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2019년 봄호 통권 102호

Page 1

돌아온 GIC Tour 가이드 Warren Parsons 광주국제인턴 스드카(Sidika) “나 혼자 산다?!”

2019년 봄호 통권 102호

2019

102 .indd 1

유럽 인권도시 방문기: ‘인권침해의 아픈 역사를 드러내어 껴안은 그들’

2019-03-28

2:09:19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캘리그라피는 이정윤 작가(선유 캘리그라피)의 재능기부로 제작되었습니다.

2019년 봄호 통권 102호

여는 글 03 함께 일하는 것(Working Together) 광주국제교류센터 2019 04 광주국제교류센터 2019년 행사 한 눈에 보기 커버스토리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05 GIC 도서실 자원활동가 Sally

2019년 광주국제인턴 프로그램 참가자 사진│광주국제교류센터

06 광주국제교류센터의 New Face! 신규직원 소개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지역민과 외국인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07 지역 청년이 꿈꾸는 글로벌 광주, 전남대학교 현장실습

사회를 위한 비영리 단체로 종교, 인종, 국경을 초월해 서로의

08 광주국제인턴 스드카(Sidika) “나 혼자 산다?!” 11 돌아온 GIC Tour 가이드 Warren Parsons 14 글로벌문화·언어교실 세계인권도시, 광주 16 유럽 인권도시 방문기 인권침해의 아픈 역사를 드러내어 껴안은 그들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행복한 광주를 만들기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후원, 대학, 시민단체, 지방 정부, 국제 NGO와 협력하여 외국인 지원, 문화교류 및 청년 교 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 해 매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외부 회계법인에서 정기감사를 받습니다.

후원 문의 및 신청 광주국제교류센터 보고 및 계획

062-226-2733

18 사업보고: 다문화 통번역요원 | 글로벌협의체 | 시민합창단 19 사업계획: 광주국제교류의 날 | 오월음악회

발행일 2019년 3월 30일 발행처 광주국제교류센터

글로벌커뮤니티 in 광주 20 힌두커뮤니티 푸자 | 프리사이클(Freecycle) 20 광주의 글로벌커뮤니티 일정 한눈에 보기

발행인 데이빗 쉐퍼 편 집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편집위원회 디자인 Karina Prananto 인 쇄 조인애드컴 주 소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 (금남로 3가)

함께하는 광주국제교류센터

전 화 062-226-2732~4 팩 스 062-226-2731

21 재정결산

홈페이지 www.gic.or.kr

22 함께하는 사람들: 후원회원 및 임직원

gwangjuic

이메일 gic@gic.or.kr GwangjuInternationalCenter

2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

2019-03-28

2:09:20


여는 글

함께 일하는 것(Working Together)

봄 내음이 나고 따뜻한 산들바람이 불어옵니다. 봄이 온다는

외국인을 지원하는 곳이 아닌 내·외국인이 함께 교류하는

입춘과 새싹이 돋아나고 삼라만상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광주국제교류센터답게 회원, 이사, 자원활동가, 그리고

경칩도 지났네요. 물론, 광주국제교류센터(GIC)는 절대

직원들도 한국인과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함께 일하며

잠자지 않았지요. 2019년 황금돼지 해의 시작과 함께, 수많은

성장하고 있습니다. 센터의 대표적인 사업인 영문월간지

프로젝트와 행사들에 대한 새해계획들로 새싹을 틔우느라

Gwangju News를 예로 들면, 센터의 몇 한국인 간사가

매우 분주합니다.

Gwangju News의 행정과 발간 일부분에 참여하고 많은 주요 업무를 광주 외국인 커뮤니티의 자원활동가들이 맡고

정말, 광주국제교류센터가 수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수는

있습니다. 18년 동안 200호가 넘는 양질의 월간지를 발간할

엄청나더군요. 지난해 봄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이사장으로

수 있게 한 것은 이러한 협력과 상생이었으며, 함께 일하는

취임하기 전까지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관여하고 있는 활동

것이야 말로 모든 일에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걸

범위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였으나, 실제로 가까이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니 적은 수의 직원들로 정말 많은 업무들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 합니다. GIC가 얼마나

광주국제교류센터는 1999년 설립 이후 꾸준히 바람직한

많은 업무를 하는지가 놀라운 것이 아니라 그 많은 업무들을

성과를 만들어 오고 있습니다. 올해는 창립 20주년을 맞아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해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어 더

보다 다양한 내외국인 교류 행사와 외국인 지원서비스를

뿌듯합니다. 한국의 다른 국제교류센터나 외국인 지원 기관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9년의 주요 행사 계획과 일정이 다음

대부분이 외국인 커뮤니티를 서비스의 수혜자로 삼고 있는데,

쪽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더 자세한 많은 정보들은 홈페이지

외국인 커뮤니티에게 일방적인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는 광주국제교류센터 방문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회원에게

것이죠. 그러나 이는 외국인(이주민) 커뮤니티가 한국인의

발송되는 이메일과 문자 서비스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활동, 관습, 전통, 그리고 생활에 적응해 가는데 큰 도움이

있습니다.

되지 않으며, 한국사회가 추구하는 ‘사회통합’과도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광주국제교류센터는

광주국제교류센터를 통해, 여러분의 의식을, 경험을, 시야를,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의 ‘국제’는 더욱

더욱 넓히세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센터가 운영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외국인만을 단순히 지원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내국인과 외국인이 함께 참여하도록 짜여집니다. 즉 모든 프로그램과

이사장 David E. Shaffer

프로젝트의 운영은 내·외국인이 서로 도우며 양방향, 쌍방향 교류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3

2019

102 .indd 3

2019-03-28

2:09:22


광주국제교류센터 2019

2019년도 광주국제교류센터 행사 한눈에 보기 03.04.(월)

한국어교실 및 글로벌문화·언어교실 2학기 개강

03.18.(월)

광주외국인지원기관 실무자 네트워크 「광주글로벌협의체」 워크숍

03.18.(월)~03.29.(금)

2019 상반기 국제인턴프로그램 인턴 오리엔테이션

03.23.(토)

3월 월례음악회

03.30.(토)

지구촌시민 광주탐방

04.01.(월)~07.19.(금)

2019 상반기 국제인턴프로그램 인턴파견 (문화교류, 국제교류 관련 기관)

04.27.(토)

4월 월례음악회

05.06.(월)

한국어교실 및 글로벌문화·언어교실 3학기 개강

05.17.(금)

외국인취업교육 특강Ⅰ

05.25.(토)

특별강연 GIC Talk (오후 4시)

05.26.(일)

광주국제교류의 날/ 세계인의 날 (아시아문화전당 518 민주광장)

05.26.(일)

오월음악회 (아시아문화전당 극장2)

05.31.(금)

광주생활안내책자(영문) 개정 및 제 4판 인쇄

06.21.(금)~07.19.(금)

전남대학교 국제여름학교 운영

06.22.(토)

6월 월례음악회

06.27.(목)~07.01.(월)

유학생가족초청 프로그램

06.29.(토)

지구촌시민 광주탐방

07.08.(월)

한국어교실 및 글로벌문화·언어교실 4학기 개강

07.13.(토)

전남대학교 국제여름학교 홈비지트 (Home Visit) 진행

07.01.(월)~07.18.(목)

외국인취업교육 프로그램 (3주 집중과정)

08.19.(월)~08.30.(금)

2019 하반기 국제인턴프로그램 인턴 오리엔테이션

8월 중

세계수영선수권 마스터스 선수 홈비지트 (Home Visit) 진행

09.02.(월)~12.20.(금)

2019 하반기 국제인턴프로그램 인턴 파견 (문화교류, 국제교류 관련 기관)

9월 중

광주외국인지원기관 실무자 네트워크 「광주글로벌협의체」 워크숍

09.02.(월)

한국어교실 및 글로벌문화·언어교실 5학기 개강

09.28.(토)

지구촌시민 광주탐방

10.02.(수)~10.05.(토)

세계인권도시포럼 (김대중컨벤션센터)

11.04.(월)

한국어교실 및 글로벌문화·언어교실 6학기 개강

11.15.(금)

외국인취업교육 특강Ⅱ

12.14.(토)

아디오스 2019

12.21.(토)

지구촌시민 광주탐방

※ 글로벌커뮤니티 지원, 외국인 종합상담, 수출 중소기업 및 교육청 통번역서비스는 상시 지원됩니다. ※ 위 계획은 추진 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4

2019-03-28

2:09:23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읽을 것 즐길 것 가득, GIC 도서실 자원활동가 Sally Arkley 인터뷰: 박민영 간사 (외국인 지원 담당)

2002년 당시 광주뉴스 자원활동가였던 뉴질랜드에서 온

자원활동가로서 주로 어떤 업무를 하고 계신가요?

줄리은 워밍턴(Julian Warmington)씨가 기증한 10여

지금은 GIC도서실의 영문도서 목록을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권의 책과 책장 1개로 시작된 광주국제교류센터 도서실

미국의 온라인 도서 시스템에서 영문도서들의 분류기호를 찾아

은 지역 최초의 영문도서실로, 2015년에 광주광역시 작

책 제목, 저자 이름 등을 이곳 도서 목록에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은도서관으로 인가를 받았으며 현재 약 6,000여권의 영

목록 업데이트를 하면서 분류기호와 저자 정보를 라벨에 적어 도

문과 국문 도서와 DVD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8년

서에 붙이는 작업도 진행하고요. 많은 시간은 아니지만 일주일에

부터 꾸준하게 도서실 자원활동가로 활동해 온 캐나다에

4시간 이상씩은 정기적으로 활동하러 오는 편이고, 올 때마다 약

서 온 샐리(Sally Arkley)씨를 소개하려 합니다.

