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장애인복지관 11호 관보

Page 1

2015

01-02

함께하는 단체 : 네트워크 고리

종로장애인복지관 2015 vol.11

발행처 : 종로장애인복지관

발행인 : 최종길

발행일 : 2015. 01.

주소 : 110-032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89

Tel : 02-6395-7070

Fax : 02-6395-7080 홈페이지 : www.jpurme.org

Interview

직업지원팀

2015년 양처럼 따뜻한 마음으로 당신과 함께 하겠습니다

채춘호 (팀장) 새해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차재억 (사회복지사) 2015년 새해 이루고자 하시는 일들 모두 성취하시는 한 해가 되길 바라며,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세요. 박선영 (직업재활사) 두려움은 적게, 희망은 많이 먹기는 적게, 씹기는 많이 푸념은 적게, 호흡은 많이 미움은 적게, 사 랑은 많이 그러면 세상의 모든 좋은 것이 당신의 것이 될 것입니다. 희망찬 2015년 되시길 기 도합니다.

종로장애인복지관 전직원 신년인사

안재빈 (사회복지사) 새해에는 종로장애인복지관으로 더 행복하고 기쁜 한 해 되길 바랍니다. 올 한 해 소원하는 것들 모두 이뤄내는 만·사·형·통 2015년 되세요. 장민경 (사회복지사) 2015년 새해에는 더 많이 웃고 즐거운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권순창 (직업재활사) 2015년 한 해에도 기쁜 일 가득하시고 얼굴에 미소가 가득할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역연계팀 김상현 (팀장) 간절히 바라는 일들이 이루어지는 한 해가 되길 소망합니다. 이혜나 (사회복지사) 2015년에도 복 많이 받으시고, 많이 누리는 희망 찬 새해 보내세요.

사회통합팀

최종길 (관장)

이슬이 (사회복지사)

안보현 (팀장) 힘차게 달려왔던 말의 해를 잘 보내시고 조용하고 차분해서 무리생활 을 잘 지내는 양처럼 다가오는 2015년도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을미년 새해에는 더 새롭고 웅대한

어제보다 오늘, 오늘보다 내일이 더 즐겁고 행복할 수 있는 2015년

포부로 하시는 일마다 괄목할 발전이 있는 한

이 되길 바랍니다. HAPPY NEW YEAR!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우리 복지관도 새로운 목표를 김미나 (사회복지사)

향하여 더욱 정진하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15년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고 주변 모든 사람들이 행복 가득하길

박근숙 (사회복지사) 나이는 뺄셈, 복은 덧셈, 돈은 곱셈, 웃음은 나누셈, 건강은 지키셈. 2015년에도 행복한 일 많이많이 만드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빕니다. 위기 또한 기회로 전환 될 수 있다는 긍정 마인드를 희망합 니다. 양처럼 보들한 2015년 되길 바라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유영덕 (사무국장) 새해 뜻하는 모든 일들이 형통하시길 기도하며 2015

정희철 (사회복지사) 2014년이 바쁘게 지나가고 어느덧 을미년 2015년을 맞 이하게 되었습니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과

최은희 (사회복지사) 2015년 새해를 맞이하여 기쁨과 행복이 넘쳐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년 양과 같이 자신을 헌신하며 다른 사람을 따뜻 하게 만들어 드리는 한 해가 되도록 노력하

그 가족 분들이 건강하고 좋은 일만 가득하셨으

신정이 (사회복지사) 2015년 한 해도 건강하시고, 종로장애인복지관과 함께 늘 웃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주변 사 람들에게 늘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랑합니다.

겠습니다.

면 좋겠습니다.

임종승 (사회복지사) 벌써 3년을 향해 달려가고 있네요. 2015년에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 복하시길 바랍니다. 뭐니 뭐니 해도 건강이 최고!

기획홍보팀 운영지원팀

사박사박 쌓이는 하얀 눈처럼 소복소복 작지만 큰 행복 들이 넘치는 2015년 되시길 바래요.

김경미 (조리원) 저물어가는 한 해를 다시 또 반성해봅니다. 2015년에는 종로장애인복지관 모든 직원과 오고가는 모든 분들께 감사하면서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김지영 (사회복지사)

김미경 (회계) 올 한 해에도 복지관에 오시는 많은 분들이 건강하시고, 복지관에서 함께 하며, 즐겁고 따스한 곳, 오고가며 기쁨을 나눌 수 있는 복지관이 되길 소망합니다. 박진배 (차량 및 조경관리자) 다가오는 을미년 새해에도 가족 모두 건강하시고 가정에 평화가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안영수 (조리사) 2015년에도 맛있는 밥상을 준비하겠습니다. 밥심으로 화이팅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은주 (영양사) 2015년에는 보다 뜻 깊은 희망찬 한 해가 되시고 항상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장새롬 (사무원) 새해에 바라는 소원은 각자 다르겠지만 모두가 더 웃고 더 많이 행복해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5년에는 건강하시고, 행복한 새해가 되길 기도합니다.

이번 겨울은 여느 때보다 눈이 많이 오는 것 같아요.

백은숙 (팀장) 기쁨과 행복 가득한 2015년 을미년이 되길 기원합니다.

김이선 (환경미화원) 새해에는 떠오르는 태양의 힘찬 기운을 한껏 받으셔서 희망으로 가득한 한 해 맞이하길 바랍니다. 복지관 직원, 이용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김성락 (사회복지사)

탁현정 (사회복지사)

김국연 (문화예술담당) 2015년 더 행복하고 더 즐거운 일들로 복지관 자주 방문해 주세요. 이용자분들이 만족하실 때까지 열심히 노력하겠습 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사랑합니다.

새로운 마음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새해가 밝았습니 다. 지난해의 고단함을 내려놓고 2015년이 주는 ‘새 희망’을 품고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종로장 애인복지관도 동행하겠습니다.

