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Gala Journal (Korean)

Page 1

민권센터 NY: 133-29 41st Ave. #202

Flushing NY 11355

718-460-5600 NJ: 316 Broad Ave. 2nd Floor, Palisades Park, NJ 07650

201-416-4393

minkwon@minkwon org @minkwoncenter

바르게
꿋꿋하게
뿌리를
함께
2023년 11월 16일 뿌리내린다 사회정의 운동에 제39주년 기념 만찬
살자
살자
알자
살자

사회정의 운동에 뿌리내린다

민권센터

제39주년 기념 만찬

2023년 11월 16일 순서

저녁 식사 / 활동 영상

사회: 리나 이 축사

만찬 주제 영상 상영: 사회정의 운동에 뿌리내린다

사무총장 연설: John Park 정의구현상 시상식

YT 황 가족재단

한중미사랑협회

“사회정의 운동에 뿌리내린다”

민권센터 제39주년 기념 만찬에 참석하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대면 갈라를 개최하여 매우 기쁩니다. 민권센터 이

사진, 실무진, 자원봉사자, 커뮤니티 활동가를 대표하여 뉴욕의 한인, 아시안 아메

리칸, 이민자 커뮤니티를 위한 경제 및 사회 정의 실현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저희를 지원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올해 저희는 YT 황 가족재단과 한중

미사랑협회에게 정의구현상을 드리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민권센터는 코비드-19, 반아시안 폭력, 자연재해, 전쟁, 증가하는 핵 위협과 이민

자 권리를 포함한 우리의 인권을 향한 계속되는 공격으로부터 회복을 도모하는 무

수한 도전을 지속하면서 단체를 설립한 고 윤한봉 선생을 상기합니다. 선생이 제시

한 생활 원칙은 특히 어려운 시기에 단체를 이끄는 핵심 가치입니다.

금년 한 해 동안 우리 커뮤니티는 계속 흔들리지 않는 회복력과 헌신을 보여주었습

니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에도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기부를 하였습니다. 그분들은 서류미비 추방유예 정책의 완전한 복원 및 보존을 요

구하는 목소리를 높였고, 수많은 선거구 재조정 청문회에서 증언하였으며, 식량 수

급이 불안정한 수백 명의 플러싱 주민들에게 매주 식량을 제공하기 위한 플러싱식

량지원협회의 활동에 자원봉사하였으며, 이민자 권리를 외치는 거리 행진에 동참

했습니다.

금년 만찬의 주제는 현재의 삶이 아무리 힘들고 도전적이어도 언제나 우리의 가치

를 중심으로 진실되고 올바르게 살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원칙을 반영하여

선정되었습니다.

민권센터 제39주년 기념 만찬에 후원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여러분과 사회정의

운동에 뿌리를 내리는 여정에 함께 하겠습니다.

연대의 정신으로,

회장 존박 사무총장
문유성

정의구현상 수상 단체

YT 황 가족재단

YT 황 가족재단은 우리를 자각하고 인간으로의 정체성 및 사회, 문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인문학 연구를 촉진하려는 하나의 사명으

로 2015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동 재단은 식량 불안, 빈곤 등 현재 만연하는 불

안을 넘어 현대 인류의 갈등 해결을 목표로 하며 동서양 사회의 학자와 철학자

들로부터 통찰을 얻으려고 노력합니다.

커뮤니티로서 재단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 존재의 핵심 가치인 도덕성, 윤리 성, 연민을 되살리는 것입니다.

한중미사랑협회

한중미사랑협회는 아태계정치력신장연맹(APA VOICE)의 활동에 동참한 소중한

협력 단체입니다. 동 협회는 세 가지 비전으로 운영됩니다: (1) 환영하는 커뮤니티

확립 (2) 차세대 리더십 통로를 확립 (3) 자부심있는 미국 시민으로서의 커뮤니티

확립

풀뿌리 조직화와 이민 정의를 향한 한중미사랑협회의 헌신은 우리 모두를 고무시

킵니다. 무료 이민 법률 상담 제공부터 건강 보험 등록, 유권자 조직 노력에 이르

기까지 협회의 대담한 리더십은 미국 사회에서의 이민 정의 활동의 모범입니다.

