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지은이│ 하충엽, 김의혁, 공기인 발행인│ 숭실대학교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디자인│ 진흥인쇄랜드(02-812-3694) 펴낸곳│ 리빙트리 등 록│ 2022년 2월 4일 주 소│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향로28, 2층 206호 Copyright 숭실대학교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2022 * 이 책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사용하려면 반드시 저작권자와 리빙트리 양측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발간사 하충엽 목사 (숭실대학교 교수)
환영사 장범식 총장 (숭실대학교)
격려사 최이우 목사 (실행이사회 의장 종교교회 담임목사)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 1
제1장 복음통일과 북한교회세우기 - 하충엽 교수······················································3
제2장 교회 내에서 통일선교 시작하기 - 김의혁 교수·············································21
제3장 단위사역의 의미와 참여 방법 - 공기인 교수················································27
Contents
31 제1영역 구출 사역···································································································33 제2영역 국내탈북민사역 ···························································································36 제3영역 오네시모 사역 ····························································································48 제4영역 북한 내지 사역··························································································52 제5영역 재중 동포 사역··························································································57 제6영역 기도 사역···································································································59 제7영역 접경지역 사역 ····························································································63 제8영역 지원 사역 제9영역 교육 사역···································································································64 제10영역 북한교회 세우기 사역 ·················74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교회별) … 77
제1장 만나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분당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79
제2장 대전 한밭제일장로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대전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81
제3장 대전 동서남북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대전통일리더십포럼 참여교회) ···········83
제4장 호주 시드니영락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호주 시드니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85
제5장 새중앙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안양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87
제6장 지구촌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통일리더십포럼 in 지구촌 개최교회) ················90
제7장 영국 케임브리지 한인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통일리더십포럼 in 케임브리지 개최교회) ····················································92
제8장 종교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서울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93
제9장 안성제일감리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안성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95
제10장 온세대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목포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98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 101
·······························103
····································127 부록 … 137 부록 1. 통일선교 Q&A ···························································································139 부록 2. 통일선교 단위사역표 ··················································································144
제1장 통일선교단체···
제2장 탈북민 교회
하충엽 목사 (숭실대학교 교수) 하나님은 북한에 사는 형제자매들을 향해 신성한 구원을 이루시는 일을 한시도 쉬지 않으 셨습니다. 하나님은 한국교회와 한인교회를 통하여 구속의 사역을 펼치십니다. 다른 한편 으로는, 북한에서 태어난 사람들을 한국교회와 한인교회에 보내셔서 빛의 용사로 세우셨 습니다. 나아가 세계교회(Global Church)를 일으켜서 북한 땅 위로 하나님의 사람을 보 내시는 일을 행하십니다. 본 포럼은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통일 선교를 한국교회와 한인교회에 공유하는 일입니다. 하나님이 행하시는 역사에 함께 참여하시라는 소리를 듣는 포럼입니다. 참여자는 그 소리 에 응답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포럼에 참여하는 그 자리(Here)에서 지금(Now) 통일 선교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교회는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통일 선교는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을 합니다. 본 포럼은 그 질문에 응답합니다. 본 자료집은 대외적으로 공개해도 될 자료를 다룹니다. 대외비 자료는 포럼 현장에서만 들 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현장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본 자료집은 각각 지역별로 포럼이 계속되면서 발전할 것입니다. 본 자료집은 작은 교회가 참여할 수 있는 사역을 안내 할 것입니다. 교회 규모에 따라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할 것입니다. 교회는 목양 사역에 집중합니다. 작은 교회는 교회 자립 자체를 위하여 집중합니다. 통일 선교 사역에 중요함을 알고는 있지만 사역할 여력이 없습니다. 어쩌면 통일 선교 사역은 교회 규모가 어느 정도 되어야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말씀을 충분히 이해 합니다.
발간사
통일 선교 현장에서 보면 개척한 교회가 북한을 향하여 기도합니다. 미자립교회가 북한 땅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립니다. 교회의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교회는 통일 선교를 더욱 교회 내에서 발전하고자 합니다. 한인교회는 더욱 고국이 복음으로 통일이 되기를 간절히 기도하며 헌신하고 있습니다. 세계교회는 북한 땅으로 하나님의 사람을 보내고 있습니다. 북한 지하교회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북한 지하교회 성도들은 오히려 한국교회와 한인교 회를 위하여 기도하고 있습니다. 이제 교회는 본 포럼에서 만나서 어느 교회가 어떠한 사역을 하고 있는지를 서로 바라보 시는 기회입니다. 그 만남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영감(insight)을 받게 될 것입니다. 우리 교회도 통일 선교를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 교회도 이제 일어나 어두운 북한 땅을 밝히는 등대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될 것입니다. 교계에는 통일 선교에 헌신한 사역자들도 적지 않고, 통일 선교를 사역하는 기관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본 포럼은 한국교회와 한인교회, 그리고 사역자가 하는 일들과 선교 기관 에서 하는 사역들을 서로 연결해 드립니다. 교회는 생각보다 더 많은 통일 선교 사역이 있음을 보게 될 것입니다. 통일 선교 사역자와 기관은 교회가 그 사역을 알아주고 기도해 주고 함께 행진해 주므로 큰 힘을 얻게 될 것입니다. 교회와 사역자가 합력하여 더 강한 신성한 빛을 발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역사가 이루어지는 본 포럼이 되기를 기도하며 기대합니다.
환영사
장범식 총장 (숭실대학교)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리더십포럼]에 참여하신 모든 분을 따 뜻한 마음으로 환영합니다.
본 포럼을 개최해 주시는 교회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숭실대학교는 본 포럼을 주최하면서 가지고 있는 목적은 분명합니다. 그것은 한국교회와 한인교회에서 본 포럼을 통하여 ‘한 교회라도 더 북한을 향하여 선교하는 교회’가 세워지 는 것입니다.
숭실대학교는 1897년 평양에서 평양의 시민과 그리스도인이 후원하는 기도와 사랑으로 세워졌습니다. 본교는 1938년 일제의 신사참배를 거부하면서 학교를 스스로 폐교하였습 니다. 그리고 서울에서 1954년 재건되었습니다. 숭실대학교는 평양에 재건하는 사명뿐만 아니라 ‘복음통일’의 사명을 향하여 달려갑니다. 본교는 44개 학과에 탁월한 500명의 교수가 모두 그리스도인 입니다. 숭실대학교 교수님 들이 통일에 대해 다양한 주제를 연구합니다. 그 연구 결과물은 모두 그리스도의 가치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한국교회와 한인교회는 언제든지 그 결과물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나아가 기업과 기관이 북한과 통일에 대한 지식 정보를 숭실대학교에 서 얻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저는 숭실대학교 총장으로서 본 포럼을 통하여 숭실대학교가
한국교회와 한인 교회의 통일 선교를 향하여 공헌하고자 하는 기대가 큽니다. 나아가 한국교회와 한인교회가 숭실 대학교를 사랑해 주시고 기도해 주시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부탁합니다.
최이우 목사 (종교교회 담임, 실행이사회 의장)
할렐루야!!!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기쁜 마음으로 [통일리더십포럼]을 개회 합니다. 이 모든 영광을 오직 하나님께 올려드립니다.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는 2014년에 초교단적 교회지도자로 구성하여 숭실 대학교에 세워졌습니다. 설립 목적은 분명합니다. 하나는 ‘통일시대의 정신을 공유’ 하는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통일시대의 사람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본 센터는 개설할 때부터 강조한 것이 작은 교회가 통일 선교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것입니다. 본 포럼은 작은 교회가 통일 선교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 합니다. 나아가 교회 규모에 따라서 참여할 다양한 통일 선교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 모든 것의 목적 은 분명합니다. 어두운 저 북한 땅을 향하여 신성한 빛을 발하는 교회가 한 교회라도 더 일어나는 것입니다. 본 포럼이 2022년에 30여 개 지역에서 진행됩니다. 각각 지역마다 본 포럼을 개최해 주 신 교회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개최교회의 헌신이 저 어두운 북한 땅에 살아가는 형제자매들이 우리와 같이 한 식탁에 주님 곁에 함께 앉아 떡과 포도주를 떼는 역사를 이룰 것입니다. 한국교회와 한인교회는 분단국가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남북한 한민족 통일 공동체를 이루는 소명을 하나님으로부터 받았 습니다. 우리는 잠시도 이 소명을 잊고 살순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북한 동포의 고통으 로 부르짖는 소리를 하나님을 통하여 듣습니다. 신성한 빛을 어두운 북한 땅을 향하여 비추는 통일 목회자, 통일 선교사들이 더욱 많이 일어나야 합니다. 한국교회와 한인교회 안에 이러한 빛의 용사들이 일어날수록 남북한 복음통일의 역사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본 포럼에 참여하신 사랑하는 여러분! 여기서(Here) 지금(Now) 통일 선교를 시작합시다. 우리 모두 함께 일어나 신성한 빛을 어두운 북한 땅을 향하여 발합시다.
격려사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제1장 복음통일과 북한교회세우기 … 하충엽 목사
제2장 교회 내에서 통일선교 시작하기 … 김의혁 교수
제3장 단위사역의 의미와 참여 방법 … 공기인 교수
제1장
복음통일과 북한교회세우기
하충엽 목사 (숭실대학교 교수)
Ⅰ. 서 론 교회는 북한선교, 평화통일, 통일선교, 그리고 복음통일을 사용한다. 현장 사 역자는 2000년 전까지 보수진영에서는 북한선교를 사용했고 진보진영에서는 평 화통일을 사용하다가 2000년 이후부터는 통일선교를 사용해 오고 있다. 북한이 고난의 행군이라는 어려움을 겪을 때에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북한을 돕는 일 을 하면서 북한선교와 평화통일을 혼합된 통일선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복음 통일은 통일선교보다는 나중에 사용되어졌다. 본 글에서는 복음통일에 대해서 연구한다. 그러나 복음통일이란 용어를 사용 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지적이 있다. 예를 들면, 복음 통일은 그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 이 용어를 사용하는 목적에 대해서 비판하는 목소리는 이렇다. 단지 언 젠가 통일이 됐을 때에 북한에 십자가 꽂고자 하는 의미 이하도 이상도 아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부정적 의미가 담긴다. 교파적이고 경쟁적인 교회를 북한 땅에 그대로 옮겨놓으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복음 통일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한국교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연장선일 수 있다. 또한, 복음통일에 대한 정의와 적용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에 대 한 부재에서 올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복음 통일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3
이해하는 것은 필요하다. 교회는 복음 통일을 다음과 같이 5가지 의미로 사용한다. 1.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의 공동체가 되 는 것(총괄갱신: 엡1:10)이며, 2. 그 공동체는 세상으로부터 쌓아 올리는 상승 운동(바벨탑 사건: 창11장)이 아니며 하나님으로부터 내려오는 하강 운동(이스 라엘 공동체의 통일: 시133:1-3; 오순절 공동체 형성:행 2장)이며, 3. 남북한의 민족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남북한 한민족이 새로운 하나의 공동체(韓 民族統一共同體)를 형성되는 것이며, 4. 복음의 정신을 기초로 통일국가의 체제 를 만들어 더 나은 세상(healing the world)을 만들어가는 것이며, 그리고 5. 구속사 관점에서 한민족 복음통일공동체의 교회가 세계선교(마28:19-20, 행 1:8)를 향한 소명에 순종하는 것이다. 위의 5가지 중에서 본 글에서는 1과 2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본 글에서 복음통일을 이루는 것을 북한교회세우기와 같은 맥락으로 설명을 할 것이다. 하나님이 북한에 교회를 세우시는 것을 한시도 쉬시지 않으셨음을 증언 하기 위해 유대신학을 활용할 것이며 그 사용에 대한 범주를 제한한다. 먼저, 원 그리스도교는 유대계 묵시문학 패러다임을 지니고 있었다.1) 기독교는 유대교적 인 배경에서 자라났고 유대교의 전통과 경전을 이어받았다.2) 본 글에서는 유대신 학에 말하는 빛(the light)을 다루고, 나아가 10개의 세피로트(the ten Sefirot) 의 모형을 활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복음통일 사역 영역들을 10개로 한정할 것이며, 그 각각의 영역이 하나님 자신의 빛을 발하는 복음통일 사역을 나타내기 위함이며, 나아가 그 1번부터 9번까지 복음통일 사역 영역이 10번째인 사역 영역 으로 모아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 10가지 영역은 연구자가 경험하고 있는 범주 내에서 다룰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피로트 내용 자체를 다루는 것 을 피하고 그 모형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복음통일 사역 영역들 간에 상호 관계 성이
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10번째 복음통일 사역 영역인 북한교회 세우기 영역에 모아진다는 모형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다. 1) 한스 큉/이종한 역, 『그리스도교 본질과 역사』, (서울: 분도출판사, 2002). 2) 한태동, “사유의 흐름,” 「신학논단』 18(1989): 2.
본 연구에서 말하는 빛은 모든 생명의 기본 전제이다. 창세기1장 3절에서는
해가 창조되기 전(창1:16)에, 그 해와는 다른 빛이다. 히브리 사람들에게는 빛은 곧 생명력(욥33:28;시27:1;36:9;사9:2)이다. 유대신학에서는 가장 중요한 점을 순수하고 신성한 빛의 존재다. 이 빛은 천상계와 지상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힘이다. 이 빛의 유출은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지속적인 생명의 과정이며 이 덕분에 모든 피조물의 존재가 유지된다. 기독교에서는 그 빛이 예수 그리스도 (요1:4,7,9,3:19-20)이다. 나아가 예수는 빛이 내재되어 있는 그리스도인에게 너희 빛을 사람 앞에 비취게 하라(마5:16)고 하셨다. 본 글에서 말하는 빛은 유 대신학에서 말하는 빛과 신약에서 증언하는 빛이 연계되어 예수 그리스도의 십 자가와 부활의 빛을 말한다. 그 빛은 영원성에서 발원하여 시간성 안으로 들어 온 빛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음통일이 세속 정부가 펼치는 통일방안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며 성경에서 증언하고 있는 복음통일론을 고찰한다. 나아가 복음 통일론 입장에서 북한교회 세우기를 이루는 복음통일 사역영역을 살펴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하여 제일먼저 복음통일은 성경적으로 어떻게 정의를 내릴 수 있는지 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후에 세속 정부가 진행해 온 통일기조의 두 가지 흐름 을 살펴보고 성경에서 말하는 복음통일론을 상승운동이 아닌 하강운동이며 그것 은 다윗의 통일국가공동체 형성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 다. 나아가 복음통일의 하강운동이 어두운 북한 땅을 밝히는 빛의 관점에서 복음 통일 10가지 사역영역이 실행되고 있음을 기술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복음통일 이란 정의를 시작으로 하여 복음통일의 실재까지 다루어 보고자 한다. 본 글에서 는 복음통일을 정의 내린 후에 남북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사용할 때에는 ‘남북한 한민족 복음통일 공동체’ 또는 ‘한민족 복음통일 공동체’를 문맥에 맞추어서 사 용할 것이다. 복음통일에 대한 선행연구가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5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은 복음통일이란 용어가 사역현장에서 사용되기 시작한지가 최근이고 현장에서 먼저 사용되었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가는 중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복음통일연구가 본
통하여 더욱 논의되기를
연구를
기대한다.
Ⅱ. 본 론 복음 통일이라는 용어는 성경에서 나오는 것으로 만유통일론을 의미한다. 성 경에서 통일이란 용어는 두 번 나오는데 모두 에베소서(엡1:10;4:6)이고 제일 먼 저 1장 10절에서 나타난다.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 다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되게 하려 하심이라”(엡1:10). 여기에서 ‘통일’이라는 단어는 어떤 의미인가? ‘통일되게 하여 하심이라’ 문구는 헬라어로는 아나케팔라이오사스다이 (ἀνακεφαλαὶωσασθαι)이다. ‘통일’이란 용어는 아포카타스타시스(αποκαταστασις) 에서 왔으며 라틴어로는 ‘recapitulatio’이고 영어로는 ‘recapitulation’3) 이 다. 이 용어를 교부 이레니우스(Irenaeus)는 그의 핵심 신학사상으로 발전시켰 고, 한철하 박사는 그것을 “총괄갱신”으로 번역했다.4) ‘re’는 ‘다시’, ‘cap’은 ‘머 리’이다. 즉, 통일은 만유의 새로운 머리가 되신 그리스도로 만유가 새로운 하나 의 공동체를 이룬다는 것이다. 첫 아담이 교만과 불순종으로 창조자를 떠났던 것을 둘째 아담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창조자를 사랑하사 죽기까지 순종함을 보이셨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만유가 새로운 관계를 맺도록 새로운 길을 열어 놓으셨다.5) 즉, 이 통일이라는 단어는 만유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나가 된다는 만유통일이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리스도인에게는 한민족통일공동 체를 형성하는 남북한 통일은 만유통일론 안에서 민족적 범주로 다루어야 한다. 남북한 모두가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 한민족 복 음통일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남북한의 한민족 통일을 표기할 때에는 영어로는 unification 또는 reunification으로 표기한다. 그 통일은 땅의 통일을 이루어지는 관점, 경 제적 이익으로 보는 관점, 사회적 안정을 찾고자 하는 관점, 마음의 통일이 이루
3) 최근 성경 영어번역본에서는 ‘unification’ 용어로 번영된 것이 있다.
4)한철하, 『고대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52-57. 후스토 L. 곤잘레스/이형기, 차종순 역, 『기독교사상사(Ⅰ)』,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2002), 202-204.
5)Terrance L. Tiessen, 『Irenaeus on the Salvation of Unevangelzed』, (Metuchen, NJ: Scarecrow Press, 1990), 157. 김용국, “이레네우스의 총괄 갱신 신학,” 「역사신학논총」 제2집 (2000): 111, 재인용.
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어지는 관점, 국제사회 관계의 관점으로 보는 등등의 다양한 기능주의적 관점들 을 지니고 있다.
1. 통일 기조의 두 가지 흐름
대한민국에서 통일의 기조는 크게 두 흐름이 있다. 하나는 이승만 정부 시절부 터 지금까지 흘러오는 한민족 통일방안으로 북진 통일론과 멸공 통일론이다. 즉, 흡수통일론이다. 이것은 북한 공산당은 악하기에 자유 민주주의 체제인 남한이 북 한 공산당을 멸하는 멸공 통일론이다. 악한 북한 공산당을 남한이 밀고 올라가서 통일을 이루어야 하는 북진 통일론이다. 북한의 공산당은 악하기에 자유 민주주의 안으로 흡수한다는 흡수통일론이다. 미국에서 부시 독트린(The Bush Doctrine) 으로 강화되기도 했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을 악의 축(axis of evil)로 규정하므로 선제공격(preemption)의 당위성을 가지고 악의 정권과 체제를 제거(regime change)하는 책무를 강조했다. 이것은 ‘외과 수술식 타격’으로도 말한다. 이 기조에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미국이 고도화된 타격 기술로 북의 악한 정권과 체제를 제거했을 때 남북한에 평화통일공동체가 형성될까? 김일성도 김 정일도 북한의 체제로 수령과 당과 인민을 하나로 묶는 노력을 했다. 지난 10년 동안 김정은 정권이 수령과 당과 인민이 “삼위일체”6) 공동체로 규정하며 수령과 당과 인민의 감성 연대를 고도화 발전시켰다. 이러한 기반하에서 북의 악한 정권 과 체제를 제거하는 ‘외과 수술식 타격’이 성공할지라도 북한 내부의 혼란이 극 심할 위험이 예측된다. 달걀로 비유한다면 달걀을 부화(孵化)시켜야 하는데 외과 수술식 타격으로 달걀이 깨질 위험이 있다. 멸공 통일론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철저히 지키는 기반의 통일 기조이다. 북한 정권과 체제의 악을 미워하고 증오하는 행동이 강화할수록 북한의 강성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7
조선중앙TV에서
군부와 엘리트에게 남한 혁명화를 강화하게 하는 명분을 준다. 남한은 그러한 북한의 6)2019년 김정은 위원장이 말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조선혁명박물관사업에서 당의 유일적령도 체계의 원칙, 수령, 당, 대중의 3위1체의 원칙, 력사주의와 과학성의 원칙을 일관하게 틀어 쥐고나가야 합니다. 김정은”
태도에 대해서 더 북한 공산당과 체제를 증오하고 미워하게 된다. 이것은 악의 연대 또는 악의 동등성이다. 증오의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의 약점은 선은 죽고 악만 승리할 가능성이다. 공멸과 패배의 비참한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 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적대적 공생 관계는 복음적일 수 없다. 다른 하나의 흐름은 1991년 노태우 정부에서 구체화 된 한민족공동체통일방
안이다. 이 방안은 제1단계 화해 협력, 제2단계 남북연합, 제3단계 완전통일이 다. 여기에서 제1단계와 제2단계는 ‘사실상의 통일’(de facto unification)을 말한다. 즉, 법적 통일 이전단계를 말한다. 이것은 한반도평화프로세스이다. 이 것을 실천해 본 정부와 선언문은 김대중 정부의 6.15 남북공동선언, 노무현 정 부의 10.4 남북공동선언, 문재인 정부의 4.27 판문점 선언과 9.19 평양 합의서 가 있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Korea's Sunshine Policy)을 살펴본다. 이것 은 “상대의 머리에 뜨거운 숯불”(로마서12:20)을 얻어 놓는 것이다. 원수 속에 존재하는 악의 힘을 빠지게 하는 선제적 사랑 베풀기로 나눔의 선순환을 기대하 는 것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기독교인이 주도로 햇볕정책을 디자인하여 보 복의 힘이 아닌 부활의 힘으로 남북관계를 풀어 보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의 실책은 남한 사람들이 그 정책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이 병행되지 않았다 는 것이다. 그러므로 남남갈등이 증폭되었다. 이어지는 진보 정부마다 결은 차이 가 있지만 그 기조를 발전시키고자 했다. 최근 문재인 정부의 시도는 남북한공동 연락사무소 폭파(2020년)로 막을 내렸다. 이것은 통일에 대한 무관심, 통일에 대한 회의론, 그리고 통일에 대한 혐오론까지 나타났다. 이 정책은 달걀로 비유 하면 부화(孵化)가 아니라 달걀을 익혀 삶아 버리는 위험을 낳았다. 2022년 5월 10일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건설을 국정목표로 선정했다. 그리고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 핵화를 통한 한반도의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8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현하는 것을 국정과제 목표로 제시 했다.7) 악을 제거하므로 달성하고자 하는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조에 서 있는 것 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남북한의 교류 협력의 한반도평화프로세스도 열어 놓
정부의
7)정성윤, “윤석열
북한 비핵화 정책: 도전과 과제,” 「통일연구원」, 자유평화번영의 한반도 시리 즈 CO22-16(2022).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이 세속 정부인 대한민국 초기 이승만 정부부터 현 정부까지 계속되어 온 정부에서 추진한 통일기조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그렇다면 성경에 서 증언하는 복음통일 공동체 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가?
2. 복음통일에 대한 성경 신학적 관점: 바벨의 상승 운동과 오순절의 하강 운동 복음 통일을 이루는 주체자는 누구인가? 그것이 이루어지는 형식은 어떠한가? 이것은 신구약에서 그 답을 우리에게 계시해 주신다. 성경은 구약의 바벨 사건과 신약의 오순절 사건을 통해서 계시해 주신다. 공동체 형성이 잘못 시도된 것은 창세기 11장에 있는 바벨 공동체이다. 하늘 을 향하여 꿰뚫어 버리고 싶었던 시도였다. 바벨은 중앙집권적인 전체주의적 체 제이다.8) 성경은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때에 강림하셔서 하나님의 접촉이 그들에 게 언어의 혼돈으로 나타났고 바벨 공동체는 흩어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복음 통일 형성이 사도행전 2장에 있는 오순절에서 나타난 다. 마가의 다락방에 모인 120명에게 하나님의 접촉이 그들을 깨어나게 하였다. 진리를 보게 되었고 진리를 전파하기 위해 열방을 향해 뻗어갔다. 바벨탑 사건과 오순절 사건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는 인간이 주체이고 상승 운동을 지향하는 공동체 형성이었다. 반대로 오순절 사건은 성령님이 주체 이고 하강 운동을 지향하는 공동체 형성이었다. 모든 것을 중앙으로 집중된 동질 성 안으로 끌어 올려 하늘을 뚫고자 했던 바벨의 상승 운동이, “다양한 각 생명 이 각각 새로운 생명으로 새로워질”(행2:17) 수 있도록 비처럼 하늘로부터 “쏟아 붓는” 오순절 하강 운동으로 대체되었다. 주위를 사방으로 통제하는 중심의 탑은 “각 사람” 위에 내려오심으로써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9
“모두를 충만하시게 하시는” 성령으로
바벨은 중심을 안정시키고 강화하기
말하지 못하게’하고
대체되었 다(행2:3-4).9)
위해 사람들이 ‘보지 못하고
주변으로부터 기운을 빨아들이려 했던 반면, 성령은 주변으 8) 미로슬라브 볼프/박세혁 역, 『배제와 포용』, (서울: IVP, 2012), 360. 9) Ibid., 362.
