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4 이클레이 5년(국문최종)

Page 1

2016

YEARS 2012

이 자료는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5년(2012년~2016년)의 활동을 기록한 활동보고서입니다.


Towards Local Sustainability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5년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전 개소식 2012.10.20

ICLEI KOREA 5-Year Progress Report

1

인사말

04

2

한국 이클레이 인포그래픽-5년간의 실행과 확장

06

3

한국 이클레이 활동 차트

08

4

한눈에 보는 발간자료

10

5

이클레이

12

6

한국 이클레이

13

7

실행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14

8

국제사회와 함께가는 정책목표

16

9

공동 실천 과제‘한국 전략계획’

17

10

한국 이클레이+지방정부의 정책실행 프로젝트

18

11

국제사회와 지방정부의 연결고리‘한국 이클레이’

22

12

이클레이 세계지방정부

24

13

한국 이클레이 회원

26

14

한국 이클레이 사람들

27


4

1

5

인사말 한국 회원 지방정부, 세계무대에서 리더십 발휘하도록 지원

한국 회원 지방정부의 지속가능한 정책 이행 지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 최대의 지방정부 네트워크인 이클레이는 지난 25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의 수원에서의 5년! 이토록 의미 있는 업적을 기념하며

년간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방정부들의 선도적 네트워크로서 다양한 주제로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의 직원들, 특히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장께 축하

진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아진 지방정부의 목소리를 국제

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사회에 천명하고 있습니다.

박원순 이클레이 세계회장, 서울특별시장

2012년부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한국의 도시와 지방정부들이 지속가능한

최근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장협약(2014.9), 지속가능발전목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습니다.

(SDGs)(2015.9), 파리기후변화협약(2015.11), 새로운 도시의제(2016.10) 등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의 성공은 지난 5년 간 한국의 회원도시가 36개에서 57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주요 합의사항과 목표를 발표하고, 국가차원 뿐만 아 니라 지방정부 차원의 노력을 당부하며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클레이는 이

지노 반 베긴 이클레이 세계사무총장

러한 국제무대에서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지방정부의 리더들이 지속가능발

개로 확대 된 사실에서도 여실히 나타납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열린 2013년 생태교통 페스티벌과 같은 훌륭한 사업을 통해 수원시가 지속가능발전 영역 에 있어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를 선도하는 도시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전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와 더불어 우리의 이러한 노력에 지속적인 지지와 힘을 실어주신 이클레이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도 한국 회원지방정부가 세계 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과

세계집행위원인 염태영 수원시장과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와 협력하고 있는 수

이클레이 10대 도시의제를 기반으로 한 한국 전략계획의 이행을 통해 지속가

원시정연구원에도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능성을 향한 과감하고 야심찬 행보를 계속 이어 나갈 수 있도록 더욱 힘써 줄 것을 당부 드립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지역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유효한 도구, 국제협력!

지방정부와 국제사회를 연계하는 참여와 협력의 통로

지혜로운 활용을 위한 안내자,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3기! 국제사회와 국내 지방정부를 연계하며, 지역 지속

2012년 11월 수원시로 자리를 옮겨 새로이 출발한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지

가능발전 정책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이클레이 한국 회원 지방정부

난 5년간 지속가능발전 관련 국제 정책정보를 국내에 소개하고, 이를 지방정

관계관 여러분과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부 정책에 연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한편 100% 재생에너지 도 시, 생태교통 도시, 에너지 전환도시, 녹색구매 선도도시, 생물다양성이 살아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생태교통 2013 수원과 생태교통 세계총회(2013년 수

있는 숲의 도시 등을 지향하는 국내 지방정부의 선도적 노력을 마주하고 있기

원),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의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2014

염태영 이클레이 세계집행위원, 수원시장

평창), 제7차 세계물포럼 지방정부과정회의(2015 대구 경북), 이클레이 세계 총회(2015 서울) 등 혁신적인 지속가능발전 이슈를 소개하는 국제회의를 국

도 합니다. 이제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선도적 노력이 우리 사회에서 어

박연희

떻게 진화하는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장

내에 유치하고,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합의 한 글로벌 협약 관련 회의의

지난 5년을 마감하고, 새로 맞는 5년 동안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의 우선과제는

세계 지방정부 회의를 직접 주관하였습니다. 국내 지방정부가 정책사례를 소

우리 지방정부가 일궈 낸 성공의 경험을 국내외에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개하고 네트워킹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지방정부의 국제협

확산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먼저, 지방정

력을 내실있게 업그레이드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부 간 ‘정책 네트워크’를 활성화 하는 일, 그래서 지방정부 정책 책임 담당관

앞으로도 지역 실천을 통한 지속가능발전노력이 큰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이 클레이 한국사무소를 통한 참여와 협력과 지원이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간의 상호학습(Peer Learning) 체계를 마련하는 일. 지방정부의 다양한 노력 을 한 데 모아내는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정책 플랫폼을 내실 있 게 만들어 내는 일을 핵심과제로 삼고자 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방정부와 국 제사회를 연계하는 ‘국제협력’은 지역 지속가능발전 정책을 강화하는 유효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지역 지속가능발전 노력을 더욱 내실있고 영향력있게 추진하기 위해 지혜롭게 ‘국제협력’을 활 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안내자가 될 것입니다.