만찬 초청위원회

벡키 벨코어

장미은

조원태 목사

스티븐 최

이지혜

웨인 호

강병호

제니퍼 김

김정우

리나 이

이성옥 수잔 이

문유성

박동규

제니퍼/로저 박

박성연

박양선

임용천

원혜경

민권센터 이사진

장미은

강병호

제니퍼 김

리나 이

이성옥

수잔 이

문유성

박양선

임용천

배성민

차주범

애쉴리 장 변호사

조어진

클레어 최

샌드라 최

그레이스 추이

제니 엄

데이비드 허 박사

지은미

하나 조

김갑송

김성원

김윤지

이다희

훤지 리

오병권

크리스탈 오

마이클 오 변호사

봉 박

다이아나 우정 박

잭스 박

존 박

박연정 마틸데 리칼데 변호사

서자영

민권센터 실무진

Legal Services Associate

Senior Consultant of Strategy & Special Projects

Housing Staff Attorney

Community Fellow

Health

Outreach Fellow

Civic Participation Director

Social Services Manager

Social Services Specialist

Comms Coordinator and Grant Writing Assistant

Intake and Administrative Fellow

Health Policy & Programs Coordinator

Korean American Community Development Director

NJ Program Manager

Managing Director

Youth Organizer

Civic Participation Associate

Immigration

Legal Fellow

Development Associate

Supervising Immigration Staff Attorney

Artist-in-Residence

Immigrant Justice Organizer

Administration and Operations Associate

Executive Director

Senior Legal Services Coordinator

Senior Immigration Attorney

Social Services Coordinator

전국 가입단체 MinKwon Center | NAKASEC | HamKae Center HANA Center | Woori Center | Woori Juntos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와

주요 활동

이야기 나누기, 상호 교류, 한인이민자네트워크(KIN)를 통한 커뮤니티 조직화

권익옹호와

커뮤니티 조직화

이민자 권익옹호

민권센터의 핵심 활동은 모든 이민자의 존엄성과 권리를 위해 싸우려는 우리의 투쟁에 기반합니다 뉴욕시 및 주 권익옹호 활동의 일환으로 민권센터는 뉴욕이민자연맹(NYIC) 및 기타 뉴욕 연대 단체들과 함께 추방 위험 에 처한 이민자들의 안전과 공정성을 요구하고자 주청사 건물에 집결했습니다. 대변인접근지원법(#ARA)이 통과되면 뉴 욕주는 이민 절차에 있는 사람들이 변호사를 이용할 권리를 확립하고 민주주의 국가의 거주자로서 대리 및 적법 절차에 대한 접근권을 제공하는 최초의 주가 될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우리 도시, 우리 투표(Our City, Our Vote)” 법안으로도 알려져 있는 시 조례 11호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이 법안은 지금까지 효과적인 변화를 추동하는 정치적 목소리가 배제된 채 경제적 기여만 하도록 제한되어 있던 사람들에게 정치권력에 접근권을 제공함으로써 뉴욕시의 민주주의를 강 화하리라 예상합니다 이민자 권리의 차원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올 두 법안을 둘러싼 싸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 니다.

이제 민권센터의 권익옹호 활동은 가족 단위의 번영과 언어적으로 소외된 개인이 사회 참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지역 사회에 확고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뉴저지도 포함됩니다. 우리는 이민 신분에 관계없이 뉴저지의 모든 어린이에게 메디케 이드를 보장하는 프로그램인 “Cover All Kids”의 연장을 옹호했습니다. 우리는 아울러 최근 연방 의회에 다시 상정된 가 족재결합법안(Reuniting Families Act)의 통과를 요구했습니다. 이 법안은 일부 10년 이상 기다려온 사람들을 포함한 가 족 이민 적체 상태에 있는 거의 400만 명에 달하는 이민자들이 가족과 재결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우리는 뉴저지 의 역사적인 언어 접근 법안(S2459)이 통과되도록 성공적으로 기여했으며 이를 통해 주지사 산하의 모든 주정부 기관이 한국어를 포함한 10개의 추가 언어로 통역 및 번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정책은 한인의 절반 이상을 포함하여

뉴저지에서 커뮤니티 내의 영어 사용 미숙인 비중이 제일 높은 아태계 커뮤니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전국 차원에서 민권센터는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 네트워크 가입 단체들과 함께 1,100만 명의 서류미 비자들을 위한 영구적인 해결책을 요구했습니다. 해넨 판사가 서류미비 청소년 추방유예 정책(DACA)의 합법성에 대한 증언을 듣는 동안 우리는 텍사스 주 휴스턴에 소재한 연방 지법 밖에 모였습니다. 우리는 다카 프로그램의 복원과 보존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권센터는 올해 서류미비자 및 이민자 커뮤니티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커뮤니

