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Page 1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3. 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교육개발팀장

황지영

교육개발팀

전효주

등록 KACES-1240-R032 ISBN 978-89-6748-017-2 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5957 E-mail. rnd@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임영식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공동연구자 박지영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어성연 정경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보조원 진민진 전아영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김태환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과정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연구요약

□ 연구 목적 및 의의 1) 연구 목적과 내용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다양한 방법(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 인터뷰)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 과성을 검증하는 것임. 또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관련전문가 의견을 분석하여 향 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임. ◦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내 및 주요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관련 동향 분석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및 분석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의견조사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발전방안 제시

2) 연구의 의의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성 이 검증된 척도를 개발하였음.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즉 심리적 검사, 생리적 검사, FGI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음. ◦ 국․내외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정책 비교와 노인대상 전문가, 예술강사 및 노인들 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 ◦ 향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및 정책을 설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

요약|i


□ 연구 절차 및 방법 1) 연구의 절차 ◦ 첫 번째 목적인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선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노인복지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선정하였음.

문화예술 교육 효과성 척도 선정

문화예술 교육 효과성 측정

문헌연구

강사FGI -프로그램 진행 예술강사 7명

척도 선정을 위한 조사 기간 : 2012. 5. 31~ 6.10 노인복지시설 25개소 410명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인터뷰

◦일시 1차: 2012. 5. 31~6. 10, 2차: 2012. 11. 15~11. 25 ◦대상 : 총 277명 (실험집단 184명, 통제집단 93명: 2회 측정 모두 참여한 자)

◦일시 2012. 10. 16 ~ 11. 30 ◦대상 총 50명

◦일시 2012. 10. 22 ~ 11. 5 ◦대상 프로그램 참여자 14명

비교연구 문화예술 교육 발전방안

◦국내외 정책비교 - 한국 - 프랑스 - 미국

심층인터뷰 ◦일시 2012. 5. 11 / 10.12 / 10. 23 / 11. 5 / 11.20 ◦대상 프로그램 진행자 7명/ 프로그램 참여자 14명/노인관련전문가 14명

◦ 선정된 예비문항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 으로 분석하였음. ◦ 두 번째 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노인복지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 참여자와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음. ◦ 세 번째 목적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국내외 노인문화예술정책을 분석 하고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음.

i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 연구의 방법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 구성개념의 탐색을 위해 각 영역별 심층적 문헌고찰과 예술강사의 FGI를 실시하여 효과성 구성 개념을 추출함.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성한 예비문항을 구성한 후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들을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함.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순으로 분석하였다. 문항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기 위해 SPSS 19.0 과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함.

1단계

구성개 념 도출

2단계

예비문항 개발

3단계

4단계

설문조사

문항 스크린

5단계

탐색적 요인분석

6단계

확인적 요인분석

7단계

최종척도 구성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 효과성 측정은 심리적 측정과 생리적 측정, 심층인터뷰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

대상 측정

측정도구

측정요인

측정방법

분석방법

277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즐거움, 건강관리, 문화예술선호성,사회성 등 7개 요인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

ANCOVA

50

타액

코티졸 알파아밀라제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

비모수 대응검증

프로그램 효과, 좋았던 점, 문 집단인터뷰 화예술의 의미 도출

내용분석

시설 (개소)

인원 (명)

심리적 측정

25

생리적 측정

2

심층 인터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14명

반구조화된 질문지

요약|iii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구분

대상

도구

비교연구

국내외 정책 비교

각국 정책자료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14명

심층 인터뷰

프로그램 담당강사 7명

반구조화된 질문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7명

문화예술 정책비교

측정방법

분석방법

자료수집

내용분석

교육객체로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 집단인터뷰 사례, 좋았던 점, 문제점 및 개선사항 도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강사의 교육에 집단인터뷰 대한 발전방안 및 전략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및 발전방안 도출

내용분석

개인인터뷰

◦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방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음.

연구목적

연구내용 국내 및 주요국의 노 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관련 동향 분석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효과 측정 기 준 정립

◼ 기존 노인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모형 개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의 효과 측정 및 분석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의 발전방안 제시

연구방법

연구주제 관련 인터넷 및 통계자료,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정책 자료 분석 관련 자료 및 프로그램 수집․분석 연구진 회의 측정 방법 및 측정도구에 관한 자문회의 실시 예술강사 초점집중집단(FGI) 문항 개발 및 윤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조사 실시 관련문항 타당성 평가 양적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Frequency, Descriptives, Crosstabs, Compare Means, Factor Analysis 등)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활용한 효과성 측정 집단 심층인터뷰 현장실사를 통한 사례조사 및 분석 연구결과 내용에 대해 자문회의 개최, 내용검토 전문가, 노인, 예술강사 인터뷰 연구진 및 실무자 간담회 및 워크숍 전문가협의회 평가세미나

iv|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연구 결과 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개발 ◦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즐거움’ 8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8문항, ‘도전정신’ 5문항, ‘부정적 자아존중감’ 4문항, ‘건강관리’ 3문항, ‘사회성’ 9문항, ‘긍정적 자아존중감’ 5 문항의 7요인 42개 문항으로 구성함.

하위요인

문항수

최근 들어 나는 기분이 좋다. 요즘 나는 기쁘다. 나는 요즘 흥겹다. 즐거움

8

나는 최근 들어 활력 있다. 나는 요즘 흡족함을 느낀다. 나는 요즘 신이 난다. 나는 행복한 편이다. 나는 최근 들어 즐겁다. 나는 문화예술을 사랑한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이나 활동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 나에게 문화예술은 중요하다.

문화예술 선호성

8

문화예술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이 알고 싶다. 나는 문화예술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문화예술을 감상하거나 활동하면서 깊은 감동을 느낀다. 문화예술을 하는 나의 모습을 보면 뿌듯하다. 나는 문화예술에 대해 관심이 있다. 나는 중간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친다. 나는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한다.

도전정신

5

나는 일이 마무리되기 전에 그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한다. 나는 내가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일을 해보고 싶다. 나는 가끔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부정적 자아존중감

4

나는 별로 좋은 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쉽게 갖는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동료들과 비교해서 나는 건강하다.

건강관리

3

나는 건강하다. 최근 몇 개월 동안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요약|v


하위요인

문항수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잘 이해한다.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입장도 생각 해 본다. 다른 사람이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대체로 도와준다. 나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회성

9

나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 자주 감동하는 편이다. 나는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한다. 나는 어려움에 빠져 있는 동료를 보면 도와준다.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일(활동) 하는 것을 좋아한다. 내 생각이 다른 사람과 다를 때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 나는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긍정적 자아존중감

5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42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 ◦ 심리적 측정 결과 -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효과성은 높게 나타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측정치를 공변량 처리하여 사후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 전체 문화예술교육효과성은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았음. 하위요인별로는 즐거움, 문화예술선호성, 도전정신, 건강관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높은 결과를 보였음. 그리고 부정적 자존감은 유의하게 낮아졌음.

참여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성: 하위요인

사전

3.938점 ⇨ 사전

사후

4.094점

사후

◽ 즐거움

3.897점 ➜ 4.221점

◽ 문화예술선호성

4.298점 ➜ 4.408점

◽ 도전정신

4.072점 ➜ 4.222점

◽ 건강관리

3.679점 ➜ 4.083점

◽ 부정적 자존감

2.545점 ➜ 2.487점

v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5점 만점)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효과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통제집단의 즐거움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선호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통제집단의 도전정신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통제집단의 부정적 자존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실험, 통제집단의 건강관리 사전, 사후 평균 변화

요약|vii


◦ 만족도 측정 결과 - 전반적 만족도 92.2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으로 참여자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 수업내용, 시설에 대한 만족도 가운데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수업 내용에 대한 만족도로 91.4점이었고, 가장 만족도가 낮은 영역은 수업 담당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 로 87.6점으로 나타남. 또한 다른 사람에게 본 수업을 추천하고 싶다는 의향에 대해서는 90.2점, 수업이 본인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음에 대한 점수는 91.6점으로 나타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비교

◦ 생리적 측정 결과 - 코티졸 농도의 감소: 문화예술교육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코티졸 농도를 살펴본 결과 실험 집단의 2, 3, 4회차 코티졸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

◾참여 노인들의 코티졸 농도 변화

측정시간

<실험집단> 사전

사후

[통제집단] 사전

사후

◽ 7:00

0.270점 ➜ 0.249점

0.279점 ➜ 0.203점

◽ 8:30

0.436점 ➜ 0.219점

0.224점 ➜ 0.216점

◽ 17:00

0.138점 ➜ 0.052점

0.083점 ➜ 0.099점

◽ 22:30

0.120점 ➜ 0.051점

0.062점 ➜ 0.078점

vii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험, 통제집단의 코티졸 사전, 사후 평균 변화

◦ 심층인터뷰 결과 - 문화예술교육이 노인에게 미친 영향과 변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몸과 마음이 치유’되고, ‘생활의 활력과 새로운 의욕’이 생기고, ‘잃었던 꿈과 자신의 인생을 찾았다’고 함. 또한 ‘자기변화와 자아실현’ 및 ‘자신감’을 갖게 되고, ‘가족과 의 관계가 재형성’되며 ‘동년배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되고 ‘인생의 보람’을 느끼며 ‘예술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남. 즉, 참여자들은 문화예술교육이 새로운 경험인 동시에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이었으며, 자신과는 전혀 상관없을 것 같았던 문화예술적 경험이 생활의 활력, 그리고 무엇 인가를 하고 싶다는 새로운 욕구를 갖게 되는 동기가 되었음. 노년기 예술을 배우는 과정은 노 인참여자들에게 잃었던 꿈을 다시 찾는 과정이며, 예술적 경험을 통해 획득된 여유로움과 자신 감은 너무 오랜 시간동안 일상적으로 내가 일방적으로 보듬어야 했던 가족관계에 변화를 가져다 주었음. 노인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참여가 주는 가장 큰 선물 중 하나는 동일한 관심을 갖 고, 서로가 배움을 나누고, 나에게 양보를 하고 내가 배려를 할 수 있는 동료를 갖게 된 것임. 자신을 통해 보람을 찾기보다 자녀를 통해, 배우자를 통해 보람을 찾아온 삶을 살아오다, 참여자 들은 자신을 통해 인생의 보람을 문화예술교육에서 경험하고 있었음.

주제분석

내용

몸과 마음의 치유

Ÿ 우울/ 죽고 싶은 마음, 응어리진 마음이 즐거운 마음으로 변함 Ÿ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풀게 됨 Ÿ 무용을 하면서 몸을 움직이면서 아팠던 몸이 나아짐

생활의 활력 새로운 의욕

Ÿ Ÿ Ÿ Ÿ

아침에 갈 곳이 생김 나에게 역할이 생김 왠지 모르게 웃음이 많아지고 의욕, 즐거움이 생김 젊어지는 느낌

요약|ix


나의 인생을 찾음

Ÿ 부모가 아닌 ‘나’로서 생활을 함 Ÿ 자녀들보다도 내 생활 위주로 시간을 활용하게 됨 Ÿ 내가 원하는 활동을 인식하고 결정하게 됨

자기변화와 자아실현

Ÿ 나의 재능을 발견함 Ÿ 내적인 변화와 노년 삶의 의미를 찾음 Ÿ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함 Ÿ 강사, 자녀들로부터 칭찬과 인정을 받음 Ÿ 악기를 다루고 그림과 사진하는 법을 배움 Ÿ 다른 노인들과 달리 노년기에도 이렇게 예술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자신감을 갖게 됨

자신감을 갖게 함 잃었던 꿈을 찾음

Ÿ 젊어서 했던 예술활동을 다시 시작하게 됨 Ÿ 젊어서는 사느라 바빠 잊었던 예술을 경험함

가족과의 관계재형성

Ÿ 자녀들의 좋은 부모상, 노년기 모델이 됨 Ÿ 배우자, 자녀와의 갈등이나 소원함이 사라짐

동년배들과 어울림

Ÿ 이사와서 낯선 지역에서 예술활동을 통해 친구를 사귐 Ÿ 여러 동료들과 어울려 연주하면서 배려와 양보를 배우게 됨 Ÿ 대인관계 능력도 좋아짐: 소극적인 성격에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게

됨 인생의 보람

Ÿ 발표회, 봉사 등을 통해 보람을 느낌 Ÿ 내가 다른 동료에게 가르쳐주면서 보람을 느낌

예술 자체를 즐김

Ÿ 난타를 하면서 리듬 자체를 즐기게 됨 Ÿ 사진, 미술을 하면서 아름다운 세상을 보게 됨

- 노인 자신의 인생에서 문화예술교육 참여의 의미 참여자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새로운 시작’으로 이는 중년과 노년의 생애주기적 구분이 아닌 어머니, 아버지의 역할로부터 자신을 새로이 탄생시키는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이었음. 또한 문화예술을 통 해 고마움, 감사를 깨닫고, 나 자신을 깨닫고, 예술을 깨닫는 ‘깨달음’의 과정으로서의 예술의미였음. ‘마지막 이룸’으로 자신들의 인생에서 남겨진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노인참여자들은 문화예술을 통 해 자신들의 마지막 소원을 이루고, 자신에 대한 추억을 남겨놓는, 인생 유산을 남기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음.

새로운 시작

깨달음

마지막 이룸

Ÿ Ÿ Ÿ Ÿ

젊어지는 것 치료제 새로운 인생 무엇인가를 하고 싶게 만드는 원동력 / 삶의 활력소

Ÿ 고마움, 감사 Ÿ 나를 찾아가는 과정 Ÿ 예술을 알게 되는 계기 Ÿ 마지막 소원 Ÿ 추억 만들기

x|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한 결과 구분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집단인 노인

프로그램 진행자인 예술강사

노인관련 전문가 집단

발전 방안 ◦ ◦ ◦ ◦ ◦ ◦ ◦ ◦ ◦ ◦ ◦ ◦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해 교육횟수와 시간에 대한 현실적인 조정 수준, 단계별 교육운영 연령통합적인 예술교육필요 안정된 교육환경 지원 노인 개인 특성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욕구 개별화된 프로그래밍 조화로운 욕구조합에 기반한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존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진화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의 통합적 기능 전문성 강화와 강사간의 교류 활성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한 논의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교육과 변별을 위하여 전략 모색 교육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전략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대 통합, 사회통합 모색

□ 연구의 제언 ◦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안정된 지속성 확보가 필요함. ◦ 기존의 노인문화예술교육과 차별화된 교육적 효과를 위한 증거기반 접근이 필요함. ◦ 정책의 대상자가 누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좀 더 명확한 대상 설정이 필요함. ◦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교육과 구별되는 수준 높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함. ◦ 강사의 역량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함. ◦ 노인문화예술활동의 참여를 통해 노인들의 소외를 방지하고, 사회통합 전략을 모색해야 함.

요약|xi


Abstract

□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1)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udy ◦ Purpose of the study To develop systematic research tool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psychological research, physiological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To analys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and opinions of the experts. To suggest futur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o directly target elders. ◦ Contents of the study - Analysis and tracking of the trend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Development of the research tools and method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 Research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aging. - Survey on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 Suggestion of advance ways to develop the program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2) Significance of the study ◦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cale verifi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 This study has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by various ways in terms of psychological research, physiological research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 ◦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policy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xi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through careful analysis and comparison of its present condition in Korea and abroad, interview of experts of the aging, art instructors and elderly participants. ◦ This study ha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henceforth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policy and its future direction.

□ The procedure and method of study 1) The procedure of study ◦ Referring to the related preceding study and selecting constructs and questionnaires by FGI to art instructor who are organiz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aging.

Effectiveness Research tools

Preceding Study

7 Art instructors FGI Program instructor

Psychological research

Verification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Date First: 2012.5.31~6.10 Second: 2012.11.15~11. 25 ◦277 participants (184 participants Experimental group, 93 participants Control group Paired-samples, pre and post test data)

Comparison analysis Future direc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comparison - Korea - France - U. S. A

Pre-test for research tool Date: 2012. 5. 31~ 6.10 410 participants of 25 elderly welfare center

Physiological research

◦Date 2012.10.16. ~11.30 ◦50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Date 2012.10.22 11.5 ◦14 program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Date 2012. 5. 11. /10.12/ 10. 23/ 11. 5/ 11.20 ◦7 program organizers(coordinators) 14 program participants 14 professionals(experts) of the aging

요약|xiii


◦ Developing the scale for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through the survey of the aging, who are program participants. ◦ Analysis were used to Questionnaires' Scre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P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 Effectivenes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psychology, physiology and in-depth Interview. ◦ Analysing Korea'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for the elderly with comparison to that of foreign countri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of experts in order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2) The method of study ◦ Developing the scale for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 Referring to the related preceding study and selecting constructs and questionnaires by FGI to art instructors organiz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s for elderly people. - Conducting a survey on elderly people with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 Analyses used by Questionnaires' Scre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P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9.0, AMOS 5.0.

1 Step

2 Step

Selecting C onstructs

Develop -ing Pre Questio nnaires

3 Step

Survey

4 Step

Questio nnaires Screen

5 Step

EPA

6 Step

◦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aging - Psychological research, physiological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xiv|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CFA

7 Step

Develop -ing Scale


Subjects Researching

The Number of Facility

The Number of People

Research Tool

Factors to be researched

Methods to research

Methods to analyses

6 Factors (Pleasure, Delight, Health Care, Self-esteem, Sociality, etc,

Pre and Post test

ANCOVA

Psychological Research

25

277

Scale of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Artistic Education

Physiological Research

2

54

Saliva

Cortisol Alpha-amylase

Pre and Post test

non-paramet ric tests

Half-Structured Questionnaires

Effects of the program, Positive aspects,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

Group Interview

Content Analysis

In-Depth Interview

14 program participants

◦ Future direc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 for the aging

Subjects Compariso Policy Comparison in n Analysis nation and other countries

14 Program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7 Program Instructors

Methods to Methods to research analyses

Research Tool Policy of 3 countries

Comparison of the Culture & Arts policy

Call for the Cultural/Artistic Education Program as Educational subjects, Case study, Positive aspects, Negative aspects Half-Structured and scheme of improvement Questionnaires Desired suggestion and Strategy

7 Program Organizers(Coordinators)

Scheme of improvement and Producing Future direction

Collecting Documents

Content Analysis

Group Interview

Group Interview

Content Analysis

Group Interview

◦ Method of the study based on the contents

Purpose

Contents

Methods

Establishing Guidelin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nalysis and track trend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Collecting documents (documents of related subjects, related data, statistics, analysis of preceding documents, analysis of policy documents)

요약|xv


artistic education

Research and analysis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ject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

Developing a scale of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Research and analysis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 Seeking to Future direction, development of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

Related documents, Collecting program in regard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analysis Meeting with researchers Advisory meeting for best measures of versifying, Instrument Focus Group Interview to art instructors Developing questionnaires Survey of the aging(program participants) Validity test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Frequency, Descriptives, Crosstabs, Compare Means, Factor Analysis, etc,. Verification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depth Interview Case study and analysis based on the field Advisory meeting, The compilation of contents and results of study Interview with Exports, the Aging, Art instructors Researchers and Program coordinators meeting workshop Experts meeting Evaluation Seminar

and

□ The Results of Study and Proposal 1) The results of the study ◦ Developing a scale for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e scale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onsists of 7 factors such as 'Enjoyment(Pleasure)'(8 questions), 'Preference of Culture and Art'(8 questions), 'Challenging spirit'(5 questions), 'Negative Self-Esteem'(4 questions), 'Health Care'(3 questions), 'Sociality'(9 questions), Positive Self-Esteem'(5 questions) with 42 questions.

Factor

Scale

Question I feel good lately. I am happy lately. I enjoy things lately.

Enjoyment

8

I feel vital lately. I feel satisfactory lately. I am exited lately. I'm mostly happy.

xv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Factor

Scale

Question I enjoy things these days. I love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ty program. I want to keep attend the program. To me, the program is important.

Preference to culture and art

8

I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rogram. I think there is a value to the program. Through the program, I go through emotional changes. I am proud of mysel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 am interested in the program. Even if I have hardships, I do not give up until the end.

Challenging Spirit

I try my best even though things are hard. 5

Until my work is done, I do not rest. I do things with passion. I want to try new things that I haven't came across. Sometimes I feel like I'm useless.

Negative self-esteem

4

I think I don't have any positive side. I easily think that I am a failure. I don't have anything to show off. Compare to my co-workers, I am healthy.

Health care

3

I am healthy. These months I'm on the healthy side. I understand others' thoughts and situations Before I decide on something, I listen to others opinions. When someone asks for help, I usually accept. I try to avoid something that might make others angry.

Sociality

9

I do go through emotions from the environment. I think about others before I talk and do. I help my co-worker when he/she is going through hardships. I enjoy volunteering with my co-workers. I try to talk over when I have different opinions with others'. I have a good personality.

Positive self-esteem

I have self-esteem. 5

I am a useful person. I can do my work like others. I'm mostly satisfied to myself.

Total

42

ěš”ě•˝ď˝œxvii


◦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 The result of psychological research: We did ANCOVA treat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covariance in order to precisely scrutinize the effec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t has turned ou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detail with the subordinate factors, when it comes to 'Pleasure', 'Preference of culture and art', 'Challenging spirit', and 'Health care'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Negative Self-Esteem' indicated the opposite result that is significantly lower.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rea of 'Positive Self-Esteem' and 'Sociality'. - The result of physiological research: We did non-parametric test the pre and post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2nd, 3rd, 4th cortisol level in saliva. Experimental group's cortisol levels in saliva have decreased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other physiological indicators, Alpha-amylase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 Program participants mention tha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give healing of body and mind, vitality of life and help motivate their volition. Moreover they report to have found their dreams and new lives through the program. In addit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has positive meaning to them and provided them with the place for true self-realization, confidence building and self-reforming. At the same time, recov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eing familiar with their friends, finding their fruitful life are obtained through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deed, participants really enjoyed the program. - Satisfaction research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is 92.2 points (out of 100 points based on the conversion), satisfaction to the contents of class(class activities) is 91.4 points which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to the program instructor is 87.6 points among the lowest satisfaction among items of facility. Intention to recommend the class to others is 90.2 points, pleasure throughout the class is 91.6 points.

xvii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The result of future direc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Section The aging who participate with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rt instructors

Experts who are related with the elderly

Future direction ◦ ◦ ◦ ◦

Adjustment of education frequency and time schedule Management of level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Require for integrated with age Support for stable education environment

◦ Program that specialized need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s and SES(Social Economic Status) ◦ Creative program based on balanced and harmonious of participant needs ◦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dvance that differentiated existing program ◦ Strengthen of overall professional function and vitalization of exchange within instruc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 ◦ Discussion of approach direction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 ◦ Developing Strategy of differentiated existing free time education ◦ Strategy for improving education quality ◦ Integration for social and generation through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2) Proposal of the study ◦ Need for stable persistency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for the elderly ◦ Need for approach based on evidence for differentiated education effects ◦ Need for clear target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 Provision of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ree time education for the aging ◦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for professional capacity of instructors ◦ Preventing isolation of the elderly and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요약|xix



목차

Ⅰ. 서론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 목적

5

3. 연구 내용

6

4. 기대효과

8

Ⅱ. 이론적 배경

11

1. 현대사회와 노인

11

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비교

12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및 구성요인

26

4. 스트레스와 생리적 측정

32

Ⅲ. 연구방법

39

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39

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42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인터뷰

52

Ⅳ. 연구결과

57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57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66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91

목차|i


Ⅴ. 결론

111

1. 연구요약

111

2. 제언

114

참고문헌

119

부록

129

ii|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목차

<표 Ⅱ-1> 프랑스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 도시 현황

17

<표 Ⅱ-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전달 상의 역할분담

20

<표 Ⅱ-3> 미국, 프랑스,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체계 비교

20

<표 Ⅱ-4>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성의 변화

22

<표 Ⅱ-5>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운영 프로그램 분석

27

<표 Ⅱ-6>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목표 및 효과성

29

<표 Ⅱ-7> 기존연구의 효과성 구성요인 및 측정방법

30

<표 Ⅲ-1> FGI 참여자 구성

40

<표 Ⅲ-2>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방법

42

<표 Ⅲ-3>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43

<표 Ⅲ-4> 심리적 측정의 연구 설계

44

<표 Ⅲ-5> 효과성 측정도구 문항구성

44

<표 Ⅲ-6>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46

<표 Ⅲ-7> 생리적 측정의 연구설계

46

<표 Ⅲ-8> 타액 측정 시간

47

<표 Ⅲ-9> FGI 조사 대상

50

<표 Ⅲ-10>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인터뷰

52

<표 Ⅲ-11> 연구목적,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53

<표 Ⅳ-1> 구성요인 추출안

57

<표 Ⅳ-2> 예비문항

58

<표 Ⅳ-3> 문항의 기술통계 및 항목 삭제시 신뢰도

59

<표 Ⅳ-4>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61

<표 Ⅳ-5> 모형의 x²와 적합도 지수들

63

<표 Ⅳ-6>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64

<표 Ⅳ-7>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최종 문항 간 내적 일치도 계수

65

<표 Ⅳ-8>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66

목차|iii


<표 Ⅳ-9>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67

<표 Ⅳ-10> 효과성 하위영역별 사전 측정치와 집단 동질성 검증

68

<표 Ⅳ-11> 실험,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

69

<표 Ⅳ-1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69

<표 Ⅳ-1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73

<표 Ⅳ-14>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75

<표 Ⅳ-15> 사전 코티졸 동질성 검증

75

<표 Ⅳ-16> 사전 알파아밀라제 동질성 검증

76

<표 Ⅳ-17> 코티졸 효과검증

77

<표 Ⅳ-18> 알파아밀라제 효과검증

78

<표 Ⅳ-19> 참여자 특성

80

<표 Ⅳ-20> FGI 주제 분석

81

<표 Ⅳ-2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 인터뷰 핵심내용

91

<표 Ⅳ-22> 노인들의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과 발전 방안

92

<표 Ⅳ-23> 예술강사들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96

<표 Ⅳ-24> 노인관련 전문가들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99

<표 Ⅴ-1>

최종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111

<표 Ⅵ-1>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 FGI분석결과

129

<표 Ⅵ-2>

FGI 분석을 통한 노인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지표구성

135

<표 Ⅵ-3>

연구질문과 인터뷰 내용분석

136

iv|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그림 목차

<그림 Ⅰ-1> 연구개요

6

<그림 Ⅱ-1> 주정부 문화예술부연대 현황

14

<그림 Ⅱ-2> 프랑스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 도시 현황

17

<그림 Ⅱ-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추진 체계

19

<그림 Ⅱ-4> 보건복지부 경로당 활성화 사업 추진체계도

24

<그림 Ⅲ-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구성 과정

39

<그림 Ⅲ-2> 인터뷰 진행 및 분석과정 흐름도

51

<그림 Ⅳ-1> 스크리도표

60

<그림 Ⅳ-2>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63

<그림 Ⅳ-3>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교육 전체 효과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1

<그림 Ⅳ-4> 실험, 통제집단의 즐거움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1

<그림 Ⅳ-5>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선호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1

<그림 Ⅳ-6> 실험, 통제집단의 도전정신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1

<그림 Ⅳ-7> 실험, 통제집단의 부정자존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1

<그림 Ⅳ-8> 실험, 통제집단의 건강관리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2

<그림 Ⅳ-9> 실험, 통제집단의 긍정자존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2

<그림 Ⅳ-10> 실험, 통제집단의 사회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72

<그림 Ⅳ-1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평균 비교

74

<그림 Ⅳ-12> 코티졸 농도변화

77

<그림 Ⅳ-13> 알파아밀라제 농도변화

79

목차|v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4. 기대효과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를 넘은 우리나라는 2017년에 고령사회(노인인구비 율 14%),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노인인구비율 20%)로 접어드는 등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통계청, 2011), 소위 “100세 시대” 대비를 위한 정책적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미래에는 장수노인의 증가와 인구고령화로 인해 노인의 행태 및 욕구의 변화와 새로운 문화 출현이 예측되며,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의 삶과 성공적 노화가 사회적 관심 을 받고 있다(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2010). 성공적 노화에는 여러 가 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만, 노인들의 사회활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인의 활동 영역 에 따른 참여 비율을 살펴보면, 친목활동(1994년 21.6%, 2004년 33.2%, 2008년 54.9%)이나 종교활동(1994년 21.2%, 2004년 45.5%, 2008년 44.3%)의 참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문화에 대한 참여(2004년 0.9%, 2008년 0.7%)는 매우 제한적이다(이윤경 외, 2010).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문화예술정책과도 관련이 있다.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노인 여가문화 인프라는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이 주가 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1년 노인문화 예술교육사업실적을 살펴보면 전국 259개 노인복지관 중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진행하 는 36개를 포함, 총 168개소가 이 프로그램 지원을 받았으며, 4,188명의 노인이 문화예술에 대 한 수혜를 받았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전체인구 5,424,667명(통계청, 2010) 중 전체인구의 11.3%를 차지하나, 이는 사업의 중복수혜인원이 없다고 가정하다라도 노인인구 의 0.07%만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를 받은 것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 또한 노인 수 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현재의 노인복지는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노인복지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노인복지로, 생 계 중심의 살기 위한 노인복지에서 문화 중심의 삶의 질을 추구하는 노인복지로의 전환이 필요 하다. 또한 노인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여가의 차원이 아닌,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 견할 수 있는 학습의 차원으로 나아가야 하며, 사회문제로 대두된 노인문제는 정책적 차원의 대 처에서 진일보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노인문화로 형성되어야 한다(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 연구원, 2005). 이에 따라 기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100세 시 대를 대비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여가의 수준을 넘어서 실시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기 능을 향상시키고(김영숙, 도복늠, 2005),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정희, 2008; 유미나, 2009; 황선영, 2008). 즉 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의 우울증과 행동장애를 감소시

Ⅰ. 서론|3


키고(김희정, 200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황향희, 최윤정, 2010; Arkin, 1999; Miziniak, 1994; Hanser, 1990), 자존감 및 자아통합감을 높이는(권순호, 2010) 동시에 대인관 계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적 유능감 및 공동체 의식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나(양은진, 2011; Bryan, 1983; Petzold, 1985; Schoenberg, 2004) 노인들에게 문화예술은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 을 위한 대안이 될 것이다. 이처럼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이 노인들에게 다양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노인 문화예술교육이 소홀히 다루어져왔던 이유는 노인에 대한 논의가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른 청․ 장년층의 경제적 부담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기영화, 김남숙, 김선주, 성정은, 2007). 또한 노인들의 자녀중심적인 사고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적극적인 문화예 술활동을 영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고재욱, 2012). 그리고 노인들은 문화예술을 향유해야 하는 분명한 계층이지만 문화예술교육의 향유라는 관점이 아닌 치료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시각 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그동안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연구를 살펴보면, 질병을 치 료하는 치료적 관점에서의 문화예술적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예, 박현철, 2009; 송영주, 이근매, 김기보, 2012 등). 국가적으로도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물적, 인적 인 프라 구축이 아직까지 미비한 상태이다(고재욱, 2012). 노년기에 더욱 길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만 성공적인 노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노인을 한 인간으로서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질 적으로 보다 개선된 삶을 영위하고 노년기의 변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고 다양한 측면에서 성공적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 프로그램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양영애, 이인 경, 허진강, 2006). 노인 프로그램은 노년기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삶의 질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 는데(최말옥, 2005), 최근 다양한 프로그램 가운데 음악, 미술, 문학 등 문화예술활동이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양영애 외, 2006). 문화예술활동이 노인들에게 문화권으로써 향유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의 효과성을 규명하는 연구들을 통해 문화예술이 노인들에게 주는 의미를 재해석해 내며, 이러 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노인들의 사회참여와 정부의 노인문화예술교육 정책방향을 설정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해 엄정한 강사선정 과 예술강사 연수와 모니터링, 평가와 컨설팅 등을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신승빈, 2011). 임학순, 이상민, 조은아, 최윤아, 서지혜, 윤상용(2006)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평가에서는 단체평가, 강사평가, 시설평가의 평가모델을 구축하였지 만 정작 사업 수혜자들의 실질적인 향상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질적 성과와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2009년 평가에 대한 모형 연구가 진행되고, 2010년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성과평가가 진행

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되었다. 하지만 2010년 실시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회문화예술 성과평가의 내용을 살 펴보면, 사회문화예술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의 성과부분은 노인 표 본수가 아주 미비하여 성과에 대한 부분을 논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광범위한 사회문화 예술 분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요소들로 선정되어 있어 노인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독자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 더욱 문제는 문화예술교육 수혜자인 학습자 효과 지표 영역을 제시하고 있지만, 측정을 위한 세부지표는 단일 문항으로 측 정하고 있어 지표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임영식, 유제민, 정경은, 김윤나, 양 돈규, 2012) 또한 평가방법에 있어서도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자기보고식 설문에 의존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예를 들어, 양은진, 2011; 이영은, 2008; 황양희, 최윤정, 2010 등). 이에 최근들어 문화예 술분야의 다양한 효과성 측정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자기보고식 설문지 외에, 심층인터뷰, 생리적 측정 평가를 반영한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예를 들어 임영식 외, 2012). 이러한 다양 한 측정방법을 통한 효과성 규명은 상호 측정의 한계를 보완하여 객관성과 타당성을 담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 달성 여부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체계적이고 과학적 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척도개발을 통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심리적 측정뿐만이 아니 라 생리적 측정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사업의 필요성과 가치를 입증하고 피드백을 통해 사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우리사회에서 요구되는 노인문화예술교 육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 역시 필요할 것이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효과 측정 기준을 정립한다. 세부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 하여 노인대상 문화예술프로그램의 기획 및 프로그램 수정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요소 제공 등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노인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효과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도 출한다. 즉,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심리적 측정, 타액추출을 활용한 생리적 측정, 참여자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사업이 효과검증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 관점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 안한다.

