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S STORY 제16호(2017년 7월)

Page 1

VOL. 16 JULY 2017

homepage www.cmsedu.co.kr www.cmsblog.kr blog

상상과 창조의 허브 CMS에듀가 제공하는 교육 정보

2017년 대한민국 교육계는 굵직굵직한 교육 이슈로 연일 술렁이고 있다. 하지만 각 이슈의 공통점은 하나,‘미래 인재’양성이다. 통권 제16호 | 발행처 CMS에듀 | 발행인 이충국 | 대표 02-552-8500 | 주소 06585,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208 7층

Hot Issue 02 SW 교육 04 영재학교 합격자 인터뷰 06 세계 수학 행사 07 CMS가 추천하는 프로그램 09 CMS 소식 10


Hot Issue | 변화하는 교육

요동치는 교육정책, 핵심은 ‘미래 인재’ 양성

미래 인재 역량

2017년 대한민국 교육계는 굵직굵직한 교육 이슈로 연일 술렁이고 있다.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듣는‘고교학점제’ 가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도입되고, 점수 로 줄을 세워 학생들을 경쟁시키는 상대평가를 개선하고자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출신 고교를 보지 않는 블라인드 면접도 대입에 적용된다. 내년부터 초·중등에서 단계별로 의무화되는 소프트웨어(SW) 교육도 큰 이슈다.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교육 정책이 등장해 논란을 낳고, 낯선 교육 방향에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스럽지만 각 교육 이슈의 본질을 들여다보면 하나의 공통된 주제를 담고 있다.‘미래 인재’양성이 그것이다.

상황 맥락

정서 지능 ▲ 암기와 주입식이 아닌 협동과 토론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 선진국의 교실 모습.

흔들리는 백년대계 교육정책 백년대계 교육 정책이 올해 들어 수시로 춤추고 있다.‘자율형 사립고·외국어고 폐지’ 는 고교 서열화를 해소하고 공평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되고 있다. 본 래 설립 취지에서 벗어나 수능 위주의 입시명문고가 됐다는 비판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수능절대평가’ 는 학생들을 무한 경쟁시킨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했다. 사교육 유발 전 형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논술·특기자전형’ 도 축소·폐지 수순을 밟고 있다. 현 중3 학생이 응시하는 2021년 대입부터 논술 폐지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SW 의무교육’ 은 초·중학생 학부모들 사이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정책 중 하나다. 내년부터 중학생은 34시간 이상, 초등학생은 2019년부터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SW 중심대학 특기자 선발도 본격화되고 있다. 각 정책의 내용은 달라도 목표는 하나다. 미래 사회를 대비해 인재를 육성하고 학생 역량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 SW 교육 의무화로 어렸을 때부터 코딩 교육을 받는 교육 선진국 아이들.

이 과정을 통해 단순 코딩이 아니라 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력과 사 고력, 분석력, 협동심 등을 키울 수 있다.

상황 맥락·정서·영감·신체… 미래 인재 역량 4차 산업혁명의 창시자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그의 저서「4차 산업혁명」 에서 앞으로의 사회는 전혀 다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살면서 직업을 서너 번 바꿀 수 있는 만큼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게 슈밥 회장의 조언. 이를 대 비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스스로 탐험하고 탐구하며 문제 대처 능력을 터득하 고 창의성을 길러야 한다. SW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코딩 교육은 교육 방향의 근간이 된다. 여기에 인간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인문학적 역량을 함께 키워야 한다. 슈밥

영감 지능

▲ 미래 인재 역량 (자료 =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 포럼 회장)

회장이 제시한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네 가지 지능 중 첫 번째는‘상황 맥락 지능’ . 바르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이다.‘정서 지능’ 은 생각과 감정을 정 리하고 결합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능력이고,‘영감 지능’ 은 공공의 이익을 추 구하기 위해 목적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해가는 능력을 말한다. 마지막으로‘신 체 지능’ 은 앞선 세 가지 필수 지능을 뒷받침하는 지능으로 미래에 적응할 에 너지를 얻기 위해 건강과 행복을 가꾸는 능력을 말한다. 미래학자인 KAIST 이광형 교수는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변화에 적 응하는 능력’ 을 꼽았다. 창의적인 사람만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조언. 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정해진 답을 찾는 공부를 하기보다 답이 없는 문제에 도전해야 한다. 더불어 세상에 없는 것을 상상해 보는 연습도 바 람직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인재’ 2017년 대한민국 교육은 왜‘미래 인재’육성에 주목할까. 지난해 1월 다보스 포럼에서 공식 의제로 채택된‘제4차 산업혁명’ 에 답이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로봇기술·사 물인터넷(loT) 등의 신기술이 기존 제조업과 결합함으로써, 7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 고 200만 개의 새로운 직종이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지금의 교육체제나 방식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핵심 역량은 무엇일까. 다보스 포럼에서 제시한 미래형 인재의 역 량은‘복잡한 문제를 푸는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력’ ,‘사람관리’ ,‘협력능력’ 이다.

교육 선진국 사례로 본 인재 육성 이렇게 교육 선진국들은 어떻게 미래 인재를 키울까. 국제학생성취도평가(PISA)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핀란드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핀란드는 학생들의 관심과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교 육 방식을 적용한다. 특히 고등학교의 무학년제와 무학점제에 주목할 만하다. 학생들이 스 스로 시간표를 짜서 수업을 구성하고 10~12학년이 한 교실에서 수업을 받는다. 학생들은 토론과 발표,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참여형 수업을 경험한다.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확대해 흥미와 적성에 맞는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지능정보화에 걸맞은 창의융 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영국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일찌감치 SW 교육을 의무교육 과정에 포함시켰다. 5~14 세 학생들은 주당 1시간 이상 SW 교육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6학년 학생은 1년 동안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면서 코드를 표현하는 코딩, 코드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프로그래밍 을 비롯해 애플리케이션 기획부터 마케팅 전략까지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을 경험한다.