티 구축의 중요성을 목격했습니다 우리는 현재 코비드-19 의 사회, 경제적 영향

에서 계속 회복하고 다카 및 이민 개혁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하여

싸우고 있습니다 이는 이야기 나누기(storytelling) 모임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민자들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자신과 자신의 세계관을 알려

주는 신념과 가치에서 시작되며 이를 통해 커뮤니티 구축을 촉진합니다

민권 센터는 이민자가 치유를 도모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건강상의 필요를 주제로 이야기를 공유하는 모임의 참석자들은 이미 접근하기가

두려운 미국의 의료 시스템하에선 언어 장벽이 있을 때 적절한 조치를 찾기가 거

의 불가능할 수 있는 점과 건강 보험이 미국인에게 재정적 부담이 될 수 있는 사

실을 토로했습니다

아태계 아메리칸 다카 수혜인들과의 서류미비-이야기 나누기(UndocuStorytelling) 시간에서 참석자들은 자원과 혜택에 접근하는 기회의 부족이 어떻

게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와 배제의 풍코가 만연한 현

실을 정상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이야기를 공유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통해 우리는 커뮤니티가 본인 삶의 서술자

로서의 취약성을 공유하고 적극적인 경청을 통해 어떻게 상호 관계를 구축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지 목격했습니다.

서류미비자를 포함한 이민자들이 참여하는 민권센터의 한인이민자네트워크

(KIN)는 특히 이야기 나누기 세션을 진행하면서 커뮤니티 구축의 전형을 제시합 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이민자들이 스토리를 공유하는 모든 종류의 이야기 나누 기 모임들이 성장하기를 기대합니다.

“서류미비 이민자이기도 한 소상인에게는 일이 생존을 결정하기 때문에 건강관

리를 우선시할

시간이 없습니다.”

“아메리칸 드림의 추구가 많은 사람을 기회의 땅으로 오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예술가

비자로 이민하여 시각 예술 분야에 종사하며 성공적인 직업 생활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런 타 이민자와 동일한 사람이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소외되며 공공 혜택과 자원에서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 중에 시민권자가 있어도 문제가 간단하지 않습니다. 추방의 두려움 은 가족의 접근 가능한 의료 서비스 찾기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양태로 혼합 신분

가족에게 부담을 줍니다.”

X

봉사와

13,813명의 영어 사용 미숙 및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이민, 주택 법률 상담과 대변, 공공 혜택 신청, 세금보고 대행, 식 량 지원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습니다.

2023년에 수행한 봉사 프로그램

공공 혜택 신청 327명 (푸드 스탬프, 난

세금 보고 대행 클리닉 운영으로 858명

개인 세금 보고 791명

교육세 환급 신청 67명

이민 법률 서비스 684명

시민권 신청 185명, 영주권 카드 갱신 133명, 다카 갱신 209명, 영주권 신청 32명

기타 이민 관련 의뢰건 113명 (이민 기록 또는 비대변 이민 관련 신청 등 제한적인 서비스 67명, 이민법 상담 20명, 노동 허가증 또는 시시민권 증명서 등 전면 대변 서비스 26명)

까다로운 의뢰건 12명 (전면 대변 4명, 상담과 조언 8명) - 망명, 특수 비자 등

주택 법률 서비스 224명

강제 퇴거 방지 49명

주거 환경 관련 19명

임대 계약 갱신 28명

신규 임대 신청 23명

노인/장애인 임대료 인상 면제 58명

임대 계약 관련 24명

기타 23명

건강보험 신청 프로그램을 통하여 220명이 건강보험 취득

건강보험 시장을 통한 취득 151명 (메디케이드, EP, CHP, QHP)

NYC Care 취득 69명

플러싱식량지원협회를 통하여 11,500명의 지역사회 주민에게 식량 제공

총 13,813 가정에게 봉사 민권센터의 봉사와 법률 서비스는 올해 더욱 확대하여

40대 초반 젊은 의뢰인의 증언:

이 의뢰인은 언어장벽으로 인해 건강보험을 알아보는데 어려움이 있어

무보험자였으며 2023년에 질병에 걸렸을 때도 건강보험이 없었습니다.

