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이슈 365 - 2016 우리시대 다시 희망찾기

Page 88

진다.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직업자격(Vocational qualifications)’이 주어 지는데, 120학점 가운데 최소 20학점은 현장연수를 포함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고 아이들의 꿈과 끼를 살리는 진로교육을 고민하면서 2015년 ‘진로교육법’ 제정, 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도입 및 제2차 진로교육 5개년계획 수립ㆍ시행 등 다양한 정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장체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교나 진로직업체험 지원센터들은 현장체 험처 발굴에 여념이 없다. 그런데, 북유럽 사례에 비춰보면 정작 중요한 한 가지가 보이질 않는다. 바로 철학 의 빈곤이다. 진로교육의 목적이 ‘아이들의 다양한 꿈과 끼를 살리는 것’이라면, 본래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방법이 강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장은 ‘체험처 발굴’에만 매몰되어 있다. 교육부의 평가와 재정지원도 양적평가로 이뤄진다. 그러 다 보니,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진로체험처가 다르지 않고, 중학생 현장체험 학습은 3~4일간 맛보기 수준의 일터 체험이나 진로캠프 참가에 머물고 있다. 심지어 현장 일터 체험처 발굴이 어렵다보니 이를 악용하여 직업체험 사교육시장이 생겨나는 실정이다. 진로교육에 실제 일터 현장을 체험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청소년 이 스스로 지역사회와 일, 노동에 대해 생각해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일이 다. 아울러 자신의 특기와 적성이나 꿈과 어떻게 관계 맺을지 고민하며 진로를 찾 아가는 일이다. 당장 지역 현실 여건이 다양한 일터 체험처를 제공할 수 없다면, 청소년들이 스스로 원하는 진로에 대해서 자료를 조사하고 그 분야 전문가를 찾아 가 인터뷰하거나, 관련 대학을 방문하여 선배들에게 조언을 들어보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희망제작소가 진로인프라가 취약한 완주와 전주에서 진행하고 있는 지 역기반 진로탐색 프로그램 ‘내-일 상상프로젝트’와 같은 프로그램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진로교육과 연계하여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직업교육’이다. 핀란드의 기초직 업교육과정(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징을 살펴보면 현장 실무중심의 자격체계에 근거 한 교육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이후 직업교육과정은 폴리텍대학으로 이어지며, 기

86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