Ⅰ. 서론|5


<그림 Ⅰ-1> 연구개요

3.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 핵심적으로 다루는 연구내용은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척도를 구성하여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관련 동향, 선행연구들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고찰하여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개념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핵심적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생리적 측정을 포함한 양적 연구 외에 질적 연구를 병행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을 검증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전문가, 프로그램 진행자 등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업 및 프로그램 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1 이론적 개관 3.1.1 국내 및 주요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관련 동향 분석 - 국내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동향 분석 - 국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현황 및 운영체계 점검 - 100세 시대 패러다임에 따른 노인대상 지원사업의 추진방향 제시

3.1.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의견조사 -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대응전략 및 전문가 인식조사 - 예술강사 포커스 그룹 운영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구성개념 및 활성화 방안 도출 -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측정요소) 정립 및 정책방향 제언

3.1.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모형 개발 - 효과성 측정 구성개념 추출 및 효과성 측정 도구 선정

3.1.4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및 분석 - 지표 타당성 사전 검증 및 효과 예측이 가능한 시범조사(pilot test) 시행 - 척도활용 외에 질적연구를 통한 분석 병행 - ‘문화예술교육 수혜노인’과 ‘일반노인’ 간 비교·분석 - 생리적 측정을 통한 효과성 분석

3.1.5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발전방안 제시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제고 - 100세 시대 대비 노인대상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 도출 - 기존 사회 문화예술교육 사업 및 프로그램 대상 적용 방안 제시

Ⅰ. 서론|7


4. 기대효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첫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효과적인 프로그램 보급을 통해 노인대상 참여자들의 문화예술 향유기회를 확대하고, 사회공동체성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하는 사회기반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통 해 프로그램 목표, 구성요소, 평가, 피드백이 연결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효과가 입 증된 프로그램 확대에 기여하고 프로그램 기획파트와 진행파트 지도자들에게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할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넷째, 국내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및 효과성의 논의와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과 비교를 통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장, 단점을 파악하여 향후 발 전적인 프로그램 및 사업 실시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정책적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Ⅱ.이론적 배경

1. 현대사회와 노인 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비교분석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및 구성요인 4. 생리적 측정



Ⅱ. 이론적 배경 1. 현대사회와 노인 한국사회는 지난 2000년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7%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 한 이후 2005년 출산율 1.08명이라는 출산율 쇼크를 거쳐 급속히 고령사회로 옮겨가고 있다. 통계청 인구추계에 의하면, 2018년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를 거쳐 2026년에 초고령사회(노인인구 20%)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정부예상보다 빨라지고 있으며(조선경제i 2011. 5. 30일자), 이러한 현상은 농촌지역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노인들은 사회적 역할의 축소에 따른 자부심의 저하, 고독과 소외감, 경제적 어려움, 건강의 위협,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서석희, 박애신, 2007), 이러한 어려움은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손덕 순, 이홍직, 2006). 최근 통계청(2010)의 사망원인통계에 의하면, 노인자살도 급증하여 18년간 12.8배 증가하였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노인들의 건강과 부양 등 노인복지와 관련된 다 양한 정책적 고려로 인해 국가는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떠맡게 되었다(박성복, 1997). 현대사회는 노인들이 강제적 혹은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배제되고 핵가족화로 인하여 가 정에서의 역할마저 상실함으로써 노년기의 여가시간 활용문제는 생계 이상으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노인의 경우, 여가란 불가피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하나의 현상이라고 볼 수 있 다(허준수, 2002).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노인들은 살아오면서 일과 삶을 동일시하여 즐기고 음미하지 못하였고, 지금은 그들이 그토록 중요시하던 노동 및 사회활동으로부터 배제되고 있으 며 원치 않는 여가로 고통 받고 있다. 또한 빈곤과 건강문제를 가장 일반적인 노인문제로 받아들여야 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경 제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고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노인층의 증가로 인해 노인들의 삶의 질 에 대한 욕구가 변화하고 있다(김정수, 2007). 권미애(2008)는 노년기에도 개인의 수준에 적합 한 활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질 때 성공적이고 적극적인 노화가 진행될 수 있다고 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활동 정도와 노년기의 성공적인 적응 간에는 정적 상 관이 있으며(Lemon, Benson, & Peterson, 1972)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많을수록 신체적, 정신 적으로 건강하고(류정란, 2002; 오상현, 2001) 삶의 만족도 또한 높아진다고 한다(권미애, 2008). 특히 신체적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불안과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Hayden & Allen, 1984; Wilfley & Kunce, 1986) 나타났으며, 김정수(2007)는 노 인여가복지시설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 도와 생활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노인들의 다양한 활동참여는 신체적 건강뿐만

Ⅱ. 이론적 배경|11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노인들을 위한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여가활용을 위한 형태로 준비되어 있 어 프로그램들이 대체로 단순하고 오락위주이고 다양성이 부족하여 자기를 표현하거나 삶의 질 을 높이고 성취감의 기회를 갖는 내용이 빈약하다는 문제가 있다(김문수, 2000; 정여주, 2003). 단순히 여가시간을 보내는 차원에서 벗어나 자신을 재발견하고 자신의 문화를 형성하며 삶을 즐기며 사회적 참여를 하고자 하는 오늘날의 노인들의 욕구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김정혜(2006)는 노인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인들의 욕구와 문 제를 찾아내고 그에 적절히 대응해 나가야 하며, 제반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들이 얼마 나 효과적으로 노인의 욕구를 수용하고 반영하느냐에 그 성패가 달려있다고 하였다.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 최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관심을 끌고 있다. 기영화 등(2010)은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히 시간을 보내기 위한 교육이 아닌 삶의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는 학습차원의 과정이라고 하면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새로운 지 식과 정보에 대하여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동료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들의 문화 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 이러한 노인의 문화적인 권리보장에 대한 논의들이 가속화되고 있다. 노인은 경제활동뿐 만 아니라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사회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전 생애에 걸쳐 문 화적 권리를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노인의 문화적 권리는 문화적 향유자 및 생산자로서의 삶 을 보장하기 위해서 세대 간의 가치문제, 노인을 위한 여가문화 부족 문제, 문화예술과정에의 관심 증대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에게 사회적 활동에 참여를 유 도하고 예술을 통한 창조적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문화적 생산자로서 역할을 부여한다. 또한 예 술을 매개로 부정적 감정을 전환시켜 주는 치료적 기능이 있으며 문화적 양극화를 해소하고 문 화예술을 통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기영화 외, 2010). 이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이 자아통합, 기능적 자율성, 사회참여를 핵심 개념으로 하는 성공적 노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말해준다고 하겠다(박종한, 2007).

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비교 본 장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문화예술교육,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적 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프랑스와 미국 등 외국의 사례를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과 정부 부처별 유관 정책에 대해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외국 사례에 대한 자료는 프랑스와 미 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유관 기관 홈페이지에 제시된 문건1), 보고서 그리고 기존 연

1) 자료 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유관기관의 관련 문건, 보고서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은 두 가지 선정 요건을 모두 1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구결과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부 부처의 정책들 역시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정책백서 그 리고 유관 문건2)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노인문화예술정책 비교를 위해 프랑스와 미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추진 주체 관 련 기관 홈페이지에 제시된 정책관련 문건, 보고서와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문화지원체계 에 있어 프랑스는 국가주도형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반면 미국의 경우 정부와 시장의 공존적 형태를 취하고 있다. 국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방향성을 제안함에 있어서 차별적인 두 나라 사례의 비교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정책의 고찰을 위해서는 문화관광부,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가 수행 중인 것으로 공표하고 있는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정책이라 하더라도 공식적인 보고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은 제외시켰다. 우선 각 부처의 정책수행의 근거가 되는 법령 현황과 사업 백서를 조사하였다. 또한 각 행정부처 산하의 관련 정책/연구 수행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보건사회연구원, 교육개발원 등)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사업에 대한 연구보고서 구체적인 사업 안내, 세부내용, 운영일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 였다. 미국, 프랑스,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들은 근거가 되는 관련 법령, 예산의 출처, 연방(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관계, 정책전달 주체, 정책 전달 대상, 정책 전달 내용, 추 진 체계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2.1 주요국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정책 비교 문화지원체계에 있어 프랑스는 국가주도형의 대표적인 사례이며 미국의 경우 공적 지원과 시장의 공존적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체로 정부주도적으로 문화예술에 대 한 교육과 지원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2.1.1 미국의 노인문화예술 정책 미국 연방정부 노인관련 정책의 주관부처는 노인국(Administration on Aging)으로 주요 업무 는 은퇴설계, 은퇴준비교육, 건강보험, 연금 그리고 노인과 그들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

충족시키는 정책에 한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요건 1. 정책대상이 노인을 포함하고 있고, 요건 2. 문화예술교 육 관련인 사업을 포함할 것. 2) 정부 부처의 사업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부처의 정책수행의 근거가 되는 법령 현황과 사업 백서를 조사하였 다. 또한 각 행정부처 산하의 관련 정책/연구 수행기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보건사 회연구원, 교육개발원 등)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사업에 대한 연구보고서 구체적인 사업 안내, 세부내용, 운 영일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13


한 다양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예술활동 지원 및 진흥을 위한 노력은 미연 방정부 노인국의 주요 정책으로 나타나 있지 않고 주정부의 정책으로 전달되고 있다. 지방분권 적 성향이 강한 미국의 주정부들은 이미 1965년에 미연방하원에서 국가적 차원의 예술지원정책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을 수립함에 따라 주정부 차원의 문화예술부를 신설 하고 예산을 편성해 왔다. NEA는 연방예산의 40%에 해당하는 주정부 예산 부담을 책정하여 재원을 마련토록 하였다. 문화예술부의 재원은 주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데 연방예산 과 주정부예산 만으로 구성되는 사례도 있고 주에 따라 그랜트, 기부금 그리고 사업 수익 등을 재원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문화예술부의 운영은 주민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결성되어 정책 의 계획, 운영에 대한 감사 그리고 보고를 받게 되는데, 주로 예술분야에 경험이 많은 시민이 정책을 전달하는 공직자로 임명되기도 한다. 2012년 현재, 미국의 27개 주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공적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그 주들은 <그림 Ⅱ-1>에 제시되어 있다. <그림 Ⅱ-1> 주정부 문화예술부연대 현황

출처: http://www.nasaa-arts.org

주정부 문화예술부연대(National Assembly of States Arts Agencies, NASAA)는 모든 지역사 회에서 미국 국민들이 문화적, 시민적, 경제적 그리고 교육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화예술향유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NASAA, 2012).

주정부 문화예술부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예술가와 예술단체, 학교와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공적지원금 제공 - 예술가와 예술단체의 관리와 사업적 소양을 강화하는 교육과 정보제공 - 젊은 세대의 학교 안과 밖 예술활동 지원 1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예술사업을 추진하여 시민들의 문화적 소양 증진 및 지역경제의 발전 도모 - 교사교육, 교과과정 개발, 사업 평가 등을 통한 예술교육의 질 향상 도모 - 예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수행 - 공공을 대상으로 예술이 미국인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홍보 및 교육 - 각 주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의 보존 및 계승 - (비전문인)지역사회 주민들의 문화적 성취 촉진 및 업적 발굴

27개 주의 문화예술부는 주민들의 요구와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성 노인들의 퀼팅은 단순한 바느질이 아닌 예술작품으로 승화되어 전시회와 판매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과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 사례가 될 것 이다. 또한 은퇴 노인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스크랩핑클럽, 페인팅교육, 오케스트라지원, 박물 관과 도서관의 큐레이팅 활동 등도 이들 클럽이 주정부 문화예술부의 사업에 지원을 신청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면, 이 또한 주정부 문화예술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업의 예가 될 수 있다. 2012년 주정부의 예술교육정책보고에 의하면 많은 주에서 사회교육적 접근의 문화예 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37개 주에서 비전공자 예술교육담당자 양성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고, 41개 주에서 비정규과정을 통해 전문적 예술강사를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 다(Arts Education Partnership, 2012). 주정부의 한 단계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카운티와 시의 경우, 노인들의 문화예술과 레저활동 에 대한 정책들은 Educational Board와 Park & Recreation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다. 시와 카 운티 재정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편차가 있고, 시의 특별예산 혹은 시민들의 기금이나 모금 활동 등을 통해 노인들의 다양한 문화적 활동이 지원되기도 한다. NASAA가 제한적이지만 공적 지원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한편, 풀뿌리 민주주의적 성향이 강 한 미국사회에서는 시민들의 자조적인 노력으로 구성된 비영리집단의 패러가버먼트적 서비스 역시 활성화되어 있다. 미국 사회의 고령화 현상 그리고 노인들의 건강한 노화와 행복한 노화에 대한 갈망은 1995년 백안관회의를 통해 예술활동 분야에 노인이 예술가, 교육가, 자원봉사자 그 리고 소비자로서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여러 기관의 협력에 대한 필요성이 개진되었고 (조현성, 김영법, 이주연, 2004), 이러한 요구는 창의적 노화센터(National Center for Creative Aging, NCCA)의 설립을 촉진시켰다. 2001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인 NCCA는 노인 예술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 양성과 예술단체 정보망을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정 광렬, 라도삼, 2010). NCCA에서는 노인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하여 4가지 정책기준을 제시하고 향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1. 노인 예술가 작품의 가치를 높이고 노인 예술 감상자를 적극 유치하고 퇴임 후에 예술적

Ⅱ. 이론적 배경|15


자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2. 노인의 예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 평생교육 기회의 보장 3.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 4. 박물관과 공연예술기관이 노인 감상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 영할 수 있도록 지원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은 젊은 성인이나 후기 청소년 집단(18-24세)보다 55세 이상의 고령자 집단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율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노인들의 높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율 은 지난 20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율의 하락세가 전 연령대에서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SPPA, 2008a).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을 포함한 문화예술활동 참여 는 특히 50세에서 69세의 연령대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고 70세 이상의 경우 나이가 증가 할수록 완만한 감소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SPPA, 2008b).

2.1.2 프랑스의 노인문화예술 정책 프랑스의 문화정책은 1930년대 문화정책에 대한 근대적인 개념이 나타난 이래 좌·우파 정부 를 불문하고 국가 주도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Mulcahy, 2000; 한승준, 박치성, 정창 호, 2012 재인용). 문화예술과 관련된 법안은 정부조직법에 명시되어 있고 법령에 근거하여 문 화통신부가 설립되어 있으며 하나의 법안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각 개별적 사안에 따라 각 부처 의 법령에 명시되어 있다. 노인대상 예술교육과 관련된 예산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예산에 기초하고 있다. 노인대학, 노인클럽, 성공적 노년을 위한 중앙정부계획 등이 노인대상 예술교육 의 큰 축을 이루고 있다. 프랑스 복지정책의 기본이 되는 지역중심 활동과 프랑스 여가 및 문화정책과 관련한 평생교 육 개념이 결합된 노인대학(Universite de troisieme, UTA)은 1973년 설립된 이래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다. 노인대학의 대상은 60세 이상의 노인이고 재정지원을 위한 법령은 비영리단체 설립에 관한 법령 1901, 대학규정 등이고 연간 50,000유로씩 지원되며, 나머지 재원은 지역별 회원등록비, 지자체 예산으로 조달된다(Sante Lefigaro, 2012). 노인클럽(Les Aines Ruraux)은 1975년 제 7차 경제사회개발 계획의 중점 목표 중의 하나였 던 지역사회에 의한 노인보호 원칙의 일환으로 본격화 되었다. 친교에서 레크리에이션, 전문기 술의 습득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고 현재 정부 협회는 18개, 지역연합(영남, 호남 의 규모)은 15개 분과, 지역협회는 9000개로 참여 인원은 70만 명이 참가하고 있다(Les Aines Ruraux, 2012).

이 숫자는 프랑스 노인들의 80%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클럽활동에 참가하

고 있으며 여가와 문화활동에 대한 참여 빈도도 다른 연령집단의 평균인 32%를 훨씬 웃도는 5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INSEE, 2004).

1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노인 문화예술교육 혹은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간접정책으로 교통과 문화활동 지원정책을 들 수 있는데, 여가선용과 문화향유를 위한 교통비용을 노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할인이나 무 료로 제공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문화접근성의 보장을 위해 연극과 연주회, 극장, 화랑과 박물관의 이용 시 교통비 지원과 동일한 방식으로 할인 및 무료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프랑스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는 정책의 또 다른 축은 성공적 노년(Bien Viellir) 정책이다(Ministere des Affaires sociales et de la Snate, 2012). 이미 고령사회인 프랑스는 2030년에는 도시인구의 28%가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이를 극복하 기 위한 사회적 대안과 정책의 필요에 의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노인 문화예술정책들이 다 양하게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 시장단(Major) 협의회(AMF)는 2007년부터 2009년 까지 34개 도시를 선정하는 절차를 거쳐 2010년부터 5년 주기로 노인복지 계획부터 도시개발(물적, 사회 적, 문화적)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2012년 현재 시행 중에 있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예술관련 프로그램을 종류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Ⅱ-1> 프랑스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 도시 현황

프랑스 문화예술 정책

참여 도시 수

문화활동 참여 민주주의 이해 관계자 세대 간 연결 이동성과 접근성 여가를 통한 예방 예방 건강 홈지원 서비스 지식 나눔

5 4 3 13 3 4 6 3 1

참조: http://www.social-sante.gouv.fr

Ⅱ. 이론적 배경|17


<그림 Ⅱ-2> 프랑스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 도시 현황

En Ile de France

문화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도시는 Canohes를 포함한 5개 도시로 노인들의 Day Care Center, 노인들을 위한 레스토랑 운영,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에이전트 운영, 모든 세대가 참여 하는 레크리에이션 제공, 도서 읽어주기, 책 찾아주기, 식사 도움, 노인 합창단, 학교와 양로원 의 그림(예술작품) 공동전시회, 스포츠와 문화활동, 음악교실, 은퇴자의 공연 및 음반 발매 지 원, 12세에서 87세 연령대가 공동으로 작곡 워크숍 참여, 여행 및 개인 서비스 개발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Canohes, France, 2012). 참여 민주주의는 Marseille시를 포함하여 4개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는데, 미래 은퇴자를 대상 으로 열린 포럼, 이동 서비스, 원로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양한 노인관련 정책의 입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UNCCAS, 2012). 프랑스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를 지원하고자 하는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의 공통적인 특성은 접근성의 증가, 세대 간의 통합, 정책 주도자로서 노인의 참여, 서비스 제공자로서 노인의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성을 공유한 상태로 34개의 도시들은 개별적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정책의 변이를 보여주고 있다. 집행구조의 관계적 측면에서 보면, 다양한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이 공존하는 프랑스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관계는 호혜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는 집행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주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혹은 시가 되고 이 들의 관계는 예산의 혼합기금(matching fund)이 발생할 경우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표방하게 된 다. 독립적인 예산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되더라도 집행조직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호혜적인 상호의존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1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1.3 한국의 노인문화예술 정책 한국의 경우 1972년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되어 관련 정책의 시행을 위한 재원 마련이 국가 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로 명시되어 있다. 1990년에는 문화부가 설립되어 문화예술관련 정책을 관장하고 있다. 이후 2004년 복권 및 복권기금법이 제정되어 복권수입금의 합리적 배분과 투명 한 사용을 통해 문화정책의 재원으로 투입되었다. 문화부는 1993년 문화체육부로, 1998년 문화 관광부로 개편되었다가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로 변경되었다. 문화예술정책의 수립은 문화체육 관광부 문화예술국이 관장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주무부처를 지원하는 주요기구로 한국문화예술 진흥원이 있다.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적 주도하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 주체로 한국노인종합사회복지관 협의회와 공조하여 최종 정책전달 대상자인 노인교육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사업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이 전문예술강사와 문 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내용은 노인음 악, 노인무용, 노인연극, 노인 사진 등을 포함하고 있고 2012년 259개 노인복지기관, 3,400명의 노인참여자, 125명의 예술강사의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 추진 체계를 살펴보면(그림 Ⅱ-3), 중앙 집중적(top-down) 방식의 전달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책의 주체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세부역할과 정책의 협력자인 한국 노인종합복지관협회의 역할은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표 Ⅱ-2). 한국문화예술진흥교육원의 노인 예술교육 사업의 구조를 살펴보면 순차적 상호의존적 전달모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이후 논의 될,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정책적 측면에서 보면 연합적 상호의존성의 경향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Ⅱ-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추진 체계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업무협약 및 사업비 교부 월별 강사비/교통비 지급내역 송부 노인복지기관협회 협력 기획사업 운영 선발/평가/지원↓ 강사역량강화↓ 예술강사

강사비/교통비 지급

노인복지기관 협회

↓선정 ↓모니터링 개별 노인복지기관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2)

Ⅱ. 이론적 배경|19


<표 Ⅱ-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전달 상의 역할분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세 부 역할

·ㅇ 예술강사 선발/배치 - 예술강사 모집/서류심사/면접심사 - 예술강사-기관 배치 조정 ㅇ 예술강사 관리 - 교육활동 지원 및 민원 관리 - 예술강사 연수 및 평가 진행 ㅇ 기획사업 운영 - 예술강사 역량강화 지원 (아카이빙 등) - 관계자 간담회 운영 등 ㅇ 관련협회 관리 - 사업비 교부 및 운영 관리 - 매월 강의료 지급내역 송부 등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ㅇ 복지기관 모집/선정 - 복지기관 모집/심사/선정 - 복지기관의 강사파견신청 취합 - 교육참여자 명단 등록 안내 ㅇ 교육지원금/기자재 지원 - 신청내역 취합→교부→관리 - 교육지원금 정산 ㅇ 복지기관 사업운영 지원 - 매월 강사비 지급 - 교육활동 지원 및 민원 관리 등 ㅇ 기획사업 운영 - 실무자 간담회 등

이러한 파트너십을 통한 역할 분담을 통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아래와 같은 성과를 모색하고 있다.

- 수혜시설의 특성 등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관련 협회와 체계 구축을 통해, 각 기관의 영역 별 전문성을 살려 교육의 질 확보 및 예술강사 전문성 강화,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관 리하고 관련 행정관리의 효율화 기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예술강사 및 교육내용의 전문성 담보를 위한 기획사업 강화 - 노인복지기관 관련협회에서는 개별 복지기관의 특성 및 현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 참여자(수혜시설) 관리

이상 살펴 본 미국, 프랑스,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들을 근거가 되는 관련 법령, 재원, 연방(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관계, 정책전달 주체, 정책 전달 대상, 내용, 추진 체계 등 을 중심으로 부석된 결과는 다음 <표 Ⅱ-3>에 요약 되어 있다.

<표 Ⅱ-3> 미국, 프랑스,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체계 비교 미국

프랑스

한국

근거법령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1965

다양한 사업과 연관한 다양한 법률 예, 비영리단체 설립에 관한 법령

예술문화진흥법 3조 1항, 1972 복권 및 복권 기금법, 2004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지원원칙

시장 및 제한적 국가지원

국가주도적 공공서비스 원칙

국가 주도적 공공서비스

재원

연방 예산

국가 예산

국가 예산

2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앙정부

+ 주 정부 예산 (+ 지자체 예산, 기부금, 사업수익금 등 plus alpha의 변이존재) 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Level 1. 27 State's Art Agency (SAA) Level 2. Counties & Cities Educational Board, & Park & Recreation Office

문화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18개 지방 정부 형태 프랑스 시장단협의회 (AMF) 선발 35개 도시

없음

주요기구

창의적 노화센터(NCCA) -비영리단체 State Unit on Aging (SUA) 지역노인센터(Area Agencies on Aging)

책임운영기관 형태의 영역별 센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의회

서비스 전달주채

주정부 (State Art Agency) 카운티정부, 시의 교육위원회, Park & Recreation Office

노인대학 노인클럽 지역거점 센터 노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개별 노인종합복지관

경쟁을 바탕으로 한 그랜트의 획득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향유사업 세대간 통합

성공적 노화라는 측면에서 보다 폭넓게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노인층의 문화향유를 위한 기존의 저변 활용 노인대학, 노인 클럽 성공적 노화를 위한 도시의 물리적, 경제적, 사회관계적 환경의 재정비

지방정부

주요특성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인프라의 존재 관리 조직간 관계유형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Bottom Up

계획설계에 의한 정책의 Top Down, 정책전달 주체간의 상호 호혜적관계

노인층의 문화향유를 위한 기존의 저변 미약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인프라의 부족 제한적 대상, 제한적 내용 (음악, 드라마, 무용, 사진)

엘리트주의적 정책의 결정 Top Down 순차적 정책 전달

2.2 정부부처 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비교 정부 부처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직접적인 정책과 간접적인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직접적인 정책은 실질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교육서비스를 위한 재정적 지 원을 하는 경우이고, 간접적인 정책은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의 향상을 위한 교통비의 지급, 문 화바우처의 지급, 그리고 노인들의 문화 향유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의 구축을 포함한다.

Ⅱ. 이론적 배경|21


2.2.1 문화체육관광부 현 정부의 예술정책으로 품격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이라는 문화비전을 제시하면서 이에 대 한 4대 목표와 32대 중점 과제가 수립되었다. 정책의 추진 방향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문화향 유의 기회 확대”라고 명백하게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은 문화바우처의 확대에 서 찾아 볼 수 있는데, 2008년 문화바우처의 수혜자가 22만명에서 2010년 74만명으로 3.4배 증가하였다. 또한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 문화예술관람율 역시 19.3%에서 24.6%로 증가하였 다. 이는 노인층만을 대상으로 한 지표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절반이 월평균 소득 100만원 이하인 사실을 감안할 때, 상당수의 노인들이 문화바우처 혜택을 보았을 것이라 예상 된다. 문화예술정책 사업의 전달 주체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지방협력사업 대폭 발굴을 통한 중앙지방간 기능의 재조정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방정부의 혼합기금의 비율도 2009년 61.6%에서 2011년에는 84.3%까지 그 재정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표 Ⅱ-4는 국가의 문화

예술정책 방향성의 변화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표 Ⅱ-4>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성의 변화

과거 정책

현재 정책

정부 주도형 창작자 중심 문화의 사회적 가치 중앙정부 중심 시장실패 보전 균형 지원 일반 관객 확대 정책

시장 지향형 국민 문화생활 중심 문화의 정신적 가치, 글로벌 가치 지방이양 및 상호 협력 선택과 집중, 전략적 지원과 파급효과 소외계층 문화복지 확대

가장 두드러지는 정책적 변화는 정부 주도형에서 시장 지향형으로의 이양과 창작자 중심에서 국민 문화생활중심, 그리고 소외계층 문화복지의 확대이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의 자신감 회복, 새로운 배움의 즐거움 경 험, 문화향유 욕구 충족 그리고 사회성 증가 등의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계획되었다. 2005년 시 작된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노인대상의 교육은 2010년부터 실시되었다. 재원 은 국고 보조, 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그리고 지방교육재정(2010년 이후)으로 운영된다. 국민들 의 삶의 질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의 연도별 총예산은 2008년 27,501백만원에서 2010년 65,572백만원으로 증가하였 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분야는 음악, 무용, 연극, 그리고 2012년에 신설된 사진과 미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앞서 <그림 Ⅱ-4> 그리고 <표 Ⅱ-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문화체육관 광부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전달 주체는 한국문화예술원교육진흥원이고 지역거점 종 2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합노인복지관과 파트너십으로 운영되고 있다. 개별 종합노인복지관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사업신청을 함으로서 교육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문화예술 정책을 전달하는 또 하나의 사업은 생활문화공동체 지 원 사업이다. 서민 풀뿌리 문화나눔과 같은 생활문화공동체사업은 그 대상을 노인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주민을 통합하는 세대 간의 연계를 도모한다. 지원 규모는 사업 당 1천만 원에서 1억원까지이고 지역별, 대상별 안배를 통해 주민의 자생적, 자율적 문화예술 활동 조직 의 형성과 운영이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사업성과를 살펴보면 2009년에는 23,220명이 교육을 수혜하였고, 2010년에는 25,800명이 교육에 참여하였다. 이 사업은 임대아 파트 단지, 서민 단독주택 밀집지역, 농어촌 등 문화소외지역 주민 대상 문화예술 활동을 매개 로 한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의 지원 사업이다. 이러한 생활문화공동체 형성 사업은 노인을 주 타겟으로 삼지 않으나 지역사회에 속해 있는 노인층을 자연스럽게 참여시킬 수 있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될 수 있다.

2.2.2 교육과학기술부 80년대 사회교육의 붐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고 평생교육 적 차원에서 노인교육을 접근하고자 하는 사회적 대응방안이 모색되었다. 또한 평생교육과정을 수강한 노인수강생들의 인적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금빛평생교육봉사단 사업이 진행되 었다. 금빛평생교육봉사단의 인적 구성내용을 보면 50대는 전체의 9.7%를 차지하고 있고 60대 가 1,099명으로 51.2%를 차지하고 70대 이상의 어르신들도 무려 838명이나 참가하고 있어 전 체 참가자의 39.1%를 보여주고 있다(교육부, 2006). 금빛평생교육봉사단 참가자들의 성비는 남 성이 월등히 많았다(71.6%). 금빛 봉사단의 평생교육내용이 모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것은 아 니지만 주요 커리큘럼이 노후 생활 설계 및 여가 교육, 지역사회 참여 촉진 등을 다루고 있어 제한적이지만 문화예술교육사업의 범주에 포함 시키고자 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전신인 교육인적자원부는 2002년부터 노인교육과정 시범운영 지원 사업을 통해 대학명예학생제도, 세대 간 이해증진 프로그램, 직업교육프로그램 등을 지원해 오고 있다. 노인교육은 평생교육지원법에 의거하여 재정이 확충되고 실시하는 기관에 따라 교육의 목적, 프 로그램의 종류 등이 다양화 되어왔다. 교육환경의 인프라를 잘 갖춘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평 생교육프로그램, 노인복지회관 및 사회복지회관 등 복지시설에서 운영하고 있는 노년교육프로그 램, 노인대학 및 노인학교를 포함하는 노인교실 프로그램, 종교기관에서 주관하는 노인교육 프 로그램 등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왔으나 2005년 건강가정기본법이 재정됨에 따라 각 지방정 부, 시, 구, 군 단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중 노년기 가족생활교육의 일부로써 예술교육이 활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평생교육적 차원에서의 노인교육은 매우 폭 넓은 스펙트럼을 보인다.

Ⅱ. 이론적 배경|23


2.2.3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지역 노인대상 여가 및 문화활동 지원사업으로 경로당 운영혁신 사 업이 있다. 경로당 운영혁신 사업은 경로당을 지역의 노인복지, 정보센터로 기능을 혁신하는 정 책으로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로당에서 건강관리, 운동, 교육, 여가, 자원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노인이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기능 공간으로 전환 - 프로그램 조정 지원을 담당하는 경로당 순회프로그램 관리자 기능의 전문화 - 경로당을 독거노인 생활교육 실시장소로 활용하여 지역사회 독거노인 보호기능 수행 - 회계관리 개선을 통한 경로당 운영의 투명성 확보 등 행정효율 도모 <그림 Ⅱ-4> 보건복지부 경로당 활성화 사업 추진체계도

경로당 활성화 프로그램

지역봉사 활 동

공동작업장 운 영

노후생활 교 육

지역자원 활용

건강운동 활 성 화

노인복지관 연 계 프로그램 서비스 연계・조정

경로당 운영지원체계 구축

경로당 활성화 협의체 구성

경로당 순회 프로그램 관리자 배치

시・군・구

유관기관・단체 협력 유도

활동평가

경로당 평가 모범경로당 선정・포상

* 출처: 보건복지부 (2012). 보건복지부백서

경로당 활성화 프로그램 전달 체계는 <그림 Ⅱ-4>에 제시되어 있다. 경로당 활성화 사업은 보건복지부에서 설계한 정책을 지방정부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만일 경로당 순회프로그

2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램 관리자를 배치하지 않은 시군구는 시군구 담당공무원이 경로당 순회프로그램 관리자의 역할 을 수행할 것을 사업지침에 명시하고 있다.

노인복지관사업은 크게 기본사업과 선택사업으로 구분된다. 기본사업은 종합복지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할 사업으로 평생교육지원사업, 취미여가지 원사업, 고용지원사업, 기능회복지원사업, 정서생활지원사업, 사회참여지원사업, 경로당혁신 프로 그램을 포함한다. 특히 평생교육 및 취미여가지원 사업의 경우 요가, 고전무용, 가야금, 가곡, 생활도예, 서예, 미술, 종이접기, 손뜨개질, 민속놀이 등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어 직접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또한 앞서 살펴보았던 경로당 혁신 프 로그램 역시 여가교육의 부분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사업 중에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간접정책으로는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 한 사업인 시니어클럽활동이 있다. 이 사업의 재원은 국고보조이고 대한노인회에 위탁하여 사업 을 수행하고 있다. 노인일자리 창출 사업의 내용 중, 숲생태해설사업, 문화재해설사업, 기타 안 내지원사업 등과 같은 전문해설 및 안내지원사업의 경우,

노인대상자들의 문화활동비가 일인당

3만원이 책정되어 있어 노인들의 야외활동의 지원이나 문화체험 등을 목적으로 집행이 가능하 다. 따라서 노인일자리 창출 사업은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직접적인 정책은 아니지만 접근성의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간접 사업이라 할 수 있다(보건복지부, 2012). 또한 복지형 사 업으로 노인들은 문화복지 지원사업의 대상자가 될 수 있는데, 즉 문화예술향유를 위한 바우처 지원 사업의 수혜자가 되는 것이다.

이상 정부 부처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들은 문화관광부,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 술부를 주축으로 수행되고 있다. 각 부처의 활동은 개별법에 근거하여 비교적 독자적으로 추진 되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된다. 각 부처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들 은 부처 간 유사성과 중복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정책을 전달하는 현장을 공유할 경우, 서비스 대상자들의 중복 수혜의 문제가 발생하고 노인 수혜자들의 교육정책 프로그램에 대한 변별력 또한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정책의 유사성과 중복성은 노인 학습자들의 교육 욕 구에도 충분히 부응하지 못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 정비가 요구되는데 가능한 한 가지 제안으로 각 부처간 협의체를 형성하여 통 합적인 지원창구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접근이 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25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및 구성요인 3.1 노인문화예술교육의 목적 및 목표 노인문화예술교육사업의 목적은 노인에게 적합한 문화예술교육의 체계적 지원으로 문화수혜 형평성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취약계층 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 지원을 통한 문화 예술 향유기회 확대 및 사회공동체성 강화에 목적이 있다. 사업의 주요 목표를 살펴보면, 교육 참여자의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 기반마련, 대상의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구체화, 파 트너십 강화에 두고 있다(임학순 외, 2006). 기영화 등(2010)은 노인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 노 년기 삶의 질 향상, 예술활동 참가를 통한 자기표현의 기회 제공을 언급하였다. 세부적인 교육 목표는 첫째, 삶의 즐거움을 향유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자신감 배양, 둘째, 예술의 미적 체험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탐색함으로서 자아 발견, 셋째, 타인과 함께 활동을 통해 유대감을 가지 고 심신의 건강 유지, 넷째, 지혜를 추구하고 노화로 인해 겪게 되는 변화를 극복하여 사회구성 원으로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영화 등(2010)은 노인학습 요구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개념을 도출하였다. 노화과정에 일어난 감퇴된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환경적응’, 학습 활동 참여자체를 즐기고자 하는 ‘표현적’ 요구, 타인과 사회에 영향력과 통제력을 발휘함으로써 타인과의 적절한 기술을 활용하는 ‘관계적 요구’, 인생의 의미에 대하여 더욱 깊은 이해를 얻고 자 하는 초월적 요구를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서적, 인지적, 신체적 영역별로 환경적 응, 표현성, 관계성, 초월성으로 구분하여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정서적 영역에서는 긴장이완, 존재감 향상, 의사표현, 자기조절력, 자기공개, 유대감, 내면치유, 자존감 확대의 개념을 제시하 였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지적자극, 동기부여, 관찰과 분석, 표현기술 습득, 타인에 대한 공감, 타인에 대한 수용, 지혜 추구, 지적상실수용의 개념을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신체적 영역에서는 신체움직임, 환경감응성 증진, 탐색, 리듬반응, 협응력, 협동, 신체변화수용과 활력의 개념을 추 출하였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학습자별 목적을 분석한 신승빈(2011)은 노인복지관 지원 문화예술교육 은 자신감, 자존감 회복, 새로운 배움에 대한 즐거움 경험, 문화향유 욕구 충족, 사회성으로 구 분하였다. 또한 그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운영프로그램 14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적 요소로 표현력, 소통, 정서적 안정, 사회성 증대, 문화체험, 인지를 추출 하였다.

2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Ⅱ-5>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운영 프로그램 분석

개념적 요소

세부 요소

표현력 증진

표현력 증진/자기표현, 사회참여

소통

지역민 간의 공동체/ 다른 세대와의 소통/ 지역민들과 교류/사회참여

정서적 안정 (노인으로서의 자아안정, 긍정적 문화 창조)

삶의 즐거움과 만족감/ 소외감 해소/ 정서안정. 스트레스 해소/ 능동적 노인문화/ 자신감 회복, 정체성/ 자긍심 고취/ 활력과 자긍심/삶에 대한 긍정적 에너지 개발/ 노인문화 변화/ 자아감 성취/ 활기찬 노인생활

사회성 증대

협동심, 창의성

문화체험

문화체험 기회/ 전통예술의 보급/ 문화경험

인지

사고의 폭 확장

노인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삶의 만족도를 높여 자아통합감을 높이는 동시에 죽음이라 는 무거운 주제를 억압하거나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수용하여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이범석, 2010).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에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문화예술교육은 노인들에게 뇌세포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우울증 치료에도 큰 효과가 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음악, 미술 등의 예술활동은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 하고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시킨다(양은진, 2011; Bryan, 1983). 또 김수정(2007)은 예술치료가 여가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통합감을 유의하게 개선시킨다고 하였으며, 노인들 의 수동적인 태도가 능동적인 태도로 변한다고 하였다(Disabato, 1995; Kramer, 1994). 따라서 예술활동은 노인들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김영숙, 도복늠, 2005),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고 하겠다(김정희, 2008; 유미나, 2009; 황선영, 2008).

