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환경연합 소식지<좋은인연>5,6월 호

Page 1

화성환경운동연합 회원소식지 통권 126호 2023 05/06 02 여는 글 - 1 04 여는 글 - 2 06 활동후기 08 활동현안 10 낱말퀴즈 12 단체SNS 13 결산보고 14 단체활동소식 15 후원프로그램 16 회비 납부 ‘세계 철새의 날 기념’ 화성습지 탐방 대회를 5월13일 화성습지 일대에서 100여명의 시민이 참여하여 화성습지 탐조와 매 향리 갯벌 걷기등의 행사로 진행했습니다(관련 내용 p.8-9)

여는 글 - 1

비닐우산

시인 이 문 재

그 무렵의 보리밭

이라고, 중얼거려 보면 마음 한 켠 언뜻 환해

진다

여기에는 푸름 전혀 없는 탓

내 속에 푸르름이 없는 까닭이다

푸른 것들은 살의를 품은 듯

있는 힘 다해 햇빛 빨아들인다

살아서 푸르른 것이다 내 어려 살던 곳

보리밭 이랑이랑 푸른 것들의

무더기들 더운 흙 속을 쑤셔대고 있었거니

비닐우산 들고 여기, 아침으로 나오는데

그 여린 보리들처럼 너는 이 비를

빨아들이지 않는다 이 비 나는 비켜간다

2 좋은인연 05 06월호

너도 그러할 터, 비닐 한 겹으로 하늘과

나는 막혀 있구나, 갈라져 있구나

이러한 투명은 절망일 터, 너와 나도

빤히 보임으로써 갈려져 있다

썩어져 없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죄, 죄악이다

비닐 같은 문명들 겹겹으로

오늘을 뒤덮고 있다 이 봄날 지나면

우선 내가 먼저

너로부터 썩어져 나가리니

시인 이문재

1959년 경기도 김포에서 출생. <시운동> 4집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산책시편』『제국호텔』외 다수

1995년 김달진문학상, 1999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2002 년 소월시문학상, 2006년 지훈문학상을 수상했다.

3
화성환경운동연합 여는

화성환경운동연합에 관심을 갖고 활동해 주시는 회원, 활동가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2001년부

터 2014년까지 13년 동안 환경운동연합 회원이었습니다. 가입 당시는 화성시에 환경오염과 난개발이 무분별하게 진행되고 있었던 때였고 당장 우리 시민을 대변해 앞장 서 줄 수 있는 시민단체가 간절한 시기였습니다. 그런 시 점에 현안 대응에 앞장서고 있던 화성환경련이 있었습니다. 화성시민의 한사람으로서 지역시민단체를 성장시키

는 것과 현안은 정말 중요한 일이었고 13년 동안 회원으로서 화성환경운동연합에 응원을 보내며 회원자리를 지켰 습니다.

그러다 요즘 수원군공항을 이전한다는 경기도의 공약과 그 이전부지가 매향리가 될 수도 있다는 소식을 접하

며 화성시민으로서도,

수원 군 공항 이전 부지로 화성시의 매향리를 선정하려고 준비하고 있고 사전조사 예산도 승인했 다는 것입니다.

저는 화성시 장안면 석포리가 고향으로 유소년 시절 매향리 미군사격장 폭음과 섬광을 보면서 성장하였기에 그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사람입니다. 전투기 폭격에 대한 트라우마로 그 두려움의 상처가 마음 한구

석에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구요.

한동안 화성환경운동연합에 뜸했던 제 마음에 동요가 일었습니다. 더 이상 매향리 갯벌과 화성습지에 못할 짓

을 하면 안 된다는 간절함이 이번에 제가 다시 화성환경련 회원이 되게 하는 가장 큰 계기입니다. 화성환경운동연

개인적으로도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급박한 기후위기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지금, 온실가스를 저장하는
경기도에서는
갯벌의 소중함이 점점 커짐에도 불구하고
합에 군 공항이전 반대 활동과 화성습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 시민 서포터즈 출범 노력을 보면서 다 시 한 번 미력하나마 회원으로서 동참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 효 정 발안만세시장상인회(전)회장 아름다운 발안천 생태보존협의회 회장
화성환경운동연합 회원으로 다시 돌아온
4 좋은인연 05 06월호 여는 글 - 2
계기와 앞으로의 바람

화성습지는 반드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군 공항 이전도 막을 수 있고 그곳에서 둥지 를 틀고 살며, 멀리 시베리아에서 호주까지 이동하는 귀한 철새들도 지킬 수 있습니다. 세계자연유산 등재는 결 코 허황된 꿈이 아닙니다. 이미 2021년에 우리나라의 4대 갯벌이 등재되어있는 상태니까요. 그러려면 더 많은 화 성시민들이 서포터즈가 되어 목소리를 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목소리를 모아 더 크게 만들어 앞장 서 줄

수 있는 곳이 바로 화성환경련이구요. 앞으로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모아 함께 할 생각입니다.

