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 2

Page 1

연구보고 KR 2014-2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도구 개발 -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 김정랑(광주교육대학교) 공동연구자 : 한선관(경인교육대학교) : 한종임(이화여자대학교) : 모경환(서울대학교) : 이현주(이화여자대학교) : 김용신(사단법인 21세기역량강화 파트너십) 연 구 원 : 김수환(총신대학교) : 김상홍(경인교육대학교) 연구협력관 : 여한기(교육부) 과제책임자 : 계보경(한국교육학술정보원)


21세기 미래 사회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디지털에서 스마트로 패러 다임이 바뀌면서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도 과거의 발명가(inventor), 개발자(developer), 혁신가(innovator)를 넘어서서 창조자(creator)”를 필요 로 하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미래교육기획위원회, 2011). 이와 같은 맥락 에서 교육부는 2011년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통 해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 학생들이 미래 역량을 길러갈 수 있는 교육체제 혁신 동력으로 스마트교육을 추진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또한 기존 교과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 문항, 보충·심화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부 가된 학생용 교재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있다. 2014년에는 연구학교 를 중심으로 사회, 과학, 영어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적용하고 효과성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통해 향후 확대여부를 결정한다. 본 연구는 연구학교 운영을 통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관리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연구학교 운영 성과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공통 및 세부 효과성 검증도구를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효과성 검증 도구를 이용 하여 2013년 연구학교 144개교(초등 76교, 중등 68교)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셋째, 디지털교과서 사용 및 스마트교육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며, 향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교육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부 정책 검토, KERIS 등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분석, 문헌 연구, 전문가 협의회, 수업 참관, 초점집단인터뷰, 교 육부 및 KERIS 관계자 자문회의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교육부 정 책 검토, 교육부 및 KERIS 관계자 자문회의 등을 거쳐 스마트교육 및 디 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목표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임을 명확히 하 고,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도구로 (1) 21세기 학 - i -


습자 역량(7개영역), 정의, 지표(23개) (2) 21세기 교수자 역량(5개영역), 정 의, 지표(17개) (3) 만족도(3개영역), 정의, 지표(12개)를 개발하였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공통검증 설문과 세 부검증 설문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공통검증 설문 문항은 연구학교 운영 전반에 걸쳐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학생(21세기 학습자 역량 26문항, 태도 4문항, 준비도 5문항, 몰입 4문항, 흥미 3문항,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6문항, 경제성 3문항, 참여 및 환경 3문항), 교사(21세기 교수자 역량 24문 항, 이해도 13문항, 학습효과 13문항), 학부모(이해도 8문항, 부수적 효과 5 문항,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만족도 9문항)대상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 다. 세부검증 설문도구는 범교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교과공통 세부 문항 (83문항)과 2014년 디지털교과서 적용 예정 교과인 사회(155문항), 과학 (184문항), 영어(208문항) 교과별 세부 문항을 개발하여 2014년 연구학교에 서 디지털교과서 적용교과에 따라 검증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개발된 효과성 검증 도구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스마트교 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144개교 학생 7,838명, 교사 1,256명, 학부모 2,896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학생의 경우 21세기 학습자 역량인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 유연성 전 영역에서 2년차 연 구학교 학생들이 1년차 연구학교 학생들 보다 스스로의 역량을 높이 평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경우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스스로의

역량에 대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높은 인 을 가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셋째, 학부모의 경우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본적 이

해 및 부수적 효과에 대한 인 은 연구학교 운영 2년차 학교의 학부모들이 1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들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난 시사점 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2년차 연구학교가 1년차 연구학교보다 긍정적인 반 첫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하여 가장 중요하게 나타

- ii -


응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또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통한

교육이 학습자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진시 다는 부분에서 학생과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현재 실시 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및 스마트교육의 당위성과 지속성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이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의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학교 교육 이 학생들의 미래를 잘 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것을 교사가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을 위한 수업 설계, 21세기 학습자 역량 평가 등을 위해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원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연수가 필요함은 물 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과정 목표 도달

셋째, 디지털교과서 활용 및 스마트교육의 효과적 확대를 위해서는 학생

애 최소화 하고 보다 의미있는 학 습이 이루어지도록 학습용 기기를 교육목적에 맞게 관리 및 통제하는 프로 그램 도입이 시급하고, 또한 이에 대한 활용 연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효과성 검증 도구를 활용하여 2014년도 전체 연구학 교를 대상으로 학년 초부터 학년 말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전, 후 비교 또는 비교반, 실험반 비교 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효 과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고, 실질적인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을 측정 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 설문조사와 더불어 학습과정과 학 습 산출물 평가, 관찰에 의한 역량 측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개별 스마트기기 활용에 따른 학습 장 를

- iii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5 1.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현황 ······························································· 5 2. 21세기 학습자 역량 ······················································································· 22 3. 연구학교 효과성 검증 요인 분석 ······························································· 25

Ⅲ. 연구학교 효과성 검증 도구 개발 ·····························································33 1. 2. 3. 4. 5.

개발단계 및 과정 ··························································································· 33 효과성 공통 검증 도구 개발 ······································································· 36 효과성 세부 검증 도구 개발 ······································································· 58 개발된 공통문항 및 세부문항 ····································································· 84 타 도 및 신 도 분석 ················································································· 86

3. 4. 5. 6. 7.

학습자 역량 분석 ··························································································· 92 교수자 역량 분석 ························································································· 107 학생 만족도 분석 ························································································· 114 교사 만족도 분석 ························································································· 121 학부모 만족도 분석 ····················································································· 123

당 뢰 Ⅳ. 적용 결과 및 분석 ························································································90 1. 기초통계량 분석 ························································································· 90 2. 질적 연구 분석 방법 ····················································································· 91

Ⅴ. 결론 및 제언 ·································································································133 참고문헌 ················································································································140 ABSTRACT ········································································································150 부록 ·····················································································································155 - v -


표 차 례 <표 Ⅱ-1> 연구학교 운영모델 유형 ································································ 11 <표 Ⅱ-2> 전국 연구학교 현황 ··········································································11 <표 Ⅱ-3>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양적 연구 결과 분석 ································ 12 <표 Ⅱ-4> 디지털교과서 효과 측정 영역 ······················································ 14 <표 Ⅱ-5>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별 측정도구 ········································ 15 <표 Ⅱ-6> SMART 리터러시의 내용요소와 21C역량과의 관계 ··············· 20 <표 Ⅱ-7>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지표 ··························································28 <표 Ⅱ-8> 21세기 교수자 역량 및 지표 ··························································29 <표 Ⅲ-1> 스마트교육에서의 학습자 역량 영역 ············································ 35 <표 Ⅲ-2> 효과성 측정을 위한 세 영역 ·························································· 37 <표 Ⅲ-3> 21세기 학습자 역량, 정의, 지표 ···················································· 38 <표 Ⅲ-4> 21세기 교수자 역량, 정의, 지표 ···················································· 40 <표 Ⅲ-5> 만족도 ································································································· 42 <표 Ⅲ-6> 공통 평가의 구성 ··············································································43 <표 Ⅲ-7> 교과 공통 세부문항의 구성 ···························································· 60 <표 Ⅲ-8> 사회과 세부 문항의 구성 ································································ 67 <표 Ⅲ-9> 과학과 세부 문항의 구성 ································································ 72 <표 Ⅲ-10> 영어과 세부 문항의 구성 ······························································82 <표 Ⅲ-11> 개발된 공통문항 구성 ··································································· 84 <표 Ⅲ-12> 개발된 교과별 세부문항 구성 ···················································· 85 <표 Ⅲ-13> 21세기 학습자 역량 기술 통계량 ··············································87 <표 Ⅲ-14>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한 문항의 신뢰도 ··············································································· 87 <표 Ⅲ-15> 21세기 교수자 역량 기술 통계량 ··············································· 88 <표 Ⅲ-16>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한 문항의 신뢰도 ··············································································· 89 <표 Ⅳ-1> 학생, 교사, 학부모 설문 참여 현황(명) ······································· 90 <표 Ⅳ-2> 관찰 및 인터뷰 대상 ······································································ 91 <표 Ⅳ-3>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93 <표 Ⅳ-4> 성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97 - vi -


<표 Ⅳ-5>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99 <표 Ⅳ-6>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100 <표 Ⅳ-7> 학교급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역량 인식에 대한 변량분석 ··························································································· 101 <표 Ⅳ-8> 사용횟수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 104 <표 Ⅳ-9>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107 <표 Ⅳ-10> 성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 영역별 검사 ······················109 <표 Ⅳ-11>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 영역별 검사 ···· 111 <표 Ⅳ-12>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112 <표 Ⅳ-13> 학교급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변량분석 ················································································ 112 <표 Ⅳ-14>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생 만족도 검사 ································ 114 <표 Ⅳ-15> 성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 영역별 분석 ···································· 115 <표 Ⅳ-16>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 117 <표 Ⅳ-17>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학생 만족도 검사 ································ 118 <표 Ⅳ-18> 연구학교 급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에 대한 변량 분석 ········ 119 <표 Ⅳ-19>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 121 <표 Ⅳ-20> 성별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122 <표 Ⅳ-21>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 122 <표 Ⅳ-22>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 123 <표 Ⅳ-23>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 124 <표 Ⅳ-24>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 126 <표 Ⅳ-25>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 127 <표 Ⅳ-26> 학교급별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 변량 분석 ·············· 128 <표 Ⅳ-27> 부수적 효과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세부 분석 ······················ 131

- vii -


그림차례 [그림 Ⅱ-1] 디지털교과서의 본문 메뉴 ······························································ 8 [그림 Ⅱ-2] 학습 커뮤니티의 기능과 활용 ························································ 8 [그림 Ⅱ-3]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 9 [그림 Ⅱ-4]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 10 [그림 Ⅱ-5] 기존 교육과 스마트교육의 차이 ·················································· 17 [그림 Ⅱ-6]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www.p21.org) ············· 23 [그림 Ⅱ-7] 미래 한국의 교육과정 ···································································· 31 [그림 Ⅲ-1] 도구 개발 단계 및 절차 ······························································· 33 [그림 Ⅲ-2] 공통 검증 도구 문항 개발 절차 ················································· 36 [그림 Ⅲ-3] 교과별 세부문항 개발 절차 ························································ 58 [그림 Ⅲ-4] 영어 교과의 특성: 내용교과가 아닌 기능교과 ························· 74 [그림 Ⅲ-5] 미래 사회 한국인의 핵심 역량 ···················································· 75 [그림 Ⅲ-6] 영어과의 핵심적 창의성 영역에 대한 영어교사 응답 결과 ··· 76 [그림 Ⅲ-7] 언어능력 구성 영역 ······································································ 78 [그림 Ⅳ-1] 수업관찰 분석표 예시 ·································································· 92 [그림 Ⅳ-2] 연차에 따른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 95 [그림 Ⅳ-3] 사용횟수에 따른 학습자 역량 인식 분석 ································ 106 [그림 Ⅳ-4] 연차별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 109 [그림 Ⅳ-5] 부수적 효과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인식 분석 ······················· 130

- viii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신

더불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어 스마트기기의 보 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 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지털교과서 의 활용 교육과 같은 스마트교육 환경의 확 이 이 어지고 있다. 국내에 서는 디지털교과서의 개발과 스마트교육 환경의 보 으로 인하여 다양한 스마트 교수학습 방법이 현장에 적용 고 있는 실정이다(교육부, 2012). 이와 같은 에 따라 교육부는 2013년, 144개교(초등 76교, 중등 68 교)의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학교를 운영하였으며, 2014년 에는 163개의 연구학교가 운영 중이다. 디지털교과서의 개발과 이를 활용 한 스마트교육의 은 교육환경의 변화와 어 교수 학습 전략의 변 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히,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으로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 및 스마트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 생 스스로 탐색하고 체 하며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교실수업의 변화를 통해 공교육 만족도를 제고함은 나아가 학습자의 역량을 증진하는 것 을 목표로 하고 있다. 히,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다년 의 연구학교 운 영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연구결과를 일반학교로 확대하기 위 한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교육부, 2013). 스마트환경에서의 교육은 정보사 회의 기술과 서비스의 발전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시도 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 환경 구 전략, 학습도구의 적용 방법 등 다양한 측면에 서의 연구가 수행 고 있다. 지 까지의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과 관 련된 연구를 보면 S S와 같은 스마트도구의 교육적 효과나 영향에 관한 연구(강정화, 2011 성 , 임걸, 2012), 스마트러 의 개 ( 성 외, 2011 조재 , 임 석, 2012)이나 교수학습 모형 탐색(강인 외, 2012 지헌 외, 2012)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 어 다. 이는 스마트교육 환 경에서의 연구가 초기단계이 로 개 에 관한 연구와 교수 학습 전략에

흐름

흐름

물론

되 살펴

;

춘 희

더불

루 급

N ;박 열 므

- 1 -

되 왔

념 노규

;


되 왔 산 급되 야

대한 연구가 진행 어 음을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스마트교육이 교육 현장에 확 , 보 어 하는 측면에서 본다면 스마트교육의 환경 구 및 개 에 대한 초기단계의 연구결과와 어 스마트교육을 통한 효과에 대한 검증과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하다. , 스마트교육이 교육현장에 게 확 고 활용 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 나 유용성을 실제 경 적 적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낼 필요가 있는 것이 다. 히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학교의 경우 2012년 63개교에서, 2013년 144 개교로 확대 운영 에 따라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연구학교 운영 성과 지표 개발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학교는 학교별로 연구주제 를 가지고 운영 로 연구주제별로 운영결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해 하 지만, 스마트교육의 경우 기존의 교육방법이나 효과에 대한 차이가 있고, 지향하는 목표점도 달라서 어 부분을 어 게 검증해 하는지에 대한 어 이 존재한다. 또한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학교의 운영 성과 측정은 향후 정책 추진에 심적으로 용하게 로, 관련분 전문가들의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연구학교 운영 성과 검증 도구 개발 및 관리 방 이 개발 어 한다. 연 구학교를 운영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학생들의 능력 향상과 수업의 개선 측면이며 이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 및 모형에 대한 연구가 중점임 에도 구하고, 실제 교수 학습 방법 개선을 통한 학습자의 역량 향상을 제대로 검증하지 하고 있다. 이 문제는 기존의 연구에서 개발한 성과 검증 도구에도 나타나는데, 기존에 개발된 연구학교 성과 검증 도구는 대 부분 환경에 대한 만족도나 운영방법에 대한 만족도의 검증으로 이 어 있으며, 실제 학습자역량 증진 측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 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학 생들의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연구학교의 성과를 검증하거나, 교과별 요인이나 연구학교의 목표별로 세부성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연 구학교의 성과를 검증할 수 있는 방 이 제시 어 한다. 히,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실 적인 효과 도출을 지 원하기 위해서는 학교별로 성과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일을 지양하 고 본 적인 교수학습 사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방 이 마련 어 한

산되

더불 즉

되 험

밝혀

되므

려움 핵

되므

폭넓 치

되 야

루 져

되 야 질

- 2 -

되 야


다. , 연구학교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를 학교 현장으로부터 개발하게 하는 것은 연구학교의 교육방향을 집중시 지 하게 어 본 적인 교육 활동을 중점적으로 수행하는데 어 이 발생하게 한다. 연구학교 성과검 증의 경우 다방면에서의 과 다 도의 분석이 필요하 로 전문가 집단 에서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 하며, 그 내용으로는 단 한 성과검증 만 아 라 연구의 성에 는 세부적인 성과검증 도구도 개발할 필 요가 있다. 히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따른 학생들의 역량이나 교과별 요인 등을 고 해 하며 여러 측면을 고 한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관리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마트교육은 스마트 기능을 단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개 인화된 지능적, 적 적 학습은 소 트 를 활용한 상 용 및 협력학습을 통해 형 학습과 비형 학습이 결 된 다양한 형태의 학습 을 수행함으로써 학습 성과를 적화하기 위한 학습(임정 , 상 , 2013) 이기 문이다. 나아가 스마트기기 및 관련 도구,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 으로 스마트교육을 수행할 경우 학생들은 주어진 정보를 단 히 기 하거나 재생하는 것을 넘어 자기 주도적으로 현상을 파 하고 창의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진할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방선 , 2012). , 스마트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역량을 증진시 는 교수 학습 전략이 사용 고 있으 로, 이를 측정하여 어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는 도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 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를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교육적 효과 검증을 위 한 검증 도구를 개발하였다.

려움 접근 각 람직 특 맞

니 각 특

갖춘 첨 물론 셜 네 워크 식 합 최 앱

즉 되

려 야

응 식

키 못

호작 융합 훈김 홍

- 3 -

; ․


2. 연구의 목적 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의 일반 학교 적용을 고 하여 디지털교 과서 사용 및 스마트교육의 적용에 따른 학생들의 역량 변화 등 연구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관리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학교 운영 성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 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공통 및 세부 효과성 검증도구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효과성 검증 도구를 이용하여 2013년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초점을 추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다. 셋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디지털교과서 사 용 및 스마트교육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며, 향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 로, 효과성 자체를 측정하는데 초점이 있지 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향후 설문조사와의 비교를 위한 사전 설문의 성 을 는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세부검증 도구는 2014년 디지털교과서 적용교 과인 사회, 과학, 영어 교과에만 국한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의 효과성 에 대한 인 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않 격 갖

맞춰

- 4 -


Ⅱ. 이론적 배경 1.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현황 가. 디지털교과서의 발전 급

살펴 작

우리나라의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보 경과를 보면, 정부 주도로 1997년도부터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초연구를 시 하였고, 2006년 디지털 교과서의 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2007년 3 디지털교과서의 상용화 추 진방 을 마련하였고, 2008년 6 까지 및 초등 5학년 6개 과목 디 지털교과서를 개발하였으며, 같은 해 4 까지 초등 4학년에서 중등 1학년 까지의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였다. 2009년에 디지털교과서 통 및 기능을 추가로 개발하였고, 2010년에는 전국 132개 학교를 디지털교과 서 연구학교로 지정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2011년에는 63개 연구학교가 지정 어 운영 다. 2011년 6 까지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학 교과의 디지털교과서를 수정 보 개발 하고 보 하였다. 또한 2011 년 9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초등 5, 6학년 국어, 수학 디지털교과서를 수 정 보 개발하여 보 하였다. 교육부(2012)에서 발표한 연차별 디지털교과서 적용 계획을 보면 2014년까지 사회, 과학, 영어를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개 발 적용하고, 기타과목은 2015년부터 개발하고 적용할 계획이 다. 하지만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 등이 미 한 상태에서 초 중 고에 전면 적 용한다는 지적이 대 면서 정부에서는 적용 범위를 소하고, 효과성 검토 및 현장 준비도 제고 등을 적으로 고 하여 추진 적용방 을 발 표하였다(교육부, 2013).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개 을 통해 디지털교과서의 개 을 보면, 정 외(2012)는 디지털교과서의 개 과 관련된 연구를 하여 디지털

되었

월 ․ 완

두되

광훈

월 플랫폼 월

합 플랫폼 되

살펴

종합

- 5 -

․ ․ 축

념 살펴 종합


교과서의 개 을 교과 내용을 고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을 지원하는 기술적 자원 기능을 통 한 도구로서의 성 을 지 것으로 수 있다고 하고 다음과 같이 개 화 고 있다고 하였다.

합 념 되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 문항, 보충・심화학습 내용 등 풍부한 학습 자료와 학습 지원 및 관리 기능이 부가 고 교육용 마 등 외부자료와의 연계 가 가능한 학생용 교재이다.”

콘텐츠 오픈 켓 취

또한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학업성 , 문제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 력 등에 미 는 효과에 대한 평가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실시 다(변 외, 2008 변 외, 2010 경 외, 2011 수 외, 2012). 그 결 과, 일부 교과 성 도, 일부 교과 태도, 문제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력 등 에서 서책형 교과서에 비해 디지털교과서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승

; 호승 취

;노 희

되었

; 김희

나. 디지털교과서의 특징 앞 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 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교과서에도 다양한 기 능들이 추가되어 왔다. 현재의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포함 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교육부(2013)에서는 ‘서책형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 자료(용어사전, 멀티미디어, 평가문항, 심화․보충학습자료 등)와 학습지원

기능 등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학생용 교재’로 정의하고 있다. 디지털교과서의 장점에 대한 의는 여러 학자에 의해 제시 고 있는데, 회수 외(2012)는 선 외(1997)의 연구를 인용하여 디지털교과서의 성을 첫째,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자원들과의 연계 가 가능하다는 점, 둘째, 일제수업이 아 학습자의 능력, 수준, 선 도에 따른 수준별, 단계별, 개별적인 학습을 제공한다는 점, 셋째, 협동학습을 지 원함으로써 교사 및 동료, 외부전문가와의 다양한 상 용이 가능하다는 점, 째, 학습자가 자신의 정보를 데이터 이스에 가하거나 생성하는 것

곽병

- 6 -

호작


쉽 접근 섯

이 용된다는 점, 다 째, 누구나 제 어디서나 게 할 수 있게 함 으로써 지역 차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 여 째, 교사들의 업 를 자 동화하고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제시하 였다( 회수, 2012 재인용).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스마트교육 이지에서는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정책을 소개하면서, 대한교육신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디지털교과서의 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임 , 2013)1). Ÿ 디지털교과서는 풍부한 자료와 정보를 디지털로 통 한 충실한 교과 서이면서, 통계와 같은 사실적 자료의 주기적 신과 다양한 학습 활 동을 진하는 디지털 학습 도구가 제공 는 교과서다. Ÿ 디지털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수시로 개정과 보 이 가능한 디지 털 형태이며, 디지털 체가 는 유연성을 기반으로 교과서 발행의 자 성을 대한 보장할 수 있다. Ÿ 디지털교과서는 학생과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와 교수학습기능을 추고 있다. Ÿ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서책 교과서의 내용은 참고서, 문제집, 학 습사전 등 방대한 학습자료를 함할 수 있다. Ÿ 문서자료 만 아 라 동영상, 이 , 하이 등 다양한 멀 티미디어 기능을 통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에 , 사이 가정학습, E S 등의 사회 기관의 학습자료 와 연계하여 은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Ÿ 기존 서책 교과서와 사한 필기, , 트 기능을 추고 있으며, 학습자의 능력에 추어 개개인의 적성과 수준에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교과서이다. 에 발 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가이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에 의하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효 적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 는 예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그 -1 참조).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 면 기본적인 내용 이외에도 추가적인 내용을 선 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

간격

홈페

승빈

B

포 애니메 션

갖 물론

밑줄 노

림Ⅱ

합 완

콘텐츠

최근

퍼링크 DB

듀넷

버 폭넓

갖 맞춘

드 율

승빈. (2013). 교과서 자율발행 시금석. 대한교육신문, 2013년 11월 28일자 신문 기사

1) 임

- 7 -


움직

며, 임과 기능을 부여한 멀티미디어로 흥미와 이해도를 향상시 수 있 다. 또한 수업 준비시 필요한 자료가 재 어 있어 수업 준비에 대한 부 을 일 수 있으며, 과학 과목의 경우 본문 내용에 실 관 이 하나 연결 어 있어 바로 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어 있다. 어 자체 재된 평가문항을 통해 학생들과 바로 어보고 확인할 수 있고, 그 -2 와 같이 위 을 통해 바로 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탑 되

접근

두랑

커뮤니

험 찰 더불

씩 탑 [ 림Ⅱ ]

[그림 Ⅱ-1] 디지털교과서의 본문 메뉴(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그림 Ⅱ-2] 학습 커뮤니티의 기능과 활용(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 8 -


[그림 Ⅱ-3] 디지털교과서의 구성(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김회수

외(2012)는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를 수행하면서 디지털교과 서의 교육적 활용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2)

저장, 편집, 가공, 활용의 편의성 제공 디지털교과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자료들이 전자화된 형태로 컴퓨터를 통 해 제공된다. 교과서에서 제공되는 모든 학습 자료들이 전자화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자료들을 쉽게 저장하거나 임의대로 편집․가공할 수 있 으며, 자료들을 얼마든지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l 자료의

l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학습흥미, 동기유발

각되

디지털교과서의 가장 장점으로 부 는 것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 료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며, 멀티미디어의 효과적 활용은 학습자들의 학습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게 해준다.

2)

김희수

외, (2011).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2012-2. 9-12 이지 요

- 9 -

CR


l 수준별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자원의 제공

2009년 ‘수준별 영어 디지털교과서’가 개발 으로 인해, 디지털교과서 를 활용한 수준별 형 학습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게 다. 수준별 영 어 디지털교과서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 학생들이 학년별로 상, 중, 하 수준으로 구분하여 자신에게 적 한 수준에 추어 학습활동을 수 행할 수 있도록 구성 어 있다.

맞춤

되었

각각

[그림 Ⅱ-4] 디지털교과서의 기능(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특수교육 대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원도구의 제공 디지털교과서는 특수교육 대상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교육경험의 기회를

l

제공할 수 있다.

l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학습관리

․지원기능 제공

디지털교과서는 학생들 만 아 라 교사들을 위해서도 다양한 유용한 기 능을 제공해 준다. 예 대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모 터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화면을 전체 화면에서 보고 제어할 수 있는 기 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의 학습내용을 가 는데 도 이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 이나 디지털교과서 화면의 기능들을 설명해 주는 이 지 을 제공해 주고 있다.

매뉴얼

각각

- 10 -

르치

움 될


다.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현황 황

2013년 디지털교과서 및 연구학교의 현 을 분석해 보면 아래의 -1 , 표 -2 와 같다.

>< Ⅱ >

<표 Ⅱ

<표 Ⅱ-1> 연구학교 운영모델 유형 운영모델유형

연구주제

A형 B형

중점 내용

델 개발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개발

디지털교과서 수업 모

디지털교과서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구

<표 Ⅱ-2> 전국 연구학교 현황 교육 청 학 교 급 운영모델

A 델 B 형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개 발)

형 (디지털교과서 수업 모 개발)

초 중 초 고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

2

1

1

1

1

1

1

1

1

2

1

1

1

3

1

2

23

3

2

2

5

2

3

1

2

2

4

3

5

4

6

3

6

1

54

5

2

1

5

3

2

1

2

1

3

2

6

3

7

3

5

2

53

2

0

0

4

0

0

0

1

1

0

2

2

0

2

0

0

0

14

4 15 6

6

3

6

5

8

9 14 8 16 9 12 5

12 6

살펴 울산 남 총

울 종 북

144

산 6개, 대구 4개, 인천 15개, 광주 6개, 5개, 강원 8개, 충북 9개, 충남 14개, 남 12개, 제주 5개교로 배정되어 두 영역 진행되었다. 특히, 2013년에 중학교는 되어 운영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 12개, 부 대전 6개, 3개, 세 6개, 경기 전 8개, 전 16개, 경 9개, 경 을 쳐서 144개교가 연구학교로 모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로 변환

북 합 두

- 11 -


라.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 되 < Ⅱ >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진행 면서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 고 있다. 표 -3 과 같이 2008년부터 실시된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가지로 할 수 있다.

종합

<표 Ⅱ-3>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양적 연구 결과 분석 연 구

변호승 외(2008)

변호승 외(2010)

노경희 외(2011)

김회수 외(2012)

-

총 64개교 (연구

학교 32개교, 비 132개교(초 4,5, 교학교 32개교) 6, 중 1학년 학생 - 학업성 도 검사 24개교(연구 129개교(연구 6,052명, 교사 357 5,120명 (초4,5,6 연 학교 18개교, 비 학교 110개교, 비 명) 학년 4,416명, 중1 구 교학교 6개교) 교학교 19개교) - 표집조사 18개교 학년 704명) 대 초 5,6학년 4,284명 초5,6학년16,736명 초 4 , 5 , 6 학 년 - 문제해결력 검사 상 - 학업성 도 - 학업성 도 2,706명 초4,5,6학년 분석대상 1,183명 분석대상 6,670명 - 학업성 도 분석 1,068명 대상 2,671명 - 자기주도적학습 력 검사 초4,5,6 학년 1,035명

취 :

주 요 연 구 결 과 -

: :

취 :

:

:

- 학업성 도( 과 학업성 도 유의 학)유의효과 효과 - 학습몰입 유의효과 문제해결력 유의 문제해결력 유의 - 학업성 도 유의 효과 효과 효과 자기주도 학습력 자기주도적 학습 - 일부 교과태도 어 유의효 력 유의효과 유의효과 과 - 사용성(5점만점) 일부 교과태도 학생 3.69, 교사 어 유의효과 3.31 - 만족도(5점만점)

농산 촌 산촌

- 초4학년 과학, 사회 어 유의효과 - 초5학년 과학 어 연구반 중소도시,대도시 연구반 유의효과 (비교반 차이 음) - 초5학년 사회 중 소도시 유의효과 - 초6학년 과학 대 도시 유의효과

농산 촌 농 산 촌 >

: 없

:

- 12 -


연 구

변호승 외(2008)

변호승 외(2010)

노경희 외(2011)

김회수 외(2012)

- 초4,5학년 문제 해결력 유의효과 - 초6학년 문제해 결력 방향성 일

- 초4학년 대도시 자기주도적 학습 학생 3.61, 교사 력 유의효과 3.30 - 초 5학 년 - 만족도 교과 어 자기주도 위 사회, 과학 적 학습력 유의 효과 - 교사 만족도 60.3 (목표 70점의 86 ) - 학생 만족도 76.8 (목표 의 110 )

:

농산

%

종합

%

연구의 결과를 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학업성 도의 경우에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도 서책형 교과서와 마 가지 학업성 도를 을 수 있다. ,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생들 이 표 적 정보 리를 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학업성 도가 어 것이라 는 예측은 사실이 아 다. 둘째, 변 외(2008), 변 외(2010), 경 외(2011)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디지털교과서가 초등학교 일부 학년 학생들의 학업성 도를 높이 는데 일부 교과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히 초등학교 과학과 사회에서는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 교과서에 비해 학업성 도를 높이는 데 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히 어 초등학생들에게 디지털교 과서는 과학과 사회에서 성 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 고, 이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중소도시 초등학교 5학년 사회와 대도시 6학년 과학에서 디지 털교과서가 성 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 외(2008), 경 외(2011)의 연구와 마 가지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서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 교과서보다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 것으로 나타났다.

취 취 처

호승

호승

떨 질

노 희

취 호승

특 농산 촌

노 희

었던

- 13 -


넷째, 교사와 학생이 디지털교과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의

만족도가 교사의 만족도보다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들 이 교사들보다 현재 형태의 디지털교과서에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히,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의 역량을 증진시 는데 도 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요소를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인 요 소를 보면 표 -4 와 같다.

특 움

살펴

< Ⅱ >

<표 Ⅱ-4> 디지털교과서 효과 측정 영역 연 구

변호승 외(2008)

변호승 외(2010)

노경희 외(2011)

김회수 외(2011)

학업성 도 학업성 도 학업성 도 학업성 도 주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요 교과별 학습태도 교과별 학습태도 검 자기주도적 학습력 자기주도적 학습력 자기주도적 학습력 자기주도적 학습력 증 적 요 문제해결력 테 로지 리 문제해결력 분석(상 용, 소 교수-학습활동)

크놀

더쉽

호작

분석된 연구에서는 모 학업성 도를 측정하였다. 디지털교과서의 경우 교과의 내용을 적으로 내 하고 있으 로 학업성 도의 향상을 측정도 구로 사용 음을 수 있다. 또한 교과별 학습태도는 2개 연구에서, 문제 해결력은 3개 연구에서 검증 도구로 사용하고 있음을 수 있다. 자기 주 도적 학습력의 경우 모 연구에서 사용하였는데, 디지털교과서의 목적 중 하나가 스스로가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로, 실제 학습자 들이 이 환경에서 학습 을 자기 주도적 학습력이 향상 는지 측정하 는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의 목표와 에 따라 학습자의 역량 증진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 교과별 학습태도, 몰입, 문제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력, 리 , 상 용성, 학업성 도 등이 사 용 고 있음을 수 있다. 연구별 세부문항을 보면 표 -5 와 같다.

직접 했 알

되 각

했 때

더쉽 호작

살펴

< Ⅱ >

- 14 -

특징


<표 Ⅱ-5>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별 측정 도구 연구자 요인

변호승(2008)

변호승(2010)

자기주도력

김희수(2011)

교과별만족도 타인 유 학습재의사 전반적만족도

활용 의성 내용구성 흥미도 상 용 교과만족도 전체적만족도

만족도

문제해결력

노희경(2010)

D

D

KE I(2003)의 도구를 보

사용

사용

FFS 수정, 번 안하여 사용

사용자기대 사용자통제 학습지원 상 용 사용자지원 및 보 적 성 기술적 정성

C

C

사용

호작 편 접근 안

사용 이성

크놀 더십

D

박 용 휘 (2003) 박 용 휘 (2003) 박 용 휘 ( 2 0 0 3 ) 박 용 휘 (2003) 개발도구, 개발도구, 개발도구, 개발도구, KEDI(2007) KEDI(2007) K E D I ( 2 0 07 ) KEDI(2007)

학습몰입검사

테 로지 리

호작

KE I(2003)의 KE I(2003)의 도구를 보 도구를 보

사용

교과별 태도검사

KI E(2006) KI E(2006) 수정보 수정보

교사대상 S E와 e a Ed cation enc (2006) 의 도구 수정

CA TL Txs u Ag y

각 연구별로 사용된 문항의 신뢰도를 살펴보면 먼저 문제해결력의 경우 KEDI(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2011년의 연구에서는 검사도구의 신 뢰도가 .91∼.97로 대단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력 학습 검사 지도 KEDI(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사용했는데, 2011년 검사도구 - 15 -


호 총

의 신 도는 .91 .92로 아주 양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1년에 사용 한 사용자 만족도 조사도구는 13개의 문항으로 구성 어 있 는데, 이 는 2010년도의 연구의 문항을 수정, 보 한 것으로 학생용 신 도는 .86, 교사용 신 도는 .88로 양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에 사용한 학습몰입 검사지는 9개 차원(도전과 기술의 형, 행위 와 인 의 통 , 명확한 목표, 적 , 면 과제에 대한 집중, 통제 , 자의 상실, 시 , 자기목적적 경 )에 따라 4개 문항 36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이다. 이 도구의 신 도는 .945로 우 양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 의성 검사 문항(학생)의 경우 하위변인으 로 인터 이스, 교수·학습 지원, 기술적 정성으로 구성 으며 3개 영역 6개의 하위변인, 43문항으로 구성 다. 신 도는 .969로 우 양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의성 검사도 신 도가 .970으로 나타났다.

감 총

었 뢰

즉각 피드백 당 간감각 왜곡 험 뢰 편 안 되었 뢰 편 뢰

되었

마. 스마트교육의 개념 간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 상은 세계 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 하여 진로를 개 하고 국가와 지구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 이다. 이에 학생들은 초 중등학교 교육을 통해 미래 사회를 아가는 데 필요한 지 과 기술, 태도와 행동을 수 있어 한다. 이에 같은 맥 락에서 교육부는 2011년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역량을 길러갈 수 있는 교육체제 혁신 동력으로 스마 트교육을 추진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전략’을 보면,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해 교 육체제를 혁신하고자 스마트교육을 도입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교육 환경 등을 학생 개별 형 학습을 지원하는 체 제로 구 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 스마트교육은 변하는 미래사회에 필 요한 역량을 학교교육을 통해 잘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며, 개 별 형 교육이다. 결국 스마트교육의 개 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배울

맞춤 급

맞춤

- 16 -


맞춤

“스마트교육은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지능형 학습 체제로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등 교육체제를 혁신하는 동력이다.”

[그림 Ⅱ-5] 기존 교육과 스마트교육의 차이(교육과학기술부, 2011) 각각의 개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Ÿ S (Self-directed, 자기주도적) 지식 생산자: 지식 수용자에서 지식의 주요 생산자로 학생의 역할 변화, 교사는 지식 전달자에서 학습의 조력자(멘토)로 변화 지능화: 온라인 성취도 진단 및 처방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체제 Ÿ M (Motivated, 흥미) 체험 중심: 정형화된 교과 지식 중심에서 체험을 기반으로 지식을 재구 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강조 문제해결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중심의 개별화된 평가 지향

: Ÿ A (Adaptive, 수준과 적성) 유연화: 교육체제의 유연성이 강화되고 개인의 선호 및 미래의 직업과 연계된 맞춤형 학습 구현 개별화: 학교가 지식을 대량으로 전달하는 장소에서 수준과 적성에 맞는 개별화된 학습을 지원하는 장소로 진화

- 17 -


R (Resource Enriched, 풍부한 자료) 오픈마켓: 클라우드 교육서비스를 기반으로 공공기관, 민간 및 개인이 개 발한 풍부한 콘텐츠를 교육에 자유롭게 활용 소셜네트워킹: 집단지성, 소셜러닝 등을 활용한 국내외 학습자원의 공동 Ÿ

활용과 협력학습 확대

T (Technology Embedded, 정보기술 활용) 개방화: 정보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고, 수 업 방식이 다양해져 학습 선택권이 최대한 보장되는 교육환경 Ÿ

바. 스마트교육의 효과 1) 자기주도 학습능력

스마트교육 환경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자기주도학습의 하위 구성요인들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 고 있지만 에는 자기조 학습과 유사하게 인지적, 타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영역 등으로 구분 는데(양명 , 2002 임정 , 한기 , 이지연, 2008 기 , 2009) 스마트러 을 기반으로 한 학습상 에서 학습자들은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시연, 정교화, 조 화, 계획, 점검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인지적, 타인지적 전략을 습 할 수 있다. 소영(2012)은 소 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 학습능 력이 학업성 에 정적 영향을 미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임정 외 (2013)는 스마트러 기반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이 기존의 전통적인 I 활용 수업집단에 비해 자기주도학습 검사결과가 높게 나타났다고 다.

최근

절 되

;홍 칠

최근 김

취 긍 닝

메 ; 훈 황 직 득

메 셜네 워크 친

규 되

밝혔

훈 CT

따라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의 학습을 준비, 계획하 는 과정에서 학습자들 의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습 자들은 자기주도 학습활동이 일어나게 고, 실제 이 학습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 수 있다고 본다.

- 18 -


2) 협력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감이란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상호작용을 통해 대인관계를 획 득하는 능력, 혹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주어진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행 동을 성공적으로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Anderson & Messik, 1974; Smith, & Betz, 2000), 사회적 효능감이 중요한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 타인과의 교류와 협력, 공동체 의식, 집단지성을 통한 문제해결 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자신이 특정 집단의 한 일원으로서 타인들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주어진 과제를 완수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나 신념은 학습자들의 과제수행이나 학업성취와 긍정적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Patrick, Hicks, & Ryan, 1997). 스마트러닝 환경은 다양한 소셜미디어와 상호작용 도구들을 통해 학습자 들이 다양한 형태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이러한 도구들을 통해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과 협력학습에 대한 경험은 학습자들의 사회적 효능감 증진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제 임정훈 외(2013)의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러닝 기반 협력학습은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전통적인 ICT 활용수업 집단에 비해 사회적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 문제해결력 및 상호작용능력 향상 스마트러닝을 통해 학생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즉 SNS를 통해 다 양한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과 협력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활동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 며, 학습자들간에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상호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을 촉진시켜 줄 수 있다(임병노 외, 2011;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특히, 스마트러닝 환경에서는 SNS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SNS가 갖고 있는 교육적 유용성, 예컨대 다양한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촉진, 적극적 참여로 인한 활기찬 수업, 교수자와 학 습자간의 유대감 강화, 학습자들간의 친밀감 및 소속감 증진 같은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19 -


4) SMART 리터러시 천세영 외(2013)에서는 교육부에서 발표한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기반 으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원역량, 인프라구축의 5대 영역에 대 한 세부항목 및 요소를 분석하여 현장에 적합한 스마트교육 영역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SMART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면서 학 습자들의 SMART 리터러시 내용요소와 21C 역량과의 관계를 <표 Ⅱ-6> 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Ⅱ-6> SMART 리터러시의 내용요소와 21C역량과의 관계(천세영 외, 2013) 내용요소

스마트 기기의 이해

스 마 트 미 디 어 이 해

소 트 어의 이해

• 스마트기기의 •

이해, 스마트기

기의 이해 (전자 , 테 , 스마트 등)

칠판

블렛PC,

개인패

SMART 적용

7C 적용

Technology Embedded

Computing Critical Thinking

•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기능 이해(Google Googles, Art Project, Naver Museum 등) • 저작툴의 종류와 기능 이해(i puting Tunes, U, Fdesk, ibook Resource- CoCmritical Author) Enriched Thinking • 문서도구 종류와 기능 이해 Technology Colla boration (Goole Docs, Prezi, Open Embedded Creativity Office 등) • 교육용 프로그램의 종류와 기능 이해(Open AR, Open Course Ware등)

클라우드 • 네트워크의 이해, 컴퓨터 통 Technology 컴퓨팅의 신의 이해, 클라우드의 이해 Embedded 이해 - 20 -

Computing


내용요소

SMART 적용

7C 적용

• 검색한 정보를 재구성, 정보 Creativity 의 적합한 사용, 새로운 정보 Adapted Critical 를 생산 Thinking • 멀티미디어형(음성, 그래픽, 동영상 등) 자료 제작, 어플리 케이션을 활용한 자료 제작, SelRef-sDouirected 콘텐츠 저작툴을 활용한 자료 제작, EnricrceCreativity hed Colla 제작 문서도구를 활용한 자료 제 boration T echnology 작, 교육용 프로그램을 활용 Embedded 한 자료 제작, 융합지식형 자 료 제작 정보의 분석

스 마 트 미 디 어 활 용

정보의 활용

스마트 사회 스 마 트 미 디 어 세 상

스마트 문화

스마트 리

-Directed • 의사소통, 지식의 창출, 지식의 SelMfotivative Citizenship 공유,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Adapted Collaboration • 스마트사회의 특성과 미래, Self-Directed 스마트 기술 활용의 이해, 스 Motivative Citizenship 마트 사회의 새로운 직업과 Adapted 전망 • 함께 소통하는 SNS사회의 이해 Adapted Communication • 심미(감성)적 교양적 자질을 Resource- Collaboration 갖춘 문화적 스마트 시티즌쉽 Enriched • 개인정보 및 지적 재산권의 보호, 올바른 네티즌 의식과 Motivative Critical 비판적 태도, 인터넷 및 게임 Adapted Thinking 중독 예방, 사회적 책무성 이행

- 21 -


2. 21세기 학습자 역량 되 Th

21세기 학습자 역량3)에 대한 이해는 스마트교육 추진에서 가장 선행 어 할 개 이다. 21세기 필수 역량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는 미국의 e partner ip or 21st cent r ill (이하 21)4)으로, 미국의 교육실 가, 대 학교, 정부 기관, 비영리단체 등이 소시 을 형성하여 2004년부터 21세기 필수 역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이 제시하는 21세기 필수 역량은 그 -6 에서 수 있 이 학습자가 성 해 할 4개 역량과 역량을 지원하는 4개 시스 으로 구성 어 있다5). 이것을 구체 적으로 보면, 학습자 역량은 (1) 심교과(3R ) 및 21세기 테마( ore ect and 21 t cent r t e e ), (2) 학습 및 혁신 능력( earnin and innovation ill ), (3) 정보 미디어 테 로지 능력(In or ation, edia and tec nolo ill ), (4) 생 및 경력 개발 능력( i e and career ill )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원 시스 은 (1) 21세기 표준(21 t cent r tandard ), (2) 21세기 역량 평가( e ent o 21 t cent r ill ), (3) 21세기 교육과정 및 교수(21 t cent r c rric l and in tr ction), (4) 21 세기 교원역량개발(21 t cent r pro e ional develop ent), (5) 21세기 학 습환경(21 t cent r learnin environ ent )의 5개 세부영역으로 구성된 다. 한 , i co, Intel, icro o t의 지원으로 21S( ttp atc21 .or ) 로 트가 진행 고 있는데, 21세기 능력을 평가하고 교육정책 수 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외, 2011).

