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2040 BOEUN
GIL TAE HYUK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하던 2024년 겨울, 우리는 믿기 힘든 밤을
맞이했다. 국가 권력이 국민에게 총칼을 휘두르려 시도했던 그 밤이었다.
이 사건은 나에게 더 나은 사회와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오랜 생각을
갈무리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나는 위르겐 하버마스가 말한 ‘공론장 Offentlichkeit’의 개념을 자주
참고하곤 한다. 이는 모두가 자유롭게 정치와 사회적 의견을 피력하고,
상대를 배려하며 모두의 가치를 위해 타협하는 열린 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론장의 가치는 이상적인 공동체를 만드는 토대가 될 것이다.
이러한 공론장을 만들기 위해 건축가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공공을 위한 건축, 시민들에게 열린 건축을 지향하는 것, 그리고 사회적
현상을 건축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건축가가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더 나은 도시 환경과
생활공간을 구현하는 데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는 사회적 책무를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내가 지향하는 사회는 나이·성별·학력 등 계급과 계층을 기반으로
분열되는 것이 아닌, 독립적인 개인의 취향과 선택, 가치가 모이는
곳이며, 도시는 이를 반영한 물리적 공간으로 채워지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그 이상을 조금이나마 구체화하는 시도이다. 수도권
집중과 인구 감소, 지방 위기가 혼재된 현재의 사회적 상황을 인식하고, 사람과 자연, 공동체가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도시공간의 비전을
담고자 했다.
중소도시에는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는 곳이다. 누군가의 고향이자, 일상 속의 비일상을 경험할 수 있는 쉼터이며, 우리가 먹는 농산물들의 생산지이다.
각자의 도시마다 가지고 있는 컨텐츠와 물리적 환경이 다르다. 바다의 일상을 함께하는 도시, 산과 삶을 함께 하는 도시가 있듯,
이러한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졸업설계 프로젝트는
Super-Small City를 대상으로 하여 전국적 단위에서 디테일한 단위까지 단계적으로 시각을 좁혀들어가며 바라본다.
전국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을 마주하고 있는
도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를 구상하고, 마스터플랜을 수행하기 위한 건축적 시나리오를 제안하고자 한다. 건축적 단계에서는 시나리오 중 거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초등학교의 잠재성을 인식하고, 이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여, 실질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학교가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과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중소도시가 지속가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불어, 건축가가 더 이상 건축물을 디자인하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연구와 기획,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한다.
National scale → Urban scale → Central(Nodal) scale → Block scale → Architectural scale → Detail scale
Prologue
Super-Aged Society

HOW
및 대도시 영역 Metropolitan area
전체면적
Total area
16,096.8㎢ (16%)
총 인구(단위 :명)
Total population (unit : person)
37,422,846
인구밀도(단위 : 명/㎢)
Population desity (unit : person/㎢) 2324.8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전체면적
Total area
84,346.8㎢ (84%)
총 인구(단위 :명)
Total population (unit : person)
15,221,093
인구밀도(단위 : 명/㎢)
Population desity (unit : person/㎢) 180,4
인구(단위:명)
207,778
지역내총생산 GRDP
(단위:백만원)
7,846,266
인구(단위:명)
209,866
GRDP (단위:백만원)
6,974,361
인구(단위:명)
239,028
GRDP (단위:백만원)
7,949,043
인구(단위:명)
341,074
지역내총생산 GRDP (단위:백만원)
8,764,423
지역내총생산 GRDP (단위:백만원)
6,383,982
184,693 지역내총생산 GRDP (단위:백만원)
7,721,178
#제주위트에일
#순천정원박람회
#울산 태화강
#부산슈퍼
#예산시장
#양양서핑비치



7,781,426명








What
도시 천공 초국적 도시경관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빈 건물이
발생하고, 기존 건축물이
철거되어 텃밭, 주차장, 공원으로 사용되는 현상
도시의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외국인 인구가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해
유입되어 다른 문화가
비교적 느슨한 중소도시의 행정 제도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요소가 추가된 주거 형태 인구 감소에 따른 대중교통 체계의 경제적 부담 증가 및 보행가로 활력 저하의 악순환
| 24
로컬컨텐츠 브랜드
밀양소통협력센터 한국리노베링 괜찮아마을