화성시 서부지역에 사시는 분들이라면 발안천을 모르실리가 없으시지요, 저는 현재 “아름다운 발안천 생태보 존협의회”에서도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부터 진행된 발안천 살리기 협의회 활동은 생태하천 복원

공사에 선정되고 공사 완료된 후 그 이후엔 꾸준한 외래종 제거 및 환경정화 활동으로 시민에게 다가가는 친수하 천으로 변화하는 중입니다. 봄에는 벚꽃이 지천으로 피고 여름과 가을엔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산책하기 참 좋 은 곳인데 기후위기 상황이 발안천에도 영향을 주는 걸까요?... 올해는 벚꽃 개화시기가 작년에 비해 15일정도 빨 랐습니다. 아마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봄날의 기온이 너무 높아진 탓 일겁니다. 벚꽃도 사람도 나날이 빨라지는 기후변화 속도에 적응하기 힘들어지는 현실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지역사회 환경단체에 더욱

더 관심을 갖고 함께해야 하는 이유일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5
화성환경운동연합 여는 글

열아홉번째 초록축제를

무사히 마치고 나서

도구들을 바리바리 챙겨 초록산 가운데 공터로 향하며 혼잣말을 하곤 했다

‘이 더운 날 나는 왜 여기 있나’

‘좀 더 재미있는 곳에서 휴일을 즐기고 싶다’

‘아버지는 왜 이런 걸 자진해서 하는 걸까’

맘이 동하지 않으니 축제 시간이 끝나기도 전에 서둘러 집으로 갈 때도 있었다.

그에 비해 엄마, 아빠 손을 잡고 초록 산에 모이는 어린아이들의 얼굴에는 항상 웃음이 가득했고, 행사를 준비

하는 인원들의 얼굴에도 기대감이 가득했다. 하지만 나는 당시 그 축제 안에서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이었다. 얼

굴은 웃고 있어도 축제를 그다지 즐기지 못하는 스스로를 발견하곤 했기 때문이다.

이제 나이를 먹어 아버지와 함께 일을 하며 어느덧 30대 후반이 되었다. 아버지는 나에게 초록축제 준비를 대

신 해보라 권유하셨고 그렇게 나는 초록축제 준비위원이 되었다.

이번 초록축제는 유난히 우여곡절이 많았다. 코로나로 인하여 축제가 3년간 열리지 못했었고, 축제 장소도 기

언제인지 정확히 기억하진 못하지만 내 기억 20대 초반부터 어린이날 아침은 으레 초록산으로 향했다. 매년 초 록축제마다 아버지는 미숫가루를 만들어 사람들과 나누었는데, 나는 그때마다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미숫가루와
존의 초록산을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어 도심 한가운데 공원으로 변경되었다. 음식을 만들기 위해 가스불을 사용 강 현 구 화성한과 과장 6 좋은인연 05 06월호 활동후기

할 수 없었으며 비 예보도 있었다.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자연스레 준비 회의에도 여러 번 참석하게 되었는데 놀라웠던 점은 이 축제를 준비하는 준비위원 분들의 자발적 참여와 추진력이었다. 축제를 준비하는 이분들은 제

한적인 상황에 대한 불만이나 걱정도 있었지만 3년만에 열리는 축제에 대한 기대감이 더 많아 보였다.

비가 올까 걱정하며 새벽내 뒤척이다 축제 당일이 되어 현장에 도착했고 준비위원들도 하나 둘 각자가 담당한

부스의 재료와 소품을 들고 한자리에 모였다. 다행히도 비는 예보와 다르게 내리지 않았고 (초록축제 18년차 동

안 한 번도 축제 시간에 비가 안 왔다는 어느 원로분의 말씀이 새삼 놀라웠다) 나는 이번에도 미숫가루와 도구들 을 챙겨 어김없이 그곳에 있었다. 마음가짐이 조금 달랐다. 내가 자발적으로 시작하는 첫 번째 초록축제에 욕심 이 생겼다.