운동기능팀 이종덕 (팀장)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뀐다!는 말이 있습니다. 2015년에는 저의 긍정 에너 지를 우리 기관을 이용하시는 모든 분들께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박사희 (특수체육교사) 2014년을 종로장애인복지관에서 보낼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올해에도 조금 더 괜찮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과 즐거움이 함께하는 2015년 되길 바랍니다. 강윤하 (언어치료사) 2015년에는 모두에게 설렘으로 두근거리는 신나고 재밌는 일들이 가득하길 바라겠습니다.

전준영 (시설관리자) 희망차고 아름다운 새해가 되길 바랍니다.

김슬기 (작업치료사) 다가오는 2015년엔 항상 건강하고 웃음 넘치는 행복한 한 해로 완성하길 기원합니다.


02

메아리 1월 - 2월

기획홍보팀

종로장애인복지관 제2회 종로송년예술제 “따뜻한 메아리” “안녕하십니까. 생활예술을 즐기는 우리들의 축제, 제2회 종로송년예술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난 12월 18일, 세종마을 푸르메센터 푸르메홀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제2회 종로송년예 술제가 열렸습니다. 사회를 맡은 종로장애인복지관 김상현 팀장의 인사와 신정이 사회복 지사의 수화통역으로 종로송년예술제가 시작되었습니다. ‘희망으로 날아오르다’ 라는 부제로 진행된 이번 예술제는 종로장애인복지관 내에서 문화 예술활동을 즐기는 5개의 공연팀이 한 해 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아낌없이 보여주는 자 리였습니다.

멘토와 멘티가 함께하는 축제 시각장애아동청소년은 멘토와 하나가 되어 화려한 퍼포먼스와 깜찍한 율동까지 겸비한 난타공연과 ‘흥부와 놀부’ 연극을 선보였습니다. 자신을 표현하고 감정을 나타내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시작한 난타와 연극이었는데 그 결

서울농학교 무용반의 축하공연

과는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흥부와 놀부’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야기라 무료할 수 있지만 아이들이 어찌나 실감나게 연기를 하는지 관객 모두가 이야기 속으로 흠뻑 빠졌습니다.

따뜻한 울림이 따뜻한 메아리로 종로송년예술제를 축하해주기 위해 특 별한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바로 종로 장애인복지관과 이웃사촌인 서울농학교 무용반 학생들입니다. 고운 한복을 입고 등장한 학생들은 아름다운 자태로 부채 춤으로 선보이며 예술제 분위기를 더욱 시각장애아동청소년 난타팀 ‘울림소리’의 공연모습

‘흥부와 놀부’ 연극모습

따뜻하게 채워주었습니다.

푸르메오케스트라의 ‘사랑의 인사’ 합주 모습

마지막 무대는 푸르메 오케스트라가 장식했습니다. 푸르메 오케스트라는 상명대 관현악 과와 MOU 체결 후 지난 8월부터 꾸준하게 레슨을 받아왔습니다. 김지명 단원의 바이올

‘음악’으로 하나가 되는 시간

린 독주와 클라리넷 합주, 상명대 관현악과 동준모 교수님의 지휘 아래 ‘사랑의 인사’ 합

2014년 국제하모니카페스티벌에서 장려상을 입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장애인 하모니카팀 ‘숨(SOOM)’은 연말 분위기에 맞춰 빨간 모자를 쓰고 캐롤을 연주했 습니다. 이어 종로장애인복지관의 마스코트, 보호작업훈련프로그램 내일일터가 준비한

주로 준비한 모든 공연이 끝이 났습니다. 공연에 참여한 모든 이들의 얼굴에는 공연이 끝 났다는 안도감과 함께 뿌듯함이 엿보였습니다. 모두가 서로를 아낌없이 응원하고 축하해 주는 시간이었습니다.

‘SING 내일일터’ 합창이 시작되었습니다. 정말 즐겁게 노래하는 훈련생들을 보는 것만으 로도 행복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이처럼 종로장애인복지관은 매년 지역주민과 이용자들과의 문화공연을 공유하는 시간을 통해 지역사회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무척이나 추웠던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2015년 새로운 희망을 품고 살아가길 바랍니다. 글_ 김지영 사회복지사 (종로장애인복지관 기획홍보팀) 사진 _ 김범석 (재능기부)

성인장애인 하모니카팀 ‘숨(SOOM)’의 공연

‘붉은 노을’을 부르고 있는 ‘Sing 내일일터’의 모습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이다 공연 중간 중간마다 이벤트가 열렸습니다. 종로송년예술제가 열리기 전 주부터 푸르메센 터 1층에는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이다” 응모함이 준비되어있었습니다. 응모에 참 여해준 많은 분들 중 10명을 추첨해서 상품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종로장애인 복지관은 꿈 나눔터다”, “종로장애인복지관은 봄이다”, “종로장애인복지관은 미래를 연 결해주는 통로이다” 등 그동안 복지관을 이용하면서 느꼈던 마음이 전달되는 의미 있는 이벤트였습니다.


03

메아리 1월 - 2월

지역연계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2014 행복나눔 김장행사’ 입니다. 이렇게 십시일반 정성이 모여 ‘행복나눔 김장행사’를 열 수 있었습니다. 종로장애인복지관 최종길 관장의 “지난해에도 지역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김장김치를 담궈 재가 장애인분들께 전달 할 수 있었습니다. 김장김치를 나눠드리며 내년에도 꼭 찾아뵙겠다 고 약속했었는데 오늘 자원봉사자분들 덕분에 그 약속을 지 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라는 인사말로 본격적인 김장행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빨간 고무장갑을 끼고 앞치마를 두른 사람들이 세종마을 푸르메센터 5층 푸르메 정원에 모였습니다. 매서운 추위 를 훈훈한 마음과 정성 가득한 손길로 녹이는 사람들, 종 로장애인복지관 ‘2014 행복나눔 김장행사’에 자원봉사자 라는 이름으로 함께 모인 사람들입니다. 지역주민과 복 지관 이용자, 보호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이들은 내 이 웃에게 맛있는 김장 김치를 나누고픈 마음으로 동참해주 었습니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된 김장행사는 지역주민과 함 께하는 김장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종로구 거 주 장애인 가정을 위해 김치를 만들어 나누는 뜻 깊은 행 사입니다. 김치 맛에 자신이 있는 경우 우리집 김치 1상자

김장은 버무리기팀과 운반팀, 포장팀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습 니다. 버무리기팀은 김장이라면 누구보다 자신 있는 주부9단

각각 200kg씩 기부해준 김장김치는 장애인 가정 44세대 와 장애인 시설 4곳에 전달했습니다.

