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emin Covid-19 Book

Page 1

혜민병원 코로나19 백서

HYEMIN HOSPITAL COVID-19 Book

HYEMIN HOSPITAL

코로나19 백서는 2020년 1월 국내 코로나19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부터 2023년 4월 6일

거점 전담병원 지정 종료까지 혜민병원의 모든 의료진과 임·직원의 여정이자, 낯선 바이러스 에 대한 두려움에도 국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그들을 치료하고 대응한, 혜민병원 모든 구성원들의 열 정과 헌신에 대한 기록입니다.

혜민병원
코로나19
002 Prologue Prologue. 코로나19 백서를 시작하며 목차 002 발간사 004 타임라인 006 코로나19 개요 008 Chapter 1.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Part 1. 기본방역과 원내 감염 및 확산 방지기 016 Part 2. 진료 및 예방접종 032 Part 3. 감염관리 활동 056 1-1. 출입통제 017 1-2. 동선분리 020 2-1. 안심진료 및 호흡기 클리닉 033 2-2.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접종센터 040 2-3. 일반진료 048 2-4. 지역응급의료기관 (응급실) 진료 052 3-1. 감염관리실 057 3-2.구매관리과 076 Chapter 3. 일상으로의 복귀 코로나 후유증 클리닉 181 일반병원 전환 182 직원들의 이야기 - Interview 188
003 목차 Chapter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084 Part 1.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1. 재택치료 및 의료상담센터 085 1-2.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090 1-3. 입원환자 진료와 음압치료병상 095 1-4. 코로나 투석센터 110 1-5.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이후 응급실 115 1-6. 신속항원검사소 및 선별진료소 117 1-7. 일반환자 외래진료 121 122 Part 2.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1. 코로나19 영상검사 및 시술 123 2-2. 코로나19 관련 진단 의학 검사 131 2-3. 코로나19 관련 시설과 설비 140 2-4. 코로나19 관련 구매 145 2-6. 코로나19 영양 (환자 및 직원 식사 관리) 163 2-7. 코로나19 관련 미화 (오염폐기물 처리) 169 174 Part 3. 감염관리 활동 Chapter 4. 코로나 백서를 마치며 코로나19 관련 통계 205 환자분들의 이야기 - Review 208 추모사 216 코로나백서 편집위원회 편집 후기 218 2-5. 코로나19 주사 치료제 및 약제 관리 156
2.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 현재까지 3만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안타깝게 사망하였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공존한 지난 3년동안 이 바이러스가 우리에게 남긴 것은 상실 그 자체였습니다. 서로를 의심하고 피

하게도 만들었고, 누군가의 탓을 하게끔 만들기도 했으며, 사람이 머무를 장소부터 어려움을 함께 이겨내야 할 가족조차

도 단절의 시간을 보내게끔 만들기도 했습니다. 우리에게 많은 상처를 남긴 이 감염병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지만, 국가, 사회, 기업, 단체, 가족 모든 구성원들의 노력 끝에 우리는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걸음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처음 코로나19의 소식이 들렸을 때부터 우리 병원에서는 그 직전 경험했던 메르스 사태로 얻은 경험과 감염병 대응 전략 을 기반으로 초창기부터 비상조직체계를 운영하여 코로나19 예방의료기관으로써 사명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3차 대유

행이 끝나고 확진자가 차츰 줄어드는 것을 지켜보면서도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해야 할 책임을 다하고자 했습니다.

2021년 하반기부터 코로나 4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하루 확진자가 수십만명에 이르고, 연일 일일 확진자 수가 최고치를 경신하기 시작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이 감염병 사태를 감당해야 할 의료진과 치료 병상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풍전등화 상황에서 우리 병원은 2021년 11월 서울 최초로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을 신청하였고, 220여개의 병상 모두를 코로나 환자 치료가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시행하며, 우리 병원과 우리 병원의 구 성원 모두가 맡은 역할과 책무를 다하고자

004 Prologue
무던히도 노력했습니다. 혜민병원이 코로나19 예방의료기관에서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우리는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지정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보다는 '국가적 재난' 수준에 이른 이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먼저라고 판단했고,
코로나19
발간사 3년의 시간 「혜민병원
백서」를 발간하며…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지정으로 앞으로의 어려움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결정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동

참해준 우리 혜민병원 의료진들이 있었기에 모든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3년이라는 시간동안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국난 극복을 위한 마음으로 코로나 거점 전담 병원에서 맡은 책임을 다 하신 혜민병원 의료진 한 분 한

분에게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3년 4월 6일, 코로나 거점 전담 병원이 종료되었고, 우리 혜민병원은 일상으로의 복귀와 앞으로 우리 병원이 해내야

하는 사명을 위해 다시 나아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과 같이 앞으로도 우리 병원은 지역주민의 건강 지킴이 이자, 서울 동부지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 의료기관으로써 역할과 책임을 다 할 것이며, 최고의 의료진과 높은 수준의 의료기기와 장비, 환자를 가장 먼저 생각하는 마음으로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아무쪼록 혜민병원 코로나19 백서가 감염에 대한 선제적 감염 차단과 대응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마칩니다.

다시 한번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애써 주신 혜민 가족 모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3년 7월 31일

005 발간사
김 병 관 혜민병원장

Covid19 Hyemin Hospital

2.17. 대구·경북 코로나19 1차 대유행

8.15. 수도권 2차 대유행 (종교단체 광화문 집회)

11.20. 코로나 3차 대유행

8.31. 원내 첫 확진자 발생, 비상조직체제 전환

공지

1.29. 병원 출입통제 시행

3. 4 코로나19 국민안심병원 A형 지정 및 운영 개시

8.26. 병원 출입시스템 모바일 사전 문진표 작성 시작

9. 2. 본관 5병동 코호트 조치 (20.9.17 12MD 해지)

12.20. 원내 확진자 발생으로 본관 6병동 코호트 조치 (20.12.31. 12MD 해지)

12.27.

006 Prologue 2021
7. 8. 코로나 4차 대유행 (델타 변이) 1.15. 호흡기 전담 클리닉 개소 12. 6.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 개시 (중등증 27병상) 3. 2. 코로나19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기정 12. 6. 코로나19 전체 거점 전담병원 지정 4.19. 코로나19 백신접종센터 개소 (백신 1차 접종 시작) 12.27. 전체 거점 전담병원 총 185병상 운영 개시 (중증 22병상, 준·중증 30병상, 중등증 133병상) 7.5.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시작
15병상 운영 개시 10.12. 재택치료의료기관 지정 및 운영 개시 12.27. 오세훈 서울시장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현장방문 및 의료진 격려 11.2.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시작 12.29. 고민정 국회의원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현장방문 및 의료진 격려 11.5. 감염병전담병원 전담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 12.30. 코로나19 회복기병동 10병상 운영 개시 (22.02.10. 종료) 2020
우리나라 최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감염병
대응지침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
1.20.
발생
전체부서에

1.24. 코로나 5차 대유행 (오미크론 BA.1· BA.2 변이)

7.12. 코로나 변이 대유행 (오미크론 BA.4 · BA.5 변이)

1.

코로나19 총 185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66병상, 중등증 97병상)

6. 김부겸 국무총리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의료대응 현장점검 및 의료진 격려

1. 7. 코로나19 확진자 전담 투석실 14병상 운영 개시

1.14. 혜민병원&보건복지부 업무협약 체결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 개시

2.11. 코로나19 선별진료소 개소

3.15. 한시적 29병상 확충, 기존 185병상 → 214병상 운영 (중증 40병상, 준·중증 72병상, 중등증 102병상)

5. 1. 209병상 → 185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66병상, 중등증 97병상)

5. 1. 소아청소년과 신설, 소아 확진자 입원치료 운영 개시 (10병상) (22.07.31. 종료)

5.11. 코로나19 방역환경 개선을 위해 광진소방서에

6.24.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 운영 시작 (호흡기 전담 클리닉, 외래진료센터 통합)

7. 1. 코로나19 의료상담센터 운영 개시 (22.12.25. 종료)

8. 3. 광진소방서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운영상황 및 소방 안전 현황 점검

8.16. 185병상 → 208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89병상, 중등증 97병상)

4 .15. 214병상 → 209병상 조정 (중증 40병상, 준·중증 72병상, 중등증 97병상)

4.18. 코로나19 후유증 회복 클리닉 개소

4.28. 코로나19 백신 4차 접종 시작

10. 7. 208병상 → 203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84병상, 중등증 97병상)

10.11.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11.29. 203병상 → 209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90병상, 중등증 97병상)

12.31.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해제

007 Covid-19 Timeline 2022
2. 3. 1. 6. 1. 응급의료기관 운영 재개 4. 5. 요양시설 기동전담반 지정 (의사 4명, 간호사 2명 구성) 1.
2023
복지 기부물품 전달 4.18.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해제 6. 1.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1. 1. 코로나19전담치료병상 지정 및 209병상 운영 1. 1. 감염병관리기관 지정 2. 6. 209병상 → 186병상 조정 (중증 22병상, 준·중증 89병상, 중등증 74병상) 3. 6. 186병상 → 15병상 조정 (중증 15병상) 4. 6.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종료
008

코로나19 개요

이비인후과 Otorhinolaryngology

참고문헌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 지자체용 제 13-1판 (2022.8.15)

· COVID-19 living guideline, 한국보건의료연구원 (NECA)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치료제 사용 안내제 9판 (2022.9.2)

· 질병관리청홈페이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19, https://ncov.kdca.go.kr

· 세계보건기구홈페이지– COVID-19 pandemic,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novel-coronavirus-2019

· 식품의약품안전처 코로나19 백신·치료제 허가·심사 누리집, https://www.mfds.go.kr/vaccine_covid19.jsp#

· 코로나19(COVID-19) 실시간상황판, https://coronaboard.kr/

009 코로나19 개요
바이러스
감염경로  전파기간 및 전파력  증상 및 경과  후유증  환자관리  격리해제  치료
백신 심명주 과장
유형과 변이

코로나19 개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처음 발생한 후 전 세계로 확산된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초기 우한 폐렴으로

불렸으나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에 의해 2020년 2월 11일 바이러스의 명칭을 SARS-CoV-2로, 감 염증을 COVID-19로 정하여 발표하였고, 국내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약칭 코로나19)로 명명하였다.

코로나19 병원체 유형과 변이

코로나19 병원체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SARS-CoV-2)로, 2003년 유행한 사스(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와 유사

한 특성을 가진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분석단 검사분석팀은 국내외에서 나타나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 응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변이 바이러스 분류 체계 (2021. 2. 25)를 반영하여 주요 변이(VOC, Variant of Concern)

와 기타 변이 바이러스(VOI, Variant of Interest)로 바이러스 변이 체계를 분류하여 모니터링해 왔으며, 2020년 9월 알파 변이 (Alpha variant) 이후 빠른 전파 속도와 높은 중증도로 우세한 주요 변이였던 델타 변이 (Delta variant), 2021년 11월 26일 주요

변이로 분류된 이후 중화 항체의 회피성, 다양한 하위 변이의 발생 가능성 등으로 현재까지 가장 장기간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주요

변이로 분류된 오미크론 변이 (Omicron variant)가 주요 변이에 해당되며, 이는 전파력의 증가가 확인되고, 병원성의 증가 또는

임상적인 중증도의 변화가 확인되며 진단, 백신, 치료제의 유효성 저하가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를 말한다. 2023년 8월 기준 현재 유행 중인 주요 변이 바이러스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신 기타 변이 바이러스 (VOI, Variant of Interest)와 모니터링 변 이 바이러스(VUM, Variant under monitoring)를 함께 분류하여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기타 변이 바이러스 (VOI)는 기 존 코로나19 바이러스 대비 다른 형질을 보이거나 다른 형질을 유도할 수 있는 아미노산 변이를 가진 경우로 지역사회 전파나 다 수의 감염 사례, 집단 발병 또는 다수 국가에서 검출된 경우이며, 모니터링 변이 바이러스 (VUM)는 바이러스 특성 변화 가능성이 있고, 초기 검출 증가 추세가 있지만 아직 역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를 말한다.

※코로나19 기타 변이 바이러스 (Covid-19 VOI, Variants of interest)

· 기존 변이 대비 전파력 증가

· 면역회피능 증가하지만 BA.5포함2가 백신 유효

· 중증도 증가는 보고되지 않음

· 항바이러스제4종(렘데시비르, 라게브리오, 팍스로비드, 조코바) 유효

· 기존변이 대비 전파력 및 면역회피능 증가

XBB.1.16 2023년 1월

· 중증도 증가는 보고되지 않음

· 기존 변이 대비 위험도는 높지 않는 것으로 평가됨 (WHO, 23. 4.17)

※모니터링 변이 바이러스 (Covid-19 VUM, Variant under monitoring)

010
Pango lineage 최초 확인 특성 XBB.1.5 2022년 10월
Pango lineage 최초 확인 BA.2.75 2021년 12월 CH.1.1 2022년 7월 XBB 2022년 8월 Prologue Pango lineage 최초 확인 XBB.1.9.1 2022년 12월 XBB.1.9.2 2022년 12월 XBB.2.3 2022년 12월

코로나19 감염경로

감염된 사람의 비말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기본 경로로, 호흡을 통해 감염된 사람의 비말을 직접 들이마시거나, 감염된 사람의 비

말이 눈, 코, 입의 점막에 튀어 묻거나, 표면에 떨어진 병원체를 포함 한 비말을 손으로 만진 후 눈, 코, 입을 만지는 표면 접촉에 의

해 전파될 수 있고, 감염된 사람에게 기관지 내시경 검사, 객담 유도, 기관 삽관, 심폐소생술 등을 시행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거나

환기가 부적절한 밀폐된 공간에서 감염자와 또는 감염자가 장기간 머문 뒤 떠난 직후 방문한 경우의 공기전파가 있으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기전파의 가능성을 좀 더 높게 보고 있다.

코로나19 전파기간 및 전파력

증상 발생 직전 및 발생 초기에 전염력이 가장 높고, 증상 발생 1~3일 전부터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바이러스 검출이 가능하고, 증

상 발생 7일 이후에는 일부 면역 저하자를 제외하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생존바이러스의 배출이 거의 없다. 다만 오미크론 변이 의 경우 국내 연구 결과에서 증상 발생 후 8일간 생존바이러스가 배양된 바 있어 7일 간 격리 이후 8일에서 10일까지 주의를 권고

하고 있으며, 오미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로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변이에 비해 2배 가량 높은 전파력을 가진 것 으로 보고되었다.

※오미크론 변이와 주요 감염병 전파력 및 중증도 비교

출처 > 질병관리청,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특성

코로나19 증상 및 경과

주요 증상은 기침 (50%), 38°C 이상의 열 (43%), 두통 (34%), 호흡곤란 (29%), 인후통 (20%), 설사 (19%), 오심 및 구토 (12%)가 있으며 피로, 식욕감소, 혼돈, 어지러움, 콧물, 코막힘, 객혈, 흉통, 정신학적 이상 등의 다양한 증상이 10% 미만의 빈도 이지만 보고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에 비해 20~30% 정도 낮은 치명율을 보이지만 전파력이 매우 높아 세계보건

기구 (WHO)에서는 그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평가하였다. 50대 이후 연령 증가에 비례하는 치명율 증가를 보였고, 만성 심장질 환, 신장, 폐질환, 당뇨, 신경계 질환, 암, 비만, 흡연, 임산부, 미접종군에서 높은 중증도와 사망률이 보고된 바 있다.

011
코로나19 개요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 발병 3개월 이내에 발생하여, 최소 2개월 이상의 증상(피로, 호흡곤란, 우울, 불안, 인지기능

장애 등)이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Post COVID-19 condition(Long COVID)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 후유증 주요 증상

출처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후유증 증상

코로나19 환자관리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 PCR)을 통해 검출되거나 2022년 3월 14일 이후 전문가용 신속 항

원 검사 양성인 사람을 확진 환자로 정의하여 임상 증상 및 위험요인 유무를 통해 재택치료, 시설치료, 입원치료로 배정, 관리하고 있다.

재택치료 (자가) 재택치료 불가 조건이나 입원 고려 위험요인이 없을 때 일반적으로 재택치료 권장

시설치료 (생활치료센터) 무증상 또는 경증의 확진자가 거주요인 등에 따라 재택치료가 불가능하거나 해외입국 외국인인 경우

입원치료 (의료기관) 입원치료 (의료기관)

코로나19 격리해제

임상경과에 기반하여 최소 24시간 동안 발열이 없고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 예방접종력과 관계없이 검체 채취일로부터 7일경과, 고유량 산소요법, 인공 호흡기, ECMO, CRRT 치료 적응증이 되거나 중증 면역저하 등의 사유로 위중증에 해당하는 경우 검체 채 취일로부터 최소 10일, 최대 20일 까지의 격리 후 해제를 적용 중이다.

012
Prologue

코로나19 격리 해제 (1) 치료

대증치료와 함께 항바이러스제와 항체 치료제, 스테로이드, 2차 감염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이 이루어진다. 정맥 제제 로 투여되는 항바이러스제는 에볼라 감염치료를 위해 개발된 베클루리(렘데시비르)가 유일하고, 경증, 중등증 환자 대상의 경구 항바 이러스제는 팍스로비드(니르마트렐비르 및 리토나비르)와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가 사용 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폐 손상과 다기관 기능 부전을 유발하는 전신 염증 반응을 조절할 목적으로 스테로이드와 악템라(토클리주맵),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

가 중증도에 따라 이용되며, 산소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정맥 혈전증의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 2차 감염이나 패혈증의 징

후가 동반된 환자에게 항생제가 투여된다. 델타 변이의 고위험군 경증 및 중등증 환자에서 그 중화 효과가 인정되어 사용되었던 항체

치료제인 렉키로나(레그단비맵)는 오미크론 변이에서는 안전 용량 내에서 바이러스 중화효과가 없어 사용이 중단된 바 있으며 이후

미국 FDA에서 긴급 승인된 단클론 항체 제제로서 경증 또는 중등증의 오미크론 변이종에서 소트로비맵 단독 용법이 인정되고 있다.

(2) 백신

현재까지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은 백신 개발 기술에 따라 mRNA 백신인 화이자와 모더나, 바이러스 벡터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스푸트니크 V 백신,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노바백스, 바이러스 불활화 백신인 시노팜, 시노백 백신이 있으며, 국내에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백신이 도입되어 사용되었고, 2022년 4월 이후 고령층 및 면역저하자에 적 용되는 4차접종에는 화이자, 모더나, 노바백스 백신이 적용되었고, 2차 접종 이상 완료한 12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동절기 추가접종 에는 모더나와 화이자의 mRNA 2가 백신을 이용하고 있다.

(3) 예방적 항체치료제

백신 접종이 코로나19의 최선의 감염 예방법이지만, 중등도 이상의 면역 저하자이면서 백신으로 인한 적절한 면역 반응 유도가 어려 울 것으로 예상되거나 코로나19 백신접종에 대한 중증 유해반응의 과거력으로 접종완료가 불가한 성인 및12세 이상의 청소년에서 이부실드의 노출 전 예방적 투여요법이 2021년 12월 8일 미국 FDA에서 긴급 승인된 바 있다.

013 ※국내 코로나19 현황 (2023.
기준) 누적확진자수 사망자수 위중증 환자 누적 격리해제 치명률 30,827,449 34,270 142 969,524 0.11% *2022년 3월부터 누적 격리해제 통계 발표 중지 ※국내 백신 접종 현황 누적확진자수 1차 접종 2차 접종 3차 접종 4차 접종 접종자수 45,117,124 44,685,390 33,626,104 7,496,776 접종률 87.91% 87.07% 65.52% 14.61% *2022년 12월 17일부터 3, 4차 접종(BA.1, BA.5) 접종 중단 코로나19 개요 ※국내 코로나19 추이 (~2023년 4월 1일 기준)5,000,000 10,000,000 15 000 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35,000,000 2020년 2021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누적확진 치료중 위중증 누적사망 누적격리해제 3월 (2023. 4. 1. 기준) 2023년 2022년 누적확진자 30,827,449 누적사망자 34,270
4. 1.

CHAPTER 01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014

2019년, 2020년 연말연시, 코로나19 환자의 발생은 전 세계를 두려움에 떨게 한 메르스 발생 당 시를 떠올리게 했다. 2015년 메르스는 주로 의료기관에 머물렀던 환자들을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나 코로나19는 지역사회 감염으로 전파되어 정부와 의료기관들은 긴장하며 긴급 방역대책을 세워야만 했다. 혜민병원은 메르스 때의 경험으로 유행성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초동대응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2020년 2월 7일부터 철저한 병원 내 출입통제를 시행하였다. 지속적으로 코로나19 발생 지역, 병 원 등의 상황을 업데이트 하며 발열체크, 코로나19 의심증상과 역학적 관련성에 대해 문진하여 철 저히 원내 출입자를 통제하기 시작하였다. 2020년 3월 호흡기 안심진료소를 운영하여 다른 질환으

로 내원한 환자들과 호흡기 환자들은 철저히 동선을 분리하여 안전한 진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제1장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초기 우리병원의 초기 대응에서부터 시작하여 원내 확진자 발생에 대 한 대응, 안심클리닉 - 호흡기 전담 클리닉 운영,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 운영과 감염관리 활동 전 반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철저한 직원 관리와 원내 출입자 통제, 입원환자 및 보호자 관리에도 불구하고 2020년 8월 31일 첫

원내 확진 발생으로 인한 병동 코호트 병원 외래 중단 등의 사태에서부터 이를 전직원 합심으로 극

복하고 이후 발생되는 부분적 원내 확진자 발생 시 적절한 대응과 노력으로 추가 발생 및 전파를 최

소화하고 원내 확산을 저지시킨 혜민 전직원의 노력이 있었다. 호흡기내과팀의 안심클리닉 운영과 입원환자를 통한 전염을 막기 위한 입원 전후 코로나 PCR 검사, 간병사 및 보호자 통제, 주기적인 PCR검사, 원내 확진자 발생 시 즉각적인 격리, 역학조사에 의한 자가 격리자, 능동 감시자 선별, 병 실 제한 구역 설치하여 일반환자와 코로나 환자와의 철저한 분리, 확진자의 신속한 이송 등으로 많 은 확진자 발생에도 추가적인 확산 없이 마무리하였다.

2021년 3월 코로나 예방접종기관 지정을 시작으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 접종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여 전 직원이 코로나 예방에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2021년 12월 코로나 부분 전담병원

을 시작으로 서울시 최초 전체 거점 전담병원 전환 전까지 우리의 코로나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다.

제1장에 기록된 혜민병원의 코로나 확산 방지와 예방 접종에 대한 전직원의 노력이 자세히 기록되

어 향후 다시 발생 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 대응에 참고가 되고 더 나은 대응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 전 직원의 피땀 어린 노력이 기록으로 기억되어 직원들의 가슴에 보람으로 남길 바라본다.

015

Part 01.

원내 감염 확산 방지

016
1-1. 출입통제 1-2. 동선분리
기본방역과

목 적

1-1. 출입통제

2020년 1월 20일, 우한 폐렴으로 알려진 코로나19의 국내 첫 확진자 발생이 보도되면서 혜민병원도 1월 22일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긴급 대책 회의를 진행하였고, 국가적으로 요구되는 의료기관 차원의 방역과 내원객들의 안전한 진료를 위해 병원 출입통제와 함께 호

흡기 유증상자와 일반 진료영역을 구분하여 운영하는 등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국내 유행 상황을 신속하게 진료에 반영하여 감염병 확 산 방지를 위한 대응체계를 구축하였다.

017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코로나19 초기 대응 체계
018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환자 및 내원객 흐름도 (1차) 2020. 1.29. (3차) 2020. 2.19. (4차) 2020. 5. 6. (2차) 2020. 2.18.

※입원환자 면회 관련

전환으로 면회금지 (임종 및 응급상황 비대면 면회 허용)

019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출입구 통제 관련 일 자 출입구 방 법 20.01.29 출입구 직원 순환 배치, 방문객 문진표 작성, 발열 체크, 손위생 20.01.31 코로나19 의심 환자 임시대기소 설치 20.02.06 호흡기 외래 유증상자와 일반환자와 동선 분리 20.02.25 국내 집단 발생 지역 방문 이력 확인 출입 제한 20.05.01 외래진료 내원객 식별을 위한 요일별 스티커 부착 20.08.26 출입자 문진 키오스크 도입 20.10.12 외래진료 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일 자 출입구 방 법 20.01.23 발열, 기침 등 유증상자 병문안 삼가 내용으로 원내 안내방송 시작 20.02.01 입원환자 면회 전면 제한 (임종 및 응급상황 시 예외) 20.08.0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만 병문안 허용 21.05.24 상주보호자 외 면회 제한 (임종 및 응급상황 시 예외) 21.12.27 거점 전담병원
코로나
임종 면회
횟수 제한
2020. 07. 22. 문진표 작성 후 출입 2020. 08. 04. 간호간병 출입구 면회 2020. 08. 27. 키오스크
22..05.11
확진자 동선에 적용 (임종 면회 시 허용) 22.10.08
시간
※출입구 관리
문진표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1-2. 원내 출입자 동선분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원내 확산 방지를 위해 코로나19 의심 환자 및 확진자와 일반 내원객, 환자들의 이동 동선을 분리하였다. 입원

중에 코로나19 또는 폐렴이 의심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로 환자를 이송하였다.

새로운 증상

020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원내 입원환자 이동동선
및 안내 절차
모니터링 (일 2회) - 발열 37.5℃ 이상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감염관리 감시단 보고 1인 격리 및 검체 시행 (코로나19 PCR 검사) 검사결과 확인 양성 보건소 신고 확진자 수용 가능한 타 병원으로 전원 접촉자 조사 호흡기내과 협진 의뢰 음성 종료 2차 검사

환자 관리

[ 환자관리 개요 ]

1. 입원환자의 기본 정보 조사 시 코로나19 선별 문진표(환자/보호자)를 작성하여 역학적 관련성을 재확인

2. 기본 생활수칙 교육: 마스크 착용, 손 위생, 기침 예절을 준수하고 불필요한 접촉을 피한다.

(마스크를 바른 방법으로 착용, 병실 출입 시 손 위생 철저히 수행)

3. 체온, 호흡기 증상(기침/목아픔/콧물 등) 상태 관찰 후 감염관리실에 일일 보고

4. 확진 또는 확진 환자에 노출된 환자 및 감염 의심 환자 관리 →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 발생 시 가능한 1인실 격리 후 PCR을 시행하고 결과에 따라 조치

① 병실격리

② 격리 지침 준수 관련 비접촉·비대면 교육 실시

③ 의료진 및 보호자 출입 필요 시 보호구 4구 착용

④ 간호사 보호구 4구 착용 후 간호 처치

※외래 영역 주의사항

구 분 내 용

(1)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감시

출입구

(2) 선별 진료소 안내 기준: 발열이 있는 경우,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3) 호흡기 안심클리닉 진료 기준: 호흡기 증상만 있는 경우

외래 원무 접수

(1) 역학적 연관성 확인   → 코로나19 유행지역(DUR, ITS팝업), 국내 대규모 유행과 연관된 지역 또는 의료기관 방문 여부

(2)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서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중 해당되는 증상이 있으면 선별진료소 안내

외래 간호 접수 (1) 간호 접수 시 체온 측정하여 발열 여부 및 최근 발생하거나 악화된 호흡기 증상 확인

(2) 해당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진료소 안내 또는 호흡기 안심클리닉 진료 안내

(1)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확인될 시 가급적 필요한

외래 진료실

021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 의심환자 발생 시 환자관리 주의사항 ]
진료(필요한 약 처방 등)만 시행 후 선별진료소 안내 (2) 입원이 필요한 경우, 코로나19 검사 결과 음성 확인 후 입원하도록 안내 (3) 입원이 바로 필요한 경우는 본원 격리 기준 및 진료 지침에 따라 입원 진행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응급의료센터 주의사항

구 분 내 용

출입구 (1)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확인 후 해당되는 증상이 있으면 선별진료소로 안내한다.

응급 원무 접수

(1) 역학적 연관성 확인   → 코로나19 유행지역(DUR, ITS팝업), 국내 대규모 유행과 연관된 지역 또는 의료기관 방문 여부

(2)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서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중 해당되는 증상이 있으면 선별진료소 안내

응급 트리아제 (1) 발열 여부 확인 및 최근 발생한 또는 악화된 호흡기 증상 확인 후 유증상 시 선별진료소 안내

응급진료 (1) 입원이 필요할 경우 응급의학과에서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한 후 입원 진행

※입원구역 주의사항

구 분 내 용

입원 당일 (1) 간호 접수 시 체온 측정을 통해 발열 동반, 최근 악화된 호흡기 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확인

(2) 코로나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본원 입원 격리 대기 병실에서 격리 조치 (1인실로 사용)

→ 입원 격리 대기 병실: 507호, 508호, 701호, 711호, 712호

(1) 발열,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감시

- 새로 발생한 폐렴 환자 / 고열환자

- 최근 발생한 / 악화되는 호흡기 증상(기침, 가래, 인후통, 호흡곤란, 미각·후각 소실)

- 역학적 위험요인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 발열

- 65세 이상에서 발생한 설사 혹은 설사와 기력 저하

(2) 1인실 격리입원 후 필요 시 코로나19 검사를 재실시 (1인실 부재 시 507호, 508호를 활용)

(3) 간병을 위한 보호자는 1명으로 제한하고 마스크와 비닐 가운, 폴리 장갑을 착용하게 한며, 병실을 나갈 때 가운과 장갑을 벗고 손위생을 하게 한다.

(4) 의료진은 접촉 정도에 따라 보호구를 착용

(5) 가운은 환자 접촉 전 착용하고 접촉 후 탈의

(6) 담당 간호사는 환자 밀접 접촉 시 긴 팔 비닐가운, 장갑을 착용하고 매 환자마다 교환하며, 병실을 나올 경우 일회용 비닐가운을 반드시 탈의한다.

(7) 마스크는 단순 접촉 시는 교환하지 않으나, 호흡기 검체 채취 및 비말노출 행위 후에는 새 것으로 착용한다.

(8) 장갑은 매 접촉 후 벗고, 벗은 후 손위생을 반드시 행한다.

(9) 환자 사이 기구나 물품(휠체어, 침대, 폴대 등)은 반드시 소독을 시행한다.

(10) 방사선 촬영 시 격리 환자임을 영상검사실과 공유하고, 이송 시 적절한 보호구 착용과 손위생 시행

(1) 격리가 필요한 환자가 발생한 경우 감염관리실에 연락한다.

(2) 선별진료소가 있는 병원 이송 필요시 차량계로 연결한다

(11) 화장실 사용 시 환자에게 손위생 하도록 하고, 화장실 접촉면은 미화요원에게 소독하도록 한다. 의심 환자 이송

(3) 감염관리실 및 관련부서 의사소통 채널에서 병실 준비 및 이동 경로 통제, 이송과정을 협의한다.

(4) 이동경로 통제: 이동 경로를 통제하고 가장 짧은 길로 환자를 이송한다.

022
입원 중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본관 5병동 코호트 병동 조성

본관5병동 코호트 병동 조성 도면 본관5병동 병상·병실 현황

*5병동 확진자 발생에 따라 5병동 환자, 보호자, 의료진, 미화부직원 코호트 → 6병동 환자를 다른 병동으로 이동 후 5병동 의료진 및 미화부 직원 숙소로 활용

※본관 6병동 코호트 병동 조성 (5병동 직원 숙소)

본관6병동 코호트 병동 조성 도면

*6병동 확진자 발생시에는 신관 6병동을 의료진 및 미화부 직원 숙소로 활용

병상·병실 현황

023
본관6병동

확진자 발생 시 부서별 역할

구 분 내 용

▪업무총괄, 대·내외(질병관리본부, 보건소, 병원)보고, 예산지원 및 집행

감염관리실

▪신속 대응반 운영(역학조사 및 현장 인체감염 예방조치 및 지휘)

▪일일 종합 상황 정리 및 보고

▪고위험군, 의사 환자, 접촉자 조사 진단 후 치료 여부 결정

진료부

▪격리병동의 의사인력 확보(비상 시 진료시간표 작성 및 인력배치)

▪위기상황 대비 간호 인력 확보 및 인력운영 방안 마련

간호부

▪환자 간호팀: 중환자실, 응급실

▪병동별 전파 방지 교육 및 홍보

▪격리구역 시설 설치 및 가동시작

시설과

▪출입통제 지역 통제선 설치

▪통신기구 설치 및 점검

▪환자 안내

▪신종 감염병 환자 단독 접수 및 입퇴원 전담 원무 관리

원무과

행정관리과

▪명단작성 관리(입퇴원)

▪진료비용 관리

▪환경관리: 미화부 청소 및 폐기물 전담 수거반 운영

▪보안관리: 출입통제 구역 안내

▪차량관리: 주차안내 / 구급차 대기

024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직원관리 [ 직원관리 개요 ]

1. 환자 진료를 위해 병동 출입 시 장부를 비치하여 출입자를 관리한다.

2. 출입 및 근무 복장(개인 보호구 착용)를 착용: N-95 마스크, 긴팔 비닐 가운, 라텍스 장갑, 고글

3. 병원에서 공급되는 근무복으로 매일 갈아 입으며 오염원에 노출 시 즉시 교체한다.

4. 손위생, 기침 예절을 준수하고 불필요한 접촉을 피한다.

5. 감염관리실 일일 보고: 체온, 호흡기 증상(기침/목 아픔/콧물 등)을 확인하여 보고한다.

6. 직원 증상 발생 시 관리: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발생 시 코로나19 PCR 시행하고, 양성인 경우 자가격리 시행 및 보건소 지침에 따라 관리하며, 접촉자 관리를 시행한다.

7. 근무 투입 기준: 코로나19 PCR 검사 결과 음성이 확인된 병동간호사, 간호조무사, 이송요원, 미화부 직원

8. 직원 감염 방지를 위한 교육 및 관리: 직원의 보호구 착용, 폐기물 관리

9. 직원은 외부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일회용 도시락을 제공한다.

025

유증상 직원 프로세스

새로운 증상 모니터링 (일 2회)

- 발열 37.5℃ 이상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감염관리

증상 기준

▪발열: 37.5℃ 이상 (고막체온 기준)

▪호흡기 증상 : 인후통, 기침, 객담, 호흡곤란

▪기타 증상 : 흉통, 근육통 (다른 질환과 감별 필요)

근무 중 증상 발현 시 즉시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근무 제한 (검사 가능한 기관 또는 타병원 검사 시행)

▪검사결과 음성인 경우 근무 가능

▪PCR 음성 + 증상 소실 → 근무 복귀

▪PCR 음성 + 증상 지속 → 근무 제외

026 [
]
유증상 직원 관리
1. 2. 3.
감시단 보고 코로나19 PCR 검사 및 자가격리 검사결과 확인 양성 자가격리 및 보건소 교육 접촉자 조사 및 관리 보건소 통보 대기 증상소실 음성 업무복귀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협력업체 관리

[ 협력업체 감염관리 개요 ]

1. 병원 출입 시 본관 1층 앞 로비의 출입구 밖에서 협력사 직원임을 확인한 후 손위생 및 체온측정 등을 실시하여 열이 없는 경우, 출입 허용.

2. 협력업체 직원의 감염관리 프로세스

(1) 협력업체 관리자(실/소장)는 소속 직원을 대상으로 발열 체크 및 호흡기 증상 유무를 확인 후 기록한다.

(2) 체온 확인은 1일 2회 이상 시행한다.