아이들은 엄마 아빠의 손을 잡고 하나둘 공원에 모였고 조심스럽게 나에게 텀블러를 건네며 미숫가루를 달라

고 손을 내밀었다 작은 손에 미숫가루 병을 들고 엄마 아빠에게 달려간다. 그동안 내가 아빠가 되어서 일까? 지금

까진 잘 보이지 않았던 아이들의 웃음이. 그 표정이 나에게 초록축제를 즐길 수 있는 이유가 되었다.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내가 만든 미숫가루 한잔, 옆 부스의 탕후루, 국수, 샌드위치 등을 함께 먹으며 엄마 아빠와 시간을 보내

는 것이 이 아이들에게는 더할나위 없는 기쁨이구나! 이 모습 때문에 초록축제가 그동안 유지될 수 있었구나!...

돈이 필요하지 않은 어린이날의 축제라! 단순히 음식을 주고 그 음식을 받아먹는 것이 아닌 만든 사람의 기쁨과

받는 사람의 즐거움을 공유하는 축제였다. 공짜여서 좋은 것이 아니었다. 서로에 대한 존중과 가치에 대한 공유

가 있어 좋은 것이었다.

축제를 마치고 중요한 사항도 새삼 발견했다. 다른 축제나 행사와 달리 쓰레기가 거의 나오지 않은 것이다. 일

회용품 사용을 지양하는 축제답게 참가자 분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백명이 훌쩍 넘게 모이는 축제에서 10리터

짜리 쓰레기 봉투도 채우지 못할 양의 쓰레기가 나왔다 이렇게 바람직한 축제가 세상 어디에 또 있을까...

내년 20회 초록축제에 대한 욕심이 생겼다. 매번 하던 똑같은 미숫가루가 아닌 새로운 것을 해볼까? 다음엔 나 도 나의 어린 아들과 가족과 함께 와서 즐겨야지. 아빠가 된 나는 이제, 예전 나의 아버지의 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잘해내고 싶은 내년이 기다려지는 축제가 되었다.

7 화성환경운동연합 활동후기

화성습지 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당면 과제

이 준 원 (전)화성환경운동연합운영위원장 세계자연유산화성서포터즈 상임대표

화성시는 수도권에서 몇 안 되는 연안을 품은 도시다. 행정구역대비 산림의 유지비율이 약 30%로 산림에서 발

원하는 하천수와 장마철에 발생하는 흙탕물이 연안 해역에 양질의 영양을 공급하고 탄소저장과 수질을 정화하는 갯벌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시작된 대단위 간척사업으로 제방을 축조하게 됨으로써 해안선이 직선화되고 기수지역을 단절하여 연근해 어류들의 산란 터를 앗아가 연근의 어종들이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 다. 특히 해안선이 직선화되면서 조류가 변화되어 뻘 흙이 쓸려가고 갯벌의 두께가 얇아져서 저서생물과 어패류

의 생태환경 또한 위협 받고 있다. 경기만의 간척지중 연안 *육역지는 졸속으로 사후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주민이

나 어민들에게 결과가 보고된 바, 없으며 연안 해역은 사후조사 조차 되지 않아 간척사업이후 어민들의 생계어종 들이 고갈되어가는데도 특별한 대책이 없어 보인다.

역간척이 이뤄지지 않는 한 어민들의 생계수단도 어업보다 어촌관광, 레저나 체험 등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 정인데 이대로 간다면 어민들의 생활터전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행스럽게도 2019년 1

활동현안
8 좋은인연 05 06월호

활동현안

월에 문화재청을 통하여 세계자연유산등재 신청서를 제출한 서천, 고창, 신안군, 순천시, 보성군 등이 2021년 6월 IUCN(세계유산등재심사자문기구)의 심사에서 반려되어 권고안이 주어졌는데, 다행히도 2021년 7월 제44차 세

계유산위원회에서 경기만의 화성, 강화, 영종도, 송도, 아산, 당진 갯벌을 이동철새들의 주요 기착지로 인식하여

2차 권고지역으로 정하고 자연유산구역 확대를 조건부로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한 바 있다.

