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is 웹용

Page 1







닻올림픽 광고


Presenting Sponsor

Premiere Sponsor

Partner Sponsor


EXiS 2017: Experimental Film & Video Festival in Seoul



10

축사 및 인사말 Greetings

14

심사위원 소개 EXiS 2017 Jury

16

상영 시간표 Screening Schedule

17

입장권 구입 및 상영 안내

Ticket & Theater Information 20

공식 행사 & 부대 행사

Opening / Closing Ceremony & Addtional Events 34

경쟁 부문 EX-Now

86

기획 부문 EX-Choice

128

회고전 EX-Retro

176

인디 비주얼 Indi-Visual

210

아시아 포럼 Asia Forum

233

기구 현황 Organization

234

조직 구성 Festival Organization

235

도움 주신 분들 Acknowledgment

236

색인 Index


EXiS 2017

제14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축사

Congratulatory Remarks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안녕하세요. 서울특별시장 박원순 입니다. 제14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의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평범한 어제와는 다른 오늘을 만들기 위한 예술적인 도전과 모험, 실험정신은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동시에 다음 세대에게도 꼭 전해져야 할 중요한 가치이자 자산입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을 통해 이루어진 영화예술의 새로운 형식, 아직 열리지 않은 미지의

10

영역에 대한 탐구는 어느 순간부터 한국 현대영화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자산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영화제를 통해 영화, 예술인들의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끊임없이 지원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14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을 위해 애써주신 모든 관계자 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인사를 드리며 올해에도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더 건실한 영화제가 될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

서울특별시장 박원순

I’d like to offer my sincere congratulations to the opening of the 14th edition of the EXiS festival. In the spirit of experimentation that develops a new today from an ordinary yesterday, artistic challenge and adventure are not only socially recognized values that inspire our contemporaries but also assets that must be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EXiS has successfully positioned itself on the map of Korean contemporary cinema with challenging programming that explores the unknown forms and territories of cinema . We hope the film festival and participating experimental artists continue making new cinematic attempts as they move forward. I would like to give my thanks to everyone who has enthusiastically worked for the 14th edition of EXiS and cheer for its success.

Mayor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ark, Won-soon


EXiS 2017 한국영상자료원장 축사 Opening remarks

안녕하십니까? 한국영상자료원장 류재림입니다. 제14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의 개최를 축하드립니다. 뜨거운 여름의 한가운데 올해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과 저희 한국영상자료원이 함께 하게 되어 기쁩니다. 매회 신선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해온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덕분에 많은 이들에게 실험영화가 어려운 예술이 아니며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더욱 기대가 됩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우리에게 폭넓은 선택의 기쁨을 누리게 해준 귀중한 기회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관계를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성실히 준비한 만큼 국내외 많은 영화인들이 자리해 주셔서 좋은 영감을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영상자료원도 실험영화의 존재가치를 높이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한국영상자료원장 류재림

I am very pleased to see another collaborative occasion between Korean Film Archive and the EXiS festival this year. Every year EXiS provides the chance for the viewers to learn that experimental film is not for a select few but for everyone with their fresh and diversely selected program. And I am sure that this year is no exception. EXiS is an institution that inspires not only viewers but also participating artists, domestic and abroad, as it also expands the scope of our visual imagination. The Korean Film Archive is and will be on their side.

Director of Korean Film Archive Ryu, Jae-rim

11

장르임을 알게 해 주는 기회의 장이라 올해 축제도

A sincere congratulations to the opening of the 14th edition of the EXiS festival.


EXiS 2017

EXiS2017 인사말 Greetings from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참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광장에서 다양한 목소리를 한목소리처럼 외쳤던 기억이 참 오랜 여운으로 갈 듯합니다. 이제 많은 것들이 겨우 정상을 되찾아 가고 있는 듯합니다. 엊그제는 대통령이 고리원전 1호기의 발전을 중단하고 ‘탈원전’도 아닌 ‘탈핵’을 선언했습니다. 지난 10여 년을 돌이켜보면 한순간에 참 많은 발전이

12

있었다고 생각합니다만, 따지고 보면 이제 겨우 정상적으로 ‘사회의 안전’이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힘이 생긴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동안 많은 것이 비정상적으로 돌아 갔고 영화계와 문화계 전반도 이제는 정상적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봅니다. 이러한 시점에 다양한 목소리를 가진 실험영화들이 관객 여러분들을 기다립니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극장에서 여러분의 상상력을 자극할 실험영화들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집행위원장 박동현

Many things have happened from the end of last year through the beginning of this one. Like the voices of many in a square crying out as one, the memory seems to linger for a long time. Now it seems many things are barely returning to normal. A couple of days ago the president announced plans to halt development at and decommission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Unit 1. If you try to look back on the past 10 years or so, I think there have been quite of a lot of developments, but if you look at it, I wouldn’t want to think we have the power to claim “ the safety of society” right now. Though many things were unusual in that time, I hope many of the developments in our culture become normalized. With this in mind, experimental cinema with diverse voices is awaiting audiences during EXiS 2017. In the sweltering summer, the cool theater, I hope encountering the EXiS 2017 program will stimulate your imagination.

EXiS 2017 Festival Director Park, Donghyun


13


EXiS 2017

심사위원 소개

EXiS 2017 Jury 경쟁부문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Now, International & Korean Competition Program

Xin Ding 丁昕 (A.K.A. Sandy Ding) 샌디 딩은 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실험영화 감독이다. 2007년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제작을 공부하였으며 귀국 후 2008년

부터 현재까지 베이징 중앙미술학원(CAFA)에 재직하고 있다. 그는 프로젝션과 사운드에 제의적 과정을 결합하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심리적 작용에 관한 여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추상 혹은 강렬한 상징적 요소를 통해 신비로움에 접근하는 에너지의 패턴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비전통적 갤러리 프로젝션,

Lai Chiu-han Linda (黎肖嫻)

설치와 라이브 노이즈 음악을 실험영화로 확장하는 한편 극장 프로젝션의 라이브

린다 추-한 라이는 뉴욕대학에서 영화학으로

퍼포먼스에 함께 관심을 갖고 있다.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홍콩시립대학교

Xin Ding is an experimental filmmaker who lives and works in Beijing, China . He graduated from CalArts Film School USA in 2007 and has been teaching at the China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since 2008. He produced several psycho-active films with the idea of combining ritual processes in projection and sound. He works in energy patterns, telling mysteries with abstractions or powerful symbolic elements. He is equally interested in live theatrical projection performances, atypical gallery projections, installations and live noise music that expands the idea of experimental film.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학부 조교수로 있다. 14

그녀의 작품은 여성주의적 감수성에 근거를 두고 비판 이론, 영화 이론, 시각 인류학 등 학제간 방법론을 다양하게 시도하면서 언어와 이야기에 대한 관심을 다양하게 표출해왔다. 최근에는 초기의 사적 에세이, 도시 연구를 넘어서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설치를 통해 영화 역사-이미지에 관한 작품으로 그녀의 관심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오버하우젠 단편영화제를 비롯하여 베를린, 비엔나, 파리, 함부르크, 서울 등 다양한 도시의 단편영화제에서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중국, 대만, 홍콩의 여러 뮤지엄과 미술관에서 영상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Lai Chiu-han Linda (黎肖嫻) holds a Ph.D. in Cinema Studies (NYU) and an M.A. in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Wheaton), and completed her undergraduate studies in literature and fine arts. Lai is now an Associate Professor in Intermediate Art and Critical Theory and is the Major Leader for the Bachelor of Arts program at the School of Creative Media at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he is a transdisciplinary artist, historian, writer and independent curator for contemporary and media arts. In the realm of videography, Lai considers herself a montage artist experimenting with collage and found footage. Her works tackle questions of micro and meta-narrativity, highlighting her sensitivity to language as politics.


스티브 폴타 Steve Polta

김지하 Kim, Jiha

스티브 폴타는 영화감독이자 택시 운전사였으며,

김지하는 일본 타마미술대학교 및 연세대

간헐적으로 여러 지면에 글을 기고하고 지역의

영상대학원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아카이비스트이자

«한국 실험영화의 문화적 형성과정 연구»로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의 아티스틱 디렉터로서

미술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매사추세츠 대학교

여러 아카이브 프로젝트와 독립 영화 기획에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홍익대, 한양대,

참여했다. 그는 UC 버클리에서 수학했으며,

동국대 등에서 실험영화와 매체미학 관련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에서 영화제작석사를

강의 및 전시기획을 해왔다. 현재 한국영화학회

그리고 산호세 대학에서 도서관학을 공부했다.

국제학술이사 및 일본영상학회 정회원으로 있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 필름앤비디오 아카이브 책임연구원으로, 아카이빙 프로젝트 총괄기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차학경 예술론» 이 있다.

Kim, Jiha studied at Tama Art University in Japan for a bachelor’s degree in graphic design and at Yonsei University for a master’s degree in film studies. Afterwards she earned a Ph.D in visual studies by completing her dissertation entitled "Cultural Formation of Korean Experimental Film." She has taught both graduate and undergraduate classes on experimental film and media aesthetics at Hongik Univ., Hanyang Univ., and Dongguk Univ., etc. She has also curated a variety of exhibitions in relation to film and visual art. She is presently a senior research associate at the Asian Culture Center, responsible for curating their ‘Film and Video in Asia’ archive. Furthermore, she serves as a board member for the Korean Film Society and is a member of the Japanese Society for Visual Studies as well. She published a book titled Critics on Theresa Cha’s Art Work in 2013.

15

Steve Polta is a former San Francisco taxi driver, a filmmaker, occasional writer and occasional historian living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 He is also the Archivist and Artistic Director of the of San Francisco Cinematheque and participates in occasional film archive projects and independent film curatorial endeavors. He holds a BA in Film Studie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n MFA in Filmmaking from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and a Maste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San Jose State University. His own films screen on occasion at venues near and far.


EXiS 2017

상영 시간표

Screening Schedul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아트선재센터 Art Sonje Center 7.14

7.15

7.16

7.18

7.19

7.20

금 FRI

토 SAT

일 SUN

화 TUE

수 WED

목 THU

EX-Choice 1

Presentation

EX-Choice 6

EX-Choice 4

EX-Choice 5

‹레드 할리우드›

전시의 양식: 무빙이미지 큐레이팅의 실천

‹피플파워폭탄선언: 베트남장미의일기›

‹고무 도포 강철› 외 3 작품

People Power Bombshell: The Diary of vietnam Rose

Rubber Coated Steel , 489years , etc

존 토레스

Lawrence Abu Hamdan & Hayoun Kwon & Rosa Barba

상영시간

Red Hollywood 톰 앤더슨 & 노엘 버치

2:00 PM

Thom Anderson & Noël Burch

인디 비주얼

Mode of Display: Curating practice with the moving image

HD / 114min / 15세

조지 클락

Indi-visual 여성국극프로젝트

Yeoseong Gukgeuk Project 정은영

HD / 52min / 15세 GV

George Clark

John Torres HD / 90min / 19세

로렌스 아부 함단 & 권하윤 & 로사 바바

‹일리노이 우화›

The Illinois Parables 데보라 스트래트먼

Deborah Stratman HD / 60min / 15세

HD / 65min / 15세

16 EX-Choice 3

Asia Forum

Asia Forum

EX-Choice 2

EX-Choice 6

EX-Choice 1

아름다운 안드레아 & 자유 낙하

대만 Taiwan

홍콩 HongKong

디지털 브레이크: 대만 무빙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빛의 모조품› 외 2 작품 The Ape of Light , etc

‹피플파워폭탄선언: 베트남장미의일기›

Red Hollywood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레베카 바론, 아크람 자타리, 에릭 뷜로

Lovely Andrea & In Free Fall

4:30 PM

Digital Break: New Perspectives on Taiwanese Moving Image

히토 슈타이얼

Hito Steyerl HD / 63min / 15세

HD / 74min / 15세

HD / 64min / 15세 GV

Rebecca Baron, Akram Zaatari, Erik Bullot

People Power Bombshell: The Diary of vietnam Rose

‹레드 할리우드› 톰 앤더슨 & 노엘 버치

Thom Anderson & Noël Burch HD / 114min / 15세

존 토레스

John Torres

3:30 PM

HD / 90min / 19세

HD / 85min / 15세

GV

한국영상자료원 Korean Film Archive 상영시간

7.13

7.14

7.15

7.16

7.18

7.19

7.20

목 THU

금 FRI

토 SAT

일 SUN

화 TUE

수 WED

목 THU

2:00 PM

EX-Now 6

EX-Now 7

EX-Retro

EX-Now 5

EX-Now 1

EX-Now 7

국내 경쟁

국내 경쟁

지연된 믿음

국제경쟁

국제경쟁

국내 경쟁

Korean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16mm+HD / 45min / 15세

HD / 59min / 15세

16mm / 65min 15세

HD / 95min 15세

HD / 59min 15세

GV

GV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HD+16mm 80min / 15세

GV

GV

GV EX-Now 3

EX-Now 6

EX-Retro

EX-Now 4

EX-Now 2

국제경쟁

국내 경쟁

브루스 코너

국제경쟁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Korean Competition

Bruce Conner

Internation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HD / 77min 15세

16mm+HD / 47min / 15세 /

35mm / 56min / 15세

HD / 90min 15세

GV

GV

개막식

EX-Retro

EX-Retro

인디 비주얼

인디 비주얼

폐막식

Opening

카나이 카츠

피터 허튼

Indi-Visual

Indi-Visual

Closing

Kanai Katsu

Peter Hutton

샌디 딩 Sandy

린다 라이 Linda

HD / 52min 19세

16mm / 76min 15세

Ding

LAI

16mm+HD 49min / 15세

HD / 70min 15세

GV

GV

4:30 PM

7:00 PM

GV

15세 15세이상관람가 Under 15 not admitted

35mm+16mm 73min / 15세

19세 19세이상관람가 Under 19 not admitted GV 관객과의 대화 Guest Visit

First-Come First-Screen 선착순 상영회


입장권 구입 및 상영 안내

Ticket Information

상영관

Theater

➊ 시네마테크 KOFA (한국영상자료원) 2관

➊ CINEMATHEQUE KOFA

(KOREAN FILM ARCHIVE) THEATRE 2

www.koreafilm.or.kr 03925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400, WorldCupbuk-ro, Mapo-gu, Seoul, 03925 Korea T. +82 (0)2 3153-2001

한국영상자료원

T. 02)3153-2001

ADMISSION Free entrance fee for all screenings

➋ 아트 선재 센터

➋ ART SONJE CENTER

www.artsonje.org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87 T. 02)733-8949

8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T. +82 (0)2 733-8949

관람 요금

ADMISSION

관람 요금

일반 일반단체

*20인 이상

학생

5,000

Adult

5,000

3,000

Adult Group of 20 or more

3,000

3,000

Student

3,000

*초 • 중 • 고등학교. 대학생은 학생증 지참시

학생 단체

*20인 이상

경로우대증 소지자, 장애인

17

요금 전석 무료

2,000 무료

*up to College Student, excluding Graduate Student

Student Group of

2,000

20 or more Senior, Disabled

Free Admission

좌석운영

Seating

좌석은 온라인 예약(한국영상자료원 홈페이지)

Seats must be reserved at the ticket box or through online booking (Cinematheque KOFA).

또는 티켓 박스를 통해 예매

지역협력상영관 순천 예술공간 돈키호테 부산 모퉁이극장 부산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

Local Community Partners artspace Donquixote, Suncheon Cornertheater, Busan 40 Gyedan Culture Hall Life & Culture Center, Busan


EXiS 2017

상영관 안내 Theater and Venues

➊ 시네마테크 KOFA (한국영상자료원)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CINEMATHEQUE KOFA (KOREAN FILM ARCHIVE)

한국영상자료원

Cinematheque KOFA 지하철 6 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03925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한국영상자료원

400, WorldCupbuk-ro, Mapo-gu, Seoul, 03925 Korea

KGIT

DMC 홍보관 DMC Gallery

상암중학교

Sang-am MiddleSchool

18

➋ 아트 선재 센터 ART SONJE CENTER

아트 선재 센터 Art Sonje Center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87 8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정독도서관

재동초등학교

Jeongdok Public Library

Jaedong Elementary School

지하철 3 호선 안국역 1번출구

풍문여고

➌ 스페이스셀 SPACECELL

(필름 워크숍 FILM WORKSHOP)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87 8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신형동 삼거리

세검정

세검정 초등학교

스페이스셀 Spacecell


지역협력상영관

Local Community Partners

부산 모퉁이극장

순천 예술공간 돈키호테

Cornertheater, Busan

Artspace Donquixote, Suncheon

모퉁이극장은 관객들이 어울리고 교류하며 서로의 문화 활동을 응원하는 국내 유일의 ‘관객 전용관’이다. 모퉁이극장의 상영회는 관객이 저마다 고유한 목소리를 내고, 서로의 관점을 경청하며 상호 배움을 얻을 수 있는 ‘토크프로그램’ 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예술공간 돈키호테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2009년 12월에 독립연출가 박혜강, 독립큐레이터 이명훈 두 사람에 의해 설립되었다. 돈키호테는 동시대 예술을 연구하고 다양한 분야의 실험적 예술 프로그램을 기획, 지원해왔으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 연구, 매체 교육, 실험영화, 동시대 비-음악(Contemporary non-Music), 아티스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등을 실행해왔다. 돈키호테는 EXiS에 상영하기도 했던 변재규, 박병래 작가와 별도의 전시 및 커미션 프로젝트를 통해 «사진 측량», «화포이경» 등의 영상 작품 제작을 지원하였다. 최근에는 전라남도와 순천의 문화 예술의 역사와 특수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출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부산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 40 Gyedan Culture Hall Life & Culture Center, Busan 2016년 7월에 개관한 부산 중구 40계단문화관 생활문화센터는 관람실, 전시실, 강의실 등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문화예술 동호회 육성을 위한 지원과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In July, 2016, The 40 Gyedan Culture Hall Life & Culture Center opened in Jung-gu, Busan. With several specialized rooms—a viewing room, exhibition hall, lecture room, etc. — locals may freely enjoy cultural activities. The center holds various educational,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local Culture & Art society.

Art Space Donquixote was co-founded by independent theater director Park, Hyekang and independent curator Lee, Myunghoon in Suncheon, winter 2009. Donquixote engages in researching contemporary art, and as a local platform it offers various programs that promote experimental art. It curates a Contemporary nonMusic series, holds moving image & experimental film screenings, and runs an artist residency program. Recently Donquixote produced Hawpo directed by Pak, Byounglae, a project commissioned through the Contemporary non-Music program, and Photographic Survey directed by Byun, Jaekyu, created through the artist residency program. Those artists have showed their work in past EXiS’ competitive and thematic sections. Donquixote has recently been conducting various research and publishing projects on the history of cultural arts specific to Jeollanamdo and Suncheon.

19

The Corner Theater is organized & supported by local audiences in Joong-gu, Busan. They host many screenings, concerts and other cultural events based on relationships with other local film festivals and independent organizations. They promote the concept of an “Audience-Theater”, focusing entirely on the reconstitution and resurrection of local film culture. Not merely appreciators of cinema, audiences become principal agents through programming, organizing, and structuring their theater.


EXiS 2017

개막식

Opening Ceremony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3일(목) 오후 7시 Thursday, July 13, 2017 at 7:00 pm @ Korean Film Archive

20


단테 콰르텟 The Dante Quartet

Opening Performance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라이브 퍼포먼스

The Dante Quartet with Live performance 작곡 안상미 Composed by Ahn, Sang Mi

스탠 브래키지는 1987년에 «단테 콰르텟»을 발표하였다. 이 비상한 작품의 길이는 6분이 조금 넘지만, 브래키지가 단테의 «신곡»을 연구한 기간까지 포함하면 37년간의 작업의 결과물이다. 실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그는 6년간 거의 매일 필름 위에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했다. 그림은 완전히 추상적이며, 추상적 역동성은 마치 잭슨 폴록의 작품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오히려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아돌프 고틀립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 형태와 음영을 변화시키는 브래키지의 리드믹한 유희는 로스코를 연상시키며, 변화하는 이미지의 유동성은 뉴먼을 연상시킨다.

개막공연 Opening Performance

Stan Brakhage released The Dante Quartet in 1987. Though this extraordinary film runs for only six-and-a-quarter minutes, it was years in the making – thirty-seven years, in fact, if we include the decades Brakhage spent studying the Commedia . To actually make the film, he worked nearly everyday, for six years, applying paint directly onto the film stock. The painting is entirely abstract, and though its visual dynamism reminds many viewers of a Jackson Pollock painting come to life, its spiritual character suggests a closer kinship with the paintings of Mark Rothko, Barnett Newman, and Adolf Gottlieb.

21

지휘 (Conductor) | 박상연 바리톤 (Baritone) | 김원 Kim, Won 바이올린 (Violin) | 임지희 Lim, Jihee 첼로 (Cello) | 이헬렌 Helen Lee 타악기 (Percussion) | 한문경 June Moon Kyung 사운드 디자인 (Sound Design) | 안상미 Ahn, Sang Mi

USA / 1987 / Color / Silent / 7min / 16mm

개막식 Opening Ceremony

개막공연


EXiS 2017

존재의 노래 existence is song 안상미 Ahn, Sang Mi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존재의 노래»는 «단테 콰르텟»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근세의 문학가인 단테의 «신곡» (Dante Alighieri: La Divina Comedia) 에 배경을 두어 만들어졌으나 신곡에 나타나는 지옥-연옥-천국의 세 부분 구조가 아닌, Hell Itself, Hell Spit Flexion, Purgation, Existence is song 의 부제가 붙은 네 부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6분 남짓한 이 짧은 영화에서 나는, 다른 어떤

22

부제 보다도 지옥에 관한 감정만이 줄곧 모호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어떠한 스토리도 없이, 그저 수많은 색채들이 빠르게 섞이고 움직이는 극히 추상적인 영상 속에 아주 잠시 보이는 별, 달, 행성, 화산 폭발, 그리고 사람의 초상은 마치 자연 앞에서 느끼게 되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말해주는 듯 했다. 그렇게 때로는 인생에서 만나게 되는 지옥과도 같은 삶의 자리에서 우리는 그저 살아나가는 것 밖에 할 수 없다.

existence is song is a piece written in response to Stan Brakhage’s film, The Dante’s Quartet (1987). The film was based on Dante Alighieri’s La Divina Comedia . While Dante’s work consists of three parts: Hell, Purgatory, Paradise, Brakhage’s film is divided into four: Hell itself, Hell Spit Flexion, Purgation, existence is song. For some, the six-minute film may provoke emotions related to ‘hell’. Yet, Brakhage’s approach is ambiguous and deliberately abstract. The rapid juxtaposition of frames made up of deep hues and bold strokes forces our minds to constantly react to not just one moment of the film, but multiplicities of moments. I spotted traces of stars, the moon, planets, volcanoes, and even tormented visages within these moments. And I am impelled to contemplate the unrelenting forces of nature, the unfathomable vastness of the universe, and my place of fragility and powerlessness. Yet, powerlessness can at times nourish our will to press on wordlessly with our lives and through hell-like seasons. In the strength that emerges through our weakness, we recognize our existence, in its most glorious state, as needing no words.

필름 퍼포먼스

Film Performance

기계 안에서 Inside the Machine 3대의 영사기와 6개의 루프, 2명의 행위자와 4개의 손으로 진행되는 멀티 프로젝션 퍼포먼스 Multi Projection Performance for 3 16mm projectors, 6 loops, 2 operators and 4 hands

리차드 투오이 & 다이애나 배리 Richard Tuohy & Dianna Barrie

Australia / 2017 / B&W / Optical / 12min / 16mm multi projection

간섭의 선: 각각의 프로젝터에 두 개의 필름 루프가 동시에 걸린다. 루프 위의 이미지는 수평적인 선이며, 애초에 필름 위에 선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카메라 줌렌즈를 이용해 가까이서 그리고 멀리서 촬영하여 다양한 선의 크기를 만들었으며, 선의 폭과 길이에 따라 진동수가 변한다. 한편, 각각의 루프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영사기의 선의 이미지는 서로 간섭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선을 만들어 낸다. 3대의 영사기에서 투영되는 선의 이미지는 다양한 길이로 얽히며 공진한다. 기계의 목소리: 선 이미지는 필름에 광학음향 기록을 위해 남겨진 부분에 인화되었다. 관객이 듣는 소리는 이미지가 만들어 낸다. 하지만 그것은 기계 자체가 발생시키는 것이다. 결국 이미지는 선에 불과하다. 기계가 이 선을 사운드로 만들어 낸다. 각각의 영사기에는 2개의 필름이 겹쳐 통과되고, 우리가 듣는 두 가지 음색은 경고음 처럼 높낮이가 있으며 3대의 영사기에서 모두 비롯된 것이다. 기계 안에서: 영사기를 작동시키는 손에 의해 간섭된 패턴의 진동으로 진입과 울부 짖는 기계의 목소리는 발생한다. 공연자의 손가락은 새로운 패턴의 선을 만들어 낸다. 우선, 손은 완전한 그림자가 되어 프레임 속으로 진입한다. 영사기의 진동이 증가하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지속되며, 손이 만들어낸 그림자는 두 줄의 평행선으로 십자 모양이 된다. 손은 탈-육체화된다. 선 속에 손이 내포된다. 인간과 기계가 합일된다. 이것이 시네마가 작동하는 방식인 것이다.

LINES OF INTERFERENCE: Each projector is threaded with two loops of film simultaneously. The images on the loops are horizontal lines. The lines change size and frequency as the camera zooms closer and further away. But each loop is different. Thus, the lines on the two loops running through each projector ‘interfere’ with each other – that is, create new lines and new patterns of lines. Similarly the line images from the three projectors also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pulsing and cross-hatching bursts of varying lengths.


개막식 Opening Ceremony

23 필름 퍼포먼스 Film Performance

VOICE OF THE MACHINE: The line images have been printed into the area of the film strip normally reserved for the film’s optical soundtrack. The sounds you hear are thereby a product of the images. But they are really a product of the machine itself. After all, the images are just pictures of lines. The machine makes these lines into sounds. This sound is its voice. Each projector is threaded with two reels of film. Thus the sound you hear is two tones at the same time time coming from each of the three projectors. Tones rise and fall like an alarm. There is urgency in these voices. INSIDE THE MACHINE: Into this field of pulsing interference patterns and the wailing of the machine’s voice emerge the hands of the operators. The fingers of these hands make new patterns of lines. At first, these hands enter the frame as pure shadows. Increasingly, these shadows are themselves filled-in by the cross-hatch of lines as the duration of the projector pulses again increases. The hands become disembodied. They are embedded within the lines. Humans and machines merge. This is how cinema works.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4


Opening Film

크로스로드 Crossroads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USA / 1976 / B&W / Optical / 37min / 35mm 음악: 패트릭 글리슨 & 테리 라일리

Original music by Patrick Gleeson & Terry Riley

- 조시 시겔

(c) Conner Family Trust

개막작 Opening Film

이 폭발실험은 역사에서 가장 철저하게 영상으로 기록된 순간이 되었다. 코너는 비밀해제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푸티지에서 “베이커 데이” 수중 핵실험의 대폭발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였다. 이 실험은 1946년 7월 25일 비키니 산호섬에서 수행되었다. 동일한 폭발을 다양한 속도와 거리, 그리고 공중과 수상, 그리고 지상에서 찍은 스물세 장면들이 패트릭 글리슨과 테리 라일리의 이중 악보와 결합되면서 파괴행위는 일종의 큐비즘적이고 우주적인 숭고함이 되었다.

25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는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비키니 산호섬에서 이루어진 23번의 핵실험 중 첫 두 개의 실험에 붙여진 이름이다. 두 번 모두 TNT 2천 3백만 톤 규모의 실험이었고, 이는 나가사키에 투하된 폭탄과 동일한 규모였다. 700대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5백명 이상의 오퍼레이터가 카메라를 조작하였다. 전세계 필름 총량의 절반 정도가 비키니에서의 핵실험에 사용되었는데, 그 결과

“Operation Crossroads” was the name of the first two of twenty-three nuclear weapons tests the United States conducted at Bikini Atoll between 1946 and 1958. Both tests involved the detonation of a weapon with a yield equivalent to twenty-three million tons of TNT–the same as the atom bomb dropped on Nagasaki. More than seven hundred cameras, and approximately five hundred camera operators surrounded the test site. Nearly half the world's supply of film was at Bikini for the tests, making these explosions the most thoroughly photographed moment in history. Conner found a cataclysmic beauty in the declassified National Archives footage of the first underwater atomic bomb test “Baker Day”, which was conducted on Bikini Atoll on July 25, 1946. Twenty-three shots of the same explosion—at differing speeds and distances, from air, sea, and land—combined with a mesmerizing dual score by Patrick Gleeson and Terry Riley to make of the destruction a kind of Cubist cosmic sublime. -Josh Siegel

개막식 Opening Ceremony

개막작


EXiS 2017

폐막식

Closing Ceremony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20일 (목) 오후 7시 Thursday, July 20, 2017 at 7:00 pm @ Korean Film Archive

26


폐막식 Closing Ceremony

폐막식

Closing Ceremony

➊ 폐막작 선정 Closing Film Selection

➌ 선착순 상영 이벤트

폐막작은 경쟁 작품 상영작 중 각 부분 수상작으로 결정된다. 작품 선정은 영화제 기간 중 심사위원들에 의해 이뤄지며, 선정된 작품은 7월 20일 폐막식에서 발표된다.

First-Come First Screen

➋ 시상내역 Prizes Best EXiS Award 경쟁 부문(EX-Now) 상영작 중 가장 완성도 높은 작가의 작품.

Korean EXiS Award 경쟁 부문(EX-Now)에 상영 된 한국 작품 중 가장 완성도 높은 작품.

JungWoon Award EXiS에 처음 소개된 국내 신인 작가에게 주어지는 상.

This program designed to provide a refreshing opportunity for the festival culture which has been only authorized by a certain group of people. Through the screening, literary, there will be chances to show the works of anyone who brings their screening tape to the theater on the day. The total running time of the screening will be less than 1 hour. Each works must not run longer than 5 minutes, so if the running time is longer than that, screening will be limited to only 5 minutes. Any genre of visual moving image, whether it is experimental or narrative, is welcomed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me. The procedure of accepting works will possible for 1 hour 30 minutes from 12:00pm on closing day of EXiS, program will start at 4:30pm. Only digital file format can be accepted. *All films must be received in the theater lobby at KOFA from 12:00 PM to 1: 30 PM, Thursday, July 20, 2017.

27

The closing is decided by the awarded film of the competition section. Film selection is done by the juries during the festival and the selected film will be presented & screened in the closing ceremony.

영화제의 권위를 타파하고 누구나 쉽게 아무런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영화제 문화를 위한 시도로 시작되었으며, 장르와 소재의 구분 없이 다양한 성격의 작품을 소개하는 이벤트이다. 출품된 작품의 상영시간이 1시간을 넘게 되면 접수를 마감한다. 출품하는 작품의 길이는 5분으로 제한을 하며, 5분이 넘는 경우 10분까지만 상영할 수 있다. 상영작 접수는 영화제 폐막일인 7월 20일 12시부터 1시 30분까지이며 상영은 4시 30분에 시작하며, 작품 포맷은 디지털 파일 형태만 접수가 가능하다.


Additional Events

EXiS 2017

부대행사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8


Film Workshop

컨택 프린터로 만드는 이미지 작법

Compositing images in the contact printer 리차드 투오이 & 다이애나 베리 Richard Tuohy and Dianna Barrie

2017년 7월 16일(월) 오후 1시 - 6시, 스페이스셀

The contact printer is designed for one thing – making straight duplicate prints from film originals. What is on the original is what you get on the print or as close to that as possible. But it can be so much more! We can bend this machine to do new things – things its makers never intended. This workshop is about using the contact printer to make ‘composite’ images – complex images from simple originals. It’s possible to make composite images using A, B, C etc., multi-pass printing. This has often been done. But it’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composite images – that is, combine parts of one image with parts of another. We can do this with bi-packing the contact printer with mattes and masks. This is a powerful technique giving some of the capacity of an optical printer, but with the speed of a contact printer. Everything old, is new again!

다이애나 베리 다이애나 베리는 젊은 시절 부터 추상 음악과 철학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는데 이 두가지 분야의 중간 지대로 영화제작을 자신이 추구해야 할 길로 발견했다. 슈퍼 8미리 필름으로 핸드 프로세싱의 한계를 끊임 없이 실험하면서 리차드 투오이와 나노랩을 설립하고, 수제영화 제작과 산업적 영화 기술 사이의 교차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탐색은 개별적 노력을 넘어선 아티스트 필름 워크숍의 설립을 통해 멜버른에서 셀룰로이드 필름을 받아들이고 지지하는 공동체로 확대되고 있다. 그녀의 필름은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여러 도시에서 소개되었다.

Richard Tuohy Began making works on super 8 in the late nineteen eighties. After a brief hiatus from cinema (including formal study in philosophy for seven years) he returned to filmmaking in 2004. Since then he has created almost 40 films. His films have screened at venues including the Melbourne IFF, EMAF (Osnabruck), Rotterdam IFF, New York FF, Ann Arbor and Media City and he has toured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presenting solo programs of his work. His films are typically highly structured and and have strongly formalist concerns. He is the proprietor of the artist-run film lab nanolab the only lab for small gauge film in Australia. His works are firmly in the ‘hand-made’ film tradition. An advocate for the possibilities of hand made cinema, Tuohy has devoted much time and effort in sharing his knowledge through workshops and classes both in his native Australia (notably through the Artist Film Workshop in Melbourne of which he is the founder and convener) and internationally. He was also a co-founder of the AIEFF experimental film festival in Melbourne. Dianna Barrie Dianna Barrie, as a young person she found her way into filmmaking as a middle ground between the pursuit of abstract music and philosophy. Ever pushing the limits of the hand processing of super 8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anolab with Richard Tuohy, and into the intersection of hand making and industrial cinema technology. This exploration has spread beyond individual work to the establishment of Artist Film Workshop, where celluloid is embraced and advocated by a community of practitioners in Melbourne.

필름 워크숍 Film Workshop

컨택 프린터는 원본 필름으로부터 복제된 프린트를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복제된) 프린트 위의 이미지는 가능하면 (원본) 프린트 위의 그것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이상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우리는 이 장치를 가지고 이전에는 한 번도 의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것을 하기 위한 우회로를 찾을 수 있다. 이 워크숍은 컨택 프린터를 가지고 단순한 원본을 가지고 복잡한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패스 프린팅이라고 하는 이미 자주 시도되어왔던, 여러 개의 롤에 감긴 이미지를 하나의 프린트 위에 복제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부분과 결합하는 선택적 이미지 구성도 가능하다.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매트와 마스크를 가지고 두 개의 필름 혹은 여러 개의 필름을 겹친 상태에서 프린팅하여 이런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강력한 테크닉을 통해 프레임 단위로 이미지를 가공하는 기존의 옵티컬 프린터가 가진 한계를 넘어서널 수 있는데 우리는 컨택 프린터의 빠른 속도와 옵티컬 프린터의 능력을 동시에 얻게 된다. 모든 것은 오래되었지만, 다시 새로워질 수 있다.

리차드 투오이는 1990년대 후반 부터 슈퍼 8미리를 사용해 영화제작을 해왔다. 7년간 대학에서 철학공부를 하던 기간 시네마로부터 멀어져 있다가 2004년 부터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 이후로 40여편의 영화를 만들었으며, 주요 작품들은 멜버른 국제영화제, 오스나브뤽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로테르담국제영화제, 뉴욕국제영화제, 앤아버 영화제, 미디어 시티 페스티벌 등에 소개되었다. 영화제 참가 이외에도 독립적 예술가들의 랩과 공동체 상영 활동을 하는 여러 도시와 교류하기 위해서 북미, 유럽의 30여개가 넘는 도시를 투어해왔다. 그의 작품은 주로 강하게 형식적으로 개입된 고도의 영화구조의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현재 호주에서 나노랩이라는 예술가를 위한 현상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런 배경하에 그의 작품 활동은 강하게 ‘핸드-메이드’라는 실험영화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 핸드 메이드 시네마의 열렬한 지지자로 투오이는 자신의 현상소를 운영하면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 기술을 워크숍과 다양한 수업을 통해 공유해왔다. 그는 멜버른의 아티스트 필름 워크숍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한편, 멜버른에서 AIEFF라는 실험영화제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29

Monday, July 16, 2017 at 1:00 pm - 6:00 pm Spacecell

리차드 투오이

부대행사 Additional Events

필름 워크숍


EXiS 2017

프리젠테이션

Presentation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전시의 양식 : 무빙 이미지 큐레이팅의 실천

Modes of Display: Curating practice with the moving image 조지 클락 George Clark

2017년 7월 15일(토) 오후 2시, 아트선재센터 Saturday, July 15, 2017 at 2:00pm, Art Sonje Center 30

현대미술 공간에서 무빙 이미지의 존재는 국제적 예술의 조건 속에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정립되었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이런 공간들이 다양한 역사와 조건들 그리고 시네마의 재료를 반영하고 드러낼수 있을까? 시네마의 무엇을 그들이 선택하여 재현하고 있으며, 어떻게 동시대미술 공간은 필름과 비디오를 통한 예술가들의 다양한 실천의 역사를 탐구하고 새로운 사고의 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떠한 방식으로 영상 예술 분야의 실천이 변해왔으며 예술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조지 클락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큐레이터이자 작가로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토론을 진행할 것이다. 그는 테이트 모던에서 필름 & 비디오 큐레이팅과 함께 아티스트 무빙 이미지 분야를 분석하고 동시대 미술에 비판적 접근을 시도하는 수 많은 기획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그는 국제적 맥락에서 서술된 예술사와 연관지어 필름 & 비디오 기획의 자신이 진행해 왔던 비판적 실천에 대해 이야기하는 한편 아티스트 무빙 이미지가 동시대 미술에 비판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대안적 방식에 대해서도 논할 것이다. 이 프리젠테이션에서는 현대미술 공간, 갤러리, 영화제, 현대미술관 등에서 그 동안 어떻게 필름 & 비디오를 접근해왔는지 논의하면서 무빙이미지 기획의 동시대적 특징을 다양한 자료와 함께 살펴볼 예정이다. 기획, 전시 그리고 배급의 역사를 되돌아 보면서 아티스트 무빙 이미지로 부터 비디오 아트, 실험 영화 그리고 에세이 필름에 이르기 까지 이 분야의 실천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다양한 용어의 확산에 대해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The presence of moving images within spaces of contemporary art is an established and much discussed condition of international art. But how do these spaces present and reflect the diverse histories, conditions and materials of cinema? Which cinema’s do they select to represent and how can spaces of contemporary art provide new ways to think about and explore the diverse history of artist’s work with film and video? How do these areas of practice change how art history is constructed?

George Clark will reflect on these questions drawing on his experience as a curator and artist, discussing his work with film and video at Tate Modern and through his numerous curatorial projects that have sought to manifest a critical approach to contemporary art and explore the area of artists moving image. He will explore this critical practice of film and video curation in relation to how art history of narrated in international contexts and also how artists moving image presents an alternative way of working critical of both and contemporary art. This illustrated talk will explore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ving image curation discussing arguments for how film and video has been approached within the spaces of contemporary art, galleries, film festivals and modern art museum.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practice, exhibition and distribution the talk will seek to open up the proliferation of terms used to describe this area of practice from artists moving image to video art, experimental cinema and the essay film.

조지 클락 조지 클락은 작가이자 큐레이터이다. 그는 사막에서 신화와 역사 그리고 생태계를 다룬 장편 영화 «A Distant Echo »(2016)와 대만의 현대미술작가인 첸 치에-젠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운해 Sea of Clouds»(2016)를 최근 발표했다. 이 작품들은 캐나다 이미지스 페스티벌, 런던영화제 등에서 소개되었다. 대만에 특별히 조성된 정원에 설치된 새로운 영상설치 연작인 «재배자의 기술» 개인전과 «아이모 롤»은 장소와 관계를 사유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작품과 대화속에 선보이는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35mm 필름 프로젝트다.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뮤지엄, 갤러리, 영화관 그리고 페스티벌과 함께 전지구적인 필름 & 비디오 실천의 역사에 대해 폭 넓게 다루는 다양한 일을 해왔다. 테이트모던에서 3년간 필름 큐레이터로 일하면서 우테 오랜드, 줄리안 디쉬퍼, 라브 디아즈, 카밀 핸랏, 블라도 크리스틀, 루이스 오스피나, 칙 스트랜드의 회고전을 기획했으며, 줄리안 로스와 히라사와 고와 함께 일본의 확장 영화에 관한 특별 전시 그리고 댄 키드너 & 제임스 리처드와 함께 비디오카세트에 대한 최초의 매거진 등의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그는 수 많은 카탈로그 에세이를 썼으며 그의 글은 Afterall, Mousse Magazine, Sight & Sound 등을 통해 발표되었다.

George Clark George Clark is an artist and curator. Recent work includes the feature film A Distant Echo (2016), which explores myth, history, and ecology in the desert, and the film Sea of Clouds / 雲海 (2016), which is structured around an interview with artist Chen Chiehjen. His solo exhibition A Planter’s Art featured a new series of moving image works installed alongside a specially cultivated garden in Taiwan, and his ongoing project Eyemo Rolls draws on a growing body of 35mm films shown in dialog with other works as means to think about place and entanglement. He has curated projects for museums, galleries, cinemas, and festivals with a focus on broadening the histories of film and video practice globally. Through his work at Tate Modern (2013-2015) and in independent projects, he has curated retrospectives of Ute Aurand, Julian Dashper, Lav Diaz, Camille Henrot, Vlado Kristl, Luis Ospina, and Chick Strand, as well as thematic exhibitions on Japanese expanded cinema (with Julian Ross and Go Hirasawa), the L.A. Rebellion, and Infermental, the first magazine on videocassette (with Dan Kidner and James Richards). He has written numerous catalogue essays and his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by Afterall, Mousse Magazine, Sight & Sound and Tate among others.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on initiatives in contemporary video art in the Asia Pacific 린다 라이 Linda LAI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4시 30분, 아트선재센터 Sunday, July 15, 2017 at 4:30pm, Art Sonje Center

용어는 또한 여전히 분업기반의 제작방식과 구별되는 ‘1인칭 작가적 플랫폼’의 공간을 보존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는 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모든 작가들에게 해당되는데, 특히 소규모 분업체제를 활용하면서도 스스로 작품의 퍼포머이자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디에고 라미레스에게도 마찬간지다. ‘비디오 아트’라는 용어는 계속해서 실험적이고, 대안적이며, 전복적인 공간을 보존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되는데, 이 공간에서 작가들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규범화된 규칙들에 도전하고 사회 내의 매체 관련 메타-쟁점들을 제기할 수 있다.

Video art was notably a product of broadcast television catalyzed by the almost legendary Sony Portapak in the 1960s. Whereas the former brought moving images into the domestic

프리젠테이션 Presentation

존재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무빙 이미지 제작자들과 초기 비디오 아트의 실험가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을 것이다. 여전히 ‘휴대성’은 중요한데, 카메라는 더욱 가벼워지면서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우리 신체의 연장이 되고 모든 곳에 존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디오 아트라는

31

비디오 아트는 잘 알려져 있듯이 방송 텔레비전이 이제는 거의 전설이 된 1960년대 소니 사의 포타팩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 녹화 시스템에 의해 촉진되면서 생겨난 산물이다. 방송 텔레비전이 무빙 이미지를 가족이 사는 공간으로 가져왔다면,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는 영화 산업이 절대적인 지배권을 행사하던 무빙 이미지의 소유를 민주적으로 접근 가능하고 창의적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옮겨놓았다. 그와 함께 새로운 기술적 실험의 가능성과 기존의 규범적 영화 언어와 구별되는 미적 어휘도 등장하였다. 그 중에는 그레이 스케일의 분극화, 전자채색, 눈과 신체의 분리, 신호 방해, 피드백 노이즈, 그리고 신시사이저를 사용한 새로운 이미지 합성 등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헥터 로드리게스는 원칙적으로 여기에 가장 근접해 있다. 그는 디지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를 해체의 대상으로 삼는 동시에 계산을 그 자체로 예술적 매체로 사용하여 수학적 개념 위에 구축된 예술적 시기의 새로운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초기 비디오 아트에서는 분명히 영화가 아닌 ‘비디오’적인 어떤 것이 존재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모든 시청각 장비들이 디지털의 관점에서 재인식되면서 비디오 아트를 정의하는 일은 점점 더 논쟁적인 과정이 되고 있다. 분명 비디오는 다양한 매체들의 공통점 혹은 수렴점을 지칭하는 말로 더 자주 쓰이고 있다. 도 훈-핑과 케빈 응의 작품들이 보여주듯이 ‘순수한 비디오’란 더 이상

space, the latter turned moving images from absolute private ownership (of the film industry) to a new domain of democratized access and creative initiatives. Coming alongside was also a new range of technical experimental possibilities and an aesthetic vocabular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tive film language — from polarization of the gray scale, colorization, eye-body separation, to signal interference, feedback noise and new image-making capabilities with the synthesizer. In this program, Hector Rodriguez comes closest in spirit — as he scrutinizes digitality as the very object of deconstruction, and computation an artistic medium that commands a new system of artistic knowledge built upon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early days of video art, there was definitely something very ‘video’ that is not cinema. As we look around today with all audio-visual equipment digitally reconceived, defining video art has become more a series of polemics. No doubt, video is more often the synonym of intermedia, as much as a platform of media convergence. There is no more ‘pure video’, as the works of Toh Hunping and Kevin Ng manifest in this program. What connect contemporary moving-image makers with those in earlier phases of video art experimentation are perhaps the following. Portability remains important, with our cameras ever lighter, more literally the extension of us, and more omnipresent. The term ‘video art’ is also often kept to preserve the space for a single-person artistic platform, as opposed to crew-based production. Such is the case of all artists selected, including Diego Ramirez whose work deployed a small crew as he is himself the performer-protagonist in his work. The term ‘video art’ has continued to preserve the space for the experimental, the alternative, and the subversive, where one speaks the unspeakable, challenges set conventions, and raises critical meta-issues of media in society.

부대행사 Additional Events

방향감각 : 경계선 따라가기 아시아 퍼시픽 지역의 동시대 비디오 아트에 대한 제안


EXiS 2017

아티스트 토크

Artist Talk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샌디 딩 : 즉흥 음악과 영화 제작

Sandy Ding : Improvised Music and Film practice 2017년 7월 18일(화) 오후 7시, 한국영상자료원 2관 Tuesday, July 18, 2017 at 7:00pm Cinematheque KOFA, Theater 2

32

샌디 딩은 실험영화감독이자 베이징에서 노이즈 밴드인 리퀴드 팰러스 Liquid Palace(液体宮殿)를 통해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해오고 있다. 그에게 즉흥음악과 노이즈 음악은 실험영화를 만드는 제작과정과 실천의 방법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샌디 딩은 이번에 인디 비주얼 섹션에 참여하는 작가로 상영이후 음악과 영화적인 것 사이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경험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Sandy Ding is an experimental filmmaker and musician who lives and works in Beijing. He’s a member of the local noise band “Liquid Palace”. He got much influenced by improvised & noise music practice on his filmmaking. He will discuss his personal experience and thought about music and cinematic after the screening program.

카나이 카츠 金井勝 : 미소짓는 은하계 3부작

Kanai Katsu : On Smiling Milky Way Trilogy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7시, 한국영상자료원 2관 Friday, July 14, 2017 at 7:00pm Cinematheque KOFA, Theater 2

그의 ‘미소짓는 은하계 삼부작’은 «무인열도», «굿 바이», «왕국»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작품들은 그를 일본 독립 영화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해주었다. 작가 자신의 말에 따르면 삼부작의 첫 작품은 전후 일본인에 대한 관심으로 만들어졌고, 두 번째 작품은 한국인의 과거에 대한 것이며, 마지막 작품은 신성성에 대한 의문을 형상화한 것이다.

His Smiling Milky Way Trilogy , including The Deserted Archipelago , Good-bye , and The Kingdom positioned him as one of the pioneers of Japanese indies cinema. According to Katsu Kanai, the first film in his trilogy The Desert Archipelago is interested in men in post-war Japan, while the next one returns to

terrestrial preoccupations against a backdrop of the Korean past and that the third questions the divine.After his Good-bye’s korean premiere as part of EX-Retro program he will discuss about his film practice and elaborate more details about Smiling Milky Way Trilogy .


Performance

부대행사 Additional Events

공연

닻올림: 즉흥음악 연주회

dotolim: Improvised music concert 판 츠-밍 & 샌디 딩 Sandy Ding & FAN Chih-Ming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8시, 닻올림 Friday, July 14, 2017 at 8:00pm, Dotolim

아티스트 토크 Artist Talk / 공연 Performance

FAN Chich-Ming & Sandy Ding, they’re visual artist and experimental filmmaker also doing lots of music concert as musicians. This performance part of regular concert series organized by dotolim. They will do a solo set with other artists from European countries. dotolim is the name of a small business occupying a small office space, established in 2006 in Seoul by Jin Sangtae. In November 2006, Jin visited GRID605, a similarly small office space that also served as a performance venue for musician Otomo Yoshihide. Inspired by Otomo’s example of utilizing a business space as a performance venue, Jin followed suit with dotolim in 2008. dotolim is a very small space, with a capacity for only 20 people; this creates an intimate connection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members. Jin Sangtae has presented concerts at dotolim nearly every month since then, about 100 concerts to date. The ‘dotolim concert series’ seeks to connect improvised music to all of the arts, and to new audiences.

33

판 츠-밍과 샌디 딩은 시각예술가이자 음악가로, 많은 연주회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국내의 유일한 즉흥음악 공간인 닻올림의 정기 공연 시리즈의 일환으로 다른 유럽에서 참여한 예술가들과 함께 솔로 연주를 선보이게 된다. ‘닻올림’은 2006년 10월 진상태에 의해 설립된 회사의 이름이다. 같은해 11월 일본 투어에서 오토모 요시히데(Otomo Yoshihide, 大友良英)의 사무실 겸 공간 ‘GRID605’에서 공연할 때 좁은 공간을 공연장으로 사용할 때의 밀도와 여러 가지 장점들에 감명받아 자신의 사무실에서 즉흥음악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공연장 및 레코딩 공간을 운영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으며, 공연장의 이름도 그의 회사 이름을 딴 ‘닻올림’이라 부르게 되었다. 공연장으로서의 닻올림은 2008년 2월에 첫 연주회를 시작했으며, 즉흥음악을 중심으로 즉흥음악및 관련되어 같이 협연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예술들과의 만남을 시도하는 ‘닻올림 연주회’라는 이름의 공연시리즈를 100회 가까이 넘게 진행해오고 있다.


34


경쟁 부문 EX-Now

35


EXiS 2017

EX-Now ①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9일(수) 오후 2시 (95min) WED, July 19, 2017 at 2:00pm @ Korean Film Archive

국제 경쟁

36


경쟁 부문 EX-Now

기차의 도착 A Train Arrives at the Station

톰 앤더슨 Thom Andersen

distribution@lux.org.uk USA / 2016 / Color, B&W / Stereo / 15min / HD

톰 앤더슨 톰 앤더슨은 영화감독이자, 비평가, 교수다. 현재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이론과 역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뉴욕주립대와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60년대 초반 로스앤젤레스 필름포럼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으며 그의 작품은 밴쿠버 영화페스티벌에서 2003년 최고의 다큐멘터리 상을, 2004년 빌리지 보이스에서 그해의 다큐멘터리로 선정되기도 했다.

Thom Andersen Thom Andersen (born 1943, Chicago) is a filmmaker, film critic, and teacher. He currently teaches film theory and history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and has previously taught at SUNY Buffalo and Ohio State University. He has also been the programmer for LA Filmforum in Los Angeles during the late 90s. His more recent work, including Los Angeles Plays Itself , has taken its cues from formalism. The film won the National Film Board Award for Best Documentary at the 2003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as voted best documentary of 2004 by The Village Voice Critic’s Poll, and was voted one of the Top Ten Films of the Decade by critics at Cinema Scope.

EX-Now ① 국제 경쟁

- 톰 앤더슨

37

이 작품은 내게 선물과도 같았다. 난 어떤 주장이나 자질구레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 «기차의 도착»은 나의 이전 작품인 «우리가 한때 가졌던 생각»(2015)에서 비롯되었는데, 당시 편집 과정에서 들어내면서 무척이나 후회했던 한 장면이 있었다. 그것은 오즈 야스지로의 «외아들»(1936)에서 동경역에 기차가 들어오는 장면이었다. 그래서 나는 그 이미지에 관한, 기차의 도착 장면을 모아 하나의 선집을 만들고자 결심했다. 영화는 1904년부터 2015년 사이 영화 속에서 기차가 등장하는 26개의 장면으로 구성된다. 작품은 단순한 연속 구조를 가지는데 처음 절반은 흑백 장면이고 나머지는 컬러 장면으로 이루어진다. 일본의 기차역에 기차가 도착하는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은 로우 앵글로, «외아들»에서 가져온 첫 장면에서 기차는 오른쪽으로 그리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왼쪽을 향한다. 고속 열차가 증기 기관차로 대치되고, 물론 이 두개의 장면은 최초의 기차에 관한 영화인 뤼미에르 형제의 «라 시오타 역에 도착하는 열차»(1895)를 떠올리게 한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물론 내 원래 의도는 아니었지만 난 또 다른 구조 영화를 만들게 되었다.

This film was a gift to me. I make no claims for it, nor do I offer any apologies. It comes from work on The Thoughts That Once We Had . There was one shot we had to cut whose loss I particularly regretted. It was a shot of a train pulling into Tokyo station from Ozu’s The Only Son . So I decided to make a film around it, an anthology of train arrivals. It comprises 26 scenes or shots from movies, 1904-2015. It has a simple serial structure: each black & white sequence in the first half rhymes with a color sequence in the second half. Thus the first shot and the final shot show trains arriving at stations in Japan from a low camera height. In the first shot (The Only Son ), the train moves toward the right; in the last shot, it moves toward the left. A bullet train has replaced a steam locomotive. These two shots, of course, suggest the first train film, August and Louis Lumière’s L’Arriivée d’un train en gare de La Ciotat . So after all these years, I’ve made another structural film, although that was not my original intention. - Thom Andersen


EXiS 2017

세르게이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마크 라파포트 Mark Rappaport

Sergei / Sir Gay

marrap@noos.fr France / 2016 / Color, B&W / Stereo 35min 36sec / HD

우리시대 가장 영향력있고 위대한 영화감독인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은 조형미술에도 빼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수천 장이 넘는 놀랄만한 드로잉 작품을 남겼고, 외부에 전혀 공개되지 않은 자신만의 즐거움을 위한 수 백여장의 동성애적 그림을 그렸다. 이 비디오 에세이에서는 에이젠슈타인의 영화 속에서 그간 전혀 언급하지 않았던 동성애적 레퍼런스를 면밀히 검토한다.

38 마크 라파포트 마크 라파포트는 60년대와 70년대 초에 몇 편의 단편영화를 찍고 난 후에 70년대 5편의 장편 영화-«가벼운 관계»(1973), «모차르트의 사랑»(1975), «로컬 컬러»(1977), «경치 좋은 길»(1978), «사기꾼»(1979)-를 찍었다. 그리고 1985년에는 «체인 레터스»를 찍었다. «경치 좋은 길»은 영국영화협회의 서덜랜드 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에 라파포트는 비디오 작업을 시작하여 «우편엽서»(1990), «록 허드슨의 홈무비»(1992), «야간 경관»(1993), «진 세버그의 일기에서»(1995), «실버 스크린/컬러 미 라벤더»(1997), «존 가필드»(2002)을 만들었다. 라파포트는 또한 20여년 간 소설가이자 영화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그는 또한 포토몽타주 작업을 하면서 뉴욕, 스페인, 로테르담, 낭트, 파리 등에서 전시를 하기도 하였다. 그는 현재 파리에서 살고 있다.

Mark Rappaport Mark Rappaport, after making more than a half a dozen shorts in the 60s and early 70s, made 5 features in the 70s— Casual Relations (1973), Mozart in Love (1975), Local Color (1977), The Scenic Route (1978) and Impostors (1979). The Scenic Route followed in 1985. The Scenic Route won The British Film Institute’s Sutherland Award as “the most imaginative and innovative film of the year.” In the 90s, Rappaport began working in video with Postcards (1990) a video narrative. Rock Hudson’s Home Movies (1992), Exterior Night (1993) – another experimental video narrative, From the Journals of Jean Seberg (1995), The Silver Screen/Color Me Lavender (1997) and the short, John Garfield (2002) followed. Rappaport has been writing fiction and essays about films for over twenty years. Rappaport also makes photomontages and has exhibited in New York, Spain, Rotterdam, Nantes and Paris. Rappaport lives in Paris.

Sergei Eisenstein, one of the greatest and most influential filmmakers of all time, was also a brilliant plastic artist. His thousands and thousands of drawings are superb—as are the hundreds of homoerotic drawings he made for his own amusement, never meant for publication. In this video, the homoerotic references in Eisenstein’s films are examined and explored in ways they have never before.


경쟁 부문 EX-Now

엑스터시 Ecstasy

디 후 Di Hu

lao_chuang1968@hotmail.com China / 2017 / Color, B&W / Stereo 12min 44sec / HD

39

EX-Now ① 국제 경쟁

내가 선택한 영화는 중국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60편 이상의 영화에서 발췌한 분석적인 장면이다. 이렇게 고른 영화에서 찾아낸 음악, 언어, 시선, 몸짓과 상황에 의해 물리적으로 재현된 (루이 알튀세르가 말하는)이데올로기적 호명의 순간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러한 요소들 중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언어’이기 때문에, 가급적 다른 외국어 자막을 넣지 않으려 했다. 영화의 최소 단위가 되는 장면을 가급적 원래의 길이로 유지하고자 했는데 이는 우리가 비판적 주제를 다룸에 있어서 장면이 가지고 있는 완전함을 유지하는 것이 최소한의 도덕을 유지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엑스터시»는 특정한 줄거리나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광범위한 장면들에서 가져온 다층적 상징과 의미가 이 영화에서는 서사를 대신한다. 여러 다른 영화의 음악들이 갖는 유사점, 빛나는 극적인 시선(크나큰 즐거움에 압도된 감정을 빨아들이는 듯한, 엑스터시란 제목은 여기에서 가져온 것이다.), 반복된 단어(마오 주석와 같은), 비인간적 몸짓(인물의 머리를 높여 돌아보는 등), 눈물을 흘리는 얼굴, 엑스터시의 전송 매체가 되는 상징적인 사물들(바늘, 스패너, 그리고 사과), 그리고 과장된 필름 기법들(클로즈업과 줌인)이 그러한 요소들이다. «엑스터시»는 연작의 첫 번째 작품이며, 특정 시기의 영화에 대한 재발견 일뿐만 아니라 영화를 통해 말하여지는 역사에 대한 성찰이기도 하다. 나는 내 스스로를 영화 예술가로 간주하지만, 내게 “영화”는 너무나 거대한 것이어서 스스로가 어떤 예술가인지에 대해 파악할 수 없게 만든다. 대신에 난 스스로를 “비디오 예술가”로 간주한다. 내 교육적 배경과 예술적 태도가 영화에서 비롯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비디오는 더 사적이고 영화보다 덜 지배적인 매체이다. 그것은 탐색하고 자기성찰의 도구인 연구 방법과도 같다. 나는 비토 아콘치의 단순 명료함이나 무한한 반복 뒤에 얻어지는 앤디 워홀의 숭고함 같은 것을 성취하고자 한다. 물론 하룬 파로키의 합리성은 내게 있어 도달 불가능한 예외적인 것이다. 이것이 비디오가 내게 가르쳐 준 것이다. 물론 영화는 내 언어이다. 난 영화의 렌즈를 통해 모든 것을 실행하고 사진이라는 매체로 작업을 한다. 그러면서도 내게 오직 단 하나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데, 사진은 단 하나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나는 스틸 컷이든 영상이든 상관없이 영화가 그러하듯 이미지 사이의 의미 관계를 다루는데 흥미를 갖고 있다. 이때, 실재와의 연관성에서 영화로 기울게 되었다. 영화는 실재에 도달하는 나만의 방법이다. 작품들은 이미 실재 안에 존재하고 있으며, 작가의 작업은 그 작품들을 찾아내서 정직하게 제시하는 것이고, 이는 마치 마르셀 뒤샹이 레디메이드를 찾아내는 것과 마찬가지다.

