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KHU2021

Page 1




INDEX

INTRO

PROJECT

OPENING 5 NEW NORMAL

7

ASSEMBLY & RECREATION

8

OFFICE & COMMERCIAL

22

CULTURAL 40 RESIDENTIAL 66 RENOVATION 82

PEOPLE

PROFESSOR 98 STUDIO A

100

STUDIO B

102

STUDIO C

104

STUDIO D

106


OPENING

졸업전시는 여러분이 지난 5년동안의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는

수많은 밤을 지새며 해왔던 모든 고민을 여기에 다 담을 수는

건축학과의 가장 중요한 교육과정 중 하나입니다. 지난 5년의

없었겠지만 졸업전시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에 담겨있는

결과물을 이 곳에 전시하기까지의 노고를 치하합니다.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하루빨리 오프라인에서 여러분의 작품을

배움을 모두 쏟아넣은 졸업작품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그

여러분의 고민과 좌절, 성취는 앞으로의 인생에 커다란 밑거름이 직접 만나고 함께 기뻐하게 될 날을 기대하며, 전시 준비에 많은

올해로 두번째를 맞이하는 온라인 전시는 비록 그 시작은

힘을 써주신 여러분과 지도교수님들께 다시 한번 축하와 감사의

코비드-19의 영향이었지만 콘택트에서 언택트로, 대면에서

말씀을 전합니다.

비대면으로의 전환기에 ‘새로운 건축’에 대한 질문과 생각을 공 유 하고 여 러 분 의 다 양 한 고민 과 입 장 의 흔 적 을 보 다

많은 대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그 유효함을

입증했습니다. 차후 오프라인 전시와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어 건축의 가치를 보다 넓고 깊게 사유하는 틀로서 그 중요성과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건축학과 학과장

5

천장환


2021 DAKHU GRADUATION


NEW NORMAL

‘뉴 노멀’ 시대의 건축 COVID-19 바이러스는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가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 WHO는 팬데믹을 선언하게 되었다. 이는 세계 곳곳의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모든 분야에 상상할 수 없었던 영향을 미쳤고, 우리의 일상생활까지 변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엄격히 시행되고 국경의 문들이 닫히면서 세계는 우리에게 개인의 사적인 영역, 서로가 공유하는 공간, 거시적으로는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의 모습은 물리적인 공간의 가치 또는 장소성에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언택트 사회의

급성장과 가상공간의 활용을 기반한 메타버스 개념의 등장 등이 건축분야에 새로운 차원의 문제로 등장했다. 지금이 건축에서의 ‘뉴 노멀 (NEW NORMAL)’의 시작을 알리는 시점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축에서의 뉴 노멀을 COVID-19과 연관성을 짓는 것만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4차산업의 빠른 성장, 가상공간의 등장으로 질문을 받는 장소성의 의미, 온라인 클라우드 커뮤니티의 활성화로 인한 교육 또는 근무환경의 변화, 새로운 직업군의 등장이 요구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 거리두기로 인한 물리적 경계가 갖는 의미 등 수없는 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2021년 경희대학교 제 48회 미석전은 ‘뉴 노멀’ 시대의 건축이라는 포괄적인 공통주제로 공간의 새로운 기준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문제를 대하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건축적 해법을 제시한다.

7


ASSEMBLY & RECREATION

LINE OF POSTURE STAY, SADANG, STATION 대방동 너나들이 I M POSSIBLE 저장하다 UNDERGROUND, ON THE GROUND

류화경 배강현 백지은 이승은 장지윤 한선교


LINE OF POSTURE

UNDERGROUND, ON THE GROUND STAY, SADANG, STATION

저장하다

대방동 너나들이

I M POSSIBLE


LINE OF POSTURE

STU D I O B

HWAGYEONG RYU

더이상 우리의 일상은 온전히 안전하지 못하다. '뉴노멀(NEW NORMAL)시대'가 도래한 중심에는 진화를 거듭하는 바이러스가 있다. 앞으로 갖가지

신종 감염병은 계속해서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킬 것 이다. 따라서 우리는 치료만이 아닌, 예방하고 대비하는 생활에 익숙해져야 한다. 뒤늦은 치료를 위해

마지못해 찾는 진료소가 아니라, 동네에서 쉽게 갈 수 있는 진료소를 고민했다. 최대한 사람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갈 수 있는 삭막하고 지루하지 않은 보건기관이 있으면 어떨까. 진료기능과 더불어 보건소 안에 각자가 편한 자세에서 하고싶은 활동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을 접목시켜보고자 하였다.

예방과 검진이 동네 사람들과의 커뮤니티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곳, 일상 속에서 보다 유쾌하게 드나들 수 있는 보건기관으로서 '보건 복합 커뮤니티'를 제안한다.

10


DESIGN PROCESS _EXTERIOR

SITE SITUATION

FLOW ALONG THE LANDSCAPE

MAKE 4 LAYERS

MAKE TWO CORES AND VOID

OPEN SPACE ON THE LANDSCAPE LEVEL

_INTERIOR

TRACING LINE OF POSTURE

#2 EXTRUDE SECTION

#1 MAKE TRACING CUBE

#3 SUBTRACT

T1_FURNITURE

T2_COLUMN

T3_PARTITION

#4 SET 4 TYPES

T4_ROOM

AXONO _COMMUNITY

B’ A

A’

B

9

Roof FL

Roof FL

FL+16500

FL+16500

7

8

7 FL+12000

FL+12000

3rd FL

6

5

5

3rd FL

5

2

4

7

4

2nd FL

2nd FL

FL+4400

3

7 2

2

1st FL

3

1st FL

3

9

FL+0

FL+0

B1 FL

8

7

FL+8500

FL+8500

FL+4400

7

4th FL

4th FL

1

B1 FL

1

FL+0

FL+0

A-A’SECTION

B-B’SECTION

1.PARKING 2. HALL/RECEPTION 3.DENTAL CARE 4. ADMINISTATION 5.EXAM 6. WATING AREA 7.COMMUNITY 8.GYM

1. PARKING 2. HALL/RECEPTION 3.DENTAL CARE 9.PHYSIOTHERAPY 4. ADMINISTATION 5.EXAM 7.COMMUNITY 8.GYM 9.CAFE

11


STAY, SADANG, STATION

STU D I O B

K ANGHYUN BAE

[유례없던 전염병의 확산으로 생활 속에서 많은 실험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업무의 경우 '대면'이라는 고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근무방식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1년이 훌쩍 넘는 시간이 지난 지금, 이렇게 발견된 새로운 방법들은 많은 업무 현장에서 무리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기업은 값비싼 임대료를 지불하며 큰 규모의 사무실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된다. 더불어 직장인은 직장으로 이동하는 행위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런 의문에서부터 도시환경은 변화하기 시작한다. 먼저 이전처럼 넓은 공간을 오랜시간 점유하는 것을 필요로하지 않게 되면서 [기능은 작은 단위로

분화될 것이다. 이후 잘게 나누어진 기능은 서로 뒤섞이기 시작할 것이다.] 이렇게 도시의 혼합이 시작되면 기존의 도시공간은 이전에는 없었던 기능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하지만 한정된 공간이 계속해서 쏟아지는 요구를 수용하는 데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수요를 해소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필요해진다.] 이 프로젝트는 전염병의 확산과 도시구조의 변화라는 배경 속에서 서울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지하철역이 거점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지하 공간을 거점 공간화하기 위해 지역과의 연결성을 강조한 지하철역의 새로운 타이폴로지를 제안한다.]

12


[ACCESS POINT] It is located on the border of Dongjakgu, Seocho-gu, and Gwanak-gu, Seoul.

[SEPARATION] The area near the target site is divided into four by Gwacheon-daero and Nambu sunhwan- Ro.

[SITE] Your area is connected through the basement.

[PROBLEM] Disconnection occurs because millions of people come and go through narrow entrances every day.

[STRATEGY] The park area near the entrance is planned as an underground ramp and connected to the platform.

[ALTERNATIVE] Propose a subway station that connects smoothly with the local pedestrian route.

13


대방동 너나들이

STU D I O D

JIEUN BAEK

; 세대를 넘나들다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고령화 문제는 세계적으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세대 간 갈등이

악화되며 사회에서 쓸쓸히 내쳐지는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존의 우리 사회는 기능적인 면을 추구하며 연령대에 따라 사람들을

특정한 장소에 모아서 생활하도록 했다. 이는 주거 시설뿐만 아니라 유치원, 노인복지시설 등의 문화, 교육 및 근린생활 시설에서도 동일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방법은 사회를 구성하는 초기 단계에서는효과적일 수 있지만, 현대 사회에 들어서는 세대 간의 갈등을 증가시킬 뿐이다. 본 졸업 설계는 현대 사회의 가족관계 약화로 인해 그 의미를 잃어가는 세대 간 교류의 역할에 주목하여 생애주기 양극단에 놓여있지만 공통적으로 돌봄과 교육을 필요로 하는 유아와 노인을 대상으로 고령사회 기반시설의 질적 향상을 목표로 하는 노유자복합시설을 고안하였다. 이에 따라 인구밀도가 집중된 도심인 서울시에서 노인과 아동인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동작구 대방동을 사이트로 선정하여 대방동의 노인과 유아가 '너나들이(서로 너니 나니 하고 부르며 허물없이 말을 건내는 사이)'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14


SECTION PERSPECTIVE

ISOMETRIC DIAGRAM

ABOUT SITE CONTEXT

PROCESS DIAGRAM

CONCEPT DIAGRAM

15


I M POSSIBLE

STU D I O A

SEUNGEUN LEE

_서울 자양동 장애인 복지센터 이번 코로나19는 취약계층에게 더욱 큰 재난으로 다가왔다. 특히 살아가는데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수적인 장애인들에게 이는 삶의 위협이 되었다.

그들은 전문적인 재활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장애인 복지센터에 방문해야하지만 공기 중 감염이 특징인 코로나19로 인해 복지관 휴관율은 91%에 달했다.

복지관 폐쇄의 주 원인이 공기 중 감염인 점에 집중했다. 건축적인 관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기'를 꼽았고, 환기라는 주 목표를 위한 새로운

건축적 개념과 공간이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팬데믹 상황에도 운영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복지관이 탄생할 수 있었다.

서울 내에서 장애인 인구밀도에 비례해 복지관 수가 부족한 지역을 선정했다. 새로운 평단면, 입면의 개념을 적용하여 대지에 부합하면서 장애인이

지역사회로 뻗어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평면에서는 '공간 간 거리두기'라는 개념을, 단면에서는 램프와 같은 다양한 수직동선의 배치를, 마지막으로 입면에서는 'BREATHING SKIN'을 이용하여 내외부 공기의 순환을 위해 입면이 자체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메커니즘을 적용했다.