이에 우리는 2022년 12월 9일 화성종합경기장에서 화성시민 130여명이 참여하여 화성습지 유네스코자연유산

등재서포터즈 발기인 대회를 열고 화성습지를 2026년 48차 회의에서 유네스코 자연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첫발

을 내디뎠다. 화성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보존의 필요성을 화성시민과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관심과 참여를 확대 유도하고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유네스코자연유산에 등재될 때까지 지역주민들과 함께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경기만 전체를 습지보호지역이나 국가정원으로 지정하여 생태계보전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연

근해 어종을 복원하여 어족자원이 풍성해지길 기대하며, 화성시의 대표 관광지로 거듭나길 희망한다.

*연안육역 : 무인도서,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500m(항만, 국가어항 또는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1,000m) 이내의 육지지역(하천구역은 제외)으로서 「연안관리법」에 따른 연안통합관리계획에서 정한 지역을 말한다.

9 화성환경운동연합

원고 펑크 나서 만들어 본 낱말 퀴즈!

가로 낱말

1. 해수와 담수 서식지의 바닥에 사는 수중 생물의 통칭. 식물의 종류에는 파래, 미역, 다시마 등이 있고 동물의

종류에는 말미잘, 갯지렁이, 게, 고둥, 조개 등이 있다

2.가을에 노랗게 물드는 낙엽이 있는 나무. 병충해에 강한 특징으로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고생대부터 살아남아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린다

3. 주로 하절기에 입는 제복이나 교복

4. 농사에 필요하여 논밭에 대는 데 드는 물. 강수량이 부족한 경우 반드시 필요하다 주로 저수지에 모아두었다

사용한다

5. 햇빛이나 불칩이 밖으로 새거나 들어오지 않도록 가리개로 막아서 가림

6. 어린이를 위하여 동심을 바탕으로 지은 이야기. 대체로 공상적,

① ③ ② ④ ③ ④ ⑮ ⑥ ⑤ ⑦ ⑨ ⑨ ⑧ ⑩ ⑩ ⑪ ⑭ ⑫ ⑫ ⑬ ⑬ ⑮ ⑯
서정적, 교훈적인 내용으로 되어있다 7. 차이콥프스키가 작곡한 교향곡 제 6번의 이름 곡 전체가 비관적이고 절망적인 감정이 강하게 나타난다 10 좋은인연 05 06월호 낱말퀴즈

8. 워크레프트, 디아블로, 스타크레프트와 오버워치 게임 시리즈를 제작한 회사 이름

9. ‘자원봉사단’의 줄임말

10. 음식을 만드는 주재료인 식품에 첨가해서 음식의 맛을 돋우며 조절하는 식재료 대체로 감칠맛이 난다

11. 웃거나 말할 때 얼굴에 오목히 들어가는 자국

12. 인도, 3분, 매운맛, 순한맛, 노란색

13. 볶은 깨를 되직한 물엿에 버무려 만든 전통 과자. 한과에 속한다

14. 공예품 제작용이나 장신구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공한 조개껍데기 나전칠기등에 사용되는 장식기법

15. 대학별고사의 다른 이름. 000→학력고사→수능→학종이 세대별 입시제도 변천사이다

16. 문어과의 연체동물.낙지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크기가 더 작다

세로 낱말

1.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번식하는 전 세계에 2400여마리만 남은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다 세계적으로 동아시아

에서만 서식한다 주로 한국,대만,일본,베트남에 분포한다 주걱처럼 생긴 부리를 얕은 물속에 넣고 좌우로 저으

면서 먹이를 찾는다

2. 은하를 강에 비유하여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푸른하늘 000” 라는 동요도 있다

3. 자연환경, 고유문화, 생태적으로 양호한 지역에 대한 관찰과 학습, 지속가능한 관광 활동 등을 포괄하는 관광

4. 대한민국의 국화.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지지 않는 꽃’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5. 여러가지 사실을 말할 때에, 저리하는 것보다 이리하는 것이 나음을 이르는말. “000 이게 낫겠어!”

