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기억아카이브 백서: 일상아카이브의 시작 (2013.07-2015.06)

Page 1

2013.07-2015.06 2간과기0아31브 백. : 일상아카이브의 시작 2013.07-2015.06 HUMAN AND MEMORY ARCHIVES WHITE PAPER : The Beginning of Everyday-life Archives


2013.07-2015.06 2간과기0아31브 백. 초판발행 2015년 10월 13일 지은이 임진희, 전혜영, 안대진, 주현미, 최효진, 이승일 펴낸이 김익한 펴낸곳 사단법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판매가 59,000원 편집 전혜영, 안대진 디자인 안대진 인쇄.제본 명지기획 등록 2005년 3월 15일 제312-2005-000008호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거북골로 34 명지대학교 본관 10층 11033호 전화 02-300-1845~6 팩스 02-300-1837 이메일 rikar@rikar.org 홈페이지 http://www.hmarchives.org 페이스북 http://facebook.com/rikarpage 트위터 @RIKARHUMA ISSUU http://issuu.com/rikarnews (온라인 백서) 임진희, 전혜영, 안대진, 주현미, 최효진, 이승일 2015 ISBN : 9788994885025 93300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 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CIP2015027284)


2013.07-2015.06 2간과기0아31브 백. : 일상아카이브의 시작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과 사단법인 한국국가기록연구원이 함께 운영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입니다.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일상의 기록을 수집하고 보존하여 기억과 역사를 ‘인간’에게 돌려주는 작업을 지속할 것입니다.


발간사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고군분투기

임진희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아키비스트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존재를 이웃들에게 알리고자 이렇게 백서 를 발간합니다. 2013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만 2년 간에 걸쳐 ‘인 간과기억아카이브’가 시도한 것은 “일상아카이브의 구축을 제대로 시작 해보는 것”이었습니다. 그간 다섯 명의 상근 아키비스트들이 아카이브 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실천을 실행했는데 그 결과 를 이 백서에 담아보았습니다. 이 백서는 우리 아카이브의 존재와 활동 을 널리 알려 장차 넓고 깊게 협력하자고 여러분께 수줍게 건네는 제안 서이기도 합니다. 백서에는 우리 아카이브의 조직적 성장과 활동의 개요, 주요 소장컬 렉션 소개, 핵심 사업의 보고, 성과와 향후 과제를 담았습니다. 부록에는 참고할 만한 교육자료와 운영지침들을 실었습니다. 우리가 시도했던 것 들을 가능하면 시시콜콜하게 기록하여 모두 담고자 애썼습니다. 채 영 글지 못한 내용도 있으나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속살을 꺼내 보이기로 하였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현재 모습이며 향후 우리의 성장과정을 보 여주는 하나의 나이테가 될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두 해마다 이같은 백서를 출간하여 우리의 성장을 여러분과 지속적 으로 공유하겠노라 약속드립니다. 앞으로 두 해에 두 해 정도 더 좌충우 돌하며 경험의 켜를 쌓다보면 제법 일상아카이브의 형상을 갖추게 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이번 백서는 우리 아카이브의 일방적인 고군분 투기입니다만, 다음 번 백서부터는 우리와 협력한 분들의 경험과 전망 도 함께 버무려 보다 풍성한 이야기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모쪼록 이 백서가 여러분께 새로운 자극이 되길 기대합니다. 2015. 10.14


백서의 구성과 내용

I. 조직 연혁과 활동 개요

8

III. 핵심 사업 보고

68

1. 연혁 2. 조직 3. 연도별 주요 활동 3.1 2013년 주요 활동 3.2 2014년 주요 활동 3.3 2015년 주요 활동

10 12 14 14 17 21

1. 아카이브 업무체계 수립 1.1 기능과 프로세스 1.2 분류체계 1.3 기술요소와 규칙

70
 70
 75 76

II. 소장 컬렉션 보고

24

2.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2.1 아카이브시스템 2.2 인간과기억아카이브 홈페이지 2.3 시스템 인프라

80
 80
 84
 85

1. 수집정책 1.1 수집전략 1.2 수집내용 1.3 수집방법 1.4 네트워크 구축

26
 26
 28 29 29

2. 소장컬렉션 2.1 5월 12일 일기 컬렉션 2.2 정당 컬렉션 > 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2.3 KBS 통일 한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컬렉션 2.4 개인기증 컬렉션 2.5 명지대학교/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컬렉션 2.6 고대검우회 컬렉션