로 기운을 쏟아부으시고, 작은 사람들의 눈을 열어 전에는 아무도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하시고, 그들의 입으로 창조적인 예언의 말을 하게 하시고, 그들에게 권능을 부어 하나님의 통치의 대리자가 되게 하신다.10)
복음 통일 공동체 형성의 모형은 인간이 신념과 이념으로 공동체를 쌓아 올리 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하강인 접촉을 통해 깨어나 형성되는 공동체다. 바벨과 같은 공동체 형성의 시도는 지난 역사에서 나타났던 제국들을 보면 한 시대에 있다가 소멸하였음을 본다. 현재 공공 영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시도들이다. 북한도 마찬가지이다. 수령과 당과 인민이 삼위일체식 유일사상체제를 만들어가 며 미사일을 하늘을 향해 쏘아 올린다.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하강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면 흩어지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하나님께서는 하 나님이 선택한 북한 동포들에게 하강인 신성한 빛을 보게 하므로 깨어나게 하시 는 일을 하신다.
3. 복음통일에 대한 성경적 모델: 다윗의 통일 공동체
성령님이 주체가 되고 하강 운동으로 복음통일 공동체를 형성하는 실질적 사 건이 다윗의 통일공동체 형성이다. 다윗의 이스라엘 통일론은 성령님이 주체자 이고 하강 운동으로 이루어진다. 다윗이 정치적 통일을 이루었다. 사울 왕이 죽 고 이스보셋(Ish-bosheth)이 통치자가 되었고 수도를 마하나임(Mahanaim)에 두었다. 다윗은 수도를 헤브론(Hebron)에 세우고, 7년 넘게 동족상잔의 전쟁과 분단의 고통을 겪었다. 다윗은 통일국가를 이루고 신수도를 경계지역인 예루살 렘으로 정하였다. 이것은 마치 대한민국이 통일국가가 되었을 때에 북한의 평양 도 아니고 남한의 서울도 아닌 통일국가의 신수도를 남과 북의 경계에 있는 철원 과 같은 지역을 신수도로 정한 것과 같다. 다윗이 정치적 통일과 영토적 통일을 이루었다. 다윗에게 고민은 이스라엘 12지파들 사이에 오랜 증오심과 미움을 해 결하는 마음의 통일이었다. 이스라엘 지파들은 사사기 기록에 제1차 동족상잔
10) Ibid., 362.
1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전쟁과 제2차 전쟁을 겪었다. 베냐민 지파는 여성을 다 죽이고 어린이를 다 죽이 고 남자를 600명만 남겼다. 다윗이 이룬 정치적 영토적 통일국가인 이스라엘을 통치하게 되었는데 지파 지도자들 간에 서로에 대한 증오와 미음의 감정의 찌꺼 기까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언제든지 지파 간에 갈등의 심화로 다시 분열될 수 있었다. 하나님이 다윗에게 계시를 주었다. 그것은 오벳에돔(Obed Edom)에 있는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가지고 오라는 것이었다. 법궤는 하나님의 임재의 처소였다. 하나님께서는 시간과 공간 안으로 들어오 시고 이스라엘 장막 안으로 들어오시고 법궤 위에 임재하시기 위해 스스로 축소 (self- contraction)하셨다. 편재하신 하나님께서 스스로 축소하셔서 어느 공간 안에 내주하신 것이다. 하나님의 본체이나 스스로 종의 형체로 십자가에서 예수 그리스도(빌2:5-8)처럼 말이다. 법궤는 구약시대의 복음의 상징물이다. 복음의 상징물인 법궤가 예루살렘으로 들어올 때에 하나님의 하강인 접촉이 임했음을 시편 133편 2절에 “머리에 있는 보배로운 기름”으로 나타내고 있다. 기름이 대제사장의 의복 가슴 앞에 판결흉패를 흥건히 적셨음을 나타냈다. 12 지파 이름이 적혀있는 판결흉패를 기름이 적셨다는 것은 12지파 위에 하나님의 영이 임재 했음을 나타내는 생략을 통해 강조하는 시적 표현이다. 하나님의 영 이 12지파에게 임재하심과 동시에 예루살렘에 법궤가 입성하는 것을 지켜보는 12지파 3만명의 지도자들의 마음 안에 오래된 감정의 찌꺼기들인 서로에 대한 증오심과 미음이 사라지고 마음의 통일이 이루어진 새로운 공동체가 창출되는 체험을 나타낸다. 이것은 오랜 분단으로 서로 갈등과 분열과 전쟁을 치룬 자들 이 서로에게 고착화된 감정들이 하나님의 영으로 씻겨 내려가고 새로운 마음으 로 바뀌었음을 말한다.11) 다윗이 처음 경험했을 “선하고 아름다운” 공동체 경험 이다.
백두산 앞에 있는 숙소에서 설교를 한 내용을 기초로 했다. 장영일 前총장은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와 직원을 인솔하여 북중접경지역을 3박 4일 동안 방문을 하였다. 연구자는 그들의 안내 책임을 맡았다. 장 영일 前총장은 백두산 앞에서 시편 133편 1-3을 본문으로 하여 헐몬의 이슬과 백두산을 비교하 며 설교를 했다. 그 설교는 문서로 되어 있지 않고 구두로 한 것이며 연구자의 메모만이 존재한다. 본 글에서는 그 자료를 「장영일 前총장 설교」라고 기록한다.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11
글에서 시편
11)본
133편을 해석한 것은 장로회신학대학교 장영일 前총장이 2011년
시편133편 3절에서는 그 공동체를 “헐몬(Mt. Hermon)의 이슬”로 묘사했다. 헐 몬의 이슬은 하나님의 영으로 녹아든 공동체를 묘사한 것이다. 12지파는 하나님의 하강인 접촉이 자신의 증오가 커졌던 것이 작아지고 사라지고 축소되었다. 그리고 서로를 배타(exclusion)하던 것이 서로에게 열려(mutual openess)있게 되었고 서로에게 내재(mutual indwelling)하게 되었고 서로를 관통(interpenetration) 했다. 공동체의 원석인 삼위일체의 모형이 나타난 것이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 다. 헐몬의 이슬은 지중해의 차갑고 습한 바람과 사막의 건조하고 더운 바람이 헐몬 산에서 만나서 서로에게 녹여져 들어간다. 그 바람들은 한 방울의 수분 덩 어리가 된다. 새로운 결정체가 창조된 것이다. 서로 대립 되었던 상이(相異)한 두 공동체가 함께 만나 새로운 공동체가 창출된 것이다. 어느 한 지파가 지중해 차 갑고 습한 바람과 같았고, 어느 한 지파는 사막의 뜨겁고 건조한 바람과 같았다. 차가운 바람과 뜨거운 바람과 같이 서로에 대해 용암처럼 솟아나는 증오가 하나 님의 하강인 접촉을 통해 녹아 사라지면서 서로 포용하게 되고 새로운 공동체가 창조되었던 것이 헐몬의 이슬이다.12) 이처럼 다윗이 경험한 통일공동체는 에베 소서 1장 10절에서 말한 복음 통일을 선경험(先經驗)한 것이다. 남북한 한민족 복음통일 공동체 형성에서 하나님께서 북한 동포를 향하여 하 강인 접촉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깨워 일으킬 대상은 누구인지를 정하는 주권 또한 하나님의 택하심에 달려있다. 하나님의 하강인 접촉을 통해 북한 동포의 깨어남은 달걀로 비유한다면 부화(孵化)이다. 병아리가 되는 것이다. 다윗이 경 험한 “헐몬의 이슬”이 더 이상 지중해의 차가운 바람도 아니고 사막의 건조하고 뜨거운 바람이 아닌 “헐몬의 이슬”로 된 것과 같다. “헐몬의 이슬”과 같은 남북 한 한민족 복음통일 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은 하나님의 하강인 접촉을 통해 깨어 남이다. 12) 장영일 前총장 설교.
1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4. 어두운 북한 땅에 신성한 빛을 비추는 복음통일 사역
연구자는 언제 북한에 교회를 세우게 됩니까?란 질문을 들은 기억이 있다. 이 질문자는 분명히 예배당을 언제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을 것이라 생각 한다. 교회 예배당과 교회는 다르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공동체이다. 마태복음 18장 20절에서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그들과 함께 하느니라” 말씀하신 주님의 이 말씀은 개신교 교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 다.13) 본 섹션의 목적은 하나님께서 어두운 북한 땅에 신성한 빛을 비추는 복음 통일 사역을 한시도 쉬시지 않으신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 본 글에서 유대신학의 “틈”(a crack)과 “빛”(the light)을 신학적 틀로 사용한다. “만물 안에는 틈이 있고 빛이 어떻게 들어가는지를 말한다.”(There is a crack in everything, that's the light gets in.) 유럽 오스트리아(Austria) 비엔나(Wien) 에 가면 유대박물관이 있고 그 2층에는 유대신학 자료를 모아둔 곳이다. 그 현관 에 적혀있는 문장이다. 그리스도인에게 북한 땅은 1948년 정권 수립부터 영적으로 암흑기임을 동의하
기에 어렵지 않다고 본다. 북한에는 김일성의 평양입성 이후 조선로동당 창건 전 후부터 북한 지역에 있는 교회를 핍박해왔다. 북한은 종교말살정책(1955-1972)
으로 북한성도들을 순교자가 되게 했다. 교회당 건물은 허물어졌거나 다른 용도 로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북한은 평양에 공식교회를 세우기도 했고 가정 교회 규모를 밝히기도 했지만 진정한 교회인가에 대해선 이견이 크게 존재한다. 수령론 중심의 주체사상을 강화하고 북한 도시조차도 대대적으로 수령중심의 도 시로 재개발했다. 수령은 신이 되었고 무오와 전능을 만들기 위해 탄생설화가 혁명사적관에 가장 중요하게 되었다. 남한에서 북한을 연구하는 전문학자는 이러한 북한은 붕괴될 것이라고 두 번 예측했으나 빗나갔다. 그러나 북한 땅에는 고난의 행군(1995-1998)이라는 비극 이 발생했다. 1995-1998년까지 북한 땅 위에 홍수, 헤일, 가뭄으로 아사자가 13)Miroslav Volf, 『After Our Likeness: The Church as the Image of the Trinity』, (Cambridg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Grand Rapids, Michigan, 1998).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13
60만에서 300만명에 이르렀다. 압록강과 두만강에는 아사자들의 사체가 떠내려 오는 것을 강가 중국 마을 사람들은 기억하고 있다. 그것은 ‘고난의 행군’이라고 부른다. 역설적으로, 그 강을 건너 온 사람 중에 그들 자신은 그 당시 그들 자신 의 정체성을 인식하지는 못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 비극의 강을 건너는 이들 중에 세상을 밝힐 빛의 사람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구약 출애굽기에 나온 이야기 를 연상시켜 준다. 유대인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나인강에 버려진 비극의 강에 갈대아 상자 안에 담겨진 모세는 애굽 바로의 성에 들어간다. 그 인물은 이스라 엘을 출애굽 시키는 인물이 된다. 어린 사내아이들이 죽어 나가던 비극의 나인 강을 통해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빛을 밝히도록 준비해 놓으신 것은 죽음 의 시체가 떠내려 오던 강을 건넌 탈북민들이 빛의 용사들이 된 것과 유사하다. 비극의 시기에 모세라는 빛(the light)의 아들이 바로 궁전에 들어간 사건 자체 가 유대신학에서 말한 것처럼 바로 애굽에 틈(a crack)이 생긴 것이다. 그리고 그 틈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과 홍해를 건너는 구속사적 사건이 일어났다. 어린 양의 피로 인한 구원과 물의 세례를 받게 한 것이다. 압록강와 두만강을 건너는 순간 탈북민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만들어졌다. 탈북민이 복음을 받아들 이는 순간 그리스도인(re-naming)이라는 새로운 존재로 창조되었다. 인간의 관 점에서는 나인 강에 버려진 유대인 사내아이들과 두만강 압록강에 아사자 시체 가 떠내려오는 비극의 강이었음에 공통점이 있다. 그 나인강에 떠내려 온 모세가 애굽이라는 바로 성에 들어가는 것은 ‘틈’에 ‘빛’이 들어간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고난의 행군에 비극의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넌 북한 사람 중에 어두운 북한 땅을 신성한 빛을 비추는 탈북민 북한선교 사역자가 나온 것을 보면 ‘고난의 행군’이 ‘틈’이었고 그 틈을 통해서 ‘빛’의 용사들이 준비된 것이다. 고난의 행군이라는 틈을 통해서 어두운 북한 땅을 신성한 빛으로 밝힐 빛의 용사가 준비되고 있다. 지금까지도 하나님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서 빛의 용사로 준비하시는 일을 계속하신다. 그것은 구출사역이다. 구출사역 시작으로 북한교회 세우기 복음통
1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일 사역 영역까지 10개 영역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10개의 복음통일 사역 영역은 궁극적으로 북한에 교회를 세우시는 하나님의 역 사임을 설명한다.
첫째 영역은 구출사역이다. 이것은 북한에 있는 사람을 남한으로 구출하는 것
이며 그 과정에서 복음을 증거하여 그리스도인 되게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는 중국 땅에서 인권을 유린 당하는 북한 여성과 그들의 자녀를 구출하는 것이 다. 구출하는 과정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제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면서 북한 땅에 빛을 비추는 사역을 한다. 둘째 영역은 국내 탈북민 사역이다.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지역에 거주하는 탈 북민의 숫자는 31,503명(2021.12월 기준)이다. 2022년까지 대한민국 전역에 탈북민을 위해 개척한 교회가 82개이다.14) 탈북민 자녀들을 위해 세워진 대안학 교들과 그룹홈들과 방과후 학교 사역들이 있다. 그 교회의 구성원은 재북 가족과 소통을 하면서 그들에게 선한 빛을 비추고 있다. 셋째 영역은 중국과 제3세계에 사는 북한 여성들과 그들이 낳은 자녀들에 관 한 사역이다. 본 사역은 여성을 평강공주 사역이라고 불리고 자녀를 오네시모 사역이라고도 불린다. 북한의 고난의 기간에 중국에 이주한 북한 여성들이 낳은 자녀들이 이제 대학생들이 되고 있다. 이들은 장성하면서 어머니에 대해서 이해 하게 되었고 어머니의 고국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들은 중국 여권을 가질 수 있어서 북한 땅에서 다양한 사역을 할 수 있다. 넷째 영역은 내지사역이다. 북한 내지사역은 북한 내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지 하성도 사역과 북한으로 사람과 전파를 보내는 원심적 사역이다. 북한 내지에서 지하교회 사역은 여러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하교회 지도자를 양성하는 사역은 계속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북한내지사역은 6대륙 Global Church에서 파송된 NGO 사역자들이 북한 땅에서 하는 사역을 말한다. 하나님은 세계 각국 에 있는 그리스도인에게 북한선교를 향하여 부르심을 계속하신다. 부르심을 받 은 세계 그리스도인은 NGO 사역자로 북한 내지에서 장기사역을 하고 있다. 하 나님은 사역자를 부르심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북한 내지에서 장
김은진, “전국 탈북민교회 기본 현황과 담임목회자 출신지역에 따른 목회상황 비교,” 미발 행 문서, 2022. 본 문서에서 82개 교회 중에서 14개 교회가 교회 문을 닫았다고 밝힌다. 현재는 68개 교회라고 밝히고 있다. 82개 교회 중에 탈북민 목회자가 담임목회로 개척한 교회는 50개 교회로 밝혔다. 탈북민 목회자가 개척한 교회는 게속 증가하고 있다. 본 글이 쓰고 나면 더 늘어나 있을 것이다.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15
14)정형신,
기 체류하며 북한 사람들에게 선한 빛을 비춘다. 다섯째 영역은 국내에 있는 재한조선족을 북한사역자로 양성하는 사역이다. 2000년에 중국 동북 삼성에 재중조선족은 200만명 정도였다. 세계에서 재중동 포가 가장 많이 사는 도시는 연길이었다. 그러나 2022년 현재에 세계에서 재중 동포가 가장 많이 사는 도시는 서울 수도권이다. 수도권에 60만명 이상이 살고 있고, 한국에는 70만명 이상이다. 이들은 북한에서 돈을 벌 수 있는 환경이 만들 어 지면 북한 땅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민국 국적의 사람이 북한 땅 에 거주하는 시대보다는 국내 재한조선족이 북한 땅에 살 수 있는 시대가 먼저 올 가능성이 크다. 이들은 북한에 친척을 2-3인 두고 있다. 그것은 북한 사역에 중요한 연결점이 될 것이다. 교회는 국내 재한조선족을 북한 사역자로 양성한다. 여섯째 영역은 기도사역이다.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어두운 견고한 진(strongholds) 이다. 연구자는 1994년 중국을 방문할 때에 중국에서 느꼈던 영적 압박보다 비 교가 안될 만큼 연구자가 2000년 신의주를 방북할 때에 북한에서 느꼈던 영적 압박은 더 컸다. 교회가 다양한 기도 사역을 통하여 어두운 북한에 신성한 빛을 비추는 사역을 하고 있다. 교회가 서로 기도로 다른 교회들과 연대하는 것이 필 요하다. 일곱째 영역은 접경지역 사역이다. 북ㆍ중과 북ㆍ러 접경지역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사역은 중국의 안면인식 고도화로 영향을 받았다.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 접근을 하고 있다. 여덟째 영역은 지원사업이다. 북한에서 일어난 고난의 행군 기간에 어려운 북 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활동하던 비정부기관(NGO)은 통일부에 등록된 기관이 140개가 넘었었지만, 2010년 5.24 조치와 이어지는 유엔제재와 미국제재로 지원사업은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내 기관들은 국제기구들과 협력해서 진행되고 있다. 아홉번째 영역은 교육사역이다. 통일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무관심에서 회 피론으로, 회피론에서 혐오로 넘어가고 있다. 연령층이 낮을수록 이러한 현상이 강하다. 시민 인식이 같은 국민을 혐오하게 되어가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 그리 고 통합으로 나아가도록 시민 인식을 전환되도록 교육을 제도적으로 보완이 되
1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어야 한다. 열째 사역은 북한교회 세우기 사역이다. 여기서 북한교회 세우기는 전통적 교 회론에 의한 교회 세우기와 선교적 교회론에 의한 교회 세우기가 포함된다. 영락 교회 원로목사인 이철신 15)은 북한 인구 2천명당 교회 1개를 세우는 12,500개 교회를 세우기 비전과 정책을 제시했다. 이러한 비전은 12,500개 교회를 북한 땅 어느 공간에 세우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연구하는 팀이 세워졌다. 이것은 1990년 중반에 북한교회재건위원회가 추진한 이래 28년 만에 북한교회세우기 제안이다. ① 구출사역 ② 탈북민사역 ③ 오네시모사역 ④ 내지사역 ⑤ 재중동포사역 ⑥ 기도사역 ⑦ 접경지역사역 ⑧ 지원사역 ⑨ 교육사역 ⑩ 북한교회세우기사역 본 다이어그램은 유대신학에서 하나님의 빛을 나타내는 10개의 세피로트(the ten Sefirot)의 모형이다. 유대신학에서 이것은 천상의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것 이다.16) 본 글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하나님의 10개의 빛은 예수 그리스도(요 8:12)이시며 이 세상을 비취신다. 하나님은 10개의 빛으로 어두운 세상을 밝히 신다. 하나님은 그의 빛을 구출사역부터 북한교회세우기사역 안에서도 존재했고 그 모든 사역의 영역을 통하여 어두운 북한 땅에 빛을 발하시고 계신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모형적으로 세피로트를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17
활용한다. 구출사역은 국내 탈북민 사 15) 이철신, “북한교회” 「기독교사상」 5월호 통권 제749호(2021):54-61 16) 조지프 댄/이종인 역,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 (서울: 안티쿠스, 2006), 68-133.
역에 영향을 주며 구출사역과 국내 탈북민 사역은 오네시모 사역에 상호작용한 다. 세계 그리스도인이 주축이 되는 지금의 내지사역 현장에 장차 국내 재한동포 사역이 연결된다. 기도사역은 모든 사역 영역에 기초며 상호작용한다. 접경지역 사역과 지원사역은 서로 연결되며 상호작용한다. 위의 모든 사역은 교육사역과 연결이 된다. 위에서 ①번부터 ⑨번까지의 사역은 모두 ⑩번 북한교회세우기 사 역과 통섭 된다. 미래에 한반도가 어느 형태로 복음통일이 되느냐에 따라서 북한 교회세우기가 진행하는 형태에도 큰 영향을 준다. 그러나 하나님은 미래에 북한 교회세우기에 대한 주권자이시면서 동시에 동일한 하나님께서는 현재에도 북한 교회세우기를 위한 섭리를 한 쉬도 쉬시지 않으신다. 즉, 구출사역 현장에서 사 역하는 사역자, 탈북민 목회자, 재한동포 북한사역자, 오네시모 북한 여성이 낳 은 자녀들, 내지에서 NGO 사역자로 살아가는 세계 그리스도인, 기도사역자, 통 일선교 전문교육가, 북한 내지를 오고가며 지원하는 사역자들 모두뿐만 아니라 이 사역자들에 의해서 깨어나는 북한 동포들은 오늘날 이미 모두 북한교회의 성 도들이며 그 언젠가 가시적 북한교회가 세워질 그 교회공동체를 세워갈 성도들 이다. 하나님은 미래 북한교회세우기를 하시는 분이시며 동시에 오늘 북한교회 세우기를 하시는 분이시다. Ⅲ. 나가는 말 본 연구에서는 복음통일이 세속 정부가 펼치는 통일방안과 어떠한 차이가 있 는지를 밝히며 성경에서 증언하고 있는 복음통일론을 고찰했다. 본 글에서는 세 속정부의 두 가지 통일 기조는 “외과수슬식 타격”은 달걀로 비유한다면 달걀이 깨질 위험이 있고 “햋볕정책”은 달걀로 비유한다면 달갈을 삶을 위험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반면 남북한 한민족 복음통일공동체 형성은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 로 하나님의 영이 하강하므로 하나의 남북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며 달걀로 비유한다면 부화하는 것(hatching)으로 설명했다. 이것은 다윗의 복음통일공동 체 형성에서 “헐몬의 이슬”을 설명하므로 강화되었다.
1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헐몬의 이슬이 형성되듯이, 달걀의 부화를 위해 달걀 알눈에 적합한 빛을 비추 는 것이 있어야 한다. 남북한 한민족 복음통일 공동체가 형성되기 위해서, 그 빛 이 북한에 어느 사람에게 비추게 될 것인가는 하나님께서 택하신다. 동시에 그 빛을 비추는 빛의 용사를 일으켜 세우시는 주권도 하나님이시다. 그 주권자는 복음통일의 10가지 사역 영역을 통하여 신성한 빛이 어두운 북한 땅에 비취는 일을 하심을 유대신학 10세피로트 모형으로 고찰했다. 9개의 세피로트에 해당 하는 복음통일 사역영역들은 10번째 세피로트에 해당하는 북한 교회 세우기 영 역으로 모아짐을 설명했다. 이를 통하여 복음통일을 행하시는 하나님과 북한에 교회를 세워 가시는 하나님은 한 분이심을 나타내었다. 하나님은 어두운 북한 땅에 빛을 발하고 있다(시18:28, turning darkness into light). 시편18편 28 절, “주께서 나의 등불을 켜심이여 여호와 내 하나님이 내 흑암을 밝히시리이 다.”(You, O LORD, keep my lamp burning; my God turns my darkness into light.") 하나님께서는 북한 땅이 어두움이 짙어질지라도 그 어두움을 밝히 시도록 하강인 접촉을 통해 북한 동포를 깨어나게 하시고 복음통일을 이루고 계 신다. 동시에 이것은 하나님이 북한에 교회를 세우시는 것이다.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19
참고문헌
곤잘레스, 후스토 L/이형기, 차종순 역, 『기독교사상사(Ⅰ)』,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2002.
