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tional Korean Gardens

Page 1



“한국의 전통정원” 조선시대 대표적인 전통정원을 중심으로


T


Traditional Korean Gardens Representative Gardens of the Joseon Period


CONTENTS

궁궐 정원 Palace Gardens

별서 정원 Rural Villa Gardens

010

창경궁 Changgyeonggung Palace

044

담양 소쇄원 Soswaewon Garden in Damyang

016

창덕궁 Changdeokgung Palace

050

보길도 윤선도 원림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036

경복궁 Gyeongbokgung Palace

056

강진 정약용 유적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062

담양 명옥헌 원림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068

화순 임대정 원림 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072

남원 광한루 Gwanghallu Garden in Namwon

078 영양 서석지 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084

예천 초간정 원림 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주택 정원 Home Gardens

서원 정원 Seowon Gardens

사찰 정원 Temple Gardens

090

구례 운조루 Unjoru Pavilion in Gurye

144

안동 도산서원 Dosanseowon in Andong

168

순천 송광사 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096

함안 무기연당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150

안동 병산서원 Byeongsanseowon in Andong

174

순천 선암사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102

강릉 선교장 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156

경주 옥산서원 Oksanseowon in Gyeongju

179

참고문헌 References

108

강릉 오죽헌 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162 영주 소수서원 Sosuseowon in Yeongju

114

강릉 임경당 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120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126 안동 하회마을 Hahoe Village in Andong 132

순천 낙안읍성 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138

경주 양동마을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발간사 한국은 오랜 정원 역사와 함께 매우 다양한 정원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경주의 안압지와 창경궁과 창덕궁의 후원 은 세계인이 주목할 만한 명소이며, 보길도의 윤선도 원림과 담양의 소쇄원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정원입니다. 한국의 전통정원 은 대부분 건축물과 수 공간, 식물 등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중국, 일본의 정원과는 다르게 자연에 순응하여 조화를 이루려는 조상의 지혜가 반영된 공간으로서 그 보존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한국의 전통정원은 시대별로 사상적 배경에 따라 조성목적, 향유계층, 공간의 의미가 다르고, 정원을 구성하는 식물과 조경형식 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최근까지 한국의 전통정원은 일반적으로 건축사적 관점, 유적지 또는 문화재의 테두리 안에서 해석 하고 관리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전국에 산재된 다양한 형태의 전통정원 내 식재된 식물의 보존과 관리가 소홀하여, 조성 초기 식재식물의 종류, 배치 등이 일부 훼손되기도 하고, 훼손된 식물이 원래 식물로 대체되지 못하여 당초 정원 조성 시 식재했던 식물과 공간이 가지는 의미가 퇴색되는 안타까운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립수목원에서는 2010년부터 「수목원에 적용 가능한 한국 전통정원 조성에 관한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전통정원에 식재된 식물의 배치와 흔적을 옛 그림과 고서에 남겨진 기록을 찾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어떤 사상과 이념을 가지고 각 정원의 식물을 선정하고 도입하였는지, 정원의 한 구성요소로서 식물이 시대적으로 갖는 다양한 의미와 연계성이 무엇이 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는 전통정원의 모습을 제대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사진자료와 함께 현재 존재하고 있는 식물들을 정확하게 동정하였고 「국가표준식물목록(산림청)」을 참고하여 기록하였습니다. 「한국의 전통정원」 화보집은 총 26개소의 전통정원을 궁궐 정원, 별서 정원, 주택 정원, 서원 정원, 사찰 정원 등으로 유형을 구분 하고, 정원별 전체 이미지, 각 정원 안에 심겨진 식물의 종류와 배치, 식물이 가지는 의미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발간되는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화보집은 지난 2011년 발간되었던 「한국의 전통정원」 화보집을 수정· 보완하여 외국에서도 한국의 전통정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글과 영문을 병행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향후, 국내·외 수목 원· 식물원에서 한국 전통정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전통정원의 공간구성, 식물 선정, 배치기법 등에 녹아 있는 한국 고유의 전통 성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 한국 전통정원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한국 전통정원에 관심 있는 분들과 한국 정원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끝으로 이번 화보집이 발간될 수 있도록 지난 3년간 전국에 산재해 있는 전통정원을 정밀하게 조사하고 정리하는데 수고해 주신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직원 여러분은 물론 사진촬영과 자료제공, 안내 등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모든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2012년 10월 국립수목원장 신 준 환


Preface Korea has a wide range of garden types to go along with its long history. Anapji in Gyeongju and palace gardens in Changgyeonggung and Changdeokgung are internationally renowned attractions, and the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and Soswaewon Garden in Damyang are fine examples of traditional gardens in Korea. Traditional Korean gardens have very high preservation value as they are arranged in balance with surrounding buildings, bodies of water and plantlife, reflecting the ancestral wisdom of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unlike those in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the period or ideology, traditional Korean gardens differed widely not only in the types of planted speci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but also in their creative purpose, definition and meaning of space, and in the social class of those meant to enjoy the gardens. Till these days, however, these gardens usually have been interpreted and maintained only as artifacts of architectural history, historical sites, or cultural assets. For that reason, plants in these various gardens across the country were often poorly preserved and maintained, with some damaged and never replaced, and many gardens lost their original value 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ose plants and spa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conducted its research on the discovery and analysis of the species and arrangement of plants in traditional gardens through the records of old paintings and books as a part of the "Project on the cre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s applicable to arboretums" starting in 2010. We studied ancient ideology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garden plants, as well a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and significance of different plants used as part of each garden. Also, for the purpose of proper documentation of well-preserved traditional gardens, we also recorded living plants along with their photographs through precis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referring to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from the Korea Forest Service. This book classifies 26 traditional gardens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palace gardens, rural villa gardens, home gardens, seowon (Confucian academy) gardens, and temple gardens, and provides images of each garden, as well as explaining the significance of each plant. This newly published "Traditional Korean Gardens" was written in english along with Korean for helping foreigners to understand Traditional Korean Gardens easily. We hope this book may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future domestic/foreign arboreta or botanical gardens that plan to recreate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to apply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space arrangement, plant selection and placement to their spaces so that this book will help more traditional gardens to flourish and contribute to people's understanding of their true meaning and beauty. We also expect that this book would be useful for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and study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s. Lastly, we would like to thank all the people who helped in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including the staff in the Division of Horticulture & Educa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who examined and documented gardens dotted around the country as well as others who aided us through photographs, data and as tour guides.

October, 2012

Joon Hwan Shin, Ph.D. Director General Korea National Arboretum


“한국의 전통정원”

조선시대 대표적인 전통정원을 중심으로

Traditional Korean Gardens

Representative Gardens of the Joseon Period

발행일 | 2012년 10월 5일 발행처 | 국립수목원 발행자 | 국립수목원장 신준환 집 필 | 진혜영, 송정화, 권영한, 김성식, 안태현, 신현탁 사 진 | 이정근 디자인 | 김미란 출 판 | 도서출판 애드밴 주 소 | (우)100-240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2길 80 (주자동)

전화: 02) 2264-8494 팩스: 02) 2264-8495 E-mail: regio21@naver.com

Ⓒ 국립수목원 2012 정 가 | 35,000원 이 책에 실린 모든 글과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으며 무단복재나 전제를 금합니다.

Publishing date Publishing Publisher Authors Photographer Design

October 5, 2012 Korea National Arboretum Joon Hwan Shin Hye-Young Jin, Jeong Hwa Song, Yeong-Han Kwon, Sung Sik Kim, Tai-Hyeon Ahn, Hyun Tak Shin Jung Keun Lee Mi Ran Kim

Publishing House Advan Publishing Inc. Address 80, Samil-daero 2-gil, Jung-gu, Seoul 100-240, Korea Tel: 02) 2264-8494 Fax: 02) 2264-8495 E-mail : regio21@naver.com Copyright Ⓒ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Publications Registration Number: 11-1400119-000153-01 ISBN: 9788996581314 03520 Price: Krw 35,000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mechanical, photocopying, recording or otherwise, without the prior permission.


궁궐정원

Palace Gardens 창경궁_Changgyeonggung Palace 창덕궁_Changdeokgung Palace 경복궁_Gyeongbokgung Palace


궁궐정원_Palace Gardens

창경궁 昌慶宮 Changgyeonggung Palace

01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경궁*Changgyeonggung Palace

조선시대 궁궐 중 유일하게 동쪽을 향해 지어진 창경궁은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하였으며 사적 제123호로 지정되어 있다. 창덕궁 후원 영역은 왕실의 휴식을 위한 금원의 성격이 짙은 반면, 창경궁 후원 영역은 국가적 행사를 위한 개방적 공간으로 성종 10년(1479년) 친잠과 친경을 위해 조성된 이래로 조선의 궁궐 중 가장 많은 정치적 행사를 수용하는 공간이었다. 저지대에는 논, 밭, 저수지, 어구, 백연담(11개의 논을 위한 농업용 저수지로 이용) 등이 조성되었으며, 배후의 산에는 산뽕나 무, 단풍나무, 소나무(담장을 따라 차폐 식재)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 Changgyeonggung, located in Jeongno-gu, Seoul, is the only palace that faces east among those in the Joseon Dynasty. While the garden of Changdeokgung was closed to public for the recess of the royal family, the garden of Changgyeonggung was an open place, where a great number of national events were held during the Joseon era after its construction with the added express purpose of chinjam (ceremony of silk farming) and chingyeong (ceremony of rice farming) in the 10th year of King Seongjeong (1479). Rice paddies, crop fields, a brook and a reservoir for agricultural purposes were made in the lowlands, and mulberry trees for silkworms, maples and pines (in the form of screen planting along the wall) were planted in the rear mountai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11


❽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❾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❿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소나무, Pinus densiflora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궁궐정원_Palace Gardens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조릿대, Sasa borealis 주목, Taxus cuspidata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❶ 개나리, Forsythia 회화나무,koreana Sophora japonica ❷ 좀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❹ 매실나무, Prunus mume ❺ 뽕나무, Morus alba

Changgyeonggung Palace

❷❽❿

Tongmyeongjeon

❻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❼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Gyeongchunjeon

Hwangyeongjeon Yeongchunheon

Haminjeong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홍화문권 Honghwamun Gate Area

❸ Jipbokheon

❶❼❽

소나무, Pinus densiflora

홍화문권

Yanghwadang

❽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❾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❿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Honghwamun Gate Area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Sungmundang Myeongjeongjeon

조릿대, Sasa borealis 주목, Taxus cuspidata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Myeongjeongmun gate

❺ ❷❽❿

Tongmyeongjeon Yanghwadang

홍화문권 Honghwamun Gate Area Gyeongchunjeon

❸ 2

❹❾

❹ Honghwamun gate

❾ Jipbokheon

❶❼❽

1

Hwangyeongjeon Haminjeong

Yeongchunheon

Sungmundang Myeongjeongjeon

1_ 협문 Side door 2_ 팔각칠층석탑 Octagonal seven-storied stone pagoda Myeongjeongmun gate

❹❾

eongjeon

Yanghwadang

❸ Jipbokheon

on Yeongchunheon

01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Myeongjeongmun gate

❹❾

Honghwamun gate


창경궁*Changgyeonggung Palace

Honghwamun Gate Area

홍화문권

1 2 1_ 옥천교 Okcheongyo bridge 2_ 주목 Taxus cuspidat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13


❹❾ Botanical garden

춘당지권 Chundangji Pond Area

궁궐정원_Palace Gardens

❻❿ ❷

❻ ❶ ❼❹❾

❻❿

❿ Chundangji pond ❻

❸❺

Changgyeonggung Palace

❻❿

❿ Chundangji ❸❻❿ pond

Gwandeokjeong

❻❼ ❶

Botanical garden

❻❿ ❷

Gwandeokjeong

❻❼ ❶ Palace office

Chundangji Pond Area

❸❺ Wolgeunmun gate

춘당지권

❸❻❿ Palace office Wolgeunmun gate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❶ 갈참나무, Quercus aliena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❷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말채나무, Cornus walteri

❸ 귀룽나무, Prunus padus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연꽃,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Nelumbo nucifera

❹ 좀주목, ❶ 갈참나무, QuercusTaxus aliena cuspidata var. nana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때죽나무, Styrax 반송, japonicus 소나무, Pinus densiflora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말채나무, Cornus백목련,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❷ 개나리,❺Forsythia koreana walteri Magnolia denudat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미선나무, Abeliophyllum 백송, Pinus distichum bungeana

❸ 귀룽나무, ❻ 느티나무, Prunus padus Zelkova serrata ❹ 좀주목,❼Taxus cuspidata nana 능수버들, Salixvar. pseudolasiogyne

연꽃, Nelumbo nucifera주목, Taxus cuspidata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백목련, Magnolia복자기나무, denudata Acer triflorum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백송, Pinus bungeana 주목, Taxus cuspidata

❺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amurensis japonica ❽ 다릅나무, Maackia ❻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춘당지권 Chundangji Pond Area

❾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뽕나무, Morus alba

❼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❿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❽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산딸나무, Cornus kousa 복자기나무, Acer triflorum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Acer pseudosieboldianum 뽕나무, Morus alba Rhododendron yedoense f.함박꽃나무, poukhanense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❾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Magnolia sieboldii Pyrus pyrifolia Prunus armeniaca var. ansu 회양목, Buxus koreana ❿ 단풍나무, 돌배나무, 산딸나무, Cornus살구나무, Acer palmatum kous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당단풍나무,

산철쭉,

❹당단풍나무, ❾ Acer pseudosieboldianum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1

회양목, Buxus koreana

Botanical garden

2

1_ 백송수피 Bark of Pinus bungeana 2_ 백송 ❽ Pinus bungeana

❻❿ ❷

❻ ❼

❿ Chundangji pond

❻❿

Gwandeokjeong

❻❼ ❶

❸❺ ❸❻❿ Palace office Wolgeunmun gate

01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❶ 갈참나무, Quercus aliena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말채나무, Cornus walteri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❸ 귀룽나무, Prunus padus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연꽃, Nelumbo nucifera


창경궁*Changgyeonggung Palace

1

2

3

4

1_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2_ 황철나무 Populus maximowiczii 3_ 연리지(느티나무+회화나무) Zelkova serrata and Sophora japonica 4_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15


궁궐정원_Palace Gardens H

G

I

F

E

D

A C

B

동궐도(東闕圖)_창덕궁과 창경궁을 순조 30년(1830) 이전에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그림으로 583㎝ x 274㎝ 크기에 16첩 병풍으로 꾸며져 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국보 제 249호 Donggweoldo _ Album of paintings of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on a folding screen(byeongpung). The author is presumed to be a royal painter from Dohwaseo. With a width of 583cm and a height of 274cm is stored in Korea University Museum. National treasure number 249.

창덕궁 昌德宮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은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한 사적 제122호로, 태종 5년(1405)에 하나의 별궁으로 세워졌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왕조 가장 중심이 되는 정궁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옛 성현들의 정원 조성 방법을 보여주는 후원은 숲, 연못, 정자들이 배치되어 역사적으로나 건축사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창덕궁 일대는 자연의 순리를 존중하여 자연과의 조화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문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장소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고문 헌을 참고로 하면 궁궐에는 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472호)와 같은 상징적 수목에서부터 경관 혹은 관상을 목적으로 한 영산홍, 모란과 같은 화관목과 원추리, 옥잠화 같은 초화류를 식재하였다. 그 외 음나무는 식용 혹은 약용 목적으로, 밤나무는 위패 제작에, 뽕나무(천연기념물 제471호)는 양잠, 쉬나무는 등잔불 기름으로, 황벽나무 는 염료, 약재, 살충제 등으로 쓰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식재하였다. 또한 취병과 병풍이 곳곳에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져서 취병의 제작방법과 재료에 대해서는 밝혀 진 바가 없다. 전나무 두 그루가 마주보고 식재되어 있는 춘당대는 문·무과시험, 군사훈련, 시사, 망배례, 연희 등 주요 행사장의 경계에 식재한 것으로, 이러한 대식 (對植)은 주로 강학공간이나 의례공간에서 보이는 식재패턴인데, 음양사상과 함께 질서와 정형성을 부여한다.

01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인정전_창덕궁의 정전(政殿)으로 왕의 즉위식, 외국 사신의 접견 등 국가 중요 행사가 행해진 곳이다. Injeongjeon_Important national events were held at Injeongjeon.

* Changdeokgung, located in Waryong-dong, Jongno-gu, Seoul, was constructed as one of the auxiliary palaces in the fifth year of King Taejong (1405), and became to play a role as the primary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1592-1598). Its secret garden, consisted of woodland, pond and pavilions, retains a high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alue. Changdeokgung area,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represents the features of Korean culture based on harmony with nature. An old document indicates that symbolic trees were planted in the palace including Sophora japonica (472th Natural Monument), flowering trees such as Rhododendron indicum and peony trees, as well as flowering plants such as day lilies and hostas for landscape beauty. With more pragmatic purpose, Castor aralia were planted for edible and medicinal use, along with chestnut trees for making ancestral tablets, mulberry trees (471th Natural Monument) for silkworm farming, Korean evodia trees for lamp oil, and amur cork trees for dye, medicine and pesticide. In Chundangdae, two needle firs face each other, which were planted as a mark of the main venue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military training, feasts, etc. This kind of planting is usually seen in places for education and ritual, which symbolize order as well as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17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돈화문과 회화나무 Donhwamun Gate and Sophora japonica

돈화문권 Donhwamun Gate Area

1단(1 st:) ❻❿ 2단(2nd:) ❿ 3단(3th:) ❶ 돈화문권 Donhwamun Gate Area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❷ ❷

❷ 좀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1단(1 st:) ❻ ❿ )❿ 2단(2nd:Daejojeon 3단(3th:) ❶

❹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❶ 감나무, ❺ 매실나무, Diospyros kaki Prunus mume ❷ Paeonia 좀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❻ 모란, suffruticosa

❷❷ ❷ Huijeongdang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Daejojeon

❼ 무궁화, Hibiscus syriacus

Seonjeongjeon

❹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❽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❺ 매실나무, Prunus mume ❾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Injeongjeon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❿ 반송, f. multicaulis ❼ Pinus 무궁화,densiflora Hibiscus syriacus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붓꽃, Iris sanguinea

복사나무, Prunus persica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붓꽃, Iris sanguine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소나무,산철쭉, PinusRhododendron densiflora yedoense f. poukhanense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옥잠화,소나무, densiflora HostaPinus plantaginea Prunus fulva tomentosa 원추리,앵도나무, Hemerocallis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❹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❺ 매실나무, Prunus mume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조릿대, Sasa borealis

❿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Injeongmun gate ❸ ❸ ❺ Jinseonmun gate ❸ ❸ ❸❸ ❺ Jinseonmun gate ❼ ❸ 1단(1 st:) ❻ ❿ ❸ ❹2단(2nd:) ❿ ❼ ❼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Daejojeon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Huijeongdang

1단(1 st:) ❻ 2단(2nd:) ❻ ❾ 3단(3th:) ❾

Seonjeongjeon Injeongjeon

Nakseonjae

Donhwamun gate

향나무,철쭉, Juniperus chinensis

한국의 전통정원 018 ❼ 무궁화, Hibiscus syriacusTraditional Korean Gardens ❽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❾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❹ 3단(3th:) ❶ Donhwamun gate ❼ ❷❷ ❷

fulva 조릿대, SasaHemerocallis borealis 원추리,

❷ 좀주목, Taxus cuspidata var. nan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Seongjeonggak ❺

Injeongmun gate

Elaeagnus umbellata 산수유,보리수나무, Cornus officinalis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Injeongjeon

1단(1 st:) ❻ 2단(2nd:) ❻ ❾ 3단(3th:) ❾

Seongjeonggak ❺

Seonjeongjeon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❽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보리수나무, ❾ 미선나무, Elaeagnus umbellata Abeliophyllum distichum ❿ 반송,Prunus Pinus densiflora 복사나무, persica f. multicaulis

돈화문권 Donhwamun Gate Area

Huijeongdang

1단(1 st:) ❻ 2단(2nd:) ❻❾ 3단(3th:) ❾

Seongjeonggak ❺

Nakseonjae

❺ ❺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L . _Ⓐ 16면 <동궐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회화나무는 한자로 괴(槐)라 표기되는데, 괴목은 느티나무를 의미하기도 하여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본디 회화나무는 중국이 원산인 나무라 수입이나 번식 등이 비교적 까다로웠을 것인데, 이를 대체하면서도 회화나무처럼 나무 모양이 품위있고 장수하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느티나무를 심으면서 이를 괴목이라 혼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즉, 중국에서 괴는 회화나무를 의미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느티나무와 혼용했을 것이다.