6

7

2

한국 이클레이 인포그래픽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가 1995년 최초로 회원으로 가입한 이래 2012년 10월까지 36개의

5년간의 실행과 확장

지방정부가 회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이어 수원으로 이전 개소한 제3기 5년 동안 22개의 회원이 추가 가입되어 2016년 12월 총

57

57개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의 연간 예산은 유치도시의 운영비, 회원 지방정부의 연회비,

2016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지자체보조금, 국비 등으로 구성됩니다.

3

아래의 인포그래픽을 통해 회의와 해외 연수 참가 등 단순 참여 뿐만 아니라 이클레이와의 1,418,085

회의 공동 주관, 프로젝트의 추진 등에 참여한 회원 지방정부가 늘어가고 있음을 알수 있

2015

습니다.

4

94 2014 2013년도

1,033,721

992,746

6

2016년도 누적합계 2013

699,809

9

25

500,000

2012

15

404,923

2012(1~10)

2012(11~12)

2013

2014

2015

2016

38

6

단위: 천원

3,687,474,274

기타

프로젝트비(지자체보조금,국비)

34.2%

47.5%

(1,262,000,000)

12

(1,751,265,960)

연회비

1995

17.7% (653,933,314)

91

기타(K-MICE)

3

보조금 프로젝트

7

프로젝트 추진 (지방정부)

22

연회비

0.6%(20,275,000)

(원)

총액 지자체 보조금 (수원시)

의 회 원 기 정 여회 참

5년간 총액

2

18 11

4,700

연 수

15,575

70,000

157,074 130,000 117,849

해 외

112,000 18,934

126,045

한국사무소 주관 국내회의 참여 회원 공 동 회의 주 관 /주 최

160,639

한국사무소가 후원한 회원

158,146

2

159,138

130,934

36 한국사무소 주관 국제회의 참여 회원

) 관 사 타 대 기 한영국 ,주 부 경 (환

196,045

260,000

280,670 260,000

3

360,000

지방정부 회원수


8

9 기후에너지

3

한국 이클레이 활동 차트

생물다양성

회복력 있는 도시 아시아 태평양 지역총회 인제군·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에너지안전도시 업무협의

저탄소 도시 국제심포지엄

세계자연자원포럼 참가 생물다양성 정책간담회

제7차 세계물포럼‘지방정부과정 회의’

강원도 생물다양성 전략수립 연구자문

전주시·이클레이·전주의제21추진협의회 에너지안전도시 업무협약

강원도·이클레이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상호협력 합의 제7차 세계물포럼 지방정부 컨퍼런스 상호협력 협약

생태교통 세계총회 생태교통 수원 2013 페스티벌

지방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중앙·지방 정부 협력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저탄소 녹색도시 국제포럼

글로벌타운홀@메트로폴리탄 솔루션

2013년 정기회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오산시, 영주시, 대구광역시

2014년 정기회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2015 친환경 교통주간

간담회 군포의제21 운영위원 경북지역 지방의제21, 강원도

간담회 수원시 지역사회, 경기지역 지방의제21

생태계서비스 아시아총회(ESP)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2015

2016

MOU 체결

간담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지방의제21 실무자

+동아시아사무소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한국 회원 해외연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시흥시

한국 회원 해외연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인천 남구

이클레이 동아시아 집행위원회 회의 2016년 정기회의

서울 종로구, 강동구

이클레이 세계집행위원회 정기회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이클레이 세계집행위원회(Gexcom)정기회의 2015년 정기회의 이클레이 동아시아집행위원회(Rexcom)회의

이클레이-동북아지역자치 단체연합(NEAR)협약 체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제19회 강원환경대상 수상

이클레이 동아시아 집행위원회 회의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청주시, 태안군

회원가입/지역간담회 포항시

회원가입/지역간담회 당진시

+녹색기술센터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협약체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이전 개소

GPC 전문가회의

2016 수원시 생물다양성지역실천사업

세종시

간담회 경기도 지역순회

2016 생물다양성 경기포럼

제2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2014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안양시

2015 수원시 생물다양성지역실천사업

2015 생물다양성 강원포럼

원주시 녹색기후도시 등록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2013

2016 친환경 교통주간

이클레이 동아시아에너지 안전도시 전문가심포지엄

생물다양성 분야 자문위원 위촉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

인제군·이클레이 에너지안전도시 업무협약

2015 생태교통 페스티벌 및 세계 총회

생태교통 시프트 자문회의

한국형 녹색기후도시 업무 협약 체결

해비타트Ⅲ 기후변화대응 세계도시 시장포럼 한국특별세션 프로그램 개최

에코포럼글로벌

지방생물다양성전략 수립 및 이행 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워크숍

지역생물다양성전략활성화 방안 연구

2013 생물다양성 국제포럼(순천시)

생태교통연맹 워크숍

안산 생물다양성 국제워크숍

생물다양성협약(CBD) 제3차 세계지방정부 자문위원회의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2015 안산시 생물다양성지역실천사업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2014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간담회

베이징 공공녹색구매 워크숍 제13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2016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경기도 생물다양성지역실천사업(LAB)