20여권의 도서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샐리 씨, 매주 광주국제교류센터를 찾아 도

광주국제교류센터 도서실만의 장점을 소개하자면 무엇인가요?

서 관리에 손을 보태준 덕분에 GIC도서실 도서 관리가 잘

광주에 거주하는 원어민 강사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영

되고 있어요. 광주국제교류센터 도서실 자원활동은 어떻

어교육을 위한 많은 책들이 기증되어 있는 도서실을 이용하는 원

게 시작하게 되셨나요?

어민 강사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많아요. 그리고 새로운 외국인들

처음에는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 필요한 자

이 광주에 거주하고 또 이주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책들이 기

원활동 시간을 채우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는데, 지역 커뮤니티

증되어 도서실을 풍성하게 해준다는 점입니다.

를 돕는 좋은 방법인 것 같아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자원 활동을 위해 광주국제교류센터를 방문하면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는 좋은 점도 있습니다. 캐나다에서는 자원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절차를 통과하고 면접까지 해야 하는데 이 곳에서는 외국인들이 원한다면 다양한 활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어서 더 좋은 것 같아요.

도서실을 이용하는 회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GIC도서실에는 영어책을 어렵게 생각하는 한국인 독자들을 위한 쉬운 책부터 셰익스피어까지 다양한 도서들이 구비되어 있고, 뉴욕 베스트셀러로 선정된 신간들도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어로 된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 도서들도 보유되어 있으니 편하게 도서실을 이용해보세요. There is something for everyone!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5

5

2019-03-28

2:09:24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달간의 센터 생활이 너무 즐거워서 인턴십이 끝날 때 아쉬웠어요.

광주국제교류센터 New Face!

신규직원을 소개합니다.

그렇게 광주국제교류센터를 그리워하다가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함께 일하게 되었어요. 신규직원 면접 중 기억에 남는게 있다면 무엇인가요? 긴장하진 않으셨나요? (웃음) 지현: 면접 당시 상황이 아직도 생생해요. 면접질문 중에 봉사단을 이끌고 해외봉사를 갔을 때 식중독에 걸린 단원이 있으면 어떻게 할거냐는 상황대처 질문을 받았어요. 너무 긴장한 바람에 ‘보건소’를 말한다는 게 그만 ‘식약청’이라고 말했지 뭐예요. 답변하고 나서 정신이 들었을 때 너무 창피했지만 앞으로 관련 사업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돌발 상황들에 대해 한 발 나아가 생각해야겠다고 다짐했죠. 정아:

2019 광주국제교류센터 신입직원 (좌) 대외협력팀 고지현 간사 (우) 기획운영팀 문정아 간사

면접 당시를 생각하면 아직도 얼굴이 빨개지고

부끄러워져요. 소장님께서 “나는 센터에서 필요한 인재인가? 필요하다면 어떠한 부분에서 필요한가?”라고 질문하시는 순간 ‘나는 인재인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떠올라 답변을 제대로

3월 4일 첫 출근을 시작한 두 간사님, 반갑습니다. 간단한

하지 못했죠. 지금이라면 이렇게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지금은 배우는 단계라 인재라는 단어가 어울리지 않지만 앞으로

지현: 안녕하세요. 올해 3월부터 광주국제교류센터와 함께하게

센터에서 잘 배우고 다듬어서 꼭 필요한 인재가 되겠습니다.”

된 열정과 책임감의 아이콘 고지현입니다. 대외협력팀에서 세계인권도시포럼과 대학생해외봉사단 사업을 지원하게 됐어요.

설레면서 동시에 긴장되는 것이 바로 ‘첫 출근’ 일 것 같아요. 첫

항상 배우는 자세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출근 때 기분과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첫인상이 궁금해요.

정아: 안녕하세요! 광주국제교류센터의 복덩이가 되고 싶은

지현: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직원이 되었다는 게 실감이 나지 않아

문정아입니다. 기획운영팀에서 글로벌 문화언어교실, 학교에서

어떻게 하루를 보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요. 모든 직원 분들이

만나는 세계, 월례음악회, 청소년 자원활동가 운영을 맡게

진심으로 환영해주시고 많은 질문에도 귀찮은 내색 없이 친절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맡은 업무가 회원님들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

알려주셔서 저도 더 열심히 하게 되고 한번 더 광주국제교류센터에

뵐 수 있는 일인 것 같아요. 회원 여러분, 잘 부탁드립니다!

반하게 된 것 같아요. 정아: 며칠 전까지만 해도 다른 곳에서 직장생활을 한 탓에

광주국제교류센터와 인연이 닿아 새 식구가 되었는데요.

신규직원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낯설었어요. 인턴십을 했던

신규직원 채용에 지원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익숙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떨리고 긴장됐었던 하루였어요.

지현: 고등학생 때 국제교류의 날에 참여하며 광주국제교류센터를 처음 알게 되었고 이후 대학생 때는 자원활동가로 활동하며 2016

당찬 신규직원으로서 한마디씩 남긴다면?

세계인권도시포럼에 운영요원으로 참여했어요. 평소 행사와

지현: 광주 내·외국인 국제교류의 중심에서 일하는 만큼 사명감을

국제교류사업을 직접 기획하는 꿈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런

가지고 다른 직원들과 협력하겠습니다. 광주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곳이 바로 광주국제교류센터였어요. 기회가 왔을 때

국제행사에 참여하고 교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주저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가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 같아요.

정아: 센터를 방문하신 분들께는 항상 웃는 얼굴의 친절한

정아: 광주국제교류센터 이사이신 교수님께서 4학년 겨울방학

직원으로! 동료들에게는 “정아간사가 있어서 일이 수월하게 잘

인턴으로 추천해주셔서 센터와의 첫 인연을 맺게 되었어요.

진행됐어요. 고마워요.”라는 말을 들을 수 있게 맡은 업무를 잘

출근하고, 업무를 하고, 퇴근하는 평범한 직장인의 하루였던 한

해내고 싶어요.

6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6

2019-03-28

2:09:25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지역 청년이 꿈꾸는 글로벌 광주, 전남대학교 현장실습 인턴으로 첫 출근을 시작한 두 분, 반갑습니다. 간단한 자기소개

소영: 어디에 가서도 자랑할 수 있는 것은 센터의 분위기라고 생각

부탁드려요.

해요. 인생 처음으로 다녀보는 직장인데, 평소에 생각했거나 드라

은희: 안녕하세요! 저는 전남대학교 국제통상학과 14학번 박은

마에서 보았던 삭막한 분위기와는 반대로 따뜻하고 가족적인 직

희입니다. 현장실습 신청하면서 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는데

장인 것 같아요. 아! 요즘 이슈가 되는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딱 우

센터의 업무와 프로그램들이 흥미로웠고, 여기서 인턴을 한다면

리 센터의 문화를 말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다른 곳에서는 하지 못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지 원했습니다. 꼭 이곳에서 근무하고 싶다고 면접 때 강하게 어필 했어요! 소영: 안녕하세요!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16학번 임소영입니다. 현 장실습 홈페이지에 올라온 광주국제교류센터 인턴십 운영계획서와 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보며 함께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고, 외국에 나가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고 외국어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어요. 무엇보다 많이 배울 수 있는 곳일 것 같아서 지원하게 됐습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 15주간의 현장실습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과 앞으로의 각오는 무엇인가요? 은희: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한 전체적인 진행 과정을 경험하고 배 우고 싶어요. 직무교육 오리엔테이션 때 입문(?)했던 기획안 작 성도 더 잘하고 싶고 문서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싶어요. 미래의 직장생활에도 꼭 필요한 능력과 기술이니 많이 작성해보고 피드 백을 받으며 배우고 싶어요. 또한 광주에 거주하는 외국인과 시민 들의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류지원팀 안에서 제게 주어지는 어떤 업무든지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하며 즐겁게 근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인턴과 신입직원 대상 직무 오리엔테이션을

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진행했는데, 교육내용은 만족스러웠나요? 오리엔테이션에서 특별

소영: 아직 많은 일은 아니지만, 업무를 해보면서 제가 배울 게 얼

히 기억에 남는 교육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마나 많은지 느끼고 있어요. 책상에 앉아서 공부할 때는 알 수 없

은희: 3월 첫 일주일 동안 7번방에서 교육을 받았어요. 광주국제

는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들과 분위기들을 잘 익히고 배

교류센터가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 업무는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

워가고 싶습니다. 사회생활의 첫 걸음,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 잘

게 근무를 하면 좋은지에 대한 교육이었어요. 직무교육 중 기획안

떼어볼게요. 어떻게 보면 15주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제가 할 수

작성 교육이 있었는데 처음으로 작성해본 기획안에 대해 꼼꼼하

있는 최대한의 도움을 드리고 싶어요. 자기소개 때 말씀드렸던 것

고 날카로운 피드백을 받아 기획안을 보완할 수 있는 정말 귀한 경

처럼 열심히 배우고 성장해서 박수 받으며 떠날 수 있는 인턴이 되

험이었어요.

