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통권 107호(2020가을)

Page 1

04 세계인권도시포럼의 어제와 오늘 10 국립임실호국원과 함께 하는 ‘학교에서 만나는 세계’ 12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음악회 ‘그날이 오면’

2020년 가을 / 통권 107호

1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캘리그라피는 이정윤 작가(선유 캘리그라피)의 재능기부로 제작되었습니다.

2020년 가을 / 통권 107호

커버스토리 세계문화의이해 <인도네시아편>에서 비대면 요리강 좌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특별 기고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지역민과 외국인이 함께 어울려

04 세계인권도시포럼을 세계적으로 만든 사람들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비영리 단체로 종교, 인종, 국경

광주국제교류센터 신경구 소장

을 초월해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행복한 광주를 만들기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자발

센터 소식

적 참여와 후원, 대학, 시민단체, 지방정부, 국제 NGO

08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 ‘기억과 공동체-인권도시의 미래’

와 협력하여 외국인 지원, 국제교류 및 청년 교육 프로

10 국립임실호국원과 함께 하는 ‘학교에서 만나는 세계’

그램 등을 운영합니다.

11 글로벌문화언어교실의 새로운 도전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은 홈페이지 www.gic.or.kr

12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음악회 ‘그날이 오면’

‘자료실’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14 광주외국인홈스테이 - 세계문화의이해 <인도네시아편> 발 행 일 2020년 09월 30일

함께하는 사람들

발 행 처 광주국제교류센터

16 후원회원

발 행 인 데이빗 쉐퍼 편

집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지 편집위원회

디 자 인 이정민 인

쇄 조인애드컴

소 61475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96번길 5 (금남로 3가)

화 062-226-2732~4

홈페이지 www.gic.or.kr gwangjuic

2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스 062-226-2731

이 메 일 gic@gic.or.kr GwangjuInternationalCenter


풍요로운 한가위 보내세요 가족들과 함께 따뜻한 명절 되시고 보름달처럼 넉넉한 추석연휴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3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특별기고

세계인권도시포럼을 세계적으로 만든 사람들 글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장 신경구

사진 세계인권도시포럼 사무국

지난해 2019년 9월에 매우 반가운 손님이 왔습니다. 유네스코 방콕 사무소에서 광 주시 협력을 구하기 위해서 찾아 온 것입니다. 2010년에 광주광역시가 5·18 기록 물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할 때, 유네스코 인맥이 없어서, 당시 5·18 전도 사로 동남아를 누비던 광주국제교류센터 고문 (고)서유진 선생의 도움을 받았던 기 억이 새삼 떠올랐습니다. 이어서 파리 유네스코 본부 회의에도 초청을 받았고, 그것 이 인연이 되어서 유네스코가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인권도시포럼의 공동주최자가 되었습니다. 올해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은 제네바 유엔 인권 대표사무소를 포 함해서 두 개의 유엔 기구가 공동주최자가 되는 영예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세계인권도시포럼은 2011년에 처음 시작해서 현재는 광주국제교류센터가 UCLG 인권위원회 및 스웨덴의 RWI와 함께 공동 주관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개의 d 유엔 기구까지 공동 주최 할 정도로 발전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습니 다만, 그 중에 가장 큰 것은 세계인권도시포럼이 광주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 주 는 행사이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는 광주가 예향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해외에서 는 광주를 문화도시로 자랑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더 풍부한 문화 자산을 자랑해 온 도시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권도시로서 광주를 나타낼 때는 누 구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됩니다.

4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물론 도시의 특징을 나타내는 행사가 꼭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닙 니다. 세계인권도시포럼이 이렇게 빠른 성장을 해서, 지난해에는 등록 참가자만 1,419명으로 해외 참가자 250명 중 자비 참가자 숫자가 절반을 넘었고, 44개 국가 131개 도시에서 참가자가 왔습 니다. 올해에는 10개의 국제기구, 공동주최자인 국가인권회를 비 롯해서 10개의 전국적인 기구, 역시 공동주최인 광주광역시를 포 함해서 20개의 지역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알려 지는 큰 행사로 발전한 이유가 또 있습니다. 이 포럼을 시작할 때에는 광주에는 해외 인맥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박경서 초대인권대사가 당시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이 었고 현재 포럼의 공동추진위원장인 정진성 교수, 현재 포럼의 기 획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근식 교수, 당시 한국인권재단의 이성훈 이사 등 인권 전문가들이 1회 때부터 해외 인권활동가를 초청해서 포럼을 국제화하고, ‘광주인권도시선언’과 ‘광주인권도시이행원칙’ 등은 만들고 이를 유엔 인권이사회 결의문에 반영하는 등 품격 있 는 시작을 했기 때문입니다. 2011년 포럼의 시작은 좋았으나, 시청에서는 주관기관을 찾느라 고심했습니다. 2014년 1월 시청 인권담당관은 광주국제교류센터 에 세계인권도시포럼 주관을 맡아 달라고 적극 요청했습니다. 그 러나 당시 센터의 모든 간사들은, "센터는 인권 전문 단체가 아니 며, 우리 역량으로는 이런 큰 국제포럼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 로 거절했습니다. 당시 이경률 인권담당관은 “센터는 외국인 인권 신장을 위해 일하고 있기에 인권단체가 분명하다. 더욱이 나는 국 제교류센터 회원이다.”라고 하면서 세번을 찾아와 포럼을 맡을 것 을 부탁했습니다.