노인대상 음악, 무용, 미술교육 등 문화예술교육의 분야별 연구에서 나타난 효과에 대해서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악활동은 정서적 안정에 많은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 자아실현 과 사회적으로 보다 나은 노년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권순호, 2010). 또한 인간의 에너지를 상승시켜 일상의 다른 활동을 즐겁게 하며, 만족감과 즐거움은 음악이 지닌 본질적인 특징의 하나이다(Hennessey, 1984). 음악활동은 특별한 능력이나 기술에 상관없이 지루함을 없

Ⅱ. 이론적 배경|27


애주고 구조화된 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큰 즐거움을 제공하는 표현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훌륭한 삶의 질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Clair, 1996). 특히 노인복지영역에서 음악 활동은 가장 효율적인 활동 프로그램으로(이윤정, 김선미, 2003; 이주희, 2000; 임영미, 2002), 노화예방에 도움이 되고, 사회활동 참여 능력이 증진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로 인한 자아실현에 도움이 된다(권순호, 2010; 김동민, 2006; 양혜경, 2010). 또한 기억과 회고에 도움을 주고(정 현주, 2005: Karras, 1990),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양혜경, 2007). 또한 근육활동을 자극하여 노인의 만성 관절 통증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이승희, 2006), 노인의 불안과 우울 그리 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준다(Hanser, 1990). 무용/동작치료 또한 노인에게 좋은 방법으로써(윤혜선, 2004), 심리적, 정신적, 사회적 요소의 통합을 추구하고 개인인격의 통합과 성장과정에 창조적으로 관여하는 매개로서 이용된다 (Couper, 1981). 무용 등과 같은 운동 프로그램은 유연성과 균형 감각을 높여 낙상의 위험성을 줄여주고(손호희, 2007), 인지기능(김정기, 김한수, 정복희, 2008; 최윤정, 황향희, 김보람, 2010; 한승경, 간연욱, 이재홍, 류경희, 오경자, 2006)과 일상생활능력(김설향, 2005)을 향상시 키고, 치매증상의 진행을 지연시키며 우울증과 행동장애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김희정, 2009; 황향희, 최윤정, 2010; Arkin, 1999; Miziniak, 1994). 강희(2005)의 연구에서는 무용프 로그램의 한 요소인 신체적 접촉을 통해 상대를 인식하게 되고, 반복적 움직임은 자신이 움직임 을 창조했다는 성취감과 자부심을 갖게 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또 무용 프로그램 은 인지, 정서, 행동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고(온채은, 2010; 이예승, 2009), 생활만족이 향상되 며(김갑희, 2002),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환경의 지배력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박 희진, 김은희, 2008). 예술활동을 통하여 삶의 건강한 측면을 도출해 내는 도구로서 미술치료는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의미를 지닌 활동이다. 노인들은 미술이라는 매개를 통하여 비언어적 작업을 함으 로써 새로운 의사소통 가능성과 표현 가능성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억제하고 있거나 회피하고 있는 의식적, 무의식적 갈등을 표현할 수 있다(김갑숙, 2003; 정여주, 2005). 특히 미술치료는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노인들에게 별다른 저항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심리치료 방법으로서 예술적, 창의적 활동을 통해 심신을 회복시켜 정신장애를 예방하 는데 효과가 있다(Mess-Christeller, 1996; Mohaupt-Luksch, 2004). 이러한 미술활동의 효과 는 영역에 조금씩 다른 효과를 보고하는데, 정서영역에서는 창의성과 자기표현력이 증가되고 자 존감과 자기수용력이 높아지며, 심리적으로 안전감을 갖게 하며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을 향 상시킨다(김안젤라, 2004; 이영은, 2008). 인지영역에서는 문제해결능력과 집중력이 향상되며, 기억력 감퇴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각 및 운동영역에서는 오감능력이 강화되고 대근육과 소근육의 발달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영역에서는 타인에 대한 수용력과 이해 력이 높아지고 삶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와 공동체 의식이 증진된다(Petzold, 1985;

2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Schoenberg, 2004). 또한 김영숙 등(2005)은 인지기능 저하나 의사소통이 어려워진 노인들에게 미술활동을 통해 그들의 무기력을 감소시키고 감정을 환기시켜 건설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 라 대인관계능력의 향상과 사회적응능력을 습득시킬 수 있고 우울을 감소시키므로 결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미술적 임상개입은 무망감을 감소하여 자기가치감을 높이고 삶에 대한 의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자살예방에도 도움을 주었으며(이성희, 2011), 미술활 동은 노인의 창의성과 자기성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심리적 불안감과 두려움 및 우울감을 극복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양은진, 2011; 유민식, 2008; 정여주, 2005; 조태예, 2009). 특히 정신적 여가활동(종교활동, 문화예술활동 등)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신체적 여가활 동(스포츠)이나 사회적 여가활동(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보다 여가활동 만족도가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났다(안계일, 2008).

<표 Ⅱ-6>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목표 및 효과성

구분

문화예술교육 목표 및 효과구성요인

임학순 외 (2006)

문화예술 향유기회 확대

사회공동체성 강화

기영화 외 (2010)

삶의 즐거움 향유 자신감 배양 자아 발견 유대감

심신의 건강 유지 지혜 추구 사회구성원으로서 조화

신승빈(2011)

자신감 자존감 회복 새로운 배움에 대한 즐거움 경험

문화향유 욕구충족 사회성

신승빈(2011)

표현력 소통 정서적 안정

사회성 증대 문화체험 인지

이범석(2010)

삶의 만족도 죽음불안 감소

자아통합감

양은진(2011) Bryan(1983)

대인관계 향상

사회적 유능감

김수정(2007)

생활만족도

자아통합감

권순호(2010)

노화예방 사회활동 참여 능력 증진

자아실현

김동민(2006)

자존감

자아실현

Ⅱ. 이론적 배경|29


정서영역: 창의성, 자기표현력, 자존감, 자기수용력 심리적: 안정감 인지영역: 문제해결능력, 집중력 향상, 기억력 감퇴 지연

감각 및 운동영역: 오감능력 강화, 대근육과 소근육의 발달 사회영역: 타인에 대한 수용력과 이해력 증진, 공동체 의식 증진

김안젤라 (2004)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

김영숙 외 (2005)

무기력 감소 감정 환기 표현 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응능력 우울 감소

창의성 사회적 유대감

고독감, 우울감

Petzold(1985) Schoenberg (2004)

양은진(2011)

기존 노인대상 예술관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표 Ⅱ-6>과 같다. 기존 연구들의 방법론적 측면을 살펴보면, 많은 연구들이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이나 실험통제 집단을 설정한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집단간 t-검증(또는 비모수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연구대상자는 15명~50명 정도이며, 효과성 측정요소는 우울이 가장 많고, 자아관련 요소와 삶의 만족 요인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표 Ⅱ-7> 기존연구의 효과성 구성요인 및 측정방법

구 분

통 합

무 용

연구자

효과성 구성요인

연구설계

양은진 (2011)

우울과 고독감, 사회적 유대감

실험설계(사전사 후 대조집단 비교연구)

이범석 (2010)

삶의만족도 자아통제감 죽음준비도 죽음불안

구조방정식 모형

김천오, 정동훈 (2007)

인지 우울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인지: 간이정신상태검사 우울: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자아통합감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자아통합감(생활만족, 생에 대한 태도, 지혜로운 삶, 죽음에 대한 수용, 노령에 대한 수용,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노인에 맞게 수정한 김정순(1988)

윤혜선 (2004)

측정도구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한국판 우울 선별척도(CES-D) 개정판 UCLA 고독감 척도(UCLA-R) 개정판 사회적 유대감 척도(SCS-R) 삶의 만족도 윤진(1982)이 Stones와 Kozma(1980)의 행복측정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제작한 생활만족척도를 바탕으로 권미애(2008) 수정보완 자아통제감 홍주연(2000) 개발 죽음준비도 유희옥(2004) 개발 죽음불안 Templer(1970)의 죽음불안척도(DAS)를 최금주(2009)가 번안

3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음 악

미 술

황향희, 최윤정 (2010)

인지적 기억수행 우울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인지적 기억수행: 우종인 외(2008) 우울: 한국판 축약형 노인우울척도(SGDS-K)

김갑희 (2002)

신체적 효능감 생활만족도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신체적 효능감: Ryckman(1982) 생활만족도: Diener, Emmonson, Larsen, Griffin(1985)의 생활만족도(SWLS)를 Won(1989)이 번안

박진희, 김은희 (2008)

심리적 안정감

다변량 분석

심리적 안정감(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 환경의 지배력): Ryff(1989) 심리적안정감 척도(PWBS)를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타당화

이승희 (2007)

주관적건강감 자기인식 사회성 삶의 만족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

유정숙 (2010)

운동능력 웰니스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운동능력: 진단시스템 Helmas이용 웰니스(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지적, 정서적 건강): 김상국(2000)

양혜경 (2007)

인지기능(지남 력, 기억력, 이해 및 판단능력)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인지기능: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양혜경 (2010)

우울 자아존중감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정용, 최미혜 (2009)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우울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박은미, 이미애 (2006) 유민식 (2008) 이영은 (2008) 장혜경, 최외선 (2005)

대인관계 우울감 자아존중감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관찰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의사소통 우울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최영순 (2006)

우울 자아통합감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김안젤 라 (2004)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우울: Zung의 자기평정우울증척도를 정향균(1993) 번안 자아존중감: Rosenberg의 SES를 전병채(1974)가 번안 대인관계: Schlein & Guerney(1971)의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전석균(1995)이 수정보완, 박현선(1998)이 선별 자아존중감: Rosenberg의 SES를 전병채(1974)가 번안 우울: Zung의 자기평정우울증척도를 전시자(1989) 수정보완 대인민감성: Boyce & Parker(1989)의 인간관계능력평가검사지를 조현주(2000) 번안/ 물고기집단화: 관찰 우울: 한국판 우울검사 자아존중감: Rosenberg의 SES를 전병채(1974)가 번안 의사소통: Holden & Sinebruchow(1979) 우울: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우울: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자아통합감(생활만족,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긍정적 자아상, 삶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한 확신, 지혜, 죽음수용): 김정순(1989) 자아존중감: Rosenberg의 SES를 전병채(1974)가 번안 자아통합감: 홍주연(2000)

Ⅱ. 이론적 배경|31


죽음불안: Templer(1970)의 죽음불안척도를 전영기(2000)가 번안 생활만족: 윤진(1982)

정명선 (2004).

죽음불안 삶의 만족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김유경, 최외선 (2008)

우울 자기표현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관찰

우울: Yesavage & Brink(1983)의 우울검사를 정인과 등(1998)이 표준화, 인물화 검사(DAP) 자기표현: 언어적, 미술적 자기표현 관찰 실시

조태예 (2009)

참여도, 태도

단일집단 관찰

참여도, 태도

이성희 (2011)

무망감 감정변화

실험,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무망감: Beck 등(1974)의 무망감 척도(BHS)를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1990) 번안 감정변화: 감정온도계 그림을 분석 질적평가

4. 스트레스와 생리적 측정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중 하나인 ‘참여자의 스트레스 감소’는 심리적 측정에 의해 평가될 수 있지만, 최근 들어 HRV, 코티졸, 알파아밀라제 등 생리적 측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4.1. 스트레스와 코티졸(Cortisol) 호르몬 사람이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면 땀이 나고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는 등 생리적 변화 가 일어난다. 스트레스 사건과 신체생리학적 반응을 연결하는 많은 연구 결과 스트레스로 인해 감각, 운동, 인지, 정서 기능과 관련한 뇌의 구조가 영향을 받고, 자율신경, 내분비, 면역체계를 포함하는 여러 체계의 활성화가 일어난다(Lopez, Akil, & Watson, 1999; Vazquez, 1998).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뇌의 시상하부는 CRF(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를 분비하게 되 는데, 이 CRF는 뇌하수체를 자극시켜서 ACTH(Adrenocorticotropic hormone)를 촉진시킨다. 이

ACTH가

분비되어

부신피질에

도달하게

되면

glucocorticoid(당질코르티코이드)와

catecholamine(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시킨다. 이러한 체내 호르몬 및 신경 화학 체 계의

활성화는 두 가지의 반응으로

나눠서

설명될

수 있다. 하나는 부신의 중앙에서

catecholamine을 분비하는 교감 부신 수질(Sympathetic-Adrenomedullary, SAM) 체계이고, 다 른

하나는

부신의

바깥쪽에서

glucocorticoid를

분비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Hypothalamic-Pituitary-Adrenocortical, HPA) 체계이다. 즉 외부의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반 응으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catecholamine과 glucocorticoid의 두 가지 형태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둘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이다(Sapolsky, Romero, & Munck, 2000). 그 중 glucocorticoid는 코티졸 호르몬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신피질에서 분비되어 심장박동이나 혈 압상승과 같은 fight-to-flight 반응을 일으킨다(Lupien, Fiocco, Wan, Maheu, Lord, Schrame, 2004). 체내 코티졸 호르몬은 외부의 스트레스 환경에 대해서 신체가 최적의 적응을 할 수 있도록 3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변화를 일으키게 한다. 신진대사와 혈압, 심혈관계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코티졸 호르몬 은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는 신속하게 반응하고 적응하기 위해 당장 생존에 중요하지 않은 다 른 신체 기능을 최소화 시킨다. 즉 코티졸 호르몬은 외부의 위협과 스트레스에 대해 지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지표이나, 이것의 활성화는 내부기관의 건강상 위협을 나타낼 수 있으며(배예 준, 2011), 동전의 양면과 같이 적당히 분비되면 신체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돕지만 과다하 게 분비되면 신경세포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최정윤, 2008). 체내 코티졸 호르몬은 신체 조절 기능의 일부로서 항상 일정하지는 않고 하루 동안 주기적인 패턴을 그린다. 코티졸 호르몬의 분비량은 대체적으로 아침에 최대이고 오후까지 서서히 감소되 며 저녁이나 새벽 무렵에는 갑자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한다(Lupien et al., 2004). 또한 스트레스원이 생기면 코티졸 호르몬의 수준이 10~15분 이내로 상승하고, 스트레스원이 사라진 후 40~50분이 지나면 다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최정윤, 2008). 체내 코티졸 호르몬은 부신피질에서 형성되어 분비된 후 혈액을 통해 각 기관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혈중 코티졸 호르몬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부민 단백질과 결합하게 되지만, 타액에 머 무는 코티졸 호르몬은 알부민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고 자유분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자유분자의 형태로 존재하는 코티졸 호르몬을 free-form이라고 하는데, 이는 분자량이 작아서 쉽게 타액선 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타액을 통해서 체내 코티졸 호르몬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배예준, 2011).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혈중 코티졸 호르몬을 채혈로서 측정하게 된다면 채혈 자체로 인 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개인차 또한 오염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타액 을 통한 체내 타액호르몬분석방법(Salivary hormone analysis; SHA)은 코티졸 호르몬의 채취와 검사가 용이하고 어린 아이나 노인에게도 간단히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기구나 장소를 필요 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부가적인 스트레스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호되 고 있다(Kirchbaum & Hellhammer, 1994). 과거 주로 혈액을 이용하여 체내 코티졸 호르몬을 측정하였으나 최근 들어 타액 코티졸 호르 몬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의 타당성에 대한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혈액과 타액 코티졸 호르몬 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는 많은 연구에서(Harris, Watkins, Cook, Walker, Read, & Riad-Fahmy, 1990; McCraken & Poland, 1989; Woodside, Winter, & Fisman, 1991) 아동 을 대상으로도(Bober, Weller, Weller, Tait, Fristad, & Preskorn, 1988; Gunnar, Hertsgaard, Larson, & Rigatuso, 1992)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타액 내의 코티졸 호르몬은 육체적인 스트레스와 운동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 전거나 달리기와 같은 운동 후에도 증가되며(Hartley, Mason, Hogan, Jones, Kotchen, Mougley, Wherry, Pennington, & Ricketts, 1972; Smallridge, Whortona, Burmana, & Ferguson, 1984), 고통스런 의학적 검사 경험 후에도 증가되었다(Stahl & Dörner, 1982). 또한

Ⅱ. 이론적 배경|33


육체적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반영하기도 한다. Manson(1968)은 200편 이상의 논문을 리뷰한 결과 정신적 영향이 코티졸 호르몬 분비에 영향 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자극원이라고 보았다(안종모, 유지원, 이장근, 이영수, 윤창륙, 조영곤, 2007, 재인용). 대중 앞에서 연설을 하기 전이나(Bassett, Marshall, & Spillane, 1987), 시험 전 (Lovallo, Pincomb, Edwards, Brackett, & Wilson, 1986), 그리고 지속적인 정신작업을 수행하 는 사람들(Bohnen, Nicolson, Sulon, & Jolles, 1991)에게서 타액 내 코티졸 호르몬의 수치가 증가됨이 보고되었다. 국내에서 진행된 여러 연구 결과도 마찬가지로 타액 코티졸 호르몬과 다른 생리적 반응 간에 는 상관이 있었으며(박세권, 김동수, 2007; 이지은, 정민형, 이보연, 김승보, 허주엽, 2007), 자 기보고식 스트레스 점수와도 상관이 있었다(김동수, 정연수, 박세권, 2004). 또한 스트레스 수준 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타액 코티졸 호르몬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존재했고(김은주, 이일선, 이준기, 권용주, 2010; 배예준, 2011; 손병민, 2003; 진정권, 이영에, 이명천, 2007; 최정윤, 2008; 최혜정, 2009), 여러 가지 치료적 중재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타액 코티졸 호르 몬을 활용한 연구도 늘어가고 있다(구진경, 2010; 김영미, 장미경, 김민경, 김진경, 2012; 이윤 희, 2012; 홍란희, 2009).

4.2. 스트레스와 알파아밀라제(α‐amylase) 앞서

설명한

것처럼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ypothalamic-Pituitary-

Adrenocortical, HPA)과 교감 부신 수질(Sympathetic-Adrenomedullary, SAM) 체계를 활성화 시킨다. 교감 부신 수질 체계는 혈중 catecholamine을 증가시키고, 이 혈중 catecholamine은 코 티졸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호르몬이라고 할 수 있다. 혈중 catecholamine 과 타액 성분을 비교해 보았을 때 타액 catecholamine은 혈중 농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지 못하 는 대신 타액 알파아밀라제(sAA)는 이를 잘 반영하는 성분이다. 알파아밀라제는 인간의 주요 소화 효소 중 하나로 교감신경자극에 반응하여 분비가 된다. 그 렇기 때문에 교감신경계의 활성화와 스트레스 간의 밀접한 관계로 인해 알파아밀라제가 스트레 스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알파아밀라제는 타액 코티졸에 비해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즉 각적으로 증가하기에 급성 스트레스 평가에 더욱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우정민, 이상호, 임효 덕, 김상헌, 송경은, 박정란, 이승재, 2008; 이상호, 김상헌, 우정민, 송경은, 정성훈, 장성만, 이 승재, 2008) 많은 실험연구에서 스트레스의 지표로서 알파아밀라제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부정적 정서사진 을 스트레스 자극으로 사용했을 때 알파아밀라제의 수준이 증가했으며(우정민, 이상호, 임효덕, 김상헌, 송경은, 박정란, 이승재, 2008; 이상호, 김상헌, 우정민, 송경은, 정성훈, 장성만, 이승재, 2008),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검사에서도 심리적 스트레스 전후에 알파아밀라제가 상승함이 확인 3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되었다(Natera, Rohlederb, Gaaba, Bergera, Juda, Kirschbaumb, & Ehlert, 2005; Strahler, Mueller, Rosenloecher, Kirschbaum, & Rohleder, 2010). 이처럼 알파아밀라제는 실험적 세팅에서 뿐만 아니라 각막이식 동영상, 필기시험, 스트레스 유발 비디오 게임, 부정적 정서 사진 등 다양한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서도 증가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이상호, 김상헌, 우정민, 송경은, 정성훈, 장성만, 이승재, 2008). Bosch 등(1996)의 연구 에서는 시험 30분 전, 2주 후, 6주 후 측정을 한 결과 시험 전 스트레스 상황에서 알파아밀라 제 수치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Nate & Rohleder, 2009, 재인용). 또한 Chatterton 등(1997)의 연구에서는 스카이다이빙을 하는 사람이 스카이다이빙을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점프 전 알파 아밀라제 수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Nate & Rohleder, 2009, 재인용). 그 외에도 다양한 스 트레스 상황에서 알파아밀라제의 증가가 확인되었는데, 의학적 수술(Yamaguchi et al., 2006a), 혐오적인 음악적 자극(Nater et al., 2006a), 자신의 아이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과제를 하는 것을 보는 엄마(Granger et al., 2006), cold pressor test(West et al., 2006; van Stegeren et al., 2008), 대인관계적 스트레스(Stroud et al., 2006), 운전 자극(Yamaguchi et al., 2006b), 얼 굴/목 제거 수술을 본 의학 수련생들(Yamakage et al., 2007), 산수 과제(Goi et al., 2007), 말 하기 시험(Schoofs et al., 2007), 표준화 검사를 시행하는 영아들(Fortunato et al., 2008), 정서 적 사진(van Stegeren et al., 2008), 또래에게 거절당한 청소년(Stroud et al., 2009) 등이 그 예 이다(Nate & Rohleder, 2009, 재인용).

4.3. 타액 채취방법 및 분석 타액 채취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자극방법으로, Salivette나 Salimetrics Oral Swab 등의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용기에 내장된 목화솜을 어금니로 1분 이상 씹어서 타액을 흡입시킨 후 검체 목화솜을 용기에 다시 넣는 방법을 쓰거나, 한 쪽에 작은 스펀지가 달려 있는 7cm의 막대를 혀 밑에 1분 동안 물어서 스펀지에 타액을 묻힌 후 막대를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둘째는 비자극 방법으로, Cornical tube만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채취 전에 파라필름을 씹게 하여 타액 분비를 촉진시키나, 다른 보조적인 도구 없이 튜브에 직접 타액을 분비하게 하여 검체를 획득한다. 두 방법 모두 주로 2ml정도의 타액을 채 취하게 되고, 채취 이후에는 영하 20도 이하의 냉동고에서 보관한다. 특히 체내 코티졸 호르몬의 경우 그 분비량이 하루 동안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측정 시기도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티졸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아침이나 가장 적 게 분비되는 밤에 측정할 수도 있으며, 시간이라는 변인을 제대로 통제하기 위해 아침, 오후, 저녁 등으로 시간을 나누어서 여러 번 채취하기도 한다. 평균적인 타액내의 코티졸 호르몬 수치 는 오전 7~9시경에 14.32±9.1 nmol/L, 오후 3~5시경에는 4.50±3.5 nmol/L, 오후 8~10시경 에는 1.96±1.7 nmol/L 정도이다(안종모, 유지원, 이장근, 이영수, 윤창륙, 조영곤, 2007). 알파 Ⅱ. 이론적 배경|35


아밀라제의 채취 또한 주로 사전, 스트레스원이 주어지는 중간, 사후 등 여러 번 측정을 하는 데, 그 사이 간격은 90분-135분 후부터 2주-6주 후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렇게 채취된 코티졸 호르몬과 알파아밀라제는 여러 방법으로 분석할 수가 있으나, 그 중에 서도 Salivary 코티졸 enzyme immunoassay kit(EIA kit)를 사용한 분석법이 가장 많이 쓰인다. 먼저 검체를 2500 rpm에서 분간 원심 분리한 후, DSL(Diagnostic system laboratories) 시약을 25 ul enzyme conjugate solution 주입 후 반자동 분주기로100 ul씩 분주하고 5~10초간 우물 모양의 홈을 두드린 후 500~700 rpm에서 5~10분간 차광 상태의 실온에서 섞어주면서 반응시 킨다. 그리고 5~10초간 자연스럽게 흔들어준 후 30분 이내에 용액의 흡광도를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측정하게 된다. 이 외에도 방사선면역분석법(raiommunoassay; RIA)이 신뢰할 만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방사선 활성폐기물 처분 또는 tracer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기도 하다. 또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방법도 유용할 수 있으나 그리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안종모, 유지원, 이장근, 이영수, 윤창륙, 조영곤, 2007).

3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Ⅲ.

연구방법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FGI



.

연구방법

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개발의 절차 및 과정은 크게 7단계로 구분된다(그림 Ⅲ-1). 구체 적으로 구성개념의 탐색을 위해 각 영역별 심층적 문헌고찰과 예술강사의 FGI를 실시하여 효과 성 구성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추출한 예비문항을 구성한 후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 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순으로 분석하였다. 문항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기 위해 SPSS 19.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림 Ⅲ-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구성 과정

1단계

구성개념 도출

2단계

예비문항 개발

3단계

설문조사

4단계

문항 스크린

5단계

탐색적 요인분석

6단계

확인적 요인분석

7단계

최종척도 구성

1.1 1단계 : 구성개념 도출 1단계에서의 주된 작업은 국내외 노인대상 문화예술프로그램의 정책 및 지원현황을 분석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노인대상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구성개념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 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행물, 각종 연구보고서, 학술지 및 연구논문 및 일반 서적, 잡 지, 신문, ERIC자료, Internet 및 Website 검색 등의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이용하여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강사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효과 구성개념을 도출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지표 를 개발하는데 있어 노인이라는 대상 특수성과 노인문화예술교육 참여를 통해 교육제공자와 참 Ⅲ. 연구방법|39


여자로서 축적된 개별적인 경험자료들을 확보하고자 일정기간(최소 6개월) 이상 노인문화예술교 육에 참여하고 있는 강사(6개월 이상)를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예술교육경험을 자료화하였다. 본 FGI에 참여한 노인문화예술강사는 총 7명으로 그 기본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Ⅲ-1> FGI 참여자 구성

구분

지역

예술분야

내용

인원(명)

서울

2

경기

1

인천

2

순천

1

부산

1

무용

2

음악

3

연극

2

합 계

14

강사들의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경험내용은 일차적으로 인터뷰 진행과정에서 참여자 들의 동의와 합의 과정을 거쳐 정리하고, 최종적으로는 내용분석을 통해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프 로그램 효과성은 어떠한 것인지 주제별 효과범주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세부 내용으로 분석하 였다.

1.2 2단계 : 예비 문항개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문항은 각 영역의 구성개념에 대해 기존에 개발된 척도들 을 수집, 종합하여 개발하였다.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용하는 척도이므로 현장의 사정을 고려하여 짧은 시간 안에 측정이 가능하고, 노인들이 쉽게 설문에 응답할 수 있 도록 가능한 한 쉽게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1.3 3단계 : 본 조사 본 조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노인복지기관 프로그램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포와 수거는 2012년 5월 31일부터 6월 15일에 걸

4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쳐 시행하였다. 설문실시에 소요된 시간은 약 25~30분 정도였다. 배포된 설문지 620매 중, 응 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28매를 제외한 총 592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1.4 4단계 : 문항스크린 문항스크린은 두 가지 차원에서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기술 통계치를 통해 아주 심각한 문제 를 보인 문항을 제거하였다. 기술 통계치를 준거로 문항을 제거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기준은 각 문항의 평균이 4.5점 이상인 문항이다. 두 번째 기준은 평균이 2.0점 이하인 문항이다. 또한 각 문항과 전체 척도와의 상관계수가 .3 이하인 문항, 그리고 문항제거시 내적 일치도가 상승하는 문항을 선별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해당되는 문항들은 피검사자들의 개인차 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삭제 후보 문항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위의 기준 가운데 2개 이상 해당되는 문항들은 일차적으로 제거하였으며, 하나의 조건에 해당되는 문항의 경우 연 구자들의 협의를 거쳐 최종 결정하였다.

1.5 5단계 :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스크린을 통해 각 영역 척도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공통요인분석의 한 방법인 주축요인분석법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과 사교 회전 방식인 직접 오블리만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자료에

대한

표본적절성

측정치인

KMO

값(Kaiser-Meyer-

Olkin

Measure, 표본적합도 검증)을 살펴보고 문항을 선별하였다. 또한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성 여부 를 판단하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증(sphericity test)의 유의수준을 확인하여(p<.001) 자료의 상 관이 요인분석의 적절한 수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요인의 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는 고유치 (eigenvalue), 누적설명변량비율, 스크리 검정(scree test), 공통성(communality), 요인적재량 (factor loading) 등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 분석을 위해서는 내적 일관성을 통해 척 도의 신뢰도를 파악하는 크론바하 알파(Cronbach α)를 이용하였다.

1.6 6단계 : 확인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모형의 적합도(goodness-of-fit)를 평가하기 위해서 NFI, TLI, CFI, RMSEA 등의 지수를 살펴보고 적정한 모형을 확정하였으며,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NFI(표준부합치)는 모든 측정 문항이 하나의 요인을 측정하고 있다는 null 모델과 연구자가 설정한 모델 간의 거리를 비율로 계산한 것으로 null 모델에서 연구자가 설정한 모델에 의해 설 명하는 전체 정보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연구자의 모델이 null 모델에 근접하면 NFI는 0에

Ⅲ. 연구방법|41


근접하고 이는 결국 최악의 모델을 의미한다. 최적의 모델은 1에 근접하고 대체로 .90 이상이면 적합하다고 평가한다. TLI(Turker-Lewis index)도 NFI와 같이 증분적합지수로써, .90 이상이면 좋은 적합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CFI(비교부합치)는 자유도에 따른 오차를 감소시켜 그 영 향을 배제하고 모델을 비교하는 지수이다. 일반적으로 .90이상이면 좋은 모델로 평가한다. RMSEA(근사평균 오차제곱근)는 대표적인 절대부합치로서 구조모형이 얼마나 자료와 잘 부합 하는지 파악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05 이하이면 구조모형이 양호(good), .08 이하이면 적합 (fit), .10 이상이면 부적합(bad)으로 간주한다. RMSEA는 모형오류와 간명성을 동시에 평가하 는 적합도 지수로서 모형 오류가 크거나 자유도가 작으면 그 값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변수의 수가 작은 경우에는 모형오류가 작아도 값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임영식 외, 2012).

1.7 7단계 : 최종 척도 구성 모든 논리적, 통계적 분석과정을 완료한 후에 추출된 요인에 대해 요인 명을 정하고 척도를 최종 확정하였다.

2.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기관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표 Ⅲ-2).

<표 Ⅲ-2>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효과성 측정 방법

측정

측정도구

측정요인

측정방법

심리적 측정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자존감, 사회성 등 6개 요인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

생리적 측정

코티졸 알파아밀라제

스트레스

코티졸 4회측정 알파아밀라제 2회측정

심층인터뷰

반구조화된 질문지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효과 등

심층인터뷰

4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1 심리적 측정 2.1.1 대상 및 자료수집 심리적 측정의 사전조사는 2012년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프로 그램이 종료되는 2012년 11월 15일부터 11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사전조사에 참여하지 않고 중간에 교육에 투입되었거나, 개인의 사정으로 프로그램을 중단한 경우는 분석과정에서 제외하 였다. 최종 실험집단 184명, 통제집단 93명, 총 277명이 분석대상이었다.

<표 Ⅲ-3>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분야 집단구분

계 무용

연극

음악

미술

사진

실험집단

37

71

35

25

16

184

통제집단

11

38

5

23

16

93

48

109

40

48

32

277

2.1.2 연구 설계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노인복지관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노인과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노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운영 전 사전조사와 프 로그램 운영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증명해보고자 하였다. 사전, 사후 효과 성 검증은 사전조사가 프로그램 시작 전에 측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본 척도가 개발되기 전에 이미 프로그램이 시작된 곳이 대부분이어서 1차 측정이 실시된 시점은 프로그램 시작 전이 아 닌 프로그램이 시작된 후 1~2개월 경과된 시점이었다. 이러한 조건은 거의 대부분의 시설에서 동일하였다. 조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동일 시점에 각각 실시하였으며, 2차 측정은 프로그램 종료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며, 통제집 단은 해당 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방법|43


<표 Ⅲ-4> 심리적 측정의 연구 설계

집 단

1차 검사

실험처치

2차 검사

실험집단

O1

O

O2

통제집단

O1

X

O2

O: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X: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미참여

2.1.3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기본정보 관련 1개 영역 10문항, 효과성 측정 6개 영역 43문 항, 만족도 영역 6문항, 총 53문항이다. 측정문항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관련 문항이다. 개인정보에 관한 문항은 총 10개 문항으로 성별, 연령, 동거가 족, 교육수준, 직업유무, 경제수준, 주수입원, 한달 용돈, 종교, 문화예술교육 경험 등이다. 둘째, 효과성 측정 문항이다. 자아존중감 영역 5문항, 도전정신 영역 4문항, 건강관리 영역 3 문항, 사회성 영역 9문항, 즐거움 영역 8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영역 8문항 총 37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1점에서 5점의 점수로 구 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 하위 구성요인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영역 태도나 능력이 높으며, 반대로 점수가 낮을수록 해당 영역의 태도나 능력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 영역 문항이다. 임영식 등(2009)이 개발한 문항을 참고로 프로 그램 담당 선생님 만족도, 수업 내용 만족도, 수업 강의실 및 공간의 만족도 각 1문항씩, 전반 적 만족도 3문항,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표 Ⅲ-5> 효과성 측정도구 문항구성

문항

P 1~10

영역

세부 구분

문항수

개인 변수 영역 1

P1 성별 P2 생년월일 P3 동거가족 P4 교육수준 P5 직업유무 P6 경제수준 P7 주 수입원 P8 한 달 용돈 P9 종교 P10 문화예술교육 참여경험

10

4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항

영역

세부 구분

문항수

A 1~10

자아존중감

5

A 11~21

도전정신 영역

4

A 22~28

건강관리 영역

3

B 1~15

사회성 영역

9

C 1~8

즐거움 영역

8

C 9~16

문화예술 영역

8

교육내용, 강사, 시설환경 등

6

효과성 영역

E 1~7

만족도 영역

3개 영역

53

2.1.4 분석 첫째, 참여자들의 기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측정치로 동질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측정치를 공변인으로 통제하고 사후측정치의 차이를 공분산 분석(ANCOVA)하였다.

2.2 생리적 측정 2.2.1 대상 및 자료수집 생리적 측정은 2012년 10월 26일부터 12월 8일에 걸쳐 시행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 고 있는 시설 가운데 노인복지기관 2개소를 한국노인복지관협회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협의하여 선정하였다. 생리적 측정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 기관을 대상으로 한국노인복지관협회의 협조로 각 노인복지관 실무자의 추천을 받아 1차적으로 기관을 선정하고, 추천된 기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들을 대상 으로 본 연구의 동의를 한 피험자만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에는 참여하더라도 본 생리적 측정 에 동의하지 않은 분들은 제외시켰으며 참여자들에게는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통제 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아닌 다른 교육을 받고 있는 어르신 가운데 본 연구 참가를 동의한 경우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도 연구참여 동의서를 작성하

Ⅲ. 연구방법|45


도록 하였다. 또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임상시험 심사위원회) 연구윤리 승인을 득 했다(승인번호: 12-0043) 생리적 측정의 참여인원은 A 노인복지관 19명, B 노인복지관 31명으로 총 50명이었다.

<표 Ⅲ-6>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코티졸

알파 아밀라제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A

5

5

10

B

9

5

14

소계

14

10

24

A

6

3

9

B

12

5

17

소계

18

8

26

24명

26명

2.2.2 연구 설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생리적 측정을 통해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진행 기간 동안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를 정기적인 간격을 두고 측정을 실시하였다. 동일 시설에 속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측정은 동일한 날에 진행되었으며, 코티 졸의 1차에서 4차까지의 측정 시간도 시설별로 유사한 시간대를 유지하였다.

<표 Ⅲ-7> 생리적 측정의 연구설계

집 단

1차 측정

실험처치

2차 측정

실험집단

O1

O

O2

통제집단

O1

X

O2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X: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미참여

4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2.3 측정도구 생리적 측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타액의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를 추출하였다. 타액 코티졸 측정은 하루에 총 4회 측정하게 되는데, 아침 7:00시(기상 시), 아침 8:30(기상 1시간정 도 후), 오후 5:30(이른 저녁), 밤 10:30(취침 전)에 측정하였다. 알파아밀라제는 하루 총 3회 측정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 프로그램 종료 이후,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종료 15분 후에 측정하였다.