CBD COP12의 성공 개최를 위한 지방정부의 노력

정 책 역 량 강 화

생태교통

제3회 액션토크 녹색공공구매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2012

소비와 생산

친환경제품 보급촉진 정책 연수

제2회 액션토크 지속가능한 도시의 에너지 정책

정 책 지 원

지속가능한 도시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의왕시, 서울 노원구

인제군

대전 유성구, 아산시

2015 이클레이 세계총회(서울시) 회원가입/지역간담회 서울 도봉구 이클레이·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협약체결

서울 은평구

이클레이 동아시아 집행위원회 회의 이클레이 세계집행위원회 정기회의


한 눈에 보는 발간자료

주 원

사업 복원 원천 행제 .1 수 소은 No 업 탄 사 시 선 광역 개 제 율 증 광주 효 인 .2 지 경 No 너 환 에 린 택 그 주 버 에

.3 No .4 No

시 산 안

No .6

No .5

울 산 광 대 역 구 시 광 경 역 태 포 No 시 화 가 .8 대 시 강 여수 No.1 중 연 복 0 지 교 시 습 원 통 속가 지역 지 사 전 능한 조 단위 용 업 생태 성 지 도시 배 사 구 N 출 o.9 구현 업 조 권거 을위 성 청주 래제 사 한서 No.11 시 업 울강 거버넌 굿거 시범 동구 스를 버넌 사업 통한 친 환경 스 생태보 구축 도시 전우 농업 수사례 사례 202 자연과 No.1 C 0프 시간의 BD CO 로젝 P12 준비 명작, 트 를 위한 순천만 CBD C 보전사 OP11&시 업 티포라이 프 정상 회의와 시 사점 No.2 유엔기후 변화협약(UNFC CC)과 지방정부 기후로드맵 No .7

강 릉 시

No.3 시장협약과 지방정부 기후로드맵 리마회의를 중심으로 한 이클레이(ICLEI)

3 4 44

발간 종류

이 클 레 이

도 시 생 물 다 양 성 20 센 13 터 생 뉴 물 스 다 레 양 터 성 CB 과 지방 지 D 방 CO 생물 정 20 부 P1 다양 14 :한 1특 생물 성전 국 집 다양 략 생 호 물 및 성과 (2 다 이행 01 지방 양 2. 성 계획 정부 12 지 (LB )번 ·한 역 SA 국 실 역 생물 천 P) 사 지침 다양 업 서 성 번역 지역 이클 실천 레이 사업 생태 교통 과지 방정 ‘이클 부 레이 소개’ (회원 가입용 책자) 세계지방 의제21 20년사 2015~2021 이 클레이 전략계 획

178

2013 59종 정기간행물: 13회(온라인 포함) 정책자료: 13종(온라인 포함) 사업자료: 33종 시 도 후 기 색 녹

업 사

2014

군 34종 창 평 , 업 정기간행물: 12회(온라인 포함) 얼 사 뉴 시 메 도 업 정책자료: 19종(온라인 포함) 후 사 기 고서 시 색 보 도 고 녹 석 사업자료: 3종 후 과보 시 기 결 R)분 릉 색 C 업 C 녹 사 강 (c 형 도시 만들기 국 록부 등 기후 한 오 도시 리 한 색 후 능 녹 기 시나 지속가 창군 위한 도시 통한 평 을 을 전 전환 시및 성보 너지 물다양 강릉 에 생 의 노력 도시 군의 지방정부 포럼: 한 인제 위 제 성국 공개최를 P12의 성 물다양 O C 생 D 3 B C 201 간담회: 성 정책 양 다 물 ICLEI 생 의 프로그램북 부 자문위원회 정 방 지 계 세 약 제3차 생물다양성협

2014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결과자료집 경기도 LAB-안산 생물다양성 국제워 크숍‘도시속의 생 명, 생물다양성 속 경기도민 의 인간’ 이 말하 는 우리 지 역의 생 경기도 물다양성 LAB( 동영상 생물다 양 지역 성 지역 생물 실천) 다양 사업 보 지역 성전 고서 략수 생물 립 다 안 양 20 내서 성전 15 략활 안산 성화 20 시 15 생물 방안 20 수 연구 다 원 15 양 2015 보고 시 성 생 서 생 지 물 역실 물 다 다 천( 양 양 LA 성 성 42종 B)사 강 지 역 원 업 실 포 결 천 정기간행물: 10회(온라인 포함) 럼 과보 (L 프 AB 고서 로 )사 ,브 그 정책자료: 12종(온라인 포함) 업 램 로슈 결 북 어, 과 ,결 보 사업자료: 20종 홍보 고 과 서 보 동영 , 고 브 상 서 로 슈 어

어 슈 로 서 ,브 고 서 보 고 과 보 과 ,결 결 북 업 램 사 그 로 B) A 프 L ( 터 럼 천 스 포 실 포 기 역 도 지 경 지 성 기 성 고서 야 양 양 이 다 과보 다 물 성 ,결 물 생 양 집 생 고서 다 시 물 자료 16 과보 원 생 수 ,결 20 세션 숲 16 료집 시 총회 자 도 20 수원 시 포럼 원 통 북 국제 교 수 그램 도시 생태 프로 녹색 13 통합 20 총회 탄소 -수원 3저 티벌 201 서 페스 과보고 교통 13 결 생태 원 20 통수 생태교 달력 생태교통 고서 솔루션 연수 보 @메트로포리탄 글로벌타운홀