밀양/경남 기반
커뮤니티 중심
프로그램 및 브랜드
개발
민간 주도
전국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민간 주도 목포/전남 기반
소도시의 유휴공간
리노베이션
창업 교육 및
스테이+관광코스+
커뮤니티 통합 여행
큐레이션
청년마을 만들기 로컬바이로컬


부산 기반
중소도시 여행 프로그램
소개 및 로컬기반 청년
창업 지원
민간 주도
공공(행정안전부) 주도
로컬 컨텐츠 발굴 및
프로그램 및 브랜드
개발
민간+공공
Where
SUPER SMALL CITY
NEXT CITY?
Macro Observations 1 거시적 관
소백산맥의 줄기에 자리잡아 분지의 자연경관으로
충청과 경상을 잇는 전략적 거점의 역사 유산을
지닌 보은은 방치된 역사 문화 자산과 시가지의
낙후로 인해 도시 활력과 정체성이 흐려지고 있다.
도시와 농촌이 어우러진 도시의 이미지가 명확하지
않고, 산재된 역사·관광 자산이 도시적 차원에서
연결되지 않아 보은의 잠재력을 담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정책과 사업들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도시의 통합적 이미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보은군의 상황과 잠재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적 발전 구상이 필요하다.
35 | 거시적 관찰

보은읍 내 인력사무소 24개소
일용직 노동자(농업, 제조, 건설 등)
읍내에서 보은, 옥천, 상주로 이동
농번기(여름) 약 4-50명/일
농한기(겨울) 약 10명/일
한국, 베트남, 필리핀 국적 등
외국인 노동자 다수
2024년부터 법무부 주관
지역특화비자(F-2-R)제도로
39명 신청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청주시
충청북도
보은군

국사봉 586.7m

장구봉 488.9m
비로봉 1031.8m 금단산 768.1m
천왕봉 1058.4m
노성산 572.3m
숲체험휴양마을













1,744,044명
보은군과 같은 중소도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심지인 보은읍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
단순히 행정 중심지를 넘어, 보은군 전체의 경제, 관광, 생활권을 통합하는 거점으로 기능해야 한다.
주민과 생활인구의 생활권을 통합ㆍ연계하고, 산과 하천 속에서 도시와 농촌이 어우러지는 도시경관을 보여줄 수 있는 중심지로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본 제안은 구조적 개입을 통해 보은읍 중심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고자 한다.
57 | 거시적 관찰
Micro Observations
미시적 관
옛날부터
청주와 상주를
연결하는 길의 흔적






보은군청/군의회 27 보은국민체육센터 28 보은공설운동장
29 보은스포츠파크
30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보은여자중/고등학교
31 보은소방서


















보은군의 사회적ㆍ물리적 현상을 인식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통, 유휴공간, 하천과 녹지, 생활인구에 대한 대안을 바탕으로 주변 도시와
보은군 내의 관계에서 보은읍 중심지의 역할을 재고하고자 한다.
Vision & Strategy
KTX 오송역 경부선 옥천역
중부내륙선 상주역(예정)
철도망과 연결되는
국도 및 지방도를 활용한
광역버스 노선 및
환승시스템 확대
청주 충북대학교, 서원대학교
옥천 충북도립대학교
괴산 중원대학교
상주 경북대 상주캠퍼스 평생교육, 외국인 교류 등
교육 인프라 연계
청주 충북대학교병원, 하나병원 상주 상주적십자병원, 성모병원
원격, 응급 의료
인프라 조성
보은(1, 6일장) 속리산
상주(2, 7일장) 경천대
괴산(3, 8일장) 산막이옛길
옥천(5, 0일장) 대청호 시장과 속리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프로그램 개발
주변도시와 보은군, 그리고 보은읍 내의 관계
속에서 중심지의 역할을 재고하고, 이에 따른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비전과 전략 속에서 앞서 인식한 현상들을 개선 및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도출하고, 이들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세스를 구상하고자 한다.
Program Proposal
보은읍의 새로운 확장이 아닌 중심지의 자연경관과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생활인구와 주민이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간의 관계를 통해 도시 농도를
짙어지도록 한다.
다음은 앞서 도출된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중심지 내
대상지를 선정하여 건축적 개입(Urban Acupuncture)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Spatial Scenarios
공간적 시나리오
개발
복합용도 개발
앞선 건축적 개입들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거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 대상지는 네트워크의
URBAN COURTYARD으로서 학교(교육과 커뮤니티)-블럭(네트워크와 커뮤니티) -시장(상업과 교통)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한 미래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제시한다.
Detailed Scenario
The Flexible City
Sustainable Solutions for a Europe in Transition
Tom Bergevoet & Maarten van Tuijl



