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Chosun MEDIA VanChosunMEDIA MEDIA VanChosun
VanChosun MEDIA 밴쿠버 조선일보
1
수
창간 VanChosunMEDIA MEDIA VanChosun
주년
창간 창간
모
604-862-5574 <
01
vanchosun
수
밴쿠버조선일보 조선일보 밴쿠버
밴쿠버 조선일보
의 주 비 보다 세
부
가 캐나다에서는 의식주 비용보다 납세 부담이 더 크다는 주장이 제 기됐다. 입고, 고, 자는 데 들어가 는 것보다 더 많은 을 세금으로 내고 있다는 것이다. 캐나다 공공정책 싱크 크인 프 이저연구소( raser Institute)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국내 가구의 연소득은 8만593달러 로 이 중 42.4 인 3만4154달러가 세금으로 납부됐다. 기본 생활 유 지를 위해 여진 이 전체 소득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보다 은 37.6 , 3만293달러로 조사 됐다. 동 기관에서 납세 문제를 연 구 중인 찰스래 (Lammam) 국장 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같은 현 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 라고 말했다. 과거의 상 은 지금과는 차 이가 있다. 1961년만 해도 캐나 다 가구의 연소득(5000달
의식주 비용보다 세금… 나 이 항상 곳이 많다 면서 거두는 세금, 정말 제대 로 의미있게 고 있나요 장 관 들. 다시 파업 카드 우 편 노조… 하면 불안감 조 성. 말이 안통한다며 우는 소 리. 자신들이 만 문제 아니 가요 데이 어 높은 비용에 마들 한 … 세금은 참 많이 거두는 데, 마 한 이는 데 써야 정상 아 런지요
러)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3.5 (1675달러)로 2015년에 비 해 10 P 가까이 다. 당시에 는 버는 의 절반 이상(56.5 )이 의식주에 들어 다는 게 프 이저 연구소의 전 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상 은 납세액 이 의식주 비용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역전됐다. 동 연구소 는 “1961년 이후 캐나다 가 구의 세금 총액은 1939 증가했 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음식과 의류 비용은 각각 645 와 746 , 거주비는 1425 늘었다. 지난 54 년간의 물가 상 을 감안하더라 도 동 기간 세금 증가 은 152.9
파 사무
캐나다우편공사(Canada Post) 와 노조(C P )가 이달 중순까지 30일 동안의 숙려기간을 가졌지 만, 입장 차를 히지 못했다. 노 조는 협상 기한의 마지노선을 오 는 25일로 고, 진전이 없을 경우 총파업을 하거나 정부에 분 조 정을 신청하는 방안을 고 고심 하고 있다. 노조는 23일 “공사 이 전국 500여개의 우편사무소를 하 겠다고 고집해 협상이 조금도 진 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 도 이날 “노조가 요구하고
있는 임금 인상과 연금 보장 등은 현재 재정상 에서 도저히 아들 일 수 없다”는 종전 입장을 재확인 했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이달 25일이 협상이 나는 마감시한” 이라며 “이 까지 합의에 도달하 지 못한다면 전면 파업 여부를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노사간 가장 민감한 사안 은 연금 보장이다. 노조는 사 에 대해 회사 연금에 10 달러를 추 가적으로 불입하라고 요구하고 있 다. 하지만 공사 은 “건실한 재정
11
( nc 1
신
종 합
교 육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조
김
상태를 위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하 며, 연금 추가 지원도 불가능하다” 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공사 주 변에선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가능 성을 두에 두고 물 접촉을 조 심스럽게 진행하고 있다는 기가 나온다. 25일 이후 노사 양 또는 한 이 분 신고를 할 가능성도 진다. 공사 관계자는 “노사 모두 총파 업에 대한 부담이 크기 문에 정 부 부 를 통한 분 조정이 이 지거나, 아니면 법원의 강제조정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김지현 기자 jh@vanchosun.com
웹 관리자 및 온라인 마케팅 기획자를 모집합니다 전
조
기 우
서 이 서, 자기 서 접수 이메일 n s@vanchosun.com 버 선일보는 합 보 을 공합니다.