(3) 호흡기 증상은 기침, 인후통, 가래 등이 있음을 의미한다.

(4) 협력업체는 근로자 현황 관리를 시행하고, 증상 발생시 감염관리실에 보고한다.

(5) 일일 체크리스트 작성 후 특이사항 발견 시 즉시 관련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해당 근무자는 근무지로부터 격리 후 감염관리실의 지침에 따른다.

(6) 협력업체 관리 부서장은 해당 내용을 접수 후 감염관리실과 협의하여 지침에 따라 대응한다.

3. 협력업체(미화용역) 감염/위생관리 지침

(1) 직원은‘감염관리 매뉴얼’을 따르며, 근무 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2) 협력업체 직원 자가 체온 및 호흡기 증상 체크리스트 작성

4. 감염관리 순회 시 개인 보호구 착용 여부를 관찰한다.

접촉 협력업체 직원 관리방안 ]

1. 확진자 접촉 범위

(1) 확진자와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하지 않고 직접 진료하거나 돌본 사람

(2) 확진자와 동일한 장소에서 밀접하게 머무른 사람(가족, 직장, 교실, 모임 등)

(3) 확진자 증상 발생 후 14일 내에 동일한 이동수단을 이용하였고 확진자와 근접한 거리(2미터)에서 상당 시간 머문 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지침 (지자체용, 2020.3.2. 기준)]

2. 자가격리 해지 시 : 자가격리 해지일 하루 전 PCR 시행 후 음성일 때 해지

3. 자가격리 직원의 증상 즉 발열, 호흡기(기침, 가래, 인후통) 발생 여부를 매일 모니터링

4. 격리일 해지 후 업무 복귀 절차

(1) 자가격리 중 무증상 직원 관리 방안 → 자가 격리 후 코로나19 PCR 검사 : 각 거주 보건소에서 관리 받는 경우 보건소 지시에 따라 보건소에서 검사 후 코로나19 PCR 검사 결과 음성이 확인된 후 업무 복귀 가능

(2) 코로나19 비접촉 유증상 직원 관리 방안

→ 정의: 기저질환에 의해 발생 가능한 발열과 호흡기 증상 이외의 발열 (37.5℃ 이상)과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 직원

→ 비접촉 유증상 직원 관리 프로세스

→ 증상 발현 즉시 부서장에게 보고 후 의사의 판단 하에 코로나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가격리 및 경과 관찰 (음성인 경우 출근)

→ 부서장은 유증상 직원을 감염관리실에 보고

027
[ 확진자
029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3) 임시 대기소
임시 대기소 위치 안내 임시 대기소 설치 └ 임시 대기소 설치 (4) 환자
환자 분류소 가벽 설치 └ 이동 동선 분리를 위해 가벽을 제작하여 환자분류소를 설치하였다.
설치 및 관리
분류소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4) 백신패스 제도 시기 출입구 관리

백신패스 키오스크 설치 키오스크 문진표 자동 체온 측정기 설치

└ 백신패스 제도 도입 이후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설문 조사지 대신 키오스크로 문진표를 작성하기 시작하였고, 비접촉식 자동 체온 측정기를 설치하여 내원객들의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 여부를 확인하였다.

(5) 해외여행객 정보 조회

DUR-ITS 활용 해외 여행객 정보 조회

030

안심진료소를 설치하여 호흡기 유증상자만 분

리하여 진료를 진행하였고, 호흡기 유증상자의 진료를 위해 호흡기 클리닉을 운영하였다. (7)

선별진료소 운영

검사일:

코로나19 검사신청서

유증상자 진료 전 RAT 검사 후 진료

031 기본 방역과 원내 감염 확산 방지 (6) 유증상자 분리 진료 외부 검체 채취실 검사 안내문 외래 안심진료소 안내문 호흡기 클리닉 안내문 [코로나검사 안내문] 1 귀가시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2 검사결과가 나올때까지 외출 및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여 주 십시오 3 검사결과가 나오는대로 문자발송을 해드립니다 <코로나검사 결과 나오는 시간> 오전11시 이전 검사->당일 6시 결과 오전11시 오후 2시 검사->당일 자정 결과 오후2시~오후5시 검사-> 다음날 오전 8시 결과 ** 검사결 과 나오는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수 있습니다 ** 4 처방받은 약은 보호자 통해서 조제하시고 음성 결과 확인 후 에는 본인이 조제하셔도 됩니다 5 문의시 연락처: 2049-9213(호흡기내과) 불편한 진료과정에 협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자분의 쾌유를 기원합니다 다음날 진료예약 오시기전 코로나검사결과 02 2049 9213 연락주시고 병원내원부탁드립니다 금식: 예약날짜:
병원 후문에 코로나 검사소를 설치하여 유증상자에 대해 RAT검사를 시행한 후 외래
년 월 일 [검사대상자가 공란 없이 작성합니다.] 이름 주민/외국인 등록번호 전화 번호 성별 □ 여 □ 남 주소 비고 검사 이유(1개만 선택) □유 증상 : 발열(37.5 C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유 증상 :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폐렴 기타( □무 증상 □서류제출용(단순 서류 제출 목적으로 검사 시 신속항원검사료 전액 본인 부담) ※ 신청서 원본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1조제1항에 따라 처리목적이 달성 시스템 입력 등 된 경우 파기 [접수처 또는 검사관리자가 작성합니다.] 검사 결과 □ 음성 □ 양성 → (2차 비인두도말 PCR 시행 □ ) * 신속항원검사 양성인 경우 2차 PCR 검사 시행 여부 표시 신속항원 / PCR 신속항원검사
PCR
(RAT) 검사 안내문 코로나19
검사 안내문

Part 02.

032 2-1. 안심진료소 및 호흡기 전담 클리닉 2-2.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 2-3. 일반진료
진료 및 예방접종

2-1. 안심진료소와 호흡기 전담 클리닉

목 적

호흡기 질환 중 감염증의 증상이 있는 -발열·기침·객담- 환자들을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전염의 위험성 줄이고 안전한 진료를 진행 하기 위하여 클리닉 운영을 실시하였다.

2020년 3월 4일; 안심클리닉의 시작

2020년 3월 4일부터 호흡기내과 외래는 본관 1층으로 이동, 공간을 분리하여 안심클리닉 진료를 시작하였다. 먼저 일차적인 문진 후 감염성 호흡기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본관 출입구 앞에 설치된 음압진료실에서 진료를 진행하였다. 코로나가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에

는 별도로 마련된 대기실에서 대기 후 진료 가능한 대학병원의 선별진료소로 보건소를 통해 이송하였다.

2021년 1월 15일; 호흡기 전담 클리닉 운영 시작

2021년 1월 15일부터는 안심클리닉보다 더 분리된 공간에서 코로나 환자들의 진료를 보기 위해 병원 외부공간에 간이 진료소를 설

치한 후 일반 외래 환자들과 완벽히 차단된 공간에서 진료 및 코로나 검사를 시작하였다. 코로나 의심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콜센터를

통해 예약을 접수하고, 일반 외래와는 분리된 외부 진료소에서 진료를 진행함으로써 직원과 환자들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2022년 6월부터 외래센터와 선별 검사소를 연결하여 진단부터 투약까지 원스톱 호흡기 진료센터를 운영하였다.

033 진료 및 예방접종

034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진료시간 및 운영시간

2020년 안심클리닉 진료는 일반 호흡기 내과에서 진료 진행 후 코로나 확진이 의심될 시, 본관 출입구에 있는 음압진료실에서 진료

및 흉부 X-Ray 촬영, 투약을 진행하였다.

2021년 호흡기 전담 클리닉 진료는 호흡기내과 전문의 3인-조재연·구건우·류혜미 과장-, 그리고 이비인후과 전문의 1인-심명주 과

장- 까지 4명이 진료를 담당하고, 간호사 1인-서희경-, 조무사 2인-김민지, 조예원-, 원무과 2인-김장미, 김승기 직원-이 보조하여

지정된 요일의 오전, 오후 진료를 나누어 담당하였다. 운영시간은 주중 평일 오전 8시 30분에서 오후 5시까지였다

진료대상자 및 진료과정

내원 시 문진에서 최근 2주 이내 해외 방문 이력, 확진자와 접촉력 및 확진자 발생 지역이나 병원 등을 방문한 이력이 없는 대상자 중

발열이 없지만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는 외래로 진입, 음압시설이 있는 안심클리닉 진료실로 안내하여 진료 및 흉부 방사선 촬영으 로 폐렴 여부를 확인하고 코로나19가 의심될 시 선별진료소 있는 대학병원으로 이송하였다. 코로나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신관 후 문 검사소에서 PCR 검사를 진행한 후 귀가 조치하였다.

내원 시 문진에서 최근 2주 내 해외 방문 이력, 확진자와 접촉력 및 확진자 발생 지역이나 병원 등을 방문한 이력이 있거나 발열이 있

고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외부에 있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에서 진료 후 PCR 시행, 투약 이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2021년 12월

27일, 본원 거점 전담병원 지정 이후에는 단순 약 처방은 호흡기 클리닉에서 진료 진행하였고, 흉부 X-Ray 촬영이 필요하거나 코로나

처방약 대상자인 경우에는 확진자 외래진료센터로 이동하여 추가 진료를 진행하였다. 2022년 6월 24일 이후에는 호흡기 환자 진료 센터로 통합하여 운영하였다.

[ 일반 외래 ]

상기 환자 외에 후비루, 일반 흉부 사진상 이상 소견, 잠복결핵, COPD 추적관찰 시 증상에 변화가 없는 경우 일반 외래 진료를 시행하 였다. 다만 폐 기능 검사 등 침습적인 검사를 할 경우에는 PCR 혹은 신속항원검사(RAT)를 시행 후 진료를 진행하였다.

[ 안심클리닉 ]
[
호흡기 전담 클리닉 ]
안심진료소 내부 사진 호흡기 전담 클리닉 내부 사진

원무접수

· 문진표 작성

· 대상자 확인 (발열 유무, 여행이력, 접촉 여부, 증상)

· 접수 수납

간호접수

· 문진 확인

진료절차 선별 작업

· 대상자 분류 (발열 유무, 여행이력, 접촉 여부, 증상)

· 흉부 X-ray 이상 소견

· COPD 증상 변화가 없는 경우

· 후비루, 잠복결핵 등

· 비감염성 호흡기 질환자

· 발열 無

· 최근 2주 해외 여행 이력 無

· 확진자 접촉 無

· 호흡기 증상 환자

· 발열 有

· 최근 2주 해외 여행 이력 有

· 확진자 접촉 有

· 호흡기 증상 환자

호흡기 전담 클리닉

촬영

이상 소견 有 이상 소견 無

코로나 PCR검사 진행

PCR 양성 PCR 음성

진료

거점병원 전원

진료안내 신속항원검사소 운영 후 확진자 진료 투약 흉부 촬영 및 코로나치료제는 외래진료센터로 안내

035 진료 및 예방접종
일반진료 진료 후 약 처방 안심 클리닉 흉부사진

]

시설현황

안심클리닉은 거점 전담병원 지정 전까지 본관 출입구 앞에 음압진료실 두 곳을 설치해 진료하고, 방사선 장비를 설치하여 흉부 방사 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호흡기 전담 클리닉은 별관과 신관 사이 주차장 공간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컨테이너형 진료소를 설치하여 진료 대상자와 내원 환 자를 분리하여 진료를 진행하였다.

[ 호흡기 전담 클리닉 도면 ]

036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진료실적 국민안심병원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562 519 호흡기 전담 클리닉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코로나검사 -1,068 932 174 외래진료센터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CT검사 주사처방 약처방 6,414 5,886 1,445 2,425 5,029 [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 통합 진료통계
기간: 2020. 3. 4 ~ 2023. 3. 30.
037 진료
[
및 예방접종
호흡기
전담 클리닉 내부사진
]
038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039 진료 및 예방접종 의료진 여러분들의 희생과 노력 잊지 않겠습니다. 실 장 조재연 부 장 구건우 과 장 류혜미 과 장 심명주 간호사 서희경 조무사 김민지 조무사 조예원 원무과 김장미 원무과 김승기

운영개요

2-2.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

2021. 4.19. 코로나19

*2021년 7월 5일, 예방접종센터 종료 후 코로나19 예방접종, 외래에서 진료 시작

*2022년 4월 26일, 4차 접종 시작 *2022년 10월 11일, 동절기추가 접종(모더나 2가 백신, 노바백스) 시작

040
2021. 4.19. 1차 백신 접종 2021. 7. 5. 2차 백신 접종 2021.11. 2. 3차 백신 접종
백신 예방접종센터 개소 2021. 3. 2. 코로나19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지정 2021. 7. 5. 예방접종센터 종료, 외래
기 간 시 간 비 고 21.04.19 - 21.04.23. 15:00 ~ 16:00 ·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시간 당 20명 예약 접종) 21.04.26 - 21.06.18. 14:00 ~ 16:00 · 6월부터 모더나 백신 추가 21.07.05 - 21.07.09. 15:00 ~ 16:00 21.07.12 - 21.07.23. 14:00 ~ 16:00 21.07.26. - 21.12.17. 09:00 ~ 16:00 · 화이자 백신 추가 22.04.26 ~ 현재 11:00 ~ 12:00 · 매주 화, 목, 금 외래에서 화이자, 노바백스 접종 진행 22.10.11 ~ 현재 11:00 ~ 12:00 · 매주 화, 목, 금 외래에서 화이자, 모더나 2가 백신 접종 진행 접종시간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접종과통합

진료 및 예방접종

진료대상자 및 진료과정

백신 접종 스케줄 - 9월

분류시간9/1(수)9/2(목)9/3(금)9/6(월)9/7(화)9/8(수)9/9(목)9/10(금)9/13(월)9/14(화)9/15(수)9/16(목)9/17(금)9/23(목)9/24(금)9/27(월)9/28(화)9/29(수)9/30(목)

9~10 조재연전채우박은식김정엽지용주홍은준전채우김정엽최혁수지용주이중렬전채우조재연전채우조재연강정한박은식조재연전채우

10~11 김정엽전채우안재희정규윤전승주이정훈전채우유은수안재희전승주이정훈전채우김정엽전채우김정엽윤철희안재희강정한전채우 11~12 김효진전채우유은수최혁수정혜미김효진전채우정규윤조재연정혜미김효진전채우유은수전채우이정훈조윤현정혜미김효진전채우

1~2 전채우 김의숙김의숙 전채우손웅주김의숙 김대현전채우손웅주전채우손웅주김대현김의숙 전채우

2~3 이정훈전채우최혁수심명주정재효황종헌전채우박은식김정엽정재효홍은준전채우최혁수전채우지용주구건우구건우김정엽전채우

3~4 황종헌전채우김정엽강정한윤철희최혁수전채우심명주정규윤윤철희황종헌전채우박은식전채우홍은준김충훈조윤현안재희전채우 오전 장경화 선덕임명옥장경화정홍숙임명옥선덕장경화정홍숙정홍숙장경화선덕임명옥정홍숙정홍숙장경화임명옥장경화 오후 정홍숙 정홍숙선덕정홍숙장경화선덕임명옥선덕임명옥임명옥정홍숙장경화정홍숙장경화선덕임명옥선덕선덕

김윤현 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종일

김병관 병원장을 포함한 모든 진료의가 참여하여 예방접종센터를 운영하였다. 매월 예진의 스케줄을 시간대별로 작성한 후 진료의들은

외래진료를 병행하며 해당 예진시간대에 접종센터에서 예진을 진행하였으며, 접종자가 증가한 2021년 8월 16일부터 2021년 10월 28

일에는 외부 예진의 1명을 추가로 투입하여 월, 목요일에는 예진을 하였고, 월요일에는 의사 2명이 동시에 접종 전 예진을 진행하였다.

접종 간호사를 채용 후 종일 접종하였고, 접종자가 몰리는 시간대와 월요일에는 김병관 병원장이 추가적으로 예진을 진행하였으며, 외

래간호사와 검진센터 간호사가 추가로 투입 후 접종을 진행하였다.

접종 장소 및 시설

신관 3병동을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로 활용하였다. 병동의 데스크는 접수데스크로 활용하였고, 접종 대상자 확인, 접수와 체온측정 및 예진표에 스티커와 가슴에 인식표(번호표)를 부착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복도는 예진표 작성 및 접종 전 대기장소로 활용하였으며, 병동 내 병실을 활용하여 예진실, 접종실, 접종 후 관찰을 위한 대기공간을 마련하였다.

예진실에서는 의사 1~2인이 대기하며, 대상자 접수 시 콜벨을 사용하여 환자를 호출한 후 예진을 진행하였고, 접종실은 파티션으로

구분하여 접종자 간 구분을 하였으며, 간호사 1~2인이 대기하며 접종 및 접종 후 타이머 배부를 하였다. 접종 후 관찰을 위해 대기공

간에 접종자들을 대기 조치하였고, 병실 내 안내문과 TV를 활용하여 접종 후 주의사항에 대한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041
오전 서희경 서희경 서희경서희경 오후 권혜숙이효주 이효주 이효주 의사 진행 접 종 간 호 사

접종절차

042
접종통계 접종 예약 (질병청 / 본원 콜센터 예약) 신관 3층 이동
접종 접수 의사 예진 백신
접종 후 관찰 체온측정 및 예진표 작성 귀가 (후문으로 귀가) 기간: 2021.4.19~2021.12.17 분류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월별 합계 2021년 4월 360 360 2021년 5월 484 484 2021년 6월 786 48 834 2021년 7월 48 1,071 1,119 2021년 8월 735 2,085 2,820 2021년 9월 113 3,411 3,524 2021년 10월 80 146 2,296 2,522 2021년 11월 235 776 1,011 2021년 12월 285 449 734 총합 2,558 762 10,088 13,408명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후문 으로 입장)
접종
코로나19

진료 및 예방접종

접종센터 [ 접수데스크 ]

접수처에서 신분증 및 예약시간, 접종백신을 확인한 후 예진표에 백신 스티커를 부착하고, 인식표에도 백신 스티커를 부착하여 접종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복도대기 및 예진표 작성 ]

접종 전, 복도의자에 대기하면서 예진표 작성 및 체온을 측정을 하였으며, 의자는 간격을 두어 배치하였다. 접종자가 많은 경우에는 신

관 1층 로비에서 대기하다 몇 명씩 그룹을 지어 순서대로 접종센터로 올라오게 하여 감염예방을 목적으로 밀집도를 최대한 줄이기 위

해 노력하였다.

043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예진실, 접종실 입구 및 접종순서 안내 사인물

접종센터에 올라오면 바로 보이는 장소에 백신접종 순서도를 부착하여 접종 대상자들이 접종절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예진실 내부

예진실은 기존 병실을 활용하였으며, 커튼으로 구역을 분리하여 접종대상자들이 마주치지 않도록 하였다. 젝스트 등 응급 치료약을 미 리 준비해두었고, Emergency Cart 및 이동침대를 구비하여 접종 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였다.

044 [
] [
]

진료 및 예방접종

접종실 내부

접종백신별로 구역을 나눠 접종 대상자간 노출을 막았고, 번호 부착 및 색깔로 접종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접종 후 이상반응 안내 사인물 및 접종 후 관찰 ]

접종 후 관찰은 대기공간 내에서 하였으며, 병실 안에서 접종 후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안내문 배포 및 TV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주의사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 대기공간 별로 번호를 부착하여 접종 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였 다.

045 [
] [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백신 스티커 및 인식표 ]

색깔로 구분되는 백신 스티커를 예진표 및 인식표에 부착하였으며, 접종 시간대별로 인식표의 색깔도 구분하고 번호를 표기하여 도착 순서대로 접종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타이머 ]

접종 후 관찰시간은 15분 타이머를 활용하여 접종 후 대상자 정체가 발생하지 않게 하였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 시 관찰시간을 30분으로 하여 이상 반응이 없음을 확인한 후 접종자들을 귀가시켰다.

046 [
[
047 진료
및 예방접종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2-3. 일반진료

일반진료

일반진료는 외래와 입원을 병용하여 진행되었고, 진행과정 중 발생한 원내 확진자들은 철저한 동선파악으로 자체 격리 및 능동 감시를 진행하고, 신속한 이동 및 전원을 위해 광진구 보건소와의 긴밀한 협조 하에 진행하였다.

외래는 철저한 출입구 관리를 통해 감염 의심 환자는 내원을 제한하고, 유증상자는 안심클리닉 및 호흡기 전담 클리닉으로 안내하여 진료하였고, 진료 후 확진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 진행과 투약 등으로 진료를 진행하였다. 출입관리 시 누락된 환자 중에서 확진자 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보건소에 신고한 후 격리조치하였다. 원내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부터 대기, 이송에까지 만전을 기 울였다.

048

진료 및 예방접종

입원환자들과 보호자, 간병사 모두 입원 전 코로나 PCR 검사를 의무화하였고,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에만 입원 및 내원을 허용하였 다. 또 입원 4일 후, 입원한지 7일째 되는 날에는 추가 검사를 진행하여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전파 여부를 조기 발견하는 것에 만전 을 기울였으며, 확진자 발생 시 철저한 원내 격리 및 능동감시를 통해 추가 전염 발생을 철저히 막았다.

모든 입원 환자 및 간병사, 보호자들도 입원 기간 중에는 원외 출입을 금하고 대면면회도 금지하면서 입원을 유지하였다. 입원환자들

의 전원(전입 및 전출) 시에도 코로나 PCR을 시행하여 병원 간 전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병동마다 확진자 발생 시 따로 관

리하는 격리 병실을 운영하여 원내 입원 환자들로의 전파를 막고 최대한 신속한 전원을 원칙으로 하여 진료 중 원내 감염 확산을 미연 에 방지하였다.

049

혜민병원 감염병 발생시 비상조직체계 운영 조직도

대기 병실 및 이송경로

1. 원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이송 전 대기 병실 · 입원대기 병실(507호, 508호, 701호, 711호, 652호) 중 공실 사용

· 공실이 없을 경우 신관 1인실로 격리

2. 코로나19 확진자 전원 시 이송 경로

본관

신관

중환자실

· 확진자는 1호기 승강기 이용하여 지정 병실로 우선 격리

· 병동 전체 코호트

· 지정병원이 결정되면 1호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정문으로 나간 뒤 이송

· 다인실 환자인 경우 우선 1인실로 이실

· 병동 전체 코호트

· 지정병원이 결정되면 3호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채혈실 앞 쪽문으로 나간 뒤 이송

· 우선 음압격리실로 이동

· 지정병원이 결정되면 1호기 승강기를 이용하여 정문으로 나간 뒤 이송

050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 확진자
]
051 진료
및 예방접종

2-4. 지역응급의료센터 진료

입실

및 진료절차

[ 출입구 통제 ]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과 동시에 본원 응급실은 코로나19 환자 유입으로 인한 병원 내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존 두 개의

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통제하여 선별문진 및 24시간 보안팀 대기로 초기 환자 선별이 가능하도록 조정하였다.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과 동시에 본원 응급실은 코로나19 유입으로 인한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응급실에 내원하는 모

든 환자와 보호자에게 선별 문진표를 작성 하도록하고 응급실 입실 전 체온 측정을 실시하여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의 응급실 입 실을 방지 하도록 하고, 선별 문진표 문항은 다수의 환자 발생 지역 및 유행 상황에 따라 항목을 조정 하였다.

환자가 응급실 내원 시 보안요원이 환자 입실 전에 환자의 코로나 의심 증상을 파악하여

052
[
선별문진 및 체온측정 ]
[
보안팀 초기환자 선별 ]
의료진에게 전달함으로써 감염병 전파를 사전 에 예방하고 신속하고 적절한 진료가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2020년 4월 문진표 2020년 5월 문진표 2020년 6월 문진표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응급실 내원 시 격리 절차 및 감염 관리 지침 환자내원

환자 분류 및 사정 (Triage) 전염성 질환 의심 또는 확진

표준주의 전염성 환자 격리 구역으로 이동

공기매개전파 (호흡기 결핵, 수두, 홍역)

공기매개주의

- 표준주의

- 의료진: 격리실 출입 시 N95 마스크, 보호구 착용

- 환자이동 제한

→ 이동 시 KF94 마스크 착용

- 입원이 필요한 경우 가능한 빨리

병동 음압격리실 또는 1인실 이동

비말전파 (대부분의 호흡기 질환)

비말주의

접촉전파 (제1급 법정감염병, 다제내성균주 등)

접촉주의

- 표준주의

- 의료진: 격리실 출입 시 N95 마스크, 보호구 착용

- 환자이동 제한

→ 이동 시 KF94 마스크 착용

- 표준주의

- 환자 접촉 전 보호구 착용

- 가능한 환자 이동제한

- 의료기구 (격리물품) 개별 사용

053 진료
및 예방접종

054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RT-PCR 검사 대상자 및 방법

응급실에 내원하여 입원이 필요한 모든 환자는 병실 입실 전 코로나19 RT-PCR 검사를 시행하고 검사결과 확인 전까지 격리 병상에

서 대기 후 검사 결과 음성으로 확인 시 일반병실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응급실에 내원하여 입원을 하지 않더라도 고열 또는 호흡기 증

상이 있거나 X-ray 또는 CT 촬영에서 폐렴이 의심될 시에서 코로나19 RT-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코로나19 RT-PCR 검사는 병

원 밖 코로나 검사 부스에서 시행하였고 이동이 힘든 중환자의 경우 응급실 음압격리실 내 침상에서 의료진 보호복 착용 후 시행하기 도 하였다.

감염확산방지 예방활동

응급실 내 감염관리 강화 활동으로 응급실 내 보호자 면회는 1인으로 제한하고 보호자는 응급실 보호자 대기실에서 하도록 하였다. 환 자와 보호자 마스크 착용 및 직원 손 씻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환자의 진료 및 간호 시 4종 보호구 착용하도록 하였고, 의료진과 내원 객 간 투명 분리막 설치를 하여 감염 확산 및 예방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055 진료
및 예방접종

Part 03. 감염 관리 활동

056
3-1. 감염관리실 3-2. 구매관리과

3-1. 감염관리실

직원대상 감염예방 활동

직원 일일 증상 기록지 다중이용시설이란 1.유흥시설(클럽, 주점 및 노래방) 2.회식,종교,집회을 포함한 집단모임 3. 실내체육시설 및 사우나 ※ 코로나19 감염증 증상: 발열(37.5도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미각 소실 외 피로, 식욕감소, 가래,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혼돈, 어지러움, 콧물, 코막힘, 객혈, 흉통, 결막염, 피부증상 등

성명 성별 □남 □여 생년월일 0000.00.00 직종 □의사 □간호사 □조무사 □의료기사 □간병인 □보호자( )□실습생 □행정직원 □ 행정직외 직종

출근 전 발열 및 호흡기 관련 증상이 있을 시 출근대기 상태에서 부서장에게 연락을 취하고, 부서장은 감염관리실에 보고한 후 코로나

검사를 진행하여 결과까지 확인한 후에 출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출근 후 부서에서 발열 체

크를 하고 일일 증상 기록지에 1일 2회 기록하도록 하였다. 근무 중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은 코로나19 검사를 진행 후 바로

귀가하도록 하였으며, 검사 결과 확인 후 출근하도록 하였다. 추후 일일 증상 기록지는 매달 말일에 감염관리실에서 수거 보관 후 폐기 하였다.

직원 동선

직원 일일 동선 대장

부서(근무 위치) : 직책 : 성명 : 날짜 : 21.04.01(목)

위치 시간

※ 본인 동선을 확인하고 사실 그대로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사회적 거리두기”동참을 위한 직장인 행동지침에 준하여 실시합니다 ※ 자료는 코로나19 감염 발생 시 직원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 모든 직원들의 적극적인 협조 바랍니다

057 감염 관리 활동
[ 일일 증상기록
]
관리
코로나19 증상 (체온 측정2회) 월 시간 체온 증상※ 전일 다중이용시설 이용여부 본인 서명 책임자 확인 일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구체적 장소 기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 조치사항 년 월 일 □ 보건교육 □기타조치 ( □검사 □ 자가 격리 □ 입원 ) 조치사항 년 월 일 □ 보건교육 □기타조치 ( □검사 □ 자가 격리 □ 입원 )
[
관리 ]
동선 내용 접촉자 비고 직원 중에서 코로나19 양성자 발생 시 원내 동선 파악 및 접촉자 파악을 위해서 동선 기록지도 작성하여 감염관리실에서 수거 보관 후 폐기하였다.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코로나19 감염예방 및 확산방지 문자 발송

마스크 착용 준수 및 발열체크, 사회적 거리두기 및 개인 방역 철저 등 직원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내용을 주기적으로 전 직원에게 문 자 전송하였다.

출근 전 키오스크 문진표 작성

감염병 확산의 장기화에 대비해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설문은 개인 모바일로 URL 주소에 접속해 문진표를 작성한 후 출입구 키오스크 QR로 확인 후 진입하거나 키오스크에서 자가 진단 문진표 작성 후 진입하였다. 자가 진단 문진표를 작성 하지 않은 직원은 별도로 확인하여 시행을 독려하였다.

신규 직원 및 복직 직원 출근 전 RT-PCR 검사 진행 ] 신규 직원 및 복직 직원에 대해 RT-PCR 검사 진행하였다. 신규 직원은 입사 전 PCR 음성 확인 후 출근하였으며 휴직으로 인하여 복 귀하는 직원들과 휴가로 타지역 방문 이력이 있는 직원들 또한 PCR 음성 결과 확인 후 출근하도록 하여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을 예방 하였다.

[
[
058
]
]
[

호흡기전담 클리닉 활용 유증상 시 즉시 분리검사 시행

근무 중 발열 및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부서장에게 보고하여 호흡기 전담 클리닉에서 진료 및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경우 진료비와 검사비는 무료로 지원하였다.

감염 예방을 위한 물품 지원 ]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KF94 마스크, 긴팔 가운, 일회용 장갑 등을 지급하였으며, 환경 소독티슈를 부서별로 지급하여 하루에 2 회 이상 환경 소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밀접촉 대면 부서 가림막 설치 ]

외래 진료실 전체 및 원무 접수, 검사실과 직원 식당, 장례식장 등 환자 접점 구역에 비말 감염을 줄이기 위해 아크릴 가림막을 설치하

여 환자 대면 시 감염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059 감염 관리 활동 [
]
[
[
060 [ 대화자제 및 거리두기 안내 문구 부착 ] 구내식당, 외래 진료실 등에 코로나19 방역 안내 문구 및 스티커를
환기에
방지기 환경관리 [ 하루
환기 방송 ] 매
30분간 환기를 하도록
식사시간에
환자
환기하
부착하여 주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3회
식사 시간 이후
하루 3회
맞춰 안내방송을 하여 직원 및
보호자들이 유리창을 열어
도록 독려하였다.

[ 환경관리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방역 및 소독 ]

환경관리 체크리스트

부서장 확인 : (인) 년 월

월 1회

책상

옷걸이 83% 알코올 분무

휴지통 차아염소산나트륨

◎ 환경관리 지정 시간 주 1회(매주 금요일), 월 1회(매월 첫번째주 금요일), 분기별(3, 6, 9, 12월 첫번째주 금요일) - 각 지정 일자에 실행한다

◎ 락스 희석방법 : ①100PPM : 물 1L + 락스 2cc ②500PPM : 물 1 L + 락스 10cc - 희석한 소독액은 24시간만 사용한다

◎ 엔지셉트 와입스(환경소독티슈) 0.4% 벤잘코늄염홤루 맨손으로 접촉 시 피부 부작용 발생가능(비닐장갑 착용)

개봉일/폐기일 반드시 기재(개봉일로부터 유효시간 6개월)

표기방법 : (양호 : O, 불량 : X)

부서별 일일 환경 소독 체크리스트를 통해 1일 2회 환경 청소 및 소독을 진행하였고, 1일 3회 환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061
문고리 의자 모니터 및 기계 마우스 전화기 사무용품 창문틀 바닥 냉장고 필요시에도 시행 오염시 즉시 교체 필요시에도 시행 실 행 자 (서명) 엔지셉트 와입스 정수기 바퀴 청결작업 블라인드 부서 대청소 엔지셉트 와입스 엔지셉트 와입스 엔지셉트 와입스 차아염소산나트륨 엔지셉트 와입스 엔지셉트 와입스 분기별 30 31 엔지셉트 와입스 83% 알코올 분무 엔지셉트 와입스 24 25 26 27 28 29 18 19 20 21 22 23 12 13 14 15 16 17 6 부서 : 매일 1회 주 1회 일자 구분 7 8 9 10 11 소독제/ 농도 1 2 3 4 5 감염 관리 활동 [ 락스
통해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감염된 사람의 비말이 묻은 물건 등을 손으로 만져도 감염될 수 있고, 물체의 표면에 바이러스가 생존이 가능하므로 손이 많이 닿는 부위를 위주로 물품 표면을 소독티슈 또는 락스를 이용하여 여러번 반복 하여 닦을 수 있도록 교육하여 감염 예방을 도왔다.
희석법 및 환경소독법 직원교육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호흡기를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클리닉

대기 영역 음압 30분 이상 환기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 진료를 위한 곳으로 진료구역과 환자구역이 구분되어 있는 구조로 진료, 수납구역은 양압으로 보호

구 착용 없이 진료와 수납을 가능하게 하였고 환자 구역은 음압으로 진료 후 버튼으로 자동소독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나 동절기 결빙

으로 인하여 수동 소독도 병행하였으며, 담당자를 두어 관리하였고, 30분 이상 환기 후 다음 환자 진료를 하도록 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손위생 증진 행사에 어려움이 있어 2021년 12월 부서로 직접 찾아가는 손위생 캠페인을 하였으며 부

서마다 업무를 하고 있는 직원에게 손위생 전후로 ATP 검사 수치를 비교하여 손위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소정의 선물도 증정하여 손위생 분위기를 고취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감염예방의 첫걸음 손 위생!

손 씻기 이벤트

손 씻기 이벤트

참가자 모든 분께 기념품 증정!

➊ATP 측정기를 사용하여 세균검사를

062 [
호흡기
관리 ]
구 분 분 류 환기여부 진료 및
양압 불필요 환자 이동 및
수납영역
[
손위생 교육 : 찾아가는 손위생 이벤트 ]
한다! ➋세면대에서 손을 깨끗이 씻는다! ➌손 세균검사를 하여 비교한다! 2022년 11월 14일~ 18일 일시 각 환자접점 부서 전직원, 환자 및 내원객 장소 대상 방법 감염관리실 교 육

[ 직종별 눈높이 맞춤식 교육 진행 ]

원내 코로나19 감염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 감염병에 대해 취약한 직원 대상으로 1:1 눈높이 교육도 실시하였으며 필요 시 현장 교육

도 실시 하였다.

063 감염 관리 활동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부서 방문 레벨D 보호구 착탈의 교육

코로나19 전파로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하여 보호구가 필요한 부서를 직접 방문 레벨D 착탈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도입 사용법 교육

확진자 이동 시 사용하는 음압캐리어로 사용법과 사용 후 관리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064
[
]
[
]
음압캐리어

진료부 교육부장 주관으로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본원의 지침 및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본원의 지침에 맞는 맞춤형 교육도 진행 하여 상황을 빠르게 이해하고 진료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대처방법을 실제 모의훈련을 통해 순서를 익히고 부서 간 조율을 통해 실제 상황 발생 시 대처를 잘할 수 있도록 훈련하였다.