16


PLAN DIAGRAM

MASS DIAGRAM

One path to reach One spot

MASS

LOWER

SLICE IT

Various path to reach Various spot

LIFT UP

PLAN

SECTION DIAGRAM

SECTION

CORE

BREATHING SKIN

17

RAMP

STAIRS

중형규모

소형규모

팬데믹시


저장하다

STU D I O C

JIYOON JANG

어떻게 공공건축으로서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하는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각해낸 것은, 첫째, 도보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이고 둘째, 일본의 무사시노 플레이스처럼 주변 지하철역과 도서관 사이에 공원이나

산책로를 두어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유입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예로 공공건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경의선 숲길이 조성되며 기존 번화가였던 홍대입구 9번 출구 인근 뿐만 아니라 연남동 쪽에도 인구 유입량이 증가한 사례를 꼽을 수 있다. 서울 시내에 커다란 공원을 후천적으로 조성하는 대신, 대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지상과 지하의 용도, 접근 방법 등을 다르게 하는 방법을 택했다. 이에 걸맞는 대지로 창동역 환승주차장 부지를 선택했는데, 이곳은 아파트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주된 생활을 고층에서 하다 보면 도시를 멀리서 조망할 수는 있지만 실제 도시를 그라운드 레벨에서 거닐며 주변을

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시간은 자연스레 줄어들게 되고, 도시를 거닌다고 해도 주변 건물들에 압도되어 움츠러들기 때문에 천천히 걷고 싶어지는 공간도 당연히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이런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낮고 넓게 퍼진, 도심 속에서 가장 인간적일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보았다.

18


OUTLINE

2F PLAN

▷ 대지위치 서울시 도봉구 창동 1-29 일대, 창동역 환승주차장 ▷ 지역지구 일반상업지역 서울창동도시개발구역

▷ 대지면적 4,748㎡ (1,438.78 평)

▷ 프로그램 공원, 도서관, 물류센터, 주차장 사이트를 멀리서 둘러싸고 있는 형태의 고층 건물들이 많고 4호선이 지나가는 고가도 있다. 폭력적이고 위협적으로 변한 주변 건축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낮고 넓게 흩어진 형태의 매스를 형성하고 주변 건물들과 차별화된 인간친화적 소통이 가능한 공간을 만든다. 1호선 철로로 인해 단절된 창동역의 서쪽과 동쪽 두 곳의 도보 연결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비교적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동쪽에도 오게 한다. 1호선과 4호선이 교차하는 곳으로 GTX-C 노선과 KTX도 들어설 예정. 유동인구의 증가를 고려해 다양한 사람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유연하고 매력적인 공간을 만든다.

도서관 지하철역

공원

물류센터

보이지 않는 지식과 문화

눈에 보이는 물리적 실체

지상층에 있는 도서관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으로 보이지 않는 지식과 문화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지하에 위치한 물류센터는 눈에 보이는 물리적 실체인 물건을 저장하는 곳으로 물건이 사람들에게로 흩어지는 공간이다.

트리 하우스와 지상층의 건물들은 오픈된 플랜과 섹션으로 내외부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 다른 공간 안에 있는 사람들의 교류를 이끌어 낸다. 도서관 본 건물에서 책을 꺼내와서 공원을 거닐며, 또는 다양한 형태의 건물들 안에서 자유롭게 책을 읽는다. 지표면에 격자 형태의 보행로를 내어 동선의 기능성을 살리고, 그 위에 살짝 회전된 격자 형태를 얹어놓은 듯한 모습으로 2층 트리 하우스를 두어 도시 내에서 새로운 공공 공간의 층을 제시하고, 그 속에 사람들의 활동을 낮고 친근하게 담아낸다.

19

1F PLAN

B1F PLAN


UNDERGROUND, ON THE GROUND

STU D I O D

SUNK YO HAN

과거의 교회건축은 종교시설로서 신을 경외하고 성스러움을 지닌 건축물로 인식되어 왔고, 신과 인간의 관계를 수직적 관계로만 바라보는 공간이었다.

우리나라의 교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빠르게 교세를 확장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했다. 사역보다 교세확장으로 물리적 크기만 키워왔고,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단절되면서 점점 높은 담을 쌓기 시작했다.

이러한 문제점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더 명확하게 드러났다. 집단감염 대유행의 중심은 늘 교회관련 시설이었고,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 속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시설 이용이 힘들어졌다. 교회는 현장 예배가 불가능해지자 온라인 예배를 병행하면서 불필요한 공간들이 많이 생기고 시설 유지가 힘들어져 강제 매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 이후에도 이런 상황은 끊이지 않을 것이고, 빈 공간의 활용과 지역사회와의 공공성 회복도 새로운 과제로 남겨졌다. 현대 도시에서의 교회건축이 단절된 지역사회의 공공성 회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 공간을 해결하는 것이 설계안의 목표이다.

코로나19 이후의 교회는 앞으로도 현장예배와 온라인예배를 병행할 것이다.

언택트(UNTACT)가 빠르게 확대되면서 작은 교회는 갖춰진 온라인 시스템이 없어 더 힘든 상황이 지속될 것이다. 그래서 이들을 위한 공유 예배당이 필요하다.

해당 사이트는 밀도 높은 도심 속에서 주거시설들로 둘러싸여 있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저층, 중층 높이의 건물들이 있어 그 사이를 왕래할 수 있는 길이

없어서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과거 종교시설(교회)는 항상 '구분', '분리'라는 개념으로만 만들어졌다. 현대 한국 교회는 과거와 다른 '교류'가 중요하고 열린가치(열린공간)를 가져야 한다.

20


MASS PROCESS

기존 교회 외형

새로운 교회 외형

SITE SHAPE

대지 형태의 기본 매스를 통해 대지활용성을 높임

SUNKEN

VOLUME

채광을 고려한 썬큰 광장을 조성하여 지하 공간 연계

대지축을 활용한 상부와 하부 매스 볼륨 형성 및 기능 분리

PLAN 12 12

7

17

12

13

12

13

14 13

13

13

14

1F PLAN

21

21

21

20

23

3 9

5

21

20

8

4

21

18

14

10

2

21

14

11

1

19

13

6

1 휴게실 4 영상편집실 2 공유작업실 5 미디어 홍보실 3 교회사무처 6 스튜디오

6

6

B1 PLAN

7 카페 8 로비홀 9 방송실

15

10 북카페/다목적공간

SECTION

21

B2 PLAN

11 주차장 12 준비실 13 방송실

24

16

14 밴드연습실 15 창고 16 대강당/체육관

B3 PLAN

17 주방 20 다목적공간 23 기계실 전기실 18 식당 21 소예배실 24 주차장 19 사무실 22 창고


OFFICE & COMMERCIAL

SOLAR PARK PLACE

HORIZONTALLY EXPANDED_OFFICE

김영훈

C.T.C : CIRCULAR TRANSIT CENTER

심윤선

SPECTRUM ; VARIETY LIFE SOLAR PARK PLACE A PIECE OF OFFICE

NEW OFFICE, NEW WAY! URBAN FOOD HUB

TREE -NEW BUILDING TYPOLOGY-

배성원 안서경 윤나래 정진영 차혜빈 최재협


C.T.C : CIRCULAR TRANSIT CENTER

TREE -NEW BUILDING TYPOLOGY-

SPECTRUM ; VARIETY LIFE

HORIZONTALLY EXPANDED_OFFICE

A PIECE OF OFFICE

NEW OFFICE, NEW WAY!

URBAN FOOD HUB


HORIZONTALLY EXPANDED_OFFICE

STU D I O B

YOUNGHOON KIM

"더 이상 건물은 '위로' 쌓이지 않는다. 대지로부터 12M, 이제는 '옆으로' 쌓이며 수평적으로 무한히 확장해 나갈 것이다." 소유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사람들은 서로 간의 영역을 나누기 시작하였다. 땅이 가진 고유의 형태보다는 사회, 물리적 가치 혹은 하나의 수단으로서 대지를

구분하였고, 각 국가간 국토에서부터 개인이 소유한 재산에 이르기까지, '땅'의 모양은 점차 인위적으로 쪼개지기 시작했다. 사회적 척도에 의해 더 잘게,

더 복잡하게 나뉘어진 대지는 효율성을 따져 지어진 건물들로 채워졌다. 이렇게 지어진 대다수의 건물들은 유한한 대지를 점차 채워나갔고, 결과적으로

한정된 대지에는 더 이상 활용할 수 없는 공간, 즉 건물 사이의 여백들만이 남게 되었다. 새로운 건축물이 들어설 때, 기존의 건축물을 허물고 다시 짓는 것이 아니라면, 포화 상태인 대지에서의 건축은 그 한계를 드러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설계를 통해 기존 건축물 사이의 여백을 활용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건축이 이루어질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고자 한다.

24


수평으로 확장될 새로운 시스템의 건물은 기존 건물 사이의 빈

공간을 하나의 새로운 대지로 받아들이고, 채우며 확장해나갈 것이다.

기존의 정방형 공유 공간은 광장처럼 쓰일 수 있는 반면 팬데믹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무기력하게 폐쇄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분할이 자유로운 장방형의 공간들은 공간 자체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모듈로 원하는 만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내부 공간을 각각의 모듈이 리니어하게 이어지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같은 면적의 공간이더라도 장방형의 공간은 정방형의 공간보다

면하는 공간이 넓어진다. 접하는 면이 넓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주변 공간과의 소통의 기회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으 로 총 4 가지 종 류 의 오 피스 타 입들 을

완성하였고, 이 시스템은 특정 대지뿐만 아니라 어느곳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5


SPECTRUM

STU D I O A

SEONGWON BAE

; VARIETY LIFE

'포스트 코로나'는 코로나19 극복 이후 다가올 새로운 시대 상황을 이르는말이다.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발생해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세계보건기구(WHO)의 팬데믹 선언으로까지 이어졌다. 이처럼 감염자가 급증하자 전세계 각국은 코로나9 확산을 막기 위해 이동제한

등의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과 재택근무 등을 코로나 19로 인해 인류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영역이 대변화를 맞은 가운데 가장 큰 변화는 물리적 접촉이 최소화되면서 언택트(UNTACT)문화가 확산됐다는 점이다.

언택트가 확산되고 재택근무를 시행하면서 업무환경은 변하게 되었다. 앞으로 재택근무가 정착되어간다면 우리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점차 변할 것이고

기존 사무실의 개념은 바뀌어 갈 것이다. 기존의 오피스의 공간 구성으로 상주하며 근무하는 업무 공간들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다양한 삶의 방식들을 담아 낼 수 있는 새로운 공간 구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SPECTRUM ; VARIETY LIFE]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과 업무환경을 반영하는 새로운 오피스 건물의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26


ISSUE

변화하는 오피스 도심의 업무 권역에 집중 되어있떤 오피스 건물들의 업무공간들이 주거 지역에 밀접한 곳으로 분산되어 입주를 하게 되고 도심의 오피스 빌딩들은 경쟁력을 잃게 되어 기업들이 빠져나갈 것이다. 그럼 기존의 건물의 공실률은 계속해서 늘어갈 것이다. 물리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PROGRAM

PROBLEM

SIMPLE COMPOSITION

DIVERSITY COMPOSITION

MASS DESIGN

OFFICE ZONE

RESIDENTIAL ZONE

RESIDENTIAL ZONE ROOM

PUBLIC AREA

WORKING AREA SHARING

OFFICE ZONE WORKING AREA PUBLIC AREA ROOM

SHARING

PUBLIC ZONE PUBLIC AREA

WORKING AREA COMMERCIAL SHARING

27


C.T.C

STU D I O B

YUNSUN SHIM

CIRCULAR TRANSIT CENTER

최근 상승하는 임대료 및 주택가격으로 인해 주거지역이 도심지와 점차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곧 출퇴근시 자가용 혹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인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또한, 최근 더욱 엄격해지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연기관 차량들의 퇴출 움직임이 본격화되어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동화 전략을 취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환경을 보호하는 움직임에 동참하는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라는 물건 자체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기차 혹은 자율주행자동차 등 사용연료나 운행방식에 대한 선호와 선택의 차이가 생길뿐, 자동차에 대한 수요 자체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모빌리티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중이며, 기존 운송수단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현 시점을 기준으로 우리 삶의 일부분이 되기 시작했다. 더 이상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삶의 연장선상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공간으로 다가갈 필요가 생긴 것이다. 순환적인 구성과 모든 프로그램 사이에 연결성이 확보된다면 효율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은 물론이고 우리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공간인 만큼 더욱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28


CONCEPT

PROGRAM

기성 환승시스템은 각자의 목적과 용도를 가진 층이 선형적이고

수직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관통하여 이동할 경우, 목적지와는 관계 없는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지나가야 하는 것이며 불필요한 동선을 생성하게 되고

효율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순환적 형태를 취한다.