LEI) 대비 이클레이(IC 비타트 Ⅲ No.5 해 회 사국총 차당 1 2 협약 회 국총 후변화 기 엔 당사 유 6 차 . 3 No 약1 6 성협 양 안내 물다 여 생 엔 참 및 7 유 획 No. 서 계 보고 사업 ’ 기 업 분석 사 상반 · ) 5 C 201 조사 GC 기~ 국 K 반 ( 자 발 시 4하 도 201 생태 후 소 무 도 기 · 사 색 한국 녹 역시 이 광 형 레 국 이클 16개 .1 -한 No 부 정 방 지 와 화 변 후 ‘기 어 슈 로 브 개 소 업 사

10년 OP21) 및 향후 차 당사국총회(C 21 약 협 화 변 후 No.4 유엔기

’ 연 그리고 도시 소식지 ‘사람, 자 레터 소 뉴스 한국사무 이클레이 기회의 원정 소회 국사무 이한 이클레

4

11 이클레이 세계 총회 프로그램 북 이클레이 세계총회 한국사무 소 결과보 2015 고서 이클레 이세 계총회 웹자 보(1 결과보 호~5 고서 호) 제4 차 지방 정부 지역 회의 기후 이 프로 변화 클 그램 레 정 이 북 책 UN 자료 효과 한 국 FC 집, 성 사 한 결과 C 제 무 국 C 고 소 보고 형 CO 방 정 서 안 책 녹 P1 국 포 색 제 9 럼 기 심포 지 :2 방 후 01 지엄 정 도 4 부 시 지 방 대 정 정 응 책 부 전 세 기 략 미 후 모 변 나 색 화 대 포 응 럼 정 책

10

2016

43종 정기간행물: 12회(온라인 포함) 정책자료: 13종 (온라인 포함) 사업자료: 18종 (온라인 포함)


12

5

13

이클레이 ICLEI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이클레이」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도시와 지

Local Governments for Sustainability

이클레이(ICLEI)는 1990년 뉴욕 UN본부에서 개최된‘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제1차 세계 지

방정부의 세계적인 네트워크입니다.

방정부 회의’에 참석한 43개국 200개 지방정부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6

한국 이클레이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이듬해, 1991년 캐나다 토론토 세계본부와 독일 프라이부르그 유럽사무소에서 활동을 시작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2002년 한국지방자치단체 국제화재단이 유치하여 설립되었습니다. 2006년부터는 제주특별자치도가 한국사무소를 유치하였고, 2012년부터 수원시가 유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거버넌스에 기초한 지역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지방정부의 실 천 파트너로서 지역의 실천과 지구적 변화를 연계하는 국제네트워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했습니다.

이클레이는 지방자치단체국제 환경협의회(ICELI;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라는 명칭으로 창

립하였으나, 2003년 세계총회

직능별 임명직 세계집행위원

Vision

Governance

Local Action Moves the World!

이클레이는 회원 지방정부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회원협의기구입니다.

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위한 세 계지방정부 이클레이’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이클레이 (ICLEI)로 약칭합니다.

지역의 실천이 지구를 바꿉니다. 이클레이는 세계이사회(Global Council)를 통해 조직을 운영합니다.

Mission

세계집행위원회(GexCom)는 국제무대에서 이클레이 회원을 대 표하며 이사회 상위 기구로서 이클레이 정책을 결정하는 권한 을 갖습니다.

Connecting Leaders! 지방정부와 세계를 연계합니다. Accelerating Action! 지역의 적극적 실천을 지원합니다.

운영위원회(Management Committee)는 세계집행위원회가 지 명하는 위원으로 구성하고 이클레이 제반 규정, 재정과 인사에 관 한 사안을 관장합니다. 9개 권역별 집행위원회(RexComs)는 각 권역의 회원을 대표하며 이클레 이의 정책기구 역할을 수행합니다.

Gateway to Solutions! 창의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전진기지로 역할을 수행합니다.

세계사무총장은 세계집행위원회가 임명하고, 이클레이 실무총괄책임자 역할 을 수행합니다.

권역별 대표 세계집행위원 권역별 집행위원


14

15

7

PARTNERSHIP

실행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지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정책을 지원해 왔습니다.

이클레이 글로벌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국제동향, 정보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제공

자료제공

프로그램 추진/지원

국제적 홍보

워크숍 등 교육

글로벌 Advocacy 지원

국내외 자문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전국 100여개 지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성과의 국내외 홍보

이클레이

정책 추진 및 지원

협력

국내 협력기관

연구기관

(사)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지속가능경영재단

한국기후변화적응센터

(재)안산환경재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재)국제기후환경센터

한국환경공단

(재)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국토연구원

기후변화대응전국협의체

한국교통연구원

에코포럼 담양

한국녹색기술센터

제7차 세계물포럼 조직위원회

전국 시도연구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사)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지속가능발전 정책 추진

국제기구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The Association of North East Asia Regional Governments ; NEAR)