065
[
신입 진료부 감염교육 ]
감염 관리 활동
[ 코로나19
]
확진자 발생 시 대처방법 모의훈련 실시

066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외래환자 대상 감염관리 활동

[ 외래진료 ]

눈에 잘 띄는 장소에 마스크 착용, 기침예절, 손위생과 관련한 포스터 게시물을 부착하여 안내하고, 대기 장소에는 손위생과 관련한 물 품을 제공하였다.

의료진은 보호구(마스크, 비닐가운, 일회용 장갑, 필요 시 페이스쉴드)를 착용하고 진료를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접수 시 DUR로 해외

방문 이력을 조회하였고 출입구에서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는 안심진료소나 호흡기 전담 클리닉으로 안내하여 분리된 장소 에서 진료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자가격리가 해지된 환자의 경우 무증상자는 일반진료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마스크를 벗고 진료를 해야 하는 환자인 경우 코로나19

검사결과 음성임을 확인 후 진료하거나 급성환자가 아닌 경우 격리 해지일로부터 10일 이후 진료를 하도록 유도하였고, 폐렴 의심 증 상(발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및 폐렴 의심 소견서 또는 의뢰자는 안심클리닉에서 단순 촬영 및 진료를 진행하였으며, 내원일 기준 3 일 이내 코로나19 음성 결과지 소지자는 일반진료로 진행하였다.

외래투석실 ]

투석실 진입 전 손위생 및 발열, 호흡기 증상 등을 체크하여 무증상 시 투석실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면역력이 저하된 투석환자를 보호하는데 노력하였다. 다중이용시설 방문 등을 자제하도록 체크하고 상시 교육 하도록 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투석실에서 발생했을 때에는 역학조사 결과 자가격리자와 수동 감시자로 분류되어, 타병원으로의 전원이 어려운 상황에 자체 수용으로 투석 진행하였으며 환자가 적은 화요일, 목요일 오후 마지막 타임에 투석을 진행하였다.

[ 자가격리자 투석치료 지침 ]

1. 출입 시 직원 안내 하에 동선 확보하며 이동하고 건강검진자와 동선 겹치지 않게 관리 검진센터 쪽 출입구만 이용하며 이동 동선 따라 즉시 환경 소독(특히 엘리베이터)

2. 신관 및 본관 진입 금지 교육

3. 근무자는 보호 4구 착용하고 한 타임 끝날 때마다 보호구 시트 교체 및 환경 소독 환자마다 커튼 사용

4. 자가격리자는 자차 또는 도보, 방역택시 이용하도록 교육

5. 일반 환자 투석 후 마지막 타임에 자가격리 환자들만 모아서 투석을 진행하고 마감 후엔 환경 소독 철저히

6. 가능한 환자 간 한 침상씩 띠워 배치

7. 직원 및 환자 모두 손 소독 철저 & KF94

[
마스크 반드시 착용 8. 입실 시 발열 및 호흡기 증상 체크, 해열제나 감기약 복용 여부 확인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내원하는 가운데 직원들은 환자 대면 접촉 시 개인 4종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손위생을 철저히 하고 하루 세 번 환기 및 소독티슈를 제공하여 손이 많이 닿는 부위를 중심으로 여러 번 문질러 닦을 수 있도록 하였다. [ 그 외 진료지원부서 ]

직원 대상 감염관리

직원 대상 선제 RT-PCR 시행 ]

2021년 2월 10일 서울시 행정명령에 따라 선제검사를 2주에 1회 시행하였으며 3월 4일 첫 선제검사를 시작으로 6월10일까지 8차

검사를 마지막으로 종료를 하였다. 직원만 총 922건의 검사를 하였으며,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후 2주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또는 1차 접종이 필요한 백신의 접종 후 2주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의학적 사유 등으로 백신 접종을 못한 경우 등 백신 접종 미완료 직원들 대상으로 변경되어 4월 이후에는 직원 선제 검사 건수가 많이 줄었다. 총 922건 검사 중 1건의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백신 미접종 자들은 일주일마다 PCR 검사를 시행하여 감염관리실에 결과를 알려주었다.

확진자와 밀접 접촉자의 격리기준의 변경으로 원내기준도 변경되었고, 감염병 초기 대응은 가족 확진 여부와 동거 여부를 확인하여 가

족 확진이면 거주지를 따로 하고 RT-PCR 검사결과 음성이 나올 시 출근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인 확진 시에는 접촉자를 확인하여 역

학조사 결과에 따라 격리가 이루어졌으며, 확진 후에는 치료를 마치고 RT-PCR 검사 결과가 음성이 나올때까지 확인한 후 복귀 프로

세스에 따라 복귀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라 34일(2021.11.12 ~ 2021.12.15) 후 복귀한 직원도 있었다. 이후 정부기준이 확립

예방접종 완료자가 증가하면서 확진 후 14일, 7일순으로 확진자의 격리기간이 조정되었다.

067 감염 관리 활동
[
[ 확진자 및 밀접접촉자 격리기준 ]
날 짜 2월25일 3월4일 3월18일 4월1일 4월14일 4월29일 5월13일 5월27일 6월10일 합계 직원 선제 검사건수 253 150 157 156 154 12 15 13 12 922
되고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직원 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

2022년 3월 4일부터 직원 대상으로 화이자 및 아스트라제네카 1차, 2차 접종을 시작으로 총 350명의 직원이 접종을 완료 하였다. 접 종 이후 이상 반응 대처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부작용이 나타날 시 바로 진료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접종 이후 부작용으로 출근이 힘든 상황도 있었으나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지 않았다.

068
[
]
[ 업무복귀 프로세스 ]

입원환자 및 상주보호자 대상 감염관리

입원환자 유증상 발생 시 프로세스 ]

다인실 재원환자 중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나 보호자 및 간병인들은 1인실로 옮겨 다른 환자들과 격리를 하거나 퇴실이 가

능한 경우에는 퇴실을 하였으며, 의료진은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4종 보호구를 착용하고 RT-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보호자

간병보호사 상주 ]

보호자나 간병보호사 교대 시 RT-PCR 시행 후 음성 결과를 문자로 확인하고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의무기록에 남기도 록 하였다.

보호자 및 간병사 발열 체크 및 동선 관리 ]

상주하는 보호자 및 간병사를 대상으로 하루에 2회 발열 및 증상 체크를 하였으며, 원내 동선을 기록하여 확진자 발생 시 역학조사에 활용하였다.

069 감염 관리 활동
[
[
[

070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 입원환자 및 상주보호자 선제 RT-PCR 시행 ]

2021년 3월 4일부터 보호자 및 간병인 대상으로 한 선제 검사를 시작으로 6월 10일 8차 검사를 마지막으로 선제 검사는 종료하였다.

총 338건 시행하였으며, 선제검사에서는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 입원 대기실 운영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감염예방을 위해 일반병동의 각층에 1호실을 입원 대기 병실로 지정하여 입원 전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결과 를 확인할 때까지 선격리를 하고 있었으며, 추후에는 대기 병실의 부족으로 신관 병동 각 층에 한 개씩 대기실을 늘렸다. 입원 대기 병

실로 입원한 환자는 결과 나올때까지 4종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직원 또한 병실 입실 시 4종 보호구를 착용하였다. 추후 전실도 만들어 전실에서

탈의 후 병실을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1명의 확진자를 분리하여 감염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날 짜 3월4일 3월18일 4월1일 4월14일 4월29일 5월13일 5월27일 6월10일 합계 보호자 간병사 52 57 63 37 32 31 33 33 338

[ 입원 4일째 검사 실시 ]

2021년 2월 10일 서울시의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종합병원 준수사항 행정 명령'에 따라 2월18일 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잠

복기를 감안하여 입원 4일째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2월 1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입원 4일째 검사를 시행하였고, 총 4,427건 중 2명 의 확진자를 선별할 수 있었다. 11월 22일 부터는 예방접종이 활성화된 이후부터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미완료자도

071 감염 관리 활동
일주일마다 검사 를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총합 1일 11 12 13 16 25 3 11 11 12 2일 38 18 0 5 24 27 18 12 1 33 3일 18 15 20 10 15 18 36 9 38 4일 5 0 20 30 14 23 16 5 39 5일 13 30 0 11 29 18 2 5 6일 30 7 28 10 24 35 8 10 43 7일 0 3 15 44 16 21 9 6 8 8일 53 15 22 8 20 11 17 12 5 9일 19 26 0 9 20 28 22 7 13 10일 3 12 43 11 19 14 26 1 9 11일 26 0 18 30 8 8 24 7 12일 23 34 8 15 42 14 14 17 13일 11 3 8 16 23 25 9 12 8 14일 2 5 27 31 13 8 8 4 5 15일 21 17 9 3 13 7 9 39 16일 15 37 0 15 13 28 7 13 10 1 17일 3 15 39 14 16 20 15 12 18일 16 10 0 12 24 12 12 27 28 19일 36 11 33 0 7 28 27 6 32 20일 27 20 12 35 12 32 10 4 25 21일 20 0 7 26 45 14 11 9 9 22일 37 19 25 2 10 31 7 11 36 23일 18 15 30 0 4 20 21 9 2 22 24일 3 7 19 23 17 12 7 5 13 25일 24 15 0 8 28 8 5 15 34 26일 21 24 37 7 13 36 9 5 27 27일 42 11 12 9 13 23 20 5 19 28일 20 0 7 47 37 6 9 10 5 29일 32 12 15 7 18 12 13 46 30일 17 31 0 4 21 25 16 4 15 31일 8 28 24 16 합계 264 480 474 482 448 526 465 368 227 472 221 4427 입원 4일째 검사 건수 호흡기 클리닉 안심 진료소 외래 환자 및 보호자 입원환자 상주보호자 및 간병사 타기관 확진 실습 학생 직원 확진 2020 2 2 13 17 7 2021 3 1 26 14 2 1 3 50 36 2022.3 2 3 1 1 7 5 역학조사 건수 내원경로 합계 연도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 코로나19 검사 미결정 시 대처방안 ]

코로나19 PCR 검사 결과 미결정 시 해당 병동 내 전실이 있는 병실로 1인 격리하고 가능하다면 보호자는 귀가 조치하되 필요 시 동실 간호를 하였다. (4종보호구 착용, 예방접종 완료자로 권유)

* 입원 대기 병실 미결정 시: 미결정자 만 1인실 격리

* 입원 4일째 검사에서 미결정 시: 같은 병실 환자 각각 1인실 격리

미결정 이동 시 보호자와 이송자는 4종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의료진 또한 4종 보호구를 착용한 후 병실에 입실하고, 전실 이 있는 병실에서는 전실에서 탈의 후

072
하였다.
손위생을 철저히 하도록
0 10 20 30 40 50 60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 31일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감염 관리

역학조사 [ 확진자 발생시 역학 조사 및 격리 ]

원내 확진자 발생 시 사례 확인 후 관할 보건소에 신고하거나, 타 기관에서 코로나 검사 실시 후 양성 판정이 나온 경우, 관할 보건소에 역학조사를 요청한다. 확진자가 발생한 부서에서는 “확진자 발생 시 조사 시트”를 활용하여 접촉자 명단 작성 및 이동경로 파악, 보호 구 착용여부를 조사했으며, 추후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실시된 후에는 조사시트에 접종여부를 파악하여 기록하였고, 조사결과를 관할

보건소 역학조사관에게 보고하면 필요 시 현장조사를 통해 의료기관 종사자 노출 위험도 조사, 발생부서와 노출범위에 따른 현장 역학 조사, CCTV 모니터링을 통하여 접촉력을 확인하고 PCR 검사를 진행하였다.

모든 역학조사를 기초로 보건소는 접촉자를 분류하여 본원으로 회신하였고, 자가격리와 능동감시로 분류된 대상자는 해당 보건소에서

관리하고 수동 감시로 분류된 대상자는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관리를 담당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 시 코로나19 진단검사

및 격리조치를 실시하고 감염예방을 위해 환경방역을 실시하였다.

2020년 8월 첫 원내 확진자 발생 이후 7건의 역학조사와 병원 폐쇄 및 부분폐쇄가 이루어졌다. 2021년에는 확진자 50명 중 34건의 역학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1년 12월 이후에는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의 운영으로 외래 부서에 방문한 확진자 7명 중 4건의 역 학조사 실시 후 2월 7일 이후에는 보건소 역학조사 없이 본원 자체적으로 관리, 접촉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선제 격리조치를 취했 으며, 거점 전담병동 실시 이후에는 확진자 및 접촉자는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하였다.

확진자 발생 관련 보고 사항

보호구 및 손위생 시간 장소 직종 직원명 구체적 상세 행위

접촉자 명단

연락처

동시간대 같은 재실환자(*밀폐된 공간: 확진자 5분이상 지체 시 확진자 나간후 1시간 동안 이용한 환자 조사)

입원환자 병실 내 활동 조사지(시간

화장실 이용

마스크 착용유지여부

병실 내 활동

식음료 섭취 여부

이용 시

다른 환자와 대화 정도/시간

대화 시 마스크 착용 여부 기타

이름

073
활동 접종여부 마스크 장갑 가운안면보호구손위생 No 이름 부서 직종 주민번호 접종 여부 업무 No 환자번호 나이 성별 이름 입실 일자 입실 일자 입실 시간 퇴실 일자 퇴실 시간 병상 날짜 확진자 타임라인 시간(CCTV 카메라1) 내용 비고 소변 횟수 대변 횟수 양치 여부 화장실 사용시 손 위생 침대에 있을 때 이동할 때 화장실

① 확진자 발생 확인 또는 보건소 역학조사 요청

② 대상자 확인

③ 내원 이력 및 CCTV 영상 확인

④ 직원, 내원객 대상 접촉자 확인

⑤ PCR 검사 및 선제적 격리 조치

⑥ 역학조사 보고서 작성 및 보건소 제출

⑦ 역학조사팀 원내 역학 조사 실시

⑧ 역학조사 결과 회신

⑨ 역학조사 결과 부서 공지

확진자 내원 현황 및 역학조사 건수

신속 항원 검사소 운영

코로나19 대유행으로 2022년 2월 12일부터 신속항원검사소를 운영하여 하루 평균 100명이상의 환자를 검사했으며, 최대 300여명

까지 검사할 때도 있었다. 5월 이후에는 검사 건수가 줄기 시작하면서 신고 건수도 줄기 시작했다. 2022년 1월 1일부터

바이러스 관련 법정 감염병 신고건수는 총 3,856건을 기록하였다.

074 [
확진자 발생 시 프로세스 ]
[
]
지 코로나19
연도 내원경로 합계 역학조사 건수 호흡기 클리닉 안심 진료소 외래 환자 및 보호자 입원환자 상주보호자 및 간병사 타기간 확진 실습 학생 직원 확진 2020 2 2 13 17 7 2021 3 1 26 14 2 1 3 50 36 2022.3 2 3 1 1 7 5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10월 31일까
075 감염 관리 활동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3-2. 구매관리과

감염관리 및 방역활동

원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코호트 조치가 이뤄짐에 따라 철저한 방역 관리가 요구됨에 환경부 초록누리에 공개되어 있는 코로나 바이 러스 감염증에 적합한 살균/소독제품을 확인하였고, 세부지침을 정하여 ‘닥터솔루션 소독액’을 선정하였다. 이후 원내 코로나 감염 환 자 발생 시 수시로 방역을 실시하며 매번 방역필증을 첨부한 방역 보고서를 보건소에 제출하였다. 하루에 2번, 밤 12시, 새벽1시, 2 시, 점심시간 등 수시로 발생되는 상황에 매우 긴박하고 바쁜 과정이 약 1년간 진행되었고, 이후 정부 지침이 바뀜에 따라 보고서는 제 출하지 않게 되었다.

방역 및 세부 소독내역 보고서

076
[
]
077
방역활동 촬영사진 [ 본관 입구, EV 방역 ] [ 본관 3층 대기실 ] [ 내부 복도, 장비 보관실 ] [ 세척실, 린넨실, 탕비실, 탈의실 ] 감염 관리 활동
078
코로나19 방역과 원내감염 및 확산 방지기
소독증명서
079 감염 관리 활동 함께 해주신 방역팀 여러분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매과 차장 최순아 미화부 소장 김순식 시설과 주임 최성규 행정관리과 사원 정봉준

CHAPTER 02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지정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준·중증 이상의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2021년 11월 5일, 종합병원 이상의

병원에 코로나 치료를 위한 전담 병상을 확보하라는 행정 명령에 따라 철저한 준비 끝에 2021년 12월 6일, 코로나19 중등증 27병상을 시작으로 코로나 입원 환자치료를 시작하였다. 이후 수도권 확진자 수의 급증으로 서울시 내 전체 거점 전담병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21년 12월 6일

서울시 첫 전체 병상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코로나 입원 전담병원으로의 전환이라는 중대

한 결정을 하게 되었다. 이후 전 직원의 준비와 노력으로 2021년 12월 27일 185병상 운영을 시

작하게 되었고, 동시에 확진자 외래센터(15베드) 운영도 시작되었다. 혜민병원은 2021년 10월부

터 이미 시행 중이던 확진자 재택치료를 유지하면서, 외래센터 대면진료와 적극적인 입원치료, 퇴 원 후 후유증에 대한 일반 외래진료 연계 등 코로나 확진자들의 전반적인 진료에 빈틈없이 열성으

로 진료를 다해왔다. 코로나 중환자들을 주로 응급의학과 과장들이 담당하여 진료하였고, 2022년 6월 1일 이후부터는 응급실 진료도 병행하였다.

또한,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전환 이후에도 지역사회의 일반 진료의 공백을 없애고자 호흡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투석) 소화기내과, 내분비내과, 이비인후과, 신경과부터 외과 파트인 정형외 과, 일반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모두 외래진료를 중단하지 않고 진행하면서 지역사회 병원으로

서의 임무를 성실히, 묵묵히 수행하였다.

신속한 확진과 투약 등 선별진료를 위해 2022년 2월부터 진단을 위한 신속항원검사(RAT 검사), PCR검사 후 확진자는 바로 코로나 외래진료센터로 연계하여 코로나 치료제 및 증상 치료제 처방

으로 one stop system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한 노력으로 2021년

3월 2일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 지정 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현재까지 예방접종센터를 운영

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코로나19 치료에 모든 혜민병원 직원들이 부서별로 합심하고 단결하여 확진부터 퇴

원 후 관리까지 얼마나 열과 성을 다해 진료에 임해 왔는지에 대한 노력이 느껴지는 생생한 기록으

로 채워져있다. 확진자들이 한꺼번 몰려들어서 과연 우리가 헤쳐나갈 수 있을까 싶었을 때에도 서

로 격려하고 눈빛을 나누며 서로의 등을 두드리며 겪어왔던 시간들을 고스란히 담았다. 또한, 이러 한 의료진들과 직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질환의 합병증으로 유명을 달리하신 입원환

자분들과 가족들에게 혜민병원 전 직원이 드리는 심심한 조의의 마음도 함께 담겨져있다.

Part 01.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일반 환자 외래진료

1-1.

1-2.

1-4.

1-5.

1-7.

082
재택치료 및 의료상담센터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1-3. 입원환자 진료 - 음압치료병상 코로나 투석센터 운영 응급실 운영
1-6.
신속항원검사소 및 선별진료소 일반 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1. 재택치료 및 의료상담센터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를 대상으로 24시간 의료상담 체계를 구축하여 응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광진구 보건소 재택치료 전담팀

과 협력하여 2021년 10월 7일부터 2022년 8월 4일까지 유선 상으로 코로나19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을 운영하였으며, 2022년 7

월 1일부터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를 운영하였다.

2021년 10월 7일부터 광진구 보건소 재택 치료 전담팀과 협력하여 유선으로 건강모니터링을 시작하였다. 광진구 보건소 재택치료 전담팀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환자를 올려주면 의사가 확인 후 유선 상담을 우선 시행하고, 증상이 경미한 환자에 한해 간호사가 1 일 2회 유선으로 건강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 재택치료 운영기간 - 2021년 10월 7일 ~ 2022년 8월 4일

 재택치료 모니터링 대상자 - 코로나19에 확진된 50대 기저질환자는 재택치료 시 일반 관리군으로 분류하여 관리하였고, 60세 이상과 면역 저하자는 집중관리군 으로 분류하여 관리하였다.

 유선 건강 모니터링 운영

- 1일 2회 유선 건강모니터링

- 환자 증상 확인 후 비대면 진료를 통한 약 처방 ⇒ 처방전 약국 전달 ⇒ 비확진자 가족 또는 지인이 환자에게 약 배달 또는 광진구 재택치료 전담팀을 통해 퀵으로 전달하였다.

- 증상 악화 시 외래진료 체계 연결 ⇒ 검사 및 치료 (흉부 X선 촬영, 혈액검사, CT검사 및 항체 치료제 처방 및 수액 투여 등)

- 응급시 환자 이송 : 광진구 보건소에 환자 상태를 알리고 병상 배정 요청 진행

 재택치료를

083
함께한 사람들 - 전문의 : 김병관 병원장 • 김의숙 원장 • 강정한 부장 • 황종헌 과장 • 홍은준 진료협력센터장 (5인) - 간호사 : 강수연 • 변명희 • 송현미 • 고은송 • 윤미정 • 민소희 • 김윤현 • 최현화 총 (8인) - 원무과 : 나기창 과장 • 김승기 주임 외 2인 [ 코로나19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 ] 목 적

 코로나19 재택치료 과정

2021년 10월 7일부터 광진구 보건소 재택치료 전담팀과 협력하여 건강모니터링 시작

건강모니터링 오전과 오후 총 2회 전화상담을 통해 모니터링

증상이 경미한 경우 비대면 진료를 통해 약 처방

비대면 진료

외래진료(대면)

084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증상발현 후 악화되는 경우 대면 진료를 통해 검사 및 치료 응급 상황 대비 24시간 연락체계 가동 응급 환자 이송 광진구 보건소에 환자 상태를 알리고 병상 배정 요청 2022년 8월 4일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 종료 처방전 집 근처 약국 전달 가족 / 지인 약 수령 확진자 전달 ① 광진구 재택치료 전담팀 퀵서비스 배달 신청 확진자 전달 ② 흉부 X선 촬영 혈액검사 CT 검사 항체 치료제 처방&투여

코로나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24시간 의료상담 및 응급상황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의료상담센터를 운영하였다.

 의료상담센터 진료대상 - 재택치료 확진자 중 60세 이하, 소아, 먹는 약 처방 대상자 등 일반 관리군을 대상으로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2022년 8월 1일부터는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이 종료됨에 따라 일반관리군과 집중관리군의 구분이 폐지되어 모든 재택 치료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 였다.

 의료상담센터 운영시간 - 2022년 7월 1일부터 평일 및 주말과 공휴일을 포함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평일 주간팀과 야간·공휴일팀으로 구분하여 의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하였다.

 운영내용 - 재택치료자를 대상으로 의료상담 및 약 처방, 응급상황에 대한 대응이 주 업무이며,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체 수용을 통한 입원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 의료상담센터를 함께한 사람들

- 전문의 : 강정한 부장 • 황종헌 과장 • 홍은준 진료협력센터장 • 이중렬 과장 (4인)

- 간호사 : 강수연 • 변명희 • 윤미정 외 2명 (5인)

- 원무과 : 나기창 과장 • 맹진호 계장 • 김승기 주임 (3인)

- 진료협력센터 : 김태진 팀장 • 임수정 주임• 김가희 간호사 (3인)

- 콜 상담센터 : 강영희 콜센터장 • 한혜선 주임 • 김아름 주임 • 김소연 주임 • 강현명 • 이운주 • 이미경 (7인)

085
[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 운영흐름도

- 의료상담 : 환자 → 간호사 의료상담 → 의사 비대면 진료 → 필요 시 약처방 또는 내원하여 대면진료

- 약 처 방 : 환자가 약 처방을 원하는 경우 각 자치구 연계 약국을 통하여 안내.

- 외래진료 : 대면진료 필요시 외래진료센터(주간) 또는 응급실(야간 및 휴일)로 안내.

- 입원연계 : 외래진료센터 또는 응급실에서 대면진료 후 주치의 판단 하에 입원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입원연계를 통한 자체수용 후 중수본 병상 배정반과 자치구 보건소에 보고.

- 운영실적 : 매일 의료상담센터 운영 실적을 서울시에 보고.

 의료상담센터 운영실적

기간: 2022.07.01 ~ 2022. 12.26.

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요약

2022년 7월 1일부터 코로나19 재택치료자 24시간 의료상담 및 응급상황 대응을 위한 24시간 의료상담센터 운영

상담대상 코로나19 재택치료 중 일반관리군 ⇒ 모든 재택치료자 ('22.08.01~)

대상지역 성북구, 도봉구, 노원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광진구,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 총 10개구

상담문의

➀ 격리해제일 및 통지서 관련 ➁ 비확진자 문의(일반의료상담)

➂ 처방약 배달 수령 등 ➃ 격리생활 수칙 ➄ 대면진료 ➅ 약 복용 안내

운영내용

약 처방 입원요청 및 입원처리 응급대응

086
총 합 상담 처방 전원 기타 17,414 4,417 206 2,632 10,159
의료상담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19 요양시설 의료 기동전담반 ]

코로나19 확진자를 위한 '찾아가는 대면진료' 강화를 통해 요양시설에 있는 확진자의 중증화와 사망을 방지하기 위해 코로나19 요양

시설 의료 기동 전담반을 운영하였다.

 진료대상 - 요양시설 확진자

 운영지역 - 병원 소재지 포함 서울시 4개 자치구 (광진구, 성동구, 강남구, 송파구)

 운영시간 - 병원 진료시간과 동일하게 운영되었으며, 진료시간 외에는 본원 의료상담센터와 연계하여 약 처방 또는 응급실 대면진료 연계를 통해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 연락체계 - 전용 휴대전화를 사용하여 보건소 역학조사관과 24시간 연락체계 유지 - 담당자: (정) 맹진호 원무계장, (부) 나기창 원무과장

 의료상담센터를 함께한 사람들 - 전문의 : 강정한 부장

• 황종헌 과장 • 홍은준 진료협력센터장 • 이중렬 과장 (4인) - 간호사 : 감염관리실 임명옥 과장 • 장경화 대리 (2인) - 원무과 : 나기창 과장 • 맹진호 계장 (2인)

 운영기간 및 실적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기간: 2022.04.05. ~ 2023.07.31.

087
[
출동건수 진료건수 입원연계 34 134 32

1-2.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목 적

확진자들 중 비대면 진료만으로 문제 해결이 어려운 기저질환자, 소아, 고령자, 증상 악화자 등을 대면진료 후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외래 치료가 가능한 경우에는 중증 예방 효과가 있는 항체치료제, 항바이러스 치료를 포함 한 주사치

료 및 경구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일반 경구 치료제 등을 처방하였다. 입원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입원치료를 진행시

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영하였다.

운영시간 및 진료일정

2021년 12월 27일부터 기존 응급실과 주사실 구역을 통합하여 음압설비를 설치하고 운영을 시작하였다. 진료 시간은 월요일 ~ 금요 일 09:00~17:00 토요일 09:00~12:30 연휴에도 반나절씩 운영하였다.

088
[ 외래진료센터 이용방법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진료대상 및 진료내용

코로나 확진자들 중 예약환자들이나 예약 없이 당일진료를 원하는 환자들도 15세, 40Kg 이상이면 모두 진료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환자들은 직접 본원 원무과에 전화하여 예약하였고 또는 서울시 및 자치구 재택 치료팀, 응급 전담팀, 보건소 담당 직원들에게 연락하

여 담당자들이 단체 채팅방에서 코로나 외래진료센터에 의뢰하였다. 담당자들은 자차 이동이 안되는 환자들은 구급차를 배차하여 이

송에 밤낮없이 고생하였고, 진료 후 입원해야 하는 환자들의 배정 시에도 총괄 배정팀과 긴밀히 연락하여 신속한 입원 배정에 도움을 주었다.

코로나 확진자를 위한 코로나 외래진료센터팀의 구성은 호흡기내과 조재연 부장, 구건우 부장, 류혜미 과장과 이비인후과 심명주 과장 등이 참여하였고, 간호사들은 선덕 외래 수간호사를 비롯한 5명의 간호사들, 권혜숙, 안은진, 정용좌, 최경민, 황지현과 조무사 정은주

까지 3~4명이 한 팀으로 구성되어 적극적으로 진료에 나섰다.

내원한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대면진료 후 혈액검사 및 엑스레이, CT촬영 등 진단을 위한 검사를 시행한 후 증상에 대한 주사치료 및 투약, 항체 혹은 항바이러스 주사치료를 시행하였고, 입원기준에 해당하는 환자들은 입원으로 연결하여 최대한 신속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2022년 2월부터는 코로나 격리 해제 후 외래진료를 보러 온 환자들 중 폐렴이 발견된 환자들은 격리 해제 연장 소견서를 작성하여 입

원 후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조치하는 적극적 진료를 실시하였다. 투석 환자가 확진되어 진료를 오는 경우는 본원에 입원하여 투석을 지 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진행하였고, 사정상 입원이 안되는 경우는 본원 확진자 외래 투석을 받도록 연계하였다. 2월 11일부터 본원에 서 선별 진료소가 운영되기 시작하였고, 여기에서 확진된 RAT 양성 환자들은 바로 코로나 외래진료센터와 연계하여 진료 후 필요한

검사 및 치료와 항바이러스제 경구 처방 등 원스톱 진료를 하였다.

2022년 3월부터는 호흡기 증상 이외의 증상으로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도 내원하게 하여 해당 진료과와 협진을 진행하여 필요한 치료

를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센터에서 심전도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기 시작하여 심장내과와 협진을 진행하였으며, 충수염 및 정형외과 등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환자도 해당 진료과와 협진을 진행하며 입원 후 수술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그 외 모든 외래 진료의가 코로나

외래진료센터 협진에 참여하여 다양한 증상의 환자들을 대면진료 할 수 있었다.

2022년 4월부터는 입원환자 심장초음파 검사도 센터에서 진행을 하였고, 영상의학과에서는 복부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였다. 4월 18

일부터 주사실 격리관리료와 항체치료제 관리료 산정불가로 국가 지침이 변경되었음에도, 항생제 등 주사 처치 및 항체주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는 지속적으로 필요한 처방을 하여 중증화로의 진행을 막고 빠른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2022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는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하여 부족한 소아과 진료 병원으로 인하여 힘들어하는 환자 및 보호자들

에게 도움을 주었다. 소아청소년과 진료는 만 8세~1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2022년 6월 1일부터는 외래센터 내 공간을 나누어 확진자 응급진료를 개시하였다.

2022년 7월 1일부터 본원에서 의료상담센터가 운영되었고, 상담센터를 통해 내원한 환자들도 진료를 보고 필요 시 입원요청을 올려 입원으로 연결되어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였으며, 7월 11일 부터는 코로나 외래진료센터 진료비가 본인 부담으로 변경되었다.

089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외래진료센터 진료실적

외래진료센터 진료실적

기간: 2021. 12. 27. ~ 2023. 3. 30.

시설현황

혜민병원 주사실과 응급실을 통합하여 15베드로 Vital sign monitoring O2 supply 가능하게 하였고, 음압실 외부에서도 각 베드의

환자들 상태(산소 포화도, 심전도 등)를 모니터 할 수 있게 연결하여, CCTV로 환자의 임상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응급 CPR Cart-AED 포함을 준비하여 만약의 응급상황을 대비하였고, 유사 시 본관 3층 중환자실로의 긴밀한 이송을 가능하게 대비하였다. 환

자 내원 후 바로 원무과 접수 후 흉부 방사선, 흉부 CT 촬영을 가능하게 영상의학과 검사실을 배치하였고, 채취 혈액 전달, 약제, 처방

전 등의 전달을 위한 Passing box를 설치하여 전염의 위험없이 진료를 진행하였다. 초기에는 처방약을 근처 약국에서 약을 전달받아 서 바로 전달하여 불편함 및 배송시간의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코로나19 확진자들은 정문으로만 출입하게 하고, 일반 외래진료 환자들은 신관 후문으로 출입하게 하여 철저히 동선을 구분하였다.

090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CT검사 주사처방 약처방 6,414 5,886 1,445 2,425 5,029

원무 접수 / 엑스레이 촬영실 / 패싱박스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본관 원무 접수 데스크 바로 옆에 엑스레이 촬영실을 두어 동선을 최소화하였으며, 마이크를 통해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고 패싱박스를 설치하여 약 처방전을 전달하였다.

기존 응급실과 주사실 구역을 통합하여 음압 설비를 하였다. 체중계, 손 소독제, 침상마다 Patient Monitor를 구비하였고, Emergency cart도 구비하여 응급상황을 대비하였다.

091 [
[
코로나 외래진료센터 내부전경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오염구역/클린구역으로 구분된 진료실 모습

클린구역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게 진료실을 마련하였고(마이크 및 청진기 설치) 필요 시에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오염구역에 들어가 진 료하였다. 점차 확진자가 증가하여 진료실 1개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092
]
[
센터 의료진 및 원무직원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3. 입원환자 진료와 음압치료 병상

입원환자 진료

개 요

2020년 1월 국내 최초 코로나 확진자 발생을 시작으로 코로나 대유행이 반복되면서 병상 확보 명령에 따라 일부 병원에서 코로나 거 점 전담병원을 지정 및 운영하였으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기존 코로나 전담치료병상으로는 감당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고 선제적 으로 대응하고자 수도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5일 코로나19 전담치료 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이 시행되었다. 중등 증 환자 전담치료 병상은 수도권내 200~299병상 종합병원, 병원 중 코로나19치료병상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61개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행정명령을 받은 의료기관은 향후 4주 이내에 시설 공사를 완료하고 코로나 전담치료 병상으로 지정을 받아야 했다.

혜민병원은 2021년 1월 15일 호흡기전담클리닉 개소 및 2021년 10월 12일 재택치료 의료기관우로 지정되면서 코로나 환자진료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던 중 2021년 11월 5일, 코로나19 전담병원 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에 따라 본관 6층 병동 전체를 코로나19

확진자 중등증 병상(27병상)으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이후 본원의 코로나 입원환자와 일반 입원환자의 동선과 공간을 완전히 분리하 였고 음압시설을 포함한 운영시설 공사 및 관련 의료인 배정(진료과장: 조재연, 구건우, 심명주, 박은식, 유은수, 안재희, 김충훈, 김정 엽, 홍은준)을 통해 2021년 12월 6일, 본원에서 중등증 27병상 운영을 시작하였고, 같은 날 본원에 코로나 환자가 처음으로 입원하였 다.

093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이후 수도권 내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병상 부족 현상이 심해졌고, 중앙사고수습본부의 요청을 받아 숙고한 끝에

본원은 의료인의 사명감을 가지고 220여 개의 전 병상을 코로나 환자 치료만을 위해 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혜민병원은 2021

년 12월 6일 서울 소재 첫 거점 전담병원(코로나19 전체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일반 환자 입원은 전면 중단하였고, 일반 환자

외래만 정상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일반 외래진료 구역과 코로나 환자 입원구역은 완전히 차단하였고, 정문과 후문으로 동선을 분리 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거점 전담병원을 시작하면서 기존 34명의 의사 중 수술을 담당하는 정형외과 4명을 제외한 의사

대부분이 코로나 환자 진료에 참여하게 되었고 코로나 환자들에게 호흡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소화기내과, 내분비내과, 이비인 후과, 신경과, 정형외과, 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응급의학과 등 다양한 전문과목의 진료들을 제공할 수 있었다. 기존에 코로나 환자 치료를 위해 운영 중인 본관 6층을 포함하여 본관 5, 7층, 신관 6층을 음압시설을 갖춘 전담병동으로 추가하면서 공사를 시작하였고, 공사기간 동안 의사들은 코로나 환자 치료 관련하여 논문 리뷰 및 원내 컨퍼런스를 통해 거점 전담병원 진료를 준비하였다.

