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생존조건'展

Page 1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

005 Best_ps 2540DPI 175LPI

생 존 조 건 SURVIVAL NEEDS

갤러리 도스 기획

김유정 개인전

2 01 5 . 1 1 . 2 5 ~ 1 2 . 1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2

005 Best_ps 2540DPI 175LPI

외상과 독백으로써의 자기 은유를 넘다

홍경한 | 미술평론가 1. 참다운 내 것에 조타를 맞추고,‘우리 자신을 우리 자신일수록 해주는 일 속에서의 행복’을 위해 볼테르 (Voltaire)는“인간은 자신의 정원을 가꾸어야 한다.”고 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지성으로 손꼽히는 프레데릭 르누 아르(Frederic Lenoir) 역시‘행복이란 그 자체로서의 삶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실이 그처럼 예측 가능하게 계몽적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행복을 철학하다(Happiness: A Philosopher’ s Guide)』(2014)에서 르누아르는 우화 속 노인과 마찬가지로 행복 은 결국 우리 안에 있다고 이야기하나, 그것이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생태주 의적 관점에서 인간사란 오히려 상처와 번민, 쓸쓸함과 고통의 나날이 눈부신 트라우마로 남아 지속되기/ 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신을 진정으로 소유하고 잠재적인 존재를 드러내며, 상처 따윈 전혀 없이 더 실제적인 인간으로써의 행복을 이룬다는 건 매초, 매시 부딪히며 살아가는 인간에겐 이상화한 샤르데냐(Sardegna)의 단지에 불과할 뿐이 다. 어쩌면 그건‘즐겁다’,‘기쁘다’와 같은 형용사를 주술처럼 읊조리는 공허함이며, 짧지만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인공자연을 구축하는 일과 진배없다. 혹은 여신 베누스(Venus)가 곡물의 신 아도니스(Adonis)에게 반하여 그를 납 치한 후 한순간에 지고 말 꽃으로 바꾸어 놓은‘아도니스의 정원’에 잠시 목말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실체 적 삶과 큰 관련 없는 하나의 텅 빈 광주리 혹은 항아리일 수도 있고.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작가 김유정의‘정원’은 사람의, 현대인들의, 규격화된 일상을 관상식물로 치환해 욕망하 는 식물로‘재번역’한 결과이다. 평면화 된 자연물을 배경으로 여러 정체불명의 인물들이 그림자처럼 등장하는 작 품 <Paradox>에서도 언뜻 읽을 수 있듯, 그것은 획일화된 일상이 강요되는 현대인들의 씁쓸함을, 그들이 가두어 놓 은 관상식물을 통해 반증하는 것이며“공산품처럼 규격화된 우리들의 삶과 고민을 자연적인 물질로 승화시키는 것” 과 다름 아니다. 즉, 삶에 관한 작가적 의식과 소고(小考), 일종의 회화적 랜더링(rendering)이 바로 김유정의‘정원’ 시리즈인 것이다. 삶에 관한 작가적 의식과 소고(小考). 그렇다면 김유정이 지정하는‘삶’은 어떤 모습일까. 우선‘삶’이라는 단어 자체는 낯설지 않다. 많은 작가들이 삶을 주요 소재로 삼는다. 그러나 친숙함이 곧 명쾌한 해답과 근친하는 건 아니 며, 이성에 의한 해석이 실체의 파악을 도모하지도 않는다. 어쩌면 삶이란 모호함, 그 자체일 수 있으며 혹은 매일 자신의 묘비명과 자서전을 써 내려가는 여정인지도 모른다. 혹은 플라톤(Platon)의 주장처럼 무언가를 얻기 위해 잃 어가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분명한 건 우린 삶의 고통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아니, 늘 그 유무형의 무게에 억눌린 채 탈주와 속박을 오간다는 사실이다. 흥미롭게도 김유정의 정원은 그‘삶’의 중앙을 관통한다. 세월의 텃밭에서 자란 인연과 관계망을 통해 자신의 삶 을 헤아리고, 회벽에 날카롭게 그리드 된 철필의 흔적처럼 나와 관계된 일상의 얼룩들을 독자적 표상(생존조건)으로 재구성한다. 실제로도 작가는 삶이라는 단어 아래 나와 부대끼는 타인들과 사물들을 공유하며, 그 미세한 떨림을 전 신적인 욕망과 수없는 물음을 그림이라는 매제로 여민다. 특히 삶의 다양성 가운데 자신을 중심으로 한 내용들을 다 이어리마냥 펼쳐놓곤, 그것을 근간으로 관계를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오늘의 우리를 소환한다. 따라서 김유정의 정 원 연작은‘일상을 텃밭으로 자라는 상처와 치유의 시선’이라고 할 수 있다.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3

005 Best_ps 2540DPI 175LPI

2. 김유정의 작품에는 일상의 단면과 감정, 기억과 회한들이 교차되어 있다. 인간사회에서 느끼는 내면적 병과 외상, 아픔과 슬픔이 녹아 있는 반면 희망과 절망, 실존과 허상 등이 이입되어 있다. 최근 설치와 사진작업을 병행한 와이어 드로잉 <Floating>(2015), <Alternative plant-love>(2015)와 같은 작업에선 사랑과 꿈과 같은 명사들이 여타 1)

