 이미지로 그리고 있어, 삶의 지향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꿈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해 인터뷰한 결과, 빈곤 고등학생과 청년은 공통적으로 ‘보답하 고 싶은 마음’을 이야기하였으며, ‘주변인’은 청소년들의 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 다. 빈곤 청소년과 비빈곤 청소년 모두 꿈을 결정하는데 자신의 적성에 대한 고려와 미디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때로는 현실의 벽에 부딪혀 꿈을 포기하는 등 현실과 타협하 기도 하였다.

266
266

셋째, 청소년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준 요인과 관련하여서는 진로 프로그램 체 험과 주위의 격려와 지지, 미디어 정보 탐색 등이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대학 관련학과 체험, 선배와의 만남, 진로특강 등 다양한 진로 프로그램은 이들이 꿈을 꾸고, 꿈을 준비하는 데 도

움을 준다. 그러나 코로나19 시기에는 진로 관련 프로그램이 많이 축소되어 아쉬움이 있었다. 넷째, 청소년들이 꿈을 향해 나아가는 데 있어서 장애 요인은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한 마 음, 꿈 관련 정보와 지지체계의 부족 등이었다. 청소년들은 꿈을 위한 계획을 실제 실행할 수

있을지, 계획대로 하면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해 불안함을 가지고 있었다. 취약계

층 청소년들은 주위에 진로를 함께 이야기할 가족이나 어른이 없었기 때문에 혼자 고민하며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들은 모두 꿈을 이루기 위한 ‘스펙 쌓기’에 열중하고 있었다. 빈곤 고등학생 은 꿈을 향한 노력과 도전 중에 때로는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좌절하기도 하였으나, 포 기하지 않고 다시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배움을 얻고 성취감을 경험하기도 하는 등 레

질리언스가 강화되기도 하였다.

여섯째, 청소년들의 꿈도 코로나19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 코로나19로 많은 활동이 축소되 어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기 어려웠으며, 직업인과 만날 수 있는 기회도 적어서 직업 관련 정

보를 찾기도 어려웠다. 비대면 수업을 하면서 누군가와 만나서 이야기하는 것이 불편해졌고, 의욕이 감소되기도 하였으며, 선배와 친구와의 교류가 줄어들면서 대인관계가 축소되었다. 그

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청소년들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집에 머무 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비대면으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찾아 나갔고, 정보를 찾으려는 노력

을 하였으며, 자기개발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갖기도 하였다.

제언

1) 꿈을 꿀 수 있도록 심리·정서 지원

꿈은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2017, 2019, 2022년도 꿈 실태조사 결과, 구체적인 꿈이 있는 아동들이 긍정적인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아동들이 빈곤이나 지역, 부처 간 차별 없이 꿈과 진로에 대한 지원을 통해 건강 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심리적인 불안함과 대인관계의 어

려움은 아동들이 꿈을 꾸는 데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어려운 현실 속에서 꿈을 이루어 갈 수 있을지,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을지 불안하고, 소심한 성격으로 인해 대인관계의 어

려움에 위축되기도 한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감 부족은 진로 준비를 주저하게 만들며, 주위 사람들과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자신의 초라한 모습에 좌절하기도 한다. 또한, 아동들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대인관계가 더 축소되었으며, 누군가와 말하는 것이 불편해졌고, 더 긴장되고 소심해졌다.

이러한 심리·정서적 어려움은 아동들의 꿈 준비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세심한 진 단과 지원이 필요하다. 심리·정서적 어려움으로 미래를 준비하기 힘든 아동들을 발굴하고, 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심리상담 지원을 통해 미래에 대한 불안과 우울

267
3
267

을 감소시키고, 트라우마로부터 회복을 도우며, 내적 동기를 향상시킴으로써 꿈을 이룰 수 있

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코로나19로 더 위축된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아동들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특히, 빈곤하거나 ACE를 경험한 아동들은 꿈

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이 높았으며,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더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동보호 측면에서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예방과 함께 이를 경

험한 아동들의 심리정서 지원과 ACE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도적으로는 첫째, 「교육기본법」 제27조 ‘보건 및 복지의 증진’ 내에 학생의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진로교육법」 제20조 ‘협력체계 구축’에 진

로교육 단체 외에 심리정서 기관들도 포함하여 대상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정부는

2020년 ‘제2차 아동정책 기본계획’에서 모든 아동이 행복한 사회를 위한 「아동기본법」을 제정 할 계획을 밝혔으며, 현재 법의 방향성과 내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아동기본법」

정부안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기반으로 아동을 보호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로 상정하고, 분

절적인 형행 아동법제를 체계화하며, 아동권리 실현을 위한 가정, 지방자치단체, 국가, 사회의

역할과 책임 등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2019년 유엔아동권리위원회

로부터 청소년 정신건강 지원 강화 등에 대해 권고를 받은 바 있다. 그러므로 제정되는 「아동 기본법」에는 아동보호 측면에서 부정적 생애경험에 대한 예방과 이를 고려한 서비스 체계를

반영하고, 청소년의 정신건강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2) 꿈을 발견할 수 있도록 정보와 지지체계 제공

아동이 자신의 꿈을 발견하고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적성에 대한 이해와 진로 및 직

업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아동들은 유투브 등의 미디어를 통해 직업 관련 정보를 탐색하 고, 부모나 선생님, 친구 등 주변인들로부터 진로와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주변에 관련

직업인이 있으면 그 직업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정보를 얻기도 한다. 취약계층 청소년의

경우에는 사회적 자본의 부족으로 진로 관련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경험한다. 주로 인터넷

정보에 의존하지만 검색을 통해 찾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주위에 진로에 대해 이야기할 가족

이나 어른이 없어서 혼자 고민하기도 한다. 아동들은 활동 참여 중심의 진로 프로그램, 직장 탐방 프로그램, 직업인과의 만남 등이 꿈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고, 진로를 찾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아동·청소년들이 진로체험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 고, 꿈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적절한 지지체계를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정서

적 지지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학교-공공-민간기관 간 연대협력을 바탕으로 촘촘한 지지체계망이 구 축되어야 한다. 가정에서는 부모나 양육자가 아동의 꿈을 격려하고 지지해주어야 하며, 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심리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 이러한 지원을 받기 어려운 취약계층 아동들은 학교와 지역사회 차원 에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학교에서는 담임교사 외에도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꿈을 물어 봐주고 지원하는 지지체계들이 확대되어야 하며, 진로 관련 부모교육과 교사교육을 통해 주위의 어른이 아동에게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부모 및 교사교육은 단

268
268

순히 성적 향상이나 대학 진학에 대한 지도가 아닌 아동의 꿈 지원과 진로발달에 대한 내용이 어야 한다. 외부의 자원이 부족한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진행되는 진로체험 프

로그램이나 직업인 특강 등을 통해 진로 준비에 많은 도움을 받는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보

다 다양한 진로 체험 활동을 통해 진로와 직업에 대해 이해하고, 꿈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지

원해야한다. 학교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과 청소년 기관 등에서 진행하는 진로 프로그램도

아동·청소년이 꿈을 찾아 나가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기관들도 아동에

대한 개입 시 꿈과 미래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입이 필요하고, 보다 전문적인 진로 상

담과 진로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격려와 지지는 아동·

청소년들이 꿈을 찾아 나가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보호자 지지체계가 약한 취

약계층 아동·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지지체계를 확대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진로와 정서, 학습

멘토링을 제공하여 대학생과 직장인 등이 아동의 롤모델이 되어 꿈을 찾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러한 정보나 심리정서적 지지는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에 맞춰 온오프라인의

장단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제공될 필요가 있다. 아동·청소년이나 청년들에게 정서적 교감

이 중요한 심리정서적 지지는 대면으로 제공하되, 양질의 정보나 교육 컨텐츠들은 보다 많은 이들이 쉽게 접근 이용할 수 있도록 비대면으로 제공하는 등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보다 효율

적이고 효과적인 전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

청소년이나 청년들은 평범한 삶이나 직업 정보를 미디어나 매체를 통해 확인하고 있고, 코로 나19 이후 비대면의 확산에 따라 그 의존성은 더욱 높아졌다. 이에 따라 아동·청소년과 보호 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곧 이들이 미디어나 디지털 매체를 통해 유입되는 정보들을 보다 비 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도 수반될 필요가 있다. 제도적으로는 첫째, 「교육기본법」에 ‘진로교육’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제21조에 직업교

육은 제시되어 있으나 진로교육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직업에 대한 소양과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직업교육도 중요하지만, 자신을 이해하고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진로교 육을 통해 아동·청소년들이 꿈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논의되고

있는 「아동기본법」에 신체/인지/정서/사회적 발달과 더불어 진로 발달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

다. 「아동기본법」 정부안에 아동의 자립 지원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으나 이와 함께 자립

을 위한 준비 단계로 진로 발달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논의되고 있 는 「청소년정책기본계획」에도 코로나 이후의 상황에 맞춰 대면-비대면 서비스의 효과적인 지 원 및 활용방안에 대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3)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청년기 진로와 자립 지원

아동·청소년이 꿈을 찾고,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진로준 비와 자립준비가 필요하다. 청년기는 아동·청소년기의 꿈을 실현해 가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 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과 진로 준비의 부족으로 자립에 어려움을

269
청년이
269
겪는
증가하고 있 다. 본 연구의 양적연구 결과에서도 청년기의 경우 ‘꿈을 못 이룰 것 같아 포기해서’ 꿈이 없 는 비율이 높았으며, 질적연구에서도 취약계층 청년들은 어려운 현실적 여건으로 인해 꿈을

생각할 틈이 없고, 하루하루 숨가쁘게 살다 보니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생각나지 않고, 무엇

을 하고 싶은지도 모르는 채 살아가고 있었다.

청년기는 교육에서 일의 세계로 본격적인 이행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원활한 진로 이행이 이

루어지지 않을 경우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실제 우리나라 청년들의 경우 학교

졸업 후 취업, 자립 등 성인기 이행에 있어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김기헌 외, 2021), 니

트(NEET : Not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청년은 적지 않은 수준이다. 김기

헌 외(2018)의 연구에 의하면, 한 번 니트 상태에 빠진 청년들의 경우 니트 상태에서 벗어나 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약계층 청년들은 취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거, 부채, 생

활안정 등 삶 전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김기헌 외, 2021), 취약계층 청년들에 대한

지원사업 및 예산은 부족하며(김기헌 외, 2018), 청년을 위한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도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의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진로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

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꿈을 준비하기 어려운 청년에게는 학원비와 자격증 취득비 등 개별 맞 춤형 지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자립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제교육 등 자립준비 프로그램 도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기에 들어서면 지역사회의 보호와 지원, 관리가 중단되거나

감소되는 사례를 볼 수 있는데, 이 시기는 진로와 자립을 위한 매우 중요한 시기로 지역사회 차원의 진로상담과 지원이 지속되어야 한다. 특히 빈곤 아동·청소년이나 청년들이 진로탐색

및 체험 이후 실제 취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참여나 유인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제도적으로는 첫째, 청년의 진로지원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 현재 「진로교육법」은 학

생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 및 지자체 책무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 진로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기에 진입하는 청년기의 진로 지원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법 개정을 통해 진로교육 지원 대상을 청년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김기헌 외, 2021). 둘째, 대학생의 진로상담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부에서 대학생 진로탐색 지원을 하고는 있으나 전문적이고 실효성 있는 진로상담을 하기에는 예산 규모가 매우 적은 형편이다 (2021년 기준 8억원). 그러므로 예산의 확대와 상담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보다 실효성 있는 진로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 지원을 위한 별도의 전달 체계가 필요하다(김기헌 외, 2018). 우리나라는 청년 정책을 추진하는 총괄조정기구가 없어서 각 부처별로 청년 지원 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도 청년정책을 전담하는 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통합적인 청년 진로 지원을 위해서는 전달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아동청소년-청년-장년-노년에 이르기까지 발달단계에 따라 진로의 연속성을 잃지 않고 지속해갈 수 있도록 진로 지원을 아우를 수 있는 컨트롤타워도 필요하다 하겠다.