네트워킹

생태계서비스파트너십

국제회의 개최, 유치, 참석 등

(Ecosystem Service Partnership ; ESP) 유엔재난경감국제전략기구

프로그램 추진

지방정부

파트너

한국형녹색기후도시

지역지속가능발전협의회

강원도, 강릉시, 평창군, 원주시

NGO

동아시아에너지안전도시 전주시, 인제군

생태교통 축제&총회 수원시

생물다양성지역실천사업 경기도, 수원시, 안산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수원시

파트너쉽

모니터링 평가자문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Risk Reduction; UNISDR) 유엔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UNSDSN)

중앙정부

유로시티스(NGO)

연구기관

주한영국대사관

국제기구

도시환경협약 (Urban Environmental Accords; UEA) 블룸버그 재단


16

8

17

국제사회와 함께가는 정책목표

9

공동 실천 과제‘한국 전략계획’

‘2015~2021 이클레이 10대 의제’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기후에너지, 생물다양성, 생

2015~2018 한국 전략계획은

HABITATⅢ의 새로운 도시의제와 그 맥락을 함께합니다. 무엇보다

태교통 3개 분야를 전략적 정책 사업으로 추진하였고,

2015년 이클레이 세계총회에서 발표한 이클레이 한국 네트워크의 정책 전략이자 실천계획입니다.

SDGs 11번 목표(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거주)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물 분야로 점차 확대해 나아

이클레이 한국 회원 지방정부는 이 전략계획을 우선과제로 책임있게 수행합니다.

를 중심으로 16가지의 세부 목표 달성를 위하여 함께 동참하고 발 맞추

가고 있습니다.

어 나갑니다.

cCR 등록 시장협약 가입

지속가능성 평가

생물다양성 도시

생물다양성

물 회복력 있는 도시 (Resilient city)

지속가능발전 도시 목표와 지속가능성 평가

지역 기후행동

한국 회원 지방정부는 지속가능발전을 행정의

지방정부는 새 국제기후체제의 실질적 참여와

기본방침으로 합니다. 그리고 지역단위 지속가

기후변화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

능성 평가를 통해 도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구

적 노력과 연계된 지역 기후행동을 확대하고

현합니다.

실천합니다.

회복력 있는 도시

저탄소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Sustainable city) 지속가능한 도시 (지역협력)

사업성과 기존 대비 10% 향상

공공구매 대상 제품범위 확대

기후 에너지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성과 10%향상 캠페인

녹색경제 실현의 대표적 수단인 지속가능한 소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구현을 위해 구체적인 정

비와 생산에 대한 지역단위의 계획을 수립하고

책과 사업을 선정합니다. 또한 실천 행동을 강

적극적으로 실천합니다.

화하여 그 성과를 10% 향상시킵니다.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 구매 참여적인 도시 (Participatory city)

지속가능한 도시

10월 UN HABITAT Ⅲ New Urban Agenda 행복, 건강, 포용적인 도시

2018

11월 국제기후체제 파리협정 발효

포용적인 도시 (Inclusive city)

이클레이 세계총회

2017

9월 UN SDGs 채택

안전한 도시 (Safe city)

한국 전략계획 성과 발표 한국 전략계획 2.0(가칭) 발표 이행 생태교통 도시

고밀도 도시 (Compact city)

2015

2015~2021 ICLEI 10대 의제

1월 2015년도 이행결과 설문조사

운영계획 마련 스마트시티

이행 점검과 성과 확산

이행

새로운 도시 의제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정책사업 분야

2016

생태교통

자원효율, 생산적인 도시

2월 회원 정기회의 라운드테이블 이행 강화 방안 논의

2월 회원 정기회의 정상 라운드테이블 한국 전략계획 초안 논의 4월 이클레이 세계총회(서울) 한국 전략계획 발표 및 이행방안 논의

‘2018 이클레이 세계총회’(6월, 캐나다 몬트리올) 에서 그간의 한국 회원 활동 성과와 이후 추진할 한국 전략계획 2.0(가칭)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18

10

19

한국 이클레이 + 지방정부의 정책실행 프로젝트

생태교통 2013 생태교통 수원 1. 생태교통 시프트 생태교통 시프트는 도시의 현재 교통 역량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향

2012년 10월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를 유치한 수원시는 2013년

상 방안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는 그 성과에 대한 검증으로 인증을

생태교통 페스티벌을 세계 최초로 개최하였습니다.

받는 일종의 생태교통 표준인증 프로그램입니다. 2010년부터 2014

그리고 9월 한 달간 행궁동 일원 약4,000명의 주민들은 개인

년까지 EU-IEE(유럽연합-유럽 지능형에너지 프로그램)의 재정적

승용차를 사용하는 대신 생태교통 이동수단을 연계 또는 이용

지원을 받아 개발된 시프트는 이클레이를 중심으로 유럽의 7개 교통

하면서‘한 달 동안, 자동차 없는 마을에서 생활하기’를 경험하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하였습니다.