30
 32 38
 42 46
 54 60

3.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보급 3.1 컨설팅 3.2 호스팅 서비스 3.3 AtoM 한글화 3.4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 운영 3.5 세월호 참사 추모기록 아카이빙 지원 3.6 해외 지원 및 교류

88
 88 98 100 101 102 104

4. 교육 학술 프로그램 4.1 교육 활동 4.2 학술 활동

105 105 106

IV. 성과와 향후과제

108

3. 전시와 열람 정책 3.1 전시 3.2 열람

62
 63
 67

1. 수집체계의 고도화 2.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3. 일상아카이브 구축의 의미 확산

110 111
 111


부록

113

부록1_AtoM포럼 세미나 발표자료-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115

부록2_AtoM 호스팅 보고서

159

부록3_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179

부록4_일상생활지도(Map) v1.0

237

부록5_제1회(2013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49

부록6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57

부록7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65

부록8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전시기획안

275

부록9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85

부록10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95

부록11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매뉴얼

305

부록12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결과보고

317

부록13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전시기획안

327

부록14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기획안

329

부록15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프로젝트 설명서

335

부록16_수업아카이빙 매뉴얼 v1.0

345

부록17_오픈소스 아카이브시스템 호스팅 및 컨설팅 정책

349

부록18_대한마이크로노조 웹아카이브 시스템 이용자매뉴얼

351

부록19_‘동대문구 기억여행’온라인전시관 구축 보고서

371

부록20_AtoM 한글화 보고서

403

부록21_OSASF 운영 보고서

421

부록22_세월호기억저장소 시스템 구축 기획안

437

부록23_국가기록원 원내 기록관리전문가 리더십 강화과정 특강 447 부록24_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Omeka 특강

463

부록25_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AtoM 이용방법 특강

473

부록26_AtoM 튜토리얼

495

부록27_Omeka 전시기획방법

531


이 문서는 미리보기 버전입니다.


인쇄본 구매 문의

kwonmj@rikar.org

02-300-1845

정가: 59,000원


I. 조직 연혁과 활동 개요

8


1. 연혁 2. 조직 3. 연도별 주요 활동

9


1. 연혁

10


2012 2012.04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국제학술대회 ‘아카이브의 단층과 일상의 심층’ 개최

2013 2013.03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3년 1학기 수업 아카이빙

2013.04

영국 University of Sussex MOA와 5월12일 일기수집 MOU체결

2013.05

제1회 5월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2013.07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

2013.07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 ICA-AtoM v1.3.1

2013.07

임시서고 구축

2013.12

AtoM포럼 세미나 개최

2014 2014.01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http://osasf.net/) 사이트 구축

2014.03

홈페이지 구축 (http://hmarchives.org/)

2014.04

인간과기억아카이브 ICA-AtoM 사이트 공식 등록

2014.05

AtoM 시범호스팅 서비스 1차 시행

2014.05

제2회 5월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2014.05

세월호기억저장소 시스템 구축 지원 (아름다운재단 특별배분사업)

2014.06

캄보디아 앙코르연구센터(AICRD) AtoM 시스템 구축 지원

2014.06

은평녹색당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록 수집

2014.10

KBS특별기획 '통일 한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수집

2014.10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Omeka 기반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컨설팅

2015 2015.02

AtoM v2.1.2 한국어 반영

2015.03

부산대학교 SSK 연구단(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온라인 전시관 구축 컨설팅

2015.03

일본 학습원대학원, 동경외국어대학교 기록관담당자 인간과기억아카이브 방문 및 업무협의

2015.04

서울시 동대문구청 기록관 ‘동대문구 기억여행’ 온라인전시관 구축 컨설팅

2015.04

제2회 5월 12일 일기수집이벤트 수집기록물 온라인전시관 구축

2015.05

제3회 5월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2015.06

서울시 북부교육지원청 기록관 온라인전시관 구축 컨설팅

2015.06

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작성

11


2. 조직

사명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한국 사회의 사회상과 역사성을 새롭게 포착하기 위해 ‘일상’의 기억과 기록을 발굴․수집하고, 민간분야의 다양한 아카이빙 기관/활동과의 협력을 통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한다

2020 비전 일상아카이브 기록관리의 방법론적 모델 제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아카이브 기능적 모델 구축

가치와 지향 실험 : Initiating ‘일상’의 기억과 기록을 아카이빙 하기 위한 수집전략, 관리 및 서비스 방향 등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일상 아카이브이 가능성과 정체성을 모색함 협력 : Networking 민간분야의 개인 및 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아카이빙이 이뤄지고 있지 못한 영역들을 포착,발굴하여 아카이 빙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함 실천 : Acting 민간분야 제 영역의 주체들이 자신들의 기억과 활동들을 주도적으로 아카이빙 할 수 있도록 촉진하며, 그에 대한 지원 및 협력체계를 유지함