김용국, “이레네우스의 총괄 갱신 신학,” 「역사신학논총」 제2집(2000): 111.
미로슬라브 볼프/박세혁 역, 『배제와 포용』, 서울: IVP, 2012.
북한교회재건위원회편, 『북한교회 재건 백서』, 1997.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통일연구원팀, 『남과 북이 뭉치면 죽는다』,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이종록, “바벨과 라파누이: 다시 돌아옴을 꿈꾸는 흩어짐,” 「성경연구」 제6권 제6호(2000): 24.
이종한, “신뢰와 연합으로 이루는 쥬빌리 네트워크,” 오성훈 편집, 『2022 시애틀 한민족 통일선교 서밋』, 서울: 진성애드파이, 2022, 미발행. 이철신, “북한교회” 「기독교사상」 5월호 통권 제749호(2021):54-61 폴킹혼, 존., 엮음/박동식 역, 『케노시스 창조이론』, 서울: 새물결풀러스, 2015. 정성윤, “윤석열 정부의 북한 비핵화 정책: 도전과 과제,” 「통일연구원」 자유평화번영의 한반도 시리 즈 CO22-16(2022). 정중호,“하나되어 함께 살아가는 축복”: 시편133:1-3,” 「성경연구」 제12권 제3호(2006): 42. 조성렬, 『한반도 비핵화 리포트: 포괄적 안보-안보 교환론』, 서울, 백산서당, 2019. 조지프 댄/이종인 역,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 서울: 안티쿠스, 2006.
한국기독교교육교역연구원 편/임창복 엮음, 『북한 교육의 변천사』, 서울:한국기독교교육교역연구원, 2010.
한철하, 『고대기독교사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한기총 북한교회재건위원회, “취지문,” 『북한교회재건 자료집: 무너진 제단을 세운다』, 서울: 진리와 자유, 1997.
한스 큉/이종한 역, 『그리스도교 본질과 역사』, 서울: 분도출판사, 2002.
한태동, “사유의 흐름,” 「신학논단」 18(1989): 2.
Chung Yoube, Ha., 『Migrants Old and New: Accepting Diversity in Creating a Catholic Community in Youngnak Presbyterian Church』, Edinburgh University, Ph.D. Thesis, 2009.
Moltmann, J., trans., Margaret Kohl, 『God For A Scular Society: The Public Relevance of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9.
Tiessen, Terrance L., 『Irenaeus on the Salvation of Unevangelzed』, Metuchen, NJ: Scarecrow Press,1990.
Volf, Miroslav., 『After Our Likeness: The Church as the Image of the Trinity』, Cambridg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Grand Rapids, Michigan, 1998.
2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2장
교회 내에서 통일선교 시작하기
담임 목회자의 역할
김의혁 교수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학과)
담임목사의 목회철학이 중요합니다. ∙ 담임목사가 통일선교에 대한 마음을 먼저 품으면, 성도들도 동일한 마음을 품게 됩니다. ∙ 통일선교는 교회가 가장 가깝게 시작할 수 있는 선교 사역입니다.
북한과 통일선교를 위한 기도를 예배마다 지속적으로 해주세요. ∙ 북한의 억압적이고 폐쇄적인 체제 하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 북한 주민을 위 해 기도해주세요. ∙ 중국에서 북송의 위협과 온갖 어려움 속에서 살아가는 탈북민 여성과 그 자 녀들을 위해 기도해주세요. ∙ 경쟁적인 한국 사회에서 부지런히 살아가는 탈북민들에게 은혜를 더해달라고 기도해주세요.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21
1년에 한 차례 통일선교를 위한 설교를 하시거나 초청 강의 시간을 가져 주세요. ∙ 매해 6월 통일선교주간을 정해서 한반도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나누는 시 간을 가져 주세요. ∙ 하지만, 특정 정치적인 입장이 너무 강한 메시지는 교회에 어려움을 가져올 여지도 있습니다. 교회 공동체의 상황에 맞춰 지혜롭게 해주세요. ∙ 북한과 통일선교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나눠줄 강사를 초청하셔도 됩 니다. 사례 한 달에 한 번, 주일 오후 예배에 통일과 북한에 대한 설교자와 강사를 정기적으로 초청하는 교회도 있습니다. 통일선교에 대한 교육은 다음 세대부터 시작하시면 좋습니다. ∙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는 초·중·고생을 통일시대의 리더로 키 워가는 체계적이고 상세한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피스 앰배서더 프로그램(Peace Ambassador Programme)은 별도 책자로 안내합니다.
통일에 대한 마음이 있는 성도 한 두명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기도회를 시작하도록 격려해주세요. ∙ 교회 내에서 통일선교를 시작하는 데에는 ‘한 사람’의 중요성이 매우 큽 니다. ∙ 통일과 북녘땅에 대한 열망이 있는 단 ‘한 사람’이라도 공동체 안에 있다면, 통일선교는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탈북민 교회와 탈북민 목회자와 교류하며 협력 관계를 맺으세요.
탈북민 교회를 방문하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할 수 있는 시간들을 통하 여 접촉점을 확대하다보면 하나님께서 교회가 섬길 수 있는 영역을 보여주실 겁니다.
2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선교부 담당 목회자의 역할
북한과 통일선교를 위한 기도모임을 시작해보세요. ∙ 한 달에 한 번 북한과 통일을 위한 기도책자를 중심으로 기도의 시간을 가지 세요. 교회에서 ‘자원 봉사’ 혹은 ‘기도’, ‘후원’ 할 수 있는 통일선교 단체와 단위사역을 선정하세요. ∙ 통일선교단체를 방문하거나 관계자를 초청해서 통일선교 현장의 이야기를 들 어보세요. ∙ 교회에서 함께 협력(기도/자원봉사/후원)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세요. 선교부 임원을 중심으로 북한접경지역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을 가져보세요. ∙ 접경지역을 둘러볼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도모임이 활성화되고, 교회 내에 통일선교에 대한 관심자가 늘어나기 시작하면 ‘복음통일선교학교’를 열어보세요. ∙ 짧게는 4주 길게는 8주 정도 통일선교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통일선교를 위한 배움의 시간을 가져보세요. 각 지역에 위치한 탈북민 지역적응센터(하나센터)를 방문해서 교회가 속한 지역의 탈북민 현황을 알아보세요. ∙ 하나센터는 전국에 25개가 있으며, 남북하나재단(koreahana.or.kr) 홈페이 지에서 관할 지역과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23
교회 공동체 차원에서 지역사회에 도움이 필요한 탈북민이 있는지 문의하고, 교회 에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협의하세요. ∙ 하나센터를 통해 연결된 탈북민에게 직접적으로 복음을 전해서는 안 되나, 탈북민과 좋은 관계를 맺어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교회로 초청하는 일은 가능 합니다. 바자회와 같은 행사를 열어서 이웃에 있는 취약계층을 섬기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나눠주세요. ∙ 지역사회 내의 탈북민 중에 어렵고 힘든 상황에 있는 이들을 돌보는 교회공 동체의 역할을 해주세요. 교육부 담당 목회자의 역할
초ㆍ중ㆍ고생을 통일시대의 리더로 키워가는 Peace Ambassador Programme (P.A. 프로그램)을 시도해보세요. ∙ 초·중·고생의 눈높이에 맞게 준비된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요. ∙ 코로나19로 해외 아웃리치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P.A. 프로그램에 따라 국 내 북한접경지역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함께 가보세요. 교회학교 학생들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 친구들과 만나고 그들과 우정을 쌓는 경험을
2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친구들과 만나고 접촉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다문화적 감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향후 남북한 간의 통일과 사람 의 통일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준비가 됩니다.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세요. ∙ 꼭 탈북민이 아니더라도 다문화
성도의 역할
기도하기 원하시는 분 ∙ 한 달에 한 번씩 북한과 통일을 위한 기도제목을 놓고 함께 기도하기 시작하세요. ∙ 탈북민 목회자를 초청하여 북한과 통일에 대한 말씀을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다음 세대 교육에 관심 있으신 분 ∙ 교회학교 담당목회자와 함께 초·중·고생을 통일시대의 리더로 키워가는
Peace Ambassador Programme(P.A. 프로그램)을 시도해보세요. ∙ 초·중·고생의 눈높이에 맞게 준비된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요. ∙ 코로나19로 해외 아웃리치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 P.A. 프로그램에 따라 국 내 북한접경지역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함께 가보세요. 누군가를 실제로 돕기 원하시는 분 ∙ 교회 공동체 차원에서 지역사회에 도움이 필요한 탈북민이 있는지 탈북민지 역적응센터(하나센터)에 문의하고, 교회에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협의하세요. ∙ 하나센터에는 ‘정착도우미 제도’도 있습니다(아래 참조). 해당지역에 새로 전 입하는 탈북민의 초기사회 정착을 돕고, 그분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 습니다. 후원하기 원하시는 분 ∙ 통일선교 단위사역 중에 하나님께서 마음을 주시는 영역을 골라 월1만원 혹 은 작은 금액이라도 후원하면서 관련 사역의 소식을 정기적으로 받아보세요.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25
∙
하나님께서 이미 한반도와 세계 곳곳에서 하나님의 사람들을 통해 앞서 일하 고 계심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2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3장
단위사역의 의미와 참여 방법 안내
공기인 교수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단위사역의 의미 단위사역은 통일선교의 여러 영역 중에서 하나의 사역을 구성하는 가장 기초 단 위의 사역을 가리킵니다. 통일선교를 10개의 영역으로 나눴을 때, 각 영역마다 탈 북민 구출, 탈북민 교육, 대북지원 사역 등 핵심 사역이 있습니다. 단위사역은 각 핵심 사역을 이루는 더 작은 단위의 사역으로서, 작은 교회나 성도 개인에게 접근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국교회가 단위사역에 참여함으로써 통일선 교를 향한 공감대와 지원이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리하여 한국교회가 한반도 의 분단 역사를 극복하고 복음 안에서 통일을 이루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통일선교사역의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27
10개 영역 본 센터에서는 통일선교사역을 10개의
들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성도
및
접근하고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로 단위사역
개인과 교회
단체가 통일선교사역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드리고자 합니다. 통일선교사역의
사역 : 비정부기관(NGO)를 통해 북한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는 사역
교육 사역 : 북한선교학교와 통일선교학교 등과 같은 교육사역 10. 북한교회세우기 사역 : 북한 지역에 교회를 세우는 사역
단위사역 참여방법
통일선교 사역에 관심이 있는 교회와 개인은 세 가지 방법(기도, 참여, 후원)으로 지금 당장 사역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교회와 개인은 ∙ ‘기도’하면서 통일선교 사역 현장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을 영적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기도로 후원하기 원하는 단위사역을 선택하시고, 해당 사역단체에 연락을 주시면 정기적으로 기도제목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기도 사역은 통일선교사역의 가장 핵심입니다. ∙ ‘자원봉사’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달란트를 가지고 단위사역 핸드북에 나와있는 자원봉사가 가능한 사역을 찾아 봉사함으로 통일선교사역에 직접적으로 참
2.
3.오네시모
그들이
자녀들을
사역 4. 북한
사역 :
NGO
사역 5. 재중 동포 사역 : 국내에 있는 재중동포를 북한사역자로 양성하는 사역 6. 기도 사역 : 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하여 연합하여
7.
8.
2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10개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외 탈북자 구출사역 : 중국 및 제3국에 머무는 탈북자들을 구출하는 사역
국내탈북민사역 :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민들의 정착을 돕는 사역
사역 : 중국과 제3국에 사는 북한여성들과
낳은
돌보는
내지
다국적
사역자들이 북한 땅에서 하는
기도하는 사역
접경지역 사역 : 북ㆍ중과 북ㆍ러 접경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사역
지원
9.
여할 수 있습니다. ∙
‘물질후원’을 통해 통일선교 사역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물질후원의 최소 단위는 개인의 경우 ‘1만원’부터이며, 교회와 단체의 경우 ‘5만원’부터 참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통일선교사역 1영역인 ‘해외 탈북자 구출사역’의 경우 1명을 탈 북시키기 위한 총 비용은 500만원 정도의 큰 돈이 필요하지만 매월 개인 1만원, 교회 5만원 후원을 통해 탈북자 구출사역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자유롭게 일시불 후원도 가능합니다. <통일목회에
제1부 통일선교 단위사역의 의의 29
참여하기 위한 로드맵>은 다음과 같이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통일선교영역 찾기 :본 핸드북에 나와 있는 ‘통일선교의 10개 영역’을 살펴보면서 관심있는 영역을 찾습니다. 예 3영역 ‘오네시모 사역’
2) 내가 동참할 ‘단위사역’ 찾기 :내가 관심있는 통일선교영역을 찾았으면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영역 별)’에서 해당 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참여하고자 하는 세부 단위사역을 찾습니다. 예 3영역 ‘오네시모 사역’內 => ‘해외탈북여성사역’中 => 단위사역 C1 ‘생활비지원 (1인당 10만원)’
3) 참여방식 결정 :자신이 찾은 통일선교영역 중 구체적으로 참여할 단위사역을 찾았으면 ‘기도 후원’, ‘자원봉사’, ‘물질후원’의 세 가지 참여방법 중 하나를 결정합니다.
4) 후원단체와 소통하기 :세부 단위사역이 소개된 페이지에 안내되어 있는 ‘사역단체’에 전화 및 메일을 통해 참여방법을 안내받아 통일선교에 참여합니다. 그 후 개인과 교회는 ‘사 역단체’와 정기적인 소식지와 기도제목 등을 제공 받으며 자신이 심은 기도와 자원봉사, 그리고 물질 후원이 어떻게 열매를 맺는지 목격 하게 됩니다. 사례 통일소망선교회의 경우 한 교회가 ‘구출사역’영역에서 ‘단위사역A3’에 물질후원과 기도로 참여했을 때 차후에 (본인이 원할 경우) 구출된 탈북민과 후원교회가 만날 수 있도록 연결고리의 역할을 해줄 수 있습니다.
3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제1영역 구출 사역
제2영역 국내탈북민사역
제3영역 오네시모 사역
제4영역 북한 내지 사역
제5영역 재중 동포 사역
제6영역 기도 사역
제7영역 접경지역 사역
제8영역 지원 사역
제9영역 교육 사역
제10영역 북한교회 세우기 사역
일러두기 단위사역은 각 통일선교 영역 안에서 진행되는 사역을 더 세분화하여 가장 구체 적인 사역단위를 의미합니다. 이 핸드북에서 소개하는 단위사역은 본 센터가 신뢰 하는 사역단체 혹은 숭실대 원우가 추천하는 사역단체의 사역 가운데 선정되었습 니다. 본 센터는 각 사역단체의 사역을 정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사역이 지속되도록 할 예정입니다.
제1영역
구출 사역
2022년 현재,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은 총 33,815명입니다. 2003~2011년에는 연간 입국 인원이 2,000~3,000명에 이르렀지만, 이후 연평균 1,300명대로 감소 했습니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하여 탈북해서 한국에 들어오는 길이 거의 막혀 있 습니다. 지금 중국에서 다시 길이 열리기를 간절히 기다리며 사는 분이 많습니다. 한국에 들어온 탈북민의 다수는 이와 같은 구출 사역의 열매입니다. 구출 사역 북한 주민의 굶주림과 거대한 감옥 같은 생활은 여전히 계속 되고 있으며 탈출 할 수 밖에 없는 현실 가운데 있습니다. 죽기를 각오하고 강을 건너 산을 넘어 구 출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삼엄한 감시체계와 검문검색으로 탈북자들 은 북송의 위험 가운데 있습니다. 북송된 후 그들의 생사는 알 수가 없습니다. 본 사역은 자유를 찾고 가족을 만나기 원하는 탈북자들을 구출하여 한국에 데려 오는 사역입니다. 북중접경지역에서 중간 경유지까지 비용이 약250만원, 그곳에 서 동남아까지 구출비용이 약250만원이 듭니다. 그래서 1인당 약 500만원의 구 출비용(코로나 이전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33
역은
북한을 탈출하도록 돕는 구출 사
가급적 하지 않습니다. 이미 중국에 나와 있는 탈북자들을 동남아를 거쳐 한 국까지 구출하는 것이 이 사역의 목표입니다. 구출 사역은 절박한 생사의 기로에 놓인 이들을 도와서 자유를 주는 사역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북한을 떠나 중국까지 나온 탈북자를 동남아A국까지 오는 제반 비용을 지원합니다. 지원금은 중국 내의 교통비와 숙소비, 생활비, 탈북 조력자 지원 등에 쓰입니다. (총 1인당 구출 비용: 약 500만원)
*탈북자 구출 지원 참여: 북중접경지역 → 중간 경유지(탈북자 1인당 250만원)
【단위사역 A1】
*탈북자 구출 지원 참여: 중간 경유지 → 동남아(탈북자 1인당 250만원) 【단위사역 A2】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기도 후원
탈북자 구출 위한 기도사역 【단위사역 A3】 사역 단체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엔케이피플 ⇨ 115쪽 해외 탈북자 양육사역 해외 탈북자 양육사역은 중국과 동남아에 위치한 예수제자훈련원(예제원)에 파 송된 선교사들이 탈북자들과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그들을 신앙 안에서 양육하는 사역입니다. 한 선교사 가정이 1년 동안 양육하는 탈북자들의 인원은 최소 15 명~20명, 최대 30명(코로나 이전 기준) 정도입니다. 본 단체 파송의 선교사들은 2011년부터 19년까지 중국과 동남아 여러 나라에서 탈북자 1,500여 명을 전도하 고 양육을 했습니다. 탈북자들이 한국에 들어오기 앞서 중국 혹은 제3국에서 복음 을 깊이 경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제원의 하루 일과는 복음 양육에 초점 을 맞춰 진행되며 성경 읽기 및 큐티, 말씀 암송, 성경공부와 기도회가 중심이 됩 니다.
3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한국에 오기 전에 복음으로 양육받은 탈북민은 신앙생활을 지속적으로 해나 가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코로나 이전 기준)
- 탈북자 1인당 생활비 지원(월 20만원) 【단위사역 A4】
- 센터 임대비(년 800~1,200만원) 【단위사역 A5】
- 선교사 후원(1가정-월 180만원 / 싱글-월 90만원) 【단위사역 A6】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 후원 가능 자원 봉사&현장 참여 ∙ 코로나19 팬데믹이 진정이 되어 다시 자유롭게 동남아 지역 방문이 가능할 경우 현장에 있는 예제원 등의 사역 현장을 방문할 수 있습니다. 【단위사역 A7】 ∙ 국외 탈북자 미션홈 사역(예제원)에 방문하여 1달 이상 자원봉사가 가능합니다. 【단위사역 A8】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35
제2영역
국내탈북민사역
국내에 들어온 수많은 탈북민들이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뿐만 아니라 각 지역 교회 들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디딤돌의 역할을 하는 사역입니다. 탈북민의 다양한 필요에 응답하면서 사랑의 섬김을 합니다. 특별히 해외에서 복음 안에서 양육받고 훈련받은 탈북민의 경우 좋은 교회와 잘 연결되고, 신앙 생활을 지속적으로 잘 이어가도록 돕는 사역입니다.
하나원 방문 사역
하나원 하나교회를 방문하여 그곳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는 탈북민들에게 그리 스도의 사랑과 은혜를 전해 주는 사역입니다. 하나원은 통일부 소속의 북한이탈주 민정착교육기관으로서 국내에 2곳이 있습니다. 제1하나원은 탈북민 여성과 어린 이, 노약자 등이 교육받는 곳으로서 경기도 안성에 있습니다. 제2하나원은 20~65세의 탈북민 남성이 교육받는 곳으로서 강원도 화천에 있습니다. 탈북민은 하나원에서 3개월간 남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생활 등에 대한 교육과 기초 적인 직업 교육을 받습니다. 하나원 두 곳에는 한국교회가 연합하여 세운 하나교회와 목회자가 있습니다. 주 일마다 외부 교회를 통하여 제한된 인원의 민간인들이 하나원을 방문하여 탈북민 과 함께 예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들이 하나원 교육을 수료한 이후에 각 지역 으로 집을 받아 배정받을 경우에 각 지역에서 이들의 정착을 돕는 사역으로 연계 될 수 있습니다.
3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한국에 갓 도착한 탈북민이 가장 처음 만나는 남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주세요.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하나원 내 주일예배 지원 【단위사역 B1】
*하나원 내 탈북민 위한 전도 물품, 하나원 내 탈북민 위한 맞춤 성경공부 교재의 제 작과 보급 * 주일예배 후 간식, 세례식 선물 등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37
탈북민 정착지원 사역
정착지원은 초기 입주민을 주요 대상이지만 초기 입주민에만 한정하지는 않습 니다. 초기 정착시 청소 및 민원업무를 돕습니다. 하나센터를 통해 결연이나 정착 도우미사역을 연계하여 진행 하고 있습니다. 하나센터나 지역내 복지관을 통한 공 식적인 결연외에 단체 자체적으로 친구를 맺어 주는 일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 습니다.
낯선 곳에 도착해서 처음 만나는 사람이 어떤가에 따라 그 사람의 인생이 결정되는 법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후원금은 초기 정착민에 필요한 물품 지원 【단위사역 B2】
- 정착 및 결연에 필요한 교육이나 행사를 위해 사용 【단위사역 B3】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현장 참여 ∙ 사전 교육을 받은 분에 한하여1:1 가족결연에 참여할 수 있고, 현재는 코로나19로 지역 내 전입자가 거의 없지만 이후에 탈북민이 전입자가 늘어나면 이들을 위해 함께 입주 청소에 함께 할 수 있습니다. 혹 자원봉사자가 자신의 직업이나 전문적 지식을 이용해서 정착을 도울 수 있습니다. (경기도 오산 지역 위치함) 【단위사역 B4】 사역 단체 ∙ 보금자리 ⇨ 104쪽
3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탈북민이웃 반찬나눔 및 식재료지원 사업
탈북민 성도들로 구성된 봉사단체를 통해 탈북민 이웃 가정을 정기적으로 방문 하고 밑반찬을 제공합니다. 위기 가정에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위해 소고기와 삼겹살 등 육류를 중심으로 구성된 식재료 키트를 지원합니다. 주로 강서구와 양천구에 거주하는 어르신과 한부모가정, 청년들을 섬깁니다. 뉴 코리아교회의 탈북민 성도들과 함께 이 사업을 진행합니다. 지역사회를 섬기는 탈북민 교회의 아름다운 발걸음에 동행할 수 있습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탈북민이웃 반찬나눔 및 식재료 지원 단위사역에 참여 가능합니다. 【단위사역 B5】
*보내주신 후원금은 탈북민 이웃을 섬기는 반찬을 만드는 식자재와 포장용기 구입비 로 쓰입니다. -현재 30여 탈북민 가정에 반찬을 만들어서 지원합니다. 【단위사역 B6】
*두세 위기가정에 한 달에 한 번씩 지원하는 식재료 지원 키트는 약 15만원 상당입니다.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현장 참여 ∙ 한 달에 한 번씩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39
탈북민성도들과 함께 교제하며
【단위사역 B7】 ∙ 탈북민가정에 방문하여 식재료 키트를 전달하는 사역에
【단위사역 B8】 사역 단체 ∙ 이음세움나눔터 ⇨ 117쪽
반찬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동참할 수 있습니다.