였습니다. 이 사업은 이클레이, 수원시, 유엔 해비타트 간 협력의 시너지를

2. 생태교통 총회 및 세계축제

통해 이행됐으며, 수원시 교통계획의 새로운 전환점과 수원의 미래 도시 정책을 결정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생태교통 총회는 생태교통에 대한 논의와 실제 프로그램의 구현, 대 외적 홍보를 통해 생태교통을 실천하는 지방정부의 역할, 그리고 미 래의 생태교통을 위한 참여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생태교통 페스티벌은 개최 도시들이 중심이 되어 한 달간 지정 구 역을 정하고 생태교통에 대한 정책, 시설, 시민 참여 활동 등을 실현 합니다. 2011년, 창원에서 생태교통 총회가 처음 개최되었으며, 2013년부터 는 생태교통축제와 생태교통 총회가 함께 개최됩니다. 격년으로 개 최되어 수원(2013년), 요하네스버그(2015년) 이어 2017년 10월 카 오슝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3. 친환경교통주간 ‘유럽교통주간’은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 지방정부들이 지속 가 능한 도시 교통을 위해 매년 9월 16일부터 22일까지 일주일간의 캠 페인을 벌입니다. 국내에서는 이와 연계한 ‘친환경교통주간’을 통 해 하루 동안(9월 22일) 차 없는 날(Car-free Day) 시행 및 자전거 로 출근하기, 대중교통 이용 캠페인, 어린이 체험 행사, 각종 퍼포먼 스 등 지속 가능한 도시 교통을 위한 각종 활동을 일주일 간 추진합 니다. 그리고 항구적으로 자전거 도로를 위한 기반 마련과 대중교통 이용 체계를 개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2015년 우리나라의 우수사례로 선정된 부산광역시, 원주시, 서울특별시의 활동사례가 유럽교통주간 결과보고서에 함께 수록되어 전세계에 확산되기도 하 였습니다.

또한 후속 관리를 위한 수원시 조직 내 생태교통팀을 만들어내 는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하였습니다.


20

21

기후변화 1. 시장협약과 카본기후등록부(cCR)

3. 에너지안전도시(ESC)

2014년 유엔기후정상회의에서 출범한 시장협약은 세계 지방정부

에너지안전도시는 2030년까지 100%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공급

들이 지역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기후 회복력 제고, 목표달성 과

시스템 달성을 위해 동아시아 지역 내 저 위험, 안전성, 신뢰성, 회

정 모니터 등의 이행을 공약한 것으로 각 중앙정부의 기후변화 대

복력, 지속가능성을 구비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 및 에너지안전도

응노력에 지방정부가 맞추고 보완하는 역할에 합의한 결과물입니

시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이클레이 동아시아 프로그램입니다.

다. 이는 이클레이의 카본 기후등록부를 단일 플랫폼으로 하여 도

2014년 에너지안전도시 전문가 심포지움에 참가했던 국내 도시

시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완화 및 감축계획을 보고하고 매

중 전주시와 인제군이 2015년과 2016년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2

년 온실가스 감축 데이터를 공개할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합니다.

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2016년 4월 공동으로 에너지안전도시 선

우리나라에는 6개 도시가 시장협약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언을 하였습니다.

* 카본 기후등록부(cCR) : 측정 및 보고 가능하며 검증 가능한 방식(MRV) 의 지방정부 기후시책을 확인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Reporting Platform)

2014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2. 한국형 녹색기후도시(KGCC)

4. 100% 재생에너지 도시 네트워크

2. 생물다양성 지방정부 포럼 강원도는 2014년 평창에서 개최된 3대 환경협약 중 하나인 생물

녹색기후도시(GCC:Climate Green City)는 이클레이의 의제 중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세계지방정부들을 대상으로

다양성협약 제12차 당사국총회를 개최한 지방정부로 이클레이와

한국에서 열린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를 기념하고, 중

저탄소 도시 실현을 위한 지방정부에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국제적 협력 및 정보 공유 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세계 모든 이

는 당사국총회와 병행 개최된 ‘2014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

간 이행 점검을 위해 2015 생물다양성 강원포럼이 개최되었습니

이력관리, 감축계획의 수립과 지원, 사업의 이행성과 평가 및 환

해당사자들을 결합시키고, 100% 신재생에너지 비전에 대한 토의

상회의’를 함께 이끌었습니다.

다. 포럼을 통해 도출된 지방정부의 과제는 지역에 맞는 실천 중심

류, 기후활동 보고 등을 포함해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국제적

를 더욱 진보시키기 위해서 국가 및 지방수준에서 이미 존재하는

지방정부 정상회의의 중간 이행 점검을 위한‘2015년 생물다양성

의 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계획 (Local Biodiversity Strategies

인 프로그램입니다. 2013년 강원도와 강릉시, 평창군에서 2014-

실행계획을 기반으로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포럼’을 시작으로 생물다양성 지방정부포럼 정례화라는 성과

and Action Plan, LBSAP)의 마련과 실행, 시민 인식 증진 및 역

2015년에 원주시에서 추진하였습니다.

인제군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를 냈으며, 국내의 생물다양성 정책 또한 견인하고 있습니다.

량 강화, 시민 모니터링의 체계화, 모니터링 결과의 활용 방안 모 색,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유기적 협력 방안 모색입니다. 2015 생물다양성 강원포럼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네트워킹 활성화를 위

2015년 인제군 에너지안전도시

생물다양성

해 생물다양성 지방정부 포럼의 정례화를 합의하여 2016년 경기 도에서 개최하였고, 2017년 인천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인제군은 2015년 동아시아에너지안전도시 프로그램을

1. 생물다양성 지역실천사업 LAB-KOREA

3.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기반으로 인제군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수요절감의

이클레이는 2006년 도시생물다양성센터(CBC)를 주축으로 세계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 대책 ‘2045 제로 에너지 자립화

자연보전연맹(IUCN)과 공동으로 생물다양성 지역실천(LAB:Lo-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 회의에서

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에너지 정

cal Action for Biodiversity) 선도 프로그램을 출범하였습니다.