12


조직 구성 ‣ 2013년 7월,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 당시 6인 체제 (김익한, 임진희, 권민정, 이승일, 안대진, 황진현) ‣ 2014년 3월, 아키비스트 3명 신규 채용 (전혜영, 주현미, 최효진) ‣ 2014년 12월 현재 대표, 관리자, 코디네이터, 아키비스트 등 8인 체제이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연계 인 턴십 프로그램 운영

좌측부터 김익한, 전혜영, 최효진, 권민정, 주현미, 임진희, 안대진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시스템 운영 •홈페이지 관리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보급 및 지원

수집

•수집기획 •수집실행 •정책개발

시스템

경영지원

관리

•분류, 정리 •기술, 등록 •보존 •저작권/기준관리

•경영지원 •코디네이팅

서비스

연구

•홈페이지 운영 •온라인 전시 •교육 프로그램 제공

•일상아카이브 연구 •일상생활지도 설계 •소장기록물 연구 •아카이브 방법론 연구

13


3. 연도별 주요 활동 3.1 2013년 주요 활동

(1)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 이전 (2012.04 ~ 2013.06)

2012 2012.04.07.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국제학술대회 ‘아카이브의 단층과 일상의 심층’ 개최 (명지대학교 방목학술정 보관 국제회의실) ‣ 명지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은 인문학과 기록학의 결합을 추구하는 연구집단으로 2012년 결성되어 활발한 활동을 전 개하였고, 단행본 『일상아카이브의 발견 (선인, 2012)』을 출간하기도 함 ‣ 국제학술대회는 일상아카이브의 중요성을 느끼는 국내외 연구자들이 모여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하고 학제 간 교류를 심화시키는 장이 되었음 ‣ 인간과기록연구단의 활동은 이후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설립에 초석이 되었음

2013 2013.04.03. 영국 서식스대학교(University of Sussex)의 MOA와 5월 12일 일기수집 MOU 체결 ‣ 영국 서식스대학교(University of Sussex)의 MOA(Mass Observation Archives)는 1936년부터 2000년대까지 영국인들 의 일상 기록물을 수집하고 있으며, 매년 5월 12일에 일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 2012년 4월 인간과기록연구단이 주최한 국제학술대회 ‘아카이브의 단층과 일상의 심층’에 참석했던 MOA의 아키비스트 피오 나 커리지(Fiona Courage)는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에 ‘5월 12일 일기수집’ 프로젝트 협업 파트너를 제안함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은 MOA의 제안을 받아들여 MOU를 체결하고 2013년 5월 12일 제1회 일기수집이벤 트를 수행함

2013.05.12. 제1회 5월 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이 주축이 되어 개최된 제1회 일기수집 이벤트(2013.05.12~05.30)로 총 579건의 일기가 수집됨 ‣ 다양한 연령층의 일기를 모으기 위해 샛별유치원, 당서초등학교, 누원고등학교, 자운고등학교 등의 협조를 얻어 학생들의 일기를 수집함 ‣ 대대적인 홍보를 하지 않았지만 홈페이지, 이메일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많은 시민들과 기록전문가들이 참여함

14


2013.06.30.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3년 1학기 수업 아카이빙 실시 ‣ 2013년 3월에서 6월에 거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은 총 11개 과목의 수업을 아카이빙함 ‣ 강의계획서, 발표자료, 수업사진, 녹음파일, 에세이 등 3,594건의 기록물이 수집됨 ‣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을 준비중이던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이 수집 기록물을 이관받아 향후 관리에 대비함

(2)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 이후 (2013.07 ~ 2013.12) 2013.07.01.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설립 ‣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와 함께 인간과기억 아카이브를 설립함 ‣ 제1회 5월 12일 일기수집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일상의 다양한 기록을 수집, 보존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절감하 여 설립에 이름 ‣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명지대학교 학생들의 수업과 일상 아카이빙, 개인기록 기증, 수집이벤트 등을 통하여 본격적으로 기록을 수집하기 시작함

2013.07.04. 1호 기증 기록물 입수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김익한 교수와 합창단에서 함께 활동하는 이○윤씨의 기록물 1건을 김익한 교수를 통해 기증받음 ‣ 기증 기록물은 이○윤씨가 군대에서 옷과 함께 모친에게 보낸 메모지로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공식적인 1호 기증 기록물 로 등록됨

