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통신> 02호

Page 36

돌봄농업실천가이드 연재

신문 기사나 블로그 글은 가볍게 훑어보기 좋습니다. 하지만 워낙 그 양이 방대하고 단편적인 정보나 단순한 사례 소개가 많습니다. 개념부터 실천 사례,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까 지 더 깊이 있고 자 세하게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관련 기관의 연구보고서나 세미나 자료 등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 연구보고서를 소개합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ww.krei.re.kr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김정섭, 안석, 이정해, 김경인 ⎥ 2017

먹거리 생산이라는 본래의 역할 외에도, 농업 활동과 결합하여 일자 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농업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농업 활동에 내재 한 치료적 요인을 활용해 아픈 사람을 돌보거나, 지식∙기능이 필요한 사람에게 농업 분야의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실천을 사회적 농업이라 부른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맥락에서 사회적 농업의 의 의를 정리하고 관련 정책 방향을 제안한다. 외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와 관련 정책 동향을 검토하고, 한국 농촌에서 전개되는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적 농업이 지니는 의의를 정리했다. 이어서 사회적 농업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했다. 제1장. 서론 제2장. 사회적 농업 논의의 지형: Q방법 조사 결과 제3장. 외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와 정책 제4장. 한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

제5장. 결론: 사회적 농업 정책의 방향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관계 부처 협업 방안 김정섭, 나현수 ⎥ 2019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농업 활성화에 필요하다고 논의되는 다부 문 간의 협력과 연계, 특히 정부 부처들 간의 협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사회적 농업을 한국보다 앞서 활성 화시킨 네덜란드, 이탈리아 국가들에서 사회적 농업 및 관련 정책이 어 떤 경로로 발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행정기관 소관 사회보장사업들을 검토하여 현장에서의 다부문 연계와 협력이 어 떻게 가능한지를 따져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사회적 농업을 활성화하려 면, 중앙행정기관들이 협업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36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