어머니 자원봉사자들로 이루어져 아주 빠른 속도로 김치를 버

자원봉사로 참여 해 주신 내일일터&드립업 이용자 어머

무렸습니다. 덕분에 절임배추와 완성된 배추를 나르는 자원봉

니, SK trading international, 90정보통신단, 김장 비

사들은 옥상은 분주하게 뛰어다녔습니다. 포장팀은 김치를 받

용을 후원 해 주신 이선희님, 노순동님, 홍수연님, 정창

게 될 이웃에게 조금이라도 더 많은 김치를 나누어주고자 더

훈님, 박정근님, 서울교회,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이상 넣을 공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김치를 꾹꾹 눌러 담는

그 외에 마음과 시간을 나누어 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내 이웃의 따뜻한 밥상을 위해 지

LTE급 속도로 완성되는 김치와 쌓여가는 상자를 보면서 ‘선 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한 뜻을 가지고 힘을 모으면 이런 능

역주민과 함께하는 행복나눔 김장행사는 앞으로도 계속 될 것입니다. 글_ 이슬이 사회복지사 (종로장애인복지관 지역연계팀) 사진 _ 이혜나 사회복지사 (종로장애인복지관 지역연계팀)

력이 나오는 구나’하고 감탄했습니다.

(10kg)를 기부할 수 있고, 김치는 자신 없지만 마음을 나

이번 행사를 통해 종로 지역 장애인 가정 51세대에 김장김치

누고 싶은 경우 김장 김치 비용(3만원)을 기부하는 형식

를 전달했고, 이외에 국립민속박물관과 사회적기업 청밀에서

직업지원팀

지친 몸과 마음의 회복을 위한 힐링타임~ 푸르메지압힐링센터 을 통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푸르메지압힐링센터’가 문을

한 이용자는 “요즘 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몸이 많이 굳어

안마란?

열기 전 종로장애인복지관은 2013년 시각장애인 안마사 고용

힘들 때가 많아요. 그럴 때마다 복지관에 와서 안마를 받

손이나 도구의 사용을 통해 몸을 주무르고, 누르고, 두드리는 등의 자극을 전달하여 몸의 근육과 관절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인체의 균형을 고 르게 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행위입니다. 안 마의 주요 부위는 근육, 힘줄, 인대, 피부, 관절 등으로써 이러한 부위에 안마를 시 술하면 혈액순환 개선, 통증의 완화, 스 트레스 해소, 숙면유도, 면역체계 강화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증진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서울맹학교와의 시각장애인 안마

곤 하는데, 확실히 몸이 한결 가벼워지더라고요.” 라며 만

사고용증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업연계 헬스키퍼 사업을

족한 미소로 이용소감을 전했습니다.

운영했습니다. 이러한 사업을 기반으로 중증장애인 재활증진

앞으로 더 많은 분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중증

을 위한 안마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르메지압힐링센터를 열게

장애로 이동의 제한이 있는 재가 장애인들의 경우 찾아가

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 재활지원 사업으로 운영 중인 ‘푸르

는 맞춤식 안마 서비스를 계획 중에 있습니다. 더불어 시

메지압힐링센터’는 시각장애인 유일 고유직종인 안마사제도

각장애인 유일 고용직종인 안마사사업 활성화를 위해 시

를 활용한 고용창출과 더불어 중증장애인의 재활증진을 위한

각장애인 고용증진과 안마에 대한 대중적 인식개선 사업

‘디앤디 케어(D&D Care)’ 사업입니다.

을 통해 전문적 헬스키퍼로서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푸르메지압힐링센터에는 국립서울맹학교와 연계하여 국가

자 합니다.

종로장애인복지관에는 아로마 향기가 가득하고, 지친 몸

공인 자격을 취득하고 전문 과정에 수련중인 시각장애인 안

푸르메지압힐링센터를 이용하는 모든 분들의 지친 몸과

과 마음이 회복되는 특별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시각장

마사 3명이 힐링 안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든 서

마음의 회복을 위해 2015년도에도 최고의 힐링 안마 서

애인의 고용증진과 중증장애인, 장애인 직계가족의 스트

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힐링 안마 서비스 이외에 발

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푸르메지압힐링센터의 많은 이

레스 해소 및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푸르메지압힐링센터’

마사지기와 골반교정기 등 보조 안마기기를 이용 할 수 있습

용 부탁드립니다.

입니다.

니다. 또한, 안마 서비스 제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상

월 평균 150여명의 중증장애인과 직계가족이 이용하는 ‘

시 운동방법과 자세교정 등의 운동처방도 받을 수 있습니다.

푸르메지압힐링센터’는 작년 10월 ㈜에드링턴코리아 지원

매주 복지관에 방문해서 안마 서비스와 안마기기를 이용하는

1

글·사진_ 차재억 사회복지사 (종로장애인복지관 직업지원팀)

2

1. 2014년 10월 푸르메지압힐링센터 개소식 모습

※ 이용희망, 관련 문의는 직업지원팀 차재억 사회복지사 (☎ 02-6395-7078)에게 연락주시면 됩니다.

3

2. 푸르메지압힐링센터 내부 모습

4

3, 4. 시각장애인 안마사가 힐링 안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


04

메아리 1월 - 2월

사회통합팀

장애청소년 예술역량개발교육

연말발표회

코끝이 시릴 정도로 추웠던 지난 12월 10일, 세종마을푸

각 할 수 있지만, 종로장애인복지관버전 ‘백설공주’는 조금 특

까 연습 할 때보다 더 재미있었어요. 내년에도 또 해요.”

