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북 - 척수손상인을 위한 수영지도 매뉴얼

Page 1

목적

■ 현장 중심과 이론적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인 표준지도 기준을 수립

■ 운동 기능별 목표 설정으로 운동 효과 향상

■ 현장에서 지도 가능한 합리적 지도 방안 제시

■ 다양한 손상 유형에 따른 수영 지도안 마련



목차

척수장애의 개요

05

1. 척수장애의 정의 2. 척수장애의 특징 3. 운동의 필요성 4. 수영의 효과 5. 수영 시 주의사항

06 09 11 11 12

통합체육실 수영장 소개

13

1. 업장 위치 소개 2. 수영장 이용 시간 3. 지체장애 수영 프로그램

14 14 15

회원관리

17

1. 초기 상담 2. 신체기능 평가(ROM, MMT)

18 20

프로그램 진행

25

1. 준비체조 2. 수영장 입수 및 퇴수 3. 장애유형별(양하지, 척수) 수영 지도

26 28 33

부록

53

1. 상황별 휠체어 이동 보조 방법 2. 비상벨 위치 3. 사건ㆍ사고 대응 매뉴얼 4. 참고문헌

54 57 58 59



척수장애 개요 1. 척수장애의 정의 2. 척수장애의 특징 3. 운동의 필요성 4. 수영의 효과 5. 수영 시 주의사항

57


척수장애의 개요

1. 척수장애의 정의 척수장애란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 중 선천적으로 신체에 결함이 있어서 장애인이 된 경우도 있지만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후천적 으로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척추 손상은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로 된 구조물인 척추체, 척추경, 척추 후궁, 횡돌기 및 극상 돌기 등의 골절과 척추를 지지하는 연부 조직의 손상을 말한다.(보건복지부, 2010)

척수라 하면 척추를 떠올릴 수 있지만 척수와 척추는 엄연히 다른 신체 부분이다. 척수 뇌와 신체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 신경다발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뼈

경수 8개(C1~C8) / 흉수 12개(T1~T12) / 요수 5개(L1~L5) / 천수 5개(S1~S5) / 미수 1개

경추(7개의 목뼈) / 흉추(12개의 가슴뼈) / 요추(5개의 허리뼈) / 천추(5개의 엉치뼈 / 미추(4개의 꼬리뼈)

척수장애

척추장애

‘척수’가 손상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신체ㆍ심리ㆍ사회ㆍ경제 적인 어려움을 겪는 중도ㆍ중증ㆍ중복의 장애유형 척추 속에서 보호되고 있는 중추 신경이 손상된 것

86

척추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척추 뼈에 만곡 등의 장애가 존재하는 경우


척수장애의 개요

척수장애의 분류 미국척수손상협회(American Spinal Cord Injury Association: ASIA) 분류법이 사용되고 있다. 손상된 척수절이 제 1 흉수절 이상인 경우를 사지마비라고 정의하고 제 1흉수절 하부인 경우(즉, 상지기능 손상이 없는 경우)를 하지마비라 고 한다.

C4 injury (tetraplegia)

Cervical

Thoracic C6 injury (tetraplegia)

Lumbar Sacral Coccygeal

T6 injury (paraplegia) L1 injury (paraplegia)

형태에 따른 분류 분류 사지마비 손상 형태

정의 ●

하지마비

불완전 손상

흉추 1번 이하 부분의 손상으로 양 하지가 마비된 경우 흉수나 요수 이하의 손상으로 팔의 기능은 정상이나 몸통과 다리가 부분적이거나 완전하게 마비된 것

손상 부위 이하의 신경로가 모두 손상되어 근육의 수의적 조절이나 감각상실이 영구적 으로 나타나는 것

감각이나 운동기능이 손상 부위의 3개 분절 이하에서도 한쪽이나 양쪽에 남아 있는 경우 불완전 손상은 탈구된 뼈나 연부 조직, 그리고 척수 관내 부종으로 척수가 압박될 때나 척수의 일부가 절단되어 발생하며 손상 부위 이하의 일부 기능이 남아있음

완전손상 장애 형태

흉추 1번 이상 부분의 손상으로 사지가 마비된 경우 경수 손상으로 팔과 다리, 몸통의 조절 능력과 호흡 기능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하게 마비된 것

79


척수장애의 개요

기능 손상의 정도는 ASIA Impairment Scale로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ASIA 미국 척수손상학회 장애척도 손상분류

내용

완전 손상

운동과 감각 기능이 전혀 없음

A

완전 손상 부위 이하에서 운동기능, 감각기능이 일부 보존된 경우 따로 기록함(보존지역 zpp)

B

불완전 손상

C

불완전 손상

D

불완전 손상

E

정상

(S4-S5에도 운동, 감각기능 없음)

신경학적 손상 수준 이하에 감각 기능만 존재 신경학적 손상 수준 이하에 운동 기능이 불완전 손상 (주요 근육 근력 등급이 Fair 미만, 감각은 정상)

신경학적 손상 수준 이하에 운동 기능이 불완전 손상 (주요 근육 근력 등급이 Fair 또는 Fair 이상, 감각은 정상)

운동과 감각 기능 정상

척수장애의 발생 종양, 척추결핵, 혈관질환에 의한 척수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대부분은 교통사고, 산업재해(추락, 타격상), 스포 츠 상해 등의 외상에 의해 유발되고 있다.(박은혜 외 7, 2012)

척수손상과 척수감염

선천적

후천적

(출생 시 출연)

(출생 후 발생)

선천적 결함 ex) 신경관 결함 혹은 척수 수막류

비외상성

외상성 척수손상

ex) 종양

ex) 다이빙 사고

1) 부분적 보존 지역(zone of partial preservation, ZPP) 완전 손상을 가진 척수손상 환자에서 신경학적 결정기준 아래쪽에 남아있는 감각과 운동기능의 영역

10 8


척수장애의 개요

2. 척수손상의 특징 근육마비 척수손상이 일어난 수준은 어떤 근육이 마비되는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높은 곳에 나타날수록 더 많은 부분이 마비된다. 예를 들어, C3 손상은 자신의 팔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완전한 사지마비를 초래한다. 그러나 손상이 C6, C7 사이의 더 낮 은 곳에 발생하게 되면 어깨와 팔꿈치를 움직일 수 있으나 손과 몸통, 다리에는 마비가 남아 있게 된다. T2의 손상을 예 로 들면, 다리가 마비되는 사지마비를 초래하나 팔 움직임은 정상적이다. S3와 같이 매우 낮은 부분에 손상을 입은 사람 은 보행할 수 있으나 방광과 장 기능의 손상을 가지게 된다.