5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직원들의 초기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4년부터 센터가 꾸준히 이 행사를 주 관하면서 포럼의 지역화에 성공했던 것도 중요한 성공 이유입니다. 대행사에 맡기지 않고 센터가 행사를 직접 주관하면서 행사에 참석하는 해외 전문가들, 국외도시 관계자들을 광주 인맥으로 확장했고, 행사 운영에 대한 전문성을 키 웠습니다. 아울러 담당팀과 관계자들은 인권과 인권도시에 대한 공부도 계속 했고, 특히 센터와 광주시청의 관계자들은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행사를 효율 적으로 운영하였습니다. 또한 처음에는 광주시가 모든 행사를 주관했지만, 현 재는 해외 단체들이 직접 운영하는 행사를 늘리면서, 포럼의 주체인 주관기 관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브라질 소재 Polis라는 인권단체 가 ‘도시에 대한 권리’ 회의와 ‘타운홀’ 회의를 주관하고 있고, 한국 주재 스웨 덴 대사관이 투명성을 주제로 ‘인권정책회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과도 한 사례비를 주지 않고도 훌륭한 해외 발표자들을 초청할 수 있었기 때문에 2019년에는 2014년보다 행사 규모가 3배 이상 늘어났지만, 예산은 4억5천 에서 5억2천으로 약 15%만 늘었을 뿐입니다. 지역의 전문가와 함께 시민 참여가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포럼을 만드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포럼의 기획위원으로 참여하는 광주전남발전연 구원의 김기곤 박사, 광주시교육청의 허창영 선생 등 지역의 전문가들이 포럼 의 취지문과 선언문까지도 외부 전문가에게 맡기지 않고 자체 작성하는 등 포 럼의 두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광주의 시민단체들은 주제회의를 운영하면 서 시민 참여의 중요한 징검다리가 되었고, 해가 갈수록 시민사회 스스로 전 문 분야에서 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계기로 삼게 되었습니다.

6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인권논문 발표회를 통해서 포럼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발표의 문 호를 개방했습니다. 포럼에 초청된 인사들만 온다면 포럼의 역동성이 크 게 떨어지는데, 논문발표자를 모으면서 포럼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 고 외연이 확장되었습니다. 인권논문발표회는 센터의 이사인 전남대 영 문과 로버트 그롯죤 교수가 올해 초 퇴직할 때까지 지난 3년 동안 논문 모 집, 심사, 행사 운영까지 전담했습니다. 올해는 RWI 연구소, 전남대 영문 과가 협력해서 논문발표회를 운영합니다. 또한 젊은이들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은 물 론 외국인들까지 참여하는 토론 모임은 3개월 전부터 참여자를 모집하고 이들이 주말에 국제교류센터에 모여서 전문가 강의를 듣고 또 인권도시 포럼의 주제를 중심으로 토론을 영어로 진행했습니다. 토론그룹을 통해 서 포럼 주제에 대해서 사전에 공부한 적극적인 청중을 양성했고, 이들은 각 주제회의를 역동적으로 만드는 데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토론그룹은 젊은 세대가 인권에 대해서 눈을 뜨는 계기를 만들어 주기도 했습니다. 올 해는 코로나 사태로 토론 그룹을 운영하지 못 해서 매우 아쉽습니다. 포럼 시작 바로 전에 진행하는 인권투어는 해외 참가자들이 사전에 광주 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면서, 포럼에 더 적극 참여하게 되었다는 평을 받 고 있습니다. 올해는 인권투어를 영상으로 촬영해서 포럼 웹에 올려놓았 습니다. 또 역대 포럼 개막식에서는 일반적인 예술행사 대신 광주시민과 외국인으로 구성된 시민합창단이 민중가요를 부르기도 하고, 보호시설의 어린이 합창단을 초청해서 참가자들에게 큰 감동을 주기도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포럼 발전에 가장 중요한 발판은 역시 행사를 담당하는 센터 간사들의 노력입니다. 한해 내내 바삐 준비하다가 개최가 가까이 오면 담 당팀 전체가 합숙을 하며 더욱 완벽한 행사를 치르기 위해 온 힘을 다하 고 있습니다. 그러나, 작년에도 2,000명 이상의 참가자로 행사장이 북적 였고, 해마다 커져가는 포럼의 위상과 발전은 간사들 모두에게 큰 격려가 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코로나 사태로 포럼 전체 운영에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야 했습니다. 35개 행사 중에서 개회식과 폐회식을 포함해서 24개 를 비대면으로 진행합니다. 나머지 대면회의 조차도 각 회의장 당 현장 참 가자를 사전등록자 30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회의에 익숙하 지 못한 탓으로 참석자가 줄어들까 걱정도 있지만, 온라인으로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디지택트* 국제회의의 특성에 따라, 세계 각지에서 더 많은 참가자가 참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0월 7일 4시 포럼 개막식에서는 유엔인권최고 대표와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영상으로 개회식 기조연설을 합니다. 이번 포럼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고 지현 간사의 글을 참조하시고, 홈페이지 whrcf.org에서 포럼 일정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디지택트(digitact)란 디지털(digital)기술을 이용해 대면방식의 소통 (contact)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일련의 활동을 가리키는 신조어다.