SECTION

29


SOLAR PARK PLACE

STU D I O A

SEOK YEONG AN

친환경에너지에 대하여, 현대 도시의 수많은 곳에 자리 잡은 에너지 시설들은 도시 생활을 영위함에있어 필수 불가결하다. 하지만 환경 유해 물질의

위험성으로 인해 주변으로부터 고립되어왔으며, 이러한 폐쇄성은 도시환경의 파편화를 가져왔다. 오늘날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친환경에 역행하는 에너지 시설들은 점차 폐쇄단계로 접어들고 이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설로 대체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시설은 각종 환경 유해 물질

문제로부터 자유로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시의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에너지 시설에 공원과 공공시설을 결합한 새로운 도시 공공공간을 제안 함으로써, 이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와 파편화된 도시환경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공원에 대하여, 포스트 코로나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위험한 실내공간보다 쾌적한 야외공간으로 모였고, 자연스럽게 도시에서 자연을 누릴 수 있는

공원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공공공간에 대하여, 도시의 가장 큰 가치인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도시에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30


ISSUE & PROPOSAL

SITE & PROGRAM INTEGRATION CONCEPT

MASSING & PLANS

31


A PIECE OF OFFICE

STU D I O D

NARAE YUN

코로나19는 뉴노멀 시대로의 변곡점이 되었다. 우리는 변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함으로서 새롭게 나아가야 한다. 가내수공업이라는 전통적 노동형태는 산업혁명을 거치며 출근과 퇴근이라는 개념으로 변하게 되었다. 그러나 팬데믹을 기점으로 비대면과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키워드를 가지고 '일'의 형태와 수단이 변화하고 있다. 많은 서울시민들은 일하기 위해 매일 1시간 이상 어디론가 이동하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일들이 점차 줄어들 것이다.

A PIECE OF OFFICE는 서울 내 밀집되어 있는 오피스권역을 서울 곳곳으로 분산시키는 거점오피스다. 이는 외로움, 불편함, 일과 삶의 미분리라는

재택근무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출퇴근이 없다는 장점을 돋보이게 할 새로운 업무 공간이다. 또한, 자연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수직화시켜 노동자에게 쾌적한 업무 공간을 제공한다.

32


MINI ISOMETRIC

ELEVATOR

ISOMETRIC

RESTROOM

TRUSS

COLUMN

COWORKING

CONCEPT STRETCH THE PLAN

START-UP

PERSPECTIVE INTERIORIZE NATURE

CROSS THE SECTION

VERTICALIZE NATURE

EXISTING PROGRAM

MIXED PROGRAM

33

VENTURE

MAJOR


NEW OFFICE, NEW WAY!

STU D I O B

JINYOUNG JUNG

[ 코로나 바이러스의 대확산 ] 은 2020년 이후, 우리의 일상을 급속도로 변화시켰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물리적 관계가 다시 정의되었으며, 자가

격리를 통해 일상의 외부 공간과 분리되어 집에서 모든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에는 중심이 되는 공간을 소유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나 외부 공간을 사용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면서 소유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공간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의 방식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앞선 상황들에 현재 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있는 분야인 '오피스'를 연구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코로나 이전에는 정해진 시간동안

사람들과 고정적인 사무실 공간에 상주하는 근무 TIME-LINE이었으나, 재택근무가 활성화되는 시점에서는 한시적으로 사용될 업무 공간의 소비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오피스의 고정적인 레이아웃을 다양한 건축적 특성을 가진 '길'로 유연하게 변화시키고자 한다. 다양한 근무 형태를 반영한 업무 모듈들과

입체적인 길의 형태인 RAMP로 새로운 오피스 체계를 제안하며 포스트 코로나 건축으로써의 가치를 분명히 한다.

34


PROCESS 1

코로나 이전 오피스의 기존 시스템을 분석하고 코로나 이후의 상황을 반영하는 과정을 두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기존 오피스는 사용자가 수평, 수직적으로 주변과 단절된 물리적 환경에서 고정적인 형태의 업무 방식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에 기반으로 시스템된 건축이다.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가 가능해진 시점에서부터 업무 공간의 고정적인 사용은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공실이 발생하게 된다.

PROCESS DIAGRAM 1. EXISTING OFFICE

CONCEPT COLLAGE 1. NOW OFFICE

PROCESS DIAGRAM 2. NOW OFFICE

PROCESS 2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오피스의 사용을 단순히 근무공간에만 한정되지 않도록 새로운 오피스 시스템을 [ 길 ]이라는 입체적인 공간의 특성을 통해 발전시켰다. 사용되지 않는 공간과 기존에 존재했던 이동 공간인 복도를 입체적인 길의 형태인 RAMP로 새로운 근무 공간의 체제를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근무모듈 들을 길과 마주하거나 엇갈리게 하여 이전에는 중요하지 않았던 [ 커뮤니티 ] 프로그램을 강화시켜 함께 근무하는 공간인 오피스의 근본적인 가치를 다시 한번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CONCEPT COLLAGE 2. NEW OFFICE

PROCESS DIAGRAM 3. NEW OFFICE

35


URBAN FOOD HUB

STU D I O C

HYEBIN CHA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시스템은 크게 무너졌지만, 온라인 시스템은 적극적 확장을 이뤘다. 코로나19의 확대로 다른 사람들과 공간과 재화를 공유해야

하는 공유경제 역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분야였지만 공유경제에 새로운 가치가 더 해지며 다양한 비즈니스로의 도약이 실현됐다. 코로나를 통해

급진적으로 성장하게 된 대표적 비즈니스로 공유주방이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시작된 비대면 산업에 대면접촉이 필수적일 것이라 여겨지던 F&B도 뛰어들며 공유주방이 활성화됨에 따라 매장 영업은 축소되고 배달서비스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특히 직장인구가 많은 도심에서 비대면 식사를 위한 배달서비스 이용률이 급증하며 도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늘어나는 상가공실률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인 공유주방이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위험 및 유동인구 감소로 인한 상가공실률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람들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공유주방을 졸업전시 주제인 ‘뉴 노멀 시대의 건축’의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36


PROGRAM APPROACH

공유오피스 증가

도심형 물류

거점오피스 근무

공유주방 확산

재택근무 활성화

새로운 다이닝 문화

PLAN SITE PLAN

1F PLAN

3F PLAN

6F PLAN

37


TREE

STU D I O B

JAEHYUP CHOI

-NEW BUILDING TYPOLOGY-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들과 같이 살기 시작한지 1년반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의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에게 당연시 되었던 삶의 양식들은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재택근무는 생각보다 불편하지 않았고, 1인가구를 중심으로한 재택생활은 이제는 삶의 대부분의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그렇게 시간이

변화함에 따라 빌딩형 오피스에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제는 가게나 오피스들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 가게에서 먹는 것 보다는 배달음식이 더 많고, 오피스들도 대부분이 재택근무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저층에 상업시설, 고층에 오피스가 들어간

빌딩형 건물에서 공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공실들을 어떻게 채울지에 대한 해답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같은 평면을 쌓아 올려 만든 빌딩들은 효율성에 중심을 둔, 인간이나 자연이 결여되어있는 빌딩의 형태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선 효율의 논리에 의해 인간과 자연의 결여된 빌딩들을 자연의 법칙인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한 그래스호퍼 알고리즘을 만들어 도형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 용적에서 도형을 빼내면서 건물을 만들어냈다.

38


PROCESS

ALGORITHM

MAX VOLUME

PERSPECTIVE

Engrave

MAKE MASS

PROGRAM

SECTION

39


CULTURAL

FILTER TRAIN : 수원역 집장촌 재개발

DISCLOSE THE PLANE

THE JOURNEY TO KNOWLEDGE

FROM LIBRARY TO INFORMATION COMMONS

김승일

YOU ‘VE GOT A FRIEND IN ME !

김혜진

도심 위를 달리다

FILTER TRAIN : 수원역 집장촌 재개발 중화 1동 통합학교 프로젝트 REVERSE SCHOOL

NODE+LINK+TURN 왕십리역 지역허브 공공도서관 플랫폼

김지연 남효림 박광은 박세인

이경진

DISCLOSE THE PLANE

이정원

THE JOURNEY TO KNOWLEDGE

최세은

BALCONY IN VALLEY : CONCERT HALL 흑석동 공동육아 커뮤니티 BACK TO SCHOOL

이종윤 홍봄이 황동현


BALCONY IN VALLEY : CONCERT HALL

NODE+LINK+TURN 왕십리역 지역허브 공공도서관 플랫폼

흑석동 공동육아 커뮤니티

FROM LIBRARY TO INFORMATION COMMONS

YOU ‘VE GOT A FRIEND IN ME !

중화 1동 통합학교 프로젝트

REVERSE SCHOOL BACK TO SCHOOL 도심 위를 달리다


FROM LIBRARY TO INFORMATION COMMONS

STU D I O A

SEUNGIL KIM

기존의 도서관에서는 책을 읽고 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있었다. 하지만 책은 단순하게 공유하기 위함 그 이상으로 확장되어 네트워크 인프라와 스마트기기

일상화가 되면서 책의 공유를 넘어 정보의 공유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인천광역시는 수도권 중 인구 대비 가장 적은 도서관을 보유하고 있고 구도심과 신도심의 지식 양극화가 심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구도심은 도서관

비율은 높지만 사람들의 주거와 거리가 멀어 이용량이 현저하게 적다. 이에 대하여 구도심에도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배치하려고

한다. 사람들이 가장 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공간은 집으로서 송도신도시 도서관은 책을 앱으로 시키면 집앞까지 배달해주는 서비스로 기존의 도서관과는 차별적인 모습을 보여주려고 한다.

송도신도시 센트럴파크는 휴식공간으로서 부족함이 없지만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이트 내 도서관을 제외하고

체육시설, 야외 책광장 등 3개동을 분리하여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배치하려 한다.

42


DIVERSIFIED SEGREGATION OF CENTRAL PARK

사람들이 모이는 중심

사람들의 중심으로 나누어진 대지

사람들의 중심으로 나누어진 대지

CONNECTION BETWEEN OLD& NEW TOWN

MODEL

SECTION

43

인천의 도서관


도심 위를 달리다

STU D I O D

JIYEON KIM

펜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뉴노멀 언택트 시대의 등장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각자의 실내 공간으로 격리되면서 사회 관계망이 희미해지게 되었다.

