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 보고서

Page 45

36

-

특히 산지 수집 및 배송 단계, 중간 검수 단계, 식재료 구매처의 검수 단 계

20

-

등에서의 저온 유통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

업체들이 저온 유통 시스템 도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부담에 따른 것으로 정부의 관련 사업 지원 및 규제 강화 등 다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

21

1.4. 불안전한 식품안전 관리 체계

○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식재료 공급 업체의 위생 및 식품 안전 관리 시설 및 노하우가 부족하여 식품안전 사고가 연례행사처럼 발생하고 있음. 특히,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저온유통체계 -

(cold-chain system)

등의 위생 설비 구축이나

정립 등이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지 못함.

식재료의 보관 및 유통 업체들이

HACCP

은 비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22

,

등의 식품 안전관련 인증을 받

이는 유통 중인 식재료가 유해물

질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

한편

원료

농산물

Agricultural Practice)

측면에서는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Good

와 이력추적제도(traceability) 등의 정착도 요구되는

상황.

20

21

22

일부 외식업체 프랜차이즈의 경우, 실온에서 진행되던 식재료 검수를 생략한 결과 반품율이 20% 이상 떨어지는 사례도 있었음. 일부 업체의 경우, 냉장 탑차를 운영하고 있으나 유류비 부담 등으로 인해 냉장 온 도를 높게 설정하거나 아예 냉장을 하지 않고 상온으로 배송을 하는 경우도 발견되 고 있음. 이에 따라 주무 부서인 농림수산식품부는 저온유통 확대를 위해 관련 지 원을 추진하고 있으나 영세 업체의 수가 매우 많아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임. 국내 식품 제조․가공업체 중 HACCP 인증 적용 비율은 2% 미만으로 조사됨. (2008년 농수산물 유통공사 내부 자료)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