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영: 7번방에서의 교육 기간 동안 기획안을 처음 써보고 또 피드 백 받았던 것도 기억에 남지만, 교육 마지막 날 전 직원 앞에서 자 기소개와 센터소개를 하던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센터 직 원들 앞에서 처음으로 저를 제대로 소개하는 순간이어서 많이 긴 장되고 무섭기도 했지만, 다들 호응도 잘 해주시고 따뜻하게 맞아 주셔서 무사히 잘 마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어느새 근무 기간이 한 달 가까이 되어 가는데, 광주국제교류센터 만의 장점이 있다면? 은희: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저희에게 이곳에서 어떤 부분을 배워 가고 싶은지 끊임없이 물어주신다는 점이에요. 인턴 각자의 능력 을 궁금해 하시고, 어떤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싶은지 면담 후 팀을 배정해주셔서 배려받는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2019 상반기 전남대학교 현장실습 인턴 (좌) 임소영 인턴 (우) 박은희 인턴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7

7

2019-03-28

2:09:26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MBC 나혼자산다 MC 박나래씨와 템플스테이

홈스테이 호스트 이아름씨와 국제인턴 동기 Fiona

국제인턴 스드카(Sidika) “나 혼자 산다?!” 광주를 넘어 대한민국으로! 세계로! 함께 살래요! 인터뷰: 이보람 팀장(국제인턴프로그램 담당)

안녕하세요, 스드카 씨! 오랜만이에요! 2018년 3월부터 7월까지

2018년에 SNS를 통해 우연히 알게 된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에

센터의 국제인턴십을 하고나서 현재 서울에서 한국어공부를

신청했습니다. 제가 원래 한국에 와서 공부하고 싶고 한국생활도

하고 있다는 소식은 알고 있었는데 얼마 전 유명한 TV프로그램

경험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그때 이 프로그램을 봐서

‘나 혼자 산다’에 나와서 깜짝 놀라고 정말 반가웠어요! 인터뷰에

기회라고 생각해서 참여했습니다. 프로그램의 내용도 좋았고

앞서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요.

우리가 인턴십 기관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관들도 국제교류, 관광,

안녕하세요. 저는 터키에서 온 스드카(Sidika)라고 합니다. 터키

인권, 청소년, 교육, 언어, 수출기업 등 다양해서 좋은 경험을 얻을

의 전라도라고 할 수 있는 하타이라고 하는 도시에서 태어났습니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참여했습니다.

다. 이스탄불 아이든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지금은 서울에서 살고 있습니다.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에

참여하면

2주간

직무교육

오리엔테이션과 16주 인턴십으로 진행하는데, 스드카 씨는 2018년도 상반기에 인턴십을 하기 위해 터키에서 한국의

인권에 관심이 많아 광주트라우마센터에서 인턴십을 했는데,

광주까지 왔는데, 어떻게 알고 지원했으며 왜 국제인턴프로그램에

어떠셨어요?

참여하고 싶으셨나요?

우선 2주 동안 한국어집중교육으로 비즈니스 한국어를 배울

8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8

2019-03-28

2:09:27


ona

2018상반기국제인턴 트라우마센터 활동수료

수 있어서 좋았어요. 언어뿐 아니라 한국 회사 생활에 필요한

늘 수 있었습니다. 물론, 한국 회사 생활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근무태도나 문화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고,

배웠습니다. 인턴십을 진행하는 동안 광주국제교류센터의 다른

교육기간 동안 다른 인턴 동기들과 함께 친하게 지내며, 한국

활동에도 참여했는데, 초·중·고등학교에 가서 터키 문화를

생활이 익숙해지는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제가 16주간 인턴십을

소개하는 ‘학교에서 만나는 세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우리 나라

한 광주트라우마센터는 5.18 생존자들을 위한 치유 프로그램,

터키를 소개할 수 있어 소중한 시간이었어요.

상담 및 기타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에요. 인턴십을 하는 동안 예술치료, 음악치료 등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인턴십을 하며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영어로 된 자료도 번역하고, 광주트라우마센터가 회원으로

가장 어려웠던 것은 아무래도 언어의 한계와 문화 차이가 아닐까

참여하는 국제단체에 이메일을 작성하기도 하고, 국제회의 준비

싶어요. 그것들로 인해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 오해가 생기기도

과정도 도왔습니다. 유엔 고문생존자 지원의 날을 홍보하기 위해

했지만 인턴십을 하면서 점차 익숙해지고 문화에 대한 이해도

거리에서 홍보캠페인을 한 적도 있어요. 이처럼 정말 많은 경험을

키울 수 있었어요.

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어요. 인턴십 이후 현재는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 광주트라우마센터에서 정말 다양한 경험을 한 것 같아요.

인턴십 후에 서울로 이사했고 6개월 동안 숭실대학교 한국어

국제인턴프로그램을 통해 배운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어학당에 다녔어요. 어학당 과정은 끝났고 올해부터는

인권기관에서 인턴십을 하며 배운 가장 큰 것은 ‘인권증진활동’

터키문화원에서 한국 사람들에게 터키어를 가르칠 계획입니다.

이었습니다. 그 활동 덕분에 5·18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문화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위해 간단한 번역도 하고

인권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었어요. 트라우마센터 활동을 통해

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랑 만날 기회가 있었고 덕분에 한국어 또한 많이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9

9

2019-03-28

2:09:28


2019 상반기 광주국제인턴 프로그램 광주국제교류센터는 2016년부터 광주 소재 대학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어가 가능한 해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 2회 (상/하반기 각 1회)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 습니다. 2019년 상반기 인턴으로 선발된 7개국 8명의 인턴들은 3 월 2주간 직무교육 이후 4월1일(월)부터 7월20일(토)까 지 4개월간 인턴십을 수행하게 됩니다.

2018상반기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 동기들과 함께

인턴십과는 상관없는 이야기이긴 한데 ^^ 한국에서 꽤 유명한 TV프로그램인 ‘나혼자산다’에 스드카 씨가 나와서 정말 깜짝 놀랐어요! MC 박나래 씨와 템플스테이 룸메이트로 유창하게 한국어로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는데 어떻게 참여하게 된 건가요? 제가 얼마 전부터 템플스테이에 꼭 한번 참여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마침 한 친구가 장성 백양사에서 진행되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있다고 알려줘서 신청하게 되었어요. 그날 밤에 신청하고 당장 다음날 아침에 가게 되었는데 마침 박나래 씨가 ‘나혼자산다’ 촬영을 하고 있어서 만나게 된 것도 너무 좋았고 템플스테이도 재미있었습니다. 참 좋은 인연입니다.

2019 상반기 광주국제인턴 위: 수아(몽골), 츠다 나쯔호(일본), 등운이(중국), 벤자민(미국), 반영영(중국), 아래: 피오나(베트남, 2018상반기 인턴), 파울리나(폴란드), 크리스티나(아르메니아), 멜리네(루마니아), 캐롤(미국, 2018상반기 인턴) ※ 3월 18일(월) 진행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선배 인턴과의 만남’ 을 위해 특별한 시간을 내어준 2018년도 상반기 인턴 피오나(아랫줄 맨 왼쪽)와 캐롤(아랫줄 맨 오른쪽)은 인턴십 종료 후 전남대학교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어떻게 되세요? 한국에서 계속 공부하고 싶어서 대학원 과정을 알아보고 있어요. 한국어도 더 많이 잘하고 싶어서 계속해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있어요. 언젠가 기회가 생긴다면 한국에 취업해서 일하고 싶고 한국에서 오랫동안 살고 싶은 꿈이 있어요.

터키는 형제의 나라로 한국과 우애가 정말 남다른데 스드카 씨 말 한마디 한마디에서도 한국을 정말 좋아하고 사랑하는게 많이 느 껴지네요.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으로 맺은 광주국제교류센터 와의 소중한 인연도 쭉 이어갈 수 있길 바라고, 앞으로 스드카 씨 가 희망하는대로 모든 일들이 잘 이루어지길 응원할게요!

2019 상반기 광주국제인턴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중 기관 방문 (전남대학교 국제협력본부)

10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0

2019-03-28

2:09:30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다시 돌아온 GIC Tour 가이드

Warren Parsons 인터뷰: 이정민 간사 (지구촌시민광주탐방 담당)

안녕하세요, Warren 씨! Warren 씨와 함께하는 광 주투어인 ‘지구촌시민 광주탐방’으로 다시 만나게 되 어 정말 반갑습니다. 물론 거의 모든 회원님들이 GIC 투어의 유명 가이드 Warren 씨를 잘 아시겠지만, 간 단히 자기소개를 해주시겠어요? 저는 미국 사람이고, 2007년부터 2015년까지 광 주와 나주에서 살다가 대학원 공부를 위해 잠시 미 국에 다녀왔어요. 현재는 대구 계명대학교에서 미 국학 전공 조교수로 있으면서 열심히 광주와 대구 를 오가며 지내고 있습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와의 인연도 참 길잖아요. 처음 인연 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투어 가이드 활동은 언제부 터 시작하셨는지 알려주세요. 평소에도 차에 관심이 많아서 2009년에 GIC Talk 에서 차 관련된 강연을 한 적이 있었어요. 다음 해 에 GIC Talk 강연 요청이 한 번 더 들어왔었는데 그 때 제가 야외에서 탐방과 답사 형식의 GIC Talk로 해보면 어떨지 제안하게 되었어요. 그렇게 2010년 4월 야외 GIC Talk 강연으로 나주에서 문화답사를 했고, 그 일을 계기로 2011년 4월부터 GIC Tour를 시작하게 되었어요. 물론 GIC Tour 첫 답사지는 제 가 살던, 천년의 역사를 지닌 나주였습니다. 2013. 4 나주 된장 만들기체험

2011년부터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5년간 GIC 투어 가이드를 하셨잖아요. 가장 기억에 남는 장소가 있으면 어디인가요? 물론 나주요. 최초로 답사를 갔던 장소이기도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1

11

2019-03-28

2:09:31


하고 1년에 한번 씩은 꼭 나주 답사를 진행해야겠다는 마음이 있었고 실제로 다양한 코스로 나주를 갔었어요. 아마 나주 답사가 없었다면 제가 하는 GIC 투어는 없었을 거예요.