념 sh f

u y sk s

P 컨 엄 논 < 림Ⅱ > 볼 듯 템 되 살펴 핵 s subj s s uy hms sk s ․ ․ 크놀 h gy sk s 애 Lf 템 s s Ass ssm f s s u y u u um s u y f ss m s uy g m s 편 Cs M sf ATC h 젝 되 허희옥 르 u y sk s h ://www 번

취 야

C

L f m

g m sk s s uy u y sk s su ://

s g 프 립

Th sh f u y sk s 핵

3) 스마트교육을 통해 기 고자 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은 e partner ip or 21st cent r ill ( ttp .p21.or )에서 정의하고 있는 ‘21st cent r ill ’를 ‘21세기 학 습자 역량’으로 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21세기 심 역량’으로 한 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으로 역하고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교육부에서 초 사용하였 ‘21세기 학습자 역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4) ttp .p21.or 5) 그 -6 에서 학습자 역량은 지개 모양으로 표시 으며 지원시스 은 원형으로 표시 어 있다.

h ://www < 림Ⅱ > 되

최 g

g

각각 번

던 무

되었

- 22 -


[그림 Ⅱ-6]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www.p21.org) 편

한 2011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인재대 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전략’에서 21세기 학습자 역량은 학습 및 혁신 능력, 정보·미디어·테 로지 능력, 생 및 경력 개발 능력인데 능력의 세부영역은 다음과 같다.

크놀

밝힌

□ 21세기 학습자 역량(Trilling, & Fadel, 2009) 1. Learning and Innovation Skills(학습 및 혁신능력) -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 Communications and collaboration(의사소통 및 협동) - Creativity and innovation(창의성과 혁신성) 2. Information, Media and Technology Skills(정보·미디어·테크놀로지 능력) - Information literacy(정보 리터러시) - Media literacy(미디어 리터러시) - ICT literacy(ICT 리터러시) - 23 -


3.

Life and Career Skills(생애 및 경력 개발 능력) - Flexibility and adaptability(융통성과 적응성) - Initiative and self-direction(자기주도적) - Social and cross-cultural interaction(사회 및 문화상호성) - Productivity and accountability(생산성과 책무성) - Leadership and responsibility(리더십과 책임)

인 에서는 21세기 수업에서의 평가 전략에 대한 연구에서 21세기 학습 자 역량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Intel eac Ele ent , 2014).

®T h m s

: 새롭

- 창의성과 혁신능력 고 가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 비 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증거, , 주장, 신 을 분석하고 평가하 는 능력 및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의사소통능력과 협동학습능력 분명한 생 과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은 다양한 형 과 맥락에서 하기, 기, 비 어적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 으로 사용할 수 있기 문에 효과적으로 업을 수행함 - 정보활용능력 비 적이고 능 하게 정보에 하여 평가하는 능력 - 미디어활용능력 가장 적 한 미디어의 창 과 , 관습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 - I (정보통신기술)활용능력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여 의사소통하는 도구로서 테 로지를 사용하는 능력 - 통성과 적 력 명확하고 우선 위가 바뀌는 상 에서도 효과적으로 대 하는 능력 - 결단력과 자기주도력 해 할 일을 과하지 고 모 터 하고 분명히 히며, 우선 위를 기면서 업 를 수행하는 능력 - 사회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능력 다른 사 또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 들을 존중하고, 효과적으로 상 용하는 능력 - 생 성과 책 성 목적을 달성하도록 효과적으로 일하는 습관을 발달시 는 능력 - 리 과 책임 다른 사 들을 하고 리 하는 능력

:

: 판 :

CT

융 밝 키

더쉽

:

: 야 매

무 : 감:

각 언 작 접근 작툴 특징

크놀 응 :불

:

논쟁

격려

- 24 -

: 호작

니 링


3. 연구학교 효과성 검증 요인 분석 가. 공통 효과 검증 영역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된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와 함 디지털교과서가 학업성 도, 문제해결력, 자기주 도적 학습력에 미 는 효과를 평가하고, 교사와 학생의 디지털교과서에 대 한 만족도를 측정하며, 디지털교과서가 실제 어 게 교수학습활동에서 활 용 고, 다양한 상 용을 진할 수 있는가를 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도구 개발을 위해 이전 연구에서 어 영역을 측정 는지 보 다. 회수 외(2012)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반과 서책형교과서 활용 반을 표집하여 성 도평가, 문제해결력 검사,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 사 용자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양적분석 및 적 분석 결과가 도출 다.

호작

떻 질

살펴 았 취

되었

연구결과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도 서책형교과서와 마 가지의 학 업성 도를 을 수 있 다. Ÿ 디지털교과서가 초등학교 일부 학년 학생들의 학업성 도를 높이는 데 일부 교과(초등 과학, 사회)에서 서책형교과서에 비해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Ÿ 어 초등학생들에게 디지털교과서는 과학과 사회에서 성 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 고, 중소도시 초등학교 5학년 사회와 대도시 6학 년 과학에서 디지털교과서가 성 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Ÿ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 교과서보다 문제해결력 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 것으로 나타났다. Ÿ 초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높이는데 디지털교과서가 효 과적임. 초등학교 4학년 대도시 학생과 초등학교 5학년 어 학 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높이는데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 교과 서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Ÿ

농산 촌

었던

더 농산 촌

- 25 -


Ÿ Ÿ Ÿ

학생의 만족도가 교사의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목표 70점보다는 은 60.3, 학생들은 76.8로 나타났다. 학습내용 이해 및 정리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효과를 보였다는 교사와 학생들의 인 이 명확하게 러났다. 교사와 학생들은 체계적 이고 단계적인 정리와 이해 도구로서 디지털교과서가 효과적이 으 며 자연적으로 내용 이해와 정리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단하고 있 다. 상 용 분석 결과 상 용에 있어서 별 차이가 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 있어서 상 용 활동은 교과 성이나 디 지털교과서의 기능적 성과는 상관 이, 교수자가 어 교수전략이 나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하고 실행하 에 달라진다고 수 있다. 향후 교사와 학생 상 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탐색 시 교사 -학생 상 용보다는 학생-교사 상 용에 관심을 기 일 필요가 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 발생하는 상 용 활동은 학습자들의 학업성 에도 정적 영향을 미 가능성이 우 높다.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과 집중력이 높아 는지 그 지 은지에 대한 의 은 교사마다 다 게 나타났다.

Ÿ

Ÿ

Ÿ Ÿ

었 Ÿ

호작

호작

간 호작

호작

없었

호작 없 느냐

특 떤 볼

호작

호작 매

렇 않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에서의 연구학교 성과를 검 증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검증 주요 요인을 학습자 역량으로 설정하였다. 학습자 역량과 관련된 요소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이 다양 한 요소를 측정 항목으로 사용한 것을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 관련 연구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영역을 효과성 측정 항목으로 사용한 것을 수 있다( 회수 외, 2012). Ÿ 교과별 학업성 도 Ÿ 문제해결력

- 26 -


자기 주도적 학습력 Ÿ 상 용 Ÿ 만족도 Ÿ

호작

또한 스마트교육정책 성과지표( 세영 외, 2013)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교 육에 대한 지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정책의 방향을 제 하고 있다. Ÿ 교사준비도(인 도, 기대수준, 요구도, 역량수준, 역량관련 정책영역) Ÿ 교사와 학생의 I 리터러시 Ÿ 학생의 S R 리터러시 Ÿ e-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공부에의 활용정도) Ÿ 소통능력(학생과 교사 소통정도, 학생과 학생 소통정도)

식 CT MA T

권 호 좋

나아가 스마트교육의 은 수업 성공요인 분석연구( 성 외, 2012)에 의하면 스마트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은 수업은 Ÿ 학생 개인 능력에 는 수업이 이 어 함 Ÿ 학습자가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Ÿ 상 용을 통해 학업성 만 아 라 인성교육, 창의성, 문제해결 력과 같은 21세기 심역량이 함 길러지는 수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호작

루 져야

취뿐

나. 연구학교 효과 세부 검증 영역 추출 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2011년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21세기 교수-학 습 활동 개발 시리 중 하나로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 ’ 연 구( , 2011)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 역량 15개 및 지표 65개, 그리고 교수자 역량 15개 및 지표 74개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 에 참여한 전문가가 인 하는 역량별 중요도와 관련하여, 학습자 역량 측 면에서는 (1) 문제해결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 협력, (3) 창 의력, (4) 의사소통, (5) 리의 , (6) 도전의 , (7) , (8) 자기주도성, (9) 유연성의 서로 그 중요도가 인 고 있 다. 교수자 역량 측면에서

허희옥

윤 식

식 식되 었

- 27 -

배려

델링


윤 식 식되 P sh f 판

는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의사소통, 리의 , 내용전문성, 평가 및 성 , 사회적 능력의 서로 중요하게 인 고 있는 것으로 조사 다. s t 한 교육부 스마트교육에 인용된 artner ip or 21 ent r S ill 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은 (1) 비 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2) 의사소통 및 협동, (3) 창의성과 혁신성, (4) 정보 리터러시, (5) 미디어 리터러시, (6) I 리터러시, (7) 통성과 적 성, (8) 자기주도성, (9) 사회 및 문화상 성, (10) 생 성과 책 성, (11) 리 과 책임으로 구성 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협의회 및 자문단 검토를 거쳐 교육부가 기 로 한 21의 21세기 학습자 역량 중에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를 통해 제 시된 중요도 위 및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성 을 고 하 여,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서 측정 어 할 21세기 학습자 심 역량으로 창의력과 혁신능력, 비 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의 7개 역량을 추출 하고 세부역량으로 표 -7 과 같이 23개 역량을 선별하고 개발하였다.

CT

융 무

P

더십

되었 C uy k s

되 야

< Ⅱ >

<표 Ⅱ-7>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지표 역량

정의

지표

1.1 상상 1. 창의력과 혁신능력 ( reativit and Innovation)

C

y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1.2 창성 생성하는 능력 1.3 유용성 1.4 도전성

2.1 문제 이해

2.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 ritical in in and ro le Solvin )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 2.2 비 적 사고 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3 해결 방 적용

3. 의사소통 능력 ( o nication)

3.1 표현 다양한 형 과 맥락에서 생 , 정, 의 등을 효과적으로 3.2 경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 3.3 상 용

C

Th k g P bm g

C mmu

종류

2.4 반성적 사고

식 견

- 28 -

청 호작


역량

정의

새 숙

지표

산 물

4.협업 능력 ( olla oration)

문제 해결, 로운 출 창 4.1 개인적 책임 출, 학습 및 련을 위하여 다 4.2 상 존중 른 사 들과 효과적으로 상 용하는 능력 4.3 공유

5. 정보활용 능력 (I iterac )

정보의 수집, 해석, 활용, 창조 5.1 정보 리터러시 를 위하여 다양한 테 로지 5.2 미디어 리터러시 를 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3 정보 리

6. 자기주도 학습력 (Sel - irection)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 6.1 계획 기 위하여, 계획하고 수행하고 6.2 의사결정 결정하여 진행하는 능력 6.3 자기성

7. 유연성 ( le i ilit )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7.1 변화관리 적 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공 7.2 모 함에 대한 용 동의 이 을 위한 실현 가능 7.3 다양성에 대한 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 정적 수용

C b

CT L

y

fD

크놀

F xb y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 량 모 의 연구( , 2011)에 기반을 고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성 을 고 하여, 연구학교에서 측정 어 할 21세기 교수자 역량으로 표 -8 과 같이 5개를 추출하고 정의하였다.

델링

허희옥 격 려 < Ⅱ >

되 야

<표 Ⅱ-8> 21세기 교수자 역량 및 지표 역량

정의

지표

1.1 역량 1. 21세기 학습자 역량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1.2 수업 이해 위한 수업에 대한 이해 능력 (21 t ent r S ill ) 1.3 평가

s C uy k s

2.1 정보 평가 2. 정보활용능력 (I iterac )

CT L

y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2.2 자료 개발 평가하여 수업목표 도달에 효 2.3 라인 도구 활용 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2.4 디바이스 사용

2.5 정보 - 29 -

윤리


역량

정의

3.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Rapport ildin it learner )

bu g s

wh

긍 감

지표

3.1 가능성에 대한 신

념 배려 애정 3.4 조언 제공

학습자와의 정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공 대를 형성하는 3.2 능력 3.3

4.1 수업 설계

크놀

4. 수업 설계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4.2 테 로지를 활용 (In tr ctional de i n) 위한 수업을 설계하는 능력 4.3 평가

su

sg

5. 평가 및 성 (Eval ation and re lection)

f

u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학업 5.1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성 도, 다양한 교육 활동의 성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5.2 교육활동의 성과에 타 하게 활용하는 능력 대한 평가

취 당

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세계 각국에서 핵심 역량을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고 있듯이, 우리나라에 서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2년에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연구(이광우 외, 2009)를 수행하였다. [그림 Ⅱ -7]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 교육환경 변화와 핵심역량의 관계를 밝히고 핵심역량 구현을 위한 미래 교육과정을 (1) 교과(및 범교과) 교육과정과 (2) 핵심역량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설정하고, 핵심역량의 하위 영역으로 인성 역량, 지적 역량, 사회적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은 위에 서 본 21세기 학습자 역량과 일 하는 부분이다.

살펴

- 30 -


[그림 Ⅱ-7] 미래 한국의 교육과정(이광우 외, 2009) 즉,

미래 한국의 교육과정에 전통적인 지 중심의 교과영역과 심역량 을 통 하여, 교과 교육과정을 통한 심역량 구현 및 심역량을 통한 교 과교육과정 구현이 는 미래 학교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 역량이 게 주목을 고 강조 고 있음을 수 있다. 이러한 심 역량의 관점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외국의 역량 기반 교 육과정 개정 동향을 고 하여 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 방 을 구 하 는 연구가 실시 는데, 본 연구 범위에 함 는 사회과, 과학과 및 영어 교과의 교과별 심 역량 분석 결과를 략하게 보면 다음과 같다(이 우 외, 2009).

새롭

되었 핵

포 되 간 살펴

가) 사회과 심역량 관점에서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과에서는 주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 리능력, 대인관계능 력, 시 의 , 국제사회문화이해 등이 중요한 심 역량인 것으로 조사

민 식

- 31 -

되었


으며, 히 문제해결능력, 정보 리능력, 국제사회문화이해가 것으로 나타났다.

두드러지는

나) 과학과 심역량 관점에서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 학과에서는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 리능력 등이 주로 강조 고 있으며, 히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강조가 러지는 것으로 조사 다.

처 두드

되었

다) 영어과 심역량 관점에서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영어과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기초학습능력이 강조 는 것으로 조사 다. 영어과 교육과정은 다른 교과에 비교하여 심역량이 상 히 제한적으 로 반영 어 있고, 반영 어 있는 항목에서도 성 과 목표, 내용, 방법, 평 가의 연계성이 미 한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32 -

되었


Ⅲ. 연구학교 효과성 검증 도구 개발 1. 개발단계 및 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효과성을 검 증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로, 이 적인 은 교육현장의 실제 현 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반영해 하 로, 그 -1 과 같은 차를 거 쳐 검증도구를 개발하였다.

론 접근 물론 야 므 [ 림Ⅲ ]

효과성 관련 영역 추출

전문가 회의(교육전문가, 교사 함)

공통 평가문항 확정 및 세부평가문항 1차 제

전문가 회의(교육전문가, 교사 함)

평가문항에 따른 설문조사 실시

선행연구 분석

영역별 공통 평가문항 1차 제

영역 수정 및 공통 평가문항 2차 제

↓ ↓

세부평가문항 2차 제

전국 연구학교,

온라인 설문

공통 평가문항에 따른 성과 측정 검증

통계 자문 및 분석

세부평가문항 확정

전문가 회의(교육전문가, 교사 함)

[그림 Ⅲ-1] 도구 개발 단계 및 절차 - 33 -


본 연구의 목적인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성과를 검증 하기 위해서는 연구학교별로 어 입요인과 출요인을 고 는지 아 필요가 있다. 현재의 연구학교별로 연구계획서에 나타 여러 요인 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부록8 참조).

알 볼

떤투

려했

흐름 르 델 루 져 호작 채택 었 든

대부분의 연구학교의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은 을 따 고 있다. 연 구과제 1은 인 라 구 , 연구과제 2는 교수학습 모 개발 및 적용, 연 구과제 3은 교수학습 모 의 효과 검증의 단계로 이 어 있다. Ÿ 연구학교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으로는 상 용(의사소통력), 자기주도학습력, 창의성, 인성, 문제해결력 등을 하고 있 다. Ÿ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는 모 학교에서 필수적 으로 사용하고 있 다. Ÿ 학생들의 출요인으로는 ‘학습자 역량’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 다. Ÿ

축 델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게 다음과 같은 측면에 서 공통적인 효과 영역을 제시하고 설문으로 구성하였다. Ÿ 학생 21세기 학습자 역량, 만족도(태도, 준비도 등) Ÿ 교사 21세기 교수자 역량, 만족도(학습효과 인 등) Ÿ 학부모 이해도, 부수적 효과, 자녀의 생활태도 등

: :

:

<표 Ⅲ-1>에서와 같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에서의 효과성을 측 정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시되는 항목은 스마트교육의 특징이나 장점과 연 관성을 가진다.

- 34 -


<표 Ⅲ-1> 스마트교육에서의 학습자 역량 영역 디지털교과서 효과성분석 (김희수 외, 2011)

좋은수업요인 (권성호 외, 2012)

본 연구

문제해결력

○ ○

자기주도적 학습력

호작용성

○ ○

○ ○ ○ ○

○ ○ ○ ○

영역

학업성 도

만족도 준비도

CT리터러시 SMART리터 I

러시

스마트교육정 책(천세영 외, 2013)

○ ○

창의성

<표 Ⅲ-1>에서 분석된 것과 같이 학습자역량의 요소는 스마트교육 환경 에서 나타나는 창의성, 상호작용성, 문제해결력, ICT 리터러시 등으로 측정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크게는 ‘21세기 학습 자 역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세부 요소는 창의력과 혁신 능력,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능 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으로 선정하여 이전 연구에서 측정한 요소와 어 학습자 역량을 측정하기 요소를 추가하였다.

- 35 -


2. 효과성 공통 검증 도구 개발 가. 공통 검증 도구 개발 절차 뉘

먼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증 도구는 2가지로 나 는데, 공통 검증 도 구의 경우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문 문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 학교의 목표를 ‘21세기 학습자 역량 증진’으로 설정하였으 로, 공통 검증 도구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이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 진하는데 마나 기여 는가에 대한 인 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 다. 구체적인 공통 검증 도구 개발 차는 그 -2 와 같다.

Ÿ 1)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에 대한 정의

Ÿ

[ 림Ⅲ ]

되었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을 “21세기 학습자 역량”, “21세기 교수자 역 량”, “만족도”로 측정하기로 합의함. 자문회의를 통해 세 영역 및 하위 영역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들로 부터 검증받음.

ò 2) 효과성 공통 검증 도구 문항 개발

Ÿ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문항을 개발함.

Ÿ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개발된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 받음. 스마트기기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참관을 통해 개발된 평가문항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함. 전문가 의견 및 관찰 결과를 반영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함.

ò

Ÿ 3) 전문가 협의회 및 수업 참관을 통한 검증 및 보완 Ÿ Ÿ ò 4) 공통 검증 도구 문항 확정

Ÿ

문항을 최종 확정하여 검사 도구를 완성함.

[그림 Ⅲ-2] 공통 검증 도구 문항 개발 절차 - 36 -


1)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에 대한 정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으로 인한 교육적 효과는 학업성 도, 학습태도,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력, 만족도, I 활용능력 등 다양 한 기준으로 평가 수 있다(변 외, 2008, 2010 경 외, 2011 회 수 외, 2012).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가 추구하는 미래의 교육환경 및 학습자를 고 하여 표 -2 와 같이 “21세기 학습자 역량”, “21세기 교 수자 역량”, “만족도”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효과성을 측정하기로 선정하 였다.

CT ;노 희

호승

;김

< Ⅲ >

<표 Ⅲ-2> 효과성 측정을 위한 세 영역 효과성 측정 영역

하위 영역

21세기 학습자 역량

1. 2. 3. 4. 5. 6. 7.

창의력과 혁신 능력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

21세기 교수자 역량

1. 2. 3. 4. 5.

21세기 학습자 역량 이해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형성 수업설계 평가 및 성

1. 학생 2. 교사 3. 학부모

만족도

당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세 영역에 해 는 문항을 개발하 기 위해 우선, 표 -2 와 같이 하위 영역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정의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전문가, 연구학교 교사, 교 육부 관계자, KERIS 관계자들과 자문회의를 통해 표 -2 의 내용의 타 성을 검증 다.

< Ⅲ >

< Ⅲ >

받았

- 37 -


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교육부의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 6. 29) 발표 내용과 한국교육학술정 보원 연구자료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 ’,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연구보고 ‘미래 사회 대비 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과 Intel eac Ele ent의 ‘ e ent in t e 21 t ent r S ill ’의 내용을 참고하여,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모 학교를 통해 개발 고 신장 수 있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정의, 지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델링

핵 Ass ssm ․

T h m

h 델

s C uy k s 되

<표 Ⅲ-3> 21세기 학습자 역량, 정의, 지표 역량

1.

2.

정의

4.

5.

:새 : : :

1.1 상상 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시 1.2 창성 기존의 생 과 다른 아이디어 개발 고 가 있는 창의력과 할 수 있 아이디어를 생성하 1.3 유용성 실제로 적용 을 혁신능력 는 한계 이해 는 능력 1.4 도전성 실패를 우는 기회로 보고, 가 능에 도전하 는 태도 2.1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 통상적인 방법과 혁 2.2 비 적 사고 주어진 정보와 조 을 분석, 비 적 신적인 방법 양자의 평가 사고력 및 관점에서 다양한 문제해결 의 문제를 해결하 2.3 해결 방 적용 적 해결 방 선 , 적용 력 2.4 반성적 사고( 타인지) 문제해결과정 전 는 능력 반에 대한 반성 활동 3.1 표현 생 이나 의 을 과 로 명료하 다양한 형 과 맥락 게 표현 의사소통 에서 생 , 정, 의 3.2 경 다른 사 들의 과 의 의미 파 능력 등을 효과적으로 분 3.3 상 용 사회적 상 에서 목적에 게 명히 표현하는 능력 상 용하는 능력 4.1 개인적 책임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문제 해결, 로운 위하여 자신이 은 임 를 선을 다하 출 창출, 학습 여 수한다. 및 련을 위하여 협업 능력 4.2 상 존중 원의 공헌을 고 인정하며, 다른 사 들과 효과 협력과정에 대한 공동의 책임 을 가 적으로 상 용하 4.3 공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 는 능력 요한 지 , 기술 등을 다른 사 과 공유 정보활용 정보의 수집, 해석, 5.1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 능력 활용, 창조를 위하여 하여 활용하고, 로운 정보를 창출

새롭

3.

지표

식 각감

산 물 숙

호작

:

했 때접

:

:최 메

:

건 안 택

: 각 견 말 글 청: 람 말 글 호작 : 황 호작 감: 맡 무 최 완 호 :팀 믿 감 : 식 람 : 새

- 38 -

불 악

악 맞


역량

정의

지표

: 되 메 판 황 메 절 택 윤 : 접근 때 윤 슈 념 : 취 최종

5.2 미디어 리터러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 하여 전달 는 시지를 비 적으로 이해 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 에 시지를 표 현하기 위하여 적 한 미디어를 선 활용 5.3 정보 리 정보를 하고 활용할 발생할 수 있는 리적이고 법적인 이 들과 관련된 개 이해 6.1 계획 성 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 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 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 6.2 의사결정 다른 사 의 도 이 어도 스 스로 단하고 결정하며 우선 위를 결정 6.3 자기성 자신이 수행해 과정과 결과 를 아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활용 7.1 변화관리 다양한 역할, 상 , 일정의 변 화를 이해, 대 7.2 모 함에 대한 용 분명하지 고 변하 기 운 사 , 상 을 아들이고, 효과적 으로 수행 7.3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 다양한 문화, 관점, 신 을 이해 및 수용

크놀

다양한 테 로지 를 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6. 자기주도 학습력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 획하고 수행하고 결정 하여 진행하는 능력

7. 유연성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적 적으 로 수용하고 이를 공동의 이 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 들어가는 능력

: 람 판 찰: 되돌 : 응 호 포 : 쉬 건 황 받 긍 념

움 없 순 온 황 않 :

나) 21세기 교수자 역량 교실환경이 변화하고 수업현장에서 테 로지의 활용이 높아 에 따라 교사의 테 로지 교수학습지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사의 테 로지 교수학습지 (tec nolo ical peda o ical content no led e K 또는 K)은 교사들이 교과내용을 가 는데 있어 필요한 교 과교육학지 에 테 로지 활용지 을 함한 개 이라고 수 있다 ( n eli, alanide , 2009 ai et al., 2010 e , Roe ri , 2009 Sc idt, et al., 2009).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기존의 K의 영역으로 학생에 대한 이해 및 관계 형성, 수업 설계 능력, 반성적 사고 능력 외에 정보활용능력을 추가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 디지털 환경 내에서 교사들이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이용하는 련된 능력과 디지털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테 로지 활용을 교과와 연계 는 능력들

크놀 TPC

크놀

크놀

식 h g

TPAC 식 크놀 Ag &V s hm 되었던

gg

k w g;

르치 식 포 념 볼 ; Ch ; Guz y & h g ; PC 언급 크놀

- 39 -


을 함하고 자 역량 모 서는 21세기 관련이 있는 로 함하여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인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 ’에서 이와 유사한 영역들이 제시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교수자 역량에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활용 수업과 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이해와 정보활용능력을 추가적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델링

밀접

<표 Ⅲ-4> 21세기 교수자 역량, 정의, 지표 역량

정의

1. 21세기 학습자 역량 이해 (21 t ent r S ill )

s C uy k s

지표

: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강화를 위한 수업에 대한 이해 능력

1.1 역량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을 통해 길러 할 21세기 학 습자 역량에 대한 이해 1.2 수업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에 대한 이해 1.3 평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평가 전략, 방법, 도구에 대한 이해 2.1 정보 평가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 2.2 자료 개발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 여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해 효과 적인 수업자료 개발 활용 2.3 라인 도구 활용 수업 목표 도 달을 위해 다양한 라인 협동학 습 도구 활용 2.4 디바이스 사용 스마트기기( a let 등)를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해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 2.5 정보 리 정보를 하고 활용 할 발생할 수 있는 리적이고 법적인 이 들과 관련된 개 이해 3.1 가능성에 대한 신 학습자 개개 인이 가지고 있는 재력을 발 , 학습자에게 정적 기대 표현 3.2 학습자의 행동, 관점 등을 존중하는 정적인 자세 3.3 정 학습자에 대해 및 관심을 가지고 적 적으로 표현 3.4 조 제공 학습자가 한 상 및 요구를 파 , 타 하고 적 한 내 제공

져야

: :

: :

2. 정보활용능력 (I iterac )

CT L

y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수업 목표 도달에 효과적으 로 활용하는 능력

:

:

PC

3.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Rapport ildin it learner )

bu g w h s

학습자와의 정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공 대를 형성하는 능력

- 40 -

배려: 애 : 언 안

윤 : 슈

Tb

접근 윤 념 념: 잠 굴 긍 감

친밀감 극 : 처 황 악 당 절


역량

정의

4. 수업 설계 (In tr ctional de i n)

su sg

: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을 설계하는 능력

지표

4.1 수업 설계 교육과정 목표, 21세 기 역량 목표, 목표도달에 대한 평가 전략, 방법, 수업 전략, 테 로지의 효과적인 활용 등이 명 확한 수업 설계 4.2 테 로지를 활용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는 테 로지 활용 계획 4.3 평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측정에 대한 평가 일정표, 평가 전략, 평 가 방법, 평가 도구 등 활용 계획 5.1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학습자의 수행 과정 및 21세기 학습자 역량, 학업성 도를 평가 하기 위한 전략을 수 하고 평가 도구를 개발하며, 평가 결과를 분 석하여 학습자와 공유 5.2 교육활동의 성과에 대한 평가 평 가 실시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 의 학습 진, 수업설계 및 수업 활동 전반에 대한 반성 및 개선 을 위한 자료로 활용

크놀 크놀 :

:

: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학업성 도, 다양 5. 평가 및 성 한 교육 활동의 성과 (Eval ation and 를 분석하고, 그 결과 re lection) 를 타 하게 활용하는 능력

f

u

취 립

:

다) 만족도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만족도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와 우 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수경(2013)은 중학교 과학수업에 스마트러 기반의 수업 모 을 개발하여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업능력의 상관을 분석하였는데,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였다. 설문 와 창 (2012)은 교사들 을 대상으로 여러 변인(예 경력, 성별, 스마트기기 활용 정도 등)에 따라 스마트러 에 대한 인 을 본 결과, 교사를 위한 연수를 통해 교사의 인 과 기술을 변화시 면 스마트러 의 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 대하였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 에 대한 연구는 아 까지 아보기는 어 우나, 은 에서 스마트교육의 역기능에 대한 우 를 보 이고 있다. 전 경(2013)은 대학교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한 결

매 밀접 닝 닝

규 손 익

:

식 살펴 키 닝 긍

려 많 언론 숙

- 41 -


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동시에 집중력 하와 만해지는 수업 분위기와 같은 역기능이 발 음을 하였다. 이와 같 은 선행연구들을 고 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 인 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 초점을 어 조사하였다.

견되었

언급

<표 Ⅲ-5> 만족도 역량

정의

지표

:

1.1. 학습태도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 기 이용 수업 및 그 효과성에 대한 인 1.2. 준비도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을 위해 추어 하는 기본 기술에 대한 인 1.3. 몰입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에 대한 집중 및 몰입에 대한 인 1.4. 흥미도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의 흥미에 대한 인 1.5.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에서의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인 1.6. 경제성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 시 경제적 효과에 대한 인 1.7. 참여 및 환경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 트기기활용 수업에의 참여 및 환경에 대한 인 2.1. 기본적 이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 및 효과 성에 대한 인 2.2. 학생의 학습에의 효과 및 스마트기기 활용이 학생의 수업 및 생활 태도의 변 화에 미 는 영향 대한 인 3.1. 기본적 이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기기 활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 3.2. 부수적 효과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기기 활용으로 을 수 있는 부수적 효 과에 대한 이해도 3.3.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디지털교과 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시 학습 및 생활 태도에 대한 인

:

:

학습자로서 디지털 교과서 또는 스마 1. 학생 만족도 트기기 이용에 대 한 태도 및 준비도

:

:

:

:

교수자로서 디지털교 과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의 효과성에 대 2. 교사 만족도 한 인 과 학생의 수 업 및 생활 태도의 변화에 대한 인

3. 학부모 만족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 도 및 부수적 효과 에 대한 인

: 식 : :

:

:

- 42 -


2) 효과성 공통 검증 도구 문항 개발

본 연구에서는 효과성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공통 검증 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의 진술은 대상에 적 하도록 진술 으며, 연구진의 지 적인 수정·보 을 거쳐 표 -6 과 같이 성 다.

< Ⅲ >

되었 완 되었

<표 Ⅲ-6> 공통 평가의 구성 하위역량

하위역량별 문항수

총 문항수

21세기 학습자 역량

1. 2. 3. 4. 5. 6. 7.

창의력과 혁신 능력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

4 4 3 3 6 3 3

26

21세기 교수자 역량

1. 2. 3. 4. 5.

21세기 학습자 역량 이해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형성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

3 6 4 6 5

24

21세기 학습자 역량

만족도

찰 1. 학생 태도 / 준비도 / 몰입 / 흥미 /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 경제성 / 참여 및 환경 2. 교사의 기본적 이해 / 학생의 학습에의 효과 3. 학부모 기본적 이해 부수적 효과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만족도

/5/4 3 / 6 3 / 3 13 / 13

4

/

/

8

/5

28

26 22

/9

3) 전문가 협의회 및 수업 참관을 통한 검증 및 보완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전문가, 연구학교 교사, 교육부 관계자, KERIS 관계자들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개발된 문항들의 타 성, 진술의

- 43 -


받았 례 당

적 성 등에 대해 검증 다. 또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를 활용 하는 연구학교를 수차 방문하여 개발된 문항들이 학습자 역량, 교수자 역량 등을 측정하는데 타 한지,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지 등을 수업참관 및 교사, 학생 면 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바 으로 문항을 수정·보 하였다.

4) 공통 검증 도구 문항 확정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통 검증 도구 문항은 다음과 같다. 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 창의력과 혁신능력 창의성은 21세기 핵심 역량으로 여러 연구자들과 기관들로부터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이광우 외, 2008; NRC, 2012; P21,

2009). 현재 교육과학기술부(2009)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이나 인재교육(S E )에서도 창의성은 우 중요한 미래 역량으로 명시 어 있다. 21(2009)도 창의성 및 혁신능력을 21세기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고 가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 미래 시 으로서 학생들은 기존과 다른 생 을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 으며, 그 아이디어가 현실적으로 적용가능한지에 대해 단할 수 있는 능 력을 추어 한다. 또한 실패의 에 이지 고 도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여 다 음과 같이 창의력 영역의 문항 4개를 개발하였다.

융합 되 즉

P 새롭 민

T AM

갖 야

창의력과 혁신능력

두려움 얽매

새롭 친

판 않

각 독

1.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 해 낼 수 있다. 2. 나는 내 아이디어가 다른 구들의 아이디어에 비해 창적이고 차별화된 다고 생 한다. 3. 내 아이디어는 이상적이고 실현 가능하기 보다는 실행가능하고 모가 있다. 4. 나는 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실패에 대한 이 적은 이다.

- 44 -

두려움


○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 상황에서 통상적 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내는 능력을 문제해결력이라 정의할 수 있다(허희옥 외, 2011; P21, 2009).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 고, 주어진 정보와 조건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여러 해결방안 중에서 가장 최적의 해결방안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차경수, 모경환, 2008). 최근에는 문제해결과정 전반에 대한 반성 활동, 즉 반성적 사고도 문제해결력의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되고 있다(Choi et al., 2011; Duschl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 로 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해결력 영역의 문항 4개를 개발하였다.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졌 때

1. 나는 해결해 할 문제가 주어 을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 하고 이해 하 고 력한다. 2. 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한 정보를 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3.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선의 방 을 선 하고 적용할 수 있다. 4. 나는 문제 해결 후 나의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반성 및 성 을 하 고 력 한다.

려 노

려 노

○ 의사소통능력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 는 능력이 매우 중요한 21세기 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이광우 외, 2008; AAAS, 2007; Choi et al., 2011; P21, 2009). 의사소통능력은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생각이나 감정, 의견 등을 효과적으로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P21, 2009), 크게 표현, 경청, 상호작용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Dillenbourg, 1999). 즉,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말과 글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의사소통은 맥락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상 황에서 상황에 맞는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권성호 외, 2012; 허희 옥 외, 2011).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의사소통능력 영역의 문항 3개를 개발하였다. - 45 -


의사소통능력

말 편

글 람 각

1. 나는 또는 을 통해 내 의 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2. 나는 다른 사 들의 의 을 신중하게 고 상 용하면서 의미를 파 하 는 이다. 3. 나는 나의 생 과 의 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견 견

호작

○ 협업능력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지식과 기술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개인의 지식이나 기술만을 활용하는 것은 효율적으로 과제 를 수행하는데 매우 제한적일뿐만 아니라 결과물의 질적 수월성도 확보하 기 어렵다. 최근 언급되는 집단지성의 개념도 이와 상통한다(Lévy, 1994; Surowiecki, 2004). 즉, 다양한 지식과 기술,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 함 께 과제를 수행해 나감으로써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Choi et al., 2011). P21(2009)에서도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산출물을 창조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협업능력이라 정의하며, 의사소통능력과 함께 21세기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즉, 미래 시민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맡은 임무를 최선을 다해 완수할 수 있는 개인적 책임감을 지녀야 하며, 팀원의 공헌을 믿고 인정하며 협력 과정에 대해서도 공동의 책임감을 갖는 상호 존중의 태도가 필요하다. 또 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개방성이 요구된다(양미경, 2011; 이유나, 이상수, 2009; Brown & Isaacs, 2008).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 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협업능력 영역의 문항 3개를 개발하였다. 협업 능력

팀 갖 최 팀 믿 팀 람

1. 나는 우리 의 공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가 은 임 에 책임 을 고 선을 다한다. 2. 나는 원을 고 인정하며 상 존중한다. 3. 나는 우리 의 공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 , 기술 등을 다른 사 과 공유한다.

- 46 -


○ 정보활용능력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 력, 테크놀로지를 필요한 상황에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창 조할 수 있는 능력 등은 매우 중요한 역량이라 할 수 있다(Choi et al., 2011; P21, 2009; 2013). 많은 선행연구(Butler-Pascoe & Wiburg, 2003; NRC, 2012)에서도 이와 같은 역량을 정보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로 강조해 왔다. 현대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미디어(예: 인터넷, 유튜 브, 블로그 등)의 발달로 엄청난 양의 지식과 정보들이 방출되고 있다. 따 라서 이러한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 력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디어의 활용으로 인해 정보윤리에 대 한 민감성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조윤희, 하성권, 고병오, 2004; 최현 호, 2006).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 이 정보활용능력 영역의 문항 6개를 개발하였다. 정보활용능력(ICT Literacy)

1. 나는 하여 2. 나는 3. 나는 하는 4. 나는 5. 나는 6. 나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정보의 적 성과 정확성 등을 평가 활용한다.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로운 정보를 만들어내 고 력한다.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해 전달 는 시지를 비 적으로 사고하고 이해 이다. 시지 전달에 가장 효과적이고 적 한 미디어를 선 할 수 있다. 정보에 하고 이용할 보 에 대한 인 이 있다. 라인에서 지 할 예 에 대해 고 있다.

편 메 온

접근

켜야

되 메 절 때 저작권 호 절 알

려 노 택 식

○ 자기주도학습력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는 평생 학습자로서의 개념 을 강조한다. 지식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시 대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기술들도 변화하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계획하고, 판단하며, 성찰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력을 함양해야 한 다(권성호 외, 2012; 허희옥 외, 2011; P21, 2009). 이러한 평생학습자로서의 개념은 학교에서부터 학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Choi et al., 2011). 즉, 학 생들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 - 47 -


간 움 없

야 순 되돌

한 시 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분할 수 있어 하며, 다른 사 의 도 이 어도 스스로 단하여 과제 수행의 우선 위를 결정할 수 있 어 한다. 또한 자신이 수행해 과정과 결과를 아보고 미래의 발전 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해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 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자기주도학습력 영역의 문항 3 개를 개발하였다.

자기주도학습력

1. 나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 달성을 위한 시 및 자원을 효과적 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 한다. 2. 나는 학습할 , 다른 사 의 도 이도 중요한 서를 스스로 단하고 결정할 수 있다. 3. 나는 내가 수행해 학습 과정과 결과를 아보고 향후 학습을 위하여 활용한다.