<표 Ⅲ-8> 타액 측정 시간

코티졸

알파아밀라제

1차

2차

3차

4차

1차

2차

3차

아침 7:00 (기상 시)

아침 8:30 (기상 1시간 후)

오후 5:30 (이른 저녁)

밤 10:30 (취침 전)

프로그램 시작 전

프로그램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료 15분 후

타액 추출시 기상 후 양치질을 하기 전에 첫 타액 샘플을 채취하고, 밤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에 취침하도록 권유하였다. 타액 활성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타액 채취 1시간 전에는 먹거나 마시지 않도록 하였으며, 타액 분비 촉진을 위해 타액 채취 시 파라필름을 씹은 후 타액을 채취 하였다. 튜브에 약 2㎖ 정도의 타액을 채취하도록 하였으며(적어도 1㎖), 채취한 타액은 냉동 보관하고, 수거된 이후에는 드라이아이스가 담긴 아이스박스에 옮겨와 곧바로 –80도의 냉동보 관하였다. 코티졸 측정은 어르신들이 연구자와 만나지 못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경우가 있어 연 구자들이 측정 전날과 측정 시간에 맞춰 전화로 통보하여 정해진 시간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 였다. 모든 참여자에게는 측정 후 스트레스 지수 변화 분석 개별리포트를 제공하였고, 모든 측 정의 참여자에게 개별 타액 측정결과 리포트와 1인 1만원 상당의 선물(홍삼캔디)을 제공하였다.

2.2.4 분석 채취된 타액은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에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 샘플 분석을 의뢰하여3) 분 석하였다.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3)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는 전문적 기술이 요구되는 분석이므로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 홍연표 교수팀에 의뢰 하여 분석이 실시됨 Ⅲ. 연구방법|47


2.2.4.1 코티졸 - 샘플은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사용 - well에 standard, control, unknown을 25㎕씩 주입한다. (control과 NSB에는 assay diluent를 넣는다/ cortisol standard : 3, 1, 0.333, 0.111, 0.037, 0.012㎍/dL, cortisol controls : 고농도, 저농도) - assay diluent 24ml에 enzyme conjugated 15㎕를 넣어 1600배 희석한다. - 만든 즉시 mix시키고 200㎕씩 well에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에서 5분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55분 동안 실온에 방치한다. - 1X wash buffer(10X wash buffer를 DW로 10배 희석하여 사용) 300㎕로 네 번씩 씻어 줌. - 각 well에 TMB 200㎕를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로 5분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25분동안 상온 암실에서 방치한다. - 각 well에 stop solution 50㎕를 분주한다. - plate를 rotator로 3분동안 500rpm으로 mix해준 후 10분 이내에 450nm에서 abs를 측정한 다.

2.2.4.2 알파아밀라제 - Sample을 diluent로 희석한다. ① sample 10 ul + diluents 90 ul

×10배

② ①10 ul + diluents 90 ul

×100배

③ ①10 ul + diluents 190 ul

×200배 – final dilution

①의 나머지는 다른 마지막 희석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보관한다. ① 10 ul + diluents 390 ul

×400배

- sample: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사용한다. - 제공된 물통에 substrate를 넣고 incubator를 사용하여 37˚C로 가열함(thoroughly mixed and warmed) 최소 20분간 방치한다. - 정확한 타이밍을 위해 실험은 한번에 한줄씩 실행한다. - 각각의 well에 control 또는 sample 8ul을 분주한다(버블 안 생기도록 주의). - 각각의 well에 37˚C substrate 320ul을 분주한다(팁은 한줄씩 사용, 측정 시 버블이 생겼 을 경우 다시 시작). - Timer를 즉시 시작하고 37˚C에서 500RPM으로 mix한다. - 정확히 1분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시 37˚C에서 500RPM으로 mix한다. - 정확히 2분 후 흡광도 측정한다.

4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Stop solution을 주입한 후 10분 안에 Microtiter reader를 이용하여 405±10 nm에서 흡 광도 측정한다. - 아래 수식 대로 계산한다.

2.2.4.3 통계분석 첫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타액 측정에 참여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이 동질 한 집단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측정치의 독립표본 검증을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의 표본의 수가 작기 때문에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 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측정치 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방 법 가운데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가 사용되었다.

2.3 FGI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집중적인 토론을 촉진하고 주제를 깊이 있게 탐색하기 위해, 관련 경험 과 지식을 지닌 사람들로 소규모 집단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일종의 질적 조사이다. 이 때 참여 자들이 집중하여 초점화된 토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주제를 명확히 하고, 연구자는 연구의 자료 원이 되는 참여자들의 진술, 토론내용 등을 분석함으로써 그 의미를 밝혀내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Sheafor & Horejsi,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어 노인의 대상 특수성과 노인문화예술교육 참여를 통해 교육제공자와 참여자에게 축적된 개별적인 경험 자료들을 확보하고자 최소한 일정기간 이상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강사(6개월 이 상)와 노인(3개월 이상)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예술교육경험을 자료화하였다.

Ⅲ. 연구방법|49


2.3.1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를 통해 참여기 관 및 개인의 동의를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이에 경험자료의 충분성을 확보하고자 적용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자 선정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뷰 현재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하고 있으면서 3개월 이상 참여해 온 남녀노인 둘째, 인터뷰에서 요구하는 질문에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인지 및 언 어 전달 능력 조건을 충족한 노인으로 각 기관에서 추천받은 노인 셋째, 인터뷰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노인

<표 Ⅲ-9> FGI 조사 대상

참여자유형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참여자 구분

참여인원

비고

도시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8명

농촌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6명

- 3개월 이상 문화예술교육 참여 -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충분히 전달 할 수 있는 인지, 언어전달능력 - 자발적 인터뷰 참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참여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노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의 경우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을 구분하여 각각 120분 동안 진행하였다. 참여노인들의 인터뷰 집중을 위해 외부 인력의 참여는 최소화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연령 및 건강상태를 고려해 중간에 잠시 쉬는 시간 등을 포함하였다. 참여자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진행과정, 그리고 인터뷰 내용의 활용범위와 개인정보제공 에 대한 비밀보장 등에 대한 원칙을 설명하였으며 모든 인터뷰 과정에서 드러나는 참여자들의 경험을 최대한 확보하고 기록하고자 녹음 혹은 녹화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의 윤리적 엄격성을 확보하고자 연구자는 인터뷰 시작시점에서 모든 참여자들을 대상 으로 녹음과 녹화에 대한 동의여부를 일차적으로 구두상 확인하여 녹음하였고, 서면으로 동의 서4)를 작성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연구참여와 기록에 대한 동의근거를 확보하였다.

4) <부록> 참조 5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3.2 인터뷰 내용 주요 인터뷰 내용은 노인복지기관을 이용하는 도시, 농촌 지역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효과를 주제로 실시하였으며 인터뷰는 연구자가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을 구성하여 연 구참여자들이 자유로이 자신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질적 분석에서 요구하는 자료의 충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인터뷰에 사용된 반구조화된 질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노인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은 본인에게 어떤 도움/영향/변화를 주었나? 둘째,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과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셋째, 자신의 인생에서 문화예술교육참여는 어떤 의미였는가?

2.3.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FGI를 활용한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일차적으로 인터뷰 참여자 가 각자 체험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경험과정과 변화를 자유로이 제시하고, 개인적으로 제시된 구두보고(oral-reports)적 내용들의 의미와 효과 내용을 구조화함으로써 노인 문화예술교 육 운영과정상의 다양한 경험과 현상을 탐색하였다. FGI에서 진술된 모든 내용은 녹음 혹은 녹화하고 내용 그대로 텍스트화하여 질적 자료원의 현장성을 높이고 진술내용의 왜곡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분석내용의 신뢰성을 위해 연구자는 인터뷰 과정에서 각각의 인터뷰 주제에 대한 참여자들의 진술내용을 요약하고 확인함으로써 참 여자들로부터 인터뷰에서 진술된 내용이 충분히 연구자들에게 전달된 것인지 점검하였으며, 인 터뷰 종료시점에서는 참여자들의 주요 진술내용을 칠판에 정리, 그 진술내용구조를 시각화하고 참여자들로부터 재점검함으로써 질적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그림 Ⅲ-2 > 인터뷰 진행 및 분석과정 흐름도

Ⅲ. 연구방법|51


이러한 탐색과정에서 드러난 노인참여자들의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양적 경험내용은 일차적으로 인터뷰 진행과정에서 참여자들의 동의와 합의 과정을 거쳐 정리하고, 최종적으로는 내용분석을 통해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어떠한 것인지 주제별 효과범주를 도출 하여 이에 대한 세부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인터뷰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에 관한 제언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프 로그램 참여 노인 및 예술강사, 노인관련 전문가들의 자문회의 그리고 집단/개별 인터뷰를 실시 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의 참가자들은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혹은 유관분야의 경험자들 중에서 선별되었다. 자료수집은 면대면 인터뷰, 난상 토론 그리고 이메일 인터뷰 등 다양한 정보 수집 방법이 시도되었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인터뷰 내용은 녹취5)되었다.

3.1 조사 대상 - 노인 - 예술강사 - 노인 관련 전문가(교수 및 연구원, 현장 실무자, 정책전달추진체계)

<표 Ⅲ-10>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인터뷰

. 인터뷰 참가자 경력

노인 관련 전문가

인원

성별

노인

노인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14

남여

예술강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속 노인문화예술강사

8

여성

교수 및 연구원

문화관광부 산하기관 문화관광부 산하기관 대학교

A B C

여성 남성 여성

현장실무자

연극전문가 노인복지관

D E

남성 남성

정책전달 추진체제

노인종합복지관협회 문화관광부 산하기관 문화관광부 산하기관

F G H

남성 남성 여성

5) 이메일 인터뷰를 제외 한, 면대면 인터뷰와 난상 토론의 내용은 참가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다. 5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2 조사내용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에 대한 인터뷰의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질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난항들 및 대응방안, 향후 정책의 발전 방향

3.3 분석방법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는데, 내용분석은 메시지로서 표현되는 특정 심벌, 명제, 인물 등을 분석단위로 하고 그들에 대한 출현빈도의 계산, 출현공간의 계측 및 평가 등 미리 설정한 카테고리와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이다. 내용분석의 용도는 메시지 내용 자체의 구조분석을 비롯하여 메시지 제공자의 분석·메시지 수신자의 심리 분석 등 다양하다. 또 한 독립적인 질적연구나 조사연구의 기초단계에서 아이디어나 가설 혹은 최종조사를 하기 이전 에 이론들을 검증하거나 예비연구 단계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William et al., 1982).

지금까지 논의한 연구방법을 연구내용에 따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Ⅲ-11> 연구목적,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연구목적

노인대상 문 화예 술 교육 지원사업의 효과 측정 기준 정립

기존 노인 문 화예 술 교육 사업의 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연구내용

연구방법

국내 및 주요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관련 동향 분석

연구주제 관련 인터넷 및 통계자료,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정책 자료 분석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모형 개발

관련 자료 및 프로그램 수집․분석 연구진 회의 측정 방법 및 측정도구에 관한 자문회의 실시 예술강사 FGI(표적집단면접) 문항 개발 및 윤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조사 실시 관련문항 타당성 평가 양적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Frequency, Descriptives, Crosstabs, Compare Means, Factor Analysis 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및 분석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활용한 효과성 측정 생리적 측정(코티졸, 알파아밀라제) 집단 심층인터뷰 현장실사를 통한 사례조사 및 분석 연구결과 내용에 대해 자문회의 개최, 내용검토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제고 및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제시

전문가, 노인, 예술강사 인터뷰 연구진 및 실무자 간담회 및 워크숍 전문가협의회 평가세미나

5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Ⅳ. 연구결과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3.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Ⅳ. 연구결과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 구성 1.1 구성요인 도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 관련 연구와 문 헌에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주요요소 도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 현장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구 성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표 Ⅳ-1>과 같다.

<표 Ⅳ-1> 구성요인 추출안

구분

문화 예술 향유

사회공 동체성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 원사업목표

주요 문헌

프로그램 분석

FGI

삶의 즐거움 향유

자존감 자신감 배양

표현력

심신 건강

인지

성취 도전

∨ ∨

정서적 안정

구성요인 추출안을 가지고 연구진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조율을 통해 최종적으로 자 아관련, 사회성, 도전정신, 건강관련, 문화예술관련, 즐거움 요소를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확정하 였다.

1.2 예비문항 구성 즐거움 영역은 Watson과 Tellegen(1988)의 정적 및 부적정서 척도(PANAS) 등을 참고하여 구성하였고, 사회성, 문화예술선호성은 임영식 등(2012)이 개발한 문화예술효과성 척도를 참고 로 하여 구성하였다. 자존감 척도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도전 Ⅳ. 연구결과|57


정신은 Peterson과 Seligman(2004)의 VIA 강점척도(VIA-IS: Val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의 24개 성격적 강점 중 용감성, 활력, 끈기 3개의 강점을 측정하는 도구를 선택하였 으며, McClelland(1953)과 Herman(1970)의 검사도구를 번안․수정한 유창렬(1985)의 성취동기 를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리는 보편적인 건강여부를 묻는 질문으로 연구자들이 구성 하였다. 예비문항은 <표>와 같이 자아존중감 10개 문항, 도전정신 11개 문항, 건강관리 3개 문항, 사 회성 15개 문항, 즐거움과 문화예술 선호성 문항이 각각 8개 문항으로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표 Ⅳ-2> 예비문항

구분

문항

문항수

자아존중감

A 1~10

10

도전정신

A 11~21

11

건강관리

A 22~28

3

사회성

B 1~15

15

즐거움 영역

C 1~8

8

문화예술 영역

C 9~16

8

55

1.3 문항분석 1.1.1 문항 스크린 구성된 예비문항 55개 문항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스크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를 보면서 문항 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1차 문항 삭제의 절차로 문항 평균값과 문항간 상관 값, 문항이 삭제되었을 때의 신뢰도 계수 등을 확인하였다. 문항 스크린을 통해 제거된 문항은 먼저 평균이 4.25이상이 되는 문항 도전 18, 사회성 12, 15, 8, 14번이고, 문항이 삭제되었을 때 신뢰도가 상승한 문항은 자존감 8번이 해당되어 문항을 제거하였다.

5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Ⅳ-3> 문항의 기술통계 및 항목 삭제시 신뢰도

구분 자아존중감A1 자아존중감2 자아존중감3 자아존중감4 자아존중감5 자아존중감6 자아존중감7 자아존중감8 자아존중감9 자아존중감10 도전정신11 도전정신12 도전정신13 도전정신14 도전정신15 도전정신16 도전정신17 도전정신18 도전정신19 도전정신20 도전정신21 건강관리22 건강관리23 건강관리24 사회성B1 사회성2 사회성3 사회성4 사회성5 사회성6 사회성7 사회성8 사회성9 사회성10 사회성11 사회성12 사회성13 사회성14 사회성15 즐거움C1 즐거움2 즐거움3 즐거움4 즐거움5

평균

표준편차

3.83 3.74 3.67 3.59 3.06 3.95 3.83 2.30 3.63 3.60 4.11 3.99 4.11 4.07 3.89 3.62 4.23 4.28 4.19 4.10 3.76 3.65 3.67 3.74 4.09 4.09 3.87 4.21 4.19 4.13 4.13 4.30 4.05 4.00 4.16 4.26 3.99 4.24 4.25 3.93 3.82 3.85 3.88 3.86

.948 .876 1.062 1.024 .954 .920 .926 .917 1.169 1.021 .908 1.013 .940 .898 .946 .988 .868 .814 .883 .922 .979 1.053 1.043 1.026 .792 .823 .869 .798 .795 .791 .776 .786 .845 .842 .835 .805 .839 .844 .810 .955 .966 .991 .937 .926

수정된 항목-전체 상관관계 .575 .522 .269 .369 .109 .584 .543 -.377 .279 .317 .629 .551 .588 .641 .566 .359 .658 .662 .688 .690 .585 .531 .560 .496 .615 .648 .539 .675 .653 .637 .628 .638 .599 .593 .651 .702 .613 .719 .669 .666 .683 .648 .681 .678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 알파 .964 .964 .965 .964 .965 .964 .964 .967 .965 .965 .963 .964 .964 .963 .964 .964 .963 .963 .963 .963 .964 .964 .964 .964 .964 .963 .964 .963 .963 .963 .963 .963 .964 .964 .963 .963 .963 .963 .963 .963 .963 .963 .963 .963

Ⅳ. 연구결과|59


즐거움6 즐거움7 즐거움8 문화예술9 문화예술10 문화예술11 문화예술12 문화예술13 문화예술14 문화예술15 문화예술16

3.95 3.82 3.79 3.92 3.89 4.08 4.05 4.04 3.96 3.91 4.08

.906 .950 .997 1.027 1.038 .957 .995 .997 .952 .975 1.014

.685 .657 .634 .591 .627 .645 .639 .662 .658 .678 .653

.963 .963 .963 .964 .963 .963 .963 .963 .963 .963 .963

제거된 문항

1.1.2.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스크린을 통해 선정된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요인구조에 대한 상관 이나 개념적인 중복을 고려하여 요인 수를 미리 지정하지 않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회전 방식은 사교 회전 방식인 직접 오블리만 방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변수들의 고유치를 1.0 이상으로 지정하여 스크리 검사를 실시한 결과 [그림 Ⅳ-1]과 같이 7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1> 스크리도표

6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보면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2차 문항 삭제를 실시하였다. ① 요인 부하량이 .15 이하인 문항 제거, ②요인부하량이 .30 이하이면서 2개의 요인의 적재치 차 이가 .10 이하인 문항 제거, ③2개 이상의 요인에 .50 이상으로 혼재되어 있는 문항을 제거하였 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도전, 16, 20, 사회성 5, 6, 도전 21번이 제거되어, 총 42개 문항이 남 게 되었다. 문항을 삭제한 후 요인구조의 이동이 있는 더 이상의 문항이 없었기 때문에 최종 요인구조로 확정하였다. KMO(Kaiser-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표본적합도 검증)는 .939이었고, Bartlett의 구형성 검증 결과(p<.001)도 요인분석을 하기에 적절한 표본 행렬로 이 루어져 있었다.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는 총 7개 요인 42개의 문항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선 정된 7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67.85%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4>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문항

요인 1

요인 2

요인 3

요인 4

요인 5

요인 6

요인 7

즐거움4

.887

-.396

.335

.164

.322

.473

.371

즐거움3

.881

-.359

.299

.152

.339

.463

.295

즐거움2

.879

-.451

.318

.165

.327

.444

.325

즐거움5

.846

-.390

.321

.155

.389

.436

.346

즐거움7

.846

-.366

.285

.195

.353

.434

.392

즐거움8

.844

-.374

.267

.147

.321

.444

.284

즐거움6

.844

-.389

.352

.212

.300

.473

.392

즐거움C1

.841

-.416

.327

.172

.339

.437

.355

문화예술13

.390

-.926

.301

.149

.187

.400

.219

문화예술12

.385

-.902

.294

.176

.160

.360

.248

문화예술10

.423

-.888

.261

.156

.215

.330

.275

문화예술16

.321

-.885

.327

.126

.257

.424

.194

문화예술11

.395

-.882

.302

.150

.190

.387

.251

문화예술14

.384

-.876

.311

.122

.247

.428

.205

문화예술15

.426

-.856

.312

.126

.242

.442

.209

문화예술9

.405

-.838

.268

.196

.160

.298

.238

도전정신13

.297

-.280

.881

.187

.218

.448

.295

도전정신14

.371

-.302

.874

.198

.255

.509

.321

도전정신12

.336

-.281

.844

.122

.169

.403

.265

도전정신11

.383

-.387

.729

.173

.267

.408

.468

Ⅳ. 연구결과|61


도전정신15

.264

-.412

.559

.044

.391

.371

.248

자아존중감9

.179

-.124

.139

.796

.079

.127

.189

자아존중감10

.220

-.173

.166

.772

.109

.225

.207

자아존중감3

.205

-.137

.289

.723

.071

.084

.103

자아존중감5

.051

-.134

-.012

.579

.086

-.065

.134

건강관리23

.449

-.275

.265

.136

.927

.375

.348

건강관리22

.467

-.270

.220

.123

.893

.340

.319

건강관리24

.396

-.217

.311

.150

.848

.308

.273

사회성2

.415

-.350

.394

.148

.239

.787

.391

사회성7

.354

-.412

.480

.028

.190

.776

.167

사회성10

.454

-.284

.329

.002

.262

.762

.272

사회성4

.428

-.383

.465

.197

.240

.738

.316

사회성9

.355

-.397

.324

.042

.256

.733

.174

사회성B1

.417

-.339

.345

.203

.185

.733

.369

사회성3

.389

-.266

.305

.059

.289

.719

.271

사회성11

.446

-.357

.507

.023

.337

.713

.254

사회성13

.460

-.396

.404

.058

.227

.663

.261

자아존중감2

.397

-.249

.300

.185

.214

.396

.785

자아존중감6

.423

-.307

.388

.195

.189

.374

.739

자아존중감A1

.495

-.318

.300

.265

.218

.392

.720

자아존중감4

.162

-.224

.247

.069

.447

.210

.687

자아존중감7

.466

-.242

.396

.213

.336

.336

.677

고유치

15.400

3.667

2.663

2.192

1.762

1.465

1.347

설명변량(%)

36.666

8.732

6.340

5.220

4.195

3.487

3.208

누적변량(%)

36.666

45.398

51.739

56.958

61.153

64.641

67.849

1.4 확인적 요인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40개 문항을 6요인 구조로 확정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를 검토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구조 모형이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표 Ⅳ-5>에서와 같이 NFI(표준부합치), CFI(비교부합치) 등의 지수는 .912 이상으로 실제 자료가 가설 모형에 적합함 을 보여준다. 또한 RMSEA도 .08 수준으로 근사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6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그림 Ⅳ-2>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표 Ⅳ-5> 모형의 x²와 적합도 지수들

df

p

RFI

TLI

IFI

PNFI

NFI

CFI

RMSEA

85.347

9

.000

.987

.989

.994

.497

.993

.994

.080

1.5 최종 척도 구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즐거움’ 8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8문항, ‘사회성’ 9문항, ‘부정적 자아존중감’ 4문항, ‘건강관리’ 3문항,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 항, ‘도전정신’ 5문항의 7요인 4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의 내용은 <표 Ⅳ-6>와 같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하위요인에 대한 개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즐거움’ 은 기쁨, 좋아함, 재미와 같은 즐거운 느낌이나 마음, 기분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성’은 사회적 요구와 상황에 적응하고 대응하는 능력으로써 타인을 배려하고, 공 감하며, 협력과 조망을 잘 하는 경향이나 능력이다. ‘문화예술 선호성’은 문화예술에 관심을 가 지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문화예술활동에 참여하고 감상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을 말하며, ‘자아존 중감’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인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자아 존중감은 어떤 사실이나 생각에 대하여 그렇다고 인정하며 스스로에게 긍지를 가지게 하는 마 음이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어떤 사실이나 생각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않

Ⅳ. 연구결과|63


다고 스스로를 부정하는 마음을 말한다. ‘자기조절력’은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 및 행동을 잘 통 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도전정신’은 여러 가지 난관과 좌절에도 불구하고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자발적으로 지속하는 능력을 말한다.

<표 Ⅳ-6>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하위요인

즐거움 영역

문화예술선호성

도전정신

자아존중감

건강관리

사회성 영역

문항수

8

8

5

4

3

9

문항번호

문 항

즐거움4

최근 들어 나는 기분이 좋다.

즐거움3

요즘 나는 기쁘다.

즐거움2

나는 요즘 흥겹다.

즐거움5

나는 최근 들어 활력 있다.

즐거움7

나는 요즘 흡족함을 느낀다.

즐거움8

나는 요즘 신이 난다.

즐거움6

나는 행복한 편이다.

즐거움1

나는 최근 들어 즐겁다.

문화예술13

나는 문화예술을 사랑한다.

문화예술12

나는 문화예술교육이나 활동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

문화예술10

나에게 문화예술은 중요하다.

문화예술16

문화예술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이 알고 싶다.

문화예술11

나는 문화예술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화예술14

나는 문화예술을 감상하거나 활동하면서 깊은 감동을 느낀다.

문화예술15

문화예술을 하는 나의 모습을 보면 뿌듯하다.

문화예술9

나는 문화예술에 대해 관심이 있다.

도전정신13

나는 중간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친다.

도전정신14

나는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한다.

도전정신12

나는 일이 마무리되기 전에 그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도전정신11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한다.

도전정신15

나는 내가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일을 해보고 싶다.

자아존중감9

나는 가끔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자아존중감10

나는 별로 좋은 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자아존중감3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쉽게 갖는다.

자아존중감5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건강관리23

동료들과 비교해서 나는 건강하다.

건강관리22

나는 건강하다.

건강관리24

최근 몇 개월동안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회성2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잘 이해한다.

사회성7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6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하위요인

문항수

문항번호

문 항 입장도 생각해 본다.

자아존중감

5

사회성10

다른 사람이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대체로 도와준다.

사회성4

나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회성9

나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 자주 감동하는 편이다.

사회성1

나는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한다.

사회성3

나는 어려움에 빠져 있는 동료를 보면 도와준다.

사회성11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일(활동) 하는 것을 좋아한다.

사회성13

내 생각이 다른 사람과 다를 때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

자아존중감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

자아존중감6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자아존중감1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자아존중감4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7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42

최종 문항 간 내적 일치도 계수는 <표 Ⅳ-7>과 같이 ‘즐거움’ .949, ‘문화예술 선호성’ .956, ‘사회성’ .900, ‘부정적 자아존중감’ .709, ‘건강관리’ .906, ‘긍정적 자아존중감’ .789, ‘도전정신’ .860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53으로 분석되었다.

<표 Ⅳ-7>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최종 문항 간 내적 일치도 계수

요인

즐거움

문화예술 선호성

도전

부정 자존

건강 관리

사회성

긍정 자존

전체

Cronbach's α

.949

.956

.860

.709

.906

.900

.789

.953

Ⅳ. 연구결과|65


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측정 1.1 심리적 측정 심리적 측정에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참여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발한 척도의 사후 점수에 대한 차이검증을 하였다. 집단 간 사후 점수의 차이가 문화예술교육의 실시 여부에 따른 차이인지를 보다 엄밀히 검증하기 위해 사전에 실시한 검사의 영향을 통제하고 두 집단 사후검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 사후 문화예술효과 성 척도 점수의 기술통계치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1.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의 심리적 측정 참여자는 1, 2차 심리적 측정에 참여한 사람들로써, 실험집단 184명, 통제집단 93명, 총 277명이었다. <표 Ⅳ-8>에 문화예술 분야에 따른 실험/통 제 집단의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

<표 Ⅳ-8> 심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분야 집단구분

무용

연극

음악

미술

사진

실험집단

37

71

35

25

16

184

통제집단

11

38

5

23

16

93

48

109

40

48

32

277

연구대상자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및 중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초등학교 중퇴 및 졸업과 중학교 중퇴 및 졸업이 유사하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은 조사대상자 어르신 80% 정도가 직업이 없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보통'이 가장 많고, ‘비교적 좋은’과 ‘비교적 나쁨’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경제 수입원은 자녀의 의존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퇴직금 및 연금보험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불교의 비율이 높고, 그 다음으로 기독교, 천주교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을 받거나 접해 본 경험을 살펴보면, ‘전혀 없다’와 ‘거의 없었다’의 비율이 실험

6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집단은 28.4%, 통제집단은 65.0%로 통제집단이 문화예술교육을 접해본 경험이 훨씬 적었다.

<표 Ⅳ-9>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변수

세부항목

실험집단/ 인원(%)

통제집단/ 인원(%)

8(4.4)

9(9.7)

초등학교 중퇴 및 졸업

36(20.0)

22(23.7)

중학교 중퇴 및 졸업

40(22.2)

18(19.4)

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

52(28.3)

23(24.7)

대졸

42(23.3)

16(17.2)

2(1.1)

5(5.4)

있음

25(14.0)

16(17.6)

없음

153(86.0)

75(82.4)

무학

학력

대학원 이상 직업

나쁨 가정의 경제적 수준

8(4.4)

7(7.5)

비교적 나쁨

21(11.4)

7(7.5)

보통

118(64.1)

59(63.4)

비교적 좋음

29(15.8)

17(18.3)

8(4.3)

3(3.2)

12(7.0)

4(4.5)

43(25.0)

36(40.4))

15(8.7)

9(10.1)

부동산, 집세

33(19.2)

6(6.7)

본인/배우자의 퇴직금, 보험 (연금)

45(26.2)

25(28.1)

기타 국가보조수당

24(14.0)

9(10.1)

기독교

49(27.1)

20(22.0)

천주교

36(29.6)

17(18.7)

불교

58(31.5)

29(31.9)

기타

5(2.7)

5(5.5)

없음

33(17.9)

20(22.0)

전혀 없다

29(16.5)

44(50.6)

거의 없었다

21(11.9)

13(14.4)

보통

19(10.8)

6(6.9)

약간 있었다

60(34.1)

17(19.5)

자주 있었다

47(26.7)

7(8.0)

좋음 본인/배우자의 직업 자녀의 지원 예금, 적금 주수입원

종교

문화교육경험정도

조사대상자들의 즐거움, 문화예술 선호성, 도전정신, 부정적 자존감, 건강관리, 사회성, 긍정적 Ⅳ. 연구결과|67


자존감의 사전 측정치를 확인한 결과, 긍정적 자존감, 도전정신, 사회성을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 하위요인별 사전 측정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부정적 자존감, 건강관리, 즐거움, 문화예술선호성에서 두 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을 알 수 있다.

<표 Ⅳ-10> 효과성 하위영역별 사전 측정치와 집단 동질성 검증

사전 요인

사전문화예술 교육효과성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실험집단

184

3.938

.502

통제집단

93

3.709

.493

실험집단

183

3.897

0.791

통제집단

93

3.710

0.706

실험집단

183

4.298

0.651

통제집단

92

3.707

0.827

실험집단

181

4.072

0.671

통제집단

92

3.957

0.712

실험집단

174

2.545

.812

통제집단

92

2.684

.798

실험집단

176

3.679

.91340

통제집단

90

3.481

0.956

실험집단

182

4.163

0.564

통제집단

92

3.931

0.633

실험집단

182

3.456

0.928

통제집단

92

3.643

0.725

사전즐거움

사전문화예술

사전도전정신

사전부정자존감

사전건강관리

사전사회성

긍정사전자존감

t

유의수준(p)

3.604

.000

1.987

.051

1.448

.149

2.182

.030

.963

.336

1.704

.090

-2.906

.004

2.342

.020

<표 Ⅳ-12>에 따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문화예술교육 전체 효과성(F=9.080, p<.01) 과 하위요인인 도전의식(F=8.018, p<.01), 건강관리(F=8.425, p<.01), 문화예술 선호성(F=9.916, p<.001), 즐거움(F=8.036, p<.01), 부정적 자존감((F=4.774,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복지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문화예술교육에 참 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이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데, 즐거움과 문화예술 선호성은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자존감이 감소하며, 건강도 긍정적으로 인식 6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회성(F=.165, p>.05)과 긍정적 자존감(F=.132, p>.05)의 경 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표 Ⅳ-11> 실험,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점수

사전 요인

사후

구분

문화예술교육 전체 효과성

평균차이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실험집단

3.938

.502

4.094

.549

0.156

통제집단

3.709

.493

3.799

.594

0.089

실험집단

3.897

0.791

4.221

0.752

0.324

통제집단

3.710

0.706

3.892

0.861

0.183

실험집단

4.298

0.651

4.408

0.625

0.110

통제집단

3.707

0.827

3.835

0.858

0.128

실험집단

4.072

0.671

4.222

0.800

0.058

통제집단

3.957

0.712

3.883

0.787

-0.075

실험집단

2.545

.812

2.487

.888

-0.057

통제집단

2.684

.798

2.683

.798

0.226

실험집단

3.679

.91340

4.083

.84666

0.404

통제집단

3.481

0.956

3.733

0.815

0.252

실험집단

4.163

0.564

4.136

.639

-0.018

통제집단

3.931

0.633

4.034

.640

0.117

실험집단

3.796

0.730

3.955

.788

0.158

통제집단

3.902

0.624

4.034

.639

0.290

즐거움

문화예술

도전성

부정자존감

건강관리

사회성

긍정자존감

<표 Ⅳ-1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하위 영역

문화예 술교육 효과성

즐거움

변량원

전체 자승화

자유도

평균 자승화

F

유의도

공변량:사전 문화예술교육 전체 효과

9.439

1

9.439

33.049

.000

주효과: 집단(실험통제)

2.593

1

2.593

9.080

.003

오차

78.253

274

.286

전체

4514.827

277

사전즐거움

11.728

1

20.079

.000

11.728

Ⅳ. 연구결과|69


문화 예술 선호성

도전 정신

부정 자존감

건강 관리

사회성

긍정 자존감

실험통제

4.694

1

4.694

8.036

.005

오차

159.453

273

.584

전체

4840.768

276

사전문화예술선호성

4.855

1

4.855

23.252

.002

실험통제

11.385

1

11.385

9.916

.000

오차

133.175

272

.490

전체

5047.344

275

사전도전의식

12.522

1

12.522

21.239

.000

실험통제

4.727

1

4.727

8.018

.005

오차

159.187

270

.590

전체

4785.527

273

사전자존감

10.443

1

10.443

14.910

.000

실험통제

2.877

1

2.877

4.108

.044

오차

184.205

263

.700

전체

1934.035

266

사전건강

10.461

1

10.461

15.800

.000

실험통제

5.579

1

5.579

8.425

.004

오차

174.139

263

.662

전체

4373.556

266

사전 사회성

9.902

1

9.902

26.513

.000

실험통제

.062

1

.049

.165

.685

오차

101.209

271

.062

전체

4720.817

274

사전자존감2

6.190

1

6.190

10.796

.001

실험통제

.075

1

.075

.132

.717

오차

155.387

271

.573

전체

4386.258

274

7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그림 Ⅳ-3>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교육 전체 효과 사전, 사후 평균 변화 (단위: 5.00점 만점)

<그림 Ⅳ-4> 실험, 통제집단의 즐거움 사전,사후 평균 변화

* 즐거움은 점수가 높을수록 즐거움 정도가 높음

<그림 Ⅳ-5> 실험, 통제집단의 문화예술선호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 문화예술 선호성은 점수가 높을수록 문화예술 선호성이 높음

<그림 Ⅳ-6> 실험, 통제집단의 도전정신 사전, 사후 평균 변화

<그림 Ⅳ-7> 실험, 통제집단의 부정자존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 도전정신은 점수가 높을수록 도전정신이 높음

* 부정자존감은 점수가 낮을수록 부정자존감이 낮음

Ⅳ. 연구결과|71


<그림 Ⅳ-8> 실험, 통제집단의 건강관리 사전, 사후 평균 변화

<그림 Ⅳ-9> 실험, 통제집단의 긍정자존감 사전, 사후 평균 변화

* 건강관리는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관리능력이 높음

* 긍정자존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자존감이 높음

<그림 Ⅳ-10> 실험, 통제집단의 사회성 사전, 사후 평균 변화

* 사회성은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성이 높음

1.2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 만족도 평가는 전반적 만족도, 수업 내용에 대한 만족 도, 수업의 담당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 강의실이나 공간에 대한 만족도, 다른 사람에게 이번 수업에 대한 추천 의사, 수업의 전반적 부분이 나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는지에 대해 이루어 졌다. 먼저 전반적 만족도를 살펴보면, ‘약간 그렇다’는 16.5%, ‘매우 그렇다’ 73.6%로 만족하거나 매우 만족한다로 응답한 비율은 91.1%로 나타났다.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약간 그렇다’는 18.3%, ‘매우 그렇다’ 70.2%이며, 수업을 담당하는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는 ‘약간 그렇다’는 22.4%, ‘매우 그렇다’ 52.9%로 나타났다. 수업이 진행되는 강의실이나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약간 그렇다’는 19.3%, ‘매우 그렇다’ 67.4%이고, 다른 사람에게 이번수업에 대한 추천의사는 7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약간 그렇다’는 21.4%, ‘매우 그렇다’ 69.3%로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이 전반적으로 참 여자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는가에 대한 질문에 ‘약간 그렇다’는 20.2%, ‘매우 그렇다’ 69.9%로 응답하였다. 각 영역 간 비교를 위하여 문항의 평균값으로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반적 만족도는 92.2점 (100점 만점 환산 기준)으로 나타나 참여자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수업을 진 행하는 선생님, 수업내용, 시설에 대한 만족도 가운데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로 91.4점이었고, 가장 만족도가 낮은 영역은 수업 담당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로 87.6점을 나타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본 수업을 추천하고 싶다는 의향에 대해서는 90.2점, 수업이 본인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음에 대한 점수는 91.6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내용과 강사를 포함하여 만족 도가 높고 다른 사람에게 추천의사도 높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Ⅳ-13>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단위: 명(%)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반적 만족도

1(0.3)

5(1.6)

26(8.1)

53(16.5)

237(73.6)

수업 내용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1(0.3)

4(1.2)

32(9.9)

59(18.3)

226(70.2)

수업의 담당 선생님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2(0.6)

6(1.9)

51(15.9)

72(22.4)

190(52.9)

강의실이나 공간에 대한 전반적 만족 도

1(0.3)

4(1.2)

38(11.8)

62(19.3)

217(67.4)

다른 사람에게 이번 수업에 대한 추 천 의사

2(0.6)

6(1.9)

32(9.9)

69(21.4)

214(66.3)

수업의 전반적 부분이 나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음

1(0.3)

3(0.9)

28(8.7)

65(20.2)

225(69.9)

항목

Ⅳ. 연구결과|73


<그림 Ⅳ-11>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자 만족도 평균 비교

1.3. 생리적 측정 1.3.1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검증의 생리적 측정 참여자는 먼저 코티졸은 A 기관 10명(실험집단 5 명, 통제집단 5명), B 기관 14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5명)으로 총 24명(실험집단 14명, 통 제집단 10명)이었다. 알파아밀라제 참여자는 A 기관 9명(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3명), B 기관 17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5명)으로 총 26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8명)이었다. <표 Ⅳ-14>에 집단별, 기관별 대상자 현황이 제시되어 있다.