2015년까지 GIC 투어 가이드를 하고, 미 국에서 다시 돌아온 2018년에는 대구에 서 광주를 오가며 무등산 탐방 프로그램인 GIC 트레킹 가이드를 할 만큼 광주를 많이 GIC 화순투어 템플스테이 통역

사랑하시는 걸로 유명하시잖아요. 올해는 ‘GIC 투어’ 새로운 버전으로 광주시민과 외 국인이 함께 광주를 여행하는 ‘지구촌시민 광주탐방’을 운영하게 되었는데 어떠세요? 새로운 도전이라고 생각해요. 솔직히 말해서 처음 나주 투어를 했던 이유는 사람들에게 생활 속에 가까운 장소를 여행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지구촌시민

광주탐방을 하면서 참가자들이 자기가 사는 광주에서 매일 여행하는 마음으로 새로운 눈으로 자기가 사는 곳을 볼 2015. 2. 무등산투어

있으면

좋겠어요.

시도해보려는

노력과

이런

것들을

도전의식이

필요해요. 그리고 광주에서 하는 탐방은 자동차로 이동하는 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풍부하고 깊이 있게 여행할 수 있죠.

마지막으로 광주국제교류센터에 전하고 싶 은 말이 있다면요?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사람들이 같이 할 수 있는 협동, 협력의 가치, 이런 모든 것을 다 가능하게 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하는 투어도 참가자가 GIC 무안투어 무안요 김옥수 명장과 함께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것처럼 회원

12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2

2019-03-28

2:09:34


Warren 씨와 함께 GIC투어를 운영했던 담당 간사들의 한마디!

김태형 (GIC 투어 2010년 첫 담당자)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가 뛰어나 가끔 나를 무척 부끄럽게 했던 외국인. 한국을 다시 보게끔 만들어주는 최고 의 투어가이드, 워렌!!

2013.03 남원투어 사전답사중 만난 어르신과

분들이 안계시면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없겠죠. 모든

임은정 (GIC 투어 2011. 4. – 2012. 11.)

것은 다 이렇게 같이 하는 거죠. 이런 것들 모든

내게 익숙해서 ‘별 의미 없던 곳’을 다른 시각으로 보고

사람들이 이해하면 좋겠어요.

느껴 ‘특별한 곳’으로 만들어준 고마운 워렌투어. 그 부활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예전에는 센터 자체 재원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해서, 일하는 담당자들도 늦게까지 답사하고 준비해야 해서

이보람 (GIC 투어 2013. 3. - 2015. 5.)

고민도 많았고, 고생도 많았어요. 시 지원비를 받아

남도의 문화·역사 지식백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광주국제교류센터 자체

과를 그대로 외우고 있는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체험비, 식비, 버스대절비

듯한 Warren 씨가 함께

등을 참가자들이 모두 본인 돈으로 내야해서 비싼

하는 최고의 투어! 엄청난

편이었는데도

정보 방출(?)로 답사마

불구하고

참석해주셨던

분들에게

감사했어요.

다 시간에 쫓겨 “Warren, we have to go now!”를 외쳤는데 이제는 “Warren,

투어를 진행하면서 맺게 된 관계들, 예를 들어 자전거

we have to re-start the tour!”를 외칠 수 있겠네요.

대여점 사장님, 식당 사장님, 버스 기사님처럼 많은 분들이 우리를 이해해주고 배려해주는 사람들이

이정민 (지구촌시민 광주탐방 담당)

많았어요. 모르는 분들이랑 협력하며 함께 만들어갔던

Warren 씨의 눈은 정말 특별해요. 언제나 호기심으로

프로그램이에요. 광주국제교류센터와 꾸준한 관심을

가득 차 있고, 지나칠 수 있는 당연한 것들에 대한 가치를

갖고 GIC 투어에 참여해주셨던 분들 덕분에 제가 이런

알아봅니다. 저의 일상을 여행으로 채울 수 있게 해주셔서

프로그램을 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감사합니다.

싶어요.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3

13

2019-03-28

2:09:36


사람과 사람, 광주국제교류센터

다양한 문화를 함께 나누는 현장, 글로벌문화·언어교실

금요일의 행복 희망과 기회를 찾아 떠나는 힐링 데이 글: 강복원 회원 (실용영어회화 수강)

평소에는 영어에 전혀 흥미가 없었던 제가 광주 하계 유니버 시아드 대회 봉사자를 모집한다는 방송을 보고 영어통역 자원 봉사를 신청하게 되었어요. 자원봉사 신청 후 부족한 영어실 력을 보완하고자 학창 시절 그렇게도 싫어했던 영어 공부를 다 시 열심히 해 보고 싶어졌어요.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일 이란 결코 쉽지 않았고, 기초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혼자 공부 하려니 많이 힘들더라구요.

‘실용영어회화’의 이 마이린 선생님과 수강생들

모르는 단어를 찾고 외우고 듣는 방식으로 공부하던 저를 지

흐르면서 내가 먼저 외국인에게 다가가 영어로 이야기도

켜본 남편이 광주국제교류센터를 소개해준 덕에 처음 광주국

나누면서 영어에 자신감이 붙기 시작했어요.

제교류센터를 찾게 되었는데, 외국인과 대화를 나누어본 경험 도 없는데 원어민 선생님의 수업에 참여해서 영어를 배운다는

이 마이린 선생님을 만나 수업하는 즐거움은 어린 시절 소풍

것이 부담으로 다가왔었어요.

을 기다리는 마음보다 더 설레고 더 행복해요. 늦은 나이에 시작한 공부라 머릿속에 남아있는 것보다 잊어버린 것들이

걱정과는 달리 ‘실용영어회화’의 이 마이린 선생님은

더 많지만 그래도 날마다 “Step by Step, 한 걸음 한 걸음”

수강생들이 충분히 생각하고 대답하며 수업에 참여할 수

조금씩 나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영어 실력이 쑥쑥 향상

있도록 배려해주셨고 항상 잘한다는 용기를 북돋아 준 덕에

되는 즐거움을 느끼고 있어요.

영어에 대해 점점 자신감이 붙을 수 있었어요. 그 날 그 날 배웠던 수업 내용으로 짝꿍들과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을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 좋은 기회를 제공하여 좋은 선생님

나누며 자연스럽게 영어에 흥미도 느낄 수 있게 되었고요.

을 만나서 배우는 즐거움을 알게되면서 행복하고 즐겁게 공

수업이 진행되는 2시간 동안은 선생님과 같은 반 수강생들과

부 할 수 있어 감사드려요.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제 마음의

함께 많이 웃고 즐겁게 공부도 하고, 수업이 끝나도 헤어지기

행복을 밝혀주고 있는 희망의 장소이면서 동시에 즐거움의

아쉬워 친목과 화합을 위해 식사도 가끔씩 갖고 있어요.

장소이기도 해요. 희망과 즐거움으로 매주 금요일 광주국제

처음에는 힘들고 스트레스 받던 영어공부였는데 시간이

교류센터에 가는 날을 손꼽아 기다린답니다.

14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4

2019-03-28

2:09:37


다양한 문화를 함께 나누는 현장, 글로벌문화·언어교실

GIC에서 찾는 즐거움 글: 김도원 회원 (글로벌비지니스영어 수강)

저는 토요일을 기다립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에 가는 날이

저는 5년 전부터는 영어권 방문객들에게 광주민중항쟁을 해

기 때문이죠. 오전에는 원어민강사에게 시사영어를 배우고,

설하고 있어요.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 학습하며 키워온 영

가끔씩은 원어민 강사와 함께 점심을 하기도 하며, 오후에는

어실력 덕분인 것 같아 광주국제교류센터에 더 감사하는 마

영어 원서읽기 동아리활동을 하고, 4시가 되면 광주국제교

음이 들어요. 영어공부는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 인 것

류센터에서 진행하는 GIC Talk를 들어요. 아침 8시에 집에서

같아요. 그래서일까 지금까지도 끙끙대며 영어공부를 하고

나와 저녁 7시가 넘어 귀가하니 토요일 하루를 ‘영어’와 그리

있어요. 잘 들리던 원어민의 말이 가끔씩 마디 마디만 들리는

고 ‘좋은 분들’과 더불어 놀다 오는 하루가 되는거죠.

경우도 있고, 어떤 때에는 말이 꽉 막혀 한 마디도 하지 못할 때도 있더라고요. 그럴 때마다 제 자신이 미워지기도 하는데

처음 영어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은 우월감 때문이었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 학습의 동력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

것 같아요. 다녔던 회사에 영어 구사자 우대정책이 있었고,

해 마음을 다잡곤 해요.

통역하는 분들을 보면 왠지 있어보이기도 했고, 회의에서 영 어로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는 한국인들이 한없이 멋지게

영어를 매개로 만날 사람들이 있고, 하루 중 절반 이상을 할

보이기도 했거든요. 그래서 영어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어요.