그분은 일을 그만두어야 했고 수입이 중단되었으며 수술 비용을 감당할

보험이 없었습니다 그분은 민권센터 건강보험 네비게이터의 도움으로

온라인 계정을 만들고 치과, 안과 등 거의 모든 진료에 대해 월 수수료와

자가부담금이 없는 에센셜 플랜에 가입하도록 되었을 때 매우 감사했습

니다 이제 그분은 비용 걱정 없이 필요한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

다. 차후 그분이 다시 직장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 75세 서류미비자 외뢰인이 NYC Care 갱신 통지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

을 받고자 민권센터를 방문했습니다 그분의 딸은 어머니의 건강보험이 갱

신되어 계속 유효하다는 통지를 받고 얼마나 기뻤는지 말했습니다. 의뢰인 의 딸은 어머니가 거주지 인근의 한인 의사들에게 계속 진료를 받고 한국어 의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언어장벽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뉴욕시의 의료 시스템을 알아보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지 않아도 되었다고 안도했습니다.

X X X 세금 371% 이민 296% 공공혜택 141% 주택 97% 건강 95%
활동 주요 활동
주요
2023년에 주민들에게 제공한 분야별 봉사
법률 서비스 의뢰인 증언
의뢰인의 성인 딸의 의뢰건에 관한 후속 조치에 대한 증언:

2014년 민권센터가 결집한 시민 참여 증진을 위한 아태계 아메리칸 정치력신장연맹(APA VOICE)은 17개 단체로 구성된 뉴 욕시 아태계 조직의 강력한 협의체인 2023 시민참여연합이 주관하는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2023년 예비선거 및 본선거를 맞아 아태계 커뮤니티를 교육하고 투표참여를 조직하기 위한 투표참여 권장 활동 GOTV(Out the Vote)을 본격 가동했습니 다.

2022년 본선거 기간에 민권센터는 수십 명의 지역사회 주민과 청소년 자원봉사자를 결집했습니다. 우리는 3,900 가구 이상 의 유권자 가정 방문, 3,550명 이상의 전화 접촉과 106,500 이상의 유권자들에게 문자 메시지 발송 등의 노력으로 113,000 명 이상의 유권자들을 접촉했습니다. 2023년 예비선거 기간에는 우리는 150명의 주민, 청소년과 자원봉사자들을 성공적으 로 교육하여 이들이 유권자 가구별 방문과 뉴욕시 주민들에게 선거구 재조정에 따른 변화를 안내하는 활동을 주도했습니다 시민참여연합은 또는 세 곳의 뉴욕 시의원 선거구(제1선거구, 제19선거구, 제29선거구)에서 후보자 토론회를 개최하였으며 다언어로 된 선거안내서를 제작하여 뉴욕시 전역 및 지역 사회에 배포하였고 투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다언어 영상 시리 즈도 출시했습니다.

지사 사무실과 함께 뉴욕 주

의 투표 권리 확대를 기념! 신규 이민 유권자 등록 9,000명 달성! 민권센터 시민참여 프로그램은 선거구 재조정이 우리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중요한 캠페인을 진행했습 니다. 민권센터는 10년마다 실시되는 선거구 재조정이 공정하고 포괄적으로 진행되도록 지역사회 주민들을 과정에 참여시 켰습니다. 아태계정치력신장연맹 선거구 재조정 태스크포스를 통해 우리는 한국어 및 중국어를 구사하는 지역사회 주민들 을 조직하여 퀸즈 선거구 재조정 공청회에서 증언했습니다 주민들은 한인 및 아태계 아메리칸 커뮤니티가 집중된 대상 지 역의 선거구 분리에 저항하기 위해 선거구 지도안에서 플러싱을 보존하는 강력한 사례를 제시하며 우리 커뮤니티와 정치력 를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민권센터의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다양한 한인 및 아태계 아메리칸의 목소리가 집중되어 있는 우리 지역사회의 정치력과 가치를 보존하는 시도 외에도 민권센 터와 아태계정치력신장연맹은 또한 브루클린에서 유일한 아태계 아메리칸이 다수인 시의회 선거구인 제43선거구의 창설을 발표했습니다 시의회 경선과 ‘골든데이‘에서의 순위 선택 투표를 포함하여 선거에 대한 추가 변경 사항도 공유한 기자회견 을 주최하여 제43선거구의 확립을 기념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변화에 따흔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한 갈등이 빠른 폭발적 대립을 야기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민권센터는 까다로운 대화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다양 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려고 합니다.