그림 속 빼곡하게 자리한 식물들의 잎사귀처럼 촘촘히 새겨놓고 있다 . 물론 그건 생활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소탈하게 적시한 것이지만 어떤 알 수 없는 희원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그 낱낱의 상징들(사회적 관계성을 띤 구성원으로써의 식물-박제화된 온실 혹은 건축물-그 내부 에 똬리를 튼 채 살아가는 세상 등)의 이 현재의 투영-존재성의 기록임은 변하지 않는다.(2015년 작 <Gray Garden> 과 <Framework>를 동시에 교합한 느낌으로 보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무채색 위주의 회벽에 뾰족한 도구로 날카롭게 또는 투박하게 긁어낸 흔적들이 하나의 생채기와 갈음되는 것 마냥, 그의 작품의 출발점은 우리네 삶 이면 에 놓인 신산(辛酸)의 기표로서 작동한다. 김유정의 작가노트를 보면 위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 하는 대목을 발견할 수 있다. 일례로 그는“성장하고 성숙하 기 위해 우리는 자의 및 타의 아래 다양한 상황과 시도에 처해지는데, 생채기는 우리의 내면과 삶의 현장을 넘나들며 종전보다 바쁘게 활동한다.”고 적고 있다. 이는 그가 어째서 굳이‘긁음’과‘훑음’,‘할큄’을 중요한 표현행위로 삼 고 있는지 알려준다. 다시 말해, 그가 긁고 훑고 할퀴는 것은 상처받고 살아가는 우리네 초상의 짙은 배어듦(내적 상 2)

처들의 가시화)이면서 치유를 기원하는 작가의 의중, 중용(中庸)의 태도가 내포된 결과 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식물이 잘 가꾸어진 관형(觀形)의 정원은 바로 치유의 공간이자, 안락함을 선물하는 식생의 무대, 레비나 스(Emmanuel Levinas)의‘흔적(trace)’이라는 개념이 이입 가능한 장소이면서 한편으론 허무하고 불편함이 노출된 외계의 시공으로 번역된다. 김유정이“인공적이나 끊임없이 알맞은 조건을 만들어 가는 따뜻한 정원을 발견해 잠시 나마 안정을 취하고 재생하기도 한다.”면서도“부조리하되, 진실이 되어버리기도 하는 모순을 목격, 침묵하면서 삶 의 그늘에 지친 영혼을 잠시 맡겨두는 곳”으로 설명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김유정의 작업은 스스로에게 솔직하되 심각하거나 자극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3)

삶의 진정한 가치를 열람케 하는 매력이 있다 . 규명하고 행동하지만 고정시키지는 않으며, 잊고 지내는 일상에서 실존을 불러들이고 성찰을‘개간’하는 특징을 함유한다. 특히 우리네 삶에 부유하는 다양한 것들에 대한 회고를 오 늘에 반추해 새로운 의제를 도출시킴으로써 작가적 가치관을 명료화 한다는 점은 인상적이다. 더구나 묘사 위주의 겉과는 달리 그 내부엔 현세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방식에 대한 여러 유의미한 지점을 열거하고 있다는 것은 확 실히 눈에 띄는 부분이다.

1) 작품 <Paradox>와 <Gray Garden>에서 엿보이는, 흐트러지듯 질서를 지닌 그 하나하나의 장면들은 흡사 누구에 겐 지독하기만 한 삶을, 누구에겐 살며 살아가는 짧고도 긴 여정 속에서 인간이 겪어야할 복잡함이 비춰지고, <Incubator> 시리즈에서는 사건에 관한 편리(片利)와 내적 욕망 등이 얽히고설킨 미완의 거푸집처럼 다가온다. 2) 덧붙이자면 적어도 이 지점에서 이젠 외상과 마주친 주체의 발언-자기 독백적인 은유의 단계는 넘어 서고 있다. 고통과 절망에 관한 해결책을 묻지는 않는다. 단지 타자 측의 목소리를 염두에 두고, 사유할 수 있는 거리감을 제공 하는 계단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3) 자주 강조하는 것이지만, 사실 삶의 투영이 진실하게 반영되지 않은 작품이란 미를 가장한 시각적 쾌락, 혹은 고 통을 전달하는 가식적이거나 불편한 매개로 남겨질 가능성이 크다. 사유를 담아내지 못하는 예술이란 껍데기의 재 현이요, 편애된 성공일 확률이 높다. 예술 표현에 있어 중요한 것은 그 방식이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든 예술가의 경 험과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한 자아의식이 드러나야 한다는 점이며, 예술적 실현의지가 미적 철학과 미의식 아래 이 입되어 존재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우리가 흔히 궁금해 하는 좋은 작품이란 그런 범주에 들어맞는 것들이다.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4

005 Best_ps 2540DPI 175LPI

그래서 그의 그림들은 현실에 존재하고 서로 관련하면서 작용하는 개개의 존재(각각의 식물들과 사물들, 어둠과 밝음-덮음과 비워냄의 이중성으로써의 존재)를 정원으로 묶어 언급하는 동시에‘나는 이미 만인에 관여 되어 있으 며’현재의 내가 전체의 나일 수도 있음을 기술하는 전개를 밟는다. 또한 인간 존재와 인간적 현실의 의미를 구체적 인 형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우리는 곧 가능존재라기 보단 보편적 실현존재임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리고 그 표상 은 언제나 종적의 이탈을 지시할 뿐만 아니라, 일정한 구조 내에선 자유로움으로 도출된다. 작가는 그곳에 느낌과 감성, 일정한 스토리를 내재시키며, 작거나 큰 화면에 둔탁하고 곱지 않은 결을 험하게, 허나 따뜻한 저의와 공통의 가치 아래 표상화한다. 4)

