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호3 2

Page 255

라이팅 칼럼

고효율 조명시장 동향과 판매 및 인증현황 분석 ■ LED조명

장기원 현) (사)고효율조명기기제조협회 회장 현) ㈜혜성 L&M 대표이사

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LED칩 시장 의 연평균 성장률은 1%, PKG 시장의 연평균 성장

LED조명 시장 규모

률은 13.5% 내외로 예측된다. 또 모듈은 24.3%로

국내 LED 조명시장은 2012년 기준 약 4.3조원으

LED조명의 성능이 모듈에 의존하기 때문에 LED

로 전년대비 19.4% 성장하였다. 이는 학교, 병원,

조명업체들의 모듈 등 업스트림 후방 통합이 활성

가로등과 같은 공공 및 아웃도어 부문에 높은 LED

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명의 보급률로부터 기인되었다. 특히 2020년 기

한편, LED 조명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20.4%로

준 국내 LED 조명시장 규모는 괄목할 성장을 이루

단기적으로 공공건물, 가로등과 같은 공공 및 아웃

어 약 15조원으로 추정된다. 단기적으로는 공공부

도어 부문을 중심으로 확대되거나 장기적으로 가정

문을 중심으로 시장 활성화가 기대되며, 2016년 이

및 상업용 조명시장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후 연평균 성장률 20% 이상으로 본격적 확대가 전

업계소식

5 9 6

망된다. 2012년 기준 공공부문, 아웃도어(가로등,

LED조명 시장 동향

신호등), 구조물 등을 중심으로 한 시장구조에서

국내 LED 조명시장은 전세계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있으며, 직접 완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에서 중국

2020년으로 갈수록 산업 및 상업부문의 시장이 점

정책 지향 및 2014년부터 국내시장에서 백열전구

의 저렴한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유통업 중심으

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의 생산과 수입 금지, LED조명 가격 하락 등을 이

로 바뀌어가고 있다. 한국산과 중국산의 LED조명

LED조명의 국내 시장규모는 주로 모듈과 기기부

유로 대중화가 촉진되고 있다.

가격차는 해가 갈수록 벌어지면서 국내에서 R&D

문의 시장판매 증가로 인해 확대되며, 상대적으로

실제로, 2013년말 대형마트 E사는 ‘E사 러빙홈

를 통해 LED조명을 생산하는 것보다 값싼 중국산

LED칩과 PKG 부문에서 시장규모가 적은 편이

LED전구’ 출시 6일 만에 6만개를 돌파하였으며,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 것이 더 큰 이익을 창출

대형마트 L사도 저가 PL LED 제품을 출시할 계획

할 수 있다는 현실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에 있다. 또 대형마트 P사 역시 LED전구 판매량을

따라 중국 현지의 OEM, 부품 조달업체를 물색하려

43종으로 확대하여 판매할 계획이다.

는 한국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LED제품 가격 하락은 수요증가의 역할을

또한 중국 LED기업들이 국내 LED조명 가격대가 상

수행하였으며, 이는 유통업체들의 본격적인 판촉활

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초저가

동을 이끌어 LED조명 대중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

제품으로 공략하면서 한국에 진출하고 있는 실정이

고 있다.

다. 중국 K사는 국내 파트너사를 통해 시장 진출을

한편, 국내 LED 조명시장은 중국산 대비 가격경쟁

하였으며, 최근 E그룹과 1,000만 달러 규모의 계약

력이 떨어져 국내 LED 제조업의 입지가 좁아지고

을 체결하여 일부 백화점에 제품을 공급하였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