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금)D

Page 1


올해 셀러들이 체감하는 주택 시장 분위기가 예년과 확연히 달라졌다. 집

값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승세가 멈춘 지는 이미 꽤 됐다. 거래가 활발해야 할 봄철 성수기지만 구매에 나서는 바이어는 찾기 힘든 상황이다. 온라인부동산정보업체 리얼터닷컴에 따르면 지난 4월 시

장에 나온 매물 약 5채 중 1채가 가격을 인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만큼 집이 팔리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장점 부각·차별화’로 가격 방어 시장 식었다면 가격 조정 고려

▲ 옆집 시세보다 싸게 나왔다면?

당장 집을 팔아야 하는데 가격을

내린 매물이 옆집이라면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이건 뭐지?’하는 당

혹감과 함께 곧‘우리집이 안 팔리

면 어떡하나?’라는 불안감에 휩싸이

기 쉽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냉정

함을 유지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웃이 싸게 내놓은 집이 우리 집

가치를 떨어뜨릴 것이란 섣부른 판

단대신, 시장 흐름을 냉정하게 분석

하고 가격 전략을 재검토해야 할 시

기로 받아들이면 된다. 부동산 전문

가들은 가격 경쟁에 휘말리지 말고

우리 집만의 장점을 부각해서 제 가

치를 인정받도록 하는 현명한 전략

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왜 싸게 내놨을까?…속사정 따져

봐야

이웃이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집

을 매물로 내놓았다면,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무슨 사정이 있는

지 냉정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우

리 집과 무관하게 옆집만의 속사정

이 있어서 헐값에 내놨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대개 집에 수리가 필

요하거나 급히 이사해야 하는 경우

에 시세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집을

내놓는다. 일부 경우 낮은 가격으로

여러 명의 바이어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일종의 판매전략일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주택 관리 상태가 좋

지 않은 경우, ▲실내 면적이 비교적

작은 경우, ▲대지 면적이 작은 경우, ▲구식 시설이거나 욕실 등 편의시

설이 부족한 경우, ▲고압선 등 기피

시설과 인접한 경우 등에도 시세보

다 낮게 내놓는 경우가 많다.

지역 주택 시장이 식어가는 시기

에도 저가 매물이 많이 나온다. 리얼

터닷컴의 4월 주택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매물 중 약 18%가 가

격을 내렸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셀러

5명 중 1명은 높아진 모기지 이자

율에 따른 주택 구매 여건 악화에

대비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할 수 있다.

◇ 섣불리 가격 인하할 필요 없어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웃에 헐값

매물이 나왔을 때 집값을 급하게 내

리는 실수를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

다. 원인 분석 없이 성급하게 가격을

내리는 것은 조급한 셀러들이 저지르

는 가장 일반적인 실수다.‘리스팅 가

격’(집을 내놓는 가격)은 단순히 기

분에 따라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니다.

리스팅 가격은 리스팅 에이전트

가 현재 시장에 나온 유사 매물과

최근에 팔린 매물, 그리고 해당 주택

의 자체적인 특징을 분석해 결정하

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통상적

인 가격 책정 과정을 거쳤다면 옆집

이 가격을 내렸다고 해서 섣불리 따

라갈 필요는 없다.

경쟁심 때문에 즉흥적으로 가격

을 인하하기보다는 가격을 포함한

판매 전략 점검 기회로 삼는 것이

좋다. 리스팅 에이전트에게 최근 시

장 분석을 의뢰해 검토해볼 수 있다.

시장 분석 업데이트를 통해, 주변 집

값이 실제로 내려가는 추세인지, 아

니면 오르는 추세인지를 정확히 확

인해 필요시 가격 조정에 반영하면 된다.

◇‘장점 부각·차별화’로 제값 받기

이웃의 헐값 매물에 흔들리지 않

고 내 집만의 장점을 부각시켜 가 격을 방어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집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장점들을 강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리모델링 내용이나 에