02

신체 지능

변화하는 교육, 발 빠르게 대처하자! 고교학점제 고등학생이 대학생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 는‘고교학점제’가 내년 100여 개 학교에서 시 범 운영된다. 내년부터 서울지역 모든 고등학교 에서 고교학점제 초기 모델인‘개방형 선택 교육 과정’이 시행되며, 현재 초등 5학년이 고교에 진 학하는 2022년까지 전국 고교로 확대된다. 학생들은 국어·영어·수학·한국사·통합사 회·통합과학 등의 공통과목만 필수로 이수하고 나머지 과목은 진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학 교에 따라서는 선택 과목뿐만 아니라 공통과목까 지 학생의 선택에 따라 이수하는‘완전 개방형’ 모델이 시행될 수도 있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해 현재 상 대평가인 고교 내신 산출 방식을 절대평가로 바 꾸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육과

WWW.CMSEDU.CO.KR

정은 물론 입시 체계까지 바꿔야 해, 공교육 혁 신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수능절대평가 전환 교육부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초안을 8월 초 까지 완성하고 국민 여론을 수렴해 8월 말 수능 절대평가제 전환 여부를 발표하겠다는 입장이다. 현행 수능은 객관식 상대평가로 기계식 점수 경 쟁을 강요해 아이들의 상상력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획일적인 점수 위주 선발, 수능 대비 문제 풀이 수업 유발 등의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하 지만 한국사와 영어에 이어 모든 과목을 절대평 가로 일괄 전환하면 변별력이 떨어져 대학 입시 의 공정성을 해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이 에 최근 주요 대학은 절대평가로 전환하되 단계 적으로 시행하는 의견을 정부에 제시했다.

교육계 핫이슈 자율형 사립고·외국어고 폐지 자율형 사립고·외국어고의 일반고 전환이 본격 추진된다. 201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편하는 방 안이 유력하다. 자사고와 외고가 설립취지에서 벗어나 입시 서열화를 부추기고 교육형평성을 해 친다는 이유에서다. 8월 설치되는 국가교육회의에서 이들 고교 유형 의 단계적 체제 개편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대부분의 외고·자사고는 5년 주기의 운영성과 평가를 통과해 2019년까지 학교 지위를 보장받 은 상황. 따라서 2019년부터 자율형 사립고·외 국어고가 단계적으로 일반고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 외고와 자사고 진학을 위해 내신관리 등을 해온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도 적잖은 동요가 예상된다.

CMS STORY +

03


Edu Issue | SW 교육

SW 교육 바로 알자

SW 교육은 코딩 기술이 아니라

산출물 직접 만들며 분석력·창의성 키워

컴퓨팅 사고력 키우는 것

현재 코딩을 단계적으로 배우며 따라하기 식으로 SW 교육이 이뤄지는 경우가 적

자율적 문제 탐구 “산사태는 왜 일어날까?”

지 않다. 스크래치(Scratch)와 같은 블록형 코딩으로 시작해 파이썬(Python)을 거 쳐 C언어까지 차츰 복잡한 언어를 배우게 되는데, 언어에 집중하다 보니 많은 어 린이들이 어려운 C언어에 들어가서 교육을 포기하곤 한다. 교재나 교사의 시범을 따라하며 각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법을 익히느라 원래의 교육 목표인 컴퓨팅 사

컴퓨터 활용

고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SW 의무 교육을 앞두고 교육계는 요즘 코딩 열 풍이다. 관련 교육기관들이 우후죽순 생기고 학 부모들은 코딩 교육을 어디에서 받아야 할지 몰 라 우왕좌왕한다. 그러면서 드는 의문, 우리 아이를 IT 개발자로 키 울 것도 아닌데 왜 코딩을 배워야 하지? 코드를 외우고 프로그램 개발을 SW 교육으로 알고 있 다면 이런 의구심이 드는 건 당연한 일. SW 교육 본연의 목표는 코딩 기술을 익히는 것 이 아니라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것 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으로 떠오른 SW 교육, 제대로 알고 제대로 배우자.

21세기는 프로그램 능력이 핵심 “21세기에는‘프로그래밍 능력’ 이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이해하고 적응하는 데 핵심 역량이 될 것

전문가들은“SW 교육은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 어려운 컴퓨팅 언어를 배우는 것

인간 능력

이 아니라 컴퓨팅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 다” 고 입을 모은다. 비판적 사고, 소통, 협동 능력을 바탕으로 창의력 교육이 이뤄

이다.”세계적인 코딩 교육 열풍을 주도한 자크 심즈 코드카데미 창립자 겸 대표의 말이다.

져야 한다. 진정한 SW 교육은 학생 스스로 산출물을 만들어 봄으로써 문제점을 찾

SW 교육의 목적은 컴퓨터처럼 사고하는 법을 배우는‘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을

아 분석하고, 최선의 해결방법을 찾는 과정 자체이다.

사고를 컴퓨터로 표현 가설 검증 및 자기 평가

해결책 설계 자신만의 창의적인 모델 구축

향상시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지넷 윙(Jeannette M. Wing) 부사장이 처음으로 개념을 정의한 이후 세계 각 분야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윙 부사장은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꼽았다. 주어진 문제를 컴퓨터처럼 분석해 자 신만의 논리로 해결하 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는 것이다.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

도전! SW 올림피아드

SW 올림피아드 아는 만큼 앞선다

소프트웨어(SW) 의무 교육과 주요 대학의 SW 특기자 전형 신설 등에 따라 SW 관련 올림피아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신설된 SW 특기자 전형의 경우 SW 올림피아드에서 성과를 거두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일부 대학에서는 국제정보올림피아드를 비롯해 각종 정보 분야 대회 수상 실적을 요구하고, 외 부 스펙 활동 자료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SW 관련 올림피아드에 잘 대비하면 입시와 미래 진로 선택에서 경쟁력 을 가질 수 있다.

