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6
3
<밴쿠버 판>
2 6
016
3
vanChosun media
vanchosun
산유국에서 친환경 국가 선택한 캐나다 트뤼도 총리 22일 파리 협정 이행 각서에 서명
환경국가로 전환을 의미하는 서명…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22일 UN본부에 서 파리협정 이행을 약속하는 문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캐나다총리실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22일 유 엔 사무총장 주재 고위급 서명식에 참석해 파리 협정을 이행하겠다고 서명했다.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 정부는 주·준주·원주민과 함께 좀 더 조직화한 캐나다 전국적인 기후 변화 대책과 탄소 가격제를 마련해 우리 자녀와 후손이 좀 더 번영하 고 지속할 수 있는 캐나다를 물려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트뤼도 총리는 향후 5년간 26억5000만달러를 개발도상국에 투자해 청정·지속성 있는 성장을 추진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파리 협정에 따르면 참여국은 2020년부터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유지 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또 5 년 주기로 노력을 평가해 이행 점 검을 하게 돼 있다. 이번 서명에 따라 캐나다 연방정 부는 세계적인 신기후체제 출범에 참여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탄소 가격제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전환에 반대의 목소리 도 있다. 에드 패스트(Fast) 보수 당(CPC) 환경·기후변화 논평담당 은 “정부는 기후변화의 실제 경제 적 비용에 대해 캐나다인을 오도
하고 있다”며 “기후변화와 싸움은 심각한 사안으로 캐나다인은 누가 이 비용을 댈 지 진솔한 협의를 해 야 한다. 아쉽지만 캐나다 전역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파리협 정 이후 90일 이내에 마련하겠다 는 공약을 자유당(LPC)은 지키지 못했다”고 22일 발표했다. 또 다른 야당인 신민당(NDP)도 캐나다 전국 기후변화 대책이 수립 되지 않은 점을 들어 트뤼도 총리 가 계획없이 서명했다고 비판했다. 지난 3월 1일 밴쿠버에서는 캐 나다 전국 총리-주수상 회담에서 기후변화 대책이 논의됐으나, 합의 를 끌어내지 못했다. 에너지산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는 주에서 산유국 에서 친환경 국가로 전환에 우려를 표시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트 뤼도 총리 아버지 피에르 트뤼도 총리를 공격해 집권했던 브라이 언 멀로니(Mulroney)전 총리는 19 일 트뤼도 총리의 파이프라인 사업 에 대한 태도가 잘못됐다고 비판했 다. 멀로니 전 총리는 “정부가 공정 한 심판 역할을 해야 하는 데 (환 경 진영의) 치어리더 역할을 한다” 고 밝혔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우리의 기억, 다음 세대에겐 긍지로 남는다 친환경 국가 선택한 캐나 다… 변화는 확실히 보여주고 있는 데, 그 결실은 언제 드러 날지? ○ 사기·배임·뇌물수수혐의 상원의원에 무죄… 정치가 사 람 잡아먹는 나라가 아닌 줄 알았는데. ○ 밴쿠버시, 주택소유 시범정 책 추진… 정말 자기 집 사는 기분이 아니라면 누가 그 집 을 살지?
캐나다 정부, 가평 전투 65주년을 맞이하며 가평 전투 승전 제 65주년을 맞 아 캐나다 정부가 특별 성명을 발 표했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지 난 1951년 4월 22일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는 캐나다, 영국, 호주, 뉴 질랜드 등으로 구성된 2000여 명 의 영연방군과 1만여 명의 중공군 사이의 사투가 3일간 계속됐고, 역 사는 이를 ‘가평 전투’라고 기록했 다. 이 전쟁의 승자는 영연방군이 었다. 특히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
리샤 2대대는 가평 남쪽 67고지를 사수했다. 하지만 희생은 따랐다. 캐나다군의 경우 10명이 숨졌고 부상자는 23명으로 알려져 있다. 켄트 헤르(Hehr) 캐나다 보훈 및 국방협력 장관은 22일자 정부 발표문을 통해 희생자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 요한 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기억을 통해 다음 세대 역시 세 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자 하
는 캐나다인의 간절한 바람을 지 지하게 될 것이라는 게 헤르 장관 의 의견이다. 한편 올해의 가평전투 기념식 은 캐나다참전용사회(KVA), 주캐 나다 대사관, 캐나다 전쟁 박물관, 한국전기념사업회(KWCA) 등이 공동 주최했다고 정부 측 관계자 는 전했다. 한국 전쟁 당시 파병된 캐나다인은 약 2만6000명으로, 이 중 516명이 한반도에서 목숨을 잃 었다. ▶관련 인터뷰 A10면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6
The Vancouver Korean Press Ltd.