일이 있는 채로 보내니 저는 행복한 사람인 것 같아요. 하루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책들을 거의 다 사놓았고, EBS 방송도

에 3~4시간씩 책상에 앉아있으므로 건강을 해칠까 염려된

꾸준히 듣고 학습하지만, 영어 원어민을 직접 만나 의사소통

다는 소리를 듣기도 하고, 번역본이 아닌 원서를 읽으며 은근

을 해볼 장소가 없다는 것이 문제였는데 그러던 중 한국 최

히 남모르게 우쭐거리기도 하지만, 제 안의 인문학 크기가 나

초의 국제교류센터인 광주국제교류센터를 만나게 된 거였어

날이 커 감을 느끼며, 모국어가 아닌 또 하나의 언어에 도전

요. 그날 이후 적극적인 팬이 됐으며 어느 새 7년째 광주국제

한다는 것이 여전히 즐겁습니다.

교류센터와 함께하고 있어요.

광주국제교류센터에는 여러 단계의 외국어 강좌를 저렴한 비용으로 수강할 수 있으며, 외국인 회원들은 한국어를 배 울 수 있는 한국어교실이 운영되고 있어요. 한국인과 외국인 이 참여하는 언어교환 커뮤니티도 운영되고 있는데, 잘 알아 듣지 못하면 손짓 발짓 해가며 설명하기도 해요. 소위 오감을 동원하여 언어를 배우는 거죠. 가장 효율적이고 오래 남는 언 어학습방법이 아니겠어요?

글로벌비지니스영어 윤선영 선생님과 수강생들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5

15

2019-03-28

2:09:38


세계인권도시, 광주

프랑스 앙리4세가 낭트칙령을 서명한 장소

스페인 바르셀로나 시청 세계지방정부연합 본부

유럽 인권도시 방문기: 인권침해의 아픈 역사를 드러내어 껴안은 그들 글: 김태형 팀장 (대외협력팀)

광주국제교류센터가 2014년부터 6년째 주관하고 있는

2018년 12월에는 유럽의 대표적 인권도시인 프랑스 낭트, 독

‘세계인권도시포럼(World Human Right Cities Forum)’

일 뉘른베르크,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8박 10일간의 일정으로

에서는 연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역의 활동가들과 함께

방문하였습니다. 출장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관계자를 만나고

세계의 인권도시들을 방문하였습니다. 광주와 인권정책에

우리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자 하시는 신경구

관한 발표를 통해 포럼과 광주를 알리고, 현지 관련단체들을

소장님과 함께하는 출장일정은 항상 촘촘하기로 이미 정평이

방문하여 정책이나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고 배우는 기회를

나 있는데, 이번 일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12월 5일 새

갖고 있습니다. 들으면서 많이 배우고 느끼는 기회가 되고

벽 5시 광주를 출발한 일행은 그날 밤 늦게 프랑스 낭트에 도착

있습니다. 그간 대만 가오슝, 인도네시아 보조네고, 스웨덴

했고, 6일 낭트에서 출장의 첫 일정을 시작한 후, 오후에 독일

룬드, 스웨덴 스톡홀름 등의 방문은 선진 인권도시의 현황을

뮌헨을 거쳐 뉘른베르크에 도착했습니다. 뉘른베르크에서 7일

보고 듣고 느끼는 귀중한 경험이었습니다.

과 8일 오전 일정을 소화한 후 다시 스페인 바르셀로나로 이동 하여 마지막 일정을 마칠 때까지 계획한 모든 일정들을 힘들지 만 알차게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16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16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6

2019-03-28

2:09:40


먼저 들른 프랑스 낭트에서 시청 담당자의 낭트 시 소개 발표

러나 열혈 소장님은 참석자들과의 네트워킹을 위해 마지막까

후에 소장님이 광주시의 인권정책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습

지 행사 회의장을 떠나지 않으셨지요. 컨퍼런스 2일차 오전에

니다., 이후 함께 방문했던 브루타뉴 공작성에서 현재 운영 중

진행된 발표에서 신경구 소장님은 광주의 민주화 과정과 인권

인 박물관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노예교육의

도시로서의 광주와 주요인권 정책, 세계인권도시포럼에 대해

중심지였던 낭트의 부끄러운 역사를 기억하고 반성하는 의미

서 이야기 하였고, 아시아의 인권도시에 관한 내용에 많은 참

로 여러 단체들이 협력하여 시설을 만들었고, 이를 시민들에

가자들이 흥미로워했습니다. 다음 날은 바르셀로나 시청을 방

게 공개하여 교육의 현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합

문했는데, 먼저 시청 내부를 가이드와 함께 둘러보고 양성평등

니다. 한동안 낭트에서는 이런 어두운 역사를 공개적으로 이

부서 담당자와 만나 EU의 양성평등 정책이 바르셀로나에서 어

야기 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이제는 이를 알리고 나아

떻게 구현이 되고 있으며, 입법관점에서 양성평등을 어떻게 추

가 인권친화적인 도시로 거듭나고 있었습니다.

구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오후에 는 바르셀로나 옴부즈맨 사무실을 방문했습니다. 이번 출장에

낭트에서의 짧은 일정을 마치고 비행기로 독일 뮌헨으로 이동 했습니다. 일행 인원이 많아 항공권을 구하지 못해 뮌헨에서 뉘른베르크까지는 버스로 이동을 해야만 했고, 뉘른베르크에 서의 일정도 어김없이 시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뉘른베르크 는 유대인의 차별을 법으로 규정한 뉘른베르크법이 제정되었 던 곳이자 나치의 대규모 전당대회장을 지으려고 했던 나치의 본거지였던 곳으로 유명합니다.. 첫날은 시청에서 인권부서

동행한 광주광역시청 옴부즈맨들은 우리의 옴부즈맨제도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날 마지막 일정으로는 작년 포럼에서 발제를 맡았던 바르셀로나 인권국장과 포럼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시간을 가 졌는데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우리의 질문에 성심껏 답변해주었고, 세계인권도시포럼 주관기관인 우리에게 매우 유익한 내용들이었습니다.

책임자와 함께 하루 종일 주요 인권 정책들에 대해 이야기 나 눴으며, 특별히 인종차별, 양성평등, 성소수자 정책을 좀 더 자

다음 날 포럼을 공동주관하는 UCLG를 방문하는 것이 바르셀

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날은 시청에서 배려해준 덕분에

로나에서의 마지막 일정이었습니다. 당일 오후 비행기 탑승이

일반에 공개되기 전인 전범재판소를 방문해서 뉘른베르크 전

예정되어 있어 오전 9시부터 2~3시간 가량 포럼 관련 업무 협

범재판에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당시 완공되

의를 중심으로 이야기되리라 예상했으나 UCLG의 관련부서 6

지 못했던 나치전당대회장은 현재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나치

곳의 관계자들과의 미팅까지 이어지면서 오후 2시까지 회의

의 시작과 끝, 그 광기를 알리는 명소가 되어 방문객들에게 깨

는 연속되었습니다. 마지막 날까지 쉴 틈 없이 진행된 바쁜 일

우침을 주고 있었습니다. 뉘른베르크는 1980년 이후부터 어

정이 끝나자마자 바로 인천행 비행기에 올라 밀려드는 피곤함

두웠던 과거를 드러내고 반성하기 시작하면서 인권도시로서

속에서도 뼈아픈 과거를 거울삼아 오히려 탄탄한 인권도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흥미로웠던 이야기 중 하나는 뉘른베

위상을 세워가고 있는 이 도시들에서 받은 감동으로 내내 가슴

르크 전범재판소가 현재도 사용이 되고 있는데, 이곳이 나치

이 뜨거웠습니다.

의 본거지여서 전범 재판이 열린 것이 아니라 당시 많은 곳들 이 폭격으로 폐허가 되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소만은 그대로

이번 출장기간 동안 방문했던 프량스 낭트, 독일 뉘른베르크,

남아있었고, 재판소가 교도소와 지하로 연결되어 죄수들의 관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 도시들은 각각 노예무역의 중심지, 나

리에도 편리한 것이 이유였다고 합니다.

치의 본거지, 프랑코의 독재와 같은 인권침해의 아픈 역사들을 가지고 있으나, 그 부끄러운 과거사를 드러내고 반성하며 보듬

이틀간의 뉘른베르크 일정을 마친 일행은 8일 토요일 밤늦게

고 보다 밝은 미래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우리의 5·18도 확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도착했습니다. 일요일은 휴식을 취하

한 진상규명을 통해 진실을 온전히 드러내어 사과하고 참회하

고 월요일부터 이틀 동안은 컨퍼런스에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

며 모두 함께 손잡고 밝은 내일로 나아갈 수 있길 바래봅니다.

