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동대표 법인 정강자 하태훈
| 03036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9길 16 (통인동)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T.02-723-5300 F.02-6919-2004 www.peoplepower21.org |
수 발 제 날
신 각 언론사 사회부 신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담당 김은정 팀장 목 보도자료 참여연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 짜 총 쪽 (
[
]
2018. 5. 24. (
:
02-723-5052 efrt@pspd.org)
,
15
@peoplepower21
」 발표
Q&A
)
보도자료
참여연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 Q&A」 발표
분식회계 핵심 쟁점·콜옵션 행사가 미치는 영향 등 정리 콜옵션은 2012년부터 실질적 권리, 2015년에 판단 달라질 이유 없음 강조 1.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소장 : 김경율 회계사)는 오늘(5/24) 「삼성바이오 로직스 분식회계 혐의 Q&A」를 발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의 핵심 쟁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젠과 콜옵션이 포함된 주주간 약정을 체결하고도 이를 공시하지 않은 문제, ▲삼성바이오에피 스 기업가치 평가의 적절성 문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삼성바이오에피 스에 대한 지배력 판단을 변경한 근거 및 그에 관한 회계처리의 적절성 문제 등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은 단순히 회계기준 의 해석과 회계처리의 적절성에 관한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삼성바이오 로직스의 코스피 상장 동기를 이해하려면, 그 배경에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의 관련성 여부, 즉 삼성그룹 승계작업의 일환으로서 계획된 분식 회계의 고의성 여부에 주목해야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는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나라 초일류 기업집단이 총수의 승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자본시장의 투명성을 해치고, 투자자들에게 엄청난 손실을 끼친 중대한 시장교란 행위에 해당 한다. 하지만 난해한 회계기준과 복잡한 재무적 수치 속에서 자칫 이 문 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또한 사안의 본질 을 호도하고, 사실관계를 왜곡하는 주장들도 쏟아지고 있다. 이에 참여연
정부지원금
0%,
참여연대는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회원이 되어주세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