The film that I present for selection is an analytical montage of shots extracted from more than 60 films from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period. This film exclusively studies the moments of the interpellation of the Ideology (Louis Althusser) which are represented physically by music, words, gazes, gestures and situations found in these films. Because words are only one element amongst all of these, I prefer not to add English subtitles, as they may distract from the other elements captured in the film. I keep every shot at its original length because the shot is the minimal unit of the cinema. When we work on such a critical subject, keeping the integrity of the shot is the least we can do, in a moral way. Strictly speaking, the film Ecstasy does not lend itself to a specific synopsi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thing to look at in this little film. The multiple symbols and meanings extracted from a wide range of shots make up the narratives found in this film: the resemblance of the music in different films, the dramatic gazes with catchlights (like they are absorbed by an overwhelming feeling of great excitement, where the title Ecstasy comes from), the repetition of the words (like ‘Mao Zhuxi’, Chairman Mao), the robotic gestures (raising one’s head, turning around), the faces with tears, the symbolic objects which reincarnate the transmission of ecstasy (like needle, spanner and apple) and the exaggerated film techniques (close-up, zoom in). This film is the first of a series of films and they are not only reexaminations of the cinema of that period but also reflections of history as told through cinema. I regard myself as a cinema artist, but the word “cinema” is too magnificent for me and does not truly capture who I am as an artist. Instead, I would prefer to be called a “video artist”, even though my educational background and my artistic mindset is derived from the cinema. Video is a more personal, less overwhelming medium than the cinema. It’s like a method of research — a tool of introspection and exploration. I seek to achieve the directness of Vito Acconci and the sublimation of Andy Warhol after endless repetition. Of course the exceptional rationality of Harun


EXiS 2017

Farocki is an unattainable ideal for me. That’s what video taught me. Basically, cinema is my language. I do everything through the lens of cinema, even when I am working through the medium of photography. It is impossible for me to present only one image. Presenting one image is photography. I would prefer to take one image and add another one alongside it and still more underneath or above in order to form an atlas. What I am interested in is the relationship and the meaning between the images. That’s cinema, regardless of whether the images are still or in motion. My connection to reality makes me inclined to the cinema. Cinema is my way of approaching reality. As the works already exist in reality, the work of the artist is merely to find them and to present them honestly, like Marcel Duchamp picking the ready-mades.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40 디후 디 후는 1982년 중국 저장성에서 태어났으며 저장성 대학에서 중국 문학을 공부했다. 이후 프랑스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중국으로 돌아온 이후 프리랜서 영화평론가이자 영화연구자가 되었다. 그는 안체 에만과 하룬 파로키가 기획한 워크숍에 참가한 이후 2014년 부터 단편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후 그가 만든 작품은 유럽을 중심으로 여러 페스티벌에 소개되었다

Di Hu Born in 1982, in Zhejiang, China. He studied Chinese Literature at Zhejiang University before going on to study cinema at several universities in Paris, France. Upon returning to China, he became a freelance film critic and a film scholar. He started making short films in 2014 after attending the Workshop ‘Labour In A Single Shot’ curated by Antje Ehmann and Harun Farocki. Since then, his works have been screened and exhibited in major international art events such as Stuttgarter Filmwinter, 8th Cairo Video Festival, Dallas Medianale, Filmideo 2017 in Index Art Center, Newark, 13th Athens Digital Arts Festival and Images Contre Nature - Festival International de Vidéo Expérimentale, etc.


경쟁 부문 EX-Now

카메라 위협 CAMERA THREAT

베른트 뤼첼러 Bernd Lützeler

filmi@gmx.de Germany / 2017 / Color, B&W / Stereo / 29min HD

EX-Now ① 국제 경쟁

- 베른트 뤼첼러

41

자막도 없고 영상도 사운드도 잘 재생되지 않는 낡은 비디오테이프를 통해 인도 영화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이후 인도 대중 영화에 드러난 시공간과 장르의 불일치성에 매료되었다. ‘맛살라 정칙’이라 알려진 일련의 서사적 형태는 하나의 이야기 구조 속에 여러 영화 장르를 한데 엮어, 논리성보다는 관객을 우선시한다. 사랑 혹은 가족 이야기는 액션 장면, 낭만적 노래, 우스꽝스러운 작은 에피소드, 멜로드라마 그리고 틀에 박힌 춤과 같은 것들에 의해 간섭받는다. 난 항상 이러한 거칠고 원시적인 하지만 흥미로운 영화 구조를 실험적으로 다루고 싶었다. 하지만 이 생각을 실현하기까지 15년의 시간이 걸렸다. 그러다 뭄바이 여행에서 수집한 많은 재료와 파운드 푸티지, 그리고 생각이 구체화되면서 맛살라에 대한 실험을 하기에 충분한 준비가 되었다. 모든 잡다한 필름과 비디오의 파편은 스크린 위에서 하나가 될 것이다. 이전의 영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16mm 또는 35mm 필름을 사용하며 뭄바이의 영화 현상소의 테크니션들과 함께 일했다. 그리고 지금, 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해 그들과 다시 일하기로 결심했지만 본격적으로 일에 착수하자마자 영화 현상소 대부분이 사업을 포기하거나 곧 영원히 문을 닫을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 심하게는 매일 사무실에 앉아 전화기만 바라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다 한 곳과 함께 일을 시작하게 되었지만 사실상 내가 마지막 고객이나 다름없었다. 영화 산업의 전 세계적 디지털화는 마침내 뭄바이에 이르게 되었으며 난 그 사실을 내 영화의 개념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나는 이미 모든 종류의 아날로그와 디지털 포맷을 혼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영화 서사의 혼종성에 대한 맛살라 실험으로까지 확장시켰다. 영화 상영에 있어서도 디지털과 35mm 영사기를 나란히 놓고 한데 상영하고, 결국 두 개의 빛의 원뿔은 스크린 위에서 하나가 된다.

Ever since I had borrowed my very first Hindi movie, coming on a worn out VHS tape, which had no subtitles and was full of drop-outs and sound glitches, I became fascinated by the inconsistency in space, time and genre in popular Indian cinema. This narrative form, also known as Masala Formula, prioritizes the spectacular over logic, by stringing multiple film genres together into one storyline. Loveor family dramas get interrupted by action sequences, romantic songs, comic sub-plots, melodrama and dance routines. I always wanted to experiment with this crude but exciting film structure. In the end it took fifteen years until I realized, that during my travels to Mumbai so many materials found footage and ideas had piled up, enough to become the source for a Masala experiment where all those heterogeneous fragments of film and video would come together on screen. During my previous film projects I had worked on 16 and 35mm celluloid with local technicians and film labs in Mumbai. Now for this new project, I decided to work with them again. But soon after we had started I saw most of them running out of business closing their doors forever, or even worse - still sitting in their studios day by day waiting for the phone to ring. With some of them, I was literally their last customer. So the worldwide digitization of the film industry had finally reached Mumbai and therefore I made it part of my concept, Since I was already combining all sorts of analogue and digital formats, I expanded the concept of my Masala experiment: in the screening, analogue and digital images would be projected side by side from a 35mm and a digital projector, and finally the two light cones would merge on screen. - Bernd Lützeler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42 베른트 뤼첼러 베른트 뤼첼러는 1967년 뒤셀도르프 출생으로 베를린과 뭄바이를 오가며 활동하는 영화감독이자 예술가이다. 그는 무빙 이미지 제작 기술과 표현을 형태와 지각의 문제와 관련시키는 작품을 제작해 왔다. 짧은 영화 파편들, 파운드 푸티지, DIY 기술은 그의 영화에 있어 핵심이자 영화를 확장시키는 요소이다. 그의 뭄바이 여행은 종종 대중적 인도 영화와 텔레비전의 미학에 대한 그의 지난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현재 예술가가 운영하는 필름 현상소인 라보베를린의 운영자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퐁피두센터, 로테르담 영화제,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 뉴욕 필름 페스티벌 프로젝션, 베를린 필름 페스티벌 등 다양한 예술 공간과 영화제에서 소개되었다.

Bernd Lützeler Bernd Lützeler (1967, Düsseldorf) lives and works as an artist and filmmaker between Berlin and Mumbai. In his works he explores techniques of moving image production and presentation in relation with their form and perception. Loops, found footage and jugaad (diy) technologies are an integral part of his films and expanded cinema works. His travels to Mumbai have had a strong impact on his work that often looks into the aesthetics of popular Indian cinema and television within the urban context. His films have been shown at venues and festivals worldwide, including the Centre Pompidou, Rotterdam Film Festival, San Francisco Cinematheque, Views from the Avant-Garde and many more. Bernd is an active member of the artist-run analogue filmlab LaborBerlin .


경쟁 부문 EX-Now

43

EX-Now ① 국제 경쟁


EXiS 2017

EX-Now ②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9일 (수) 오후 4시 30분 (90min) WED, July 19,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국제 경쟁

44


경쟁 부문 EX-Now

세계 The World

미카 타닐라 Mika Taanila

programme@av-arkki.fi Finland / 2017 / Color / Stereo / 7min / HD

«지구에 떨어진 사나이»(1976년 니콜라스 로그 감독이 연출)가 뒤집히고 비워진다. 버려진 풍경, 동물, 가구와 텅빈 자동차들만이 남아 재난을 기다린다.

The Man Who Fell to Earth (dir. Nicolas Roeg 1976) evacuated and flipped. In abandoned landscapes, animals, furniture and empty vehicles are left waiting for disaster. “We must have died alone, a long long time ago.” - D.B.

“우리는 오래 전에 홀로 세상을 떠나야 했다.” - 데이비드 보위

Mika Taanila Mika Taanila (s. 1965) is a filmmaker and visual artist based in Helsinki, Finland. He works with documentaries, experimental film and visual arts. Human engineering, utopias, failures and man-machines are recurring themes in his films and installations. Taanila’s works have been shown at major international group shows, such as Aichi Triennale (2013), dOCUMENTA (2012), Shanghai Biennale (2006), Berlin Biennale (2004), Manifesta (2002) and Istanbul Biennial (2001). Solo shows include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Kiasma in Helsinki (2013–14), Contemporary Art Museum St. Louis (2013), TENT, Rotterdam (2013) and Galleria Heino, Helsinki (2010). Taanila’s short films have been screened altogether at more than 300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In 2015, Taanila was awarded with the prestigious Ars Fennica Award, the most prestigious Finnish art award.

EX-Now ② 국제 경쟁

미카 타닐라는 핀란드 헬싱키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이자 시각예술가이다. 그는 다큐멘터리, 실험영화, 시각 예술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인간 기술, 유토피아, 실패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어 왔다. 타닐라의 작품은 아이치 트리엔날레(2013), 다큐멘타(2012), 상하이 비엔날레(2006), 베를린 베엔날레(2014), 이스탄불 비엔날레(2001) 등 주요 단체전에서 소개되었으며, 300여개가 넘는 영화페스티벌 혹은 특별 이벤트에서 상영되었다. 2015년 타닐라는 핀란드의 가장 권위있는 예술상 아르스 페니카 어워드를 수상했다.

45

미카 타닐라


EXiS 2017

앤서 프린트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모니카 사비론 Mónica Savirón

Answer Print

monicasaviron@gmail.com USA / 2016 / Color / Stereo / 5min / 16mm on HD

«앤서 프린트»는 오리지널 편집본의 타이밍 작업과 필요하다면 페이드 혹은 디졸브와 같은 기본적 장면 연결과 같은 특수효과 작업을 마친 첫 번째 프린트를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그것은 ‘필름이 어떻게 보일 것인지’에 대한 것과 ‘어떤 보정이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46

- 빌 브란드 이 작품은 변색된 16mm 필름으로 만들었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도록 의도되었다. 색조와 음향은 필름의 재조합과정에서 전혀 손대지 않았다. 사운드트랙은 무성 더블 퍼포레이션 필름으로 만든 오디오, 사운드 필름의 옵티컬 트랙, 그리고 각각의 영화속 작가들의 컷에서 만들어진 톤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각 쇼트는 26 프레임의 길이로 만들어졌다.

모니카 사비론 모니카 사비론은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는 실험영화감독이자 독립 큐레이터이며 작가이다. 그녀의 작품은 사운드와 아방가르드 시의 영화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앤서 프린트»는 54회 뉴욕필름페스티벌에서 최초 공개되었으며, 이전 작품들은 여러 영화페스티벌에 소개되어왔다. 큐레이터로서는 무빙 이미지 뮤지엄, 마이크로스코프 갤러리, 유니독스,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 등 여러 기관과 함께 다양한 기획을 진행해왔으며, 아방가르드와 아티스트 시네마에 관한 그녀의 에세이는 국제적인 지면을 통해 소개되었다. 매주 다큐멘터리와 실험영화에 관한 라디오 쇼를 마드리드에서 10년간 연출했으며, 뉴욕에서 예술가이자 복원전문가인 빌 브란드와 함께 실험영화 작가인 베릴 소콜로프의 유산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녀가 아카이빙하고 복원한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감독이자 첼리스트인 베릴 소콜로프의 컬렉션은 여러 뮤지엄과 아카이브에 소장되어있다.

Mónica Savirón Mónica Savirón (Spain) is an experimental filmmaker, independent curator, and writer. Currently based in New York, her work explores the cinematic possibilities of sound and avantgarde poetics. Her film Answer Print (2016) had its World Premiere at the 54th New York Film Festival. Winner of the Best Film award at FRONTEIRA Film Festival in Brazil, her film Broken Tongue (2013) has been shown at more than fifty major festivals and art venues around the world. Her video To Begin With (2012) had its World Premiere at Experiments in Cinema Festival. As a curator, she has organized shows at the Museum of the Moving Image, Microscope Gallery, UnionDocs, and Anthology Film Archives. Her essays about avant-garde and artists’ cinema have been published internationally. She works on archiving and preserving the legacy of American avantgarde filmmaker and cellist, Beryl Sokoloff (in the collections of the Museum of Modern Art, NYC; Musée d’Art Brut, Lausanne, Switzerland; American Folk Art Museum, NYC; and Anthology Film Archives, NYC).

An Answer Print is the first film after the original has been timed for every shot with fades and dissolves if any. The question that it answers is ‘what is this going to look like’, and ‘what corrections’, if any, are needed. - Bill Brand Answer Print is made with deteriorated 16mm color stock, and it is meant to disappear over time. Neither hue nor sound has been manipulated in its analog reassembling. The soundtrack combines audio generated by silent double perforated celluloid, the optical tracks from sound films, and the tones produced by each of the filmmaker’s cuts when read by the projector. The shots are based on a 26-frame length: the distance in 16mm films with optical tracks between an image and its sound.


경쟁 부문 EX-Now

350 미야 350 MYA

테라 진 롱 Terra Jean Long

distribution@cfmdc.org Canada & Morocco / 2016 / Color / Stereo / 4min 55sec / 16mm on HD

이 작품에서 한 장의 천조각이 카메라 앞에서 출렁이는데, 바닥에 있는 모래와 파도 모양의 곡선을 그려내는 것이 동일한 바람에 만들어진 것이다.

테라 진 롱

EX-Now ② 국제 경쟁

Terra Jean Long Terra Jean Long (1983) lives in Toronto and teaches at the Liaison of Independent Filmmakers of Toronto (LIFT). Her films tell personal stories in a setting that mixes dream, fiction, and reality. She has shown her works at the Edinbur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he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msterdam, among other festivals.

47

테라 진 롱은 1983년 생으로 토론토에 거주하며 토론토 리프트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녀는 작품 속에서 꿈과 서사 그리고 실재가 혼재하는 상황에서의 사적인 이야기를 주로 다뤄왔다. 그녀의 작품은 에딘버러 영화제,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등 여러 영화제에 소개되었다.

In Terra Long’s 350 MYA , a sheet whips before the camera, shaped by the same wind that forms the rigid, undulating lines of sand below it as the film conjures the continued presence of the now-vanished Rheic Ocean in the Tafilalet region of the arid Sahara Desert.


EXiS 2017

화염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크리스티안 델가도 & 니콜라스 테스토니

Lumbre

Christian Delgado & Nicolás Testoni hielodelgado@yahoo.com.ar nicotestoni@gmail.com Argentina / 2016 / Color / Stereo / 44min 24sec / HD

«화염»은 끝나지 않는 아르헨티나의 방대한 초원지대인

48

팜파스의 지형학적 위치를 지속의 문제로 재해석하는 프로젝트인 «베스트 Vast»의 두 번째 파트이다. 이 작품의 이미지가 제기하는 문제는 아르헨티나의 역사만큼 오래된 것으로, 거의 경계도 없고 측정 불가능한 이 확장된 것을 단지 물리적 차원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공통분모로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질문한다.

크리스티안 델가도 & 니콜라스 테스토니 크리스티안 델가도와 니콜라스 테스트니는 2004년 부터 설치, 야외 프로젝션,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작품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들의 작품은 비디오 브라질,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페스티벌 등 남미와 유럽의 다양한 영화페스티벌과 뮤지엄에서 소개되었다. 최근 그들은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라틴아메리카 비디오 아트 페스티벌(2014)과 무빙이미지 비엔날레(2016)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Christian Delgado & Nicolás Testoni Christian Delgado and Nicolás Testoni have worked together since 2004. Their videos and video installations were exhibited at several events, such as Image contre nature (Marseille, 2009), Videobrasil Electronic Arts Festival (São Paulo, 2011),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msterdam, 2014). Recently, they were awarded distinctions at the Festival Latinoamericano de Videoarte, Buenos Aires (2014) and the Bienal Regional de Arte, Bahía Blanca (2015).

Lumbre is the second part of Vast , a film which, adapting its duration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it portrays—Argentina’s Pampas—, cannot “end”. The question arising from the images is, perhaps, as old as our country: How to conceive of this expanse which is almost boundless, immeasurable—not only in its physical but also in its social dimension—as a “common ground”?


HELIOPOLIS HELIOPOLIS

아냐 도르니덴 & 후안 다비드 곤잘레스 몬로이

Anja Dornieden & Juan David González Monroy anjadornieden@gmail.com jdgonzalezmonroy@gmail.com Germany / 2017 / Color / Stereo / 26 min 16mm on HD

49

EX-Now ② 국제 경쟁

아마추어 이집트학자인 피어슨에 따르면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는 기원전 3세기 이집트의 건축학교에서 도시 계획 교육을 위해 고안한 도시 모형의 이름이었다. 블로그에 쓴 글에서 피어슨은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가 무명의 사제에 의해 만들어진 것인데, 고대 도시인 헬리오폴리스를 능가하는 혁신적 도시를 구상하기 위해서 제자들을 훈련시키기 위한 도구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제와 그의 제자들은 실제로 헬리오폴리스에 가본 적이 없었고, 이 모형은 순전히 문헌과 이차적인 지식에 의존해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결국 이 사실은 이 학파 내에서 자부심의 원천이 되었고, 헬리오폴리스에 대한 묘사는 환상적인 성격을 얻게 되면서 매우 정교한 동시에 완전히 믿기 어려운 것이 되었다. 전문가들은 이 교육 모형이 어떻게 사용되었는가에 대해서 전적으로 의견을 달리하였다. 연구자인 더밍스는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가 실제로는 거대한 미궁이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제자들은 눈이 가려진 채로 몸에 오리 기름을 바르고 나체로 미로 안으로 보내졌다고 한다. 그들의 목표는 도시의 중심에 있는 사원들을 찾아내서 이를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그들은 자신의 몸을 횃불로 사용해야만 했을 것이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그는 두 가지 증거에 의존하였다. 첫 번째 증거는 헬리오폴리스의 이름이 태양신 라가 사는 곳이라는 사실로부터 왔다는 점이며, 두 번째 증거는 남아있는 기록에 따르면 모형을 만든 의도가 “빛을 제거하기” 위함이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내가 직접 조사한 바에 따르면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는 미궁이 아니라 아주 높은 탑이다. 그리고 그 주위는 매우 가파른 계단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계단 꼭대기에는 태양신을 모시는 사원이 세워져 있다. 제자들이 탑의 꼭대기에 세워진 원시적인 기구를 사용하여 기계로 된 거대한 달을 만들었고, 달은 지속적인 일식 현상을 일으키면서 사원이 태양빛을 보지 못하게 하여 “빛에 암흑을 가져다” 줄 수 있었다. 현재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 아마추어 이집트학자들 사이에는 이 해석의 진위 문제를 두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피어슨과 더밍스는 과거에 부부였지만, 피어슨이 다른 아마추어 이집트학자인 아펠바움과 결혼하기 위해서 더밍스를 떠났다. 온라인에서의 논쟁을 추적해보면 결국 그들의 이견은 다음의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더밍스는 피어슨이 자신의 생각을 훔쳤다고 비난하고 있고, 피어슨은 더밍스가 자신을 증오하고 있다고 비난한다는 것이다. 오늘날까지도 양측의 당사자와 그 지지자들은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의 진짜 의미를 둘러싼 논쟁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는 각각의 해석에 맞는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의 모형을 만들고자 했지만, 미궁이든 탑이든

According to amateur Egyptologist I. I. Pearson, Heliopolis Heliopolis was the name of a metropolitan simulacrum devised as a training tool for urban planning at the NoUn School of Architecture in Egypt in the 3rd century BC. On her blog, “Secret Cities of Ancient Egypt” Pearson writes Heliopolis Heliopolis was created by an insurgent priest (whose name has been lost) as a tool to train students in the design of a revolutionary city meant to surpass the ancient city of Heliopolis. Thi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priest and his students appear to have never visited Heliopolis and based their model exclusively on texts and secondhand knowledge. Eventually this became a source of pride within the school and descriptions of Heliopolis gained a fantastical nature, becoming both meticulously elaborate and wildly implausible. How it was used of as an educational model is heavily disputed among experts. The researcher, J. J. Dummings proposes that Heliopolis Heliopolis was in effect a very large maze. According to him, students were sent into the maze, blindfolded and naked with their bodies covered in duck grease. Their goal was to find the models of the city’s main temples and destroy them. To do this they would have used their bodies as torches. To substantiate his claim, he relies on two details. First, on the fact that Heliopolis was given its name (which in Greek means “city of the sun”)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sun god Ra presided there, and second, on a passage from the written record that states (according to his own translation), that the purpose of the simulation was to “obliterate the light”. My own research leads me to believe that Heliopolis Heliopolis was not a maze but in fact a very high tower. It was circled by ever-steeper steps, at the top of which stood the main temple, representing the sun. Along the way the students had to pick up primitive instruments, which, once at the top, they would use to build a large mechanical moon. The moon would create a permanent eclipse, shroud the temple completely in its shadow and thus, (following my own translation of the passage) “bring darkness to the light”. Now, because of their personal history, opinions about the veracity of these

경쟁 부문 EX-Now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간에 실제 모형을 만든다는 것은 능력 밖의 일이었다. 그래서 남아있는 증거들을 직접 해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증거들을 시청각적 시뮬레이션으로 조합하기로 결정하였다. 우리의 결론은 이 모형이 실제의 건축을 위해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의식에서 무아지경과 같은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환각상태에서 제자들은 상상의 도시를 여행하는데, 이 도시는 미궁이나 탑이 아니라 거대한 호수나 바다와 같은 것이며, 사원들은 마치 섬처럼 이 물 위에 떠 있던 것이다. 각각의 섬들은 순수한 빛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자들은 스스로를 섬의 그림자로 변형시켜야만 했다. 그래서 섬을 자신의 내면의 심연으로부터 나온 암흑으로 둘러싸면서 “빛나는 암흑을 드러냈다”.

50 아냐 도르니덴 & 후안 다비드 곤잘레스 몬로이 아냐 도르니덴과 후안 다비드 곤잘레스 몬로이는 베를린에 거주하는 작가들로 2010년부터 OJOBOCA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내면과 외면의 변형 방법인 호러리즘을 실천하고 있다. 그들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다수의 영화페스티벌에서 상영된 바 있다.

Anja Dornieden & Juan David González Monroy Anja Dornieden and Juan David González Monroy are filmmakers living and working in Berlin under the moniker OJOBOCA since 2010. Together they practice Horrorism, a simulated method of inner and outer transformation. They have presented their work internationally in a wide variety of venues to a wide variety of audiences.

interpretations are starkly divided within the amateur Egyptology scene. Apparently Pearson and Dummings were once married but he left her for their mutual friend and fellow amateur Egyptologist K.K. Apfelbaum. After looking closely at the online record their argument boils down to this: he accuses her of stealing his ideas and she accuses him of resenting her for not taking him back once she found out about his betrayal and forced him to confess. Needless to say, to this day both parties, and their respective factions, continue to argue over the true meaning of Heliopolis Heliopolis. Although we considered creating versions of Heliopolis Heliopolis that would correspond with each interpretation, building an actual facsimile of the maze or of the tower would have been way beyond our means. Therefore we went with our own interpretation of the evidence to assemble this audiovisual simulation. It goes like this: the model was never meant to be built but was used during the ritual to induce a trancelike state of mind. In a hallucinatory haze, the student wanders through the imaginary city, which does not resemble a maze or a tower, but an endless body of water in which the temples, like islands, are floating. Each island is made of pure light and the student must transform himself into the island’s shadow, engulf it in darkness and from his inner abyss (following our own translation) “reveal the bright darkness”.


경쟁 부문 EX-Now

51

EX-Now ② 국제 경쟁


EXiS 2017

EX-Now ③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4시 30분 (77min) / GV FRI, July 14,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국제 경쟁

52


경쟁 부문 EX-Now

하늘의 꽃 Flowers of the Sky

재니 가이저 Janie Geiser

janiegeiser2@gmail.com USA / 2016 / B&W, Color / Stereo / 9min 12sec HD

재니 가이저는 퍼포먼스, 영화, 설치작품과 시각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작가다. 그의 작품은 버려진 이미지와 사물들의 맥락을 되찾고, 인위성을 포용하면서, 정지된 시간에 대한 감각을 되살리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미국 아방가르드 인형극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그는 사물과 인형, 그리고 영사를 결합해 혁신적이고 최면적인 퍼포먼스와 설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워커아트센터, 레드캣 등에서 소개되었으며 뉴욕현대미술관, 캘리포니아 예술대학 등에 소장되었다. 지난 필름 코멘트가 선정한 10년 사이 제작된 10편의 실험영화에 선정된 «네 번째 시계»(2000)는 아카데미 필름 아카이브 복원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Janie Geiser Janie Geiser is a multidisciplinary artist whose practice includes performance, film, installation, and visual art. Geiser’s work is known for its recontextualization of abandoned images and objects, its embrace of artifice, and its sense of suspended time. One of the pioneers of the renaissance in American avant-garde puppet theater, Geiser creates innovative, hypnotic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s that integrate performing objects, puppets, and projection. Her work has been presented at The Public Theater, St. Ann’s Warehouse, Redcat, The Walker Art Center, and other venues. Geiser’s work has been recognized with the Doris Duke Artist Award, a Guggenheim Fellowship, an OBIE Award, and funding from Creative Capital, the Rockefeller Foundation, NEA, Center for Cultural Innovation, MapFund, and others. Geiser’s films are in the collections of MOMA, The NY Public Library’s Donnell Media Center, CalArts, and others. Her film The Red Book is part of the National Film Registry of the Library of Congress.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s Archive has selected her work for preservation, and The Fourth Watch (2000) was selected by Film Comment as one of the top ten experimental films of the past decade.

EX-Now ③ 국제 경쟁

재니 가이저

53

혜성을 뜻하는 중세 용어에서 따온 제목의 이 작품은 LA 중고품 가게에서 발견한 두 장의 파노라마 사진에서 시작되었다. 이 사진은 프리메이슨 소속 단체인 동방의 별단의 집회를 찍은 것이다. 첫 번째 사진은 만찬 사진으로 참가자들은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다. 두 번째 사진은 의식을 거행하는 장면을 찍은 것으로 모두가 예복을 입고 카메라가 아닌 무대를 바라보고 있다. 무대 위에는 한 사람이 서서 나머지 사람들을 바라보고 있다. 모두가 다음 순간을 기대하면서 정지해 있다. 사진들의 여러 부분들을 보여주면서 이 작품은 원래의 행사를 드러내는 동시에 왜곡시킨다. 사진들을 보고 있으면 일상의 경험을 초월하는 무언가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시선이 느껴진다. 그리고 그 무언가는 일어난다. 자연은 스스로를 다시 드러내고, 인물들은 이중으로 겹쳐 보이는 동시에 흔들리고 떠오르면서, 이멀전에 비친 삶으로부터 탈출하려고 한다. 그리고 황홀감은 인쇄된 세계 너머로 확장되는 것 같다.

Flowers of the Sky (a medieval term for comets) draws on two panoramic photographs, found in a Los Angeles thrift shop, that depict a gathering of members of the Eastern Star, a Masonic order. In the first photograph, taken at a banquet meal, the participants are seated at tables and facing the camera. In the second photograph everyone is dressed in ritual robes, looking away from the camera and toward a stage. A single figure stands there, centered on this platform, and faces them. Everyone is suspended, expectant. Through isolating parts of the photographs and highlighting the different groupings of the Eastern Star members, Flowers of the Sky reveals and obscures the original events. There is a sense, looking at the photographs, of watching and waiting for something to happen, something beyond the experience of daily life. And something does. Nature reasserts herself, the figures double, vibrate, and rise, trying to escape their emulsive lives, suggesting a rapture that extends beyond their printed world.


EXiS 2017

25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샤오 야오 Xiao Yao

184447723@qq.com China / 2016 / Color / Stereo / 7min / HD

54

우선 난 이 작품을 여성 영화로 범주화한다. 이를 통해 삶과 작품 그리고 두 세대 여성의 사랑의 차이를 통해 내 어머니와 건강하고 소통 가능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적 무게감의 증가와 여러 요소가 쌓여 나가면서 난 차이가 사실상 불가역적인 것임을 깨달았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우리는 서로의 일에 치여 각자의 외로움을 무시했다. 어머니의 암은 극도의 부정적 에너지와 먼지투성이의 기억을 일깨 웠고, 치료를 받는 동안 우리는 정신적 회복이 필요했다. 이런 상황이 이 작품을 만들게 된 시발점이다. 이 과정을 특별한 사건이나 해석으로 표현하거나 설명하기는 힘들다. 결국 난 내 작품을 “자화상”에 가까운 영화로 범주화 할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기억이나 회고가 아닌 내 스스로에 대한, 마음의 관찰이고 외부 신체를 열어젖히는 과정이며 자신과의 대화이다.

샤오 야오 샤오 야오는 베이징 중앙미술학원을 졸업했다. «25»는 2017년 중국독립영화제에서 실험영화 부문 수상작이며, 그녀의 영상과 설치는 베이징의 여러 전시에 선보였다.

Xiao Yao Xiao Yao graduated China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CAFA). 25 was awarded the best experimental work at China Independent Film Festival 2017 and participated in several group shows in Beijing.

At first I will classify this film as a women’s movie and hope that I can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fe, work and love of two generations of women, so that I can build a healthy and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my mother. But with the increasing accumulation of elements and the increase of ideological burden, I realized that the so-called difference is actually nonreversible but most of the time we are so busy with our own affairs that we ignore such loneliness. Mother’s cancer wakes up too much negative energy and dust-laden memories. Along with mother’s treatment, we also need to have a mental recuperation. This is the original intent for me to create this film. The process is difficult to explain and cannot be presented through specific events or interpretations. So, I will classify this film into a “self-portrait” kind of film. This is not just a memory and reflection but is the observation of heart, and to myself of me, is a process of opening the external body and is self-conversation.


IMPRESSIONS FOR A LIGHT AND SOUND MACHINE

컬렉티보 로스 인그라비도스 Colectivo los ingrávidos

colectivolosingravidos@gmail.com Mexico / 2016 / B&W / Stereo / 6min 43sec / HD

컬렉티보 로스 인그라비도스 컬렉티보 로스 인그라비도스는 사회와 대중에 대한 지각적 통제를 달성하기 위한 시청각적 이데올로기를 효율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영화적 코포라티즘과 텔레비전 미학의 시청각적 문법을 해체할 필요성에서 출발했다.

Colectivo los ingrávidos Colectivo los ingrávidos emerges from the necessity to dismantle the audiovisual grammar that the aesthetic of television and cinematic corporatism uses to effectively ensure the dissemination of audiovisual ideology through which it achieves social and perceptual control over the population.

EX-Now ③ 국제 경쟁

- 카를로스 에스콜라노

55

한 여성이 목청 높여 고통스럽고 끝나지 않는 연설을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녀의 마음을 흔드는 언어와 집단 기억 속의 항구적 인상은 사람들을 더욱 압도한다. 결국 이 연설은 오래된 멕시코 영화의 셀룰로이드 필름이 찢겨 사라질 때 까지 지속된다. 피터 체르카스키의 걸작 «빛과 사운드 장치를 위한 입문»(2005)를 참조하여, 인그라비도스는 폭력 특히 멕시코에서 폭력의 재현을 비판하기 위해 질문을 던진다. 이 영화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려는 듯하다. 나르코스가 그들의 폭력적 행위를 불법으로 녹화하여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었을 때 멕시코에서는 어떻게 폭력이 재현되었는가? 우리가 재현의 영도를 가지게 되었을 때 과연 어떻게 재현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인가?

A woman raises her voice and gives a painful and endless speech, that with time becomes even more overwhelming because her words are heartbreaking and permanent impressions in the collective memory that stab with words an old Mexican film, a celluloid that is torn apart until its disappearance. Taking as reference the film Instructions for a Light and Sound Machine (2005) by Peter Tscherkassky, the ingrávidos inquire about the diatribes of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specifically violence in Mexico. This film see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How is violence represented in Mexico when narcos themselves make snuff recordings of their atrocities that are then massively spread? How can we continue to represent when we have the degree zero of the representation, that is, its presentation? - Carlos Escolano

경쟁 부문 EX-Now

빛-소리 장치에 대한 인상


EXiS 2017

아부 아마르가 온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나임 모하이에멘 Naeem Mohaiemen

Abu Ammar is Coming

distribution@lux.org.uk Bangladesh & Lebanon / 2016 / B&W, color / Stereo 6min / HD

56

사진 속 다섯 사람은 창밖을 응시한다. 아니 사실은 네 사람만이 밖을 보고 있다. 한 사람은 규칙을 깨고 카메라를 응시한다. 빛이 부드럽게 비춰진다. 배경은 폭격을 당한 건물이다. 다섯 사람은 모두 군복을 입고 있다. 색상은 올리브 그린임에 틀림없다. 1982년 매그넘의 사진작가가 찍은 이 사진은 수수께끼로 남았다. 아랍어 신문들은 팔레스타인 해방 전선에 속했던 방글라데시 전사들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기억의 빈 공간으로 깊이 들어가면 침전물들로부터 제3세계 국제주의 운동의 어두운 면을 보게 된다. «그 젊은 남자는» 연작은 1970년대의 급진주의 좌파 운동의 실패를 재조명한다. 주인공들은 종종 오인 받으며, 결국에는 문제가 되었던 국가들에게 비극적인 결과를 안기는 “의도치 않은 트로이의 목마”가 되었다. 이러한 실패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여전히 국제주의적인 좌파 연대의 잠재성으로부터 희망을 다시 읽어낸다. 이 연작의 1부 «연합적군»(2011)은 1977년 일본항공 472기 납치 사건의 협상 녹음테이프를 통해서 재구성된다. 2부 «압산의 긴 하루»(2014)은 젊은 역사가의 관점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오인의 문제를 다룬다. 3부 «다카역 최후의 인간»에서는 거꾸로 1975년 방글라데시에서 지하 무장 마오주의 단체에 가담한 혐의로 구금되었던 네덜란드 기자 페터 쿠스터스의 행적을 추적한다. 이 작품 «아부 아마르가 온다»에서 작가는 매그넘 사진가였던 크리스 스틸-퍼킨스의 사진 “PLO 전사들”의 환영 속으로 들어간다. 불행히도 2015년에 세상을 뜬 페터 쿠스터스의 형상에서처럼 이 연작이 제기하는 질문들은 개인적인 형식을 띤다. 유토피아적 희망 너머에서, 그리고 특히 사회주의 이념 내부에서 역사와 경험의 무게에 맞서는 힘은 무엇인가? 이 끔찍한 시대에서 자신의 수많은 동지들과 달리 살아남게 된 사람들이 고독 속에서 지내면서 남기는 기억이란 무엇인가? 그들은 오늘날 자신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 그들은 반혁명 직전에 자유의 마지막 순간에 러시아 혁명을 기록했던 존 리드와 같은 존재인가? 생존자이자 목격자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류세의 한 가운데에서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잔해를 살펴보는 인간은 어떤 사람인가?

A photograph circulates, showing five men staring out of a window. Actually, only four look out; the last man breaks protocol and looks at the camera. The light has a soft glow. The stage is a bombed building. All five men wear military fatigues; the color must have been olive green. Snapped by a Magnum photographer in 1982, the image is a teasing enigma. Arabic newspapers claim it as evidence of Bangladeshi fighters in the PLO (Fatah faction). Go a little deeper into the memory hole and sediments will darken the third world international. The Young Man Was project examines the failures of radical, armed leftist movements of the 1970s. The protagonists often display misrecognition, ending up as an “accidental trojan horse” carrying tragic results to the countries in question (from Japanese hijackers commandeering Dhaka airport for “solidarity”, to migrant labor pipelines transformed into PLO “volunteers”). In spite of its failures, Mohaiemen’s reading of the potential of international left solidarity is still, always, one of hope. The first part United Red Army , (2011) reconstructs the 1977 hijacking of Japan Airlines Flight 472 through a series of crisply polite negotiation tapes. The second film Afsan’s Long Day , (2014) addresses the misrecognition of Marxist ide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young historian (Afsan Chowdhury, whose diary entry gives the series its name), slaloming between Bangladesh’s summer of tigers, and the German Autumn associated with the Rote Armee Fraktion. The third film Last Man in Dhaka Central , (2015) traces, in reverse, the journey of Peter Custers, a Dutch journalist jailed in Bangladesh in 1975, accused of belonging to an underground armed Maoist group. A more recent short film, Abu Ammar is Coming (2016), digs into the illusions of the press photograph, “PLO fighters”, taken by Chris Steele-Perkins for Magnum. In the form of Peter Custers, who unfortunately passed away in 2015, many questions in The Young Man Was project take a personal form. What lies behind utopian hope, especially within the idea of socialism, against the weight of history and experience? What also of the men who survived those terrible times, unlike so many of their comrades, and


나임 모하이에멘은 작가이자 시각예술가로 다카와 뉴욕에서 주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짧은 글과 사진, 영화, 그리고 기록물들을 사용하여 국경선과 전쟁, 그리고 남아시아인 정체성을 탐구한다. 2006년부터 그는 1970년대 극좌 운동의 역사에 대한 작품을 만들고 있는데, 그 일부는 델리, 다카, 뉴욕, 런던 등지에서 상영되었다. 그의 글 중에는 “힙합의 이슬람적 기원”, “이들은 예술가인데 누가 신경이나 쓰는가” 등이 있다. 두 지역을 오가면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가는 또한 국내적으로는 권위주의적이며, 국제적으로는 이민자들의 한계지역에 위치한 방글라데시의 모순적 위치를 탐구하는 운동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출판물과 블록의 형태로 발표되고 있다. 그는 또한 컬럼비아 대학 인류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57

EX-Now ③ 국제 경쟁

Naeem Mohaiemen Naeem Mohaiemen (b. 1969) is a writer and visual artist working in Dhaka and New York. He uses essays, photography, film, and archives to explore borders, wars, and belonging in post-partition South Asia. Since 2006, he has worked on a history of the 1970s ultra-left (The Young Man Was …), chapters of which have shown at Kiran Nadar Museum, Delhi (2013); Bangladesh Shilpakala Academy, Dhaka (2012); Sharjah Biennial, UAE (2011); New Museum, New York (2011); and Frieze, London (2010). Naeem’s essays include “Islamic roots of HipHop ” (Sound Unbound, MIT Press), “Live true life or die trying ” (Visual Culture Reader, 3rd Ed., Routledge), and “These guys are artists and who gives a shit ” (System Error: War is a force that gives us meaning, Silvana). Working between two countries, Naeem also organizes activist projects that explore the contradictions of Bangladeshis inhabiting liminal migrant lives overseas, and majoritarian (and authoritarian) roles in their own country. This work includes the edited anthology Chittagong Hill Tracts in the blind spot of Bangladesh nationalism (on militarization and ethnic displacement of indigenous people), and the co-edited Bangladeshi blog Alal O Dulal (alalodulal.org). He is also a Ph.D. student in Anthropology at Columbia University.

경쟁 부문 EX-Now

나임 모하이에멘

now spend their waning days in solitary apartments, writing down memories? What was such a man then, and how does he remember himself today? Was he John Reed, recording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last free moment before the Thermidor? What does it mean to be a survivor and witness—the last man standing on the eve of another collapse, surveying the wreckage of the socialist dream in the middle of a horrific present that teeters on the cusp of the Anthropocene?


EXiS 2017

운해 雲海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조지 클락 George Clark

Sea of Clouds

george@georgeandclark.com UK & Taiwan / 2016 / Color / Stereo / 16min / HD

«운해»는 이미지와 이미지를 통해 가능한 서사의 관계를 표현한다. 대만의 한 섬 주변에서 100피트짜리 16mm필름 총 6개의 롤로 촬영된 이 작품은 현대 미술작가인 천 지에 런과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작품을 통해 영화와 풍경 그리고 주변부에서의 삶의 관계, 자기 조직화와 저항의

58

잠재적인 곳으로써 이러한 장소가 갖는 역사적 층위가 드러난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으로 부터 듣는 것 사이의 관계와 번역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영화는 일제 강점기의 농부들이 대만에서 정치적 집회를 감추기 위한 수단으로 영화 상영을 이용했던 전통에 대해 천이 말하는 것을 쫓아간다. 보고 있는 것과 듣고 있는 것, 말해진 것과 번역된 것 사이의 차이를 통해 이 작품은 정서적 감정과 역사적 메아리, 북경어와 영어 그리고 대만의 복잡한 역사와 현재 사이에서 윤곽을 만들고 때로는 불이행하며 삶과 풍경의 공명을 확장한다. 영화의 제목은 중국어인 雲海 yúnh i의 영어 번역이며, 대만에서는 높은 산에서 아래를 내려다보았을 때 구름과 바다에 의해 가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경관을 묘사할 때 쓰이는 말이다.

조지 클락 조지 클락은 예술가이자 큐레이터 작가이다. 세인트 마틴 예술대를 졸업하고 루크 파울러, 베아트리스 깁슨과 같은 영국의 현대미술작가들과 여러 작품을 공동으로 제작하였다. 큐레이터이자 기획자로 그는 홍콩과 대만에 특별한 관심을 두고 전지구적으로 확장되는 필름과 비디오 실천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테이트 모던에서 어시트턴트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방콕 실험영화페스티벌 기획팀에 합류하기도 했다. 최근 음악가인 톰 챌린저와 함께 장편 영화 «디스턴트 에코»를 완성했다. 최근 그가 만든 작품은 캐나다 이미지스 페스티벌, 런던영화페스티벌 등 여러 영화제페스티벌을 통해 소개되었다.

George Clark George Clark is an artist, curator and writer. A graduate of fine art from Central Saint Martins, he has worked with many artists including Beatrice Gibson with whom he co-wrote the script for The Future’s Getting Old Like the Rest of Us (2010) and collaborated with Luke Fowler on The Poor Stockinger , the Luddite Cropper and the Deluded Followers of Joanna Southcott (2013). As a curator and writer he has focused on exploring and expanding histories of film and video practice globally, with particular research interest in Hong Kong and Taiwan. He has worked at the Tate Modern as Assistant Curator of Film and previously was part of the curatorial group for the Bangkok Experimental Film Festival, curated a major focus on artist Lav Diaz for the 2012 AV Festival and co-curated ‘Infermental,’ an exhibition on the international magazine on videocassette for Focal Point Gallery 2010. He is currently completing A Distant Echo , a feature length film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musician Tom Challenger.

Sea of Clouds / 雲海 refl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heir possible narration. Filmed on six 100ft rolls of 16mm film in and around the island of Taiwan, the film is structured around an interview with contemporary artist Chen Chieh-Jen. The film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landscape and rural life and the layered histories of these sites as potential places of self-organisation and resistance. Built around the question of transl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what we hear to what we see, the film follows Chen’s retelling of the farmer’s tradition of using film screenings as means of covert political assemb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Taiwan. Existing in the gap between what is seen and what is heard, what is spoken and what is translated, the film attempts to map the contours, slippages and broader resonances of landscapes and distant lives, between sentimental feelings and historical echoes, between Mandarin and English, between Taiwan’s complex history and its present. The title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Chinese term 雲海 / yúnhai, used to describe the view from Taiwan’s highest mountains when everything below is hidden from view by a sea of clouds.


경쟁 부문 EX-Now

로스 (데)펜디엔테스 Los (De)pendientes

세바스티안 비드만 Sebastian Wiedemann

wiedemann.sebastian@gmail.com Argentina & Colombia / 2016 / B&W / Stereo 24min / HD

1956년 부터 2006년 사이에 제작된 아르헨티나의 비판적이고 혁명적 영화를 추출하여, 로스(데)펜디엔테스는 영화 역사 구상의 진일보함을 보여준다. 어떠한 언어에도 기대지 않고, 과거에 관해 당대의 실제적 문제를 충실하게 시각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으며, 현재에 관해서는 삶과 투쟁의

세바스티안 비드만 세바스티안 비드만은 콜롬비아 출신 실험영화작가로 브라질 상파울루에 거주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아메리카와 유럽, 그리고 아시아의 여러 미술관과 영화페스티벌에서 상영된 바 있다. 그의 작품은 미국 뉴멕시코에서 발매된 실험영화 DVD 컬렉션에 포함되었으며, 2015년에 «로스(데)펜디엔테스»는 아트포럼 선정 올해의 영화 목록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브라질과 콜롬비아, 스페인에서 회고전 형식으로 전시된 바 있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나는 화가가 아니기 때문에 영화를 만든다. 나는 작곡가의 방식으로 영화를 만든다.”

Sebastian Wiedemann Sebastian Wiedemann, Colombian experimental filmmaker based in São Paulo, Brazil, has shown his films at galleries and festivals in the Americas, Europe and Asia. His film Zugang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s in Cinema DVD Collection - New Mexico, USA. In 2015 his film Los (De)pendientes was included in Art forum’s best films of the year list. His work has received retrospective shows at the Cinematheque of Rio de Janeiro -Brazil; Museum of Modern Art of Medellín -Colombia and La Neomudéjar Museum, Spain. He defines his cinematic practice as the search of a perpetual becoming state of the image in relation with the cosmos, through the following formula: “I make cinema because I’m not a painter. I make cinema as a compositor would do.”

EX-Now ③ 국제 경쟁

- 니콜 브레네즈

59

결정적인 이미지들이 어떤 빈곤한 조건에 처해있는가를 보여준다. 변화에 관해서는 가장 공정하고 진실한 영화사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남겨진 과제들을 보여준다. 영원성의 관점에서 이 작품은 선명한 그림자를 늘어뜨린 독특한 분위기의 시이다.

Sampling Argentinian critical and revolutionary films from 1956 to 2006, Los (De)pendientes offers a great step in the conception of film history. Without any words, considering the past, it tells what visual works were faithful to the real issues of their times; considering the present, it shows in which poor condition are these crucial images of life and struggle; considering the becoming, it indicates what remains to be done to reconstruct a fairest and truest history of cinema; considering eternity, it is an auratic poem of bold shadows. - NICOLE BRENEZ


EXiS 2017

TUE, July 18,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EX-Now ④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8일(화) 오후 4시 30분 (56min) TUE, July 18,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국제 경쟁

60


KEEP THAT DREAM BURNING

라이너 콜버거 Rainer Kohlberger

rainer@kohlberger.net Austria / 2017 / B&W / Optical / 8min / 35mm

라이너 콜버거

1982년 린츠에서 태어난 라이너 콜버거는 베를린에서 비디오 작가이자 미디어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이를 공간 설치와 실험 영화, 그리고 라이브 시각화의 방식으로 보여준다. 그가 사용하는 환원주의적 언어는 구체적 형상에 대한 장난기 있는 접근과 노이즈 미학 사이를 오간다. 그의 작품은 ZKM 등에서 다수의 수상경력이 있다.

Rainer Kohlberger Born in 1982 in Linz, Rainer Kohlberger lives as a freelance video artist and media designer in Berlin. He develops his algorithmically generated images for space installations, experimental films and live visualizations. The reductionist language used by him moves between a playful approach to concrete forms and noise aesthetics. For his work field , he received the ZKM App Art Award for Artistic Innovation in 2011 and the Crossing Europe Local Artist Award for humming, fast and slow.

EX-Now ④ 국제 경쟁

- 플로리안 뷔스트

61

콜버거의 작품에 등장하는 잡음은 강렬한 힘을 갖고 있다. 백색소음이라는 용어는 가청 주파수 영역 전체에 걸쳐서 존재하는 상이한 음조 주파수들의 연속적으로 겹쳐있는 상태를 지칭한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백색소음은 “스노우”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안테나로 어떤 신호도 수신되지 않을 때 나타난다. 그것은 어떤 구체적인 정보도 담고 있지 않은 지속적인 운동의 이미지다. 돈 디릴로의 1984년 작인 소설 «백색 소음»에서는 이러한 공허한 의사소통의 상태는 무규정적 에너지에 대한 추구뿐만 아니라 부풀려진 소비문화와 인간이 자초한 파국의 은유로 사용된다. 디릴로는 실제 경험을 초월하는 시나리오를 구상하지만, 콜버거는 이제는 독자적인 기계로 들어가서 자신의 미학적 기준에 따라 이미지를 변형시키는 방법을 학습하고 적용한다. 이 작품은 한편으로는 완벽한 운동을 만들기 위해서 알고리즘에 점점 더 의존하는 경향을 지칭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이때 부서지는 “과거의” 세계를 보여준다. 발전과정에서 점점 더 인간에게는 “이해가능성”이 감소하는 디지털 미학이 우리의 도취된 눈앞에서 구현된다.

The static in Kohlberger’s work packs a punch. The term white noise describes the continuous overlay of different tone frequencies across broad areas of the audible spectrum. The white noise of an analog television, also known as “snow”, appears when the device is not receiving any antenna signal: an image of constant movement without legible information. In Don DeLillo´s 1984 novel White Noise , this state of vacant communication serves as a metaphor for inflated consumer culture and manmade catastrophes, as well as for the search for undefined energies. Whereas DeLillo draws a scenario that transcends real experiences (similar to those of a child) beyond medial simulations, Kohlberger enters the now independent machine, which he positions to learn and apply transformations of images in accordance with his aesthetic guidelines. On the one hand, Keep That Dream Burning points to the increasing use of algorithms to produce resounding movements, such as fire or water in big cinema’s special effects, while on the other hand, the “old” world breaks apart here: the genesis of a digital aesthetic, whose developmental processes are increasingly less “understandable” for humans, takes place before our intoxicated eyes. - Florian Wüst

경쟁 부문 EX-Now

저 꿈이 계속 타오르게 하라


EXiS 2017

하이뷰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사이먼 리우 Simon Liu

Highview

simoliu@gmail.com USA & HK / 2017 / Color / Optical / 22min / 35mm

62

베이자오 지역으로 가는 여정에서 계속 쏟아지는 순간들은 우리의 눈에 보일듯하면서도 결코 완전한 형태로 드러나지 않는다. 셔터에 의해 유도된 기억은 작은 반점들로 환원되고 안개 속으로 흩어진다. 여기서 물질적 한계에 대한 나의 실망은 기회가 된다. 나는 집에 가고 싶다. 이 이미지들은 무엇이 어디로 가는가를 보여주려고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나는 길을 보여줄 수는 없다. 아마도 우리는 조각들을 바닥에 펼쳐놓고 다시 조립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할지도 모르겠다. 5일이 지나면 나는 떠나야 할 것이다.

- 사이먼 리우

사이먼 리우 사이먼 리우는 뉴욕 브루클린에서 거주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홍콩 출신으로 홍콩과 영국을 오가며 자란 그는 2006년에 뉴욕으로 이주하여 뉴욕대학에서 영화제작을 전공하였다. 그의 가장 최근작은 16mm 다중 영사 작품인 «클러스터 클릭 시티 선데이즈»로 마이크로스코프 미술관에서 처음으로 상영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와 홍콩 국제 영화페스티벌 등의 다양한 국제 영화페스티벌과 미술관에서 상영된 바 있다. 그는 아티스트런 필름랩인 네거티브랜드 영화 랩의 멤버로서 그곳에서 16mm 작업을 해오고 있다.

Simon Liu Simon Liu lives and works in Brooklyn, New York. Born in Hong Kong and raised in both Hong Kong and Stoke-On-Trent, England, he moved to New York in 2006 and received a degree in Film Production from New York University. His most recent 16mm multiple projection piece, Cluster Click City Sundays , premiered as a part of DREAMLANDS: EXPANDED, an expanded cinema series held at Microscope Gallery in collaboration with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as a part of the exhibition “Dreamlands: Immersive Cinema & Art, 1905 - 2016 ”. His work has also been presented at institutions and festivals such as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in 2016 & 2017, Hong Ko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mburg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the NY Filmmaker’s Co-Op etc. He has given lectures and performed as a visiting artist at universities such as the China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the Beijing Film Academy, Cooper Union and the New School. He is a member of Negativland Motion Picture Lab, an artistrun film lab where he prints, processes and completes his films on 16mm.

Up on the North Point a torrential downpour of instants tease their way into our sight, but never fully form. Shutter-induced memories reduced to speckles, dissipating into fog. Here, my initial disappointments in a material defect morph into opportunity — satisfying an itch to melt instances together, to see any number of places as one. I want to go home. These images were meant to show us what goes where — but I can’t make out the path. Maybe we should lay them all out on the floor and try to put the pieces back together. In another five days, I’ll need to leave. - Simon Liu


경쟁 부문 EX-Now

안에서도 밖에서처럼 AS WITHOUT SO WITHIN

마누엘라 데 라보르데 Manuela De Laborde

manuela.d.laborde@gmail.com Mexico & USA / 2016 / Color / Optical / 25min 35mm

63

EX-Now ④ 국제 경쟁

마누엘라 데 라보르데의 작업은 개념들을 구체적인 속성들로부터 추상화시키면서 [가상의] 공간을 창조하고 이미지를 재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표현의 단순성, 세부사항의 경제, 전시의 위치로부터 영감을 받은 그의 작업은 물리적 현존에 대한 일종의 명상이다. 특히 객체와의 관계에서의 주체, 그리고 변화 관계에서의 존재 상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작품은 관조적 영화다. 영화를 보러 가는 행위에 대한 개념적인 관심과 검토의 결과물이며 동시에 작가의 작업과정으로부터 제공되는 경험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무대장치용 조형물의 기록 이미지로부터 시작되어서 나중에 이 이미지들은 복합적인 시각 기법을 통해 왜곡된다. 조형물의 물질성은 영화 자체의 물질성으로 이어지고 그 형태는 극장의 기본 구조(암전, 틀, 그리고 침묵)를 감안하게 된다. 관객의 정지 상태는 객체들의 정지 상태를 결정한다. 거의 부재한 음향은 카밀라 데 라보르데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는데, 공간의 닫힌 구조를 함축하고 있다. 다양하고 지속적인 노이즈 층들은 영화 전체의 방향을 제공하지만 구체적인 소리들은 이미지를 환기시키고 관객들로 하여금 현재 시점에 주목하게 만든다. 이 작품은 사물의 표면이 그 자체로 깊이를 갖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업이다. 이 작품은 시각과 감정, 그리고 이미지를 모든 감각적인 경험으로 탐구한다.

Laborde’s practice, by abstracting concepts from their concrete properties, looks to create [virtual] spaces and [regenerate] the image. Inspired by simplicity of expression, economy of detail, location of exhibition, her practice is a meditation on physical presence. Its focus is on the subject(s) in relation to the object, one in relation to the other, and the state of being in relation to becoming. As Without So Within is a contemplative film. It is the result of conceptual concerns and examinations on the act of going to the cinema, as well as the experiences offered, in particular by author filmmaking. As Without ’s images begin as documentations of prop-sculptures, intended as tools to create visual fields that are later manipulated through hybrid visual techniques. The sculpture’s materiality points to the materiality of film, and their forms consider the infrastructure of the theatre (its darkness, the frame and silence). The stillness of the spectator determines the stillness of the objects. The almost absent sound, made in collaboration with Camila De Laborde, was conceived to be implied enclosure of space. Various continuous noise layers offer direction through the film while specific sounds, flirting cinematic sync, refresh the image and bring the spectator’s attention to the present moment. As Without So Within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the surfaces of things are entities worthy of their own depth for and in themselves, demanding to be seen and confronted as they exist. As Without explores the visual and emotion, images as sensorial experience.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64 마누엘라 데 라보르데 마누엘라 데 라보르데는 멕시코 출신으로 에딘버러 예술대학에서 예술학사를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제작석사학위를 받았다. 몇 편의 단편영화 제작과 개인전을 열었으며, 크로아티아 25FPS에서 수상하는 등 로테르담, 애니마터, 지하바 다큐멘터리 페스티벌, 토론토 등을 포함해 다수의 영화 페스티벌에 작품이 소개되었다.

Manuela De Laborde Manuela de Laborde is from Mexico City and studied Film & Video (MFA)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and received an Art BA at Edinburgh College of Art. In 2012 she exhibited her solo show, Maquettes , in Generator Projects, Dundee; in 2013 she screened Sun at London MexFest with a live score by Camila Fuchs; her short films Viveros , The Exponential Nature of Images and Le Visible et L’Invisible where shown at Antimatter FF, Jihlava IDFF and Milwaukee UFF; this year her thesis film, As Without So Within , is showing at the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innipeg WNDX (Best International Short), 25fps Festival in Zagreb (Grand Prix), and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Rotterdam - Competition Tigger Award.


경쟁 부문 EX-Now

65

EX-Now ④ 국제 경쟁


EXiS 2017

TUE, July 18,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EX-Now 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8일(화) 오후 2시 (65min) / GV TUE, July 18, 2017 at 2:00 pm @ Korean Film Archive

국제 경쟁

66


경쟁 부문 EX-Now

아라비다 Arrábida

티네 제너 Tinne Zenner

tinne.zenner@gmail.com Portugal & Denmark / 2017 / Color / Optical 16min / 16mm

«아라비다»는 아라비다 국립공원 내의 풍경과 콘크리트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원을 촬영한 푸티지가 지형을 표시한 3차원 애니메이션과 결합되어 있다. 아라비다 국립공원은 포르투갈의 리스본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광활한 해안 지대, 동굴, 산과 숲을 뒤덮고 있는 이 공원은 거대한 공장을 거쳐 지상과 지하로 이어진다. 공원 안에서는 원료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이 작품은 원료와 공장, 그리고

코펜하겐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예술가이자 영화감독. 시각예술과 인류학 그리고 다큐멘터리 사이를 오가며 작업하는 작가 컬렉티브인 샤르나 팍스(http://sharnapax.org)의 공동 설립자이자 멤버로 활동중이다.

Tinne Zenner Visual artist & filmmaker based in Copenhagen. Co-founder and member of Sharna Pax, an artists collective working between the fields of visual art, anthropology and documentary.

EX-Now ⑤ 국제 경쟁

티네 제너

67

변형된 풍경의 다양한 층위들을 기록하면서 시간이 어떻게 물리적으로 질료에 내재해 있고, 각각의 분자들이 원형으로 전체를 재조형하는 과정을 시각화한다. 3차원 애니메이션은 특정 풍경의 높이 자료로부터 구축된 것이며, 입자 체계(폭발, 물, 안개, 먼지 등과 같은 순간적인 질료들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작은 단위들로 구성된 거대 체계)에 따라서 움직인다. 애니메이션으로 구축된 풍경은 입자들로부터 전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물적인 수준에서 분자적 수준으로 분해된다. 대지를 매핑하면서, 이 3차원 애니메이션은 카메라가 지형을 통해 움직이게 될 경로를 표시하게 된다. 하나의 대지만 존재한다.

Arrábida is a 16mm film centred on the production of landscape and concrete in the Arrábida Natural Park. It merges footage from the park with 3D animation of the topographic landscape as an equal analogue layer. Arrábida Natural Park is south of Lisbon, Portugal. Covering a vast area of coast, caves, mountains and forest, the park is inhabited by a massive factory that branches through the landscape via chutes and shuttle systems over and under ground to transport the porous material from the quarries to the factory, then to the shipping harbour. There is a constant movement of material through the park. Documenting the various layers of the sourced material, the factory body and the constructed landscape, the film looks at how time is physically embedded in the matter and how the molecular particles act in a circular re-shaping of the whole. The 3D animation is built from height data of the specific landscape and animated with particle systems (large systems of small units that can simulate ephemeral matters such as explosions, water, fog, dust, etc.). The animated landscape is established from particles into a whole and dissolved from the molar to the molecular respectively. While mapping the earth, the 3D animation acts as a guiding layer of camera paths through the landscape. Há só uma terra. There is only one earth.