3. 둔탁하고 곱지 않은 결을 험하게, 허나 따뜻한 저의와 공통의 가치 아래에서의 표상화 는 김유정 만의 독특한 기법인 프레스코(fresco)로 구현된다. 그는 이 기법의 어원처럼‘신선하게’다루는데, 채 마르지도 않은 회벽에 주어 진 시간 내 사물을 묘사하고 재현하기 위해 채색 대신 긁기를 선택한다. 이는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외부로부터의 5)

손상과 상실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 옛 기법을 오늘에 재현하는 것은 시간의 흐름을 귀납하기 위한 장치이며(물론 작가적 변별력을 부여하는 기능도 없진 않다), 전통성의 현대적 번안이다. 그의 말마따나 한편으론“긁기를 통한 관상식물, 인공적인 풍경들의 재현은 빛과 생명력을 얻어 곧 우리의 인생”을 나타낸다. 그러면서도 작가는‘생존조건’에 필요한 요소들을 배척하지 않은 채 공유와 공감-회생의 틈을 거듭 드러내 보인다. 즉, 피해갈 수 없는 경쟁과 복잡한 세상에 유기체로 살아가는 나와 우리네 삶의 아픔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있지만, 세상과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나아가기 위해, 상처받은 이들이 잠시 라도 쉴 수 있는 안락한 정원-상실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 역시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의 2015년 작품 <공생>에서도 잘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그의 그림에서 중요한 건, 김유정의 정원 시리즈는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본능 적인 미메시스적 욕구와 가깝다는 것이다. 이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개념을 빌어 이해하자면 그의 정원은 여러 측면에서 삶의 본질을 모방(Mimesis)하는 것과 좁은 거리를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정원은 보편적-사 실적 정원이 아니라,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말처럼 인생의 사막 같은 소용돌이 속에서 평화롭고 아늑한 시공을 개방해놓은 확장의 정원이라는 것에 방점이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그의 근작들은 더 이상‘외상’에 대한 차가운 직시,‘독백적인 자기 - 그리기로서의 은유’는 아닌 셈이다.

4) 인간사의 식물에의 대입, 자연의 인위적 이식과 전유, 감정의 내면성의 발화 및 확장 등등 5) 그래서 이 기법은 시간의 궤를 돌아 많은 것들을 들여다보도록 하고, 각기 다른 자신들의 삶을 대입-비교-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정질량의 문제마저 지정한다.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5

005 Best_ps 2540DPI 175LPI

Beyond the metaphor of self in the form of trauma and monologue

Kyounghan Hong | art critic 1. As Voltaire said, "we must cultivate our own garden" to aim at the true ourselves and find 'happiness in what leads us to ourselves'. Frédéric Lenoir, a representative French intellectual, said also that 'happiness consists in living the life as it is'. However, if only the reality would be so enlightening as to be predictable! Lenoir suggests in Happiness: A Philosopher's Guide (2014), following the old man of the fable, that happiness lies in ourselves, but to achieve a positive outcome is not so easy. For, from the ecological viewpoint, human history has been lasting, still lasts, as dazzling traumas left behind by days of hurts, agonies, drearinesses and pains. Therefore, as for a man struggling every hour, every second, it is nothing but an idealized jar of Sardegna to own one's true self, reveal the potential being, and achieve happiness as a more practical man without any wound at all. It might be to feel empty, reciting adjectives such as 'happy', 'pleasant' like spells, and create an artificial nature built for some momentary pleasures. Or it could be being, for a while, thirsty for 'the garden of Adonis' where the goddess Venus, in love with the vegetation god Adonis, kidnapped him and transformed him into a flower which would fall off in a second. Of course, it would be also an empty basket or jar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substantial life. Viewed from this aspect, 'the Garden' of Yujung Kim is the outcome of 'reinterpreting' men's, modern men's standardized daily life as a desiring plant, substituting an ornamental plant for it. As we can catch a glimpse of it in <Paradox> where several unidentified characters appear like shadows, the Garden reflects the dreariness of modern men forced into the monotonous daily life by means of the ornamental plants they cooped up, and it is no less than "sublimating into natural materials our life, standardized like industrial products, and worries." Artistic consciousness and modest introspection of life, a sort of pictorial rendering, that is what 'the Garden' series of Yujung Kim stands for. Artistic consciousness and modest introspection of life. Then, what the life would be like, as it is designated by Yujung Kim? First of all, the word 'life' itself looks familiar. Many artists use life as their major theme. However, the familiarity doesn't necessarily get along with a lucid answer, and the interpretation by reason doesn't inevitably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 truth. Maybe the life is the ambiguousness itself, or it might be an itinerary including daily writing of one's epitaph and autobiography. Or could it be to lose something to get something else as Plato asserts. Nonetheless, we are not evidently free from the torments of life. We are actually fluctuating between escape and imprisonment, oppressed by the weight, tangible or not, of life.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the Garden of Yujung Kim penetrates the heart of that 'life'. It fathoms the life through the network of connections and relations grown in the kitchen garden of time, and reconstructs a unique representation(survival needs) from the daily spots related to myself, as a steel pen traces sharp grids on the grey wall. The artist actually shares things with other people interacting closely with me under the name of life, and adjusts, with the medium of painting, the subtle vibrations of life, desires of whole body, and numerous questions. The Garden summons us today in a way to unfold, like a diary, the contents focused on oneself in the midst of the diversity of life and remind us of the relations based on them. The Garden series of Yujung Kim can be thus defined as 'a look of injuries and cures grown in the kitchen garden of daily life'.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6