전 직원이 함께 노력한 결과 2021년 12월 27일 총 185병상(중증 22병상, 준·중증 30병상, 중등증 133병상)인 전체 거점 전담병원 운 영을 시작할 수 있었다. 이후 2021년 12월 27일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 15병상, 2021년 12월 30일 코로나19 회복기병동 10병상 (2022년 2월 10일 종료)을 운영하였고, 2022년 1월 준·중증 병상 조정(중증 22병상, 준·중증 66병상, 중등증 97병상)을 거쳐 2022

년 3월 한시적 병상 확충으로 214병상(중증 40병상, 준·중증 72병상, 중등증 102병상)까지 유지하였다.

환자 감소 추세로 2022년 5월 공공병원들이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지정 해제되었으나 본원에서는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을 유지하면서

여러 차례 코로나 재유행에 거점 전담병원으로서 역할을 다하였고, 일부 병상수 조정을 거쳐 2022년 10월 7일 203병상(중증 22병상, 준·중증 84병상, 중등증 97병상)을 유지하였다.

중등증, 준·중증, 중증으로 분류한 다음

진행시켰고 이후 환자 상 태가 변하면서 중증도에 따른 병상 이동을 진행하였다. 입원 절차는 본원에서 운영중인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 코로나 응급진료센 터, 코로나19 의료상담센터를 통해 환자 상태를 확인 후 입원이 필요한 경우 중앙사고수습본부에 입원을 요청하거나 중앙사고수습본

부의 병상 배정을 통해 본원에 입원 의뢰 후 입원을 수용하는 2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원내에서 다양한 중증도의 병상이 있었기 에 경과가 악화된 경우 타병원으로 이송하지 않고도 중증 병상으로 전동하여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코로나 환자 전용 수술실과 투

석실을 마련하여 코로나 환자 중 정형외과 및 외과적 응급수술이 필요한 환자들과 투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혈관으로 정맥주입로 확보가 어려운 환자들에게 원내에서 시술 가능한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삽입을 통해 적절한 시점 에 주사치료가 늦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2022년 5월에는 소아청소년과를 신설하여 코로나 확진자 중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한 10병 상의 소아병동을 만들면서 입원치료도 병행하였다. (22년 7월 31일 소아병동 종료)

094
구분 계 1호 2호 3호 5호 6호 7호 8호 9호 10호 병상 준-중증 준 중증 준 중증 준 중증 준 중증 준 중증 중등증 준 중증 중등증 중등증 본관7 44병상 6인실 6인실 6인실 2인실 2인실 7인실 6인실 4인실 5인실 본관6 44병상 6인실 6인실 6인실 2인실 2인실 6인실 6인실 4인실 6인실 본관5 44병상 6인실 6인실 6인실 2인실 2인실 6인실 6인실 4인실 5인실 본관3 22병상 중증 병상 신관6 31병상 1인실 6개, 5인실 5개 = 중등중 31병상 신관5 18병상 1인실 8개, 5인실 2개 = 중등증 18병상 (531, 532, 533, 535, 536, 551, 552, 553, 555, 556호) 합계 203병상 [ 혜민병원 코로나19 거전전담병원 운영병동 및 병상수 - 2022.10.07. 기준 ] 혜민병원은
입원 당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여 중증도에 따라
입원을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환자 중증도 기준

중등증

준중증

중증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 산소마스크 이하의 산소요구량이 있는 증상이 경한 환자

- 와상, 고령, 기저질환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

- 중증병상전동이 예상되는 환자

- 중증병상에서 호전중인 환자

- 고유량 산소 및 기계호흡이 필요한 환자

- 기저질환 악화로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환자

본관5층, 6층, 7층, 신관 5층, 6층 일반병실

본관 5층, 6층, 7층 준중환자실

본관 3층 중환자실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 등 2022년 8월의 6차 대유행을 거쳐 7차 대유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까지 혜민병원은 병원장을 포함한 전 직원의 전폭적인 지지와 노력을 통해 시시각각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도 원칙을 지키면서 유연하게 대처하였고, 본원에서 치료가 가능 한 환자라면 가용 병상이 있는 한 최대한 적극적으로 환자를 수용하면서 높은 수준의 병상 가동률을 꾸준히 유지하였다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을 시작할 때부터 현재까지 힘든 순간들도 많았지만 본원 의료진뿐만 아니라 전 직원들이 각자의 소명을 다하면 서 최선을 다해 노력했기 때문에 코로나 최전선에서 수많은 환자들을 위한 거점 전담병원으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해낼 수 있었다.

095 환자중증도
병동
기준
[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병동 운영 준비과정

[ 관련 부서 회의 ]

2021년 11월 5일 코로나19 전담병원 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에 따라 기존 환자들의 전동 및 전원을 진행하였다. 본원에서는 2021

년 12월 6일 코로나 확진자 중등증 병동 운영을 목표로 진료부, 시설과, 행정관리과, 구매관리과, 간호부, 약제과, 영영실, 원무과, 감 염관리실이 모여 여러 차례 준비회의를 가졌다.

진료부(총괄:구건우부장)는 코로나 치료 관련 논문들을 참고하여 본원 여건에 맞는 치료 및 업무 지침서를 만들었고, 최신 지견을 지속 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의료진이 업무 참여시 참고할 수 있도록 지침서를 공유하였다. 시설과에서는 음압병실을 위한 병실 내 음 압기 설치, 격리 의료폐기물 처리공간, 청결구역과 오염구역의 분리, 환자의 입퇴원 시 출입동선과 의료진의 출입동선, 입구와 출구 보 안장치, CCTV 설치, 격리병실 내 영상의학과 간이 검사장소 등을 점검하였다. 행정관리과에서는 외부인력 구인을 통해 격리병동에 필 요한 필수 인력들을 채용 및 공급하였다. 구매관리과는 제공되는 예산을 고려하여 필수적인 의료 물품들을 진료부와 상의하여 선정한 후 필요한 물품들의 구매를 진행하였다.

간호부는 격리병동 인원을 배정 후 코로나 병동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고 오염구역 내 병동시설 및 의료진 동선과 관련하여 시설

과와 긴밀히 상의하며 진행해 나갔다. 약제과는 코로나 치료제 도입 및 관리를 담당하였고 격리병동에 약물 전달체계 등을 재검검하 였다. 영양실은 코로나 환자들 배식 관련 동선 및 식사 공급에 대해 차질이 없도록 관련 업무를 준비하였다. 원무과는 격리병동 환자의 입퇴원 시 필요한 업무를 사전에 준비하였고, 병상 배정 관련해서는 간호부와 상의하며 진행하였다. 감염관리실에서는 코로나 격리병

실 운영 전까지 격리병동에 참여하는 모든 직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3차례의 보호구 착용 교육 및 실제 착용 연습을 시행하면서 원내 의료진의 감염위험을 최소화하고 관련 업무자들이 빠른 시간안에 보호구 착용에 익숙해지도록 도움을 주었다.

096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병동은 기존 병동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간호사실과 병동 공간을 분리하였다. 본관 6층을 코로나 격리

병동으로 운영 중 전 병동을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운영하기로 결정되면서 본관 5층, 본관 7층, 신관6층을 격리병동으로 변경하

기 위해 추가 공사를 시작하였고, 추후 신관 5층 병동도 전담병원 병동으로 추가 운영하게 되었다. 신관은 각층의 본관과 연결되어 있 어 의료진과 환자의 모든 출입은 본관 출입구로만 가능하도록 출입을 통제하였다.

본관 5층 도면 신관 5층 도면

본관 6층 도면 신관 6층 도면

본관 7층 도면

097 [
시설 및 관리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전담병원을 운영하면서 지급받은 방역물자는 신관 3층에 별도로 보관하였고 필요 시 불출하였다. 또한 각 병동에 의사 면담실

을 별도로 마련하여 해당 병동 환자와 보호자들 대상으로 비대면 주치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원에서 코로나 병상 운영을 시작하면서

진료협력센터가 코로나 환자 입원 의뢰 및 전원 시 관련 업무를 총괄하여 담당하였고, 입원 전부터 입원 후까지 관련 문의의 응대 및

행정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원스톱 체계를 구축하여 원활한 운영에 기여했다.

[ 인력구성 ]

초기 본관 6층만을 코로나 병동으로 운영하던 시기에는 원내 기존 인력만으로 유지가 가능했으나 이후 거점 전담병원으로 변경되면서

원내 인력만으로 한계가 있었고 외부에서 필요 인력을 지원받거나 병원 자체 채용을 통해 추가 인력을 구성 후 배치할 수 있었다. 의사

인력은 일부 파견의사의 단기 근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내 자체 의사 인력으로만 유지하였고, 의사들은 일반환자 외래진료와 코로

나 환자의 외래 및 입원진료를 병행하였다. 간호 및 보조 인력은 기존 본원 근무 인원에 추가로 파견 및 채용을 통해 구성되었다.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참여 진료과 및 의료진

내과 조재연, 구건우, 류혜미, 김충훈, 유은수, 박은식, 조일련, 안재희, 박근회, 김정엽

응급의학과 오병연, 전진우, 박진원, 이제엽, 문형기, 박지수

외과 홍은준, 이중렬

이비인후과 심명주

흉부외과 강정한

신경외과 황종헌

신경과 정규윤

정형외과 정재효

영상의학과 장석환

진단검사의학과 최경미. 정화령

098

심폐소생술 발생시 대응준비

심폐소생술은 에어로졸을 만드는 진료이며, 바이러스 입자는 공기 중에 오래 남을 수 있어 의료진의 안전도 고려해야 하므로 심폐소생

술 전 완벽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심폐소생술 팀은 의사 2명 및 간호인력 2명으로 최소화하여 구성하였다. 환자의 중증도

를 고려하여 심폐소생술팀은 심장내과(김충훈), 호흡기내과(구건우)를 중심으로 내과 의료진이 담당하였다.

심폐소생술 발생 시 병동에서 먼저 원내 방송을 요청 후 기계적 가슴 압박기 적용하고 흉부 압박 및 약물을 투여하면서 기도삽관을 시 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정하였다.

심폐소생술 프로

/ Ventricular tachycardia

SHOCK : 200J

Intubation 후 CPR 재시작 *Ventilator 연결 (with HEPA filter) CPR 2분 시행

1A Ⅳ 투여 (3분 간격)

및 맥박 평가 (2분간격)

Shockable(VF/VR) 시 200J cardioversion

CPR 유지

epinephrine

099
[
토콜 ] 개인보호구 착용 및 CPR이 적합한 환자인지 검토 CPR 시작 (산소공급, 모니터 부착, Intubation 준비)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fibrillation
Asystole /
Ventricular
심전도
리듬 분석
· 2분 간격으로 맥박 및 심전도 평가:
· 3분 간격으로
Ⅳ · VF/VT 지속:
Ⅳ 코로나
*epinephrine
심전도
· ROSC까지
codarone 300mg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운영

운영배경

신종 감염병 위기상황 발생으로 혜민병원은 전담 치료 병상으로 총 27병상이 지정되어 코로나19 중등증으로 운영을 시작하였고, 이

후 단계적 일상 회복 체제 전환 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중증 환자 및 사망환자가 폭증함에 따라 심각해진 코로나19 확산 해결을

위한 안정적 병상 배정과 충분한 병상 확보를 위해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코로나19 병상 확대 운영과 중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 한 기반 시설을 설치하고 전실, 이동형 음압기, 인터락 자동문 등을 설치하여 음압격리병실을 마련하였다.

2021년 12월 6일 중등증 27병상에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수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12월 27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전환 후

본관 5병동, 본관 6병동, 본관 7병동 총 185병상(중증 22병상, 준·중증 30병상, 중등증 133병상), 투석실 15개 병상, 외래진료센터

15병상 운영을 개시하였다. 중환자실은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치료 운영을 위한 핵심 치료장비인 15대의 인공호흡기, 지속적 신대 체 요법(CRRT) 2대를 비치하였다. 이후 코로나 확진 후 입원이 필요한 환자의 병상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신관 5병동과 신관 6병동을 추가로 운영하고 응급의료센터를 2022년 6월 1일 운영을 재개하였다.

100
음압병동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인력운영 및 시설현황

보호구 착용 및 감염관리 교육을 받은 병동 인력이 3교대로 근무하였으며, 음압격리병동 운영에 따른 필요 간호 인력 산정 및 근무표

등을 포함한 간호사 인력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간호인력을 배치하였다. 먼저 코로나19 환자 진료를 위해 간호부 전 부 서를 대상으로 음압격리병동에 투입 가능한 인력을 파악하였다. 이후 코로나19 진행 상황에 따라 본관 5, 6, 7병동과 신관 5, 6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등의 인력은 각 부서의 운영상황에 따라 통합하여 운영되었고, 코로나19 중증 환자 음압치료 병상을 위한 병실 앞 전실 공간 마련, 개인 보호구 착·탈의 공간 마련, CCTV 설치, 투석 배관 설비가 완료되었다. 음압병실 내 비대면 진료 운영으로 화상

통화 및 코로나19 격리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간호인력 배치 예시 - 일반 격리병동 간호 인력 배치(44BED기준)(명)

간호사들은 주임, 책임 간호사, 직접 간호사, 모니터링 간호사로 각각 담당업무를 나누어 간호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근무시간 내 순환 근무를 원칙으로 병동별로 26~27명을 배치하였다. 또한 음압격리병동 내에 와상환자 병실 운영으로 인해 간호사 외에도 간호조무사

및 보조원을 투입하였는데, 간호조무사는 10~12명, 보조원은 2~3명을 배치하였다.

 간호 보조 인력 배치 예시

구분 배치병동 배치인원(명)

5명

101
[ 간호인력 배치 기준 및 배치 예시 ] 구분 격리환자 / 직접간호 (2인 1조) 업무 지원 및 관찰, 기록 간호사 합계 DAY 6 2 8 EVENING 6 2 8 NIGHT 6 2 8 OFF 9~10
간호조무사 와상격리병동 10~12명
13명~1
의무보조 와상격리병동 2~3명
4~5명
와상중환자실
와상중환자실

 일반 음압격리병실 업무분장

(1) 환자 입실 중 진료 및 간호: 해당 진료과장, 간호사

(2) 간호사실, 환자 입실 중 병실 청소, 병실 복도, 퇴원 병실: 병동 간호조무사, 의무보조, 간호사, 미화부 직원

(3) 환자 배정 시 안내: 이송 직원(간호조무사, 의무보조), 간호사

(4) 검체 채취: 해당 진료과장

(5) 검체 포장: 해당 간호사

(6) 검체 이송: 해당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또는 의무 보조

(7)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운반직: 관리과 전담 직원, 미화부 직원

[ 2022년 코로나19 병상별 간호인력 배치 현황 ]

코로나19 확진 환자 진료를 위한 병동 운영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면서, 코로나19 병상의 확대, 축소에 따라 간호 인력 또한 지속적인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코로나19 환자 발생에 따라 1~6차 대유행 시기에 코로나19 중환자의 증가로 중환자 간호 인력을 추가로 채용 하고 교육하여 현장에 투입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간호사, 간호조무사를 파견 받아 투입·운영하였다.

 2022년 1월 말 기준 - 코로나19 병상별 간호인력 배치 (단위:명)

102
분류 병동 병상수 간호사 보조인력 ICU(음압) ICU 22 43 19 일반병동 (음압) 본관5병동 44 21 13 본관6병동 44 20 13 본관7병동 44 23 15 신관6병동 (31) 예비병동 0 0 일반병동(회복기 병상) 신관5병동 10 15 8 계 195 122 68 *파견인력 포함
*보조인력: 간호조무사,
바이러스 치료기
/
의무보조 코로나
103  2022년 6월 말 기준 - 코로나19 병상별 간호인력 배치 (단위:명) 분류 병동 병상수 간호사 보조인력 ICU(음압) ICU 22 31 8 일반병동 (음압) 본관5병동 44 24 13 본관6병동+신관6병동 75 22 9 본관7병동 44 0 0 계 185 77 30 *환자 수 감소로 본관 7병동 운영 보류.  2022년 9월 말 기준 - 코로나19 병상별 간호인력 배치 (단위:명) 분류 병동 병상수 간호사 보조인력 ICU(음압) ICU 22 44 16 일반병동 (음압) 본관5병동 63 35 14 본관6병동+신관6병동 77 42 14 본관7병동 46 27 11 계 208 148 55 *코로나19 발생상황에 따라 병동이 확대 및 축소 되었고 이에 따라 간호인력 또한 지속적으로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 2022년 3월 말 기준 - 코로나19 병상별 간호인력 배치 (단위:명) 분류 병동 병상수 간호사 보조인력 ICU(음압) ICU 22 41 16 일반병동 (음압) 본관5병동 44 24 16 본관6병동+신관6병동 75 37 16 본관7병동 44 23 10 계 185 125 53 *소아청소년과 입원병동 : 신관 6병동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04  중수본 파견 인력 (단위:명) [ 의료인력 지원 및 파견 인력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간호조무사 합계 3 86 4 88 181  '21년 12월 ~ '22년 10월 파견 인력 (단위:명) 월별 간호사 간호조무사 2021.12. 16 15 2022.01. 17 20 2022.02. 6 9 2022.03. 4 7 2022.04. 1 5 2022.07. 12 12 2022.08. 28 15 2022.09. 2 2 2022.10. 0 3 *2021년 12월 거점병원 지정 후 의사 3명, 간호사 86명, 방사선사 4명, 간호조무사 88명 등 총 181명이 본원으로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05  코로나19 발생 초기 병동별 음압격리병상 전환 및 운영 병동 기존시설현황 음압병동 전환 시 코로나 확진자 대비 중수본 요청에 따라 탄력적으로 병상운영 전환 운영내용 구분 병상/병실 본관6병동 일반 3인실*2 3인실*2 2021.12.6.~12.26 국가지정입원치료 병상(음압격리병상) 4인실*1 4인실*6 5인실*1 6인실*6 본관5병동 본관6병동 일반 3인실*2 3인실*2 2021,12.27~현재까지 감염병 거점 전담병원 지정 4인실*1 4인실*1 5인실*1 6인실*6 6인실*6 본관7병동 일반 3인실*2 3인실*2 4인실*1 4인실*1 5인실*1 5인실*1 6인실*4 6인실*4 7인실*1 7인실*1 격리 2인실*1 신관6병동 일반 1인실*6 1인실*6 5인실*5 5인실*5 신관5병동 일반 1인실*10 1인실*8 코로나19확진자 증가에 따른 추가병상운영 (2022.8.16.~ 5인실*2 5인실*2 격리 1인실*3 1인실*3 신관5병동 회복기 병동 10BED 코로나19 격리해제 후 회복기 병동 운영 (2021.12.30.~2022.2.10)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19 중증환자 음압치료 병상 입실 및 퇴실기준

[ 음압치료병상 입실 기준 ]

➀ 인공호흡기 이상의 치료가 필요하거나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 (예) 인공호흡기, 인공심폐기,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rapy,CRRT) 등의 치료를 요하는 환자

➁ 기타 중환자실로 신속히 이송할 필요가 있는자 (예) 폐렴이 확인되었고, 산소 요구량이 비강캐뉼라 분당 5L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중증 환자 전담 치료 병상으로 이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 등

➂ 환자 상태, 환자 주치의의 의학적 판단, 병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

➀ 입실 48시간 동안 혹은 증상 발생 후 7일 이후 발열이 없으며 생체 징후가 안정적이고 비강캐뉼라 산소5L/분 이하에서 산소포화도 ≧94%로 산소 요구량이 감소하는 중으로, 흉부 영상에서 병변의 진행이 저명 하지 않는 경우

➁ 위의 사항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경우

병상 운영현황 ]

106
[ 음압치료병상
] [ 코로나19
분류 병동 병상 수 '21년 2022년 2023년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계 전담병동 ↓ 거점병원 (12/27~) 27 > 185 185 185 214 209 185 185 185 208 208 203 중등증 일반병동 (음압) 본관 5, 6, 7 신관 5, 6 27 > 133 97 97 102 97 97 97 97 97 97 97 준중증 0 > 30 66 66 72 72 66 66 66 89 89 84 중증 감염 중환자실 0 > 22 22 22 40 40 22 22 22 22 22 22 투석실 (1/10~) 투석실 (음압) 0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회복기 병동 (~2/10) 코로나 해제 병동 10 10 10 ➀ 국가 지정 입원치료 병상 ➁ 중수본 요청대로 병상을 탄력적으로 운영 (축소 및 확대)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퇴실 기준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전담병동 운영 준비 ]

2021년 12월 6일 코로나19 전담병동으로 본관 6병동이 가장 먼저 운영을 시작하게 되어 사전점검 진행 및 의료물품 등 각종 비품 구 비 상태 확인, 공간배치, 진료동선을 점검하였다. 미비사항은 수정·보완 조치 되었으며 다음 운영을 준비하는 전담병동에 사례 및 가이 드라인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업무 표준화를 위해 전담병동 매뉴얼을 제작하였고 이후 변화하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개정 변경 된 사항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요 설비사항

- 청결구역(클린존)과 오염구역(음압병실존) 구분을 위한 벽 설치

- 음압병실 설치: 병실 내 음압기 및 자바라문 설치

- 간호사실 방호 설비 설치(패싱박스 포함)

- 병동별 입구 자동문, 전실 문 설치

- 병동별 보호구 착·탈의실 운영

- 환자진료를 위한 병동별 스마트폰 제공: 환자 진료제공 및 오염구역 내 환자 진료 전송에 이용

- 격리 의료폐기물 처리 공간 마련

- 음압병실 내 CCTV 설치

107
[
[
전담병동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4. 코로나 투석센터

목 적

2021년 12월말 본원이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되어 코로나19 확진자를 위한 투석을 전담으로 하는 투석실의 운영이 2022년 1월 7일부터 시작되었다. 본관 2층에 코로나 환자를 전담으로 하는 투석실을 만들고 코로나 확진자를 위한 전용 출입구를 따로 두어 본원 일반 투석환자와의 접촉을 차단, 안전하게 분리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관 2층의 투석실 내에는 음압시설을 설치하여 감염환자의 교차감염을 예방하였다. 투석기계 14대(일반기계 13대, B형간염환자 기계 1대)를 이용하였다. 투석실은 신장내과 의사 김정엽 과장, 조일련 과장, 남옥희 수간호사, 박혜복 주임간호사, 김숙희 책임간호사, 안보경 간호사, 하민정 간호사, 장수영 간호사 및 파견 간호사로 운영하였다.

운영시간 및 진료일정

2022년 1월 7일부터 12월까지 신장내과 전문의가 진료를 담당하고 있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오전과 오후에 투석을 진행하였다. 1월

7일부터 2월 24일까지는 확진자 감소세로 14:00~19:00까지 운영하였고, 2월 25일부터 9월 24일까지는 확진자 증가로 운영시간을 오전 8시~오후7시까지 운영하였다. 3월 한 달간은 코로나 확진자의 폭증으로 일요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였다. 이후 코

로나 확진자 감소로 인하여 운영시간을 9월 25일부터 12월 말까지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로 운영하였다.

108

진료대상자 및 진료기간

진료 대상자는 코로나19에 확진된 투석환자로 진료 기간은 COVID-19 검사일로부터 법정 격리기간 동안으로 정하였다. 단, 입원환 자의 경우 의사의 판단하에 법정 격리 기간 이후에도 입원치료가 필요할 시 코로나 투석실에서 투석을 진행하였다.

시설 현황

본관 2층 기존에 물리치료실로 사용되던 공간을 음압이 유지되는 격리실로 재정비하여 역삼투 정수처리시스템과

109
혈액투석기계 14대 설치하여 Single patient dialysis fluid delivery system (SPDS) 을 적용하였으며 중환자실에 이동형 정수장치와 투석기계 1대를 함께 운영하였다. 기간 운영시간 (월~토) 비고 23.01.07 ~ 23.02.24 오후 2시 ~ 오후 7시 23.02.25 ~ 23.09.24 오전 8시 ~ 오후 7시 (3월) 일요일 : 오전 8시 ~ 오후 5시 23.09.25 ~ 오전 8시 ~ 오후 4시 [ 코로나 투석실 운영시간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10
[
코로나 투석실 본관(2층) 도면 ]
[
코로나 투석실 병동 입구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11 투석 진료 절차 원무 접수 간호 접수 코로나 환자 전용 출입구로 출입 귀가 (정문 이용) 대상자 확인 및 접수 1층 원무과 수납 투석실 입실 투석 종료 후 퇴실 → → → → → 투석 예약 확인 대상자 체중 확인 및 투석 시작 코로나 외래 진료센터 연결 (대면 진료 원할 시) 투석 종료 지혈 및 체중 확인 → → →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투석 실적

[ 2022.01. ~ 2022.06. ]

[ 2022 07 ~ 2022 12 ]

혈액투석 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들은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심혈관질환 등 동반질환이 있으며, 대게 고령의 환자들로 코로나 감염 시 중증 이환율과 사망률이 일반인들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투석 치료 특성상 폐쇄된 공간에서 집단적으로 장시간 치료를

같이 받게되어 확진자로부터 전염 위험성이 높고 주 2~3회 투석 치료를 유지해야 하여 자가격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코로나 예방

을 위한 백신 및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크며, 코로나에 확진되었을 경우 코로나 확진 신장병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투석환자 및 투석치료의 특수성을 잘 이해하고 대응체계를 잘 구축해야 하겠으며 본원에서의 이번 경험이 추후 코로나 감염증 재유행

및 새로운 신종 감염증 발생 시 대응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12
분류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입원 20 104 63 133 39 26 외래 - 15 724 296 77 22 합계 20 119 787 429 116 48 분류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입원 67 81 87 86 외래 102 468 282 148 합계 169 549 369 234 마무리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1-5. 코로나거점 전담병원 이후 응급실

입실관리

응급실 출입을 원하는 일반진료 내원객의 출입 통제를 위해 병원 정문에는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이며 정문 출입은 코로나 환자 전용 출입구임을 고지하여 일반 내원객의 출입을 통제 하도록 하였다.

코로나 환자 출입구인 정문 입구에는 인터폰을 설치하여 출입 전 병원 내원의 목적을 파악하여 일반 내원객의 출입을 통제하고, 밖에 서 병원 내로 들어올 때에는 병원 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는 병원 정문을 이용하여 출입하고, 이를 제외한 응급실 내원 환자(비확진자)는 병원 후문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도록 하고 출입 전 체온 측정을 실시하여 발열 증상을 확인한다. 단, 비확진 환자라 할지라도 호흡기 또는 고열 증상있는 환자는 4종 보호구(KF94마스크, Face Shield, Gown, glove) 착용 후 정문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도록 하였다.

113
목 적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 이후 비확진자의 원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응급실 진료 시 코로나 확진자와 비확진자의 출입, 진료, 퇴실까지 동선 을 분리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진 료

① 응급실 진료가 필요한 환자는 응급진료 받을 수 있으나 비확진자의 경우 본원이 코로나거점 전담병원이며 응급실 진료구역은 코로 나 확진자와 같은 진료 구역이며 진료는 가능하나, 입원 불가한 상태임을 설명한 후 비확진자 응급실 진료 동의서를 받고 진료를 개시 한다.

② 코로나 비확진자가 응급실 진료를 받을 경우 환자는 후문 출입구를 통해 들어와 4종 보호구(KF94마스크, Face Shield, Gown, glove) 착용 후 코로나 확진자와 거리를 두고 진료를 받도록 한다.

③ 보호자의 응급실 출입은 금지하도록 한다. 보호자에게 환자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해야 하는 경우에는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의

료진의 감염 노출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퇴실관리

① 코로나 확진자 및 비확진자가 진료 후 퇴실할 때에는 정문 출입구(오염구역)를 이용하도록 한다.

② 귀가 시 자가용, 방역택시 등을 이용하여 귀가하도록 설명한다.

114

1-6. 신속 항원 검사소 및 선별 진료소

목 적

신속항원검사 양성을 확진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 후 검사소 설치를 논의하여 2021년 2월 3일 신속항원검사소 운영을 계기로 투약

처방도 가능한 선별진료소를 2022년 2월 11일 시작하였다. 신속항원 검사소는 행정동 지상 주차장에 텐트 및 컨테이너 박스건물로

설치하여 진료 전 대기실, 진찰실, PCR검사실, 진료 후 대기실 수납으로 구성되어 호흡기증상이 있는 코로나 의심 환자를 완전 분리 된 공간에서 신속히 확진하고 투약 처방하였다.

가정의학과 김대현 과장을 비롯한 진료부가 순번을 정하여 순차적으로 진료를 진행하였다. 간호부 이윤주, 나영숙 간호사, 신대수 간

호조무사와 원무과 안지형, 정수현 사원, 진단검사의학과 서경남 외 1명의 직원이 함께하였고 운영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 시, 토요일은 11시까지 운영하였다.

절차 내용 검사관리자 검사대상자

접수 검사대상자 확인 O

신청서 작성 O 작성 검사신청서

안내 신속항원검사 안내

동선 검사요령

115
진료일정 및 운영시간
주의사항 등 ( ) O 검사 시행 O 수행 신속항원검사 결과 확인 검사결과 확인 O 사후 조치 양성 시 소독 환기 검사 안내 PCR 검사 후 귀가 PCR 비인두도말 채취 ( ) 음성 시 음성확인서 발급 요청 시 ( ) 귀가 < 검사절차 >
거점 전담병원
코로나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진료 대상자 및 진료 진행

신속항원검사 대상자는 PCR우선 순위 대상자인 만 60세 이상 고령자, 의사 소견서에 따라 코로나 검사가 필요한 자, 역학적 관련성이

있는 자, 감염 취약시설, 선제검사와 신속항원검사 및 응급선별검사 양성자를 제외한 자거나 방역패스를 위한 음성 확인서 발급을 필

요로 하는 자에 해당되었다.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확진자의 경우에는 바로 투약을 처방받거나 흉부 사진이나 추가 검사가 필요한 경

우에는 코로나 외래진료센터로 연계하여 추가진료를 진행하였다.

구분 업무

· 수기 문진표 작성 및 검사 동선 안내

· 신속항원검사 안내서 및 검사 키트 지급 · 검사 대상자 분류 행정지원

검사관리

안내

[결과확인]

검사 실적 관리 · 일일 검사건수 및 양성자 수 집계·보고 음성확인서 발급 · 신속항원검사 음성확인서 발급(필요 시)

검사 지원 · 검체 체취 방법, 검사방법, 주의사항 등 안내및 감독 · 검사 단독 수행이 어려운 경우, 검사 보조

대기자 관리 · 거리두기 유지, 대기시간 준수 등 관리

결과 확인 · 검사결과 판독, 조치(귀가 또는 PCR검사인계), 기록

 보건소 담당자가 검사 결과 판정 - 대조선(C라인)과 시험선(T라인) 모두(2줄) 나타난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고, PCR검사 시행 안내 - 대조선(C라인)만 나타난 경우(1줄) 음성으로 판정 - 대조선(C라인)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무효로 처리하고 재검사 권고

116
[신속항원검사소 업무분장]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시설현황

공간분리는 신속항원검사소 내 PCR을 위한 구역과 분리된 별도 구역에서 운영하고 검체 채취 공간은 음압시설로 타 구역과 분리된

독립 공간으로 운영되었다. 동선 관리는 검사대상자의 이동 동선을 검사에 따라 한 방향으로 설정하여 일반 대기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운영하였다.

습]

117
[시설모
118
구분 계 PCR RAT 비고 병동 4,459 4,252 207 선제검사, 격리해제 전 검사 등 외래 8,002 7,849 153 입원 전 검사, 코로나 의심, 해외출국용 등 응급실 233 138 95 호흡기전담클리닉 174 174 선별진료소 22,385 6,649 15,736 전수검사 1,632 1,632 직원, 확진자 접촉자 등 합 계 36,885 20,694 16,191 기간: 2020.03.04. ~ 2023.04.06.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신속항원검사소 도면] [코로나19 검사 현황]

1-7. 일반 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일반환자 외래진료 코로나 초기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전담병원 해제 이후 진료시간 변화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운영 후 일반진료는 외래 환자로만 국한되어 운영되었다. 일반 외래환자 구역은 철저히 코로나 확진자 구역과 분리되고 검사도 분리 진행되었다. 호흡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투석), 소화기내과, 내분비내과, 이비인후과, 신경과를 비롯 외 과 파트인 정형외과, 일반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외래를 중단없이 진행하면서 지역사회 병원의로서의 임무를 성실히 묵묵히 수행해 왔다. 그러나 수술방에서는 확진자들만 수술이 가능하게 운영되어 외과계의 일반 수술은 제한되었으며 외래 베이스의 처치만 가능하 였다.

119

Part 02.

-

120 2-1. 코로나19 영상검사 및 시술 2-2. 코로나19 관련 진단의학 검사 2-3. 코로나19 관련 시설과 설비 2-4. 코로나19 관련 구매 2-5. 코로나19 주사치료제 및 약제 관리 2-6. 코로나19 영양 (환자 및 직원 식사 관리) 2-7. 코로나19 관련 미화 오염 폐기물 처리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진료지원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1. 코로나19 영상검사 및 시술

개 요

2021년 12월 27일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후 코로나 환자 및 의심 환자 등을 진료 및 치료함에 있어 필요한 기본 검사(X-RAY)

및 정밀 검사(MRI, CT, SONO) 등을 시행함

코로나 감염 외래 환자 및 입원 환자 ]

코로나19 의심 증상이나 해외 방문 또는 특정 지역 방문 등으로 선별 진료소를 내원 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흉부 X-RAY검사를 실시하 였다.

121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검사의 종류

코로나19 외래 및 초기 입원 환자가 진료 및 입원 시 X-RAY실에서 초기 검사로 진행하였다. [ 흉부 X-RAY 검사 ]

코로나19 입원 환자 대상 이동 영상 검사 (Portable) ]

병실 밖으로 이동이 불가한 입원환자 및 확진 환자를 대상으로 이동 영상 검사(Portable)를 진행하였으며, 보호구 4구 (초기 Level D)

착용 후 병동을 돌며 검사를 시행하였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료진의 요청이 있을 때 수시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122
[

전담병원 - 진료지원

코로나19와 관련된 검사 중 전산화 단층촬영은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코로나19 선별 여부, 확진 환자의 초기 임상증상 확인

및 추적검사에 활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또 PCR 검사결과가 나오는 시간에 비해 비교적 신속하게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X선

촬영과 CT검사는 진료과정에서 큰 강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환자가 받는 방사선 피폭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첨단 CT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진료에 많은 도움을 주 고 있다.

MRI 검사는 위생모자, 위생 가운, N95 마스크, FACE SHIELD 등 보호구 4구를 착용하였으며 환자와의 격리를 생각하여 오후 5시

이후로 일반 외래환자가 다 빠지고 나서야 검사를 시행하였고 확진자가 검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환자가 검사를 받다가 안면 화상 피해를(미국 FDA) 입는 사건으로 인해 검사 시 금속 부품이 사용되지 않은 마스크 착용하였고 검사 후에는 장비 및 조정실

등에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코로나 살균 분무 소독 및 소독티슈를 사용하여 소독을 시행하였다. 특히 본원에서는 노령층의 뇌질환

및 뇌혈관 질환과 관련하여 촬영을 주로 시행하였다.