민권센터는 금년에 단체 사무실에서 주민들이 매주 영어와 정부 행정에 대해 배우는 영어/시민 교실을 지속했습니다. 아울 러 시민권 시험을 준비하는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시민권 시험 준비 교실도 운영했습니다

민권센터 청소년들은 사회변화를 실현하고자 끊임없이 고민하고, 조직하며, 캠페인을 실천하는 열정과 헌신이 가득한 단

체의 일원입니다. 금년에 민권센터는 14세에서 23세 사이의 청소년과 청년 200명에게 지역사회의 진보적인 변화를 이끄 는 현대적인 캠페인 능력을 교육하고 멘토링 했습니다

청소년 역량강화 프로그램(YEP)과 조직위원회(OC)는 본디 1980년대에 청소년과 청년들이 설립한 민권센터의 역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단체 설립 이후 우리는 교육과 지역 사회와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미래의 커뮤니티 리더를 양성하려는 확고한 사명을 지켜왔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연중 내내 운영되며 청소년들의 삶과 더 광범위한 이민자 커뮤니티에 영 향을 미치는 사회 문제를 다룹니다.

지난 한 해 동안 투표 참여 권장 캠페인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는 지역 사회에서 시민 참여를 이끌 수 있는 젊은 리더들의 훈련과 준비였습니다. 올해 예비선거 기간 동안 민권센터는 소속 청소년들과 협력하여 다국어 디지털 및 방문 조사, 후보 자 토론회, 타운홀 이벤트를 통해 유권자들의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본선거 기간에는 민권센터와 아태계정치력신장연맹 의 청소년 조직 협의체 및 청소년들은 뉴욕시 전역의 대학 캠퍼스와 교육 기관에서 30세 미만의 젊은 아태계 아메리칸 유 권자들을 선거에 참여시키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여름 기간에는 청소년과 소외된 지역 사회와 긴밀히 연관된 현안에 대해 계속 배우기 위해 모였습니다 제레미 린 재단과 아시안아메리칸 재단이 주도하는 '함께 협력하는 역량 강화' 에 민권센터의 청소년 조직가와 소속 청소년들이 참여했습니 다 우리는 또한 주거 환경 견학 세션을 통해 주택 관련 정보를 습득한 청소년 커뮤니티 구성원의 활동 기반을 구축하여 뉴욕시의

주요 활동 시민
청소년 역량강화 프로그램 X 주요 활동
참여
서민용 주택이 처한 위기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변화를
대두하고 옹호했습니다.

새 프로젝트와 활동 영역

청소년 주도 기자회견과 성소수자와 청소년을

위한 공간 조성

올해 초 민권센터는 메츠-윌레츠 개발 계획

의 일부인 카지노 건립 제안에 이의를 제기하

고자 청소년 주도의 기자 회견을 조직했습니

다 민권센터 청소년들은 이 유해한 계획에

확고히 반대하는 범 플러싱 지역의 지역사회

리더들과 함께 영어, 한국어, 중국어로 연설

을 하며 회견을 주도했습니다. 우리 지역 사

회의 젊은 구성원들은 제안된 카지노 프로젝

트를 주도하는 사익 사업체로부터 취약한 지

역 사회 구성원의 건강, 안전 및 경제적 복지

를 보호하려는 분명한 이유로 강력하게 조직

적 반대를 선언했습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와

전국 가입단체 회합

올해 4월, 민권센터는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가 휴스턴에서 1994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주 관한 전국 네트워크 회합에 참석했습니다. 올해는 NAKASEC 네트워크가 한인과 아시안 아메리칸 커뮤니티를 조직한 지 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 기간 동안 네트워크는 함께센터(버지니아주 애넌데일), 하나센터(일리 노이주 시카고), 우리센터(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지역), 우리훈토스(텍사스주 휴스턴) 등의 가입단체들 을 포괄하는 전국적인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민권센터(뉴욕/뉴저지)는 NAKSEC 및 이들 전국 가입단체들과 함께 5개 주에 걸쳐 아시안 아메리칸과 이민자 커뮤니티의 역량 강화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민권센터는 전국에서 집결한 150여 명의 실무 활동가 및 커뮤니티 주민들과 함께 공동의 활동, 목표, 어려움과 성과 등을 돌아보고 다양한 이야기 나누기와 워크숍을 진행하여 서로 간의 관계를 구축하고 열린 대화에 참여 했습니다. 아울러 전국적인 관점과 연결된 각 지역사회가 직면한 시급한 현안들에 대해서도 공유했습니다.