는 도구 중 하나로 사 용되는 것이 바로 ‘코딩’ 이다. 코딩은 문제해결 과정을 구성한 후 컴 퓨터 언어로 표현하는 최종 단계. 예컨대 쿠키 굽는 기계에 다음과 같은 순서(반죽 만들기 → 팬에 기름 두르기 → 오븐에 팬 예 열 → 팬에 반죽 넣기 등)로 명령을 해 쿠키를 완성한다.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물을 만드는 과 정에서 자연스럽게 창의력과 논리력이 자란다. 집 까지 가는 가장 빠른 길 찾기, 장마철 대비법 마련 하기 등의 활동도 컴퓨팅 사고력을 자극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다양하고 폭넓은 표현 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코딩이 가장 효 ▲ 코드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토론하고 협업하면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코딩 교육’

04

국내 IT올림피아드 최고 권위‘한국정보올림피아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최하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 (Korea Olympiad in Informatics, KOI)는 IT 영재들 이 겨루는 국내 최고 권위의 대회로 경시대회와 공모 대회로 나눠 진행된다. 경시대회는 수학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능력을 평가 한다. 초·중·고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청소년이 참가할 수 있다. 5천여 명 규모로 진행되는 지역대회 를 거쳐 600여 명이 전국대회에 참여한다. 은상 이상 수상자는‘아시아·태평양 정보올림피아드(AsiaPacific Informatics Olympiad, APIO)’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별도 선발 절차를 거쳐‘국제정보올림피아드(Important information, IOI)’한국대표 후보가 될 수 있는 기회 가 주어진다. 공모대회는 전국의 초·중·고등학생 등 청소년이 개발한 SW 작품을 심사한다. 기초와 응용 SW를 포 함해 전 분야(앱 포함)에 걸쳐 공모한다.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SW를 개발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 MS사‘이매진컵’ 이매진컵(Imagine Cup)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가 전 세계 16세 이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세계적인 IT 경진대회다. 주제는 전 세계에 산적해 있는 난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 매년 주제가 바뀌지만 대체로 공익 성을 담고 있다. 이매진컵 참가 국가들은 예선 격으로 지역 선발전을 치른다. 여기서 선발된 팀은 국가대표로 4일 동안 진 행되는 세계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는다. 2016 이매진컵은‘내이(內耳) 균형과 척추 자세를 실 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애플리 케이션’을 선보인 루마니아팀에게 돌아갔으며 △월드 시티즌십 부문 △이노베이션 부문 △게임 부문에서 1 등을 차지한 세 팀에게 각 5만 달러의 상금과 프로젝 트를 구체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됐다. 지난 5월, 2017 이매진컵 한국 대표 선발전이 진행

됐다. 컴퓨터 시각 증후군 증상을 예방하는 솔루션을 개발한 세종대학교 EnI-Guard팀이 1등을 차지하며 대망의 월드 파이널 진출권을 획득했다.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NYPC’ 올해로 2회째를 맞는‘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 지’는 국내 게임기업 넥슨이 주관하고 문화관광부가 후원하는 코딩 대회이다. 12세부터 19세 이하의 프 로그래밍에 관심 있는 청소년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하다.‘세상을 바꾸는 코딩’이라는 테마로 미래 세대 교육 지원과 청소년 코딩 경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된다. 첫 대회였던 지난해의 경우 2,500여 명의 신청자가 예선에 참여했고, 54명이 본선에 진출한 바 있다. 올 해는 규모를 확대해 70명의 본선 진출자를 선발하 고, 저학년 학생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12~14세, 15~19세 두 부분으로 나눠 진행한다.

과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WWW.CMSEDU.CO.KR

CMS STORY +

05


Role Model Story | 2018 영재학교

세계 수학 빅 이벤트 | Math Story

수 학 , 지 루 하 다 고 요 ? 천 만 에!

2018 영재학교 합격자 인터뷰

영 재 학 교 도 전! 이것만 알면 합격 Q

2018학년도 서울과학고 우 선 선 발

조성재 서울 월촌중3

2018학년도 영재학교 입시가 7월 말 기준으로 마무리되고, 2019학년도 영재학교 합격을 향한 학 생들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되었다. 자사고·특목고 폐지론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영재학교의 인기 는 여전한 상황. 2018학년도 영재학교에 합격한 CMS 영재관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Q

. 꿈이 뭔가요?

공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어려서부터 A 인공지능 가전제품을 분해해 작동원리를 탐구하는 걸 좋 .

2018학년도 서울과학고 우 선 선 발

아했어요. 영재학교에서 수학과 물리를 집중적 으로 공부해 인공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코딩이나 정보 분야를 탐구하고 싶어요.

Q

A

. 자신만의 합격비결은 무엇인가요?

박세진 서울 대원국제중3

. 수업이 끝나면 항상 ‘복습’을 했어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우선 혼자 해결해보고, 안 되 면 친구들과 토론하며 해결 방법을 찾았습니다. 그래도 안 되면 선생님을 찾아갔죠. 복습을 통해 모르는 것을 이해하고 넘어간 것이 비결입니다.

.

이터를 활용해 전염병의 확산을 막은 사례가 있 었는데, 진로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Q CMS 친구들은 어떤 존재인가요? .

같습니다. 마라톤 경주를 할 때 A ‘러닝메이트’와 는 혼자 달리는 것보다 여럿이 함께 뛰어야 평 .