9 11


척수장애의 개요

전반적 척수손상의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향 손상

가능한 영향

C1-C3

호흡곤란; 몸통, 팔, 다리 마비(사지마비), 장과 방광 조절 감소

C6-C7

손, 몸통, 다리 마비(하지마비); 장과 방광 조절 감소(발꿈치를 굽히고 어깨를 움직일 수 있음)

T2

몸통과 다리 마비(하지 마비); 장과 방광 조절 감소

T11-T12

다리 마비; 장과 방광 조절 감소

T12-L1

무릎 아랫부분 마비; 장과 방광 조절 감소

S3-S5

장과 방광 조절 감소

감각 손상 감각 손상은 근육 마비를 초래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척수손상의 수준은 어느 부 분의 감각이 손실될지를 결정하게 된다. 전반적 척수손상이 발생하면 그 수준과 아래 모든 영역의 수준에서 감각 손상이 일어나게 된다. 감각 손상은 접촉, 압력, 고통, 온도, 고유수용감각을 포함한다.

호흡근 기능 저하 척수손상이 경부 상단에서 발생했을 때는 호흡을 조절하는 근육이 마비된다. C3, C4와 C5에 의해 조절되는 횡격막근은 호흡을 하는 데 사용되는데 C3나 상단에 손상을 입은 사람은 생존을 위해 인공호흡기가 필요하다. C4나 C5에 손상을 입 은 사람은 횡격막의 부분적 조절 때문에 스스로 호흡할 수 있다.

장과 방광의 문제와 성적 역기능 천골신경은 장과 방광 근육을 조절한다. 이 지점이나 상위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배설이나 대변의 요구를 느끼는 꽉 찬 느낌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전반적 손상 시 아동은 대변이나 소변을 비우는 것을 돕는 근육의 조절이 어렵다. 성적 역기능 또한 일반적이다.

부분적 척수손상 부분적 척수손상은 손상되지 않은 신경이 남아있는 상태로, 약간의 온전한 신경으로 인해 손상 수준이나 그 아래의 특정 영역이 기능을 할 수 있다.(박은혜 외 7, 2012)

1210


척수장애의 개요

3. 운동의 필요성 치료적 효과 지체장애인에게 있어서 운동은 단순히 즐거움을 주는 것 외에도 장애부위 기능 감퇴 예방과 잔존능력 회복 등의 치료적 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력증가 근력증가는 손상된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휠체어에서의 이동이나 보행과 같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움직임과 더욱 활 동적인 스포츠 활동 능력을 증가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만 관리 비만은 척수 손상인의 독립성을 감소하게 하며, 호흡 기능이 저하되고, 욕창의 발생 빈도를 증가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 을 유발하는 이차적 원인이 되므로 예방해야 한다.

호흡운동 연령이 증가하면서 신체 능력의 감소가 일어나게 되는데, 척수장애인의 경우에는 호흡능력의 감소가 더욱 빠르게 진행 된다. 마비로 인하여 호흡 능력이 감소되어 있는 상태에서 더 이상의 호흡 기능 감소를 예방하고 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관절운동 마비된 부위에는 관절운동을 시행하여 관절이 굳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은 일단 발생하면 완 치가 어려우므로, 예방적 목적으로 관절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4. 수영의 효과 낮은 상해 발생률 수영은 물속에서 행해지므로 다른 운동에 비해 발에 강한 충격을 주지 않아 무릎 관절이나 발목을 다치는 일이 적으며, 주로 위를 향하거나 아래를 보는 평영 자세에서 실시하므로 지상에서 하는 운동과 달리 동작에 따르는 충격이 없기 때문에 상해 발생률이 현저히 낮다.

근육·골격 강화 관절의 연골과 관절 주변의 인대나 근육을 강하게 해주고, 뼈의 칼슘을 증가시켜주기 때문에 연령 증가에 따른 퇴행 성관절염이나 골다공증 등의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비만 예방 효과 물속에 있는 것 그 자체가 에너지를 소비시킬 뿐만 아니라 안정 시 에너지 대사량 및 음식물의 섭취나 흡수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늘려 체중 조절에 기여한다. 1113


척수장애의 개요

호흡기관 발달 수중에서 호흡을 반복하는 것은 호흡근이 발달하여 폐활량이 증대되고, 가슴 근육도 발달하게 된다.

물에서의 재활 수중에서의 운동은 물을 매개체로 하는 운동으로 지상에서 성취할 수 없는 독특한 운동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더욱 자립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운동이다.

수영을 통한 방위체력 향상 열전도율이 높은 수중에서 장시간 수영을 하게 되면 사람은 냉온에 대하여 순응하게 되면서 신체로부터 열 방출이 감 소된다. 이것은 장시간 수중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오랫동안 수영을 계속한 사람일수록 물에 열을 빼앗기는 것에 대 하여 방위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영은 체력 중에 냉온에 대한 방위능력 향상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한원호, 2009)

5. 수영 시 주의사항 수영은 지상과 다른 환경에서 운동하기 때문에 신체 변화 및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전문가와 상담 수영하기에 앞서 자신에게 맞는 운동인지 아닌지를 상담하여야 하며, 자신의 상태(예; 뇌전증, 지체장애인의 경직, 강 직, 불수의적인 움직임)를 알려주어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배변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배변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수압에 의해 배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심한 경우에는 수영을 제한 해야 하며, 보조자 또는 본인 스스로 미리 용변을 보거나 자주 화장실을 이용해야 한다.

심장과 순환기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심장과 순환기 기능에 문제가 있는 장애인이 장시간 수영을 지속할 경우 수압에 의해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신체에 마비가 있는 경우 신체에 마비가 있는 장애인 중 일부는 부력에 의해 균형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영에 앞서 보조자나 지도자 에게 자신의 상태를 알려주어 익사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보조자는 수영 초보자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일 어나거나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 보조자는 항상 가까운 곳에서 주시해야 한다.