7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Ⅳ-14> 생리적 측정 참여자 현황

코티졸

알파 아밀라제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A

5

5

10

B

9

5

14

소계

14

10

24

A

6

3

9

B

12

5

17

소계

18

8

26

24명

26명

1.3.2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사전 타액 동질성 검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코티졸, 알파아밀라제에 대한 사전측정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다. <표 Ⅳ-15>와 <표 Ⅳ-1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 측정량을 비교하였다. 동질성 검증 결 과 1차 측정치에서 두 물질 모두 실험집단,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나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다.

<표 Ⅳ-15> 사전 코티졸 동질성 검증

구분

1회차 (7:00) 2회차 (8:30) 3회차 (17:00) 4회차 (22;30)

집단

평균(표준편차)/(mg/dL)

실험집단

.270(.121)

통제집단

.279(.183)

실험집단

.436(.446)

통제집단

.224(.149)

실험집단

.138(.099)

통제집단

.083(.064)

실험집단

.120(.073)

통제집단

.062(.039)

U

Z

p

61.000

-.126

.900

36.000

-1.701

.089

26.500

-1.749

.080

28.500

-1.877

.060

Ⅳ. 연구결과|75


<표 Ⅳ-16> 사전 알파아밀라제 동질성 검증

구분

알파아밀라제 1차 측정

집단

평균(표준편차)/(mg/dL)

실험집단

122.628(65.049)

통제집단

110.572(80.783)

U

Z

p

54.000

-1.000

.317

1.3.3 코티졸 분석 결과 코티졸의 생성, 분비는 기상 후 가장 높으며 점차적으로 농도가 감소하여 취짐전 농도가 하루 중 가장 낮은 일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을 보이기 때문에 시간대(기상시-7:00, 오전 -8:30, 오후 5:30, 취침전-10:30)에 따라 나타난 타액측정 참여자들의 코티졸 농도의 변화를 각각 조사하였다. 코티졸의 각 시간대별 프로그램 개입, 전후의 각 집단의 코티졸 농도를 살펴보면 <표 Ⅳ-16> 와 같다. 실험집단은 오전 7시 추출분은 .270mg/dL에서 .249mg/dL로 .021mg/dL 감소하였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오전 8시 30분 추출분은 .436mg/dL에서 .219mg/dL로 .217mg/dL 감소하였고 오후 5시 추출분은 .138mg/dL에서 .052mg/dL으로 .130mg/dL 감소하 였으며, 밤 10시 30분 추출분은 .120mg/dL에서 .051mg/dL로 .069mg/dL 감소하였으며, 세 시 간대 모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p<.05). 통제집단은 오전 7시 추출분은 .279mg/dL에서 .203mg/dL으로 .076mg/dL 감소하였고, 오전 8시 30분 추출분은 .224mg/dL에서 .216mg/dL로 .008mg/dL 차이로 거의 유사하였다. 오후 5 시 추출분은 .083mg/dL에서 .099mg/dL으로 오히려 .016mg/dL 증가하였고, 밤 10:30분 추출 분은 .062mg/dL에서 .078mg/dL로 .016mg/dL 증가하였다. 하지만 네 시간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아니었다.

7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Ⅳ-17> 코티졸 효과검증

평균(표준편차)/(mg/dL) 구분

집단 사전

사후

Z

p

1회차 (7:00)

실험집단

.270(.121)

.249(.127)

-.785

.433

통제집단

.279(.183)

.203(.102)

-1.126

.260

2회차 (8:30)

실험집단

.436(.446)

.219(.146)

-2.292

.022

통제집단

.224(.149)

.216(.109)

-.415

.678

3회차 (17:00)

실험집단

.138(.099)

.052(.027)

-2.401

.016

통제집단

.083(.064)

.099(.075)

-.560

.575

4회차 (22;30)

실험집단

.120(.073)

.051(.027)

-2.354

.019

통제집단

.062(.039)

.078(.064)

-1.120

.263

<그림 Ⅳ-12> 코티졸 농도변화

코티졸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들 간에 코 티졸 농도의 변화에 차이를 보임으로써,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은 부신의 코티졸 생성과 분비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즉,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일일주기리듬을 유지하면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한 이후가 교육을 실시하기 이전에 비해 스트레스 농도가 전체 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입은 연구 참여자의 스트레스를 분출하 여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연구결과|77


1.3.4 알파아밀라제 분석 결과 프로그램 개입 전후의 알파아밀라제의 평균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에서는 사전 122.628U/ml에 서 사후 108.739U/ml로 13.889U/ml 하락하였고 프로그램 개입 이후 15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106.707U/ml로 개입 직후보다 미세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 다. 통제집단에서는 사전 110.928U/ml, 사후 139.079U/ml으로 오히려 28.507U/ml 증가하였으며 15분 후에는 다소 하락하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표 Ⅳ-18> 알파아밀라제 효과검증

평균(표준편차)/(U/ml)

사전-사후

사전-사후

사후-사후

집단 사전

사후

추후

Z(p)

Z(p)

Z(p)

실험집단

122.628 (65.049)

108.739 (60.530)

106.707 (63.329)

-.504(.614)

-.485(.627)

-.149(.881)

통제집단

110.572 (80.783)

139.079 (65.478)

135.280 (87.188)

-.533(.594)

-.652(.515)

-.178(.859)

7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그림 Ⅳ-13> 알파아밀라제 농도변화

알파아밀라제는 일반적으로 처치에 따른 즉각적인 체내 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 한 목적으로 측정되는데, 코티졸에 비해 스트레스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어(Takai et al., 2004), 일반적으로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알파아밀라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개입 이후에 알파아밀라제의 농도 변화 변화가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알파아밀라제의 농도가 낮아진 것을 보았을 때, 차후 좀 더 엄밀한 연구설계를 통해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또한 알파아밀라제가 증가하는 것이 꼭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인가에 대한 것은 좀 더 면밀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Yamaguti 등(2006)의 연구에서는 산책프로그램을 실시한 집 단과 산책을 실시하지 않고 호텔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며 휴식을 취한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 를 진행하였는데, 오히려 외출하여 산책을 진행한 집단이 산책하지 않고 텔레비전 등으로 휴식 을 위한 집단보다 알파아밀라제의 상승정도가 더 컸다. 또한 산림을 산책한 집단은 알파아밀라 제가 하락했지만 도심을 산책한 집단은 이전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프로그램 참여가 교감신경계의 일시적인 활성화를 반영하 고 있어 이것이 반드시 스트레스라고 단정할 수는 없기에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

Ⅳ. 연구결과|79


1.4. FGI 1.4.1 참여자 인적 사항 FGI에 참여한 노인참여자는 아래 <표 Ⅳ-19>와 같이 도시 지역의 경우 여성노인 4명, 남성 노인 4명으로 총 8명이 참여하였다. 농촌 지역은 남성노인의 경우 인터뷰 참여에 대한 동의율 이 낮은 관계로 부득이 여성노인 6명으로 구성되었다.

<표 Ⅳ-19> 참여자 특성

지역유형

도시

농촌

참여자

성별

연령

참여활동

참여자1

73

미술

참여자2

66

미술

참여자3

73

한국무용

참여자4

66

한국무용

참여자5

88

사진

참여자6

75

사진

참여자7

73

음악

참여자8

70

음악

참여자9

70

미술

참여자10

73

음악(난타)

참여자11

75

한국무용

참여자12

76

한국무용

참여자13

67

음악(난타)

참여자14

74

음악(난타)

1.4.2 FGI 분석결과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경험적인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된 FGI는 본 연구목적에 연구질문들을 세 개로 압축하여 진행한 바, <연구질문 1>의 경우 11개의 주제와 27개의 세부내용으로 분석되었고, <연구질문 2>에 대한 조사내용은 9개의 경험주제로 분석되었 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8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Ⅳ-20> FGI 주제 분석

연구질문

Q1. 노인대상 의 문화예술교 육은 본인에게 어떤 도움/영 향/변화를 주 었나?

주제분석

내용

몸과 마음의 치유

Ÿ 우울/ 죽고 싶은 마음, 응어리진 마음이 즐거운 마음으로 변함 Ÿ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풀게 됨 Ÿ 무용을 하면서 몸을 움직이면서 아팠던 몸이 나아짐

생활의 활력 새로운 의욕

Ÿ Ÿ Ÿ Ÿ

나의 인생을 찾음

Ÿ 부모가 아닌 ‘나’로서 생활을 함 Ÿ 자녀들보다도 내 생활 위주로 시간을 활용하게 됨 Ÿ 내가 원하는 활동을 인식하고 결정하게 됨

자기변화와 자아실현

Ÿ 나의 재능을 발견함 Ÿ 내적인 변화와 노년 삶의 의미를 찾음 Ÿ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함

자신감을 갖게 됨

아침에 갈 곳이 생김 나에게 역할이 생김 왠지 모르게 웃음이 많아지고 의욕, 즐거움이 생김 젊어지는 느낌

Ÿ 강사, 자녀들로부터 칭찬과 인정을 받음 Ÿ 악기를 다루고 그림과 사진하는 법을 배움 Ÿ 다른 노인들과 달리 노년기에도 이렇게 예술을 할 수 있는 것

자체가 자신감을 갖게 함 잃었던 꿈을 찾음

Ÿ 젊어서 했던 예술활동을 다시 시작하게 됨 Ÿ 젊어서는 사느라 바빠 잊었던 예술을 경험함

가족과의 관계재형성

Ÿ 자녀들의 좋은 부모상, 노년기 모델이 됨 Ÿ 배우자, 자녀와의 갈등이나 소원함이 사라짐

동년배들과 어울림

Ÿ 이사와서 낯선 지역에서 예술활동을 통해 친구를 사귐 Ÿ 여러 동료들과 어울려 연주하면서 배려와 양보를 배우게 됨 Ÿ 대인관계 능력도 좋아짐: 소극적인 성격에서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게 됨

Q2. 자신의 인생에서 문화 예술교육 참여 는 어떤 의미 였는가?

인생의 보람

Ÿ 발표회, 봉사 등을 통해 보람을 느낌 Ÿ 내가 다른 동료에게 가르쳐주면서 보람을 느낌

예술 자체를 즐김

Ÿ 난타를 하면서 리듬 자체를 즐기게 됨 Ÿ 사진, 미술을 하면서 아름다운 세상을 보게 됨

새로운 시작

Ÿ Ÿ Ÿ Ÿ

깨달음

마지막 이룸

젊어지는 것 치료제 새로운 인생 무엇인가를 하고 싶게 만드는 원동력/ 삶의 활력소

Ÿ 고마움, 감사 Ÿ 나를 찾아가는 과정 Ÿ 예술을 알게 되는 계기 Ÿ 마지막 소원 Ÿ 추억 만들기

Ⅳ. 연구결과|81


■ 연구질문 1. 노인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은 본인에게 어떤 도움/영향/변화를 주었나?

<연구질문 1>은 노인들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면서 주관적으로 인식한 효과, 즉 문화예술 교육 참여 이후 생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으로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와 예술적 영향성에 대한 조사결과이다.

ㅇ 몸과 마음의 치유

노인참여자들은 문화예술교육을 새로운 경험인 동시에 나를 치유하는 과정으로 진술하였다. 즉 ‘우울/죽고 싶은 마음, 응어리진 마음이 즐거운 마음으로 변화’하고,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풀게 되는 과정’이었으며, ‘무용을 하고 몸을 움직이면서 아팠던 몸이 나아짐’ 등 다양한 형태로 심신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노인들의 경우, 가족과 사회로부터 엄마, 며느리, 아 내라는 전통적인 모성역할을 수행하면서 얻은 만성적인 노인질병, 우울, 화병 등이 문화예술교 육 참여를 통해 치유되는 경험이 강렬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치유적 효과는 노인들이 문화예술교육이 ‘참 좋은 활동’임을 확신하게 하고, 활동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동 기가 됨을 알 수 있다.

굉장히 복잡한 상황에서 (외국에서) 한국을 나왔는데. 나와서. 나와서 정말 가정적으로 , 저가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랬는데. 작년 이 복지관이 생겨서. (약간의 울먹임) 그걸 다~ 이겨냈습니다. (울먹여 말소리가 떨림/ 애써 울음 참으려 웃으며).... 그래... 전... 복지관(노인문화예술교육)이 생기기 전에 우울증이 왔었거든요. 근데. 이제는 많이 치유되고...(참여자2) 나이를 먹었응께.. 뭐.. 큰 스트레스는 없지만.. 그래도 가정사라고 허면.. 자식이 어떤 자식이 어떻게 되고.. 저렇게 되고.. 이런게 스트레스지요.. 근데.. 프로그램에 오면 모든 걸 잊어버리잖아요... 그게 스트레스 해소라는 거죠.. 잊으니까... (참여자 11, 12) 나는 사는 게.. 내가 일찍 혼자되서.. 셋째 아들도 일찍 잃고 그러니까.... 그래서 세상 사는 걸 포기하고 싶었어요.. 이세상 진짜.. 하직하고 싶은 마음밖에 없더라구.. 그런데 어쨌거나 여기저기 다 참여하고 나니까 이렇게 (극복하며) 살고 있어요....(예술을 하니까) 잊어버리면서 내 맘을 달래면서.. 비우게 되는 거지요.. 여기서 형님들도 만나고.. 그러면서.. 저는 화병이 있었어요.. 그런데 이런 거 하면서 화병도 없어지고.. 소화도 잘 되고.. 몸과 마음을 활동하면서 목소리병도 낫고.... (참여자13)

8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ㅇ 생활의 활력/새로운 의욕

나와는 전혀 상관없을 것 같았던 문화예술적 경험은 노인참여자들에게 생활의 활력, 그리고 무엇인가를 하고 싶다는 새로운 욕구를 갖게 되는 동기가 되었다. 이에 대한 노인들의 경험은‘아 침에 갈 곳이 생김’, ‘나에게 새로운 역할이 생김’, ‘왠지 모르게 웃음이 많아지고 즐거움이 생 김’, ‘젊어지는 느낌’ 등으로 주관화되었다. 이러한 생활의 활력, 새로운 의욕은 노인참여자들의 생활 전반에서 노인 스스로의 성격, 혹은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이었던 관점을 변화시킴으로써 다 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의 집중과 적극성을 갖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면 카메라 메고 나가니까 운동이 되고요. 그런 점은 벌써 많이 달라졌죠, 그전에는 뭐. 늦잠자고 집에서 그냥 지내다가 인제 카메라를 갖고 댕기니까. 아침에 일어나면 카메라 들고 나가야 된단 말이예요. 그러니까 첫째, 카메라 미고 나가서 한 시간 두 시간 정도 나가니까. 운동이 첫째 되어서, 그리고 하여튼 집에 밥맛도 좋아지고 상당히 그런 점이 많이 달라졌어요. 게으르던 것이 좀. 좀 부지런해졌다고 해야 될까요?(중략) 그리고 의욕이 생기는 거예요. 의욕이. 이 프로도 하고 싶고 저 프로도 하고 싶고. 의욕만이 나로서는 그것만이. 제일 나로서는 모든 게 그게 해요. (참여자5) 전에는 그냥 자고 나면은, 느긋해졌어요. 그냥 뭐 티브이 보고. 누워서. 뭐 먹을거 없나하고 먹고. 그리고 . 그런데 지금은 그냥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어~~ 예전보다 더 부지런해지고, 어 그리고 오늘은 인제 가서. 출근을 하는구나. 오늘은 가서 저. 뭐 뭐를 배우는구나. 그 생활의 활력소가. 아주 그냥 생겼어요. (참여자4)

저는 만고풍상 다 겪고 살아왔어요.. . 그래도 남들은 저더러 싱글벙글하고 다닌다고..그래요.. 지난 거 생각하면 내 속은 숯검정이예요.. 그런데도 나오면은 싱글벙글한다고.. 그럼.. 내가 울고다녀야하냐고... 저는 그래도 이렇게 즐겁게 생각하고 있어요.. 행복해요.. (참여자10)

ㅇ 나의 인생을 찾음

지금까지 아내/남편, 부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느라 ‘자신’을 생각할 여유가 없었던 참여자들 은 느즈막히 시작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면서 ‘자유로움’, ‘설렘’, ‘나를 위한 바쁨’ 등을 경험 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더 이상 부모로서 자녀들을 위해 무조건 희생해야한다는 기존의 신념에 변화를 가져왔다. 즉 나와 자녀들 관계에 구분되어야할 경계를 인식하고 결과적으로 ‘나 자신’ 을 위하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깨닫기 시작하였다. 노인참여자들은 이러한 자신의 욕구에 대한 인식적 변화를 문화예술교육이라는 프로그램을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행동화하였다.

Ⅳ. 연구결과|83


이걸(기타). 뭐 몇 개월 하다 보니까. 상당히 좋은 점을 많이 발견하거든요. 취미도 생기고. 뭐 나름대로, 거 사진을 보면은 뭐. 선, 각, 무슨 이런거 저런거 많지 않습니까? 무슨 뭐도. 무슨 뭐도 해가지고, 이런거를 다 이렇게. 보니까. 재능이 발달하는 것 같아요. 뭐. 스스로 깨우쳐지는 것 같기도 하고. (참여자6) 난 내 흥에 겨워서 춤을 추는 것이고.. 난 내 자유로.. 내가 허고 싶은 거 헌다!! 난.. 엄마는 지금 가서 배우고 춤춰야하니까 난 지금 너희를 위해 이런거 저런거 못한다.. 그래요. 집에만 있으면 나는 빠굼이처럼 애들만 바라보고 그러잖아요.. 근데 이렇게 나오면 토요일, 일요일만 쉬잖아요.. 맨날 이렇게 나오고.. 배우고.. 친구들과 주거니 받거니.. 그게 나이먹어 무슨 낙이 있겄어요? 나이먹어 자유롭게.. 나이먹어서도 배울 수 있고... (참여자12) 옛날 같으면 손주 새끼들한테 묶여서 거기다 바쳐야 되는데, 지금은 아니야. (신나게 달리는 시늉하며) ‘내 삶을 살아야 돼’.

하고 그냥 새벽같이 쫓아 나오죠. 얘들 그냥 학교 다 데려다 주고, 호호호. (참여자2)

딸이 **사는데 전화와요.. 엄마 얼른 와.. 야.. 나 복지관 가야해서 난 못간다.. 복지관 빠지면 나 배울 거 빠져야 하는데.. 안된다.. 자고 일어나 월요일이 되면 맘이 설레고 바빠요.. 오늘은 화요일 고전무용 해야 하는데... 거울을 보고 내가 한 번 해봐요.... 내가 안잊을라구.. 열심히 배울라고 노력합니다. (참여자11)

ㅇ 자기변화와 자아실현

난생 처음, 혹은 너무 오랜만에 참여하게 된 문화예술교육은 지금까지 숨어있던 나의 존재, 예술적 재능을 새로이 드러내고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노인참여자들은 자신을 발견 하고, 노년기에 시작한 배움을 ‘자아실현’, ‘나에게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함’, ‘나도 이런 재 능이 있었는데...’, ‘내 삶의 일부’ 로 노년기에 시작된 자아실현을 위한 마지막 남은 시간들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에 사진반이라는 거 들어가면서도 제가 사진을 뭐 할 수 있을까? 뭐 생각을 했는데. 하면 할수록 자꾸 빠져 들어가요. 자꾸 그래서 그냥 뭐. 이것도 사게 되고, 저것도 사게 되고. 또 자랑도 하고 싶고. 막 이렇게 빠져 들어가더라고요. 그래서. ‘아. 나도 이런 재능이 있었는데, 너무 자기를 몰랐구나’하는 생각이 들고요. (참여자6) 우리가 첫 번 이 시간을 접했잖아요. 내적인 변화를 많이 내가 느꼈어요. 일주일에 한번이지만.. 그냥. 의무적으로 그냥. 그냥 움직이는 내 삶에서. 뭐라 그럴까? 정적인 어떤 여유 .... 좀... 풍요로움을 느낀다고나 할까? 그리고 멍청하게 사실. TV도 잘 안보잖아요. 사실. 멍청하게 있다가 ‘아 이럼 안 되지’라고. 이 변화라는게 제 변화가, 집에서도 백지만 있으면 무조건 하는거예요(그림)...... 그럼 거기 몰두 되면은 시간도 가고. 그런 점이 너무 좋고, ‘ 아. 내 삶의 일부분이 이런게 또 있었구나. ’ ‘이걸로가 채울 수 이는 기회가 왔었구나’. 그래서 오래 산다고 8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내가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오래 살아도 보탬될거 있구나’ 그런 생각도 들고,

이렇게. 더

마음을 늙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 뭔가 취미활동면에서도 참 이번에 좋은 교육이었다.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참여자1) 저는 자기실현을 하는거죠. 그런데 얼마나 좋아요? (참여자8) 월요일날 오는 경우에는 집에 오자 마자 가방 휙 팽개치고, 그~~냥 걸음아 나 살려라 하고, 복지관에 옵니다. 그래가지고 나의 주어진 모든 시간을 다하고 그러고 가요. 그래서. 아주, 너무 즐거워요. (참여자4)

ㅇ 자신감을 갖게 됨

노인참여자들은 꾸준히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 악기를 다루고 그림 그리고, 사진하는 법을 배우는 등 예술적 기교를 완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기도 하고, 그 결과에 대해 가족 과 자신을 가르치는 강사로부터 인정과 칭찬을 받는 등 새로운 소통방식과 자기가치에 대한 재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는 기존에 ‘누구의 엄마’, ‘누구의 아빠’에만 머무르던 자신을 ‘아무개’로 차별화할 뿐 아니라 다른 노인들과 달리 노년기에 예술을 하는 자신에 대해 외부로부터가 아닌 자기 스스로 자신감을 북돋는 힘을 갖게 되는 것으로 경험되었다.

저가 글씨를 배우고 난 이후부터 이쁜 글씨로 우리 손자들도 글씨를 예쁘게 쓰려고 아주 노력을 해요. (중략) 저희 손녀딸은 저기 미국 유학가서 공부하고 와서 고등학교. 지금 다니고 있거든요. (활짝 웃으며) ‘아. 우리 할머니 증말 훌륭하시다’ 하하하. 제가 그래서 너무 달라져서, 가정이 싹 달라졌어요. (참여자2) 식구들이 다 좋아하지요. 이렇게 즐겁게 사시나 하고.. 집에만 있어봐요. 저들이 나갈 일 없으면 화장도 안하고 세수도 안하고 더 늙어 보이잖아요. 근데 나갈려면 세수도 하고 옷도 갈아입고, 저 젊고 어깨가 올라가잖아요. 그러니까 갔다가 오신 모습이 너무 좋은 거예요. 얘들은. 이렇게. 발랄하니까. (참여자3) 카메라도 마찬가지예요. 카메라도 첨에 몰라도 처음엔 기계만 봐도 재미있는거 같은. 그.. 아무 저것도 없는데, 기술도 없는데, 그리고 선생님 잘 가르켜주고, 찍으면 멋있게 나오고. 그럴 때 할 수 있다 이 말이죠. 그게 일장 일단이 있다 이거지. 재능이 없어도 할 수 있다. (참여자8) 처음엔 부채도 들 줄도 몰랐지요.. 그런데 이젠 부채가 촥 펴지고요.. 몸도 이렇게 잘 돌아가고요... 그러면 정말 즐겁지요... (참여자11) 나는 내 마음에 병을 고쳐서 너무 좋구요.. 내가 이 나이에 발표를 하는데 내 딸아들 다 오고.. 손주들 다 오고.. 제가 딸한데 그랬어요..엄마 나이 칠십에 이렇게 대회나가서 너무 좋다.. 얘야 엄마는 이렇게 대회도 나가서 참 좋다.. 그랬어요.. (참여자14)

Ⅳ. 연구결과|85


ㅇ 잃었던 꿈을 찾음

노년기 예술을 배우는 과정은 노인참여자들에게 ‘잃었던 꿈을 다시 찾는’ 과정이기도 했다. 젊어서 꿈이었던 예술을 가족을 위한 일상 속에서 사느라 바빠서 차츰 잃어버렸던 그 것, 딸이 기 때문에, 여성이기 때문에 교육과 예술을 누릴 기회에서 소외되었던 참여자들에게 우연한 기 회에 접한 문화예술교육은 그들의 잃었던 꿈을 다시 찾을 뿐 아니라 노년기에 다시 꿈을 갖게 되는 ‘꿈을 뿌리고, 꿈을 거두는’ 과정이었다.

제가 학교 다닐 때 기타를 좀 쳐가지고 죽 안하다가, 직장생활을 하다가 , 그리고 나서 그걸 하니까. 그게 그렇게 좋더라고요. 제가 음악을 하니까. 그 옛날게 나오고. 하니깐...(참여자8) (여자였기 때문에 옛날엔) 일 배워야 되고, 내가 못 배웠던 것을 배우니까 너무 너무 감사하고 행복하고.. 네네. 못 배웠죠. 여자라는 저기 때문에 배울 수가 있었습니까? (참여자2) 젊어서 친구가 한춤을 하자 해서.. 고전무용 한춤을 췄었거든요.. 그러다가 아기들 키우고.. 살아야하고.. 말았죠(중단했죠).. 나이먹고 복지관 생기고.. 그러면서 복지관 나가니까 생활체육반도 있고.. 고전무용반도 생기고 해서.. 점점 취미가 땡기더라구요.. 다른 거보담도 고전무용으로 땡겨서.. 재미가 있어요.. (참여자11)

ㅇ 가족과의 관계 재형성

예술적 경험을 통해 획득된 여유로움, 자신감은 너무 오랜 시간동안 일상적으로 ‘내가 일방적 으로 보듬어야 했던’ 부담스럽고 짜증났던 배우자, 자녀들과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배 우자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대화주제를 갖게 되었고, 서로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 가르쳐주면서 존중함, 배려를 느끼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노년에 예술을 즐기 는 자기 모습이 자녀들에게 도전이 되고 ‘자녀 미래의 당당한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면서 노인참여자들은 기존의 희생하는 부모가 아닌 자녀를 이끌어가는 부모로서의 새로운 역할, 새로운 가족관계를 형성해나가고 있었다.

아무래도 집에 있으면은 짜증이 나잖아요. 또 남편하고 있으면은 아무리 좋은 사람이래도 계속 이게 생겨서. 부딪히게 되고, 나오니까 너무나 좋습니다. 아침에 나오면은 점심 먹고, 오후에 이렇게 들어가요. 그래서 그냥 아주 삶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참여자4)

오십견이 있어서 우리 아저씨가 난타를 하라고 해서.. 했는데.. 칠 때는 몰라요.. 신나게 하는데.. 그래서 우리 아저씨가 나한테 가르쳐주기도 하고.. 대화도 하고.. 그러면서 관계도 좋아지는 거 같아요. (참여자10) 8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우리 애들한데 “얘.. 나 복지관에 가서 미술그린다” 그랬더니 애들이 너무 좋아하는 거예요.. 엄마가 미술을 한다고.. 그래서 애들이 “나도 나이 먹으면 그렇게.. 엄마같이 살고 싶다”고 그래요... 그러면서 얘기도 더 많이 하고.. 그래요.. (참여자9)

ㅇ 동년배들과 어울림

노인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참여가 주는 가장 큰 선물 중 하나는 ‘동일한 관심을 갖고’, ‘서로가 배움을 나누고’, ‘나에게 양보를 하고 내가 배려를 할 수 있는’, ‘동료’를 갖게 된 것이 었다. 문화예술을 통해 형성된 동료관계는 소극적이었던 자신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과도 잘 어울릴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할 뿐 아니라 낯선 지역에서의 소외감 극복, 그리고 무엇보다 가족과도 나누기 어려운 속마음을 ‘이심전심’으로 공유하고 이해받을 수 있는 단단한 정서적 지 지체계이기도 했다. 노인참여자들은 이러한 동료관계를 ‘가족’, ‘언니, 친형제’, ‘유대감’, ‘친구’, ‘어우러짐’ 등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들과의 관계는 같은 지역사회의 이웃과는 차별화된 ‘나를 나 눌 수 있는’ 좀 더 결속된 관계임을 강조하였다.

가정이 편안하고. 애들문제, 그전엔 막 짜증 부리는 것도 인제, 해소가 되고, 그래서 그런 점들이 조금. 또 나와서도 또 보면은 이 동료들이 있잖아요. 동료들. 동료들 만나면 그 같이 이바구하는 사람들끼리 만나면은 같이 어우러짐이 너무 좋은 거예요. (참여자8) (노인문화예술교육 참여) 그 전까지는 수동적인 삶이었어요. 이 친구가 불러주면 가서 차 한 잔 마시고 영화 보러 가자 하면, 찻집 좋은데 있다라고 하면 가서 수다떨고 왔는데, 지금은 능동적인 삶이 되었어요. (참여자1) 난 oo(지역명)에서 이사왔어요.. 아는 사람도 없고.. 저기 아파트에서.. 여기 아는 사람이 없잖아.. 나 우울증 걸릴 뻔했어.. 근데 여기 복지관에 와서 프로그램도 하고..하니까 좋아요.. 사람들도 만나고... (참여자14) 한마을에 사는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은 늘 하는 것이고 깊은 저기(깊은 관계)가 안되죠.. 그런데.. 여기서 만나는 사람들은 결속을 해야 하거든요.. 한번 내가 프로그램에 빠져서 모른 것은 다음에 서로 가르쳐주고.. 도와주고.. 그러면서 유대감을 갖게 되죠.. (참여자10)

ㅇ 인생의 보람

자신을 통해 보람을 찾기보다 자녀를 통해, 배우자를 통해 보람을 찾아온 삶을 살아오다, 참 여자들은 자신을 통해 인생의 보람을 문화예술교육에서 경험하고 있었다. 무대에 서서 발표회를 하거나 예술공연을 통해 어려운 이웃에게 봉사를 하는 등 가족을 위해 앞만 보고 달려온 삶에

Ⅳ. 연구결과|87


서 주변을 돌아보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자 신의 가치와 의미를 확장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도록 했다.

인젠 (기타연주가) 잘 되고 해서, 복지관에서 발표회도 하고. 그 다음에 노인들 병원에 가서 위문공연도 하고, 그게 보람이 있어요. 굉장히 보람이 있고, 봉사 해주고... (참여자8) 공연을 하면... 발표회를 하려면 열심히 배워야죠.. 근데.. 어렵죠.. 여러 사람이 하려면... 그게 그래요.. 연령대가 비슷하면 좋은데.. 연령대가 높은 사람이 있으면 뒤쳐져요.. 근데 그게 아쉽죠..나도 저렇게 되겠지..(중략) 그래서 나무랄 수가 없어요.. 우리도 그 길을 가고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내가 자꾸 전화도 하고.. 지금 오고 있느냐? 어쨌느냐? 연락하고 하는게 그래서예요.. (참여자 10)

ㅇ 예술 자체를 즐김

낯설고 두렵기까지 했던 예술교육을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참여자들은 조금씩 예술 자체를 즐 기고 향유할 수 있는 여유와 이를 통해 자연, 이웃, 세상을 아름답게 다시 볼 수 있는 새로운 시 각을 갖게 되었다. 예술적 향유는 ‘자신의 작품에 더 아름답게 표현하고 싶은 욕심’, ‘늘 사진기를 갖고 다니면서 언제라도 사진을 찍을 준비를 하고’,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전시회를 가보고’, ‘내 연주의 리듬 자체를 즐기는 것’, ‘거울을 보고 혼자 연습하는 것’ 등으로 현화하고 있었다.

자꾸 (사진) 욕심이 나는게. 저도. 항상 카메라를 주머니에 넣고 항상 가지고 다녀요. 아침에 조깅 나갈적에도 카메라를 미고 나가게 됩니다. 근데 해뜰 무렵 . 뭐 가다보면 사진찍을게 없다고 하는데. 카메라를 미고 나가면 맨 찍을 거예요. 거의. 첨에는 찍을게 없었어요. 그런데. 이. 복지회관을 나가면서 차츰 차츰 거기 좀 강의 좀 듣고. 그러니까. 사진 찍을게 무지하게 많은 거예요. 얼마든지 많은거예요. 자꾸 눈에 들어오는 거예요. (중략) 그렇게 됩디다. (참여자5) 난타를 허려면 박(박자)이 있어야해요...(중략) 난타를 허면 흥이 있잖아요..난 원래 흥이 있었나봐요.. (참여자12) 이제는 거울을 보고 이렇게 배운 걸 연습해봐요.. (참여자11)

■ 연구질문 2. 자신의 인생에서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어떤 의미였는가?

<연구질문 2>는 다소 철학적인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의 보이지 않는 효과, 즉 노인참여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화예술교육의 결과를 탐색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8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노년기 자아통합이라는 중요한 과업과 연관되기도 하고, 노인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이 얼마나 가 치가 있는 프로그램인가를 노인의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는 질적 자료라 할 수 있다. 이에 노인참여자들이 진술한 ‘자신의 인생에서 문화예술교육참여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 주 제로 구분되었다. 첫째는 ‘새로운 시작’으로 이는 중년과 노년의 생애주기적 구분이 아닌 ‘어머 니, 아버지의 역할’로부터 ‘자신’을 새로이 탄생시키는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노인참여자들은 예술경험을 ‘젊어지는 것’, ‘치료제’, ‘새로운 인생’, ‘원동력, 활력소’ 로 진술하였다.