4) 꿈과 진로에 대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 수행

앞서 살펴보았듯 꿈과 진로는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 요인이다. 이러한 아동·청소년의 꿈과 진로를 지원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진로교육 정책을 추진하여 2010년 교육 부에 진로교육정책과를 신설하고, 진로교육 5개년 기본 계획(2009~2013년)을 추진하며, 중·고 등학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양성 배치하였다(이승진, 2020). 2015년에는 진로교육법을 제

270
270

정·시행하고, 2016년에는 전국의 중학교에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였으며,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 계획(2016~2020년) 추진, 2022 진로교육 활성화 지원을 계획하여 수행하면서 진로교육

이 활성화되고 있다(장현진, 2015; 송병국, 2016; 서우석, 2017). 이처럼 국가에서 꿈과 진로

에 대해 지원을 시작한지 약 12년 정도로, 1900년대 초 직업교육의 측면에서 학교상담이 시

작되었고 수많은 변화를 거치며 1970년대 아는 지식(Knowing)과 할 수 있는 지식(Doing) 간

의 격차를 줄이고 개인의 삶에 도움을 주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서의 진로교육으로 발전시

켜나간 미국(하요상, 2020)에 비하면 많은 발전이 필요한 단계이다.

미래세대의 꿈과 진로의 발전의 가속화 및 지속을 위해서는 정책 및 실천에 기반이 되는 근 거가 필요하다. 근거는 다양한 연구와 경험을 통해 생성되는데, 꿈과 진로에 대한 선행연구들 은 많이 축적되지 않은 상황이다. 근거 축적을 위해 횡단연구와 질적연구도 필요하지만 횡단

연구는 정확한 인과관계 추정이, 질적연구는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 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인과관계 추정이 가능한 종단연구 수행을 위해 경향조사와 패널조사

의 필요성이 제시된다. 꿈과 진로에 대해 현재 장기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조사는 월드비전에 서 2017년부터 현재까지 3차에 걸친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와 2007년부터 교육부에서

매년 조사하고 있는 “초등·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가 있다.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는 2017년 1차 조사에서 약 3,70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꿈’을 주제로 한 실태를 확인하였으며, 빈곤가정과 비빈곤가정의 아동·청소년의 꿈의 격차를 비교하였다(정익중 외, 2017). 2019년 2차 조사에서는 가정 밖, 학교밖 아동·청소년을 포함한

약 3,30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꿈 실태, 빈곤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꿈의 관련 성을 조사하였다(정익중 외, 2020). 2022년 3차 본 조사에서는 약 2,00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꿈 실태와 빈곤 및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꿈의 관련성, 코로나19와 꿈과의 관련

성 등에 대해 조사되었다. 총 3차에 걸쳐 파악된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는 조사 시점별로 각 시대를 살아가는 아동·청소년의 꿈 실태에 대한 현상을 반영하였고,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 장·발달을 위한 보호 요인으로서 ‘꿈’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에 걸친 조사를 종합하면, 꿈은 아동·청소년의 전인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꿈을 갖는 것은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갖는 주체적인 삶의 기초가 됨을 언급한 선행연구에 관한 결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과 같다(김경희·박근혜, 2013; 이영광·김민수, 2014; 정익중·김서현·임혜림, 2015).

앞으로는 경향조사에서 나아가 패널을 구축하여 종단적인 인과관계를 함께 살펴본다면 아동·

청소년 꿈과 진로의 정책 및 실천에 기반이 되는 더욱 강력한 근거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부에서 2007년부터 매년 조사하고 있는 “초등·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또한 아동·청소

년의 진로에 대해 현황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월드비전의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와 유사하 다. 교육부의 조사에서는 미래세대의 진로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이 되는 초등·

중등·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학부모, 진로전담교사, 담임교사, 학교관리자 등 교원을 대상으로 진로에 관련된 인식과 만족도 등을 조사한다(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1).

두 조사는 아동·청소년의 꿈과 진로에 대해 현황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띄고 있지 만, 각 조사별로 차별성이 존재한다. 먼저 조사대상 측면에서 국가 법령에 따른 교육부의 “초

등·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는 2021년 기준 초등·중등·고등학생 총 22,702명, 학부모 11,946

명, 교원 2,800명을 대상으로 표본 수가 많으며, 아동·청소년을 포함한 다양한 대상들의 진로

인식을 다루는 장점이 있다. 월드비전의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는 초등·중등·고등학생

271
271

및 청년 약 2,000명을 대상으로 표본 수는 많지 않으나 아동·청소년 및 청년을 포함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만24세 이하 청년층에 대한 조사는 학령기 시기의 꿈과 진로준비가 진로 및 취업이행 단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현실적인 ‘꿈과 진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

는 특징이 있다.

조사영역 측면에서는 교육부의 “초등·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에서는 학교 진로교육환경, 진로 프로그램에 대해 각 조사자들의 인식과 만족도, 요구사항 등 265개 항목을 통해 진로를

발견하고 결정된 진로에 대한 진로준비 및 현황을 파악한다. 한편, 월드비전의 “한국 미래세 대 꿈 실태조사”에서는 꿈에 대한 일반적 실태와 함께 진로 발달산물, 긍정적·부정적 발달산 물, 사회 및 관계 등과 관련된 영역을 조사한다. 교육부 조사에서는 진로 현황만을 파악할 뿐 아동·청소년의 꿈과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산물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황에 따른 발달산물의 차이와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월드비전 조사에서는 꿈과 진로 에 관련이 있는 발달산물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꿈의 유무 및 빈곤에 따른 아동

발달 차이와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이처럼 두 조사가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서로 상호보완되

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심층적인 내용이 많은 월드비전의 조사는 패널을 구축하여 상호영 향관계 및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표본 수가 많은 교육부의 조사는 현황을 파악하는 데 활용한

다면 상호보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각의 조사에서 파악할 수 있는 현황을 비교 하며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래세대의 꿈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사 회의 정책 및 제도, 지원체계 수립을 위한 실천에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272
272

참고문헌

강선경·최윤(2021).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가족의 일상생활에 대한 포토보이스 연구, 한국가족 복지학, 68(1), 313-345.

강원덕·안귀여루(2010). 성취동기,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5(1), 160-175.

강현아·노충래· 전종설·정익중. (2012).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 및 불안 에 미치는 영향과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3), 193-222.

강희순(2010).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3), 83-104.

고유나(2016).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 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8(1), 105-132. 곽수란(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 1-26. 교육부(2021).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보도자료.

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2021).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21).

구인회·양난주·이원진(2009). 참여정부 복지분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1(2), 61-84.

기은광(2021). 코로나19 전후 중고등학교 청소년 삶의 만족도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 글 로벌사회복지연구, 11(1), 73-91.

김경민·정익중. (2009). 위탁아동의 친가족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 복지학, 25, 93-119.

김경희·박근혜(2013). 빈곤청소년의 꿈과 미래 설계경험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4(1), 113-134.

김경희·박근혜·김성원(2016). 빈곤가정 아동의 꿈과 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0(3), 183-210.

김광혁(2014). 가족의 경제적 박탈이 초기 아동기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42), 7-43.

김광혁(2019). 가구소득이 학업성취, 우울불안,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아동청소년 대상 패널 비교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5, 1-27.

김기헌·배상률·성재민, 2018.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Ⅰ: 청년 니트 (NEET).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8-R17.

김기헌·배정희·김창환·성재민, 2021. 청년 사회 첫 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Ⅰ:일자리.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21-R19.

김기환·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김명희·신현숙(2007). 초등학생의 진로태도, 진로이해,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활동중심 및 수업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1), 23-40.

김미·정유·현진(2019).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8(3), 23-39.

김미리·김유미(2016). NLP 프로그램이 외상 경험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5(4), 363-384.

273
273

김봉선(2022). 청소년이 인식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및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42(1), 31-56.

김봉화(2022).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생활 변화와 주관적 행복감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8(4), 75-82.

김선미·박이슬·김영희(2022).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부모역할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

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GRI 연구논총 24(1), 97-122.

김성식(2022). 코로나19 이후 사교육과 방과후학교 참여 양상의 변화분석 : 방과후 학교의사

교육 경감 효과를 중심으로, 방과후학교연구, 9(1), 75-102.

김성은·박찬호(2021). 2021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 코로나19와 청소 년 생활·심리변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세원·김지혜·김경희(2019).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학대피해아동 분리보호 결정과정 경 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3(3), 33-68.

김영미(2008). 성공경험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미·윤재성·김봉환(2020). 코로나 19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자기명료화를 위한 온라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접근, 진로교육연구, 33(3), 133-157.

김옥자(2022).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수준이 주관적 건강인지·체형인지와 정신건강 상태수면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전 후비교 중심으로, 대한스포츠융합회지, 20(1), 29-40.

김윤나·이희연 (2020).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삶의 변화와 소년보호정책적 함의. 소년보호연

구, 33(2), 1-27.

김정옥·윤재호(2017).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24(11), 229-252.

김종운(2006). 도시와 농촌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직업관 비교연구. 진로교육연

구, 19(1), 25-38.

김준범·손수민, (2020). 아동기 역경경험과 생애 자살시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41(2), 27-39.

김진미(2019). 초등학생의 행복감 영향요인. 교육연구논총, 40(3). 161-180.

김현옥·박해선(2018). 빈곤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자-가족요인에 관한 지역사 회 지지요인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27(3), 31-54.

김현주(2011). 빈곤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영향요인 비교분석연구. 학교사회복 지, 20, 1-22.

김현령·정애경(2021). 코로나 19에 대응하는 학교 상황에서 초등 6학년 여학생의 또래 관계 경험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또래관계의 질적 측면 중 또래애착을 중심으로, 2021 학년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371-387.

김혜래·이혜원(2006).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 아동복지학회지, 23, 33-63.

김홍중(2015). 꿈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부르디외와 벤야민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08, 32-72.

노경란(2011). 빈곤가정 아동의 가정적, 개인적 특성과 주관적 인식 특성이 진로장벽 인식에

274
274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32(2), 81-105.

류정희·이주연·정익중·송아영·이미진(2017).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 세종: 한

국보건사회연구원.

류정희·전진아·이상정·이주연·정익중·유민상(2018). 생애주기별 학대 경험 연구. 세종: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2020).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민윤영(2018). 공공보건 문제로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s)의 현황과 트라우마-기반 접근의

법적 도입에 대한 검토. 경희법학, 53(4), 269-312.

민하영·권기남(2004).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적응: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81-92.

박금옥(1998).청소년들의 자기조정학습방략 정도와 학업성취 및 사회적능력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명순(2022). 대학생의 코로나 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229-241

박병현(2021). 코로나19로 인한 가족의 위기와 가족복지정책의 방향 : 위기와 기회,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 7(3), 51-73.

박수용(2021).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방안, 한국산업비즈니스학회, 5(2), 39-54. 박신애·최옥채(2018).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의 외상후성장 경험. 사회과학연구, 34(2), 127-153.

박영순(2022). 대학생의 코로나 19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불안통제감의 조절효과,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229-241.

박은혜·이민규(2016).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623-640.

박재은·이정애·이지연·정익중(2011). 청소년기 애착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 빈곤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3), 93-116.

박지영·김연수(2013). 아동의 사례관리 참여를 통한 변화경험. 한국아동복지학회지, (44), 155-187.

박혜랑(2022). 소득계층별 사교육 유형별 사교육 참여율에 대한 코로나의 영향, 교육학연구 , 60(4), 123-145.

박희정(2022). 진로환경이 그릿과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상황을 중심으로, 인문사 회 21, 13(3), 789-802.

배상정·양난미(2014)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597-618.