6. 같은 학교에서 공부를 한 사이 혹은 같은 학교를 같은 해에 나온 사람

7. 서해안의 대표 조개인 바지락과 크기나 모양이 비슷하다 다만 동해안의 모래에 살고 무늬가 화려하다 본래 이 름은 “민들조개“이다 힌트는 외래어 “실크”

8. 갯벌, 해조류, 해저 퇴적물에 흡수되어 저장된 탄소. 육상 생태계가 흡수하여 저장되는 탄소는 “그린카본”이다

9. 병이나 상처 따위를 잘 다스려 낫게 함

10. 여름이 왔음을 알리는 여름 첫과일. 새콤달콤한 맛이고 과즙이 많다 품종으로는 대석,후무사등이 있고 펙틴 이 풍부해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다

11. 제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쓰는 재료. 구체적인 용어는 분야에 따라 다르나 건축에서 많이 사용되며 구조

부재가 약할 때 사용되는 부재를 칭한다

12. 덴마크의 블록 장난감 회사 이름이나 그 회사의 장난감의 총칭으로 쓰인다

13. 집단을

낱말퀴즈
가장 성공적으로 이루고 있는 곤충의 종류. 근면,성실의 대표적인 생물이며 계급집단을 이루고 산다 14. 여러번 반복하거나 끊임없이 계속하여라는 뜻의 순 우리말. 유의어로는 “거듭” 15. 범죄를 저질렀다고 의심을 받는 사람. “수사기관에서는 이번 사건의 유력한 000로” 11 화성환경운동연합

http://hs.ekfem.or.kr)

(https://www.instagram.com/hs_kfem)

(https://www.facebook.com/greenhs.or.kr)

화성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및 SNS에 놀러오세요! 활동 소식과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하셔서 응원 댓글 남겨주세요!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12 좋은인연 05 06월호 단체 SNS

2023년 4월, 5월 결산보고

/ 교육

420,000

76,560

49,000

18,210

/연대사업 556,381

20,000

2023 4월 결산보고 (단위 : 원) 수입 지출 이월금 소계 1,656,541 인건비 소계 4,388,920 전월 이월금 1,656,541 급여 3,394,630 회비 수입 5,050,491 상여금 0 CMS 회비 5,050,491 사회보험료 356,320 퇴직연금 337,970 기타 수입 소계 101,200 식대 300,000 사업기타 소득내역 101,200 경상 운영비 소계 1,967,236 사무실 임차료 550,000 복리후생비 0 공과금 59,170 소모품비
지급 수수료
기타운영비
<함께사는길>
회원관리
조직운영비
정책
사업비 시민교육사업
정책
활동가교육사업
기타 기타/예비비 0 6,808,232 6 356 156 예금 잔액 452,076 2023 . 5월 결산보고 (단위 : 원) 수입 지출 이월금 소계 452,076 인건비 소계 5,431,530 전월 이월금 452,076 급여 3,426,240 회비 수입 소계 5,547,503 상여금 0 CMS 회비 5,547,503 사회보험료/ 갑근세외 1,346,440 0 퇴직연금 358,850 기타 수입 소계 1,570,000 식대 300,000 이경희 200,000 경상 운영비 소계 1,923,844 김의성 20,000 사무실 임차료 550,000 차입(임명수) 1,350,000 복리후생비 0 공과금 207,713 소모품비 0 지급 수수료 171,330 기타운영비 46,620 조직 사업비 <함께사는길> 420,000 회원관리 86,000 조직운영비 0 정책/ 교육 사업비 시민교육사업 0 정책/연대사업 422,181 활동가교육사업 20,000 기타 기타/예비비 0 7,569,579 7,355,374 예금 잔액 214,205 13 화성환경운동연합 회계결산
8,000
165,915
44,000 조직 사업비

단체 주요 활동 소식

05, 06월 단체 주요 활동 소식

*운영위원회 비전 수립 워크숍*

•일시 : 6월 8일(화) 18:00~21:00

•장소 : 그물코평화연구소

•내용 : ‘화성환경운동연합의 건강한 발전을 위하여, 운영위원회에서 가장 주목 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오세욱 목사님의 인도하에 과제를 모아 봤습니다. 이제 운영위는 도출한 과제를 풀기 위해 하반기 동안 더 열심히 모일 예정입니다.