15


2013.07.19.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 ICA-AtoM v1.3.1 ‣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아카이브시스템을 AtoM으로 확정하고 웹서버에 설치함 (ICA-AtoM v1.3.1 채택) ‣ AtoM(Access to Memory의 약칭)은 ICA(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가 민간아카이브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웹 기반의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으로, AtoM은 기록물 관리와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ISAD(G), ISAAR(CPF), ISDIAH, ISDF 등 ICA 기술표준이 내장되어 있어 기록관리 전공자와 전문가들이 기록물 기술을 실습해 볼 수 있는 훌륭한 도구로 활용됨

2013.11.02. 제5회 전국기록인대회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탄생과 협력적 성장 모형’ 세션 주관 ‣ 2013년 11월 1일 ~ 2일, 신라대학교에서 개최된 제5회 전국기록인대회에 독립 세션을 주관하고 발표하였음 ‣ 발표주제는 다음의 3개로 진행됨. ① 협력을 통한 ‘5월 12일 일기’ 수집, 그리고 일상아카이브 ② 기록인 기증 컬렉션과 명 지대학교 아카이브 수집전략 ③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설립과 AtoM시스템 구축 사례 [발표자료는 대회 홈페이지 http:// archivist.or.kr/2013/ 에서 찾아볼 수 있음] ‣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설립 배경과 구축과정, 컬렉션 수집 과정에 관한 최초의 공식적인 발표의 자리가 되었음

2013.07.31. 임시서고 구축 ‣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본관 10층 대학원장실에 임시서고를 마련하고, 소장 기록물(5월12일 일기, 개인기증기록물 등_을 배치함

2013.12.20. AtoM 세미나 개최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행정동 3층 대 회의실) ‣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 구축과정을 소개하고 오 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함 ‣ AtoM 포럼의 명칭을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OSASF)’으로 확 정함. 포럼은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의 국내 이용 촉진을 위해 노력하 고, 공동의 서버를 마련하여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기로 함 ‣ [부록1. AtoM포럼 세미나 발표자료 -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참고

16


3.2 2014년 주요 활동 (1) 월별 활동

2014.01 ‣ ‣ ‣ ‣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OSASF) 홈페이지 오픈 (http://osasf.net) AtoM 한글화 협력과제 기획 및 참여자 모집 고려대 검우회 AtoM 컨설팅 – 웹서버 H/W 구매 및 설치 AtoM 호스팅 테스트베드 구축 – 가비아 IDC서버 코로케이션

2014.02 ‣ ‣ ‣ ‣ ‣

2014년 수집이벤트 주제 선정 아카이브 업무매뉴얼 초안 작성 교육프로그램 기획안 작성 ‘기록인 컬렉션’, ‘일상 컬렉션’ 정리 및 목록작성 완료 AtoM 호스팅 테스트 1차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생 참여)

2014.03 ‣ ‣ ‣ ‣ ‣ ‣

인간과기억아카이브 홈페이지 (hmarchives.com) 오픈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아키비스트 3명 채용 ‘명지대 컬렉션’ 정리 및 목록작성 기록 수집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Synology) 7종 테스트 수업아카이빙 담당자 교육 AtoM 호스팅 테스트 2차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생 참여)

2014.04 ‣ ‣ ‣ ‣ ‣ ‣ ‣ ‣ ‣

인간과기억아카이브 AtoM시스템 ICA-AtoM사이트 공식 등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오픈소스연구반 교육지원 ‘5월12일 일기 컬렉션’ 중 제1회(2013년) 이벤트 수집기록물 목록작성 완료 제1회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수집기록물 온라인전시관(Omeka 기반) 구축 AtoM 시범호스팅 공지 AtoM 호스팅 테스트 3차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생, 한국문헌정보기술 참여) 대학기록관협의회 AtoM 활용교육 실시 캄보디아 AICRD 직원 대상 AtoM 활용교육 실시 AtoM 시범호스팅 참여기관 교육 실시

2014.05 ‣ 제2회 5월 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정보시스템패키지론 특강 – AtoM / Omeka 활용 ‣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 참여단체 가입, 세월호기록 수집 실행, 세월호기억저장소 시스템 구축 및 공간 마련을 위한 활동 전개

2014.06 ‣ ‣ ‣ ‣ ‣ ‣

은평녹색당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아카이빙 수행 한국문헌정보기술 특강 - ‘기록관리 분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구축 사례’ 일본 학습원대학원 특강(임진희 교수) 캄보디아 앙코르연구센터(AICRD) AtoM 시스템 구축 지원 세월호기억저장소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수행 (사업비 확보, 시스템 개발자 섭외 및 협의, 시스템 개발 지원 등)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 초동모임 참여