서영석·조화진·안하얀·이정선(2012).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3), 787-816.

서옥형·황매향(2016).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의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7(4), 63-82.

서우석(2017). 4차 산업혁명과 진로교육: 실과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 회 논문집.

서희정(2022).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삶의 변화와 청소년활동 참여가 진로준비도에 미친 영 향, 사회융합연구, 6(5), 27-42.

275
275

손예진·김기현·김재원(2018). 아동기 역경 경험이 성인 성폭력 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지, (64), 145-172.

손진희·이유경(2020). 코로나19와 청소년의 인권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가족관계·학업스 트레스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15(2), 159-177.

송병국(2016).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개원 19주년기념

세미나 자료집.

신정아·김장희(2021). 코로나19를 경험한 대학생의 진로구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

연구, 28(3), 139-158.

신현숙·이경성·이해경·신경수. (2004). 비행 청소년의 생활적응 문제에서 우울/불안 및 공격성 의 합병 효과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91-510.

안권순·강덕환·명향란(2019).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6), 275-296.

엄태완(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 대처과정의 긍정적 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신 보건사회사업, 30, 215-247.

원미순·유영림·방진희(2015). 학교 밖 탈북청소년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 삶에 대한 이해 (생애사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1), 257-294.

원지영(2019). 가구 소득과 진로지도 및 상담 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9(2), 638-649.

우성현·안도희(2022).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67-83.

오경자·민성길·박중규·고려원(1998). 아동의 비순응 및 공격행동 개선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개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7(2), 1-15. 유수복(2013). 진로성숙도 유형에 따른 빈곤아동의 동질집단 특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1, 67-100.

유성경·홍세희·최보윤(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유주현·박연규(2022). 청소년 대상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자살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

년학연구, 29(4), 31-49.

유재학·서민재·박지선(2013). 아동기 외상 경험과 문제행동에 대한 청소년 자신과 부모 평가

간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4(1), 36-43.

유희정(2017). 아동기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초 등상담연구, 16(2), 121-143.

윤나리·하은혜(2019).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부정적 경험이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미

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8(2), 1-14.

윤서영(2019). 음악감상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희망지수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명숙·김남희·최혜정(2013). 부모와 사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도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 는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9, 83-111.

윤애란(2018).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3, 23-45.

윤초희·안태희(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선택 동기, 진로신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276
276

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8), 131-157.

윤효정(2014). 청소년의 부적응적 사고와 내면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상(2011). 청소년 학교부적응의 종단적 변화의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18(12), 131-155.

이기범(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 청소년의 행복. 한국청소년연구, 20(1), 365-392.

이로미·박가열·정연순(2010). 청년 니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구직 희망자를 중심으 로. 진로교육연구, 23(1), 153-175.

이명진·봉미미·권순구(2010). 저소득층과 중산층 청소년의 진로포부 예측변인 비교. 교육심리 연구, 24(2), 423-447.

이영광·김민수(2014). 청소년의 꿈, 변화 포기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인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33-1352.

이승진(2020). 고등학생의 결핍이 진로성숙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고와 특성 화고 집단의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진·황아리영·정익중(2021). 청소년의 꿈 잠재계층 유형과 영향요인. 보건사회연구, 41(2), 64-82.

이정금(2009). 농업계열 고등학생의 진로장벽, 직업가치관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2(1), 127-143.

이해경·김혜원·김은아(2013). 고등학생들의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의 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5(2), 443-466.

이화형·김태형·이지환(2021). 위드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 여가문화 연구 : 코로나19의 여가제 약이 여가태도와 여가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관학회지, 30(5), 153-167.

임채영·염동문·정현태(2016).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대한 프로파일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68(2), 213-232.

장현진(2015). 진로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HRD Review, 18(4), 28-47.

장현진(2019).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 및 진로활동 경험의 영 향. 진로교육연구, 32(3), 43-64.

장혜림(2021). 코로나19가 아동청소년에게 박탈한 교육 기회, 그리고 우리에게 남겨진 회복의 책임 : Ⅱ부. 저소득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년도 공동학술대 회, 250-263.

정미나·노자은(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정상모(2001). 부모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선옥(2009). 빈곤아동의 빈곤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181-201.

정수정·김소은·정익중(2018).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초등학교 시기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9(6), 15-25.

정익중(2011). 초중고 사교육비의 사회계층적 예측요인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 학, 35. 73-98.

정익중·김서현·임혜림(2020). 문화예술 진로교육으로 꿈을 찾은 아이들. 한국아동복지학, 52, 241-278.

정익중·박재연·박희숙·오은찬·홍성욱·변지영·박새롬·김재환·조윤호(2017). 2017 한국 미래세대

277
277

꿈 실태조사. 서울: 한국월드비전, 동그라미재단.

정익중·김지혜·이화조·이승진·김재환·조윤호·변지영·황우람·박새롬(2020). 2020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조사. 서울: 한국월드비전.

조윤호·정익중(2020). 빈곤 아동청소년에 대한 꿈지원사업의 6 년 성과 평가-사업참여도에 따 른 효과 차이. 한국가족복지학, 67(2), 133-159.

정익중·이승진·안선경(2022). 다차원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5, 147-174.

정익중·임진영·황매향(2011). 초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도구 개발. 초등교육연구, 24(3), 169-194.

정익중·조윤호·오은찬(2018). 빈곤·비빈곤 아동청소년집단별 행복감에 이르는 꿈 관련 변인 탐 색: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학교사회복지, 42, 209-236.

정주호·한연수·김동욱·조민호(2022). 코로나 19 청년들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 : 잠재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32(4), 1-32.

조윤호·정익중(2020). 빈곤 아동청소년에 대한 꿈지원사업의 6년 성과 평가 –사업참여도에 따 른 효과 차이-. 한국가족복지학, 67(2), 133-159.

주소희·이경은·권지성(2009).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0, 97-131.

주소희(2015). 이혼가정자녀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49, 97-131.

주소희(2016).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9(2), 65-83.

주진영·이세경·원형중(2021). COVID-19(코라나) 발생 전후로 나타난 청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감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87-99.

천수업(202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지지가 외로움과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8, 119-146. 천정웅(1998). 좋은 사회를 위한 청소년참여의 필요성과 가치. 청소년행동연구, 3, 97-120.

최수미(2013). 성별에 따른 부모진로지지와 진로포부와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4(2), 213-234.

최지현·이근영(2022). 코로나 19로 인한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 유형화 연구 : 경기 지 역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59), 1-33.

최재강·임소희·송원영(2022). 청소년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 적 인지적정서조절전략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30(2), 239-264. 하요상(2020). 미국의 학교상담과 진로교육. 학습전략중재연구, 11(1), 25-41. 한대동·오경희(2013).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3(4), 207-235.

한미현·유안진(1995). 아동행동평가척도 (CBCL) 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16(2), 5-21. 허남순·오정수·홍순혜·박은미·정익중(2005). 빈곤아동과 삶의 질. 서울: 학지사. 홍경자(1988). 자기표현 및 주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학생생활연구, 6, 147-169.

홍승애(2010). 아동의 참여권 행사에 관한 연구. 인권복지연구, 8, 59-82.

황희훈,·김예진·정다송·이덕희·이동훈(2022). 코로나 대유형이 부정정서, 우울, PTSD 증상, 자

278
278

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4개월 단기종단연구, 상담학연구, 23(6), 105-134.

Arata, C. M., Langhinrichsen-Rohling, J., Bowers, D., & O’Brien, N. (2007). Differential correlates of multi-type maltreatment among urban youth. Child abuse & neglect, 31(4), 393-415.

Bardick, A. D., Bernes, K. B., Magnusson, K. C., & Witko, K. D. (2004). Junior high career planning: What students want. Canadi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38(2).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4), 169-208.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AUTHORS'RESPONSE:"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n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Corso, P. S., Edwards, V. J., Fang, X., & Mercy, J. A.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who experienced maltreatment during childhood.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6), 1094-100.

Danielsen, A. G., Samdal, O., Hetland, J., & Wold, B. (2009). School-related social support and students' perceived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2(4), 303-320.

Dube, S. R., Anda, R. F., Felitti, V. J., Chapman, D. P., Williamson, D. F., & Giles, W. H. (2001). Childhood abuse, household dysfunction, and the risk of attempted suicide throughout the life span: findings from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Jama, 286(24), 3089-3096.

Dube, S. R., Felitti, V. J., Dong, M., Chapman, D. P., Giles, W. H., & Anda, R. F. (2003). Childhood abuse, neglect, and household dysfunction and the risk of illicit drug use: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Pediatrics, 111(3), 564-572.

Felitti, V. J. (2002). The relation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health: Turning gold into lead. The Permanente Journal, 6(1), 44.

Felitti, V. J. (2009).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health. Academic pediatrics, 9(3), 131-132.

Felitti, V. J., Anda, R. F., Nordenberg, D., Williamson, D. F., Spitz, A. M., Edwards, V., & Marks, J. S. (1998). Relationship of childhood abuse and household dysfunction to many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adults: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4(4), 245-258.

Finkelhor, D., Ormrod, R. K., & Turner, H. A. (2007). Poly-victimization: A neglected component in child victimization. Child abuse & neglect, 31(1), 7-26.

Finkelhor, D., Shattuck, A., Turner, H., & Hamby, S. (2013). Improving the adverse

279
279

childhood experiences study scale. JAMA pediatrics, 167(1), 70-75.

Hargrove, B. K., Creagh, M. G., & Burgess, B. L. (2002). Family interaction patterns as predictors of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2), 185-201.

Heitkemper, M. M., Cain, K. C., Burr, R. L., Jun, S., Jarrett, M. E. (2010). Is Childhood Abuse or Neglect Associated With Symptom Reports and Physiological Measures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13(4), 399-408.

Kessler, R. C. (2000).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burden to the individual and to society”.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1(5), 4-14.

Larkin, H., Shields, J. J., & Anda, R. F. (2012). “The health and social consequenc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across the lifespan: An introduction to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40, 263-270.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 41-48.

Mersky J. P., Topitzes J, Reynold A. J. (2013). Impact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health, mental health, and substance use in early adulthood: a cohort study of an urban, minority sample in the U.S. Child Abuse Negl, 37(11), 917-25.

Nurius, P. S., Green, S., Logan-Greene, P., & Borja, S. (2015). Life course pathway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oward adult psychological well-being: A stress process analysis. Child abuse & neglect, 45, 143-153.

Rosenberg, M. (1965).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easures package, 61(52), 18.

Sack, V., & Murphey, D. (2018). The prevalence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nationally, by state, and by race or ethnicity. Child Trends. Retrieved from https://www.childtrends.org/publications/prevalence-adverse-childhood-exper iences-nationally-state-race-ethnicity.

Skorikov, V. (2007). Continuity in adolescent care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1), 8-24.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8(5), 185-190.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The found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Vitrano, C. (2006). The structure of happines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ternational Que stionnaire(ACE-IQ)”, https://www.who.int/violence_injury_prevention/violence /activities/ adverse_childhood_experiences/en/

280
280

ID 연번 - 연도 - 소속 - 아동번호

20220401

안녕하십니까?설문조사에참여해주셔서감사합니다.

본조사는한국사회의미래세대인여러분들이어떠한꿈을가지고있는지,이와관련하여어떠한요 소들이중요한지그실태와변화를알아보고자하는설문조사입니다.

본설문지는여러분의현재생각과상태를알아보고자하는것이며,그결과는여러분을위해보다 좋은정책이나사업들을만드는데귀중한자료로사용될것입니다.

이것은시험이아니므로정답이없으며여러분의생각과느낌을솔직하게답해주시면됩니다. 통계법제8조와9조에따라,본설문조사의결과는통계자료로만사용되며개인의신상정보와의 견은보호됩니다.

진지하게자신의생각과비슷하다고생각되는곳에‘○’표를하거나()안에기록하여,한문항도 빠짐없이답해주시기를부탁드립니다.