르메센터 푸르메홀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찼습니다. 바

별했습니다. 연극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특징을 살려 배역

라며 흥분된 마음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공연 시작부터

로 ‘W-ing 프로젝트’ 연말 발표회가 시작되었기 때문입

을 설정해 원작보다 더욱 재미있는 이야기가 완성되었습니

끝까지 객석에 앉아 학생들과 함께 마음을 졸였던 학부모

니다. We(우리)와 ing(진행 중)이라는 말의 합성어인 W-

다. 동화책 속 백설공주보다 더 하얗고 사랑스러운 백설공주

들은 기대 이상의 공연을 보여준 학생들에게 칭찬을 아끼

ing 프로젝트는 음악, 무용, 연극 활동에 재능 있는 장애

와 카리스마 넘치는 왕자님, 멋쟁이 소인, 잘생긴 소인, 행복

지 않았습니다.

청소년에게 문화예술가로서의 꿈을 키워 함께 성장하자

한 소인, 꽃미남 소인 등 이름처럼 연극은 해피엔딩으로 막

이번 공연을 준비한 학생들은 약 7개월 이상 매주 변함없

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을 내렸습니다.

는 모습으로 연습을 임했습니다. ‘장애 때문에 잘 할 수 있 을까?’라는 편견을 깨고 웃음과 감동을 준 학생들과 공연

몸으로 표현하는 나 그리고 우리

노래의 날개를 달고 꿈을 향해

이 가능하기까지 힘써주신 ‘W-ing’ 프로젝트의 모든 관

학생들은 ‘나는 나!’와 ‘천개의 바람’이라는 작품을 선보였

매주 프로그램 활동시간이 콘서트 현장을 방불케 했던 ‘노래

계자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앞으로도 예술적 재

습니다. 무용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할 무렵, 몸을 움직이

의 날개위의’ 합창팀의 무대가 이어졌습니다. 무대 위에 오르

능을 가지고 있는 장애청소년들에 대한 많은 관심 부탁드

는 것을 어려워했던 학생들이 이제 무대 위에서 자유롭

자 긴장을 많이 했는지 박자를 놓치기도 했지만 관객들의 진

립니다. 함께 할 수 있어 정말 행복했습니다.

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니 그동안의 땀과 노력이 헛된 것

심어린 응원에 마음을 다잡고 합창을 끝까지 이어갔습니다.

이 아니었습니다.

관객들은 한 목소리로 앵콜을 외쳤습니다. 마지막 피날레 공 연인 ‘You Raise Me Up’ 첼로연주를 끝으로 ‘W-ing 프로젝

행복한 백설공주 이야기

트’ 연말발표회가 끝이 났습니다.

‘백설공주’ 이야기는 누구나 아는 이야기라 따분할거라 생

공연이 끝나고 연극 활동에 참여했던 한 학생은 “무대에 서니

글·사진_ 김국연 문화예술담당자 (종로장애인복지관 사회통합팀)

‘W-ing 프로젝트’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장애인 문화예술 역량강화 사업)에서 지원하고 종로장애인복지관과 DTS행복들고나(댄스시어터 샤하르)팀과 함께합니다.

운동기능팀 That ’s no ~

no~

겨울철 ‘꽈당’ 낙상사고 예방 & 처치

노화에 따른 운동신경의 능력감소와 근력 약화 등은 신체 의 반사속도를 느리게 하며 몸의 균형유지 능력을 떨어지 게 합니다. 이러한 유지 능력의 감소는 노인에게 있어 낙 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합니다. 노인에게 발생하는 낙상 은 단순히 뼈의 골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노화로 그 치유와 정상적인 회복이 장시간 소요되는 만큼 근 기능과 골소실율, 그리고 소화기관 약화, 심리적 장애 등과 같은 2차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근력, 밸런스가 포함된 운동이 필요합니다.

빙판길 낙상사고 예방

01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어주세요.

03 근력운동과 함께 스트레칭을 해주세요. 낙상사고 예방 세 번째는 근력운동과 스트레칭입니다. 근력운 동을 하면 반응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균형 감각이 향상 되기 때문입니다. 또 겨울철은 근육이 이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부상을 쉽게 당하는데요, 평소 다리 스트레칭으로 근육 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낙상예방운동 (한번 실시할 때 10-15회 반복하여 운동 하시고 2-3세트 실시)

빙판길 낙상사고 응급처치법

01 즉시 병원에 찾아가주세요. 낙상사고는 부상당한 후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방치하는 경우 가 많은데요, 따라서 골절을 당해도 방치하여 후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낙상사고 후에는 통증과 부기가 적다고 하더라도 병원에 방문하시어 부상당한 부위를 치료해주세요.

02 골절이 된 경우의 응급처치방법

낙상사고 예방 첫 번째는 두꺼운 옷 피하기입니다. 두꺼운 옷은 움직임을 둔하게 하여 민첩성과 순발력을 저하시켜 두꺼운 옷 대신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어 보온성을 유지하 여 민첩성과 순발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골절이 되었을 경우에는 딱딱한 부목과 같은 것으로 고정시켜 병원을 즉시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골절 이외에 부 상당한 곳에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 에 깨끗한 천으로 감싸준 뒤 심장보다 부상 부위를 높게 올려 출혈을 막아주어야 합니다.

02 굽이 낮은 신발을 착용해주세요.

03 부기가 심할 경우 응급처치방법

낙상사고 예방 두 번째는 굽 낮은 안전한 신발신기입니다. 굽이 높은 신발의 경우 미끄러운 노면에서 중심을 잡기가 어려우므로 바닥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굽이 낮은 신발과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며, 다리가 불편한 사람은 지팡이를 갖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부기가 부어오르는 경우는 염증이 유발했다는 신호로 뜨거운 찜질은 삼가고, 차가운 찜질팩이나 얼음주머니로 부기를 가라 앉혀 주는 것이 좋습니다.되기 때문입니다. 또 겨울철은 근육 이 이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부상을 쉽게 당하는데요, 평소 다리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앉았다 서기(스트레칭)

발목운동(근력운동)

종아리운동(근력운동)

한발서기(균형)


05

메아리 1월 - 2월

푸르메재단 소식

<송일국, 션 가족 기부소식>

푸르메에 슈퍼맨이 떴다

글_ 한광수 팀장 (푸르메재단 커뮤니케이션팀) 사진_ 정담빈 간사 (푸르메재단 커뮤니케이션팀)

아이돌 가수, 한류 배우, 유명 MC, 인기 방송인이라고 생각하셨다면 모두 땡입니다. 불과

육아의 신, 션 씨가 부러운 슈퍼맨

30개월이 조금 지난 어린 아기들이 리모콘을 꽉 쥐게 만드는데요. 바로 배우 송일국 씨와

마라톤 전문가(?) 션 씨와 아이들의 도

씩씩한 삼둥이 아들. 대한, 민국, 만세가 주인공입니다.