nc
6
올여름 청년 일자리 두배 늘어난다 캐나다 정부, 예산 투입해 고용 기회 확대할 것 캐나다 정부가 청년 고용 지원 을 위해 예산 1억6500만달러를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 는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이번
로그램에 책정된 예산 총액은 2 억7800만달러다. 이는 해당 고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리앤
투자는 중산층을 돕기 위한 정부
용 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된 지
미슈크(Mihychuk) 캐나다 고용 인력개발 및 노동 장관은 22일
계획의 일환”이라는 점도 분명 히 했다. 캐나다 정부의 청사진
난 1997년 이후 최대치라고 정 부 관계자는 전했다.
자 정부 발표를 통해 “이번 결정 으로 인해 청년 세대들은 취업에
만 놓고 보면 향후 여름철 일자 리 구하기가 한결 수월해질 가능
캐나다 정부는 “YES를 통해 취업 교육을 받거나 경험을 쌓
필요한 기술이나 경험 등을 습득
성이 높다. 캐나다 정부는 청년
은 캐나다내 청년은 2005년 이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
고용전략(Youth Employment
후에만 77만2000명이 넘는다”
방 정부의 이번 대규모 투자가
Strategy), 즉 YES라는 프로그램
고 밝혔다. 캐나다 통계청의 3
청년 실업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을 통해 올 여름철 일자리를 전 년 대비 두배 가까이 많은 7만개
월 자료에 따르면 국내 15세에 서 24세 사이 청소년 및 청년 실
까지 늘릴 계획이다.
업률은 13.4%로, 당월 전체 평균
이번 투자의 수혜자는 원주민 이나 이민자, 미혼모 등 상대적
2016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
취약 계층을 포함한 청년 세대가
면 16/17회계연도 기준 YES 프
(7.1%)을 크게 웃돌았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캐나다인 68% 대마초 합법화 찬성 전 연령대에서 찬성의견이 많아 캐나다 정부가 2017년 대마초 합법화를 예고한 가운데 캐나다 인 절반 이상이 대마초 합법화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앵거스리드가 20일 공개한 설 문결과에 의하면 대마초 합법화 에 68%가 찬성, 32%가 반대의견 을 보였다. 2년전 설문결과인 59% 찬성, 41% 반대와 비교했을때 점 점 찬성의견이 많아지는 추세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8~34세의 찬성율은 68%, 55세 이상의 찬성 율은 67%로 세대간 의견차이는
문용준 기자의 차한잔 합시다 이우석 6·참전유공자회 회장
A10면
크지 않았다. 다만 75세 이상에 서는 찬성 53%, 반대 47%로 의 견이 반반 갈렸다. 대마초를 합법화해야하는 이 유로는 64%가 “실보다 득이 더 많기 때문”으로 나타났고 나머 지 36%는 “악영향이 더 많기 때 문”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대마 초 합법화가 캐나다의 중대사안 은 아니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82%의 캐나다인은 대마초 합법 화가 보통 또는 아주 중요하지 않은 쟁점이라고 답했고 오직
“트뤼도 총리, 세계에서 가장 스타일리시한 남자”
A8면
19%만이 중요 또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라고 밝혔다. “대마초가 합법화되면 미성년 자들이 대마초를 쉽게 구하고 흡 연할 것 같은가?”의 질문에 대해 선 캐나다인 전체는 51%가 그렇 다, 49%가 아니다의 의견으로 반 반 갈렸지만 대마초 합법화 찬성 자 66%는 “그래도 쉽게 구하거나 흡연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고 대마초 합법화에 반대의견을 낸 이들의 86%는 “미성년자들이 전 보다 더 쉽게 대마초에 손을 댈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존 대마초 소지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이 들에 대한 범죄기록 문제도 거론 됐다. 전체 캐나다인들은 범죄기 록을 유지 51%, 삭제 49%로 의견 이 반으로 갈렸지만 대마초 합법 화 찬성인들의 63%가 “범죄기록 에서 삭제돼야한다”고 했고 대마 초 합법화 반대인들 79%는 “범죄 기록에서 삭제하면 안된다”고 답 했다. ▶A3면에 계속
종 합
한 국
W h y
부 동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