립 람 움없

○ 유연성

되돌

시대가 변화하는 것에 추어 그 변화와 다양성을 적 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공동의 이 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이 바로 유연성 이다( 21, 2009). 다변하는 사회에서의 요구 는 역할에 대 할 수 있어 하며, 한 도로 변화하는 모 한 상 에서도 효과적으로 일을 수 행할 수 있어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 관점, 신 에 대해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정적 태도가 필요하다( oi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유연성 영 역의 문항 3개를 개발하였다.

P 급속 속 야

되 황속

유연성

Ch

편 무

1. 나는 다양한 역할, 상 , 일정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 하는 이다. 2. 나는 분명하지 고 변하기 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임 를 수행할 수 있다. 3. 나는 다양한 문화, 관점, 신 을 이해하고 아들이는 이다.

쉬 념

- 48 -


나) 21세기 교수자 역량

○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이해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표가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라 한다면, 교사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이해 는 교육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외, 2011).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업 전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이해도 선행 어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 한 이해 영역의 문항 3개를 개발하였다.

허희옥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이해

무엇

1. 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이 인지 잘 이해하고 있다. 2. 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을 고 한 수업을 전개하고 있다. 3. 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평가 전략, 방법, 도구 등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

○ 정보활용능력 교사의 ICT 활용 능력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교육의 성과를 결 정하는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 선행 연구(예: 심숙영, 2010; Albirinin, 2006; Williams et al., 2006)를 살펴보면 교사가 테크놀로지활용에 대해 어 떠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활용능력을 갖느냐에 따라 교수 전 략이나 교수학습의 목표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수업목표 도달을 위해 효 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정보활용능력이라 정의하고, 선행연구( 선주 외, 2006 oer c , 2002)를 참고하여, 정보 평가, 자료 개발, 라인 도구 활용, 디바이스 사용, 정보 리의 5개 영역에서 문항 6개를 개발하였 다.

;M sh

- 49 -


정보활용능력

1. 나는 수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한다. 2. 나는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나만의 수업자료로 만들어 활용한다. 3. 나는 학생들의 학습 활동에 필요한 문서 성 , 발표자료 제 로그 등 을 잘 다 수 있다. 4. 나는 다양한 라인 협동학습 도구를 고 이를 수업에 적 활용한다. 5. 나는 스마트기기( a let 등)를 수업 목표 도달의 효과적인 도구로 사 용한다. 6. 나는 디지털교과서를 수업 목표 도달의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한다.

작프 극

T b PC

○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학습자와의 긍정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한 교수자의 역량이다(허희옥 외, 2011). 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과 학생을 존중하는 자세, 그리고 학생에게 친밀감과 관심을 표현하 는 것, 학생의 상황에 맞는 타당한 조언을 제시해 주는 것은 학생의 학업 성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반으로 하 여 다음과 같이 가능성에 대한 신념, 배려, 애정, 조언 제공의 네 영역에서 문항 4개를 개발하였다.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감 갖

1. 학습자 개개인의 재력을 발 하여 학습자에게 정적 기대 을 도록 한다. 2. 학습자의 행동, 관점 등을 존중하고 한다. 3. 학습자 개개인에게 을 고 관심을 적 적으로 표현한다. 4. 학습자가 한 상 및 요구를 파 하여 타 하고 적 한 내 및 조 을 한다.

배려 친밀감 갖 극 황 악 당

절 안

○ 수업 설계 및 개발 스마트 환경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을 포함한 교수학습지식(TPCK 또는 TPACK)이 요구된다(Angeli, & Valanides, 2009; Chai et al., 2010; Guzey, & Roehrig, 2009; Schmidt, et al., 2009). 즉, 교사는 변화하는 교실 환경에 맞게 수업을 설계하고, 새로운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며, 이를 적용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 - 50 -


허희옥

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외, 2011)에서도 이와 유사한 영 역들이 제시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설계, 테 로지 활용, 평가의 세 영역을 고 하여 다음과 같이 문항 6개를 개발하였다.

크놀

수업 설계 및 개발

안 특 크놀 절

1. 나는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명확히 하고 적 한 형태로 학습자에게 내한다. 2. 나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교과 성, 학습 자 성, 학습 환경을 고 하여 학습내용을 조 한다. 3. 나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테 로지 활용 계획을 수 한다. 4. 나는 교과 목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전략, 방법, 도구를 적 히 활용한다. 5. 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수업 목표에 반영한다. 6. 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평가 내용을 수업 평가에 반영한다.

○ 평가 및 성찰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가 목표로 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함양을 효과적으로 달성 는지 다양한 교육 활동의 성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타 하게 활용하는 능력은 21세기 교사가 추어 할 주요 능력 중 하나 이다. , 학습자의 학습 수행 과정과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함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수 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와 공유할 수 있어 하며, 그 평가 자료를 학습자의 학습을 진하기 위한 수업을 재구 성하고 개선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다음과 같이 평가 및 성 영역의 문항 5개를 개발하였다.

갖 야

평가 및 성찰

1. 나는 학습자의 학습 수행 과정 및 성 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략을 수 하 여 평가를 시행한다. 2. 나는 학습 목표 도달에 대한 평가를 위해 적 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활 용한다. 3. 나는 학습 목표 도달을 위해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와 공유한다. 4. 나는 평가 결과를 학습자의 학습 진을 위해 적 활용한다. 5. 나는 평가 결과를 나의 수업 설계 및 수업 활동 전반에 대한 반성 및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

- 51 -


다) 만족도 학생과 교사, 학부모의 만족도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와 우 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수경(2013)은 중학교 과학수업에 스마트러 기반의 수업 모 을 개발하여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업능력의 상관을 분석하였는데,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설문 와 창 (2012)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여러 변인(예 경력, 성별, 스마트 기기 활용 정도 등)에 따라 스마트러 에 대한 인 을 본 결과, 교사 연수를 통해 교사의 인 과 기술을 변화시 면 스마트러 의 정적 효과 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우 와 관련 된 부분은 스미디어를 통해 보고 고 있다. 전 경(2013)은 대학교 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한 결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정적 효 과를 보였으나 동시에 집중력 하와 만해지는 수업 분위기와 같은 역기 능이 발 음을 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고 하여 학생, 교 사, 학부모 인 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 초점을 어 조사하였다.

매 밀접 닝

닝 규 손 익

:

종종

견되었 언급 식

식 살펴 닝 긍

○ 학생 태도 / 준비도

학습자의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태도 및 준비도는 학업 성 에 영향을 미 수 있다( 수경, 2013). , 학생들이 스마트러 환경에 대해 정적 태도를 고 기본적인 I 활용 능력을 추게 면, 학업 성 에 있어서도 정적 효과를 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 이용 수업 및 그 효과성에 대한 인 을 는 4개 문항과 수업을 위해 추어 하는 기본 I 기술 에 대한 인 을 는 5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취 큰 취

식 묻 식 묻

CT 갖 올

갖 야

- 52 -

CT


태도

1. 나는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수업이 내 성적향상에 도 이 된다고 생 한다. 2. 나는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학습을 할 학습에 자신 이 생 다. 3. 미래 나의 진로, 업 선 에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 업이 도 이 된다. 4. 디지털교과서 또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다른 학습자 및 전문 가들과 협력한다.

긴 움

준비도

1. 나는 수업에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방법을 잘 고 있다. 2. 나는 디지털교과서 또는 라인 학습 도구의 기능 및 사용방법을 잘 고 있다. 3. 나는 다양한 의 을 학습에 활용한다. 4. 나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학습 자료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5. 나는 학습 활동에 필요한 로그 (문서 성, 발표자료 제 등) 사용 방법 을 고 있다.

종류 앱

○ 학습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이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관련 학습자 만족도를 참조하여 몰입, 학습내용 및 흥미에 대한 만족도, 학습도구 및 교수학습 변화에 대한 만족도, 경제성 만족도, 참여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1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몰입

1. 2. 3. 4.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은 기존의 수업보다 재미있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는 기존의 수업에서보다 집중이 잘된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공부에대한 자신 이 생 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어 운 과제도 까지 해낼 수 있다.

감 끝

학습내용 및 흥미 만족도

1.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 이 된다. 2. 디지털교과서 활용은 학습을 흥미 게 한다. 3. 디지털교과서 활용은 학습에 몰입하게 한다.

- 53 -


도구 및 교수학습 변화 만족도

1. 2. 3. 4. 5.

디지털교과서는 디지털교과서에 디지털교과서를 디지털교과서를 디지털교과서를 6. 디지털교과서는

편 각 견 맞 움

학습하는데 이용하기 리하다. 있는 다양한 학습도구들은 공부하는데 도 이 된다. 활용하면 구들과 생 (의 )을 나누는 기회가 어 다. 활용하면 선생 과 의사소통하는데 도 이 된다. 활용하면 내 수준에 는 학습을 하는데 도 이 된다. 스스로 학습하는데 도 이 된다.

경제성 만족도

쉽 닐

늘 난

1.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과제를 게 해결할 수 있다. 2.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참고서에 의존할 필요가 어 다. 3.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원에 다 필요가 어 다.

줄 든 줄 든

참여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

1.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 참여할 수 있어서 만족한다. 2. 스마트기기 환경이 구 된 교실에서 공부하고 다. 3. 으로도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공부하고 다.

싶 싶

○ 교사의 기본적 이해 / 학생의 학습에의 효과 현장 교사들이 수업에 ICT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소양이 부족 하여 많은 혼란과 애로를 겪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박병진, 박남기, 2002; 심숙영, 2010). 교사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 과서 활용에 대한 이해도는 학생의 학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 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 자로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13 개 문항과 학생의 수업 및 생활 태도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묻는 13개 문 항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 54 -


교사의 디지털교과서인식/효과성

/

1.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이해하고 있으며, 연구학교 참여에 정 적이다. 2. 디지털교과서의 수업 활용에 정적이며 적 적으로 활용할 생 이 있다. 3. 디지털교과서가 미래의 교육환경을 변화시 것으로 생 한다. 4. 스마트기기가 학생들의 미래의 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 한다. 5.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은 수업 준비가 수 하다고 생 한다. 6.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은 ‘동기유발’에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7. 디지털교과서는 ‘학습목표 도달’에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8. 디지털교과서는 교과내용 전달에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9. 디지털교과서가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에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10. 디지털교과서가 수업 자료를 개발, 적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11. 디지털교과서가 학생의 수업관리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12. 디지털교과서가 학생의 평가 관리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 한다. 13. 스마트기기를 적용하면 학생 생활지도, 상 및 진로지도 등에 도 이 된 다고 생 한다( 장 연계, 비 상 방, 적 상 용 등).

극 킬 월

각 각

알림

담 밀 담 즉각

각 각 각

호작

각 각

각 각 각 각

학생의 수업/태도/인식측면

각 각

1.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집중력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2.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아진다고 생 한다. 3.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가 높아진다고 생 한다. 4.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5.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력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6.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발표력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7.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 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진다고 생 한다. 8.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협력이 증가한다고 생 한다. 9.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창의력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10.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리적 사고력이 향상 다. 11.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자존 이 향상된다고 생 한다. 12.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정보화 역기능이 소된다고 생 한다. 13.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수행평가 결과의 이 높아진 다고 생 한다.

- 55 -

각 각 되었 각 감 질

각 각


○ 학부모 기본적 이해 / 부수적 효과 / 자녀의 학습 및 태도 만족도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직접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어려우나,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의 과다 한 사용 등으로 인한 역작용에 대한 보도가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부 모들의 우려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학부모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 서 활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러한 환경이 가져올 수 있는 부수적 효과 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교육 정책을 수행해 나가는데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 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를 는 8개의 문항과 기기 활용으로 을 수 있는 부수적 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는 5개의 문항, 자 녀의 학습 및 생활 태도에 대한 9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전반의 이해도

1. 2. 3. 4. 5. 6.

무엇 취

스마트교육이 인지 고 있다. 스마트교육의 지를 이해하고 있다. 자녀가 사용하는 디지털교과서가 어 게 구성 어 있는지 고 있다. 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는 이유를 고 있다 스마트기기 및 디지털교과서가 우리 아이의 학습에 도 이 된다고 생 한다. 우리 아이의 미래 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 한다. 7. 단기기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이 우리 아이의 진로에 도 을 것이라고 생 한다. 8. 학교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교육이 스마트 집 이나 게임 과몰입을 해소하는데 도 이 것이라 생 한다.

되 알

각 첨 각

움 줄

움 될

폰 착

활용의 부수적 효과성

1.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다른 부교재 구입이 어들 수 있다고 생 한다. 2.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습준비 및 준비 비용이 어들 수 있 다고 생 한다. 3.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사교육비가 어들 수 있다고 생 한다. 4.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성적에 도 이 것으로 생 한다. 5. 자녀가 스마트기기를 예전보다 학습에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진다고 생 한다.

줄 움 될

- 56 -

각 각


자녀의 학습 및 생활 태도 만족도

1. 2. 3. 4. 5. 6.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학습에 활용하는 것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다고 생 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습에 흥미가 높아 다고 생 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스스로 학습하는 시 이 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학습에 대한 자신 이 신장 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라인(인터 ) 의사소통의 기회가 어났다. 7. 디지털교과서로 학습하는 것을 다른 부모에게도 하고 다. 8. 나의 자녀가 내년에도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 이 으면 다. 9.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스마트기기의 역기능(게임 등)보다는 기능(교 육적 활용 등)이 증가할 것이라고 생 한다.

각 각

- 57 -

간 늘었 되었

넷 권 싶 급 되었 좋겠


3. 효과성 세부 검증 도구 개발 가. 세부 검증 도구 개발 절차 특 려

세부 검증 도구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성을 고 한 설문문항으로서 히, 사회, 과학, 영어 교과의 성을 고 한 설문문항 으로 개발 다. 세부 설문 문항은 공통 검증 도구의 설문문항을 기본으 로 하여 21세기 학습자 역량이 교과별로 어 부분과 연관 어 증진 는지 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개발 다. 구체적인 세부 검증 도구 개발 차는 그 -3 과 같다.

되었

[ 림Ⅲ ]

되었

Ÿ

공통 문항과의 연계성 확보를 위해 공통 문항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함.

Ÿ

사회, 과학, 영어 교과를 포함한 기타 교과에서도 사용가능한 교과 공통 세부 문항을 도출함.

Ÿ

사회, 과학, 영어 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항을 추가적으로 개발함.

Ÿ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각 교과별로 개발된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 받음. 스마트기기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을 참관을 통해 개발된 문항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함. 전문가 의견 및 관찰 결과를 반영하여 문항을 수정·보완함.

1) 공통 문항에 대한 분석 ò 2) 교과 공통 세부 문항 선정 ò 3) 교과별(사회, 과학, 영어) 세부 문항 개발 ò

4) 전문가 협의회 및 수업 참관을

Ÿ

통한 검증 및 보완 Ÿ ò 5) 교과별 세부 문항 확정

Ÿ

각 교과별 세부 문항을 최종 확정하여 검사 도구를 완성함.

[그림 Ⅲ-3] 교과별 세부 문항 개발 절차 - 58 -


1) 공통 문항에 대한 분석

살릴

세부 문항이 전체 공통 문항과 연계 면서 교과의 성을 수 있 도록, 공통 문항에서 제시된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하위 역량에 대해 선 행 연구에 거하여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더욱

2) 교과 공통 세부 문항 선정 사회, 과학, 영어 교과뿐만 아니라 일반 교과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포괄 적인 세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교과 간 공통문항을 우선적으로 도출하 였다. 교과 간 공통문항은 7개 역량에 대해 각각 9-16개의 문항으로 개발 하였으며, 각 하위 역량별 문항 수는 <표 Ⅲ-7>과 같다. 3) 교과별(사회, 과학, 영어) 세부 문항 개발 교과 공통 세부 문항을 기본으로 각 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문항들 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즉, 디지털교과서나 스마트기기의 활용으로 다 양화되는 교실 환경과 각 교과에서 더욱 함양될 것으로 기대되는 역량들을 고려하여 기술하였다. 4) 전문가 협의회 및 수업 참관을 통한 검증 및 보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세부 문항의 타당도와 현장 적용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교육부 관계자, KERIS, 한국교육개발원, 각 교과 및 교육공 학 전문가, 장학사 등과 전문가 협의회를 수행하였다. 또한 디지털교과서나 스마트환경에서 진행 는 수업 참관 및 교사와 학생 면 을 통해 세부 문 항에서 진술된 내용들이 실제 교실 현장에서 충분히 함양 수 있는 부분 인지에 대한 반성적 토의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 으로 세부 문항에 대한 수정 및 보 과정을 거 다.

5) 교과별 세부 문항 확정 마지막으로 연구진들의 최종 검토과정을 거쳐 교과 공통문항을 포함하여 사회교과 155 문항, 과학교과 184문항, 영어교과 208개의 문항이 개발되었 다. 현장 교사들은 이 문항 중 교실 환경 및 수업 진행방식, 교육 목표에 - 59 -


맞게 문항을 선정하여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환경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Ⅲ-7> 교과 공통 세부 문항의 구성 하위역량별 문항수

총 문항수

1.1. 상상 1.2. 창성 1.3. 유용성 1.4. 도전성

2 3 3 4

12

2. 비 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2.1. 2.2. 2.3. 2.4.

4 4 4 4

16

3. 의사소통능력

3.1. 표현 3.2. 경 과 이해 3.3. 상 용

4 3 3

10

4 4 4

12

5.1. 정보 리터러시 5.2. 미디어 리터러시 5.3. 정보 리

5 3 4

12

6.1. 계획 6.2. 의사결정 6.3. 자기성

3 4 5

12

7.1. 변화관리 7.2. 모 함에 대한 7.3. 다양성에 대한

2 4 3

9

21세기 학습자 역량

1. 창의력과 혁신능력

4. 협업 능력

5. 정보활용능력

하위역량

문제이해 비 적사고 해결방 적용 반성적 사고

청 호작

4.1. 개인적 책임 4.2. 상 존중 4.3. 공유

6. 자기주도학습력

7. 유연성

합계

- 60 -

포용 긍정적 수용

83


나. 사회과 세부 검증 도구 개발 1) 사회과의 역량교육 사회과(social studies)는

특징 민

현대 사회의 과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예측을 기초로 하여 책임 있고 참여적인 시 으로서의 필요한 자 을 육성 하는 것을 교과의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로 사회,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의 사회과 교육이 미래사회 시 의 자 로서 필요한 역량을 어 게 육성해 할지를 탐색하는 것은 교과의 본 적 목표를 구현하는 하 나의 방법이다. 히 교과로서의 사회과에서 역량 교육이 중요한 점은 사고 기능 또는 사고력이 교과적 지 과 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점이다. 은 전통적 수 업에서와 같이 사고 과정을 시하고 교과 내용 전달에 중하게 면 주 입 교육에 지게 된다. 반면에 내용을 과하고 사고 기능의 일반적 성에만 주목하게 면 고리 화 가능성이 높다(모경환, 2013). 이러한 수업 실행은 결과적으로 역량 교육의 중요한 영역인 사고의 확장을 해하 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과를 비 한 개별 교과에서 역량 교 육을 위한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에서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이 대 된 것은 1990년대 사고기능 또 는 사고력(t in in ill )에 대한 교육이 교과의 주요 목표로 부 면서 부터이다. 사회과교육은 교과 성 초기부터 사고력의 함양을 기본적인 목 표로 강조하여 는데, 1990년대 이후 들어서는 사회 변화의 성, 다양 성, 그리고 예측의 어 등과 같은 현대 사회의 성을 반영하여, 고등사 고력 또는 고차적 사고력( i er-order t in in 또는 i er-level t in in )을 강조하기에 이 다(모경환, 2013 차경수, 모경환, 2008). 요 대 한 사회변화에 적 하게 대 하지 한다면 국가 차원에서는 국 가경 력을 추기 어 고, 개인 차원에서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어 다는 인 과 함 사회과에서 사고기능, 사고력이 강조 고 이러한 사고력 교육은 교육학 일반에서 중요한 목표로 부 고 있는 역량 교육과 일맥상통한다.

식 불

되 알 즘 될

글 벌 질

많 치

h k g sk s 왔

h k g 컨 급격 쟁 갖 렵

려움 렵 식

각되

h gh 르렀 절 처 께

특 h k g ; 못

복합

h gh

각되

- 61 -

되었


념 룬 N wm 르 저 식 h k g 란

사회과교육 분 에서 고차사고력의 개 을 체계적으로 다 대표적인 학 자는 e ann(1990 1991)이다. e ann에 따 면 차사고력(lo erlevel t in in )은 기존에 획 한 지 을 기계적이고 습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반면 고차사고력( i er-level t in in )이 “학생들로 하여 정보 를 해석하고, 분석하고, 조 해보도록 하는 도전적 사고”이다( e ann. 1990, p.44). 사회과에서 강조 고 있는 고차사고력에는 탐구력, 의사결정력, 창의력, 비 적 사고력, 타인지 등이 있다(차경수, 모경환, 2008). 이러한 고차사고력은 E 등에서 강조하고 있는 심역량과 중 고 있다.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은 제7 차 교육과정부터 교과의 성 , 목표, 교 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서 사고력 교육을 위시한 역량 교육을 본 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 ’ 부분에서 사회과 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회 현상에 관한 지 을 발 하고 문제를 해 결하는 데 필요한 비 적 사고력, 창의력, 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 을 강조” 하는 교과라는 점을 히고 있다. 히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목 표’ 부분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며 리적으로 해결하고, 공동생활에 스스로 참여하는 능력’의 육성을 강조하 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이와 같은 사회과에서의 역량에 대한 의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의 세부 검증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E (2003)의 심역 량에 대한 해( eSe o e inition and Selection o Ke o petencie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역량 연구보고서(이 우 외, 2008 이 우 외, 2009 이 외, 2012), 한국교육개발원의 사고력에 관한 연구보고서( 경 외, 1990) 및 생 능력에 관한 연구보고서(유현 외, 2004), 한국교육학술정보 원의 역량 연구보고서( 외, 2011), 그리고 artner ip or t e 21 t ent r S ill (2013)의 ‘시 성교육에 대한 재정의’를 참고하였다.

N wm h k g 판

;

득 h gh 작 되 메

O CD

첩되

최근

판 특

w

금 N wm

견 D C: Df

근호

C uy k s

O CD 핵 f yCm s ; 광 ; 허 철

허희옥 민

2) 문항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의 분석

P

민 삼

sh f h

s

21세기 변화하는 시대의 학습자들에게 요구 는 시 적 자 에 대한 의가 활성화 면서, 시 교육을 교과의 주요목표로 고 있는 사회과교육 분 에서도 역량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artner ip or

되 최근

- 62 -

P

sh f


h s C uy k s 최근 민 : 천 m g g C z sh f h s C u y: A C A f P ym k s u s 민 질 크 류 민 y 글 벌 민 g b z sh 민 g z sh 논 논 P 민 O CD 핵 t e 21 t ent r S ill (2013)는 21세기 시 성에 대한 재정의 교육 정책과 교육실 의 변화 요구(Rei a inin iti en ip or t e 21 t ent r all to ction or olic a er and Ed cator )라는 보고서 를 통해 21세기 시 의 자 을 게 세 가지 측면으로 분 하였는데, 공 적 역량(civic literac ), 로 시 성( lo al citi en ip), 그리고 디지털 시 성(di ital citi en ip)으로 구분하고 세부 역량에 대하여 기존의 역량 의와 연계하여 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1의 시 성 재정의를 토대로 E (2003)의 심역량에 대한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역량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개 발원의 사고력에 관한 연구보고서 및 생 능력에 관한 연구보고서, 한국교 육학술정보원의 역량 연구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사회과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항목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가) 창의성 및 혁신 능력 창의성 및 혁신능력(creativit innovation)은 사회과교육에서 동 중요한 교과의 목표로 연구 어 분 이다. 21세기는 정보화, 다양화, 로 시대이며 창의성 및 혁신능력은 21세기 시 에게 요구 는 심적 자 이다. 2009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력을 중요한 교과목표로 강 조하고 있다. 사회과에서 강조하는 창의성 및 혁신능력의 러진 은 첫째, 로 (novel or ori inal)이다. 사회적 문제 상 에 면하여 사태를 로운 시 으로 바라보는 것,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것, 그리고 문제를 명료 화하거나 재정의 하는 것 등이 함된다. 둘째, 사회과의 창의성은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로운 전략의 탐색과 풍부한 대 의 생 등이 함된다( a i , 2006, pp.360-368 차경수, 모경환, 2008, pp.274-276). 21에서는 창의성을 ‘공동체에 도 을 수 있는 로운 아이디어의 생 ’으로 적으로 정의하고 있다(2013).

y& 되 온 야

질 움 각

두드 황 직

g

포 P 산

M xm

포괄

특징

; 움 줄

나)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critical t in in

오랫 안 글 되 핵

h k g & problem-solving)은 민

- 63 -


판 각되었

주시 으로서 필연적으로 요구 는 중요한 역량이다. 사회과에서 비 적 사고력은 고차사고력의 하나로서 1980년대 후반부터 중요성이 부 으 며, 우리나라는 제7차 교육과정부터 사회과에서 문제해결력을 중요한 교과 목표로 강조하고 있다. 사회과에서 비 적 사고력은 주로 문제해결과정에 발현된다고 보기 문에 문제해결력과 함 의된다. 사회과의 비 적 사고력은 다른 역량들과 유사점이 있지만 어 사 이 나 상 , 지 등의 신 성, 정확성, 진위 여부 등을 평가하는 정신적 능력 이며, 문제해결을 위한 적의 방 을 선 하고 적으로 문제해결 과정 전반을 평가하는 능력을 한다(차경수, 모경환, 2008 21, 2009). 21에서 는 21세기 시 적 자 로서의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어 운 의 사결정을 하고 혁신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 다(2013).

황 식

뢰 최 말 질

께논

떤 물

최종

;P

P 려

다) 의사소통능력 다른 사 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은 21세기 시 의 자 로서 우 중요하다. 개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바 한 시 의 역할 을 수행하 면 타 하고 설 력 있게 의사를 전달하고,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상 이해와 의에 도달하는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한다. 사회과에서는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는 능력, 상대방의 의 을 수용하는 능력, 그리고 상 에 따라 목적에 게 상 용하는 능력을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심적인 역량으로 다 어 다. 미국사회 과교육학회( ational o ncil or t e Social St die SS)는 차세대를 위한 사회과교육(Social St die or t e e t eneration) 이라는 교육과 정 제 서에서 대학, 경력, 시 생활을 위한 사회과 탐구수업(in ir )의 심요소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들고 있다(2013).

람 매 려

N

람직

호작

루 왔 최근 Cu f h u s: NC 『 u sf h Nx G 』 민 qu y 핵

라) 협업 능력 협업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함 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히 사회과교육에서 협업(colla oration)은 주어진 사회문

b

- 64 -

께노


호작

제에 대한 선의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상 용하는 능력 을 하며, 개별성이 강조 고 파 화 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바 한 시 의 자 로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사회과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개별학습이나 경 학습 모형과 대비하여 협 동학습 모형이 효과성이 지면서 협업에 대해 은 관심을 기 여 다 (차경수, 모경환, 2008). 또한 21에서는 21세기 시 들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협의 정신으로 타인과 협력하는 것을 중요한 시 적 자 로 들고 있다(2013).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책임 을 다하는 것, 타인을 존중하며 협력하는 것, 그리고 타인과 지 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 등을 주요 요소로 설정하였다.

밝혀

편 되

많 민

람직

P

울 왔 민

마) 정보활용능력 현대사회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미디어환경의 변화는 시 교육에 로운 도전을 주고 있으며 사회과교육에서도 정보활용능력(in or ation literac )은 중요한 목표로 부 고 있다. 고도 정보화 사회인 현대사 회에 능동적으로 대 하기 위해서는 정보활용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시 적 자 로서 문제해결력, 의사소통기능, 비 적 사고력 등이 제대로 발 기 위해서는 정보활용능력이 선결 어 한다(차경수, 모경환, 2008). 21에서는 21세기 시 의 자 로서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 하고 평가하 는 능력과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테 로지를 활용하는 능 력을 강조하고 있다(2013). 본 연구의 지표에는 필요한 정보를 , 평가, 활용하고 창출하는 정보리터러시, 미디어를 비 적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미디어리터러시, 그리고 정보 활용에 있어서의 정보 리 등으로 함하고 있다.

던져 y 최근

즉 민 휘되 P

각되

되 야

ws

- 65 -

취득

바) 자기주도학습력 사회과에서도 학생들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는 자기주도학습력(initiative el -direction)에 대한 주도학습은 자기교수, 자기선도학습, 개인연구 등으로 이 Kno le (1975)는 ‘자기주도학습’을 타인의 도

크놀

&s f

f m

학습을 계획, 수행 관심이 높다. 자기 리기도 하는데, 일 이 스스로 주도

불 움없


을 가지고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효 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며 학습의 결 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21에서는 21세기 시 의 자 로서 공공의 문제를 확인하고 탐구하며 해 결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2013). 본 연구의 지표에는 학생들이 성 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능력, 자신의 학습 계획을 스스로 수 하고 진행하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학습 수행 과정을 평가하는 성 능력 등을 함하고 있다.

P

사) 유연성 현대사회의 중요한 은 로 화의 진전에 따른 사회의 다원화와 개 방성, 그리고 지 의 가변성과 유연성( le i ilit )이다. 미래사회의 시 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성, 유연성을 스마트세대이다. 변하는 사회에서 적 하게 대 하고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 들이 변화하는 사회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공공의 선으로 전환하는 유연성이 우 중요하다. 21에서도 심적 시 의 자 로서 사회문제에 대한 선의 해결책을 도 출하기 위해 로운 상 에 적 하고 자신을 변화시 나가는 능력인 유연 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1, 2013). 본 연구의 유연성 지표에는 학습 자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다양한 역할, 상 을 이해하고 대 하는 능력, 현대사회의 성과 모 함에 대한 수용 능력, 그리고 다양성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능력 등을 함하고 있다.

P

특징 글 벌

핵 새

민 황

복잡

3) 문항의 개발

f xb y 갖춘

매 최 켜

질 응 P

핵 더욱 당

선행연구 결과를 바 으로 사회과와 관련된 21세기 역량별 하위 심 영 역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함 양 수 있는 주요 영역들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의 타 도 는 전문가 협의회와 수업참관 및 교사 학생 면 을 통해 검증하였다. 개발 된 평가문항은 155 문항으로 심역량별로 19-31문항으로 구성 다. 개발된 문항의 예시는 표 -8 과 같으며, 전체 문항은 부록 2 에 제시 어 있다.

/ 각핵 < Ⅲ >

- 66 -

<

되었 >


<표 Ⅲ-8> 사회과 세부 문항의 구성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1. 창의력과 혁신능력(25) 1.1. 상상(6) 1.2.

나는 사회문제의 발생 원인에 대해 다양하게 해보는 이다. Ÿ 나는 사회현상에 대해 로운 설명을 제시할 있다. Ÿ 나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현실에 적용할 수 는 해결책을 제 한다. Ÿ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아 리 도 도전하고 력한다. Ÿ

독창성(6)

1.3. 유용성(6)

새 때

1.4. 도전성(7)

려워

2.3. 해결방 적용(6) 2.4. 반성적 사고(8)

려 노 믿

져 택

청 3.3. 상호작용(7) 4. 협업 능력(20)

4.2. 상 존중(7) 4.3. 공유(6)

람 견 논쟁 때 논

4.1. 개인적 책임 (7)

나는 의 을 표현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 할 수 있다. Ÿ 나는 사회 문제에 대해 다른 사 의 의 을 존중 하며 는다. Ÿ 나는 사회문제에 대해 할 리적으로 내 의 을 주장할 수 있다. Ÿ

3.2. 경 과 이해(6)

악 얼

되었

3. 의사소통능력(20) 3.1. 표현(7)

나는 주어진 사회 문제에 대해 정확하게 파 하 고 력한다. Ÿ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들이 마나 을 수 있는 지를 따 본다. Ÿ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 중에서 선의 것을 선 할 수 있다. Ÿ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한 목표가 잘 달 성 는지 반성해본다. Ÿ

2.2. 비 적사고(7)

2. 비 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28) 2.1. 문제이해(7)

나는 과제를 수행할 ,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력한다. Ÿ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다른 사 의 의 이 나와 다 라도 정적으로 생 하고 존중한다. Ÿ 나는 사회 수업에서 다른 사 들과 지 을 공유 하는 것이 내 사회 지 을 히는데 도 이 된다 고 생 한다. Ÿ

르더

- 67 -

람 견 긍 각 람 식 식 넓 움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5. 정보활용능력(23) 5.1. 정보 리터러시(8) 5.2. 미디어 리터러시(7) 5.3. 정보 리(8)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정보를 수집한 후 정보의 정확성을 평가하여 활용한다. Ÿ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 는 사회문제에 대한 정보를 비 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Ÿ 나는 정보에 하고 이용할 을 해 해서는 된다고 생 한다. Ÿ

접근

때 저작권 침

6. 자기주도학습력(21) 6.1. 계획(6)

나는 나에게 가장 효과적인 사회 학습 방법에 대 해 고 있다. Ÿ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내가 세운 계획에 따라 공부를 진행한다. Ÿ 나는 사회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을 는 그 원인을 스스로 점검해 본다. Ÿ

6.2. 의사결정(7)

못했 때

6.3. 자기성 (8) 7. 유연성(18) 7.1. 변화관리(5)

7.2. 모 함에 대한 용(7) 7.3.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6)

포 긍

나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한다는 것을 고 있다. Ÿ 모 가 동의하는 해결책을 기가 지 은 사 회 문제도 있다고 생 한다. Ÿ 나는 다양한 의 이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이다. Ÿ

야 두

쉽 않

* ( )의 숫자는 각 역량별 문항수로, 교과 공통 문항을 포함한 숫자임.

- 68 -


다. 과학과 세부 검증 도구 개발 1) 문항 개발을 위한 선행 관련 영역의 분석 과학교육분야에서는 최근 역량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교육과 정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얼마 전 미국에서 발표된 K-12 과 학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체계(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에서는 학생들이 함양해야 할 8개의 역량 (scientific practice)을 제시하고, 각각의 의미를 명확히 규명하였다. 뿐만 아 니라, 국내에서도 융합인재교육(STEAM) 교육과 관련하여 미래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들을 규명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김성원 외, 2012).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위한 파트너십(P21, 2009)에서 제시한 역량들과도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21세기 학습자 역량과 관 련하여 과학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창의성 및 혁신 능력 과학교육에서의 창의성은 동 연구 어 분 중 하나이다. 히, 로운 과학현상을 발 하고 현상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다양하게 생 해 서 가설을 세 보는 능력이나 과학적 거를 고 로운 아이디어를 제시 하는 능력, 그리고 원자나 분자와 같이 추상적 개 을 모 을 통해 시 화 및 디자인 하는 능력 등이 이 강조 고 있다( 은미, 강 , 2007 원, 2004 att e , 2007).

박종

; M h ws

오랫 안

되 온 야

갖 새 념 델링 되 박 순희

특 각

각 ;

나)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비 적 사고에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 능력은 과학적 탐구를 수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 과학적 문을 아내어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주요 변인을 아내고, 실 을 구상하여 수행하고, 타 한 결 을 이 어내기 위해 실 에서 은 자료를 다양한 도에서 분석하는 능력 등을 함한다. 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자신의 수행과정을 지 적 으로 점검하는 반성적 사고나 타인지의 중요성도 강조 고 있다( 제 , 2013 c l et al., 2007 a er, 2001)

끌 포

; Dus h

최근

찾 험 얻

즉 험

메 ;My

- 69 -

속 박 윤


다)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을 함하여 과학 수업에서의 어 활용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에 진행 고 있으며, 주로 거기반 사고(evidence- a ed rea onin )나 증(ar entation)을 강조하고 있다. , 거에 기반을 어 리적으로 주장을 거나 을 성하는 능력, 상대방의 설명의 리성이나 타 성 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과학적 지 을 표나 그래 , 수 , 모형 등을 활 용하여 전달하는 능력 등을 함한다. 또한 상대방의 의 에 경 하고 그 입장이 어 생 해보는 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도 진행 고 있다(장경 화, 정 , , 2012 S, 2007 illen o r , 1999).

포 되

최근 논 gum 펼치

글 작

되 각 남 희 최애란

; AAA

bs s g 즉근 두 논 논 당 식 프 식 견 청 되 ;D bug

라) 협업 능력 과학교과에서 협업의 필요성은 협동학습과 같은 교수법의 효과성을 히 는 연구나 집단지성 및 집단창의성의 개 으로 연구 어 다. , 조별 과 제 수행 시 조원들 이 자신의 장점을 발 할 수 있도록 서로 는 자 세, 함 수행한 과제의 결과에 대해 공동의 성과로 아들이는 태도, 지 을 공유하고 서로 을 주고 으면서 나은 결과 을 출하는 능력 등을 함한다( , 유 , 2001 임 준 외, 1999).

각각

피드백 받 더 박종윤 혜숙 ; 희

되 왔 즉 받

물 산

마) 정보활용능력 정보 및 터 활용 능력은 미국에서 교육과정개 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 , 필요한 과학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과학 관련 정보가 을 만한 정보인지를 비 적으로 단하는 능력, 정보를 관리하는 능력, 터를 이용하거나 그 고리 을 이용한 사고 능력(co p tational t in in ), 시 이 및 어 리 이 의 활용 능력, 정보 리의 등을 함한다( oi et al., 2011 R , 2012).

컴퓨

최근

믿 판 판 컴퓨 알 즘 h k g 뮬레 션 플 케 션 포 Ch ;N C

더욱

mu 윤 식

바) 자기주도 학습력 과학교육분 에서도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히 타인지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의 과정을 모 터하 고 평가하는 능력들이 자기주도학습을 진한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 고

- 70 -


악 절

있다. , 본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과학 학습 방법을 파 한 후 과학 학습 계획을 세우는 능력, 과학 학습 과정에서 과제에 따라 적 한 학습 전략을 활용하고, 과제 수행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면서 으로의 과학 학습 계획 을 세우는 능력 등을 함한다( eet , 1998 lan , 2000 ran ord et al., 1999 eor iade , 2004 o a , 2003).

; G gh s

앞 ;B k

B h ; Th m s

; B sf

사) 유연성 단 과학기술 임 는 개발과 이로 인한 사회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적 하는 능력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 고 있다. 히 과학과 관련된 사회· 리적 문제들이 대 에 따라 과학기술의 현대사회에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과학기술의 방향에 대해 함 의해 한다는 주장이 계 고 있다. , 과학과 관련된 사회· 리적 문제들에 내재된 점을 파 하 고 이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 서로 다른 입장에 대해 하고 용할 수 있는 능력, 과학지 의 인문사회학적 성에 대한 인 등이 함된다( d-El-K alic , 2001 od on, 2003 Rot , 2003 ee et al., 2013).

첨 응 윤

끊 없

종종 두됨

Ab

h k

2) 문항의 개발

께논 야

식 ; H s

;

속되 논쟁 악 배려 식 포 ; L

h

선행연구 결과를 바 으로 과학교과와 관련된 21세기 학습자 역량별 하 위 심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환경에 서 함양 수 있는 주요 영역들을 중심으로 문항화 하였다. 문항의 타 도는 전문가 협의회와 수업참관 및 교사 학생 면 을 통해 검증하였 다. 개발된 문항은 184문항으로 심역량별로 20-36문항으로 구성 다. 개발된 문항의 예시는 표 -9 과 같으며, 전체 문항은 부록 3 에 제시 어 있다.

핵 더욱 당

각핵 < Ⅲ >

- 71 -

/

<

되 >


<표 Ⅲ-9> 과학과 세부 문항의 구성 21세기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1. 창의력과 혁신능력(29) 1.1. 상상(8) 1.2.

나는 로운 과학 현상을 발 하면, 그 현상이 생 기는 이유에 대해 다양하게 생 해보는 이다. Ÿ 나는 과학적 거를 고 기존과 다른 로운 아 이디어를 제시하 고 력한다. Ÿ 나는 아이디어를 제시할 과학적으로 설명 가 능한 것인지를 고 해 본다. Ÿ 나는 과학 실 (과제)을 수행할 실패하 라도 나은 결과를 을 까지 다시 도전하는 이다. Ÿ

독창성(6)

1.3. 유용성(7) 1.4. 도전성(8)

갖 려 노 때 려 험 얻 때

2. 비 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36) 2.1. 문제이해(7)

2.3. 해결방 적용(7) 2.4. 반성적 사고(9)

청 3.3. 상호작용(9) 4. 협업 능력(19)

4.2. 상 존중(7) 4.3. 공유(6)

알 쉽

나는 내가 고 있는 과학 지 을 다른 사 들이 이해하기 게 설명할 수 있다. Ÿ 나는 거에 기반을 주장과 그 지 은 주장 을 구별할 수 있다. Ÿ 나는 다른 사 의 의 에 대한 반의 을 리 적으로 할 수 있다.