.

동시에 ‘동반자’입니다. 선의의 경쟁 A ‘경쟁자’인 자로서 서로를 자극했고, 영재학교 합격이라는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 A 노력하면 니다. 영재학교 준비나 CMS 과정이 결코 만만

같은 목표를 가진 동반자로서 고충을 나누며 의 지했습니다.

치 않은데, 이번 경험을 통해 마음만 먹으면 된 다는 것을 알게 됐고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

‘세계 수학자 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는 국제 수학 연맹이 4년마다 개최하 는 전 세계 수학자를 위한 행사다. 수학 발전을 위해 수학자들 간 지속적인 교류의 필요성을 느낀 것 이 계기가 되어, 1897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시작한 이래 120년째 이어져 오고 있다. ICM은 개막식에서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필즈상’수상자를 발표한다. 누가 선정될지 초미의 관심사이다. 이번 세기에 해결하지 못한 수학 난제들을 발표하기도 한다. 이 문제들은 향후 수학 연구 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그동안 많은 문제들이 해결되었으나 리만 가설처럼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 제27차 세계 수학자 대회가 개최되었다. 전 세계 122개국 5,200여 명이 참가 했다. 국가 및 참가자 수면에서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ICM 2014에서는 학술 토론뿐만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분석해 인류에 도움이 되는 A 통계를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몇 년 전 미국에서 빅데

Q 영재학교 입시를 준비하며 무엇을 느꼈나요?

.

.

다양한 수학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청소년 및 일반인도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 펼쳐졌다. ▲ 1932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제9차 세계 수학자 대회 <사진 : 위 / 출처 : 위키미디어> ▲ 파이(π)데이를 기념하는 각종 파이(Pie) <사진 : 아래 / 출처 : 위키미디어>

‘체험하는 수학’ 어디서?

Q 꿈이 뭔가요?

Q 영재학교에 도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 수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아직 연구 방향을 결 정하진 못했지만, 그래프이론과 선형대수학, 위 상수학에 관심이 많습니다. 영재학교 선생님, 친구들과의 만남이 제가 훌륭한 수학자가 되는 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 믿습니다.

Q 기억에 남는 CMS 선생님이 있나요? .

A

. 모든

선생님이 낙오되는 학생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신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도움을 청하면 언제 어디서든 답을 주셨고,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한 부분을 확인 해 별도의 수업을 마련해주셨습니다.

영재관에서의 경험이 앞으로 성장하는 데 Q CMS 어떤 도움이 될까요? .

A 입시를 준비하면서 오랜 기간 CMS 친구들, 선 .

생님과 함께했는데, 그 과정에서 협동심과 리더 십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이런 경험이 앞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06

.

2018학년도 서울과학고 합 격

윤승재 서울 대치중3

꿈입니다. 수학사, 과학사 책을 읽고 A 수학자가 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선생님이나 동료와 .

협업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다양한 성향을 가진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고 싶 어 영재학교에 도전했습니다.

Q 자신만의 합격비결은 무엇인가요? .

A

. CMS

Q

. CMS 영재관은 학습에 어떤 도움이 되었나요?

A

친구들과 토론하며 정해진 답이 아니라 다양한 해결방법을 찾는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덕분에 여러 가지 답을 생각해야 하는 영재학교 시험을 치르는 데 도움이 컸습니다.

. 종종

선생님의 설명에 반론을 제기하는 친구들 이 있습니다. 이때 선생님이 거리낌 없이 학생 들과 토론하며 더 나은 방향을 찾으시는 모습을 보고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다양한 분 야의 전문가들과 연구하게 될 텐데 CMS에서의 경험이 좋은 밑거름이 될 것 같습니다

수학은 왜 지루할까? 반복적인 계산훈련 때문일 것이다. 다행히 요즘은 사고력 교육으로 수학을 즐겁 게 접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나아가 세계 수학계에서는 수학이 문화 활동의 하나로 정착할 수 있도 록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알려진 수학 행사를 통해 수학의 매력에 푹 빠져보자.

전 세계 수학자 다 모여라! ‘세계 수학자 대회(ICM)’

. 꿈이 뭔가요?

정심을 잃지 않고 완주할 수 있어요. 영재학교 를 준비하며 CMS 친구들이라는 러닝메이트가 있었기에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할 수 있었습니다.

Q CMS 친구들은 어떤 존재인가요?

수 학 을 보 고 만지고 즐겨라

2018학년도 서울과학고 합 격

옥준성 서울 도곡중3

우리나라에는 어떤 수학 행사가 있을까? 국립중 앙과학관은 2013년부터‘무한상상 수학체험전’ 을 개최하고 있다. 해마다 전국 중·고·대학생 이 직접 운영하는 체험부스부터 국내 유명 석학 의 강연, 생활 속 수학을 느끼는 수학 토크 콘서 트 등을 선보인다. 올해는 5월, 9월 2회에 걸쳐 행사가 개최된다. 행사에 참가하기 어렵다면 수학체험관을 방문해 보자.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 남산분관에는 약 630점의 수학·과학 전시물이 분야별로 설치되 어 있다. 학생들이 이를 직접 조작하고 관찰할 수 있어 창의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다. 2015년 개 관한 서울 서초구의 수학박물관에서는 수학 전시 물 도슨트 투어, 수학 실험 교실, 수학 연구원 진 로 체험 등 학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제공한다. 교육부에서도 학생들이 수학에 친근감을 느껴 포 기하는 일이 없도록 수학 관련 행사를 적극적으 로 후원하고 있다. 암기하고 반복하는 학습 때문 에 수학이 싫어졌다면, 보고 만지고 즐기는 수학 을 찾아 떠나보는 건 어떨까?