005 Best_ps 2540DPI 175LPI

2. Slices of daily life and emotions, memories and regrets intersect in the works of Yujung Kim. They embody internal illnesses and external wounds, pains and griefs, suffered in the human society, while they introduce hope and despair, existence and illusion. In her recent works such as <Floating>(2014) and <Alternative plant-love>(2015), which combine the installation and photography, are densely engraved nouns like 'love' and 'dream', just like other pictures are packed with leaves of plants 1). Of course, the works are unaffected revelations of daily emotions, but also expressions of some unknown hope. However, their individual symbols (plants as members entrusted with social relationship, taxidermied greenhouse or building, world anchored in its inside) remain essentially the reflections of the present - records of the existence. (We can more easily understand it, if we look at the works in 2015, <Gray Garden> and <Framework> at the same time as a united one.) The starting point of the works operates as a signifier of the hardships residing behind our life, as a wound is substituted with traces scratched sharply or roughly with pointed tools on the plastered wall dominated by achromatic colors. In the artiste statement of Yujung Kim, we can find passages that sustain the above interpretation. For instance, she writes that "to grow and mature we are going through, of or against our will, various situations and attempts, but scratches work more busily than ever, hovering between our inner world and fields of life". This lets us know why the artist uses 'scraping', 'stripping', 'scratching' as her main expressive behaviors. In other words, as she scrapes, strips, and scratches, our portraits ooze out thickly (visualization of inner wounds), the artist's intention of praying for healing, her attitude of the golden mean is also exposed 2). That is why the visual garden, well grown with plants, is a space of healing, a comforting stage of vegetation, a place where the notion of 'trace' by Emmanuel Levinas can be imported, while it can be translated into an extraterrestrial time and space exposing nothingness and discomfort. Yujung Kim says that she "discovers a warm garden, which is artificial but endlessly creating suitable conditions, and takes there a temporary rest and even regenerates", but she also explains it as "a place where she leaves momentarily her soul weary of the shadows of life, observing the absurd paradoxes which sometimes turn out to be true, and keeping silent over them". From this point of view, Yujung Kim's works attract us by being frank about herself, avoiding the use of serious or provocative language, but allowing us to read the authentic values of life. They investigate and act, but don't decide. Their characteristic lies in summoning the existence from the forgotten daily life and 'cultivating' the introspection 3). They are particularly impressive when they clarify the artistic values by ruminating today over reminiscences of various things floating in our life and setting a new agenda. Their inner part, unlike the description-oriented exterior, certainly claims our attention, enumerating several significant points in our current way of life. Therefore, her works mention individual beings (individual plants and things, dual existence as the darkness and the light, covering and evacuating), grouping them in a garden, which exist in the reality and interact on 1. Each scene, revealed in the works <Paradox> and<Gray Garden>, and organized in an deranged order, reflects one by one an ever-awful life to someone, and shows, to some others, the complexity a man should confront in both short and long itinerary of life. The <Incubator> series comes to us as an unfinished cast intermingled with one sided gains and internal desires about the events. 2. Add to this the fact that at least at this point the artist goes beyond the stage of the subject's statement confronted with the external wounds the stage of metaphor close to monologues. She doesn't ask for the solution to agonies and despairs. She simply takes a step to provide some distance for thinking, bearing in mind the other's voice.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7

005 Best_ps 2540DPI 175LPI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move forward to assert that 'I am already related to everybody' and the present I can be the whole I. They also indicate that we are rather universal real beings than possible beings by reconstructing, as specific shapes, the meaning of the human existence and the human reality. The representation always points at the deviation from the trace, as it is also delivered as freedom in an established structure. The artist establishes there, making them inherent, feelings, sensitivity, and specific stories, and represents the dull and coarse texture on a small or big screen, roughly but with a warm intention and respecting common values. 3. The representation 4), handling roughly the dull and coarse texture with a warm intention and respecting common values, is realized by the fresco, Yujung Kim's distinctive technique. She uses it 'freshly' as the origin of the technique indicates, and chooses scratching instead of painting to describe and represent objects in a limited time on the wet plaster wall. This is, as mentioned abov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jury and loss from the outside 5). To reproduce today an old technique is a way to induce the flow of time (it has also the ability to accord the artistic distinction), a modern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ity. As the artist says, on the one h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ornamental plants, of the artificial landscapes, gaining, through scratching, the light and the vital force, reflects our life itself". On the other hand, the artist reveals repeatedly cracks for the sharing and the sympathy-revival, without excluding the necessary elements of 'the survival needs'. That is, fixing her eye on the pains of life we and I are suffering from as living organisms in a complex world of inevitable competitions, the artist also urges the necessity for a comfortable garden where the injured can take a momentary rest to communicate actively with the world and move forward, an opportunity to recover the loss. Her work in 2015, <Symbiosys> is a good example. Fi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Garden series of Yujung Kim is more like of an instinctive mimesis desire, just like an act of painting pictures and writing poems. To understand it, borrowing the Aristotle's aesthetic notion, we can say that her Garden maintains, in many aspects, a short distance from the mimesis of the essence of life. The emphasis of her Garden is thus laid, not on a universal-realistic garden, but on a garden of expansion that opens up a peaceful and cozy time and space in the vortex of life like desert, as Francis Bacon said. In other words, her latest works are no more a cold look at 'the trauma', 'metaphor of monologic self-painting'.