17


2014.07 ‣ 영국 서식스대학교 소속연구원 ‘5월 12일 일기수집’ 컬렉션 활용 – 한국인의 외래어 사용 연구 ‣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 홈페이지 개발 지원(프로젝트 관리, 운영지원) 및 세월호기록 수집

2014.08 ‣ ‣ ‣ ‣ ‣

스토리지 해킹 발생(시놀로지 스토리지서버 대상 SynoLocker 공격) 스토리지 피해 및 복구보고서 작성 데이터 백업정책 수립 일본 학습원대학원에서 인간과기억아카이브 견학(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구축 논의) (사)춤문화자료원 AtoM 교육 실시

2014.09 ‣ ‣ ‣ ‣ ‣ ‣ ‣

스토리지서버 재설치 완료 AtoM 시범호스팅 기관 2차 교육 실시 AtoM 컨설팅 정책 마련 AtoM 이용자매뉴얼 배포 (명지아카이브학회 오픈소스연구반 산출물) KBS특별기획 ‘통일 한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아카이빙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인간과기억아카이브 견학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현황 및 구축 관련 논의) 은평녹색당 AtoM시스템 이용교육 실시

2014.10 ‣ ‣ ‣ ‣ ‣ ‣

KBS특별기획 ‘통일 한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수집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와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컨설팅 은평녹색당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록물 온라인전시관(Omeka 기반) 구축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세션 참여 ‘일상아카이브 A to Z’ 기억발전소 Omeka 이용교육 실시 AtoM 시범호스팅 1차 종료

2014.11 ‣ ‣ ‣ ‣ ‣

이화여자대학교 기록관리교육원 AtoM 특강 및 실습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Omeka 특강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정보분류기술론 AtoM 기술실습 지원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AtoM 이용방법 특강 국가기록원 원내 기록관리전문가 리더십 강화과정 특강

2014.12 ‣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와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컨설팅 관련 Omeka 시스템 이용자 교육 실시 ‣ 이우학교 특강 ‘AtoM과 Omeka로 온라인 전시하기’

18


(2) 주요 활동 ①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 사이트 구축

‣ 오픈소스 포럼 플랫폼인 바닐라 포럼(Vanilla Forum)을 이용하여 기록관리 공개소프트웨어 포럼(http://osasf.net) 사이 트를 2014년 1월 1일 개설함

‣ AtoM, Omeka, Archivematica 등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과 리눅스(Linux), APM(Apache, PHP, MySql) 등의 이용방법 을 공유할 수 있는 게시판을 생성하고, AtoM의 설치방법과 이용법 등을 게시하기 시작함

② 홈페이지 구축 (http://www.hmarchives.com)

‣ 인간과기억아카이브의 기관 소개, 기록관리 및 서비스 정보 제공 등을 위해 개발하여 2014년 3월 1일 공개함 ‣ 소장 기록물 기술정보를 볼 수 있는 AtoM시스템과 Omeka 온라인 전시관으로 링크되도록 함

③ 인간과기억아카이브 ICA-AtoM 사이트 공식 등록

‣ 2014년 4월 16일,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전 세계에서 ICA-AtoM을 이용하는 34번째 아카이브로 등록됨 ‣ 등록 정보는 'https://www.ica-atom.org/doc/ICA-AtoM_users'에서 확인할 수 있음

④ AtoM 시범호스팅 서비스 1차 시행

‣ AtoM의 설치 및 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단체들에게 AtoM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을 탐구 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9개 단체/개인을 대상으로 실시함

‣ 참여단체/개인 : 문화연구소, 제주대학교, (사)춤문화자료원, 목천문화재단, 국회기록보존소, 부산대학교 SKK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연구단, 명지대학교 오픈소스연구반, 주O영, 이O기 등

‣ 호스팅 서비스를 위해 1월부터 수십 명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퍼포먼스 테스트에 참여하였고, ‣

한국문헌정보기술의 문O준 부장이 아파치 서버 최적화에 도움을 줌 [부록2. AtoM 호스팅 보고서] 참고

⑤ 제2회 5월 12일 일기수집이벤트 개최

‣ 2014년 5월 12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제2회 일기수집 이벤트를 통해 총 924건의 일기가 수집됨 (실물자료 727건, 디 ‣ ‣

