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January 7, 2016
<제3258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6년 1월 7일 목요일
“北核은 자살행위, 폐기하라!” 한인들,‘북 수소탄 실험’한목소리로 규탄 북한의 수소탄 실험 발사 소식[뉴욕 일보 1월6일자 A1면, A8면-‘북한 수소 탄 실험 성공 발표’제하 기사 참조]이 전 해지자 전세계가 이를 규탄하는 가운데 뉴욕·뉴저지 한인사회도 일제히 우려 의 목소리를 냈다. ▶관련기사 A4(특집), A5(미국), A7(한 국), A10(세계)면 ◆ 평통 등 13개 단체 성명 = 민주평 화통일자문회의 뉴욕협의회(회장 정재 건)를 포함해 13개 뉴욕·뉴저지 한인단 체들은 6일 뉴욕평통 사무실에서 기자 회견을 갖고 북한의 수소탄 실험에 대해 규탄성명서를 내고 이를 강도 높게 비판 했다. 한인단체들은 이날‘한반도와 국제 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4차 핵 실험 규탄 성명서’ 를 통해“어떠한 경우 에도 국제사회가 북한의 불법적 핵보유 를 결코 용인치 않을 것” 이라며,“유엔 안보리 결의에 규정된 대로 모든 핵무기 를 폐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고주 장했다. 또“북한 독재정권이 반드시 핵실험 에 대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를 수 있도 록 유엔 등 국제사회에 이를 촉구하고, 미 의회가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등 강력한 대북제재 수단이 포 함된‘대북제재 이행법안(H.R.757)’ 을 조속히 입법화 해 북한이 더 이상 국제 사회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미 행정부가 압박해 나갈 것” 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어“반복되는 북한의 명백한 도발 에도 불구하고 북한 독재체제의 시녀 역 할을 자임하는 미국 및 해외 종북세력들 의 주장을 강력히 규탄하며, 모든 동포 들이 북한 독재정권과 종북세력들의 실 체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바탕으로 확고 한 안보의식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고 밝혔다. 이번 규탄 성명에 참여한 한인단체 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욕협의 회 △뉴저지한인회 △맨해튼한인회 △ 퀸즈한인회 △롱아일랜드한인회 △뉴 욕한인직능단체협의회 △대한민국 재 향군인회 미북동부지회 △미동부한인 회연합회 △동부뉴저지한인회 △커네
맑음
1월 7일(목) 최고 43도 최저 33도
구름 많음
1월 8일(금) 최고 42도 최저 38도
한때 비
1월 9일(토) 최고 48도 최저 44도
1월 7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197.50
1,218.45
1,176.55
1,209.20
1,185.80
1,211.87
1,185.05
북‘수소탄’ 실험 곤혹스러운 반기문 총장 北제재 나서야할 입장… 방북 일단 무산
뉴욕·뉴저지 13개 한인단체들은 6일 뉴욕평통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이 자행한 수소탄실험에 대해 강도 높은 규탄성명서를 냈다.
티컷한인회 △대뉴욕지구한인교회협의 회 △대뉴욕지구한국대학동문총연합회 △뉴욕지역한인회연합회 등 13곳이다. ◆ 시민참여센터 = 시민참여센터(대 표 김동찬)도 6일 긴급 성명을 발표,“북 한의 수소탄 실험에 반대하며 이를 강력 하게 규탄한다” 고 말했다. 시민참여센터 성명은“한반도의 평 화와 안정을 해치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 서도 우리는 미주한인들과 함께 반대하 고 규탄한다” 고 말하고“지금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무자비한 패권적 급 팽창을 감안하면 한반도에서의 긴장을 유발시키는 행위는 민족사적으로 돌이 킬 수 없는 해악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때에 인류를 파멸로 이끄는 대량살상 무 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핵실험을 감행하 는 일은 우리 민족을 파멸로 몰아가는 가장 무모한 행위이며 스스로를 파멸의 길로 자초하는 행태” 라고 지적하고 핵 정책을 폐기할 것을 촉구했다. 성명은 이어“인류를 대량으로 살상 할 수 있는 무기의 개발은 주위 국가에
대한 위협이 되고 이것은 또한 주위 나 성명은“한국정부는 북한이 우리와 라들이 핵무장을 하게 하는 도미노 역할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유 을 하게 될 것이다. 모든 나라들의 핵무 엔 안보리 결의(제1718호, 1874호, 2087 장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지만 이런저런 호 및 2094호)를 명백히 위반하면서 4차 이유로 모두가 위험한 핵을 가지게 될 핵실험을 감행한 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 경우 우리는 어느 나라에 살던 간에 한 다 “고 말하고,“한국정부는 북한이 어떠 순간에 참혹한 파멸을 맞이할 수 있다는 한 경우에도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보유 두려움을 가지고 살수 밖에 없다. 