이 예술은 뭐 집. 집사람 빼고, 제2의 애인이다. 기타가 애인인 것 같이 음악과 같이 이렇게 하는 것이 일생의 아주 도움이 되고(중략) 하여튼, 살때까지 즐거움을 가지고 살라고 하는 것이 제 2의 애인이다... (참여자8) 고운춤새는.. 아유~ 많은 활력소지요. (참여자3) 예술은 난 내 인생의 치료제.. 나에게 젊음을 주는 것. (참여자10) 예술은 나에게 배움을 주는 것. (참여자13) 내 인생을 찾는 것.. 이제야 아무도 내 인생을 노터치하잖아요.. 그러니 내가 하고픈거.. 하고.. 내 인생을 찾는 거죠..몸은 늙었지만 마음은.... 지금도 청춘이라니까요.. (참여자12)

두 번째는 문화예술을 통해 고마움, 감사를 깨닫고, 나 자신을 깨닫고, 예술을 깨닫는 “깨달 음‘의 과정으로서의 예술의미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노인참여자들로 하여금 꿈을 다시 꾸게 하 고, 새로운 생활욕구를 갖게 할 뿐아니라 가족 및 다양한 인간관계를 재구조화하기도 하였다. (옛날엔 내가 여자였기 때문에) 일 배워야 되고, 내가 못 배웠던 것을 배우니까 너무 너무 감사하고 행복하고, 네네. (옛날에는)못 배웠죠. 여자라는 저기 때문에 배울 수가 있었습니까? (참여자2) 근데 그걸로 인해서 다른 것도 다 하고 싶어하는 이런 심정이 자꾸 생겨요. 고거.. 하나로 인해서 말이죠. 꼭 뭐 사진뿐이 아니라, 이것 저것 자꾸 뭘 하고 싶어하는 거가 생겨요,. 그것이 문화예술에서 한 가지 얻은 거이 그거.. (참여자5)

세 번째는 ‘마지막 이룸’으로 자신들의 인생에서 남겨진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노인참여자들 은 문화예술을 통해 자신들의 마지막 소원을 이루고, 자신에 대한 추억을 남겨놓는, 인생 유산

Ⅳ. 연구결과|89


을 남기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노인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찍은 사진을 컴퓨터에 차곡차곡 정리하면서 들춰보거나, 합창대회에 가족을 초청하면서 예술하는 엄마로서의 모습을 가족 기억에 새겨 넣는 등 적극적인 자기표현으로 실현되고 있었다.

예술가.. 하여튼 어쨌든 그것은 추억의 한토막을 냉겨 놓는 거예요. 내가 시방. 현재. 컴퓨터에 사진이 .. 뭐뭐 몰라요. 한 천장 이상 저장이 되어 있을거예요. (중략) 한번씩 뒤져 볼적엔 말이죠. 참. 거.. 제가 지냈던 생각. 지난 그 과거의 생각이 난 그때가 그렇게 했겠다 그런 생각을 자꾸 허게 되죠. 그런데. 하여튼 그것이 추억의 한 토막이 되죠. 참. ‘나도 이랬을 때가 있었다’ 허는 그런 생각을 하게 되요. (참여자5)

9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 어르신, 노인복지기관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예술강사, 노인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 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한 집단별 의견을 종합한 결과는 <표 Ⅳ-21>과 같다.

□ 연구질문: 향후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과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표 Ⅳ-2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 인터뷰 핵심내용

집단

참여자

프로그램 진행자

전문가

주제분석

노인

예술강사

노인관련 전문가

Ÿ Ÿ Ÿ Ÿ

교육횟수와 시간현실적인 조정 수준, 단계별 교육운영 연령통합적인 예술교육필요 안정된 교육환경 지원

Ÿ Ÿ Ÿ Ÿ

노인 개인 특성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욕구 개별화된 프로그래밍 조화로운 욕구조합에 기반한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존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진화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의 통합적 기능 전문성 강화와 강사간의 교류 활성화

Ÿ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Ÿ 기존 노인대상 여가 프로그램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과의

변별성에 대한 부각 Ÿ 강사의 역량 강화 모색 Ÿ 노인예술활동의 참여를 통한 노인인력개발, 소외방지, 사회통합

이러한 연구 질문에 대해 종합한 결과를 집단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1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제공자의 관점이 아닌 수요자의 관점에서 지금 운영되고 있는 노인 문화예술교육을 반성하고, 좀 더 노인친화적인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과제와 미래를 전망해보는 내용을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노인참여자들의 주된 제안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 보장’, ‘현 실적인 교육 횟수와 운영시간으로의 조정-주로 시간과 횟수 증가요청’, ‘문화예술교육에 적합한 공간과 예산 지원’ 등 매우 정책적, 행정적으로 안정된 지원에 집중되었다.

Ⅳ. 연구결과|91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전달과 효과를 담보하고, 참여노인들이 예술을 ‘즐거운’ 경험으로 체감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강사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었다.

(강사들이) 머리를. 지혜를 짜 내셔가지고요. 어머님들이 할머님들이 좋아하시는 수업을 어떻게 하면 하실까? 하고 이렇게 연구를 하셔서 하시거든요. 그래서 지금은 많이 처음보다 많이 발전이 되고 있고 다들 좋아하시고 계세요. (참여자2) 제일 중요한게 가르키는 선생, 티칭, 가르키는 강사님이 거 키를 잡고 있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키를 딱 잡고 있어서, 잘 못해도. ‘ 거 잘한다.’ 노인들은 애하고 똑같잖아요. 애하고 똑같아서. ‘잘한다 잘한다’ 하면은 뭐 그냥 자기가 잘하는 줄 알고,

막 이래요. 그리고 그날 막

기분이 좋은거야. 선생님이 그렇게 얘기해주면, (중략) 반원들이. 그러니까 그게 좀 발전이 있는 거예요. 그럼 발전이 있고, 조금이라도 더, 우리가 숙제는 아니지만. 집에 가서 좀더 열심히 하게 되고, 좀 그런 모습이 보이더라고요. 그러니까 선생님이 암만 실력보담도 실력도 실력이겠지만. 아무튼 열의가 있으시고, 그 모습을 보여줄 때, 우리가 따라간다. 한명도. 우리 이십명이 하나도 안 빠져요. 그. 그게 선생님의 리더십인가봐요. 그런거 같은 생각이 드네요. (참여자8)

<표 Ⅳ-22> 노인들의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과 발전 방안

주제분석 교육 횟수와 시간 조정 수준, 단계별 교육운영 연령통합적인 예술교육필요

안정된 교육환경 지원

내용 Ÿ 주1회보다는 최소한 주 2회 정도 운영 필요 Ÿ 사진의 경우 출사를 위한 이동에 시간이 소요되고 무용의 경우 옷을 갈아입고

악기를 옮기는 등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2시간은 너무 짧음 Ÿ 초기, 심화 등 개인능력별 단계적인 교육반 운영

Ÿ 고령노인과 더불어 중년기 등 퇴직한 젊은 노인들이 다양하게 모여 예술적 교

류를 하는 것이 필요

Ÿ Ÿ Ÿ Ÿ Ÿ Ÿ

문화예술교육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지속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필요 무용이나 난타의 경우 20여명이 함께 연습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부족함 공연, 발표를 위해 필요한 의상 등 필요 물품에 대한 예산지원 필요 강사가 자주 바뀌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이 중요 강사가 바뀔 경우 새로운 관계 형성에 어려움 강사에 따라 교육방식이나 작품에 대한 해석이 다르므로 가능한 동일한 강사가 지속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함

9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ㅇ 교육횟수와 시간의 현실적인 조정

노인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는 ‘한 번 배운 것을 기억하는 것’과 ‘출사를 위한 이동이나 의상을 준비하는 과정이 교육시간에 포함’되는 것에 대한 아쉬움 이었다. 이에 대해 노인참여자들은 최소한 교육을 주 2회 정도 진행하는 것이 교육을 통해 학 습한 것을 숙지하고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정도의 습득을 가능케 한다고 제안하였으며, 사진이 나 무용의 경우, 예술활동을 위한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시간들을 교육외 시간으 로 배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강조하였다.

노인양반들이 하루 2시간 하고 나서. 그 다음 목요일날에 만나서 뭘 할라고 보면은 다 까먹어. 솔직히. 다 까먹어서 또 새로 또 뭐 듣게 되고 이렇게 하거든요. (참여자6) 고운춤은 한 시간 오십분을 하고 있어요. 그런데 중간에 또 휴식시간이 있고, 그러고 인제 다른 프로그램은 오십분이예요. 그건 너무나. 시간이 짧아요. 다른 분들도 그런 말씀을 다들 많이 하시는데. 그래도 최소한 한시간 삼십분은 해야 되지 않겠어요? 고것이 너무 아쉬워요. 시작했다가 하면 뭐 하다가 보면 곰새 끝나요. (참여자4) 저희는 (한국무용) 일주일에 한번 하는데.. 시간이 부족해요.. 왜냐하면.. 시간이 지나면 저희는 다 잊어버려요... 그래서 다시 하고.. 다시 하고... 그래서 일주일에 두 번은 했으면 좋겠어요.. (참여자11) (사진) 출사를 나가게 되면. 좀. 교통문제도 불편하고요. 여러 가지.. 또 그리고 시간이 좀 안되요. 시간이 모지라요. 나가서. 출사 나가가지고. (중략)시간이 좀... 보완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저희로는 있는데...(중략) 비~~용 문제도 되죠. 왜 그러냐면 인제. 차가. 차를 움직여야 되니깐. 그러니까. 뭐 가까운데 가는거지요. 개인적으로 그냥. 나도 차를 가지고서 그냥 몇몇이 타가지고 가서 희망자만 빼가지고. 왜 그러냐면 누구 막 바쁘신 분들은 갈 수 없으니까. 희망자만 선출해가지고. 가실분들 선출해가지고 , 그저 차 두 대도 나오고 한 대도 나오고. 그저. 그래가지고 출사 끝나고.. 인제 그런 점이.. 앞으로 그런 점이 좀 보완이 돼서 잘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참여자5) (교육이)일주일에 딱 한 번인께...강사님이 오는 시간, 가는 시간 있으니까.. 아무래도 시간이 짧아요.. 그러니까 늘 아쉽고.. 일주일에 두서번은 해야 허는데.. 할머니가 다 까먹응께...(참여자12)

ㅇ 수준, 단계별 교육운영

노인참여자들은 문화예술교육이 운영되는 하나의 클래스에 개인차가 고려되지 않은 다양한 연령대와 학력, 그리고 예술경험 등의 차이를 가진 노인들이 함께 참여하는 것에 대해 가능한

Ⅳ. 연구결과|93


노인의 개인차 혹은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이나 학습정도에 따른 단계별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특히 이러한 제안은 예술 경험이 많거나 어느 정도 기술적인 측면에서 숙련된 노인참여자들 에게서 요구되었다. 이들은 좀 더 숙련된 자신들이 숙련되지 않은 다른 노인을 배려하고 가르치 기도 하지만,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야할 문화예술교육이 대부분 가장 취약한 참여자를 배려해 운영하다보니 자신들은 정체되어 있는 것 같은 느낌, 더 배우고 싶은데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답답함 등을 호소하였다.

우리 음악하는 사람들을 보면, 제가 잘. 잘해서가 아니라, 이. 같은 동아리가 한 20명 되잖아요? 그 수준차가 있어요. 수준차가. 그 단계별 수준차가 있었는데, 참 저 같은 경우에는 답답하죠 . 왜냐하면 노인들이 못하는데. 이게, 같이 맞춰야 되는데..(중략) 그 분이(강사가) 참 힘들것어요. 수준별로 가르켜야 하니까. 어떤 분들은 눈이 어두워서도 안되고, 어떤 분은 또 손도 떠시는 분도 있고..(중략) 그게 문제점이 있더라고요. 그니까 그 단계별, 수준별 고 차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참여자8)

ㅇ 연령 통합적인 예술교육필요

노인참여자들 중 일부는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좀 더 다양한 연령대가 참여하는 것이 프로그램 의 발전이나 참여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노인참여자들의 소속기관 경 우,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노인연령대가 70대 이상이 대부분이다 보니, 악기를 옮기는 등 힘을 써야하거나 빠른 재치가 필요한 경우, 또는 학습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연령대가 참여 하는 것이 전체 그룹의 학습력을 향상하고, 강사를 자주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 ‘젊은 노인’을 통한 교육의 대체효과를 기대하는 제안으로 분석되었다.

백년대개를 내가 본다면은 좀 연령을 낮춰가지고, 한 55세. 한 5살 정도 낮춰가지고, 조금 젊은 사람들이 들어와서 할 수 있게. 예술을 갖다가 좀 확대할 수 있게. 지금은. 왜냐하면은 지금 정년퇴직, 일찍 퇴직한 사람들.... (다양한 세대가) 어울리니까 훨씬 좋죠. (참여자 7)

ㅇ 안정된 교육환경 지원

참여자들의 기관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한 것은 대부분 3-6개월 정도인 바, 대부분의 노인참여자들은 이 교육이 1년 단위로 지원되는 것에 대한 불안과 염려가

9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컸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들이 이제 꿈을 갖고 예술에 대한 향유를 시작한 지금 시점에서 이 프 로그램이 지속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이에 대한 제안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문화예술교육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 둘째, 문화예술교육이 현실적인 학습과 향유효과를 가질 수 있는 충분한 교육공간과 예산 지원 셋째, 안정된 인력투입을 통해 강사로 인해 노인참여자들이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안정되고 지 속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교육구조를 구축하는 것 등이다.

우리 욕심은 (노인문화예술교육이) 일년에 한 번 씩이라도 이렇게 안빼고 계속.. 이렇게 교육이 있어줬으면 좋겠다~ 하는 저 개인의 바램입니다 (참여자 1) 내년에도 이 프로그램을 없애지 말고 계속 했으면 좋겠어요.. 지금 그게 제가 바라는 가장 큰 바램이에요.저는 지금 이 프로그램만 기다리며 사는 게 낙인데... (참여자 10) 강당이 부족해요.. 프로그램이 많아서 사람이 엄청 많아요.. 그리고... 춤출려면 장소가 커야하는데... 저희는 15명이 들어서면 꽉 차요.. 그러니 서로 부딪치면서 하려니.. 힘들지요.. (참여자 9, 12) 시간도 부족허지만.. 첫째는 지원금도 부족헙니다.. 저희가 다 80이 내일모레인 노인이잖아요.. 근디 시간상 2시간상.. 무용을 할라면 시간도 부족허지만. 또 지원비도.. 실버들이 돈이 부족허잖아요.. 그래서 어디 간다카면 어디.. 의상같은거... 그래서.. 그게(지원비) 아쉽지요.. 어느 정도 보조는 되지만.. 저희도 부담해야허니까.. (참여자12) 그리고 강사가 바뀌면 모든 게 다 바뀌게 되요.. 그러니까.. 강사가 바뀌면 같은 살풀이라도 안무가 달라져요.. 그래서 강사가 바뀌면 안되요....(참여자 10, 12, 14)

3.2 강사 FGI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개선점과 발전에 대해 인터뷰 참여자들의 진술은 크게 세 가지로 유형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노인개인의 특성이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개별화된 욕구를 반 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둘째, 기존에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던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적인 프로그램으로의 발전, 셋째,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의 전문성 강화와 강 사 간 교류활성화를 통한 노인문화예술교육 정보 및 네트워크 강화가 그것이다.

Ⅳ. 연구결과|95


<표 Ⅳ-23> 예술강사들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주제분석

내용 Ÿ 노인들의 특성은 점차 다양해지고, 이러한 다양해지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노인 개인 특성 및 욕구가 반영된 개별화된 프로그래밍

기존 문화예술프로 그램과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 진화

노인들이 갖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욕구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나 기대수준도 다양해지고 있음 Ÿ 기존에 보편적인 ‘노인’의 취약성이나 문화적 소외성에 기반하여 운영되던 획 일적인 문화예술교육을 벗어나 좀 더 다양한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필 요함 Ÿ 다양한 욕구를 가진 노인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예술적 지향성과 목적, 혹은

효과를 기대하는가에 대한 것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문화예술프로그램 들이 제공하는 여가와 재미 요소를 넘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 술교육의 정책적인 목적과 강사들의 예술적이고 교육적인 지향성, 그리고 교 육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기대하는 예술에의 희망이 조화롭게 운영되어야 함 Ÿ 노인이라는 특수한 대상을 이해하고, 이들의 특성을 예술교육프로그램에 적합

노인문화예술교육 강사의 전문성 강화와 강사간의 교류 활성화

하게 반영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 Ÿ 노인문화예술강사들이 서로 경험하고 있는 현장의 어려움이나 각자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 등을 공유함으로써 교육적 소진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역량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에 대한 소속감, 참여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 요구

ㅇ 노인의 개인 특성 및 욕구가 반영된 기반한 프로그래밍

이제 노인들의 특성은 연령, 학력, 이전 직업군 등 점차 다양해지고, 이렇게 다양해지는 개인 의 특성에 따라 노인들이 갖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욕구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나 기대수준도 다양해지고 있었다. 이에 참여자들은 기존에 보편적인 ‘노인’의 취약성이나 문화적 소외성에 기 반하여 운영되던 획일적인 문화예술교육을 벗어나 좀 더 다양한 노인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강사참여자들은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가장 중요한 전략은 바로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중 요한 과업을 제공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수요자인 노 인들의 다양한 예술적 기대와 참여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과 더불어, 더 나아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비자인 노인들의 새로운 문화욕구, 성장적인 문화참여를 이끌어내야 하는 교육적 책임성을 모두 고려해야함을 역설한 것이다.

연령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중략) 제가 3년 전에 했을 때만 해도 어르신들의 연령대가 70대가 대부분이셨어요. 그런데 이제 봉사라는 것을 딱 위에 달고 모집을 하고 보니까 60대에 선생님이 딱 맞추셨는데 인원이 다 모집이 안되니까 기존에 하셨던

9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어머님들 중에 난 이 프로그램 너무 좋아 그래서 하셨던 어머님들이 오시니까 서로의 기대치가 너무 다르세요. (참여자3) 한반 20명을 모아놓으면 락뮤직을 하신 분들도 있으시고 합창반같이 왕년에 노래를 좀 하신 분들도 계시고, 처음 노래라는 것을 하셔서 그냥 트로트 남들이 받았다고 하니까 오셔서 합창이 먼가 해서 오신 분들도 있으시고 굉장히 다른 경험을 가지시고 한자리에 모이신 분들인데 .그게 어떤 우린 합창을 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라고 어르신들이 모였지만 그 안에서 프로그램을 가지고 모였지만 그 안에서 프로그램을 풀어가지고 나갈 때는 여고시절을 지내셨던 분들은 음악과 선곡에 있어서도 좀 퀄리티가 있어야 되는 거예요. 합창다운 합창을 하고 싶으신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사실 원래 저도 처음에 계획은 과정 속에서 음악을 통한 즐거움을 좀 드리고 싶었는데 어르신들은 그 과정 속에서 음악놀이라는 것이 생소하신 거예요. (참여자4) 이게 목적은 어르신이 어떻게 받아드리느냐가 목적인데 이게 맞는 데가 없는 거예요. 제가 그래서 3년동안 하면서 느끼는 건 뭐냐면 어르신들 욕구는 지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쪽에서는 기능중심을 하지 말아라 하는데 생각보다 기능중심의 악기를 배우고 싶어하시는 거예요. 그러니까 하모니카를 배우고 싶어하고 오카리나를 배우고 싶어하고 기타를 배우고 싶어하시고 근데 어르신들의 욕구만큼 따라가지는 못하시죠.. (참여자4)

ㅇ 기존의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 진화

강사들은 이미 노인복지기관에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과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서 지원하는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이 앞으로 점차 다양해지는 노인의 문화욕구에 대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임상적 기반이 됨을 강조하였다. 현장에서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참여 노인들은 이미 다른 문화예술 프로그램들을 통해 기술 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숙련된 경우, 문화예술을 단순히 여가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준 등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경험수준이 다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차별성은 이러한 다양한 욕구를 가진 노인참여자들에 게 어떠한 예술적 지향성과 목적, 혹은 효과를 기대하는가에 대한 것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기 존의 문화예술프로그램들이 제공하는 여가와 재미 요소를 넘어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 화예술교육의 정책적인 목적과 강사들의 예술적이고 교육적인 지향성, 그리고 교육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기대하는 예술에의 희망이 조화롭게 운영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저희가 연수내용은 창작무용연수를 받았는데. 그거는 터무니없이 수업이 안되는 것이라 제외가 되었구요, 연수내용이 30차시 안에 라임댄스, 포트댄스, 한국무용, 댄스스포츠 이렇게 나눠서 가르쳐라, 30차시에 나눠서 가르쳐라 라고 해서 가요. 그럼 그런 프로그램이 다 있어요. 없는 프로그램이 없어요. 그래서 조금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거 Ⅳ. 연구결과|97


자체가 기존 프로그램이랑 달라야 한다는 것도 있어야 될 것 같구요, 어르신들은 다 배우고 오셨기 때문에 잘하는 사람기준으로 가르칠 수가 없잖아요(참여자5)

ㅇ 노인문화예술강사의 전문성 강화와 강사간의 교류 활성화

노인문화예술강사는 노인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교육을 운영할 때, 단순히 예술적 기교나 교 과서적인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노인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의미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예술적 속성과 노인의 특성, 그리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적 목적을 조합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들을 진술하였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노인이라는 특수한 대상 을 이해하고, 이들의 특성을 예술교육프로그램에 적합하게 반영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 그리고 노인문화예술강사들이 서로 경험하고 있는 현장의 어려움이나 각자 경험을 통해 축 적한 노하우 등을 공유함으로써 교육적 소진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역량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교육에 대한 소속감, 참여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요구하였다.

노인대학에서 가장 인기 있고 많은 게 댄스예요. 댄스, 그래서 무용하는 선생님들이 어떤 걸 고려하셔야 하면 그쪽에 한국무용이 있어요. 그런데 내가 하는 것은 한국무용밖에 없어요. 그러면 서로 그게 별로 좋지 않은 게 되는 거죠. 어떤 게 됐든 저는 비슷해요, 선생님하고 저는 노인지도자가 노인무용하는 머 노인지도자가 굉장히 많은 것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박사여야 해요. (참여자1) 제가 시립극단에 오래있었어요. 그런데 거기서 판소리랑 한국무용이랑 발레를 다 배웠어요, 그때는 정말 죽고 싶었어요. 너무 힘들어가지고, 내가 이걸 이나이에 왜 해야 되는가를 몰랐는데. 이것을 이렇게 써먹고 살줄은 몰랐어요. 통합이라는 것이 전천우가 되어야 겠구나 그생각을 정말 많이 합니다. (참여자7) 강사끼리 교류가 활발해져야 하거든요. 그래서 물론 초청강사분들이 선배분들도 계시고 하는데, 사례발표를 하는 시간이 많아져야지 자극을 받을 수가 있어요. (참여자6)

3.3 노인관련 전문가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대안에 대해 노인관련 전문가들은 첫째, 기존 노인대상 여가 프로그램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과의 변별성에 대한 부각, 둘째, 강사의 멘파워 강 화 모색, 셋째, 노인예술활동의 참여를 통한 노인인력개발, 소외방지,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9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표 Ⅳ-24> 노인관련 전문가들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주제분석

내용

노인대상 문화예술교 육의 접근 방향에 대한 논의

Ÿ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보편적 문화복지적 접근을 표명하나 현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 교육과 변별을 위하여 전략 모색

Ÿ 강사대상 노인이해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고 강화 되어야 함 Ÿ 노인들의 요구진단을 바탕으로 한 삶과 어우러지는 수준 높은 예술교육의

교육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전략

행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은 문화민주주의적 접근의 실천임 Ÿ 이는 정책 대상자에 대한 전문가들 간의 이견을 야기하였음

필요성 대두 Ÿ 전달체제의 주체간의 원활한 환류방안 모색의 필요성 대두 Ÿ 교육콘텐츠 개방이나 공유에 대한 폐쇄적인 문화예술분야의 속성의 변환

모색 Ÿ 교육콘텐츠 자료의 축적과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전략 모색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대 및 사회통합 모색

Ÿ 노인 인적자원개발, 세대 간 통합, 사회적 통합의 수단으로 문화예술교육

의 적극적 활용 Ÿ 노인들이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의 역할에서 교육 및 재원의 제공자로서

의 역할 전환 모색

ㅇ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한 논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모두 동의하나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사업의 구체적인 대상 혹은 향후 사업의 추진 상에 있어 중점대상에 대해서는 전문가 별로 이견을 보 이고 있었다. 본 사업전달주체의 중심에서 활동하는 참가자 G는 본 정책이 보편적인 문화복지 를 지향하고 있다고 단언하고 있었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사업이) 특정 대상에서 몰려서 지원한다고 하는 오해가 있습니다...전 (노인기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참가자 G)

이러한 오해는 심지어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원들의 진술 에서도 보여지는데, 참가자 A의 경우 특정대상(현행, 노인복지관 참가자)에 국한된 정책이 아닌 보 편적인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으로 발전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고 다른 참가자인 C, E, F 도 비슷한 의견을 피력하고 있었다. 즉 현행 노인복지관을 방문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에서 보다 다양한 노인층을 겨냥한 사업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었다. 노인의 삶의 질의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여가와 문화를 “경력”이라는 개념으로 보고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생애주기에 맞게끔 전략적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참가자 A)

Ⅳ. 연구결과|99


현행 정책의 타겟의 구분도 필요합니다. 교육의 보급보다도 행복한 노년사회를 만드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특히 복지관에 다니지 않는 노년층 그리고 신노년층에 대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참가자 F) 요즘은 노인도 중년도 아닌 연령층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60대 이상의 어르신들이 노인처럼 보이지 않고...이전보다 젊게 사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분들의 문화적인 욕구는 매우 다양하고 (이전의 어르신들과 비교하여) 다릅니다. (참가자 G)

반면에,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문화민주주의적 접근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연구의 전문가인 참가자 B는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층화경향을 지적하면서, 보다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 혹은 소외대 상으로 사업에 초점이 모아질 것을 제안하고 있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연령으로는 중간 또는 초년 노인, 그리고 계층으로는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다. 연령이 많아질수록, 계층이 낮아질수록 노인복지관-->사회복지관--->경로당 이런 형태로 이용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을 활용한 사업은 대상이 명확하지만, 수혜자 수를 한정한다.... (중략) 노인복지관--사회복지관--경로당의 연계고리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문화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계층에 대한 사업의 진전이 있어야 한다. (참가자 B)

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에 대한 의견은 참가자 F 그리고 H에 의해서도 발의되었다. 본 연 구에서 실시한 전문가들의 인터뷰 결과,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목적에 대한 함의는 존재하 나 누구를 대상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것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있었다. 현재 정책을 시 행하는 중심에서 활동하고 있는 참가자는 본 정책의 타겟은 우리사회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명백히 밝히고 있으나, 본 사업의 전달체계가 노인복지관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다른 전문가들로 하여금 정책의 대상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대 후반의 노인들로 제한한다는 인식을 갖 게 하였다. 다수의 참가자들이 다양한 연령대, 지리적 위치,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을 포함하는 보 다 폭넓은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본 정책이 보편적인 문화예술복지정책으로 발전할 것인가 혹은 문 화민주주의적 접근을 지향 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을 제시한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함께 정책적 함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교육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프로그램과의 변별성의 문제

현장관련 전문가들은 기존의 노인복지관 여가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의 변별력을 높여야 한 다는 의견을 공통으로 개진하였다. 노인복지관 관계자인 참가자F는 노인 참가자들의 입장에서 볼 때 기존의 프로그램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참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였고, 참가자G는 10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행하는 복지관의 입장에서 보면 굳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을 다른 지원프로그램과 변별할 필요성이 없기에 그러하다는 설명이었다. 즉, 교육 현장인 노인복지관의 입장에서는 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은 노인대상 여러 가지 교육 중에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복지관 입장에서는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은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배려가 부적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러한 현상은) 문화부와 복지부/지자체/복지관이 공동으로 사업을 하게 되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이다. 복지관에서는 기존 프로그램을 초급단계로 설정하고, 강사지원 프로그램을 중급 이상 단계로 설정하여 차별성을 키워야 한다. (참가자B)

이러한 현실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교육프로그램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의 무는 바로 강사에게 전가된다. 프로그램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고 목표 의식이 명확한 강사의 경우,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의 취지를 잘 설명할 수 있고 차별성을 부각 시킬 수 있으나 반면에,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에서 지적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술강사들 간에 편차가 존재합니다. 노인교육의 비전과 일상과의 연계를 고민하는 분들도 계시고 단순히 (강사 자신의)일자리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중략)... 진흥원 사업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가자 G) 복지관의 타 기능습득 프로그램과는 변별성이 있는 요소를 넣어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러한 것이 단시간에 가능한 것은 아니겠지요. (참가자 H)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의 변별력을 위한 제안으로 보다 수준 높은 강의 그리고 질 높은 수업이 전문가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비교적 주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문화재단에서 시니어클럽운영위원장을 지내온 참가자 E는 주민들의 교육수준과 비교해서 턱없 이 낮은 수준의 문화예술교육이 시행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주민들의 교육수준 그리고 경제 수준을 고려한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역 노인들의 요구를 피력하였다. 이러한 지적 은 다른 참가자들(A, B, D, F)에 의해서도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노인들의 수준과 잘 맞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를 테면.... 노인들은 좀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원하거든요. 왜 노인들에게 인문학 강좌나 예술이론 강좌를 하지 못하는 지 안타깝습니다.... 교육을 공급하는 쪽에서 생각하기 보단 수요자 측에서 검토하기 바랍니다. (참가자 E) 예술강사를 파견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프로그램의 질 향상, 전문성의 확대였을 것이다. 그러나 노인들이 차이점을 느끼지 못한다면... 아마도 전문강사들이 노인의 속성을 모르거나 노인복지관의 특성을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전문강사들이 예술전문가이지, 노인전문가는 아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관련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참가자 B)

Ⅳ. 연구결과|101


참가자B의 진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의 변별력을 위한 두 번째 방안은 강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의 증가이다. 전문가들은 타 연령계층을 대상으로 하 는 예술교육과 노인대상 예술교육은 그 대상의 특성적인 면에서 차이가 많고, 만일 강사가 노인 의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할 경우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교육강사가 자신을 “문화예술”강사인지 “노인대상”강사인지 잘 규명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노인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참가자 C) 노인 학습자들은 자신의 요구에 대한 것이 강합니다. 무엇을 하고 싶고, 어느 정도 발전하고 싶고... 놀이보다는 질적 수진이 높은 교육을 받고 싶다는 요구가 피력되었습니다.

물론,

프로그램에서도 도시와 농촌 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특히 도시거주 노인들의 경우, 자신의 욕구에 대한 명확한 주장을 하십니다. (참가자H) 노인교육에서는 집단에 따라 어떤 것이 필요하고 잘 디자인해서 접근하는 진단적 요구분석이 필요합니다. (참가자D).

노인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프로그램 운영의 중요성이 전문가들에 의해 강조되었는데, 특히, 노인들의 표출된 요구를 넘어선 그들의 잠재된 요구까지 파악하고 진단하는 전문가적 요 구분석의 작업이 강사들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필요에 대해 참가자들은(A, B, C, D, H) 언급하 였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적 교육인력 양성에서 차별화를 주어야 합니다. 특히 노인의 표현적 욕구 보다는 전문적 입장에서 판단한 잠재적 욕구 충족이 더 적당합니다. (참가자A)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기능교육이 담당하는 부분이 있지만 기능교육만은 아닙니다. 이것을 통해서 노인들의 자존감의 향상, 사회문제에 대해.. 자신의 해결을 위한 단초 제공이 목적인데... (참가자 G)

결과적으로 노인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자신들의 삶과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하는 것이 본 정책의 목적이고 이를 위하여는 강사들이 노인학습자들의 표면적인 요구는 물론 진단적 요구까지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고 참가자들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학습자들에 대한 진단적 요구분석의 과업은 예술분야에서 전문성만을 가지고는 수 행하기 어렵다. 반드시 노인들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한 작업이기 때문이 다. 따라서 본 인터뷰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추후 사업의 시행 계획에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에 대한 이해교육의 도입과 강화 되어야 할 필요성을 대두하였다.

10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ㅇ 교육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전략

앞서 논의 된 바와 같이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사업의 변별력은 노인종합복지관의 협조와 강 사의 목적의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프로그램의 정체 성을 노인 학습자들에게 전달하는 임무는 강사에게 맡겨진 현실적 상황은, 노인 학습자들의 요 구에 대한 진단적 분석과 더불어 보다 수준 높은 교육의 전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었다. 새로운 노인계층 대상 프로그램은 현재보다 다양해져야 합니다. 현재의 노인복지관의 여가 프로그램보다 고급스런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할 것입니다. (신 노년층은) 스스로의 욕구를 문화적으로 표현하는 문화민주주의 노인 1세대가 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이들 가운데서는 문화의 민주화를 매개자가 될 조건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참가자 B)

또한 인터뷰 참가자들은 현장에서 강사들이 다른 교육과 겹치는 사례가 있음을 지적하고 이 러한 점은 강사의 수입 창출 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의 변 별성의 확보 차원에서는 오히려 방해요소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강사들이 목적의 식을 갖고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일반적인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기본적인 매뉴얼이 개발되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강사들 의 연수를 실시하거나 혹은 시범수업 등의 실시하고 강사들의 자조모임의 활성화를 통하여 정보공 유와 더불어 네트워킹 형성을 통한 지지적 자원을 확대하는 전략이 모색되는 것이 상례이다6). 이러 한 전략들은 새로이 현장에 투입되는 강사들의 위험 부담을 덜고 현장에서의 난항들을 공유하고 문제점 해결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강사를 지지하고 교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현행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기본적인 영역들은(드라마, 무용, 사진 등)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에서 제시하고 있고 이를 현장에서 노인들의 요구진단과 더불어 응용하는 것이 강사들의 임무가 된다.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강사들의 기본적인 영역을 활용하는 능력의 편차는 크 다. 경험이 많은 강사의 경우 매우 노련하게 기본적인 것에 자신만의 노하우를 접목시켜 교육을 진 행할 수 있으나, 신규 강사의 경우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학습 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 현장에서의 어려움은 더욱 더 가중된다.

현장에서의 교육을 모니터링해 보니, 노인교육은 처음에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이나 이런 것과는 다르게 처음에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친밀감이 형성된 이후에 교육이 가능한데... 이것이 매뉴얼화 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릅니다. 연차가 오래된 분들은 잘 되고 있으나 신규강사의 경우 어려움이 6) 중․노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중․노년기 준비교육, 중․노년기 부부관계 향상교육, 은퇴 준비교육, 고부관계 향상 교육, 중․노년기 상담 등을 실시하고 있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여성가족부 산하기관)의 경우를 일례로 들 수 있다. Ⅳ. 연구결과|103


많습니다.(중략)...기존에 (강사들의) 커뮤니티가 있으나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특히 예술강사들은 자신의 소스를 노출시키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합니다.(참가자 G) 강사들의 공식적인 자조모임은 없습니다. 분야별로 (예술의 영역을 대변하는) 대표 강사격의 강사들이 있습니다. 이분들을 모시고 자문을 하곤 합니다.(중략)... (참가자 G의 예술강사들의 패쇄성에 대해 동의하며), 자신의 수업 내용을 공개하는 것을 매우 꺼려합니다. 심지어 국비로 외국에 연수를 다녀오신 강사들조차 그 내용을 공개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참가자 H)

문화예술분야의 도제적 관계를 통한 교육의 전통은 강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교육 프로그램을 공유하거나 공개하는 것을 꺼려하는 문화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분야적 특성은 수업내용의 공개 혹은 공유를 위한 강사들의 네트워킹의 추구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 기 위한 방안으로 인터뷰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모범수업의 공개를 통해 교육 콘텐츠 공유 혹은 신규강사들을 위한 샘플링 수업의 공개 등을 제안하였다.

물론 사회교육과 같은 형식은 아니겠지만 강사들의 교육에 오픈 수업을 통해 잘하는 것을 공개하려는 물고를 트는 방안이 될 것입니다... 강사분들은 강사일지를 올리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를 통한 아르떼 스탭과 의사소통 역시 신규강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가자 H) 강사들의 오픈 수업의 참여를 독려하고...수업 안의 개발에 참여하는 강사들에게 준전문가에 준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스를 모으는 방안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입니다 (참가자G)

아울러, 참가자G가 발의한 바와 같이 현재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컨텐츠 개발을 위한 재 원 역시 확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좋은 교육을 운영하는 강사에 대한 포상 방안 그리고 좋은 커리큘럼 개발을 도모하는 강사들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방안 등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 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제안하였다.