거주 공간과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도심지 속 현실적인 한계에 의해 거주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스포츠 시설

프로그램 속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들을 통해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하며 펜데믹 이후 희미해진 사람들과의 관계망을 다시 묶어줄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내 외 프로그램 공간의 확장 및 중첩은 현재와 미래의 펜데믹 시대에도 보다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주며, 일상에서는 더욱 다채로운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들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고밀화된 도심지 속 사람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휴식할 수 있는 일상 공간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건축물은 녹지를 무너뜨리는 인공적인

요소가 아닌, 오픈 스페이스를 확장 시키며 보다 나은 도시적 풍경을 제시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44


DIAGRAM

기존 공원

기존의 스포츠 시설 거대한 하나의 매스 속 복도로 연결

type 1 각 요소의 시선적인 교류

공원의 수평적 확장

각 활동의 필요 공간에 따른 매스 구분 런닝 트랙 분리 및 관입

공원의 수직적 확장

매스 분리를 통한 여유 공간 확보 내부와 외부를 모두 접하는 런닝 트랙

type 2 스포츠공간의 확장

type 3 런닝 트랙의 확장

PERSPECTIVE

SECTION

45

자연 속 숲길

도심 속 숲길

기존 런닝 트랙

런닝 트랙의 확장과 연결

type 4 공간들의 확장 및 교류


YOU ‘VE GOT A FRIEND IN ME !

STU D I O B

HYEJIN KIM

서울의 반려동물 사육가구는 2016 년 20.4%로 향후 30%까지 늘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 또한 계속해서 성장 중이다. 이제는 TV

속에서 기저귀나 분유 광고보다 강아지, 고양이 관련 사료나 용품 광고를 더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 한 해 동안 버려지는 반려동물 또한 약 9000

마리(2016)로 늘어가고 있으며, 그 중의 1/3 가량이 안락사를 통해 죽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로 인해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진 사람들이 키우던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또한 온 가족이 모두 코로나에 걸렸을 경우, 홀로 남은 동물을 돌봐 줄 시스템도 잘 갖춰져 있지 않다. 반려동물 1000만 마리 시대이지만, 유기 동물에 대한 공간은 부족한 실정이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 보호소임에도 불구하고 관리를 안 한 지 오래된 듯한 뜬장과 유충이 가득한 물그릇, 곰팡이가 핀 사료들까지 심각한 관리 상태를 보이고 있다. 대상지로 설정한「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1 가 685-701」는 반려동물의 산책 HUB인

서울숲과 인접하며, 주거시설과도 인접해 있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여 입양에 대한 장벽이 낮아질 수 있다. 이제 인간이라는 개체만 잘 사는 세상이 아닌, 동물들도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한 걸음이 되고자 한다.

46


PROCESS

1 SELECT

CONCEPT

2 CARVE

3 CREATE

4 EXTEND

5 EXTRUDE

SITE ANALYSIS

VISUAL ANALYSIS

47

6 ANIMAL

7 COURTYARD

8 CONNECT


FILTER TRAIN

STU D I O C

HYORIM NAM

: 수원역 집장촌 재개발 수원역 맞은편 매산로 1가 114-3 일원에는 1960년대 전쟁 종식 후 수원역과 터미널 주변으로 성매매를 위한 판잣집 군락이 하나둘 생기면서 집창촌이

형성됐으며 현재 120여 개 업소에서 200여 명의 성매매 여성이 종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원역 역사부지에는 환승센터, 백화점 등 많은 상업시설이

자리 잡고 있으며 2차 역세권 또한 도시형 주거 기능의 주거시설들이 생겨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1차 역세권의 범위에 있는 집창존 대지는 개발되지 않고 우범지역으로 머물러 있는 상태이므로 집창촌 재개발을 통해 뉴노멀시대의 새로운 복합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려 한다.

수원역과 집창촌의 역사가 크게 다섯시대로 분류되어 열차라는 키워드로 엮이는 것처럼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가지는 다섯 매스가 하나의 흐름으로

엮이도록 했다. 또한 전체적인 건축컨셉은 도시필터로 미시적으로 보면 각각의 서로 다른 특징의 매스들을 통과하게 되면서 과거의 집창촌이라는 기억과

분위기를 문화와 밝은 이미지로 필터링해 준다는 의미, 거시적으로 도시 전체를 바라봤을 때는 새로운 창업 및 복합문화 단지가 필터 역할을 하여 수원역 인근 전체가 필터링 되며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하는 의미로써 도시 필터라 명명했다.

48


CONCEPT

HISTORY

MASS PLAN 1F PLAN 1 SHOP

2 CAFE & RESTAURANT

3 OUTDOOR CONCERT HALL

1 2 2

PROGRAM 1

1 2

3

4F PLAN

1 GALLERY 2 SHOP

4

3 LIBRARY

4 COWORKING OFFICE

1

SECTION

49

2

3

4


중화 1동 통합학교 프로젝트

STU D I O C

K WANGEUN PARK

교육시설이 사회적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뉴노멀시대에서 교육시설 또한 교육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에 당면했다. 첫 번째는

학습공간의 변화이다. 학습자의 학습은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학교 공간은 교실로 채워지는 것이 당연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늘어나면서 학습의 위기를 우려했지만 이와 다르게 교실 외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오히려 교실로만 채워진 학교는 코로나19라는 상황에서 제기능을 하지 못했다. 두 번째는 교육제도이다. 그간 교육제도는 여러차례 개편이 있었으나,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이에따라 학교공간 자체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현재 비대면 수업을 비롯한 다양한 교수학습이 시도되고 있다. 이런 수업운영적 측면의 변화에서 나아가 학점제가 시범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대학교와 유사한 최소 최대 필수학점이 있고, 그 안에서 자유롭게 선택하는 제도이다. 이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다양성을 부여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 때문에 지금의 일반교실 중심의 학교공간으로는 프로그램을 담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학교의 교육공간적 변화와 지역사회적 변화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50


3S1C

1. 높은 주택비율 대로의 상가와 학교를 제외하면 마을의 대부분은 주택

세 갈래길과 학교 사이트 내 공공공간 확보와 갈래길에 대응

2. 문화복지시설 부족 문화시설은 근방에 없으며

3. 닫힌 학교 군집 3개의 학교가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지만 담장으로 둘러쌓여 도시과 단절되어있다.

복지시설은 2곳의 노인복지관 뿐이다.

공유공간의 확장 각 학교 매스를 밀면서 학교간의 접점과 공유공간을 확장

학교의 연장 각 학교를 직접적으로 연결

SECTION

51

4. 공공공간 부족 봉화산 외 공적인 모임의 장소나 녹지, 공원이 부족하다.

부유 1층 매스를 공중에 띄워 세갈래길과 학교공간을 지역에 열어줌


REVERSE SCHOOL

STU D I O A

SEIN PARK

"재난은 평등하지 않다." 위기의 상황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주어지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이다.

더욱이 코로나로 인해 초연결시대의 등장이 앞당겨지며 노인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소외 현상에 대해 주목하고, 이를 세대 간 문화 교육 공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기존 가로의 연장선 상에 있는 축은 유리 벽과 보를 만들어 내며 공간을 구획한다. 투명한 유리 벽은 실의 쓰임에 따라 밀도가 정해진다. 투명과 반투명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노인들은 청년들의 문화를 관찰하고 시도하고 경험한다.

팬데믹에 대비한 가변형의 공간은 또 다른 위기 상황에서도 노인들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주변인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으로 인정받기를 희망한다.

52


CONCEPT

DIAGRAM

Wall

Slab

Variability

PLAN

PERSPECTIVE VIEW

SECTION

53


NODE + LINK + TURN

STU D I O D

K YEONGJIN LEE

왕십리역 지역허브 공공도서관 플랫폼 우리의 일상에서 공공시설과 문화공간은 사람들에게 소통과 관계의 공간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뉴노멀시대의 시작으로 소통의 공간이 사라지고

사람들은 더 이상 모일수가 없게 되었다. 펜더믹 시대를 시작은 도서관의 역할은 정체시켰고, 취약계층의 정보 습득의 공간이 사라지면서 정보의 양극화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대의 도서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서관의 역할이 필요하며 문화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왕십리역을 기반으로 시작된 지역허브 공공도서관 플랫폼 프로젝트는 디지털 학습 시대의 교통네트워킹과 보행시스템의 연결으로 발생하는 시너지를 이용한 새로운 도서관을 역할을 제시하는 데에 시작된다. 그리고 공간의 변화를 통해 취약계층과 일반계층과의 정보의 양극화를 줄이는 데 목표를 가진다.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등 기차 플랫폼, 지하철역, 보행교차로는 정주하지 않는 공간이며, 누구나 접근하기 쉬운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우리가 이 공간에 정보의 공간, 문화의

공간으로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면 어떨까? 기차플랫폼과 지하철역을 디지털 학습 시대에 새로운 도서관의 역할로 제시하고, 문화공간의 변화를 통해 취약계층과 일반계층과의 정보와 문화의 양극화를 줄이는 공간으로 거듭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54


CONCEPT

: MICROCHIP

PROCESS 1. Paneling

Factor 1 : NODE level

뉴노멀 도서관 : 마이크로칩 도서관

PROGRAM

: SANDBOX

2. Shortest Walking

Factor 2 : NODE volume

샌드박스 : 보호된 영역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발굴 LINK

3. Selecting

정보저장공간

Factor 3 : LINK volume

NODE 창의공간

4. Massing

TURN 공동체연계공간

SECTION PLAN

NODE SECTION PLAN

55


DISCLOSE THE PLANE

STU D I O A

JUNGWON LEE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사회 속에서 건축 또한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와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삶을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건축에 대한 생각 중에서도 기존의 감각과 상식에서 탈피하여 도시와 자연의 여러 요소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이를 재조합하며 그 결과 기존의 시야에서 경험한 것과 다른 새로운 경관(SCENERY)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도구로 벽과 바닥, 유리, 수공간 등과 같은 건축에서의 면 요소(PLANAR ELEMENTS)들이 활용되어, 기존의 공간을 구현할 때보다 더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된다.

다양한 장면들이 집합된 건축물은 기존의 '하늘-수목-잔디밭' 순으로 길게 늘어선 서울숲의 경관에 변화와 역동성을 불러 올 것이다. 그리하여 서울숲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더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할 것이며, 더 나아가서 서울숲은 새로운 건축의 방식을 제시하는 공간임과 동시에 사람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건축과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장소가 된다.

