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3학년 1

Page 1

왕립프놈펜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학과 3 학년

주제: 신라의 삼국통일과 남복국시대의 전개 과목: 한국의 역사 담당 선생님: 이유진 발표일: 2016.11.08 발표자: 까으 쓰레이뻐으레케나, 셐레이 럿, 멘 완니


목차 I. 서론 1.  2.  3.  4.  5.  6.

신라의 백제 . 고구려 전근대 민족 통일의 실현 통일신라의 융성 관료 제도의 완비 해외 무역의 발달 통알신라와 당

II. 결론


어휘 전개하다 : ដាក់ពង្រាយ 정벌 : ការច្បាំងដណ្តើមយក 반란 :​​ ការបោះបោរ 혼란 :​​ ភាពចលាចល 국가적 : ប្រទេសជាតិ 국력 : អំណាចប្រទេស 강화시키다 : ធ្វើឲ្យរឹងមាំ 양국 : ប្រទេសទាំងពីរ 정복하다 :​ កាន់កាប់ 수습하다 : សម្រួល 수립하다 : សា្ថបនា ឬ ស្តារឡើងវិញ

대당항쟁 : ការប៉ះបោរនៃរាជ្ជកាល‘តាំង’ 귀족 : អភិជន 완수하다: accomplish 강력하다: powerful 확립하다: establish 관료 제도: bureaucratic system 완비: perfection 최초: first 외교정책: foreign policy 국력: national power 대외적: foreign/outside


과시하다: show off 정치적 안정: political stability 독자적인: unique 융성: prosperity 왕권: royal 번영: prosperity 뒷받침하다: support 발전: development 주체성: identity 근간: basis 평화: peace 직속: direct

겸직제: additional 배타적: exclusive 특권: privilege 외교 사절: បេសកជន 정치: នយោបាយ 상인: ពាណិជ្ជករ 나아가다: ឈានទៅមុខ 빈번하다: ញឹកញាប់ 독점하다: ផ្ដាច់មុខ 문물: វប្បធម៍ 반도: ឧបទ្វីប 교류: ផ្លាស់ផ្ដូរ


휴전: ភាពបញ្ចប់សង្រ្គាម 상인: ពាណិជ្ជករ 보급하다: ​ រីកសាយភាយ 이룩되다: កសាង 수입되다: នាំចូល 수출되다: នាំចេញ 혼란하다: ជ្រួលច្របល់​ 동양: ខាងកើត 건설하다: ករសាង 반도: ឧបទ្វីប 집단: ក្រុម 수용되다: ដាក់ចូល


1. 신라의 백제. 고구려 정벌 7세기에 들어와 고구려는 귀족의 반란과 정치적 혼란(왕의 실정)으로 국가적 혼란에 쌓였으며, 이 틈을 타 신라는 국력을 강화시켰다. 백제는 신라와의 전쟁으로 양 국 간의 갈등이 심해졌고, 고구려는 수 . 당과의 전쟁으로 국력이 탕진되었다. 이에 신라 는 김춘추, 뒤에 김유신을 중심으로 국력을 집중시킨 후 당의 군사력을 이용함으로써 660년에 백제를, 668년에 고구려를 정복하였다. 그러나 두 나라에서는 부훙 운동이 일어났다. 일보의 지원을 받은 백제부훙운동 은 신라의 회유정책으로 대당항쟁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 후 신라는 백제. 고그려 부훙 운동을 수습하고 제 . 례유민을 대당항쟁에 끌어들여 최초의 민족 통일을 완성하였다.


2. 전근대 민족 통일의 시현 신라는 당나라의 군사적 야욕을 물리치고 당군을 한번도에서 축출 하여 676년에 전근대 민족의 통일을 실현하였다. 비록 인구의 영토가 축소 된 불완전한 통일이었으니, 비로소 처음으로 통일 정부를 수립하고 하나의 민족 문화를 이룩한 것이다. 통일신라는 백제 . 고구려 유민을 받아들며 신라의 관리로 등용하고 당군을 축출하여 민족의 자주성과 전통 성을 확립하였다. 특히 신라는 백제 . 고구려 백성들을 신 라의 중앙 군대(9서당)에 편입시켜 민족 융합을 위해 노략 하였으며,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나누어 삼국의 옛 땅에 똑같이 가각 3주와 2소경을 두어 국가의 균형발전을 꾀하 였다.