4.1. 개인적 책임 (6)

더 편

론 끌 험 각 근 최 안 택 려 노 뒤 르 풀 없었 각

Ÿ

3.2. 경 과 이해(8)

3. 의사소통능력(30) 3.1. 표현(13)

편 새

나는 과학적 문과 비과학적 문을 구별할 수 있다. Ÿ 나는 타 한 결 을 이 어내기 위해 실 에서 은 자료를 다양한 도에서 분석한다. Ÿ 나는 과학적 거나 자료들을 활용하여 문제에 대한 적의 방 을 선 하 고 력한다. Ÿ 나는 과학 문제를 해결한 , 다 게 수 있는 방법은 는지 생 해 본다. Ÿ

2.2. 비 적사고(13)

둔 견

렇 않 찬 견 논

때 때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 내가 할 수 있는 일 을 아 선수범한다. Ÿ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 조원들이 자신의 장 점을 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Ÿ 나는 다른 사 들과 내가 아는 것을 공유하는 것 이 내 과학 지 을 히는데 도 이 된다고 생 한다. Ÿ

찾 솔 휘

- 72 -

람 식 넓


21세기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5. 정보활용능력(27)

넷 빠르

5.1. 정보 리터러시(10) Ÿ 나는 신문, 스, 인터 등에서 내가 필요로 하 는 과학 관련 기사를 게 검색할 수 있다. 5.2. 미디어 Ÿ 나는 과학 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터를 리터러시(11) 활용할 수 있다. 5.3. 정보 리(6) Ÿ 나는 잘 된 과학 정보가 제시 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예상할 수 있다.

컴퓨

되었 때

6. 자기주도학습력(20) 6.1. 계획(5)

나는 나에게 가장 효과적인 과학 학습 방법에 대 해 고 있다. Ÿ 나는 과학문제를 는 동 필요한 정보나 자료 가 인지 스스로 단한다. Ÿ 나는 과학 성적이나 과제 수행 결과를 스스로 평 가하면서 으로의 과학 학습 계획을 세운다. Ÿ

6.2. 의사결정(7)

7.1. 변화관리(7)

끊 없 노

되 첨

나는 임 이 개발 는 단 과학기술을 이해하 기 위해 력한다. Ÿ 나는 과학기술의 발달이 기할 결과들을 모 예측할 수 음을 고 있다. Ÿ 나는 과학이 사회·문화·경제·정 와 서로 연관 어 발달한다고 생 한다. Ÿ

7.2. 모 함에 대한 용(10) 7.3.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6)

7. 유연성(23)

무엇

6.3. 자기성 (8)

* ( )의 숫자는 각 역량별 문항수로, 교과 공통 문항을 포함한 숫자임.

- 73 -


라. 영어과 세부 검증 도구 개발 1) 영어 교과의 특성: ‘내용’ 교과가 아닌 ‘기능’ 교과 영어교과의 특성은 교과 내용이 없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기능과 어휘, 발음, 문법에 대한 언어 체계(system)에 대한 지식이 근간이 된다는 점이다([그림 Ⅲ-4] 참조). 이에 따라, 영어 교과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은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도덕 등과 같은 여러 교 과의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영어 교과서 소재의 가 장 큰 공통점은 개인 → 가정․학교 → 사회․교양 → 세계․타문화의 순 서로 개인에서 세계로 점차 범위가 확대된다는 점이다.

언어 기능과 식 체계

영어의 4개의 3개의 지

영어 교과 내용의 공통 소재

[그림 Ⅲ-4] 영어 교과의 특성: 내용교과가 아닌 기능교과 2) 문항 개발을 위한 선행 관련 영역의 분석 전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과 최첨단 테크놀로지 개발은 경제, 사회, 문화 뿐 아니라, 학교교육에서도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에 따라 세계 각국의 교육계에서도 교사 주도의 지식전달 방식에서 탈피하 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강조하고 있다. OECD는 1997년부터 - 74 -


DeSeCo(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핵심 역량을 (1) 도구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 하는 능력(use tools interactively), (2) 이질적인 집단 속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Interact in heterogeneous groups), (3) 자신의 삶을 자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 력(act autonomously)으로 정의하고 있다6). 한편, 미국에서도 2002년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P21:http://www.p21.org/) 연합체를 중 심으로 21세기 학습자 역량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해오고 있다.

[그림 Ⅲ-5] 미래 사회 한국인의 핵심 역량(이광우 외, 2008) 림 처: 한종임 외, 2013, p. 178)

(그 출

글 벌 처 민 식 특

한 ,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이 우 외(2008)의 연구는 21세기 로 미 래사회의 한국인에게 필요한 심역량으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정보 리 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기초학습능력, 시 의 ,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력을 들고 있다( 그 -5 참조). 히 영어 과에서 중점적으로 길러 할 심 역량은 의사소통능력, 국제사회문화이 해, 기초학습능력인 것으로 분석 다(이 우 외, 2009). 이러한 연구 결과

핵 되었

처: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6) 출

- 75 -

[ 림Ⅲ ]


될 수 있다7). 따라서 본 연구 핵심 역량으로 규명하고, 이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는 개정된 2009 영어과 교육목표에서도 확인 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을 영어과의 가장 중요한 를 중심으로 한 21세기 학습자 역량 영역들을

가) 창의성 및 혁신 능력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영어 의사소통능력과 함 창의성 교육을 중요 목표로 하고 있다. 창의성에 대한 여러 학자의 정의를 해보면, 창 의성의 성은 ‘ 창적인 로 ’과 ‘과제조 을 충족시 는 적 성’으로 요 수 있다(한 임 외, 2013).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문용 외(2011) 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영어과와 관련성이 가장 높은 창의적 인지 영역으 로는 (1)확 적사고, (2)상상력, (3)문제해결력이며, 창의적 성향 영역으로는 (1)다양성과 (2)개방성의 가지 영역과 관련이 높으며, 창의적 동기 영역 으로는 (1)흥미와 (2) 기심이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될

독 종

새 움

종합 키 절 린

[그림 Ⅲ-6] 영어과의 핵심적 창의성 영역에 대한 영어교사 응답 결과 림 처: 한종임 외, 2013, p. 180)

(그 출

:

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과 목표는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 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른다. 또한, 외국 문화를 바 게 이해 하여 우리 문화를 발전시 고 외국에 소개할 수 있는 바 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첫째, 평생교육으로의 영어에 대한 지 적인 흥미와 자신 을 도록 한다. 둘째, 일상생활과 일반적인 화제에 관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기른다. 셋째, 외국의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째, 외국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게 인 하고 바 고 형 태도와 자세를 기른다.

새롭

올 르 균 잡힌 - 76 -

탕 감 갖 넷


영어교과에서 창의성의 인지적 영역인 확 적 사고는 다음과 같은 학습 활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기 상상하기, 상상하며 발문하기, 관련성이 는 것들의 연결점 기, 사 의 다양한 용도 생 하기, 정 주제를 다양 한 영역으로 적용해보기, 아이디어를 시 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기. 또한 창 의성의 정의적 영역인 다양성과 개방성은 다음과 같은 학습 활동으로 구현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 아보기, 자신의 성 아보기, 자신의 정 표현하기, 하고 한 문제해결 사 에 대해 이 기 나누기, 입장 바 어 생 해보기, 자신의 의 주장하기(문용 외, 2011). 이외에, 영어과 에서 창의성과 혁신능력을 신장시 는데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은 토 의 토 , 탐구 발 , 로 트, 창의적 문제해결, 협동학습 등이다(한 임 외, 2013). 이러한 다양한 학습 활동들과 교육방법들은 영어 학습자의 상상 력, 창력, 유용성, 도전성 등의 능력을 요구한다.

: 야 찾 물

없 될 꾸

: 난처

․ 론

곤란

․ 견프 젝

격알 야

감 종

나)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영어교육에서 과업기반 교수법(ta - a ed in tr ction), 리적 기, 비평적 기, 토 및 로 트 학습 방법이 부 면서, 비 적 사 고와 문제해결 능력이 우 중요시 고 있다. 비 적 사고의 심 영역은 인지, 비교, 분석 및 , 해석 및 설명, 결 도출 및 추 , 평가 및 자기 제 등으로 구성 는데( i er Scriven, 1997 a l Elder, 2006), 리적인 영어 기, 토 , 비평적 기를 위해서는 비 적 사고의 심 영 역를 정확하게 고 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한다. 또한 과업 기반 교수법에서 학습자들은 성 지 은 정보가 함된 정보차 활 동, 의 차 활동, 추 차 활동, 문제해결 활동, 의사결정 활동 등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하여 주어진 과업을 인지적으로 이해하고, 정보 분 , 선정, 우선 서 기기, 추 하기, 평가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과업을 수한 후 에는 어에 대한 성 과 함 과업의 결과 출 에 대한 반성(re lection) 과 강화(con olidation) 과정이 수반된다. 따라서 21세기 영어 학습자들은 비 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 는 과업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추는 것이 필요하다(Elli , 2003 illi illi , 1996).

최근 쓰

sk b s

su 각되

론 프 젝 판 매 되 판 핵 종합 론 론 규 되 F sh & ;Pu & 논 글쓰 론 읽 판 핵 알 논 야 완 되 않 포 견 론 류 순 매 론 완 언 찰 께 산 물 f s 판 되 갖 s ;W s&W s - 77 -


다)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은 영어 교과의 심 역량이다. 의사소통 능력은 어 능력 (lin i tic co petence) 및 어에 대한 단 한 지 과 구별 며, 문법 능 력, 화(di co r e) 능력, 사회 어학적( ociolin i tic) 능력, 전략적 능력 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 어 있다( anale S ain, 1980). 한 , ac an(1990)은 anale S ain의 이 을 수정하여, 의사소통능력을 세상지 , 어능력, 전략 사용 능력, 어사용을 하나의 리적 현상으로 실행하여 구어나 문어로 표현하는 심리생리학적(p c op iolo ical) 과 상 등이 서로 상 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 어능력 은 발화 및 스트와 관련된 조 (or ani ation) 지 과 개별적인 발화나 전체 스트가 화자의 의사소통 목적과 어 사용 상 과 관련된 화용 적 (pra atic) 지 의 가지 하위범주로 구성된다( 그 -7 참조).

gu s m 담 s us

B hm 식 언 니즘

텍 ] gm

C

식 두

되 & w

s C

호작 [ 직] g z 언

식 gu s & w

물 sy h hys g 메커 즉언 식 황 [ 론 [ 림Ⅲ ]

[그림 Ⅲ-7] 언어능력 구성 영역 (Bachman, 1990) [그림 Ⅲ-7]에서 볼 수 있듯이, 조직 지식은 다시 언어의 표면적 구성을 이루고 있는 [문법] 지식과 [텍스트] 지식의 하위범주로 구성되고, 화용 능 력은 다시 언어 사용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다양한 목적과 관련된 [기능적] 지식과 [사회언어학적] 지식의 하위범주로 구성된다. 언어전략사용 능력은 사용자의 메타 인지적 구성(meta-cognitive organization)과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택이 가능한 많은 의사소통 수단 중 실제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능력이다. - 78 -


살펴

종합

위에서 본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해 보면, 의사 소통능력은 발음, 문법, 어 등에 대한 어체계에 대한 지 을 가지고, 주어진 사회적 상 에서 기· 하기· 기· 기의 어 기능을 상대방과 적 하게 상 용하면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전략을 선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1세기 로 시대에 부 하기 위해서 21세기 학습자는 국제사회에서 자신이 생 하는 바를 영어로 유창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추는 것이 필요하다.

호작

휘 듣 말

언 읽 쓰

글 벌 각

라) 협업 능력 198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 방향이 기존의 교사 중심 교수법에서 하 여 학생 중심의 지 구성 학습으로 전환 면서 소그 내에서 과제중심의 협동학습과 협업 능력이 중요시 고 있다( o n on o n on, 1989 Ka an, 1994). 학생들의 협업을 요구하는 협동적 과제는 학습 성 도 향상 아 라 사회성 계발과 자아 존중 , 소, 역할 수용 능력 등의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 면에서 정적임이 입증 다( ord E r an, 1993 Slavin, 1990). 히 randall(1999)은 외국어에서의 협동 학습의 장 점으로 학습에 장 가 는 소, 상 용 증진, 이해 가능한 입력과 출력 제공, 자신 과 자존 고 , 학습동기 고 (increa in otivation) 등을 들고 있다. 따라서 영어 교과에서도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를 활 용한 협동적 과제를 통해서, 집단의 공동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학 생들을 경 대상이 아 협력의 대상으로 인 하고, 다양한 성 기준의 학습자들로 구성된 소집단에서 동료 리 가 고(peer t torin ) 함 협 업하는 상 용을 통해 학습 효과를 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신장시 는 것이 필요하다.

g

뿐 니

탈피

Jhs & Jhs

감 불안감 감 긍 되었 Oxf

;

특 C 애 되 불안 감 감 감 취

호작

호작

끼 극

;

& hm

s gm

식 르치

u

g 께 키

마) 정보활용능력 다양한 테 로지 도구 및 정보 활용 능력은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학 습자가 추어 할 심 역량이다. 히 전 세계 정보의 상 수가 영어로 어있으며 인터 을 통해서 활용할 수 있는 영어로 된 정보가 한하다는 점을 고 해 , 영어 교과에서 정보활용능력은 우 중요하다. 영어 교

크놀 갖 야 핵 넷 려 볼때

- 79 -


과의 정보 활용 능력은 영어 과업 및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한 정보의 신 성을 비 적으로 단하고 선별할 수 있는 능력, 정보 관리 능력, 학습자 상 에 영어로 의사소통하기 위하여 적 한 터 개 의사소통 도구(문자·음성게시 , 문자·음성 , 화상회의, 문자·음성 로그 등)를 활용하여 상 용하는 능력, 영어 학습에 필요한 소 ( ocial) 러 도구 및 어 리 이 을 활용하는 능력, 정보 리의 등을 함한다( tler- a coe i r , 2003 R , 2012).

매 블 s 포

호간

절 컴퓨

채팅

호작 닝 플 케 션 Bu P s & W bu g

윤 식

;N C

바) 자기주도학습력 21세기 지 정보화 사회의 로운 교육방법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우 중요한 위 를 차지한다.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자가 자아에 대한 주체 성인 을 하고 자 적이고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 요구 진단, 학습 목표 설정, 학습을 위한 인적· 적 자원 파 , 적 한 학습 전략의 선 및 실 행, 학습 결과 평가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Kno le , 1975). 한 on (1988)은 자기주도 학습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학습자가 심리학적으 로 자신의 학습을 능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교과서는 교육 체제 전반의 변화를 이 기 위한 지능형 교수 학습 지원체제로서 개별 학습자 수준에 는 학습을 제공할 아 라, 스마트 학습 도구를 활용한 상 용은 자기주도 학습의 인지적, 타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측면의 역량을 요구한다. 또한, 디지털교과서의 학 습 관리 시스 (learnin ana e ent te )은 학생들의 성적과 진도는 출석과 결석 등 학사전반에 걸 사항들을 관리해 주기 문에 학생 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활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마트교육 과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21세기 영어 학습자는 자아 에 대한 주체성인 , 영어 기· 하기· 기· 기 학습에서의 주도성, 학습 상 에서 자 적으로 적 한 학습 전략 선 및 자신의 학습 결과에 대한 성 및 관리 능력을 추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을 추 는 것이 필요하다.

식 치

악 절

ws

L g

물론 황 찰

호작

g m g m sys m 친

듣 말

읽 쓰 택

- 80 -

맞춤 뿐 니 메


사) 유연성 미래 사회는 단 과학과 정보통신 기술의 한 발전으로 인해 예측 의 다양한 변화가 가 적으로 이 어지는 확실성의 사회로 지 지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학습자는 히 변화 는 미래사회의 확실성 과 다변화를 이해하고 적 할 수 있는 능력, 미래지향적 사고와 유연한 대 능력으로 주어진 상 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 서로 다른 입장에 대해 하고 용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가진 사 들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추는 것이 필요하다. 히, 영어과에서 는 다변화 는 미래 사회에서 외국의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 를 게 인 하고 바 고 형 태도와 자세를 기를 수 있는 역량 이 요구된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허 처

급격 루 불 급격 되

응 황 포

배려

새롭

3) 문항의 개발

불 특징 워 불

올 르 균 잡힌 탕

선행연구 결과를 바 으로 영어교과와 관련된 21세기 학습자 역량별 하 위 심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환경에 서 효과적으로 신장시 수 있는 영어과의 적인 심 영역들을 중심으 로 문항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어과의 문항 타 도는 본 연구에 참여한 교과 전문가가 상 교차적인 방 으로 일차 수정·보 하고, 이것을 다시 연구진 전체 회의에서 검토한 후, 전문가 협의회와 수업참관 및 교 사·학생 면 을 통해 검증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208문항으로 심 역량별로 22-45문항으로 구성 다. 개발된 문항의 예시는 표 -10 과 같으며, 전체 문항은 부록 4 에 제시 어 있다.

특징

<

되었 >

- 81 -

각핵 < Ⅲ >


<표 Ⅲ-10> 영어과 세부 문항의 구성 21세기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1. 창의력과 혁신능력(32) 1.1. 상상(8) 1.2.

나는 영어 이 기, 소설, 연 등의 거리나 결 등을 다 게 상상할 수 있다. Ÿ 나는 영어 대화나 이 기를 창의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Ÿ 내가 제 하는 영어 문제 해결 방 은 가 있고 의미가 있다. Ÿ 나는 주어진 영어 문제에 대해 보다 나은 해결책 을 기 위해 인내와 기를 가지고 력한다. Ÿ

독창성(9)

1.3. 유용성(6) 1.4. 도전성(9)

2. 비 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38) 2.1. 문제이해(6)

2.3. 해결방 적용(8) 2.4. 반성적 사고(10)

3.1. 표현(19)

안 처

호작용(8)

4. 협업 능력(22)

4.3. 공유(6)

되었

각감

4.1. 개인적 책임 (8) 4.2. 상 존중(8)

나는 나의 생 , 정, 경 , 계획 등을 영어로 할 수 있다. Ÿ 나는 영어를 고 주제 및 요지를 파 할 수 있 다. Ÿ 나는 다른 사 과 영어로 상 용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Ÿ

3.2. 경 과 이해(18)

건 합

3. 의사소통능력(45)

3.3. 상

나는 영어 문제 분석을 통해 해결해 할 문제를 이해하고 구체화할 수 있다. Ÿ 나는 영어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와 조 을 리적이고 타 하게 분석한다. Ÿ 나는 영어 문제해결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선 의 방 을 선 한다. Ÿ 나는 음 주어진 영어 문제가 해결 는지를 확인해 본다. Ÿ

2.2. 비 적사고(14)

호작

나는 조별 영어 과제를 수행할 , 내가 할 수 있 는 일을 아 선수범한다. Ÿ 나는 영어 과제를 함 수행할 협력적인 분위 기를 위해 력한다. Ÿ 나는 영어 과제를 함 수행할 모 가 함 원하는 목표를 세우고 공 대가 형성 게 력한다. Ÿ

찾 솔 노

- 82 -

께 감

때 두 되 노


21세기 학습자 역량

예시 문항

5. 정보활용능력(23) 5.1. 정보 리터러시(7) 5.2. 미디어 리터러시(10) 5.3. 정보 리(6)

나는 영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라인에서 검 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Ÿ 나는 영어 학습에 필요한 미디어의 장점과 한 계점을 고 사용할 수 있다. Ÿ 나는 다른 사 의 영어 을 그대로 사용하지 고 내 로 바 어 다. Ÿ

람 글 꾸 쓴

6. 자기주도학습력(26) 6.1. 계획(7)

6.3. 자기성 (10)

포 긍

글 벌

나는 로 시대에 다양한 외국어를 할 수 있어 한다고 생 한다. Ÿ 나는 모 함을 대체로 잘 디는 이다. Ÿ

7.2. 모 함에 대한 용(6) 7.3.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10)

7. 유연성(22) 7.1. 변화관리(6)

나는 나의 영어 실력의 강점과 점을 파 하고 이에 대한 단계별 목표를 설정한다. Ÿ 나는 기 전략을 적 하게 선별해서 영어 기 학습을 할 수 있다. Ÿ 나는 학습 결과에 거하여, 나의 영어 기 및 기 전략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 한다. Ÿ

6.2. 의사결정(9)

Ÿ

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 관점, 신 을 이해하고 아들이는 이다.

* ( )의 숫자는 각 역량별 문항수로, 교과 공통 문항을 포함한 숫자임.

- 83 -


4. 개발된 공통문항 및 세부문항 최종 < Ⅲ > < Ⅲ >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으로 개발된 공통문항과 세부문항의 영역 과 하위역량 및 문항수는 표 -11 과 표 -12 와 같다. 공통문항의 경우 학생을 대상으로 한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26문항, 교사를 대상으로 한 ‘21세기 교수자 역량’ 24문항으로, 만족도는 대상별로 학생 28문항, 교사 26문항, 학부모 22문항으로 개발 다.

되었

<표 Ⅲ-11> 개발된 공통문항 구성 21세기 학습자 역량

하위역량

하위역량별 문항수

총 문항수

21세기 학습자 역량

1. 2. 3. 4. 5. 6. 7.

창의력과 혁신 능력 비 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

4 4 3 3 6 3 3

26

21세기 교수자 역량

1. 2. 3. 4. 5.

21세기 학습자 역량 이해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형성 수업설계 평가 및 성

3 6 4 6 5

24

만족도

찰 1. 학생 태도 / 준비도 / 몰입 / 흥미 /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 경제성 / 참여 및 환경 2. 교사의 기본적 이해 / 학생의 학습에의 효과 3. 학부모 기본적 이해 부수적 효과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만족도

/

/

합계 - 84 -

4

/5/4/ 3 / 6 / 3 / 3 13 / 13 8

/5

/9

28

26 22

126


세부문항의 경우는 교과별로 차이가 있는데, 개발된 문항수가 160여 개 가 넘는 은 문항이 로 실제 현장에서는 모 문항을 사용할 필요는 다. 학교의 상 에 따라 영역별로 문항수를 정하고 문항을 선별하여 전체 문항수를 조 하여 사용하는 것이 다. 개발된 문항수는 사회 155개, 과학 184개, 영어 208개의 문항으로 세부 공통문항을 기본적으로 함하고 있다.

각급

황 절

<표 Ⅲ-12> 개발된 교과별 세부문항 구성 하위역량별 문항수 사 과 영

총 문항수 사 과 영

1.1. 상상 1.2. 창성 1.3. 유용성 1.4. 도전성

6 6 6 7

8 6 7 8

8 9 6 9

25

29

32

2. 비 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2.1. 2.2. 2.3. 2.4.

문제이해 비 적사고 해결방 적용 반성적 사고

7 7 6 8

7 13 7 9

6 14 8 10

28

36

38

3. 의사소통능력

3.1. 3.2. 3.3. 4.1. 4.2. 4.3. 5.1. 5.2. 5.3. 6.1. 6.2. 6.3.

표현 경 과 이해 상 용 개인적 책임 상 존중 공유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 계획 의사결정 자기성

7 6 7 7 7 6 8 7 8 6 7 8

13 8 9 6 7 6 10 11 6 5 7 8

19 18 8 8 8 6 7 10 6 7 9 10

20

30

45

20

19

22

23

27

23

21

20

26

5 7 6

7 10 6

6 6 10

18

23

22

155

184

208

21세기 학습자

하위역량

역량

1. 창의력과 혁신능력

4. 협업 능력 5. 정보활용능력 6. 자기주도학습력

7. 유연성

청 호작 호

7.1. 변화관리 7.2. 모 함에 대한 7.3.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

호 긍 합계

포용

- 85 -


5.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가. 개발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당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항의 타 도를 확보하기 위해 3차 에 걸쳐서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 도를 확보하였다. 내용타 도의 검증은 내용 전문 가에 의해 실시 며,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이 평가방법이나 평가도구에 제 대로 반영 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성태제, 1998). 타 도 검증은 3회에 걸쳐서 외부 전문가에 의한 내용 타 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차 타 도 검증에 참여한 외부 전문가는 교육전문 1명, 교 육연구자 2명, 현장교사 2명, 교수진 2명 등 스마트교육 관련 현장전문가 및 교수, 교사로 이 어 으며, 1차 타 도 분석시 21세기 학습자 역량과 관련된 문항 및 하위요소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2차 타 도 검증에서 는 교육전문 4명, 교육연구자 2명, 교수진 2명의 외부 전문가에 의해 내 용 타 도를 검증하였으며, 1차 검증을 통해 수정된 문항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3차 타 도 검증은 2차 검증을 통해 수정 보 된 공통 문항 및 세부 문항에 대하여 교과별 전문가와 현장교사들에 의해 내용 타 도를 검증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되었

총 당

당 직

루 졌

최종

나. 학습자 역량 문항 신뢰도 분석 뢰

먼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 문항의 신 도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학습자 역량 설문을 실시하고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기술 통계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3 과 같으며 신 도는 표 -14 와 같다. 영역별로 신 도의 ron ac 파 을 보면 창의력 .878, 문제해결력 .908, 의사소통능력 .895, 협업능력 .882, 정보활용능력 .926, 자기주도학습력 .905, 유연성 .919로 모 높게 나타났다. 필요한 항목을 제하기 위해 검 토한 결과 항목 제거 시 ron ac 파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이 어 서 설문 영역에서 제 어 할 문항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 Ⅲ > 뢰 C b h 알 값 살펴

불 C b h알 값 삭 되 야 없 - 86 -

< Ⅲ > 삭


<표 Ⅲ-13> 21세기 학습자 역량 기술 통계량(N=7838)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

평균

표준 편차

3.76 3.87 3.87 3.95 3.90 3.83 3.87

0.80 0.78 0.81 0.78 0.76 0.82 0.79

<표 Ⅲ-14>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한 문항의 신뢰도 내용

문항수

Cronbach’α

4

.878

4

.908

3

.895

3

.882

정보활용능력

5.1 정보 리터러시 5.2 미디어 리터러시 5.3 정보 리

6

.926

자기주도학습력

6.1 계획 6.2 의사결정 6.3 자기성

3

.905

3

.919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유연성

1.1 상상 1.2 창성 1.3 유용성 1.4 도전성

2.1 2.2 2.3 2.4

문제 이해 비 적 사고 해결 방 적용 반성적 사고( 타인지)

3.1 표현 3.2 경 3.3 상 용

청 호작

4.1 개인적 책임 4.2 상 존중 4.3 공유

7.1 변화관리 7.2 모 함에 대한 7.3 다양성에 대한

포용 긍정적 수용 - 87 -


다. 교수자 역량 문항 신뢰도 분석 교수자 역량 설문을 실시하고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기술통계량은 표 -15 와 같으며 신 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6 과 같으 며 설문 1256명, 요인별 평 은 학습자 역량 고 3.94, 정보활용 능력 3.79, 교수자와 관계 4.23, 수업설계 및 개발 4.03, 평가 및 성 4.03 로 나타났다. 요인별 신 도의 ron ac 의 파 을 보면 학습자 역량 고 .884, 정보활용능력 .888, 교수자와 관계 .906, 수업설계 및 개발 .924, 평가 및 성 .936로 신 도의 이 높게 나타났다. 필요한 항목을 제 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항목 제거 시 ron ac 파 보다 높게 나타 나는 것이 어서 설문 영역에서 제 어 할 문항이 는 것으로 나타 났다.

< Ⅲ > 총 려

찰 없

균값

뢰 각

< Ⅲ > 려

C b h 알 값

불 C b h알 값 삭 되 야 없

<표 Ⅲ-15> 21세기 교수자 역량 기술 통계량(N=1256) 학습자 역량 고려 정보활용능력 교수자와 관계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찰

평균

표준 편차

3.94

0.71

3.79

0.70

4.23

0.62

4.03

0.64

4.03

0.68

- 88 -


<표 Ⅲ-16>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한 문항의 신뢰도 내용

문항수

Cronbach’α

1.1 역량 이해 1.2 수업 이해 1.3 평가 이해

3

.884

정보활용능력

2.1 정보 평가 2.2 자료 개발 2.3 라인 도구 활용 2.5 정보 리

6

.888

교수자와 관계

3.1 가능성에 대한 신 3.2 3.3 정 3.4 조 제공

4

.906

수업설계 및 개발

4.1 수업 설계 4.2 테 로지를 활용 4.3 평가

6

.924

평가 및 성찰

5.1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5.2 교육활동의 성과에 대한 평가

5

.936

학습자 역량고려

배려 애 언

크놀

:

- 89 -

:


Ⅳ. 적용 결과 및 분석 1. 기초 통계량 분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 검증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설문문항 을 통한 실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학생, 교사, 학부모로 나 며 표 -1 과 같다. 설문기 은 2013년 11 12 에 실시하였으며, 144개 연구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별로 연구학 을 기준으로 소 1개 학 이상 이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초점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로, 본 설문을 통한 심도 있는 분석은 이 어지지 다. 히, 본 설문은 파일럿 테스트의 성 을 가지 로, 성별요인과 같은 세부적인 요인에 관한 분석은 제시하지 다.

Ⅳ >

격 않았

뉘 <

월∼ 월 급

않았 특

<표 Ⅳ-1> 학생, 교사, 학부모 설문 참여 현황(명) 대상

학생 (7,838)

연구학교 유형

디지털 스마트 교과서 교육 3,776

4,062

디지털 스마트 교사 교과서 교육 (1,256) 531 725

학교급

연차별

1년 차

2년 차

지역별

도시

성별

농산 남 어촌

4,315 2,827 776 5,758 2,080 5,691 2,147 3,799 4,039 초

1년 차

2년 차

도시

농산 남 어촌

679

421 156 884

372

818

438

409

847

도시

농산 남 어촌

2054

842

디지털 스마트 1년 2년 초 중 고 학부모 교과서 교육 차 차 (2,896) 1,198 1,698 1,672 922 302 2,327 569 - 90 -

528

2368


144개교의 연구학교에서 학생은 전체 7,838명이 참여하였으며, 교사는 1,256명, 학부모는 2,896명이 참여하였다. 학부모의 경우 성별차이에 의한 분석이 실 적으로 의미가 기 문에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제외하기로 하였다.

없 때

2. 질적 연구 분석 방법 완 질 질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결과를 보 하고 실제 학습자 의 역량이 어 게 증진 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연구를 행하여 실시하였다. 적연구의 대상은 표 -2 와 같으며. 적자료 수집 도구 로는 수업관 체 리스트와 면 문지를 활용하였다.

떻 되었 질 < Ⅳ > 찰 크 접질

<표 Ⅳ-2> 관찰 및 인터뷰 대상 학교명

울 이태원초등학교 경기 정왕초등학교 인천 신석초등학교 광주 금구초등학교 광주 봉선중학교

관찰대상

급 5학년 1개 학급 4학년 1개 학급 6학년 1개 학급 1학년 1개 학급 4학년 1개 학

인터뷰대상

담당교사 및 학생 포커스 그룹(5명) 담당교사 및 학생 포커스 그룹(6명) 연구부장 및 담당교사 담당교사 및 학생 포커스 그룹(18명) 담당교사 및 학생 포커스 그룹(18명)

[ 림Ⅳ ]

수업 관 에 사용된 도구는 평정 도법에 의한 그 -1 과 같은 수업 관 분석표를 사용하였으며, 수업 분위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c an 의 수업분위기 관 지를 국내에서 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선 , 1997). 수업에서는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중심으로 관 하였으며, 주요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상 용과 협력상 , 문제해결과정을 주로 관 하였다. 면 문지는 일반적인 만족도와 효과에 관한 문과 학습자 역량이 실제 어 게 증진 는지 분석하기 위한 심 문지로 구성하여 활용하였다(부록 7 참조).

접질 떻

호작

되었

Tu km

번안

층질

- 91 -


[그림 Ⅳ-1] 수업관찰 분석표 예시

3. 학습자 역량 분석 가. 연차별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21세기 학습자 역량 분석을 실시하고 1년차 연구학교와 2년차 연구학교 를 비교해 보 다.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1년차 2년차 검사결과는 표 -3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2년차 연구학교의 평 이 1년차 연구학교의 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2년차 연구학교가 1년차 연구학교보다 21세기 학습 자역량에 대한 인 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교육을 이 은 학생들이 21세기 학습자역량에 대한 인 을 정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스마트교육을 으면서 학생들이 창의력, 문제해결

< Ⅳ >

식 더

- 92 -

식 더긍

더많 받


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 유연성의 면에서 다양한 경 을 통해 학생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가시 는 것으로 인 하고 있음을 수 있다.

<표 Ⅳ-3>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창의력

1년차

3.74

0.80

2년차

3.83

0.80

문제해결력

1년차

3.84

0.79

2년차

3.95

0.77

의사소통 능력

1년차

3.84

0.81

2년차

3.94

0.79

협업능력

1년차

3.93

0.79

2년차

4.00

0.77

정보활용 능력

1년차

3.88

0.76

2년차

3.96

0.74

자기주도 학습능력

1년차

3.80

0.82

2년차

3.90

0.81

유연성

1년차

3.84

0.79

2년차

3.94

0.78

t 값

p

4.510

.000

5.318

.000

4.464

.000

3.924

.000

4.433

.000

4.534

.000

4.791

.000

이와 같은 결과는 수업관 을 통해서도 잘 나타났다. 정 초등학교의 경 우 디지털연구학교 2년차 학교로서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와 다양한 어 리 이 을 다 는데 해 있 으며, 실제 협업을 통해 지 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잘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히, 학생 인터뷰 결과를

케 션

익숙

- 93 -

살펴


응 프 램 간 간 되었

보면 학생들은 음에는 스마트기기를 다 거나 용 로그 을 다 는데 하지 아서 시 이 이 소모 으나, 시 이 지나면서 협업도구를 이용해서 공동 결과 을 만들어 내거나 수업시 에 디지털교과서로 학습하 는 활동이 능 해지고, 상 에 의사소통도 원활하게 다는 반 을 보 였다.

익숙

간 많 물 숙 호간

되었

니 클 팅

“함 자료를 만들며 토 하다 보 협동심이 길러진다. 서로 의 을 주 고 으며 도 을 수 있다. 래스 등을 통해 의 교환 이 할 수 있다.”

움 줄

루 종합 쳤 견

이태원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협업능력 면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이 어 지는 경우가 여러 관 다. 조에서 조장이 조의 발표내용을 하여 래스 에 리고, 조원들의 참여도를 평가해 보는 과정을 거 다. 조별로 설문지 문항 개발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 을 조 하는 모습이 히 관 다.

번 찰되었 각 클 팅 올 각

빈번

찰되었

수업을 진행한

손 교사는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해서 수행하는 학습 활동이 학생들의 협업을 요구하 기 문에 협동 학습의 도는 증가한다.” “해 집단(모 )에서 주도적인 학생이 존재할 협업이 활성화 는 경 향이 있다”

때 당

또한 학생 인터뷰를 통해 나타

많 늘

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모 별 협동 학습이 이 어났다. 가상에서 하는 활동들이 색다 고 재 다. 장점으로는 협동 학습을 이 할수록 구들과 해지고 함 하여 성 이 높다. 서로 고 주며 로운 우는 과정이 수 있다.”

께 될

취감 더욱

돕 알려

더욱 친 새 배

나아가 정보활용능력 측면에서도 2년차 학생들은 여러 도구를 능 하게 - 94 -


황 접속

다 는 상 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트에 해서 설문지 내문을 성하고 문항을 개발하는 등 정보 활용능력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추고 있 다. 그러나 기존의 설문 문 항들을 적 적으로 아 활용하는 등의 모습은 관 지 다. 학생들이 조원의 참여도를 평가할 동료를 존중하기 위한 표현들을 사용하는 등 라인상에서의 정보 리를 고 하는 것이 관 다. 교사 및 학생 인터뷰를 통해서도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찰되 않았

찰되었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는데 도 을 주며 유용하다고 생 한다. 년에 개인적으로 측정해본 결과에 의하면 유의미한 향상이 있 다.” “선생 이 다양한 기기 활용 능력을 주어 다 기가 고 집중이 잘 는 것 같다. 터 시 색다른 학습 과정에 집중 하게 고 재미있어 들거나 다른 일을 이 하지 는다.” “선생 서 인터 상 예 을 주 고 나 용어를 사용하지 도록 주의 하였다.” “기술 기기 다 는 능력이 어나고 로운 학습 방법에 자 공부하는 동기가 부여된다. 집에서도 예, 습을 하게 된다.”

님 더욱 되 되 떠 님께 넷 루

알려 루 컴퓨 간 많 않 절 알려 었 쁜 늘 복

었 더욱 쉬워졌 더욱

[그림 Ⅳ-2] 연차에 따른 학습자 역량 인식 분석 - 95 -


결국 디지털교과서와 스마트교육을 경 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인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다. 첫째, 일반수업과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차이점에 대해서 학생들은 “스 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재미있고 모 는 내용이 있으면 제 지 아 수 있어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 이 된다”는 의 이 다. 둘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이 창의력이나 의사소통능력 등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과 관련한 문에 대해서 학생들은 “ 라인 협업도구를 수업시 에 이용하기 문에 구들의 다양한 의 을 수 있고, 활발한 의사소통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단점에 대한 문에 대해서는 “학습 중에 가 에러가 발생하거나 인터 도가 지면 학습하기에 어 다” 고 하였으나, 그 경우는 지는 다고 하였다. 째,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시 발표자료 성, 문서 성, 사진 영 및 집, 비디 영 등이 아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 제 능력이 향상 다고 하였다.

되었

질 친 새

답 런 넷 편 오촬 었 응답

언 든 찾 견 많았

견 볼

넷속 많 않

느려

응답

나. 성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식

성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 차이를 아보기 위해 다 음과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녀별 검사결 과는 표 -4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학생의 평 이 여학생의 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협업능력 영역을 제외한 모 영역이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학생이 여학생보다 21세기 학습자역 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를 이 활용 하는 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조 적 적으로 기기활용수업에 참여한 다는 것을 수 있다. 하지만 협업능력 면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나 타나지 다. 이는 협업에서는 자신보다는 다른 학생들과 함 하는 타인 및 타인 공 능력이 높은 여학생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학생들 에 차이가 나타나지 음을 수 있다. 설문 결과, 학생들이

< Ⅳ >

더 남

배려

알 않았

남 균

질 금더 극

않았

- 96 -

더많

즐겨


여학생들보다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 습, 유연성의 면에서 스스로가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높다고 인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 Ⅳ-4> 성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유연성

집단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평균

표준편차

3.87

0.82

3.66

0.77

3.91

0.81

3.84

0.75

3.90

0.83

3.84

0.78

3.96

0.82

3.93

0.75

3.92

0.79

3.88

0.73

3.86

0.85

3.80

0.79

3.90

0.82

3.84

0.75

- 97 -

t 값

p

11.665

.000

4.096

.000

2.856

.004

1.513

.130

2.649

.008

2.747

.006

3.660

.000


다.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유형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알

연구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유형별 21세기 학습 자역량에 대한 인 을 분석하였다.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유형별 검 사결과는 표 -5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에서 모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연구 자들의 적분석을 위한 토 에서는 가 주어지지 고 교사들이 자 적으로 다양한 수업을 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이 가 주어지는 디지 털교과서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의 전략으로 인해 학습자들에게 21세기 학 습자 역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지만 실제 분석결과는 스마 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 교육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다. 이는 실제 적분석을 위해 수업을 참관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도 단 히 디지털교과서만을 활용한 것이 아 라 디지털교과서의 한 를 기반으로 다양한 스마트교육을 목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 나 스마트교육이 아있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을 수 있 다. 중학생 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나타 결과도 비 한 결과를 보여준다.

식 < Ⅳ > 두

콘텐츠

키워 줄

풀때 혼

않 콘텐츠 않았

튼튼 콘텐츠

않았

려 때

“문제를 해설 도 통해 스스로 수 있다. 어 우면 바로 검색 할 수 있어 자 스스로 할 수 있다. 참고서와 비교할 동영상 등 자료 이 다양하다.”

종류 폭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수업에서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 유연성의 모 면에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 에 차이가 나타나지 다.

않았

- 98 -


<표 Ⅳ-5>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디지털교과서

3.78

0.82

스마트교육

3.74

0.79

디지털교과서

3.89

0.79

스마트교육

3.86

0.77

디지털교과서

3.89

0.81

스마트교육

3.85

0.80

디지털교과서

3.95

0.79

스마트교육

3.94

0.78

정보활용 능력

디지털교과서

3.91

0.76

스마트교육

3.89

0.75

자기주도 학습능력

디지털교과서

3.85

0.82

스마트교육

3.81

0.81

디지털교과서

3.89

0.79

스마트교육

3.85

0.78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유연성

t 값

p

1.957

.050

1.652

.099

1.774

.076

.376

.707

1.442

.149

1.869

.062

1.826

.068

라. 지역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식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자기 인 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시와 어 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21세기 학습 자 역량에 대한 지역별 검사결과는 표 -6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 학생들의 평 이 어 학생들의 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도시의 학생들이 어 의 학생들보다 21세기 학습자역량에 대한 인 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를 고 게, 다양하게 한 도시의 학생들이 어 의 학생들보다는 스마트기기를 다 는 정보활용

농산 촌

든 농산 촌

< Ⅳ > 균 농산 촌 균

농산 촌

식 더 좀 더 빠르 쉽 루

- 99 -


더욱 극 식 난 농산 촌

능력이 높아 스마트교육에서 적 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21세기 학 습자 역량에 대한 인 이 높게 나타 것으로 보인다. 설문결과를 해 보면 도시의 학생들이 어 의 학생들보다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 통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의 면에서 21세기 학습자 역 량에 대한 인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표 Ⅳ-6>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 정보활용 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유연성

집단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평균

표준편차

3.79 3.68 3.91 3.77 3.91

0.80 0.81 0.78 0.78 0.80

3.76

0.80

3.99

0.78

3.83

0.78

3.94

0.75

3.80 3.87

0.75 0.82

3.73

0.82

3.91 3.78

0.78 0.78

t 값

p

5.747

.000

6.810

.000

7.089

.000

7.881

.000

7.115

.000

6.466

.000

6.558

.000

마. 학교급별 21세기 학습자 역량 분석 급

학교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학교 별에 따른 21세기 학 습자 역량에 대한 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량 및 변량분석 결과 는 표 -7 과 같다. 21세기 학습자 역량 영역별로 보면 모 영역에서 평 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으로 나타났다.