지털자료 207건) 자운고등학교, 나무와숲지역아동센터, 녹번복지관구립어린이집, 전북여자고등학교, 높은뜻씨앗스쿨, 육군6포병여단 878 대대와 838대대, 김○슬 가족 및 지인, 햇빛유치원, 화산초등학교, 대월초등학교, 일산중학교, 동산고등학교 등이 일기수 집에 적극 협력함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Ⅲ. 아카이빙 활동 > 2. 소장컬렉션 > 2.2 5월12일 일기 컬렉션] 참고

19


⑥ 다양한 기록물 수집 활동

‣ 기획수집 ① : 은평녹색당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활동을 아카이빙 하기 위해 선거대책본부와 함께 수집대상 선정부 ‣ ‣ ‣

터 AtoM 시스템 등록까지 전체 과정에 참여함.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Ⅲ. 아카이빙 활동 > 2. 소장컬렉션 > 2.3 정당 컬렉션] 참고 기획수집 ② : KBS 특별기획 ‘통일 한국을 그리다’ 프로그램의 기획안, 섭외 이메일, 국내외 전문가 인터뷰 녹취록, 편집영 상 등 취재기록을 기증받아 관리함.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Ⅲ. 아카이빙 활동 > 2. 소장컬렉션 > 2.4 KBS 통일 한 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컬렉션] 참고 수업아카이빙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과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2014년 개설강좌에 대한 아카이빙을 대학 원생과 교육원생들이 직접 수행함.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아카이빙 결과물 중 일부를 선별.수집함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3. 교육 및 학술 활동 > 3.2 실습 활동] 참고 주제아카이빙 : 명지대학교 기록관리 협력수업 수강생들(학부생)이 자신의 관심주제에 따른 아카이빙 수행함. 인간과기억 아카이브는 아카이빙 결과물 중 일부를 선별.수집함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3. 교육 및 학술 활동 > 3.2 실습 활동] 참고

⑦ 세월호아카이빙 활동

‣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2014년 5월 이후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의 참여단체로 활동하면서 ‘세월호기억저장소’ 의 아카이브시스템과 공간마련을 위해 노력함

‣ 진도팽목항에서의 기록수집(구술채록 등), 추모행사 아카이빙, 웹아카이빙 등의 기록수집 활동도 함께 전개함 ‣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2.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보급 및 지원 > 2.4 세월호아카이빙 지 원] 참고

⑧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Omeka 기반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컨설팅

‣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는 해외의 노동분야 및 지역사와 관련된 참여형 웹 아카이브 운영 사례를 주목하고 7-80년대 인천, 경기 지역의 노동조합 및 노동운동 단체의 참여형 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함

‣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대한마이크로전자(주) 노동조합 구성원들의 참여를 위해 Omeka 기반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컨 설팅과 이용자 교육, 이용 매뉴얼 등을 제공함. 대한마이크로전자(주) 노동조합 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 micro.osasf.net/) 참조 ⑨ 기록수집 및 시스템 관련 교육

‣ 일상기록의 수집, 관리, 서비스, 시스템 활동 전반에 관한 특강 : 국가기록원, 일본 학습원대학원 등 ‣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AtoM, Omeka, Curatescape 등) 활용 관련 특강 :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기록관리 교육기관 (기 ‣

록대학원, 기록관리학교육원 등), 컨설팅 기관 (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 이우학교 등), 유관단체 (한국문헌정보, 기억 발전소 등)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3. 교육 및 학술 활동 > 3.1 교육 활동] 참고

20


3.3 2015년 주요활동 (1) 월별 활동

2015.01 ‣ 2015년 업무계획 수립 ‣ Omeka 시범호스팅 실시

2015.02 ‣ 2015년 업무계획 조정 ‣ AtoM v2.1.2 한국어 반영

2015.03 ‣ ‣ ‣ ‣

부산대학교 SSK 연구단(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온라인 전시관 구축 컨설팅 일본 학습원대학원 및 동경외국어대학교 기록관 담당자, 인간과기억아카이브 방문 및 업무 협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수업아키이빙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아카이브시스템 AtoM 버전 업그레이드 (v2.0 → v2.1.2)

2015.04 ‣ ‣ ‣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오픈소스연구반 교육지원 서울시 동대문구청기록관의 온라인전시관 구축 컨설팅 제2회 5월 12일 일기수집이벤트 수집기록물 온라인전시관 구축 인간과기억아카이브 홈페이지 개편

2015.05 ‣ 제3회 5월 12일 일기수집 이벤트 개최

2015.06 ‣ 서울시 북부교육지원청 기록관의 온라인전시관 구축 컨설팅 ‣ 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작성 ‣ 인간과기억아카이브 백서(2013.07~2015.06) 집필