움으로 완주에 성공한 송일국 씨는 그

최근 일요일 안방 TV를 사로잡는 최고의 스타는 누구일까요?

래도 완주 기부금을 전달 할 수 있게 되 어 기쁜 표정입니다. 마라톤 후 인근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열정적으로 놀아 주는 션 씨를 보고 송일국 씨는 또 한 번 놀란 표정입니다. 내가 슈퍼맨이라 면 션 씨는 ‘육아의 신’이라며 네 자녀 를 자상하게 키우는 육아 전문가(?)의 1

2

모습을 부러워하기도 했습니다.

푸르메재활센터에서 아이들과 자상하게 놀아주고 있 는 션 씨.

1. 송일국, 대한, 민국, 만세 가족은 ‘만원의 기적’ 365만 원에 인당 1만 원을 더해 369만 원을 기부해 주셨다. 2. 푸르메재단 홍보대사 션 씨와 하음, 하랑, 하율, 하엘도 마라톤 완주 기념으로 365만 원을 기부해 주셨다. 아이들이 자꾸 도망가서 7명의 꼬마 영웅들을 동시에 촬영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모든 어린이들이 건강했으면 꼬마 영웅 7명의 기습 방문

송일국, 대한, 민국, 만세 가족은 만원의

어느 날, 그것도 갑자기 푸르메재단에 귀

기적 365만 원에 인당 1만 원을 더해서

한 손님들이 찾아 왔습니다. 한 명도 아

369만 원을 기부해 주셨습니다. 션 씨

니고 세 명도 아니고 무려 7명의 꼬마 영

와 하음, 하랑, 하율, 하엘도 마라톤 완

웅들이 메달을 목에 걸고 당당하게 방문

주 기념으로 365만 원을 병원 건립을 위

했습니다. 대한, 민국, 만세와 기부천사

해 써 달라며 내미셨습니다. 전달식이

가수 션 씨의 네 자녀, 하음, 하랑, 하율,

끝나고 푸르메센터 2층에 있는 푸르메

하엘이 푸르메재단에 들어서자 마치 방

재활센터에 방문한 송일국 씨는 촬영이

송국의 촬영장이 된 것 같은 즐거움이 넘

끝났는데도 발걸음을 떼지 못했습니다. 이곳저곳을 둘러보며 재활치료 시설과 치료받는

쳤습니다. 션 씨와 송일국 씨 가족이 ‘송도 사랑 마라톤’ 10Km 코스를 완주하며 어린이재

어린이들에게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막내 만세가 작게 태어나면서 인큐베이터에 들어갈

활병원 건립기금으로 365만 원을 기부하기 위해서 방문한 것입니다.

위기를 넘겼기에 장애어린이의 아픔이 남의 일 같지 않게 느껴졌다는 송일국 씨. 대한민국

푸르메재단 회오리 모금함이 신기했는지 신나게 동전을 굴리고 있는 꼬마 영웅들.

송일국 씨는 재활 치료받는 아이들과 시설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의 모든 아이들이 대한, 민국, 만세처럼 씩씩하고 건강하게 커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슈퍼맨 아빠의 좌충우돌 마라톤 도전

장애어린이들을 위한 슈퍼맨의 도전은 계속 된다.

푸르메재단의 홍보대사로 ‘만원의 기

해서 션 씨도 이기고 장애어린이들에게 더 큰 희망을 선물하겠다고 말하는 것을 보니 역시

적’ 캠페인을 직접 기획, 운영, 모금까

슈퍼맨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14년 12번째 ‘만원의 기적’ 주인공이 된 송일국,

지 하고 있는 션 씨는 작년에도 무려

대한, 민국, 만세 가족을 보니 어린이재활병원을 빨리 지어서 초대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

1만km를 달리고 1억 원을 기부해 주

해졌습니다. 아이들은 한 뼘 더 자라있을 것이고 아빠도 더욱 멋진 슈퍼맨이 되어 있겠죠.

앞으로 기회가 되면 션 씨와 함께 또 달리고 싶다고 말하는 송일국 씨. 그 때는 준비를 잘

셨는데요. 송도에서 열린 마라톤 대회 에 네 명의 자녀를 뒤에서 밀고 앞에 서 끌며 완주했습니다. 그런데 그 옆 에는 슈퍼맨 아빠, 송일국 씨가 있었 습니다. 송일국 씨 역시 삼둥이를 유 모차 2대에 나눠 태우고 밀며 완주에 성공했습니다. 방송을 보니 정답게 이 야기를 하며 달리던 션 씨와 송일국 씨 도 어느새 지치기 시작했습니다. 평소 7~8km는 여유롭게 달리던 송일국 씨

삼둥이와 놀아주고 있는 육아의 신, 션 씨.(사진 위) 7명의 아이들을 밀며 끌며 마라톤에 참가한 션 씨와 배우 송일 국 씨.(사진 아래) (출처= KBS 방송화면 캡쳐)

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아침 식사조차 거르고 대회에 참가한 것이 화근이 되었습니다. 아이들이 먹던 과자까지 빼앗아 먹으며 완주는 성공했지만 평소 보여주었던 멋진 슈퍼맨 아빠의 모습과는 다른 모습에 시청자들은 크게 웃을 수 있었습니다.