56


NEW RECOGNITION OF PLANES IN ARCHITHECTURE

CONVENTIONAL ARCHITECTURAL WALL 공간의 구획과 구분을 위한 수직, 수평의 면

NEW METHOD OF USING WALLS

A

A

C

C

B

B

일상 속 풍경

C

자유로운 활용으로 다양한 입면과 기능을 가진 면

A B

풍경의 요소들을 장면에 대입

장면들의 다양한 배치

VARIOUS USE OF WALLS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활용되는 벽

PLANES IN SEOUL FOREST

0

GROUND FLOOR CONCERT HALL, GALLERY, SEMI-OUTER SPACE, THEATRE

SECOND FLOOR STUDIO, LOUNGE, TERRACE

CROSS SECTION

THIRD FLOOR HALL, TERRACE

LONGITUDINAL SECTION

57

5 10

20

30M

N


BALCONY IN VALLEY : CONCERT HALL

STU D I O B

JONGYUN LEE

[새로운 타입의 공연장] 공연장은 공연을 하는 무대와 관람을 하는 관객석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집단적인 관람이 중요한 공연의 특성상 관람석은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형태는 마치 '협곡' 같다. [인공적이면서 자연적인 협곡] 채석장에선 독특한 경관을 볼 수 있다. 산은 인공적으로 깎이지만, 그 형태는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 같아 보인다. [채석장의 경사를 활용한 공연장] 경사에 관람석이 놓여지면 인위적인 경사를 만들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경사에 맞춘 관람석의 TYPOLOGY가 도출 될 것이고, 새로운 공연장의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 1 : 경사] 사람들은 가파른 경사일수록 독립적인 성향이 짙은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경사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타이폴로지를 만든다면, 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경사가 있는 곳이라면 광범위하게 퍼져 나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 2 : 바위] 타이폴로지를 만들기 위한 개념의 셀은 바위의 형상에서 출발했다. [CONCERT HALL] 관람 단위의 재구성을 통해 공연장의 새로운 타입을 만들고, 다양한 경사를 가지는 채석장에 적용해 파괴된 채석장의 생태계에 공연 생태계를 구성했다.

58


PROCESS

BUILDING CONSTRUCTION DIAGRAM

1. Find Surface

Facade System

Modular System

Curculation System

2. Offset Surface

Module Zonning 3. Path Along Rock Surface

PHYSICAL MODEL

4. Connection

5. Extrude Stage

6. Landscaping Gardening

59

Exterior Landscape


THE JOURNEY TO KNOWLEDGE

STU D I O B

SEEUN CHOI

불과 200년 전, 세계는 변화의 소용돌이를 맞이했다. 그 후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정보는 더 이상 물체가 아닌 가상의 공간에

저장되고, 이것은 무한한 양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향해가고 있다. 종이책은 E-BOOK으로 바뀌는데, 과연 도서관은 미래에 존재하지 않게 될까? 혹은 계속

존재한다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야 할까? 종이책은 그 자체로 유의미한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이를 담는 도서관의 공간적 형태와 이용하는 사람들의 행태, 그리고 작동하는 시스템은 진화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새로운 도서관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요리책을 찾으러’ 장르 별로 구분되어 있는 서가에 가는

것에서 벗어나 공간 자체를 향유하며 지식이 나에게 알아서 오는 특별한 시스템을 확립하여, 이것이 이용자로 하여금 색다른 경험이 되게 하였다. 이용자는 외부공간에서부터 자연스레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슬라브를 잇는 램프와 계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로 선택의 수 많은 경우의 수 중 하나를 택해 걷다 보면 '지식이 우연히 찾아와' 말을 걸게 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60


PERSPECTIVE

NEW LIBRARY TYPOLOGY

Pathway = Flow

Pathway ≠ Flow

CONCEPT

Spatialization of Maze

1. Line of Knowledge

2. Hallway of Knowledge

3. Maze

4. Maze Library

PROCESS

1. Extrude site boundary

2. Spatialization of site boundary

3. Insertion of polyhedral modules

4. Booleandifference

PROMENADE

Type 1. Opening Promenade

Type 2. Node Promenade

Type 3. Public Promenade

SECTION

61

Type 4. Air Promenade


흑석동 공동육아 커뮤니티

STU D I O C

BOMYI HONG

흑석동 고갯길은 지금도 뉴타운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새로운 주거 건물과 오래된 건물들이 혼재되어있다. 주택 재개발은 노후된 건물을

철거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 시키기는 하지만, 재개발 구역에서 지정 해제되거나 배제된 곳은 노후된 채 남겨지게 된다. 그런 지역에서 사는 주민들은 서로 가까이 살지만 단절되어 질적으로 전혀 다른 생활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에 공감해 서로 다른 생활을 하는 흑석동 주민들이 육아정보를 공유하고, 아이를 키우며, 함께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을 제안한다.

62


SITE ANALYSIS 흑석동 고갯길을 오르내릴 때 내려다보았던 한강,

겨울 철새들은 애처로운 몸짓을 하고 그런 것들이

고달팠던 삶을 그 얼마나 받쳐주고 부축해주었는지 이제는 알 것 같다. 더함도 덜함도 없이 있는 그대로의

품이 얼마나 넓고 포근했는지 이제는 알 것도 같다. -박경리

과거에 한강은 사람들이 모래를 쌓고 물을 만지던

모두 의 강 이었지만, 지금 은 한강 변에 만 여가 와 휴식의 모습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한강 조망은 일부

주거에만 사유화되었다. 흑석동은 뉴타운 개발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정지가 아닌 곳 중에서도 한강과 거리가 있는 경사지를 사 이트 로 선택 해 모두에게 한강을 돌려주고 싶었다.

대상지는 건물의 구조나 준공 일자, 높이, 구조 등에서

확연히 대비되는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거지역과 노후된 주거지역 간의 높이차도 상당해 확연하게 단절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SITE PLAN

CAR IN OUT

63


BACK TO SCHOOL

STU D I O A

DONGHYUN HWANG

코로나바이러스의 창궐이후부터 이전부터 서서히 시작되던 새로운 시대로의 움직임이 여러 분야에서 급격히 가속화되었는데, 그 중 교육 분야는 비대면

화상강의의 도입으로 가장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난 분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언택트 교육은 코로나 사태이전부터 인터넷 강의를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던 요소이지만 그러한 요소를 학교라는 공교육에 접합시키지 못하고 있던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코로나 사태이후 학교에서 진행되던 교과교육들을 비대면으로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면서 이제는 수업의 형태 뿐 만 아니라 학교공간의 형태와 역할의 패러다임 또한 변화해야 한다.

미래 교육의 본질은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것에 있지 않다. 내가 원하는 것을 상상하고 필요로하는 것을 배워 재조합 하는것. 다시 말해,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는 것. 그것이 흔히들 말하는 창의성이며, 현대의 교육에서 가장 요구하고있지만 결여되어 있는 요소이다.

과거의 아고라(AGORA)가 그랬던 것 처럼, 지식 교환의 장과 같은 역할을 하며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여 그들의 가진 지식과 기술을 교환하고

활용하며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내는 곳. 그곳이 교실이 사라진 미래 학교의 모습일 것이다

64


PHYSICAL MODEL

SITE ANALYSIS

PROCESS

65


RESIDENTIAL

AGING IN HOME TOGETHER

GRASSROOTS JUMBLING

RHIZOMATIC VILLAGE

김주미

RE : BORN

박 월

GRASSROOTS JUMBLING

김주희

PLANS OF BORDERLESS RESIDENCE

박혜빈

LINK : AGE

이찬우

RE : HIVE 가리봉 벌집촌 재생

AGING IN HOME TOGETHER

이성우 정현예


PLANS OF BORDERLESS RESIDENCE

RHIZOMATIC VILLAGE

RE : BORN

RE : HIVE 가리봉 벌집촌 재생

LINK : AGE


RHIZOMATIC VILLAGE

STU D I O C

JUMI KIM

범지구적 산업 변화와 팬데믹 상황은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4차 산업의 발전과 팬데믹은 가상과 현실 세계에 비슷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실의 도시 공간에서는 집합 공간이 삭제되고 있다. 더 이상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지 않아도 기술적으로 교류가 가능케 되었고, 다수의 사람들과의 접촉은

전염병 사태에서 가장 위험한 일이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개인 공간과 개성은 중요시되고 있다. 개인은 자신의 공간에서 자고 먹는 것 뿐만 아니라 취미 생활, 교육, 업무를 행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의 공간은 다양한 잠재성을 안고 있어야하고, 시간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변모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뉴노멀 1인 주거 단지는 천편일률적이고 위계가 분명한 현재의 도시 공간에 반하여 잠재성을 가진 리좀형 공간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도시와의

간극을 줄이기 위하여 규모의 그라데이션을 통해 단지를 구성하였다. 'RHIZOMATIC VILLAGE'에서는 다가오는 뉴노멀 시대에 맞게 개인 영역의 분리하여 함께 공존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68


SITE ISSUE

CONCEPT DIAGRAM 공 간 개 념 컨 셉

Existed : 수목형공간

뉴노멀 시대

Proposed : 리좀형 공간

기존 도시의 비규칙성

공유 공간의 경계, 사잇 공간

그라데이션 : 연결

다양한 동선 구축 : CONTEXT 반영

PROPOSING : 스케일과 비규칙성

작동 : 코어와 클러스터

평 면 컨 셉

우리는 천편일률적이고 불안전한 초고밀도 도시에 살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 411-21 ~ 435-1 ( 영등포 집창촌, 쪽방촌 ) 청장년 1인 주거 단지 ( 주거, 근린, 상업, 문화시설 ) 대지 면적 : 13,800 ㎡

배 치 컨 셉

PLAN

7

1F PLAN

1. Housing Complex

6

8

1 4

5 2

3

2. Office

3. Community Center 4. Laudry Room 5. Cafe

6. Art Museum

7. Shopping Center 8. Public Place

UNIT COMBINATION

69


GRASSROOTS JUMBLING

STU D I O C

JUHEE KIM

인간 삶의 단계 중 대학 시기는 인생의 방향성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2019년 말부터 감염병이 전파되며 사회적으로 물리적인 접촉과

상호작용이 극단적으로 제한되었다. 대학 역시 이러한 흐름을 피하지 못했고, 다양한 외부활동과 문화생활로 다양한 자극에 노출되었던 대학생의 LIFE STYTLE은 급속도로 경직되고 단순화되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경직된 일상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안을 탐색함과 동시에 문화 및 상업시설에 대한 새로운 접근 경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설계의 핵심은 다양한 문화적, 상업적, 창의적 콘텐츠들을 대학 기숙사의 주거 프로그램과 융합하여 단절된 외부

사회적 연결망을 대체하고, 다양한 학문을 배우는 학생들이 서로간의 영역을 허물어 최종적으로는 서로 다른 학문이 융합되어 새로운 영역을 찾아가는 베이스캠프로서의 학교 기숙사의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내외부 브릿지들은 다양한 움직임을 교차시키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미시적인 자극을 통해 학생 개인이 주도하는 무수히 많은 아이디어와 창업 요소들이 발생하게 된다.

70


CONCEPT

Campus

마을

COMMERCE

SECTION STARTUP PROGRAM

MASS DIAGRAM

BASE

DIVIDE

BREAK

FLOW

71

기숙사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은 크게 상업과 창업 두 가지이다. 상업은 구도심에 해당하는 기존의 상업지구, 마을 방향에서 확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캠퍼스와 마을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했다. 마을 특유의 오밀조밀하고 작은 규모의 공간에서 나오는 특유의 감성을 살려, 거대한 매스를 잘게 쪼갰다. 창업은 캠퍼스 내 지식창업트랙이 진행되는 멀티미디어관으로 연결된다. 주거 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들어가는 작은 매스들의 진행 방향을 멀티미디어관에서 정문까지 연장시켰다. 내외부 브릿지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연결하며 기숙사에 불예측적 도시적 동선이 흐르게 한다.