체온 변화 유의 개인적 차이도 있으나 차가운 물은 경직을 유발하거나 공포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불가피하게 차가 운 물에서 수영을 해야 할 경우 체온 유지를 위해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온수 샤워를 한다.(대한장애인체육회, 2007) 1412


통합체육실 수영장 소개 1. 업장 위치 소개 2. 수영장 이용 시간 3. 지체장애 수영 프로그램

1315


통합체육실 수영장 소개

1. 업장 위치 소개 구분

B1층

분류 수영장 수중 운동실 남녀 탈의실(탈의실, 샤워실, 체온 조절실, 화장실) 가족탈의실 의무실

2. 수영장 이용 시간 평일

06:00~20:50

1부 - 09:00~11:50

1614

2부 - 14:00~16:30


통합체육실 수영장 소개

3. 지체장애 수영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시간

정원(명)

지체수영A

11:00~11:50

20

요일

분류

월·수·금 (강습) 화·목·토 (자유)

지체장애 청소년 및 성인

경 사 로 계 단

5레인

4레인

3레인

2레인

1레인

중상급

중상급

중상급

중급

초급

지체수영B

19:00~19:50

10

경 사 로 계 단

5레인

4레인

3레인

저녁수영

저녁수영

저녁수영

2레인

1레인

중상급 지체수영 B

초급 지체수영 B

※ 구성원의 영법 수준에 따라 레인 배정이 다를 수 있음.

1517



회원관리 1. 초기 상담 2. 신체기능평가(ROM, MMT)

1719


회원관리

1. 초기 상담 초기 상담 과정 초기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초기 상담 진행

(안내데스크)

(상담 예약)

(의사 소견서 제출)

신규 등록 가능 인원 확인 26일 20시 이후 홈페이지 및 안내 데스크에서 확인 가능 (검색 사이트에서 ‘한마음복지관 통합체육실’ 검색)

매월 27일 신규 회원 추첨 접수(오전 10시, 장소 : 2층 체육관)

구분 초기 상담 신청 (안내데스크) 전화 상담 (상담 예약)

세부내용 운동 참여자의 신상 파악 (이름, 연락처, 성별, 연령, 장애유형) ● 이용자의 욕구, 프로그램 등의 간략한 내용 전달 ●

● ●

초기 상담 시 필요한 서류 및 준비사항 안내(복지카드, 의사 소견서, 보호자 동반 등) 초기 상담 날짜 및 시간 조율 후 상담 예약

상담자 소개 및 이용자의 욕구 파악 프로그램 안내지를 통하여 프로그램 안내(이용 요일, 시간, 회비, 프로그램 내용) ● 장애인 체육 프로그램 이용안내지 및 서명 확인 ●

초기 상담 진행

신규 등록 가능 인원 확인 → 매월 26일, 20시 이후 신규 등록 가능 인원 홈페이지 공지 ● 신규 추첨 → 매월 27일, 오전 10:00, 2층 체육관 앞에서 진행(주말인 경우 익일 진행) ● 재등록 기간 안내 → 매월 20~ 25일 → 재등록 기간이 지난 경우 신규 추첨에 응해야 함 ● 연기 신청, 3점 아웃 제도, 권고 탈퇴 안내 ● 병력사항,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 안내 ●

이용안내

2018


회원관리

초기 상담지 작성 예시

① 일반 사항 기재 - 학교, 학년, 상담일, 상담자, 이용자명, 연락처, 주소

② 장애 유형 파악 - 뇌병변 장애(CP, ST, TBI 등) - 지체장애(절단, 척수, 소아마비 등)

③ 현 건강 상태 파악(과거 병력, 질병, 간염 보유자, 수술 등) - 뇌출혈에 대한 후천성 장애 – 최초 발병일, 뇌출혈에 대한 원인(고혈압, 외상성 등) - 최근 건강 이상 증세, 병리 현상 조사

④ 약물복용 파악 - 과거 병력에 의한 약 복용 ex) 아스피린, 쿠마디, 와파린 등의 혈전용해제 → 혈액응고가 잘되지 않아 출혈 시 위험 - 현재 질병에 의한 약 복용(현재 건강 상황 동시 파악) - 약물복용 내용을 모를 경우 병원 치료에 의한 목적 파악 후 기재

⑤ 발작 확인 - 약물복용 내용 동시 확인(항 경련제 등) - 최근 발작 증세 확인(발작 전 특이사항 조사)

⑥ 의사소통 능력 - 보호자 확인 후 간단한 이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정확한 사항 기재

⑦ 심리 및 의료적 특이사항 - 문제 행동이 발생되었을 경우 보호자의 대처법 파악 ex) 자폐성 장애 – 문제행동 유형 파악(상담 중 이용자의 행동을 관찰)

⑧ 운동기능 및 특징 - 이용자의 운동 기능 및 건강 상태를 자세하게 재확인 - 병원 처방 및 현재 이용 프로그램 - 이용자의 욕구 파악(수중운동/재활 헬스/체육관 프로그램) - 희망 프로그램 상담 후 기재

⑨ 건강 상태 및 요청사항 - 최종적으로 건강 상황 및 병원 치료 병행 여부, 약물 복용 등의 이용자 상황 정리 - 상담자의 간단한 소견 및 담당 지도자에게 인계할 내용 기재

1921


회원관리

2. 신체기능 평가(ROM, MMT) 관절가동범위(ROM) 관절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한의 운동 범위

능동적(정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active ROM)

수동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passive ROM)

대상자가 스스로 완전한 관절가동범위 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이는 것

대상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므로 보조자가 각 관절을 가동 범위에 따라 움직여주는 것

능동-보조적 관절 가동 범위 운동 (assistive ROM)

저항성 관절 가동 범위 운동 (resist ROM)

보조자가 최소한의 지지를 제공하는 것

보조자가 대상자의 근 수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어 관절의 움직임과 근력을 측정하는 법

ex) 뇌졸중으로 한쪽이 마비된 경우 마비되지 않은 쪽의 팔로 보조자 의 지침을 따라 마비된 쪽의 관절운동을 수행하는 것

관절가동범위(ROM) 운동의 목적 - 관절의 가동 여부를 사정하기 위함 - 관절의 근 위축, 경축, 강직을 예방하기 위함 - 근육의 크기, 모양, 강도, 긴장도, 근력을 유지하기 위함 -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하기 위함 - 정상 근육 기능을 증진하기 위함

관절가동범위(ROM) 측정 단계 상체

20 22

180°

어깨 회전이 앞, 뒤로 완전히 가능한 경우

125°

어깨 회전이 앞, 뒤로 가능하지만 머리 옆까지 불가능한 경우

90°

어깨 회전이 앞, 뒤로 가능하나 가슴 높이까지만 가능한 경우

45°

어깨에 움직임이 가능하나 가슴 높이까지 불가능한 경우

15°

어깨에 움직임이 약간 있으며 수동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관절운동이 전혀 없는 경우


회원관리

하체 90°

고관절 슬관절을 이용하여 다리의 움직임이 앞뒤로 90°이상 이완이 가능한 경우

60°

고관절 슬관절을 이용하여 다리의 움직임이 무릎 높이 이상 가능한 경우

45°

고관절 슬관절을 이용하여 다리의 움직임이 앞뒤로 가능하나 허리 이상 올리지 못하는 경우

30°

고관절 슬관절을 이용하여 다리의 움직임이 기본 보행 정도만 가능한 경우

15°

고관절 슬관절을 이용하여 보행은 가능하나 정상 직립보행이 어려운 경우

하체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경우

(정상 가동 범위 : 0도~ 160~180도)

(정상 가동 범위 : 0도~45~60도)

굴곡 (굽힘:flextion)

신전 (폄:extension)

손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자세

팔을 뒤로 올리는 자세

허리나 골반을 뒤로 젖히지 않고 팔을 들어 올린다.