< Ⅳ > 균값

- 100 -


<표 Ⅳ-7> 학교급별에 따른 21세기 학습자역량 인식에 대한 변량분석 21세기 학습자역량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 능력 자기주도 학습력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평균

표준 편차

3.76 3.79

0.80 0.78

3.77 3.64 3.87 3.90 3.86 3.75 3.87 3.89 3.87 3.75 3.95 3.98 3.93 3.82 3.90 3.93 3.89 3.77 3.83 3.85 3.84 3.72

F

p

10.992 0.83 0.81 c e e’ (1, 3) (2, 3)

.000

s h ff

0.78 0.77 0.80

12.261

.000

0.77 c e e’ (1, 3) (2, 3) 0.81

s h ff

0.80 0.81 0.80

10.233

scheffe’ (1, 3) 0.78 0.77

0.80 0.79 c e e’ (1, 2)

s h ff

(1, 3)

s h ff

0.81 0.82 0.81

- 101 -

.000

(2, 3) 8.213

(1, 3)

.000

(2, 3)

15.105

0.77 c e e’ (1, 3) 0.82

scheffe’

(2, 3) 14.919

0.76 0.74 0.77

.000

(2, 3)

.000


21세기 학습자역량

평균

표준 편차

3.87

0.79

3.89

0.78

3.87

0.80

3.76

0.77

전체 초등학교(1) 유연성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scheffe’

F

p

9.006

.000

(1, 3)

(2, 3)

었 때

여러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기 문에 어 집단과 어 집단 에 차이를 나타내는 지, 유의수준 .05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후검증 결과, 창의력에서는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 에 차이를 나타내 다. 그러 로 창의력에 대한 자기 인 은 초등학생이 가장 높으며, 중학생, 고등학생의 이라고 결 내 수 있다. 문제해결력도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 타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과 고등학교는 p 이 .000으 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도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p 이 .34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과 고등학교는 p 이 .001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업능력 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과 고등학교 모 에서 p 이 .002 .007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모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보활용 능력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p 이 .125 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과 고등학교는 p 이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p 이 .82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 교, 중학교과 고등학교는 p 이 .000 .001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연성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p 이 .34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

<

않았

않았

론 릴

<

<

<

않았

않았 <

않았

- 102 -


값 각각

<

학교와 고등학교는 p 이 .000 .003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해 보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에서는 통계적으로 협업능 력을 제외한 모 면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으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에서는 통계적으로 모 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 는 제기 는 고등학교의 입시위주의 교육이 스마트교육에서 단 히 학생들이 원 강의를 고 수업에 다양한 활용방법으로 적용하기에는 제도 적으로 해결해 할 문제가 있다는 것을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 들은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영역별로 학생 스스로 영역별로 높게 인 하고 있고 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역별로 상대적으로 게 인 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든

매번

되 격 야

간 않았 든

바.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사용횟수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횟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사용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사용 수에 따른 21세기 학습자역량에 대한 인 을 분석하였다. 변량 분석 결과 표 -8 과 같이 나타났다. 21세기 학습자 역량 영역별로 보 면 모 영역에서 평 이 일주일에 6-10회사용, 2-5회 사용, 1회 미만사 용 으로 나타났다.

횟 < Ⅳ > 든 균값

- 103 -


<표 Ⅳ-8> 사용횟수에 따른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유연성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전체 1회 미만(1) 2-5회(2) 6회이상(3) scheffe’

평균

표준 편차

3.74 3.72 3.77 3.99 c e 3.85 3.82 3.89 4.13 c e 3.85 3.81 3.90 4.13 c e 3.93 3.90 3.96 4.18 c e 3.88 3.85 3.92 4.13 c e 3.81 3.78 3.85 4.05 c e 3.85 3.82 3.88 4.10 c e

0.82 0.84 0.78 0.86 검증(1,2) .039 0.80 0.82 0.76 0.79 검증(1,2) .001 0.83 0.84 0.79 0.80 검증(1,2) .000 0.81 0.83 0.75 0.79 검증(1,2) .006 0.78 0.80 0.72 0.77 검증(1,2) .001 0.84 0.86 0.79 0.85 검증(1,2) .002 0.81 0.83 0.76 0.80 검증(1,2) .007

s h ffe’ s h ffe’ s h ffe’ s h ffe’ s h ffe’ s h ffe’ s h ffe’

- 104 -

F

p

15.866

.000

(1,3) .000

(2,3) .000

23.549

.000

(1,3) .000

(2,3) .000

24.101

.000

(1,3) .000

(2,3) .000

18.600

.000

(1,3) .000

(2,3) .000

21.203

.000

(1,3) .000

(2,3) .000

17.559

.000

(1,3) .000

(2,3) .000

18.149

.000

(1,3) .000

(2,3) .000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학 생들의 평 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영역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창의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29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문제해결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1 및 .000으 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업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4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정보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 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1 및 .000으 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능 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1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나타났으며 일주일에 1회 미만, 2-5회, 5회 이상 사용하는 모 집단 에 p 이 .005 및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분석해보면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활용 수가 높을수 록 학생들의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 습, 유연성의 면에서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 이 높게 나타 것을 수 있다. 이는 단 히 기기만 활용하는 수준이 아 기기를 활용 하며 다양한 교수학습의 변화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습자 역량을 증가시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

<

<

<

<

<

물론 순

- 105 -


[그림 Ⅳ-3] 사용횟수에 따른 학습자 역량 인식 분석 특히 이태원초등학교의 수업 관찰 결과(여가활동에 대한 수업),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여가’에 대한 정의를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작성하는 과정에 서 자신의 생각을 보다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상황이 나 타났다. 이는 소극적인 성향의 학습자가 온라인으로는 자신의 생각을 올리 는데 도움이 되며, 면대면 수업의 부족한 시간을 보완하는 기능도 있다고 판단된다.

“스마트교육의 성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생 중심적, 학생 주도적 수업이 주를 이 기 문에 학생-기기 의 상 용 도가 높아진다.” “일반 수업에서 참여가 소 적인 학생들도 참여 도가 증가하기 문에 교사-학생 상 용이 자연스 게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 대면하지 아도 서로 의사소통을 이 할 수 있다. 래스 이나 다른 S S에서 이 기 전달이 고 사진이나 자료 공유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이, 협동 학습 의사 교환이 가능하다.”

루 때

간 호작 직접 않 N 야 칭찬릴레

호작 빈 빈

클 팅

담당교사는 인터뷰를 통해 기기 도입 자체가 학생들의 의사소통을 직접 - 106 -


치밀

적으로 증가시 다기 보다는 교사의 한 사전 준비가 있을 효과가 해 을 강조하였다. 이는 양적결과에서 나타 것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의 활용 수를 학생들의 의사소통, 협업의 기회를 제공하 는 것과 어 교사의 한 수업준비가 선행 어 함을 시사한다.

더 짐

더불

늘려 철저

난 처럼 되 야

4. 교수자 역량 분석 가. 연구학교 연차별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21세기 교수자 역량 분석을 실시하고 1년차 연구학교와 2년차 연구학교 를 비교해 보 다. 2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이 1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보다 높게 나타났다.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1년차 2년차 검사결과는 표 -9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2년차 연구학교의 평 이 1년차 연구학교의 평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2년차 연구학교가 1년차 연구학교보다 21세기 교수 자 역량에 대한 인 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교육을 이 한 교사들이 21세기 교수자 역량의 모 영역에 대한 인 이 높다는 것을 의 미한다. 스마트교육을 하면서 학생들과 하는 다양한 활동이 교사들의 21세 기 교수자 역량을 증가시 다고 할 수 있다.

< Ⅳ >

식 더

더많

<표 Ⅳ-9>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학습자 역량고려

1년차

3.88

0.70

2년차

4.09

0.69

정보활용 능력

1년차

3.72

0.69

2년차

3.97

0.69

- 107 -

t 값

p

4.706

.000

5.840

.000


영역

학습자와 관계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및성찰

집단

평균

표준편차

1년차

4.20

0.61

2년차

4.29

0.62

1년차

3.99

0.64

2년차

4.15

0.62

1년차

4.00

0.68

2년차

4.13

0.66

t 값

p

2.348

.019

4.114

.000

3.180

.002

실제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수업을 진행한 교사와의 인터뷰에서 사는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담당교

“학생들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과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문서 및 동영상 자료 성, 수정, 보존 그리고 테이 등의 활동이 수반 기 문에 멀티미디어 자료 성 능력이 자연스 게 향상된다.”

프레젠 션 럽

되었다고 말하였다.

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도 스스로의 능력이 향상

친 편

“ 음에는 구들이 이 도와 는데 다. 동영상 집 등 로운 활용 능력을

혼자서도 할 수 있을 정도로 늘었 많이 배웠다.”

또한 스마트 학습의 역기능과 관련하여 “현재 학생들의 생활에서 스마트 기기를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어디에서도 가 쳐주지 고 있다”는 것 을 지적하며,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은 히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 도를 향상시 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고 주장하였다.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와 집중도에 관해서도 “학생들이 우선 도구 자체에

오 려

때 되

대한 흥미도가 높기 문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면 학습 활동에 대한 도가 전반적으로 향상 며, 이는 동시에 학습 집중도의 향상도 가 고 하였다. 또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은 학생-교사 , 학생들 의 의사소통이 증가하기 문에 학생들의 수업 반 이 전반적으로 다”고 하였다.

언급

간 되었

응답

- 108 -

흥미 다” 상 향상

져온


[그림 Ⅳ-4] 연차별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나. 성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알

교사의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성별에 따른 21세기 교수 자 역량에 대한 인 을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 한 검사결과는 표 -10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교사가 여교 사보다 학습자 역량고 와 정보활용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식 < Ⅳ > 려

<표 Ⅳ-10> 성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 영역별 검사 영역

집단

학습자 역량고려 정보활용 능력

남자 여자 남자 여자

평균

표준편차

4.05

0.71

3.89

0.70

3.94

0.69

3.73

0.69

- 109 -

t 값

p

3.863

.000

5.152

.000


영역

집단

남자

학습자와 관계

여자

남자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및성

여자

남자

여자

평균

표준편차

4.20

0.60

4.24

0.62

4.06

0.63

4.02

0.64

4.05

0.66

4.03

0.68

t 값

p

1.143

.253

1.123

.262

.360

.719

다.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유형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알

연구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연구학교 유형별 21 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유형별 검사결과는 표 -11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교육 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 모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디 지털교과서 수업과 스마트교육의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주어지지 고 교사들이 자 적으로 다양한 수업을 할 수 있는 스 마트교육이 가 주어지는 디지털교과서 보다 다양한 교수학습의 전략 으로 인해 교수자들에게 21세기 교수자 역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분석결과도 ‘스마트교육 유형이 디지털교과서 유형보다 교수자 역량 에 대한 인 이 높다’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히, 학 습자와 관련된 학습자 역량을 고 하고 수업하는 측면, 학습자와의 관계의 면에서 스마트교육이 디지털교과서의 유형보다 의미 있는 통계 이 나타났 다. 결과를 해보면 스마트교육이 디지털교과서 유형보다 학습자 역량 고 ,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 수업 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 의 모 면에서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 이 높게 나타났다.

< Ⅳ > 두

텐츠

않 콘텐츠

려 든

키워 줄

종합

- 110 -


<표 Ⅳ-11>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 영역별 검사 영역

집단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정보활용 디지털교과서 능력 스마트교육 학습자와 디지털교과서 관계 스마트교육 수업설계 디지털교과서 및 개발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평가 및 성찰 스마트교육 학습자 역량고려

평균

표준편차

3.85

0.76

4.01

0.65

3.75

0.74

3.83

0.66

4.15

0.67

4.29

0.57

3.99

0.69

4.07

0.59

3.97

0.73

4.09

0.63

t 값

p

3.947

.000

2.060

.040

4.258

.000

2.119

.034

3.161

.002

라.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알

/농산 촌 간

연구학교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도시 어 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1세기 교수자 역량 에 대한 지역별 검사결과는 표 -12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 시 어 에 학습자와의 관계를 제외한 모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다. 학습자의 관계에서는 도시의 교사들이 어 의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지역에 따른 교사들의 인 이 게 차이가 나타나지 다.

/농산 촌 간

산 촌

< Ⅳ >

않았

식 크

않았

- 111 -


<표 Ⅳ-12>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학습자 역량고

도시

3.95

0.68

농산어촌

3.93

0.75

도시

3.81

0.69

3.76

0.71

4.26

0.61

4.18

0.62

4.05

0.64

4.00

0.64

4.07

0.68

3.99

0.68

정보활용 능력

학습자와 관계 수업설계 및 개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찰

평가 및 성

도시

농산어촌

t 값

p

.589

.556

1.204

.229

2.179

.030

1.311

.190

1.953

.051

마. 학교급별에 따른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 급

학교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학교 별에 따른 21세기 교 수자 역량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량 및 변량분석결과는 표 -13 과 같이 나타났다. 21세기 교수자 역량 영역별로 보면 모 영역에 서 평 이 초등학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 균값

<

<표 Ⅳ-13> 학교급별에 따른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식 변량분석 21세기 교수자 역량

전체 학습자 초등학교(1) 중학교(2) 역량고려 고등학교(3) scheffe’

평균

표준 편차

3.94

0.71

4.10

0.65

3.75

0.75

3.79

0.63

scheffe’ (1, 2) - 112 -

F

p

37.196

.000

(1, 3)


21세기 교수자 역량

정보활용 능력 학습자와 관계 수업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찰

든 떤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평균

표준 편차

3.80 3.94 3.60 3.69

0.70 0.68 0.70 0.62 e e’ 0.62 0.57 0.65 0.53 e e’ 0.64 0.61 0.66 0.54 e e’ 0.68 0.64 0.71 0.60 e e’

4.23 4.37 4.04 4.16 4.03 4.16 3.87 3.93 4.04 4.19 3.84 3.92

sch ff

sch ff

sch ff

sch ff

F

p

35.543

.000

(1, 2)

(1, 3)

.000

42.147 (1, 2)

(1, 3)

.000

32.409 (1, 2)

(1, 3)

.000

41.169 (1, 2)

(1, 3)

었 때

모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기 문에 어 집단과 어 집단 에 차이를 나타내는 지, 유의수준 .05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학습자 역량 고 , 정보활용능 력, 학습자와의 관계, 수업 설계 및 개발, 평가 및 성 은 중학교과 고등학 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으며 초등학교와 중학 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는 p 이 .000으로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해 보면 모 영역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21세기 교수자 역량에 대한 인 이 높게 나타 것을 수 있 다.

종합

<

- 113 -

찰 않았


5. 학생 만족도 분석 가.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학생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고 1년차 연구학교와 2년차 연구학교를 비교 해 보 다. 대부분 2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이 1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대부분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보이지 다. 학생 만족도에 대한 연차별 검사결과는 표 -14 와 같다. 영역별로 보면 태도, 몰입, 내용 흥미만족도, 도구교수학습 변화만족도, 경제성 만족도에서는 연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하지만 참여환경 만족도 측면에서는 1년차 연구학교 학 생들의 평 이 3.97로 나 으며 2년차 연구학교 학생들의 평 이 4.03으로 나타났으며 p 이 .033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준비 도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아 1년차 연구학교에서 의 기반 시설이 초기에 구 지 하고 2학기 중반 이후에서 기기가 지 고 선 가 설 어 학생들의 환경 만족도가 어지는 것으로 파 다.

>

않았

않았 균 값

급되 무 AP 되었

< Ⅳ

치되

축되 못

<표 Ⅳ-14>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생 만족도 검사 영역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만족도

집단

평균

표준편차

1년차

3.89

0.87

2년차

3.92

0.90

3.94

0.87

4.05

0.82

1년차

3.82

1.14

2년차

3.83

1.07

1년차

3.91

1.14

2년차

3.94

1.07

1년차 2년차

- 114 -

t 값

p

1.225

.221

5.301

.000

.411

.681

1.424

.154


영역

도구교수학습변화만족도 경제성만족도

집단

평균

표준편차

1년차

3.87

1.11

2년차

3.91

1.03

1년차

3.73

1.13

2년차

3.77

1.08

3.97

1.16

4.03

1.07

1년차 2년차

참여환경만족도

t 값

p

1.450

.147

1.595

.111

2.131

.033

나. 성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았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해 보 다. 학 생 만족도에 대한 성별 검사결과는 표 -15 와 같다. 영역별로 보면 몰 입, 내용흥미 만족도, 도구교수학습 변화만족도, 참여환경 만족도에서는 연 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하지만 태도, 준비 도, 경제성만족도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평 이 높게 나 으며 여학생들 의 평 이 상대적으로 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성별에 따른 학습자 역량의 결과와 비 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Ⅳ >

않았

<표 Ⅳ-15> 성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 영역별 분석 영역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만족도

집단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평균

표준편차

3.97

0.90

3.84

0.85

4.00

0.89

3.94

0.83

3.84

1.14

3.80

1.07

3.91

1.14

3.92

1.07

- 115 -

t 값

p

6.574

.000

3.396

.001

1.479

.139

.320

.749


영역

도구활용 및 교수학습변화 만족도

경제성만족도 참여환경만족도

집단

평균

표준편차

남학생

3.89

1.11

여학생

3.87

1.03

3.77

1.13

3.72

1.08

3.98

1.16

3.99

1.07

남학생 여학생 남학생 여학생

t 값

p

.567

.578

2.141

.032

.366

.714

다.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유형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알

연구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연구학교 유형별 학 생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 만족도에 대한 연구학교 유형별 검사 결과는 표 -16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 과서 활용에서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영역 별로 보면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 만족도, 도구교수학습 변화만족도, 경제성 만족도에서는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하지만 참여환경 만족도 측면에서는 디지털교과서가 평 이 3.95로, 스 마트교육의 평 이 4.01로 나타났으며 p 이 .038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교육에서 학생들이 수업의 참여 환경에 만족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교과서의 내용만 가지고 수업하는 것 보다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으로 학생들의 소통과 참여를 유도한 것이 학생들의 참여 만족도를 높였다고 수 있다.

< Ⅳ >

않았

- 116 -

않았


<표 Ⅳ-16>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영역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만족도 도구교수학습변화 만족도 경제성만족도

참여환경만족도

집단

평균

표준편차

디지털교과서

3.90

0.89

스마트교육

3.91

0.86

디지털교과서

3.97

0.86

스마트교육

3.96

0.86

디지털교과서

3.81

1.10

스마트교육

3.83

1.13

디지털교과서

3.90

1.08

스마트교육

3.93

1.13

디지털교과서

3.87

1.06

스마트교육

3.89

1.10

디지털교과서

3.77

1.09

스마트교육

3.73

1.12

3.95

1.10

4.01

1.15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t 값

p

.359

.720

.728

.467

.632

.528

1.246

.213

.907

.364

1.820

.069

2.077

.038

라. 지역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알

/농산 촌 간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도시 어 에 따른 학생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만족도에 대한 지역별 검사결과는 표 -17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태도와 준비도를 제외한 영역에서 어 의 학생들 만족도가 도시 학생들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역 별로 몰입, 내용흥미만족도, 도구교수학습변화만족도, 경제성만족도, 참여환 경만족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어 이 도시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 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의 만족도조사와 비 한 결과인데 대도 시의 학생들이 학원이나 사교육을 이 는 반면 어 학생들이 사교

> 산 촌

농산 촌

많 받

- 117 -

슷 농산 촌

< Ⅳ 농


급되

육의 기회가 적어 학교에서 지 는 스마트기기나 디지털교과서를 교육에 적 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파 며, 디지털교 과서 및 스마트교육이 어 에서 학생들에게 은 도 을 수 있다고 정적으로 인 하고 있음을 수 있다. 반면 태도와 준비면에서는 도시 학생들의 인 이 높게 나타나 어 학생들에 비해 도시 학생들이 상대 적으로 스스로 준비가 잘 어 있다고 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 촌 알 농산 촌 되 각

악되 움 줄

<표 Ⅳ-17>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학생 만족도 검사 영역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만족도 도구교수학습변화 만족도 경제성만족도 참여환경만족도

집단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평균

표준편차

3.92

0.89

3.85

0.84

4.01

0.86

3.84

0.85

3.78

1.13

3.91

1.10

3.88

1.13

4.01

1.09

3.84

1.10

3.97

1.06

3.69

1.12

3.86

1.09

3.95

1.15

4.08

1.10

- 118 -

t 값

p

3.003

.003

8.058

.000

4.868

.000

4.864

.000

5.126

.000

6.431

.000

5.191

.000


마. 학교급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 분석 급

학교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학교 별에 따른 만족도 검 사를 실시하였다. 학교 별 학생 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변량분석 결과는 표 -18 과 같이 나타났다. 만족도 영역별로 태도, 준비도, 몰입, 내용흥미 만족도, 도구교수학습 변화만족도, 경제성 만족도, 참여환경 만족 도 영역에서 평 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으로 나타났다. 히 통계적으로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 p 이 .05이하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Ⅳ >

균값

순 두 값

<표 Ⅳ-18> 연구학교 급별에 따른 학생 만족도에 대한 변량분석 만족도

전체 초등학교(1) 태도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준비도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몰입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내용흥미 초등학교(1) 중학교(2) 만족도 고등학교(3) scheffe’

평균

표준 편차

3.90 4.00 3.84 3.55

1.01 1.08 1.07 1.06 (1, 2) 1.10 1.12 1.09 1.10 (1, 2) 1.12 1.11 1.13 1.10 (1, 2) 1.12 1.12 1.11 1.09 (1, 2)

3.96 4.05 3.91 3.67 3.81 3.86 3.78 3.56 3.91 3.96 3.87 3.63

scheffe’

scheffe’

scheffe’

scheffe’ - 119 -

F

p

94.094

.000

(1, 3)

(2, 3)

71.399 (1, 3)

(2, 3)

31.045 (1, 3)

.000

(2, 3)

38.715 (1, 3)

.000

(2, 3)

.000


만족도

전체 도구교수 초등학교(1) 학습변화 중학교(2) 만족도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경제성 초등학교(1) 중학교(2) 만족도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참여환경 초등학교(1) 중학교(2) 만족도 고등학교(3) scheffe’

평균

3.87 3.93 3.83 3.58 3.73 3.76 3.75 3.52 3.98 4.05 3.91 3.65

표준 편차

F

p

1.09 1.08 44.782 1.09 1.08 c e e’ (1, 2) (1, 3) (2, 3) 1.11 1.10 19.732 1.11 1.11 c e e’ (1, 3) (2, 3) 1.14 1.13 59.105 1.12 1.14 c e e’ (1, 2) (1, 3) (2, 3)

.000

s h ff

.000

s h ff

.000

s h ff

었 때

모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기 문에 집단 에 차 이를 분석하기 위해 유의수준 .05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도 및 준비도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 학교와 고등학교 모 에서 p 이 .000으로 p .05 수준에서 모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몰입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중학교와 고 등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용흥 미 만족도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에서 모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구교수학습 변화만족도는 초등학 교와 중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성 만족도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차이가 나타나 지 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차이가 나타 났다. 참여환경 만족도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초등학교 와 고등학교에서 모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해 보면 학생만족도는 초등학교가 가장 높고 상대적으로 고등학교가 가장 은 것 으로 나타났다.

<

않았

종합 낮

- 120 -


6. 교사 만족도 분석 < Ⅳ >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교사의 만족도는 표 -19 와 같이 나타났다. 교사가 인 하는 수업 효과성과 학생 효과성에 대한 영역에서 2년차 교사 들이 1년차 교사들보다 정적으로 인 하고 있 다. 디지털교과서 활용교 육과 스마트교육이 수업과 학생들의 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 하고 있 다. 영역별로 수업 효과성이나 학생 생활, 태도 면에서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 및 스마트교육이 교육의 효과성이 높다고 인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9>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영역

집단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 효과성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 효과성

1년차 2년차 1년차 2년차

평균

표준편차

3.74

0.74

3.86

0.68

3.60

0.73

3.71

0.70

t 값

p

2.713

.007

2.462

.014

교사 인터뷰 결과를 분석해 보면 학업 성 도와 관련하여 초등학교의 경 우 정적인 반 으로 다음과 같은 의 을 제시하였다.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은 주요 목적이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향상에 고 있기 문에 교과 성적으로 표현 는 성적의 향상 만 아 라 학습자 역량의 함양에 기여를 하고 있다”

험 간

실제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경우 시 기 에 활용하다고 하였다.

루 많

험 간

“하 에 1시 내외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데, 시 기 에 참고자료 로 이 사용하게 된다.” - 121 -


< Ⅳ >

남자

또한 성별에 따른 교수자의 만족도는 표 -20 과 같이 나타나, 교사가 여자교사들보다 정적으로 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0> 성별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영역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 효과성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 효과성

집단

남자 여자 남자 여자

평균

표준편차

3.93

0.71

3.69

0.72

3.76

0.70

3.57

0.73

< Ⅳ >

t 값

p

5.531

.000

4.481

.000

연구학교 유형별 만족도에서는 표 -21 과 같이 스마트교육이 디지털 교과서 보다 수업 효과성, 학생 효과성 측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의 역량 측면에서 나타 것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육이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에 한정 지 고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 활용함으로써 수업 및 학생의 학습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 하 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난 처럼 되 않 긍

<표 Ⅳ-21>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영역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 효과성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 효과성

집단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평균

표준편차

3.63

0.74

3.88

0.70

3.50

0.74

3.72

0.70

t 값

p

6.044

.000

5.382

.000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만족도는 학생과 학부모의 결과와는 다 게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다.

않았

- 122 -


<표 Ⅳ-22>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교수자 만족도 분석 영역

교사가 인 하는 수업 효과성

교사가 인 하는 학생 효과성

집단

평균

표준편차

도시

3.77

0.72

3.77

0.74

3.63

0.73

3.62

0.72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t 값

p

.054

.957

.250

.803

7. 학부모 만족도 분석 가.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1년 차 연구학교와 2년차 연구학교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이 1년차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부 모 이해도 및 부수적 효과등 만족도에 대한 1년차 연구학교와 2년차 연구 학교의 검사결과는 표 -23 과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학부모 이 해도는 1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 이해도 평 이 4.13, 2년차 연구학교의 학 부모 이해도 평 이 4.24로, p 이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부수적 효과는 1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 부수적 효과의 평 이 3.77, 2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 부수적 효과의 평 이 4.01로 p 이 .000으 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부수적 효과에 대한 설문지 문항 을 보면 다음과 같다.

< Ⅳ >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학습준비 및 준비물 비용이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사교육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성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자녀가 스마트기기를 예전보다 학습에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진다고 생각한다.

l 자녀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면 다른 부교재 구입이 l l l l

- 123 -


기존의 사이 가정학습이나 디지털교과서 초기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이 부교재 구입이나 사교육비에 대한 설문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에서는 정적인 설문 결과가 나타 났다. 히, 1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들 보다는 2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들 이 실제 성적에 도 이 것 이라고 설문한 비중이 높 으며 스마트기기 를 게임보다는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비중이 높아 것이라고 설문하였 다. 이는 우 정적인 설문의 결과이며 실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 과이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수 있다.

움 될

매 긍

무 건

“예전에는 조 하지 라고 반대하였지만 스마트기기 통해 공부한다 는 것을 아들이고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래스 등 수업에 사용하 는 것을 보 부모 들이 다른 반 을 보인다. 학년이 라가서 사용하 라도 성할 것 같다.”

클 팅

속 응

학습만족도, 지 만족도, 역기능 예방과 관련된 항목에서는 평 3.6이상 으로 정적인 반 을 보였으나 연차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다.

않았

<표 Ⅳ-23> 연구학교 연차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영역

이해도 부수적 효과 학습 만족도

집단

평균

표준편차

4.13

0.69

4.24

0.70

3.77

0.86

4.01

0.82

1년차

3.68

1.05

2년차

3.70

1.09

1년차 2년차 1년차 2년차

- 124 -

t 값

p

3.604

.000

5.922

.000

.326

.744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1년차

3.68

1.14

2년차

3.72

1.16

1년차

3.61

1.20

2년차

3.65

1.22

지 만족도

역기능예방

t 값

p

.723

.470

.706

.480

나.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유형에 따른 학부모 이해도 및 부수적 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알

연구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유형별 학부모 이해 도 및 부수적 효과, 학습 만족도, 지 만족도, 역기능 예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 연구학교 유형별 검사결과는 표 -24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 모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해도측면과 부수적 효과 측면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해도 측면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보다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서 학부모의 이해도가 높 다. 적분석 결과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에서 학부 모들에게 연수를 이 실시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내장 및 학 교 이지 내 등에 대하여 이 한 결과로 나타났다. 현재 디지털 교과서 수업이나 스마트교육이 확대 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부모들에 대 한 교육인 의 변화 연수나 내장 등을 통하여 로운 교수학습에 대한 보가 필요하다고 단된다. 부수적 효과를 보면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가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보다 학부모들이 부수적 효과를 정적으로 인 하고 있 다. 이는 학부모 들이 교육에서 학생들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을 로운 교수학습 방 법의 변화로 인 하고 있으며, 디지털교과서는 교과서 및 참고서를 대체할 수 있는 체로 인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두

각각

홈페

< Ⅳ

았 질 더많

판 살펴

더많 되 긍

- 125 -

었 새


속 균

학습만족도, 지 만족도, 역기능예방 영역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의 영역별 평 이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영역별 평 보다 높게 나타났 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다.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 트교육 연구학교 모 평 이 3.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의 학부모들 모 전반적으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교육에 대하여 정적으로 생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않았

두 균

<표 Ⅳ-24> 연구학교 유형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영역

집단

평균

표준편차

4.10

0.72

4.18

0.67

4.02

0.82

3.68

0.86

디지털교과서

3.71

1.08

스마트교육

3.66

1.05

디지털교과서

3.74

1.15

스마트교육

3.66

1.14

디지털교과서

3.65

1.22

스마트교육

3.59

1.20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부수적 효과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이해도

학습만족도

지 만족도 역기능예방

t 값

p

3.026

.002

10.550

.000

1.066

.287

1.657

.098

1.268

.205

다.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알

/농산 촌 간

연구학교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도시 어 에 따른 학부모 이해도 및 부수적 효과등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 지역별 검사결과는 표 -25 와 같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도시 어 에 이해도와 부수적 효과가 다 게 나타났 다. 학부모의 스마트교육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이해도는 도시와 어 이 비 하게 나타났지만 부수적 효과에 대하여서는 어 이 평 4.08, 도시가 3.71로 p 이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Ⅳ >

/농산 촌 간

농산 촌

- 126 -

농산


속 각

농산 촌

또한 학습 만족도, 지 만족도, 역기능 예방 영역에서도 어 학부모 들이 정적으로 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원이나 사교 육을 이 는 도시보다는 상대적으로 사교육의 기회가 적은 어 학 부모들이 학교에서 지 는 스마트기기나 디지털교과서를 실제 교육의 부 수적 활용에 은 기대를 하고 있으며 실제 스마트교육이 어 에서 학 생들에게 은 도 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을 수 있다.

더긍 많 받 많

농산 촌

급되

움 줄

농산 촌

<표 Ⅳ-25> 연구학교 지역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영역

이해도

부수적효과 학습만족도 지속만족도 역기능예방

집단

평균

표준편차

도시

4.14

0.69

4.16

0.69

3.71

0.88

4.08

0.74

3.60

1.07

3.83

1.04

3.60

1.16

3.85

1.11

3.53

1.22

3.77

1.18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도시 농산어촌

t 값

p

.673

.501

10.862

.000

5.109

.000

5.166

.000

4.753

.000

라. 학교급별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 분석 급

학교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아보기 위해 학교 별에 따른 학부모 만 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량 및 변량분석 결과는 표 -26 과 같 이 나타났다. 학부모 이해도의 평 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으로 높게 나타났고 부수적 효과에 대한 영역의 평 은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 학교 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해도와 부수적 효과, 학습만족도의 경우 집 단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 127 -

< Ⅳ > 순


<표 Ⅳ-26> 학교급별에 따른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 변량 분석 학부모 만족도 효과

전체 초등학교(1) 이해도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부수적 중학교(2) 효과 고등학교(3) scheffe’ 전체 초등학교(1) 학습만족도 중학교(2) 고등학교(3) scheffe’ 속

지 만족도

표준 편차

4.15

0.69

4.24

0.65

4.05

0.73

3.92

0.68

scheffe’ (1, 2)

3.82

0.86

3.72

0.87

4.00

0.83

3.80

0.79

3.68

1.07

3.70

1.12

3.71

1.02

3.54

0.93

scheffe’ (1, 3)

3.69

1.15

초등학교(1)

3.70

1.21

중학교(2)

3.74

1.11

고등학교(3)

3.56

1.00 non

3.62

1.21

초등학교(1)

3.62

1.25

중학교(2)

3.65

1.19

고등학교(3)

3.51

1.09 non

- 128 -

p

41.614

.000

(2, 3)

33.065

.000

(2, 3)

3.712

.025

(2, 3)

2.875

.057

–significant

전체

scheffe’

F

(1, 3)

scheffe’ (1, 2)

전체

scheffe’

역기능예방

평균

1.661

–significant

.190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 영역에 대해 어 집단 에 차이를 나타내는지 아보기 위해 유의수준 .05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학부 모 이해도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부수적 효과는 초등학교와 중 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에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교가 초등학교보다 높 게 나타났으며, 중학교가 고등학교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습 만족도에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평 이 차이를 보여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에는 중학교가 평 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지 만족도와 역기능 예방측면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초등학교와 고 등학교,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모 중학교가 평 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다.

균 속

않았

않았

마. 부수적 효과에 대한 세부 문항 분석 식

학부모들이 인 하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에 대한 부분은 향후 정책 방향을 위해 의미있는 부분이 로 본 연구에서는 세부 문항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디지털교과서의 학습 활용 도와 교재 구입비 과 같은 부수적 효과에 대한 인 을 확인하는 문항 으로 구성 어 스마트교육의 기능, 역기능에 대해 학부모들은 어 인 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절감

- 129 -

떤 식


[그림 Ⅳ-5] 부수적 효과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인식 분석 각 설문문항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설문한 학부모들이 57%에서 70%가 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설문의 문항을 보 면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이 사교육비를 절감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설문이다. 특히 1번 문항에서 학습 준비 및 준비물 비용에 감소가 있을 것이라고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학부모 들이 74%였으며, 이는 디지털교과서가 기존 문제집을 대체할 수 있을 것 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번 문항에서 “스마트기 기를 학습에 활용하는 비중이 늘어난다.”라고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에 응답한 비율이 64%로 학생들이 스마트기기를 단순히 게임기나 대화의 수 단이 아닌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 130 -


<표 Ⅳ-27> 부수적 효과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세부 분석 설문 문항

설문 결과 (N=2896명)

2% 3%

1) 자녀가 디지털교과서 를 활용하면 학습준 비 및 준비 비용이 어들 수 있다고 생 한다.

21%

34%

줄 각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40%

4%

2) 자녀가 디지털교과서 를 활용하면 사교육 비가 어들 수 있다 고 생 한다.

줄 각

5% 26%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34%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31%

4%

3) 자녀가 디지털교과서 를 활용하면 성적에 도 이 것으로 생 한다.

움 될

5% 27%

매우 그렇다. 그렇다.

25%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39%

- 131 -


6% 5%

4) 자녀가 스마트기기를 예전보다 학습에 활 용하는 비중이 높아 진다고 생 한다.

29%

매우 그렇다. 그렇다.

25%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35%

4%

5) 자녀가 디지털교과서 를 활용하면 다른 부 교재 구입이 어들 수 있다고 생 한다.

줄 각

6% 29%

매우 그렇다. 그렇다.

26%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35%

- 132 -


Ⅴ. 결론 및 제언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보급과 스마트교육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3년 총 144개교의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4년에 는 연구학교 수를 163개교로 확대 운영한 후 그 성과에 따라 전체 학교 로 일반화하여 교육체제를 혁신하고자 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가 운영 중인 연구학교에서 연구학교 운영 성과를 측정하는데 도 을 수 있도록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다. 이는 연구학교가 수업 본 적인 측면에서 우수 수업사 를 개발하는데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고, 효과성 검증은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육의 목표가 인지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가장 우선 어 다. 이를 위해 관련 교육부 정책 검토, KERIS 등 국내 외 관련 선행연구 분석, 문헌조사, 전문가 협의, 교육부 및 KERIS 관계자 자문회의 등을 거쳐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목표를 ‘21 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로 정하였다. 정해진 목표에 따라 21세기 학습자 역 량에 관한 문헌 연구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 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도구로 (1) 21세기 학습자 역량(7개영역), 정의, 지 표(23개) (2) 21세기 교수자 역량(5개영역), 정의, 지표(17개) (3) 만족도(3 개영역), 정의, 지표(12개)를 개발하였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세부 영역은 교육부 스마트교육정책과 KERIS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여 창의력과 혁신능력(상상, 창성, 유용성, 도전성), 비 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문제이해, 비 적 사고, 해결방 적 용, 반성적사고), 의사소통능력(표현, 경 과 이해, 상 용), 협업능력(개 인적 책임 , 상 존중, 공유), 정보활용능력(정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정보 리), 자기주도학습력(계획, 의사결정, 자기성 ), 유연성(변화관리, 모 함에 대한 용, 다양성에 대한 정적 수용) 등으로 정하였다. 21세기

두었

질 돕

무엇

되 야했

감 호 포

- 133 -

판 호작


교수자 역량의 세부 영역은 21세기 학습자역량 이해(역량, 수업, 평가), 정 보활용능력(정보 평가, 자료 개발, 라인 도구 활용, 디바이스 사용, 정보 리), 학습자와의 관계형성(가능성에 대한 신 , , 정, 조 제공), 수업설계(수업 설계, 테 로지 활용, 평가), 평가 및 성 (학습 과정과 결 과에 대한 평가, 교육활동의 성과에 대한 평가) 등이다. 만족도의 세부 영 역은 학생 만족도(학습태도, 준비도, 몰입, 흥미,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경 제성, 참여 및 환경), 교사 만족도(기본적 이해, 학생의 학습에의 효과), 학 부모 만족도(기본적 이해, 부수적 효과,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도구는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 을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인 수준에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공통검증 설문도구와 세부검증 설문도구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공통검증 설문도구는 연구학교 운영 전반에 걸쳐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학생(21세기 학습 자 역량 26문항, 태도 4문항, 준비도 5문항, 몰입 4문항, 흥미 3문항, 도구 및 교수학습변화 6문항, 경제성 3문항, 참여 및 환경 3문항), 교사(21세기 교수자 역량 24문항, 이해도 13문항, 학습효과 13문항), 학부모(이해도 8문 항, 부수적 효과 5문항, 자녀의 학습 및 생활태도 만족도 9문항)대상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세부검증 설문도구는 범교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교과 공통 세부 문항(83문항)과 2014년 디지털교과서 적용 예정 교과인 사회 (155문항), 과학(184문항), 영어(208문항) 교과별 세부 문항을 개발하여 2014년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적용교과에 따라 검증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효과성 검증 도구를 이용하여 2013년 전국의 연구학 교 144개교 학생 7,838명, 교사 1,256명, 학부모 2,896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경우 21세기 학습자 역량인 창의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 전 영역에서 2년차 연구학교 학생들이 1년차 연구학교 학생들 보다 스스로의 역량을 높이 평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교육을 지 적으로 은 학생들일수 록, 스스로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이 향상 다고 인 하고 있다는 점을

크놀

념 배려 애 찰

더 속 받 되었 식

- 134 -


시사한다. 또한 학교 별로 학생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인 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으로 스스로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중학 교와 고등학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시와 어 의 지역별 차이에서는 도시지역 학생들이 어 학생들보다 학습자역량이 스스로 우수하다고 인 하고 있 다. 이는 로운 스마트기기나 환경을 상대적으 로 게, 이 할 수 있는 도시 학생들의 인 이 높게 나타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수별 차이를 보면 디지털교과서를 일주일에 6-10회 사용하는 집단이 일주일에 2-5회, 1회 미만 집단보다 학습자 역량 의 모 요인에서 스스로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를 이 사용할수록 스스 로 역량이 높다고 인 하는 것으로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의 설문결과를 분석해 보면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한 이 해 영역에서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21세기 학습자 역량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인 하고 있 다. 또한 스스로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인 에서도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인 하고 있 다. 나아가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에서도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학 습자와의 관계형성이 잘 고 있다고 인 하고 있 으며, 수업설계 및 평가, 성 영역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교사들의 설문결과에서 는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스스로의 역량에 대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 보다 높은 인 을 가지고 있음을 수 있다. 이는 연구학교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교원연수와 수업 연구 등을 통해 교사들이 변화 고 있다고 해석 수 있다. 셋째, 학생 만족도 측면에서 보면 지역별 만족도에서는 역량에 대한 인 의 결과와 달리 어 의 학생들이 도시 학생들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 였다. 이는 대도시의 학생들이 학원이나 사교육을 이 는 반면 어 학생들이 사교육의 기회가 적어 학교에서 지 는 스마트기기나 디지 털교과서를 교육에 적 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식 쉽 많 접

농산 촌 새

농산 촌

식 촌

농산 촌

많 받 급되

- 135 -

농산


넷째, 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및 학생 학습에의 효과에 관한 인식에서는 2년차 연구학교 교사들이 1년차 연구학교 교사들보다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부모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기본적 이해 및 부수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연구학교 운영 2년차 학교의 학부모들이 1년차 연구학교의 학부모들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연구학교가 진 행되면서 학부모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학 생들이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보게 되고,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인식하게 되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게 된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세부적인 설문문항 결과에서도 나타나는데, 디지 털교과서를 활용하면 다른 부교재 구입이 어들 수 있다고 생 한다는 문에 보통이다 이상이 90 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학 생, 교사, 학부모가 인 하는 교육효과와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이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항을 이용한 파일럿 테스트 결과는 으로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관련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이 수 있다. 파 일럿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 어진 효과성 검증 도구가 교육부, 시도교육 , 학교 단위에서 충분히 활용 수 있도록 이나 세미나 등을 통해 내하고 활용하도록 하여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다양한 결과가 도출 어 향후 정책 추진에 반영 어 한다. 둘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하여 가장 중요하게 나타 시사점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2년차 연구학교가 1년차 연구학교보다 정적인 반 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또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정책을 통한 교육이 학습자들의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진시 다는 부분에서 학생과 교사가 우 정적인 인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점은 현재 실시 하고 있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및 스마트교육의 위성과 지 성을 할 수 있는 거로 을 수 있다. 이는 현재 운영 고 있는 스마트교육과

청 안

독려 되

되 될

워크숍

되 야

먼저 응

매 긍 근

- 136 -

뒷받침


되 야 움 줄

디지털교과서의 정책이 지 적으로 추진 어 하며, 이를 통해 학교 교육 이 학생들의 미래대비 능력 증진에 도 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학생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 이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에 도 이 는 것으로 인 하고 있 다. 따 라서 지 의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 스마트교육의 방 향은 교육과정의 목표 도달에 중점을 는 것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협업기회를 제공하고 학생 자신 만의 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수업 설계를 통해 21세기 학습자 역량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정책 추진의 목표를 유지하여 한다. 째, 정보 와 로 용 스마트기기의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습용 스마트기기의 바른 선정 방향에 대한 내가 필요하다. 수 업 참관을 위해 방문한 학교의 교사, 학생의 대부분의 의 은 현재 학교에 서 사용하고 있는 패 형태의 스마트기기로는 문서를 성하고, 사진이나 비디 등을 집하는 등 수집된 자료나 정보를 이용하여 로운 자료를 만들기에 적 하지 아 학습에 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정보 생 학습 활동에 도 이 도록 보 및 마우스 사용이 용이한 트 이나 타 등의 스마트기기가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에 도 이 것이라는 의 이 있 다. 다 째, 디지털교과서 활용과 스마트교육에 있어서 교수자가 는 가 장 로사항은 바로 일대일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시 학생들의 기기를 동시에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및 스마트교 육의 효과적 확대를 위해서는 학습용 기기를 교육목적에 게 관리 및 통 제하는 로그 도입이 시 하고, 또한 이에 대한 활용 연수가 필요하다. 여 째, 교사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교사 자신의 역량과 스마트교육 및 디 지털교과서 활용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수업준비 가 들고 교육과정 수업목표 도달에 어 이 있다는 점을 부정적인 면으 로 제시하였다. 이는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해 테 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 하는 방법에 대한 교원역량강화 로그 개발과 연수가 필요함은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가 개발 어 제공 어 함을 시사한다. 또한 수업시 을 통해 정보 역기능 예방과 바른 스마트기기 사용에 관한 교육을 실

움 되

두 새

식 처럼 물론

컨슈머 프 슈머 올

견 작

편 합 않 불편 산 움 되 키 드 블렛 PC 될 견 었 섯 큰애 섯

프 램

노 북 더욱 움

느끼

긍 려움

프 램 되 되 야 올 - 137 -

크놀

물론


시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정적인 인 을 심어 수 있도록 해 한다. 마지 으로, 학부모의 경우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 이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기기의 역기능에 대 한 우 도 지 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 서에 대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수가 지 적으로 이 어 하며, 학 생들이 스마트기기를 학습에 바 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의 연 계교육이 필요하다.