채택된 3대 국제협약 중 하나로 196개국(EU포함)의 협약에 가입

책을 추진할 것임을 공표하였습니다. 또한 100% 재생

LAB 프로그램은 지방정부가 주최가 되는 유일한 실천 중심의 국

한 당사국이 모여 격년으로 총회를 개최합니다. 이클레이는 당사

에너지 도시네트워크의 가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더

제 지방정부 생물다양성 파트너십 프로그램으로 CBC와 생물다양

국총회 와 병행 개최되는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를 조직해오고

욱 확고한 의지를 표명하고, 지역 활동의 동력을 마련

성 전문가가 협력하여 지방정부의 생물다양성 정책과 사업을 지원

있으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2014년 강원도와 협력 개최하였

하였습니다.

할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선도적인 생물다

고, 2016년 멕시코 칸쿤에서 개최된 정상회의 국내 지방정부 참여

인제군은 2015년 생물다양성을 위한 더반서약 서명 등

양성 관리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합니다.

를 지원하였습니다.

이클레이와 함께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활

2014년 경기도, 2015년 안산시와 수원시, 2016년 수원시(2차년

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도)가 LAB-KOREA를 추진하였습니다.

통해 지역 전반을‘100% 재생에너지체계’로의 전환 가 능성을 타진해 보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습니다. 이를


22

23

11

국제사회와 지방정부의 연결고리 ‘한국 이클레이’

이클레이 한국사무소는 국내외의 주요 국제회의에서 지방정부 회의를 주관하면서 전 세계 지방정부의 의견을 모으고, 서로의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었으며, 논의의 결과가 국가 및 국제사회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역할을 주도하였습니다.

1

3

지방정부의 국제회의 참여 지원

지방정부의 목소리, 국제사회에 전달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

미래를 위한 UN관련 회의와 지속가능한 도시를 주제로 하는 국제회의 참여를 지원하고 연결합니다.

국제회의에 참여해 지방정부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주요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지방정부의 이행 결과 공유와 홍보 및 발표기회를 마련

1. UN회의 의사결정 과정에 지방정부의 목소리를 전달합니다.

2. 세계 지방정부와 관련 국제기구와의 대화의 장 마련

2. 국제회의의 결정된 내용을 지방정부에 전달합니다.

3. 이클레이와 함께 세션의 공동주관 지원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UN 헤비타트Ⅲ,

유엔총회,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생물다양성협약 당사

회복력 있는 도시 총회, 메트로폴리탄 솔루션 회의,

국 총회, 해비타트Ⅲ 결과문서 채택과정 등

제13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총회 지방정부 정상회의 등

2

4

지방정부의 국제회의 주관

국제적 캠페인에 지방정부 참여 제7차 세계물포럼‘지방정부과정 회의’

이클레이의 국제회의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세계회의 주관을 지원합니다.

기후·에너지 전환을 위한 글로벌 시장협약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시장들의 의사 표명을 제안하고 활동을 지원합니다.

1. 국제회의에서 논의된 내용들의 정리와 확산을 지원합니다.

1. 국제적 캠페인 동참을 위한 가입과 활동 및 네트워크를

2. 지방정부의 참여를 지원합니다.

지원합니다.

2013 생태교통 수원총회, 2013 생태교통 수원, 제7차 세계물포

생물다양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더반서약, 기후·에너지 전환을 위

럼 지방정부 과정 회의, 이클레이 세계총회, 제12차 생물다양성

한 글로벌 시장협약, 100% 재생에너지 네트워크, 녹색구매 선도

당사국 총회의 생물다양성 세계지방정부 정상회의 등

구매도시 네트워크 등


24

25

12

이클레이에 가입한 세계지방정부

전 세계 100여개국 1,500여개 지방자치단체가 가입되어 있으며, 15개국 280여명의 직원들이 일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 관련 세계 최대의 네트워크입니다. 세계본부 독일 본

한국사무소 대한민국 수원

동아시아 사무소 대한민국 서울

캐나다 사무소 캐나다 토론토

남아시아 사무소 미국 사무소

인도 뉴델리

17

카오슝 역량개발센터

미국 오클랜드

대만 카오슝

브뤼셀 사무소

일본사무소

벨기에 브뤼셀

사무소

일본 도쿄

유럽 사무소 독일 프라이부르크

100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사무소

남아시아 남부사업소

동남아시아 사무소

멕시코 멕시코시티

인도 하이데라바드

필리핀 마닐라

국가

인도네시아사무소 아프리카 사무소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1,500

이클레이 활동은 전세계

25%

25%의 인구와 함께 합니다.