The Chinese word representing Sophora japonica also indicates Zelkova serrata, so there has been controversy among researchers over which tree the word indicates. As the two trees are alike in their elegant shape and longevity, Zelkova serrata which is native to Korea was probably called Sophora japonica. In short, the word most likely refers to Sophora japonica in China, but both Sophora japonica and Zelkova serrata in Korea.

회화나무를 상서로운 나무라 하여 매우 귀히 여겼으며, 주(周)나라 때 궁정(宮廷)에 홰나무 세 그루를 심어 놓고 삼공(三公)의 자리로 삼았는 데, 후대에 내려오면서 이를 본받아 왕궁(王宮)에 이 나무를 많이 심어 궁괴(宮槐)라는 말이 나왔다.

"Sophora japonica was deemed auspicious and the Zhou Dynasty planted three Sophora japonica in the royal court and gave them government posts. Since then, a lot of Sophora japonica were planted in the court and some called them 'ghosts of the court'"

- 주례(周禮), 추관(秋官) 조사(朝士)

Rites of Zhou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19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느티나무(좌) Zelkova serrata (left) 능수버들 (중) Salix pseudolasiogyne (center) 느티나무(우) Zelkova serrata (right)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son (Willow Tree)_Ⓑ Ⓒ 16면 <동궐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버드나무는 한자로 류(柳)라 표기되는데, 사료에 나타나는 버드나무류는 버드나무, 왕버들, 능수버들이 대부분이며, 예로부터 계류 가나 연못 주변에 가장 흔히 심겨 정자목이나 풍치수 등으로 쓰여 문인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성종실록에 의하면 창경궁이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버드나무를 식재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는 동궐도에서도 나타난다.

Most willow trees in historical data are Korean willows, glandulosa willows and Korean weeping willows. Traditionally, they have been planted around brooks, ponds and pavilions to create beautiful scenery and were beloved by writers. According to Annals of King Seongjong, willow trees were planted to make the palace invisible from outside, and are also depicted in the painting "Donggweoldo."

“지금 내가 애매(曖昧)한 말을 듣고 있다. 내 생각은 버드나무같이 쉽게 자라는 나무를 섞어 심어서 바라보이는 곳을 가리어 막고자 하는데, 이제 공조(工曹)에서 과목을 심기를 청하니, 이는 나의 본의가 아니다. 외간에서 들으면 반드시 나를 원지(園池)에 나무를 심어서 관상(觀賞)을 좋아한다고 할 것이니, 이와 같이 되면 애매함이 없겠는가? 장원서 노예(掌苑署 奴隸)로 하여금 버드나무를 빨리 심게 하라.”

"I intended to plant willow trees to prevent people from looking into the palace from the outside, as they grow well. But now officials ask me to plant fruit trees, which is against my will. People might think that the king plants trees in the royal court for his own pleasure. If so, wouldn't it be totally misleading? Have public slaves plant willow trees as soon as possible." - 성종실록, 성종 15년(10월16일)

Annals of King Seongjong (on October 16 in the 15th year of King Seongjong)

02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L . (Chinese Juniper)_Ⓓ 16면 <동궐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향나무는 향이 부정을 제거하고 정화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제사와 관련된 곳에 많이 식재하였다.

The scent of Chinese juniper was believed to remove and purify bad luck, so it was planted in many religious place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21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1 1_ 대조전 Daejojeon 2_ 대조전 후원 화계 Hwagye (flower stairs) in Daejojeon

02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2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hunb (Manchu Cherry )_Ⓔ 16면 <동궐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중국 화북지방이 원산인 앵도나무는 꾀꼬리가 먹으며[鶯] 복숭아와 비슷한[桃]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세종과 성종은 앵도를 무척 좋아하였는데, 앵도를 좋아하는 아버지를 위해 문종은 후원에 앵도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The Manchu cherry is native to China, and the name means nightingale and peach as its fruits are eaten by nightingales and similar to the peach in shape.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in Joseon Dynasty liked the fruit very much and King Munjong, according to record, planted the tree for himself in the court garden for his father, King Sejong.

후원(後苑)에 손수 앵도[櫻桃]를 심어 매우 무성하였는데 익은 철을 기다려 올리니, 세종께서 반드시 이를 맛보고서 기뻐하시기를, “외간(外間) 에서 올린 것이 어찌 세자(世子)의 손수 심은 것과 같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Donhwamun Gate Area

돈화문권

The Manchu cherry King Munjong planted for himself grew thick and its fruit, after ripening, was delivered to his father, who tasted it and rejoiced, saying, "How can I compare the cherries my son grew for himself to other cherries?" - 문종실록, 문종 2년(5월14일)

Annals of King Munjong (On May 14 in the second year of Munjong)

2

1 1_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2_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3_ 모란 Paeonia suffruticosa

4_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5_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6_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4

3 5

6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23


궁궐정원_Palace Gardens 부용지 Buyongji Pond 부용지는 직사각형 연못으로 수원은 지하에서 솟아오르며 비가 올 때는 서쪽 계곡의 물이 용두의 입을 통하여 입수하게 되어있다. 출수는 동쪽 영화당 쪽으로 나가게 되어 있고, 북쪽 경사 지형을 따라 여러 단의 화계를 두어 아래쪽의 어수문을 통하여 계단을 오르게 되어 있다. 동궐도에 나타나는 취병은 훼손되어 없어 졌으나 근래 들어서 대나무 틀을 짜고 이대를 심어서 재현하였다. Changdeokgung Palace

Buyongji Pond Area

부용지권

Buyongji is a rectangular pond whose water comes either from underground or, when the level of the pond rises from rain, from the west valley through the mouth of the dragon statue at the edge of the pond. The water goes out to Yeonghwadang building in the east, and along its northern slope, there are several flower beds and a set of stairs behind Eosumun gate. A wooden fence, which is shown in "Donggweoldo," was destroyed, but recently restored by using bamboo trees and reeds.

원도 Wondo 방지의 내 섬인 원도는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는데, 각각 다른 수종이 식재되어 있어 원도에 특별한 수종만이 식재되지는 않았다. 『궁궐지』에 의하면 부용지의 원도에 버드나무가 심어져 있었고, 동궐도에 의하면 작은 침엽수가 심어져 있으나, 지금의 소나무 및 주목과는 차이가 있다.

Wondo refers to small islands in the pond, which were set up in many places. Each wondo has different plants, seemingly without restrictions in terms of plant species. On the island of Buyongji pond willows were planted according to Gunggweolji, whereas small coniferous trees appear according to “Donggweoldo.” This is as compared to currently existing trees such as pines and Taxus cuspidatas.

귀룽나무 Prunus padus

02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Cheongshimjeong

Cheongshimjeong

Cheongshimje

Pond Area

Oak community

Buyongji Pond Area

부용지권

Oak community

부용지권 Buyongji Pond Area

부용지권 Buyongji Pond Area

Oak community

Yeongyeongdang

❹❻❼ ❼

Yeongyeongdang

Aeryeonjeong

❾ ❺

Yeongyeongd

❹❻❼ ❸ ❹

❹❻❼ ❼

Aeryeonjeong

❾ ❺ Juhamnu Seohyanggak

❺ Myeonghwadang

뽕나무, Morus alba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❷❸❹❺

주합루 Juhamnu

❾ ❺

❸ ❹

부용정

Buyongjeong

소나무, Pinus densiflora

Juhamnu Seohyanggak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❺ Myeonghwadang

주목, Taxus cuspidata

Juh Seohyanggak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❶ 갈참나무, Quercus aliena

뽕나무, Morus alb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❸ 귀룽나무, Prunus padus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❹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❻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주목, Taxus cuspidata

❼ 목련, Magnolia kobus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❽ 밤나무, Castanea crenat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❾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❿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복자기나무, Acer triflorum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❷ ❸Quercus ❹ ❺aliena ❶ 갈참나무, ❸ 귀룽나무, Prunus padus

부용정 뽕나무, Morus alba Buyongjeong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❹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❻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주목, Taxus cuspidata

❼ 목련, Magnolia kobus

쪽동백나무, Styrax obassia

❽ 밤나무, Castanea crenat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❾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❿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복자기나무, Acer triflorum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❷❸❹❺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25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Buyongji Pond Area

부용지권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Nakai Ⓕ 16면 <동궐도> 참조_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느티나무는 한자로 거(欅), 규(槻), 괴(槐) 혹은 괴목(槐木)이라 표기되 는데, 괴목은 회화나무를 의미하기도 하여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 다. 부용지 앞의 느티나무는 동궐도에 출현하기도 한다. 느티나무는 말려도 잘 갈라지지 않고 덜 비틀어지는 편이라 여러 용도로 사용된 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조선 세종 12년(1430)에 ‘싸움배를 만드는 방법으로 괴목판을 써서 겹으로 만들고 괴목을 구하기 어려우면 다른 나무를 쓰라’와 같이 느티나무가 요긴하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사찰 전각의 기둥, 나무밥통인 구시, 뒤주, 장롱, 궤짝 등 광범위하 게 사용되었다.

The Chinese word representing Zelkova serrata also indicates Sophora japonica, so there has been controversy among researchers over which tree the word indicates. Zelkova serrata at Buyongji pond are painted in "Donggweoldo." The tree is rarely cracked or bent even when dry, and is used in many way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mentions its usefulness, when King Sejong said, "Take advantage of the Zelkova serrata to make battle ships and only if it is hard to find use other timber" in the 12th year of his reign (1430).

02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주합루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1

2 3

1_ 소나무 (좌), 단풍나무 (우) Pinus densiflora (left), Acer palmatum (right) 2_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3_ 의두합 Uiduhap

Aeryeonji Pond Area

애련지권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27


궁궐정원_Palace Gardens 1

2

3 4

Changdeokgung Palace

Aeryeonji Pond Area

1_ 기우정 Giujeong 2_ 불로문 Bulromun gate 3_ 뽕나무 Morus alba 4_ 뽕나무 수피 Bark of Morus alba

애련지권

뽕나무 Morus alba L . (White Mulberry) Ⓖ 16면 <동궐도> 참조 _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친잠이란 조선시대 왕비가 직접 누에를 치고 고치를 거두던 일련의 의식이 다. 백성에게 양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를 널리 장려하고자 성종 때 는 후원의 잡목을 제거하고 뽕나무를 심도록 명했으며, 영조 때, 친잠례를 기록한 「친잠의궤」에는 채상단 도면이 실려 있다. 세종 때에는 ‘경복궁 안 뽕나무 3,590주와 창덕궁 안의 뽕나무 1,000여주와 밤섬의 뽕나무 8,280주 로 누에 종자 2근 10냥을 먹일 수 있습니다. (세종실록·세종5년 2월 16일)’ 라는 기록으로 보아 궁궐 안이 온통 뽕나무 밭이었다고 짐작된다. 뽕나무 및 친잠례와 관련된 기록은 많이 남아있다. 오른쪽은 창덕궁 애련지에서 관람지로 가는 길에 식재된 뽕나무로 수령이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

Chinjam refers to a series of ceremonies for breeding silkworms and collecting cocoons by queens for their use. King Seongjong ordered the removal of bushes and the planting of white mulberry trees to let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silk farming and to encourage it. In addition, the record Annals of King Sejong notes, "There are 3,590 white mulberry trees in Gyeongbokgung, around 1,000 in Changdeokgung, and 8,280 in Bamsum Island, which can feed many silkworms (on February 15 in the fifth year of King Sejong)."

02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궁원(宮園)에 뽕나무를 심도록 명하였으니, 성주(成周)의 공상(公桑) 제도를 본뜬 것이었다.

The King gave instructions to plant white mulberry in the royal garden, which followed the policy of the Zhou Dynasty in China.

- 태종실록, 태종 9년(3월1일)

Annals of King Taejong, on March 1 in the ninth year of King Taejong

“각도 고을에 뽕나무를 심게 하고 그 숫자 등을 해유에 기재하라” 고 명하다 .

The King gave instructions to plant white mulberry trees across the country and to record its number.

- 세종실록, 세종 9년(12월14일)

Annals of King Sejong, on December 14 in the ninth year of King Sejong

호조(戶曹)에서 아뢰기를, “밤섬[栗島] 안에서는 백성이 개간하여 경작하는 것을 금하고, 오직 뽕나무만 심어서 그것이 자라거든 섬 안에 심을 만한 곳을 가려서 옮겨 심게 하소 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The King granted the servants' request, "Any other cultivation in Bamsum Island should be prohibited except for the planting of white mulberry which, after its growth, can be transplanted to an appropriate place."

- 문종실록, 문종 1년(4월21일)

Annals of King Munjong, on April 21 in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

1 2 1_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2_ 연경당 Yeongyeongda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29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Jondeokjeong Pavilion Area

존덕정권

관람정 Gwanramjeong Pavilion

관람정(觀纜亭) Gwanramjeong Pavilion 평면이 부채꼴 모양으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형태의 정자로 관람(觀纜)은 닻줄 즉, 배 띄움을 구경한다는 것을 뜻한다.

It is the only fan-shaped pavilion in Korea, and Gwanram means peo ple watching a ship set afloat. 기우정 화계 Hwagye (flower stairs) in Giujeong

03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관람지 Gwanramji pond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Jondeokjeong Pavilion Area

존덕정권

승재정(勝在亭) Seungjaejeong Pavilion 반도지(半島池)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정면, 측면 각 1칸의 사모 기와 지붕의 작은 전각으로 亞자 모양으로 꾸민 난간 으로 특이한 모양과 구조를 보여준다.

This is a small pavilion where one can survey Bandoji pond. It has a unique structure along with a pyramidshaped tiled roof and a railing with 亞-shaped pattern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31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Jondeokjeong Pavilion Area

존덕정권

존덕정(尊德亭) Jondeokjeong Pavilion 1644년 건립된 육각정자 형태로 겹지붕이 특이하며, 내부에는 ‘萬川明月主人翁自序’라는 정조의 글이 새겨진 현판이 걸려있다.

Built in 1644, this is a hexagonal pavilion which has a unique double-layered roof. King Jeongjo's writing is hung inside.

폄우사(砭愚榭) Pyeomusa Pavilion 순조의 세자 효명세자가 독서하던 곳으로 ‘砭愚’란 어리석음을 경계하여 고쳐준다는 뜻이다.

This is the pavilion where Prince Hyomyeong, King Sunjo's son, enjoyed reading. The name means "to revise and correct stupidity."

03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Ongnyucheon Area

옥류천권

옥류천 Ongnyucheo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33


궁궐정원_Palace Gardens

Changdeokgung Palace

Ongnyucheon Area

옥류천권

어정 Royal family well 청의정 Cheonguijeong

논 Rice Paddy ⒽⒾ 16면 <동궐도> 참조 _ Refer to the image of "Donggweoldo" on page 16. 친경(親耕)이란 조선시대 왕이 직접 농사를 짓는 모범을 보여 백성에게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널리 농업을 권장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으로 창경궁 후원 쪽에 는 논, 밭, 저수지가 조성되었으며, 후원에는 초가로 된 정자인 청의정 앞에 논이 조성되어 있다. 흉년인 해에는 친경행사를 의논하여 그 시기를 연기하기도 하였다.

Chingyeong refers to a series of farming ceremonies by kings to let people know the importance of farming and encourage it. In the garden of Changgyeonggung, a reservoir, crop fields and rice paddies were constructed. There was also a small paddy in front of the thatched pavilion, Cheongeuijeong. In case of failure of the year's harvest, the ceremony was sometimes delayed through discussion.

03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덕궁*Changdeokgung Palace

주목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은 결이 곱고 수피가 붉은 빛을 띠며 속살도 붉어 주목[朱木]이란 이름이 붙었다. 이 붉은 빛은 잡귀를 내쫓고 영원한 내세를 상징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관재[棺材]로 사용 하기도 하였다. 붉은 줄기에서 추출한 액은 궁녀들의 옷감 치장은 물론 임금의 곤룡포를 염색할 때 물감으로 쓰기도 하였다.

As Taxus cuspidata is red both outside and inside, the name means a red tree. Red is believed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represent eternal life, and it was sometimes used to make coffins. The liquid extracted from the red stem was used as dye for the fabric of court ladies as well as the king's clothing, Gollyongpo. 주목 열매 Fruit of Taxus cuspidata 주목 Taxus cuspidat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35


궁궐정원_Palace Gardens

경회루 Gyeonghoeru pavilion

경복궁 景福宮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으로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사적 제117호이다. 궁의 이름은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에서 큰 복을 빈다는 뜻의 ‘경복(景福)’이라는 두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원형이 남아있는 곳은 경회루 방지, 향원정과 향원지, 자경전 화장, 교태전 후원인 아미산 지역이다. 1412년 태종은 경복궁의 연못을 크게 넓히고 섬 위에 경회루를 만들어 잔치를 하거나 사신을 대접하도록 하였으며, 연못을 크게 만들면 서 파낸 흙으로는 아미산이라는 동산을 만들었다.

*

Gyeongbokgung, located in Sejong-no, Jeongno-gu, Seoul, is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Jeong Do-jeon, the influential minister, gave it its name after The Classic of Poetry, which means the "palace greatly blessed by heaven." In 1412, King Taejong enlarged the pond in Gyeongbokgung and constructed Gyeonghoeru to hold banquets and entertain foreign envoys, and soil dug from the pond enlargement was used to make the garden called Amisan. 03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복궁*Gyeongbokgung Palace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 개나리, Forsythia koreana

Geoncheonggung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❹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❻ 돌배나무, Pyrus pyrifoli

❻❸

Yeongsajae

Taewonjeon

❼ 말채나무, Cornus walteri

❺ ❹

❽ 매실나무, Prunus mume

❶ ❺

❾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❿ 모란, Paeonia suffruticosa

Hyangwonjeong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함화당

Hamhwadang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복사나무, Prunus persica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뽕나무, Morus alb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1단(1 st:) ❿ 2단(2nd:) ❽ ❿ 3단(3th:) ❼ ❿

소나무, Pinus densiflora

Jagyeongjeon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Gyotaejeon

Gyeonghoeru

수련, Nymphaea tetragona

❷ 개나리, Forsythia korean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Gangnyeongjeon ❹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Jaseondang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쉬나무, Euodia daniellii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Sajeongjeon

Geunjeongjeon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Taewonjeon

❻ 돌배나무, Pyrus pyrifoli

Sujeongjeon

오리나무, Alnus japonica

Yeon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Bihyeongak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❼ 말채나무, Cornus walteri ❽ 매실나무, Prunus mume ❾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❿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작약, Paeonia lactiflora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잣나무, Pinus koraiensis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복사나무, Prunus persi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팽나무, Celtis sinensis

❽ ❽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❽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❽ ❽ 뽕나무, Morus alb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Gwanghwamun gate

1단(1 st:) ❿ 2단(2nd:) ❽❿ 3단(3th:) ❼❿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수련, Nymphaea tetragona

❷ 개나리, Forsythia korean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쉬나무, Euodia daniellii

❹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❻ 돌배나무, Pyrus pyrifoli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Yeongsajae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aewonjeon 오리나무, Alnus japonica

❼ 말채나무, Cornus walteri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❽ 매실나무, Prunus mume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❾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❿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광화문 Gwanghwamun Gate 경복궁의 정문으로 돌로 높은 석축을 쌓고 그 위에 중층구조의 누각을 세워서 성곽의 성문과 같은 격식으로 장대하게 지어졌다.

This is the main gate of Gyeongbokgung palace. The gate, a replica of fortress gates, is made of hefty, elegant construction with a double roofed pavilion on a high stone foundation.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작약, Paeonia lactiflora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복사나무, Prunus persica

잣나무, Pinus koraiensis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뽕나무, Morus alba

팽나무, Celtis sinensis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화살나무, Euonymus 1단(1 st:) ❿ alatus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❹ ❼

Hyangwonjeong

❺ ❹

❶ ❺

The Nation

함화당

Hamhwadang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nd:) ❽❿ 2단(2

Nationa Jagyeongj

3단(3th:) ❼❿

Gyotaejeon

Gyeonghoeru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수련, Nymphaea tetragona

오리나무, Alnus japonica

❻❸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소나무, Pinus densiflora

쉬나무, Euodia daniellii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Geoncheonggung

Gangnyeongjeon Jaseondang

Sajeongjeo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37 Sujeongjeon

Geunjeongjeon

Bih


궁궐정원_Palace Gardens 향원정(香遠亭) Hyangwonjeong Pavilion 고종이 취로정의 옛터에 건청궁을 지을 때 만든 정자(亭子)로 연못 한가운데 인공의 섬을 만들고 그 위에 육각형 정자를 지어서 “향기가 멀리 퍼져나간다”는 향원 정(香遠亭)이라 불렀다. 향원지를 건너는 다리는 “향기에 취한다”는 뜻의 취향교(醉香橋)이다.