식 긍 려 크 않

올 르

루 져야

본 연구에서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육의 목표가 ‘21세 기 학습자 역량 강화’에 있고 이를 바 으로 효과성 검증 도구를 개발한 것은 의미 있는 결과로 수 있다. 하지만 설문 도구를 활용함에 있어 인 에 대한 검증이라는 한계가 있고 역량에 대한 인 변화를 측정하기에 전후 비교나 비교 대상의 다양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의미 있게 활용하고 발전시 기 위해서 추후 이 어 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효과성 검증 도구를 활용하여 2014년도 전체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활용 효과성 분석 후 연 구가 진행 어 한다. 연구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학년초부터 학년 까지 지 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전, 후 비교 또는 비교반, 실 반 비교 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으로 효과성 분석이 이 어 한다. 둘째, 실 적인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

되 야

루 져야

루 져야

속 말

식 설문조사와 더불어 학습과정과 학습 산출물 평가, 관찰에 의한 역량 측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수업 전반에 걸쳐서 스마 서 개발한 인

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전략 및 도구 개발 이 필요하다. 셋째, 21세기 학습자 역량 신장을 위한 수업설계 교원역량강화

프로그램

되 야 한다. 21세기 교수자 역량 측정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전반적인 인식은 긍정적이지만 수업 준비가 어렵고 현 교육과정 학습 목표 도달에 대한 부담감을 호소하고 있다. 결국 이 개발 및 연수, 교수학습 자료가 제공 어

- 138 -


교사들이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수업을 할

때, 21세기 학습자 역량

포함된 수업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원역량개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여러 교과의 설문문항 개발 및 이를 자동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문항세트를 기반으로 하 신장과 학업 성 도 신장을 위한 전략이

여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성과(학습자의 21세기 역량

때 현장에서 쉽게 접근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시스템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강화)를 측정하고자 할

- 139 -


참고문헌 애 병노, 박정영. (2012).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 색 :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2), 283-303. 강정화. (2011).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 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정 강인 , 임

책연구, 9(5), 265-274.

곽병선, 강숙희, 김성은. (1997). 전자교과서 개발방안 연구 (I). 한국교과서 연구소 연구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0 별책7.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제 2009-41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교육과학기술부. (2011).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

교육부. (2012).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에 따른 교과서 개선 계획( )

안 발표.

교육부. (2013). ‘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디지털교과서

드: 교육자료 GM 2014-2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 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김소영. (2012). 소셜네트워크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8(4), 707-728. 김회수 외. (2012).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12-2 권성호 외. (2012). 스마트교육의 ‘좋은 수업’ 성공 요인 분석 연구, 연구보고 CR 2012-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금지헌, 손찬희, 이유리. (2012). 실과 환경 영역의 스마트교육 전략 활용 방안, 실과교육연구 18(4), 207-228. 활용 가이

- 140 -


노경희, 김병진, 이원희. (2011).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연구보고 CR 201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201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조건에 대한 탐 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9(2), 79-88.

노정민 외. (2013).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 –중등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13-6. 모경환. (2013). 창의인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 김영순, 모 경환 외. 사회과 창의 인성 수업 설계와 실제. 서울: 사회평론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이화선, 이지혜, 이미나, 이채호, 백수현, 윤지윤, 박은정, 석수경. (2011).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박병진, 박남기.(2002).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 업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초등교육연구, 15(1), 107-132.

박선주 외. (2006).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ICT활용능력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3), 299-306. 박성열, 임걸. (2012). 스마트 패드 활용수업 사례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캠 퍼스 구축 발전방향, 디지털정책연구 10(3), 1-12. 박수경. (2013). 스마트러닝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학습 만족도 분석.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34(7), 727-737. 박은미, 강순희. (2007).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25-234.

박제윤. (2013). 창의적 과학방법으로서 철학의 비판적 사고: 신경철학적 해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44-160.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박종윤, 유혜숙. (2001).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35-647.

- 141 -


닝 활성화를 위한 자기주도 학습 전략 연구. 평생

방선 . (2012). 스마트 러

학습사회, 8(1), 93-112.

:

방 통신위원회, 한국인터 진흥원 (2012). 스마트모바일 강국 실현 2012년 상반기 스마트

폰 이용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배선웅. (1997). 교감 중심의 수업장학이 수업자의 수업분위기 조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변호승, 서정희.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연구보고 CR 2008-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호승, 김재철, 송윤희, 이원희. (2010).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연구보고 CR 2010-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설문규, 손창익. (2012).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3), 309-318. 심숙영. (2010). 구성주의 교사 신념과 교사의 ICT 태도와 ICT 활용능력 관계. 아동과 권리, 14(1), 109-128.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 변

교육연구, 3(2), 47-70. 양미경. (2011).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교육방법연구, 23(2), 457-483.

숙 외. (2004).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Ⅲ): 연구보고 RR 2004-11. 한국교육개발원. 이광우 외.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 육과정 비전 연구 II: 연구보고 RRC 2008-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광우 외.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설계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근호 외. (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연구보고 RRC 201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유나, 이상수. (2009). 집단지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개념모형과 설계 유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4), 213-239. - 142 -


병노

외. (2011).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가이 라인 개발을 위한

이 사항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승빈. (2013). 교과서 자율발행 시금석. 대한교육신문, 2013년 11월 28일자

신문 기사

훈 김상홍. (2013).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임정 ,

19(1), 1-24.

훈 순 임희준, 박수연, 노태희. (1999).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67-376. 임정 , 한기 , 이지연. (2008). 교육심리학. 양서원.

성태제. (1998).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남정희, 최애란. (2012).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 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장경화,

32(7), 1099-1108.

윤희,

권 병오. (2004).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8(1),

하성 , 고

수준

39-51.

춘 희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 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4), 41-49. 전숙경. (2013). 대학 수업에서 전자미디어 활용과 소통의 질: 교직 과목 수 조재 , 임 석. (2012).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

강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1(3), 161-188.

천 홍석기. (2013).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스마트 소양 척 도 개발 연구.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14(6), 59-70. 정광훈, 안성훈, 노정민. (2012).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정립을 위한 조사 분석; 연구자료 RM 2012-3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우 ,

차경수, 모경환. (2008). 사회과교육. 동문사.

최현호. (2006). 초등도덕과 교육에서 배려윤리를 통한 정보윤리 함양 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1(22), 337-358. - 143 -


천세영

:

외. (2013). 스마트교육 정책 성과 지표 개발 연구 연구보고 KR 201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개발원 미래교육획위원회. (2011). 한국교육 미래비전. 학지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a). 디지털교과서 기술표준 기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R

M 2012-31

b).

2012년 스마트교육

채택 방안 및 심의

글로벌

:

동향 연구자료

포 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2013 KERIS 교육정보화 심 지

연구자료

M 20013-7 한종임, 오혜진, 김영숙. (2013).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 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학습 활동 개발. F orei gn R

허경철

Languages Education, 20(4), 175-210. 외. (1990). 사고력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Ⅳ:

개발연구( ) 연구보고

RR 90-17. 한국교육개발원.

허희옥 외. (2011).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21세기 교수-학습 활동 개발시리즈1: 연구보고 KR 2011-2. 한 국교육학술정보원.

홍기칠. (2009). 자기주도 학습력 수준에 따른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사고개 발, 5(2), 25-48.

Abd-El-Khalick, F. (2001). Embedd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courses: Abandoning scientism. J 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15–33. Albirini, A. (2006). Teachers'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ase of Syrian EFL teachers. Computers & Education, 47(4), 373-39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07). Atlas of science literacy. Washington, DC: AAAS. - 144 -


Anderson, M., & Messik, S. (1974). Social competency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0(2), 282-293. Angeli, C., & Valanides, N. (2009).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mputers & Education, 52(1), 154–168. Bachman, L. F.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Beeth, M. E. (1998). Teaching for conceptual changes: Using status as a metacognitive tool. Science Education, 82(3), 343–356. Blank, L. M. (2000). A metacognitive learning cycle: A better warranty for student understanding? Science Education, 84(4), 486–506. Bransford, J., Brown, A. L., &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Brown, J., & Isaacs, D. (2008). The world cafe: Awaken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mmitted action, In M. Tovey (Ed.).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ng a prosperous world at peace (pp. 47-54). Oakton, Virginia: Earth Intelligence Network. Butler-pascoe, M. E., & Wilburg, K. M. (2003). Technology and teaching Engli sh language learner 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 1–47. Chai, C.S., Koh, J.H.L, & Tsai, C.C. (2010). Facilitating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3(4), 63-73. - 145 -


Choi,

Lee, H., Shin, N., Kim, S.,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Crandall, J. (1999).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and affective factors. In J. Arnold (Ed.), Affect in language learning (pp. 226-24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illenbourg, p. (1999).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In p. Dillenbourg (Ed.), Collaborative-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pp. 1–9). Oxford: Elsevier.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Ellis, R. (2003).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isher, A., & Scriven, M. (1997) Critical thinking: Its definition and asse ssment. UK: Center for Research in Critical Thinking. Georghiades, p. (2004). Making pupils’ conceptions of electricity more durable by means of situated metacogn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85–9. Guzey, S.S. & Roehrig, G.H. (2009). Teaching science with technology: Case studies of scien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9(1), 25-45. Hodson, D. (2003). Time for action: Science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45–70. Intel® Teach Elements. 2014. 3. 14 검색 http://www.intel.co.kr/content/ www/kr/ko/education/k12/teach-elements.html Johnson, D. W., & Johnson, R. T. (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ies and research. Edina, MN: Interaction Books Co. K.,

- 146 -


Johnson, D. W., & Johnson, R. T. (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Boston: Allyn and Bacon. Jeong, M., Lee, J., & Kim, J. (2013). An analysis of learner interaction in Smart English educa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6(4), 39-65. Kagan, S. (1994). Cooperative learning. San Juan Capistrano, CA: Kagan Cooperative Learning.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Cambridge. Lee, H., Yoo, J., Choi, K., Kim, S.-W., K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Lévy, P. (1994). L'intelligence collective: pourune anthropologie de cyberspace. paris: La Découverte. 권수경 역(2002). 집단지성-사이 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서울, 문학과 지성사. Long, H. B. (1988).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theory. Athens, GA: University of Georgia. Matthews, M. R. (2007). Models in science and in science education: An introduction. Science & Education, 16, 647-652. Maxim, G. W.(2006). Dynamic social studies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pearson prentice Hall. Mayer, R. E. (2001). Resisting the assault on science: The case for evidence-based reasoning in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Re searcher, 30(7), 29–30. Moersch, C. (2002). Measures of success: Six instruments to assess teachers' use of technology.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30(3), 10-13. - 147 -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2013). Social studies for the next generation. Washington, DC: NCSS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Newmann, F. M.(1990). Higher order thinking in teaching social studies: A rationale for the assessment of classroom thoughtfulnes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 41-56. Newmann, F. M.(1991).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Overview of a study of sixteen high school department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9(1), 32-340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OECD press. Oxford, R., & Ehrman, M. (1993). Second language research on individual differences. Annual Revie w of Applied Linguistics, 13, 188-205.

P21(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2009). A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Washington, DC: p21. P21(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2013). Remaining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 A call to action for policymakers and educators. Washington, DC: p21. http://www.p21.org/our-work/citizenship Patrick, H., Hicks, L., & Ryan, A. M. (1997). Relations of perceived social effacy and social group pursuit to self-efficacy for acadimic work.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7(2), 109-128. Paul, R., & Elder, L. (2006). The international critical thinking reading

& writing test: H ow to assess close reading and substantive writing. Tomales, CA: The Foundation for Critical Thinking.

h W. M. (2003). Scientific literacy as an emergent feature of collective human praxi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1), 9–23.

Rot ,

- 148 -


hmidt, D.A., Baran, E., Thompson, A.D., Mishra, p., Koehler, M.J., & Shin, T.S. (2009).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2), 123-149. Slavin, R. E.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Smith H. M., & Betz, N. E.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of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8(3), 283-301. Surowiecki, J. (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Thomas, G. p. (2003). Conceptualis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The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scale-science (MOLES-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6(2), 175–197. Williams, D., Coles, L., Wilson, K., Richardson, A., & Tuson, J. (2006). Teachers and ICT: Current use and future need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4), 307-320. Willis, J., & Willis, D. (1996). Challenge and change in language teaching. Oxford: Heinemann. Sc

- 149 -


ABSTRACT

Development of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Focused on Pilot Schools m J g g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n, Sungwan(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n, Jongim(Ewha Womans University) Mo, Kyunghwan(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Hyunju(Ewha Womans University) Kim, Yongshin(G.E.T.21) Kim, Soohwan(Chongshin University) Kim, Sanghong(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 , eon ran (

The paradigm of twenty-first century society first shifted from analog to digital but has now shifted from digital to smart. In the digital and analog eras, we needed inventors, developers, and innovators, but with the paradigm shift, we no longer need them; we need creators. (Future Education Planning Committee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Based on this educational climat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cognized smart education as the driving power for the innov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Promotion Strategy for Smart Education 2011.’ - This initiative is seen as the way to empower the most important talent in the world, students. Indeed, smart education will develop crucial future competencies such as - 150 -


y

b ms g b y m g h s M s y f u T h gy T hs g x b ks u m Th s w bu su y m s su h su y ff x u s u s su h s g ss s mu m m s ss ssm qu s s m u s g x b ks w su m s fy w h h x s g u u ums m s f wh h s y us x b ks As f Th M s y f u s g g x b ks sm u h subj s f s s u s s g sh f s u s g m y sh h ugh g f h gh s h s f sh ss s u y bs u h ff y f fu u sh f sm u g x b ks

creativit and pro le - olvin capa ilit , a on ot er ( ini tr o Ed cation and Science ec nolo , 2011). o t i end, di ital te t oo are nder develop ent. e e ill add a ndant t d aterial , pport in-dept , critical t d , and o er parate t al re o rce c a lo arie , lti edia aterial , a e ent e tion . S art ed cation’ di ital te t oo ill, pple ent and inten i relevant content it in t e e i tin c rric l , o t o ic pre entl e paper te t oo . o 2014, e ini tr o Ed cation i pilotin di ital te t oo and art ed cation in t e ect o ocial t die , cience, and En li or t dent in 3rd rade in ele entar c ool t ro 2nd rade o i c ool enrolled in peci ic pilot c ool o a to provide an opport nit to o erve and eval ate t e e icac o a t re i t t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tool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digital textbooks and smart education, as well as to monitor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itself as it is implemented by the pilot schools. For this, the tools necessary were develop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mart education and the efficacy of digital textbooks as they are implemented by the pilot schools, of which there are 144 (76 elementary and 68 secondary). Second, 1,256 teachers, 7,838 students, and 2,896 parents from the various pilot schools were surveyed regarding the employment of smart education and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Third and finally, through the use of the analyzed results and broad-based opinion surveys, future policy direction can be determin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irst reviewed the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n we analyzed research conducted by other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ERIS. Furthermore, we - 151 -


u u w hs su x s bs ss s w m mb s f f us g u s m wh y mk s f m h M s y f u Fs f h ugh u y w u m gs w h h M s y f u w f h bj f sm u g x b ks u z s m h s u y sk s W h h s u h ff ss f sm u g x b k u z wh h w f f s ss s u y sk s f s f h qu s b s; f s uy h m s f s f h qu s b s; s h s su h s sf f s h f s h ugh qu s s Th qu s sw w h ff s Th f s qu s w s us ss ss s f sh s h s Th s s f qu s s subj s O su y s b u subj s wh s h h qu s s su y s f subj s su h s s su s g sh Th s u qu s u : s u y sk s qu s s u qu s s ss qu s s Th h qu s u : s uy h sk s u s g qu s s g ff ss qu s s Th qu s u : u s g qu s s y ff su m y u qu s s Th f s qu s f m h s s ss f qu s s u g h ff ss f s u f g subj Th h qu s sf m h s s su y s f subj s u g f us s su s qu s s f us s qu s s f us s g sh Th f s qu s w s us bu h s subj s f qu s s m y b us by h sh s

cond cted a literat re revie in t i area, con lted e pert , o erved cla e , intervie ed e er o oc ro p , and et it polic a er ro t e ini tr o Ed cation and KERIS. ir t o all, t ro o r polic revie and o r eetin it t e ini tr o Ed cation and KERIS, e clari ied t e o ective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tili ation i to ‘i prove t e 21 t cent r ill .’ e t en developed t e tool to eval ate t e e ectivene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tili ation, ic ere an identi ication o 1) even e ential 21 t cent r ill , de inition o eac , and prere i ite a ilitie 2) ive 21 t cent r teac er co petencie , de inition o eac , and prere i ite a ilitie 3) pilot c ool ’ t dent, teac er, and parent ati action and de inition t ereo , a indicated t ro e tionnaire . e e tionnaire ere developed it di erent intention . e ir t e tionnaire a ed to a e a peci ic pilot c ool’ oli tic operation. e econd et o e tionnaire polled ect area concern . ne rve ed opinion a o t all ect erea t e ot er e tionnaire rve ed peci ic ect area c a ocial t died, cience, and En li . e t dent e tionnaire incl ded 21 t cent r ill - 26 e tion , attit de - 4 e tion , and preparedne 5 e tion . e teac er e tionnaire incl ded 21 t cent r teac er ill - 24, nder tandin - 13 e tion , and learnin e ectivene 13 e tion . e parent e tionnaire incl ded nder tandin - 8 e tion , polic e ect on private pple entar ed cation - 5 e tion . e ir t e tionnaire ro t e econd et con i ted o 83 e tion eval atin t e e ectivene o in tr ction o a iven ect. e ot er e tionnaire ro t e econd et rve ed peci ic ect , incl din one oc ed on ocial t die (155 e tion ), one oc ed on cience (184 e tion ), and one oc e on En li (208). e ir t e tionnaire a ed in 2013, t t e e ect- peci ic e tionnaire a e ed t e pilot c ool in 2014. - 152 -


x

h ss b y f g h sw w su y s h s m m g sm u g xb k s w s su s h s s Th su s s f ws: F s h su s sh w h s u s s h s wh w y s f sm u g x b ks h b us s s y y h m s m g wh s f s u y sk s wh h u y h k g b m s g mmu b CT y sf g b y bs h s h h s hs sm sh s wh w y s f sm u g x b ks h b us s s y y f h h h g m s s u y sk s h m Th h s f su s g hs sh s s b h s u s us g g x b ks g sm u qu ss su m y u P s f su s g w y s f su h s h s sh w g u s g f hs u y f ms m s f gs w s h m Bs u s h w m k h f w g mm s g g sm u y h u z f g x b ks: Th ys s f u s su s sh s m s s h h ms m k wy s h g s s ss w fu s h s wh w y s fm m h k A y sm u g x b k f ms s s ym s u s s u y sk s h s s m ss s f h s f ms w h ugh u s h Th s su s h m s h hs s jus f mus u b m m Th ugh sm u g xb k u z ub s h u w m u su s w b b f h fu u

In order to e plore t e po i ilit o adaptin t e tool e developed, e rve ed 144 pilot c ool i ple entin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 a ell a 7,838 t dent , 1,256 teac er , and 2,896 parent . e re lt are a ollo ir t, t e re lt o t at t dent in pilot c ool ere t o ear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ave een ed, a oppo ed to onl one ear, ave de on trated ore ro t in all area o 21 t cent r ill , ic incl de creativit and innovation, critical t in in and pro le olvin , co nication, colla oration, I literac , el -directed learnin , and adapta ilit .. Second, a ed on t e re earc , teac er at t e e a e pilot c ool ere t o ear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ave een ed, a oppo ed to onl one ear, eel t at t eir teac in co petencie in 21 t cent r ill ave i proved. ird, t e parent o t dent attendin t e e pilot c ool al o elieve t at t dent in di ital te t oo and receivin art ed cation re ire le pple entar private ed cation. arent o t dent receivin t o ear o in tr ction at t e pilot c ool o a reater nder tandin o t e e ed cational polic re or and ore po itive eelin to ard t e . a ed on o r re earc , e a e t e ollo in reco endation re ardin art ed cation polic and t e tili ation o di ital te t oo 1. e anal i o o r te t re lt at pilot c ool de on trate t at t e o t i portant ta ea a i t at reater po itive re pon e ere o nd at pilot c ool ere t o ear , not one, o i ple entation ave ta en place. dditionall ,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re or tati ticall i proved t dent ’ 21 t cent r ill , and teac er ’ po itive i pre ion o t e e re or ere evident t ro o r re earc . e e re lt , t en, de on trate t at t e e policie are ti ied and t contin e to e i ple ented. r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tili ation, p lic c ool ed cation ill a eliorate, and o r t dent ill e etter prepared or t e t re. - 153 -


Bs h s b shm g h u y sk us f

su s g m y sh u b w s h f f ss m uss m u s su sg m s f m g s s u g su s s u y sk s h ff h gy h s u f h s sk s h g s b f s f m h x s f sm u g xb k u z f ss m uss g w s ss m m g m b s u s us sm s u y y w h g s w s h ms s h ss m T h s h s g s m g hs s u b s h gh qu y u m gfu gu h su s F y us h s w m ff y g h g qu y w sugg s h x s f s h u sm u g xb k sh s u g h m y h s w y qu b u h g ss f s u s s u y sk s h s s u m s s m ss f h s u f ms m y b g h k h qu s h qu ss ssm s m h g s su h s ss m bs s ss ssm s f g f m h ugh ub s h k ss ss y m su h m f s u y sk s C mb g h s w m h g s h w h s w f sm u g xb k u z

2. a ed on t e re lt , overn ent polic o ld e directed to ard t e e ta li ent o pro e ional develop ent co r e ai ed at c ltivatin teac er ’ in tr ctional de i n co petencie or i provin 21 t cent r ill , eval atin t dent ’ 21 t cent r ill , and t e e ective e o tec nolo in t e in tr ction o t e e ill . 3. In order to reap t e reate t ene it ro t e e pan ion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tili ation, pro e ional develop ent co r e eared to ard cla roo ana e ent need to e developed. Since t dent e art device individ all and independentl , ne c allen e ill pre ent t e elve in t e cla roo . eac er , t en, need trate ie to iti ate t e e in tr ctional arrier in order to provide i - alit ed cation and eanin l idance to t eir t dent . 4. inall , to e t e tool e developed ore e ectivel and at er a reater antit data, e e t t e e pan ion o re earc to incl de all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pilot c ool d rin t e 2014 acade ic ear. In t i a , antitative data a o t t e pro re ion o t dent ’ 21 t cent r ill , teac er ’ in tr ctional co petencie , and parent ’ i pre ion o t e e ed cational re or a e at ered and trac ed. In addition to t e antitative re earc , alitative a e ent tool and et odolo ie , c a cla roo o ervation and a e ent o learnin per or ance t ro r ric and c ec li t , are nece ar in order to ea re t e develop ent o 21 t cent r ill . o inin t e e t o et odolo ie , t en, ill provide a oli tic vie o art ed cation and di ital te t oo tili ation.

- 154 -


1. 교과 공통 세부문항 2. 사회과 세부문항 3. 과학과 세부문항 4. 영어과 세부문항 5. 전국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현황(2013) 6. 전국 디지털교과서 교육 연구학교 현황(2013) 7. 질적 연구를 위한 수업 분석지 8. 2013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현황 분석(초, 중학교)

- 155 -



<부록 1> 교과 공통 세부문항

창의력과 혁신 능력(Creativity and Innovation):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1.1 상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시 1. 나는 학습을 할 때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편이다. 2. 나는 다른 친구들이 인정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잘 제안하는 편이다. 1.2 독창성: 기존의 생각과 다른 아이디어 개발 1.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내 아이디어를 재구성할 수 있다. 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3. 나는 주어진 문제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1.3 유용성: 실제 적용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 1.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현실적인 대안을 제안할 수 있다. 2. 나는 실제로 적용(또는 구현)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 한다. 3. 내가 제안하는 문제해결 방안은 실생활에 적용 가능하다. 1.4 도전성: 실패를 배우는 기회로 보고, 불가능에 도전하려는 태도 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때 실패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편이다. 2.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인내와 끈 기를 가지고 노력한다. 3. 나는 실패도 성공만큼 중요하게 여기며 문제를 해결한다. 4. 나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1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 1. 나는 문제 분석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고 구체화할 수 있다. 2. 나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말할 수 있다. 3. 나는 실생활에서 탐구할 만한 현상이나 문제들을 찾을 수 있다. 4. 나는 주어진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

- 157 -


2.2 비판적 사고: 주어진 정보와 조건을 분석, 평가 1.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들이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지를 따져본다. 2. 나는 찾아낸 정보들이 문제 해결에 얼마나 필요하고 쓸모 있는 지를 따져 본다. 3. 나는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절한 것인지를 서로 비교 하여 본다. 4. 나는 다양하게 제시된 아이디어 중 가장 타당한 것을 고를 수 있다. 2.3 해결 방안 적용: 최적 해결 방안 선택, 적용 1.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다양한 해결책을 생각해 본다. 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다른 교과의 지식도 함께 적용해보기 위해 노력한다. 3. 나는 여러 문제해결 방법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우선순 위로 정한다. 4. 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들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예상해 본다.

2.4 반성적 사고(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전반에 대한 반성 활동 1. 나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2.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를 반성해본다. 3.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내가 사용한 방법이 적절했는지 반성해본다. 4. 나는 문제해결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들어본다.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생각, 감정, 의견 등을 효과적으로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 3.1 표현: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 1. 나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말과 글로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2.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때 타당한 근거를 논리적으로 제 시할 수 있다. 3.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언어뿐 아니라 표정이나 몸짓 등을 사용 하여 표현할 수 있다. 4.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 

할 수 있다.

- 158 -


3.2 경청과 이해: 다른 사람들의 말과 글의 의미 파악 1. 나는 상대방 이야기에 담겨있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울인다. 2. 나는 다른 사람의 말과 글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다. 3. 나는 표와 그래프, 그림 등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3.3. 상호작용: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 1. 나는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2. 나는 의사소통할 때 독자 혹은 청중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다. 3. 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 및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협업 능력(Collaboration): 문제 해결, 새로운 산출물 창출, 학습 및 숙련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 4.1 개인적 책임감: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맡은 임 무를 최선을 다해 완수 1.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과 상의해서 역할을 분담한다. 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책임에 대해 명확히 이해 하려고 노력한다. 3. 나는 우리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가 맡은 책임을 다한다. 4.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의 목적 달성을 우선 

시 한다.

4.2 상호존중: 팀원의 공헌을 믿고 인정하며, 협력과정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짐 1. 나는 상대방의 주장을 비판하기보다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각각의 조원이 기여한 바를 인정해 준다. 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협력적인 분위기를 위해 노력한다. 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모든 의견에 대해 존중하고, 갈등은 토 론과 합의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4.3 공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기술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 1.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159 -


2. 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체를 활용하여 지 과 정보를 공유한다. 3. 나는 과제를 함 수행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을 주고 는다. 4. 나는 과제를 함 수행할 조원들 리 서로 도 을 주 고 력 한다.

드백

께 받 께

때 때

려 노

정보활용능력(ICT Literacy): 정보의 수집, 해석, 활용, 창조를 위하여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1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하고, 새로운 정보 창출 1. 나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2. 나는 문제해결에 적절한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다. 3. 나는 수집한 정보를 기준을 세워 분류할 수 있다. 4. 나는 학습을 위해 수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5. 나는 내가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5.2 미디어 리터러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 활용 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2.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나는 과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5.3 정보 윤리: 정보를 접근하고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이고 법적인 이슈들과 관련된 개념 이해 1. 나는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이미지, 아이디어를 사용할 때 그 출처를 밝힌다. 2.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내말로 바꾸어 쓴다. 3. 나는 다른 사람들의 저작권을 침해할 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알고 있다. 4. 나는 온라인상에서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근거 없이 공격하지 않는다. 수

- 160 -


자기주도학습력(Self-Direction):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수행하고 결정하여 진행하는 능력 6.1 계획: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 1. 나는 학습할 때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할 수 있다. 2. 나는 학습 계획을 세울 때 시간과 분량을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3. 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계획을 세울 수 있다. 4. 나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기능별로 학습 전략을 세우고 학습한다. 5. 나는 내 실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단계별 목표를 

설정한다.

6.2 의사결정: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며 우선 순위를 결정 1. 나는 학습할 때 우선순위를 세우고 중요한 것부터 공부한다. 2. 나는 학습할 때 중요한 내용이 무엇일까를 계속 생각하면서 공부한다. 3. 나는 학습의 핵심 내용과 중요한 부분을 구별해서 메모하고 밑줄 긋기를 할 수 있다. 4. 나는 공부할 때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서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6.3 자기성찰: 자신이 수행해 온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활용 1. 나는 학습 결과를 내가 정한 목표 수준과 비교한다. 2.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 한다. 3.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 한다. 4.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방법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 한다. 5. 나는 나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학습을 잘할 수 있는 방법 을 생각해본다.

- 161 -


유연성(Flexibility):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 하고 이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 7.1 변화관리: 다양한 역할, 상황, 일정의 변화를 이해, 대응 1. 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다양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나는 미래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7.2 모호함에 대한 포용: 분명하지 않고 변하기 쉬운 사건, 상황을 받 아들이고, 효과적으로 수행 1. 나는 미래 사회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나는 분명하지 않고 변화하는 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다. 3. 나는 불분명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4. 나는 우리 사회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점차 발전해간다고 생각한다. 7.3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수용: 다양한 문화, 관점, 신념을 이해 및 수용 1. 나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며 모든 문화는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2. 나는 나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귀담 아 듣는다. 3. 나는 다양한 생각과 관점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 

- 162 -


<부록 2> 사회과 세부문항

1. 창의력과 혁신능력(Creativity and Innovation):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1.1 상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시 1.1.1. 나는 학습을 할 때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편이다. 1.1.2. 나는 다른 친구들이 인정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잘 제안하는 편이다. 1.1.3. 나는 사회문제의 발생 원인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해보는 편이다. 1.1.4. 나는 사회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1.1.5. 나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수집한 자료에 대해서 새로운 해 석을 제시하는 편이다. 1.1.6. 사회문제는 다양한 의견들이 모일수록 더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1.2 독창성: 기존의 생각과 다른 아이디어 개발 1.2.1.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내 아이디어를 재구성할 수 있다. 1.2.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1.2.3. 나는 주어진 문제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 해 노력한다. 1.2.4. 나는 사회현상에 대해 새로운 설명을 제시할 수 있다. 1.2.5. 나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수 있다. 1.2.6. 나는 사회 현상이나 역사적 사건을 나의 시각에서 해석하여 표 현할 수 있다.

1.3 유용성: 실제 적용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 1.3.1.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현실적인 대안을 제안할 수 있다. 1.3.2. 나는 실제로 적용(또는 구현)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1.3.3. 내가 제안하는 문제해결 방안은 실생활에 적용 가능하다. 1.3.4. 나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한다. - 163 -


접했 때, 그 문제와 관련된 사람들의 입장 때 내 생각의 한계점을 파악하려고 노

1.3.5. 나는 사회 문제를 을 에서 본다. 1.3.6. 나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력한다.

1.4 도전성: 실패를 배우는 기회로 보고, 불가능에 도전하려는 태도 1.4.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때 실패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편이다. 1.4.2.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노력한다. 1.4.3. 나는 실패도 성공만큼 중요하게 여기며 문제를 해결한다. 1.4.4. 나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1.4.5.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아무리 어려워도 도전하고 노력한다. 1.4.6.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해결 방법을 계속 찾아본다. 1.4.7. 나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사회 지식이 발달한다고 생각한다. 2.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1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 2.1.1. 나는 문제 분석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고 구체화할 수 2.1.2. 2.1.3. 2.1.4. 2.1.5. 2.1.6. 2.1.7.

있다. 나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 할 일을 할 수 있다. 나는 실생활에서 탐구할 만한 현상이나 문제들을 을 수 있다. 나는 주어진 문제를 다양한 시 에서 파 할 수 있다. 나는 주어진 사회 문제에 대해 정확하게 파 하 고 력한다.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구분하여 할 수 있다. 나는 주어진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해 할 일을 할 수 있다.

- 164 -

찾 악 악 려 노 말 야


2.2 비판적 사고: 주어진 정보와 조건을 분석, 평가 2.2.1.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들이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지를 따져본다. 2.2.2. 나는 찾아낸 정보들이 문제 해결에 얼마나 필요하고 쓸모 있는 지를 따져 본다. 2.2.3. 나는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절한 것인지를 서로 비교하여 본다. 2.2.4. 나는 다양하게 제시된 아이디어 중 가장 타당한 것을 고를 수 있다. 2.2.5.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2.2.6.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에서 사실에 관한 주장과 가 에 관한 주장을 구분할 수 있다. 2.2.7.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에서 리적인 나 을 아낼 수 있다.

찾 2.3 해결 방안 적용: 최적 해결 방안 선택, 적용

오류 편견 각

2.3.1.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다양한 해결책을 생 해 본다. 2.3.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다른 교과의 지 도 함 적용해보기 위해 력한다. 2.3.3. 나는 여러 문제해결 방법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 는 것을 우 선 위로 정한다. 2.3.4. 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들이 미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예 상해본다. 2.3.5. 나는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들의 장점과 단점을 일 정한 기준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2.3.6.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 중에서 선의 것을 선 할 수 있다.

께 각되

택 2.4 반성적 사고(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전반에 대한 반성 활동 2.4.1. 나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2.4.2.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를 반성해본다. - 165 -


절했 람 떻

2.4.3. 나는 문제를 해결한 , 사용된 방법이 적 는지 반성해본다. 2.4.4. 나는 문제해결 결과에 대해 다른 사 들이 어 게 생 하고 있 는지 아본다. 2.4.5.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한 , 내가 문제의 심을 제대로 파 하고 있 는지 아본다. 2.4.6.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한 , 내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가 적 는지를 반성해 본다. 2.4.7. 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을 는지 나 자신에게 어본다. 2.4.8. 나는 주어진 사회문제의 해결과정에서 부족한 점이 이 는 지 반성해본다.

뒤 핵 었 되돌 뒤 절했 난 뒤 무엇 배웠

무엇 었

3.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생각, 감정, 의견 등을 효과적으로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 3.1. 표현 :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 3.1.1. 나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말과 글로 분명하게 표현할 3.1.2. 3.1.3. 3.1.4. 3.1.5.

수 있다. 나는 나의 생 과 의 을 표현할 타 한 거를 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나는 나의 생 과 의 을 어 아 라 표정이나 등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나는 나의 생 과 의 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는 주장을 할 타 한 거를 들어서 설 력 있게 표현할 수 있다. 나는 의 을 표현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선 할 수 있다. 나는 하고 은 내용을 조리 있게 표현할 수 있다.

각 각 각

견 때 당 근 논 견 언 뿐 니 몸짓 견 때 당 근 득 때 택

견 말 싶 3.2. 경청과 이해: 다른 사람들의 말과 글의 의미 파악 3.2.1. 나는 상대방 이야기에 담겨있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 울인다. 3.2.2. 나는 다른 사람의 말과 글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다. 3.1.6. 3.1.7.

- 166 -


프 림 때 각 귀 울 람 견 듣 야 더 몸짓 깊 살펴 3.3. 상호작용: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 3.3.1. 나는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3.3.2. 나는 의사소통할 때 독자 혹은 청중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다. 3.3.3. 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 및 도구를 활용 할 수 있다. 3.3.4. 나는 사회문제에 대해 토론할 때 상대방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다. 3.3.5. 나는 사회 문제에 대하여 내 의견과는 다른 다양한 의견을 들 으려 한다. 3.3.6. 나는 토론할 때 상대방이 나의 말을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 해 본다. 3.2.7. 나는 사회문제에 대한 토론에서 상대방의 의견을 비판할 때라도 그 사람 자신을 공격하지는 않는다. 4. 협업 능력(Collaboration): 문제 해결, 새로운 산출물 창출, 학습 및 숙련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 4.1 개인적 책임감: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맡은 임 무를 최선을 다하여 완수한다. 4.1.1.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과 상의해서 역할을 분담한다. 4.1.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책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1.3. 나는 우리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가 맡은 책임을 다한다. 4.1.4.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의 목적 달성을 우선시 한다. 4.1.5.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4.1.6.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일은 반드시 끝내려고 3.2.3. 3.2.4. 3.2.5. 3.2.6.

나는 나는 나는 나는

표와 그래 , 그 등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대화를 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 하며 를 기 인다. 사회 문제에 대해 다른 사 의 의 을 존중하며 는다. 상대방의 이 기를 잘 이해하기 위해 표정이나 목소리, 도 주의 게 본다.

한다.