123
[ 확진 환자 대상 CT 검사 ]
[
확진 환자 대상 MRI 검사 ]
코로나 거점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확진 환자 대상 초음파 검사 및 경피적 농양 배액술(SONO)]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운영 되면서 코로나19 환자 외래진료센터에 초음파검사 기기를 별도로 마련하여 코로나19 확진 입원환

자의 응급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 시 의료진은 Level D 방호복을 착용하였고, 검사 시행 후 SONO 장비 및 주

변을 분무 살균 및 소독 티슈를 사용하여 소독하였다.

그리고 농양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카테터를 체외에서 환자의 농양 내부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치료법 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시행하였으며, 감염으로 인해 체내에 농양이 쌓인 환자의 경우 농양의 확장이나 패혈증 같은 중증 부작용의 예 방, 병의 증상 호전 등을 목적으로경피적 농양 배액술을 활용하였다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Level D 방호복을착용한 영상의학과 전문 의와 방사선사가 함께 실시하였다.

124
[
125
통계 [ X-Ray 통계 ] 분류 '21.12 '22.01 22.02 '22.03 '22.04 '22.05 '22.06 '22.07 '22.08 '22.09 '22.10 합계 SHOUDER 2 2 4 3 11 NECK 2 4 4 6 92 44 12 6 170 C-SPINE 12 20 5 6 2 45 HIP 5 4 11 7 4 18 49 RIB 3. 3 3 3 3 3 18 FEMUR 2 4 6 SKULL 7 7 6 20 ANKLE 2 6 8 ABDOMEN 23 14 12 12 65 47 26 166 365 PNS 3 6 3 4 4 2 7 3 1 33 HUMERUS 4 2 6 HAND 12 2 20 8 22 2 4 10 80 CLAVICLE 2 2 1 3 4 4 16 KNEE 4 2 2 8 S-SPINE 2 8 2 18 12 8 6 56 FOREARM 4 4 2 10 ELBOW 4 4 4 2 14 KUB 2 28 20 18 34 102 CHEST 300 416 1,182 1,925 1,281 567 266 1,352 1,373 700 1,595 10,690 T-SPINE 2 4 4 12 6 4 2 34 NASAL 2 COCCYX 2 ZYGOMATIC 1 합계 33 435 1,192 1,965 1,351 587 338 1,640 1,543 789 1,873 11,746
장비별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26 [ CT 부위별 통계 ] 분류 '21.12 '22.01 22.02 '22.03 '22.04 '22.05 '22.06 '22.07 '22.08 '22.09 '22.10 합계 HIP 1 1 2 1 2 2 2 11 EXTREMITY 3 2 3 3 11 ABDOMEN 1 7 18 20 36 10 18 76 53 35 25 299 BRAIN 5 11 13 38 47 12 19 97 108 63 27 440 CHEST 12 255 703 962 654 240 175 956 1,165 918 444 6,484 CHEST +ABDOMEN 14 14 C-SPINE 1 1 1 3 FACIAL BONE 1 1 2 HIP 1 2 1 1 5 L-SPINE 1 1 1 2 7 4 1 17 NECK 4 1 2 7 PNS 2 1 1 1 1 6 TEMPORAL BONE 1 1 2 T-L SPINE 1 1 4 6 합계 18 294 736 1,029 741 265 216 1,149 1,340 1,020 499 7,307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27 [ MRI 부위별 통계 ] 분류 '22.03 '22.04 '22.05 '22.06 '22.07 '22.08 '22.09 '22.10 합계 [MRI] BRAIN+NECK MRA+DIFFUSION 3 3 [MRI] BRAIN(CE)+BRAIN MRA(CE)+DIFFUSION 6 6 [MRI] BRAIN+BRAIN MRA+DIFFUSION 3 3 9 9 12 3 39 [MRI] BRAIN+BRAIN MRA+NECK MRA 6 3 9 [MRI] BRAIN MRA+ NECK MRA+DIFFUSION 20 60 16 12 40 48 44 20 260 [MRI] BRAIN+DIFFUSION 2 2 [MRI] BRAIN DIFFUSION 1 4 1 4 14 16 4 7 51 [MRI] BRAIN MRA+DIFFUSION 2 2 2 6 [MRI] BRAIN(CE)+BRAIN MRA(CE)+NECK MRA(CE)+D 4 4 4 12 [MRI] C-SPINE 1 1 [MRI] L-SPINE 1 1 2 [MRI] LT. ANKLE 1 1 2 [MRI] RT. ANKLE 1 1 [MRI] RT. KNEE 1 1 1[MRI] SAGITAL-SPINE T2(UNCOVERED) 1 1 [MRI] T-L SPINE 1 1 합계 28 71 20 16 78 83 67 34 397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28 [ SONO 부위 별 통계 ] 분류 '22.05 '22.06 '22.07 '22.08 '22.09 '22.10 합계 [SONO] COLOR DOPPLER(LT) 1 1 [SONO] LOW ABDOMEN(KID.AD) 1 1 [SONO] ULTRA SONO GUIDE(1) 1 1 [SONO] UPPER 2 1 1 2 6 P.C.D(경피적 농양 배액 술) 1 1 합계 3 - 2 3 - 2 10 [ 함께한 사람들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2. 코로나19 진단검사의학

개 요

2020년 1월 20일에 대한민국에 최초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2020년 8월 31일에 첫 원내 감염자가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2020년 9 월 2일 본관 5병동에서의 14일간의 코호트 격리 조치를 실시하였으며, 진단검사의학과에서는 2020년 9월 2일, 5일, 10일, 16일 4 번을 거쳐 환자, 보호자, 간병인 및 직원들 전체 전수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수검사 방법은 감염가능성이 높은 위험군은 개별 RT PCR

법으로 시행되었으며, 비교적 감염 가능성이 낮은 환자군은 1단계(그룹) RT PCR Pooling으로 의뢰되었다.

진단검사의학과 내 감염 확산 방지 대책

코로나19의 정확한 감염원과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본적으로 사람간에 비말감염으로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말감염 이란, 감염된 사람의 침이나 콧물 등이 다른 사람의 코나 입으로 들어가 감염되는 방식이므로 최대한 인적 접촉을 줄여야 된다고 판단 하였다. 특히 별관을 사용하는 진단검사의학과는 투석실, 건강검진센터와 같은 건물을 쓰고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감염방지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었다.

① 동선 분리 본관과 별관이 이어지는 1층 통로에 언택트 테이블을 설치하여 내시경과 수술실에서 나오는 조직 검체는 외래 채혈실에서 접수하

여 한 번에 언택트 테이블에 가져다 놓고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수거하였으며, 검사에 필요한 도구들은 언택트 테이블에 정리해놓는

방식으로 본관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였다. 혈액제제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진단검사의학과에서 매칭 완료 후 병동에 유선 연락하여

확인과 수령이 언택트 테이블에서 모두 이루어졌다.

129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② 코로나 검체 4중 포장 코로나 PCR 검체는 감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검체는 비닐봉투에 한번,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두 번, 박스 포장 용기에 세 번, 마 지막으로 위험물 운송가방에 네 번 포장하여 최대한 안전을 기했다.

③ 검사실 내 소독 매일 오전과

130
→ →
오후 두 번 나누어 락스 희석액으로 먼저 소독 후 알코올로 다시 소독하였다. 또한, 진단검사의학과 자체 점검표를 만 들어 매일 점검하며 감염 예방 활동을 하였다.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신속한 검사

코로나19 감염은 환자의 임상 증상만으로 다른 질병과 구분하여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기에, 원인 모를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실의 진 단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원내에서 코로나19의 자체 검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검사실에서는 결과보고 소요시간(Turn Around Time, TAT)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루에 코로나 검체를 4차례 위탁하여 검사를 진행하였고, 검사결과 안내문자는 결과가 나오는 즉시 공휴일과 관계없이 전송함으로써 검사결과 전달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확진자 명단과 CT결과도 감염관리실에 보고하였 다.

코로나 검사 마감 시간

코로나 검사 마감 시간 평일/토, 일요일 및 공휴일 토, 일요일 및 공휴일

06:30 am 마감 → 당일 14:00 결과

11:00

20.09.02

• 코로나바이러스 항체(N항원, S항원) 외부의뢰 검사 실시

• 언택트 테이블 설치로 직원간 접촉 최소화

- 매일 테이블 이중소독

- 코로나검체 및 혈액 테이블 통해 인수인계

• 코로나19 RT PCR 검사 외부의뢰 시작(SCL)

- 하루 4번 검사 의뢰

- 결과 실시간 보고로 결과 지연 최소화

21.01.05

• 호흡기 클리닉 실시

131
[
] [
] [ 혜민
]
코로나 검사건수와 양성건수
병원 타임 테이블
am 마감 → 당일 18:00 결과 11:00 am 마감 → 당일 18:00 결과 15:30 pm 마감 → 익일 00:00 결과 14:00 pm 마감 → 익일 00:00 결과 21:00 pm 마감 → 익일 08:00 결과 21:00 pm 마감 → 익일 08:00 결과 검사 비고 합계 2020 2021 2022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확진검사 (RT-PCR) 검사건수 7,467 42 709 712 1,234 4,115 655 양성건수 1,525 0 2 2 9 1470 42 취합검사 (pooling test) 검사건수 11,236 0 2,103 3,904 5,201 28 0 양성건수 13 0 0 3 8 2 0 일자 과정 20.05.28

바이러스 치료기

일자 과정

• 코로나19 항체(IgM/IgG) 간이검사 원내에서 시행

21. 04. 15

- 중국 출국을 위한 항체 검사

- 이전의 감염 확인

• 코로나 전담병원 지정

21. 12. 27

- 전 병동 코로나확진 환자 수용

- 혈액배양검체 간호부에서 채취

• 신속항원검사(RAT) 실시

- 선별진료소 부스 설치

22. 02. 03

- 환자에게 결과 문자 전송

- 감염관리실에 RAT양성자 목록 보고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혜민병원이 서울시에서 최초로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진단검사의학과에서도 코로나 확진 검체 로 인한 감염방지 대책과 코로나 검사 방법 등의 변화가 생겼다.

1) 검체 수령 방법

1. 코로나 확진 병동 검체

• 코로나 검체

코로나19 확진 검체 수령 진행 상황

132 코로나
코로나19 거점 병원 전환 후 변화 언택트 테이블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 코로나 검체를 제외한 일반 검체

취급

(1) 1차 용기(검체 튜브)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하고 그 위에 스카치 테이프를 붙여 준비.

(2) 검체채취 후 1차 용기를 소독티슈(또는 알콜솜)로 닦아 고무줄로 묶은 후 작은 비닐 지퍼백에 넣고 입구를 잠근다. *부득이 1차 용기의 뚜껑을 열어 검체를 분주하였을 때는 뚜껑이 완전히 닫혔는지 확인한다.

(3) 겉장갑을 벗고 손위생 후 퇴실하여 새 겉장갑을 착용하고 같은 크기의 비닐 지퍼백에 넣고 입구를 잠근다.

(4) 단, 여러 환자의 1차 용기가 있는 경우는 각각을 작은 비닐 봉투 (15*12cm)에 두 번 넣은 후 기송관의 캐리어에 함께 넣 을 수 있다.

- 이송

(1) 기송관의 캐리어에 이중으로 비닐 포장된 검체를 넣고 기송관으로 진단검사의학과로 보낸다.

(2) 코로나 확진 병동은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세균배양 등 미생물 검사를 위한 검체는 인편으로 이송한다.

병동에서 소독 후 기송관을 통해, 진단검사의학과로 오는 병동 검체들 ]

2. 응급실과 외래 코로나 환자 검체 (패싱 박스)

응급실 기송관이 음압실에 위치하고 있어 응급실과 코로나 외래는 기송관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원내에서는 안전을 위하여 패

싱 박스를 운영하고 있다. 검체가 있다고 유선으로 연락이 오면, 보호구를 입고 패싱박스에서 검체를 직접 수거하였다

133 [
→ →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정확성은 뛰어나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RT-PCR말고, 정확성은 떨어지지만 빠르게 결과를 볼 수 있는 신속 항원검사가 등장하였다. RT PCR과 동일한 법정 효력을 갖게되면서 중요한 검사로 떠오르게 되었고, 혜민병원은 2022년 2월 4일부 터 RAT 선별진료소 운영을 시작으로 진단검사의학과에서 결과 판독 후 결과 입력 및 SMS 문자 전송을 하고 있다. 또한, 양성자 목록

을 만들어 감염관리실에 수시로 보고하고 있으며, RT PCR 양성자와 중복 보고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신속 항원검사(RAT) 결과 판독 중인 모습 ]

134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패싱 박스에서 검체를 수거하는 모습 ] 2) 코로나 신속항원검사(RAT) 시행
[

[ 신속항원 검사(RAT 검사) 건수 ] [ 코로나 검사건수와 양성건수 ]

3) 검사 건수 추이 본원이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환자

검사항목에서도

135
검사 비고 합계 2022 상반기 하반기 신속항원 검사 (RAT 검사) 검사건수 13,815 11,545 2,270 양성건수 2,653 1,638 1,015 2021년 상반기 (1월~6월) 2022년 상반기 (1월~6월) 환자수 38,176 43,281 검체건수 1,223,556 1,057,058 검사 비고 합계 2020 2021 2022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확진검사 (RT-PCR) 검사건수 7,467 42 709 712 1,234 4,115 655 양성건수 1,525 0 2 2 9 1470 42 취합검사 (pooling test) 검사건수 11,236 0 2,103 3,904 5,201 28 0 양성건수 13 0 0 3 8 2 0 신속항원 검사 (RAT 검사) 검사건수 13,815 0 0 0 0 11,545 2,270 양성건수 2,653 0 0 0 0 1,638 1,015
유형에도 변화가 생겨
조금씩의 변화가 생겼다.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36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2021년 하반기 (7월~10월) 2022년 하반기 (7월~10월) 환자수 26,221 26,213 검체건수 89,0817 1,082,221 [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전후 검사항목별 검사 건수 ] LFT CBC VBGA Cardiac Blood Culture Sputum 2021년 1월 1일 ~ 2021년 6월 30일 21,011 19,719 3,541 2,773 1,394 615 2022년 1월 1일 ~ 2022년 6월 30일 21,156 18,489 5,160 2,490 701 161
137 LFT CBC VBGA Cardiac Blood Culture Sputum 2021년 7월 1일 ~ 2021년 10월 31일 14,949 14,217 2,791 2,217 926 361 2022년 7월 1일 ~ 2022년 10월 31일 19,973 17,048 5,147 3,490 424 109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3. 코로나19 관련 설비

시설 공사 및 시설 보완

병원 외부 및 내부에 코로나19 대응과 치료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시설을 보완하고 시설공사를 진행하였다.

① 2020.12.21.~2021.01.15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① 호흡기 클리닉(컨테이너형) 제작 및 개조 / 내부 칸막이 설치 / 검체 부스 설치 / 냉난방설비 설치 / 음,양압 설비 설치

호흡기 클리닉 조성공사

② 전기, 통신 외부 인입 간선공사

③ 철재문 철거 공사 / 싸인물 설치공사

④ 장애인주차구역 이설공사

② 2021 11 25.~2021 12 06 공

① 구획별 칸막이 설치 및 도배작업.

② 자동문 3개소 및 점검구 설치 작업.

③ NS 데스크 강화유리설치.

본관6층 감염병 전담병동 조성공사

④ 벽체 철거 후 도어설치작업.

⑤ 전기공사.

⑥ 샤워부스 설치 및 설비배관 작업

⑦ 사용하지 않는 공간 가설 목공작업.

① 이동형 음압UNIT 4개소 설치 : 병실 화장실전용2개소, 전실, 탈의실, 제독 샤워실 1개소, 주출입구 전실, 오물처리실 1개소

※ 2021.01.15. 코로나19 호흡기 전담 클리닉 개소

본관 6층 감염병 전담병동 음압설비 공사

② 차압계 3개소 설치.

③ 덕트 설치

④ 병실화장실내 7개소 헤파필터 설치, 전실

※ 2021.11.05.

코로나19 감염병 전담

치료 병상 확보 행정 명령. (본관6층 27병상)

본관6층 일반 병동을 코로나19 감염병 전담치료 병동으로 전환하는 공사

138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외 4개소 헤파 필터 설치. 본관 6층 감염병 전담병동 CCTV 설치공사 ①병실 7개소 설치 복도1개소 및 자동문 입구 1개소 설치 ②DVR 16CH 4TB / 모니터 24인치 NS에 설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③ 2021 12 08.~2021 12 16

거점 전담병원 지정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거점 전담병원 지정 음압설비

① 현장보양 및 철거, SUS 후레임 설치, 강화도어, 방화도어, 강화유리 설치, 난연판넬설치, 벽체조성, 천정 보수, 일부 방수공사, 자동문 설치공사

② 전기공사 및 기계설비 공사

③ 병실 내 전실용 방염자바라 설치

① 이동형 음압 UNIT 40개 , 차압계 17개 , 패스박스 4개, 배기용 헤파필터

박스 58개 설치

② 각 구간별 스파이럴 덕트 및 후렉시블 설치

③ 음압기계실 구성 및 하부 덕트제작 설치

① 적외선카메라 500만화소 88개 설치.

② DVR HD-IP 16CH 4TB 5개 , DVR HD-IP 4CH 4TB 3개설치

③ LG 모니터 21인치 8개 설치

① 현장보양 및 철거, SUS 후레임 설치, 강화도어, 방화도어, 강화유리 설치, 난연판넬설치, 벽체조성, 천정 보수, 자동문 설치공사, X-RAY실 및 CT실 조성공사

② 전기공사(배관, 배선 및 전원 이설)

① 이동형 음압UNIT 6개 , 차압계 4개 , 패스박스 1개 설치

② 각 구간별 스파이럴 덕트, 후렉시블, 원형 디퓨져 설치

③ 음압기계실 구성 및 하부 덕트제작 설치

① 적외선카메라 500만화소 8개 설치.

② DVR HD-IP 16CH 4TB 1개설치 , LG 모니터 21인치 1개설치

④ 2021.12.08.~2022.01.09

혈액 투석실 조성 공사

거점 전담병원 지정에 따른 의료가스 시설공사

① 건축구획공사

② 음압설비공사

③ CCTV설치 공사

① 코로나19 거점 전담 병원 지정에 따른 신관3층, 중환자실 내 구획공사에 따른 콘솔 및 배관 이전 설치 공사.

② 코로나19 전담 중환자실 콘솔 2개 추가설치 및 배관 설치 공사.

③ 코로나19 전담 투석실내 산소 아울렛 14개 설치 및 배관설치 공사.

※ 2021.12.06.

서울시 최초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지정.

일반종합병원을 코로나 19 감염병 전담치료 병원 으로 전환하는 공사.

※ 2021.12.06. 거점 전담병원 지정에 따 른 공사로서 거점 전담병 원 조성공사에 포함되어 공사를 진행함.

139 공 사 명 주요내용 비 고
건축공사
공사
거점 전담병원 지정 CCTV 설치공사
외래진료센터 건축공사 외
외래진료센터 음압설비 공사
외래진료센터 CCTV 설치공사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거점 전담병원 지정

수술실 조성 (건축)공사

① 건축구획공사(구획 및 자동문 설치) ※ 2021.12.06.

① 수술실 2,3번방 음압구성에 따른 후렉시블 및 풍도설치 작업.

거점 전담병원 지정 수술실 음압설비 공사

② 각 구획별 (세척실, 오물처리실, 전실, 탈의실) 음압구성에 따른 후렉시블 설치 및 차압계 4개소 설치.

③ 기존 예비용 음압기 2대를 사용하여, 세척실, 오물 처리실, 전실, 탈의실 음압용으로 사용.

① 코로나19 치료 후 중증환자를 위한 대기병상에 oxygenium, vacuum

거점 전담병원 지정에 따 른 공사로서 거점 전담병 원 조성공사에 포함되어 공사를 진행함.

신관 5층 대기병동 에어 아울렛 설치 공사

외에 air를 공급하기 위함.

② 신관2층 주사실 상부에서 air공급배관을 연결하여 신관5층 10개실에 air공급배관 및 아울렛 설치

① 신관5층 1인 병실 당 1개씩 설치(10개 병실)

※코로나19치료 후 중중 환자의 대기병상을 조성

신관 5층 대기병동 CCTV 설치공사

②신관 5층 NS에 NVR 16CH 4TB / 모니터 21인치 설치

③ 본관6층 NS와 네트워크 구성(본관 6층 NS에서 모니터링)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 공사

① 행정동 1층 주차장 일부에 난연 샌드위치 판넬 구획, 방화문 설치, 접수 수납, 검사 후 확인실내 아크릴 월 설치 및 진료실내 글러브 월 설치.

② 전기공사, 통신공사

③ 진료실내 이동형 음압기 2대 설치

④ 양방향 마이크 4개 설치

※코로나19의 감염여부를

신속 확인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외래진료센터 진료실 구성

140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대기병상 환자 상태 모니터링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공사 (추가구성) ① 본관1층 코로나19 외래 진료센터 내 진료실 추가구성 ② SUS 후레임 및 강화유리 설치 및 글러브 월 설치 ③ 기존 도어 확인 및 하단 음압배기 덕트 보완작업 ④ 양방향 마이크 1개 설치 ※외래진료센터의 원활한 진료 ⑤ 2022 01 03.~2022 01 08 ⑥ 2022.01.17~2022.02.02 ⑦ 2022.02.11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⑧ 2022 02 20.~2022 02 22

① 기 설치된 신속항원검사소의 구획변경 (PCR검사소 추가 구성 및 접수, 수납 위치 변경)

② 전기공사 (전등, 전열콘센트, 전화배관, 배선, 기구취부)

③ 난연 샌드위치 판넬 구획 및 추가 설치, 방화문 추가 설치, 글러브-월 추가 설치 외

④ 양방향 마이크 1개소 추가설치

⑨ 2022.03.08

※신속항원검사의 원활한 검사와 PCR검사 병행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 원무접수 창구 추가 구성 공사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 천막 가림막 설치

① 본관1층 코로나19 외래

재사용)

※외래진료센터 주간, 야간 업무의 효율성 증진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 접수, 수납창구

추가구성 작업 외

신관 5층 차단벽 설치 공사

① 행정동 1층 주차장 일부장소에 천막, 투명 비닐 재질로 측면 가림막 설치.

(검사 후 대기 공간)

② 기존 보관하던 천막 2동 측면부에 천막, 투명비닐 재질로 가림막 설치.

(검사 전 대기 공간)

① 기존 난연 샌드위치 판넬 타공 작업 및 몰딩작업 ② 접수, 수납 창구 전면 넥산 시공 및 실사 작업 ③ 신속항원검사소 진료1, 2, 검사 후 대기소 입구 상부 캐노피 제작, 설치

① 신관 5층 승강기, 비상계단 전면 측에 차단벽설치 작업. (난연 판넬 75T 및 방화도어 설치)

② 신관5층 기존 복도 차단벽 철거 작업.

※코로나19 검사 대기자의 편의성

※신속항원검사소의 원활 접수, 수납, 확인

※코로나19 29병상 확충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신관 5층 차압계전원

② 신관5층 차압계 전원 배관, 배선 및 콘센트 설치

③ 신관5층 출입통제 전원 배관, 배선 및 랜 케이블 포설

※코로나19 29병상 확충

141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 구획변경 공사
진료센터의 원무접수 창구를 추가 구성함. ② SUS 후레임 및 강화유리 설치. (철거되는 강화유리 일부구간
외 설치공사 ① 코로나19 병상 추가에 따른 신관5층 각 병실별 음압확인 차압계 설치 및 출입통제 구성.
⑪ 2022.03.26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⑩ 2022.03.15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⑫ 2022.04.21 공

본관1층 외래 진료센터 내 암막커튼 설치

⑬ 2022.07.06

① 본관1층 코로나19 외래 진료센터 내 코로나19 후유증 클리닉 진료로

초음파 장비사용

② 외래진료센터 내 제2진료실 측(예전 주사실 접수 측)에 커튼레인 설치 (ㄷ자) 후 방염 커튼설치

주 요 내 용 비 고 신속항원 검사소 내부 A/C 설치

① 하계절 무더위로 인한 신속항원 검사소내 검사, 접수, 검체확인 등의 작업 효율저하를 높이기 위함.

② 케리어 냉방전용 인버터 벽걸이형 A/C 2대 설치 -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142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
사 명
고 신관 5층 음압병동 내 병실 화장실 배기FAN UNIT 설치 공사 ① 신관 옥상에 설치 되어있는 기존 3,5층용 병실화장실용 배기FAN은 철거 하고, 헤파 필터가 부착된 배기FAN UNIT를 설치.⑭ 2022.08.11.~2022.08.18 공 사 명 주 요 내 용 비 고 신관5층 음압병동 병실 내 CC카메라 추가 설치공사 ① 신관5층 1인 병실 CC카메라 1개씩 2개 병실 설치 및 5인 병실 CC카메라 2개씩 2개 병실 설치 (총 6개추가설치) ② 본관5층 NS와 네트워크 구성 (본관 5층 NS에서 모니터링)⑮ 2022.08.12.~2022.08.13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4. 코로나19 관련 구매

감염관리/린넨류

간호복/환의/입원백 ] - 구매관리

2021년 12월 6일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 개시에 따라 린넨류의 감염관리에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코로나 환자가 입었던 환의와 시

트 등을 소독액을 뿌려서 밀봉하여 2일간 보관했다가 반출하여 세탁 용역 업체로 보내는 것이 원칙이나, 밀려드는 환자에 세탁물을 보

관하고 있을 장소도 부족했고, 소독되었다고는 하지만 옮기는 인력, 통로 등 과정이 용이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외부 용역 업체에서 세 탁 시 발생되는 문제 등 감염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여러 번의 회의를 거쳐 린넨류를 일회용 제품으로 입원백에 같이 넣어 사용하고 퇴원 시 폐기하는 것으로 결정하였고, 이로써 린넨류

로 인한 2차 감염관리 부분은 해소되었다. 코로나 환자 접점 부서의 근무복은 몸에 붙지 않고 활동하기 편한 옷감으로 약 2,000벌을

제작하여 수시로 교체 착용하여 감염으로부터 조금 더 안전할 수 있게 하였다.

의료기기 / 진료재료

입원백 근무복② 환의, 침대시트, 베겟잇 등

2021년 11월 5일 감염병전담병원 전담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이 내려진 후, 본원의 장비를 포함하여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서 부족 한 장비와 수량을 의료진과 부서 실무자와 논의 하였다. 질병관리본부에서 현물지원받은 이송용 음압캐리어 5대, HIGH FLOW 45대, Ventilator 1대를 부서에 적절히 배치 하였고, 특히 감염병 병동은 간호스테이션과 격리되어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의료진들의 업무 효율 성을 위해 베드 수에 맞추어 센트랄모니터 LAN CABLE 공사를 진행하였다.

2021년 12월 6일 병원 전체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중증 40병상, 준·중증 72병상, 중등증 102병상에 맞춰 전 병동 Central Monitoring system을 갖추었고, Ventilator 22대, Patient Monitor 74대, Pulse Oximeter 17대, High Flow 59대, Infusion Pump 52대, Mobile X-Ray 2대, 심전도기 4대, 제세동기 4대, Vital sign 장비 4대, 기계식 압박장치 2대, Video Laryngoscope 4대, 이동형 간호스테이션 6개, 체온측정 손소독장비 10대, 개인용 Pulse Oximetor 51개, 고막체온계 132개, 손목형 혈압계 132개, Ambu Bag 16대, 리트만청진기 11개, 디지털 체중계 4대, 산소통캐리어 22대 등의 장비를 배치하였다.

143
[
[
] 근무복①
린넨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2021년 12월 27일 외래치료센터가 15병상 운영 개시됨에 따라 Central Monitoring system, Digital X-Ray 1대, Patient Monitor 5대, 제세동기 1대, Aed 1대, 자동혈압기 1대, 체온 측정 손 소독장비 2대, 기타 의료비품을 배치하여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하였 다. 2022년 1월 10일 코로나 투석실 14병상이 운영개시됨에 따라 그에 필요한 장비 인공신장기 14대, Aed 1대, Patient Monitor 2 대, Infusion Pump 2대, Pulse Oximeter 2대, 심전도기 1대, 휠체어체중계 1대, 체온 측정 손소독장비 2대, Central monitoring system을 갖추고 기타 의료비품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하였다. 구매관리과는 약 3개월에 걸쳐 우리 병원이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확진자 외래치료센터, 코로나 투석실을 운영하는데 차질이 없도록 운영 개시 전에 모든 장비들을 입고 완료하였 고, 부족한 장비들은 추후 실무자들과의 협의 후 추가 구매 진행하였다.

144
[
코로나 전담 장비 - 의료기기
] [ 방역물품 및 진료센터 ] 인공호흡기 중대본
지원 방역물품 사용 사례 대인소독장비 코로나 투석실 병동 센트랄모니터 코로나 외래치료센터
145 부서별 장비 구매 목록 ① 의료장비 장비명 ICU 5W 6W 7W 투석실 외래치료센터 영상의학과 합계 AED 1 1 2 DR X-RAY SYSTEM 1 1 HIGH FLOW 17 11 11 11 50 Infusion pump 20 10 10 10 2 52 Mobile X-RAY SYSTEM 2 2 Pulse oximeter 5 5 5 2 17 Ventilator 13 1 1 1 16 Video Laryngoscope 1 1 1 1 4 Vital Sign Monitor 1 1 1 1 4 기계식 가슴 압박 장치 1 1 2 스트레쳐 및 휠체어 체중계 1 1 심전도기 1 1 1 1 1 5 이동형 초음파진단기 1 1 이송용 음압캐리어 1 1 2 1 5 인공신장기 14 14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1 1 제세동기 1 1 1 1 4 EtCO2측정기 5 5 환자감시모니터 22 30 20 2 74 센트랄모니터 2 2 1 5 자동혈압계 1 1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2021.11.20. 수건

- 장소 : 본원 전체

- 코로나 바이러스 전문 소독액 입고

- 장소 : 코로나 병동

- 코로나 전용 수건 입고 (2000장)

직원 근무복 - 장소 : 코로나 병동 - 코로나 전용 병동 직원 근무복 입고 (2000벌)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2021.11.25.

이송용 음압캐리어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질병관리본부 현물지원 장비

2021.11.30. Pulse oximeter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를 위한 산소 포화도 측정장비 5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146 ② 의료비품 장비명 ICU 5W 6W 7W 투석실 외래치료센 터 영상의학과 합계 이동형 간호스테이션 2 2 2 6 손목형 혈압계 44 44 44 2 134 고막체온계 44 44 44 132 개인용 Pulse oximeter 15 20 16 51 체온측정+손소독 장비 4 2 2 2 2 2 14 리트만청진기 2 2 2 2 2 1 11 체중계(카스) 1 1 1 1 4 산소통캐리어 8 6 8 22 AMBU BAG 5 3 3 3 1 1 16 이동식 가림막(2단, 3단) 4 2 4 10 O2게이지 10 10 10 10 40 일자별 코로나 장비 및 비품 구매 현황 일자 물품/공사명 주요내용 비고 2020.08.24. 열감지체크기 - 장소 : 본원 출입문 - 대한중소병원협회 공동구매를 통한 장비 도입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2020.09.02. 닥터솔루션

2021.12.01.

HIGH FLOW

Infusion pump

Mobile X-ray system

Video Laryngoscope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를 위한 HIGH FLOW 5대 구매 / 1대 현물지원 (질병관리본부)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를 위한 인퓨전펌프 5대 구매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 전용 이동형 X-RAY SYSTEM 1대 구매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 전용 라링고스콥 1대 구매

환의, 시트 등 - 장소 : 코로나 병동

- 일회용 침대시트, 베게잇, 환의 입고

심전도기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2021.12.02.

2021.12.03

2021.12.06.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 감염병 환자 전용 심전도기 1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제세동기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 전용 제세동기 1대 구매

방역물품 - 장소 : 본원 전체

- 코로나 방역물품 입고 (중앙방역대책본부 자원지원팀)

통신 공사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 LAN CABLE 사용 장비를 위한 병동 통신 공사 실시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환자감시모니터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5대 구매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2021.12.07. HIGH FLOW

2021.12.10. Ventilator

AED

- 감염병 환자를 위한 고유량 산소치료기 1대 현물지원 (질병관리본부)

- 장소 : 감염병 전담 병동

- 감염병 환자를 위한 인공호흡기 1대 구매

- 장소 : 외래치료센터,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AED 2대 구매

- 장소 : 심장내과

2021.12.20.

심초음파진단기

이동형 초음 파진단기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초음파진단기 1대 구매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이동형초음파진단기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147
1대 구매 2021.12.21. Video Laryngoscope - 장소 : 본관 5,7층 병동 - 코로나 환자를 위한 라링고스콥 2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자동혈압계 - 장소 : 외래치료센터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자동혈압계 1대 구매 2021.12.22. Pulse oximeter - 장소 : 본관 5,7층 병동,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산소 포화도 측정장비 12대 구매
: 최순아
담당
차장 김현우 주임
전산화단층촬영 장치 (CT) - 장소 : 영상의학과 - 코로나 환자를 위한 CT 1대 구매
이송용 음압캐리어 - 장소 : 본관 5,7층, 신관 6층 병동, 중환자실, 응급차량 - 현물지원 장비 (질병관리본부)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DR X-RAY SYSTEM

- 장소 : 외래치료센터

- 코로나 환자를 위한 DR X-RAY SYSTEM 1대 구매

HIGH FLOW 장소 : 본관 5,6층 병동,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고유량 산소치료기 20대 현물지원 (질병관리본부)

- 장소 : 본관 5,6,7층 병동, 중환자실, 코로나 투석실

2021.12.23.

Infusion pump

Vital Sign Monitor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인퓨전펌프 37대 구매

- 장소 : 본관 5,6,7층 병동,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Vital Sign Monitor 37대 구매

심전도기 - 장소 : 본관 5,7층 병동,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 전용 심전도기 3대 구매

제세동기 - 장소 : 본관 5,7층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제세동기 2대 구매

- 장소 : 본관 6층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추가 5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2021.12.24.

환자감시모니터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22대 구매

통신 공사 - 장소 : 중환자실, 본관 5,7층 병동

Ventilator - 장소 : 본관 5,7층 병동, 중환자실

- LAN CABLE 사용 장비를 위한 병동 통신 공사 실시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인공호흡기 13대 구매 / 1대 현물지원 (질병관리본부)

- 장소 : 코로나 투석실

2021.12.26. 심전도기

2021.12.27.

2021.12.28.

2021.12.30.

- 코로나 환자 전용 심전도기 1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환자감시모니터

EtCO2 측정기

체중계

대인소독장비

침대모니터

CABLE 시공

2022.01.03. 인공신장기

2022.01.07. HIGH FLOW

통신 공사

장소 : 본관 5층 병동,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29대 구매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 전용 기계식가슴압박장치 1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 전용 EtCO2 측정기 5대 구매

- 장소 :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환자 전용 체중계 1대 구매

- 장소 : 정문, 후문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 출입 관리를 위한 대인 소독 장비 2대 구매 담당 : 최순아 차장

- 장소 :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투석 환자를 위한 침대 모니터 CABLE 공사 실시

- 장소 : 코로나 투석실 - 코로나 환자 전용 인공신장기 14대 구매

장소 : 본관 5,6,7층 병동,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고유량 산소치료기 20대 현물지원

장소 : 외래치료센터 - LAN CABLE 사용 장비를 위한 병동 통신 공사 실시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148
기계식 가슴압박장치
휠체어
스트레쳐 및
-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022.01.10. 통신 공사

2022.01.11. 환자감시모니터

2022.01.13. Infusion pump

2022.01.17. 제세동기

2022.01.21. 환자감시모니터

2022.01.24. Video Laryngoscope

2022.01.25. Mobile X-ray system

- 장소 : 6층 병동

- LAN CABLE 사용 장비를 위한 병동 통신 공사 실시

- 장소 : 본관 5층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추가 3대 구매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인퓨전펌프 추가 10대 구매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제세동기 1대 구매

- 장소 : 본관 6층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환자감시모니터 추가 10대 구매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라링고스콥 1대 구매

- 장소 : 코로나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이동형 X-RAY SYSTEM 1대 구매

2022.01.27. 기계식 가슴압박장치 - 장소 : 본관 5층 병동

- 코로나 환자 전용 기계식가슴압박장치 1대 구매

- 장소 : 본관 5,6,7층 병동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2022.03.31.