아울러문의사항이있을경우아래로연락주시기를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4

설문지를작성하시는중에의문점이나건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의연락처로문의하시기바랍니다.

▶ 조사주관및수행기관:월드비전

▶ 설문 내용 문의 : 일반소속 : 월드비전 아동미래연구소(담당 : 조윤호 연구원 / 02-2078-7026)

월드비전 소속 : 월드비전 국내사업전략팀(담당 : 윤송이 차장 / 02-2078-7033)

▣ 면접원 기재사항: 면접원께서는 아래의 사항을 빠짐없이 기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면접 조사는 면접지침사항 내용을

준수하여 이루어졌음을 확인 합니다

면접원 기본사항

사업장명 : 지역명(시도) : 조사자명 : 아동번호 :

면접 일시 2022년 4월 _______일 _____시

한국
미래세대 꿈 실태 설문조사 (아동·청소년용)
281

PART Ⅰ. 꿈에 관한 문항

▣ 다음의 질문을 잘 읽으시고 해당하는 번호에 √표를 하거나 빈칸에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한 군데만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Q1. 여러분은 언제부터 꿈을 갖게 되었나요?

살때부터

Q2. 여러분은 스스로 꿈을 결정했나요? 1)예2)아니오

Q3. 꿈이 무엇인가요?

Q4. 나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Q5. 꿈이 얼마나 자주 변했나요?

Q6. 꿈을 꾸는 데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이었나요? (1가지만 선택) 1)특별한계기없다2)돈/경제력3)성적 4)진로검사/진로체험5)책6)대중매체(TV,인터넷등) 7)롤모델(닮고싶은사람)8)봉사활동9)흥미및관심분야

Q7. 꿈을 꾸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인가요? (1가지만 선택) 1)없다2)부모님(주양육자)3)형제/자매 4)교사5)친구나선배6)친척 7)사회복지사나상담사8)연예인/방송인9)위인 10)스포츠선수11)기타____________________

Q8.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나누나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자주 변했다 가끔 변했다 거의 변하지 않았다 전혀 변하지 않았다
매우
아니다 매우 아니다
282
1234
그렇다 그렇다
1234

Q9. 꿈을 따라 살고 있나요?

Q10. 여러분은 한국 사회에서 다음의 사항들이 어느 정도 평등 또는 불평등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항목 매우 불평등하다 대체로 불평등하다 대체로 평등하다 매우 평등하다

1교육기회(교육을받을기회)1234

2취업기회(직장에들어가거나일할수있는기회)1234

3승진승급기회(더높은자리나지위에올라갈기회)1234

4법의집행(판사의판결이나검사나경찰의태도1234

5여성의대우(남성과여성을대하는태도)1234

6소득과재산1234

7지역(동네)간1234

8다문화가족에대한대우(나이들을대하는태도)1234

9북한이탈주민에대한대우(나이들을대하는태도)1234

Q11. 내가 꿈꾸는 일이나 직업이 사회지도층(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직업)이라 생각하나요? 1)예2)아니오

Q12. 우리사회에서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 십니까?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매우 낮다 약간 낮다 약간 높다 매우 높다 1234

Q13.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나요? 1)예2)아니오

283

PART Ⅱ. 생각이나 상태에 관한 문항

▣ 다음은 여러분의 생각이나 상태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을 잘 읽으시고 해당하는 번호에 O표를 하거나 빈칸에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한 군데만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Q14. 각 문항을 읽고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일치하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성숙도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임언 외(2001)가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2008년 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 사 27문항을 2013년 22문항으로 축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22문항에서 9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역문항)

자기이해 1, 3 일에 대한 태도 9*

독립성 2*, 5*, 7*

계획성 4, 6, 8

1내가잘하는일이무엇인지안다.1234

2부모님(주양육자)이내직업을정해주기를원한다.1234

3나의장점이무엇인지안다.1234

4내장래희망을이루기위해지금무엇을해야할지구체적으로 생각해본다. 1234

5어떤직업을선택하는것이좋은지부모님(주양육자)이나선생님 이정해주셨으면좋겠다.

1234

6미래를위해서다양한경험을쌓으려고노력하고있다.1234

7내장래희망과다르더라도,부모님(주양육자)이기대하시는것을 따라야한다. 1234

8내가진정으로좋아하는일들이무엇인지자주생각해본다.1234

9나는미래에대해서는별로생각해보지않았고,관심도없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284

Q15. 다음은 진로 준비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을 읽고, 각 문항마다 평소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가 장 일치하는 숫자를 하나만 골라 ○표를 해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준비행동

- 척도출처 : 이옥경(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 개효과.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완성(2002)이 제작한 진로준비행동 검사 를 사용하였다. 이는 진로탐색행동이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기존의 Stumpf, Solarelli와 Hartman(1983) 의 Career Exploration Survey(CES), Kopleman, Rovenpor와 Millsap(1992)의 Job Search Behavior Index(JSBI), 김봉환(1997)의 진로준비행동 검사, 서진숙(1998)의 진로탐색행동의 내용을 분석하고, 대학생 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작되었다.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하위 요인은 진로탐색행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평정문항 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이 검사 도구의 신 뢰도(Cronbach's α)는 .89, 각 요인별 문항내적 합치도는 진로탐색활동은 .86, 정보수집활동은 .77, 작업체 험활동은 .79, 취업준비활동은 .71로 보고하고 있으며, 재검사 신뢰도는 .96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조사에 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22문항 중 19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하였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9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진로탐색활동 4 정보수집활동 2 직업체험활동 1 취업준비활동 3

1실제로그(내가희망하는)분야의전문가들에게경험담,조언,충고를 들었다.

2진학이나직업에대한인터넷사이트를찾아자세한직업이나취업,진 학할학교공부에대한정보를얻었다. 1234

3내가하고싶은일에관련된자격증을취득하기위해준비하고,노력하 고있다. 1234

4흥미있는분야의자료와정보등을모으고보관하고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234
285

Q16. 다음은 진로 준비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을 읽고, 각 문항마다 평소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가장 일치하는 숫자를 하나만 골라 ○표를 해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장벽

- 척도출처 : 주금옥(2002)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진로장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wanson 외(1996)가 개발한 진로장벽척도(Career Barrier

Inventory: CBI)를 주금옥(2002)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절히 수정, 개발한 것을 활용하였다. 하위척도로는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정보부족, 나이문제, 신 체적 열등감, 흥미부족, 미래불안, 기술부족 및 능력부족 등 총 11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며 4점 척도로 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진로장벽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조사에서는 11개 하위척도 별로 1문항씩을 연구자들이 함께 논의하여 선택하여 사용하였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0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1나는진로에대한정보를어디서얻는지잘모르겠다.1234

2내가원하는일을하기위해서갖추어야할능력이부족하다.1234

3나는앞으로내가원하는진로를갖지못할까봐불안하다.1234

4가정환경이어려워서내가하고싶은일을진로로선택하기힘들다.1234

Q17. 여러분의 건강상태는 어떻습니까?

Q18. 본인의 현재 학업성적은 어떻습니까? 학업성적이 가장 낮은

1, 가장 높은 수준은 10을 기준으로 평가해 주십시오. 매우 못함 <----------------- 보통 -----------------> 매우 잘함 12345678910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수준은
매우 좋다 좋다 나쁘다 매우 나쁘다
286
1234

Q19. 지난 1년동안 다음 항목들에 대하여 여러분에게 해당하는 내용으로 응답하여 주십시오.

- 척도명 : 행복감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2008년과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사용한 행복감에 대한 6문항 척도 중 월드비전 꿈지원 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통해 3개 문항으로 축소사용

- 척도계산 : 1, 2, 3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행복하다.1234

2나는대체로기분이좋다.1234

3나는평소에즐겁게생활한다.1234

Q20. 다음의 문항을 자세히 읽고 자신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희망

- 척도출처 : 이은영 (2008). 희망과 자아정체감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척도설명 : 본 희망척도는 김택호(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토대로 이은영(2008)이 중학생을 대상으 로 조사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척도이다. 희망척도는 개인의 안정된 특성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특성희망 척도와 개인이 현재 상태를 중심으로 희망을 측정하는 상태희망 척도로 구분한다. 각 문항은 Likert식 5 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희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 로 18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특성희망 1, 2 상태희망 3, 4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나의목표를의욕적으로추진한다.1234

2나는인생에서중요한것들을얻기위해서여러가지방법을생 각할수있다.1234

3내게닥친문제를여러가지방법으로해결할수있다.1234

4나의현재목표를달성하기위해많은방법을생각할수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287

Q21. 다음은 여러분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 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성취동기(1-3), 자기표현(4-6)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이재천(2005), 조은정(2006)의 자기표현검사 (20문항)를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1나는무슨일이든열심히한다.1234

2여러가지일을해보는것이재미있다.1234

3나는목표를달성하기위해계속노력한다.1234

4자신의생각과마음을있는그대로표현할줄안다.1234

5나는질문에우물쭈물하지않고대답한다.1234

6나는의견을말할때또박또박명료하게말한다.1234

Q22. 아래에는 여러 가지 행동 항목들이 적혀 있습니다. 각 항목을 하나씩 읽어가면서 현재나 지난 1년 내에 여러분이 그 항목에 꼭 들어맞거나 그러한 경향이 있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 척도명 : 아동행동평가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Achenbach(1992)의 척도를 오경자 외(2010)가 번안한 척도 사용함.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 은 2013 아동실태조사에서 2008 아동·청소년실태조사 54문항을 31문항으로 축소하여 활용하였으며, 위축

은 이번 조사 시 기존척도를 토대로 추가함.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38문항에서 7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내재화 문제행동(우울/불안) 1, 2, 5, 6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3, 4

위축 7

1신경이날카롭고신경질적이거나긴장되어있다.123

2지나치게겁이많거나불안해한다.123 3신체적으로남을공격한다.123 4고집이세고시무룩해지거나성질을부린다.123 5불행하다고생각하거나슬퍼하고우울해한다.123 6걱정이많다.123

7기를펴지못해남들과어울리지못한다.123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가끔 그런다 자주 그런다
288

Q23.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성공경험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개발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매우 그렇다

1뭔가를완수했을때뿌듯함을느꼈다.1234

2내가한일에대해칭찬을받아기분이좋았다.1234

3열심히뭔가했을때기분이좋아졌다.1234

Q24. 다음은 여러분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표 해 주십 시오.

- 척도명 : 자아존중감

- 척도출처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척도설명 : 아동·청소년패널에서 Rogenberg(1965)의 자존감척도를 번안하여 사용(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 학 연구소, 2000 재인용).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0문항에서 7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단일 차원으로 2, 4, 5의 3문항을 역산하여 계산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나에게만족한다.1234

2때때로나는내가어디에도필요없는사람이라고생각한다.1234

3나는내가장점이많다고느낀다.1234

4나는내가자랑스러워할만한것이별로없다고느낀다.1234

5때때로나는내가쓸모없는존재로느껴진다.1234

6나는내가적어도다른사람만큼가치있는사람이라고느낀다.1234

7나는나에대해긍정적인태도를지니고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289

Q25.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응답하여 주십시오.

- 척도명 : 결핍지수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UNICEF(2012)의 OECD 결핍지수 문항을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수정보완하여 사용

- 척도계산 : 단일 차원으로 15번 문항만 역문항으로 계산하여 전체 합산

항목 예 아니오

1 (주중,평일)하루에세끼를먹는다12 (먹지 않는 경우) 밥을 챙겨줄(주는) 사람이 없어서

배고프지 않아서(입맛이 없어서)

늦게 일어나서 시간이 없어서 다이어트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기타 주중에세끼를먹 지않는이유는무 엇입니까?