Gyeongbokgung Palace

This is the hexagon-shaped pavilion on the artificial island in the middle of the pond, made following King Gojong's instructions. Its name means farspreading fragrance, and the meaning of the Chwihyanggyo bridge to the pavilion is to be addicted to scent.

후원에 신정(新亭)을 낙성하니, 제조 금천군 박강, 동지중추원사 김개 등에게 잔치를 내려주고, 또 역부에게 술을 내려주었다. 이름은 취로정(翠露亭)이라 하고 앞에 못을 파서 연 꽃을 심게 하였다.

"As the construction of the new pavilion has been completed, the king gave a banquet for the designers and liquor to the laborers. He named it Chwirojeong and ordered the construction of a pond to plant lotuses." - <세조실록> 세조 2년(3월 5일)

Annals of King Sejo on March 5 in the second year of Sejo

03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복궁*Gyeongbokgung Palace

1

2

1_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2_ 담장과 협문 Wall and side door of Gyotaejeon

살구나무 [杏]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Apricot Tree) 살구나무는 복숭아, 자두나무와 함께 우리의 대표적인 옛 과일로써 역사 기록에 흔히 등장한다. 살구 씨는 중요한 약재로, 딸꾹질, 오한, 중풍, 하혈 등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200여 가지나 알려져 있다. 이런 까닭에 ‘살구 열매가 많이 달리는 해에는 풍년이 든다’ 혹은 ‘살구나무가 많은 마을에는 염병이 못 들어온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로 귀한 나무라 여겼다.

Apricot,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fruits along with peach and plum, appears in many historical records. Its seeds are used to make medicine. People say, “The more fruit apricot trees bear, the better the year's harvest goes,” or “Many apricot trees keep villagers from contagious diseases” and considered it precious.

살구[杏子]를 승정원에 내리며 이르기를, “살구가 지금까지 나무에 있으니 괴이한 일이 아닌가. 그대들은 옛일을 많이 알고 있으니, 재앙인지 상서(祥瑞)인지를 상고하여 아뢰고, 또 이것으로 제목(題目)을 삼아 각기 율시(律詩)를 짓게 하라.” 하니, 승지들이 이르기를, “이것이 무슨 괴이한 일이 되겠습니까? 신 등의 생각에는 좋은 일이라 여기고 있습니다. 우연히 늦은 열매가 오래도록 견딘 것이니, 이것은 곧 9월에 배꽃이 피는 데 비할 것입니다.” 하였다. 또 이계동(李季仝)에게 살구를 내려 주면서 이르기를, “경은 옛일을 알 것인 데, 이것이 재이(災異)가 되는 것이 아니오?” 하니, 이계동(李季仝)은 아뢰기를, “역대(歷代)의 일은 지금에 와서 비록 상고할 수 없지만, 신의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이것은 좋은 일이고 재이(災異)는 아닙니다.” 하였다.

The King said to the secretary office, “How strange those apricots have not fallen from the tree yet. As you are familiar with history, decide whether it is an auspicious sign or not and report to me. And let poets write poems about it.” His servants replied, “How can it be a strange thing? It is deemed auspicious. The fruits hang late from the trees by chance,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pear blossoms in September.”

- 연산군일기, 연산군 6년(7월9일)

Annals of Yeonsangun, on July 9 in the ninth year of Yeonsangu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39


궁궐정원_Palace Gardens 아미산 Amisan

Gyeongbokgung Palace

아미산 Amisan 왕비 침소인 교태전 후면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언덕으로, 갖가지 화초와 아름다운 굴뚝으로 꾸민 공간이다. 후원 에 ‘괴석’을 놓은 것은 자연 상태의 바위를 본래 모습대로 정원 속에 포함시키고 상징성을 부여하여 관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못을 파지 못하는 대신 연못의 이름을 부여한 방형석지(方形石池)를 두었다.

This is an artificial hillock garden decorated with a variety of plants and a beautiful chimney in the backyard of Gyotaejeon, the main sleeping and living quarters by the queen. The bizarre-shaped stone is placed to maximize the natural beauty of the garden. The rectangular artificial pond made of stone was constructed to replace a natural pond.

철쭉 [躑躅]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Rhododendron) 꽃이 아름다워 지나가던 나그네가 걸음을 멈추어 ‘철쭉 척’에 ‘머뭇거릴 촉’자를 썼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철쭉, 영산홍, 일본철쭉이 뒤섞여 기록되고 있는데, 실제로 어떤 수종을 말한 것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The name means that a wanderer stops to see the flower for its beau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indicum and Japanese rhododendron are mixed up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y among researchers over which plant the record actually indicates.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안에서 본 후원 아미산의 모습 Amisan through the backdoor of Gyotaejeon

04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복궁*Gyeongbokgung Palac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41


궁궐정원_Palace Gardens

Gyeongbokgung Palace 굴뚝 Chimney

승정원에서 교지를 받들어 유도 승지(留都承旨)에게 치서(馳書)하기를, 이제 철쭉꽃[躑躅花]이 이미 피었으니, 속히 문소전(文昭殿)에 바쳐 올려라.” 하였다.

By the King's command, the secretary office sent a letter saying, "The chief secretary shall offer rhododendron to the shrine as it has already bloomed." - 세조실록, 세조 10년(2월 20일)

Annals of King Sejo, on Febuary 20 in the tenth year of Sejo

전교하기를, “영산홍(映山紅) 1만 그루를 후원(後苑)에 심으라.” 하였다.

The King ordered, "Plant 10,000 rhododendron bushes in the court garden." - 연산군일기, 연산군 11년(1월 26일)

Annals of Yeonsangun, on January 26 in the 11th year of Yeonsangun

전교하기를, “장원서(掌苑署) 및 팔도에 영하여 왜척촉(倭躑蠋)을 많이 찾아내어 흙을 붙인 채 바치되 상하지 않도록 하라.” 하였다. 이로부터 치자[梔子]·유자(柚子)·석류(石 榴)·동백(冬栢)·장미(薔薇)에서 여느 화초에 이르기까지 모두 흙을 붙여서 바치게 하매, 당시 감사(監司)들이 견책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종류마다 혹 수십 주를 바치되 계속 날라 옮기니, 백성이 지쳐서 길에서 죽는 자가 있기까지 하였다.

The king said, "Tell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e & gardening and all my people to find and offer me as many Japanese rhododendron as possible with their roots undamaged," and then he ordered them to offer him all kinds of plants, such as gardenias, citrons, pomegranates, camellias and roses. Governors who feared castigation offered so many different kinds of plants that people who had to carry them sometimes even died from exhaustion.

- 연산군일기, 연산군 11년(4월 9일),

Annals of Yeonsangun, on April 9 in the 11th year of Yeonsangun

04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별서정원

Rural Villa Gardens 담양 소쇄원_Soswaewon Garden in Damyang 보길도 윤선도 원림_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강진 정약용 유적_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담양 명옥헌 원림_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화순 임대정 원림_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남원 광한루_Gwanghallu Garden in Namwon 영양 서석지_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예천 초간정 원림_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광풍각과 느티나무 Gwangpunggak and Zelkova serrata

담양 소쇄원 瀟灑園 Soswaewon Garden in Damyang 소쇄원은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위치한 명승 제40호로, 조선시대 별서정원을 대표하는 곳이다. 瀟는 ‘물 맑고 싶을 소’이고 灑는 ‘깨끗할 쇄’로, ‘소쇄’는 공덕장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나오는 말로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말이다. 조영자 양산보는 조광조의 문인으로서 기묘사화(1519년)로 조광조가 화를 입어 귀양갔지만, 이들을 존경하여 숭배하는 풍조가 일어나 호남지역에는 유학이 발전하고 또 다른 사류에게도 영향을 주어 성리학의 지역 확산이 일어났다. 양산보는 능주까지 조광조를 따라 갔다가 이후 이곳에 은거하여 바깥 세상을 등지고 뜻맞는 벗들과 교우하였다. 소쇄원 진입로는 대나무가 빽빽이 들어서 있는데, 이들은 시선을 차단하고 공간을 나누 는 기능뿐만 아니라 바람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뒤에는 어떤 것이 숨겨져 있을까하는 극적 효과를 자아내기도 한다. 시작 부분에서는 소쇄원 안쪽으로 아무 것도 보이지 않지만 한걸음 한걸음 들어가면서 정원의 구성물들이 하나씩 나타난다. 세상으로부터 은둔하려는 양산보의 바람으로 본래 진입로는 제월당의 옆쪽 으로 길이 나 있었으며 대나무 숲은 그 자체로 차폐기능을 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진입로로 이용되고 있다.

04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❾ 매실나무, Prunus mume f. mume

으름덩굴, Akebia quinata

❷ 곰솔나무, Pinus thunbergii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❸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벽오동나무, Firmiana simplex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❹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var. latifoli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팽나무, Celtis sinensis

❻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❼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❽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담양 소쇄원*Soswaewon Garden in Damyang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❾ ❶

S

N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 곰솔, Pinus thunbergii

Jewoldang

❸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❹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❻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Gwangpunggak

❹ ❽

❷❸

❼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❽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um ❾ 매실나무, Prunus mume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벽오동나무, Firmiana simplex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❺ ❹❻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Daebongdae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❻❿

❾ ❼

으름덩굴, Akebia quinata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팽나무, Celtis sinensis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 Soswaewon, located in Jigok-ri, Nam-myeon, Damyang-gun, Jeollanamdo Province, is the typical rural villa garden. The name means a clean and fresh garden. At the entrance, there is a dense forest of bamboo, which allocates space, blocks people’s view as well as the wind, and arouses curiosity of what might be hidden behind it. As the intention of Yang San-bo, the owner of Soswaewon, was to live in seclusion, the original entrance was at the side of the garden pavilion and the place was obscured by the bamboo grove, though now it is used as an access road.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45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Soswaewon Garden in Damyang

1

5

2 3

4

「소쇄원도」 Soswaewondo 1755년에 제작된 목판화로 소쇄원 48영에 묘사된 소쇄원의 정경(情景)을 그대로 전해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Soswaewondo” is a woodprint from 1755 and has a high historical value as it delivers the scenery as described in 48 poems of Soswaewon.

「소쇄원48영」 , 김인후 48 poems of Soswaewon by Kim In-hu 소쇄원에 식재된 조경 식물을 중심으로 한 48수의 시로 그 중 24수가 식물에 대한 내용이다. The poetic works contain 48 poems on Soswaewon, half of which describe the plants in the garden.

04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담양 소쇄원*Soswaewon Garden in Damyang 대나무 [竹] Phyllostachys spp. (Bamboo) 대나무는 곧게 자라 선비의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는데, 대부분 전통 공간에서 후면 배경으로 심거나 경계부 에 심었다. 소쇄원에서의 대나무는 시선을 차단하고 공간을 나누는 기능 뿐만 아니라 바람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빽빽이 들어선 대나무 뒤에는 어떤 것이 숨겨져 있을까하는 극적 효과를 자아내 기도 한다.

As bamboo grows upright, it represents the loyalty and fidelity of noble scholars. It was usually planted in the backyard or as a boundary. Bamboo trees in Soswaewon allocate space and obscure people’s views as well as blocking the wind. In addition, they arouse curiosity over what might be hidden here.

竹 9영 : 투죽위교(透竹危橋: 대숲 사이로 위태로이 걸친 다리) 9thpoem : Narrow bridge hanging over the bamboo grove 10영 : 천간풍향(千竿風響: 대숲에 부는 바람소리) 1 2 10thpoem: Wind whistling in the bamboo grove 29영 : 협로수황(夾路脩葟: 오솔길의 곧은 대숲) 29thpoem: Bamboo grove along the foot path 30영 : 병석죽근(逬石竹根: 돌 위에 서려 뻗은 대 뿌리) 30thpoem: Bamboo root scrawling on the rocks

대나무_Phyllostachys spp.

참오동나무와 벽오동 Paulownia tomentosa Steud. and Firmiana simplex (L .) W.F.Wight (Princess Tree and Chinese Parasol Tree) 옛 문헌에서는 벽오동과 참오동을 섞어서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본초강목」에서는 ‘오동은 벽오동을 말하 고 동(桐)은 오동을 말한다. 벽오동은 동(桐)과 닮았으나 껍질이 푸르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문헌에 서는 구분이 엄밀하지 않았다. 37영의 동대는 오동나무 아래 있는 대봉대인 소정(小亭)을 의미한 것으로, 보통 동(桐)은 참오동나무를, 오(梧)는 벽오동을 의미한다. 소쇄원도에 나오는 오동은 그 잎이 갈라진 모양새로 볼 때 벽오동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며, 현재 벽오동이 식재되어 있다.

According to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the Chinese parasol tree and princess tree are alike, except for the latter’s green bark. However, most records did not distinguish the two. From the shape of its leaves, the trees described in the poems and in a painting about Soswaewon are presumed to have been Chinese parasol trees. Now the same conspecific trees are planted there.

梧桐

벽오동_Firmiana simplex

37영 : 동대하음(桐臺夏陰: 오동나무 대에 드리운 여름 그늘) 3 37thpoem : Summer shade over shadowing the empress trees 38영 : 오음사폭(梧陰瀉瀑: 벽오동 아래 쏟아지는 물살) 38thpoem : Cascade falling under the empress trees

48 면으로, continue to 48 page 48 면으로, continue to 48 page

벽오동_Firmiana simplex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47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Soswaewon Garden in Damyang

은행나무와 살구나무 Ginkgo biloba L.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Ginkgo Tree and Apricot Tree) 우리나라의 문묘 등에 은행나무를 심는데, 이는 공자가 행단(杏壇)에 앉아 강론을 했다는 데에서 비롯하여 공자와 연관된 곳이 나 강론을 하는 곳에는 은행나무가 심겨져 있다. 그러나 본래 행단은 살구나무였음을 입증하는 자료들이 나오면서, 행(杏)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행음’은 살구나무가, ‘행정’에는 암수 두 그루의 은행나무를 심었다는 주장도 있다. 여러 문헌들을 참고할 때 우리나라는 조선 초부터 행단의 나무를 은행나무로 보았고, 따라서 학문과 관련된 곳에는 은행나무를 심었던 것이다. 소쇄원도에 등장하는 행정(杏亭) 및 행음(杏陰)은 크기, 가지 뻗음, 잎 모양 등 전체적인 생김새를 보아 은행나무일 가능성이 크다. 지금은 최근에 식재한 것으로 보이는 살구나무가 차지하고 있다.

In Korea, ginkgo trees are planted in Confucian shrines and schools as Confucius is said to have lectured on a podium made from ginkgo tree wood. But there has been growing dispute as some documents indicate that the podium on which Confucius sat was actually made from apricot tree wood. On the basis of documents, ancestors believed Confucius’ podium was made of ginkgo, and they planted the trees in places related to learning. The trees described in the painting, “Soswaewondo,” are very likely to have been ginkgo based on their size, branches and leaves. Now there are apricot trees, which seem to have been planted recently.

杏 15영 : 행음곡류(杏陰曲流: 은행나무 그늘 아래 굽이치는 물) 4 5 15thpoem: Water meandering below the shade of ginkgo trees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04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은행나무(소수서원) Ginkgo biloba on Sosuseowon


담양 소쇄원*Soswaewon Garden in Damyang 1

3 4

2

5

1_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2_제월당 Jewoldang 3_담장 Wall 4_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5_제월당 마루 Floor of Jewolda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49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보길도 윤선도 원림 甫吉島 尹善道 園林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 尹善道 園林)은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에 위치한다. 주침소 ‘낙서재’(樂書齋)와 ‘곡수당’(曲水堂), 풍류의 공간인 ‘세연정’(洗然亭), 도교 의 사상을 반영한 ‘동천석실’(洞天石室) 등이 섬의 주요 공간에 조영되어 있다. 고산 윤선도는 51세 때 호란으로 나라가 청나라에 항복하게 되자, 정계를 떠나 남하하던 중, 보길도의 산봉우리와 골짜기가 수려함을 보고 배를 정박하고, 머무르게 되었다. 명당자리에 잡목을 베어 주침소인 낙서재를 지었고, 그 아래 개울가에는 곡수당을 지어 좌우측에 상지와 하지를 조성하여 가장 전형적인 정원의 모습을 갖추게 하였다.

*

It is located in Buhwang-ri, Bogil-myeon, Wando-gun, Jeollanamdo Province. Nakseojae (main living quarters), Goksudang, Seyeonjeong (place for recreation) and Dongchenseoksil (small pavilion reflected in Taoism) are all arranged together on the island. Yun Seon-do (penname: Gosan) retired from politics when Joseon surrendered to Qing after the second Manchu invasion. On his journey to the south, he was impressed by the beautiful mountain and valley in Bogildo Island, and decided to stay there. He made Nakseojae as his main living residence after removing bushes from the best location, Goksudang near the brook, and created a typical garden by making lowland and highland on either side of Goksudang. 05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보길도 윤선도 원림*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혹약암 Hogyagam 혹약암은 「주역」 「건」에 나오는 ‘혹약재연’의 ‘뛸 듯하고서 아직 뛰지는 않고 못에 있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실제로 두꺼비가 곧 뛸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❶ 갈풀, Phalaris arundinacea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❸ 개망초, Erigeron annuus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❹ 개불알풀, Veronica didyma var. lilacina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❺ 개솔새,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돌나물, Sedum sarmentosum ❻ 거지덩굴, Cayratia japonica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맑은 못이나 넓은 호수에서 조각배를 띄우고 즐길 때 ❼ 고마리, Persicaria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thunbergii ❽ 곰솔, Pinus thunbergii 마름, Trapa즐거움이 japonica 노를 짓게 한다면 또한 하나의 아니겠는가 ❾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❿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까마귀베개, Rhamnella franguloides 모시대, Adenophora remotiflora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노랑어리연, Nymphoides peltata 뱀고사리, Asplenium yokoscense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뱀딸기, Duchesnea indica 다정큼나무,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센달나무, Machilus japonica 쥐보리, Lolium multiflor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질경이택사, Alisma orientale 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찔레꽃, Rosa multiflora 사람들로 하여금 목청을 같이하여 노래를 부르게 하고 서로 솜대, Phyllostachys 참가시나무, nigra var. henonis Quercus salicin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쑥, Artemisia princeps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칡, Pueraria lobata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큰까치수영, Lysimachia clethroides 옻나무, Rhus verniciflua 팽나무, Celtis sinensis 왕대, Phyllostachys bambusoides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us - 어부사시사 발문, 윤선도 인동, Lonicera japonica 회양목, Buxus korean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후박나무, Machilus Epilogue from The Fisherman's Calendar by Yun Seon-do thunbergii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Hogyagam is a stone toad which looks as if it is about to jump.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When I set a boat afloat in a clear pond or a wide lake and guests sing and row together, wouldn’t it be another great pleasure?