3. We have repeatedly emphasized that a piece of art, when it doesn't contain the authentic reflections of life, has a fair chance to remain a visual pleasure masked with beauty, an affected or uncomfortable vehicle delivering pains. It is quite likely that an art, which doesn't incorporate thoughts, ends up as the representation of a shell, a success endowed with the partial love. What is important in an artistic expression is to reveal the self-consciousness based on the artist's experiences and spiritual world, no matter which process its method involves, and show an artistic will of realization transfused with the artistic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Good art works we are often curious about fall into that kind of category. 4. Substitution of the plants for the human history, artificial implantation and exclusive possession of nature, ignition and expansion of the interior emotions, etc. 5. Thus, the technique allows us to look into many things along the orbit of time, and even specifies the question of emotional mass that lead us to substitute, compare, and verify our own lives, each one different from each other.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8

005 Best_ps 2540DPI 175LPI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9

005 Best_ps 2540DPI 175LPI

김 유 정 (金維政 1974∼)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졸업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조형예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미술학 박사)

개인전 2015 생존조건 _ Survival needs, 갤러리 도스, 서울 2014 전도된 풍경, 선광미술관, 인천 2013 침묵의 정원, 이랜드 스페이스, 서울 2012 김유정 Fresco展, 신세계 센텀시티 윈도우갤러리 & VIP 라운지, 부산 2011 화분이 있는 풍경, 그림손 갤러리, 서울 2011 Upside - downed Inside, 신세계 갤러리, 인천 2008 Skin of the Roof,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6 중국국제아트페스티발 부스展, 김유정 Fresco展, 중국 김유정 Fresco展, JM 갤러리, 상하이, 중국 인천아트페어 부스展,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Caving the Desire, 스페이스 빔, 인천 2005 욕망의 그늘, 신세계갤러리·인데코갤러리, 인천·서울 담을 수 없는 그림자, 갤러리 정, 서울 2003 벽과 그림자 읽기, 관훈미술관, 서울

기획 그룹전 2015 4, 5, 6회 내일의 작가 선정작가展,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소마 드로잉 _ 무심展, 소마미술관, 서울 Open Studio,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코리아 투마로우“ i ”, 성곡미술관, 서울 반딧불이 마을展, 지오갤러리, 인천 남도문화의 원류를 찾아서‘정남진 장흥에 취하다’, 신세계갤러리, 광주 낙원과 실낙원,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6기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 프리뷰展,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망각에 저항하기,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안산 아트페어도쿄, 도쿄국제포럼전시홀, 일본 인천아트페스티발, 지오갤러리, 인천 비-활성기체, 비-정형 현실, 대안공간 듬, 인천 2014 베니핏 옥션, 세빛둥둥섬, 서울 환경과 예술展, 지오갤러리, 인천 천애약비린展 SoAa, 가온갤러리, 인천 갤러리 지오 개관展, 지오갤러리, 인천 ZIPPO 뮤지엄 개관기념展 LOVE 100, 지포뮤지엄, 제주 별별동행 _ OCI미술관 현대미술 순회展, 광양·포항·영주·군산 예술의 전당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0

005 Best_ps 2540DPI 175LPI

INSIGHT _ 4인展, 갤러리 192, 서울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展 - Cre8tive Report, OCI미술관, 서울 2013 내일의 작가 _ 선정展, 겸재정선기념관, 서울 Open Studio,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인천 11인의 평론가가 추천한 <오늘의 진경 2013>展, 겸재정선기념관, 서울 KIAF, 코엑스, 서울 윌로씨의 휴가 , 송원아트센터, 서울 환경테마 반딧불이展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PAUSE _ 정지된 시간, 움직이는 공간, 신한갤러리 역삼점, 서울 플렛폼 창고세일 , 인천아트플렛폼, 인천 프레드로잉비엔날레 - 공모展,‘ 드로잉, 생각의 시작 ’ 展, 아트팩토리, 헤이리, 파주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展‘여덟 개의 창’, OCI미술관, 서울 2012 Brand New 소장가치 기획展 , 유진갤러리, 서울 Open Studio,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인천 The Cross _ 기획展, fn art Space, 서울 서울 컨템포러리 - 아트 스타展, 예술의 전당, 서울 Growing _ Fresh 展, 여성문화회관, 인천 환경테마 반딧불이展 , 나무갤러리, 인천 존재의 흔적展, 그림손갤러리, 서울 Push & Pull 展, 토포하우스, 서울 2011 인천 국제 여성 비엔날레 오픈스튜디오 프로젝트 , 인천 Give u Love u ART Festival _ 팀프리뷰 기획展, 현대백화점, 서울 Bridge to Bridge _ 기획展, 신세계갤러리, 인천 제37회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2010 Beyond the labor _ 4인 기획展, 아트포럼뉴게이트 갤러리, 서울 일상의 귀환 _ 기획展, 신세계갤러리, 인천 2009 ㅇ 똬 따먹기 _ 기획展, 몽스트르갤러리, 서울 삼랑성역사문화축제 특별展 - 강화별곡 II <千劫, 기억의 울림>, 신세계갤러리, 인천 그린케익 아트페어, 신세계갤러리, 서울 제3회‘ Half n One ’ 展, 관훈갤러리, 서울 Homecoming YAP _ 기획展, 정갤러리, 서울 인천문화재단 미술은행 소장작품展, 연수갤러리, 인천 난향에 머물고 _ 기획展, 신세계갤러리, 인천 제2회‘ Reformation ’기획展, 이화갤러리, 서울 2008 인천문화재단 미술은행 소장 작품展, 부평역사박물관, 인천 양평프로젝트‘ 연기된 구름 ’기획展, 닥터박갤러리, 양평 한국미술관개관초대‘ 현대미술동행 ’ 展, 한국미술관, 서울 젊은 기수 _ 기획展, 부평역사박물관, 인천 포아트 갤러리 개관 기념 초대展, 한국 현대미술의 환영, 포아트 갤러리, 성남 동북아시아展, 사가현립미술관, 일본 꽃 담은, 꽃 닮은 정원 _ 기획展, 신세계갤러리, 인천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1