EXiS 2017

025 선셋 레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라이다 레춘디 Laida Lertxundi

025 Sunset Red

lertxundi@gmail.com USA & Spain / 2016 / Color / Optical / 14min / 16mm

68

이 작품은 일종의 자전적 추정이다. 과거와 현재, 회상과 직접적 경험, 섬세함과 강함, 모호함과 촉각적인 것, 바스크 지방과 캘리포니아가 구별되지 않는다. 이 작품은 급진 공산주의 훈육의 메아리의 집합이다. 하지만 과거에 대한 향수가 아니라 과거의 것을 현재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가능성을 찾는 방식으로 이를 다루고 있다. 작품 안에서 혈액이 채집되고 쏟아지며, 적색 필터가 풍경을 덮으며, 욕망의 이미지가 제작되고 관찰된다. 이 작품은 가정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을 들여다보는 시도로, 정치가 분출되고 삶을 형성하고 감수성을 구축하며 신체에 새겨지게 되는 방식들을 관찰하고 있다.

라이다 레춘디 라이다 레춘디는 1981년 빌바오에서 태어났으며 바드 컬리지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MoMA와 테이트 모던에서 개인전을 가진바 있으며, ICA 및 로테르담 국제영화 등을 비롯한 전세계의 다수의 미술관과 영화제에서 작품 상영을 한 바 있다. 그녀는 현재 파사디나 디자인 예술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작업 방식을 ‘랜드스케이프 플러스’라고 부르는데, 캘리포니아의 풍경을 기록하면서 동시에 음향과 사람, 그리고 시간의 경과 모두에 관심을 두는 방식을 취한다. 특히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상태에 따라서 변형되는 지리를 매핑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친밀한 내부와 광대한 풍경 사이를 오간다. 파편화된 편집 방식을 통해서 스토리텔링의 영화적 형식은 과정과 물질성에 대한 초점으로 대체된다. 작가는 형식과 형식을 언제나 초과하는 경험 사이의 긴장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여성의 입장에서 우리가 상실하게 될 모든 것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환경을 시각화한다.

Laida Lertxundi Laida Lertxundi (Bilbao, 1981) received a MFA from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and a BFA from Bard College. She has had solo screenings and exhibitions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Y (2017); Tate Modern, London (2016); Vdrome (2014); La Alhondiga, Bilbao (2014); and Marta Cervera Contemporary, Madrid (2013). Her work has been featured in the Made in L.A. Hammer Biennial (2016); Bienal de La Habana, Cuba (2015); Al’s Grand Hotel, Frieze Projects, New York, (2014); LIAF, Biennial, Norway (2013); the Lyon Biennale (2013); and in the Whitney Biennial,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2012). She teaches in the Fine Art and Humanities programs at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in Pasadena. I work with 16mm motion picture film, photography and printmaking in a process I call Landscape Plus, documenting California landscapes while bringing equal attention to sound, people and the passage of time. My work moves between intimate interior architectures and the magnitude of open landscapes to map out a geography transformed by affective and subjective states. I employ a fragmentary approach to editing in which cinematic forms of storytelling are replaced by a focus on process and materiality. I’m interested in the tension between form and the experience that will always exceed it. I present the environment from an embodied female position with a radical appreciation for everything that we have to lose.

025 Sunset Red is a kind of quasi-autobiographical reckoning. An indiscernibility of then and now. Recollection and immediacy. Delicacy and virility. The elusive and the haptic. The Basque Country and California. It’s a set of echoes of an upbringing by communist radicals, not as nostalgia but as a way of making sense, of finding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ast in the present. Within the film, blood is collected and poured, red filters cover landscapes, and images of desire are both produced and observed. The film is a diaphanous, psychedelic foray into the domestic and the political, looking at ways that politics may erupt, shape a life, form a sensibility, and become inscribed upon a body.


경쟁 부문 EX-Now

판코란 Pancoran

리차드 투오이 & 다이아나 베리 Richard Tuohy & Diana Barrie

richard@nanolab.com.au Austrailia / 2017 / B&W / Optical / 7min / 16mm

자카르타의 교통은 모든 곳에서 자기조직화하는 존재들이 만들어내는 조화로운 혼돈과도 같다. 컨택 프린터의 매팅 기법을 사용하면 이 거대한 교통체계는 점점 더 촘촘해지면서 결국 운동과 정지의 흐름만 남게 된다. 자카르타의 교통은 운동의 역설의 증거로 나타나게 된다.

다이아나 베리 다이애나 베리는 젊은 시절 부터 추상 음악과 철학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는데 이 두가지 분야의 중간 지대로 영화제작을 자신이 추구해야 할 길로 발견했다. 슈퍼 8미리 필름으로 핸드 프로세싱의 한계를 끊임 없이 실험하면서 리차드 투오이와 나노랩을 설립하고, 수제영화 제작과 산업적 영화 기술 사이의 교차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탐색은 개별적 노력을 넘어선 아티스트 필름 워크숍의 설립을 통해 멜버른에서 셀룰로이드 필름을 받아들이고 지지하는 공동체로 확대되고 있다. 그녀의 필름은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여러 도시에서 소개되었다.

Richard Tuohy Richard Tuohy began making works on super 8 in the 1980s. After a brief hiatus from cinema (including formal study in philosophy for seven years) he returned to filmmaking in 2004. Since then he has created almost 40 films. His films have screened at venues including the Melbourne IFF, EMAF (Osnabruck), Rotterdam IFF, New York FF, Ann Arbor and Media City and he has toured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presenting solo programs of his work. His films are typically highly structured and and have strongly formalist concerns. He is the proprietor of the artist-run film lab nanolab — the only lab for small gauge film in Australia. His works are firmly in the ‘hand-made’ film tradition. An advocate for the possibilities of hand made cinema, Tuohy has devoted much time and effort in sharing his knowledge through workshops and classes both in his native Australia (notably through the Artist Film Workshop in Melbourne of which he is the founder and convener) and internationally. He was also a co-founder of the AIEFF experimental film festival in Melbourne.

Diana Barrie Dianna Barrie, As a young person she found her way into filmmaking as a middle ground between the pursuit of abstract music and philosophy. Ever pushing the limits of the hand processing of super 8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anolab with Richard Tuohy, and into the intersection of hand making and industrial cinema technology. This exploration has spread beyond individual work to the establishment of Artist Film Workshop, where celluloid is embraced and advocated by a community of practitioners in Melbourne.

EX-Now ⑤ 국제 경쟁

리차드 투오이는 1990년대 후반부터 슈퍼 8미리를 사용해 영화제작을 해왔다. 7년간 대학에서 철학공부를 하던 기간 시네마로부터 멀어져 있다가 2004년 부터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그 이후로 40여편의 영화를 만들었으며, 주요 작품들은 멜버른 국제영화제, 오스나브뤽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로테르담국제영화제, 뉴욕국제영화제, 앤아버 영화제, 미디어 시티 페스티벌 등에 소개되었다. 영화제 참가 이외에도 독립적 예술가들의 랩과 공동체 상영 활동을 하는 여러 도시와 교류하기 위해서 북미, 유럽의 30여개가 넘는 도시를 투어해왔다. 그의 작품은 주로 강하게 형식적으로 개입된 고도의 영화구조의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현재 호주에서 나노랩이라는 예술가를 위한 현상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런 배경하에 그의 작품 활동은 강하게 ‘핸드-메이드’라는 실험영화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 핸드 메이드 시네마의 열렬한 지지자로 투오이는 자신의 현상소를 운영하면서 쌓아온 경험과 지식, 기술을 워크숍과 다양한 수업을 통해 공유해왔다. 그는 멜버른의 아티스트 필름 워크숍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한편, 멜버른에서 AIEFF라는 실험영화제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69

리차드 투오이

Jakarta traffic moves with the harmonious chaos of complex self organising entities everywhere. Through contact printer matting techniques this mass transport becomes denser and denser until only the fluid futility of motion/motionlessness remains. Jakarta traffic stands as proof of the paradox of motion.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70


경쟁 부문 EX-Now

드리머 The Dreamer

나다니엘 도어스키 Nathaniel Dorsky

info@canyoncinema.com USA / 2016 / Color / Silent / 19 min / 16mm

올해 우리들의 한여름 밤은 아름다운 보름달로 장식되었다. 하지에 이르기까지의 기간 동안 기분좋게 건조하고 시원한 바람, 그리고 밝고 따뜻한 햇빛, 그리고 가슴이 아플 정도로 맑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이 작품은 가슴 저미는 샌 프란시스코의 봄에 태어났다.

This year our mid-summer’s night was adorned with a glorious full moon. The weeks and days preceding the solstice were magically alive with crisp, cool breezes, bright, warm sunlight, and a general sense of heartbreaking clarity. The Dreamer is born out of this most poignant San Francisco spring. - Nathaniel Dorsky

- 나다니엘 도어스키

71

나다니엘 도어스키

Nathaniel Dorsky Since the early 1960s, Nathaniel Dorsky has been making extraordinarily beautiful films that blend a reverence for the sensual world with a deep contemplation of the mysteries beyond. They are “occasions for reflection and meditation on light, landscape, time, and the motions of consciousness”, writes curator Steve Polta. Dorsky’s “photography emphasizes the elemental frisson between solidity and luminosity…while his uniquely developed montage permits a fluid and flowing experience of time.”

EX-Now ⑤ 국제 경쟁

1960년대 초부터 나다니엘 도어스키는 유례없이 아름다운 영화들을 만들어 왔는데, 그의 작품들은 감각 세계에 대한 찬미와 세계 너머의 신비에 대한 깊은 관조를 결합시키고 있다. 큐레이터 스티브 폴타의 말을 빌면 그의 작품은 “빛, 풍경, 시간, 그리고 의식의 움직임에 대한 성찰이자 명상의 순간이다.” 그의 “이미지는 고독과 광휘 사이에서의 깊은 전율을 강조하는데, 그러면서 그의 독특한 몽타주는 시간의 경험을 흐르도록 만든다.”


EXiS 2017

올드 햇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재커리 이어나지 Zach Iannazzi

Old Hat

ziannazzi@gmail.com USA / 2016 / Color, B&W / Silent / 8min / 16mm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는 것의 어려움이 무엇이든 간에, 영화는 언제나 무.

- 막스 골드버그, SFAQ

72 재커리 이어나지 재커리 이어나지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살고 있으며, 프레링거 필름 라이브러리에서 일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오스트리아 필름 뮤지엄, 버클리 뮤지엄, 보스턴 현대미술관, 포틀랜드 아트 뮤지엄 등에서 소개되었다.

Zach Iannazzi Zach Iannazzi lives in Oakland, California and scans films for the Prelinger Library.

Whatever the difficulty of finding a way forward, film does nothing but. - Max Goldberg, SFAQ


경쟁 부문 EX-Now

73

EX-Now ⑤ 국제 경쟁


EXiS 2017

TUE, July 18,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EX-Now ⑥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2시 & 7월 15일(토) 오후 4시 30분 (45min) / GV FRI, July 14, 2017 at 2:00 pm & SAT, July 15,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국내 경쟁

74


경쟁 부문 EX-Now

하드보일드 러브 스토리 The hardboiled love story

노영미 Roh, Youngmee

hypertimes@gmail.com Korea / 2017 / Color / Stereo / 4min 46sec / HD

1937년작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애니메이션 중 도입과 대단원에 등장하는, 백설공주와 왕자의 프레임들을 선별하여 펄펄 끓는 100도씨의 물에 넣었다. 더 이상 끓어 오를 수 없는 절정의 온도에서 둘은 함께 녹고, 섞이고 그리고 익어간다. 상승, 절정, 하강이라는 이른바 해피엔딩을 위한 고난의 등성이 없이도, 백설공주와 왕자는 꿈과 사랑을 이뤄낼 수 있을까? 과연 ‘고진감래’라는 비정한 서사를 벗어날 수 있을까?

I selected some scenes of Snow White and Prince Charming from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and put them into 212℉ boiling water. At this climax temperature, they were mixed, melted and boiled together. Will they be able to achieve their dreams and love eventually without suffering ridges such as Rising, Climax and Falling Action? Will they be able to escape the hardboiled narrative structure called ‘sweet after bitter’, indeed? 75

Roh, Youngmee After acquiring B.F.A. at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Roh studied animation at the Korean Academy of Film Arts. Since 2012 Roh has been working on various media such as graphic novels, paintings and installations. Now Roh focuses on stop-motion, using the smallest units of time and image. Through this method Roh raises answers doubts about common values, such as victory, happiness and utopia, held since childhood.

EX-Now ⑥ 국내 경쟁

노영미 시카고 예술대학에서 회화과를 졸업하고,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애니메이션을 수학하였다. 그래픽 노블, 회화, 설치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 작업해오다가, 최근에는 시간과 형상의 최소 단위를 이용한 스탑모션에 집중하고 있다. 그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품어온 세상적 가치에 대한 의심을 제기하고 간혹 풀어내고 있다.


EXiS 2017

워터/미스트/파이어/오프 WATER/MIST/FIRE/OFF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임영주 Im, Youngzoo

imyoungzoo@gmail.com Korea / 2017 / Color / Stereo / 14min 30sec / HD

«워터/미스트/파이어/오프»는 불에 대한 나른한 이야기 조각들의 모음이다. 불이 나기를 기다리는 시뮬레이션 영상위에는 사건의 목격자와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의 대화가 이어진다. 제작과정에서 웹상의 해몽카페에 올라온 글들과 화재 시뮬레이션 영상, 방화심리에 대한 논문 등을 참조하고 사용하였다.

76 임영주 임영주는 미신과 같은 종교적 경험을 언어, 미디어, 과학현실의 여러 징후들과 연결시켜 영상물을 만든다. «돌과 요정» (더 북 소사이어티, 2016), «오늘은편서풍이불고개이겠다» (스페이스 오뉴월, 2016)등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착화점» (인사미술공간, 2017), «do it 2017, Seoul» (일민미술관,2017), «유리거울; 두산아트랩» (두산아트 센터, 2017)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Im, Youngzoo IM Youngzoo creates video works linking her religious experience such as superstition with various symptoms of language, media and science. Her solo exhibitions includes Rock and Fairy (The Book Society, 2016) and THEWESTLIESWINDCOMESANDGOES (Space O’NewWall, 2016). Also, she participated group shows such as Ignition Point (Insa Art Space, 2017), do it 2017, Seoul (Ilmin Art Museum,2017), Glass Mirror: Doosan Art Lab (Doosan Art Center, 2017) and many more.

WATER/MIST/FIRE/OFF is a panoply of rather drowsy story pieces about fire. In this simulation video which waits for a fire to break out, conversation continues between the witness of an accident and the analyst interpreting it. In the production process, posts uploaded on an online dream-reading community, fire simulation video clips and a thesis regarding the psychology of arson were referred to and used.


경쟁 부문 EX-Now

가니메데 Ganymede

문유진 Moon, Youjin

youjin623@gmail.com USA / 2016 / Color / Stereo / 9min / HD

«가니메데»는 잔잔한 물결과 흔들리는 나뭇잎, 군중의 움직임을 추상적인 세계로 표현한 실험적인 비디오이다. 영상의 유기적인 질감은 작은 알갱이, 둥지의 구조, 일렁이는 듯한 별을 연상시키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재구성한다. 픽셀화된 빛과 사운드의 중첩된 화면은 새로운 차원의 시공간을 전개한다.

문유진

EX-Now ⑥ 국내 경쟁

Moon, Youjin Youjin Moon is a visual artist and filmmaker based in Boston. Moon holds MFAs in Painting and Film/Video from the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and Design. She has shown her work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including the Seoul International New Media Festival, as well as a solo exhibition at DM Contemporary, New York City. Her io received the Korean EXiS Award at the 12th Seoul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77

문유진은 보스턴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이자 실험영화 작가이다. 매사추세츠 예술대학 (MassArt)에서 회화과 석사학위와 필름/비디오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6년 deCordova 뉴잉글랜드 비엔날레에 선정되었으며, 뉴욕 DM 컨템포러리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함부르크 국제단편영화페스티벌, 체코 IDFF,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등 국내외 영화페스티벌과 뮤지엄에서 상영하였고, 작품 «io»는 제12회 서울국제실험영화제에서 Korean EXiS Award를 수상하였다.

Ganymede is an experimental video in which the viewer is immersed in an abstracted world of rippling waves, vibrating foliage, and migrating populations. Organic textures continuously reshape each frame, conjuring up granular forms, nest-like structures, and undulating stars. The dissemination of pixelated light and sonic elements transports the viewer to a new dimension of space and time.


EXiS 2017

잠재적 응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조승호 Seoungho Cho

Latency Contemplation 1

theuszwakhals@li-ma.nl USA / 2016 / Color / Stereo / 6min 24sec / HD

78

조승호는 해변을 시각적 시로 변화시킨다. 작가 내면의 풍경과 외부 세계에 대한 지각은 공간과, 장소, 빛과 시간 그리고 여행에 대한 추상적 매개로 한데 섞인다. 심하게 전자적으로 왜곡된 이미지로 구성된 이 작품은 VHS 비디오의 수평적 선을 연상시키는 색채 막대와 수평적 선을 주로 드러낸다. 동시에 조승호는 회화적인 것과의 관계를 전면에 내세우며 이미지를 극단적인 추상의 세계로 밀어 붙이고, 작품속에 무미건조한 이미지가 강조되는 것은 우리에게 마크 로스코의 색면 추상화를 떠올리게 한다. 작품의 사운드는 파도와 바람과 같은 바다 소리를 변조시킨 음향을 사용하여 이 또한 추상화한다. 이러한 ‘노이즈’에 미니멀하고 시적인 피아노 사운드를 추가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작품에 우울한 분위기를 만든다. 이미지가 전혀 분절되어 있지 않아 편집을 느끼는 것이 힘들고, 모든 것이 서로 다른 것으로 변형된 듯 하다. 이미지와 사운드의 사색적 질감은 작품을 신비롭게 만든다.

조승호 조승호는 1959년 부산에서 태어났고 현재는 뉴욕에서 거주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여 학사 및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대학교에서 비디오아트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뉴욕현대미술관을 비롯한 다수의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그의 영상작품들은 유럽과 미국의 다수의 비엔날레 등에서 전시된 바 있다. 그는 제롬 재단과 록펠러 재단 등이 수여한 상과 지원금의 수혜자다. 그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단순한 일상의 사물, 장면, 혹은 풍경을 조작하면서 매우 서정적인 사운드-이미지 콜라주를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들은 풍부한 색상과 스크린 상의 공간의 독특한 분할을 통해 매우 회화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그의 작품들은 감각과 경험의 육화된 본성을 강조하는 미묘하고 불확정적인 서사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의 작품들의 형식적 측면들은 자연이 어떻게 기술에 의해 재현되는가에 관한 탐구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신체와 기술, 그리고 환경 사이의 접촉의 흔적이 어떻게 재현을 구성하는가 하는 것이 그의 작품들의 주요한 탐구대상이다.

Seoungho Cho Cho, Seoungho was born in 1959 in Busan, South Korea, and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New York. He received a BA and an MA in graphic art from Hongik University, Korea, and an MA in video art from New York University. He has had solo exhibitions in many prestigious venues such as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and his videos have been shown in biennales and group screenings throughout Europe and North America. Cho has received various awards and grants, including those from the Jerome and Rockefeller foundations. Cho uses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manipulate simple, everyday objects, scenes or landscapes into highly lyrical sound and image collages. Cho’s videos are often very painterly in their use of rich, saturated colors and exquisite composition of the space on the screen. The works sometimes involve subtly developed, open-ended narratives that emphasize the embodied nature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The formal aspects of Cho’s videos are closely tied to explorations of how nature is represented through technology, specifically how representation is constituted by traces of contact between bodies,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Cho transforms the sea shore into a visual poem. His inner landscapes and his perception of the outer world come together in an abstract meditation about space and place, light, time and traveling. The video consists of heavily electronic distorted images which result in mainly horizontal lines and colour bars which are reminiscent of the horizontal lines of VHS video. At the same time, Cho pushes the image to the edge of abstraction through which its relation to painting comes to the fore; through the emphasis on the flatness of the image this work reminds us of colour field painting (Mark Rothko). The soundtrack consists of manipulated audio of sea sound, like waves and wind, also pushing to abstraction. To this ‘noise’ a minimal, poetic piano sound is added which brings a melancholic sphere to the work. The montage is hardly felt since cuts seem to be absent: everything seems to be metamorphosed into one another. Through the contemplative quality of the sound as well as the image, this video becomes a wondrous experience.


경쟁 부문 EX-Now

79

EX-Now ⑥ 국내 경쟁


EXiS 2017

리셋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박선주 Sun Park

RESET

sunpark0427@gmail.com USA / 2016 / Color / Silent / 6min 40sec / 16mm

«RESET»은 누군가의 기억과 그것의 변형을 보여준다. 기억하기: 우리의 기억은 그 순간과는 너무나 다르다 못해 차라리 꿈에 가까울 때가 있다. 잊어버리기: 그 기억은 꿈 속에서 희석되고 결국 사라진다.

80 박선주 박선주는 보스턴 Emerson College에서 미디어아트를 공부하고 졸업했고 시간과 공간이 기억 속에서 어떻게 되살아나고 잊혀지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과거를 소중히 여기는 만큼 미래에 대한 기대가 크기 때문에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는 항상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공존한다.

Sun Park Sun Park studied at Emerson College, Boston, majoring in Visual and Media Arts, and her works explore how we remember and forge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space and memories. She makes moving images with 16mm films, still photography, and occasionally an inkjet printer. She combines both analog and digital methods in her filmmaking process films since she looks forward to the future as much as she appreciates the past.

RESET explores a journey of one’s memory and its transformation. Remembering: What we remember, a memory, is so apart from the initial moment that it is more of a dream than a memory. Forgetting: The memory is faded and lost in the dream.


경쟁 부문 EX-Now

(100ft)

I hoped to reach you.

김민정 Kim, Minjung

minjungkim@alum.calarts.edu Korea & USA / 2016 / Color / Silent / 3min / 16mm

나는 당신에게 가 닿기를 바랐습니다.

김민정

EX-Now ⑥ 국내 경쟁

Kim, Minjung Starting from the body and wordplay, Kim Minjung’s work has shifted to questions about relationships to standard measurements such as distance, length, and units of time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materiality of 16 mm films and gradually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 of the media and projecting environments to time and light. She has been invited to competitions in numerous film festivals including the 70th Edinbur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 ge d’Or Festival(Brussels), and Athens International Film + Video Festival and screened 16 mm films at diverse movie festivals and gallery spaces including Antimatter [Media Art] and the Winnipeg Underground Film Festival in Canada. She is the recipient of prizes including the Tom Berman Award for Most Promising Filmmaker at the 54th Ann Arbor Film Festival, JungWoon Award at the 13th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in Seoul, and Director’s Choice Award at the 35th Black Maria Film Festival.

81

신체와 언어유희 사이에서 시작된 김민정의 작업은 16mm 필름의 물질성을 연구하면서 거리와 길이, 시간 단위 등 표준 측량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으로 옮겨왔고, 점차 매체와 프로젝팅 환경이 시간과 갖는 관계, 빚과 갖는 관계에 대한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70회 에든버러 국제영화페스티벌을 비롯하여, 브뤼셀의 라쥬 도흐 필름페스티벌, 아테네 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등 다수의 영화페스티벌 경쟁부문에 초청되었고, 캐나다의 안티매터 미디어 아트와 위니펙 언더그라운드 영화페스티벌과 같은 여러 영화페스티벌과 미술관 공간에서 16mm 필름을 상영했다. 54회 미국 앤아버 영화페스티벌과 13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에서 신인작가상과 35회 블랙 마리아 영화페스티벌에서 디렉터스 초이스상을 수상하였다.


EXiS 2017

TUE, July 18, 2017 at 4:30 pm @ Korean Film Archive

EX-Now ⑦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5일(토) 오후 2시 & 7월 20일(목) 오후 2시 (59min) / GV SAT, July 15, 2017 at 2:00 pm & THU, July 20, 2017 at 2:00 pm @ Korean Film Archive

국내 경쟁

82


경쟁 부문 EX-Now

나무 Tree

채형식 Chae, Hyeongsik

A tree endeavors to look at itself.

nomemoria@gmail.com Korea / 2016 / Color / Stereo / 14min 20sec / HD

한 나무가 나무 자신을 바라보려고 노력한다.

채형식

2008년 미디액트 독립 극영화제작 워크숍을 수료하고, 개인적으로 영화 공부를 하고있다.

Chae, Hyeongsik Chae, Hyeongsik participated in a filmmaking workshop at Mediact in 2008, and since then he has intended to pursue his own practice.

83

EX-Now ⑦ 국내 경쟁


EXiS 2017

버려진 꽃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전준혁 Jeon, Junehyuck

Discarded Flower

zudasblue@gmail.com Korea / 2017 / Color / Stereo / 23min 30sec / HD

부서지고 버려지는 것들, 타버리고 남은 것들, 짓밟힐 것들, 짓눌림, 요동치는 흔들림. 무너진 것, 무너질 것, 무너지고 있는 것에 대한 애가(哀歌).

84 전준혁 전준혁은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험영화 작가이다.

Jeon, Junehyuck Jeon, Junehyuck is a filmmaker from South Korea who mainly has worked in the experimental film realm.

Lamentations for the things that are discarded and broken, remnants and ashes.


People who disappeared, the world that didn’t, or vice versa

차미혜 Cha, Mihye

chamihye@gmail.com Korea / 2017 / Color / Stereo / 18min 40sec / HD

차미혜는 각 개체들이 비정형적으로 관계 맺는 방식에 주목하며, 견고해보이는 기준이나 경계가 모호해지는 지점을 영상, 사진, 퍼포먼스 등을 통해 표현한다. 개인전 «가득, 빈, 유영»(케이크갤러리, 2015)을 비롯하여, «Remembering or Floating»(Atelier Nord ANX gallery, 오슬로, 2017), «Interdisciplinary Art Festival Tokyo»(일본, 2016), « 달, 쟁반같이 둥근 달»(대구예술발전소, 2016), «소실.점»(스페이스오뉴월 이주헌, 2016), «랜덤 액세스 2015»(백남준 아트센터)등 다수의 그룹전 및 영상페스티벌에 참여했다.

Cha, Mihye Cha, Mihye pays attention to the way entities interact atypically and expresses blurred through video, photo, performance, etc. the potentialities within the point where such familiar standards and borders become blurred. Her recent solo/group shows/festivals include Full, Empty, Floating (Cake Gallery, Seoul, 2015), Remembering or Floating (Atelier Nord ANX gallery, Oslo, 2017), the Interdisciplinary Art Festival Tokyo (Japan, 2016), The moon, round like a little plate (Daegu Art Factory, 2016), Vanishing. Point (Space O’NewWall, Seoul, 2016), and Random Access 2015 (Nam June Paik Art Center, Korea).

EX-Now ⑦ 국내 경쟁

차미혜

85

서울 한 가운데, 과거나 현재라는 선형적 시간의 궤도로부터 비껴있는 장소들이 있다. «사라진 인물들과 사라지지 않은 세계 혹은 그 반대»는 40여 년전 개관 후 2010년 문을 닫은 ‘바다극장’, 1950년대 지어진 주상복합 아파트인 ‘중앙아파트’, 을지로의 프린트 골목, 시계 골목 등의 시공간의 이미지들을 포착한다. 장소가 살아가는 고유의 방식, 각자의 시간과 흐름을 갖고 공존하는 ‘장소의 의지’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무형으로 존재하는 것들의 움직임과 응축된 에너지에 대한 감각을 영상으로 그린다.

People who disappeared, the world that didn’t, or vice versa captures spatial and temporal images mixed with multi-levels beings escaped from the orbit of linear time of the present and the past including ‘Bada (The Sea) Theatre’ located in Cheonggyecheon 4-ga, opening almost 40 years ago and closing in 2010, ‘Jungang Apartment’, the first multi-purposed apartment in Korea built in the 1950s, and ‘Clock Alley’, ‘Print Alley’ in Euljiro. Based on ideas about the way spaces survive and the “will of space” co-existing with their own time and flow, I visualize the movement of intangible things and the sense of condensed energies.

경쟁 부문 EX-Now

사라진 인물들과 사라지지 않은 세계 혹은 그 반대


86


기획 부문 EX-Choice

87


EXiS 2017

EX-Choice ①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2시 (114min) FRI, July 14, 2017 at 2:00pm & 7월 20일(목) 오후 4시 30분 THU, July 20, 2017 at 4:30pm @ Art Sonje Center

88


기획 부문 EX-Choice

레드 할리우드 Red Hollywood

톰 앤더슨 & 노엘 버치 Thom Andersen & Noël Burch

USA / 1996 - 2013 / B&W / Stereo / 114 min / HD

톰 앤더슨은 45년 이상을 영화 작가이자 비평가, 그리고 교육자로서 활동하였으며, 특히 지적인 동시에 미학적 엄밀성의 관점에서 매우 뛰어난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선보였다. 1974년 작 «에드워드 머이브리지»는 주로 파운드 이미지와 비디오 클립들을 보이스 오버로 엮은 작품이며 «레드 할리우드»와 «로스앤젤레스 자화상»(2003)에서는 이미지의 산출, 그리고 이미지 산출의 이론적, 사회적, 정치적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자화상»과 직접적으로 쌍을 이루는 «차에서 내려»(2010)에서는 60년대 앤더슨의 작품들(«멜팅»(1964-65), 말콤 브로드윅과 함께 로스 앤젤레스의 락&롤 하위문화에 대한 감각적 탐구를한 작품인 «————»(1966-67)(락&롤 영화로 불리기도 한다), «올리비아네 가게»(1966/74)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당시의 16mm 단편 작품들에서는 당대의 대중음악으로부터 자극을 받은 독특한 유머감각을 지닌 작가가 필름을 일종의 문서로 다루는 독특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2012년에 앤더슨은 포르투갈 건축가 에두아르도 소투 드 모라와 그의 작품을 다룬 «리컨버전»을 완성하였다.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는 앤더슨은 최근 «로스엔젤레스 자화상»과 «레드 할리우드»의 리마스터링과 재편집 작업을 끝마쳤다.

Thom Andersen Over a 45-year career that has combined filmmaking, criticism, and teaching, Thom Andersen has completed a handful of carefully crafted documentaries that demonstrate an exquisite regard for both intellectual and aesthetic rigor. Comprised primarily of found images and video clips, unified by voiceover, Edward Muybridge, Zoopraxographer (1974), Red Hollywood , and Los Angeles Plays Itself (2003) analyze the production of images and their theoretical,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Get Out of the Car (2010) is a direct response to Los Angeles Plays Itself. However, it also returns him to his unselfconscious roots. This is Andersen’s other side, last heard from in the 60’s with Melting (1964-65, a time lapse shot of an ice cream sundae), the ‘deliberately unpronounceable’ ———— (1966-67, with Malcolm Brodwick, a sensory exploration of rock and roll subculture in Los Angeles) and Olivia’s Place (1966/74, a portrait of a Santa Monica coffee shop and its patrons). These short 16mm films reveal an artist with an original take on film as document, who is energized by popular music and an idiosyncratic sense of humor. In 2012, Andersen completed Reconversão , described as “… an elegiac quest into the essence of [Portuguese architect] Eduardo Souto de Moura’s work.” In the last couple of years, Andersen, who teaches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has worked on remastering and re- editing his two most famous works, Los Angeles Plays Itself and Red Hollywood.

EX-Choice ①

톰 앤더슨

89

노엘 버치와의 협업으로 만든 이 작품은 톰 앤더슨의 할리우드 블랙리스트에 관한 수년간의 연구 결과물 중 하나이다. 전체 작업물이 영미권에서 출간된 적은 없지만, 할리우드의 공산주의자에 관한 몇 편의 에세이와 책으로써 확장되어 출간된 바 있다. 비미활동위원회(HUAC)에서의 증언을 거부한 작가, 감독, 제작자들이 단지 좌파 사상에 헌신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 의미가 분명한 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에 대한 앤더슨의 확신이 이 작품을 추동하였다. 그는 첫 번째 에세이에서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인사들이 탄압을 받을 이유도 없이 이런 대우를 받았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이 주장은 빌리 우드베리의 내레이션을 통해서 더욱 설득력 있게 제시되었으며, 블랙리스트 작가들의 작품 50여 편에서 발췌한 장면들과 인터뷰를 통해 이들 작가들이 직접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작가들의 주장이 뒷받침되기도 하고 반박되기도 했다. 작품의 변증법적 구조는 영화의 다의적인 힘을 보여주는 입체적 기념비를 만들어냈다. 또한 대중예술 형식의 정치적 필요성과 이 형식을 사용한 대중적이지 않은 작가들의 존엄성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콜린 베케트

Made in collaboration with Noël Burch, Red Hollywood is one product from Andersen’s years of research into the Hollywood blacklist, a larger project that comprises several essays and the book Les communistes de Hollywood: Autre chose que martyrs (also written with Burch), which has never appeared in English. At the heart of Andersen’s project is the conviction that, contrary to the claims of their milquetoast liberal apologists, many of the writers, directors and producers who refused to testify before HUAC were not only committed leftists of one sort or another, but that many of them produced films of political significance. As he wrote in his first essay on the subject, “It would be an injustice to those who were blacklisted to say they did nothing to deserve it. A history of the blacklist must first be worthy of them all.” In the film, this argument is persuasively advanced through Billy Woodbury’s narration. But it is much more than a cinematic extension of the arguments Andersen and Burch have made elsewhere. Through extended excerpts from more than 50 films and in interviews with blacklisted artists, including Abraham Polonsky, Paul Jarrico, and Alfred Lewis Levitt, Andersen and Burch give the films and filmmakers space to speak for themselves, sometimes to confirm, sometimes to contradict the filmmakers’ own claims.The video’s dialectical structure produces a three-dimensional monument to the polysemous powers of cinema. Even more than any of its particular claims, Red Hollywood insists upon the political necessity of popular art forms and the dignity of the sometimes unpopular artists who use them. - Colin Beckett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90 노엘 버치 노엘 버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고 1951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프랑스 국립영화학교 이덱(IDHEC)을 졸업했다. 이후 카이에 뒤 시네마 편집위원(1968~72)을 거치며 활발한 이론 및 비평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프랑스 영화학계의 중심인물로 떠올랐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저작으로는 «영화의 실천»(1969/1986)은 이외에도 프랑스 영화감독 레르비에에 대한 저서 «마르셀 레르비에»(1973), 일본영화에 대한 연구서 «멀리 있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일본영화 속의 형식과 의미작용»(1979), 원시영화에 대한 저서 «저 그림자들에 불어넣은 생명»(1990) 등이 있다. 그는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 영화학과, 프랑스 국립영화학교, UCLA 및 뉴욕대 영화학과 등 유럽과 미국의 주요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프랑스 릴 3대학 교수(1993~2000)를 지냈다. 영화감독으로 여러 편의 영화제작에 참여하였으며, 가장 최근에는 알란 세쿨라와 공동 작업인 «잊혀진 공간»은 베니스 영화제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Noël Burch Born in San Francisco, USA in 1932, Noël Burch has been living in France since 1951. He graduated from the Institut Des Hautes études Cinématographiques (IDHEC) in 1954. While primarily known for his theoretical writings, he has always positioned himself as a filmmaker and has directed over twenty titles, mostly documentaries. Burch has been publishing written works since the 1960s. Among his numerous publications are his first and most famous book Theory of Film Practice (New York: Praeger, 1973) and To the Distant Observer: Form and Meaning in Japanese Cinema (Berkeley, 1979), which remains the most robust history of Japanese cinema as written by a Westerner. From 1967 to 1972 he collaborated with Janine Bazin and André S. Labarthe on the celebrated series Cinéastes de Notre Temps and directed seven programs that are considered to have renewed the “filmmaker portrait” in the golden years of French public television. It was during that same period that Burch was co-founder and director of the Institut de Formation Cinèmatographique, an alternative film school that emphasizes associ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is latest “essay-film”, The Forgotten Space (2010), co-directed with Allan Sekula (1951-2013), won the Orizzonti Award at the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기획 부문 EX-Choice

91

EX-Choice ①


EXiS 2017

EX-Choice ②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8일(화) 오후 4시 30분 (85min) TUE, July 18, 2017 at 4:30pm @ Art Sonje Center

92


기획 부문 EX-Choice

힘의 우회 Detour de Force

레베카 바론 Rebecca Baron

Austria & USA / 2014 / B&W / Stereo / 29min / HD

레베카 바론은 역사의 구성 과정에 관한 작품으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스틸 사진과 무빙 이미지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도큐멘타 12, 뉴욕 필름 페스티벌,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 토론토 필름 페스티벌, 런던 필름 페스티벌, 휘트니 미술관 등지에서 상영되었다. 2010년에 오스트리아 영화 박물관은 그녀의 작품에 대한 회고전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Rebecca Baron Rebecca Baron is known for her essay films concerned with the construction of history,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still photograph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moving image. Her work has screened widely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media venues including Documenta 12, New York Film Festival, Anthology Film Archive, Toronto Film Festival, London Film Festival, Pacific Film Archive, Flaherty Film Seminar and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She is the recipient of a 2002 Guggenheim Fellowship and a 2007 Fellowship at the Radcliff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In 2010, the Austrian Film Museum presented a retrospective of her work.

EX-Choice ②

레베카 바론

93

이 작품은 시카고의 유명한 사환이었던 레티 세리오스의 염사 세계를 보여준다. 그는 1960년대 중반에 염력으로 수백 장의 폴라로이드 사진을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리오스의 시범을 찍은 16mm 기록 영화와 그의 능력을 신뢰한 덴버 출신의 정신의학자 아이젠버드 박사와의 대화 녹음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전기라기보다는 민속지로서 세리오스가 유명세를 얻게 된 사회적이고 과학적인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동시에, 당시의 이미지 녹화와 소리 녹음 기술이 세리오스의 염사가 유명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관련 기록물과의 조우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음향은 에른스트 카렐, 카일 브루크만, 그리고 주세페 일라시가 담당하였으며 비엔나 오스트리아 영화 박물관과 공동으로 제작되었다.

Detour de Force presents the world of thoughtographer Ted Serios, a charismatic Chicago bellhop who in the mid-1960’s produced hundreds of Polaroid images through psychokinetic powers. Constructed from 16mm documentation of Serios’s sessions and audio recordings of Serios speaking with Dr. Jule Eisenbud, the Denver psychiatrist who championed his abilities, the film is more ethnography than biography, portraying the social and scientific environments in which Serios thrived. The film foregrounds the state of image and sound recording technologies of the period as essential to the emergence of Serios’s psychic photography. It is also a document of the filmmaker’s encounters with the archival materials themselves. The film enjoys a rich sound environment provided by Ernst Karel, Kyle Bruckmann and Guiseppe Ielasi.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the Austrian Film Museum Vienna.


EXiS 2017

반 레오의 사진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아크람 자타리 Akram Zaatari

Her + Him VAN LEO

Lebanon / 2001 / B&W, Color / Mono / 32min / HD

이 작품은 어느 스튜디오 사진작가에 관한 것으로, 1940년대와 50년대의 사진을 과거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비판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작품은 전통적인 초상사진과 비디오를 사용하여 두 가지 매체 사이의 대화를 진행시킨다. 한편에는 흑백의 이미지가 있고, 다른 한편에는 전자적으로 색채가 가미되어 조작된 화면이 있다. 이 대화는 이집트에서 최근 50년간 벌어진 사회 도시 정치적 변화의 장면들을 보여주면서 예술 활동과 용어상의 변화에 대해 논평한다.

94 아크람 자타리 아크람 자타리는 레바논 베이루트에 거주하는 작가다. 그는 전후 맥락과 문서를 수집하고, 특히 TV를 통한 영토 분쟁과 전쟁의 논리를 조정함으로써 그 나라의 전후 상황을 탐구한다. 또한 근 베이루트 소재의 아랍 이미지 재단의 공동창립자이며 가장 최근작으로는 레바논 사진작가 하솀 엘 마다니의 작품들에 관한 것이 있다.

Akram Zaatari Akram Zaatari is an artist who lives and works in Beirut, Lebanon. He explores the country’s postwar condition through collecting testimonies and various documents, notably on the mediation of territorial conflicts and wars through television, and the logic of resistance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geographical division of the Middle East. Co-founder of the Arab Image Foundation (Beirut), his recent work is based on collecting, studying, and archiving collections particular to the Middle East, notably studying the work of Lebanese photographer Hashem el Madani (1928-) as a register of social relationships and photographic practices.

A portrait of a studio photographer, Her + Him VAN LEO also examines the photography of the 1940s and 50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rather than a nostalgic one. This documentary utilizes traditional portrait photography and video in a dialogue between two mediums: crafted black and white print, and the electronically colored and manipulated screen. This dialog comments on the transformations in art practices and terminologies, and evokes some of the social urban political transformations that took place in Egypt over 50 years in its recent history.


기획 부문 EX-Choice

95

EX-Choice ②


EXiS 2017

빛의 모조품 The Ape of Light (Le Singe de la lumièr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에릭 뷜로 Érik Bullot

France / 2002 / Color / Stereo / 22min 30sec 16mm on HD

96

독일 예수회 수사 아타나시우스 키르허는 “소리는 빛의 모조품”이라고 말한다. 광학 법칙이 음향 세계로 옮겨질 수 있을까? 음향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 이미지와 음향, 목소리 및 음악의 관계를 통해서 음향학에 관한 교과서나 논고들로부터 자유롭게 영감을 받은 일련의 행위들(노래하기, 듣기, 말하기, 말더듬기, 새소리를 흉내내기, 음향효과 만들기, 악기 연주하기 등)을 보여주고 이에 도전한다. 이 작품은 소리를 표기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수집하면서 세 가지 언어를 충돌시킨다. 이들 언어는 각각 프랑스어, 19세기 말 엘렌 스미스가 무아지경 상태에서 말한 화성인의 언어, 그리고 조류학자 베크슈타인이 기록한 새소리다. 이 작품은 코드화된 언어와 상상 혹은 무의미의 언어라는 유령 사이의 전환의 게임을 통해서 간-기호적 번역의 문제를 다룬다.

에릭 뷜로 에릭 뷜로는 아를의 국립사진학교와 파리의 고등영화학교(IDHEC)를 졸업하였고 다큐멘터리와 실험영화를 결합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의 작품은 퐁피두센터, MoMA, 뉴 뮤지엄 등지에서 상영되었다. 전도 2 , 영화의 출구 등의 책의 저자이며, 뉴욕 주립대학교 버펄로의 방문 교수이기도 했다. 유럽 시각예술 대학의 “기록 및 현대예술” 대학원 과정을 이끌었으며, 현재는 부르주 국립고등미술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Érik Bullot Since completing his studies at the National School of Photography in Arles and the Institute for Advanced Film Studies (IDHEC) in Paris, Érik Bullot has directed numerous films that lie midway between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His approach as a filmmaker explores cinema’s formal and poetic forces. His work has been screen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the Jeu de Paume (Paris), th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La Enana Marrón (Madrid), the Biennial of Moving Images (Genève), CCCB (Barcelona), the New Museum (New York), MoMA (New York). His most recent books are Renversements 2 (Paris: Paris Expérimental, 2013) and Sortir du cinéma: Histoire virtuelle des relations de l’art et du cinéma (Geneva: Mamco, 2013). He was visiting professor a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USA, 2009-2011), and at the CIA (Centro de Investigaciones Artísticas, Buenos Aires, 2013). He was in charge of the postgraduate program “Document and Contemporary Art” at the European School of Visual Arts, Poitiers-Angoulême (2010-16). Currently he teaches film at the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 de Bourges.

“The sound is the ape of the light”, Jesuit father Athanasius Kircher wrote. Can the laws of optics be transposed to the world of sound? Can one see sound?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the image and sound, the voice and music, this film exposes and challenges a series of actions freely inspired from textbooks or treatises on acoustics: singing, shorthand typing, listening, speaking, stuttering, mimicking bird language, making sound effects, playing several instruments (cimbalom, harpsichord, flute, alto, glass harp). In inventorying different modes of writing sound (musical notation, magnetic recording, stenography, sound effects), The Ape of Light confronts three languages: French, the Martian spoken by the medium Hélène Smith during her spiritual trances in Geneva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song of the nightingale as transcribed by the ornithologist Bechstein: “Tiouou, tiouou, tiouou, tiouou / Shpe tiou tokoua / Tio, tio, tio, tio / Kououtio, kououtiou, kououtiou, kououtiou; / Tskouo, tskouo, tskouo, tskouo / Tsii, tsii, tsii, tsii, tsii, tsii, tsii, tsii, tsii, tsii”. This transcription is the basis for a libretto of a musical composition for soprano and flute composed by Ernest H. Papier who turns the birdsong back into music. The Ape of Light explores the issue of intersemiotic translation, reached through games of conversion between codes and the ghost of imaginary or asemantic languages.


기획 부문 EX-Choice

97

EX-Choice ②


EXiS 2017

EX-Choice ③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4시 30분 (63min) FRI, July 14, 2017 at 4:30pm @ Art Sonje Center

98


기획 부문 EX-Choice

자유 낙하 In Free Fall

히토 슈타이얼 Hito Steyerl

Germany & UK / 2010 / Color / Stereo / 32min HDV

히토 슈타이얼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작가인 히토 슈타이얼은 동시대 비디오 작가 중 가장 비평적으로 상찬받는 예술가이다. 그녀의 작품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초래된 이미지와 지식의 대량 증식과 보급 그리고 페미니즘과 군국주의와 같은 다양한 사회 현안을 다루고 있다.

Hito Steyerl Berlin-based artist and writer Hito Steyerl is one of the most critically acclaimed artists working in the field of video today. Steyerl’s work focuses on contemporary issues such as feminism and militarization, as well as the mass proliferation and dissemination of images and knowledge brought on by digital technologies.

EX-Choice ③

- 대니얼 트릴링

99

이 작품에는 상품의 일생에 관한 작가의 지속적인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작가는 러시아 비평가인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의 1929년도 글인 “사물의 전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트레티야코프는 자신의 글에서 예술이 인간의 일생이 아니라 대량 생산된 사물들의 생애주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슈타이얼은 이 작품에서 2008년 금융 추락을 캘리포니아 모하비 사막에 있는 항공기 고철처리장의 방식으로 살펴본다. 인터뷰에서 고철처리장의 주인장은 경제 침체기에 항공사들이 더 이상 이윤을 내지 못하는 노선의 항공기들을 이 곳 처리장에 맡겨두었다고 말한다. 그는 항공기들이 마치 유령과도 같다고 덧붙인다. 이 작품은 특히 어떤 보잉 707 항공기의 역사를 추적한다. 이 기체는 1950년대에 TWA 항공사에 의해 만들어져 1970년대에 이스라엘 공군에 팔렸고, 팔레스타인 반군이 우간다에서 비행기를 납치하고 승객들을 인질로 잡은 상황을 진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모하비 사막의 고철처리장으로 온 비행기는 다시 한 번 할리우드 영화인 «스피드»(1995)를 위해 사용되었고, 폭발 장면을 촬영한 후에 나머지 부분은 알루미늄 원료로 중국의 DVD 공장에 팔리게 된다. 이를 통해 작가는 범지구적 자본주의라는 상징으로써 명확한 물리적 실체를 갖고 있는 점보제트기의 기체가 더 추상적인 상품의 가변적인 의미에 종속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관객들을 사로잡는 동시에 혼란시킨다. 우리는 추락한 비행기의 승객들처럼 팝-문화의 쓰레기통 속에 갇혀있는 것인가? 영화가 끝나기 직전에 화면 밖의 목소리가 묻듯이, “승객들에게는 무슨 일이 났는가?”

An abiding interest in the life of the commodity is something that underpins Steyerl’s new film, In Free Fall ... Taking her cue from the Russian critic Sergei Tretyakov’s 1929 essay “The Biography of the Object”, which argued that art should concern itself not with human biography but the life cycles of mass-produced objects, Steyerl explores the 2008 financial crash by way of an aeroplane scrapyard in California’s Mojave Desert. As her camera creeps around, exploring the strange, disembowelled aeroplane carcasses, the junkyard’s owner explains that airlines store their planes with him during periods of economic downturn, when it becomes unprofitable to fly them. “The economy is in a vicious place, explosive”, he says, adding with reference to the planes: “These are all ghosts.” The film then recounts the history of a particular Boeing 707 jet. Commissioned by the passenger airline TWA in the 1950s, it was sold to the Israeli air force in the 1970s, where it played a crucial role in a hostage rescue mission after Palestinian militants hijacked a plane at Entebbe airport in Uganda. (Or so we are told: an Israeli interviewee posing as an expert is, through various slips in his testimony, revealed to be an actor.) After winding up in the Mojave junkyard, the plane is given a further lease of life when it is used as a prop and blown up for the 1995 Hollywood film Speed . Its left-over parts are then sold to China, which uses the aluminium to manufacture DVDs. Steyerl shows us that even a symbol of global capitalism as obviously physical as the jumbo jet can be subject to the same shifting of meaning as less tangible commodities. Her footage of the scrapyard alternates with a series of musical interludes. In Free Fall captivates the viewer, but it also dazzles. One question it raises is this: are we trapped by this churn of pop-cultural junk, like passengers in a plunging aeroplane? As an off-camera voice asks, just before the film ends: “what happens to the passengers?” - Daniel Trilling


EXiS 2017

아름다운 안드레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히토 슈타이얼 Hito Steyerl

Lovely Andrea

Japan & Austria & Germany / 2007 / Color / Stereo 30min / BETA SP

100

모든 사진들이 현재의 것이 되었다면, 그로써 번역이나 연상을 통해 각각의 사진들이 고상하게 혹은 음란하게 서로 연결 가능한 것이 된다면 어떻게 한 장의 사진을 따로 분리 결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가? 사진들에 대한 슈타이얼의 쾌활한 번역 작업은 사물들을 분리 결박시키는 고상하면서도 음란한 방법이다. 그녀는 1987년 도쿄에서 밧줄 결박 모델로 등장했던 자신의 사진 시리즈를 찾아 나선다. 결박 예술 분야의 전문가 및 권위자와의 대화를 통해 과거의 잡지에서 당시의 사진을 발견한다. 학생 시절 자신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면서 슈타이얼은 극도의 영화적 긴장에 도달하게 된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과거 사실에 대한 최종적인 확증이라기 보단 흔히 대중 매체에서 주인과 노예의 게임으로 묘사되는, 결박 모델의 삶에 대한 기록물이 하나의 흐름을 이루면서 완전히 정상적인 삶의 방식으로 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쏟아지는 사진들 속을 «시민 케인»의 탐정처럼 누비는 동안 수퍼 히어로 만화의 장면이 더해지고 디페쉬 모드, 엑스레이 스펙스의 음악이 들리며, 비디오 클립 노역장에서 바늘과 실로 일하는 소녀들이 보인다. 결박당한 모델들의 이미지에 대한 검열이었던 것이 이제는 트윈 타워 사이에 거미줄을 늘어뜨린 스파이더맨 영화 예고편에 적용된다. 특정한 종류의 포획은 전쟁범죄로 간주되는 반면에 예술 세계에서는 다른 방식의 포획이 허용된다. 통역사이자 결박 모델이며 또한(웹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인 번역자는 영화작가의 역할을 마치 또 다른 자아인 것처럼 수행한다. 그녀는 자기 중단으로서의 자기 정의의 행위 중간에 매달려 있다. 자기 중단(혹은 스스로 매달려있음)은 역사에서 벌어지지만 또한 이 작품에서 역전된다.

- 드릴리 로브닉

히토 슈타이얼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작가인 히토 슈타이얼은 동시대 비디오 작가 중 가장 비평적으로 상찬받는 예술가이다. 그녀의 작품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초래된 이미지와 지식의 대량 증식과 보급 그리고 페미니즘과 군국주의와 같은 다양한 사회 현안을 다루고 있다.

Hito Steyerl Berlin-based artist and writer Hito Steyerl is one of the most critically acclaimed artists working in the field of video today. Steyerl’s work focuses on contemporary issues such as feminism and militarization, as well as the mass proliferation and dissemination of images and knowledge brought on by digital technologies.

If all pictures became current, in that they pass by and in doing so, are connectable with one another, whether elegantly or obscenely, through translation or association , how would it be possible to fasten down a picture? Hito Steyerl’s light-hearted picture translations are about fastening things in an elegant-obscene way: in Tokyo she is looking for a photo series that she posed for in 1987 as a rope bondage model. While making inquiries with experts and authorities in the bondage arts (which are mainly marketed online nowadays), she finds what she was looking for in a magazine archive. “The cinematic tension was extremely high just now”, says the translator while Steyerl looks through photos of herself from her days as a film student. Something that fastens, but no biographical final revelation; instead, the discovered photographs fall into the slipstream of an informally networked archive of a life with bondage as conveyed by the media in the sense that the master and slave games, as they’re called, have become entirely normal. Citizen Kane -like detectives cross through clever cascades of images to which bits of super hero cartoons are added, along with Depeche Mode, X-Ray Spex, girls with needle and thread in the video clip sweatshop. Picture censorship once applied to tied-up models, today it applies to the Spiderman teaser with the net stretched between the Twin Towers; some types of captivation are war crimes, others take their place in the art world. And the interpreter, who is a bondage model, student (of web design!) and, of course, a translator, assumes the role of filmmaker as an alter ego; she is suspended in the act of self definition qua self suspension. Self suspension occurs in history and also, as reversed in Steyerl’s montage: from face and identity to genital, not understood as looking at, but as the logic of the origins (to be bared), the dissolution of medial clichés in power issues and in the production shots that frame the film the redemption of the act in the accident. - Drehli Robnik


기획 부문 EX-Choice

101

EX-Choice ③


EXiS 2017

EX-Choice ④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9일(수) 오후 2시 (65min) WED, July 19, 2017 at 2:00pm @ Art Sonje Center

102


Outwardly from Earth’s Center

로사 바바 Rosa Barba

Sweden & Germany / 2007 / Color / Stereo 22 min / BETA SP

«지구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는 사라질 위험에 처한 불안정한 땅위에 세워진 사회에 대한 가상의 이야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과 사회 모두의 생존을 위해서 공동체는 움직여야 한다. 이는 실제로 1년에 1미터씩 움직이고 있는 스웨덴의 무인도로부터 얻은 발상이다. 전문가들의 허구적인 보고서는 최초의 아름다운 다큐멘터리로 여겨지는 것들의 경험과 더 추상적이고 터무니없는 것들의 경험을 강화시켜 준다.

Rosa Barba Raised in Germany with Italian roots, Rosa Barba studied Film and Visual Arts. She has an interest in unusual sites and unlikely situations. In her own words, her filmic vision is “attracted by monumental leftovers, with a weakness for margins, interstices and interludes, and for remote architectural objects which have lost sight of—although not completely lost—the human.” The locations portrayed in her works range from military test sites in the Mojave Desert, to concrete igloos in the woods near Mount Vesuvius awaiting catastrophe to fulfill their purpose, to an island whose inhabitants are attempting to stop the seaward drift of their homes. Impending menace is present in many of her works, but it is often punctuated by relics of modernist faith in technology or progress. Barba’s work has been exhibited extensively at international film competitions, art biennales, art museums and galleries, mostly in Europe. She has been invited to residencies such as the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in Amsterdam, the Baltic Art Center in Visby, Sweden, IASPIS in Stockholm and the Villa Aurora in Los Angeles. In 2004 she received the New Media Special Award from the International Festival of New Film, Split, Croatia, the Installation Award at the Images Festival 2005 in Toronto, and the Prix du Centre pour l’Image Contemporaine, Genève at the 12th Biennale of Moving Image in 2007. Rosa Barba currently lives in Berlin.

EX-Choice ④

로사 바바는 독일에서 영화와 시각 예술을 전공하였다. 그녀는 독특한 장소들과 비현실적인 상황들에 관심이 많고 자신이 거대한 유물과 같은 것들에 대해 매료된다고 하면서 주변부, 틈새, 중간에 대한 정서적 약점을 지니고 있다고 말한다. 그녀의 작품에 담긴 장소들은 모하비 사막의 군사 시험장에서부터 베수비우스 화산 근처 숲 속에 지어진 콘크리트 대피소, 그리고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 움직임을 주민들이 멈추고자 하는 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녀의 작품들에는 임박한 위험이 그려지고 있지만, 위험들은 또한 기술 진보에 대한 근대적 믿음의 유물들에 의해서 가시화된다. 그녀의 작품은 세계 각지의 영화제와 비엔날레, 그리고 박물관과 미술관 등지에서 상영된 바 있다. 그녀는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다.

103

로사 바바

Outwardly from Earth’s Center is a fictitious narrative about a society on an unstable piece of land that is in danger of disappearing. The situation requires the population’s collective initiative in order to secure individual and societal survival. The concept’s background is somewhat realistic since Sandön (an uninhabited Swedish island) drifts approximately one meter per year. The fictitious reports from experts strengthens the surrealistic atmosphere that creepily offsets the experience of what is first considered a beautiful documentary, and second a more abstract, absurd picture of a people’s struggle and vulnerability.

기획 부문 EX-Choice

지구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


EXiS 2017

고무 도포 강철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로렌스 아부 함단 Lawrence Abu Hamdan

Rubber Coated Steel

Lebanon & Germany / 2017 / Color / Stereo 21min / HD

104

이 작품의 발단은 2014년 요르단 강 서안 지역에서 이스라엘 군이 두 명의 십대 소년을 살해한 사건이다. 인권단체인 ‘국제아동보호’는 기술적으로 정교한 건축 및 미디어 연구기관인 골드스미스 대학 소재의 포렌식 아키텍처를 접촉하여 이스라엘 군의 발포 당시 오디오 녹음에 대한 분석을 의뢰한다. 이 작품의 작가는 이스라엘 군이 주장하듯이 고무탄환을 발포했는지, 혹은 무장하지 않은 십대 소년들에게 실탄 사격을 하면서 법률 위반, 특히 미국과 이스라엘 사이의 군사조약에 대한 위반 여부를 판정하는 분석 작업에 참여했다. 분석 결과 이스라엘 군은 실탄 사격을 했으면서도 이를 고무탄환 사격으로 위장하려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음향을 가시화하는 특수한 기법을 사용한 이 분석결과는 CNN에 보도가 되었고, 이 사건이 미국 하원에서도 다뤄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작가는 분석 보고서를 완성한 다음에 이를 전시 «이어숏(가청 거리)»로 발전시켰다. 이 작품은 전시를 이루는 설치 작품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영상은 증거들을 통해 연쇄 살인의 소리에 대한 재판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영상 재판관은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증폭시키기보다는 그들의 침묵을 증폭시키면서 오늘날 권리가 들리는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로렌스 아부 함단 로렌스 아부 함단은 작가이자 뉴욕 뉴 스쿨의 베라 리스트 예술과 정치 센터의 연구원이다. 그의 작품들은 오디오비주얼 설치, 퍼포먼스, 그래픽, 사진, 이슬람식 설교, 카세트테이프 작곡 작품, 글, 강연 등의 다양한 형식을 띠고 있다. 음향과 정치의 교차지점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그의 DIY 음악 배경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는 영국 망명 재판소와 같은 기관을 위해서 음향 분석을 통한 법률조사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였고, 국제 앰네스티 등의 국제활동단체의 활동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은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의 작가의 연구 활동의 일환이기도 하다. «고무 도포 강철»은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의 단편부문 수상작이자 전시 «이어숏»은 2016년 백남준 미술상으로 선정되었다. 그의 글은 스턴버그 출판사, 마니페스타 저널과 캐비넷 매거진 등에서 출간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과 퐁피두센터, 에인트호번의 반 아베 미술관, 영국 예술위원회 등에 소장되어 있다.

Lawrence Abu Hamdan Lawrence Abu Hamdan is an artist, “private ear”and fellow at the Vera list centre for Art and Politics at the New School, New York. His projects have taken the form of audiovisual installations, performances, graphic works, photography, Islamic sermons, cassette tape compositions, potato chip packets, essays, and lectures. Abu Hamdan’s interest with sound and its intersection with politics originate from his background in DIY music. He has made audio analyses for legal investigations at the UK asylum Tribunal and is an advocate for organisations such as Amnesty International and Defence for Children International. The artist’s forensic audio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as part of his research for Forensic Architecture at Goldsmiths College London where he is also a PhD candidate. Abu Hamdan’s Rubber Coated Steel (2016) won the short film award at the Rotterdam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7) and his exhibition Earshot at Portikus Frankfurt (2016) was the recipient of the 2016 Nam June Paik Award. Other solo exhibitions include ‫( هيقت‬taqiyya) at Kunsthalle St Gallen (2015), Tape Echo (2013) at Beirut in Cairo and Van AbbeMuseum, Eindhoven, The Freedom Of Speech Itself (2012) at Showroom, London, The Whole Truth (2012) at Casco, Utrecht. Abu Hamdan’s writing can be found in Forensis Sternberg Press, Manifesta Journal and Cabinet Magazine. His works are part of collections at MoMA New York, Van AbbeMuseum Eindhoven, Centre Pompidou Paris and the Arts Council, England.