으나, 일행 중 많은 인원이 카달루냐어가 영어로 통역되어 전 달되는 회의에 오랜 시간 참석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1717

2019

102 .indd 17

2019-03-28

2:09:40


사업보고 2019 다문화가족 활용 중소수출기업 통번역지원 – 다문화통번역요원 선발 2019 다문화가족 활용 중소수출기업 통번역지원 사업은 출신국 언어와 한국어 구사능력이 우수하며, 현지 문화와 시장 이해 수준이 높은 다문화가족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광주국제교류센터는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3월부터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인도, 태국, 대만 국적의 이주여성 및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15명 다문화통번역요원을 선발하여 중소수출기업 해외시장 개척 및 해외마케팅에 필요한 통번역과 출장업무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문화통번역요원 오리엔테이션

작년 2018년에는 39개 기업에 249건의 통번역서비스 지원과 출장업무를 지원했습니다. 교류지원팀 김지훈 kjh@gic.or.kr 광주외국인지원기관 실무자 네트워크 「글로벌협의체」 광주 지역 외국인지원기관 실무자 네트워크인 광주글로벌협의체 워크숍이 지난 3월 18일 월요일 광주지방경찰청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광주광역시가 주최하고 광주국제교류센터가 주관하는 글로벌협의체는 지난 2016년부터 운영되었으며, 이번 상반기 워크숍에는 행정, 의료, 법률, 교육, 민간, 커뮤니티 등 26개 기관의 49 명 실무자가 한자리에 모여 각 기관의 주요사업과 2019년 주요일정을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광주글로벌협의체 워크숍은 연 2회 진행되며, 10월

2019 상반기 글로벌협의체

중에는 하반기 워크숍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교류지원팀 이보람 boram@gic.or.kr GIC시민합창단 오디션 광주국제교류센터는 광주 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장려 하기 위하여 지역 내· 외국인 시민들로 구성된 GIC 시민합창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휘자, 반주자, 소프라노 14명, 알토 16명, 테너 8명, 베이스 8명으로 이루어진 시민합창단은 20 대에서 7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 음악인들의 성악 레슨 재능기부와 함께, 단원들의 음악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열정이 더해진 훌륭한 공연, 내·외국인이 함께하는 수준 높은 합창단으로 지역 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GIC 시민합창단원은 만 19세 이상의 광주시민(내·외국인)으로, 클래식, 성악, 합창에 관심이 있으며, 음악을 통해 지역의 내·외국인들과 문화교류를 원하는 이는 누구든지 지원 가능합니다. 합창단원 추가 모집을 위한 오디션이 지난 3월 9일(토)과 16일(토)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어 최종 5명이 새로운 단원이 되었습니다. GIC시민합창단은 매주 토요일 정기연습을 통해 5월 26일(일) 오후 5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2에서 열리는 오월음악회에서 「3·1운동 100년 기념」 “100년에서 100년으로”라는

2019 시민합창단 오디션과 연습

주제로 아름답고 감동적인 하모니를 선사 할 예정입니다. 대외협력팀 한영리 young@gic.or.kr

18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8

2019-03-28

2:09:42


사업계획

제 12회 세계인의 날 광주국제교류의 날 (GIC Day)

제 17회 오월음악회

세계 각국의 음식과 문화, 공연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글로벌

3·1운동 100주년 기념 ‘100년에서 100년으로’

축제! 「제 25회 광주국제교류의 날(Gwangju International

음악을 통해 광주시민과 거주 외국인들이 함께 어울리고 즐길 수

Community Day)」이 5월 26일 낮 12시부터 금남로 거리에서

있는 「오월음악회」가 5월 26일(일) 오후 5시에 아시아문화전당

열립니다.

극장2에서 진행됩니다.

광주 시민들과 거주 외국인들이 함께 참가하는 본 행사는 다양한

17회를 맞는 2019년도 오월음악회는 3·1운동 100주년 을

나라의 음식을 맛 볼 수 있는 ‘세계음식체험전’, 여러 나라의

맞아 ‘100년에서 100년으로’라는 주제로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전통문화를 배우고 직접 체험하는 ‘세계문화체험전’, 광주에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평화의 메시지를

소재한 내·외국인 친목 교류 동아리와 외국인 지원 기관이 함께

출연진들의 아름다운 하모니로 전달할 것입니다.

하는 ‘글로벌커뮤니티’, 국가별 ‘전통 공연’ 등 시민과 외국인이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피아노 솔로, 소프라노 솔로, 바리톤 솔로, 플롯 2중주, 트리오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GIC 합창단, 출연진 전체합창 등의

• 일시: 2019년 5월 26일(일) 12시-17시

무대가 선보일 예정입니다.

• 장소: 광주광역시5·18민주광장 • 주최: 광주광역시, 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 일시: 2019년 5월 26일(일) 17시

• 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아시아문화원

•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2

• 협력: 다누리콜센터, 광주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 주최·주관: 광주국제교류센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광주박물관, 북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아시아문화원 • 후원: 광주광역시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19

19

2019-03-28

2:09:51


글로벌커뮤니티 in 광주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지역민과 거주 외국인이 함께 교류하는 다양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광주글로벌

커뮤니티

지원사업을

다가오는 커뮤니티 모임 및 행사

운영하고 있습니다. 광주에 소재를 두고 지역민과 외국인이 함께 교류하는

GIC 한영 언어교환

커뮤니티라면 지원가능하며, 분기별 지원신청 일정에 맞춰 신청하시면

매주 수요일 18:30 ~ 20:00, 참가비 무료, GIC 강당

광주국제교류센터 공간, 프로그램 운영 또는 활동비 예산, 행정(통번역),

한국어와 영어 언어교환에 관심 있는 내·외국인

홍보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행사 및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광주국제교류센터 홈페이지 또는 각 커뮤니티의 페이스북(Facebook)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C Language Exchange GIC 한중 언어교환

지난 커뮤니티 행사

매주 수요일 18:30 ~ 20:00, 참가비 무료, GIC 글로벌라운지

사라스와티 푸자

한국어와 중국어 언어교환에 관심 있는 내·외국인 한·영·스페인어 언어교환 매달 세 번째 토요일 16:30 ~ 18:00, 참가비 무료, GIC 글로벌라운지, 영어와 스페인어와 한국어에 관심있는 내·외국인 광주아트클래스 Gwangju Art Class 매달 첫째, 세 번째 토요일 13:00 ~ 15:00, GIC 3번 강의실 주제에 따라 5,000 ~ 10,000원 참가비

2월 10일(일) 광주국제교류센터 강당에서는 봄을 맞아 지혜의 신인 사라스와티에게 기도를 올리는 푸자 행사가 진행됐습니다. 광주 힌두커뮤니티 주관으로 진행된 이 행사는 다채로운 음식과 장식을 준비해온 자원활동가들 덕분에 더욱 풍요로운 행사가 될 수 있었습니다. 광주에 거주하는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국, 캐나다, 벨라루스, 터키, 한국 등 다양한 국적의 130여명의 참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혜와 지식, 예술의 여신인 사라스와티에게 희망찬 한해의 시작을 기원하며 음식과 공연을 통해 힌두 문화를 즐겼습니다.

제 11회 광주프리사이클

미술을 사랑하고 그리기를 좋아하는 누구나 환영,기본 재료 제공 Gwangju Art Class GIC 일요일 아침 요가 Sunday Morning Yoga at the GIC 매주 일요일 11:00 ~ 12:00, GIC 강당, 5,000 ~ 10,000원 기부 참가비 기초부터 고급까지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영어 요가 수업 개인 요가매트와 편한 복장 준비 필요 Gwangju Yoga with Emily 광주인터FC Gwangju Inter FC 제 3회 광주컵 전국외국인 자선축구대회 4월 13일 9:00 ~ 18:00, 나주종합스포츠파크 Gwangju Inter FC 제 5회 캬바레 ‘BALLROOM BLITZ’ 광주퍼포먼스프로젝트 Gwangju Performance Project 4월 20일(토) 19:00, 파티타운57

사용하던 물건들을 버리지 않고 새로운 주인을 찾아주고 자원을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Free(무료)와

Recycle

(재활용) 두 단어를 합쳐 만들어진 Freecycle(프리사이클) 커뮤니티의 행사가 3월 16일(토) 광주국제교류센터 강당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깨끗하게 잘 사용한 물건을 기증해준 지역 내·외국인들과 행사 전 물건을 분류하고 공간을 세팅해준 자원활동가들 덕분에 행사를 성황리에 마칠 수 있었습니다. 하반기 프리사이클은 9월 예정이니 잊지 않고 꼭 참여해보세요.

티켓 가격: 25,000원 (구입: gpptickets@gmail.com) Gwangju Performance Project 부활절 달걀 찾기 행사 Easter Egg Hunt 4월 28일 10:00 ~ 14:00, 풍암체육공원 부활절 숨은 달걀 찾기, 부활절 토끼와 사진촬영 등 행사 주최: GFOG (Global Families of Gwangju) Global Families of Gwangju

20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0

2019-03-28

2:09:52


함께하는 광주국제교류센터

2018 광주국제교류센터 재정결산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재정은 위탁사업보조금과 후원회원 회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위탁사업 보조금은 해당사업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행사운영 진행비와 인건비로 사용되며, 후원회원 회비는 센터 사무실 임대료와 운영비, 간사 인건비의 중요한 수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원님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후원 덕분에 2016년부터 3년 동안 차입금이 발생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재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능기부와 후원 그리고 많은 참여로 광주국제교류센터를 지지해주신 회원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출

수입 12,512,861

전기이월

목적사업 수입 세계인권도시포럼 국제교류협력사업 국제도시디자인포럼 한국전력공사대학생해외봉사단 홈스테이 다문화가족활용수출기업통번역지원 광주국제교류의날 한국어교실 오월음악회 청소년교육사업 국제도시디자인포럼청년캠프 세계인의날 광주김치체험투어(17’) 기타목적사업수입

1,394,985,653 500,225,366 450,078,804 130,070,106 91,161,678 50,018,090 49,660,604 23,000,000 20,089,000 20,007,814 18,287,000 16,545,396 10,000,494 9,940,300 5,901,001

목적사업 지출 세계인권도시포럼 국제교류협력사업 국제도시디자인포럼 한국전력공사대학생해외봉사단 다문화가족활용수출기업통번역지원 홈스테이 광주국제교류의날 오월음악회 국제도시디자인포럼청년캠프 세계인의날 이월금사업비지출 한국어교실 청소년교육사업 기타목적사업지출

1,301,940,708 464,904,123 423,426,470 127,151,398 86,412,413 50,110,303 44,288,750 24,090,000 23,200,000 16,544,680 12,637,500 12,012,861 9,763,400 6,119,690 1,279,120

목적 외 사업 수입 통번역 전남대국제여름학교문화체험 일반여행업(기타) 광고 기타목적외사업수입

156,477,558 109,225,746 15,800,745 14,308,364 9,749,091 7,393,613

목적사업 외 지출 통번역 전남대국제여름학교문화체험 기타목적사업외지출 기본사업(모집비용)

105,154,760 78,199,300 14,170,750 10,031,840 2,752,870

경상운영비 지출

기부금 수입

151,030,730 106,000,000 45,030,730

인건비 복리후생비 제세공과금 사무관리비 업무추진비

312,229,456 216,434,150 81,787,690 3,472,960 7,141,526 3,393,130

정기기부금 비정기기부금 기타 수입 차입금 기타수입 부가세일시예수 잡수입 총계

53,880,343 5,000,000 33,232,587 13,505,875 2,141,881 1,768,887,145

기타 지출 차입상환 기타지출 부가세일시예수금감소 전기이월

31,901,856 10,548,091 7,468,915 13,884,850 17,660,365

총계

1,768,887,145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1

21

2019-03-28

2:09:54


함께하는 광주국제교류센터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

고맙습니다, 회원님!

