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웹이다

Page 1

소셜웹시대, 새로운디지털질서를위한창조성혁명 경영, 금융, 법, 정치, 문화, 교육, 국제개발, 개인의 삶의 영역 등 사회 각 분야에서 IT는 조직, 문화, 인간을 어떤 식으로 변화시킬 것인가?

지식과 정보의 연결을 통한 집단 창조, IT의 실제적 가능성을 찾아가는 책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4학년에 다니고 있으며 이중전공으로

소셜과 오픈 트렌드, 웹 상의 네트워크 등 각종 정책, 경영의 논쟁적 이슈들을 위한 대안의 미래

조직, 인간, 사회로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웹, 더 나아가‘IT는 원래부터 소셜 웹’ 이었음을 역설한다. 웹의 기본 적인 핵심인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한 연결성이 수많은 사람들을 개방된 네트워크로 불러오고, 연결된 다양한 사람들로 하여금 능 동적이고 창조적인 역할과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이 소셜 웹으로서 의 웹의 본질임을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그로 인해 다양성, 독립성, 분산화, 그리고 집합성을 유지함으로서 집단을‘지성적’ 으로 만들 수 있는 문화인 오픈 컬처가 소셜 웹 시대를 위한‘소

확신하고 있는 바, 구구절절 공감이 가는 이야기들이다. - 추천사 중에서

그가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했던 다양한 영역의 사례들을 제시하면서 소셜 웹이 어떻게 이 세상을 변화시 킬 것인지 전망하는 대목에서는 그의 확신에 찬 비전이 느껴진다. 우리가 쉽게 깨달을 수 있었던 웹의 위대 한 혁신이 진정 어떤 의미였고 그것이 어떠한 가능성을 갖고 있었는지를 웹 2.0과 소셜 웹으로 설명하고 있 는 젊은 논객의 힘찬 주장은 참으로 흥미진진하다. 윤종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프로젝트 리드

>>

이 책은 소프트웨어 파워를 넘어 복잡계 내에서의 상호관계를 중시하는 네트워크 시대로 나아가는 새로 운 세계를 가늠해볼 수 있는 하나의 지수가 된다. 놀라운 직관과 시대적 흐름에 대한 생각의 교류를 통해 시 대적 비전을 공유한다는 것은 참으로 행복한 것이다. 열려진 가능성으로서 적극 추천해본다.

>>

김규태 고려대학교 교수

더욱 발전되고 확장된 웹이 만들어나가는 세계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일독하기를 권한다. 단순히 매일 매일 변화하는 삶의 모습이 아닌, 보다 높은 곳에서 미래의 웹 세계를 조망할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강재필 서울대학교 로스쿨 재학생

유제완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산업공학 석사과정

소셜 웹은 개인이 지닌 잠재력과 창조적인 집단 지성의 실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래 사회의 혁신공 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전 세계의 개방화와 정보의 민주화 시대에 우매한 군중이 아닌 디지털 시대의 소크 라테스가 되는 법을 말해주고 있다. 김성묵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재학생

>>

김재연 지음 윤종수 감수

우리가 이보 전진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가치들을 소셜 웹이라는 큰 그림을 통해 생동감 있게 전달해 주는 저자의 이야기 타래들 속에서, 삶의 또 하나의 나침반을 쥐게 되는 느낌이다.

>>

소셜 웹이다

셜 아키텍처’ 임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비전이“창조성의 혁명” 이 주도하는 세상임을 강조하고 그것이 IT의 부흥을 가져올 것임을

김재연

정치외교학을 같이 공부한다. 홍콩시티대학(City University of

위키피디아의 신화를 넘어서

저자는 웹이건 IT건 간에 기술이나 제품으로서가 아니라 문화,

리눅스의 전설과

소셜 웹 시대를 위한‘소셜 아키텍처’

Hong Kong) 공공행정학과, 대만의 국립정치대(國立政治大) 외교

계에서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수료했다. 2006년에 머물렀던 홍콩에서 MIT Open Course Ware(공개강의운 동)를 알게 되었고, 2007년부터 고려대를 비롯해 국내에 MIT

OCW를 론칭하는 프로젝트에 서비스 기획과 관련해 일했다. 현재는 프리랜서 IT 애널리스트로서“비전 디자이너(Vision Designer)” 라는 필명으로 IT와 사회 전문 인터넷신문인 <블로터닷

넷(Bloter.net)>에 글을 쓰고 있다. 동시에 네티즌들의 온라인 실시 간 협업을 통해 빈곤 문제에 관한 공공지식을 생산하여 해당 이 슈에 대한 사회인식을 바꾸기 위한 공익 NGO인“세계화와 빈곤 문제 공공인식 프로젝트” 에서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 디 렉터를 거쳐 빈곤 문제 자료 구축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 소셜 웹을 활용한 정책·경영에 대한 대안들이 각종 논문 및 기

소셜 웹이다 리눅스의 전설과

획 공모전에 당선되어,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 위원장(2007), 기 획재정부 장관(2009), 법무부 장관(2009), 한국경제신문사 사장 (2009),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이사장(2009), 그리고 서울시장

김재연 지음 윤종수 감수

(2009) 등이 수여하는 상을 받은 바 있다.

위키피디아의 신화를 넘어서 감수

부장판사, 인천지방법원 현 Creative Commons Korea, Project Lead 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전 사단법인 한국정보법학회 간사 대법원 지적재산권커뮤니티 간사 지적재산권분야 국내규범연구반 총무

책읽는네시간생각이커갑니다

값 13,000원

ISBN 978-89-94104-01-0

윤종수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