In 2014, Israeli soldiers in the occupied West Bank (Palestine) shot and killed two teenagers, Nadeem Nawara and Mohamad Abu Daher. The human rights organization Defence for Children International contacted Forensic Architecture, a Goldsmiths College-based agency that undertakes advanced architectural and media research. They worked with Abu Hamdan to investigate the incident. The case hinged upon an audio-ballistic analysis of the recorded gunshots to determine whether the soldiers had used rubber bullets, as they asserted, or broken the law by firing live ammunition at the two unarmed teenagers. A detailed acoustic analysis, for which Abu Hamdan used special techniques designed to visualize the sound frequencies, established that they had fired live rounds and moreover had tried to disguise these fatal shots to make them sound as if they were rubber bullets. These visualizations later became the crucial piece of evidence that was picked up by CNN and other international news agencies and forced Israel to renounce its original denial. The investigation was also presented before the U.S. Congress as an example of Israel’s contravention of the American-Israeli arms agreement. A little over a year after Abu Hamdan completed his report, he returns to the case of Abu Daher and Nawara in his exhibition Earshot . Expanding on the original body of evidence, he has created an installation encompassing sound, photographic prints, and a video to reflect more broadly on the aesthetics of evidence and the politics of sound and silence. The video, Rubber Coated Steel , is the main part of the installation commissioned by Portikus and acts as a tribunal for these serial killing sounds. The video tribunal does not preside over the voices of the victims but rather seeks to amplify their silence, fundamentally questioning the ways in which rights are being heard today.


기획 부문 EX-Choice

105

EX-Choice ④


EXiS 2017

489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권하윤 Hayoun KWON

489 Years

France / 2016 / Color / Stereo / 11min / HD

106

우리는 이 작품의 제목을 통해서 가상의 것이 즉각적으로 소환되는 비현실성의 세계로 진입한다. 작가 권하윤이 만들어내고 연출하며 재구성하는 것은 바로 이 특정한 정신 세계다. 인간의 광기의 산물인 이 구역 안에서 허구의 세계가 등장한다. 이곳은 자연이 점령한 거주 불가능한 공간으로 남게 될 것이다. 오늘날, 거의 60년이 지난 시점에 지뢰는 숲으로 덮였고, 이곳은 야생동물의 차지가 되었다. 때문에 이곳에서 활동하는 군인들은 군사적 위협과 자연적 위협 모두에 노출된다. 작가가 기록한 이야기 속의 병사는 공포와 시적 아름다움이 결합된 일화를 소개한다. 녹음된 이야기와 디지털 이미지로 이루어진 조형물을 통해서 작가는 이야기에 존재를 부여한다. 작가의 가장 주요한 관심사는 감각을 통해서만 전달되는 주관적 기억이다.

- 제롬 디아크르 권하윤 권하윤은 1981년 대한민국 출생으로 멀티미디어 작가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1년 프랑스 르 프레노이-국립 현대미술 스튜디오를 졸업한 이후 프랑스와 한국을 오가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2011년작 «증거 부족»과 2014년작 «모델 빌리지»는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로테르담 국제영화페스티벌을 비롯한 다수의 영화페스티벌에서 상영된바 있다. 이전의 작품들에서 그녀는 정체성과 경계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었고, 최근에는 역사적이고 개인적인 기익이 구성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현실과 허구의 양가적인 관계를 보여주려고 하고 있다.

Hayoun KWON Hayoun Kwon is a multimedia artist and documentary director from South Korea born in 1981. She graduated from Le Fresnoy – Studio National des Arts Contemporains in 2011, and she divides her life and work between France and Korea. Her films Lack of Evidence (2011) and Model Village (2014) have received several awards and screened at a number of film festivals, including the Rotterdam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reflection on identity and borders is central to her previous works. She has recently focused more on the construction of historical and individual memory and their ambivalent relationship to reality and fiction. Her filmography includes 489 Years (2016), Model Village (2014), Lack of Evidence (2011) and Walls (2010).

Through this title, we enter into a universe of unreality in which the imaginary is immediately summoned. It’s this specific mental space that Hayoun Kwon works within, stages and reconstructs. In this zone that is the product of human insanity, a world of fiction emerges; it will remain an uninhabitable space in which nature has taken over. Today, almost sixty years later, the mines are covered with vegetation, and wild animals have invaded the area. The soldiers that maneuver here are thus exposed to both military and natural risks. In the soldier’s story recorded by the artist, he makes reference to an anecdote that combines both dread and poetry. Hayoun Kwon materializes this story, as it faces 489 Years , through sculptures, a recorded story and digital images. Sensorial, perceptible and subjective memory are what interest her most. - Jérôme Diacre


기획 부문 EX-Choice

107

EX-Choice ④


EXiS 2017

모델 빌리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권하윤 Hayoun KWON

Model Village

France / 2014 / Color / Stereo / 10min / HD

108

간접적으로 북한의 선전 마을을 여행할 수 있을까? 제목 “모델 빌리지"는 비무장지대에 실제로 위치한 북한 선전 마을인 기정동에서 왔지만, 이 말은 또한 체코의 테레지엔슈타트(현재 테레진)를 연상시키는 “모델 게토”라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근의 북핵 위기 때문에 비무장지대에서의 촬영은 더욱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작가는 1950년대 지어진 선전 마을에 직접 방문하는 대신에 음향 편집 등의 방식으로 이 마을을 다룬다. 이런 식으로 남쪽에서 봤을 때, 이 마을은 영화 세트장처럼 공허하게 보인다. 그리고 이 빈 공간 안에서 울리는 선전 방송은 “모델”의 다른 의미를 떠올리게 만든다. 실제 마을이 불길한 정치적 허구인 것처럼 오직 가장 인위적인 장치만이 진리를 관통할 수 있게 해준다. 미니어처의 투명함, 그리고 화면 밖에서 들리는 자연의 소리의 결합은 역사적이지도 않지만 또한 허구적이지도 않은 다른 장면을 구축한다. 이는 차라리 유령 같은 추상화다.

- 샬롯 가르송

A journey by proxy to a North Korean propaganda village; the artifice of the setting echoes the contrivance of the political masquerade. The title’s “model village”, Kijong-dong, is to be understood as in the term “model ghetto” associated with Theresienstadt. It’s a real location in the DMZ (the Korean demilitarised zone), a 250km stretch of land separating North and South Korea. But since the recent North Korean crisis, filming there has become even more difficult. The filmmaker seems to relish this constraint, as the sound-editing in the first part of the film manages in a few snippets to stand in the stead of an actual visit to this luxury showcase village built in the 1950s. Oriented so as to be seen from South Korea, the buildings with painted-on doors and windows are as hollow as film sets. It was this vacuity, an echo of the State’s deceit, that inspired Hayoun Kwon to build her mockup, or “model” in the other sense of the word. As the real village is a sinister political fiction, only the most artificial dispositif is capable of piercing the truth. The transparency of the miniature and the naturalistic outdoor sounds heard offscreen build up another scene, neither historical nor fictional — more a ghostly abstraction: the camera’s movements, filming the filming, accentuate the shadows of the houses, another paradox in a place where shadow has more substance than built structures. - Charlotte Garson


기획 부문 EX-Choice

109

EX-Choice ④


EXiS 2017

EX-Choice 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20일(목) 오후 2시 (60min) THU, July 20, 2017 at 2:00pm @ Art Sonje Center

110


기획 부문 EX-Choice

일리노이 우화 The Illinois Parables

데보라 스트래트먼 Deborah Stratman

USA / 2016 / B&W, Color / Stereo / 60min 16mm on HD

카호키아 (기원후 600-1400)

II편 알톤 (1673)

VII편

시카고 (1942)

VIII편 졸리엣 (1940-1976) 머콤 (1948) IX편

III편 골콘다-존스브로 (1838-1839) IV편 노부 (1839-1848) V편 이카리아/노부 (1849-1860)

X편

시카고 (1969)

XI편

버팔로 락 (1985)

VI편 고험-크로스빌 (1925)

데보라 스트래트먼 데보라 스트래트먼은 시카고에 거주하는 영화작가이며 풍경과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그녀의 작품들 대부분은 자연 환경과 이를 통제하려는 인간의 권력 투쟁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고 있다. 최근의 작품들에서 그녀는 자유와 팽창주의, 감시, 음향전쟁, 공적 발화, 유령, 싱크홀, 공중부양, 곤충, 혜성, 신앙 등을 다루고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뉴욕 MoMA, 퐁피두센터, 휘트니 비엔날레 등지에서 전시되었으며, 선댄스, 오버하우젠, 앤아버, 로테르담 등지에서 상영되었다. 그녀는 현재 일리노이 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Deborah Stratman Deborah Stratman is a Chicago-based artist and filmmaker interested in landscapes and systems. Much of her work points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s and human struggles for power and control that play out on the land. Recent projects have addressed freedom, expansionism, surveillance, sonic warfare, public speech, ghosts, sinkholes, levitation, propagation, orthoptera, raptors, comets and faith. She has exhibited internationally at venues including MoMA NY, Centre Pompidou, Hammer Museum, Mercer Union, Witte de With, the Whitney Biennial and festivals including Sundance, Viennale, CPH/DOX, Oberhausen, Ann Arbor, Full Frame, Rotterdam and Berlinale. Stratman is the recipient of Fulbright, Guggenheim and USA Collins fellowships, a Creative Capital grant and an Alpert Award. She lives in Chicago where she teaches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I Cahokia, IL 600-1400 CE II Alton, IL 1673 III Golconda, IL- Jonesboro, IL 1838-1839 IV Nauvoo, IL 1839-1848 V Icaria/Nauvoo, IL 1849-1860 VI Gorham, IL - Crossville, IL 1925

VII VIII IX

Chicago, IL 1942 Joliet, IL 1940-1976 Macomb, IL 1948

X XI

Chicago, IL 1969 Buffalo Rock, IL 1985

EX-Choice ⑤

I편

111

베레니스 레이노에 따르면 영화의 매혹은 쇼트들에 대한 엄격한 조합을 통해서 관객이 자신을 “비어있는 공간들”에 투사 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미국 중서부 지역의 우화들을 모아놓은 이 작품은 이데올로기와 국민정체성 형성에서 믿음이 담당한 역사적 역할에 대해 질문한다. 이 작품은 신앙과 힘, 기술, 그리고 집단 탈출을 주제로 이 지역의 소품들로 이루어진 실험 다큐멘터리다. 11편의 우화를 통해서 일리노이 주의 곳곳에서 일어난 정착과 제거, 기술적 돌파구, 폭력, 메시아주의, 저항의 역사들이 연결된다. ‘주’의 경계는 우리의 정체성이 확신과 이데올로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역사의 간편한 구조적 책략이다. 이 작품은 기술과 종교적 관념들 사이의 연관성을 암시하고 있다. 각각의 장소는 합리성과 초자연성의 경계가 사라지는 곳 들이다. 그러한 “희미한 장소들”에서 천상과 지상의 구분은 사라진다. 종교의 자유를 찾아서 떠난 여행은 결국 신념과 기술적 발명을 통해 추방이 촉발된 장소들로 귀결된다. 이 작품은 작가의 기존 작품들의 연장선상에서 재연과 기록영화, 그리고 보이스 오버 등을 활용하여 미국을 세운 임차인들을 의문시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우화의 장소와 연대는 다음과 같다.

The seduction comes from the rigorous composition of the shots and from a strategy – not unlike that of Eastern Asian scroll painting – that allows the spectator to project him/herself in the “empty spaces” of the shot. -Bérénice Reynaud A suite of Midwestern parables that question the historical role belief has played in ideology and national identity. An experimental documentary comprised of regional vignettes about faith, force, technology and exodus, eleven parables relay histories of settlement, removal, technological breakthrough, violence, messianism and resistance, all occurring somewhere in the state of Illinois. The state is a convenient structural ruse, allowing its histories to become allegories that explore how we’re shaped by conviction and ideology. The film suggests links between technological and religious abstraction, placing them in conversation with governance. Locations are those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rational and supernatural are tenuous. They are “thin places” where the distance between heaven and earth has collapsed, or more secularly, any place that bears a heavy past, where desire and displacement have lead us into or erased us from the land. What began as a consideration of religious freedom eventually led to sites where belief or invention triggered expulsion. The film utilizes reenactment, archival footage, observational shooting, inter-titles and voiceover to tell its stories and is an extension of previous works in which the director questioned foundational American tenants. The Parables consider what might constitute a liturgical form. Not a sermon, but a form that questions what morality catalyzes and what belief might teach us about nationhood. In our desire to explain the unknown, who or what do we end up blaming or endorsing? List of parable locations & dates: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12


기획 부문 EX-Choice

113

EX-Choice ⑤


EXiS 2017

EX-Choice ⑥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9일(수) 오후 4시 30분 (89min) WED, July 19, 2017 at 4:30pm & 7월 18일(화) 오후 2시 TUE, July 18, 2017 at 2pm @ Art Sonje Center

114


People Power Bombshell: The Diary of Vietnam Rose

존 토레스 John Torres

Philippines / 2016 / Color, B&W / Stereo 89min / HD

이 작품은 단순히 현재에 컬트가 되었을 수도 있는 영화의 이면을 보여주는 영상이 아니며, 형식적인 면에서도 단순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감독은 디지털 영상이 망각한 사이키델릭한 감각을 되살려내는 시각적 미학을 제안하는 하나의 송가로써 기존의 영상에 새로 쓴 대사와 우아한 일화를 덧붙여 작품을 완성했다.

115

EX-Choice ⑥

-알리 로페즈 존 토레스는 ‘필리핀 영화의 구세주’로 불린 켈소 아드벤토 카스티요(1943-2012)에 의해 1980년대에 촬영했지만, 미완인 채로 남은 35mm 필름을 부식상태에서 복원하고 그것에 새로운 장면과 인터뷰를 추가하여 영화 속에서 고통 받는 여배우의 초상을 완성하였다. 이 여배우의 운명은 영화 자체의 제작 과정뿐만 아니라 민족의 운명과도 공명하고 있다. 원래 영화의 감독인 카스티요는 60편 이상의 매우 독창적이고 논쟁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그는 스릴러, 액션, 공포 영화를 제작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이른바 ‘봄바 필름’이라 불리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도덕적 서사를 갖춘 선정적인 영화 장르를 확립시켰다. 1980년대 그는 당시 19세였던 여배우 리즈 알린도간이 출연하는 장편 영화를 촬영했지만, 결국 완성하지 못했다. 토레스는 30년이 넘게 지나 재발견된 20여개의 필름 롤을 사용해 다큐멘터리 작품으로 재탄생시켰다. 이 작품은 파운드 푸티지와 오버더빙의 방법을 사용하여 신비로운 전개를 보여주는 메이킹 필름이다. 필리핀 영화의 선구자에게, 그리고 동시에 그의 영화적 상상력에 바치는 존 토레스만의 독특한 오마주다.

What we see on screen is not the simple behind-the-scenes, or formal documentary, of a tape that today could be cult, or kitsch paraphernalia, of a picturesque and different cinema. We see a visual ode that proposes a pictorial aesthetic that, accompanied by re-written dialogues and sinuous anecdotarios, emits an experimental setting of cinema that, in that aesthetic, creates a psychedelic sensation that the digital has forgotten. -Ali López, CorreCamara After recovering decaying 35mm footage from an unfinished 1980s film by the ‘Messiah of Philippine Cinema’, John Torres shot new footage and interviews to complete the portrait of a tormented young actress in a film that echoes not only its own troubled production but also the fate of the nation. Celso Advento Castillo (1943-2012) is lauded as ‘the Saviour of Filipino cinema’. His oeuvre of more than 60 films is highly original and extremely diverse. He has made thrillers, action and horror films and in the 1970s also put ‘bomba films’ on the map: erotic dramas in which he was able to also tell stories – often with a moral. In the 1980s he worked on a feature film with the then 19-year-old actress Liz Alindogan, the sexy rising star at that moment. Unfortunately, financial and logistics problems meant the film was never completed. More than 30 years later, John Torres used 20 recovered film rolls from this project to make a documentary. Mixed with found footage and with a new overdub, this is a making-of film with a mysterious twist. A homage to the master, but also to the power of cinematic imagination.

기획 부문 EX-Choice

피플 파워 폭탄선언: 베트남 장미의 일기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16 존 토레스 존 토레스는 1975년 출생으로 마닐라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세 편의 단편 작품들을 통해 고통과 고독으로 괴로워하는 한 젊은이가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그려냈다. «토도 토도 테로스»(2006)로 장편데뷔를 하였으며 전주, 싱가포르, 로테르담 등의 여러 페스티벌에서 상영되었다. 이어서 그는 «이상한 루카스»(2013), «후렴은 노래속의 혁명처럼 일어난다»(2010), «나의 어린 시절»(2008)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키틀락 타히믹, 마이크 드 레온, 이스마엘 베르날과 같은 필리핀 시네마의 독보적인 영화감독들의 걸작에 영향을 받았으며, 예술 영화보다 할리우드 주류 영화를 보며 자랐다. 이후 대학에서 영화가 가진 잠재적 역동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필리핀에서 그는 스튜디오이자 작은 극장인 로스 오트로스를 운영하며, 디지털 단편 영화와 다큐멘터리, 상업적 광고 그리고 다른 멀티미디어 프로젝트를 실현해오고 있다. 또한 인디밴드의 가수이자 작곡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작고한 영화평론가 알렉시스 티오세코가 ‘사랑 영화’라 부른 삼부작은 2005년 5월 라브 디아즈, 록스 리 등 대표적인 필리핀 영화감독의 작품과 함께 최초로 공개되었다.

John Torres John Torres (b. 1975) is an independent film director, producer, writer, and musician from Manila. He has made four feature films and over a dozen short films. In 2006, John was awarded the Dragons & Tigers Award for Young Cinema at the 25th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 his debut feature, Todo Todo Teros . He won the NETPAC and FIPRESCI critics awards at the 2006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a Jury Special Mention at the Jogja-NETPAC Asian Film Festival. In 2007, the Manunuri ng Pelikulang Pilipino (Film Critics of the Philippines) nominated his film in four categories, namely: Best Screenplay, Best Editing (won), Best Director, and Best Picture.His second feature film, Years When I was a Child Outside , funded by the Hubert Bals Fund and the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was awarded a Jury Special Mention in the Southeast Asian Competition of the 2008 Bangkok International Festival and the Grand Jury Prize in the 2007 Cinemanil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t was screened in competition in Rotterdam and in Berlin Forum Expanded as a multi-channel work. His fourth feature, Lukas The Strange , premiered at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in 2012. It won a Special Mention at the Festival de Cine Lima Independiente in 2013. Artforum describes Lukas The Strange as “one of the more mysterious films to surface” in 2013, as it is “ineffably and gloriously odd even when it’s situated amid the bounty of unpredictable livemusic-and-movie matchups, doc-fiction hybrids, and other exercises in boundary blurring...”


기획 부문 EX-Choice

117

EX-Choice ⑥


EXiS 2017

크로스로드 CROSSROADS

*이 프로그램은 부산 모퉁이극장에서만 상영됩니다. 상영과 토크 - 2017년 7월 22일 오후 5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CROSSROADS is the San Francisco Cinematheque’s annual film festival celebrating recent (and rediscovered) artist2010년에 시작된 크로스로드는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의 디렉터인 스티브 폴타의 기획하에 최근

(또는 재발견된) 예술가가 만든 필름, 비디오, 퍼포먼스 및 라이브 시네마 등을 상영한다. 매년 봄 3~4일 동안 개최되는 이 영화제는 다양한 각국에서 작업하고 있는 신인 작가와 동시대 중요한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크로스로드는 현재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최초로 공개하고자 하는 행사로 자리매김하였으며,

118

큐레이터와 영화 애호가 그리고 지역의 중요한

커뮤니티들이 찾는 동시대의 필름/비디오 아트를

소개하는 미국의 중요한 국제적 행사로 자리 잡아 나가고 있다. 2017년 8회를 맞이한 이 행사는 올해

15개국 57명의 예술가의 59작품이 선정되었다. 크로스로드는 주제전의 형식으로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2017년에는 분노의 표출 / 억압의 저항 /

고립되고 감시받는 미디어-공간속에서 정신적 연대를

향한 열망 / 시각성과 감각적 조우, 친밀한 몸짓 등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아티스틱 디렉터인 스티브 폴타는 EXiS 로컬 커뮤니티 파트너 상영을 위해 올해 크로스로드 프로그램 중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상영하고 필름 큐레이팅, 비영리 기관으로서 시네마테크를 운영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과 샌프란시스코의 지역적 특성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는다.

스티브 폴타 스티브 폴타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영화감독이자 필름 큐레이터다. 간헐적으로 역사적 연구와 여러 지면에 기고를 하고, 영화감독이자 오랜 기간 샌프란시스코의 택시 운전사로 일했었다. 그는 또한 아카이비스트이자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의 예술감독으로 여러 필름 아카이브 프로젝트와 독립영화 기획에 참여해왔다. 그는 UC 버클리에서 영화연구로 학사학위를,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에서 영화제작 석사학위를 그리고 산호세 주립대학에서 도서관학 석사를 받았다. 그는 자신이 만든 작품을 주변 지역과 국내외 다른 외부 커뮤니티에 소개해왔다.

Steve Polta Steve Polta is a former San Francisco taxi driver, a filmmaker, occasional writer and occasional historian living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He is also the Archivist and Artistic Director of San Francisco Cinematheque and participates in occasional film archives projects and independent film curatorial endeavors. He holds a BA in Film Studie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n MFA in Filmmaking from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and a Maste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San Jose State University. His own films screen on occasion at venues near and far.

made film, video and performance cinema . Founded in 2010, each year CROSSROADS presents a diverse line-up of contemporary work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presented annually over three to four days each Spring, with a rotating cast of supporting venues. In its eight years of existence, CROSSROADS has quickly emerged as a significant international film /video showcase, having become a choice festival for filmmakers to premiere and screen work, and a destination festival for engaged curators, film enthusiasts, like-minded filmmakers and loyal community members. Now in its eighth year,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film festival celebrates contemporary artistmade cinema , stimulating aesthetic dialogue between artists and inspiring audiences with rich experiences of experimental film not provided by any other local venue. CROSSROADS 2017, consisting of nine curated programs of film, video, and performance, will include 59 works by 57 artists representing various countries. Major themes of this year’s festival include expressions of rage, resistance to oppression, yearnings for spiritual connection in an alienated and surveilled media-space, and sensual encounters with visuality and intimate gesture. Artistic Director Steve Polta from the San Francisco Cinematheque presented selected works from this year CROSSROADS program at CORNER Theater in Busan as part of EXiS’ local community partner’s screening event, where he also gave a talk about his experiences and provided local context in terms of film curating and running the cinematheque as non-profit organization.


단단한 것은 녹는다. 액체는 기화되고, 녹았던 것은 단단해진다. 모든 것은 데이터가 되고 짜임새가 있는듯 하지만 여전히 덧없는 것이다. 역사적 혹은 개인적인 현대의 갈등, 상품, 아이콘을 통해 작가들은 그들만의 위트로 사회적 논평을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제시한다. 작품에는 실재 혹은 가상의 공간이 펼쳐진다. 물질적 욕구, 젊음의 열정, 우상 숭배, 그리고 간헐적으로 들려오는 신나는 팝 음악과 시야를 방해하는 글리치 등 이번 프로그램에 소개되는 작품들은 한편으론 자본의 유동성을 찬양하는 듯 하지만 동시에 두려워하는 복합적인 태도를 개성있게 표현하고 있다.

119 크로스로드 CROSSROADS

Solids melt. Liquids become gas. Molten forms congeal. All becomes data , organized yet ephemeral. The entropic physical world succumbs to the platonic grid and web. Alternately fascinated with and fearful of the fluidity of capital and the eternity of objects, the films on this program flirt—with highly ambivalent ( yet unabashed) thrill—with the allure of the plastic, the eternity of youth, the electro-kick of glitch and game, the eternal /infernal joy of the perfect pop tune and (of course) the worship of false idols.

기획 부문 EX-Choice

당신을 행복하게 한다면(흔적) If It Makes You Happy (Traces)


EXiS 2017

야간순찰 Night Watch 다나야 출푸티퐁 Danaya Chulphuthiphong

existence of something; a vestige. 2. A barely perceivable indication.

2014 / Color / Stereo / 9min 14sec /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현재 방콕에서 작업하고 있는 다나야 출푸티퐁은 신문이나 잡지에서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사진과 무빙 이미지에 관심이 많다. 춘푸티퐁의 첫 단편인 «야간순찰»은 6개월 동안의 반정부 시위 끝에 2014년 5월 22일 태국 군부가 쿠데타를 선언하고 여느 때와 다름 없이 지내는 방콕의 밤을 담고 있다. 쿠데타의 집권 후 각종 소셜미디어 사이트와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엄격한 검열제도가 잇따르며 통금시간이 생기고, 수백명의 시민은 군대에 의해 억류된다. 1932년 이후 태국이 맞이하는 13번째 쿠데타에 따른 이러한 억압적인 일상생활은 “시츄에이션 노멀SNFAU (Situation Normal: All Fucked Up)”이다.

120

An ordinary night during the coup d’état. The 2014 Thai coup d’état on May 22, which was declared after months of anti-government protests, is warmly welcomed by the middle class in Bangkok but seriously reduces their right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흔적 Traces 에린 와이즈거버 Erin Weisgerber

2014 / B&W / Silent / 5min / 16mm on HD

“흔적 (명사.) 1.a. 사람, 동물 또는 사물이 지나간 뒤 남겨진 풋 프린트와 같은 자국. b. 기존에 있던 존재의 증거 또는 표시. 2. 간신히 인지할 수 있는 자취.” -에린 와이즈거버 서사영화나 다큐멘터리의 촬영감독으로도 활동하지만, 포토 캐미컬 필름제작은 와이즈거버 개인의 작업활동의 핵심에 자리잡고 있다. 와이즈거버는 인-카메라 에디팅, 핸드-프로세싱과 재촬영을 통해 형상과 추상화 사이를 오가는 시적인 싱글채널 필름을 제작한다. 최근에는 필름을 기반으로 한 설치미술 또는 퍼포먼스를 음악과 사운드 아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흔적»과 같은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Trace n. 1. a. A visible mark, such as a footprint, made or left by the passage of a person, animal, or thing. b. Evidence or an indication of the former presence or

주머니쥐 흉내 Playing Possum 자밀라 사버 Jamilah Sabur

2013 / B&W / Stereo / 9min 54sec / HD

죽음에게 주는 사랑편지. 주머니쥐는 위험에 처하면 죽음을 피하기 위해 죽는 척을 한다. 스튜디오에서 마할리아 잭슨의 ‘엘라이자’가 틀어져있었고 나는 환각상태에 빠졌다. 나의 유일한 목표는 “되기”였다. 스튜디오의 공간은 달의 물속에 있는 것처럼 내가 가까이하는 세상같았다. 내가 작곡한 스코어는 작품의 첫 2/3에 사용되지만 존 포시의 ‘시뉴’의 구조를 따라 편집했다. 나는 사람 몸이 차가운 공허속에 혹은 갑자기 우주의 진공이나 깊은 물에 노출 되었을때 느끼는 갑작스러운 감압과도 같은 것이 주위의 압력에서 그런 변화가 일어날 것만 같은 분위기를 작품에 그려내고 싶었다. -자밀라 사버 자밀라 사버는 퍼포먼스, 비디오, 설치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하고 있는 화가이다. 사회적 모방, 체화된 인지, 불협화음, 의식 및 기묘함uncanny에 대해 주로 다뤄왔다. «주머니쥐 놀이»에서는 인간과 동물이 주어진 공간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행동하는 지에 집중한다. 달을 은유하는 세트와 여러가지 스코어에 맞춰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에서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분화를 몸의 섬세한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있다.

A love letter to death. ‘Elijah’ by Mahalia Jackson was playing in the studio and I slipped into a trance, the only goal was “becoming.” When a possum is under threat, it plays dead to avoid death. The space in the studio became a world I felt close to—I was underwater on the moon. In composing the video during the editing process, I composed a score for the first two-thirds but used American composer Jon Forshee’s score Sinew as the structure to edit the video. I wanted to create an atmosphere in the video that appears to be like the changes in ambient pressure, like what happens to a body that slips into the cold airless void, when the human body is suddenly exposed


형태로의 회귀 Return to Forms 재커리 엡카 Zachary Epcar

2016 / Color / Stereo / 10min 12sec / HD

캘리포니아 오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재커리 엡카는 작품활동과 작가가 운영주체가 되는 아방가르드 영화제를 공동으로 기획하고 있다. 엡카의 «형태로의 희귀»에서는 어느 고가의 콘도에서 상품이 하나 하나 따스한 불빛속에 전시된다. 우리가 흔히 제품을 바라보는 시각을 촉각, 청각을 자극하는 짧은 클립으로 새롭게 구성했다. 아이패드에 박힌 식물처럼 상품은 망가지고 이어 새로운 오브제가 아이러니하게 구성되고, 이러한 과정속에 사물의 의미를 재해석해 나가는 것이 엡카가 작품 속에서 추구하는 비전이다.

패턴 언어 Pattern Language 2016 / B&W / Stereo / 10min 30sec / HD

야망의 활력을 정량화하기 위해 크리스토퍼 알렉산더가 만든 신조어이다. 이 이론의 지지자들은 이 이론이 평범한 사람들이 매우 크고 복잡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 준다고 주장한다. 버의 전문분야는 에니메이션과 퍼포먼스이며 ‘아리아 앤드 Aria End’라는 비디오 게임(포펜타인Porpentine과 개발한 게임)에서 가져온 푸티지를 이 작품에 사용하다. 오디오 주파수와 리듬에 따라 움직이는 매우 조직적이고 다층적 패턴은 끊임없이 변하는 미로속으로 향한다.

Pattern Language is a term coined by architect Christopher Alexander to quantify the aliveness of certain human ambitions through an index of structural patterns. Some advocates of this design approach claim that ordinary people can use it to successfully solve very large, complex design problems. In this film, highly organized and richly layered patterns move in accordance with audio frequencies and rhythms towards the construction of an endlessly mutating labyrinth.

크로스로드 CROSSROADS

«패턴 언어»는 구조적인 패턴의 인덱스를 통해 특정 인간

A constellation of objects, each emerging into the soft peach-light void of an indeterminate condominium space. 121

피터 버 Peter Burr

기획 부문 EX-Choice

to the vacuum of space or deep water— sudden depressurization.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나는 네 것이 아니야 You Don’t Own Me

구도자 예찬 2012

크리스티나 C. 응우옌 Christina C. Nguyen

Ode to Seekers 2012

2014 / Color / Stereo / 6min 10sec / HD

앤드류 노먼 윌슨 Andrew Norman Wilson

크리스티나 응우옌은 주로 하나의 파운드 푸티지를 섬세한 편집을 통해 새롭게 탄생시키는 작품을 만들어왔다. «나는 네것이 아니야»는 레슬리 고어가 1964년 T.A.M.I 쇼에서 부른 “나는 네 것이 아니야”의 비디오를 재구성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마틴 아놀드의 «행위적 표출 Passage à L’acte»(1993)를 연상케 하는 아방가르드 리믹스 형식의 이 작품은 한 클립에 대한 작가의 엄청난 애착이 드러난다.

2016 / Color / Stereo / 8min 30sec / HD

An obsession with Lesley Gore’s T.A.M.I. Show performance of “You Don’t Own Me.”

윌슨의 대표적인 비디오 «구글플렉스를 나서는 노동자 Workers Leaving the Googleplex»는 2011년 오프라인과 온라인상에서 엄청난 관심을 모았다. 이 비디오에서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윌슨은 파운드 푸티지 영상과 CGI를 주로 사용하여 사회적 문제를 부각시다. 윌슨의 최신작인 이 작품에서는 존 키츠의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송가’의 형식을 따라 세 파트로 구성되었다. 모기에 의한 질병, 마약 중독과 석유 산업은 인간의 삶에 있어 가장 위협적인 원인일 뿐만 아니라, 작가 자신의 가장 심각한 트라우마의 원인이기도 하다. 역설적이게도 스태디캠과 CGI를 동반해 완성된 이 반복되는 영상은 모기, 주사기와 오일 데릭의 존재를 기념한다.

122

Ode to Seekers 2012 is an infinite loop that celebrates the existence of mosquitoes, syringes and oil derricks via translation of the formal techniques of John Keats’ “Ode on a Grecian Urn” from printed text to video.


Lost Reflections and Intangible Objects 토성의 바깥 고리에서 지구의 깊은 중심까지 이 프로그램에 삽입된 작품들은 가까우면서 먼 듯한 거리들, 고립과 인간 관계를 표현한다. 필름의 표면을 직접 다루고, 재편집 한 파운드 푸티지 외 각양각색의 촬영과 제작 방식으로 우리의 머릿속에서 흩어져 있던 풍경들이 하나하나 모인다. 인간들은 가상의, 꿈 같은 공간에 머물며 감각이 자극되고, 그 중심으로 행성들은 계속해서 돈다. 우리의 생각은 과연 우리만의 것일까?

기획 부문 EX-Choice

잃어버린 상과 만질수 없는 것

From the outer rings of Saturn to the rumbling inner earth, the films in this program present intimate and alienating distances, obscure mental landscapes, machine-eyed visioning systems and the landscape. Human forms hesitate in dematerialized and dreamlike spaces while senses reel and planets turn. Are our thoughts our own?

123 크로스로드 CROSSROADS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변위 Displacements

달의 힘줄 Moon Tendon

안톤 긴즈버그 Anton Ginzburg

자밀라 사버 Jamilah Sabur

2015 / Color / Silent / 5min / 16mm on HD

2015 / B&W / Stereo / 12min / HD

이 작품은 낸시 홀트와 로버트 스미슨의 기념비적인 작품인 1969년 «늪»을 오마주한 작품이다. 원작은 16mm 볼렉스 카메라로 늪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스미슨이 내리는 지침과 이에 화답하는 낸시의 반응이 보는 이로 하여금 지각과 이미지의 생성 과정에 대한 성찰을 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안톤 긴즈버그는 간소한 카메라 움직임과 디지털 피드백과 원작에 대한 인용으로 스미슨과 홀트의 작품을 재해석하고 있다.

“토성의 위성에게 주는 사랑편지.” - 자밀라 사버

Displacements is an homage to American artists Robert Smithson and Nancy Holt and their seminal film Swamp (1969), which viscerally confronts issues of perception and process.

«달의 힘줄»은 질감, 공간과 속도감을 통한 지각적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 작품은 갈릴레오의 ‘가속 실험 Acceleration Experiment’과 그의 1610년 토성의 고리를 관찰한 글에서 영감을 받았다. 세트장과 로버트 스미슨의 «나선형 방파제 Spiral Jetty»에서 선보인 퍼포먼스, 파운드 푸티지 및 존 포시가 UPIC(컴퓨터화된 작곡 도구)로 만든 곡인 ‘힘줄 Tendon’을 결합해 완성된 작품이다.

124

A love letter to the moons of Saturn. Moon Tendon is a perceptual play with texture, space and locomotion. Sabur’s stream of consciousness work presents Galileo as a life-sized doll-like figure with bells in his mouth, and incorporates open source NASA footage of a hurricane on Saturn swirling inside a large, mysterious, six-sided weather pattern known as “the hexagon”. An encounter with Galileo’s Acceleration Experiment and his writings to the Duke of Tuscany about his observations of Saturn’s rings in 1610 influenced the arrangement of the video. Alternating between found footage, a constructed set and recruiting Robert Smithson’s Spiral Jetty to perform on. Moon Tendon features Tendon, a score created by American composer Jon Forshee on UPIC, a computerized musical composition tool, devised by Iannis Xenakis.


보기맨 This Bogeyman

아리아나 거스틴 Ariana Gerstein

페어 기나드 Pere Ginard

2017 / B&W / Stereo / 5min / HD

2016 / Color / Stereo / 3min 3sec / 8mm on HD

여러 조각에서, 빛에 노출되어, 압력으로, 잘려, 작업하는 방식. 흉터가 생기는 데 시간이 걸린다; 흉터는 시간을 보여준다. - 아리아나 거스틴

보기맨 괴담의 재구성, 재검토, 재해석. - 페레 지나드

뉴욕주립대학교 빙엄턴캠퍼스의 시네마과에서 교수이기도 한 거스타인은 실험적 영화와 실험적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 거스타인의 편집 과정은 고정되어있지 않고 지정된 한가지 양식을 따르지 않는다. «승부의 책임»에서는 이전 영화들에서 사용 되지 않은 숏들과 잘리고, 위에 덧칠되고, 콜라쥬가 되었다 다시 스캔하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편집된 파운드 푸티지들이 모여 수차례의 수작업을 거쳐 필름이 완성 되었다.

많은 나라에서 보기맨은 부모는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보기맨이 위협한다고 말한다. 어떠한 특정도 모양도 없는 보기맨은 아이들의 마음 속에서 어떤 형태도 없이 단순히 부정형의 공표가 구체화 된 것이다. 지나드의 보기맨 역시 특정한 형태가 아닌 짙은 검은색 정사각형으로 시작해, 변형된 파운드 푸티지들과 다양한 으스스한 요소들로 화면을 가득 채운다.

크로스로드 CROSSROADS

The bogeyman is a common allusion to a mythical creature in many cultures used by adults to frighten children into good behavior. This monster has no specific appearance, and conceptions about it can vary drastically from household to household within the same community; in many cases, he has no set appearance in the mind of an adult or child, but is simply a nonspecific embodiment of terror.

125

A way of working from many pieces marked by light, by pressure, sliced. An editing process that is extremely non-linear, sculpted. Beginning with outtakes from previous films and found footage which has been cut, painted, turned into a glassmounted collage, re-scanned, animated and edited from analog to digital.

기획 부문 EX-Choice

승부의 책임 Skin in the Game


EXiS 2017

스페이스 Space

주기적 굴절 Cyclical Refractions

엠마누엘 피통 & 에밀리 모랭

J.M. 마르티네즈 J.M. Martinez

Emmanuel Piton & Emilie Morin

2016 / Color / Stereo / 3min 17sec / HD

2015 / Color / Stereo / 5min 25sec / 16mm on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우주에 구멍을 낸다. - 피통 & 모랭 프랑스 작가, 피톤과 모린은 16mm 필름의 표면을 망치고, 불 태우고, 관통했다. 은은하면서도 자극적인 사운드와 필름에 남겨진 흔적들은 더더욱 감정적인 세계를 표현한다.

A crossing in space, material deforms and transforms. The film is destroyed, burnt, pierced to reveal new configurations, a new sensitive space.

산타크루즈에서 사진과 영화를 만들고 있는 마르티네즈는 카메라만을 사용해 다양한 효과를 낸다. «주기적 굴절»에서 자연은 과학적 논리로, 인사(人事)는 내러티브를 통해 구조화된다. 눈 앞에 펼쳐지는 신비롭고 역동적인 이미지는 마르티네즈가 이색성(다이크로익) 프리즘과 파편들로 만든 수제 렌즈로 후반작업을 거치지 않고 오직지 카메라로만 촬영한 것이다. 사운드는 현장에서 컨택 마이크(주로 사물의 표면에 부착해 소리를 기록하는 초소형 마이크)를 나무의 몸통 혹은 구멍에 부착해 녹음했다.

126

Spheres of reality in conflict. Nature being structured in the mode of logic and science, human affairs in the mode of story and narrative. Branching out through the forking canopy a chorus of groaning trees beckons, and the light refracts illuminating portals for one to enter. Imagery was achieved in camera and in real-time with a homemade lens made from dichroic prisms and shards. Sound was recorded on site with contact microphones attached directly to the trees or placed inside existing holes within the trunk.


안톤 긴즈버그 Anton Ginzburg

2015 / Color / Stereo / 25min 6sec / HD

안톤 긴즈버그는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과거의 층위들을 관통하는 동시에 동시대의 경험을 반추할 수 있는 예술적 능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영화와 사진 그리고 설치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해왔다. «자외선»은 자연과 과학적 기술 사이에서 지각과 현상학을 둘러싼 문제를 관찰한다. 고주파에서 시작해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기타 소리에 맞춰 다양한 자연 풍경과 색면회화를 연상하게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시그널 레코딩은 세 가지 부분으로 구분된다. 확장 영화(expanded cinema)가 전통적으로 추구하는 영화적 이미지와 라이브 사운드의 세밀한 관계는 마이클 피사로가 작곡한 음향과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만들어진 이 작품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127 크로스로드 CROSSROADS

Ultraviolet explores the issues of perception and phenomenology at the intersection of nature and technology. The film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correspond to the musical structure and composition. The film was conceived as an ongoing dialogue with its soundtrack composed by Michael Pisar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nematic image and the live sound is an experiment in a tradition of expanded cinema. It starts with very high frequencies for the first part and then works its way down into the guitar range. The film addresses the aura of representation through the video footage of various landscapes. Waterfalls, treescapes and mountains have been recorded by various devices—from airborne camera at night to cinematic HD footage and low resolution iPhone video clips. It is intercut by analog video signal recordings, reminiscent of the abstract color-field paintings.

기획 부문 EX-Choice

자외선Ultraviolet


128


회고전 EX-Retro

129


EXiS 2017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3일(목) 오후 7시 Thursday, July 13, 2017 at 7:00 pm @ Korean Film Archive

이 프로그램은 2014년 부터 2024년 까지 매년 스탠 브래키지의 방대한 작품 세계와 그의 시대를 면밀히 검토하고자 시작되었다. 스탠 브래키지의 회고전은 앞으로 학술적 연구와 출판, 그의 시대와 연관된 다양한 활동을 조망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다.

This program belongs to an extensive project which from 2014 to 2024 will explore Stan Brakhage’s time period and cover his major works. Moreover, this program will delve into academic research and publications that will extensively investigate diverse historical activities related to his era.

130


The Dante Quartet with Live performance

회고전 EX-Retro

단테 콰르텟 & 라이브 퍼포먼스 작곡 안상미 Composed by Ahn, Sang Mi 지휘 (Conductor) | 박상연 바리톤 (Baritone) | 김원 Kim, Won 바이올린 (Violin) | 임지희 Lim, Jihee 첼로 (Cello) | 이헬렌 Helen Lee 타악기 (Percussion) | 한문경 June Moon Kyung 사운드 디자인 (Sound Design) | 안상미 Ahn, Sang Mi

Dante Quartet

USA / 1987 / Color / Silent / 7min / 16mm

스탠 브래키지는 1987년에 «단테 콰르텟»을 발표하였다. 이 비상한 작품의 길이는 6분 밖에 되지 않지만, 브래키지가 단테의 «신곡»을 연구한 기간까지 포함하면 37년간의 작업의 결과물이다. 실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그는 6년간 거의 매일 필름 위에 그림을 그리는 작업을 했다. 그림은 완전히 추상적이며, 추상적 역동성은 마치 잭슨 폴록의 작품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오히려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아돌프 고틀립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 형태와 음영을 변화시키는 브래키지의 리드믹한 유희는 로스코를 연상시키며, 변화하는 이미지의 유동성은 뉴먼을 연상시킨다. 또한 브래키지의 신체에 대한 관심, 그리고 신체적 과정과 사유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관심은 고틀립과 유사하다. 추상 표현주의 계열의 주요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단테 콰르텟»은 분명한 섹션으로 분할되어 있다.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섹션들 사이의 차이는 축자적으로 센티미터 단위로 측정이 가능한데, 브래키지는 다양한 포맷의 필름(16mm, 35mm, 70mm 시네마스코프, 그리고 아이맥스)을 “캔버스”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주제적 관점에서 네 섹션으로의 분할은 명확하게 브래키지의 문학 모델에 의해서 결정된 구조다. 그것은 바로 «신곡»의 수학적 구조이기도 하다. 첫 섹션은 «신곡»의 지하 여행에, 두 번째 섹션은 연옥 직전의 중간 지대에, 세 번째 섹션은 성산 정상 부분에 대응한다. 마지막 섹션은 천국의 열 개 지대에 대응한다. 브래키지는 각각의 섹션에서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시각적 형태가 보이도록 필름을 프린트하였다. 첫 섹션에서 색칠된 형태들이 스크린 전체를 덮는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전체 스크린의 가운데 작은 사각형만을 채운다. 세 번째 섹션에서 가로면 전체, 그리고 세로면의 4분의 3 가량을 채운다. 네 번째 섹션에서는 다시 전체 스크린을 채우는데, 형태들은 더 깊고 자세하게 보인다. 그림의 특징도 섹션별로 달라진다. 첫 섹션에서는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Stan Brakhage released in 1987. Though this extraordinary film runs for only six-and-aquarter minutes, it was years in the making – thirty-seven years, in fact, if we include the decades Brakhage spent studying the Commedia . To actually make the film, he worked nearly everyday, for six years, applying paint directly onto the film stock. The painting isentirely abstract, and though its visual dynamism reminds many viewers of a Jackson Pollock painting come to life, its spiritual character suggests a closer kinship with the paintings of Mark Rothko, Barnett Newman, and Adolf Gottlieb. If Brakhage’s rhythmic play of forms and shades recalls Rothko’s colour fields, the fluidity of his streaming imagery calls to mind Newman’s efforts to convert the plastic elements of art into a “mental plasma.” Besides an aesthetic delight in the “ideographic” character of art, Brakhage shares with Gottlieb a deep concern with the body and a philosophical interest in the relation between bodily processes and thought. Like several of the hallmark painting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e Dante Quartet is strongly sectionalized. From a technical viewpoint the difference between sections can literally be measured in centimetres because Brakhage used different film formats as his “canvas”. The format increases in size from section – 16 mm, 35 mm, 70 mm Cinemascope, and IMAX – though, of course, the size of his “canvas” never exceeds the miniature dimensions of the frames of his film stock. From a thematic standpoint the division of the film into four sections is clearly determined by Brakhage’s literary model: the mathematically articulated structure of the Commedia. Section one (“Hell Itself”) corresponds to Dan-

131

단테 콰르텟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금색과 오렌지빛 금색, 적색, 청색의 형태들이 투명한 바탕에 젤라틴을 바른 모양으로 보인다. 두 번째 섹션은 어두운 바탕 위에 그려진 작은 코일의 형상들로 시작된다. 그리고 순수한 색채적 변화만 보여주는 부분이 뒤따른 다음에 곧 노란색과 녹색, 주홍색의 형태들이 춤추기 시작한다. 세 번째 섹션은 어두운 배경과 흰색의 실타래가 엮이는 형태로 시작되어 빛나는 청색의 형태들이 밝은 배경 위로 보이게 되고, 중간중간 사진으로 찍은 이미지들이 보인다. 마지막 섹션에서는 이미지를 통해서 형태들이 하강했다고 다시 상승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어서 화산의 이미지들 혹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구형의 이미지들이 겹쳐보이게 된다.

- 브루스 엘더

132

te’s underworld journey (Inferno 3-34), while section two (“Hell Spit Flexion”) relates to the transitional zone of Ante-Purgatory (Purgatorio 1-9); section three (“Purgation”) corresponds to the cornices and summit of the Holy Mountain portion (Purgatorio 10-33), while section four (“existence is song ”) comprises the zone of the ten heavens, from the Moon to the Empyrean (Paradiso 1-33). Brakhage handled the printing of the film in such a way that the visual forms in each of the sections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In the first section, the painted forms cover the entire screen. In the second, they cover only a small rectangle in the centre of the screen, occupying between one quarter and one third of its area. In the third, they cover the entire width of the screen and the middle three-quarters (approximately) of its height. In the fourth, they cover the entire screen again, though the forms have greater depth and detail here than in the opening section. The character of the painting also differs from section to section. The first section consists chiefly of gold, ruddy-gold, red, and blue forms applied to appear like gelatinous streaks on a clear ground. While the second begins with tight tiny coils against a dark ground followed by light sweeping colours which seem to etherealize towards pure colour dynamics, it soon develops into a dance of highly textured yellow, green, and vermillion forms punctuated by what looks like a light streaming from a circular object. The third weaves together white skeins against a dark ground, luminous blues against a lighter ground, and densely impastoed dark ruddy forms through which occasionally appear various photographed images — a man in a doorway, a framed photographic portrait of a man, circular forms. In the fourth, forms seem to surge downwards through the image, and then upwards, as if by reaction, in a wave-like movement superimposed at times over images of a volcano or of some unidentifiable spherical form. - Bruce Elder, (Brakhage, The Dante Quartet, and the Poets)


회고전 EX-Retro

133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EXiS 2017

존재의 노래 existence is song

Composed by 안상미 Ahn, Sang Mi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존재의 노래»(existence is song)은 1960년대 미국

134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실험영화 감독인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1933~2003) 의 단편 영화 «단테 콰르텟»(The Dante Quartet)에서 영감을 받아 쓰여진 작품이다. 이 영화는 근세의 문학가인 단테의 «신곡» (Dante Alighieri: La Divina Comedia) 에 배경을 두어 만들어졌으나 신곡에 나타나는 지옥-연옥-천국의 세 부분 구조가 아닌, Hell Itself , Hell Spit Flexion , Purgation , existence is song 의 부제가 붙은 네 부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6분 남짓한 이 짧은 영화에서 나는, 다른 어떤 부제보다 지옥에 관한 감정만이 줄곧 모호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어떠한 스토리도 없이, 그저 수많은 색채들이 빠르게 섞이고 움직이는 극히 추상적인 영상 속에 아주 잠시 보이는 별, 달, 행성, 화산 폭발, 그리고 사람의 초상은 마치 자연 앞에서 느끼게 되는 인간의 무능력함을 말해주는 듯 했다. 그렇게 때로는 인생에서 만나게 되는 지옥과도 같은 삶의 자리에서 우리는 그저 살아나가는 것 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야말로 existence is song (존재의 노래)라는 이 작품의 마지막 부제처럼 말할 수 없이 영광스러운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이 곡에 쓰인 가사는 단테의 신곡 (영문판)에서 발췌하였다. 다만 ‘Beati pauperes spiritu,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는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그레고리안 찬트 “Beati pauperes spiritu quoniam ipsorum” 의 라틴어 원문 가사로 재구성 하였다.

안상미 작곡가 안상미는 연세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음대 (Indiana University) 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민국 작곡상, 인디애나 음대 학장상 수상 및 헥셔 국제작곡콩쿠르 1위, 하트포드 여성작곡가 국제콩쿠르 1위, 국제여성음악가연맹 작곡콩쿠르 1위 등 다수의 작곡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그녀가 작곡한 작품은 세계색소폰협회 페스티벌, 국제트럼펫길드 컨퍼런스(ITG), 북미색소폰협회 비엔날레 컨퍼런스(NASA), 국제전자음악 컨퍼런스(ICMC), 호주전자음악 컨퍼런스(ACMC), 미국전자음악협회 컨퍼런스(SEAMUS), OLE.01 페스티벌을 포함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태리, 그리스, 호주, 멕시코, 슬로베니아 등지의 여러 국제 컨퍼런스, 심포지움, 현대음악 페스티벌 등에 선정되어 연주되었다. 현재 연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홍콩 Caritas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의 자문위원 및 어쿠스틱 음악과 전자음악 두 분야 모두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www.sangmiahn.com)

Ahn, Sang Mi Sang Mi Ahn (b.1979) is a composer who enjoys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projects. Her blend of electronic and acoustic works have garnered numerous international awards, including the Indiana University Dean's Prize in Composition, the Heckscher International Composition Prize, the Republic of Korea Composition Prize, the Judith Lang Zaimont Prize at the Competition of The International Alliance for Women in Music, winner of the Women Composers Festival of Hartford International Composition Competition, and second prize at the Sixth International Musical Composition Contest held by the Long Island Arts Council at Freeport. Her compositions have been featured in festivals and conferences across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in Europe and Asia, including the World Saxophone Congress, the International Trumpet Guild Conference, the International Computer Music Conference, the Australasian Computer Music Conference, Symposium on Acoustic Ecology, and the SEAMUS National Conference. Ahn serves as a member of the Advisory Committee for the School of Humanities and Language Studies of Caritas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Hong Kong. She also teaches as a part time Composition Lecturer at Yonsei University, South Korea.

existence is song is a piece written in response to Stan Brakhage’s avant-garde short film The Dante’s Quartet (1987) . The film was based on Dante Alighieri’s La Divina Comedia . While Dante’s work consists of three parts: Hell, Purgatory, and Paradise, Brakhage’s film is divided into four: Hell itself, Hell Spit Flexion, Purgation, and existence is song. For some, the six-minute film may provoke emotions related to ‘hell’. Yet, Brakhage’s approach is ambiguous and deliberately abstract. The rapid juxtaposition of frames made up of deep hues and bold strokes forces our minds to constantly react to not just one moment of the film, but multiplicities of moments. I spotted traces of stars, the moon, planets, volcanoes, and even tormented visages within these moments. And I am impelled to contemplate the unrelenting forces of nature, the unfathomable vastness of the universe, and my place of fragility and powerlessness. Yet, powerlessness can at times nourish our will to press on wordlessly with our lives and through hell-like seasons. In the strength that emerges through our weakness, we recognize our existence, in its most glorious state, as needing no words. The texts used in the piece are from the English translations of The Divine Comedy by Henry Wadsworth Longfellow and A.S. Kline.*


Midway upon the journey of our life

우리 인생길 한 중간에서

I found myself within a forest dark,

나는 올바른 길을 잃고

For the straightforward pathway had been lost. (Inferno Canto I: 1-3)

어두운 숲 속에 처해 있었다. (지옥편 제 1곡: 1-3)

I came to a place devoid of light,

모든 빛이 침묵에 잠긴 곳

that moans like a tempestuous sea, when it is buffeted by warring winds.

마치 폭풍우 치는 바다가 맞부딪히는 바람과 싸우듯이 울부짖는 곳에 와 있었다.

The hellish storm that never ceases

잠시도 쉬지 않는 지옥의 태풍은

drives the spirits with its force, and,

영혼들을 강하게 몰아세우며

whirling and striking, it molests them.

회오리치고 후려치면서 괴롭히고 있었다.

When they come to the ruins

그들이 폐허가 된 곳에 도달했을 때

there are shouts, moaning and crying,

비명과 탄식, 통곡의 소리들과 함께

where they blaspheme against divine power. (Inferno Canto V: 28-36)

전능의 신을 모독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지옥편 제 5곡: 28-36)

회고전 EX-Retro

가사 (번역: 안상미)

135

‘Beati pauperes spiritu,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Purgatorio Canto XII:110)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연옥편 제 12곡: 110)

Beati pauperes spiritu quoniam ipsorum est regnum celorum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

beati mites quoniam ipsi possidebunt terram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beati qui lugent quoniam ipsi consolabuntur |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Beati qui esuriunt et sitiunt iusticiam quoniam ipsi saturabuntur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임이요 (마태복음 5:3-6)

O Eternal Light... (Paradiso Canto XXXIII: 124)

오, 영원한 빛이여 (천국편 제 33곡: 124)

*참조: 단테 신곡 영문판 (The Divine Comedy) 1) 지옥편 제 1곡 가사 발췌: Translated by Henry Wadsworth Longfellow (archive.org) 2) 지옥편 제 5곡, 연옥편 제 12곡, 천국편 제 33곡 가사 발췌: Translated by A.S. Kline (poetryintranslation.com)

스탠 브래키지 Stan Brakhage

그레고리안 찬트 가사 (라틴어 원문)


EXiS 2017

카나이 카츠 Kanai Katsu 1936년에 태어난 카나이 카츠는 일본의 다른 여러 독립영화의 감독들과 견줄만한 인물이다. 하지만 그의 작품들은 언제나 진정한 독립성을 추구하고 상쇄적인 접근법을 시도함으로써 잘 알려지지 않게 되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4일(금) 오후 7시 (52min) / GV FRI, July 14, 2017 at 7:00pm @ Korean Film Archive

일본 독립 영화 연구가 막스 테시에는 카나이의 작품을 프랑스에서 해독하려고 노력하면서, 그를

(프로듀서나 배급사가 없는) “절대적으로 독립적인” 영화작가로 평했다. 1960년에 그는 다이에 영화사의 도쿄 스튜디오 카메라부에 입사했고, 그곳에서 136

미치오 다카하시와 세츠오 코바야시에게서 배웠다. 그는 촬영기사로 출발해서 프리랜서로 활동하였다. 그는 1964년 말에 다이에를 퇴사하여 프리랜서 촬영기사로 활동했고, 이후에도 상업영화제작 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68년 그는 카나이 카츠마루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다음 해에 자신의 첫 번째 독립 영화를 감독, 제작, 상영하였다. 그의 «미소짓는 은하계 삼부작»은 «무인열도», «Good-bye», «왕국»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작품들은 그를 일본 독립 영화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해주었다. 작가 자신의 말에 따르면 삼부작의 첫 작품은 전후 일본인에 대한 관심으로 만들어졌고, 두 번째 작품은 한국인의 과거에 대한 것이며, 마지막 작품은 신성성에 대한 의문을 형상화한 것이다. 카뮈로부터 영감을 받은 그는 삼부작의 첫 번째 작품에서 자신만의 실존주의를 보여준다. 이후 텔레비전 방송국 프로듀서로 일하면서 그는 시각-시Visual Poems 연작을

만들었다. 그의 최근 다큐멘터리 작품 «슈퍼

다큐멘터리: 아방가르드 센줏수»(2003)는 제50회 오버하우젠 국제단편영화제 국제비평가 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53회 오버하우젠 영화제에서 특별 회고전 작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는 현재 도쿄조형대학과 이미지포럼 무빙이미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Born in 1936, his career parallels that of many independent Japanese filmmakers, but he always marked currents that he crossed with a truly independent and always offset approach, which makes his work quite obscure and little known. The Japanese filmmaker Max Tessier, a specialist in independent Japanese cinema, was the first to try to decipher his work in France, citing the Japanese filmmaker as one of the “absolute independents” (without producer or distributor). In 1960, he joined the Camera Division of the Daei Film Corporation ’s Tokyo Studios where he was mentored by Takahashi Michio and Kobayashi Setsuo. He started as a cameraman for the studios, and then continued his career as a freelancer. Kanai left Daiei at the end of 1964 to work as a freelance cameraman and later filled numerous roles within the world of commercial film production. In 1968, Kanai formed Kanai Katsumaru Production, and the following year saw the first of many films that Kanai would independently direct, produce and screen. His Smiling Milky Way Trilogy, including The Deserted Archipelago , Goodbye , and The Kingdom positioned him as one of the pioneers of Japanese indies cinema. According to Katsu Kanai, the first film in his trilogy The Desert Archipelago is interested in men in post-war Japan, while the next one returns to terrestrial preoccupations against a backdrop of the Korean past and that the third questions the divine. Inspired by Albert Camus , he himself defines the first film in his trilogy, subtitled “Chapter of the human” as the representation of his own conception of existentialism. While later working as a producer for television, Kanai developed a series of visual poems, The Stormy Times (aka Time Blows On). His recent work Super-Documentary: The Avant-Garde Senjutsu (2003) won the FIPRESCI International Critic’s Prize at the 50th Oberhausen International Short Film


회고전 EX-Retro

Festival, and Kanai was later selected for a special retrospective at the 53rd Oberhausen Festival. Kanai has authored The Smiling Milky Way (Renga Shobo-shinsha Publishing, 1981) and he now teaches at Tokyo Zokei University and the Image Forum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Kanai Katsu is an unusual and endearing filmmaker who deserves discovery.

137 카나이 카츠 Kanai Katsu


EXiS 2017

굿-바이 Good-bye

카나이 카츠 Kanai Katsu / 金井勝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Japan & Korea / 1971 / B&W, Color / 52min 16mm on HD

138

이 작품은 1970년에 촬영되었는데, 그 해에는 일본적군파가 일본항공기를 북한으로 납치한 요도호 사건이 있었다. 당시 일본과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깝고도 먼” 관계로 묘사되었다. 물론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당연히 일본의 장기간의 식민지 지배를 쉽게 용서할 수 없었고, 일본인들은 그들의 이웃을 무시하면서, 유럽과 미국이 가진 권력을 부러워하는데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조상은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왔다. 일본에는 고구려 유민들이 정착한 마을이 있으며 그 마을의 이름은 고구려라는 나라의 이름과 유사성을 간직하고 있다. 나의 성 카나이도 이러한 연관성을 보존하고 있다. 그것은 금속장인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한반도에서 건너온 초기 유민들은 정교한 금속세공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아마도 나의 조상도 이 금속세공술사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두고 나는 이 작품을 만들었다. 주인공은 실어증을 겪고 있는 소년인데, “고구려의 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뿌리를 추적하게 된다. 영화의 중반 1970년 한국의 계엄령 때문에 이야기는 긴장감 있게 흘러가지만, 거기에서 끝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는 이 작품을 독특한 로드 무비로 만든다.