몸통과 가슴이 앞으로 굽혀지지 않는 범위에서 팔을 뒤로 보낸다.

(정상 가동 범위 : 0도~170~180도)

(정상 가동 범위 : 0도~180~360도)

외전 (벌림 : abduction)

회선 (원회전:circumduction)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자세

팔 전체를 원뿔형 패턴으로 움직이는 자세

손등을 위로한 상태에서 시작하고 손이 어깨 위치까지 올라오면 손바닥을 위로 올려서 진행한다.

어깨가 원형을 그리면서 운동하면, 손은 더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인다.

어깨 통증 및 소리가 나는 경우, 움직임에 주의한다. 2123


회원관리

도수근력 검사(MMT)란 근육이 중력과 외부 저항(보조자가 손으로 주는 저항)에 대항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그 근력의 정도와 범위를 6단계로 양적 구분하는 검사 ★ 질환이나 외상으로 야기되는 근력의 정도와 범위를 구분하여 근력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도수근력 검사(MMT)란

2422

5등급

Normal

4등급

Good

3등급

Fair

중력에 대항하여 능동적인 관절운동이 가능한 상태 (정상 근력의 약 50% 정도)

2등급

Poor

중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능동적인 관절운동이 가능한 상태(정상 근력의 약 25% 정도)

1등급

Trace

약간의 근 수축은 있으나, 능동적인 관절운동은 불가능한 상태(정상 근력의 약 10%)

0등급

zero

근 수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상태 ※ 0등급 및 1등급의 근력을 가진 경우에는 완전마비로 간주

최대의 저항에 대해서 능동적인 관절운동이 가능한 상태

어느 정도의 저항에 대해서 능동적인 관절운동이 가능한 상태(정상 근력의 약 75% 정도)


회원관리

PROGRESS PROGRESS NOTE NOTE

작성일 작성일

성명 성명

년 년 월 월 일 일

지도자 지도자

프로 프로그램 그램 장애명/ 장애명/등급 등급

이용 이용기간 기간

장애 장애유형 유형 환측 환측

보장구 보장구 성별 성별 혈압 혈압

연령연령 /

체성분검사 /

(특이사항) (특이사항)

체성분검사

180° 125° 90° 90° 60° ROM ROM (하지) (상지) 45° 180° 15° 125° 0° 90° 30° 15° 90° 60° ROM ROM (상지) (하지) 근 상지 normal(-) 45° 15° 0° (+)good(-) (+)fair(-) (+)poor(-) 30°(+)trace(-)15° 력 검 normal(-) (+)good(-) (+)good(-) (+)fair(-) (+)fair(-)(+)poor(-) (+)poor(-)(+)trace(-) (+)trace(-) 상지 근력하지 normal(-) 사 검사 normal(-) (+)good(-) (+)fair(-) (+)poor(-) (+)trace(-) 하지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 표준이하 표준 좌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 표준이하 표준 좌 좌 좌 (측정값) (측정값) 하 상 (측정값) (측정값) 상지 지 하지 지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 표준이하 표준 근력 근력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 표준이하 표준 근 우 력 우 우 우 (측정값) (측정값) (측정값) (측정값) 민첩성 폐활량 검사 검사 폐활량 민첩성 기초 검사 검사 체력 평가 기초 체력 평가 주욕구/목표

45° 0° 45° 0° (+)zero (+)zero (+)zero (+)zero

표준이상

표준이상

표준이상 표준이상

주욕구/ 연목표 목표 연목표 월목표 월목표 수업 내용 수업내용 평가 평가 (재평가) (재평가) 2325



프로그램 진행 1. 준비체조 2. 수영장 입수 및 퇴수 3. 장애유형별(양하지, 척수) 수영 지도 1) 수중 적응활동 2)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2527


프로그램 진행

1. 준비체조 준비운동의 목적 준비운동은 운동 시작 전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체 각 관절 부위를 잇는 인대나 근육의 운동 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신체의 조정 능력을 높여준다.

주의사항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입수하기 전 지상에서 준비 체조를 하여 몸을 충분히 풀어준 후 입수해야 하지만, 지체장애인의 경우 체온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수업 진행 시에는 물속 체조를 하도록 한다. •입수하기 전에는 개인적으로 가볍게 몸을 풀고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심장에서 먼 부위부터 시작하며, 근육이 충분히 이완될 수 있도록 각 동작을 10~15초간 유지한다. •준비체조를 진행할 때 지도자는 시야의 제한이 적은 곳에서 진행한다.(지도자가 2명일 경우 1명은 가드 역할을 한다)

손목 스트레칭

목 스트레칭

2826


프로그램 진행

어깨 스트레칭

몸통 스트레칭

둔부 스트레칭

발목 및 종아리 스트레칭

2729


프로그램 진행

2. 수영장 입수 및 퇴수 수영장 입수하기 수영장에 입장하기 전 수영장 수질 관리를 위하여 샤워 용품으로 몸을 씻고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샤워장 이용 시 비누거품으로 인한 미끄럼, 낙상사고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샤워실로 입장하기 전 수중 전용 휠체어로 바꾸어 입장한다.

수중 전용 휠체어 (사진 출처: 웰 에이블)

28 30


프로그램 진행

수중 경사로 이용(입수하기)

1

2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수중까지 입수한다.

3

한 번에 입수하지 않고 신체가 수온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발목부터 입수하여 심장에서 먼 부위부터 물을 묻히며 천천히 입수할 수 있도록 한다.

4

수면이 대상자의 손상 부위 위치에 다다르면 보조자가 휠체어를 고정시킨 후, 대상자가 중심을 잡으며 입수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휠체어를 올려놓을 때는 대상자를 안전한 위치에 안착 시키고, 보조자는 대상자에게 시선을 둔 채로 퇴수한다.

휠체어 세워두기 쾌적한 수질 관리와 다른 이용자의 동선 확보를 위하여 보조자나 안전 근무자, 지도자는 휠체어를 풀 사이드 위 에 올려놓는다.