❶❼

Seyeonjeong

❶ 갈풀, Phalaris 갈풀, 갈풀, Phalaris 달뿌리풀, Phragmites 달뿌리풀,달뿌리풀, 달뿌리풀, 뽀리뱅이, Youngia 뽀리뱅이, 뽀리뱅이, 뽀리뱅이, 전호, Anthriscus 전호, Anthriscus 전호, Anthriscus 전호, ❶ 갈풀, ❶ ❶arundinacea arundinacea Phalaris Phalaris arundinacea arundinacea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japonica japonica japonica Youngia japonica Youngia Youngia japonica japonica sylvestris sylvestris Anthriscus sylvestris sylvestris ❷ 감나무, ❷ ❷kaki ❷ 감나무, 감나무, 감나무, 닭의장풀,닭의장풀, 닭의장풀,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사스레피나무, 졸방제비꽃,졸방제비꽃, 졸방제비꽃, 졸방제비꽃, Diospyros Diospyros Diospyros kaki Diospyros kaki kaki 닭의장풀, Commelina Commelina communis Commelina communis Commelina communis communis Eurya사스레피나무, japonica Eurya japonica Eurya japonica Eurya japonica Viola acuminata Viola acuminata Viola acuminata Viola acuminata ❸ 개망초, Erigeron ❸ 개망초, ❸ ❸ 개망초, 개망초, 덜꿩나무,덜꿩나무, 덜꿩나무, 생달나무, Cinnamomum 생달나무,생달나무, 생달나무, 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 erosum Viburnum Viburnum erosum Viburnum erosumerosum annuus Erigeron Erigeron annuus Erigeron annuusannuus 덜꿩나무, Viburnum Cinnamomum japonicum Cinnamomum japonicum Cinnamomum japonicum japonicum Oplismenus Oplismenus undulatifolius Oplismenus undulatifolius Oplismenus undulatifolius undulatifolius ❹ 개불알풀, ❹Veronica ❹ didyma ❹ 개불알풀, 개불알풀, 개불알풀, 도깨비쇠고비, 도깨비쇠고비, 도깨비쇠고비, 센달나무, 센달나무,센달나무, 센달나무, 쥐보리, Lolium 쥐보리, 쥐보리,multiflorum 쥐보리, Veronica var. Veronica didyma lilacina Veronica var. didyma lilacina didyma var.도깨비쇠고비, lilacina var. lilacina Cyrtomium Cyrtomium falcatum Cyrtomium falcatum Cyrtomium falcatum falcatumMachilus japonica Machilus Machilus japonica Machilus japonica japonica multiflorum Lolium LoliumLolium multiflorum multiflorum ❺ 개솔새, Cymbopogon ❺ 개솔새, ❺Cymbopogon ❺ 개솔새, 개솔새, 돌나물, 돌나물,돌나물, 소나무, Pinus 소나무, 소나무, 소나무, 질경이택사,질경이택사, 질경이택사, 질경이택사, tortilis Cymbopogon var. goeringii tortilis Cymbopogon var. tortilis goeringii tortilis var.돌나물, goeringii var. goeringii Sedum sarmentosum Sedum sarmentosum SedumSedum sarmentosum sarmentosum densiflora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 Alisma orientale Alisma orientale AlismaAlisma orientale orientale ❻ 거지덩굴, ❻Cayratia ❻japonica ❻ 거지덩굴, 거지덩굴, 거지덩굴, 동백나무, Camellia 동백나무,japonica 동백나무, 동백나무, 솔나물, Galium 솔나물, 솔나물, 솔나물, 찔레꽃, 찔레꽃, 찔레꽃, 찔레꽃, Cayratia Cayratia japonica Cayratia japonica japonica Camellia Camellia japonica Camellia japonica japonica verum Galium var. asiaticum verum Galium var. Galium verum asiaticum verum var. asiaticum var. asiaticum Rosa multiflora Rosa multiflora Rosa multiflora Rosa multiflora ❼ 고마리, Persicaria ❼ 고마리, ❼thunbergii ❼ 고마리, 고마리, 때죽나무, Styrax 때죽나무, 때죽나무, 솜대, Phyllostachys 솜대, Phyllostachys 솜대, 솜대,henonis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참가시나무, japonicus Styrax때죽나무, japonicus StyraxStyrax japonicus japonicus Persicaria Persicaria thunbergii Persicaria thunbergii thunbergii nigraPhyllostachys var. nigra Phyllostachys var.nigra henonis var. nigra henonis var. henonis Quercus참가시나무, salicina Quercus Quercus salicina Quercus salicina salicina ❽ 곰솔, Pinus ❽ 곰솔, ❽ ❽Pinus 곰솔, 곰솔, thunbergii 마름, 마름, japonica 수양버들, 수양버들, 참느릅나무,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 참느릅나무, thunbergii Pinus thunbergii Pinus thunbergii 마름, Trapa마름, japonica Trapa japonica Trapa Trapa japonica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Salix 수양버들, babylonica Salix babylonica Salix babylonica Ulmus parvifolia Ulmus parvifolia UlmusUlmus parvifolia parvifolia ❾ 광나무, Ligustrum ❾ 광나무, ❾ ❾ 광나무, 광나무, 멀구슬나무,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 쑥, Artemisia 쑥,princeps 쑥, Artemisia 쑥, Artemisia 천선과나무, 천선과나무, japonicum Ligustrum Ligustrum japonicum Ligustrum japonicum japonicum Melia azedarach Melia azedarach Melia azedarach Melia azedarach Artemisia princeps princeps princeps천선과나무,천선과나무, Ficus erecta Ficus erecta Ficus erecta Ficus erecta ❿ 괭이밥, Oxalis ❿ 괭이밥, ❿Oxalis ❿corniculata 괭이밥, 괭이밥, 멍석딸기, 멍석딸기, 아까시나무,아까시나무, 아까시나무, 칡, Pueraria 칡,lobata 칡, Pueraria 칡, Pueraria Robinia아까시나무, pseudoacacia Robinia pseudoacacia RobiniaRobinia pseudoacacia pseudoacacia Pueraria lobata lobatalobata corniculata Oxalis Oxalis corniculata corniculata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Rubus멍석딸기, parvifolius RubusRubus parvifolius parvifolius 까마귀베개,까마귀베개, 까마귀베개, 까마귀베개, 모시대, Adenophora 모시대, Adenophora 모시대, 모시대, 예덕나무, Mallotus 예덕나무,japonicus 예덕나무, 예덕나무, 큰까치수영,큰까치수영, 큰까치수영, 큰까치수영, Rhamnella Rhamnella franguloides Rhamnella franguloides Rhamnella franguloides franguloides remotiflora Adenophora remotiflora Adenophora remotiflora remotiflora Mallotus Mallotus japonicus Mallotus japonicus japonicus Lysimachia Lysimachia clethroides Lysimachia clethroides Lysimachia clethroides clethroides 꽃마리, Trigonotis 꽃마리, peduncularis 꽃마리,꽃마리,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 옻나무, 옻나무, 옻나무, 옻나무, 팽나무, Celtis 팽나무, 팽나무, 팽나무, Ranunculus Ranunculus japonicus Ranunculus japonicus Ranunculus japonicus japonicus Rhus verniciflua Rhus verniciflua Rhus verniciflua Rhus verniciflua Trigonotis Trigonotis peduncularis Trigonotis peduncularis peduncularis sinensis Celtis sinensis Celtis sinensis Celtis sinensis 남오미자, Kadsura 남오미자,japonica 남오미자, 남오미자, 배롱나무, Lagerstroemia 배롱나무,배롱나무, 배롱나무, 왕대, Phyllostachys 왕대, Phyllostachys 왕대,bambusoides 황칠나무, Dendropanax 황칠나무,황칠나무, 황칠나무, Phyllostachys bambusoides Phyllostachys bambusoides bambusoides Kadsura Kadsura japonica Kadsura japonica japonica Lagerstroemia indica Lagerstroemia indica Lagerstroemia indica왕대, indica Dendropanax morbiferus Dendropanax morbiferus Dendropanax morbiferus morbiferus 노랑어리연,노랑어리연, 노랑어리연, 노랑어리연, 뱀고사리,뱀고사리, 뱀고사리, 인동, Lonicera 인동,japonica 인동, Lonicera 인동, Lonicera 회양목, Buxus 회양목, 회양목,koreana 회양목, Nymphoides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peltata뱀고사리, peltata Asplenium Asplenium yokoscense Asplenium yokoscense Asplenium yokoscense yokoscense Lonicera japonica japonica japonica koreana Buxus BuxusBuxus koreana koreana 녹나무, Cinnamomum 녹나무, Cinnamomum 녹나무, 녹나무, 뱀딸기, Duchesnea 뱀딸기, Duchesnea 뱀딸기, 자귀나무, Albizia 자귀나무, 자귀나무, 자귀나무, 후박나무, Machilus 후박나무,thunbergii 후박나무, 후박나무, Machilus Machil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thunbergii camphora Cinnamomum camphora Cinnamomum camphora camphora indica뱀딸기, Duchesnea indica Duchesnea indica indica julibrissin Albizia julibrissin AlbiziaAlbizia julibrissin julibrissin 다정큼나무,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벚나무, 벚나무, 벚나무, 벚나무, 작살나무, 작살나무,작살나무, 작살나무, Rhaphiolepis Rhaphiolepis indica var.Rhaphiolepis umbellata indica Rhaphiolepis var.indica umbellata var. indica umbellata var. Prunus umbellata serrulata Prunus var. serrulata Prunus spontane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serrulata var. spontanea var. spontanea Callicarpa japonica Callicarpa Callicarpa japonica Callicarpa japonica japonic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51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Pine Tree) 소나무는 잎이 늘 푸를 뿐만 아니라, 뿌리가 곧아 지조와 절개의 상징이 되어왔으며 건조와 추위에 잘 견디고 쓰임새가 다양하여 우리 민족의 생활과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세연정 중앙부에 식재된 소나무는 당시 못 건너편 식재되어 어지러이 흩날리는 영산홍의 꽃잎과 비교되어 세속에서 떠나 독야청청하는 자신을 상징하였다.

As a pine is an evergreen and its roots are straight, it has been a symbol of loyalty and fidelity. The pine planted in the center of Seyeonjeong was originally pla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nd. Compared to the swirling petals of Rhododendron indicum, it symbolized Gosan himself who upheld his loyalty through a secluded life.

05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보길도 윤선도 원림*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세연정은 풍류를 위한 공간으로 계류에 기교를 발휘하여 꾸민 곳으로 찾아온 손님, 가족 등과 함께 풍류를 즐겼던 곳이다. ‘세연지’(洗然池)는 주변 경관이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 해지는 곳이란 뜻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다. 세연정 계원을 구성하고 있는 골격의 구상은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에 나오는 수(水) · 석(石) ·송(松) · 죽(竹) · 월(月)의 자연관이라 볼 수 있다. 고산 윤선도는 세연정을 소재로 하여 「어부사시사」, 「오우가」, 「산중신곡」 등을 지어 즐겼다. 또한 산 중턱에 있어 쉽게 갈 수 없는 동천석실은 일상을 벗어난 신선들이 사는 선계의 의미를 가진 곳이다.

Seyeonjeong is a recreational place built near the brook, where Yun Seon-do had pleasant times together with his family and visitors. The name means pure and tidy scenery to make people feel refreshed. The garden reflects his view of nature that water, stone, pine, bamboo and moon are best friends as he wrote in his book, Song of My Five Friends. He wrote many famous poems about Seyeonjeong.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 . (Camellia) 동백은 우리나라 남쪽 지방 조원에 많이 쓰이는데 눈서리 속에 꽃이 피어 선비와 같은 기상을 가진다고 하여 선우[仙友]라고도 한다. 산다[山茶]는 동백의 잎이 차나 무와 비슷하여 생긴 이름이다.

A camellia tree has been widely used in gardens down in the southern provinces. It is thought to have the spirit of a noble scholar as they bloom in the snow, and is sometimes called "friend of scholars." It is also called "tea trees of the mountain" as its leaves resemble those of a tea tre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53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세연정에는 흙을 쌓아 짧은 제방을 두르고, 산다와 영산홍을 심었 다. 봄이면 꽃이 어지럽게 떨어지고 푸른 이끼 또한 하나의 비단 첩을 이루었다. 부용동에서 제방 둑에 이르는 길 양쪽에는 장송이 울창하며, 수원을 끼고 오르노라면 단풍나무와 삼나무는 암석을 가리고 있다.

"Yun Seon-do made a low mud wall around Seyeonjeong and planted camellias and Rhododendron indicum. When spring came, flowers dropped and the moss looked like green silk fabric. There was a thick pine forest and maples and oaks hide rocks on both sides of the road to the bank from Buyongdong." - 「보길도지」 윤위

Records of Bogildo Island by Yun-ui

천연으로 된 대(臺)에 사람이 정자를 지었는데, 큰 강과 작은 산골 물 빙빙 돌고 도네. 가무를 잘하는 연희 강남곡을 익히 부르는데, 굴원과 같은 내 근심에 치우쳐 못가 언덕을 걷네. 온 골짜기 울리 는 악기 소리 취한 흥을 더하고, 온 사림의 아름다운 채색 유람하는 뜻을 녹이네. 맑고 큰 물결 용천의 보검 씻을 준비 되었는데, 기술이 뛰어난 그 누구 바다의 고래를 잡을 건고.

"Someone made a pavilion on the ground, where a large river and small brooks meander. A dancing singer sang, but I walked around the pond in a gloomy mood. The sound of instruments filling the valley and all the colors of the forest encourage delight and enjoyment. A big wave is ready for taking up the sword, but who would catch the whale in the sea?." - <산중신곡> 윤선도

New Songs in the Mountains by Yun Seon-do

05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보길도 윤선도 원림*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_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5_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9_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2_ 감나무 Diospyros kaki 6_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10_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3_ 개밀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7_ 부채마 Dioscorea nipponica 11_ 왕대 Phyllostachys bambusoides

4_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8_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12_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판석보와 입출수구 Stone bank and a pond 판석 제방의 기능은 건조할 때는 수면을 유지하고 돌다리도 되며 우기에는 폭포가 되어 새로운 경관을 보여주는 등 다채로운 경관을 자아낸다. A stone bank maintains the water level and plays a role as a stone bridge during the dry season and as a cascade in the rainy season, offering varying scenery.

삼출-출수구 Three exits of water

오입-입수구 Five entrances of water

판석보 Stone bank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55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다산초당 Dasanchodang

강진 정약용 유적 康津 丁若鏞 遺蹟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강진 정약용 유적은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위치한다. 정약용(1762-1836)이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조영했던 다산초당의 전후좌우에 있는 다조(茶竈)ㆍ약천(藥 泉)ㆍ정석(丁石)ㆍ석가산(石假山)의 네 가지 경물을 읊은 칠언율시를 행서로 쓴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行草 茶山四景帖)은 그 의미가 깊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Dasanchodang, the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penname: Dasan), is located in Mandeok-ri, Doam-myeon, Gangjin-gun, Jeollanamdo Province. When he was exiled to Gangjin, he wrote Dasan's Four Scenic Elements describing four things in his garden including Dajo (place for making tea), Yakcheon (water for making tea), Jeongseok (inscribed stone), and Seokgasan (a mountain-shaped heap of stone). The book was designated as a treasure for its high value.

05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다산 정약용 유적

❸ 곰솔, Pinus thunbergii ❹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❼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❽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비쭈기나무, Cleyera japonicaYakyong in Gangjin 강진 정약용 유적*Exile❾ Residence of Jeong ❿ 소나무, Pinus densiflora 양하, Zingiber mioga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팽나무, Celtis sinensis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❸ 곰솔, Pinus thunbergii ❹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Jeongseok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❼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❻❼

Dasanchodang

❽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❾ 비쭈기나무, Cleyera japonica ❿ 소나무, Pinus densiflora

Pure stone

❻ ❽

양하, Zingiber mioga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Seojae (West study room)

팽나무, Celtis sinensis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❷ ❺

Dongjae (East study room)

❺ ❶

Cheonilgak

❾ ❿

양산보의 소쇄원 혹은 윤선도의 보길도 원림과 달리 정약용의 다산초당은 실학사상을 바

탕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채소를 가꾸는 공간인 채포(菜圃)가 나타나며 연못을 물의 저 장고 역할로 보고 식용가능 식물이나 물고기를 사육하여 실용적으로 활용하였다.

Dasan’s exile residence, in contrast to Soswaewon and Bogildo Woodland, reflects practical learning. On the basis of his philosophy, Dasan made a vegetable garden and pond for preserving water, and raised edible plants and fish.

Dongjae (East study room)

❺ ❶ ❿

Cheonilgak

다산초당도_ 초의선사(草衣禪師)가 1812년 한지에 그림 다산초당도(가로27cm X 세로19.5cm). 흙으로 쌓아 올린 담 안에 연못 2개와 초가가 어우러진 모습이 잘 담겨져 있다. Dasanchodangdo_(27cmx19.5cm) is a painting done by a Buddhist monk named Choi in 1812, which shows two ponds and a thatched house over a mud wall.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57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2 1

1_ 동제 Dongjae 2_ 다산초당 Dasanchodang

05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진 정약용 유적*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1_ 소나무 Pinus densiflora

2 1

2_ 다산 정약용선생 초상화 Portrait of Jeong Yakyo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59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1_ 정석 Jeongseok (inscribed stone) 2_ 석가산 Seokgasan (a mountain-shaped heap of stone) 3_ 다조석 Dajoseok (place for making tea) 4_ 약천 Yakcheon (water for making tea)

1

2

3

4

다산사경(茶山四景) Dasan's 4 Scenic Elements 다산사경(茶山四景)은 정약용(1762-1836)이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조영했던 다산초당의 전후좌우에 있는 다조(茶竈)·약천(藥泉)·정석(丁石)·석가산(石假山)의 네 가지 경물을 읊은 칠언율시로 「다산도」에는 연지와 정석이 강조되어 있다. 「정약용 행초 다산사경첩」은 보물 1683호로 지정되어 있다.

The title refers to four things Dasan put in his garden, including Dajo (place for making tea), Yakcheon (water for making tea), Jeongseok (inscribed stone), and Seokgasan (a mountainshaped heap of stone).

06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진 정약용 유적*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1 2

3

1, 2_천일각 Cheonilgak 3_ 강진 일출 Rising of the sun in Gangji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61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담양 명옥헌 원림 潭陽 鳴玉軒 苑林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명옥헌 원림은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에 위치한다.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上池] 다시 그 물이 아래의 연못[下池]으로 흘러가는데 물 흐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것만 같다고 하여 연못 앞에 세워진 정자 이름을 명옥헌(鳴玉軒)이라고 한다.

* The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s located in Sandeok-ri, Goseo-myeon, Damyang-gun, Jeollanamdo Province. Myeongokheon is a pavilion in the woodland garden whose name means the silvery sound of water as it flows to fill one pond and flows again to fill another.

06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담양 명옥헌 원림*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❶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❷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❶ 느티나무, Zelkova serrata❸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❸ 소나무, Pinus densiflora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 (Crape myrtle) 배롱나무는 대부분이 진분홍색 꽃이지만 원산지인 중국에서 처음 들어올 때에

Myeongokheon

Myeongokheon

❶❷

❶❷ ❷

는 연보라색 꽃이 많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한자 이름은 자미화(紫微花)이다.

Most crape myrtles have dark-pink blossoms but it seems that their blossoms were purple when first imported from China, as the Chinese name means a small purple blossom.

❷ ❷ ❸

❷ ❷

❸ ❷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63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배롱나무는 복숭아꽃이나 살구꽃처럼 순간적으로 피었다가 지는 것이 아니라 한여름 내내 피는 장구(長久)한 꽃이 다. 화려하고 영화로운 부귀와 다산을 상징하기도 한다.

Crape myrtle blossoms are long-lasting throughout summer unlike those of peach or apricot trees and symbolizes wealthy and fecundity.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비단 같은 꽃이 노을 빛에 곱게 물들어 정원에서 환하게 사람의 혼을 뺄 정도로 아름답게 피어있으니 품격이 최고이다. 한양 공후의 저택에는 뜰에 많이 심어 높이가 한 길이 넘는 것도 있었다.”

With greatest dignity, the silky blossoms gleaming in the sunset bloomed beautifully as passengers stood bewitched. Many crape myrtles were planted in the residences of Hanyang, some of which grew taller than people. - <양화소록> 강희안

Yanghwasorok by Gang Hui-an

06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담양 명옥헌 원림*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65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명옥헌의 연못 The Pond in Myeongokheon Pavilion 계곡의 물을 받아 네모난 연못을 꾸미고 주변에 적송, 배롱나무 등을 심어 조성한 솜씨가 자연을 거스리지 않고 그대로 담아낸 조상들의 소담한 마음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시냇물이 흘러 한 연못을 채우고 다시 그 물이 아래의 연못으로 흘러가는데 물 흐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것만 같다고 하여 연못 앞에 세워진 정자 이름을 명옥헌(鳴玉軒)이라고 한다.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066

Water in the rectangular pond comes from the valley and red pine and crape myrtle were planted around it, which reflects the ancestors' intention of harmonizing with nature.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담양 명옥헌 원림*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상지와 하지 Upper Pond and Lower Pond 윗 연못인 상지로부터 물이 하지로 흘러들어가는데, 이 물이 바위 따라 흐르면서 내는 소리가 옥이 부딪히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명옥(鳴玉), 즉 ‘구슬같은 맑은 물소리가 들리 는’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The name Myeongok means the silvery sound as water in the upper pond flows down to the lower one.

2

1 3

1_ 상지 Upper pond 2_ 계곡 Valley 3_ 하지 Lower pond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67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화순 임대정 원림 和順 臨對亭 園林

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화순 임대정 원림은 전남 화순군 남면 사평리에 위치하며 철종 때 병조참 판을 지낸 사애 민주현 선생이 1862년 임대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그 주위 에 조성한 숲을 가리킨다. 임대정이란 이름은 봉정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사평천과 합쳐지는 곳에 정자가 위치하였다 하여 ‘물가에서 산을 대한다’는 중국 송나라 주돈이의 시구를 딴 것이다.