Good-bye was filmed in 1970, right around the time of the Yodo Incident, when the Japanese Red Army hijacked a Japan Airlines plane and flew it to North Korea. It was common then to describe Japanese- Korean relations as “the closest and farthest in the world”. Of course, most Koreans, understandably, could not quickly forgive their long experience of colonialism under the Japanese, and most Japanese were content to ignore their neighbor and look instead towards the powers of Europe and the US. But, the lion’s share of our ancestors came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I hail from Tana Village which is located in Kôza County in Kanagawa Prefecture (since renamed Tana, Sagamihara). But Kôza County was first called Kôkuri County by the people who settled it. They emigrated from Koguryo [Goguryeo], an ancient kingdom in the north of Korea—and there is an obvious resemblance between the two place names. Even my family name, Kanai, shares this connection: it suggests metalwork, and we know that the early immigrants from Korea possessed fine metalwork technology. Most likely, my ancestors were among these metal-workers. It’s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en, that I made Good-bye. The protagonist is an aphasic young boy who meets, on one of his regular paths, a “Koguryo Beauty” who shows him how to trace his roots. That this search takes place in a 1970 Korea that was still under martial law lends a further tension to the story, but it doesn’t stop there. Within this drama lies yet another, making Good-bye a one-of-a-kind road movie.


회고전 EX-Retro

139

카나이 카츠 Kanai Katsu


EXiS 2017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4시 30분 (73min) SUN, July 16, 2017 at 4:30pm @ Korean Film Archive

140


Bruce Conner Interviewed by Doug Aitken (2003. 11. 5)

더그 에이트킨: 당시 작업할 때는 어떤

여력이 되지 않았고, 뮤지엄이나 다른데서 지원도 없었습니다. 내가 원하는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제작을 하고 예술가들이 운영하는 갤러리 같은 장소 이외엔 적절한 곳이 없었죠. 하지만 당시 샌프란시스코에는 사실상 그런 장소조차 없었습니다.

BC: First of all, I didn’t have the money to do what I wanted. Secondly, there was no support for me in museums or any other place. To realize the project I’d wanted to, I would have had to produce it myself and push it into a place like an artist-run gallery, but back then there were only about two or three in all of San Francisco and virtually nothing else.

더그 에이트킨: 영화로 표현하고자 했던 당신의 원래 의도는 뭐였나요? 브루스 코너: 내가 원했던 것은 배경영사 형태로 끝이 없이 지속적으로 영화가 상영될 수 있도록 루프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이런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싶어 최종 결과물에 사실 영화가 끝나는 것은 아니었지만 “끝 The End”를 이어 붙였습니다.

DA: So what did you originally want to do with the film? BC: What I wanted to do was use a rear projection loop projector so the film would be running continuously without end. I tried to capture this idea in what became the final version by splicing “The End” into the film, but not at the actual end of the film.

더그 에이트킨: 당신은 불완전하게 중간중간 “끝 THE END” , “영화 A MOVIE” ,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와 같은 단어를 예측할 수 없는 곳에 삽입해 무언가 표현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는 관람객에게 매우 도발적으로 전통적 영화 구조에 질문을 던집니다. 그것은 작은 함정과도 같습니다. 브루스 코너: 그렇죠, 그리고선 단어들이 화면위에 깜박이고, 영화는 무심히 계속됩니다. 더그 에이트킨: 결국 당신이 만든 작품도 시작과 끝이 있지만, 여전히 매우 파편적인

DA: It seems like you were really making a statement by intercutting hard halfway through the film things like “THE END” “A MOVIE” and “BRUCE CONNER” in random places. It’s a very provocative approach in terms of making the viewer question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film. They’re like little traps. BC: Yes, and then after the words flash onscreen, the film just keeps on going.

서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선형적 서사때문에 중간부터 작품을 보거나 마지막 3분을 보는 것이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에 당신의 원래 의도였지만 표현하지 못한게 무엇이

DA: Even though the film you made in the end has a start and a finish, it still suggests a very fragmentary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브루스 코너: 경제적으로도 원하는 걸 할 수 있는

DA: What circumstances were you working in?

141

상황이었나요?

회고전 EX-Retro

브루스 코너와 더그 에이트킨의 인터뷰


EXiS 2017

있었나요? 브루스 코너: 관람객이 안에 들어가서 영화를 볼 수 있도록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3미터 정도인 작은 큐브에서 상영하려 했습니다. 그리고 빛의 변화와 함께 녹음 테잎과, 라디오 프로그램 그리고 텔레비전 소리를 통해 우연한 순간에 관람객의 청각적 경험을 간섭하고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싶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영화는 시작된 이후 모든 순간에 다른 맥락에서 볼 수 있습니다.

narrative. You can start watching it in the middle or three minutes from the end and it doesn’t really matter because there’s no linear narrative. What other things had you originally wanted to do that you couldn’t in the end? BC: I’d also wanted the film to be played in a small cube of about 10 x 10 x 10 feet that you could stand inside. And I’d wanted the lights to change and there to be tape recordings, radio programs, and television sound that would impinge aurally on the viewer at random moments. This way, the film could be viewed in a different context every time it ran.

142


실험영화의 테두리 밖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영화를 많이 보러 다녔는데, 할리우드의 Poverty

Row(1920~50년대 중반 사이에 B급 영화를 제작했던 다양한 스튜디오를 일컫는 용어)에서

만들어진 싸구려 삼류영화를 주로 보았다. 그곳에는 계속해서 같은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짧은 필름 롤을 보관해 둔 푸티지 라이브러리가 있었다. 예컨데 뉴욕이라는 장면은, 항상 브룩클린 다리를 같은 위치에서 촬영한 장면만 반복해서 볼 수 있었다. 외부 로케이션 장면은 최소한의 세트와 무대장치로 그 장소를 상상할 수 있게 하는 고전적이고 진부한 표현으로 가득했다. 또한 그런 장면은 야외촬영 보다는 비용 절감을 위해 스튜디오에서 조잡한 스크린 프로세싱으로 만들어졌다. 사람들은 정말로 영화a

movie 앞을 걷고 있던 것이다! 카우보이가 창을 잡고 촬영된 장면을 그대로 사용했다. 인디언들이 공격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고전적인 이미지다. 필름 속에 있다는 것만 제외하면, 그것은 모나리자이고, 천지 창조의 그림이며, 자유의 여신상이다. 그것들은 모두 상징이다. 내가 «영화 A Movie»라 불리는 작품을 만들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난 캔자스 주에 있는 위치타 필름 소사이어티Wichita Film Society 에 가입했고, 내가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형태의 초현실적인 작품을 몇 편 보았다. 이후에 내가 원하는 영화를 보기 위해선 내 스스로 단체를 만들어야 했다. 1956년 콜로라도 대학에서 처음 실험영화단체를 시작했을 때 난 스탠 브래키지Stan Brakhage와 만날 수 있었다. 나는 이미 1950년대 초반 해리 스미스Harry Smith를 만났지만, 해리는 자신의 작품을 보여주는 것을 극도로 꺼려했다. 그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다른 사람들에 의해 도용되는 것을 두려워했고, 난 1960년대 중반까지 해리 스미스의 작품을 전혀 보지 못했다. 난 시네마

16의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뉴욕으로 갔다. 1957년 샌프란시스코로 옮긴 후 내가 아는 한 북부 캘리포니아에 있었던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라 불리는 유일한 필름 소사이어티를 시작했던 래리 조단 Larry Jordan을 만났다. 래리는 내게 스플라이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으며 나는 그가 사용하던 그리스월드 스플라이서, 리와인더, 뷰어 등을 사용했다. 난 근처 사진가게에 가서 “호파롱 캐시디”와 같은 상업용

16mm 필름 100ft롤과, 뉴스 릴, 자동차 경주 장면이 담긴 필름을 구입했다. 이렇게 해서 푸티지에 접근할 수 있었고, 나는 TV 광고 필름, 가정용 영화, 옛날 영화 등 내가 찾을 수 있는 모든 것들을 구입했다. 내가 가진 건 아무 것도 없었기에 대부분의 내 영화는 벌거 벗은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장면이 바로 그러했다. 그래서 난 언제나 만들어 질 수 있는 “보편적인 영화 Universal Movie”가 있다는

143

겨누는 장면들은 이미 대규모 프로덕션을 통해서

I don’t believe that anything like A Movie, existed in film prior to 1958...as far as my experience was concerned. The only movies I can related to it were outside of experimental film. I went to movies a lot. I would see thirdrate, cheap movies that came out of Poverty Row in Hollywood. They had a stock footage library and would use the same images again and again. When there was a scene in New York introduced, you would see the same shot of the Brooklyn Bridge from the same position. And in a foreign locale there would be a classic cliché shot to represent that the tiny sets and exteriors were to be imagined to be there. Also it was cheaper to shoot in front of a rear projection screen in the studio instead of going out. People were walking in front of a movie! Cowboys would pick up their guns and point them, and up would pop shots taken from previous and larger productions: Indians attacking and things like that. So I became aware that there was a “universal movie” that was being made all the time! It’s classic images. It’s the Mona Lisa , it’s the Sistine Chapel, it’s the Statue of Liberty, it’s all these symbols, except it is in film. It seemed natural that I would make this movie called A MOVIE. I joined the Wichita Film Society, and they showed one or two films that were supposed to be surrealist, but they weren’t quite what I was expecting. Later I found myself forming new film groups in order to see the films I wanted to see. I managed to meet a filmmaker, Stan Brakhage, when I started the Experimental Film Group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in 1956. I had met another filmmaker earlier in the 1950s named Harry Smith, But Harry was paranoid about showing his films. Afraid that his ideas would be stolen. I never saw Harry Smith’s films until the mid-1960s. I went to Cinema 16 programs in New York. When I moved here San Francisco in 1957 and started a film society with Larry Jordan, it was the only film society in Northern Califórnia , that I know of. It was called Camera Obscura . Larry showed me how to use a splicer. And I used his Griswold splicer and rewinds and viewer. I went to the local photography store and bought 100-foot reel condensations of 16mm feature films like “Hopalong Cassidy” and newsreels and racing cars and ali sorts of stuff. That is how I

회고전 EX-Retro

내가 알기로 1958년 이전까지 «영화 A Movie»같 작품은 없었다. 만약 연관지을 수 있는 것이 있다면


EXiS 2017

가난에서 시작된 것들이었다. 난 카메라를 살 수도 없었다. 사실 몇 백ft의 필름을 구입하고 촬영한 후 현상하는 것보다, 이미 현상되고 인화된 필름을 사는 것이 훨씬 저렴했다. 영화를 촬영하는 것보다 이런 방식은 다섯 혹은 여섯 배 저렴했다. 내가 이런 영화들을 제작하던 시절, 나는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움직이는 모든 것을 관찰하는 걸 즐겼다. 영사기를 구입한 이후 나는 영화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보고 또 보았다. 반복해서 보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나는 뷰어를 가지고 손으로 필름을 돌리면서 앞뒤로 반복해서 보거나, 멈추고 프레임을 자세하게 보면서 분석했다. 교육용 영화나 여러 다른 다양한 종류의 필름을 오랜 기간 살펴보면서 내 마음속에 회상을 불러일으키거나, 모순되고 기묘한, 흥미로우면서 때로는 호기심 가는 내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 이미지를 생각했다. 모든 푸티지의 사이 사이를 잘라내자, 필름이 감여 있던 큰 릴은 갈수록 짧아졌다. 이미지

144

속에는 여자 배우가 남자의 뺨을 때리고, 기차가 절벽에서 떨어지는 장면들의 연결처럼 때로는 우연히 다른 이미지와 유사한 정서적 맥락 속에서 서로 잘 어울리는 경우도 있었다. 서로 다른 장면의 상징적 움직임은 정서적이며 더욱 해독이 불가능한 것들이다. 나도 이해하지 못하는 어떤 이유로 인해 특정한 장면의 이미지를 선택하고서, 난 나를 매혹시키는 이미지를 제외하고는 이후에 다른 장면들은 그것이 무엇을 표상할지 알 수 없지만 고스란히 남겨두었다. 많은 경우 영화를 만들 때 나는 개별적인 장면이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게 될지 의식적으로는 말할 수 없다. 다만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미지가 특정한 어떤 것을 표상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이다. 난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범주화하려는 경향에 대해서 동의할 수 없다. 그리고 아마도 그것은 콜라주collage 보다는 몽타주에 더 가깝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콜라주는 내가 이해하기로 평평한 표면위에 여러 겹의 종이를 배치하는 것과 관계된 것이기 때문이다. 아상블라주Assemblage는 프랑스어이자 영어이다. 하지만 그것은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하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용어다. 우리가 영화에 관해 이야기 할 때 콜라주에 대해서 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몽타주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 된다. 내 영화는 “사실의 세계”다. 환상이 아니다. 그것은 발견된 사물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내 주변에서 보았던 현상에 관계된 것이다. 이점이 내가 “사실의 세계”라 부르는 이유다. 우리는 정기적으로 “리얼리티 쇼”를 접할 수 있는데 가장 널리 퍼진 5분 뉴스가 여기에 속한다. 만약 우리가 뉴스 프로그램을 라디오를 통해서 듣게 되면 10개 정도 사건이 연달아

방송되는 걸 들을 수 있다. 그것은 내 영화 «영화A Movie»와 다를 바 없다. 당신이 정치, 사회적 문제에 관해 생각하는 바에 대한 일종의 지침 옆에 재난이

바로 연이어 방송되는 건 뭔가 부조리한 것이다. “부시

got access to footage. I bought Castle Home Movies and gathered any TV commercials and old movies diat I could find. I had virtually no money, so most of my films have to be considered bare bonés poverty films. I could not buy a camera . It was actually much cheaper to buy a hundred feet of film already developed and processed, than to buy hundred feet of film , shoot it and have it processed. It would cost about five or six times more to shoot your own film. At the time I made these films, I loved to look at anything that moved. When I got a movie projector, I would run movies over and over. It was fascinating to see them again and again. And on my Craig viewer I could wind them by hand, backwards and forwards. I could stop the frame and examine it. As I went through these films, educational films and others, there would be shots I thought were curious or interesting, absurd or peculiar, or maybe they touched a reminiscence in mind ... an image that I would not throw away. I would cut out ali the footage in between, and the reels would keep getting shorter and shorter. Sometimes an image would accidently find itself fitting with a couple of other images and creating a kind of emotional context similar to the move star slapping a man and the train going over the cliff. An emotional, symbolic gesture of a different sort. It might be more enigmatic. I would save sequences of images that I didn’t know what reason I wanted to save them for, or what they might represent, except they were fascinating to me Many times when making the films, I have not been able to consciously understand what they are communicating. I’ve been able to talk about them after the fact, but that doesn’t necessarily represent what they are. I disagree with the tendency to make “found footage” a category, rather than a description. And possibly montage comes closer than collage, because collage, as I understand it, is a French word that deals with the placing of separate layers of paper on a flat surface. Assemblage is a French word, but it is also an English word. But it’s such an an inclusive term that it has virtually no definition whatsoever. I don’t think we should be talking about collage


주 남부 케네벙크 포트로 갔습니다. 방글라데시에서

5만 명의 사람이 죽는 끔찍한 재난이 발생했습니다. 소니사에서 21세기에 내놓을 3차원 입체화상 텔레비전을 생산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계속해서, 계속해서 이어진다. 난 이것을 풍자적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 브루스 코너 (샌프란시스코 1991년 5월 22일) «재활용된 이미지: 파운드 푸티지 필름의 정치학과 예술» 윌리엄 위스 (1993) 77- 86페이지 에서 발췌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Recycled Images: The Art and Politics of Found Footage Films William C. Wees (1993) 77~86

145

when we speak of film. We should be talking about montage. My films are the “real world”. It’s not a fantasy. It’s not a found object. This is the stuff that I see as the phenomena around me. At least that’s what I call the “real worldx”. We have “reality shows” presented to us regularly. The most prevalent one is the five minute “reality show”—the five minute news. If you listen to a news program on the radio it may report ten events in a row. It’s no different than A MOVIE. Something absurd next to a catastrophe next to speculation next to a kind of instruction on how you’re supposed to think about some political or social thing. You know: “President Bush had lunch with his wife and went to Kennibunkport, Maine, today. Fifty thousand people died in Bangladesh in a horrible disaster. Sony says they ’re going to produce a new three-dimensional hologram television set which will be released sometime in the 21st century”. GaGa GaGa . I mean this is comic book time. - Bruce Conner (22 May 1991, San Francisco)

회고전 EX-Retro

대통령이 오늘 영부인과 함께 점심식사를 하고 메인


EXiS 2017

지난 50년간 그리고 지금도 계속해서 아방가르드 예술을 주름잡고 있는 영화의 전설 브루스 코너는 팝 문화 어휘뿐만 아니라 대대로 실험예술가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너가 선구적인 작품 «영화»(1958)을 발표하면서 “필름 아상블라주”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조하였을 때, 영화와 음악계는 모두 그의 편집 기법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모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이 모방은 MTV로 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그의 작품의 개념적 내용은 주류 문화가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의 미학은 영화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스스로 종교적, 정치적, 묵시론적 이미지를 훔치는 사람이라고 선언한 코너는 영화 매체의 지배적 이미지와 이데올로기 모두를 전복하였다.

- 미셸 실바 브루스 코너는 선구적 예술가로서 2008년 7월에 146

세상을 뜰때까지 샌프란시스코의 반문화를 지탱하는 기둥이었다. 필름 아쌍블라주로 전환하기 전에 이미 서부에서는 콜라주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던 코너는 1960년대에 중요한 아방가르드

영화감독으로 부상하였다. 그의 초기 작인 «영화»는 전쟁 다큐멘터리와 성인영화, 서부영화와 재난 푸티지 등으로부터 가져온 이미지들의 몽타주와

레스피기의 곡인 «로마의 소나무»가 결합된 작품이며, 레이 찰스의 푸티지와 직접 찍은 이미지가 뒤섞인

«코스믹 레이»(1961), 그리고 JFK의 암살을 다룬 «리포트»(1963-67) 등의 작품이 있다. 이 작품들은 마야 대런 이후의 언더그라운드 영화 운동의 발전과 폭발적 확장의 시기에 등장하여 실험영화의 한 조류인 파운드 푸티지 자체를 정의하고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아멜리아 도즈

Commanding the avant-garde scene for the past 50 years and counting, cinema legend Bruce Conner continues to influence generations of experimentalists as well as the pop culture lexicon. When Conner created the “film assemblage” genre with his pioneering film A Movie (1958), the film and music worlds could not help but appropriate his tour de force editing techniques — weak imitations eventually pervaded MTV. Though Conner’s surface treatments have been rendered cliché by the mainstream, his visual and conceptual content has been spared. His aesthetics have transcended his name,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film culture. A self-proclaimed thief of religious, political, and apocalyptic imagery, Conner subverts both the medium’s iconic imagery and its ideology.

- Michelle Silva The late Bruce Conner was a visionary artist and consistent fixture of the San Francisco counter-culture up until his passing in July 2008. Well-known on the West Coast for his collage sculptures before turning to film assemblage, Conner emerged in the 1960s as a major avant-garde filmmaker. His early films A MOVIE (1958), a montage of found materials cull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war documentaries, nudie flicks, old westerns and disaster footage, assembled in a rapid collage to Respighi’s “Pines of Rome”, COSMIC RAY (1961), a fourminute quick mix of self-shot and sourced footage set to Ray Charles’ “What’d I Say”, and REPORT (1963-67), a meditative deconstruction of the JFK assassination, appeared during the development and explosive expansion of the post-Maya Deren underground film movement, and helped to define and shape an entire genre of experimental screen practice: the foundfootage film.

- Amelia Does


CROSSROADS

USA / 1976 / B&W / Optical / 37min / 35mm 음악: 패트릭 글리슨 & 테리 라일리

Original music by Patrick Gleeson and Terry Riley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는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비키니 산호섬에서 이루어진 23번의 핵실험 중 첫 번째 두 개의 이름이다. 두 번 모두 TNT 2천 3백만 톤 규모의 실험이었고, 이는 나가사키에 투하된 폭탄과 동일한 규모였다. 700대 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5백명 이상의 오퍼레이터가 카메라를 조작하였다. 전세계 필름 총량의 절반 정도가 비키니에서의 핵실험에 사용되었는데, 그 결과

(c) Conner Family Trust

*Restored by UCLA Film & Television Archive, Picture Restoration: NT Picture & Sound, Audio Restoration: Audio Mechanics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 조시 시겔

147

이 폭발실험들은 역사에서 가장 철저하게 영상으로 기록된 순간이 되었다. 코너는 비밀 해제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푸티지에서 “베이커 데이” 수중 핵실험의 대폭발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였다. 이 실험은 1946년 7월 25일 비키니 산호섬에서 수행되었다. 동일한 폭발을 다양한 속도와 거리, 그리고 공중과 수상, 그리고 지상에서 찍은 스물세 장면들이 패트릭 글리슨과 테리 라일리의 이중 악보와 결합되면서 파괴행위는 일종의 큐비즘적이고 우주적인 숭고함이 되었다.

“Operation Crossroads” was the name of the first two of twenty-three nuclear weapons tests the United States conducted at the Bikini Atoll between 1946 and 1958. Both tests involved the detonation of a weapon with a yield equivalent to twenty-three million tons of TNT—the same as the atom bomb dropped on Nagasaki. More than seven hundred cameras and approximately five hundred camera operators surrounded the test site. Nearly half the world’s supply of film was at Bikini for the tests, making these explosions the most thoroughly photographed moment in history. Conner found a cataclysmic beauty in the declassified National Archives footage of the first underwater atomic bomb test “Baker Day”, which was conducted on Bikini Atoll on July 25, 1946. Twenty-three shots of the same explosion—at differing speeds and distances, from air, sea, and land—combined with a mesmerizing dual score by Patrick Gleeson and Terry Riley make this destruction a kind of Cubist cosmic sublime. - Josh Siegel

회고전 EX-Retro

크로스로드


EXiS 2017

브레이크어웨이 BREAKAWAY

USA / 1966 / B&W / Optical / 4min 30sec / 35mm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음악: 에드 콥 춤 / 보컬: 토니 바실(안토니아 크리스티나 바실로타)

Music by Ed Cobb / Dance and Vocal by Toni Basil (Antonia Christina Basilotta)

148

이 작품은 그녀의 움직임을 섬세하고 표현적인 조명 속에서 보여준다. 블랙 리더가 삽입되는 리듬에 따라 그녀는 우아하게 선회하게 되면, 반짝임은 가속된다. 코너의 편집은 상이한 각도에서 본 그녀의 형상을 다른 쇼트들로부터 가져와서 결합하여 하나의 연속된 흐름으로 만들면서 완성된다. 기본적으로 2분30초 길이의 이 작품에서 이미지와 음향의 ‘모듈’은 역전된다. 모든 것이 원래’의 시작을 향해서 ‘거꾸로’ 움직인다. 그녀가 노래를 하는 사운드트랙은 사진의 시각적 추상화의 음향적 유비로서 역방향으로 흐른다. 이는 마치 고등학교 물리학 중력실험에서 던져진 공의 궤적을 충실하게 다시 추적하는 작업처럼 보인다.

The camera captures her movements in gestural, expressive light smears. Intercut rhythmically with strophes of black leader, she gyrates in graceful, stroboscopic accelerations. Conner’s editing is consummate as he alternates angles of her figure from different shots into a kinesthetic, flowing continuity. Basically a two-and-a-half minute film, this ‘module’ of image and sound is then reversed. Everything goes ‘backwards’ to the ‘original’ beginning. The sound track with Basilotta singing the title song is run in reverse as an aural analogue to the visual abstraction of photography. It resembles a paradigm for those high school physics demonstrations of gravitation where we saw a ball, once thrown straight up into the air, loyally retrace its trajectory to Earth. - Anthony Reveaux

- 앤서니 르보

(c) Conner Family Trust


TAKE THE 5:10 TO DREAMLAND USA / 1977 / Color / Optical / 5min 10 sec / 16mm 음악: 패트릭 글리슨 Music by Patrick Gleeson

(c) Conner Family Trust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 요나스 메카스, 소호 위클리 뉴스

149

이 작품에는 아주 적은 수의 이미지만이 등장하며 브루스 코너의 콜라주는 이 이미지들을 황홀경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배치하였으며, 이는 놀라운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작품은 어떤 구체적인 대상을 다루지 않고 있으며, 즉각적으로 형태가 보이는 대상도 없다. 운하, 길, 신비로운 하얀 모양, 거울 앞에 공을 들고 있는 소녀, 슬로우 모션의 물방울, 구름 등의 이미지들이 지나간다. 이 작품이 만들어내는 감정 상태는 시를 읽을 때의 느낌과 같다. 이미지, 그리고 이미지 사이의 신비로운 관계, 리듬, 그리고 연관성은 무의식에 자국을 남긴다. 영화는 마치 시처럼 끝을 맺는다.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 그리고 당신은 조용히 앉아서 이 모든 것이 가라앉도록 내버려두었다가 이제는 일어나서 이 작품이 매우 훌륭하다는 점을 알게 된다.

... it contains very few images but Bruce Conner collages them in ecstatic orders and they work in miraculous ways. The film has no real subject, at least not one immediately visible. It’s just a series of images — a canal, a road, a mysterious white receding shape, a girl with a ball in front of a mirror, a slow motion water splash, some clouds. The film is tinted soft brown. “... the state produced by a film like 5:10 TO DREAMLAND is very similar to the feeling produced by a poem. The images, their mysterious relationships, the rhythm, and the connections impress themselves upon the unconscious. The film ends like how a poem ends, almost like a puff, like nothing. And you sit there, in silence, letting it all sink deeper, and then you stand up and you know that it was very, very good.” - Jonas Mekas, The Soho Weekly News

회고전 EX-Retro

5분 10초를 꿈나라로


EXiS 2017

코스믹 레이 COSMIC RAY

USA / 1961 / B&W / Optical / 5min / 16mm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음악: 레이 찰스 "What'd I Say" 아틀란타에서 라이브(1959) Music by Ray Charles “What’d I Say” Live from Atlanta (1959)

150

이 작품은 빠르게 움직이는 부분들의 무모한 콜라주처럼 보인다. 만화와 춤추는 소녀들, 그리고 플래시 라이트. 거의 벗은 것 같은 무용수가 이 작품의 이 작품의 주된 구성을 이룬다. 그녀는 계속해서 등장한다. 군인과 총, 그리고 다리 사이에 놓은 두개골의 형태를 한 죽음에게 둘러싸인다. 이 작품의 제목은 당연히 음악가 레이 찰스를 지칭하고 있고, 코너는 그의 음악을 영화로 시각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영화의 내용이며, 작품 전체는 고발보다는 통찰력을 보여준다.

- 칼 벨츠, 필름 컬쳐

Cosmic Ray seems like a reckless collage of fast moving parts: comic strips, dancing girls, flashing lights. It is the dancing girl — hardly dressed, stripping or nude — which provides the leitmotiv for the film. Again and again she appears — sandwiched between soldiers, guns, and even death in the form of a skull positioned between her legs. And if the statement equates sex with destruction, the cataclysm is a brilliant one, like an exploding firecracker, and one which ends the world with a cosmic bang. Of course, the title also refers to musician Ray Charles whose art Conner visually transcribes onto film as a potent reality, tough and penetrating in its ability to affect some pretty basic animal instincts. But if such is the content of the film — that much of our behavior consists of bestiality — the work as a whole stands as insight rather than indictment. - Carl Belz, Film Culture

(c) Conner Family Trust


THE WHITE ROSE

USA / 1967 / B&W / Optical / 7min / 16mm

제이 드페오는 로즈를 1957년부터 그리기 시작했다. 미완성의 작품을 8년 후에 옮기게 되었을 때 그 무게는 2300 파운드를 상회하였다. 이미지의 선정과 순서의 결정에 의해 이 작품은 공식적인 신비주의 예배가 되었다. 우리는 제단과 참회, 십자가, 서임, 강하, 그리고 마지막으로 애도를 보게된다. 의복을 입은 남자들이 표면을 만지면서 힘을 갖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회화 작품에 보이는 그들의 존경심은 숭배의식처럼 보인다. 이 작품은 거대한 회화작품을 화가의 스튜디오로부터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일종의 다큐멘터리인데, 이는 마치 장례식의 엄숙함을 떠올리게 한다.

Jay DeFeo started painting The Rose in 1957. When the unfinished painting was removed eight years later it weighed over 2300 pounds. The images selected and the order constructed become a formal mystic service. We see the altar, the penitence, the cross, the investiture, the descent, and finally, the mourning. The men in garments from Bekins seem to draw strength from touching the surface. The respect they render the painting appears as worship. -Camille Cook

회고전 EX-Retro

화이트 로즈

- 카밀 쿡 151

(c) Conner Family Trust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EXiS 2017

마릴린 타임즈 파이브 MARILYN TIMES FIV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USA / 1968-1973 / B&W / Optical / 13min 30sec 16mm

아를린 헌터와 함께 마릴린 먼로 처럼 보이는 젊은 여성이 과거의 여성영화의 영역에서 철저하게 분석된다. 그녀의 달처럼 창백한 신체라는 상품은 다섯 번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그녀의 노래 역시 작품의 사운드트랙으로 다섯 번 반복된다. 마지막 장면은 바닥에 널부러진 그녀의 신체 이미지가 정지되며, 이어 영화는 종결된다.

152

- 앤서니 르보 마릴린 먼로의 이미지, 혹은 영혼은 노마 진이나 알린 헌터에 의해서도 소유된 적이 없다. 이미지는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사람보다 더 큰 힘을 갖기도 한다. 어떤 문화권은 이미지가 표상된 사람의 영혼이나 정신을 훔친다고 믿는다. 영혼을 빼앗긴 사람은 줄어들어서 결국 죽게 된다. 이 작품은 영화 자체로 완성될 수 없는 등식이다. 관객이 등식을 완성한다.

(c) Conner Family Trust

With Arline Hunter A young woman, allegedly Marilyn Monroe, is seen with pitiless scrutiny in the arena of an old girlie film. The reiteration of five cycles rotates the commodity of her moon-pale body as her song repeats five times on the soundtrack ... ‘I’m through with love.’ The last shot terminates a final reward of stillness as she is seen crumpled on the floor. - Anthony Reveaux The image, or Anima, of Marilyn Monroe was not owned by Norma Jean any more than it was owned by Arline Hunter. Images can sometimes have more power than the person they represent. Some cultures believe that an image steals the soul or spirit of the person depicted. They will dwindle and die. Marilyn Times Five is an equation not intended to be completed by the film alone. The viewer completes the equation.


회고전 EX-Retro

153

브루스 코너 Bruce Conner


EXiS 2017

피터 허튼 Peter Hutton (1944-2016)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5일(토) 오후 7시(76min) SAT, July 15, 2017 at 7:00pm @Korean Film Archive

154


않습니다. 감독이란 영화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영화제작을 통해 정제된 생각을 한데 엮어 내는 것을 말하죠. 제게 있어 영화란 관심 가는 사물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과 일기를 쓰는 일종의 스케치북에 더 가까운 것입니다. 저는 사람들이 영화를 통해 어떤 시점에 사물에 대해 흥미를 느껴 회고할 수 있는 것이 되었으면 합니다. 피카소의 스케치북은 위대한 작품을 위한 과정으로서 상당히 매혹적입니다. 상당히 복잡하고 신비로운 레오나르도의 스케치북 역시 그렇습니다. 그것은 거칠고, 파격적이고, 우아하며 과정에 대한 흥미로운 성찰로 가득한 것이죠. 영화는 완벽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영화는 무언가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대상에 신뢰와 특질을 부여하는 일입니다. 내가 촬영한 거의 모든 장면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그것은 가끔은 당신이 항상 무언가 다른 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빛이 있거나 그림자 속에서..’ 당신은 끊임없이 조금씩

30년이 지난 지금에도 성공적이 었던적 없지만, 사람들이 여기에 관심을 보이진 않죠. 나는 항상 일상적인 것을 넘어서 이미지를 강렬한 것으로 만들려 노력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내가 하는 일은 관객을 위한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사람들이 영화를 통해 배움을 얻고, 어떤 식으로든 감사하길 바랄 것입니다. 영화를 사적인 영역에만 남겨두는 것은 도전이지만, 잘 되지 않더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당신이 관객에게 어떤식으로든 공헌하길 원한다면, 당신이 만든 영화가 그들에게 받아들여지길 바랄겁니다. 당신은 노력해야 합니다. 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글쓰기나 그림을 그리는 일과 다르지 않지만, 당신은 자신만의 고유한 표현 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시네마의 시각적 전통속에서 다른 변화를 가져오길 희망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시인이 되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은 소설가가 얻을 수 있는 주목을 절대 끌어내지 못할 수도 있지만, 어딘가에 당신의 영화에 관심 갖는 사람이 있을겁니다.

- 피터 허튼, 시네매드, 2009

- Peter Hutton, Cinemad, 2009

피터 허튼 Peter Hutton

봉투를 열어 보려할 것입니다. 영화를 만들면서 난 단 한번도 결과물에 대해 확신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155

‘글쎄, 아마도 난 여기를 촬영하려고해, 아니면 저기,

I don’t even tell people I’m a filmmaker. It suggests someone who tells stories with cinema , or putting together elaborate ideas through filmmaking. Mine are more like sketchbooks, keeping diaries and records of things that interest me. I hope that at some point in time they might be interesting things for people to look back on. I don’t know if you’ve ever seen Picasso’s sketchbooks, they were so fascinating because they were not the big pieces, but they were the process of what contributed to the big pieces. They’re really interesting as sketchbooks. Even someone such as Leonardo’s sketchbooks, they’re so complex and mysterious. It’s the rough, funky, elegant, interesting insights on the process. The films aren’t about perfection, they’re about trying to get a hold of something and giving it some credibility and quality. Almost everything I shoot looks reasonably good, it’s just that sometimes you’re always trying for something different. ‘Well, maybe I’ll shoot it here, maybe there, in this light or in that shadow…’ You’re constantly pushing the envelope a little bit just to see. In film, I’m never 100% sure of how it’s going to come out. Even after 30 years I can’t nail it, but you don’t care about that. I’m always trying to give the images a little edge so that they look different from the average thing. For the most part, there’s not an audience for what I do. You hope that people can learn from it or have some sort of appreciation for it. It’s a challenge to keep it a personal thing. You won’t die if it doesn’t work, but you want it to be accepted, as you want to contribute something to the audience. You’re invested in it. It’s not any different from writing or painting, you just want to define yourself in a stylistic way and hope that it reflects well as a different variation on a the visual tradition of cinema . It’s like being a poet. You’re never going to get the attention a novelist would get, but there might be something there for someone who’s interested.

회고전 EX-Retro

전 사람들에게 제 자신을 영화감독이라 말하지


EXiS 2017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피터 허튼은 초기 영화와 사진 그리고 19세기의 풍경 회화에 기대어, 16mm 필름으로 대부분 무성의 흑백 이미지로 도시, 풍경, 도시와 같은 장소들의 친밀하고, 풍성하고도 아름다운 초상을 세밀하게 묘사해왔다. 디트로이트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피터 허튼은 아버지의 길을 따라 수산시장에서 노동자로 일을 하면서 예술대학을 다녔다. 1960년대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의 언더그라운드 영화의 움직임을 발견한 이후 시네마로 돌아서기 전까지 허튼의 초기 10년의 창조적 기간은 화가와 조각가로서 시간을 보냈다. 당시에 브루스 코너, 해리 스미스, 케네스 앵거와 같은 실험영화 감독의 작품은 그에게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피터 허튼은 햄프셔 칼리지,

SUNY 퍼체이스, 캘리포니아 예술대 그리고 로버트 가드너를 만나 오랜 우정을 쌓은 하버드 대학에서 영화제작을 가르쳤다. 멈추지 않는 여행가, 탐험가로서 156

가드너와 허튼의 상호 존중에 의한 정신적 유대감은 로버트 가드너의 이제는 전설이 되버린 스크리닝 룸 텔레비전 쇼에서 1977년 피터 허튼이 출연했을 때 명확히 드러난다. 1984년 허튼은 바드 칼리지에서 강의하기 시작했으며, 영화 그리고 일렉트로닉 예술 분과 디렉터로 죽기 직전까지 재직했다. 허튼은 종종 전문적인 촬영감독으로서 활동해왔는데 교육자이자 영화감독으로서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그의 제자였던 켄 번, 리지 보던 그리고 로버트 펜즈를 비롯해 많은 다른 영화 감독의 작품을 주기적으로 촬영해왔다. 능수능란하게 의도적으로 제한된 자신만의 팔레트를 이용해, 허튼은 사운드 없이 흑백 리버설 필름과 고정된 카메라로 그만의 매우 아름다운 영화적 경험을 그려내왔다. 그는 사진화학적 이미지가 갖는 질감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잊을 수 없는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그의 정교한 뉴욕 초상 연작에서 맨해튼을 가득채운 연기, 그림자 그리고 태양 빛은 도시에 관한 영화적 몽상이었다. 영화학자인 스콧 맥도날드는 허튼의 무성 영화 걸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물건을 싣고 나르는 배의 탄생과 삶, 죽음을 통한 21세기의 전지구적 상품화, 노동과 지형학에 관한 압도적 명상.” 그리고 그의 두 번째 작품인 «1971년

7월 샌프란시스코, 캐년 시네마에서 일하면서 비치 스트리트에서의 삶 그리고 달의 계곡에서 수영»은

허튼이 베이 지역에 살며 마주친 사람들과 장소에 관한 기쁨 가득하면서도 애정어린 일기이다.

- 제레미 로젠

For over four decades Peter Hutton used 16mm film, most often silent and blackand-white, to meticulously craft intimate, lush, beautiful portraits of places—cities, landscapes, the sea—which drew upon traditions of 19th-century landscape painting, still photography and early cinema . Born in Detroit to a former seaman, Hutton followed his father’s example, paying his way through art school by working as a merchant marine. Initially spending his first ten creative years as a painter and sculptor, he turned to cinema after discovering the underground film scene in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in the 1960s. Bruce Conner, Harry Smith and Kenneth Anger were important influences. Peter Hutton would eventually teach filmmaking at Hampshire College, SUNY Purchase, CalArts and Harvard, where he and Robert Gardner formed a lasting friendship. Restless travelers and explorers, Gardner and Hutton were kindred spirits whose mutual admiration is clearly evident in Hutton’s 1977 appearance on Robert Gardner’s now legendary Screening Room television show. In 1984, Hutton began teaching at Bard College, where he remained until his death, as Director of the Film and Electronic Arts Department. Hutton also regularly worked as a professional cinematographer, frequently shooting other filmmakers’ work, including that of some of his former students—Ken Burns, Lizzie Borden and Robert Fenz, among many others—despite his busy schedule as a teacher and filmmaker. Masterfully harnessing the purposefully limited tools of his palette, Hutton carved many of his most exquisite cinematic experiences from a fixed shot and reversal black-and-white film stock with no soundtrack. His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and textural depths of the photochemical gave an aching, haunting beauty to his work. Smoke, shadow and sunlight transform Manhattan in his cinematic reverie on the city, the exquisite New York Portrait series. Scholar Scott MacDonald writes that At Sea , one of Hutton’s austere, silent masterworks, remains “a sweeping meditation on global


157 피터 허튼 Peter Hutton

- Jeremy Rossen

회고전 EX-Retro

commerce, labor and geography in the 21st century, which chronicles the birth, life and death of a merchant ship.” And Hutton’s early film July'71 in San Francisco, Living at Beach Street, Working at Canyon Cinema , Swimming in the Valley of the Moon is a joyful, affectionate diary of the people and places Hutton encountered while living in the Bay Area . Despite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he deservedly received over the years, Hutton remained modest and humble. “I’ve never felt that my films are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history of cinema”, he told MacDonald. “They offer a little detour from such grand concepts. They appeal primarily to people who enjoy looking at nature, or who enjoy having a moment to study something that’s not fraught with information… The experience of my films is a little like daydreaming.”


EXiS 2017

보스턴 화재 Boston Fire

USA / 1979 / B&W / Silent / 8min / 16mm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작가는 시대의 화재를 찍으러 다녔다. “나는 화재에서 연기와 사람, 불과 물, 그리고 암흑이라는 모든 요소가 마치 의도를 갖고 안무를 한 것처럼 완벽하게 조화를 이뤄서 영화적 무용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에 놀랐다. 허튼의 천재적인 프레이밍을 통해 안타까운 사고는 삶의 복잡성과 모호함에 대한 몰입감 있는 표현으로 바뀌게 된다.”

- 스티브 앵커

For Boston Fire , Hutton grabs his camera and films a downtown fire. “I was stunned at how perfectly all of the elements—smoke, people, fire, water, darkness—came together as though purposely choreographed into a cinematic dance”. Peter’s genius at framing was never more apparent; a horrific accidental event had become an engrossing expression of the complexities and ambiguities of life.” - Steve Anker

158


Landscape(for Manon)

USA / 1986 / B&W / Silent / 12min / 16mm

피터 허튼 Peter Hutton

- 패트릭 홀자펠

159

이 작품에서 자연은 스스로의 낭만적 삶을 영위한다. 허튼은 영화와 풍경, 그리고 꿈이 뒤섞인 혼이 담긴 작품을 만들어냈다. 영화작가로서 당연하게 그는 전적으로 영상에만 집중하는데, 음향은 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소리에 대한 포기는 허튼의 작품에서 고압의 부드러움과 같은 것인데, 영상의 암시적 힘으로부터 소리의 중심성이 드러난다. 우리는 아무것도 듣지 못하기 때문에 서로를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타인에게 귀를 기울이게 된다. 소리는 실제 어떻게 들릴까? D.W 그리피스의 말을 빌면, “현대 영화에서 결여된 것은 아름다움, 나무 사이로 움직이는 바람의 아름다움이다.” 이러한 선언에 따라 허튼은 바람이 나뭇잎에서 어떻게 빛을 건드리는지를 관찰한다. 이 작품은 움직이는 풍경 이미지의 연속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실제로 어떻게 이미지가 우리의 아편인지를 느낄 수 있다. 그것이 자연적인 것이든, 종교적인 것이든 우리는 고차원의 힘의 존재를 느낀다. 이 작품에서 아름다운 자연풍광 사이에는 검은 화면이 지나간다. 마지막에는 긴 이중노출이 등장한다. 잠이 든 아이(허튼의 딸)의 머리와 그 뒤에서 움직이는 그림자와 빛이 그것이다. 마치 이런 움직임이 여린 소녀의 머리속에서 일어나는 듯하다. 하지만 검은 화면도 잠을 의미하며, 풍광의 이미지는 마치 중간에 잠을 깨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만일 그렇다면 꿈은 영상에 반대편에 있게 될 것이며, 컷과 같은 것이 된다. 이러한 생각은 영화에는 낯선 것이 아니다. 두 개의 영상은 우리를 꿈꾸게 하고, 하나의 영상은 우리를 보게 한다. 그러나 영화는 언제나 보는 것이면서 동시에 꿈꾸는 것이다. 아마도 허튼의 이상적인 관객은 그림자와 빛의 세계에서 꿈을 꾸는 아이일 것이다. 당신도 마치 따뜻한 여름 날 숲가에서 잠이 들었다가 일어나서 바람에 움직이는 나무를 바라보는 것처럼 영화를 보러갈 수 있을 것이다.

In Peter Hutton’s Landscape (for Manon) , nature leads a romantic life of its own. Hutton creates a soulful blend of film, landscape painting and dreams. As usual with the filmmaker, he focuses entirely on the pictures, because the film remains silent. This renunciation of tone is equivalent to a pressureful tenderness in Hutton, since in the suggestive power of the pictures the significance of the tone is first told. Since we do not hear, we begin to look at one another and listen to the other. How would it actually sound? DW Griffith once said, “What the modern movie lacks is beauty, the beauty of the moving wind in the trees.” Following this announcement, Hutton observes how the wind touches the light in the leaves of trees. Landscape (for Manon) is a sequence of moving landscape images. We see trees in the wind, sunrays that wander across the ground and tearing cloud covers. In doing so, we can actually feel how images are our opium. One has the feeling of a higher power, be it in the life of nature or in a religious interpretation. There are black frames between the breathtaking natural landscapes in Landscape (for Manon) ; one could speak of extended blinks, an eye-closure, sleep, a long twinkle and digest the pictures. At the end them a long double exposure. The head of a sleeping child (Hutton’s daughter) and behind it a play of shadows and light, as if this game were taking place in the young girl’s head. But the black frames could also stand for sleep and the images of the landscape itself for the intermittent awakening. Then the dream would be the opposite of the picture, but equal to the cut. This idea is not so far removed from the cinema, because the cut first lifts the pictures to other levels, is able to remove the causality quite casually and fluently. Two pictures make us dream; one lets us see. But a film is always at the same time seeing and dreaming. Perhaps the ideal viewer for Hutton is a dreaming child in the shadow and light of the world; perhaps you have to go to the cinema as if you were falling asleep on a warm summer day at the edge of the forest to wake up and see the trees in the wind, frightened by her beauty. - Patrick Holzapfel

회고전 EX-Retro

풍경(마농을 위하여)


EXiS 2017

로지 심포니 Lodz Symphony

USA / 1993 / B&W / Silent / 20min / 16mm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60

이 작품은 슬픈 기억이 시간이동 속에서 존재하는 폴란드의 도시 로지의 초상이다. 허튼은 19세기 공업의 분위기에서 폴란드의 비극적 과거의 유령들이 거주하는 공허한 세계를 창조한다. 이 작품은 작가가 베를린을 방문한 이후 만든 것이다. 냉전은 그에게 금지된 욕망의 시대이자, 다른 시대의 얼어붙은 풍경 속을 배회하며 추상적인 위협에 노출된 그러한 시기였다. 그 시대는 신나고도 신비로운 시대였다. 작가는 마치 죽은 역사를 훔치는 스파이처럼 촬영을 하였다. 동구권 국가들에서 그는 실제로 경찰의 제지를 받고 심문을 받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는 이런 일은 80년대의 무정부적 분위기와 경찰국가 하에서 산다는 느낌에도 불구하고 서베를린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회상한다.

- 피터 허튼, thislongcentury

A portrait of Lodz, Poland that exists in a timewarp of sad memory. Hutton creates an empty world evoking the 19th century industrial atmosphere that is populated with the ghosts of Poland’s tragic past. In the years following my Berlin adventure I made films in Hungary (MEMORIES OF A CITY ) and Poland (LODZ SYMPHONY ). The Cold War was for me a time of forbidden pleasures, a time to wander across a landscape frozen in another era and fraught with abstract danger. It was exciting and mysterious. I became a peripatetic spy stealing dead history with my Bolex. In the Eastern Bloc countries I traveled to and filmed, I was frequently stopped by police and questioned. This never happened in West Berlin, despite all the anarchy of the 80’s and the feeling of living in a police state. - Peter Hutton, thislongcentury


Time and Tide

USA / 2000 / Color, B&W / Silent / 35min / 16mm

피터 허튼 Peter Hutton

- 마이클 시킨스키, 시네마 스코프

161

이 작품은 허튼의 첫 번째 컬러 영화다. 여기서 우리는 선원의 관점에서 생계를 위해 항해를 하는 시점에서 허드슨강을 보게된다. 우리는 거기서 얼음이 떠다니는 물을 가로지르고 항해하는 선박 전체를 보게 된다. 허튼은 마치 지퍼처럼 배가 지나간 다음에 갈라진 틈을 다시 메우는 얼음을 보여준다. 그렇게 우리는 배의 다양한 부분들과 강의 다양한 부분들을 배로부터 보게 된다. 이 작품에서 대부분의 장면은 선박에 난 창을 통해서 보여진다. 이 창은 단지 사각형 필름 이미지에 원형의 틀을 부여하는데 그치지 않고 허튼의 색채 팔레트로도 기능한다. 영화가 진행되면서 겨울은 끝이 나고 해안선에는 나무와 공장이 보인다. 이 작품은 의외로 «허드슨을 따라서»라는 제목의 빌리 빗처의 1903년 푸티지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인 켄 제이콥스나 어니 기어의 작품에서 봤음직한 것이다. 그러나 허튼의 선택은 무성의 초기 영화, 특히 그리피스 이전의 영화에 대한 신념을 보여준다. 당시에는 편집이 지속적인 관심사가 아니었다. 대신에 하나의 릴에서 다음 릴로의 연결이 중요했다. 허튼이 장면들을 배치하는 방식에 이와 유사하다. 블랙 리더로 간격이 표시된 장면들은 어떤 목표를 지향하지 않는다. 단지 ‘표류’와 ‘취지’라는 두 가지 의미에서의 기류drift만이 존재한다.

Time and Tide (2000) is Hutton’s first colour film. In it, we see the Hudson River chief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fessional seafarers who navigate the Hudson for their livelihood. We see an extended shot from the bow of the ship, down at the frozen water, ice chunks broken like massive panes of glass as the freighter breaks its way through the surface. We then see the ship go by in its entirety, cutting through the icy water, along with the centre of the screen from bottom to top. Hutton shows us the gap in the ice healing itself after the ship passes through, as if the river were zipping itself up. From there, we explore various parts of the ship and those parts of the Hudson we can see from the ship. Much of Time and Tide is observed through portholes, not only providing a circular cast to the usual rectangular film image but also making Hutton’s maritime colour palette—blue-gray, iron black, the occasional stripe of red paint across a vessel’s hull—seem all the more vibrant against the dark, round frame of reference. Over the course of the film winter ends and along the journey we see the shoreline cradled in dense forest and various factories. Uncharacteristically, Time and Tide begins with found footage, specifically a 1903 Billy Bitzer reel called Down the Hudson. This is a gesture we would expect more from Ken Jacobs or Ernie Gehr. But Hutton’s choice does indicate a certain fealty to early cinema with its silence, of course, but also its pre-Griffith organization. Editing was not a going concern; instead there was concatenation, one reel after another, side by side but not inexorably connected. This is a way to think about Hutton’s arrangement of shots usually separated by brief intervals of black leader. There is no argumentation, no build within Hutton’s cinema. There is only drift, in both the denotative sense (slow, floating movement) and the colloquial one (a general idea or shared orientation about what the film is, without absolute specifics…we “catch Hutton’s drift”) - Michael Sicinski, Cinema Scope

회고전 EX-Retro

시간과 물결


EXiS 2017

지연된 믿음: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Curated by 스티브 폴타 Steve Polta

162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2시 (80min) SUN, July 16, 2017 at 2:00pm @ Korean Film Archive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2시 (80min) SUN, July 16, 2017 at 2:00pm @ Korean Film Archive

미국의 지형적인 경계에서의 불안정한 위치에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몽상가, 예술가, 활동가 그리고 실험적인 삶의 양식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고향과도 같은 곳이었다. 머이브리지의 사진적 실험으로 미디어의 역사를 거슬러 추적해 본다면, 이 지역은 놀랄만큼 강렬한 필름/비디오 역사를 자랑한다. 말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게 전개되어온 미디어의 역사는 이 지역의 풍부한 대안적 문화와 그 궤를 함께 하는데 짧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이를 요약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지연된 믿음이라는 제목의 이 프로그램은 이 지역의 필름을 소개하는 미시적 도입부 역할을 하기 위해 동시대 작품 뿐만 아니라 미국 풍경의 북부 해안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역사적 선구자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브루스 베일리의 고전인 1966년

«내 인생의 모든 것»으로 시작해 이 프로그램은

영화적 표현의 도구로써 직접적인 물리적 개입의 반영으로 부터 삶의 짧은 환희와 시대의 고통을 동시대의 반-언어적 탐색을 통한 자기 반영과 친밀감으로 드러내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오레곤의 소년의 캠프를 인상주의적 관점으로 그린 윌 힌들의

«빌라봉»(1966), 건바 넬슨의 빛나는 콜라주 작품 «필드 스터디 #2»(1988)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골든 게이트 공원에서 촬영한 후 재촬영과 핸드 프로세싱으로 일상성에 대한 사진화학적 연구를 한 켄 폴 로젠탈의 1996년 작품인 «스프링

플레이버»가 함께 소개된다. 더 최근 작품으로는

유려하고 친밀한 영화적 러브 레터인 칼리 스타크의

«연금술로 내 왕국의 모든 것을 금으로»(2014), J.M. 마르티네스의 수정처럼 맑은 숲속에 대한 관찰이 담긴 «주기적 굴절»(2016), 인간의 형태와

With its precarious positioning at the tectonic edge of the U.S., the San Francisco Bay Area has long been home to dreamers, artists, activists and lifestyle experimenters. With a media history tracing back to the photographic experiments of Muybridge, the region boasts an incredibly vibrant film /video history, one which takes many forking paths and which parallels the rich countercultural currents of the region and which is impossible to summarize in a single short program. Suspended Belief —presented as a microscopic intro to films of the region—is a selection of contemporary films and historic antecedents which reflect not only strong engagements with the northern coastal American landscape. Opening with Bruce Baillie’s 1966 classic All My Life , the films on this program also reflect direct physical engagement with the tools of cinematic expression and turn toward intimacy and introspection as temporary anti-linguistic explorations as temporary tonic to troubled times. Also screening: Will Hindle’s Billabong (1966), an impressionistic view of a Oregon boy’s camp; Gunvor Nelson’s luminous animated collage, Field Study #2 (1988); Ken Paul Rosenthal’s 1996 work Spring Flavor , a study in handprocessing, re-photography and natural dyes, filmed in San Francisco’s Golden Gate Park. More recent films include Karly Stark’s luxuriously intimate cinematic love letter I Am Delighted By Your Alchemy, Turning Everything in My Kingdom to Gold (2014); J.M. Martinéz’ crystalline forest view Cyclical Refractions (2016); Malic Amalya’s Roadsides & Waste Grounds (2012), in which human forms and insects merge with ephemeral landscape and Vanessa O’Neill’s two-projector


«길가와 매립지»(2012) 그리고 바네사 오닐의 두 대의 영사기로 바라 본 바다의 이미지 «서스펜션»(2012), 그리고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할 작품 중의 하나인 나다니엘 도어스키의 «17가지 이유»(1987)는 에너지 장으로서 영사 화면의 압도적 움직임이 “가르지 않은"

view of the sea , Suspension (2012). NOT TO BE MISSED: screening also includes Nathaniel Dorsky’s 17 Reasons Why (1987), a tour-de-force in “unslit” 8mm camerawork and an overwhelming activation of projection screen as energy field.

회고전 EX-Retro

곤충이 일시적 풍경으로 소환되는 말릭 아말야의

8mm 필름으로 드러나는 역작이라 할 수 있다.

163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EXiS 2017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는 브루스 베일리, 칙 스트랜드와 같은 젊은 이상주의자 영화감독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만들어진 영화를 소개하는 일상적 쇼케이스로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는 특별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형식으로 독립 영화를 소개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캐년 시네마는 비영리 영화 배급사로 설립되어 시네마테크와 함께하면서 더욱 방대한 전시 프로그램을 소개해왔다. 캐년시네마에 새롭게 구축된 실험영화 컬렉션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행적적 기반은 시네마테크로 하여금 전시 프로그램 기획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했으며, 상영 프로그램은 지역의 여러 예술, 교육 기관과 협력하에 안정된 공간에서 소개된다.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는 1970년대 부터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과 오랜 관계를 맺어왔다. 학교측은 전문적 영사가 가능한 공간과 기술적 지원을

164

제공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시네마테크는 실험영화가 대중적으로 인식되는 적절한 시기에 전시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기술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영화 예술을 위한 파운데이션은 공익법인 형태의 비영리 기관 ) 501(c)31 으로 설립되어, 시네마테크를 포함하여

샌프란시스코의 영화 예술단체 의 상부 조직체 역할을 하고 있다. 파운데이션의 비영리적 위치는 정부 기금과 사적 지원을 가득하게 했으며, 새로운 지원 체계는 안정된 인력구성으로 더욱 활발한 프로그램을 할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작가들에게도 적절한 보상을 가능하게 했다.

1982년 스티브 앵커는 프로그램 디렉터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1년 후 데이비드 거스타인은이 관리 책임자로 함께 했다. 이어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주요한 평가가 뒤따랐으며,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는 일차원적 아방가르드 영화 쇼케이스를 문화적 공동체의 다양화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변화된 조직체로서

1) 주주가 없는 종교, 교육, 사회, 자선 등을 목적으로하는 캘리포니아 비영리 단체는 해당 지역의 법인법에 따라야 하는데 종교법인과 교육, 사회, 자선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 IRS 501(c)3과 사회복지를 추구하는 비영리 단체인 공익법인 501(c)4로 구분

San Francisco Cinematheque San Francisco Cinematheque was founded by a group of young, idealistic filmmakers that included Bruce Baillie and Chick Strand. As an informal showcase for films made by Bay Area artists, SF Cinematheque was then, and remains today, a pioneer in the presentation of independent film as a unique art form. Canyon Cinema, established as a not-for-profit film distributor, joined with Cinematheque to develop a more extensive exhibition program. Canyon’s newly formed collection of experimental films and its administrative base enabled Cinematheque to expand the scope of its exhibition program. Films were shown in more established host locations, such as Glide Fellowship Hall, Intersection for the Arts, Mills College in Oakland and Sonoma State University. San Francisco Cinematheque began its long standing relationship with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in 1970. This gave Cinematheque a readily accessible space with professional quality film projection, which improved technical capabilities and increased exhibition possibilities at precisely the time when experimental film was coming into the public’s general awareness. Foundation For Art in Cinema , established as a 501(c)(3) non-profit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advancement of film art, acted as an umbrella for San Francisco Cinematheque and its newsletter, Cinemanews. The Foundation’s non-profit status made it eligible for government grants and private support. New funding sources allowed for a more active program with paid staff and more generous payments to artists. In 1982, Steve Anker was hired as program director, and a year later David Gerstein joined as administrative director. Following a major evaluation of its program activities, San Francisco Cinematheque began a long-range campaign that transformed it from a one-dimensional showcase of avant-garde film into a multifaceted organization that could meet the changing needs of our cultural community. The addition of a third night of screenings (at the New College Gallery and then


컬리지 갤러리와 아이 갤러리에서의 3일 밤의 상영회에 시네마테크는 비디오, 퍼포먼스, 설치를 전체 스케줄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할애하였다.

1993년 시네마테크는 두 번째 안착지인 예르바 부에나 예술 센터로 옮겼다. 상영회는 일요일엔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에서 목요일엔 예술 센터에서 정기적으로 일주일에 두 번 진행되었다. 거의 50년간의 상영회를 통해 시네마테크는 매년 50여개 프로그램을 샌프란시스코의 다양한 기관에서 진행했으며, 베이 지역에 걸친 다른 기관과 공동으로 수 많은 행사에 참여해왔다. 1961년 설립이후,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테크는 전세계에서 실험영화를 소개하는 가장 권위있는 단체가 되었으며, 우리의 의도는 전시와 출판 그리고 교육과 같은 3가지 분야의 주요한 활동을 통해 더 넓은 문화적 지형의 일부로 실험영화가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장편과 다큐멘터리를 소개하고 다른 지역과 국제적 쇼케이스에서 필름 & 비디오 발표회를 개최하기위해 노력한다. 필름 & 비디오 아트 분야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 시네마테크는 강연과 공개적 포럼, 회고전, 패널 토론회, 아카이브 서비스와 외부 방문 큐레이터와 비평가를 위한 자료와 프로그램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가 진행하는 연례 프로그램과 출판 프로젝트를 널리 알리기 위해 특별 프로젝트를 기획하기도 하는데, 과거 뉴욕현대미술관에서

2000년에 개최된 50여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미국 8mm 영화의 역사에 관한 회고전이 대표적으로 이러한 사례에 해당된다.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국내외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작품과 예술가들이 만든

165

우리는 매년 35-50여개의 다른 프로그램 통해 작가 초대 행사와 동시대 실험영화 상영,

at Eye Gallery) allowed Cinematheque to incorporate video,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as a significant portions of its overall schedule. In 1993, Cinematheque moved to its second home, Yerba Buena Center for the Arts. Screenings were regularly held twice a week on Sundays at San Francisco Art Institute and Thursdays at the Center for the Arts. Nearing its fiftieth year of screenings, Cinematheque continues to produce roughly 50 programs annually at various venues in San Francisco and participates in numerous co-presentations with other organizations throughout the Bay Area . Since its founding in 1961, San Francisco Cinematheque has become one of the most knowledgeable and respected showcases of experimental film and video in the world. Our intention is to make these works a part of the larger cultural landscape through three main areas of activity: exhibition, publication and education. We present 35–50 different programs every year, including: in-person presentations, contemporary experiments in film and video, historical works from international and American cinema , artist-made features and documentaries, development of film and video presentations for other national and international showcase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es of film and video art, we also offer: lectures and public forums, retrospectives, panel discussions, archival services, a publication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isiting curators and critics. Complimenting our regular calendar of programs and publications, San Francisco Cinematheque continues to produce special projects. Past examples include the 50 program retrospective of Big As Life: An American History of 8mm Films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회고전 EX-Retro

변화하기 위한 오랜 기간의 활동을 시작했다. 뉴


EXiS 2017

주기적 굴절 Cyclical Refractions

J.M. 마르티네스 J.M. Martinez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USA / 2016 / Color / Stereo / 3min / HD

실재의 영역들은 충돌한다. 자연은 논리와 과학으로 구조화되지만, 인간사는 이야기와 서사로 구성된다. 갈라진 덮개의 틈 사이로 낮은 소리를 내는 나무들의 코러스가 손짓을 하며, 빛은 입구로부터 굴절되어 나온다. 눈 앞에 펼쳐지는 신비롭고 역동적인 이미지는 마르티네즈가 이색성(다이크로익) 프리즘과 파편들로 만든 수제 렌즈로 후반작업을 거치지 않고 오직 카메라로만 촬영한 것이다. 사운드는 현장에서 컨택 마이크(주로 사물의 표면에 부착해 소리를 기록하는 초소형 마이크)를 나무의 몸통 혹은 구멍에 부착해 녹음했다.