NAKASEC 네트워크에 다시 합류하면서 민권센터는 선출직 공직자들에게 국가적 차원의 변화를 더 효과적으 로 촉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전국 풀뿌리 네트워크와 함께 활동을 지속하며, 우리의 목소리와 창구 를 사용하여 목소리가 박탈된 이민자와 주민들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1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2022년 12월에 민권센터는 뉴저지

펠리세이즈 파크 번화가에 2호 사무실을 개설했습니다 사무

실 개설 이래 민권센터는 시민권 보유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한인 이민자들을 위한 봉사에 초점을 맞춰 첫해의 운영을 성 공적으로 마쳤습니다. 펠리세이즈 파크가 위치한 버겐 카운 티에는 약 60,000명의 코리안 아메리칸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에서 가장 다양한 인종 분포를 보이는 카운티 중 하나입니 다.

뉴저지 민권센터는 활동 첫해에 시민권 신청, 영주권 카드 갱 신, 다카 법률과 의료 서비스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이민 및 주 택 법률 조력을 제공하는 법률 서비스를 시작하고 확장하는 활동에 집중했습니다. 우리는 허드슨강 너머 뉴저지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드리머들에게 다카 관련 도움을 제공하고 50 명이 넘는 지역사회 주민들이 뉴저지주 앵커 프로그램을 신 청하도록 도왔습니다. 또한 새 사무실의 범위를 벗어나 대학 교와 한인 시니어 센터를 방문하여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권장하고 지역사회 학생 및 노인을 대상으로 유권자 등록, 시 민참여 행사 공동 주최를 실행했습니다.

민권센터는 문화 활동 지원 재단인 Creatives Rebuild NY의 기금을 바탕으로 1984년 창단된 민권센터 산하 전통 문화패 '비나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비나리는 뉴저지 팰리세이즈 파크에서 가족, 친구, 이웃들과 함께 한국 설날을 기념하는 전 통놀이인 ‘지신밟기’를 개최하여 복을 상징하는 복조리를 지 역사회 소상공인들에게 증정했습니다 뉴저지 민권센터: 확장 첫 해에 확고히 뿌리를 내리다

민권센터는 2022년 여름 첫 번째 퀴어 아태

계 이민자 청소년 모임을 시작한 이후, 성소

수자 + 청소년들의 공간과 커뮤니티를 꾸준

히 육성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아태계

의 조건에 기반한 퀴어를 식별하는 청소년으

로 살아가는 문제와 정체성 탐색에 대한 주제

를 논의하기 위해 두 번째 퀴어 청소년 모임

을 개최했습니다. 우리는 이 공간을 계속 유

지하게 되어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쿼어 아태

계 이민자 청소년 모임을 통해 계속 지원할 계획입니다.

아이디어 창출 워크숍; 뉴욕시 시민참여형 예산안 입안

민권센터는 뉴욕시 시민참여형 예산 입안 캠페인인 '시민의 자금'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 워크숍 시리즈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시민참여형 예산(PB)은 주민들이 공공 예산의 일부를 어떤 용도로 지출할지 결정하는 전 세계 의 많은 도시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는 과정입니다.

첫 번째 워크숍에서 민권센터 실무진과 지역사회 주민들은 소그룹으로 나뉘어 대화와 창의적인 협업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상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참가자들은 성인 영어 교육, 노인 돌봄, 보육에 중점을 두고 이 상적인 "위대한 도시" 구축하는데 요구되는 관련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제안했습니다.