005 Best_ps 2540DPI 175LPI

2007 아시아 오픈아트페어,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무빙이미지 페스티발, 신세계 백화점, 분당 야생화展, 신세계갤러리, 인천 꽃길을 거닐다展, 신세계갤러리, 광주 NO BOUNDS展, 갤러리 썬컨템포러리, 서울 2006 View Finder of YAP, 갤러리 정, 서울 경향하우징 페어 아트페스티발, 킨텍스 한국국제전시장, 일산 해랍展,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갤러리 다 기획초대展,‘ 빛을 낚는 그림자 ’ 展, 다갤러리, 서울 현대미술 스펙트럼 페스티벌,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슈퍼우먼 展, 베아트센타, 평택 대한민국 창작미술展,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서울 PLANCART ART 초대展, 영주 다색다감展, 스타일큐브잔다리, 서울 Seeing & Showing 展, 구올담갤러리·혜원갤러리, 인천 21세기 새로운 도전 展, 단원미술관, 안산 2005 을유년 테마展‘새벽을 깨우는 소리’, 신세계갤러리, 인천 신춘기획‘야생화展’ , 신세계갤러리, 인천 고려대학교 100주년기념관 프레스코벽화 프로젝트참여, 서울 아이덴티티展, 단국대학교 전시실, 서울 한국정예작가 초대展, 조지메이슨대학 갤러리, 워싱턴, 미국 징후이후展, 대덕연구단지 아트센터, 대전 2004 Youth’ s Breath, 인데코갤러리, 서울 부천대학교 교수작품展, 부천대한길관 전시장, 부천 2001 조선 관요박물관, 백남준·진영선 프레스코벽화 프로젝트참여, 경기도 광주 2000 노네임 展, 도올아트센터, 서울 해인사 성보박물관, 백남준·진영선 프레스코벽화 프로젝트참여, 합천 1999 노네임 展, 단성갤러리, 서울 1998 대한민국 청년미술제,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프레스코展, 조형갤러리, 서울 1997 제3회 전국미술대학우수졸업작품展, 조형갤러리, 서울 뉴 - 폼展, 윤갤러리, 서울 환경과 예술展, 공평아트센터, 서울 뉴에이지 뉴이미지 展,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인천 노네임 展, 서경갤러리, 서울 1996 구상전공모전, 예술의전당, 서울 목우회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현대 프레스코벽화의 기법에 관한 연구 - 음·양각 표현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회화에 나타난 은유의 적용과 표현 - 김유정의 프레스코화에 나타난 외상으로서의 은유를 중심으로 -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2

005 Best_ps 2540DPI 175LPI

공모선정 및 수상경력 2015 서울문화재단 문화예술 지원사업 작가공모선정 인천아트플랫폼 6기 입주 작가공모선정 2014 인천문화재단 문화예술 지원사업 작가공모선정 2013 겸재정선 내일의 작가상 수상 공모선정 인천문화재단 미술은행 공모선정 프레드로잉비엔날레 공모선정 2012 서울컨템포러리 - 아트스타전 공모선정 이랜드 문화재단 3기 작가공모선정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공모선정 2010 인천문화재단 문화예술 지원사업 작가공모선정 2009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4회 등록작가공모선정 2008 인천문화재단 미술은행 공모선정 2006 인천문화재단 작가육성지원금 공모선정 경향하우징 페어 장려상 1996 구상전 공모전 입선 목우회미술대전 입선

주요작품소장 OCI미술관, 이랜드문화재단, 주식회사 삼천리, 인천문화재단 (2013, 2008), 주식회사 유너모터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외국인기숙사 i-house, 신세계갤러리, 주식회사 더가온, 성문영어사, 청량리 경찰서, SI 건설산업주식회사, 유진갤러리, 제일화재, 갤러리선컨템포러리, 유일변호사사무소, 정갤러리 외 다수

회화, 건축, 미디어 프로젝트참여 고려대학교 100주년기념관, 세종문화회관 프레스코벽화참여 조선관요박물관, 해인사성보박물관 백남준·진영선 프레스코벽화 프로젝트참여

레지던시 2012~2014 OCI미술관 창작스튜디오 2, 3기 입주작가 2015~ 인천아트플랫폼 6기 입주작가

교육경력 부천대학교 겸임교수,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일반대학원, 단국대학교디자인대학원, 그리스도대학교, 재능대학교 강사역임