THE FLEXIBLE CITY | NAi Publisher, 2016 | by Tom Bergevoet & Maarten van Tuijl | Pages 48, 68-69

Phase 0 Now
Phase 2
Phase 1
Phase 3
Phase 1에서는 삼산초등학교를
한다.
Phase 2에서는 학교 변화와 연계하여, 결초보은시장과
Phase 3에서는






프로젝트 대상지 내에서 URBAN COURTYARD의 잠재성을 파악하고, <The Flexible City>의 논리를 차용하여 네트워크의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앞선
Synthesis
종합
<서용원, 보은읍 삼산리 거주> “학교에 안 간지 오래되었는데, 우리도
이제 노래도 배우고, 운동도 해요. 혼자서
다니기도 쉬워지고, 동네에 이야기 나눌 사람이 많아져서 하루가 훨씬 빨리 가요.”

<정승범, 청주시 통근직 공무원>

“점심시간에 시장에서 커피도
마시고, 퇴근 후에는 근처 공유 텃밭에서 텃밭도 가꿔요. 익숙한
생기고, 점점
<서효은, 삼산초등학교 3학년>
당근도
심고 물도 줘요. 예전보다 놀이가 많아져서 더 재밌어요.”



앞선 사회ㆍ도시적 변화 속에서 네트워크의 거점
역할을 하는 삼산초등학교는 어떻게 변해야 할까?
기존 교육의 기능과 더불어, 인구구조의 변화로
발생하는 유휴공간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다음은 학교를 건축적 범위에서 바라보고, 도시
속에서 모두의 학교이자 커뮤니티의 장이자,
새로운 녹지 레이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리노베이션의 과정을 보여준다.
Project
ISSUE











SITE ANALYSIS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SCHOOL
FUTURE OF SCHOOL
기술 사회 정치 웰빙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동화
고령화
저출산
1인 미디어
기후변화
자동화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노마드
공유경제
플랫폼 경제
사물인터넷
초연결
인구 감소
주거 안정성
불평등
양극화
반도체
클라우드 저장소
사물인터넷
디지털 격차
웰니스
사회적 책임
정신 건강
노동권과 노동 환경
식량 안보
에너지 고갈
도시재생
온라인 교육
문화 다양성
저성장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메타버스
디지털 민주주의
공유주거
지역커뮤니티
젠더 평등
보은 삼산초등학교 리노베이션 건물시스템과디자인구조디자인산업기유산리노베이션모빌리티건축주차공간건축1인대상건축디지털건축빈집리노베이션패시브디자인기능복합화
지속가능한
중소도시를 위한
디지털 프라이버시
중소도시
식량 평생 학습
사회적 연결망
지역 경제 활성화
도시농업
대체 식품
분쟁
리더십의 변화 양자컴퓨터 팬데믹
정치적 혼란 뉴럴링크 전쟁
늘봄학교
코딩 교육 학생 자율 선택 교육 미래형 교육과정 대학 서열화 문항 반영 고교학점제 창의융합 교육 학생 선택권 확대 문·이과 구분 폐지
맞춤형 돌봄 유보통합 공교육 강화 기초학력 보장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강화
디지털 교과서 AI 디지털 교과서
코딩 교육 강화
정보 교육 확대
초등 정보 교육 확대
디지털 소양 교육
직업교육 강화 환경 정화 (봉사활동)
맞춤 교육 교육격차 해소
상담 및 심리 지원 프로그램 지역 협력 (마을교육공동체 등)
인공지능 교육
데이터 리터러시
AI 기반 학습
특성화고 개편 토론수업
진로 융합 교육
실생활 융합해결교육 자기주도학습
전인 교육 내신 반영 비율 조정 대입 개편
멘토링 프로그램 직업 멘토링
창업 교육 (창업 프로젝트)
국어 교육 확대 생태 탐방
독서 융합 교육 예술 체육 융합 교육 다방면 평가제
사교육비 경감 이중 언어 정책 국제 교류
연극 교육
음악 워크숍
포트폴리오 평가제 농업교육 (도시농업 교육) IB 프로그램 도입
업사이클링 워크숍 자율형 사립고 폐지 외국어고 폐지