166 J.M. 마르티네즈 J.M. 마르티네스는 산타 크루즈 마운틴스에 거주하는 멀티미디어 작가다.

J.M. Martínez J.M. Martínez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the Santa Cruz Mountains.

Spheres of reality in conflict. Nature being structured in the mode of logic and science, human affairs in the mode of story and narrative. Branching out through the forking canopy a chorus of groaning trees beckons and the light refracts illuminating portals for one to enter. Imagery was achieved in camera and in real-time with a homemade lens made from Dichroic prisms and shards. Sound was recorded on site with contact microphones attached directly to the trees or placed inside existing holes within the trunk.


Roadsides and Waste Grounds

A field guide from the Oakland Hills, with Rachel Zingoni.

회고전 EX-Retro

길가와 매립지

말릭 아말야 Malic Amalya

USA / 2012 / Color / Stereo / 2min / HD

이 작품의 오클랜드 힐즈의 휴대용 도감이다.

말릭 아말야 말릭 아말야는 무빙 이미지 작가로 아방가르드 영화 전통과 퀴어 코어의 DIY 공동체, 그리고 페미니즘 및 비판 인종이론의 교차지점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주로 16mm 영화와 로우파이 비디오 작업을 하고 있으며, 소외의 정치적 함의와 정서적 충격을 동시에 다룬다.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CA)과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에서 비디오 제작을 가르치고 있다.

167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Malic Amalya Malic Amalya is a moving-image artist working at the cross sections of avantgarde cinema traditions, queercore DIY communities, and feminist and critical race theories. Working in 16mm film and lo-fi video, Malic’s work traverses the political implications and emotional impact of estrangement. Malic currently teaches video production at the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 (CCA) and in the Public Education Department at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SFAI). He holds an MFA from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and an MA in History and Theory of Contemporary Art from SFAI. Originally from Vermont, Malic lives in Oakland, California with his partner Nathan Hill.


EXiS 2017

연금술로 내 왕국의 모든 것을 금으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I Am Delighted By Your Alchemy, Turning Everything in My Kingdom to Gold 칼리 스타크 Karly Stark

USA / 2014 / B&W / Optical / 5min 40sec 16mm on HD

“내가 당신에게 우주는 우리 가까이 있는 어떤 것들의 총체라고 말한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제 나는 내가 그 주위를 공전하는 것처럼 느낀다.” 이 작품은 성관계의 기억, 특히 사람들이 168

기억하고자 하는 것과 망각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서 이 기억을 탐구한다. 이 작품은 작가의 과거 기억에 대한 친밀한 초상으로써, 섹스와 기억의 관념을 뒤틀고 작가와 소재의 경계를 흐리게 만드는 중첩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칼리 스타크 칼리 스타크는 실험영화작가이자 큐레이터이며, 교육자로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거주하고 있다. 샌프랜시스코 주립대에서 영화를 전공하였고,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학부에서 영화학을 전공하였다. 그녀의 작품들은 시, 서정시, 수필, 그리고 다이어리 필름의 여러 측면을 결합하여 성소수자의 관점에서 인간 경험과 기억을 들여다보는 영화적 실험의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Karly Stark Karly Stark is an experimental filmmaker, curator, and educator based in Oakland, CA. She holds an MFA in Cinema from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nd a BA in Film Studies from UC Berkeley. She currently works as the Program Director of The Great Wall of Oakland, a Lecturer in the School of Cinema at SFSU, and a Preservation/Digitization Assistant at the Media Resources Center at UC Berkeley. Her creative work focuses on experimental modes of cinema, incorporating aspects of poetry, lyrical, essay, and diary film forms that explore human experience and memory through a queer lens.

“I remember I told you that the universe looks like a whole lot of something up close, but now I feel like I am orbiting around it.” I Am Delighted By Your Alchemy explores the memory of a sexual relationship, revealing what one remembers and what one is trying to forget. The film is an intimate portrait of the filmmaker’s past relationship, using superimposition to queer the notion of sex and memory, as well as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the filmmaker and the subject.


Suspension

Vanessa O’Neill’s sublime Suspension uses rephotography, tinting and superimposition to turn a westward view of the Pacific Ocean into a sublime interplay of waves, light and grain. - Early Monthly Segment, Toronto

회고전 EX-Retro

서스펜션

바네사 오닐 Vanessa O’Neill

USA / 2008 / Color / Silent / 10min 16mm dual projection

이 작품은 재촬영과 채색, 그리고 중첩의 방식을 사용하여 태평양의 광경을 파도와 빛, 그리고 그레인의 숭고한 상호작용으로 바꿔놓는다.

- 얼리 먼슬리 세그먼트. 토론토

바네사 오닐

Vanessa O’Neill Vanessa O’Neill studied at the School of the Museum of Fine Arts in Boston. As well as making films, she draws and paints. She produced short films such as Untitled (1995), On Entering (1997), Closing In (1999), Silence (2001) etc.

169

바네사 오닐은 보스턴의 미술박물관 학교에서 공부하였다. 그녀는 영화뿐만 아니라 드로잉과 회화작업도 하고 있다. 그녀는 «무제»(1995), «들어서기»(1997), «접근하기»(1999), «침묵»(2001) 등의 단편 영화를 제작하였다.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EXiS 2017

내 인생의 모든 것 All My Life

브루스 베일리 Bruce Bailli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USA / 1966 / Color / Optical / 3min / 16mm

170

베일리는 반영적 자아를 억제하고 적어도 잠정적으로는 깊은 공간과 해석의 여지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자연적 대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다. 정확히 사운드 트랙이 흘러나오는 동안 지속되는 카메라가 움직이는, 단 하나의 테이크로 구성된 이 작품은 미국 한 도시의 소박하면서 아름다운 풍경을 담아낸다. 울타리 주위에 나란히 따스한 일광을 받고 있는 정원의 나무와 꽃의 이미지를 단순한 패닝과 틸팅의 가장 단순한 카메라 워크의 조합을 이용해 담담히 한 방향으로 카메라를 천천히 훑어간다. 한편 사운드 트랙에서 흘러나오는 엘라 피츠제럴드의 내 인생의 모든 것은 영화의 형식을 뒷받침하면서 푸근하게 화면을 압도해 나간다.

- EXiS 2006 카탈로그 캘리포니아, 카스파르. 오래된 펜스의 붉은 장미. 이런 몇 가지 사물에 서서히 움직이는 카메라 움직임과 엘라 피츠제럴드의 목소리가 «내 인생의 모든 것»의 전부다. 이 작품은 아피차퐁 위라세타쿤과 수많은 영화감독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 레드캣

브루스 베일리 브루스 베일리는 1931년에 사우스 다코타에서 태어난 미국 영화작가로 샌프란시스코 캐년 시네마의 창설 멤버이기도 하다. 1961년에 베일리는 동료들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시네마텍을 설립하였다. 그의 작품들에는 «퀵 빌리», «파르시팔에게», «다코타 수족을 위한 예배», «카스트로 스트리트» 등이 있으며, 다수의 장편 영화가 있다. 1991년에 미국영화협회가 선정한 마야 데렌 독립영화 및 비디오아트상 수상자였으며, 1992년에는 «카스트로 스트리트»가 미국국립영화등재부가 선정하는 보존 작품에 포함되었다. 2012년에는 그의 작품과 캐년 시네마의 아카이브가 스탠포드 대학으로 이전되기도 하였다.

Bruce Baillie Bruce Baillie (born in 1931, Aberdeen, South Dakota) is an American cinematic artist and founding member of Canyon Cinema in San Francisco. In 1961, Baillie, along with friend and fellow cinematic artist Chick Strand, among others, founded San Francisco Cinematheque. His body of cinematic work includes such as Quick Billy, To Parsifal, Mass for the Dakota Sioux, Castro Street, and the motion pictures Valentin de las Sierras , Roslyn Romance , and Tung , among many others. In 1991 he was the recipient of AFI’s Maya Deren Independent Film and Video Artists Award. His film Castro Street (1966) was selected in 1992 for preservation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Film Registry. In 2012, Stanford University acquired Baillie’s archives and the archives of Canyon Cinema. The Academy Film Archive has preserved a number of Bruce Baillie’s films, including Castro Street, Still Life, Cherry Yogurt, and Little Girl.

This film consists of one take, one shot and captures a cozy and beautiful image of a small in the United States. The images of the flowers around the fence are panned and titled. The song of Ella Fitzerald All My Life dominates over the whole film as if it shapes the formal structure of it. - EXiS2006, Festival Catalogue Caspar, California. Old fence with red roses. These few things, a gradual pan and the voice of Ella Fitzgerald make All My Life , a major inspiration for Apichatpong Weerasethakul and numerous other filmmakers. - Redcat


회고전 EX-Retro

171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EXiS 2017

빌라봉 Billabong

윌 힌들 Will Hindl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USA / 1969 / Color / Optical / 9min / 16mm

172

힌들의 1968년작 «빌라봉»은 오버하우젠의 주요 수상작이며 로버트 플래허티 영화 세미나에서 처음으로 상영된 작품이다. 오레곤의 소년 캠프에 대한 상당히 친밀하며 때때로 명확하게 에로틱한 연구인 이 작품은 소외된 청년들과의 심미적이고 인간주의적인 조우로써, 이를 작가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외로움과 다른 장소에 대한 갈망이 거친 몸싸움 장난과 성적 흥분과 교차되며, 변기와 당구대 근처에서 장난은 자위행위의 황홀경에서 극에 달한다. 이 작품에서는 스틸 사진가로서 힌들, 그리고 자신의 작업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의 시각적 잠재성에 세심하게 주목하는 힌들의 협업이 돋보인다.

- 척 스테픈, 시네마스코프

윌 힌들 윌 힌들은 1960년대 샌프란시스코 영화 씬에서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는 간과되어온 작가로 기술적 천재성과 사이키델릭한 분위기로 동료들과 동시대인들로부터 전설적인 존재로 인정받았다. 루이지애나 출신으로 그는 공군에서 복무했으며,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터로 일하는 와중에 브루스 베일리의 캐년 시네마와의 관련맺기 시작하였다. 힌들을 이름을 알린 작품인 «중국식 화재대피 훈련»은 시내의 창고를 스튜디오 삼아서 촬영되었고, 힌들 자신은 털이 많고 움울한 신체를 이 영화에서 드러낸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이 디자인한 홈메이드 16mm 옵티컬 프린터로 편집되었다. «중국식 화재대피 훈련»에서 형태와 색채의 폭풍이 몰아쳤다면, «빌리봉»은 작은 숙소에서의 성적 긴장감을 담고 있는데, 오레건 소재의 정부후원의 기숙사에 살고 있는 십대 소년들의 모노크롬 푸티지가 사용되었다.

Will Hindle A prominent if now somewhat overlooked figure of the fertile 60s San Francisco film scene, Will Hindle(1929-1987) became legendary among his contemporaries for both the technical ingenuity of his films as well as their richly sensuous psychedelism. Born in Shreveport, Louisiana, he had already served two Air Force tours and worked as an animator for Walt Disney by the time he fell into the circle of artists surrounding Bruce Baillie’s Canyon Cinema. Hindle himself appears as the hirsute, brooding body at the center of his breakout film Chinese Fire-drill , which was shot using a downtown warehouse as its studio set and virtuosically edited with a homemade 16mm optical printer of the filmmaker’s own design. While Chinese Firedrill unleashes a stormy blaze of shapes and colors, Billabong chronicles another kind of sexual tension in close quarters, this time through monochrome footage of teenage boys living in a government-funded Jobs Corps dormitory in Oregon. Joking and wrestling, the young men’s figures flow freely between abstraction and legibility through Hindle’s dextrous shifts in contrast, and their horseplay is accented by a nearly subliminal onanistic insert.

Hindle’s 1968 Billabong , a main prizewinner at Oberhausen that premiered at the Robert Flaherty Film Seminar. A remarkably intimate and at times palpably erotic study of boys in a Job Corps camp on the Oregon coast, Billabong is a sensuously humanist encounter with alienated youth, told in the filmmaker’s trademark undulating lap dissolves and scintillatingly grainy high contrasts. Loneliness and longing-for-elsewhere alternate with horseplay and horniness, and hijinks around urinals and pool tables culminate in an ecstatic moment of onanistic release. Hindle as a documentary photographer, and Hindle’s exacting attention to his image’s graphic potentialities during the editing of his work, here activated as a diagonal wipe from low to high contrast that matches the momentum and trajectory of the boy in the white T-shirt. - Chuck Stephens, Cinemascope


Field Study #2

건바 넬슨 Gunvor Nelson

USA / 1988 / Color / Optical / 25min / 16mm

Another collage film. Part of the on-going series of Field Studies (which includes FRAME LINE, LIGHT YEARS , and LIGHT YEARS EXPANDING ) combining live action with animation. Superimpositions of dark pourings are perceived through the film. Suddenly a bright color runs across the picture and delicate drawings flutter past. Grunts from animals are heard.

회고전 EX-Retro

필드 스터디 #2

작가의 콜라주 작품들 중 하나다. «필드 스터디» 연작의 일부로서 라이브 액션과 애니메이션을 결합시키고 있다. 작품 내내 어두운 호우의 중첩을 느낄 수 있다. 그러다 갑자기 밝은 빛이 영상을 가로지르면서 섬세한 드로잉이 펄럭인다. 동물의 소리가 들린다.

173

건바 넬슨은 1931년 스웨덴 스톡홀름 출생으로 스웨덴 영화감독이자 촬영감독이며 작가로 현재 스웨덴에 거주하고 있다. 그녀는 1960년대부터 실험영화작가로 활동하였다.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들은 1960년대 중반과 1970년대 초반 그녀가 베이 에어리어 지역에서 거주할 때 만든 것들이다. 그녀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밀스 컬리지에서 석사를 받았고,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샌프란시스코예술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녀의 작품들은 어린시절과 기억, 집과 고향, 이주, 노화, 죽음, 그리고 자연의 힘, 특히 여성의 아름다움과 권능이 함께 얽혀있는 그것에 초점을 맞춘다. 그녀의 편집기법은 그녀의 작품의 꿈속같은 이미지들, 언어와 음향이 무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주로 “개인적"이지, “실험적”이거나 “아방가르드"적이지는 않다.

Gunvor Nelson Gunvor Nelson (born in 1931 in Stockholm, Sweden) is a Swedish director, cinematographer and writer who is currently residing in Kristinehamn, Sweden. She has worked since the 1960s as an experimental filmmaker. Her mostly well-known works date from when she lived in the Bay Area in the mid-1960s and early 1970s. Nelson received a Master of Arts degree from Mills College in Oakland, California. She taught at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from 1970 to 1992 and then moved to Sweden in 1993. She spent a year at the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from 1969 to 1970 and a semester at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in 1987. In her work Nelson focuses on themes of childhood, memory, home/homeland, displacement, aging, death and the force of nature — usually interlacing female beauty and power. Her editing is remarkable for its dreamlike imagery and her close attention to the effects of language and sound on moving images, serving to improve the aesthetic of her experimental works. Many of Nelson’s films are seen as being “personal” rather than “experimental” or “avant-garde”.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건바 넬슨


EXiS 2017

스프링 플레이버 Spring Flavor

켄 폴 로젠탈 Ken Paul Rosenthal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USA / 1996 / Color / Silent / 3min / 16mm

174

갈대밭 한가운데에 배경엔 불타는 태양이 있고 우리는 높고 복잡한 구조물들에서 발산되는, 자연의 풍요로움을 나타내는 노란색, 녹색, 주황색, 청색, 그리고 적색의 형태를 보게 된다. 이미지가 추상화되고, 스프라켓 구멍으로 가득찬, 필름의 무한정 미를 표현하는 매체 자체는 자기반영적이 됨에 따라 시각적 욕구는 흔들리게 된다. 이 작품은 자연과 매체를 작가가 동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다. 약간 원형을 띤 구조는 영화의 음영과 봄의 재생으로부터 부활이 발견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작품은 우리의 내면 세계의 미묘한 아름다움에 다시 불을 붙이고 이를 흡수해서 외면 세계로 표현한다.

- 매트 보울러

켄 폴 로젠탈 켄 폴 로젠탈 독립영화감독이며 사진가이자 교육자이다. 그의 최근작은 자연의 재생능력, 도시경관, 홈 무비, 그리고 사회위생에 관한 아카이브 푸티지 등으로부터 광기의 지리를 탐구한다. 그는 코닥 영화상을 비롯한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정신건강 운동 분야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 그는 또한 영화 교육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의 시적 다큐멘터리 연작인 «매드 댄스: 정신건강 삼부작»은 오늘날의 혼돈스러운 세계에서 우리가 정신적 괴로움과 건강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며, 느끼는 방식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변혁적 영화들은 통찰력과, 치유, 그리고 희망의 관점에서 광기의 세계를 항해하기 위한 새로운 지도를 제공한다. 오늘날까지 이 영화들은 모두 18개의 상을 받았으며, 59개 영화제에서 상영된 바 있다.

Ken Paul Rosenthal Ken Paul Rosenthal is an independent filmmaker, photographer and educator. His current work explores the geography of madness through the regenerative power of nature, urban landscapes, home movies, and archival footage from social hygiene films. He is the recipient of a Kodak Cinematography Award, numerous festival awards, and is recognized for his media work in mental health advocacy. He holds an MA in Creative & Interdisciplinary Arts, an MFA in Cinema Production, and has taught film as a means of cultivating personal vision in workshops and universities in North America and abroad. Ken’s poetic documentary project, Mad Dance: A Mental Health Film Trilogy , re-envisions the way we think, speak and feel about mental distress and wellness in today’s chaotic world. These transformative films offer new maps for navigating madness with insight, healing and hope. To date, these films have collectively won 18 awards, screened at 59 film festivals, and been presented in person at dozens of peer support networks, universities, mental health symposia and community events worldwide.

Deep in the reeds with a burning sun backdrop, we are thrust with yellows, greens, oranges, blues, and reds amidst the towering and complex structures, expressing the vast richness of nature. The visual appetite rumbles as the images becomes increasingly abstract and self-reflecting on the medium, filled with grainy sprocket holes, expressing the endless beauty of film. The piece connects nature and the medium through the various processes of the filmmaker, creating harmony through texture and color. A slightly circular structure suggests that rebirth is found through film’s magnificent shades and spring’s renaissance; a sense of rekindling and absorbing the beauty of nuance from our inner world to the outer. The piece celebrates and emits lusciously organic connections that stem from a vivid divinity called Spring Flavor. - Matt Bowler


17 Reasons Why

나다니엘 도어스키 Nathaniel Dorsky

USA / 1987 / B&W / Silent / 19min / 16mm

이 작품은 다양한 구식 8mm 카메라로 촬영되었고, 16mm로 영사된다. 이 소형의 구식 카메라를 가지고 돌아다니면 거의 “들키지 않고” 그때그때 즉각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매체로 사용할 수 있다. 네 가지 이미지 포맷은 각각의 고유의 대위법적 공진, 아이러니, 그리고 미를 갖고 있고, 필름 프레임 자체에 대한 꾸밈없는 시선을 가능하게 해준다. 빛나는 코닥 크롬의 단순하고 원시적인 즐거움,

17 REASONS WHY was photographed with a variety of semi-ancient regular 8 cameras and is projected unslit as 16mm. These pocket-sized relics enabled me to walk around virtually “unseen”, exploring and improvising with the immediacy of a more spontaneous medium. The four image format has built-in contrapuntal resonances, ironies, and beauty, and in each case gives us an unpretentious look at the film frame itself ... the simple and primordial delight of luminous Kodachrome and rich black and white chugging thru these timeworn gates.

회고전 EX-Retro

17가지 이유

그리고 낡은 관문을 통해 보이는 풍부한 흑백 이미지의 미세한 떨림을 느낄 수 있다. 175

1960년대 초 이후 나다니엘 도어스키는 신비함을 너머의 것에 대한 깊은 사색을 통해 감각적 세상에 대한 경애감을 드러내는 놀랄만큼 아름다운 영화를 만들어 왔다. 큐레이터인 스티브 폴타는 “빛, 풍경, 시간 그리고 의식의 변화에 관한 명상과 반성의 순간”으로 그의 작품에 대해 썼다.

Nathaniel Dorsky Since the early 1960s, Nathaniel Dorsky has been making extraordinarily beautiful films that blend a reverence for the sensual world with a deep contemplation of the mysteries beyond. They are “occasions for reflection and meditation on light, landscape, time, and the motions of consciousness”, writes curator Steve Polta.

지연된 믿음 : 북부 캘리포니아의 9개의 필름 Suspended Belief: Nine Films from Northern California

나다니엘 도어스키


176


인디-비주얼 Indi-Visual

177


EXiS 2017

린다 라이 Linda C. H. LAI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19일(수) 오후 7시 (70min) / GV WED, July 19, 2017 at 7:00pm @ Korean Film Archive

린다 추-한 라이는 뉴욕대학에서 영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홍콩시립대학교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학부 조교수로 있다. 그녀는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큐레이터들이 모인 단체인 Writing Machine Collective 미디어

178

그룹을 설립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그녀의 작품은 여성주의적 감수성에 근거를 두고 비판 이론, 영화 이론, 시각 인류학 등 학제간 방법론을 다양하게 시도하면서 언어와 서서상에 대한 관심을 다양하게 표출해왔다. 최근에는 초기의 사적 에세이, 도시 연구를 넘어서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설치를 통해 영화 역사-이미지에 관한 작품으로 그녀의 관심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정치적 언어에 대한 감수성을 기반으로 미시적이고 메타적 서사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끊임 없이 해왔다. 그녀의 작품은 오버하우젠 단편영화제를 비롯하여 베를린, 비엔나, 파리, 함부르크, 서울 등 다양한 도시의 단편영화제에서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중국, 대만, 홍콩의 여러 뮤지엄과 미술관에서 영상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Lai Chiu-han Linda (黎肖嫻) holds a Ph.D. in Cinema Studies (NYU) and an M.A. in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Wheaton), after completing undergraduate studies in literature and fine arts. Lai is now an Associate Professor in Intermediate Art and Critical Theory and the Major Leader for the Bachelor of Arts program at the School of Creative Media at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She is a transdisciplinary artist, historian, writer and independent curator for contemporary and media arts. In the realm of videography, Lai considers herself a montage artist experimenting with collage and found footage. Her works tackle questions of micro and meta-narrativity, highlighting her sensitivity to language as politics.


Non Place · Other Space

HK / 2009 / Color / Stereo / 13min 45sec / HD

179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이 작품은 여러 해 동안 작가가 수행한 시각 민족지학 작업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 작업에서 작가는 도시를 걸어다니면서 사적인 비디오 다이어리를 만들었다. 이 작품은 1991년부터 2008년까지의 홍콩과 마카오의 도시 공간의 파편들을 결합한 것으로 단일한 틀로 구성된 담론 안에서의 다양한 시공간의 가능성에 대한 주장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사라짐과 등장, 보이는 것과 가려진 것 사이의 상태들을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걸어서 통과한다”는 것은 위태로운 경험이다. 한 순간 작가 자신은 보게 되고 비디오 카메라는 그를 대신해 기록한다. 다음 순간 카메라는 보면서 간직하게 되고 그는 발견하게 된다. 자동기계가 앞장선다. 작가가 겨우 감지하는 가상의 음향과 오랫동안 망각하고 있었던 목소리의 파편들은 모두 뒤섞여서 비장소의 장소없는 다른 공간을 이루게 된다. 장소들, 그리고 사라짐의 경험적 순간들은 기념비도 아니고 환상도 아닌 중간의 상태로서 귀환한다.

Non-place · Other Space is a compilation video work based on my many years of visual ethnography whereby I walked the city and collected images as a personal video diary. This work compiles fragments of the city space in Hong Kong and Macao (19912008) to assert the possibility of many spaces and temporal sheets in one single framed discourse. It attempts the states between disappearance and emerging, visible and concealed. “Walking through” is a precarious experience. One penetrates, dives into, emerges and immerses in… In one moment, I see, therefore the video camera records for me; in another moment, the camera sees and retains, then I discover. Automatism leads. Virtual sounds I barely grasp in my mind, and fragments of a voice I have long forgotten, all blended into the placeless other space of non-place. Places and lived moments of disappearance return as the in-between, neither monumental, nor illusionary.

인디- 비주얼 Indi-Visual

비-장소 • 다른 공간


EXiS 2017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이미지 Voice Seen, Images Hear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HK / 2009 / B&W, Color / Stereo / 28min 9sec / SD

180

그녀는 역사가이자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로서 어떤 역사가가 태어나고 자란 도시인 홍콩의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자기 대화를 시작한다. 시각와 음향의 이질적인 광산을 파내려가면서 그녀는 시각을 우세한 지식의 형태로 간주하는 시각적 인식론의 힘과 한계를 재검토한다. 그녀는 충분치 않은데다가 동질적인 시각 자료들을 통해 자신의 길을 힘겹게 뚫어나가면서 홍콩이라는 도시가 스스로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혹은 부동산 시장 덕분에 자신의 건축학적 통일성을 보존하기 위한 투쟁의 불안정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고 상상하게 된다. 그 결과 그녀는 과거로부터의 상실된 표면과 어두운 단편으로 구성된 시각 에세이를 재구축하게 된다. 그녀의 성찰은 시각과 소리 각각의 잠재적 의미를 개방한 채로 남겨둔다. 이 작품에 푸티지로 사용한 장편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Hong Kong Nights (E. Mason HOPPER, 1934 / USA) The Imp 凶榜 (aka Xiong bang; Dennis YU, 1981 / Hong Kong) Visible Secret 幽靈人間 (aka Youling renjian; Ann HUI, 2001 / Hong Kong) The Eye 見鬼 (aka Gin gwai; Oxide PANG, Danny PANY, 2002 / Hong Kong) Chungking Express 重慶森林 (WONG Kar-wai, 1994 / Hong Kong) All of a Sudden 驚變 (Herman YAU, 1996 / Hong Kong) Blossom in Rainy May 五月雨中花 (QIN Jian, 1960 / Hong Kong)

A historian, also an interdisciplinary artist, engages in a self-dialogue of how to write the history of her city, Hong Kong. Drilling the disparate mines of sights and sounds, she re-examines the power and limitation of ocular epistemology, which favors visual perception as the dominant form of knowing. As she ploughs her way through the scanty and homogenous visual documents available, she re-imagines a city that has a precarious history of struggling to hold onto its look or preserve its architectural integrity at the mercy of real estate development. In response, she re-constructs a visual essay that is also a collage of lost surfaces and shadowy fragments of past existence. Her meditation leaves open the potential meanings of each of the sight-and-sound fragments that seem to have spoken to her as she asks how feasible it is to access the past. Found feature-length motion pictures include: Hong Kong Nights (E. Mason HOPPER, 1934 / USA) The Imp 凶榜 (aka Xiong bang; Dennis YU, 1981 / Hong Kong) Visible Secret 幽靈人間 (aka Youling renjian; Ann HUI, 2001 / Hong Kong) The Eye 見鬼 (aka Gin gwai; Oxide PANG, Danny PANY, 2002 / Hong Kong) Chungking Express 重慶森林 (WONG Kar-wai, 1994 / Hong Kong) All of a Sudden 驚變 (Herman YAU, 1996 / Hong Kong) Blossom in Rainy May 五月雨中花 (QIN Jian, 1960 / Hong Kong)


Door Games Window Frames: Near Drama HK / 2012 / B&W / Stereo / 11min 35sec / SD

181

이 작품은 원래 196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홍콩 스릴러 영화와 멜로드라마에서 추출한 500여편의 시퀀스 데이터베이스를 기반해 개방된 형태의 생성적인 3채널 화면으로 구성되어 설치된 것이다. 이 자동 드라마는 관객으로 하여금 홍콩 스릴러와 멜로드라마의 매너리즘과 천편일률적인 구조를 살펴보게 만드는데, 이러한 장면이 가진 영화적 핵심적 특징은 문을 열고 닫음으로써 장면을 시작하고 멜로드라마에서 감정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창문을 이용하는 방식에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문과 창문의 움직임을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독특한 프로펠러로 만든다.

Door Games Window Frames: Near Drama is originally a generative 3-channel projection consisting of sequences of open-ended drama, now adapted into a single-channel, 3-window combinatorial drama. The work deploys a database of about 500 movie clips extracted from 11 HK Cantonese thrillers and melodramas from the early 1960s. Exploring the mannerism and formulaic structures of such films, I discovered a key feature – the frequent us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to introduce a scene, and the use of windows to highlight emotively charged moments in melodrama. In this piece, I have turned such door and window movements literally into a unique propeller of drama.

인디- 비주얼 Indi-Visual

도어 게임, 윈도우 프레임: 유사 드라마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EXiS 2017

미시 서사 : 시각적 시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HK / 2017 / Color, B&W / Stereo / 14min 49sec HD

Micro Narratives: a Visual Poem

Original formats (RM): Hi-8, mini-DV, HD, various digital automatic camera and cell-phone formats, digital and analogue still photography, hand-drawings, found footage on YouTube.

182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의 개인적인 시청각 아카이브(19992017)를 활용한 시각적인 시이자 몽타주의 게임인데, 이 아카이브에는 비디오 다이어리, 스틸 사진, 시, 그리고 자동기술적 글쓰기, 낙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7 곳의 도시(마카오, 캠브리지, 런던, 라스팔마스, 싱가포르, 상하이, 빌바오)와 홍콩 내의 여러 장소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1930년대 홍콩의 모습을 담은 파운드 푸티지도 사용되었다. 간격은 각각의 단편들과 중간 영역의 개념적 공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미시 서사”는 방대한 지형학과 기념비적 역사에 반대되는 미시적 과정의 삶의 세계와 관계된다. 거대 담론과, 계산된 이야기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내게 있어 몽타주는 우리들의 일상성에 담지된 것들에 반하는 수행적 놀이와도 같은 것이다. 이 작품은 파편적인 시청각적 기록들, 다양한 표현적-개념적 양상, 언어적인 것과 시청각적인 것의 충돌 그리고 보편적 위계질서를 넘어 인간과 사물이 동시적 행위자로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다른 차원이 뒤 섞이는 아상블라주의 공간이다.

Micro Narratives is a visual poem, a game of montage, using the artist’s personal audio-visual archive (1999-2017), which includes video diaries, still photography, poetry, automatic writings, doodles and so on, covering seven cities (Macao, Cambridge, London, Las Palmas, Singapore, Shanghai and Bilbao) and various locations in Hong Kong, as well as found-footage inserts from 1930s Hong Kong, to create vast temporal gaps spatialized in 15 minutes. Gaps highlight the conceptual space of the in-between and individual fragments — abbreviated quotations that form a mnemonic whole that requires live viewing. “Micro Narratives” refer to a life world in which micro processes, as opposed to broad geographies and monumental history, require refreshed and stretched attentiveness — details of the perceivable, minute movements, textures of the quotidian, material and perceptual surfaces, nameless emotions and loose thoughts. No grand discourses, no calculated plot lines. Montage to me is a performative game against our assumed comfort with routines. This work is a space of assemblage, in which a broad range of audio-visual documentary fragments, diverse modes of expressive-conceptual articulation, collision of words and sights-and-sounds, and different levels of sonification form a network of connectivity to enact the co-agency of humans and things, erasing incommensurability in conventional hierarchies. Discourse is displaced by visual-aural musicality that revolves around the use of fragments to highlight the presencing of labour,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which form the logic of progress.


인디- 비주얼 Indi-Visual

183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EXiS 2017

비판적 전술로서의 몽타쥬: 파편, 네트워크, 이론

Montage as Critical Strategy: Fragments, Networks, Theory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린다 C. H. 라이 Linda C.H. LAI

나는 ‘이론 대 실천’ 이라는 분리와 이분법에 184

저항해왔다. 이론은 실천/만들기이다. 이론의 실천은

상황적 개입[앙가주망]의 다양한 형태를 띈다. 그가 글을 쓰건 읽건, 혹은 구체적인 생활-세계, 특정한 순간의 장소에 어떤 예술적 매체를 배치하건, 아는

[인식의] 주체는 또한 행동하는 주체이다. 나는 학자, 역사가, 예술가, 작가, 그리고 교육자라는 다양한 주체 위치를 가지고 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각각의 이러한 위치의 영역들은, 각각에 따르는 질문의 양식과 함께 흘러들어, 나의 일상적 실천을 형성한다. 내가 세계와 맺는 관계는 다양할 수밖에 없다. 이론은 내가 무엇을 할지 미리 규정하지 않지만, 내가 예술적 행위의 어떤 특정한 위치와 순간에 다다르도록 이끈다. 이론은 행위 과정 속에서 일어난다. 예술적 여정의 끝에 이르러 나는 내가 만드는 이론에 도달한다. 지난 몇 년간, 나는 나만의 아카이브 속에서 파운드 푸티지나 비디오 일기에 기반한 비디오 작업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어떤 실존적인 마음가짐 속에서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모으고, 연구자처럼 훨씬 나중에 그러한 문서들에 대한 신선한 이해를 획득하는 것은 이중적 “자아”의 지도를 그리는 내 실험적 다큐멘터리적 위치의 토대를 형성한다. 나의 수집 활동은 초현실주의적 자동기술법처럼 매우 직관적이지만, 어쩔 수 없이 나의 교육과 삶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면, 비디오 파편들 속에서 형성되는

이미지/사운드 담론은 발견과 비판적 개입의 중요한 과정이다. 그리고 이는 또한 나의 역사기술적 의도가 들어오는 지점이다. 내 창작 작업의 대부분은 시각적이면서 자기민속기술지적인 차원을 갖는다. 개인적인 시각적 일기를 통해 나는 문화와 역사를 구체적인 살아낸 경험(lived experiences)과 일상의 단단한 순간들로서 관찰한다. 어느 쪽으로건, 나의 프로젝트들은 대개 시청각과 인쇄의 편린들 속에 살아남은 홍콩의 잃어버린 역사를 재구성하려고 한다. 아카이브 푸티지의 시청각적 자료들은, 깔끔한 결론을 가진 매끈한 이야기로

I have resisted the split and dichotomy of theory versus making ( practice). Theory is making. The practice of theory takes different forms of situated engagement: the knowing subject is also the subject in action, whether she is writing, reading, or deploying any artistic media , in a concrete life-world, in a specific place of a specific moment. Simply because I have multiple subject positions – as a scholar, historian, artist, writer and educator – the domains of these positions, together with modes of enquiry that come with each of them, flow into each other to shape my daily practice. My engagement with the world is necessarily multiple. Theory does not prescribe what I do; but theory leads me to arrive at a certain position and moment of artistic action. Theory emerges in the process of action. I arrive at the theory I make as I arrive at the end of an artistic journey. Over the years, I have developed a method to create video works that are based on found-footage or video diaries in my own archive. Collecting sights and sounds in a certain existential mindset, and gaining fresh understanding of these documents much later like a researcher, form the rudiments of my experimental documentary position which maps a double “I” at work. My collecting activities are highly intuitive, much like Surrealist automatism, and yet inevitably shaped by my education and life experiences, whereas the formation of image/ sound discourses from video fragments is an important process of discovery and critical intervention. And this is also where my


실험 다큐멘터리들이 갖는 힘은 이러한 방향에 놓이며,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이미지»(Voice Seen, Image Heard)와 «비-장소•다른 공간» 이 두 작품은 이 범주에 속한다.

185

historiographic intention comes in. Most of my creative works have a visual, auto-ethnographic dimension: through personal visual diaries I observe culture and history as concrete lived experiences and entrenched moments of the everyday. One way or another, my projects aim to reconstruct a lost history of Hong Kong as it resides largely in surviving sightand-sound and print fragments. The sights and sounds of archival footage preserve something of lived experience, even when it cannot be reduced to neat stories with neat conclusions. The power of foundfootage-based, collage-style experimental documentary lies in this direction. Voice Seen, Image Heard and Non-place, Other Space both belong to this category.

인디- 비주얼 Indi-Visual

환원될 수 없을 때조차 살아낸 경험의 무엇인가를 보존한다. 파운드 푸티지에 기반한 콜라주 스타일의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이미지» – 편린을 작곡/구성하기, 간극을 더 활기차게 만들기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이미지»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의 일상 문화, 특히 하나의 중국이라는 관념에 통합된 1997년 이후의 홍콩 환경에 대해 진작에 쓰여졌어야할 비판적 역사를 기술한다. 민속지학과 파운드 푸티지에 관한 나의 관심을 통해, 나는 많은 나의 작업들이 아카이브 연구로부터 막대한 자료를 구성하는 방법에 달려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나의 작업적 방법론은 일반적인 영화제작의 영역에서 ‘포스트-프로덕션’에 해당하는 것을, (영화/비디오의) 편집, (시각예술의) 콜라주,

(인쇄물, 텍스트와 비디오 요소들을 통합하는) 애니메이션, (다양한 원천들로부터 파운드 푸티지를 통합하는) 편집과 (음악, 특히 파운드 사운드와 클립에 근거해 사운드스케이프를 만드는) 작곡인 예술적

창조의 강렬한 순간으로 변환시킨다. 비디오 작업을 통해 나는 이러한 접근을 나만의 개인적 서명으로 발전시켰다. 영화예술의 관점에서 볼 때, 나의 작업은 미국과 유럽의 실험영화사 속 사유를 촘촘히 따라가며, 나의 문화적 맥락에서 실험이라는 것이 무엇을 뜻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나는 특히 영화의 가능성이 활짝 열려있었고, 영화적 서사의 관습이 형식화되기 전인 초기영화 시기에 관심이 있다. 나에게 초기 영화의 에너지는, 예술적 매체를 개방하고 살아있게 만드는

Voice Seen, Image Heard – Composing Fragments, Enlivening Gap Voice Seen, Image Heard writes a critical history of everyday culture in the former British colony of Hong Kong which is long overdue , especially in the post-1997 milieu characterized by the co-option of Hong Kong into the idea of a unified ‘Chinese’ nation. With my concern with ethnography and found-footage, I notice many of my projects hinge on ways to organize a vast body of material from archival research. My creative methodology turns what is normally ‘post-production’ in ordinary filmmaking into an intense moment of artistic creation that is at once editing (in film /video), collage (in visual art), animation (integrating print, text and video components), compilation (combining found-footage from varied sources) and composition (as in music, especially the crafting of soundscapes based on found sound clips). I have developed this approach into a personal signature in my video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cinematic art, my works follow closely thoughts in the


EXiS 2017

정언명령과 같은, 윤리적 차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말해, 나의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작업은 언어와 미시/

메타-서사성에 대한 강한 관심을 드러낸다.

지금 나는 «소수사에 대한 성찰»이라는

비디오 연작의 다음 두 에피소드를 가지고 작업중이다. 첫번째 에피소드인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이미지»(2009)는 2010년 EXiS에서 상영되었다.

지금 작업중인 다음의 두 신작들은 «여자들은 전부

어디로 갔는가?»와 «부두, 선창, 또는 산책: 빅토리아

항구 주변의 험난한 역사»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데, 이들은 시각적 지식의 한계를 시험하면서, 홍콩의 시각적 역사에 대한 나의 실험을 이어간다.

186

실험적, 비판적 시각 민속지로서의

«비-장소•다른 공간» «비-장소•다른 공간»은 파운드 푸티지와 컴필레이션 작업들에 대한 나의 지속된 관심의 일환이면서, 자기-민속지적인 실천이기도 하다. 나는 열렬한 도시 산보자이자 시청각 정보의 냉철한 수집자였다. 비디오 만들기란 나의 아카이브를 채웠던 낡은 이미지들을 새롭게 갱신하는 것이자, 파편들 자체의 자율성과 의미작용의 개방성을 보존하려는 것이다. 발터 벤야민을 염두에 두자면, “수집가의 삶은 무질서와 질서의 양극 사이에서 변증법적 긴장을 드러낸다.”

«비-장소•다른 공간»은 또한 홍콩과 마카오, 즉 중국에 양도된 이후 중화문명의 거대한 담론에 포섭된 두 도시의 역사와 정체성의 맥락에서 기념비적인 것과 일상생활의 직물이 만드는 변증법에 자의식적으로 참여한다.

«비-장소•다른 공간» 은 단일하게 프레임된 담론 속의 수많은 공간과 시간적 층들의 가능성을 주장하기 위해, 홍콩과 마카오의 도시 공간파편을

history of experimental cinema in the US and Europe, asking as well what experimentation possibly means in my cultural context.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Early Cinema moments — when cinema’s possibilities were wide open, and before cinematic narrative conventions were formalized. To me, the energies of Early Cinema bear an ethical dimension: the imperative to keep an artistic medium open and alive. In general, my critical and creative works in general have a strong concern for language and micro/metanarrativity. At this point, I am working on the next two episodes of a video cycle Meditations on a Minor History. The first episode, Voices Seen, Images Heard (2009) was shown at EXiS 2010. The two new episodes I’m working on are titled Where Had all the Women Gone ? and Wharfs, Docks, or Promenades: the Difficult History of Victoria’s Harbor Front , which carry on my experimentation with a visual history of Hong Kong at the same time testing the limits of visual knowledge.

Non-place•Other Space as experimental, critical visual-ethnography Non-place•Other Space is part of my continuous fuelled interest in found footage and compilation works, also an auto-ethnographic practice. I have been a fervent walker of the city as well as a detached collector of sights and sounds. Video-making then is to renew the old images that filled my archive, also to preserve the fragments for their own autonomy and openness for signification. In Walter Benjamin’s light, “the life of a collector manifests a dialectical tension between the poles of disorder and order.” Non-place•Other Space is also selfconsciously engaged in the dialectics of the monumental and the fabric of everyday life in the context of Hong Kong and Macao, two cities whose histories and identities have been


숨겨진 것 사이의 상태를 시도한다. “걸어서 통과하는 것”은 위태로운 경험이다. 그는 꿰뚫고, 자맥질 하며, 일어나고 그 안에 잠긴다...한 순간, 나는 보며, 그러므로 비디오 카메라는 나를 기록한다. 다른 순간엔 카메라가 보고 유지하며, 그 때는 내가 발견한다. 자동기술법이 인도하는 것이다. 속으로는 거의 파악하지 못하는 가상적 소리와 결코 잊을 수 없었던 목소리의 파편들은 “비-장소의 장소없는 다른 공간(the placeless other

space of non-place)”으로 모두 녹아든다. 장소와,

소멸의 살아낸 경험은 기념비적이지도, 환영적이지도 않은 사이의 존재로서(as the in-between) 되돌아 온다. 시청각의 편린들을 이어붙이면서, 나는 나의 민속지적 충동에 대해 많은 것을 발견했다. 홍콩은 음식-중심의 문화지만, 내게 음식은 죽음 및 종언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나는 기념비적이지 않고자 했고, 완성된 작업을 다시 보니, 작품의 다른 모든 시간들이 중국의 새해, 유령제, 2000년 밀레니엄 축하, 중국의 올림픽 개체 등...이 작품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외부 장소들은 끊없는 도시 개발 계획의 결과, 홍콩과 마카오의 지금 지도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미술 설치작업의 임시 거처일 뿐이었던 어떤 장면들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장소로 존재하지 않았다.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기념비적 사건들의 펄럭이는 편린들을 품고 있었다:

187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 속에서 ‘역사’를 찾았다. 하지만

co-opted into the grand discourse of Chinese civilization since their handover to Chinese sovereignty. Non-place•Other Space compiles fragments of the city space in Hong Kong and Macao (1991-2008) to assert the possibility of many spaces and temporal sheets in one single framed discourse. It attempts the states between disappearing and emerging, visible and concealed. “Walking through” is a precarious experience. One penetrates, dives into, emerges and immerses in… In one moment, I see, therefore the video camera records for me; in another moment, the camera sees and retains, then I discover. Automatism leads. Virtual sounds I barely grasp in my mind, and fragments of a voice I have long forgotten, all blended into the placeless other space of non-place. Places and lived moments of disappearance return as the in-between, neither monumental, nor illusionary. I have discovered much about my ethnographic impulses as I piece together fragments of sights and sounds. Hong Kong is a food-oriented culture; yet to me food is closely tied to death and demise. I meant to be anti-monumental, and looked for ‘history’ in the banal and the everyday. Yet as I review the finished piece, every other minute of the work carries fluttering fragments of a monumental event: Chinese New Year, the Ghost Festival, the 2000 Millennium celebration, China’s hosting the Olympics… Most of the outdoor sites in this work no long exist in current maps of Hong Kong and Macau as a result of ceaseless urban renewal projects; or some scenes have never yet existed as practical, concrete dwellings as they were only impermanent sites of art installations.

인디- 비주얼 Indi-Visual

모은다. 그것은 사라지고 부상하는 것, 보이는 것과


EXiS 2017

나의 도시를 해체/재구성하기 홍콩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전형적인 이미지들은 이 도시의 금융과 다국적 기관들의 솟구치는 마천루나 빅토리아 하버의 스카이라인, 군중과 교통체증을 찬양한다. 나에게 홍콩은 한 줌의 이미지들로 환원될 수 없다. 나는 걷기를 통해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나의 은유를 발견한다. 소리가 나거나 먹먹하거나, 부딪히면서도 섞여드는 절충적이고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기원하는 감각의 끝없는 흐름과 급류들. 내가 나만의 생각과 급작스런 백일몽의 무한한 공간 속으로 빠져들때, 거대한 디지털 스크린들은 여기 저기 교차로에서 비명을 지른다. 그리고 거리 구석을 재빨리 돌면, 북적이는 도로는 50년의 삶을 지속하는 잊혀진 길목이 된다. 홍콩의 도시 공간을 걷는 것은, 내게 세부사항들이 신속하게 이어지는 라이브 경험이고, 깨진 시간대를 끊임없이 들어왔다 나가는 이동이다. 영화

188

언어로, 우리는 이를 ‘몽타주’라 부른다. 보다 중요한 건, 나의 시각 연구가 보여주듯, 홍콩이라는 도시가 부동산이 이끄는 발전 모델의 맥락 속에서 그것의 외양을 붙잡으려는, 혹은 그것의 건축적 온전함을 보존하려는 아슬아슬한 역사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혼돈과 무질서를 통과하고, 시청각의 편린들을 하나의 이미지 담론으로 꿰매면서, 나는 편집의 의미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몽타주는 콜라주이다. 역사적으로 전복적인 함축과 함께, 콜라주는 부정합과 부조화를 통해 통합성에 이르는 방법으로 나를 이끈다. 그리하여 나는 나의 시각적 문법을 파편의 시각적 문법이라 부른다. 개별

쇼트들을 담론으로부터 해방시키고, 각각의 이미지/ 사운드 편린들이 마치 자유롭게 서로 서로 맞물려

돌아가듯 새로운 톤과 목소리들을 얻게 해주는 편집의 접근법. 시청각적 파편들은 아직 명시화되지 않은 일화적 공명들로 가득하다. 비-장소 Non-place의 다양한 텍스추어와 감성 파편들이 만드는 몽타쥬로부터 기원하는 시청각 체제 전반을 기술하기 위해 (‘천 개의 겹’을 가진) ‘나폴레옹’ 페스트리를 은유로 사용하고자 한다. 그 수많은 ‘겹’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미술 공간과 미술 설치, 음식, 기념비적 순간의 작은 세부사항들, 물

(도시 공간의 자연), 음식이 준비되는 장소들, 혐오감 (쓰레기, 유물, 음식), 파괴된 장소, 인간의 장기들, 일상적인 대화들, 미디어 방송, 나의 엄마 마지막 ‘겹’은 시의 형태로 쓰여진 내 일기이다. 시청각적 기호의 급류들 속에서, 사람들은 예술가의 주관적 존재를 발견하는데, 자신의 사적인 이야기와 그의 도구들과의 관계는 오로지 말로만 구축될 수 있다. 이 작품 속의 텍스트와 이미지 관계는 그러므로 해석이나 지지하는 설명의 관계가 아니다. 쓰여진 말들은 그 어떤 시각적 형태로도 번역될 수 없다. 그들은 그들 자신만의 사적이고, 항상 원했던, 예술 제작을 반영하는 독립적 공간을 형성한다.

[De-/Re-]Constructing My City Globally circulated typical images of Hong Kong glorify the soaring skyscrapers of the city’s financial and multi-national corporate institutions, or else the skyline of the Victoria Harbor, crowds and traffic jams. To me, Hong Kong cannot be reduced to a handful of images, whereas it is in the act of walking that I discover my metaphor – ceaseless streams and torrents of sensations from eclectic and multifarious sources, sounding or muffled, colliding yet blending. Here and there, huge digital screens scream at crossroads as I sink into the boundless space of my thought world or sudden daydreams. Then at the quick turn of a street corner, a bustling road becomes a forgotten alley carrying on the life of half a century ago. Walking through the city space of Hong Kong to me is real-time experience of rapid succession of details sweeping by and ceaseless transition in and out of broken time zones. In the language of cinema , we call it ‘montage’. More importantly, as my visual research shows, the city of Hong Kong has a precarious history of holding onto its look or preserving its architectural integrity – in the context of a real estate-driven development model. In working through chaos and disorder, and in piecing together fragments of sights and sounds into an image discourse, I was drawn into a renewed interest in the meaning of editing. Montage is collage. Collage, with its historically subversive connotation, leads me to a method that achieves coherence via incoherence and incongruence. Thus I call my visual grammar that of fragments: an editing approach that liberates individual shots from discourse, and allows each image/ sound fragment to take on new tones and voices as it freely cohere with each other. The sight and sound fragments are pregnant with anecdotal resonance as yet to be made explicit. I’d like to use the pastry ‘napoleon’ (‘ thousand-leaf, or millefoglie, or mille-feuille) as an analogy to describe the overall image/sound system resulting from the montage of fragments of varied texture and sensibility in Non-place. The many ‘leafs’ include: art space and art installation, food, small details of monumental moments, water (nature in the urban space), places where food


인디- 비주얼 Indi-Visual

is prepared, disgust (waste, relics, food), demolished place, human body parts, casual conversations, media broadcast, my mother… Yet one final ‘leaf ’ is my diary in the form of poetry. In the midst of the torrents of images and sound signals one finds the subject being of the artist, whose own private story and her relation with her tools could only be articulated in words. Text-image relation in this work is therefore not that of interpretation or supportive elaboration. The written words are not translatable into any visual form; they form an autonomous tier of space of their own, the private, desirous, and reflexive of art-making.

189

멜로드라마적 파토스의 물질화

1960년대에 성장한 아이로서, 나는 홍콩 영화보다는 헐리우드 영화에 더 많이 노출되었다. 문학 전공과

영화/문화 역사가로서 비판적으로 사유하기 전까지,

이 시기의 고전 홍콩 영화들에서 보이는 명시적인 반복성과 공식적인 행동들은 나의 주의를 끌었다. 이 영화들은 두 가지 이유로 매혹적이었다. 먼저, 예술적 관점에서 이들 영화에 대해 쓰기는 쉽지 않았고, 이 멜로드라마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재발견할 필요를 찾기도 쉽지 않았다. 나는 이들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언어가 필요했다. 둘째, 보다 원초적인 수준에서, 나는 거대한 머리의 쇼트들과 말없는 얼굴 표정들을 자주 사용하는 것에 매혹되었다. 이 머리 쇼트들에는 너무나 많은 것들이 있기 대문에, 말로 그 풍부함을 재생산할 수는 없다. 그들을 그저 ‘행복하다’ 거나 ‘슬프다’고, ‘놀랐다’거나 ‘무서워한다’고 딱지 붙일 수는 없다. 그것이 무빙 이미지의 마술이다. 이 영화들을 꽉 조이기 위해 재편집하는 것을 상상한다면, 문이 열리고 닫히는 모든 쇼트들을 잘라버리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잠깐만, 어떤 창문과 문들은 캐릭터의 발견과 이야기의 진행을 위해 서사적으로 필요한 장치로 보인다. 11개의 영화들 중 한 편에서, 나는 문과 창문과 관련된 100개의

쇼트를 셌고, 알프레드 히치콕의 «이창»을 번안한 작품 말고도, 다른 몇몇 작품에서는 120에서 150개에 이르는 쇼트들을 찾을 수 있었다. 그저 나의 개인적 강박이 아니라 정말로 의미심장한 것이다. 내가 방금 말한 것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 영화들을 주의해서가 아니라 눈을 가늘게

Door Games Window Frames : Near Drama: materializing melodramatic pathos As a kid growing up in the 1960s, I was more exposed to Hollywood films than Hong Kong (HK) films. It wasn’t until when I became a critical thinker as a literature major, then a film /cultural historian, that the overt repetitiveness and formulaic behavior in HK oldies in that period caught my attention. These films were fascinating for two reasons. First, I found it rather difficult to write about these films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which confirmed my need to rediscover how these melodramas work. I needed a new language to make sense of them. Second, on a more primal level, I feel enchanted by the frequent use of big head shots and speechless facial expression. There’s so much in these head shots that you can’t reproduce the richness in words. You can’t just label them ‘happy’ or ‘sad’, ‘surprised’ or ‘fearful’. That’s the magic of the moving image. Then if you imagine yourself re-editing these films to tighten them up, you want to cut out all the door opening-shutting shots and yet – wait a minute – no, it seems some windows and doors are necessary narrative devices for characters’ discovery, and for the story to proceed. In one of the 11 films, I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도어 게임 윈도우 프레임: 유사 드라마» :


EXiS 2017

뜬 채 본다고 상상하는 것이다. 눈을 가늘게 뜸으로써, 당신은 세부 사항은 놓치겠지만, 문-창문의 개폐 패턴, 그러한 쇼트들의 주기와 그들이 만드는 리듬은 보다 효과적으로 포착하게 될 것이다. 대화를 놓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종종 얼굴 클로즈업이 시기적절한 구두점처럼 등장한다. 당신은 집중해야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한다는 걸 안다. 위기는 끝났거나 막 오기 직전이다. 당신은 드라마가 그 다음 단계로, 결말에 한 걸음 더 가까이 이동한다는 걸 안다. 이 작업에서 나는 문과 창문의 움직임들을 말 그대로 드라마의 프로펠러로 바꾼다. 구두점으로서 뿐만 아니라 감정적 전환을 위해서, 내가 이 클립들과 만들어내는 조합의 유희는 미시-서사를 만든다.

조합적 연습으로부터 기원하는 ‘의사 드라마(near drama)’는 곧게 뻗은 이야기를 전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답답할 수 있다. 하지만 내 방법은 문과 창문의 열고 닫힘 사이의 모든 부분들을 해방시켜, 그들 각자가 190

홀로 서서 스스로의 드라마적 에너지를 연행하게 한다. 이 작품엔 세 개의 장이 있는데- “시험과 추측: 바퀴 돌리기, ‘심각해지기’ 그리고 ‘문 뒤 에서, 창문 앞에서’각각은 문과 창문 장치를 연구하는 과정을 풀어내며, 동시에 어떤 단 하나의 안정적인 이야기에도 안착하지 않은 채 드라마성(dramaticity)을 만들어낸다.

«도어게임, 윈도우 프레임:유사 드라마» (2012) 는 이 세가지 측면에 모두 들어 맞는다. 이 작업은 또한 내가 예전에 만들었던 도어게임 Door Game(2005, 26분)이라는 작업을 세공한 것인데, Door Game 은 ‘거의 드라마에 가까운 것’을 자세와 파편들로 분산시켜 드라마적 성격이 이미지와 순수 비평의 고립에 의해, 그리고 이미지가 텍스트에 의해 시나브로 삼켜지는 과정이다. 도어게임 윈도우 프레임

Door Games Window Frames(2012)에서 나는 ‘신’의 역할을 버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세 개의 윈도우가 만드는 조합 게임으로부터 시각적 음악을 직조하는 단순한 규칙에 근거한 첫 러프 컷을 만들게 했다. 연속성보다는 파편적인 것을 선호하는 편집 방법을 통해, 나의 거의 모든 작업은 개별적인 시각 편린과 그들의 정동적 힘에 주목하는데, 이것은 연속성, 정합성과 전체성처럼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의 경우가 전혀 아닌 것에 대한 주류 영화의 의존에 대한 의식적인 거부이다.

counted 100 door and window-related shots, in a few others 120 to 150, not to mention a local adaptation of Alfred Hitchcock’s Rear Window. This is how significant – not just my personal obsessions. The best way to understand what I just said above would be to imagine you were squinting rather than watching these films attentively. By squinting, you may lose the details but you’ll more effectively catch the door-window opening-shutting pattern, frequency of these shots and rhythm they create. You don’t need to really worry about missing the conversation, but every now and then a close shot of a facial would come in like a timely punctuation. You know you should pay attention; a crisis is over or just about to come; you know the drama is now moving on to its next phase, a step closer to the denouement. In this piece, I have turned door and window movements literally into a propeller of drama . As punctuations as well for emotive shifts, the combinatorial game I play with these clips constructs micro-narratives. The ‘near drama’ resulting from the combinatorial exercise could be frustrating for not delivering one straightforward story; but my method liberates every segment between the closing and opening of doors and windows to allow them to stand alone to perform its dramatic energy. This work has 3 chapters — "Trial & Speculations: spinning the wheel," "Getting Serious" and "Behind the doors, in front of the windows" — laying out the process of studying door and window devices, at the same time brewing dramaticity without ever arriving at any single stable story. Door Games Window Frames: Near Drama (2012) fits all three aspects. This work is also an elaboration of an earlier work I did, Door Game (2005, 26 minutes), which is a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near drama’ into postures and fragments, whereby dramaticity is gradually devoured by isolation of image and pure criticism, and images by texts. In Door Games Window Frames (2012), I let go of the role of ‘god’,and allow a computer program to generate the first rough cut based on simple rules that


실험 영화는 장르도, 종종 아방가르드라 불리는 전술적 장려책으로 생각하길 선호하며, 특정한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양식을 찾으려는 모든 양심적 영상 예술가들의 필요를 ‘아방 가르드’적이라고 생각하고자 한다. 매체 특정성. 어떤 의미에서, 나는 이 집단에 속한다고 생각지 않는다. 나는, 디지털 비디오의 경우 내가 유능한 프로그래머가 되지 않는한, 그 방향으로 갈 수 없다. 동시에 나는 한 매체가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대해 개방적인 입장을 취한다. 나는 매체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에 보다 관여되어 있고, 필름과 비디오의 경우, 영화제작과 비디오그래피를 정의 내리고 한정지었던 모든 규약들을 생각하며, 무빙 이미지의 전제된 맥락과 용례들을 생각하고, 새로운 사용법과 맥락들이 있는지 궁금해한다. 나는 영사된 이미지의 물리적 성질에 대해, 그리고 그것의 물질적 조건이 어떻게 우리의 제작과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 인터미디어. 나는 다양한 예술적 매체의 형식 언어와 규범들이 어떻게 서로 섞이고 서로에게 영향을 끼쳐 ‘제3의 것’, 즉 사이에 있는 그 무엇을

만드는지에 대해 많이 생각한다. 예를 들어 «Door

Games Window Frames»에서, 나는 무엇이

음악에서 리듬으로, 그리고 음렬주의와 같은 열린 작곡 방법으로 귀결되는지에 대해 생각한다. 나는 이미지 시퀀싱에서 음악이 나의 ‘작곡’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음악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나는 또한, 둘다 다소 재현적이면서 생략적이고 파편적이기에, 동등한 지위를 갖는 청각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의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간학제성. 나는 내가 만들어온 수많은 실험이 다른 분과 학문의 원천에 기대기 때문에

Experimental film is not a genre, nor the name of a historical moment often called the Avant-garde. I prefer to think about experimentation as a continuous, tactical incentive, and the necessity of all conscientious image-artist to find his/her own mode to be ‘avant-garde’ in specific circumstances. Medium specificity. In a sense, I don’t think I belong to this group. I cannot go in that direction unless I become a competent programmer, in the case of digital video. At the same time, I am definitely for a more open view on what a medium is and how to define it. I am more engaged with the social, cultural dimension of a medium: with film and video, I think of all the conventions that have defined and delimited filmmaking and videography, I think of the assumed contexts and usages of moving images and wonder whether there are new usages and new contexts. I think a lot about the physicality of the screened image, and how its material condition affects our making and usage. Intermedia . I do think a lot about how the formal language and norms of practices of different artistic media may crossbreed and inform one another to create something ‘ third’, that is, something in between. For example, in ‘Door Games Window Frames’, I think of what amounts to rhythm in music and methods of open-end composition such as serialism. I asked questions on music to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역사적 시기의 이름도 아니다. 나는 실험을 연속된

Experimentation over Experimental Genre

191

실험적 장르를 넘어서는 실험

인디- 비주얼 Indi-Visual

organize visual music from a combinatorial game of 3 windows. With an editing method that favors the fragmentary rather than continuity, almost all my works call attention to the individual visual fragments and their affective power, a conscious statement against mainstream cinema’s dependence on continuity, coherence and wholesomeness, which isn’t really the case of the world we experience.