남아메리카 사무소 브라질 상파울로

오세아니아 사무소 지방정부

호주 멜버른

이클레이 회원이 되면 1

2

3

4

5

국제 캠페인 및 프로젝트 참여 기회

지속가능발전 정책의 국제적 위상 제고

국내외 도시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확대

국제 동향 및 정보 제공

국제회의 참가 지원

이클레이에서 진행하는 각종 정책 캠페인 및

회원 도시는 지속가능발전 정책의 성과를 사

이클레이 회원은 한국사무소를 통해서 국내

이클레이 온라인 뉴스레터「iNews」(지속

이클레이에서 주관하거나 협력으로 개최되

한국 회원 도시는 회원 역량 강화 차원에서

프로젝트에 회원도시 참여 기회를 제공 받을

례연구시리즈와 같은 정책 자료 및 이클레이

외 회원 도시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가능발전 동향 소개, 관련 회의 안내 및 결과

는 국제회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진행되는‘이클레이 도시 해외연수 프로그램’

수 있습니다. 또한 회원 도시의 주요 시책사

컨퍼런스, 이클레이 관련 국제행사를 통해 홍

있게 됩니다. 이는 세계 각국에서 개최되는

소개)를 정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으며 이클레

또한 참가등록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의 참가 경비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

업에 관한 정책 수립 및 평가, 자문 워크숍,

보하고 공유합니다. 이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워크숍, 세미나, 컨퍼런스에 참여함으로서 국

이 한국사무소에서 발간하는 각종 출판물들

있습니다.

다.

국제포럼 개최 등에 있어 이클레이 한국사무

인정받을 수 있으며, 보다 책임 있는 정책 추

제적인 네트워크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지속

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웹사이트를 통

소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진을 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가능발전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또한 이끌어

해 지속가능발전 우수사례 및 연구보고서 등

※ 일부 국제회의에서는 참가비에 대해 회원

내고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할인 적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26

27

13

14

한국 이클레이 회원

강동구, 도봉구, 노원구 서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한국 이클레이 사람들

박연희

소장

강정묵

정책정보팀장

김구원

대외협력실장

조윤진

전략사업팀 담당관

심현민

사무국장

고혜진

정책정보팀 담당관

김하나

전략사업팀장

최민욱

정책정보팀(행정파견)

서울, 인천(10)

저는 지난해 10월부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에서 회원관리, 홍보, 그리고 녹

강원도(7)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종로구, 인천남구

색구매를 담당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와 함께 일을 시

강원도 강릉시, 원주시, 정선군

가평군, 과천시, 김포시, 남양주시 부천시, 수원시, 성남시, 시흥시

작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평창군, 횡성군, 인제군

지역적 움직임에 큰 감동을 받았고, 저 또한 큰 꿈과 열정을 갖고 지속가능

경기권(13)

발전에 기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한국 지방정부가 전 세

경기도

안산시, 안양시, 오산시, 의왕시

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선도할 그 날을 기대하며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와 지방정부의 열정에 함께 동참하겠습니다!

경상권(9)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계룡시, 당진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태안군, 아산시, 유성군

전략사업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충청권(11)

정책정보팀

구미시, 영주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창원시, 하동군, 포항시

담양군, 순천시

전라권(5)

여수시, 전주시

광주광역시

제주권(2)

5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회원지방정부 12개 광역시도+ 45개 기초자치단체

기후에너지

생물다양성

생태교통

소비생산

회원관리

역량강화

커뮤니케이션

거버넌스

KGCC

LAB

친환경교통주간

GPP_10YFP

회비

회원해외연수

뉴스레터

겍스콤

cCR

연례 포럼

시프트

회원가입

정책브리프

홈페이지

렉스콤

시장협약

LBSAP

생태교통연맹

간담회

사례연구

SNS

WS,EAS

100%RE

CBD COP

정기회의

국제회의지원

인트라넷

지속협

TAP

ESP회원활동

UNFCCC COP 회복력

보고서 NAS,출판물


세계본부

인도네시아사무소

독일 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iclei@iclei.org

iclei-indonesia@iclei.org

카오슝 역량개발센터

유럽 사무소

대만 카오슝

독일 프라이부르크

iclei-kaohsiung@iclei.org

iclei-europe@iclei.org 브뤼셀사무소

동아시아 사무소

벨기에 브뤼셀

대한민국 서울

brussels-office@iclei.org

iclei-eastasia@iclei.org

미국사무소 미국 오클랜드

한국사무소

iclei-usa@iclei.org

대한민국 수원 iclei.korea@iclei.org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사무소 멕시코 멕시코시티

남아시아 사무소 인도 뉴델리

iclei-mexico@iclei.org

iclei-southasia@iclei.org

동남아시아 사무소 필리핀 마닐라 iclei-seasia@iclei.org

캐나다사무소

남아시아 남부사업소

캐나다 토론토

인도 하이데라바드

iclei-canada@iclei.org

오세아니아 사무소

iclei-southasia@iclei.org

호주 멜버른 iclei-oceania@iclei.org

남아메리카 사무소 브라질 상파울로

아프리카 사무소

일본사무소

iclei-sams@iclei.org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일본 도쿄

iclei-africa@iclei.org

iclei-japan@iclei.org

발행인 박연희

(16429)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 더함파크 320호

발행일 2016. 12. 31

T. 031-255-3257 F. 031-256-3257 E. iclei.korea@iclei.org

발행처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www.icleikorea.org / www.iclei.org

디자인 메소드액터

www.facebook.com/ICLEI.KOREA.ORG

COPYRIGHT@이클레이 한국사무소. All Rights Reserved.

instagram@iclei.korea

www.twitter.com/ICLEIKOREA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