WWW.CMSEDU.CO.KR

파이(Pie) 먹으며 파이(π)와 놀자! ‘파이(π)데이’ 3월 14일은 무슨 날일까? 화이트데이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겠지만, 전 세계 수학자들에게 이날은‘파 이(π)데이’ 다. 명칭 그대로 원주율 파이(π)의 근삿값이 3.14인 것에서 착안한 기념일이다. 지난 파이데이에 외신은 방송을 통해 원주율 파이의 소수점 10,000번째 자리까지 계산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파이데이를 기념하는 수학 문제를 냈으며, 사람들은 파이와 발음이 같은 음식 파이(Pie)를 먹거나 알파벳 P, I가 포함된 파인애플(Pineapple)을 먹는 등 저마다의 방식으 로 파이데이를 즐겼다. 우리나라에서도 원주율을 소수점 이하 몇째 자리까지 외울 수 있는지 경쟁하 는 대회가 열렸다. 각 학교 수학동아리가 주축이 되어 3.14초 만에 블록 맞추기, 바둑알 3.14m 날리 기 등 파이 관련 행사를 개최했다.

모든 이를 위한 축제, ‘The National Math Festival’ 지난 4월 미국 워싱턴에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2017 National Math Festival’ 이 열렸 다. 미국수학연구소(MSRI), 프린스턴고등연구소(IAS), 국립수학박물관(MoMath)이 주최하고 미국수 학회(AMS), 미항공우주국(NASA) 등 25개 기관이 협력하여 개최한 이 행사에서는 수학을 주제로 다 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행사장에는 스도쿠, 소마큐브와 같은 간단한 보드게임부터 기하학 도형 만들기, 빛의 진행 경로 관찰 하기와 같은 각종 체험부스가 마련되었다. 유명 수학자들의 강연, 수학과 예술을 결합한 작품 전시, 수학 영화 상영 등 매시간 다른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수학의 즐거 움을 만끽했다. 기관명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서울특별시교육청 과학전시관 남산분관

서울 중구 소파로 46

02) 311-1272, 1259

www.ssp.re.kr

서초 수학박물관

서울 서초구 사임당로18길 18

02) 2205-5788

ct.mathlove.kr

플로우 수학체험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보청대로 1414

043) 544-5501

www.flowmath.co.kr

양산수학체험센터

경남 양산시 물금읍 오봉로 28

055) 381-1203

ysfunmath.or.kr

CMS STORY +

07


Math Quiz | 신나는 수학

C3 coding | Recommend Curriculum

재미있고 신나는 수 학 퀴 즈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키우는 예전에는 수학적 사고능력과 과학적 탐구 능력이 있으면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었 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컴퓨팅 사고능력’과‘디지털 마인드’가 창조의 핵심 역 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코딩 교육을 통해 디지털화된 세상을 깊이 있게 꿰뚫을 수 있 는 통찰력과 자신만의 결과물을 만듦으로써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프로 그램,‘C3 coding(씨큐브 코딩)’을 소개한다.

규칙 속에 답이 있어요! 사고력이 쑥쑥 자라는 수학퍼즐을 즐겨보세요. 모두 연필은 준비했겠죠? 규칙을 잘 읽고 문제에 도전해봅시다.

C 3 coding 비인지 능력

다음 [규칙]을 잘 읽고 빈칸에 알맞은 숫자를 써넣으시오. [규칙]

1 각 가로줄 동그라미에는 제시된 모든 수를 한 번씩 넣어야 합니다.

1 큰 정사각형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2 각 세로줄 동그라미에는 제시된 모든 수를 한 번씩 넣어야 합니다.

2 각 조각 안에는 그 조각을 이루는 칸의 수를 적어야 합니다.

3 선으로 연결된 동그라미에는 제시된 모든 수를 한 번씩 넣어야 합니다.

예 1

1

2

2

3

2 3

1 2

1

C3

이 조각은 3칸으로 이루어졌으므로 3을 적어야 합니다.

3 3 3

1

3 1

2 3

2

2

1 2

3 1

3

2 2 3 3 3 4 1 2 2 4 4 4

예 3

32

21

1

1

13

32

2

1

2

21

13

1단계

4

1

2

2

1

2단계

3

2 5

3

232

21

1

1

13

32

2

제시 : 1, 2, 3 2 2 1

13

4

3

1 2

4

1 32

3

1

2

2

3

2 1

1

1

3

3 2

2

2

1 3

1

3

제시 : 1, 2, 3, 4

2 1 5 5 5 1 5

1

2

1단계

2단계

1 1 2 11

5

3

3

3

3

4

2

4

1

4

4 2

3

3

2

4

2 4

4 4

1

4

3

3

4 2

ICT 3

ICT 4

Scratch

SPL*

C, C++

C, C++, Python, Java, Unity, Processing...

H/W

SPL – Duino LED, Sensors, Buttons Switches, Motors Laser Cutter + tools

SPL – Duino Memory, Clock, Speaker, LCD, Sensors, Calculater Keypad, Robot, Matrix 3D printer + tools

수업내용

기초적인 블록코딩 블록 → 스크립트 코딩 초급 알고리즘의 이해 으로 전환 컴퓨터의 작동원리 이해 중급 알고리즘의 이해 효율적 프로그래밍

4 1

3

내용

구분

입학 테스트

유형

6

5

2 3

커리큘럼

6 3 3 2

코스

센터 내‘C3 Space’ 라는 공간에 3D 프린터와 레이 저 커터 등의 장비가 준비돼 있어, 자신이 직접 기 획하고 설계한 것을 만들어볼 수 있다.