7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센터소식

2020 세계인권도시포럼

기억과 공동체 인권도시의 미래 글·사진 간사 고지현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이 10월 7일부터 10월 10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기억 과 공동체-인권도시의 미래’라는 주제로 열립니다. 인권도시 광주의 대표적 국제행사인 세 계인권도시포럼은 광주광역시, 국가인권위원회, 광주광역시교육청, 한국국제협력단 그리 고 올해 처음으로 유네스코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공동 주최로 참여하며 그 외연 이 더욱 확장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많은 국제회의가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되고 있는 중에 도 세계인권도시포럼의 주관단체인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성공적이고 안전한 행사 개최를 위해 획기적인 진행 방식을 도입합니다. 올해 세계인권도시포럼은 첨단 회의기술을 도입하여 디지택트 국제회의의 모델을 세우려 합니다. 디지택트란 비대면이 아니고 디지털 기술로 원격으로 대면하는 새로운 문화현상 을 말합니다. 기존의 단순한 온라인 회의 외에 VR, 화상회의솔루션, 스트리밍 등 다양한 미 팅테크놀로지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개회식과 전체회의Ⅰ은 줌(ZOOM)과 유튜브로 생중계 되며 녹화되었다가 다음날 오후 4 시 SBS를 통해 방영될 예정입니다. 세계 인권도시의 시장들과 모든 참가자들을 위해 줌 웨비나를 통해 한국어, 영어, 독일어 등 동시통역이 제공됩니다. 모든 회의는 세계인권도시 포럼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되며, 별도의 사전절차 없이 회의 시작 시간 에 맞추어 원하는 회의를 클릭해서 들어오시면 바로 온라인 회의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포럼 현장참가자들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여 행사장 위치, 회의 정 보, 참가 유의사항 등을 안내하고 연사와의 네트워킹 기능, 회의 자료 열람 등 다양한 기능 을 제공합니다. 어플을 활용하는 현장참가자는 안내데스크를 방문하지 않고도 행사 참가 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무국이 제공하는 공지사항을 실시간으로 확 인할 수 있습니다.

8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대면회의와 화상회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회의 가 전체 세션의 80%를 차지합니다. 각 세션에 초청 된 다양한 분야의 연사들은 화상회의 솔루션인 줌 (ZOOM)을 통해 발제와 질의응답에 참여하며. 청중 은 회의장에 오지 않아도 줌(ZOOM) 또는 유튜브 스 트리밍으로 회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홈페이 지 내 토론공간에서는 청중들이 각 세션의 주제와 내 용에 대해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준 비하였습니다. 연계행사인 <대한민국 민주장정 120 년 전시회>는 온라인 VR투어를 통해 관람할 수 있으 며, 광주 인권투어는 비디오 콘텐츠로 제작해 제공될 예정입니다. 올해 10주년을 맞은 세계인권도시포럼은 디지택트 국제회의로서 새로운 전기가 될 뿐 아니라 그 내용 과 규모에서도 질적으로 도약하는 행사가 될 것입니 다. 팬데믹 상황으로 해외 시장단 및 연사들의 직접 참가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오히려 참여가 대폭 늘었습니다. 전문가뿐 아니라 일 반 대중의 온라인 참여를 활성화하면서, 정보소외계 층도 포럼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하며, 이동 의 제약이 많아진 노약자와 장애인 등이 소외되지 않 도록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방역 지침을 따라 현장 참가자의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 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http://www.whrcf.org/ #10월 7일~10일 #김대중컨벤션센터 #첨단 회의기술 #디지택트 국제회의

9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센터소식

국립임실호국원과 함께 하는 특별프로그램

학교에서 만나는 세계 글·사진 간사 문정아

광주국제교류센터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학교에서 만나 는 세계(이하 학교만세)’에 관심을 가진 여러 기관들이 센 터와의 협업을 요청해 옵니다.

까지 넓혀 진행하게 되었고 센터의 사업 영역 또한 확장이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상반기에는 광주지역의 코로나19감 염 확산으로 인해 광주·전남지역 학교에서는 학교만세 수 업을 못 하였으나, 순창 적성초, 전주 근영중, 한국치즈과학 고, 전주 영생고 등 전북지역 학교에서는 터키, 인도, 프랑 스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 올해 6·25전쟁 70주년과 UN 참전 70주년을 맞아 국립임실호국원과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을 하고, 특별프로 그램 학교만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임실호국원 특화 학교만세는 국가보훈처에서 예산을 교부 받아 진행하는 사업으로, 모든 수업비용은 임실호국원에서 전액 부담하며, 학교는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무료로 진행 합니다. 광주·전남지역 학교의에서도 참가도 가능하며, 임 실호국원이나 광주국제교류센터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학교만세를 좀 더 특화하여, 6·25전쟁 참전국가 출신의 외국인 강사가 학교를 방문하여, 6·25전쟁과 참 전 역사를 이야기하고 참전유공자들을 기억하고 추모하 며 자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프 로그램을 통해 참전유공자들의 숭고한 희생에 감사하고 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들에게 전쟁의 의미와 평화의 소중함을 알려주며, 또한 세계문화이해교육을 통해 글로 벌시대의 청소년들에게 이해와 존중이 바탕이 되는 소통 과 교류의 장을 열어주고자 합니다. 이 ‘6·25전쟁 70주 년 특화사업‘ 「학교만세 프로그램」은 국가보훈처 2020년 적극행정 우수사례로 추천되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