* The 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s located in Sapyeong-ri, Nammyeon, Hwasun-gun, Jeollanamdo Province, and Min Ju-hyeon (penname: Sa-ae), the second minister of military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constructed a pavilion there called Imdaejeong as well as the surrounding woodland. The pavilion is placed where water from Mt. Bongjeong meets Sapyeong stream, and its name means “to watch the mountain at the water's edge,” which comes from Zhou Dunyi, the famous Chinese poet of the Song Dynasty.

석임지 표지석 Boundary stone, Seokimji

임대정 전경 Front view of Imdaejeong

06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❼ 붉나무, Rhus javanica

연꽃, Nelumbo nucifera

❽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부레옥잠, Eichhornia crassipes

❾ 소나무, Pinus densiflora

화순 임대정 원림*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❹

❶ ❹❼ ❾

❿ 수련, Nymphaea tetragona

❷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❸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❹ 단풍나무, Acer palmatum

자라풀, Hydrocharis dubia

❹ 대나무, Phyllostachys spp.

팽나무, Celtis sinensis

❻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❼ 붉나무, Rhus javanica

연꽃, Nelumbo nucifera

❽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부레옥잠, Eichhornia crassipes

❾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❸

❶ 갈참나무, Quercus aliena

❹ ❻❽

Imdaejeong

❹ ❿

❶❹❼ ❾

임대정 현판 Signboard of Imdaejeong

❻❽ 연꽃과 배롱나무 Nelumbo nucifera and Lagerstroemia indica

Imdaejeong

자라풀과 부레옥잠 Hydrocharis dubia and Eichhornia crassipes

❷ ❻ ❻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69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1_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2_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3_ 오죽 Phyllostachys nigra

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2 3

넓은 평야가 보이는 정자 주변에는 대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으며, 아래편 연못에는 연꽃과 무성한 배롱나무가 장관을 이루고 있다.

A bamboo groove surrounds the pavilion with a background of wide plains and lotus and crape myrtle trees around the lower pond to create spectacular scen.

07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1


화순 임대정 원림*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2

1 3

1_ 하연지의 연꽃 Nelumbo nucifera of lower pond 2_ 상연지 Upper pond 3_ 하연지 Lower pond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71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남원 광한루 南原 廣寒樓 Gwanghallu Garden in Namwon 광한루는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위치한다. 광한루는 조선시대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는데, 세종 16년(1434) 정인지가 광한루(廣寒樓)로 고쳐 세운 뒤 바꾼 이름이다.

* Gwanghallu garden is located in Cheongeo-dong, Namwon City, Jeollabukdo Province. Hwang Hui created it when he was exiled to Nam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renamed from Gwangtonglu to Gwanghallu by Jeong In-ji after its reconstruction in the 16th year of King Sejong (1434).

07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 남원 광한루*Gwanghallu Garden in Namwon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❷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❷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❸ 감나무, Diospyros kaki

❸❻ ❾

❸❻

Wolmae's house

Wolmae's house ❾

❶❺

Memorial hall of Chunhyang

❶❺

Memorial hall of Chunhyang

❸ 감나무, Diospyros kaki ❹ 개잎갈나무, Cedrus deodara ❺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❹ 개잎갈나무, Cedrus deodara ❻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❺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❼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❽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❻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❼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❾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❽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❿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❾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Wondo

Management office

Management office

❻ ❻

❻❼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❿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❶❺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소나무, Pinus densiflor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원추리, Hemerocallis fulva 소나무, Pinus densiflora 은행나무, Ginkgo biloba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Wondo

❻ ❻

Ojakgyo bridge Bangjangjeong pavilion

Ojakgyo bridge

❻❼

Wanwoljeong

❻❼

❶❺❿

Gwanghallu Bangjangjeong pavilion

Wanwoljeong

❻❼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Bongnae island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원추리, Hemerocallis fulva팽나무, Celtis sinensis

Yeongjugak pavilion

은행나무, Ginkgo biloba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wanghallu

❷❺❽

Bongnae island

❻❺

❹ ❷❺ Yeongjugak pavilion

팽나무, Celtis sinensis

❽ Chunhyang’s shrine ❷❺❽ ❽

❻ ❹

Chunhyang’sindica shrine 춘향사당과 ❷❺배롱나무 Shirine of Chunhyang and Lagerstroemi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73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Gwanghallu Garden in Namwon

봉래도, 영주각, 방장정 Bongnaedo, Yeongjugak, Bangjangjeong 신선사상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세 개의 섬으로 조선 중기 정원에 끼친 도가사상의 영향을 잘 보여 준다.

074

1

2

3

4

1_ 왕대 Phyllostachys bambusoides 2_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3_ 방장정 Bangjangjeong pavilion 4_ 영주각 Yeongjugak pavilion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ere are three islands in the pond, which show the influence of Taoism on traditional gardens in the mid-Joseon period.


남원 광한루*Gwanghallu Garden in Namwon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감사 정철이 요천(蓼川)에서 끌어온 물이 누 앞에서 좁다랗게 흐르고 있던 개울을 크게 넓혀서 평호(平湖)로 하고 은하수를 상징하게 했으며 주위를 석축으로 하고 호 속에 세 개의 섬을 만들어 하나의 섬에는 녹죽을 심고 또 하나의 섬에는 백일홍을 심었으며 다른 하나의 섬에는 연정(蓮亭)을 세웠고 호 속에는 연꽃을 가득 심었다”

Jeong Cheol, the provincial governor, widened the brook to make a lake as a symbol of the Milky Way and reinforced its edge with a stone wall. Inside the lake, he made three artificial islands and planted green bamboo trees on one island, crape myrtles on another, and a pavilion for appreciating lotus on the other. He filled the pond with lotuses. - 용성지·누정, 방두천

Yongseongji·Nujeong by Bang Du-cheo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75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왕버들 및 능수버들 Salix chaenomeloides Kimura and Salix pseudolasiogyne H.Lév. (Glandulosa willow and Korea weeping willow) 버드나무 종류는 연못 주변에 가장 흔히 심던 나무로, 특히 왕버들은 가지가 굵고 튼튼하여 버드나무 종류이면서도 거의 늘어지지 않는다. 물가에서 어릴 때 빨리 자라 다른 나무들을 압도하여 하류(河柳)라고도 하였다. 반면 가지가 밑으로 길게 처지는 능수버들은 섬세한 아름다움을 지닌 여인에 비유되기도, 춘정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Gwanghallu Garden in Namwon

Willows are the most common trees planted around ponds. A glandulosa willow has hard and thick branches which bend downwards only slightly. On the other hand, a Korean weeping willow has drooping branches and is usually compared to spring sentiments or a delicate and beautiful woman.

1 1_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2

3

2_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3_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07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남원 광한루*Gwanghallu Garden in Namwon

왕버들 수피 Bark of Salix chaenomeloides

종가시나무 수피 Bark of Quercus glauca

가죽나무 수피 Bark of Ailanthus altissima

개잎갈나무 수피 Bark of Cedrus deodara

가죽나무 열매 Fruit of Ailanthus altissima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Tree of Heaven) 가죽나무는 전국 각 처에서 자라는 소태나무과 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의보감에 의하면 뿌리껍 질은 ‘춘피(椿皮)’라 하여 산부인과에서 자궁염증 이나 대하증치료에 효과적으로 쓰인다. 가죽나 무의 잎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조리 가능하여, 건 강식품으로 상품화 개발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나무이다.

A tree of heaven is a deciduous broadleaf tree from the Simaroubaceae family and grows across the country. It is used to treat inflammation of the uterus and leucorrhea (from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and now draws attention for its high potential for producing health food from its leave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77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영양 서석지 英陽 瑞石池 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서석지는 경북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에 위치한다. 석문 정영방은 처음부터 벼슬을 마다하고 자연 경관이 수려한 이곳에서 학문에만 전념하여 화려한 식물은 피하고 상징적인 식물을 식재하여 ‘사우단(四友壇)’을 조성하고 소나무, 대나무, 매화, 국화를 식재하였다. 서석지는 연못 속의 서석군(瑞石群)에서 유래하였으며, 바위마다 각각 19개의 이름을 붙였다. 정영방은 기존식생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연풍의 야생 식물을 많이 이용하였고, 사우단의 송죽매국의 단조로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점적 인 수목류를 단식하였으며, 동양북음(東陽北陰)의 원리에 따라 생태적 특성에 맞게 배식하였다.

*

Seoseokji is located in Yeondang-ri, Imap-myeon, Yeongyang-gun, Gyeongsangbukdo Province. Jeong Yeong-bang (penname: Seokmun) concentrated on learning instead of public service and created Saudan (a plant bed for his four companions) where he planted pine, bamboo, Japanese apricot, and chrysanthemum. The name comes from Seoseokgun, a series of rocks in the pond, each with their own name. Thinking that natural vegetation was valuable, he planted wild plants by species and a single tree to cover the monotonousness of Saudan and arranged them in appropriate places based on the idea that eastern areas are sunny and northern areas are shadowy. 07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Sujiksa

영양 서석지*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Gyeongjeong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❸ 대나무, Phyllostachys spp.

Management office

❹ 매실나무, Prunus mume ❺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❻ ❷❸ ❹

❼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❽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Juiljae

❾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❿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소나무, Pinus densiflora

Sujiksa

❸ ❺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은행나무, Ginkgo biloba 장미, Rosa hybrida

Gyeongjeong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❼❼

❷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 ❸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❹ 매실나무, Prunus mume

연꽃, Nelumbo nucifera

❺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❻ ❷❸ ❹

자양제 현판 Signboard of Jayangje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❼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❽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

Juiljae

❾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 ❿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Sajumun gate

소나무, Pinus densiflor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은행나무, Ginkgo biloba 장미, Rosa hybrid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

서석지 Seoseokji pond

❼❼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연꽃, Nelumbo nucifera

연꽃 Nelumbo nucifer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79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사우단[四友壇] Saudan Plant Bed 석문 정영방은 처음부터 벼슬을 마다하고 자연 경관이 수려한 이곳에서 학문에만 전념하고자 상징적인 식물로 ‘사우단(四友壇)’을 조성하여 소나무, 대나무, 매실 나무, 국화를 식재하였다.

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Jeong Yeong-bang (penname: Seokmun) wanted to concentrate on learning instead of public service, and as a symbol to represent his will, he created Saudan (a plant bed for his four companions) where he planted pine, bamboo, Japanese apricot, and chrysanthemum.

국화(菊) Chrysanthemum morifolium 사우단 Saudan plant bed

08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대나무(竹) Phyllostachys spp.

매실나무(梅) Prunus mume

소나무(松) Pinus densiflora


영양 서석지*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서석군[瑞石群] Seoseokgun Rocks 서석지의 이름은 연못 내 서석군에서부터 그 이름이 유래했다. 수면에 윗부분을 드러내며 독특한 수경을 연출하는 바위들은 연못을 조성할 때 드러난 것을 그대로 이용했다고 한다. 「경정잡영 32절」과 「임천잡영 16절」에는 바위마다 붙인 열아홉 개의 이름이 등장하는데 주로 신선사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당시 은둔한 선비가 가진 사상을 엿볼 수 있다.

The name of Seoseokji pond comes from Seoseokgun which refers to the rocks in the pond. The rocks were used as they were when the pond was made, creating unique scenery. The names of 19 rocks show us the reclusive scholar’s belief in spiritual immortality.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81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서석지의 돌은 속에는 무늬가 있고 밖은 흰데, 인적이 드문 곳에 감춰져 있다. 마치 정숙하고 고결한 여인이 정조와 깨끗함을 간직하여 스스로 보전하는 것 같다. 또는 마 치 세상을 피한 군자가 덕의를 온축하면서 나오지 않고 마음에 보존하는 것이 알맞아 소중히 여길 만한 실제가 있는 것 같으니, 상서롭다고 말할 수 없겠는가?”

Rocks in Seosekoji, having bright colors and patterns on them, are hidden in a lonesome place. They resemble a woman who keeps her nobility and faith, or a virtuous man who lives in seclusion and keeps justice in his mind. Who can deny they are auspicious? - <경정잡영> 정영방

Gyeongjeongjabyeong by Jeong Yeong-bang

영귀제 Yeonggwijae

1_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2 1

4 3

082

서석군 Seoseokgun (a series of rocks in the pond)

2_ 모감주나무 수피 Bark of Koelreuteria paniculata 3_ 배롱나무 수피 Bark of Lagerstroemia indica 4_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영양 서석지*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은행나무 Ginkgo bilob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83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예천 초간정 원림 醴泉 草澗亭 園林 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초간정 원림은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위치한다. 조선 선조 때 학자인 초간 권문해(1534~1591)가 오랜 관직생활과 당쟁에서 벗어나 고향으로 돌아와 지은 정자로 은일생활과 무위자연을 바탕으로 하는 선조들의 자연관을 보여주는 명승지이다.

*

Choganjeong woodland garden is located in Jungnim-ri, Yongmun-myeon, Yecheon-gun, Gyeongsangbukdo Province. Gwon Mun-hae (penname: Chogan, 1534 -1591) made the pavilion and garden in his hometown after leaving a long period of official service and party strife, which represents the classical ideal of reclusive life and an outlook on nature based on Lao-tzu’s Taoism.

08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❽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❾ 주목, Taxus cuspidata

예천 초간정 원림*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❽ ❺ ❺ ❺ ❺

❷ ❷

❺ Choganjeong

❺ ❽

❽ ❽

Haengrangchae

❷ ❼

❹ ❹

❹ ❹

Anchae

❻ Haengrangchae

❷ ❷

❷ ❹

❶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❷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❸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❹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 ❺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❻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❼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❽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❾ 주목, Taxus cuspidata

❷ ❷ ❷

❽ ❺ ❺ ❺ ❺ ❽ ❺ ❺ 1

2

❽ 1_ 초간정사 ❽ Choganjeong pavilion ❽ 2_ 초간정사 현판 Signboard of Choganjeong pavilio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85 ❸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초간정 Choganjeong Pavilion 초간정은 울창한 수림과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고 있는 경승지에 우뚝 서 있다. 그 외 강학장소, 서고, 살림방으로 일곽을 이룬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앞쪽에 온돌방을 배치하고 대청마루와 난간을 설치해 두었다. 주변의 경관과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086

Choganjeong is a pavilion standing in a beautiful site with a thick forest and oddly shaped rocks. There are places for study and living around it as well. It has a hipped-and-gable roof which is 八-shaped from the side, a room with underfloor heating, a main floored room and railing. The building is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including many oddly shaped rocks.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예천 초간정 원림*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이곳은 북룡문의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골짜기는 병풍처럼 둘러쌓여 있고 학가산의 신선이 놀던 곳이라 알려져 있다. 이곳의 경관은 ‘시냇가에 자란 그윽한 풀포기가 홀로 애처롭다’ 구 절의 진의를 말하는 것이며, 주렴계가 말한 바 ‘수면에 이는 잔잔한 물결의 흔들림’이 곧 이것 을 말하는 것이다.”

Under the blue sky, a valley surrounds this place like a folding screen while water gently waves. - <초간집·초간정사사적> 권문해

Choganjip by Gwon Mun-hae

1 1_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2_ 초간정사 주변경관 Surrounding scenery of Choganjeong pavilion

2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87


별서정원_Rural Villa Gardens

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소나무 Pinus densiflora (Pine Tree)

08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주택정원

Home Gardens 구례 운조루_Unjoru Pavilion in Gurye 함안 무기연당_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강릉 선교장_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강릉 오죽헌_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강릉 임경당_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_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안동 하회마을_Hahoe Village in Andong 순천 낙안읍성_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경주 양동마을_Yangdong Village in Gyeongju


주택정원_Home Gardens

구례 운조루 求禮 雲鳥樓 Unjoru Pavilion in Gurye 구례 운조루는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위치하였으며, 세 명당이 한 곳에 겹쳐진 길지이다. 운조루의 공간구성은 다른 사대부 주택정원과 같이 세 부분(사랑채 전 정 및 후정/ 안채뒤쪽의 내정/ 지당을 중심으로 한 외정)으로 나뉘는데, 사랑채 전정의 경우 차폐를 위한 기능성 식재를, 사랑채 후정에는 산수유 정도가 심어져 있을 뿐 우리나라 전통조경 특색인 후원형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안마당은 가사작업 공간으로서 장독대, 물확 등이 있고 외정에 있는 지당은 전형적인 방지원도의 형태 를 갖추고 있다.

*

Unjoru is located in Omi-ri, Toji-myeon, Gurye-gun, Jeollanamdo Province, and considered an ideal site in terms of geomancy. Like other residence gardens of the upper class, Unjoru consists of three parts including gardens in a detached building, a garden behind a main building, and an exterior court with a pond. In the annex building, trees for blocking views from the outside were planted in the front garden and some Japanese cornelian cherries in the rear garden, which differs from a traditional court garden. There are crocks and a stone pot in the inner garden, and a typically-shaped rectangular pond in the exterior court with an island.

09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구례 운조루*Unjoru Pavilion in Gurye

방지원도를 중심으로 하는 외부공간에는 소나무와 같은 수종을 심어 지표로 삼기도 하고 계류 가에는 버드나무를 심기도 하였다. In the exterior court were planted pines as a milepost and willow trees around the brook. 죽림

Bamboos

❾ ❾

❷ 장독대 Jangdokdae

Family shrine

❷ Anchae

❾❿

❷ ❷

Unjoru pavilion

죽림

Bamboos

❿ ❻ ❻ ❷

❷ ❷

장독대 gdokdae

❹ ❹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❹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Sarangchae

❺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Family shrine

❶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❼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❽ 목련, Magnolia kobus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B C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Anchae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싸리, Lespedeza bicolor

❷ ❷

lion

❿ ❻ ❷

❻ shrine Family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❹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❺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❸ ❼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연꽃, Nelumbo nucifera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Sarangchae

❷ ❷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❶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위성류, Tamarix chinensis

A 전라구례오미동가도 Jeollagurye-omidonggado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회양목, Buxus koreana

외정 Exterior court

❽ 목련, Magnolia kobus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❶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❹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❺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싸리, Lespedeza bicolor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❼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연꽃, Nelumbo nucifera

❽ 목련, Magnolia kobus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위성류, Tamarix chinensis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회양목, Buxus koreana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❸ 소나무, Pinus densiflora 싸리, Lespedeza bicolor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연꽃, Nelumbo nucifera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91


주택정원_Home Gardens 연지 Yeonji Pond Ⓐ_91면 <전라구례 오미동가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Jeollagurye-omidonggado" on page 91.) 운조루 연지에는 「전라구례오미동가도」에서와 같이 수련이 심어져 있으며, 원도에는 소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또한 「전라구례오미동가도」에서는 계류 가에 남쪽 임을 알리는 버드나무와 대나무가 그려져 있다. 수련은 다년생 부엽식물로 잎에 광택이 있으며 물 위에 떠 있다.

Unjoru Pavilion in Gurye

1

Water lilies are planted in Yeonji like in “Jeollagurye-omidonggado” and pine trees on the pond’s island.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willow trees and bamboos are depicted around the brook. Water lily is a perennial floating plant with floating glossy leaves.

2

3

1_ 원도 소나무 Pinus densiflora in wondo 2_수로 Waterway 3_연지 Yeonji pond

09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구례 운조루*Unjoru Pavilion in Gurye 화계 Hwagye (Flower Stairs) Ⓑ 91면 <전라구례 오미동가도> 참조 / (Refer to the image of "Jeollagurye-omidonggado" on page 91.) 사랑채 앞의 화계에는 「전라구례오미동가도」에서와 같이 화려한 꽃과 괴석이 사라졌지만, 석류나무, 박태기나무, 회양목 등이 식재되어 있다.

The colorful flowers and rocks of the flower bed described in the painting now cannot be found at hwagye (flower stairs) in the front garden of the detached building. Instead, pomegranate trees, Chinese redbuds, and Korean box trees are planted there now.

사랑채를 중심으로 한 공간은 매실나무, 석류나무 등의 식물과 화계, 화오, 괴석 등 을 배치해 가장 다양한 경관적인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The space around the detached building is decorated with plants including Japanese apricot and pomegranate trees along with flower stairs, a flower bed and rocks.