C 문법을 완전히 소화 올림피아드(경시/공모) 수준 높은 프로그래밍 전문 메이커 활동 현실에 필요한 S/W 구현 특허/창업/창직/진학

텍, 카이스트 등 대학의 컴퓨터 관련 전공자들로 구 성해 전문성을 높였다. 브렌디드 러닝으로 상상력과 협업 깨달아

국내외 전문 연구진과 강사진 통해 학생들 영감 받아 커리큘럼과 교재는 국내외 전문 연구진의 오랜 노 하우가 바탕이 됐다. 스탠포드대학교 폴 김 교수, 한국정보교육학회 학회장인 서울교육대학교 컴퓨 터교육과 김갑수 교수, HELLOAPPS 김영준 대표, (주)CMS에듀 이충국 대표가 함께‘C3 education’ 이라는 4차 산업혁명 교육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 하고 새로운 ICT 융합교육의 미래 표준을 설계했 다. 강사진 또한 MIT와 Penn State, 서울대, 포스

씨큐브 코딩은 스탠포드대학교에서 개발한 SMILE 시스템을 바탕으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과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을 진행 한다. 차주에 진행할 수업 내용을 온라인에서 질문 과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학생이 질문을 작성하면 답을 주고 이를 평가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학생들 은 호기심을 키우고 다른 사람들과 깊이 있게 소통 하며, 인문학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세부 내용 (A파트) CTT* (온라인 테스트, 25문제)

The Creator’s code

The Master’s code

ICT2, 12개월 과정, 초등 4~5학년

ICT3, 12개월 과정, 초등 5~ 중등 1학년

1 4 5

자유 선택

(레벨별 샘플) 가이딩 예시 프로젝트

4 4 5

정규 수업

교재 중심의 팀 수업 (주 100분)

수업 구성

3 2

4

1

4 3

3 3

4 5 5

3 6 6

11 4 5

3 3

2

1

1

상상 프로젝트

강사진

전원 전공자

시스템

블렌디드 러닝

(SMILE*)

*CTT : 수학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웹기반 테스트 서비스

ICT1, 6개월 과정, 초등 3~4학년

11 2 1 4

(B파트) 수학 프로그래밍 문제 (오프라인 테스트, 10~15문제)

The Maker’s code

5

스마트 러닝

친절한 풀이와 정답은 11면으로 >>

All tools and parts

▶ C3 coding 요강

3 3 4 1

11 11 3

1 5 3

제시 : 1, 2, 3, 4, 5

08

ICT 2

2 4

4 4

5 5 1

4

C1 x C2 x C3 = C3

씨큐브 코딩은 생각의 크기를 키워‘디지털 통찰력 (Digital Insight)’ 을 키우는 것이 최종 목표다. 이 를 통해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상상하고, 디지털 화된 세상 속에서 그 상상을 창의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융합 인재를 기르고자 한다. 씨큐브 코딩은 코딩이란 단어가 붙었지만 코딩 기 술을 익히기 보다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고 창의성 을 기르는 메이커 활동이 중심이다.‘코딩’ 이란 문 제해결 과정을 구성한 후 컴퓨터 언어로 표현하는 마지막 단계를 말한다. 씨큐브 코딩은 정규 과정 외에 메이커 활동으로 ‘상상 프로젝트’ 라는 자유 선택 활동을 진행한다.

4단계

4

1

4

2 4

3단계 3 4

2 1

3 1 4 3 2 2 5

[도전문제] 2

1

1 2

3 4 4 4 3 1 5

2 5

1

3

2

1

2 5 5 3 3 5 5

4단계

4

3 2 2 3 3 2 2

5 1

3

4 1 41 3

3단계

3

2

3

5

4

5 5 5 2 2 4 4

3

1

1

2

3

Meta space

‘컴퓨팅 사고력’과‘창의성’키우는 메이커 활동

(O)

2 2 5 5 1 4 4

2

제시 : 1, 2, 3, 4

1

1 4

1 5

2 1 21

2 3 1

3

1 2 2 4 4 4 3 3 3 2 2 4

(X)

4

4

(CT, C, NC)

(Computational Thinking)

(Cognitive competency)

수가 적혀있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3 2

3

1

ICT 1

컴퓨팅 사고력

인지 능력

4 각 조각 안에는 두 개 이상의 수가 적혀있는 경우도 있고 처음부터

[도전문제] 1

S/W

(단, 꼭짓점은 공유할 수 있습니다.)

1 제시 1 : 1, 2,23 2

제시 : 1, 2, 3

3

*SPL : 블록 코딩과 스크립트 코딩 사이의 격차를 메워주는 중간언어로서 C언어의 자연스러운 습득을 도와주는 씨큐브코딩에서 자체개발한 최초의 Complier.

▶ 커리큘럼 로드맵

[규칙]

3 칸의 수가 똑같은 조각은 서로 이웃할 수 없습니다.

3

(Non-Cognitive competency)

다음 [규칙]을 잘 읽고 퍼즐 판에 숫자를 채우시오.

(자유 상상) 본인이 설계한 프로젝트

자신만의 자유 프로젝트 진행 (주 120분, 요일·시간 선택 자유) ※ 일주일 1회 시간대 예약, 프로젝트 매니저 상주. 심사 통해‘The Creative Product’선정 및 특허 출원 지원 (연구강사) MIT/Penn State/서울대/POSTEC/KAIST 컴퓨터 전공자 (온라인) 차주 수업 내용을 촉매 질문과 자료로 제시. 학생들끼리 내용에 질문을 작성하면 답을 주고 평가 (오프라인) 교재 중심의 토론식 그룹 수업. 온라인 질문에 대한 피드백 (클라우드 티칭) 학생들이 코딩한 프로그램과 아이디어들을 공유. 교사의 피드백

(스마트 교실) 전자칠판과 화면공유 및 자료 제시 시스템들이 갖추어짐.