푸르메재활센터 2층에서 신나게 놀고 있는 대한, 민국, 만세.


06

메아리 1월 - 2월

2015년 주요사업안내

2015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주요사업안내 2015년 종로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인권과 권리를 기반으로 한 운영을 통해 이용자중심의 복지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힘쓸 것을 약속합니다. 이용자, 보호자, 지역주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며, 2015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사업방향과 주요사업에 대해 안내해드립니다.

•장애인 평생교육 및 문화예술사업 확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는사회”

비전

•장애인 권익옹호와 자립생활 지원

사업방향

모든 사람의 재활, 장벽 없는 사회,

•사례관리 및 가족기능 강화 •장애인 지역사회 참여 확대

함께 사는 세상

•종사자 전문성 향상을 통한 서비스 질 향상

사업목표

주요사업

대상

장애인 문화·예술활동 참여기회 마련

예술교육이 가능한 장애아동·청소년

장애인 오케스트라 운영

음악적 재능이 있고 악기연주 가능한 시각·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

장애인 예술분야 재능개발 및 지원

탁구교실 운영 성인장애인 여가스포츠 활동 지원

장애인 생활체육동호회 구성 및 지원

장애인 및 가족

종로소풍 프로그램 운영 장애학생 직업준비전환교육 강화

전환교육 중심 대안학교 설치

중·고등학교 재학 장애청소년

지원고용을 통한 공원관리 일자리 확대

공공근로특화사업 참여장애인

중증장애인 세차, 소독사업단 운영

성인발달장애인

창업보육형 헬스키퍼실 운영

시각장애인

장애아동·청소년 사회적응능력 향상지원

발달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아동·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발달,시각장애 아동·청소년 청각장애청소년

성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확대

성인 발달장애인 지원을 위한 문화학교 사업

18세 이상 성인발달장애인

성인장애인 지역사회 고용 확대

지역 내 유관기관과 네트워크 구축 함께 사는 사회를 위한 지역사회 조직화 사업

지역 내 기관, 시설 ‘좋은 이웃 만들기’ 위원회 조직

물리적·사회적 장벽 제거를 위한 지역사회 환경개선

무장애공간 조성을 위한 모니터링단 구성 및 운영

종로구 내 장애인 및 일반시민

지역사회 자원개발

정기후원자 개발 및 행사를 통한 모금활동, 자원봉사자 개발

지역주민

지역기반 통합사례관리체계 구축

지역 내 민간-공공기관 사례관리 협력체계 구축

지역 내 기관, 시설

비장애형제 및 가족지원프로그램 강화

비장애형제와 함께하는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 돌봄가족 지원

장애인 및 가족

종사자 역량강화

수퍼비전 체계화

직원

장애인복지정보 기획연재 2015년, ‘메아리’가 더 알찬 소식으로 찾아갑니다. ‘메아리’는 구독자 여러분들께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간 시기별 주제를 정하고 장애인복지 정보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새봄, 새학 기가 시작되는 3-4월호는 장애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정보, 가족의 달 5-6월호에는 장애인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예정입 니다. 더불어 여름휴가 시즌인 7-8월에는 국내 좋은 여행지를 추천해드리고자 합니다. 9-10월호는 가을 정취와 어울리는 문화 정보를, 11-12월호는 졸업과 취업의 의미를 담아 장애인 취업과 진로선택에 관한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메아리’에 관심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시기

3 - 4월

5 - 6월

7 - 8월

9 - 10월

11 - 12월

내용

학교적응

가족지원

추천여행

문화(연극, 영화)

취업, 진로


07

메아리 1월 - 2월

자원봉사/후원 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꿈꾸는 세상

푸르메오케스트라 와 함께 만들어 주세요 음악은 장애가 있는 아동들이 마음껏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런 음악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다면 우리 아동들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입니다.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재능을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개발하고 미래의 훌륭한 음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푸르메 오케스트라’ 가 함께합니다. 여러분의 선택으로 아이들의 악기소리가 무르익어 갑니다. 함께해 주세요.

후원자 혜택

후원 참여 안내

1

신규가입 감사 서비스 감사문자 및 메일발송

2

정기적인 소식지 발송 연6회 종로장애인복지관 소식지‘메아리’발송

3

문화혜택 서비스 후원자 모임 및 푸르메 오케스트라 행사 초대

4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혜택 소득공제 영수증 우편발송

개인 자원봉사활동 (2014.10.1~12.31)

KUBRANUR | 강소영 | 강수연 | 고진숙 | 공현정 | 길유은 | 김경림 | 김기정 | 김다은 | 김덕한 | 김동호 | 김명희 | 김민주 | 김범석 | 김보라 | 김상진 | 김생교

김선희 | 김소영 | 김수민 | 김수희 | 김시연 | 김신영 | 김예림 | 김예원 | 김용준 | 김윤섭 | 김인이 | 김점선 | 김정은 | 김주리 | 김주은 | 김지원 | 김지은 | 김지혜 | 김진서 | 김진채 | 김현정 | 김현지 | 김희원 노서윤 | 노수인 | 민점순 | 박나영 | 박다해 | 박대철 | 박상운 | 박소영 | 박승종 | 박시현 | 박예림 | 박용숙 | 박재윤 | 박주희 | 박충현 | 박하늬 | 박혜정 | 백승연 | 변승재 | 서민기 | 서준원 | 선다희 | 성상욱 손지예 | 송승진 | 신민경 | 신사랑 | 신현호 | 심민중 | 안성규 | 안성훈 | 안은숙 | 안지혜 | 안희찬 | 양흥식 | 우윤정 | 유두연 | 유예림 | 유정은 | 윤단비 | 윤영운 | 윤지영 | 이가영 | 이규래 | 이다솜 | 이병진 이삼례 | 이소현 | 이연주 | 이영경 | 이영림 | 이영희 | 이영희A | 이은정 | 이은지 | 이은채 | 이의성 | 이주석 | 이준행 | 이진경 | 이현정 | 임해나 | 장주영 | 장홍원 | 전명호 | 전언규 | 전희숙 | 정길호 | 정명국 정선희 | 정은미 | 정진우 | 조일권 | 조재은 | 조정현 | 조정희 | 조철희 | 주하은 | 채경아 | 천순애 | 최수현 | 최지선 | 한재민 | 함주성 | 허은혜 | 현지수 | 홍서윤 | 홍예원 | 홍예진 | 홍인선 | 홍지안