너지 효율 개선 공사와 같은 장점

을 부각시켜 바이어들에게 가격 차

이를 설득하는 전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간단한 가구 재배

치나 인테리어 소품을 활용해 집을

장점을 최대화하는 홈 스테이징을

실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웃이 집을 싸게 내놓은 후 내 집을 찾는 바이어의 발길이 줄기 시 작했다면, 바이어의 관심을 다시 끌 어들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앞마당 조경이 깔끔하고 정돈되어 있는지, 외벽과 트림이 양호한 상태인지, 건 물 전면과 차고 문이 깨끗한 상태인 지 등 바이어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커브어필’(Curb Appeal) 부터 점검 해야 한다. ▲매물 사진과 설명 업데이트, ▲ 바이어 방문 시간 유연하게 조정, ▲ 동영상 투어, 드론 촬영을 활용한 마 케팅 패키지 업그레이드, ▲첫인상 을 강하게 남길 수 있도록 외관 개

5월 26일(월) 오후 1시 케네세스 이스라엘 회당

(Keneseth Israel)

8339 Old York Rd, Elkins Park, PA 19027

행사 및 공연은 오후 1시부터 시작됩니다. 입장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한된 좌석 관계로 오후 1시 이후 입장시 공연장 출입이 제한 될 수 있으니 `동포여러분의 협조 부탁 드립니다.

데이에 콘서트를 진행합니다. 어버이달 부모님과 어르신들을

오는 광경을 기대합니다. 필라 한인동포들이 이번 경로대잔치에 함께 어울려 축제의 현장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5월 26일(월) 오후 1시

케네세스 이스라엘 회당 (Keneseth Israel) 8339 Old York Rd, Elkins Park, PA 19027

필라델피아

도성을

복음으로 채우자

$60,000

$1,500 ·

· 김용식 장로 $1,500

·

· 박상구 $1,000

· 김남영 $500

· 서예서 $500

· 손문자 $500

· 김덕수 $300

·

$300

· 김경호 $300

·

$300

· 이문호 $300

· 박대순 장로 $1,000

· 이덕수 회장 $1,000

· 강승호 목사 $150

· John Kennedy $1,000 (한국인의 경천효도정신에 감동받은 미국인)

· 이봉행 $300

· 김진홍 $200

· 박영웅 $200

· 손태수 $100

· 펜아시안 노인복지원 (PASSi) $2,000

· 필라한인회이사장 한근우(Peter Han) $1,500

· The Bank of Princeton $500

· Home Plus Care $500

· 필라하나여행사 $300

· 서라벌 $300

· 윤미라보험 $300

· 애국총연맹연합회 $300

· 오로라 홈케어 쇼핑백 협찬($4,000상당)

· 귀니드 양로원 $500

· 필라한인노인회 $300

· 알버트데이케어 $200

고 있다. 현장에서 이런 이야기를 자주 듣 는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그 배

경에는 관세 전쟁과 미국의 신용등급 하

락이라는 큰 흐름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서 이전과는 다른 격

변기를 지나고 있다. 특히 무역 갈등과

국가 신용등급 하향은 부동산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건축

비 상승, 수요 위축, 모기지 금리의 변동 성 확대 등은 주택시장에 불확실성을 더

하고 있다.

무역 전쟁으로 인해 철강, 목재, 콘크

리트 같은 주요 건축 자재에 관세가 부 과되면서 전반적인 건설 비용이 상승했 다. 여기에 공급망 혼란까지 겹치면서 신 규 주택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공급 감소

월 16일, 국제 신

용평가사 무디스

는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최

고 등급인 Aaa에

서 한 단계 낮은

Aa1로 하향 조정

했다. 이는 1917

년 이후 처음 있

는 일로, 미국 재

정에 대한 신뢰

저하를 상징한

다. 무디스는 이

뉴스타부동산

로랜하이츠 명예부회장

번 등급 조정의 배경으로 미국의 지속적

인 재정 적자와 빠르게 증가하는 국가

부채를 지적했다. 현재 미국의 국가 부

채는 약 36조 달러로, GDP 대비 약 98%

수준이며, 향후 10년 내 134%까지 증가할

최근 남가주 부동산 시장에서는 새로

운 주거 트렌드가 조용히 자리잡고 있습 니다. 바로‘멀티제너레이션(다세대) 가 족 구조’입니다. 예전에는 부모님이 연세 가 들면 자녀 집 근처로 이사하거나, 별 도로 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요 즘은 부모와 성인 자녀 가족이 한 지붕 아래 함께 사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

습니다. 그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

다.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선택, 육아나 간병 문제를 가족끼리 해결하려

는 의지, 무엇보다도‘서로의 삶을 가까

이에서 지켜보며 함께하고 싶다’는 정서

적 이유가 큽니다.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 부모님과 자 녀 가족이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집을 찾