EXiS 2017

가능하다고 믿는다.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작품에서 나는 영상 제작자 활동을 통해 역사가, 문화비평가, 시각 민속지학자, 그리고 시인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과, 나는 ‘분석’이 자의식적인 편집 이론을 요구하는 파편적인 스타일의 방향으로 나를 밀고 가는 몽타주에 기반한 영상 제작자가 된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한층 풍부해진 지각과 확장된 인식. 개인적으로 실험적 무빙 이미지는, 그것이 세계를 다르게 경험하게 해주거나, 더 많이 (혹은 적게), 더 잘, 그리고 다르게 보게 만들어주지 않는다면, 이미지로 넘쳐나는 이 세계에서 정당한 작업일 수가 없다. 수많은 영화이론가들을 따라, 나는 무빙 이미지만이 줄 수있는 세계에 대한 사유 방식을 제공하는 실험영화에 대한 접근을 지지한다. 실험을 주된 입장으로 삼는 나의 비디오

작업은, 세 가지 측면에서 일관된다. (1) 미시/메타서사 게임을 매개로 서사 시간, 스크린 시간과 개념적 192

시간과 유희함으로써, 필름-비디오의 시간적 측면을

탐색한다. (2) 주류 영화든 개인적 일기든, 혹은 파운드

뉴스릴이든, 파운드 푸티지로 작업한다. (3) 실험

비디오를 시각 민속지학의 한 형식으로, 즉 시각 연구와 이미지 제작을 예술 실천과 일상 문화 및 역사의 성격을 탐색하는데 사용한다.

see how it affects my ‘composition’ in image sequencing. I also created a work in which sound and image are of equal status as they are both somewhat representational and yet elliptical and fragmentary. Interdisciplinarity. I believe a lot of the experiments I have set up are possible because I rely on resources of other discipline. In more than one or two works, I play the role of a historian, a cultural critic, a visual ethnographer and a poet in the very activities of image maker. A result of this is that I become a very montage-based imagemaker, by which ‘analysis’ pushes me in the direction of a fragmentary style demanding a self-conscious theory of editing. Enriched perception and stretched cognition. Personally, in a world flooded with images, no experimental moving image work is justifiable work unless it makes us experience the world differently, makes us see more (or less), see better, and see differently. After many film theorists, I support an approach to experimental cinema that provides us with a way of thinking about the world that is only affordable by the moving image. Taking experimentation as my prime position, my video works have been consistent in three aspects: (1) exploring the temporal aspect of film-video, by playing with narrative time, screen time and conceptual time via micro-/meta-narrative games; (2) to work with found footage, be it mainstream cinema works, personal diaries or found newsreels; and (3) treating experimental video as a form of visual ethnography, i.e. to use visual research and image-making to explore the nature of art practices, everyday culture and history.


인디- 비주얼 Indi-Visual

193

린다 라이 Linda C. H . LAI


EXiS 2017

샌디 딩 Sandy Ding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017년 7월 18일(화) 오후 7시 (49min) / GV TUE, July 18, 2017 at 7:00pm @ Korean Film Archive

194

샌디 딩은 베이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실험영화 감독이다. 2007년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제작을 공부하였으며 귀국 후 2008년 부터 현재까지 베이징 중앙미술학원(CAFA)에 재직하고 있다. 그는 프로젝션과 사운드에 제의적 과정을 결합하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심리적 작용에 관한 여러 편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추상 혹은 강렬한 상징적 요소를 통해 신비로움에 접근하는 에너지의 패턴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비-전통적 갤러리 프로젝션, 설치와 라이브 노이즈 음악을 실험영화로 확장하는 한편 극장 프로젝션의 라이브 퍼포먼스에 함께 관심을 갖고 있다.

Xin Ding 丁昕 (A.K.A. Sandy Ding) is an experimental filmmaker who lives and works in Beijing, China. He graduated from CalArts Film School USA in 2007 and started teaching in China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since 2008. He produced several psycho-active films with the idea of combining ritual process in projection and sound. His work is energy patterns, telling mysteries with abstractions or powerful symbolic elements. He is equally interested in live performance of theater projections, untypical gallery projections, installations and live noise music to extend the idea of the experimental film.


통해, 샌디 딩은 영화감독으로서 자신을 주술사로 생각하고 관객을 다른 존재로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종종 오직 주술적 힘을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한 것에 대해 열망을 지속적으로 표현해왔다. 단호한 상징의 사용으로 «흙 얼음 꽃 아래 흐르는 피가 내뿜는 전파

The Radio Wave of Blood Beneath the Dirt Ice and Flowers»(2006)에 표현된 불타는 남자 그리고 «워터 스펠»에서의 주술로 부터 «프리즘»의

네팔 사원에 이르기 까지 샌디 딩의 이미지는 그것이 실재이건 상상된 것이든 또한 숨겨진 차원의 지식을 떠들치는 더욱 특수한 틀 속에 자리하게 된다. 반면 «만쿤 Mancoon»(2007)에서는 그러한 주제를 벗어나 서정적 삶을 다룬다. 사색적인 시선속에 카메라는 세계를 관찰하고 이에 경배의 하여금 욕망을 갈구하게 만들고, 보이는 것 그대로의 그에게 있어서 인간 영성의 신비주의와 영화를 사이키델릭한 장치로 배치하려는 의도를 배제해야 하는 일이다. 그렇기에 «만쿤»에서 그는 이미지에 전혀 다른 방식으로 개입한다. 샌디 딩은 이 작품에서 자신의 다른 영화에서는 어떤 찰나의 순간에만 발현되었던 더욱 편안하고 유순한 존재로서 스스로를 가감없이 드러낸다. 이런 경우가 하나 더 있다면 «워터 스펠»의 마지막 장면에서의 빙글 빙글 돌면서 필름 스트립을 감싸며 본능적 즐거움으로 시네마를 찬양하는 순수한 티벳 소년일 것이다. 회전하며 움직이는 필름과 티벳식 마니차 사이의 종교적 관계를 유추해 보는 것이 아마도 과잉된 해석일지도 모르지만, 둥근 사물을 매일 매일 회전시키는 헌신적인 운동으로부터 단련된 운동적 본능으로부터 자신의 팔을 꺼내어 움직이는 소년에게 이것은 완전히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샌디 딩은 모든 영화감독이 순수한 영화제작의 기쁨을 상기시키는 곳에 그 소년의 행복한 결말이 자리하는 것이며 사실 자신의 창조적 충동의 가장 핵심이 바로 그것이라 말했다.

- 양 치아오, 마법과 놀이에서샌디 딩을 이해하기

- Yang Qiao, Of Sorcery and Playtime-Understanding Ding Xin

샌디 딩 Sandy Ding

받아들인 삶에 무게를 둔다. ‘묘안으로 영화를 만든다’는

195

시선을 보낸다. 이를 통해 발현된 관계는 관객으로

In some of Ding Xin’s films, like Water Spell , Prisms , and Dream Enclosure , the filmmaker considers himself a sorcerer and aspires to transport his viewer to another state of being, often envisioned as accessible only through esoteric powers. With a pronounced symbolic import, from the Burning Man in The Radio Wave , the incantation seal in Water Spell , to the Nepalese temple in Prisms , Ding Xin’s imagery, actual or imagined, is also placed within more specific frameworks to divulge the knowledge of the hidden. Mancoon , on the other hand, is free of such thesis and left open to its lyrical life. In a pensive gaze, the camera looks at the world and worships what it sees, and this relationship translates into a desire in the viewer to seek, receive, and be devotional to the knowledge of the seen. Making a film from the eye of a cat means that Ding Xin had to relinquish the intention of deploying cinema as a psychedelic device as well as the centrality of human spirituality assumed in occultism. Therefore, Ding Xin participated in his image differently in Mancoon . He availed himself to a more tender and lighthearted presence of which we only get glimpses in some fleeting moments in his other films. One such instance would be the elated Tibetan boy at the end of Water Spell who celebrates cinema through the visceral pleasure of waving a film strip in a circular motion. It might be over-interpreting to draw the religious connection between the circularly moving film and a Tibetan prayer wheel, but it is entirely possible that the boy moved his arm out of the kinetic instinct nurtured from the everyday devotional exercise of turning a cylindrical object. Ding Xin said the boy is a happy ending where all filmmakers should be reminded of the innocent joy of filmmaking, which is indeed at the very core of his creative impulses.

인디- 비주얼 Indi-Visual

«워터 스펠 Water Spell»(2007), «프리즘 Prisms»(2011), «닫힌 꿈 Deram Enclosure»(2011-2014)과 같은 일련의 작품을


EXiS 2017

흙 얼음 꽃 아래 흐르는 피가 내뿜는 전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The Radio Wave of Blood Beneath the Dirt Ice and Flowers China / 2006 / B&W / Silent / 10min 35mm on HD

이 작품은 사진화학적 반응이 주된 모티브가 되는 연금술적 과정을 중심에 둔 작품이다. 같은 구조를 다른 형태로 반복하는 행위는 어떤 에너지에 대한 숭배가 되고 얼음과 먼지, 액체 꽃과 인간의 피의 반짝이는 형상은 이 단순한 시와 같은 작품의 핵심적 언어가 된다. 이것은 빛의 화학과 축배에 다름 아니다.

The film is an alchemical process of elevation. By repeating the same phrase in a different tonality, it becomes a worship of some energy. Dirt, Ice, liquids flowers and the shape of human blood Light, are the elements of words in this simple poem, that is about light chemistry and celebration.

196


Dream Enclosure

China / 2011-2014 / B&W / Stereo / 18min / HD

샌디 딩 Sandy Ding

엄청난 속도감의 시선이 분열된 자아의 순수성을 파고들고, 과거의 현실과 뒤섞여 영원히 노이즈의 선 속으로 녹아들면서 깊은 숲 속의 동굴 속으로 들어서고 밖으로 나아가고... 기억이 뒤섞이고, 반복된 회상의 파편이 한데 얽히고 투쟁한다. 꿈 속의 또 다른 깊은 꿈에 대해 말하려는 듯, 영화 속 인물은 관객을 반영하고 사막에서 숲으로 이동하는 동안 우리를 이끄는 영화의 시각은 단순히 갇힌 꿈 속의 여행일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장면 사이에 붙들린 의미와 권력을 해방시키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197

이 작품은 내가 만들었던 «노이즈 필름» 연작으로 시작되었다. 2008년 중국에 돌아온 이후, 난 사운드 작업을 시작했다. 처음엔 다크 사이트랜스 음악 디제이로부터 출발해, 나 자신만의 사운드를 만들기 시작했다. 베이징에 있는 다른 친구들과 함께 “리퀴드 팰리스"라는 노이즈 밴드를 결성했다. 한달에 1~2회 우리는 즉흥적으로 노이즈 음악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결국 이러한 활동은 2012년 이후 내가 만드는 영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나는 많은 연구를 통해서, 노이즈 예술에서 받은 영감을 영화제작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2년 부터 4년 동안 완성한 «잠들지 않은 밤»(Night Awake)이라는 장편 실험영화는 노이즈 음악을 표현하기 위한 나의 헌신적 노력의 결과물이다. 이 영화 역시 이러한 노이즈 영화의 한 작품이다.

This film starts a series of “Noise Film” I made. After returned to China in 2008, I begin to play with sound. Firstly, I started to DJ dark psytrance music, then, begin to make my own sound work. Together with my friends in Beijing, we made a noise band called “Liquid Palace”. Every month or two, we did improvised noise music performance in Beijing. Noise music has inspired my film dramatically since 2012. I did a lot of tests on film, and begin to make films using the inspirations from noise art. Eventually, I made a feature experimental film called “Night Awake” in 2016 more dedicated to it. This film is one of these noise films. The vision of the lizard penetrate the purity of broken self, forever starched into the lines of noise, mixed with reality in the past, and inside of the past, entered into a cave in a deep forest and out... Memory montaged together, loops flashbacks melted struggled and pieced together. It is trying to say deep dreams inside of dreams. The person in film mirrors the audience, lead the vision from desert to forest, it is not only a journey of trapped thoughts but also it is trying to release those meanings and power in between frames, shots, and sequences.

인디- 비주얼 Indi-Visual

닫힌 꿈


EXiS 2017

프리즘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China / 2011 / Color / Optical / 20min / 16mm

Prisms

다양한 색채로 가득한 이 추상적 작품은 어떤면에서는 구조와 공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명백히 내가 지금껏 만들어 온 대부분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기도 하다. 안에서 바라볼 땐 거기엔 분명히 미묘하면서도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시간의 신전 근처에서 자리한다. 신전은 어둠에서 빛나고, 아무도 없으며 미동도 하지 않는다. 프리즘 밖으로 흘러 나오는 빛 조각의 움직임에 따른 공간의 분위기가 작품 속에 드러난다.

A colorful abstract film somehow about structures and space. Apparently, almost all my films are coming from within. Inside, when I looked, there are some places seems delicate and remote. They are near the temple of time. It is a temple shining in the darkness, at the time, there is nobody there, seems like it is not moving at all. Traveling through the fragment of light leaking out from prisms, the ambience of the space are described and watched.

198


인디- 비주얼 Indi-Visual

199

샌디 딩 Sandy Ding


EXiS 2017

여성국극 프로젝트(2008-2016)

Yeoseong Gukgeuk Project 정은영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siren eun young jung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2시(52min) / GV SUN, July 16, 2017 at 2:00pm @ Art Sonje Center

200

정은영(1974)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술작가이다. 이화여대와 동 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영국 리즈대 대학원에서 ‘시각예술에서 여성주의 이론과 실천’을 공부했다. 이름 모를 개개인들의 들끓는 열망이 어떻게 세계의 사건들과 만나게 되는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저항이 되거나 역사가 되고 정치가 되는지에 관심이 있다. 여성주의적 미술언어 확장을 도모하는 것은 미술실천의 오랜 목표였다. 주요 프로젝트로 주한미군 캠프가 거대하게 자리한 동두천 지역 성노동자 여성들의 삶과 죽음을 다룬 ‘동두천 프로젝트(2007-2009)’가 있으며, 2008년부터 여성국극 배우 공동체를

추적하는 ‘여성국극 프로젝트(2008-현재)’를

진행해 왔고, 이 프로젝트로 2013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과 2015년 신도리코 미술상을 수상했다. 전시, 영화제, 공연페스티벌을 오가며 장르에 구분없이 전방위적으로 작업한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한다.

siren eun young jung (b.1974) studied Visual art and Feminist theory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at the University of Leeds, UK. Her artistic interest lies in how the yearning desires of unknown individuals meet with the events of the world, how such contacts become resistance, history, or politics. She is also constantly attempting to expand the feminist artistic language. One of her prominent projects, Dongducheon Project (2007-2009) was an inquiry of life and death of the female residents in the US Army town of Dongducheon. Since 2008, she has been working on Yeosung Gukgeuk (Korean Traditional Female Theater) Project in which she follows a community of performers of the genre. Her works have been includ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such as Gwangju Biennale 2016, Korea(2016), Taipei Biennial 2016, Taiwan (2016); Discordant Harmony, Hiroshima City Museum of Contemporary Art, Japan (2015); and 8th Asia Pacific Triennial of Contemporary Art, QAGOMA, Brisbane, Australia (2015). In 2013, she was awarded Hermes Foundation Missulsang and in 2015 Sindoh Art Prize with the project. Now she lives and works in Seoul, and also gives several lectures at Ewha Womans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


The Unexpected Response

Korea / 2010 / Color / Stereo / 7min 58sec / HD

201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여성국극은 1940년대 말에 시작되어 1950-6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다가 쇠퇴한 창무극의 한 종류로, 노래(창)와 춤(무)이 어우러진 일종의 오페라나 뮤지컬과 흡사한 형식에 주로 전통 판소리 사설이나 상고시대의 야화, 혹은 유명 대중 소설등의 스토리를 각색한 내용을 입혀 공연하는 무대예술이다. 여성국극은 전통적 성별역할을 극대화해 수행하는 배역들과 그 배역들 간의 사랑과 갈등을 스토리로 적극 전유하지만, 모든 배역을 오로지 여성배우가 연기하는 매우 독자적이고 전복적인 특징을 가진다. 나는 특히 여성국극 남역배우들의 무대 연습과 젠더 표현들을 쫓으며, 두 개의 성별로 구성되어 경합하는 전통적인 성별체계와 담론들에 도전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뜻밖의 응답»(2010)은 주로 배우들의 실제 공연 연습의 주변에 머물며, 소위 위반적 젠더의 표상들을 ‘발견’하고 붙잡는 작업을 시도해 왔다면, «무영탑»(2010)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배우를 연출된 무대와 카메라 앞으로 초대한다. 배우들은 아무것도 공연되고 있지 않은, 그러나 ‘무대’라는 정체성만이 남아있는 텅빈 무대 위/닫힌 막 앞에 등장해 노래와 춤을 포함한 자신의 연기를 설명하고, 무대와 공연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매만짐과 가르침을 역설하거나, 주어진 성별을 위반하는 반복적인 훈련과 수행을 통한 젠더의 교차와 횡단을 드러낸다. 텅빈무대는 이러한 배우들의 수행을 통해 ‘공연’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것은 젠더라는 체계역시 수행을 통해 구성되며, 복제 가능한 것임은 물론, 그렇기 때문에 결코 본질적일 수 없음을 드러낸다.

Yeosung Gukgeuk that started at the end of the 1940s is a similar type of the Korean traditional operas that declined after its popularity peaking during the 1950s through 1960s. It is a Genre where singing (唱) and dancing (舞) are combined and contains remaking stories of popular myths or novel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Yeosung Gukgeuk obviously appropriates the characters who perform conventional gender role and their typical melodrama, however, It has a significantly, uniquely subversive style what only women player can perform all of characters I have made a challengeable enthusiasm, questioning two-gender based gender system always known as truth, following and representing the gender expressions of player who are identified male leaders. For the work, Directing for Gender(2010) , I have attempt to invite the players to my setting and direction, instead I have discovered and captured some subversive gender images, standing around their on/off-stage for the earlier piece, The Unexpected Response(2010) . The players explain about their gender reversing performances, emphasize how to make and train their role on stage, and reveal the crossing and traversing gender through their endless training and performing against so-called given gender, appearing on the empty stage/ in front of the closed curtain where only stage-like-place without any show. This empty stage is going to be filled with their performative playing, that is going to be a ‘cue’, how the gender system is constructed with performance, which is copy-able. Moreover, it is metaphorically alludes, gender has never been natural.

인디- 비주얼 Indi-Visual

뜻밖의 응답


EXiS 2017

무영탑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Korea / 2010 / Color / Stereo / 10min 15sec / HD

Directing for Gender

202

여성국극은 1940년대 말에 시작되어 1950-6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다가 쇠퇴한 창무극의 한 종류로, 노래(창)와 춤(무)이 어우러진 일종의 오페라나 뮤지컬과 흡사한 형식에 주로 전통 판소리 사설이나 상고시대의 야화, 혹은 유명 대중 소설등의 스토리를 각색한 내용을 입혀 공연하는 무대예술이다. 여성국극은 전통적 성별역할을 극대화해 수행하는 배역들과 그 배역들 간의 사랑과 갈등을 스토리로 적극 전유하지만, 모든 배역을 오로지 여성배우가 연기하는 매우 독자적이고 전복적인 특징을 가진다. 나는 특히 여성국극 남역배우들의 무대 연습과 젠더 표현들을 쫓으며, 두 개의 성별로 구성되어 경합하는 전통적인 성별체계와 담론들에 도전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뜻밖의 응답»(2010)은 주로 배우들의 실제 공연 연습의 주변에 머물며, 소위 위반적 젠더의 표상들을 ‘발견’하고 붙잡는 작업을 시도해 왔다면, «무영탑»(2010)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배우를 연출된 무대와 카메라 앞으로 초대한다. 배우들은 아무것도 공연되고 있지 않은, 그러나 ‘무대’라는 정체성만이 남아있는 텅빈 무대 위/닫힌 막 앞에 등장해 노래와 춤을 포함한 자신의 연기를 설명하고, 무대와 공연을 만들기 위한 세심한 매만짐과 가르침을 역설하거나, 주어진 성별을 위반하는 반복적인 훈련과 수행을 통한 젠더의 교차와 횡단을 드러낸다. 텅빈무대는 이러한 배우들의 수행을 통해 ‘공연’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것은 젠더라는 체계역시 수행을 통해 구성되며, 복제 가능한 것임은 물론, 그렇기 때문에 결코 본질적일 수 없음을 드러낸다.

Yeosung Gukgeuk that started at the end of the 1940s is a similar type of the Korean traditional operas that declined after its popularity peaking during the 1950s through 1960s. It is a Genre where singing (唱) and dancing (舞) are combined and contains remaking stories of popular myths or novel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 Yeosung Gukgeuk obviously appropriates the characters who perform conventional gender role and their typical melodrama, however, It has a significantly, uniquely subversive style what only women player can perform all of characters I have made a challengeable enthusiasm, questioning two-gender based gender system always known as truth, following and representing the gender expressions of player who are identified male leaders. For the work, Directing for Gender(2010) , I have attempt to invite the players to my setting and direction, instead I have discovered and captured some subversive gender images, standing around their on/off-stage for the earlier piece, The Unexpected Response(2010) . The players explain about their gender reversing performances, emphasize how to make and train their role on stage, and reveal the crossing and traversing gender through their endless training and performing against so-called given gender, appearing on the empty stage/ in front of the closed curtain where only stage-like-place without any show. This empty stage is going to be filled with their performative playing, that is going to be a ‘cue’, how the gender system is constructed with performance, which is copy-able. Moreover, it is metaphorically alludes, gender has never been natural.


Act of Affect

Korea / 2013 / Color / Stereo / 15min 36sec / HD

«정동의 막»은 사라져 가고 있는 여성국극 전통의 끝자락에 남겨진, 거의 마지막 세대로서의 갈등과 내적 투쟁을 경험한 젊은 여성국극 남역배우를 조명한다. 이 작품은 15분가량의 단채널 비디오로 제작되며, 1회의 퍼포먼스를 동반한다. 배우는 무대에 서기까지 관계하는 모든 시공간에서 지루함에 가까운 반복적인 훈련의 행위를 통해 남성성을 수행하며, 서서히 남성이 되어간다. 이 ‘되어감’의 과정을 밀착적으로 추적, 포착하는 이 작품은 또한, 한 남역배우의 고민과 갈등을 끌어안은 채로 분출하는 비언어화된 어떤 뜨거운 이끌림과 열망/ 정동에 감응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The work ‘Act of Affect ’ sheds light on a young Yeosung Gukguek actress who plays a male character and experiences the conflict and inner struggle of being what may be the final generation of Yoesung Gukguek performer; she essentially stands on the verge of the tradition’s end. The Actress, following an act of training that is repetitive to the point of approaching boredom and encompasses all of her space and time until she appears on stage, performs masculinity and, as a result, gradually becomes a man. Coherently tracing and capturing this process of “becoming”, this work is also an effort to respond to a certain nonverbal fiery attraction and desire/affect, exploding with the embrace of the concern and conflict of an actress playing a male character.

인디- 비주얼 Indi-Visual

정동의 막

203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EXiS 2017

노래는 부르지 않을 것입니다 I am not going to sing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Korea / 2015 / Color / Stereo / 15min 42sec / HD

1950년대, 여성국극(Yeosung Gukgeuk)의 황금기에 빼어난 “가다끼(남역 조연으로 ‘악역’을 뜻하는 여성국극 현장의 은어)”로 이름을 날리던 배우 이소자는 ‘소리(판소리)’를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늘 조연의 자리에 머물러야만 했다. 물론 ‘가다끼’로서의 특화된 유명세는 언제나 그에게 큰 자부심과 삶의 동력을 제공했지만, ‘니마이(남역 주연으로 여성국극 공연과 관극의 핵심이 되는 역할이다.)’역을 향한 열망은, 이미85세가 된 늙은 배우에게 일생의 여한이다. 여성국극은 판소리를 그 음악적 기반으로 삼아,

204

한국 전통연희의 다양한 특징들을 혼합해 무대화하는 창무극의 한 종류이다. 서구의 오페라나 뮤지컬과 흡사한 양식을 띄지만 모든 배역을 오직 여성들만이 연기해야만 하는 특수한 양식을 가진다. 따라서 여성국극 배우들 중에서도 주요 남역을 맡는 배우들은 소리와 춤에 능해야 할 뿐 아니라 남성을 연기하는 성별수행을 혹독하게 훈련하게 된다. 당시 ‘소리’에 능했던 여성들은 대개 ‘기생’출신의 여성들로 소리, 악기, 춤 등을 권번이라 불리우던 기생학교에서 수련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당시, 여성이 예술적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기실 기생출신이라는 말과 다름아니었고, 또한 기생이란 호명은 단지 예능보유자를 이르는 것 이상으로 성적으로 방종한 여성을 천시하는 사회적 혐오의 시선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소자는 이러한 세상의 편견에 노출되는 것을 두려워 한 탓에 끝내 소리를 배우지 않았고, 그로 인해 영원히 남역 주연이 될 수 없었다. 그러나 주연이 될 수 없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악랄한 남자인 가다끼를 연기할 수 있었다. ‘나쁜 남자’라는 남성의 이미지는 매우 전형적인 ‘남성-되기’의 기술을 또한 제공한다. 이 작품은 여성국극 남역배우 이소자의 삶 뒤에 포진한 이와같은 성별의 문제들과 성차의 아이러니를 무대화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반복되고 강요되는 성별표현의 허상을 공격하고 해체한다.

Though renowned as an outstanding kataki (meaning “villain”, this is a theater slang designating a supporting male role) in the 1950s, the golden age of Yeosung Gukgeuk (traditional Korean female theater), performer So-ja Lee was always relegated to supporting roles because she could not sing a song, the musical basis of the genre. Of course, her fame as a master kataki was a constant source of considerable pride and energy in life. Nevertheless, the unfulfilled passion for the nimai (a word referring to the leading male role, this was the flower of Yeosung Gukgeuk for performers and audiences alike) is an enduring regret for the now 85-year-old performer. Yeosung Gukgeuk is a type of musical and dance theater that, based musically on the pansori(Korean traditional story-singing), combines and stage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Although similar in mode to the opera and the musical in the West, it is distinguished by the fact that all roles must be played by women only. As a result, from among Yeosung Gukgeuk performers, those who mainly play men’s parts must not only be adept at singing and dancing but also receive rigorous training in gender performance to play male roles. In this era, women skilled in the pansori were mostly former gisaeng (professional female entertainers akin to the Japanese geisha), having learned to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dance at private gisaeng schools called gwonbeon. Consequently, at the time, for a woman to have artistic skills meant that she in fact was a former gisaeng, and the label of gisaeng went beyond simple expertise in the arts and implied dissolute women and society’s ensuing contempt and hatred for them. Due to her fear of being exposed to such prejudices of the society, So-ja Lee did not learn to sing the pansori to the end and therefore could never play the leading male role. However, precisely because she could not play the leading male role, she was able to play the part of the kataki, a man more evil than any other. The male image of a “bad guy” also provides a very typical technique of “becoming man”. By staging such problems of gender and the irony of gender differences hidden behind the life of Lee, a male-role actress in Yeosung Gukgeuk, this work attacks and deconstructs the illusion of gender expression that is socially repeated and forced.


인디- 비주얼 Indi-Visual

205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EXiS 2017

정은영 ‘여성국극 프로젝트’ : 사후적 리허설 (무대-바깥은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sire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 Deferred Rehearsal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How is the off-stage (re)constructed?) 방혜진 Haejin Pahng

판소리의 한 변형으로서 그보다 훨씬 후대에 206

생성됐지만, 오히려 시대의 급변 속에 빠르게 소진되어 사실상 유효기간이 만료된 여성국극을 어떤 프레임으로 어떻게 포착할 것인가의 문제는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근본적인 질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프레이밍 작업은 공연과 영상 매체 작업에 동일하게 적용되나 그 양상은 상이하다. 영상 작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면모는, 이러한 프레이밍이 프레임 자체로서 강조된다는 것이다. 우선, 공연에서처럼 사후성과 리허설은 여성국극을 바라보는 핵심 태도이다. 과거 영광의 회고와 분장 및 신체 단련의 순간들이 거듭 되풀이된다.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지나가 버린 것의 파편들뿐이며 무대에서 실종된 그 무엇의 흔적에 불과하다는 것. 이 상실감과 애도의 정신이 주제에서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강조된다. 따라서 화면은 종종 분열되고 영상 속 배우들은 대개 무대에 오르지 못한다. (혹은 그들이 무대에서 보는 것은 텅 빈 객석과 공연할 수 없음의 조건이다.) 즉,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공연 작품들이 애도 속에서도 판소리라는 원형과의 근친성을 회복하는 단계로 나아간다면, 영상 작품들은 (판소리로부터 창극 및 여성국극으로의 전환에서 발생한 분리의 과정을 반복하며) 그 단절과 회복불가능성 자체에 침잠한다. ‘무대/바깥’을 ‘그 바깥에서’ 들여다본다는 영상매체-

작가의 자의식이 만들어낸 필연적 거리일 것이다. 단적으로, «(오프)스테이지»와 «오프/

스테이지»(2012)의 차이를 비교해볼 수 있다.

전자의 공연이 ‘오프’에 괄호를 치며 무대 바깥을 무대화했다면, 영상 작업인 후자에서 ‘오프’와 ‘스테이지’ 사이를 가로지른 빗금은 마치 스크린이라는 매개체, 그것에 의한 그리고 그것 안에서의 일련의

분할들을 지시하는 듯하다. «오프/스테이지»는 이소자, 조영숙, 조금앵 등 인물명이 부제로 달린 세 편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배우들을 현재 그들의 일상 공간에서

인터뷰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그 중 «오프/스테이지:

조영숙»은 렉처퍼포먼스 «(오프)스테이지»와 직접

A fundamental inquiry regarding Yeoseong Gukgeuk Project asks with what type of frame, and how, to capture yeoseong gukgeuk, which was created much later than pansori (as a transformation of pansori) and yet was extinguished with the abrupt turn of an era and is now de facto out of date. This work of framing applies in the same manner whether the work is in performance or in video, although each in different ways. One aspect that is most prominent in video is the framing’s emphasis on the frame itself. Firstly, as in the performance, the deferral and rehearsal is a fundamental attitude towards yeoseong gukgeuk. The reminiscence of the past glory and the moments of makeup and physical training are repeated. We can know only fragments of what has passed and traces of something that is lost from the stage. This sense of loss and mourning is accentuated not only in the theme but also in the form. Thus, the screens are split at times, and most of the performers within the video do not make it to the stage. (Or perhaps the condition of empty seats and an inability to perform is what they see from the stage.) In other words, while the performances in Yeoseong Gukguek Project advance, even in mourning, moving forward to the level of restoring an affinity with the architype that is pansori, the videos (repeating the process of separation that emerged out of the transformation of changguek and yeoseong gukguek from pansori) are immersed in that severance and irretrievability. It would be a necessary distance that is formulated from


방식에서의 차이이다. «(오프)스테이지»가 무대의 단촐함 속에 노래를 통해 판소리와의 중첩을 향해

나아간다면, «오프/스테이지»에서의 조영숙의 노래는 도리어 신체의 부재, 나아가 무대 재현의 불가능성을 확인시킨다. (노래와 함께 낡은 원고에 적힌 가사를 더듬어 짚어가는 손 클로즈업의 도입부. “금강산으로 가세”라는 노래 구절이 카메라 앞 노배우의 시연으로부터 공연 사운드로 전환되며 오직 막막한 암전만을 바라보게 만드는 종결부.) 신체의 파편화 혹은 부재는 영상 작업 곳곳에서 감지된다. «무영탑»(2010)의 종결부에서 역시 유령처럼 신체를 뒤덮으며 암전으로 이끄는 공연 사운드. 암전과 함께 번갈아 호명되는 신체의 파편들. 종종 붉은 장막만을 포착하는 카메라. 무엇보다

«마스터클래스»의 영상버전이라 할 작품임에도

일련의 얼룩으로 추상화되는 얼굴. 심지어 «가사들

1»(2013)에서 직설적으로 보여주는 임춘앵의 무덤. 그 모든 것들이 무대 바깥으로 밀려난 존재를 실체 그대로 포착할 수 없음에 대한 성찰의 양상이다.

따라서 화면의 분할은 종종 반영/반성의 프레임으로서의 거울과 액자의 빈번한 등장과 마주한다. 예컨대, 이소자의 자택에서 촬영된 두 편의

작품 «오프/스테이지: 이소자»와 «가사들 3»에서

거듭되는 사진과 액자의 프레임 활용. 더 분명하게는,

«뜻밖의 응답»(2010)에서 세 개로 분할된 화면과 그 화면 내에서 거울로 재분열되는 프레임. 특히 이 작품은, 대체로 무대 바깥이나 리허설 과정에 머무르는

«여성국극 프로젝트»로서는 예외적으로 여성국극 공연 영상이 직접 등장하는데, 그러나 그마저도 대단히 협소하고 파편적으로, 게다가 분장 모습과 나란히 제시되거나, 혹은 아주 멀리서 불명확하게 포착된 것들뿐이어서, 역시나 편협하고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관찰 시야를 상기시킨다. 동일한 유예와 회고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유독 영상 작업에서 ‘분리’가 강조되는 것은 영상 매체와 그것에 투사된 작가의 자의식의 결과일 것이다.

The fragmentation, or absence, of the body can be perceived throughout the video. The sound of the performance leading to the blackout covering up the bodies, like phantoms, at the close of Directing for Gender (2010). Fragments of bodies that are in turn summoned together with the blackout. The camera that at times captures only the red curtains. Above all, even in the video version of Masterclass , a master’s self-lesson facing the void. The absent protégé. The mechanical movements of the camera that gradually approach the black and white photograph without regard to the hearty voices from the interview in Off/Stage: Cho, Geum-Aeng . A face becoming abstracted with a series of smudges, fading away as the figure from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내용과 무관하게 흑백사진으로 점점 다가가는 기계적 카메라 움직임. 사진 속 인물에 근접할수록 흐릿해지며

207

허공을 향한 스승의 나홀로 가르침. 부재하는 제자.

«오프/스테이지: 조금앵»에서 호탕한 목소리의 인터뷰

the identity of a video artist who looks into the “off/stage” from “the outside.” The comparison between (Off ) Stage and Off/Stage (2012) is directly related to this matter. While the former theatricalized the off-stage by placing a parenthesis around “off ” as a performance, the slash across “off ” and “stage” in the latter, which is a video, seems to indicate the mediation of the screen and the series of divisions by it or in it. Off/Stage comprises three parts, each with subtitles of the characters’ names, such as So-ja Lee, Young-sook Cho, and Geum-aeng Cho. And they are mainly interviews with each of the performers within the places of their daily lives. Among them, Off/Stage: Young-Sook Cho is directly related to the lecture-performance (Off ) Stage . It presents a story that is more or less similar, yet the differences in the demonstration of the song draw one’s attention. While (Off ) Stage advances towards the overlap with pansori through singing on a modest stage, Young-sook Cho’s singing in Off/Stage instead confirms the absence of the body and, furthermore,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the stage. (The introductory scene with a close-up on a hand fumbling with the lyrics from worn-out manuscripts with a song. The closing scene where a line from a song, “let’s go to Geumgangsan”, transitions from the rehearsal of an elderly performer before the camera to the sound of a performance, focusing the gaze solely on a desolate blackout.)

인디- 비주얼 Indi-Visual

연결되는 작품으로서 동일한 화자의 엇비슷한 사연이 전개되는데, 이목을 끄는 것은 노래가 시연되는


EXiS 2017

하지만, 또 한편, (공연의 통합적 시공간을 영상 매체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마련인 왜곡에 대한 성찰을 넘어) 여성국극 자체가 영상 매체와 맺어온 어떤 불화의 역사도 간과될 수 없다. 즉, 전쟁 이후에도 한동안 성행했던 여성국극이 1960년대 들어서며 급속히 몰락하게 된 요인 가운데는 영화와 텔레비전의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등장을 빼놓을 수 없다. 여성국극이 주력해온 멜로드라마의 영역은 영화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 텔레비전이 보여준 새로운 동시대적 감각은 여성국극의 시대착오성을 부각시켰을 것이다. 이러한 매체적 관계는 작가로 하여금 영상 작업에서 더욱 신중한 태도를 취하게 만든다. 아마도

«(오프)스테이지» 등의 무대 작업을 거치며 영상과 무대 자체에 대한 더욱 뚜렷한 관계 설정이 장착되었을 정은영은 «정동의 막»(2013)으로 어떤 정점에 이른다. 제목의 ‘막’은 영어 제목이 지시하듯 공연 구성단위로서의 ‘act’이겠지만, 그 막을 구현하기 위해 208

객석과 무대 사이를 가로막거나 이어주는 경계로서의 막, 물리적으로 무대 위에 펼쳐진 붉은색 장막이기도 1)

하다. 말하자면, 이 글에서 거듭 언급해 온 스크린과 분할로서의 빗금. 이 작품은 앞서 언급한 거의 모든 요소들이 펼쳐진다. 노래 연습과 신체 단련 같은 리허설. 화장을 하고 가슴을 누르고 가발을 쓰고 옷을 갈아입는 일련의 분장 과정. 이를 포착하는 때로 4분할에 이르는 화면. 종종 파편으로서만 보여지는 신체 등등. 반면, 새롭게 등장하는 것은 ‘정동의 막’에 이르지 못한, ‘장막’에 가로막히고 만, 텅 빈 무대와 객석의 허허로움이다. 이렇듯 붉은 장막 뒤로 사라진 여성국극은 어쩌면, 이 작품에서 일별되듯, 박물관의 유물과 영상 자료의 형태로만 남게 될지 모른다. 그러므로 공연장의 공백과 맞물려 기록과 보관의 장소를 보여주는 것은 정은영의 어떤 결단과 관련된다. ‘기록’ 행위는 마땅히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주된 업무이고, 여성국극 작품의 ‘텍스트’에 대한 정은영의 애착은 명백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그 기록의 결정성에 신중을 기한다. 과거를 발굴하되 끊임없는 재구성 속에 열어두고자, 과거로 하여금 미래로 전진하는 서사가 되게 하고자, 그는 스스로의 리서치-아카이브에 영원히 완결되지 않을 유예를 선고한다.

the photograph draws closer. Even the blunt depiction of Choon-aeng’s gravesite in Lyrics 1 (2013). All of these are aspects of reflecting on the impossibility of capturing subjects that had themselves been expelled off stage. It follows that the divisions in the screen confront the frequent appearance of mirrors and picture frames as frames of reflection /introspection. The repeated use of picture frames and photographs in the two works Off/Stage: So-Ja Lee and Lyrics Ⅲ, which were shot in So-ja Lee’s home. More clearly, the screens split into three in The Unexpected Response (2010), and the frame splits again into the mirror within the screen. Especially in the case of this work, the yeoseong gukgeuk performance video appears directly. This is exceptional in the context of Yeoseong Gukgeuk Project , considering how the works largely remain off stage or in the rehearsal process. However, even this is decidedly confined and fragmented, as demonstrated by the makeup scenes and scenes captured vaguely from a great distance, thus reminding one of an observational perspective that is bound to be prejudiced and incomplete. Despite the identical attitude of deferral and reminiscence, “separation” is accentuated in the video works as a result of the video media and the artist’s sense of identity projected onto them.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of a certain disaccord between yeoseong gukgeuk and video cannot be overlooked (beyond the reflections on the distortion that is bound to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the integrated time and space of the performance to video). In other words, one cannot leave out the advent of film and television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drastic decline of yeoseong gukgeuk starting in the 1960s, even though it had prevailed for years after the war. The domain of melodrama , yeoseong gukgeuk’s main focus, had been replaced by film. And the new, contemporary sense of television would have highlighted the anachronism of yeoseong gukgeuk. This relationship of media has the artist take on a more careful approach in working on the videos. Perhaps siren eun young jung came to possess an increasingly


좀 더 과감하게는, 제목의 ‘정동’에서도 이중의 의미를 확장시켜 볼 수 있다. 본래 뜻은 영어 제목의 ‘affect’에 해당되는 정동(情動)이지만, 리허설의 역동성과 공연장의 긴장으로 발생하는, 또한 분할된 화면과 화면의 지속으로 유발되는, 어떤 정동(靜動)의 흐름 또한 감지된다.

More daringly, “affect” from the title can also be extended to a twofold signification. The original meaning follows the “affect” from the English title. Yet there is also a sense of a certain flow of silent movement (靜動) that is brought on by the dynamics of the rehearsal and the tension on stage, and this is triggered by the splitting of the screen and the screen’s continuation. * Trans. note : The Korean word “pan” (판) can be defined as a place or space where something takes place, or its scene.

209 정은영 siren eun young jung

distinctive sen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deo and the stage from the stage works (Off ) Stage and others, and this has reached a certain pinnacle with Act of Affect (2013). Surely, the “mac [act]” would be an “act” as a unit of a performance, as the English title suggests. Yet it also indicates a curtain as a boundary that separates, or connects, the audience and the stage in order to realize the act, and the red curtain physically unfurled ) on the stage.1 In other words (as referenced numerous times throughout this text), a slash as a division from the screen. This piece sets forth almost all of the elements that have been mentioned above. A rehearsal as vocal practice and physical training. The backstage preparation of putting on makeup, pressing one’s breasts, putting on a wig, and dressing up. A screen that is split into four when capturing these scenes. Bodies that are at times only shown as fragments, and so on. Meanwhile, a sense of emptiness from the vacant stage and seats—one that did not reach the “act of affect” and is interrupted by the “curtain”—emerges anew. Yeoseong gukgeuk, which disappeared as such behind the red curtain, may as well be left behind in the form of artifacts and videos in a museum, as a glimpse of this video work tells us. Therefore, showing the location of records and an archive that are interlinked with the vacancy of the stage is connected to a certain determination that siren eun young jung possesses. The work of “recording” is surely a central task of Yeoseong Gukgeuk Project , and the artist’s attachment to the “text” of yeoseong gukgeuk is evident. Nevertheless, she pays acute attention to the determinacy of these records. She declares a suspension, never to be resolved, of her own researcharchive in order to discover the past and leave it open to endless reconstruction, and to allow the past to be a narrative that advances to the future.

인디- 비주얼 Indi-Visual

1)


210


아시아 포럼 Asia Forum

211


EXiS 2017

EXiS2017 아시아 포럼 - 대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디지털 브레이크 : 대만 무빙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

Digital Break: New Perspectives on Taiwanese Moving Image Curated by 왕 원-츠 WANG Wen-Chi1)

212

2017년 7월 15일(토) 오후 4시 30분(74min) / GV SAT, July 15, 2017 at 4:30pm @ Art Sonje Center

대만 프로그램의 주제는 “디지털 브레이크"이다. 이 프로그램은 동시대적 시간과 공간, 지각, 기억, 하이브리드 텍스트를 통한 디지털 환경 속의 반영적 담론을 통한 영원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위해 미디어에 극도로 노출된 시청자를 배제하려는 시도를 한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7명의 대만 작가는 모두 디지털 세대에 성장했으며, 그들의 작품은 필름과 비디오 아트 경계를 넘어선 대화를 만들어냄과 동시에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동시대적 현상에 대한 응답이라 할 수 있다. 작가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우리를 둘러싼 세상에 대한 감정과 스스로 경험하는 유기적 세계, 이에 따른 친밀감을 분석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The subject of the Taiwanese Program is “Digital Break”. The project attempts to remove the viewer from full-on media exposure so as to ask questions about contemporary time and space, perception, memory, and eternity through a reflexive discourse in digital environments via hybrid texts. All 7 selected Taiwanese artists grew up in the digital era , and their works can be seen as responses to contemporary phenomena associated with digital technology, whilst creating a dialogue across the boundary of film and video art. Through their work, the artists ask us to analyse our intimacy with the organic world, our feelings about the world around us, and the moment that we are experiencing.


아시아 포럼 Asia Forum

213

1) WANG Wen-Chi was born in Taipei, Taiwan. She obtained a BA degree in Motion Picture from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 in 2006. In 2010 she graduated from LCC,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with a distinction for her master’s degree in Enterprise Management for the Creative Arts, specialising in special event management and art festivals. With interests in moving image, sound and public art, her planning and curatorial experiences include: Taiwan Cinefest London, Kaohsiung Film Festival, “NYLON 25:Where Is Nylon?” exhibition for Yilan City Council, TECLandArt Festival, and many art events and exhibitions for XueXue Institute such as “Hiroshi Sugimoto-Time Exposed” and the Adopt-A-Zodiac Charity Exhibition Program in Taitung Art Museum. Her curatorial practice relates to the discovery of social texts referring to identity, social ideologies, and how we view history. She currently works as an independent curator at the OSMOSIS Audiovisual Media Festival and Event Coordinator at Taiwan Film Institute, coordinating international promotion and event planning for Taiwan Cinema at var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cluding the Berlinale and Festival de Cannes.

EXiS2017 디지털 브레이크 Digital Break

1) 왕 원-츠는 국립대만예술대학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런던예술대학에서 이벤트 조직과 예술 페스티벌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였고 크리에이티브 예술 산업경영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무빙이미지, 사운드 아트, 공공 미술 등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여러 영화제, 사진 전시, 국제교류 프로그램 등을 기획해왔다. 기획자로 그녀의 주된 관심은 역사를 인식하는 관점, 사회 이데올로기, 정체성 등이 사회적 텍스트로 발견하는데 있다. 현재 그녀는 OSMOSIS 오디오 비주얼 페스티벌의 독립 큐레이터이자 대만 영화 위원회 이벤트 코디네이터로 일하면서 대만 영화의 국제적 교류와 프로모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EXiS 2017

원거리 작용 Action at a Distance 천 인-쥐 CHEN Yin-Ju

Taiwan / 2016 / Color / Stereo / 9 min 16 sec /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원거리 작용»은 작가가 국가폭력과 정부, 신체에 관해 만든 연작 중 3번째 작품이다. 이전 작품인 «As Above, So Below»(2013-2014)와 «Liquidation Maps»(2014)에서 처럼 3채널로 구성된 비디오 설치는

214

국가폭력의 사례와 외과수술을 연결시키는 형이상학적 연결고리를 확장하고 간추린다. 의료 절차에 관한 파운드 푸티지, 양자 역학에 관한 교육 영화와 국가 폭력과 시민 사이에 벌어진 폭력적 대결의 새로운 푸티지 등을 사용하여 «원거리 작용»은 대응의 원리와 양자 뒤얽힘에 대한 철학적 결과를 탐색하면서 대우주적인 것과 소우주적인 것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양자가 뒤얽히는 것을 “원거리 상에서의 유령적인 동작”이라 불렀다. 원거리 작용과 그것의 이전 상황의 절차적인 반복은 궁극적으로는 응집되고 뒤섞인 우주를 기술하는데, 과학과 유사-과학은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두 개의 상호보완적인 길일 뿐이다. *이 작품의 오리지널 포맷은 3채널 비디오 설치 작품이며, 극장 상영을 위해 편집된 버전으로 상영된다.

Action at a Distance is the third chapter in CHEN’s recent practice of addressing the body, governments, and state violence. Like the previous chapters, As Above, So Below (2013–2014) and Liquidation Maps (2014), the three-channel video installation expands and summarizes the metaphysical threads connecting invasive surgeries and instances of state violence. Using found footage of medical procedures, educational films on quantum physics and news footage of violent confrontations between state forces and citizens, Action at a Distance elabo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rocosm and the microcosm by exploring the philosophical consequences of quantum entanglement and the principle of correspondence. Einstein called quantum entanglement “spooky action at a distance.” Action at a Distance and its previous iterations ultimately describe a cohesive and interwoven universe, where science and pseudoscience are merely two complementary routes to understanding human life. *The original three channel video installation has been edited for theatrical screening.

천 인-쥐 천 인-쥐의 주된 매체는 비디오 이지만 사진, 설치, 드로잉도 그녀의 작품에 포함된다. 지난 몇 년 동안 그녀는 인간 사회의 권력의 기능, 국가주의, 인종주의, 전체주의, 집단적 사유 혹은 집단적 (무)의식에 집중해왔다. 그녀의 최근 작품 역시 우주와 인간 행동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그녀는 많은 국제적 전시와 영화제에 참여했다. 그녀의 설치와 영상 작품들은 대표적으로 2016년 리버풀 비엔날레와 시드니 비엔날레, 2014년 상하이 비엔날레, 2012년 타이페이 비엔날레 등에 소개되었으며 로테르담 영화제, EMAF,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레이나 소피아 등에 참가했다. 그녀는 2010~2011년 네덜란드 라익스아카데미 레지던시의 입주작가였으며, 현재 타이페이에서 작품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CHEN Yin-Ju CHEN Yin-Ju’s primary medium is video, but her work also includes photo, installation and drawing. In the past few years she has focused on the function of power in human society, nationalism, racism, totalitarianism, collective thinking and collective (un)conscious. Her recent projects also engag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cosmos and human behavior. She has participated in many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film festivals, such as Liverpool Biennial (UK, 2016), Berlinale (DE, 2016), 20th Biennial of Sydney (AU, 2016), Shanghai Biennial (CN, 2014),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Para/Site (HK, TW, KR, US, 2013 - 2015), Taipei Biennial (TW, 2012),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NL, 2011), EMAF (DE, 2011), "Multitud Singular",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 (ES, 2009),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msterdam (NL, 2008), and San Francisc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US, 2006). Chen was a resident artist at the Rijksakademie (NL, 2010-2011) and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Taipei City, Taiwan.


침식의 짧은 역사

판 츠-밍 FAN Chih-Ming

A Short History of Decay (解體概要)

Taiwan / 2016 / Color / Stereo / 7 min 34 sec / HD

린 스-지에 LIN Shih-Chieh

판의 2016년 작품 «안개 속-버려진 도시»에서 작가는

Taiwan / 2014 / Color / Stereo / 5 min 45 sec / HD

전쟁 이후 버려진 지역 혹은 사람들에게 잊혀진 현대적 고립지로도 볼 수 있는 곳을 게임 엔진 시스템을 통해 상상적이고 가상적인 전쟁 후의 장면으로 표현한다. 그곳은 너무나 빛바랜 모습으로 더 이상 사람도 살지 않는 고립된 곳으로 보인다.

역사는 선형적 기표와 상징으로 이뤄진 해석이다. 기표를 탈맥락화하면, 이미지는 인과관계의 환영에서 자유로워진다. 이 작품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대만에서 미군의 설립과 식민지 역사를 소개하는 1970년대 미군에 의해 제작된 대만 프로파간다 영화를 샘플링 한 것이다.

In FAN’s 2016 work In the Fog - The Abandoned City , the artist creates a virtual and imaginary post-war like scene through a game engine system, which presents an abandoned territory after warfare, seen as an urban island forgotten by people. It appears quite barren, uninhabited and isolated.

* This video artwork features work from Taiwanese sound artist Yang Xanthe.

린 스-지에 린 스-지에는 타이페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비디오 아티스트이자 영화감독이다. 그는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를 공부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주로 미디어와 사적 기억 그리고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맥락에서 역사의 상호연관성을 주로 다뤄왔다. 그의 최근 작품인 «침식의 짧은 역사»는 2015년 대만의 금마장 영화제에서 최고 실험영화 부문과 음악상을 수상했다. 그는 현재 대만에 관한 조지 살마나자르의 문학적 민족지학에 영감을 받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LIN Shih-Chieh LIN Shih-Chieh is a filmmaker and video artist based in Taipei. He earned his MFA in Film and Video from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His works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dia, personal memories, and histories in the postcolonial context, blending the form of nonfiction and fiction. His recent work A Short History of Decay won best experimental film and best music design at the Golden Harvest Awards, Taiwan, 2015 and has exhibited in various venues internationally. He currently working on a project inspired by George Psalmanazar’s fictional ethnography of Taiwan.

EXiS2017 디지털 브레이크 Digital Break

FAN Chih-Ming Chih-Ming has worked in audio and visual projects, as well as video installations. His works have exhibited in PLATINE, Temps DʼImages, (CON)TEMPORARY OSMOSIS Audiovisual Media Festival 2015, Hors Pistes Tokyo Film Festival and won the Sound Art First Prize at the 5th Digital Art Festival Taipei and the Second Prize at Immortal Quest International New Media Art Competition.

*이 작품의 사운드는 대만의 사운드 아티스트인 양 샤오안의 작품이다.

History is an interpretation made up of linear signs and symbols. By decontextualizing the signs, images are liberated from this cause-and-effect illusion. To fight against the illusion, let there be glitch. This video is sampled from Assignment Taiwan , a propaganda film made by the US army in the 70s, introducing the colonized histor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S military in Taiwan after World War II.

215

판 쯔-밍 판 쯔-밍은 오디오-비주얼 프로젝트와 비디오 설치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그의 작품은 여러 오디오-비주얼 페스티벌에 소개되었으며, 제 5회 타이페이 디지털 아트 페스티벌에서 사운드 아트 대상을 수상했다.

아시아 포럼 Asia Forum

안개 속-버려진 도시 In the Fog


EXiS 2017

내가 당신과 함께 나이들어 갈 때

When I’m Getting Older With You 니우 쥔-치앙 NIU Jun-Qiang

Taiwan / 2009 / Color / Stereo / 5 min 10 sec /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16

이 작품은 단일한 뉴스 이미지를 렌즈 뒤에 숨어 있는 허구적 감정과 숨겨진 사건을 연장하면서, 이를 수평적 서사로 확장하고 발전시킨다. 한편으로 매스 미디어와 실재 사이의 차이를 대비시켜 우리가 살고 있는 피할 수 없는 환경과 즉각적인 라이브-뉴스를 요구하는 우리 자신의 상황에 대해 환기 시킨다. 자세 자체가 사건의 원인이 되면서 의도적으로 확대된 감정적 정교함을 통해 그녀는 주변부에 혼잡스런 뉴스 정보 속에서 쉽게 눈에 띈다. 그러한 불완전하고 불균형적인 시선의 자세속에서 그녀는 단순히 실재 삶 속에서 관람객의 한 전형일 뿐만 아니라 뉴스가 만들어 내는 감정의 투사체이기도 하다. 라이브-타임은 이 순간이 아니라, 스크린의 영속적 예언이 찰나의 순간이 되어버린 때이다. 그 순간의 응시를 위해 우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단위 작업의 개념 속에 존재한다.

The work develops and expands a simple news image into a horizontal narrative, extending hidden events and fictitious emotions behind the lens. In addition to contrasting the gap between mass media and reality, the film also reflects our immediate live-news demands and the inescapable circumstances that we live in. Under deliberately exaggerated emotional elaborations, she stands out from news information that crowds our peripherals, and the posture turns into the cause of the events. From an incomplete and unbalanced gaze, she is not only the epitome of images from the viewer’s reality but also the projection of part of the creator’s emotional state. This moment is not live-time; the moment of the screen’s eternal prophecy is fleeting. By gazing at this moment we exist within the concept of NIU’s work. 니우 쥔-치앙 니우 쥔-치앙은 1983년 핀통에서 태어났다. 그는 타이페이 국립예술대학 뉴미디어 아트학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주로 비디오와 실험영화, 사진, 믹스 미디어 설치 분야에 걸쳐있다. 그의 최근 작품들 대부분은 일상적 경험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것이다. 그는 다양한 사람을 자신의 작품에 참여시키고 그들의 과거 경험을 통한 이야기로부터 하나의 통일되고 결합된 경험을 만들어낸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 번도 직접 만난 적이 없는 사람들 사이의 놀라운 관계를 발견해낸다. 그는 물질주의를 거부하면서 인간의 생애에 지속적이고 변화하지 않는 어떤 것을 탐색한다.

NIU Jun-Qiang NIU Jun-Qiang was born in 1983 in Pingtun, Taiwan. He graduated with an MFA in New Media Art from Taipei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He mainly works in video, experimental film, photography and mixed media installation mediums. Most of Niuʼs recent artworks spring from the daily, ordinary life and its involved experiences. He has worked with many participants to narrate their past experiences for the creation of a more united, joint human experience. During the creative process, Niu investigates and examines the incredible relations between humans who do not meet face to face and the relationships from individuals to groups. Rather than focus on materialism, he rejects that notion and looks at what is constant and changing in humanity’s lifetime.


Microphone Test: A Letter to Huang Guo-Jun 쉬 츠어-위 HSU Che-Yu

Taiwan / 2015 / Color / Stereo / 25 min 18 sec / HD

쉬 츠어-위의 연작인 마이크 테스트는 작가인 황 구어-진의 동명의 작품에서 따온 것이다. 자살하기 두 달 전에 황은 “어머니께"라는 제목의 서간문체의 짧은 글을 남겼는데, 이 글에서 그는 자신이 자살을 하려한다는 것을 어머니에게 알렸다. 그리고 그는 자살을 하면서 유서를 남기지 않았다. 이 작품의 허구적 측면은 삶의 사실주의적 측면과 대조를 이룬다. 쉬의 작품은 언제나 허구와 사실 사이에 구별불가능한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HSU Che-Yu HSU Che-Yu was born in 1985 in Taipei and holds an MFA in Plastic Arts from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He specializes in video and installation art, and his exhibited works include Microphone Test, Familiar Otherness: Art Across Northeast Asia, Language is a Virus , etc. He won the Kaohsiung First Prize at the Kaohsiung Museum of Fine Arts, the Gold Medal in New Media Art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t the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and the Grand Prize at 4th edition of the Taishin Arts Award in 2016.

뉴질랜드에 도착한 후 난 매일 밤 날씨와 관계 없이 반짝이는 별을 촬영 사진으로 남겨두고 싶었다. 밤하늘의 별은 내 일기가 되었다. 별이 반짝이는 하늘을 보며 했던 내 생각과 영감 그리고 사유의 시간은 매일매일 의례적 기록으로 마침내 영화가 되었다.

After WU’s arrival in New Zealand, Wu wanted to photograph the starry sky each night, whether clear or not. The starry photos can be interpreted a diary. The film documents Wu’s everyday ritual of stargazing with his related thoughts, inspirations and meditative process. 우 쯔-안 우 쯔-안은 실험영화작가이자 비디오 아트 작가다. 그는 이질적인 이미지와 음향, 그리고 텍스트를 가지고 서사와 자아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을 만든다. 그는 또한 영상 기록 매체 중에서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교차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그는 국립 칭화대학 학부에서 젠더 및 문화연구를 전공하였고, 뉴욕 뉴스쿨에서 미디어학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그는 뉴욕 브루클린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을 런던 LGBT 영화제,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등지에서 상영된 바 있다. 그는 «아더 시네마»의 멤버이며, 대항문화운동 잡지인 «후모後母»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하다.

WU Tzu-an WU Tzu-An makes experimental film and video. By manipulating the heterogeneous images, sounds and texts, he creates work that tends to question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 and selfhood. He is also interested in the intersection of both analogue and digital techniques of visual reproduction. He holds a BA in Gender and Cultural Studies from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Taiwan and an MA in Media Studies from The New School, New York. He is currently based in Brooklyn, NY. His works have been shown at various venues including BFI Flare (Lond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Netherlands), CROSSROADS (San Francisco), Xposed International Queer Film Festival (Berlin), Golden Harvest Film Festival (Taiwan), MixNYC (New York). He was awarded the Jury Prize at the Festival of Different and Experimental Cinema (Paris). He is also a member of cinema collective The Other Cinema and the co-founder of countercultural zine group 後母PostMotherism.

EXiS2017 디지털 브레이크 Digital Break

쉬 츠어-위 쉬 츠어-위는 1985년 타이페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타이난 국립예술대학교에서 조소를 전공하였다. 그는 주로 비디오와 설치 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의 작품으로는 «마이크 테스트», «친밀한 타자성», «동북아시아의 예술», «언어는 바이러스다» 등이 있다. 그는 제1회 가오슝 미술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타이완 국립 미술관이 주최한 국립미술전에서 뉴미디어 아트 부문 금메달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우 쯔-안 WU Tzu-an

Taiwan / 2017 / Color / Stereo / 2 min 48 sec 16mm on HD

217

The Microphone Test series is named after writer Huang Guo-Jun’s Microphone Test . Two months before Huang committed suicide, he wrote an epistolary essay titled “To Mother,” in which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kill himself to his mother. The writing is filled with black humor and an expressive quality, but he did not leave any suicide note when he finally did kill himself. The fictional aspect of the work contrasts the factual aspect of life, which has always been a focus of HSU’s work.