수중 전용 휠체어가 아닐 경우 휠체어를 풀 사이드에 올려놓을 때는 휠체어가 고정되 도록 휠체어의 잠금장치를 하며, 휠체어 파이프 또는 주머니 등에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손잡이가 바닥에 닿게 눕혀둔다.

2931


프로그램 진행

풀 사이드 이용(입수하기)

1

2

풀 사이드에 걸터앉은 후 좌측 또는 우측(편안한 방향) 으로 몸을 돌린다. ● 허벅지와 가까운 위치에 두 손을 모아 둔다. ●

대상자가 두려움 때문에 엉덩이를 가볍게 돌리지 못할 경우, 보조자는 허리를 잡아준다.

3

수면이 대상자의 손상 부위 위치에 다다르면 보조자가 휠체어를 고정시킨 후, 대상자가 중심을 잡으며 입수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TIP 물을 두려워하는 경우 보조 기구(헬퍼)를 착용하고 입수할 수 있도록 한다.

30 32


프로그램 진행

수영장 퇴수하기 수중 경사로 이용(퇴수하기)

1

2

경사로를 올라갈 때는 보조자가 휠체어를 뒤에서 잡고 뒤쪽으로 퇴장할 수 있도록 한다.

TIP •앞으로 올라갈 경우 물의 저항을 받으며, 대상자가 앞으로 넘어갈 수 있다. •체력이 소진된 상태에서는 상체가 전방으로 쏠려 낙상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수중 리프트 일부 수영장의 경우 지상에서 수중으로 연결된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어 입수 또는 퇴수할 수 있다.

3133


프로그램 진행

풀 사이드 이용(퇴수하기)

먼저 두 손을 나란히 풀 사이드 위에 얹어 놓는다.

두 팔로 지지하면서 엉덩이를 옆으로 돌려 풀 사이드에 걸터앉는다.

상체로 바닥을 누르는 반동을 이용하여 몸을 들어 올린다.

TIP 퇴수 시에는 대상자의 가슴 또는 무릎이 풀 사이드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3432


프로그램 진행

3. 장애유형별(양하지, 척수) 수영 지도 프로그램 진행 순서

수중 적응

자유형

낮은 수심에서 적응하기

팔 돌리기

- 제자리에서 중심 잡기 - 벽 잡고 이동하기

-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후방 쪽으로 90/180/360도 회전하기

호흡 익히기

정면 호흡하며 팔 돌리기

- 얼굴에 물 묻히기 - 물 뿌리기 - 입으로 공기방울 만들기 - 코로 공기방울 만들기 - 잠수하기

- 팔 돌리기와 정면 호흡의 협응 이해

뜨기

- 오른손 팔 돌리기와 호흡 협응 이해

- 풀 사이드 잡고 엎드려 뜨기 - 부력 기구를 사용하여 엎드려 뜨기 - 부력 기구 없이 엎드려 뜨기 - 부력 기구를 사용하여 누워 뜨기 - 부력 기구 없이 누워 뜨기 - 누워 뜨기 자세에서 호흡하기

측면 호흡 - 팔 돌리기와 측면 호흡의 협응 이해

측면 호흡하며 팔 돌리기 자유형 숙달 - 기자재를 활용하지 않은 자유형 - 좌측 호흡하기

일어나기 - 엎드려 뜨기 자세에서 일어나기 - 누워 뜨기 자세에서 일어나기

3335


프로그램 진행

수중 적응활동 가슴 위치까지 수중에 잠기게 되면, 수압으로 인해 호흡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있으니 고려하여 지도한다. 물에 대한 적응은 수행 능력에 따라 계단에서 단계적으로 실시하며, 대상자의 심리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실시한다.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먼저 의사 확인을 한다.

낮은 수심에서 적응하기

① 제자리에서 손으로 ‘∞’ 모양 만들며 중심 잡기 - 휠체어 또는 계단에 앉아 손을 좌우로 움직이며 균형을 잡아본다. - 손바닥을 바깥쪽, 안쪽으로 밀어 ‘∞’ 모양을 만들어 본다.

TIP 지도자는 대상자의 손을 보조하여 손바닥에 물의 저항이 느껴지도록 지도한다.

② 팔을 구부려 풀 사이드와 가깝게 이동하기 - 양손으로 풀 사이드를 잡는다. - 팔을 구부려 풀 사이드와 가깝게 이동한다. 상체 근육이나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경우 아쿠아 누들을 이용할 수 있다.

34 36

수중 적응활동


프로그램 진행

TIP •이동 시 대상자가 풀 사이드와 멀어지게 되면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껴 상체에 더 많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팔을 구부려 체간이 벽면과 가까운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자는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대각선 뒤에 서서 등 또는 허리를 보조한다.

③ 풀 사이드를 밀고 당기기 - 제자리에서 풀 사이드를 밀고 당겨보며 대상자와 벽 사이의 거리감과 물의 저항을 느껴본다.

④ 팔을 펴고 수중 이동하기 - 풀 사이드를 잡고 있는 팔을 편 상태에서 옆으로 이동한다. 물을 두려워하는 경우 손끝이나 팔에 지나치게 힘을 주는 경우가 있어,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3537


프로그램 진행

⑤ 한 손으로 잡고 이동하기 - 제자리에서 한 손은 풀 사이드를 잡는다. - 반대 손은 물을 앞에서 뒤로 밀면서 이동한다. - 일정 거리 이동하면 반대쪽으로 체간(상체)을 돌려 실시한다.

⑥ 풀 사이드를 잡지 않고 이동하기 - 풀 사이드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지도자의 손으로 옮겨 잡아 앞으로 천천히 이동해본다. - 양손을 좌우로 저어 몸을 띄워본다.

36 38

- 몸을 띄운 상태에서 몇 초간 유지하며, 몸이 가라앉을 것 같으면 다시 지도자가 양손을 잡아준다. - 가능하다면 보조를 받지 않고 스스로 이동해본다.


프로그램 진행

호흡 익히기 (지상에서의 호흡과 물속에서의 호흡)

수중 적응활동

① 얼굴에 물 묻히기 - 처음부터 얼굴 전체를 담그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세수하듯이 얼굴에 물을 조금씩 묻힌다.

② 물 뿌리기 - 손바닥에 물을 담아 이마 또는 머리 위에 물을 뿌려본다.

3739


프로그램 진행

‘파’ 하며 입으로 숨을 들이마신다.

‘푸’ 소리를 내며 입으로 수면을 불어 공기방울을 만든다.