평생회원 (62명) ㈜종합건축사무소 류가람건축 고재윤 김남윤 김동훈 김민애 김설현 김성국 김성철 김수미 김영임 김원 김유라 김정숙 김천갑 문금주 문융 민경재 박근 박미혜 박민영 박유복 박정환 박형은 서순팔 서승호 송민아 안경준 안수빈 안종수 양초희 여영숙 오진석 오치홍 원용관 유네스코코나자원봉사단 이석기 이언용 이영주 이은선 이지권 이천영 이향숙 전성현 전진희 정순임 정은강 조병욱 조아라 진성인 최병진 최웅일 한원철 홍송이 Basu MUKUL CHO Woohyon Joseph NUNEZ Jocelyn WRIGHT

김성훈 박연성 오원석 이찬순 최지애

명예회원 (9명) Nitin Kurkure 강봉규 김영신 박남식 박준근 이재의 이호준 천득염 홍인화 기관회원 (3기관) 광주여성민우회 두루도라 ㈜조이야드

회원님의 후원으로 즐거운 국제교류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는 광주국제교류센터는 한분 한분의 관심과 응원으로 오늘도 힘차게 한발 더 내딛습니다. 고맙습니다, 회원님!

후원계좌 예금주 (사)광주국제교류센터 광주은행 134-107-000999 국민은행 551-01-1475-439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지정기부금 단체에 해당하므로 후원금은 연말정산에서 소득금액의 30%까지 소득공제 대상이 됩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 후원회원 혜택 영문 월간지 Gwangju News와 한국어 계간지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센터의 활동소식과 행사안내를 이메일과 문자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센터 공간을 사용하 실 수 있습니다. 유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실 때 회원 할인 혜 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일반회원 (836명) 강경정 강기승 강기정 강동명 강명호 강명화 강문혜 강미리 강미영 강미혜 강민재 강복원 강성률 강성자 강순구 강신혜 강양은 강은미 강은승 강현숙 강현자 강현정 강형구 강희숙 건우산업 고경하 고규남 고민선 고상국 고영순 고옥희 고은영 고일문 고재경 고재정 고정호 고지현 공수자 곽규연 곽로렌스 곽성미 곽지선 곽현미 곽형근 곽효승 권명숙 기광숙 기수정 기용호 기은주 기인숙 기현도 기현진 길애령 김가원 김경례 김경수 김경숙 김경옥 김경원 김경자 김경천 김경훈 김귀정 김규형 김근영 김근영 김근정 김기곤 김기열 김기호 김나리 김나연 김대수 김대용 김도연 김도원 김동예 김동호 김두상 김로아 김로이나 김리현 김명선 김명섭 김명현 김명희 김명희 김무송 김무준 김미경 김미라 김미란 김미선 김미영 김미영 김미영 김미옥 김민 김민선 김민선 김민수 김민옥 김민호 김병두 김병임 김병환 김분옥 김상범 김상숙 김상숙 김상윤 김선영 김선옥 김선주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성 김성균 김성미 김성봉 김성아 김성엽 김성우 김성자 김성현 김세아 김세원 김세정 김소영 김소진 김수연 김수연 김수지 김수진 김수희 김숙경 김순미 김순애 김순애 김순열 김승현 김승희 김시환 김신실 김신영 김신자 김신자 김싱싱 김양수 김양순 김여옥 김연 김영례 김영미 김영미 김영심 김영옥 김영일 김영태 김영훈 김예숙 김예진 김우람 김우연 김원종 김원중 김유희 김윤석 김은숙 김은정 김은정 김은희 김은희 김은희 김일수 김재천 김정민 김정선 김정아 김정우 김정주 김정현 김정환 김정희 김종완 김주영 김주영 김준현 김지명 김지은 김지은 김지현 김지현 김지현 김지현 김지형 김지혜 김진남 김진영 김진희 김진희 김창렬 김천응 김철균 김철홍 김춘홍 김태형 김태호 김택곤 김하린 김한아 김현 김현 김현 김현정 김현주 김현희 김형국 김형균 김형석 김형선 김혜경 김혜숙 김혜숙 김혜인 김혜일 김호균 김호기 김호영 김효섭 김효중 김희강 김희선 김희숙 김희숙 김희숙 김희영 김희정 나병우 나병춘 나상기 나선영 나선용 나윤희 나호민 나화정 노내원 노내원 노승희 노옥성 노을 노희진 동수정 라명자 라피네제이 레티란흥 류정숙 류한호 류혜정 류환욱 리일천 맹승엽 명순자 명우장 목유경 문경애 문상화 문소정 문수현 문승현 문신근 문영주 문장엽 문지화 문청자 문현정 문현정 문호세 미즈코코 민현정 박경숙 박경업 박경운 박경희 박광식 박권복 박기오 박내연 박달샘 박두진 박매순 박명일 박명희 박미성 박미정 박민아 박민우 박민희 박봉기 박부남 박상열 박상우 박상욱 박석인 박석환 박선녀 박선미 박선진 박선태 박성수 박성애 박성준 박성하 박세현 박소정 박수연 박수영 박수지 박숙진 박순영 박순옥 박신의 박양임 박영 박영규 박영라 박영복 박영희 박용석 박유나 박유리 박유진 박은경 박은미 박은지 박은혜 박의혁 박인자 박정세 박정순 박정열 박종민 박종하 박종화 박지혜 박진수 박진희 박찬복 박태인 박하나 박향 박현옥 박현일 박현재 박현주 박현희 박형구 박형삼 박홍영 박홍표 박희장 박희진 방대진 방희남 배강숙 배귀철 배남구 배미경 배애경 배형열 배혜숙 배효경 배훈 백강화 백금호 백애경 백종은 백지연 범은경 범희승 변학섭 봉성수 서경희 서낙원 서동혁 서미혜 서상우 서성훈 서영선 서영아 서원석 서은선 서정민 서정현 서정훈 서주아 서준모 서태순 서해명 서현숙 설하야 성수미 성심온 소안희 손민수 손보민 손석조 손아름 손여정 손유진 손효선 송경안 송명인 송미나 송서목 송설화 송수현 송순천 송승헌 송정효 송준현 송진종 송호균 송희주 신두석 신명근 신문철 신미화 신상원 신성욱 신수현 신한선 신현강 신현주 신형식 신혜정 신홍철 심명진 심미경 심원일 심정국 안나리사알바하이 안병규 안수환 안윤경 안자연 안정주 안진 안찬기 안홍표 양계주 양광열 양기영 양내수 양도규 양동현 양동희 양새미 양수연 양숙희 양은혜 양정숙 양현숙 양희주 염석원 염은혜 오만종 오명석 오문교 오문희 오미애 오미정 오병옥 오병현 오선희 오승석 오용섭 오윤경 오은영 오일성 오정호 오지선 오현정 우미진 우수미 위미영 유경아 유귀숙 유근종 유덕희 유동균 유명근 유순례 유승진 유연 유우상 유인례 유진 유형민 유화숙 유희웅 윤길 윤명 윤미라 윤샛별 윤성종 윤성호 윤세은 윤수웅 윤여웅 윤연경 윤영식 윤영호 윤은정 윤정순 윤정순 윤창호 윤태병 윤한나 윤혜선 이건욱 이경률 이광엽 이광조 이금순 이기모 이기훈 이기훈 이덕웅 이도천 이돈규 이동훈 이루미 이리원 이명진 이무용 이미숙 이미자 이민하 이보람 이복남 이삼백 이상민 이상홍 이상훈 이상희 이석원 이선영 이선영 이선정 이성은 이소영 이송미 이수연 이수열 이수진 이수진 이숙영 이숙희 이순남 이승은 이승환 이승훈 이승희 이시아 이신화 이애영 이여빈 이연 이연희 이영복 이영주 이우성 이윤재 이은숙 이은주 이은희 이재영 이정민 이정신 이정아 이정하 이정희 이종호 이종환 이주헌 이주현 이준엽 이중흔 이지연 이지연 이지영 이진 이진숙 이진하 이창민 이창윤 이채임 이천휴 이치선 이태성 이하림 이해민 이향금 이혁진 이현경 이현경 이현경 이현주 이현주 이형식 이형아 이혜경 이혜종 이홍연 이효근 이효순 이효정 이희경 임금덕 임낙평 임덕환 임미선 임상택 임성미 임애진 임영 임영희 임은정 임자정 임재성 임정옥 임정자 임정희 임지현 임진희 임형진 임효진 장광산 장복희 장봉주 장선웅 장성현 장성훈 장세영 장소라 장영철 장유진 장은정 장은희 장인숙 장재연 장지영 장참샘 장현성 장혜숙 장흥규 전경선 전광우 전미라 전병연 전수아 전애실 전영경 전영규 전영원 전용덕 전용호 전준희 전철홍 전태주 전효진 정경 정경화 정국주 정귀희 정근식 정기종