HIGH FLOW

- 코로나 환자를 위한 고유량 산소치료기 3대 현물지원 담당 : 최순아 차장 김현우 주임 Ventilator - 장소 : 중환자실

- 코로나 환자를 위한 인공호흡기 추가 2대 구매

2021.12.03.

~ 2023.04.06.

방역물품

- 장소 : 본원 전체

- 중앙방역대책본부 자원지원팀 방역물품 매월 1회 입고

담당 : 최순아 차장 서정원 팀장

김현우 주임

149
150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전담병동별 의료장비 및 의료비품 비치 현황 ① 의료장비 장비명 ICU 5W 6W 7W 투석실 외래치료센터 영상의학과 합계 AED 1 1 2 DR X-RAY SYSTEM 1 2 3 HIGH FLOW 22 12 13 13 60 Infusion pump 45 15 15 15 2 92 Mobile X-RAY SYSTEM 2 2 4 Pulse oximeter 3 7 7 7 2 26 Ventilator 22 1 2 1 26 Video Laryngoscope 3 1 1 1 6 Vital Sign Monitor 1 1 1 1 4 기계식 가슴 압박 장치 1 1 2 스트레쳐 및 휠체어 체중계 1 1 심전도기 1 1 1 1 1 5 이동형 초음파진단기 1 1 이송용 음압캐리어 1 1 2 1 5 인공신장기 14 14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2 2 제세동기 1 1 1 1 4 EtCO2측정기 5 5 환자감시모니터 22 30 30 30 2 114 센트랄모니터 2 2 1 1 1 7 자동혈압계 2 2 3 2 1 10
151 ② 의료비품 장비명 ICU 5W 6W 7W 투석실 외래치료센터 영상의학과 합계 이동형 간호스테이션 2 2 2 6 손목형 혈압계 44 44 44 2 134 고막체온계 44 44 44 132 개인용 Pulse oximeter 15 20 16 51 체온측정+손소독 장비 4 2 2 2 2 2 14 리트만청진기 2 2 2 2 2 1 11 체중계(카스) 1 1 1 1 4 산소통캐리어 8 6 8 22 AMBU BAG 5 3 3 3 1 1 16 이동식 가림막(2단, 3단) 4 2 4 10 Wall Suction Unit 15 30 32 30 107 O2게이지 24 49 54 51 14 192 [ 코로나 거점 병동별 의료장비 설치 현황 ] 중환자실 투석실 병동 외래치료센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중앙방역대책본부 방역물품 지원

각종 방역 물품(PAPR, 후드, PAPR 배터리, 필터, 튜브, 레벨D 보호복, 수술가운, 덧신, 페이스쉴드, 고글, 글러브, 헤어캡 등)이 매월

1회 약 10톤 가량 입고되어 각 부서로 불출되었다. 처음엔 30톤 가량이 입고되어 많은 부서에 도움을 받았으나, 이후에는 부족 물품

만 주문만으로도 5~10톤 가량의 물품이 공급되어 부서원들의 역량으로 처리하였다.

152 [ 방역물품
구분 호흡보호 전신보호 손보호 안면보호 N95 레벨D 보호복 긴팔가운 헤어캡 덧신 비닐가운 장갑 고글 페이스 쉴드 2월 25,000 25,000 25,000 25,000 14,000 25,000 28,000 35,000 15,000 3월 3,000 5,000 - - 3,000 - 30,000 -4월 3,000 5,000 - - 3,000 - 30,000 -5월 8,000 - 5,000 12,000 5,000 15,000 30,000 - 5,000 6월 5,000 - 2,000 12,000 - 15,000 30,000 - 5,000 7월 5,000 - - 12,000 - 15,000 30,000 - 10,000 8월 5,000 - - - - - 30,000 - 10,000 9월 5,000 - 10,000 12,000 - - 40,000 - 10,000 10월 5,000 - 5,000 12,000 - - 40,000 - 5,000 11월 5,000 - 5,000 12,000 - - 40,000 - 5,000 합계 69,000 35,000 52,000 97,000 25,000 70,000 328,000 35,000 65,000 구분 PAPR 세트 후드 필터 튜브 튜브커버 배터리 1월 45 150 230 90 450 50 2월 - - - - -3월 - 1020 510 205 1020 50 4월 10 1320 660 265 1700 10 5월 30 1900 - - 1900 90 합계 85 4,390 1,400 560 5,070 200
입고수량 ]
153 [
방역물품 촬영사진
]
방역물품 입고 차량 방역물품 보관실1 지게차 도움으로 방역물품 출하 방역물품 보관실2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5. 코로나19 주사치료제 및 약제 관리

혜민병원 코로나백신 접종

2021.03. ~ 2021.12. 아스트라 제네카코비드-19백신 접종

2021.06. ~ 2021.12. 모더나스파이크박스주 접종

2021.07. ~ 현재 화이자 코미나티주 접종

2022.05. ~ 현재 노바백스 뉴백소비드프리필드시린지 접종

2022.10. ~ 현재 모더나 BA.1 2가백신 접종 (동절기접종)

백신 관리

1) 백신 보관 사전준비

➀ 백신보관 장비의 설치

2021년 6월 의약품 보관용으로 허가받은 냉장고(잠금장치 보유)를 구입하였다. 연속 자동온도기록장치 및 디지털온도계를 설 치하였으며 자동온도기록장치는 1분마다 자동으로 온도를 기록하고 있다. 적정온도는 2~8℃로 냉장고 온도의 자연변동 범위 를 고려하여 기본 5℃로 설정, ±3℃의 범위 내에서 온도가 관리되도록 조치하였다.

② 백신 보관 장비 보관소 관리 보관소의 온‧습도를 매일 측정하여, 적정 온습도를 유지하였다. 간절기 25도 미만 온도유지를 위하여, 2022년 벽걸이형 에어

컨 2대를 추가공사하였고, 제습기를 가동하여 1일 3회 제습 환경을 점검하였다. 또한 정전 등 비상상황에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시설과에서 정비하였다.

2) 백신관리 담당자의 지정 및 백신관리업무

- 백신관리 담당자(약사 홍주희)를 지정하여 백신의 보관‧취급‧접종 등을 관리하였으며 백신관리 담당자 부재 시 업무 대행자 2인 (약사 김영희, 사원 이선아)을 지정하여 백신관리에 공백이 없도록 하였다. 백신의 보관과 취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매뉴얼로 작성하여 비상상황 발생에 사전대비하였다.

- 백신관리 담당자는 백신, 희석액의 보관 온도・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백신 주문, 백신 입고 시 검수 및 입고 후 관리 업무를 담당 하였다. 일 3회 이상 백신보관 장비의 정상 작동 상태 확인하였으며, 2~8도 적정온도 유지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백신 보관 장 비에 연계된 비상 상황 알림시스템 작동 상태를 수시로 확인, 온도기록장치 모바일앱(PUSH 알림)을 백신관리 담당자 포함 3인 (홍주희, 김영희, 이선아)에 설치 후 정상작동 여부 확인하였다. 야간(오후 10시~오전 8시)에는 시설과에서 약제과 내 백신 보관 장비를 1일 2회 점검하여, 야간의 온도 일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154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 백신 유효기간 관리를 위해 1일 1회 재고 확인을 하였다. 입출고시마다 [입출고 관리대장] 및 [백신보관 관리대장]을 작성하고, 재고의 유효기간 별 재고를 매일 확인하여 선입 선출로 출고되도록 하였다.

- 백신 발주는 [예방접종등록시스템]에서 예약자 현황을 파악하여 [예방접종등록시스템]의 [백신요청관리]에서 요청하였다. 백신 사업 초기에는 이메일 등으로 입고요청을 하였으나, 점차 시스템이 구축되어 전산으로 진행되었다.

- 백신 관리 담당자는 백신 보관 및 취급일지(백신 입고일시, 수량, 인계인수자 이름 및 시간, 백신 상태(도착당시 용기 온도, 백신 손상 여부 등), 백신명, 백신 제조번호, 유효기간 등)를 작성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였다. [생물학적제제출하증명서]로 확인하여, 2년간 보관한다.

백신 보관 관리 대장

코로나19 백신 관리 대장 ] [ 생물학적제제 출하증명서 ]

155
[
[
코로나19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자동・수동 온도기록 관리를 실시하였다. 백신관리 담당자는 [자동온도기록장치의 자동온도 기록지], [디지털온도계의 온도기록] 등으로 확인한 온도기록을 24개월간 보관한다.

- 백신관리 담당자는 자동온도기록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대비를 위해 매일 육안으로 1일 2회 이상 온도를 확인하여 온도기록지를 작성・관리하였다. (평일: 홍주희, 김영희, 주말: 이남희)

자동온도기록장치 온도측정

- 백신관리 담당자는 백신상태를 확인한 후 적정 온도로 설정된 백신 보관 장비에 넣고, 백신의 입고 관련 일지를 작성하여 보관하 였다.

- 백신 정기배송 외에 부족한 백신을 수령하거나, 유효기간이 임박한 백신을 반납하는 경우, 약제과에서 직접 광진구 보건소에 방문 하여 백신을 수송을 하였다. 자리를 비우기 어려운 백신 관리 담당자 대신, 백신 수송 위임장 및 신분증을 가지고 보건소에 대리인 (정: 이선아, 부: 이다은)이 방문하였다. 이때, 콜드체인 유지가 매우 중요하였는데, 냉동 아이스팩 및 보냉백으로 2~8도로 유지된 아이스박스에, 내부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온도계를 부착하여 백신을 수송하였다. 이때에도 백신 보관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박스 내 냉매와 백신의 직접 접촉하지 않아야 했으므로 대리인을 지정하여 교육을 진행하였다. 또한 병 원과 보건소 이동시간을 최소화하여, 백신 품질에 영향이 없도록 해야 했다. 고동환 기사님의 협조로 구급차로 최단시간에 백신을 수송할 수 있었다.

156
[
] [
자동온도기록지
]
157 [
] [
[
백신온도관리대장
코로나19백신 입고기록지 ]
코로나19백신 수송 위임장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백신 보관 장비에 백신 및 희석액은 명확히 라벨을 부착하여 보관하였다. 기존 코로나 백신에 더해, 동절기 접종을 위한 2가 백신과 인플루엔자 백신이 추가 입고되어 분리 보관 및 불출에 철저를 기하였다. 라벨링 및 분리박스 제작은 성예슬, 이다은 직원이 맡았다.

- 투여 시점까지 최초 포장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하고 동일한 종류의 백신은 가능한 같은 위치에 보관하고 유효기한이 임박한 백신을 먼저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 [백신 보관관리 일일 체크리스트]를 매일 접종 전에 점검 후 작성하고, 2년간 보관하고 있다. (평일: 홍주희, 김영희, 주말: 이남희)

백신보관냉장고 외부 라벨링 ]

백신보관냉장고 내부 백신별 분리보관 ]

백신보관 관리 일일 체크리스트 ]

158
[
[
[

치료제 관리

2021년 12월 셀트리온 사의 단일클론항체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주(레그단비맙)’와, 길리어드 사의 항바이러스 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 주(렘데시비르)’가 원내 입고되었다. 유통사에 공급요청서를 12시 전에 이메일로 발주, 익일 도착하는 방식으 로 무상 공급되었다. ‘렉키로나 주’는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활성을 보일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되어 2022년 2월까지 사용 후 처 방 중단되었다.

이후 2022년 1월에는 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니르마트렐비르/리토나비르)가, 이어서 3월에는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가 사용승인을 받으면서 입고되었다. 혜민병원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서 초도물량을 공급받아 처방이 가능하게 되었다. 공급물량 은 ‘보건의료위기대응시스템’의 ‘재고관리시스템’에 입고입력, 사용량은 매일 18시 기준으로 입력하여 재고관리를 하였으며, 입력한 재고에 따라 ‘보건의료위기대응시스템’에 수요량을 입력하면 유통업체에서 공급량을 확정하여 익일배송되었다. 코로나 19 치료제는 최초 승인 시 보다 투여가능 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점차 많은 환자에게 처방되고 있다.

2021. 12 ~ 2022. 02 렉키로나

2021. 12 ~ 현재 베클루리

2022. 01 ~ 현재 팍스로비드

2022. 03 ~ 현재 라게브리오

원내약국에서는 무상으로 공급받는 코로나 치료제 관리를 철저히 하였다. 입고부터 투약까지 복잡한 절차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치료제 불출 시에는 반드시 [코로나 치료제 입출고관리대장]을 수기 작성하고 출고 전후 재고를 확인하였으며, 1일 1회 총재고 량을 확인하여 조제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선아, 성예슬, 박현지, 윤나라, 이다은 직원이 입출고관리대장 작성을 맡 아주었고, 출고시에도 불출자와 수령자 2인이 확인하였다.

159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1 - - - - - - - - - - - 217 2022 816 2052 3071 2226 733 465 2384 3679 3142 2380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1 - - - - - - - - - - - 198 2022 300 129 - - - - - - - -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2 - - - 1 - - 2 9 5 ① 베클루리 주 (렘데시비르 0.1g) ② 렉키로나주 (레그단비맙 0.96g) ③ 팍스로비드 (니르마트렐비르/리토나비르) 단위 : Vial 단위 : Vial 단위 : Box
[ 코로나19치료제
원내사용현황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60 연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22 - - 2 16 3 3 12 29 30 37
[ 코로나19치료제
④ 라게브리오 (몰누피라비르) 단위 : Box 입출고관리대장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2-6. 코로나19 영양 (환자 및 직원 식사 관리)

운영개요

급식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온 COVID-19는 먼저 영양실 전 직원의 급식 관리에 대한 변화를 인지하게 했고, 급식 준비 시작부터 배식까지 모든 체계를 재점검하게 하였다.

- 2020년 1월 20일 최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감염 예방을 위한 신속한 대응으로 직원 식당에 아크릴 칸막이를 설치하고 식탁에 대각선으로 앉게 하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이어서 감염을 줄이기 위해 직원 중식 시간 을 1시간 10분 연장하였다.

- 2020년 8월 31일 첫 원내 환자 발생 이후, 2020년 9월 2일 본관 5병동에서의 14일간의 코호트 격리 조치를 시작으로 일회용 용기에 직원 식사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 2020년 12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본관 6병동의 코호트 격리부터는 이전보다 정비된 급식 운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 2021년 12월 6일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써 운영을 개시(본관 6병동, 중등증 27병상)한 이후 21년 12월 27일 전체 거점 전담병 원 운영 개시와 더불어 총 185병상의 감염성 질환 환자 급식과 직원 급식을 점차적으로 제공하게 되었다.

- 22년 5월 1일 소아청소년과 신설로 소아 확진자 입원치료와 소아 환자식을 제공하게 되었다.

161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환자 급식 관리

1) 감염관리

- 급식, 영양관리 중 COVID-19 상황에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은 감염관리 부분으로 코로나 입원 환자에게 제공될 식사는 모두 일회용 용기에 지급하였다.

- 그 과정으로 감염예방과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먼저 일회용 용기 식사 배식에 용이한 작업대를 제작 및 비치하였다. 더불어 3.4단 스테인리스 트레이를 구비하여 환자 식사를 청결구역까지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하였다. - 일반 환자는 직사각형의 일회용 도시락 용기에 식사를 제공했으며, 치료식 환자와 죽/미음 환자는 원형의 일회용 용기에 밥, 국, 반찬을 개별로 포장하여 일회용 수저세트와 함께 제공하였다. 또한 일회용 용기의 이물질 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2) 환자관리

- 미각을 상실함과 동시에 입맛을 잃는 경우가 대부분인 환자들의 입맛과 식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식단과 조리법을 연구 하여 식사를 제공하였다.

- 적온 배식의 어려움이 무엇보다도 커서 밥과 국을 미리 준비하여 온장고에 보관 후 배식하였다. 입원 환자의 과반수가 소화력이 약한 고령 환자로 찌기, 삶기 등의 조리법을 활용한 식사를 제공하였다.

- 소아환자에게 어린이 맞춤 간식을 제공하여 식사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충분한 영양소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도 시락에 쾌유를 기원하는 메모를 덧붙여 응원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162
[ 작업대 ] [ 3,4단 스테인리스
모습 ]
트레이와 활용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직원 급식 관리

- 직원 간의 감염 예방을 위해, 가장 먼저 원내 식당의 모든 식탁에 아크릴 칸막이를 설치하여 대각선으로 앉아 식사하도록 하였다.

- 식당 입구와 출구를 구분하였고, 음용수 사용을 전면 중지하여 직원 간의 직. 간접적 접촉을 최소화하였다.

- 식당 입구에 손 소독제와 일회용 장갑을 비치하였으며, 식사 시 대화 자제와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바닥에 표시를 하여 간격 을 두고 배식하도록 하였다.

- 12시부터 2시까지 (2시간)의 중식시간을 11시 20분부터 14:30분 (3시간 10분)으로 연장하였고, 각 부서별로 점심시간을 지정해 직원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하였다.

- 코로나19의 원내 확산 방지를 위해 옥상에 야외 식당을 마련하여 코로나 증상으로 의심되는 직원,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직원에게 이용토록 하였다.

- 코로나 확진 7일 후 격리 해제된 직원에겐 3일 동안 일회용 도시락을 지급해 병동에서 따로 식사하게 하였다.

- 평일 14시 40분, 주말 9시에 식당, 홀, 영양실, 조리원 휴게실 및 화장실에 코로나 방역소독을 실시하였고, 실내 식당은 식사시간 전 후로 출입구와 모든 창문을 지속적으로 개방하여 맞통풍이 일어나도록 환기하였다.

163 [
[
]
일반식 환자용 일회용 도시락 ]
치료식 환자용 일회용 도시락
- 영양실 직원들의 자발적 체온 측정으로 37.5℃ 이상일 때 즉시 영양사에게 보고하였고, COVID-19 신속항원검사 후 결과가 나오 기 전까지 격리조치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식재료 배송기사의 발열 및 건강 상태도 체크하여 식당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였다.
감염관리
1)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2) 직원관리

- 한 달에 1회 이상 한식, 중식, 양식, 육류 일품요리 중 선호도 높은 메뉴와 후식을 제공하여 지속되는 팬데믹으로 지쳐있는 직원 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직원 식단에 변화를 주기 위해 직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메뉴를 조사하고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여 식단에 반영하였으며, 커피 머신기를 설치하고 사내에 작은 카페를 조성하여 지쳐있는 직원들의 휴식 공간을 마련하였다.

[ 아크릴 칸막이와 대각선으로 식사하는 직원들의 모습 ]

입구와 출구를 구분

식당 입구에 손소독제 비치

식당에 일회용 장갑 비치 ]

164
[
] [
] [
[
음용수 사용을 금지함 ]
165 [ 코로나 예방수칙을 부착하여 자발적 방역 유도 ]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 식당 바닥에 부착된 사회적 거리두기 유도 스티커 ] [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행하며 배식하는 직원들 ] [ 방역소독 실시 ]
166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미니
] [ 함께한 사람들 ]
영양실장(김효덕), 영양실계장(장세리), 신입영양사(박효영) 3명의 영양사와 조리장(변경임), 조리사(김재준)와 14명의 조리원이 환우 분들의 회복과 직원들의 유일한 휴식시간인 즐거운 식사 시간을 위해 한 마음으로 뭉쳐 최선을 다 한 시간이었습니다.
카페

2-7. 미화 오염 폐기물 처리

167
관리사 정보 조직도 회사명 관리자 연락처 주식회사 정인비티엠 정인비티엠 대표이사 및 현장관리자 김순식 소장 Tel. 02-832-0095 Fax. 02-832-0096 미화(남자) 근로자 (4명) • 의료 폐기물 관리 • 린넨 관리 • 소독 및 방역 미화(여자) 근로자 (11명) • 의료 폐기물 관리 • 린넨 관리 • 청소 일상관리 • 관리구역 소독 대표이사 02-832-0095 김순식 관리소장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조직관리

① 감염 확산에 대한 예방으로 근로자 휴식, 식사 등 공간과 시간을 분리해 운영.

② 레벨D 복장 착용에 대한 주의와 착용법을 교육함

③ 개인 위생 및 건강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건강관리 실시

④ 이상 반응이 있을 경우 자체격리와 이상 유, 무 확인 후 업무복귀

⑤ 업무지시 및 감독에 용이 토록 본사와 공통 SNS 운영으로 업무에 목적과 주의사항 관리에 대한 상세내역 전달

1. 일반구역: 일반구역이라함은 외래 및 검진센타 등에 코로나19 전담과 구분된 구역을 말한다.

- 일상관리 [일반적인 업무를 통칭해서 구분함]

- 제한구역외 전 구역 대청소 왁스작업 및 기타 정기청소

- 쓰레기 수거 및 분리

- 의료 폐기물 반, 출입관리

- 외곽관리 및 청소

2. 코로나19 제한구역 (음압병동관리)

- 청소 준비에 필요한 사전작업 확인

- 레벨 D 복장 착용에 대한 철저한 감독

- 의료 폐기물관리(24시간 내 의료폐기물 차량으로 옮겨 반출되는 과정)

- 내, 외부 소독 및 방역작업 실시(일 3회를 목적으로함)

- 병동 일반관리

* 청소시간 2시간마다 30분 이상 충분한 휴식시간 부여

* 일상관리 청소는 간소화하고 오염물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소독을 목적으로함

* 경계구역내 물건 반, 출입에 대한 감염관리

* 의료 폐기물을 포함한 물건 반, 출입 시 지정된 소독약으로 철저히 소독

* 반, 출입 시 안전관리에 필요한 피복 및 개인소독 철저히 준수

* 반출되는 물건에 대한 이동 경로 철저히 소독 및 관리

* 의료 폐기물을 제외한 물건에 대한 분리작업 철저히 관리

- 병동 청소작업

* 오전 오후로 구분해 청소 한다

* 청소 시간은 2시간 마다 휴식을 부여한다.

* 청소시 쓰레기 및 기타 오물로 외부에 재 감염되지 않토록한다.

* 청소에 필요한 물품은 사전에 락스를 희석한 물에 세척 후 사용한다.

* 환기 등에 작업이 어려움을 감안해 먼지를 최소한 작업으로 진행한다.

* 의료 폐기물 및 반출 될 물건은 수거 후 바닥 작업을 진행하고, 바닥 작업 후 새로운 용기를 배치한다.

168
구역별 코로나19 음압병동 관리범위
[미화부 주요 업무 내용]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 문 손잡이 등 감염된 사람에 손이 닫는곳 어디든지 소독을한다.

* 환자의 용변에 의한 안전관리를 위해 락스를 사용해 청소한다.

* 환자가 퇴실할 경우 바로 입실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락스를 활용한 정밀 청소를 실시한다.

* 간호사 요청이 있을 경우 즉시 청소에 투입 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청소작업 시 베임, 찔림 등 문제가 빈번히 발생됨에 따라, 문제 발생시 소독과 함께 담당 간호사, 미화소장에게 즉시 보고한다.

* 의료 폐기물 반출에 대한 날짜기입, 스티커 부착, 배출자 이름 등 정확한 정보를 기재하고 배출한다.

* 청소에 사용된 오, 폐수를 철저히 분리해 배출한다.

* 청소 전, 후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 및 확인한다.

* 락스에 세척된 용품(손 걸래 및 밀대 걸래)을 여유있게 관리한다.

조직별 코로나19 음압병동 관리범위

1. 미화소장

- 출, 퇴근시 직원들 이상 유, 무 확인 및 기타 조직관리

- 물건 반, 출입 작업지원 및 감독

- 청소용품 감독

- 의료폐기물 운반 및 감독

- 소독작업

- 주 2회 이상 음압병동 관리 상태 확인

2. 미화남자

- 물건 반출 (의료 폐기물, 각종 폐기물) 운반작업

- 출입구 소독작업

- 물건 지원 작업 (린넨, 의료 폐기물, 각종 용기 등등)

- 출입구 청소

3. 미화여자

- 1-2. 작업지침 참고

169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170
[
현장 관리 사진 [ 레벨D 복장 착용법 ] 의료폐기물 운반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기
171 [
] [ 미화 관리
]
코로나19 방역
작업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진료지원

Part 03.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지정감염 관리 활동

172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감염관리 활동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감염관리

감염관리 교육

확진자 입원 시 이동동선 및 입, 퇴원 과정 시뮬레이션 실시 ]

확진자 입원 시 본관1층 정문을 통해 1호기 엘리베이터로 올라와 각층 병실로 입실 하도록 입원병동에서 내려와 안내하고 격리해제

후 퇴원 시는 목욕과 환복 후 본관 2호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신관 후문 쪽으로 나가도록 하였다.

레벨 D 착탈의 교육 ]

거점 전담 병동 오픈 전 직접 투입되는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직종별, 부서별로 나눠 윤관세미나실에서 레벨D 착탈의 교육을 실시, 동

영상 관람 후 직접 실습을 해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파견직원 교육 ]

2021년 12월 6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파견 직원들을 대상으로 병원시스템 소개 및 레벨 D 착탈의 교육을 시행하였다.

음압 캐리어 사용법 교육 ]

코로나 확진자 발생 시 사용하는 음압 캐리어 교육 및 시뮬레이션도 실시하였다.

173
[
[
[
[

바이러스 치료기

[ 코로나19 전담병동 감염관리 ]

2021년 12월 27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이 시작되면서 보호구 착탈의를 준수하면서 시행하는지 모니터링을 실시 하였고, 손위생

모니터링도 진행하였다. 전담병동에서의 직원 확진자 발생 시 근무조당 접촉자들을 확인하여 RAT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확진자 격리

기간은 7일을 지키도록 하였고 확진자 발생 부서 직원들은 식당 이용 시 옥상에 마련된 야외 텐트에서 식사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직

원들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감염병 전파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코로나19거점 전담병동 이동동선 관리

코로나19 전담병동(본관6병동), 의료진 전용 승강기(본관2호기)를 지정하여 일반 병동 및 외래를 이용하는 입원환자 및 직원들의 코

로나19에 대한 노출위험도를 낮춰 감염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전담병동 투입 의료진에 한해서만 전용 승강기 사용 권한을

부여하여 해당 승강기 접근 및 사용에 대한 제한을 두었으며, 코로나19 확진환자 이송 및 사망환자가 지정 승강기를 쓰도록 운영하여

원내 감염확산을 방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코로나19 확진 입원환자 이동동선 관리

]

전담병동에 입원 중인 확진 환자의 원내 이동 시에는 반드시 음압카트를 이용해 이동하도록 하였다. 환자이동에 앞서 시설과와 행정관 리과에 연락하여 통제를 요청하면 원내검사를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1호기 승강기를 미리 통제해 주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174 코로나
[
이동동선 관리
]
[
운행 승강기 사용자 운행층 운행제한층 본관 1호기 내원객 지하 2층 → 본관 7층 본관 6층 신관 1호기 내원객 지하 2층 → 신관 6층 본관 2호기 전담병동 의료진, 코로나19 환자 폐기물 이송 지하 1층. 본관 6층 본관 2, 3, 5, 7층 이동상황 출발 시 이용 승강기 도착장소 입·퇴원 지하 1층 (2호기) 본관 6병동 (환자입원), 신관 지하 1층, 출입구 앞 (환자퇴원) CT, MRI 검사 (정규시간 및 야간) 지하 1층 (1호기) 본관 지하 1층 (CT실) 앞
175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 - 감염관리 활동

CHAPTER 03

일상으로의 복귀

176

2019년 발병 이래 코로나19에 확진된 환자들은 전 국민의 반 이상을 넘었고, 격리 해제 후에 도 한동안 후유증으로 고통을 받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 확진자들 중에는 재감염으로 고통 받 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이제 우리의 일상과는 뗄수 없는 전염성 질환이며 적극적 인 예방접종으로 발생율을 낮추고 발생시 대상 고위험군에게 항바이러스제의 조기 투여로 합병 증을 줄이며 해제 후 코로나 합병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로 대응해 나가야만 하는 질환군이 되 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고위험군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위해 혜민병원은 접종센터를 유

지하여 적극적인 접종을 독려하고 있으며, 외래센터의 대면진료 및 상담센터의 비대면 진료를 통

해 항바이러스치료제 처방 및 모니터링, 후유증 클리닉의 운영으로 적극적인 대처를 하고 있다.

177

Part 01. 복귀 준비

1-1. 코로나19 후유증 회복 클리닉 1-2. 일반병원 전환

1-1. 복귀 준비

코로나19 해제 후 발생하는 여러 증상에 따라서 각 과전문의 진료를 권유하며 증상이 없더라도 자각하지 못하는 여러 합병증이 있을 수 있으니 해제 후 건강상태 체크를 위한 진료 받기를 권유하고 있다.

본원에서는 이미 각 과에서 코로나19 기확진자들의 외래진료를 시행 중이었고 4월 18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코로나19 후유증 회복클 리닉”을 운영해오고 있다.

호흡기내과는 물론 심장 내과, 신경과,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이 집중 진료를 시작하였고 증상에 따라 신장, 소화기내과, 내분비내과도 진료 가능하다. 각 과의 긴밀한 협진 체계로 다학제로 진료에 참여하고 문제해결을 도모하였다.

179
코로나19 후유증 회복 클리닉

1-2. 일반병원 전환

코로나거점병원 전/후

180
본관 출입구
181 전 본관 5병동 후 전 신관 후문 출입구 후
182 전 본관 7병동 후 전 본관 6병동 후
183 전 전 신관 5병동 신관 6병동 후 후
184 전 응급실 후 전 신관 3층 후
185 전
후 전
물리치료실 → 코로나투석실 코로나투석실 → 물리치료실
중환자실

Part 02. Interviews

INTERVIEW

코로나19 대응을

마무리하며

호흡기내과 중환자실장 조재연

2020 8월 31일 저녁, 감염관리실의 일원으로 갑자기 불려나온 원무과 회의실에서는 원내직원들 다수 발생에 대응하려

는 병원관계자들이 모여 어찌할 바를 모르고 웅성거리고 있었다. 감염된 직원 확진자 수를 파악하고 동선을 확인하고

접촉자를 파악, 오염지역 소독 등 시작했다. 다음날 보건소 서울시 역학 조사관들이 방문했고 원하는 자료를 급히 준비

해오느라 우왕 좌왕하였고, 전 직원 전병동 환자 및 보호자들을 수백명을 대상으로 한 COVID PCR검사를 위해 진료

부 간호부 인원이 총 동원되어 하루종일 뛰어다녀야 했다. 결국은 17일간 전체병원 코호트로 진료를 외래 진료 검진까

지 중단하게되는 사태를 맞았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혜민병원은 ‘코로나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여 직원 확진자 재발

방지 및 원내 확진자 발생 시 대응 프로토콜을 마련하고 철저히 대비해갔다. 원내 확진자 발생 시에는 부서별 역할 분

담으로 철저하고 신속한 역학조사, 동선관리, 접촉자 격리, 보건소와의 긴밀한 연계 등 완벽한 대응으로 수 차례의 원

내 발생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2차 감염자 발생없이 대부분 마무리 하였다.

저를 비롯 정호중, 정화령 과장, 임명옥 간호과장, 장경화 간호사를 주축으로 한 감염팀 전 팀원들과 행정직원(맹진호

계장)은 1년 반의 기간동안 24시간 대기 상태에서 확진자 발생 시 접촉자 역학조사/PCR검사 시행 보건소 보고등의 모 든 과정에 수고를 감내해왔고, 이런 희생으로 원내 확진자 발생 시 적절히 대처해왔고 다른 감염팀원들 및 한마음으로

협조해 준 병원장 이하 혜민병원 전직원들에게 항상 깊은 고마움을 느끼고 있다.

2021년 12월 6일 행정 명령으로 코로나 부분 전담병동진료를 긴장된 마음으로 시작하였고, 이후 전체 거점병원 수락 이라는 김병관 원장의 결단으로 12월 27일부터는 음압시설, 의료 인력 확보 등의 준비 끝에 일반외래 진료를 제외한 혜민병원 전체 거점 전담병원을 시작하게 되었고 본인은 외래 확진자센터 운영에 집중하게 되었다. 외래 확진자센터는 15베드 full vital monitoring으로 확진자 내원 시 폐렴이 의심되면 바로 흉부 CT를 찍어 진단후 외래치료 혹은 입원 치료로 결정하여 외래치료 시 정주 항체 주사치료(레키로나주), 항코로나 바이러스치료제(렘데시비르_베클루리), 기 타 주사치료를 시행하였고 코로나 바이러스경구 치료제 및 기타 증상 치료제도 처방하였다. 외래로 방문하는 확진자들

중에는 환자들이 자각하지 못하였지만 심각한 폐렴 상태로 발견되는 수가 가끔 있어 가슴을 쓸어 내리고 그런 저산소 증 환자들을 바로 입원실로 올려보내면서 이런 중한 코로나19 환자들이 혜민병원 확진자 외래센터에서 진료를 받고, 폐렴 상태를 진단 받지 못했다면 어찌 되었을까하는 생각에 외래팀 모두 안심하면서 일하는 보람을 느끼곤 했다. 저산

소증의 폐렴 환자들이 아니더라도 고열에 힘들어 하고, 심한 인후통에 물 조차도 넘기기 힘든 환자들을 주사 치료하여

그들의 고통이 완화 되는 것을 보면서 외래센터에서 일하는 보람과 긍지를 느끼곤 했다. 확진자 외래 간호사들이 더운

날씨에도 Level D를 입고 혈액채취를 하고 주사를 놓고 환자들을 처치하는 모습을 보며, 우리들의 땀과 노력이 결코

헛된 일이 아닐 거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두려워했던 코로나 바이러스와 이제는 상생하며 살아가야하는 우리는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더 이상 두려워하지말고 차분히 대처해 나가야 할 듯 하다.

확진자 외래센터를 운영해오면서 일선에서 환자들을 1차로 관리하시고 외래 센터진료를 연결해주시는 24시간 대기상

태에서 고생하여 주신 보건소 담당자들, 구청재택 및 응급전담팀, 서울시관계자들 그리고 이송에 도움을 주신 구급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분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그 많은 코로나 환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진료 및 입원 치

료도 받지 못한 채 고통을 받으셨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혜민병원 코로나19 외래 확진자센터 운영이라는 어려운 숙

제를 저와 함께 풀어 나가준 심명주, 구건우, 류혜미 과장, 선덕 수간호사, 권혜숙, 정용좌, 황지현 간호사 외 조상휘, 박지수 동료직원들에게 깊은 감사와 존경을 표하며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길 기원한다.