1

1_ 화계 Hwagye (flower stairs) 2_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2

3

4

3_ 회양목 Buxus koreana 4_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93


주택정원_Home Gardens

Unjoru Pavilion in Gurye

화오(花塢) Hwao (Flower Bed) 평지에 집이 위치하여 화계 조성이 여의치 않으면 화오를 만 들기도 하였는데, 마당 가장자리의 담장 아래 장대석 혹은 자 연석을 쌓아 흙을 채우고 매화, 석류, 국화, 난, 괴석 등을 배치 하였다. 운조루의 서쪽 담장가에는 화오를 조성하여 산수유, 동백나무 등을 식재하였다.

Hwao (a flower bed) was created at a time when it was impossible to make flower stairs on flat land, by piling a stone at the edge of the bed and covering it with soil, and planting Japanese apricots, pomegranates, chrysanthemums and orchids together with rocks. Around the wall on the west side of Unjoru was a flower bed made of Japanese cornelian cherries and camellias.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위성류 Tamarix chinensis Lour. (Tamarisk) Ⓒ 91면 <전라구례 오미동가도> 참조_

(Refer to the image of "Jeollagurye-omidonggado" on page 91.) 사랑채 앞마당에는 특이하게 위성류[檉]가 식재되어 있다. 「전라구례오미동가도」에서와 같이 측간 앞 차폐 혹은 말을 매어놓기 위한 용도로 식재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사신(使臣) 으로부터 받았다고 전해지는 위성류는 수령이 100년은 훨씬 넘어보이며 기울어져 있어 지주목으로 고여 놓았다.

Uncommonly, a tamarisk is planted in the front garden of the detached building. As shown in the painting "Jeollagurye-omidonggado," it seems to have been planted for covering a toilet shed from the outside or for tethering horses. It is said to have been a present from a Chinese envoy and presumed to be over 100 years old. It leans to the side, so it is propped up by a wood post.

솟을대문 Lofty gate

09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구례 운조루*Unjoru Pavilion in Gurye

안채를 중심으로 한 공간에는 생활에 쓰이는 실용적인 장소로 안마당은 타작 혹은 건조와 같은 가사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뒷마당은 장독 대, 우물과 함께 앵두나무, 감나무 등의 과수를 식재하였다. The space around the main building was kept for daily practical use. In the front yard, crops were thrashed and dried, and in the backyard there were Manchu cherries and persimmon trees with crocks and a wall.

1

2

3

1_ 위성류 Tamarix chinensis 2_ 위성류 꽃 Flower of Tamarix chinensis 3_ 위성류 수피 Bark of Tamarix chinensis

맷돌/물확 Millstone and Stone Pot 생활에서 쓰이는 맷돌과 물을 담아두는 물확이 있어 가사 공간으로 쓰인다는 걸 알 수 있다. 물확은 돌절구로도 쓰이기 때문에 부엌 앞마당이나 부엌 옆마당에 놓일 때가 많다.

A millstone or stone pot indicates the space is used for housework. A stone pot is sometimes used as a mortar, so it is placed in the front or side yard of the kitche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95


주택정원_Home Gardens

함안 무기연당 咸安 舞沂蓮塘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무기연당은 경남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에 위치한다. 조선 영조 4년(1728) 이인좌가 반란을 일으키자 주재성 선생은 함안 일대에서 의병을 일으켜 난을 평정시켰는데, 관군이 주씨 향리에 모여 주재성 선생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서당 앞 넓은 마당에 연당을 판 후(연못을 국담이라 함) 섬(석가산을 쌓은 섬을 양심대라 함)을 만든 것이 무기연당이다. 조선 후기 살림집의 별당에 못을 파고 정원을 꾸민 유적이 남아있는 것도 드문 일이지만 현재의 모습이 「하환정도」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2단으로 된 석축, 석가산의 방도, 연못으로 내려가는 계단, 괴석 등은 당시의 조경기법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례이다.

*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s located in Mugi-ri, Chilweon-myeon, Haman-gun, Gyeongsangbukdo Province. In the fourth year of King Yeong-jo (1728) when Yi In-jwa rose in rebellion, Ju Jae-seong mustered his forces and suppressed the revolt in Haman. In memory of his achievement, the royal forces gathered at his home, made a pond (called Gukdam) and an island (called Yangsimdae) on it, and named it Mugiyeondang. There are few residence gardens with pon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ugiyeondang looks just as it did in the painting, “Hahwanjeongdo.” With its two-tiered stonework, rectangular island Seokgasan, stairs at the pond and various rocks, the garden is a precious examp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t that time. 09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Sukgasan

Choonghyosa (Shrine)

❹ Hahwanjeong

Camellia japonica ❼ 매실나무, Prunus mume ❽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❾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소나무, Pinus densiflora

Yeongjeonggak

함안 무기연당*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주목, Taxus cuspidata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❿ ❼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Pungyokru

❼❿

❷ ❸ ❿

❶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❷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❸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❹ 꽝꽝나무, Ilex crenata

Sukgasan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Choonghyosa (Shrine)

❼ 매실나무, Prunus mume ❽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❾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Hahwanjeong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소나무, Pinus densiflora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Yeongjeonggak

주목, Taxus cuspidata

❿ ❼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❶ Pungyokru

무기연당 Mugiyeondang pond

❼❿

❷ ❸ ❿

❽ ❺

Sukgasan

Choonghyosa (Shrine)

❹ Hahwanjeong

Yeongjeonggak

❿ ❻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97


주택정원_Home Gardens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1

2

1_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2_ 소나무 Pinus densiflora

09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함안 무기연당*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석가산 Artificial Stone Mountain 석가산은 자연을 집안에 끌어들이려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도가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하환정도」의 석가산에는 상록수 한 그루와 화목을 중심으로 지피식물이 식재되어 있고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다. 현재 무기연당 석가산에는 꽝꽝나무가 식재되어 있으며 괴석이 서 있다. 이와 비교하여 함양 정여창 고택의 석가산은 사랑채 앞에 조성되어 세 개의 바위가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을 의미한다고 한다.

The artificial mountain made of stone is supposed to convey nature,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aoism. On the mountain, an evergreen tree, flowering plants, ground-covering plants and swimming fish are described in the painting, “Hahwanjeongdo.” Now a box-leaved holly and rocks are put there. Another stone mountain in Jeong Yeo-chang’s residence in Hamyang has three rocks which represents the three mountains in Korea – Mt. Geumgansan, Mt. Jirisan, and Mt. Hallasan.

1 2

3

1_ 정여창고택-석가산 Artificial stone mountain in Jeongyeochang house 2_ 석가산-양심대 Yangshimdae of artificial stone mountain 3_ 석가산 Artificial stone mountai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099


주택정원_Home Gardens

“정유년(1717년) 봄에 군사를 모아 단하(壇下)에 못을 파고 물고기를 길러 낚시터로 하였으며, 무신년(1728년)에 군사를 이끌고 돌아온 후에는 단상 (壇上)에 정자를 짓고 하환(何換)이라 하였다”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In the year of Jeongyu (1717), soldiers dug the ground to create a pond as a fishing place, and in the year of Musin (1728), they constructed a pavilion and named it Hahwan.

- <하환정중수기> 주도복,

Hahwanjeongjungsugi by Ju Do-bok 1_ 하환정도 Hahwanjeongdo 2_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3_ 개비자나무 열매 Fruit of Cephalotaxus koreana

2

4_ 사당 Family shrine 5_ 감나무 Diospyros kaki

1 2

100

3

1_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2_ 꽝꽝나무 Ilex crenata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6_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7_ 매실나무 Prunus mume 8_ 소나무 Pinus densiflora

4

1 8 7

6

5


함안 무기연당*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하환정도」의 오른편에 그려져 있는 화단은 지금은 사당 건물인 ‘불조묘’가 들어서서 옛 화단의 모습을 볼 수 없다.

The flower bed at the right side of “Hahwanjeongdo” is now replaced by a shrine called Buljomyo.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01


주택정원_Home Gardens

강릉 선교장 江陵 船橋莊 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선교장은 강원 강릉시 운정동에 위치한다. 전주사람인 이내번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지은 집으로, ‘선교장(船橋莊)’이라는 이름도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붙였다고 한다.

*

Seongyojang is located in Unjeong-dong, Gangneung City, Gangwondo Province. As Yi Nae-beon who had lived in Jeonju moved to Gangneung, he made Seongyojang residence. The name Seongyo means a navigation bridge as the shape of the site is similar to the prow of a ship.

10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선교장*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1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쉬나무, Euodia daniellii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❹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연꽃, Nelumbo nucifer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❻ 대나무, Phyllostachys spp.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❼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❽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주목, Taxus cuspidata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붓꽃, Iris sanguine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2

1_ 주목 Taxus cuspidata 2_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❺ Shrine

❶ ❻❿

❺ Eastern detached house

Thatched-roof house Yeolhwadang

Detached house

❷❸❺❼ ❽

Western detached house

Hwallaejeong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소나무, Pinus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쉬나무, Euodi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앵도나무, Pru

❹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연꽃, Nelumb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영산홍, Rhod

❻ 대나무, Phyllostachys spp.

오죽, Phyllos

❼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은행나무, Gin

❽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음나무, Kalop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주목, Taxus c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철쭉, Rhodod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탱자나무, Pon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향나무, Junip

붓꽃, Iris sanguinea

회화나무, Sop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사랑채

Sarangchae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쉬나무, Euodia daniellii

❸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Haengrangchae

❹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People’s house

❻ 대나무, Phyllostachys spp.

Shrine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❼ 떡갈나무, Quercus ❶❻ ❿ dentata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❺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❽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People’s house

연꽃, Nelumbo nucifera

❺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❾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주목, Taxus cuspidata

❿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❷ ❽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Eastern detached house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Detached house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Thatched-roof house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붓꽃, Iris sanguine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Yeolhwadang Western detached house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❹ 사랑채

Sarangchae

❺ Shrine Haengrangcha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03


주택정원_Home Gardens 연꽃[蓮] Nelumbo nucifera Gaertn. (Lotus)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의 모습과 같이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때가 묻지 않은 맑고 깨끗한 본성을 가진 자를 의미한다.

The lotus symbolizes a virtuous man who follows Confucianism and retains a clean and pure character despite living in mud. 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활래정과 연꽃 Hwallaejeong and Nelumbo nucifera

10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선교장*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나는 홀로 연꽃이 진흙에서 나왔으면서도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기면서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이 비어 있고 겉이 곧으며 덩굴 뻗지 않고 가지 치지 않으며 향기가 멀수록 더욱 맑고 우뚝이 깨끗하게 서 있어,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으나 함부로 가지고 놀 수 없음을 사랑한다.”

I love lotus as it grows in mud but does not become dirty; it is washed by clear water but is not sensuous; it has hollow but straight stems which do not creep nor spread; its scent reaches far, and I can see it from a distance but cannot pluck it carelessly.

- <애련설> 주돈이

On the Love of the Lotus by Zhou Dunyi

1

2 3

4

1_ 원도와 소나무 Wondo and Pinus densiflora 2_ 연꽃 Nelumbo nucifera 3_ 활래정 Hwallaejeong 4_ 별당으로 통하는 협문 Side door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05


주택정원_Home Gardens

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2

1

3

1_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2_ 밤나무 Castanea crenata 3_ 사당으로 올라가는 길 Way up to family shrine

10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선교장*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1 3 2 1_ 감나무수피 Bark of Diospyros kaki 2_ 박태기나무잎 Leaf of Cercis chinensis 3_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07


주택정원_Home Gardens

강릉 오죽헌 江陵 烏竹軒 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신사임당(1504∼1551)과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집인 강릉 오죽헌은 강원 강릉시 죽헌동에 위치한다

*

Ojukheon is located in Jukheon-dong, Gangneung City, Gangwondo Province, and a historic residence where Sinsaimdang (1504-1551) lived and his son Yi-I (penname: Yulgok, 1536-1584) was born.

10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오죽헌*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감나무, Diospyros kaki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f. paniculata

소나무, Pinus densiflora

나팔꽃, Pharbitis nil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❶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단풍나무, Acer palmatum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매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목련, Magnolia kobu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❼❹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❹ 나팔꽃, Pharbitis nil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❺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❻ 단풍나무, Acer palmatum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❼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❽ 매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❾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❿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목련, Magnolia kobus

회양목, Buxus koreana Eojaegak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오죽, Phyllostachys nigra

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란, Paeonia suffruticosa

련, Magnolia kobus

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❿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목련, Magnolia kobus

회양목, Buxus koreana

❼❹ Anchae Munseongsa

Sarangchae

❾ Ojukheon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❼❾ ❹

오죽, Phyllostachys nigra

1_ 안채 옥잠화, Anchae (the dwelling place of women) Hosta plantaginea

❾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Anchae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Ojukheon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양목, Buxus koreana

싸리나무, Lespedeza bicolor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향나무, hae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풍나무, Acer palmatum 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소나무, Pinus 2 densiflora

❼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2_ 자두나무 자두나무, Prunussalicina salicina Prunus ❽ 매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❸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f. paniculata

팔꽃, Pharbitis nil

자나무, ❷ Chaenomeles japonica

❻ 단풍나무, Acer palmatum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1

❺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f. paniculata

문동, Liriope platyphylla

❹ 나팔꽃, Pharbitis nil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나무, Diospyros kaki

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❸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f. paniculata

회양목, Buxus koreana ❶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Munseongs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❺❸❻❿

Munseongsa

Sarangcha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09


주택정원_Home Gardens

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초충도 전시원과 꽃창포 Chochungdo garden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11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오죽헌*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신사임당(申師任堂) 초충도(草蟲圖) Chochungdo(Paintings of grass and insects) by Sinsaimdang 사임당의 섬세한 필선, 선명한 색채, 안정된 구도 등이 돋보이는 그림으로, 각 그림에 나타난 식물을 직접 식재하여 화단을 조성하였다.

Sinsaimdang painted “Chochungdo” with a delicate and colorful touch and a stable structure, and made a flower bed for herself which contains the plants in the paintings.

1

2

3

4

5

6

7

8

1_ 가지와 벌, Eggplants and bees 2_ 맨드라미와 소똥벌레, A cockscomb and scarab beetles 3_ 산차조기와 사마귀, A wild perilla and a mantis 4_ 수박과 들쥐, Watermelons and rats 5_ 양귀비와 도마뱀, Poppy and a lizard 6_ 어숭이와 개구리, Hollyhock and a frog 7_ 오이와 개구리, A cucumber and a frog 8_ 원추리와 개구리, A day lily and a frog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11


주택정원_Home Gardens

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오죽 Phyllostachys nigra (Lodd.) Munro (Black Bamboo) 중국이 원산지인 오죽은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약 7m까지 자란다. 대가 아름답기 때문에 관상 용으로 심고 성숙한 것은 여러 가지 세공재료로 이용한다.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하고 항암효과가 뛰어나다.

Black bamboo, native to China, grows up to 7 meters in the middle and southern region of Korea. Owing to its beautiful stem, it is usually planted for decorative purposes and also used for handiwork materials when it is full grown. In addition, it efficiently prevents high blood pressure, stroke, and cancer.

11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오죽헌*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1_ 매실나무 Prunus mume 2_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3_ 주목 Taxus cuspidata

4_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5_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6_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1

2

3

4

5

6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13


주택정원_Home Gardens

강릉 임경당 江陵 臨鏡堂 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임경당은 강원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에 위치하며, 임경당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상임경당이 위치하고 있다. 율곡과 같은 시대에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김열의 별당으로 소나무 숲을 배경으로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 지붕집으로 그의 호를 따서 이름 붙인 것으로, 임경당의 뜻은 경포(鏡浦)에 이르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

Imgyeongdang is located in Geumsan-ri, Seongsan-myeon, Gangneung City, Gangwon Province. Sangimgyeongdang (upper Imgyeongdang) is also located near Imgyeongdang. With a bamboo grove in the backyard, Imgyeongdang is the hipped-and-gable roofed villa of Kim Yeol, who was a distinguished scholar and virtuous man as a contemporary of Yulgok. Its name comes from the penname of Kim Yeol, which means the way to Gyeongpo, the lake in Gangneung.

11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임경당*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❶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❸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❹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❺ 매실나무, Prunus mume ❻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❼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❽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❾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❿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임경당 현판 Signboard of Imgyeongdang

임경당 전경 Front view of Imgyeongdang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소나무, Pinus densiflor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❶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Jangdokdae

❷ 감나무, Diospyros kaki

Storeroom

❸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❹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❺ 매실나무, Prunus mume ❻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❼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❽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민가 People’s house

❾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❿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Anchae

소나무, Pinus densiflor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창고 Storeroom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❹ ❿

Imgyeongdang

Jangdokdae

Storeroom

Storeroom

❾ Storeroom

❺ 민가 People’s house

Storeroom

❻❼❽❾

Storeroom

❾ Ancha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창고 Storeroom

115


주택정원_Home Gardens 대나무와 우물 Bamboos and well

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대나무와 장독대 Bamboos and Jangdokdae

참죽나무 Cedrela sinensis

11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강릉 임경당*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1

2

3

4

1_ 담장 Wall 2_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3_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4_ 풍게나무 Celtis jessoensi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17


주택정원_Home Gardens

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상임경당(上臨鏡堂) Sangimgyeongdang 임경당 김열의 덕을 기리고자 후손들이 지은 별당으로, 임경당보다 높은 산세를 배경으로 위치하고 있다.

Kim Yeol’s decendants built Sangimgyeongdang to praise the virtue of Kim Yeol in a higher loacation than Imgyeongdang.

11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❹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❺ 목련, Magnolia kobus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❻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주목, Taxus cuspidata

❼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❽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❾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회양목, Buxus koreana

❿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강릉 임경당*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❷ 매실나무, Prunus mume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❸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❹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❺ 목련, Magnolia kobus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❻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주목, Taxus cuspidata

❼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❽ 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❾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회양목, Buxus koreana

❿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앵도나무, 소나무, Pinus Prunus tomentosa densiflor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❸

Shrine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❸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❹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오죽, Phyllostachys nigra

❺ 목련, Magnolia kobus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❻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주목, Taxus cuspidata

❼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❶ ❸

Anchae

❶ Sang-Imgyeongdang

❷ 매실나무, Prunus mume

Sarangchae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❷ ❾

❽ ❻봉선화, Impatiens balsamin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❾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회양목, Buxus koreana

❿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❻ ❹

Shrine

❶ ❸

Anchae

❻ ❶

Sang-Imgyeongdang

❸ ❹

상임경당 안채와 괴석 Anchae and a rock in Sangimgyeongdang

Sarangchae

❶ ❸

Anchae

❻ ❷ ❾ ❽ Sarangcha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19


주택정원_Home Gardens

녹우당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으로 구성되고 행랑채가 갖추어져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형식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사랑채 앞마당에 꽝꽝나무와 향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Nogudang represents a typical upper class residence from the Joseon Dynasty, which is composed of the main building, the detached building (the two buildings forming a square shape) and servants’ quarters. Box-leaved hollies and Chinese junipers are planted in the front yard of the detached building.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海南尹氏 綠雨堂 一圓 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위치한 윤선도 고택의 사랑채인 녹우당(綠雨堂)은 효종이 윤선도에게 내려준 경기도 수원에 있던 집을 현종 9년(1668)에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입구에는 당시에 심은 은행나무가 있는데 떨어지는 은행잎이 마치 비가 오듯 날린다고 하여 ‘녹우(綠雨)’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뒷산에는 500여 년 된 비자 나무숲(천연기념물 제241호)이 우거져 있다.

*

Nogudang, the detached building of Yun Seon-do’s residence, is located in Yeondong-ri, Haenam-eup, Haenam-gun, Jeollanamdo Province. The building was a reward from King Hyojong and was moved from Suwon, Gyeonggido Province to Haenam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 (1668). At that time, a gingko tree was planted at the entrance, and the name Nogu means gingko leaves are falling like rain. There is a nutmeg grove that is over 500 years old (the 241th Natural Monument) in the rear mountain. 12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Castanea crenata ❽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❾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❿ 소나무, Pinus densiflora 은행나무, Ginkgo biloba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팽나무, Celtis sinensis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곰솔, Pinus thunbergii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❽ Shirine of Eochoeun

❷ ❺ ❼ ❽❿ Family shrine

❺ ❶ ❾

Shirine of Gosan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❷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❸ 꽝꽝나무, Ilex crenata

❺ ❶

❹ 대나무, Phyllostachys spp.

