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et H_2019.02_Vol.117

Page 1

Street H

Vol. 117 홍대앞 동네 문화 잡지 Culture Magazine for Hongdae Area www.street–h.com

supplement Poster & Hongdaeap Map 일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참여한 항일독립운동. 일제 강점기 동안 일어난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이었다

ⓒ Illustrated by Hyun Jung Park

산울림소극장 앞 Add.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데니 태극기 1886~1890 외교고문을 지낸 O. N. 데니가 귀국시 고종에게 하사받은 태극기

3.1운동 당시 사용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공식 국기로 사용. 1942년부터 ‘태극기’로 명명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which all the people participated,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the largest nation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ckground

일본제국이 대한제국 국권을 강탈했음을 공포한 사건

1917.7 대동단결선언

강력한 헌병경찰통치로 조선인을 무력으로 탄압한 통치제도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신규식, 박은식, 조소앙 등 14명이 작성한 선언문

경술국치

1910.8.29

대한민국

Centennial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20 일제의 무단통치

배경

민족자결주의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

1948. 7. 12 대한민국 제헌국회. 태극기 공식 국기 제정

1918.1.8

1918.1.21

우드로 윌슨의 14개 조 평화원칙

고종 황제 사망

2·8 독립선언

독살설이 제기되며 3·1운동의 도화선이 됨

일본의 한국유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 선언식을 가진 사건

1차 세계대전 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제안

1919.2.8

1919.3.11 대한독립선언서

1919.3.1

경술국적 8인

융희황제 순종

중국 지린성에서 발표. 육탄혈전으로 독립을 완성할 것을 촉구

3·1운동

3 1운동 1919.3.1

이완용 윤덕영 민병석 고영희 박제순 조중응 이병무 조민희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Preparation

D-day

준비

1919.2.27

Route of Demonstrators

거사 당일

1919.3.1

기미독립선언서 인쇄

서울 중심부

민족대표 측

일제의 감시를 피해 보성사에서 2만 1천장 인쇄 성공

민족대표 33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 치른 후 경찰서에 자수

21,000

시위대 이동경로

서울 외곽

크게 남대문, 동대문, 종로로 나뉘어 그 주변을 모두 행진

친일 전향 인물

저녁이 되자 교외로 확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

04

06

08

09

10

11

feature

Infographics

think & talk

open studio

Food

space

opinion

이제 차가 어렵지 않습니다

홍대앞 레시피 - 치킨

시각예술 아티스트를 위한 갤러리 겸 펍 - 나인앤드 벙커

홍대앞에서 산다는 것

chicken around Hongik university

진짜와 가짜 사이에서 상상하기 - 이기준 디자이너

기본에 충실한 카페 - 퀜치커피

TEA, Now It’s not so Difficult to Enjoy

20주년 맞이한 대안공간 루프 디렉터 양지윤 Yang Ji Yoon, Director of LOOP ALT SPACE

DESIGNer Lee KI-joon’s workroom

마포에 있는 전차 종점 부근에 2백여 명 집결

홍병기 이종일 최 린 한용운 백용성 이승훈

학생·시위대 측 약 4,000명이 파고다공원에서

02

저녁 8시 경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1919.2.28

남대문

밤 11시 경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파고다공원 팔각정

민족대표 기다림

파고다공원

동대문

신촌 연희전문학교 부근 학생 2백여 명 만세시위

종로

吾等은玆에…!

전국 각지 배포 종교계와 학생들의 노력으로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 배포 3·1운동이 전국적 규모로 전개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

시위대 중 정재용 팔각정에 올라 선언서 낭독

중국 지린성

국내·외 독립선언 지역

대한민국 서울

중국 상하이 1917. 7 1919. 2. 8 일본 도쿄 1919. 3. 1 대한민국 서울 1919. 3. 11 중국 지린성

일본 도쿄 중국 상하이

대동단결선언 1917.7

대동단결선언 의의 1917년까지 다양하던 독립운동의 이론을 결집

大同團結宣言

참여자

국민 주권설 주권은 국민의 고유한 권리이므로 융희 황제 순종의 주권 포기는 곧 국민에게 양여한 것으로 해석

2·8독립선언서 1919.2.8

당장 실현되진 못했으나 각처의 신문을 통해 알려지며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의 모체가 됨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박용만 윤세복 조소앙 한진교 등 14명 참여

주권 주권

황제의 주권 포기

국민에게 양여한 것

대한독립선언서 1919.3.11

기미독립선언서 1919.3.1

二八獨立宣言

大韓獨立宣言書

己未獨立宣言書 /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민주주의에 입각한 신 국가’

