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UGUST 28, 2014 <제2847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4년 8월 28일 목요일
저소득층 자녀 계층이동“그림의 떡” 명문대 진학“하늘의 별따기”…중간이하 소득 자녀 14%뿐 저소득층 자녀 늘어나는데 합격률은 제자리
미국내 저소득층 자녀의 명문대학 진 대학들은 장학금 지원 등이 늘었는데 학률이 수십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 도 우수한 저소득층 자녀들이 명문대학 다고 26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미국 진학을 기피하고 있다고 항변한다. 그러 내 전체 대학 졸업자는 물론 우수한 저 나 저소득층 자녀의 명문대학 진학률이 소득층 자녀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소득 낮은 것은 대학들이 이들에 대한 지원에 에 따른 양극화 현상이 명문대 진학률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대학들이 장학금 등 저소득층 자녀들을 미시간대학과 조지타운대학의 분석 위한 지원에 들이는 돈은 전체 재원의 을 보면 2006년 기준 미국의 82개 주요 4~5%에 불과하다. 대학의 학부생 가운데 가구소득이 중간 이런 현실은 갖은 논란을 일으키고 이하 출신은 14%에 불과했다. 있는 대학 순위 평가의 부작용과도 무관 문제는 1982년에도 이 비율이 14%였 하지 않다. 각 평가기관이 시설 투자나 다는 것이다. 24년이 지나도록 상대적으 교직원 처우 분야에 투입되는 돈이 많을 로 가난한 학생들의 진학률이 전혀 나아 수록 더 좋은 평점을 주고 있기 때문이 지지 않은 것이다. 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아예 또는 상대 하버드, 컬럼비아 등‘아이비리그’ 적으로 장학금 등 학생 재정지원에 소홀 (동부의 8개 사립 명문대학)를 포함한 할 수밖에 없다. 28개 명문 사립대학의 소득계층별 진학 명문 사립대학의 경우 학생 한 명당 1 률도 전혀 다를게 없다. 이들 대학의 학 미국내 저소득층 자녀의 명문대학 진학률이 수십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2006년 기준 미국의 82 년 수업료만 4만5천달러에 달하는 상황 개 주요 대학의 학부생 가운데 가구소득이 중간 이하 출신은 14%에 불과했다. 부생 가운데 소득분포에서 하위 40% 이 에서 대학들이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하 가구 자녀들의 비율은 2001년 10%에 이에 따라 명문대학 진학이‘계층 이 저소득층 자녀에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 ‘전폭적인’지원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 서 2009년 11%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동’ 의 주요 수단인 현실에서 대학들이 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다.
민권센터 실무진과 청소년 자원 봉사자들이 뉴저지 포트리 마돈나성당에서‘추방유예 행정명령 촉구 엽서 보내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모아진 엽서의 숫자를 세는 민권센터 실무진과 청소년 자원 봉사자들.
“추방유예 행정명령 빨리 발동하라” 오바마 대통령에 엽서 1만1천장 보내기 캠페인 종료 민권센터가 추진한‘추방유예 행정 명령 촉구 엽서 보내기 캠페인’ 이 종료 됐다. 27일 민권센터는“오바마 대통령
에게 추방유예 행정명령의 조속한 실행 을 요구하기 위해 전개했던 엽서 보내기 캠페인을 마감한다” 고 밝혔다.
엽서보내기 캠페인은‘진정한 이민 개혁을 위한 뉴욕연맹(NYRIR)’ 이전 국 서류미비지자 숫자인 1천1백만 명을
<사진 제공=민권센터>
상징하는 1만1천 개의 엽서를 보내기 위 해 시작했으며, 민권센터는 한인교회와 경로회관 방문, 거리홍보 등을 통해 2천 여장의 엽서를 모아 연맹에 전달했다. 민권센터는“모아진 엽서는 백악관으로 송부되며, 이민자 단체들은 28일 워싱턴 DC 전국 행동 등 계속적인 활동으로 추 방유예 행정명령의 조속 발표 압력 수위 를 높여나갈 계획” 이라고 전했다.
맑음
8월28일(목) 최고82도 최저61도
1,030.82
대체로 맑음
995.38
8월29일(금) 최고79도 최저66도
1,023.00
1,003.20
대체로 맑음
8월30일(토) 최고80도 최저70도
1,025.25
1,002.64
나쁜 기억을 좋은 기억으로 바꿀 수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치료제 개발 기대 대부분의 기억은 특정한 감정을 동 반한다. 해변에서 보낸 여름휴가에 대한 기억은 즐거운 감정을, 어릴 때 당했던 따돌림의 기억은 나쁜 감정을 불러오게 마련이다. 그런데 특정 기억에 대한 감정을 인 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고 매사추세공대(MIT) 신경학 연구팀이 27일 발표했다. 뇌에는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분이 구분돼 있기 때문에 둘 의 연결 고리를 바꿔주면 된다는 게 연 구팀의 설명이다.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를 위 해 빛으로 뇌 세포의 활동을 제어하는 기술을 사용했다. 연구팀은 수컷 쥐에 전기자극을 가한 뒤 전기자극을 기억으 로 저장하는데 관여한 해마(뇌에서 기 억을 담당하는 부분)의 신경세포가 빛 에 반응하도록 조작했다. 이틀 뒤 A와 B, 두 구역으로 나뉜 상 자에 수컷 쥐를 넣고 A구역으로 갈 때 마다 빛을 비췄다. 그러자 전기자극의 나쁜 기억을 떠올린 쥐는 A구역을 피해
주로 B구역에서 머물렀다. A구역에 대 해 일종의 트라우마(정신적 외상)가 생 긴 것이다. 며칠 뒤 이 수컷 쥐를 암컷 쥐와 함께 놓아둔 상태에서 12분간 빛을 비췄다. 나쁜 기억에 즐거운 감정을 입히는 과정 이다. 이후 수컷 쥐를 다시 상자에 넣고 예전처럼 A구역으로 갈 때마다 빛을 비 췄다. 하지만 이번에는 쥐가 A구역을 피하지 않았다. 전기 자극에 대한 나쁜 감정이 암컷 쥐와 어울렸던 좋은 감정으 로 대체되면서 A구역에 대한 공포도 사 라진 것이다. 연구팀은 기억이 저장된 해마와 뇌에서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 사이의 연결이 바뀌면서 기억에 대한 감 정의 전환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도네가와 교수는 "미래 에는 인간이 좋은 기억을 나쁜 기억보다 강하게 기억할 수 있는 방법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8일 발간되는 과 학저널 네이처 최신호에 실릴 예정이다.
‘신규주택 판매’6개월 걸린다 판매 건수 두달째 감소…예상치도 하회 상무부는 지난달 신규주택 판매 건 수가 41만2천건으로 전달보다 2.4% 감 소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최저치이고 시장 전문가들 의 예상치 평균(43만건)에도 크게 미치 지 못하는 수치다. 아울러 전달(7.0% 감 소)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 이다.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이자율 상 승과 근로자 임금 정체 등이 주택 판매
부진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남 부 지역에서의 판매는 8.1% 늘었으나 북동부가 전달보다 30.8%나 급감한 것 을 비롯해 서부와 중서부도 각각 15.2%, 8.8% 감소했다. 신규주택 재고 물량은 20만5천채로 2010년 8월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신규주택 평균 가격은 26만9천 800달러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2.9% 상 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