# 한국치즈과학고 학생: 6·25 전쟁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이번 수업을 통해서 알게 되었고, 터키 선생님을 직접 만나 서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었어요. 터키식 애호박전이라는 ' 유즈베르(Mücver)’도 만들어 먹어 볼 수 있어서 좋았고요. 나중에 꼭 한번 터키에 가보고 싶어요! # 전주 영생고 선생님: 아이들에게 좋은 경험을 선사해준 것 같아서 뿌듯해요. 수업이 참 재미있었고, 타국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 흥미로웠어요. 11월에 한번 더 수업을 하고 싶네요.

그간 지역 간 거리상의 문제로 광주·전남지역 학교에서만 진행하였던 학교만세를 이번 협업을 계기로 전북지역 학교

10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글로벌문화언어교실의 새로운 도전

오프라인 대면수업에서 온라인 화상수업으로 글·사진 간사 문정아 코로나19가 발생한 올 초부터 글로벌문화언어교실은 학 기마다 조기 종강과 개강 취소를 반복해야 했습니다. 지난 5월 새로 시작한 동구청 작은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영어그림책 책놀이’ 수업도 코로나19 확산세에 안타깝게 도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더 이상 수업을 중단한 채로 코로나19가 잠잠해지길 기다릴 수 없어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자는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학부모 대상 교육 강좌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니 오프 라인 수업에 비해 신청자가 늘었으며, 광주지역 뿐만 아니 라 타지역 수강생의 참가도 늘었습니다. 집에서 아이들과 함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면서, 서로 육아 고민을 나누고 강사 선생님의 따뜻한 조언과 칭찬이 오가는 온라인 수업 은 수강생들에게 큰 위로가 되었답니다. 평소에 센터까지 의 발걸음이 어려웠던 이들에게는 오히려 온라인수업으로 센터 강좌에 접근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었다는 평을 받 았습니다. 자녀 독서지도 온라인 강좌는 타자역 도서관에 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만큼, 좋은 선례가 되었습니다.

먼저 ‘영어그림책 책놀이’ 2기 수업과 학부모 대상 자녀 독 서지도 교육 강좌인 ‘그림책과 함께하는 집안일 놀이’ 수업 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줌(ZOOM) 프로그램으로 화상수 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온라인 수업을 위해 줌(ZOOM) 화상회의를 미리 개설하고, 수강생들이 모인 오픈채팅방에 화상회의 링크와 아이디를 공유하여 제 시간에 온라인 화 상회의실에 입장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또한 수업에 사 용할 체험키트를 만들고, 배부도 하는 등, 이렇게 사전준비 를 마친 후에 수업시간에 맞춰 모두가 화상회의실에 입장 하면 수업이 진행됩니다. 코로나19로 외출이 어려운 시기 에 화면으로 선생님과 만나 영어 그림책을 읽고, 만들기를 진행하는 1시간 30분이라는 시간은, 유익한 정보와 지식 의 익힘 이외에도, 아이들에게 지루한 하루를 채워주고, 선 생님과 친구들을 만나 소통하는 재밌는 시간이었습니다. 비대면 온라인수업을 보완하고 피로감을 호소하는 아이들 과 학부모님들의 요청으로, 지난 20일부터 영어그림책 책 놀이 수업은,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키며,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광주국제교류센터 글로벌문화언어교실은 모든 강좌에 오 프라인 대면수업 이외에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상황에 맞 게 탄력적으로 운영하려고 합니다. 지금의 팬데믹 그리고 나아가 포스트코로나시대에는 온라인 비대면 프로그램의 도입이 보다 효율적이고 필수적인 운용방식이 되리라 봅 니다. 물론 광주국제교류센터가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과의 관계, 즉 이해와 존중에 기반한 소통을 유지하며 회원님들 께 최대한 유익한 방향으로 나아가겠습니다.

11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센터소식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음악회

‘그날이 오면’ 글·사진 간사 정지연

광주국제교류센터에서는 2003년부터 5·18 민주화운동을 기리고 인권도시 광주를 알리는 ‘오월음악회’를 매년 개최해왔습니다. 올해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여 5월 아시 아문화전당(ACC)에서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상 반기 코로나19 감염 확산세로 인한 사회적 거 리두기 방역정책에 따라 급하게 음악회 개최가 취소되었습니다. 지속되고 있는 팬데믹 상황에 서 세계 공연예술계는 현재의 가장 진보매체인 인터넷으로 공연 플랫폼을 옮겨가고 있습니다. 국내 공연예술계에서도 과감히 온라인 유·무료 생중계 서비스를 시행하면서 예정되어있던 공 연들을 차근차근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광주 문화재단에서도 지역 공연예술계의 새로운 도 전을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공연물을 제 작·배포하는 ‘온라인 예술극장 지원사업’, ‘온라 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등의 공모사업을 내놓았습니다.