RE : BORN

STU D I O C

PARK WOL

서울시 저층주거지 내 주택은 늙어가고 있다. 이러한 건축된지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이 전체 주택의 1/3가량을 차지하고 대다수가 단독주택이다. 이러한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공공의 개입으로 적절한 활용방안을 찾거나 빠른 개선이 필요하다. 낙후된 충신동 윗동네에 활기를 불어넣는 공동체 거점공간을 제안한다. 지역 주민들과 청년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유공간을 통해, 공생하며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마을 내 지역 주민간의 상호교류, 협력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스트릿이 점진적으로 활성화되어지는 것을 기대한다.

72


MASS DESIGN CONCEPT - 땅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띄어진 매스의 움직임으로

상부-청년임대주택

하부-주민 커뮤니티 시설 비정형적, 정돈되지 않은 기존 대지 주변

DRAWING

틈새, 벌어짐, 예측불가함 등의 건축적 시작언어로 변환

임대주택과 커뮤니티 시설 프로그램 분리

B1 Floor Plan -1,700

1. 소규모 공용 도서관 2. 공용 목욕탕 (남) 3. 공용 목욕탕 (여) 4. 화장실 5. 홀

1 Floor Plan +1,200

1. 물품보관실 2. 족욕탕

2 Floor Plan +4,800

1. 1인 청년주거 2. 2인 청년주거

3 Floor Plan +8,800

1. 2인 청년주거

LEFT ELEVATION

73


PLANS OF BORDERLESS RESIDENCE

STU D I O A

HYEBIN PARK

본 프로젝트는 아파트 단지가 단지의 외부와 내부에서 물리적, 정서적으로 관계를 단절하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오늘날의 아파트 단지가

거주민들만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지며 한 도시 내에 사는 단지 밖의 사람들을 배제하고 공간적 사회적으로 이분화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

단지의 경계를 해체하고 인접 지역과 세대간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안으로, 그라운드 레벨에서 단지를 여러 갈래의 길로 분할하며 외부를 수용하고 상층부를 옥상정원으로 연결해 거주민들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주동과 주동, 단지와 외부 마을을 잇기 위한 가교가 되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을 중심으로 현대사회가 추구해야 할, 함께 사는 도시를 위한 아파트 단지를 설계하고자 했다.

74


SITE

CONCEPT

DIAGRAM

wind

Roof Garden

street

75

view


RE : HIVE

STU D I O C

SEONGWOO LEE

가리봉 벌집촌 재생 정보와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공간과 장소의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다. 도시 곳곳에는 버려지고 방치된 공간들이 존재한다. 상가와 오피스가 사라지고,

학교의 수업이 온라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장소성이 모호해지고 가상화되는 상황에서, 건축이라는 낡은 그릇은 무엇을 담을 수 있는가. 전 지구적 코로나 팬데믹은 오랫동안 서서히 진행되었던 변화와, 그에 수반되는 위기의 도래를 가속시켰다. 우리는 다시금 주변에 넓게 펼쳐진

수많은 문제와, 긴급히 다루어져야 하는 취약한 현장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도시에 넓게 퍼진 환부와도 같은 현장들은, 더 이상 ‘경관’의 문제가 아닌 ‘안전’의 문제로 우리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팬데믹이 불러온 ‘뉴 노멀’, 언택트 시대의 도래로 생활반경이 줄어들고 일률적인 형태와 균질한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의 요구는 더욱 커졌다. 사람과 사람의 접촉이 줄어들면서 집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모든 것을 해결하는 인류가 ‘식물화’ 되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렇듯, 식물화되어가고 고립되어가는 인간의 삶을 건축이라는 도구를 통해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라는 고민에서부터 이 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이 두 가지 시점에서 바라볼 때, 가리봉동 벌집촌은 대상지가 되기에 충분했다.

76


과거의 기억

가장 열악하고, 위험하며, 고립된 도시,

세대간의 교류는 없으며 건물 간의 교류도

없는 곳, 그러나 ‘벌집’이라는 가리봉의 역사와 애환이 담긴 집에는 다른 곳에선

찾 아 볼 수 없 는 공 간 적 매 력이 분 명 존재했다. 괴기스러울 정도로 마구잡이로

난립한 계단과, 옥상위에 모인 서너개의 집, 나무 한 그루가 있는 작은 마당. 각

세대를 위, 아래, 양, 옆으로 밀고 당기면서 단절된 벌집에 새로운 공 간과 바 람을 불어넣고자 했다.

PLAN

고립되고 밀집된 벌집촌의 평면

필지와 건물을 통합, 재개편

일률적이고 단절된 벌집촌의 단면

벌집촌공간의 수직적 재구성

다양한 움직임과 외부공간

E.L +2000 PLAN

E.L +4000 PLAN

세대간 교류없이 나열된 벌집의 평면

좁고 균질한 주거공간이 적층된 벌집의 단면

E.L +7000 PLAN

벌집재생

벌집의 폐쇄성을 개선하고 공간적

매력은 발전시켰다. 하부에는

창 업지원시설이, 상부 에는 4 가지 타 입의 주거유닛이 여러 형태로

배치되어 수직, 수평적으로 다채로운

외부공간을 만든다. 물리적 접촉과

시각적 접촉 이 발생 하 며 , 통 풍과

환기 가 용 이 한 다 공 성 주 거 로 의 재탄생이다.

77

하부로는 지역사회, 상부로는 거주민 교류

밀고 당김으로써 다양한 외부공간 도출

여러 타입과 다양한 방식의 적층으로 다양한 외부공간 도출


LINK : AGE

STU D I O D

CHANU LEE

본 주제는 기성 임대주택 단지의 부정적 낙인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현재 임대주택은 경제적 기반이 부족한 저소득층 중심으로 건축되는

추세이며 이는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것이 곧 저소득자라는 편견을 양산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연적으로 국가 주도로 건립되는 임대주택은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지어질 수밖에 없지만, 건축적으로 부정적인 낙인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랫폼의 제안이 절실해 보인다.

임대주택이 빈곤층이 거주하는 낙후 시설이라는 인식을 극복하고, 특정 직업군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러한

주제의식을 기반으로 기존 임대주택의 병리적 양상을 타파하고 건축적으로 특화된 공간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또한 본 프로젝트에서 주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참고하여 패션 산업 종사자, 그 중에서도 경제적 기반이 미흡한 신진 디자이너 계층을 주 이용자 계층으로

삼고자 한다. 이들의 경제 자립 및 원활한 사업 기반 구축을 위한 공간 설계를 진행하는 한편, 소셜 믹스 개념 적용을 통하여 잠재적 구매자와 판매자 간 피드백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폐쇄적 유형의 주거 형태와는 다소 다른 방향성의 단지가 구축될 것이다.

78


SITE

CONTEXT

Sinseol 1 Territory

동대문은 명실상부한 의류 산업의 중심지로 최근 세계적인 패션 거점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화려한 모습의 이면에는 신진 디자이너의 열악한 생활상이 숨겨져 있다. 이러한 맥락을 프로그램의 맥락에 반영하여 타겟층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rea : 17,067m²

Accessibility (Public Transport) Subway Line 1

Subway Line 2

Subway Ui-Line

Subway

Bus Station

Natural Context Stream

MASS

Street Trees Park

UNIT

Building Age 2000~

프로그램별 조닝

1970~2000 ~1970

Programs

Residential

Neighborhood

Cultural

etc.

Commerce/Office

5x8 Single

10x8 Double

Infrastructure

Terrain & Building Level

프로그램 밀도 조절

Flat Terrain

10x10 Corner 1

Surrounded by Middle-level Buildings

Satellite View 10x10 Corner 2

프로그램 간 연결

ISOMETRIC

OFFICE

HIGH RISE RESIDENTIAL

LOW RISE RESIDENTIAL

CULTURAL COMMUNAL DECK

79


AGING IN HOME TOGETHER

STU D I O D

HYUNYEH JUNG

COVID-19로 인해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고 살아가던 공간들 중에 바이러스에 취약함이 드러난 공간 중 하나가 몸이 불편한,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모여서 남은 삶을 보내는 노인 요양시설이다. 노인 요양시설은 폐쇄적인 하나의 공간에서 다수의 노인들이 생활하는 환경이고, 소수의 관리 인력이 다수의

노인을 케어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에 취약한 공간임이 드러났다. 그렇기 때문에 뉴노멀 시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해야 할 공간 중 하나다. 또한 뉴노멀 시대에 새롭게 드러나는 사회적 기준, 한국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 맞춰 현재의 근린주구이론을 새롭게 제안해 노인 요양시설을 제안하고자했다. 저출산으로 인해 폐교가 점점 늘어나는 현재 상황에 맞춰 기존의 근린주구이론은 초등학교가 마을을 구성하는 중심이 되었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노인 시설이 초등학교의 자리를 대체하기도 하고 초등학교와 함께 근린주구이론에서 마을의 중심이 되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노인을 위한 시설이 불편한 몸을 이끌고 비슷한 상황의 노인들이 모여 죽음만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공간이 아니라, 인생의 마지막을 함께 그들만의 커뮤니티나 마을을 형성해 살아가는 곳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80


SITE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통일로 78가길 20, 서울 은혜 초등학교 부지 > 서울 사립 초등학교 중 처음으로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 수 부족으로 폐교처리 된 초등학교. 사이트 주변으로는 오래된 주거지와 주변 유일한 녹지인 불광 근린공원이 위치.

DIAGRAM

물리치료 체력단련 공용시설

UNIT TYPE 5

거주 유닛

간호 STATION

각 외부공간 및 정원

B동_2층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체력단련실, 외부마당, 가족면회실, 거주UNIT 및 간호STATION

TYPE 1 1인실 + 간호STATION

TYPE 2 공유주방 + 외부 마당

A동_4층 노인거주 UNIT, 간호 STATION, 공용거실, 공용식당 공용 외부 공간, 공용 목욕탕 및 세탁실

TYPE 3 2인실 + 2인실

B동_1층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체력 단련실, 외부 선큰 마당, 가족면회실 A동_3층 노인거주 UNIT, 간호 STATION, 공용거실, 공용식당 공용 외부 공간, 공용 목욕탕 및 세탁실

TYPE 4 2인실 + 실내 공유 텃밭

A동_2층 물리치료실, 작업치료실, 체력단련실, 관할 간호STATION, 외부마당, 가족 면회실

TYPE 5 2인실 + 중앙 테라스+ 2인실

SECTION PLAN

81


RENOVATION

VERTICAL CITY

관동 마을 네트워크

명수대 + N

고은지

VERTICAL CITY

김혜린

HIGH-HI SPACE

권낙영

A STEP TO NEW NORMAL PARASITE FACTORY NEW BIO CIUSTER 관동 마을 네트워크

유지희 송인후 정유선 진가람


PARASITE FACTORY

HIGH-HI SPACE

명수대 + N

NEW BIO CIUSTER

A STEP TO NEW NORMAL


명수대 + N

STU D I O C

EUNJI KO

노후 아파트 리노베이션 / 증축 프로젝트 대한민국의 인구 25%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매년 늘어나는 수도권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도시는 점점 과밀화되어왔고, 늘어가는 주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아파트라는 대책이 마련됐다. 1960-1970년대에는 정부의 경제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도심에 아파트가 지어졌다. 그 당시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대부분이 도심에 남아있지만, 50여년이 넘은 세월동안 노후화가 진행되어 재개발을 앞두고 있기도 하다. 아파트는 여전히 우후죽순으로 지어지고 있고 언젠간 아파트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재개발은 노후 아파트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재개발 예정지역에 위치한 노후아파트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고자 한다.