취약 계층 지원 및 후원 지역 내 도움이 필요한 북한이탈주민에게 필요한 지원과 후원을 하는 사역입니 다. 현재는 중국 내 탈북민자녀 1:1지원(현재 61명), 반찬, 김장, 물품지원, 장학 금, 긴급병원비 지원 또한 가족사진과 웨딩사진 촬영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 니다. 또한 지역 내 탈북민 가정(보통 40가정)에게 명절 년2회(설, 추석)에 선물 을 통해 이웃을 정을 나누고 성탄절에도 선물을 나누며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고 있습니다. 지역교회가 지역 사회 내의 취약계층에 속한 탈북민 가정과 외로운 이들에게 사랑의 온기를 전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체험활동의 진행비 및 문화활동의 재료비 등 지원 【단위사역 B9】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보금자리 ⇨ 104쪽
4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탈북민자녀 학습지도
탈북민가정 거주지 인근 보습학원과 연계하여 학원비 일부를 지원합니다. 보습 학원과의 연결은 탈북민가정 자녀들이 방과 후 홀로 방치되지 않도록 하면서, 학 교 교육과정을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돕는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학원 과정을 따 라가기 힘든 자녀들은 별도로 특정과목을 과외 선생님과 연결합니다. 자녀들이 건강하게 자라고 한국사회에 잘 정착하는 것은 탈북민에게 가장 큰 기쁨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민자녀 학원비 1과목 지원(월5만원) 【단위사역 B10】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초등, 중등 영어와 수학 과외가 가능한 분이 일주일에 한 번씩 방문해서 탈북민가정 자 녀의 학습을 지도할 수 있습니다. 3개월 단위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단위사역 B11】 사역 단체 ∙ 이음세움나눔터 ⇨ 117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41
탈북민 교육 지원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지원뿐 아니라 부모교육 그리고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하는 교육을 진행하는 사역입니다. 현재 9팀정도가 진행하고 있고 보습교사 2명, 영어교사 5명, 중국어가 가능한 한국어 교사 1명이 정기적으로 봉사하고 있습니 다. 또한 남한주민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내부교육을 진행하고 외부교육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지역 내 통일선교학교등의 프로그램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회 외부에서 이 러한 남북한 주민의 간극을 줄이는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탈북민 자녀들에게도 질 좋고 수준 높은 교육을 아낌없이 해줘야 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후원금은 자녀 교육을 위한 진행비 및 문화활동비 등으로 사용 【단위사역 B12】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북한이탈주민 부모 및 자녀의 1:1 학습지도의 교사로 봉사할 수 있습니다. 【단위사역 B13】 사역 단체
보금자리 ⇨ 104쪽
4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국내 탈북민 양육 사역
해외 선교현장을 거쳐온 탈북민들 중 국내에 세워진 예수제자훈련원을 통해 탈북민들의 전인적 회복을 돕고 그들을 사명자로 세워가는 사역입니다. 현재는 1개의 센터를 운영 중에 있으며 선교사 1가정을 통해 탈북민들을 양육하고 있습 니다. 향후 <성경을 가르치는 학교> 사역을 3~6개월 과정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탈북민을 소수 정예로 선발하여 교육하고 양육합니다. 대상은 신학교 입학 헌신자 뿐만 아니라 일반 헌신자들도 포함합니다. 국내의 낙도나 폐교와 같이 집중할 수 있는 교육과 생활 장소를 물색 중입니다. 혼탁한 남한 사회를 경험하면서 하나님께 헌신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말씀 으로 채워진 집중 시간이 필요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민 훈련생 생활비지원(1인당 월 20만원) 【단위사역 B14】
- 센터임대비 지원(월 120~150만원) 【단위사역 B15】 - 선교사 한 가정 후원(월 180만원) 【단위사역 B16】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43
체험 및 문화활동 사역
남북한 출신 주민들이 함께 체험(농장, 딸기밭, 놀이공원, 여행 등)을 하고 문화 활동(냅킨아트, 클레이, 텃밭만들기, 체육활동)을 하며 서로를 알아가고 간격을 좁혀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달 첫째 주 주일 오후에 그림책전문가를 통해 아이와 엄마가 함께 하는 그림책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남북한 사람 간에 우정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시간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후원금은 체험활동의 진행비 및 문화활동의 재료비 등으로 사용 【단위사역 B17】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문화활동의 강사로 참여해 주실 수 있습니다(경기도 오산 지역). 【단위사역 B18】 사역 단체 ∙ 보금자리 ⇨ 104쪽
4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탈북민신학생 멘토링 및 장학사역
해외에서 양육을 받은 후 국내에 들어와 신학공부를 하고있는 북한 출신 신학생 들이 귀한 사명자와 영적 지도자로 잘 세워질 수 있도록 세미나(여름, 겨울 방학시 4주간)와 멘토링 사역, 신학생 수련회(연2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매달 정기 장학금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북한 출신 신학도를 키워냄으로써 민족의 미래를 준비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민 신학생 1인 장학금 지원(월 20만원) 【단위사역 B19】 - 탈북민신학생 위한 정기세미나(2회, 1회당 200만원) 【단위사역 B20】 - 탈북민 신학생수련회(2회, 1회당 700만원) 【단위사역 B21】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45
탈북민 목회자 부부 훈련 사역
탈북민 목회자들은 북한에 교회를 세우고 그 땅에 예배의 회복을 이룰 주역입니 다. 통일소망선교회는 2017년 10월부터 국내에서 신학공부를 마치고 목회자가 된 탈북민 출신 목회자들에 대한 정기적이니 멘토링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특별 히 탈북민 목회자 부부를 대상으로 한국교회와 함께 정기적인 목회 멘토링을 하고 있습니다. 이 사역을 통하여 국내 탈북민 교회들이 복음으로 건강하게 세워져가고 있습니다. 본 사역을 통해서 교회 목회와 멘토링, 설교, 행정, 영성, 제자양육 등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년 4회 제공합니다. 탈북민 목회들의 영적 성장과 인격적 성숙은 탈북민 사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민 목회자 부부 위한 세미나 개회 【단위사역 B22】 * 1박 2일 세미나(약 800만원) 혹은 2박 3일 세미나(약 1,200만원)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4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탈북민 학생 지원 – ‘희망장학회’
희망장학회는 학업 과정에 있는 탈북민 출신 그리스도인 대학생, 대학원생, 유 학생들을 선발하여 각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를 위한 통일한국의 지도자로 준비시 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역하고 있습니다. 이 사역의 의의는 어려운 상황에서 학업 을 하고 있는 탈북민 청년들이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통해 학업에 매진하고 고향의 회복을 위해 준비함으로 앞으로 한반도가 통일되었을 때 통일한국의 리더로 쓰임 받게 하는 데에 있습니다. 지원 방식은 신앙과 비전, 상황에 근거하여 탈북민 대학 생, 대학원생, 유학생을 먼저 선발합니다. 이후 매달 혹은 학기별로 대학생은 20 만, 대학원생은 30만, 유학생은 30만 원 이상을 지원합니다. 젊은 탈북민들이 학업에 집중하여 리더로 자라나도록 곁에서 돕는 손길이 필요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대학생 1인 20만(10명), 대학원생 30만(5명), 유학생 30만 이상(2명) 장학금 후원. 후 원하면 학생들의 소식, 모임을 통해 정기적으로 소식을 들을 수 있음. 100% 장학금으로 후원 【단위사역 B23】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47
∙
∙
자원 봉사 ∙ 예배 혹은 위로회 참여 및 봉사 가능합니다. 【단위사역 B24】 사역 단체
새희망나루교회 ⇨ 131쪽
제3영역
오네시모 사역
수많은 탈북민 여성이 90년대 중반 이후 가족의 생존을 위해 탈북했다가 브로커와 인신매매단에 의해 중국 시골에 팔려갔습니다. 지금도 중국 시골 곳곳에 많은 탈북민 여성들이 자녀를 낳고 살아가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들의 삶에 복음이 흘러갈 수 있도록 누군가 이들에게 다가가야 합니다. 그리고 이들의 자녀들이 건강히 잘 세워지는 일이 이분들의 큰 소원입니다.
해외 탈북여성 사역 – ‘평강공주 사역’
해외에서 거주하는 탈북여성 사역을 ‘평강공주 사역’이라 칭합니다. 90년대 중 반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수 만 명 이상의 탈북 여성이 인신매매와 강제혼을 당 한 채 중국에서 가정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해외 현장 을 방문하며 사역하는 순회선교사의 역할은 제한되어 있지만, 오히려 온라인 사역 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통일소망선교회는 한국 내에서 A국에 흩어져 있는 탈북민 여성 400여 명을 돌 보고 있습니다. 현지에서 도와 달라는 요청이 많이 있지만 현재 사역자가 부족하 고, 재정적 모금 활동도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사역으로는 해외 탈북여성들에게 센터에서의 예배 모임 주최, 생활비와 선물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인생의 가장 절망적인 중국 시골에서 살아가는 탈북민 여성들도 하나님의 사랑과 도우심을 깊이 경험합니다.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48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생활비 지원(1인당 매월 10만원) 【단위사역 C1】
- 센터임대 비용 지원(년 500~1,000만원) 【단위사역 C2】
-선물 지원(성경, 생필품, 의약품, 식품 지원 등, 년 1회 지원, 400명×5만원=총 2,000만원) 【단위사역 C3】
- 중국 내 탈북민 공동체 후원: 17개 공동체 매월 10만원씩 【단위사역 C4】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 하나로드림교회 ⇨ 134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49
해외 탈북자녀 긍휼사역 – ‘오네시모 사역’
해외 탈북자녀는 탈북 여성과 중국 남성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들을 위한 사 역입니다. 탈북민 본격적으로 일어나게 된 것이 90년대 중반 이후라는 점을 생각 해본다면, 탈북 여성들의 자녀 중에는 이미 20대가 된 자녀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들을 위한 사역으로는 초등학생 온라인 사역(악기 구매 및 가르치기, 홈스쿨 링, 영어교육), 성경책 보내기, 중·고등학생 기숙사 사역, 대학생 장학금지원 사 역을 진행하거나 향후 계획 중입니다.
오랫동안 중국 땅에 숨겨진 하나님의 보물과 같은 새로운 세대를 세워가는 사역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초등학생 온라인 사역(악기구매 및 가르치기, 홈스쿨링, 영어교육, 각 월 5만원 지원)
【단위사역 C5】
-성경책 보내기 사역(1인당 2만원) 【단위사역 C6】
-중ㆍ고등학생 기숙사 사역(임대료 연 500~1,000만원, 사역자 후원비 월 50만원) 【단위사역 C7】
-대학생 장학금지원사역(1인당 년 250~300만원) 【단위사역 C8】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5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해외 탈북자녀 긍휼사역 – ‘영적가족 만들기 사역’
현재 중국에는 탈북민 여성들이 강제결혼, 혹은 인신매매로 팔려가 낳은 자녀들 이 있습니다. 그 자녀들 대부분은 한국에 온 엄마들이 데리고 오고 싶어도 그곳 가족들이 내놓지 않아 데리고 오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사역의 비전은 탈북자녀들을 영적 가족으로 만들어 통일세대로 키워가는 것 입니다. 이 사역은 월 10만 원씩 재정지원을 통해 그 자녀들과 엄마들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놓고 꾸준히 소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그들에게 복 음을 증거하고 훗날 한국에도 자유롭게 다녀가면서 복음을 들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들도 우리의 아이들입니다. 복음과 사랑 안에서 그들을 키워내야 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중국의 자녀들에게 월 10만원의 용돈을 보내고, 대학에 들어갈 때, 대학등록금을 지 원합니다. 【단위사역 C9】 -중국 내 자녀들이 부모와의 만남을 위해 대한민국에 오고 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단위사역 C10】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51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중국 출생 탈북 자녀들이 한국으로 오도록 하는 길이 열리면, 이들을 위한 수련회 및 여 행에 동반하여 복음을 증거하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사역 단체 ∙ 인천한나라은혜교회 ⇨ 133쪽
【단위사역 C11】
제4영역
북한 내지 사역
북한내지사역은 다국적 NGO 사역자들이 북한 땅에서 하는 사역부터 북한 내 주민 들을 지원하고 북한 땅에 교회를 세워가는 사역까지 포괄합니다. 이 사역은 가장 지혜롭게 이뤄져야 하는 사역 영역입니다.
북한 지하교회 양육지원사역
북한 지하교회는 크게 두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그루터기 성도들로서 한 국전쟁 이전 교회의 후손입니다. 다른 하나는 신생지하교회 성도들로서 1990년대 부터 중국에서 복음을 접하고 신앙을 갖게 된 이들입니다. 한국교회와 한인교회에 서 지하교회를 위한 기도자가 많으며, 본 사역은 에스라와 같은 사람을 준비하는 사역입니다. 구체적인 사역으로는 성경배달 사역(책, SNS), 식량지원 사역, 신생 지하교회 성도 양육사역, 긴급구제 사역(지하성도 및 순교자 가족 돕기) 등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북한 내에 두신 믿음의 사람들을 지원하고 세워가는 사역입 니다.
5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북한 접경지역 브로커를 통한 복음전파사역 【단위사역 D1】
- 성경 배달(책, SNS), 식량지원 사역: 한 가정 년 300만원 【단위사역 D2】
- 순교자 가족 돕기: 한 가정 당 년 300만원 【단위사역 D3】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53
북한지하성도 돕는 사역
하나로드림교회에서는 북한에 파송된 성도들을 섬기고, 북한지하성도들이 신앙 생활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본 사역으로 인해 북한선교 의 맥락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으며, 재정 및 물질후원을 통해 북한을 회복시 키시는 하나님의 귀한 사역에 동참하는 소중한 의미를 지닙니다. 1년에 4번 북한 을 물질로 섬기고 있으며, 2003년 10개의 가정이 북한으로 파송되었습니다. 이중 5개의 가정이 정착을 못하고 다시 나왔고, 5개의 가정은 현재 북한에서 잘 정착하 고 있습니다. 이들을 통해 북한소식을 수시로 알 수 있고, 기도제목을 공유하며, 수해나 여러 가지 어려움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역의 장점이 있습니다. 비상연락망이 잘 가동이 되어 현재까지 어려움 없이 사역이 진행되고 있으며, 중 국에서 함께 신앙생활을 했던 사람들이 현재 대한민국에서 목회자로 있어서 확실 히 보증이 되는 지하교회성도 그룹입니다. 북한 내 지하성도들의 삶의 여러 필요를 채움으로써 이들과 깊은 연대의 관계를 형성합니다. 재정 후원
5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영역 - 북한지하가정 섬김(연 200~500만원 지원) 【단위사역 D4】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하나로드림교회 ⇨ 134쪽
후원금이 쓰이는
북한 내 가족 지원 - ‘한 가족 품기 사역’
이 사역은 북한에 사는 한 가족(탈북민 성도들 가정)을 품고 기도하며 그들과 연계를 가지고 일 년에 한 차례씩 돈을 보내주는 것입니다. 요즘은 돈을 보내는 것이 어렵지만 북한의 통화 내용을 듣거나 혹은 직접 통화를 하면서 북한의 실정 을 알고, 그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해줍니다. 북에 가족을 두고 있는 탈북민들 중에 비교적 연계하기 어렵지 않은 가족들을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억압적인 북한 안에서 살아가는 이들을 실질적으로 돕습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1년 한 가족에게 200만 원 지원(현재 수수료 50%로 계산했을 때) 【단위사역 D5】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봉사 ∙ 북에 가족을 둔 탈북민과 만나서 북의 소식을 듣고 함께 음식을 나누면서 서로를 이해 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단위사역 D6】 사역 단체 ∙ 인천한나라은혜교회 ⇨ 133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55
북한 내 가족 지원 - ‘생명만나 프로젝트’
생명만나 프로젝트는 북한에 남겨져 있는 탈북민 가족 구성원을 비롯해서 어려 운 상황에 처한 북한 주민들을 도움으로써 그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삶의 소망을 가지게 하는 사역입니다. 이를 통하여 북한 주민들 안에서 복음의 문을 열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북한 주민들이 조건 없이 주어지는 도움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어려운 상황들을 믿음으로 이기다가 북한의 문이 열려 교회를 세워 갈 때에 그 밑거름으로 쓰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사역의 방식은 북한에 남겨진 성도들의 가족들이나 현지에서 사역하다가 고 난 중에 있는 사역자 가족,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모금한 재정을 정해진 루트 를 통해 보냅니다. 대상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간접적으로 전달할 경우에 그에 대한 영상이나 사진, 음성을 통 해서 전달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이어온 사역입니다. 북한에 있는 탈북민의 가족들을 지원하며 탈북민의 그리운 심정을 함께 품습니다.
5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민의 북한 내 가족 구성원 및 어려운 상황의 북한 주민 지원 【단위사역 D7】 * 100% 북한 내 주민에게 보내는 재정으로 쓰임 * 한 가족 1회 후원 액수 100만원 * 후원하면 후원 내역에 대한 음성이나 사진, 편지 공유를 통하여 사역에 참여 가능합니다.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새희망나루교회 ⇨ 131쪽
제5영역
재중 동포 사역
한국 내에 약80만 명의 재중 동포(조선족)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 젊은 세대 가 50만 명 가량이나 됩니다. 이들 중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의 비율은 1%에 불과할 만큼 한국교회는 이들에게 무관심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도 복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들을 통하여 한반도 가운데 새로운 일을 행하실 것 입니다.
통일브랜드
재한 조선족 청년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통일의 중요성과 사명감을 갖도록 전도 사역과 통일교육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50만 조선족 청년 (40대 이하)들이 복음으로 변화되고 나아가 복음통일의 사명자로 세워지도록 하 는 사역입니다. 선한러스는 하나님이 사람들을 구원하신 이유가 하나님의 ‘선한’ 일을 감당하 는 친백성이 되게 하려 하신다는 말씀(딛2:14)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또한 ‘선 한’이 조‘선’과 ‘한’국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조선족의 역할이 갈라진 두 나라를 하나되게 하는 역할, 그리하여 더하는(플러스) 역할을 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습니다. 남과 북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조선족은 한반도 통일을 이뤄가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입니다.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57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전도행사, 예배모임, 통일교육 【단위사역 E1】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교육 봉사, 일대일 학습 멘토링, 사무행정보조, 주방봉사, 청소 【단위사역 E2】
사역단체 ∙ 선한 플러스 ⇨ 112쪽
부모 낚는 어부
방과 후 어린이 돌봄 교육(학업, 신앙, 재능)을 통하여, 자녀를 둔 재한 조선족 청년들의 자녀교육에 도움을 줌으로 자녀를 통해 부모와 가족이 복음을 받아들이 도록 하는 사역입니다. 복음화율이 1%에 불과한 조선족의 마음 안에 자녀를 통하여 복음을 흘려보 내는 사역입니다.
5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개인은
∙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방과 후 어린이 교육을 위한 전임교사 청빙과 비품 구입 【단위사역 E3】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선한 플러스 ⇨ 112쪽
제6영역
기도 사역
기도사역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참여할 수 있는 통일선교입니다.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 기도할 때에 하나님은 그분의 마음을 보여주십니다. 함께 연합하여 기도할 때 우리를 가르고 적대하는 잘못된 벽들이 무너져 내리게 될 것 입니다.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서울목요모임은 매주 목요일에, 지역모임은 월 1회 정기적으로 복음통일을 위 해 교단, 교파, 단체를 초월한 연합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이런 연합기도 모임 을 전국과 전 세계 각처로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를 위해 기도하는 한민족ㆍ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59
한국교회의 기도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정기기도모임 및 기도운동의 확산을 위해 사용 【단위사역 F1】 기도후원 ∙ 지역별 쥬빌리 정기기도모임에 참여 【단위사역 F2】
네트워크입니다.
자원봉사 ∙ 중보팀, 안내팀, 방송팀, 찬양팀으로 봉사가능 【단위사역 F3】
사역단체 ∙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 118쪽
주니어 쥬빌리 청소년 통일캠프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에서는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복음통일의 비전을 심고, 미래의 통일지도자들을 양육하기 위해 통일캠프를 매년 여름 개최하고 있습니다. 교육사역은 통일을 준비하고 미래의 통일일꾼을 세우는 중요한 사역중의 하나 입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정기기도모임 및 기도운동의 확산을 위해 사용ㆍ후원금은 통일캠프 개최 및 청소년리 더십 훈련에 사용 【단위사역
6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기도후원 ∙ 기도로
자원봉사 ∙ 캠프의
사역단체 ∙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F4】
함께 하기.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단위사역 F5】
자원봉사자(소그룹 리더, 헬퍼, 진행요원, 찬양팀, 기획팀) [단위사역 F6]
⇨ 118쪽
남북연합기도회
남북연합기도회는 2013년 북한사람들이 북한에 대해 기도하지 않는 것에 가슴 이 아파 이날 만큼은 무조건 모여 함께 북한을 위해 기도하자는 목적으로 시작되 었습니다. 현재는 남과북의 성도들이 매주 온/오프라인으로 100여명이 참석하고 있으며 대부분 타 교회 성도들이 함께 동참하며, 북한성도 중 평신도들이 많이 참 석하는 모임입니다. 그동안 기도회를 통해 탈북민구출과 북한내지사역에 필요한 후원금이 모아졌고, 탈북민신학생들의 장학금을 지급하였으며, 특별히 코로나19 로 인해 중국내탈북민사역이 위기를 겪을 때 탈북민들을 섬기는 1:1 사역이 성장 하였습니다. 매주 마지막 주 금요일 저녁8시에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함께 기도회 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님께 전심으로 기도할 때에 하나님은 그분의 놀라운 역사 속으로 기도자 들을 초청하십니다. 기도 후원
참여방법 - 함께 기도할 수 있습니다. 북한을 위한 기도제목을 정기적으로 보내드립니다. 【단위사역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61
∙
F7】 자원봉사 ∙ 오프라인으로도 함께 기도나, 특송으로
수
【단위사역 F8】 기도소식지 신청 ∙ 하나로드림교회(대표: 송혜연 목사) 전화: 010-9754-7887 / 이메일: tgd80@naver.com 사역단체 ∙ 하나로드림교회 ⇨ 134쪽
동참할
있습니다.
통일소망선교회의 사역 위한 기도 국내외 여러 사역이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이뤄지기를 함께 기도합니다. 기도 후원 ∙ 참여방법 -탈북한 이후 한국에 오려는 이들과 이미 한국에 온 이들을 위한 기도 제목을 정기적으 로 보내드립니다. 【단위사역 F9】 기도소식지 신청 ∙ 통일소망선교회 임하나(대외홍보팀장): 010-9541-1522
이메일: tongilsomang@naver.com 사역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6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7영역
접경지역 사역
북중과 북러 접경지역에서 다양한 통일선교 사역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탈북민을 만나 복음을 전하며 양육하기도 합니다.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면서 새로운 방식 으로 사역이 확장되어 갑니다. 탈북자 구호 및 양육 사역 중국과 러시아 내 북한 난민을 구호 및 양육함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사역입니다. 근래에는 매주 원격으로 함께 예배를 드리며, 이와 함께 말씀 양육과 생활 지원 등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먼 변방으로 여겨지던 곳에서 하나님의 놀라운 역사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중국 및 러시아 북한난민 생활비 지원(1인당, 월 10만원) 【단위사역 G1】
-의료 지원(1인당 1차 지원비 40만원, 이후 상태에 따라 추가 지원) 【단위사역 G2】
-자녀교육 지원(1인당 월 10만원) 【단위사역 G3】
-안전가옥(Safe House) 주거비 지원(1가구당 월 60만원) 【단위사역 G4】 -중국, 러시아 북한난민 긴급구조비/신분해결 지원(1인당 300만원) 【단위사역 G5】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63
∙
∙
사역 단체
원미션 ⇨ 1116쪽
제9영역
교육 사역
통일에 대한 관심이 점차 약해지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은 통일을 큰 짐으로 생각 하고 있습니다. 통일에 대한 마음과 북녘 땅을 알아가는 일을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다음 세대 통일 리더십 사역 – “United Korea Next 통일청년 사역” 본 사역은 남북 및 디아스포라 청년을 통일 리더로 세우는 데에 목적을 둡니다. 무엇보다도 향후 10년을 내다보고 다음세대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의 영역에서 통일의 주역으로 준비시키고 있습니다. 특별히 리더십 코칭과 통일청년 포럼을 통해 다음 세대 청년들과 함께 통일을 준비하는 사역입니다. 통일을 살아가고 통일을 마음껏 누릴 세대는 우리의 다음 세대, 젊은 세대 입니다. 이들을 준비해야 합니다.