*SMILE : 수업 내용에 대해 스스로 깊이 있게 생각하고 질문하기 위해 스탠포드에서 개발한 온라인 질문 및 토론 시스템.

WWW.CMSEDU.CO.KR

CMS STORY +

09


CMS News | 센터별 소식

산본 영재교육센터

‘제2회 수학체험전’ 개최

광주북광산 영재교육센터

커리큘럼과 맞춤형 관리로 지역 내 호평

2017 CMS 영재학교·올림피아드 전략 설명회

C M S 창의 융합 교 양 서 신간 출간

대치·목동·평촌서 학부모 2,000여 명 참석해 대성황

김지연 글 | 김성영 그림 CMS영재교육연구소 감수

「평면도형이 운동장으로 나왔다!」

곳곳에 숨어 있는 평면도형을 찾아라! CMS 출판브랜드 ‘생각하는 아이지’ 교과서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서 흔히 가 융합교육 세대를 위한 ‘세상을 배우 만나는 평면도형에 주목한다. 아이들 는 수학’ 시리즈의 첫 번째 책「평면도 은 피자로 원의 넓이를 구하고, 신문지

산본 영재교육센터는 지난 5월 재원생과 비재원생을 대상으로‘제2회 수학체험

광주북광산 영재교육센터는 CMS의 뛰어난 커리큘럼과 맞춤형 관리로 지역 내

전’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수학 풍선다트, 입체퍼즐, 조각 맞추기 등 사

호평을 받고 있다. 7월에는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여 단순

고력이 가미된 게임을 통해 아이템을 획득하고, 이를 과자로 바꿔 과자집을 꾸

히 수업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 아닌 자녀의 학습 플랜을 함께 설계하는 시간을

미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휴일임에도 200명이 넘는 학생이 참가하여 함께하는

가졌다. 이처럼 학생 개개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덕분에 매해 영재교육원 합

수학의 즐거움을 나눴다. 방영주 센터장은“적극적으로 행사에 임하는 학생들의

격생 수가 늘고 있다. 박성웅 센터장은“좋은 선생님이 학생의 미래를 바꿀 수

모습에 교직원 모두가 보람을 느꼈다” 며“앞으로도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있다고 믿는다” 며“끊임없이 최선의 학습법을 고민하고 변화를 모색하겠다” 고

키울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준비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전했다.

CMS에듀가 7월 20일 대치, 목동, 평촌 지역에서‘2017 영재학교· 올림피아드 전략 설명회’ 를 개최했다. 매년 7월에 열리는 이 설명회는 대표적인 영재학교·올림피아드 전략 설명회로서, 올해도 2,000여 명 의 학부모가 참석해 대성황을 이뤘다. 약 2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설명회에는 CMS 대치·목동·평촌 영재관 강사진이 연사로 나와 ▲ 2018학년도 영재학교 입시 분석 및 대비 핵 심 전략 ▲ 2018학년도 특목고·자사고 대비 전략 ▲ 수학·물리·화 학 올림피아드 분석 및 대비 전략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입시 전략과 CMS 영재관 프로그램에 대해 상담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해 강연 후 학부모들의 문의와 상담이 줄을 이었다.

형이 운동장으로 나왔다!」를 출간했다. 로 각도기를 만드는 등 친근한 소재를

문제는 8페이지에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배 통해 평면도형의 세계에 빠져든다.

3 3 3 2 2 231 1 12

울 수 있도록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하 한편, CMS는「평면도형이 운동장으로

재미있고 신나는 수학퀴즈 11 1

여 아이들 스스로 개념과 원리를 깨우 나왔다!」의 출간을 기념해 공식 블로그 치는 창의 융합 교양서이다.

(cmsblog.kr)에서 기대평 작성 시 도

「평면도형이 운동장으로 나왔다!」는 서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분당 제1영재교육센터

센터 재단장 통해 최적의 학습 환경 마련

화정 영재교육센터

개원 2주년… ‘수학창의체험축제’ 열려

1단계

11 1

12 2 2

2단계

23 3 31

3

11 1

3

2

1

1

3

2

1 1 1 3 3 312 2 23

2

2 2 2 1 1 123 3 31

3

4단계

3단계

314 4 4

24

1

4

2

3

22 2

3

1 22 2

42

3

4

2

4

1

4

33 3

1

3

1

정답 공개 2

2

33 3

1 2 4

4 3

5

4

3

2

11 1

3

22 2 3

21

4

5

41

11 1 2

15

3

3

5

44 4 1

42

1

2

5

11 1

2

1 3 2

33 3 4

9월 개원 1단계

CMS 광명하안영재교육센터 개

2017년 9월 1일 (금)

경기도 광명시 하안로 294-5 청진빌딩 5층

02-6954-1288

<개원 설명회>

분당 제1영재교육센터가 지난 5월 센터 리모델링을 통해 더 쾌적하고 깨끗한 학

화정 영재교육센터는 개원 2주년을 맞아‘제2회 수학창의체험축제’ 를 개최했

2017년 8월 9일 (수) 오전 10시 30분

습 환경을 갖추게 됐다. 인테리어를 모두 새롭게 단장하고 책상과 의자 등 기자

미래 융합교육의 답을 찾다

재도 친환경 소재로 마련했다. 특히 교실 내부에는 인공지능을 갖춘 기기를 설치

광명시 청소년수련관 4층 대공연장

02-6954-1288

※ 개원 설명회 예약은 CMS에듀 홈페이지(cmsedu.co.kr)에서 해주십시오.