흑석동은 서울의 대표적 구도심으로 경사 대지에 노후 주거지가 주를 이룬다. 이 중심인 명수대아파트는 현대의 아파트 단지와는 달리 흑석동 대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명수대아파트 RENOVATION과 증축을 통해 무분별한 대규모 재개발 대신 노후 아파트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고 도시의 기억을 보존하는 아파트 리노베이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84


CONCE PT

ELEVATION FLOW

CIRCULATION

MASS DIVISION

EXTRUSION

CONNECT

+ N UNIT 가스레인지

UP

냉장고

OUTSIDE SPACE

PU

3

DN

ND

2

UP

DN

1

1F PLAN

1

RENOVATION UNIT

1 MARKET

2 CAFE

3 SENIOR CENTER

UP

PU

DN

ND

5

5 UP

DN

2F PLAN

4

4 FLEA MARKET PLACE 5 POCKET PARK

UP

PU

DN

5

ND

6

RESIDENTIAL

DN 냉장고

UP

80 m

4F PLAN

5 POCKET PARK

6 FITNESS CENTER

ROOFTOP GARDEN 40 m

8

7

RESIDENTIAL

11F PLAN

20 m

7 ROOFTOP

COMMUNITY

8 COMMUNITY LOUNGE MARKET

5m

85


HIGH-HI SPACE

STU D I O A

NAK YOUNG KOWN

하이하이 스페이스 '하이하이-스페이스'란 'HIGH-WAY + HI + 공간' 이라는의미로, 고가도로의공간을 공적 공간으로 탈바꿈한 프로젝트이다.

1960년대 서울은 경제개발 정책을시행하면서, 그 과정으로 교통체증을 원활하게 해줄 고가도로(HIGH-WAY)를 무분별하게 건설하게된다. 결국 1980년대 들어서서 많은 고가도로(HIGH-WAY)들이 사실상 교통체증을 해소하지 못하면서, 주변의 공간을 침해 한다는 이유로 철거가 되었고, 서울역 앞의

서울고가도로는 안전등급에서'D 등금' 을받고 철거 위기에놓아지만, 철거비용이 유지 비용을 능가한다는 문제를안게된다. 결국2017년 국제공모를 통해 수목원을 모티브로한 MVRDV의 서울수목원이 탄생하였고, 서울로7017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게 되었다.

그러나, 1KM 에달하는 긴 길이와 다양한 식물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정작 사람들이 서울로에 머무르는 시간은 30분이내가 가장많으면서, 실질적으로

공간을향유한다기 보다는 서울역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는 통로로 주로이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의 서울로 고가도로가 재탁생할 필요성을 느꼈고, 역사.문화적인 공간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높고(HIGH) 반기는(HI) 공간(SPACE) 를 만들고자 하였다.

86


다이어그램 + 테마

면적대비 길고 ‘리니어’한공간이다보니, 각각의부분공간마다 접해있는 입지적 성격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1KM의 서울로에 4가지의 특징을 부여해서 테마를 잡았다. 또한 다양한 조경, 실내 공간을동반한 건축물, 벤치등을 넣어 활성화되는 공공공간을 만들어 나갔다.

외부이미지

단면스터디

87


VERTICAL CITY

STU D I O A

HYERIN KIM

A Framework for Social-mix 사회가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도시 또한 빠르게 발전해 왔다. 그러나 도시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르렀으며, 특히 이미 점유된 도시의

‘땅’을 새로운 사람이 점유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역사적으로 특정 공간을 점유하면서 부의 이동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공간을 점유하는 것은 계층이동이 가능함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 도시는 확장에 있어 수평적으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에 지속적인 수요에 맞춰 계속해서 공간을 공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로 인해 빈부의 격차는 더욱 극명해지고, 계층이동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1차원적인 방법은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던

인프라를 복제하여 아직 개발되지 않은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도시와 같은 수평적인 확장에 대한 한계점이 존재하고, 새로운 도시에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는 인프라를 똑같이 구축하는 일은 비현실적이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수직도시로,

낮은 용적률을 가진 도시 구역에 수직도시를 배치하여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고, 주변 건물을 흡수하여 공지를 확보하며, 저소득계층과 청년층 등 이미 굳어진 도심 공간을 점유하기 어려운 이들에게 수직도시가 계층 간 이동을 위한 사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88


89


A STEP TO NEW NORMAL

STU D I O D

JEEHEE RYU

뉴노멀 시대, 특히 COVID-19 이후 우리의 삶은 많은 변화가 생겼다.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생활해야하며, 만남을 최대한 자제한다. 대부분의 회사와

학교들은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을 한다. 처음에는 낯설기만 했던 COVID-19 이후의 삶들에 우리는 점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충정 아파트는 우리나라 최초의 아파트로 과거 '뉴노멀'한 주거 형태였다. 시간이 흘러 충정아파트와 비슷한 주거 형태는 우리에게 '노멀'한 일이 되었다.

충정아파트를 리노베이션 하여 충정아파트가 다시 '뉴노멀'한 주거 형태를 제안하고 싶다. 흉물 취급을 받는 충정아파트를 청년 주택으로 탈바꿈하여 청년들에게는 보다 나은 주거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이전보다 더 나은 거리 미관을 줄 수 있다.

청년들은 이 주택에서 개인적으로 시간을 보낼 수 있으며, 입주민들과 많은 교류를 할 수 있다. 특히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에는 개인간의 거리두기가

중요해지고, 재택 수업과 근무가 활발해져서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보다는 개인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COVID-19 이후 뉴노멀 시대에 맞춘 주거공간을 제안하고 싶다.

90


PROCESS

충정아파트

중정의 확장

기능의 증가

매스 연결

기존 건물과 연결

UNIT DIAGRAM

▲ UNIT B

UNIT B, C 적증되는 모습

UNIT A

▼ UNIT C

유닛 B, C

PLAN

테라스

유닛 A 1F PLAN

2F PLAN

북카페 유닛 A

테라스

업무공간 3F PLAN

4F PLAN

5F PLAN

헬스장

게스트룸

6F PLAN

UNIT A PLAN

UNIT B PLAN

SECTION

PERSPECTIVE

91

상업시설


NEW FORM OF CITY : PARASITE FACTORY

STU D I O B

INHU SONG

오피스가 비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거리두기를 시행하며 재택근무 비율이 늘었고, 오피스 공실률은 10%에서 20%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열정의 소음이

가득했던 업무공간은 비어가고, 적막함만이 감돈다. 폐허가 되어버린 도심에서 미래에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 자리할 수 있는 옅은 빛을 찾을 수 있었다. 기생공장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응이자 새로운 표준, 유형이다. 새롭게 바뀐 사람들의 생활양식에 따라 새로운 시대는 공업기능에게 새로운 기준을

요구했다. 넓은 면적을 통해 대량 생산을 하는 공장, 넓은 면적에 많은 양의 물건을 보관하고 배송하는 물류센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작은 면적으로도

효율적인 생산, 빠른 물류 이동 및 택배 서비스가 가능한 물류센터와 공장이 합쳐진 새로운 시스템이 생겨날 것이다. 그리고 그 시스템은 도심 속 비어가는 자리에서 새로운 표준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다.

건물을 지을 수 없이 빼곡한 도시, 전염병은 건물의 형태만을 남기고 내부의 기능을 없애 팥 없는 붕어빵을 만들었다. 기생공장은 비어버린 도심 공간과

시너지를 가진 새로운 기능을 결합한다. 아이디어의 오피스, 제품을 위한 공장, 배송을 위한 물류센터의 결합이 새로운 시대의 입맛에 맞는 기생공장이다.

92


오피스의 공실에 위치하여 기능하는 기생공장은 물류와 공장의 프로세스를 내부에서 해결해야 한다. 원재료의 입하부터 제품 제작, 완제품 보관, 제품 출하까지의 과정을 건물 하부의 하역장과 내부의 공장 기능을 통해 해결한다. 또한, 모든 제품을 하역장을 통해 배송하는 것이 아닌 일부는 드론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오피스와 공장이라는 서로 다른 기능이 만나 완화시킬 영역이 요구된다.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면 소음, 분진, 진동 등 기존 오피스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요소가 많다. 그렇기에 버퍼공간을 설정하여 기존 오피스에 부족한 휴식공간 및 야외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문제를 해결한다.

4

2 5

12F PLAN

3

1 PACKAGING

2 STORAGE

2

3 MAKING 4 OFFICE

5 BUFFER ZONE

5

4 1

5

5

3

2 4

17F PLAN

3

2

1 PACKAGING

2 STORAGE 3 MAKING

2

1

4 OFFICE

5 BUFFER ZONE

PROTO TYPE

EMPTY SPACE

CONNECTION

AREA

93

NEW STRUCTURE

FIN


NEW BIO CIUSTER

STU D I O D

YOUSUN JUNG

기존의 연구단지는 일반 사람들이 갈 수 없는 폐쇄적이고 독립적인 곳이었다면 새로운 형태의 클러스터는 전문 분야의 사람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관심이 있다면 와서 구경하고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개방적인 곳으로 계획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활동이 일어나고 다양한 정보망이 형성되고 그래서 새로운 동력이 끊임없이 들어오는 클러스터로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결과가 중요시 되는 것 보다는 과정에 초첨을 두었다. 배움을 나누고 협력하고 발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과학기술의 역사는 수많은

실험 과정에서 우연한 발견, 대단한 발명이 일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시도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시도들을 마음껏 할 수 있고, 그런 노력들을 집약하고, 알리고,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연구 단지와 잘 어우러 질 수 만 있다면 아마 기존의 연구단지와는 차별화된 혁신적인 클러스터가 될 수 있을것 같다고 생각했다.

94


Urban Design Concept

도로는 추후에 확장가능성을 고려하여 가로세로의 직교체계를 이용하였고, 서울과 일산 도시로 부터 집입가능한 도로와 이어지도록 하여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하였다. 크게 연구동, 기업동, 주거시설이 있고, 그 사이를 다양한 클러스터들이 배치되어 어디서든 접근이 쉽도록 하였다. 녹지는 도시 입구부터 시작되어 가장 안쪽의 큰 녹지 지역까지 클러스터를 타고 흐르는 체계로 계획하였다. 사람들이 녹지를 따라가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클러스터를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SITE

Location : 일산 장항로 일대 Area : 약 1.7 km2

도로체계 블록체계 녹지체계 Program Concept 기존의 연구 단지가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수단이나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다면 새로운 뉴 바이오 클러스터는 기존의 연구단지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이사이 배치하여 교류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연구 활동들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관계자들이 자료들을 공유하고, 저장하고, 비즈니스로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Open Lab/Data Center/Open Community/Medi-heal Center 이렇게 크게 4가지의 클러스터들이 연구 단지 내에 다양한 교집합들이 만들어 지게 하여 단지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통을 더욱 활발하게 하는 역활을 한다.