10만원) 【단위사역 I1】
6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재정
∙ 후원금이
후원
쓰이는 영역 - 리더십코칭 및 청년포럼 운영비용(1인당 월
- 북한대학생 장학지원(1인당 월 10만원) 【단위사역 I2】
- 남북청년들의 통일 필드리서치 지원(1인당 150만원) 【단위사역 I3】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자원 봉사 & 현장 참여 ∙ 국내 탈북 청년들 정착 돕기, 교육 봉사 【단위사역 I4】 ∙
청년들의 울타리 역할로 코칭과 멘토링 제공 【단위사역 I5】
사역 단체 ∙ 원미션 ⇨ 116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65
탈북민 청년 영어교육 – “English Leadership Ministry”
탈북청년들이 한국 사회와 함께 한국 사회를 넘어 세계적인 리더로 성장하기 위 해서 꼭 필요한 교육이 ‘영어교육’입니다. ‘영어교육’은 ELM의 대표 사역입니다. 현재 명동 주빌리 교회를 중심으로 외국에서 온 원어민 선생님들을 통해 1대1 형 식으로 영어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ELM의 교육커리큘럼이 ‘Zero커리큘럼’입 니다. 이것은 커리큘럼 형식을 미리 만들지 않고, 학생들과 교사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형식입니다. 그래서 학생의 상황에 맞춰 교육하고 있습니다. 영어 말하기, 쓰기, 읽기, 대화, 자격증 공부 등을 학생에 맞춰 교육합니다. 많은 탈북민이 가장 크게 좌절하는 영역이 바로 영어입니다. 영어라는 장애물을 넘도록 해주세요.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탈북청년들과 교사에게 식사 및 음료 비용 지원 【단위사역 I6】 - 영어 자격증 시험을 위한 비용 지원 【단위사역 I7】 - 영어 자격증(ex.TOEFL) 학원 비용 지원 【단위사역 I8】 - 교사에게 감사 선물 지원 【단위사역 I9】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6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자원
∙ 영어
∙ 미국이나
사역
∙ ELM(English
개인은
일시후원 가능
봉사
교사(재능 기부)로 봉사 가능 【단위사역 I10】
영국 등으로 어학연수 및 유학 연결 및 지원 【단위사역 I11】
단체
Leadership Ministry) ⇨ 125쪽
탈북민 학생 교육 지원 – “Power
of Education”
대학 입시를 준비하거나 대학을 다니고 있는 탈북민 학생들의 개인의 필요에 맞 는 학업 지원을 통해 사회 정착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있습니다. 많은 경우 탈북민 학생들은 한국에서의 학업 과정에서 큰 어려움과 좌절을 경험합니다. 따라서 이들 의 학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격려와 지지로 자기 존중감을 성장시켜, 자신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경험을 하도록 이끕니다. 새일아카데미가 운영하는 교실에서 개인별 일대일 교과 과정 지도, 온라인학습 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 및 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또한 수업으로 만난 남 북 청년이 일상 속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탈북민 재학생을 통하여 다른 탈북민 학생의 학습을 지도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낯선 한국 땅에서 부단히 공부하여 스스로 자립하기 위해 노력하는 젊은이 들을 응원해주세요.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수업교재 및 온라인콘텐츠 구매 지원 【단위사역 I12】
학습코칭 강사비 지원 【단위사역 I13】
탈북학생의 학업을 지도하는 탈북학생에게 장학금 지원 【단위사역 I14】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67
∙ 개인은
자원
∙ 학습지도
∙ 홈페이지
사역
∙ 새일아카데미
∙
-
-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봉사
교사로 자원 가능 【단위사역 I15】
관리 및 홍보 관련 지원 【단위사역 I16】
단체
⇨ 1113쪽
탈북민 학생 생활 지원 – “Power of Supporters”
본 사역은 탈북민의 사회 문화적인 다름으로 일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나눠 어 려움을 해결하도록 도움을 줍니다. 개인의 특성, 적성, 진로를 객관적으로 파악해 학업의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학업 수행에서 시행착오를 줄이도록 돕습니다. 또한 탙북민 가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부모의 역할과 자녀의 양육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개선과 실천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지원하고 있습니다. 젊은 탈북민의 역량을 강화하여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열어갈 수 있도록 지원 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진로 적성 및 심리 검사비 지원 【단위사역 I17】
- 진로 적성 및 심리 전문가 상담비 지원 【단위사역 I18】
-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하는 문화체험 프로그램비 지원 【단위사역 I19】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학습지도 교사 【단위사역 I20】
관리 및 홍보 관련 지원 【단위사역 I21】
6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자원 봉사
탈북민
홈페이지
사역 단체
새일아카데미 ⇨ 113쪽
북한선교학교
북한선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하나님께서 남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맡기신 사명입니다. 그렇기에 북한과 북한선교에 대해서 배우고, 알아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이일에 마음을 쏟고 최선을 다해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북한선교학교는 12주 강의와 1주의 현장 아웃리치(혹은 DMZ아웃리치)를 통해 북한선교헌신자로 세워지는 교육 실천 과정입니다. 이 시간을 통해 북한 땅을 향 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알게 되고, 북한선교 전략들과 선교현장의 실제적이 이야기들을 탈북자 성도들의 간증과 함께 듣게 됩니다. 북한선교학교를 통해 북한 선교 사명자들이 준비되고 세워질 것입니다. 한반도에서 앞서 일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고 남북한의 분단 문제를 신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법을 배웁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운영비(강사비, 간식비, 행정비) 지원(1회 300만원) 【단위사역 I22】 - 아웃리치 비용 지원(3박 4일 80만원, 5박 6일 100만원) 【단위사역 I23】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69
선교현장 탐방교육
북한선교학교를 수료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선교현장을 방문합니다. 해외 예제원 방문 혹은 중국 단동과 백두산과 같이 북중접경지역을 방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선교현장 탐방교육을 통해 참여자들은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탈북민양육현장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참여하는 교회와 성도들에게 강력한 북한선교의 동기 부여가 됩니다, 나아가 참여자들은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며 소명을 받고 북한선 교에 대한 헌신하게 됩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중국 내 평강공주 사역지를 방문했지 만, 현재는 불가능합니다. 코로나 이후에는 베트남, 태국, 라오스 예제원 사역지 방문도 가능합니다. 중국 내의 경우 2~3명이 한 조를 이뤄서 택시를 타고 현장을 방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사역은 사전 보안교육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선교현 장 탐방교육은 교회 중직자들의 북한선교 참여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동남아 3박 4일의 경우 주일 저녁에 출발하여 수요일 아침에 귀국하는 일정으 로 80만원의 비용이 소요됩니다. 구체적인 일정은 예제원 사역 참관, 예배, 기도 회, 후원품 전달(결핵약 등), 교제, 세례식, 세족식, 메콩캉 투어, 국경산책기도회, 선교유적지 방문 등이 있습니다. 동남아 탐방은 5박 6일 일정이 가장 적합하며 1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됩니다. 통일선교를 백 번 말하는 것보다 현장을 가서 직접 한 번 보는 것이 더 큰 교육입니다.
7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재정
∙ 후원금이
-선교현장 탐방 비용 지원(3박 4일 80만원, 5박 6일 100만원) 【단위사역 I24】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후원
쓰이는 영역
선교훈련원
수많은 북한동포들이 여전히 중국을 비롯한 제3국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이 무엇 인지 모른채 방황하고 유리하고 있습니다. 마른뼈 같이 소망 없는 저 북한동포들 에게 에스겔 37장 1~5절 말씀 가운데 서 있었던 에스겔처럼 복음을 여호와의 생 기로 대언할 선교 사역자(순회선교사, 장기선교사)를 양성합니다. 국·내외 5개월 간의 합숙훈련을 실시하며 교회론과 예배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고통받고 있는 탈북민들에게 생명을 전하는 믿음의 사람을 교육하고 훈련시킵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국내외 5개월 간의 합숙 및 훈련비용 지원(1인당 350만원) 【단위사역 I25】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71
∙
북한선교 복음컨퍼런스
하나님의 역사로 2014년부터 일년에 1~2차례 컨퍼런스를 서울, 경기도, 충청 도, 전라도, 경상도, 기타 미국의 여러 지역교회들에서 열어 그들에게 북한선교의 실제에 대하여 알려주고, 그로 인하여 은혜를 받은 국내외 교회들과 성도들이 직 접 북한사역에 참여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컨퍼런스를 통해 북한선교의 실재 에 대해 알려주고, 은혜 받은 국내외 교회들과 성도들이 직접 북한사역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너무 많은 교회가 통일선교를 잘 모르고 무관심합니다. 이들을 깨워 하나님의 마음을 나눠주세요.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복음컨퍼런스 운영비용 지원(1회당 700~800만원) 【단위사역 I26】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7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남북사랑학교
통일부산하 사단법인 ‘남북사랑네트워크’에서는 2016년 5월 탈북 후 중국, 동남 아를 비롯한 제3국에서 선교사님들에게 복음을 듣고 한국에 온 탈북청소년을 지
원합니다. 이 중에 어머니는 탈북민이고 아버지는 중국인인 중국 출신인 중도 입 국 탈북민 자녀들이 있습니다. 이들이 한국사회에 조기적응할 수 있도록 이들의 신앙회복과 성장 그리고 학업 을 돕기 위해 대안학교인 남북사랑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남북사랑학교는 전인 교육을 통하여 인성과 지성, 영성, 체력을 겸비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를 양성하 는 하나님의 학교요, 또한 복음사관학교입니다. 학교에서는 북한과 중국에서 성장 하는 동안 학력공백이 컸던 탈북청소년들의 학업공백을 메워주고 이들이 취업과 진학 등 진로를 열어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잘 가르치는 학교’를 목표로 탈 북청소년들의 중졸·고졸 검정고시 대비, 대학수학능력 향상 및 중국 출생의 탈북 민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집중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배경의 탈북민 자녀들이 있습니다. 이들에게 가장 훌륭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학교운영비, 그룹홈운영비, 장학금 지원(생활, 교통, 성적 등) 【단위사역 I27】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73
∙ 개인은
자원
∙ 교육
∙ 사무행정보조,
사역
∙ 남북사랑학교
∙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봉사
봉사, 일대일 학습 멘토링 【단위사역 I28】
주방봉사, 청소 【단위사역 I29】
단체
⇨ 103쪽
제10영역
북한교회 세우기 사역
북한에 교회를 세움으로써 다시 북한땅에서 하나님께 예배 드리는 날이 오기를 소망합니다. 코로나19 시대에 북한교회 세우기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전략이 제안된 바 있습니다. 북한 인구 2천 명당 교회 1개를 세워 12,500개 교회를 세우기 위한 비전과 정책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북한도시민 연구도 함께 진행 되고 있습니다.
북한교회 개척학교
2021년 3월부터 시작된 북한교회 개척학교는 북한에 교회를 개척하기 위한 다 양한 전문 사역자들을 양성하여 북한에 복음적, 선교적 교회를 세위기 위함입니 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통일의 문을 열어 주실 때에 북한에 교회를 세우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를 한국 교회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고자 합니다. 이 훈련학교를 우수하게 졸업한 분들은 북한이 열렸을 때 우선적 파송과 지원, 졸업 후 추가 면접과 소정의 추가교육을 거쳐 해외 NK선교현장에 선교사로 파송, 북한 현장에 교회를 개척할 수 있도록 팀을 구성(남/북한사역자들, 북한지하교회 성도들)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졸업생 케어를 위해 년 2회 북한교회개척포럼 시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1년에 3번 이상, 세미나, 컨퍼런스, 수련회 등에 초청해 서 개척의 마음이 식지 않고 이어지도록 관리할 예정입니다. 총 40주(매주 1회) 1년 2학기 과정입니다. 현재 북한교회개척학교에 1기가 32명이 수료했으며, 2022년에 2기 50명이 수료 예정 중입니다.
7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북한에 교회를 세우는 일을 위하여 공부하고 훈련받고 기도하는 믿음의 사람 들을 응원합니다.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북한개척학교 학생 등록금 지원(1인당 200만원) 【단위사역 J1】
- 북한교회개척포럼(년 2회) 지원(1회당 400~500만원) 【단위사역 J2】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사역 단체 ∙ 통일소망선교회 ⇨ 120쪽
제2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안내 (영역별) 75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제1장 만나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분당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2장 대전 한밭제일장로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대전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3장 대전 동서남북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대전통일리더십포럼 참여교회)
제4장 호주 시드니영락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호주 시드니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5장 새중앙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안양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6장 지구촌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통일리더십포럼 in 지구촌 개최교회)
제7장 영국 케임브리지 한인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통일리더십포럼 in 케임브리지 개최교회)
제8장 종교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서울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9장 안성제일감리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안성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10장 온세대교회 통일선교 사역 (2022 목포통일리더십포럼 개최교회)
제1장
만나교회 통일선교 사역
만나교회(김병삼 담임목사)는 ‘교회가 이 땅의 소망입니다’라는 비전을 가지고 기도 사역, 교육 사역, 커뮤니티 사역, 네트워크 사역을 중심으로 다가올 통일 시 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도 사역 ∙ 글로벌선교기도회 : 열방과 통일을 위한 기도회로 매월 진행 교육 사역 ∙ 통일준비아카데미: 통일 시대 준비를 위한 일반인, 전문인(실업인, 의료인)을 위한 교육 과정 ∙ 탈북민 신학생 교육 사역: MMP-W 탈북민 교회 신학생 장학금 지원 커뮤니티 사역
MMP_W(Manna Mission Plan World) 이주민 교회와 협력하는 사역으로 매 기수 탈북민 교회를 포함 (현재 3기 진행 중)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79
∙
∙ 원 코리아 동산: 만나교회 소속 탈북민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네트워크 사역
∙
선교지 협력 사역
북한과 중국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탈북민들을 위한 예배, 교육, 지원 사역 ∙
의료비 지원 사역
월드휴먼브리지와 협력하여 탈북민 의료비 지원 ∙
숭실대 기독교 통일 지도자 훈련 센터와 협력 사역
- 담임: 김병삼 목사
- 실무: 이용주 목사
- 전화: 031-706-3351
- 홈페이지: https://manna.or.kr
8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2장
대전 한밭제일장로교회 통일선교 사역
한밭제일교회는 1대 이영환 목사의 영적 토양 위에 2대 김종진 목사를 필두로 지역복음화, 세계복음화 사역에 쓰임 받고 있으며 특별히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로 세워졌습니다.
본 교회에서는 2010년 초 교회 출석 중인 소수의 통일민(탈북민)들을 중심으로 목장형태로 모임을 시작하였고, 2017년 ‘통일선교예배부서’를 만들었고 그 후 2019년에는 중국어예배부와 함께 ‘동북아사역위원회’를 창설하였습니다.
주요사역으로는 복음화사역, 지역정착지원, 재중 통일민 복음화사역(평강공주), 재중 탈북민 자녀 복음화사역(오네시모사역) 등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선교학교’를 진행을 통해 통일선교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역
-자원봉사로 공동체 섬김사역(예배섬김, 교제, 탈북민섬김 등)에 참여 가능 합니다.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81
∙
통일선교예배부 섬김사역 -대전지역에 있는 통일민(탈북민)의 영혼구원과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 삶의 예배자로 세우는 예배회복사역(매 주일예배)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통일민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 들의 필요를 채워주는 긍휼사역(심방, 전도 등)
탈북여성 및 자녀 복음화 사역 ∙ 중국 내 탈북여성들(평강공주)에게 성경을 가르치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 여 제자화 사역(매년 4회 현장사역, 온라인 사역) ∙
탈북여성의 2세대에게 말씀을 전하여 통일시대의 일꾼으로 세우는 교육사역 ∙
탈북여성들에게 의약품, 생필품 등 필요 물품을 지원하는 긍휼사역 ∙
중국내 탈북민 자녀 복음화 사역(오네시모사역)
(탈북여성 및 자녀 복음화 사역후원 가능 – 개인 1만원, 단체 5만원 이상)
- 담임 : 김종진 목사
- 실무 : 이상민 목사(010-4445-6878)
- 전화 : 042-541-3990
- 홈페이지 : www.hanbatjeil.or.kr 강사 ∙ 이상민 목사 통일선교예배부 담당목사(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숭실대 기독교통일지
도자학과 석사과정 재학 중) ∙ 강의/설교제목 버려진 자가 아닌 보냄 받은 자! 그리스도 안에서 참 자유!
보배롭고 존귀하고 사랑스러운 나를 누리라!
8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3장
대전 동서남북교회 통일선교 사역
동서남북교회는 2007년 10월 개척하면서부터 탈북민을 섬기는 일(병원 및 약 수발, 반찬나눔, 차량봉사) 부터 시작하였습니다. 2014년 3월부터는 중국 출생 탈 북민 자녀 중도입국 후 한국 사회 및 정규학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담임목사 가정 과 함께 생활하며 일반학교 보내는 그룹홈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탈북민 자녀(중국인, 중국어 사용) 돌봄을 통해 복음의 씨앗을 심고, 탈북민 어 머니들의 안정된 정착과 복음 전파를 위한 마음의 문을 열고자 하는 사역입니다. 현재는 7명의 탈북민 자녀들이 함께 생활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안정된 적응 및 엄마들의 안정된 정착 후 귀가한 학생은 9명 입니다. 현재 교인 수(남한성도 19명, 탈북민성도 12명)는 학생 포함 31명이고 출석은 25명입니다. 한의수 담임목사는 북한선교의 비전으로 탈북민 사역을 하고 있으 며, 대전하나센터 운영위원으로 활동 하고 있으며, 남북하나재단, 선교단체 등 많 은 기관들과 연계하여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탈북민자녀 그룹홈 사역 ∙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효율적인 사회 정착을 위해 대안학교가 아닌 일반 정규 학교 적응을 돕는 징검다리 사역입니다. 한글지도, 온라인을 통한 학과 지도, 문화적응, 자기계발 및 비전세우기, 상담 및 힐링캠프 등을 하고 있습니다. 마을이 아이를 키우도록 주변 많은 기관 및 단체들에 오픈하여 연계하고 있 습니다.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83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학습지도, 생활비(식재료 등), 체험비 등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기도 후원 ∙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 자원 봉사 ∙ 학습지도, 간식 제공, 주말 함께 보내기 등
- 담임: 한의수 목사(010-7326-0754)
- 주소: 대전시 유성구 교촌로6번길 21, 1층
- 전화: 042-542-0754
- 이메일 : newskorea21@naver.com 계좌 : 농협 351-0867-3623-63(동서남북학교)
8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4장
호주 시드니영락교회 통일선교 사역
시드니영락교회(담임목사 이명구)는 시드니의 이민초기에 설립된 한인교회들 중 하나로, 지난 40여년을 한인 이민 역사와 함께 하며, 이민자들의 복음화를 주 께서 주신 사명으로 여기며 섬겨 왔습니다. 그러던 중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해외선교에 관한 관심은 분단된 조국을 생각하며 자연스럽게 북한의 성도들에게 향하게 되었습니다. 북한의 한 도시에 탁아소들을 지어주고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의약품을 정 기적으로 보내며, 유진벨을 통하여 북한의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도 우며, 탈북민들의 중국정착과 복음화를 위해서 여러 기관들과 협력하며 주님께서 열어 주시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주요 사역
자녀의 신앙 양성) 후원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85
∙ 탁아소들
∙ 북한에
∙ 탈북민
∙ 유진벨
∙ 민족사랑나눔운동
∙ 오네시모(탈북민
건축 및 운영비 지원
의약품 보내기
고아들 후원(희망의 집)
재단 사역 후원
사역 후원
-담임:이명구 목사(장신대 신대원(M. Div.), Australian College of Theology (MATh.), 예장통합 호주선교회장, 호주장로회한인교역자협의회 회장)
- 실무자 : 강의봉 장로(선교위원회 위원장)
- 전화 : 61-2-9684-2090
- 주소 : 7-9 Manson St. Telopea NSW 2117 Australia
- 홈페이지 : www.youngnak.com.au
8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새중앙교회
제5장
통일선교 사역
새중앙교회(황덕영 담임목사)는 지난 39년 동안 하나님의 크신 은혜 안에서 예 수님의 마지막 명령에 순종하여 ‘TARGET 2030 가서 제자 삼으라’(마태복음 28:19,20)는 표어 아래, 100개의 북한교회, 1000개의 세계교회, 10000명의 선 교사 파송이라는 비전을 선포하고 오직 전도와 선교를 위해 쉬지 않고 힘차게 달 려왔습니다.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전문성을 인정받은 평신도 제자훈련과 선교훈련, 교회 학교와 상담센터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사역들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성도들의 전인격적 성장과 더불어 창조적 사역을 바탕으로 지역교회를 넘어 통일한국을 준비하고 다양한 사역의 영역을 넓혀 세계 열방을 향해 온 세대 가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선교적교회(Missional Church)로 더욱 힘차게 발돋움하려고 합니다. 비전선교사 파송 ∙ 모든 성도를 선교적으로 살아가도록 ‘비전선교사’로 임명 및 파송하여 통일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87
비전캠퍼스
∙ 삶의
한국을 복음으로 섬기는 지도력을 갖춘 하나님 나라의 리더를 세우는 사역
개척
현장에서 복음의 거점을 세우는 ‘비전캠퍼스’ 사역의 일환으로 개척한 ‘파주 GOP 비카’를 중심으로 한 군 장병의 복음화와 소그룹 양육 사역
통일선교 아웃리치 ∙ 북중 접경 지역, 연해주 등 실제적인 북한선교가 이루어지는 현장으로 나아 가는 아웃리치 사역
DMZ 통일선교 플랫폼 ∙ 파주시 통일촌 마을 및 판문점교회와 자매결연 협정을 바탕으로 DMZ 지역의 통일선교 연구 및 사역을 위한 플랫폼 구축
새중앙 북한선교회 ∙ 지난 2010년 설립된 새중앙 북한선교회를 통해 국내 3만 3천여 명의 탈북자 를 복음으로 품고 북한 체제 상처 치유, 교육, 상담 및 제자화를 감당하는 사역
쥬빌리 통일구국기도회 ∙ 복음적 평화통일을 위해 연합하는 ‘쥬빌리 통일구국기도회’의 국내 18번째 지부로 매월 정기 기도회 진행 통일선교아카데미 ∙ 통일 한국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이루어 가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과 기독교적 대안을 갖춘 선교적 일꾼을 양성하는 훈련
8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네트워크 사역
하나님께서 이루실 복음통일을 함께 꿈꾸는 국내외 통일선교 기관 및 단체들 과의 협력 사역 (북방선교방송, 평화한국,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등)
∙
새중앙선교센터
북한선교 및 세계 복음화를 위해 힘쓰는 열방의 선교사를 위해 64개 객실과 의료, 발 지압, 이미용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정성껏 섬기는 선교센터 사역
-담임:황덕영 목사
- 실무자 : 유미현 목사
- 전화 : 031-425-3000
-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귀인로 301
- 홈페이지 : www.sja.or.kr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89
제6장
지구촌교회 통일선교 사역
지구촌교회는 이동원 원로목사를 시작으로 진재혁 목사(2대)에 이어 현재 최성은 목 사에 이르기까지 민족치유 세상 변화의 비전을 가지고 헌신하며 달려오고 있습니다. 특별히 평신도 중심으로 시작되었던 북한선교단 모임은 2015년 민족치유 세상 변화를 위한 실제적인 비전의 구체화를 위해 3N3G 비전 선언 함께 민족치유를 위 한 그 첫 번째 시작인 ‘North Korea’ 비전에 따라 통일선교팀으로 확장되었고 분단 된 한반도에 북녘땅 복음화와 북한 동포 사랑으로 민족 분단의 상처를 치유하고 복 음 평화통일을 앞당겨 실현하고자하는 비전으로 지금까지 사역에 임하고 있습니다. 지구촌교회 NK 사역은 크게 4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한ㆍ통일을 바로 알기 위한 사역
통일비전 모임 : 매주일 통일선교팀과 새터민 그리고 북한에 관심 있는 성도
9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들이
∙ 통일선교세미나
있는 강사 초청 및 세미나 진행(학기별 4주씩 진행) ∙ 통일비전트립(국내/해외) : 국내 전방지역, 러시아, 중국 등 북한 접경지역의 현장 방문 및 중보기도 (지구촌교회는 소속된 탈북민들의 의견에 의해 내부적으로 ‘새터민’이라는 용 어를 사용하고 있고, 외부적으로는 ‘탈북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
예배를 함께 드리고 교제하는 정기모임
: 북한과 통일선교의 전문영역에
목장과 함께 하는 사역 ∙ 새터민과 함께하는 행복한 만남 : NK 비전목장과 새터민 가정이 함께 만나 교제하는 사역 ∙ 새터민 목장지원 : 새터민 목장의 사역을 지원하며 간식과 중보기도로 지원 하는 사역 ∙ NK 중보기도 사역 : 매월 정기적으로 NK 10가지 기도제목을 교회 홈페이 지에 게시(개인, 목장, 단체에서 중보기도로 함께 하도록 지원) ∙ 하나원 방문 및 주일예배 섬김사역(정기적으로 하나원을 방문하여 함께 예배 하고 섬기는 사역)
다음세대인 통일세대를 지원하는 사역 ∙ 지구촌 빵두유공장 지원 : 북한의 영유아 아이들에게 빵과 두유를 공급하는 사역 ∙ 여명학교, 하늘꿈학교 지원 :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의 점심 지원과 기숙사 운영 등 연계 사역 ∙ 새터민 자녀 학업지도 및 학업 격려 지원 : 새터민 자녀와 다양한 전문성 가진 성도의 연결 우리교회 새터민 사역 ∙ 새터민 초기정착, 생활 및 의료지원 : 초기정착 지원, 생필품 지원 및 긴급 의료비 후원 ∙ 새터민 교제 모임과 영성수련회 : 교회 내 새터민들의 교제, 정서적 안정과 신앙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
새터민 목장 및 교육훈련 : 새생명, 새가족 성경공부 진행 및 새터민 목장 연결 -담임:최성은 목사
실무자 : 박형균 목사
전화 : 031-710-9439
홈페이지 : www.jiguchon.or.kr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91
∙
-
-
-
제7장
영국 케임브리지 한인교회 통일선교 사역
케임브리지 한인교회(담임목사 홍순조)는 1989년, 소수의 신앙인들의 모임을 시 작으로, 케임브리지의 현지 지역교회인 St. Andrews 교회의 따뜻한 배려로 예배 공 동체, 교회로 세워지게 되었습니다. “교회다운 교회, 교인다운 교인”을 꿈꾸며 신앙 생활 하고 있으며, 지금도 교우들간 이민생활의 위로와 격려를 나누고 있습니다. 또한, 본 교회는 선교를 지향하는 교회입니다. 지역사회와 세상에 참된 복음이 더욱 증거 되도록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으며, 영국 내 통일관련 NGO 단체 (Relational Peacebuilding Initiatives)와의 인적 네트워크 개발(케임브리지 대 학 박사 학생을 포함한 안식년 교수진들과의 학술 교류 연결)을 포함하여, 기도와 물질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구체적인 통일 선교활동 및 지원사역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9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영국 현지 NGO
지원 ∙ 인적 네트워크 개발 ∙ 기도 및 재정 후원 - 담임 : 홍순조 목사 - 실무 : 서보환 집사 - 전화 : 홍순조 목사(07809
- 홈페이지 :
단체(Relational Peacebuilding Initiatives)
670 965)
www.cambridgekoreanchurch.net
제8장
종교교회 통일선교 사역
종교교회는 북한을 향한 마음과 사역 능력을 갖춘 사람 세우기를 비전으로 삼아 통일 이후 실제적 지도자 양성을 위한 준비 사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통일선교학교 ∙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와 연계하여 통일사역자를 양성하는 프로 그램을 실시하는 교육과정입니다. 북한회복을 위한 통일속회공과 ∙ 매년 6월을 ‘북한회복의 달’로 정하고, 모든 속회가 ‘북한회복을 위한 속회공 과’를 사용하여 성도들의 복음통일에 대한 이해와 그리스도인의 자세를 배우 며 기도합니다. 구국기도회 ∙ 1964년 12월 셋째 주부터 ‘구국기도회’를 시작하여, 매주 화요일마다 나라 사랑과 민족구원, 복음통일을 위해 기도하는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93
∙
사역
본 교회는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와 기독교통일지도자학과 설립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한국교회 통일선교의 확산을 위하여 함께 동역하고 있습 니다.