스타게이징 Stargazing

아시아 포럼 Asia Forum

마이크 테스트 : 황 구어-진에게 보내는 편지


EXiS 2017

사적 컬렉션 A Private Collection 우 츠-위 WU Chi-Yu

Taiwan / 2016 / Color / Stereo / 13 min 33 sec /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두 명의 외국인 노동자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불법 복제 DVD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들의 영화에 대한 생각은 고향인 미얀마에서 어릴 적 경험했던 시절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이 없는 날이면 항상 그들은 사원 주변에 있는 시장에서 DVD를 사서 영화를 보곤 했다. 그들에게 영화를 보는 일은 삶과 무빙 이미지 사이의 영향관계를 이해하고 세계의 실재를 익혀나가는데 중요한 습관이 되었다.

218

Two foreign laborers talk about their own private collection: pirated DVDs. Their thoughts on watching movies can be traced back to the childhood experiences when they lived in Myanmar. When there was no work to do, they often spent time watching movies bought from a market nearby a temple in their hometown. For them, watching movies is more than entertainment; it has become a crucial way to learn about the word and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life and moving images.

우 츠-위 우 츠-위는 타이페이에 거주 중인 작가다. 그는 작가 집단인 후싱엔 스튜디오의 멤버다. 그는 비디오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르의 협업 프로젝트 작업을 하였고, 여기에는 비디오 설치와 렉쳐 퍼포먼스도 포함된다. 그의 작업은 구술사와 지방의 소문을 기록하고 재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가는 서사의 해체와 재구성 과정을 통해서 탈근대 문명을 역사와 공동체와 다시 연결시키고자 한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그는 암스테르담 라익스아카데미 입주작가였고, 2013년에는 금천예술공장에 머물기도 하였다.

WU Chi-Yu WU Chi-Yu is an artist currently based in Taipei. He is a member of the artist collective Fuxinghen Studio. His video work includes collaborative projects of various genres, video installations as well as lecture performances. His artistic practice focuses on the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oral history and local rumor.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narratives, he reconnects the postmodern civilization which has become detached from history and community. From 2014-2015, he was a resident member at Rijksakademie in Amsterdam and at the Seoul Art Space Geumcheom in 2013. Wu has participated in several international exhibitions such as “The 2nd ‘CAFAMFuture’ Exhibition” in Beijing and “FEST - New Directors New Films Festival” in Portugal.


아시아 포럼 Asia Forum

219

EXiS2017 디지털 브레이크 Digital Break


EXiS 2017

EXiS2017 아시아 포럼 - 홍콩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방향감각 : 경계선 따라가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동시대 비디오 아트에 대한 제안

220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on initiatives in contemporary video art in the Asia Pacific Curated by 린다 라이 Linda C.H. LAI

2017년 7월 16일(일) 오후 4시 30분 (64min) / GV SUN, July 16, 2017 at 4:30pm @ Art Sonje Center

이 프로그램은 비디오 아트의 기원과 역사를 포괄적으로 보여주려는 의도에서 기획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바술카 부부, 백남준, 베릴 코롯, 메리 루시에, 그리고 피터 바이벨과 같은 위대한 초기 비디오 작가가 등장하는 비디오 아트의 표준사에 대한 대답이다. 이 프로그램에 포함된

6명의 작가는 지난 수 년간 홍콩에서 호주에 이르는 지역에서 내가 직접 만나서 대화를 나눈 사람들이다. 여기에 소개되는 8편의 작품들은 우리의 우연적 조우의 “기록물"이다. 이 프로그램에 선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개념적 원천, 예술적 뿌리, 실험의 양상, 그리고 작가 개인의 헌신 등이 고려되었다. 60분 분량의 이 프로그램은 그래서 비디오 아트가 실천하고 사용하는 입장과 의도, 그리고 창조적 욕망의 궤적을 표시하는 지도에 가깝다. 비디오 아트는 잘 알려져 있듯이 텔레비전이 이제는 거의 전설이 된 1960년대 소니의 포타팩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 녹화 시스템에 의해 촉진되면서 생겨난 산물이다. 텔레비전이 무빙 이미지를 가족이 사는 공간으로 가져왔다면,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는 영화 산업이 절대적인 지배권을 행사하던 무빙 이미지의 소유를 민주적으로 접근 가능하고 창의적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

This is no comprehensive survey of the roots and histories of video art. Orientations is rather a response to the standard story of video art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hich spins off familiar, great early video artists such as the Vasulkas, Nam-June Paik, Beryl Korot, Mary Lucier and Peter Weibel. The six artists in Orientations are those I have met and with whom I had conversations in the past year — from Hong Kong, Singapore and Australia. The eight works assembled here are the “documents” of our chance encounters. I take stock of the diverse conceptual sources, artistic roots, experimental modes and personal commitment they exemplify. The 60-minute program here, therefore, maps a trajectory of positions, intentions and inventive desires for how video art has been practiced and used. Video art was notably a product of broadcast television catalyzed by the almost legendary Sony Portapak in the 1960s. Whereas the former brought moving images into the domestic space, the latter turned moving images from absolute private ownership (of the film industry) to a new domain of democratized access and creative initiatives. Coming alongside was also a new range of technical experimental possibilities and an aesthetic vocabular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tive


등장하였다. 그 중에는 그레이 스케일의 분극화, 전자채색, 눈과 신체의 분리, 신호 방해, 피드백 노이즈, 그리고 신시사이저를 사용한 새로운 이미지 합성 등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에서 헥터 로드리게스는 원칙적으로 여기에 가장 근접해 있다. 그는 디지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이를 해체의 대상으로 삼는 동시에 계산을 그 자체로 예술적 매체로 사용하여 수학적 개념 위에 구축된 예술적 시기의 새로운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초기 비디오 아트에서는 분명히 영화가 아닌 ‘비디오’적인 어떤 것이 존재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모든 시청각 장비가 디지털의 관점에서 재인식되면서 비디오 아트를 정의하는 일은 점점 더 논쟁적인 과정이 되고 있다. 분명 비디오는 다양한 매체들의 공통점 혹은 수렴점을 지칭하는 말로 더 자주 쓰이고 있다. 비디오’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오늘날의 무빙

‘휴대성’은 중요한데, 카메라는 더욱 가벼워지면서 글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우리 신체의 연장이 되고 모든 곳에 존재하게 되었다. 비디오 아트라는 용어는 또한 여전히 분업기반의 제작방식과 구별되는 ‘1인칭 작가적 플랫폼’의 공간을 보존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는 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모든 작가들에게 해당되는데, 특히 소규모 분업 체제를 활용하면서도 스스로 작품의 퍼포머이자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디에고 라미레스에게도 마찬가지다. ‘비디오 아트’라는 용어는 계속해서 실험적이고, 대안적이며, 전복적인 공간을 보존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되는데, 이 공간에서 작가들은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규범화된 규칙들에 도전하고 사회 내의 매체 관련 메타-쟁점들을 제기할 수 있다. 잠슨 로 (로 숨-포)의 최근 무빙 이미지 작업은 비디오 콘서트 혹은 비디오 오페라를 위해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이 프로그램을 위해 나는 그의 초기 싱글 채널 작품인 «달리기에 익숙해지기»를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1997년 홍콩의 지역 독립영화 및 비디오 커뮤니티에 처음 공개되었다. 작가 스스로 “뮤직 비디오"라고 규정한 이 작품은 홍콩의 초기 비디오 아트 운동에서 뮤직 비디오가 점하고 있었던 “대안적"적이고 전복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뮤직 비디오"라는 용어가 예술 전체에서 갖는 특징은 스토리텔링의 부담에서 자유로운 시각 음악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연구를 위한 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이 영화가 아니라 텔레비전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힘주어 강조했다. 로의 비디오 작업은 1997년 이래로 텔레비전 색상의 “팔레트"를 의식적으로 탐구해왔으며, 비디오는 그에게 새로운 “캔버스"다.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이미지 제작자들과 초기 비디오 아트의 실험가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을 것이다. 여전히

221

도 훈-핑과 케빈 응의 작품들이 보여주듯이 ‘순수한

film language — from polarization of the gray scale, colorization, eye-body separation, to signal interference, feedback noise and new image-making capabilities with the synthesizer. In this program, Hector Rodriguez comes closest in spirit — as he scrutinizes digitality as the very object of deconstruction, and computation an artistic medium that commands a new system of artistic knowledge built upon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early days of video art, there was definitely something very “video” that is not cinema. As we look around today with all audio-visual equipment digitally reconceived, defining video art has become more a series of polemics. No doubt, video is more often the synonym of intermedia, as much as a platform of media convergence. There is no more “pure video”, as the works of Toh Hun-ping and Kevin Ng manifest in this program. What connect contemporary movingimage makers with those in earlier phases of video art experimentation are perhaps the following. Portability remains important, with our cameras ever lighter, more literally the extension of us, and more omnipresent. The term “video art” is also often kept to preserve the space for a single-person artistic platform, as opposed to crew-based production. Such is the case of all artists selected, including Diego Ramirez whose work deployed a small crew as he is himself the performer-protagonist in his work. The term “video art” has continued to preserve the space for the experimental, the alternative, and the subversive, where one speaks the unspeakable, challenges set conventions, and raises critical meta-issues of media in society. The recent moving image works of artist Jamsen Law (LAW Sum-po) are made for video concerts or video operas. In this program, I picked an early work of his, a singlechannel piece Getting Used to Run , published in 1997 by the local independent film/video community of Hong Kong. Self-identified and classified as “music video”, it suggests the “alternative” status and subversive overtone music videos enjoyed in that earlier moment of video art in Hong Kong. What the term “music video” underscores for video art in art is an emphasis on visual music freed from the burden of story-telling. In a research interview

아시아 포럼 Asia Forum

옮겨놓았다. 그와 함께 새로운 기술적 실험의 가능성과 기존의 규범적 영화 언어와 구별되는 미적 어휘도


EXiS 2017

무빙 이미지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미술적 감수성과 영화로부터 받은 영향은 도 훈-핑의 작품들 모두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그는 몽타주와 파편화를 기본으로 하는 실험영화 전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그의 작품은 스탠 브래키지의 다이어리 영화를 디지털 매체로 만든 느낌을 준다. 그는 스틸 사진, 드로잉,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조각, 영화, 회화, 그리고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기존의 다양한 예술적 표현기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디지털 “비디오"를 활용하고 있다.

2006년작 «자유 도시를 위한 청사진»과 2009년작

«여파의 탈은폐»는 단지 정교한 애니메이션 작품에 그치지 않는다. 두 작품을 보게 되면 우리는 작가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 감정적 분출이 이미지의 표면 위에서 전개되고 구체화되는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잠센 로의 경우처럼 개인적인 의심이나 우울증은 결코 그저 개인적인 것이 아니다. 도와 로의 작품에서 감정의 분출은 현대적 삶의 조건,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222

홍콩과 싱가포르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두 작가 모두가 활용하고 있는 기존의 이미지들은 매우 상이한 미시-서사적 전략에 의해서 선택된 것들이다. 디에고 라미레즈의 이국적인 세미-호러

영화인 «액솔로틀의 행복»에서 기억하고자 하는 욕구는 여전히 수행적 성격을 갖지만 매우 다른 게임이다. 이 작품은 기존의 대중적인 사물들을

적극적으로 재독해하여 저항의 새로운 텍스트를 창출하고자 하는 작가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멕시코 출신으로 멜버른에 거주하고 있는 작가에게 비디오는 유용한 도구이자 문화적 표식의 전복적 공간이다. 일상의 사무를 수행하는 작가의 퍼포먼스는 허구적인 민족지학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현존은 재현적 직접성을 나타낸다. 그는 시각민족지학의 성애적이고 포르노그래피적인 분위기를 드러낸다. 이 작품에서 라미레스는 인물 자신을 “재현”하는데, 그는 이후에 이를 “대리 퍼포먼스"로 대체하면서 스스로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서 관객들이 그에게 부과하는 자전적 전제들을 극복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도 그는 카메라의 현존이 어떻게 정체성 정치에서의 “타자"를 규정하고 순화시키는지를 끈질기게 보여주려고 하고 있다.

«20세기의 유령»에서 일레인 왕이 비디오를 사용하는 방식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내면적이기도 하다. 그녀는 구상적인 형상을, 접근할 수있고 느낄 수는 있지만 설명하기는 힘든 정신상태에 따라서 분해한다. 정보과잉과 의견대립이 심각한 환경에서 삶의 불안감은 어떻게 극화될 수 있는가? 비디오는 문학과 비디오 프로젝션, 설치, 포노그래프, 콜라주 등으로부터 진화한 시청각 경험의 종착점이다. 작가는 신체로부터 해방된 일련의 재현을 통해서 비디오의 순수한 시각과 음향에 도달하고 있다. 케빈 응(응 착-항)에게 비디오란 다중반복적인 시각적 구성의 총체로써 현장에서 촬영한

I conducted with him, he emphatically stated his conceptual source was from television and painting but not cinema. Law’s video works, since 1997, consciously explored the “palette” of television colors and video is a new “canvas.” The cinematic root of moving image as well as a fine art sensibility is evident in the two pieces by Toh Hun-ping. He is strongly entrenched in the experimental cinema tradition in which montage and fragmentation are rudimentary, reminding us of the diary films of Stan Brakhage, with a digital twist. He deploys the digital “video” format as a free platform on which many existing artistic operations are possible — still photography, drawing, sculpting, filming, painting and thus animating. Blueprints for Volition City (2006) and Unconcealment of the Aftermath (2009) are not only the diligent work of an animator. As we watch the two pieces, we are also watching Toh’s invisible hands performing his emotional outbursts unfolding and materializing through his “frame-by-frame” marking and erasure of image surfaces. Like Jamsen Law, personal doubt or depression is never just personal. The outbursts in Toh and Law’s works are full of references of contemporary life and specific locales of their city-states — Singapore and Hong Kong… The use of found material to both artists, however, is subject to very different micro-narrative strategies. The impulse to remember is an equally performative yet different game in Diego Ramirez’s exotic semi-horror aXolotl’s Happiness (2014). The work highlights the artist’s interest in active re-reading of existing popular objects to generate new texts of resistance. To Ramirez, Melbourne-based with a Mexican origin, video is a handy tool and a subversive space of cultural markings. His performance of banal everyday chores can be understood as fictional ethnography, pointing back to the representational immediacy of the camera’s presence. He exposes the erotic, pornographic undertone of (visual) ethnography as a practice, as he told Katie Paine in an interview. In aXolotl’s Happiness , Ramirez “embodies” the character himself, a practice he gradually abandoned and turned to “delegated performance” in his later works to overcome the unexamined auto-biographic assumptions imposed by viewers on him


일상에서는 보통 주목하지 않는 건축물에 다시 생명을 부여한다. 건축물은 이제 자신만의 생명을 얻게 된다. 홍콩의 도시 공간의 박동은 이제 도시의 풍경을 구성하는 기하학적이고 시각적인 요소들의 계산된 콜라주를 통해 되살아난다. 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헥터 로드리게스의 두 작품은 비디오를 생성적 “글쓰기 기계", 즉 읽고 기록하는 소프트웨어이자 쓰기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기도 한 장치로 바꿔놓은 사례들이다.

«정리 8»과 «복싱 모스라이트» 모두에서 “라이브러리"는 데이터베이스로써 여기에는 기존의 무빙 이미지 작품들의 디지털 버전의 시청각 정보들이 담겨 있다. 각각의 작품들은 상이한 수학 개념을 사용하여 원본 작품을 수학적이고 분석적으로 “읽고" 이로부터 하위 수준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해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로드리게스의 «정리 8»과 «복싱

모스라이트»는 과학과 비디오 아트 사이의 대화를 탐구하기 위한 모범을 제공한다. 이는 내가 연구하고 있는 현대 비디오 아트의 궤적을 완성하는데 필수적이다. 그것은 완전히 새로운 지평을 보여주는데, 이때 수학적 개념은 단지 은유나 기능적인 수단이 아니라 무빙 이미지의 언어를 재정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궤적의 한쪽 끝에는 영화적 전통으로부터 발전된 작품들이 있다. 그리고 학제적 경향은 영화적 전통에 미술과 문화연구적 감수성을 결합한다. 궤적의 반대편에서 «복싱 문라이트»는 우리를 감각적 경험으로써의 무빙 이미지 너머로 이끈다. 이 작품은 비디오그래피를 잠재적인 무빙 이미지 작업을 만드는 소프트웨어 작업으로 대체한다. 따라서 규칙기반의 창작 예술사의 오래된 전통과 파운드 푸티지의 현상태를 재정의하는 일 사이의 대화가 일어나게 된다.

a database, which contains the audio-visual information of the digital version of existing moving-image works. Each work deploys different mathematical concepts to “read” the original works mathematically-analytically to generate lower-level data, i.e. the raw material for generative “re-writing.” Theorem 8 reads and rewrites Godard’s Alphaville against Maya Deren’s Witch’s Cradle whereas Boxing Mothlight (world premiere) analyzes Stan Brakhage’s Mothlight at the same time shows in real-time the deconstruction process in the form of a procedural, visual narrative unfolding. Rodriguez’s Theorem 8 and Boxing Mothlight supply a paradigm for the exploration of the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video art. They are essential for the completion of the trajectory of contemporary video art I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분석해면서 절차적이고 시각-서사적인 형태로 실시간

223

이러한 재료로부터 생성적인 “다시 쓰기"가 이루어진다.

«정리 8»은 고다르의 «알파빌»을 읽고 다시 쓰는데, 이때 마야 데렌의 «마녀의 요람»를 참조한다. «복싱 문라이트»는 스탠 브래키지의 «모스라이트»를

and his works. In either case, he persists in interrogating how camera presence defines and moderates selfhood and “otherness” in identity politics. Elaine Wong’s use of video in Phantom of 20C is not only personal, but also internal. She breaks down figurative forms for a state of mind that can only be approached, felt, but not elucidated. How to dramatize the anxiety of living in an info-crammed, opinion-loaded environment? Video is the final containment of an aural-visual experience that evolves from literature, video projection, installation, phonography and collage through a series of representational disembodiment towards pure sight and sound. To Kevin Ng (NG Chak-hang), video is the body of multi-iterative visual composi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industrious visual ethnographic field-shooting. In Ver. VII , video is also animation — he brings back to life architectural presences that we normally push away to the backdrop of our daily encounters. Architectural entities now acquire a life of their own. The pulse of the city space of Hong Kong runs not on found live action activities, but on calculated collage of geometric and graphic components of the cityscape. Hector Rodriguez’s two works in this program are instances of turning video into a generative “writing machine”, which is at once a software that reads and writes and a library that supports writing. In both Theorem 8 (2013) and Boxing Mothlight (2016), the “library” is

아시아 포럼 Asia Forum

시각적 민족지학과 결합된다. «버전 7»에서 비디오 또한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작가는 우리가


EXiS 2017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am surveying. It embodies and anticipates a totally new horizon on which mathematical concepts are not just metaphors or functional facilitators, but that they re-define the language of moving image. At one end of the trajectory, we have works that draw from the cinematic tradition; and interdisciplinary tendencies intensify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fine arts and cultural studies sensibilities. At the other end of the trajectory, Boxing Mothlight takes us beyond moving image as a perceptual experience. It turns videography into softwarewriting of potential moving image works, thus dialoguing with a long tradition of rule-based artistic creation in the history of art on the one hand, and re-defining the status quo of foundfootage on the other.

224


자유도시를 위한 청사진

Getting Used to Run

Blueprints for Volition City Singapore / 2006 / Color / Stereo / 7min 47sec / HD

달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나는 심리적으로 어떤 준비를 하는가? 가속을 하고 감속을 하며 정지하고 그만두는 것이 어떻게 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가? 달리기에 익숙해진 다음에는 어떤 느낌일까? 당신이 달린다면 나는 당신에 대해 무슨 생각을 할까? 우리가 달린다면 어떨까? 이 작품은 홍콩의 중국 반환에 대한 작가의 성찰을 담고 있다. 추상적인 운동들은 에측할 수 없는 우연성에 대한 작가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의 음악은 작가의 친구이자 독립 음악가인 푼 탁-슈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싱가포르를 위한 장송곡이자 그 종말에 대한 에언이다. 또한 인간적 의지를 가진 도시의 극단적 결과에 대한 예견이자, 막힌 입에서 나는 소음이며, 노출된 피부의 더러움, 갈라지는 콘코리트, 깨진 유리와 녹슨 철이자 공허와 상처, 그리고 피를 흘리는 혈관에 관한 것이다. 이 작품은 완전히 스톱모션으로만 만들어졌다. 디지털 사진 프린트와 파운드 푸티지 등을 손으로 조작하면서 이 작품은 침식하는 재료와 파괴적인 분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퍼포먼스는 관객들에게 시각적이고 음향적인 불안을 안겨준다.

How do I prepare myself psychologically before I run? How does acceleration, deceleration, stasis and exit come into the picture? How would I feel after being used to running? What would I think (of) (you) if you run? How would you feel if I run? And how would it be if we run? The video is the artist’s reflection on Hong Kong’s handover to China. Abstract movements express his unspeakable emotion towards the unforeseeable chances. (Music in the piece is by the artist’s friend, independent musician PUN Tak-shu)

A dirge for Singapore; a prophecy for its demise. A prevision of its extremizing manwilled urbanity; its mouth-gagging noise; the dirty quality of exposed skin, bare cracking concrete, shattered glass and rusted steel; its voids, its scars and bloodied veins; percolating wastes from the seams; erogenous secrets abused and genitals torn apart. Blueprints was created entirely via stop-motion. Through hand-manipulations of digital photographic prints, found footage from uncredited sources, the work “performs” decaying substances and violent outbursts, which become visual and aural unrest for the audience.

잼슨 로 잠슨 로는 작가이자 예술 교육자로 그의 작품은 토론토, 도쿄, 부산, 홍콩 등지에서 단독 상영된 바 있다. 또한 그의 독립 비디오 작업은 트랜스미디알레 베를린, 광주 비엔날레 등을 비롯한 유럽과 아시아, 북남미의 여러 행사들에서 상영된 바 있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미디어 미학과 과정, 실존, 의식, 내면, 욕망, 공포 등으로 이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작업한 연작 시리즈에서 다뤄졌다. 그는 현재 홍콩 디자인 대학에서 시각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Jamsen LAW Jamsen Law is an artist and art educator who has held solo screenings in Toronto, Tokyo, Busan and Hong Kong. His independent video works have also been shown at Videobrasil, Transmediale Berlin, the Gwangju Biennale, the Ogaki Biennale and other festivals in Europe, Asia, and North and South America. Born and raised in Hong Kong, Law has been an artist-in-residence at Artspace in Sydney and a guest artist at Castle of Imagination, Poland. Law’s research interests lie in the areas of media aesthetics, the meaning of process, existence, consciousness, interiority, desire and fear, which have been explored in his Matching Four with Twelve series (2002-2005). After his research on media aesthetics at the Institute of Advanced Media Art and Science in Japan, he started to curate media arts-related artist-inresidence and collaborative projects. He now teaches visual arts at the Hong Kong Design Institute.

도훈핑 도 훈-핑은 자신의 비디오 작품과 단편 영화를 통해 이미지 가공의 다양한 방법론적 실험을 해온 영화 연구가이다. 그는 필름 스트립을 블리칭한다거나 스톱 모션 테크닉의 사용, 오래된 35mm 사진을 재활용하고 오래된 사진의 디지털 인화물을 스크래치 하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왔다. 싱가포르의 활발하고 혁신적인 동시대 비디오 아티스트로 도의 작품은 방콕, 파리 등의 실험영화제에서 그리고 비디오 설치와 라이브 프로젝션 퍼포먼스 등을 여러 예술 공간에서 발표했다. 그는 현재 싱가포르의 여러 장소에서 촬영된 영화의 사적인 비디오 자료를 수집하는 싱가포르 필름 로케이션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다.

TOH Hun Ping Toh Hun-ping is a film researcher who has been experimenting with various methods of image manipulation through his video works and short films — from employing stop-motion techniques to bleaching film strips, recycling old 35mm photography reels and scratching digital printouts of old photographs. An active and innovative contemporary video artist in Singapore, Toh’s works have been screened at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s in Bangkok and Paris, and presented in many art venues, both as video installations and live-performance projections. He currently runs the Singapore Film Locations Archive, a private video collection of films made in various locations in Singapore. His works have been featured at the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4) and the Hong Ko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7).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도 훈 핑 TOH Hun Ping

225

잼슨 로 Jamsen LAW

HK / 1997 / B&W / Stereo / 9min 23sec / SD

아시아 포럼 Asia Forum

달리기에 익숙해지기


EXiS 2017

여파의 탈은폐

Unconcealment of the Aftermaths 도 훈 핑 TOH Hun Ping

Singapore / 2009 / Color / Stereo 10min 24sec / HD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226

이 작품은 자기 회의, 불확실성,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심오함과 대면하고자 하는 작가 자신의 표현주의적 시도다. 1년이 걸려서 완성한 이 작품은 2008년에 베트남, 라오스, 그리고 타이완으로 혼자 떠난 여행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여행에서 작가는 생존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서 일을 하는 상태에서 오는 극단적인 우울증을 벗어나려고 애쓰다가, 죽은 자들의 이미지를 마주하여 당황하게 되며, 조상들의 땅에 도착하면서 우연히 평화를 얻게 된다. 이 모든 경험으로부터 작가는 숨막힐 듯한 영상 작품을 만들어내었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이 평화와 정신적 안정상태를 표상하는, “중단"되거나, 혹은 “정지”된 것처럼 보이는 반복되는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구성된다. 이 작품은 주된 서사는 작가 자신의 방황과 정체를 알 수 없는 더미 속을 뒤지고 다니는 여정이다. 기술적으로 보면 이 모든 것은 손으로 조작된 디지털 사진의 프린트, 비디오 프레임, 그리고 컬러 프린트 필름 위에 그려진 드로잉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이 수집한 파운드 푸티지 이미지의 모음이며, 시각적 구조에 맞게 음향도 작가자 직접 만들었다.

Unconcealment of the Aftermaths is the artist’s expressionistic attempt to come to terms with self-doubt, uncertainty and the profundity of it all. Taking a year to complete, it began with the artist’s solo travel in 2008 to Vietnam, Laos and Taiwan, including his ancestral home in Kinmen, through which he struggled to strike away extreme depression having worked for sheer income, was baffled by images of the dead, and tumbled into peace at his ancestor’s homeland. All this drove him to breathless visual compositions, which evolve into animation loops that appeared to be "suspended" or "in stasis" — the artist’s articulation of peace and mental stability. The narrative body of the work is a journey laden with labyrinthine wanderings and persistent scavenging through the unfathomable middens. Technically, it combines hand-manipulated - bleached, crumpled, painted - paper printouts of digital photos and video frames, and scratched drawings on colour print film containing old family photos, all digitally photographed or scanned, then animated frame by frame. Unconcealment is a work of visual composition as much as a compilation from own found images of the artist’s own. completes the piece A soundtrack the artist composed in response to the moving visuals completes the piece.

도훈핑 도 훈-핑은 자신의 비디오 작품과 단편 영화를 통해 이미지 가공의 다양한 방법론적 실험을 해온 영화 연구가이다. 그는 필름 스트립을 블리칭한다거나 스톱 모션 테크닉의 사용, 오래된 35mm 사진을 재활용하고 오래된 사진의 디지털 인화물을 스크래치 하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왔다. 싱가포르의 활발하고 혁신적인 동시대 비디오 아티스트로 도의 작품은 방콕, 파리 등의 실험영화제에서 그리고 비디오 설치와 라이브 프로젝션 퍼포먼스 등을 여러 예술 공간에서 발표했다. 그는 현재 싱가포르의 여러 장소에서 촬영된 영화 자료의 사적인 비디오 자료를 수집하는 싱가포르 필름 로케이션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다.

TOH Hun Ping Toh Hun-ping is a film researcher who has been experimenting with various methods of image manipulation through his video works and short films — from employing stop-motion techniques to bleaching film strips, recycling old 35mm photography reels and scratching digital printouts of old photographs. An active and innovative contemporary video artist in Singapore, Toh’s works have been screened at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s in Bangkok and Paris, and presented in many art venues, both as video installations and live-performance projections. He currently runs the Singapore Film Locations Archive, a private video collection of films made in various locations in Singapore. His works have been featured at the Singapor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4) and the Hong Ko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7).


디에고 라미레스 Diego RAMIREZ

일레인 왕 Elaine WONG

Australia / 2014 / Color / Stereo / 7min 15sec / HD

HK / 2017 / Color / Stereo / 3min 22sec / HD

이 작품은 인간형태를 한 악솔로틀(흔히 멕시코 보행 물고기라고 불리는)에 관한 것이다. 이 작품이 참고한 다른 작품은 훌리오 코르타자르의 동명의 단편인데, 파리에 사는 무명의 남미인으로 추정되는 주인공이 이 생물체에 대해 집착하게 되면서 악솔로틀로 변신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이 비디오 작품의 매우 느린 진행은 액솔로틀이 자신의 입을 찢어서 벌리는 예기치 못한 장면 때문에 갑자기 중단된다. 손상된 세포를 재생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주인공은 아무렇지도 않게 자신의 일상을 계속한다.

그녀는 결코 외롭지 않다. 심지어 그녀가 때때로 외롭기를 원할 때에도 외롭지 않다. 그들은 여기에 있고, 언제나 여기에 있다.누가? 그들. 당신이 알다시피. 그들. 미셀 푸코의 말처럼 ‘권력은 편재해 있는데, 모든 것을 포용하기 때문이 아니라 모든 곳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우리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 말하는 목소리에 둘러싸여 있다. 진리와 포스트-진리의 리좀 속에서 만인은 모든 것에 대해 할 말이 있다. 우리는 과잉-서사의 세계에서 듣고 무시하고 적응하며 저항하고 타협한다. 이 작품은 홍콩에 있는 40년된 아파트 건물 안에서의 강렬하지만 명명할 수 없는 정신상태의 세계를 보여준다. 그 정신상태는 건물 내부로부터, 그리고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목소리와 소음의 형태를 띤다. 내면적인 것과 외면적인 것, 시각과 음향 사이를 오가면서 작품은 두텁고, 정의할 수 없는 텍스쳐를 만들어내며, 암흑 속으로의 여행을 형성한다.

디에고 라미레스 디에고 라미레즈는 멜버른에 가주하는 작가다. 그는 주로 비디오와 사진을 이용하여 갤러리의 특성에 맞는 설치와 영사 작업을 한다. 그의 작품은 시각 문화에서 식민주의 유산과 차이의 생산 문제를 다룬다. 그는 공포, 욕망, 매체 작용, 그리고 이미지의 수사학을 포상하는 토착의 아카이브와 대중적인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홍콩, 브로츠와프, 타에페이 등지에서 상영되었다.

Diego RAMIREZ Diego Ramirez is an Melbournebased artist and writer. He works primarily with video and pictures to develop installation projects for galleries. His research based practice deals with the legacies of colonialism in visual culture and the production of differences. He seeks to reconfigure vernacular archives and popular images that embodies the meaning-making of fear, desire, media mediation and the rhetoric of the image. His video works have been shown at Art Central Hong Kong (Hong Kong), WRO Media Art Biennale (Wroclaw), ACMI (Melbourne), National Museum of Art (Taipei) and so on.

She is never alone, even though she sometimes prefers to be alone. They are here, always here. Who? They. You know. They. "Power is everywhere; not because it embraces everything, but because it comes from everywhere." (Foucault 1978, p. 93*) We are surrounded by voices telling us what’s right and what’s wrong. In the rhizome of truth and post-truth, everyone has her/his say about everything. We listen, ignore, adapt, resist and compromise in the hypernarrative world. Phantoms of 20C is a world of intense, unnameable mental conditions in a 40-year-old apartment in Hong Kong, depicted in the form of voices/noises from within the house and penetrating outside. Waltzing between what is internal and external, sight and sound in the work become thick, undefinable textures, forming a journey into darkness, with muffled dialogues reaching for experiential transformation. *Foucault, M 1978, The History of Sexuality Volume 1 : An Introduction, Pantheon, New York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aXolotl’s Happiness is a video about an anthropomorphic axolotl (colloquially, a Mexican walking fish). The work references Julio Cortazar’s short story Axolotl , a narrative about an anonymous, and presumably Latin American, man living in Paris who turns into an axolotl after developing an obsession with the creature. This idea is repurposed in aXolotl’s Happiness , which features an anthropomorphic axolotl performing a series of domestic chores in a domestic environment. The video is set at a slow banal pace that is suddenly disrupted by an unexpected scene in which the aXolotl rips its mouth open with a hook. The character – capable of regenerating damaged tissue – resumes its everyday life without expressing discernible concerns.

227

20세기의 유령 Phantom of 20C

아시아 포럼 Asia Forum

악솔로틀의 행복 aXolotl’s Happiness


EXiS 2017

일레인 왕 일레인 왕(왕 숙-인)은 홍콩시립대 크리에이티브미디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멜버른 왕립기술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하였다. 그녀는 홍콩의 독립 예술가 그룹인 얼터모더니스트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laine Wong Elaine Wong (WONG Suk-yin) holds an MFA (2017) from the School of Creative Media (Hong Kong) and was trained as a fine artist at the 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RMIT) University where she received her BA (Fine Art) degree with distinction in 2014. In 2013 she was awarded the scholarship from Hong Kong Art Centre to attend the Culture, Graphic Design and Fine Arts program in New York School of Visual Arts. She is also the founder of Altermodernists in Hong Kong, an independent art group run by artists to promote art, appreciation and art education.

버전 7

Ver. VII 응 착-항 NG Chak-hang

HK / 2017 / Color / Stereo / 9min 46sec / HD

228

작가에게 비디오는 홍콩의 도시공간을 기하학적 관점에서 재발견하기 위한 플랫폼이자, 도구이며, 일련의 활동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조작 방식은 단지 장식적인 미화가 아니라 친숙한 것을 발견하기 위한 작가 자신의 절차이다. 각각의 그래픽적 반복은 작가로 하여금 매번 다른 전략을 갖고 현장 촬영으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그 결과 도시공간은 더 많은 층위를 갖게 되고, 객관적 방식의 재현은 추상도가 높아진다. 소프트웨어적인 특수효과의 결과물처럼 보이는 통상적인 추상 애니메이션이 사실은 홍콩의 구체적 도시공간에 대한 부지런한 현장 촬영과 민족지학적 분석의 결과물이다. 관객은 재현적 공간의 그래픽적 해체를 보게되며, 점진적으로 시각에서 청각으로 옮겨간다. 이 작품은 여러 번의 반복들 중 하나의 종결을 표시한다. 미래에 다른 버전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To the artist, video is a platform, a tool, and a series of activities, to re-discover the cityspace of HK through geometric rendering. The actions applied — distortion, rotation, balance, kaleidoscopic construction and so on — are not just decorative beautification, but the artist’s way of procedural discovery of the familiar. Each graphic iteration resulted in his return to field shooting with new composing strategies videography and composing. As a result, the cityspace grows in thickness with imposed layering, and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moving towards abstraction. What looks like a regular abstract animation executed by special effects software is, in fact, a work of diligent field shooting and ethnographic analysis of the concrete city space of Hong Kong. The viewer witnesses the graphic deconstruction of representational space; s/he gradually moves from seeing to listening. “Version VII” marks the end of one of the many iterations. There could be more — Version VIII, Version IX… in future — just as an open journey of discovery should sustain an unbound generative series.

응 착-항 케빈 응(응 착-항)은 홍콩시립대학 크리에이티브미디어학과에서 제작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주요 관심사는 건축과 도시경관이다. 그는 비디오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작품에 관심을 갖고 있다.

NG Chak-hang Kevin Ng (NG Chak-hang) is a fresh graduate from the School of Creative Media, the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He has a strong interest in architecture and cityscapes. Video is his favorite creative medium.


헥터 로드리게스 Hector RODRIGUEZ

HK / 2013 / B&W / Stereo / 6min 48sec video software

The artistic-creative process began with writing a custom software that decomposes and then reconstructs every frame in a movie using a fixed database of frames from another movie. The first step is the selection of a fixed set of frames (the "dictionary"), from the film Cat’s Cradle by Maya Deren and Marcel Duchamp. The second step allow every frame in a second movie, JeanLuc Godard’s Alphaville , to make a shadow projection onto each of those frames. The elements of the dictionary are brightened or darkened by definite amounts so that their mixture approximates as closely as possible the source image as c…. Every frame in the second movie is decomposed onto those various changing shadows. By mixing the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Theorem 8 is an experimental video processing software that decomposes every frame in a movie using a fixed database of frames from another movie. By means of a mathematical technique known as orthogonal decomposition, it achieves a superimposition of frames from two different films: Godard’s Alphaville and Witch’s Cradle , directed by Maya Deren. The technique of orthogonal decomposition is often used in surveillance software, and so the work aims to foreground and deconstruct the computational aspects of surveillance technologies. Its underlying philosophy is that radical politics demands radical artistic forms.

229

이 작품은 실험비디오 프로세싱 소프트웨어로 다른 영화의 프레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해당 영화의 각 프레임을 분해한다. 이른바 직교분해로 알려진 수학기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영화(여기서는 고다르의 «알파빌»과 마야 데렌의 «마녀의 요람»)의 프레임들을 중첩시킨다. 직교분해는 주로 감시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기법이기 때문에 이 작품은 감시기술의 계산적 측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해체하려한다. 급진 정치는 급진적인 예술 형태를 필요로 한다. 이 작품의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과정은 커스텀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이 소프트웨어는 다른 영화(마야 데렌과 마르셀 뒤샹의 «마녀의 요람»)의 프레임의 고정 데이터베이스(이른바 “사전"이라 불리는)를 사용하여 하나의 영화의 모든 프레임을 분해하고 재조립한다. 그 다음에 분해와 재조합의 대상으로 장-뤽 고다르의 «알파빌»이 사용된다. 이 작품은 그 자체로 목적이 되는 비판적 탐구다. 작가는 실용적 목표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으면, 기술의 내적 가능성과 한계를 시험하고 이를 가시적인 것의 영역과의 관계에서 살펴보려 한다.

아시아 포럼 Asia Forum

정리 8 Theorem 8


EXiS 2017

different shadow projections,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approximate reconstruction of the current frame in the first movie.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Theorem 8 is a critical investigation that becomes an end in itself. The artist does not aim to achieve a practical end but rather to explore the intrinsic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technology and its relation to the field of the visible.

헥터 로드리게스

230

헥터 로드리게스는 디지털 작가이자 이론가로 무빙 이미지의 역사와 미학을 재구성할 수 있는 계산 기법의 독특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의 작품 «렉스 익스텐사»는 홍콩 아트 비엔날레 2003 최우수 디지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이외에도 그의 작품은 다양한 수상경력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브로츠와츠, 카셀, 런던, 싱가포르, 파리 등지에서 전시된 바 있다. 그는 마이크로웨이브 국제 미디어아트 축제의 예술감독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라이팅 머신 컬렉팁의 일원이다. 또한 홍콩시립대 크리에이티브미디어학과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Hector RODRIGUEZ Hector Rodriguez is a digital artist and theorist whose work explores the unique possibilities of computational technologies to reconfigure the history and aesthetics of moving images. His animation Res Extensa received the award for best digital work in the Hong Kong Art Biennial 2003. His 2012 video installation Gestus: Judex received an achievement award at the Hong Kong Contemporary Art Awards and was a jury selection at the Japan Media Art Festival. He received a commendation award from the Hong Kong Government for his contributions to art and culture in 2015. His computational video installation works have been shown at the WRO Media Art Biennale (Wroclaw), Kasseler Dokfest (Kassel), Saatchi Gallery (London), Siggraph Asia (Singapore), Athens Video/ Art Festival (Athens, Greece), "Recontres Internationales" (Paris/Berlin/Madrid), KLEX (Kuala Lumpur) and others. He was Artistic Director of the Microwave International Media Art Festival, and is now a member of the Writing Machine Collective. He currently teaches at the School of Creative Media,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He has taught courses on art and science, game studies, generative art, software art, media art theory, contemporary art, and film history.

복싱 모스라이트 Boxing Mothlight 헥터 로드리게스 Hector RODRIGUEZ

HK / 2016 / B&W / Stereo / 4min 1sec video software

이 작품은 프렉탈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박스 카운팅이라 불리는 절차를 스탠 브레키지의 전위 영화 «모스라이트»에 적용한 결과물이다. 이미지와 오디오는 모두 수학적 개념을 사용하여 생성된 것이다. 그 결과 자연적 텍스처와 디지털 텍스처 사이의 관계에 관한 최면적 명상이다. 박스 카운팅 방법은 그래픽 패턴 분석에 사용되는데, 곤충 날개, 나뭇잎 등을 사용하여 만든 브래키지의 작품과 같이 복잡한 텍스처 이미지에 적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이 알고리듬은 브래키지의 작품의 모든 이미지에 적용된다. 이 작품의 이미지와 음향은 모두 유사한 절차에 의해 만들어졌다.

Boxing Mothlight applies the procedure of box counting, often used in fractal analysis, to the avant-garde film Mothlight by Stan Brakhage. Both the image track and the audio track are generated using this mathematical idea. The result is a hypnotic medi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and digital texture. The box counting method, employed to analyze graphical patterns, is particularly interesting when applied to highly textured images, such as those in Brakhage’s work, a film made using insect wings, leaves, and other organic matter. The mathematical concept is closely aligned with the visual aesthetic of the source film. The algorithm covers every image in the Brakhage film with a fixed grid of nonoverlapping rectangular cells. If within one cell, there is some visual detail, the entire cell is rendered black. Otherwise, the cell is rendered white. The process is repeated with grids consisting of a greater number of smaller cells. This video consists of nine images generated in this manner. The image on the top left represents a covering of the frame with a very coarse grid, consisting of only four cells. As we move from left to right and top to bottom, the number of cells in the grid is increased (4, 16, 256...) and the size of each cell is correspondingly reduced. The nine images represent progressively finer representations of the same image. The soundtrack is produced using a similar procedure. The source is an audio recording of bees. This clip is divided into various non-overlapping fixed-length segments. A discrete Fourier transform is performed on each of the segments and all frequencies are filtered out except the zero frequency. The signal is then reconstructed


아시아 포럼 Asia Forum

by appending the filtered versions of the various segments. The procedure is then repeated several times, always on the original clip, using a progressively larger number of (correspondingly smaller) segments. In this way, we obtain a sequence of clips that represent progressively finer representations of the original sound.

231

EXiS2017 방향감각: 경계선 따라가기 ORIENTATIONS: BOUNDARIES SURVEYED


232


기구현황 Organization

조직위원회

Organization Committee

233

- 실험영화 학술 정기 간행물 발행 및 출판

서울국제실험영화 페스티벌 집행위원회

- 실험영화 정기 상영 및 기획전 - 실험영화 워크샵, 작업 기반 시설 지원

EXiS Executive Committee

- 실험영화 해외 교류 프로그램, 국내 지역 상영 협조 - Publishing experimental Film&Video jounal - Organizing regular screening program & exhibition - Supporting filmmaking workshop & artist collective

사무국

프로그래머

Office

Programmer

프로그램팀

기획운영팀

홍보팀

초청팀

기술팀

Program Team

Operative Planning Team

Publicity Team

Invitation Team

Technical Team

국제경쟁 EX-NOW ①

- Promotion screening exchange between nations, with local community


EXiS 2017 조직구성 Festival Organization 주최

(사)무빙이미지포럼 Moving Image Forum, 한국영상자료원

Korean Film Archive 주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집행위원회

EXiS Executive Committee

234

집행위원장 Festival Director 박동현 명지대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사)무빙이미지포럼 대표

Park, Donghyun Professor of Myongji University, Director of Moving Image Forum 부집행위원장

이행준 EXiS 프로그래머

Lee, Hang-Jun Filmmaker, EXiS Programmer 최두영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교수

Choi, Doo-Yeong Professor of Sejong University

Lee, Jang-wook Professor of Suwon University, Director of Space Cell 집행위원

Festival Executive Committee 김석범 수원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 부위원장

Kim, Suk-Bum Professor of Suwon University 신지호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영상전공 교수

Shin, Ji-ho Professor of Konkuk University 오준호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Oh, Jun-Ho Professor of So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a

자막스파팅 Subtitle Spotting : 펜 앤 페이퍼 필름

Pen & Paper Films

허욱 용인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출판팀장 Publicshing Manager : 이행준 Lee, Hang-Jun

Heo, Wook Professor of Yongin University

트레일러 Trailer : 요한루프 Johann Lurf 신지호 Shin, Ji-ho

유운성 영화평론가

Yoo, Un-Seong Film Critics 최종한 세명대학교 공연영상학 교수

Choi, Jong-Han Professor of Semyung University

Deputy Festival Director 이장욱 수원대학교 교수, 스페이스셀 대표

자막 번역 Subtitle Translation : 백채영 Lieby Baek 노선희 Sunny Roh 윤선영 Yun Sunyoung 오경주 Oh Kyongju

예심위원 Preliminary Jury 이장욱 Lee, Jang-Wook 이행준 Lee, Hang-Jun 사무국 Office 사무국장 General Manager : 최지연 Choi, Ji-Yeon 프로그램코디네이터

Program Coordinator: 김영준 Kim, Yeongjune 프로그램팀 Program Team : 김서현 SeOh, Kim 라지영 La, Ji-Young

카탈로그 번역 Catalog Translation : 홍철기 Hong, Chulki 이행준 Lee, Hang-Jun 아트디렉터 Art Director : 햇빛스튜디오 Sunnystudio 박지성 Park, Ji-Sung 박철희 Park, Chul-Hee 프로그래머 Programmer 이행준 Lee, Hang-Jun 자원활동가 Volunteers 프로그램팀 Program Team 최안나 Choi, An-na 박규재 Park, Kyu-Jae 길민형 Kil, Min-Hyoung 류다연 Ryu, Da-Yun 김강혁 Blair Kanghyuk Naujok 초청팀 Invitation Team 김소희 Kim, So-Hee 영상기록팀

영상기술팀장 Technical Manager : 이행준 Lee, Hang-Jun

Festival Documentation 곽효인 Kwak, Hyo-In 강혜연 Kang, Hye-Yeon

스크리닝매니저

행사운영팀

Screening Managers : 이장욱 Lee, Jang-Wook 이행준 Lee, Hang-Jun 한대호 Han, Dae-Ho

Festival Management Team 이해지 Lee, Hae-Ji 양예찬 Yang, Ye-Chan


사단법인 무빙이미지포럼

EXiS 2017

Moving Image Forum

도움 주신 분들

➊ 해외 유수의 실험영화를 소개하고 국내의 재능있는 실험영화 작가와 작품을 발굴, 국내 관객뿐만 아니라 해외 실험영화 관계자들과도 긴밀하게 소통하는 교류의 장인 서울국제실험영화제(EXiS) 매년 개최

회원가입문의

김나정 Kim, Na-Jung

전화 : 02-3141-1841

김선정 Kim, Sun-Jung

이메일 :

김응석 Kim, Eung-Suk

➋ 실험영화사에 중요한 이론적 이슈들을 모아 재조명하고 재생산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

김초원 Kim, Cho-Won 맹완호 Mang, Wan-Ho

회비납부 계좌안내 우리은행

1005-302-367759 무빙이미지포럼

박연선 Park, Yeon-Seon 박인현 Park, In-Hyun 박일동 Park, Il-Dong 배동진 Bae, Dong-Jin 안지은 An, Ji-Eun

235

➌ 국내외 미술관, 대안공간, 시네마테크, 공동체상영관 등과 연계하여 영화제 순회상영 프로그램 진행 및 퍼포먼스, 전시, 기획전 등을 공동으로 개최

manager@ex-is.org

김수택 Kim, Soo-Tak

오재엽 Oh, Jae-Youb 유정훈 Yoo, Jung-Hoon

➍ 대학교를 포함한 미디어교육 중심의 활동 단체와 연계하여 워크숍 및 교육 커리큘럼 지원

윤정환 Yoon, Jung-Hwan 윤서현 Yoon, Seo-Hyun 이근욱 Lee, Geun-Uk

➎ 국내외 실험영화 작품 및 관련 자료 아카이빙 : 국내 실험영화 작품 오리지널 포맷으로 아카이빙하고 카탈로그 등 다양한 출판물을 지속적으로 온라인화를 통해 연구적 목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

조인한 Cho, In-Han 진상태 Jin, Sang-Tae 최새롬 Choi, Sae-Rom 최민욱 Choi, Min-Wook

➏ 실험영화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작가층 형성에 노력

핍 쵸도로프 Pip Chodorov 로스 립맨 Ross Lipman 미셸 실바 Michell Silva

영화는 20세기에 큰 영향을 주었던 시각문화이고, 21세기에도 여전히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문화적 산물입니다. 현대로 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거대한 자본과 발전된 기술을 가지고 제작되는 블록버스터 영화나 현대 상업 영화들 사이에서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아직까지 발굴되지 않은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려는 실험영화는 많은 대중 여러분께 낯설겠지만 이는 한국 영상문화에 더욱 큰 자극을 줌과 동시에 그동안 알 수 없었던 새로운영상미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험영화의 제작, 배급, 연구, 교육에 지향을 가지고, 연대에 뜻을 같이 하는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국제경쟁 EX-NOW ①

홍석근 Hong, Seok-Geun


작가별 색인

다이애나 배리

24, 25, 26

에릭 뷜로

96, 97

후안 다비드 곤잘레스 몬로이

49, 50

에린 와이즈거버

120

J.M. 마르티네즈

126, 166

엠마누엘 피통 & 에밀리 모랭

126

건바 넬슨

173

우 쯔-안

217

권하윤

106-109

우 츠-위

218

김민정

81

윌 힌들

172

나다니엘 도어스키

71, 175

응 착-항

228, 229

나임 모하이에멘

56, 57

일레인 왕

227, 228

노엘 버치

89, 90, 91

임영주

76

노영미

75

자밀라 사버

120, 121, 124

216

재니 가이저

53

재커리 엡카

121

재커리 이어나지

72

잼슨 로

225

전준혁

84

정은영

201-205

조승호

78, 79

조지 클락

30, 58

존 토레스

115, 116, 117

차미혜

85

채형식

83

천 인-쥐

214

카나이 카츠

32, 33, 136-139

칼리 스타크

168

컬렉티보 로스 인그라비도스

55

켄 폴 로젠탈

174

크리스티나 C. 응우옌

122

크리스티안 델가도

48

테라 진 롱

47

톰 앤더슨

37, 89-91

티네 제너

67

판 쯔-밍

33, 215

페어 기나드

125

피터 버

121

피터 허튼

158-161

니우 쥔-치앙

236

니콜라스 테스토니

48

다나야 출푸티퐁

120

다이아나 베리

69, 70

데보라 스트래트먼

111-113

도훈핑

225, 226

디후

39, 40

디에고 라미레스

227

라이너 콜버거

61

라이다 레춘디

68

레베카 바론

93

로렌스 아부 함단

104, 105

로사 바바

103

리차드 투오이

69, 70, 24-26

린 스-지에

215

린다 라이

16, 31, 179-183

마누엘라 데 라보르데

63, 64

마크 라파포트

38

말릭 아말야

167

모니카 사비론

46

문유진

77

미카 타닐라

45

바네사 오닐

169

박선주

80

베른트 뤼첼러

41, 42

브루스 베일리

170, 171

브루스 코너

27, 147-152

사이먼 리우

62

샌디 딩

32, 196-198

샤오 야오

54

세바스티안 비드만

59

쉬 츠어-위

217

스탠 브래키지

23, 131-133

스티브 폴타

17, 162, 118

아냐 도르니덴

49, 50

아리아나 거스틴

125

아크람 자타리

94, 95

안상미

24, 134,135

안톤 긴즈버그

124, 127

앤드류 노먼 윌슨

122

헥터 로드리게스

229-231

히토 슈타이얼

99-101


Index of Artist

Hector RODRIGUEZ

229-231

125

HSU Che-Yu

217

Christina C. Nguyen

122

Im, Youngzoo

76

Danaya Chulphuthiphong 120

J.M. Martinez

126, 166

Diana Barrie

69, 70

Jamilah Sabur

120, 121, 124

Hayoun KWON

106-109

Jamsen LAW

225

Hito Steyerl

99-101

Janie Geiser

53

Jeon, Junehyuck

84

Kanai Katsu 金井勝

32, 33, 136-139

John Torres

115, 116, 117

Karly Stark

168

Juan David González Monroy

49, 50

Laida Lertxundi

68

LIN Shih-Chieh

215

Ken Paul Rosenthal

174

Linda C.H. LAI

16, 31, 179-183

Kim, Minjung

81

Malic Amalya

167

Lawrence Abu Hamdan

104, 105

Manuela De Laborde

63, 64

Mark Rappaport

38

Moon, Youjin

77

Mika Taanila

45

Naeem Mohaiemen

56, 57

Mónica Savirón

46

NG Chak-hang

228, 229

Nathaniel Dorsky

71, 175

NIU Jun-Qiang

216

Nicolás Testoni

48

Noël Burch

89, 90, 91

Peter Hutton

158-161

Pere Ginard

125

Roh, Youngmee

75

Peter Burr

121

Sun Park

80

Rainer Kohlberger

61

Terra Jean Long

47

Rebecca Baron

93

Thom Andersen

37, 89-91

Richard Tuohy

69, 70, 24-26

Vanessa O’Neill

169

Rosa Barba

103

Xiao Yao

54

Sandy Ding

32, 196-198

Zachary Epcar

121

Sebastian Wiedemann

59

Ahn, Sang Mi

24, 134,135

Seoungho Cho

78, 79

Akram Zaatari

94, 95

Simon Liu

62

Andrew Norman Wilson

122

siren eun young jung

201-205

Anja Dornieden

49, 50

Stan Brakhage

23, 131-133

Bernd Lützeler

41, 42

Steve Polta

17, 162, 118

Bruce Baillie

170, 171

Tinne Zenner

67

Bruce Conner

27, 147-152

TOH Hun Ping

225, 226

Cha, Mihye

85

Will Hindle

172

Chae, Hyeongsik

83

WU Chi-Yu

218

CHEN Yin-Ju

214

WU Tzu-an

217

Christian Delgado

48

Zach Iannazzi

72

Colectivo los ingrávidos

55

Deborah Stratman

111-113

Di Hu

39, 40

Dianna Barrie

24, 25, 26

Diego RAMIREZ

227

Elaine WONG

227, 228

Emilie Morin

126

Emmanuel Piton

126

Érik Bullot

96, 97

Erin Weisgerber

120

FAN Chih-Ming

33, 215

George Clark

30, 58

Gunvor Nelson

173

국제경쟁 EX-NOW ①

124, 127

Ariana Gerstein

237

Anton Ginzburg


작품별 색인

238

피플 파워 폭탄선언: 베트남 장미의 일기

115-117

필드 스터디 #2

173

하늘의 꽃

53

218

하드보일드 러브 스토리

75

서스펜션

169

하이뷰

62

47

세계

45

헬리오폴리스 헬리오폴리스

49, 50

489년

106, 107

세르게이

38

형태로의 회귀

121

5분 10초를 꿈나라로

149

스타게이징

217

화염

48

가니메데

77

스페이스

126

화이트 로즈

151

고무 도포 강철

104, 105

스프링 플레이버

174

흔적

120

구도자 예찬 2012

122

승부의 책임

125

196

굿-바이

136-139

시간과 물결

161

흙 얼음 꽃 아래 흐르는 피가 내뿜는 전파

기계 안에서

24-26

아라비다

67

힘의 우회

93

기차의 도착

37

아름다운 안드레아

100. 101

길가와 매립지

167

아부 아마르가 온다

56, 57

122

악솔로틀의 행복

227

83

안개 속 - 버려진 도시

215

170, 171

안에서도 밖에서처럼

63, 64

내가 당신과 함께 나이 들어갈 때

216

앤서 프린트

46

노래는 부르지 않을 것입니다

204, 205

야간순찰

120

단테 콰르텟

23, 131-133

엑스터시

39, 40

닫힌 꿈

197

여파의 탈은폐

226

달리기에 익숙해지기

225

168

달의 힘줄

124

연금술로 내 왕국의 모든 것을 금으로

도어 게임, 윈도 프레임: 유사 드라마

181

올드 햇

72

운해 雲海

58

드리머

71

워터/미스트/파이어/오프

76

201

원거리 작용

214

89, 90, 91

일리노이 우화

111-113

59

자외선

127

160

자유 낙하

99

80

자유도시를 위한 청사진

225

152

잠재적 응시

78, 79

217

저 꿈이 계속 타오르게 하라

61

정동의 막

203

25

54

빛-소리 장치에 대한 인상

55

(100ft)

81

빛의 모조품

96, 97

025 선셋 레드

68

사라진 인물들과 사라지지 않은 세계 혹은 그 반대

85

17가지 이유

175

사적 컬렉션

20세기의 유령

227, 228

350 미야

나는 네 것이 아니야 나무 내 인생의 모든 것

뜻밖의 응답 레드 할리우드 로스 (데)펜디엔테스 로지 심포니 리셋 마릴린 타임즈 파이브 마이크 테스트 : 황 구어-진에게 보내는 편지 모델 빌리지

108, 109

정리 8

229, 230

무영탑

202

존재의 노래

24, 134,135

미시 서사: 시각적 시

182, 183

주기적 굴절

126, 166

반 레오의 사진들

94, 95

주머니쥐 흉내

120, 121

버려진 꽃

84

지구 중심으로부터 바깥으로

103

버전 7

228, 229

침식의 짧은 역사

215

변위

124

카메라 위협

41, 42

보기맨

125

코스믹 레이

150

보스턴 화재

158

크로스로드

27, 147

보이는 목소리, 들리는 이미지

180

판코란

69, 70

복싱 모스라이트

230, 231

패턴 언어

121

브레이크어웨이

148

풍경(마농을 위하여)

159

비-장소 다른 공간

179

프리즘

198

빌라봉

172


Index of Film

TAKE THE 5:10 TO DREAMLAND

149

The Ape of Light (Le Singe de la lumière)

96, 97

The Dreamer

71

The hardboiled love story

75

The Illinois Parables

111-113 196

202

The Radio Wave of Blood Beneath the Dirt Ice and Flowers

84

The Unexpected Response 201

181

THE WHITE ROSE

25

54

Billabong

172

025 Sunset Red

68

Blueprints for Volition City

225

350 MYA

47

Boston Fire

158

489 Years

106, 107

Boxing Mothlight

230, 231

BREAKAWAY

148

COSMIC RAY

150

Cyclical Refractions

126, 166

Dante Quartet

23, 131-133

Directing for Gender Discarded Flower

37

Abu Ammar is Coming

56, 57

All My Life

170, 171

Answer Print

46

Arrábida

67

AS WITHOUT SO WITHIN

63, 64

Door Games Window Frames: Near Drama

CAMERA THREAT

41, 42

Dream Enclosure

197

CROSSROADS

27, 147

Ecstasy

39, 40

Detour de Force

93

existence is song

24, 134,135

Displacements

124

Field Study #2

173

Flowers of the Sky

53

Ganymede

77

HELIOPOLIS HELIOPOLIS 49, 50

Getting Used to Run

225

Her + Him VAN LEO

94, 95

Good-bye

Highview

62

IMPRESSIONS FOR A LIGHT AND SOUND MACHINE

55

Latency Contemplation 1

151 229, 230

This Bogeyman

125

Time and Tide

161

Traces

120

Tree

83

Ultraviolet

127

136-139

Unconcealment of the Aftermaths

226

I Am Delighted By Your Alchemy, Turning Everything in My Kingdom to Gold

168

Ver. VII

228, 229

Voice Seen, Images Heard

180 216

78, 79

I am not going to sing

204, 205

When I’m Getting Older With You

Lovely Andrea

100. 101

In Free Fall

99

You Don’t Own Me

122

Lumbre

48 124

In the Fog – Abandoned City

215

Moon Tendon Night Watch

120

Inside the Machine

24-26

Old Hat

72

61

Pancoran

69, 70

KEEP THAT DREAM BURNING

Pattern Language

121

Landscape(for Manon)

159

Lodz Symphony

160

Los (De)pendientes

59

MARILYN TIMES FIVE

152

Micro Narratives: a Visual Poem

182, 183

Microphone Test: A Letter to Huang Guo-Jun

217

Model Village

108, 109

People Power Bombshell: 115-117 The Diary of Vietnam Rose Playing Possum

120, 121

Return to Forms

121

Roadsides and Waste Grounds

167

Sergei / Sir Gay

38

Skin in the Game

125

Space

126

Spring Flavor

174

Suspension

169

The World

45

WATER/MIST/FIRE/OFF

76

Non Place Other Space

179

Ode to Seekers 2012

122

Outwardly from Earth’s Center

103

People who disappeared, the world that didn’t, or vice versa

85

Phantom of 20C

227, 228

Prisms

198

Red Hollywood

89, 90, 91

RESET

80

203

Rubber Coated Steel

104, 105

214

Sea of Clouds

58

227

Stargazing

217

(100ft)

81

17 Reasons Why

175

A Private Collection

218

A Short History of Decay(解體 要)

215

Act of Affect Action at a Distance aXolotl’s Happiness

국제경쟁 EX-NOW ①

Theorem 8

239

A Train Arrives at the Station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