*오산천 친수하천 조성사업 감시 및 생태조사*

•일시 : 6월 15일(목), 19일(월)

•장소 : 오산천 화성 구간(영천교~오산천2교)

•내용 : ’22년 4월 착공해 ’25년 5월 준공 예정인 ‘오산천 친수하천 조성사업’ 내 용 확인과 생태계 훼손 여부 감시를 위해 LH·시공사·감리 등 관계자 미팅을 하였습니다. 오산천 화성 구간을 돌며 법정보호종을 중심으로 생 태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독립다큐영화 <수라> 화성 기획상영회*

•일시 : 6월 26일(월) 18:30

•장소 : CGV동탄 제1관

•내용 : 세계 최대 간척사업으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에서 가장 찬란 했던 갯벌 생태계가 철저하게 파괴된 새만금 사업. 그 아픔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담은 예술다큐 <수라>를 보며, 간척사업 쌍둥이 우리 ‘화성습지’의 나아갈 미래와 비전을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회원과 시민 100여 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오산천을지키는청소년의모임

•일시 : 6월 17일(토) 10:00~12:00

•장소 : 노작공원/오산천

(오지모) 활동*

•내용 : 오지모가 올해 네 번째 활동을 펼쳤습니다. 번식을 마친 반석산의 인공둥 지를 청소하고, 오산천 산책로를 따라 청소도 열심히 했습니다. 이로써 상 반기 활동을 마무리했네요. 더운 날씨에도 수고한 모두에게 박수를 보냅 니다! 하반기 모임은 9월 재개합니다.

*장외리

지정폐기물매립장 수리부엉이 보호대책 요구 성명 발표*

•일시 : 5월 11일(화)

•내용 : 서신면 장외리에 위치한 전곡해양산단. 산단 내 발생 폐기물을 처리하는

산업폐기물매립장 계획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최근 민간사업자에 의해

전국 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지정폐기물 매립장으로 둔갑했습니다. 갯벌과 이격거리 약 400m, 수리부엉이 번식·서식지와 바로 연접한 부 지는 환경오염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단체는 철저한 환경영 향 평가를 요구했습니다.

14 좋은인연 05 06월호

후원안내

4-5월 일시후원

정기후원

CMS 제도를 통해 매달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후원하는 방법입니다. 화성환경운동연합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일시후원 일시적으로 액수,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후원하는 방법입니다. 결혼/출산/취업/생일 등 개인적인 기념 또는 단체/모임을 통한 모금 활동, 행사 등 다양한 추억을 화성환경운동연합과 함께 해주세요.

후원 방법 안내

1. 화성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http://hs.ekfem.or.kr 후원하기를 통해

정기/일시 후원 신청

2. QR코드를 통해 정기/일시 후원 신청

* 모든 후원금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기업/단체 제외)

이경희 후원 감사합니다!
후원 프로그램 김오성,
원고 펑크 나서 만들어 본 낱말 퀴즈! 정답
서 ③생
나 ④무 어 태 ③하 복 궁 새 ④관 개 ⑮용 수 ⑮동 화 ⑤차 광 의 ⑦비 창 라 ⑨자 봉 단 ⑨치 ⑧블 리 ⑩자 드 ⑩조 미 료 루 두 ⑪보 ⑭조 개 ⑫카 ⑫레 ⑬깨 강 정 ⑬개 ⑮본 고 사 재 ⑯주 꾸 미 15 화성환경운동연합
①저
물 ②은 행

납부회원

10년

후원회원

㈜범아기전│강석찬│강형묵│공경진│곽호성│김경수│김계원│김기석│김도근│김명수│김민서│김선혜│김수연│김수진│김언정│김연배 김영미│김영배│김영훈│김용석│김용조│김윤규│김은숙│김인경│김일겸│김종문│김충환│남권길현│남철중│노윤경│류순자│목창환 문종헌│민종필│박근성│박래운│박미애│박수은│박영주│박재희│박정원│박철호│박해용│박혜정│배진열│서광석│서재일│손광호 송경진│송선영│송인식│신순정│신영철│신종은│심상훈│안순학│안효철│야마기시즘실현지영농조합법인│양승철│양정수│엄태섭 오상직│오운환│오정옥 │우리콩식품│원심덕│유미랑│유재준│윤광열│윤인식│윤호선│윤흥준│은수희│이경호│이낙훈│이덕규 이도명│이 란│이민규│이병기│이상배│이상숙│이상필│이상환│이상후│이서·이휘│이연규│이은진│이재담│이재봉│이재화│이종태 이주형│이준원│이준원│이창재│이충재│이필구│이학행│이홍근│이효성│이 훈│인미화│임명수│임삼순│임선묵│임성열│임장분 장권식│장규남│장미영│장해원│전윤정│정금이│정기용│정명란│정원규│정지현│정찬교│정태호│조병영(일화)│조찬묵│조학호│주원기 차은아│천상백│천치용│최병주│최오진 │최운필│최원모│최종진│하덕용│한명숙│한미영│한민규│한상업│한진수│허 남│허 정│홍성규 홍일표│황유섭 (이상 143명)