- 담임 : 최이우 목사
- 실무 : 황 신 목사
- 전화 : 02-6322-2100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 8길 48
- 홈페이지: http://www.chongkyo.net
9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제9장
안성제일감리교회 통일선교 사역
안성제일교회는 전쟁발발 해인 1950년 9월에 안성의 한 가정에서 시작되었습 니다. 전쟁발발 해에 하나님께서 교회를 세우셨으니,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하는 교회가 되는 사명을 다시 붙잡고, 평화통일을 위해 준비하고 행하는 교회로 나아 가고자 합니다. 교회의 평화통일사역은 2021년부터 시작하여 아직은 미약하지만, 앞으로 평화 통일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이 일을 복음 안에서 실천해가는 교회가 되려고 합 니다. 분명 하나님의 평화의 부름에 그 사명을 가진 자들을 통해 이루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안성제일교회는 평화통일을 꿈꾸며 기도하며 사역에 동참하 고자 합니다. 평화통일학교 ∙ 2021년 6월에 시작하여, 올해 2회를 이어갔습니다. 평화통일학교는 매년 6 월 한 달간 총 5주로 평화통일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갖습니다. 현장 전문 강사들을 통해, 배움을 통해 오래 분단되어 살아온 북한과 남한을 바라보는 시간입니다. 관심하지 않았던 그곳을 바라보자는 것입니다. 또한 상처로만 머물지 말고, 지금의 북한을 바라보며, 결국에 나를 바라보자는 것입니다. 그 래서 평화통일학교의 교육은 상대에 대해 지금까지 이해하며 살지 않았던 나 를 바라보는 시간입니다. 나를 바라보고, 상대를 다시 보게 되면, 서로가 이 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서로를 이해할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95
∙
사명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안성제일교회 평화통일학교는 그러한
새로운 사명이 발견되고, 결단하는 시간이고, 이 배움을 통해, 교회가 감당할
사역들을 모색해 나가며, 더욱 사역을 확장해 나가는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교육의 통로입니다.
중보기도사역
매주 수요일 중보기도를 통해, 한반도 복음평화통일과 세계 분쟁과 갈등에 평화가 오기를 기도합니다.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동역 ∙ 매년 평화통일학교를 위해 센터 교수님들께 자문을 구하고, 향후 개체교회 사역을 위해 여러 가지를 함께 고민하고 있으며, 교회는 후원과 기도로 센터 의 사역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 출신 목회자교회 협력 ∙
북한이탈주민으로 남한에 정착하고 목회자로 안수 받고 활발하게 사역하고
있는 00교회에 추수감사절을 통해 찹쌀 등의 후원으로 그 교회의 필요에 동 역하며 함께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분단 현장교육 실시 예정 ∙ 제3회 평화통일학교 수료(2023년)후, DMZ 현장 교육, 북중접경지역 현장 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분단 현장교육을 통해, 더욱 통일사명을 붙잡 고, 기도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향후 사역계획 ∙ 안성지역 북한이탈주민 정착 돕기 사역, 북한이탈주민들과 함께 하는 예배 준비, 교회 내 평화통일선교위원회 조직을 통한 평신도 사역 확장 등
9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담임 : 이선진 목사
- 실무 : 임병천 목사
- 전화 : 031-673-3600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중앙2길 43
- 홈페이지 : www.afmc.or.kr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97
온세대교회
제10장
통일선교 사역
온세대교회는 다음세대와 함께 통일한국을 이루고 남한과 북한의 자녀들을 함 께 열방을 축복하는 교회가 되길 원합니다. 온세대교회는 아래와 같은 사역을 통 하여 통일의 디딤돌을 놓고 있습니다. 비전트립 ∙ ①북중비전트립 ②북중러 비전트립 ③DMZ 비전트립 ④두리하나 비전트립을 통하여 북한의 실상을 보고 듣고 느끼게 하여 통일에 관심을 갖게 하고 있습 니다. 전교인 기도 ∙ ①매주일 담임목사의 축도를 통하여 ②매주일 장로님들의 대표기도를 통하여 ③매주 수요저녁예배 때 장년들의 대표기도를 통하여 ④매주 금요밤기도회 때 전성도 합심기도를 통하여 전성도들이 함께 복음적 평화통일을 위하여 기 도하고 있습니다.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목포모임 ∙ 교단과 단체를 초월하여 나라와 민족을 위해 연합하여 기도하는 운동입니다. 목포모임이 시작할 때 3년간 거점교회로 섬겼습니다. 찬양, 기도, 특송 등 여 러가지로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9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새터민 초청행사
∙ 명절(설, 추석), 교회절기(부활절, 추수감사절, 성탄절)에 새터민을 초청하여 연합하여 사랑의 교제를 나누고 있습니다. 금년에는 연말에 교회성도 가정과 새터민 가정을 연결하여 함께 식사하고 여행하고 서로 마음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통일선교주일 ∙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장년을 비롯하여 다음세대 전부서가 함께 “통 일선교주일” 행사를 합니다. ①통일기도문 작성 ②통일비빕밥 점심식사 ③전 세대 통일설교 및 공과 등 프로그램을 갖습니다.
- 담임: 유재문 목사
- 실무: 조현수 집사(통일선교팀장)
- 전화: 061-283-3004
- 주소: 전남 목포시 양을로 532번길 3
제3부 통일선교 단위사역 (교회별) 99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제1장 통일선교단체 제2장 탈북민교회
제1장
통일선교단체
남북사랑학교 통일부산하 사단법인 ‘남북사랑네트워트’에서는 2016년 5월 탈북 후 중국, 동남 아를 비롯한 제3국에서 선교사님들에게 복음을 듣고 한국에 온 탈북청소년 그리 고 어머니는 탈북민이고 아버지는 중국인인 중국출신 중도입국 탈북민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조기적응할 수 있도록 이들의 신앙회복과 성장 그리고 학업을 돕기 위 해 대안학교인 남북사랑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남북사랑학교는 11개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중 유일하게 탈북민(이빌립 목사)에 의해 세워진 학교로서 전인교육을 통하여 인성과 지성, 영성, 체력을 겸비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를 양성하는 하나 님의 학교요, 또한 복음사관학교입니다. 학교에서는 북한과 중국에서 성장하는 동 안 학력공백이 컸던 탈북청소년들의 학업공백을 메워주고 이들이 취업과 진학 등 진로를 열어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잘 가르치는 학교’를 목표로 탈북청소년 들의 중졸·고졸 검정고시 대비, 대학수학능력 향상 및 중국출생의 탈북민자녀들 을 위한 한국어 집중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고 있습니다.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03
은
교회에서
대표자 심양섭교장
2006년부터
탈북민을 돕는 사역을 하였고, 2011년 목사 안수 후에는 탈북민교회인 열방샘교회에서 협동목회를 하였으며, 2017년 6월부터 남북사랑학 교 교장으로 섬기고 있습니다.
주요 사역 ∙ 통일세대육성 : 검정고시준비, 진로지도, 심리상담 ∙
중도입국자녀교육 : 한국어교육, 한국문화교육, 심리 및 진로상담
그룹홈운영 : 숙식제공, 생활관리, 방과후학습 ∙
장학사업 : 성적장학금, 교통장학금, 생활장학금, 영성장학금, 김수진 장학금 (연구 목적의 탈북청소년&청년 설문조사 협조가능, 남북한청소년&청년 교류 로 ‘작은 통일’을 맛볼 수 있도록 지원) ▪ 대표: 심양섭(남북사랑학교 교장, 서울대 동양사학과,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
실무: 공은영(남북사랑학교 행정교사, 010-7276-8837) ▪ 주소: 서울시 구로구 고척로 28 예원빌딩 6층
02-2688-0691
snlove-school@naver.com
https://blog.naver.com/snlove-school
우리은행 1005-181-337733(사,남북사랑네트워크)
적응을 돕기 위해서
크게 정착지원, 취약계층 지원 및 후 원, 남북이 함께하는 체험 및 문화활동 그리고 교육지원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 니다. 이를 위해 교회와 경기남부하나센터 그리고 지역내 자원봉사센터와 긴밀하 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10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체를 함께 만들어
▪
▪ 전화:
▪ 이메일:
▪ 블로그:
▪ 계좌:
보금자리 보금자리는 2020년 4월 지역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과
세워졌습니다. 본 단체의 비전은 지역내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돕고 따듯한 공동
가는데 있습니다. 사업은
∙
주요 사역
정착 지원: 초기정착민 입주청소, 하나센터 1:1 결연(정착도우미 6명 외 기 타 결연), 하나센터 가족결연 8가정 외 기타 가족 결연, 전문가 연결(보험, 학원, 병원 등)
∙
교육 지원: 1:1 학습지도 9팀 진행 중, 보습교사 2명, 영어교사 5명, 중국어 가능한 한국어 교사 1명, 미술 및 음악 등 1대1레슨, 남한 주민이 북한이탈 주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내외부 교육도 진행 ∙
지원 및 후원 활동: 중국 내 탈북민 자녀 1:1 후원(61명), 반찬, 김장, 물품 지원, 장학금, 병원비 지원, 지역 내 탈북민 명절 년2회(설, 추석), 성탄절 선물 전달 ∙ 체험 및 문화 활동: 체험(농장, 딸기밭, 놀이공원, 여행 등), 냅킨아트, 클레이, 텃밭 만들기, 체육활동(탁구, 배드민턴 등), 그림책 강의(월1회), 가족사진, 웨딩사진 촬영 ▪ 대표: 한문희(오산장로교회, 경기남부하나센터 운영위원,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 학과 박사과정 수료)
실무: 우혜진(010-4842-4744)
주소: 경기도 오산시 오산로190번길 15 용천빌딩3층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05
▪
▪
TWR Korea 북방선교방송 1995년 9월 12일 창립한 본 기관은 단파 라디오 방송으로 북한의 지하교회 성도와 주민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을 전하는 미디어 전문사역 선교기관입니다.
▪
▪
이메일: hanse505@hanmail.net
계좌: 농협 351-1204-0288-23(보금자리)
비전
∙ 미디어로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해 지속적으로 열매를 거둔다. 목적 및 사역선언문 가서 모든 족속을 제자로 삼으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에 순종하여 교회를 도와 주님의 지상명령 성취를 위해 다음과 같이 대중매체를 사용한다.
∙ 구원의 복음을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선포한다.
∙ 성경의 교훈과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살도록 신자를 가르친다. ∙ 타 기관과 협력함으로써 우리가 전한 말씀의 본이 된다. 목표 ∙ 미디어로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해 지속적으로 열매를 거둔다. ∙ 북한을 대상으로 한국어 복음방송을 한다. – 단파방송, 디지털 미디어 ∙ 전세계 한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복음방송을 한다. – 인터넷 미디어 ∙ 미전도 종족과 계층선교를 위한 기도와 재정 후원으로 세계 선교에 동참한다. ∙ 국제TWR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사역에 한국인 선교사를 파송한다. 주요 사역 ∙ 단파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 : 북한의 지하교회 성도에게 필요 한 내용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송출함으로써 매일의 영의 양식 을 제공한다.
단파라디오 방송을 듣기 위한 수신기 보급, 제3국에 체류 중인 탈북자에게 mp3 등의 미디어 플레이어보급 강사
이름: 성훈경 목사 -TWR Korea 북방선교방송 대표
10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강의제목
‘미디어를 통한 북한선교’ ‘높은 수준의 신뢰환경 만들기 - 팀빌딩 훈련 5주 과정’
대표: 성훈경 목사
주소: 서울시 관약구 양녕로 15, 6층
전화: 02-886-5671
홈페이지: www.twrk.or.kr
이메일: twrk@twrk.or.kr
계좌: 국민은행 851-01-0003-066(북방선교방송)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라디오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비 - 단파라디오 구입, 운반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단파라디오 보급사역은 개인 및 단체 3만원 이상)
기도 후원 ∙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
자원 봉사 ∙ 단파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 : 원고의 교열(국어 계열 전공자 및 경험자), 컴퓨터 관리, 워드프레스로 웹사이트 보수 유지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07
▪
▪
▪
▪
▪
▪
∙
북한사역목회자협의회
본 협의회는 2010년 2월 10일에 북한선교를 목적으로 하광민 목사 외 10명이 설립하였으며, 북한사역목회자협의회는 복음적 평화통일을 지향하며, 한국교회 북한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Think Tank), 각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연결하며 (Networking), 선교자원을 동원하여(Mobilization), 효과적인 북한선교 사역을 가능케 할 목적으로 세워졌습니다. 주요 사역 ∙ 북한선교세미나 ∙ 북한선교사역 네트워크 구축 ∙ 북한선교동원사역 ∙ 북한선교연구
강사 ∙ 이름: 김영식
- FOTA미션 대표, 통일선교사역교회연합 지도목사
- 강의 제목: 탈북민 정착 사역 이해하기 ∙ 이름: 천상만
-중앙성결교회 북한선교부 목사, 엔사랑선교회대표, 기독경영연구원 운영 위원
- 강의 제목: 탈북민 초기 정착 사역의 실제(생활, 취업, 상담) ∙
이름: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 자카르코리아 실무대표, GMS 선교사, 북한사역목회 자협의회 회장
- 강의 제목: 북한인권 및 탈북자 구출 사역
10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대표: 정베드로 목사(북한정의연대 대표, 자카르코리아 실무대표, GMS 선교사) ▪
실무: 천지혁(010-2972-7586)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3길 29 총회창립100주년기념관(404호) ▪
이메일: cjswjr@naver.com ▪
전화번호: 02-3482-7107 ▪
홈페이지: www.pankm.org ▪
계좌: 국민은행 408801-01-281782, 597301-04-086363(북한사역목회자협의회)
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NHC)
‘사단법인 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NHC)’는 2013년 “준비된 통일은 아 름답다”는 믿음 위에 설립되었습니다. NHC는 탈북인들이 북한체제트라우마(North Korea System-Trauma, 이하 NKST로 약칭)로 왜곡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 여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한국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탈북인 사회병리(NKST) 치료와 사회적응 교육 프로그램’, ‘탈북인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NKST 심리상담 교육·전문가양성 프로그램’, 탈북 청소년을 위한 ‘함께 걷는 멘토-멘티’, 탈북 아 동을 위한 ‘NKST 아동애착발달 프로그램’ 등을 통해 그들의 한국사회정착 및 탈 북인 한부모·다문화가정 회복사역을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09
하고 있습니다. NKST(북한체제트라우마) 체제상처 심리 치유교육 프로그램 ∙ NKST치유·교육프로그램은 NKST 성격장애로 한국사회정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을 통해 탈북인들이 트라우마 체제상처를 인지하고 참자기(true self)를 회복하 여 한국사회정착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제기되는 대인관계를 개선하고자 합니 다. 안정된 공간에서 주입식이 아닌 열린 교육과 노출치료를 통해 탈북인들이
자신의 왜곡된 신념을 찾고, 억압된 감정과 NKST 예기불안에서 벗어나 참자 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치료(NKST 애착외상 개인상담, 집단상담, 탈 아이고, 이야기심리치료, 시네마 테라피 등)와 돌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NKST(북한체제트라우마) 전문상담사 & 다문화심리상담사 양성 ∙ 본 기관은 위 프로그램들을 통해 북한체제트라우마 상담치유·교육의 예후가 탈 북인들에게 가장 긍정적이라는 것을 임상을 통해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이로부 터 탈북인의 정신건강 증진과 사회병리예방 그리고 향후 아름다운 통일을 위해 NKST 전문상담사와 탈북인 다문화가족을 상담할 수 있는 다문화심리상담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NKST 전문상담사(통일부)와 다문화심리상담사(보건복지부) 는 이론과정과(1년 3학기) 임상수련을 거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강사 ∙ 이름: 유혜란 -사)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 대표 유혜란 목사는 가족과 함께 북한 을 탈출하여 2000년 한국에 입국하였습니다. 북한에서 의학을 전공하였지 만, 탈북이후 한신대학원에서 M.Div를 졸업하고 한국기독교장로회 신사 동교회에서 2009년까지 부목사로 사역하였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상담 학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아 2013년 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 를 설립하였고, 2010년부터 현재까지 대한예수교장로회 새중앙교회에서 북한선교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상담학 박사, 새중앙교회 북한선교회 목사, 사)NHC 대표, NKST 애착발달연구소 소장,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 감독 -강의제목: ‘북한주민의 생명과 북한체제트라우마(NKST)’ ‘탈북인 선교는 북한선교입니다.’ ‘탈북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북한체제트라우마 이해’ ‘NKST 이해와 탈북인 심리치료’
11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높은 수준의 신뢰환경 만들기 - 팀빌딩 훈련 5주 과정’ ‘북한선교와 북한체제트라우마 이해’ ∙
이름: 이수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사)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 교육 팀장, NHC 공익사업 ‘탈아이고, 시네마테라피’ 기획 및 진행 전문강사
-강의제목: ‘탈북인의 아름다운 삶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NKST 탈 아이고(탈춤트라우마 치유놀이) & NKST 시네마테라피’
대표: 유혜란
주소: 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95-1, 현대교육센터 3층
전화: 02-3661-8865
홈페이지: www.nkst.kr
이메일: nhc2013@daum.net
계좌: 농협은행 351-0622-3022-73(사단법인 북한체제트라우마 치유상담센터)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NKST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탈북인들에게 치유장학금 지원, 한부모ㆍ미혼모 가정 지원 -탈북인 NKST 전문상담사 및 다문화심리상담 자격증 취득 교육비 및 임상훈련비 지원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11
▪
▪
▪
▪
∙ 개인은 월
가능 기도 후원 ∙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 자원 봉사 ∙ NHC 부설기관 NKST 아동애착발달연구소 ‘탈북인 아동 놀이치료’ 진행 시 보조 봉사 자로 참여 가능 ∙ 탈북인 1박 2일 캠프 참여 가능
▪
▪
∙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10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선한 플러스
본 기관은 2022년 1월 30일 설립결의를 하고 2월 15일 설립확정하였습니다.
선한 플러스의 비전은 재한 조선족 청년(40대이하/45만명)들을 복음통일의 일꾼
으로 세우는 것입니다.
사역방향은 1퍼센트 복음화율의 재한조선족 청년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교회적
사명과 복음으로 거듭난 청년들을 남북한 복음통일의 사명자로 세워가는 선교적
사명을 감당하는 것입니다.
재한 조선족 청년들의 헌신(헌금과 대출)으로 배곧(조선족들 주요 거주지에서 가장 접근성이 뛰어난 신도시) 상가(78평)를 임대하여 센타 장소로 사용(보증금
5000만원/월세 400만원)하고 있으며, 현재 30명정도(어린이 포함)의 창립맴버들 로 사역을 시작하여 서툴고 연약한 단체로써 자립이 되기까지(1년~2년) 사역을 위한 경제지원과 재능기부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요사역 ∙ 재한 조선족 청년들 중심의 교회설립 ∙ 문화사역을 통한 전도사역 강사 ∙ 이름: 박성진 목사 - 중국 도문교회 담임/ 선한 플러스 공동체 대표 - 강의/설교 제목 설교: 우리민족/거룩한 두려움/하나, 둘, 셋 강의: 북한선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강의: 통일브랜드-재한 조선족 청년
11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대표: 박성진 목사(010-3069-5558, 중국 도문교회 20년 간 담임 / 숭실대 통일기 독교지도자학과 박사과정) ▪
주소: 경기 시흥시 서울대학로 278번길-61(338~340) ▪
이메일: sos3927@126.com ▪
계좌: 국민은행 202-21-2212479(예금주: PIAOCHENGZHEN)
새일아카데미
새일아카데미는 2011년 05월 탈북대학생 교육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
다. 2014년 4월 통일부 소관 사단법인 설립 허가를 받고, 그해 6월에는 기획재정 부 지정기부금 단체로 선정이 되고, 10월에는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사업지원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는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교육시설 지 원 대상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새일아카데미는 교육지원을 통해 탈북민의 사회·문화 적응을 도와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과정을 통해 남북한 사람의 교류를 지속해 서로 이 해하는 사회문화 통합을 이뤄가고 있습니다. 주요 사역 ∙ 교육지원: 개인별 일대일 학습지원&자기관리 능력배양, 부모교육&자녀학습지원
마음나눔: 학교·사회생활의 일상 상담 및 전문가 상담, 가족 캠프
문화통합: 현장&문화체험 활동 강사
이름: 조요셉 목사 -물댄동산교회 담임목사, 새일아카데미 이사장, 현 선교 통일 협의회 상임대표 -강의/설교 제목: 교회 안에서 남북 간의 소통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13
∙
∙
∙
탈북민의 이해와 가능성
서로 어떤 것을 인정하고,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대표: 조요셉(010-8714-6525)
실무: 박정희(010-7722-7110)
주소: 서울시 동작구 사당로 215, 305호(서림빌딩)
전화: 02-537-5545
이메일: saeil5545@hanmail.net
홈페이지: www.saeilacademy.org
계좌: 신한 100-030-003803(사단법인 새일아카데미)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는 2014년 10월 16일에 세워진 뒤로 통일시대 의 정책을 제시하고 통일시대의 사람을 키우기 위하여 꾸준히 달려왔습니다. 본 센터 는 어느 한 교단에 치우치지 않고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며 민족의 통일 문제를 풀어 가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한국교회 가운데 통일선교가 충분히 확산되어 한국교회가
11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
▪
▪
▪
함께 힘을 모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기도합니다. 주요사역 ∙ 국제통일리더십포럼 및 도시통일리더십포럼 개최 ∙ Peace Ambassodor Programme P.A. 프로그램 ∙ 분쟁-화해지역방문 프로그램 ∙ 숭실통일아카데미, 베어드아카데미 ∙ 기독교통일지도자학 석박사 과정과 연계
▪
센터장: 하충엽 목사(숭실대 교수) ▪
실무: 김의혁 교수(010-9517-1419)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369 숭실대학교 창의관 404호 ▪
홈페이지: ccul.ssu.ac.kr
엔케이피플(NK People)
엔케이피플은 2010년 12월 ‘여호와를 힘써 알자’라는 취지로 시작하였습니다. 본 단체의 비전은 ‘North Korea People’(탈북민들에게 예수님의 사랑을!) ‘New Korea People’(예수님의 사랑으로 남북 통일을!) ‘New Kingdom People’(하나님 나라를 품고 열방을!)입니다. 북한을 복음화 하는 목적으로 신앙과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인 선교사를 준비하 여 파송하고, 북한에서 탈출한 사람들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습니 다. 또한 탈북청소년들에게 일대일 제자양육을 함으로써 그들을 민족을 살리는 에 스라와 느헤미야처럼 복음의 군사들로 준비하여 서울에서 평양, 평양에서 예루살 렘까지 복음의 증인으로 세워가고 있습니다.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15
∙
일대일 양육 ∙ 다음세대 통일선교 사역자 준비사역(NK퍼즐) ∙ 탈북대학(원)생 장학금 지원 사역(엔케이피플 장학생) ∙ 탈북민사랑의희망금 지원 사역 ∙ 북한선교사 파송 및 협력사역 ∙ 탈북구출 및 중국 쉘터 지원사역 ∙ ‘북한선교미디어’ 유튜브사역 등
주요 사역
남북청년 ‘예수제자’
강사
강디모데 대표 -제목: 통일선교의 부르심과 방향성 탈북 청소년의 이해와 통일선교
대표: 강디모데
실무: 이간사(02-822-9153)
주소: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64-20, 2층
이메일: jcnk153@gmail.com
홈페이지: www.nkpeople.com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003-087363(엔케이피플)
원미션
원미션은 2010년부터 중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해외 북한 난민을 돕는 현장사 역을 해왔습니다. 2019년 ‘다음역’(Next Station) 센터를 세워 국내 남북청년을 통일리더로 세우는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원미션의 비전은 “한 영혼을 살리고 한 영혼을 세운다”이며, 사역은 크게 중국, 러시아 해외북한 난민 구호와 양육을 중심으로 한 ‘살리는 사역’과 남북 및 디아스 포라 청년들을 통일리더로 양성하는 ‘세우는 사역’으로 나눠집니다.