12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10월 11일 오후 5시에 광주국제교류센터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공동주최로 열리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음악회 ‘그날이 오면’이 광주문화재단의 ‘온라인 예술극장 지 원사업’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공연 은 관중 없이 온라인 생중계로만 진행이 되며, 광주국제교류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으로 음악회 방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음악회에서는 광주 출신 김현옥 작곡가 에게 편곡을 위촉하여, 한국의 민주화를 상징 하는 ‘민중가요 모음곡’을 GIC시민합창단이 플래시몹(Flashmob)형태로 연주하여 그 날 의 감동과 역동성을 관객에게 전달할 것입니 다. 또한 광주 거주 외국인이자 대인예술시장 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곡가 앤드류 브라스 브롬 (Andrew Vlasblom)은 5·18민주화운동 에 참여했던 민중들을 위로하는 의미를 가진 본인이 작곡한 작품을 피아노 독주로 연주할 예정입니다. 그 밖에도 ‘임을 위한 행진곡(김종 률 곡)’, ‘이 세상 모든 영혼들이(가브리엘 포레 곡)’ ‘평화의 소녀상(김현옥 곡)’등을 비롯하여 10여곡의 성악·기악곡들이 광주·전남의 전문 음악가들과 비전문 음악인 단체 GIC시민합창 단의 협력으로 연주하면서, 나이와 신분, 그리 고 국적에 상관없이 정의를 위해 항쟁에 참여 했던 평범한 광주시민들의 모습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5·18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라는 고귀한 가 치를 지켜내고자 광주시민들이 피와 땀을 바 쳐 일궈낸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이 땅의 '민 주'와 '자유'를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한 광 주의 평범한 시민들을 기억하고, 지금 이 순간 에도 부당한 권력에 고통받고 있을 세계 어딘 가에 있는 또 다른 ‘광주’를 응원하는 의미에서 도 오월음악회는 지속되어야 할 것 입니다. 우 리 모두 전혀 경험해 보지 못 한 날들을 살고 있는 2020년에 최선의 방법으로 최상의 공연 을 보여드리고 싶은 이유입니다. 부디 관객들 에게 연주자들의 간절한 마음이 전달되기를 소박하게 바래봅니다. #10월 11일 #무관중 온라인 음악회 #광주 국제교류센터 유튜브 #온라인 예술극장 지원 사업 #‘민중가요 모음곡’ 플래시몹

13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센터소식

2020 광주외국인홈스테이 강좌

세계문화의이해, 인도네시아 글·사진 간사 장수연 9월 19일 토요일 센터 근처의 ‘광주요리학원’ 스 튜디오에서 2020광주외국인홈스테이 호스트 교육프로그램으로 ‘세계문화의이해-인도네시아’ 강좌가 양방향 온라인수업으로 진행됐습니다.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프로그램 방식 의 다각화를 모색하다가 직접 대면하지 않으면 서도 호스트들과 소통하며 다양한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온라인강좌를 시범 적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이번 ‘세계문화의이해-인도네시아’ 강좌는 전체 1시간으로 인도네시아의 문화소개 20분에 이 어 40분에 걸쳐 인도네시아의 국민음식으로 우 리에게도 낯익은 음식인 나시고랭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처음으로 시도 해보는 온라인 강좌라서, 참여가 정을 10가정으로 한정하고, 줌(ZOOM)에 접근 할 수 있는 테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을 갖춰져있 고, 가열 및 조리 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는 호스트 가정에 한해서 참가자를 모 집 했습니다. 이런 몇 가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금세 10가정의 신청이 마감 되었습니다. 첫 온라 인 세계문화이해 강좌의 성공 예감으로 다음 단 계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참가가정에 요리 체험 에 사용할 나시고랭 양념 3종 세트와 새우과자 (Kerupuk)가 든 체험키트를 발송했습니다. 강좌 하루 전에 카카오톡으로 줌(ZOOM) 사용법을 공 지하고 링크할 줌(ZOOM) 모임 주소를 알려주었 습니다. 강좌 시작 10분전에 온라인으로 출석해 주셨고, 강좌가 시작되었습니다. 강사로 인도네시아에서 온 엠마(광주국제교류센터 국제인턴)씨와 옥타 (전남대학교 연구생)씨가 수고해 주었습니다. 한 국어에도 능숙한 두 강사들의 요리 시연을 화면 속 참가자들은 열심히 따라 했습니다. 마침 학교

14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나 유치원에 가지 못하고 집에 있는 아이들까지 엄마 곁에서 즐겁게 참견하곤 했습니다. 참가자 들이 외국인 강사의 레시피에 따라 나시고랭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외국인강사와 즐겁고 편안 하게 교류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 기회였습니다. 강좌 후 설문조사를 통해 받아 본 참가자들의 반 응은 대단히 성공적이었습니다. "답답한 요즘 색 다른 경험을 선사해주셔서 감사하다", "코로나가 끝나면 꼭 인도네시아에 가보고 싶다", "다음번 에 또 참가하고 싶다" 등의 긍정적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힘입어 앞으로 대면 프로그 램과 더불어 상황에 맞게 온라인 활동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방식을 시도 하려고 합니다. 11월에 있을 ‘광주국제교류의날‘ 행사도 온라인으로 치러집니다. 물론 외국 요리 체험도 스튜디오와 가정을 연결하는 실시간 온 라인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아쉽게도 참여하지 못했던 호스트분들, 회원님 들께 나시고랭 레시피를 적어 드립니다. 우리 볶 음밥과 비슷하나 색다른 맛이 있어요. 한가위 연 휴에 가족들과 함께 즐겨 보세요. 인도네시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엠마와 옥타씨와 소통하셔서 물어보세요! Instagram 엠마 @emmasabatini 옥타 @frisma_oktavia