22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2

2019-03-28

2:09:56


정다정 정동석 정명순 정명하 정문기 정미경 정미희 정바로나 정범수 정병용 정보희 정샛별 정성태 정소연 정수정 정숙희 정순진 정승기 정영심 정영진 정영팔 정원덕 정원례 정은영 정은영 정은지 정자형 정재성 정정례 정정숙 정정신 정창국 정창균 정창용 정청주 정태진 정필웅 정현 정혜정 정환국 정효선 조국현 조금미 조남희 조민영 조보현 조복희 조선주 조성범 조성준 조승언 조영기 조영란 조영란 조영숙 조영인 조원형 조윤행 조은정 조재순 조재욱 조정남 조지희 조태성 조현서 주은표 지남철 지성미 진성희 진채리 차경희 차금주 차민선 차연아 차연주 채경석 채덕현 천숙 천익현 천현주 최거부 최경란 최대범 최민희 최선영 최선진 최수정 최수진 최순화 최승환 최신애 최연동 최연희 최예은 최용식 최우일 최유진 최윤경 최윤구 최윤아 최윤희 최은옥 최정희 최지만 최지원 최지혜 최진 최진경 최진이 최진화 최현미 최혜란 최홍석 최홍철 최희연 하예진(하지완) 하진란 한동관 한미자 한상신 한새별 한선규 한성수 한수희 한수희 한승진 한영리 한영희 한재원 한현미 허대회 허미현 허현희 허혜윤 현병순 현주 형성구 홍나리 홍나순 홍돈석 홍만기 홍안희 홍인숙 홍주영 황일봉 황정연 ㈜윈텍코리아 ㈜자연식품 ㈜케이엠디자인 FINDLAY Scott Allan NAKASAKA Fumiko SATO Akiko SHIGEKO Kitaguchi

광주국제교류센터 임·직원 고문

자문위원

이사장 소장 이사

외국인회원 (149명) A K Mohiuddin Mahi, A. P. Tolang, Aadil Waseem, Aalam Khursheed, Ahmad Javaid, Ajah Ogio, Aliakhunova Dilnoza, Allison Hammond, Amy Griffin-Browne, Andrew G. Wear, Aoife Troy, Arlo Matisz, Asdaq Fareed, Ashleigh Rose Mustain, Awwal Arigi, Basil Keilani, Becca Haydon, Bradley Weiss, Brendae Mckinney, Brett Wilkes, Brian DePauli, Cara Scott, Carlota Smith, Chae Eun Nam, Chandler Victoria Eubank, Chantel Johnson, Christina E. Bleeker, Dana Han, Daniel Vachon, Danielle Thaysen, Dao Vu Vu, David St. John, David Stanislaus, Debbie Oh, Dewan Bappy, Ding Lijuan, Do Mai Truong Ca, Earle Philadelphia, Ebtisom Ali Al-Emad, Edwin Richie Terry, Elizabeth Benecki, Emily Jones, Ender Waters, Eric Ratner, Erin Kim, Erva Ozkan, Eunhye Kim, Fahmida Binth Aziz, Gary Bago Mustaon, Grace Perry, Haroon Karim, Heidi S. Bilaza, Huynh Ha Minh Phuong, Ian Knecht, Iman Smith, Jack George, Janam Maharjan, Jay Kim, Jeff Hamilton, Jenny Le, Jessica Enrique, Jin Kang, Jin Xianghua, Joel Klimas, Johar Muhammad Ali, John D. Murray, Jonathan Adcock, Jonathan Ozelton, Jordan Mathis, Jose Flavio Augusto, Joseph McGee, Joseph Vermont, Justina Miller, Karina Prananto, Karisma Rivera, Katie Mulhern, Kayla Harmon, Kelly Kim, Khrueawan, Kozawa Yoko, Kyle Wardwell, Laura Prantner, Louis Vinciguerra, Luu Thi Kim Yen, Ma. Cristina Base, Madeline Jane Miller, Marisha Halli, Mark Anthony Pascua, Matos Shiela Yun, Mazaher Akbari, Md. Musfiqur Rahman, Melline Galani, Merlin Mallory, Micaela Hegarty, Michael Goonan, Michael Hebenton, Michele Maizee Chang, Miranda Niezen, Mohammed Laaribi, Monique Onyema, Muhammad Adnan, Nagasawa Riri, Nate Rockefeller, Nguyen Thi Thuy Ngan, Noah Willson, Nuriddin Makhmudov, Parvina Khamidova, Paul Wallis, Peter Gallo, Pia Jensen, Rachel St. John, Rana Aqeel Afzal, Rexie Ponce, Rey Green, Robyn Bramwell, Ryan Morrison, Sahar Waseem, Sakai Ryoko, Samar Barakat, Saqib Sharif, Saul Latham, Seyi Akinlolu-Raphael, Shahid Nazeer, Shelby Brinkmeyer, Skip Paulson, Stan Laura Florina, Stel Deianne, Tahir Rasheed, Taylor Bice, Thanaphongphan, Thando Mlambo, Thomas Buist, Tine Blanchette, Tomi Williams, Umar Shaikh, Viktoriya Khan, Wang Hui Chin, Wilson Melbostad, Yan Yu Xin, Yu Zhixian, Zachary Ortyn, Zhao Hui, Zohaib Aatif, 김신애, 김줄리엣, 김지혜 (Viva Mae), 서성주, 왕영, 윤선영 학생회원 (108명) 강문문 강병주 강수아 강우빈 고두영 고미상 고민서 고수이 고유진 고은수 김강온 김다현 김대일 김도유 김도형 김명준 김민서 김민수 김민준 김서준 김선웅 김영웅 김예찬 김유빈 김윤서 김재원 김주성 김지후 김태오 김하늘 김하린 김형철 김혜원 나오령 나지수 노정민 문채원 박대산 박미산 박우수 박은희 박준혁 박지영 박지원 박채원 박현수 배승혜 서지아 손혁준 송은민 신근우 신재혁 심서현 엄준용 염우신 오연우 왕덕가 유민채 유태양 윤단 윤의진 윤차유 윤하늘 이로운 이루다 이범 이서영 이서진 이솔 이승훈 이시진 이영빈 이인희 이정우 이정인 이준성 이준환 이지수 이지희 이창호 이해밀 이혜빈 임소영 임연수 전익현 정건우 정국진 정성국 정세린 정소윤 정승용 정예솔 정윤정 정재운 정재원 정하영 정혜원 조민주 조세희 조예슬 조하영 진솔비 진은요 최대열 최소이 최수인 표승혁 홍담빈 외국인커뮤니티회원 (3그룹) Gwangju Performance Project (GPP), Gwangju Filipino English Teachers (GFET), Pakistani Students in Gwangju

감사 위원장 상근이사 사무국장 팀장 간사 인턴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 서유진 인권운동가 정갑주 전 광주지법원장 조동수 전 광주일보 주필 황승룡 호신대 명예총장 김태호 광주대 명예교수 윤택림 전남대 의학과 교수 이근우 법무법인 로컴 대표 변호사 David Shaffer 조선대 명예교수 신경구 전남대 명예교수 김동하 전 서영대학교 교수 김미령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김병기 전남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김수아 변호사, 전 인권평화협력관 김순임 전남대 독문학과 교수 김현옥 작곡가 나간채 전남대 명예 교수 문광자 드맹의상실 대표 문권성 강진참사랑병원 원장 박 계 조선대 명예교수 박덕희 법무법인 에이프로 변호사 박주경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서기문 전남대 미술학과 교수 송기희 ㈜인스나인 전략기획이사 송인동 호신대 교수 신동일 전 공무원 신정호 목포대 중문학과 교수 심두석 목포대 음악과 교수 오미라 전남대 영문학과 교수 오윤자 광주여대 영어교육과 교수 원용관 전남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이덕배 전남대 일문학과 교수 이재영 SIS 수완러닝센터 어학원 원장 정병렬 보성 한일의원 원장 정인채 건축사무소 정호 대표 정 행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조경숙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조영순 전남대 영어학과 교수 주 홍 화가 채명희 조선이공대 영어과 교수 홍강식 해남365열린의원 원장 홍문희 선경외국어학원 원장 홍진태 전 광주광역시청 투자고용국장 황병하 조선대 아랍어과 교수 황선욱 아름다운피부과 원장 Maria Lisak 조선대 행정복지학과 교수 Robert Grotjohn 전남대 영문학과 교수 정형성 정형성세무회계사무소 조인선 전남대 회계학과 교수 David Shaffer 광주뉴스 편집 위원회 서기문 갤러리 운영 위원회 박 계 음악 위원회 정선화 소식지편집 위원회 배문숙 광주대 명예교수 김민수 김싱싱 김태형 이보람 고지현 김지은 김지훈 문정아 박 근 박민영 이정민 임은정 정세린 한영리 Karina Prananto 박은희 임소영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3

23

2019-03-28

2:09:56


24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102호

2019

102 .indd 24

2019-03-28

2:10:0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