③ 입으로 공기방울 만들기 - 지도자는 먼저 시범을 보여준다.(‘푸’, ‘파’) - 풀 사이드를 잡고 잠수하기가 어려운 경우, 휠체어에 앉아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TIP •호흡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동작이므로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시각적인 물체를 이용하여 재미있게 연습해볼 수 있다. 예) 볼풀공, 탁구공, 에그 플립, 빨대, 호루라기 등

‘파’ 하며 입으로 숨을 들이마신다.

④ 코로 공기방울 만들기 - 기본 호흡법을 대상자에게 설명한 후 시범을 보여준다. - 먼저 물 밖에서 수중 호흡을 연습한다. - 익숙해지면 물속에서 코로 공기를 내뿜어 공기방울을 만들어본다.

38 40

‘음’ 소리를 내며 코로 숨을 내쉰다.


프로그램 진행

물속에서는 ‘음’ 소리를 내며 숨을 내뱉는다.

물 밖으로 나올 때는 ‘파’ 하며 숨을 마신다.

⑤ 잠수하기 - 한 번에 많은 호흡을 뱉어 코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점차 잠수하는 시간을 길게 유지해본다.

TIP •지도자는 대상자가 공기방울이 잘 만들어지는지 확인하며, 규칙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박자를 맞춰준다. •대상자가 물속에서 눈을 감고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초급자의 경우 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물속에서 숨을 참거나 충분히 내뱉지 않는 경우가 있다. 숨을 참게 되면 들숨을 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호흡을 할 수 없다. 지도자는 대상자가 숨을 참지 않도록 하며, 지속적으로 호흡을 뱉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연습 방법 •손가락을 이용하여 숫자를 표현하기 •물속에서 가위바위보 하기 지도자가 수중에서 확인

3941


프로그램 진행

뜨기 (엎드려 뜨기)

수중 적응활동

① 풀 사이드 잡고 엎드려 뜨기 - 숨을 들이마신 후 고개를 숙여 엎드린다. - 몸에 힘을 최대한 빼고 머리에서 허리까지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한다. - 풀 사이드를 잡고 있는 손은 가볍게 얹어놓는다.

TIP •고개를 들게 되면 몸의 중심이 위쪽으로 향하여 다리가 가라앉게 된다. 지도자는 대상자가 바닥을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x)

40 42


프로그램 진행

1

2

3

4

② 부력 기구를 사용하여 엎드려 뜨기 - 대상자는 부력 기구를 잡고 팔을 앞으로 뻗는다. - 제자리에 앉은 상태에서 팔각 바를 앞으로 밀고 당기기를 하며 상체를 앞뒤로 움직여본다. - 앞에 과정이 익숙해지면, 점차 부력 기구를 멀리 밀어 상체를 숙이고 하체를 띄우며 엎드려 뜨기를 해본다.

1

2

3

4

③ 부력 기구 없이 엎드려 뜨기 - 부력 기구를 잡지 않고 엎드려 뜨기를 연습해본다. - 상체에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 지도자는 부력 중심점을 가볍게 받쳐주어, 스스로 떠 있을 수 있도록 보조해 준다. 4143


프로그램 진행

뜨기 (누워 뜨기)

수중 적응활동

① 부력 기구를 사용하여 누워 뜨기 - 풀 사이드를 잡은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신 후 고개를 뒤로 젖혀 귀에 물이 닿는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눕는다. - 부력 기구를 사용하여 스스로 누울 수 있는 연습을 한다.

② 부력 기구 없이 누워 뜨기 - 사이드를 잡은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신 후 고개를 뒤로 젖혀 귀에 물이 닿는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눕는다.

- 지도자는 부력 중심점을 가볍게 받쳐주어, 스스로 떠 있을 수 있도록 보조해 준다.

TIP •초보자의 경우 후두부와 허리를 받쳐주며 보조한다. •코로 숨을 쉬기 곤란할 경우, 입으로 호흡을 유도한다. •필요에 따라 노즈클립(코마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영 전에는 콧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4442


프로그램 진행

일어나기 (엎드려 뜨기 자세에서 일어나기)

수중 적응활동

방법 1) - 부력 기구 없이 일어날 때에는 팔꿈치를 살짝 구부린 상태에서 물을 껴안듯이 몸 쪽으로 당겨오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체를 세운다.

응용

•풀 사이드와 1~2m 거리를 두고, 엎드려 뜨기 상태에서 손을 저어 풀 사이드까지 이동한다. •손동작은 옆으로 당겨서 이동해본다. •풀 사이드를 잡고 일어난다.

4345


프로그램 진행

일어나기 (누워 뜨기 자세에서 일어나기)

방법 1) - 턱을 가슴 쪽으로 당겨 시선은 배꼽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 상체를 앞으로 숙여 엉덩이가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 양손을 이용하여 물을 아래에서 위로 퍼 올린다는 느낌으로 올려준다. 이때, 후두부를 과도하게 들어 올려 경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일어난 후 스컬링을 하며 중심을 잡는다.

44 46

수중 적응활동


프로그램 진행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자유형 팔 돌리기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관절가동범위 및 근력 상태 확인, 팔 돌리기 지상 동작 이해 풀 사이드에 앉아서 진행 지도 방법

•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팔을 앞으로 뻗는다. • 손바닥으로 물을 눌러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친다는 느낌으로 원을 그린다. • 손바닥이 수면 위로 올라올 때까지 밀어준다.

양 팔을 전방으로 뻗기

한 팔을 전방으로 뻗은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한 팔씩 90도 회전하기

한 팔을 전방으로 뻗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한 팔씩 180도 회전하기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후방 쪽으로 360도 회전하기

4547


프로그램 진행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호흡하며 자유형 팔 돌리기(정면 호흡)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팔 돌리기와 정면 호흡의 협응 이해 풀 사이드에 앉아서 진행 지도 방법

46 48

• 시선은 바닥을 향하며, 경부나 요부에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시선을 바닥에 둔 것으로 간주하고 연습한다.

1회전 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기

2회전 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며, 정면을 보고 ‘파’ 소리 내기 (왼팔 1회전 후 오른팔 1회전)

정면을 보고 ‘파’ 소리 내기


프로그램 진행

수중에서의 부력 및 호흡 동작 이해 수중에서의 팔 돌리기와 정면 호흡의 협응 이해 수중에서 진행

지도 방법

• 호흡하는 과정에서 하지가 가라앉아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물의 저항을 받게 되므로 호흡은 되도록 짧게 들이마시고 원위치로 돌아온다. • 호흡할 때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며, 킥 판을 눌러 상체가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어깨에 힘을 빼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다.