단체 자원봉사활동 (2014.10.1~12.31)

55경비대 김태승 변상민 유재원 전준배 지상현 채수홍 90정보통신단 김영록 김정미 김준형 박민경 원영숙 이규선 조인현 YG엔터테인먼트 강산희 강샘 강선영 강성은 강윤정

곽정미 구경모 김기정 김남희 김민정1 김민정2 김보민 김상륜 김순영 김슬기 김연성 김유리 김장미 김제연 김준모 김지현 김현석 김현진 김혜윤 김혜지 김혜진 김호정 류재철 류화수 변다정 션 송의진 안양희 양민석 엄미정 오동우 위보람 이다경 이정준 이준석 이지민 이지수 이지현 이효정 장인서 전가람 전지수 정슬기 정영준 정진아 정효진 최명의 최성준 최진석 패트릭에반스 하고은 하혜령 황보경 황싸부 황정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김나래A 김재철 박지호 박창원 박현철 송미령 오세창 이정명 정인석 최다애 최승훈 황용환 UPS KOREA 강창화 공정식 김성민 김윤종 김은미 김종대 김한상 김해수 나진기 류흥석 민병종 박원희 박재석 박정모 방울 백장미 송주영 신승균 심미영 유지현 윤철희 이나리 이석재 이세미 이승원 이정현 전진해 정우현 최용훈 한태희 허태중 황선혁 걸스카우트 수호천사대(상명대 체육학과) 김고운 김수진 김하영 김호준 노아름 노혜림 박영비 박창준 박현신 오승준 오현정 유진희 이명재 이예주 이지연 장종원 정근호 정수연 정예정 조한솔 최은영 최희주 대상㈜ 강상원 강신호 강희수 곽형석 권정선 김경민 김태석 노제형 문승재 문형두 박지훈 유신호 이기정 이미진 이병수 임병익 장호식 전형철 정규화 정원호 조상형 조제형 조중일 주범택 최윤기 최창우 홍각기 김종린 민천기 성경수 안은지 윤정자 이의연 세검정성당 레지오 김보경 김윤희 송선미 이선민 이숙희 임미수라 홍경혜 홍복희 우리은행 김종식 김진태 안성만 이정채 장정 최 경우 허종무 홍순호 제일모직 공도환 권효신 길지수 김병석 김보라 변동열 손홍표 신인선 이경환 이신형 이재용 이재형 이하령 정승조 최상환 최익준 최희주A 한효경 종로소방서 의용소방대 권갑순 김선자 김정화 김정환 김종현 김현미 류제진 박순애 박창순 배종순 변금옥 송경생 송미숙 유수길 윤상숙 이미경A 이숙이 이준자 이현주A 장미정 정경미 정발순 정일심 정현주 조성자 조영자 지주열 최덕순 홍영숙 홍옥미 황인화 종로지역자활센터 김성환 박성진 한성권 황무영 ㈜오픈타이드코리아 강영규 곽노혁 김명수 김승우 김예슬 김재균 김창현 김현정 남정훈 남희정 박미영 박선영 박정선 배영진 백두성 손서연 송재희 송희 안명호 엄익헌 이가흔 이상훈 이신석 이윤정 이지현 이현경 장대호 정호성 차민곤 천재복 최중희 한태호 청사모 권애련 권인숙 김선영 김연순 박인숙 박현아A 백미숙 서보화 윤연순 이영오 이유순 이재연 임정은 최은주 한예진 홍은현

일반후원 (2014.1.1~12.31)

[개인후원자명단] 권용혁 김경미 김국연 김미경 김미나 김상엽 김상현 김새미 김선규 김선형 김성락 김성태 김수 정 김순겸 김요한 김이선 김정희 김지영 김현실 노순동 문중현 민화순 박근숙

박사희 박선영 박정근 박진배 박춘환 방순분 방실 백경학 백은숙 백은주 손승현 송용권 신정이 신혜련 안보현 안영수 안재빈 양미숙 유영덕 윤예진 은성혁 이건직 이민규 이선희 이슬이 이연경 이종덕 이주열 이혜나 임연수 임재훈 임정자 임종승 장민경 정창훈 정희철 조명규 진혜선 채춘호 최양 최은희 최종길 탁현정 하정우 한상훈 한일웅 한호정 홍광일 홍수연 황금나 황은미 황정순 [단체후원자명단] SK텔레콤 SK텔레콤노동조합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교보생명보험(주) 국민연금관리공단 종로중구 지사 국민은행 청운동지점 네이버 해피빈 니맘내맘우리맘 대신고등학교 보건복지정보개발원 서울교회 서울사회 복지공동모금회 서울시복지재단 소문 광화문점 싱가폴에어라인즈 아라마크 주식회사 아름다운가게 안국점 우리은행 이마트 조광조 종로구사회복지협의회 청밀 하트하트재단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얀센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물품후원 (2014.1.1~12.31)

55경비대 생필품 SK노동조합 의류 및 도서, 장난감 등 SK텔레콤 세차용품 YG엔터테인먼트 점심식사 및 생필품 국립민속박물관 김장김치 국민은행청운동지점 치약 및 대천김 기부더마니(뻔뻔

아카데미) 쿨매트 기아대책 쌀 법제처법령해석정책관 식료품 새사랑교회 쌀 서울광역푸드뱅크 도배지 서울교회 식료품 서울김장문화축제 김장김치 성신양회 식료품 세준푸드 식료품 신한은행 식료품 적십자봉사관 식료품 제일모직 도서 및 공연티켓 종로구장애인체육회 의류 종로푸드뱅크 식료품 주재형님 식료품 청밀 식료품 푸르메재단 화장품 및 식료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상품권 효자베이커리 식료품