11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
▪
▪
▪
주요 사역 ∙ 러시아 북한난민사역:
∙ 중국
∙ 통일청년
UN난민기구와 협력하여 구호, 양육, 정착 사역
북한여성사역: 중국 북한여성과 2세 자녀들을 위한 구호, 양육, 교육 사역
리더십코칭: 국내 남북한과 디아스포라 청년들을 위한 통일리더십코칭
∙
유니콘 통일청년포럼(UniKorN Forum): 각 지역, 캠퍼스, 교회와 협력 진행 ∙ DMZ 통일문화컨텐츠 사업: DMZ를 통한 통일문화와 공감대 확대를 목표로
한 DMZ 관광, 영상컨텐츠 제작, 콘서트, 통일문화행사 ▪
대표: 장태산 선교사(원미션/다음역센터 대표, 숭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학 박사과정,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 상담학(M.A) 졸업) ▪
실무: 신요셉(010-8270-1106)
주소: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로 104
이메일: onemissioncenter@gmail.com
후원계좌: 기업은행 540-046639-01-011(다음역)
이음세움나눔터 이음세움나눔터는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구성된 가정의 정착ㆍ자립과 자녀 들의 교육활동을 돕고, 통일세대를 준비하고, 지역사회 안에 통일의 필요성에 대 한 공감대를 만들어갑니다. 2015년 1월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로 등록되었습니 다. 대표자는 탈북민가정 정착지원 및 다음세대 통일교육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17
▪
▪
▪
주요사업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모사업: 북한이탈주민 통합 돌봄 프로젝트 ∙ 장애 탈북민가정 주거환경 개선사업 & 위기 탈북민가정 식재료 지원사업 ∙ 탈북민가정 맞춤형 생계비ㆍ의료비ㆍ장학 지원사업, ‘우리 다시 시작합시다’ ∙ 북한이탈주민 여성을 위한 쉼터, ‘여기 당신의 보금자리가 있습니다’
통일부장관상과 통일교육원장상을 표창 받았고, 탈북민사역 전반에 참여하고 있 습니다.
서울시 공모사업: 서울 탈북청소년과 지방 남한청소년 서울체험 통일체험 캠프 (4회 진행) ∙ ‘북한이탈주민 정착도우미’ 교육(4주 과정)
∙
이름: 정형신 목사, 김은진 사모 -탈북민 단체, 정착지원 기관, 탈북민교회 등 국내 탈북민사역 전반에 참여 중 -강의/설교 제목: 북한이탈주민 초기 정착과정 이해 교회학교 어린이 통일교육
대표: 정형신 목사(010-9125-5291)
실무: 김은진(010-2780-8015)
주소: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57길 9-14 205호
전화: 02-3664-8015
이메일: newnorth@naver.com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502-247890(이음세움나눔터)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는
이어받아 2011 년 3월 3일 31개의 통일선교단체들의 주도로 재출범했습니다. “복음적 통일은 우 리가 함께 모여 기도할 때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입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붙 들고 한주도 빠짐없이 민족의 영적 부흥과 복음적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해오고 있
11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강사 ∙
희년(쥬빌리)의 정신으로 복음적 평화통일을 위해 기 도하는 한국교회와 해외한인교회의 통일기도네트워크입니다. 2004년 3월 부흥한 국과 사랑의교회 대학부가 시작한 ‘부흥 을 위한 연합기도모임’을
▪
▪
▪
▪
▪
▪
습니다.
2021년 4월 현재, 다양한 통일선교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70개 참여단체와 국 내 16곳(서울강남, 강서, 고양파주, 춘천, 통영, 부산, 경인, 대구, 대전, 제주, 전주, 광주, 수원, 목포, 서귀포, 거창) 해외 18곳(바르샤바, 알래스카, 남가주, 시드니, 오클랜드, 미야자키, 시카고, 시애틀, 토론토, 남가주 애너하임, 가오슝, 방콕, 러시아A, 상하이, 베를린, 뉴저지, 워싱턴D.C)의 지역모임이 세워져 있습 니다.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는 좌우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오직 말씀 위에서 순수 성과 성실성을 기초로 통일기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복음통일은 오 직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기에, 기도사역은 모든 통일선교사역의 기초라고 믿 습니다. 주요사업 ∙ 지역별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상임대포: 정성진 목사(<사>크로스로드)
사무총장: 오성훈 목사(PN4N)(010-9459-9203)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19
▪
▪
▪
▪
▪
▪
∙ 쥬빌리통일워크숍 ∙ 쥬빌리코리아기도큰모임 ∙ 주니어쥬빌리 ▪ 대표회장: 오정현 목사(사랑의 교회 담임)
주소: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3길 29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신관 401호
전화: 02-3478-0673
이메일: newnorth@naver.com
홈페이지: jubileeuni.com
통일소망선교회
통일소망선교회는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초교파적 선교단체입니다. 통일소망선 교회는 통일 한반도를 통해 열방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에 순종하 여 땅 끝 예루살렘까지 복음을 전하는 것을 최종 비전으로 합니다. 선교회는 먼저 무너진 동방의 예루살렘-평양이 있는 북한 땅 선교에 가장 큰 사역의 비중을 두 고, 북한 교회들 재건에 모든 힘을 기울일 것이며, 이 시대적 사명을 위해 한국교 회를 포함한 디아스포라 한인교회들과 세계 교회들과 연합할 것입니다. 대표 이빌 립 목사는 1999년 탈북하여 2002년 한국으로 입국한 탈북자 출신 목회자로 2004 년 9월 열방샘교회를 개척하였으며 통일소망선교회를 2009년 10월에 설립하였습 니다. 주요 사역
탈북자 복음구출사역
탈북자 양육사역
동남아 예수제자훈련원 사역
국내 예수제자훈련원 사역 강사
이름: 이빌립 목사 - 총신대 학부, 총신대 신대원(M.Div), 숭실대통일지도자학 석사과정 수료 - 통일소망선교회 대표, 열방샘교회 담임
강의/설교 제목: 미래 북한선교와 북한교회 개척 전략
한성민 선교사
강의/설교 제목: 북한선교의 부르심과 사명
임천국 선교사
강의/설교 제목: 국내 탈북민 사명자들을 세우는 사역
12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
∙
∙
∙
-
-
-
대표: 이빌립 목사
실무: 임하나 대외홍보팀장(010-9541-1522)
주소: 서울시 구로구 고척로 28 예원빌딩 2층
이메일: tongilsomang@naver.com
전화번호: 02-2625-0497 / fax: 02-2625-0496
홈페이지: https://www.tongilsomang.org
후원계좌: ※ 예금주는 “통일소망선교회” 로 동일
- 탈북자구출사역(유진실 선교사) 국민은행 538801-01-385895 - 탈북자양육사역(신영도 선교사) 국민은행 538801-01-385895 - 국내탈북민양육사역(윤사랑선교사) 농협은행 : 351-0992-0463-23 - 탈북민신학생 멘토링 및 장학사역(윤사랑선교사) 농협은행 : 351-0992-0463-23 - 탈북민 목회자 부부 훈련 사역(윤사랑선교사) 농협은행 : 351-0992-0463-23 - 해외 탈북여성 사역(신영도 선교사) 농협은행: 355-0040-8637-43 - 해외 탈북자녀 긍휼사역(신영도 선교사) 농협은행: 355-0040-8637-43 - 북한 지하교회 양육지원사역(유진실 선교사) 국민은행 526501-01-285200
- 선교현장탐방교육(신영도 선교사) 농협은행 351-0479-1726-93 - 선교훈련원(허남일 선교사) 기업은행 550-018661-04-015
- 북한선교 복음컨퍼런스(주사랑선교사) 농협은행 351-0479-1726-93
- 북한교회 개척학교(한성민 선교사) 기업은행 214-108398-01-012 통일한걸음선교회 본 선교회는 2017년에 러시아 단기선교를 통해 하나님의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21
▪
▪
▪
▪
▪
▪
▪
비전을 발견하고 평신 도들이 뜻을 모아 시작하였습니다. 통일한걸음선교회는 오직 성령의 권능과 인도 하심을 따라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으로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이루어 북 한 땅이 하나님의 나라로 회복되어 열방을 섬기는 제사장나라로 회복하는 것을 비 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사역 방향 ∙ 전적인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복음주의적 선교전략을 지향한다. ∙ 대전, 충청지역에 복음통일을 이루어갈 세대를 일으킨다. ∙ 복음통일을 오직 기도와 간구함으로 이루실 것을 바라보며 기도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대전, 충청지역 교회와 선교사역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주요 사역 ∙ 북한섬김학교: 12주 강의와 선교여행/북한선교의 당위성과 올바른 북한이해 와 하나님의 마음을 듣는다. ∙ 월·목요중보기도: 매주 월요일 오전10시/ 매월 3째 주 목요일 연합기도모임 ∙ 탈북민섬김: 정착, 전도, 양육, 탈북민자녀양육 등 ∙ 해외사역: 북·중·러 접경지역 땅밟기, 해외북한선교지를 돕고 지원한다. 강사 ∙ 이름: 김경희 목사 -장로교신학대학교(M.Div), 빛나는교회 협동목사, 통일한걸음 사무국장 - 강의제목: ‘우리가 달려가야 할길’(행20:22-24) ‘하나님의 마음’(눅15:11-24)
대표: 김기숙
실무: 김경희(010-2733-0017)
주소: 대전시 중구 목중로 10번길 11
농협 351-1053-5896-83(통일한걸음)
12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 이메일: shadday12@gmail.com ▪ 계좌: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북한섬김학교, 탈북민섬김, 해외사역시 사역비 (보내주시는 후원금은 사역소개 항목에 따라 주님 앞에서 성실함과 정직함으로 사용될 것입니다.)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기도 후원 ∙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 (분기별로 소식지를 만듭니다.)
자원 봉사 ∙ 모든 사역에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북한선교동아리(NKM)
침신대 북한선교동아리 NKM은 북한에 갇혀있는 영혼들의 구원과, 복음통일될 한반도를 위하여 기도하고, 침신대 학생들을 북한을 향한 통일 지도자로 세우는 모임입니다. 본 동아리는 첫째로 침신대 학생들에게 북한의 실상을 알려주며, 그들과 함께 북한을 위한 중보기도 사역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둘째로 탈북민들과 탈북민 2세 를 위한 후원사역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셋째로 나아가서 북한선교를 하시는 선교 사님들과 중국의 탈북민들, 북한의 지하교인들을 돕는 일을 진행해 나가려고 합니 다. 1주에 한번씩 탈북민, 북한선교사 강사님을 초빙하여 침신대학생들에게 북한 의 실상을 알리는 활동을 진행하며, 북한을 위한 중보기도모임을 진행합니다.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23
주요 사역 ∙
중보기도 사역 ∙ 탈북민 및 탈북민 2세 돌봄 사역 ∙ 북한선교를 감당하시는 선교사님 돕기 ∙
중국내 탈북민 및 북한 지하교회 성도 돕기
중보기도 사역 ∙ 1주일에 한 번씩 줌과 대면을 통하여 탈북민, 북한선교사 들의 강의를 통하여 침신대 학생들에게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사역을 진행합니다. 침신대 학생들 을 복음통일을 위한 사역에 동참시킬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결과 1년 만에 18명 이상의 침신대 학생들이 북한을 향한 비전을 품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탈북민 및 탈북민 2세 돌봄 사역 ∙ 탈북민들을 위한 국내사역으로 탈북민 및 탈북민 2세 돌봄 사역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탈북민들과 2세들의 돌봄사역은 그들을 주님의 사랑으로 품어 그들을 복음통일의 일꾼들로 준비시키는 사역입니다. 사역방식은 탈북 민과 탈북민 2세 사역을 하는 목회자들과 연계하여 그들을 재정적으로 후원 하는 방법과, 동아리 회원들이 직접 방문하여 탈북민들과 탈북민 2세들을 돌 보는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강사 ∙ 이름: 안 신 -북한에서 태어나 2014년 탈북하여, 2015년 한국입국, 현재 침례신학대학 교 신학과 재학 - 강의제목: ‘삶 가운데 역사하신 하나님의 은혜’ 간증, 동아리 활동소개
이름: 박혜경 - 북한에서 태어나 2010년 탈북하여 현재 침례신학대학교 신학과 재학 중 - 강의제목: ‘삶 가운데 역사하신 하나님의 은혜’ 간증, 동아리 활동소개
12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대표: 안신 회장(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신학과 재학) ▪
실무: 안동현(010-9556-1108)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북유성대로 190(침례신학대학교) ▪
이메일: anryongjin12345@gmail.com
계좌: 카카오뱅크(NKM) 7979-43-32296(양은영)
재정 후원 ∙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강사님들의 교통비, 사례비 - 북한선교동아리 광고, 활동비 - 탈북민, 탈북민 2세들을 재정적으로 후원 - 탈북민, 탈북민 2세들을 돌보는 사역시 활동비용(선물, 교통비, 활동비 등)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 교회나 공동체는 월 5만원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일시후원 가능 기도 후원 ∙ 기도제목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페이스북 계정 ‘안신 (nkm)’에 매주 기도제목이 업 로드 됩니다. 친구추가 하셔서 중보기도 사역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자원 봉사 ∙ 방학(7월~8월 말, 1월~2월 말)기간 탈북민 및 탈북민 2세들을 위한 자원봉사 (하나원 졸업하는 탈북민 집청소, 하나센터와 연계한 정착도우미 활동 등)
ELM(English Leadership Ministry)
ELM은 대표인 Sam과 Christine 목사님이 만나서 탈북청년들을 주님의 사랑 안에서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조직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25
▪
▪
과 행정을 위해 유진범 목사(이하 JB)가 함께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2018년에 첫 사역을 시작하여 정식 단체(선교단체(비영리단체))로 승인된 것은 2020년입니다. “내가 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한다는 함을 듣는 것보다 기쁜 일이 없도다.” (요한3서 1:4)
ELM의 Mission은 ‘하나님의 백성인 탈북청년들이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는 글 로벌 리더로 성장하도록 함께 돕고 교육하는 것’입니다. Mission에 맞춰, ELM은 다음의 네 가지 Vision을 갖고 있습니다.
1) 하나님의 백성으로 성장 : 정체성과 가치관 형성을 지원
2) 글로벌 리더로 성장 : 실력 향상, 더 넓은 시각과 관점 형성, 리더십 향상
3)가족공동체로 성장 : 일상 및 삶을 공유, 안정감과 터전 제공, 같은 편 되기
4)네트워크 형성 : 스태프와 학생 그리고 교사와 협력 파트너들과의 네트워크 형성
주요 사역 ∙ 예배 및 선교 활동 : 예배, 성경공부, 심방, 국내외 선교활동 ∙ 영어교육 : 영어 읽기, 말하기, 쓰기, 영어 자격증, 해외 인턴십, 어학연수, 유학 지원 ∙ 리더양성 : 전공 자격증, 취업, 창업, 포럼, 세미나, 워크숍, 집회(간증), 국 내외 봉사활동
12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Fellowship ▪ 대표: Sam Osee ▪ 실무: Christine Han(010-7484-0925) ▪ 주소: 서울시 중구 퇴계로 18길 14, 2층 ▪ 이메일: elmkorea2020@gmail.com ▪ 전화번호: 010-4679-3632 ▪ 홈페이지: https://www.elmkorea.org ▪ 후원계좌: 하나107-910021-50404 이엘엠(ELM)
가족공동체 : 상담, 생활지원, 학업지원,
제2장
탈북민교회
뉴코리아교회
뉴코리아교회는 지난 2011년 8월에 탈북민 성도 3명이 모여 시작된 교회입니다. 본 교회는 대한민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의 신앙과 삶을 세우고, 북한선교의 꿈을 확산하고, 북한사람과 남한사람이 함께 예배하는 통일코리아의 현장입니다. 본 교 회는 ‘북한선교의 십일조를 감당하는 교회’로, ‘북한에 세워질 교회를 준비하는 교 회’로 쓰임 받고자 현재 40여 명의 북남성도들이 함께 기도하며 섬기고 있습니다. 담임목사 부부는 통일 이후 북한의 고향집을 다시 찾아 십자가를 올리고, 고향 마을 전체를 섬기게 될 날을 꿈꾸면서 목회하고 있습니다. 정형신 목사와 김은진 사모는 각각 남한과 북한에서 신앙의 유산을 물려받은 교회입니다. 남한교회와 북 한교회가 만나 특별한 가정을 이루고, 새로운 교회 뉴코리아를 이루었습니다. 두 사람 모두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습니다.
탈북민 성도들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27
으로
강사 ∙ 이름: 정형신 목사, 김은진 사모,
-정형신 목사는 탈북민교회에서 탈북민 목회자와 탈북민 성도를 섬기는 것
첫 사역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탈북민교회를 개척하고 목회하면서 같 은 탈북민교회를 섬기며 탈북민교회의 상황을 주변에 알리고 있습니다. -김은진 사모는 교회사역과 함께 통일부 남북하나재단에서 일하면서 강서
구와 양천구 관내 탈북민들의 한국사회 정착을 도왔고, 퇴사 후 통일부 통 일교육원에 적을 두고 일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통일의 필요성을 강의 하고 있습니다.
-교회를 섬기며 오랫동안 함께 신앙생활을 해온 귀한 여러 명의 탈북민 성 도가 있습니다.
- 강의/설교 제목 통일한국과 세계선교, 그리고 하나님 나라 북한지하교회 간증(신앙의 유산) 땅을 차지할 것인가 사람을 얻을 것인가 교회학교 어린이 통일교육 탈북민성도 신앙 간증 ▪ 담임: 정형신 목사*(010-9125-5291)
*대표자는 탈북민가정 정착지원 및 다음세대 통일교육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통일부장관상과 통일교육원장상을 표창 받았고, 탈북민사역 전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주소: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57길 9-14 205호
전화: 02-3664-8015
홈페이지: www.newkorea.kr
이메일: newnorth@naver.com
128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모란봉교회 대전대흥침례교회는 해방 이후에 창립되어 70년 넘는 세월 동안 훌륭하신 담임 목사님들의 영성 깊고 탁월한 교육목회로 전 성도들의 제자화를 이루며 수많은 훌 륭한 목회자들을 배출해 왔습니다. 2014년 조경호 6대 담임목사님의 목회비전에 발맞추어 북한선교사역에 관심 갖고 기도해 오던 성도들을 중심으로 모란봉교회
가 창립되었고, 2022년 현재까지 9년째 탈북민 사역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당시 모란봉교회 지도목사님이셨던 정인택 7대 담임목사님의 지도하에 평신도 들의 사역공동체로 자리매김한 모란봉교회는, 30여명의 탈북민과 10여명의 남한 성도들이 함께 모여 예배드리고 친교를 나누며 먼저 온 복음통일을 누리는 가운 데, 통일 이후의 북한복음화를 꿈꾸고 기도하며 준비하는 예수님의 제자들로 성장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27명의 탈북민 침례자, 12명의 집사, 4명의 신학생을 배출하였습니다. ∙ 모란봉교회는 탈북민과 북한선교에 관심 있으신 분 누구나 환영합니다. ∙ 모란봉교회는 북한선교를 시작하려는 교회를 힘껏 도와드리기 원합니다.