ㅇ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대 및 사회통합 모색

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결과물은 노인들의 문화예술의 향유경험의 증가와 삶의 질의 향 상은 물론 노인들의 인적자원개발, 세대 간 통합, 사회적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고 인터뷰에 참 가한 전문가들은 응답하였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노인을 수동적인 참여자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정책의 전달자로 역할의 전환이 시도되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10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노인들은 지혜를 서로 나누고자 합니다. 돈을 들여 외부강사를 초빙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내부에서도 훌륭한 강사를 조달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이분들은 기꺼이 (재능기부를 통한) 자원봉사를 하고자 합니다. 노인들은 그저 무능하다는 편견을 버리고 이분들의 커리어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을 검토해 주기 바랍니다. (참가자E)

이와 유사한 의견이 참가자A, C 그리고 앞서 제시 된 참가자B의 “노인들 가운데는 문화의 민주주주의 매개자가 될 조건이 되는 사람도 있을 것임”이라는 언급에서도 나타났다. 즉 노인을 교육의 대상이 아닌, 교육의 전달자로서도 활동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프로그램의 수혜자를 넘 어 프로그램재원의 지원자로서 적극적인 의지를 가질 수 있는 노인층 확대의 모색을 전문가들 은 제안하고 있었다. 이렇듯 파트너십을 가진 노인참가자들의 증가는 본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을 증진시키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수준 있는 노인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의 확대 방안으로 노인복지관이라는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지역사회로의 공간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참가자 A, B, D, E, F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자조 모임 혹은 동아리활동의 적극적인 지원통한 노인대상 문 화예술교육의 및 활동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장기적 교육목적과 방향성을 위해 (노인문화예술관련) 자생적 능력 향상을 이끌어 줄 동아리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노인들의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전문가의 도움과 더불어 예술활동을 위한 지역사회의 공간적 시설 확보를 위한 지원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할 것입니다 (참가가A) 기존의 복지관을 활용하여 좋은 모델을 심어 주는 것도 한 방편입니다. 소외계층 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노인 계층]에게 확산될 수 있도록 자립성 확립을 위한 동아리 지원 및 장소 지원 등이 가능할 것입니다. 특히 지역사회의 아트센터나 대학로의 소극장과 같은 문화공간의 건립이 필요합니다. (중략)...특히 지역사회로의 확대는 복지관을 다니지 않는 신노년층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F) 저는 사실 요즘 노인들이 함께 가르치고 배우는 기구를 조직하는 걸 생각하고 있습니다. 백화점의 노인아카데미나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는 과정과는 차별화 될 것입니다. 제가 벤치마킹하고 있는 기구는 영국의 U3A(University of the 3rd Age)입니다 (참가자E).

현재 일부 지역자치단체는 문화재단을 통해 노인들의 문화예술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독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재원이 제한되어 있고 수혜대상은 전체 노인인구수를 고려하면 매우 적 다. 보다 많은 노인들의 문화예술의 향유를 위하여 자립성을 갖춘 프로그램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참가자F의 제안이나 참가자E의 제안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는 것처럼 보 이나, 노인들의 문화예술활동의 자생력 추구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특히 참가자E의 제안은 매우 급진적이다. 그의 언급에서 나타난 U3A는 ‘당신의 지식은 어떤 이에게 긴요한 지식이 되고, 타

Ⅳ. 연구결과|105


인의 지식이 지금 당신에게 긴요하다’라는 기본적인 원리를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적용시켜 재능 기부를 통한

노인층의 교육활동의 참여 및 지역사회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있는 유럽 국가에서

의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인터뷰 참가자A, B, F는 문화예술을 통한 세대간의 교감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통합을 제안 하고 있다. 참가가 A와 F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은 세대통합을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가자B는 세대통합은 물론, 지역사회의 문화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사회적 통합을 제안 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이 소통과 공감을 지향한다면 그것은 지역과 마을에 기반해야 합니다. 넓게는 기초 시, 기초 군지역, 구지역에서, 그리고 좁게는 마을단위의 다양한 문화행사에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그것의 매개가 문화교육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현재의 노인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근대사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특히 농촌지역의 노인들은 마을의 근대사를 기억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이 사라지면 그 마을의 역사가 사라집니다. 이들과 함께 마을의 역사를 기록하는 작업이 문화적 시각에서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참가자B)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문화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는 노인과 타 연령층과의 세대 간의 통합은 물론, 노인소외의 문제 그리고 사회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재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은 자명하다. 특히 참가자B의 경우, 노인세대가 갖고 있는 문화적 가치를 강조 하였다. 이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가치를 제도권 내로 이끌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 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세대통합을 지향하는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은 “자신보다 연령이 높은 세대 와 잘 어울리려 하지 않는” 그리고 “노인복지관에 가려하지 않는” 신노년층 그리고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할 수 있을 것 이라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본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쟁점들을 제안 한다: 첫째,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 되어야 하는가? 보편적인 문화복지 Vs. 문화민주주의적 접근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보편적인 문화복지적 접근을 지향하고 있으나 우리사회의 현행 노 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은 문화민주주의적 접근의 실천이 대부분이다. 현재 본 보고서의 초점이 되 고 있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교육프로그램도 노인종합복지관이 그 사업의 전달 주체이고 그 참여 대상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논의는 이후에 정책적 제언 부분에서 다 루어지겠다. 둘째,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교육과 변별을 위하여 어떠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가? 노인들의 요구를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삶과 어우러지는 예술교육을 전문가들은 제안하

10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였다. 이를 위하여 강사들의 노인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인 소양이 되고, 이를 도모하는 노인에 대한 이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전략적 제언들은 이후에 정책적 제언 부분에 서 다시 논의 될 것이다. 셋째, 교육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모색되고 있는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은 올해로 2년 째 시행되고 있다. 본 프로그 램이 지속가능성을 가지고 게속 노인들의 문화향유를 위해 공헌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 의 품질의 개선 및 서비스 전달체제의 주체간의 원활한 환류가 모색되어야 한다. 전문가들의 인 터뷰에 의하면 교육콘텐츠의 개방이나 공유에 대해 매우 패쇄적인 문화예술계의 분야 적 특성 으로 인하여 교육 컨텐츠 자료의 축적이나 신규강사들을 위한 지지적 자원체계가 부족한 것으 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세대통합, 지역사회통합, 나아가 사회적 통합이 모색되 고 있는가? 인터뷰 참가자들은 노인들의 인적자원개발, 세대 간 통합, 사회적 통합 추구가 노인대상 문화 예술교육을 매개체로 하여 가능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에 수혜자의 역할을 넘어 제 공자로서의 역할을 전문가들을 제안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안들은 앞서 살펴보았던 외국의 사례 에서의 모범적인 예와 일맥상통하고 있다. 이에 관하여 추후 정책적 제안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 의가 될 것이다.

Ⅳ. 연구결과|107



Ⅴ. 결론

1. 연구 요약 2. 제언



Ⅴ. 결론

1. 연구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를 개발하여, 다양한 방법(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 인터뷰)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대상 문화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적인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선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 적 근간을 마련하고, 노인복지기관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예비문항을 가지고 척도를 확정하고자 2012년 5월 31일부터 6월 10일까지 노인복지시설 25개 소 410명을 대상으로 척도선정을 위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문항스크린(기 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즐거움, 문화예술 선호성, 사회성, 부정적 자존감, 건강관리, 긍정적 자존감, 도전정신), 42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53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위 영역별 문항 간 신뢰도는 ‘즐거움’ .949,

‘문화예술 선호성’ .956, ‘사회성’ .900, ‘부정적 자아존중감’ .709, ‘건강관리’ .906, ‘긍정

적 자아존중감’ .789,

‘도전정신’ .860로 나타나 모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산된 척도가 양질의 척도임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추가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GFI=.915, RMR=.043, NFI=.985, CFI=.912, RMSEA=.074로 나타나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 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즐거움’ 8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8문항, ‘사회성’ 9문항, ‘부정 적 자아존중감’ 4문항, ‘건강관리’ 3문항, ‘긍정적 자아존중감’ 5문항, ‘도전정신’ 5문항의 7요인 42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하위 영역별 최종 척도의 문항 내용은 <표 Ⅴ-1>과 같다. <표 Ⅴ-1> 최종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

하위요인

문항수

문 항 최근 들어 나는 기분이 좋다.

즐거움 영역

8

요즘 나는 기쁘다. 나는 요즘 흥겹다.

Ⅴ. 결론|111


하위요인

문항수

문 항 나는 최근 들어 활력 있다. 나는 요즘 흡족함을 느낀다. 나는 요즘 신이 난다. 나는 행복한 편이다. 나는 최근 들어 즐겁다. 나는 문화예술을 사랑한다. 나는 문화예술교육이나 활동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 나에게 문화예술은 중요하다.

문화예술 선호성

8

문화예술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이 알고 싶다. 나는 문화예술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문화예술을 감상하거나 활동하면서 깊은 감동을 느낀다. 문화예술을 하는 나의 모습을 보면 뿌듯하다. 나는 문화예술에 대해 관심이 있다. 나는 중간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친다. 나는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한다.

도전정신

5

나는 일이 마무리되기 전에 그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한다. 나는 내가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일을 해보고 싶다. 나는 가끔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부정적 자아존중감

4

나는 별로 좋은 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쉽게 갖는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동료들과 비교해서 나는 건강하다.

건강관리

3

나는 건강하다. 최근 몇 개월동안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잘 이해한다.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입장도 생각 해 본다. 다른 사람이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대체로 도와준다. 나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회성 영역

9

나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 자주 감동하는 편이다. 나는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한다. 나는 어려움에 빠져 있는 동료를 보면 도와준다.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일(활동) 하는 것을 좋아한다. 내 생각이 다른 사람과 다를 때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

긍정적 자아존중감

나는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 5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11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하위요인

문항수

문 항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42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인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노인복지기관의 문화예술교 육프로그램 참여자와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심리적 측정의 경우, 1차 조사는 2012년 5월 31일부터 6월 10일에 걸쳐 시행하였고, 사후 설문지는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2012년 11월 15일부터 11월 25일까지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1차, 2차 조사의 설문지에 모두 참여한 인원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모든 설문에 응답한 인원은 277명(실험집단 184명, 통제집단 93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진이 개발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점수에 대해 ANCOVA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이 높아졌다. 하위요인별로는 실험집단의 즐거움, 문화예술선호성, 도전정신, 건강관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부정적 자존감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하지만 긍정적 자존감과 사회 성의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향 후 연구에서는 왜 긍정적 자존감과 사회성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지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 만족도가 92.2점(100점 만점 환산 기준)으로 노인들은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높은 만족감을 보이고 있었다. 시설에 대한 만족도 가운데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수업내용에 대한 만족도로 91.4점이었고, 가장 만족 도가 낮은 영역은 수업 담당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로 87.6점을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본 수업을 추천하고 싶다는 의향에 대해서는 90.2점, 수업이 본인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음 에 대한 점수는 91.6점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측정은 2012년 10월 26일부터 11월 25일에 걸쳐 시행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 고 있는 시설 가운데 2개소를 선정하고, 시설별로 코티졸의 경우 사전 4회, 사후 4회, 알파아밀 라제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15분후에 측정하였다. 코티졸의 총 8회 측정에 모두 참여한 참가자는 24명이었고, 알파아밀라제 3회 측정에 모두 참여한 참가 자는 26명이었다. 각 집단의 비모수 대응표본 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코티졸 농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2, 3, 4회차 시간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이는 노인대상 문화예 술교육에 참여한 사람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코티졸 농도의 변화에 차 Ⅴ. 결론|113


이를 보임으로써,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은 부신의 코티졸 생성과 분비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즉,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일일주기리듬을 유지하면서 문화예술교 육을 실시한 이후가 교육을 실시하기 이전에 비해 스트레스 농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 로 보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입은 연구 참여자의 스트레스를 분출하여 스트레스 완화에 도 움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집단의 코티졸 농도는 감소한 반면, 또 다른 생리적 지표인 알파아밀라 제의 경우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 구에서 프로그램 개입 이후에 알파아밀라제의 농도 변화가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 지는 않지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알파아밀라제의 농도가 낮아진 것을 보았을 때, 차후 좀 더 엄밀한 연구설계를 통해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심층인터뷰는 2012년 10월 22일과 11월 5일에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심층 인터뷰 결과, 참여자들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몸과 마음이 치유되고, 생활의 활력을 주며, 새로 운 의욕이 생기고, 잃었던 꿈과 자신의 인생을 찾았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변화와 자아실현과 자신감을 갖게 되고, 가족과의 관계가 재형성되며 동년배들과 어울리는 시간이고 인생의 보람을 느끼며 예술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에게 문화예술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고 마움, 감사, 젊어지는 것, 치료제, 나를 찾아가는 과정, 새로운 인생, 예술을 알게 되는 계기, 추 억만들기, 마지막 소원, 무엇인가를 하고 싶게 만드는 원동력/ 삶의 활력소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해 노인 14명, 예술강사 7명, 노인관련 전 문가 8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 들은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해 교육횟수와 시간에 대한 현실적인 조정, 수준, 단계별 교육 운영, 연령통합적인 예술교육필요, 안정된 교육환경 지원을 주장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자인 예술 강사들은 노인 개인 특성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욕구 개별화된 프로그래밍, 조화로운 욕구 조합에 기반한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존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진 화,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의 통합적 기능 전문성 강화와 강사간의 교류 활성화를 언급하였다. 노인관련 전문가 집단은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한 논의, 기존의 노인대상 여 가교육과 변별을 위하여 전략 모색, 교육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전략,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세 대 통합, 사회통합 모색을 강조하였다.

2. 제언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11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첫째,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안정된 지속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노인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은 단순히 노인의 여가활동을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들의 자 아통합, 노년기 삶의 재구성 등을 통해 거시적으로는 노인예술의 현장성을 확장하고, 미시적으 로는 노인의 삶의 질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더욱이 본 교육이 기존의 노인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전문화된 강사 파견을 통해 질적인 예술교육을 보급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지속하는 것은 현 세대의 노인뿐 아니라 머지않아 도래하는 베이비부머들의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는 중요한 문 화보급코드가 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지속성을 보장하는 정책적 결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적 결단에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하위 제언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 전문적이고 지역안정성을 보장하는 강사확보 - 충분한 교육 공간 및 소모비용 지원(특히 농어촌의 경우) -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학습적 효과와 향유를 위한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운영방안 (교육빈도, 시간 조정 등)

둘째,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방법(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FGI)으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을 검증한 결과, 다양한 심리․사회적인 변화와 생리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더 많은 노인들 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입안이 요구되어진다. 노인들의 참여를 증대시 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욕구를 정확히 지각하며 시대의 트렌드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노인들의 참여를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도 매우 중 요하다. 따라서 더 많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거점지역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현재 프로그램을 실시 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 이외에 공간적으로는 경로당이나 주민자체센터 혹은 마을회관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전문가 FGI 결과에서도 현행 사업이 갖고 있는 노인종합복지 관이라는 물리적환경의 제한을 넘어 보다 넓은 지역사회에서의 노인들의 동아리 활동, 노인들의 자조적인 교육활동, 문화예술의 향유활동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발전되어야 한다고 제안하 고 있었다. 따라서 노인이라면 누구든지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구조가 필요할 것 이다. 우선적으로 공간적인 저변 확대를 시작으로 추가적으로 정보제공적 측면에서 노인이 소속된 지역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문화예술교육을 언제, 어디서, 어떤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토탈 문화예술교육 정보서비스를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기존의 노인문화예술교육과 차별화된 교육적 효과를 위한 증거에 기반한 접근과 노력이 필요하다.

Ⅴ. 결론|115


이미 많은 노인복지기관에서 노인들의 수요와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및 프로그 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이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의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다른 문화예술 교육과 어떻게 차별화된 교육목적과 효과를 기대할 것인가에 대한 전반적인 재고려가 필요하다. 노인문화에 관심을 두고 있는 다양한 부처의 지원사업들과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현재 지원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모니터링, 그리고 점차 다양해지는 노인계층의 복합적인 문화적 욕구수요 를 파악함으로써 증거에 기반한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노인계층의 수 요성과 노인문화예술교육을 보급하는 공급주체의 소통을 원활하게 운영하고 논리적이고 체계적 인 프로그램 진화를 위한 연구, 모니터링, 현장중심적인 정책수립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러한 기능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일부 수행하고 있는 기능이기는 하나, 향후 100 세 시대를 맞이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할 노인인구의 문화적 수요를 가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 해서는 보다 많은 노인전문가를 확보하여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조사연구기능을 수행하고 이끌 어갈 핵심주체로 육성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노인문화조사전담팀 또는 노 인문화연구를 집중하여 운영할 TFT 등을 구성하는 등의 대안마련을 통해 점차 정착되어야 할 노인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 그리고 기존의 욕구충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새로운 문화 예술 욕구를 창출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인문화예술교육정책의 근거를 마련하는 체계적인 전략 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넷째, 누가 정책의 대상자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보다 명확한 대상 설정이 필요하다.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보편적인 노인을 그 정책의 대상자로 규명하고 있으나 그 정책 전 달 상의 실천적 현장에서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대상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의 규명과 실천의 괴리는 현장에서 그리고 전문가들 간에도 노인대상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에 대한 혼란을 야기할 위험요소를 포함한다. 본 정책이 문화적 소외 계층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다면 노인복지관보다는 취약 계층이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경로당과 종합복지관과의 파트너십 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제안이 있었다. 한편 누가 노인인가에 대한 정의 역시 현장의 전문가, 실천가들 간에 의견이 분분 하였으나 노인계층이 연령별, 지역별,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층화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라는 점은 모 두 일치하고 있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노인도 아니고 장년이라고 분류하기에도 어려운 55~65세 은퇴자들이 새로운 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의 문화에 대한 욕구는 물론 삶의 욕구 역시 기존의 노인층과는 다른 성향을 보인다는 것이 인터뷰 참가자들에 의해 동의되는 부분이 었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 교육은 보편적 접근과 더불어 노인계층의 층화적 특성이 반영되고, 문화격차 해소를 위한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 등 다양한 접근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11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다섯째, 기존의 노인대상 여가교육과 구별되는 수준 높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노인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보다 수준이 높은 고급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들은 자신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욕구가 매우 뚜렷하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자 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하다. 이러한 욕구들은 도시와 농촌 그리고 지역사회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배경적 요인들이 고려 된 노인참가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교육적 위계를 갖춘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전의 노 인교육이 소일과 여가문화였다면, 향후 노인문화예술교육은 자신의 욕구를 문화적으로 표현하고 삶에 융화시키고 표현하는 신노인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강사의 맨파워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현 프로그램이 노인복지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변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결 요건은 전문강사의 본 프로그램 목적에 대한 정확하고 뚜렷한 인식과 더불어 이를 적극적 으로 노인 참가자들에게 인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역시 강사가 얼마나 노 인들의 욕구를 정확히 진단하고 라포를 형성하면서 수업을 진행하고 노인 참가자들의 잠재적 능력을 발견하고 개발하도록 자극을 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훌륭한 역량을 갖춘 강사들의 모범적인 프로그램 혹은 성공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노하우나 프로그램 콘텐츠가 축적 및 공유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다. 아울러 정책의 주체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담당자와 강사, 그리고 강사와 강사 간의 의사소통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환류시스템 의 원활성 증대 방안 역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강사들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공개수업이나 오픈 포럼을 통해 좋은 교육프로그 램의 경험이 많은 강사의 교육내용을 공유하는 것은 기존 강사는 물론 신규 강사들의 역량 강 화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도제적 교육을 하는 예술계의 학풍은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공유 에 대한 강사들의 거부감을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오픈수업 이나 프로그램 공유를 시도하는 강사에 대한 포상이나 재정적 지원 혹은 대표 강사제도와 같은 인센티브의 제공 등 다양한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일곱째, 노인문화예술활동의 참여를 통한 노인들의 소외를 방지하며, 사회통합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외국의 사례에서 노인문화예술교육과 노인문화예술활동은 세대 간 통합적 접근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고령사회로 진입한 프랑스의 경우, 노인 친화와 세대 통합을 위해 사회정책 전반을 개편하고 있다. 노인들은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를 넘어 교육자로 활동하기도 하고 자신 들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는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미국의 사례에서도 노인참가자들 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Ⅴ. 결론|117


전문가 인터뷰에 참여한 한국의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들 역시 유사한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즉 노인들의 이미지 개선, 우리사회의 연령통합,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보편적인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노인을 교육 수혜자의 역할을 넘어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제공자 그리고 교육을 위한 재원을 제공할 수 있는 후원자의 역할로의 전환을 제안하였다. 노인교육을 담당하는 노인 강사들의 배출은 물론 마을의 역사, 지역사회 역사와 문화를 전수하 는 매개자로서의 노인인력의 활용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예술활동을 매개로 한 노인들 의 지역 문화행사의 참여 혹은 문화활동의 참여는 우리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편견 을 재고시키고 노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노인차별, 노인소외 등과 같은 사회 적 문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대응방안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문화예술교육은 다양 한 세대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사회적 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적인 효과성 측정과 보다 엄밀하고 구체적인 측정 방법에 대한 보완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노인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하 지만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참여자 특성 을 반영한 효과성의 측정, 프로그램 유형별 효과, 연령별, 성별 효과 등을 추가한 보다 세밀하 고 구체적인 연구설계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한다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과 정책을 설정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생리적 측정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에 게 측정 자체가 줄 수 있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줄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타액채취의 방법 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타액 내 스트레스 호르몬 외에 타호르몬이나 신경학적 인 변화를 함께 관찰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입시간을 고려한다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더욱 과학적으로 증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11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참고문헌

강 희 (2005). 치매노인을 위한 집단 무용/동작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논문집, 6(1), 107-124. 고재욱 (2012).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으로 본 노인의 문화권 증진 고찰 –노인 여가, 문화를 중심으로- 스 포츠와 법, 15(2), 117-145. 교육부. (2006). 평생교육백서. 서울: 교육부. 구진경 (2010). 타액 코티졸(Salivary Cortisol) 농도 변화를 통해 살펴본 임상미술치료의 효과. 임상미술치 료학연구, 5(1), 26-32. 권미애 (2008) 노년기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활동 유형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박 사학위 청구논문. 권순호 (2010). 노인들의 놀이 문화로서의 음악 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소고. 한국음악학회지, 44, 29-54. 기영화, 김남숙, 김선주, 성정은 (2010). 『노인 문화예술교육 모델 발굴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갑숙 (2003).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 리학회지, 21(5), 109-120. 김갑희 (2002). 생활무용이 노인여성의 생활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지, 2, 61-69. 김동민. (2006). 『창조적 음악치료』. 학지사. 김동수, 정연수, 박세권 (2004).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 코티졸과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 점수 사이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633-645. 김문수 (1999). 노인 여가 활용을 통한 노인자원봉사 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시립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설향 (2005).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자극 운동프로그램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5, 503-515. 김수정 (2007). 통합예술치료가 여가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통제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 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안젤라 (2004).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 복지연구, 24, 153-179. 김영미, 장미경, 김민경, 김진경 (2012). 자녀가 상담을 받고 있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타액 코티졸에 미치는 모래놀이치료 효과. 아동학회지, 33(3), 83-97. 김영숙, 도복늠 (2005).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2(2), 483-500. 김유경, 최외선 (2008).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 료연구, 15(1), 129-148. 김윤진 (2011). 노인의 조형예술교육 다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5(3), 177-200. 김은주, 이일선, 이준기, 권용주 (2010). 고등학생의 관찰 활동에서 나타난 관찰능력과 코르티솔 호르몬의 상관관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2), 260-267.

참고문헌|119


김정기, 김한수, 정복희 (2008) 소그룹 신체활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 료학회지, 2(2), 13-24. 김정수 (2007). 노인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참여현황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주거복지시설과 노인 여가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순 (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혜 (2006). 수도권 여성노인의 평생학습욕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희 (2008). 무용/동작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 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천오, 정동훈 (2007). 통합예술치료가 시설치매노인의 인지와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 지, 7(2), 39-59. 김희정 (2009). 메디댄스 프로그램이 노인 경중 치매환자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 청구논문. 류정란 (2002).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 구논문.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제9차 문화예술교육 정책 포럼』. 문화체육관광부 (2010). 문화예술정책, 이렇게 추진합니다, 한국지역개발학회지, 9(2), 101-111. 박세권, 김동수 (2007).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 반응과 타액 코티졸과의 관계. 대한인간공학 회지, 26(1), 11-18. 박은미, 이미애 (2006).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4), 915-936. 박종한 (2007).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생물학적 결정 요인들.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진희, 김은희 (2008). 생활무용참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프로파일 분석, 한국무용학회지, 8(1), 37-45. 박현철 (2009).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9(1), 1-21. 배예준 (2011). 중학생들의 분류능력지수와 타액 cortisol 호르몬 분비량 변화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보건복지부 (2012). 『2012년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서석희, 박애신 (2007).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07-130. 손덕순, 이홍직 (2006).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요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 연구, 31, 181-206. 손병민 (2003). 작업부하와 직무스트레스가 타액 코르티솔농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손호희 (2007).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일상생활동작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 재활과 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영주, 이근매, 김기보 (2012).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

12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술심리치료연구, 8(3), 23-45.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 1-19. 신승빈 (2011). 2011 사회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문화예술경영학연구, 4(2), 159-178. 안계일 (2008).

노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안종모, 유지원, 이장근, 이영수, 윤창륙, 조영곤 (2007). 스트레스와 연관된 질환의 연구에 있어서 타액내 코티졸의 활용에 대한 문헌고찰. 구강생물학연구, 31(3), 113-120. 양영애, 이인경, 허진강 (2006). 노인의 여가에서 예술치료의 이해와 전망. 한국스포츠리서치, 17(4), 85-98. 양은진 (2011). 노인요양시설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가 우울감, 고독감과 사회적 유대감 형성 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양혜경 (2007). 음악치료레크리에이션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7(1), 29-49. 양혜경 (2010).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뇌졸중노인의 우울증 감소와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49, 127-144. 오상현 (2001).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온채은 (2010). 무용/동작치료(DMT)와 심리적 안녕감 연구: 질적 연구방법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청구논문. 우정민, 이상호, 임효덕, 김상헌, 송경은, 박정란, 이승재 (2008). 부정적 정서자극에 대한 타액 알파-아밀 라제의 반응 특성. 신경정신의학, 47(5), 441-449. 우종인 김기웅, 김성윤, 김주한, 우성일, 윤종철 외 (2008). 『치매 진단평가를 위한 한국판 CFRAD 평가 집(제1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미나 (2009). 시설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타악기연주 효과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청구논문. 유민식 (2008).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8(1), 23-44. 유정숙 (2010). 한국문용 참가자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2(2), 33-43. 유창렬 (1985).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그에 관계되는 변인. 한국농업교육학회지, 17(1), 75-77. 윤소영 (2011). 『100세 시대 대비 여가 및 문화활동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윤진 (1985). 『성인 노인 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윤혜선 (2004).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효과 : 여성 노인 자원 봉사자를 중심으 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범석 (2010). 고령화사회 노인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위한 죽음불안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상호, 김상헌, 우정민, 송경은, 정성훈, 장성만, 이승재 (2008).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생물학적 표지자로 서의 타액 알파 아밀라아제의 유용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4(1), 132-141. 이성희 (2011).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표 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18(1), 153-171.

참고문헌|121


이승희 (2006). 『음악치료 기법과 모델』. 학지사. 이승희 (2007). 후기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무용/동작 치료의 효과. 한국무용동작심리학회논문집, 53-72. 이영은 (2008). 노인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효과 연구 -생애회고 기법을 중심으로. 2008년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이예승 (2009).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후기고령노인의 자존감 및 사회성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윤경, 정경희, 염지혜, 오영희, 유혜영, 이은진 (2010).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이윤정, 김신미 (2003).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 과. 한국노년학회지, 23(4), 45-48. 이윤희 (2012). 클라리세이지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 향흡입이 여성 요실금 환자의 요역동학검사 시 스트 레스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주희 (2000). 집단 음악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지은, 정민형, 이보연, 김승보, 허주엽 (2007).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타액 내 코르티졸 농도를 이용한 스 트레스와 증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50(1), 187-194. 임영미 (2002). 율동적 동작이 치매노인의 신체적 기능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지, 21(3), 82-88. 임영식, 유제민, 정경은, 김윤나, 양돈규 (2012).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임학순, 이상민, 조은아, 최윤아, 서지혜, 윤상용 (2006). 『2006 사회취약계층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장혜경, 최외선 (2005).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미 술치료연구, 12(3), 681-701. 정광렬, 라도삼 (2010). 『예술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정명선 (2004). 한지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 구, 11(2), 231-266. 정여주 (2003). 『미술치료의 이해, 성인 및 노인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정여주 (2005).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5(1), 73-86. 정용, 최미혜 (2009). 음악을 활용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입원노인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3), 75-84. 정현주 (2005).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조선경제i (2011. 5. 30). 고령인구, 정부 예측보다 빠르게 증가. http://biz.chosun.com에서 2012년 11월 30일 인출. 조추용 (2004). 치매노인을 위한 모테소리 프로그램 개발. 노인복지연구, 26, 141-191. 조태예 (2009). 고령화 사회를 위한 노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활용방안: 미술치료에서 노인미술활동으로 의 패러다임의 변화. 한서대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조현성, 김영범, 이주연 (2004). 『노인 문화복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진정권, 이영에, 이명천 (2007). 중학교 레슬링선수의 운동경기가 혈청효소와 타액 IgA,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9(1), 49-57. 최금주 (2009). 노인의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38, 109-125. 최영순 (2006). 집단미술요법이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6(1), 59-73. 최윤정, 황향희, 김보람 (2010). 무용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운동적 기억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9(1), 373-383. 최정윤 (2008). 보육 시설 아동의 코티솔 수준 : 보육 경험, 사회계층,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 능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최혜정 (2009). 부신 피질 기능 평가에 있어 기존의 검사 방법과 타액 코르티솔 측정의 진단적 가치에 관 한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통계청 (2010). 『인구총조사』. 국가통계포탈사이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예술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기본연구 2010-3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 『해외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해외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interim report). 『2012 노인 장애인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세 부 추진 계획』.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승경, 간연욱, 이재홍, 류경희, 오경자 (2006). 신경심리평가 수행을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혈 관성 치매의 신경심리학적 변별.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5(4), 987-1010. 한승준, 박치성, 정창호 (2012). 문화예술자원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비교연구: 영국, 프랑스,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2), 257-291. 허준수 (2002).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2), 227-247. 홍란희 (2009). 감정노동 직군에 대한 마사지요법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황선영 (2008). 노년기 치료적 미술 활동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황향희, 최윤정 (2010). 무용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적 기억수행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 재활학회지, 6(3), 27-38.

참고문헌|123


Arkin S. N. (1999) Elder rehab: A student supervised exersice program for Alzheimer's patients.

Gerantdogist, 29(6), 729-735. Art Educational Partnership (AEP, 2012). Arts Education Partnership. Retrieved from www.aep.org Bassett, J. R., Marshall, P. M., & Spillane, R. (1987). The physiological measurement of acute stress(public speaking) in bank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4), 265 –273. Bober, F., Weller, E. B., Weller, R. A., Tait, A., Fristad, M. A., & Preskorn, S. H. (1988). Correlation ofserum and salivary cortisols in prepubertal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America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aitry, 27, 748-750. Bohnen, N., Nicolson, N., Sulon, J., & Jolles, J. (1991). Coping style, trait anxiety and cortisol reactivity during mental stres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5, 141–147. Bryan S. Turner. (1983). Religion and Social Theory, Atlantic Highlands. NJ.: Humanities Press;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Canohes, France (2012). Actualite. Retrieved from http://www.canohes.fr/fr/actualite/ca-s-est-passe-a-canohes/semaine-bleue Clair, A. A. (1996). Therapeutic Uses of Music with Older Adults (Baltmore. MD: Health Professions Press). Couper, J. L. (1981). Dance therapy: Effect motor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learn disabilities.

Physthem, 61(1), 23-26. Disabato, B, A. W. (1995). Art theraphy and reminiscence: A three dimensional life review totem with the elder adult female. Masters Abstracts International 33(5), 1412-1422. Gunnar, M. R., Hertsgaard, L., Larson, M. C., & Rigatuso, J. (1992). Cortiso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repeated stressors in the human newborn. Developmental Psychobiology, 24, 487-505. Hanser, S. B. (1990). A music therapy strategy for the depressed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9, 283-298. Harris, B., Watkins, S., Cook, N., Walker, R. F., Read, G. F., & Riad-Fahmy, D. (1990). Comparisons of plasma and salivary cortisol determination for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Biological Psychiatry, 27, 897-904. Hartley, L. H., Mason, J. W., Hogan, R. P., Jones, L. G., Kotchen, T. A., Mougley, E. H., Wherry, F. E., Pennington, L. L., & Ricketts, P. T. (1972). Multiple hormonal responses to granded exercise in relation to physical training. Jounral of Applied Physiology, 33, 602-606. Hayden, R. M., Allen, G. L., (1984).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exercise. Anxiety and Depression: Convergent validation by knowlegeable informatio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4, 69-74. Hennessey, M. J. (1984). Music therapy. In Working with the Elderly: Group Processes and

Techniques(2nd ed), edited by I. Burnside (Monterey, CA: Wadsworth Health Science Division, 198-210.

12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Holstein, M. B. & Minkler, M. (2003). Self, society, and the new gerontology, The Gerontologist,

43(6), 787-796. Karras B. (1990). Down memory lane (Wheston, MD: Circle Press, 1983), M.E. Wylie,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old familiar songs antique objects, historical summaries, and general questions on the reminiscence of nursing-home resid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7(1), 2-12. Kirchbaum, C. & Hellhammer, D. H. (1994). Salivary cortisol in psychoneuroendocrine research: Recent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Psychoneuroendocrinology, 19(4), 313-333. Kramer, T.M., (1994). Experimentation in Decreasing Negative Wander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the Use of Art Therapy. Master Abstracts Internal, 32(5), 1250-1259. Lemon, B. W., Bengston, W. L., & Peterson, J. A.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27. Les Aines Ruraux (2012). Les Aines Ruraux. Retrieved from (http://www.ainesruraux.org) Lopez, J. F., Akil, H., & Watson, S. J. (1999). Neural circuits mediating stress. Biological Psychiatry,

46, 1461-1471. Lovallo, W. R., Pincomb, G. A., Edwards, G. L., Brackett, D. J., & Wilson, M. F. (1986). Work pressure and the type A behavior pattern exam stress in male medical students. Psychosomatic

Medicine, 48(1), 125-133. Lupien, S. J., Fiocco, A., Wan, N., Maheu, F., Lord, C., Schramek, T., & Tu, T. (2004). Stress hormones and human memory function across the lifespan. Psychoneuroendocrinology, 30(3), 225-242. McCraken, J. T., & Poland, R. E. (1989). Saliva and serum cortisol dynamics following intravenous dexamethasone in normal volunteers. Life Sciences, 45, 1781-1785. Mess-Christeller, E. (1996). Heilende kunst und kenzen. Dornach: Die Dforte. Ministere des Affaires sociales et de la Snate (2012). PLAN NATIONAL “BIEN VIEILLIR” (2007-2009). Retrieved from http://www.social-sante.gouv.fr/espaces,770/personnes-agees-autonomie,776/dossiers,758 /plan-national-bien-vieillir,763/le-label-bien-vieillir-vivre,1698/carte-de-france-des-villes,111 80.html. Minkler, M., & Fadem, P. (2002). Successful aging: A disability perspective.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2(4), 229-235. Miziniak, H (1994). Person with Alzheimer's: Effects of nultrition and exercise. Journal of

Geroutological Nursing, 20(10), 27-32. Mohaupt-Luksch V.(2004). Die Wirkung Kunsttherapeutischer massnahem., In Dalley T.(Hrsg.).

Kunssrrherapie mit demenzranken menschen(pp.82-91). Frankfurt am main: Mabuse-Verlag. Nater, U. M. & Rohleder, N. (2009). Salivary alpha-amylase as a non-invasive biomarker for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Current state of research. Psychoneuroendocrinology, 34(4),

참고문헌|125


486-496. Natera, U. M., Rohlederb, N., Gaaba, J., Bergera, S., Juda, A., Kirschbaumb, C., & Ehlert, U. (2005).