현재 현대미술사학회회원, 한국미술교육학회회원 인천아트플랫폼 6기 입주작가, 예원예술대학교 조교수

E-mail yujung0425@hanmail.net

|

C.P 010-5398-0064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3

005 Best_ps 2540DPI 175LPI

Yujung KIM (1974 ~ ) B.F.A. in Western Painting, Dankook University, Korea M. Ed. in Art Education, Korea University, Korea Ph. D. in Western Painting, Dankook University, Korea

Solo Exhibitions 2015 Survival needs, Gallery DOS, Seoul 2014 Reversed Landscape, Sunkwang Art Museum, Incheon 2013 Silent Garden, E-Land Space, Seoul 2012 Yujung Kim Frescos Exhibition, Shinsegae Centum City, Busan 2011 Landscape with Flower Pots, Gallery Grimson, Seoul Upside-downed inside, Shinsegae Gallery, Incheon 2008 Skin of the Roof, Insa Art Center, Seoul 2006 China International Art Festival, China Incheon Art Fair,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cheon Yujung Kim Frescos Exhibition, JM Gallery, Shanghai, China Carving the Desire, Space Beam Gallary, Incheon 2005 Shadow of the Desire, Shinsegae Gallery, Incheon Indeco Gallery, Seoul Unable to hold a Shadow, Jung Gallery, Seoul 2003 Reading the Wall and Shadow, Kwanhoon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s 2015 4th, 5th, 6th Artists of Tomorrow, Gyeomjae Jeong Seon Museum, Seoul Soma Drawing - Mindfull Mindless, SoMA, Seoul Open Studio,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Korea Tomorrow 2015 - I, Sungkok Art Museum, Seoul Fireflies Community, Gallery GO, Incheon Finding the origin of Jun-Nam Province Culture - Lost in Jangheung, Jeongnamjin, Shinsegae Gallery, Gwwangju Paradise and Paradise Lost,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The 6th-term Incheon Art Platform Resident Artists Preview,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Resistance against Oblivion, Ansan Culture and Arts Center, Ansan Incheon Art Festival, Gallery GO, Incheon Rain-Inert Gas, Rain - Typical Reality, Alternative Space Deum, Incheon 2014 Benefit Auction, Some Sevit, Seoul Environment and Art, Gallery GO, Seoul A bosom friend brings a distant land near (天涯若比隣), Gaon Gallery, Incheon Gwangju Inaugural Exhibition, Go Gallery, Incheon Inaugural Exhibition, ZIPPO Museum, Jeju Individual Companions (別★同行), OCI Museum of Art Traveling Art Exhibition, Gwangyang Pohang Yeongju Gunsan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4

005 Best_ps 2540DPI 175LPI

Insight, Four - person Exhibition, Gallery 192, Seoul OCI Museum of Art Residency - Cre8tive Report, OCI Museum of Art, Seoul 2013 Artist Tomorrow Selected Artist Exhibition, Gyeomjae Jeong Seon Museum, Seoul Open Studio, OCI Museum of Art Residency, Incheon True - view Landscapes Today Recommended by 11 Critics, Gyeomjae Jeong Seon Museum, Seoul KIAF, Songwon Art Center, Seoul Fireflies, Environmental Theme,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cheon Mr. Hulot's Holiday, Songwon Art Center, Seoul Pause, Shinhan Gallery Yeoksam, Seoul Platform Warehouse Sale,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Drawing, the Beginning of Thought, Pre-drawing Biennale, Art Factory, Paju, Heyri Eight Windows, OCI Museum of Art Resident Artists Exhibition, OCI Museum of Art, Seoul OCI Museum of Art Residency - Cre8tive Report, OCI Museum of Art, Seoul 2012 Brand New Collection Exhibition, Eugene Gallery, Seoul Open Studio, OCI Museum of Art Residency, Incheon The Cross, In Art Space, Seoul Seoul Contemporary Art Art Stars, Seoul Arts Center, Seoul Growing Fresh, Incheon Women Culture Center, Incheon Fireflies, Environmental Theme, Namu Gallery, Incheon The Vestige of Existence, Gallery Grimson, Seoul Push & Pull, Topohaus Art Center, Seoul 2011 Incheon Women Artists Biennale Open Studio Project, Incheon Give u Love u ART Festival, Team Preview, Hyundai Department Store, Seoul Bridge to Bridge, Shinsegae Gallery, Incheon The 37th Korea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2010 Beyond the Labor, Four-person Exhibition, ArtForumNewGate Gallery, Seoul Return to Daily Life, Shinsegae Gallery, Incheon 2009 Hopscotch, Mongstre Gallery, Seoul Ganghwa Byeolgok, Samrangsung History Culture Festival Special Exhibition, Incheon Eco of Remembrance, Shinsegae Gallery Bupyeong History Museum, Incheon Greencake Art Fair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Seoul Half n One, Kwanhoon Gallery, Seoul Homecoming YAP, Jung Gallery, Seoul Incheon Culture Foundation Art Bank Collection Exhibition, Incheon The Scent of Orchids, Shinsegae Gallery, Incheon Reformation, Ewha Gallery, Seoul 2008 Incheon Culture Foundation Art Bank Collection Exhibition, Bupyeong History Museum, Incheon Delayed Clouds, Yangpheong Project, Dr. Back Gallery, Yangpeong Korea Museum Inaugural Exhibition, Korea Museum, Seoul Young Flag Bearers, Bupyeong History Museum, Incheon Phoart Gallery Inaugural Exhibition, Phoart Gallery, Seongnam Northeast Asian Art Exhibition, Saga Prefectural Art Museum, Japan Flower - like Flower, Flower-like Garden, Shinsegae Gallery, Incheon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5