양팔을 뻗어 킥보드를 잡은 상태로 수중에 엎드린 다음 정면을 보고 ‘음’, ‘파’ 호흡하기

2회전 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며, 정면을 보고 ‘파’ 호흡하기 (왼팔 1회전 후 오른팔 1회전)

1회전 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며, 정면을 보고 ‘파’ 소리 내기

4749


프로그램 진행

수중에서의 팔 돌리기 숙달 및 심폐지구력 향상 수중에서 진행 지도 방법

48 50

• 가능하면 호흡을 참고 팔 돌리기를 해서 앞으로 나아간다. • 호흡이 가빠지면 중간에 멈춰서 호흡을 하고 다시 반복한다. • 다리가 가라앉는 경우에는 부력 기구를 착용하고 팔 돌리기를 한다.

킥보드를 이용하여 1회전 팔 돌리기 간 정면 호흡 1번 진행하기

킥보드를 이용하여 2회전 팔 돌리기 간 정면 호흡 1번 진행하기 (20m이동 가능한 시점까지 현 단계 유지)


프로그램 진행

측면 호흡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경부와 체간의 협응 및 움직임 이해 팔 돌리기와 측면 호흡의 협응 이해 풀 사이드에 앉아서 진행

지도 방법

•머리를 숙인 상태에서 왼팔에 머리를 붙이고 오른손은 허벅지에 붙인 뒤 고개만 돌려 우측을 바라본다. •시선은 바닥을 볼 수 있도록 하며, 고개를 돌렸을 때 머리 정수리 부분이 수면과 맞닿게 유지한다. •오른쪽 팔을 당기며 고개를 측면으로 돌려 입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되돌리기를 할 때 다시 코로 숨을 내뱉으며 바닥을 바라본다.

앉은 상태에서 고개와 몸통을 우측으로 회전하기

왼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며,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파’ 하기

왼팔은 전방으로 뻗은 상태를 유지하고, 오른팔 풀 동작 에서 푸시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우측으로 고개 돌리기

4951


프로그램 진행

자유형 팔 돌리기 측면 호흡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수중에서의 측면 호흡 동작 이해 수중에서 진행 지도 방법

•왼팔을 수면과 평행하게 뻗은 상태, 오른팔은 팔 돌리기 피니시 자세에서 진행한다. •지도자가 몸통을 고정하여 학습자가 측면 호흡을 연습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지도자는 몸통 회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좌측 상지와 우측 상지를 고정하여 준다.

1

엎드린 상태에서 몸통을 90도 회전한 상태로 유지한 다음 ‘음’, ‘파’ 측면 호흡하기

3

50 52

왼팔 돌리기 간 ‘음’ 소리를 유지하며,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 ‘파’ 하기

2

왼팔은 전방으로 뻗은 상태를 유지하고, 오른팔 풀 동작 에서 푸시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우측으로 고개 돌리기


프로그램 진행

자유형 종합 동작 숙달

자유형 지도법(초급과정)

기자재를 활용한 자유형 숙달 수중에서 진행

1

2

킥보드를 이용하여 측면 호흡하기

3

부력이 약한 기자재를 이용하여 측면 호흡하기

풀부이를 이용하여 측면 호흡하기

자유형 숙달, 좌측 호흡 연습을 통하여 롤링 및 좌우 신체 균형능력 향상 수중에서 진행 지도 방법

•동작 설명은 우측 호흡을 기준으로 하며, 팔 돌리기의 시작 기준은 왼손을 전제로 한다. •개인별 관절가동범위에 따라 좌측 호흡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력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1

기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측면 호흡 진행하기

2

좌측 호흡하기

5153



부록 1. 상황별 휠체어 이동 보조 방법 2. 비상벨 위치 3. 사건ㆍ사고 대응 매뉴얼 4. 참고문헌

5355


부록

1. 상황별 휠체어 이동보조 방법 기본 원칙 - 보조 전 대상자의 신체 상황(장애, 운동능력, 통증, 질병 등)을 고려하여 안전에 주의를 기울인다. - 보조자는 대상자에게 도움이 필요한지 의사를 확인한다. - 대상자에게 이동에 대한 동작 설명을 한 후 협조를 구한다. - 대상자의 몸 가까이에서 잡고 보조한다.(멀어질수록 낙상 발생 증가) - 신체를 움직일 때 뼈대 및 관절의 배열이나 각도 등이 편안한 위치에 있도록 신체 정렬에 유의한다.

휠체어 접는 방법

① 잠금장치를 하고 발판을 올린다.

② 좌석 가운데를 들어 올린다.

③ 팔걸이를 안으로 모으며 접는다.

휠체어 펴는 법

① 팔걸이를 바깥쪽으로 당겨 편다.

5654

② 좌석을 밑으로 눌러 완전 하게 편다.

③ 잠금장치를 하고 발판을 내린다.


부록

휠체어 이동보조 휠체어에서 휠체어(수중 전용)로 이동하기

① 대상자와 앞쪽 가까운 곳에 휠체어를 고정 후 다리가 걸리지 않도록 발판을 올린다. ② 대상자는 휠체어에 가볍게 걸터앉으며, 대상자의 양 발이 휠체어 앞 쪽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발목은 무릎보다 살짝 뒤쪽에 위치한다.

③ 대상자 앞에 가까이 서서 대상자가 보조자의 어깨에 기댈 수 있도록 하며 자세를 낮추어 상체를 숙이도록 한다. ※ 일어났을 때 갑자기 무릎이 꺾여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자가 다리를 대상자의 무릎에 받쳐주어 지지해 준다.

④ 대상자의 바지춤을 잡고 일으켜 세운 뒤, 돌아서 휠체어로 이동하며 둔부가 휠체어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없이 이동하기

수중 휠체어 고정방법 대상자를 옮길 때 휠체어를 고정하지 않으면 낙상을 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양쪽 바퀴에 있는 고정 장치를 내린다.

양쪽 사이드 브레이크를 올려 고정한다.

5557


부록

휠체어에서 평상으로 이동하기

① 평상 옆쪽에 휠체어를 고정 후 다리가 걸리지 않도록 발판을 올린다. ② 대상자는 휠체어에 가볍게 걸터앉으며, 대상자의 양 발이 휠체어 앞 쪽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발목은 무릎보다 살짝 뒤쪽에 위치한다.

③ 대상자 앞에 가까이 서서 대상자가 보조자의 어깨에 기댈 수 있도록 하며 자세를 낮추어 상체를 숙이도록 한다. ※ 일어났을 때 갑자기 무릎이 꺾여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자가 다리를 대상자의 무릎에 받쳐주어 지지해 준다.

④ 대상자의 바지춤을 잡고 일으켜 세운 뒤, 돌아서 평상으로 이동한다.