나시고랭 이렇게 해서 드세요!! 1. 팬에 기름을 둘러 다진 마늘과 양파를 1. 넣고 볶아주세요. 2. 입맛에 맞게 Terasi(매운양념, 새우젓) 1. 를 적당히 넣고 볶아주세요. 3. 밥을 넣고 볶아주세요. 4. 인도네시아 굴소스, Kecap(달달한소스) 1. 를 넣어 섞어주세요. 5. 맛을 보고, 소금이 필요하면 적당히 1. 추가하여 기호에 맞게 조리하세요. 6. 마지막으로 달걀후라이를 위에 탁 1. 올리면 끝! #양방향 온라인수업(Zoom) #나시고랭 요리체험 #나시고랭 레시피

15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함께하는 사람들

광주국제교류센터 회원 회원님의 후원으로 즐거운 국제교류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는 광주국제교류센터는 한분 한분의 관심과 응원으로 오늘도 힘차게 한발 더 내딛습니다. 고맙습니다, 회원님! 평생회원 (74명) 고재윤 김남윤 김동훈 김민애 김설현 김성국 김성철 김성훈 김수미 김싱싱 김영임 김원 김유라 김인식 김정숙 김지현 김천갑 김효중 문금주 문융 민경재 민현정 박근 박미혜 박민영 박연성 박영미 박유복 박정환 박형은 배지혜 서순팔 서승호 송민아 안경준 안수빈 안종수 양초희 여영숙 오명석 오원석 오진석 오치홍 원용관 유네스코코나자원봉사단 윤세영 이석기 이언용 이영주 이은선 이지권 이찬순 이천영 이향숙 전성현 전진희 정갑주 정순임 정은강 조병욱 조아라 ㈜류가람건축사무소 ㈜컬쳐네트워크 진성인 최병진 최웅일 최지애 한원철 홍송이 Basu Mukul Cheryl Eileen Buel Cho Woo Hyon Jocelyn Wright Joey Nunez 명예회원 (12명) Audry Hawkins Nitin KurKure 강봉규 김영신 박남식 박준근 오윤자 이재영 이재의 이호준 천득염 홍문희 기관회원 (3기관) 아모레, 조이야드, 광주외국인학교

후원계좌 예금주(사) 광주국제교류센터 광주은행 134-107-000999 국민은행 551-01-1475-439

일반회원 (736명) (주)더봄 (주)자연식품 (주)케이엠디자인 강경정 강기승 강기정 강동명 강명호 강명화 강명희 강문혜 강미영 강미자 강민재 강성률 강성자 강순구 강신혜 강양은 강은승 강현숙 강현자 강현정 강형구 강희숙 고규남 고은영 고일문 고재숙 고지원 고지현 곽로렌스 곽지선 곽철희 곽현미 곽효승 권명숙 기광숙 기용호 기은주 기인숙 기현도 기현수 기현진 길애령 김가원 김경례 김경수 김경숙 김경옥 김경원 김경자 김경천 김경훈 김귀정 김근영 김근영 김근정 김기곤 김기호 김나애 김대선 김대수 김도연 김도원 김동건 김동하 김동호 김로아 김로이나 김리현용 김명선

광주국제교류센터는 지정기부금 단체에 해당하므로 후원금은 연 말정산에서 소득금액의 30%까지 소득공제 대상이 됩니다.

김명현 김명희 김명희 김미경 김미라 김미란 김미령 김미영 김미옥 김민 김민선 김민선 김민수 김민옥 김민혜 김민호 김병기 김병두 김분옥 김상범 김상숙 김상윤 김선영 김선옥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선희 김성 김성균 김성미 김성봉 김성숙 김성아 김성현 김세아 김세원 김세정 김소영 김소진 김소진 김소희 김수아 김수진 김숙경 김순미 김순애 김순열 김순임 김승현 김승희 김시환 김신실 김신자 김양수 김양순 김연 김연민 김영미 김영미 김영심 김영일 김영태 김영훈 김영희 김예숙 김예진 김옥주 김우람 김우연 김원종 김원중 김유민 김유정 김유진

광주국제교류센터 후원회원 혜택 영문 월간지 Gwangju News와 한국어 계간지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은정 김은정 김은희 김은희 김은희 김재천 김정민 김정선 김정우 김정주 김정현 김정환 김종완 김주영 김준기 김준현

센터의 활동소식과 행사안내를 이메일과 문자로 받아보실 수 있 습니다.