3. 통일신라의 융성 §  §  §  §

문무왕(661~681): 통일신라, 강력한 왕권 신문왕(681~692): 새로운 관료 제도, 최초로 전제 왕권 성덕왕(702~737): 당나라와 긴밀한 외교정책으로 국력 경덕왕(742~765): 관료제를 통해 통일신라의 융성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통일신라의 번영=> 불국사와 석굴암 •  민족 문화를 발전시킨 통일신라는 백제, 고구려문화와 당나라, 서역문화 수용 했음. •  당나라에 유학생 구법승 등을 파견하여 신라 문화의 폭을 넓혔음. •  신라는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대외적으로 자주성과 주체성을 나타내었으며 장기간의평화를 구가하면서 안정된 사회를 유지하였다.


4. 관료 제도의 완비 •  통일신라는 전제왕권을 뒷받침하기 위해 독자적인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마련하였다. •  중앙 정부: 14관부가, 고관들 •  지방 제도: 9주 5소경 •  군사제도: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 •  이 제도는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 우리나라 전통 사회의 원형으로서 그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앙 정부


5. 해외 무역의 발달 통일신라와 당의 외교 관계가 활발해지자 외교 사절. 유학생. 구법승 뿐 아니라 상인들도 왕래가 빈번해져 문물의 교류가 잇따랐다. Ø  당으로부터는 비단. 의복. 서적. 문방구 등이 수입되었다. Ø  신라에서는 비단 . 두발 . 인삼. 불상. 금은 제품들을 수출하였다. 그에 따라 밀무역도 성행해서 당나라 동쪽 산둥도에는 신라인들 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신라방이 설치되었다.


의복.

비단

문방구

서적

구법승


통일신라 말기, 신라와 당의 정치가 혼란해짐에 따라 해적이 등장하여 노예무역이 번창하게 되자 장보고는 828년( 흥덕왕 3년) 완도에 청해진 을 두고 해적을 소탕하고 , 나이가서 그는 산동성 적산촌에 법화원을 세워 신라인의 새상 안전과 일본과 당과의 무역을 독점하여 동양 최대의 해상 왕국을 건설하였다. 그러므로 산둥반도의 회하 일대에 신라방, 신라인들의 집단 거주지이 나타났으며, 살라소 ( 자치 기관) .신라원 (신라 사찰) .신라관 (신라 숙박 소) 이 설치되어 신라인의 활발한 해상 및 해외 활동을 뒷받침하였다.


법화원

825경에 장보고가 신라인의 해상안전과 해상무역을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적산에 세운 법화원에는 500여명이 거주할 수 있었으며 매년 500섬의 곡식을 수확하는 토지(장전) 가 있었다.


6. 통일신라와 당 통일신라는 백제 . 고구려 정벌 이후 한때 당나라와 전면 전쟁을 하였으나 , 그후 상호간 정치적 입장으로 휴전을 하였다. 영국은 친선관계를 맺고 사신. 유학생. 승려. 상인들이 빈번하게 왕래하였다. 이로써 당과 서역 문화가 수용되었으며 , 숙위학생이라는 유학생이 당에서 공부하며 문화적으로 많은 규류가 있었다. 특히 성덕왕 (702- 737)은 당의 현종 (712- 755)과 친선관계가 이룩되어 양국간에는 많은 문화교류가 있었으며 ,서역의 문화까지 받아들여 신라문화의 폭을 넓혔다. 신라 외교사절은 당나라 문화를 신라 뿐 아니라 일본에 까지 전달하여 동아시아 문화 형성에 다리 노릇을 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설중업 (원효의 손자 )은 일본에 건너가 원효의 불교와 성총( 설중업의 아버지 ) 의 유학을 보급시켰다.


II. 결론 통일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우수한 문화를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문화 를 발전시켰다. 또한 고구려. 백제의 유민들을 통합하는 민족 융합정책을 추 전해 통일국가로서의 기초를 다졌다.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