123456 (주말)하루에세끼를먹는다.12

(먹지 않는 경우)

밥을 챙겨줄(주는) 사람이 없어서

배고프지 않아서(입맛이 없어서)

늦게 일어나서 시간이 없어서 다이어트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기타 주말에세끼를먹 지않는이유는무 엇입니까?

123456

2하루적어도한번은육류또는생선을먹는다(채식인경우,콩류및두부류포함)12 3신선한과일이나채소를매일먹는다12 4내연령과수준에맞는책을가지고있다(학교교재제외)12 5야외활동을할수있는기구들이있다(자전거,스쿠터,롤러스케이트등)12 6정기적인여가활동을하고있다(수영,악기,태권도등)12 7실내에서즐길수있는게임이나기구들이있다(적어도형제자매한명당한개씩이있 으며,교육적인유아용장난감,보드게임,블록,컴퓨터게임등포함) 12

8우리집은학교에서주최하는행사또는현장학습에참가하기위한돈을낼수있다12 9우리집은숙제를하거나책을읽기위해충분한공간과적당하게밝은조용한공간이 있다 12

10인터넷이연결되어있다12 11다른사람에게물려받지않은새옷이있다12 12적어도두켤레의신발을가지고있다(그중한켤레는모든계절에신을수있다)12 13친구들을집으로초대하여놀거나식사를같이할수있는기회들이종종있다12 14생일파티를할기회가있다12 15인스턴트식품(예:라면,햄버거,콜라등)등을주3회이상먹는다12

290

Q26. 거주하는 집의 전반적인 상태에 관한 질문입니다. 잘 읽고 해당하는 번호에 동그라미(O)로 표시해주세요. 항목 예 아니오

1비가새거나,천장혹은벽이갈라져있다.(낡고위험한공간)12 2집에곰팡이,쥐나,벌레,악취등이있다.(비위생적인공간)12 3집이작거나방이모자라다.(비좁은공간)12

4내방이있다.(자기방유무)12

5냉난방이잘되지않아여름철에덥고,겨울철에춥다.(냉난방시설)12

Q27. 귀택의 주거 위치는 어디였습니까?

(한 가구가 여러 층을 사용할 경우, 가장 좋은 위치로 응답하여 주십시오.)

1)지하층2)반지하층 3)지상4)옥탑

Q28. 다음의 문항을 자세히 읽고 자신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회복탄력성

- 척도출처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허윤영(2012).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이 2009년에 개발한 YKRQ-27을 허윤영(2012)이 사용. 월드비전 척도 축

소화 연구를 토대로 27문항에서 6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자기조절능력 1, 2 긍정성 3

대인관계능력 4, 5, 6

1문제가생기면여러가지가능한해결방안에대해먼저생각한후에 해결하려고노력한다. 1234

2어려운일이생기면그원인이무엇인지신중하게생각한후에해결 하려고노력한다. 1234

3나는내삶에만족한다.1234

4나는분위기나대화상대에따라대화를잘이끌어갈수있다.1234

5사람들의얼굴표정을보면어떤감정인지알수있다.1234

6슬퍼하거나화를내거나당황하는사람을보면그들이어떤생각을 하는지잘알수있다. 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291

Q29. 다음은 여러분의 학교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표 해 주십시오.

- 척도명 : 학교생활적응

- 척도출처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척도설명 : 문선보(1989)의 학교생활적응 척도와 이상필(1990)의 어린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문항을 참고하여 민병수(1991)가 제작한 초등학생용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문항(정화실, 1991 재인용) 중 학교행 사 관련문항(5문항)을 제외하고 수정∙보완하여 사용.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20문항에서 8

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학습활동 1, 2

학교규칙 3, 4 교우관계 5, 6 교사관계 7, 8

1학교숙제를빠뜨리지않고한다.1234

2수업시간에배운내용을잘알고있다.1234

3학교물건을내것처럼소중히사용한다.1234

4화장실이나급식실에서차례를잘지킨다.1234

5우리반아이들과잘어울린다.1234

6내짝이교과서나준비물을안가져왔을때함께보거나빌려준다.1234

7선생님을만나면반갑게인사한다.1234

8학교밖에서선생님을만나면반갑다.1234

Q30. 다음은 부모님이나 부모님 역할을 하는 어른(주양육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잘 읽고 해당되는 항목에 ○ 표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부모님과의 관계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개발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292

1부모님(주양육자)은나에게칭찬을자주하신다.1234

2나는부모님(주양육자)께힘이된다고생각한다.1234

3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힘들때용기를주셨다.1234

Q31. 다음은 여러분이 출생 후 만 18세까지 성장하는 동안 부모(혹은 주양육자)와의 관계 및 성장 환경에 관한 질문과 또래폭력, 지역사회 폭력 및 집단폭력 등을 경험하시거나 보신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성장기 부정적 경험척도(ACE :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 척도출처 : 정슬기,이계성,이재경,김지선(2013). 보호관찰 대상자를 위한 정신건강관리 모형개발. 국립서울병원 국립정 신보건교육 연구센터. 류정희,이주연,정익중,송아영,이미진(2017).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본 조사에서는 정슬기 외(2013)의 척도와 류정희 외(2017)의 척도를 연구자들이 함께 검토하여 주요 영역별로 더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여 활용하였다. 정슬기 외(2013)에서 성장기 부정적 경험은 성인 의 알코올 사용과 어린 시절 스트레스 유발 경험과의 관계를 연구한 Dube와 동료들(2002)10)이 활용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ACE(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는 언어/정서학대, 신체적 학대, 성학대, 어 머니에 대한 폭력 노출, 가족 내 정신질환, 부모의 별거/이혼 등 총 6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언어, 신 체학대와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가정폭력에의 노출 3 항목은 CTS(Conflict Tactics Scale; Straus & Gelles, 1990)에서 따 온 것이다.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이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험여부를 비경험과 경험으로 코딩했을 때 2-5점 이상이면 부정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본다. 내적 일치 도(Cronbach‘α)는 .990이었다. 이에 반해 류정희 외(2017)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신체적, 정서적 학대, 가정폭력의 목격, 가족 구성원의 부정적 생애경험, 또래폭력, 지역사회폭력의 목격경험 등 포괄적인 아동기의 부정적인 경험들을 13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그 경험 유무의 총합을 점수화한 연속변수(0~13 점)로 활용하였다.

- 척도계산 :

신체적 학대 7, 8, 9

정서적 학대 6

성적 학대 12, 13

(가족구성원) 알코올/약물중독 4, 19

(가족구성원) 수감경험 21

(가족구성원) 우울, 자살 20

가정폭력 목격 10, 11

(부모) 별거/이혼 22

정서적 방임 1*, 2*

물리적 방임 3, 5

또래폭력 14

지역사회폭력 목격 15

집단폭력 경험/목격 16

긴급위기 17, 18

*제외문항23

전혀
그렇지 않은
그런
그렇다
항목
그렇지 않다
편이다
편이다 매우
293

1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나의걱정이나근심 을이해해주었다 1234

2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내가(학교에있지 않았던)자유시간동안무엇을하는지제대로알고계셨다

3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나에게고의로음식 을충분히주지않은적이있다

4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술에취하거나약물 중독으로인해나를돌보지못한적이있다

5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강제로내가학교에 가지못하도록한적이있다 1234

6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으로부터욕설을듣거나,무시당한적이 있다 1234

7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때리거나물건을던진다고협박한적이 있다 1234

8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나를밀치거나,뺨을때리거나물건을 던진적이있다 1234

9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당신을너무세게때려상처가난적이 있다 1234

10아버지(어머니)가어머니(아버지)를밀치거나뺨을때리거나물건을던 진적이있다 1234

11아버지(어머니)가어머니(아버지)를발로차거나,주먹으로때리거나, 딱딱한물건으로친적이있다 1234

12내가원하지않는데도누군가가나를성적으로만지거나쓰다듬었다1234

13내가원하지않는데도누군가가나에게다른사람의몸을만지도록 하였다 1234

14또래아이들에게괴롭힘(따돌리거나불쾌한말이나행동)을당하였다1234

15나는이웃이나동네에서누군가가두들겨맞거나칼이나흉기로위협 받는것을보거나들었다

16학교(초중고)에다니는동안학교선생님이나교직원등으로부터신체 적폭력을당하였다

1234

1234

17부모님과떨어져서다른사람집에서살았던경우가있다1예2아니오 18부모님의실직이나사업실패등으로가정형편이급격히어려워진경 우가있다

1예2아니오

19음주등으로인한어려움이있는가족구성원이있었다1예2아니오 20정서적어려움(우울증,정신질환,자살시도등)이있는가족구성원이 있었다

1예2아니오

21수감으로인해떨어져살아야했던가족구성원이있었다1예2아니오

22부모님께서이혼이나별거를하셨다1예2아니오

23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이돌아가셨다1예2아니오

전혀 없다 한두번 그랬다 가끔 그랬다 자주 그랬다
항목
1234
1234
1234
294

Q32. 지난 1년 동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인터넷) 상에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한 적이 있습니까?

다음 각 문항에 대하여 자신에게 해당되는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1누군가로부터욕이나험한말을직접받은적이있 다 123456

2누군가내아이디를도용해가짜계정을만들거나 사이버상에서마치나인것처럼행동한적이있다 123456

3게임머니,게임아이템,사이버머니,돈을빼앗긴적 이있다 123456

4내가원하지않는성적인글이나말(색드립),야한 사진(야사),동영상등을받은적이있다 123456

5누군가나를괴롭힐목적으로나에대한저격글을 올려여러사람이볼수있게한적이있다 123456

6누군가에게욕이나험한말을직접보낸적이있다123456

7다른사람아이디를도용해가짜계정을만들거나 사이버상에서그사람인것처럼행동한적이있다 123456

8게임머니,게임아이템,사이버머니,돈을뺏은적이 있다 123456

9상대방이원하지않는성적인글이나말,야한사진, 동영상등을보낸적이있다 123456

10누군가를괴롭힐목적으로저격글을올려여러사람 이볼수있게한적이있다 123456

Q33. 학교 수업을 위한 나만의 디지털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를 가지고 있나요?

1)예2)아니오

Q34. 다음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공동체성(나눔)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Eisenberg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19문항)와 한현숙(2003)의 인성검사 중 협동성 하위척도(8문항)을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항목 전혀 없다 있다 1년에
1~2번 한달에 1번 한달에 2~3번 1주일에 1번 1주일에 여러번
295

1어려운이웃을도와주고싶다.1234

2공동생활에필요한규칙을잘지킨다.1234

3도움이필요한친구를잘돕는다.1234

Q35. 각 질문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평소의 태도와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공동체성(사회적 능력)

- 척도출처 : 박금옥(1988).