PROGRAM
감소에 대응하는 학교 공간
라이프스타일/관광 > 생활인구에게도
새로운 교육공간
에코스쿨
오픈스쿨
인구 시나리오에 맞는
적정한 교육공간 제시
학교 공간
교육
연계+숙박
SPACE STRATEGY







ARCHITECTURE PLAN



폐수처리
물탱크실
기계실
보일러실
발전기실
우수저장소 전기실
SKY TERRACE PUBLIC GRRENHOUSE OBSERVATORY
5TH/6TH GRADE CLASS MUSIC CLASS MULTIMEDIA CLASS SOLAR PANEL

3RD/4TH GRADE CLASS SCIENCE LAB AI/COMPUTER LAB ART CLASS
AGRICULTURE LABORATORY
1ST/2ND GRADE CLASS TEACHER’S OFFICE HEALTH ROOM
ADMINISTRATION OFFICE COUNSELING ROOM MULTIPURPOSE ROOM STUDENT LOUNGE
AGRICULTURE LABORATORY
SMART FARM SEEDING ROOM
CAFETERIA
SHARED KITCHEN AUDIOVISUAL ROOM LIBRARY KINDERGARTEN
AGRICULTURE LABORATORY AGRICULTURE LAB
SMART FARM-AQUAPONICS WASH/PACKAGE ROOM
GUESTHOUSE MOBILITY




SECTION & ELEVATION

STRUCTURE & DETAIL

THK 600 NLT 글루램 보 LOW-E 유리 천창
폴리싱 타일
시멘트 모르타르
THK 50 단열재
THK 175 CLT 패널 슬라브
목재 루버 LOW-E 유리
스타코플렉스 마감
메쉬+미장층 THK 20 OSB 합판(2겹) 투습방수지 THK 100 글라스울 THK 100 CLT 패널 벽체 토목성 토분
쇄석자갈 방수시트 배수층
THK 50 단열재 THK 175 CLT 패널 슬라브
설비층
THK 50 천장 마감 THK 600 NLT 글루램 보
3 4 2
THK 600 NLT 글루램 보 철재 유리 프레임