187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

발전할 수 있기를

소화기

내과

과장 유은수

2022년 11월경 병원들에게 일부 병상을 코로나 병상으로 전환하라는 행정명령이 내려왔다고 들었을 때는 올 것이 왔 다는 느낌이었습니다. 혜민병원 입사 이전에 보건소 업무 과중으로 검체 채취라도 도와달라는 절박한 단체 문자를 받 았을 때 개인사정상 참여하지 못했던 일로 죄책감이 남아있었는데, 마침내 저에게도 코로나 환자를 볼 차례가 돌아왔 다고 생각했습니다.

환자분들을 배정받아 처음 레벨 D 방호복을 입고 음압병동에 들어갈 때는 몹시 긴장했던 기억이 납니다. ‘방호복은 맞 게 입은 건가?', ‘마스크는 제대로 낀 건가?', ‘어설프게 탈의하다가 옮으면 어떡하지? 라는 불안감이 생생합니다. 느리

지만 차근차근 코로나 치료제를 처방하고, 다른 필수 약제들도 처방하면서, 초반에는 모르는 병을 대하는 어설픈 저 자

신이 당혹스러웠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처방하는 약에도 익숙해지고, 방호복도 빠르게 입고, 환자분들과 보

호자분들에게 코로나 폐렴의 경과도 익숙하게 설명을 하게되니, 코로나 시대의 내과 의사로 성장하는 보람을 느꼈습니 다.

무엇보다도 동료 의사 과장님들이 함께 했기에 1년간 많은 환자들을 감당할 수 있었습니다. 거점병원 기간 동안 병상

배정반으로부터 의뢰받은 환자를 검토하고 수용을 결정하는 의사 당직 순서에서 한 분도 본인 차례를 잊어버리지않고, 기억하고 있다가 담당 날짜에 의뢰받으시는 모습에 감동했습니다. 환자의 경증, 중증도를 문서만으로 판단하고 원내

가용 병상까지 파악하는 업무는 쉽지 않았습니다. 아무도 본인 순서 당직을 잊어버리거나 불만을 제기하지 않고, 꼼꼼 하게 검토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거점병원을 처음 시작할 때 추후 의사 인력이 이탈해서 남은 의사들 부담이 가중되 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불안함도 있었는데 다행히 큰 이탈 없이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간호부에도 고생하셨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코로나 환자들의 수발 및 욕창 예방, 드레싱, 입퇴 원 절차 등 많은 분야를 간호부에서 애써주셨습니다. 주말, 평일, 공휴일, 밤낮없이 환자분들을 지켜주고 진료부와 소

통하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병동 사정상 간호 인력이 모자랄 때도 많았는데 어떻게든 남은 인력으로 업무를 수행해

주신 덕분에 하루에 환자가 9~10명 이상 많이 입원할 때도 잘 대처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보이는 곳, 보이지 않는 곳

에서 환자안내, 보건소와의 소통 등 수고해주신 원무과, 미화부 및 직원분들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국가적 재난 상황 속에서도 혜민병원 모든 직원들이 힘을 합쳤기에 거점 병원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었던 것 같아 뿌듯하고 보람찹니다. 거점 병원 종료 이후에도 지난 1년간 한 배를 타며 고생했던 기억을 잊지 않

고,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 발전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188
INTERVIEW

코로나의 긴 터널을 지나며

외래진료센터/외래 수간호사 선 덕

2020년 1월 20일. 우리나라 최초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본원에서는 2020년 2월 7일부터 병원출입통제를 실시 하였습니다. 외래진료를 오시는 모든 환자 및 동반 보호자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방문력 및 증상 등을 일일이 다 물어보 고, 발열환자는 구분하여 진료를 볼 수 있게 하는 등.. 수시로 변하는 코로나 상황에 맞춰 변하는 외래진료지침에 따라 환자들을 응대하였고, 이 과정에서 왜 진료를 안봐주냐며 화를 내시는 발열 환자들을 이해시켜야하는 경우도 많았습니 다.

2020년 병동에서는 두 번의 병동 코호트 상황을 헤쳐나가야 했고, 2021년 외래에서는 코로나백신 예방접종센터를 적 극적으로 운영하였습니다. 코로나 상황을 지나오면서 정말로 수 많은 지침과 다양한 상황들을 마주하였고, 우리는 거 기에 맞춰 행동해 나가야 했습니다.

2021년 12월 27일. 병원 전체가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되고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를 오픈하였습니다. 처 음에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무서운 존재였습니다. 레벨D로 중무장을 하면서도 혹시나 감염되지나 않을까 신경을 곤두

세웠고, 이중으로 장갑을 낀 상태로 혈관을 찾느라 고생하기도 하였으나, 차츰 익숙해져 능숙하게 필요한 처치들을 시 행할 수 있었습니다.

폐렴으로 입원치료가 필요했으나 입원을 강력히 거부하여 외래센터에서 베클루리주를 3일간 투여해야 했는데, 기저귀 를 하고있는 와상환자여서 매일 기저귀를 갈아드렸던 환자분도 기억에 남고, 본인이 확진되어 진료를 보면서도, 경기 도에 거주하는 아버지가 투석을 받아야하는데 코로나에 걸리니 아무 데도 받아주는데가 없다며 힘들어하시는 환자분 사정을 듣고 본원으로 동반입원하게 절차를 진행해드렸더니 너무나 감사해하던 모습도 기억에 남습니다. 예약도 하지

않고 무턱대고 진료를 오셨는데, 산소포화도가 너무 낮아 산소를 투여하면서 입실시켜 입원을 진행시킨 경우도 많았습 니다.

언제 끝나나싶던 코로나의 긴 터널도 이제 끝이 보이는 듯 합니다. 외래 코로나진료센터 오픈 시 확진자 진료과정에 참 여하겠다고 선뜻 손을 들어준 외래직원들, 센터를 진두지휘해주신 조재연 부장님, 진료시간 변경 시마다 환자분들께

양해 전화 드리고 내원하신 분들께도 상황 설명하느라 애써주신 모든 외래 직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 다. 또한, 원장님께서 끊임없이 지원해주신 간식과 식당에 설치해주신 커피머신도 지친 직원들에게 많은 힘이 되었습 니다. 이사장님께서 전직원에게 주신 격려금도 큰 기쁨이었습니다.

혜민병원이 거점 전담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었던 것은 구성원 모두의 힘과 노력으로 가능했던 것 같 습니다. 모두에게 감사한 마음입니다. 코로나의 큰 파고를 헤쳐나간 저력으로 앞으로도 혜민병원은 끊임없이 발전해나 가리라 믿습니다. 우리 모두 파이팅!!

189
INTERVIEW

INTERVIEW

중환자실 수간호사 정옥경

2021년 12월 27일 코로나 거점병원을 시작하며 중환자실은 폭풍 속에서 항해를 하는 작은 조각배같이 하루 하루 힘겹 게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오병연 실장님을 필두로 응급의학과, 중환자실, 응급실과 전담팀, 그리고 파견까지… 서로 익

숙하지 않은 4개의 팀이 하나의 팀으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고비를 넘기며 서로에게 힘이되고 위로가 되었습니다.

하루 10명 이상의 환자가 입원을 하고 매일매일 발생하는 응급상황과 사망 환자가 늘어나면서 불안함이 커져갔지만 서로를 위로하며 치료 후 회복하여 병동으로 이실가는 환자분들을 보며 희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방호복을 입느라 오래 걸렸던 시간이 이제는 순간으로 변한만큼 우리는 원하지는 않았지만 코로나에 익

숙해 갔으며 어느새 마지막 종착역에 다다르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극한의 상황 속에서 중환자실을 맡아 마음 고생 많았을 오병연 실장님과 응급의학과 과장님들, 정말 힘 들었을 시기에 묵묵히 자리를 지켜준 중환자실 샘들과 힘들고 낯선 중환자실 업무를 익히며 고생한 응급실, 전담 선생

님들에게 정말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선생님들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190
서로에게 힘과 위로가 되며

INTERVIEW

본관5병동 부팀장 윤경숙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코로나19 음압격리병동에서 간호업무를 하였습니다. 일을 하는데 가장 큰 복병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릴까봐도 무서웠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닌 방호복이였습니다. 전신보호의, 덧신, 장갑2겹, N95마스크, 고글, 헤어캡까지 머리부터 발끝까지 방호복을 입고 업무를 하다보니 숨도 가쁘고 머리도 아프고 땀방울

이 흘러서 시야도 흐려지고 극한 업무 환경에서 환자를 케어한다는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였습니다. 오로지 환자를 위 해서 육체적,정신적인 노동을 감내해야만 하였습니다.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 할때면 병동에서는 쉴 새 없이 입·퇴원이 반복되었고 밥 먹을 시간조차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코

로나 병동은 일반 병동과 달리 상주 보호자 및 간병인을 두지 않으며, 면회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간호사 및 간호조

무사가 한 팀이 되어 전인간호를 수행하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해야 했습니다. 입원환자 대부분이 고령, 치매 환자, 정신질환자, 와상환자 등으로 이루어졌기에 많은 간호 인력의 손길이 필요하였습니다.

많은 입원 환자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는 입원 당시 의식이 없고 상태가 안 좋았는데 투석을 하면서 하루가 다르 게 점차 컨디션이 좋아지면서 회복되기 시작했고 의식도 돌아와서 퇴원하던 마지막 모습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제 가

족이 나은 것처럼 너무 기뻤고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한, 업무를 하면서 환자분들의 고생한다, 고맙다라는 말한마디가

지치고 힘들었던 저에게 위로의 말이 되었고 다시 한번 힘을 내서 일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잃어버린 것도 많지만 자부심, 책임감, 동료애 등 얻은 것도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힘이 되었 던 건,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동료들이 있기에 긍정의 에너지로 현장에서 즐겁게 일할 수 있어서 함께 일했던 동 료들에게 감사하고 고생했다는 말씀을 꼭 전달하고 싶습니다.

191
코로나바이러스 함께 이겨 내다.......

INTERVIEW

아름다운 동행

2022년 1월부터 코로나 확진자 거점병원 혈액투석실이 오픈되면서 처음에는 환자수가 많지 않아 다행이라는 마음으 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확진자 수는 점점 늘어났고 이러다가 나도 코로나에 걸리면 어떻게하나 하는 두 려움이 밀려오기 시작했습니다. 매일하는 일이지만 낯선 레벨 D 착용으로 시야가 흐리고 장갑 2개를 끼고 둔한 손놀림 으로 주사를 꼽아야 하기에 혹시 실수할까봐 염려가 되기도 했으며, 땀으로 온몸이 다 젖어 불편한 점이 많아 힘들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그러나 힘들어하는 환자들을 보면서 이것이 정말 내가 해야하는 일이구나 하는 사명감을 가지면서 자리가 부족해 환자 를 받지 못할때는 안타까운 마음이었습니다. 정부지원으로 파견 간호사들도 있었지만 인력이 부족하여 오전에는 일반 투석 환자들을 간호하고, 오후에는 코로나 투석 환자들을 간호하면서 체력적으로 많이 지치고 힘들기도 했습니다.

3월에는 확진자들이 너무 많아 일요일에도 20명씩 투석을 해야하는 상황이었지만 우리의 수고로 환자들이 투석 못해 불안한 마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참으로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때론 하루 11시간 일을 하는 날들이 많았지 만, 환자들이 선생님들 덕분에 투석할 수 있어 정말 미안하고 감사하다고 말씀해주실 때 하루의 모든 피로가 사라지고 지금 내가 하고있는 일에 자부심을 느끼는 시간들이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인력부족으로 많이 힘들었음에도 묵묵히 함께해준 투석실 간호사들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므로 수간호사 로서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192
인공신장실 수간호사 남옥희

INTERVIEW

배운 것도 많고 아쉬움도 많이 남는 한 해

2021년 12월 초 병원장님을 통해 혜민병원이 12월 말부터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운영 예정이라는 이야기를 듣

고 두려움 반, 막막함 반으로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응급실 운영을 시작하였습니다.

응급실이라는 특성상 혜민병원은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확진자 뿐만 아니라 비확진자 진료

까지 같이 봐야하는 상황이라, 확진자와 비확진자 동선 분리와 비확진자의 진료시 본원 진료로 인한 코로나 감염을 최

소화 하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응급실 의료진 전무 장시간 PAPR착용한 상태에서 환자를 간호하면서 몸도 마음도 많이 지치고 힘들었지만 코로나 거

점 전담병원 운영이 끝날 무렵, 배운 것도 많고 아쉬움도 많이 남는 한 해였다고 생각합니다.

그 동안 고생한 응급실 직원들에게 감사하고 열심히 환자를 간호한 응급실 직원 모두 응원합니다.

193
응급실 수간호사 류선영

INTERVIEW

고군분투하는 우리를 응원합니다!

안전팀장 정홍숙

2020년 한겨울 우한 폐렴으로 시작된 코로나19감염증이 변이에 변이를 거쳐 오면서 전국적으로 감염환자가 급증하는

상황에 맞추어 시작된 출입구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통제하는 업무 역시 국가적 대응 상황에 맞추어 시시각각 변화하는

과정을 거치며 안내하는 직원들의 피로도도 함께 상승되었습니다.

초기에만 해도 출입구와 면회 통제 시 의료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보호자분들과의 실랑이로 많은 직원들이 힘들어

했지만, 병동 간호사들과 감염 지침을 공유하고 입이 닳도록 설명하고 안내하는 노력으로 그들도 차츰 보건 당국의 정 책에 협조하게 되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 병원직원들의 안전의식들이 개선되어 익숙해졌지만 때로는 환자분들의 급 격한 상태 악화에도 전염 위험에 면회를 제한할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이 환자 가족들의 입장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고 안타까웠습니다.

신속항원검사소에서 방호복을 입고 근무하다보니 코로나검사 환자가 한꺼번에 밀려들 때면 검사 안내 응대 시 소통의 오류로 소아 환자나 고령의 환자분들의 경우 검체가 뒤바뀌어 검사결과 통지가 엉뚱하게 전달되어 아찔했던 경험이 잊 혀지지가 않습니다. 시행착오를 통해 확인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신분증 대조 강화, 검사 동선 재배치 등 안전을 위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들이 그 당시에는 모든 직원들에게 스트레스였지만 개선된 업무결과를 공유하며 서로 위로하고 다

독이며 격려하면서 동료로서 공감했던 일들이 좋은 기억으로 남습니다.

코로나19와 거점운영이 아직도 진행 중인 현시점에서 의료인 포함 전직원 모두가 서로에게 안전한 의료환경을 구축하

기 위한 지지자와 협조자가 되어준다면 현재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고 수많은 위기들을 극복하고 거점병

원의 엄중한 책무를 충실하게 지켜낸 것처럼 그 길의 끝에서는 한 단계 더 성장한 자신과 발전한 혜민병원의 모습을 보 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리 모두가 혜민을 이끌어가는 영웅입니다! 힘내세요 파이팅!!

194

INTERVIEW

2020년 8월 31일 월요일 퇴근시간 무렵, 병원 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고, 그것을 시작으로 직원들이 다수 확진되며 혜민병원의 코로나19는 시작되었다. 직원의 첫 확진자 발생으로 무엇을 먼저 시작해야할지 막막하던 상황에 서 역학조사관의 조언을 받아 확진자 동선파악 및 접촉자를 확인하고 동선 따라 방역소독을 하고 환기 등 공조시스템 도 확인하였다. 대책회의를 밤이 깊도록 했으며 감염예방계획서를 하루 밤새 만들어 내었다. 확진자가 병동에서 발생

하면 그때부터 역학조사가 시작되고 동선이 겹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사가나가면 밤 12시가 가깝도록 결과를 기다

리며 가슴을 조였던 날들이 계속되기도 하였다. 전수검사 결과가 추가 확진 없이 모두 음성일 때 너무나 기쁘고 감사하 였다. 밤낮없이 관계기관과 연락을 주고받고 24시간 대기의 긴장된 상태로 보내야했던 시간들이었다.

9월 2일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병동 입원환자가 확진되었으며, 이로 인해 본5병동이 2주간 코호트에 들어갔고 병동간 호사와 그 외 직원들을 비롯하여 환자와 보호자까지 폐쇄된 병동에서 지내야 했고, 원장님이 직접 코호트 격리병동에

들어가 함께 생활하며 진료와 면담을 하기도 하셨다.

다인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코로나19 환자를 받아주는 병원을 찾는 일도 수월치 않아 전원 보낼 병원을 정하지 못

하고 시간이 지체되는 사이 불안에 떨며 힘들어하던 환자분의 얼굴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 후 전원가신 병원에서 사망

하셨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당혹스럽고, 안타까워했던 기억이 난다. 그러므로 코로나19 대유행 시점 혜민병원을 통

으로 거점 전담병원으로 하시겠다는 원장님의 결정에 감염관리를 맡고있던 입장에선 걱정도 되었으나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고 생각하였던 것 같다.

혜민병원은 서울시 최초 거점 전담병원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게 되었고 서울시와 지역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 되었다.

이번 일을 겪으며 경험의 소중함과 미리미리 준비된 훈련과 조직체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감 염관리실을 믿고 지지해주던 직원들을 보며 무엇을 해도 해낼 수 있겠구나하는 자신감도 생겼다. 이런 과정들을 겪으 며 우리는 좀 더 단단해지고 부서 간의 유대관계도 깊어짐을 느꼈다.

아직도 우리 삶 속에 있고 언제 끝날지 모르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나 힘든 고비를 넘긴 만큼 혜민병원은 더 성 장했고 발전했음을 우리는 안다. 그리고 힘들었던 시기에 함께했던 분들은 그 끈끈함도 남다르다. 당황스럽고 혼란했

던 시기에 방향을 잘 잡아 주시고 결정에 도움을 주셨던 조재연 부장님과 몸을 아끼지 않고 솔선수범하셨던 정화령 실

장님,

195
한계에 다다랐을 때 원장님의 배려로 투입되어 통계며 잔일 정리를 도와 숨통 트이게 해주었던 장경화 수선생님 감사하고... 무엇보다도 감염관리실의 지침과 결정에 잘 따라주셨던 직원 여러분들께 감사드리고 고맙다는 말을 전하 고싶다. 감염관리실 과장 임명옥 어둡고
기나긴 터널을 헤쳐 나온 듯, 그만큼 우리는 성장하였다.

도약의 발판을 얻다.

영양실장 김효덕

코로나19 거점 병원으로의 전환은 급식 관리시스템에 커다란 변화였습니다. 급식관리의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거 리두기, 대화금지, 일회용 용기사용, 식사시간 연장운영등 다방면에서 고심하고 연구하였습니다. 또한 코로나로 입맛 을 잃은 환자분들의 식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인이 선호하는 국과 김치 TOP10’ 등의 선호도 조사를 참고하여 식사제공을 해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국의 조리법에 정성을 들이고 제공되는 음식은 소화되기 쉽게 조리하여 환자 영양관리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일회용 용기 사용으로 인한, 적온 배식에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30분 먼저 작업을 시작하고 온장 보관 후 배식하는 등 단 계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상태가 호전되는 환자와 악화되어가는 환자를 식사를 통해 보면서 만감이 교차한 시간들이었습니다. 팬데믹으로 지쳐 있는 의료진과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우고 식사시간 만이라도 쉴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하는 마음으로 영양사, 조리 사가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내어 식사의 질 향상에 힘썼습니다.

한 달에 1회 이상 선호도가 높은 특식 메뉴와 후식을 제공하였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 중 하나는 반반 김밥 메뉴 였습니다. 단체급식에서 김밥은 쉽지 않은 메뉴이지만 영양실 전 직원이 준비하여 김밥과 더불어 조화로운 식단을 제

공하였습니다. 만족스럽게 식사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을 봤을 때 저희가 더 기뻤습니다. 또한 미니카페는 직원들에게

작은 위로가 되었습니다.

팬데믹은 우리의 일상과 업무에 많은 변화를 주었고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안타깝고 힘든일도 많았지만, 병마와 싸우

고 있는 환우 분들을 위해 헌신하고 수고하는 혜민병원 의료진과 모든 직원들이 자랑스럽고 감사하며, 코로나19거점

병원에서의 경험은 앞으로 혜민병원이 발전하는데 도약의 발판이 될거라고 믿습니다.

196
INTERVIEW

앞으로의 위기가 있어도

잘 헤쳐 나가기를 바라며

진단검사 실장 이창숙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2022년 12월 6일을 기준으로 혜민병원이 일반진료 시스템을 중단하고 일반 병상 전체를 음압 병상으로 개조해 확진자 치료를 위한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전환되었다. 초기에는 기존 시스템에서의 변화와 많은 검체 결과처리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점차 코로나 거점병원에 적응해가며 진단검사의학과에서도 코로나19거점

병원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나갔다. 우선 코로나 검체 이송 과정에서 삼중포장을 하고 일반 검체와 완전히 분리하여, 검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감염의 위험을 없애려 노력하였으며, 검사실 내를 수시로 소독하였다.

또한, 코로나 검사를 위한 선별진료소가 운영되면서 신속항원검사와 PCR 검사를 신속 정확히 보고하여 빠른 진료를 볼 수 있게 지원하였다.

코로나 거점병원으로 전환되며 감염의 위험 속에서도 확진자 치료에 헌신한 우리병원의 의료진과 그 외 직원들의 노력 이 있었기에 코로나 대유행시기의 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2022년 한 해 동안 진단검사의학과 직원들과 더불어 귀원의 의료진, 직원들까지 모두 코로나에 대항하여 고생하셨다

고 전해드리고 싶고 코로나거점병원이 해제되어 일반병원으로 다시 전환되어도 지금껏 잘해온 것처럼 서로 잘 협력하 여 앞으로의 위기가 있어도 잘 헤쳐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197
INTERVIEW

INTERVIEW

모든 분의 노고에 경의를 표하며

시설과장 최용구

2021년 12월 06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이 지정되었다는 소식 이후 전 병동을 코로나19 대응 병동으로 만드는 과정 은 계획, 발주, 시공 등의 절차를 거쳐 3주도 안되는 기간에 병동을 오픈해야 된다는 것은 상당한 중압감이였으며, 당 시 급박하게 돌아가는 사정상 내색도 못하고 고민하던 중 병원장님의 확고한 의지와 추진력으로 부정적인 고민 대신, 계획을 세우는 고민으로 마음을 바꾸어 공사계획을 세우고 병원의 협력업체와 머리를 맞대어 공정을 세우기 시작했고, 2021년 12월 15일경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전념하여 2021년 12월 27일자에 각 병동, 중환자실, 외래진료센터를 우 선 오픈하여 코로나19로 고생하시는 환자를 받을 수 있었고, 이후 2022년 01월 10일에 코로나19전용 투석실 및 수술 실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짧지만 길게만 느껴졌던 코로나19거점 전담병원으로의 공사를 마무리 하게 되었습니 다. 가장 감사했던 건 병원장님의 적극적인 지원과 격려, 또한 각 협력업체에서 공기가 짧아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불 만 없이 함께 해주었던 점이였습니다.

이후 코로나19의 지속적인 확산으로 코로나19의 감염 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를 2022년 01월 17일부터 2주 정도에 걸쳐 공사를 하여 2022년 02월 03일에 운영을 시작하였고, 이후 3~4번 정도 수정, 보완을 하여 지금의 코로나19신속항원검사소가 완성되었는데, 이때 기억나는 건 저도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집에서 격 리되었고, 가족모두를 감염시켰었죠.

2021년 12월 27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의 시작으로 코로나 병동 내 점검 및 수리를 몸을 아끼지 않고 힘써주신 시 설과 직원분들에게 우선 감사 말씀드리며, 코로나19 감염병으로 모두 힘들었지만 끝까지 해주신 임직원 모든 분의 노 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198

원무과장

2021년 12월 본원이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후 벌써 1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습니다. 처음 시작할 당시 부 서원들이 새로운 입원 수속 절차, 병동 운영방식, 청구, 관리 등 모든 것이 낯설고 혼란스러워 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 점 안정되어 갔으며, 코로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바쁜달에는 야근을 하면서까지 업무처리를 하는 부서원들에게 고 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항상 최일선에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힘들게 환자를 돌보시는 의료진과 묵묵히 자기 업무를 수행해주신 직원들께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가지며, 비록 환자를 직접 접하지는 않지만 업무를 수행하시는데 도움을 드리려고 원무과 직원 모두 노 력하였습니다.

이제 코로나 거점병원 운영을 마무리하는 시점이 다가옴을 느끼며, 처음 거점병원 시작하며 느꼈던 두려움을 이겨내고 극복한만큼,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의 노력과 희생을 다하면 거점병원이 끝나고 일반진료로 전환 되더라도 빠르게 회복

하여 더욱 더 발전된 혜민병원으로 거듭날 것으로 믿습니다.

INTERVIEW 고마운 마음을 전하며 신속 정확하게 우리는 하나

2021년 12월 6일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지정되면서 본연의 진료협력센터 업무에서 코로나19 확진자 병상 배정 확정

후 해당 보건소와 이송단 환자상태 확인과 중등, 준중증 입원 병실지정 및 병원 도착해서 격리병동 입원까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핫라인을 담당했습니다.

업무를 처음 하는 거라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수차례 세팅하면서 실수없이 신속하게 하려다보니 긴장의 연속선상

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직원들의 헌신과 협조와 지원으로 힘든 과정을 잘 견딜 수 있었습니다.

확진자 수 증가로 하루 평균 20~30명 입원 시 병상이 다 찼을 때, 퇴원예정자리까지 조율하면서 힘든 환자 입원 연결 까지 신속하게 진행하면서 최선을 다해 서로 도와가며 희생하며 협조해준 혜민 직원들 덕분에 위기 상황에서도 유연하 게 잘 대처 했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 격리 해제 후 퇴원 시 연로한 부모님을 어디로 모셔야 할지 막연해 하는 보호자분들과 전원회송 상담을 통해 요

양병원 연계 해드렸을때 고마워하는 모습에 더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혜민병원의 모든 분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준 노력과 희생이

199
있었기에 안정화된 일상으로의 회복이 좀 더 빨리 올수 있었다고 생각하며 함께 고생한 직원분들게 감사하다는 말씀 꼭 전하고 싶습니다.
진료협력센터 팀장 김태진
나기창

CHAPTER 04

백서를 마치며

200
201
202
1. 코로나19 통계 2. 환자분들의 이야기 - Review
코로나백서를
3. 코로나백서 위원회 편집 후기
마무리 하며

혜민병원 코로나19 통계

203
호흡기환자 진료센터 통합 ('22.06.24~) 국민안심병원 A형(외래)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 - 운영 기간 562 519 2020.03.04.~2023.03.30. 호흡기전담 클리닉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코로나검사 -1,068 932 174 외래진료센터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CT검사 주사처방 약처방 6,414 5,886 1,445 2,425 5,029 코로나19 전담투석실 외래환자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 - 운영기간 3,006 1,228 2022.01.07.~2023.03.31. 입원환자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536 257 - -비대면 재택치료 집중관리군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 - 운영기간 36,639 6,066 2021.10.12.~2022.08.04. 일반관리군 진료건수 진료환자수 - -3,721 984 - -선별진료소 RAT 건수 PCR 건수 - - - 운영기간 15,736 6,649 - - - 2022.02.11.~2023.05.31. 요양시설 기동전담반 출동건수 진료건수 입원연계 - - 운영기간 34 134 32 - - 2022.04.05.~2023.07.31. 비대면 의료상담센터 총 건수 상담 처방 전원 기타 운영기간 10,159 2,904 4,417 206 2,632 2022.07.01.~2022.12.26. [ 코로나19 외래진료 현황 ] 구분 계 PCR RAT 비고 계 36,885 20,694 16,191 병동 4,459 4,252 207 - 선제검사, 격리해제 전 검사 등 외래 8,002 7,849 153 - 입원 전 검사, 코로나 의심, 해외출국용 등 응급실 233 138 95 호흡기전담클리닉 174 174 선별진료소 22,385 6,649 15,736 전수검사 1,632 1,632 - 직원, 확진자 접촉자 등 [
코로나19 검사 현황 ]
204 [ 코로나19 검사 현황 ] 마취종류 수술 및 시술명 시행건수 B.P.B Closed reduction of fracture 2 B.P.B Open reduction of fracture 10 B.P.B Primary repair of tendon (tenorrhaphy), forearm (부위: left) 1 B.P.B Suture of extensor tendon, hand (부위: right, 부위: 4th) 1 General Appendectomy 1 General Laparoscopic appendectomy (single port) 23 General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 General Primary repair of tendon (tenorrhaphy), lower leg (부위: left) 1 General Suture of flexor tendon, hand (부위: right, 부위: 4th) 2 General VATS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UL wedge resection 1 General VATS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RUL wedge resection 1 Local Closed tube thoracostomy (부위: left) 4 Local Closed tube thoracostomy (부위: right) 7 Local Debridement of wound 4 Local Debridement of wound, elbow and forearm (부위: right) 1 Local Incision and drainage of abscess 1 Local Incision and drainage of infected tissue 1 Local PICC(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356 Local Primary suture of tendon 1 Local Removal of chemoport 1 Local Suture of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1 None Application of splint 1 Spinal Bipolar hemiarthroplasty, hip (부위: left) 1 Spinal Bipolar hemiarthroplasty, hip (부위: right) 4 Spinal Removal of foreign body (방법: other method) 1 Spinal Suture of ligament, foot (부위: right) 1 합계 429 구분 고유량 산소치료 기 인공호흡기 이동형 음압캐리 어 이동형 음압휠체 어 이동형 음압기 차압기 계 2021-11-25 1 1 2021-12-01 1 1 2021-12-03 10 59 69 2021-12-07 1 1 2021-12-23 20 36 56 2021-12-24 1 5 6 2022-01-07 20 20 2022-03-29 1 1 2022-03-31 3 3 2022-05-09 13 13 2022-12-15 2 2 계 45 1 7 2 59 59 173 [ 코로나19 의료기관 장비 현물지원 현황 ]
205 구분 입원 퇴원+사망 퇴원 사망 총재원일수 평균재원일수 병상가동률(%) 21년 12월 124 51 49 2 726 14.2 44 22년 01월 239 209 181 28 2,791 13.4 46.2 22년 02월 487 431 398 33 4,019 9.3 76.1 22년 03월 645 651 554 97 4,804 7.4 77.1 22년 04월 436 516 455 61 3,609 7 56.9 22년 05월 138 162 142 20 1,501 9.3 26.2 22년 06월 102 121 114 7 970 8 17.5 22년 07월 687 554 544 10 3,653 6.6 65.8 22년 08월 837 844 816 28 5,269 6.2 86.3 22년 09월 615 673 636 37 4,458 6.6 71.4 22년 10월 529 496 462 34 3,743 7.5 59.2 22년 11월 547 578 543 35 4,101 7.1 67.2 22년 12월 457 453 405 48 3,095 6.8 47.8 23년 01월 251 311 284 27 2,264 7.3 34.9 23년 02월 65 95 84 11 436 4.6 13 23년 03월 80 77 71 6 1,537 20 50.5 23년 04월 3 20 17 3 291 14.6 76.7 합 계 6,242 6,242 5,755 487 47,267 8.2 53.9 [ 코로나19
Step-down (호전) 659 중  증 → 준·중증 462 중  증 → 중 등 증 80 준·중증 → 중 등 증 117 [ 코로나19
전실 현황 ] Step-up (악화) 180 준·중증 → 중  증 98 중 등 증 → 준·중증 76 중 등 증 → 중  증 6 [ 연령대별 입원환자 현황 ] 구분 0~20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80~89세 90세 이상 합 계 102 (1.6%) 298 (4.8%) 325 (5.2%) 433 (6.9%) 627 (10.0%) 1,126 (18%) 1,283 (20.6%) 1,522 (24.4%) 526 (8.4%) 6,242 (100.0%)
전담병동 환자 현황 ]
입원환자

Thanks to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 의료진께 칭찬과 감사의 편지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자 이OO님

안녕하세요. 지난 3월 중순에 코로나19로 인한 폐렴으로 입원치료를 했던 환자입니다.

당시 저는 폐렴으로 호흡곤란 증상 외에 정신이상 증세가 같이 와서 담당선생님 및 5층 병동 간호사 선생님들, 환자분들께 많은 폐를 끼쳤다고 들었어요. 지금은 다행히 건강이 많이 호전되었고 그 당시의 기억은 긴 꿈을 꾼것처럼 희미하지만, 잊을수없는 감사한 기억들이 있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혜민병원 처음 응급실에 도착해서 왜이리 늦게왔냐며 걱정해주시고 코로나해지보류 절차 안내 및 입원수속을 하게 도와주셨던 여의사선생님과 간호사님들, 덕분에 다른병원까지 헤매지않고 치료받을수있었어요.

입원해서는 죽음에 대한 공포로 정신이상증세를 보이며 난리를 치는 저에게, 죽지않는다 괜찮다 안심시켜 주시고

폐렴 치료 외에도 정신안정을 위해 힘써주신 김충훈 담당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소리치고 울고 다른 환자분들께 폐끼쳤던 저인데, 자기도 아이가 둘이라며, 성당에 다닌다며, 저를 안아주시고 같이

울어주셨던.. 큰언니같던 40대? 간호사님. 성함을 못여쭤봤는데 그 정신없는 와중에도 진심어린 많은 위로를 받았고 감사했습니다. 혈관이 안좋아 채혈이 안되어 아프다고 난리를 치는 저를 두고, 자기가 병원에서 채혈을 잘한

다며 자랑하며 멋지게 해결해주시고 가시는 두 간호사님. 한분은 눈이 크고 예쁘셨고, 한분은 아담하시고 오목조목 예쁘셨는데, 두분도 너무 감사했습니다.

제가 다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물병도 따주시고, 화장실도 부축해주시고, 택배도 옮겨주시고, 까다로운 아기처럼 손이 많이가는 저와 환자들을 묵묵히 도와주셨던 많은 손길들에도 감사합니다.

Mri 찍을때 안내내용은 입력이 안되고 무서워만 하는 저에게 친절하게 안내해주신 선생님과 병실오셔서 씨티사진 최대한 빨리 친절하게 찍어주시려 노력하시는 방사선과 선생님들도 감사하고요.

아플 때.. 내가 당장 죽을수도 있다는 공포감에, 그런 내 옆에 가족이 없음에, 다른 사람들에게 이렇게 폐끼치며 죽어간다는 생각에 하루하루가 너무 길고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코로나 후유증으로 입원중인 손OO님 딸입니다.

바쁘신데도

-환자 보호자 JOO님

206
그런
환자들을 위해 인내하시고 오늘 또 출근하셔서 힘내주시는 혜민병원의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좋은일 가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
친절히 전화 상담도 해주시고
정성껏 진료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류혜미
존함은 모르지만 저희엄마와 처음 상담해 주신 의사 선생님도 감사하고 지금도 저희 아빠를 잘 돌봐주시는 간호사 선생님들도 감사드려요.

503동 및 중환자실 의료진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난 12월 27일 다른 병원에서 전원을 하여, 4주간 코로나 치료를 받았습니다.

처음에 중환자실에 들어가 4일 정도 치료를 받고 일반 병실로 이동을 하여 치료를 받게 되었는데

그 기간 중 치료에 전심전력을 다 해주신 의료진 여러분께 정말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많은 분들이 기억에 남지만 그래도 특별히 감사드리고 싶은 분들이 계시는데요~~

중환자실에서 전문기량과 노하우를 갖고 중환자들 관리를 해 주시던 백성권 선생님 !

불안해 하던 환자를 안심시켜 주고 손짓으로 격려 해 주시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리고 일반병동으로 이동하여 503동에서 치료를 받았는데

늘 환자에게 상태를 정확하게 알려주시고 치료를 해주셨던 유은수과장님!