- 척도설명 : 박금옥(1988)의 사회적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기도를 제외한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 여도, 주도성을 활용.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40문항에서 8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사교성 1, 2, 3 대인적응성 4 사회참여도 5, 6, 7

주도성 8

1나는낯선사람과도쉽게친해진다.1234

2나는학년초에처음보는친구들과도잘사귄다.1234

3나는다른친구들과잘어울린다.1234

4나는친구의마음이상하는말을하지않는다.1234

5나는여러사람들과함께어떤활동을하는것을좋아한다.1234

6나는단체활동에참여하는것을좋아한다.1234

7나는친구들과함께활동하는것을좋아한다.1234

8나는친구들과의모임을잘이끌어간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항목 전혀 그렇지
그렇지
그런
않다
않은 편이다
편이다 매우 그렇다
296

Q36. 다음은 평상시 부모님(주양육자)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해당되는 항목에 ○표를 해 주 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부모양육태도

- 척도출처 : 정상모(2001). 부모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척도설명 : Baumrind 및 Maccoby와 Martin이 제시한 내용과 Fels 연구소의 Parent Behavior Rating Scales(PBRS)을 번안한 김재은(1974)의 검사척도 및 김기정(1984)의 부모양육태도 검사지 중 부모유형과 관련된 것을 선정하여 총 20문항으로 4단계 Likert식에서 5단계 Likert식으로 재구성. 월드비전 척도 축소 화 연구를 토대로 20문항에서 12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문형 1, 3, 7

권위형 4, 8, 10

허용형 2, 5, 9

무시형 6, 11, 12

1부모님(주양육자)은나를자주안아주시거나쓰다듬어주시며자랑스럽게생각 하신다. 1234

2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무슨일을하고싶다고하면묻지도않고하라고하신다.1234

3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실수를해도나무라시지않고잘하라며격려해주신다.1234

4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할일이옳더라도마음에들지않으면못하게하신다.1234

5부모님(주양육자)은친구를사귀거나내가하고싶은일은대부분허락해주신다.1234

6부모님(주양육자)은나를다른아이들에비해뒤처지고쓸모없는아이라고생각 하신다. 1234

7가족이무엇을결정할때나에게발언권(의견을말할수있는기회)을주시며나 의의견을존중해준다. 1234

8부모님(주양육자)은나에관한일을묻지도않고마음대로결정하시는편이다.1234

9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옳지않은행동을해도벌을주시거나체벌을하지않 으신다. 1234

10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작은잘못을해도벌을주시거나체벌을하신다.1234

11부모님은나와의약속을잘잊어버리신다.1234

12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게으르고못났다고생각하시며,나를미워하신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297

Q37.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자기관리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송석균(1993)과 노효선(2004)의 사회성숙도 검사 중 자기관리능력 척도를 활용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내문제는스스로해결하려고노력한다.1234

2약속을잘지킨다.1234

3시키지않아도내일은내가알아서한다.1234

Q38. 아래의 사람들은 내가 꿈을 꾸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거나 격려해주나요?

- 척도명 : 사회적 지지

- 척도출처 : 월드비전 개발

- 척도설명 :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3문항에서 1문항을 추가하여 총 4문항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학교선생님은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1234

2부모님또는주양육자는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1234

3친구는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준다.1234

4의미있는주변인(사회복지사,학원선생님,목사/신부/스님,멘토, 상담사등)은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 1234

Q39. 자살 생각: ‘여러분은 지난 1년 동안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나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항목
전혀
298

PART Ⅲ. 일반적인 정보에 관한 문항

DQ1. 여러분은 꿈이 있나요?

1)꿈이없다 ☞ DQ1-1로 이동

2)꿈이없는것은아니지만아직은막연하다 ☞ DQ1-1로 이동

3)구체적이고분명한꿈이있다 ☞ DQ2로 이동

DQ1-1. 꿈이 없거나 분명하지 않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1가지만 선택)

1)스스로충분히고민해본적이없어서2)체계적인교육을받지못해서

3)나를이끌어줄사람을만나지못해서4)꿈을가져야할필요를못느껴서 5)그냥못이룰것같아서6)하고싶은것이없어서 7)하고싶은것이너무많아서8)경제적지원이부족해서

9)부모님이반대하셔서10)의지가약해서 11)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Q2. 여러분이 태어난 날은 언제입니까?

DQ3. 여러분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남자2)여자

DQ4. 현재 부모님과 함께 사나요?

1)부모님두분과같이

2)아버지만같이

3)어머니만같이

4)부모님과같이살지않는다(누구와사는지: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Q5. 부모님(주양육자, 보호자) 중 장애를 가진 분이 있습니까?

1)예2)아니오

DQ6. 부모님(주양육자, 보호자) 중 대한민국이 아닌 나라(예:다문화, 북한이탈주민)에서 태어난 분이 계십니까?

1)예2)아니오

DQ7. 여러분의 가정형편(경제수준)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된다고 생각하나요

태어난
년월
날:
못 산다 <------------------ 보통 수준 ------------------> 매우 잘 산다
매우
12345678910
299

DQ8. 여러분은 몇 학년이십니까?

(학교를 잠시 쉬는 경우는 해당 학교를 쉴 당시 학년을 기입해 주세요) 학교를다니는지1)학교를다니지않는다2)잠시쉬는중이다3)학교를다니고있다 학교 1)초등학교2)중학교3)인문계고등학교 4)전문계고등학교(실업계)5)특수목적고등학교(외고,과학고,자사고등) 6)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학년1)1학년2)2학년3)3학년 4)5학년5)6학년

DQ9. 여러분은 하루에 몇 시간 동안 잠을 자는 편인가요?

※응답예시:내가보통평일에하루에총8시간을잔다면?☞하루에8시간0분동안 평일 (월~금)

잠자는시간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DQ10. 여러분은 학교 정규시간을 제외하고 다음과 관련된 활동을 하루에 몇 시간 동안 하는 편인가요?

※(주의사항)가장주된활동을기준으로,중복되지않게작성해주세요. 응답예시:TV를보면서동시에스마트폰게임을한경우 ☞주된활동이TV시청이라면:TV시청에만시간을표시합니다. ☞주된활동이스마트폰게임이라면:스마트폰게임에만시간을표시합니다. 평일 (월~금)

8-1사교육(학원,과외,방과후프로그램등)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2혼자서공부하기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3TV(DVD)시청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4컴퓨터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5스마트폰(스마트패드등모바일기기포함)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6운동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8-7아무것도안하고쉬기하루에________시간________분동안

DQ11. 여러분은 학교 정규시간을 제외하고 아르바이트 활동을 하루에 몇 시간 동안 하는 편인가요? 아르바이 트를 하지 않는 경우 ‘0’으로 표기해주세요. 학기 중과 방학 중으로 나누어 대답해주세요.

학기 중(평일, 월~금) 방학 중(평일, 월~금) 아르바이트시간하루에_____시간_____분동안하루에_____시간_____분동안

DQ12. 여러분은 앞서 응답한 활동들에(DQ7~9) 시간을 얼마나 쓸지를 스스로 결정하고 있나요?

매우 아니다 <------------------ 보통 수준 ------------------> 매우 그렇다 12345678910

300

DQ13.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아래의 활동시간은 어떻게 변화하였습니까?

1가족과의대화시간(부모,형제등)1234 2문화및여가활동시간1234

DQ14. 코로나19로 인해 꿈을 가지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까?

1234

DQ15. 코로나19로 인해 진로 탐색 및 준비에 어려움을 겪었습니까?

1234

이것으로 설문을 마칩니다.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응답을 소중히 사용하겠습니다.

항목 더 줄었다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해당 없음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전혀
매우
그렇다 그렇지
301
그렇지 않다
그렇다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ID 연번 - 연도 - 소속 - 아동번호

미래세대 꿈 실태 설문조사 (대학청년용)

20220401

안녕하십니까?설문조사에참여해주셔서감사합니다.

본조사는한국사회의미래세대인여러분들이어떠한꿈을가지고있는지,이와관련하여어떠한요 소들이중요한지그실태와변화를알아보고자하는설문조사입니다.

본설문지는여러분의현재생각과상태를알아보고자하는것이며,그결과는여러분을위해보다 좋은정책이나사업들을만드는데귀중한자료로사용될것입니다.

이것은시험이아니므로정답이없으며여러분의생각과느낌을솔직하게답해주시면됩니다.

통계법제8조와9조에따라,본설문조사의결과는통계자료로만사용되며개인의신상정보와의 견은보호됩니다.

진지하게자신의생각과비슷하다고생각되는곳에‘○’표를하거나()안에기록하여,한문항도 빠짐없이답해주시기를부탁드립니다.

아울러문의사항이있을경우아래로연락주시기를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4

설문지를작성하시는중에의문점이나건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의연락처로문의하시기바랍니다.

▶ 조사주관및수행기관:월드비전

▶ 설문 내용 문의 : 일반소속 : 월드비전 아동미래연구소(담당 : 조윤호 연구원 / 02-2078-7026)

월드비전 소속 : 월드비전 국내사업전략팀(담당 : 윤송이 차장 / 02-2078-7034)

▣ 면접원 기재사항: 면접원께서는 아래의 사항을 빠짐없이 기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면접 조사는 면접지침사항 내용을

준수하여 이루어졌음을 확인 합니다

면접 일시

면접원 기본사항

사업장명 : 지역명(시도) : 조사자명 : 아동번호 :

2022년 4월 _______일 _____시

한국
302

PART Ⅰ. 꿈에 관한 문항

▣ 다음의 질문을 잘 읽으시고 해당하는 번호에 √표를 하거나 빈칸에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한 군데만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Q1. 여러분은 언제부터 꿈을 갖게 되었나요?

살때부터

Q2. 여러분은 스스로 꿈을 결정했나요? 1)예2)아니오

Q3. 꿈이 무엇인가요?

Q4. 나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Q5. 꿈이 얼마나 자주 변했나요?

Q6. 꿈을 꾸는 데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이었나요? (1가지만 선택) 1)특별한계기없다2)돈/경제력3)성적 4)진로검사/진로체험5)책6)대중매체(TV,인터넷등) 7)롤모델(닮고싶은사람)8)봉사활동9)흥미및관심분야

Q7. 꿈을 꾸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사람은 누구인가요? (1가지만 선택) 1)없다2)부모님(주양육자)3)형제/자매 4)교사5)친구나선배6)친척 7)사회복지사나상담사8)연예인/방송인9)위인 10)스포츠선수11)기타____________________

Q8. 다른 사람들과 꿈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나누나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자주 변했다 가끔 변했다 거의 변하지 않았다 전혀 변하지 않았다 1234 매우
아니다 매우 아니다
303
그렇다 그렇다
1234

Q9. 꿈을 따라 살고 있나요?

Q10. 여러분은 한국 사회에서 다음의 사항들이 어느 정도 평등 또는 불평등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항목 매우 불평등하다 대체로 불평등하다 대체로 평등하다 매우 평등하다

1교육기회(교육을받을기회)1234

2취업기회(직장에들어가거나일할수있는기회)1234

3승진승급기회(더높은자리나지위에올라갈기회)1234

4법의집행(판사의판결이나검사나경찰의태도1234

5여성의대우(남성과여성을대하는태도)1234

6소득과재산1234

7지역(동네)간1234

8다문화가족에대한대우(나이들을대하는태도)1234

9북한이탈주민에대한대우(나이들을대하는태도)1234

Q11. 내가 꿈꾸는 일이나 직업이 사회지도층(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직업)이라 생각하나요? 1)예2)아니오

Q12. 우리사회에서 일생동안 노력을 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 십니까?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매우 낮다 약간 낮다 약간 높다 매우 높다 1234

Q13. 닮고 싶은 사람(롤모델)이 있나요? 1)예2)아니오

304

PART Ⅱ. 생각이나 상태에 관한 문항

▣ 다음은 여러분의 생각이나 상태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을 잘 읽으시고 해당하는 번호에 O표를 하거나 빈칸에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한 군데만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Q14. 각 문항을 읽고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일치하는 정도를 말씀해 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성숙도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임언 외(2001)가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2008년 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 사 27문항을 2013년 22문항으로 축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22문항에서 9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역문항)

자기이해 1, 3 일에 대한 태도 9*

독립성 2*, 5*, 7*

계획성 4, 6, 8

1내가잘하는일이무엇인지안다.1234

2부모님(주양육자)이내직업을정해주기를원한다.1234

3나의장점이무엇인지안다.1234

4내장래희망을이루기위해지금무엇을해야할지구체적으로생 각해본다. 1234

5어떤직업을선택하는것이좋은지부모님(주양육자)이나선생님이 정해주셨으면좋겠다. 1234

6미래를위해서다양한경험을쌓으려고노력하고있다.1234

7내장래희망과다르더라도,부모님(주양육자)이기대하시는것을 따라야한다. 1234

8내가진정으로좋아하는일들이무엇인지자주생각해본다.1234

9나는미래에대해서는별로생각해보지않았고,관심도없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305

Q15. 다음은 진로 준비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을 읽고, 각 문항마다 평소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가 장 일치하는 숫자를 하나만 골라 ○표를 해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준비행동

- 척도출처 : 이옥경(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 개효과.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완성(2002)이 제작한 진로준비행동 검사 를 사용하였다. 이는 진로탐색행동이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기존의 Stumpf, Solarelli와 Hartman(1983) 의 Career Exploration Survey(CES), Kopleman, Rovenpor와 Millsap(1992)의 Job Search Behavior Index(JSBI), 김봉환(1997)의 진로준비행동 검사, 서진숙(1998)의 진로탐색행동의 내용을 분석하고, 대학생 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작되었다.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하위 요인은 진로탐색행동, 정보수집활동, 직업체험활동, 취업준비활동으로 나누어진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평정문항 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이 검사 도구의 신 뢰도(Cronbach's α)는 .89, 각 요인별 문항내적 합치도는 진로탐색활동은 .86, 정보수집활동은 .77, 작업체 험활동은 .79, 취업준비활동은 .71로 보고하고 있으며, 재검사 신뢰도는 .96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조사에 서는 예비조사를 통해 22문항 중 19문항을 선택하여 활용하였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9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진로탐색활동 4 정보수집활동 2 직업체험활동 1 취업준비활동 3

1실제로그(내가희망하는)분야의전문가들에게경험담,조언,충고를 들었다. 1234

2진학이나직업에대한인터넷사이트를찾아자세한직업이나취업, 진학할학교공부에대한정보를얻었다. 1234

3내가하고싶은일에관련된자격증을취득하기위해준비하고,노력 하고있다. 1234

4흥미있는분야의자료와정보등을모으고보관하고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306

Q16. 다음은 진로 준비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의 문항을 읽고, 각 문항마다 평소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과 가장 일치하는 숫자를 하나만 골라 ○표를 해주십시오.