는 일이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습니

다. 단순한 침실 수나 평수 정보만으로

무역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 밀집된 지역 일수록 경제적 충격은 더 크게 나타난다. 이는 해당 지역의 주택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 기 준으로 로스앤젤레스 시의 주택 판매량은

전년 같은 달에 비해 0.6% 증가하는 데 그 쳤다. 같은 기간 캘리포니아 전체의 판매 량이 4.9%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 으로 매우 낮은 수치다. 대도시일수록 이

민 정책, 고용 불안, 생활비 상승 등의 복 합적인 요소들이 시장 흐름에 영향을 주 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 흐름 속에서 2025년 5

요가 줄어들고, 이는 결국 주택시장 전반

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무디스의 신용등급 하향은 미국 재정

건전성에 대한 경고다. 부동산 시장도

그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은 수요와 공급 양측 모두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로, 시장 흐름을

면밀히 살피고 신중하게 움직여야 할 때

다.

이럴수록 믿을 수 있는 전문가와 함께

전략을 세우는 것이 도움이 된다.

문의 (909)282-7307

이메일 annayang@newstarrealty.com

는 실제 생활이 가능한 구조인지, 또는

ADU(Accessory Dwelling Unit) 설치가 가

능한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

히 최근에는 1층에는 부모님이, 2층에는

자녀 가족이 거주하는 수직 분리형 구조

나, 별도 출입구가 있는 게스트하우스, 개

조 가능한 차고가 있는 집을 선호하는 수

요도 증가하고 있지만, 이런 구조적 특징

은 MLS 매물 정보만으로는 쉽게 확인되

지 않습니다.

이와 함께 가족의 구성 방식도 다양해

지고 있습니다. 부모님을 모시는 전통적인 형태를 넘어서, 성인 자녀가 부모님과 함 께 거주하기 위해 집을 공동 구입하거나, 부모님이 손주와의 유대를 위해 자녀 가 족과 합가를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 니다. 이런 주거 방식에서는 공간 분리와 독립성이 중요해지며, 단순히 집이 크거나 위치가 좋은 것보다 가족 간의 거리감과 연결감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구조적 유연성이 핵심 요건이 됩니다. 또한 이러한 다세대 주거를 위해서는 집 자체의 구조뿐만 아니라 지역 조건도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부모님을 위한 생 활 환경으로는 병원 접근성, 한인 시니 어 커뮤니티, 산책 가능한 공원이 필요하 며, 자녀 가족의 경우에는 출퇴근 거리나 교육 환경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하지 만 현재 시장에는 이런 다양한 조건을 종 합적으로 분석한 매물 정보가 부족한 것

이 현실이며, 많은 구매자들이 처음 부터 zoning 규정, 리모델링 가능성, HOA 제약 등 복

잡한 제도를 새로 학습해야 하는 어 려움을 겪고 있습 니다. 특히 ADU 설치 나 구조 변경이 법 적으로 가능하더

켈리 김

드림 부동산

라도 지역에 따라 조건이 매우 상이하거 나 까다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리 모델링이 구조적으로 가능해 보여도, 지역 zoning 규정이나 HOA 룰 때문에 실현되지 않는 사례도 있습니다. 이처럼 실질적인 활 용 가능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법 적, 제도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전문적인 접근이 필수입니다. 결국, 부모님과 함께 살 집을 찾는 일은 단지‘좋은 매물’을 찾는 것을 넘어 가족 전체의 삶을 설계하고 조율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구조와 입지, 법적 조건을 모

더욱 절실 해지고 있습니다. 멀티제너레이션 주택을 찾거나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건 모든 가족

장기적으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구조 를 미리 고려하는 것입니다. 구조와 예산 은 물론이고, 생활 반경, 프라이버시, 각자 의 미래까지 반영된 선택이 되어야 합니 다. 부모님과 함께, 혹은 자녀와 함께 살아 가려는 이 흐름은 앞으로 더욱 뚜렷해질 것입니다. 서로 다른 세대가 한 집에서 살 아가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그 중심에는 늘 가족에 대한 배려와 사랑이 존재합니 다. 집은 단순한 주거공간이 아니라, 세대 간 정서와 삶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다리를 잘 놓아주는 것 이 바로 요즘 부동산 전문가의 중요한 역 할입니다.

문의 (213) 808-2984

이메일: greatkellyc@gmail.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