하루에도 수십번씩 콜을 해도 한번도 짜증내지 않고 콜을 받아주시던

천사같은 간호사 선생님들~~너무 감사하고요!~~!!

주로 야간에 근무하시면서 친절하게 그리고 꼼꼼하게 환자들을 돌보아주신 김경선선생님, 임갑순 선생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저도 40여년을 전문직에 종사했습니다만,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지정되어 환자들을 관리하고 치료하시는

혜민병원의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도 많은 기대를 하게 됩니다.

다시한번 소생 할 수 있도록 치료해 주신 혜민병원 의료진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조금 늦었지만 임인년 새해에도 건안하신 가운데 풍성한 삶의 축복이 함께 하시기를 소망합니다.

-환자 이OO님

얼마전 코로나로 인해서 입원했던 구강암 환자 김OO 입니다 새벽에 서울대병원에서 쫓겨나서 몸도 마음도 아팠는데 이비인후과

207
♥ ♥ ♥
심명주과장님께서 너무 잘돌봐주셔서 감동을 많이 받았어요 올때 인사도 제대로 못하고 와서 이렇게 글로 나마 인사드립니다 꼭 전해주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 친절하신 과장님 ♥ -환자 김OO님

5F 문현정 선생님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11/6 (일) 코로나 확진으로 아산병원에서 혜민병원으로 전원하신 황OO님 둘째딸입니다.

10/26 나들이 가셨다가 대퇴골 골절되셔서 10/28 아산병원에서 수술하시고 일주일만에 요양병원으로 전원하셨다가

3일만에 코로나 확진되셔서 다시 아산병원으로 전원되신 후 반나절만에 코로나전담병원인 혜민병원으로 전원하시게

되셨습니다. 엄마의 건강이나 마음은 이루 말할수 없고 저희 가족 모두 하루하루 정말 힘들게 버티고 있었는데, 코로

나로 격리되신 엄마에게 간병할수 없는 저희가 너무 죄송하고 또 죄송했습니다.

더구나 코로나 환자로 간병사님 모시기도 불가했습니다.

대퇴골 수술에 연세도 많으신 엄마를 홀로 계시게 해서 무어라 표현할수 없는 마음입니다.

어제 폐렴 증상도 좀 있으시다는 말씀에 혼자 화장실 다니시고 하시는 엄마가 걱정되고 속상했습니다.

낮에 맞기 시작한 링거가 잘 들어가지 않아서 콜벨로 호출했던 간호사님이 괜찮다고 하셨지만 결국 링거가 멈췄고 다시 콜벨로 호출했지만 바쁘신 간호사님들이 몇시간 지나셔도 오시지 않아 결국 엄마가 저희에게 연락을 하셨습니다.

간호사실에 전화좀 넣어달라구요. 엄마 연락받고 한밤중 간호사실에 부탁드리고

엄마에게 전화드리니 문현정 선생님께서 다 봐주시고 한시간후에 또 오셔서 마무리까지 해주셔서

내과 문현정 선생님께 너무너무 감사하시다고 하십니다.

저희들도 모두 감동받고 감사했습니다. 다시한번 문.현.정. 선생님께 머리숙여 깊이 감사드립니다.

혜민병원 선생님들 힘내시고 어려운 상황속에서 노력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샘들께

한순민,주미숙,김명옥(A) 샘들 감사드리고, 샘들의 친절과 사랑에 진심으로 칭찬드립니다. 코로나병동이라는 쉽지 않은 환경에서 환자들을 케어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세요.

-환자 보호자 강OO님 -환자 오OO님

궂은 일도 마다 않으시고 한결같이 친절하게 대해주시는 샘들이 회복되시는 과정에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같은 병실의 환자 어르신께서는 눈이 어두워서 제게 감사의 글을 남겨달라고 부탁을 하셨습니다.

저희 아버지는 비록 기저질환으로 회복이 되지 못하시고 임종을 기다리고 있지만, 마지막 가시는 길에 이와 같이 좋은 분들을 만나는 것이 얼마나 큰 복인지요.

일일이 이름을 다 여쭙지는 못했지만, 많은 간호사샘들의 노고에도 감사드립니다.

한순민 선생님, 제게도 식사를 꼭 챙기라며, 그래야 잘 버틸 수 있다며 용기를 주시고, 반갑게 인사 건네주시고, 안타까운 마음 함께 해주시는 진심들이 얼마나 큰 위로와 격려가 되었는지요.

잠깐의 마음이 아니라 어느 환자들을 대해도 그렇게 하시는 분들이라는 느낌이 앞으로 제게도 다른 이들을 대하는마음에 대한 큰 배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환자 보호자 장OO님

코로나 중환자실 면회 불가인데, 매일 주치의 선생님께서 환자 상태를 상세히 설명해주는 전화 해주셔서 안심됩니다.

특히 매일 환자와 보호자 영상통화 연결해주시는 시스템 훌륭합니다. 영상통화로 환자 보호자가 서로 확인 할수있어 면회 효과 충분합니다. 환자와 보호자를 배려 해주시고, 생각 해주시는 혜민병원에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208
감사의 글_한순민, 주미숙, 김명옥(A)
중환자실 의료진 선생님들께 감사

및 5층 간호팀

코로나에 걸렸었는데 혜민병원에서 치료 잘 받았습니다.

재택치료 중 혜민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어 다행히 빠른 치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처음 외래 진료 받을 때부터 호흡기내과 조재연 과장님과 호흡기 내과 간호선생님들 모두 친절하고 정확하게 일을 진행해주셨습니다.

코로나로 막막하던 차에 이렇게 외래진료로 폐렴 유무를 알게 되었고 입원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5층 음압병실에 입원하게 되었는데 정말 김충훈 주치의 선생님을 비롯 모든 간호사, 간호조무사 선생님들이 친절하시고 잘 해주셔서 힘든 병원 생활 무리 없이 잘하고 퇴원할 수 있었습니다

매일 방호복을 입고 직접 병실에 오셔서 회진하시는 김충훈 주치의 선생님은 정말 사명감 있으신 것 같았습니다.

환자의 말에 귀 기울여 주시고 치료도 너무 잘하셔서 폐렴이 금방 좋아져서 퇴원할 수 있었습니다.

5층 담당 간호사, 간호조무사님들 정말 감사해요 제가 요청하는것 얼굴 한 번 안찡그리고 다 들어주셨습니다.

마지막 퇴원하는 날까지 꼼꼼하게 챙겨주시던 간호사, 간호조무사님 너무 감사했어요ㅠㅠ 코로나 거점병원으로 얼마 안돼서 처음에는 조금 체계가 없다 느껴졌는데

날이 갈수록 좋아졌고 감사한 마음이 커졌습니다.

가뭄 속 단비같던 혜민병원입니다.

앞으로도 코로나 환자들 잘 부탁드려요!

코로나 전담 치료 넘 감사합니다

-환자 백OO님 -환자 보호자 김OO님

항상 마스크 쓰고 조심한다고 했는데 첨으로 코로나에 걸려 3일 동안 열나고 온몸에 기운이 다 빠져나갈 즘

80세 엄마의 두 번째 코로나 확진... 확진 이틀째에는 기력이 너무 떨어지셔서

정말 어찌해야 할지 난감한 상황에 보건소를 통해 혜민병원을 소개받았습니다.

미리 전화로 예약하고 도착해 보니 코로나 전담 치료를 받을 수 있더라고요..

남자 간호사 샘과 의료진 샘들 코로나 환자인데도 얼마나 친절히 대해주시던지

저랑 엄마랑 영양제와 속 가라 앉히는 주사 맞고 어머니는 연세가 많다고 팍스로비드 처방해 주시더군요 엑스 레이와 피검사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삼일 뒤 86세 아버지 2차 확진...

이번엔 처음부터 혜민병원으로... 곧바로 신속 항원 검사 피검사 엑스레이 코로나 치료제 처방(피검사 후 신장 기능 저하로 팍스 로비 드는 안된다더군요) 만약에 동네병원 갔더라면 이런 절차들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했을 듯 고령의 부모님

모시고 어찌할 줄 모르는 상황에 혜민병원 의료진들 덕분에 얼마나 마음에 위안이 됐는지...

주차장 아저씨 신속 항원 검사해주시는 분 특히 코로나 전담실 남자 간호사님 항상 웃는 얼굴로 환자들 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의료진 선생님들(호흡기 내과 남자 선생님) 상태 안 좋아지면 곧바로 입원할 수 있으니 걱정 말라고 광진구에 오래 살면서도 응급상황엔 항상 건대병원만 갔었는데 정말 혜민병원 신속성과 친절함에 너무나 감동받았습니다.

이렇게라도 감사드리고 싶어 긴 글 남깁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209
김충훈 주치의 선생님

507병동에서 코로나로 5일간 입원했던 안OO라고 합니다.

입원기간 내내 밤낮으로 살펴주신 간호사 선생님들과 의사 선생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방호복으로 온몸을 감싸고계셔서 성함도 제대로 여쭙지 못했네요. 한분한분 기억하고 있습니다.

고대병원에서 파견 온 간호사 선생님도 계셨습니다. 별거 아닌것 처럼 말씀하셨는데 대단하신 일입니다.

뉴스로만 접하다 실제로 음압병동 안에 있자니 의료진 여러분이 얼마나 고생하시는지 느낄 수 있었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뿐만 아니라 식사를 만들어주신 분, 배급해주시던 분들, 청소해주시던 분들, 입원과 퇴원을 동행해주시고 칸막이 너머에서 접수와 수납을 도와주셨던 분들께도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그분들이 계셨기에 병동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겠지요. 참 고맙습니다. 혜민병원에 계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도합니다.

-환자 나OO님

-환자 보호자 심OO님

안녕하세요. 어제 코로나 격리 병동에서 퇴원한 환자의 아들입니다.

먼저, 많은 업무와 위급 상황에도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특히, 저의 어머니 및 병동에 같이 계셨던 어머니들께서도 칭찬하신 분이 있어서, 자리를 빌어서 감사 인사 말씀드립니다.

정확한 성함이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남자 간호사님 중 정현경 간호사님 많은 고생하셨습니다.

누구보다 뛰어나신 주사기 사용 능력과 격리 병동에서는 따뜻한 말 한마디가 더 소중한데, 좋은 말씀으로, 환자분들이 안심을 하셨네요. (저도 옆에서 보고, 참 좋으신 분이다 생각했습니다.)

혜민병원에 꼭 필요한 분이라 생각이 들고, 앞으로도 더많은 분들께 봉사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하시고, 즐거운 하루되세요.

-환자 보호자 홍OO님

50년 결혼생활동안 한번도 아프다고 약 사달라고 말한 적이 없는 80세 방영웅님의 아내입니다.

50세가 넘으면서 당뇨와 심장협십증.신경쇠약으로 매일 매일 조심스럽게 지내온 남편입니다

심성이 선하고 착해서 가족들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살아왔습니다.

이런 남편이 코로나의 습격으로 혜민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갔습니다.

면회가 안되는 상황에서 가슴이 새카맣게 타들어 갔습니다.

그런데 기적과도 같이 의식이 돌아온 남편의 동영상이 보내져왔습니다.

가족들은 눈물바다가 되었습니다.

정성껏

210
돌봐주신 의사선생님과 간호사 선생님들 뜨거운 사랑의 향기 보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진께
♥ 코로나 격리 병동 ♥ 중환자실 의료진들에게 ♥
깊은 감사 드립니다

김충훈선생님 본관 7층 간호사 선생님

(김탁원 / 이보람 / 정민주 / 양가혜 / 조유진) ♥

안녕하세여 저희 엄마가 코로나확진으로 3/30 일 입원하셨어요.

-환자 보호자 김OO님

7층으로 가셨는데 코로나 치료제를 맞으시고 발작?? 부작용? 주사쇼크로 의식을 잃으셔서 간호사 선생님들이

정말 자기 부모님 자기 가족처럼 숨이 막히신다니까 의식을 잃어사는데 가슴을 두드리며

“김OO님 안죽어요, 저희가 살려 드릴께요!”라며 가슴을 두드려주시고 다리가 마비가 온다고하셨더니 다같이 주물러주시고. 걱정마시라고 살려드린다고 하시며 정말 정성껏 돌봐주셔서 다행히 건강히 퇴원하셨습니다.

또 김충훈 과장님도 응급이라며 보호자에게 바로바로 연락주시고 검사와 처치를 너무 잘해주시고 보호자에게도 답답하지않게 바로 상태를 안내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생명의 은인이라 뭐라 감사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혜민병원 병원장님 저와 저희 가족을 대신하여 감사의 말을 전해주세요.

-환자 보호자 OOO님

오OO 환자 보호자 딸 입니다

홍은준 선생님 그리고 7층 간호사님 및 봉사자님 모든분들께서 어머니께서 너무 잘 해주셨다고 들었습니다.

희망적인 말씀과 무슨 말을 해도 다 받아 주셨다고 보호자가 면회가 안되서 불안한데 치료 과정을 말씀 해주시고

전화 연결 될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어머니께서도 정말 감사 하다고 은인들 이시라고 하셨고

저또한 정말로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코로나 투석 ♥

-환자 유OO님

코로나 걸렸을때 어디서 투석을 받아야하나 막막했는데 지인이 혜민병원에서 투석받고있어서 여기서 투석을 받았습니다. 확진자이다보니 방역택시를 타야해서 올때마다 예약하는것도 그렇고 그날그날 수납해야하고 그래서 번거롭기는 했는데

간호사 선생님들이 하얀 비닐가운에 쌓여서 서있는것만도 힘들텐데 친절하고 따뜻하게 대해주신게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병원이 코앞이면 계속 여기서 투석을 받고싶은데 거리가 좀 있어서 감사한 마음만 전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들.

211
홍은준 선생님 그리고 7층 간호사선생님 감사합니다

-환자 김OO님

2020년 1월 20일 중국 우한에서 들어온 첫 코로나 환자 발생 이후로, 지난 2년간 정말 하던 일상을 멈추고,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 수많은 사회적 노력에도 무색하게

제가 사는 거대도시 서울에도 엄청난 코로나 환자가 생겨났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수많은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체계적인 코로나 대응책이 수시로 발전되면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것이고 그 핵심에는 제가 직접 경험했던 혜민병원이 그 중심에 있었다.

특히 올 여름 코로나 백신을 3차례나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감염이 되었던 저를 포함한 저희 모든 가족, 친척, 또 제가 돌보던 환자들조차 코로나 전담 치료기관이었던

혜민병원 조 재연 과장님 덕에 목숨을 건지고, 또 금방 회복하여 일상에 복귀하게 되었으니, 정말 혜민병원 코로나 전담 팀과 신속한 진료와 치료를 해주셨던 조재연 과장님의 노고에 감사할 따름이다.

그 수많은 코로나 환자에 몸과 마음이 모두 치쳐 힘드셨을 텐데도 모두 밝은 미소로 대해주시고 열심히 진료해 주셨던 혜민병원 모든 분께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다.

올 한 해 정말 혜민병원 코로나 전담팀의 덕을 가장 많이받은 사람이 있다면 그게 바로 저임을 확신한다.

금년 초 당뇨와 고혈압, 뇌졸중의 기왕증과 간이식수술을 받고 면역 억제제까지 복용 중인 오빠가 코로나에 감염되었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고, 코로나 치료 전담기관인 혜민병원을 인하고 신속 진료를 위해 바로 가서

접수와 동시에 CT 사진 같은 정밀검사를 원스톱으로 진행하였으며, 후송 대학병원으로 앰뷸런스 이송까지

불과 1-2시간에 전부 진행되어 무사히 완쾌할 수 있었음에 정말 감사할 따름이다.

지금 생각해 보니, 만에 하나 그때 혜민병원에서 진료받지 못했다면 고혈압과 당뇨병, 뇌졸중에 간 이식을 받고 면역억제제까지

복용하는 최고의 위중증 환자였던 저희 오빠의 목숨이 정말 어찌 되었을까 싶어 눈앞이 아찔해진다.

혜민병원 조재연 선생님의 신속한 진료와 대학병원 후송 덕분에 잘 치료받고 살아난 오빠는

이제 본인의 직업과 일상에 모두 복귀는 물론이고, 운동 삼아 낮은 산행을 할 정도로 회복하였으니

이 모든 일이 가능하였던 것은 전부 혜민병원 코로나 전담팀 특히 조재연 선생님의 덕분이라 생각한다.

그 얼마 후 제가 환자가 되어 혜민병원으로 찾았을 때도 주차장에 진료실 위치를 안내해 주시던 친절하신 어르신부터, 진료와 치료를 원스톱으로 해결해 주시던 혜민병원 코로나 전담 선생님들의 친절함에 머리가 숙여진다.

정말 많은 환자가 밀려들고 있어 몸과 마음이 모두 지치고 힘드셨을 텐데 세심한 손길로 환자들을 진료하시던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선명하다.

덕분에 바로 회복하여 일상에 복귀할 수 있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저의 이런 좋은 경험으로 그 뒤로도 여러 번 주변의 코로나 환자가 생겼다는 말만 들어도 혜민병원 진료를 안내 드렸었고, 또 빠른 혜민병원의 진료 덕분에 모두 무사히 완쾌되어 저에게 대신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분들도 있었으니 정말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2022년 임인년 한 해가 가고 있는 지금, 가장 기억하고 감사할 일이 있다면, 혜민병원 코로나 전담팀 특히 조재연 부장님임이 분명하다. 부장님. 저희 모두를 살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2023년 계묘년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212
2022 코로나 전담 혜민병원을 기억하며.

Thank You

213
혜민병원에 내원해주신 환자 및 보호자분들의 소중한 칭찬과 응원 감사드립니다.

故김상태 이사장님을 기리며

2023년 5월 5일 한없이 푸르른 봄날에 생전에 따뜻하게 온 직원들을 사랑으로 품어주셨던 ‘혜민병원의 아버님 김상태

이사장님’께서는 저희 곁을 떠나셨습니다. 그동안 베풀어 주신 은혜를 되새기며 고인께서 결단을 내리셔서 진행하신

서울시 코로나19 거점전체전담병원의 역사를 기록하는 「혜민병원 코로나백서」를 빌어 고인을 추모하는 글을 기록 으로 남기고자 합니다.

고인은 1936년 1월 5일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도에서 무녀 독남으로 태어나 유년기를 일본에서 보내셨고 이후 귀국하

여 목포 중고를 나오셨고, 1965년 2월 26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습니다. 의대를 졸업한 해에 육군 중위로 임

관하여 수도 육군병원 인턴수료 및 외래과장은 역임하셨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필동성심병원 산부인과에서 레

지던트 수련 과정을 거쳐 1974년 4월 10일 김상태 산부인과 의원을 개설하셨습니다. 또한,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

사학위를 취득하고 동대학 중앙의대 외래교수에 발령받아 후배 양성에도 힘썼습니다.

평생 몸바쳐 일구신 혜민병원은 1985년 11월 서울 광진구 자양동으로 이전하여 54실 205병상의 종합병원으로 개설

및 운영을 시작하여, 매번 위기가 닥칠 때마다 조급해하지 않으시고, 냉철한 판단력과 추진력으로 사태를 극복하셨습 니다. 그리하여 혜민병원은 서울 동부지역의 거점병원 역할 및 지역 주민 중심의 종합병원으로서 400여 명의 직원들이

합심 단결하여 우수한 의료 서비스 제공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가고 있습니다. 고인은 병원 직원들을 가족처럼 사랑하셔서 매번 명절에는 고향에 김, 고구마 등을 보내주시고 직원들 경조사에 직접

참석하시고 자리를 빛내 주시는 따뜻하고 유머넘치는 경영자셨습니다. 더불어 1994년 전국 중소병원장 협의회 고문, 1997년 서울시병원회 부회장, 2009년 대한병원협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며 중소병원의 발전에 공헌 및 중요한 역할

을 하셨습니다. 특히 2021년 12월 6일 서울시 최초로 혜민병원을 코로나19 전체거점 전담병원으로 전환하는 중차대한

결정을 하셨고, 수도권의 부족한 코로나 병상 확보와 고위험군의 효율적인 치료에 물심양면으로 직원들을 격려하여 서

울 시민의 코로나19 의료대응 치료에 중심 역할을 하셨습니다.

한편, 고인은 의료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아픔을 함께 나누는 경영인으로서, 광진구 자양동 일대 어려운 소 외계층과 다문화 가정을 위한 ‘이웃사랑 나누기 다문화가정 지원 및 이웃돕기 행사’를 펼쳤습니다. 특히 자양

214
1, 2, 3동 경로당과 장애인기업협회에 매달 쌀 29포씩 10년 넘도록 전달하며 지역사회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웃들의 어려움을 조 금이나마 함께 나누기 위해 최선을 다해오셨습니다. 추모사

또한, 고인은 훌륭한 일가를 이룬 한 가정의 성실한 가장이셨습니다. 1965년 12월 24일에 부인이신 박춘매 여사와 결 혼하시어 슬하에 2남 3녀를 두셨고, 자녀들 모두 훌륭한 사회의 일꾼으로 키워내셨습니다. 본인은 부유한 사업가 부모 님 슬하에서 성장하셨으나 사업가적인 경제관념이 뚜렷하셔서 자녀들에게조차 무턱대고 도움을 주시기보다는 정당한

노력의 대가로서 돈의 의미를 가르치셨고 독립적으로 키우셨습니다. 그러나 주위 친척분들 이웃들을 돌보시는 데는 아

낌없이 퍼주시는 키다리 아저씨 같은 분이셨습니다. 모든 역경을 함께 헤쳐오신 아내분과 2016년 사별하시고 2019년

에는 암으로 진단받으신 뒤, 수술과 항암치료를 받으시면서도 혜민병원의 운영에 열성을 보이시며 굳굳히 암과의 싸움

을 감내하셨습니다. 2023년 5월 8일 어버이날 전직원들의 눈물 속에 발인하여 김상태 이사장님께서는 평생을 몸담으 신 혜민병원을 뒤로 한채 떠나셨습니다.

故 김상태 이사장님은 산부인과 전문의이자 의학박사로서 지역사회에 우수한 의료서비스 제공하신 의료인으로, 서울 광진구 주민들과 아픔을 같이 나눈 훌륭한 경영인으로, 온 가족들에게 사랑받는 가장으로서 저희들 가슴 속에 영원히 기억되실겁니다. 그동안의 힘겨웠던 고통을 모두 뒤로 하시고 평화롭게 영생 극락하시길 기원합니다.

215
많이 그립고 사랑합니다. 혜민병원 코로나백서
편집위원회
올림

혜민병원 코로나 백서 편집 후기

白書의 본래적 사전적 의미는 정부가 어떤 문제에 대해 그 현상을 분석하고 장래를 전망하는 내용으로 꾸며서 발표하는 실정 보고서’이다. 요약하면 현상 분석과 장래 전망을 위한 기록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지나간 경험을 백서로 남기려 할 때 최적의 작성시기는 기억에서 없어지기 전인 경험의 끝자락에서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며 그 작성 목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이다.

첫째는 준비단계에서는 도면설계부터 인원, 물류 보충 등을 어떻게 준비하고 계획하였으며 진행 중에 준비단계에서 설정한 목표대로 실행되었는가? 준비단계에서 미흡한 점은 무엇이었는가? 결과적으로 준비단계에서 가장 잘 계획되어서 차후 대비 에도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계획대로 안되었던 것은 무엇이며 부족하거나 예측 못했던 문제는 무엇이며 차후

대비를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가? 준비단계에서 미리 예측하지 못했지만 차후 계획에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하

는 에러 사항은 무엇인가? 등을 모두 생생하게 기록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이런 목적 하에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통 해서 우리는 다음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유사한 상황의 대비를 선도적으로 하고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하여 향후에 더 큰 발전 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는 우리의 경험을 외부에 알림으로써 우리 모두의 노력의 성과이자 업적을 널리 알리고 다른 이들이 우리의 경험을 토대 로 실패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이나 집단들에게 간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는 함께 고생하며 역경을 이겨낸 동료들과 함께 축하하는 것도 백서 작성의 큰 목적 중에 하나이다. 재난적 상황이나 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 두사람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많은 동료들이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역할에 열과 성을 다

해 땀흘리며 적극적으로 일하며 어려움이 있을 때 서로를 보듬고 위로하면서 최선의 노력을 해야만 가능하다. 그런 과정에서

함께 고생하고 노력하면서 서로 위안하던 여정을 생생히 기록하여 동료들의 희생과 봉사를 오랫동안 함께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다.

216

어느 진료부 회의 중에 김병관 원장님이 혜민병원도 다른 거점 전담병원들처럼 코로나 백서를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의견을 내셨고 그 말을 듣는 순간 이렇게 큰 의미가 있는 일은 내가 맡아서 해야겠다는 사명감에 아무 준비도 없는 백지상태

에서 편집 인원들을 모으고 회의를 소집하면서 무턱대고 시작했다. 그리고 가장 먼저 다른 병원의 상황들을 벤치마킹하기 시 작했다.

마음의 준비도 전혀없이 소집되어 참석한 편집위원들의 얼굴에는 어찌할 바를 모르는 당혹감도 느껴졌고 일을 떠맡긴 위원 장의 입장에서 미안함도 느껴졌지만, 그런 미안함은 멋진 백서를 작성함해야만 해결이 가능한 것이라는 생각에 백서 제작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이미 거점병원을 중단한 몇몇 병원들의 백서도 큰 도움이 되었고 우리 혜민병원의 상 황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우리 나름대로의 형식과 내용을 갖추어 가면서 한걸음씩 나아가지 시작했다.

혜민병원 코로나 백서의 기본적인 편집 방향은 사건 위주의 기록을 기본으로 하지만 그와 동시에 함께 고생한 동료 직원들을 최대한 기억하고 서로 격려하며 감사하면서 우리 혜민병원의 미래를 위한 동료애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여 진 행하기로 하였다. 그런 편집 방향을 바탕으로 각 파트별 부서장들에게 예제를 제시하면서 부서마다 그 동안의 사진, 경과기 록, 통계 등을 정리해주길 부탁하였고 홍보과에서는 타임 라인과 포맷 디자인 등을 신선한 아이디어로 시도해주었다. 각 부 서의 팀원들은 힘들었겠지만 기꺼이 단체 사진도 찍고 예전에 힘들었던 환자들 이야기도 하면서 지난 기억을 더듬어 갔다. 서울시 최초 전체 병원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업무를 시작한 지도 1년이 지났고 차츰 안정되어 가는 중인 지금 지난 감염 병 재난 기간 중 전담 병원의 임직원으로써 우리들의 경험을 기록 정리하는 것은 후배들이나 혹시 모른 다음 재난을 대비한

우리의 의무이자 스스로에게 자랑스러운 영광스런 작업이었고 힘들지만 행복한 일이었다.

백서 구석구석에 남아 있는 우리들 그간의 흔적을 찾아보며 큰 보람과 자긍심을 느끼며 함께 참여해준 편집위원들 – 심명주 과장, 임명옥 과장, 장경화 대리, 송현진 간호행정팀장, 임정은 간호사, 맹진호 계장, 임수정 계장 특히 많은 작업을

웃는 얼굴로 힘든 내색없이 열심히 해준 홍보팀 권정연 팀장, 정현아 사원 두 분께 진심어린 감사를 드리고 지난 전담병원 시

절에 함께 고생한 혜민병원의 모든 임직원들을에게 큰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코로나 전담병원 직원의 가족으로 코로나 환자

진료를 하는 가족의 건강을 염려하면서 마음고생을 많이 하셨을 혜민 직원의 가족분들 모두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혜민병원 이사장님과 원장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초반기 직원 이탈의 위험, 경영상의 위험 그리고 재난시기 이후

정상회복 시기의 불투명성 등 많은 어려움과 불투명성을 감수하시면서 전 병동 전담병원을 수락하셔서 우리 모두가 국가적 재난 상황의 극복에 우리 모두 참여할 기회를 만들어 주셔서 우리들 모두 병원 근로자와 의료인으로써의 긍지를 더욱 높이고 전 직원들의 자부심을 높힐수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신 것에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혜민병원 이사장님과 병원장의 결단으로 전 병동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을 수락하면서 시작된 전담병원 직원의 역할을모 두 한가족처럼 똘똘 뭉쳐서 길고도 험했던 코로나 사태라는 국가적 재난 기간 동안 최일선에서 방어하고 치료했었던 우리 혜

민병원 직원 한 분 한 분 모두가 훌륭한 코로나 전사로 스스로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고 믿으며, 그간의 고생은 각자 인생의 찬란한 한 조각으로 영원히 기억될 것을 믿는다. 모든 우리 코로나 전사들에게 감사를 다시 한번 전하며 앞으로도 항상 건강 하시고 축복받으시길 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로 인한 국가적 감염 재난 중에 고생하신 전국의 병원 근무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고 또한 코로나 감염 에서 회복하지 못하시고 안타깝게 희생되신 환자분들도 함께 기억하고 그분들의 명복을 빌면서 백서 편집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2023년 7월 31일

백서 편집장 중환자실장/호흡기내과

217
조재연

│ 경영진 │ 이사장 김상태 · 병원장 김병관 · 행정부원장 김성현 · 건강증진센터장 김의숙 │ 진료부 │ 진료부장 구건우 · 내과부장 김충훈 · 외과부장 전승주 · 중환자실장 조재연 · 응급실장 오병연 · QPS실장 류혜미 · 적정지원실장 유은수 · 진료협

력센터장 홍은준 · 가정의학과 김대현 · 건강증진센터 손웅주 · 내분비내과 박선미 · 마취통증의학과 김보람 · 소화기내과 강홍선

김영중 김효진 백지원 유은수 정혜미 최원석 · 신경과 정규윤 · 신경외과 문원준 황종헌 · 신장내과 박근회 조일련 · 심장내과 김충훈 · 여성의학과 조윤현 · 영상의학과 김정환 장석환 · 유방갑상선외과 윤철희 · 응급의학과 오병연 박지수

박진원 이제엽 전진우 · 이비인후과 심명주 · 일반외과 홍은준

이중렬 · 정형외과 전승주 정재효 · 진단검사의학과 최경미 · 호흡기

알레르기내과 구건우 조재연 류혜미 · 흉부외과

강정한 │ 간호부 │ 간호부장 권혜정 · 특수파트장

정옥경 · 외래/CS 파트장 선덕 · 간호행정

팀장 송현진 · 본관5병동 차은주 손잎새

강민재 김가은 김경미 김수연 김신해 김주리 남현수 박현영

이소원 이유안 이은영 이하경 조은현 최영서 한지혜 황은민

김혜숙 박복례 이민아 함영휴 최명숙

· 본관6병동 이현희 이소라 곽문선 김경진

김성욱 김은서 김인혜 김정인 김주희 김초희 김홍성 문수빈

박미정 박혜인 부은아 양진아 이맑음 장예진 최예찬 최은주 김명옥 김윤희 노영란 연제경 임서영 최은정

김병철 윤지애 · 본관7병동 김한희 김도균 김성건 김예진 김유진 김지유 박다운 박정인 박지연 박지원

송치원 유정환 이유림 이지원 정예원 최진영 김정선 양경숙 정희숙 연경아 · 신관5병동 손정희 고유미

김혜미 류주희 민수민 신솔비 윤성은 이진 이현희 조영인 주소윤 한기백 김은진 · 신관6병동 최미나 권서영 권용달 김리영 김지원

남송현 문현진 우혜림 이보람 이혜선 전서영 정동수 최선화 홍지효 임주영 권규석 이건석 · 특수간호팀 - 수술실 황윤순 김민건

김수정 박수민 위예진 - 응급실 류선영 정연희 강나영 김강한 김동현 나호성 도은진 심효진 유민지 이예정 최진혁 김양수 - 중앙

218

공급실 권혜숙 조경숙 임정희 - 중환자실 정옥경 서혜랑 신미현 이봉숙 김승연 김윤현 박혜선 백지연 윤미리 윤유선 이정윤 이하희

정성제 채소영 허성광 김명옥 김선태 김영미 신현이 유정옥 천희영 김태진 백성권 - 외래파트 선덕 서희경 안은진 김서율 심진실 최경민 신대수 정은주 김민지 박선희 손봉기 이남주 전하준 최상미 김선미 박지현 엄민진 임송이 김묘주 은동희 │적정진료부│

적정진료팀 임수정 · QPS실 정홍숙 김가희 · 감염관리실 임명옥 장경화 황민영│진료지원부│물리치료실

이수 진 조명은 · 영상의학과 박인욱 박종성 류철희 박태진

김대영 김민규 김태민 노진호 윤성제 조수미 지은정 허유진

진단검사의학과 이창숙 차서연 맹규선서경남 오세성 권민영 김지영

김채은 박승혁 박예은 송다은 이소희 이지웅 정성희 정한송 진세희 차연주 │ 행정부 │ 건강증진센터 김소은 고민지 김가현 김경순 김보람

김소정 김수은 김연아 김영순 김영아 김영은 김예슬 김은희 김정원

김지희 김찬미 남궁민 박기영 박상훈 박선영 박연화 박윤숙 박재선

박충희 박한진 박혜수 손현진 송가희 신혜지 양성숙 엄정경 오채영

우현정 유수현 유지수 이미숙 이민지 이상희 이영미 이이슬 이지 상 이태경 이효주 전지은 전혜연 조현아 천금 최아솜

최은혜 최인혜 최효주 허정은 허혜림 · 교환/콜센터 강영희 한혜선 김소연김아름 강현명 이미경 이운주 · 구매관리과 최순아

서정원 김현우 김동민 · 시설과 최용구 정태환 김상현 강승현 백창훈 정석채 · 심사과 장미애 탁정임 오설아

한유경 · 영양실 김효덕 장세리 박효영 권원분 김미향 김양숙 김재준 김화자 박영란 박정옥 박혜옥 변경임 소정자 엄순용

이청자 조현선 하명순

- 의무기록실 강한희 임세현 - 진료협력센터 김태진

박시현 · 인공신장실 남옥희 김미화 김숙희 박혜복 구한아

김지안 안보경 장수영 하민정 박은진 어선영 · 장례식장 조은아 이승임 김도훈 김호동 오용균 유호상 함승윤 · 전산실 이대근 양윤모

이준민 · 행정관리과 박영민 박현수 문유정 이지상 최민석 최민희 - 차량/미화계 강호진 고동환 김동인 김성태 박민양 박순례

이광수 이만규 이시형 이영옥 이정현 이창환 장경애 정연준 · 홍보팀 권정연 이현아 정현아 · 회계과 장은숙 박지숙 신은경 왕기쁨

219
장선주 이경선 이영헌 함채연 · 약제과 김진영 김영희 박지혜 박현지 이다은 이선아
고다현
유만수
한옥선 · 원무과 나기창 소대성 이용 맹진호 김승기 조상휘 김장미 김현우 방정훈 정수현 정찬진 최정훈

백서 편집위원회

조재연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중환자 실장)

심명주 (이비인후과 과장)

임명옥 (감염관리실 과장)

송현진 (간호행정팀 팀장)

장경화 (감염관리실 대리)

맹진호 (원무과 계장)

임수정 (적정진료팀 계장)

권정연 (편집, 홍보팀 팀장)

정현아 (편집, 홍보팀 사원)

이현아 (사진, 홍보팀 사원)

220
편 집 장 발 간 팀 위 원
편집위원
편집위원회 단체 사진
혜민병원 코로나19 백서
발 행 처 : 혜민병원 발 행 일 : 2023년 7월 (05056) 서울시 광진구 자양로 85 http://www.e-hyemin.co.kr 02-2049-9000
HYEMIN HOSPITAL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