문경애 문광자 문상화 문수현 문승현 문신근 문영 문영주 문장엽 문정아 문현정 문호세 민수기 박가은 박경숙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센터 공간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정원 박주경 박진수 박진아 박진희 박창숙 박태인 박하나 박향 박현일 박현재 박현주 박현희 박형구 박형삼 박홍영

유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실 때 회원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설하야 성수미 성진경 손민수 손보민 손새롬 손석조 손여정 손유진 송경안 송기희 송명근 송명인 송미나 송서목 송설화

김준희 김지은 김지현 김지형 김지훈 김진남 김진영 김진우 김진호 김진희 김진희 김창렬 김철균 김철홍 김춘홍 김태형 김태호 김택곤 김하린 김현 김현 김현 김현옥 김현정 김현주 김현희 김형국 김형균 김형석 김혜경 김혜숙 김혜숙 김혜일 김호기 김호영 김효섭 김휘원 김희경 김희숙 김희숙 나간채 나미연 나병우 나병춘 나선영 나선용 나선자 나윤철 나윤희 나호민 나화정 노상미 노승희 노을 노희진 동수정 라명자 류정숙 류한호 류혜정 리일천 마지화 맹승엽 명우장 박경업 박경희 박계 박권복 박기오 박내연 박달샘 박덕희 박두진 박명일 박명희 박미성 박미정 박민아 박민우 박민희 박봉기 박부남 박상우 박상욱 박석인 박석환 박선미 박성하 박소정 박송미 박수연 박수연 박수영 박수지 박숙진 박순영 박신의 박양임 박영 박영규 박영라 박영복 박영희 박용석 박유나 박유진 박은미 박은지 박의혁 박재상 박정순 박정열 박홍표 박효은 방미소 배강숙 배남구 배문숙 배미경 배혜숙 배효경 백강화 백종은 백지연 범희승 변학섭 봉성수 서경희 서기문 서동혁 서미혜 서배배 서상우 서성훈 서영선 서영아 서용준 서원석 서은선 서정현 서정훈 서주아 서태순 서해명 송순천 송승헌 송영호 송인동 송정효 송진종 송호근 신경구 신동일 신두석 신명근 신문철 신미화 신성욱 신성자 신수현 신정호 신현강 신현주 신형식 신혜정 신홍철 심두석 심미경 심정국 안나리사알바하이 안병규 안수환 안정주 안주희 안진 안찬기 안홍표 양계주 양내수 양동현 양동희 양새미 양소연 양수연 양은정 양은혜 양정숙 양희주 염석원 염창우 오문교 오문희 오미라 오미애 오미정 오병현 오승석 오윤경 오정민 오정호 오현정 원가빈 위미영 유경아 유귀숙 유근종 유난아 유난영 유덕희 유동균 유명근 유수연 유순례 유연 유우상 유인례 유진 유현정 유화숙 유희웅 윤길 윤명 윤명석 윤미라 윤샛별 윤성종 윤성호 윤여리 윤연경 윤영식 윤영호 윤예솔 윤은정 윤정순 윤지혜 윤창호 윤태병 윤한나 이경환 이광엽 이근우 이금순 이기모 이기훈 이기훈 이덕배 이덕웅 이도천 이돈규 이동훈 이루미 이명진 이미숙 이미자 이보람 이산수 이상홍 이상희 이석원 이선영 이선정 이선주 이성안 이성은 이소영 이수열 이수진 이수진 이승은 이승환 이승훈 이승희 이시아 이신화 이안옥 이애경 이여빈 이연 이연희 이영복 이영주 이우성 이은숙 이은주 이은희 이재성 이정민 이정신 이정아 이정하 이종호 이종환 이주헌 이준엽 이지연 이지연 이지영 이진 이진 이진숙 이창민 이철운

16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광주국제교류센터 임직원』 고문

박경서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

이형아 이혜경 이혜종 이홍연 이효근 이효순 이희경 이희진 임금덕 임낙평 임미선 임상택 임성미

정갑주

전 광주지법원장

임순배 임영 임우혁 임은정 임자정 임재성 임정희 임지현 임현석 임형진 임효진 장국화 장성현

조동수

전 광주일보 주필

장세영 장소라 장영희 장옥현 장유진 장은정 장은희 장인숙 장지영 장참샘 장철웅 장현

황승룡

호신대 명예총장

김태호

광주대 명예교수

정경 정경화 정국주 정귀희 정근식 정기종 정동석 정명순 정명하 정문기 정미희 정민아 정바

윤택림

전남대 의학과 교수

로나 정범수 정병렬 정병용 정보희 정샛별 정선화 정성현 정세린 정소연 정수정 정수진 정순진

이근우

법무법인 로컴대표 변호사

이철헌 이치선 이태경 이태성 이하림 이해민 이향금 이혁진 이현경 이현경 이현경 이현숙 이현주

장혜숙 전경선 전광우 전병연 전수아 전영규 전영원 전용덕 전용호 전준희 전태주 전효진

자문위원

정승기 정영심 정영진 정영팔 정원덕 정원례 정은영 정인채 정정례 정정신 정창국 정창균

이사장

데이빗 쉐퍼 조선대 명예교수

정창용 정행 정현호 정혜정 정환국 조경숙 조금미 조남희 조민영 조보현 조복희 조성범 조성준

소장

신경구

전남대 명예교수

조승언 조아라 조영란 조영란 조영숙 조영순 조영인 조원형 조윤행 조은정 조인지 조재순

이사

김동하

전 서영대학교 교수

조재욱 조정남 조지희 조태길 조태성 주홍 지성미 진성희 진채리 차금주 차민선 차연주 채경석

김미령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채덕현 채명희 채종기 천숙 천옥랑 천현주 최거부 최경란 최대범 최민희 최선영 최선진 최수정