2023

DISTRICTOFFICE

73-03BELLBOULEVARD

OAKLANDGARDENS,NY11364

TEL 718)468-0137

FAX:(718 468-0178

CITYHALLOFFICE

250BROADWAY SUITE1744

NEWYORK NY10007

TEL 212)788-7075

FAX:(212 608-6382

T C HE COUNCIL OF ITY OF NEW YORK THE LINDALEE

COUNCIL MEMBER 23RD DISTRICT, QUEENS

November16th,2023

MinKwonCenterforCommunityAction

133-2941stAvenue

Flushing,NewYork11355

DearFriends,

CHAIR

MENTALHEALTH,DISAB LITIES,ANDADDICT ONS

COMMITTEES

AG NG CONTRACTS

EDUCAT ON GENERALWELFARE PARKSANDRECREATION

TRANSPORTATIONANDINFRASTRUCTURE

SUBCOMMITTEES SENIORCENTERSANDFOOD NSECURITY

CO-CHAIR

QUEENSDELEGATION

VICE-CHAIR

BLACK LAT NO,ANDASIANCAUCUS

GreetingsandcongratulationstotheMinKwonCenterforcelebrating39influentialyearsof impactingourQueenscommunities.IwanttoespeciallythankExecutiveDirectorJohnPark,the Board,andthehardworkingstaffforyourtirelesseffortstoensureourAAPIcommunitiesbuild backfromthehardshipsofthepandemicandtowardsabrighterfuture.

AsMinKwoncelebratestheir39thAnniversary,wecommemoratethisyear’sgalawiththetheme, “RootedinSocialJustice.”Thisyear’sthemeservesasareminderforallofustoremain groundedandcenteredinouridentitynomatterthechallenge,inordertoliveanauthenticlife, andremaintruetoourvalues TheMinKwonCenter’svaluesofservicetoassistNewYork City’sgrowingimmigrantcommunityexemplifythequalitiesthatmakeourcitygreat.Iam appreciativeandthankfulfortheMinKwonCenter’scommitmenttoupliftingourcommunities andlookforwardtomoresuccessesinthefuture

Sincerely,

2023년 갈라를 후원하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TRAILBLAZER

Y.T. Hwang Family Foundation

Sylvia and John Park

ADVOCATE

Mee Eun Chang

1199 SEIU United Healthcare

Jennifer and Roger Park

NAKASEC

HANA Center

FRIEND

Joan Yang and Ju-Bum Cha

Steven Choi CPC

Regina Im New Millennium Bank

Hyun Jung Kim

Heesook Kim

Jennifer Kim and Robert Tung

Kwangsoo Kim

Wan-Mo Kang

Fr. Silvano Kim

Kyong Hui Lee

Mary Sung Ok Lee

Chul Pak

Andrew Park

Sungyeon Park

Yangsun Park

Yong Chun Rim

N Cheng

Hye Kyung Won

Marianne Yang

Ralph Yoon

축하합니다!
민권센터 설립 39주년을

Congratulations!

OurpizzasmightbeGala-xies apart,butwewillalwaysshare cheesytogetherness!

CONGRATULATIONS TO THE MINKWON CENTER FOR 39 YEARS SERVING THE KOREAN AND ASIAN AMERICAN COMMUNITY.

THANK YOU FOR ALL YOU DO FOR OUR NEIGHBORS.

FROM YOUR FRIENDS, ROGER AND JENNIFER PARK

NAKASEC is proud to support MinKwon Center in their work to meet the needs of Korean, Asian, and immigrant communities!

Local Attorneys. National Resources.

Smart. Innovative. Dedicated. Custom legal solutions from attorneys with deep New York City connections.

We’re right here where you need us, backed by talented colleagues in 70 practice areas and 29 offices coast-to-coast.

East Coast knowledge. National strength.

The Fox Rothschild Advantage.

Wan-Mo Kang Partner, Princeton, NJ

609.895.6638 | wkang@foxrothschild.com

www.foxrothschild.com

CA | CO | DC | DE | FL | GA | IL | MA | MN | MO NJ | NV | NY | NC | OK | PA | SC | TX | WA
Supporter of the MinKwon Center for Community Action
Proud

Congratulations to MinKwon Center on your 39th Anniversary Gala!

Happy Anniversary Gala to the Minkwon Center!

United Healthcare

Y. T. HWANG

FAMILY FOUNDATION

Seekinganswerstohumanconflictsandillsbeyondfoodandpoverty

veritasinnobis "truthinus"

Thank you MinKwon Center for all you do for our neighbors!

from, MeeEunChang

HAPPYANNIVERSARY TOTHEMINKWON CENTER!

CONGRATULATIONS! TO! THE!

MINKWON! CENTER!

JOHN AND SYLVIA PARK

To all the volunteers, students, community members, and staff, 축하!

for the time and energy you contribute to the MinKwon Center for Community Action,

WE THANK YOU!

축하! 합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