❺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❻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Alter Jangdokdae

Anchae

Well

❼ 밤나무, Castanea crenata

❽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❾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❿ 소나무, Pinus densiflora Nogudang Pond

은행나무, Ginkgo biloba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팽나무, Celtis sinensis 곰솔, Pinus thunbergii

Haengrangchae

Haengdan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❽ 어초은사당 Shrine of Eochoeun

Shirine of Eochoeun 추원당 Chuwondang

❷ ❺ ❼ ❽❿ Family shrine

❺ ❶ ❾

Shirine of Gosan

❺ ❶

Alter Jangdokdae

Anchae

Well

Nogudang Pond

Haengrangchae

Haengdan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21


주택 정원_Home Gardens

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안채의 꽝꽝나무와 향나무 Ilex crenata and Juniperus chinensis

12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곰솔 Pinus thunbergii

은행나무 Ginkgo bilob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23


주택 정원_Home Gardens

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1

2

12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1_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2_ 연지 Yeonji pond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Retusa Fringe Tree) 이팝나무는 5월 중순쯤 백색꽃이 나무 전체에 피었다가 가 을이면 열매를 맺어, 정원수나 가로수로 이용된다. 옛날 사 람들은 이팝나무의 꽃이 잘 피면 풍년이 들고, 그렇지 못하 면 흉년이 든다고 했다. 어린 잎은 말려서 차를 끓여먹기도 하고 뜨거운 물에 살짝 데쳐서 나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뇨제로 쓰이기도 한다.

A retusa fringe tree blooms in mid-May and bears fruit in autumn, and is usually planted in gardens and streets. People have said that the year’s harvest will be successful if the trees are in full bloom. Young leaves are used as tea, food after parboiling, and as a diuretic.

2 1 1_ 이팝나무 수피 Bark of Chionanthus retusus 2_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25


주택 정원_Home Gardens

안동 하회마을 安東 河回마을 Hahoe Village in Andong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위치한 하회마을은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이라는 이름으로 2010년 7월 31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낙동강 줄기가 S자 모양으로 동·남·서를 감싸 돌고 있고 강의 북쪽 언덕에는 부용대(芙蓉臺)의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서 있는데, 이러한 산천지형으로 인하여 하회마을은 연꽃이 물 위에 떠있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으로 물이 새면 마을이 가라앉는다고 하여 연지나 샘을 파지 않은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

Hahoe village is located in Hahoe-ri, Pungcheon-myeo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nder the name of “Historic Villages of Korea: Hahoe and Yangdong,” it was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on 31th July, 2010 along with Yandgong village in Gyeongju. In the village, the river has S-shaped curves and a cliff called Buyongdae which stands like a folding screen on the northern hill. The village site resembles a lotus flower on the water, and there is no pond or spring in the belief that the village would sink if they made either a lotus pond or a spring. 초가골목길 Alley in Hahoe village

12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구례 운조운*Soswaewon Garden in Damyang

1

2

3

4

1_ 소나무 Pinus densiflora 2_ 은행나무 Ginkgo biloba 3_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4_ 벽오동 Firmiana simplex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27


주택 정원_Home Gardens 사대부 주택정원 Residence Gardens of Noblemen 사대부 주택정원 중 상류 계층의 주택은 그 대문이 안채보다 높은 ‘솟을대문’이며, 말에서 내릴 때 필요한 ‘하마석’이 하회마을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The residence of a nobleman has a lofty gate higher than the main building. In addition, stepping stones for dismounting can be found in many places in Hahoe village. Hahoe Village in Andong

1

2 3

1_ 양진당 솟을대문 Lofty gate in Yangjindang 2_ 하마석 Stepping stone 3_ 양진당 Yangjindang

12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안동 하회마을*Hahoe Village in Andong

감나무 Diospyros kaki Thunb. (Persimmon tree) 주택 정원 마당에서 흔히 한두 그루 정도 보이는 감나무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곶감은 몸의 허함을 보하고 위장을 든든하게 하고 어혈을 삭히고 목소리를 곱게 한다’고 하였으며 ‘홍시는 심장, 폐에 좋으며 토혈을 멎게 한다’고 하여 약재로 사 용하였다.

One or two persimmon trees are usually found in residence gardens. According to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a dried persimmon helps strengthen one’s body and stomach, purify blood and gives a sweet voice,” and “a soft persimmon is good for heart and lung and stops coughing blood,” and was often used to make medicine

1 2

1_ 원지정사 Wonjijeongsa 2_ 감나무 Diospyros kaki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29


주택 정원_Home Gardens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Chinese Flowering-quince) ‘나무에 달린 참외’라는 목과(木瓜)에서 나온 모과나무는 민간 약으로 널리 쓰여 『동의보감』에 따르면 기관지염, 각기병, 폐결핵, 신경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 였다. 임금이 병들었을 때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Hahoe Village in Andong

The name means an oriental melon growing on a tree. Chinese flowering-quince is widely used in folk medicine, and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says that its fruit is effective in treating bronchitis, beriberi, tuberculosis and neuralgia. When a king became ill, it was sometimes used for his medicine.

1

2

1_ 모과 Fruit of Chaenomeles sinensis 2_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Sengreen) 바위솔은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나 기와지붕에 붙어서 30c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Sengreen belongs to Crassulaceae and is a perennial plant. It grows up to a foot on rocks or tiled roofs.

1

2

1_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2_ 기와 지붕위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on tiled roofs

13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안동 하회마을*Hahoe Village in Andong

1

2

3

1_ 충효당 앞 부용(좌)과 배롱나무(우) Hibiscus mutabilis (left) and Lagerstroemia indica (right) of Choonghyodang 2_ 소나무 Pinus densiflora 3_ 범부채 Belamcanda chinesi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31


주택 정원_Home Gardens

순천 낙안읍성 順天 樂安邑城 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순천 낙안읍성은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 서, 남내리에 위치하였다.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넓은 분지 안에 남향으로 쌓은 성이다. 성안의 마을 은 전통적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당시 생활풍속과 문화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

Naganeupseong is located in Nagan-myeon, Suncheon City, Jeollanamdo Province. It is a fortress which faces south in a wide basin to protect the place against frequent Japanese invasion. The village in the fortress looks as it did in the old days, so people can guess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that time.

13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순천 낙안읍성*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공간구성은 동서문을 잇는 중심도로 북측에는 공공적 성격이 강한 부분으로 관아건물이 배치되고 건물환경을 자연에 조화되 게 하였다. 남쪽의 민가는 소박한 초가가 대부분이고 장독대 주변이나 마당 구석에 작은 뜰을 조성하여 감, 모과, 석류, 매실, 무화과, 앵도나무 등 과실수와 화목을 심어 건물을 위압하지 않은 조원을 하였다.

There is a central road from the west to the east with public office buildings in the northern quarter that harmonizes with nature. Most private houses in the southern quarter are thatched ones in which small gardens are harmoniously created around a platform for crocks or at the corner of the yard with flowering fruit trees, including persimmon trees, Chinese flowering-quinces, pomegranate trees, Manchu cherries and fig cherrie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33


주택 정원_Home Gardens

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장승 Jangseung, Korean traditional wooden totem pole

초가집과 박덩굴 Thatched house and gourd vines

13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마을가 Outskirts of a town


순천 낙안읍성*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1 2 1_ 마을 어귀 Village entrance 2_ 은행나무 Ginkgo bilob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35


주택 정원_Home Gardens

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1 2

1_ 우물 Well 2_ 조선시대 지방관청인 동헌을 재현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in Naganeupseong

13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순천 낙안읍성*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1 2

1_ 도예방 Pottery class 2_ 멀구슬나무가 보이는 초가집 Thatched house and Melia azedarach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37


주택 정원_Home Gardens

경주 양동마을 慶州 良洞마을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위치한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이라는 이름으로 2010년 7월 31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마을의 지형은 ‘勿’자형으로 종가일수록 높고 넓은 산등성이 터에 양반들의 법도에 따라 집을 배열 하고 있으며 아래터의 가람집(노비들의 주택)을 이와 비교하여 한 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본래의 모습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13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주 양동마을*Yangdong Village in Gyeongju

*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is located in Yangdong-ri, Gangdong-myeon, Gyeongju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nder the name of “Historic Villages of Korea: Hahoe and Yangdong,” it was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on 31th July, 2010 along with Hahoe village in Andong. frequent Japanese invasion. The village in the fortress looks as it did in the old days, so people can guess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that time.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39


주택 정원_Home Gardens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양동마을 Yangdong Village 전형적인 조선초기의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양대 가문으로 이어 내려온 씨족마을로 주변 자연 경관과 어울려 오랜 전통을 간직한 큰 양반 가옥들이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잘 보존되어 있다.

This is a village of the Wolseong Son clan and the Yeogang Yi clan where a group of large traditional residences are well preserv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e.

1 3 2

140

1_ 낙선당 Nakseondang 2_ 숲길 Forest trails 3_ 우물 Stone well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주 양동마을*Yangdong Village in Gyeongju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41


주택 정원_Home Gardens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서백당 Seobaekdang

1

2

3

1_ 은행나무 Ginkgo biloba 2_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3_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14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서원 정원

Seowon Gardens 안동 도산서원_Dosanseowon in Andong 안동 병산서원_Byeongsanseowon in Andong 경주 옥산서원_Oksanseowon in Gyeongju 영주 소수서원_Sosuseowon in Yeongju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안동 도산서원 安東 陶山書院 Dosanseowon in Andong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위치한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조선 선조 7년(1574) 퇴계 이황 선생의 학 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 동재, 서재를 지어 국왕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면서 도산서원이 완성되었다.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장소임을 나타내었다.

*

Dosanseowon is located in Togye-ri, Dosan-myeo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It is a place where Yi Hwang (penname: Toegye) built Dosan Academy and educated scholars. In the 7th year of King Seonjo (1574), Dosanseowon was completed when literati and scholars who respected Toegye constructed a shrine called Sangdeoksa, a lecture hall and two dormitory buildings and the king granted a royal charter. The space, plain and simple, displays an academy institution and the dignity of Toegye.

14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소나무, Pinus densiflora 이대, Pseudosasa japonica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양목, Buxus korean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안동 도산서원*Dosanseowon in Andong 절우사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Jeorusa

❷❻❼

❷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❸ 금송, Sciadopitys verticillata ❹ 능소화, Campsis grandifoli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❻ 대나무, Phyllostachys spp.

Printing house

❼ 매실나무, Prunus mume

Sangdeoksa

❽ 모란, Paeonia suffruticosa

Dongjae (East dorm)

❾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❿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❽ ❽

Dosandeodang

Gwangmyeongsil

❼❽

Jeongyodang

❼❽ ❽ ❽

❽ ❽

소나무, Pinus densiflora 이대, Pseudosasa japonica

Nogunjeongsa

Seojae (West dorm) Gwangmyeongsil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양목, Buxus koreana

Hagojiksa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Sanggojiksa

❿ ❺

Yeongnakseojae

❺ ❺

Museum

❺ ❺

절우사

Jeorusa

❷❻❼ 대식(對植) Trees Facing Each Other 만물의 이치를 강독하는 향교, 서원 등 강학 공간에 널리 보이는 배식 형식으로 정선의 「도산

❺ ❼

서원도」에도 그 모습이 보인다.

Printing house

Trees which are planted facing each other are usually seen in places for education Dosandeodang ❺ ❽including provincial schools or seowon (academy institutions). Jeong Sun also painted ❽ Dongjae the trees facing each other in his painting “Dosanseowondo.” Gwangmyeongsil

Sangdeoksa

(East dorm)

❼❽

Jeongyodang

❼❽

❽ ❽

시사단 Shisadan

❽ ❽

Nogunjeongsa

Seojae (West dorm) Gwangmyeongsil

❶ ❼

Hagojiksa

❹ ❾

Sanggojiksa

❿ ❺

Yeongnakseojae

❺ ❺

Museum

❺ ❺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45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Dosanseowon in Andong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 Zucc. (Japanese Flowering Apricot) 매실나무는 흩날리는 눈 속에서도 청초한 꽃을 피우며 향기를 내어 중국에서는 ‘화중제일품(花中第 一品)이라 부른다. 퇴계 이황은 매실나무를 사랑하여 이를 소재로 한 시를 모아 「매화시첩」을 만들기 도 했다.

As the Japanese flowering apricot has elegant, fragrant flowers which bloom in the fluttering snow, the Chinese call it “the best of all flowers.” Toegye Yi Hwang loved the tree and wrote poems about it. 광명실 Gwangmyeongsil 매화원(梅花園) Garden of Prunus mume

14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안동 도산서원*Dosanseowon in Andong

모란[牧丹]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Tree Paeony) 모란은 매우 화려하고 호화로운 꽃으로 부귀, 영예, 미인, 애정 등을 상징한다. 중국에서도 매우 귀한 꽃이라 ‘화왕(花王)’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A paeony is a very splendid and colorful flower which symbolizes wealth, glory, beauty and love. The Chinese considered it very valuable and called it “the king of flowers.”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화계 Hwagye (flower stair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47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Dosanseowon in Andong

2 1 3

동래(東萊)의 수왜(守倭) 평성륜(平成倫)이 청구서 두 첩(帖)을 보냈는 바, 그 한 첩에는 청모란·황모란·흑모란·백모란·적모란과 기화 이초(奇花異草)를 적었으므로, 부사 이원진이 역관을 시켜 말하기를, “오색(五色)의 모란은 옛 서적(書籍)에서도 볼 수 없는데, 다만 청모 란·흑모란이 중원의 낙양(洛陽)에서만 생산되고 다른 곳에는 백모란도 희귀하다.” 하니, 평성륜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적모란만 얻어도 만족하겠다. 또 이른바 기화 이초에 대해서는 곧 산화(山花) 가운데 색채가 있는 것 과 국화 중에 붉은 색을 띤 것이면 될 듯하다. 그리고 세 종류의 약재(藥材)는 1근씩만 얻고자 한다.”

A Japanese envoy asked for a favor and wanted to receive blue, yellow, black, white and red peonies and rare plants and flowers. The official Yi Won-jin delivered the message, saying, “Those peonies are hardly found in old documents, though black and blue ones grow in Luoyang, China. White ones are exceptionally rare.” Then the envoy said, “I will be satisfied with only a red peony. As for the rare flowers, I would like to have red chrysanthemums and other colorful wild flowers.”

1_ 백목련 Magnolia denudata 2_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3_ 단풍나무 Acer palmatum

14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 <인조실록> 인조 23년(3월7일)

Annals of King Injo, on March 7 in the 23th year of King Injo (March 7)


안동 도산서원*Dosanseowon in Andong 절우사(節友社) Jeorusa Garden 퇴계 이황의 절개와 지조를 나타내고자 매실나무, 대나무, 소나무, 국화를 식재하여 절우사라 이름하 였으나 지금은 계류 범람 등으로 옛 모습이 남아있지 않은 실정이다.

Jeorusa was a garden made to display Toegye’s loyalty and fidelity through the planting of bamboos pines, Japanese flowering apricots and chrysanthemums but now has lost its original scenery due to flood.

정우당(淨友塘) Jeongudang Pond 도산서당 앞에 조성되어 있는 연지는 정우당이라 하여 연꽃의 아름다움을 읊었다. 정우(淨友)는 연꽃의 별칭이다.

Jeongudang is a pond by the lecture hall and takes its name from the nickname for lotus.

감나무 Diospyros kaki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49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안동 병산서원 安東 屛山書院 Byeongsanseowon in Andong 병산서원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위치하며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병산서원은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자연 경관을 채용하여 경(景)의 입지를 선택한 서원으로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

Byeongsanseowon was built in memory of Yu Seong-Ryong (penname: Seoae) in Byeongsan-ri, Pungcheon-myeo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Southwest of Andong City, it is located in the winding upriver area of Nakdong against the backdrop of Mt. Hwasan.

15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❿ 오죽, Phyllostachys nigra 주목, Taxus cuspidata

안동 병산서원*Byeongsanseowon in Andong

Jusa Jeonsacheong

❼ ❼ Jondeoksa

❼ Dongjae (East study room)

❻❼

❻ ❼

❷ ❼

Mandaeru arbor

Ipgyodang hall

❺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❻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❼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❷ ❼

❾ ❿

Seojae (West study room)

❷ 매실나무, Prunus mume ❸ 무궁화, Hibiscus syriacus ❹ 물옥잠, Monochoria korsakowii

Jangpangak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Gwayeongji pond

❽ 부들, Typha orientalis ❾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❹❽ ❼

❿ 오죽, Phyllostachys nigra 주목, Taxus cuspidata

솟을대문 Lofty gate

Jeonsacheong

❼ ❼ Jondeoksa

Ipgyodang hal

Jangpangak

❾ ❿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51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Byeongsanseowon in Andong

1 2 1_ 병산서원입구 Entrance of Byeongsanseowon 2_ 만대루 Mandaeru arbor

15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안동 병산서원*Byeongsanseowon in Andong

2 1 3

1_ 입교당과 무궁화 Ipgyodang hall and Hibiscus syriacus 2, 3_ 만대루 Mandaeru arbor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53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Byeongsanseowon in Andong

3

1

2

4

5

1_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2_ 과영지 Gwayeongji pond 3_ 오죽 Phyllostachys nigra 4_ 감나무 Diospyros kaki 5_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15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안동 병산서원*Byeongsanseowon in Andong

소나무 Pinus densiflor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55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경주 옥산서원 慶州 玉山書院 Oksanseowon in Gyeongju 옥산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옥산서원은 곡(谷)의 입지를 선택하여, 계곡의 한 가운데 존재하면서 자연과의 관계를 압도당하지 않고 제압하지 않는 균형감을 가지고 있다.

*

Oksanseowon was built in memory of Yi Eon-jeok (penname: Hoejae), the neo-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in Oksan-ri, Angang-eup, Gyeongju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alley, it shows harmony between the seowon and nature.

15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❹❼❺ Riding stables

Guindang

Taegeukmun gate

Dining room

경주 옥산서원*Oksanseowon in Gyeongju

Minujae

Imsujae

Sajumun gate

❼ Mubyeonru

❾ ❻ Bigak

Yeongnangmun gate

Bigak

장판각 Jangpangak

Gyeonggak

장판각 Jangpangak

Gyeonggak

❹❼❺

Eoseogak

Riding stables

Guindang

❽ Sesimdae

Minujae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Riding stables

Sajumun gate

❷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Taegeukmun gate Mubyeonru

Dining room

❼ ❾

Sajumun gate

Yeongnangmun gate

❻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❼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❽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❾ ❻

Yeongnangmun gate

❹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❶❷❸❿

❼ Mubyeonru

❸ 말채나무, Cornus walteri

❻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❺

Minujae

Imsujae

Taegeukmun gate

Dining room

❹❼❺ Imsujae

Guindang

Eoseogak

❶❷❸❿

❶ Cheinmyo

❶ Cheinmyo

❾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Sesimdae

❿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잣나무, Pinus koraiensis

❶❷❸❿

❷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❸ 말채나무, Cornus walteri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❹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Sesimdae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❷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❸ 말채나무, Cornus walteri

❶ 감나무, Diospyros kaki

❺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❻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❼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❽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❾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❿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❹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잣나무, Pinus koraiensis

❺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❻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❼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❽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❾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❿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세심대 Sesimdae

잣나무, Pinus koraiensis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세심대 Sesimdae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57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L . (Chinese Juniper) 향나무의 향이 부정을 제거하고 정화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제사와 관련된 곳에 많이 심었는데, 서원이나 향교의 제향 공간에 주로 식재된다.

Chinese Juniper has been thought to remove and purify bad luck, so it was usually planted in religious places and provincial schools or academy institutions. Oksanseowon in Gyeongju

향나무는 금강산과 묘향산 꼭대기에서 잘 자라며, 승려들이 채취하여 법당의 향을 만든다.

Chinese Juniper grows well on top of Mt. Geumgangsan and Mt. Myohyangsan, and monks make incense out of it.

- <양화소록> 강희안

Yanghwasorok by Gang Hui-an

15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주 옥산서원*Oksanseowon in Gyeongju

2 1 3 1_ 말채나무 Cornus walteri 2_ 푸조나무 Aphananthe aspera 3_ 은행나무 Ginkgo bilob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59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Castor Aralia) 음나무의 껍질은 해동피(海桐皮)라고 알려진 약재이며 동의보감에서는 허리와 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과 마비되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고 하였다.

Bark of castor aralia is used as medicine, and Dongui 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says the bark treats pain and paralysis in the waist or legs. Oksanseowon in Gyeongju

1

2

3

1_ 음나무 수피 Bark of Kalopanax septemlobus 2_ 음나무 잎 Leaf of Kalopanax septemlobus 3_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16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경주 옥산서원*Oksanseowon in Gyeongju 독락당 Doklakdang 옥산서원이 공적, 학문의 공간을 대표한다면 옥산서원과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사랑채 독락당은 이언적(1491∼1553) 선생의 사적 공간을 대표한다. 독락당 옆쪽 담장에 좁은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창 을 달아 독락당에서 바로 앞 냇물을 바라보게 한 것은 자연과 화합하려는 특별한 공간구성이라 하겠다.