김병기

전 전남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최수진 최순화 최연동 최영애 최용식 최우일 최윤구 최윤아 최윤희 최은옥 최지만 최지원

김순임

전남대 명예교수

최지혜 최진 최진경 최진이 최진화 최혜란 최홍석 최희연 표소연 하현옥 한경란 한동관 한미자

김현옥

작곡가

한상신 한선규 한성수 한수희 한승진 한영리 한영희 한재원 한주희 한현미 한호상 함지연

나간채

전남대 명예교수

허대회 허창영 허현희 허혜윤 혁동 현병순 현주 홍강식 홍나순 홍돈석 홍만기 홍안희 홍인화

문광자

드맹의상실 대표

홍주영 홍진태 황금희 황병하 황선빈 황선욱 황승하 황우성 황일봉 황정연 황지은

박 계

조선대 명예교수

박덕희

법무법인 에이프로 변호사

박주경

호남대 영문학과 교수

서기문

전남대 미술학과 교수

송기희

호남대학교 조리학과 교수

송인동

호신대 교수

신정호

목포대 중문학과 교수

심두석

목포대 음악학과 교수

오미라

전남대 영문학과 교수

이덕배

전남대 명예교수

이 연

전 광주시의회 사무처장

정인채

건축사무소 정호 대표

정 행

호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조경숙

호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조영순

전남대학교 영어학과 교수

주 홍

화가

채명희

조선이공대 영어과 교수

홍강식

해남365열린의원 원장

홍진태

전 광주광역시청 투자고용국장

황병하

조선대 아랍어과 교수

황선욱

아름다운피부과 원장

외국인회원 (74명) David Shaffer, Cho Woo Hyon, Maria Lisak, Robert Grotjohn, Joey Nunez, Cheryl Eileen Buel, Jocelyn Wright, Karina Prananto, L. Tselmeg, Aline Verduyn, Rachel Lane, Karunaniohi Jayanthi, Tanaka Maiha, John Tran, Kenneth Grobler, Marisha Halli, Mark Murdaugh, Danielle Kinnison, Valamparampil Mathew Sebastian, Lynne van Lelyveld, John Thomas Wyatt, John D. Murray, Jonathan Dunbar, Dana Han, Indira Shamsutdinova, Zheng Yizhe, Zhou Changyu, Tao Yudi, Purev Oyunbileg, Akhmetzhanova Gaukhar, Ines Miranda de Dios, Farah Sadia, Elizabeth McNeely, Ajay Kumar, Arlo Matisz, Chantel Johnson, Iliana Julieskobeo, Laura Mitchell, Dean Nguyen, Joseph Jones, Kelly Palmer Kim, Harsh Kumar Mishra, Joel Klimas, Katie Eldridge, Maya Galani, Persaud Patricia, Madeline Jane Miller, Joseph McGee, Farok MD Omar, William Butterbrodt, Wilson Melbostad, Julena Allen, Jonathan Ozelton, Galani Melline, Olivia LeValley, Erin Heath, Jeff Hamilton, Amy Badenhorst, Tara Maloney, Ebba, Pia Jensen, Milla Storm Jensen, Magnus Storm Jensen, Ahmed Samsuddin, Karimov Husniddin, Miranda Niezen, Sherryl Sambo, 김신애, 김지혜, Maria Morena Domingo, Mary Grace, Malyn Rosales Kim, Cris Tresmilla, Jeafha Vaniah (Rexie Ponce) Torres Kim

마리아 리삭 조선대 행정복지학과 교수 로버트그롯존 전 전남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감사

학생회원 (40명) 고다은 곽싱아 곽해밀 김도형 김재원 김채이 김현석 나상준 런멍지에 마린 박보경 박준영 박준영 박지민 박찬우 반가움 배유빈 신관우 신연우 심진호 안소희 어은서 엄준용 유수연

위원장

정형성

정형성세무회계사무소

조인선

전남대 회계학과 교수

데이빗 쉐퍼 광주뉴스 편집위원회

이수연 이예빈 이정우 이정인 이한민 이한희 이해솔 지녹원 지학영 최소이 최은서 한소영

서기문

갤러리 운영위원회

한수진 Galani Maya Georgia Valeria, Lazar David Stefan

박계

음악위원회

정선화

소식지 편집위원회

김원종

전 공무원

배문숙

전 광주대 교수

상임이사

외국인커뮤니티회원 (3그룹)

사무국장

김민수

Gwangju Performance Project(GPP)

팀장

김태형 임은정

Gwangju Filipino English Teachers (GFET)

간사

고지현 기현수 김소희 문정아 멜리네 갈라니

Global Families of Gwangju (GFOG)

박 근 박효은 손새롬 이정민 장수연 정세린 정지연 한영리 이보람 카리나 프라난토 (휴직) 인턴

17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김하람 김화영


18 광주국제교류센터 소식 107호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