삼산초등학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보은군
커뮤니티의 미래를 제안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가능성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와 단절된 학교를 개방하여
학생뿐만 아니라 주민, 체류형 노동자, 생활인구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거점의 역할을 기대한다.
0 Prologue
19p
▪ 이상호, planet 03, 생태국가 독일을 가다 ③ 태양 도시 프라이부르크, https://www.planet03.com/
▪ Adrian Sulc, Wikidepia, Abstimmung an der Landsgemeinde am 7. Mai 2006 in Glarus
▪ erom 이로운 이야기 magazine vol.3
▪ 한국연구재단 인문공감 블로그, https://m.blog.naver.com/inmun_love/22132919 3974
20p
▪ https://www.archdaily.com/799277/orizzontale-a ctivates-the-street-with-wooden-intervention-in -the-azores-islands
▪ https://www.archdaily.com/891819/urban-bloom -aim-architecture-plus-urban-matters?ad_medi um=office_landing&ad_name=article
▪ https://www.dezeen.com/2019/02/20/level-upstreet-pavilion-rijeka/
▪ https://archello.com/nl/project/superblock-of-sa nt-antoni
24p
▪ 네이버 지도
▪ https://brunch.co.kr/@jibobos/53
26p
▪ 인스타그램 @c.campus055
▪ 인스타그램 @renovaring.kr
▪ https://dontworryvillage.com/
▪ https://localro.co.kr/
▪ 인스타그램 @localxlocal_official
1 Macro Observations
36p
▪ https://www.youtube.com/@DHdronevideo
41p
▪ 네이버 지도
45p
▪ 네이버 지도
47p
▪ https://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 dxno=1410434
53p
▪ 보은군
▪ http://ad.thefestival.co.kr/info/tour/6411
▪ https://www.travie.com/news/articleView.html?idx no=50476
▪ http://bbsj.kr/tour/tour_detail.php?tou_idx=1129
▪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11 78263.html
▪ https://boeunmissiontour.kr/
▪ https://blog.naver.com/the_trip_/223718179230
▪ https://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 ml?idxno=218196
▪ https://www.khan.co.kr/article/202209131500001
▪
▪ https://blog.naver.com/ddoksugi/222912798883
▪ http://www.golftimes.co.kr/news/articleView.html?i dxno=126260
▪ https://blog.naver.com/cbkb21/222703871134
2 Micro Observations
59-64p
▪ 국토지리정보원 68-69p
▪ 직접 촬영 73p
▪ 직접 촬영 76p
▪ 네이버 지도 77p
▪ http://www.boeuni.com/news/articleView.html?idx no=44076
80p
▪ http://www.boeuni.com/news/articleView.html?idx no=74559
81p
▪ 직접 촬영
▪ https://www.cbnews.kr/news/articleView.html?idx no=227308
6 Deatiled Sceanrio
114p
▪ THE FLEXIBLE CITY | NAi Publisher, 2016 | by Tom Bergevoet & Maarten van Tuijl | Pages 48, 68-69
8 Project
140p
▪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 17/06/07/2017060700222.html
▪ 차주영, 임강륜, 2011,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변필성, 김동근, 차은혜, 이효란, 2015, 지방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발전방향 연구, 국토연구원.
▪ 변필성, 차은혜, 2016, 상호보완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지방중소도시 발전방향, 국토연구원 주간지 no.580.
▪ 장흥섭, 2018, 해외 선진 전통시장을 통한 한국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한국경영교육학회.
▪ 서수정 외, 2019, 중소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서수정 외, 202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정책 방안, 건축공간연구원.
▪ 이상호, 2024, 지방소멸 2024:광역대도시로 확산하는 소멸위험, 한국고용정보원.
▪ 변은주 외, 2024, 인구감소도시 생활권계획의 컴팩트-네트워크 전략 적용방안, 건축공간연구원.
▪ 류호섭, 최병관, 2005, 학교건축계획 연구의 동향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시설학회.
▪ 권경민, 김종진, 2007,렘 쿨하스와 카즈요 세지마 건축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의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의 비교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이정우, 2008, 1960~70년대 서울시 국민학교 건축 표준설계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 황성혜, 박수빈, 2009, 지역사회 커뮤니티 센터로서의 학교시설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 이성룔 외, 2011,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교시설 복합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 성은영, 양상현, 2012, 2000년 이후 중고등학교 시설의 건축 특성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 강종, 2012, 1980년도 표준설계도에 준하여 건설된 학교건축물의 내진보강기법 연구, 한국방재학회.
▪ 장용순, 2015, 이토 토요 건축에 나타난 구조/표피/공간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 이소민, 2019, 학교시설 복합화에 따른 공유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 조진일 외, 2020,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이주연, 금상수, 2021, 도시재생과 연계한 학교시설 복합화 영향 요인 분석, 한국부동산원.
▪ 김민경, 202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교육환경 구현을 위한 초등학교 개축설계, 대한건축학회.
▪ 김동일, 김희정, 2024, 스마트팜과 공공문화공간이 결합한 복합스마트팜 프로토타입 제안, 대한건축학회.
▪ 이상민, 2025,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공간 재구조화 사례, 한국교육개발원.
▪ 이학성, 정진주, 조재문, 김지연, 2025, 학교 건축물에서의 목재 활용 방안 모색, 대한건축학회.
▪ 농림축산식품부, 2025,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 수립지침.
▪ 관계부처합동, 2020,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
▪ 보은군, 2023, 2040년 보은 군기본계획.
▪ 보은군, 2023, 2023년 보은군 혁신 실행계획.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6, 옥상텃밭 모델 활용 매뉴얼.
▪ 교육부, 2021,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