㈜은성스틸│㈜휴몬│강경환│강운규│강주연│강진영│강현우│강호용│계명희│고병찬│고양숙│고유나│고준열│고태경│구연아│권순교 권영식│권옥자│권칠승│금미선│길수경│길택환│김가혜│김경순│김경화│김광수│김국진│김기호│김단아│김덕수│김도현│김명심 김무웅│김문주│김미정│김민수│김범호│김복자│김상윤│김서연│김선근│김선형│김성균│김수현│김신중│김신혜│김연숙│김연주 김영미│김영선│김윤경│김윤호│김윤희│김은경│김재영│김재훈│김 정│김지현│김진경│김진욱│김진원│김태경│김태림│김학석 김현숙│김현순│김형성│김혜숙│김호팔│김홍철│김흔영│나석민│나원영│남궁현│남병호│노동수│노재경│문아린│문해경│민경욱 민미영│민성환│민정화│박경자│박미정│박상희│박선정│박성민│박세호│박소현│박순영│박시연│박은숙│박장숙│박정수│박종환 박준형│박창희│박채이│박현례│박혜리│박혜영│박희영│반경의│방준환│배두리│배춘호│백가원│백규동│백승재│서보명│서은석 서청남│서해진│석창현│설영숙│성현주│손병욱│손영옥│손영진│손우림│송광근│송예린│송점심│송채린│송희주│신미숙│신석환 신윤식│신인순│신주호│심지영│안대훈│안선경│안성규│안신혜│안지선│안현주│양용석│양정아│양주영│양현석│엄영미│여길욱 연금숙│연미선│오명헌│오세욱│오세원│오순이│오태미│우순조│유대식│유열매│유영춘│유은희│유은희│유진영│윤금철│윤명자 윤석영│윤선호│윤소라│윤재봉│윤채원│윤호규│윤효석│이건욱│이건호│이경님│이경미│이경미│이경은│이경희│이계철│이다혜 이대휘│이명선│이미선│이미영│이상훈│이서준│이선화│이성환│이수민│이수정│이수하│이애정│이예림│이용선│이원욱│이윤희 이윤희│이은숙│이은실│이은진│이재수│이재은│이재호│이정윤│이종남│이주원│이지윤│이지현│이창주│이해덕│이현욱│이현주 이현진│이현진│이훈희│임경화│임국평│임도연│임신화│임점향│임정현│임해길│장경진│장현주│전봉숙│전은미│전지은│정국희 정권구│정동순│정명주│정선미│정승호│정아인│정영미│정원용│정은경│정의환│정지수│정진석│정한별│정한철│정현주│조가은 조기원│조아라│조애자│조용진│조우진│조재숙│조정아│조진희│조항길│조현규│주영현│주종현│지승우│진은영│진희경│차선혜 차진의│최경화│최문희│최미호│최유진│최윤희│최인숙│피재현│하정민│한미경│한미경│한상춘│한수연│한승희│한시은│한영식 한충희│허 림│허부현│허정옥│현영신│홍선화│홍승욱│홍영주│홍은숙│홍정애│홍주연│홍진선│홍진희│황승현│황은주 (이상 287명)

I 발행처·화성환경운동연합 I 발행인·일화 I 편집위원장·박은숙 I 편집위원·박은숙, 정한철, 박미정, 조항길 I 담당·박미정 I 발행일 2023년 6월 I 주소·화성시 봉담읍 삼천병마로 1321-8 3층 (동남메리트아파트 정문 앞) I 전화 031-354-3459 I 팩스 031-227-9587 I 홈페이지·http://hs.ekfem.or.kr I E-mail ehs@kfem.or.kr
이상
~
CMS
2023. 04.
2023. 05. 회비납부회원
2023
년 회원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회원님들의 물심양면 후원으로 단체의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합니다. 하시는 모든 일이 잘되시고 늘 건강하시길 빕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