모란봉교회는 통일소망선교회의 북한선교학교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예배 및 소그룹모임 섬김 사역 ∙ 탈북민들이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의 임재하심을 경험하고, 말씀을 배우고 깨 달아 믿음이 자라가며 삶이 변화되어, 예수님의 진정한 제자들로 성장하도록 돕는 사역입니다. 또한 모든 것이 낯선 이 땅에 와서 새롭게 적응하려니 외 롭고 힘든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앙 정착을 위하여, 소그룹모임을 통해 경 청, 공감, 지지, 격려하며 필요한 도움을 주는 가운데, 이들이 영적 가족의 따뜻함과 소중함을 느끼게 합니다. 심방 및 정착지원 섬김 사역 ∙ 주일 또는 주중에 탈북민을 가정, 직장, 병원 등으로 심방하여 이야기를 들어 주고 기도해 주며 복음을 전하고 생활 정착에 도움을 주는 사역입니다. 식사 를 함께 하고 가전제품 사용법을 알려주며, 마트 장보기를 도와주고 공공기 관 방문 및 병원 진료에 동행하는 등, 이들에게 낯설고 서툴며 어려운 일들 을 도와주는 가운데, 이들이 교회와 하나님에 대해 마음을 열고 영적 가족의 사랑에 힘입어 살아갈 힘을 얻게 합니다.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29
∙
강사 ∙
이름: 시현주 전도사, 윤요성 집사, 한옥희 권사
-시현주 전도사는 양육을 당당하고 있으며, 한옥희 권사는 심방담당, 그리 고 윤요성 집사는 행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강의/설교 제목 모란봉교회 연혁, 구조, 활동내역 등 소개(윤요성 집사)
모란봉교회 심방사역 내용, 사역마인드 소개(한옥희 권사) 탈북민 전도 및 양육, 신앙성장 및 제자훈련 소개(시현주 전도사) ▪ 담임: 정인택 목사 ▪ 담당: 시현주 전도사(010-6325-5811) ▪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816번길 19(오류동)
전화: 042-525-8881
홈페이지: www.daeheung.org
이메일: graceshee@naver.com
계좌: 하나은행 621-910028-15504(대전대흥침례교회) 재정 후원
후원금이 쓰이는 영역 - 매주일 소그룹모임 간식비(교회 내) - 매주일
13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소그룹모임
- 심방 교통비,
-
선물비(식료품,
∙ 개인은 월 1만원 이상
월 5만원
일시후원
기도 후원 ∙ 기도제목
▪
▪
▪
▪
∙
친교비(야외활동)
식사비, 간식비
심방
아기용품 등)
/ 교회나 공동체는
이상으로 사역 후원 가능 /
가능
편지 발송 가능 여부: 가능
자원 봉사 ∙ 매주일 오전 11시 예배에 참여
매주일 오후 1시 소그룹모임에 참여
교회 심방시에 동행하여 함께 식사, 교제, 경청, 기도 ∙ 익숙하고 친밀해 지면 혼자 심방하여 필요한 도움 제공
새희망나루교회
새희망나루교회는 2011년 7월에 세워졌습니다. 교회의 비전은 남과 북, 디아스 포라와 열방의 성도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을 이루어 가는 예배공동체가 되는 데에 있습니다. 교회의 복회 방향은 북한의 회복과 통일을 감당할 사명자들을 세워 가고 통일한국에 세워질 남과 북, 디아스포라가 함께하는 모델 교회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현재 교인 수는 성인 42명(남13명/북29명), 주일학교 15명가량 됩니다. 강사 ∙ 이름: 마요한 목사
- 북한 고등중학교 역사 교사, 2002년 대한민국 입국 - 총신대 학부, 장신대 신대원(M.Div), 숭실대통일지도자학 석박과정 수료 - 북기총 회장·이사장 역임, 현 북기총 이사 - 현 쥬빌리통일구국기도회 상임위원, 미래목회포럼 정책자문위원 - 강의/설교 제목 북한 사회와 인권 문제 북한의 종교정책과 북한교회의 이해 북한의 회복과 한민족 그리스도인들의 역할 북한 및 탈북민 이해 탈북민 교회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31
∙
∙
▪
담임: 마요한 목사(010-9177-1336)
주소: 서울시 양천구 중앙로 332, 4~5층
전화: 02-6406-0342
이메일: snfl925@naver.com
홈페이지: www.newhopebms.org
열방샘교회
열방샘교회는 2004년 9월 7일 서울 구로구에서 국내에 들어와 있는 탈북민 들 을 복음화하고, 그들을 통하여 북한과 열방에 하나님나라 선교를 완성하는 것을 비전으로 세워졌다. 교회의 사역 방향은 첫째로 남북성도들이 예수님의 사랑으로 하나되는 교회, 둘째로 성경말씀의 반석위에 세워진 복음적인 교회, 셋째로 참된 예배 가운데 성령의 임재가 있는 교회, 넷째로 하나님의 사랑으로 불우한 이웃들 을 섬기는 교회, 다섯째로 하나님 나라의 꿈을 가진 다음세대를 세우는 교회, 여섯 째로 성경적인 문화와 가정을 세워가는 교회, 일곱째로 통일선교를 중심으로 열방 선교를 지향하는 교회 입니다. 현재 교인 수는 청장년 123명(북 57명/남52명/디 아스포라11명), 주일학교 34명, 중국어 예배부 23명 가량 됩니다. 강사 ∙ 이빌립 목사
-탈북민 목회자로서 2009년 탈북하여 예수님을 영접하고 2번의 북송을 경 험한 후 대한민국으로 입국 -총신대 학부와 신대원(M.Div), 숭실대통일지도자학 석사과정 수료 -북기총 4대 회장, 현 북기총 이사 -남북사랑학교 명예교장, 통일소망선교회 대표
13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
▪
▪
▪
-선교통일한국협의의 통일목회위원회 위원장, 북한사역목회자협의회 부회장
-강의제목
북한을 탈출한 탈북어린이들의 현실과 아픔 북한이탈주민 정착과 선교방안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기독교 교육과 그 가치
담임: 이빌립 목사(010-7185-0691
주소: 서울시 구로구 고척로 28 예원빌딩
전화: 02-2613-0497
이메일: k730313@hanmail.net 인천한나라은혜교회 인천한나라은혜교회는 2015년 12월에 지역 내 탈북민 복음화를 위해 인천 남동구 에 세워졌습니다. 교회의 비전은 탈북민들을 제자화하며, 성도 한 명이 통일 후 교회 한 곳이 되도록 하는 것과 다음 세대를 통일세대로 세워가는 것입니다. 통일 세대는 탈북 자녀, 중국 출생자녀, 남한 출생 탈북민 자녀를 포함하여 현재 중국에 남아 있 는 탈북민 성도 자녀들을 모두 포함하고 하나의 영적 가족을 이루고 있습니다. 탈북민들에게 편안한 문화적 환경을 유지하며, 관계 전도를 통한 양적성장을 이 루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성인 기준 31명의 북한 성도 10명의 남한 성도, 총41명 성도와 전도 대상자 10여 명이 있습니다. 아직 성인이 안 된 중고등부에서 유아부 까지는 23명이 있습니다. 강사 ∙ 이름: 김권능 목사 -김권능 목사는 탈북민 목회자로 중국에서 예수님을 영접하고 대한민국에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33
▪
▪
▪
▪
입국하여 총신대학교와 총신대학원을 졸업하고 2019년 목사 안수를 받게 되었습니다. ∙
이름: 엄요한 전도사
-탈북민 신학생(총신대 신대원 재학 중)
-강의/설교 제목
간증: 1990년 북한 소년들의 꿈
설교: 아파 울던 자에서 치유하는 자로 ▪
담임: 김권능 목사(010-5701-3116) ▪
주소: 인천시 남동구 논현로 46번길 14(404, 403호) ▪
전화: 032-437-1220 ▪
이메일: ichnlcc@hotmail.com
하나로드림교회
본 교회는 2012년 4월 7일 탈북민 11명과 함께 남과 북의 성도들이 함께 통일 을 준비하는 교회, 탈북민들을 신앙안에서 잘 정착시키는 교회를 목적으로 세워졌 습니다. 2018년 통일선교사를 준비시키며 파송시키는 교회로 새롭게 교회 비전을 바꾸고 로컬교회에서 미션교회로서의 목회방향을 전환하여 모든 성도들을 통일을 준비하는 선교사들로 사명을 가질 수 있도록 양육하고 있습니다. 본 교회는 통일 향상에 기여하는 교회, 탈북민들을 신앙안에서 회복시키는 교회, 국내 남과 북의 사람들을 통일선교사로 준비시키는 교회, 제3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을 전도하며 요셉처럼 생명의 부양자로 세우는 교회, 북한지역에 3개의 신학교, 30개의 교회 및 교육기관, 300명의 평신도 통일선교사를 세우는 교회의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 다. 본 교회는 현재 한국 내 성도 34명(북한성도 및 남한성도 포함)과 중국 내 탈 북민 102명의 성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3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강사 ∙
이름: 송혜연 목사 -1998년 가족과 함께 북한에서 나와 중국 성경통독반에서 성경을 읽으면서 주님을 인격적으로 만남. 바닷가에서 기도하다가, 성경을 읽다가 등 3번의 북송경험이 있음. 북한에서 1년동안 신앙을 가지고 성도로 생활하면서 살 아계신 하나님이 북한 땅에 역사하는 귀한 일들을 체험하였음. 가족은 2003년 북한으로 공식 선교사로 파송, 현재 북한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 음. 2005년 대한민국에 입국, 2006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입 학, 2010년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입학, 2012년 하나로드 림교회 개척, 2018년 숭실대학교 기독교통일지도자학 석박사 통합과정 수 료(박사학위논문 준비 중)
-북한기독교총연합회 감사, 비영리단체 하나로드림 대표(중국내탈북민과 북한성도들을 돕는 단체)
- 강의/설교 제목 북한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 / 북한지하성도들의 일상 중국내 탈북민들의 실상과 선교, 그리고 한국교회의 역할 ▪ 담임: 송혜연 목사(010-9754-7887) ▪ 주소: 서울시 구로구 중앙로14길 15-1, 6층 ▪ 전화: 02-2626-3337 ▪ 이메일: tgd80@naver.com
제4부 통일선교 단체와 탈북민 교회 안내 135
부록
부록 1 통일선교 Q&A
부록 2 통일선교 단위사역표
부록
부록 1. 통일선교 Q&A 1. 북한선교와 통일선교, 무엇이 다른가요?
북한선교는 북한이라는 지역 공간 안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선교를 의미합니다. 지역에 따라 선교 대상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따릅니다. 기본적으로 북한에 복음을 전해서 북한을 복음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춥니다. 1970년대에 북한선교를 하는 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후 북한선교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습 니다. 2000년 이후 통일선교라는 용어가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분단을 넘어 선 통일의 중요성을 염두에 두면서 한반도에 복음적 통일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사역입니다. 북한선교는 지역적인 개념으로 일방적으로 변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접근하는 측면이 강한 반면에 통일선교는 남북한의 분단 문제를 함께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쌍방적 개념이기도 합니다. 한국 사회와 교회의 변화와 성숙 도 통일선교의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북한선교는 여전히 가장 직관적 이고 호소력 있는 용어이기에 통일선교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 니다.
부록 139
2.탈북민, 탈북자, 새터민, 북향민, 북한이탈주민… 무엇이 맞는 표현인가요?
북한을 탈북하여 한국에서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호칭은 ‘북한이탈주민’입니다. 이 호칭은 1997년에 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합니다. 그러나 실제 일상생활에서 이들을 지칭하는 용 어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80년대까지 많이 사용되던 '귀 순자' 혹은 ‘귀순동포'라는 호칭이 있습니다. 90년대에는 ‘탈북자,’ ‘탈북민,’ ‘새터 민,’ ‘북한이주민,’ ‘북한이탈주민’ 등이 있습니다. 현재로서 ‘탈북민’이 가장 무난하 며,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에 아직 있는 탈북한 이들을 ‘탈북자’로 구별하여 부르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탈북민 사역을 하는 교회들은 저마다 탈북민에 대한 다양한 호칭을 사 용합니다. 예컨대, 영락교회는 탈북민을 ‘자유인’으로 부르며, 안산동산교회나 남 서울교회는 ‘북향민,’ 대흥침례교회는 ‘윗동네분,’ 할렐루야교회와 사랑의교회 및 온누리교회는 그냥 ‘탈북민’으로 부릅니다. 때로 탈북민도 이미 대한민국 국적을 받은 한국 사람인데, 굳이 이들을 가리킬 때 구별된 용어를 써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이는 적절한 지 적으로, 탈북민을 별도의 용어로 호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담 겨 있습니다다. 남한 성도와 탈북민 성도가 서로 구분된 이름으로 불리게 되면 그 룹 간의 온전한 통합은 더욱 어려워지겠지요. 분명한 점은 남한 성도와 탈북민 성 도를 불가피하게 구별하여 지칭하더라도 이들을 차별적으로 구분하지 않도록 세 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참조: 정종기 외, 『남북통합목회의 물결』, 90-91)
140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3. 북한을 도와야 하나요? 북한에 퍼주기는 잘못된 것 아닌가요?
이 쟁점은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도 극단적으로 입장이 나눠지는 주제입니다.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북한을 돕고 물품을 보내는 과정 속에서 분배의 투명성 에 대한 반복적인 문제제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뒤로 오랜 상호신뢰 가운데 분배의 투명성까지 확보된 사역 현장이 점차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근본적으로 대북 지원 사역은 생명, 자유, 정직, 신뢰, 평화 등과 같은 인류보편 적인 가치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하여 남북한 간의 불신이 신뢰로, 미움 과 증오가 화해로 바뀌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북한에 는 우리의 가족과 동포가 여전히 살아 있는 곳입니다. 남북한 간의 경색되고 꽉 막힌 관계를 풀어갈 수 있는 여지도 인도적 대북협력에서 생겨납니다. 다만, 북한 내의 취약계층을 실질적으로 돕는 사역이 투명하게 이뤄지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처음으로 교회에서 통일선교사역을 시작할 때, 무엇부터 준비하면 좋을까요?
교회 내에서 통일선교를 시작하는 데에는 ‘한 사람’의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통 일과 북녘땅에 대한 열망이 있는 단 ‘한 사람’이라도 공동체 안에 있다면, 통일선 교는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 시작은 거창할 필요가 없습니다. 먼저 그 한 사람이 먼저 기도하며, 다른 한 사람을 초청하여 작은 기도 모임을 시작해볼 수 있습니다. 북한을 위한 기도제목을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단체들도 있습니다(북한 사역목회자, 평화한국, CCC, 네. 이때부터 교회와 이웃 가운데 참여할 수 있는 통일선교의 시야와 영역이 조금씩 열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부록
141
기도모임이 정기적으로 시작되어 동역자가 생긴 후에, 교회의 공예배 때 통일과 북한에 대한 기도가 포함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기도하십시오. 성도들이 함 께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을 향한 하나님의 심정을 반복해서 접하고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회가 되면 교회에서 통일선교를 위한 작은 이벤트를 시작해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측면에서 먼저 시도해보면 좋겠습니다. 하나는 탈북민 목회자 를 초청해서 그분들의 삶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 당장 어떤 사 역을 하기보다는 그분들의 삶 속에서 신실하게 역사하셨던 하나님의 이야기를 나 누면 좋을 것입니다. 탈북민 목회자와의 만남을 계기로 탈북민 교회를 방문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그러면 우리 이웃 가운데 보이지 않던 수많은 탈북민들을 연결 되는 계기가 마련될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일년 중 한 번 정도 통일선교 혹은 탈 북민교회를 위한 바자회를 가져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동역자들이 더 늘어나면 교회 안에서 본격적으로 통일선교학교를 시작해보는 것도 가능할 것 입니다. 이와 관련되어 각 교회에서 시작할 수 있는 좋은 통일선교선교 프로그램 들이 많이 있답니다. 중요한 것은 당신과 같은 ‘한 사람’이 분단 현실 속에서 고통 받는 영혼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정을 품는 데에서 모든 하나님의 역사가 시작된다 는 사실입니다.
5. 기존의 통일선교사역을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어떤 점에 유의하며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이미 교회에서 통일선교사역을 하고 있다면, 당신이 속한 교회는 참 귀하고 복 받은 교회입니다. 이 시대와 민족 속에서 통일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기도하는 일 들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귀한 믿음의 사람들을 더욱 키워가실 것입니다. 다만 통일선교사역을 하면서 정체된 느낌이 있거나 지친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 다면, 다시 한 번 통일선교사역 전반을 돌아보며 기도하며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 니다. 탈북민 사역을 하고 있다면, 탈북민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교회의 리더십으
142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로 성장하고 있는지, 그러한 기회를 충분히 주고 있는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일 방적으로 맺어지는 관계에는 성장이 없습니다. 통일선교를 위한 기도모임은 모든 통일선교사역의 핵심입니다. 이 기도모임은 늘 잘 준비된 기도제목으로 진행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때로 역동성을 갖기 위 하여 탈북민 목회자나 통일선교사역자를 초청해도 좋을 것입니다. 혹시 통일선교 사역이 정치적으로 지나치게 치우쳐서 마음을 닫는 사람이 있지는 않은지 점검할 필요도 있습니다. 통일선교사역은 한 교회가 홀로 다 감당하기에는 쉽지 않습니다. 통일선교를 건 강하게 잘 하고 있는 선교단체들과 연합하는 일을 시작해보면 좋을 것입니다. 숭 실대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에서 각 도시별로 통일선교 네트워크를 만들어가 고자 준비 중에 있습니다. 함께 해도 좋겠습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시의적절한 통일선교 정보와 참여 방법이 지속적으로 나눠질 예정입니다. 특별히 다음 세대가 통일에 대한 마음을 갖도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합니다. 북한이 보 이는 DMZ 근방에 통일선교에 대한 마음을 품을 수 있는 좋은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자녀들을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통일 세대로 키워가 는 책임은 우리에게 있습니다.
부록 143
6. 통일선교주간에 어떤 프로그램을 할 수 있을까요? • 통일선교주일예배, 통일선교세미나, 통일선교기도회, 교회학교 특별 프로그램, 통일토크콘서트(탈북민 초청) 등 • 북한음식체험, 조형물 제작(한반도 모양 바람개비 세우기) 등 • 비전트립 – 북한DMZ 접경지역 방문, 북중접경지역 방문
부록 2. 통일선교 단위사역표
통일선교 영역 단위사역 참여
구출사역
1영역 구출 사역
해외탈북자 양육사역
[A1] 탈북자 구출 지원(북중접경지역=>중간 경유지)
[A2] 탈북자 구출 지원(중간 경유지=>동남아)
[A3] 탈북자 구출 위한 기도사역
[A4] 해외탈북자 생활비 지원
[A5] 해외탈북자 교육 센터 임대비 지원
[A6] 해외탈북자 교육 선교사 후원
[A7] 동남아 탈북자 미션홈 방문
[A8] 동남아 탈북자 미션홈 자원봉사
하나원 방문사역[B1] 하나원 내 탈북민 주일예배 지원
탈북민 정착 지원사역
탈북민 이웃 반찬 나눔 및 식재료 지원사업
2영역
국내 탈북민 사역
[B2] 탈북민 초기 정착 지원 [B3] 탈북민 초기 교육 및 결연사역 지원 [B4] 탈북민 초기 정착 도우미
[B5] 탈북민 이웃 반찬 제작 지원 [B6] 탈북민 가정 식재료 지원
[B7] 탈북민 성도와 함께 반찬 만들기 [B8] 탈북민 가정 방문하여 반찬&식재료 전달 취약계층 지원[B9] 탈북민 취약계층(자녀, 장학금, 병원비) 지원 탈북민 자녀 학습 지도
[B10] 탈북민 자녀 학원비 지원 [B11] 탈북민 자녀 학습 지도 탈북민 교육 지원 [B12] 탈북민 자녀 교육 & 문화활동비 지원 [B13] 탈북민 부모와 자녀 1:1 학습 지도 국내 탈북민 양육사역
[B14] 탈북민 훈련생 생활비 지원 [B15] 탈북민 훈련 센터 임대비 지원 [B16] 탈북민 교육 선교사 후원 체험 및 문화활동 사역
[B17] 체험활동과 문화활동 진행비 지원 [B18] 문화활동 강사 참여 탈북민 신학생 멘토링 및 장학사역
[B19] 탈북민 신학생 장학금 후원 [B20] 탈북민 멘토링 정기세미나 지원 [B21] 탈북민 신학생 수련회 지원 탈북민 목회자 부부 훈련사역[B22] 탈북민 목회자 위한 멘토링 세미나 지원 탈북민 학생 지원
[B23] 탈북민 청년 리더 후원 [B24] 탈북민 청년 모임 참여 & 봉사 3영역
144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오네시모 사역 해외 탈북여성
사역
[C1] 해외 탈북여성 생활비 후원 [C2] 해외 탈북여성 센터 임대비 지원
[C3] 해외 탈북여성 물품(생필품,의약품,식품) 지원 [C4] 중국 내 탈북민 공동체 지원
통일선교 영역 단위사역 참여
[C5] 해외 탈북여성 초등학생 자녀 온라인 교육 지원
[C6] 해외 탈북여성 자녀 성경책 지원
해외 탈북자 긍휼사역
3영역
오네시모
사역
해외 탈북자녀 긍휼사역
[C7] 해외 탈북여성 십대자녀 기숙사비 지원
[C8] 해외 탈북여성 대학생 자녀 장학금 지원
[C9] 탈북여성 자녀(용돈, 대학등록금 등) 후원
[C10] 탈북여성 부모와의 만남 돕기 지원
[C11] 탈북여성 자녀들 수련회/여행 동반
[D1] 북한 접경지역 복음전파사역 지원
4영역
북한내지 사역
북한지하교회 양육지원사역
[D2] 성경 배달 사역 및 식량 지원
[D3] 북한 순교자 가족 돕기 후원
북한 지하성도 돕는 사역[D4] 북한 지하교회 가정 후원 한 가족 품기 사역
[D5] 탈북민의 북한 내 가족후원
[D6] 북한 내 가족 둔 탈북민과 교제
5영역 재중동포 사역
생명만나 프로젝트
통일브랜드
[D7] 탈북민의 북한 내 가족후원 및 어려운 상황의 북한주민지원
[E1] 재중동포 전도, 예배 모임, 통일교육 지원
[E2] 재중동포 교육, 1:1 멘토링, 자원봉사 부모 낚는 어부[E3] 재중동포 어린이 방과후교육 지원
[F1] 통일구국기도회 운동 확산 지원
6영역 기도 사역
쥬빌리 정기기도모임
[F2] 지역별 쥬빌리 정기기도모임 참여
[F3] 기도모임(중보팀, 안내팀, 방송팀, 찬양팀) 자원봉사 주니어 쥬빌리 청소년 통일캠프
[F4] 통일캠프 개최 / 청소년 통일리더십 훈련 지원
[F5] 통일세대 위한 기도후원
[F6] 통일세대 위한 캠프 자원봉사 남북연합기도회
[F7] 기도회 지원
[F8] 기도모임 참여 통일소망선교회 사역 위한 기도[F9] 기도 후원
[G1] 중국 및 러시아 내 북한난민 지원
[G2] 해외 북한 난민 의료 지원
[G3] 해외 북한 난민 자녀 교육 지원
[G4] 해외 북한 난민 위한 안전가옥 주거비 지원
북한어린이돕기운동
[H1] 북한 어린이 위한 식품 및 영유아용품지원 [H2] 북한 어린이 돕기 위한 기도후원
[H3] 북한 긴급구호 사역 지원 및 참여
[G5] 해외 북한 난민 긴급구조 및 안전 지원 8영역 지원 사역
[H4] 북한 긴급구호 사역(수해, 전염병 등) 위한 기도
부록
145
접경지역 사역 탈북자 구호
7영역
및 양육사역
북한 긴급구호 인도적 지원사역
8영역
지원 사역
통일선교 영역 단위사역
[H5] 북한병원에 필요한 의료기기, 의약품 지원
[H6] 북한진료소에 사랑의 왕진가방 보내기 지원
참여
대북 보건의료 지원사업
[H7] 보건의료 사업 지원물자 보관 및 운송료 지원
[H8] 북한 보건의료 사업 위한 기도 후원
[H9] 북중 접경지역 의료봉사와 비전트립 참여
[H10] 북한 내 고아원 방한용품 및 식품 지원
북한 영양지원사업
[H11] 북한 평양시 제3인민병원 소아병동&산모 지원
[H12] 북한 돕기 캠페인 및 온오프라인 서포터즈 참여
[I1] 남북청년 리더십 코칭 및 청년포럼운영 지원
[I2] 탈북대학생 장학금 지원
다음세대 통일리더십사역
[I3] 남북청년 통일필드리서치 지원
[I4] 국내 탈북청소년 정착 돕기 및 교육봉사 참여
9영역
[I5] 탈북청년 코칭과 멘토링 제공 탈북청년 영어교육
탈북민학생 교육지원
[I6] 탈북청년 교육모임 지원
[I7] 탈북청년 영어자격증시험 준비 지원
[I8] 탈북청년 영어학원비(토플,토익) 지원
[I9] 자원봉사 교사 감사 선물 지원 [I10] 영어교사로 재능 기부 [I11] 탈북청년 어학연수 및 유학 연결
[I12] 탈북민학생 수업교재 및 온라인 콘텐츠 구입 지원
[I13] 탈북민학생 학습코칭 지원
[I14] 탈북민학생 장학금 지원
[I15] 탈북민학생 위한 학습지도 참여
[I16] 탈북민교육단체 홈페이지 관리 및 홍보
[I17] 탈북민학생 진로, 적성, 심리 검사비 지원 [I18] 탈북민학생 진로, 적성, 심리 전문가 상담 지원
탈북민학생 생활지원
[I19] 탈북민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하는 문화체험 프로그램 지원
[I20] 탈북민 청소년과 청년 위한 학습지도
[I21] 탈북민교육단체 홈페이지 관리 및 홍보
[I22] 북한선교학교 운영비(간식비, 행사비, 강사비) 지원
북한선교학교
[I23] 북한선교학교 교육생 아웃리치 지원 선교현장탐방교육[I24] 북한선교학교 수료생 선교현장 탐방 지원 선교훈련원[I25] 해외탈북민 위한 선교사역자 훈련비 지원 북한선교복음컨퍼런스[I26] 북한선교컨퍼런스 지원
146 한반도의 복음통일을 준비하는 통일선교 단위사역 핸드북
교육 사역
통일선교 영역 단위사역 참여
[I27] 탈북민자녀 학교운영비, 그룹홈 운영비, 장학금 지원
9영역
교육
사역
10영역
북한교회
세우기 사역
남북사랑학교
북한사역헌신자훈련
북한교회개척학교
[I28] 탈북민자녀 위한 교육봉사, 일대일 학습 멘토링 참여
[I29] 탈북민 학교 자원봉사(사무행정보조, 주방봉사, 청소)
[I30] 훈련비, 강사비 지원
[I31] 지원비, 훈련 운영비 지원
[J1] 북한개척학교 학생 등록금 지원
[J2] 북한교회개척포럼 개최 지원
부록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