21


(2) 주요 활동

① AtoM 2.1.2 버전에 한국어 반영

‣ 2014년 1월부터 시작된 AtoM 한글화 사업이 2014년 9월 초 완료되어 AtoM v2.1이 9월 말 출시되었을 때 적용하려 하 ‣ ‣

였으나 반영이 안 되었음 (Transifex의 문제인지 AtoM의 문제인지 확인되지 않았음) AtoM v2.1.1 에도 한글 적용이 안 되다가, 2015년 2월 v2.1.2에 한글번역이 적용됨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2.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보급 및 지원 > 2.2 로컬레이제이션 : 한글화] 참고

②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활용 컨설팅 수행

‣ 부산대학교 SSK 연구단(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온라인 전시관(Omeka 기반) 구축 관련 컨설팅 수행 (3월~7월) : 참여형 아 카이브 구축의 방법론 분석 예정

‣ 서울시 동대문구청 기록관의 온라인전시관(Curatescape 기반) 구축 및 기록수집 컨설팅을 수행함 (4월~7월) : 지방자치 ‣ ‣

단체의 민간기록 아카이빙 방법론과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활용방안 분석 예정 서울시 북부교육지원청 기록관의 온라인전시관(Curatescape 기반) 구축 및 기록수집 컨설팅을 수행중임 (6~8월) : 교육 청의 학교기록 아카이빙 방법론과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활용방안 분석 예정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Ⅳ. 지원 및 협력활동 > 1.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컨설팅 > 1.2 컨설팅 사례] 참고

③ 제3회 5월 12일 일기수집이벤트 개최

‣ 2015년 5월 12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제3회 일기수집 이벤트를 통해 총 542건의 일기가 수집됨 (실물자료 406건, 디 지털자료 136건)

‣ 5월 12일 일기 외에도 자신이 써온 일기를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온 시민들의 문의(10여 건)가 있었고, 6월 이후 본격 ‣

적인 수집을 수행할 예정임 자세한 활동내역은 본 백서의 [Ⅲ. 아카이빙 활동 > 2. 소장컬렉션 > 2.2 5월12일 일기 컬렉션] 참고

④ 인간과기억아카이브 업무 및 시스템 정비

‣ 배경 : 수집기록물 증가와 본격적인 서비스에 대비하기 위해 업무절차의 표준화, 소장기록물 등록, 분류, 보존 방안의 적 ‣ ‣

22

절성, AtoM 시스템의 오류 발생에 따른 새로운 인스턴스로 이전 필요성 제기 일정 : 기록물 관리지침 마련(6월), 신규 AtoM 인스턴스에 기록물 관리정책 등 반영하여 인스톨(7월), 신규 AtoM 인스턴 스로 데이터 이전(7~12월 순차적 이전), 시스템(AtoM) 개편 [부록3. 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참고


인간과기억아카이브 http://www.hmarchives.org

23


II. 소장 컬렉션 보고

24


1. 수집정책 2. 소장 컬렉션 2.1. 5월 12일 일기 컬렉션 2.2. 정당 컬렉션 > 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기록물계열 2.3. KBS 통일 한국을 그리다 취재기록 컬렉션 2.4. 개인기증 컬렉션 2.5. 명지대 컬렉션 /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컬렉션 2.6. 고대검우회 컬렉션 3. 전시와 열람 정책

25


III. 핵심 사업 보고

68


1. 아카이브 업무체계 수립 2.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3.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 보급 4. 교육 학술 프로그램

69


IV. 성과와 향후과제

108


1. 수집체계의 고도화 2. 오픈소스아카이브시스템의 개발과 보급 3. 일상아카이브 구축의 의미 확산

109


112


2013.07~2015.06 3간과기10카2. 백서

부록 부록1_AtoM포럼 세미나 발표자료-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115

부록2_AtoM 호스팅 보고서

159

부록3_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179

부록4_일상생활지도(Map) v1.0

237

부록5_제1회(2013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49

부록6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57

부록7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65

부록8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전시기획안

275

부록9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85

부록10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95

부록11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매뉴얼

305

부록12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결과보고

317

부록13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전시기획안

327

부록14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기획안

329

부록15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프로젝트 설명서

335

부록16_수업아카이빙 매뉴얼 v1.0

345

부록17_오픈소스 아카이브시스템 호스팅 및 컨설팅 정책

349

부록18_대한마이크로노조 웹아카이브 시스템 이용자매뉴얼

351

부록19_‘동대문구 기억여행’온라인전시관 구축 보고서

371

부록20_AtoM 한글화 보고서

403

부록21_OSASF 운영 보고서

421

부록22_세월호기억저장소 시스템 구축 기획안

437

부록23_국가기록원 원내 기록관리전문가 리더십 강화과정 특강 447 부록24_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Omeka 특강