가
)
주년
한국
社告
신 · 리 가능한
( 0 )
주년 주년
Richard Kim
0 64
나 된다. 래 국장은 “세금을 통해 정부 의 중요한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서도 “소득의 42 이상이 세금으 로 여지는 현실에 대해 납세자 들이 의문을 표시할 수 있다”고 말 했다. 동 연구소가 급한 세금에 는 직접세와 주판매세와 같은 간 접세 등이 모두 포함된 것이다.
우 부 공사 연 보장 가
>
(가
) 공
고
( 쪽에서 째) 공
국내 을 일과 기 아 계 각지로 하는 들이 고 있다. 해 아이 고 서른 이 에 하 항공사 무 으로 한김 ( 사 ) 가 지 해 아 에미리 아부다비공항에서 근무 동 들 과포 하고 있다. 아 사 국내 대학을 하고 스 의 사에서 자이 로 일 하는 고 가 사 에서 동 와 기고 있는 .
’ 노마 ’ 시대가 다 1 “이 게 스 이 안 은 사람 은 음 보 요.” 인천에서 대학을 나온 김준환 (29)씨는 2014년 초 취업컨설 업체를 찾 다 담했다. 업 학 (3.4)과 토 성적(865 )은 그 리 나 지 않지만 남들 다 있는 자격증과 해외 연수, 인 경력이 없다는 것이었다. 기계공학을 전 공한 김씨는 자동차 관 업계에 입사하려고 업(2012년) 후 2년 간 20개 이상 기업에 원서를 지 만 간판 과 스 의 을 지 못 하고 매번 방했다. 김씨에게 해외취업은 마지 돌파구였다. 시코에 공장이 있 는 미국계 자동차부 회사 직 원 모집 공고를 보고 지원했다. 이 회사 면접 였다. 미국인 면 접관이 김씨의 영어 실력이 다 면서 “자동차 관 구직활동을 2 년이나 준히 했다니 열정이 보 인다”고 가했다. 이탈 한
입사 지원 내력이 한국 취업 시장 에선 오자 의 증표였지만, 외국 회사에선 열정의 증거로 반전된 것이다. 김씨는 자동차 전기배선 지니어로 시코 현지에 취업 했다. 초 은 3000만원이 었다. 김씨는 “한국을 나보니 신세계 였다. 나지 않 다면 내게 이런 기회가 주어지기나 했을까 싶다” 고 말했다. 쿠바 음악 전문 여행가 를 며 작년 3월부터 쿠바에서 여 행가이드로 일하는 초원(26)씨 는 “취업하려고 온 기준에 내 을 한국보다, 남의 치 볼 요 없는 쿠바에서의 이 행복하다”고 말했다. 청년 실업 이 10.6 (1~7월 )를 기록하며 구직난이 심 해지는 가운데 이들 럼 해외에 서 활로를 는 은이들이 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 면 지난해 해외 취업 문을 은 청년들은 67개국 2903명으로 전 년도(1679명)보다 배 가까이 증
가했다. 올해 7월까지 벌써 1528 명이 공단을 통해 해외 취업에 성 공했다. 7월에만 516명이 다. 일과 기회를 찾아 청년들이 세 계를 돌아다니는 노마드( ob Nomad) 현상이 선진국에선 설지 않다. 유럽연합은 2011년 통 계 조사에서 15~35세 사이 은 이의 8 정도가 해외에 취업 중 이거나 해외 취업을 해본 경 이 있다고 밝혔다. 보스 컨설 그 의 2014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 20대 청년의 60 가 “기회만 되면 해외 취업하겠다”고 밝혔다. 준용 기자 에
직업( ob)과 유목민(nomad)을 합친 신조어. 독일 미래학자 군 둘라 리 는 “미래에는 국적 이 아 직업을 따라 세계 각지 로 진 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 이라며 노마드 현을 예고 한 바 있다.
부 동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