While Oksanseowon is a public space for education, Doklakdang, the detached building near Oksanseowon, was the private space of Yi Eon-jeok (1491-1553). A wooden barred window on the wall that allows people to watch the brook is a special device to help harmonize the place with nature.the waist or legs.

2

1 3

4

1_ 독락당 측면 Side view of Doklakdang 2_ 독락당 살창 Window of Doklakdang 3_ 흙담길 Mud wall 4_ 개울가에 식재된 산수유, 원추리, 주엽나무, 향나무, 소나무 Cornus officinalis, Hemerocallis fulva, Gleditsia japonica, Juniperus chinensis and Pinus densiflor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61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문성공묘 Munseonggongmyo

영주 소수서원 榮州 紹修書院 Sosuseowon in Yeongju 소수서원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위치한다. 조선 중종 37년(1542)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가, 이듬해 유생들을 교육하면서 백운동서원이라 하였다. 명종 5년(1550)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최초로 임금이 이름을 지어 ‘소수서원’이라 사액을 받고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통일신라시대의 절인 숙수사가 있었는데, 그 유적으로 남아있는 숙수사지 당간지주(宿水寺址 幢竿支柱)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Sosuseowon is located in Naejuk-ri, Sunheung-myeon, Yeongju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In the 37th year of King Jungjong (1542), Ju Se-bung, the governor in Punggi, constructed it for the memorial ceremony of An Hyang, a Confucian scholar from the Goryeo Dynasty, and the next year he named it Bagundongseowon and educated scholars there. In the fifth year of King Myeongjong (1550), Sosuseowon received its current name from the king at the request of Yi Hwang, the governor in Punggi, as well as being the first royal charter with financial suppor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Suksusa temple was located at the site of Sosuseowon but it was destroyed by fire. 16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❶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❷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❸ 매실나무, Prunus mume ❹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영주 소수서원*Sosuseowon in Yeongju

❺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❼ 목련, Magnolia kobus

대식(對植) Trees Facing Each Other

제사를 지내고 유교이념을 가르치는 공간에는 은행나무 등을 문묘 경역의 전면 좌우에 대칭으로 심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양과 음이 짝하여 하나가 된다는Hibiscus 화합의 syriacus 의미를 담고 있는데, 만물의 이치 ❽ 무궁화, 를 강독하는 향교, 서원 등 강학 공간에 널리 보이는 배식 형식이다. 소수서원의 경우 입구에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가 대식되어 있다.

❾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In places for education and ritual, two trees such as gingko are usually planted facing each other. They symbolize the unification of yin and yang,Viburnum and areopulus usually seen in places like 백당나무, var. calvescens provincial schools or academy institutions which educate students about the providen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t the entrance of Sosuseowon planted two gingko designated as 벌개미취,are Aster koraiensis 복사나무, Prunus persica protected trees.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❶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❷ 단풍나무, Acer palmatum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❸ 매실나무, Prunus mume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❹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❺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솜대,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❼ 목련, Magnolia kobus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❾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Storeroom 이대, Pseudosasa japonica 작약, Paeonia lactiflora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잣나무, Pinus koraiensis

❽ 무궁화, Hibiscus syriacus

백당나무,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주목, Taxus cuspidata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복사나무, Prunus persica

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Gojiksa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Muse Shrin

Yeongjeonggak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❶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❷ 단풍나무, Acer palmat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❸ 매실나무, Prunus mume ❹ 명자나무, Chaenomeles japonica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❻ 모란, Paeonia suffruticosa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❼ 목련, Magnolia kobus

이대, Pseudosasa Storeroom japonica

❽ 무궁화, Hibiscus syriacus

작약, Paeonia lactiflora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복사나무, Prunus persica

Yeongjeonggak 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향나무, Juniperus Gojiksa chinensis

❺❾ ❿ Hakgujae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Seojanggak

G

은행나무, Ginkgo biloba

잣나무, Pinus koraiensis

Ilsinjae

Shrine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작약, Paeonia lactiflora

❼ Jihakjae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이대, Pseudosasa japonica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Takcheongji pond

주목, Taxus cuspidata

솜대,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❺❾

잣나무, Pinus koraiensis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소나무, Pinus densiflora

Ilsinjae

Shrine Museum

백당나무,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Seojanggak

솜대,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❺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❾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❿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❶❾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❸ ❶

주목, Taxus cuspidata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Gyeongryeomjeong

은행나무 Ginkgo bilob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63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Sosuseowon in Yeongju

은행나무(杏)Ginkgo biloba L . (Ginkgo Tree) 은행나무는 공자가 행단(杏亶) 아래에서 학문을 강 의한 것에 연유해 공자를 모시는 문묘 공간에 상징 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옛날 향교가 있던 마을 에 ‘행정리(杏亭里)’나 ‘행촌리(杏村里)’가 많은 것은 향교에 은행나무가 자주 심긴 데서 유래한 것이다.

The ginkgo tree is a symbol of Confucianism as Confucius is said to have lectured on a podium made of ginkgo. As provincial schools often planted gingko trees, many villages with schools still have gingko-related names.

16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영주 소수서원*Sosuseowon in Yeongju

1_ 경렴정 Gyeongryeomjeong pavilion 2_ 죽계천 Jukgyechoen stream

1

2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65


서원 정원_Seowon Gardens

Sosuseowon in Yeongju

1 2 1_ 소나무 Pinus densiflora 2_ 화단 Flower bed

16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사찰 정원

Temple Gardens 순천 송광사_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순천 선암사_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송광사 조계문 Jogyemun gate

순천 송광사 順天 松廣寺 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우리나라 삼보사찰(불보, 법보, 승보) 중 하나인 승보사찰로서 유명한 송광사는 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에 위치하고 있다. 수림 속에 대소 전각이 조화롭게 배치되 어 계류에 의지한 사원 경관으로 더욱 돋보인다.

*

Songgwangsa Temple, one of the three most important temples in Korea, is located in Sinpyeong-ri, Songgwang-myeon, Suncheon City, Jeollanamdo Province. The temple looks beautiful as the small and large buildings are harmoniously arranged along with the forest and brook.

16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❷ 곰솔, Pinus thunbergii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❸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❹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❺ 남천, Nandina domestica

실유카, Yucca filamentosa

❻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❼ 대나무, Phyllostachys spp.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❽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❾ 매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순천 송광사*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❿ 맥문동,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iriope 송광사 오르는 길platyphylla 단풍나무 군락지 맨드라미,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Celosiatrees cristata A colony of maple on the road to Songgwangsa Temple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파초, Musa basjoo

목련, Magnolia kobus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해당화, Rosa rugos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회양목, Buxus koreana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3단(3th:) 2단(2nd:) 1단(1 st:)

Daejijeon

Munsujeon

Sulbupjeon Suseonsa Gwaneumjeon Hasadang

Pungamyeonggak

❽ ❹

Chaandang

Daeungjeon

Mogucheon

Jijangjeon

Sungmunjeon

요사채

Haecheondang

Yosachae

약사전

Seungbogak

Bubseongryo

Seonyeoldang

Cheonwangmun gate Sajaru

❻❻ ❻

❶ 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❷ 곰솔, Pinus thunbergii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❸ 국화, Chrysanthemum morifolium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❹ 금목서,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❺ 남천, Nandina domestica

실유카, Yucca filamentosa

❻ 당단풍나무, Acer pseudosieboldianum

옥잠화, Hosta plantaginea

❼ 대나무, Phyllostachys spp.

일월비비추, Hosta capitata

❽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❾ 매실나무, Prunus mume

주목, Taxus cuspidata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❿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맨드라미, Celosia cristata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모란, Paeonia suffruticosa

파초, Musa basjoo

목련, Magnolia kobus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해당화, Rosa rugosa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회양목, Buxus koreana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3단(3th:)

Sulbupjeon Suseonsa Gwaneumjeon Hasadang

169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2

1 3

1_ 침계루(枕溪樓) Chimgyeru 2_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3_ 능허교(凌虛橋) Neungheogyo bridge

17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순천 송광사*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1

2 3

1_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2_ 피라칸다 Pyracantha angustifolia 3_ 피라칸다 열매 Fruit of Pyracantha angustifoli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71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1

2 3

1_ 백송 Pinus bungeana 2_ 단풍나무 Acer palmatum 2_ 파초 Musa basjoo

파초 Musa basjoo Siebold & Zucc.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파초의 크고 넓은 잎새는 한여름 더위에 시원함을 더해준다. 주로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이 울리는 소리경관[雨 景觀]의 체험을 추구하기 위하여 식재하였으며, 사찰에 심겨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시 키며, 청정하며 심재가 없는 까닭에 본질을 꿰뚫 어 보면 속이 텅 비어 있어 무아 또는 공의 의미를 표상한다.

Musa basjoo is native to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and its big, wide leaves give an impression of coolness against the midsummer heat. It is usually planted to hear the pleasant sound of falling rain on its broad leaves. Musa basjoo planted in temples represents the transiency and emptiness of life as well because of its hollow stems.

172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순천 송광사*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괴석과 파초 Rocks and Musa basjoo 괴석과 파초의 배합은 도상적 차원으로, 고상하고 우아한 외래식물의 아취를 집안에서 품위있게 향유하고자 하는 의도가 적극 반영된 것이다. 단식 위주로 식재되어, 상징적 의미의 파초 식재가 이루어졌다.

Rocks and Musa basjoo are arranged together to create beautiful scenery, reflecting the ancestors' intention to enjoy exotic moods in their own gardens. In general, a single Musa basjoo was symbolically planted.

1

2

1 소쇄원도에 등장하는 파초 (46면 소쇄원도 참조) Musa basjoo in Soswaewondo (46 page) 2 다산초당도에 등장하는 파초와 괴석 (57면 다산초당도 참조) Musa basjoo in Dasanchodangdo (57 page)

1

2

3

4

1_ 송광사(松廣寺) 현판 Signboard of Songgwangsa 2_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3_ 해우소(解憂所) / 화장실 Haewooso (Korean traditional lavatory) 4_ 불두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73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소나무 Pinus densiflora

순천 선암사 順天 仙巖寺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에 위치한 선암사는 신라시대 아도화상의 ‘비로암’ 창건설과, 도선국사 창건설을 가진 사찰로서,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중창되면서 천태종 전파의 중심사찰이 되었다.

*

Seonamsa Temple is located in Jukhak-ri, Seungju-eup, Suncheon City, Jeollanamdo Provinc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either by a wellknown priest or by a king's mentor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After reconstruction by Monk Uicheon, it has played a role as the main place for Tiantai Buddhism.

174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선암사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순천 선암사*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1 2 3

Samindang pond

❼ ❼ ❼ ❼ ❼ ❼ ❼

Eungjindang

❼ Wontongjeon

❿ ❿

Samseonggak Muryangsujeon

Buljojeon

1_ 파초 Musa basjoo 2_ 부도(사리탑) Budo (Monastic stupa) 3_ 승선교 Seungseongyo bridge

Muujeon

Palsangjeon

❻ ❸ Eunghyanggak

Daeungjeon

Jeokmukdang Seolseondang

Seotap

Dongtap

Simgeomdang

Mansaeru Carpinus tschonoskii ❶ 개서어나무,

❷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 ❸ 금식나무, Aucuba japonica f. variegata ❹ 꽝꽝나무, Ilex crenata Beomjongru Haecheondang

Restroom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❾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❽ ❻ ❾

❼ 매실나무, Prunus mume ❽ 목서, Osmanthus fragrans

❾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❿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❶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소나무, Pinus densiflora

❷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❸ 금식나무, Aucuba japonica f. variegata

아왜나무,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❹ 꽝꽝나무, Ilex crenata ❺ 단풍나무, Acer palmatum

처진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❻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은행나무, Ginkgo biloba

❼ 매실나무, Prunus mume

전나무, Abies holophylla

❽ 목서, Osmanthus fragrans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❾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파초, Musa basjoo

❿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팔손이, Fatsia japonica

석류나무, Punica granatum 소나무, Pinus densiflora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아왜나무,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처진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전나무, Abies holophylla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75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1

3

2 1_ 협문 Side door 2_ 쌍지 Twin ponds 3_ 담쟁이 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176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순천 선암사*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1 3

1_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2_ 처진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4

3_ 옥잠화 Hosta plantaginea 4_ 수련 Nymphaea tetragona

2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77


사찰 정원_Temple Gardens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편백 수피 Bark of Chamaecyparis obtusa 삼나무숲 Forest of Cryptomeria japonica

178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삼나무 수피 Bark of Cryptomeria japonica

구골나무 수피 Bark of Osmanthus heterophyllus

전나무 수피 Bark of Abies holophylla


참고문헌 김미옥. 2009.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옛 그림 및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현준, 심우경. 2007.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141-154. 김효진. 1986. 한국의 계단식정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재현, 신상섭, 박율진. 2008. 「다산도」에 표현된 다산초당의 원형경관 탐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31-41. 노재현, 김영숙, 고여빈. 2010. 조경식물 파초(Musa basjoo) 식재 양상과 그 의미:조선시대 옛 그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23-36. 문화재청. 2002. 창덕궁·종묘 원유. 문화재청. http://www.cha.go.kr 민경현. 1982. 서석지를 중심으로 한 석문 임천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1):4-27. 민경현. 1991. 한국정원문화-시원과 변천론. 예경산업사. 박경자. 2010. 조선시대 정원. 학연문화사:서울. 박상진. 2010. 궁궐의 우리나무. 눌와:서울. 백종철. 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산림청. 국가 표준식물 목록. www.nature.go.kr/kpni 성종상. 2010. 고산 윤선도 원림을 읽다. 나무도시:서울. 우주선. 2005. 동궐도를 통해 본 창덕궁 외부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 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수류산방. 이왕기. 1996. 전통, 변용의 한계와 극복. 환경과 조경 110:66-73. 이재근. 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근. 2005. 한국의 별서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139-144. 정동오. 1989. 고산 윤선도의 별서생활과 부용동원림의 지원에 대한 고찰. 고산연구 3:101-142. 정우진, 심우경. 2011. 창경궁 후원 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71-89. 정재훈. 2005. 한국전통조경. 조경:성남. 정헌관. 2008. 우리 생활 속의 나무. 심일:서울. 조경진, 김정호. 2001. 조경설계에 있어서 전통정원의 현대적 재현의 특성-파리 서울공원 현상공모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84-95. 천득염. 1999. 한국의 명원 소쇄원. 도서출판 발언:서울. 최만봉. 1997. 구례 운조루 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2):147-154. 최미경. 2010. 영남지방 서원루의 건축계획: 자연경관 해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수영, 김광현, 홍대형. 2001. 전라구례오미동가도를 통해 본 운조루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7(11);133-140. 최유리. 2009. 자연관이 별서건축 공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고전번역원. http://db.itkc.or.kr 한국조경학회. 1996. 「동양조경사」. 문운당. 허균. 2002. 한국의 정원-선비가 거닐던 세계. 다른세상. 허준, 장민, 이시영. 2009. 민가의 전통정원 재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이장우 가옥을 대상으로. 농업사연구 8(3):111-133. 홍광표, 이상윤, 정운익. 2001. 한국의 전통수경관. 태림문화사 : 서울.

Traditional Korean Gardens 한국의 전통정원

179


References Choi, M.B. 1997. Study on the Unjoru garden in Gury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5(2):147-154. Choi, M.K. 2010. Architectural planning of Seowonlu in Youngnam province.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Choi, S.Y., K.H. Kim, and D.H. Hong. 2001.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Unjoru showed in the family hereditary drawing, Oh-mi-dong-ga-do.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11):133-140. Choi, Y.R. 2009. The influence of view of nature on remote villa garden’s space.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un, D.Y. 1999. The most beautiful garden in Korea, Soshaewon. Baleon:Seoul. Chung, D.O. 1989. A study on life in retreating villa garden and pond of Buyong-dong constructed by Gosan Yunseondo. Gosan Research 3:101-142. Chung, H.G. 2008. Trees in our lives. Shimil:Seoul. Chung, J.H. 2005.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hokyung:Seongna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2002. Changdukgung, Jongmyo Wonyu.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www.cha.go.kr/kpni Heo, J., M. Jang, and S.Y. Lee. 2009. A study on recreating and utilizing of traditional garden style in a folk hous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History 8(3):111-133. Hoe, K. 2002. Korean garden. Dareunsesang:Seoul. Hong, K.P., S.Y. Lee., and W.E. Chung. 2001. Korean traditional waterscape. Taerim: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ttp://db.itkc.or.kr Jung, W.J. and W.K Sim. 2011. Historical studies on the uses of the rear garden at Changkyung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71-89. Kim, H.J. 1986. A study on the traditional terraced garden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gardens in Seoul and Chonnam district.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m, H.J. and W.K. Sim. 2007. Analysis of the status of pl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on the Donggweol-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141-154. Kim, M.O. 2009. A study on the ground-cover plant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ancient paintings and literatures. PhD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Forst Service.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kpni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6. History of orient landscape architecture. Munwoondang. Lee, J.K. 1992. A study on Byeolseo garden in Choson dynasty. PhD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Lee, J.K. 2005. Byeolseo garden of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139-144. Min, K.H. 1982. Research on the style of Korean traditional Seong-Moon Imcheon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4-27. Min, K.H. 1991. Korean garden culture. Yekyung:Seoul. Paek, C.C. 2001. A study on the 'Chybyong' at the Changdeokgung palace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the analysis of Donggwoldo.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Park, K.J. 2010. Gardens in Choseon dynasty. Hakyeon:Seoul. Park, S.J. 2010. Korean trees in palace. Nulwa:Seoul. Rho, J.H., S.S. Shin, and Y.J. Park. 2008. The prototype scenery research of Dasanchodang represented in 「Dasando(茶山圖)」.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31-41. Rho, J.H., Y.S. Kim, and Y.B. Goh. 2010. 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a landscape plant: focused on analysis of ol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2):23-36. Sung, J.S. 2010. Read the garden of Yun Seondo. Namudoshi:Seoul. Woo, J.S. 2005. A study on changes in the external spaces of the Changdeak palace based on Donggwol-do. MS Thesis. Chunbuk University. Yee, S. 2006. Study on planting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uryusanbang: Seoul. Yee, W.G. 1996. Traditio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nsformation.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110:66-73. Zoh, K.J. and C.H. Kim. 2001.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gardens in landscape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entry plans of Seoul park in Par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84-95.

180

한국의 전통정원 Traditional Korean Gardens



창경궁 Changgyeonggung Palace 창덕궁 Changdeokgung Palace 경복궁 Gyeongbokgung Palace 담양 소쇄원 Soswaewon Garden in Damyang 보길도 윤선도 원림 Woodland Garden of Yun Seondo on Bogildo Island 강진 정약용 유적 Exile Residence of Jeong Yakyong in Gangjin 담양 명옥헌 원림 Woodland Garden of Myeongokheon in Damyang 화순 임대정 원림 Woodland Garden of Imdaejeong in Hwasun 남원 광한루 Gwanghallu Garden in Namwon 영양 서석지 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예천 초간정 원림 Woodland Garden of Choganjeong in Yecheon 구례 운조루 Unjoru Pavilion in Gurye 함안 무기연당 Mugiyeondang Pond and Pavilion in Haman 강릉 선교장 Seongyojang Residence in Gangneung 강릉 오죽헌 Ojukheon Residence in Gangneung 강릉 임경당 Imgyeongdang Residence in Gangneung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Nogudang Residence of Haenam Yun Clan 안동 하회마을 Hahoe Village in Andong 경주 양동마을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순천 낙안읍성 Naganeupseong Fortress in Suncheon 안동 도산서원 Dosanseowon in Andong 안동 병산서원 Byeongsanseowon in Andong 경주 옥산서원 Oksanseowon in Gyeongju 영주 소수서원 Sosuseowon in Yeongju 순천 송광사 Mt. Jogyesan and Songgwangsa Temple 순천 선암사 Mt. Jogyesan and Seonamsa Temple

“한국의 전통정원” 조선시대 대표적인 전통정원을 중심으로

Traditional Korean Gardens Representative gardens of the Joseon period

발간등록번호 : 11-1400119-000153-01

값 35,000원

표지 / Cover : 영양 서석지 Seoseokji Garden in Yeongyang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