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분이면 후딱 하고 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투표 열기가 대단하네요.”
21대 대선 사전투표일 첫 날인 29
일 오전 8시 40분. 서울 중구의 사무실
출근길에 인근 투표장을 찾은 조은진
( 27)씨는 “아직 50분째 대기 중”이라며
놀란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12·3 불법 계엄’의 밤이 아직도 생생하다는 그는
“유권자로서 권리를 행사하러 왔다”면
서도 줄어들 기미가 안 보이는 대기줄
을 애타게 쳐다봤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
는 6·3 대선 사전투표 열기가 뜨겁다. 중
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이날 투
표 마감 시간(오후 6시) 기준 투표율은
19.58%로 사전투표가 적용된 전국단위
선거의 동시간대 투표율 중 최고치다.
서울 도심 한복판 중구 소공동주민
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장에는 오전 8
시 20분에 유권자 100명 이상이 몰렸다.
대부분 20~40대 직장인들이라 기다리
는 시간이 길어지며 이탈자가 나오기도
했다. 40대 신모씨는 “투표하려고 오전
6시에 일어났는데 더 일찍 나왔어야 했
나 싶다”라며 오전 9시 출근시간을 10
분 남기고 대열을 빠져나왔다. 신씨는
“그래도 ‘나라를 바로잡아야 된다’ 마
음에서 나온 사람들이 이렇게 많구나
싶어서 뿌듯하다”고 미소지었다. 이 투
표장에는 점심시간엔 건물을 빙 둘러싸
고 100m 넘는 줄이 생기기도 했다. 대기
투표소 줄 선 시민들 반응 50분 대기하다 출근한 직장인
“사람 많아 투표 못했지만 뿌듯”
점심시간엔 2시간까지 기다려
“안 되면 내일 새벽 일찍 나올 것”
시간은 오전에 약 50분이었다가 점심시
간에 2시간으로 늘어났다. 김수민( 32)
씨는 “동료 두 명과 헐레벌떡 뛰어나왔 다”며 “일단 줄을 서보고 안 되면 내일
새벽에 더 일찍 나오겠다”고 말했다.
주택가에 위치한 사전투표장도 붐비
기는 마찬가지였다. 동대문구 회기동
에선 대학생 등 20대와 고령의 노인들 이 오전 8시 전부터 몰렸고, 서초구 반 포동 한 주민센터는 5층 투표장을 가
는 사람들을 가득 채운 승강기가 쉼없 이 오르락내리락 했다.
다시는 계엄과 같은 사태가 벌어져서
는 안 된다는 결연한 마음가짐으로 투
표장을 찾은 시민들도 많았다. 윤 전
대통령의 사저 아크로비스타에서 멀지
않은 반포1동주민센터에 온 주민 허모
( 43)씨는 “내란 세력 청산을 위해 투표
소를 찾았다”며 “이런 게 해결돼야 올
바르고 새로운 정부가 수립될 수 있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계엄 당일 밤 국
회 앞을 지켰다는 최수진( 53 )씨는 “저
희 집이 평소 헬기들이 다니는 길목에
있는데 헬기 소리가 들릴 때마다 ( 그날
밤이 생각이 나) 너무 힘들다”며 끝내
눈물을 보였다. ‘경제 안정’에 방점을 둔
유권자들도 보였다. 노모( 64)씨는 “대
기업을 죽이는 대통령이 아 닌 경제를
살리는 대통령”을 바랐다. 동대문구 자
영업자 이정열( 55)씨도 “구태정치를 벗
어나야 하고 경제도 다시 제자리를 찾
았으면 한다”고 했다.
부정선거를 우려하는 유권자들도 있
었다. 투표를 마친 한 70대 동대문구 주
민은 “사전투표는 부정이 많아 믿지 못
한다”면서도 “TV토론에서 아주 서로
비방만하고 헐뜯는 모습을 보고 기다
릴 수가 없어서 그냥 오늘 왔다”라고 했
다. 투표 활동을 감시하기도 했다. 김모 ( 77)씨는 오전 6시부터 중구 한 투표소
앞에서 투표를 마치고 나오는 사람 수
를 일일이 세며 흰 종이에 ‘바를 정(正)’자 를 빼곡이 써 넣었다. 그는 “우리 교회 애 국자랑 저랑 둘이 오늘 번갈아 가며 부
릅뜨고 볼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사전투표소 경비 및 순찰 활동도 강
화됐다. 전국 3,568 개 사전투표소 중
20대 대선 기준 하루 사전투표자 수가
4,000명이 넘는 304개소( 서울 57, 경기
79개소 등)에 정복경찰관이 2명씩 우선 배치됐다. 배치되지 않은 곳도 소란이 발생할 경우 투표장 관리관 판단에 따 라 경찰에 도움을 구할 수 있다. 강지수·이유진·전유진 기자

“발달장애인은 투표 보조를 받을 수 없습니다.”
29일 오전 11시, 21대 대통령선거 사 전투표가 진행되고 있던 서울 마포구 공덕동 주민센터. 발 달장애인 강수미 ( 27 )씨가 투표 보조인(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 사전투표 동행 취재 따라간 복지사 도움 허용 안 되고 주변에선 “장애인이야?” 수군거림 사전투표 가겠다는 발달장애인에 선관위 “시끄럽지 않게 주의” 냉담
다음 달 3일 대통령선거 투표가 마
감되면 방송 사들의 개표 방송 경쟁이
시작 된다. 방송 사들은 기술 력과 역
SBS “체육복 입은 후보들 경쟁”
MBC “초현실적 몰입감 극대화”
량 을 총 동원해 시청자
나선다.
인기 드라마나 안무 등을 후보와
성한 그래픽
‘CG( 컴퓨터그래
대선 개표방송
을 준비했다.
라마 ‘오징어 게
징하는 색 체육
아지는 표를
피었습니다’ 등 전통 놀이를 한다.
의 투표 마스
드라마 속 게
굴을 돌린다.
SBS는 2022



한다는 전략이다. MBC 측은 “방송 역 사상 최대 규모의 LED를 투입한다”며 “LED 스크린을 한 폭의 화면처럼 활
도 움 을 받아 투표하겠다고 하자, 사 무원은 공직선거법상 시각·신체장애인 만 투표 보조가 허용된다며 보조인의 출입을 제한했다. 주변에선 “장애인이 발 달 장애인들이 투표를 포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거나

“정당 로고와













구 인

세탁소 프레스
뉴저지 Delran지역
상의, 바지 프레스
전화 610-246-3762



악기 판매
남부뉴저지 체리힐
알토 색소폰 $2,000
테너 색소폰 $1,000
문의: 201-615-5511




Election Period) 이 10월 15일부터 12월 07일까지, Open Enrollment Period는 2025년1월 1일에서3월 31일까지 시행됩니다.
• 매년 메디케어 헬스 플랜의 혜택과 보험료가 변경되므로 가입 기간 내에 갖고 있는 플랜의 변경 사항 등을 비교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메디케어 파트 A/B를 처음 받으신 분들은 유효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