나눔 참여 방법

후원금은 이렇게 사용됩니다 생애주기별 재활서비스 지원

장애인 자립지원

다양한 영역의 재활치료 보조기구 등 장애인보장구

저소득 가정 경제적 어려움 해소 기능회복 및 역량강화 교육

문화, 여가 교육지원

장애인복지관 운영 지원

다양한 문화예술활동 스포츠 및 여가활동

복지관 운영에 필요한 환경구성 등 전반사항

직업능력 향상 및 취업 지원 다양한 직업적응훈련 직무능력 개발사업

구분

내용

정기 후원

CMS, 은행 자동이체 등을 통하여 매월 5,000원 이상의 나눔 참여

일시 후원

장애인의 날, 명절, 연말연시 등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날에 일시적인 나눔 참여

물품 후원

식품, 생활용품, 의류, 가전제품 등 다양한 물품으로 나눔 참여

결연 후원

후원자가 지정한 개인 및 특정사업에 후원하여 나눔 참여

이마트 포인트 기부

전국 이마트에서 물품을 사고 복지관으로 영수증 송부하여 나눔 참여 용산(117번),중구(127번),마포공덕(46번)창구에서 종로장애인복지관 앞으로 적립

네이버 해피빈 콩 기부

해피로그 주소: http://happylog.naver.com/jpurme 종로장애인복지관 해피로그 모금함을 클릭하여 콩 기부

※ 모든 후원금품은 소득세법 제 34조 및 법인세법 제 24조에 의하여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08

메아리 1월 - 2월

종로장애인복지관 재정보고

2014년, 2015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살림살이를 보고합니다.

2014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이렇게 운영하였습니다

(단위 : 원, %)

2014년 세입

세출

구분

예산액

결산액

수입율

구분

예산액

결산액

합계

2,500,000,000

2,497,328,912

99.9%

합계

2,500,000,000

2,497,328,912

99.9%

경상보조금 기타보조금 후원금수입 사업수입 전입금 이월금 잡수입

1,462,830,000 253,230,600 103,640,754 450,900,400 60,200,000 154,808,076 14,390,170

1,462,830,000 257,572,260 90,667,778 457,969,032 60,200,000 154,808,069 13,281,763

100.0% 101.7% 87.5% 101.6% 100.0% 100.0% 92.3%

인건비 사무관리비 재산조성비 사업비 잡지출 예비비 차기이월금

1,275,768,000 155,956,600 35,000,000 959,571,280 300,000 73,404,120

1,262,023,310 136,111,452 30,820,700 823,351,864 109,128 22,731,466 222,180,992

98.9% 87.3% 88.1% 85.8% 36.4% 31.0%

2%

사업수입

2%1% 6%

세입 경상보조금

1%

기타보조금

후원금수입

이월금

0%

세18출

9%

%

5951

33% 사무관리비 % 인건비 % 재산조정비

59%

4%

잡수입

1% 6% 9%

0%

18% 전입금

1%

수입율

4%

사업비

10%

10%

잡지출

예비비

51%

33%

차기이월금

5%

5% 1%

1% 2015년 종로장애인복지관 이렇게 운영하였습니다

(단위 : 원, %)

2015년 세입

세출

구분

전년도예산

15년 예산

증감

구분

전년도예산

15년 예산

증감

합계

2,500,000,000

2,441,600,000

-58,400,000

합계

2,500,000,000

2,441,600,000

-58,400,000

경상보조금 기타보조금 후원금수입 사업수입 전입금 이월금 잡수입

1,462,830,000 253,230,600 103,640,754 450,900,400 60,200,000 154,808,076 14,390,170

1,546,638,000 215,767,000 44,750,000 458,875,600 30,000,000 144,900,000 669,400

83,808,000 -37,463,600 -58,890,754 7,975,200 -30,200,000 -9,908,076 -13,720,770

인건비 사무관리비 재산조성비 사업비 잡지출 예비비

1,275,768,000 155,956,600 35,000,000 959,571,280 300,000 73,404,120

1,330,668,000 147,708,920 25,100,000 927,265,000 300,000 10,558,080

54,900,000 -8,247,680 -9,900,000 -32,306,280 0 -62,846,040

지원고용 제도 안내 “지원고용제도 참여 구직장애인 모집” 지원고용제도란?

지원고용 훈련기간은?

- 사업주에게는 일정기간(3주~7주)의 현장 실습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직 무적응력을 실제 작업현장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전훈련 : 6일 이내 / 현장훈련 : 기본 3최대 7주

- 장애인에게는 사업체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해 직업생활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 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으로 유도합니다.

지원고용 수당 지급기준

사업체 선정기준

구분

사업체

훈련생

지급액

훈련생 1인당 1일 19,340원

훈련수당:1일 12,000원 훈련준비금: 40,000원

- 4대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가입 사업장

지급기준

출석일수에 비례하여 지급

- 작업장 환경이 현장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업장

지급시기

현장훈련 종료 후 사업체 • 훈련생이 희망하는 계좌로 지급

- 노동관계법령이 규정하는 안전위생 및 기타 작업조건이 되는 사업장

보험가입

상해보험 가입

모집 기간 수시 문의/담당 직업지원팀 권순창 (☎02-6395-7063)

훈련대상 장애인 장애인 : 구직등록한 15세 이상 중증장애인

푸르메 오케스트라 1부•2부 단원 모집

오시는 길

악기 연주가 가능한 발달,시각장애아동 및 청소년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우선 모집)

음악적 재능이 있고 악기연주가 가능한 장애아동을 위한 전문음악교육을 실시합니다. 지원계획

음악을 좋아하고 악기에 관심 이 많은 장애아동을 위한 전문 음악교육을 실시합니다. 지원계획

상명대학교 관현악과 교수 및 재학생 1:1 멘토로 집중지원 (주 2회 악기 개별 레슨)

악기별 그룹레슨 지원 (주1회레슨)

버스정류장 위치

복지관 오는 버스 접수방법

02-6395-7092 / 사회통합팀 김국연 (전화 및 내방 접수)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