이는 를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을 분명히 인 지구촌 전체가 공통된 입장” 이라고 밝 식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에 규정된 대로 히고“동북아시아에서 평화와 안정에 모든 핵무기와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 역행하고 민족역량을 평화적으로 구축 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 하는 최대의 걸림돌이 핵무기 개발과 핵 인 방법으로 폐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 실험이라는 것을 반복해서 강조 한다. 다” 고 밝혔다. 우리는 북한이 우리민족을 파멸로 몰고 또“정부는 이미 경고한 대로 북한이 가게 되는 핵개발을 멈추고 하루빨리 평 핵실험에 대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 화적인 방법으로 한반도의 긴장을 해결 록 동맹국 및 6자 회담 참가국을 포함한 하기 위한 노력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여 유엔 안보 다” 고 말했다. 리 차원의 추가적 제재 조치를 포함한 ◆ 뉴욕총영사관, 한국정부 입장 전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 이고, 해 = 이에 앞서 뉴욕총영사관(총영사 김 “아울러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대한민 기환)도 북한 4차 핵실험에 대한 한국정 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북한의 어떠한 추 부의 성명을 발표하고 관련 입장을 한인 가 도발에 대해서도 만반의 대비태세를 사회에 전했다. 유지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북한이‘수소탄 핵실험을 했다’소 공식 발표하면서, 북한 방문을 추진하 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사진)이 상당 히 곤혹스러운 입장에 놓이게 됐다. 반 총장의 방북은 북핵과 인권 등 북 한 이슈에 돌파구를 열고 북한을 국제 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끌어낸다는 국제정치적 의미를 지니는 것인데 상황 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발을 무릅쓰고 ‘수소탄 핵실험’ 을 강행했고, 유엔은 6 일 오전 11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를 소집해 대북 제재를 논의했다. 양쪽 이 이처럼 정면충돌하는 상황에서는 반 총장의 방북 공간이 열리기 어렵다 게 외교가의 중론이다. 방북의 시점으로 거론됐던 새해 초 부터 험로가 펼쳐지면서 일부에서는 반 총장의 올 상반기 방북은 사실상 무산 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반 총장은 그동안“한반도 내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고, 평화와 안정을 증 진시키고자 북한을 방문하는 것을 포함 한 건설적 노력을 기꺼이 할 용의가 있 다” 고 밝혀 왔다. 지금도 유엔은“방북 시기를 계속 논의 중” 이라는 공식 입장 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북은, 그의 표 현대로,‘여러가지 예민하고 민감한 문 제들’ 에 걸린 듯 속도가 붙지 않았다. 방북론이 부상했던 작년 12월 중순 열린 남북간 당국회담은 한반도 대화 분위기 를 조성했지만, 남북 관계의‘메신저’ 로 서 반 총장의 입지를 좁힌 측면이 있다. 국제 사회와 북한의 관계 또한 대립 모드에서 한발짝도 빠져나오지 못했다.
유엔총회는 지난달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 소(ICC)에 회 부하도록 권 고하는 강도 높은 내용의 결의안을 재 작년에 이어 다시 채택했고, 안보리도 다시 회의를 열어 북한의 인권 상황을 성토했다. 특히, 미국은 북한 핵·인권 문제에서 타협의 여지를 보이지 않았 다. 서맨사 파워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지난달“반 총장이 북한의 비핵화, 인권 문제 등에 열정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 면서“앞으로도 계속 강하게 대처할 것 을 기대한다” 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고위 당국자도 반 총장 의 방북 문제와 관련해“북한이 스스로 의 미래가 비핵화에 달렸음을 깨닫도록 하고, 북한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환영한다” 고말 했다. 북한의 `수소탄 핵실험’ 으로 국제사 회의 대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반 총장 은 방북에서 더욱 멀어지는 느낌이다. 현재로서는 되레 그가 유엔 수장으로서 대북 제재의 총대를 멜 것을 요구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로 몰리고 있다. 국제사회와 북한이‘벼랑끝 대치’ 끝에 극적인 타결책을 모색하고, 그 방 식이 반 총장의 방북으로 가닥잡히지 않는 한 그의 방북은 당분간 성사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