10

5

4

4

2

2

4

4

3

5

4

2

4

4

2

4

3

3

2

2

5

4

2

4

4

2

4

5

5

1

5

5

1

4

3

3

4

1

5

5

5

2

2

4

4

3

4

4

4

1

4

1

3

3

3

3단계

4단계 2

2

6

6

6

6

6

3

5

5

5

5

다. 다면체 만들기, 퍼즐 맞추기, 규칙 찾기 등 수학과 과학이 융합된 게임이 진

3

4

1

4

4

1

2

2

3

3

6

3

3

2

2

5

3

3

4

1

4

4

11 11 11 3

2

2

1

4

5

2

행됐으며, 미션을 완수한 학생에게는 푸짐한 상품이 주어졌다. 재원생뿐만 아

4

4

4

5

5

3

11 11 2

2

4

3

4

4

5

2

5

5

1

5

5

3

11 1

4

4

4

3

3

4

5

5

5

5

5

1

5

3

11 4

2

2

3

4

4

3

1

5

11 4

4

3

3

4

4

3

3

6

11 4

5

5

5

3

3

6

6

6

11 11 4

5

5

3

2

3

3

6

4

2

2

1

2

3

1

6

이순화 센터장은“융합교육으로는 CMS가 최고라는 학부모님들의 견고한 신뢰

3

3

1

지해 자동으로 조절해줌으로써 학생들이 더 건강한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게 됐

1

2

4

니라 비재원생도 참가하여 다양한 사고력 활동을 체험했다.

7세 ~ 초등 6학년 학부모

2

3

4

해 자동 공기 청정과 온도 조절을 가능케 했다. 센터 측은 외부 온도와 공기를 감

1

4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상과 현명한 부모의 자녀 교육법 대

2단계

다고 설명했다. 학생들이 더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학습하기 바라는 센터의

덕에 개원 2주년을 맞았다” 며“보내주신 신뢰에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응도 좋다. 김영진 센터장은“최적의 교육 환경에서

우리 아이들을 융합인재로 키우겠다” 고 포부를 밝혔다.

4

4

아이들이 더 큰 미래를 그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WWW.CMSEDU.CO.KR

CMS STORY +

11

3

1


2017 전국

Technology

창의융합 수학능력 인증시험

Engineering

Mathematics

Arts

Science

WMO 한국 예선 접수기간 : 2017년 08월 07일(월) ~ 09월 06일(수) 시험일시 : 2017년 09월 17일(일) 14:00 ~ 15:30

시험 일정

접수기간 : 2017년 8월 7일(월) ~ 9월 6일(수)

시상 내역

시험일시 : 2017년 9월 17일(일) 14:00 ~ 15:30 (90분) 시험장소 : 전국 지정고사장 성적발표 : 2017년 10월 12일(목)

응시 대상

접수 방법

WMO 조직위원회 위원장상/ 조선일보·소년조선일보 발행인상/ (사)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학회장상 등 개인별(성적순)

금상

은상

동상

장려상

전국상

상위 1%

5%

15%

30%

지역상

상위 1%

3%

10%

-

지역구분 : 10개 시/도/광역시 시상규정 : 전국상과 지역상 중복 수상 가능

응시대상 : 전국 초3 ~ 6학년 응시부문 : 초3·4·5·6학년부

시험 특전

온라인 접수 (WMO 홈페이지 www.wmokorea.org) 회원 가입 ➡ 응시원서 작성 ➡ 응시료 결제 ➡ 접수 완료

•2017 WMO 한국 본선(CMDF) 진출권 부여 10월 중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되는 WMO 한국 본선(CMDF) 진출권을 학년별 상위 90명에게 부여(대회 당일 본선 진출자 중 3명을 1개 팀으로 구성해 학년별 30개 팀 대회 진행)

응 시 료 : 20,000원

•WMO Asia Final 및 World Final 진출권 부여

접수 기간 내 접수 취소 및 환불 가능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료 면제 (응시원서를 작성하여 증빙서류와 함께 WMO Korea로 우편접수)

2017 한국 예선 및 한국 본선 성적 우수자에게는 2018 WMO Asia Final 및 World Final 진출권 부여 CMDF(Creative Math Debating Festival)는 WMO 한국 본선으로,

시험 출제

‘토론하는 수학’, ‘도전과 놀이로서의 수학’으로 수학축제의 새로운 장입니다. 팀을 이뤄 협력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고 발표와 토론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겨루는 대회입니다. Math Debating, Math Puzzle, Math Relay 등의 미션으로 구성됩니다.

문항/범위 : 25문항 (객관식 선다형 10문항, 주관식 단답형 15문항) 90분 / 해당 학년 2학기 2단원까지의 진도

WMO(World Mathematical Olympiad, 세계수학올림피아드)는

출 제 방 향 : •교과서 내용을 기초로 전 영역 복합 출제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 개발과 문제해결력 향상 등 수학적 능력 배양을 목표로 실시하는 세계대회입니 다. 실생활 연계 문제, 창의사고력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팀을 이뤄 조별 과제를 해결하는 대회로 수학릴 레이, 수학게임 등의 미션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수학영재들이 모인 만큼 서로의 문화를 교류하며 경쟁이 아닌 화합을 경험할 수 있는 수학 축제입니다.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융합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다양한 문항 (실생활 연계 스토리텔링형 문항 포함) | 시험 이후 학년별 대표 유형 문제와 해설 공개 예정 (학년별 5 ~ 8개 문항)

평가 방식

평가항목 : 문항별 결과 / 난이도별 평가 / 영역별 평가

시험 문의

문제해결력 평가 / 융합적 사고력 평가 인증등급 : 개인 득점에 따른 인증등급 구분 (9개 등급)

| 주최 |

| 주관 |

WMO Korea 대회운영부 02) 6021-4680 www.wmokorea.org

| 후원 |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