463

부록25_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AtoM 이용방법 특강

473

부록26_AtoM 튜토리얼

495

부록27_Omeka 전시기획방법

531

113


2013.07~2015.06 3간과기10카2. 백서

부록 부록1_AtoM포럼 세미나 발표자료-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115

부록2_AtoM 호스팅 보고서

159

부록3_인간과기억아카이브 기록물 관리지침 v1.0

179

부록4_일상생활지도(Map) v1.0

237

부록5_제1회(2013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49

부록6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57

부록7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65

부록8_제2회(2014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전시기획안

275

부록9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기획안

285

부록10_제3회(2015년) 5월12일 일기수집이벤트 결과분석

295

부록11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매뉴얼

305

부록12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결과보고

317

부록13_은평녹색당 6.4지방선거 아카이빙 전시기획안

327

부록14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기획안

329

부록15_KBS통일대기획 아카이빙 프로젝트 설명서

335

부록16_수업아카이빙 매뉴얼 v1.0

345

부록17_오픈소스 아카이브시스템 호스팅 및 컨설팅 정책

349

부록18_대한마이크로노조 웹아카이브 시스템 이용자매뉴얼

351

부록19_‘동대문구 기억여행’온라인전시관 구축 보고서

371

부록20_AtoM 한글화 보고서

403

부록21_OSASF 운영 보고서

421

부록22_세월호기억저장소 시스템 구축 기획안

437

부록23_국가기록원 원내 기록관리전문가 리더십 강화과정 특강 447

114

부록24_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Omeka 특강

463

부록25_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AtoM 이용방법 특강

473

부록26_AtoM 튜토리얼

495

부록27_Omeka 전시기획방법

531


부록 1. AtoM포럼 세미나 발표자료 :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115


AtoM

AtoM 2013

12

20

2

3

프로그램

발표자

초대의 글

1.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안대진) 2.AtoM, Archivematica, Omeka 설치방법 (이승일) 3.AtoM포럼 운영방안 및 과제 (황진현)

안대진 (명지대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이승일 (한국국가기록연구원) 황진현 (명지대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이 세미나는 현재까지 AtoM에 대해 우리가 구축 하고 경험한 것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오픈소스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생겨난 여러 가지 고민들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하고자 합니다. 또한 AtoM포럼의 역할 및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토론자 이상민 (한국국가기록연구원) 박석훈 (한국문헌정보기술) 원종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116


시간 14:00~14:10

14:10~15:00

프로그램명 인사말

주제 발표

진행

내용

임진희 교수 안대진 (명지대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1.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이승일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 AtoM, Archivematica, Omeka 설치방법

황진현 (명지대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3. AtoM포럼 운영방안 및 과제

15:00~15:10

휴식 사회: 임진희 교수

15:10~16:00

토론

토론: 이상민(한국국가기록연구원) 박석훈(한국문헌정보기술) 원종관(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16:00

- 안정적 오픈소스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방안 - AtoM포럼 운영방안 및 계획

폐회

1.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2. AtoM, Archivematica, 3. AtoM포럼 운영방안 및 과 Omeka 설치방법 제

인간과기억아카이브는 AtoM 기반의 아카이브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최 근에는 보존과 온라인 전시를 위해 Archivematica, Omeka 등의 오픈소 스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도입하였습니 다.

지난 10월 v2.0 릴리즈 이후 AtoM은 Windows보다 Linux 기반에서 원활 한 퍼포먼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아카이브 소프트웨어를 구동 하기 위한 Linux OS와 APM(Apache server, PHP, MySQL) 소프트웨어 환 경의 구축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카이브나 매뉴스크립트 보존소, 또 는 작은 공동체나 개인들이 아카이브 시스템을 구축할 때 필요한 하드웨어 의 구성, 소프트웨어의 설치부터 실제 아카이브의 업무에 필요한 기능 활용 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AtoM, Archivematica, Omeka 의 설치방법 및 노하우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민간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해 AtoM 포 럼이 어떤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해야 하 는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AtoM포럼은 자문단 구성, 포럼 사이 트 개설, 한글화 등 해결해야 할 다양 한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또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한글 화 문제 등 다양한 해결과제 또한 공유 하고자 합니다.

117


이 문서는 미리보기 버전입니다.


인쇄본 구매 문의

kwonmj@rikar.org

02-300-1845

정가: 59,000원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