吾等은玆에我朝鮮의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외친 조선의 독립선언

獨立國임과朝鮮人의自主民임을宣言하노라…

우리는 오늘 조선이 독립한 나라이며, 조선인이 이 나라의 주인임을 선언한다…

·한일병합조약 폐지 ·조선독립선언

독립국 Independent State

자주민 Independent People

獨立國

·민족대회 소집 요구 ·만국평화회의에 민족대표 파견

自主民

타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된 주권을 가진 국가

초안 : 최남선

대원칙 : 손병희

모든 권리를 스스로 가지고 있는 독립국의 겨레

공약 3장 : 한용운

황제의 나라

국민의 나라

대한의 정의

육탄혈전 독립 표방

완전한 자주독립국 민주의 자립국

일본에 대한 결사항전 강력한 무장투쟁 선언

출처 사진으로 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1945

3 1운동 발발 이후 전개 상황 Development of Circumstance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Effects

Development

영향

일제의 통치방식 변화 3·1운동 후

무단통치

전개 황해도 평안도

도시에서 시작해 농촌으로 번짐

강압적인 통치에서 기만적으로 회유하는 방식의 통치로 변경

일제에게 검열·삭제된 신문기사

ICON

종교인

국내 민족운동

민중

노동자 동맹파업

86,511 254,237 87,798 7,460

전라지역

363 221 283

189,239

서울 발발

100 37

43,581

235

136,225

61

26,544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제로 한다.

83,557

대한민국으로 계승

275,684

1948. 7.17 제헌헌법 1987 개정된 현행 헌법 3월 중순 후 경기도를 중심으로 중남부 지방

천안

3월 하순~4월 초순 만세시위의 절정기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4월 1일 천안 병천시장의 3,000여 군중이 참여

횃불, 봉화시위

투쟁 봉오동 / 청산리 전투

홍대앞 동네 문화 잡지 Culture Magazine for Hongdae Area | 2019 2 | www.street–h.com | 02-323-2569

의의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제6회 기념(1919.9.17)

18,948

경기도 강원도

상인 철시투쟁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날에 발발

3단계

농민 중심

Significance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미독립선언에 기초하여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로 설립된 정부.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민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구성함

누적 시위 참여자

1,211,978명

인천

충청지역

경상지역

학생 등교거부

청산리전투 직후 기념사진

231 159 27

누적 시위

1,921건

서울

3월 하순~4월 초 전개

제암리 학살사건 기독교인·천도교인 약 30명을 교회에 가둬 무차별 살해

국외 무장투쟁운동

봉오동전투를 이끈 여천 홍범도 장군

197

1919년

3월 초·중순 전국 시위 중 70% 북부지방

서울 제외 6개 도시에서도 만세시위 발발

수원 화성

학생들은 시위를 모의하고 주도

농촌으로 확산 조선민립대학기성회

국산품 애용 선전 광고

기미독립선언서 발표, 전국적인 독립운동의 발화점

진남포, 안주(평남), 선천, 의주(평북), 원산(함남) 학생

중소도시 학생·상인·노동자

2단계

교육 민립대학 설립운동

경제 물산장려운동

강원도 (북한)

서울

전날과 당일 기미독립선언서 받아 낭독

1단계

국내·외 민족운동 전개

시위 건수(건) 시위 참여자(명)

서울 외 6개 도시 종교인·민중·학생

1920 년대 단체, 언론 활동 제한적 허가. 친일파 양성으로 한민족 분열

무장한 헌병경찰들

3·1운동의 큰 확산으로 독립에 대한 자신감을 얻어 다양한 민족운동이 전개됨

함경도

북부지방을 시작으로 경기도를 거쳐 중남부 지방으로 확산

문화통치

1910 년대 헌병이 경찰 행정까지 담당. 총, 칼을 이용한 강압적 통치

유관순 열사는 3월 5일 남대문 만세운동 참여 후 천안으로 내려와 시위에 앞장섬

제주도 유관순 열사

7

2,200

출처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KBS 만세 지도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임시정부의 이동 (1919~1932년) 13년간 상하이 정착. 이후 일본의 중국 본토 침략에 의해 이동

전장 충칭

치장 류저우

창사

상하이

항저우 광저우 김구 1940~1947.3 국무회의 주석

www.infographicslab203.com | Infographics 203 × infographicslab Tae Gyeong Oh, Sumin Kim, Hyobin Cho | 자문 Chang Hee Kim | © Sung Hwan Jang

Size 500 × 700mm

Cafe that is faithful to basic, quench coffee

gallery and pub, 9and bunker

Living around Hongik Univ. Area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