[Open Lab] 공유랩실이 모여있고, 창업,스타트업을 꿈꾸는 사람들이 실내, 실외에서 자유롭게 실험 및 토의 할 수 있는 클러스터

[Data Center] 연구단지의 수많은 연구 자료들을 모아 정리 하고, 책,잡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다. [Open Community] 다양한 행사나 강연, 전시가 열리는 공간으로 외부인들도 관심을 갖고 와서 행사에 참여하고 함께 교류할 수 있다. [Medi-Heal Center]

단순히 병원의 기능 뿐만 아니라 건강과 헬스케어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곳이다.

기업 연구시설 문화시설 주거단지 메디힐 센터 데이터센터 및 전문도서관 언론홍보관 친환경 에너지 연구센터 공유 랩 클러스터 창업지원센터 창업허브센터 및 아카데미 컨벤션센터 카페 및 상업시설 오픈 포럼 쇼핑센터

95


관동 마을 네트워크

STU D I O D

GARAM JIN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문제의식을 들여다보면 과밀화된 도시화가 가져온 폐해와 기존의 공공건물이 가진 양식의 한계점을 들여다볼 수 있다. 물리적 단절을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기존의 효율 높은 공동(空洞)은 대응에 실패했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 단절은 현대인에게 사회적 관계의 결핍을 더욱 진행했다. 사람들이

모이고 사회적 관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소가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도시의 주거 변화는 이웃과 만남의 장소였던 중간 성격의 공간을 없애고 그 역할을 외부

시설에 의존했다. 그로 인해 이웃 단위의 사회관계는 카페와 교회 등 외부에 의존하게 되었고 코로나 판데믹 사태에 대체 수단을 찾기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 중개처가 시민시설 또한 이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여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아직도 밀도 높은 도시의 생태계는 많은 사회 문제를 낳았으나 근본적인 해결을 내놓지 못한 채 시민들이 생활해나가고 있었다. 그러던 때, 생명에 직결되는 현재와

같은 사태에서 도시의 형태가 위협적인 상황이라면 도시 변화를 상상해볼 수 있다. 대도시의 인구는 빠져나가 다른 지역으로 흩어지고 고령화와 출산 감소로 인한

대도시의 교육시설들은 유휴부지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지고 도시의 변화에 대응할 것이다. 대도시의 내부에서도 각각 지역성이 부각되고 마을마다 주체성이 드러나는 계획일 등장할 것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이러한 점을 연계하여 공공시설의 기능을 나누어 기존의 오래된 마을에 이전하는 형태로 구현하고자 했다.

96


프로젝트 배경 공공시설 실태

은평구립도서관은 판데믹에 대처하여 드라이브 스루와 일부 자리 개방 및 대여 시스템으로 대응하려 했으나 시스템에 공간이 대응하지 못하여 사서가 직접 주차장까지 책을 들고나가야 하거나 간행물들 일부 열람만 가능한 도서들은 해당층이 봉쇄일 경우 접근 방법이 아예 없는 경우가 존재했다. 그리고 은평초등학교 또한 줄어든 학생 수와 교육환경의 변화로 서울시에서 첫번째로 폐교가 되었다. 병설 유치원만 차량 등교를 이용해 진행했으나 현재는 그마저도 중지되었다.

프로세스

주요개념

구성방법

프로젝트 전경

프로젝트 도면

97

도시의 기억과 지역 보편성

대도시 속 인구는 다른 지역으로 흩어지고 고령화와 출산 감소로 인한 교육시설들은 유휴부지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지며 도시의 변화에 대응할 것이다. 우선 기존의 효율 중시의 계획에서 벗어난 계획이 증가하게 된다면 대상에 대한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날 것이다. 이들은 대도시의 내부에서도 각각 지역성이 부각되고 마을마다 주체성이 드러나는 계획일 것이다.


PROFESSOR


이관 석

김인한

이은 석

정재 헌

김일현

김종헌

archlee@khu.ac.kr

ihkim@khu.ac.kr

komalee@khu.ac.kr

jeongh@khu.ac.kr

ilhyunkim@khu.ac.kr

kimjh@khu.ac.kr

건축계획 건축 역사 및 설계

디지털건축 및 BIM

건축계획 건축 역사 및 설계

건축계획 및 설계

건축이론 및 역사

건축계획 및 설계

김관 수

천장 환

이석

조 대 희 명예 교수

kwansookim@khu.ac.kr

jcheon@khu.ac.kr

suklee@khu.ac.kr

dhjoe@khu.ac.kr

건축계획 및 설계

건축계획 및 설계

건축이론 및 설계

건축계획 및 설계

99


STUDIO A

졸업설계를 성공 적으 로 마치고 훌 륭한 작품 들로 미석전을

온라인전시를 준비하게 된 여러분들 모두가 너무 자랑스럽고 축하한다는 말씀을 먼저 전달해드리고 싶습니다. 졸업하고 사회에

나가면 또 다른 시작이고 그렇기에 여러분들은 기대감과 두려움을 함께 느끼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은 모두 아직 젊고

앞으로가 기대되는 졸업생들이기에 사회에서 고민은 하되 걱정은 하지 말고, 두려움보다는 기대감을 떠올리며 현실보다는 꿈을 쫒는 분들로 성장하길 기대합니다. 우리 능력이 1이라고 볼 때, 0.01

부족한 0.99만큼 365일을 일하면 0.99365=0.03을 이루지만

0.01 더 노력해서 1.01만큼 1년을 일하면 1.01365=37.8을 이루게

된다고 합니다. 매일매일 남들보다 0.01 더 노력하는 여러분들이 되길 바랍니다.

100


배성원

2015100609@khu.ac.kr

마감은 시간이 시켜주고 밤새면 다 됩니다. 여러분 고생하셨어요.

김승일

seung1khu@naver.com 이제 끝이다~

박세인

psi0113@khu.ac.kr

권낙영

nakyoungkmiu@gmail.com 5년전 나에게 : RUN

김혜린

s2_hr@naver.com 다들 수고하셨습니다!

박혜빈

dominop26@khu.ac.kr

DOBBY IS FREE.

안서경

tjrud4407@gmail.com

건축학과 5년을 버텨냈다면 앞으로 무엇이든 잘해낼 수 있을 거에요. 멋진 곳에서 다시 만나요 우리:)

이정원

joe9611@naver.com 5년 한거 50년 해보자!

.

이승은

cathy0819@naver.com JUST DO IT, AND DONE IT ON TIME

황동현

ken1030@khu.ac.kr 설계..해치웠나..?


STUDIO B

김찬중

더 넓은 세 상 으 로 나가게 된 여러분 들, 모두 진심으 로

축하드립니다. 더 넓게 꿈꾸고 행동하시기 바라며, 당장의 편함을 위해 자신의 가능성과 꿈을 축소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102


심윤선

ysshimx2@naver.com 10학기 대장정의 끝. 새로운 시작.

김혜진

hyejinn0724@khu.ac.kr 고: 고생했다 양: 김혜진 이: 이제 학교 안녕~!

배강현

baekh4624@gmail.com 휴휴. 휴 휴휵. 휴학. 학. 하지롱.

이종윤

ljyljy3553@gmail.com 아... 좋타...!

최세은

tk655@khu.ac.kr 안하고 후회하는 것보다, 해 보고 후회하는 것이 낫다.

김영훈

younghoon11@naver.com 감사합니다!

류화경

rhg0324@khu.ac.kr 앞으로도 잘 버텨나가길...!

송인후

akdang47@naver.com 임.전.무.퇴.

정진영

ya_1001@khu.ac.kr

모카팩토리 아메리카노 그동안 잘 먹었습니다 ^____^

최재협

jaebig12@gmail.com 졸업 안한 사람 누구야!!!


STUDIO C

이두열

여러분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한 학기를 마스크로 맞이한

채 눈빛으로 그 의중을 읽고 시작한 졸업설계의 작업의 결과에 찬사를 보냅니다. 팬데믹의 상황이 던져주는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문화와 그것이 던져주는 영향을 잘 극복해나갈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요즈음 새로운 조류가 학문간의 융합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사회에 나가서도 지속적으로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과 탐구,실험성을 통해서 여러분의 건축이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104


이성우

archi_lee77@khu.ac.kr

기능에 충실하고 꾸밈없이 솔직하면서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건축을 해나가고 싶다.

김주미

julia0910@khu.ac.kr 경희초등학교졸업_최종_ 진짜_완전마지막_ 진짜진짜 끝이다!!.3DM

남효림

namhyorim@khu.ac.kr

고은지

sao3oas@khu.ac.kr CLOSED MON-SUN

김주희

qkqkskdh@khu.ac.kr

건축학과를 졸업하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몸으로 깨달아버렸다.

박광은

2013100566@khu.ac.kr

돈벌기싫다..

박 월

omoj007@khu.ac.kr 본질을 놓치지 말자.

차혜빈

bestemptea@gmail.com

6년간 경희대를 다니며 학교 안팎에서 경험한 많은 일들이 차곡차곡 쌓여 지금의 나를 만들어주었다! 하고싶은 게 많다면 무엇이든 한 번 쯤은 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

'없음'

장지윤

cap1995@khu.ac.kr 안녕히계세요 여러분~

홍봄이

spring515@khu.ac.kr 끝!


STUDIO D

최여진

‘언택트’ 환경에 놓여진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하게 하고

미래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이번 졸업전시회가 학생들이 스스로 성장하고

이룬 자랑스러운 마무리이자 여러분들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첫 도약의 기회이길 바랍니다. 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하고 앞으로 펼쳐질 여러분의 꿈을 응원하겠습니다.

106


한선교

cangda@naver.com 노답건축, 정해진 답이 없는 건축이다.

백지은

bjyee100@khu.ac.kr 이제는 밤을 새지 말자!:)

윤나래

ynr7134@naver.com 졸업! 조LOVE! ❤

이찬우

2015100626@khu.ac.kr 길지만 짧았던 5년이었습니다.

정현예

hyunyeah9561@khu.ac.kr 수고 많았고 ~ 행복했고 ~ 안녕 경희 !

김지연

kjy6250@naver.com 드디어 끝! 고생했다!!

유지희

0302jhjh@khu.ac.kr

안녕히계세요 여러분 전 이 세상의 속박과 굴레를 벗어던지고 +더보기

이경진

lkj0821@naver.com 5년동안 즐거웠고, 다들 정상에서 만납시다!

정유선

jys9322@naver.com 신난다 졸업이다!! 모두 수고 많았습니다 :)

진가람

fenrir79@khu.ac.kr 맡은 바 일에서 한 사람 몫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기획

디자인

영상

도록

최재협

김주미

황동현

고은지

배성원

김승일

김영훈

권낙영

이성우

김혜린

송인후

남효림

심윤선 한선교

김주희

배강현

김혜진

이경진

류화경

이종윤

박광은

김지연 류지희 박세인 박혜빈 이승은

박 월

장지윤

백지은

정유선

안서경

정진영

윤나래

정현예

이정원

차혜빈

진가람

홍봄이

최세은

109




DAKHU GRADUATION WORKBOOK 2021 http://dakhugallery.com https://issuu.com/dakhu/docs/dakhu2021_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공과대학 건축학과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Tel. 031-201-3651 Fax. 031-202-8854 http://archi.khu.ac.kr archi@khu.ac.kr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Articles inside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