- 167 -


때, 내가 맡은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면 그에 려 노력한다. 4.2 상호존중: 팀원의 공헌을 믿고 인정하며, 협력과정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진다. 4.2.1. 나는 상대방의 주장을 비판하기보다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2.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각각의 조원이 기여한 바를 인 정해준다. 4.2.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협력적인 분위기를 위해 노력한다. 4.2.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모든 의견에 대해 존중하고, 갈등은 토론과 합의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4.2.5.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때 다른 사람의 의견이 나와 다르더 라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존중한다. 4.2.6. 나는 사회 수업에서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혼자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한다. 4.2.7. 나는 사회 수업에서 우리 조원들의 서로 다른 의견들이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4.3 공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기술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4.3.1.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3.2. 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 식과 정보를 공유한다. 4.3.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4.3.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조원들끼리 서로 도움을 주려고 노력한다. 4.3.5. 주어진 사회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지식이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4.3.6. 나는 사회 수업에서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 내 사회 지식을 넓히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4.1.7. 나는 과제를 수행할 대한 책임을 지 고

- 168 -


5. 정보활용능력(ICT Literacy): 정보의 수집, 분석, 활용, 창조를 위하여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1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 5.1.1. 나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5.1.2. 나는 문제해결에 적절한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1.3. 나는 수집한 정보를 기준을 세워 분류할 수 있다. 5.1.4. 나는 학습을 위해 수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5.1.5. 나는 내가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5.1.6.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온라인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1.7.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정보를 수집한 후 정보의 정확성을 평 가하여 활용한다. 5.1.8.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여 그래 나 도표를 만들어 관리한다.

5.2 미디어 리터리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 활용 5.2.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5.2.2.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5.2.3. 나는 과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5.2.4.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사회문제에 대한 정보를 비판적 으로 이해할 수 있다. 5.2.5. 나는 사회 학습에 도움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활용한다. 5.2.6. 나는 신문, TV, 인터넷 등에서 정보를 수집할 때 각 매체가 가 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알고 있다. 5.2.7.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온라인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 169 -


5.3 정보 윤리: 정보를 접근하고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이고 법적인 이슈들과 관련된 개념 이해 5.3.1. 나는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이미지, 아이디어를 사용할 때 그 출처를 밝힌다. 5.3.2.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내말로 바꾸어 쓴다. 5.3.3. 나는 다른 사람들의 저작권을 침해할 때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점들에 대해 알고 있다. 5.3.4. 나는 온라인상에서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근거 없이 공격하지 않는다. 5.3.5. 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때 저작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5.3.6. 나는 온라인에서 지켜야 할 예절(네티켓)에 대해 알고 있다. 5.3.7. 나는 연구를 수행할 때 지켜야 하는 윤리에 대해서 알고 있다. 5.3.8. 나는 내가 작성한 사회 보고서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아야 한 다고 생각한다. 6. 자기주도학습력(Self-Direction):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수행하고 결정하여 진행하는 능력 6.1 계획: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 6.1.1. 나는 학습할 때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할 수 있다. 6.1.2. 나는 학습 계획을 세울 때 시간과 분량을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6.1.3. 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계획을 세울 수 있다. 6.1.4. 나는 나에게 가장 효과적인 사회 학습 방법에 대해 알고 있다. 6.1.5. 나는 사회 학습 계획을 스스로 수립하고 공부한다. 6.1.6. 나는 사회 학습에 대한 나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학습 계 획을 세운다.

- 170 -


6.2 의사결정: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며 우선순위를 결정 6.2.1. 나는 학습할 때 우선순위를 세우고 중요한 것부터 공부한다. 6.2.2. 나는 학습할 때 중요한 내용이 무엇일까를 계속 생각하면서 공부 한다. 6.2.3. 나는 학습의 핵심 내용과 중요한 부분을 구별해서 메모하고 밑줄 긋기를 할 수 있다. 6.2.4. 나는 공부할 때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서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6.2.5.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내가 세운 계획에 따라 공부를 진행한다. 6.2.6. 나는 사회 학습을 할 다른 사 의 도 이도 스스로 단 하고 결정하여 학습 계획을 세 수 있다. 6.2.7. 나는 사회 학습을 위해 필요한 준비 이나 학습 자료를 누가 시 지 아도 스스로 준비한다.

움없

키 않 6.3 자기성찰: 자신이 수행해 온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활용 6.3.1. 나는 학습 결과를 내가 정한 목표 수준과 비교한다. 6.3.2.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3.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4.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방법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5. 나는 나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학습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6.3.6. 나는 사회 성적이나 사회 학습 결과를 미리 정해놓은 목표와 비교해본다. 6.3.7. 나는 사회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는 그 원인을 스스로 점검해 본다. 6.3.8. 나는 사회 학습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칠 때는 학습 계획을 수정 한다.

- 171 -


7. 유연성(Flexibility):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 7.1 변화관리: 다양한 역할, 상황, 일정의 변화를 이해, 대응 7.1.1.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다양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7.1.2. 미래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7.1.3. 나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7.1.4. 나는 내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들 간에 갈등이 일어날 때 잘 처 리할 수 있다. 7.1.5. 나는 일정이 변할 때 이를 이해하고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다. 7.2 모호함에 대한 포용: 분명하지 않고 변하기 쉬운 사건, 상황을 받아 들이고, 효과적으로 수행 7.2.1. 나는 미래 사회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7.2.2. 나는 분명하지 않고 변화하는 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다. 7.2.3. 나는 불분명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2.4. 나는 우리 사회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점차 발전해간다고 생각 한다. 7.2.5. 나는 모두가 동의하는 해결책을 찾기가 어려운 사회 문제도 있다고 생각한다. 7.2.6. 나는 사회 수업에서 복잡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을 즐기는 편 이다. 7.2.7. 나는 사회문제에 대해 해결책이 시대나 상 에 따라 변할 수 있 다고 생 한다.

- 172 -


7.3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수용: 다양한 문화, 관점, 신념을 이해 및 수용 7.3.1. 나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며 모든 문화는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7.3.2. 나는 나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귀담아 듣는다. 7.3.3. 나는 다양한 생각과 관점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라고 생각한다. 7.3.4. 나는 다양한 의견이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편이다. 7.3.5. 나는 원칙적으로 다수결을 존중하지만 소수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인다. 7.3.6. 나는 다른 사람의 비판을 존중하며, 타당하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수용한다.

- 173 -


<부록 3> 과학과 세부문항

1. 창의력과 혁신능력(Creativity and Innovation):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1.1 상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시 1.1.1. 나는 학습을 할 때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편이다. 1.1.2. 나는 다른 친구들이 인정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잘 제안하는 편이다. 1.1.3. 나는 새로운 과학 현상을 발견하면, 그 현상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해보는 편이다. 1.1.4. 나는 원자나 분자와 같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념을 배우 면, 머릿속에 그것에 대한 그림을 상상하여 그려보는 편이다. 1.1.5. 나는 과학 개념을 배울 때, 그림이나 이미지로 시각화해보는 편 이다. 1.1.6. 나는 과학 문제를 해결할 때, 다양한 가설을 세워보는 편이다. 1.1.7. 나는 과학 문제를 해결할 때, 다양한 실험방법을 생각해보는 편 이다. 1.1.8. 나는 과학 문제를 해결할 때, 자료를 다양하게 해석해보는 편이다. 1.2 독창성: 기존의 생각과 다른 아이디어 개발 1.2.1.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내 아이디어를 재구성할 수 있다. 1.2.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1.2.3. 나는 주어진 문제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1.2.4. 나는 과학적 근거를 갖고 기존과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 하려고 노력한다. 1.2.5. 나는 예상치 못한 결과 속에서 새로운 탐구 문제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1.2.6. 나는 과학학습을 할 때, 다른 교과에서 학습한 내용과 관련지으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 174 -


1.3 유용성: 실제 적용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 1.3.1.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현실적인 대안을 제안할 수 있다. 1.3.2. 나는 실제로 적용(또는 구현)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1.3.3. 내가 제안하는 문제해결 방안은 실생활에 적용 가능하다. 1.3.4. 나는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것인지를 고려해 본다. 1.3.5. 나는 내가 제시한 아이디어가 갖고 있는 장점과 한계점을 파악 하려고 노력한다. 1.3.6. 나는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변인(요인)들을 함께 고려하면서 아이디어를 제시하려고 노력한다. 1.3.7. 내가 제안하는 문제 해결 방안은 가치 있고 유용한 편이다. 1.4 도전성: 실패를 배우는 기회로 보고, 불가능에 도전하려는 태도 1.4.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때 실패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편이다. 1.4.2.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노력한다. 1.4.3. 나는 실패도 성공만큼 중요하게 여기며 문제를 해결한다. 1.4.4. 나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1.4.5. 나는 과학시간에 다소 어려운 과제라도 도전해 보는 것을 좋아 한다. 1.4.6. 나는 과학 실험(과제)을 수행할 때 실패하더라도 더 나은 결과를 얻을 때까지 다시 도전하는 편이다. 1.4.7. 나는 잘 해결되지 않는 과학 문제가 있을 때, 여러 가지 참고자 료들을 활용하여 끝까지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1.4.8. 나는 과학자들도 많은 실패 속에서 끊임없이 도전하면서 위대한 발견을 이루어냈다고 생각한다.

- 175 -


2.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1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 2.1.1. 나는 문제 분석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고 구체화할 수 있다. 2.1.2. 나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말할 수 있다. 2.1.3. 나는 실생활에서 탐구할 만한 현상이나 문제들을 찾을 수 있다. 2.1.4. 나는 주어진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2.1.5. 나는 과학적 질문과 비과학적 질문을 구별할 수 있다. 2.1.6.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과학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2.1.7. 나는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감각기관을 이용한다.

2.2 비판적 사고: 주어진 정보와 조건을 분석, 평가 2.2.1.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들이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지를 따져본다. 2.2.2. 나는 찾아낸 정보들이 문제 해결에 얼마나 필요하고 쓸모 있는 지를 따져 본다. 2.2.3. 나는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절한 것인지를 서로 비교하여 본다. 2.2.4. 나는 다양하게 제시된 아이디어 중 가장 타당한 것을 고를 수 있다. 2.2.5. 나는 타당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위해 실험에서 얻은 자료를 다 양한 각도에서 분석한다. 2.2.6. 나는 내가 관찰하거나 수집한 자료들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규 칙을 찾을 수 있다. 2.2.7. 나는 여러 가지 가설 중에서 가장 타당한 가설을 선택할 수 있다. 2.2.8. 나는 여러 가지 과학적 설명 중에서 옳지 않는 것을 구별할 수 있다. 2.2.9. 나는 해결해야 할 문제와 관련된 주요 요인(변인)들을 찾아낼 수 있다.

- 176 -


2.2.10. 2.2.11. 2.2.12. 2.2.13.

간 왜곡

나는 요인(변인)들 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구별할 수 있다. 나는 실 결과를 하거나 선 적으로 하지 는다. 나는 주어진 정보와 자료를 분석할 , 수학적 사고를 활용한다. 나는 주어진 정보를 바 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고리 을 설계할 수 있다.

않 알 즘

2.3 해결 방안 적용: 최적 해결 방안 선택 및 적용

2.3.1.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다양한 해결책을 생 해 본다. 2.3.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다른 교과의 지 도 함 적용해보기 위해 력한다. 2.3.3. 나는 여러 문제해결 방법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 는 것을 우선 위로 정한다. 2.3.4. 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들이 미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예상 해본다. 2.3.5. 나는 과학적 거나 자료들을 활용하여 문제에 대한 적의 방 을 선 하 고 력한다. 2.3.6. 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 다양한 입장을 고 한 적의 해결방 을 선 한다. 2.3.7. 나는 실 에서 결 을 내 , 실 데이터를 거로 한다.

께 각되

근 택 려 노

안 때

려 최 안 택 험 론 린때 험 근 2.4 반성적 사고(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전반에 대한 반성 활동 2.4.1. 나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2.4.2.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를 반성해본다. 2.4.3.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사용된 방법이 적절했는지 반성해본다. 2.4.4. 나는 문제해결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 는지 알아본다. 2.4.5. 나는 과학 문제를 해결한 뒤, 다르게 풀 수 있는 방법은 없었는지 생각해 본다. 2.4.6. 나는 과학수업을 한 후, 새로 알게 된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물어 본다. 2.4.7. 나는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내가 실험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있 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 177 -


험 험

험 결과가 도출된 과정을 다시 한 번 되짚어 험 결과에서 나타난 오차의 원인에 대해 생

2.4.8. 나는 실 후에 실 본다. 2.4.9. 나는 실 후에 실 해본다.

3.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생각, 감정, 의견 등을 효과적으로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 3.1. 표현 :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 3.1.1. 나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말과 글로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3.1.2.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때 타당한 근거를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3.1.3.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언어뿐 아니라 표정이나 몸짓 등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3.1.4.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3.1.5.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과학 지식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3.1.6. 나는 과학적 설명을 내 말로 재구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3.1.7. 나는 근거에 기반을 두어 논리적으로 내 주장을 펼칠 수 있다. 3.1.8. 나는 과학 실험(연구)보고서를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3.1.9. 나는 과학 주제에 대한 논리적 글쓰기를 할 수 있다. 3.1.10.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것을 수학적 표현(수식)을 활용하여 설 명할 수 있다. 3.1.11.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과학적 모형을 활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3.1.12. 나는 내가 알고 있는 것을 표나 그래프를 활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3.1.13. 나는 과학적 사실과 추론, 임의적 가치 판단을 구별하여 표현 할 수 있다.

- 178 -


3.2. 경청과 이해: 다른 사람들의 말과 글의 의미 파악 3.2.1. 나는 상대방 이야기에 담겨있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 울인다. 3.2.2. 나는 다른 사람의 말과 글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다. 3.2.3. 나는 표와 그래프, 그림 등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3.2.4. 나는 근거에 기반을 둔 주장과 그렇지 않은 주장을 구별할 수 있다. 3.2.5. 나는 상대방의 설명이 논리적으로 타당한지 생각하면서 듣는다. 3.2.6. 나는 상대방의 설명이 과학적으로 정확한지 생각하면서 듣는다. 3.2.7. 나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상대방의 얼굴표 정이나 목소리, 몸짓도 주의 깊게 살펴본다. 3.2.8. 나는 상대방의 설명에 경청하기 위해 내가 알고 있는 과학 지 식들을 적극 활용한다. 3.3. 상호작용: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 3.3.1. 나는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3.3.2. 나는 의사소통할 때 독자 혹은 청중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다. 3.3.3. 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 및 도구를 활용 3.3.4. 3.3.5. 3.3.6. 3.3.7. 3.3.8. 3.3.9.

할 수 있다. 나는 다른 사 의 의 에 대한 반의 을 리적으로 할 수 있다. 나는 구의 의 에 반 할 , 수 할 만한 거나 대 을 제 시할 수 있다. 나는 내 주장에 대한 반 이 있을 , 리적 거를 대면서 방어 할 수 있다. 나는 토의할 상대방의 입장이 어 본다. 나는 구들에게 내가 준비한 과제 을 자신 있게 발표할 수 있다. 나는 서로의 생 을 발전시 수 있는 대화를 이 어나갈 수 있다.

찬 견 논 말 박 때 긍 근 안 박 때논 근 되 물 킬 끌

- 179 -


4. 협업 능력(Collaboration): 문제 해결, 새로운 산출물 창출, 학습 및 숙련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 4.1 개인적 책임감: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맡은 임 무를 최선을 다하여 완수한다. 4.1.1.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과 상의해서 역할을 분담한다. 4.1.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책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1.3. 나는 우리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가 맡은 책임을 다한다. 4.1.4.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의 목적 달성을 우선시 한다. 4.1.5.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솔선 수범한다. 4.1.6.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면 그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노력한다. 4.2 상호존중: 팀원의 공헌을 믿고 인정하며, 협력과정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진다. 4.2.1. 나는 상대방의 주장을 비판하기보다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2.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각각의 조원이 기여한 바를 인 정해준다. 4.2.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협력적인 분위기를 위해 노력한 다. 4.2.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모든 의견에 대해 존중하고, 갈등 은 토론과 합의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4.2.5. 나는 과학 수업에서 조별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들이 자신의 장 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2.6. 나는 과학 수업에서 함께 수행한 과제의 결과에 대해 공동의 성과로 받아들인다. 4.2.7. 나는 과학 수업에서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혼자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180 -


4.3 공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기술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 4.3.1.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3.2. 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 식과 정보를 공유한다. 4.3.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4.3.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조원들끼리 서로 도움을 주려고 노력한다. 4.2.5. 나는 다른 사람들과 내가 아는 것을 공유하는 것이 내 과학 지 식을 넓히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4.2.6. 나는 과학 수업에서 함께 과제를 수행할 때 모두가 원하는 목 표를 세우고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노력한다. 5. 정보활용능력(ICT Literacy): 정보의 수집, 분석, 활용, 창조를 위하여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1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 5.1.1. 나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5.1.2. 나는 문제해결에 적절한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1.3. 나는 수집한 정보를 기준을 세워 분류할 수 있다. 5.1.4. 나는 학습을 위해 수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5.1.5. 나는 내가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5.1.6. 나는 신문, 뉴스, 인터넷 등에서 내가 필요로 하는 과학 관련 기사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5.1.7. 나는 수집한 과학 관련 정보가 믿을 만한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5.1.8. 나는 과학 관련 주제에 대해 토의할 때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 181 -


5.1.9. 나는 과학 실 수업에서 여러 기자재를 활용하여 정확한 데이 터를 을 수 있다. 5.1.10. 나는 과학 수업에서 터를 활용하여 자료의 패 을 분석할 수 있다.

컴퓨

5.2 미디어 리터리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 활용 5.2.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5.2.2.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5.2.3. 나는 과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5.2.4. 나는 과학 실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다. 5.2.5. 나는 과학 실험과 관련된 시뮬레이션을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2.6. 나는 과학학습을 위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2.7. 나는 신문, 뉴스, 인터넷 등에 실린 과학 관련 기사에 대해 비 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5.2.8. 나는 영화나 영상매체에 담긴 과학적 오류를 찾아낼 수 있다. 5.2.9. 나는 내가 알고 싶은 과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5.2.10. 나는 SNS를 활용하여 내 아이디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얻을 수 있다. 5.2.11. 나는 온라인을 통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정 보를 교환할 수 있다.

5.3 정보 윤리: 정보를 접근하고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이고 법적인 이슈들과 관련된 개념 이해 5.3.1. 나는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이미지, 아이디어를 사용할 때 그 출처를 밝힌다. 5.3.2.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내말로 바꾸어 쓴다. - 182 -


람 알

저작권 침

5.3.3. 나는 다른 사 들의 을 해할 일어날 점들에 대해 고 있다. 5.3.4. 나는 라인상에서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거 는다. 5.3.5. 나는 잘 된 과학 정보가 제시 을 발생할 점에 대해 예상할 수 있다. 5.3.6. 나는 내가 성한 보고서나 과제 에 대한 한다고 생 한다.

않 야

수 있는 문제

근 없이 공격하지

되었 때 수 있는 문제 물 저작권이 보호되어

작 각

6. 자기주도학습력(Self-Direction):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수행하고 결정하여 진행하는 능력 6.1 계획: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 6.1.1. 나는 학습할 때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할 수 있다. 6.1.2. 나는 학습 계획을 세울 때 시간과 분량을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6.1.3. 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계획을 세울 수 있다. 6.1.4. 나는 나에게 가장 효과적인 과학 학습 방법에 대해 알고 있다. 6.1.5. 나는 나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과학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다.

6.2 의사결정: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며 우선순위를 결정 6.3.1. 나는 학습할 때 우선순위를 세우고 중요한 것부터 공부한다. 6.3.2. 나는 학습할 때 중요한 내용이 무엇일까를 계속 생각하면서 공 부한다. 6.3.3. 나는 학습의 핵심 내용과 중요한 부분을 구별해서 메모하고 밑줄 긋기를 할 수 있다. 6.3.4. 나는 공부할 때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서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 183 -


무엇

6.2.5. 나는 과학문제를 는 동 필요한 정보나 자료가 인지 스 스로 단한다. 6.2.6. 나는 과학을 공부할 다른 사 의 도 이도 중요한 내용을 파 할 수 있다. 6.2.7. 나는 과학 문제(과제)의 성 에 따라 적 한 학습 전략을 선 할 수 있다.

움없 절

6.3 자기성찰: 자신이 수행해 온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활용 6.3.1. 나는 학습 결과를 내가 정한 목표 수준과 비교한다. 6.3.2.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3.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4.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방법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5. 나는 나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학습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6.3.6. 나는 과학 성적이나 과제 수행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면서 앞으 로의 과학 학습 계획을 세운다. 6.3.7. 나는 과학 학습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칠 때 학습 계획을 수정한다. 6.3.8. 나는 과학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그 원인을 스스로 점검해 본다.

7. 유연성(Flexibility):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 7.1 변화관리: 다양한 역할, 상황, 일정의 변화를 이해, 대응 7.1.1.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다양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7.1.2. 미래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 184 -


끊 없

되 첨

7.1.3. 나는 임 이 개발 는 단 과학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력 한다. 7.1.4. 나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 변화에 잘 대 한다. 7.1.5. 나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 리적 문제들이 보도 마다 점을 이해하기 위해 력한다. 7.1.6. 나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 리적 문제들에 관한 토 에 적 참여한다. 7.1.7. 나는 과학기술이 기하는 사회· 리적 문제점들에 대해 대 하는 방법을 고 있다.

응 될 때 논쟁 론 극 처

윤 노 윤

알 7.2 모호함에 대한 포용: 분명하지 않고 변하기 쉬운 사건, 상황을 받 아들이고, 효과적으로 수행 7.2.1. 나는 미래 사회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 한다. 7.2.2. 나는 분명하지 않고 변화하는 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다. 7.2.3. 나는 불분명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2.4. 나는 우리 사회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점차 발전해간다고 생각 한다. 7.2.5. 나는 과학기술의 발달이 기할 결과들을 모 예측할 수 고 있다. 7.2.6. 나는 과학이 모 문제들에 대해 명 하게 할 수 음을 들인다. 7.2.7. 나는 아 명확히 설명 지 은 현상들에 대해 탐색하는 다. 7.2.8. 나는 과학자들 에 이 고 있는 문제들을 탐색하는 아한다. 7.2.9. 나는 정 이 는 과학 문제에 대해 구들과 이 기 하는 아한다. 7.2.10. 나는 과학지 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아들인다.

즐긴 좋 답 없 좋 식

두 답

없음을 없 받아

되 않 간 논쟁 되

- 185 -

것을 것을 것을


7.3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수용: 다양한 문화, 관점, 신념을 이해 및 수용 7.3.1. 나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며 모든 문화는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7.3.2. 나는 나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귀담아 듣는다. 7.3.3. 나는 다양한 생각과 관점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라고 생각한다. 7.3.4. 나는 과학이 사회·문화·경제·정치와 서로 연관되어 발달한다고 생각한다. 7.3.5. 나는 과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신의 경험이나 문화에 따라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7.3.6. 나는 과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소수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인다.

- 186 -


<부록 4> 영어과 세부문항

창의력과 혁신 능력: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능력 1.1 상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제시 1.1.1. 나는 학습을 할 때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는 편이다. 1.1.2. 나는 다른 친구들이 인정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잘 제안하는 편이다. 1.1.3. 나는 영어 책의 사진이나 이미지를 보고 듣기나 읽기 내용을 추 측할 수 있다. 1.1.4. 나는 영어 만화의 비어있는 마지막 칸에 들어갈 장면이나 대화를 추측할 수 있다. 1.1.5. 나는 듣기의 도입부를 듣고 주제와 전체적인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1.1.6. 나는 독해 지문을 읽고 다음에 올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1.1.7. 나는 영시나 문학작품을 읽고 그림이나 이미지로 시각화할 수 있다. 1.1.8. 나는 영어 이야기, 소설, 연극 등의 줄거리나 결말 등을 다르게 

상상할 수 있다.

1.2 독창성: 기존의 생각과 다른 아이디어 개발 1.2.1. 나는 새로운 방식으로 내 아이디어를 재구성할 수 있다. 1.2.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1.2.3. 나는 주어진 문제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1.2.4. 나는 영어 단어들을 결합해서 새롭고 독특한 영어 표현을 생각 할 수 있다. 1.2.5. 나는 영어 글을 읽고 나의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 1.2.6. 나는 영어 대화나 이야기를 창의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1.2.7. 나는 영어 글이나 작품을 읽고 장르를 변형하여 표현할 수 있다. 1.2.8. 나는 영어 작품에서 공감하고 내면화한 내용을 독창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1.2.9. 나는 영어 속담이나 표현을 재담에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3 유용성: 실제 적용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이해 1.3.1.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현실적인 대안을 제안할 수 있다. 1.3.2. 나는 실제로 적용(또는 구현)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기 위해 노 력한다. 1.3.3. 내가 제안하는 문제해결 방안은 실생활에 적용 가능하다. 1.3.4. 내가 제안하는 문제 해결 방안은 가치 있고 의미가 있다. 1.3.5. 나는 내 아이디어가 실제로 구현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한다. 1.3.6. 나는 내 아이디어의 한계점을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 187 -


1.4 도전성: 실패를 배우는 기회로 보고, 불가능에 도전하려는 태도 1.4.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때 실패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편이다. 1.4.2.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보다 나은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노력한다. 1.4.3. 나는 실패도 성공만큼 중요하게 여기며 문제를 해결한다. 1.4.4. 나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의식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1.4.5. 나는 영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다. 1.4.6. 나는 영어 실력이 단기간에 향상되지 않는 것을 알기 때문에 매 일같이 꾸준히 공부한다. 1.4.7. 나는 영어 성적이 좋지 않아도 실망하지 않고 인내와 끈기를 가 지고 노력한다. 1.4.8. 나는 영어를 사용할 때 실수하면 그 실수를 통해 목표 언어와 차이를 인식하고 배우는 기회로 삼는다. 1.4.9. 나는 교실 밖에서 영어를 배우거나 사용할 기회를 계속 찾아보 려고 노력한다.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통상적인 방법과 혁신적인 방법 양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1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를 정확히 파악 2.1.1. 나는 문제 분석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고 구체화할 수 있다. 2.1.2. 나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말할 수 있다. 2.1.3. 나는 실생활에서 탐구할 만한 현상이나 문제들을 찾을 수 있다. 2.1.4. 나는 주어진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파악할 수 있다. 2.1.5. 나는 역할 놀이, 정보차 활동 등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을 정확 하게 파악할 수 있다. 

2.1.6. 나는 문제해결 과업과 관련된 영어 단어와 표현을 이해할 수 있다.

2.2 비판적 사고: 주어진 정보와 조건을 분석, 평가 2.2.1. 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집한 정보들이 얼마나 믿을 수 있는 지를 따져본다. 2.2.2. 나는 찾아낸 정보들이 문제 해결에 얼마나 필요하고 쓸모 있는 지를 따져 본다. 2.2.3. 나는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절한 것인지를 서로 비교 하여 본다.

- 188 -


2.2.4. 2.2.5. 2.2.6. 2.2.7.

당 악

나는 다양하게 제시된 아이디어 중 가장 타 한 것을 고를 수 있다. 나는 수집된 정보들에서 리적 관계를 파 한다.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와 조 을 리적이고 타 하게 분석한다. 나는 수집된 정보들에 대하여 서로 비 한 점과 다른 점을 비교 하여 본다. 2.2.8. 나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2.2.9. 나는 영어 학습 사이트를 비 적으로 평가하고 선별하여 사용한다. 2.2.10. 나는 영어 단어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의미를 분석하고자 시도한다. 2.2.11. 나는 모 는 단어의 의미를 문맥을 활용하여 추 하 고 력한다. 2.2.12. 나는 기 내용의 세부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요점을 파 한다. 2.2.13. 나는 증하는 의 주장의 타 성과 거를 비 적으로 분석 하고 평가한다. 2.2.14. 나는 영어 시사 문제에 대한 심 보도를 비 적으로 이해한다.

르 듣 논

건 합

론 려 노 악 글 당 근 판 층 판 2.3 해결 방안 적용: 최적 해결 방안 선택, 적용 2.3.1. 나는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다양한 해결책을 생각해 본다. 2.3.2.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다른 교과의 지식도 함께 적용해보기 위해 노력한다. 2.3.3. 나는 여러 문제해결 방법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우선순 위로 정한다. 2.3.4. 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들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예상해본다. 2.3.5.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한 방법들이 새롭고, 적절한 것 인지를 서로 비교해 본다. 2.3.6. 나는 문제해결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선택한다. 2.3.7. 나의 입장에서만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입장도 고려하여 최선의 방안을 선택한다. 2.3.8. 나는 문제해결 과업 수행에 필요한 영어 표현과 구문들을 선택 하고 적용할 수 있다.

2.4 반성적 사고(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전반에 대한 반성 활동 2.4.1. 나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2.4.2.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를 반성해본다. 2.4.3. 나는 문제를 해결한 뒤 내가 사용한 방법이 적절했는지 반성해본다. 2.4.4. 나는 문제해결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들어본다. 2.4.5. 나는 처음 주어진 문제가 해결되었는지를 확인해 본다. 2.4.6. 나는 문제해결 과정의 문제점과 어려운 점을 생각해 보고 다음 과제해결에 참고한다.

- 189 -


못 못 못

2.4.7. 나는 문제를 해결하지 한 경우에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적 적으로 아본다. 2.4.8. 나는 문제를 해결하지 한 원인을 영어 능력과 같은 어적 측 면에서 생 해본다. 2.4.9. 나는 문제를 해결하지 한 원인을 전략과 같은 인지적 측면에서 생 해본다. 2.4.10. 나는 내가 사용한 영어가 정확한지를 스스로 점검하고 성 해본다.

극 각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생각, 감정, 의견 등을 효과적으로 분명히 표현하는 능력 3.1 표현: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 3.1.1. 나는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말과 글로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3.1.2.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때 타당한 근거를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3.1.3.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언어뿐 아니라 표정이나 몸짓 등을 사용 하여 표현할 수 있다. 3.1.4. 나는 나의 생각과 의견을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3.1.5. 나는 영어 찬트나 노래를 강세, 리듬, 억양에 맞게 부를 수 있다. 3.1.6. 나는 주변 사물이나 사람에 관해 낱말이나 문장으로 말할 수 있다. 3.1.7. 나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의 중심 내용을 영어로 말할 수 있다. 3.1.8. 나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의 세부 내용을 영어로 말할 수 있다. 3.1.9. 나는 나의 생각, 감정, 경험, 계획 등을 영어로 말할 수 있다. 3.1.10. 나는 나의 생각을 타당한 근거를 대면서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다. 3.1.11. 나는 쉬운 낱말을 듣고 영어로 쓸 수 있다. 3.1.12. 나는 주어진 낱말이나 어구를 넣어 간단한 영어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3.1.13. 나는 실물, 그림, 도표를 보고 한두 문장의 영어로 쓸 수 있다. 3.1.14. 나는 자신이나 가족 등에 관해 영어로 짧고 간단하게 쓸 수 있다. 3.1.15. 나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의 요지를 영어로 쓸 수 있다. 3.1.16. 나는 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영어로 간단하게 쓸 수 있다. 3.1.17. 나는 간단한 초대, 감사, 축하 등의 짧은 글을 쓸 수 있다. 3.1.18. 나는 친숙한 주제에 대하여 논리적인 글을 쓸 수 있다. 3.1.19. 나는 의견 차이가 있는 문제에 대하여 적절한 근거를 들어 논증 하는 글을 쓸 수 있다. 

- 190 -


3.2 경청과 이해: 다른 사람들의 말과 글의 의미 파악 3.2.1. 나는 상대방 이야기에 담겨있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울 인다. 3.2.2. 나는 다른 사람의 말과 글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다. 3.2.3. 나는 표와 그래프, 그림 등이 나타내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3.2.4. 나는 영어의 소리와 강세, 리듬, 억양을 듣고 식별할 수 있다. 3.2.5. 나는 찬트, 노래, 게임의 중심 표현을 이해할 수 있다. 3.2.6 나는 간단한 지시, 명령을 듣고 행동하거나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 3.2.7. 나는 영어를 듣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3.2.8. 나는 영어를 듣고 세부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3.2.9. 나는 영어를 듣고 상황 또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3.2.10. 나는 영어를 듣고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3.2.11. 나는 소리와 철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쉬운 낱말을 읽을 수 있다. 3.2.12. 나는 영어로 된 글을 강세, 리듬, 억양에 맞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3.2.13. 나는 쉽고 간단한 문장을 읽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3.2.14. 나는 영어로 된 글을 읽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3.2.15. 나는 영어로 된 글을 읽고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3.2.16. 나는 영어로 된 글을 읽고 글쓴이의 의도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3.2.17. 나는 영어로 된 실생활 관련 도표나 그림이 포함된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3.2.18. 나는 문학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비교하고 비판적으로 분 석할 수 있다.

3.3. 상호작용: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 3.3.1. 나는 다양한 목적에 맞게 의사소통 할 수 있다. 3.3.2. 나는 의사소통할 때 독자 혹은 청중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다. 3.3.3. 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다양한 매체 및 도구를 활용 할 수 있다. 3.3.4. 나는 상대방이 내 말을 이해하지 못하면 이해가능한 표현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3.3.5. 나는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이해되지 않으면 적 절한 시점에 질문할 수 있다. 3.3.6. 나는 상대방 말에 공감하며 듣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이해한다는 표 정을 지으면서 반응할 수 있다. 3.3.7. 나는 상대방 말을 정리하며 듣고 내 생각을 조리 있게 말할 수 있다. 3.3.8. 나는 다른 사람과 영어로 상호작용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 191 -


협업 능력(Collaboration): 문제 해결, 새로운 산출물 창출, 학습 및 숙련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 4.1 개인적 책임감: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맡은 임 무를 최선을 다해 완수 4.1.1.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과 상의해서 역할을 분담한다. 4.1.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맡은 책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1.3. 나는 우리 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가 맡은 책임을 다한다. 4.1.4. 나는 과제를 수행할 때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의 목적 달성을 우선시 한다. 4.1.5.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때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솔선수범한다. 4.1.6. 나는 개인 일정보다 조 모임을 우선하여 참석한다. 4.1.7. 나는 조별 과제를 할 때 공동의 책임감을 가진다. 4.1.8. 나는 조별 과제에서 내가 맡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그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노력한다. 4.2 상호존중: 팀원의 공헌을 믿고 인정하며, 협력과정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짐 4.2.1. 나는 상대방의 주장을 비판하기보다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4.2.2. 나는 공동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각각의 조원이 기여한 바를 인정해준다. 4.2.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협력적인 분위기를 위해 노력한다. 4.2.4.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모든 의견에 대해 존중하고, 갈등은 토론과 합의를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4.2.5. 나는 조별 과제를 수행할 때 조원들이 자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 도록 도와준다. 4.2.6.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협동하여 일의 효율성을 높인다. 4.2.7. 나는 함께 수행한 과제의 결과에 대해 공동의 성과로 받아들인다. 4.2.8. 나는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혼자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3 공유: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기술 등을 다른 사람과 공유 4.3.1.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협업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3.2. 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식과 정보를 공유한다. 4.3.3. 나는 과제를 함께 수행할 때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

- 192 -


께 때 끼 께 때 두 께 되 노 람 뿐 니 움

려 노

4.3.4. 나는 과제를 함 수행할 조원들 리 서로 도 을 주 고 력한다. 4.3.5. 나는 과제를 함 수행할 모 가 함 원하는 목표를 세우고 공 대가 형성 게 력한다. 4.3.6. 나는 다른 사 들과 내가 아는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우리 조 목 적 달성 아 라 나에게도 도 이 된다고 생 한다.

정보활용능력(ICT Literacy): 정보의 수집, 해석, 활용, 창조를 위하여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1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수집, 평가하여 활용하고, 새로운 정보 창출 5.1.1. 나는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5.1.2. 나는 문제해결에 적절한 정보를 찾아 활용할 수 있다. 5.1.3. 나는 수집한 정보를 기준을 세워 분류할 수 있다. 5.1.4. 나는 학습을 위해 수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5.1.5. 나는 내가 수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5.1.6. 나는 영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수

5.1.7. 나는 영어 학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정보의 정확성을 평가하여 활용한다.

5.2 미디어 리터리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 메시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 활용 5.2.1. 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 5.2.2. 나는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5.2.3. 나는 과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5.2.4. 나는 영어 학습을 할 때 인터넷, EBS 방송, CD-ROM,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할 수 있다. 5.2.5. 나는 녹음, 음성인식 엔진들을 사용하여 발음과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다. 5.2.6. 나는 모르는 영어 단어를 온라인 사전에서 검색하고 문맥에 적절한 뜻을 선별할 수 있다. 5.2.7. 나는 영어 표현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코퍼스 등과 같은 적절한 온라인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5.2.8. 나는 이메일, 온라인 게시판, SNS 등의 매체를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영어로 의사소통하고 댓글을 달 수 있다. 5.2.9. 나는 나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파워포인트, 유튜브 등의 다양한 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 193 -


5.2.10. 나는 영어 학습에 필요한 있다.

각 미디어의 장점과 한계점을 알고 사용할 수

5.3 정보 윤리: 정보를 접근하고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이고 법적인 이슈들과 관련된 개념 이해 5.3.1. 나는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이미지, 아이디어를 사용할 때 그 출처를 밝힌다. 5.3.2.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내말로 바꾸어 쓴다. 5.3.3. 나는 다른 사람들의 저작권을 침해할 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알고 있다. 5.3.4. 나는 온라인상에서 상대방을 비방하거나 근거 없이 공격하지 않는다. 5.3.5. 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때 저작권 보호에 대한 인식이 있다고 생각한다. 5.3.6. 나는 내가 쓴 영어 결과물에 대한 저작권이 보호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자기주도학습력(Self-Direction): 개인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하고 수행하고 결정하여 진행하는 능력 6.1 계획: 성취하고자 하는 최종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준비 6.1.1. 나는 학습할 때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할 수 있다. 6.1.2. 나는 학습 계획을 세울 때 시간과 분량을 효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6.1.3. 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 용할 계획을 세울 수 있다. 6.1.4. 나는 단어 학습에 유용한 학습 방법과 전략을 세울 수 있다. 6.1.5 나는 문법 학습에 유용한 학습 방법과 전략을 세울 수 있다. 6.1.6. 영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기능별로 학습 방법과 전략 을 세울 수 있다. 6.1.7. 나는 나의 영어 실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단계별 

목표를 설정한다.

6.2 의사결정: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며 우선 순위를 결정 6.2.1. 나는 학습할 때 우선순위를 세우고 중요한 것부터 공부한다. 6.2.2. 나는 학습할 때 중요한 내용이 무엇일까를 계속 생각하면서 공부한다. 6.2.3. 나는 학습의 핵심 내용과 중요한 부분을 구별해서 메모하고 밑줄 긋 기를 할 수 있다. 6.2.4. 나는 공부할 때 중요한 내용을 선별해서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 194 -


6.2.5. 나는 영어 학습 중에 모 는 것이 있으면 라인 영어 사전, 기타 참고 자료를 아본다. 6.2.6. 나는 영어 기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을 선별하여 적 하게 사용 할 수 있다. 6.2.7. 나는 영어 기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을 선별하여 적 하게 사용 할 수 있다. 6.2.8. 나는 영어 기와 기에서 상향 및 하향 방법을 선별하여 적 하게 사용할 수 있다. 6.2.9. 나는 주제, 목적, 자를 고 하여 기 과정을 계획하고 필요한 어적 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듣 읽 듣

절 절

읽 식 식 절 독 려 쓰 언 6.3 자기성찰: 자신이 수행해 온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발전을 위하여 활용 6.3.1. 나는 학습 결과를 내가 정한 목표 수준과 비교한다. 6.3.2.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계획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3.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태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4.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학습 방법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5. 나는 나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학습을 잘할 수 있는 방 법을 생각해본다. 6.3.6. 나는 영어 발음이 정확하고 이해가능한지를 점검하고 성찰한다. 6.3.7. 나는 영어 단어, 철자, 문법 등이 정확한지를 점검하고 성찰한다. 6.3.8. 나는 영어 학습을 한 후 새롭게 알게 된 것들을 나 자신에게 물어본다. 6.3.9. 나는 학습 결과에 근거하여, 나의 영어 듣기 및 읽기 전략을 스스로 점검하고 성찰한다. 6.3.10. 나는 영어 성적이나 과제 수행 결과를 평가하면서 앞으로의 영어 학습 계획을 세운다.