- 척도명 : 진로장벽

- 척도출처 : 주금옥(2002)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진로장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wanson 외(1996)가 개발한 진로장벽척도(Career Barrier

Inventory: CBI)를 주금옥(2002)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절히 수정, 개발한 것을 활용하였다. 하위척도로는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정보부족, 나이문제, 신 체적 열등감, 흥미부족, 미래불안, 기술부족 및 능력부족 등 총 11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며 4점 척도로 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진로장벽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조사에서는 11개 하위척도 별로 1문항씩을 연구자들이 함께 논의하여 선택하여 사용하였음.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0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1나는진로에대한정보를어디서얻는지잘모르겠다.1234

2내가원하는일을하기위해서갖추어야할능력이부족하다.1234

3나는앞으로내가원하는진로를갖지못할까봐불안하다.1234

4가정환경이어려워서내가하고싶은일을진로로선택하기힘들다.1234

Q17. 여러분의 건강상태는 어떻습니까?

Q18. 본인의 현재 학업성적은 어떻습니까? 학업성적이 가장 낮은 수준은 1, 가장 높은 수준은 10을 기준으로 평가해 주십시오. 매우 못함 <----------------- 보통 -----------------> 매우 잘함 12345678910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매우 좋다 좋다 나쁘다 매우 나쁘다
307
1234

Q19. 지난 1년동안 다음 항목들에 대하여 여러분에게 해당하는 내용으로 응답하여 주십시오.

- 척도명 : 행복감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2008년과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사용한 행복감에 대한 6문항 척도 중 월드비전 꿈지원 사업 평가지표 간소화 연구를 통해 3개 문항으로 축소사용

- 척도계산 : 1,2,3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행복하다.1234

2나는대체로기분이좋다.1234

3나는평소에즐겁게생활한다.1234

Q20. 다음의 문항을 자세히 읽고 자신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희망

- 척도출처 : 이은영 (2008). 희망과 자아정체감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척도설명 : 본 희망척도는 김택호(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토대로 이은영(2008)이 중학생을 대상으 로 조사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척도이다. 희망척도는 개인의 안정된 특성을 중심으로 측정하는 특성희망 척도와 개인이 현재 상태를 중심으로 희망을 측정하는 상태희망 척도로 구분한다. 각 문항은 Likert식 5 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희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 로 18문항에서 4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특성희망 1, 2 상태희망 3, 4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나의목표를의욕적으로추진한다.1234

2나는인생에서중요한것들을얻기위해서여러가지방법을생각 할수있다. 1234

3내게닥친문제를여러가지방법으로해결할수있다.1234

4나의현재목표를달성하기위해많은방법을생각할수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항목 전혀
308

Q21. 다음은 여러분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 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성취동기(1-3), 자기표현(4-6)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이재천(2005), 조은정(2006)의 자기표현검사 (20문항)를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그렇지

1나는무슨일이든열심히한다.1234

2여러가지일을해보는것이재미있다.1234

3나는목표를달성하기위해계속노력한다.1234

4자신의생각과마음을있는그대로표현할줄안다.1234

5나는질문에우물쭈물하지않고대답한다.1234

6나는의견을말할때또박또박명료하게말한다.1234

Q22. 아래에는 여러 가지 행동 항목들이 적혀 있습니다. 각 항목을 하나씩 읽어가면서 현재나 지난 1년 내에 여러분이 그 항목에 꼭 들어맞거나 그러한 경향이 있는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 척도명 : 아동행동평가

- 척도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Achenbach(1992)의 척도를 오경자 외(2010)가 번안한 척도 사용함.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행동 은 2013 아동실태조사에서 2008 아동·청소년실태조사 54문항을 31문항으로 축소하여 활용하였으며, 위축

은 이번 조사 시 기존척도를 토대로 추가함.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38문항에서 7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내재화 문제행동(우울/불안) 1, 2, 5, 6

외현화 문제행동(공격성) 3, 4

위축 7

1신경이날카롭고신경질적이거나긴장되어있다.123

2지나치게겁이많거나불안해한다.123 3신체적으로남을공격한다.123 4고집이세고시무룩해지거나성질을부린다.123 5불행하다고생각하거나슬퍼하고우울해한다.123 6걱정이많다.123 7기를펴지못해남들과어울리지못한다.123

항목 전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항목 전혀 그렇지
그런다 자주 그런다
않다 가끔
309

Q23.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성공경험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개발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매우 그렇다

1뭔가를완수했을때뿌듯함을느꼈다.1234

2내가한일에대해칭찬을받아기분이좋았다.1234

3열심히뭔가했을때기분이좋아졌다.1234

Q24. 다음은 여러분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표 해 주십 시오.

- 척도명 : 자아존중감

- 척도출처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척도설명 : 아동·청소년패널에서 Rogenberg(1965)의 자존감척도를 번안하여 사용(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 학 연구소, 2000 재인용).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10문항에서 7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단일 차원으로 2, 4, 5의 3문항을 역산하여 계산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나에게만족한다.1234

2때때로나는내가어디에도필요없는사람이라고생각한다.1234

3나는내가장점이많다고느낀다.1234

4나는내가자랑스러워할만한것이별로없다고느낀다.1234

5때때로나는내가쓸모없는존재로느껴진다.1234

6나는내가적어도다른사람만큼가치있는사람이라고느낀 다.1234

7나는나에대해긍정적인태도를지니고있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310

Q25. 거주하는 집의 전반적인 상태에 관한 질문입니다. 잘 읽고 해당하는 번호에 동그라미(O)로 표시해주세요. 항목 예 아니오

1비가새거나,천장혹은벽이갈라져있다.(낡고위험한공간)12 2집에곰팡이,쥐나,벌레,악취등이있다.(비위생적인공간)12 3집이작거나방이모자라다.(비좁은공간)12

4내방이있다.(자기방유무)12 5냉난방이잘되지않아여름철에덥고,겨울철에춥다.(냉난방시설)12

Q26. 귀택의 주거 위치는 어디였습니까? (한 가구가 여러 층을 사용할 경우, 가장 좋은 위치로 응답하여 주십시오.)

1)지하층2)반지하층

3)지상4)옥탑

Q27. 다음의 문항을 자세히 읽고 자신과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회복탄력성

- 척도출처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허윤영(2012).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척도설명 :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이 2009년에 개발한 YKRQ-27을 허윤영(2012)이 사용. 월드비전 척도 축 소화 연구를 토대로 27문항에서 6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자기조절능력 1, 2

긍정성 3

대인관계능력 4, 5, 6

1문제가생기면여러가지가능한해결방안에대해먼저생각한후 에해결하려고노력한다. 1234

2어려운일이생기면그원인이무엇인지신중하게생각한후에해 결하려고노력한다. 1234

3나는내삶에만족한다.1234

4나는분위기나대화상대에따라대화를잘이끌어갈수있다.1234

5사람들의얼굴표정을보면어떤감정인지알수있다.1234

6슬퍼하거나화를내거나당황하는사람을보면그들이어떤생각을 하는지잘알수있다. 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311

Q28. 다음은 부모님이나 부모님 역할을 하는 어른(주양육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잘 읽고 해당되는 항목에 ○ 표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부모님과의 관계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회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개발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1부모님(주양육자)은나에게칭찬을자주하신다.1234

2나는부모님(주양육자)께힘이된다고생각한다.1234

3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힘들때용기를주셨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312

Q29. 다음은 여러분이 출생 후 만 18세까지 성장하는 동안 부모(혹은 주양육자)와의 관계 및 성장 환경에 관한 질문과 또래폭력, 지역사회 폭력 및 집단폭력 등을 경험하시거나 보신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성장기 부정적 경험척도(ACE :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 척도출처 : 정슬기,이계성,이재경,김지선(2013). 보호관찰 대상자를 위한 정신건강관리 모형개발. 국립서울병원 국립정 신보건교육 연구센터.

류정희,이주연,정익중,송아영,이미진(2017). 생애주기별 학대경험의 상호관계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척도설명 : 본 조사에서는 정슬기 외(2013)의 척도와 류정희 외(2017)의 척도를 연구자들이 함께 검토하여 주요 영역별로 더 적절한 문항을 선별하여 활용하였다. 정슬기 외(2013)에서 성장기 부정적 경험은 성인 의 알코올 사용과 어린 시절 스트레스 유발 경험과의 관계를 연구한 Dube와 동료들(2002)10)이 활용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였다. ACE(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는 언어/정서학대, 신체적 학대, 성학대, 어 머니에 대한 폭력 노출, 가족 내 정신질환, 부모의 별거/이혼 등 총 6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언어, 신 체학대와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가정폭력에의 노출 3 항목은 CTS(Conflict Tactics Scale; Straus & Gelles, 1990)에서 따 온 것이다.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이 척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험여부를 비경험과 경험으로 코딩했을 때 2-5점 이상이면 부정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본다. 내적 일치 도(Cronbach‘α)는 .990이었다. 이에 반해 류정희 외(2017)에서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은 신체적, 정서적 학대, 가정폭력의 목격, 가족 구성원의 부정적 생애경험, 또래폭력, 지역사회폭력의 목격경험 등 포괄적인 아동기의 부정적인 경험들을 13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그 경험 유무의 총합을 점수화한 연속변수(0~13 점)로 활용하였다.

