것을 모아서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문제를 정의하기 위해 수강생들은 ‘공감’활동 또는 벤치마킹 과제를 통한 자신의 생각을 포스트잇에 적어 자기 생각을 공유하고 저장하는 활동을 했다.35 그리고 이처럼 도출한 아이디어는 토론을 통해 그룹화 하여 문제를 정의했다.36
61
3-37 각자의 공감 또는 벤치마킹 결과를 모두 도출하는 단계
3-38 도출한 아이디어를 토대로 합의과정을 거치는 단계
아이디어화Ideate 활동. 아이디어화 단계는 앞선 단계에서 정의한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단계이다. 확실한 솔루션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잠재력을 끌어내고, 아이디어를 양적으로 확보하고자, 모든 수강생이 각 전공의 관점에서 해결안을 엘리베이터피치로 제안하도록 했다.
35 36
2014년도 본 수업에서는 인터뷰 내용만으로 문제를 정의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측면이 있어서, 벤치마킹 활동과 병행하여 진행했다. http://dschool.stanford.edu/wp-content/themes/dschool/method-cards/saturate-and-group.pdf
융합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