유연성(Flexibility): 다변하는 사회에서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실현 가능성으로 만들어가는 능력 7.1 변화관리: 다양한 역할, 상황, 일정의 변화를 이해, 대응 7.1.1. 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는 다양한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7.1.2. 나는 미래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 195 -


글 벌 야 한다고 생각한다. 복잡 황 유연하게 대처할 글 벌 민 야 한다고 생각한다. 새롭 되 활용할 수 있다. 7.2 모호함에 대한 포용: 분명하지 않고 변하기 쉬운 사건, 상황을 받 아들이고, 효과적으로 수행 7.2.1. 나는 미래 사회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7.2.2. 나는 분명하지 않고 변화하는 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다. 7.2.3. 나는 불분명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7.2.4. 나는 우리 사회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점차 발전해간다고 생각 한다. 7.2.5. 나는 불확실한 것을 대체로 용인하는 편이다. 7.2.6. 나는 모호함을 대체로 잘 견디는 편이다. 7.3 다양성에 대한 긍정적 수용: 다양한 문화, 관점, 신념을 이해 및 수용 7.3.1. 나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며 모든 문화는 나름의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7.3.2. 나는 나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귀담아 듣는다. 7.3.3. 나는 다양한 생각과 관점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라 고 생각한다. 7.3.4. 나는 새로운 견해나 다른 견해를 편견없이 받아들이는 열린 자 세를 가지고 있다. 7.3.5. 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 관점, 신념을 이해하고 받 아들이는 편이다. 7.3.6. 나는 다문화 또는 문화의 다양성에 대하여 개방적인 편이다. 7.3.7. 나는 영어권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7.3.8. 나는 나라마다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7.3.9. 나는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7.3.10. 나는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대방의 주장을 귀 담아 듣는다. 7.1.3. 나는 로 시대에 다양한 외국어를 할 수 있어 7.1.4. 나는 한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상 에서 수 있다. 7.1.5. 나는 로 시 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7.1.6. 나는 게 개발 는 기술들을 영어 학습에서

- 196 -


<부록 5> 전국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현황(2013) 연 번

계 교육 교육 시 청 부 도

10

4

3

대구

2

4

13

5

광주

4

6

대전

4

0

1

0

4

0

1

2

0

경기

3

0

10 강원

6

0

7

2

12

0

6

0

14

5

5

0

16 경

10

0

17 제주

3

0

13 전 14 전 15 경

5 3 누원,보리 , 목운,방 2 , 상계,신도 이태원,한 , 여의도 서 교대부초

매 산

배 울 좌산2,분포 광무여,2 남산 1 대동 복1현

삼종 삼 묘 천 산 안 삼산

천 니

금 광

9

12 충

광 승 산곡 백

8

11 충

교육청

3 2 동 ,상리 동태 ,영도, 대 1 1 2 지 초 영신중 7 4 5 1 5 4 선인,용유, 초은,인 조 ,주 , 인 13 연평,신석, 학, ,인주, , 비지 스 서흥,부평 서창, 신 ,하정 신흥, 석 여상,선인, 부 동,검단동 영흥,강서, 고 석정 3 1 0 선운, 구, 주 문흥 교대부초 5

울산 세종

7

교육부

108 28

2 학하, 흥 1 과초 2 참 ,한 1 효원

척 샘 솔

2 기성,지족

1 1 한 중 한 고 1 1 명인 경기예고 3 3 , , ,만 강서,강 여량 2 3 2 증평정보 , 고,증평공 동인, 보 증평, 음성 고 6 4 파,소 , , 공주,용 , 부여,2 성 ,우강,진 성,부여 3 3 운주,중 , 동 리신여중,이 중,우전

근덕 금광 종 삼

괴산

오창,2엄정

청송곡 망 새샘산 순 남 홍 앙 궁 왕북 5 2 7 청 계, 광 영, 영 암 고,여 2 백 초,해룡,포두,춘 호 , 수해양과 고금,석현 양,산이,분향,도초 벌교,서 월야 학고 3 2 해맞이,산대,평 천생,법전 산 5 5 하,제일, 주석,남정,자은, 율 ,화개, 한림,용산 합포 범어 2 1 이도,신례 신성여중 53

41

- 197 -

14

12

2 유달,

봉황

1 나주상업 고

1 사파고

13

3


<부록 6> 전국 디지털교과서 교육 연구학교 현황(2013) 교 육 청

연 번

울 부산

교육부

교 시 육 부 도

1 서

2

2

2

천 광주

2

5

2

둔촌초 대신초,삼어초 파호초 율원중 삼산초 용현여중 태봉초 봉선중

2

6 대전 2

목상초

관평중

울산 세종

2

월계초

2

부강초

9 경기 2

정 초

매곡중 금호중 주곡중

7 8

10 강원 2

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11 충

2

12

2

13 14 15 16

2

왕 오안초

청라초

만수 중

1

1

산외초,상진초 남양초 연산중 흥덕초 영선중 고서초

여수중

4

문장초,와 초, 연일초

초전중

2

아라초

36 2

대화중

2

17 제주 2 계

구일초,

3 대구 2 4 인

교육청

욕지중

고 초,한동초 23

13

0 - 198 -

0


<부록 7> 질적 연구를 위한 수업 분석지 수 업 일 2013년 수 업 자

일 요일 수업교과

수업대상

학년 반

평 가 자

평 가 기 준

◉ 다음 기준에 맞추어 수업에서 해당되는 부분이 있는지 관찰하여 주십시오. 1.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들에게 새롭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가? 2.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가? 3.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의 반성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4.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학생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유도하는가? 5.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교사-학생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유도하는가? 6.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기기-학생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유도하는가? 7.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들의 협업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는가? 8.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는가? 9.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자발적인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10.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직접 만들고 재가공하는 활동이 있는가? 11.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이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때 저작권을 보호하고 12. 온라인 예절을 잘 지키는가? 13.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은 본인에게 주어진 해결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가? 14.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이 스마트기기를 교육용 기기로서 인식하고 수업에 15. 활용하는가? 16.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교사의 설명보다 학생들의 학습활동이 풍부한가? 17.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간의 상호작용의 양이 풍부하고, 질적으로 의미가 있는가? ․ 스마트기기 활용 : ․ 21세기 학습자 역량 관련 내용 :

- 199 -


◎ 스마트교육 질적 분석 질문지 주요 항목(학생용)  기본

질문 항목

문항

답변

되었 간

? 루 얼 ? 무엇 무엇 ? 님께

스마트기기를 사용한지 마나 나요 평소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는 시 은 하 에 마나 나요 평소에 어 교수 체로 공부를 하고 있나요 스마트기기로 가장 자주 학습하는 교과는 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가장 자주 하는 활동은 인가요 기기 활용을 위한 선 트 환경은 만족하나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선생 서는 도 을 주시나요  21세기 학습자 역량 문 항목 일반 수업과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차이점은 이라 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장점은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단점은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여러분의 창의력을 높여준다고 생 하나요 그 다면 그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는데 도 을 준다고 생 하나요 그 다면 그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 의 의사소통이 증가 하였나요 증가하였다면( 소하였다면)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교사 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나요 증가하였다면( 소하였다면)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기기 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나요 증가하였다면( 소하였다면)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였을 구들과의 협동학습을 하 는 시 이 나요 증가하였다면( 소하였다면)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구들과 라인 협동학습을 하였을 의 장점은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만 는 능력이 향상 나요 그 다면 그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 이 된다고 생 하나요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을 통해 스마트기기가 단 한 게임 기가 아 교육에 활용 어 수 있다고 생 하나요 이유는 인가요

?

무 네 워크

?

각 움

?

? 렇

?

? 각

?

? ? 움

무엇 각 ? 각 ? ? 찾 무엇

무엇 무엇 무엇 ? 렇 간 감

? 감 무엇 각 ? ? 감 무엇 각 ? 때친 간 늘었 ? 무엇 각 ? 친 온 각 ? 드 되었 ? 렇 ? 움 각 ? 닌 되 질 무엇 ?

무엇

간 간

감 때

무엇 무엇

무엇

순 각

- 200 -

?

?


문항

질문 항목(흥미, 몰입, 태도, 기능 등)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학습이 더욱 재미있나요? 재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학습 집중도가 높아지나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한 후 학교와 수업이 더욱 좋아졌나 요?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성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 요?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다른 인강이나 온라인 학습지와 무엇인 다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게임이나 다른 온라인 활동을 하고 싶어지지 않나요? 스마트기기의 교육용 기능 중에 제일 좋은 것은 무엇인 가요? 스마트기기는 전반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가요? 스마트기기로 앞으로도 계속 공부하고 싶은가요?

답변

 심화

◎ 스마트기기 질적분석 질문지 주요 항목(교사용) 문항

질문 항목 스마트기기 활용 기간은 어느 정도 되셨습니까?(언제부 터 어떠한 배경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까?) 스마트기기는 주로 어디에서 어떻게 활용하십니까? 평소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에 소요하는 시간은 어느 정 도입니까? 스마트교육 활용 시 교수매체는 무엇입니까? 스마트기기 수업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교과는 무엇 입니까? 스마트기기로 수업하는 시간은 주당 몇 시간 정도입니 까?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시 주요 수업 방법이나 전략, 지침 은 무엇입니까? 기기 활용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만족하나요?  21세기 학습자 역량 질문 항목 일반 수업과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차이점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의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들의 창의력을 높여준다고 생각하나요?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기본

- 201 -

답변


문항

답변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를 는데 도 을 준다고 생 하나요 그 다면 그 이 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 의 의사소통이 증가 하였나요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교사 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나요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에서는 학생-기기 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나요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였을 학생의 협동학습을 하는 시 이 나요 그 이유는 이라고 생 하나요 라인 협동학습을 하였을 의 장점은 이라고 생 하나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멀티미디 어 자료를 만 는 능력이 향상 나요 그 다면 그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은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 도록 하는 데 도 이 된다고 생 하나요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 활용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스마트 역기능 을 해소할 수 있다고 생 하나요 이유는 인가요  심화 문 항목(흥미, 몰입, 태도, 기능 등)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학생들이 학습이 흥미를 나요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학생들의 학습 집중도가 높아지 나요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한 후 학생들의 수업반 이 아 나 요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로 공부하면 학생들의 성적에 도 이 된다고 생 하나요 그 이유는 인가요 스마트기기는 다른 인강이나 라인 학습지와 이 다른가요 스마트기기는 전반적으로 사용하기에 리한가요 스마트기기로 으로도 계 가 고 은가요

찾 움 각 ? 렇 무엇 ? 간 ? 무엇 각 ? 간 ? 무엇 각 ? 간 ? 무엇 각 ? 때 간 늘었 ? 무엇 각 ? 온 때 무엇 각 ? 드 되었 ? 렇 무엇 ? 움 각 ? 무엇 ? 각 ? 무엇 ? 질 더욱 느끼 ? 무엇 ? ? 무엇 ? 응 좋 졌 ? 무엇 ? 움 각 ? 무엇 ? 온 무엇 ? 편 ? 앞 속 르치 싶 ?

- 202 -


<부록 8> 2013년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현황 분석(초, 중학교) 시 학 교 연 연구계획서도 명 차 제목

근 덕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본 분교 통 학습체제 2 교육과정 적용 결과 통 학습체제 적용 및 초 운영 분석 운영 방 일반화

대상

전학년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 디지털학습을 디지털교과서 활용 2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 적용 효과성 5,6학년 교수학습 강 초 통한 학습력 환경 조성 분석 활동 전개 원 신장 연구

오 안

참여협력 중심의 만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1 교수학습 설계를 통한 초 여 조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 정 활용을 통한 2 서책 행 초 협동학습 모 개발 경 기 학습자

효 원 1 초

참여협력 중심의 스마트교육 모 구

델 안 병

참여협력 중심의 스마트교육 모 적용

3 6

디지털교과서 서책 행한 서책 행한 활용 학습을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위한 활용 학습 전학년 활용 학습 교육공동체 모 정 모 개발 역량 강화 및 일반화

델 착

스마트교육 학습자 역량 역량강화를 스마트교육 실현을 위한 강화를 위한 위한 역량 강화와 다양한 창의적 전학년 교수·학습 지원체계 교수학습 교수학습 모 개발 구 모 개발 전개 ·운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대수 유형 성과지표1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전과목

사회, 과학

사회, 수학, 과학

5학년 과학, 6학년 사회

전과목

- 203 -

95(교원23)

:

11

넷북21개, 스마트패드 1:1 5개

갤럭 탭

시 32대(예정)

갤럭시탭 30대, 아이패드

천적지식

교사실

학습력 신장

만족도 (학생, 학부모, 교사)

만족도 (학생, 학부모, 교사)

1 1, 모

: 둠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 학습환경 인 변화, 모 적용 만족도 및 수업내용 효과성 연수 만족도, (의사소통, 만족도 자기주도적 협업) 학습능력

:

교수학습 연수 모 적용 교수학습 만족도 및 효과성 모 개발 학부모 검증 만족도 인 조사 (자기주도성, 창의성)

: 둠

연수 스마트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학부모 만족도 인 조사

11

3대

스마트pc 48대

학생 창의력

1 1, 모

자체 성과지표4

학습자 역량 측정을 통한 효과성 검증

만족도 (학생, 학부모, 교사)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을 스마트교육 주 모 적용을 위한 교수 학습 석 2 통한 효 적인 모 구 초 자기주도적 교수 학습 및 적용 학습력 신장 환경 조성 방

디지털교과서 아 활용을 통한 라 2 교수학습 초 사 개발 및 적용

프로젝트 SAM 학력관리 시스템을

율 ․

․ 델 안

연구주제3

없음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성화를 활용 활용을 위한 위한 교수 학습 교수 학습 아라누리 사 개발 여 조성 e-교육활동 및 적용 전개

․ 건

․ 례

대상

전학년

3 6

전학년 (학년 로 트 학습자중심의 로 트 별로 자 S 스마트교육 S 개발 구분 은 1 스마트교육 통한 로 트 적용 일반화 하여 초 방법 개발 자기주도적 S 구현 방 모색 학습 및 적용 학습력 신장 모형 방 개발)

프 젝 AM

프 젝 AM

프 젝 AM 안

자신만만 자신만만 자신만만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자신만만 한 스마트교육 운영을 통한 로그 스마트교육 1 로그 자기주도 개발 적용을 로그 초 일반화 방 학습력 신장 위한 기반 개발 적용 모색 방 조성

프 램

프 램

프 램 안

전학년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전과목

내용 음

창의성, 인성, 스마트교육 의사소통 교수 학습 능력, 내용 여 에 협업능력 음 대한 향상도와 만족도 스마트교육 조사 교수 학습 모 적용 만족도분석

․ 델

사,과,영

TpC 55대

전과목

갤럭시노트 1:1 물적시스템 SAM운영 115대 구축 만족도

전과목

11

갤럭시노트 45대, 1:1 스마트pC 29대

- 204 -

:

․ 건

내용 음

내용 음

인적

교육과정

만족도설문

조사

취 프 젝

학업성 , 로 트 학습, 학습환경 문제해결 만족도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력 측정

내용 음

내용 음

자기주도적 학습력 효과 검증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액션러닝형 스마트교육 수업 모델

연구주제1

함 하는 개발 적용을 정 1 스마트교육 통한 초 환경 조성 가기주도적 학습 역량 신장 방

연구주제2

액션러닝형 스마트교육 모델 개발

연구주제3

없음

대상

4 6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전과목

및 적용

갤럭시노트 91대, 1:1 스마트pC 29대

환경 수업모 학업성 , 조성에 개발 적용 자기주도력 대한 설문 설문 측정

스마트

융합교육을

스마트 용 통한 교육을 1 자기주도적 위한 인 라 초 학습력 신장 구 방

융합

클라우드

연 일 초 경

프 축

클라우드

스마트

스마트 융합교육을 융합 교육 위한 교수학습 모 개발 및 적용

클라우드

산 초

전학년

디지털교과서 기반 기반 기반 활용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교수 학습 5-6학년 활용 활용 활용 환경 일반화 활동 교수·학습 교수 학습 조성 전개 모 개발 활동 전개

북 평

적용 결과 분석 및 일반화

스마트교육을 스마트교육 통한 협업 인 라 구 능력 신장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 구 적용

전과목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갤럭시노트 1:1 80대 TC TC TC

p 42대 보유(교사용 p 1대, 내용 학업성 도 학생용 음 검사 p 40대, 교사용 i-pad 1대)

국어, 수학, 스마트교육 사회, 성화 시 전 학년 과학, 로그 88대 보유 음 , 전개 미술 6개 교과

․ 특 델 안 프 램

- 205 -

수업흥미도 및 만족도, 기반조성 자기주도적 만족도 학습력 향상도

갤럭 탭

: 둠

1 1, 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디지털교과서 측정 만족도 (KE I(2005) 조사 검사도구 활용)

D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기반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강화에 유형에 성화 로 대한 대한 그 만족도 만족도 만족도 측정 측정 측정

특 프 램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문 장 초

산 대 초

룡 초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자체 성과지표4

디지털 스마트교육 교과서 및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적용 및 연수 모 실적 만족도

창의성, 인성,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 향상도

디바이스 디바이스 활용 형태에 학생 활동 활용 형태에 디지털교과서 따른 따른 중심의 활용 위한 디지털교과서 전 학년 디지털교과서 기반 조성 활용 모 스마트교육 활용 모 전개 개발 및 개발 적용

TpC 65대

보유

3, 4, 5, 21세기 다양한 스마트교육 6학년 학습자 교실환경에 수업모 과 국어, 역량강화를 스마트교육을 서의 위한 평가방법의 전 학년 수학, 위한 교육환경 스마트교육 적 성 분석 (36학 ) 사회, 스마트교육 수업모 및 및 교수학습 조성 과학 교수 학습 평가방법 교과에 모 개발 개발, 적용 사 일반화 한함

․ 델

D

개별 evice 기반 서책 행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 모 개발

수업모 개발 준비

수업모 개발

합 례

디지털 교과서 연구반 수업모 4 6학년, 개발 적용 스마트 및 공유 기기 활용반 1 3학년

델 ~

TC

80대 p 보유 (교사용 2대, 학생용 78대), 115대 구 예정

4학년 사회, 5학년 과학, 6학년 사회 (1 3 학년은 e-교과서 p 80대 및 다양한 보유 스마트 교육 ( p 73대, 기기를 시 활용한 7대) 디 러 학습을 적용하여 수업하나 수업 모 개발 사 에서 제외)

블랜닝드 델례

- 206 -

: 둠

1 1, 모

TC TC 갤럭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 둠

스마트교육 만족도 학습자 측정 역량 평가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

수업 모 개발 준비 개발 적용 및 공유에 대한 만족도 측정

1 1, 모

11

델 / /

․ 델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포 항 해

맞 이 초

연구주제2

온 오프

․홍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1,2학년 통 교과 (2009개정 교육과정), 3학년 수학, 전 학년 4학년 사회, 5학년 교과 통 , 6학년 국어

· 라인 스마트교육 을 넘나 는 학생 활동 기반 조성을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을 위한 다양한 중심의 통한 4 연수 및 다양한 역량 기 기 교육 보 교수·학습 실시 전개

C 르

연구주제3

소양과 성을 우는 디지로그 (동아리) 활동 전개

감 키

해 내용 음

주 스마트교육 기반의 로 트 스마트교육 구 1 학습을 통한 여 조성 초 성 능력 신장

블릿 : 말 : 1:1. 칠판 : 모듬 탁

프 젝 감

교사용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기반의 기반 성 로 트학습 표현 기회 전개 확대

프젝

당 C 없

해 4 개인 내용 역량 측정 음

테 디지털교과서 국어, 68대,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학, 스마트단 태 기반의 서를 활용한 전학년 활용을 위한 활성화를 사회, 기 26대, 2 디지털교과서 스마트 (26학 , 스마트교육 위한 다양한 과학 전자 초 교수학습 교수 학습 631명) 환경 마련 스마트교육 (명확하지 2대, 모 개발 활동 전개 활동 전개 음) 전자교 2대

봉 광

연구주제1

전학년 ( 874명)

전과목

TpC : 3대, 물적환경/ 학생용 : 인적환경 60대, 1:1. 연구의 전자칠판 모듬 적절성 및 2대, 교원역량 pDpTV : 신장도 38

- 207 -

자기주도 학습환경 학습력, 구 에 흥미도와 따른 학생, 참여도, 교사, 효 성, 학부모 의사소통 만족도 능력

자 기부, 행사 등에 대한 만족도

학습만족도, 참여학습의 기기 활용 참여도, 만족도, 교수학습 성능력 과정 개발 향상도 및 운영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선 방법 적용을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운 1 통한 환경을 위한 교수·학습 초 학습자의 여 조성 활동 전개 협업 능력 신장

연구주제3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학생들의 흥미와 국어, 교사용 및 참여를 통 교과, 학생용 높이는 2-6학년 사회, p 단 기 다양한 과학, 음 스마트교육 실과 활동 전개

양방향 라인 21세기 연 학습자 과 를 화상시스 학습자 평 중심의 주는 활용을 통한 역량 강화를 초, 중등 초 2 형 스마트방과 전교과 통 수업 및 위한 로 전체 중 스마트교육 후교육과정 연평 스마트 교육과정 고 모 개발 운영 학습체제 운영 구

맞춤 델

글 벌

꿈 끼 키워

: 듬

자체 성과지표4

수업만족도, 만족도, 학업성 도 문화이해능력 향상도, 및 협력능력, 어능력 교과선 도 향상도

C/ 말 없

1 1. 모

환경에 대한 만족도

112(25)

11

: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교사 1인 활용, 모 별 활용, 학생1 인 개인별 활용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천 삼 산 초

2

디지털 교과서 활용문제 중심학습 (p ) 수업모 개발

BL

디지털 교과서 활용 문제 중심학습 (p ) 수업모 개발

BL

개발된 수업실 학습모 사 집 2 6학년 활용 다양한 발 및 16개 전교과 학습 수업동영상 학 환경에서의 제 수업 실

례 간 작

- 208 -

TpC62대 슬레이트7대 둠 스마트패드2 아티브1, 패즈8대구입 당 예정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학 1 초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수학, 과학, 사회, 실과,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음 , 기반 기반 스마트교육 기반 미술 상세 인재교육 인재교육 기반 인재교육 등을 내용 (S E ) (S E ) 인재교육 (S E ) 3 6학년 주로 음 로그 로그 (S E ) 로그 하 예 11,000 구 적용을 구 적용 로그 구 적용 및 주제에 ( 원) 정 위한 방 일반화 따라 여 조성 적용 교과를 제한하지 음

융합 융합 융합 T AM 프T AM램 융합 T AM ~ 프 램 안 T AM 프 프 램 안 램 안 안 건

자체 성과지표4

융합

없 산 천 배

상세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9대보유 10대구 예정

상세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상세 내용 음

상세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스마트

프로젝트

스마트 학습을 통한 교육을 위한 1 창의적 문제 미래 교육 초 해결 능력 환경 조성 신장 신

디자인기반 스마트교육 신 학습 적용을 활동을 석 1 통한 21세기 위한 기반 초 미래창조인재 조성 역량 강화

스마트 로 트 교수-학습 활동 전개

프 젝

디자인기반 학습교수· 학습과정 구 ·적용

국어, 사회, 과학 3 6학년 교과를 연구반, 중심으로 비교반 전 적용 교과에 걸쳐 운영

스마트 프로젝트 ~ 학습의 일반화 방안 모색

효과 분석 및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 사 일반화

전학년 내용 음

- 209 -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협동학습 하 능력향상을 정 1 위한 스마트 초 교육 운영방

스마트 교육환경 기반 조성

서책형 교과서 행 디지털교과서 교수 학습 외 2 활용을 통한 방법 초 교수 학습 탐색 개발 방법 개선

다양한 학습 환경에 적 한 상 디지털교과서 충 진 2 활용 초 창의 인성 교수 학습 모 개발

ㆍ 델

․ ․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협동학습 능력 향상을 스마트 교육 위한 스마트 참여의 전학년 교수·학습 확 활동전개

식 산

교수 학습 활동 전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 활용 창의 인성 활성화를 스마트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모 개발 활동 전개 및 적용

ㆍ ㆍ 델

없음

없음

5-6학년

4-6학년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스마트교육 동 과정 구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인 1 적용을 통한 연구학교 교수·학습모 1-6학년 모형적용 및 초 자기주도적 인 라구 형구 분석 학습능력 신장

안 안

프 축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상세 내용 음

내용 음

13대 구입 예정

국어, 수학, 수학, 사회, 영어

블릿pC 15대 교사1p 스마트패드 C학생 8대 모둠형 미러링장비

국어, 수학, 수학, 사회, 영어

전과목

- 210 -

5대

블릿pC 54대 교사1p 전자칠판 C학생 2대 모둠형 교사pC

2대

계획) 태 p 61대 전자 2대

블릿 C 칠판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자체 성과지표4

내용 음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온ㆍ오프라인

활용학습을 스마트교육 보 1 통한 21세기 기반조성 초 학습자 역량강화

스마트교육과 연계한 디지털교과서 양 2 교수 학습 초 모 개발 및 적용방

협업중심 SSE(S E S R E 충 소 I ) 1 로그 초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신장 방

남망

교육 환경조성

주제중심 주제중심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활동을 통한 활성화를 1 자기주도적 위한 초 학습능력 학습기반 신장 조성

송 곡

온․오프라인 활용 수업모델 개발

스마트교육을 디지털교과서 위한 적용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인 라 조성 모 개발

TA M MA T 협업중심 DUCAT ON SSE 프 램 프로그램

연구주제2

․ 델

연구주제3

온․오프라인 활용 수업모델

적용을 통한 1-6학년 21세기 학습자역량 강화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적용성 및 일반화 방법 모색

협업중심 협업중심 SSE SSE 로그 로그 활성화 방 구 적용 모색

프 램 안․

대상

프 램 안

전학년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자체 성과지표4

칠판 블릿 C 빔프 젝 말 매 태블릿pC

전자 1대 태 p 1대 전과목 로 트 2대 스마트단 기 302대 구 예정

국어, 사회

83개 교사용 태 p 7개 아이패 28개 트31개

블릿 C 드 갤노

과학, 수학을 중심 학생용 p 전학년 교과로 66개 기타과목 연계

C

갤노 갤노

트10.1 주제중심 (교사)18개 주제중심 사회,과학 스마트교육 트10.1 스마트교육 전학년 ,영어(3-6 적용 효과성 (학생)20개 수업설계 학년) 분석 스마트p 1개

- 211 -

C

:

11

-

디지털 교과서 만족도 (학생)

디지털 교과서 만족도 (교사)

국어과, 사회과 교과 만족도 (학생)

수업분석을 통한 적 연구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협력형 스마트교육 수업모 스마트교육 우 개발·적용을 모 학교 강 1 통한 교육활동 초 자기주도적 여 조성 학습능력 신장

델 건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협력형 협력형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전학년 교수·학습 모 적용 및 모 개발 일반화 모색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과제2) -협력형 스마트교육 수업전략 의 적 성 -협력형스 마트교육 교수학습 모 의 적 성 -협력형스 마트교육 교수학습 모 의 효과성

과제3) -협력형스 마트교육 활동의 만족도 -기초기본 학습능력의 향상도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도

과제2) - 성표현 활동에 대한 과제1) 만족도 -스마트교육 -수업에 교수학습 대한 인 여 에 변화 대한 -수업내용 만족도 만족도 -S art p p활용학습 만족도

과제3) -S art pp 활용분 및 만족도 -교수학습 모 적용 만족도 -스마트교 육에 대한 만족도 -자기주도 학습력 신장 변화

과제1) -스마트교 육 인 라 태 p 구 현 (교사)6개 -스마트 아이패 미 1 1 교육 인적 (학생) 은 역량강화 11개 1모 활동의 트10.1 효과성 (학생)11 -스마트교 육에 대한 이해도

프 블릿 C 축 황 드 : 니 혹 : 둠 갤노

델 절 델

m A 감

S art pp 기반 진 성표현 스마트러 1 활동을 통한 인 라구 초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m A 닝 프 축 감

S art pp 활용 성표현 활동전개

자기주도적 학습표현 기회확대

전학년

- 212 -

아이패 210개 트 10.19개 태 p 48개

갤노 블릿 C

m A

m A 야 델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Cs

스마트교육형 4 함양을 교수 학습 4 함양을 위한 모 구 스마트교육을 위한 스마트교육 1 적용을 통한 5, 6학년 전교과 위한 환경 스마트교육 모 효과성 초 21세기 조성 전개 검증 및 학습자역량 일반화 (4 )함양

새 샘

ㆍ 델 안ㆍ

Cs

구 된 스마트교 수업모 육에 대한 적용의 인 변화 효과성 검증 검증

C

p (학생용) 34개

Cs

파 2 초

프로젝트기반 학생맞춤형 협력학습 교수․학습 모델개발 및

맞춤

학생 형 학습환경 제공

적용

맞춤 ․ 델

학생 형 협력학습 교수 학습 모 개발

없음

4,5,6 학년

국어, 수학, 사회

-자기조 학습능력 변화추이 -창의성 변화추이 -학업성 도 변화 추이 -I 리터 러시 변화추이

갤노트10.1

90개

CT

블릿pC 61대 미러링장비 2대 전자칠판 2대 전자교탁 2대 갤노트10.13

학생, 교사 심 인터뷰

-행 지수 변화추이 -사회성 -시력 변화 변화추이 추이 -심리적 강상태 변화추이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기반 교수 학습 기반 기반 고 디지털교과서 모 적용을 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2 활용을 통한 통한 주 활용교수 활용교수 초 학습자 학습자 심 학습환경 학습모 심역량 역량신장 조성 개발 신장

ㆍ 델

4.5.6 학년

9대

- 213 -

-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블릿pC 20대 갤럭시노트 33대 전자칠판 1:1 2대 모둠 전자교탁 6대 빔프로젝트

자체 성과지표4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한 활용 활용을 위한 활용을 위한 활용교수 동 2 교수 학습 교수 학습 교수 학습 학습모 초 모 구 및 여 조성 모 구 적용 적용

․ 델 안

․ 건

․ 델

․ 델 안

4.5.6 학년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

1대

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강 스마트교육 위한 서 2 역량 기반 스마트교육 중 조성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중학교 디지털교과서 강 대 활용 원 화 2 교수학습 중 모형 개발 및 적용

여 량 1 중

학습자 역량 강화를(창의 성,협업,의사 스마트교육 소통,문제해 교수학습 결력) 위한 모형 개발 다양한 스마트교육 전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현장 적 성 학습자 교수학습 제고(학습효 중심의 학습 모형 개발 능 ,만족도) 환경 조성

N

콘텐츠

스마트교육 S S를 교육 의 스마트교육을 으로 활용한 자유이용과 위한 협동학습과 협동학습과 전이용 학습환경을 의사소통 소통능력 환경을 구 한다. 능력을 향상 조성한다. 향상시 다

1 3

1

1 3

전과목 (사,과,영 활용)

53(교원9)

11

:

-

-

영어

TpC8, 노트북 22

:

학습력 신장

만족도 (학생, 학부모, 교사)

DT

갤럭 노

전과목 시 트 (사,과,영 52개 구입 활용) 예정

DT

- 214 -

11

:

11

스마트교육 적용 효과 및 환경 정보통신 조성효과, 기자재 및 연수 효과 S 활용 능력 향상도

/W

의 변화 (창의성, 협력, 정보통신 리)

-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디지털교과서를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한 활용에 활용을 위한 활용 현장 2 교수학습 적 한 교수학습 적 성 및 중 모형 개발 및 교수학습 기반 조성 효과성 검토 적용 활동 전개 주

곡 경 기

참여와 소통을 통한 스마트교육을 명 통한 고 스마트교육 인 1 재미있는 기반 조성 중 중심 수업 모 개발

즐겁 배움 델

배움 스마트교육 델 을 통한 안 배움공동체

중심 수업 모 구 적용 및 일반화

․ 안

하 2 중

스스로 지 을 구성하는 협력교실 수업 구현 방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사회, 과학, 영어

1

갤럭시탭 25대 (60대호 확대구축

: 둠

1 1, 모

예정) 1학년 수학, 기술가정, 2학년 아이패 48 1 1, 국어, 대예정 모 사회, 3학년 영어, 과학

1 3

:

: 둠

수업모형 으로서의 효과에 대한 반

: 둠

디지털 교과서활용 교수 학습과정 적용 및 만족도 분석

: 둠

학생, 학부모,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

․ 안

아이패 20대

1

안 안

스스로 지 을 스마트교육 협력 교실 구성하고 교수·학습 수업 구현 협력하는 방법 구현을 결과 분석과 교실 수업 위한 환경 스마트교육 구현을 위한 조성, 활용 일반화 방 교수학습 강화 모색 방법 개발 및 적용

1 1, 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평가

디지털 교과서 적용 만족도

디지털 교과서 적용 일반화 자료 개발

디지털 교과서 적용에 따른 만족도 측정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 학습과정 의 일반화 및 동영상 제

:

활성화

개발된 디지털교과 교수 학습 서와 과정 의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적용을 통한 활용교수 활용을 위한 환경의 연구 지 2 자기 학습과정 교수학습 분석 및 중 주도적인 개발 및 적용 환경 조성 교수학습과 학습능력 정 구 향상 및 및 적용 경 일반화

대상

1 3

전과목 (사,과,영 활용)

DT

- 215 -

갤럭시탭 40대

1 1, 모

․ 안

․ 안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범 어 1 중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개발 및 적용을 통한 21세기 역량강화 방 디지털교과서 기반 스마트교육 모 구 적용을 통한 학습능력 신장 디지털교과서 기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모 적용을 통한 협업능력 향상 스스로 참여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교과서 기반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모 적용

화 개 1 중

합 포 여 중

1

진 주 제 1 일 중

델 안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대상

디지털교과서 활용 스마트교실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수업 여 확 및 교수 학습 조성 일반화 모 개발 및 적용

1 3

디지털교과서 협업능력 기반 신장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스마트 기반 스마트 교수학습 교수·학습 환경 구 과정 구 모 구 적용 적용

1 3

․ 델

안 안

델 안

디지털교과서 기반의 형 스마트학습 스마트교육을 도구를 교수학습 활용한 모 개발 교수학습 적용 모 개발 적용

-

1 3

참여하고 협력하는 디지털교과 서 기반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모 개발 및 적용

-

1 3

맞춤

융합 북 작 델

교과 형 디지털 제 교수학습 모 개발 및 적용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전과목 (사,과,영 활용)

내용 음

내용 음

교원연수 이수시

교사학생 참여 협력비

참여교사 비 과 개발 모 수

전과목 (사,과,영 활용)

내용 음

내용 음

교수학습 환경 만족도

학업 성 도

학습 만족도

시 트 전과목 90대(학생), 내용 (사,과,영 교사용 음 활용) 25대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전과목 (사,과,영 활용)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DT

DT

갤럭 노

DT

DT

- 216 -

TpC 154대 내용 없음

율 델 갯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대상

법 전 중

e-교과서와 자기 주도적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디지털교과 학습능력 과 연계하여 로그 서를 활용한 신장을 위한 자기 주도적 전 학년 운영 여 을 스마트교육 모학교 학습 능력 조성 로그 스마트교육 신장 운영

초 전 중

디지털교과서 기반 스마트학습 도구 활용 교수·학습 모 개발

북 천 생 중

프 램 건

쇼규

프 램

디지털교과서 기반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스마트학습 활용을 위한 활용의 현장 도구 활용을 교수 학습 적용 및 통한 인 라 구 효과 교수학습 모형 탐색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영어, 과학

프 축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 스마트교육 및 인 학습 도구 활성화를 스마트학습 석 1 활용을 통한 위한 인 라 도구 활용을 중 학습자 역량 조성 통한 학습자 강화 역량강화

1학년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내용 음

내용 음

171대 보유 ( p 168대, 내용 시 트 음 3대)

TC 갤럭 노

영어, 사회,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과 과학 수업 모 디지털교과서 자기 주도적 (디지털 개발 및 스마트교육과 관련 학습 능력 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 교육과정 향상 정도 95대 구 1, 2학년 국어, 적용을 통한 서의 인 라 분석 및 분석 및 예정( p ) 수학, 자기 주도적 구 교수 학습 일반화 자료 음 , 학습 능력 모 개발 제시 미술 신장 방 적용 (스마트 교육)

연구주제3

축 내용 T C 없음

스마트교육에 따른 4개교과 교수・학습 전학년 (국,영,사, 40(교원30) 활동효과성 과) 검증및일반 화

- 217 -

:

11

내용 음

자체 성과지표4

내용 음

디지털 내적동기 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변화를 적용에 적용에 통한 따른 강 따른 효과성 문제 만족도 평가 (시력 자세 측정 )측정

건 / /질병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의 효과성 분석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m 율 축

연구주제3

대상

실력과 디지털교과서 학습 역량 S art 재능 우고, 활용소통과 강화를 위한 교육을 위한 사 과 협업교육을 S art p 1 효 적인 전학년 행 을 위한 수업 실시 환경 기반 중 나누는 교수학습 및 효과 구 중학교 모 검증

산 곡 남

키 랑 복 산곡남

m u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전교과

7 구입 예정

축 황

구 현 모 별 설계도면 세트 및 이동형 사진자료 으로 자기진단 사용 평가지

설문지 결과자료

자체 성과지표4

CT

I 활용능 력검사,학습 교수-학습 검사,문제해 지도 , 결력검사,성 학습자료, 수준검사, 이지, 자기주도적 자료 학습능력 검사도구

홈페

웹취

디지털교과서 학습자 중심 신 기반 디지털교과서 스마트교육 (국어 영 디지털교과서 흥 학습자 중심 기반 학습자 수업모 어 과학 1 기반 전학년 여 스마트교육 중심 적용 사 미술 역사 스마트교육 중 수업모 수업모 출 및 체육) 환경 구 적용 적용 효과 분석

65

특별실 내용 구축 없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스마트교육 스마트교육 자기주도적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용 중심의 학습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적용 적 성 현 디지털교과서 2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위한 검증 및 전학년 여 활용 현장적용 적의 일반화 중 교수·학습 적 성연구 인 라 가능성 탐색 사 개발 조성

20

특별실 내용 구축 없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

델 례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기반 교과별 디지털교과서 인 기반 기반 스마트교육을 기반 주 1 스마트교수 스마트한 위한 스마트한 전학년 중 학습방법적용 교육 환경 스마트기기 교수·학습 교실수업개선 조성 활용 방 활동 전개 모색

/ / /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역사, 한문

전교과

- 218 -

교사 1인 활용, 조별 은 모 별 개인 활용, 1대로 학생 구입예정 1인 개인별 활용

혹 당

내용 음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디지털교과서 를 통한 디지털교과 창의·인성 서를 위한 1 수업모형 교수 학습 중 개발 및 적용 기반조성 방 연구

괴 산

연구주제2

연구주제3

디지털교과 서를 위한 디지털교과서 교수 학습 적용 효과 모 구 분석 적용

ㆍ 델 안

MA T 맞춤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 및 증 스마트교육 서를 활용한 스마트교육 평 운영을 위한 창의적 1 수업모형을 여 교육여 수업모형 활용한 중 조성 구 및 문제해결능력 적용 신장 방

MA T

프 램 안

․ 델

-

-

1,2,3 학년

블릿pC 28대 전자칠판 1대 빔프로젝트 태

없음

1,2,3 학년

19대

디지털교과 디지털교과서 서의 디지털교과 기반스마트 학습자중심 공 효 적활용을 서를 활용한 충 학습도구 형스마 주 2 위한 효과적인 활용 미래형 트교수·학습 중 교수 학습 교수 학습 교수·학습모 모 적용 환경기반 모 개발 개발 조성

1,2,3 학년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S R 디지털교과서 S R 시대 음 스마트교실 교육 활용 및 형학습을 성 시스 을 교수-학습 충 1 스마트교육을 위한 여 활용할 수 로그 통한교수 교육환경 중 있는 교사의 구 및 학습방법개선 조성 역량강화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 실현

대상

맞춤 델

1 3

중1과학, 사회( ) 영어(e-교 과서)

DT

- 219 -

-

내용 음

내용 음

내용 음

자체 성과지표4


학 시 교 연 연구계획서도 차 제목 명

연구주제1

연구주제2

연구주제3

학습자 디지털교과서 역량강화를 및 스마트교육 부 위한 스마트교육을 활용 활용 여 1 스마트교육 위한 스마트교육 로그 여 교수·학습 여 조성 교수·학습 개발 및 중 모형개발 및 모형개발 및 적용 적용방 적용

성 1 중

프 램

디지털 교과서와 디지털교과 스마트교육과 스마트교육을 연계한 서와 연계한 연계한 위한 기반 소 모 교수학습 교육모 조성 학교교육 모 개발 개발 모 개발

농촌 규 델

서책형교과서를 행한 연 디지털교과서 2 활용교수 중 학습모 개발을 통한 일반화 방

콘텐츠

․ 델 안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활용의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효과성 교수 학습 모 개발 및 검증과 환경 적화 적용 일반화 방

․ 최

1 3

디바이 자체 자체 자체 대상과목 스마트기기 스사용 성과지표1 대수 성과지표2 성과지표3 유형

전교과

자체 성과지표4

갤럭시탭10. 130대 태블릿pC 11대

C 26개

스마트교육 실 역량 강화

디지털 교과서 만족도

블릿 C 드

디지털 교과서 활용 만족도 (학생, 학부모)

자기주도 학습력 검사

p

1

태 p 135개 아이패 18대

1 3

사회, 과학, 영어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디지털교과서 용 기반 스마트 효과검증 및 스마트교육 활용 1 학습 도구를 일반화 방 환경 기반 교수 학습 중 활용한 모색 조성 모형 개발 교수 학습 모형 개발

대상

안 1~3

사회, 과학, 영어

- 220 -

C 57개

p

스마트 교육 실 역량 강화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교수학습 효과성 분석

디지털교과 서의 현장적 성 연구

자기주도 학습능력 진단검사

디지털 교과서 활용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교수학습 효과성 분석

만족도 조사


연구보고 KR 2014-2

스마트교육 ․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도구 개발 -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발 행 2014년 5월 28일 발행인 임 승 빈 발행처 (www.keris.or.kr) 주 소 701-310 대구 동구 동내로 64 전화: (053)714-0114 팩스: (053)714-0193 등 록 제22-1584호(1999년 7월 3일) 인쇄처 신성인쇄상사 전화: (02)2272-0345 본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비매품> * 에듀넷 : www.edunet.net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www.riss.kr * 교육행정정보서비스 : www.neis.go.kr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