005 Best_ps 2540DPI 175LPI

2007 No Bounds, Gallery Sun Contemporary, Seoul Wild Flowers, Shinsegae Gallery, Incheon Walk Around Flowers, Shinsegae Gallery, Gwangju Moving lmage Festival, Shinsegae Department Store, Jukjeon Asia Open Art Fair, Busan Museum of Art, Busan Bucheon College Faculty Exhibition, Bucheon College, Bucheon 2006 View Finder of Yap, Young Artist Project, Gallery Jung, Seoul Kyunghyang Housing Fair Art Festival, KINTEX, Ilsan Haelap Art Exhibition,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cheon The Shadow Catching the Light, Da Gallery, Seoul Contemporary Art Spectrum Festival, Chosun Gallery, Seoul Super Woman, Bae Art Center, Pyeongtaek Korea Creation Art Exhibition, Insa Art Plaza, Seoul PLANCART Art Exhibition, Yeoungju Many Colors, Many Feelings, Style Cube Zandari, Seoul Seeing & Showing, KOOALLDAM Gallery, Incheon Hyewon Gallery, Incheon New Challenge in the 21st Century, Danwon Art Museum, Ansan 2005 The Voice Waking up the Dawn, Eulyu Year Thematic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Incheon Wild Flowers, New Spring Art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Incheon Korea University Centennial Memorial Hall Fresco Project, Korea University, Seoul Identity, DanKook Univ. Craft Arts, Pottery Arts, Visual Design Exhibition, Seoul Prominent Korean Artists George Mason University Invitational Exhibition, Arlington Campus Art Gallery, Washington, USA It Is Symptomatic, Daedeok Cultural Arts Center, Daejeon 2004 Youth’s Breath, Indeco Gallery, Seoul Bucheon College Faculty Art Exhibition, Bucheon College, Bucheon 2003 Fresco Work Duet Exhibition, Spring Gallery, Gwacheon Bucheon College Faculty Art Exhibition, Bucheon College, Bucheon 2001 Nam Jun Paik & Jin Young-sun Fresco Mural Painting Project, Joseon Royal Kiln Museum, Gwangju 2000 No Name, Gallery Doll, Seoul Nam Jun Paik & Jin Young-sun Fresco Mural Painting Project, Sungbo Museum, Haeinsa, Hapcheon 1999 No Name, Dansung Gallery, Seoul 1998 Korea Youth Art Festival,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cheon Fresco Work Exhibition, Johyung Gallery, Seoul 1997 National Art Colleges Graduation Work Exhibition, Johyung Gallery, Seoul New - Form, Yun Gallery, Seoul Environment and Art, Seoul Arts Center Gongpyeong Gallery, Seoul New Age New Image, Incheon Culture and Arts Center, Incheon No Name, Seokyong Gallery, Seoul 1996 Gusang - jeon Art Competition,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Mokwoohoe Fine Art Association Exhibi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김유정 개인전 내지-수정

2015.12.15 9:42 AM

페이지16

005 Best_ps 2540DPI 175LPI

Theses A Study on Techniques for Contemporary Fresco Wall Painting - Focusing on engraving and embossing expression Application and Expressions of Metaphor in Fine Art - Centering around Metaphor in Framework of Trauma on Fresco of Yujung Kim -

Awards 2015 Artists Support Program,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Incheon Art Platform Residency,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2014 Artists Support Program,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2013 Artists of Tomorrow, Gyeomjae Jeong Seon Museum, Seoul Art Bank,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Selected Artists, Pre-drawing Biennale - Competition Exhibition, Paju 2012 Selected Artists, Seoul Contemporary - Art Star Exhibition, Seoul Selected Artists, E-land Foundation for Culture, Seoul OCI Museum of Art Residency, Incheon 2010 Artists Support Program,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2009 SOMA Museum of Art Drawing Center Archive 2008 Art Bank,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2006 Artists Support Program,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Incheon Encouragement Prize, Kyunghyang Housing Fair 1996 Prize, Gusang-jeon Art Society Prize, Korea Mokwoohoe Fine Art Association Contest

Main Collection OCI Museum of Art, E-land Culture Foundation, Samchully Co. Ltd.,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2013, 2008), Universe Motors Co. Ltd., Korea University Library, Korea University I-House, Shinsegae Gallery, The Gaon, Co. Ltd., Sungmoonbook, Cheongnyangni Police Station, Si Construction Co. Ltd., Eugene Gallery, First Fire & Marine Insurance Co., Ltd., Gallery Sun Contemporary, Yuil Law Firm, Gallery Jung, etc.

Residency 2012-14 Resident Artist, OCI Museum of Art Residency 2015- Resident Artist, Incheon Art Platform

Teaching Adjunct Professor, Bucheon University Instructor, Dankook University / Jaeneung University / Korea Christian University Member, Korea Association for History of Modern Art, Member,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 Mural Painting Association / Haelap Association

Presently Member of the 6th-term Incheon Art Platform Resident Artist, Professor of Yewon Arts University

E-mail yujung0425@hanmail.net

|

C.P 010-5398-0064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