Human

salivary

alpha-amylase

reactivity

in

a

psychosocial

stress

paradigm.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55, 333-342. National Assembly of States Arts Agencies (NASAA, 2012). The States with AA. Retrieved from www.nassa-arts.org. National

Center

for

the

Creative

Aging

(NCCAm

2012).

About

us.

Retrieved

from

www.creativeaging.org.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2012). Introduction of the NEA. Retrieved from www.nea.gov.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tzold, H. (1985). Mit alten menschen arbeiten; bildungsarbeit. psychoherapie. Muenchen: Pfeiffer. Rabkin, N., & Hedberg, E. C. (2008). Arts Education in America: What the Declines Means for

Arts Participation. Washington, D. C.: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Sante Lefigaro (2012). Universite de troisieme. Retrieved from

http://sante.lefigaro.fr/social/personnes-agees/universites-troisieme-age

Sapolsky, R. M., Romero, L. M., & Munck, A. (2000). How do glucorticoids influence stress response? Integrating permissive, suppressive, stimulatory and preparative actions. Endocrine

Reviews, 21(1), 55-89. Schoenberg, A. (2002). Rehalilitave Kunstherapeutischer aeltrtrt und alter menschen, Bruehl: Books on Demand GmbH. Sheafor, B. W. and C. R. Horejsi (2005)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Social Work Practice. Allyn & Bacon. Smallridge, R. C., Whortona, N. E., Burmana, K. D., & Ferguson, E. W. (1984). Effects of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on the pituitary-thyroid axis and on prolactin secretion in male runners.

Metabolism, 34(10), 949-954. SPPA. (2008a). Arts Education in America: What the Declines Means for Arts Participation. Washington, D. C.: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ick Rabkin & E. C. Hedberg] SPPA. (2008b). Age and Arts Participation: A Case Against Demographic Destiny. Washington, D. C.: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Mart J. Stern] Stahl,

F.

&

Dörner,

G.

(1982).

Responses

of

salivary

cortisol

levels

to

stress

situations.

Endokrinologic, 80, 158-162. Strahler, J., Mueller, A., Rosenloecher, F., Kirschbaum, C., & Rohleder, N. (2010). Salivary α‐ amylase stress reactivity across different age groups. Psychophysiology, 47(3), 587-595. UNCCAS (2012). Evenements. Retrieved from http://www.unccas.org/evenements/marseille/programme.asp

12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Vazquez, D. M. (1998). Stress and the developing limbic-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Psychoneuroendocrinology, 23, 663-700.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70. Whall, A. L.(1987). Self-Esteem and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 Journal of Geroutological

Nursing, 13(4), 41-42 Wilfley, D., & Kunce, J. (1986). Different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exerci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6(3), 337-342. Woodside, D. B., Winter, K., & Fisman, S. (1991). Salivary cortisol in children: Correlations with serum values and effect of psychotropic drug administration.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36, 746-748.

참고문헌|127



부록

부록 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개념 추출을 위한 예술강사 인터뷰 문화예술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FGI는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측 정을 구성하는 지표개발을 위해 구성된 사전 조사이다. 따라서 본 사전조사는 1년 이상의 경력 을 가진 노인문화예술교육 강사의 현장 교육경험을 질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참 여하는 노인의 예술교육동기와 욕구,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를 대상으로 한

FGI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연구질문에 대해 진행하였

으며,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아래 <표 Ⅵ-1>와 같이 모두 16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질문1.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질문2.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에게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가? : 효과성 중심으로

<표 Ⅵ-1>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 FGI분석결과

연구 질문 Q1.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경험은 어떠한가?

주제 분석 ⚫ 참여노인의 다양한 욕구 직면 ⚫ 프로그램 주체들 간의 욕구상충 ⚫ ⚫ ⚫ ⚫

젊은 날 못 이룬 소원성취 무언가를 해냈다는 성취감 내 안의 욕구발산을 통한 마음의 치유 Q2.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을 통해 새로운 경험 참여자들에게서 어떠한 변화가 - 봉사, 보람을 찾아감 나타났는가? : 효과성 중심으로 - 자신감 - 즐거움 ⚫ 젊어지는 몸과 마음 ⚫ 예술 자체의 아름다움을 느낌

부록|129


■ 연구질문 1.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경험은 어떠한가? ◦ 참여노인들의 다양한 욕구 직면

강사들이 가장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직면한 과제는 교육대상인‘노인’들의 ‘노인이기 때문에 경험하는’ 신체적 질병, 심리적인 우울감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경증 치매에 이르는 다양한 질병의 문제, 그리고 건강이 가장 우선적인 욕구인 노인들에게 예술을 매개로 접 근해야하는 어려움이었다. 또한 강사들은 노인의 연령 혹은 사회경제적인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욕구와 예술에 대한 기대가 다른 만큼 이러한 다양한 노인계층의 욕구수준을 조정해야하는 과제를 직면하였다.

사람마다 특징이 한 가지 이상 질병을 갖고 계시더라구요, 그랬을 때 관절염이 있으시던가, 특징을 체크해주는 치매가 있으시던가, 경증치매도 있으시구요, 그리고 우울증을 앓는 분들도 계세요.여기 오시는 분들이, 그런 특징적인 것들을 미리 사전에 항목을 만들어서 체크를 해서 하면 그렇게 좀 하면 좋지 않을 까 생각해요(참여자1) 어르신들이 육체적으로 아무래도 건강이 약화되시니까 신체적인 부분에서 어린아이와 같으니까 느리게 해야 하고 천천히 해야하고 반복해야 한다고 이런 말씀들을 하시지만 그건 몸에 대한 것이고 사고는 또 다르시잖아요, 어르신들 65세 이상에서 어르신들인데, 60대와 80대가 많이 다르고 그리고 아이들은 그 환경도 비슷비슷해요, 가정환경이 조손이고 머고 있다고 하지만 그런데 어르신들같은 경우에는 삶의 경험이라는게 너무 차이가 나는거예요. 교장선생님 출신, 어떤 분들은 아예 문외한도 계시고, 그런분들이 복지관에서 같이 하시니까 저는 처음에 시작을 하면서 부딪혔던 부분이 머냐면 어르신들의 욕구가 우선 뭐가 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해가 거듭하면서 가장 관건이였어요.(참여자4)

◦ 프로그램 주체들 간의 욕구상충

노인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면서 강사들은 하나의 교육에 내재된 노인의 욕구, 강사의 욕구, 기관의 욕구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욕구들이 서로 상충되어 있어 교육을 이끌어가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저희 문제점이 모였냐면 사실 프로그램을 놀이중심, 음악놀이. 창의음악놀이, 놀이를 통해서 어르신들에게 음악을 통해서 즐거움을 향유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그걸 기관쪽에서 아르떼쪽에서 요구를 받고 했는데..(중략) 처음에 시작을 하면서 부딪쳤던 부분이 머냐면 어르신들의 욕구가 우선 뭐가 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해가 거듭하면서 가장 관건이였어요. 그리고 사실 첫해 진흥원에서 요구하였던 것이 개인적으로는 자신있었다. 왜냐면 노인을 중심으로 창의음악놀이를 한다고 하면 난 뭐든지 할 수 있다. 그래가지고 기능중심이 아니고 놀이중심,

13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어르신들이 기능중심이라고 하면 사실 힘들잖아요. 놀이중심, 과정중심 난 이건 자신있다. 어르신들이 음악적으로 놀 수 있는 것들은 자신있다. 그랬는데 이걸 갖고 첫해 딱 받으니까 어르신들이 아이구 무슨 우릴 어린애로 보느냐, 어르신들의 욕구는 그게 아니였던 거예요. 그래서 저희가 첫해에 굉장히 많이 부딪혔어요.(참여자 4) 저희 같은 경우는 첫해에 말씀하셨던 것처럼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하라고 해서 수업을 구성을 했는데 어르신들 이제 통합예술교육 측면에서 만약에 음악아닌 미술이 들어온다거나 음악하는것이 아닌 것을 할 때는 부정적인 반응을 많이 보이셨어요. 그래서 여러 가지를 시도를 해보다가 어르신들이 좋아하시는 걸로 추려가면서 여러 가지활동을 하기 시작했어요.(참여자6) 경험이 없으시니까, 제가 보니까 경험이 없으시기 때문에 새로운 것에 대해서, 어르신들이 왜 새로운 경험에 대해서 좀 빠져들기 쉽지 않다고 하시잖아요. 그래서 그런지 어른들의 욕구는 사실 진흥원에서 처음에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과정중심의 향유 이거하고는 안맞는 것 같더라구요.(참여자4)

■ 연구질문 2.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에게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가? : 효과성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강사들이 교육을 진행하면서 경험적으로 인식한 노인들의 변화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면서 변화되는 현상을 ‘효과‘로 정의하고, 강사들이 인식한 노인들의 교육 전후 변화내용들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노인들의 변화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 젊은 날 못 이룬 소원 성취

일제치하와 한국전쟁, 그리고 우리나라 산업화과정에서 생계를 위해 꿈을 접어야했던 노인들 에게 노년기 예술교육경험은 ‘꿈’으로만 생각했던 ‘예술 세계’에 대한 소원성취였다.

작년에는 건반수업을 했었는데요. 요만한 미니건반가지고 어르신들이 너무 좋아하시는 거예요. 그거를 피아노를 쳐보는게 소원이신 거예요. 그분에게 바이엘을 가르치겠어요. 안되거든요. 그분한테는 코드를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해서 그 안에서 근게 그것만 갖고도 너무 좋아하시는 거예요.(참여자4) 만족인 것 같아요. 왜냐면 어머님들 이야기하시기를 내가 한때 다 연극배우였던 분들이 없어요. 내가 초등학교때 연극을 했을때 사람들이 다 울었다. 이야기를 하시면서 이야기를 하세요. 연극이란 매체,연극을 너무 하고 싶으신 것예요.(참여자2)

부록|131


◦ 무언가를 해냈다는 성취감

처음 예술을 교육받으면서 노인들은 생계 때문에 두꺼워진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리고, 낯선 연극을 연습하고, 만지기도 두려웠던 기타를 치는 법을 배우면서 새로운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 끼기 시작했다. 이러한 예술에의 성취감은 노인참여자들에게 또다른 예술을 배우고 싶다는 욕구 와 문화예술 교육에 좀 더 적극적인 참여를 지속하는 동기를 낳았다. 반응이 좋은 것 중에 하나는 무대위에서 본인들이 무언가를 해냈다. 나는 다른 사람들하고 다르다. 정말 배우고자 하는 욕심이 얼마나 많으신지 많게는 7가지를 들으시는 분들도 계세요. (참여자 7) 제가 느끼기에는 악기를 배운다는 열의가 굉장히 있으시더라구요. 그게 본인이 그게 자기 악기가 되는 것도 아닌데, 그런데도 먼가 하나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어느정도 진짜 그게 시험을 보기위한. 자격증을 따기위한 것은 아니지만 그 뭔가 하나를 가지고 보이는 것으로 가지고 그걸 향유하고 성취감을 받기를 원하시더라구요. (참여자4)

◦ 내 안의 욕구를 발산을 통한 마음의 치유

강사들에게 가장 강렬하게 체험된 노인들의 변화는 ‘우울’, ‘외로움’, ‘좌절감’ 등으로부터 노 인들이 새로운 심리적 에너지를 갖게 된 것이었다. 이러한 심리적 변화는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활동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노인들에게 ‘치유’적 효과를 초래한 것으로 진술되었다.

본인이 우울증을 가지고 계시대요. (중략) .그 분 안계실 때 다른 분들한테 저분은 여기나오는 것만으로도 우울증치료가 가능하다. 이미, 우울증이신 분들은 거기까지 오지 않는데, 그래서 잘 돌봐드리자고..그 다음부터 이분도 관심을 받고 싶은 거예요. 뭐 그런 것들 정신적으로도 치료가 되는 거죠(참여자1) 왜 이 노래가 18번이죠? 노래를 한번 적으세요. 그러면 불러보세요. 그러면 그 노래를 왜 부르게 됐느냐, 그러면 거기에 대해 얽힌 이야기들이 막 있어요. 그러면 그걸 가지고서는 회상하는데 그런 작업들을 굉장히 좋아하시더라구요, (중략) 노인합창을 하거나 간에 가서 그 노랫말을 가지고 음미를 한번 더 하게 되고 거기에 대해서 회상을 하게 되고 그러니까 훨씬 더 노래에 대해서 어떤 기능적인 면은 기능적인 면이다. 치러다도 정서적인 면이라던가 이런 것들이 훨씬 더 나아지는 모습이 보여지는 거죠.(참여자 4) 리듬속에서 생동감을 느끼고 또 소리라던가 화음에서 심미감을 느끼는 거가 결국 저는 어르신들을 자아성취, 자기안에 잇는 자존감개발 결국 처음에 생각했었는데. 처음에는 고귀한 목표를 도달해야 겠다. 라고 해서 치유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선생님들 이야기하신 것처럼 실제적으로 수업을 하니까 욕구를 발산시켜주는 것인 것 같아요.. 수업과정에서 어떤 음악활동이 정서적으로 치유가 되는 것을 느꼈어요(참여자6) 13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새로운 경험

노인들에게 예술교육은 단순히 악기를 다루고 그림을 그리는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새로운 경 험을 통해 ‘신세계’의 즐거움뿐 아니라 예술활동 참여를 통해 이전에는 인식하지 못했던 자신의 재능과 가치, 그리고 봉사와 같은 새로운 사회참여의 기회가 되었다. 노인들은 자신들이 노력한 예술적 습득 결과를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고, 봉사를 하면서 ‘나도 의미있는 일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보람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봉사, 보람을 찾아감 음악안에서 할 수 있는 모든 활동들, 음악에 맞춰서 신체활동을 한다던가, 춤을 춘다던가, 그런 것들을 가지고 저희가 공연을 나갔어요. 봉사공연을, 근데 그거를 성취감이나 새로움, 70대에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나보다 더 나이드신 경로당에 계신분들을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다 라는 거...(중략) 공연이 물론 좋기도 했지만 어떤 그런 남을 위해서 내가 무언가 할 수 있다라는 아직 여지가 있다는 것이 새롭게 발견하시는 계기가 돼서 작년에 그 수업이 디게 좋아가지고(참여자6) 어르신들이 메니저를 둬야 겠습니다. 그럴정도로 수업 몇시까지 하는가? 몇시에 머 하러가야 하는데 이런식으로 하시고, 자원봉사도 엄청 많이 하시고 여수같은 지금 제가 해양엑스포 때문에 휴강을 했습니다 .자원봉사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으셔서, 연세들이 그렇게 많으신데도 그걸 뭐하러 하시려고 하세요? 아이고 여수시민으로서 당연히 해야 된다고. 그래서 본인들이 하시고자 하는 어떤 일. 저도 선생님처럼 그 유치원이라던가 어린이집, 또는 요즘 복지관 같은 경우도 공연시설이 다 갖춰있잖아요. 조명같은 건 뭐 별로 없지만 그런식의 성취감, 소원성취, 내가 진짜 해보고 싶었는데, 맥락이 같다고 생각합니다.(참여자7)

- 자신감 제생각으로는 어르신들이 다 집에만 있으셨다가 활동을 하시고 자기가 뭔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는 것에 대해서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참여자5)

- 즐거움 공연을 하겠다. 발표회를 하는 것을 좋아하세요. 무대에 선다는 거 자체를 ,발표회라는 것을 좋아하시고 공연관람을 한번씩 하잖아요. 그걸 너무 좋아하세요. 자기네에 신세계에 온거예요. 자기네가 문화생활을 한다는 것에 대해 너무 만족해하시고 너무 좋아하세요. (참여자5)

◦ 젊어지는 몸과 마음

예술적 경험은 참여노인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넘어, 생활의 활력이 되었다. 문화예 술교육에 참여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한 두 가지 이상의 질병을 호소했던 노인들은 점차 자신의

부록|133


건강상태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뿐 아니라 ‘또래에 비해 자신이 젊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실제 일상생활에서 예전과 달리 활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진술되었다.

저희가 노인 센터같은데 가면은 노인센터같은데 가면 저사람은 나보다도 젊어 보이는데 저사람은 저렇게 나랑 거의 나보다도 젊어보이는데 저사람은 저렇게 아파가지고 저록 있는데 나는 이렇게 건강해서 이렇게 활동할 수 있는게 너무나 행복이구나, (참여자6) 후니쿨리 후니쿨라 라는 노래가굉장히 빠르게 재깍재깍 시계처럼 깡총리듬이 나가는데 어르신들이 머리는 되지만 몸은 안따르죠..그랬죠..계속 느려지다가 어느순간부터 저희가 정말로 감탄할 정도로 너무 놀랬어요. 템포가 맞춰지죠, 어르신들이 그 순간에 젊음이라는 생동력을 느끼는 것 같아요 (중략) 결국 리듬감으로 인해서 흥미감이 계속 생겨난다. 또 하고 싶다. 그래서 결국 음악이라는 교육, 테크닉을 극복하고 나니까 결국에는 우리가 음악 때문에 젊어졌다 (참여자 6)

◦ 예술 자체의 아름다움을 느낌

노인들은 문화예술교육에 꾸준히 참여하면서 개인 수준에서의 즐거움과 만족에 머무르지 않 고, 예술 자체의 심미(審美)를 지향하는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진술되었다. 이러한 지향은 참여 노인들이 타인과의 조화로운 화음을 위해 자신의 소리를 작게 양보하거나, 곡 가사에 대한 시상 에 집중하는 등예술활동에 대한 창조적 참여를 가능케 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은 예술에 대한 아름다움이 자신과 분리된 다른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 니라 자신이 살아온 인생에도 예술적 의미들이 내재되어 있었음을 깨달아가고 있었다.

그런데(계속 연습)하다보니까 당신들이 알았던 반달, 오빠생각 이런거 뿐만아니라. 너무나 아름다운 계절을 노래한 가사들, 그 시에 대해 시상을 느끼시고 서로 이야기를 하는데 어느 분이 한분 어머 이단어가 이렇게 좋네.이야기를 하시는거예요. 아버님들은 좀 그렇게 무딘 것 같았는데. 아름다운 시가 6/8박자 노래를 부르면서 제스춰와 함께 노래를 부르면서(중략)자신들의 정서표현을 느끼고 또 표현하고...(참여자6) 하모니를 만드는 것도 기능적인 것인 것도 있지만 화음이 딱 만들어졌을때 그 아름다움을 느끼시더라구요, 그래서 테너파트가 너무 잘하네. 당신들이 서로 박수를 보내주고 이런것들이 생겼어요. (참여자6) 어르신들은 이미 경험했던 것을 본인은 그것을 일로만 생각했었었고 그냥 우리 흔히 남들도 다 하는 거라고 생각을 했었는데(자신의 삶은 단순한 살기위한 과업이라고만 생각하고 남들도 다 이렇게 살겠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것을 예를 들어서 음악접근이나 연극접근으로 가가지고 풀어나가니까는 오메.. 내가 했던 것이 연극이었네. 이렇게 되시는 거예요(참여자7)

13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FGI 분석을 통한 노인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지표구성 노인문화예술교육강사들과의 FGI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노인문화예 술교육의 효과성 지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

째, 개인성장적인 측면에서의 효과성 지표들은 신체건강, 심리/정신건강, 자아인식과 발전, 개인 생활기술의 향상수준 등 노인 개인의 생심리적인 변화와 역량 강화를 포함하는 내용들로 구성 하였다. 두 번째, 예술적 경험에 대한 효과성으로, 이에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예술교육을 통해 습득 된 기술적이고 주관적인 예술적 학습수준지표인 예술경험과 예술 자체에 대한 ‘즐거움’, ‘누림’ 과 같은 예술적 승화가 포함된다. 세 번째 지표구분은 예술을 통한 통합성 영역으로 이에는 개인통합과 사회통합이라는 다소 궁극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의 지표들이 도출되었다. 이 중 개인통합지표에는 만족, 보람, 자신의 삶 의미해석 등 자아통합적인 요소들이 포함되며, 사회통합 지표에는 소속감, 참여, 관계성 등을 반영한 활동적이고 새로운 역할획득에 관련된 세부항목들이 포함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과 같다.

<표 Ⅵ-2> FGI 분석을 통한 노인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지표구성 구분

지표 신체건강 심리/정신건강

개인 성장 자아

개인생활기술

예술경험 예술적 경험 예술적 승화

예술을 통한 통합성

개인 통합

세부지표 ⚫ 신체활동 증가 ⚫ 우울 변화 등 치유감 ⚫ 심리적 안정 ⚫ 즐거움 ⚫ ⚫ ⚫ ⚫

자아인식 자신감 자발성 생동감/생활의욕향상

⚫ 감정/자기표현력 ⚫ 문화예술적인 여가활동증가 ⚫ 문화예술활동에 필요한 기술 향상 ⚫ 예술적 민감성 ⚫ 예슬활동에 대한 만족감 ⚫ 예술자체에 대한 관심 증가 ⚫ 예술/일상생활속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증가 ⚫ ⚫ ⚫ ⚫

자신에 대한 만족 봉사/예술활동 통한 기여와 보람 자신경험/삶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 예술/생활 성취감

부록|135


⚫ 소속감 ⚫ 대인관계 -대인관계 기술 향상 -동료들과의 어울림 -동료/대인관계에서 배려와 양보 등 조합적인 행동 증가 ⚫ 자발적인 사회봉사 등 대외 활동에 대한 참여, 적 극성 등

사회통합

문화예술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FGI는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 측 정을 구성하는 지표개발을 위해 구성된 사전 조사이다. 따라서 본 사전조사는 1년 이상의 경력 을 가진 노인문화예술교육 강사의 현장 교육경험을 질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문화예술교육에 참 여하는 노인의 예술교육동기와 욕구,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참여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추가적 연구질문.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인터뷰 참여자들은 노인문화예술교육의 목적으로 예술의 학습적 효과, 혹은 노인건강 증진이 나 치유와 같은 기능적인 향상성에 동의하는 동시에, 문화예술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는 노인들 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예술 자체에 대한 즐거움과 향유, 그리고 문화예술활동을 통한 사회적 통합 등을 강조하였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목적을 수립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책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목 적을 결정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기보다는 수요자 중심에서, 즉 노인들의 특성과 욕구를 충분 히 반영한 목적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하는 것에 대한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표 Ⅵ-3> 연구질문과 인터뷰 내용분석

연구질문 Q4.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방안 및 전략은 무엇인가?

인터뷰 내용분석 ⚫ ⚫ ⚫ ⚫

노인의 욕구를 따라가는 것 몸과 마음의 새로운 건강 만들기 노인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고 즐거움을 찾는 것 예술을 통한 동년배와의 소통과 어울림

◦ 몸과 마음의 새로운 건강만들기

노인의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인 욕구는 ‘건강’이었다. 이에 강사참여자들은 아무리 좋은 예술 적 장치라 하더라도 노인들은 자신들의 우선적인 욕구인 ‘건강’과의 상호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136|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조사되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통해 노인참여자가 ‘몸이 건강해진 것 같다’, 혹은 ‘마 음이 편해졌다’, ‘우울이 없어졌다’와 같은 직접적인 효과에 대한 지향성은 노인을 대상으로 제 공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진술되었다.

예술강사이긴 하지만 예술 하나만 가지고 말할 수는 없고, 건강, 포커스가 1번이 건강, 예술성보다도 어르신들은 건강에 포커스를 맞춰주는게 가장 급선무라고 생각해요..(중략) 예술교육을 받지만 그분들이 효과성이 나타나는 데서 건강쪽으로 포커스를 맞추면 예술적인 것은 몸이 바르면 훨씬 더 잘 이끌어지니까... (참여자1) 저희 음악쪽에서는, 저는 처음에 목표를 잡을때 건강중심의 즐거움 향유, 신체적 역기능회복이라는 주제를 놓고 진행을 하는 데...(참여자4)

◦ 노인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고 즐거움을 찾는 것

노인문화예술교육의 궁극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 강사참여자들은 노인들이 교실에 서의 제한된 공간, 제한된 교육상황에서 예술을 학습하는 것보다, 예술 자체를 자신의 자연스런 욕구로 인식할 수 있고, 예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을 인식하는 등 자신의 잠재된 욕구 를 드러내고 예술적 의미를 찾는 것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하면 예술적 도구는 노인들 에게 학습되었을 때에, 노인의 심신 역량을 강화하는 것뿐 아니라 그들의 자신에 대한 표현과 심리적 자유로움을 확장할 수 있는 ‘즐거움’의 활동이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노인문화예술교육에서 중요한 코드가 ‘노인의 즐거움’이라는 새로운 과제와 더불어 이 ‘즐거움’을 어떻게 예술교육을 통해 생산해낼 것인가가 앞으로 효과적인노인문화예술교육에서 해결해야할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살면서 자기를 드러내고 즐거움을 찾는거예요. 목요일에 수업을 갔는데 복지관에 어르신이 그러시더라구요. 내가 연극하면서 병이 나았다. 우울증이 나았다. 또 쉬니까 또 아프고 그래가지고 나왔다.(참여자6) 어머님들의 단순한 목표는 나아서 즐겁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삶 이때까지 남편뒷바라지, 아들뒷바라지 하시고 좀 편해지신 거잖아요. 자유를 찾아서 나왔고 자유를 연극무대라는 곳에서 자유를 하고 내가 젊었을때는 이렇게 하고 싶고 저렇게 하고 싶고 그랬는데 못했던 것을 연극을 통해서 머 섹시한 여자가 될수도 있고 그런 것들을 하니까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참여자2)

◦ 예술을 통한 동년배와의 소통과 어울림 노인들의 문화예술교육참여과정은 ‘어울림’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강사참여자들은 혼자 생활하고, 하루 종일 이야기 거리가 없었던 노인들이 교육에 참여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소

부록|137


통을 하고, 함께 노래를 하거나 연주, 공연을 하면서 이들은 뒤늦게 ‘친구’를 새로 사귀고, 더 나아가 서로를 조화롭게 협력하는 방법을 배우게 됨을 진술하였다. <참여자 6>의 경우 이러한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의 단위를 ‘공동체’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노인문화예술교육과정이 노인들 에게 매우 영적이고 안정된 지지집단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됨을 증명하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느끼고 생각하고, 마음으로 그걸 향유하고 삶의 질 향상되는 거가 목표죠(중략) (자수성가한 어르신이 많은 우리 팀의 경우) 자기표현은 자유롭게 하지만 섞이지 않는 그런 모임이 되고 있는데, 뾰족뾰족한것 같아요. 그런데 절제와 규칙을 지켜가면서 서로 융화되고 어떤 더 성숙 혹은 그런 따뜻한 인간미들을 서로 나눌 수 있는 어떤 공동체가 되어 가는 것(참여자6) 어르신들이 배움으로서 지금까지 살았던 거 외적으로 수업을 들으면서 모든 걸 다 잊고 집중하면서 즐거움을 찾는 것...(참여자5) 제가 진행자로서 생각하는 목적은 어르신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드리는 게 , 어르신들이 알고계신 음악이지만 음악에서 이런 새로움이 있습니다. 알려드리는 게 목적이였고,..(참여자4) 저는 진행자로서는 새로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서 즐거움을 드리는 것, 그게 가장 크구요..(중략) 제가 보니까 어르신들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것들, 새로운 것,내가 경험해보지 않았던 것, 손주들이 하던 것이라서 얕잡아 봤더니 막상 해보니 아 이거 디게 좋더라 하고 났는데 이게 완전히 바뀌는 경우도 있었고 어떤 경우는 안가보신 공연이 없을 정도로 경험해보신 분들도 있어요 (참여자3)

이와 같이 노인참여자들은 강사가 하나의 노인참여군을 적어도 일정 기간동안 안정되게 관여 하고 교육하는 시스템 구축이 노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집중성, 소속감, 그리 고 참여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138|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부록 2: 설문지

ID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 시되는 설문조사입니다 설문지에 응답하신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되지 않으 며 통계법 제 조 비밀의 보호 등 및 제 조 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 에 의거 비밀 이 보호되오니 솔직하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33

(

)

34

(

)

.

2012. 11.

조사발주기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 사 기 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

☞ 다음은 여러분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입니다 해당문항에 답해 주시고 일치하는 것에 표를 하거나 직접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V’

.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 □① 남 □② 여 2. 귀하의 생년월일은 어떻게 되십니까 ? 년도 월 일 3. 현재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은 어떻게 되십니까 ? (해당사항에 모두 ∨ 표 ) □① 혼자 산다 □② 배우자와 함께 산다 □③ 자녀와 함께 산다 □④ 형제나 자매와 함께 산다 □⑤ 손자녀와 함께 산다 □⑥ 기타 ______________ 4. 어르신의 교육수준은 어느 정도입니까 ? □① 학교에 다니지 않았음 □② 초등학교 중퇴 /졸업 □③ 중학교 중퇴 /졸업 □④ 고등학교 중퇴 /졸업 □⑤ 대학교 중퇴 /졸업 □⑥ 대학원 이상 5. 지금 일을 하고 계신가요 ? □① 예 □② 아니오 6. 가정의 경제적 상태는 어떠십니까 ? □① 나쁨 □② 비교적 나쁨 □③ 보통 □④ 비교적 좋음 □⑤ 좋음 7. 어르신께서 현재 주 수입은 무엇입니까 ? □① 본인 /배우자의 직업 □② 자녀의 지원 □③ 예금 , 적금 □④ 부동산 , 집세 ⑤ 본인 /배우자의 퇴직금 , 보험 (연금 ) □⑥ 기타 국가보조수당 1.

부록|139


귀하의 한 달에 용돈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계신가요 ? _____________ 만원 / 한달 9. 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 □① 기독교 □② 천주교 □③ 불교 □④ 기타 □⑤ 없음 10. 2012 년 이전 문화예술교육을 받거나 접해 본 경험이 있습니까 ? □① 전혀 없다 □② 거의 없었다 □③ 보통 □④ 약간 있었다 □⑤ 자주 있었다 8.

A.

다음은 여러분의 자신에 관한 것입니다 자신을 되돌아보면서 일치하는 것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V’

문항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2 나는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다. 3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쉽게 갖는다. 4 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일을 잘 할 수 있다. 5 나는 나 자신에 대해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 6 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7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 8 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경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9 나는 가끔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든다. 10 나는 별로 좋은 점이 없다고 생각한다. 11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한다. 12 나는 일이 마무리되기 전에 그 일을 그만두지 않는다. 13 나는 중간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친다. 14 나는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한다. 15 나는 내가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일을 해보고 싶다. 16 내가 끝낸 일에 대한 다른 사람의 평가가 궁금하다. 17 나는 하는 일에 최선을 다 해 보고 싶다. 18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잘 하고 싶다. 19 나는 어떤 것을 배우면 좀 더 배우고 싶다.

.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1

140|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보통 이다

약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나이를 먹어도 나는 새로운 것을 배우려고 한다. 21 나는 새로운 일을 시도 할 때 두렵지 않다 22 나는 건강하다 23 동료들과 비교해서 나는 건강하다 24 최근 몇 개월동안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5 동료에 비해 건강에 대해 걱정하는 편이다. 26 삶이 공허하다고 느낀다. 27 이전보다 낙망하거나 우울한 생각을 자주한다. 28 내가 초라하고 쓸모없다고 느낀다. 20

B.

다음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문항입니다 본인의 생각 또는 태도와 일치하는 것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V’

문항 나는 말이나 행동을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한다. 2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잘 이해한다. 3 나는 어려움에 빠져 있는 동료를 보면 도와준다. 4 나는 상대방이 기분 나빠하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5 나는 몸이 불편하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을 보면 마음이 쓰 인다. 6 나는 남을 비난하기 전에 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7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입장도 생각해 본다. 8 다른 사람들이 불행한 일을 당하면 내 마음이 좋지 않다. 9 나는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 자주 감동하는 편이다. 10 다른 사람이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대체로 도와준다. 11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일(활동) 하는 것을 좋아한다. 12 나는 정해진 규칙을 잘 지킨다. 1

.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보통 이다

약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부록|141


내 생각이 다른 사람과 다를 때 대화를 통해 해결한다. 14 나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할 때는 열심히 한다. 15 전체 의견이 내 의견과 다를지라도 전체 의견을 따른다. 13

C.

다음은 여러분의 생각을 묻는 것입니다 평소 문화예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각 문항에 일치하는 것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V’

문 항 나는 최근 들어 즐겁다. 2 나는 요즘 흥겹다. 3 요즘 나는 기쁘다. 4 최근 들어 나는 기분이 좋다. 5 나는 최근 들어 활력 있다. 6 나는 행복한 편이다. 7 나는 요즘 흡족함을 느낀다. 8 나는 요즘 신이 난다. 9 나는 문화예술에 대해 관심이 있다. 10 나에게 문화예술은 중요하다. 11 나는 문화예술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12 나는 문화예술교육이나 활동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 13 나는 문화예술을 사랑한다. 14 나는 문화예술을 감상하거나 활동하면서 깊은 감동을 느 낀다. 15 문화예술을 하는 나의 모습을 보면 뿌듯하다. 16 문화예술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이 알고 싶다

.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지 않다 이다 않다

1

142|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약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다음은 만족도에 관한 것입니다 본인이 본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 각 문항에 일치 하는 것에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D.

.

‘V’

.

문 항 현재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의 담당 선생님과 관련 한 부분에 만족한다. 2 현재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만족 한다. 3 현재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수업이 이루어지는 강의실 이나 공간에 대해 만족한다. 4 나는 이번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5 나는 다른 사람에게 이번 수업을 추천하겠다. 6 수업의 전반적인 부분이 나의 기대에 부응하여 즐거웠다. 1

전혀 보통 그렇지 그렇지 않다 이다 않다

약간 매우 그렇다 그렇다

♤ 빠진 문항이 없는지 살펴봐 주세요. 설문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부록|143


부록 3. 타액측정 연구동의서

연구참여동의서

본 연구는 노인복지기관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의 생리적 척도인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를 타액으로 추출,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규 명하고자 합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으로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목적 이와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것 이며,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나는 타액 채취를 통한 코티졸과 알파아밀라제 추출 및 분석에 대해 동의합니다.”

2012. 11.

참여자 성명:

(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귀중

144|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부록 4: 그룹 인터뷰 동의서

그룹인터뷰 동의서 오늘 저희 ‘노인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를 위해 인터뷰에 참여해주신 어르신들께 감사드립니다. 저희 연구자들은 어르신들께서 귀한 시간을 들여 참여해주신 인터뷰 내용을 좀 더 구 체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하고 연구에 반영하고자 인터뷰 과정을 녹음과 동영상을 통해 기록하고자 합니다. 오늘 인터뷰에서 말씀해주신 모든 내용들은 저희 연구 목적 이외 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어르신들께서 말씀하신 내용은 어르신들의 실명 대 신 ‘참여자1’, ‘참여자2’ 등 익명성을 보장하여 인용함으로써 어르신들의 자유로운 의 견과 귀한 경험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자 합니다. 이에 어르신들께 저희 연구 참여에 따른 녹음과 동영상 기록에 대한 동의를 의뢰드리 는 바입니다. 동의여부를 아래 표에 ○로 기입하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2012년 10월 22일 책임연구자 임영식(중앙대학교) 외 연구자 일동 ----------------------------------------------<동의여부>

기관명

(성함은 기관명 가나다 순입니다.)

성함

동의함

동의하지 않음

김** **노인복지관 박**

부록|145



자문위원 및 연구기획․담당 <자문위원>

강희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기영화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김석진 한국연극인복지재단 사무국장 김재경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교육팀장 김재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교육팀 백만기 성남 시니어클럽 운영위원장 서경석 우리마포복지관 관장 / 시니어코리아본부장 양윤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연구원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난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이승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이정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이혜연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간사 임소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전혜원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과장 정계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정보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조현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조희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최지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교육팀 홍연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위 순서는 가다순임

<연구기획․담당>

황지영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장

전효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

박진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개발팀 인턴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