- 척도계산 : 5,18,23 확인 필요

신체적 학대 7,8,9

정서적 학대 6

성적 학대 12,13

(가족구성원) 알코올/약물중독 4,19

(가족구성원) 수감경험 21

(가족구성원) 우울, 자살 20

가정폭력 목격 10,11

(부모) 별거/이혼 17,22

정서적 방임 1*,2*

물리적 방임 3

또래폭력 14

지역사회폭력 목격 15

집단폭력 경험/목격 16

313

1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나의걱정이나근심 을이해해주었다 1234

2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내가(학교에있지 않았던)자유시간동안무엇을하는지제대로알고계셨다

3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나에게고의로음식 을충분히주지않은적이있다

4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술에취하거나약물 중독으로인해나를돌보지못한적이있다

5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은강제로내가학교에 가지못하도록한적이있다 1234

6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으로부터욕설을듣거나,무시당한적이 있다 1234

7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때리거나물건을던진다고협박한적이 있다 1234

8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나를밀치거나,뺨을때리거나물건을 던진적이있다 1234

9부모나함께거주하던어른이당신을너무세게때려상처가난적이 있다 1234

10아버지(어머니)가어머니(아버지)를밀치거나뺨을때리거나물건을던 진적이있다 1234

11아버지(어머니)가어머니(아버지)를발로차거나,주먹으로때리거나, 딱딱한물건으로친적이있다 1234

12내가원하지않는데도누군가가나를성적으로만지거나쓰다듬었다1234

13내가원하지않는데도누군가가나에게다른사람의몸을만지도록 하였다 1234

14또래아이들에게괴롭힘(따돌리거나불쾌한말이나행동)을당하였다1234

15나는이웃이나동네에서누군가가두들겨맞거나칼이나흉기로위협 받는것을보거나들었다 1234

16학교(초중고)에다니는동안학교선생님이나교직원등으로부터신체 적폭력을당하였다

1234

17부모님과떨어져서다른사람집에서살았던경우가있다1예2아니오

18부모님의실직이나사업실패등으로가정형편이급격히어려워진경 우가있다

1예2아니오

19음주등으로인한어려움이있는가족구성원이있었다1예2아니오 20정서적어려움(우울증,정신질환,자살시도등)이있는가족구성원이 있었다

1예2아니오

21수감으로인해떨어져살아야했던가족구성원이있었다1예2아니오 22부모님께서이혼이나별거를하셨다1예2아니오

23부모또는함께거주하던어른(조부모,친척등)이돌아가셨다1예2아니오

항목 전혀 없다 한두번 그랬다 가끔 그랬다 자주 그랬다
1234
1234
1234
314

Q30. 지난 1년 동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인터넷) 상에서 다음과 같은 행동을 한 적이 있습니까? 다음 각 문항에 대하여 자신에게 해당되는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1누군가로부터욕이나험한말을직접받은적이있 다 123456

2누군가내아이디를도용해가짜계정을만들거나 사이버상에서마치나인것처럼행동한적이있다 123456

3게임머니,게임아이템,사이버머니,돈을빼앗긴적 이있다 123456

4내가원하지않는성적인글이나말(색드립),야한 사진(야사),동영상등을받은적이있다 123456

5누군가나를괴롭힐목적으로나에대한저격글을 올려여러사람이볼수있게한적이있다 123456

6누군가에게욕이나험한말을직접보낸적이있다123456

7다른사람아이디를도용해가짜계정을만들거나 사이버상에서그사람인것처럼행동한적이있다 123456

8게임머니,게임아이템,사이버머니,돈을뺏은적이 있다 123456

9상대방이원하지않는성적인글이나말,야한사진, 동영상등을보낸적이있다 123456

10누군가를괴롭힐목적으로저격글을올려여러사람 이볼수있게한적이있다 123456

Q31. 학교 수업을 위한 나만의 디지털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를 가지고 있나요?

1)예2)아니오

전혀 없다 있다 1년에 1~2번 한달에 1번 한달에
항목
2~3번 1주일에 1번 1주일에 여러번
315

Q32. 다음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입니다. 아래 각 항목의 해당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공동체성(나눔)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Eisenberg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19문항)와 한현숙(2003)의 인성검사 중 협동성 하위척도(8문항)을 활용하여 3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1어려운이웃을도와주고싶다.1234

2공동생활에필요한규칙을잘지킨다.1234

3도움이필요한친구를잘돕는다.1234

Q33. 각 질문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평소의 태도와 가장 일치하는 항목에 ○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공동체성(사회적 능력)

- 척도출처 : 박금옥(1988).

- 척도설명 : 박금옥(1988)의 사회적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인기도를 제외한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 여도, 주도성을 활용.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40문항에서 8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사교성 1, 2, 3 대인적응성 4 사회참여도 5, 6, 7

주도성 8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나는낯선사람과도쉽게친해진다.1234

2나는학년초에처음보는친구들과도잘사귄다.1234

3나는다른친구들과잘어울린다.1234

4나는친구의마음이상하는말을하지않는다.1234

5나는여러사람들과함께어떤활동을하는것을좋아한다.1234

6나는단체활동에참여하는것을좋아한다.1234

7나는친구들과함께활동하는것을좋아한다.1234

8나는친구들과의모임을잘이끌어간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316

Q34. 다음은 평상시 부모님(주양육자)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해당되는 항목에 ○표를 해 주 시기 바랍니다.

- 척도명 : 부모양육태도

- 척도출처 : 정상모(2001). 부모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척도설명 : Baumrind 및 Maccoby와 Martin이 제시한 내용과 Fels 연구소의 Parent Behavior Rating Scales(PBRS)을 번안한 김재은(1974)의 검사척도 및 김기정(1984)의 부모양육태도 검사지 중 부모유형과 관련된 것을 선정하여 총 20문항으로 4단계 Likert식에서 5단계 Likert식으로 재구성. 월드비전 척도 축소 화 연구를 토대로 20문항에서 12문항으로 축소

- 척도계산 :

전문형 1, 3, 7

권위형 4, 8, 10

허용형 2, 5, 9

무시형 6, 11, 12

1부모님(주양육자)은나를자주안아주시거나쓰다듬어주시며자랑스럽게 생각하신다. 1234

2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무슨일을하고싶다고하면묻지도않고하라고하 신다. 1234

3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실수를해도나무라시지않고잘하라며격려해주 신다. 1234

4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할일이옳더라도마음에들지않으면못하게하신 다. 1234

5부모님(주양육자)은친구를사귀거나내가하고싶은일은대부분허락해주 신다. 1234

6부모님(주양육자)은나를다른아이들에비해뒤처지고쓸모없는아이라고 생각하신다. 1234

7가족이무엇을결정할때나에게발언권(의견을말할수있는기회)을주시 며나의의견을존중해준다. 1234

8부모님(주양육자)은나에관한일을묻지도않고마음대로결정하시는편이 다. 1234

9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옳지않은행동을해도벌을주시거나체벌을하지 않으신다. 1234

10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작은잘못을해도벌을주시거나체벌을하신다.1234

11부모님은나와의약속을잘잊어버리신다.1234

12부모님(주양육자)은내가게으르고못났다고생각하시며,나를미워하신다.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317

Q35. 아래 각 항목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에 해당하는 칸에 ○표 해주세요.

- 척도명 : 자기관리

- 척도출처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 교육소외 아동·청소년의 교육요구 및 발달과정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연구. 삼성고른기회장학재단.

- 척도설명 : 정익중,이봉주,임진영,황매향,김경애,이은지(2008)가 송석균(1993)과 노효선(2004)의 사회성숙도 검사 중 자기관리능력 척도를 활용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내문제는스스로해결하려고노력한다.1234

2약속을잘지킨다.1234

3시키지않아도내일은내가알아서한다.1234

Q36. 아래의 사람들은 내가 꿈을 꾸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거나 격려해주나요?

- 척도명 : 사회적 지지

- 척도출처 : 월드비전 개발

- 척도설명 : 월드비전 척도 축소화 연구를 토대로 3문항에서 1문항을 추가하여 총 4문항

- 척도계산 : 전체 합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1학교선생님은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1234

2부모님또는주양육자는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1234

3친구는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준다.1234

4의미있는주변인(사회복지사,학원선생님,목사/신부/스님,멘토, 상담사등)은꿈을꾸는데도움또는격려를해주신다. 1234

Q37. 자살 생각: ‘여러분은 지난 1년 동안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나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 1234

항목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항목
전혀
318

PART Ⅲ. 일반적인 정보에 관한 문항

DQ1. 여러분은 꿈이 있나요?

1)꿈이없다 ☞ DQ1-1로 이동

2)꿈이없는것은아니지만아직은막연하다 ☞ DQ1-1로 이동

3)구체적이고분명한꿈이있다 ☞ DQ2로 이동

DQ1-1. 꿈이 없거나 분명하지 않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1가지만 선택)

1)스스로충분히고민해본적이없어서2)체계적인교육을받지못해서

3)나를이끌어줄사람을만나지못해서4)꿈을가져야할필요를못느껴서 5)그냥못이룰것같아서6)하고싶은것이없어서 7)하고싶은것이너무많아서8)경제적지원이부족해서 9)부모님이반대하셔서10)의지가약해서 11)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Q2. 여러분이 태어난 날은 언제입니까?

DQ3. 여러분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1)남자2)여자

DQ4. 여러분의 가족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1)양부모가정2)부자가정3)모자가정 4)조손가정5)기타__________________

DQ5. 부모님(주양육자, 보호자) 중 장애를 가진 분이 있습니까?

1)예2)아니오

DQ6. 부모님(주양육자, 보호자) 중 대한민국이 아닌 나라(예:다문화, 북한이탈주민)에서 태어난 분이 계십니까?

1)예2)아니오

DQ7. 여러분의 가정형편(경제수준)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된다고 생각하나요 매우 못 산다 <------------------------- 보통 수준 -------------------------> 매우 잘 산다 12345678910

년월
319

DQ8. 여러분의 최종 학력은 어디에 해당합니까?

1)고교중퇴이하

2)고졸

3)전문대졸

4)4년제이상대졸

5)대학원졸

DQ9. 여러분은 현재 누구와 살고 있습니까?

1)혼자2)부모나형제3)동성친구

4)이성친구5)친척6)시설(보육원이나그룹홈,쉼터등)

7)기타__________________

DQ10. 여러분은 현재 주로 무슨 일을 하십니까? (1개만 선택)

1)학업

2)근로자로서근무

3)아르바이트

4)진학준비

5)취업준비

6)(아무것도하지않고)쉬고있음

7)기타

DQ11. 귀하는 취업하였던 적이 있습니까? 6개월 이상 아르바이트를 포함하여 응답해 주세요.

1)있다

2)없다

DQ12. 귀하가 일을 할 수 없거나 하지 않았던, 혹은 기존의 일자리(직장)를 그만 두었던 가장 주된 이유는 무 엇입니까?

1)내전공이나기술에맞지않아서

2)학업을계속하려고

3)월급이나승진등희망조건에맞지않아서

4)근무시간이나근무조건,작업환경이나빠서

5)가족의기대수준에맞지않아서

6)채용단계나계약연장에서통과하지못해서

7)창업이나개인사업을하기위해서

8)당분간쉬고싶어서

9)건강상의이유로

10)집안일(가사,돌봄등)때문에

11)기타

320

DQ13. 최근 3개월 간 여러분의 월평균 소득은 얼마입니까?

1)소득없음

2)소득있음원

근로소득=임금+사업소득

-임금은세금전소득

-사업소득은순수익(총수익-비용)

DQ14. 최근 3개월 간 여러분이 지출하신 월평균 생활비는 얼마입니까?

DQ15. 여러분은 현재 여러분이 갚아야 할 부채(빚)가 있습니까? 부채가 있다면 갚아야 할 총 잔액은 어느 정 도 됩니까?

-금융기관대출(회사대출,마이너스통장미상환금포함)

-일반사채

-카드빚

-전세(임대)보증금(받은돈)

-외상,미리탄계돈

-기타부채(학자금대출등)

1)부채없음

2)부채있음원

DQ16. 여러분은 다음의 내용에 대한 계획이 있습니까? 현재 해당하는 항목에는 ‘있다’에 체크해 주십시오. 항목 있다 없다

1연애12

2결혼12

3출산12

4내집마련12

5취업/창업12

6취미생활12

7건강관리12

8외모관리12

9자기계발12

10대인관계12

321

DQ17.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여 아래의 활동시간은 어떻게 변화하였습니까?

항목 더 줄었다 이전과 비슷하다 증가했다 해당 없음

1가족과의대화시간(부모,형제등)1234

2문화및여가활동시간1234

이것으로 설문을 마칩니다. 설문에 참여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응답을 소중히 사용하겠습니다.

3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