보조 없이 이동하기

평상에서 휠체어로 이동하기

① 대상자와 가까운 곳에 휠체어 고정 후 발 받침대는 다리에 걸리지 않도록 발판을 올린다. ② 대상자는 평상에 가볍게 걸터앉으며, 대상자의 양 발이 평상 앞 쪽 바닥을 지지하도록 한다. 발목은 무릎보다 살짝 뒤쪽에 위치한다.

③ 대상자 앞에 가까이 서서 대상자가 보조자의 어깨에 기댈 수 있도록 하며 자세를 낮추어 상체를 숙이도록 한다. ※ 일어났을 때 갑자기 무릎이 꺾여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자가 다리를 대상자의 무릎에 받쳐주어 지지해 준다.

④ 대상자의 바지춤을 잡고 일으켜 세운 뒤, 돌아서 휠체어로 이동한다. ⑤ 둔부가 휠체어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5856


부록

보조 없이 이동하기

문턱을 오를 때 보조자가 휠체어 뒤를 발로 조심스럽게 눌러 휠체어를 뒤쪽으로 기울이고 앞바퀴를 들어 문턱을 오른다.

2. 비상벨 위치 위치

수영장

헬스장

체육관

여자 탈의실

남자 탈의실

2-1

3-1

4-1

5-1

1-1

번호

1-2 1-3

5759


부록

3. 사건·사고 대응 매뉴얼 응급상황 발생 위급상황 파악 현장 - 위급상황 파악 후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결정

현장에서 해결 가능한 상황 사고처리 후 상세하게 사무실 보고 및 사고 경위서 작성 현장에서 해결 불가능한 위급상황일경우

반드시 동의를 구한 상태에서 응급처치

진행, 의식이 없는 경우

묵시적 동의로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동의하는 것으로 봄

- 비상벨 터치, 사무실 전화

사무실 - 119신고 및 위치 파악

심폐소생술 의식이 있는 경우

● ●

즉시 신고 후 계속적 통화를 통해 기도가 열려있는지, 숨을 쉬는지, 피를 흘리는지 등 확인, 응급처치

흉부압박 30회, 기도 열기, 호흡 확인, 인공호흡 2회

의식이 없는 경우

자동 제세동기(AED) 사용

주변 상황 정리

- AED 세팅 및 작동

- 환자 안정, 상황 정리, 접근금지

- CPR 반복 실시 후 AED 실시

6058

상황 파악 후 119 신고 필요한지 결정 동의, 사건, 증상, 통증, 부종, 전신 확인, 약, 알레르기


부록

의료진 도착(119구조)

사고 조치

- 119구조대 소속확인

- 24시간 이내 사고 경위서 기안 작성, 결재

- 병원 이송 확인, 보호자/동승자 확인(00병원)

- 보험 관련 처리(병원 이송) - 수시로 회원 안부 확인(문자, 전화, 보호자 연락)

4.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척추 [Spine] (학문명백과 : 의약학, 신상엽)

보건복지부, 외상성 척수손상_척수손상

한국척수장애인협회, WHO 척수손상의 국제적 관점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외 3, 척수장애, 아는 만큼 행복한 삶, 군자 출판사, 2017

용필성, 「척수장애인의 수영 훈련이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 장애인 체육회, 생활체육 따라 하기, 수영 주의사항

국립재활원, 장애인 건강증진 길잡이 운동재활 노트

김정헌, 「척수손상자를 위한 재활 시스템 구축 방안 = Constructional plan of rehabilitation system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박은혜 외 7, 「지체, 건강 및 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이해」, 학지사, 2012

한원호, 「지체장애인의 수영 활동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항」, 2009년

[보상/배상의학] 도수근력 검사(MMT : Manual Muscle Test)의 등급 및 세부내용, https://blog.naver.com/fifajapen/221924892799

5961


감수자 임우근 전 장애인 국가대표 수영선수 <경력사항> 제15회 리우데자네이루 장애인 올림픽 남자 수영 국가대표(2016) 제15회 리우데자네이루 장애인 올림픽 남자 수영 국가대표(2012)제13회 베이징 장애인 올림픽 남자 수영 국가대표(2008) <수상내역 사항> 제15회 리우데자네이루 장애인 올림픽 수영 남자 100m 평영 SB5 은메달(2016) 제14회 런던 장애인 올림픽 수영 남자 100m 평영 SB5 금메달(2012) 오사카 IPC 패럴림픽 100m 평영 1위(2007)

감수의 글 수영은 심폐기능 발달과 전신운동으로서 가장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스포츠 종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아직 장애인분들이 수영할 수 있는 환경은 보편적이지 않고 대중적이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장애인에 게 있어 수영은 운동기능의 향상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어 아주 유효한 운동이기에 시설 확충이나 환경 을 구성하는 데 있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야 됨은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수영을 입문하기 위해 환경적 제한을 이겨낸다 하더라도 물에 대한 적응이나 두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은 비장애인보다 훨씬 더 두렵고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수영 입문 매뉴얼을 통해 척수 손상 장애인의 수영 입문 과정을 상세히 담아 수 영에 잘 적응하고 수영 기능을 한 단계씩 체계적으로 알게 되어 실제 수영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훌륭한 지 도 매뉴얼이라고 생각합니다. 장애인 수영을 가르치는 지도자 또는 앞으로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가 되고 싶은 미래의 지도자에게도 좋은 교재로써 손색이 없다 생각합니다. 저는 수영이란 운동을 통해 사회로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열정적인 한마음복지관 체육연구팀으로 인해 보다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질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한마음복지관 통합체육실 체육연구팀의 노 고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좋은 매뉴얼을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60


함께 만든 이 통합체육실 직 책

성 명

실 장

한진영

체육연구팀 직 책

성 명

직 책

성 명

팀 장

김정훈

사 원

양선화

사 원

심소희

사 원

정지은

사 원

황석호

통합체육팀

62

직 책

성 명

직 책

성 명

팀 장

명주현

사 원

박영준

사 원

지한솔

사 원

강병관

사 원

윤희택

사 원

김지향 61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북 척수손상인을 위한 수영지도 매뉴얼 발 행 일 2020년 12월 1일 발 행 인 허영미 편 집 통합체육실 체육연구팀 정지은 주 소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227(야탑동) 전 화 031-725-9573 팩 스 031-725-9510 홈페이지 http://www.woorimaum.org 페이스북 @woorimaum 비매품 ISBN 이 책의 저작권은 성남시한마음복지관에 있습니다. 저작자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 또는 배포할 수 없습니다.

64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