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8
Ancient Voice, Contemporary Dialogue
쿠프 힘멜브라우 Coop Himmerblau _ 초현실적 열린 조형
나타니엘 호손<The Birthmark>
니벨룽엔의 노래
대나무의 호흡
헤르조그 앤 드 므론 Herzog & de Muron _ 구조화된 스킨
아이리스 머독<바다, 바다>
프로메테우스와 프랑켄슈타인
시나위음악과 세습무
겐코구마 Kengo Kuma _ 무변위적 공간조합
<푸른 수염의 사나이> 변주
한국문화와 전통음악
아심토트 Asymptote _ 디지털 유토피아
단편소설의 기교와 분석 ii
음악 / 공연예술
전통의식에 나타나는 색채와 음악
딜러 앤 스콜피디오 _ 변위적 스캐닝
토마스 하디<The Woodlanders>
극과 음악 1 (사회를 비추는 거울)
전통가곡의 이해와 감상
에릭오엔모스 Eric Owen Mos _ 경계적 불확실성
돈 들릴로<Underworld>
극과 음악 2 (음악과 신화)
우리말과 우리음악
피터줌터 Peter Zumthor _ 시적 공간 물성
D.H 로렌스<The Rocking Horse>
고전의 연극
마아가렛 에트우드<Lady Oracle>
월드뮤직 1 (이베리아 반도의 음악, 스페인)
영미문학과 영화
그리스 로마 신화와 문학
토마스 하디<테스>
월드뮤직 2 (이베리아 반도의 음악, 포르투갈)
문학과 인생, 어느 작가의 일기
거인족들의 시대
제임스 죠이스<율리시즈>
셰익스피어 그리고 낭만주의 연극
드라큘라의 문화적 상상력
우주의 시작 (카오스, 가이아, 우라노스, 크로노스)
앨리스 워커<칼라 퍼플>
음악경영(“I” in culture)
이안 맥완,<어톤먼트>
거인족들과의 전쟁 (프로메테우스, 키크로프스)
죠이스와 울프 작품 속의 어머니 이미지
러시아 연극과 사실주의
셰익스피어,<맥베스>
비의(秘義)의 신들 (데메테르, 디오니소스)
팻 바커<Regeneration>3부작
월드뮤직 3 (문화읽기; 언어, 역사, 지리, 관습 읽어내기)
아카디아와 죽음
현대건축 답사
쥴리언 반즈<10과 2/1장으로 쓴 세계사: 노아의 방주>
월드뮤직 4 (문화읽기; 언어, 역사, 지리, 관습 읽어내기)
헨리 제임스<워싱톤 스퀘어>
신들의 시대
엘리자베스 브라우닝의 시와 사랑
신들의 세대교체 (티탄 신들로부터 올림푸스 신들로)
현대건축의 새로운 경향 2
부조리, 잔혹극
답사(작가 스튜디오 탐방)
올림푸스 신들Ⅰ (제우스, 하데스, 포세이돈, 헤라, 헤스키아)
스티븐 홀 _ Steven Holl _ 시적 구조체
렉쳐 콘서트 (20세기 피아노 음악의 영성)
쟈네트 윈터슨의 소설과 사랑
올림푸스 신들Ⅱ (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헤르메스)
데이비드 치퍼필드 _ David Chipperfield _ 새로운 원형 찾기
우리 문화 속의 음악사회
문학과 수사학
영웅들의 시대
필립 스탁 _ Philippe Starck _ 예술 감성체
무용 (무용&누드)
존 맥스웰 꾸찌<Slow Man>
<일리아드>와 트로이아 전쟁
토요 이토 _ Toyo Ito _ 흐름의 물성화
렉쳐콘서트 (향수와 동경, 쇼팽의 두 얼굴)
죠지 오웰<1984>
오디세우스의 귀환
시게루 반 Shigeru Ban _ 비구조체의 구조화
문화상호주의와 현대연극
안젤라 카터<Bloody Chamber>
미술로 읽는 그리스 신화; 조각
세실 발몬드 _ Cecil Balmond _ 구조적 협력자
무용 (바로크 무용, 발레의 시작)
레너드 울프, 작가의 남편
미술로 읽는 그리스 신화; 회화
유럽과 독일의 표현주의, 상징주의 연극들
니콜라스 그림쇼 _ Nicholas Grimshaw _ 에코 테크놀로지
무용 (발레, 블랑의 미학)
버지니아 울프<올란도>
David Adjaye _ 촘촘한 구성의 미학
렉쳐 콘서트 (클라라 슈만과 두 남자)
나타니엘 호쏜<Young Goodman Brown>
그렉 린 _ Greg Lynn _ 외계적 유기체
고전의 재해석 (연극)
이디스 와튼<The House of Mirth>
녹스 & 데코이 _ NOX &Decoi _ 매개변수적 디자인
무용 (컨템퍼러리 댄스, 어디로 가는가?)
버지니아 울프<세월>
2010년 제18회 토탈아카데미
아심 토트 Asymptote _ 디지털유토피아
무용 (발레 & 과연 에로스의 예술)
Big (Bjarke lndels Group)
동양연극과 한국연극의 세계화
랄프 엘리슨<투명인간>
영미문학 산책: 문학과 문화
신화, 그 인문학적 변주
토마스 하디<테스>
버지니아 울프, <올란도>
세계를 여는 신들의 파노라마
엠마 테난트<Thornfield Hall>
샬롯트 브란테, <제인 에어>
희랍의 신들 1.제우스의 형제들과 연인들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로렌스와 여성들
토마스 하디의 시 세계
희랍의 신들 2.제우스의 자식들
제임스 죠이스<젊은 예술가의 초상>
D.H 로렌스<무지개>
헤라클레스(Heracles)
크리스토퍼 말로<파우스투으 박사>
테세우스(Theseus)
영미문학 산책: 문학과 문화
현대건축의 새로운 경향
한 제국 여성의 동방 여행기,
외디푸스(Oedipus)
단편 속의 성장소설 주제
칼라트라바 Santiago Calatrava _ 구조적 메타몰포시스
이사벨라 버드 워숍의<한국과 그 이웃나라>
영원한 생명을 찾는 길가메시의 방랑<길가메시 서사시>
마저리 캠프: 마저리 캠프서
카즈요 세지마 Sejima Kazuyo _ 탈위계 추상 공간
찰스 디킨스<올리버 트위스트> 진 뤼스<더 넓은 사르가소 바다>
바빌론의 창조 신화, 티아마트와 마르두크의 투쟁<영원 회귀의 신화>
A. S. 바이어트: 3월 30일 헨리 소로:, <월든>
MVRDV _ winy mas 위니마스 _ 도시 데이터스캐이프 FOA 알레한드로자에라폴로 _ 복합적 랜드스캐이프
<벽 위의 자국>, 픽션은 예술인가?
그리스 신화로 본 여성성, 아프로디테와 프시케
카프카: 우연과 혼돈의 세계에서 삶을 긍정하기
UN Studio _ 벤 반 베켈 Ben Van Berkle _ 개념적 다층화
가즈오 이시구로<The Remains of the Day>
트리스탄과 이졸데
희극 읽기: J. M. 씽
아이작 디네센<바베트의 만찬> 아이작 싱거<바보 김펠>
2011년 제19회 토탈아카데미
우리는 왜 시를 읽는가?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